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071A -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071A
KR20210133071A KR1020200051781A KR20200051781A KR20210133071A KR 20210133071 A KR20210133071 A KR 20210133071A KR 1020200051781 A KR1020200051781 A KR 1020200051781A KR 20200051781 A KR20200051781 A KR 20200051781A KR 20210133071 A KR20210133071 A KR 20210133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isk management
risk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248B1 (ko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비앤피 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앤피 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앤피 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2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 공사 현장, 산업 현장 등과 같은 작업 현장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 등과 같은 수동적인 수단이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는 의복 자체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의 위험 감지 및 위험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안전 장비화하여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는 물론 작업자가 볼 수 없는 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까지 동시에 감지하여 위험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위험 요소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SMART SAFETY COSTU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산업 현장 등에 있어서 현장의 위험 영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 대한 사고 방지 및 사고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설 현장, 공사 현장, 산업 현장 등과 같은 작업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위험한 작업들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장비로 인한 사고나 넘어지거나 추락하는 등의 사고 등 여러 가지 사고들이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고 예방 안내 표지판 등을 현장에 부착하거나 현장 곳곳에 CCTV를 설치하고 관제센터의 관리자가 그 CCTV 화면을 확인하면서 사고의 발생을 감시하는 등 작업 현장에서의 사고 방지를 위한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작업장 곳곳에 사고 예방 안내 표지판 등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작업자들이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가 많아서 사고 위험성이 높은 지역에서의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경각심을 높이기에 한계가 있고, 또한 현장 곳곳에 설치된 CCTV를 통해 관제센터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한다고 하지만 CCTV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도 많고 CCTV를 빠짐없이 설치하기도 어려우며, CCTV를 통해 감시를 하더라도 사고가 발생했는지 확인이 어려운 경우도 많기 때문에 작업 현장에서의 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수단으로 사고 방지와 사고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작업자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안전모에 전방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을 장착하고, 그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관제센터로 전송하여 관제센터의 관리자가 위험 상황 여부를 작업자에게 경고하는 방식의 기술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안전모에 카메라 등의 특정 장치가 장착되면 작업자의 머리에 상당한 하중이 작용하여 작업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신체에 큰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작업자의 뒤쪽에서 지게차 등이 접근하는 등 위험물의 접근을 감지할 수 없어 협착 사고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관제센터로 전송되고 그 관제센터의 관리자가 일일이 확인하여 다시 작업자에게 경고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므로 위험 상황에 대한 대응이 느릴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출원 제10-2017-0108213호
특허출원 제10-2016-0069749호
특허출원 제10-2017-0021527호
본 발명은 건설 현장, 공사 현장, 산업 현장 등과 같은 작업 현장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 등과 같은 수동적인 수단이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는 의복 자체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의 위험 감지 및 위험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안전 장비화하여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는 물론 작업자가 볼 수 없는 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까지 동시에 감지하여 위험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위험 요소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은,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의복부; 상기 의복부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자의 전방을 감지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의복부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자의 후방을 감지하는 제2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상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상의 객체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모델에 따라 위험 요소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위험 요소에 따라 위험 관리를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를 수행하는 위험관리 제어유닛; 및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감지된 위험 요소에 대해 알람을 수행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복부의 일측에 배터리가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의복부의 전면에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알람부로서 스피커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의복부의 후면에, 상기 제2 카메라와,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이 구비된 메인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이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상기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과 상기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복부의 일측에 배터리가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의복부의 전면에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알람부로서 스피커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의복부의 후면에, 상기 제2 카메라와,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이 