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744A -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744A
KR20230128744A KR1020220026003A KR20220026003A KR20230128744A KR 20230128744 A KR20230128744 A KR 20230128744A KR 1020220026003 A KR1020220026003 A KR 1020220026003A KR 20220026003 A KR20220026003 A KR 20220026003A KR 20230128744 A KR20230128744 A KR 20230128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amera
worker
manage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886B1 (ko
Inventor
정하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220026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88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37141A priority patent/KR20230129147A/ko
Priority to KR1020220137830A priority patent/KR20230128952A/ko
Priority to KR1020220137049A priority patent/KR20230129146A/ko
Priority to KR1020220137025A priority patent/KR20230129141A/ko
Priority to KR1020220137043A priority patent/KR20230129143A/ko
Priority to KR1020220137013A priority patent/KR20230129137A/ko
Priority to KR1020220137029A priority patent/KR20230129142A/ko
Priority to KR1020220137024A priority patent/KR20230129140A/ko
Priority to KR1020220137018A priority patent/KR20230129138A/ko
Priority to KR1020220137022A priority patent/KR20230129139A/ko
Priority to KR1020220137818A priority patent/KR20230129148A/ko
Priority to KR1020220137046A priority patent/KR20230129144A/ko
Priority to KR1020220137047A priority patent/KR20230129145A/ko
Priority to KR1020230053912A priority patent/KR20230128994A/ko
Publication of KR2023012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886B1/ko
Priority to KR1020240037477A priority patent/KR20240038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30Constru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4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personal data, e.g. biometric data, records or prefere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50Safety; Security of things, users, data 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사람, 로봇,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장비, 거치대 등에 착용되는 수단,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의류,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b) 작업에 이용되는 드론, 장치, 장비, 로봇, 계측기; c) 상기 수단 내지 계측기 등에 구비되는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오존기, 음이온기, 청정기, 히터, 쿨러; d) 상기 수단 내지 쿨러 등에 연계되는 비콘, 게이트웨이,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관제센터; e) 상기 수단 내지 관제센터 등에 이용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f) 상기 수단 내지 어플리케이션 등이 이용되는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관리, 안전관리, 자동관리, 출입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환경관리, 건강관리, 냉난방관리; g) 상기 수단 내지 관리 등이 이용되는 공장, 가정, 현장, 건물, 사무실, 작업장, 산업현장; h) 상기 수단 내지 산업현장 등에 관련되는 방법, 공법, 시스템, 안전시스템, 작업시스템, 공사시스템, 무인시스템, 청정시스템; 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IoT based things, vest, helmet, band, watch and works,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system}
본 발명은 일정 수단, 필드 수단, 웨어러블 수단, IoT, 의류,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이중 하나가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공장, 현장, 작업장, 방법, 공법, 장비, 장치, 드론, 시스템; 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공장, 현장, 작업장 등은 많은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제조, 생산, 건설, 공사, 작업 등에서 많은 재해, 사건, 사고 등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제조업, 건설업, 공사업 등은 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고 여러 작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이다. 따라서 이에 투입되는 인력 및 장비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산업현장에서는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 인한 위험성과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사고 및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하여 1981년부터 산업안전보건법이 시행되었고, 중대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2022년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었다. 특히 중대재해법 시행으로 산업계, 건설업 등은 사고방지를 위한 대책을 더욱 면밀하게 강구하여야 한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타산업에 비하여 사고발생 비율이 높기 때문에 사고 및 재해에 대한 대책을 더욱 강화하여야 한다. 통상 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현장 근로자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에 관리자의 통제 및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비관리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근로자가 현장 내 위험요소로 접근하거나 또는 부주의하게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일부 현장에서는 다양한 시설, 구조, 소음, 진동, 분진, 전파간섭이나, 위치추적, 유/무선통신, GPS사용 등의 어려움으로 사건, 사고, 재해, 가스, 오염, 낙상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에게 일어난 사고나 상황이 관리자에게 실시간 또는 신속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피해들이 많다.
또한 안전문제, 사고발생, 재해발생, 산업발달, 기계발달, 인구감소, 작업자감소, 인력부족, 직공부족, 전문가부족, 3D업무기피, 힘든업무기피, 공사비절감, 열악한작업, 열악한환경, 주5일근무, 작업시간단축 등에 의하여 일, 업무, 사무, 생활,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등에 있어서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안전화, 시스템화, 자동제어, 원격제어, 오토메이션 등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양질의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시설, 건물, 도로, 교량, 구조물 등이 조성되고, 안전한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이 되기 위해서는 최적의 QC, QA, 품질시험, 품질관리, 품질인증, 품질보증 등이 시행되어야 한다.
최근에 공기, 대기, 수질, 토양, 환경, 공간, 공장, 현장, 건물, 주택, 생활, 주거, 사람, 생태계 등에 균, 세균, 오염, 먼지, 분진, 황사, 중금속, 오염물, 폐기물, 박테리아, 바이러스, 미세먼지, 새집증후군, 환경호르몬, 포름알데히드 등이 많이 존재하여 이의 청정, 정화, 정수, 청소, 세척, 살균, 멸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에코처리 등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각종 분야에서 IT, IC, AI, VR, AR, MR, 5G, ICT, IoT, IoE, BIM, LTE, WiFi, 메타, 버스, 소자, 에코,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시스템, 아바타, 융합기술, 빅데이터, 클라우드, 웨어러블, 메타버스, 생명공학, 생명기술, 4차산업기술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의 새로은 기술이 상기의 산업, 공장, 현장, 작업장, 사고방지, 재해방지, 일 내지 건축, 청정 내지 크리닝 등에 이용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이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전, 사고방지, 재해방지, 안전화,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품질,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에코, 바이오, 메타버스 등에 대한 관리, 대책, 대안, 기술, 방법, 공법, 방안, 시스템 등의 고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수단, 안전수단,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드론, 장비, 장치, 로봇, 센서, 카메라, 계측기,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에코재, 바이오재 등을 이용하여 작업환경 관찰, 작업상태 파악, 작업자 상태 파악, 작업자의 작업강도 파악, 작업자의 건강상태 파악, 작업자의 비상버튼 작동, 작업자에게 얼람 전송, 사고 발생여부 감지, 위험상황 경고, 알림서비스 제공, 작업자에게 전송, 관리자에게 전송, 작업자의 안전관리, 사고 미연 방지,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안전화, 시스템화, 고품질화, 청정, 정화, 정수, 청소, 세척, 살균, 소독, 방역, 방제, 크리닝, 메타버스화, 안전시스템 구축, 자동시스템 구축, 품질시스템 구축, 방역시스템 구축, 환경시스템 구축 등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사람,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아바타, 로봇 등에 착용되는 수단, 필드 수단, 웨어러블 수단, 의류,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b) 작업에 이용되는 드론, 항공기, 장치, 장비, 로봇, 물질, 재료, 자재, 계측기,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에코재, 바이오재, 작업장비; c) 상기 수단 내지 작업장비 등에 구비되는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발전기, 오존기, 음이온기, 청정기, 바이오, 히터, 쿨러; d) 상기 수단 내지 쿨러 등에 연계되는 LTE, WiFi, 비콘, 게이트웨이,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클라우드, 처리장치, 단말기, 관제센터; e) 상기 수단 내지 관제센터 등에 이용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f) 상기 수단 내지 어플리케이션 등이 이용되는 작업, 제조, 생산, 품질, 공사, 건설, 건축, 안전, 제어, 케어, 청정, 정화, 정수, 청소, 세척, 살균, 소독, 방역, 방제, 크리닝, 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자동관리, 원격관리, 출입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환경관리, 방역관리, 건강관리, 냉난방관리; g) 상기 수단 내지 관리 등이 이용되는 공간, 환경, 공장, 가정, 현장, 주택, 사무실, 작업장, 산업현장; h) 상기 수단 내지 산업현장 등에 관련되는 방법, 공법, 대책; i) 또는 사람, 로봇, 작업자, 관리자, 총괄자, 앱이용자 등에 구비되는 상기 수단 내지 대책; j) 상기 수단 내지 대책 등이 이용되는 메타버스, 안전관리방안, 자동관리방안, 재해방지방안, 작업관리방안, 공사관리방안, 방역관리방안, 청정관리방안; k) 상기 수단 내지 청정관리방안 등이 반영되는 자동관리시스템, 품질관리시스템, 재해방지시스템, 작업관리시스템, 공사관리시스템, 청정관리시스템, 방역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등을 고안하거나, 또는 등을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a) 일정 수단, 필드 수단, 웨어러블 수단, 드론, 장비, 장치, 로봇, 센서, 물질, 재료, 자재, 카메라, 계측기,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클라우드, 빅데이터, 처리장치, 어플, 에코재, 바이오재, 에코기술, 바이오기술 등을 고안하고, b) 상기 수단 내지 바이오기술 등에 의하여 관리, 업무관리, 작업관리, 출입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원격관리, 자동관리, 무인관리, 공사관리, 방역관리, 환경관리, 청정관리, 작업환경 측정, 작업환경 관찰, 작업 동영상 제공, 생방송 방영, 라이브 스트리밍, 작업상태 파악, 작업자 상태 파악, 작업자의 작업강도 파악, 작업자의 건강상태 파악, 작업자의 비상버튼 작동, 작업자에게 얼람 전송, 사고 발생여부 감지, 위험상황 경고, 알림서비스 제공, 작업자에게 전송, 관리자에게 전송, 사고 미연 방지, 실시간 비상연락, 응급사고 지원, 현장과 본사 간에 실시간 연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앱이용 실시간 정보제공 등을 하고, c) 상기 수단 내지 바이오기술, 관리 내지 정보제공 등에 의하여 사고방지, 재해방지, 무인화, 자동화, 로봇화, 메타버스화, 품질개선, 방역작업, 오염방지, 환경개선, 공기청정, 수질개선 등을 하고, d) 최종적으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을 구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a) 최적의 작업, 업무, 생활, 공사, 건설, 건축, 안전, 품질, 자동, 방역, 환경,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시설, 건물, 도로, 교량, 구조물 등을 고안하고, b)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을 적용하고, c) 상기 균 내지 포름알데히드 등을 제거하고, d) 최적의 품질시험(QC, quality test), 품질관리(QC, quality control), 품질인증(QC, quality certification), 품질보증(QA, quality assurance) 등을 고안하고, e) 상기 작업 내지 구조물 등에 대한 적정의 관리, 대책, 대안, 기술, 방법, 공법, 방안,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수단, 드론, 장비, 계측기를 이용한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 및 공장에서의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과 본사 간의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하드웨어 장치간의 데이터 흐름과 제어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수단 및 부착물을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을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장비를 나타낸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펄스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단발기, 쌍발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형틀을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형틀, 장선, 멍에, 지주를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립폼을 나타낸 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비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삼각대, 거치대, 조립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장비를 나타낸 모식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펄스기, 복합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사를 나타낸 모식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사 또는 정화를 나타낸 모식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기초 조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청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9는 본 발명의 자화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링송풍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의 모식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연료전지를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은 일정의 수단,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헬멧, 안경, 완장, 의류, 의복, 조끼, 멜빵, 밴드, 손목밴드, 시계, 안전화, 안전고리,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드론, 장비, 장치, 로봇, 아바타,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클라우드, 어플, 사물, 만물, 물질, 재료, 자재, 에코재, 바이오재, 자동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a)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안전, 제어, 케어, 사고방지, 재해방지, 안전화,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고품질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방역, 방제; b) 이중 하나의 앱, 관리, 운영, 대책, 대안, 기술, 기법, 방법, 공법, 방안, 시스템, 플랫폼, 제어기, 컨트롤러, 메타버스;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일정의 수단,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작업자, 근로자, 출입자, 아바타, 장비, 삼각대, 거치대; b) 이중 하나에 착용된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헬멧, 안경, 완장, 의류, 의복, 조끼, 멜빵, 밴드, 손목밴드, 시계, 안전화, 안전고리; c) 상기 수단 내지 안전고리 등에 구비된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d) 또는 현장, 공장, 농장, 가정, 작업장 등에 구비된 물질, 재료, 자재, 에코재, 바이오재, 드론, 장비, 장치, 제품, 가전, 로봇,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e) 상기 사람 내지 방역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클라우드; f) 상기 수단 내지 클라우드 등에 설치되는 앱, 어플; g) 상기 수단 내지 어플 등이 포함되는 사물, 만물; h) 상기 수단 내지 만물 등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안전, 제어, 케어; i) 상기 수단 내지 케어 등에 의한 사고방지, 재해방지, 안전화,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고품질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방역, 방제; j) 상기 수단 내지 방제 등을 제어하는 조종기, 제어기, 컨트롤러, 리모트컨트롤; k) 상기 수단 내지 리모트컨트롤 등에 관한 앱, 관리, 운영, 대책, 대안, 기술, 기법, 방법, 공법, 방안,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ℓ)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을 관리하는 관리시스템, 자동관리시스템, 품질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m)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 일정의 일, 작업, 업무, 생활, 주거,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이 되고, b) 이에 장비, 장치, 드론, 로봇, 3D프린터, 사람, 인간, 근로자, 작업자, 아바타, 물질, 재료, 자재, 에코재, 바이오재 등이 이용되고, c)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등에 의하여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교량, 터널, 구조물 등이 조성되고, d)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시설 내지 구조물 등에서는 안전, 사고방지, 재해방지, 무인화, 자동화, 로봇화, 고품질화, 메타버스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등이 필요하고, e)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시설 내지 구조물, 안전 내지 방제 등에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이용되고, f)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의하여 상기 안전 내지 크리닝 등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관리시스템(1)의 예는 실시예 1, 2, 3 등과 같다. 여기서 실시예 1은 a) 사람, 인간, 신체, 인체, 몸체, 로봇, 만물,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관리자, 총괄자, 앱이용자 등(30, 31, 32, 33)에 착용, 부착, 장착, 구비, 거치 등이 되는 웨어러블 수단(2); b) 상기 웨어러블 수단에 구비된 센서 또는 감지기(10, 11), 버튼 또는 SOS버튼(10, 12), 랜턴 또는 라이트(10, 13), 카메라 또는 CCTV(10, 14), 무전기 또는 마이크(10, 15), 알림기 또는 알림등(10, 16), 램프 또는 후방등(10, 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0, 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0, 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10, 20) 등의 기구(10); c) 상기 웨어러블 수단(2)을 착용한 사람(30)의 스마트폰(35); d) 상기 기구(10)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기 또는 배터리(19); e) 물품이나 상기 배터리(19)가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웨어러블 수단(2)에 형성된 포켓(20'), 집, 케이스, 하우스, 하우징, 파우치, 주머니(20'); f) 상기 기구(10), 스마트폰(35)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g) 상기 통신장치에 연계되는 통신망(60); h) 상기 통신망에 연계되는 서버(70), 클라우드(70); i) 상기 서버(70), 기구(10) 등의 자료 또는 정보를 처리, 연산, 저장, 기록, 출력 등을 하는 처리장치(80), 연산장치(80), 중앙처리장치(81),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출력장치(85); j) 상기 서버, 통신망, 통신장치, 스마트폰 등에 연계되는 단말기(90);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2는 a) 사람, 로봇, 근로자 등(30)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수단(2); b)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된 기구(10)인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계측기(18); c)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후면에 구비된 기구인 램프(17), 카메라(14), 제어기(20); d) 상기 웨어러블 수단을 착용한 사람의 스마트폰(35); e) 상기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등의 기구(10)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9); f) 상기 배터리, 물품, 물건, 부품, 기구 등이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수단(2)에 형성된 포켓(20'); g) 상기 기구(10), 배터리(19) 등에 연결되는 전선; h) 상기 기구(10), 스마트폰(35)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i) 상기 통신장치에 연계되는 통신망(60), 이동통신망(60); j) 상기 통신망에 연계되는 서버(70), 클라우드(70), 클라우드서버(70); k) 상기 서버, 기구 등의 자료 또는 정보를 처리, 연산, 저장, 기록, 출력 등을 하는 처리장치(80), 연산장치(80), 중앙처리장치(81),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출력장치(85); ℓ) 상기 서버, 통신망, 통신장치, 스마트폰 등에 연계되는 컴퓨터(91), PC(91, personal computer),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94), 태블릿PC(94)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90); m) 상기 서버, 단말기, 처리장치, 통신장치 등이 구비된 사무실(110), 상황실(110), 지사(110), 현장사무실(110), 본사(120), 통제실(120), 관제센터(120), 중앙관제센터(120), 본사사무실(120);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3은 1) 웨어러블 수단(2); 2)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 또는 내부에 구비된 센서(11); 3) 상기 센서에 포함되는 위치센서, 생체센서, 가스센서, 환경센서, 공기질센서; 4)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센서에 이격된 버튼(12) 또는 SOS버튼(12); 5)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버튼에 이격된 랜턴(13); 6)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랜턴에 이격된 카메라(14); 7)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카메라에 이격된 무전기(15); 8) 상기 무전기에 포함되는 마이크, 스피커; 9)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무전기에 이격된 알림기(16); 10)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후면에 구비된 램프(17); 11)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램프에 이격된 카메라(14); 12)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카메라에 이격된 제어기(20); 13) 상기 웨어러블 수단을 착용한 사람(30)의 스마트폰(35); 14) 상기 센서 내지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9); 15)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수단에 형성된 포켓(20'); 16) 상기 기구와 배터리에 연결되는 전선; 17) 상기 기구(10)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18) 상기 통신장치(50)에 포함되는 LTE, WiFi, Bluetooth, 비콘(51), 게이트웨이(52); 19) 상기 통신장치에 연계되는 통신망(60); 20) 상기 스마트폰을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신망에 연결하는 비콘(51, beacon); 21) 상기 통신망에 연계되는 서버(70); 22) 상기 서버, 기구 등의 자료 또는 정보를 처리, 연산, 저장, 기록, 출력 등을 하는 처리장치(80), 연산장치(80), 중앙처리장치(81),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출력장치(85); 23)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연계되는 단말기(90); 24) 상기 단말기에 포함되는 PC(91),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94); 25)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구비된 중앙관제센터(120); 26) 상기 스마트폰과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 어플, 앱파일,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파일, 인터넷 또는 Play스토어 등에서 PC나 핸드폰 등에 내려 받기 가능한 앱 또는 앱파일; 27) 상기 스마트폰(35)과 통화되는 상기 핸드폰(94); 28) 상기 수단에 구비된 무전기(15)와 통화되는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된 무전기; 29) 상기 수단(2)에 포함되는 헬멧(2, 21), 안경(2, 22), 완장(2, 23), 조끼(2, 24), 멜빵(2, 25), 손목밴드(2, 26), 워치(2, 27), 작업화(2, 28), 안전고리(2, 29); 30) 상기 작업자, 현장, 수단, 서버, 센터 등에 구비된 자기장기; 31) 상기 작업자, 현장, 수단, 서버, 센터 등에 구비된 오존기, 살균기; 32) 상기 작업자, 현장, 수단, 서버, 센터 등에 구비되면서 상기 오존기에 이격된 음이온기, 소독기; 33) 상기 작업자, 현장, 수단, 서버, 센터 등에 구비되면서 상기 음이온기에 이격된 청정기, 정화기;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상기 작업자, 현장, 수단, 서버, 센터 등에 상기 자기장기에 의한 자기장 발생, 상기 자기장에 의한 건강 증진, 상기 자기장에 의한 식물성장 촉진, 상기 오존기에 의한 오존 발생, 상기 오존에 의한 살균작용, 상기 살균기에 의한 살균기능, 상기 음이온기에 의한 음이온 발생, 상기 음이온에 의한 청정작용, 상기 소독기에 의한 소독기능 등의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수단(2)의 예는 실시예 4, 5, 6 등과 같다. 여기서 실시예 4는 a) 웨어러블 수단(2)이 사람(30)에게 착용; b) 상기 수단에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제어기(20)의 기구(10)가 장착; c) 상기 기구(10)에 연결되는 배터리(19)가 구비; d) 상기 기구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가 구비; e)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60)이 연계; f) 상기 통신망에 서버(70) 또는 클라우드서버(70)가 연계; g)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단말기(90)가 연계; 등이 되는 것이다.
실시예 5는 a) 웨어러블 수단(2)이 사람(30)에게 착용; b) 상기 수단의 전면(3)에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의 기구(10)가 구비; c) 상기 수단의 후면(4)에 램프, 카메라, 제어기의 기구(10)가 구비; c) 상기 사람(30)에게 스마트폰(35)이 구비; d) 상기 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 e) 상기 수단에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포켓(20')이 형성; f) 상기 기구와 배터리 사이에 전선이 연결; g) 상기 기구와 스마트폰에 통신장치(50)가 연계; h)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60)이 연계; i) 상기 통신망에 서버 또는 클라우드서버(70)가 연계; j)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94)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90)가 연계; k)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중앙관제센터(120)에 구비; 등이 되는 것이다.
실시예 6은 1) 웨어러블 수단(2)이 사람(30)에게 착용; 2) 상기 수단의 전면(3) 또는 내부에 센서(11)가 구비; 3) 상기 센서에 위치센서, 생체센서, 가스센서, 환경센서, 공기질센서가 포함; 4) 상기 전면(3)에 상기 센서에 이격되어 버튼 또는 SOS버튼(12)이 구비; 5) 상기 전면에 상기 버튼에 이격되어 랜턴(13)이 구비; 6) 상기 전면에 상기 랜턴에 이격되어 카메라(14)가 구비; 7) 상기 전면에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어 무전기(15)가 구비; 8) 상기 무전기에 마이크, 스피커가 포함되고, 9) 상기 전면(3)에 상기 무전기에 이격되어 알림기(16)가 구비; 10) 상기 수단(2)의 후면(4)에 램프(17)가 구비; 11) 상기 수단(2)의 후면(4)에 상기 램프에 이격되어 카메라(14)가 구비; 12) 상기 수단의 후면에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어 제어기(20)가 구비; 13) 상기 사람(30)에 스마트폰(35)이 구비; 14)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10)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9)가 구비; 15)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수단에 포켓(20')이 형성; 16) 상기 기구와 배터리 사이에 전선이 연결; 17) 상기 기구에 통신장치(50)가 연계; 18) 상기 통신장치에 LTE, WiFi, Bluetooth, 게이트웨이가 포함; 19)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60)이 연계; 20) 상기 스마트폰을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신망에 연결하는 비콘(51, beacon)이 구비; 21) 상기 통신망에 서버(70)가 연계; 22) 상기 서버(70)에 정보 및 영상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장치(80)가 연계; 23)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단말기(90)가 연계; 24) 상기 단말기(90)에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94)이 포함; 25)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중앙관제센터(120)에 구비; 26) 상기 스마트폰과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설치; 27) 상기 스마트폰(35)과 상기 핸드폰(94)이 통화; 28) 상기 수단에 구비된 무전기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된 무전기가 통화; 29) 상기 수단(2)에 헬멧(21), 조끼(24), 멜빵(25), 손목밴드(26), 워치(27), 작업화(28), 안전고리(29)가 포함; 30) 상기 수단(2)에 자기장기가 구비; 31) 상기 센터(120)에 오존기가 구비; 32) 상기 센터에 상기 오존기에 이격되어 음이온기가 구비; 33) 상기 센터에 상기 음이온기에 이격되어 청정기가 구비; 등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관리 방법은 1) 웨어러블 수단(2)이 구비; 2) 상기 수단(2)은 헬멧(21), 조끼(24), 멜빵(25), 손목밴드(26), 워치(27), 작업화(28), 안전고리(29); 3) 상기 수단이 사람(30)에게 착용; 4) 상기 수단(2)의 전면(3) 또는 내부에 센서(11)가 구비; 5) 상기 센서에 위치센서, 모션센서, 생체센서, 가스센서, 환경센서, 공기질센서가 포함; 6) 상기 위치센서에 의하여 상기 사람의 위치가 감지; 7) 상기 모션센서에 의하여 상기 사람의 이동속도가 측정; 8) 상기 생체센서에 의하여 상기 사람의 체온, 혈압, 심박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측정; 9) 상기 가스센서에 의하여 CO, CO2, O2, O3, H2S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농도가 측정; 10) 상기 환경센서에 의하여 온도, 습도, 풍향, 풍속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측정; 11) 상기 공기질센서에 의하여 먼지,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라돈, 휘발성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농도가 측정; 12) 상기 전면(3)에 상기 센서에 이격되어 버튼(12)이 구비; 13) 상기 버튼은 상기 또는 하기의 센서,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On/Off하는 버튼이거나, 또는 위급 상황을 알리는 SOS버튼; 14) 상기 버튼은 상기 사람이 또는 상기 사람의 손이 누르게 됨; 15) 상기 전면(3)에 상기 버튼에 이격되어 랜턴(13)이 구비; 16) 상기 랜턴은 상기 사람 또는 수단의 전방을 비추는 라이트임; 17) 상기 전면에 상기 랜턴에 이격되어 카메라(14)가 구비; 18) 상기 카메라는 상기 사람 또는 수단의 전방을 촬영하는 장치임; 19) 상기 전면에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어 무전기(15)가 구비; 20) 상기 무전기에 마이크, 스피커가 포함; 21) 상기 마이크는 상기 사람이 말을 하는 마이크임; 22) 상기 스피커는 하기의 서버(70), 단말기(90), 중앙관제센터(120), 중앙관제센터의 관리자(31)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상기 사람에게 말을 전하거나, 또는 상기 사람이 듣는 스피커임; 23) 상기 전면(3)에 상기 무전기에 이격되어 알림기(16)가 구비; 24) 상기 알림기는 하기의 서버, 단말기, 중앙관제센터, 중앙관제센터의 관리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상기 사람에게 알림을 하는 것임; 25) 상기 전면에 상기 알림기에 이격되어 계측기(18)가 구비; 26) 상기 수단의 후면에 램프(17)가 구비; 27) 상기 램프는 상기 사람 또는 수단의 후방에 빛을 발하는 인디케이터임; 28) 상기 수단의 후면에 상기 램프에 이격되어 카메라'(14)가 구비; 29) 상기 카메라'는 상기 사람 또는 수단의 후방을 촬영하는 장치임; 30) 상기 수단(2)의 후면(4)에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어 제어기(20)가 구비; 31)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제어하거나, 또는 On/Off하는 것임; 32) 상기 On/Off는 가동을 나타내는 On 또는 중단을 나타내는 Off임; 33) 상기 사람(30)에 스마트폰(35)이 구비; 34)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9)가 구비; 35)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포켓(20')이 상기 수단에 형성; 36) 상기 기구와 배터리 사이에 전선이 연결; 37) 상기 기구에 통신장치(50)가 연계; 38) 상기 통신장치에 LTE, WiFi, Bluetooth, 게이트웨이가 포함; 39)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60)이 연계; 40) 상기 스마트폰을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신망에 연결하는 비콘(51, beacon)이 구비; 41) 상기 통신망에 서버(70)가 연계; 42) 상기 서버(70)에 정보 및 영상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장치(80)가 연계; 43)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단말기(90)가 연계; 44) 상기 단말기(90)에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이 포함; 45)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중앙관제센터(120)에 구비; 46) 상기 스마트폰과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설치; 47) 상기 스마트폰(35)과 상기 핸드폰(94)이 통화; 48) 상기 수단에 구비된 무전기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된 무전기가 통화; 49) 상기 수단 또는 기구에 자기장기가 구비; 50) 상기 자기장기에 의하여 상기 작업자에 자기장이 방사; 51)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오존기가 구비; 52) 상기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 53) 상기 오존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음이온기가 구비; 54) 상기 음이온기에 의하여 음이온이 발생; 55) 상기 음이온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청정기가 구비; 56) 상기 청정기에 의하여 상기 수단, 기구, 센터,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작업자, 사무실 등의 공기가 청정; 57)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히터, 쿨러가 거치; 58) 상기 히터에 의하여 상기 수단, 기구, 센터,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작업자, 사무실 등에 열이 발산; 59) 상기 쿨러에 의하여 상기 수단, 기구, 센터, 현장, 공장, 작업장, 작업자, 사무실 등의 열이 식혀짐;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히터, 쿨러는 상기 수단, 기구, 센터, 현장, 공장, 작업장, 작업자, 사무실 등에 히팅, 쿨링, 열발산, 열식힘 등을 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구항 1인 안전관리시스템(1), 청구항 2인 작업방법, 청구항 2인 공사방법 등의 예로는 1) 웨어러블 수단(2)이 구비; 2)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3) 또는 내부에 센서(11)가 구비; 3) 상기 센서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SOS버튼(12)이 구비; 4) 상기 버튼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랜턴(13)이 구비; 5) 상기 랜턴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카메라(14)가 구비; 6)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무전기(15)가 구비; 7) 상기 무전기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포함; 8) 상기 무전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알림기(16)가 구비; 9) 상기 알림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계측기(18)가 구비; 10) 상기 수단의 후면에 램프(17)가 구비; 11) 상기 램프에 이격되면서 상기 후면에 카메라'(14)가 구비; 12)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면서 상기 후면에 제어기(20)가 구비; 13) 상기 수단(2)이 작업자(30)에 착용; 14) 상기 작업자에 스마트폰(35)이 구비; 15) 상기 센서, SOS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10)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9)가 구비; 16)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포켓(20')이 상기 수단에 형성; 17) 상기 기구와 배터리 사이에 전선이 연결; 18)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에 상기 센서(11)가 작동; 19) 상기 작업 중에 상기 카메라(14)에 의하여 작업 장면이 촬영; 20) 상기 SOS버튼(12)은 비상 시에 상기 작업자에 의하여 눌려짐; 21) 상기 기구(10)에 통신장치(50)가 연계; 22) 상기 통신장치에 LTE, WiFi, Bluetooth, 비콘(beacon), 게이트웨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 23)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60)이 연계; 24) 상기 통신장치 또는 통신망에 서버(70)가 연계; 25)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단말기(90)가 연계; 26) 상기 단말기에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태블릿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 27)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중앙관제센터(120)에 구비; 28) 상기 스마트폰에 스마트폰용 앱이 설치; 29) 상기 단말기에 단말기용 앱이 설치; 30) 상기 스마트폰(35)과 상기 단말기(90)는 상호 연계 또는 통화; 31) 상기 수단에 구비된 무전기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된 무전기가 상호 연계 또는 통화; 32) 상기 작업자(30)와 상기 중앙관제센터(120)에 근무하는 관리자(31) 또는 총괄자(32) 간에 통화 시스템이 구축; 33) 상기 수단(2) 또는 기구(10)에 자기장기가 구비; 34) 상기 자기장기에 의하여 상기 작업자(30)에 자기장이 방사; 35) 상기 수단, 기구, 센터, 작업자 중 하나 이상이 소독; 36)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오존기가 구비; 37) 상기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 38) 상기 오존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2) 또는 기구(10) 또는 센터(120)에 음이온기가 구비; 39) 상기 음이온기에 의하여 음이온이 발생; 40) 상기 음이온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청정기가 구비; 41) 상기 청정기는 상기 수단, 기구, 센터, 센터 내부,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작업자, 사무실 등의 공기를 청정; 42)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히터, 쿨러가 거치; 43) 상기 히터는 상기 수단 내지 사무실 등에 열 발산; 44) 상기 쿨러는 상기 수단 내지 사무실 등의 열 식힘;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명칭, 설명, 수단, 기술, 분야, 범위, 효과, 내용, 전체, 명세서, 기술분야, 구체적 내용, 청구항, 요약, 도면, 문장, 문구, 용어, 단어, 사항, 단락, 재료, 자재, 원료, 물질, 물체, 부품, 장치, 장비; 상기 명칭 내지 도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상기 문장 내지 장비; 상기 명칭 내지 도면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기재된 상기 문장 내지 장비; 등은 이용, 사용, 적용, 겸용, 인용, 구비, 거치, 존치, 교체, 교환, 대체, 가미, 가중, 가함, 더함, 인입, 주입, 투입, 혼입, 혼합, 추가, 첨가, 첨삭, 삭제, 제거, 변경, 변화, 중복, 중합, 결합, 합체, 병행, 연결, 연계, 포함, 함유 등이 가능하거나, 상호 또는 서로 상기 이용 내지 함유 등이 가능하거나, 본 발명의 내용, 명세서, 청구항, 청구 내용, 청구 범위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이의 예를 들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된 사항을 청구항 1에 기재, 기술분야에 기재된 내용을 청구항 1에 인용, 과제의 해결수단에 기재된 용어를 청구항 1에 삽입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수단, 헬멧, 안경, 완장, 의류, 의복, 조끼, 멜빵, 밴드, 손목밴드, 시계, 안전화, 안전고리, 드론, 장치, 장비, 시설, 사물, 만물, 생물, 기(器), 기(機), 기기, 기구, 로봇, 동물, 공간, 세계, 작업, 업무, 공사,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포켓, 청정기, 정화기, 방역기, 통신수단,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핸드폰, 스마트폰, 계측기, 디스플레이,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수단(2), 헬멧(2, 21), 모자, 안경(2, 22), 고글, 완장(2, 23), 띠장, 의류, 의복, 조끼(2, 24), 멜빵(2, 25), 밴드, X밴드, 손목밴드(2, 26), 시계(2, 27), 워치, 안전화(2, 28), 작업화, 안전고리(2, 29), 착용구(2, 10), 착용물(2, 10), 다바이스, 드론(42), 비행기, 장치, 장비(41), 시설, 설비, 사물, 만물, 생물, 사람, 인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로봇(30), 동물(30), 아바타, 메타공간, 버스세계, 메타버스(97), 메타버스공간(100), 가상공간(100), 가상세계(100),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센서(10, 11), 버튼(10, 12), 랜턴(10, 13), 카메라(10, 14), 무전기(10, 15), 알림기(10, 16), 램프(10, 17), 계측기(10, 18), 배터리(10, 19), 제어기(10, 20), 포켓(20'), 주머니, 청정기(43),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크리닝기(43), 통신수단(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PC,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94), 스마트폰(35), 계측기(18), 디스플레이,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안전관리시스템(1),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IT, 5G, 3D, 4D, Al, IC, VR, AR, MR, DX, ICT, NFT, IoT, IoE, AIoT, SNS, BIM, LTE, WiFi, 안전, 구호, 세이브, 세이프, 자동, 오토, 로봇, 모빌, 무인, 유인, 무선, 유선, 소자, 에코, 그린,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케어, 비콘, 전기, 전자, 통신, 정보, 만능, 원격, 리모트, 지능, 비트, 코드, 펄스, 신호, 필드, 측정, 제어, 계측, 화학, 물리, 생물, 헬스, 케어, 인공, 논리, 지식, 지능, 나노, 칩, 센서, 소자, 진자, 기판, 모듈, 회로, 트윈, 스마트, 모바일, 포터블, 인터넷, 디지털, 딥러닝, 바이오, 미생물, 데이터, 반도체, 컴퓨터, 메모리, 실리콘, 웨이퍼, 컨트롤, 시스템, 웨어러블, 연성, 플렉시블, 메타, 버스, 메타버스, 아바타, 사이버, 인공지능, 프로세스, 마이크로, 로보틱스, 빅데이터, 클라우드, 모니터링, 아날로그, 프로그램, 불록체인, 자율주행, 자동제어, 자동감시, 원격관리, 원격가동, 원격조정, 트랜지스터, 하이브리드, 인텔리전트, 리모트컨트롤, 텔레매틱스, 3차원, 4차원, telematics, meta, verse, save, safe, smart, safety, wearable, flexible, wearable technology, PTT(Push To Talk), Watcher, PIP(picture in picture), 융합기술, 생명공학, 생명기술, 4차산업기술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해당되거나, 또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의 기능 또는 성능을 가진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도 해당된다. 상기에 의거하여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의 안전관리시스템,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의 기능을 가진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의 용어 앞에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의 어미, 수식어, 접두어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포함되는 실시예로는 안전헬멧, 구호조끼, 모빌수단, 청정장비, 정화장치, 살균기, 소독기, 자동센서, 오토장치, 비콘기, 스마트의류, 세이브의복, 모바일장비, 포터블기기, 인터넷장치, 디지털밴드, 웨어러블의복, 메타장비, 버스기구, 메타버스장비, 하이브리드기구, 인텔리전트장치, 불록체인장치, 5G수단, IT의류, Al장치, IC밴드, ICT의류, IoT헬멧, IoE기기, VR기구, AR장비, LTE기구, WiFi장비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안전헬멧 내지 WiFi장비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로는 a) 현장(100)에 IT, IC, ICT 기반의 센서, 계측기, 카메라, 제어기 등의 기구(10)가 장착된 웨어러블 수단(2) 구비; b) 상기 기구(10)에 의하여 센싱 및 촬영 및 위험 감지; c)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촬영 및 위험 감지를 5G, LTE, WiFi 등을 이용하여 무선 전송(50, 60); d) 상기 무선 전송으로 IoT, IoE 수행; e) 상기 전송된 정보 또는 빅데이터(big data)를 서버(70)에 저장; f) Al(인공지능) 기반의 처리장치(80)로 상기 저장된 자료 또는 빅데이터를 처리, 연산; g) 상기 처리된 결과를 단말기(90)를 통하여 VR, AR, metaverse 등의 영상으로 보여줌; h) 상기 단말기(90)에 여러 현장의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로 보여줌; i) 상기 현장(100)과 본사(120) 간에 무전기로 재해방지를 위한 PTT(Push To Talk) 실시; j) 상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현장의 재해를 방지하여 save, smart, safety 시스템(1) 구축; k) 드론에 구비된 통신장치로 상기 무선 전송; ℓ) 상기 시스템이 포함되는 메타버스 구현; 등이 해당된다.
상기에서 5G는 5세대, 5th Generation 등이고, IT는 정보기술, 이미지기술, Image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등이고, Al은 Al,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t 등이고, IC는 집적회로, Integrated Circuit 등이고, ICT는 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등이고, 상기 DX는 디지털혁신이나 digital trtansformation이고, AIoT는 AI와 IoT가 접목된 것이고, 불록체인은 Block Chain,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해킹을 막기 위한 기술 등이고, VR은 가상현실, VR, virtual reality, 假想現實,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기술 등이고, AR은 증강현실, 增强現實, augmented reality 등이다. MR은 혼합 현실, Mixed Reality, 混合現實, 현실 세계에 가상 현실(VR)이 접목되어 현실의 물리적 객체와 가상 객체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환경, 현실을 기반으로 가상 정보를 부가하는 증강 현실(AR)과 가상 환경에 현실 정보를 부가하는 증강 가상(AV)의 복합의미 등이 해당된다.
상기 IoT는 a) IoT,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사물의 인터넷, 인터넷을 하는 사물, 인터넷 통신이 되는 사물, 인터넷 통신이 구비되는 사물, 무선통신을 하는 사물, 사물과 사물이 인터넷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 사물끼리 인터넷으로 연결돼 정보를 주고받는 것, 스마트폰으로 제어하는 것, 사물끼리 대화를 나누는 것,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 NFC의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를 활용한 가전제품, 가전이 실시간으로 온도를 점검을 하고 제품 진단과 절전 관리를 함, 건강관리용 스마트 팔찌, 사물끼리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통로, 사물끼리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언어, 사물끼리 통신할 수 있는 통로, 시설에 센서와 스피커를 탑재해 정보를 수집, 실시간으로 정보 데이터를 습득해 본사에게 정보를 알려줌, 사무실과 가전에 센서를 설치하고 인터넷에 연결, 쓰레기에 센서를 부착해 쓰레기의 이동경로 파악, 사물지능통신 기반, 창조엔진, 초연결사회의 기반 기술, 서비스이자 차세대 인터넷으로 사물 간 인터넷 혹은 개체 간 인터넷(Internet of Objects), 사물이 만들어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환경,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M2M(Machine to Machine), Intelligence Buildings, GSMA(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ssociation), 센서(sensor)가 이용되는 인터넷, 정보를 수집·처리·관리하고 정보가 서비스로 구현되기 위한 환경을 지원,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상호 정보를 주고 받으며 대화를 나누는 것, 블루투스나 근거리무선통신(NFC), 센서데이터, 네트워크 등으로 자율적인 소통을 하는 것, 사물간 온도나 습도나 위치나 열 같은 정보를 주고받음, NFC칩이 탑재된 장비에 스마트폰을 갖다대면 장비 동작 상태나 오작동 여부를 확인; b)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c) 근거리 통신기술(WPAN, WLAN 등)이나 이동통신기술(2G, 3G, 4G 등)과 유선통신기술(이더넷, BcN 등) 같은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d) 센서에 의하여 빛, 소리, 온도, 화학물질 등 내외부에서 발생한 신호들을 수집하여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내외부의 각종 상태를 파악하는 장치; e) 또는 열, 가스, 조도, 온도, 습도, 초음파 센서부터 원격감지, 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바탕으로 사물 간 대화가 이루어짐 등이 해당된다. 상기 IoE는 만물인터넷, Internet of Everything 등이고, 이의 설명은 상기의 IoT와 유사하고 IoT의 things 대신에 IoE의 everything이 교체된 것이다.
상기 BcN은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廣帶域統合網이다. 상기 SAR은 지형공간정보체계, 합성개구레이더, synthetic aperture radar, synthesized aperture radar, 지상으로 전파를 발사해 지표면의 영상을 만들어 내는 장비, 측방관측(side-looking) 영상 레이더로 인공위성이나 비행기에 탑재되어 작동, 안테나에서 마이크로파 펄스를 발사하는 것, 상기 발사 후 후방산란되어(back-scattered) 돌아오는 신호를 측정해 2차원 영상으로 복원하는 장비, 비행기나 인공위성 등의 탑재체(搭載體)의 움직임으로 얻어지는 안테나 위치의 연속적 변화를 이용, 상기 각 안테나의 위치에서 얻어진 자료들을 조합하여 고해상도의 영상을 합성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NFT는 NFT, 대체 불가능한 토큰, Non-Fungible Token,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대표하는 토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된 디지털 자산, 블록체인 상에서 유통되는 토큰, 블록체인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가상자산, 자산 소유권을 명확히 함으로써 기존 자산을 디지털 토큰화하는 수단,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 가상자산에 희소성과 유일성이란 가치를 부여하는 자산, 진위(眞僞)와 소유권 입증이 중요한 등의 콘텐츠 분야에 이 적용, 디지털 작품이 NFT로 거래될 때마다 처음 제작자에게 수수료가 가도록 NFT를 설정 등이 해당된다. NFT를 적용할 수 있는 품목은 그림, 음악, 영상, 이미지, 소리, 텍스트, 디지털 콘텐츠, 예술품, 수집품, 디지털 예술품, 온라인 스포츠, 게임 아이템, 음원, 각종 상품, 가상 부동산,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NFT 또는 NFT 가상자산이 부여되거나, 또는 NFT 또는 NFT 가상자산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NFT로 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매매, 거래, 중개, 구매, 판매, 설치, 거치 등이 가능하다.
상기 3D, 4D에서 D는 차원, 공간, 크기, 치수, 규모, 범위 관점, dimension 등이 해당된다. 상기 PIP는 메인 영상 속에 부가적으로 작게 들어가는 영상으로서, 메이킹 필름, 감독의 제작 포인트 등 다양한 부가 정보를 볼 수 있다. 상기 PIP의 예로는 단말기 등에 디스플레이되는 한 현장의 메인 영상 속에 다른 여러개 현장의 서브 영상이 작게 보여지는 것이다.
상기 딥러닝은 심층학습, Deep Learning, 인공신경망 잇는 기계학습법,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사물이나 데이터를 군집화하거나 분류하는 데 사용하는 기술,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의 발전기술, 많은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비슷한 것끼리 분류하도록 하는 기술, 인공신경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기계학습 방법, 인간의 뇌신경 회로를 모방한 신경 회로망(neural network)을 구성하여 컴퓨터가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마치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인간과 유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교육하는 머신 러닝 기술 등이다.
상기 트윈은 트윈, 쌍둥이, twin, 결합, 디지털트윈, 아날로그트윈, 메타버스트윈, 가상공간트윈, 트윈기술, 디지털트윈기슬, 가상공간의 물체, 실물과 똑같은 물체, 실제와 다른 모의, 실제와 동일한 모의, 시뮬레이션 용도의 물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디지털트윈은 디지털트윈, digital twin, 물리적인 사물과 컴퓨터에 동일하게 표현되는 가상 모델, 가상공간에 구축된 디지털 트윈, 물리적 세계를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디지털 객체, 실제와 가상의 인터페이스, 다양한 물리적 시스템의 구조와 작동과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정보의 조합으로 과거와 현재의 운용 상태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등이 해당된다. 디지털트윈에 의하여 작업 전에 모의 작업하여 이의 효율 향상, 공사 전에 가상공간에서 모의 작업하여 이의 효율 향상, 건설 전에 가상공간에서 모의 건설하여 이의 안전 효율 향상, 사전에 운용 성능과 사업 프로세스를 개선, 가상 목업과 비슷한 방식으로 디지털트윈을 만들어 실제 성능 향상, 사전 모의하여 시제품 제작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 AI를 기반으로 사전에 최적의 솔루션 도출, 모의 도출 결과가 현장에 실시간 전달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함, 사전에 생산 공정 오류로 인한 비용 손실을 줄임, 모의 시연으로 자산 최적화, 돌발 사고 최소화, 생산성 증가, 설계부터 제조 및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 디지털트윈 도시, 디지털트윈 건물, 디지털트윈 공간,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행정 데이터와 국토정보의 IT를 접목시킨 디지털 트윈 도시, 현실세계의 기계나 장비나 사물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 실제 제품을 만들기 전 모의시험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 실제 도시에 도입하기 전에 설계 및 정책의 효율성을 검증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 도로 구축 전에 도로를 만들고 실제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 파악, 가상공간에 실물과 똑같은 쌍둥이 물체를 만들어 다양한 시뮬레이션 모의시험을 통해 사전검증, 3차원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방대한 양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뮬레이션의 정확도가 높아짐, 가상세계에서 장비나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유지 및 보수 시점을 파악해 개선,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 공정 관리자의 태블릿에 디지털트윈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심은 후 생산과 소비의 전 과정에 센서를 설치해 거기서 발생하는 신호가 태블릿 속 디지털 트윈에 실시간으로 반영, 특정 제품이나 공정의 디지털 트윈 프로그램 공유자는 언제 어디서나 제품 관련 문제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 실제 물리적인 자산 대신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한 자산의 디지털트윈을 만듬, 가상공간에 실제 도시와 동일한 도시를 구축하고 여기에 안전, 복지, 환경, 상권, 교통, 인구분포 등 각종 도시행정을 먼저 시험해 검증, 가상으로 사전에 모의실험이나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실제 자산의 상태나 생산성이나 동작을 최적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AI)은 인공지능, 人工知能, AI, AI모듈, 인공지능모듈, Artificial Intelligence, 인간이 지닌 지적 능력의 일부 또는 전체 혹은 그렇게 생각되는 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한 것 등이다. 인공지능에 이용되는 것은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 퍼지이론(Fuzzy Theory),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on Network),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인공지능언어, 알고리즘, 신경망, 인공신경망, 휴먼머신, 인터페이스, 컴퓨팅 등이 있다. 상기 인공지능언어는 人工知能言語, artificial intelligence language, 리스프(LISP: 리스프처리언어), 프롤로그(Prolog) 언어, 전문가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특수하게 설계된 언어.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개발에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등이다.
인공지능의 실시예 1은 센서 또는 레이저로 스캐닝, 열화상 카메라로 열을 감지, 감지된 열을 시각화, 스캐닝이나 열의 값을 수치화시키는 인공지능과 결합, 상기 결합하여 스캐닝이나 열을 수치화, 이의 수치화로 손상이나 누수 분석, 상기를 드론에 적용, 드론을 이용하여 스캐닝이나 열을 감지하여 교량이나 도로의 손상을 분석, 상기 과정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이용 등이 있다. 실시예 2는 각종 정보 데이터, 이가 입력된 입력 데이터,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모델, 상기 모델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중 유효 데이터 추출, 상기 추출된 데이터 이용, 상기 과정을 보여주는 단말기 이용 등이 있다. 실시예 3은 개인정보 입력모듈, 사업정보 입력모듈, 어플리케이션 모듈, 위젯 모듈, GPS서비스 모듈, 서비스플랫폼 모듈,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모듈,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모듈, 기본정보 및 정보데이터를 통합한 통합데이터를 생성하는 통합데이터생성모듈,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특성데이터를 산출하는 특성산출모듈,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 데이터처리시스템 모듈, 상기 과정을 보여주는 단말기 또는 메타버스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4는 물체 확인수단, 물체 추적부, 물체 촬영 카메라, 이에 연계되는 무선통신장치, 상기 장치에 연계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자료의 수집부, 상기 자료에 의한 빅데이터, 이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상기 촬영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형성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학습하는 인공지능 학습부, 상기 영상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에 의하여 이상상황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에 의하여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부, 상기 경고에 따라 이상상황을 처리하는 처리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5는 센서, 계측기, 카메라, 상기 센서의 센싱 정보, 상기 계측기의 게측 정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정보,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입력 신호, 상기 신호가 전송 및 입력되는 신경망, 상기 신경망이 내장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정보를 분석하는 AI 알고리즘,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출력 신호,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한 공사 정보, 상기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정보에 의하여 공사 및 안전 상태를 파악하는 인공지능 모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6은 a) 단말기, 이에 의하여 전송된 공사정보, 상기 공사정보를 송신하는 통신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 상기 정보와 이미지를 분석하는 분석AI, 상기 이미지에 의한 치수정보; b) 인공지능 기반의 이미지 분류 모델, 이의 모델을 이용하여 기수집된 복수의 공사현장 이력이미지들 중 상기 현장에 대응되는 관련 이미지들을 도출하는 도출기; c) 상기 분석 및 도출 결과를 기초하여 자재를 결정하는 결정AI, 상기 치수정보와 공사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도면을 생성하는 도면생성기, 상기 도면에 의하여 공사하는 장비, 상기 공사를 중계하는 중계기. 공사 중 상기 도면을 수정하는 도면수정기; d) 상기 중계를 시청하는 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플랫폼,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타, 버스, 메타버스 등(97, 100)은 a) 메타버스(97), 메타버스공간(100), 메타버스세상, 메타버스세계, 메타버스시설, 메타버스장비, 공간, 세계, 3차원공간, 3차원영상공간, 3차원동영상공간, 3차원세계, 3차원 가상세계, 3차원 가상공간(100), meta, verse, metaverse, 현실세계와 같은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 아바타(abata)가 활동하는 공간, 아바타가 활동하는 가상공간, 아바타가 활동하는 3차원공간, 자신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활동하는 3차원공간, 가상이나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 아바타를 활용해 실제 현실과 같은 활동을 할 수 있는 세계, 아바타를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는 가상의 세계,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세계, UGC(User Generated Content) 상품이 이용되는 가상세계, 트윈기술이 이용되는 메타버스, 디지털트윈기슬이 이용되는 메타버스, 소셜서비스(SNS)의 플랫폼에서 아바타가 상호 교류하고 쇼핑하며 현실처럼 활동하는 공간,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몰입 기기 활용되는 가상공간; b) 아바타(avatar)를 통해 실제 현실과 같은 생활, 작업, 업무, 회의, 쇼핑, 놀이, 여행, 사회, 경제, 교육, 문화, 과학, 기술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는 3차원 공간 플랫폼; c) 또는 PC, 폰, 서버,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플랫폼 등에서 구현되는 또는 시청되는 가상공간, 가상세계, 3차원 가상세계, 3차원 가상공간; d) 상기 PC 내지 플랫폼 등의 속, 내부, 환경, 조건, 생태 등에 구현되는 가상공간, 가상세계, 3차원 가상세계, 3차원 가상공간;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공간은 가상, 구간, 단지, 토지, 부지, 가상공간, 가상세계, 가상랜드, 가상토지, 가상단지, 가상부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假想現實), 가상현실공간, 가상현실세계, 사이버공간, 인터넷공간, 인터넷사이트,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메타버스세계, 1차원공간, 2차원공간, 3차원공간, 4차원공간, 3차원가상공간, 앱, 앱공간, 폰앱, 폰앱공간, 스마트폰앱, 스마트폰앱공간, 컴퓨터공간, 컴퓨터앱공간, 컴퓨터 속의 가상공간, 앱의 공간, 폰앱의 공간, 스마트폰앱의 공간, 컴퓨터, 컴퓨터사이트, 인터넷, 인터넷공간, 모니터, 모니터공간, 현실 및 가상공간, 실제세상 및 가상공간, 지구 및 가상공간, 사람이 사는 공간 및 가상공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아바타(avatar)는 온라인 또는 가상세계에서 개인을 대신하는 개체, 사람, 캐릭터, 분신, 화신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메타버스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되는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하여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4차산업기술은 상기 IT 내지 생명기술, 상기 4차산업기술은 상기 IT 내지 생명기술 등이 이용되는 기술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을 하는 또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되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안전한 수단(2), 구호 용도의 헬멧(2, 21), 사람을 세이브하는 안경(2, 22), 작업자 세이프 용도의 완장(2, 23), 자동 주행하는 시설, 오토 설비, 로봇의 조끼(2, 24), 모빌 물체, 무인 시설, 유인 장치, 무선으로 가동하는 시설, 유선 연결된 설비, 에코의 친환경 시설, 그린의 저탄소녹색 물질, 청정 기능을 가진 설비, 정화하는 장치, 살균되는 시설, 소독된 설비, 방역하는 기구, 방제하는 장치, 케어 용도의 시설, 비콘이 구비된 시설, 전기 시설, 전자 제품, 통신 장치, 정보 장비, 만능 기구, 원격 장치, 리모트 기기, 지능현 로봇, 비트 구비 장비, 코드 연결 장치, 펄스 발생 설비, 신호 발생 장치, 필드에 구비된 기기, 측정 용도의 시설, 제어하는 기계, 계측하는 센서, 화학 기구, 물리 장치, 생물 센서, 헬스 시설, 케어 기구, 인공 시설, 논리 로봇, 지식을 가진 사물, 지능 로봇, 나노미터 크기의 나노 장치, 칩 구비의 시설, 센서 장착 멜빵(2, 25), 소자가 구비된 밴드, 진자가 구비된 시계(2, 27), 기판이 장착된 컴퓨터, 모듈이 장착된 무전기, 회로가 장착된 계측기, 스마트 밴드, 모바일 기구, 포터블 장치, 인터넷 무전기, 디지털 시설, 바이오 사물, 미생물 함유 자재, 데이터 처리장치, 반도체 내장 기구, 컴퓨터 이용 서버, 메모리 내장 모니터, 실리콘 센서, 웨이퍼 내장 모니터, 컨트롤하는 장치, 시스템 서버, 웨어러블 워치, 연성 재료, 플렉시블 자재, 메타 제어기, 버스 스크린, 메타버스 시설, 아바타가 이동하는 모니터, 인공지능 시설, 프로세스 단말기, 마이크로 장치, 로보틱스 설비, 빅데이터 서버, 모니터링 장비, 아날로그 통신망, 프로그램 서버, 불록체인 시설, 자율주행 드론, 자동제어 비행기, 자동감시 시설, 원격관리 시스템, 원격가동 카메라, 원격조정 랜턴, 트랜지스터 장착 청정기, 하이브리드 정화기, 인텔리전트 빌딩, 리모트컨트롤 장치, 텔레매틱스 시설, telematics 디바이스, 5G 통신망, IT 구비 PC, Al 이용 제어기, IC 장착 핸드폰, ICT 이용 시설, IoT 착용구, IoE 디바이스, VR 모니터, AR 스크린, LTE 통신장치, WiFi 무전기, meta 시설, verse 설비, save 기구, safe 장비, smart 장치, safety 작업화, wearable 조끼, flexible 시설, wearable technology가 적용되는 의류, PTT(Push To Talk)의 무전기, Watcher의 카메라, PIP(picture in picture)의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a) 수단, 장치, 장비(41), 기기, 기구, 드론(42), 항공기, 트럭, 도져,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부재, 사물, 만물, 생물, 몸(30), 사람(30), 신체(30), 몸체(30), 로봇(30), 동물(30), 아바타(30), 공장(100), 현장(100), 공간, 지반, 지중, 지하, 사면, 법면, 터널, 도로, 옹벽, 교량, 항만, 지하철, 시설, 건물(101), 자재,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구조물, 근로자(30), 작업자, 관리자(31), 총괄자(32), 이용자(33),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세척기, 세정기, 분사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오존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정화장치, 소독장치, 살균장치, 공사장비, 제조장비, 생산장비, 공장장비, 현장장비, 헬멧, 안경, 완장, 의류, 조끼, 밴드, 멜빵, 시계, 워치, 신발, 안전화, 안전고리, 착용구, 착용물, 장신구,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포켓, 통신수단,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핸드폰, 스마트폰, 계측기, 디스플레이, 본사, 지사, 사무실(110), 관제센터(120),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안전관리시스템(1); b) 상기 중 하나의 전(前), 후(後), 좌(左), 우(右), 상(上), 중(中), 하(下), 문(門), 창(窓), 띠, 어깨띠, X띠, 대, 줄, 쫄대, 창문, 전면(3), 후면(4), 측면, 전방(3), 후방(4), 측방, 중간, 내부, 외부, 내면, 외면, 일면, 양면, 일측, 양측, 상부, 하부, 상단, 하단, 선단, 연단, 일단, 타단, 양단, 포켓, 섬유, 재료, 인근, 근처, 현관, 대문, 입구, 출구, 출입구, 개찰구, 이격부, 접촉부, 연결부, 결합부, 접속부, 주머니, 중공부, 테두리, 가장자리, 1개, 2개, 3개, 5개, 10개, 20개, 30개, 50개, 100개, 다수개, 2개 이상, 1세트 이상, 1지점, 2지점, 3지점, 2지점 이상, 양지점, 다지점; 등에는 1)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포켓(20'), 기구(10), 소자, 스피커, 마이크, 계측기(18), 측정기, 측량기, 트래커, 헬멧(21), 안경(22), 완장(23), 의류, 조끼(24), 밴드, 멜빵(25), 손목밴드(26), 워치(27), 안전화(28), 고리, 안전고리(29), 착용구(10), 착용물(10), 부착구(10), 부착물(10),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에어백, 히터, 쿨러, 전선, 탄소선, 발열체, 열선, 발열선, 트래커, 플랫폼, 스마트폰(35), GPS, GIS, 카드, card, 태그, tag, ID카드(identity card, identification card), ID태그, 신원카드, 통신기(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인터페이스, 위치추적시스템, 원격통제시스템, 인증시스템, 단말기(90), PC(91),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94), 디스플레이; 2)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3)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의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착용, 정착, 장착, 병합, 합체, 연결,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은 1개, 2개, 3개, 다수개, 2개 이상 등으로 상기 이용 내지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착용되는 착용물 또는 부착되는 부착물은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적용예로는 사람(30), 필드수단(40), 장비(41), 로봇(30), 드론(42); 이중 하나에 구비된 수단 또는 웨어러블 수단(2); 상기 사람 내지 수단 중 하나에 구비된 기구(10)와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상기 사람이 소유한 스마트폰(35); 상기 기구에 속하는 센서(11) 및 계측기(18)에 의한 센싱; 상기 기구에 속하는 카메라(14)에 의한 촬영; 상기 센싱 및 촬영 정보를 통신하는 비콘(51)과 게이트웨이(52)와 통신장치(50); 상기 정보를 무선송신하는 통신망(60); 상기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70); 상기 정보를 처리 및 연산하는 처리장치(80); 상기 정보가 공급되는 단말기(90); 상기 서버가 구비되는 관제센터(120);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 상기 단말기가 구비되는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이용자(33);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가상공간에서 구현되는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웨어러블은 a) 착용, 着用, 착복, 입기, 구비, 구성, 거치, 위치, 장착, 정착, 웨어, 웨어러블, wear, wearable, cover, covering, 덮기, 카바, 카바링, 입기, 쓰기, 차기, 착용용(用), 착용용도, 착용 가능한, 몸에 입기, 머리에 쓰기, 손목에 차기, 걸기, 목에 걸기; b) 또는 몸, 머리, 헤드, 어깨, 가슴, 상체, 하체, 허리, 손, 발, 팔, 목, 손목, 얼굴, 안면, 다리, 사람, 인간, 인물, 사물, 신체, 몸체, 로봇, 동물, 아바타, 허벅지, 장구류, 인조인간, 가상인간 등에 상기 착용 내지 걸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사람, 인간, 로봇, 아바타 등은 사람, 인간, 로봇, 아바타, 인조인간, 가상인간, virtual human, robot, mechanical man, cyborg, cyber human,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람,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가상인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수단(2)은 a) 헬멧(21), 모자, 캡, cap, 햇, hat, 의류, 의복, 조끼(24), 바지, 상의, 하의, 복장, 작업복, 업무복, 완장(23), 띠장, 장화, 구두, 신발, 작업화(28), 안전화, 가방, 백, 팩, 백팩, 밴드, 손목밴드(26), 허리밴드, 어깨밴드, 바지밴드, 멜빵(25), 벨트, 안전벨트, 혁띠, 허리띠, 시계(27), 워치, 링, 귀링, 반지, 가락지, 귀고리, 장갑, 안경(22), 고글, 안경테, 걸이, 목걸이, 귀걸이, 보호구, 보호물, 착용구, 부착구, 착용물, 부착물, 사람에게 착용되는 수단, 사람에게 착용되는 기구, 사람에게 착용되는 착용구, 사람에게 착용되는 착용물, 사람에게 부착되는 부착구, 사람에게 부착되는 부착물, 입는 것, 착용하는 것, device, wearable device, 핀, 머리핀, 고리, 멜빵고리, 안전고리(29), 허리밴드에 연결되는 안전고리, 허리밴드에 연결되는 끈에 연계되는 안전고리, 끈의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어 일측의 고리가 작업자의 허리밴드에 연결되고 타측의 고리가 고층의 안전봉에 연계되는 안전고리; b) 사람이나 사물에 착용되는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c) 또는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아바타, 사물, 만물, 생물, 자재, 재료, 시설, 건물,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등에 구비되는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d) 또는 상기 IT 내지 wearable, 착용 내지 걸기 등의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웨어러블 수단(2)은 a) 사람(30), 신체, 인체, 몸체, 사물, 만물, 근로자(30), 작업자(30), 아바타(30), 관리자(31), 총괄자(32), 앱이용자(33), 자재, 재료, 시설, 드론(42), 장비(41),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b) 상기 사람 내지 앱이용자 등의 몸, 팔, 손, 눈, 코, 귀, 입, 목, 발, 다리, 어깨, 가슴, 허리, 머리, 헤어, 얼굴, 이마, 히프, 무릎, 발목, 엉덩이, 종아리, 손가락, 발가락; 등에 이용, 사용, 착용, 부착, 장착, 구비, 거치 등이 될 수 있다.
a) 상기 헬멧, 모자, 캡, cap, 햇, hat 등은 사람(30, 31, 32, 33), 머리, 헤드 등에 착용되고, b) 상기 의류, 의복, 조끼, 바지, 상의, 하의, 작업복, 업무복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몸, 신체, 상체, 하체 등에 착용되고, c) 상기 완장, 띠장 등은 사람(30), 팔, 어깨, 팔과 어깨 사이, 팔의 상단 등에 착용되고, d) 상기 장화, 구두, 신발, 작업화, 안전화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발, 족 등에 착용되고, e) 상기 가방, 백, 팩, 백팩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등, 어깨 등에 착용되고, f) 상기 밴드, 손목밴드, 허리밴드, 어깨밴드, 바지밴드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손목, 허리, 어깨, 바지 등에 창작되고, g) 상기 멜빵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어깨, 상체 등에 착용되고, h) 상기 혁띠, 허리띠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허리, 바지 등에 착용되고, i) 상기 시계, 워치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손목 등에 착용되고, j) 상기 링, 귀링, 반지, 가락지, 귀고리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손가락, 귀, 코, 목 등에 착용되고, k) 상기 장갑은 사람, 인간, 로봇, 손 등에 착용되고, ℓ) 상기 안경, 고글, 안경테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눈, 얼굴 등에 착용되고, m) 상기 걸이, 목걸이, 귀걸이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손가락, 귀, 코, 목 등에 착용되고, n) 상기 착용구, 부착구, 착용물, 부착물 등은 사람, 로봇, 동물,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에 착용되고, o) 상기 핀, 머리핀 등은 사람, 로봇, 동물, 머리, 머리칼 등에 착용되고, p) 상기 고리, 멜빵고리, 안전고리 등은 사람, 로봇, 동물, 허리, 허리밴드,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필드 수단은 기(器), 기(機), 차(車), 카, car, 차량, 수단, 기구, 기계, 도구, 장비, 시설, 설비, 장비(41), 장치, 로봇, 드론(42), 모빌리티(42), 트럭, 도져, 로라, 폼, 형틀, 비계, 재료, 자재, 거푸집, 건물, 교량, 도로, 옹벽, 구조물, 그레이더. 측량기, 계측기, 저장고, 혼합기, 배합기, 공급기, 운반기, 이송기, 펄스기, 보링기, 굴착기, 굴삭기, 천공기, 항타기, 펌프카, 분사기, 주입기, 주사기, 주유기, 타설기, 콘크리트타설기, 포설기, 포장기, 믹싱기, 지반믹싱기, 지중믹싱기, 다짐기, 콘크리트다짐기, 양생기, 수양생기, 살수양생기, 증기양생기, 콘크리트양생기, 면처리기, 콘크리트면처리기,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41), device, field device, 가전(43), 제품(43), 용품(43), 가전제품(43), 생활용품, 사무용품, 청정기(43),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크리닝기(43), 제조장비(41), 생산장비, 공장장비, 현장장비, 산업장비, 공사장비, 시공장비, 건축장비, 건설장비, 틀(45), 1m 이상 높이의 틀, 사다리(45), 삼각대(44), 삼발이(44), 지지대(44, 45), 거치대, 격자대, 격자틀(45), 조립대, 조립틀, 조립세트, 촬영대(44), 촬영기 거치대(44), 카메라 거치대(44), 촬영기 지지대, 카메라 지지대, 측량기 삼각대(44), 접이식 삼각대, 조립식 삼각대, tripod, 트라이포드(44), 접이식 격자대, 접이식 격자틀(45), 접이식 거치대, 조립식 거치대, 현장에 있는 것, 현장에 있는 수단, 현장에 있는 기구, 현장에 있는 장비, 현장에 있는 장치, 현장에 있는 시설, 현장에 있는 설비, 공장에 있는 것, 공장에 있는 수단, 공장에 있는 기구, 공장에 있는 장비, 공장에 있는 장치, 공장에 있는 시설, 공장에 있는 설비, 현장이나 공장에 있는 상기 기(器) 내지 지지대 등(40)이 해당된다. 상기 웨어러블수단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등에 구비되고, 상기 필드수단은 현장, 공장, 지반, 지중, 건물, 구조물, 메타, 버스, 메타버스, 공사현장, 건설현장, 제조공장, 생산공장 등에 구비된다.
