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544A -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방법 - Google Patents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544A
KR20240057544A KR1020220137853A KR20220137853A KR20240057544A KR 20240057544 A KR20240057544 A KR 20240057544A KR 1020220137853 A KR1020220137853 A KR 1020220137853A KR 20220137853 A KR20220137853 A KR 20220137853A KR 20240057544 A KR20240057544 A KR 2024005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ess
batterie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37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544A/ko
Publication of KR2024005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54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 Paper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배터리, 폐배터리, ESS, 파워뱅크, 에너지저장시스템; b) 폐배터리가 이용되는 ESS, 파워뱅크; c) 이들이 이용되는 충전소, 충전기, 전기충전기; d) 이들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 연료전지, 수소전지, 전해전지, 태양전지, 원전, 발전기, 에너지; e) 이중 하나가 이용되는 차량, 전기차, 수소차; f) 이중 하나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주행,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e) 상기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의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방법{ESS, charger, powerbank, battery, electric tool and construction, cleaning, works, recycling method}
본 발명은 a) ESS, 전지, 원전, 발전기, 에너지, 연료전지, 수소전지, 전해전지, 태양전지, 충전기, 충전소, 발전기, 배터리, 폐배터리, 폐배터리ESS, 에너지저장시스템, 전기차, 수소차, 파워뱅크, 폐배터리파워뱅크, 전기장치, 전력계통, 전력공급시설; b) 상기 전지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이 이용되는 ESS, 파워뱅크; c) 상기 ESS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이 이용되는 충전기 또는 충전소; d) 상기 ESS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이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주행, 처리, 작업, 리스, 대여, 재활용, 리사이클링; e) 상기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의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에너지, 대기오염.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이상기후, 지구온난화, 저탄소녹색성장, 지속가능개발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친환경 제조, 작업, 공장, 플랜트, 차량, 청정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등이 대두 되고 있다. 기존의 산업이나 공장이나 자동차는 석탄, 가솔린, 디젤, 경유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이의 연소시 유해가스, 배기가스, 이산화탄소 등이 발생하여 각종 오염을 일으킨다. 그리고 석유, 석탄, 원유, 가스, 가솔린, 디젤 등의 고갈에 대비하여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핸드폰, 전기차, 수소차, 전자기기 등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의 가동을 위해서는 에너지의 사용이나 충전이 필요하고, 이의 충전을 위한 전지, 배터리, 연료전지, 충전기, 충전소 등이 필요하다. 향후 전지, 배터리, 연료전지, 폐전지, 폐배터리, 폐연료전지 등이 많이 발생되므로 이의 처리 및 재활용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재활용의 하나로 ESS, 파워뱅크 등으로 재활용하는 것이다.
각종 분야에서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전지, 폐배터리, 전기장치 등의 사용, 재사용, 재활용, 리사이클링 등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사용이 많은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등의 분야에서는 이의 추진이 더딘 상황이다. 상기 분야에서 상기 사용, 재사용, 재활용, 리사이클링 등이 활발하게 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등에 다한 기존기술로는 10-2292106, 10-1939812, 10-2112144, 10-1940496, 10-2020569, 10-2020568, 10-1662949, 10-2067214, 10-2022-0079077, 10-2022-0070818, 10-2022-0088533, 10-2019-0056084, 10-2022-0129528, 10-2022-0071826, 10-1458712, 10-1452242, 10-1660628, 10-2030918, 10-2022-0019792, 10-1920058, 10-20220128494, 10-2022-0128567, 10-2022-0073054, 10-2445142, 10-2022-0101975, 10-2019-0135696, 10-2446809, 20-2017-0000570, 10-2353461, 10-2341490, 10-2015-0130257, 10-2230334, 10-2131948, 10-2022-0077643, 10-2018-0049568, 10-2407105, 10-2022-0126077, 10-2022-0107651, 10-2022-0092465, 10-2013-0048811, 10-2430803, 10-1858821, 10-1220149, 10-2004-0005770 등이 있다.
상기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술을 대체하는 새로운 기술이나 기기가 개발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상기 ESS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에 관한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이 개발되거나, 특히 상기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 등에 이용되는 상기 ESS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에 관한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이 개발되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ESS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이 상기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 등에 이용되는 새로운 기술이나 공법이 개발되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시사점이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기술을 발전, 상기 기술을 대체하는 새로운 기술이나 기기가 개발, 상기 ESS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에 관한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 개발, 상기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 등에 이용되는 상기 ESS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에 관한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 개발, 상기 ESS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이 상기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 등에 이용되는 새로운 기술이나 공법 개발 등을 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기술, 제품, 기기, 공법, ESS 내지 전력공급시설,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 등을 고안하고자 한다. 특히 항균, 제균, 멸균, 살균, 소독, 청정, 정화, 크린, 크리닝, 크린업, 에코, 나노, 스마트, 환경, 친환경, 생태, 친생태, 퓨리, 퓨리케이션 등의 또는 등이 되는 또는 등의 기능을 가진 상기 기술 내지 리사이클링 등을 고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새로운 상기 기술 내지 리사이클링 등이 고안되었다. 특히 상기 항균 내지 퓨리케이션 등의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의 기능을 가진 상기 기술 내지 리사이클링 등이 고안되었다. 이의 고안된 상기 기술 내지 리사이클링 등에 의하여 일, 작업, 업무, 근무, 활동, 제조, 생산, 공사, 청정, 정화 등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폐전지, 폐연료전지, 폐배터리, 전기장치 등의 재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이가 재활용되는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전기장치, 이가 구비된 장치, 장비, 기기, 기구 등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보급형, 이동형, 휴대형, 탑재형, 고정형, 소용량, 중용량, 대용량 등의 상기 ESS 내지 기구 등을 고안하였다. 상기 ESS 내지 기구 등에 의하여 산업, 공장, 가정, 건물 등에 친환경의 리사이클링 에너지를 공급하고, 폐전지, 폐연료전지, 폐배터리 등의 오남용으로 인한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였다.