구비된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의복부의 타측에 상기 작업자의 위치, 높이, 자세,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들, 가스의 누설을 감지하는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관리 센싱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의복부의 전면에 관제센터와의 통신, 입력 조작, 정보 표시, 구조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관리 단말기가 장착되고, 상기 의복부의 후면에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위험시의 경광을 제공하는 경광유닛이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상기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 상기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 상기 위험관리 센싱유닛, 상기 위험관리 단말기, 상기 경광유닛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 영역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 상기 작업자의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한 접근 알람을 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 상기 위험물의 상기 작업자에 대한 접근 알람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는 제1 뎁스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는 제2 뎁스카메라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 영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뎁스카메라에 의한 상기 위험 영역에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 상기 작업자의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한 접근 알람을 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뎁스카메라에 의한 상기 위험물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 상기 위험물의 상기 작업자에 대한 접근 알람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복부에 장착되는 고도계,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은, 상기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에 의한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정보, 상기 고도계에 의한 상기 작업자가 위치하는 높이에 대한 감지 정보,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각각이 취득한 영상의 분석을 통해 상기 작업자가 고소 작업을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각각이 취득한 영상의 분석을 통해 상기 작업자의 안전 장치 착용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작업자가 상기 안전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알람부를 통해 알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은, 다양한 위험 요소별로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대해 설정하며,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 및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 각각을 분석하여 상기 딥러닝 모델에 따라 상기 각 영상 상의 객체의 정보에 관하여 추론하는 AI모듈과, 상기 AI모듈에 의해 추론된 객체에 대해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분석 모듈과, 상기 연산 모듈에 의해 위험 요소가 검출된 경우, 해당 위험 요소에 대응하여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의 제어방법은,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의복부와, 이에 구비되는 위험관리를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에 의한 위험관리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의복부의 전면에 장착되는 제1 카메라에 의해 상기 작업자의 전방의 화각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며, 상기 의복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2 카메라에 의해 상기 작업자의 후방의 화각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상의 객체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모델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상의 객체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모델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전방 및 후방의 위험 요소에 따라 상기 검출된 각 위험 요소에 관한 알람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는, 제1 뎁스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고, 제2 뎁스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카메라의 취득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위험 영역에 대해 상기 제1 뎁스카메라의 뎁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제2 카메라의 취득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위험물에 대해 상기 제2 뎁스카메라의 뎁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물의 상기 작업자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단계는, 다양한 위험 요소별로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대해 설정하는 AI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 및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 각각이 분석되어 상기 딥러닝 모델에 따라 상기 각 영상 상의 객체의 정보에 관하여 추론하는 단계와, 분석 모듈에 의해 상기 AI모듈에 의해 추론된 객체에 대해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은, 건설 현장, 공사 현장, 산업 현장 등과 같은 작업 현장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 등과 같은 수동적인 수단이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는 의복 자체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의 위험 감지 및 위험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안전 장비화하여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는 물론 작업자가 볼 수 없는 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까지 동시에 감지하여 위험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위험 요소에 대한 신속한 대처와 작업자의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의 구성에 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이 조끼의 형태로 구현된 예로서 도 2의 (a)는 전면부를, 그리고 도 2의 (b)는 후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기 스마트 안전 의복이 하네스의 형태로 구현된 예로서, 도 3의 (a)는 전면부를, 그리고 도 3의 (b)는 후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의 구성 및 제어계통에 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작업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을 착용하여 작업 현장에서 작업을 할 때 스마트 안전 의복을 이용하여 위험 관리를 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설 현장, 공사 현장, 산업 현장 등과 같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는 의복 자체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의 위험 감지 및 