상기 수단, 헬멧 내지 안전고리,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랜턴(17), 제어기(20), 배터리(19), 포켓(20'), 계측기(18)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에는 일정의 센서, 계측기 등이 설치되어 상기 수단,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의 착용 여부가 근로자, 작업자, 아바타, 출입자, 관리자, 총괄자, 이용자, 서버, 단말기, 스마트폰, 핸드폰 등에 통지, 고지, 알림, 얼람 등이 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손목, 머리, 신체, 상체 등에서 상기 수단,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이 탈착되는 경우 상기 수단,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상기 탈착이 감지되어 상기 작업자 내지 핸드폰 등에 신호, 부저, 소리, 알림, 얼람 등이 전달되는 것이다. 이의 경우 상기 탈착 상태의 신호 또는 메세지가 작업자, 관리자, 총괄자 등에 통지되게 된다. 상기 탈착 상태가 장기간 되는 경우 관리는 착용 요청에 관한 신호 또는 메세지를 작업자에게 통지하여 작업자는 재착용하게 된다. 상기 착용, 탈착, 재착용 등의 때, 일시, 시간, 기간 등은 서버, 단말기 등에 저장, 기록 등이 된다.
상기 수단, 사물, 만물 등은 수단, 기기, 器. 機, 器機, 기구,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머신, 부품, 사람, 인간, 로봇, 동물, 방법, 공법, 대책, 방책, 전략, 전술, 시스템, 작업자, 아바타, 관리자, 디바이스, 안전수단, 스마트수단, means, way, measure, method, expedient, ways, tool, machine, device, system, equipment, facility, things, everything, 사물, 만물, 생물, 모든것, 세상 모든것,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에는 착용여부 판별 센서가 구비되어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사물, 만물, 생물 등에 장착되는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웨어러블 수단이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아바타, 사물, 만물, 생물 등에 착용 및 탈착되는 여부는 착용여부 판별 센서의 신호가 서버, 통신기, 단말기, 핸드폰, 스마트폰 등에 전달되어 인식 및 판별이 된다.
상기 헬멧은 헬멧, 모자, 캡, 햇, 안전모, 작업모, 안전헬멧, 에어헬멧, 풍선헬멧, 포켓헬멧, 팽창헬멧, 쿠션헬멧, 튜브헬멧, 방탄헬멧, 강철헬멧, PVC(poly vinyl chloride)헬멧, FRP(fiber reinforced plastics)헬멧,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헬멧, 플라스틱헬멧, 스마트헬멧, 헤드마운트, cap, hat,helmet, crash helmet, hard hat 등(21)이 해당된다. 상기 에어헬멧, 풍선헬멧, 포켓헬멧, 튜브헬멧, 팽창헬멧, 쿠션헬멧 등은 공기구멍이 형성된 튜브형 헬멧, 상기 공기구멍에 공기주입기 또는 에어콤프레셔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튜브가 팽창한 헬멧, 상기 공기의 주입 후에 공기구멍에 마개를 닫아 팽창한 상태를 유지하는 헬멧, 사용 후에는 상기 공기구멍을 열어 공기를 빼서 수축된 상태로 보관되는 헬멧,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헬멧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에어헬멧은 공기구멍이 형성된 헬멧, 공기주입기, 이들을 보관하는 파우치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경은 안경, 고글, 글래스, 보안경, 안경테, 眼鏡, 안전안경, 스마트안경, glasses, spectacles, eyeglasses, glasses frame, goggle,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안경 등(22)이 해당된다. 상기 완장은 완장, 腕章, 띠장, 표장, 標章, armband, 어깨에 차는 완장, 팔뚝에 차는 완장, 팔의 상단에 차는 완장, 팔에 두르는 표장, 신분이나 지위 따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팔에 두르는 표장,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완장 등(23)이 해당된다.
상기 의류는 옷, 의류, 의복, 조끼, 재킷, 셔츠, 바지, 코트, 상의, 하의, 속옷, 외옷, 내옷, 군복, 운동복, 작업복, 근무복, 안전의류, 히팅의류, 쿨링의류, 스마트의류, 스마트의복, 衣類, 衣服, clothing, clothes, wear, garment, apparel, jacket, shirt, 히터 구비의 의류, 쿨러 구비의 의류, 열선 구비의 의류, 탄소선 구비의 의류, 냉매 구비의 의류 등이 해당된다. 상기 히팅의류의 예로는 의류, 이에 거치된 탄소선 또는 발열선,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는 상기 탄소선 또는 발열선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조끼는 조끼, 재킷, 상의, 안전조끼, 구명조끼, 온열조끼, 가열조끼, 히팅조끼, 쿨링조끼, 냉온조끼, 발열조끼, 냉열조끼, 얼음조끼, 스마트조끼, vent, jacket, waistcoat, life vest, ice vent, air jacket,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의류 등(24)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조끼(24), 조끼의 전면(241, 242), 조끼의 후면(243), 조끼의 내부, 조끼의 외부, 조끼의 허리부(254), 조끼 전면의 우측부(241), 조끼 전면의 좌측부(242), 조끼의 목부(245), 조끼의 팔부, 조끼의 어깨부(246), 조끼의 가습부(247), 조끼의 쟈크부, 조끼의 단추부, 조끼의 단추 구멍부위, 조끼의 여미는부, 우측부(241)와 좌측부(242)가 만나는 부위, 우측부(241)와 좌측부(242)를 여미는부, 조끼 전면의 우측부(241)와 좌측부(242)가 만나는 상하 부위, 조끼의 포켓, 조끼에 형성된 포켓 등에는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등의 구비, 걸이, 장착, 거치, 달기, 매달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멜빵은 멜빵, 벨트, 밴드, 어깨밴드, X밴드, 엑스밴드, 하네스, 안전멜빵, 히팅멜빵, 쿨링멜빵, 스마트멜빵, 벨트, 안전벨트, 어깨벨트, suspenders, braces,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멜빵 등(25)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멜빵(25), 멜빵의 내부, 멜빵의 외부, 멜빵의 전면띠(251, 252), 멜빵의 후면띠(253), 멜빵의 후면X띠(253), 멜빵의 허리띠(254), 멜빵 전면의 어깨띠(251, 252), 멜빵 전면의 양측띠(251, 252), 멜빵 전면의 우측띠(251), 멜빵 전면의 좌측띠(252), 멜빵 전면의 우측 어깨띠(251), 멜빵 전면의 좌측 어깨띠(252), 멜빵 후면의 X띠(253), 멜빵의 고리, 멜빵 허리의 고리, 멜빵 전면의 우측 어깨띠(251)와 좌측 어깨띠(252)의 하부를 연결하는 고리, 멜빵의 포켓, 멜빵에 형성된 포켓 등에는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등의 구비, 걸이, 장착, 거치, 달기, 매달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벨트는 벨트, belt, 안전벨트, 허리벨트, 어깨벨트, 멜빵, 밴드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밴드는 밴드, band, 벨트, 멜빵, 손목밴드(26), 진단밴드, 검사밴드, 어깨밴드, X밴드, 팔밴드, 엑스밴드, 완장밴드, 허리밴드, 상체밴드, 상의밴드, 허리띠밴드, 안전밴드, 통신밴드, 스마트밴드, 혈압체크밴드, 맥박체크밴드, 체온체크밴드, 건강체크밴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밴드 등이 해당된다. 상기 허리벨트에는 허리벨트를 따라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의 구비, 걸이, 장착, 거치, 달기, 매달기 등이 가능하다. 상기 의류, 조끼, 멜빵 등의 예로는 의류 또는 조끼 또는 멜빵에 2개 이상의 포켓이 형성되고 이 포켓의 각각에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중 2개 이상이 각각 내장되는 의류 또는 조끼 또는 멜빵인 것이다.
상기 손목밴드(26)의 이용 예로는 근로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근로자의 체온, 혈압, 심박수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이의 모니터링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저장, 관제센터에 통보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정보를 통보받은 관리자는 모니터링 정보를 분석하여 근로자의 체온변화, 심박수변화, 열사병, 심장질환 등을 파악하고 위험 징후가 나타나면 근로자에게 통지하여 휴식을 취하게 한다.
상기 워치, 시계 등은 워치, 시계, watch, 손목워치, 안전워치, 진단워치, 스마트워치, 혈압체크워치, 맥박체크워치, 체온체크워치, 건강체크워치, 통신워치, 스마트폰워치,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워치 등(27)이 해당된다. 상기 신발은 신발, 장화, 구두, 군화, 운동화, 작업화, 안전화,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신발 등(28)이 해당된다.
상기 고리는 고리, 후크, hook, 안전고리(29), 스마트고리, 줄 달린 고리, 근로자에 착용되는 고리, 멜빵(25)에 연결된 줄(293)에 거치된 고리(29, 292), 허리밴드에 연결된 줄에 거치된 고리, 멜빵(25)에 연결된 줄(293)에 거치되면서 안전대(294)에 걸림되는 고리(29, 292), 작업자의 멜빵(25)에 연결된 줄(293)에 거치되면서 건물에 구비된 안전봉(294)에 걸림되는 고리(292), 작업자(30)의 멜빵(25)에 연결된 줄(293)의 선단에 거치되면서 건물의 옥상에 구비된 안전줄(294)에 연결되는 고리(29, 292),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고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안전고리(29)는 안전고리, 줄(293) 달린 안전고리(29), 양단에 고리(291, 292)가 형성된 줄(293), 줄(293)과 이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291, 292), 양단에 고리(291, 292)가 형성된 줄(293)로 된 기구, 줄(293)과 이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로 된 기구, 멜빵 또는 허리밴드(25)에 연결되는 안전고리(29), 멜빵 또는 허리밴드(25)에 연결되는 끈(293)에 연계되는 안전고리(29), 끈(293)의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어 일측의 고리(291)가 작업자(30) 또는 멜빵(25) 또는 허리밴드(25)에 연결되고 타측의 고리(292)가 고층 건물의 고정대(294) 또는 안전봉(294)에 연계되는 안전고리(29), 양단에 고리(291, 292)가 형성된 줄(293)로 구성되어 일단의 고리(291)는 인부(30) 또는 멜빵(25)에 연결되고 타단의 고리(292)는 높은 고지대의 고정체(294) 또는 직선봉(294)에 연계되는 기구(29) 등이 해당된다. 이는 도 11 참조. 상기 고리(291, 292), 일단 고리(291), 타단 고리(292), 줄(293), 안전고리(29) 등에는 센서(11), 계측기(18)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여기서 센서에 의한 센싱 결과, 계측기에 의한 계측 결과, 사람(30) 또는 멜빵(25)에 일단 고리(291)의 체결 여부, 안전봉(294)에 타단 고리(292)의 체결 여부 등이 통신장치(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앱이용자(33),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출력장치(85) 등에 전달, 통지, 저장, 기록, 출력, 인지, 감지 등이 된다. 여기서 고리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여 고리가 체결되지 않은 경우 작업자에게 통지하여 체결을 권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현장(100), 공장(100), 사람(30), 로봇(30), 장비(41), 드론(42), 지반, 지중, 시설, 건물(101), 작업자(30), 아바타(30), 메타버스(97), 메타버스공간(100, 101, 110, 120),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하나의 상기 전(前) 내지 다지점; 등에는 센서 또는 감지기(10, 11), 버튼 또는 SOS버튼(10, 12), 랜턴 또는 라이트(10, 13), 카메라 또는 CCTV(10, 14), 무전기 또는 마이크(10, 15), 알림기 또는 알림등(10, 16), 램프 또는 후방등(10, 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0, 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0, 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10, 20), 통신장치(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35, 94, 95), 디스플레이(95), 플렛폼(96) 등의 구비 또는 순차적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센서는 센서, 소자, 렌즈, 비콘, 키트, 전선, 계측기, 측정기, 센서폰, 폰센서, 케이블, 위치센서, 고도센서, 위도센서, 경도센서, 기압센서, 모션센서, 생체센서, 헬스센서, 인체센서, 가스센서, 환경센서, 키트센서, 공기질센서, 전기센서, 전자센서, 통신센서, 무선센서, 유선센서, 압전센서, 측정센서, 계측센서, 광학센서, 전선센서, 케이블센서, 휴대용센서, 무선측정센서, 유선측정센서, 칩, 센서칩, 센싱칩, 위치칩, 모션칩, 생체칩, 가스칩, 환경칩, 공기질칩, 센싱칩, 위치센싱칩, ID칩, GPS칩, 인식칩, 모션센싱칩, 생체센싱칩, 가스센싱칩, 환경센싱칩, 공기질센싱칩, 코드, 바코드, ID코드, 태그, tag, ID태그, 식별태그, 트래커, 트래커센서, 핸드폰, 핸드폰센서, sensor, multiple sensor, 게이지, gauge, 스트레스게이지, 스트레인게이지, ID센서, RFID센서, NFC센서, MEMS센서, IR센서, FOD센서, PIR센서, UWB센서, IMU, CMOS센서, IoT센서, ICT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바이오센서, 다종센서, 다중센서, 빛센서, 열센서, 광센서, 파센서, 자기센서, 발열센서, 감지센서, 누수감지센서, 진동센서, 가진센서, 농도센서, 발광센서, 광원센서, 소자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압력센서, 응력센서, 변형센서, 변위센서, 소리센서, 신호센서, 유량센서, 자기센서, 음향센서, 미각센서, 후각센서, 장치센서, 장비센서, 음파센서, 섬유센서, 광섬유센서, 적외선센서, 원적외선센서, 열화상센서, 초음파센서, 카메라, 적외선센서, 근적외선센서, 자외선센서, 디지탈카메라, 각종센서, CDS센서, 콤파스센서, 고도계센서, tilt sensor, triaxial tilt sensor, crack sensor, wire sensor, vibrating wire sensor, stress sensor, load sensor, millivolt sensor, displacement sensor, optical displacement sensor,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센서 등(11)이 해당된다.
상기 센서는 센싱, 측정, 계측, 관측, 관찰, 감지, 감식, 모니터링, 원격센싱, 무선센싱, 무인센싱, 자동센싱, 리모트센싱 등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a) 위치, 고도, 높이, 위도, 경도, 심도, 깊이, 좌표, GPS, 기압, 경사, 모션, 행동, 현상, 이상, 이동, 운동, 거동, 동작, 추락, 낙하, 움직임, 쓰러짐, 신체, 생체, 건강, 헬스, 가스, 오염, 기름, 유류, 환경, 청정, 정화, 살균, 소독,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농도, 오염농도, 가스농도, pH, ORP,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산화환원전위 酸化還元電位, 오염도, 빛, 열, 광, 파, 단파, 장파, 웨이브, 자기, 전기, 전원, 전압, 전류, 자기장, 소리, 신호, 음향, 음파, 영상, 촬영, 녹화, 송신, 방송, 방영, 수신, 저장, 기록, 스캔, 입력, 출력, 무인, 유인, 발광, 광원, UV,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소자, 미각, 후각, 냄새, 악취, 열화상, 초음파, 수질, 공기, 공기질, 위해성, 위험성, 기상, 기후, 대기, 풍속, 풍향, 물, 유량, 수량, 누수, 누유, 누액, 차수, 방수, 관, 관로, 배관, 상수관, 관누수, 막누수, 관로누수, 차수막누수, 상수관누수, 온도, 습도, 체온, 수온, 수면, 수중, 수위, 전기전도도, 전기비저항, 오염농도, 충격, 진동, 지진, 소음, 낙하, 힘, 무게, 중량, 하중, 응력, 압력, 압축, 강도, 강성, 인장, 인출, 인발, 열량, 체적, 길이, 면적, 변형, 변위, 경사, 경사도, 기울기, 시설 기울기, 건물 기울기, 기능, 성능, 물질, 재료, 자재, 물체, 사물, 만물, 생물, 접근, 사람접근, 동물접근, 피로, 파괴, 파손, 손상, 훼손, 손괴, 낙하, 파괴, 비파괴, 화재, 화염, 재난, 정전, 공조, 냉방, 난방, 속력, 속도, 가속도, 3축 가속도, 자이로, 뇌파, EEG(electroencephalogram), 체온, 호흡, 맥박, 혈압, 심박수, 박동수, 심질환, 심전도, 心電圖, ECG(electrocardiogram), 트래킹(tracking), 장비, 장치, 기구,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작업자, 근로자, 출입자, 일, 업무,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발파, 천공, 토공, 절토, 성토, 저장, 혼합, 가압, 펌핑, 분사, 타설, 주입, 포설, 포장, 다짐, 양생, 해체, 선별, 분리, 파쇄, 분쇄, 분별, 센싱, 계측, 관측, 측정, 측량, 시험, 분석, 지반, 지하, 지중, 사면, 토지, 지형, 시설, 설비, 건물, 터널, 도로, 교량, 옹벽, 지하철, 구조물, 앵커, 볼트, 록볼트, 네일링, 철근, 콘크리트, 보강재, 양, 수량, 용량, 업무량, 작업량, 제조량, 공사량, 토공량, 글로나스, 가스누출, 산소부족, 근로자쓰러짐, 헬멧, 조끼, 웨어러블수단, 안전모착용여부, 웨어러블수단착용여부; b) 상기 위치 내지 웨어러블수단착용여부 중 하나의 양(量) 또는 정도; c) 상기 위치 내지 양(量)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등을 측정, 센싱, 계측, 관측, 관찰, 탐지, 감지, 감식, 모니터링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UV는 자외선, 紫外線, UVA(장파 자외선), UVB(중파 자외선), UVC(단파 자외선), Ultraviolet, ultraviolet rays, 파장이 가시광선보다 짧은 전자기파 등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UV 센서, UV 램프, UV 라이트, UV 청정기, UV 살균기, UV LED, UVA LED, UVB LED, UVC L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UVC는 살균에 관여하는 파장으로 이의 파장 범위는 100 ~ 280 nm(나노미터)이고, 파장이 254nm 정도 일 때 살균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의 이용예로는 UVC LED 램프로 빛을 조사하여 살균, 자율주행하는 로봇에 장착된 UVC LED 램프로 빛을 조사하여 소독, 자율비행하는 드론에 구비된 UVC 라이트를 쬐어 방역, 3차원 공간에서 아바타에 거치된 UVC 조명으로 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위치 내지 복합; b) 이중 하나 이상의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상시 센서에는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의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위치 ∼ 복합 등을 계측하는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관측하는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탐지하는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모니터링하는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상기 위치 ∼ 복합 등의 측정시스템, 센싱시스템, 계측시스템, 관측시스템, 관찰시스템, 탐지시스템, 감지시스템, 감식시스템, 모니터링시스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이용 예에는 a) 사람에 거치된 비콘, 작업자에 센서폰 구비, 로봇에 위치센서 장착, 드론에 구비된 공기질센서, 장비에 거치된 모션센서, 착용수단의 전면에 구비된 휴대용센서, 헬멧에 광학센서 장착, 조끼에 환경센싱칩 거치, 트래커가 장착된 장비, 바이오센서가 구비된 멜빵, 안전화에 구비된 감지센서, 작업에 이용되는 농도센서, 자기센서와 온도센서가 이용되는 공사, 청정 중에 가동되는 환경칩, 안전을 위한 신호센서, 재료에 적외선을 가하는 적외선센서, 자재에 부착된 초음파센서, 지반에 설치된 계측센서, 사면에 설치된 다종센서, 터널에 설치된 변위센서, 시설을 관측하는 각종센서, 건물에 구비된 빛센서, 광센서가 거치된 주택, 구조물을 감시하는 전자센서;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센서의 다른 이용예로는 a) 현장에 구비된 위치센서, 공장에 거치된 고도센서, 수단에 구비된 위도센서, 사람에 구비된 생체센서, 로봇에 구비된 가스센서, 동물에 구비된 키트센서, 드론에 구비된 환경센서, 장비에 구비된 공기질센서, 지반에 구비된 전기센서, 터널에 구비된 전자센서, 교량에 구비된 통신센서, 도로에 거치된 무선센서, 건물에 거치된 압전센서, 작업자에 거치된 측정센서, 근로자에 거치된 계측센서, 출입자에 거치된 광학센서, 웨어러블기구에 장착된 휴대용센서, 헬멧에 장착된 무선측정센서, 안경에 장착된 트래커, 완장에 장착된 스트레스게이지, 의류에 장착된 RFID센서, 의복에 장착된 NFC센서, 조끼에 장착된 MEMS센서, 멜빵에 장착된 IR센서, 밴드에 장착된 FOD센서, 손목밴드에 장착된 PIR센서, 시계에 장착된 바이오센서, 안전화에 장착된 다종센서, 안전고리에 장착된 빛센서, 버튼에 부착된 열센서, 랜턴에 부착된 광센서, 카메라에 부착된 자기센서, 무전기에 부착된 감지센서, 알림기에 부착된 발광센서, 램프에 부착된 광원센서, 제어기에 부착된 소자센서, 계측기에 부착된 적외선센서;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드론,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압전센서는 압전센서, piezoelectric sensor, 압전소자를 이용한 센서, 압전효과를 가진 소자를 이용한 센서, 진동을 전기로 또 역으로 전기적 펄스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센서 등으로서, 이는 진동센서, 충격센서, 맥박센서, 생체센서, 균열센서, 변위센서, 변형센서, 낙하센서, 추락센서, 초음파센서, 가속도센서, 압전형 가속도센서, piezoelectric accelerometer sensor 등으로 이용된다. 상기 압전센서 또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생체센서의 예로는 입체에 부착될 수 있는 매트형태의 압전센서 또는 압전소자; 이에서 감지되는 생체신호에 따른 전류량을 증폭시키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에서 맥박, 호흡수, 심장박동수 등에 대한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 상기 대역통과필터를 거친 신호의 임계치 이상의 피크값 만을 입력받아 맥박, 호흡수, 심장박동수 등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컴퓨터; 상기 컴퓨터를 통하여 출력된 맥박, 호흡수, 심장박동수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수단; 상기 수단을 통하여 데이터가 집속되는 중앙 시스템, 상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단말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코드는 코드, code, 바코드, QR코드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코드는 제품, 자재, 상품 등에 부착된 것으로 스캐너로 바코드를 읽으면 단말기를 통해서 제품의 정보와 가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바코드는 흰색 바탕에 다양한 굵기와 길이의 검은줄로 이루어지고, 바코드의 원리는 검은줄은 리더기의 붉은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반사 양이 적고, 흰색 공백은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하게 되는 차이를 이용하여 흰색과 검은색의 차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컴퓨터가 해석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해주는 것이다. 상기 QR코드는 정사각형의 모자이크 모양을 가진 것으로 숫자는 최대 7,089자, 아스키 문자는 최대 4,296자, 한자는 최대 1,817자, 한글은 1,700자 정도까지 저장이 가능하고, 바코드보다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고,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이용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상기 ID는 ID, 자신, 신분, 신분증, 증명서, 등록증, 신분증명서, 주민등록증, 자아(ego), 초자아(super ego), identity, identification, 신분확인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의 ID칩, ID코드, ID태그, ID센서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아바타 등을 확인하는 칩, 코드, 태그, 센서 등이 해당된다. 이의 적용예로는 헬멧에 부착된 ID칩, 머리에 거치된 ID코드, 사람에 장착된 ID태그, 조끼에 장착된 ID센서 등이 해당된다. 이는 현장, 공장, 입구, 출구, 출입구, 플랫폼, 정거장, 위험지역, 비콘, 스캐너, 인식기, 통신장치 등에 검지되어 본사, 사무실 등에 자동 통보되어 성명, 시간, 시각, 출근, 퇴근, 이동, 경로, 궤적 등의 정보가 송수신된다.
상기 RFID는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으로서 태그, 안테나, 리더기 등으로 구성된다. 태그와 안테나는 무선을 통해 정보를 수십 미터까지 보내는 역할을 하고합니, 리더기는 이러한 신호를 받아 정보를 해독하고 컴퓨터로 보낸다. 따라서 바코드나 QR코드처럼 직접 접촉해서 읽지 않아도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RFID는 대량의 물품을 처리하는 유통, 물류, 운송 분야에서 제품의 이동과 반출, 반입, 재고 현황 파악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RFID는 비접촉식, 반영구적 사용, 장애물 투과 가능, 대용량 데이터 가능, 여러 개의 Tag 동시 인식, 알고리즘에 의한 높은 보안성, 데이터 처리의 높은 신뢰성, 모든 환경에서 사용 가능, 이동 중 인식 가능, Read/Write 가능 및 재사용 가능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NFC는 Near Field Communication으로 RFID보다 근거리에서 활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교통카드, 출입카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등에 이용된다. 상기 MEMS는 마이크로전자센서, 마이크로전자시스템, Micro Electronic Mechanical System, 초소형 정밀기계 기술, 마이크로시스템, 마이크로머신, 마이크로메카트로닉스, 초소형시스템, 초소형기계, 크기가 수 mm에서 수 nm에 이르는 작은 센서, 수 cm 크기가 되는 마이크로 센서 등이 해당된다.
상기 IR센서는 적외선센서, infrared sensor, 스스로 적외선을 발사하여 변화를 검지하는 능동식 센서, 외부로부터 받는 적외선으로 변화를 감지하는 수동식 센서, 적외선을 이용해 온도, 압력, 방사선의 세기 등의 물리량이나 화학량을 감지하여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장치, 적외선을 이용해 온도, 압력, 방사선세기 등 물리량이나 화학량을 검지하여 신호처리가 가능한 전기량으로 변화시키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FOD센서는 이상물체감지센서, Foreign Object Detection Sensor, 이상물체를 감지하는 센서, 디지털 제품에만 반응하는 센서, 디지털 신호에만 반응하는 센서 등이 해당된다.
상기 PIR센서는 움직임센서, 적외선 인체감지 센서, 피동형 적외선센서, Passive Infrared Sensor, motion sensor, 움직임이 있을 때 high를 그렇지 않을 때 low를 센싱하는 것, 프레넬 렌즈를 통해 일정 구간의 인체 이동을 감지, 이동통신 모뎀을 장착할 경우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국 어느곳이나 설치 및 센싱 데이타 수집이 가능 등이 해당된다. PIR센서에는 통상 플라스틱덮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플라스틱덮개를 Fresnel Lens 라고 하고 이는 센서의 탐지 각도와 거리를 확장시켜주며, 센싱패턴 등을 조절하기 위해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랜즈의 내부패턴 모양과 품질에 따라 센싱의 정확도와 거리, 탐지각이 달라진다. Frensnel Lens는 센서에 적외선을 더욱 잘 모아주며 탐지 범위를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UWB센서는 Ultra Wide Band 센서, 초광대역 무선기술 적용 센서, 단거리 구간에서 낮은 전력으로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기술 이용 센서 등이 해당된다. 상기 CMOS는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시모스, 金屬酸化物半導體, metal-oxide semiconductor, p 채널의 MOS 트랜지스터와 n 채널의 트랜지스터을 서로 절연하여 동일 칩에 만들어 넣어 양자가 상보적으로 동작하도록 한 것. 반도체에 산화막을 형성하고 산화막에 금속을 부착한 구조, 집적 회로의 한 종류로, 마이크로프로세서나 SRAM 등의 디지털 회로를 구성하는 데에 이용, 상보성 금속산화막반도체, 相補性 金屬 酸化膜 半導體, CMOS 이미지 센서는 고체 촬상장치(Image Device) 소자 등이 해당된다.
상기 IMU는 a) 관성측정장치, Inertial Measurement Unit; b) 이동물체의 속도와 방향,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는 장치; c) 또는 가속도계, 각속도계, 지자기계 및 고도계를 이용하여 보행자 및 이동물체의 움직임 상황을 인식하는 방식, d) 웨어러블수단, 스마트폰 등에 삽입된 IMU 관성계측장치에는 3축 가속도계와 3축 각속도계가 내장되어 있어 진행방향 가속도, 횡방향 가속도, 높이방향 가속도, 롤링(roll) 각속도, 피칭(pitch) 각속도, 요(yaw) 각속도 등의 측정이 가능함, e) IMU로부터 얻어지는 가속도와 각속도를 적분하여 보행자 또는 이동물체의 속도와 자세각 산출 등이 해당된다.
상기 CDS센서는 CDS센서, 조도센서, 광센서, 황화카드뮴센서, 광센서(sensor) 중의 하나, Cadmiumsulfide sensor, 빛이 입사하면 전도성이 되는 반도체, 빛의 세기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광가변저항기, 빛의 세기가 셀수록 저항이 작아지는 센서, CdS(황화카드뮴)를 사용하는 센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위치센서는 위치, 고도, 높이, 좌표, 지번, 위도, 경도, 방위, 방향, 거리, 글로나스, CDMA, FDMA, 원격거리, 이격거리, 사람위치, 이동위치, GPS, GPS위치, 층위치, 방위치, 핸드폰위치, 스마트폰위치, 건물의 층 위치, 건물의 방 위치, 사람이 있는 위치, 사람이 이동하는 위치 등의 센서이거나 또는 등을 식별하는 센서이다. 상기 고도센서는 고도, 높이, 건물 고도, 작업자 고도, 건물 높이, 작업자 높이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글로나스는 GLONA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러시아가 교통, 물류, 국방 등에 활용하고 있는 자체 위성항법체계 등이 해당된다. CDMA는 코드분할다중방식,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이 해당된다. FDMA는 주파수분할다중방식,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L1 주파수 1602MHz와 L2 주파수 1246MHz 채택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위치의 파악, 추적 등을 위하여 GPS, GPS장치, GPS시스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모션센서는 모션, 동작, 속도, 가속도, 자이로 등의 센서 또는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모션센서에 속하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 gyroscope)는 각속도 센서, 물체의 방위 변화를 인지하는 센서, 지구의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처음에 설정한 방향을 유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와 달리 각속도를 측정하는 기구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각속도는 시간당 회전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자이로(gyro)는 라틴어로 회전하는 것, 자이로스코프(gyroscope)의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팽이의 축이 지구의 자전하는 힘에 의하여 항상 남북을 가리키도록 한 장치, 철의 영향을 받아 오차가 생기기 쉬운 자기 컴퍼스 대신에 사용되는 방위 측정 장치, 위아래가 완전히 대칭인 팽이를 고리를 이용하여 팽이 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만들고 다시 그것을 제2의 고리를 써서 앞의 것과 직각 방향으로 받든 후에 다시 제3의 고리에 의하여 앞의 둘에 직각 되는 방향으로 지탱하여 줌으로써 팽이의 회전이 어떠한 방향으로도 일어날 수 있도록 한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이오센서는 바이오센서, 바이탈센서, 생체센서, 바이오 이용 센서, 생물 이용 센서, 어류 이용 센서, 물고기 이용 센서, 미생물 이용 센서, biosensor, 생물감지기, 생물감응장치, 바이오혈당센서, 생물공학 이용 센서, 바이오기술 이용 센서,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 동물을 감지하는 센서, 광학식 바이오센서, 전기화학식 바이오센서, 압전식 바이오센서, 광학(optics)검출 바이오센서, 전기화학(electrochemistry)검출 바이오센서, 압전성(piezoelectricity)검출 바이오센서, 효소바이오센서, 효소가 분석 물질을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물질로 변환시키는 바이오센서, 생물공학(biological engineering) 기술을 이용한 센서, 어육의 신선도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식품 제조 과정에서 알코올이나 유기산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생물의 효소나 항체 따위가 특정한 물질과만 반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물질의 성질을 조사하는 계측기, 생물학적 요소로부터 발생한 분석 물질을 물리적 및 화학적 신호 변환기를 통해 검출하는 분석 장치, 생물학적 요소로부터 발생한 분석 물질과 생물학적 요소의 상호작용을 물리적 및 화학적 신호 변환기를 통해 검출하는 분석 장치 등이 해당된다. 바이오센서의 예로는 바이오수용체(bio-receptor), 센서(sensor), 변환기(transducer) 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바이오수용체는 분석 물질을 검출하는 것으로 조직(tissue), 세포(cell), 효소(enzyme), 항체(antibody), 핵산(nucleic acid) 등이 있고, 상기 센서는 분석 물질-바이오수용체 간의 상호 작용을 물리적 및 화학적 신호로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변환기는 얻어낸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는 것이다.
상기 생체센서는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생체, 신체, 체온, 혈압, 맥박, 심박수, 근전도, 바이탈, 산소포화도 등의 센서 또는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가스센서는 가스, 공기, CO, CO2, O2, O3, H2S, 유해가스, 위해가스 등의 센서 또는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가스센서에 의하여 유해가스, 산소부족 등을 판독할 수 있다. 상기 환경센서는 균, 세균, 병원균, 오염, 오염도, 오염농도, 중금속, 중금속농도, 토양농도, 수질농도, 폐기물농도, 온도, 습도, 기온, 기상, 풍향, 풍속, 수온, 수압, 오존, 황사, 조도, 소음, 진동, 속도, 가속도, 열화상, 화재, 화재감지, 일반세균, 대장균, 연쇄상구균, 녹농균, 살모넬라, 쉬겔라, 납, 불소, 비소, 셀레늄, 수은, 시안, 크롬,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카드뮴, 붕소, 브롬산염, 스트론튬, 우라늄, 페놀,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디클로로메탄,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디클로로에틸렌, 사염화탄소, 염소, 잔류염소, 클로로포름, 포름알데히드, 경도(硬度), 냄새, 구리, 색도, 수소이온농도, pH, 아연, 염소이온, 철, 망간, 탁도, 황산이온, 알루미늄, 세슘, 스트론튬, 삼중수소, NOx(nitrogen oxide), SOx(sulfur oxide), 질소산화물, 窒素酸化物, 황산화물, 黃酸化物 등의 센서 또는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공기질센서는 먼지, 분진, 미세먼지,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라돈,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휘발성유기화합물, 환경호르몬, 포름알데히드, HCHO,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스티렌, 자일렌, 세균, 부유세균, 공기질, 이산화탄소(CO2;Carbon Dioxide),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총부유세균(TAB;Total Airborne Bacteria), 일산화탄소(CO;Carbon Monoxide), 이산화질소(NO2;Nitrogen dioxide), 라돈(Rn;Radon), 휘발성유기화합물(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석면(Asbestos), 오존(O3;Ozone), 곰팡이(Mold),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에틸벤젠(Ethylbenzene), 자일렌(Xylene), 스티렌(Styrene) 등의 센서 또는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질소산화물은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의 총칭, NO -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2 = 이산화질소(Nitrogen dioxide), N2O = 일산화이질소(Dinitrogen monoxide), N2O3 = 삼산화이질소(Dinitrogen trioxide), N2O 4 = 사산화이질소(Dinitrogen tetroxide), N2O5 = 오산화이질소(Dinitrogen pentoxide)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황산화물은 황(S)과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총칭, 이산화황(SO2), 삼산화황(SO3), 아황산(H2SO3), 황산(H2SO4), 황산구리(Cu2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미세먼지는 fine particulate matter, 입자의 크기가 지름 10㎛ 이하인 대기오염물질, 지름 10㎛(마이크로미터, 1㎛=1000분의 1㎜) 이하의 먼지 등이 해당된다. 이는 크기에 따라 PM10(미세먼지), PM2.5(초미세먼지), PM1.0(극초미세먼지)으로 구분한다. PM(Particulate Matter)은 입자상 물질(대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미세 입자)이라는 뜻이다. PM10은 입자의 크기가 지름 10㎛ 이하, PM2.5는 지름 2.5㎛ 이하, PM1.0은 지름 1.0㎛ 이하의 먼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가 이용되는 센서 노드 통신 시스템이 가능하데, 이는 센서, 네트워크 연결 포인트,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측정, 전송 등을 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비콘, 센서, 계측기, 스마트폰,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RTLS, LBS, IPS, GPS, 무선신호, 블루투스, 무선 랜 인프라, 의사위성(Pseudolites), 레이저, 음파,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을 이용하여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작업자, 출입자, 장비, 시설 등의 실시간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여기서 RTLS는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Real Time Location System, 실시간으로 사물의 위치 정보 측위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에 적용되는 위치추적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LBS는 위치기반서비스, location based service,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IPS는 내위치 추적 서비스, 주로 제한된 공간에 활용되는 실내위치 추적 서비스, Indoor Positioning System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은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이용한 방법으로 기지국, WiFi 네트워크 또는 다른 무선기기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방향 및 이동거리를 추적하는 것이다.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BLE4.0 기반의 넓은 영역에서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다. 상기 GPS는 위성기반 측위 시스템, 인공위성 기반 측위데이터 제공 시스템,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전파를 참조하여 위성에서 송신한 신호가 수신 장치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TOA: Time of Arrival)을 계산하여 거리를 계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 의한 또는 상기 센서가 이용되는 근로자별 위치 파악의 예로는 현장에 설치되는 비콘, 통신장비, 게이트웨이 등이 주변에 있는 작업자에 착용된 수단이나 센서 등을 AP(acess point) 기반 등으로 인식하여 작업자별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자 및 통신장비의 위치는 GPS, 위치추적장치 등에 의하여 좌표 또는 지도에 표시된다. 상기 위치센서, 고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평면, 층별, 고도별, 구역별, 지역별, 부위별, 단지별, 동별, 건물별 작업자의 위치 및 인원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는 상기 센서가 이용되는 근로자의 사고 감지의 예로는 웨어러블수단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근로자의 이동, 고도, 위치, 좌표, 동작, 건강, 추락, 움직임, 쓰러짐, 심정지, 의식불명 등을 감지하여 근로자를 모니터링하여 사고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가 감지되면 a) 현장의 근로자가 사무실의 관리자에게 SOS버튼을 누르거나 SOS 신호를 전송하여 관리자를 호출하거나, b) 또는 관제센터의 관리자가 현장의 근로자에게 알림, 얼람, 부저, 신호, 경고음 등을 전송하여 위험 신호를 전송하여 사고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는 상기 센서가 이용되는 모니터링의 예로는 실시간 모니터링, 공장 실시간 모니터링, 현장 실시간 모니터링, 작업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웨어러블 착용자의 위치(GPS) 실시간 모니터링, 시간대별 이력 실시간 모니터링, 위험감지 실시간 모니터링, 드론에 의한 모니터링, 모니터링이 구현되는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현장에서 발생되는 위험, 사고, 사건 등은 정상, 주의, 심각, 경보 등의 단계로 구분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는 상기 센서가 이용되는 시설안전관리의 예로는 건물, 교량, 터널, 도로, 구조물 등의 시설에 센서 설치,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시설의 변형 및 응력 측정, 이의 측정 결과를 실시간 무선 전송, 이의 전송 정보를 서버에 저장,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연산, 상기 시설의 시간경과별 변형 및 응력의 변화 추이 분석, 상기 시설의 위험성 판단, 시설의 위험 인지, 현장에 신속 연락, 현장에 얼람 발송, 시설 작업 중단, 작업자 대피, 시설 보강 작업 실시, 사고 발생 방지 등이 해당된다.
상기 트래커는 a) 트래커, tracker, 추적자, 사냥꾼, 위치추적기, 차량에 설치, 차량 운행정보 파악, 차량 위치정보 파악, 차량 운행이력 모니터링, 과속 감지, 전복 감지, 3축 가속도 센서 내장,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치측위; b) 사람이나 차량 등에 설치되어 위치정보, 이동이력, 운행이력, 주행속도감지, 과속감지, 충돌감지, 전복감지, 사고감지, 과속경고음, 긴급호출, 차량속도 모니터링, 안전주행속도 유도 등을 하는 장치; c)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트래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버튼은 버튼, 알림버튼, 제어버튼, 작동버튼, SOS버튼, LED버튼, ON/OFF버튼, 녹화버튼, 촬영버튼, 전송버튼, 시작버튼, 종료버튼, button, start버튼, stop버튼, 푸시버튼, 센서버튼, 랜턴버튼, 카메라버튼, 무전기버튼, 마이크버튼, 스피커버튼, 램프버튼, 센서작동버튼, 랜턴작동버튼, 카메라작동버튼, 무전기작동버튼, 마이크작동버튼, 스피커작동버튼, 램프작동버튼, 센서ON/OFF버튼, 랜턴ON/OFF버튼, 카메라ON/OFF버튼, 무전기ON/OFF버튼, 마이크ON/OFF버튼, 스피커ON/OFF버튼, 램프ON/OFF버튼, 온도조정버튼, 구조요청버튼, 구호요청버튼, 구조요청SOS버튼, 구호요청SOS버튼, 긴급구조요청버튼,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을 제어 또는 ON/OFF하는 버튼,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버튼 등(12)이 해당된다. 상기 버튼을 작업자 등이 누르게 되면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관리자, 총괄자, 이용자, 관제센터 등에 얼람 또는 연락이 되어 긴급구조요청이 되게 된다. 상기 버튼의 이용 예로는 근로자가 작업 중에 사고가 발생되면 SOS버튼을 눌러 관리자를 신속하게 호출하는 것이다. 이때 관리자는 현장에 신속하게 구조팀을 파견하여 관리자를 신속하게 안전, 조치한다. 상기 랜턴은 랜턴, 조명, 전등, 조명등, 라이트, 전방라이트, 후방라이트, LED, LED랜턴, LED라이트, 조명기구, lantern, light, lighter, flashlight, torch 등(13)이 해당된다.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사진기, 촬영기, 녹화기, 캠, 웹캠, 홈캠, 필드캠, 캠코더, 레코더, 방송기, 방송국, 핸드폰, 핸드폰카메라, 펜카메라, 시계카메라, 미니카메라, 버튼카메라, 필드카메라, 필드CCTV, 필드촬영기, 웨어러블 카메라, 웨어러블 CCTV, IP(internet protocol address) CCTV, LTE CCTV, CCTV카메라, 이동형카메라, 이동형촬영기, 이동형CCTV, 이동방송기, 이동방송국, 모바일카메라, 모바일촬영기, 모바일방송기, 모바일방송국, LED카메라, LTE카메라, 이동형 LTE-CCTV, AI카메라, 스냅카메라, 무선카메라, camera, camcoder, recorder, wireless camera, 유선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디지털카메라, 아날로그카메라, 열화상카메라, 적외선카메라, 내시경카메라, 연속촬영카메라, HD카메라, Full HD카메라, 회전카메라, 각도조절카메라, 각도회전카메라, 광각렌즈 구비 카메라, CMOS센서 탑재 카메라, 2M 픽셀 카메라, DSLR 카메라, 미러리스 카메라, 삼각대캠, 삼발이캠, 삼각대에 거치된 캠, 삼발이에 거치된 캠, 무선 송신이 가능한 카메라, 영상 촬영과 촬영 영상의 무선 송신이 가능한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무선 송신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구비된 카메라,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카메라 등(14)이 해당된다. 상기 카메라는 촬영, 녹화, 저장, 전송, 송신, 수신, 편집 등이 가능하고, 또한 블랙박스 기능, 140°광각 회전, 180°광각 회전, 사각지대 없는 촬영, Full HD,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전면(3) 및 후면(4) 동시 촬영, 지연없는 실시간 영상전송, 통화 제공 등의 특징을 가진다. 상기 픽셀은 畵素, picture element, 텔레비전이나 전송사진 등에서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최소단위의 명암의 점, 픽처(picture)와 엘리먼트(element)의 합성 어, 수치가 높을수록 화질이 높아짐, 디지털 이미지의 해상도는 ppi(pixels per inch)로 나타냄, 이는 1인치 안에 몇 개의 픽셀이 존재하는지를 수치로 표현한 것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캠은 캠, cam, 손캠, 홈캠, 핸드캠, 필드캠, camera의 cam, 카메라의 약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웹캠은 웹캠, web cam, Web과 Camera의 합성어. 비디오카메라,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비디오카메라, PC와 USB를 통해 연결, 마이크 내장, 화상회의용, 화상채팅용, 인터넷방송용, PC와 연결하여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 스트리밍할 목적으로 개발된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홈캠은 홈캠, home cam, home camera, home CCTV, 집에 설치된 카메라,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 집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 집안을 녹화하는 카메라, 집의 출입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상기 필드캠은 필드캠, field cam, field camera, field CCTV, 현장 촬영기, 현장 카메라, 현장이나 공장에 설치된 카메라, 실외에 설치된 카메라, 현장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 현장을 녹화하는 카메라, 현장의 출입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상기 DSLR 카메라는 Digital Single Lens Reflex Camera, 기존 필름 카메라에서 디지털 방식을 더한 카메라,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미러리스 카메라는 Mirrorless Camera, 촬영 체계에서 반사경(mirror)과 펜타프리즘(pentaprism)을 제거한 사진기, DSLR 카메라에서 반사거울과 프리즘을 제거한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촬영기는 촬영기, 撮影機, 영상 촬영기, 카메라 촬영기, 필드 촬영기 등이다. 상기 촬영기 또는 카메라는 렌즈, 셔터, 파인더, 녹음기, 동력부, 필름매거진, 수동기구부, 거치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초점거리 35mm, 50mm, 75mm 또는 100mm 등의 렌즈; 20mm, 25mm 등의 광각렌즈; 150mm, 300mm 등의 장초점 렌즈, 또는 줌렌즈(zoom lens), 애너모픽렌즈(anamorphic lens) 등이다. 상기 셔터는 셔터, 로터리셔터, 개각도 가변 셔터 등이다. 상기 파인더는 파인더, finder, 역갈릴레오식 파인더(reverse Galilean finder), 1안반사식 파인더(single lens reflex finder) 등이다. 상기 녹음기는 녹음기, 동시녹음기, 광학녹음방식(optical sound recording system), 자기녹음방식(magnetic sound recording system), 후시녹음(後時錄音:after recording) 등이다. 상기 동력부는 동력부(動力部), 직류 12V, 24V, 교류 110V, 3상교류 220V, 전동식(電動式) 동력부, 건전지 동력부, 태엽이 풀리는 힘을 이용하여 기계를 작동시키는 스프링 동력부 등이다. 상기 필름매거진은 필름매거진, film magazine, 카메라 위쪽에 위치하며 촬영 전의 생필름이 감긴 공급스풀과 촬영이 끝난 필름을 감는 스풀을 내장하는 완전 차광된 밀실로 됨 등이다. 상기 수동기구부는 수동기구부, 輸動機構部, 공급스풀에서 나오는 필름을 일정한 속도로 애퍼처(aperture:畵面窓) 쪽으로 연속 이동시키는 기구,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 필름을 정지시키고 닫히면 한 프레임분의 필름을 이동시키는 간헐수동기구(間歇輸動機構) 등이다.
본 발명의 센서, 카메라, 촬영기, 계측기, 시험기 등에는 a) 촬영을 하는 렌즈, 촬영을 하는 촬영부, 녹화를 하는 녹화부; b) 상기 촬영을 원격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렌즈의 줌인 및 줌아웃을 원격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 c)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되는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을 보여주는 모니터; d)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e) 상기 카메라의 설치 각도나 좌표의 왜곡 등에 의해 왜곡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보정부; 작업자나 물체가 놓여진 좌표 평면에서 일정 높이 및 폭을 가진 영상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추출부; f)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영상 이미지로부터 작업자가 착용해야 할 안전장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독부; g) 상기 판독부의 판단 결과를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 또는 건설 장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여 주는 영상 표시부; h)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얼람을 알리는 얼람부;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센서, 렌즈, 카메라, 촬영기, 계측기, 시험기 등에는 통신장치, 통신망, 이동통신망, 방송사, 방송시설, 이동방송국, 이동기지국, 서버, 단말기, PC,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이 연계되어 방송, 생방송, 동영상, 이동방송, 개인방송, 국내방송, 해외방송, 녹화방송, SNS방송, 실시간 방송, 라이브 스트리밍, live streaming, 유투브방송, TouTube방송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카메라 또는 촬영기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작업, 공사, 정화, 방역, 방제, 사건, 사고, 안전, 현장영상, 사고영상, 방재영상, 안전대책 등이 실시간 적으로 서버, 단말기, PC,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에 생방송 또는 녹화방송이 가능하다.
상기 무전기는 폰, 전화, 전화기, 통화기, 무전기, 마이크, 스피커, 핸드폰, 스마트폰, 라디오, 통화장치, 무선통화장치, 통신장치, 음성통신장치, 쌍방음성통신장치, 무선통신장치, 마이크 및 스피커가 구비된 무전기, 무선 전신기, 무선 전화기, 無電機, radio, walkie-talkie, two-way radio, 전파를 이용하여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서로 송수신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무전기 등(15)이 해당된다. 상기 폰, 무전기, 통화기 등은 고소음 지역 사용자 알림, 고소음 지역 사용자 통화 기능, 강력한 노이즈 제거 기능, 90∼100dB 이상의 고소음 지역에서 원활한 통화, 2W 고출력 스프커 탑재, 소음이 많은 야외에서 원활한 통화, 진동을 통한 사용자 알림 기능 지원, 유선 이어폰 연결, 블루투스 이어셋 연결, PTT(Push To Talk)버튼, PTT모드통화 지원, 일반통화모드 지원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스프커는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고출력 스피커, 2 watt 고출력 스피커, 전기음향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마이크는 마이크, 마이크, mike, microphone, 무선마이크, 유선마이크, USB무선마이크, 노이즈 제거 마이크, 소리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써 변환하는 장치, 변환기(Transducer) 등이 해당된다. 상기 PTT는 스마트톤을 무전기 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여러 사람과 동화하거나 또는 여러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스마트폰에 PTT앱을 설치하여 헤드셋, 블루투스, 통신수단 등과 3G, 4G, 5G, LTE, WiFi, LAN 등을 통하여 무선으로 다수개의 스마트폰, PC, 컴퓨터, 데스크탑, 핸드폰 등과 통화하는 것이다.
상기 알림기는 벨, bell, 얼람, 알람, alam, 진동, 소리, 벨소리, 노래, 부저, 음향, 방송, 경고, 뮤직, 음악, 경고음, 따르릉, 싸이렌, 사운드, 전파, 스피커, 폰, 전화, 통화, 빛, 불빛, 조명, 반짝이, 알림기, 얼람기, 경고기, 경보기, 깜박이, 사운드, 메세지, 핸드폰, 스마트폰, 푸시메세지, 비상메세지, 인디케이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알림기 등(16)이 해당된다. 상기 알림기는 작업자 등에게 위험요소에 대한 내용을 상기 얼람 내지 인디케이터 등으로 알리는 것이다. 상기 알림기에 의한 알림은 자동으로 되거나, 또는 제어기, 서버, 관리자, 총괄자, 이용자, 처리장치, 통신장치 등에 의한다. 본 발명에서 ∼ 등은 ∼ 등; 또는 ∼ 중 하나 이상; 또는 ∼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을 나타낸다.
상기 램프는 등, 燈, 전등, 傳燈, 램프, 알림등, 표시등, 야광등, 형광등, 점멸등, 야간등, 안개등, LED, LED램프, 청정램프, 정화램프, 살균램프, 소독램프, 방역램프, 방제램프, 인디케이터, 후방인디케이터, LED인디케이터, lamp, 야간표시등, 발광체, 야광체, 야광과 살균을 하는 램프, 발광과 소독을 하는 램프, 작업자의 후방 램프, 야간 인디케이터, 야광 인디케이터, 2가지 이상 색상의 LED 인디케이터, 웨어러블수단의 후방 램프,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작업자를 알리는 인디케이터, 2가지 이상의 색상이 점별하는 또는 꺼지고 켜지는 인디케이터, 2가지 이상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ON/OFF하는 인디케이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램프 등(17)이 해당된다.
상기 계측기는 a) 센서, 소자, 계측기, 측정기, 감지기, 측량기, 관측기, 탐사기, 탐지기, 광파기, 시험기, 기록기, 기록계, 칩, 계측칩, 센싱칩, 측정칩, 응력계, 강도계, 하중계, load cell, 변형계, strain gauge, 변위계, 속도계, 가속도계, 농도계, 오염농도계, 오염측정기, 앵커계측기, 인발계측기, 지반변위계, 지중변위계, 내공변위계, 천단변위계, 다단변위계, 건물변위계, 건물기울계, 경사계, 인클리노미터, inclinometer, 틸트미터, tilt meter, 건물경사계, 지중경사계, 지하수계, 지하수위측정기, 광파측량기, 침하계, settlement gauge, 지반침하계, 지중침하계, 다단침하계, 게이지, gauge, 스트레인게이지, 스트레스게이지, 망치, 해머, 슈미트해머, 천단침하계, 내공변위계, 락볼트응력계, 라이닝응력계, 핸드폰, 핸드폰계측기, 디스펜서, 스캐너, 3D스캐너, 레이저 스캐너, 화상기, 열화상기, 비파괴 장치, 사운딩기, Sounding Unit, measuring instrument, 計測器, 물리탐사기, 자기탐사기, 전자탐사기, 음파탐지기, 초음파탐지기, 누수감지기, 손상감지기, 유선계측기, 무선계측기, 자동계측기, 지진계측기, 진동계측기, 건물계측기, 교량계측기, 터널계측기, 사면계측기, 지반계측기, 지중계측기, 바이오계측기, 흙막이계측기, 센서 이용 계측기, 센서 탑재 계측기; b)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의 계측기,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측정하는 계측기; c)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계측기; 등(18)이 해당된다.
상기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dispensor, 콘크리트 속에 작은 기포를 일으키는 에이이제 용액의 부피와 무게를 재는 장치, 펌프식의 리필용 용기, 약품을 담아두는 펌프식의 리필용 용기, 특정한 물건이나 물질을 사용할 때 버튼이나 손잡이를 한 번 누르면 일정한 양이 공급되도록 고안된 도구나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이오계측기는 바이오계측기, 바이오센서, 생물 이용 계측기, 바이오 이용 계측기, 미생물 계측기, 사람을 측정하는 계측기, 동물을 측정하는 계측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계측기의 예로는 a) 계측기, 검출기, 변환기, 확대기, 증폭기, 전송기, 수신기, 기록기, 저장기, 판단기, 경보기, 현장이나 드론에 구비된 계측기; b) 또는 계측 내용을 검출하는 검출기, 측정량을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전기량을 확대하는 확대기, 상기 전기량을 증폭하는 증폭기, 측정량 또는 전기량으로 전송하는 전송기, 전송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기, 상기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기, 상기 판단 결과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기;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계측기(18)의 예로는 센서, 계측기, 계측수단, 데이터로거(data logger), 데이터수집부, 데이터판독부,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계측기의 예로는 계측을 하는 계측기, 상기 계측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 계측 위치를 감지하는 GPS장치, 계측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기, 상기 전송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정보를 연산처리하는 처리장치,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상기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터널계측기의 예로는 터널 내부의 천단에 설치되는 천단침하계, 터널 내벽의 2개 지점 이상에 설치되는 내공변위계, 터널에 설치된 락볼트의 응력을 측정하는 락볼트응력계, 터널 라이닝의 응력을 측정하는 라이닝응력계; 터널 내부에 200m 간격으로 설치된 게이트웨이; 이에 연결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계측기의 이용예로는 a) 현장에 구비된 계측기, 공장에 구비된 측정기, 지반에 구비된 감지기, 지상에 구비된 측량기, 사면에 구비된 관측기, 공중에 구비된 탐사기, 드론에 구비된 탐사기, 메타버스에 구비된 탐사기, 수중에 구비된 탐지기, 연구실에 구비된 시험기, 터널에 구비된 응력계, 교량에 구비된 변형계, 항만에 구비된 변위계, 도로에 구비된 속도계, 대기에 구비된 농도계, 현장에 구비된 물리탐사기;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드론,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제어기, 플랫폼,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센서, 계측기, 시험기, 기록기, 기록계 등은 가스, 환경, 위치, 모션, 행동, 이동, 생체, 공기질, 충격, 진동, 지진, 낙하, 힘, 무게, 중량, 응력, 강도, 변형, 변위, 지반, 토지, 지형, 건물, 구조물, 작업, 제조, 생산, 공사, 시공, 건설, 건축, 포장, 메타버스,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의 측정, 센싱, 계측, 측량, 측지, 관측, 시험, 매핑, mapping, 항공측량, 지상측량, 3차원화, 3차원도형화 등이 가능하다. 상기 매핑은 매핑, mapping, 지도 작업, 지도 제작 작업, 지도에 관한 작업, 지형 작업, 메타버스에 지형 작업, 지형을 도면화하는 작업, 3D 도면 제작, 3D 모델링을 할 때 모델에 텍스쳐를 펴 바르는 작업, 어떤 값을 다른 값에 대응시키는 과정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센서, 계측기 등은 위험지역 접근 감지, 위험지역 접근 알림, 셀프 안전점검, 착용자가 위험지역 접근시 경고 알림, 위험지역 작업현황 모니터링, 위험상황 자동감지, 긴급구조요청, 유해가스 실시간 감지, 가스사고 실시간 감지, 낙상사고 실시간 감지, 착용자 사고감지시 자동알림, 착용자 사고감지시 구호요청 전송 등을 하거나, 또는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계측기, 기록기, 기록계 등은 인터넷, 통신장치, 통신망, 통신모듈,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플랫폼,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에 연계되어 센셍 정보, 계측 정보 등이 전송, 무선전송, 수신, 저장, 처리, 읽기, 보기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단, 현장, 공장, 가정, 공사장, 시험실, 연구실, 사물, 만물, 생물, 시설, 장비, 장치, 크레인, 타워크레인, 지반, 지중, 건물, 주택, 터널, 교량, 도로, 지하철, 구조물, 자재, 재료,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사람, 인간, 로봇, 동물,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아바타, 메타버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a) 센서, 계측기, 시험기, 기록기, 기록지, 기록계, 홈캠, 카메라, 계측모듈, 계측장치, 인터페이스, interface, 랩탑, laptop,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의 설치가 가능하거나, b) 또는 응력, 강도, 변형, 변위, 지진, 진동, 거리, 온도, 습도, 농도, 가스, 환경, 공기질, 구조물응력, 건물강도, 건물변형, 지반변형, 사면변위, 타워크레인변위, stress, distance, displacement,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의 측정을 위하여 센서, 계측기, 시험기, 기록기, 기록지, 기록계, 홈캠, 카메라, 계측모듈, 계측장치, 인터페이스, interface, 랩탑, laptop,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작업을 기록하는 기록기(18), 공사량을 기록하는 기록기(18), 작업을 측정하는 측정기(18), 작업 중 계측하는 계측기(18), 심도를 측정하는 센서(11), 기울기를 측정하는 측정기(18), 타설량을 측정하는 센서(11), 토공량을 측정하는 측정기(18), 작업자(30)의 조끼(2, 24)에 부착된 센서(11),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인터페이스, 이에 연결되는 랩탑 또는 노트북 또는 PC, 이에 연계되는 인터넷장치(50), 상기 기록과 측정과 계측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60),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70) 또는 메모리, 상기 정보를 연산하는 처리장치(80), 상기 정보를 보여하는 단말기(90), 상기 정보가 구현되는 플랫폼(96), 상기 정보를 보기하는 디스플레이(90, 95); 이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 공장(100), 현장(100), 사무실(110), 본사(120), 관리센터(120), 관제센터(120),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센싱, 계측, 시험, 실측, 관측, 검증, 감정, 인증, 조사, 검사, 측량, 측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의 항목 또는 대상으로는 물질, 재료, 자재, 품질, 소음, 진동, 먼지, 공기질, 수질, 토양, 지반, 토지, 대지, 지중, 지하, 시설, 건물, 구조물, 지하수, 먹는물, 폐기물, 강도, 전단, 압축, 인장, 신장, 비중, 밀도, 무게, 중량, 부피, 체적, 치수, 두께, 길이, 면적, 입도, 입경, 다짐, 투수, 차수, 압밀, 정수위투수, 변수위투수, 들밀도, 재하, 정재하, 동재하, 평판재하, 말뚝재하, 지지력, 지내력, 관입, 콘관입, 표준관입, 간극률, 공극비, 하중, 압력, 응력, 변형, 변위, 일축강도, 삼축강도, 전단강도, 부착강도, 인장강도, 인장율, 신장율, 액성한계, 소상한계, 수축한계, 애터버그한계, 함수량, 함수비, 함유비, 함기비, 흡수율, 강열감량, 유기물함유, 마모, 안정성, 알카리, 활성도, 분말도, 비표면적, 안정도, 팽창도, 응결시간, 평탄성, 저항성, 미끄럼저항, 마샬안정도, 흐름값, 연소성, 열전도율, 전기전도도, 중금속, 용출, 오염용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 센싱 내지 측정; 상기 물질 내지 복합 등의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은 센서, 계측기, 시험기, 드론, 장비, 장치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품질관리 대상은 상기 물질 내지 복합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서, 계측기, 시험기, 드론, 장비, 장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a) 상기 물질 내지 복합 등을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을 할 수 있거나, b) 또는 상기 물질 내지 복합 등을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을 하는 센서, 계측기, 시험기, 드론, 장비, 장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안전, 품질, 관리, 사건, 사고, 재해, 오염, 먼지, 분진, 황사, 출근, 퇴근, 출입; b) 이중 하나의 일, 월, 년, 시, 때, 시기, 시각, 시간, 시점, 종점, 시작, 종료, 시점시간, 종점시간, 시작시간, 종료시간, 곳, 장소, 위치, 좌표, 지번, 지역, 주소, 내용, 항목, 농도, 방안, 방법, 공법, 사람, 인간, 로봇, 작업자, 인원, 몇명, 투입수, 성명, 이름, 량, 수량, 용량; 등이 센싱, 계측, 측정, 시험, 촬영, 녹화, 송신, 수신, 저장, 처리, 관리, 기록, 제공, 공급, 알림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콘크리트의 혼합, 운송, 압송, 타설, 다짐, 진동, 살수, 양생, 면처리; b)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형틀, 거푸집; c) 상기 형틀의 동바리, 지지대, 거치대; d)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 지지대, 거치대; e)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일 내지 용량, 양생시간, 28일 양생시간;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하중, 압력, 변형, 변위, load, pressure, stress, strain, displacement; 등이 센싱, 계측, 측정, 시험, 촬영, 녹화, 송신, 수신, 저장, 처리, 관리, 기록, 제공, 공급, 알림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센싱 내지 알림 등이 자동, 수동, 전동, 오토, 무인, 원격, 실시간 등으로 가능하다. 상기 센싱 내지 알림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센서, 계측기, 시험기, 품질기준, 시험기준, 센싱 내지 알림 등에 의하여 적정의 또는 최적의 또는 일정의 품질시험(QC, quality test), 품질관리(QC, quality control), 품질인증(QC, quality certification), 품질보증(QA, quality assurance), 품질시험방법, 품질관리방법, 품질인증방법, 품질보증방법 등이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전지, 電池, 건전지, 전지판, 전기, 전원, 동력, 에너지, 전기에너지, 셀, 솔라셀, 태양전지, 패널, 태양패널, 태양광패널, 태양발전패널, 수소전지,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HFC(hydrogen fuel cell), 미생물연료전지, battery, MFC(microbial fuel cell), 태양전지판, 충전지, 충전기, 발전기, 태양발전기, 압전발전기, 수소충전기, 전기충전기, 2차전지, 비상전원, 보조전원, battery, charger, power, 전원공급기,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전기와 물을 생성하는 연료전지,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8시간 이상 연속 사용, 예비 배터리 신속 교체,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배터리 등(19)이 해당된다.
상기 전지는 전지, Cell, 건전지(dry cell), 습전지(wet cell), 배터리(battery), 연료전지, 태양전지, 수소연료전지, 전해전지, 전기분해전지, 전지 내에 미리 채워놓은 화학물질에서 나오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화학 장치, 본체 또는 케이스 등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등이 구비된 전지 등이 해당된다. 일차 전지(primary cell)는 전지의 기전력이 0으로 떨어지면 재충전할 수 없어 재사용할 수 없는 전지이다. 이차 전지(secondary cell) 혹은 축전지(storage cell)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방전(discharging) 과정과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충전(charging) 과정을 반복할 수 있어서 재사용할 수 있는 전지이다. 상기 태양전지는 태양전지(solar cell), 광전지(photovoltaic cell), 광기전력 전지(photovoltaic cell), 태양 빛을 전기로 변환시키는 장치, 빛에너지가 전기로 바뀌는 광기전 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태양발전패널의 사용 예에는 태양발전패널, 이에 연결된 전선, 상기 패널에서 생성된 전기, 이의 전선에 연결된 중계기 또는 공유기, 상기 전기가 공급되는 상기 중계기 또는 공유기, 상기 중계기를 무선통신장치로 이용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통화, 현장에 설치된 센서 및 카메라, 상기 센서에 의한 측정, 상기 카메라에 의한 촬영, 상기 측정 및 촬영의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상기 중계기, 상기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연계되는 단말기,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구비된 관리센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압전발전기는 압전발전기, 압전소자를 이용한 발전기, 압전센서를 이용한 발전기, 누르거나 진동하면 전기를 발생하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발전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연료전지는 연료전지, Fuel Cell,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키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 지속적으로 연료와 산소의 공급을 받아서 화학반응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전해조와 이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과 음극과 전해질로 구성된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해조 내부에 구비된 양극과 음극은 상기 전해조의 외부에 거치된 도선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양극에서는 산화작용이 일어나면서 (+) 전기를 띄는 수소이온과 전자를 방출한다. 여기서 발생한 전자가 상기 전해조 외부의 도선을 통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면서 직류 전류가 발생한다. 이의 발생 전류가 충전지에 저장되어 이용된다. 상기 전해질은 (+) 전기를 띄는 수소이온(양이온)이 연료전지의 양극과 음극의 두 극 사이에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음극에서는 양극에서 이동해온 수소이온과 전해조 외부의 도선을 통해 이동한 전자와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물 또는 수증기를 만들어 배출한다.
상기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연료전지, 수소가 이용되는 연료전지,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이 되는 전체 반응 (2H2 + O2 → H2O)을 통해 전자는 양극의 산화전극(anode)에서 외부 도선을 통해 음극의 환원전극(cathode)으로 이동하면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산화전극에서 다음과 같이 연료인 수소의 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2H2 → 4H+ + 4e- (산성 조건), 2H2 + 4OH- → 4H2O + 4e- (염기성 조건), 그리고 환원전극에서는 다음과 같이 산소의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O2 + 4H+ + 4e- → 2H2O (산성 조건), O2 + 2H2O + 4e- → 4OH- (염기성 조건), 그리고 산성 조건에서 수소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고분자 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경우를 고분자 전해질 연료 전지라고 하며, 30∼40% 농도의 수산화 포타슘(KOH) 용액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경우를 알칼리 연료 전지라고 부른다.
상기 제어기는 제어기, 조종기, 조정기, 운전기, 가동기, 컨트롤러, 리모트 컨트롤러, controller 등(20)이 해당된다. 상기 제어기는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등을 제어, 조절, 조정, 가동, 중단, 키기, 끄기, On, Off, Stop, 연결, 차단, 전원연결, 컨트롤, 전원차단, 원격조정, 무선제어, 유선제어, 리모트컨트롤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기에는 보드, 허브(hub), 메인보드, Al모듈, 분석모듈, 판단모듈, 제어모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드에는 Al모듈, 분석모듈, 판단모듈, 제어모듈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Al모듈은 딥러닝, 모델링, 추론 등을 하는 모듈로서,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에 의한 센싱정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등으로부터 위험 요소 검출을 위한 객체의 정보를 추론한다. 분석모듈은 분석, 해석, 추출, 검출 등을 하는 모듈로서 상기 추론된 객체 및 각종 센싱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위험 요소를 검출한다. 판단모듈은 판단 등을 하는 모듈로서 상기 추론, 검출 등이 된 정보로부터 위험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모듈은 상기 추론, 검출, 판단에 의거하여 얼람기를 제어하여 작업자 등에게 위험 상황에 대한 경고나 안내 등을 한다.