그리고 리사이클링 에너지의 공급과 동시에 상기 항균 내지 퓨리케이션 등을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일, 작업, 업무, 근무, 활동, 제조, 생산, 공사, 가정, 공장, 산업, 건물, 현장, 제조공장, 제조현장, 산업현장, 공사현장 등에 재활용의 전기, 동력, 에너지 등의 공급, 상기 항균 내지 퓨리케이션 등을 하거나, 또는 상기 일 내지 공사현장 등을 상기 항균 내지 퓨리케이션 등을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뱅크 또는 보조배터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나타낸 모식도
도 3, 4, 5는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포함되는 전력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소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수단, 드론, 장비, 계측기를 이용한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장 및 공장에서의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과 본사 간의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하드웨어 장치간의 데이터 흐름과 제어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 및 16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수단 및 부착물을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고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을 나타낸 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장비를 나타낸 모식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펄스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발기, 쌍발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형틀을 나타낸 모식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형틀, 장선, 멍에, 지주를 나타낸 모식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립폼을 나타낸 모식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비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삼각대, 거치대, 조립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장비를 나타낸 모식도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펄스기, 복합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제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사를 나타낸 모식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사 또는 정화를 나타낸 모식도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기초 조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6은 본 발명의 자화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링송풍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8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의 모식도
도 39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연료전지를 나타낸 모식도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발전기, 태양전지를 나타낸 모식도
도 4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단, 기구, 센서, 카메라 등의 거치수단을 나타낸 모식도
도 4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랜턴, 버튼, 카메라 등이 구비된 밴드를 나타낸 모식도
도 43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뎀, 배터리를 나타낸 모식도
도 44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45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대, 안전판을 나타낸 모식도
도 46은 본 발명에 의한 계측을 나타낸 모식도
도 47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콤프레셔를 나타낸 모식도
도 48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 또는 3D프린터를 나타낸 모식도
도 49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 또는 3D프린터를 나타낸 모식도
도 50은 본 발명에 의한 수소차를 나타낸 모식도
도 5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배터리 또는 파워뱅크를 나타낸 모식도
도 52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통 또는 수소통을 나타낸 모식도
도 53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드론을 나타낸 모식도
도 5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촉매반응을 나타낸 모식도
도 55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를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의 명칭은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방법으로서, 이는 a)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b) 이중 하나가 이용되는 공사방법, 건설방법, 건축방법, 정화방법, 청정방법, 작업방법, 재활용방법, 리사이클링방법; 중 하나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는 전기장치이고, 상기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재활용, 리사이클링 등은 작업이므로, 본 발명의 명칭은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작업 방법'으로 축약될 수 있다. 이하에 기재 또는 설명된 내용, 용어, 단어, 숙어, 구절, 어구, 문구, 문장, 단락, 설명, 해설, 표현, 표기, 도면, 그림, 청구항 내용 등은 본 발명의 범위, 내용, 청구항, 청구범위, 청구내용 등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공사 중에 또는 공사에 있어서 a) 폐배터리, 폐기된 배터리, 사용된 후 폐기된 배터리, 가정에서 사용된 후 폐기된 배터리, 자동차에서 사용된 후 폐기된 배터리, 공사에 사용된 후 폐기된 배터리, 산업현장에서 사용된 후 폐기된 배터리; b) 이중 하나가 포함되는 파워뱅크,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공사 중에 또는 공사에 있어서 a) 배터리, 폐배터리, 폐차배터리, 차량폐배터리, 전기차폐배터리, 폐기된 배터리, 폐차의 폐배터리, 가정의 폐배터리, 현장의 폐배터리, 공사장의 폐배터리, 자동차의 폐배터리, 전기차의 폐배터리, 산업현장의 폐배터리; b) 이중 하나가 이용되는 정류기, 전원공급기, 전기공급기, 전력공급기, 전기저장시스템, 파워뱅크, 파워서플라이어, ESS(에너지저장시스템); 등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공사에는 또는 공사 중에는 상기 배터리 내지 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사에는 또는 공사 중에는 전기, 전원, 전력 등으로 상기 배터리 내지 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사에는 기존의 발전기, 유류발전기, 경유발전기, 상업전기, 한전전기, 공공전기, 외부공급전기, 태양전지, 태양전기, 태양광패널, 풍력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등의 대신에 상기 배터리 내지 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전지, 전선, 케이블, 전기선, 전력선, 전원선, 발전기, 전기장치, 전력장치, 발전용전지, 태양전지, 발전용태양전지, 태양광패널, 태양발전기, 배터리, 폐배터리, 건전지, 폐건전지, 충전지, 폐충전지, 파워뱅크, 전기공급장치, 전력공급장치, 전원공급장치, 전원공급기, 한전전력선,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전기를 공급하는 상기 전지 내지 ESS;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폐배터리 또는 폐기된 배터리는 폐배터리, 폐기배터리, 폐기된 배터리, 폐차의 폐배터리, 전기차의 폐배터리, 폐차에서 탈거된 폐배터리, 전기차에서 사용된 폐배터리, 전기차에서 탈거된 폐배터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지 내지 ESS 등에는 상기 전지 내지 ESS 등이 이용 또는 구비가 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폐배터리가 이용 또는 구비되는 파워뱅크, 폐배터리가 이용 또는 구비되는 ESS, 폐배터리가 이용 또는 구비되는 파워뱅크가 이용되는 ESS 등이다.