위험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안전 장비화하여 그 의복을 착용한 작업자의 안전 및 위험 관리를 하도록 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의 구성에 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은 기본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작업복과 같은 의복에 해당하는 의복부(100)에 다양한 위험 관리에 관한 장치들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은, 의복부(100)의 일측에 배터리(BA)가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의복부(100)에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200),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400), 위험관리 단말기(300), 위험관리 센싱유닛(500), 경광유닛(600) 등의 구성요소가 장착되어 이들 구성요소들이 모두 상기 배터리(BA)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 안전 의복의 각 구성요소들이 별도의 장치의 필요 없이 자체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200)은 의복부(100)의 전면에 장착되며, 작업자의 전방을 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 요소에 관하여 경고나 음성 안내 등을 하는 스피커 등이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400)은 의복부(100)의 후면에 장착되며, 작업자의 후방을 감지하는 카메라와, 각 카메라와 센서 등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장치 등이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위험관리 단말기(300)는 의복부(10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관제센터와의 통신, 입력 조작, 정보 표시, 구조요청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을 착용한 작업자는 상기한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200)과 위험감지통합처리유닛(400) 등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에 따라 위험 요소가 검출되거나 또는 작업자가 위험 요소를 감지하는 등의 경우 상기한 위험관리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관제센터에 구조요청을 하거나 위험 요소에 대한 영상을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복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 높이, 자세,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들, 가스의 누설을 감지하는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관리 센싱유닛(500)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복부(100)의 후면에는 위험 요소 검출시의 경광을 제공하는 경광유닛이 장착되어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의 의복부(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조끼나 하네스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이 조끼의 형태로 구현된 예로서 도 2의 (a)는 전면부를, 그리고 도 2의 (b)는 후면부를 나타내고, 도 3은 상기 스마트 안전 의복이 하네스의 형태로 구현된 예로서, 도 3의 (a)는 전면부를, 그리고 도 3의 (b)는 후면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은,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의복부(100)와, 상기 의복부(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전방을 감지하는 제1 카메라(210)와, 상기 의복부(100)의 후면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후방을 감지하는 제2 카메라(410)와, 상기 제1 카메라(210)가 취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상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카메라(410)가 취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상의 객체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모델에 따라 위험 요소를 검출하며 그 검출된 위험 요소에 따라 위험 관리를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를 수행하는 위험관리 제어유닛(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드에 장착될 수 있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210) 및 제2 카메라(41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감지된 위험 요소에 대해 알람을 수행하는 알람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복부(100)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카메라(210)와, 스피커(230) 등이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200)으로 구현되어 장착되며, 의복부(100)의 후면에는 상기 제2 카메라(410)와, 위험관리 제어유닛(AI모듈, 분석모듈, 제어모듈 등을 구비함.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함)이 구비된 메인보드 등이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400)으로 구현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400)에는 진동모듈이 구비되어 작업자에게 위험요소에 대한 알람을 진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부(100)의 일측에 상기한 바와 같은 위험관리 센싱유닛이 장착될 수 있고, 위험관리 단말기(300)가 작업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의복부(100)의 후면에 경광유닛(6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알람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피커(230), 진동모듈, 경광유닛(600)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부(100)의 일측에는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수납부(1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복부(100)는 내부에 배선이 형성되어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각 구성요소들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은 그 자체에서 작업자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감지하고 작업자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위험 요소들을 감지하여 위험관리 제어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되어 곧바로 위험 요소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복부(100)의 후면에 작업자의 경부 아래쪽 위치에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40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400)은 제2 카메라(410)와 메인보드, 그리고 진동모듈이 패키징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장착될 수 있다.