상기 LED는 LED,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ed diode, Light-Emitting Diode의 약자, 발광다이오드 등을 나타낸다. 발광다이오드는 Ga(갈륨), P(인), As(비소) 등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반도체이고, 전류를 흐르게 하면 붉은색, 녹색, 노란색 등으로 빛을 발한다. 다이오드는 이극체(diode) 즉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을 모두 가진 물체이다. 상기 LED가 적용되는 또는 LED 발광하는 장치에는 LED센서, LED버튼, LED랜턴, LED카메라, LED무전기, LED알림기, LED램프, LED제어기, LED트래커, LED계측기, LED장치, LED장비, LED기구, LED드론 등이 가능하다.
상기 포켓은 팩, 백, 망, 박스, 포켓, 방수팩, 방수포켓, 주머니, 파우치, 호주머니, pocket, pouch, 쟈크 달린 포켓, 물건 저장 포켓, 배터리 저장 포켓, 조끼에 형성된 포켓, 멜빵에 형성된 포켓, 필드수단에 형성된 포켓, 웨어러블수단에 형성된 포켓,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포켓 등(20')이 해당된다.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트래커, 기구, 계측기 등은 오픈, open, 포켓(20')에 내장, 웨어러블수단에 내장, 웨어러블수단(2)의 포켓(20')에 내장, 웨어러블수단에서 외부로 오픈, 웨어러블수단에 장착, 웨어러블수단에 걸림, 웨어러블수단에 달림 등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구비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켓의 예로는 조끼 또는 멜빵에 2개 이상의 포켓이 형성되고 이 포켓의 각각에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중 2개 이상이 각각 내장되는 것이다.
상기 통신장치는 a) 통신기, 송신기, 전송기, 수신기, 발신기, 공유기, 인터넷, internet, 무선통신, wireless, 무선, 와이어리스통신, 통신모듈, 통신유닛, 통신수단, 통신장치, 통신장비, 인터넷공유기, 무선인터넷, 네트워크, 무선네트워크, 통신시스템, 인테페이스, 통신인테페이스, 중계장비, 통신중계장비, 게이트웨이, 무선통신장치, 유선통신장치, 송신유닛, 송신장치, 무선송신장치, 전송유닛, 전송장치, 무선전송장치,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폰앱, 스마트폰 이용, 이어폰, 이어셋, 무선이어폰, 무선이어셋, 핸드폰통신장치, 스마트폰통신장치, 아바타통신장치, 메타버스통신장치, 설치형 통신장비, 이동형 통신장비, 설치형 통신중계장비, 이동형 통신중계장비, 와이파이, 엘티이, 비콘, 테더링, 핫스팟, 블루투스, 사물인터넷(IoT), 만물인터넷(IoE), 안테나, 통신안테나, 무선안테나, USB안테나, 기업전용 LTE망,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다양한 주변기기, 게이트웨이, 모뎀, 웹, web, 웹사이트, SNS, gateway, WiFi, LTE, P-LTE(Private LTE), IMT, UWB, GSM, BLE, UDP, TCP, IP, USB, ZigBee, Beacon, Bluetooth, AP(access point), WiFi장치, LTE장치, IMT장치, Beacon장치, Bluetooth장치, AP장치, 비콘(beacon)장치,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태그(tag), 비콘태그, RFID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b) 또는 게이트웨이, 스마트폰, 근로자앱 등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c) 이동통신망이 되는 현장에서 비콘(51), 스마트폰(35), 근로자앱(35) 등을 이용한 통신시스템(50); 도 1 상부 그림 참조, d) 이동통신망이 되지 않는 현장에서 게이트웨이(52), 200∼300m 간격으로 게이트웨이(52) 등을 이용한 통신시스템(50); 도 1 하부 그림 참조, e) 또는 상기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스마트폰(35),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에서 발생되는 자료, 정보, 신호,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통신, 송신, 공급 등을 하는 장치; 도 1 그림 참조, f) 상기 통신기 내지 RFID태그 등의 장치; g) 상기 통신기 내지 RFID태그 등을 이용하여 자료, 정보, 신호,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통신, 송신, 전송, 수신, 송수신 등을 하는 것; g)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통신장치; 등(50)이 해당된다.
상기 통신장치의 이용예로는 a) 현장에 설치된 센서에 구비된 공유기, 사람에 장착된 SOS버튼에 거치된 무선통신, 작업의 조끼에 장착된 랜턴에 연결된 블루투스, 공장에 설치된 CCTV에 장착된 WiFi, 근로자의 무전기에 부착된 LTE장치, 장비에 장착된 알림기에 연계된 핫스팟, 드론에 설치된 센서에 구비된 공유기, 드론에 구비된 램프에 연계된 비콘, 사무실에 구비된 청정기의 제어기에 연계된 게이트웨이, 공장의 지붕에 설치된 태양전지에 연결된 무선안테나, 지반에 설치된 계측기에 거치된 통신중계장비;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드론,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이 있다.
상기 와이파이는 와이파이, 공유기, 중계기, 와이파이 공유기, WiFi, wi-fi, wireless, 무선, 무선통신, wireless internet, 무선 통신 표준 기술 중에서 선택된 하나, Wireless Fidelity(와이어리스 피델리티), WLAN, 무선랜, WAN(wireless area network), Wireless LAN, 와이파이 라우터(router), 접속점(AP, 액세스 포인트), 핫스팟(hotspot), 모뎀(modem), 허브(hub), 이더넷 허브, 스위치(switch), 브리지, 메시(mesh), 듀얼/트라이 밴드(band), 무선 인터넷이 개방된 장소에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을 통하여 초고속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설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와이파이는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이용할 수 있음, 참조적으로 기존의 유선 Ethernet은 LAN(근거리 통신망, 랜, local area network)임, 무선 인터넷 공유기/AP 사용, Access Point에 기반을 둔 일대다 통신 방식(Infrastructure mode)을 사용, 사용 범위는 개활지에서 200m 정도, 국내에서는 2002년 2월 1일에 KT에서 네스팟(현 KT WiFi)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 처음, NESPOT 서비스는 olleh WiFi 등장 이후로 종료, 현재는 3대 통신사에서 T wifi zone, KT WiFi, U+zone으로 상용 서비스를 제공 등의 특징을 가진다.
상기 엘티이는 엘티이, LTE, Long Term Evolution, P-LTE(Private LTE), 오랫동안 진화한 것, 장기간에 걸쳐 기존 시스템을 발전시킨 기술, 4G 이동통신 기술, 국내 전 통신사 주파수 대역 지원 LTE, G는 세대를 의미하는 Generation의 약자임, LTE가 3세대 이동통신인 와이브로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속도에 있음 등이 해당된다. 상기 핫스팟은 핫스팟, hotspot, 인터넷과 연결된 스마트폰을 무선 공유기처럼 만들어서 인근의 다른 스마트폰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기능 등의 특징을 가진다. 핫스팟의 예로는 3G 또는 4G망 → 핸드폰(핫스팟) → Wi-Fi → 다른 핸드폰 등이 있다.
상기 테더링은 테더링, tethering, 휴대폰을 모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 노트북과 같은 IT 기기를 휴대폰에 연결하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 휴대폰의 부가기능으로서 휴대폰 자체가 무선 모뎀(modem, 변복조장치) 역할을 하는 기능 등이 해당된다. USB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장치 또는 Wi-Fi(무선랜) 등을 통해 휴대폰에 노트북, 넷북, 테블릿PC, 데스크톱PC, 전자책단말기, PDA 등 IT 기기들을 연결함으로써 그 기기들에서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테더(tether)는 밧줄이라는 뜻이며 테더링은 연결 밧줄의 의미가 된다. 통상 무선인터넷은 LTE(Long Term Evolution; 4세대 이동통신기술), 3G(3세대 이동통신기술), 와이브로(WiBro; 초고속 무선 휴대 인터넷서비스), 무선접속장치를 활용한 무선랜 등으로 한다. 테더링 서비스는 LTE나 3G 통신망을 활용하는 것으로 휴대폰 통화권 내에 있는 지역에서는 어디에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특히 무선인터넷이 잡히지 않는 지역에서 노트북이나 넷북 등으로 자료를 송신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하고 싶을 때에는 휴대폰의 테더링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테더링 또는 핫스팟의 예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설정에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 클릭, 상기의 '네트워크 및 인터넷'에서 '인터넷 함께 쓰기(테더링, 힛스팟)' 클릭, 상기의 '인터넷 께 쓰기'에서 'USB 테더링', 'Wi-Fi 핫스팟', 'Bluetooth 테더링' 중 하나 클릭 등을 하여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함께 쓰기하면 된다. 상기 USB 테더링은 다른 기기에서 내 휴대폰의 데이터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으로 USB를 연결후 사용하면 된다. Wi-Fi 핫스팟은 Wi-Fi 핫스팟을 클릭한 후 다른 기기를 내 휴대폰의 Wi-Fi로 인터넷을 연결하는 것이다. Bluetooth 테더링은 Bluetooth 테더링을 클릭 한 후 다른 기기에서 내 휴대폰의 Bluetooth로 인터넷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UWB는 Ultra Wide Band, 초광대역 무선기술, 단거리 구간에서 낮은 전력으로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기술, 기존의 주파수 대역에 비해 매우 넓은 대역에 걸쳐 낮은 전력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 기술 등이다. 상기 GSM은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 세계무선통신시스템, Global System/Standard for Mobile Communicatio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종합정보통신망과 연결되어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화 단말기, 팩시밀리, 랩톱 등에 직접 접속하여 이동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디지털 이동통신 방식 등이 해당된다. 상기 BLE는 저전력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 Bluetooth Low Energy, 약 10 미터(m) 도달 반경을 가진 2.4GHz 주파수 대역에서 저전력 저용량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기술 등이 해당된다.
상기 IMT는 국제 모바일 통신 시스템,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이다. 2G는 CDMA, 3G는 WCDMA 또는 IMT-2000, 4G는 LTE 또는 IMT-Advanced, 5G는 IMT-2020이라고 부른다. 5세대 이동통신(5G, fif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은 최대 속도가 20Gbps에 달하는 이동통신 기술이다. 5G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이를 토대로 가상·증강현실(VR·AR),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CDMA(2세대), WCDMA(3세대), LTE(4세대)가 휴대폰과 연결하는 통신망에 불과했던 반면 5G는 휴대폰의 영역을 넘어 모든 전자 기기를 연결하는 기술이라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6세대 이동통신(6G)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5G 이동통신의 최대 속도 20Gbps보다 5배 또는 50배 빠른 차세대 통신기술로서, 초당 100기가비트(100Gbps) 이상의 전송속도를 구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6G는 전파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수중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6G의 이론적 다운속도는 초당 1TB에 달하며 이를 통해 만물인터넷(IoE) 시대를 실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IoE는 만물인터넷, Internet of Everything으로서 사물과 사람, 인간, 데이터, 프로세스 등 세상에서 연결 가능한 모든 것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UDP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user datagram protocol,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때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보내는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 등이다, 상기 TC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서로 다른 시스템을 가진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집합 등이다. 상기 IP는 internet protocol addres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할 때 송신자와 수신자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의 주소 등이다. 상기 ZigBee는 주로 양방향 무선 개인 영역 통신망(WPAN) 기반의 홈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망에서 사용되는 기술, 저속 전송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기술, zig-zag로 날아다니면서 다른 동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Bee(벌)의 정보전달 체계에 착안한 명칭, 여기저기 구석구석 움직이며 통신한다는 뜻 등이 해당된다.
상기 비콘은 비콘, Beacon, 비콘기, 비콘장치, 비콘센서, 비콘리더기, 무선표지(radio beacon), 항공로에 설치되는 등대, 블루투스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BLE(Bluetooth Low Energy)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과 같은 장치에 블루투스를 통해 무선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근거리 통신 기술,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 IT기술 기반의 위치인식 및 통신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통신장치, 특정한 위치에 설치된 무선국에서 특정한 전파를 발사하고 선박 또는 항공기에서 이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그 무선국의 위치와 방위를 알아서 항로 또는 항공로의 식별이 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전파에 의한 항행의 지표, 봉화나 등대와 같이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어떤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기기, IT 기술 기반의 위치 인식 및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기술을 기반으로 근거리 내의 스마트 기기를 감지하고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데이터 통신 기술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비콘은 a) 전송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저주파 비콘, LED 비콘, 와이파이 비콘, 블루투스 비콘 등으로 분류됨, b) 전자유도장치를 갖춘 항공기의 유도장비로서 항공기 유도, 공중폭격 유도, 근접항공지원 유도 등을 위하여 사용하는 장비, c) 또는 형상, 빛, 소리, 색채, 전파 등으로 약속된 신호를 보내고 위치 및 방향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장비 또는 송수신기기, d) 지상 무선 기지 등에서 발사되는 전파를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 이동체 내의 기기에서 수신하여, 위치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e) 근로자 출퇴근 자동인식, 근로자 위치 추적 및 알림, 일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음,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 물체에 인터넷을 적용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에 이용,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활용에 이용, GPS 기술로 파악이 어려운 실내 위치 정보 등을 쉽게 파악함, f) 비콘 그 자체는 위치를 알려주는 기준점 역할을 수행하고 실제 정보 전달은 블루투스, 적외선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짐 등의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비콘은 10cm 이내에서 스마트폰을 직접 태그하는 방식인 NFC(근접무선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보다 가용거리가 길고, 근거리 무선통신(NFC)이 접촉식으로 10∼20cm 이내의 근거리에서만 통신이 가능하지만 비콘은 비접촉식으로 최대 50∼70m의 원거리 통신을 지원함, 비콘은 NFC보다 가용거리가 길어 공간 단위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 오차범위 5cm 이내로 기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음, 5~10㎝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음, 전력 소모가 적어 모든 기기가 항상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구현에 적합, 일대다 및 다대다 서비스 모두 가능, 매장 내에 고객의 내점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쿠폰이나 포인트를 부여, 전시회나 박물관에서 현재 관람객이 감상하는 작품에 대한 자동 설명 서비스를 제공, 가속도 센서나 온습도 센서를 부착한 비콘을 설치하여 농작물이나 기계의 상태를 원격으로 파악, 개당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도 작아 IoT 인프라 구축의 기본 단위가 될 수 있음, 스티커형 비콘은 스티커처럼 정보기술(IT)기기, 자전거, 신발 등에도 쉽게 붙일 수 있음, 비콘 스티커를 지갑에 넣어 놓으면 스마트폰과 일정거리 이상 떨어졌을 때 얼람이나 진동으로 알려줘 지갑의 분실을 막음, 복잡한 설치 과정 없이 붙이기만 하면 모든 물체를 IoT 기기로 만들어줌 등의 특징을 가진다.
상기 블루투스는 a) 블루투스, Bluetooth,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b) 또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 c) 블루투스는 기기 간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 구성으로 연결됨,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헤드셋을 연결하면, 스마트폰이 마스터, 헤드셋이 슬레이브가 됨, d)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헤드셋이나 키보드는 있는데 마스터 기기가 될 노트북, 휴대폰이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블루투스 동글(dongle, 중계기)을 사용함, 이 동글은 USB메모리 모양을 하고 있어 USB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음, e) 블루투스의 경쟁 기술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가 있음,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인터넷망 없이 휴대기기 간 직접 연결해 통신할 수 있는 기술임, f) 블루투스는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임,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면 케이블이 없이도 주머니 속의 MP3플레이어의 음악을 들을 수 있음, 블루투스의 무선 시스템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함, g) ISM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어 저전력의 전파를 발산하는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쓰임, 상기 ISM 대역은 아마추어 무선, 무선랜, 블루투스 등이 사용함 등의 특징이 있다. LAN보다 더 좁은 범위(PAN)를 커버하는 블루투스는 기본 커버리지가 10m 이내이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게이트웨이, gateway, 관문, 출입구 네트워크의 관문, 통신 네트워크의 출입구, LAN 통신이 되도록 하는 게이트웨이,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네트워크 또는 세그먼트(segment)에서 다른 네트워크(인터넷 등)로 이동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거점, 복수의 컴퓨터와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등을 상호 접속할 때 컴퓨터와 공중 통신망을 접속하는 장치, LAN과 공중 통신망을 접속하는 장치, 자동차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 통과하는 톨게이트(tollgate)와 유사한 개념임,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 공유기가 1차 게이트웨이(공유기에 설정된 게이트웨이)이고 인터넷 제공사의 라우터가 2차 게이트웨이가 됨, 공유기를 사용하지는 않는 경우 인터넷 제공자의 라우터가 1차 게이트웨이가 됨, 두 컴퓨터(노드 node라고도 함)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되려면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protocol, 통신 규약)을 사용해야 하는데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두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해 주는 변환기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는 또한 라우터(router)와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음, 라우터는 네트워크 장비의 일종으로 패킷(packet, 네트워크 전송 데이터의 최소 단위)을 다른 네트워크 보내주는(forward) 역할을 함, 게이트웨이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과 상호 접속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와 다른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장비로 이루어짐 등이 해당된다. 게이트웨이의 구성 요소에는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을 제어하는 컴퓨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컴퓨터 게이트웨이 노드, 프로토콜 변환기, 임피던스 매칭 장비, 비율변환기(rate converters), 장애 절연장치(fault isolators) 혹은 시스템 호환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신호변환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게이트웨이 노드는 종종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나 파이어월 서버(firewall server)로 동작한다.
상기 통신망은 a) 망, 통신망, 회로망, 기지국, 중계기, 네트워크, 네트워크망, 중계장비, 설치형 중계장비, 이동형 중계장비, 고정형 중계장비, 통신시스템, 통신기지국, 설치통신망, 고정통신망, 이동통신망, 정보통신망, 인터넷망, 인터넷통신망, 클라우드, 클라우드 네트워크, 송신망, 수신망, 송신기, 수신기, 웹, web, 웹사이트, SNS, VPN, BAN, PAN, LAN, WAN, network, commutation network, cloud, 데이터 통신망, 단말기(terminal) 간의 통신 경로를 구성하는 자원의 집합체, 전자 회로망, 여러 종류의 전자 소자를 상호 접속한 것, 수동 회로망(passive network), 능동 회로망(active network), 선형 회로망(linear network), 광통신망, 마이크로파통신망, 무선통신망, 유선통신망, 전기통신망, 전화망, 통신위성망, 이동통신시스템, 아바타통신망, 메타버스통신망, 지상기지국, 5G기지국, KT기지국, SK기지국, LG기지국, 지하케이블망, 해저케이블망, 통신이동업무를 취급하는 무선국, 육상 이동국과의 통신 또는 이동 중계국의 중계에 의한 통신을 하기 위해 육상에 개설하고 이동하지 않는 무선국. base station, 基地局, 통신장치와 기지국과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전화가입자 상호간의 전화망, 전보의 송수를 위한 중계망, 가입전신가입자간의 가입전신망, 철도·경찰·전력용 등의 시외통신망, 기업체 등에서 이용하는 집중사무처리데이터망; b) 또는 단말기, 노드(node), 회선(line), 간선(trunk), 통신위성들을 포함한 상호 접속된 매체로 구성된 시스템; c) 또는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스마트폰, 통신장치 등의 또는 등에서 제공되는 자료, 신호,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서버, 하드웨어, 단말기 등에 통신, 송신, 공급, 전달, 이송 등을 하는 장치; d)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통신망; 등(60)이 해당된다.
상기 통신망의 이용예로는 a) 터널 내부에 설치된 센서에 구비된 공유기에 연결되는 무선 통신망, 로봇에 장착된 SOS버튼에 거치된 무선통신 기지국, 동물의 조끼에 장착된 랜턴에 연결된 블루투스에 연계되는 무선 네트워크망, 타워크레인에 설치된 CCTV에 장착된 WiFi 중계장비, 현장에 구비된 무전기에 부착된 LTE장치에 연계되는 5G기지국, 드론에 장착된 알림기에 연계된 핫스팟에 연결되는 KT기지국, 장비에 구비된 램프에 연계된 비콘을 무선 송신하는 이동통신망, 현장에 구비된 공기청정기의 제어기에 연계된 무선 인터넷망, 태양전지에 연계된 계측기에 연결된 무선안테나, 드론에 연계된 계측기에 연결된 무선망, 사면에 설치된 계측기에 거치된 무선 통신위성망,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드론,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이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망, 移動通信網, 열차 또는 선박 등 이동체 상호 간의 통신을 목적으로 한 통신망,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목적으로 한 통신망,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정보 통신망 등이 해당된다. 상기 VPN은 VPN, virtual private network, 假想私設網,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을 마치 전용선으로 사설망을 구축한 것처럼 사용할 수 있는 방식,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 보안 솔루션, 공중전화망상에 사설망을 구축하여 이용자가 마치 자기의 사설 구내 망 또는 전용 망같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SNS는 교호 네트워크 서비스, 사회 네트워크 서비스, 교호 네트워크 사이트, Social Network Service, Social Network Site, 웹 기반의 서비스, 월드와이드웹 기반의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아바타네트워크, 메타버스서비스, 웹사이트라는 온라인 공간 서비스,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교호적 관계망이나 교호적 관계를 구축해 주고 보여 주는 온라인 서비스 또는 플랫폼, 소셜 미디어, 소셜 소프트웨어, 마이크로블로그, 프렌드스터(Friendster), 마이스페이스(MySpace), 링크드인(LinkedIn), 마이스페이스(MySpace),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네이버(Naver), 카카오톡(KakaoTalk), 다음(Daum), 구글(Google) 등이 해당된다.
상기 웹은 웹, web, World Wide Web의 줄임말, 월드와이드웹, 인터넷망에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고안된 방법 또는 인터넷망, 인터넷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 인터넷 상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문자-영상-음향-비디오정보를 한꺼번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넷을 통해 웹에 들어가 웹정보를 검색해주는 프로그램을 웹 브라우저(Web Browser)라고 함 등이 해당된다. 상기 웹사이트는 web site, 웹서버에 정보를 저장해 놓은 집합체, 인터넷에서 사용자들이 정보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그것을 볼 수 있도록 웹 서버에 저장된 집합체, 웹 브라우저를 통해 볼 수 있는 웹 콘텐츠와 링크나 동적 기능으로 호출되는 내외부 리소스를 포함한 관련 웹 페이지들의 집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BAN은 인체영역통신망, 人體領域通信網, Body Area Network, 무선 인체 통신망(WBAN: Wireless BAN), 인체 센서 통신망(BSN: Body Sensor Network), 의료용 인체 통신망(Medical BAN), 사용자를 중심으로 통신거리가 수 미터로 제한되는 네트워크, 사람의 몸 자체 또는 주변에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통신망 등이 해당된다. 이는 주로 심박, 혈압, 체온 등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관리하는데 활용된다. BAN의 통신 서비스 범위는 단거리 무선망(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무선랜(WLAN)을 통해 원거리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상태 정보는 BAN에서 WPAN 또는 WLAN 장치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으로 전송되어 먼 거리에 있는 사무실에 실시간 전달될 수 있다.
상기 PAN은 개인 통신망,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이나 원거리 통신망(WAN)과 대비되는 개념, 개인마다 각각 고유한 네트워크를 가지는 PAN, 한 사람이 소유하고 있는 기기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블루투스나 homeRF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PAN 등이 해당된다. 상기 HomeRF는 home radio frequency, 2.4GHz 대의 ISM(industry science medical)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LAN 시스템, 통신 가능한 거리는 50~100m, 전송 속도는 1.2Mbps, 블루투스는 사무실용, HomeRF는 가정용 등이 해당된다. 상기 LAN은 근거리 통신망, Local Area Network,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소수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 하나 또는 몇 개의 인접한 건물을 연결한 네트워크 등이 해당된다. 상기 WAN은 광대역통신망, Wide Area Network, 넓은 지역에 걸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지역과 지역 또는 국가와 국가간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둘 이상의 LAN이 연결된 네트워크, 라우터(router)에 의하여 연결되는 둘 이상의 LAN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통신장치, 통신망은 하나의 장치, 통합장치, 통신수단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50), 통신망(60), 통신수단(50, 60) 등은 유선, 무선, 전선, 케이블, 전화선, 통신망, 인터넷망, 네트워크, 인공위성, PCS폰, 스마트폰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PCS는 개인휴대통신, 개인휴대통신서비스,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통신수단(50, 60)은 공장(100), 현장(100), 사무실(11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본사(120), 관제센터(12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4), 핸드폰(94), 태블릿(94), 디스플레이(90), 아바타, 메타버스, 인터페이스, 위치추적시스템, 원격통제시스템, 인증시스템 등에 구비 또는 연계될 수 있다. 상기 공장 내지 관제센터 등에는 1개, 2개, 3개, 4개, 10개, 20개, 50개, 100개, 1셋, 2셋, 3셋, 4셋, 10셋, 20셋, 50셋, 100셋, 다수, 무한대 등의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4), 핸드폰(94), 태블릿(94), 디스플레이(90), 아바타, 메타버스, 인터페이스, 위치추적시스템, 원격통제시스템, 인증시스템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서버는 a) 서버(70), 수신기, 클라우드, 관제서버, 관리서버, 중앙서버, 호스트서버, 서버클라우드, 송신서버, 수신서버, 저장서버, 저장장치, 데이터 저장장치, 저장하드웨어, 데이터 베이스, 통신자서버, 112서버, 119서버, 관리자서버, 총괄자서버, 이용자서버, 현장서버, 본사서버, 중앙관제서버(71), 플랫폼서버(72), GIS서버(73), 빅테이터서버(74), 빅테이터저장, 인공지능서버(75), 클라우드서버(76), 인터넷 상의 서버, 클라우드 네트워크, 네이버 클라우드, 네이버 MYBOX, 구글 드라이브, 클라이언트서버, 서버클라이언트, 빅데이터서버, 아바타서버, 메타버스서버, 웹하드, 웹서버, 웹사이트, 하드웨어, 기억장치, 수신안테나, 수신기 구비 서버, DB, data base, cloud, server, cloud server; b) 주된 정보의 제공이나 작업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또는 외부 컴퓨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컴퓨터 또는 외부 컴퓨터,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 기업 내의 서버 또는 저장장치가 아닌 외부에 아웃소싱해 쓰는 서버 또는 저장장치, 고객 또는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하는 컴퓨터, 고객 또는 클라이언트의 자료를 인터넷을 통하여 저장하는 컴퓨터, 인터넷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컴퓨터 또는 외부 컴퓨터, 컴퓨터 파일을 저장할 때 작업한 컴퓨터 내부에 있는 공간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하여 중앙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공간,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통신회선으로 연결하여 공동으로 사용하는 정보를 저장해 두거나 컴퓨터 자원을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모아놓은 컴퓨터; c) 또는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랜턴,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스마트폰 등의 또는 등에서 공급되는 자료, 신호,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서버, 하드웨어; d)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서버; 등(70)이 해당된다.
상기 인공지능서버(75)에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등이 가능하다. 인공지능 서버는 각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등으로 분류되어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에 해당하는 자료, 신호, 정보, 영상, 데이터, 측정치, 위치정보, 지형정보, 시설정보 등을 분석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출입자, 출입현황, 출입금지, 보행금지, 통행금지, 사용금지, 탑승금지, 고온경고, 낙하물경고, 고압전기경고, 방사성물질경고, 안전모착용, 보안면착용, 귀마개착용, 안전화착용, 안전장갑착용 등과 같은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관련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서버, 통신망, 단말기, 처리장치 등에는 PC, 컴퓨터, 하드웨어, hardware, 소프트웨어, software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하드웨어는 도 8과 같이 중앙처리장치(81), 기억장치,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입력장치(84), 출력장치(85)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드웨어 장치간의 데이터 흐름(86)과 제어신호 흐름(87)은 도 8과 같으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장치들이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SW(software),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와 관련된 문서들을 총칭하는 용어, 기계장치부를 말하는 하드웨어에 대응하는 개념,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분, 롬(ROM:read only memory)에 기록되어 변경하기가 어려운 펌웨어(firmware)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서버, 단말기, 소프트웨어 등에 Andriod OS(operating system), SD(sandisk), CIF(crystallographic information file), VGA(video graphics array), HD(고선명도, high-definition), HD 해상도 지원, 코덱, SIP(System in Package),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CP(RTP control protocol),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EXCEL, CAD(computer aided design) SW,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W, sketchup SW, SOLIDWORKS SW, Autodesk SW, photoshop SW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RTP는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데이터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등이다. 상기 RTSP는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영상을 접속하고 제어하기 위한 통신 규약 등이다.
상기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어느 문제에나 공통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들로서 운영체제(UNIX, DOS 등), 컴파일러(C, FORTRAN, 컴파일러 등),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응용 소프트웨어는 사무자동화 프로그램들, 수치연산 프로그램들, 게임 프로그램들, 통신 프로그램 등이 있다. 여기서 통신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그램으로 웹브라우저, FTP, 텔넷 등이 있다. 여기서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대량의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 받는 파일 전송 전용 프로그램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텔넷은 telecommunication network,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할 때 지원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코덱은 코덱, Codec, 음성 또는 영상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더와 그 반대로 변환시켜 주는 디코더의 기능을 함께 갖춘 기술, 코더(coder)와 디코더(decoder)의 합성어, 컴프레서(Compressor)와 디컴프레서(Decompressor)의 합성어, 음성이나 비디오 데이터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디지털로 바꿔 주고 그 데이터를 컴퓨터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모니터에 본래대로 재생시켜 주는 소프트웨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처리장치는 센서, 버튼,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제어기, 기구, 계측기,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등에서 제공되는 자료, 서류, 정보, 영상, 음성, 신호, 시그널, 데이터, 빅데이터, 아날로그, 측정치 등을 입력, 처리, 연산, 산정, 판단, 판독, 평가, 추론, 추리, 제도, 작도, 도식화, 도면화, 서류화, 자료화, 데이터화, 도면제작, 매핑, mapping, 저장, 기억, 출력 등을 하는 장치(80)이다. 상기 처리장치(80)는 PC, 컴퓨터, 노트북,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8 참조. 상기 서버, 통신망, 단말기 등은 처리장치(processing unit), CPU(중앙처리장치), MPU(micro processor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장치, 超小型演算處理裝置), MPU(주처리장치, main processing unit) 등이 구비되거나, 또는 등에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는 균, 세균, 오염, 먼지, 황사, 분진,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등을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등을 하는 장치도 가능하다.
상기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 中央處理裝置)는 명령어를 해독하고 실행하는 장치로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들로 구성된다. 특히 하나의 칩으로 된 중앙처리장치를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라 하는데, 대표적인 제품으로 인텔의 펜티엄, 코어2듀오, Octa Core CPU 등이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상기 자료 내지 측정치 등을 이용하여 처리, 연산, 산정, 판단, 판독, 평가, 추론, 추리, 제도, 작도, 도식화, 도면화, 서류화, 자료화, 데이터화, 도면제작, 매핑, mapping 등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CAD, CAM, BIM, EXCEL, sketchup, SOLIDWORKS, Autodesk, photoshop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자료 내지 측정치 등에 대한 표, 그림, 도면, 도형, 문장, 챠트, 영상, 형상, 메뉴, 챠트, 동영상, 공정도, 레포트, 데이터,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control unit)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업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일을 하고,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석하고, 해석된 명령의 의미에 따라 다른 장치들에게 동작을 지시한다. 상기 연산장치(ALU : arithmetic logic unit)는 연산을 하는 장치로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산술연산과 AND, OR, NOT 등의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처리장치, 연산장치 등은 저장, 제어, 산정, 계산, 연산, 추론, 추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레지스터는 중앙처리장치에 명령어, 데이터, 연산결과 등을 저장하는 기억장소이거나, 또는 중앙처리장치에서 명령어를 실행하는 동안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억장치이다.
상기 기억장치는 실행중인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이 있다. 필요시 기억장치를 계층화하여 중앙처리장치가 지금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빠른 속도의 레지스터, 캐시기억장치, 주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중앙처리장치가 현재 필요로 하지 않는 많은 양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주기억장치는 실행중인 프로그램과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 RAM과 ROM으로 구분할 수 있다. RAM(Random Access Memory)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주기억장치인데, 실행중인 프로그램과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다. RAM은 전원을 차단하면 모든 내용이 지워지는 휘발성 기억장치다. ROM(Read Only Memory)은 부팅할 때 동작하는 바이오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장치로, 전원을 차단해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기억장치다. 상기 보조기억장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영구히 저장하는 장치로 CD, USB, Universal Serial Bus, 디스크, 하드디스크,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디스크 등이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문자, 그림, 소리, 동영상 등과 같은 외부의 데이터를 컴퓨터로 읽어들이는 것으로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조이스틱 등이 있다. 상기 출력장치는 컴퓨터에서 처리한 결과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것으로 모니터, 스크린, 프린터, 플로터, 3D프린터 등이 있다.
상기 단말기는 a) 단말기, 端末機, 수신기, 착신기, 수신장치, 컴퓨터(91), PC(91, personal computer), TV(television), OTT(Over-The-Top), SNS(Social Network Service), 태블릿, 모니터(92), 스크린(93), 화면, 폰(94), 핸드폰(94), 스마트폰(94, smart phone), 태블릿(94), 태블릿(tablet)PC, 모바일 인터넷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인터넷태블릿, IoT(internet of things)장치, IoE(internet of everything)장치, 데스크탑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laptop)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단말기, 영상장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기기, 텔레비젼, 보여주는 장치, 모바일기, 모바일기기, 리시버, 리더, 디지털수신기, 아날로그수신기, 클라이언트PC, PC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단말기, 단말클라이언트, 칩카드를 읽는 장치,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영상을 수신하는 장치, 이동 단말기, 고정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전용(專用) 단말기, 범용(汎用) 단말기, 근로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감리자 단말기, 감독자 단말기, 호스트 단말기, 아바타 단말기, 메타버스 단말기, 중안관제센터 단말기, 발주기관 관리자 단말기, 종합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전문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설계감리 관리자 단말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핸드헬드(Handheld)기반 통신장치, terminal, terminal unit, cellphone, mobile, mobile phone, End Point, Receiver, reader, card reader; b) 중앙에 있는 컴퓨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 c) 또는 전자기 신호를 전기 신호, 이해 가능한 소리, 시각적 형태 등으로 변환하기 위한 탐지기와 처리용 전자기기를 합친 장치; d)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단말기; 등(90)이 해당된다.
상기 OTT는 OTT, Over The Top, 오버더톱서비스, 개방된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이나 영화 등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는 TV 서비스, 전파나 케이블이 아닌 범용 인터넷망(Public internet)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top은 TV 셋톱 박스(set-top box)를 뜻하는 것으로 Over The Top은 셋톱 박스가 아닌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나타낸다. 대표적인 OTT 업체로는 티빙, 넷플릭스, 유튜브 등이 있다.
상기 화면은 화면, SNS, 디스플레이, 플랫폼 화면, 아바타 화면, 메타버스 화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액정표시장치 디스플레이, TFT 디스플레이, TFT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등이 해당된다. 상기 TFT는 박막 트랜지스터, Thin-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Thin-film-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해당된다. 상기 단말기는 공장, 현장, 농장, 가정, 주택, 지사, 본사, 장비, 드론, 계측기, 서버, 사람, 인간, 로봇, 작업자, 아바타, 메타버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는 필요시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등이 설치, 다운, 다운로드, 내려받기, 구글스토어에서 내려받기, PLAY스토어에서 내려받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컴퓨터, PC, 노브북, computer, personal computer, 태블릿, 모니터, 스크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모니터는 모니터, monitor, PC모니터, 컴퓨터모니터, 디스플레이, 폰모니터, 아바타모니터, 메타버스모니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 screen, 영화스크린, 아바타스크린, 메타버스스크린, 상황실스크린, 관제실스크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폰은 폰, 전화기, 스마트폰, 핸드폰, 이동폰, 휴대폰, 셀폰, 모바일폰, 사람폰, 작업자폰, 아바타폰, 메타버스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 디바이스, 사람이 휴대하는 폰, 코드리스폰, phone, cell phone, mobile phone, hand phone, portable phone, smart phone, 피처폰(feature phone; 일반 휴대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태블릿은 태블릿, 태블릿컴퓨터, 태블릿PC, tablet, 도형이나 좌표를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한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플랫폼,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에는 근로자정보 입력부, 저장부, 이미지 처리부, 근로자정보 추출부, 디스플레이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로자정보 입력부는 근로자의 개인정보, 안전 교육 이수 여부, 근로자에 매칭된 안전 보호구의 식별 코드정보, 안전 보호구의 착용 여부, 근로자의 얼굴 이미지 등을 입력하는 것이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근로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전송된 영상에서 근로자 및 현장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들에서 식별코드 영역과 얼굴 영역을 인식 및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코드 영역에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식별 번호로 변환하며 추출된 얼굴 영역에서 근로자의 얼굴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이다. 상기 근로자정보 추출부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변환된 식별 번호와 얼굴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근로자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근로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해당 근로자의 안전 보호구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획득된 영상과 상기 근로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근로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상기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플랫폼,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은 현장정보, 공장정보, 장비정보, 작업자정보, 현장 CCTV, 스마트폰 또는 PC로 관제가 가능한 CCTV, 작업자의 안전보호구 지급, 교육개설과 이수현황, 교육총괄표, 교육이수증, 안전교육관리, 개인건강검진, 질병유소견자, 개인건강검진총괄표, 건강현황, 산재 및 공상처리 이력관리, 무재해현황관리, 안전 위반관리, 무재해현황, 안전관리 포인트, 비콘 등록, 상벌점 설정, 긴급호출 담당자 관리, 긴급방송등록, 메시지 발송관리, 메시지 발송내역, 근로자 등록, 근로자 이력관리, 산재이력관리, 안전위반 여부, 상벌점 조회, 근로자별 작업내역조회, 산재 및 공상처리 이력관리, 근로자 관리, 기업정보 등록, 기초코드 관리, 현장등록, 권한등록, 관리자업무, 현장 환경설정, 공지사항, 현장내 공지사항, 일일/월간 출역현황, 출역조회, 출역집계, 현장별 인원현황, IN/OUT 히스토리와 실시간 잔류현황을 보여주기 위한 출역관리, 협력업체 등록, 협력업체 현장연결, 협력업체별 상벌점 현황, 협력업체 관리 등이 저장되거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폰, 스마트폰,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PC, 컴퓨터, 플랫폼,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에는 앱, 어플, 플랫폼, 처리장치 등의 이용, 구비, 거치, 다운, 다운로드, 내려받기, 저장, 내장, 연결,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앱은 a) 앱, 어플, PC앱, 노브북앱, 태블릿앱, 폰앱, 핸드폰앱, 스마트폰앱,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선, 모바일앱, 현장앱, 공장앱, 지사앱, 본사앱, 작업자앱, 관리자앱, 총괄자앱, 아바타앱, 메타버스앱, 작업자핸드폰앱, 관리자핸드폰앱, 총괄자핸드폰앱, App, Appl, 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줄인 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줄임말, 컴퓨터의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모든 응용 소프트웨어, 길을 안내해 주는 지도 앱, 지하철이나 버스 도착 시간을 알려주는 교통 관련 앱, 건강 상태를 확인해 주는 헬스케어 앱, 온라인 상에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 주는 SNS 앱,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에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시 등의 운영 체제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개발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같은 모바일 기기 등에서 내려받아 사용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을 사고 파는 온라인 마켓인 앱스토어(app store)에서 내려받아 사용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b) 또는 스토어, 원스토어, 구글스토어, 플레이스토어 등에서 공급되는 앱; c) 또는 스토어, 원스토어, 구글스토어, 플레이스토어 등에서 PC, 스마트폰 등에 내려받는 앱; 등이 해당된다.
앱의 이용 예로는 근로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여 관제센터의 정보 수신,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여 관제센터의 정보를 근로자에게 송신, 앱이용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여 관제센터의 정보를 이용자가 받음, 사고 발생시 관리자앱을 통해 근로자에게 대피 명령을 내림, 사고 발생시 관리자앱을 통해 근로자의 스마트폰에 대피 명령을 내림, 앱을 이용하여 근로자-관리자 간 양방향 호출, 앱으로 SOS 요청, 앱으로 긴급대피 안내, 앱으로 플랫폼 보기, 앱이 설치된 단말기로 플랫폼 보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기구(10), 센서(11), 로봇(30), 아바타(30),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제품(43),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등에는 통신장치(50), 통신망(60), 컨트롤러(95), 원격컨트롤러(95), 디스플레이(95), 이용자 단말기(95), 앱이용자 단말기(95), 플랫폼(96), 메타버스 등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러(95), 원격컨트롤러(95), 디스플레이(95), 이용자 단말기(95), 앱이용자 단말기(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은 a) 상기 기구(10), 센서(11), 로봇(30),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제품(43),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통신장치(50), 통신망(60) 등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얻을 수가 있거나, b) 또는 상기 기구(10), 센서(11), 로봇(30), 아바타(30),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제품(43),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통신장치(50), 통신망(60), 메타버스(97) 등을 제어, 조정, 운전, 가동, 무인제어, 원격제어, 원격조정, 컨트롤, 리모트컨트롤 등을 할 수가 있다.
상기 플랫폼은 플랫폼(96), platform, plat(구획된 땅)과 form(형태)의 합성어, 구획된 땅의 형태, 안전플랫폼, 공정플랫폼, 관리플랫폼, 회사플랫폼, 영상플랫폼, 도면플랫폼, 챠트플랫폼, 데이터플랫폼, 구글플랫폼, 애플플랫폼, 페이스북플랫폼, 아마존플랫폼, 서버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되는 플랫폼, 단말기 플랫폼, 단말기에 제공되는 플랫폼, 처리장치 플랫폼, 관제센터 플랫폼, 앱 플랫폼, 앱에 제공되는 플랫폼, 앱으로 제공되는 플랫폼, 인터넷앱 플랫폼, 작업자 플랫폼, 관리자 플랫폼, 총괄자 플랫폼, 이용자 플랫폼, 아바타플랫폼, 메타버스플랫폼, 웹기반 관제 플랫폼, 웹기반 관제 시스템, 정보 표기, 정보가 표기된 플랫폼, 정보 제공,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작업 및 관리 현황 제공, 공사관리 현황 제공, 안전관리 현황 제공, 감지현황 제공, 안전관리현황 차트 제공, 분석데이터 챠트 제공, Excel 파일 제공, 영상과 도면과 도표 제공, MS-DOS상에서 동작하는 DOS 플랫폼, MS-Windows가 제공하는 MS-Windows의 플랫폼, MS-Windows상에서 동작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인 MS-Windows 플랫폼,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 기차를 타고 내리는 정거장, 무언가를 타고 내리는 승강장, 특정 장치나 시스템 등에서 이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틀 또는 골격,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특정 프로세서 모델과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바탕으로 하는 운영체제, 공급자와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해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 PC나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플랫폼, 웹 기반의 관제시스템, 안전관리 현황 및 분석 데이터에 대한 챠트 플랫폼 등(96)이 해당된다.
상기 폰, 화면, 서버, 처리장치, 플랫폼, 단말기, 디스플레이, 공장, 가정, 현장, 센터, 사무실, 메타버스 등에는 영상, 동영상, 출입자, 작업자, 아바타, 관리자, 총괄자, 조직도, 관리도, 비상연락망, 트리형태의 조직, 성명, 직급, 대시보드 형태의 화면, 통화현황, 통화목록, 출입현황, 작업내용, 공사내용, 사고현황, 각종통계, 현장현황, 공지사항, 등록인원, 관리인원, 지도, 지형도, 도료, 도면, 그림, 메뉴, 자료메뉴, 화면메뉴, 작업정보, 공사정보, 위치정보, 생체정보, 환경정보, 공기질정보, 센싱정보, 계측정보, 날씨정보, 시설정보, 건물정보, 도로정보, 구조물정보 등이 생성, 저장, 기록, 제공, 공급, 보기, 방영, 방송, 읽기, 듣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서버, 플랫폼, 처리장치 등의 정보, 데이터는 ERP 등의 기존 시스템과 연동되거나, 또는 엑셀 파일로 변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ERP는 전사적자원관리, 全社的資源管理,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기업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합정보 시스템 등이다. 상기 메뉴는 메뉴 menu, 화면 메뉴, 디스플레이 메뉴, 화면이나 디스플레이 장치 위에 표시하여 둠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조작 순서 일람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서버, 단말기, 플랫폼, 관제센터 등은 본사, 본부, 공장, 가정, 주택, 현장, 기관, 정부, 부처, 지자체, 발주처, 상황실, 회의실, 사무실, 국토부, 환경부, 행자부, 공사, LH공사, SH공사, 도로공사, 수자원공사, 시공회사, 건설회사, 설계회사, 감리회사 등에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서버, 단말기, 플랫폼, 데이터화,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에는 표, 그림, 도면, 도형, 챠트, 영상, 형상, 정보, 내용, 자료, 메뉴, 동영상, 공정도, 레포트, 공사챠트, 작업챠트, 공정챠트, 공사개요, 공사괸리, 공정관리, 사업관리, 계획관리, 교육훈련관리, 위험성평가관리, 근로자관리, 센서관리, 시스템관리 등이 저장 또는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화면 또는 플랫폼을 나타내는 화면에는 상기 표 내지 시스템관리 등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공사개요에는 사업명, 공사면적, 공사종류, 공사금액, 현장규모, 현장주소, 공사시작일, 공사종료일 등이 포함된다. 상기 근로자관리에는 근로자 성명, 직종, 전화번호, 업체명, 작업공종, 생년월일, 입사일, 배치일, 공종근무경력, 키, 몸무게, 혈압, 보유질환, 건강정보, 개인보호장구 지급여부, 안전교육실시여부 등이 포함된다.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해당 공종이 시행되는 구역에 위치한 작업자의 스마트폰으로 팝업 문자를 포함한 전송수단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서버, 단말기, 통신장치, 통신망, 처리장치 등은 공장, 현장, 농장, 가정, 출입자, 작업자, 스마트폰 등의 위치, 위도, 경도, GPS정보 등과 연동이 가능하다.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서버, 단말기, 플랫폼 등입력된 현장의 상세정보 중 사업장 주소는 위도, 경도 정보의 자동 검색 정보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위도, 경도 정보는 날씨정보를 조회하는 위치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단(2), 기구(10), 장비(41), 드론(42), 공장, 가정, 현장, 사무실, 시설, 건물, 자재, 재료,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메타버스,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센서, GPS센서,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열 감지센서, 인터페이스, 위치추적시스템, 원격통제시스템, 인증시스템, 위치확인이 가능한 GPS, 상기 GPS와 열 감지센서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와 상태확인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근로자(30)에 착용된 웨어러브 수단(2), 작업자(30)의 스마트폰(35), 센싱을 하는 센서(11), 계측을 하는 계측기(18), 촬영하는 카메라(14), 센서가 장착된 장비(41), 센서가 장착된 드론(42), 센싱 및 촬영 결과를 송신하는 송신기(50, 60), 상기 송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70), 상기 정보를 처리 또는 연산하는 처리장치(80),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90), 이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 상기 앱을 열어 상기 정보를 시청하는 단말기(90), 상기 앱 또는 단말기에서 열람되는 플랫폼 또는 플랫폼 서비스, 상기 정보를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얼람을 보내는 관리자(31), 상기 중 하나 이상을 총괄하는 총괄자(32), 상기 중 하나 이용을 이용하는 이용자(33),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연계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이어셋, 이어셋 단자, SD((SanDisk, Secure Digital Card), SDHC(Secure Digital High Capacity), SDXC(Secure Digital eXtended Capacity), Micro SD, USB, USB-A, USB-C, 인터페이스, interface, ONVIF(Open Network Video Interface Forum) 인터페이스, 사물과 사물 사이 또는 사물과 인간 사이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물리적 매개체나 프로토콜, 중앙처리장치(CPU)와 입출력장치(input-output unit)를 결합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공유하고 있는 레지스터(register) 등이 해당된다.
상기 위치추적시스템은 위치추적시스템, 운항선박 위치추적시스템, 선박모니터링시스템, VMS(Vessel Monitoring System), 선박-육상간 쌍방향 데이터통신망, GPS, GPS추적기, 衛星航法裝置, 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시스템,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 등이 해당되거나, 또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원격통제시스템은 원격통제시스템, 서버 원격통제시스템, 단말기 원격통제시스템, 모바일 단말기 원격통제시스템, MDM(Mobile Device Management), 모바일 단말기로 원격통제하는 시스템, 원격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유출을 차단할 수 있어 보안이 중요한 기기에서 사용하는 MDM, 모바일 기기의 보안을 향상시켜 비즈니스 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하게 하는 앱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인증시스템은 인증시스템, 다중인증시스템, 출입관리시스템, 출입구에 설치된 인증시스템, 공장이나 현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람을 인증하는 시스템, 폰이나 태그 또는 ID카드를 소유한 사람이 통과하면 인증되는 시스템, SSO(single sign on),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개의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모든 인증을 하나의 시스템에서라는 목적하에 개발된 SSO,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사이트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서버나 단말기에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개의 서비스 또는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개의 서버나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인증시스템의 적용예로는 a) 출입구, 아치형 출입구, 회전대 구비의 출입구; b) 이중 하나에 구비된 센서, 소독기, 오존기, 정화기, 인증시스템; c) 사람이 진입하면 상기 센서가 인식, 상기 소독기에서 소독제 분사, 상기 오존기에서 오존 방사, 성기 정화기가 사람 정화, 상기 인증시스템이 상기 사람에 구비된 태그 인식, 상기 인식에 의하여 상기 사람 통과 인증, 상기 시스템에 상기 사람 기록, 상기 기록에 의하여 사람 출입관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근로자(30)는 근로하는 사람; 작업자(30)는 작업하는 사람; 관리자(31)는 근로, 작업, 공사 등을 관리하는 사람; 총괄자(32)는 근로, 작업, 공사, 관리 등을 총괄하는 사람; 이용자(33)는 앱, 인터넷, 플랫폼, 단말기, 안전시스템 등을 이용하는 사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출입자,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이용자(33) 등은 현장, 공장, 가정, 회사, 본사, 지사, 사무실, 협력사, 발주처, 감리사, 설계사, 시공사, 제조사, 생산지, 감독기관, 행정기관 등의 사람, 인간, 직원,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부장, 이사, 상무, 전무, 소장, 사장, 작업자, 관리자, 총괄자, 이용자, 관계자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단, 기구, 단말기, 메타버스,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안전관리시스템,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의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착용, 정착, 장착, 병합, 합체, 연결,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은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산업, 공장, 가정, 현장, 작업장, 안전, 보호, 위생, 보건, 정화, 청정, 청소, 세척, 세정, 살균, 소독, 방역, 방재, 방제, 구조, 구원, 구호, 구제, 처리, 크리닝, 스마트, 시스템, 촬영, 영상, 녹화, 송신, 수신, 센싱, 계측, 관측, 관찰, 측정, 측량, 측지, 시험, 실험, 방법, 공법, 동영상, 항공측량, 사진측량, 지상측량, 라이브스트리밍, live streaming 등에 이용되거나, 또는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수단 ∼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이용, 구비, 거치, 장착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이용, 구비, 거치, 장착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수단 ∼ 안전관리시스템 등을 이용, 구비, 거치, 장착 등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내지'와 '∼'는 '내지', '∼' 등이 해당되는 것으로 상호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상기 수단, 기구, 단말기, 메타버스,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안전관리시스템,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은 착용, 탈착, 부착, 탈부착, 탈부착가능, 탈부착구조, 착용용이, 착용여부 감지, 세탁가능, 와셔블, washable, 세탁가능구조, 경량, 미니화, 미니사이즈, 내진, 내진동, 내충격, 내구성, 방수, 방진, 방수구조, 방수기능, 사람에 착용, 작업활동에 최적화, 장시간 착용시 피로도 최소화, 가벼운 무게, 작업 활동시 부담없는 무게, LED 조명, CD LED 랜턴 탑재, DC 직류전압 사용, 전자파 무해, 다양한 색상의 인디케이터 내장, 전사업장에 최적화 구현, 기업의 안전조치 강화 솔루션, 작업내용 녹화, 작업내용 실시간 전송, 실시간 안전 모니터링, 근로자 위치 모니터링, 근로자 안전 모니터링, 근로자 건강 모니터링, 근로자 위급상황 감지, 비대면 현장지원, 추락사고 감지, 추락사고 방지, 위험지역 접근감지, 위험지역 접근 방지, 위험상황 자동전송, 근로자의 위험상황을 관리자에게 자동전송, 관리자가 근로자에게 위험상황을 자동전송, 신속사고인지, 신속구조, 긴급 SOS 요청, 긴급 대피 안내, 전후 블랙박스, 전후 블랙박스 기능, 전후면 블랙박스, 전후방 블랙박스 기능, 영하온도에서 가동, 고온에서 가동, -10∼50℃에서 가동,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관리, 플랫폼을 활용한 작업자 안전관제, 산업 안전관제 플랫폼 적용, 안전 및 영상 협업 솔루션 제공, LTE/5G 통신망 이용, 최신 IoT 기술활용, 최신 프로세서 성능, Octa Core CPU 탑재, 2채널 이상 동시 인코딩, 긴급구조요청, 위험감지, 대피안내, 안전관리자호출, 근로자출퇴근 자동인식, Android 지원, 영상통화 및 상황공유 솔루션 제공, 현장 안전관리와 협업에 최적화된 솔루션 제공, 실시간 영상 공유, 현장상황전파, 안전관리 모니터링, 보고 및 이력 관리, 보안 및 확장성, 1:1 영상통과, 다자간 영상통화, 영상 모니터링, 현장사진 전송, 음성메세지 전송, 문자메세지 전송, 모바일 보고서 작성, 보고서 이력관리, 원클릭 녹화, 녹화물 관리, 안전 점검표 생성 및 관리, 작업 전후 안전점검 수행, 작업 전 안전수칙 확인, 화상회의 지원, SIP 기반 화상회의 연동, 작업자 스마트폰과 단말기 또는 관리자 핸드폰 간의 화상회의 지원, 망연계 솔루션 구성, 단말기 또는 모바일 백신 지원, 작업자 위험감지, 실시간 작업자 위험상황 감지, 위급상황시 긴급구조 요청, 실시간 자동알림 전송, 현장 모니터링, 공장 모니터링, 차량 모니터링, 중장비 모니터링, 작업자 모니터링, 유해환경 모니터링, 영상을 통해 안전관리상황을 실시간적으로 비대면 관리하여 재해 및 사고 예방, 신속한 대처로 안전관리 수준 향상, 중대재해 예방 강화, 골든타임내 신속한 조치, 안전관리 현황 리포트, 관리시스템에 위험상황 전송, 영상통화 연결, 비대면 실시간 현장관리, 동료 근로자에게 위험상황 알림, IoT 센서 데이터 통계,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또는 CD 또는 USB,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전문가 기술지원, 웨어러블수단과 안전보호구의 착용상태가 불량하면 관리자앱을 통하여 근로자에게 통지, 근로자별 미착용 시간과 횟수 이력이 저장 및 통지 등의 특징을 가지거나 또는 등을 할 수가 있거나 또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SIP은 SIP(System in Package), 다수의 집적 회로를 단일 모듈로 구성한 시스템, 다수의 작업자 스마트폰을 단일 모듈로 구성한 시스템, 다수의 작업자 스마트폰과 단말기로 구성된 화상 시스템, 다수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시에 화상회의하는 시스템, 관제센터의 단말기와 다수의 작업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시에 화상회의하는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회의는 a) 스크린,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핸드폰, 통신기, 송신기, 수신기; b) 또는 본사의 스크린,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작업자의 핸드폰, 본사와 작업자를 무선연결하는 통신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CD는 Compact Disc,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디스크, 음악이나 데이터 등의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디스크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위험구역 관리 방법은 위험구역에 다수의 비콘AP(access point) 설치, 위험구역에 비콘태그 설치, 작업자가 비콘태그 소지, 비콘AP 대신에 저렴한 비콘Tag 설치, 비콘Tag 또는 트레커 등을 차량, 지게차, 벨트컨베이어 등에 설치, 작업자는 스마트기기만 소지, 스마트기기를 착용한 작업자가 위험구역에 접근시 작업자 및 서버에 위험 알림 전송,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에 경고 신호 전송, 관리자에게 알림 전송, 관리자가 신속한 조치 취함, 작업자를 위험구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조치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수단, 장치, 장비, 드론, 작업, 제조, 공사, 물체, 물질, 재료, 자재, 시설, 설비, 건물, 구조물, 작업자, 근로자, 아바타, 관리자, 총괄자, 이용자; b) 이중 하나의 성명, 이름, 종류, 내용, 인원, 위치, 거리, 궤적, 고도, 위도, 경도, 좌표, 주소, 지번, GPS, 출근, 퇴근, 항목, 제원, 대수, 개수, 가동, 비행, 중단, 이동, 속도, 가속도, 출근시간, 퇴근시간, 근무시간, 업무내용, 작업내용, 공사내용, 업무량, 작업량, 공사량, 토공량, 작업시간, 가동시간, 중단시간, 종료시간, 휴식시간, 비행시간, 비행거리, 이동거리, 이동궤적, 작업거리, 작업궤적, 재료, 자재, 반입량, 사용량, 재고량, 자재반입량, 재료사용량, 자재사용량, 자재재고량; c) 상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자료, 정보, 내용, 영상, 챠트, 시트, 도면, 데이터, 플랫폼,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단말기,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의 파악, 구분, 이용, 사용, 거치, 구비, 산정, 선정, 산출, 계산, 연산, 제시, 공급, 제공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수반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자화기(431), 자기장기(431), 진동기(432), 가진기, 오존기(433), 음이온기,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연수기, 세정기, 세척기, 살균기(434),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분해기, 전해기(전기분해기), 방전기(전기방전기), 압전기(피에조기, 435), 열전기(펠티에기, 436), 배양기, 발효기, 가습기, 건조기, 가열기, 냉각기, 냉온기, 연무기, 응축기, 전파기, 음파기, 초음파기, 인덕터, 펄스기, 폭기기, 임펄스기, 분사기, 와류기, 케비테이션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여과기, 필터기, 데미스터, 엘리미네이터, 서미스터, 미스트기, 다이오드, 웨이브기, 솔레노이드, 마그네트론기; b) 자화(441), 자기장발생(441), 진동(442), 가진, 오존살균(443), 음이온소독, 청정, 정화, 정수, 연수, 세정, 세척, 살균(444), 소독, 방역, 방제, 분해, 전해(전기분해), 방전(전기방전), 압전(445), 열전(446), 배양, 발효, 가습, 건조, 가열, 냉각, 냉온, 연무발생, 응축, 전파발생, 음파발생, 초음파진동, 전자기유도, 펄스발생, 폭기, 임펄스발생, 분사, 와류, 케비테이션, 반응, 응집, 침전, 여과, 필터링, 수분제거, 먼지제거, 열가변저항발생, 미스트발생, 발광, 웨이브발생, 자기장발생, 마이크로파발생; c) 자화물(441), 자기장(441), 진동물(442), 가진물, 오존(443), 오존물, 음이온, 음이온물, 청정물, 정화물, 정수물, 연수물, 세정물, 세척물, 살균물(444), 소독물, 방역물, 방제물, 분해물, 전해물(전기분해물), 방전물(전기방전물), 압전물(445), 열전물(446), 배양물, 발효물, 가습물, 건조물, 가열물, 냉각물, 냉온물, 연무, 응축물, 전파, 음파, 초음파, 전자기, 펄스, 폭기물, 임펄스, 분사물, 와류물, 케비테이션물, 반응물, 응집물, 침전물, 여과물, 필터물, 수분, 물방울, 열가변저항(熱可變抵抗), 미스트, 발광물, 웨이브, 육각물, 자기장물, 마이크로파; d) 처리, 자화처리(441), 자기장처리(441), 진동처리(442), 가진처리, 오존처리(443), 음이온처리, 청정처리, 정화처리, 정수처리, 연수처리, 세정처리, 세척처리, 살균처리(444), 소독처리, 방역처리, 방제처리, 분해처리, 전해처리, 방전처리, 압전처리(445), 냉온처리(446), 배양처리, 발효처리, 가습처리, 건조처리, 가열처리, 냉각처리, 냉온처리, 연무처리, 응축처리, 전파처리, 음파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처리, 펄스처리, 폭기처리, 임펄스처리, 분사처리, 와류처리, 케비테이션처리, 반응처리, 응집처리, 침전처리, 여과처리, 필터처리, 데미스터처리, 엘리미네이터처리, 열가변저항처리, 미스트처리, 발광처리, 웨이브처리, 자기장처리, 마이크로파처리; e)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440), 처리, 복합기(430), 복합작용, 복합물, 복합처리; f)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기능(440), 기능기(430), 기능물(440), 기능처리(440); 등(430, 440)이 또는 등(430, 440)의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주입, 투입, 발생, 생성, 공급, 제공, 분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복합은 상기 자화 내지 마이크로파처리 중 둘 이상(440)이 해당되고, 상기 복합기는 상기 자화기 내지 마그네트론기 중 둘 이상(430)이 해당되고, 상기 복합물은 상기 자화물 내지 마이크로파 중 둘 이상(440)이 해당되고, 상기 복합처리는 상기 자화 내지 마이크로파처리 중 둘 이상(440)이 해당된다. 상기 기능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440)이 해당되고, 상기 기능기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430)이 해당되고, 상기 기능물은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440)이 해당되고, 상기 기능처리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440)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430)에 있어서 기는 기, 器, 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440)에 있어서 물은 수, 물, 물(物), 액, 유, 유체, 액체, 고체, 기체, 물질 등이 해당된다. 이에 의거하여 자화물의 경우는 자화수, 자화물, 자화物, 자화액, 자화유, 자화유체, 자화액체, 자화고체, 자화기체, 자화물질 등이 된다. 상기 자화수는 자화수, 자성수, 육각수, 자기장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기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것,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중 하나의 상, 중, 하, 좌, 우, 전, 후, 전면, 후면, 측면, 전방, 후방, 측방, 내부, 외부 등에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중 둘 이상이 구비된 것 등이다. 상기 복합기의 예로는 자화기와 자기장기과 진동기와 가진기가 조합된 복합기, 오존기와 이의 전에 구비된 음이온기와 이의 후에 구비된 청정기, 정화기와 이의 측면에 거치된 정수기와 이의 후방에 구비된 세정기와 이의 좌측에 구비된 세척기, 살균기와 소독기와 방역기와 방제기로 구성된 살균소독방역방제기, 분해기와 전해기와 방전기와 압전기와 열전기의 복합기, 배양기와 이의 내부에 거치된 발효기와 이의 외부에 구비된 가습기, 건조기의 측면에 가열기와 이의 전방에 냉각기와 이의 후방에 냉온기로 구성된 것, 연무기와 응축기과 전파기와 음파기와 초음파기의 순으로 구성된 것, 인덕터와 펄스기와 서미스터와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 임펄스기와 이의 전에 거치된 다이오드와 이의 좌에 거치된 웨이브기와 이의 우에 거치된 솔레노이드와 이의 상부에 거치된 마그네트론기로 구성된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430)은 상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을 위하여 적용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의 부품으로 적용되거나,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에 거치되어 적용되거나, 또는 각각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 성능, 특징 등을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에 이용하려고 할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430)은 상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거나, 또는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발생한다.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440)은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440)은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에 의한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은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430, 440)은 a)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이 해당되거나, b) 또는 상기 자화 내지 기능, 자화물 내지 기능물 생성,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a)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430)이 구비된 오존기, 압전기; b)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440)을 하는 소독기, 기능물, 기능처리; c)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440)을 생성하는 청정기, 자화, 분해, 자화물, 기능물; d)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440)을 하는 진동물, 진동, 처리, 세정기, 기능기; 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a) 본 발명에서 장치의 예 1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구비;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기; 등이 되는 장치이다. 장치의 예 2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장착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분사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장치이다. 장치의 예 3으로는 상기 압전기와 열전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화와 오존방사를 하고; 상기 이온물과 배양물을 제조하고; 상기 냉온처리와 발효처리를 하는 장치이다.
b) 본 발명에서 물질의 예 1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을 거침;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포함;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되기; 등이 되는 물질이다. 물질의 예 2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을 흐르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함유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물질이다. 물질의 예 3으로는 상기 인덕터와 펄스기와 와류기에서 생성되고, 상기 음파발생과 초음파진동과 전자기유도를 하고, 상기 반응물과 침전물과 물방울이 첨가되고, 상기 응축처리와 전파처리와 폭기처리가 되는 물질이다.
c) 본 발명에서 처리의 예 1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으로 처리;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추가되는 처리;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으로 처리;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포함되는 처리; 등의 처리이다. 처리의 예 2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으로 처리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의 처리가 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으로 처리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추가되는 처리이다. 처리의 예 3으로는 상기 인덕터와 펄스기와 와류기로 처리되고, 상기 음파발생과 초음파진동과 전자기유도로 처리되고, 상기 반응물과 침전물과 물방울로 처리되고, 상기 응축처리와 전파처리와 폭기처리가 더해지는 되는 처리이다. 상기 처리는 처리, 청정 처리, 정화 처리, 장비에 의한 처리, 물질에 의한 처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한 처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d) 상기 드론의 예로는 자화기, 이가 구비되는 드론, 상기 자화기를 거친 물질, 상기 물질이 이용되는 드론, 상기 드론이 이용되는 작업, 상기 작업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상기 시설의 관리, 상기 관리의 시스템, 상가 관리를 하는 아바타, 상기 아바타에 이용되는 IoT, 상기 IoT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상기 통신장치에 연계되는 단말기 등이 포함 또는 구현 또는 시청되는 드론이다. e) 상기 메타버스의 예로는 자화기, 이가 구비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물질이 이용되는 제품, 상기 제품이 이용되는 작업, 상기 작업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상기 시설의 관리, 상기 관리의 시스템, 상가 관리를 하는 아바타, 상기 아바타에 이용되는 IoT, 상기 IoT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상기 통신장치에 연계되는 단말기 등이 포함 또는 구현 또는 시청되는 메타버스이다. f) 상기의 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a) 자화기 내지 k) 메타버스,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실시 예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로봇, 동물, 사람, 인간, 작업자, 청정기, 살균기, 필드 수단, 웨어러블 수단,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의 구비가 가능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의 발생이 가능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a) 상기 수단(2), 기구(10), 센서(11), 공장, 가정, 현장, 사람(30, 31, 32, 33),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이용자(33), 드론(42), 모빌리티(42), 장비(41), 장치, 드론, 시설, 계측기(18),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서버, 센터, 지사, 본사, 센터, 사무실, 관제센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주머니,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430, 440)이 이용, 구비되거나, b) 또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430, 440)이 되거나, c) 또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430, 440)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자화기, 자기장기 등(431)은 자석, 자성체, 자화체, 자화기, 자기장기, 자기장발생기, 자기장생성기, 자기장방사기, 자기장조사기, 사람에게 유익한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 사람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코어, 이의 외부에 감긴 코일, 이의 양단에 거치된 전선, 이의 전선에 거치된 플러그, 이에 거치된 콘센트, 이에 거치된 전원공급기 등으로 구성된 기구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 자석, 자기장기 등은 자기장 방사(放射), 혈액순환, 근육이완, 물리치료, 전기펄스작용, 환경개선, 호흡개선, 식물성장촉진, 화분식물성장촉진, 자기장요법, 통증완화, 세포복원, 신경치료, 호르몬생성, 영양흡수, 탈모치료, 근육통치료, 이명작용완화, 노폐물배출, 자화수 생성, 자화물 생성 등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진동기(432), 가진기 등은 진자, 가진자, 진동기, 가진기, 초음파기, vibrator, oscillator, 자화기와 이가 부착된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에 이격된 다른 자화기로 구성된 기구, 2개의 자화기와 이의 둘 사이에 거치된 코어와 이의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이격판으로 구성된 기구, 일정판과 이의 양단에 거치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에 부착된 자화기와 상기 자화기와 거치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로 구성된 기구, 상기 자화기의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기구, 상기 코일에 전기를 인가하여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기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케이스, 이의 내부에 구비된 스테이터(stator), 상기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rotor), 상기 로터에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부착된 금속체 또는 회전체 또는 회전자, 상기 회전축과 금속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구비된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자,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자 등이 구비된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기구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로터, 스테이터 등에는 전선, 상기 전선에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에는 콘센트, 상기 콘센트에는 전원공급기, 상기 전선의 외부에는 보호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존기(433), 음이온기 등은 a) 오존, 음이온 등을 발생, 생성, 조성, 형성, 방사, 放射, 조사, 照射 등을 하는 기기이거나, b) 또는 일정의 판과 이에 이격되어 대면되는 침, 칩, 솔, 전극, 바늘, 탄소선, 탄소솔 등의 물체로 구성, 상기 판이 양극이고 상기 물체가 음극, 상기 판과 물체에 전선 연결, 상기 전선에 전기 인가, 상기 전기 인가에 의하여 상기 판과 물체에서 오존이나 음이온 발생, 상기 판에서 음이온 발생, 상기 판과 물체의 사이에서 오존 발생 등이 해당된다. 상기 판과 물체에는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청정기, 정화기, 세정기, 세척기, 살균기(434),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등은 청정, 정화, 세정, 세척, 살균, 소독, 방역, 방제 등을 하는 기기이다. 이의 기기에는 등, 전등, LED등, 용기, 혼합기, 펌프, 가압기, 호스, 필터, 노즐, 분사기, 미스트기, 사이클론 등이 포함 또는 연계될 수 있다.