본 발명에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예로는 a) 건설 공사에 이용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거나, b) 또는 건설 공사에 필요한 전기를 폐배터리나 연료전지를 통하여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거나, c) 또는 폐배터리나 연료전지가 포함되면서 건설 공사 중에 사용되는 전력의 부족분을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a) 건설 공사에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이용; b) 건설 공사에 필요한 전기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폐배터리나 연료전지를 통하여 공급; c)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폐배터리나 연료전지가 포함되면서 건설 공사 중에 사용되는 전력의 부족분을 에너지저장시스템(ESS)으로 공급;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이용되는 건설 공사; b) 건설 공사에 필요한 전기를 폐배터리나 연료전지를 통하여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이용되는 건설 공사; c) 또는 폐배터리나 연료전지가 포함되면서 건설 공사 중에 사용되는 전력의 부족분을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이용되는 건설 공사;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이가 포함되는 전력공급시설 등은 a) 건설 공사에 이용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이가 포함되는 전력공급시설; b) 건설 공사에 필요한 전기를 폐배터리나 연료전지를 통하여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이가 포함되는 전력공급시설; c) 폐배터리나 연료전지가 포함되면서 건설 공사 중에 사용되는 전력의 부족분을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이가 포함되는 전력공급시설;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이가 포함되는 전력공급시설 등은 건설 공사에 이용, 건설공사의 전기공급에 이용, 건설 공사에 필요한 전기를 폐배터리나 연료전지를 통하여 공급, 자신에 폐배터리나 연료전지가 포함되면서 건설 공사 중에 사용되는 전력의 부족분을 공급, 자신에 폐배터리나 연료전지가 포함되면서 건설 공사 중에 전력 사용의 피크타임에 전력을 공급, 자신에 폐배터리나 연료전지가 포함되면서 건설 공사 중에 사용되는 전력의 부족분을 상기 폐배터리나 연료전지로 공급, 자신에 폐배터리나 연료전지가 포함되면서 건설 공사 중에 전력 사용의 피크타임에 상기 폐배터리나 연료전지를 통하여 전력 공급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전력공급시설은 공사 또는 작업에 필요한 전체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고,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상기 전력공급시설에서 공사 또는 작업에 공급되는 전기가 부족한 경우에 보조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공사 또는 작업에 있어서 낮시간대, 전력사용 피크시간대, 여름철 난방시간대, 겨울철 온방시간대 등에 이용, 가동되거나, 또는 상기 낮시간대 내지 온방시간대 등에 보조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의 경우에 상기 전력공급시설의 증설없이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이용하여 전력사용 피크시간대 등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적용하므로써 전력공급시설을 증설하는 비용이나 노력을 절감할 수가 있고, 상기 전력공급시설을 효율적 또는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예로서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청소, 살균, 소독, 항균 등의 작업에 있어서 a)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폐배터리, 폐기된 배터리, 수소연료전지, 전해연료전지, 미생물연료전지, 전기차의 배터리 또는 폐배터리, 수소차의 연료전지 또는 폐연료전지, 파워뱅크, 폐기된 배터리가 포함되는 파워뱅크, 폐기된 배터리가 포함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연료전지가 포함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파워뱅크에 포함되는 폐기된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포함되는 폐기된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포함되는 연료전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이용되거나, b) 또는 폐배터리나 연료전지의 잔량 에너지나 폐기된 배터리의 잔량 에너지가 포함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이용되거나, c) 또는 폐배터리나 연료전지를 통하여 상기 작업 중에 사용되는 전력의 부족분을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이용된다. 상기 공사, 정화, 작업 등에는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정화, 청정, 청소, 세정, 방역, 방제, 살균, 소독,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소각, 분리, 선별, 파쇄, 분쇄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청소, 살균, 소독, 항균, 처리 등의 작업에 있어서, a) 폐배터리, 폐기된 배터리, 사용된 후 폐기된 배터리, 가정에서 사용된 후 폐기된 배터리, 자동차에서 사용된 후 폐기된 배터리, 공사에 사용된 후 폐기된 배터리, 산업현장에서 사용된 후 폐기된 배터리; b) 이중 하나가 포함되는 파워뱅크,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이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정화에는 청정, 청소, 세정, 정화, 정수, 살균, 소독, 항균, 멸균, 제균, 제거, 저감,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녹화, 크린, 선별, 분리, 파쇄, 분쇄, 크리닝, 크린업, 균제거, 오염제거, 오염물제거, 오염원제거, 병원균제거, 분진제거, 먼지제거, 미세먼지제거, 박테리아제거, 바이러스제거, 환경호르몬제거, 새집증후군물질제거, 포름알데히드제거, 균처리, 오염처리, 분진처리, 먼지처리,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자기장방사, 원적외선방사, 폭기제주입, 반응제주입, 정수제주입, 응집제주입, 흡착제주입, 포집제주입, 청정제분사, 정화제분사, 살균제분사, 소독제분사, 항균제분사, 제균제분사, 이중 둘 이상 복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청정 내지 제균제분사 중 둘 이상이 순차 포함된다.
상기 공사에는 a) 건설, 건축, 시공, 공사, 저장, 투입, 혼합, 배합, 펌핑, 가압, 이송, 운반, 공급, 조립, 철근조립, 타설, 콘크리트타설, 형틀에 타설, 거푸집에 타설, 치기, 콘크리트치기, 거푸집에 레미콘치기, 주입, 형틀에 주입, 지중주입, 수직주입, 경사주입, 심층주입, 인젝션, 균열에 인젝션, 주사로 인젝션, 그라우팅, 지반그라우팅, 지열그라우팅, 강관그라우팅, 밀크그라우팅, 콤팩션그라우팅, 시멘트그라우팅, SGR(space grouting rocket)그라우팅, JSP(jumbo special pattern)그라우팅, 지중에 그라우팅, 주사, 약액주사, 균열주사, 보수주사, 방수제주사, 투입, 형틀에 투입, 몰드에 투입, 충진, 공동충진, 균열충진, 줄눈충진, 씽크홀충진, 메움, 요철메움, 채움, 배면채움, 분사, 살수분사, 지면분사, 사면에 분사, 뿜기, 붙이기, 뿜어붙이기, 숏크리팅, 녹생토공, 시드스프레이, 녹화스프레이, 포설, 지면포설, 지상포설, 사면포설, 지면포설, 도로포설, 포장재포설, 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아스콘포장, 물건포장, 믹싱, 회전믹싱, 원심믹싱, 통속에서믹싱, 지반믹싱, 지중믹싱, 심층믹싱, 심층시멘트믹싱, 지반교반믹싱, DCM(deep cement mixing), 다짐, 지면다짐, 지중다짐, 교반다짐, 포장다짐, 콘크리트다짐, 양생, 수양생, 증기양생, 공기양생, 콘크리트양생, 오토클레이브양생, 보양, 레미콘보양, 보호, 면보호, 사면보호, 수리, 보수, 균열보수, 방수보수, 누수보수, 줄눈보수, 보강, 면보강, 지반보강, 균열보강, 사면보강, 개량, 지반개량, 개선, 수선, 유지, 관리, 내장, 외장, 재건축, 내진, 방진, 제진, 방재, 방근, 방충, 방청, 녹방청, 방식, 전기방식, 부식방식, 방수, 차수, 지수, 발수, 막이, 흙막이, 물막이, 복원, 균열복원, 훼손복원, 씽크홀복원, 복구, 싱크홀복구, 힐링, 균열힐링, 구조물힐링, 거치, 설치, 부착, 장착, 정착, 적층, 배근, 배치, 못질, 타카질, 라이닝, 면라이닝, 터널라이닝, 인테리어, 리모델링; b) 상기 저장 내지 리모델링 중 하나의 공사; 재료 또는 자재의 상기 저장 내지 라이닝; 재료 또는 자재 이용의 상기 저장 내지 리모델링; c) 이중 둘 이상 복합; 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 내지 리모델링 중 둘 이상이 순차 포함된다.