작업자의 경부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진동모듈에 의한 작업자로의 진동 전달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인보드에는 위험관리 제어유닛이 장착되는데, 후술할 AI모듈과, 분석모듈과,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복부(100)의 전면에 장착되는 위험관리 단말기(300)는 의복부(100)에 고정되는 단말기 케이스(30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단말기 케이스(301)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위험관리 단말기(300)의 후면이 전방을 향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을 비추는 조명부(330)와, 관제센터 등에 구조요청을 할 수 있는 구조요청버튼(3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험관리 단말기(300)는 통신모듈과, 마이크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유사시 관제센터와 교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320)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310)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은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하네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조끼 형태의 의복부와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네스 형태의 의복부(100)의 전면에 제1 카메라(210)와 스피커(230)를 포함하는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200)이 구비될 수 있고,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수납부(10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위험관리 단말기를 별도로 구비하고 그에 조명부와 구조요청버튼 등이 구비되도록 구성하였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위험관리 단말기를 구비하는 대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330)와, 구조요청버튼(340)을 의복부(100)에 직접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감지센서 등의 센싱유닛을 수납하는 센서 수납부(104)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부(100)의 후면에 제2 카메라(410)와, 위험관리 제어유닛 등을 포함하는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400)이 구비될 수 있고, 경광유닛(600)이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의 구성과 이에 대한 제어계통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의 구성과 제어계통에 대해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은 위험관리 제어유닛(450)을 중심으로 작업자의 전방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카메라(210)와 작업자의 후방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카메라(410)가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450)은 제1 카메라(210)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 영역 여부를 판단하여 알람부(스피커(230), 진동모듈(430) 등)를 통해 작업자의 위험 영역에 대한 접근 알람을 하도록 제어하며, 제2 카메라(410)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물 여부를 판단하여 경광유닛(600)이 발광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위험물에 대해 작업자의 존재를 알리도록 하는 한편, 스피커(230)나 진동모듈(430) 등을 통해 위험물의 작업자에 대한 접근 알람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은 제1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되는 작업자 전방의 영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는 제1 뎁스카메라(220)와, 제2 카메라(410)에 의해 촬영되는 작업자 후방의 영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는 제2 뎁스카메라(4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뎁스카메라(220)는 제1 카메라(210)가 취득하는 영상상의 픽셀들 각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제2 뎁스카메라(420)는 제2 카메라(410)가 취득하는 영상상의 픽셀들 각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데, 예컨대 초음파를 피사체에 발사하고 되돌아오는 신호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뎁스 정보를 구하는 TOF 카메라나, 적외선을 기반으로 하여 피사체에 대한 뎁스 정보를 구하는 뎁스카메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위험관리 제어유닛(450)은, 제1 카메라(210)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 영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뎁스카메라(220)에 의해 상기 분석한 전방 객체를 이루는 각 픽셀들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 영역으로의 접근 정도에 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제2 카메라(410)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뎁스카메라(420)에 의해 상기 분석한 후방 객체를 이루는 각 픽셀들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물의 접근 정도에 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관리 제어유닛(450)은 딥러닝을 통한 결과 추론을 위한 모델링을 하며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추론을 하는 AI모듈(452)과, 상기 AI모듈(452)의 추론된 결과를 분석하여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분석모듈(454)과, 상기 분석 모듈(454)에 의해 검출된 결과에 따라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모듈(45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위험관리 제어유닛(45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카메라(210)와 제1 뎁스카메라(220), 그리고 제2 카메라(410)와 제2 뎁스카메라(420) 뿐만 아니라, 스피커(230), 위험관리 단말기(300), 진동모듈(430), 각종센서(500), 그리고 경광유닛(600) 등 모든 스마트 안전 의복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연결된다.
상기 AI모듈(452)은 다양한 위험 요소별로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대해 설정하며, 제1 카메라(210)가 취득한 영상 및 제2 카메라(410)가 취득한 영상 각각을 분석하여 상기 딥러닝 모델에 따라 각 영상 상의 객체의 정보에 관하여 추론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에 도시된 바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에서는 작업자(WK)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SC)을 착용하여 작업 현장에서 작업을 하는 상황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작업 현장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위험 현장에 표시된 위험 표지판들이나, 위험 시설, 위험 지역 등이 존재하며, 예컨대 지게차 등과 같은 위험물이 수시로 이동하는 등 여러 가지 위험 요소들이 존재한다.
예컨대, 제1 카메라(210)에 의해 작업 현장의 위험 영역(DR)에 관한 영상이 취득되었을 때, 즉 위험 표지판에 관한 영상이 취득되거나, 컨베이어벨트 시설 같은 위험 시설에 관한 영상이 취득되거나, 난간 등과 같은 위험 지역에 관한 영상이 취득되었을 때, AI모듈(452)은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따라 영상에서 단순히 특정 객체를 추출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상에 나타난 것이 위험 표지판인지, 그 위험 표지판이 어떤 내용의 위험 표지판인지, 위험 시설인지, 그 위험 시설이 어떤 시설인지, 위험 지역인지, 그 위험 지역이 어떤 위험 지역인지 등에 관하여 추론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인식한다.
또한, 예컨대, 제2 카메라(410)에 의해 작업 현장에 존재하는 위험물(DT)에 관한 영상이 취득되었을 때, AI모듈(452)은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따라 영상에서 단순히 특정 객체를 추출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상에 나타난 것이 위험물인지, 어떤 위험물인지 등에 관하여 추론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인식한다.
한편, 상기한 분석모듈(454)는 상기 AI모듈(452)이 제1 카메라의 영상 및 제2 카메라의 영상으로부터 각각 위험 영역이나 위험물에 관하여 추론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 추론에 의해 인식된 위험 영역이나 위험물과 관련하여 위험 요소를 검출한다.
