KR20180082856A -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 Google Patents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856A
KR20180082856A KR1020170004269A KR20170004269A KR20180082856A KR 20180082856 A KR20180082856 A KR 20180082856A KR 1020170004269 A KR1020170004269 A KR 1020170004269A KR 20170004269 A KR20170004269 A KR 20170004269A KR 20180082856 A KR20180082856 A KR 20180082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wearer
real time
safety helme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명
안형욱
박노일
이지은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박노일
이지은
안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박노일, 이지은, 안형욱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856A/ko
Publication of KR20180082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6Means for detecting that the user is wearing a helme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모 내부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안전모에 설치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결합되어 안전모의 상태를 파악하는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에 결합되어 외부에 형성된 서버로 상기 감지부를 통해 파악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안전모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A safety helmet to prevent accidents and send information of the wearer in real time}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를 착용한 착용자의 위치, 착용상태, 사고 발생여부를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머리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작업모로서,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 또는 합성 수지제로 형성되며, 모자의 내측에는 상부로부터 충격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완화재가 내장된다.
또한 안전모는 토목, 건설, 중공업, 조선, 제강, 산업 플랜트 제조 등 각종 산업 현장 및 도로 공사와, 환경 미화 작업 등 산업 전 분야에서 이용되는 보호 장비로서, 안전관리 차원에서 안전모의 착용이 강력하게 권고되며, 다양한 연구에 의한 안전모 착용 활성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종류는 추락, 감전, 협착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고층에 위치하던 기기물에 의한 충격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런 이유로 모든 현장 출입자는 안전모를 필수적으로 쓰도록 강제하고 있다.
그러나 착용감 및 불편함 등의 이유로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는 작업자가 존재하고, 이에 따라 추락 및 낙하물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고가 발생된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사고 후 방치되어 사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600826호는 실시간 현장 모니터링 및 정보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도니 바와 같이 현장의 정지영상과 동영상 그리고 문자와 음성 정보를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확보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하는 현장 작업자 장치(10), 웹/스트리밍 서버 및 네트워크를 통해 현장 작업자 장치가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30) 및 데이터베이스에 자료를 저장하고, 현장 작업자 장치 및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양방향 상호 자료를 실시간 제공하는 웹/스트리밍 서버(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현장 작업자와 클라이언트의 실시간 양방향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작업자가 교신하기 위한 부수적인 장비를 별도로 착용해야 하며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클라이언트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를 알려줄 수 있는 방안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현장에서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안전모를 벗거나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장에 들어가는 경우 클라이언트가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60082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되면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여 다른 작업자 또는 감독관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현장에 들어가 있는 동안에는 안전모를 벗지 못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가 발생된 위치를 서버를 통해 확인하여 신속한 구조를 할 수 있는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는 안전모 내부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안전모에 설치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결합되어 안전모의 상태를 파악하는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에 결합되어 외부에 형성된 서버로 상기 감지부를 통해 파악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안전모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전모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여 충격여부를 판단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경보음을 출력하여 주위 사람에게 알리는 부저음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전모의 턱끈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락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센서는 상기 턱끈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턱끈이 서로 결합되면 상기 락센서가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전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GPS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GPS센서를 통해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착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에 의하면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되면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여 다른 작업자 또는 감독관이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에 의하면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현장에 들어가 있는 동안에는 안전모를 벗지 못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에 의하면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가 발생된 위치를 서버를 통해 확인하여 신속한 구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실시간 현장 모니터링 및 정보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의 감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의 턱끈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를 