상기 처리에는 a) 처리, 처분, 청정, 청소, 세정, 정화, 정수, 살균, 소독, 항균, 멸균, 제균, 제거, 저감,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녹화, 크린, 공사, 시공, 건설, 건축, 포장, 선별, 습식선별, 풍력선별, 분리, 파쇄, 분쇄, 크러싱; b) 또는 균, 오염, 세균, 라돈, 먼지, 분진, 미세먼지, 방사능, 방사선, 병원균, 고물, 토양, 토사, 상수, 폐수, 하수, 오수, 탁수, 오탁수, 침출수, 오염토, 지하수, 오염수, 오염물, 건폐, 폐기물, 건설폐기물, 음식물, 부산물, 박테리아, 바이러스, VOC, 휘발성유기화합물, 새집증후군, 환경호르몬 등의 상기 처리 내지 크러싱; c)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정화, 공사, 청정 내지 복합, 건설 내지 복합; b) 또는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기(器), 기(機), 부(部), 부위, 부분, 기기, 기구, 구조, 기계, 드론, 장치, 장비, 설비, 시설, 시스템, 재료, 자재, 철근, 리바, 폴리바, 폴리머바, 커플러, 철근커플러, 몰탈, 시멘트, 레미콘, 아스콘, 아스팔트, 콘크리트; c) 상기 정화, 청정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 내지 콘크리트; d) 상기 공사, 건설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기 내지 콘크리트;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작업에 있어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폐기된 배터리(즉, 폐배터리), 수소연료전지, 미생물연료전지, 전기차의 배터리 또는 폐배터리, 수소차의 연료전지 또는 폐연료전지, 폐기된 배터리가 포함되는 파워뱅크, 폐기된 배터리가 포함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폐배터리가 포함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연료전지가 포함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파워뱅크에 포함되는 폐기된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포함되는 폐기된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포함되는 연료전지, 폐배터리나 연료전지에 남아 있는 잔량 에너지, 폐배터리나 연료전지에 남아 있는 잔량 에너지인 전력 또는 전기, 상기 잔량 에너지가 포함 또는 저장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전력의 부족분을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보조 전기를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폐배터리나 연료전지를 통하여 보조 전기를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전력사용의 피크시간에 전력 또는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전기사용의 피크시간에 전기 또는 보조 전기를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복수 개의 전기차 폐배터리나 연료전지를 적용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상기 작업 중에 전력사용의 피크시간에 전력 또는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상기 작업 중에 사용되는 전력의 부족분을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자신에 구비된 폐배터리나 연료전지를 통하여 상기 작업 중에 사용되는 전력의 부족분을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 더하여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연계되는 전력공급시설, 폐배터리나 연료전지가 연계되는 전력공급시설, 폐배터리나 연료전지의 잔량 에너지가 이용되는 전력공급시설,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서 보조 전기가 제공되는 작업장 전력공급시설,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연계되어 상기 작업에 필요한 전체 전기를 공급하는 작업장 전력공급시설, 보조 전기가 공급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연계되어 상기 작업 중에 필요한 전체 전기를 공급하는 작업현장 전력공급시설, 자신에 구비된 폐배터리나 연료전지에 의하여 보조 전기가 공급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연계되어 상기 작업 중에 필요한 전체 전기를 공급하는 작업현장 전력공급시설 등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 전지, 원전, 연료전지, 수소전지, 전해전지, 태양전지, 태양광패널, 발전기, 에너지, 배터리, 폐배터리, ESS, 폐배터리ESS, 충전기, 충전소, 전기차, 수소차, 태양차, 파워뱅크, 전기장치, 에너지저장시스템, 스마트그리드, 전력계통, 전력공급시설; b) 상기 전지 내지 폐배터리 등이 이용되는 상기 ESS 내지 전력공급시설; c) 상기 전지 내지 ESS 등이 연계되는 상기 발전기 내지 전력공급시설; d) 상기 전지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이 구비되는 또는 등에 연계되는 전지 내지 전력공급시설; e) 상기 전지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에서 제공되는 전기, 전원, 전압, 전류, 전력, 동력, 에너지, 전기에너지; f) 상기 전지 내지 전기에너지 등이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정화, 청정, 청소, 주행, 센닝, 측정, 계측, 일, work, 작업, 업무, 제조, 생산, 처리, 크리닝, 광고, 선전, 중개, 판매, 구매, 매매, 리스, lease, 대여, 대부, 임대, 임차, 빌려줌, 재사용, 재활용, 사이클링, 리사이클링, 집, 부엌, 주방, 시설, 건물, 주택, 장비, 장치, 기(器), 기(機), 기기, 기계, 기구, 수단, 아파트, 오피스텔; g) 상기 공사 내지 오피스텔 등에 이용되는 상기 전지 내지 전기에너지; h) 상기 전지 내지 전기에너지 등의 상기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 i) 상기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 등이 되는 상기 전지 내지 전기에너지; j) 상기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 등의 방법; k) 상기 공사 내지 방법 등에 이용되는 상기 전지 내지 전기에너지; ℓ) 상기 공사 내지 방법 등의 전기, 전원, 전압, 전류, 전력, 동력, 에너지 등인 상기 전지 내지 전기에너지; m) 상기 공사 내지 방법 등의 전기, 전원, 전압, 전류, 전력, 동력, 에너지 등에 이용되는 상기 전지 내지 전기에너지;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1) 상기 a) 전지 ∼ m) 전기에너지,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 등이 가능하고, 2) 상기 a) 전지 ∼ m) 전기에너지 등의 이용도 가능하다. 상기 전기장치는 상기 전지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이 되고, 상기 전지 내지 전력공급시설 등은 하나의 전기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력은 발전기(10)의 발전 전력(5, 7), 원전 전력, 원자력발전 전력, 신재생에너지시설(10)의 발전 전력(5, 7), 태양발전기(10)의 발전 전력(5, 7), 풍력발전기(10)의 발전 전력(5, 7), 전력계통(11)이나 전력공급시설(11)의 공급 전력(5, 7), 보조발전기(12)의 공급 전력(5, 7), 파워뱅크의 전력, ESS(1)의 저장 전력(5, 6), 배터리(3)의 충전 전력(5, 6), 폐배터리(3)의 충전 전력(5, 6), 이중 둘 이상의 복합 전력(5, 8) 등이 가능하다. 