여기서 위험 요소는 단순히 각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영상상에 나타난 위험 영역이나 위험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해당 위험 영역이나 위험물에 대해 위험한 상황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1 카메라에 의해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AI모듈이 컨베이어벨트 시설을 추론에 의해 인식한 경우, 분석모듈은 제1 뎁스카메라로부터 영상상의 컨베이어벨트 시설에 작업자가 얼마나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로 접근이 된 경우를 작업자에 대한 위험 요소로서 검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카메라에 의해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AI모듈이 지게차를 추론에 의해 인식한 경우, 분석모듈은 제2 뎁스카메라로부터 영상상의 지게차가 작업자에게 얼마나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로 접근이 된 경우를 작업자에 대한 위험 요소로서 검출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한 바와 같이 AI모듈(452)이 위험 영역이나 위험물을 인식하고, 분석모듈(454)이 그 인식된 위험 영역이나 위험물로부터 위험 요소를 검출한 경우, 제어모듈(456)은 상기 분석모듈(454)의 검출에 따라 스피커(230)를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경고나 음성안내를 할 수 있고, 진동모듈(430)을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진동을 전달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후방에서 지게차와 같은 위험물이 접근할 때 경광유닛(600)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위험물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안전에 유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 요소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 여러 가지 위험 요소를 검출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 카메라나 제2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AI모듈이 유독가스저장시설을 인식하였는데, 분석모듈이 가스감지센서로부터 가스를 감지한 경우 가스누설이라는 위험 요소를 검출하고, 제어유닛이 스피커나 진동모듈을 통해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는 구조요청버튼을 눌러서 관제센터에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험을 관리하도록 하는 또 다른 예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SC)은 작업자(WK)가 고소작업대(HC) 위에서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에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위험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은 고도계,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등의 센서(500)를 구비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안전 의복(SC)을 착용한 작업자가 고소지역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AI모듈은 상기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에 의한 작업자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정보, 상기 고도계에 의한 작업자가 위치하는 높이에 대한 감지 정보,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각각이 취득한 영상의 분석 등을 통해 작업자가 고소 작업을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분석모듈은 작업자(WK)가 작업하는 지역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높은 지역인지 여부와 작업자(WK)가 안전장치(DH)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함으로써 위험 요소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제어유닛은 스피커, 진동모듈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안전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것에 대한 경고를 하거나 작업자가 안전에 유의하도록 안내를 하는 등의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을 이용하여 위험 관리를 할 수 있는 예는 상당히 많으며 거의 모든 경우의 위험 관리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작업현장에서 추락을 하거나 쓰러진 경우, AI모듈은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가 취득하는 일련의 영상으로부터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쓰러진 것으로 추론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분석모듈은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센서의 센싱 결과로부터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쓰러진 경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유닛은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경고를 하는 동시에 관제센터나 서버로 구조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사고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의 제어방법의 실질적인 예는 이미 앞서 설명하였는데, 이에 대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도 7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통해 다시 한 번 설명한다.
먼저, 제1 카메라에 의한 작업자의 전방의 영상이 지속적으로 취득(S110)되는 동시에 제2 카메라에 의한 작업자의 후방의 영상이 지속적으로 취득된다(S120).
이때, 실시예에 따라 제1 뎁스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취득되는 영상상의 픽셀들에 대한 뎁스 정보를 함께 취득할 수 있고, 제2 뎁스카메라로부터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취득되는 영상상의 픽셀들에 대한 뎁스 정보를 함께 취득할 수 있다.
AI모듈은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위 각 영상으로부터 위험 요소 검출을 위한 객체의 정보를 추론하며(S210), 분석모듈은 위 추론된 객체 및 각종 센싱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위험 요소를 검출한다(S22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은 상기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외에도, 고도계,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가스감지센서 등을 구비하므로, 분석모듈은 이들 각 센서들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수집하여 AI모듈에 의해 추론된 결과와 함께 종합적으로 작업자의 위험 요소를 검출한다.
예컨대, 작업자가 위험 시설에 접근하는지, 작업자의 후방에서 위험물이 작업자에게 접근하는지 등을 미리 감지하여 위험 요소를 검출할 수 있다.