상기 분해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배양기, 발효기 등은 a) 수, 물, 액, 물질, H2O, 폐수, 상수, 하수, 해수, 염수, 바닷물, 음식물, 미생물, 폐기물,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분해, 배양, 발효, 부숙, 전기분해 등을 하는 기기이거나, b) 또는 용기; 이의 내부에 거치된 양극, 음극, 히터, 가열기, 공기주입구, 산소주입구; 상기 용기의 중간에 구비된 분리막,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되는 전선, 상기 전선에 연결되는 전원공급기;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이 구비된 상기 용기 내지 전원공급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기에 의하여 H2, O2, CO2, H+, OH-, Na+, Cl-, NaOCl, OH라디칼, 셀, 세포, 미생물, 이온, 양이온, 가스, 전기 등이 발생된다. 상기 방전기, 전기방전기 등은 방전, 쇼팅, 숏트, 스파크, 전기방전, 아크방전, 코로나방전 등을 하는 기기이다. 이의 기기는 용기; 이의 내부에 전극;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전선;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전선; 상기 전선에 연결되는 전원공급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전기는 압전기(435), 壓電器, 壓電機, 압전기기, 압전기구, 압전소자, 압전센서, 압전발전기, 압전진동기, 피에조기, piezo器, piezo機, piezo device, piezo-electric tool, piezo-electric device, piezoelectricity device, 壓電氣를 발생하는 장치,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로 전기를 발생하게 하는 압전성 기구, 압전소자가 이용되는 기기, 누르면 진동하는 압전소자의 진동기, 누르면 전기를 발생하는 압전소자의 발전기, 어떤 종류의 결정판에 압력을 가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장치, 일정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에 비례하여 전기가 발생하는 장치 또는 결정체, 결정판에 일정한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면 판의 양면에 외력에 비례하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피에조전기가 발생되는 장치 또는 결정판, 전기를 가하면 진동하는 압전소자의 진동기,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구비된 압전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하는 압전기,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는 압전기,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압전기 등(435)이 해당된다. 상기 piezo는 압(壓), pressure라는 뜻이다.
상기 압전소자는 압전소자, 壓電素子, 피에조전기소자, piezoelectric element, piezoelectric transducer, 압전효과를 가진 소자, 전기 변환을 집적하는 소자, 압전기(壓電氣) 현상을 나타내는 소자, 어떤 종류의 결정판(結晶板)에 일정한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면 판의 양면에 외력에 비례하는 양·음의 전하가 나타나는 소자, 한 장의 결정판에 나타나는 압전기는 미약하지만 금속박을 삽입하면서 여러 장을 겹칠 경우 그 양이 크게 증대됨, 결정판에는 고유의 진동이 있고 탄성진동과 전기진동이 일치하면 압전기와 결합되어 더욱 강한 진동이 일어남, 기계적 압력을 인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인가하면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현상을 지닌 소자,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일어나서 전위차가 생기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나 변형력이 생기는 성질을 가진 소자, 충격력을 가하면 높은 전압을 발생하며 불꽃이 튀고 이 불꽃으로 가스레인지나 욕조 보일러 등의 착화를 함, 외부로부터 기계적 변형을 가하면 전기분극(分極)이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素子),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변화하고(압전 효과),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성질을 가진 소자 등이 해당된다. 압전소자의 재료로는 수정, 전기석, 로셸염, 세라믹, 티틴산바륨, 타이타늄산바륨, 인산이수소암모늄, 타르타르산에틸디아민, 타타르산에틸렌다이아민, 티탄산지르콘산납(PZT) 등이 사용된다. 압전소자는 픽업, 수화기, 스피커, 확성기, 마이크로폰, 기계적 필터, 전축의 픽업, 전화기 스피커, 라디오 스피커, 초음파 탐지기, 수정시계의 진동자, 방송기기, 원거리 통신회로, 압전센서, 라이터, 노크 센서, 각종 압력 센서, 초음파센서, 자동 점화장치, 가스 기구의 점화, 압전 마이크로폰, 레코드 재생의 픽업, 초음파 발생기, 레코드 플레이어의 픽업 등에 이용된다.
상기 열전기는 열전기(436), 熱電器, 熱電機, 펠티에기, Peltier器, Peltier機, 펠티에소자器, 펠티에소자機, Peltier device, thermoelectricity device, 熱電氣를 방생하는 장치, 열전소자가 이용 또는 포함되는 기기, 펠티에소자가 이용 또는 포함되는 기기, 펠티에효과가 발생되는 기기, 전기 공급에 의하여 가열과 냉각을 하는 기기, 전기 공급에 의하여 히팅과 쿨링을 하는 기기, 전기 공급에 의하여 일측은 가열하고 타측은 냉각을 하는 기기, 두 가지 금속을 연결하였을 때 두 접합부의 온도차로 전기를 생성하게 하는 장치, 성질이 다른 금속선을 양단에서 접합하여 루프 회로를 만들고 두 접합점에 온도차를 주어 루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장치, 종류가 다른 금속선을 양쪽 끝에서 여러 가지로 접합하여 전기 회로를 만든 다음 2개의 접합점에 온도 차를 주면 전류가 흐르게 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펠티에소자는 열전소자, 펠티에소자, 펠티에素子, 냉각소자, 냉온소자, 전자냉각소자, 전자냉온소자, 열전냉각모듈, 열전냉온모듈, Peltier element, thermoelectric element, thermal electronic cooler, thermal electronic Module,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열전소자(熱電素子),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전자소자(電子素子), 어떤 종류의 금속을 짝지어 전류를 흐르게 하면 한쪽 접점(接點)은 발열(發熱)하고 다른 쪽 접점은 냉각(흡열, 吸熱)하는 현상을 가진 소자, V-VI족의 합금 및 그 고용체(固溶體)로 만든 n형과 p형의 반도체(半導體)를 냉각접점으로 하여 구리판을 통해 연결한 소자, 다른 종류의 금속 두 개를 접합시켜 전류를 통할 때에 전류의 방향에 따라 그 접합부가 가열 또는 냉각하는 소자, 반도체에 전기를 공급하면 반도체 안에 있던 전자가 한쪽으로 몰리게 되면서 전자가 몰린 쪽은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전자가 빠져나간 쪽은 온도가 낮아지면서 양쪽 면의 온도 차이가 생기게 되는 소자 등(436)이 해당된다.
상기 가습기는 가습하는 기기, 상기 건조기는 건조시키는 기기, 상기 가열기는 가열하는 기기, 상기 냉각기는 냉각하는 기기, 상기 냉온기는 냉각 및 가열하는 기기, 상기 연무기는 연무를 분사하는 기기이다. 상기 응축기는 응축기, 凝縮器, 콘덴서, condenser, 냉각기(冷却器). 기체나 증기를 응축(凝縮)시키는 장치, 증기를 냉각해 열을 빼앗아서 응축 변화시키는 장치, 압축기로 고압 고온으로 압축된 냉매 증기를 냉각하고 응축열을 제거해 액화시키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파기는 전파를 발생하는 기기, 상기 음파기는 음파를 발생하는 기기, 상기 초음파기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기기, 상기 미스트기는 미스트를 발생하는 기기, 웨이브기는 파, 전파, 음파, 웨이브 등을 발생하는 기기이다.
상기 인덕터는 인덕터, Inductor,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해 전압을 유도하는 코일,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로 유도기전력을 형성할 수 있게 고안된 장치, 고리 모양의 도선 또는 코일, 고리 모양 코일을 여러 개 겹쳐서 감아놓은 솔레노이드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리콘은 바리콘, variable condenser, 가변콘덴서, 가변 축전기, 정전용량의 값을 바꿀 수 있는 콘덴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송수신기에 축전기로 사용, 고정자와 회전자와 그 사이의 유전체(誘電體)로 구성, 몇 장의 고정극판 사이에 회전극판이 회전해 들어가 상대 부분의 면적을 바꿈으로써 정전용량을 변화시키는 구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펄스기는 펄스기, 서지기, 서징기, 전기펄스기, 충격펄스기, 쇼크펄스기, pulse device, electric pulse device, 자기장펄스기, 마그네틱펄스기, 일정한 주기를 두고 파동을 되풀이하는 기기,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큰 진폭을 내는 전압이나 전류 또는 파동을 발생하는 기기, 압기(압축공기)를 반복적으로 주입하여 압기에 의하여 폭기를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기기, 일정 주기로 압기(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압기에 의하여 일정 주기의 폭기를 발생시키는 기기, 솔레노이드밸브로 압기의 주입을 개폐하여 일정 주기의 폭기를 발생시키는 기기, 관로 또는 파이프 내부에 일정 주기로 압기(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압기에 의하여 일정 주기의 폭기를 발생시키는 기기, 벤츄리관에 거치된 인젝터를 통하여 벤츄리관 내부에 일정 주기로 압기(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압기에 의하여 벤츄리관 내부에 일정 주기의 폭기를 발생시키는 기기, 벤츄리관에 거치된 인젝터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주기적으로 개폐하여 벤츄리관 내부에 일정 주기로 압기(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압기에 의하여 벤츄리관 내부에 일정 주기의 폭기를 발생시키는 기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서지기는 서지기, 서징기, surge device, surging device, 전기 회로에서 전류나 전압이 순간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충격성이 높은 펄스를 발생시키는 기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임펄스기는 임펄스기, impulse device, 전기적 파동을 발생하는 기기, 자극에 의하여 활동 전위를 발생하는 기기, 자극에 의하여 섬유를 타고 활동 전위를 발생하는 기기, 전도성의 전기적 흥분을 발생하는 섬유 또는 기기, 전도성의 전기적 파동을 발생하는 섬유 또는 기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서미스터는 서미스터, thermistor, thermally sensitive resistor의 합성어, 열가변저항기, 熱可變抵抗器,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 저항값이 바뀌는 저항기, 전기 저항이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현저하게 감소하는 회로용 소자(素子), 온도 상승에 대해서 저항값이 내려가는 것을 음(陰)온도(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 온도와 더불어 저항값이 올라가는 것을 양(陽)온도(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다이오드는 다이오드, diode, 진공관 다이오드, 열전자(thermionic) 다이오드, 반도체 다이오드, 규소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광다이오드(Photodiode), 점-접촉 다이오드(Point-contact diodes), p-n 접합 다이오드(p-n junction diodes), 2개의 단자를 갖는 전자 부품, 전류를 한쪽으로는 흐르게 하고 반대쪽으로는 흐르지 않게 하는 정류작용을 하는 전자 부품, 한쪽에 낮은 저항을 다른쪽에 높은 저항을 둬 전류가 한쪽으로만 흐를 수 있게 하는 물질, 전자의 흐름에 대한 체크밸브(check valve)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솔레노이드, Solenoid,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 또는 도선, 도선을 속이 빈 긴 원통형의 코일모양으로 감은 것, 도선에 전류를 흘리면 자기장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전자석이 됨, 도선을 촘촘하고 균일하게 원통형으로 길게 감아 만든 기기, 전기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바꾸는 에너지변환장치, 도선을 나선형으로 촘촘하고 균일하게 원통형으로 길게 감아 만들어서 전류를 흘리면 원통의 외부에서는 자기장이 거의 0이고 내부에는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자기장이 형성됨, 상기 내부 자기장의 크기는 전류의 크기와 단위 길이당 감은 수에 비례함, 원통형으로 도선을 감은 장치로 도선에 전류가 인가될 때 자석이 됨 등이 해당된다.
상기 마그네트론기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자기장 발생기, 마그네트론 이용 장치, 마그네트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마그네트론, magnetron, 자전관(磁電管), 마이크로파를 발진하기 위한 진공관, 원통형의 양극과 그 중심축의 음극으로 구성, 대출력의 펄스가 생김, 동축(同軸) 원통 중 내부원통을 음극(陰極)으로 하고 외부원통을 양극(陽極)으로 하는 2극관을 만들고 축방향으로 직류자기장을 걸어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마이크로파 전자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데미스터는 데미스터, demister,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 기류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 장치, 그물코(網目)를 여러겹 포갠 것에 증기를 통하여 증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엘리미네이터는 엘리미네이터, eliminator, 공기 중 먼지제거 장치, 물방울을 비산시켜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는 기구 등이 해당된다.
상기 피에조기, 초음파기, 자기장기, 펠티에기, 오존기 등이 이용되는 복합기, 기능기의 예로는 판형의 piezo-electric device인 피에조기, 상기 피에조기에 구비된 초음파기인 울트라기, 상기 울트라기가 구비된 피에조기인 울트라피에조기, 상기 울트라기에 구비된 자기장기인 마그네틱기, 상기 마그네틱기가 구비된 울트라피에조기인 마그네틱울트라피에조기, 상기 마그네틱기에 구비된 열전기인 펠티에기, 상기 펠티에기가 구비된 울트라마그네틱피에조기인 펠티에마그네틱울트라피에조기, 상기 펠티에기에 구비된 오존기, 상기 오존기가 구비된 펠티에마그네틱울트라피에조기인 오존펠티에마그네틱울트라피에조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칩, 핀, 판, 팬, 침, 콘, 링, 망, 줄, 선, 실, 사, 솔, 빗, 캡, 알, 봉, 대, 폴, 틀, 붓, 볼, 삽, 끌, 톱, 칼, 날, 칼날, 구슬, 금속, 소자, 진자, 단자, 전지, 전극, 양극, 음극, 폴대, 자침, 코일, 나선, 노끈, 지퍼, 쟈크, 처크, 후크, 헤드, 테일, 센서, 기판, 키트, 모듈, 히터, 쿨러, 회로, 서버, 허브, 모뎀, 도체, 드론, 로봇, 콘덴서, 트렌스, 스프링, 아바타, 반도체, 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요소 등(420)의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420)은 상기 수단,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자화기 내지 기능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구비, 거치, 사용, 적용, 장착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에는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420)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420)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의 부품으로 적용되거나,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거치되어 적용되거나, 또는 하기에 기재되는 일정의 작용을 하거나, 또는 각각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 성능, 특징 등을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이용하려고 할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의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의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a) 상기 칩의 예 1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구비;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구비;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기; 등이 되는 칩이다. 상기 칩의 예 2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구비되고,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장착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방사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칩이다. 상기 칩의 예 3으로는 상기 오존기와 음이온기가 구비되고; 상기 청정과 소독을 하고; 상기 음파와 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발광처리와 웨이브처리를 하는 칩이다. b) 상기 소자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에 거치,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장착;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공급;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되기; 등이 되는 소자이다. c) 상기 모뎀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추가; 칩 내지 복합요소 등에 추가;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추가;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추가;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추가; 등이 되는 모뎀이다. d) 상기 드론의 예로는 칩 구비, 상기 칩이 이용되는 센서 구비,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수행;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분사;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수행; 등이 되는 드론이다. e) 상기 메타버스의 예로는 칩, 상기 칩이 이용되는 센서, 상기 센서를 거친 물질, 상기 물질이 이용되는 용품, 상기 칩이 이용되는 일, 상기 일에 의하여 조성되는 주택, 상기 일의 안전, 상기 안전의 방법, 상기 일을 하는 사람, 상기 안전에 이용되는 LTE, 상기 LTE에 연계되는 클라우드, 상기 클라우드에 연계되는 플랫폼 등이 구현되거나 이용되는 메타버스이다. f) 상기의 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a) 칩 내지 k) 메타버스, 칩 내지 복합요소,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실시 예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칩은 칩 1, 2, 3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칩 1은 칩, chip, IC(integrated circuit)칩, IT(information technologies)칩,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칩, PC(personal computer) 회로칩, 센서칩, 진자칩, 자심칩, 코일칩, 코드칩, 앰프칩, 기판칩, 모듈칩, 부품칩, 콘덴서칩, 저항칩, 진동칩, 가진칩, 회전칩, 전기칩, 집적칩, 능동칩, 수동칩, 전자칩, 자화칩, 오존칩, 압전칩, 열전칩, 발열칩, 온열칩, 냉온칩, 온냉칩, 장비칩, 장치칩, 복합칩, 다이오드칩, 서미스터칩, 페라이트칩, 마그네트칩, 마그네트론칩, 트랜지스터칩, 트랜스포머칩, 음이온칩, 펠티에칩, 집적회로칩, 마이크로칩(microchip), 컴퓨터칩, 노트북칩, 인터넷칩, 메모리칩, 스마트칩, 바이오칩, 스마트폰칩, 이중 둘 이상 복합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칩 2는 실리콘웨이퍼로부터 만들어진 칩, 회로 및 전자기기들과 함께 에칭(etching)된 칩, GPS의 PRN 코드 칩, 2진 코드에서 0 또는 1에 해당되는 칩, 컴퓨터 메모리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논리회로가 구비된 칩 또는 모듈, 속도 단위 cps(칩/초)를 가지는 칩, 확산코드 파형의 펄스, 디지탈 심볼을 주파수영역 상으로 대역확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파형, 이중 둘 이상 복합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칩 3은 쇠칩, 철칩, 폐칩, 목칩, 금속칩, 세라믹칩, 도체칩, 반도체칩, 전도체칩, 비도체칩, 식물칩, 줄기칩, 뿌리칩, 나무칩, 황토칩, 야자칩, 소성칩, 탄성칩, 고무칩, 유리칩, 카본칩, 수지칩, 피톤칩, PE(polyethylene)칩, PP(polypropylene)칩, PC(polycarbonate)칩, PVC(polyvinyl chloride)칩,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칩, SBR(styrene butediene rubber)칩, PVB(polyvinyl butyral)칩, PLA(poly lactic acid)칩,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칩,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칩, 타이어칩, 플라스틱칩, 이중 둘 이상 복합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핀은 핀, pin, 돌기, 전자핀, 전기핀, 소자핀, 칩핀, 진자핀, 회로핀, 전극핀, 오존핀, 음이온핀, 콘덴서핀, 스크류핀, 기초에 설치된 핀, 파일에 설치된 핀, 시설에 설치된 핀, 물체에 돌출된 핀, 전기분해용 2개의 핀, 전기분해용 양극 및 음극의 2개 핀, 판에 이격된 핀, 판에 이격된 핀으로 구성된 오존기, 판에 이격된 핀으로 구성된 음이온기, 상기 칩 내지 반도체 중 하나의 핀 등이 해당된다.
상기 판, 팬, 침, 콘, 링, 망, 줄, 선, 실, 사, 솔, 빗, 캡, 알, 봉, 대, 폴, 틀, 붓, 볼, 삽, 끌, 톱, 칼, 날, 칼날, 구슬, 금속 등은 판, 板, plate, 팬, pan, fan, 침, 針, 콘, cone, 링, ring, 망, net, 줄, string, 선, line, 실, thread, 사, 絲, 솔, brush, 빗, comb, 캡, cap, 알, 卵, 봉, 棒, 대, rod, 폴, pole, 틀, mold, 붓, 볼, ball, 삽, shovel, 끌, chisel, 톱, saw, 칼, knife, 날, blade, 칼날, 구슬, bead, 금속, metal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소자는 칩, 소자, 素子, element, 회로, 센서, 진자, 자심, 코일, 앰프, 기판, 모듈, 부품, 저항, 콘덴서, 저항체, 진동자, 가진자, 회전자, 인덕터, 안테나, 진공관, 바리콘, 전기회로, 집적회로, 빛소자, 열소자, 광소자, 발광소자, 능동소자, 수동소자, 전기소자, 전자소자, 통신소자, 자화소자, 진동소자, 가진소자, 오존소자, 회전소자, 압전소자, 열전소자, 발열소자, 온열조사, 냉온소자, 온냉소자, 센서소자, 장비소자, 장치소자, 집적소자, 복합소자, UV소자, IC소자, ICT소자, IoT소자, LED소자, GPS소자, 캐패시터, 저항코일, 다이오드, 서미스터, 페라이트, 마그네트, 마그네트론, 트랜지스터, 트랜스포머, 변압기, 음이온소자, 펠티에소자, 반도체소자, 이중 둘 이상 복합소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자화소자, 진동소자, 가진소자, 오존소자, 음이온소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발생, 음이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소자이다.
상기 능동소자는 전류, 전기신호 등을 증폭(amplify), 정류(rectify) 등을 하거나, 또는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수동소자는 공급된 전기, 전압, 전력(power) 등을 저장, 방출, 소비 등을 하거나, 또는 주어진 전기, 신호, 전력 등에 대해 능동적으로 제어하지 않는 소자들로서, 저항(resistor), 축전기(capacitor), 인덕터(inductor)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저항은 전류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소자,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소자 등이며 R로 표기한다. 상기 축전기는 축전기, 배터리, 축전지, 또는 전하를 저장해 두는 소자로서 C로 표기하고, 이는 이격된 2개의 도체판 사이에 절연체가 채워져 있어 전기적 연결을 막는 것으로, 축전기에 전압이 걸리면 각 판의 표면과 절연체의 경계 부분에 부호는 반대이고 전하량의 크기는 같은 전하가 비축된다. 상기 인덕터는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로 유도기전력을 형성하는 소자이며 L로 표기하고, 주로 고리 또는 코일 형태를 가진다.
상기 진자는 진자, 소자, 가진자. 진동자, 振子, pendulum, 단진자(單振子), 복진자(複振子), 용수철진자, 비틀림진자, 탄성력의 작용으로 진동하는 것, 줄 또는 실에 매달려 흔들리는 추, 진동운동을 반복하는 추 또는 물체, 고정된 한 축이나 점의 주위를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는 추 또는 물체. 줄 또는 실에 매달려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왕복운동하는 추 또는 물체, 중력이나 탄성력 등의 힘에 의해 평형점을 중심으로 진동운동을 반복하는 추 또는 물체, 이중 둘 이상 복합진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단자는 단자, terminal, 端子, 전기회로나 전기기기 등에서 전류의 입력이나 출력부분에 전극을 접속시키기 위해 붙이는 쇠붙이, 전기장치가 외부의 회로와 연결되는 부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지는 전지, 배터리, 건전지, 충전지, 충전기, 태양전지, 수소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판, 수소연료전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극, 양극, 음극, 폴대, 자침, 코일, 나선, 노끈, 지퍼, 쟈크, 처크, 후크, 헤드, 테일 등은 전극, electrode, 양극, anode, 음극, cathode, 폴대, pole rod, 자침, 磁針, magnetic needle, 코일, coil, 나선, 螺線, screw, 노끈, string, twine, 지퍼, zipper, zip, 쟈크, 처크, chuck, magnetic chuck, 후크, hook, 헤드, head, 테일, tail 등이 해당된다. 상기 히터, 쿨러 등은 히터, 쿨러, 열선, 전선, 탄소선, 저항선, 저항열선, 전기저항열선, 열전기, 펠티에소자 등이 해당된다.
상기 회로는 회로, 전기회로, 전자회로, 가동회로, 운전회로, 장치회로, 장비회로, 기구회로, 기계회로, 집적회로, 논리회로, 닫힌회로, 열린회로, 직렬회로, 병렬회로, 직류회로, 교류회로, IC회로, IT회로, ICT회로, LC회로, LR회로, RLC회로, 시스템회로, 반도체회로, 전류가 흐르는 통로, 이중 둘 이상 복합회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닫힌회로(closed circuit)는 회로의 시작점이 끝점이 연결되어 있는 회로, 열린회로(open circuit)는 회로의 시작점이 끝점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 회로, 직렬회로(series circuit)는 회로요소들이 순서대로 일렬로 연결된 회로, 병렬회로(parallel circuit)는 회로요소들이 평행하게 연결된 회로, 직류회로(direct current circuit)는 직류전원이 걸리는 회로, 교류회로(alternating current circuit)는 교류전원이 걸리는 회로 등이 해당된다. 통상 회로는 전기에너지인 전원(power), 전기에너지를 받아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하(load), 상기 전원과 부하를 연결해주는 전선(conducting wire)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서버에는 서버, server, 정보제공서버, 데이타제공서버, 커뮤니케이션서버, 프린터를 제어하는 서버, 파일 관리하는 서버, 네트워크를 감시·제어하는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근거리통신망(LAN)에서 집약적인 처리기능을 서비스하는 서브시스템,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 메인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하는 서버, 데이터·프로그램·파일·소프트웨어를 지원이나 서버,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 자신의 하드디스크에 담겨진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컴퓨터, 자신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허브, hub, 중심, 핵심, 중심지, 핵심지, 중심장치, 핵심장치, PC허브, 컴퓨터허브, 인터넷허브, WiFi넷허브, 중앙처리장치, 중앙처리허브, 중심이 되는 곳. 중심이 되는 장치. 중심이 되는 장소. 자전거 바퀴의 살이 모여 있는 중심축, 여러개의 신호가 집중되는 장치, 신호를 여러 개의 다른 선으로 분산시켜 내보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모듈은 모듈, module, IC모듈, IT모듈, PC모듈, AI모듈, VR모듈, AR모듈, MR모듈, 5G모듈, 메타모듈, 버스모듈, 소자모듈, ICT모듈, LED모듈, IoT모듈, IoE모듈, LTE모듈, WiFi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NOT 게이트, 메모리 모듈, RAM과 같은 메모리 모듈, 프로그램의 기능을 독립적인 부품으로 분리한 것, 서브루틴과 데이터 구조의 집합체, 컴파일 가능한 단위, 건축물 따위를 지을 때 기준으로 삼는 치수. 기어의 톱니 크기를 나타낸 값,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분할한 논리적인 일부분. 컴퓨터 시스템에서 부품을 떼 내어 교환이 쉽도록 설계되어 있을 때의 각 부분,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일부, 전체 또는 시스템 또는 체계 중 독립적인 구성 요소, 전체 또는 시스템 또는 체계 중 다른 구성 요소와 독립적인 하나의 구성 요소, 컴퓨터 내에서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회로 보드로 패키지화 된 독립적인 전자 회로 등이 해당된다. 모듈의 인터페이스는 모듈에 의해 제공되거나 필요로 되는 요소들을 표현한다. 모듈의 개념을 지원하는 언어로는 Ada, FORTRAN, Pascal, Python, Ruby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모듈의 개념을 패키지라 부르기도 한다.
상기 모뎀은 모뎀, modem, 변조장치, 복조장치, 변복조장치, 통신모뎀, 컴퓨터모뎀, 인터넷모뎀, IT모뎀, IC모뎀, PC모뎀, AI모뎀, VR모뎀, AR모뎀, MR모뎀, 5G모뎀, 메타모뎀, 버스모뎀, 소자모뎀, ICT모뎀, LED모뎀, IoT모뎀, IoE모뎀, LTE모뎀, WiFi모뎀, 비콘모뎀, 직류/교류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 온라인 시스템 모뎀, 직류 디지탈 신호를 교류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모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바꾸는 모뎀, 통신회선을 사용하여 컴퓨터와 단말기의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직류/교류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 통신시설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되는 신호를 바꾸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기판은 기판, 基板, 칩판, IC판, IC회로판, substrate, 실리콘기판, IC를 만들기 위한 실리콘의 박판, 전자 회로를 만들기 위한 적층판, 반도체 집적회로의 실리콘 박편, 전기회로가 편성되어 있는 판, 절연기판 표면에 도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절연재료, 집적회로나 고밀도 집적회로 등의 회로가 복사되어 있는 실리콘의 단결정판(單結晶板), 표면에 구리 박(箔)으로 배선되어 집적회로나 저항 등의 전기 부품을 장치해 사용하는 합성수지판, 유리천이나 종이 기재(基材)나 에폭시 수지 적층판에 동박을 입히고 동박의 일부분을 에칭하여 전자 회로를 만들기 위한 적층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콘덴서는 콘덴서, 고주파콘덴서, 저주파콘덴서, 다이오드콘덴서, condenser, 전해콘덴서, 슈퍼콘덴서, 오디오콘덴서, LCD콘덴서, 메인보드콘덴서, 필름콘덴서, OS-CON콘덴서, AC모터용콘덴서, 전력용콘덴서, 세라믹콘덴서, 적층세라믹콘덴서, 마이카콘덴서, 필름콘덴서, 폴리에틸렌콘덴서, 스치롤콘덴서, 폴리프로필렌콘덴서, 폴리카보네이트콘덴서, 폴리에스텔콘덴서, 마일러콘덴서, 응축기(凝縮器), 냉각기(冷却器), 축전기(蓄電器), 집광렌즈(集光렌즈), 집광기(集光器), 충전기(充塡器), 비전도체(菲傳導締)로 분리된 두 개의 전도면(傳導面)으로 구성되어 전하(電荷)를 축적할 수 있는 장치, 직류는 흐르지 못하게 하지만 교류는 통하게 하는 콘덴서, 기체나 증기를 응축(凝縮)시키는 기구 등이 해당된다.
상기 트렌스는 트랜스, transformer, transducer, 변압기, 트랜스포머, 트랜스듀서, 전력조정기, 전원용트랜스, 파워트랜스, 신호용트랜스, 아웃풋트랜스, 라인트랜스, 전기를 변압시키는 변압기, 교류와 직류를 변환시키는 변환기, 교류의 전압 변환과 임피던스 변환을 하는 회로 부품, 임피던스의 변환 또는 입력계와 출력계를 직류로 분리하기 때문에 1차 측과 2차 측이 다른 임피던스로 설정되어 있는 신호용 트랜스, 상기 1차 측을 언밸런스 라인으로 하고 상기 2차 측을 밸런스 라인에 맞도록 설계된 언밸런스 → 밸런스 변환의 기능을 가진 트랜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도체는 도체, 금속, 금, 은, 구리, 알루미늄, 금속체, Conductor, 전도성 급속, 전도성 비급속, 전도성 섬유, 전도성 플라스틱, 한 방향이나 여러 방향으로 전류 즉 전기의 흐름이 가능한 물체나 물질, 도체에 걸어준 전압과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비례하는 옴의 법칙을 준수하는 도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반도체는 반도체, Semiconductor, 메모리반도체, 시스템반도체, 실리콘(Si)반도체, 반도체소자, 다이오드반도체, 트랜지스터반도체, 어떤 특별한 조건하에서만 전기가 통하는 물질, 전류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반도체, 가해진 전압이나 열에 따라서 전기전도도 값이 변화되는 반도체, 조사된 빛의 파장에 따라서 전기전도도 값이 변화되는 반도체, 전기전도도 값은 절연체의 값보다는 크고 도체의 값보다는 작은 반도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도는 감소하는 도체 및 금속,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도는 증가하는 반도체, 결정 격자를 이루는 고체 물질은 격자의 주기성으로 인해 물질 내의 전자가 에너지띠를 형성하는 반도체, 원자가띠(valence band)와 전도띠(conduction band) 사이의 너무 크지 않은 적당한 크기의 띠틈을 가지고 있는 물질인 반도체, 작은 띠틈을 가지고 있는 실리콘과 같은 단일 원소 반도체 물질이나 GaAs와 같은 화합물 반도체 물질로 구성된 반도체, 열이나 전기장 혹은 빛 등을 이용하여 원자가전자에 이 띠틈보다 큰 에너지를 가해 주면 이들 전자는 띠틈을 넘어 전도띠의 들뜬상태로 올라가게 되는 반도체, 상기 전자가 전도띠로 들뜨게 되면 전자가 빠진 원자가띠에 양공이 생기게 되어 전도띠의 전자와 원자가띠의 양공이 각각 (-)와 (+) 전하를 가지는 전하 운반자가 되어 전기전도에 기여하게 되는 반도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시스템은 a)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시스템,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의 시스템,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의 시스템,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의 시스템,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시스템,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의 시스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의 시스템; b) 또는 시스템, system, 안전시스템, 관리시스템, 자동시스템, 로봇시스템, 작업시스템, 제조시스템, 생산시스템, 공사시스템, 센서시스템, 센싱시스템, 계측시스템, 측정시스템, 감지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SMS: safety management system), 자동관리시스템(AMS: auto management system), 손상감지시스템(DDS: damage detection system), 누수감지시스템(LDS: leak detection system), 상수관감지시스템, 상수관누수감지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요소는 칩, 핀, 판, 팬, 침, 콘, 링, 망, 줄, 선, 실, 사, 솔, 빗, 캡, 알, 봉, 대, 폴, 틀, 붓, 볼, 삽, 끌, 톱, 칼, 날, 칼날, 구슬, 금속, 소자, 진자, 단자, 전지, 전극, 양극, 음극, 폴대, 자침, 코일, 나선, 노끈, 지퍼, 쟈크, 처크, 후크, 헤드, 테일, 센서, 기판, 모듈, 히터, 쿨러, 회로, 서버, 허브, 모뎀, 도체, 콘덴서, 트렌스, 반도체, 시스템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조합된 요소이다. 이의 예로는 칩과 핀과 판, 팬에 구비된 침과 침에 거치된 콘, 링과 망과 줄의 복합체, 선과 실과 사와 솔로 된 복합요소, 빗과 캡과 알이 구비된 봉의 조직체, 대와 폴이 거치된 틀의 조합체, 붓과 볼과 삽과 끌로 된 복합체, 톱에 구비된 칼과 날의 구성체, 칼날과 구슬을 구성하는 금속, 소자와 진자와 단자가 구비된 시스템, 전지와 전극과 양극과 음극이 구비된 전해기, 폴대와 자침과 코일이 구비된 도구, 나선과 노끈이 구비된 수단, 지퍼와 쟈크 구비의 웨어러블수단, 처크와 후크가 구비된 헤드, 테일구비 센서, 기판이 거치된 모듈, 히터와 쿨러의 회로, 서버에 구비된 허브와 모뎀, 도체의 콘덴서, 트렌스가 구비된 반도체, 회로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에는 전기, 전자, 통신, 정보, 지능, 비트, 코드, 펄스, 신호, 측정, 제어, 계측, 화학, 물리, 생물, 인공, 나노, 논리, 지식, 지능, 칩, 센서, 소자, 진자, 기판, 모듈, 회로, 트윈, 5G, IT, Al, IC, ICT, IoT, 바이오, 미생물, 데이터, 스마트, 인터넷, 디지탈, 반도체, 컴퓨터, 메모리, 실리콘, 웨이퍼, 컨트롤, 시스템, 인공지능, 프로세스, 마이크로, 빅데이터, 모니터링, 블록체인, 아날로그, 프로그램, 트랜지스터 중 하나의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의 예에는 전기칩, 전자센서, 통신소자, 지능기판, 비트진자, 5G칩, IT센서, Al소자, ICT진자, IoT기판, 바이오칩, 스마트센서, 인공지능소자, 빅데이터회로, 블록체인기판, 칩센서, 칩소자, 기판회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칩 내지 반도체 등은 상기 전기 내지 트랜지스터 등에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전기 내지 트랜지스터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칩은 chip 등이고, 5G는 5th Generation 등이고, IT는 Image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등이고, Al는 Artificial Intelligence 등이고, IC는 Integrated Circuit 등이고, ICT는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등이고, IoT는 Internet of Things 등이고, 불록체인은 Block Chain 등이고, 회로는 회로, 집적회로 등이 해당된다. CCTV는 CCTV, 폐쇄회로 텔레비전, 씨씨티브이, Closed Circuit Television,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사물, 만물, 생물, 동물, 시설, 로봇, 설비, 부품, 제품, 물품, 상품, 용품, 폰, 전화, 서버, CPU, GPU, PIM, USB, GPS, GIS, CCTV, 카메라, 촬영기, 스캐너, 3D스캐너,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인식기, 감지기, 벤츄리, 벤츄리관, 시스템, PC(personal computer),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태블릿PC, SNS(social network service), SNS기기, 핸드폰, 모바일기(mobile kit), 무전기, 모니터, 스크린, 스마트폰, 드론, 모빌리티, 시스템, 킥보드, 모바일기, 컴퓨터, 메모리, 프린터, 프로그램, 4G, 5G,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가상현실, LTE, WiFi, 메타버스, 미디버스,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앱,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등(421)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421)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에 구비, 거치, 사용, 적용, 장착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421)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421)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의 부품으로 적용되거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에 거치되어 적용되거나, 또는 하기에 기재되는 일정의 작용을 하거나, 또는 각각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 성능, 특징 등을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에 이용하려고 할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a) 상기 기(器)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장착;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에 구비,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기; 등이 되는 기(器)이다. b) 상기 벤츄리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거치되고;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구비되고;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에 장착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방사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벤츄리이다. c) 상기 시스템의 예로는 상기 오존기와 음이온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발생과 미스트발생을 하고; 상기 전자기와 연무를 발생하고; 상기 발광처리와 웨이브처리를 하는 시스템이다. d) 상기 카메라의 예로는 상기 살균기와 소독기가 구비되고; 상기 청정과 소독을 하고; 상기 음파와 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열가변저항처리와 자기장처리를 하는 카메라이다. e) 상기 LTE의 예로는 LTE 통신으로 가동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LTE 통신망으로 운전되는 칩 내지 복합요소, LTE 통신장치로 원격제어되는 기(器) 내지 복합기, LTE 통신장비로 원격조정되는 상기 자화 내지 기능, LTE 통신시설로 공급이 제어되는 상기 진동물 내지 오존물, LTE 네트워크로 원격처리되는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해당된다. f) 상기 아바타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을 이용하는 아바타,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을 가동하는 아바타,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되는 아바타,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는 아바타,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하는 아바타,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아바타 등이 해당된다. g) 상기 드론의 예로는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구비되는 드론,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추가되는 드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는 드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하는 드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드론 등이 해당된다. h) 상기 메타버스의 예로는 상기 기(器), 상기 기(器)에 구비되는 센서, 상기 기(器)에서 생성되는 물질, 상기 물질이 포함되는 자재, 상기 자재가 이용되는 공사, 상기 공사에 의하여 조성되는 건물, 상기 공사의 안전, 상기 안전의 기술, 상기 공사를 하는 로봇, 상기 로봇에 이용되는 AI, 상기 AI가 이용되는 딥러닝, 상기 센서에 연계되는 비콘, 상기 비콘에 연계되는 핸드폰 등이 이용되는 메타버스이다. i) 상기의 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a) 기(器) 내지 k) 메타버스, 기(器) 내지 복합기, 칩 내지 복합요소,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실시 예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수단, 기(器) 내지 복합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은 장면, 현황, 상황, 영상, 위치, 좌표, 지번, 주소, 지점, 지역, 거리, 위도, 경도, 각도, 고도, 높이, 길이, 가로, 세로, 크기, 면적, 체적, 수직도, 연직도, 공간좌표, 위치좌표, GPS좌표,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균, 녹, 세균, 공기, 대기, 분진, 오염, 얼룩, 부식, 환경, 폐수, 하수, 오수, 먼지, 황사, 폐기물, 침전물, 슬러지, VOC, CO, CO2, SOx, NOx, 공기질, 병원균, 곰팡이,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등을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측량, 계측, 관측, 관찰, 파악, 평가, 확인, 산정 등을 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a) 상기 기(器), 기(機) 등은 어미가 기로 끝나는 단어, 용어, 물질, 물체 등이 해당되고, 이의 예로는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측정기, 관측기, 계측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b) 상기 측기는 측기, 측정기, 관측기, 계측기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PC는 PC, 컴퓨터, 개인컴퓨터, 개인용컴퓨터, 퍼스널컴퓨터, 퍼스컴, personal computer, 개인이 사용하는 소형 컴퓨터 등이 해당되고, 소프트웨어로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언어로는 어셈블리어(assembly language), 베이식(basic) 등이 있으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키보드, 디스플레이, 프린터 등이 포함된다. d) 상기 GPS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시스템, 위성 또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또는 GPS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시설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e) 상기 GIS는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 또는 지역에서 수집한 각종 지리 정보를 수치화하여 컴퓨터에 입력, 정보, 처리하고, 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 종합하여 제공하는 정보처리시스템,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대량의 정보처리, 지도제작, 원격탐사 등에 이용되는 지리정보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f) 상기 CPU는 CPU, 중앙처리장치, 中央處理裝置,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or, SoC(System on a chip), AP(Application Processor), APU(Accelerated Processing Unit), 컴퓨터의 두뇌, 명령어의 해석과 자료의 연산, 비교 등의 처리를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장치 등이 해당된다. h) 상기 GPU는 그래픽스처리장치, Graphic Processing Unit, 영상정보를 처리하고 화면에 출력시키는 일을 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i) 상기 PIM은 지능형 반도체, Processor-In-Memory,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의 기능을 합친 반도체, 저장 작업을 하는 메모리 반도체에 연산 작업을 하는 프로세서 기능을 더한 장치, SW와 시스템반도체(System on Chip, SoC)의 융합장치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4G는 4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4세대 무선기술, 4th generation, 4th generation mobile network, fourth generation of wireless technology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5G는 5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5세대 무선기술, 5th generation, 5th generation mobile network, fifth generation of wireless technology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은 사람이나 인간의 인식, 판단, 추론, 언어, 행동, 지령, 학습, 문제해결, 행동지령, 학습기능, 뇌기능, 두뇌작용 등을 컴퓨터 스스로 하거나, 또는 추론, 학습, 판단 등을 하면서 작업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d) 상기 사물인터넷(loT, internet of things)은 생활, 활동 상의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각종 사물들에 통신 기능을 내장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과 사물 간에 인터넷 기반으로 상호 소통을 하고, 이를 통해 가전제품, 전자기기,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원격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e) 상기 자율주행차는 운전자가 핸들, 가속페달, 브레이크 등을 제어하지 않고 자동차가 스스로 도로의 상황을 파악해 자동으로 주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는 운전자 없이 주행하는 차인 무인 자동차(driverless car) 개념도 포함될 수 있다. f) 상기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의학 분야에서 수술 및 해부 연습, 항공·군사 분야에서 비행조종 훈련, 건설분야에서 모의공사 등에 응용될 수 있다. 필요시 머리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HMD를 활용해 체험할 수 있다. g) 상기 드론(Drone)은 소형의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uninhabited aerial vehicle)로서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되는 비행기, 헬리콥터 등이 해당된다. 이는 공중 영상 촬영, 공사 장면 촬영, 원거리 공중 촬영, 군사작전, 인터넷 쇼핑 배달, 무인(無人)택배 등에 이용된다.
상기 LTE는 LTE, Long Term Evolution, 4G 이동통신 기술, 정지 상태에서 1Gbps(1000Mbps) 이상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는 기술, 60킬로미터 이상 고속 이동시에 100Mbps 이상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는 기술 등이 해당된다. 4G 또는 5G에서 G는 세대를 의미하는 Generation의 약자다. 무선 이동통신 규격은 큰 범주로 1세대(1G), 2세대(2G), 3세대(3G)로 나뉘어 있으며, 현재 4세대(4G) 이동통신 방식으로 발전했으며, 2015년 이후부터 이동통신 업계는 5G를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각 세대 구분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데이터 전송속도의 차이에 있다. LTE 통신 서비스를 적용한 제품으로는 컴퓨터용 LTE 모뎀으로 컴퓨터의 USB 포트에 꽂아 LTE 통신 서비스에 연결하는 4G LTE 모뎀이다. 본 발명에서 LTE의 적용 예로는 LTE 모뎀 이용, 4G LTE 모뎀 이용, USB LTE 모뎀 이용, LTE를 이용하여 통신, LTE를 이용하여 촬영 영상을 전송 또는 수신, 컴퓨터의 USB 포트에 꽂아 LTE 통신 서비스에 연결하는 LTE 모뎀 이용, LTE 통신 서비스가 되는 드론, LTE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빌리티, LTE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상기 WiFi는 WiFi, Wireless Fidelity, WiFi 무선랜, 무선통신, 무선인터넷, 무선 데이터 전송 시스템, 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 기술,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기술 등이 해당된다. WiFi를 이용하려면 와이파이 공유기를 구비하고, WiFi를 지원하는 지역에 있어야 하고, 집이나 회사에서는 무선공유기 이용하여 WiFi 사용하고, 컴퓨터에는 무선 랜 카드와 무선 랜 카드를 위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WiFi가 설치되면 컴퓨터끼리 통신 가능, 스마트폰도 데이터 통신 가능, 무선 외장 하드 디스크에 WiFi 기술을 사용 등을 한다. 본 발명에서 WiFi의 적용 예로는 드론으로 촬영된 영상을 WiFi로 무선 송수신, 모빌리티로 무선 송수신, 무선 송수신되는 모빌리티, 모빌리티와 스마트폰 간의 무선송수신, 모빌리티와 본사 PC 간의 무선송수신, 모빌리티와 감독자 스마트폰 간의 무선송수신, 모빌리티와 본사 사장 간의 무선송수신 등이 해당된다.
상기 메타버스는 메타버스, Metaverse, 가상세계, 가상공간, 3차원 가상세계, 가상적인 현실, 현실적인 가상, 현실과 가상, 현실세계와 가상공간, 아바타가 살고 있는 가상공간, 사람이 살고 있는 현실세계와 아바타가 살고있는 가상공간, 자신 또는 사람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살고 있는 가상공간, 자신 또는 사람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살고 있는 폰 또는 앱 또는 컴퓨터의 가상공간, 자신 또는 사람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업무 또는 출근 및 퇴근하는 가상공간, 가상통화를 매개로 유통,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가공 또는 추상 의미하는 Meta(메타)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유니버스)의 합성어, 가상세계 이용자가 만들어내는 UGC(User Generated Content) 상품 이용, 3차원 가상공간에서 현실 업무 뒤에 놓인 비전 기술, 가상공간에서 소프트웨어의 대리자(아바타)와 인간적 교류를 하는 것, 3차원 가상공간에서 사람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주거하는 기술 또는 어플, 핸드폰의 어플 공간에서 아바타가 생활하는 것, 핸드폰 어플 내의 3차원 가상공간에서 사람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주거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미디버스는 미디버스, Midibus, 중형버스, 25인승의 소형버스, 미니버스보다 크고 대형 버스보다 작은 차량, 동영상 관리 솔루션, 동영상 통합 솔루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Block Chain,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Chain)한 모음, 가상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에 이용되는 기술,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를 이용해 이중 지불을 막아 주는 것, P2P 네트워크를 통해 이중 지불을 막는 데 쓰이는 기술 등이 해당된다.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에서 블록(Block)에는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담기는데, 온라인에서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이 형성되고, 이 거래 내역을 결정하는 주체는 사용자이고, 이 블록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되고, 참여자들은 해당 거래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고, 승인된 블록만이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되면서 송금이 이루어진다.
상기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앱 등은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폰앱, 전화앱, PC앱, 핸드폰앱, 스마트폰앱,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app, appl, 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혹은 어플리케이션)을 약어 또는 줄임말,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 같은 스마트 기기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들어가는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TV용 응용프로그램,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에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응용프로그램 등이 해당된다. 상기 벤츄리, 벤츄리관 등은 벤츄리, 벤츄리관, venturi, venturi pipe 등이 해당된다. 벤츄리관은 파이프, 축소부, 벤츄리, 확장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소부, 벤츄리 등에는 이젝터,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물(430, 440), 칩 내지 복합요소(420), 기(器) 내지 복합기(421) 등은 상기 수단, 기구, 장비, 장치, 시설, 사물, 만물, 생물, 로봇, 동물, 드론, 물체, 물질, 재료, 자재, 일, 작업, 업무, 제조, 공사, 건설, 공간, 세계, 단말기, 3D프린터, 모빌리티, 가상공간, 가상세계, 메타버스,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5)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수단, 기구, 장비, 장치, 시설, 사물, 만물, 생물, 로봇, 동물, 드론, 물체, 물질, 재료, 자재, 공간, 세계, 아바타, 단말기, 3D프린터, 모빌리티, 가상공간, 가상세계, 메타버스,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IT 내지 4차산업기술, 자화기 내지 기능물(430, 440), 칩 내지 복합요소(420), 기(器) 내지 복합기(421),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5)은 하나의 사물(5, things) 또는 만물(5, everything)이 될 수 있다. 상기 수단, 사물, 만물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사물(things), 만물(everything) 등(5)에 인터넷, LTE, WiFi, SNS, 비콘, 핫스팟, 게이트웨이, 통신수단, 통상장치, 통신망, 통신, 무선통신,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디스플레이 등이 연계되면 상기 사물(things), 만물(everything) 등은 IoT(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E(만물인터넷, Internet of Everything) 등(5)이 된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가능하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호 또는 둘 이상이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장착, 병합, 결합,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은 a)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b) 이중 하나의 전, 후, 좌, 우, 상, 중, 하, 문, 창, 창문, 전면(3), 후면(4), 측면, 전방, 후방, 측방, 중간, 내부, 외부, 내면, 외면, 상부, 하부, 인근, 근처, 현관, 대문, 입구, 출구, 출입구, 개찰구, 이격부, 접촉부, 연결부, 접속부, 1개, 2개, 3개, 다수개, 2개 이상, 1지점, 2지점, 3지점, 2지점 이상, 다지점; 등에 구비 또는 추가 또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에는 전기, 전원, 전류, 전압, 전지, 전극, 양극, 음극, 동력, 에너지, 전지판, 배터리, 건전지, 충전지, 충전기, 충전잭, 대용량배터리, 교체형 배터리, 충전형 배터리, 태양전지, 태양전지판,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배터리집, 배터리하우징, 배터리안착대, 배터리고정대, 소켓, 플러그, 전선, 케이블, 콘센트, 콘덴서, 변압기, 정류기, 정전기, 계전기, 증폭기, 변환기, 전해조, 방전조, AC/DC변환기, 트랜스듀서,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수력발전기, 간이발전기, 소형발전기,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PC,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 메타버스, 가상공간, 가상세계 등이 포함 또는 연계 또는 공급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센서, 케이블, 플러그, 콘센트, 트랜스듀서, 전원공급기의 순으로 연계되어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의 다른 예로는 계측기, 케이블, 플러그, 콘센트, 충전기, 태양전지판의 순으로 연계되어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된 전기가 계측기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의 다른 예로는 카메라,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케이블, 태양전지의 순으로 연계되어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기가 케이블을 통하여 카메라,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등에 공급되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정보가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등으로 무선송수신되는 것이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일정의 또는 다양한 형, 형식, 형태, 방식, 방법, 공법, 측면, 방향, 방도, 용량, 기능, 성능, 용도, 목적,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을 가진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은 a) 일, 작업, 업무, 생활, 주거,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사고, 재해, 안전, 청정, 정화, 정수, 살균, 소독, 방역, 방제, 무사고, 무재해, 크리닝, 장비, 장치, 드론, 로봇, 동물, 사람, 인간, 사물, 만물, 생물,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물질, 재료, 자재, 시설, 건물, 도로, 교량, 터널, 구조물, 안전, 사고방지, 재해방지, 무인화, 자동화, 로봇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b) 이중 하나의 수행, 진행, 가동, 업무, 조성, 형성, 달성, 구현, 구축, 시스템, 가상공간, 가상세계, 메타버스; 등에 이용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상기 일 내지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메타버스 등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은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에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 기반의 또는 기초의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가능하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에 의하여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에 의하여 웨어러블, 메타, 버스, 메타버스, 인공지능, 빅데이터, 불록체인, 자율주행, 자동제어, 자동감시, 원격관리, 원격가동, 원격조정, 리모트컨트롤, 텔레매틱스, 5G, IT, Al, IC, DX, ICT, NFT, IoT, IoE, AIoT, VR, AR, LTE, WiFi, PIP 등이 이용되거나 또는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타버스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되는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하여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기술 또는 스마트기술 또는 4차산업기술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이는 IT 기반 설계, IC 기반 작업, AI 기반 모니터링, VR 기반 공사, AR 기반 작업, MR 기반 메타버스, 5G 기초의 네트워크, ICT 적용의 장비, IoT 이용의 장치, IoE 구현 시스템, BIM에 기반한 구조해석, LTE 무선송신, WiFi 기반의 송수신, 에코 소재, 바이오 센싱, 반도체 장착 시설, 딥러닝 기반의 연산, 3차원 안전 시스템, 아바타가 활동하는 메타버스, 빅데이터 활용 설계, AI 기반 클라우드, 웨어러블 장치, BIM이 구형되는 메타버스, 날씨나 민원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재를 공장 제작과 생산, 비숙련 인력이 고도의 작업이 가능 하도록 장비 지능화 및 자동화, 작업기계 자동화 기술, 작업계획에 따라 기계가 자율이동, 작업 및 진행 상황을 실시간 확인, 기계에 탑재한 각종 센서와 제어기와 GPS를 통해 기계의 위치와 자세와 작업범위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 기계 통합운영 및 관제 기술, 현장 내 다양한 기계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 및 운영, AI를 활용하여 기계 통합 운영, 공장 사전제작 및 현장 조립 연계, 로봇을 활용하여 작업 과정 자동화, 기계 자동화 및 관제, 텔레매틱스 기계 자동화, 기계 통합 운영 및 관제, 공정 및 현장관리 고도화, 드론 이용하여 지형이나 지반의 모델링을 자동화, 센서와 카메라와 레이저 스캐너와 비파괴 장치가 탑재된 드론, 드론이 사진촬영이나 스캔닝을 하여 습득한 정보로 지형의 3차원 디지털 모델 도출, 설계단계에서 작업 및 운영의 통합관리, 3D 가상공간에서 최적 설계 및 시공, 사용자 간 디지털 정보를 원활하게 인지하고 교환, 설계 결과물이 각종 법규나 설계기준 등에 적합한지도 자동으로 검토, 공사부지의 지질 및 지반 조사 정보를 BIM에 연계, 측량이나 시추 결과를 바탕으로 지반강도 및 지질상태를 BIM으로 보간 및 예측, AI를 활용한 형상이나 속성정보를 통합하는 BIM 모델링, BIM 설계 객체의 분류 및 속성정보에 대한 표준 구축, 축적된 BIM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빅데이터 활용, BIM 설계 자동화 기술,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속성정보 포함한 3D 모델을 구축하고 BIM 설계, 완료된 프로젝트에서 BIM 라이브러리를 자동 생성, 자체적으로 구조나 에너지를 해석하고 기술판단까지 가능한 BIM 설계, 축적된 사례의 인식과 학습을 통한 AI 기반 BIM 설계 자동화, BIM 기반 공정 및 품질 관리, BIM 기반 공사관리를 통해 주요 공종의 시공간섭을 확인, BIM기반 스마트 설계, 제약 조건 및 발주자 요구사항 등을 반영한 최적화된 설계안 자동 도출, 지형이나 지반 모델링 자동화, BIM설계 자동화, 시공 정밀제어 및 자동화, ICT기반 현장 안전사고 예방기술, BIM기반 공사관리, 모듈화 또는 프리패브방식에 의한 시공, 시설물 점검 및 진단 자동화, IoT 센서 기반 시설물 모니터링 기술, 드론 및 로봇 기반 시설물 진단, IoT 기반의 안전관리 시스템, IoT 기반의 안전관리 메타버스, 웨어러블 안전관리 시스템, 웨어러블 안전관리 메타버스, 센서 및 IoT를 통해 현장의 실시간 공사정보를 관제에 반영, AI를 활용하여 최적 작업계획 수립, 다양한 객체가 상호작용하는 초연결 IoT로 연결성 및 안정성 강화, 시공 정밀제어 및 자동화 기술, Modular 또는 Prefabrication 자재 및 공법 적용, 작업시 부재 위치 정밀 제어, 부재의 접합부 자동 시공, 로봇을 활용하여 시공 자동화, ICT 기반 현장 안전사고 예방 기술, 가시설이나 지반의 취약공종 실시간 모니터링, 근로자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착용장비로 실시간 취득, 실시간 작업 모니터링, 드론이나 카메라 등에 의한 취득 정보와 연계해 공정진행 상황 체크, 시설물 정보를 실시간 수집, 시설물 정보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 IoT 센서 기반 시설물 모니터링 기술, 무선 IoT 센서의 전력소모를 줄이는 상황감지형 정보수집, 드론이나 로보틱스 기반 시설물 상태 진단 기술, 카메라와 물리적 실험 장비를 장착한 다기능 드론을 통해 시설물을 진단, 드론-로봇 결합체가 시설물을 자율적으로 탐색하고 진단, 접촉 및 비접촉 정보 수집, 대상에 접촉 및 비접촉 정보 수집, 시설물 정보 빅데이터 통합 및 표준화 기술, 시설관리자 판단에 의한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로 표준화, 산재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빅데이터 구축, 지형이나 시설물의 3D 모델, 디지털트윈을 구축해 유지관리 기본 틀로 활용, 대규모 구조물의 신속 정밀한 정보수집을 위한 대용량 통신 네트워크, 디지털트윈 기반 유지관리, 시설물 정보통합 및 표준화, AI기반 최적 유지관리, AI 기반 유지관리 최적 의사결정 기술, 구축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AI가 유지관리 최적 의사결정 지원, 가상작업을 활용하여 조건이나 환경 변화에 따라 작업관리 최적화, AI를 활용해 사업목적이나 제약조건에 따라 맞춤형 공사관리 방법 도출, 축적된 작업패턴이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은 지식과 실시간 정보를 연계하여 위험요인을 사전에 도출하는 예방형 안전관리, 헬멧 착용여부 감지 센서와 근로자 위치 모니터링기와 근로자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헬멧, 랜턴과 카메라와 비콘이 구비된 안전모, 전면에 랜턴과 카메라와 무전기 그리고 후면에 야광램프가 구비된 조끼, 전면에 센서와 라이트 그리고 후면에 야광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멜빵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압전기를 통과한 물질이 분사되는 철근 커플러, 소독기가 구비된 카메라가 장착된 타워크레인, 피에조기에서 처리된 물질과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이용되는 그라우팅, 다이오드가 장착된 노즐을 이용하여 재료가 사면에 분사되는 숏크리트, 모뎀이 구비된 카메라가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한 촬영 정보가 LTE 전송되는 콘크리트 진동기, 살균제를 분사하면서 콘크리트 타설, 오존기가 구비된 비계, 캠이 구비된 거푸집, 상기 캠에 의한 촬영 영상을 무선송신하는 WiFi, 엘리미네이터가 구비된 청정기, 드론에 구비된 정화기, 상기 정화기에 구비된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무선송신하는 통신망, 펄스기와 폭기기와 와류기가 구비된 청소기, 센서와 카메라와 공기질 측정기가 구비된 청정기, 센서와 카메라와 공기질 측정기와 미스트기가 구비된 드론, 콘크리트를 자화하는 코일과 작업 장면을 촬영하는 촬영기와 상기 촬영기에 연계되는 무선 통신망이 구비된 펌프카 등도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일정의 일, 작업, 업무, 생활, 주거,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이 되고, b) 이에 장비, 장치, 드론, 3D프린터, 로봇, 동물, 사람, 인간,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아바타. 물질, 재료, 자재, 에코재, 바이오재 등이 이용되고, c)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등에 의하여 시설, 건물, 주택, 기초, 도로, 교량, 터널, 아파트, 구조물 등이 조성되고, d)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시설 내지 구조물 등에서는 안전, 사고방지, 재해방지, 무인화, 자동화, 로봇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무사고, 무재해, 크리닝 등이 필요하고, e)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시설 내지 구조물, 안전 내지 크리닝 등에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고, f)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하여 상기 안전 내지 크리닝, 메타버스 구현 등이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은 상기 수단, 기구, 장비, 장치, 시설, 사물, 만물, 생물, 로봇, 동물, 드론,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단말기, 3D프린터, 모빌리티, 가상공간, 가상세계, 메타버스,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IT 내지 4차산업기술, 자화기 내지 기능물, 칩 내지 복합요소, 기(器) 내지 복합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은 상기 수단, 기구, 장비, 장치, 시설, 사물, 만물, 생물, 로봇, 동물, 드론,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단말기, 3D프린터, 모빌리티, 가상공간, 가상세계, 메타버스,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IT 내지 4차산업기술, 자화기 내지 기능물, 칩 내지 복합요소, 기(器) 내지 복합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5)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 기반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a) 상기 VR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 이용;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 구비;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 구비;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 이용;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기; 등이 되는 VR이다. b) 상기 AI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의 가동에 이용되고,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의 작동에 적용되고,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의 운전에 이용되고,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의 운용에 이용되는 AI이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인공지능적으로 하고; 인공지능이 이용되어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방사하고; 인공지능적으로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것이다. c) 상기 IoT의 예로는 상기 센서와 계측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발생과 미스트발생을 하고; 상기 전자기와 연무를 발생하고; 상기 발광처리와 웨이브처리를 하는 IoT이다. d) 상기 LTE의 예로는 상기 센서와 계측기의 측정 정보를 무선전송하고; 상기 전송 시에 청정과 소독을 하고; 상기 청정 시에 음파와 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 시에 열가변저항처리와 자기장처리를 하는 LTE이다. e) 상기 딥러닝의 예로는 상기 센서와 계측기의 측정 정보를 딥러닝으로 처리하고; 상기 처리 시에 청정과 소독을 하고; 상기 소독 시에 음파와 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 시에 열가변저항처리와 자기장처리를 하는 딥러닝이다. f) 상기 빅데이터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칩 내지 복합요소, 기(器) 내지 복합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축적; 상기 축적된 정보를 중앙처리장치로 처리, 상기 처리된 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 상기 저장된 정보를 출력장치로 출력; 상기 정보를 장비에 활용; 등이 해당된다. g) 상기 드론의 예로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된 드론; 상기 드론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송신 및 축적; 상기 축적된 정보를 중앙처리장치로 처리, 상기 처리된 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 상기 저장된 정보를 출력장치로 출력; 상기 정보를 장비에 활용; 등이 해당된다. h) 상기 메타버스의 예로는 상기 수단, 이의 수단이 이용되는 장비, 상기 장비를 거친 물질, 상기 물질이 이용되는 제품, 상기 제품이 이용되는 일, 상기 일에 의하여 조성되는 구조물, 상기 제품의 소독, 상기 소독의 공법, 상기 일을 하는 로봇, 상기 로봇에 이용되는 IT, 상기 IT에 연계되는 클라우드, 상기 클라우드에 연계되는 단말기 등이 포함되는 또는 구현되는 메타버스이다. i) 상기의 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a) 수단 내지 k) 메타버스, 수단 내지 복합수단, 칩 내지 복합요소,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의 실시예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인전시스템, 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품질관리시스템, 자동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시스템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IoT의 헬멧, IoE 용도의 안경, 센서 구비의 완장, 무전기 구비의 조끼, AI 모듈이 장착된 멜빵, 도뎀 구비의 밴드, 침 장착의 워치, 소자가 장착된 작업화, IT가 접목된 센서, IC가 구비된 버튼, 랜턴, ICT 기반의 카메라, 회로 장착의 무전기, AI에 의하여 알림되는 알림기, LED 장착의 램프, 트렌스 구비의 제어기, 압전기 구비의 센서, 열전기 구비의 계측기, 바이오칩, 시스템 반도체, AI 딥러닝, 빅데이터에 의한 VR, 웨어러블장치 구비의 수단, LTE에 연계되는 비콘, 오존기 구비의 공유기, 5G의 통신장치, 음이온기 구비의 서버, 빅데이터 클라우드, VR이 되는 앱, AR이 구현되는 단말기, MR을 보여주는 컴퓨터, SNS에 업로드되는 메타버스, SNS 플랫폼, 산소 발생 핸드폰, 소셜미디어, IoT가 이용되는 메타버스 등이 이용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는 1)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플랫폼,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메타버스세계, 3차원공간,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에서 또는 등을 통하여 a) 일정 수단, 작업수단,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사람, 인간, 로봇, 아바타, 작업자,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사무실, 집, 주택, 건물, 구조물,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청정, 정화, 청소,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장비, 장치, 청정기, 제조장비, 공사장비; b)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c)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의 이동, 운동, 행동, 활동, 가동, 중지,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영상, 장면, 동영상, 프로세스; 등을 시청, 경청, 방영, 방송, 송출, 청취, 보기, 읽기, 관람, 입장, 퇴장, 출입, 저장, 기록, 시청각, seeing, hearing 등을 하거나, 2) 또는 이에 의하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대한 관리, 안전관리, 환경관리, 방역관리, 자동관리, 백업관리, 3차원관리, 실시간관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실제 공사 현장과 동일한 3차원 공간의 플랫폼을 조성하고 상기 현장의 장비, 자재, 근로자, 건물, 비계, 형틀, 건자재 마다 ID칩이나 tag나 바코드를 부착하여 ID칩이나 tag나 바코드의 위치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자동으로 플랫폼에 전송되어 상기 장비 내지 건자재 등의 이동 경로나 건물의 축조 과정을 3차원 플랫폼 상에서 볼수 있는 플랫폼이나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로봇, 물체, 센서, 측정기, 카메라,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일정의 년, 월, 주, 1주, 일, 시, 분, 초, 일자, 날자, 시간, 시각, 기간, 간격, 장소, 공간, 거리, 골목, 길, 도로, 집, 공장, 가정, 현장, 동네, 마을, 단지, 아파트, 시설, 건물, 구조물; 또는 1번, 2번, 다번, 수번, 1회, 2회, 다회, 수회, 1왕복, 2왕복, 다왕복; 또는 주기적, 정기적, 간헐적, 비정기적; 등의 또는 등에 또는 등을 또는 등으로 주행, 이동, 비행, 운행, 선회, 이동, 운송, 운반, 활동, 반복, 반복비행, 녹화, 촬영, 송신, 전송, 수신, 자율주행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1일에 8시간 간격으로 3번 주행, 아침과 점심과 저녁에 3번 비행, 거리를 왕복 이동, 매월 3일 간격으로 동일 시간에 1시간 동안 운행, 골몰길을 1시간 간격으로 이동하면서 감시, 공장을 3시간 간격으로 10분 비행하면서 촬영하여 공장 감시, 현장에서 4시간 간격으로 30분 이동하면서 촬영하여 현장 감시, 마을을 1일 3회 10분 이동하면서 촬영하고 전송하여 마을 감시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청정, 정화, 안전, 품질, 관리, 처리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을 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하여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을 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일, 작업, 업무 등은 a) 일, work, 작업, 업무, 근무, 근로, 출근, 퇴근, 사무, 서무, 노동,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개발, 분양, 중개, 소개, 이사, 이전, 생활, 활동, 운전, 운행, 주행, 비행, 운반, 운송, 상차, 하차, 주차, 출입, 승차, 하차, 하역, 배달, 택배, 수리, 수선, 구조, 구제, 보호, 복원, 복구, 보조, 보수, 보강, 재배, 영농, 농사, 분사, 방사, 분무, 분수, 살수, 살포, 포설, 포장, 채취, 시험, 조사, 調査, 탐사, 검사, 감지, 센싱, 관측, 계측, 점검, 진단, 측량, 측정, 측지, 계량, 모니터링, 댄싱, 노래, 연기, 방송, 광고, 촬영, 녹화, 조명, 송신, 수신, 저장, 기록, 연산, 산정, 방영, 시청, 청취, 보기, 읽기, 듣기, 처리, 처분, 조립, 관리, 감독, 감리, 감별, 감식, 감찰, 식별, 경호, 경비, 수비, 경계, 정수,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필터, 흡착, 청소,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주유, 연소, 소성, 소각, 크리닝;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일을 하는 과정을 SNS를 통하여 3차원의 가상공간에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하기와 같다. 실시예 1은 일이나 업무를 하는 사람, 상기 사람에 구비된 장비, 상기 장비에 투입되는 물질, 상기 물질을 발생하는 기구, 상기 기구가 거치된 공장, 상기 공장의 소독, 상기 소독을 하는 소독기, 상기 소독기에서 분사되는 소독제, 상기 소독제에 의한 소독작업 등이 3차원 가상공간에 포함 또는 구현되는 메타버스이다. 실시예 2는 앱이나 SNS 상의 3차원 가상공간, 이에 구축된 공장이나 현장, 이의 현장에서 일하는 아바타, 상기 아바타가 하는 활동, 상기 공장에 구비된 제품, 상기 제품에 포함되는 물질, 상기 물질을 제조하는 제조기, 상기 현장의 안전 시스템, 상기 아바타에 구비된 센서, 상기 센서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스캐너, 상기 경로가 송신되는 통신망, 상기 송신된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연결되는 폰 등이 포함되는 또는 시청되는 메타버스이다. 실시예 3은 3차원의 가상공간에 하우스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 외부에 장비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는 자재로 조성되고, 상기 자재에는 재료가 포함되고, 상기 재료에는 물질이 함유되고, 상기 하우스에 가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거실에 물체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방에 물품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가전 및 가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에 아바타가 구비되고, 상기 아바타가 음식을 하고, 상기 아바타가 화장품으로 화장을 하고, 상기 아바타가 생필품을 사용하는 것이다. 실시예 4는 상기 공간에 장비, 물질, 재료, 자재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하우스가 조성되고, 상기 하우스에 가구, 물체, 물품, 시설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고, 상기 하우스에 아바타가 활동하고, 상기 아바타에 필요한 음식, 화장품, 생필품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다. 실시예 5는 상기 공간의 음식점 또는 쇼핑센터에 아바타가 근무, 조리, 요리, 판매, 안내, 쇼핑, 주문, 먹기, 취식, 계산, 배달, 배송, 탁송, 택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6은 아바타가 하우스의 하나인 모델하우스, 전시하우스, 회의하우스, 사이버하우스, 사이버모델하우스 중 하나를 광고 또는 관람 또는 상담하고, 상기 아바타가 상기 관람을 하고 다른 아바타가 상기 관람 아바타를 상담 또는 분양상담하는 것이다. 실시예 7은 상기 공간에서 아바타가 일, 업무, 사무, 근무, 작업, 공사, 요리, 조리, 쿠킹, 생활, 활동, 전시, 관람, 회의, 강의, 강연, 수강, 청취, 청정, 정화, 청소, 세척, 세정, 세탁, 빨래, 살균, 소독, 방역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8은 3차원 가상공간 또는 메타버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메타버스 기술, 기법, 공법, 공정, 방법, 개념, 이론, 논리, 산업, 메카니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집, 시설, 건물, 샵(shop), 시장, 마켓, 마트, 학교, 학원, 교실, 백화점, 식당, 음식점, 사무실, 전시장, 관람장, 회의장, 강의실, 센터, 쇼핑센터, 하우스, 모델하우스, 전시하우스, 회의하우스, 사이버하우스, 사이버모델하우스 중 하나를 조성하는 것이다. 실시예 9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하우스 조성, 광고, 방문, 상담, 분양, 판매, 매매, 매도, 매수, 소개, 중개, 임대, 임차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0은 앱이나 SNS이나 가상공간에서 모델하우스 조성, 상기 모델하우스 광고, 아바타 또는 사람이 상기 모델하우스 방문, 아바타 또는 사람이 상기 모델하우스 상담, 아바타 또는 사람에게 상기 모델하우스 상담, 상기 모델하우스 분양, 상기 모델하우스 판매, 상기 모델하우스 매매, 상기 모델하우스 매도, 아바타 또는 사람에게 상기 모델하우스 소개, 상기 모델하우스 중개, 상기 모델하우스 임대, 상기 모델하우스 임차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1은 현실세계의 사람이 가상공간 또는 앱의 가상공간에서 일, 주거, 생활, 활동, 쇼핑, 업무, 회의, 대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2는 현실세계의 사람을 대신하여 가상공간 또는 앱의 가상공간에서 아바타가 일, 주거, 생활, 활동, 쇼핑, 업무, 회의, 대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3은 숍 또는 마트 조성, 아바타 또는 사람이 숍 또는 마트 방문, 숍 또는 마트에서 쇼핑, 숍 또는 마트에서 상품 주문, 아바타가 숍 또는 마트에서 상품 주문, 숍 또는 마트에서 주문 상품 배달, 현실세계에 있는 사람에게 숍 또는 마트에서 주문 상품 배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실시예 14는 공장 또는 현장 또는 무대 또는 공연장 또는 영화관 조성, 아바타가 일 또는 연기, 아바타가 작업 또는 공연, 아바타가 촬영, 아바타가 영화 편집, 아바타 또는 사람이 공연 예매, 아바타 또는 사람이 공연장 방문, 아바타 또는 사람이 공연 또는 영화 관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5는 회사 또는 사무실을 조성, 상기 회사에 아바타가 근무, 상기 사무실에 아바타가 출근, 상기 사무실에 아바타가 일함, 사람을 대신하는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에 일함,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을 퇴근, 아바타가 상기 회사를 청소,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을 공기 청정,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에서 회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6은 a) 메타버스 기술, 기법, 공법, 공정, 공간, 방법, 개념, 이론, 논리, 산업, 메카니즘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고, b) 상기 공간 또는 메타버스에 상기 수단이 구비되고, c) 아바타가 상기 공간 또는 메타버스에서 상기 수단을 이용하고, d) 아바타가 상기 공간 또는 메타버스에서 활동, 생활, 요리, 치료, 처리, 업무, 회의, 관람, 상담, 쇼핑, 판매, 구매, 주문, 계산, 배달, 운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7은 가상 공간에서 활동 또는 생활, 상기 공간에서 아바타가 활동 또는 생활, 상기 공간에서 사람 대신에 또는 사람을 대신하는 아바타가 활동, 상기 공간에서 아바타가 활동 또는 생활하고 현실공간에서 상기 아바타인 사람이 활동 또는 생활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것이다. 실시예 18은 가상 공간에 건물 조성, 상기 공간에 또는 상기 건물 주변에 정원 또는 공원 또는 캠퍼스 조성, 상기 건물 내부에 사무실 조성, 상기 건물 내부에 회의실 조성, 상기 사무실에 집기 구비, 상기 사무실 또는 회의실에 책상 구비, 상기 책상에 의자 구비, 상기 의자에 아바타 착석, 상기 사무실에 아바타 근무, 상기 회의실에서 아바타가 회의, 상기 공간 또는 정원 또는 공원 또는 캠퍼스를 아바타가 산책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9는 상기 공간에 공원 조성,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 식재 또는 녹화,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 놀이기구 설치,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 텐트 설치, 아바타가 상기 놀이기구 이용, 아바타가 상기 텐트 이용,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서 아바타가 놀이 또는 휴식 또는 야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20은 차(車)를 생산, 차(車)를 개조, 차(車)를 공사용카로 개조, 상기 차(車)를 아바타가 운전, 상기 차(車)로 아바타가 이동, 상기 차(車)로 아바타가 작업, 아바타가 상기 이동 또는 작업 목적지에 도착, 아바타가 상기 목적지에 시설 설치, 아바타가 상기 목적지에서 작업 또는 시공, 아바타가 상기 시설 이용, 아바타가 상기 시설에서 업무, 아바타가 철근 조립, 아바타가 콘크리트 타설, 아바타가 안전 조치, 아바타가 정보 전송, 상기 전송 정보가 서버에 저장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21은 단상, 상기 단상에 구비된 좌장석, 상기 단상의 전면에 구비된 탁자, 상기 탁자에 거치된 의자, 상기 탁자의 측면에 구비된 부스, 상기 단상 내지 부스 등에 있는 아바타, 가상의 또는 가상세계의 또는 가상현실세계의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가상공간에 있는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앱 또는 어플의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앱 또는 어플에 있는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폰 앱 또는 햄드폰 어플의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가상의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등과 현실의 사람, 가상의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등과 상기 아바타인 현실의 사람 또는 아바타를 대신하는 현실의 사람, 현실의 사람을 대신하는 상기 아바타, 현실의 사람을 대신하여 활동하는 상기 아바타, 현실의 사람을 대신하여 가상공간 또는 앱의 가상공간에서 활동하는 상기 아바타 등이 해당 또는 포함된다.