상기 전력이 현장, 공사, 시공, 청정, 정화, 공장, 시설, 장비, 장치, 건물, 아파트, 자동차, 수용자, 이용자 등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전기, 전력, 전원 등은 전기, 전압, 전류, 전력, 전원, 동력, 에너지, 전기에너지, 전력에너지, electric, energy, electric energy 등이 해당된다. 상기 ESS에는 배터리, 폐배터리, 전지, 건전지, 충전기, 충전지, 연료전지, 전해전지, 태양전지, 태양광패널, 수소연료전지, 미생물연료전지 등이 1개, 2개, 3개, 10개, 50개, 100개, 500개, 1000개, 복수, 다수개, 1개 이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SS(1), 발전기(10), 전력계통(11), 전력공급시설(11) 등에는 전지, 원전, 전기, 수소, 발전, 에너지, 배터리, 충전기, 충전소, 연료전지, 수소전지, 전해전지, 태양전지, 수소연료전지, 미생물연료전지(MFC), 충전기, 충전지, 배터리, 폐배터리, 파워뱅크, ESS(1), 발전기(10),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조력발전기, 수력발전기, 파력발전기, 온도차발전기, 팬발전기, 전력계통(11), 전력공급시설(11) 등이 포함 또는 연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터리 재활용, 건설현장에 배터리 재활용, 폐배터리로 제작한 ESS, 전기차 폐배터리를 재사용해 ESS 제작, 배터리 재활용하여 ESS 구축, 배터리 재활용 전력계통 구축, ESS 포함 전력계통 구축, 배터리 재활용 전력공급시설 구축, ESS 포함 전력공급시설 구축, ESS 연계 전력공급시설 구축, 건설현장에 ESS 구축, 건설현장에 폐배터리로 제작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연계 전력공급시설 구축, CO2 발생을 저감하는 ESS, 온실가스 발생을 저감하는 ESS,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가진 ESS, 전기차 폐배터리 문제 해소에 기여해 순환경제를 실현하는 ESS, 건설현장에서 탄소배출 저감시키는 ESS,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이바지하는 ESS, 심야시간대 외부의 잔여 전력을 저장해 낮의 피크시간대 또는 오후 2시~4시에 장비 운영 등에 전기를 이용하는 ESS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또는 상기 전지∼전기에너지 등에서는 스위치, CCTV용 어댑터, LED 전용 누전차단기, LED 조명용 제어장치, LED등 기구용 컨버터, PDA용 충전기, USB 충전기, 가감저항기, 가변 저항기, 가변 축전기, 가스방전램프용 안정기, 가정용 전기스위치, 감쇠기, 감열식 스위치, 감열식 접점, 감열퓨즈, 계전기, 고장전류 차단기, 고전압 리액터, 고전압 변압기, 고전압 전원공급장치, 고전압 축전기, 고정식 축전기, 고조파 필터, 고주파 교환 전원공급장치, 고주파 교환 전원스위치, 고주파 스위치, 고주파 코일, 과급기용 전기제어장치, 과부하 계전기, 과전류보호장치, 과전압보호계전기, 관개용 스프링클러 시스템용 전기제어기, 광감도계전기, 광섬유 커플링, 광섬유 패널, 광스위치, 광전 모듈, 광전 인버터, 광학식 접속연결장치, 교류/직류 전원 공급장치, 교류발전용 정류기, 교류용 어댑터, 교환 전원공급장치, 구리 변성기(變成器) 커넥터 코일, 귀금속제 전기접점, 귀선 변압기, 근접 스위치, 금속제 전기접지단자, 급수설비용 동력제어기, 누전차단기, 단권(單捲) 변압기, 단로기, 대용량전지 충방전기, 도파관, 동기 콘덴서, 동력제어기, 동축 어댑터, 동축 커넥터, 디케이드 스위치, 리드 접점스위치, 리밋 스위치, 릴레이 소켓, 무전기용 전원공급기, 방전등작동용 전자안정기, 배선용 차단기, 배선함, 배전반, 배전판, 배전함, 배터리 스타터, 배터리 어댑터, 변류기, 변압기, 부하차단 절연체, 분전반, 섬광등, 셀 스위치, 소규격 DC/DC 변압기, 소켓 충전장치, 소형 차단기, 솔라시스템 변환정류기,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 밸브(전자기적스위치), 수동식 정류기, 수배전반, 승압 변압기, 승압계전기, 압전변환기, 유도자, 인버터, 저항기, 전기단자, 전기릴레이, 전기변압기, 전기어댑터, 전기자, 절전기, 정류자, 조광기, 조상기, 차단기, 축전기, 축전기(콘덴서), 축전지 충전기, 충전장치, 코일 변성기, 퓨즈, 회전변류기, 감열식 에너지측정기, 난방 및 에너지관리용 전기제어장치, 에너지저장용 대용량 축전기, 전기에너지 공급제어장치, 전기에너지 관리용 전기제어장치, 태양에너지 관련 전류변환기, 전기발전용 태양에너지 수집기, 배터리로 구성된 에너지저장장치, 폐배터리로 구성된 에너지저장장치, 배터리로 구성된 에너지저장시스템, 폐배터리로 구성된 에너지저장시스템, 전기차에서 배출된 폐배터리로 구성된 에너지저장시스템, 전기차에서 추출된 폐배터리로 구성된 에너지저장시스템, 태양복사 전기에너지 전환용 광전지장치, 태양 복사열의 전기 에너지 변환용 광전지 기구, 전기에너지 소비량 측정장치, 태양에너지저장장치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에너지는 동력, 원전, 전지, SMR, 배터리, 에너지, power, 발전기, 발전소, 태양전지, 태양광패널, 수소전지,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태양광발전,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원전에너지, 석탄에너지, 가스에너지, 화석에너지, 원자력에너지, 원자력발전소, 신재생에너지 등이 해당된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단가의 예로는 수소연료전지 200원/kWh, 태양광발전 300원/kWh, SMR 60∼100원kWh, 원자력발전소 30∼40원kWh 등이다. 상기 전력계통, 전력공급시설 등은 원전, SMR, ESS, 원자로, 원전모듈, 모듈원전, 발전소, 파워뱅크, 태양발전소, 풍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원자력발전기, 에너지, 변전소, 배전망, 배전반, 발전계통, 전력계통, 한전계통, 배전계통, 전력공급시설, 전력공급수단, 스마트그리드, 전력공급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발전기는 전기발전기, 수력발전기, 파력발전기, 조력발전기, 양수발전기, 해수발전기, 온도차발전기, 원전, 원자력발전기, 신재생에너지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등이다. 상기 원전은 원전, 원자로, 원자력발전, 원자력발전소, 원자력발전기, 원자력발전모듈 등이 해당된다. 상기 SMR은 a) SMR, Small Modular Reactor, 소형모듈원전, 소형모듈형원자로, 소형원전모듈, 소형원자로, 분산형발전소, 소형원자력발전소, 소형모듈원자력발전소, 여러 지역에 소규모로 분산되어 설치되는 분산형발전소, 300MW급 원전, 300MW 전력생산 원전, 500MW급 이하 원전, 500MW 이하의 전력생산 원전; b) 배관이 원자로 내부에 설치되어 안전, 냉각제 배관이 원자로 내부에 설치되어 안전, 적은 수량 사용, 공장에서 제조된 제품 사용, 현장에서는 제품 조립, 건설기간 단기간 소요, 건설비용 절감; c) 또는 원자로, 증기발생기, 가압기, 돔, 모듈, 콘크리트돔, 격납건물 등으로 구성; d) 상기 돔 내지 격납건물 등과 이의 내부에 구비된 원자로, 증기발생기, 가압기 등으로 구성;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원자력발전기는 원자력발전기, 소형원자력발전기, 중형원자력발전기, 대형원자력발전기, 원자력발전소, 대형원자로, 중형원자로, 집중형형발전소, 한 지역에 대규모로 집중되어 설치되는 집중형발전소, 1000∼1500MW급 원전, 1000∼1500MW 전력생산 원전, 1000MW 이상의 전력생산 원전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발전기 또는 원자력발전기, 이에서 생성되는 전기와 증기를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해기,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된 수소를 채집하는 채집기, 상기 수소를 정화하여 순도를 높이는 정화기, 상기 수소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수소를 저장하는 탱크, 이중 둘 이상이 포함되는 플랜트 또는 수소 생산 플랜트 등의 이용도 가능하다.