분석모듈에 의해 위험 요소가 검출되면, 제어모듈은 알람부를 제어하여 작업자 등에게 위험 상황에 대한 경고나 안내 등을 할 수 있다(S230). 즉, 스피커를 통해 경고를 하거나 위험상황에 대한 음성안내를 할 수 있으며, 진동모듈을 통해 작업자에게 위험 상황임을 진동을 통해 알람할 수 있고, 경광유닛을 발광시켜 위험물을 운전하는 자가 안전에 유의하도록 할 수 있는 등 위험에 대한 알람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은, 건설 현장, 공사 현장, 산업 현장 등과 같은 작업 현장에서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는 의복 자체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의 위험 감지 및 위험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안전 장비화하여,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는 물론 작업자가 볼 수 없는 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까지 동시에 감지하여 위험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위험 요소에 대한 신속한 대처와 작업자의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100: 의복부, 102: 배터리 수납부
104: 센서수납부, 200: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
210: 제1 카메라, 220: 제1 뎁스카메라
230: 스피커, 300: 위험관리 단말기
330: 조명부, 340: 구조요청버튼
400: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 410: 제2 카메라
420: 제2 뎁스카메라, 430: 진동모듈
450: 위험관리 제어유닛, 452: AI모듈
454: 분석모듈, 456: 제어모듈
500: 각종 센서, 600: 경광유닛

Claims (10)

  1.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의복부;
    상기 의복부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자의 전방을 감지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의복부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자의 후방을 감지하는 제2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상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상의 객체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모델에 따라 위험 요소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위험 요소에 따라 위험 관리를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를 수행하는 위험관리 제어유닛; 및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감지된 위험 요소에 대해 알람을 수행하는 알람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부의 일측에 배터리가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의복부의 전면에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알람부로서 스피커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의복부의 후면에, 상기 제2 카메라와,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이 구비된 메인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이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상기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과 상기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부의 일측에 배터리가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의복부의 전면에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알람부로서 스피커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의복부의 후면에, 상기 제2 카메라와,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이 구비된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의복부의 타측에 상기 작업자의 위치, 높이, 자세,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들, 가스의 누설을 감지하는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관리 센싱유닛이 장착되며,
    상기 의복부의 전면에 관제센터와의 통신, 입력 조작, 정보 표시, 구조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관리 단말기가 장착되고,
    상기 의복부의 후면에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위험시의 경광을 제공하는 경광유닛이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상기 위험관리감지처리유닛, 상기 위험관리통합처리유닛, 상기 위험관리 센싱유닛, 상기 위험관리 단말기, 상기 경광유닛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 영역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 상기 작업자의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한 접근 알람을 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 상기 위험물의 상기 작업자에 대한 접근 알람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는 제1 뎁스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는 제2 뎁스카메라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은,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 영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뎁스카메라에 의한 상기 위험 영역에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 상기 작업자의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한 접근 알람을 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후방 객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험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뎁스카메라에 의한 상기 위험물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알람부를 통해 상기 위험물의 상기 작업자에 대한 접근 알람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부에 장착되는 고도계,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은,
    상기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에 의한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 정보, 상기 고도계에 의한 상기 작업자가 위치하는 높이에 대한 감지 정보,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각각이 취득한 영상의 분석을 통해 상기 작업자가 고소 작업을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 각각이 취득한 영상의 분석을 통해 상기 작업자의 안전 장치 착용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작업자가 상기 안전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알람부를 통해 알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관리 제어유닛은,
    다양한 위험 요소별로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대해 설정하며,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 및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 각각을 분석하여 상기 딥러닝 모델에 따라 상기 각 영상 상의 객체의 정보에 관하여 추론하는 AI모듈과,
    상기 AI모듈에 의해 추론된 객체에 대해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분석 모듈과,
    상기 연산 모듈에 의해 위험 요소가 검출된 경우, 해당 위험 요소에 대응하여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
  8.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의복부와, 이에 구비되는 위험관리를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에 의한 위험관리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의복부의 전면에 장착되는 제1 카메라에 의해 상기 작업자의 전방의 화각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며, 상기 의복부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2 카메라에 의해 상기 작업자의 후방의 화각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상의 객체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모델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상의 객체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모델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후방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전방 및 후방의 위험 요소에 따라 상기 검출된 각 위험 요소에 관한 알람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에 의한 위험관리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취득하는 단계는,
    제1 뎁스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고, 제2 뎁스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카메라의 취득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위험 영역에 대해 상기 제1 뎁스카메라의 뎁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상기 위험 영역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제2 카메라의 취득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위험물에 대해 상기 제2 뎁스카메라의 뎁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물의 상기 작업자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에 의한 위험관리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단계는,
    다양한 위험 요소별로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대해 설정하는 AI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 및 상기 제2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 각각이 분석되어 상기 딥러닝 모델에 따라 상기 각 영상 상의 객체의 정보에 관하여 추론하는 단계와,
    분석 모듈에 의해 상기 AI모듈에 의해 추론된 객체에 대해 위험 요소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의복에 의한 위험관리 제어방법.