상기 제조, 생산 등은 a) 제조, 재료제조, 용품제조, 제품제조, 수소제조, 생산, 자재생산, 제품생산, 용품생산, 산소생산, 제작, 제도, 준비, 마련, 생성, 조성, 조형, 조각, 형성, 발생, 제철, 제강, 제련, 주조, 주정, 양조, 주물, 주형, 금형, 용융, 용해, 성형, 포밍, 리폼, 냉동, 냉장, 냉각, 해동, 절삭, 양각, 음각, 감광, 가공, 직조, 직공, 양잠, 인쇄, 실사, 프린트, 판금, 용접;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상기 제조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제조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제조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제조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제조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제조하는 공정을 모니터를 통하여 3차원의 가상공간에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3차원 가상공간의 메타버스 상에 구축된 공장, 상기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 상기 사람에 거치된 ID칩, 상기 칩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에 의하여 상기 공장 내에 이동 경로가 표기되는 상기 ID칩, 상기 이동경로를 상기 가상공간에 실시간 자동으로 전송하는 전송기, 상기 사람에 의하여 제조되는 제품, 상기 제조되는 제품의 수량이 상기 가상공간에 실시간 자동으로 전송하는 전송기, 상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축적되는 정보 빅데이터, 상기 빅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공장에서의 작업량을 산출하는 산출장치, 상기 사람의 활동이 실시간 보여지는 상기 가상공간 등의 구현되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은 a) 공사, 시공, 작업, 건설, 건축, 축조, 신축, 증축, 개축, 축조, 개발, 분양, 중개, 소개, 이사, 이전, 재건축, 재개발, 조경, 식재, 조형, 조각, 환경, 정화, 복원, 복구, 힐링, 처리, 토공, 굴착, 발파, 성토, 절토, 되메움, 준설, 삭도, 미장, 방수, 차수, 지수, 발수, 배기, 배수, 지중배수, 우수배수, 도로배수, 터널배수, 조적, 석공, 석축, 철근공, 시멘트공, 콘크리트공, 비계공, 해체공, 구조물해체공, 기초공, 파일공, 피어공, 케이슨공, 판금공, 조립공, 건축물조립공, 상하수도공, 철도공, 궤도공, 도로공, 수중공, 시설물설치, 철강재설치, 강구조공, 승강기설치공, 도장, 도색, 단열, 방음, 방재, 방제, 방화, 소화, 내화, 불연공, 난연공, 비계공, 해체, 구조물해체, 창호, 판금, 보링, 인젝션, 그라우팅, 충진, 충전, 싱크홀, 발포, 팽창, 보수, 균열보수, 단면보수, 보강, 지반보강, 기초보강, 구조보강, 시설보강, 면보강, 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복구, 단면복구, 훼손복구, 개량, 지반개량, 지반개량공사, 시설개량, 구조개량, 보호, 면보호, 사면보호, 배합, 혼합, 교반, 지중교반, 지상교반, 몰탈교반, 공급, 이송, 압송, 운반,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치기, 레미콘치기, 주입, 몰탈주입, 지중주입, 몰드주입, 분사, 사면분사, 숏크리트, 스프레이, 시드스프레이, 포설, 아스팔트포설, 포장, 제품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도배, 면도배, 벽도배, 코팅, 도장, 페인팅, 라이닝, 터널라이닝, 다짐, 지중다짐, 지상다짐, 포장다짐, 준설, 삭도, 양생, 도배, 식재, 나무식재, 조경식재, 라이닝, 터널라이닝, 세그먼트공, 터널세그먼트공, 앵카공, 락앵카공, 소일앵카공, 네일링공, 소일네일링공, 볼트공, 락볼트공, 소일볼트공, 인테리어, 리모델링, 숏크리트공, 녹생토공, 시드스프레이공, 실내공사, 실외공사, 현장공사, 건설업, 건설공사, 건설업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CIP(cast in place pile)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GCP(gravel compaction pile)공사,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공사, VCCP(vibrated CCP, DCM(deep cement mixing)공사, SCW(soil cement wall)공사,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또는 RCD기초 공사, ED(earth drill) 또는 ED기초 공사, LW(Labiles Waterglass)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 Method)공사, SIG(Super Injection Grout)공사, 탑다운(top down)공사, 버텀업(buttom up)공사;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공사하는 또는 건물을 축조하는 절차를 스크린를 통하여 3차원의 가상공간에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공사 현장, 사람, 자재, 장비, 건물 등을 3차원 가상공간에 구현하는 것으로 상기 현장을 가상공간에 조성, 상기 현장을 측량하여 이의 측량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형상을 가상공간에 조성, 상기 사람에 구비된 ID카드의 이동경로 파악, 상기 자재에 부착된 RFID의 이동경로 파악, 상기 장비에 장착된 센서의 이동경로 파악, 상기 파악하여 상기 사람, 자재, 장비의 이동 파악, 드론이나 측량기를 이용하여 얻어진 영상 및 측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비에 의하여 축조되는 상기 건물의 3차원 형상을 상기 공간에 조성, 상기 현장이나 건물을 이동하는 상기 사람, 자재, 장비의 이동 파악, 상기 파악에 의하여 상기 사람, 자재, 장비의 안전 평가, 상기 가상공간을 앱이나 단말기로 시청, 상기 시청하여 상기 사람, 자재, 장비의 이동과 상기 건물의 축조 장면을 실시간 파악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건설업 또는 건설공사는 a) 토목공사업, 건축공사업, 토목건축공사업, 산업ㆍ환경설비공사업, 조경공사업, 지반조성공사사업, 포장공사업, 토공사, 포장공사, 보링공사, 그라우팅공사, 파일공사, 실내건축공사업, 금속창호공사업, 지붕공사업, 건축물조립공사업, 금속구조물공사, 창호공사, 온실공사, 지붕판금공사, 건축물조립공사, 도장공사업, 습식공사업, 방수공사업, 석공사업, 도장공사, 습식ㆍ방수공사, 석공사, 조경식재공사업, 시설물공사업, 조경식재공사, 조경시설물설치공사, 철근공사업, 콘크리트공사업, 구조물해체공사업, 비계공사업, 상ㆍ하수도설비공사업, 상ㆍ하수도설비공사. 철도공사업, 궤도공사업, 철강구조물공사업, 수중공사업, 준설공사업, 수중공사, 준설공사, 승강기공사업, 삭도공사업, 승강기설치공사, 삭도설치공사, 기계가스설비공사업, 가스난방공사업, 시설물유지관리업, 신축공사, 건축공사, 토공사, 굴착공사, 기초공사, 바닥공사, 비계공사, 기둥공사, 빔공사, 벽체공사, 칸막이공사, 슬라브공사, 철근공사, 형틀공사, 철근배근공사, 형틀내 철근배근공사, 콘크리트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타설공사, 형틀내 콘크리트타설공사, 설비공사, 배관공사, 수도공사, 하수공사, 방수공사, 방음공사, 단열공사, 조적공사, 타일공사, 미장공사, 지붕공사, 옥상공사, 문공사, 창호공사, 도배공사, 석공사, 도장공사, 조경공사, 배선공사, 전기공사, 내장공사, 외장공사, 인테리어공사, 리모델링공사, 마감공사, 면마감공사;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건축공사하는 과정을 SNS의 플랫폼을 통하여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작업 또는 공사의 예로는 조사, 답사, 시험, 측량, 설계, 모델하우스 오픈, 사이버하우스 오픈, 메타버스하우스 오픈, 분양, 중개, 계약, 센싱, 계측, 촬영, 녹화, 송신, 수신, 저장, 기록, 착공, 굴착, 발파, 터파기, 절토, 성토, 토공, 형틀 조립, 철근 조립,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탈형, 형틀 해체, 구조물 성형, 구조물 형성, 구조물 면처리, 구조물 면정리, 면 또는 벽면에 광촉매 분사 또는 코팅, 면 또는 벽면에 광촉매 피톤치드 분사 또는 코팅, 조적, 미장, 방수, 도장, 창호공사, 바닥공사, 벽공사 천장공사, 옥상공사, 단열공사, 조경공사, 정화조공사, 도로공사, 포장공사, 줄눈공사, 마킹공사, 공사 완공, 공사 준공, 이사, 전입, 생활, 업무,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거나, 또는 등의 순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공사, 작업, 조사 내지 복합 등은 장비, 장치, 드론, 모빌리티, 3D프린터, 메타버스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의 드론, 모빌리티, 3D프린터, 메타버스 등에는 공사장비, 작업장비 등의 구비, 이용, 연계, 거치, 비행 등이 가능하다. 상기 조사 내지 복합 등은 또는 조사 내지 복합 등의 과정은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3차원 가상공간 등으로 시청이나 방영이 가능하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등에서 제공되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상기 조사 내지 복합 등이 구현, 시청, 공급, 제공, 청취 등이 되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지반개량 또는 지반개량공사에는 a) LW(labiles wasser glass)공사, 지반에 LW를 주입하여 지반을 고결하는 공사,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공사, RCD 이용 공사, RCD로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공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기초 또는 기둥을 조성하는 공사, PRD(percussion rotaty drill)공사, PRD 이용 공사, PRD로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공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기초 또는 기둥을 조성하는 공사, DCM(deep cement mixing)공사, DCM 이용 공사, DCM에 의하여 지중에 시멘트 기둥을 조성하는 공사, SCW(soil cement wall)공사, 소일과 시멘트를 혼합하여 소일시멘트 고결제를 형성하는 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지중에 SCP를 조성하는 공사, 지중에 모래를 투입하면서 다짐하여 파일을 조성하는 공사, GCP(gravel compaction pile)공사, GCP를 조성하는 공사, 지중에 자갈을 투입하면서 다짐하여 파일을 조성하는 공사, PBD(pastic board drain)공사, 지중에 PBD를 타설하는 공사, 지중에 PBD를 타설하고 지상에 상재하중을 가하여 지중을 압축하여 지중의 물을 상기 PBD를 통하여 배수하는 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공사, JSP로 지중을 그라우팅하는 공사, JSP로 지중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공사, SGR(space grouting rocket system)공사, SGR으로 지중을 그라우팅하는 공사, SGR로 지중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공사;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지반 그라우팅하는 과정을 핸드폰를 통하여 3차원적으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공사, 시공, 보수, 보강, 농사, 주유, 처리, 연소, 소성, 소각 등에는 a) 공사, 시공, 건설, 건축, 토목, 조경, 조형, 공장, 제조공장, 현장, 건설현장, 굴착, 지반굴착, 암반굴착, 드릴굴착, 오거굴착, RCD굴착, 탑다운굴착, 착정, 우물공착정, 발파, 암반발파, 천공, 지중천공, 보링, 지반보링, 암반보링, 앵카공보링, 지반조사용보링, 배합, 레미콘배합, 교반, 혼합, 콘크리트혼합, 타설, 형틀타설, 몰드타설, 거푸집타설, 건물형틀타설, 구조물형틀타설, 라이닝타설, 터널라이닝타설, 지면타설, 공장타설, 제조공장타설, 건자재제조공장타설, 현장타설, 도로현장타설, 옹벽현장타설, 터널현장타설, 교량현장타설, 치기, 몰탈치기, 시멘트치기, 콘크리트치기, 붓기, 레미콘붓기, 넣기, 콘크리트넣기, 진동, 형틀진동, 타설물진동, 형틀내타설물진동, 진동기진동, 포설, 포장포설, 지면포설, 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노면포장, 교면포장, 신설포장, 보수포장, 분사, 면분사, 사면분사, 밥면분사, 비탈면분사, 굴착부분사, 뿜기, 뿜어붙이기, 숏크리팅, 살포, 지중살포, 수중살포, 농약살포, 분산, 수중분산, 분수, 공중분수, 분무, 공중분무, 살수, 지면살수, 분진제거살수, 관수, 농업관수, 식물관수, 비닐하우스관수, 농사, 유입, 수유입, 공기유입, 물질유입, 재료유입, 유출, 수유출, 공기유출, 물질유출, 재료유출, 통과, 물질통과, 주입, 지중주입, 수중주입, 공중주입, 토양주입, 오염토양주입, 건물주입, 균열주입, 구조물주입, 보수용주입, 그라우팅, 앵카그라우팅, 네일링그라우팅, 인젝션, 균열인젝션, 락볼트인젝션, 주유, 유류주유, 주유소주유, 주사, 약물주사, 방수액주사, 균열부주사, 투입, 굴착부투입, 혼입, 충진, 공동충진, 균열충진, 줄눈충진, 싱크홀충진, 굴착부충진, 보링공충진, 앵커공충진, 네일링공충진, 락볼트공충진, 충전, 공동충전, 전기충전, 배터리충전, 단면충전, 균열충전, 콘크리트단면충전, 믹싱, 지중믹싱, 지반믹싱, 지중교반믹싱, 시멘트믹싱, 다짐, 포장다짐, 도로다짐, 지중다짐, 조적, 벽돌조적, 방수, 누수방수, 건물방수, 옥상방수, 지하방수, 균열방수, 교면방수, 면처리, 표면처리, 강재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미장, 몰탈미장, 발수, 포장발수, 콘크리트발수, 블라스팅, 녹제거블라스팅, 도장, 강재도장, 페인트도장, 코팅, 표면코팅, 라이닝, 굴착부라이닝, 터널라이닝, 양생, 타설물양생, 수양생, 공기양생, 보수, 균열보수, 단면보수, 보강, 요철보강, 단면보강, 강성보강, 강도보강, 콘크리트보강, 개량, 지반개량, 건물개량, 복원, 하천복원, 오염복원, 환경복원, 단면복원, 복구, 단면복구, 콘크리트단면복구, 환경복구, 실내공사, 실외공사, 현장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인테리어, 실내인테리어, 실외인테리어, 리모델링, 건물리모델링, 아파트리모델링, 해체, 건물해체, 선별, 해체물선별, 폐기물선별, 파쇄, 폐기물파쇄, 분쇄, ,폐기물분쇄, 신축, 재건축, 재개발, 연소, 물질연소, 연료연소, 소성, 물질소성, 광물소성, 크링커소성, 1000∼1500도소성, 소각, 물질소각, 폐기물소각, 700∼1000도소각, 열분해, 물질열분해, 플라스틱열분해, 300∼700도열분해, 소결, 가압가열하여소결, 고결, 고화;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인테리어하는 장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3차원적으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등에는 a) 청정, 정화, 정수, 청소, 세척, 세정, 세차, 세탁, 분사, 살수, 샤워,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집진, 포집, 흡착, 진동, 가진, 교반, 순환, 분산, 확산, 폭기, 와류, 중화, 반응, 응집, 침전, 여과, 송풍, 환풍, 환기, 냉온, 복원, 복구, 치유, 치료, 처치, 조제, 세면, 세탁, 처리, 분리, 선별, 파쇄, 분쇄, 샌딩, 숏팅, 연마, 블라스팅, 샌드블라스팅, 코팅, 도장, 도색, 페인팅, 먼지제거, 분진제거, 미세먼지제거, 공기처리, 오염처리, 균처리, 빛방사, 진동방사, 오존방사, 연무분사, 미스트분사, 자기장방사, 약분사, 약품분사, 농약분사, 소독제분사, 살균제분사, 제균제분사, 항균제분사, 응집제주입, 광촉매분사, 피톤치드분사, 크리닝;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청정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청정하는 동영상을 플랫폼을 통하여 3차원적으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실제 현장에 청정기 구비, 상기 청정기를 가동하는 사람, 상기 청정기에서 분사되는 청정제, 상기 청정제에 의한 상기 현장의 공기 청정 등이 구현되는 또는 등을 보여주는 3차원 가상공간이다. 이의 3차원 가상공간은 앱, 폰, 핸드폰, 단말기, SNS 등에서 시청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핸드폰 등으로 본사에서 또는 원격으로 또는 먼거리에서 상기 현장의 청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처리는 처리, 처분, 보수, 보강, 정수, 정화, 청정, 복원, 힐링, 청소, 세척, 세정, 세탁, 세차, 살수, 탈수, 분수, 분무, 선별, 분리, 분별, 파쇄, 분쇄, 풍쇄, 수쇄, 분해, 소각, 소성, 연소, 도장, 도색, 방수, 단열, 방음, 방재, 방제, 방화, 소화, 내화, 불연, 난연, 보수, 보강, 보호, 매립, 열분해, 습식선별, 수조선별, 건식선별, 풍력선별, 수처리, 자가처리, 외력처리, 수질처리, 액처리, 유류처리, 상수처리, 하수처리, 폐수처리, 오수처리, 오염처리, 공기처리, 분진처리, 토양처리, 오염토양처리, 음식물처리, 폐기물처리, 미생물처리, 생활폐기물처리, 산업폐기물처리, 건설폐기물처리, 폐기물중간처리, 폐기물최종처리, 자화처리, 진동처리, 오존처리, 정화처리, 청정처리;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처리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처리하는 과정을 앱을 통하여 3차원적으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정수장; 이에 순차 구비된 폭기조, 반응조, 응집조, 침전조, 여과조, 소독조, 살균조, 펌프, 공급라인; 상기 정수장 내지 살균조 등에 의한 수질처리; 상기 수질처리에 관한 시스템; 상기 정수장에 근무하는 사람; 상기 펌프에 의한 수돗물 가압, 상기 수돗물을 가정에 공급하는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에 연결되는 수도꼭지; 상기 수도꼭지에 의한 수돗물 취수; 등이 3차원 공간 내에 구현되어 상기 수질처리 및 공급 및 취수에 관한 전공정을 시연 또는 시청할 수 있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대상은 균, 녹, 때, 오염, 공기, 대기, 분진, 먼지, 석면, 얼룩, 오염물, 이물질, SOx, NOx, VOC, 스케일, 침전물, 병원균,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클로로포름, 포름알데히드,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품(品), 체(體), 기(器), 기(機), 몸, 손, 발, 목, 손톱, 치아, 구강, 얼굴, 신체, 옷, 의류, 빨래, 입주, 이사, 이전, 그릇, 식기, 용기, 탱크, 박스, 사일로, 재료, 자재, 기체, 토양, 오염토, 먹는물, 수돗물, 식수, 용수, 생수, 상수, 하수, 폐수, 탁수, 댐수, 오탁수, 공장수, 저류수, 저장수, 탱크수, 현장수, 공사수, 터널수, 굴착수, 용출수, 지하수, 지표수, 하천수, 물질, 물체, 물건, 물품, 상품, 용품, 제품, 장비, 장치,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면, 대상지, 방, 실, 집, 벽, 외벽, 유리, 창호, 창틀, 천장, 벽지, 바닥, 장판, 가구, 가전, 식탁, 쇼파, 책상, 의자, 침대, 후드, 관, 배관, 관로, 덕트, 굴뚝, 파이프, 상수관, 하수관, 수도관, 상수도, 하수도, 시설, 수도시설, 하수시설, 건물, 주택, 교량, 길, 로(路), 도로, 터널, 난간, 탕, 온탕, 냉탕, 목욕탕, 찜질탕, 찜질방, 변기, 변소, 화장실, 신발장, 울타리, 시설물, 구조물, 사무실, 아파트, 학교, 교실, 문, 현관, 실내, 부엌, 거실, 실외, 승강기, 공장, 가정, 현장, 곳, 장소, 구역, 공중, 수중, 지중, 지상, 지면, 표면, 포장면, 수질, 토질, 공기질, 대기질, 음식물, 폐기물, 쓰레기, 메타버스; 상기 균 내지 메타버스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균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균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을 하는 것은 a)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청소기, 세정기, 세척기, 세차기, 세탁기, 분사기, 분사구, 물대포, 샤워기, 믹싱기, 주입기, 주사기, 인젝터, 집진기, 포집기, 흡착기, 필터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여과기, 분리기, 파쇄기, 처리기, 송풍기, 환풍기, 열풍기, 선풍기, 회전팬, 환기팬, 드론, 튜브, 흡착탑, 환기설비, 정화터널, 청정터널, 분사터널, 집진터널, 방역터널, 분사통로, 집진통로, 방역통로, 청정아치, 분사아치, 집진아치, 방역아치, 청정출입구, 분사출입구, 집진출입구, 방역출입구, 정화시설, 청정시설, 분사시설, 집진시설, 방역시설, 미스트기, 스프링쿨러, 환기시설; b) 펌프 장착 노즐, 펌프 장착 분사기, 충돌판 및 확장콘 장착 노즐, 노즐 구비 드론, 분사기 구비 드론, 노즐 구비 분사기, 노즐 구비 스프링쿨러,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 드론에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c) 또는 조, 통, 함, 봉, 팬, 댐, 하천, 기둥, 드론, 차량, 엔진, 보트, 튜브, 노즐, 호스, 호퍼, 박스, 탱크, 관로, 배관, 펌프, 필터, 벽, 문, 창, 창호, 창문, 현관, 대문, 입구, 출구, 출입구, 개찰구, 유리, 천장, 천정, 실내, 실외, 시설, 설비, 건물, 주택, 공장, 굴뚝, 현장, 대기, 공중, 수중, 지하, 터널, 도로, 차로, 가로, 연도, 보도, 인도, 교량, 터널, 공사장, 지하도, 통행로, 가로등, 신호등, 표지판, 분리대, 포장면, 파이프, 중공체, 이동체, 부유체, 비행체, 연소기, 소각기, 타설기, 분사기, 여과기, 케이스,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d)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e)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조 내지 하우징; f)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조 내지 하우징; g)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h)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진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i) 상기 청정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치; j)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k) 장비 또는 로봇 또는 아바타에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기; ℓ) 작업장이나 메타버스에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는 a) 기(器), 기(機), 차(車), 카, car, 차량, 기구, 기계, 도구, 장비, 시설, 설비, 장비, 장치, 로봇, 드론, 트럭, 도져, 로라, 그레이더. 저장고, 혼합기, 배합기, 공급기, 운반기, 이송기, 펄스기, 보링기, 발파기, 굴착기, 굴삭기, 천공기, 항타기, 펌프카, 콘크리트펌프카, 분사기, 주입기, 주사기, 주유기, 타설기, 콘크리트타설기, 포설기, 포장기, 믹싱기, 지반믹싱기, 지중믹싱기, 그라우터, 숏크리터, 다짐기, 콘크리트다짐기, 진동기, 콘크리트진동기, 양생기, 수양생기, 살수양생기, 증기양생기, 콘크리트양생기, 면처리기, 콘크리트면처리기,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 분해기, 전해기, 배양기, 발효기, 부숙기, 선별기, 파쇄기, 탈수기, 건조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여과기, 소독기, 방류기, 방전기, 집진기, 조리기, 요리기, 정화기, 청정기, 정수기, 청소기, 세척기, 살균기, 소독기, 처리기, 3D프린터, 전자장비, 전기장비, 통신장비, 제조장비, 생산장비, 공장장비, 현장장비, 산업장비, 병원장비, 주방장비, 요리장비, 공사장비, 시공장비, 건축장비, 건설장비, 정화장비, 청정장비, 정수장비, 청소장비, 세척장비, 처리장비, 잭, 시거잭, 전선, 케이블, 소켓, 플러그, 콘센트, 전지, 충전지, 충전기, 충전카, 변압기, 배전반,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수력발전기, 휴대형발전기,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b) 상기 일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장비; c) 상기 물질, 재료, 자재 등을 일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장비; d) 상기 물질, 재료, 자재 등을 이용하여 일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장비; e)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장비,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되는 장비; f) 재료를 이용하는 장비, 자재를 제조하는 장비, 시설을 조성하는 장비; g)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장비; h) 장비 또는 로봇 또는 아바타에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i) 작업장이나 메타버스에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된 장비, 장치, 수단, 기구, 기기,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가능하다. a) 상기 장비, 기(器) 내지 복합기; b) 이중 하나의 전, 후, 좌, 우, 상, 하, 전단, 후단, 좌측, 측면, 우측, 상부, 하부, 내부, 외부, 인근, 주변, 호스, 파이프;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펌프카, 이의 전, 후, 좌, 우, 상, 하, 호스, 공급라인에 각각 카메라,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압전기, 열전기, 코일, 자기장코일이 구비되는 펌프카이다. 이의 다른 예로는 타워크레인, 이의 전, 후, 좌, 우, 상, 하, 밸런스체, 타워에 각각 센서, 계측기, 랜턴, 램프, 카메라,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가 구비되는 펌프카이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a) 공사 현장; b) 이의 현장에 구비된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c)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등으로 재료 저장, 재료 혼합, 재료 배합, 재료 공급, 재료 운반, 재료 이송, 재료 펄스, 지반 보링, 지반 굴착, 지중 굴삭, 암반 천공, 말뚝 항타, 재료 펌핑, 재료 분사, 재료 주입, 재료 주사, 유류 주유, 재료 타설, 콘크리트 타설, 재료 포설, 도로 포장, 재료와 지반 믹싱, 지반믹싱, 지중믹싱, 지반 그라우팅, 사면 숏크리팅, 재료 다짐, 콘크리트짐, 재료 양생, 수양생, 살수양생, 증기양생, 콘크리트양생, 면처리, 콘크리트면 처리; d)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등에 의한 건설, 상기 건설에 의한 건물 축조, 상기 축조에 의한 건물 완공; e) 상기 현장에 거치된 센서 및 시험기, 상기 센서에 의한 센싱, 상기 센싱에 의한 안전 진단, 상기 진단에 따른 안전 조치; f) 상기 시험기에 의한 시험, 상기 시험에 의한 품질 관리; 등을 컴퓨터 속의 3차원 가상공간에서 구현 또는 제공하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3D프린터는 3D프린터, 3차원프린터, 3D printer, 3 dimensional printer, 사무용 3D프린터, 실내용 3D프린터, 실외용 3D프린터, 건물공사용 3D프린터, 노즐 또는 플로터가 3차원 이동하면서 프린팅하는 프린터, 노즐 또는 플로터가 3차원 이동하면서 용융물을 분사하여 적층 또는 프린팅하는 프린터, 노즐 또는 플로터로 콘크리트를 토출하면서 적층하여 건물을 축조하는 건물공사용 3D프린터, 레일이 거치된 프레임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와 이의 이동대에 거치되면서 이동대를 따라 주행하는 승강수단과 이의 승강수단에 거치된 호스 또는 노즐로 구성된 프린터, 상기 레일의 1차원 이동과 상기 이동대의 1차원 이동과 승강수단의 1차원 이동으로 상기 호스 또는 노즐이 3차원 이동하는 3D프린터,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용융물을 조성하는 용융기가 구비된 프린터, 상기 용융물을 가압 공급하는 펌프가 구비된 프린터, 플로터 구비 3D프린터, 3차원 이동하는 플로터가 구비된 3D프린터, 3방향 이동하는 플로터가 구비된 3D프린터, 상기 플로터로 물질을 타설하는 3D프린터, 상기 플로터로 물질을 3차원으로 타설하는 3D프린터, 상기 플로터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3D프린터, 상기 플로터로 콘크리트를 3차원으로 타설하는 3D프린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제조장비에는 탱크, 호퍼, 배합기, 펌프, 호스, 주입기, 분사기, 몰드, 형틀 등이 포함된다. 상기 공사장비에는 저장고, 사일로, 호퍼, 배합기, 펌프, 호스, 분사기, 노즐, 거푸집, 성형기, 양생기, 면처리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시공장비에는 백호, 트럭, 도져, 로라, 물차, 보링기, 천공기, 굴착기, 굴삭기, 항타기, 그레이더,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 축과 이 축의 하부에 비트와 상기 축의 상부에 거치하여 상기 축을 타격하는 함마로 구성된 장비, 지반에서 회전하면서 관입하는 축과 이 축의 하부에 비트와 상기 축을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장비, 상기 축에 날개가 구비된 상기 장비, 상기 축이 장착된 크레인 등이 포함된다.
상기 건설장비에는 a) 날개, 가변 날개, 나선날개, 돌기 구비 날개, 2개 이상의 가변 날개; b) 상기 날개가 구비된 축, 봉, 롯드, 오거, 스크류; c) 돌기 구비의 상기 축 내지 스크류; d) 상기 날개, 돌기, 축 내지 스크류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e) 상기 날개 내지 회전수단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백호, 굴착기, 천공기, 포크레인, 이동수단; f) 상기 백호 내지 이동수단 중 하나의 붐; 이의 붐에 연결된 암; 이 암의 선단; 이 선단의 크래들히치; g) 상기 백호 내지 크래들히치 중 하나에 장착된 버켓, 상기 축 내지 회전수단; h) 상기 버켓 또는 이의 내부에 구비된 날개, 돌기 구비 날개; 이의 날개 회전수단; i) 상기 축 내지 버켓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비트, 회전비트, 굴착비트; j) 상기 날개 내지 비트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홀, 구멍, 노즐, 분사노즐; k) 상기 날개 내지 노즐 중 하나 이상에 순차 연계된 호스, 펌프, 혼합기, 사일로; ℓ) 상기 날개 내지 사일로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구비된 장비; m) 상기 날개 내지 사일로 중 하나 이상 통과 물질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로 처리하는 장비; 등이 포함된다.
상기 로봇은 a) 로봇, 아바타, 안전로봇, 방재로봇, 일로봇, 작업로봇, 업무로봇, 제조로봇, 생산로봇, 서빙로봇, 서비스로봇, 주문로봇, 이송로봇, 이동로봇, 공사로봇, 건설로봇, 건축로봇, 포장로봇, 자동로봇, 무인로봇, 청정로봇, 정화로봇, 청소로봇, 세척로봇, 살균로봇, 소독로봇, 방역로봇, 방제로봇, 인조인간, 가상인간, 사람로봇, 동물로봇, 개로봇, 안내로봇, 안마로봇, 공장로봇, 운반로봇, 현장로봇, 강아지로봇, 고양이로봇, 마사지로봇, 사이버인간; b)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된 로봇; c) 상기 일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로봇; d) 상기 일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되는 로봇; e) 센서가 장착되어 실시간 환경질을 측정하고 이의 측정치가 기준을 초과하면 자율주행하면서 소독 연무를 분사하여 방역을 하고 살균제를 분사하는 로봇; f) 자율주행하면서 공기 정화와 플라즈마 방식으로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LED 램프를 쬐어 소독하는 로봇; 등이 해당된다.
상기 드론은 드론 1, 드론 2, 드론 3, 드론 4, 드론 5 등이다. 상기 드론 1은 드론, drone, 항공기, 비행기, 무인항공기, 소형항공기, 미니항공기, 소형무인항공기, 無人航空機, 모빌리티, mobility, UAV(unmanned aerial vehicle), UAM, 도심항공교통, urban air mobility, 조종사(human pilot)가 탑승하지 않은 항공기, 헬리콥터(heli copter), 멀티콥터(multi copter), 소형 멀티콥터로(mini multi copter), 고정익 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 등이다. 상기 드론 2는 a) 드론, 비행하는 드론, 무인비행하는 드론,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무인비행하는 드론, 타설수단이 구비된 드론, 3D프린터형 드론, 비행하면서 타설하는 드론, 복수의 프로펠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드론; b) 타설수단인 노즐, 호스, 분사기, 타설기, 타설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드론, 상기 일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드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이용되는 드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구비된 드론;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에 연계된 드론; e)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연계되어 비행하면서 상기 저장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드론; f) 센서가 장착되어 실시간 환경질을 측정하고 이의 측정치가 기준을 초과하면 자율비행하면서 소독 연무를 분사하여 방역을 하고 살균제를 분사하는 드론; g) 자율비행하면서 공기 정화와 플라즈마 방식으로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LED 램프를 쬐어 소독하는 드론; 등이다. 상기 드론 3은 a) 우측에 센서, 좌측에 버튼, 전방에 랜턴, 전면에 카메라, 상부에 무전기, 하부에 알림기, 후방에 램프, 후면에 계측기, 측방에 제어기; b)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되거나, c)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드론 4는 a) 상기 또는 하기의 수단 내지 복합수단;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되거나, c) 상기 수단 내지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드론 5는 a) 드론, 무인드론, 유인드론, 분사드론, 분무드론, 살수드론, 수중드론, 공중드론, 비행드론, 택배드론, 배달드론, 농약드론, 소독드론, 업무드론, 공사드론, 시공드론, 건설드론, 건축드론, 조경드론, 환경드론, 청정드론, 재난드론, 구호드론, 측량드론, 측지드론, 무게 2kg 이하의 소형드론, 무게 2∼25kg의 중형드론, 무게 25kg 이상의 대형드론, 외부에 cage가 구비된 케이지드론, 모빌리티, 발전을 하는 또는 발전기가 구비된 발전드론, 태양발전을 하는 또는 태양발전기가 구비된 태양발전드론, 풍력발전을 하는 또는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풍력발전드론, 공기청정드론, 무인비행드론, 인공강우드론, 드론비행기, 드론비행선, 물건운반드론, 사람운반드론, 사람구조드론, 인명구조드론, 사람탑승드론, 로봇탑승드론, 운전자탑승드론, 카메라 구비 드론, CCTV 구비 드론, 회전날개 구비 드론, 발전기 구비 드론, 태양 또는 풍력 발전기 구비 드론, 노즐 구비 드론, 분사기 구비 드론, 물질을 분사하여 해양오염 정화하는 드론, 물질을 분사하여 공기청정하는 드론, 분사기로 물을 분사하여 공기청정하는 드론, 공중에 물질을 분사하여 인공강우를 생성하는 드론,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드론; b) 몸체 또는 이의 측면에 연장되어 장착된 거치대에 거치된 회전날개가 구비된 드론; c) 복수의 프로펠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드론; d)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를 통해 전력을 제공받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프로펠러에 의해 비행하는 드론; e) 제어부가 내장되면서 외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날개와 상기 모터에 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으로 구성된 드론; f) 기체 또는 이의 측면에 연장되어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기체 또는 거치대에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기체에 양력을 제공하는 1개 이상의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충전지를 구비하여 비행하는 드론; g) 일정의 조명, 카메라, 통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비행하게 하는 날개와 상기 비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날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로 구성된 드론; h) 상기 드론, 몸체, 거치대, 날개, 프로펠라, 카메라, 배터리, 발전기, 모터, 조명, 카메라, 통신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또는 상기 드론 내지 통신기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상기 드론; 등이다.
상기 분사드론은 본체; 이에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투입되는 배터리;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의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속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또는 구동부; 상기 회전부에 속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의 축에 체결되면서 상기 모터 또는 구동부에서 제공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 상기 회전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다리 및 용기; 농약 또는 물질이 저장되는 상기 용기; 내부에 칸막이가 구비된 상기 용기; 입구 및 출구가 구비된 상기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된 자화기 또는 파동기;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호스; 상기 용기 또는 호스에 연계되는 벤츄리관; 상기 용기 또는 호스 또는 벤츄리관에 연계되는 펌프; 상기 호스에 연결되는 노즐 또는 디퓨져; 상기 펌프의 압기(壓氣)가 통과되는 상기 호스, 벤츄리관, 노즐, 디퓨져; 상기 펌프에서 공급되는 압기에 의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물질이 분사되는 상기 노즐 또는 디퓨져;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몸체 내지 디퓨져;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몸체 내지 디퓨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달드론은 a) 배달통이 구비되는 드론이거나, b) 또는 배송지 주소 저장 또는 입력, 물품 탑재, 이륙, 운항, 배송지 도착, 착륙, 물품 인계, 배송비 결제, 이륙, 회항, 운항, 출발지 도착, 착륙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되는 또는 순차적으로 되는 드론이다. 상기 측량드론은 지형, 지반, 토지, 대지, 경계, 단지, 구역, 지구, 택지,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토공, 절토, 성토, 공사, 터파기 등을 측량 또는 측지하는 드론이다. 상기 측량드론은 a) 드론에 구비된 센서, 렌즈, 카메라, 측량기, CCTV 등을 이용하여 촬영, 녹화, 측량, 관측 등을 하고, b) 이의 정보를 송신, 수신, 저장, 기록 등을 하고, c)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mapping, 도면 제작, 지도 제작, 지형도 제작, 등고선 작성, 면적 산정, 토량 산정, 3차원 지도 작성, 3차원 도면 작성, 3차원 등고선 작성 등을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무인드론은 무인드론, 자동운전드론, 무인운전드론, 사람미탑승드론 등이고; 유인드론은 유인드론, 유인운전드론, 사람이 운전하는 드론, 사람탑승드론 등이고; 분사드론은 분사드론, 분사하는 드론, 노즐로 분사하는 드론 등이고; 분무드론은 분무드론, 분무하는 드론, 미스트를 분무하는 드론 등이고; 살수드론은 살수드론, 살수하는 드론, 살수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수중드론은 수중드론, 수중 또는 수상에서 운행하는 드론, 수륙양용드론 등이고; 공중드론은 공중드론,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 공중을 운행하는 드론 등이고; 비행드론은 비행드론, 비행하는 드론,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 등이고; 택배드론은 택배드론, 택배하는 드론, 택배물을 운반하는 드론 등이고; 배달드론은 배달드론, 배달하는 드론, 음식을 배달하는 드론 등이고; 농약드론은 농약드론, 농약을 살포하는 드론, 노즐로 농약을 포설하는 드론 등이고; 소독드론은 소독드론, 소독하는 드론, 공중에 소독약을 분사하는 드론 등이고; 업무드론은 업무드론, 업무하는 드론, 공중에서 업무하는 드론 등이고; 공사드론은 공사드론, 공사하는 드론, 공사에 이용되는 드론 등이고; 청정드론은 청정드론, 공기청정하는 드론, 청정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재난드론은 재난드론, 재난구호드론, 재난에 투입되는 드론 등이고; 구호드론은 구호드론, 인명을 구호하는 드론, 재난구호수단이 구비된 드론 등이고; 모빌리티는 모빌리티, 이동하는 것, 공중을 운행하는 모빌리티 등이고; 발전드론은 발전드론, 발전하는 드론, 발전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태양발전드론은 태양발전드론, 태양발전하는 드론, 태양발전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풍력발전드론은 풍력발전드론, 풍력으로 발전하는 드론,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공기청정드론은 공기청정드론, 공기청정하는 드론,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무인비행드론은 무인비행드론, 무인비행하는 드론, 무인으로 비행하는 드론 등이고; 인공강우드론은 인공강우드론, 인공강우를 내리는 드론, 인공강우수단이 구비된 드론 등이고; 드론비행기는 드론비행기, 드론인 비행기, 드론과 같은 비행기 등이고; 드론비행선은 드론비행선, 드론인 비행선, 드론과 같은 비행선 등이고; 물건운반드론 물건운반드론, 물건을 운반하는 드론, 비행하여 물건을 운반하는 드론 등이다.
상기 케이지드론은 케이지드론, 케이지에 내장된 드론, 케이지의 내부에 내장된 드론, 케이지가 에워싸인 드론, 케이지로 보호되는 드론, 외부에 케이지가 구비되는 드론, 외부에 케이지에 거치되고 내부에 드론이 내장된 것 등이다. 상기 케이지는 케이지, cage, 망, 네트, 스크린, 우리, 새장, 쇠창살, 볼망, 볼네트, 구망(球망), 하우징, 하우스, 망하우징, 망하우스, 내부 중공의 구망(球망), 원통망, 철사 케이지, 철근 케이지, 창살 케이지, 철사로 만든 우리, 철사로 만든 새장, 줄이나 선 또는 봉 등으로 엮은 망, 합성수지 줄이나 선 또는 봉 등으로 엮은 망, 드론 케이지, 드론을 에워싸는 케이지, 드론을 에워싸서 드론이 물체와 충돌 시 드론을 보호하는 케이지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a) 현장, 공장, 일, 작업, 업무, 생활, 주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장비, 장치, 드론, 로봇, 아바타, 시설, 건물, 도로, 터널, 교량, 메타버스, 구조물; b) 또는 상기 일 내지 시공, 시설 내지 구조물,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물질, 재료, 자재, 장비, 드론, 로봇, 아바타, 3D프린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물질, 재료, 자재, 장비, 장치, 드론, 로봇, 아바타, 3D프린터 등에 의하여 시설, 건물, 도로, 터널, 교량, 구조물 등이 조성된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일 내지 시공, 시설 내지 구조물, 현장 내지 구조물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시설 내지 구조물 등에는 상기 물질, 재료, 자재 등이 포함된다. 상기 장비, 드론, 로봇, 아바타, 3D프린터 등은 상기 물질, 재료, 자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재료, 자재, 시설 내지 구조물 등을 조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물질, 재료, 자재의 예로는 압전기와 열전기를 거친 물질, 압전기와 열전기와 하기 중공체1을 순차 거친 물질, 하기 중공체 1과 2와 3을 순차 거친 물질, 상기 중공체 1과 2와 3을 순차 거치면서 폭기 처리된 물질, 칩을 통과한 물질, 모뎀을 통과한 물질, 칩을 통과하여 진동처리된 물질, 모뎀을 통과하여 오존처리된 물질, 코일에 의하여 자기장 처리된 후 열전기에서 열전처리된 물질, 압전기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인가되는 오존기에서 자기장 처리된 물질, 열전기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공급되는 압전기에 의하여 진동 처리된 물질, 링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포함되는 물질, 송풍링을 거치된 후 압전기에서 자화처리되고 열전기에서 오존처리된 물질, 코일을 거치고 스프링을 통과하고 압전기와 열전기를 통과한 물질, 상기 물질이 함유된 재료, 상기 물질이 포함된 자재, 상기 재료가 함유된 자재 등이 가능하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 공장에서 사용되는 재료, 일에 필요한 자재, 장비를 이용한 작업, 업무를 하는 로봇, 생활을 하는 사람, 주거 용도의 시설, 건물을 조서하는 공사, 건설에 의하여 조성된 도로, 건축을 하는 3D프린터, 시공에 이용되는 드론, 공사를 하는 장비, 장치에 투입되는 물질, 비행하는 드론, 일하는 로봇, 생활하는 아바타, 시설을 건설, 자재가 이용되는 건물, 로봇이 주행되는 도로, 장비에 의하여 굴착되는 터널, 교량 상부를 비행하는 드론, 구조물을 공사하는 장비 등이 가상공간에서 시연되거나 보여지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물질은 물질 1, 물질 2, 물질 3, 물질 4, 물질 5, 물질 6, 물질 7, 물질 8, 물질 9, 물질 10; 이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되는 물질;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거친 물질;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서 생성되는 물질; 등이다. 상기 물질 1은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빛, 철, H, O, C, N, P, K, Ca, Mg, Si, Fe, Al, Na, OH, COO, CaSi, CaFe, 이온, 성분, 요소, 원소, 물질, 수지, 탄소, 섬유, 촉매, 황토, 백토, 점토, 광물, 광석, 광미, 암석, 질석, 금속, 소재, 재료, 자재, 액체, 기체, 고체, 생수, 상수, 하수, 폐수, 분말, 분진, 폐분, 석분, 공기, 압기, 수소, 산소, 질소, 메탄, 암모니아, 기포, 연무, 가스, 기포, 연무, 버블,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광원, 광선, LED광, 살균광, 소독광, 자외선, 적외선, 열기, 냉기, 압기, 와류, 자장(磁場), 음파, 소리, 펄스, 사운드, 오존, 음이온, 청정제, 정화제, 반응제, 응집제, 여과제, 흡착제, 포집제,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스제, 폭기제, 기포제, 팽창제, 광선, LED광, 살균광, 소독광, 자외선, 적외선, 촉매, 광촉매, 그래핀,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나노물, 부산물, 미생물, 미스트, 화이버, 라텍스, 피톤치드, 액상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미생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반응제, 포집제, 흡착제, 피톤제, 티탄제, 티탄촉매, 디톡촉매, 피톤촉매, 피톤치드,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작업 물질, 공사 물질, 작업용 물질, 공사용 물질, 작업에 이용되는 물질, 공사에 이용되는 물질, 상기 재료에 포함되는 물질, 상기 자재에 포함되는 물질, 상기 시설에 포함되는 물질,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물질,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광촉매는 광촉매효과, 광촉매반응, 광촉매작용 등에 의하여 균, 오염, 유기물, SOx, NOx, VOC,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물질에서 청정 물질의 예로는 청정제, 청정재, 청정수, 청정액, 청정물질 등이 해당되고, 크리닝 물질의 예로는 크리닝제, 크리닝재, 크리닝수, 크리닝액, 크리닝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2는 a) 수(水), 물(水), 액(液), 술, 비, 강우, 강수, 생수, 샘물, 우수, 오수, 상수, 하수, 폐수, 용수, 탁수, 해수, 염수, 댐수, 용액, 수액, 액체, 유체(流體), 온수, 냉수, 냉온수, 티(tea), 차(茶), 녹차(綠茶), 인삼차, 커피, 봉지커피, 통커피, 원두커피, 오폐수, 오탁수, 지하수, 암반수, 지표수, 이온수, 먹는물, 수돗물, 수도수, 황토수, 피톤수, 편백수, 인공비, 고로쇠물, 음료수, 음용수, 탄산수, 펌프수, 광천수, 우물수, 하천수, 연못수, 산소수, 수소수, 전해수, 가압수, 압력수, 압기수, 펌핑수, 양수물, 오존수, 살균수, 소독수, 디톡수, 디톡스수, 음이온수, 자외선수, 적외선수, 광조사수, 바이오수, 심층수, 해양심층수, 철수용액, FeSO4수용액, FeCl3수용액, Fe2+ 이온 또는 Fe3+ 이온의 농도가 400∼600mg/L인 철수용액, 액체(液體),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3은 a) C, H, O, B, N, S, K, P, F, Ca, Mg, Si, Ti, Fe, Me, Al, Na, Cu, Zn, Pb, Cr, Cd, Au, Ag, Pt, Hg, He, Li, Be, Ne, Ar, Mn, Co, Ni, Zr, Rn, OH, COO, CaO, MgO, K2O, Na2O, SiO2, Al2O3, Fe2O3, CaSi, CaMg, CaFe, CaMe, CaCOO, MgFe, MgMe, MgCOO, FeMe, FeCOO, CaMgFe, CaMgMe, CaMgCOO, MgFeMe, MgFeCOO, CaMgFeMe, CaMgFeSi, CaFeMgSi, CaMgFeCOO, CaㆍFeㆍMgㆍSiㆍPolymer, Ca+2Mg+2Fe+2Si+, Ca+2Mg+2Fe+2Me+3COO-, Ca+2Mg+2Fe+2Me+3COO-, CaMgFeMeCOO, CaFeMgSiPolymer, 이온, 성분, 요소, 원자, 분자, 원소, 양이온, 음이온, 이온제, 이온재, 이온류, 원소제, 원소재, 분자제, 분자재, 라디칼(radical), 자유라디칼(free radical), OH라디칼, 이온물, 영가물, 다가물, 이온수, 철이온, 금속이온; b) 상기 C 내지 금속이온 중 하나 이상 함유물; c) 상기 C 내지 함유물 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C 내지 함유물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d)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액체; e) 진동기에 발생되는 열(熱)이 방사되는 상기 a) C 내지 d) 액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C는 탄소, H는 수소, O는 산소, B는 붕소, N는 질소, S는 황, K는 칼륨, P는 인, F는 플루오린, Ca는 탈슘, Mg는 마그네슘, Si는 규소 또는 실리카, Ti는 티탄 또는 티타늄, Fe는 청, Me는 메탈 또는 금속 또는 Metal, Al는 알류미늄, Na는 나트륨, Cu는 구리, Zn는 아연, Pb납, Cr는 크롬, Cd는 카드뮴, Au는 금, Ag는 은, Pt는 백금, Hg는 수은, He는 헬륨, Li는 리튬, Be는 베릴륨, Ne는 네온, Ar는 아르곤, Mn는 망간, Co는 코발트, Ni는 니켈, Zr는 지르코늄, Rn는 라돈, OH는 수산기 또는 수소와 산소의 결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Me는 금속, Metal, 금속이온, 금속함유물, 금속결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COO는 COO, COO-, COOH, COONa, CH3COOH, C6H5COOH, HCOOH, CH3COOCH3, C2H5OCOH, 카르복실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이온제, 이온류, 이온재, 원소제, 원소재, 분자제, 분자재 중 하나는 이온, 원소, 분자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또는 이상으로 구성된 제, 재, 류, 종류, 소재, 재료,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이온류는 이온, 이온물, 이온물질, 원소, 원소성분, 원소물질, 이온이 함유된 류 또는 물질, 원소가 함유된 류 또는 물질, C 이온이 함유된 류 또는 물질, H 원소가 함유된 류 또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CaMg는 CaMg는 Ca, Mg, CaMg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Si는 Ca, Si, CaSi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Fe는 Ca, Fe, Ca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Al은 Ca, Al, Ca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Si는 Mg, Si, MgSi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Fe는 Mg, Fe, Mg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Al은 Mg, Al, Mg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SiFe는 Si, Fe, Si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SiAl은 Si, Al, Si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FeAl은 Fe, Al, Fe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ㆍFeㆍMgㆍSiㆍPolymer은 Ca, Fe, Mg, Si, Polymer 중 둘 이상 함유물 또는 복합물, Ca+2Mg+2Fe+2Me+3COO-는 Ca+2, Mg+2, Fe+2, Me+3, COO- 중 둘 이상 함유물 또는 복합물, CaMgFeMeCOO는 Ca, Mg, Fe, Me, COO 중 둘 이상 함유물 또는 복합물, CaFeMgSiPolymer는 Ca, Fe, Mg, Si, Polymer 중 둘 이상 함유물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Ca 성분과 Si 성분과의 반응으로 규산칼슘, 규산석회, 3CaCO3 + SiO2 → Ca3SiO5 + 3CO2, 2CaCO3 + SiO2 → Ca2SiO4 + 2CO2 등이 조성된다.
상기 물질 4는 a) 졸, 겔, 젤, 젤리, 풀, 딱풀, 즙, 죽, 오니, 슬러리, 슬러지, 슬라임, 현탁액, 황토액, 점토액, 피톤액, 편백액, 실리콘, 피톤치드, 슬러리액, 벤토나이트액, 액기체, 액고체, 기고체, 액기고체(液氣固體),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5는 Al2O3의 알루미나가 포함된 실리카제, TiO2 포함의 촉매제, H2O에 의하여 졸화 또는 겔화가 활성화되는 졸겔제, SiO2가 포함되는 흡착성 광물의 포집제, Fe 산화반응이 형성되는 부산물제, 미생물이 분해하여 개체수가 증가되는 개체증식제, 수화반응이 형성되는 수화제, 포졸란반응이 형성되는 포졸란제, Al2O3의 알루미나 반응이 형성되는 알루니마, TiO2의 광촉매반응이 형성되는 광촉매제, CaO + H2O = Ca(OH)2의 수화반응이 포함되는 수화반응제, 2Na2SiO3 + H2O → Na2Si2O5 + 2NaOH의 수화고결반응이 포함되는 수화고결제, Ca(OH)2 + Al2O3 + H2O → CaO·Al2O3·2H2O 반응이 형성되는 경화제, Ca(OH)2 + CO2 → CaCO3 + H2O의 탄산화반응이 포함되는 탄산화제, Mg(OH)2 + CO2 → MgCO3 + H2O의 탄산화반응이 포함되는 탄산화제,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6은 인산, 칼슘, 칼륨, 유황, 탄소, 지방, 녹말, 비료, 영양분, 미네랄, 포도당, 비타민, 영양제, 무기물, 유기물, 영양소, 콜라겐, 아미노산, 게르마늄, 글루코사민, 마그네슘, 포도씨유, 클로렐라, 영양소재, 비타민식품, 비타민수, 비타민술, 비타민음료수, 다이어트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7은 수반응, 수화반응, 화학반응, 물리반응, 생물반응, 역학반응, 중합반응, 촉매반응, 나노반응, 살균반응, 소독반응, 양생반응, 포졸란반응, 고화반응, 고결반응, 응집반응, 응결반응, 경화반응, 본딩반응, 바인딩반응, 광촉매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미생물반응, 바이오반응, 바이오작용, 바이오증식, 바이오필링, 바이오씰링, 바이오힐링, 바이오본딩, 바이오바인딩 등을 하는 물질이다.
상기 물질 8은 수지, 고무, 레진, 전분, 본드, 바인더, 우레탄, 우레아, 에폭시, 아크릴, 우라실, 엔자임, 페인트, 도장재, 라텍스, 수지재, 고분자재, 플라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폴리머, 천연폴리머, 인공폴리머, 지오폴리머(geopolymer), 폴리머클레이, 모노머, 올리고머, 중합체, 공중합체, 천연수지, 인공수지, 합성수지, 고무재, 실리콘, 프라이머, 플라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스티로폼, 포졸라나, 고분자수지, 이온교환수지, 셀룰로오스, 폴리락틱산, 헤미셀룰로오스, 지오폴리머(geopolymer),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발포폴리스티렌(EPS), 발포폴리에틸렌(EPE), SAP(super absorbent polymer), 아크릴우레탄, 수경성아크릴, 수경성우레탄, 수경성유레아, 수경성우라실, 수경성라텍스, 수경성아크릴우레탄, 아크릴에멀젼,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천연수지, CMC(carboxymethyl cellulose), SBR(styrene butadiene rubber),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HDPE(high density PE), LDPE(low density PE), 상기 PP와 PE의 혼합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지오폴리머는 Si 성분, Al 성분, Si2O5, Al2O2, SiO2 중 하나 이상과 K 성분, Na 성분, OH 성분, KOH, NaOH, KOH+Na2SiO3, NaOH+Na2SiO3, NaOH+Na2SO4, Ca(OH)2+Na2SiO3, Ca(OH)2+Na2SO4, Na2SiO3+Na2CO3 중 하나 이상이 결합하여 조성된 물질이다. 상기 지오폴리머에는 폐기물, 폐분, 석분, 분진, 광물, 광미, 시멘트, 석회, 슬래그, 소각재, 플라이애쉬, 알카리용액, pH9이상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물유리, 규산소다 중 둘 이상이 함유된 지오폴리머도 포함된다. 상기 지오폴리머 조성의 반응식으로는 n(Si2O5, Al2O2 ) + 2nSiO2 + 4nH2O + NAOH (or) KOH → (NA+, K+) - (-Si-O-Al-O-Si-O-) + 4nH2O, 또는 n(Si2O5,Al2O2) + 2nSiO2 + 4nH2O + NaOH/KOH → (Na+ ,K+) + n(OH)3-Si-O-Al-O-Si-(OH)3, 또는 n(OH)3-Si-O-Al-O-Si-(OH)3 + NaOH/KOH → (Na+,K+)-(-Si-O-Al -O-Si-O-)+4H2O 등이 해당되고, 지오폴리머의 조성물 또는 구성식은 (Na,K)-(Si-O-Al-O-Si-O-), (Na,K)-n(Si-O-)-(Si-O-Al-), (Na,K)-(Si-O-Al-O-Si-O-), (Na,K)-((SiO2)zㆍAlO2)nㆍwH2O, (NA+, K+)-(-Si-O-Al-O-Si-O-)+4nH2O 등이 해당된다. 상기에서 반응식에서 - 는 결합, 연결, 연계 등을 나타낸다. 이의 예로는 Si-O-Al의 경우 Si, O, Al 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물질 9는 Ca-Si-COOH, Ca-Si-Polymer, Ca-Si-Pozzolan, CaO-SiO2-COOH, CaO-Si-Polymer, CaO-SiO2-Pozzolan, Ca-Si-COOH-Cell, Ca-Si-Polymer-Cell, Ca-Si-Pozzolan-Cell, CaO-SiO2-COOH-Cell, CaO-Si-Polymer-Cell, CaO-SiO2-Pozzolan-Cell, Ca-Si-COOH 혼합물, Ca-Si-Polymer 혼합물, Ca-Si-Pozzolan 혼합물, CaO-SiO2-COOH 혼합물, CaO-Si-Polymer 혼합물, CaO-SiO2-Pozzolan 혼합물, Ca-Si-COOH-Cell 혼합물, Ca-Si-Polymer-Cell 혼합물, Ca-Si-Pozzolan-Cell 혼합물, CaO-SiO2-COOH-Cell 혼합물, CaO-Si-Polymer-Cell 혼합물, CaO-SiO2-Pozzolan-Cell 혼합물, Ca-Si-COOH 반응물, Ca-Si-Polymer 반응물, Ca-Si-Pozzolan 반응물, CaO-SiO2-COOH 반응물, CaO-Si-Polymer 반응물, CaO-SiO2-Pozzolan 반응물, Ca-Si-COOH-Cell 반응물, Ca-Si-Polymer-Cell 반응물, Ca-Si-Pozzolan-Cell 반응물, CaO-SiO2-COOH-Cell 반응물, CaO-Si-Polymer-Cell 반응물, CaO-SiO2-Pozzolan-Cell 반응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Ca-Si-COOH 내지 CaO-SiO2-Pozzolan-Cell 등은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이 함유된 물질이다. 상기 Ca-Si-COOH 혼합물 내지 CaO-SiO2-Pozzolan-Cell 혼합물 등은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이 혼합된 혼합물이다. 상기 Ca-Si-COOH 반응물 내지 CaO-SiO2-Pozzolan-Cell 반응물 등은 1)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이 반응한 반응물; 2) 또는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과 물, 수분, 액체, CO2 등과 반응한 반응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Ca는 칼슘; Si는 규소; COOH는 카르복실기; Polymer는 폴리머; Pozzolan는 포졸란, 포졸란제, 포졸란물질, 포졸란반응하는 물질; CaO는 생석회, 산화석회; SiO2는 이산화규소; 등이 해당된다.