상기 태양발전기는 태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는 태양광발전기, 태양열발전기로 구분된다. 여기서 태양광발전기는 태양전지, 태양광패널, 축전지, 전력변환장치 등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태양열발전기는 적외선식, 증기식으로 구분되고, 상기 적외선식 태양열발전기는 집열기, 축열기, 발전기 등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이고, 상기 증기식 태양열발전기는 집열기, 열교환기, 증기터빈, 복수기, 발전기 등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태양광발전기는 태양전지 등을 태양이 있는 곳에 설치되어 태양의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장치로, 태양전지 등으로 받은 빛을 직접 전기로 바꾸는 것이다. 태양광발전기의 예로는 태양전지, 축전지, 전력변환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태양빛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태양전지에 쪼여지면 태양빛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태양전지에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하고, 이때 정공은 P형 반도체 쪽으로 전자는 N형 반도체 쪽으로 모이게 되어 전위차가 발생하면 전기가 생성되는 것 등이고, 축전지는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것이고, 전력변환장치는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또는 교류전기를 직류전기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상기 태양열발전기는 태양이 있는 곳에 설치되어 태양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장치로, 태양열발전기는 적외선식, 증기식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적외선식 태양열발전기는 크게 집열기, 축열기, 발전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집열기는 태양으로부터 오는 에너지를 모아서 열로 변환하는 설비이고, 집열기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빛을 잘 흡수하는 검은색 관 속으로 물을 흐르게 하는 평판 집열관이고, 이것은 빛을 투과하는 투명한 외부층(유리나 플라스틱)이 빛을 흡수하는 검은색의 내부구성물을 둘러싼 형태로 이루어져 온실효과를 일으키고, 빛이 집열판 속으로 들어오면 이것은 검은색의 내부에 부딪쳐 적외선으로 바뀌는데 적외선은 투명층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내부는 점점 더 뜨거워지고, 이렇게 뜨거워진 내부에는 열을 흡수하였다가 전달하는 매체가 흐르는데 이 뜨거워진 매체는 물과 열교환하여 난방용 또는 온수용 물을 생성하고, 축열기는 집열기에서 획득한 열이 교환되어 이용처에 활용될 매체인 난방수, 온수 등을 저장하는 설비이고, 발전기는 집열기에서 발생된 적외선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증기식 태양열발전기는 집열기, 열교환기, 증기터빈, 복수기, 발전기 등으로 구성되고, 빛을 한곳에 모이게 하는 집열기를 이용하여 태양열을 모아 흡수체에 싸여 있는 파이프의 열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매체는 열교환기를 통해 순환하게 되고, 그동안 열교환기 속을 통하는 다른 파이프의 열매체가 가열되고, 그 열매체는 증기터빈과 복수기의 순으로 열에너지를 소비하면서 다시 열교환기로 되돌아오고, 이 과정에서 전기 생성, 냉난방 및 급탕 등이 이루어지고, 여기서 복수기는 응축기, 컨덴서 등으로 불리우는 것으로 증기터빈에서 배출된 증기를 물로 냉각하여 응축 또는 복수(復水)시키는 것이고, 발전기는 증기터빈으로부터 제공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82)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태양발전기에는 a) 솔라차, 솔라루프, 솔라본네트, 솔라트렁크, 솔라지붕, 솔라천장, 솔라옥상, 솔라빌딩, 솔라건물, 솔라시설, 솔라창문, 솔라창호, 솔라월, 솔라벽, 솔라유리, 솔라판, 솔라보드, 솔라데크, 솔라글래스, 솔라전등, 솔라가로등, 솔라신호등, 솔라표지판, 솔라조명등, 솔라난간, 솔라포장, 솔라도로, 솔라인도, 솔라트랙, 솔라벤치, 솔라정자, 솔라천막, 솔라차양, 솔라어닝, 솔라캐노피, 솔라파고라, 솔라주차장, 솔라레일, 솔라가드레일; b) 선차, 선루프, 선본네트, 선트렁크, 선지붕, 선천장, 선옥상, 선빌딩, 선건물, 선시설, 선창문, 선창호, 선월, 선벽, 선유리, 선판, 선보드, 선데크, 선글래스, 선전등, 선가로등, 선신호등, 선표지판, 선조명등, 선난간, 선포장, 선도로, 선인도, 선트랙, 선벤치, 선정자, 선천막, 선차양, 선어닝, 선캐노피, 선파고라, 선주차장, 선레일, 선가드레일; 상기 선은 sun임; c) 태양전지가 구비된 차, 차대, 차체, 본체, 루프, 본네트, 트렁크, 바퀴, 지붕, 천장, 옥상, 빌딩, 건물, 시설, 창문, 창호, 월, 벽, 유리, 판, 보드, 데크, 글래스, 전등, 가로등, 신호등, 표지판, 조명등, 난간, 포장, 도로, 인도, 트랙, 벤치, 정자, 천막, 차양, 어닝, 캐노피, 파고라, 주차장, 레일, 가드레일, 상기 솔라차 내지 솔라가드레일; d) 자가발전하는 상기 차 내지 솔라가드레일,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상기 차 내지 솔라가드레일; e) 태양전지가 구비되어 전기를 생성하는 상기 차 내지 솔라가드레일; f) ESS 또는 파워뱅크 기능을 하는 상기 차 내지 솔라가드레일; 전기를 저장하여 다른 곳에 전기를 공급하는 ESS 또는 파워뱅크 기능을 하는 상기 차 내지 솔라가드레일;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여 다른 곳에 전기를 공급하는 ESS 또는 파워뱅크 기능을 하는 상기 차 내지 솔라가드레일; 발전된 전기를 일부 사용하고 사용후 남은 전기를 저장하여 다른 곳에 전기를 공급하는 ESS 또는 파워뱅크 기능을 하는 상기 차 내지 솔라가드레일; 등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선 또는 솔라는 선, 솔라, sun, solar, 태양, 태양전지, 태양광패널, 태양발전, 태양이용, 태양발전기능, 태양발전기능을 가진 전지 또는 패널 등이다. 상기 태양전지는 태양전지, 태양전지판, 태양광패널, 솔라판,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 등이다. 상기 솔라루프는 차량의 지붕 위에 태양전지 또는 태양관패널을 얹은 것이다. 상기 솔라차는 차, 차대, 차체, 본체, 루프, 후드, 휀더, 본네트, 트렁크, 바퀴, 유리, 지붕 등이 태양발전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차 내지 지붕 등에 전지나 패널이 구비되어 태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여 이의 전기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차(車)이다. 전기차 배터리 공급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차 내지 지붕 등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외부 충전에 의지하지 않고 주행·주차 중 전기차가 스스로 발전해 전력을 생산하여 전기차 운행에 필요한 에너지로 사용하여 배터리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자동차에 태양광 패널을 부착하여 전기를 생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자가 발전차 또는 자가 발전 전기차의 이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자가 발전차는 태양, 풍력, 물, 수소, 태양전기, 태양패널, 풍력날개 등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하는 차(車)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세대 태양광 기술인 페로브스카이트, 페로브스카이트와 실리콘 셀을 중첩한 탠덤(이종)셀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페로브스카이트는 가볍고 반투명 재질의 패널 소재로서 얇고 반투명해 용도가 다양하다. 