착용한 착용자의 위치, 착용상태, 사고 발생여부를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는 안전모(10) 내부 상단에 위치하며 안전모(10)에 설치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0)와, 제어부(100)에 결합되어 안전모(10)의 상태를 파악하는 감지부(500)와, 제어부(100)에 결합되어 외부에 형성된 서버(600)로 감지부(500)를 통해 파악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200)와, 안전모(10)의 전면에 위치하고 제어부(100)와 연결되어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 촬영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100)는 하부에 결합된 전원부(300)와 연결되어 전력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부(300)에서 공급된 전력을 각 장치로 공급 또는 차단함으로써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00)는 감지부(500)로부터 측정된 값을 설정된 값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안전모(10)에 가해진 충격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착용자의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감지부(500)는 안전모(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여 충격여부를 판단하는 충격센서(510)와, 충격센서(510)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경보음을 출력하여 주위 사람에게 알리는 부저음센서(530)와, 안전모(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GPS센서(5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격센서(510)는 안전모(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안전모(10)에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안전모(10)가 외부충격을 얼마나 받았는지 파악한 후 제어부(100)로 측정된 값을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100)는 충격센서(510)에서 측정된 값을 사전에 설정된 값과 비교 분석하여 설정된 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작업자의 머리에 큰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간주하여 부저음센서(530)를 작동시켜 부저음센서(530)에서 경보음이 출력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00)는 통신부(200)를 이용하여 서버(600)에 충격이 가해진 안전모(10)를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의 정보와 함께 충격센서(510)가 측정한 값을 업로드하며, 서버(600)는 관리자나 주위에 있는 작업자에게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감지부(500)는 턱끈(11)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락센서(520)를 더 포함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GPS센서(540)를 통해 충격이 가해진 안전모(10)의 위치를 서버(600)로 업로드한 후 주위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사고 발생 장소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촬영부(400)는 안전모(10)의 전면에 위치하여 안전모(10)를 착용한 작업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사고 발생시 촬영부(4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사고 경위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통신부(200)는 와이파이를 통해 서버(600)와 원격으로 통신하며 촬영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서버(600)에서 실시간 스트링밍할 수 있도록 UV4L를 이용하여 서버(600)와 교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와이파이를 통해 서버(6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부(200)의 와이파이 맥어드레스를 통해 각각의 안전모(10)의 정보를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서버(600)에는 각 작업자가 하나의 안전모(10)를 전용으로 사용하도록 안전모(10)에 대한 작업자의 정보를 서버(600)에 등록하게 된다.
즉, 와이파이의 맥어드레스를 통해 서버(600)에서 각각의 안전모(10)를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서버(600)는 각 안전모(10)에 대해 작업자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사고 발생시 어느 작업자가 다쳤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정보는 이름, 성별, 휴대전화, 혈액형, 주소, 질환 등을 빠르게 파악하여 구급요원 도착시 해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응급처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의 감지부(5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의 턱끈(11)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10)의 감지부(500)는 안전모(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여 충격여부를 판단하는 충격센서(510)와, 충격센서(510)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경보음을 출력하여 주위 사람에게 알리는 부저음센서(5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모(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도 2의 GPS센서(540)를 더 포함하며, 도 2의 GPS센서(540)를 통해 안전모(10)를 착용한 착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부(500)는 안전모(10)의 턱끈(11)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락센서(520)를 더 포함하며, 락센서(520)는 턱끈(1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턱끈(11)이 서로 결합되면 락센서(520)가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지부(500)에 형성된 충격센서(510), 부저음센서(530), 락센서(520), GPS센서(540)는 제어부(100)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충격센서(510)는 안전모(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안전모(10)에 발생된 진동을 측정하여 안전모(10)가 외부충격을 받았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부저음센서(530)는 충격센서(510)를 통해 제어부(100)에 설정된 값 이상의 진동이 안전모(10)에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100)에 의해 동작되어 주위 작업자가 청각으로 들을 수 있도록 경보음을 송출하게 된다.
또한 부저음센서(530)는 외부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 파손되지 않도록 안전모(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전모(10)에는 시야확보가 어려운 야간에 위치를 파악하기 쉽도록 LED가 형성되어 빛과 함께 경보음을 발산하여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GPS센서(540)는 현장의 범위가 큰 경우에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어려운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GPS센서(540)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사고 발생시 GPS센서(540)를 통해 서버(600)로 송신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구조 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락센서(520)는 한쪽 턱끈(11)의 끝단에 위치하며 내부에 솔레노이드가 형성되어 있어 전력이 공급되면 자성을 띄게 되고, 다른 한쪽의 턱끈(11)에는 락센서(520)와 결합되는 금속체(521)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턱끈(11)이 결합되고 나면 제어부(100)는 락센서(520)에 전력을 공급하여 금속체(521)가 락센서(520)에 자기력으로 결합시킨 후 도 2의 서버(600)로 안전모(10)가 완전히 되었다고 통신부(200)를 통해 업로드하게 된다.