상기 Cell은 셀, 세포, 전지, 생물, 미생물, 미생물세포, 바이오세포, Cell, 단세포, 다세포, 생물세포, 미생물세포 등이고, 상기 + Cell은 세포, Cell, 단세포, 다세포, 생물, 미생물, 생물세포, 미생물세포 중 하나가 반응, 결합, 융합, 부착, 합체, 함유, 생성, 조성, 형성 등이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 는 또는 상기 Ca-Si-COOH 내지 CaO-SiO2-Pozzolan 혼합물 등에서 - 는 -, ㆍ, +, and, 및, 와, 과, 그리고, 결합, 연결, 연계, 반응, 응집, 포함, 함유, 겔, 결합, 연결, 조합, 체결, 반응, 결합겔, 화학결합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Ca-Si-COOH은 Ca-Si-COOH, CaSiCOOH, Ca와Si와COOH, Ca및Si및COOH, Ca결합Si결합COOH, Ca연결Si연결COOH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10은 셀, cell, 세포, 생물, 미생물, 유산균, 방사선균, 광합성균, 효모균, 누룩균, 바이오, bio, 유용미생물, 호기미생물, 혐기미생물, 호염미생물, 호혐기미생물, 바이러스, 박테리아, 콜라겐, 케라틴, 신데칸, 인테그린, 엘라스틴, 바실러스, 세레우스, 서브틸리스, 파스테우리, 원생동물, 단세포동물, 다세포동물, bacillus subtilis, 미생물재, 미생물실, 미생물씰, 미생물액, 개체수 증가 미생물, 미생물필름, 미생물가스, 바이오류, 바이오제, 바이오재, 바이오셀, 바이오수, 바이오물, 바이오액, 바이오유, 바이오막, 바이오실, 바이오씰, 바이오액, 바이오매스, 바이오필름, 바이오가스, 바이오물질, 바이오공기, 바이오브릿지,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이오는 셀, cell, 세포, 생물, 제약, 약품, 바이오, bio, 미생물, 생, 生, 생물, 生物, 생명, 生命, 생물학(biology), 생화학(biochemistry), 생원소(bioelement), 생물발광(bioluminescence), 바이오반응, 죽지 않고 살아 있는 상태, 상기 셀 내지 복합물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바이오제, 바이오액, 바이오겔, 바이오실, 바이오씰, 바이오본드, 바이오필름, 바이오류는 각각 미생물제, 미생물액, 미생물겔, 미생물실, 미생물씰, 미생물본드, 미생물필름, 미생물류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오제는 미생물 물질, 바이오액은 미생물 함유 물질, 바이오겔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gel, 바이오실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가느다란 실, 바이오씰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seal 또는 방수액, 바이오본드는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점착성의 본드, 바이오필름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필름, 바이오류는 미생물 종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이오, 미생물, 바이오재 등은 산란, 증식, 생식, 생육, 팽창, 배양, 자람, 발효, 부숙, growth, 개체수증가, 배양되어 산란하여 개체수가 증가하면서 생육하여 팽창하고 자람 등이 되는 미생물, 바이오재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바이오제, 바이오재 등에서 제 또는 재는 제, 재, 수, 물, 액, 유, 기, 고, 겔, 실, 씰, 매스, 필름, 가스 등을 나타낸다. 상기 류는 類 또는 종류, 제는 題 또는 소제, 재는 材 또는 재료, 수는 水 또는 warter, 물은 物 또는 水 또는 물질, 액은 液 또는 액체, 유는 油 또는 유류, 기는 氣 또는 기체, 고는 古 또는 고체, 겔은 gel 또는 졸, 실은 thread 또는 날실, 막은 막 또는 멤브레인, 씰은 seal 또는 씰링 또는 밀봉, 매스는 mass 또는 덩어리, 필름은 film, 가스는 gas, 브릿지는 연결 또는 브릿지 또는 bridge 등을 나타낸다. 상기 바이오재는 식물, 나무, 뿌리, 줄기, 잎, 열매, 약초, 바이오재, bio material, 생물재, 미생물재, 생물 함유재, 상기 셀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에코재는 에코재, 환경재, 그린재, 자연재, 친환경재, 자연재료, 재활용재, eco material, 흙, 돌, 토사, 황토, 암석, 광물, 나무, 식물, 뿌리, 줄기, 자연석, 카올린,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애쉬, 폐분, 석분, 철분, 음식물, 슬러지, 슬래그, 폐기물, 부산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는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재료 10; 이중 둘 이상 복합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되는 재료; 등이다. 상기 재료 1은 흙, 돌, 옥, 석, 점토, 황토, 토사, 토양, 토석, 백토, 광물, 광미, 광석, 광탄, 암석, 암분, 운모, 장석, 질석, 흑연, 석고, 석회, 모래, 강사, 쇄사, 해사, 규사, 장석, 석영, 자갈, 골재, 쇄석, 석재, 석분, 석판, 소일, 화강토, 마사토, 규조토, 반죽토, 돌가루, 세라믹, 석류석, 포졸란, 진주석, 석회석, 인회석, 백운석, 자철석, 화강암, 광물재, 희토류, 희토석, 희토암, 희토광물, 시멘트, 올리빈, 맥반석, 카올린, 녹생토, 식생토, 녹화토, 종자토, 점토광물, 펄라이트, 게르마늄, 피트(peat), 모스, 피트모스(peat moss), 부순돌, 부순모래, 부순자갈, 잔골재, 굵은골재, 순환골재, 인공골재, 재생골재, 재활용골재, 슬러지골재, 석재슬러리, 석분슬러리, 스멕타이트, 돌로마이트,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아타팔자이트, 몬모릴로나이트, Fe 함유 황토, 석영 37~83중량부 포함 황토, 슬러지 함유 인공골재, 작업 재료, 공사 재료, 작업용 재료, 공사용 재료, 작업에 이용되는 재료, 공사에 이용되는 재료, 상기 물질이 함유된 재료, 상기 자재에 포함되는 재료, 상기 시설에 이용되는 재료, 상기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재료,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재료에서 청정 재료의 예로는 청정제, 청정재, 청정수, 청정액, 청정재료 등이 해당되고, 크리닝 재료의 예로는 크리닝제, 크리닝재, 크리닝수, 크리닝액, 크리닝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2는 역청, 타르, 아스콘, 역청재, 원유찌끼, 석유찌꺼기, 아스팔트, 원유의 증류 후 남은 찌꺼기, 아스팔트2차제품, 아스콘2차제품, 실리콘, 실리카, 실리카졸, 실리카겔, 실리카흄, 실리카액, 나노실리카, 액상실리카, 활성실리카, 마이크로실리카, 하이브리드실리카, 실리카재,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3은 칡, 쑥, 잎, 싹, 새싹, 나무잎, 꽃, 연꽃, 벗꽃, 씨, 볏씨, 마, 황마, 벼, 겨, 쌀겨, 왕겨, 밀겨, 무, 배, 감, 밤, 쌀, 보리쌀, 팥, 보리, 잡곡, 콩, 땅콩, 밀, 잣, 짚, 밀짚, 볏짚, 사과, 대추, 오디, 포도, 건포도, 배추, 야채, 딸기, 과일, 열매, 곡식, 곡물, 깨, 들깨, 파, 양파, 채소, 야채, 배추, 상추, 고추, 호박, 오이, 오디, 당근, 복숭아, 버섯, 녹두, 숙주, 나물, 콩나물, 시금치, 전분, 녹말, 풀, 잔디, 목(木), 수목, 목재, 초목, 목분, 목편, 목탄, 목분, 고목, 초목, 식목, 톱밥, 합판, 판재, 송진, 종자, 식물, 나무, 스틱, 뿌리, 연뿌리, 감자, 고구마, 줄기, 가지, 낙엽, 씨앗, 발아물, 식물재, 피, 피막, 외피, 내피, 진피, 껍질, 우드 우드액, 건초, 견과, 견과류, 감자, 고구마, 복숭아, 도토리, 거름, 퇴비, 국화, 철죽, 개나리, 채송화, 선인장, 진달래, 대나무,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삼나무, 리그닌, 야자수, 가로수, 정원수, 코이어, 편백나무, 피톤치드, 피트모스,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합성목재, 인공목재, WPC(wood plastic composite),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4는 철, 납, 금, 은, 봉, 빔, 틀, 구리, 아연, 금속, 비금속, 고철, 철분, 철사, 철근, 무근, 철골, 철강, 철관, 선철, 연철, 강철, 형강, 강관, H형강, I형강, 강재, 전극, 철재, 도체, 철체(鐵體), 철편, 철 코일, 양극, 음극, 전선, 스프링, 케이블, 중금속, 산화철, 영가금속, 용융철, 영가제, 금속재, 전도재, 금속근, 탄소근, 와이어, 금속체, 전도체, 유공체, 다공체, 아연체, 반도체, 그래핀, 보강재, 비전도재,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5는 숯, 참숯, 탄, 목탄, 연탄, 탄소, 연료, 카본, 펠렛, 그래핀, 탄소제, 탄소재, 활성탄, 탄화재, 탄화물, 소각물, 연소물, 불연소물, 소성물, 소각재, 소성재, 흡착재, 액상탄소, 액상활성탄, 500도 이상 소성된 소성재, 1000도 이상 소각된 소각재, 안트라사이트(anthracite),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6은 실, 명주실, 줄, 동아줄, 사, 잠사, 선, 막, 솜, 면, 섬유, 명주, 모시, 헝겊, 걸레, 종이, 필름, 파일, 펠트, 양털, 망사, 원사, 잠사, 원단, 메쉬, 격자, 가죽, 소가죽, 피혁, 한천, 직물, 거적, 포, 마포, 직포, 부직포, 여과포, 흡착포, 기름흡착포, 여과지, 여과포, 스펀지, 스티로폼, 화이버, 타래, 실타래, 섬유재, FRP, 강섬유, 나일론, 그래핀, 비닐론, 플라스틱, 히드록시, 유리섬유, 탄소섬유, FRP섬유, 섬유화이버, 유리화이버, 금속화이버, 셀룰로즈, 아파타이트, 지오텍스타일, 지오멤브레인, 필터, 나노필터, 울트라필터, 마이크로필터, 와이어메쉬, 폴리에스터, 아라미드섬유, 폴리에틸렌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PVA(polyvinyl alcohol)섬유, 길이가 자신 두께의 1.1∼100배인 섬유,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7는 약(藥), 인, 황, 염, 핵, 핵물질, 죽염, 약품, 효소, 효모, 이스트, 약제, 약물, 약액, 양약, 한약, 약품, 시약, 약재, 탕약, 물약, 농약, 치약, 알약, 가루약, 무좀약, 염색약, 설사약, 소화제, 진통제, 소염제, 마취약, 다이어트약, 다이어트제, 안료, 유약, 염료, 염류, 도료, 도색제, 도장제, 페인트, 탄닌, 키틴, 탈크, 유황, 화약, 황산, 염산, 질산, 초산, 알콜, 요소(CH4N2O), 소다, 소다회, 소금, 곤소금, 굵은소금, 향, 유향, 몰약, 모기약, 모기향, 구충약, 구충제, 살충제, 살충약, 폭탄, 핵폭탄, 수소폭탄, 촉매, 광촉매, 정촉매, 부촉매, 촉매제, 촉매재, 코팅제, 도장제, 비료, 퇴비, 물감, 향, 유향, 향료, 안료, 무기안료, 유기안료, 의료품, 의약품, 양약재, 한약재, 현탁액, 엔자임, 물유리, 폴리락틱산, 이산화티탄, 요오드화은, 이산화탄소,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자외선차단제, CMC(carboxymethyl cellulose),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8은 청정제, 정화제, 정수제, 폭기제, 반응제, 응집제, 침전제, 흡착제, 포집제, 청소제, 청결제, 세정제, 세척제, 세탁제, 세차제, 살균제, 소독제, 살균액, 소독액, 항균제, 제균제, 멸균제, 제독제, 해충제, 살충제, 구충제, 제습제, 기포제, 발포제, 폭기제, 팽창제, 지수제, 방수액, 방수제(防水劑), 방수제(防銹劑), 방청제, 방지제, 녹방지제, 오염방지제, 발수제, 가소제, 혼화제, 첨가제, 추가제, 고화제, 고결제, 경화제, 결합제, 부착제, 점착제, 접착제, 차열제, 내진제, 규산제, 방향제, 화학제, 화학물, 화학재, 포졸란제, 첨가제, 혼화제, 급결제, 완결제, 소결제, 감수제, 불연제, 난연제, 방화제, 유화제, 유동화제, 점결제, 개질제, AE제(air entraining agent), 속경제, 분산제, 커플링제, 가교제, 분산제(分散劑), 가소제, 촉진제, 지연제, 응고지연제, 팽창제, 발포제(發泡劑), 기포제, 소포제(消泡劑), 착색제(着色劑), 방청제, 응결촉진제, 응결지연제, 흡수제, 흡착제, 포집제, 탈수제, 분리제, 선별제, 파쇄제, 분쇄제, 풍쇄제, 수쇄제, 여과제, 복원제, 힐링제, 처리제, 활성제, 계면활성제, 함수제, 함유제, 함기제, 함고제, 공기연행제, 산성제, 염기제, 중성제, 중화제, 알카리제, pH제, pH조정제, pH7이하제, pH7이상제,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9는 애쉬, 저회, 비회, 폐지, 폐분, 폐분, 석분, 미분, 폐수, 분진, 인분, 돈분, 우분, 마분, 축분, 배설물, 철분, 철분진, 고철, 고물, 굴패각, 슬래그, 제강슬래그, 제철슬래그, 고로슬래그, 슬러지, 하수슬러지, 슬라임, 굴착공사슬라임, 쓰레기, 부산물, 음식물, 음폐물, 음폐수, 폐기물, 폐유리, 비닐, 폐비닐, 폐고무, 폐석회, 폐석고, 폐섬유, 껍질, 각갑류, 패각, 굴패각, 조개패각, 폐콘크리트, 폐타이어, 주물사, 폐주물사, 폐기물재, 부산물재, 재활용재, 재활용제, 재활용품, 조개껍질, 바텀애쉬, 애쉬, 킬른더스트, 폐플라스틱, SiO2 40∼60중량부 포함 애쉬, FeO 또는 Fe2O3 0.5∼85중량부 포함 부산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10은 몰탈(mortar),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 레미탈(ready mixed mortar), 믹스탈(mixed mortar), 아스콘(asphalt concrete), 황토콘, 소일콘, 페이스트, 플라스터, 경량소일, 경량몰탈,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중량콘크리트, 소일콘크리트, 기포콘크리트, 시멘트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유황콘크리트, LMC(latex modified concrete), 보링제, 굴착제, 혼합재, 타설재, 형틀타설재, 주입재, 지중주입재, 믹싱재, 분사재, 사면분사재, 지중분사재, 포설재, 지면포설재, 시면포설재, 포장재, 도로포장재, 인도포장재, 다짐재, 지중다짐재, 포장다짐재, 보강재, 지반보강재, 구조보강재, 보수재, 보호재, 발수제, 코팅재, 도장재, 도색재, 퍼터, 페인트, 혼화제, 시멘트혼화제, 레미콘혼화제, 콘크리트혼화제, 그라우팅재, 숏크리트재, 녹생토재, 스프레이재, 시드스프레이재, 지반개량제, 화이버 함유 레미콘, 섬유 포함 콘크리트,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부산물은 패각, 폐분, 석분, 철분, 애쉬, 부산물, 슬래그, 슬러지, 슬라임, 폐자재, 폐기물, 소각재, 탄화재, 폐주물사, 굴패각, 조개패각, 폐콘크리트, 폐타이어, 폐유리, 폐비닐, 폐고무, 폐플라스틱, 폐석회, 폐석고, 폐섬유, 킬른더스트 등이다. 상기 폐분은 폐분, 석분, 분진, 철분, 산업분진, 공장분진, 제철분진, 돌가루, 채석폐분, 채광폐분, 폐기분진 등이다. 상기 탄화재는 숯, 탄, 목탄, 참숯, 연탄, 활성탄, 탄화물, 탄화재 등이다. 상기 혼화제는 a) 급결제, 지연제, 소결제, 분산제, 방수제, 차수제, 발수제, 기포제, 팽창제, 발포제, 소포제, 착색제, 경화제, 감수제, 경화제, 바인더, 고화제, 고결제, 안료, 염료, 광물, 광석, 광미, 섬유, 화이버, 폐기물, 슬래그, 슬러지, 미생물, 활성제, 유동화제, 경화촉진제, 경화지연제, 공기연행제, 응결지연제, 리그닌계 혼화제, 나프탈렌계 혼화제, 멜라민계 혼화제, 카본산계 혼화제, 폴리카본산계 혼화제, 음이온방사물질, 원적외선방사물질; b) 또는 시멘트, 몰탈, 레미탈, 레미콘, 아스콘, 황토콘, 아스팔트, 페이스트, 플라스터, 콘크리트 중 하나에 첨가되는 상기 급결제 내지 원적외선방사물질; 등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a) 계면활성제, 생계면활성제, 천연계면활성제, 합성계면활성제, 인공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알킬벤젠설폰산염, 아민할로젠화물, 발포성 계면활성제, 기포성 계면활성제, 팽창성 계면활성제, 한 분자 또는 물질에 친유성기와 친수성기를 공존한 물질, 제사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아미노산, 지방산소다, Monoglyceride, Betaine, 레시친(Lecithin), 사포닌(Saponin), 식물성유지 추출 계면활성제, 동물성유지 추출 계면활성제, 알킬벤젠술폰산염(ABS), 선형알킬벤젠술폰산염(LAS), 알파올레핀술폰산염(AOS), 알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AE); b) 또는 소다회, 탄산나트륨, 규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제올라이트(Zeolite), 효소, 거품조절제(소포제), Silicon유, 파라핀유, 미세실리카분말을 분산시킨 실리콘유, 황산나트륨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상기 계면활성제 내지 알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AE); 등이다.
상기 피톤치드는 a) 피톤치드; b) 또는 나무, 줄기, 식물, 껍질, 편백나무 중 하나에서 추출된 추출물, 피톤치드; c) 상기 나무 내지 편백나무 중 하나와 첨가수의 가열; 이의 가열에 의한 가열물, 가열수, 증류수; 상기 가열물의 냉각물, 냉각수; 중 하나 이상에서 얻어진 피톤치드; d) 상기 가열물 내지 냉각수; e) 또는 테르펜, 배당체, 글리코시드,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페놀화합물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피톤치드, 피톤치드수, 피톤치드액, 피톤치드분말; 등이다. 상기 영양소는 인, 인산, 칼슘, 칼륨,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물, 유기물, 글루코사민, 마그네슘, 철분, 인삼, 당귀, 감초, 영양제, 게르마늄, Ca, Mg, Fe, Me, 콜라겐, 포도씨유, 클로렐라, 영양소 등이다. 상기 촉매는 촉매, 정촉매, 부촉매, 광촉매, 효소촉매, 효모촉매, 반응촉매, 저속반응촉매, 고속반응촉매, 저속양생촉매, 고속양생촉매 등이다. 상기 광촉매는 TiO2, ZnO, CdS, GaP, CdTe, MoSe2, Wse2, SnO2, Nb2O53, KTaO3, ZnSCdSe, ZrO2SrTiO3, Ni-K4Nb6O17 등이다. 상기 폴리머는 수지, 화학제, 인공수지, 자연수지, 모노머수지, 폴리머수지, 천연폴리머, 지오폴리머, 폴리머클레이, 라텍스, 고무류, 실리콘, 우레탄, 우레아, 플라스틱, 유기화합물, 유기화합물 유도체로 이루어진 비결정성 고체 또는 반고체,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HDPE, LDPE, EVA, PVC, PP와 PE의 홉합물 등이다.
상기 라텍스는 라텍스, 천연라텍스, 합성라텍스, 수성라텍스, 유성라텍스, 수지라텍스, 라텍스수지, 고분자라텍스, 중합체라텍스, 고무분 60∼90%의 물질, 비중 0.973∼0.979 고무재, 0.5∼6.0μ 크기의 고무 입자가 1ml 중 α(임의수)×10^8개 포함되는 물질, 유기 및 무기물의 수용액을 분산매로 하고 고무를 분산질로 하는 콜로이드졸,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단위 100%와 상기 유래단위 100% 대비 0.01∼0.08%의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함유되는 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계 라텍스 100%와 사이클로 올리고 사카라이드계 화합물 0.001∼13%가 함유된 라텍스, 고무분 이외에 단백질, 당류, 인지질, 회분, 효소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물질 등이다.
상기 약품은 약품, 약제, 약재, 약물, 약액, 한약, 양약, 알럼(alum), 황산, 염산, 초산, 질산, 석회, 폴리머, 오존, 오존공기, 이온, 이온물, 양이온, 음이온, 폴리머, 모노머, 라텍스, 고무수지, 피톤치드, 알카리용액, pH9이상용액, 물유리, 규산소다, 실리카졸, 요소, 아크릴, 우레탄, 우레아, 크롬리그닌, 아크릴아미드, 항균제, 항호르몬제, 항새집증후군제, 청정제, 정화제, 정수제, 청소제, 세척제, 세정제, 세탁제, 흡착제, 포집제,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스제, 멸균제, 제균제, 해충제, 살충제, 세제, 세탁세제, 청소세제, 세제수, 산성제, 황산, 알카리제, pH제, pH9이상물질, 수산화나트륨, 철응집제, 알루미늄응집제, 방부제, 피톤치드, 규산소다, 규산칼슘, 규산나트륨, 실리카, 알루미나, 구연산, 황산마그네슘,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황산칼슘, 황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코발트, 인산칼슘, 수산화칼슘, 리그닌술폰산, 수산화칼슘, 수산화₃하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등이다.
상기 살균제는 포말린, 알코올, 크레솔비누액, 과산화수소수, 무기살균제, 보르도액·석회황합제, 페놀수, 크레솔수, 승홍수(昇汞水), 클로르칼크, 유기수은제, 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 다이센엠, 발리비, 발코트, 베노밀, 블라스티시딘에스, 빈클로졸린, 에디펜포스, 옥시카복신, 옥신코퍼, 유기인계살균제, 유기황살균제, 아이소프로싸이올레인, 이프로다이온, 지네브, 마네브, 안트라콜, 지오람, 프탈라마이드제, 카복신, 캡탄, 쿠퍼하이드록사이드, 클로로탈로닐, 트라이아디메폰, 도다인, 디노캡, 다이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론제, 디티아논, 마네브, 캡탄, 캡티폴, 다이폴라탄, 폴펫, 벤디미다졸제, 베노밀, 벤레이트, 싸이오판에이트에틸, 트라이아졸제, 트라이아디메폰, 트라이시크라졸, 유기살균제, 메탈락실, 다찌가렌(hymexazol), 키타진(IBP), 히노산(edifenphos), 후지왕(isoprothiolane), 농용항생제, 스트렙토마이신, 시크로헥사마이드, 블라스티시딘, 카수가마이신, 폴리옥신, 발리다마이신, 네오아소진, 발리다마이신에이,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다.
상기 소독제는 알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을, 클로르헥시딘,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시트르산,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시트르산수화물,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계면활성제, 폴리옥실40경화피마자유, 폴록사머407,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피톨, 폴리에틸렌글리콜, 자일리톨,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네오탐, 사카린, 아스파탐, 아세술팜칼륨,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시리히진, 페릴라르틴, 타우마틴,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다.
상기 자재는 자재 1, 자재 2, 자재 3, 자재 4, 자재 5, 자재 6, 자재 7, 자재 8, 자재 9, 자재 10, 자재 11, 자재 13; 이중 둘 이상 복합자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자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되는 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1은 막, 판, 팬(pan), 띠, 시트, 메쉬, 격자, 그물, 네트, 보드, 킥보드, 자재보드, 벨트, 밴드, 포대, 날개, 자재, 부재, 허리띠, 바지밴드, 분리막, 여과막, 이온막, 철망, 철책, 메쉬, 프레임, 플랫폼, 사다리, 섬유망, 메쉬망, 망태, 돌망태, 하천돌망태, 게비온, 게비온망태, 낙석방지망, 철근망, 와이어메쉬, 지오멤브레인, 매트, 양탄자, 온수매트, 냉수매트, 온냉매트, 히팅매트, 쿨링매트, 보양매트, 침대매트, 놀이매트, 매트리스, 온냉수매트, 침대매트리스, 발열시트, 발열매트, 발열형틀, 온수매트, 온수카페트, 콘매트, 콘시트, 매트콘, 시트콘, 시멘트매트, 시멘트시트, 콘크리트매트, 콘크리트시트, 매트콘크리트, 시트콘크리트, 작업 자재, 공사 자재, 작업용 자재, 공사용 자재, 작업에 이용되는 자재, 공사에 이용되는 자재, 상기 물질이 함유된 자재, 상기 재료가 함유된 자재, 상기 시설에 이용되는 자재, 상기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자재,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자재에서 청정 자재의 예로는 청정제, 청정재, 청정수, 청정액, 청정자재 등이 해당되고, 크리닝 자재의 예로는 크리닝제, 크리닝재, 크리닝수, 크리닝액, 크리닝자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재 2는 콕, 꼭지, 수도콕, 냉수콕, 온수콕, 생수콕, 수도꼭지, 생수기콕, 관, 도관, 도갱, 압력관, 튜브, 밴드, 호스, 라인, 관, 관로, 배관, 철관, 통로, 중공관, 수도관, 상수관, 하수관, 수도, 상수도, 하수도, 2중관, 3중관, 다중관, 배출관, 타설관, 케이싱, 배출관, 타설관, 파이프, 중공라인, 지오튜브, 벤츄리관, 호스라인, 파이프라인,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3은 빔, 봉, 대, 판, 통, 관, 붐, 벽, 문, 장, 종이, 탱크, 박스, 간판, 비계, 형틀, 몰드, 방문, 대문, 창문, 창호, 벽지, 판넬, 판지, 판자, 합판, 시트, 보드, 매트, 장판, 벽재, 마루, 유리, 현관, 기와, 타일, 벽돌, 블록, 레고블록, 장난감블록, 쌓기블록, 보도블록, 보강토블록, 전면판, 옹벽전면판, 벽체, 격벽, 거더, 샤시, 창호, 창문, 덕트, 도어, 데크, 커텐, 외벽, 내벽, 변기, 비데, 카페트, 천장, 천정, 옥상, 텍스, 천장텍스, 도자기, 세면기, 슬라브, 블라인드, 자재, 부재, 건자재, 가설재, 나노재, 보강재, 공사재, 시공재, 건설재, 토목재, 건축재, 조경재, 환경재, 바닥재, 천장재, 내장재, 외장재, 가설재, 시설재, 가시설재, 인테리어재, 리모댈링재, 루바, 외장루바, 기둥, 슬라브, 연석, 레일, 가드레일, 도로레일, 철도레일, 펜스, 울타리, 가로수, 가로대, 가로띠, 가로막, 가로막이, 폼(foam), 슬립폼, 유로폼, 콘크리트폼, 형틀, 몰드, 거푸집, 콘크리트형틀, 구조물거푸집, 발열거푸집, 냉열거푸집, 온냉거푸집, 시스템거푸집,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4는 변기, 비데, 욕기, 욕조, 배관, 세면대, 화장대, 샤워기, 반신욕기, 전신욕기, 덕트, 수도, 관로, 통로, 흄관, 도관, 관로, 수조, 수로, 암거, 박스, 탱크, 맨홀, 집수정, 도수로, U형관, 배수로, 하수관, 상수관, 하수도, 상수도, 하수암거, 우수암거, 저류박스, 지하박스, 저장박스, 플륨관, 점토관, 시멘트관, 콘크리트관, 저류조, 집수조, 우수저류조, 빗물저류조, 배관재, 데크, 목재데크, 통행데크, 벽천, 잔디, 인조잔디, 인공잔디, 막이, 칸막이, 그늘막, 물막이, 태양막이, 바람막이, 한파막이,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5는 시멘트제품, 콘크리트제품, 시멘트2차제품, 아스팔트2차제품, 레미탈2차제품, 아스콘2차제품, 레미콘2차제품, 콘크리트2차제품, 철근콘크리트재, RC(reinforced concrete)재, PC(pre cast)재, PS(pre or post stress)재, PSC(pre or post stress concrete)재, 시멘트재, 콘크리트재, 세그먼트, 세그먼트제, 터널세그먼트재, TBM(tunnel boring machine)터널세그먼트재, Shield터널세그먼트재, 교량세그먼트재, 교량상판세그먼트재, 건물세그먼트재, 조립세그먼트재, 라이너세그먼트재, 라이닝세그먼트재, 터널라이닝세그먼트재, 세그먼트재, 라이너, 라이닝, 라이닝재, 터널라이너, 굴착라이닝재, 터널라이닝재,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6은 건자재, 건설재, 토목재, 건축재, 조경재, 내장재, 외장재, 포장재, 도로재, 보도재, 경계석, 분리대, 복공판, 버팀판, 보강판, 녹생토, 녹화토, 조경토, 조립자재, 조립식자재, 조립식건축자재, 코팅체, 광촉매 코팅체, 내장판넬, 믹싱재, 주입재, 성토재, 충진재, 충전재, 채움재, 분사재, 포설재, 포장재, 다짐재, 방수재, 방수제, 방수액, 막방수재, 분말방수재, 시트방수재, 매트방수재, 시멘트방수재, 아스팔트방수재, 콘크리트방수재, 차수재, 투수재, 투과재, 여과재, 흡착재, 포집재, 외장판넬, 격자블럭, 사면블럭, 보강블럭, 보강토블럭, 테트라포트, 인젝션재, 그라우팅재, 숏크리트재, 녹생토재, 스프레이재, 시드스프레이재, 내진재, 지진보강내진재, 석고재, 시멘트재, 아스팔트재, 콘크리트재, 철근콘크리트재, 건재료, 건설재료, 토목재료, 건축재료, 조경재료, 제조재료, 공사재료, 건설자재, 코팅재, 광촉매코팅재, 지중벽, 지중연속벽, 슬러리월, SCW(soil cement wall), 벤토나이트슬러리월,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7은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건물기초, 시설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구조물기초, 공장파일, 매입기초, 항타기초, 회전매입기초, 현장타설파일, 지중기초, 지하기초, 지반기초, 표층기초, 팽이기초, 스크류기초, 헬리칼기초, 변단면기초, 지중변단면기초, 기초케이슨, 방파제케이슨, 강관파일, 콘크리트파일, PHC(prestressed high-strength concrete)파일, 지열파일, 마이크로파일, 지열피어, 지열케이슨, 에너지파일, 에너지기초, U형 파이프가 내장된 에너지파일, 지열순환파이프가 내장된 파일, 기초자재,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8은 보, 들보, 지중보, 지상보, 가로보, 세로보, 타일, 벽돌, 블럭, 격자블럭, 사면블럭, 보강블럭, 보강토블럭, 판넬, 내장판넬, 외장판넬, 벽, 벽체, 기둥, 슬라브, 공사재, 건설재, 건축재, 조경재, 시공재, 내장재, 외장재, 주자재, 부자재, 건자재, 창호재, 방수재, 차수재, 매트, 시트, 복합매트, 복합시트, 방수매트, 방수시트, 시멘트매트, 시멘트시트, 콘크리트매트, 콘크리트시트, 벤토나이트매트, 벤토나이트시트, 아스팔트시트, 빔, 판, 복공판, 버팀판, 보강판, 마루판, 복공판, 앵커, 소일앵커, 락앵커, 네일링, 소일네일링, 볼트, 소일볼트, 락볼트, 형틀, 몰드, 거푸집, 보드, 거더, 슬라브, 암거, 하수암거, 우수암거, 박스, 탱크, 저류박스, 지하박스, 저장박스, 맨홀, 관, 강관, 유공관, 무공관, 관로, 수로, 도수로, U형관, 배수로, 하수관, 상수관, 흄관, 플륨관, 점토관, 시멘트관, 콘크리트관, 수조, 저류조, 집수조, 집수정, 우수저류조, 빗물저류조, 포장재, 보도재, 경계석, 분리대, 기초, 기둥, 파일, 말뚝, PHC파일, 공장파일, 매입기초, 항타기초, 회전매입기초, 현장타설파일, 피어, 케이슨, 지열파일, 지열피어, 지열케이슨, 지열순환파이프가 내장된 파일, 테트라포트, 방파제블럭, 라이닝, 터널라이닝, 세그먼트, 터널세그먼트, 교량세그먼트, 라이닝세그먼트, 터널라이닝세그먼트, 몰탈재, 시멘트재, 콘크리트재, 아스팔트재, 인테리어재, 리모델링재, 시멘트2차제품, 아스팔트2차제품, 레미탈2차제품, 아스콘2차제품, 레미콘2차제품, LMC(latex modified concrete)자재, PC(pre cast)자재, PS(pre stress or post stress)자재, PF(pre fabricated)자재, PCS(pre cast concrete)자재, PSC(pre stress or post stress concrete)자재,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9는 공사, 건설, 개발, 건축, 축조, 작업, 토목, 환경, 정화, 정수, 청정, 힐링, 균열힐링, 복원, 하천복원, 씽크홀복원, 조경, 식재, 조형, 조각, 제조, 자재제조, 생산, 자재생산, 작업, 공사, 건설공사, 시공, 건축시공, 자재제조, 자재생산, 공사작업, 건설공사, 건축시공, 방재, 방제, 일, 작업, 업무, 토, 토공, 지반, 지중, 지하, 사면, 법면, 비탈면, 기초, 파일, PHC파일, 굴착, 개착, 터파기, 절토, 성토, 지열파일, 공장파일, 매입기초, 항타기초, 회전매입기초, 현장타설파일, 흙막이, 흙막이벽, 슬러리월, 지중연속벽, 다이어프럼월, CIP(cast in place pile), CP(compaction pile), SCP(sand compaction pile),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VCCP(vibrated CCP), 준설, 매립, 수중, 삭도, 승강기, 조적, 미장, 방수, 차수, 지수, 도장, 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개량, 지반개량, 지반정리, 단지정리, 시추, 보링, 배합, 혼합, 공급, 제공, 압송, 이송, 운송,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치기, 포설, 사면포설, 지면포설, 도로포설, 코팅, 도장, 주입, 형틀주입, 지중주입, 심층주입, 몰탈주입, 누수부주입, 균열부주입, 보링공에주입, 인젝션, 균열인젝션, 주사인젝션, 균열보수제인젝션, 그라우팅, 지반그라우팅, 지열그라우팅, 분사그라우팅, 고압그라우팅, 강관그라우팅, 강관이용그라우팅, 밀크그라우팅, 콤팩션그라우팅, SGR(space grouting rocket), JSP(jumbo special pattern), 분사, 살수분사, 지면분사, 지중분사, 고압분사, 저압분사, 사면분사, 수중분사, 공중분사, 분진제거분사, 양생, 수양생, 지열공, 믹싱, 지반믹싱, 지반교반믹싱, 지반경화제믹싱, 지반과 바인더 믹싱, DCM(deep cement mixing), SCW(soil cement wall), 다짐, 지중다짐, 교반다짐, 포장다짐, 분사, 숏크리트, 녹생토, 시드스프레이, 보수, 균열보수, 누수보수, 보강, 면보강, 지반보강, 균열보강, 면처리, 수처리, 댐처리, 연못처리, 하천처리, 씽크홀처리, 씽크홀충진, 공동충진, 석, 석공, 외벽, 비계, 해체, 창호, 판금, 지붕판금, 조립, 건축조립, 철강, 창호, 판금, 상하수도, 방식, 전기방식, 녹화, 청소, 세척, 세차, 재개발, 재건축, 인테리어, 리모델링;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중 하나의 제(劑), 재(材), 자재, 상기 보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이다.
상기 자재 10은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재,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제(劑) 또는 재(材),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자재, 상기 보 내지 복합재 중 하나이다. 상기 자재 11은 중량, 경량, 발포, 기포, 팽창, 투수, 무근, 철근, 무근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RC(reinforced concrete), CC(carbon concrete), GC(graphene concrete), PC(precast concrete), PS(prestressed, poststressed), PSC(prestressed concrete, poststressed concrete), SRC(steel reinforced cement), CRC(carbon reinforced cement)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된,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제, 재, 액, 수, 물, 재료, 원료, 소재, 자재, 분말, 시트, 매트, 타설재, 내장재, 외장재, 주자재, 부자재, 건자재, 몰탈, 레미탈,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상기 보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자재 12는 a) 봉, 대, 판, 망, 메쉬, 격자, 섬유, 시트, 매트, 철근, 철망, 철골, 세라믹, 화이버, 케이지, 나노재,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보 내지 복합재; b) 또는 타설, 양생, 경화, 고결 중 하나 후의 b1) 강도, 압축강도, 인장강도, 전단강도 중 하나가 1∼50kg/㎠의 저강도, 이의 이하인 초저강도, 51∼100kg/㎠의 중저강도, 101∼150kg/㎠의 중강도, 151∼200kg/㎠의 중고강도, 201∼400kg/㎠m의 고강도, 이의 이상인 초고강도, b2) 밀도가 0.1∼0.5t/㎥의 저밀도, 이의 이하인 초저밀도, 0.51∼1.0t/㎥의 중저밀도, 1.1∼1.5t/㎥의 중밀도, 1.51∼2.0t/㎥의 중고밀도, 2.1∼3.0t/㎥의 고밀도, 이의 이상인 초고밀도, b3) 투수계수가 10^(-15∼-10)㎝/sec의 저투수성, 이의 이하인 초저투수성, 10^(-9∼-6)㎝/sec의 중저투수성, 10^(-5∼-3)㎝/sec의 중투수성, 10^(-2∼+1)㎝/sec의 중고투수성, 10^(+2∼+5)㎝/sec의 고투수성, 이의 이상인 초고투수성 중 하나인 상기 보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시설은 시설 1, 시설 2, 시설 3, 시설 4; 이중 둘 이상 복합시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시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되는 시설; 등이다. 상기 시설 1은 집, 건물, 주택, 가옥, 주택, 단독주택, 공동주택, 조립주택, 강철주택, 철골주택, 케노피건물, 케노피주택, 이동주택, 컨테이너주택, 한옥, 양옥, 황토방, 상가,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 저층건물, 고층건물, 초고층건물, 하우스, 목조주택, 목조건물, 인공목조주택, 합성목조주택, 황토주택, 기와집, 전통집, 한옥집, 토담집, 볏집, 전통건물, 문화재, 문화재건물, 지하실, 지하도, 지하건물, 수중건물, 지상건물, 공중건물, 부유건물, 식물공장, 도시농장, 농장건물, 식물농장건물, 식물공장건물, 도시농장건물, 어번팜건물, 하우스, house, 비닐하우스, 유리하우스, 펜트하우스(Pent House), 플라스틱하우스, 고분자합성재하우스, 목재하우스, 투명하우스, 반투명하우스, 불투명하우스, 농장하우스, 식물하우스, 식물농장하우스, 에너지제로하우스,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메타버스하우스, 경작대, 경작판, 경작툴, 경작수단, 식물농장, 식물공장, 식물차량, 식물트럭, 식물농장컨테이너, 철재건물, 강재건물, 강철건물, 철근건물, 철콘건물, 철골건물, 조립건물, 컨테이너, 컨테이너주택, 이중 둘 이상의 복합시설 등이다. 상기 펜트하우스는 펜트하우스, Pent House, Penthouse; 또는 아파트, 호텔, 주상복합, 고층건물 등의 최고층, 맨위층, 상층부, 고급스러운 주거공간;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강철주택, 철골주택, 컨테이너주택 등은 철, 강, 강척, 철골, 컨테이너 등이 이용 또는 포함되는 주택이다. 그리고 케노피건물, 케노피주택은 케노피가 있는 건물, 주택 등을 나타낸다.
상기 하우스에는 분양하우스, 모델하우스, 사이버하우스, 사이버모델하우스, 사이버분양하우스, 메타버스하우스, 메타버스모델하우스, 메타버스분양하우스, 가상공간 하우스, 가상공간 모델하우스, 가상공간 분양하우스, 아파트 모델하우스, 아파트 사이버모델하우스, 아파트 메타버스 모델하우스 등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앱, PC, 사이버, 3차원세계, 플랫폼, 가상공간, 핸드폰앱, 메타버스, 3차원공간 등에 모델하우스 조성; PC 또는 핸드폰을 통하여 상기 모델하우스 들어가기; 상기 모델하우스 구경하기; 상기 하우스에 아바타 조성; 상기 아바타가 상기 모델하우스 구경하기; 상기 하우스에 대하여 상담하기; 상기 하우스에 대하여 직원과 손님이 상담하기; 상기 하우스 계약하기; PC 또는 핸드폰을 통하여 상기 하우스 계약하기; 모델하우스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 사이버 상으로 구경, 상단, 계약; 등이 가능하다.
상기 시설 2는 철탑, 기둥, 굴뚝, 울타리, 가로등, 터널, 도로터널, 철도터널, NATM터널, TBM터널, Shield터널, TBM-Shield수저터널, 수중터널, 수침터널, 침매터널, 윈드터널, 지하터널, 피암터널, 개착터널, 공중터널, 방음벽, 방음터널, 도로, 차도, 보도, 인도, 철도, 궤도, 트랙, 포장, 포장체, 활주로, 운행로, 운항로, 도시, 안전, 구조, 지반, 기초, 다리, 교량, 도로교량, 철도교량, 육교, 교대, 교각, 윈드교량, 공중교량, 댐, 흙댐, 토사댐, 사력댐, 시멘트댐, 콘크리트댐, 아치댐, 사방댐, 제방, 흙제방, 토사제방, 사력제방, 시멘트재방, 콘크리트재방, 하천제방, 하천, 해양, 항만, 해안, 호안, 호수, 수로, 안벽, 물양장, 하구언, 방파제, 방조제, 해양구조물, 보, 수중보, 지상부, 수면보, 수상보, 하천보, 4대강보 등이다.
상기 시설 3은 시설, 시설물, 건축물, 구조물, 조형물, 조경물, 지하철, 구조물, 시설물, 가시설, 옹벽, 보강토옹벽, 석축, 지중벽, 흙막이벽, 차수벽, 반응벽, 복합벽, 설비, 플랜트, 조경시설물, 매립장, 쓰레기매립장, 발전소, 태양발전소, 풍력발전소, 해상풍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수력발전소, 조력발전소, 파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흙구조물, 흙막이, 흙막이시설, 토사구조물, 토공구조물, 사면구조물, 법면구조물, 수리구조물, 해양구조물, 시멘트구조물, 콘크리트구조물, 레미콘구조물, 목재구조물, 철재구조물, 철골구조물, 지하구조물, 수중구조물, 지상구조물, 공중구조물, 부유구조물, 조립구조물, 지면구조물, 지중구조물, 수면구조물, 수중구조물, 수리구조물, 공중구조물, 건물시설, 수리시설, 정화시설, 수소시설, 도로시설, 교통시설, 지하시설, 수중시설, 지상시설, 공중시설, 공원시설, 놀이시설, 우주시설, 발사체, 발사시설,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차정거장, 우주정거장, 메타버스시설, 메타버스시설물, SOC시설물, 공공시설물, 개인시설물, 공원시설물, 수처리시설물, 폐수처리시설물, 정화시설물, 수리시설물, 건축시설물, 토목시설물, 환경시설물, 조경시설물, 도로시설물, 철도시설물, 교통시설물, 발전시설물, 인테리어시설물, 상하수도시설물, 지하시설물, 수중시설물, 지상시설물, 공중시설물, 부유시설물 등이다.
상기 시설 4는 집, 건물, 주택, 가옥, 주택, 단독주택, 공동주택, 조립주택, 케노피건물, 케노피주택, 이동주택, 컨테이너주택, 한옥, 양옥, 황토방, 상가,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 저층건물, 고층건물, 초고층건물, 하우스, 이동주택, 목조주택, 목조건물, 인공목조주택, 합성목조주택, 황토주택, 기와집, 전통집, 한옥집, 토담집, 볏집, 전통건물, 문화재, 문화재건물, 지하실, 지하도, 지하건물, 수중건물, 지상건물, 공중건물, 부유건물, 식물공장, 도시농장, 농장건물, 식물농장건물, 식물공장건물, 도시농장건물, 어번팜건물, 하우스, 비닐하우스, 유리하우스, 플라스틱하우스, 고분자합성재하우스, 목재하우스, 투명하우스, 반투명하우스, 불투명하우스, 농장하우스, 식물하우스, 식물농장하우스, 에너지제로하우스, 식물농장컨테이너, 메타버스집, 메타버스건물, 메타버스주택, 철재건물, 강재건물, 철근건물, 철콘건물, 철골건물, 조립건물, 컨테이너, 컨테이너주택, 철탑, 기둥, 굴뚝, 울타리, 가로등, 터널, 도로터널, 철도터널, NATM터널, TBM터널, Shield터널, TBM-Shield수저터널, 수중터널, 수침터널, 침매터널, 윈드터널, 지하터널, 피암터널, 개착터널, 공중터널, 방음벽, 방음터널, 도로, 차도, 보도, 인도, 철도, 궤도, 포장, 포장체, 활주로, 운행로, 운항로, 지반, 사면, 법면, 비탈면, 절개면,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다리, 교량, 도로교량, 철도교량, 육교, 교대, 교각, 윈드교량, 공중교량, 댐, 흙댐, 토사댐, 사력댐, 시멘트댐, 콘크리트댐, 아치댐, 사방댐, 제방, 흙제방, 토사제방, 사력제방, 시멘트재방, 콘크리트재방, 하천제방, 하천, 해양, 항만, 해안, 호안, 호수, 수로, 안벽, 물양장, 하구언, 방파제, 방조제, 해양구조물, 보, 수중보, 지상보, 수면보, 수상보, 하천보, 4대강보, 시설물, 건축물, 구조물, 조형물, 조경물, 지하철, 옹벽, 보강토옹벽, 석축, 지중벽, 흙막이벽, 차수벽, 반응벽, 복합벽, 설비, 플랜트, 조경시설물, 매립장, 발전소, 쓰레기매립장,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흙구조물, 토사구조물, 토공구조물, 사면구조물, 법면구조물, 수리구조물, 해양구조물, 시멘트구조물, 콘크리트구조물, 레미콘구조물, 목재구조물, 철재구조물, 철골구조물, 지하구조물, 수중구조물, 지상구조물, 공중구조물, 부유구조물, 조립구조물, 지면구조물, 지중구조물, 수면구조물, 수중구조물, 수리구조물, 공중구조물, SOC시설물, 공공시설물, 개인시설물, 공원시설물, 수처리시설물, 폐수처리시설물, 정화시설물, 수리시설물, 건축시설물, 토목시설물, 환경시설물, 조경시설물, 도로시설물, 철도시설물, 교통시설물, 발전시설물, 인테리어시설물, 상하수도시설물, 지하시설물, 수중시설물, 지상시설물, 공중시설물, 부유시설물; b) 또는 봉, 대, 판, 망, 메쉬, 격자, 섬유, 시트, 매트, 철근, 철망, 철골, 세라믹, 화이버, 케이지,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상기 집 내지 부유시설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지반 조사, 지형 조사, 시료 채취, 상기 채취 시료 시험, 상기 조사 및 시험에 의한 지반 정보, 상기 정보를 이용한 설계 및 구조해석, 아파트 설계도 완성, 상기 아파트의 분양, 상기 아파트의 계약, 상기 아파트의 공사 착공, 상기 공사를 하는 사람 및 장비, 상기 사람에 장착된 센서, 상기 장비에 구비된 트래커, 상기 공사 현장에 설치된 계측기, 상기 센서에 의한 사람의 이동 동선 파악, 상기 트래커에 의한 장비의의 이동 동선 파악, 상기 계측기에 의한 현장의 응력 및 변형 계측, 상기 파악 및 계측에 의한 사람과 장비와 현장의 안전성 분석, 상기 분석에 의한 적정의 안전 조치, 상기 현장을 드론이 비행하면서 촬영 및 관측, 상기 센서와 트래커와 계측기와 드론에 의하여 얻어진 정보를 무선 송신, 상기 정보를 서버에 저장, 상기 정보를 전산처리, 상기 정보를 폰이나 컴퓨터로 제공, 상기 아파트의 중도금 입금, 상기 공사 연속 수행, 상기 공사 준공, 상기 아파트의 잔금 입금, 상기 아파트에 주민 입주, 상기 입주한 주민 생활 등을 폰, SNS, 컴퓨터, 단말기, 디스플레이, 가상공간, 3차원 가상공간 등으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기초는 기초, 파일, 피어, 기둥, 케이슨, 基礎, foundation, 핀기초, 강기초, 철기초, 강철기초. 돌기기초, 돌기 구비 기초, 파일기초, 마이크로파일기초, 고화기초, 고결기초, 개량기초, 기둥기초, 주입기초, 분사기초, 믹싱기초, 컴팩션기초, 인젝션기초, 그라우팅기초, 보강기초, 스크류기초, 믹스기초, 내진기초, 지중기초, 표층기초, 지하기초, 중층기초, 심층기초, 지반기초, 시설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건물기초, 교량기초, 구조물기초, 아파트기초, 시설지지기초, 가변기초, 팽이기초, 확장기초, 확장판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현장타설기초, 고화체와 보강재의 결합기초, 두께 2m 이하의 표층기초, 심도 15m 이하의 중층기초, 심도 15m 이상의 심층기초, PRD(percusiion rotary drill)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기초, PRD(percusiion rotary drill)로 조성된 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로 조성된 기초,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초 등이다.
상기 파일은 파일, 기둥, 지중파일, 목재파일, 공장파일, 현장파일, PHC파일, 콘크리트파일, 현장타설파일, 샌드콤팩션파일(SCP; sand compaction pile), 자갈콤팩션파일(GCP; gravel compaction pile), 쇄석콤팩션파일(CCP;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슬래그콤팩션파일(SCP; slag compaction pile), CIP(cast in place pile), 공장에서 제작된 파일, 지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조성된 파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피어는 피어, 기주(基柱), 단면이 사각형인 피어, 단면이 원형인 피어, 길이 또는 심도가 15m 이상인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케이슨은 케이슨, 박스 형상의 박스케이슨, 원통 형상의 원통케이슨, 사각형 현상의 사각형케이슨, 내부 중공의 중공케이슨, 철재케이슨, 철골케이슨, 콘크리트케이슨, 길이 또는 심도가 30m 이상인 기초, 수상이나 육상에서 제작한 속이 빈 콘크리트 구조물, 오픈케이슨(open caisson), 상부가 오픈되면서 굴착되고 굴착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가 삽입되어 조성되는 오픈케이슨(open caisson), 상부가 닫히면서 굴착되고 굴착 내부에 공기가 투입되어 굴착 내부로 물이나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굴착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가 삽입되어 조성되는 공기케이슨(pneumatic caisson), 자중이나 적재하중에 의하여 지지층까지 침하시킨 후 모래, 자갈,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이 속채움된 기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핀기초, 강기초, 철기초, 강철기초. 돌기기초, 파일기초, 마이크로파일기초 중 하나는 핀(pin), 강(鋼), 철, 강철. 철근, 철골, 금속, 강관, 돌기, 파일, 강관파일, 소구경파일,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의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핀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포함 또는 형성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에 상기 핀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삽입된 기초이다.
a) 상기 고화기초는 토사(soil)와 고화재(binder)가 고화된 기초(foundation)이거나, 또는 상기 고화기초 내지 그라우팅기초 중 하나이다. b) 상기 고결기초는 바인더, 흙이 고결되어 형성된 기초이다. c) 상기 개량기초는 지반이 개량된 기초이거나, 개량재가 지반 또는 기초에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d) 상기 기둥기초는 기둥(column)형상의 기초이거나 또는 재료가 지반에 침투되어 조성된 기둥형상의 기초이다. e) 상기 주입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주입(injection, grouting)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f) 상기 분사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분사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g) 상기 믹싱기초는 고화재가 지반에 믹싱(mixing)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h) 상기 컴팩션기초는 재료 또는 고화재가 지반에 다짐(compaction)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i) 상기 인젝션기초는 재료 또는 고화재가 지반에 인젝션(injection)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j) 상기 그라우팅기초는 재료 또는 그라우팅재가 지반에 그라우팅(grouting)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k) 상기 보강기초는 보강재가 삽입된 기초, 또는 기초에 보강재가 삽입된 기초이다.
a) 상기 스크류기초는 지중에 삽입된 또는 회전압입되어 삽입된 스크류기초이다. b) 상기 확장기초는 기초의 선단, 하단, 중간, 일부, 일부분 등이 확장된 기초이다. c) 상기 확장판기초는 선단, 하단, 중간, 일부, 일부분 등에 확장판이 장착된 기초이다. d) 상기 믹스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교반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e) 상기 믹싱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믹싱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f) 상기 내진기초는 지진보강, 내진보강, 지진대비 등의 기초이다. g) 상기 지중기초(underground foundation)는 지중에 조성된 기초, 또는 가변 날개가 장착된 롯드에 의하여 지중에 바인더가 믹싱되어 형성된 기초이다. h) 상기 표층기초(surface foundation)는 두께 2m 이하의 표층기초, 또는 기초의 조성 시에 발생된 잔토, 슬라임 중 하나 이상과 바인더가 교반된 후 지면에 포설, 다짐, 고결되어 조성된 표층 기초이다. i) 상기 얕은기초는 얕은기초(shallow foundation), 자신의 폭이 길이보다 큰 기초, 자신의 폭이 길이의 1.5배 이상인 기초, 상기 깊은기초보다 길이 또는 심도가 얕은 기초 중 하나이다. j) 상기 깊은기초는 깊은기초(deep foundation), 자신의 폭이 길이보다 작은 기초, 자신의 폭이 길이의 1.5배 이하인 기초, 상기 얕은기초보다 길이 또는 심도가 깊은 기초 중 하나이다.
a) 상기 지반기초는 지반에 조성된 기초이다. b) 상기 시설기초는 시설을 지지하는 기초이다. c) 상기 시설지지기초는 시설의 지지를 위하여 시설 하부에 설치되는 기초이다. d) 상기 표층부 기초는 지중 기초의 상부에 거치된 표층부 기초, 또는 일정의 두께를 가진 표층부 기초, 또는 표층 고화체로 구성된 기초이다. e) 상기 가변기초는 가변기초, 변화기초, 단면변화기초, 변단면기초, variable foundation, variable shape foundation 중 하나이거나, 또는 폭, 직경, 단면, 형상, 길이 방향의 형상, 길이 방향의 단면 중 하나가 변화되는 기초이다.
상기 변단면기초는 변단면기초, 단면이 변하는 기초, 단면의 형상 또는 크기가 변하는 기초, 길이 방향으로 단면이 변하는 기초, 길이 방향으로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기초, 길이 방향으로 단면이 점점축소 또는 점점확대되는 기초, 상부는 원통 형상이고 중간은 콘 형상이고 하부는 상부의 원통보다 작은 원통 형상을 이루는 기초,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단면의 형상이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길이 또는 지중 방향으로 단면의 형상이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길이 또는 지중 방향으로 단면의 형상이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원통형상의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중 하나이다.
a) 상기 원통부 기초는 원통 형상의 기초, 또는 하기 콘부 기초의 상부에 거치된 기초, 또는 지중 원통 기초, 또는 지반에 바인더가 주입되어 조성된 원통부 기초이다. b) 상기 콘부 기초는 a) 콘 형상의 기초, 지중 콘 기초, 상기 원통부 기초의 하부에 거치된 기초, b) 또는 자신의 중앙 축 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차 축소되는 콘부 기초, c) 또는 상기 원통부 기초의 조성에 이용되는 2개 이상 동일 날개보다 길이가 짧으면서 점축되는 2개 이상 가변 날개가 이용되어 조성되는 콘부 기초 중 하나이다. c) 상기 꼬리부 기초는 기초의 하부를 이루는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콘부 기초의 하부에 거치된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원통부, 콘부, 콘부 상단, 콘부 중간 중 하나의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콘부 하단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원통형 꼬리부 기초이다.
상기 물질, 재료, 자재, 장비, 장치,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시설 내지 구조물, 안전 내지 크리닝,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서는 또는 등에 의하여 일정의 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작용은 작용 1, 작용 2, 작용 3 등이다. 상기 작용 1은 자화, 진동, 가진, 살균, 멸균, 항균, 제균, 소독, 제독, 해독, 방역, 방제, 방재, 청정, 정화, 정수, 청소, 세척, 세탁, 빨래, 세정, 연마, 회전,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작용 2는 오염, VOC, SOx, NOx, 분진, 먼지,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면, 표면, 유리, 외벽, 시설, 건물, 터널, 도로, 물질, 물체, 사물, 만물,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이 되는 것이다. 상기 작용 3은 a) 자화, 진동, 가진, 살균, 멸균, 항균, 제균, 소독, 제독, 해독, 방역, 방제, 방재, 청정, 정화, 정수, 청소, 세척, 세탁, 빨래, 세정, 연마, 회전, 혼합, 교반, 순환, 분산, 확산, 폭기, 충격, 파쇄, 분쇄, 처리, 자극, 가속, 와류, 이류, 흔듬, 경화, 고화, 응고, 고결, 본딩, 바인딩, 자성화, 미립화, 세립화, 미분화, 세분화, 연무화, 유동화, 액상화, 활성화, 폭기화, 분산화, 청정화, 정화화, 면정리, 면마감, 마사지, 쉐이킹, 장운동, 위운동, 신체운동, 혈액순환, 피로회복, 반응촉진, 수반응, 액반응, 수화반응, 화학반응, 물리반응, 나노반응, 미세반응, 미세화반응, 토네이도, 허리케인, 성장촉진, 발아촉진, 식생촉진, 녹화촉진, 식물성장촉진, 바이오반응, 포졸란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자기장화, 자화수화, 육각수화, 미스트화, 슬러리화, 케비테이션, 에너지상승, 자장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오존살균, 음이온살균, 오존소독, 음이온소독, 오존청정, 음이온청정, 오존정화, 음이온정화; b) 물질을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정화, 물체를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정화; c) 물질 또는 물체의 성질, 특성, 기능, 성능, 점성, 강성, 강도, 양생, 작업성, 분사성, 주입성, 부착성, 반응성, 방수성, 에너지, 정화성, 처리성, 건전성, 건강성, 신진대사, 혈액순환, 워커빌리티 중 하나 이상을 촉진, 향상, 변경, 변화; d)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정화 중 하나 이상 촉진, 가속, 증진, 증강, 향상, 변경, 변화; e) 상기 자화 내지 변화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또는 복합작용; f) 상기 자화 내지 복합작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작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자화기에 의한 자화, 진동하는 진동기, 가진되는 물질, 사람에 의한 살균, 청정기에 의한 멸균, 항균하는 물질, 장비에 의한 제균, 드론에 의한 소독, 압전기에 의한 제독, 해독하는 열전기, 방역하는 미스트기, 오존기에 의한 방제, 공사 현장의 방재, 제조 공장을 청정, 상수도를 정화, 지하수를 정수, 청소하는 장치, 세척되는 배관, 세탁하는 사람, 세탁되는 빨래, 모뎀이 이용되는 세정, 허브가 구비된 장치에 의한 연마, 회전하는 장치, 상기 작용을 하는 물질, 재료에 의한 상기 작용, 상기 작용이 발현되는 자재, 장비에 의하여 구현되는 상기 작용, 상기 작용이 구현되는 장치 등이 구현되거나 방영되는 메타버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단, 방법, 공법, 내용, 작업, 업무, 공사, 건설, 안전, 제어, 케어, 무인화, 자동화, 청정, 정화, 살균, 방역, 장비, 장치, 시설, 사물, 만물, 자재, 시스템, 청구항, 작업방법, 공사방법, 공사관리, 공정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자동관리, 출입관리, 청정관리, 안전관리방법, 사고방지방법, 필드수단, 웨어러브수단,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대한 실시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시예 a는 a) 웨어러블 수단(2), 이를 착용한 로봇(30) 또는 작업자(30), 상기 작업자에 의한 작업 또는 공사, 상기 로봇(30)에 의한 무인화 및 자동화 작업, 상기 작업자의 스마트폰(35), 상기 수단(2)에 구비된 센서(11), 상기 작업 공간에 구비된 계측기(18), 상기 공사를 하는 장비(41), 상기 작업 상부를 비행하는 드론(42), 상기 장비에 구비된 감지기(11, 18), 상기 드론에 구비된 측정기(11, 18) 및 분사기, 상기 공간에 구비된 청정기 및 살균기, 상기 센서에 의한 안전지도 및 사고방지, 상기 계측기에 의한 시설의 응력 및 변형 계측, 상기 감지기에 의한 장비의 사고방지, 상기 측정기에 의한 공기질 측정, 상기 분사기에 의한 먼지 제거, 상기 청정기 및 살균기에 의한 청정 및 살균; b) 상기 수단 내지 살균기 등에 순차적으로 연계된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디스플레이, 관제센터; c) 상기 수단 내지 관제센터 등에 설치된 앱 또는 소프트웨어, 상기 수단 내지 앱 등에 구현되는 플렛폼, 상기 수단 내지 플렛폼 등에 의하여 구축된 자동관리시스템, 청정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복합수단;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한 안전, 사고방지, 무인화, 자동화, 청정, 정화, 방역, 방제, 살균, 소독;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b는 a) 현장, 공장, 농장, 가정, 곳, 장소, 시설, 주택, 건물, 아파트, 구조물, 작업장; b) 이중 하나에 구비된 수단, 기구, 가구, 제품, 가전, TV, 전자제품, 출구, 입구, 도어, 출입구; c) 상기 중 하나에 구비된 캠, 센서, 계측기, 카메라, CCTV; d) 상기 중 하나의 개, 동물, 생물, 로봇, 고양이, 반려동물,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e) 상기 개 내지 출입자 등에 착용된 캠, 센서, 수단, 기구, 계측기, 카메라, CCTV, 스마트폰,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f) 상기 현장 내지 복합수단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핸드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g) 상기 현장 내지 디스플레이 등에 설치된 앱; h) 상기 현장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된 본사, 센터, 사무실, 관제센터; i) 상기 현장 내지 관제센터 등에 구비된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j) 상기 현장 내지 관제센터 등을 비행하는 드론, 비행기; k) 상기 현장 내지 비행기 등에 구비된 상기 캠 내지 방제기; ℓ) 상기 현장 내지 비행기 등을 제어하는 버튼, 스위치, 리모콘, 조정기, 조종기, 제어기, 컨트롤러, 리모트컨트롤러; m) 상기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기 현장 내지 비행기; n) 상기 제어기에 의하여 원격제어되는 상기 현장 내지 비행기; o) 상기 캠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등에 의한 안전관리, 자동관리, 청정관리, 방역관리, 홈케어, 건강케어, 스마트케어, 원격제어, 자동제어, 안전제어, 자율제어, 자동가동, 자율가동, 오토메이션, 유비쿼터스, 홈가전자동제어, 홈오토메이션, 공장오토메이션, 현장오토메이션; p) 상기 캠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등이 구비되는 안전관리시스템, 자동관리시스템, 청정관리시스템, 방역관리시스템, 오토메이션시스템, 유비쿼터스시스템, 복합수단; 등이 해당된다. 상기 동물은 개, 닭, 새, 소, 돼지, 동물, 생물, 짐승, 고양이, 반려동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구는 등, 전등, 가구, 침대, 의자, 식탁, 쇼파, 매트, 가전, 싱크대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전은 TV, PC, 전축, 밥통, 쿠커, 시계, 오디오, 냉장고, 세탁기, 전열기, 가습기, 레인지, 모니터, 스크린, 영사기, 영상기, 청소기, 가스레인지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c는 a) 캠,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홈캠, 필드캠, CCTV,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b) 이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헬멧, 안경, 완장, 의류, 의복, 조끼, 멜빵, 밴드, 손목밴드, 시계, 안전화, 안전고리,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c) 상기 캠 내지 웨어러블수단 등이 구비된 드론, 장비, 장치, 로봇,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d) 상기 캠 내지 방역기 등이 구비된 현장, 공장, 농장, 가정, 곳, 장소, 시설, 주택, 건물, 아파트, 구조물, 작업장; e) 상기 현장 내지 작업장 등에 이용되는 사물, 만물, 물질, 재료, 자재, 에코재, 바이오재; f) 상기 현장 내지 작업장 등에 구비된 기구, 가구, 제품, 가전, TV, 전자제품, 출구, 입구, 도어, 출입구, 상기 드론 내지 방역기; g) 상기 현장 내지 작업장 등을 이동하는 개, 동물, 생물, 로봇, 드론, 고양이, 반려동물,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h) 상기 개 내지 출입자 등에 구비된 상기 캠 내지 웨어러블수단; i) 상기 캠 내지 웨어러블수단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클라우드; j) 상기 캠 내지 클라우드 등에 설치되는 앱, 어플; k) 상기 캠 내지 어플 등을 제어하는 조정기, 제어기, 컨트롤러; ℓ) 상기 컨트롤러에 의한 상기 캠 내지 어플의 제어, 가동, 운전, 관리, 원격조정; m) 상기 캠 내지 원격조정 등에 의한 자동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n) 상기 캠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의한 안전, 사고방지, 재해방지, 안전화,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방역, 방제; o) 상기 캠 내지 방제 등에 대한 관리, 대책, 대안, 기술, 방법, 공법, 방안, 시스템, 플랫폼;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d는 작업자(30)의 신체, 헬멧(21), 장구류92) 등에 장착된 카메라(14)에 의하여 작업자(30)의 활동 영역을 촬영하고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에 비콘(51) 또는 비콘리더기(51)가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에 연결된 관리서버(70)를 통하여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현장에 대한 영상을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 영상을 분석하여 현장에서의 위험요소 및 사고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비콘 또는 비콘리더기로부터 송신하는 위치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건설 현장 내에서 근로자(3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비콘은 비콘칩이 내장된 PCB 기판과 배터리와 상기 PCB 기판 및 배터리가 내재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배면에 구성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70) 또는 이에 연결된 처리장치(80)에서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된 비교모델과 상기 영상신호의 모니터링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건설 현장(100)과 근로자(30)에 대한 위험요소와 사고유무를 판단하고, 그 결과 정보를 출력 및 모니텅링하는 것이다.