기존 패널은 장파장(적외선)만 흡수할 수 있지만, 페로브스카이트는 단파장(자외선) 흡수도 가능하다. 따라서 태양광 흡수량이 50% 이상 높아지기 때문에 전력 생산량도 많아진다. 솔라차의 경우 하루 5시간 태양광 노출에 1일 최대 5kWh, 연간 1800kWh의 전력이 생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가정 등에서 충전된 전력으로 달리는 전기차 또는 이동수단, 자체 발전하여 충전된 전력을 가정이나 공장에 공급하는 자가발전카 또는 초대형 배터리 구비의 자가발전카, 스스로 발전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 역할도 하는 전기차 또는 이동수단 또는 자가발전카, 태양광 자가발전 전기차, 전기차충전기, 완속충전기(가정용), 고속충전기(공용용), 8~9시간 충전하는 완속충전기, 20~40분이면 충전되는 고속충전기; b) 또는 건물, 도로, 주차장, 휴게실, 펜션, 관광지 숙박시설, 공공시설, 그늘막, 비가림시설, 캐노피, 테라스 등에 설치되는 발전기 또는 전기차충전기; c) 발전기 또는 전기차충전기가 구비되는 상기 건물 내지 테라스;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풍력발전기는 a) 날개, 변속기, 발전기, 인버터, 전선 등으로 구성, b)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풍력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날개, 날개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중심 회전축을 통해서 변속기어에 전달되어 발전기에서 요구되는 회전수로 높여서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변속기, 변속기에서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 등으로 구성 등이 된다. 풍력발전기의 예로는 풍차, 풍력날개, 회전축, 변환장치, 발전기로 구성되어, 풍차 또는 풍력날개의 회전운동이 풍력날개의 회전축을 통하여 변환장치 또는 기어박스로 전달되고, 변환장치 또는 기어박스에서 회전운동의 회전속도를 가속하여 발전기로 보내어 발전기에서 기계적에너지를 전기적에너지로 전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 등이다. 상기 발전기에 추가하여 인버터가 구성될 수 있는데 인버터는 생성된 직류전기(DC)를 교류전기(AC)로 또는 교류전기(AC)를 직류전기(DC)로변환시키는 것이다.
국내외적으로 핸드폰, 전기차, 전자기기 등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폐배터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폐배터리가 발생하므로 환경오염이 크게 예상되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리사이클링 재생 사업을 통해 사회적인 선순환 구조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이 배터리는 500회 정도 충전하면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1회 충전 시 주행가능 거리가 300km임을 감안했을 때 15만km 정도 주행 후에는 배터리 교체가 필요하다. 15만km 정도를 주행하는 것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보통 업계에선 배터리 보증기간을 5년 내지 10년으로 두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능력이 초기용량 대비 70% 이하고 감소되면 운행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배터리를 교체하게 된다. 배터리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때에 배터리팩 단위 뿐 아니라 하위 단위까지 분해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배터리는 배터리 1, 2, 3, 4, 5, 6, 7, 8, 9,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배터리 등과 같다. 상기 배터리 1은 배터리, battery, 축전지, 충전지, 건전지, 습전지, 2차전지, 파워뱅크, ESS, 폐배터리, 폐기배터리, 폐기된 배터리, 리튬이온배터리, 리튬이온폐배터리, 재활용 배터리, 리사이클링배터리, 배터리팩, 폐배터리팩, battery pack, 배터리랙, 폐배터리랙, battery rack, 배터리모듈, battery module, 배터리박스, 폐배터리박스, 박스배터리, 폐박스배터리, 배터리유닛, 폐배터리유닛, battery unit, 무선 충전 배터리, 유선 충전 배터리, 장비나 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 장비나 장치에 사용된 배터리, 차량배터리, 차량용배터리, 차(車, car)의 폐배터리, 차(車, car)에 사용되는 배터리, 차(車, car)에서 폐기된 배터리, 차(車, car)에서 사용된 배터리, 차(車, car)에서 추출된 배터리, 전기차 배터리, 전기차의 폐배터리, 전기차에서 폐기된 배터리, 전기차에서 사용된 배터리, 전기차에서 추출된 배터리,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어 모아 두었다가 필요한 때에 전기로 재생하는 장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어주는 방전과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주는 충전을 사이클하는 배터리, 이온화 경향이 다른 두 개의 금속(+,-극판)과 액체(전해액)로 회로를 만들어 두 금속과 전해액의 화학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배터리,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구비의 배터리, BMS가 내장된 폐배터리, 배터리와 BMS로 구성된 배터리랙, 배터리모듈과 BMS로 구성된 배터리랙 등이다. 상기 배터리팩, 배터리랙, 배터리모듈, 배터리박스, 박스배터리, 배터리유닛, 폐배터리팩, 폐배터리랙, 폐배터리모듈, 폐배터리박스, 폐박스배터리, 폐배터리유닛 등에는 2개 이상의 배터리 또는 폐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2는 리튬이온 배터리, 리튬인산철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니켈코발트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전기차용 리튬이온배터리, 전기차용 대용량 배터리 또는 폐배터리, 배터리 효율이 떨어진 대용량의 배터리 또는 폐배터리, DOD 또는 SOC 또는 C-rate 등으로 수명이 평가되는 배터리, 슬레이브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내장된 폐배터리 등이다. 상기 슬레이브 BMS는 배터리 또는 배터리 셀의 전압, 전류, 온도, 상태 등을 측정 및 통보하거나, 셀 밸런싱(Cell Balancing) 동작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 3은 제조, 생산, 판매, 광고, 영업, 중개, 대여, 리스, 수거, 폐기, 활용, 재사용, 재활용, 리사이클링 등이 되는 배터리, 폐배터리, 배터리 셀,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등이다. 상기 배터리 내지 배터리 팩은 상기 제조 내지 재활용 등이 된다. 상기 배터리 4는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 양극 및 음극과 이의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양극 및 음극과 이의 사이에 존재하는 분리막, 전해질과 이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양극 및 음극, 전해질과 이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아연판과 구리판, 고체 전해질과 이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양극재와 음극재, 양극 및 음극과 이의 사이에 존재하는 분리막, 양극활물질 및 음극활물질과 이의 사이에 존재하는 분리막, 전해질과 이의 내부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음극의 사이에 거치되는 분리막,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케이스 또는 하우징 등이 구비되는 배터리이다.