KR1020200051781A 2020-04-28 2020-04-28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102568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781A KR102568248B1 (ko) 2020-04-28 2020-04-28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781A KR102568248B1 (ko) 2020-04-28 2020-04-28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071A true KR20210133071A (ko) 2021-11-05
KR102568248B1 KR102568248B1 (ko) 2023-08-18

Family

ID=7850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781A KR102568248B1 (ko) 2020-04-28 2020-04-28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2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671B1 (ko) * 2022-02-09 2022-10-18 에이아이에스앤피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IoT센서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작업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503797A (zh) * 2023-04-10 2023-07-28 盐城工学院 基于目标检测的医废处理人员防护用具穿戴检测方法
KR20230128744A (ko) * 2022-02-28 2023-09-05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39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아이디프라임 조류퇴치를 위한 무인비행체 및 그 운용방법
JP2019528503A (ja) * 2016-06-23 2019-10-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安全イベント検出のための解析ストリーム処理を伴う個人用保護具(ppe)
KR102045935B1 (ko) * 2019-06-13 2019-11-18 김상현 감시 및 보호 기능을 갖춘 의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8503A (ja) * 2016-06-23 2019-10-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安全イベント検出のための解析ストリーム処理を伴う個人用保護具(ppe)
KR20190000439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아이디프라임 조류퇴치를 위한 무인비행체 및 그 운용방법
KR102045935B1 (ko) * 2019-06-13 2019-11-18 김상현 감시 및 보호 기능을 갖춘 의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671B1 (ko) * 2022-02-09 2022-10-18 에이아이에스앤피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IoT센서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작업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8744A (ko) * 2022-02-28 2023-09-05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CN116503797A (zh) * 2023-04-10 2023-07-28 盐城工学院 基于目标检测的医废处理人员防护用具穿戴检测方法
CN116503797B (zh) * 2023-04-10 2023-10-27 盐城工学院 基于目标检测的医废处理人员防护用具穿戴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248B1 (ko)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248B1 (ko)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101715001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평가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5308B1 (ko) 신체 착용형 안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고 방지 제어방법
CA2917060C (en) Operator drowsiness detection in surface mines
KR101723283B1 (ko)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679057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gmenting a person's view of a mining vehicle on a mining worksite in real-time
US10648159B2 (en) Obstacle monitoring system, construction machine, and obstacle monitoring method
US11501619B2 (en) Work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21177183A1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21139283A (ja) 検出システム
WO2022244747A1 (ja) 作業現場管理システム、作業現場管理方法、及び作業現場管理プログラム
KR20170115937A (ko) 건설안전 시스템
KR20210086790A (ko) Rtls센서 연동 디지털 트윈 가상프록시 센서 및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기반 위험구역 설정을 통한 위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JP7280852B2 (ja) 人物検知システム、人物検知プログラム、学習済みモデル生成プログラム及び学習済みモデル
CN111113374A (zh) 机器人系统
CN115050125A (zh) 基于2d相机的安全预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89521B1 (ko) 융복합 산업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5599A (ko)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91575B1 (ko)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
CN117975657A (zh) 劳动保护装备的穿戴检测装置及穿戴检测方法
KR20240077786A (ko) 제스처기반 비상정지 시스템
US20230316758A1 (en) Workspace operating condition detection apparatus for use with a fall protect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2227115B1 (ko) 고소작업대의 운전자와 작업자의 동작감지를 통한 충돌 및 협착 방지 시스템
CN117115999A (zh) 移动式安全巡检方法、终端设备
KR20230168332A (ko) 영상인식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