실시예 e는 웨어러블수단(2)과 네트워크(50, 60)를 이용한 안전관리시스템(1); 상기 웨어러블수단에 포함된 심박 센서(11)와 가속도 센서(11)로부터 작업자(30)의 심박수와 작업자(30)의 순간 가속도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서버(70); 상기 심박수와 상기 순간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의 작업 강도와 상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판단하는 상기 서버(70) 또는 처리장치(80); 상기 작업 강도와 상기 안전 상태에 기초하여 경고 얼람 등급을 판단하는 상기 서버 또는 처리장치; 상기 얼람 등급과 안전 상태를 상기 웨어러블수단(2)이나 관리자앱(30) 등에 전송하는 상기 서버 또는 처리장치; 상기 작업 강도는 상기 작업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이 상기 작업자의 신체에 주는 부하의 정도를 의미; 상기 안전 상태는 상기 작업자에게 현재 사고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사고 감지와 상기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음을 나타내는 위험 상태를 포함;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f는 건설현장(100)의 작업자들(30) 상태를 촬영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드론(42); 상기 현장에서 작업하는 장비(41); 상기 드론이나 장비에 장착된 센서(11); 상기 작업자(30)에 착용되는 웨어러블기기(2); 상기 기기에 장착되어 건설현장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드론 및 센서 및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센싱 정보를 수신받아 건설현장의 작업자들 간의 안전도를 평가하고 안전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서버(70); 상기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된 안전평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35, 90);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g는 a) 작업자(30)에 착용되는 것으로 센서(11)가 장착된 헬멧, 조끼, 멜빨 등의 웨어러블 수단(2); b) 상기 작업자(30)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상기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생체센서; 상기 작업자의 근접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 상기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GSP 또는 위치센서; 작업 공간의 환경을 측정하는 환경센서; 작업 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센서; c)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서 정보를 통신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비콘(beacon)장치 또는 RFID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상기 작업자(30)에 소지되는 스마트폰(35) 또는 단말기(90);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서 정보를 전송 또는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장치(50, 60); d)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70); 상기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통신장치로 알림을 제공하는 서버(70); e) 상기 센서 정보에 의하여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여부, 작업자의 휴식 상태, 작업자의 작업 상태, 작업자의 이동 상태, 작업자의 생체 이상 상태, 작업자의 사고 상태, 작업자의 추락 여부 등을 파악하는 서버(70) 또는 처리장치(80); f) 상기 파악 후 작업자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서버 또는 처리장치; g) 관리자(31)에 소지되는 스마트폰(35) 또는 단말기(90); 총괄자(32)에 소지되는 스마트폰(35) 또는 단말기(90); 인터넷상의 이용자(33)에 소지되는 스마트폰(35) 또는 단말기(90);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h는 현장(100)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4); 현장의 정보를 획득하여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송신기(50, 60); 작업자가 보유하며 상기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90) 또는 스마트폰(35); 상기 송신기의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단말기; 상기 신호를 수신받아 데이터를 수집함과 동시에 영상신호 및 사고대응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관제센터(120); 상기 송신기 또는 단말기에는 라이트가 조사될 수 있게 피난유도하는 라이트모듈; 상기 송신기 및 단말기에 비콘(beacon)신호를 무선통신망으로 이용하여 상호무선 송신하도록 하는 비콘센서; 상기 비콘센서에 따른 비콘신호가 감지되면 작업자로부터 확인가능한 자체적인 경보를 하는 상기 단말기; 상기 비콘센서에 따른 비콘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관제센터에 경보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단말기 또는 송신기; 상기 송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플랫폼를 통해 재난 정보를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피난경로를 생성시키도록 하는 상기 관제센터(120); 작업자의 피난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피난유도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상기 관제센터;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다운로드되는 앱 또는 프로그램; 상기 관제센터에 따른 현장 안전관제영역 내 안내지도를 공유하여 작업자와 관리자 간에 상호 참여가능한 커뮤니티맵핑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앱 또는 프로그램;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i는 센서, 모듈, 화재감지센서, 유해가스 감지센서, 산소농도 감지센서침수감지센서, 기상정보 수집모듈, 소음정보 수집모듈, 진동정보 수집모듈, 환경정보수집모듈, 네트워크망, 중계기, 건설현장 내에 설치된 CCTV, 장비에 설치된 CCTV, 타워크레인에 설치된 CCTV, 상기 CCTV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판단모듈, 타워크레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타워크레인 상태확인모듈, 작업자와 중장비 및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모듈, 상기 중계기로부터 네트워크망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70), 상기 서버로부터 연산된 정보를 전송받아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90) 또는 디스플레이부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j는 a) 작업장(100)에 이용되는 드론(42), 장비(41), 계측기(18), 장치, 공사장비, 작업장비; b) 작업자(30)가 착용하는 웨어러블수단(2); c) 상기 드론 또는 장비 또는 수단에 구비된 카메라(14),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을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통신기(50, 60),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및 통신기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장비가 가동되는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정보, 근로자의 개인 정보, 근로자의 식별 코드 등이 저장된 서버(70) 또는 단말기(90), 상기 식별 코드에 매칭된 작업자의 안전 보호구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상기 통신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에서 근로자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상기 추출된 이미지에서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 보호구의 식별 코드 영역을 인식 및 추출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싱기 추출된 식별 코드 영역에서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식별 번호로 변환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상기 변환된 식별 번호를 기저장된 근로자 정보와 검색 및 비교하여 해당 근로자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상기 추출된 해당 근로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근로자의 안전 보호구 착용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상기 정보를 분석하는 처리장치(80),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90), 상기 서버가 구비된 관제센터(120)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k는 a) 작업자(30)의 신체에 착용되는 단말기(90), 카메라(14), 웨어러블수단(2); b) 상기 웨어러블수단에 구비되는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랜턴,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10); c) 상기 작업자가 작업장 내의 위험 영역으로서 미리 설정된 위험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 상기 진입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제센터(120) 또는 서버(90)로 전송, 상기 기구 및 카메라가 취득하는 정보 및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센터 또는 서버로 전송,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센싱부의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추락 및 낙상을 감지, 상기 서버 또는 단말기로 상기 진입에 따른 위험 경고음 발송, 상기 센싱부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포함, 상기 안전 단말기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 각각의 센싱값을 분석,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각각의 센싱값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영상의 변화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착용한 작업자의 추락 및 낙상 여부를 판단; d) 상기 관제센터 또는 서버에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이용자 단말기(90), 상기 관제센터 또는 서버에 저장된 정보가 인터넷으로 실시간 전달되는 이용자 단말기(90),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ℓ은 a)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42), 작업을 하는 장비(41); b) 작업자(90)에 착용되는 웨어러블수단(2); 이에 속하는 조끼, 멜빵, 헬멧, 손목밴드, 워치; c) 상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구비되는 센서(10, 11), 버튼(10, 12), 랜턴(10, 13), 카메라(10, 14), 무전기(10, 15), 알림기(10, 16), 램프(10, 17), 계측기(10, 18), 배터리(10, 19), 제어기(10, 20); d)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상에서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처리부가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얼굴 영역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여 얼굴 영역이 마스킹 처리된 영상을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기(50, 60); e) 상기 센서에 의한 정보가 무선 전송되어 저장되는 서버(70) 또는 단말기(90), 상기 서버 또는 단말기가 구비된 중앙관제센터(120),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연계되는 인터넷 상의 이용자 단말기(90), 상기 서버 또는 단말기에 설치되는 플랫폼,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m은 a)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42), 작업을 하는 장비(41); b) 작업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수단(2); 이에 속하는 조끼, 멜빵, 헬멧, 손목밴드, 워치; c) 상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구비되는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랜턴,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d) 현장에서 작업하는 장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현장의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추적기 또는 GPS, 상기 현장의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 상기 현장에서의 작업자의 움직임 및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카메라의 영상과 상기 추적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센서의 센싱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센서 내지 알림기 등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출력부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신하여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비콘(51) 또는 게이트웨이(52), 상기 비콘 또는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집하여 관리하는 서버(70), 상기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근거로 현장별 비상 상황 발생 여부 및 작업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관리자(31) 또는 처리장치(80), 현장에 비상 상황 발생 시에 얼람을 전송하는 서버(70); e) 상기 정보 등이 공급되는 단말기(90), 관리자 단말기 총괄자 단말기, 이용자 단말기; f) 상기 서버 또는 단말기에 설치되는 플랫폼,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n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1) 현장 조사, 지반 조사, 실내 시험, 설계 CAD(computer aided design) 도면 작성, 설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도면 작성,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공사; 2) 지상에 거치된 센서에 의한 각종 센싱, 지하에 거치된 계측기에 의한 각종 계측, 삼각대에 거치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에 의한 각종 관측; 3) 상기 센싱에 의하여 근로자 건강 체크, 근로자 이동 경로 파악, 장비 이동 경로 파악, 공기질 측정, 장비 및 자재 및 근로자 위치 파악; 4) 상기 계측에 의한 지반 및 구조물의 응력 및 변형 파악, 상기 촬영에 의한 작업 장면 실시간 파악, 상기 관측의 정보를 이용하여 공사되는 지형이나 구조물 등을 매핑(mapping); 5) 상기 매핑에 의하여 작업 현장을 도면화, 2차원 도면화, 3차원 도면화; 6) 상기 도면화에 의하여 시공되는 지형이나 구조물의 폭, 길이, 높이, 면적, 체적, 등고선 등 산정; 7) 상기 관측 및 매핑의 반복에 의하여 기간별 작업 현장의 도면화; 8) 상기 도면화에 의하여 기간별로 시공되는 지형이나 구조물의 폭, 길이, 높이, 면적, 체적 등 산정; 9) 오늘의 상기 폭, 길이, 높이, 면적, 체적 등에서 어제의 상기 폭, 길이, 높이, 면적, 체적 등을 제하여 오늘의 순수한 상기 폭, 길이, 높이, 면적, 체적 등 산정; 10) 상기 산정에 의하여 오늘의 공사량, 작업량, 토공량, 구조물건축량 등 산정; 11) 상기 산정을 반복하여 매일의 공사량, 작업량, 토공량, 구조물건축량 등 산정; 12) 상기 도면화에 의한 현재의 공사 상황 도면 작성; 13) 상기 작성 도면과 상기 설계 CAD 도면, BIM 도면 등 비교; 14) 상기 비교에 의하여 현재 또는 잔여의 공사량 산정; 15) 상기 비교에 의하여 현재의 공사 상황 도면이 상기 CAD 도면, BIM 도면 대로 시공되고 있는지 파악; 16) 상기 파악에 의하여 시공 오차 여부 평가, 상기 평가에 의하여 시공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이의 수정 시공 실시; 17) 실시간적으로 또는 매일의 상기 공사, 체크, 측정, 파악, 매핑, 도면화, 산정, 작성, 비교, 평가, 실시 등 수행; 18) 상기 체크 내지 실시 등을 2회 이상 반복, 상기 반복하면서 공사 계속 수행, 상시 수행하여 공사 완공, 상기 도면화에 의한 공사 완공도 작성; 19) 상기 완공도와 상기 설계 CAD 도면, BIM 도면 등 비교; 20) 상기 비교하여 설계대로 공사가 완공된 것 파악, 상기 파악하여 상기 공사 준공; 21) 상기 구조물의 준공, 분양, 입주, 생활; 22) 상기 조사 내지 생활 등에 통신망, 서버, 클라우드 연계; 23) 상기 조사 내지 생활 등에 관한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 제작; 24) 상기 앱 내지 메타버스 등 이용; 25)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앱 내지 메타버스 등 이용; 26) 상기 앱 내지 메타버스 등으로 상기 상기 조사 내지 생활 등 시청; 27) 상기 시청에 의하여 안전, 환경, 품질, 원격제어, 자동제어 등에 대한 관리;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 기술, 방법, 시스템, 청구항, 청구범위 등에 대하여 추가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기재된 1, 2, 5, 10, 40, 420, 421,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40, 441, 442, 443, 444, 445, 446 등의 부호는 상기 부호 1 내지 446 등에 해당하는 내용이 각 도면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도면에는 또는 각 도면의 내용에는 상기 시스템(1), 웨어수단(2), 수단 내지 복합수단(5), 사물(5), 만물(5), 웨어 장착 기구(10), 센서 내지 계측기(10), IT 내지 4차산업기술, 자화기 내지 기능물(430, 440), 칩 내지 복합요소(420), 기(器) 내지 복합기(421)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도면은 하나의 메타버스(97), 메타버스공간(100), 메타버스화면, 메타버스동영상, 3차원공간, 3차원가상공간(100), 3차원동영상공간 등이 되고, 이는 단말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플랫폼 등에서 시청이 가능하고, 이용자(30, 31, 32, 33)는 상기 메타버스 내지 3차원동영상공간 등에 출입이 가능하거나, 또는 이용자는 상기 공간에 아바타로 변신되어 출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 도면은 또는 도면에 대한 내용은 메타버스, 가상공간, 가상세계, 3차원 가상공간, 3차원 가상세계 등에서 구현 또는 방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타버스(97, 100)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되는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하여 메타버스(97, 100)가 구현될 수 있다. 메타버스(97, 100)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방영 또는 시청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도면에 설명되는 내용, 수단, 장비, 장치, 물질, 재료, 자재, 시설, 설비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 또는 메타버스(97) 또는 시스템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는 a) 공장(100), 현장(100), 가정(100), 작업장(100), 현장 사무실(110); b) 이에 있는 사람(30), 로봇(30), 근로자(30), 아바타(30), 필드수단(40), 장비(41), 트럭(41), 백호(41), 타워크레인(41), 드론(42), 가전(43), 제품(43), 가전제품(43), 삼각대(44), 조립대(45); c) 상기 사람에 구비되는 스마트폰(35), 웨어러블수단(2); d) 상기 웨어러블수단(2)에 속하는 헬멧(2, 21), 안경(2, 22), 완장(2, 23), 의류(2, 24), 의복, 조끼(2, 24), 멜빵(2, 25), 밴드, 손목밴드(2, 26), 시계(2, 27), 안전화(2, 28), 안전고리(2, 29); e) 상기 공장 내지 안전고리 등에 구비된 기구(10); f) 상기 기구(10)에 속하는 센서 또는 감지기(10, 11), 버튼 또는 SOS버튼(10, 12), 랜턴 또는 라이트(10, 13), 카메라 또는 CCTV(10, 14), 무전기 또는 마이크(10, 15), 알림기 또는 알림등(10, 16), 램프 또는 후방등(10, 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0, 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0, 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10, 20); g) 상기 가전 또는 제품(43)에 속하는 청정기(43), 정화기, 정수기, 청소기(43),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TV, 세탁기(43), 냉장고, 가전제품(43); h) 상기 공장 내지 가전제품 등에 연계되는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핸드폰(94), 플랫폼(96); i) 상기 서버, 단말기, 플랫폼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j) 또는 본사(120), 원거리(120), 관제센터(120), 관리자(31), 총괄자(32) 등에 구비된 단말기(90), 제어기(90), 디스플레이(90), 핸드폰(94); k) 또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등(33)에 구비된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ℓ) 상기 서버, 단말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에 설치되는 어플; m) 상기 서버, 단말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어플 등에 구현되는 플랫폼(96); n) 상기 공장 내지 플랫폼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1), 메타버스(97), 안전시스템, 자동시스템, 환경시스템, 안전관리, 원격관리, 방역관리, 안전관리시스템, 원격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홈오토메이션, 공장오토메이션, 현장오토메이션 등(1)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안전관리시스템(1)은 사람(30), 작업자(30), 아바타(30),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센서(10, 11) - 스마트폰(35), 비콘(51), 블루투스(51), 게이트웨이(52), 통신장치(50) - 통신망(60) - 서버(70) - 관리자(31) 단말기(90), 총괄자(31) 단말기(90), 컴퓨터(90), 모니터(90), 스크린(90), 종합관제센터(120) - 통신망(60) - 이용자(33) 단말기(94),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으로 또는 등의 순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장치(50)에 있어서 현장에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LTE)이 되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스마트폰(35), 스마트폰앱(35), 비콘(51), 블루투스 등이 사용되고, 터널이나 지하철이나 지하공간과 같이 현장에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LTE)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게이트웨이(52) 등이 사용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51)는 200∼300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권장되고,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은 GHz RF(radio frequency, 無線周波數), Sub-GHz RF 통신기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봇(30)은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을 하거나, 조력하는 로봇이다. 상기 아바타(30)는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을 하거나, 조력하는 아바타이다. 상기 장비(41), 트럭(41), 백호(41), 타워크레인(41) 등은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장비이다. 상기 드론(42)은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을 하거나 또는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의 상부를 비행하는 드론이다. 상기 비행하는 드론은 촬영, 녹화, 분사, 살수, 청정, 정화, 감시, 측정, 관찰 등을 할 수가 있다. 상기 컨트롤러(95)는 컨트롤러, 리모트컨트롤러, 제어기, 원격제어기,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원격으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원격으로 현장의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기, 원격으로 공장의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기, 원격으로 현장의 계측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본사에서 지사의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기, 집에서 현장의 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발주처에서 하청업체의 시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반대 개념도 가능하다. 이는 a) 본사(120), 원거리(120), 관제센터(120), 관리자(31), 총괄자(32) 등에 구비된 단말기(90), 제어기(90), 디스플레이(90); b) 또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등(33)에 구비된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등을 이용하여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등을 통하여 공장(100), 현장(100), 가정(100), 작업장(100), 사람(30), 로봇(30), 근로자(30), 아바타(30), 장비(41), 드론(42), 가전(43), 제품(43), 가전제품(43), 헬멧(21), 안경(22), 완장(23), 의류(24), 의복, 조끼(24), 멜빵(25), 밴드, 손목밴드(26), 시계(27), 안전화(28), 안전고리(29) 등에 구비된 상기 상기 사람 내지 가전제품, 센서 내지 계측기, 청정기 내지 가전제품 등을 자율조정, 원격조정, 무선조정, 원격관리, 무선관리, 안전관리 등을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메타버스, 홈오토메이션, 공장오토메이션, 현장오토메이션 등이 구현된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 또는 감지기에 의한 각종 센싱(10, 11), 버튼 또는 SOS버튼에 의한 구조 요청(10, 12), 랜턴 또는 라이트에 의한 조명(10, 13), 카메라 또는 CCTV에 의한 촬영(10, 14), 무전기 또는 마이크에 의한 연락(10, 15), 알림기 또는 알림등에 의한 위험 알림(10, 16), 램프 또는 후방등에 의한 야간형광(10, 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에 의한 계측(10, 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에 의한 전원 공급(10, 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에 의한 장비 제어(10, 20),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에 의한 상기 센서 내지 태양전지 제어(10, 20) 등이 가능하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관리시스템(1) 또는 안전관리시스템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는 a) 사람(30), 로봇(30), 근로자(30), 아바타(30), 필드수단(40),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청정기(43), 삼각대(44), 조립대(45); b) 이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수단 또는 웨어러블수단(2); c) 상기 사람 내지 웨어러블수단 등에 구비된 기구(10); d) 상기 기구(10)에 속하는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e) 상기 사람 내지 계측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f) 상기 서버, 단말기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g) 또는 본사(120), 원거리(120), 관제센터(120), 관리자(31), 총괄자(32) 등에 구비된 단말기(90), 제어기(90), 디스플레이(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h) 또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등(33)에 구비된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i) 상기 서버, 단말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에 구현되는 플랫폼(96), 메타버스(97); j) 상기 사람 내지 메타버스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서버(70)는 중앙관제서버(71), 플랫폼서버(72), GIS서버(73), 빅테이터서버(74), 빅테이터저장, 인공지능서버(75), 클라우드서버(76) 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서버, 통신망, 단말기, 처리장치 등에는 PC, 컴퓨터, 하드웨어, hardware, 소프트웨어, software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81), 기억장치,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입력장치(84), 출력장치(85)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현장이나 공장 등에 비치된 드론(42), 삼각대(44), 거치대(45), 드론에 구비된 기구(10), 삼각대에 구비된 기구(10), 거치대에 구비된 기구(10), 기구(10)가 구비된 드론(42), 기구(10)가 구비된 삼각대(44), 기구(10)가 구비된 거치대(45) 등에 의하여 센싱, SOS요청, 라이트, 촬영, 녹화, 무전, 경보알림, 등점멸, 계측, 전원공급, 장비제어 등이 되고, 이의 정보가 무선 송신되고, 상기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정보가 서버, 단말기, 플렛폼,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에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드론, 장비, 계측기를 이용한 안전관리시스템(1) 또는 안전관리시스템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는 a) 사람(30), 로봇(30), 동물(30), 아바타(30), 필드수단(40), 장비(41), 드론(42), 청정기(43); b) 이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수단 또는 웨어러블수단(2); c) 상기 사람 내지 웨어러블수단 등에 구비된 기구(10)인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d) 상기 사람 내지 제어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e) 상기 서버, 단말기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f) 또는 본사(120), 원거리(120), 관제센터(120), 관리자(31), 총괄자(32) 등에 구비된 단말기(90), 제어기(90), 디스플레이(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g) 또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등(33)에 구비된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i) 상기 서버, 단말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에서 제공되는 플랫폼(96); j) 상기 사람 내지 플랫폼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메타버스(97); 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 공장, 작업장, 아파트, 공사현장 등(100)에서의 안전관리시스템(1) 또는 안전관리시스템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는 a) 현장, 공장, 작업장, 아파트, 공사현장 등(100); b) 이에 있는 시설, 건물, 주택, 구조물, 공사중인 건물 등(101); c) 상기 현장이나 공장의 사무실(110); d) 상기 현장 내지 사무실 등에 있는 사람(30), 로봇(30), 동물(30), 아바타(30), 필드수단(40), 장비(41), 드론(42), 방역기(43); e) 상기 현장 내지 방역기 등에 구비된 스마트폰(35), 웨어러블수단(2); f) 상기 사람 내지 웨어러블수단 등에 구비된 기구(10)인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g) 상기 사람 내지 제어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h) 상기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등이 구비된 현장이나 공장의 사무실(110); i) 상기 서버, 단말기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j) 또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등(33)에 구비된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k) 상기 서버, 단말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에서 제공되는 플랫폼(96), 메타버스(97); ℓ) 상기 현장 내지 메타버스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등으로 구성되는 안전관리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등에 의하여 넓은 현장(100)이나 시공 중인 건물(101) 등에 있는 사람(30), 로봇(30), 동물(30), 아바타(30) 등의 이동, 경로, 궤적, 위치, 좌표, 고도, 위도, 경도, 층, 층수, 방, 호실, 실번호, 방번호, 현장에서의 작업 위치, 건물 내부에서의 거치 위치 등을 센터(120), 소장(32), 사장(32), 관리자(31), 앱이용자(33) 등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하여 사고 시에 근로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신속한 구조를 할 수가 있다. 상기 센서(11)로 사람의 건강을 실시간 체크, 상기 버튼(12)으로 SOS 요청, 상기 랜턴(13)으로 빛조명, 상기 카메라(14)에 의하여 작업 장면을 실시간 영상 관찰, 상기 무전기(15)로 교신, 상기 알림기(16)로 사고 알림, 상기 램프(17)로 야간등 표시, 상기 계측기(18)로 시설의 응력이나 변형을 실시간 검측, 상기 배터리(19)로 전원 공급, 상기 제어기(20)로 장비 제어 등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공사현장; b) 이중 하나와 동일한 3차원의 가상공간, 메타버스 상의 3차원의 가상공간; c) 상기 공간이 조성된 앱, 플랫폼, 컴퓨터; d) 상기 현장의 장비, 드론, 자재, 사람, 인간, 아바타, 건물, 비계, 형틀, 건자재; e) 상기 현장에 구비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f) 상기 장비 내지 건자재 등에 부착된 ID칩, IDtag, 바코드; g) 상기 ID칩, IDtag, 바코드 등의 인식장치; h) 상기 수단에 속하는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 카메라에 의한 영상 정보; 게측기에 의한 계측 정보, 상기 인식장치에 의한 인식 정보 등을 송신하는 송신기; i) 상기 현장 내지 송신기 등에 연계된 비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j) 상기 현장 내지 처리장치 등에 연계된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k) 상기 현장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연계되는 플랫폼, 가상공간, 메타버스; ℓ) 상기 장비 내지 건자재 등의 이동 경로가 나타나는 플랫폼, 가상공간, 메타버스; m) 상기 현장에서의 건물이 축조되는 과정이 방영되는 플랫폼, 가상공간, 메타버스; n) 상기 플랫폼, 가상공간, 메타버스 등이 제공 또는 방영되는 앱, 어플, SNS,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o) 상기 정보가 제공되는 상기 서버 내지 메타버스; p) 상기 정보에 의하여 이동 경로, 사람 위치, 장비 위치, 자재 위치, 사람 안전, 장비 안전, 공기 환경, 방역 상태, 건물 축조, 공사 장면 등이 파악되는 상기 서버 내지 메타버스; q) 상기 파악에 의하여 경보, 경고, 알람, 통화, 통신, 조치, 대책마련, 자동경고 등을 하는 본사, 관리자, 총괄자, 관제센터, 상기 서버 내지 메타버스;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과 본사 간의 안전관리시스템 또는 안전관리시스템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는 2개 이상의 현장, 공장, 지사, 사무소, 가맹점, 대리점, 공사현장,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등(100)과 본사, 센터, 관제센터, 중앙관제센터 등(120) 간에 연계되는 시스템, 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을 나타낸다. 여기서 a) 2개 이상의 현장, 공장, 지사, 사무소, 가맹점, 대리점, 공사현장, 해외지사,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등(100)은 상기 도 5 및 도 6과 같이 각각 안전관리시스템(1)이 구축되고, b) 각 현장에 구비된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등에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등이 연계되어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정보가 본사의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 저장, 처리, 기록, 제공 등이 되고, c) 본사의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등에 통신망(60) 등이 연계되어 앱이용자의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메타버스(97) 등에 상기 정보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여 현장, 본사, 이용자 간에 전체적인 안전관리시스템(1)이 구축된다. 상기 이용자(33)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앱등록자,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직원, 대리, 차장, 과장, 부장, 이사, 상부, 전무, 소장, 사장, 근로자, 작업자, 아바타, 관리자, 총괄자, 안전관리시스템 이용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현장 내지 메타버스공간, 본사 내지 중앙관제센터 등에는 1개 이상 또는 1세트 이상의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플랫폼(96), 디스플레이(95), 메타버스(97)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현장1에 구비된 5개 센서, 현장2에 구비된 6개 카메라, 현장3에 구비된 10세트 계측기, 상기 5개 센서에 연계되는 현장사무실의 5개 모니터, 상기 6개 카메라에 연계되는 현장사무실의 6개 스크린, 상기 10세트 계측기에 연계되는 현장사무실의 10개 컴퓨터, 상기 5개 모니터에 연계되는 중앙관제센터의 5개 핸드폰, 상기 6개 스크린에 연계되는 본사의 6개 컴퓨터, 상기 10개 컴퓨터에 연계되는 센터의 10개 디스플레이,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포함되는 플랫폼,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포함되는 메타버스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하드웨어 장치간의 데이터 흐름과 제어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 서버, 통신망, 단말기, 처리장치 등에는 PC, 컴퓨터, 하드웨어, hardware, 소프트웨어, software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81), 기억장치,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입력장치(84), 출력장치(8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하드웨어 장치간의 데이터 흐름(86)과 제어신호 흐름(87)에 따라 다른 장치들이 동작을 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a) 웨어러블수단(2), 작업자(30), 작업자의 스마트폰(35), 웨어러블수단(2)에 부착되는 기구(10) 또는 부착물(10), 작업자(30)에 부착되는 기구 또는 부착물(10);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90); c) 상기 수단 내지 단말기 등에 연계되는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메타버스(97); d)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이 이용되는 시스템, 메타버스, 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웨어러블수단(2)으로는 헬멧 또는 모자(21), 안경 또는 고글(22), 완장 또는 어깨밴드(23), 조끼 또는 상의(24), 멜빵 또는 X밴드(25), 손목밴드(26), 시계 또는 워치(27), 신발 또는 작업화(28), 고리 또는 안전고리(29) 등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수단 또는 작업자에 부착되는 기구 또는 부착물(10)로는 센서 또는 측정기(11), 버튼 또는 SOS버튼(12), 랜턴 또는 라이트(13), 카메라 또는 CCTV(14), 무전기 또는 마이크(15), 알림기 또는 알림등(16), 램프 또는 후방등(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8), 충전기 또는 배터리(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20), 포켓 또는 주머니(20') 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포켓 또는 주머니(20')에는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내장 또는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관리시스템(1)에는 상기 웨어러블수단(2),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주머니,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웨어러블수단(2)의 전면 또는 전방(3)에는 상기 센서 내지 주머니, 그리고 웨어러블수단(2)의 후면 또는 후방(4)에는 카메라 또는 CCTV(14), 램프 또는 후방등(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2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웨어러블수단(2)의 후면 또는 후방(4)에도 상기 센서 내지 주머니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장비(41), 장치, 드론(42),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공장(100), 현장(100), 시설(101), 건물(101), 사람(30, 31, 32), 작업자(30), 아바타(30), 이용자(33), 스마트폰(35), 계측기(18) 등에는 상기 센서 내지 주머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부착물,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주머니 등은 통신장치(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사무실(110), 관제센터(120),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이용자(33), 스마트폰(35),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메타버스(97) 등에 연계, 연결, 구비, 거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수단(2)의 전면 또는 전방(3), 후면 또는 후방(4)을 살펴보면 헬멧 또는 모자(21)의 경우는 창 또는 햇빛가리게가 있는 부분이 전면(3)이고 이의 반대측이 후면(4)이다. 안경 또는 고글(22)의 경우는 안경알 측이 전면(3)이고 안경테 측이 후면(4)이다. 완장 또는 어깨밴드(23)의 경우는 사람의 앞으로 보이는 부분이 전면(3)이고 사람의 뒤로 보이는 부분이 후면(4)이다. 조끼 또는 상의(24)의 경우는 쟈크, 오픈부 등이 있는 부위가 전면(3)이고 이의 반대측 또는 오픈부가 없는 부위가 후면(4)이다. 멜빵 또는 X밴드(25)의 경우는 X 모양이 있는 부분이 후면(4)이고 이의 반대측이 전면(3)이다. 손목밴드(26)의 경우는 손바닥과 동일한 방향의 부분이 전면(3)이고 이의 반대측이 후면(4)이다. 시계 또는 워치(27)의 경우는 손등과 동일한 방향의 부분이 전면(3)이고 이의 반대측이 후면(4)이다. 신발 또는 작업화(28)의 경우는 앞굽이 있는 부분이 전면(3)이고 뒷굽이 있는 부분이 후면(4)이다. 고리 또는 안전고리(29)의 경우는 사람의 멜빵(25)에 연결되는 고리 부분(291)이 전면(3)이고 상기 멜빵에 이격된 고지대의 봉(294)에 연결되는 고리 부분(292)이 후면(4)이다. 이는 도 11 참조.
도 10의 a, 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수단(2), 작업자(30), 헬멧 또는 모자(21), 조끼 또는 상의(24), 멜빵 또는 X밴드(25) 등에 장착되는 센서 또는 계측기(11), 카메라 또는 CCTV(14), 알림기 또는 알림등(16),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20) 등의 기구 또는 장착물(10)에 대한 상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센서 또는 계측기(11)에는 센서, 소자, 계측기, 측정기, 위치센서, 모션센서, 생체센서, 가스센서, 환경센서, 공기질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CO센서, O2센서, O3센서, CO2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또는 CCTV(14)에는 스피커(141), 단자(142), LED(143), 카메라(14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 스피커(141)는 폰, 스피커, 마이크, 전화기, 무전기 등, b) 단자(142)는 단자, 잭단자, 홈단자, 구멍단자, 요홈단자, 잭꽂이단자, 헤드폰꽂이, 헤드폰단자, 이어폰꽂이, 아어폰단자, 이어폰잭단자 등, c) LED(143)는 LED, 라이트, 촬영라이트, 등LED, LED등, 촬영LED, 조명LED, LED촬영등, LED라이트, LED촬영라이트 등, d) 카메라(144)는 카메라, 촬영기, CCTV, 각조절카메라, HD카메라, Full HD카메라 등이 포함되거나, 또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알림기 또는 알림등(16)에는 카메라(161), LED(162), 메모리(16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 카메라(161)는 카메라, 촬영기, CCTV, 각조절카메라, HD카메라, Full HD카메라 등, b) LED(162)는 LED, 램프LED, 조명LED, 안전LED, 표시등, 야광등, 인디케이터, LED인디케이터 등, c) 메모리(163)는 메모리, 외장메모리, 메모리카드, 보조기억장치, 이동식기억장치, 디스크, 메모리디스크, SD(Secure Digital), USB(Universal Serial Bus),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 UICC(universal IC card),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D Card, USB Card, Secure Digital memory card 등이 포함되거나, 또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20)에는 전면(3)에 랜턴(181), 스위치(182), 버튼(183); 후면(4)에 마이크(184), 화면(185), 무전기(186), 제어툴(187), 전송기(188);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 랜턴(181)은 등(燈), 빛, 랜턴, 라이트, LED랜턴, 고휘도랜턴, 라이트랜턴, LED등, 전등(傳燈) 등, b) 스위치(182)는 스위치, 버튼, ON/OFF, LED ON/OFF, 전후면 LED ON/OFF, ON/OFF 버튼, ON/OFF 스위치 등, c) 버튼(183)은 버튼, SOS, SOS버튼, 알림버튼, 얼람버튼, 경고버튼, 사고발생알림버튼, 구호요청버튼 등, d) 마이크(184)는 마이크, 스피커, 무전기 등, e) 화면(185)은 창, 화면, 화면창, 보기창, 디스플레이 등, f) 무전기(186)는 무전기, 무전기버튼, 버튼식 무전기, 통화무전기 등, g) 제어툴(187)은 제어툴, 제어반, 제어기, 제어버튼, 제어장치 등, h) 전송기(188)는 전송기, 녹화버튼, 촬영버튼, 전송버튼, 송신버튼 등이 포함되거나, 또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9)에는 전기, 전원, 전류, 전압, 전지, 전극, 양극, 음극, 에너지, 전지판, 배터리, 건전지, 충전지, 충전기, 충전잭, 대용량배터리, 교체형 배터리, 충전형 배터리, 태양전지판, 배터리집, 배터리하우징, 배터리안착대, 배터리고정대, 소켓, 플러그, 전선, 케이블, 콘센트, 콘덴서, 변압기, 정류기, 정전기, 계전기, 증폭기, 변환기, 전해조, 방전조, AC/DC변환기, 트랜스듀서,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의 c에는 센서 또는 측정기(11), 버튼 또는 SOS버튼(12), 랜턴 또는 라이트(13), 카메라 또는 CCTV(14), 무전기 또는 마이크(15), 알림기 또는 알림등(16), 램프 또는 후방등(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20) 등의 기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d에는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중 둘 이상이 합체된 기구(10)를 나타낸다. 여기서 d1은 센서(11)와 SOS버튼(12)과 비콘(51)이 합체된 기구, d2는 센서(11)와 SOS버튼(12)과 게이트웨이(52)가 합체된 기구, d3는 센서(11)와 SOS버튼(12)과 카메라(14)와 무전기(15)와 제어기(20)와 통신장치(50)가 합체된 기구 이다. 여기서 기구(10)는 띠, 통, 판, 밴드, 스틱, 롯드, 막대, 세트, 집, 원통, 중공체, 중공통, 사각통, 케이스, 하우스, 하우징 등에 내장되거나, 또는 일정의 길이를 가진 상기 띠 내지 하우징 등에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외형이 상기 통 내지 하우징 등의 형상을 가진다. 도 10의 d는 일정의 길이를 가진 사각통의 모양을 가진 기구를 보여준다. 상기 합체된 기구는 헬멧의 테두리, 헬멧의 하부 테두리, 헬멧의 측면 테두리(도 10의 a의 헬멧 참조), 조끼의 전면(도 10의 a의 조끼 참조), 조끼의 포켓, 멜빵의 전면띠, 멜빵의 허리띠(도 10의 a의 멜빵 참조), 멜빵의 후면 X띠, 완장의 전면 등에 거치가 될 수 있다.
상기 기구(10는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헬멧 또는 모자(21), 완장 또는 어깨밴드(23), 조끼 또는 상의(24), 멜빵 또는 X밴드(25) 등에 구비, 거치, 정착, 장착, 끼움, 연결, 걸쇠, 핀연결, 고리연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또는 계측기(11)는 웨어러블수단(2)의 착용 감지, 버튼 또는 SOS버튼(12)은 근로자 위급상황 알림, 비콘(51)은 스마트폰 등과 연동되어 근로자 위치 감지 또는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하게 되고, 이는 비콘(51), 게이트웨이(52), 통신장치(50), 통신망(60) 등을 통하여 무선으로 서버(70), 단말기(90), 사무실(110), 본사(120), 중앙관제센터(120),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앱 이용자(33) 등에 전달 또는 통지된다. 그리고 상기 띠 내지 하우징 등에는 상기 센서 내지 주머니,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구비도 가능하다. 상기 띠 내지 하우징 등은 상기 센서 내지 주머니,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중 둘 이상이 구비된 세트 기구(10)가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고리(29) 또는 안전고리가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안전고리(29)는 사람(30)이나 멜빵(25)이나 멜빵의 후면(4)이나 멜빵의 후면(4) 허리에 연결되는 고리(291), 이 고리(291)의 일단에 연결된 줄(293), 상기 줄의 타단에 연결되는 고리(292), 상기 고리(291, 292)에 장착된 센서(11) 또는 기구(1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단에 연결되는 고리는 고정대, 지지대, 거치대, 수평대, 고층고정대, 고층건물의 수평대 등에 안착이 된다. 상기 고리에 장착된 센서에 의하여 고리의 장착 여부가 알림된다. 상기 센서(11) 또는 기구(10)에는 통신망, 서버, 단말기, 플랫폼,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이 연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40, 41, 600) 또는 타워크레인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a) 수단, 필드수단(40), 장비(41), 타워크레인(600), 카운터웨이트(601), 타워마스트(602), 운전실(603), 지브(604), 지브타이(605), 런웨이(606), 트롤리(607), 트롤리활대(608), 호이스트로프(609), 호이스트블록(610), 갈고리(611), 평형추(612), 카운터지브(613); b) 이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물(430, 440), 칩 내지 복합요소(420), 기(器) 내지 복합기(421), 수단 내지 복합수단(5); c)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구비되는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살수기(430), 청정기(430), 방역기(430), 삼각대(44), 조립대(45); d) 상기 타워크레인 내지 계측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수단(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e)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이 구비된 시스템(1), 관리시스템, 분사시스템, 청정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 f)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비(41), 필드수단(40), 크레인(41), 드론(42), 청정기(43), 삼각대(44), 거치대(45), 타워크레인(600), 메타버스(97) 등에서는 센서에 의한 각종 센싱(11), 랜턴에 의한 라이트(12), 버튼에 의한 SOS요청(13), 카메라에 의한 촬영(14, 도 12에 도시), CCTV가 회전하면서 촬영(14, 도 12에 도시), 무전기에 의한 무전(15), 알림기에 의한 위험 알림(16), 램프에 의한 인디케이터(17), 계측기에 의한 각종 계측(18), 배터리에 의한 전원 공급(19), 제어기에 의한 크레인 가동 제어(20),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사기에 의한 물(480) 살수(도 12에 도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미스트기에 의한 미스트(480) 분사(도 12에 도시), 상기 센싱 내지 계측 등의 정보를 통신장치로 송신(50), 통신망으로 수신(60), 서버에 저장(70), 처리장치로 데이터 처리(80), 단말기로 정보 제공(90), 디스플레이로 보기(95) 등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600)은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에 의한 센싱, 촬영, 계측, 알람, 경고 등에 의하여 주변 건물, 시설, 설비, 장비, 타워크레인 등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카운터웨이트, 균형추, counterweight, 크레인을 안정시키기 위해 크레인의 하부에 적재된 중량물, 금속물, 콘크리트덩어리 등이다. 상기 타워마스트(tower mast)는 지브를 지탱하는 금속 격자로서 이의 길이는 조정 가능하다. 상기 운전실(operator cab)은 크레인의 상부에 있는 운전석으로 운전자가 크레인을 조종하는 공간이다. 상기 지브(jib)는 크레인 위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금속 격자로서 이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호이스트를 들어올리는 지지 역할을 한다. 상기 지브타이(jib tie)는 지브의 장력을 분산시키는 금속줄이다. 상기 런웨이(runway)는 자신의 하부에 트롤리가 주행하는 거더이다. 상기 트롤리(trolley)는 지브 밑에서 지브 또는 런웨이를 따라 돌아가는 바퀴로서 호이스트로프가 연결된다. 상기 트롤리활대 (trolley pulley)는 트롤리와 함께 사용되어 지레의 힘을 강화하는 여러 개의 도르래 장치이다. 상기 호이스트로프(hoist rope)는 호이스트블록에 연결되는 철제 밧줄이다. 상기 호이스트블록(hoistg block)은 트롤리활대와 함께 작동하여 갈고리에 걸리는 짐을 들어올리는 지레의 힘을 향상시키는 도르래 장치이다. 상기 갈고리(hook)는 짐을 매다는 것으로 고리 모양의 금속이다. 상기 평형추(counterjib ballast)는 지브와 짐의 무게 균형을 이루기 위해 카운터지브에 매달아 놓은 콘크리트 덩어리이다. 상기 카운터지브(counter jib)는 평형추를 받치는 금속 격자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타설기 또는 펌프카(205) 또는 펌프카가 구비된 메타버스(97)를를 나타낸다. 그림 a는 기존의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b는 외부에 기능기(430) 또는 진동기(432)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c는 내부에 기능기(430) 또는 진동기(432)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d는 내부 및 외부에 기능기(430) 또는 진동기(432)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e는 기능기(430) 또는 진동기(432)가 거치된 튜브(476)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f는 봉(212), 줄, 끈, 링, 철사, 밴드, 롯드(212), 호스(464), 케이블(468), 진동기 호스(464), 진동기 케이블(468), 연결수단 등에 의하여 연결된 기능기(430) 또는 진동기(432)가 거치된 튜브(476)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등이다. 도 13 g는 1) 차량, 타설기, 펌프카 등(205)의 호퍼(461), 이에 주입된 콘크리트(480) 등에 빛, 광, 살균광, 자외선, 적외선 등을 방사하는 등, 램프, 전등, 광원(13); 2) 상기 호퍼, 콘크리트 등에 투입되는 첨가제(485), 이의 저장고(475); 등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첨가제(485)는 물질, 재료, 소독제, 살균제, 방수제, 방수액, 피톤치드, 구체방수제,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펌프카(205)는 차량의 후단에 구비된 것으로 콘크리트(480)가 투입되는 호퍼(461), 콘크리트(480)를 펌핑 펌프(463) 및 가압하는 실린더(206), 차량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높이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붐대(207), 상기 투입 또는 가압된 콘크리트(480)를 타설현장으로 이동하는 이송관(208), 상기 이송관(208)의 일단에 연결되는 엔드호스(209), 엔드호스(209)의 타설구(2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461)에 투입된 콘크리트(480)는 실린더(206)의 펌핑으로 이송관(208)과 엔드호스(209)를 통해 현장, 형틀, 거푸집, 지반, 지중, 지하, 보링공 등에 타설된다. 상기 붐대(207)에는 관절(207-1), 관절 양측의 붐(207-2), 상기 붐을 거동하는 피스톤 또는 실린더(207-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타설기, 펌프카, 호퍼, 펌프, 실린더, 붐대,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관절, 붐, 피스톤, 선단, 단부, 선단부, 저장고 등에는 a) 수단,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사람(30), 로봇(30), 장비(41), 드론(42), 청정기(43), 삼각대(44), 타워(45); b) 이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5), 기구(10), 센서(11), 카메라(14), 계측기(18); c) 상기 수단 내지 계측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d)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이 구비되는 시스템, 자동관리시스템, 품질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 e)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중 둘 이상이 조합되는 복합수단;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설기 또는 펌프카(40, 41, 205)는 각종 센싱, 촬영, 녹화, 각종 계측, 통신, 송신, 수신, 영상 제공, 정보 제공, 살수, 살균, 소독, 먼지 제거, 공기 청정 등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필드수단(40), 굴삭기(41), 타설기(41), 지중믹싱기(510), 메타버스(97)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a) 백호, 굴삭기, 포크레인, 이동수단, 지중믹싱기(510); b) 이중 하나의 붐(513), c) 이 붐의 암(514), d) 이 암의 선단(515), e) 이 선단의 회전수단(516); f) 이의 회전수단에 장착된 축, 롯드(520); 회전형(527)의 상기 축, 롯드(520); g) 상기 축 또는 롯드의 선단에 장착된 비트(524); h)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백호 내지 비트; 등으로 구성된 타설 또는 믹싱 장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백호 내지 비트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축(520)에 구비된 날개(410)는 길이가 상호 동일 또는 가변인 특징을 가진다. 상기 축(520) 또는 날개(410)에는 돌기(523)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축, 롯드 등(520)은 백호, 포크레인, 이동수단(510), 이중 하나의 붐(513), 이 붐의 암(514), 이의 암 선단(515) 등에 구비되고, 상기 축, 롯드 등에는 호스(464), 펌프(463), 배합기(462), 호퍼(461), 저장고 또는 사일로(460) 등이 연계되어 바인더, 고화재 등(480)이 공급된다. 상기 바인더, 고화재 등(480)은 축, 롯드(520), 이중 하나의 노즐(525), 비트(524), 비트 구멍(525) 등을 통하여 지반, 크랙, 균열, 공극, 간극, 건물, 조인트, 구조물 등에 주입, 분사, 믹싱, 회전, 회전믹싱, 회전분사, 회전주입, 그라우팅 등이 되고, 이에 의하여 기초, 현장타설기초, 고화체, 기둥고화체, 그라우팅체, 변단면 기초, 등단면 기초 등이 조성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단발기, 쌍발기 등(40, 41, 350, 360)을 나타낸다. 여기서 단발기(350), 쌍발기(360) 등은 몰탈, 시멘트, 레미콘, 콘크리트 등의 표면을 처리, 정리, 마감, 매끈, 평탄, 평활 등을 하는 것으로 하나의 피니셔, 미장기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단발기(350)는 a) 칼, 날, 팬, 날개(351), 칼날, 원반, 원판, 미장칼, 미장날, 방사 날개, 십자 날개, 별모양 날개, 선풍기 날개, 대, 긴대,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대, 2개 이상 날개, 2개 이상의 날개로 구성된 방사형 날개(351), 단부가 상호 결합된 2개 이상의 날개, 중간이 상호 결합된 2개 이상의 날개(351); b) 회전하는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c) 모터(352)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d) 상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플러그, 전원공급기; e) 회전(353) 또는 이동하면서 콘크리트면을 피니싱하는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351); f)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중 하나가 거치된 골격 또는 플랫폼 또는 거치대(354); g)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거치대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밀대(355), 운전대(356), 의자(357); h) 상기 거치대, 밀대, 운전대, 의자 중 하나에 구비된 손잡이(358); i) 상기 모터 또는 운전대 또는 회전의 속도를 조정하는 컨트롤러(359); j) 상기 기능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기장기 내지 방사기 등이 구비된 상기 칼 내지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쌍발기(360)는 상기 단발기(350)가 2대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거치대(354)에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중 하나의 2조가 거치되거나, 또는 상기 거치대(354)에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중 하나의 2조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거치된 것이다. 상기 단발기, 쌍발기, 피니셔, 미장기, 모터, 칼 ∼ 2개 이상 날개, 골격, 플랫폼, 거치대, 밀대, 운전대, 의자, 손잡이, 컨트롤러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형틀을 나타내거나 또는 형틀이 포함되는 메타버스(97)를 나타낸다. 형틀(40, 250)은 가설물의 일종으로서 콘크리트(480)가 투입, 콘크리트의 형태와 치수 유지, 콘크리트가 경화하는데 필요한 수분의 누출 방지, 외기의 영향 차단, 콘크리트가 적절하게 경화 또는 양생 등이 되도록 한다. 가장 간단한 형틀(250)은 외곽틀(252), 이에 부착되는 판재(251), 이들의 경사대 또는 지지대 또는 브레이싱(25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형틀, 외곽틀, 판재, 경사대, 지지대, 브레이싱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여기서 통상 외곽틀(252)은 콘크리트와 맞닿는 판재(251)의 배면 가장자리 4면에 거치되고, 경사대(253)는 판재의 배면 외곽틀(252)의 대각선으로 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형틀(250)은 1개 단독 사용(그림 a), 2개 이상이 결합되어 사용(그림 b), 2개 이상이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로 1개의 넓은 면적으로 사용(그림 b), 2개 이상이 조립되고 자신에 타설된 콘크리트 양생후 조립된 것이 해체되는 형틀로 사용,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틀로 사용(그림 c),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된 형틀로 사용(그림 c) 등이 된다. 상기 서로 마주보는 형틀은 긴결재(254) 또는 폼타이(form tie)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간격 또는 공간은 벽, 보, 기둥, 바닥, 슬라브, 터널, 도로, 교량, 옹벽, 구조물형상 등이 해당되고, 상기 간격 또는 공간에는 콘크리트(80)가 타설된다. 긴결재(254) 또는 폼타이form tie)는 기둥거푸집, 벽체거푸집, 마주보는 거푸집 등에서 거푸집널을 일정한 간격 또는 모양으로 유지, 콘크리트 측압 또는 압력 지지 등을 하는 부재 또는 인장부재로 형틀 내부 매립형, 형틀 관통형 등이 있다.
상기 형틀은 폼, form, 형틀, 슬립폼, 거푸집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슬립폼은 슬립폼, slip form, 슬라이딩폼, 이동형 거푸집, 내부 중공형 4각 거푸집, 아파트(101) 건축에 사용되는 내부 중공형 4각 거푸집(250), 상부로 이동하는 이동형 거푸집, 건물(101)이 건축되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형 거푸집(250), 콘크리트를 칠 때 단계적으로 거푸집을 끌어 올리면서 이음 부분이 없도록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벽면을 완성시키는 거푸집,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콘크리트 면에 따라 거푸집을 서서히 활동시켜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칠 수 있는 거푸집, 건축되는 건축물(101)의 외곽에 설치되어 상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형 거푸집(250), 아파트 건물(101) 외곽의 4각에 폐합되도록 설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아파트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일정 형상을 가진 거푸집(250) 등이 해당된다. 이는 도 16 d 참조.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형틀, 장선, 멍에, 지주, 메타버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a, b는 내부에 콘크리트(480)가 타설되도록 일정 공간을 가지는 형틀(250)의 단면도, 사시도이고, 그림 c, d는 바닥, 슬라브 등의 공사를 위한 형틀(250), 바닥판(251), 장선(255), 멍에(256), 지주(257)에 대한 단면도, 사시도이다. 여기의 그림 a, b에서 형틀은 내부에 콘크리트(480)가 타설되도록 일정 공간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여기의 그림 c, d와 같이 통상 바닥형틀, 슬래브형틀 등(250)은 지주, 동바리, 지지대, 서포트 등(257)의 위에 멍에(256), 멍에 위에 장선(255) 등을 조립하고, 장선 위에 판재, 합판 등(251)을 깔아 형성된다. 여기서 합판 위에는 바닥, 슬라브 등을 형성하는 콘크리트(480)가 타설된다. 테이블폼은 이런 조립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부 동바리(257), 중간의 멍에(256) 및 장선(255), 상부 바닥판(합판, 251) 등을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시간, 인력, 공정 등을 줄일 수 있다. 테이블폼을 이동할 때 지게차와 같은 장비가 사용되고, 제작 비용이 많기 때문에 소형 공사보다는 대형 공사에 주로 사용된다. 테이블폼은 아파트 등과 같이 규격화되고 층마다 반복적인 구조물의 바닥 전용거푸집에 이용된다. 이는 크레인으로 수평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한 거푸집이다. 상기 형틀은 폼, 형틀, 몰드, 거푸집 등이 해당된다. 상기 형틀, 장선, 멍에, 지주, 바닥판, 동바리, 지지대, 서포트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형틀 내지 서포트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거푸집(250)에서 콘크리트(480)에 직접 접하는 것은 판재, 널판, 합판, 막음널, 바닥판, 거푸집널 등의 판류(251)이고, 이는 목재, 금속, 강판, 알루미늄 등이 사용된다. 상기 판류(251)의 가장자리, 대각선 등은 목재, 강재, 강목 등으로 보강된다. 장선(長線, 255)은 형틀 또는 마루 밑을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로 대어 받치는 부재를 말하며, 보통 띠장, 띳장 등으로도 불리고, 이로는 목재, 각관 파이프, 아연 도금제 각형 파이프 등이 사용된다. 멍에(256)는 장선 하부에 거치되는 부재, 장선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장선을 지지하며 동바리로 하중을 전달하는 부재, 동바릿돌 또는 동바리 위에 거치되어 형틀 또는 마루를 지지하는 자재 등이 해당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립폼 또는 슬립폼이 포함되는 메타버스(97)를 나타낸다. 상기 슬립폼(40, 620, slip form)은 상부 작업대 부분, 중간 작업대 부분, 하부 작업대 부분, 폼상승장치(slip-up device) 등으로 구성된다. 상부 작업대 부분은 탑데크(622), 탑데크찬넬(top deck channel), 철근가이드(rebar guide), 콘크리트공급시스템(621, concrete supplier), 탑데크를 지지하는 격자트러스, 격자트러스(623, lattice truss)를 지지하는 요크(624, yoke) 등으로 구성되어 철근조립작업, 콘크리트공급을 위한 공간이다. 중간 작업대 부분은 폼판넬, 폼지지부재, 리프트잭(625, lift jack), 작업데크(626, working deck), 콘크리트폼(627, concrete form) 등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타설, 양생체크, 철근작업, 폼잭킹작업 등이 수행된다. 하부 작업대 부분은 작업대를 매달고 있는 행잉잭(628, hanging jack), 와이어로프, 사각파이프 등이 있으며 콘크리트 면터리를 위한 공간이다. 상기 슬립폼은 철근조립, 철근배근, 콘크리트타설, 콘크리트양생, 슬립폼상승(629) 등의 과정으로 진행되어 구조물(101)을 축조한다. 상기 슬립폼, 상부 작업대 부분, 중간 작업대 부분, 하부 작업대 부분, 폼상승장치, 탑데크, 탑데크찬넬, 철근가이드, 콘크리트공급시스템, 격자트러스, 요크, 폼판넬, 폼지지부재, 리프트잭, 작업데크, 콘크리트폼, 행잉잭, 와이어로프, 사각파이프, 공간, 구조물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비계 또는 비계가 구비된 메타버스(97)를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비계(40, 280)는 구조물 공사 시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설물, 공사 또는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왕래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 발판,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로 설치한 구조물 등이다. 비계(280)는 비계, 飛階, 아시바, scaffolding, 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 고소에 임시로 설치된 작업상면 및 그것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총칭, 기둥(281)에 띠장(282)과 장선(283)이 거치된 비계(280), 기둥(281)에 띠장(282)과 장선(283)과 발판(284)이 거치된 비계(280), 기둥(281)에 띠장(282)과 장선(283)과 발판(284)과 계단(285)이 거치된 비계(280) 등이 해당된다. 발판은 판자, 합판, 널재, 판재, 아나방, 구멍철판 등이 사용되는데, 이의 규격 예로는 폭 25cm 이상, 두께 4cm 이상, 길이 2.5∼3.5m 등이 있다. 발판은 경우에 따라 장선에서 20cm 이하로 내밀어 걸치고, 30cm 이상 겹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계의 최하부는 지면에서 2∼3m 높이로 띠장, 장선, 발판 등을 기둥에 수평이 되게 결속하고, 그 위부터는 1.5m 내외 간격으로 설치한다.
비계로는 강관형비계, 통나무비계, 시스템비계 등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강관형비계 또는 통나무비계는 여러 개의 강관 파이프 또는 통나무를 철선, 결속선, 클램프, 조임쇠 등의 연결부재(286)를 이용하여 비계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다. 보통 비계(280)는 수직재(281), 수평재(282, 283), 발판(284), 계단재(285), 난간대, 횡대, 수직 보호망, 조립부재인 클램프 및 연결핀(286) 등의 부자재를 인력이 일일이 지상에서 인양 소운반하여 공중에서 매달려 설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시스템비계는 상기 비계 프레임의 일부 구성이 완성된 형태로 되어 비계 설치 시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는 비계로서, 구조물의 외벽을 따라 설치되는 지지부(281)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발판부(284)와 및 작업자가 상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계단부(285)가 포함되는 비계 등이 해당된다. 상기 비계, 가설물, 가설 발판, 구조물, 기둥, 띠장, 장선, 발판, 계단, 판자, 합판, 널재, 판재, 아나방, 구멍철판, 결속선, 클램프, 조임쇠, 연결부재, 수직재, 수평재, 발판, 계단재, 난간대, 횡대, 수직 보호망, 조립부재, 클램프, 연결핀, 부자재, 지지부, 발판부, 계단부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비계 내지 계단부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삼각대, 거치대, 조립대, 메타버스 등(44, 45)의 모식도이다. 상기 삼각대, 거치대, 조립대 등(44, 45)은 a) 삼각대(44), 삼발이(44), 거치대, 지지대(44, 45), 격자대, 격자틀(45), 조립대, 조립틀, 조립세트, 촬영대(44), 틀(45), 1m 이상 높이의 틀, 폴대, 봉, 셀카봉, 탑, 타워, 비계, 고층탑, 고층타워, 사다리(45), 유압식 삼각대, 폴식 삼각대, 촬영기 거치대(44), 카메라 거치대(44), 촬영기 지지대, 카메라 지지대, 측량기 삼각대(44), 접이식 삼각대, 조립식 삼각대, 접이식 격자대, 접이식 격자틀(45), 접이식 거치대, 조립식 거치대, 현장이나 공장에 거치된 삼각대(44), 현장이나 공장에 거치된 거치대(44), 현장이나 공장에 거치된 조립대(45), tripod, 트라이포드(44); b) 이동형의 상기 삼각대 내지 트라이포드; c)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된 상기 삼각대 내지 트라이포드; d)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삼각대 내지 복합대 등에는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통신장치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이의 실시예로는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구비된 삼각대를 현장이나 공장에 비치하여 작업 중에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수행한 영상이나 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송신하여 서버, 핸드폰, 화면,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으로 수신하여 상기 영상이나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살펴보아 현장, 공장, 작업, 공사, 건축, 안전, 방역, 환경, 품질, 공기질, 대기질 등을 관리하는 것이다.