또한 락센서(520)는 도 2의 GPS센서(540)에 의해 현장에서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서버(600)로부터 락센서(5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작업자가 안전모(10)를 벗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600)는 현장에서 어느 작업자가 안전모(10)를 벗었는지 락센서(520)의 동작 유무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안전규정을 어긴 작업자에게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락센서(520)는 현장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자기력이 강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는 안전모(10)를 벗어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에 의하면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되면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여 다른 작업자 또는 감독관이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에 의하면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현장에 들어가 있는 동안에는 안전모를 벗지 못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에 의하면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가 발생된 위치를 서버를 통해 확인하여 신속한 구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안전모
11 : 턱끈
100 : 제어부
200 : 통신부
300 : 전원부
400 : 촬영부
500 : 감지부
510 : 충격센서
520 : 락센서
521 : 금속체
530 : 부저음센서
540 : GPS센서
600 : 서버

Claims (4)

  1. 안전모 내부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안전모에 설치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결합되어 안전모의 상태를 파악하는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에 결합되어 외부에 형성된 서버로 상기 감지부를 통해 파악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안전모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전모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여 충격여부를 판단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경보음을 출력하여 주위 사람에게 알리는 부저음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전모의 턱끈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락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센서는 상기 턱끈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턱끈이 서로 결합되면 상기 락센서가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전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GPS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GPS센서를 통해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착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KR1020170004269A 2017-01-11 2017-01-11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KR20180082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269A KR20180082856A (ko) 2017-01-11 2017-01-11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269A KR20180082856A (ko) 2017-01-11 2017-01-11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856A true KR20180082856A (ko) 2018-07-19

Family

ID=6305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269A KR20180082856A (ko) 2017-01-11 2017-01-11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8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0441A (zh) * 2018-12-14 2019-04-23 广东亿迅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安全帽穿戴识别的方法、系统、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073121A (ko) 2019-12-10 2021-06-18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안전모
KR20210089398A (ko) * 2020-01-08 2021-07-16 채호성 안전 헬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826B1 (ko) 2014-01-28 2016-03-09 주식회사 누리정보기술 실시간 현장 모니터링 및 정보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826B1 (ko) 2014-01-28 2016-03-09 주식회사 누리정보기술 실시간 현장 모니터링 및 정보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0441A (zh) * 2018-12-14 2019-04-23 广东亿迅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安全帽穿戴识别的方法、系统、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670441B (zh) * 2018-12-14 2024-02-06 广东亿迅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安全帽穿戴识别的方法、系统、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073121A (ko) 2019-12-10 2021-06-18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안전모
KR20210089398A (ko) * 2020-01-08 2021-07-16 채호성 안전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5191B2 (ja) 安全性システム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100966892B1 (ko)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KR101595850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공기호흡기
US10828517B2 (en) Smart fall arrest system
CN107079259A (zh) 用于在地面以上和以下操作或在其间移动的人员、设备和装备的计算机化追踪和接近警告方法及系统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2856A (ko)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US11207550B2 (en) Controlled descent self-retracting lanyard
KR20130052420A (ko)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US11538323B2 (en) Telematics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s and improving worksite safety
KR101995631B1 (ko) 안전모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로서, 안전모에 부착하여 인원관리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
KR102055418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KR20210133071A (ko)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86790A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33956B2 (en) Garment and alert system
KR102286381B1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25379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IT201900007194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individuale indossabile e sistema per la gestione di dispositivi di protezione individuale indossabili.
KR101377706B1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102618229B1 (ko) 안전모용 착용자 감지모듈을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KR20190113150A (ko) 추락방지 시스템
KR20220114668A (ko)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180055599A (ko)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30125957A (ko) 산업용안전조끼하네스알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