상기 삼각대, 거치대, 조립대 등(40, 44, 45)의 예로는 a) 다리(631), 2발 다리, 3발 다리, 4발 다리(631); b) 격자(632), 프레임, 조립체, 조립대, 1m 이상의 조립대(632); c) 상기 다리 내지 조립대 등의 하부에 거치된 바퀴 또는 이동수단(633); d) 상기 다리 내지 조립대 등의 상부에 거치된 받침대(634); e)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거치된 서포트(635); f) 상기 다리 내지 서포트 등의 상부에 거치된 안착대(636); g) 상기 안착대에 안착된 거치된 카메라(14); h) 상기 다리 내지 카메라 등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637); i) 상기 다리 내지 회전수단 등에 구비된 관절, 절곡, 마디, 연골, 연성대, 자바라, 접이대, 출입대, 스프링, 인장수축대(638); j) 상기 다리 내지 회전수단 등에 형성된 포켓(20'); k) 상기 다리 내지 포켓 등에 구비된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ℓ) 상기 다리 내지 제어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하드웨어(80); m) 상기 다리 내지 하드웨어 등에 연계되는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n) 상기 다리 내지 핸드폰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통신망(60), 스마트폰(95), 디스플레이(95); o) 상기 서버 내지 디스플레이 등에 구현되는 플랫폼(96), 메타버스(97); p) 상기 다리 내지 메타버스 등이 구비된 시스템(1), 관리시스템, 가상시스템, 안전시스템; 등이 해당 또는 포함된다. 상기 삼각대, 거치대, 조립대, 다리 내지 안전시스템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삼각대 내지 안전시스템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42), 모빌리티(42), 장비(41), 시설(40), 필드수단(40), 메타버스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의 드론 내지 메타버스 등에는 a) 저장고(460), 호퍼(461), 혼합기(462), 회전날개(410) 등이 구비된 혼합기(462), 펌프 또는 가압기(463), 호스(464), 자기장이 발생되는 코일(416)이 구비된 호스(464), 노즐 또는 분사기(466), 운반기, 이송기, 펄스기, 주입기, 주사기, 주유기, 타설기, 포설기, 포장기, 다짐기, 배양기, 발효기, 부숙기, 선별기, 파쇄기, 탈수기, 건조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여과기, 방류기, 집진기, 양생기, 면처리기; b)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등이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비, 공사장비, 제조장비 등은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론 내지 필드수단,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등에 의하여 일정의 물질, 재료, 자재 등(480)이 a) 저장, 투입, 혼합, 펌핑, 가압, 분사, 운반, 이송, 주입, 주사, 주유, 타설, 포설, 포장, 다짐, 배양, 발효, 부숙, 선별, 파쇄, 탈수, 건조, 폭기, 반응, 응집, 여과, 방류, 집진, 양생, 면처리; b)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드론 내지 필드수단, 저장고 내지 복합기, 저장 내지 복합; b) 이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의 기구(10); c) 상기 드론 내지 기구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비(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핸드폰(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d) 상기 저장 내지 복합 등의 영상이 방영되는 단말기(90), 핸드폰(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이 이용 또는 적용 또는 연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드론 또는 모빌리티(42)는 상기 장비, 장치, 시설, 저장고 내지 복합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을 이동시키는, 또는 등이 장착되는, 또는 상기 장착에 의하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드론, drone, 무인드론,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무인비행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론 또는 모빌리티 예로는 a) 날개(534), 회전날개, 프로펠러(534), 4개 프로펠러, 다수 프로펠러 중 하나와 본체(530, 531)로 구성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b) 상부 날개(534) 및 하부 본체(530)로 구성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c) 상기 본체(530)의 비행을 위한 추력을 위하여 아래 방향의 하향류, 뒤 방향의 배향류 등을 생성하는 날개, 프로펠라 등(534)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d) 상기 본체(530)의 하부로 바람을 보내는 하향류에 의하여 상승 비행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e)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바람을 보내는 배향류에 의하여 수평 비행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f) 상기 하향류, 배향류 등에 의하여 3차원 비행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g) 상기 날개, 프로펠러 등(534)을 회전시키는 모터(535), 이에 연결된 전선, 이에 연계된 건전지, 충전기, 충전지, 충전카, 플러그, 콘센트, 밧데리, 발전기, 태양전지, 태양발전기, 풍차, 풍력발전기 등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h) 상기 프로펠러(534)에 구비된 거치대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i) 상기 거치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본체(530)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j) 상기 본체(530), 프로펠러(534), 이중 하나 상부, 하부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면서 태양, 상기 하향류, 배향류, 비행에 의한 바람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j1)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 j2) 회전하는 회전체, 이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등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k) 상기 발전기는 중심의 회전자(전자석)와 외부를 감싸는 고정자(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인 드론 또는 모빌리티, ℓ) 상기 j2) 회전체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상기 k) 회전자(전자석)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m) 상기 회전자(전자석)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상기 k) 발전기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n) 상기 회전체, 이의 외주, 상부, 하부, 상부외주, 하부외주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면서 상기 하향류, 배향류,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유입, 유출, 유입유출 중 하나를 시키는 원추형 중공 가이드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o) 상기 생성 전기를 직류, 교류 등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p) 상기 생성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파워서플라이어 등 구비 드론, q) 카메라, CCTV, 영상장치, 촬영장치, 모니터, 등, 전등, 등불, 점멸등, 라이트, 헤드라이트, 조명장치, 운전기, 조정기, 컨트롤러, 원격조정기, 리모트컨트롤러 등이 구비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42)의 예로는 a) 몸체(531) 또는 저장고(531) 또는 객실(531), 이의 측면에 지지대(532)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본체부(530), 날개(534)와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535)가 포함되는 추진부(533), 다리(537)와 바퀴(538)가 포함되는 랜딩부(536), 상기 날개 또는 모터 또는 모빌리티를 조정하는 조정기 또는 원격조정기(539); b) 상기 몸체 또는 본체부에 구비되는 운전실, 탑승대, 탑승실, 객실, 여객실, 승객실; c)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에 구비되는 운전대; d)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의자, 좌석, 책상, 식당, 카페; e) 상기 몸체 내지 카페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로봇, 센서, 측정기, 카메라, CCTV, 조정기, 원격조정기(539), 화물실, 화물칸, 적재대, 적재함, 물품보관함, 배달물보관함, 택배물보관함; f) 상기 운전대 또는 조정기(539)를 조작하는 사람(542), 로봇(542); g)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된 상기 몸체 내지 로봇; h) 상기 몸체 내지 로봇 등에 구비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42)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펄스기, 폭기기, 가압기, 와류기, 방전기, 전해기, 자화기, 진동기, 케비테이션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등(450)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모식도에 대한 메타버스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펄스기 내지 복합기 등은 1) 중공체1, 상기 중공체1에 내장된 자성체1, 상기 자성체가 부착된 부착판, 상기 부착판에 이격된 자성체2, 상기 자성체2에 이격된 전극1, 상기 전극1에 이격된 전극2, 상기 전극2에 병합된 오존기1, 상기 오존기1에 병합된 음이온기1,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전선1, 상기 전선1에 순차 연결되는 플러그1, 콘센트1, AC/DC변환기1, 전원공급기1;
2) 상기 중공체1에 이격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중공체2, 상기 중공체2에 내장된 2개의 자성체3, 상기 2개의 사이에 거치된 코어체, 상기 코어체를 감싸는 코일체1, 상기 코어체 및 자성체3으로부터 이격된 이격판, 상기 이격판에 이격된 전극3, 상기 전극3에 이격된 전극4, 상기 전극4에 병합된 오존기2, 상기 오존기2에 병합된 음이온기2, 상기 전극3과 전극4에 연결되는 전선2, 상기 전선2에 순차 연결되는 플러그2, 콘센트2, AC/DC변환기2, 전원공급기2;
3) 상기 중공체2에 이격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중공체3, 상기 중공체3에 내장된 일정판, 상기 일정판의 양단에 거치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거치판, 상기 거치판에 부착된 자성체4, 상기 자성체4와 거치판을 감싸는 코일체2, 상기 거치판에 이격된 전극5, 상기 전극5에 이격된 전극6, 상기 전극6에 병합된 오존기3, 상기 오존기3에 병합된 음이온기3, 상기 전극5와 전극6에 연결되는 전선3, 상기 전선3에 순차 연결되는 플러그3, 콘센트3, AC/DC변환기3, 전원공급기3;
4) 상기 중공체3에 이격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방전통, 상기 방전통의 내부에 구비된 전극7, 상기 전극에 이격되는 전극8, 상기 전극8에 병합된 오존기4, 상기 오존기4에 병합된 음이온기4, 상기 전극7과 전극8에 연결되는 전선4, 상기 방전통의 외부에 구비된 타격대, 상기 전선4에 순차 연결되는 플러그4, 콘센트4, AC/DC변환기4, 전원공급기4;
5) 상기 방전통에 이격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중공체4, 상기 중공체4에 내장된 코일체3, 상기 코일체3의 전방에 거치된 유공판, 상기 코일체3에 이격된 전극9, 상기 전극9에 이격된 자성체5, 상기 자성체5의 후방에 설치된 필터, 상기 전극9에 병합된 오존기5, 상기 오존기5에 병합된 음이온기5, 상기 코일체3과 전극9에 연결되는 전선5, 상기 전선5에 순차 연결되는 플러그5, 콘센트5, AC/DC변환기5, 전원공급기5;
6) 상기 중공체4에 이격되어 거치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전해조, 상기 전해조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 및 음극, 상기 전해조에 채워진 전해액, 상기 전해조의 중간에 구비된 분리막, 상기 음극에 병합된 오존기6, 상기 오존기6에 병합된 음이온기6, 상기 양극 및 음극에 연결되는 전선6, 상기 전선6에 순차 연결되는 플러그6, 콘센트6, AC/DC변환기6, 전원공급기6;
7) 상기 전해조에 이격되어 거치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중공체5(437); 8) 상기 중공체에 속하는 조, 漕, 통, 함, 函, 튜브, 원통, 박스, 사일로, 저장통, 속빈통, 중공체, 중공통; 9) 상기 중공체5(437)에 내장된 기능기(430)인 자화기1(431), 진동기1(432), 가진기1, 오존기7, 음이온기7, 자기장기(430); 10) 상기 중공체5의 전단에 거치된 유입구(472), 일정의 물질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 11)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거치된 벤츄리관1(477), 상기 벤츄리관1의 측면에 거치된 인젝터1, 일정의 첨가제가 유입되는 상기 인젝터1(393); 12) 상기 중공체1, 중공체2, 중공체3, 방전통, 중공체4, 전해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481)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472); 13) 상기 중공체5의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 상기 기능기의 거치대, 와류 형성 거치대, 삼발이형 거치대, 나성형 거치대,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나선형 거치대(112), 상기 중공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능기(430)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중공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능기(430)의 양단에 거치되어 상기 기능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중공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능기(430)의 양단에 거치되어 상기 기능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중공체의 내부를 통과하는 물질을 와류하는 기능을 가진 지지대;
14) 상기 중공체5(437)의 후단에 순차 거치된 티이관(475), 벤츄리관2(477), 유출구(478); 15) 상기 유입구(472)에서 유입된 물질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16) 상기 중공체5의 측면에 거치된 벤츄리관3(477), 상기 벤츄리관3의 측면에 거치된 인젝터2(393), 일정의 첨가제(485)가 유입되는 상기 인젝터2; 17) 상기 티이관(475)의 중간(490)에 순차적으로 거치된 체크밸브1(491), 솔레노이드밸브1(492), 벤츄리관4(477), 압기유입구(472), 압기호스(471), 콤프레서(470); 18) 상기 콤프레서에서 생성된 압기(483, 壓氣, 압축공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 또는 음이온(482), 기타 투입되는 첨가제(484) 등이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상기 압기유입구(472), 벤츄리관4(477), 솔레노이드밸브1(492), 체크밸브(491), 티이관(475); 19) 상기 티이관(475)을 통하여 상기 압기(483, 壓氣), 오존(482), 음이온(482), 기타 첨가제(484) 등이 유입된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여기서 상기 압기유입구(472)와 하기의 오존유입구(494)는 파이프, 벤츄리관 등으로 연결이 가능하여 상기 압기유입구로 오존, 음이온 등이 유입될 수 있음; 20) 상기 벤츄리관2(477)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거치된 인젝터3(393), 체크밸브2(491), 솔레노이드밸브2(492), 오존유입구(494), 오존깔대기(495), 오존발생기(496); 상기 오존기, 음이온기, 오존발생기 등은 오존, 음이온, 불꽃, 불똥, 스파크 등을 발생, 생성, 조성, 형성, 공급, 제공, 방사, 조사, 분사 등으르 하는 장치임;
21) 상기 오존발생기(496)에서 발생된 오존 또는 음이온(482)이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상기 오존깔대기(495), 오존유입구(494), 솔레노이드밸브2(492), 체크밸브2(491), 인젝터(493), 벤츄리관2(477); 여기서 상기 압기유입구(472)와 오존유입구(494)는 파이프, 벤츄리관 등으로 연결이 가능하여 상기 오존유입구로 압기가 유입될 수 있음; 22) 상기 벤츄리관2(477)를 통하여 상기 오존 또는 음이온(482)이 유입된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23) 상기 오존깔대기를 거친 오존 또는 음이온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에 유입시키는 상기 오존유입구(494); 24)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 또는 음이온을 상기 오존유입구에 집속시키는 상기 오존깔대기(495); 25) 오존 또는 음이온(482)을 발생하는 상기 오존발생기(496); 26)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499); 27)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거치된 호스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호스2; 28) 상기 호스2에 연계되는 노즐1(466), 분사기1(466), 충돌판(467) 및 확산콘(468)이 구비된 노즐1(466), 내부에 충돌판(467)과 선단에 확산콘(468)이 구비된 노즐1, 내부에 와류판(467)과 선단에 확장부(468)가 구비된 노즐1(466); 29) 상기 유출구, 호스2, 노즐1, 분사기1 중 하나에 구비된 펠티에소자; 30) 상기 펠티에소자에 의하여 차거나 또는 더운 물질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 호스2, 노즐1, 분사기1; 상기 펠티에소자(열전소자, Peltier effect device, thermoelectric effect device)는 전원을 공급하면 한쪽면은 냉각이 되고 반대쪽의 면은 가열현상이 일어나는 소자임;
31) 상기 유입구(472)와 중공체5(437)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1(473); 상기 중공체5(437)와 티이관(475)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2(474); 32) 상기 엘보관2의 일측에 연결되는 벤츄리관5(477), 상기 벤츄리관5의 측면에 거치된 인젝터3(393), 일정의 첨가제(485)가 유입되는 상기 인젝터3; 33) 상기 티이관과 벤츄리관2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1(476), 상기 벤츄리관2와 유출구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2(476); 34) 상기 체크밸브1과 솔레노이드밸브1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3(47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과 벤츄리관4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4(476), 상기 벤츄리관4와 압기유입구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5(476); 35) 상기 인젝터와 체크밸브2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476), 상기 체크밸브2와 솔레노이드밸브2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7(47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와 오존유입구의 사이에 거치된 파이프8(476); 36) 상기 파이프1 내지 파이프8 중 하나에 순차적으로 거치된 체크밸브3(491), 펌프(463), 저장고(475); 37) 일정의 첨가제(485)가 저장된 상기 저장고(475); 38) 상기 저장고(475), 펌프(463), 체크밸브3(491)을 통하여 첨가제(485)가 유입되는 상기 파이프1 내지 파이프8(476); 39) 상기 파이프1 내지 파이프8 중 하나(476)를 통하여 상기 첨가제(485)가 유입된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40) 상기 압기(483), 오존 또는 음이온(482), 첨가제(485), 기타 첨가제(484) 등이 유입된 물질(80)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78);
41)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92)과 솔레노이드밸브2(492)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498); 42) 타이머의 조정에 의하여 밸브가 일정한 간격으로 개폐를 반복하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과 솔레노이드밸브2(492); 43)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497); 44)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473); 45) 상기 배전반에 순차 연계된 전선7(468), 플러그7(410), 콘센트7(411), 전원공급기7; 46) 상기 7) 중공체5 내지 45) 전원공급기7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케이스1(451), 상기 7) 중공체1 내지 46) 케이스1 등으로 구성된 장치(450); 47) 상기 1) 중공체1 내지 46) 케이스1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케이스2; 48) 상기 타이머(498)의 개폐간격 조정에 의하여 벨브의 개방 시에 상기 압기(483)가 통과되고, 벨브의 폐쇄 시에 상기 압기(483)가 통과되지 않는 공정이 2회 이상 반복되도록 하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492); 49) 상기 타이머(498)의 개폐간격 조정에 의하여 벨브의 개방 시에 상기 오존 또는 음이온(482)이 통과되고, 벨브의 폐쇄 시에 상기 오존 또는 음이온(482)이 통과되지 않는 공정이 2회 이상 반복되도록 하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
50) 상기 통과된 압기,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유입되어 폭기된 물질(80)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51) 상기 비(非) 통과에 의하여 상기 압기,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유입되지 않아 비(非) 폭기된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52) 상기 폭기와 비(非)폭기가 2회 이상 반복되는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53) 상기 2회 이상 반복에 의하여 펄스압이 발생되는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54) 상기 타이머(498)에 의하여 조정되는 개폐간격에 의하여 상기 개폐간격의 주기로 상기 폭기와 비(非)폭기가 되풀이됨으로 발생되는 펄스압(pulse pressure)이 작용되는 상기 물질(80)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55) 상기 펄스압(pulse pressure)이 발생되도록 하는 펄스기(450); 56) 상기 펄스압(pulse pressure)이 발생되도록 하는 상기 7) 중공체1 내지 46) 케이스1; 57) 상기 펄스기(450)를 이루는 상기 7) 중공체1 내지 46) 케이스1;
58) 상기 유입구, 파이프, 벤츄리관, 유출구 중 하나 이상의 내부에 거치된 연수기, 압전기, 전해기, 열전기; 59) 상기 폭기, 펄스압, 물질의 흐름압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상기 압전기; 60) 상기 발생된 전기가 공급되는 상기 전극, 양극, 음극, 연수기, 전해기, 열전기, 전원공급기; 61) 상기 전기에 의하여 상기 물질을 전기분해하는 상기 전극, 양극, 음극, 전해기; 62) 상기 전해기에 포함되는 양극, 음극; 63) 상기 물질에 포함되는 H2O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발생되는 H+, OH-, Na+, Cl-, NaOCl, 산소(O2), 수소(H2), O2와 H2의 가스, O2와 H2에 의한 버블, OH라디칼; 64) 상기 H+ 내지 OH라디칼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물질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
65) 일정의 전기가 공급되는 상기 전극 내지 전원공급기; 66) 상기 전기에 의하여 전기방전하는 상기 전극, 양극, 음극, 방전통; 67) 상기 전기에 의하여 전기분해하는 상기 전극, 양극, 음극, 전해조, 전해기; 68) 상기 전기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압전기; 69) 상기 진동에 의하여 상기 물질을 진동시키는 상기 압전기; 70) 상기 파이프, 유출구, 노즐1, 분사기1 중 하나에 구비된 나선, 자화기2, 진동기2, 가진기2; 71) 상기 물질을 와류하는 상기 나선, 상기 물질을 자화하는 상기 자화기2, 상기 물질을 진동하는 상기 진동기2, 상기 물질을 가진하는 상기 가진기2; 72) 상기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 케이스의 외부 중 하나에 구비된 방전기, 살균기, 소독기, 오존기8, 음이온기8; 73) 상기 방전기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또는 가시광선, 살균 기능을 가진 상기 스파크 또는 가시광선, 상기 살균기에서 발생되는 살균제, 상기 소독기에서 발생되는 소독제, 상기 오존기에서 발생되는 오존, 상기 음이온기에서 발생되는 음이온;
74) 상기 유출구, 호스, 노즐1, 분사기1 중 하나에 구비된 사이클론(486); 75) 상기 사이클론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된 벤츄리관6, 상기 전방에 구비된 벤츄리관6에 거치된 인젝터6, 일정의 첨가제가 유입되는 상기 인젝터6, 상기 인젝터6를 통하여 유입된 첨가제가 함유된 물질이 배출되는 상기 사이클론(486); 76) 일정의 물질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 상기 물질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 77) 상기 유출구를 거친 물질이 원심 회전하여 배출되는 상기 사이클론, 상기 사이클론의 상부 배출구(487); 78) 상기 상부 배출구에 연계되는 노즐2, 분사기2; 79)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 배출구(488), 상기 사이클론의 원심회전에 의하여 분리된 중량물 또는 조립자가 낙하되는 상기 하부 배출구, 상기 중량물 또는 조립자가 제거된 경량물 또는 세립자가 포함되는 물질이 유출되는 상기 상부 배출구, 상기 하부 배출구에 거치된 탱크(475);
80) 상기 유입구, 관, 파이프, 밸브, 벤츄리관, 유출구, 노즐, 분사기,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의 물체에 거치된 케이블; 81) 상기 물체 또는 케이블에 부착되어 상기 물체의 부식을 방지하는 희생전극, 희생양극; 82) 상기 희생전극 또는 희생양극으로 사용되는 아연체, 알루미늄체; 83) 상기 물체가 부식되기 전에 먼저 부식되어 희생되는 상기 희생전극, 희생양극; 84) 상기 물체보다 이온화 또는 이온화경향이 빨라 상기 물체보다 먼저 부식되어 희생되는 상기 희생전극, 희생양극; 85) 상기 희생전극 또는 희생양극에 의하여 방식 또는 보호되는 상기 물체, 유입구 내지 사이클론; 86) 상기 1) 중공체1 내지 85)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케이스3; 87) 상기 1) 중공체1 내지 86) 케이스3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는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10), 자화기 내지 기능기(430), 칩 내지 복합요소(420), 기(器) 내지 복합기(421), 수단 내지 복합수단(5); 88) 상기 1) 중공체1 내지 87) 복합수단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이 이용 또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공체1, 중공체2, 중공체3, 중공체4, 중공체5, 케이스1(451), 케이스2, 케이스3, 1) 중공체1 내지 86) 케이스3 등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상기 중공체1, 중공체2, 중공체3, 중공체4, 중공체5, 케이스1, 케이스2, 케이스3, 1) 중공체1 내지 86) 케이스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상기 중공체1에 센서 구비, 중공체2에 칩 구비, 중공체3에 판 구비, 중공체4에 압전기 구비, 중공체5에 반도체 구비, 케이스1(451)에 허브 구비, 케이스2에 진자 구비, 케이스3에 모뎀 구비, 수단에 중공체 1 구비, 장비에 중공체2 구비, 크레인에 중공체3 구비, 저장고에 중공체4 구비, 드론에 중공체5 구비, 메타버스에 케이스1(451) 구비, 하우스에 케이스2 구비, 복합수단에 케이스 3 구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중공체1, 중공체2, 중공체3, 중공체4, 중공체5, 케이스1(451), 케이스2, 케이스3, 1) 중공체1 내지 86) 케이스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중공체1, 중공체2, 중공체3, 중공체4, 중공체5, 케이스1, 케이스2, 케이스3, 1) 중공체1 내지 86) 케이스3; b) 상기 중공체1 내지 케이스3 등의 유입구, 유출구, 호스, 파이프, 벤츄리관; c)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질, 상기 유출구로 유출되는 물질; d) 상기 유입구, 유출구, 호스, 파이프, 벤츄리관 등을 거친 물질; e)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f) 상기 중 하나 이상을 통과한 물질, 재료; g)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h)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j)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살균, 소독, 관리, 처리; k)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ℓ)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m)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n) 상기 중 하나 이상에 또는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o)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p)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a) 상기 중공체1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장착;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에 구비,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 상기 중공체1 내지 클라우드 등이 이용;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거치;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기; 등이 되는 중공체1이다. b) 상기 중공체5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거치되고;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구비되고;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에 장착되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정착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방사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중공체5이다. c) 상기 케이스1의 예로는 상기 오존기와 음이온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발생과 미스트발생을 하고; 상기 전자기와 연무를 발생하고; 상기 발광처리와 웨이브처리를 하는 케이스1이다. d) 상기 카메라의 예로는 상기 중공체1과 케이스1이 구비되고; 상기 청정과 소독을 하고; 상기 음파와 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열가변저항처리와 자기장처리를 하는 카메라이다. e) 상기 LTE의 예로는 상기 중공체1에 연계, 상기 케이스1에 연계, 정보 송신 중에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되기; 정보 수신 중에 상기 진동물 내지 오존물 등이 공급; 정보 무선통신 중에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되기; 등이 되는 LTE이다. f) 상기 WiFi의 예로는 상기 중공체1에 구비된 센서에 연계, 상기 케이스1에 장착된 계측기에 연결, 상기 센서 및 계측기의 정보를 송신, 상기 연계 중에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추가; 상기 연결 중에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추가; 상기 송신 중에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추가; 등이 되는 WiFi이다. g) 상기 드론의 예로는 중공체1, 이의 유입구에 유입되는 물질, 상기 중공체1에서 폭기되는 상기 물질, 상기 중공체1의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물질, 상기 중공체1이 내장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압전기, 상기 압전기에 의한 전기 발생, 상기 전기가 인가되는 상기 중공체1에 내장된 자화기, 상기 자화기에 의한 자기장 발생, 상기 압전기의 주변에 거치된 오존기, 상기 오존기에 의한 오존 발생, 상기 자기장에 의한 상기 물질의 자화, 상기 오존에 의한 살균 등이 이용되는 드론이다. h) 상기 메타버스의 예로는 중공체1, 이의 유입구에 유입되는 물질, 상기 중공체1에서 폭기되는 상기 물질, 상기 중공체1의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물질, 상기 중공체1이 내장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압전기, 상기 압전기에 의한 전기 발생, 상기 전기가 인가되는 상기 중공체1에 내장된 자화기, 상기 자화기에 의한 자기장 발생, 상기 압전기의 주변에 거치된 오존기, 상기 오존기에 의한 오존 발생, 상기 자기장에 의한 상기 물질의 자화, 상기 오존에 의한 살균 등이 구현되거나 보여지는 메타버스이다. i) 상기의 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상기 중공체1, 중공체2, 중공체3, 중공체4, 중공체5, 케이스1(451), 케이스2, 케이스3, 1) 중공체1 내지 86) 케이스3, 기(器) 내지 복합기, 칩 내지 복합요소,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실시 예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펄스기, 기능기 등(450)의 유출구(478), 후단 등에 펌프 또는 가압기(463), 필터 또는 청정기, 노즐 또는 분사기(46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펌프 또는 가압기(463)는 기능기(450)의 통과 물질을 펌핑 또는 가압하는 것이고, 필터 또는 청정기는 기능기(450)의 통과 물질을 여과하는 것이고, 노즐 또는 분사기(466)은 기능기(450)의 통과 물질을 분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능기(450)의 입구, 전단, 유입구 등(472)에는 호스, 유입호스, 펌프 또는 가압기(463)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입구, 전단, 유입구, 호스, 유입호스 등에는 관, 관로, 수도관, 압력관, 수도시설, 수돗물이 공급되는 수도관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기능기(450)의 호스, 파이프, 벤츄리관; 이중 하나의 측면, 외부, 중간; 에는 저장고(475), 펌프(463), 체크밸브(491), 파이프(476) 등이 구비되어 저장고 내의 물질, 첨가제(485) 등이 펌프, 체크밸브, 파이프 등을 통하여 상기 기능기(450), 호스, 파이프, 벤츄리관 등에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출구, 호스, 노즐, 분사기 등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질(481)은 펄스, 폭기, 가압, 와류, 방전, 전해, 자화, 진동, 케비테이션, 압기(483) 주입, 펄스압 주입, 오존(482) 주입, 음이온(482) 주입, 첨가제(484, 485) 주입 등이 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원료, 물질, 재료, 물, 모래, 자갈, 시멘트, 혼화제 등의 재료(480)가 저장고(460), 호퍼(461), 혼합기(462), 날개(410) 구비 혼합기(462), 펌프(463), 호스(464), 노즐(466), 드론(42), 모빌리티, 형틀(250), 양생기, 경화기, 면정리기, 면처리기 등의 장비(41)에 의하여 저장, 투입, 혼합, 가압, 이송, 분사, 타설, 양생, 경화, 면정리, 면처리 등이 되어 자재(300), 파일, 건물(310), 구조물(310), 자재(300)가 이용되는 건물(310), 자재(300)로 축조되는 구조물(310) 등이 조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자재(300)의 하나인 공장 제조 파일이 조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장비, 자재 내지 구조물, 파일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제조 관련 장면, 영상, 파일, 공정, 정보, 안전, 환경, 방역, 품질, 사람, 장비, 센싱, 계측, 자재, 관리 등은 본 발명의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서 볼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사를 또는 공사 메타버스(97)를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공사는 저장고(460), 호퍼(461), 혼합기(462), 날개(410) 구비 혼합기(462), 펌프(463), 호스(464), 노즐(466), 드론(42), 모빌리티, 형틀(250), 양생기, 경화기, 면정리기, 면처리기, 차량(41, 170),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등으로 구성된 필드수단(40) 또는 장비(41), 이를 거친 콘크리트(480), 콘크리트(480) 타설 등에 의하여 시행이 가능하다. 상기 공사, 형틀 등에 의하여 건물, 시설, 구조물 등(310)이 조성된다. 상기 형틀(250), 건물(310), 시설, 구조물(310) 등의 내부에는 콘크리트(480), 철근, 커플러 거치 철근 등이 타설, 배근, 거치, 매입 등이 되게 된다. 도 24 a는 터널(311), 터널 굴착면(301), 터널 라이닝(301), 터널 세그먼트(301); b는 시설물(310); c는 사면(312), 법면, 비탈면; c는 건물(310), 이의 형틀(250), 자재(300); d는 수중(315), 지중(313); 등에 일정의 재료가 타설, 주입, 투입, 분사, 장착, 부착, 숏크리팅, 그라우팅 등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등에는 상기 기능기(430), 수단 내지 복합수단(5)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공사 관련 장면, 영상, 파일, 공정, 정보, 안전, 환경, 방역, 품질, 사람, 장비, 센싱, 계측, 자재, 관리 등은 본 발명의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서 볼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사 또는 정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공사는 원료, 재료, 바인더, 액상 재료 등이 펌프(463), 호스(464), 노즐(466), 드론(42), 모빌리티, 3D프린터(46), 롯드(174), 날개(176), 호스 구비 드론(42), 노즐 구비 드론(42), 날개(410) 구비 롯드(174), 롯드(174)에 구비된 날개(410); 이중 하나 이상 구비 차량(41, 170); 등을 통하여 주입, 투입, 타설, 분사, 인젝션, 그라우팅 등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25 a는 건물(310), 이의 형틀(250), 자재(300); b는 건물 균열부(316); c는 호수, 저수지(315); d는 댐, 제방, 도로(317); e는 지반, 지중, 지하(313); f는 정화조(140); 등에 상기 주입 내지 그라우팅 등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정화조(640)는 정화조 탱크(640), 오염수(480) 유입구, 응집제(485) 주입기(641), 정화조 내부 파이프(642), 정화조 하부 침전지(643), 정화조 바닥의 침전밸브(644), 정화조 내벽과 상기 파이프 사이의 다공필터(645), 정화조 상부 수면에서 회전하면서 스컴을 수집하는 회전형 스크레이퍼(646), 스크레이퍼에서 수집된 스컴이 유입되는 스컴 유입구(647), 스컴 유입구에 연계된 스컴 배출구(648), 정화조의 상부로 상등(649)되는 정화수를 배출하는 배출구(6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에 상기 기능기(430)의 거치가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오염수와 응집제의 교반, 와류 등이 왕성하여 고속 반응 및 침전이 발생하게 되어 오염수의 처리시간 단축, 처리효율 향상 등이 된다. 여기서 오염수는 상기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을 통하여 정화되어 정화수가 된다.
상기 펌프 내지 차량,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에 상기 기능기(430), 수단 내지 복합수단(5)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공사 및 청정 관련 장면, 영상, 파일, 공정, 정보, 안전, 환경, 방역, 품질, 사람, 장비, 센싱, 계측, 자재, 관리 등은 본 발명의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서 볼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기초 조성, 보강재 삽입, 표층 기초 조성을 나타낸 모식도 또는 메타버스로서, a는 백호 등(170)에 장착된 회전형(175)의 축 또는 롯드(174)의 관입; b는 회전형(175)의 축 또는 롯드(174), 이에 장착된 날개(176) 등에 의한 지중(190) 주입, 분사, 믹싱, 교반, 그라우팅, 재료(480) 주입, 주입 및 믹싱 등; c는 축 또는 롯드(174)의 인발, 주입 및 인발, 믹싱 및 인발 등; d는 상기 작업에 의하여 지중(190)에 형성된 기초(195); e는 백호 등(171)에 의한 보강재(193) 삽입; f는 보강재(193)가 삽입된 기초(195), 선단에 확장판(199)이 구비된 기초(195); g는 백호 등(172)을 이용한 표층 기초(194) 조성 작업; h는 지중 기초(195) 또는 보강재(193) 삽입 기초(195)와 이 상부의 표층 기초(194), 이의 상부에 놓인 건물, 구조물(310), 자재(300)가 이용되는 구조물(310), 보강재 또는 내진재(303)가 이용되는 구조물(310); 등을 보여준다. 여기의 a 내지 g의 작업에 사용되는 주 장비(170, 171, 172)는 1대의 백호, 오거, 굴삭기, 보링기, 포크레인 등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즉 1대의 백호, 오거, 굴삭기, 보링기, 포크레인 등으로 상기 a 내지 g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기초(194, 195), 건물(310), 구조물(310), 자재(300), 공사현장, 현장의 공기, 현장의 대기, 현장 주변 등에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물, 수단 내지 복합수단, 기능기 통과 물질 등의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분사, 도장, 코팅, 분사에 의한 살균, 분사에 의한 먼지제거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초의 재료로는 토사(190), 바인더(191), 슬라임(192), 잔토(193),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임(192)은 그림 b와 같이 고압으로 바인더를 지중에 주입하면서 교반하여 지중에 기초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지상으로 배출되는 찌꺼기이다. 상기 잔토(193)는 공사 중에 발생된 영여토이다.
상기 기초 조성 관련 장면, 영상, 파일, 공정, 정보, 안전, 환경, 방역, 품질, 사람, 장비, 센싱, 계측, 자재, 관리 등은 본 발명의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서 볼 수 있다. 도 24 내지 26 등에는 기능기(430, 450)에서 생성되는 오존, 음이온, 오존수, 음이온수 등을 기능기(430, 450), 펌프 또는 가압기(463), 노즐 또는 분사기(466) 등을 통하여 공중, 대기, 지상, 현장, 공사장 등에 분사하여 균, 오염, 공기, 대기, 분진, 먼지,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등을 청정, 정화, 제거 등을 하는 것도 도시되어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42), 모빌리티, 청정기(139), 청정수단(139), 미스트기(202) 등, 이에서 공급되는 물질, 미스트,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480, 204)을 이용하여 청정 대상(121)을 청정, 정화, 청소, 세척 등을 보여준다. 여기서 청정 대상(121)으로는 a) 터널(311), 암거, 통로, 아치, 방음벽, 지하공간, 방음터널, b) 댐(315), 하천, 개천, 연못, 저수지, 저류지, 유수지, 정화조, 반응조, 폭기조, 응집조, 침전조, c) 관로(476), 배관, 파이프, 수도관, 하수관, 송수관, 송유관, 파이프라인, d) 룸, 방, 집, 주택, 건물(310), 단지, 현관, 휀스, 울타리, 외벽, 유리, 창호, 실내, 거실, e) 공기, 대기, 공간, 공중, 도로, 포장, 방음벽(318)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는 저장고(460), 혼합기(462), 콤프레셔(105), 펌프(463), 수조, 미스트기(202), 드론(42), 모빌리티, 노즐(466), 청정기(139),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혼합기 내지청정기 등을 이용하여 물질, 수 내지 복합물,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을 청정 대상에 분사, 투입, 주입 등을 하여 청정 대상을 청정, 정화, 청소, 세척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대상, 터널 내지 방음벽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대상 내지 방음벽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청정, 정화, 청소, 세척 관련 장면, 영상, 파일, 공정, 정보, 안전, 환경, 방역, 품질, 사람, 장비, 센싱, 계측, 자재, 관리 등은 본 발명의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서 볼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139) 중에서 살수기(496), 물대포(496), 스프링클러(495) 등이다. 상기 살수기, 물대포, 스프링클러 등에는 수조(176), 정화기(640), 가압기(463), 노즐(466)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이들은 도로(319, 도 28 a), 터널(311, 도 28 b), 공간 등의 청정, 정화, 세정 등에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로는 물, 우수, 터널수 등이 저류되는 수조(176), 물을 정화하는 정화기(640), 물 또는 상기 정화된 물을 가압하는 펌프 또는 가압기(463), 상기 가압된 물을 분사하는 노즐(466),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된 청정기(139), 살수기(496), 물대포(496), 스프링클러(495) 등이다. 상기 청정기, 살수기, 물대포, 스프링클러, 수조, 정화기, 가압기, 노즐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청정기 내지 노즐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도 29는 본 발명의 자성체, 자화기, 전자석, 기능기 등의 기구를 또는 이의 기구가 포함되는 메타버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a는 2개 이상 자석(131)이 매입 또는 코팅 또는 라이닝(133)된 라이닝자석 또는 기구(130), 상기 2개 이상 자석 사이에 이격재(132)가 삽입된 라이닝자석 또는 기구(130), 그림 b는 전원공급기(412)에 연결된 전선(468)에 의한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413)을 발생하는 전자석 또는 기구(135), 코어(415) 또는 기능기(430)에 감긴 코일(416)의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전자석 또는 기구(135), 그림 c는 자화기(431), 코일(416), 상기 기구(130) 등이 투입되어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튜브나 중공체(476, 501)를 나타낸다.
상기 코어는 봉, 막대, 코어, 철봉, 구리봉, 비중공체, solid body, 코어봉, 중심봉, 금속봉, 기능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관, 관로, 튜브, 호스, hollow body, 이송관, 압송관, 벤츄리관, 중공관, 중공체 등이 가능하다. 상기 튜브나 중공체(476, 501)의 내부로는 수, 물, 액, 유, 물질, 재료, 몰탈, 콘크리트 등(480)의 흐름, 통과, 이동, 이송 등이 가능하고, 상기 수 내지 콘크리트 등은 자기장(413)에 의하여 자화, 육각수화, 유동화, 활성화, 슬럼프화, 슬러리화, 장거리이송, 고층이송, 고층건물이송 등이 될 수 있다. 도 29의 그림 b의 적용예로는 1) 상기 봉 내지 중공체 등(415)의 외부 전체, 일부, 1지점, 3지점, 다지점 등에 코일(416)이 감기고 이에 전선(468)을 통하여 전원공급기(412)로부터 전기가 인가되어 상기 봉 내지 중공체 등이 전자석(135)이 되는 것, 2) 상기 튜브나 중공체(476, 501)의 외부 전체, 일부, 1지점, 3지점, 다지점 등에 코일(416)이 감기고 이에 전기가 인가되어 상기 튜브나 중공체(476, 501)을 통과하는 상기 수 내지 콘크리트 등이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고층건물이송 등이 되는 것, 3) 상기 봉 내지 복합기 등(415)이 상기 튜브나 중공체의 내부에 삽입되어(그림 c 참조) 상기 튜브나 중공체를 통과하는 상기 수 내지 콘크리트 등이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고층건물이송 등이 되는 것 등이 해당하다. 상기 자성체, 자화기, 전자석, 기능기, 자석, 라이닝자석, 기구, 이격재, 전원공급기, 전선, 전자석, 코어, 코일, 튜브, 중공체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자성체 내지 중공체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링, 정화기, 송풍기, 링송풍기 등(220)를 나타낸 모식도 또는 메타버스이다. 이는 몸체(102, 476), 이의 내부에 거치된 팬(227) 및 모터(226), 상기 몸체에 거치된 스위치(473) 및 공기유입구멍(101), 상기 팬의 바람(228)이 유출되는 링(221), 상기 링에 형성되면서 바람이 유출되는 노즐(222), 상기 링의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상기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링(221)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225)와 상기 팬의 바람(228)이 송풍되는 송풍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에는 링형 송풍기가 포함될 수 있고, 이는 a) 몸체 또는 중공체(476, 102); b) 이의 내부에 거치된 모터(226); c)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fan, 227); d) 이 팬(227)의 회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228)이 유출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체에 연결된 중공링(221); e) 이 중공링의 노즐(222), 슬롯노즐(222), 오픈노즐(222), 내측 곡면(223), 외측 평면(224); f) 상기 노즐(222)을 통하여 유출되는 바람(28)에 의하여 상기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 g) 상기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225)가 유입되는 상기 중공링(221); h) 상기 팬의 송풍공기(228)와 상기 유입되는 외부 공기(225)가 함께 송풍되는 링형 송풍기(220, 332); i) 상기 송풍에 의하여 풍력이 향상되는 선풍기, 송풍기, 링선풍기, 링송풍기, 다른 송풍기; j) 자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하여 물질 중 경량물을 선별하는 상기 송풍기, 선풍기; k)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중공체 내지 다른 송풍기; ℓ) 상기 진동기가 상기 링에 부착되는 상기 송풍기; m) 상기 부착에 의하여 진동 공기가 발생되는 상기 송풍기; n) 상기 송풍기가 구비된 스크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송풍기이다. 상기 링, 정화기, 송풍기, 링송풍기, 몸체, 팬, 모터, 노즐, 스위치, 공기유입구멍, 내측 곡면, 외측 평면, 중공링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링 내지 중공링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의 모식도 또는 메타버스를 나타낸다. 상기 분해기(550)는 분해기 1, 분해기 2, 분해기 3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분해기 1은 분해기(550), 부숙기, 발효기, 배양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미생물분해기, 미생물발효기, 미생물배양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微生物燃料電池) 중 하나이다.
상기 분해기 2는 용기(102), 이 용기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양극(551)과 음극(552),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이온막(553),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6), 이 전선에 연계된 축전지 또는 전원공급기(412),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555), 상기 용기의 물질 투입구(560), 상기 용기의 유출구(561), 상기 용기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라인(562)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31 a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분해기에서 용기(102)에는 수, 물, 액, 유, 물질, 미생물, 유기물, 폐수, 하수, 폐기물 등의 유입이 되어 상기 수 내지 폐기물 등이 배양, 분해, 발효, 부숙, 숙성 등이 되는 곳이다. 상기 축전지(412)는 상기 미생물 내지 폐기물 등의 반응에 의하여 미생물연료전지가 되는 경우 발생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기(412)는 양극, 음극, 전극 등에 전기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분해기 3은 하기 배양기, 전해기, MFC, CO2; 또는 외부 반입 CO2;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또는 CO2의 주입에 의하여 폐수, 해수, 염분, 염수, 물, 폐기물, 부산물, 음식물, 미생물, 전해질, 전해액, 시멘트재, 폐콘크리트 등에 함유된 Ca, CaO, 석회, 몰탈, 시멘트, 염분, NaCl 중 하나 이상을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CaCO3형성, Na분리, Cl분리, pH저감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탄산화는 CaCO3형성 등이 해당된다. CaCO3는 CaO + CO2 = CaCO3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CaCO3형성에 의하여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등이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pH저감 등이 된다. 상기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등에 의하여 pH저감이 된다. 상기 염분 또는 NaCl은 전기분해에 의하여 Na, Cl로 분리된다.
상기 배양기는 a) 용기(102)에 투입되는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b) 히터(555)에 의한 열; c) 공급라인(562)에 의하여 용기에 투입되는 공기, 산소, 영양소; d) 전기 인가에 의하여 용기 내의 양극에서 발생되는 H2 및 음극에서 발생되는 O2; e) 상기 미생물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의 분해, 배양; f) 상기 분해 또는 배양에 의하여 생성되는 H2, O2, CO2, CH4, 미생물, 증식미생물, 배양미생물, 바이오수, 바이오액, 바이오가스, 바이오시밀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시행 또는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570)는 MFC 1, MFC 2, MFC 3 중 하나이다. 상기 MFC 1은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유기물의 화학에너지를 미생물을 촉매로 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지(570)이다. 상기 MFC 2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시켜 발생하는 전자(e-)와 수소이온(H+)이 양극(551)과 음극(552)을 오가며 물과 전기를 만들어내는 전지이다.
상기 MFC 3은 a) 용기(102)의 양극부(551)에 투입되는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유기물; b) 상기 양극부(551)에서 발생되는 H+, CO2, 전자(e-); c) 상기 이온막(553)을 통하여 음극부로 향하는 상기 H+; d) 상기 음극부(552)에서 상기 H+와 외부 유입 공기 중 O2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H2O; e) 상기 양극부의 양극(551)과 상기 음극부의 음극(552)에 연결되는 전선(468)을 흐르는 상기 전자(e-); f) 상기 전자(e-)의 흐름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 g) 상기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412);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발생되는 전지이다. 이는 도 31 b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용기(102)는 조, 통, 함, 링, 관, 탱크, 박스, 용기, 튜브, 밴드, 호스, 관로, 파이프, 중공체, 중공통, 중공관, 사일로, 케이스, 하우스, 하우징 중 하나이다.
상기 전해기는 전해기 1, 전해기 2, 전해기 3, 전해기 4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전해기 1은 a) 전해기(571), 電解器, 電解機, 전기분해기, 電氣分解機, 전해조(102); b)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 전해액; c) 상기 전극 중 양극(551)과 음극(552) 사이의 이온막(553); d) 상기 전극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468), 플러그(410), 콘센트(411), 전원공급기(412); e) 상기 전극에 전기가 인가되어 전기분해되는 전해질, 전해액(554); f)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H+, OH-, Na+, Cl-, Fe+, H2, O2, CO2, Cl2, HOCl, NaOCl, OH라디칼, 이온, 철이온, 금속이온, 버블, 가스, 담수, 전해수, 전해물, 산성수, 알카리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되는 전해조(102);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31 c를 참조한다.
상기 전해기 2는 a) 전해조(102)에 투입되는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b) 전기 인가에 의하여 상기 양극(551)과 음극(552)에서 발생되는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의 전기분해; c)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d) 상기 전기분해에 의한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의 탈염, 염분제거; e) 상기 이온막(433)에 의하여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분리 배출되는 H2, O2;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발생, 형성, 시행, 배출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전해기 3은 a) 상기 전해조(102)에 순차 연계되는 파이프, 정제기, 응축기, 압축기, 저장탱크; b) 상기 H2, O2 중 하나 이상을 이송, 정제, 응축, 가압, 저장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전해기 4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전해기 내지 전원공급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b)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을 공급 또는 분사하는 호스, 노즐, 디퓨저, 분사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전해기 내지 저장탱크; c)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살균, 소독, 청정, 정화, 탄산화, 몰탈제거, 시멘트제거, 이물질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도록 하는 상기 전해기 내지 저장탱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용기 내지 공급라인, 축전지, 전해조, 양극, 음극, 양극부, 음극부, 전해기 내지 전원공급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분해기 내지 저장탱크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등의 발생을 살펴보면 1) H+는 양극, OH-는 음극, Fe+는 양극, H2는 양극, O2는 음극, CO2는 양극, OH라디칼은 음극, 이온 또는 Fe+는 양극, 산성수는 양극, 알카리수는 음극; 2) 그리고 Na+, Cl-, Cl2, HOCl, NaOCl, 버블, 가스, 담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등은 전해조, 전해수, 전해물, 양극과 음극 사이; 등에서 발생된다. 상기 담수는 해수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조성된 담수이다. 상기 전해액은 전기분해에 사용되는 또는 전해조에 투입되는 수, 물, 액, 유, 해수 등이고, 상기 전해수는 전기분해된 또는 전해조에서 배출되는 수, 물, 액, 유, 담수 등이다. 상기 전해물은 전기분해된 물질로서, 이의 물질에는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등이 포함된다.
상기 방전기(572)에는 a) 방전기(572), 전기방전기(572); b) 전극(552)이 투입된 용기(102, 551), 상기 전극 및 용기에 전기가 인가되어 방전하는 방전기(572), 상기 방전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용기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분진이 대전되어 상기 용기에 부착되어 제거되는 방전기(572);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이는 도 31 d 참조. 상기 방전기는 전기집진기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방전기 또는 전기집진기는 a) 방전기, 전기집진기, 전기가 이용되는 집진기, 전기에 의한 코로나방전이 이용되는 집진기,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를 집진하는 집진기; b)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에 전기장을 작용시켜서 전기를 띠게 한 후 분진을 정전적인 힘으로 모아 제거하는 장치; c) 4만∼7만 V의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집진기; d) 50∼60Hz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고압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4만∼7만 V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집진기; e)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긴 전하가 분진 입자에 부착됨으로 대전입자(帶電粒子)가 되어 정전기력(靜電氣力)에 의해 반대극성의 전극에 끌려 이동하여 집진되는 집진기; f) 원통의 집진전극(集塵電極)을 양극(551)으로 하고 상기 원통의 중앙에 거치된 방전선(放電線)을 음극(552)으로 한 후 원통 내에 분진을 함유한 공기를 통과시켜 분진이 음으로 대전(帶電)하여 원통의 내면에 부착 제거되는 집진기; 이는 도 46 d 참조, g) 상기 원통에 침적된 분진을 물로 씻거나 상기 원통에 기계적 충격을 주어 분진이 제거되는 집진기; 중 하나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전지 또는 수소연료전지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수소전지 또는 수소연료전지(573)에는 수소전지 1, 수소전지 2, 수소전지 3. 수소전지 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소전지 1은 수소(H)와 산소(O)가 반응하여 물이 되는 반응(2H2 + O2 → H2O)을 통해 발생되는 전자가 양극(551) 또는 산화전극(anode)에서 외부 도선(468)을 통해 음극(552) 또는 환원전극(cathode)으로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573)이다. 이는 도 32 a 참조. 상기 수소전지 2는 상기 양극과 음극의 사이, 또는 상기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의 사이에 전해질(438), 이온막(433)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소전지(573)이다. 이는 도 32 b 참조. 상기 수소전지 3은 상기 산화전극(551)에서 연료인 수소의 산화 반응이 하기의 반응 1 또는 반응 2와 같이 발생되고, 상기 환원전극(552)에서는 산소의 환원 반응이 하기의 반응 3 또는 반응 4와 같이 발생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소전지(573)이다. 이는 도 32 a. b. c 참조. 상기 반응 1은 산성 조건에서 2H2 → 4H+ + 4e- 이다. 상기 반응 2는 염기성 조건에서 2H2 + 4OH- → 4H2O+ 4e- 이다. 상기 반응 3은 산성 조건에서 O2 + 4H+ + 4e- → 2H2O 이다. 상기 반응 4는 염기성 조건에서 O2 + 2H2O + 4e- → 4OH- 이다. 상기 수소전지 4는 전해기(571)와 수소연료전지(573)가 결합된 것이다. 이는 도 32 c 참조. 이는 전해기(571)에서 발생되는 수소, 산소를 이용하여 수소연료전지(573)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이다. 상기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전해조, 전해액, 이온막, 전극, 양극, 음극, 히터, 유입구, 유출구, 공급라인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분해기 내지 공급라인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분해기 내지 공급라인 등에서 제공되는 물질, 수소, 산소, 전기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 또는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도 29의 자성체 내지 중공체, 도 30의 링 내지 중공링, 도 31의 분해기 내지 저장탱크, 도 32의 분해기 내지 공급라인, 수단 내지 복합수단; b) 상기 자성체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함유, 포함, 투입 등은 a)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응용, 병용,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정착, 장착, 부착, 접착, 점착, 함유, 포함, 혼합, 혼입, 배합, 매입, 투입, 유입, 주입, 注入, 삽입, 병행, 추가, 추인, 가미, 가산, 마련, 수반, 따름, 형성, 조성, 생성, 발생, 발사, 發射, 방사, 放射, 조사, 照射, 비침, 비춤, 발현, 구현, 연계, 연결, 체결, 병합, 합체, 끼움, 끼임, 조합, 관련, 관계, 관통, 통과, 흐름, 지남, 접촉, 칠, 바름, 미장, 코팅, 도장, 도색, 숏팅, 블라스팅, 숏블라스팅, 분사, 분수, 분무, 분포, 분출, 배출, 유출, 유입, 살수, 확산, 분산, 스프레이, 포설, 포장, 묶임, 용접, 볼팅, 접착, 접합, 점착, 압착, 증착, 겹침, 적층, 적재, 누적, 야적, 쌓음, 쌓임, 증착, 인가, 허가, 첨가, 추가, 첨삭, 삭제, 면제, 더하기, 제하기, 탑재, 탑승, 합승, 승용, 매담, 달림, 매달림, 새김, 새겨짐, 양각, 파임, 파여짐, 덮음, 카바, 에워쌈, 조립, 조각, 조형, 조임, 배양, 양식, 분해, 분리, 선별, 부패, 부숙, 훈증, 함침, 합침, 수침, 침지, 침적,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살균, 소독,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척, 세정, 세탁, 세차, 필터링, 페인팅, 크리닝, 라이닝, 리모델링, 거치대구비, 거치대에 구비, 거치대를 통하여 구비, 끈연결, 잭연결, 나사연결, 플랜지연결; b) 또는 줄, 선, 실, 띠, 끈, 대, 봉, 근, 바, 리바, 판, 고리, 앙카 등에 의한 상기 이용 내지 플랜지연결; c) 또는 c1)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지, c2) 이중 하나의 전, 중, 후, 상, 하,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내부, 외부, 입구, 출구, 이음부, 연결부, 절취부, 절단부 등에 상기 이용 내지 플랜지연결; d) d1)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d2) 이중 하나 이상의 상, 하, 전, 후, 좌, 우, 면, 표면, 내부, 내면, 외부, 외면, 외주, 입구, 출구, 주변, 주위, 인근, 동시, 실시간, 이음부, 연결부 등에 상기 이용 내지 플랜지연결; e)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연계는 a) 연계, 연결, 결합,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접속, 접촉; b) 또는 튜브, 타설구, 중공체 등의 전, 후, 좌, 우, 상, 하, 내부, 외부,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등에 상기 연계 내지 접촉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구비, 구성, 거치, 포함 등은 a) 구비, 구성, 마련,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정착, 장착, 부착, 접착, 점착, 밀착, 압착, 처리, 처치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응용, 병용, 함유, 포함, 혼합, 배합, 매입, 투입, 삽입, 연계, 연결, 체결, 병합, 합체, 끼움, 내재, 내장, 외장, 조임, 밴딩, 묶음, 끼움, 조립, 조합, 연합, 관련, 관계, 형성, 조성, 완성; b) 또는 해당되는 전체, 부분, 일부, 일부분, 전체의 부분, 전체의 일부, 전체 중 부분, 전체 중 일부, 전체의 50%, 전체의 1∼99% 등이 상기 구비 내지 완성;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중 하나"는 중 하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등이 해당된다. 상기 군은 군, 群, 그룹, groop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에서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의 함량, 구성비, 성분비 등은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각각이 0∼100 %, 중량부, 중량%, 체적% 등이 된다. 본 발명에서 '∼', '내지' 등은 ∼, 내지, ∼부터 ∼까지, 어디에서 어디까지, 얼마에서 얼마까지, 일정의 범위, 2개 이상의 범위, 2개 이상의 나열 범위, 2개 이상의 개수 범위, 2개 이상의 용어 나열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등은 등, 하나, 둘 이상, 중 하나 이상, 중 둘 이상 등이 해당된다.
이상에 기재 또는 설명된 내용, 용어, 단어, 숙어, 구절, 어구, 문구, 문장, 단락, 설명, 해설, 표현, 표기, 도면, 그림, 청구항 내용 등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용, 청구항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내용, 청구항, 실시예 등의 일부에 관한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내용, 청구항, 실시예 등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항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시스템, 안전시스템, 자동시스템, 청정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2: 착용수단, 복장수단, 웨어러블수단, 사람에 착용되는 수단
3: 전면, 전방, 웨어러블수단의 전면 4: 후면, 후방, 웨어러블수단의 후면
5: 수단, 사물, 만물, 복합수단
10: 기구, 수단 또는 필드수단 또는 웨어러블수단에 구비된 기구
10: 부호 11 ∼20이 해당됨
11: 센서 12: 버튼 13: 랜턴 14: 카메라 15: 무전기 16: 알림기
17: 램프 18: 계측기 19: 배터리 20: 제어기 20': 포켓
21: 헬멧 22: 안경, 고글 23: 완장 24: 조끼 25: 멜빵
26: 손목밴드 27: 시계, 워치 28: 신발, 작업화, 안전화 29: 안전고리
30: 사람, 로봇, 동물, 인부, 작업자, 근로자, 출입자, 아바타
31: 관리자, 사무자 32: 총괄자, 관제자
33: 사용자, 앱 고객, 앱 사용자, 인터넷상의 사용자
35: 스마트폰, 근로자 스마트폰, 작업자 스마트폰, 아바타 스마트폰
40: 필드캠, 필드수단, 필드기구, 현장시설, 공장시설, 현장장비, 공장장비
41: 장비, 트럭, 공사장비, 공장장비, 필드수단
42: 드론, 비행기, 항공기, 필드수단
43: 가전, 제품, 용품, 가전제품, 생활용품, 사무용품, 필드수단
44: 삼각대, 삼발이, 트라이포드, 필드수단
45: 틀, 거치대, 격자대, 격자틀, 사다리, 조립대, 필드수단
50: 통신장치 51: 비콘 52: 게이트웨이 60: 통신망 70: 서버
71: 중앙관제서버 72: 플랫폼서버 73: GIS서버 74: 빅테이터서버
75: 인공지능서버 76: 클라우드서버
80: 처리장치 81: 중앙처리장치 82: 주기억장치 83: 보조기억장치
84: 입력장치 85: 출력장치 86: 데이터의 흐름 87: 제어신호의 흐름
90: 단말기 91: PC, 컴퓨터 92: 모니터 93: 스크린
94: 관리자, 총괄자의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95: 이용자, 앱이용자의 휴대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96: 플랫폼
97: 메타버스, 메타버스앱, 메타버스시설, 메타버스화면, 메타버스영상
100: 현장, 공장, 가정, 공사장, 산업현장, 가상공간, 가상세계,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메타버스세계, 3차원가상공간
101: 시설, 건물, 주택, 빌딩, 도로, 터널, 항만, 교량, 구조물, 아파트
110: 지사, 사무실, 현장상황실, 현장사무실, 공장사무실, 지사사무실
120: 본사, 관제센터, 중앙관제센터, 종합상황실, 본사상황실

Claims (2)

  1. 일정의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서,
    웨어러블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수단의 전면 또는 내부에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SOS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랜턴이 구비되고,
    상기 랜턴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무전기가 구비되고,
    상기 무전기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포함되고,
    상기 무전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알림기가 구비되고,
    상기 수단의 후면에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에 이격되면서 상기 후면에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면서 상기 후면에 제어기가 구비되고,
    상기 수단이 작업자에 착용되고,
    상기 작업자에 스마트폰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 SOS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포켓이 상기 수단에 형성되고,
    상기 기구와 배터리 사이에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에 상기 센서가 작동되고,
    상기 작업 중에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작업 장면이 촬영되고,
    상기 SOS버튼은 비상 시에 상기 작업자에 의하여 눌려지는 것이고,
    상기 기구에 통신장치가 연계되고,
    상기 통신장치에 LTE, WiFi, Bluetooth, 비콘(beacon), 게이트웨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이 연계되고,
    상기 통신장치 또는 통신망에 서버가 연계되고,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단말기가 연계되고,
    상기 단말기에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태블릿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에 스마트폰용 앱이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에 단말기용 앱이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단말기는 상호 연계 또는 통화되고,
    상기 수단에 구비된 무전기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된 무전기가 상호 연계 또는 통화되고,
    상기 작업자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근무하는 관리자 또는 총괄자 간에 통화 시스템이 구축되고,
    상기 수단 또는 기구에 자기장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기에 의하여 상기 작업자에 자기장이 방사되고,
    상기 수단, 기구, 센터, 작업자 중 하나 이상이 소독되고,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오존기가 구비되고,
    상기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되고,
    상기 오존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음이온기가 구비되고,
    상기 음이온기에 의하여 음이온이 발생되고,
    상기 음이온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청정기가 구비되고,
    상기 청정기는 공기를 청정하는 것이고,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히터, 쿨러가 거치되고,
    상기 히터는 열을 발산하는 것이고,
    상기 쿨러는 열을 식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2. 작업 중에 또는 작업에 있어서,
    웨어러블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수단의 전면 또는 내부에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SOS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랜턴이 구비되고,
    상기 랜턴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무전기가 구비되고,
    상기 무전기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포함되고,
    상기 무전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알림기가 구비되고,
    상기 수단의 후면에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램프에 이격되면서 상기 후면에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면서 상기 후면에 제어기가 구비되고,
    상기 수단이 작업자에 착용되고,
    상기 작업자에 스마트폰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 SOS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포켓이 상기 수단에 형성되고,
    상기 기구와 배터리 사이에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에 상기 센서가 작동되고,
    상기 작업 중에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작업 장면이 촬영되고,
    상기 SOS버튼이 비상 시에 상기 작업자에 의하여 눌려지고,
    상기 기구에 통신장치가 연계되고,
    상기 통신장치에 LTE, WiFi, Bluetooth, 비콘(beacon), 게이트웨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이 연계되고,
    상기 통신장치 또는 통신망에 서버가 연계되고,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단말기가 연계되고,
    상기 단말기에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태블릿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에 스마트폰용 앱이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에 단말기용 앱이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단말기는 상호 연계 또는 통화되고,
    상기 수단에 구비된 무전기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된 무전기가 상호 연계 또는 통화되고,
    상기 작업자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근무하는 관리자 또는 총괄자 간에 통화 시스템이 구축되고,
    상기 수단 또는 기구에 자기장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기에 의하여 상기 작업자에 자기장이 방사되고,
    상기 수단, 기구, 센터, 작업자 중 하나 이상이 소독되고,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오존기가 구비되고,
    상기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되고,
    상기 오존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음이온기가 구비되고,
    상기 음이온기에 의하여 음이온이 발생되고,
    상기 음이온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청정기가 구비되고,
    상기 청정기에 의하여 공기가 청정되고,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히터, 쿨러가 거치되고,
    상기 히터에 의하여 열이 발산되고,
    상기 쿨러에 의하여 열이 식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방법


KR1020220026003A 2022-02-28 2022-02-28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KR10259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003A KR102594886B1 (ko) 2022-02-28 2022-02-28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KR1020220137022A KR20230129139A (ko) 2022-02-28 2022-10-24 IoT 비계, 강관비계, 시스템비계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20137049A KR20230129146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
KR1020220137025A KR20230129141A (ko) 2022-02-28 2022-10-24 IoT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 및 이가 이용되는 작업, 공사,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방법
KR1020220137043A KR20230129143A (ko) 2022-02-28 2022-10-24 IoT 장비, 시설, 공법, 수단, 밴드, 드론, 비계, 형틀, 크레인, 삼각대, 측량기, 가시설 및 이가 이용되는 작업, 공사, 관리, 안전, 살수, 청정,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방법
KR1020220137013A KR20230129137A (ko) 2022-02-28 2022-10-24 공사, 안전, 진단, 감리, 계측, 작업, 모니터링의 시스템, 관리시스템, 자동시스템
KR1020220137029A KR20230129142A (ko) 2022-02-28 2022-10-24 IoT 웨어러블 조끼, 밴드, 헬멧, 워치, 멜빵, 벨트, 수단
KR1020220137024A KR20230129140A (ko) 2022-02-28 2022-10-24 IoT 펌프카, 포터블, 타설기, 콘크리트타설기, 콘크리트타설붐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20137141A KR20230129147A (ko) 2022-02-28 2022-10-24 IoT 삼각대, 측량기, 삼발이, 지지대, 격자대, 조립대, 플렛폼, 트라이포드, 작업수단
KR1020220137830A KR20230128952A (ko) 2022-02-28 2022-10-24 세척, 세정, 정화, 청정, 청소, 살균, 살수, 소독, 방역, 방제, 크리닝 장비
KR1020220137818A KR20230129148A (ko) 2022-02-28 2022-10-24 IoT 폼, 형틀, 슬립폼, 유로폼, 거푸집, 슬라이딩폼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20137046A KR20230129144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공사, 건설, 건축, 포장, 작업, 관리, 안전, 살수, 정화, 방역, 크리닝 방법 및 공법
KR1020220137047A KR20230129145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장비, 시설, 수단, 조끼, 밴드, 헬멧, 비계, 형틀, 크레인, 펌프카, 포터블, 삼각대, 측량기, 슬립폼
KR1020220137018A KR20230129138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장비, 시설, 공법, 수단, 시스템, 건설장비, 환경장비,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청정, 정화, 안전관리, 공사관리, 환경관리 방법
KR1020230053912A KR20230128994A (ko) 2022-02-28 2023-04-25 이동형 CCTV, 카메라, 촬영기, 녹화기, 시스템, 안전시스템, IoT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KR1020240037477A KR20240038953A (ko) 2022-02-28 2024-03-18 스마트 공사, 건설, 건축, 작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003A KR102594886B1 (ko) 2022-02-28 2022-02-28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013A Division KR20230129137A (ko) 2022-02-28 2022-10-24 공사, 안전, 진단, 감리, 계측, 작업, 모니터링의 시스템, 관리시스템, 자동시스템
KR1020220137046A Division KR20230129144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공사, 건설, 건축, 포장, 작업, 관리, 안전, 살수, 정화, 방역, 크리닝 방법 및 공법
KR1020220137830A Division KR20230128952A (ko) 2022-02-28 2022-10-24 세척, 세정, 정화, 청정, 청소, 살균, 살수, 소독, 방역, 방제, 크리닝 장비
KR1020220137818A Division KR20230129148A (ko) 2022-02-28 2022-10-24 IoT 폼, 형틀, 슬립폼, 유로폼, 거푸집, 슬라이딩폼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20137025A Division KR20230129141A (ko) 2022-02-28 2022-10-24 IoT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 및 이가 이용되는 작업, 공사,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방법
KR1020220137022A Division KR20230129139A (ko) 2022-02-28 2022-10-24 IoT 비계, 강관비계, 시스템비계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20137043A Division KR20230129143A (ko) 2022-02-28 2022-10-24 IoT 장비, 시설, 공법, 수단, 밴드, 드론, 비계, 형틀, 크레인, 삼각대, 측량기, 가시설 및 이가 이용되는 작업, 공사, 관리, 안전, 살수, 청정,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방법
KR1020220137029A Division KR20230129142A (ko) 2022-02-28 2022-10-24 IoT 웨어러블 조끼, 밴드, 헬멧, 워치, 멜빵, 벨트, 수단
KR1020220137018A Division KR20230129138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장비, 시설, 공법, 수단, 시스템, 건설장비, 환경장비,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청정, 정화, 안전관리, 공사관리, 환경관리 방법
KR1020220137049A Division KR20230129146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
KR1020220137047A Division KR20230129145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장비, 시설, 수단, 조끼, 밴드, 헬멧, 비계, 형틀, 크레인, 펌프카, 포터블, 삼각대, 측량기, 슬립폼
KR1020220137141A Division KR20230129147A (ko) 2022-02-28 2022-10-24 IoT 삼각대, 측량기, 삼발이, 지지대, 격자대, 조립대, 플렛폼, 트라이포드, 작업수단
KR1020220137024A Division KR20230129140A (ko) 2022-02-28 2022-10-24 IoT 펌프카, 포터블, 타설기, 콘크리트타설기, 콘크리트타설붐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30053912A Division KR20230128994A (ko) 2022-02-28 2023-04-25 이동형 CCTV, 카메라, 촬영기, 녹화기, 시스템, 안전시스템, IoT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744A true KR20230128744A (ko) 2023-09-05
KR102594886B1 KR102594886B1 (ko) 2023-10-27

Family

ID=87973505

Famil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003A KR102594886B1 (ko) 2022-02-28 2022-02-28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KR1020220137029A KR20230129142A (ko) 2022-02-28 2022-10-24 IoT 웨어러블 조끼, 밴드, 헬멧, 워치, 멜빵, 벨트, 수단
KR1020220137025A KR20230129141A (ko) 2022-02-28 2022-10-24 IoT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 및 이가 이용되는 작업, 공사,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방법
KR1020220137024A KR20230129140A (ko) 2022-02-28 2022-10-24 IoT 펌프카, 포터블, 타설기, 콘크리트타설기, 콘크리트타설붐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20137141A KR20230129147A (ko) 2022-02-28 2022-10-24 IoT 삼각대, 측량기, 삼발이, 지지대, 격자대, 조립대, 플렛폼, 트라이포드, 작업수단
KR1020220137022A KR20230129139A (ko) 2022-02-28 2022-10-24 IoT 비계, 강관비계, 시스템비계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20137046A KR20230129144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공사, 건설, 건축, 포장, 작업, 관리, 안전, 살수, 정화, 방역, 크리닝 방법 및 공법
KR1020220137047A KR20230129145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장비, 시설, 수단, 조끼, 밴드, 헬멧, 비계, 형틀, 크레인, 펌프카, 포터블, 삼각대, 측량기, 슬립폼
KR1020220137818A KR20230129148A (ko) 2022-02-28 2022-10-24 IoT 폼, 형틀, 슬립폼, 유로폼, 거푸집, 슬라이딩폼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20137830A KR20230128952A (ko) 2022-02-28 2022-10-24 세척, 세정, 정화, 청정, 청소, 살균, 살수, 소독, 방역, 방제, 크리닝 장비
KR1020220137043A KR20230129143A (ko) 2022-02-28 2022-10-24 IoT 장비, 시설, 공법, 수단, 밴드, 드론, 비계, 형틀, 크레인, 삼각대, 측량기, 가시설 및 이가 이용되는 작업, 공사, 관리, 안전, 살수, 청정,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방법
KR1020220137018A KR20230129138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장비, 시설, 공법, 수단, 시스템, 건설장비, 환경장비,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청정, 정화, 안전관리, 공사관리, 환경관리 방법
KR1020220137049A KR20230129146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
KR1020230053912A KR20230128994A (ko) 2022-02-28 2023-04-25 이동형 CCTV, 카메라, 촬영기, 녹화기, 시스템, 안전시스템, IoT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KR1020240037477A KR20240038953A (ko) 2022-02-28 2024-03-18 스마트 공사, 건설, 건축, 작업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029A KR20230129142A (ko) 2022-02-28 2022-10-24 IoT 웨어러블 조끼, 밴드, 헬멧, 워치, 멜빵, 벨트, 수단
KR1020220137025A KR20230129141A (ko) 2022-02-28 2022-10-24 IoT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 및 이가 이용되는 작업, 공사,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방법
KR1020220137024A KR20230129140A (ko) 2022-02-28 2022-10-24 IoT 펌프카, 포터블, 타설기, 콘크리트타설기, 콘크리트타설붐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20137141A KR20230129147A (ko) 2022-02-28 2022-10-24 IoT 삼각대, 측량기, 삼발이, 지지대, 격자대, 조립대, 플렛폼, 트라이포드, 작업수단
KR1020220137022A KR20230129139A (ko) 2022-02-28 2022-10-24 IoT 비계, 강관비계, 시스템비계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20137046A KR20230129144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공사, 건설, 건축, 포장, 작업, 관리, 안전, 살수, 정화, 방역, 크리닝 방법 및 공법
KR1020220137047A KR20230129145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장비, 시설, 수단, 조끼, 밴드, 헬멧, 비계, 형틀, 크레인, 펌프카, 포터블, 삼각대, 측량기, 슬립폼
KR1020220137818A KR20230129148A (ko) 2022-02-28 2022-10-24 IoT 폼, 형틀, 슬립폼, 유로폼, 거푸집, 슬라이딩폼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20220137830A KR20230128952A (ko) 2022-02-28 2022-10-24 세척, 세정, 정화, 청정, 청소, 살균, 살수, 소독, 방역, 방제, 크리닝 장비
KR1020220137043A KR20230129143A (ko) 2022-02-28 2022-10-24 IoT 장비, 시설, 공법, 수단, 밴드, 드론, 비계, 형틀, 크레인, 삼각대, 측량기, 가시설 및 이가 이용되는 작업, 공사, 관리, 안전, 살수, 청정,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방법
KR1020220137018A KR20230129138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장비, 시설, 공법, 수단, 시스템, 건설장비, 환경장비,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청정, 정화, 안전관리, 공사관리, 환경관리 방법
KR1020220137049A KR20230129146A (ko) 2022-02-28 2022-10-24 AI, IoT, Meta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
KR1020230053912A KR20230128994A (ko) 2022-02-28 2023-04-25 이동형 CCTV, 카메라, 촬영기, 녹화기, 시스템, 안전시스템, IoT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KR1020240037477A KR20240038953A (ko) 2022-02-28 2024-03-18 스마트 공사, 건설, 건축, 작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5) KR1025948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850B1 (ko) * 2023-10-06 2024-04-12 주식회사 엔텍 작업 안전성이 개선된 넉클크레인 장치
KR102657394B1 (ko) * 2023-10-06 2024-04-15 주식회사 엔텍 작업 안전성이 개선된 스틱크레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767B1 (ko) 2023-09-21 2023-12-20 정한직 Ai 비전 및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안전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50832B1 (ko) * 2023-11-30 2024-03-26 (주)스토리포유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안전장비 및 스마트안전시스템
CN117441980B (zh) * 2023-12-20 2024-03-22 武汉纺织大学 一种基于多传感信息智能计算的智能头盔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608B1 (ko) * 2019-08-29 2021-01-21 주식회사 유시스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KR20210094815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헬티 개인 스마트 안전장비 일원화 및 데이터 관리시스템
KR20210133071A (ko) * 2020-04-28 2021-11-05 비앤피 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102335915B1 (ko) * 2020-02-18 2021-12-09 주식회사 동명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10632A (ko) * 2020-07-16 2022-01-26 정하익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집진기, 선별기, 환기시설, 스프링클러, 의류청정기, 에어샤워부스, 에어샤워현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608B1 (ko) * 2019-08-29 2021-01-21 주식회사 유시스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KR20210094815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헬티 개인 스마트 안전장비 일원화 및 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2335915B1 (ko) * 2020-02-18 2021-12-09 주식회사 동명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33071A (ko) * 2020-04-28 2021-11-05 비앤피 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0632A (ko) * 2020-07-16 2022-01-26 정하익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집진기, 선별기, 환기시설, 스프링클러, 의류청정기, 에어샤워부스, 에어샤워현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850B1 (ko) * 2023-10-06 2024-04-12 주식회사 엔텍 작업 안전성이 개선된 넉클크레인 장치
KR102657394B1 (ko) * 2023-10-06 2024-04-15 주식회사 엔텍 작업 안전성이 개선된 스틱크레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144A (ko) 2023-09-06
KR20230128952A (ko) 2023-09-05
KR20230129142A (ko) 2023-09-06
KR20230129147A (ko) 2023-09-06
KR20230129141A (ko) 2023-09-06
KR20230128994A (ko) 2023-09-05
KR20230129145A (ko) 2023-09-06
KR102594886B1 (ko) 2023-10-27
KR20230129146A (ko) 2023-09-06
KR20230129138A (ko) 2023-09-06
KR20230129148A (ko) 2023-09-06
KR20230129140A (ko) 2023-09-06
KR20230129143A (ko) 2023-09-06
KR20240038953A (ko) 2024-03-26
KR20230129139A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8744A (ko)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KR20240031265A (ko) 비타민이 함유된 생수, 커피, 콜라, 음료, 인삼, 홍삼, 소주, 맥주, 막걸리, 사이다, 드링크
KR20230133822A (ko) 로봇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인테리어, 리모델링 방법
KR20230028331A (ko) 넥캠, 바디캠, 박스캠, 드론캠, 장비캠, 시설캠, 현장캠, 작업캠, IoT캠, 카메라, CCTV, 박스CCTV, 이동형CCTV, 카메라세트
KR20230129156A (ko) AI, IT, IoT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시스템
KR20230129137A (ko) 공사, 안전, 진단, 감리, 계측, 작업, 모니터링의 시스템, 관리시스템, 자동시스템
KR20240063083A (ko) 공사, 작업, 안전, 제조 관리의 수단, 기술, 장비, 방법, 시스템
KR20240057547A (ko) IT, AI, ICT, IoT, ESG, ESS, 수단, 배터리, 딥러닝, 빅데이터, 클라우드, 웨어러블, 메타버스 및 이의 이용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분양, 안전, 청정, 방역, 살균 방법
KR20240057544A (ko)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방법
KR20240056998A (ko) 장치, 장비, 자재, 재료, 물품, 물체, 물질, 작업, 제조, 공사,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수단, 시설, 건물, 구조물, 드론, 배터리, 파워뱅크, 3d프린터, 모빌리티, 메타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