상기 배터리 5는 양극, 음극, 전해질,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음극, 규소계 도메인을 포함하는 복합 입자, 규소계 도메인이 매립되어 있는 매트릭스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입자, 탄소의 매트릭스 물질, 계면을 가지는 복합 입자 및 전해질, 계면에 존재하는 SEI층(Solid-Eectrolyte Interface layer), 탄소-탄소 화학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SEI층, 탄소-산소 화학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SEI층, 음극에 함유되는 Cr, Mo, W, Mn, Co, Fe, Ni, Zn, Cd, Hg 중 하나 이상의 원소, 음극과 전해질이 포함되는 배터리, 배터리나 배터리 모듈에 거치되어 냉각기능을 하는 냉각수단, 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냉각물이 내재되는 블록과 이에 연계되는 유로, 상기 배터리나 모듈에 거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센서를 구성하는 서모커플(thermocouple),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케이스 또는 하우징 등이 구비되는 배터리이다.
상기 배터리 6은 복수의 전지, 상기 복수의 전지가 안착되는 배터리 홀더, 상기 홀더 상에 배치되며 서로 이웃한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탭, 상기 전극탭 상에 배치되며 서로 이웃한 전극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복수개의 배터리, 배터리가 구비되는 배터리 셀, 배터리가 일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셀, 음극과 양극이 동일한 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셀, 상기 상하의 사이에 거치되는 방열판, 열전도재, 전도성플레이트, 절연성플레이트 중 하나, 상기 음극 또는 양극과 상기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탭, 1개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개 이상의 배터리 셀이나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등이 구비되는 배터리, 폐배터리, 배터리 셀,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등이다. 배터리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전구체 등이 있다. 상기 양극재의 원료는 니켈, 코발트, 망간, 니켈코발트망간(NCM), 전구체, 액상 전구체, 고체 전구체, 금속분말 형태의 전구체, 니켈코발트망간(NCM) 전구체, 니켈코발트망간(NCM) 전구체 복합액 등도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 7은 배터리덮개(921), 양극단자(922), 음극단자(923), 액체/기체분리기(924), 양극판스트랩(925), 음극판스트랩(926), 양극판(927), 음극판(928), 판격자(929), 차단기(930), 배터리케이스(931), 비중계(932) 등으로 구성되는 배터리(920)이다. 이는 도 55 a 참조. 상기 배터리는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교류발전기 등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 전기가 충전되는 장치, 차량의 전기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등이다. 상기 배터리 덮개(battery cover)는 배터리 상자를 밀폐하는 배터리의 윗부분이다. 양극단자(positive terminal)는 양극판에 연결되어 배터리 덮개의 상부로 튀어나오게 돌출된 핀 또는 봉이고, 여기에 되고 외부의 전기 케이블이 연결된다. 음극단자(negative terminal)는 음극판에 연결되어 배터리 덮개의 상부로 튀어나오게 돌출된 핀 또는 봉이고, 여기에 되고 외부의 전기 케이블이 연결된다. 상기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연결되는 전기케이블에 의하여 배터리의 전기가 외부로 전달 또는 이용되거나, 배터리를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기구의 전기 회로에 연결된다. 액체/기체분리기(liquid/gas separator)는 산성 증기가 들어 있고 액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환기 장치이다. 양극판스트랩(positive plate strap)은 양극판이 있는 부품 또는 2개 이상의 양극판을 연결하는 연결대이다. 음극판스트랩(negative plate strap)은 음극판이 있는 부품 또는 2개 이상의 음극판을 연결하는 연결대이다. 양극판(positive plate)은 양극의 전극판이거나 벌집 모양의 산화납으로 만들어진 전극으로서 활성 물질(페이스트)을 받치고 있으며 전류를 모은다. 음극판(negative plate)은 음극의 전극판이거나 벌집 모양의 납으로 만들어진 전극으로서 활성 물질(페이스트)을 지지하고 있으며 전류를 모은다. 판격자(plate grid)는 산성용액에 반응하는 투과성 납 반죽으로 코팅된 판에 난 구멍이다. 차단기(separator)는 합선을 방지하기 위해 음극판과 양극판을 분리하는 투과성 칸막이 또는 분리막이다. 배터리케이스(battery case)는 배터리를 에워싸는 케이스로서 내산성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 상자로서 그 안에서 판 사이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난다. 비중계(hydrometer)는 배터리 상태에 관한 정보를 보여 주는 색 표시이다.
상기 배터리 8은 양극재(932), 음극재(933), 전해질(934), 분리막(935) 등으로 구성되는 배터리이다. 이는 도 55 b, c 참조. 이는 이온배터리 또는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성요소로서, 이온이나 리튬 이온이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를 이동하는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를 만들어낸다. 양극의 이온이나 리튬 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며 배터리가 충전되고(도 55 b), 음극의 이온이나 리튬 이온이 양극으로 돌아가며 에너지를 방출 또는 방전(도 55 c)된다. 이때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이나 리튬 이온의 이동통로 역할을 해주는 전해질과 양극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게 해주는 분리막이 이용된다. 상기 양극재(932)는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리튬이 들어가는 공간이다. 리튬 이온이 사는 집인 것이다. 리튬은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이 강해서 양극 소재로 적합하다. 원소 상태의 리튬은 불안정하기 때문에 리튬과 산소를 결합한 리튬 산화물 형태로 양극에 사용된다. 상기 양극재는 배터리의 성능에서 중요한 용량과 전압과 관련된 소재인데, 양극재의 리튬 비중이 높을수록 배터리 용량이 커지며, 배터리 전압은 양극의 전위차에 의해 결정되므로 양극의 구조에 따른 전위값이 전압에 큰 영향을 준다. 양극재에는 양극재,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등이 있다. 상기 음극재(933)는 양극에서 나온 리튬 이온을 저장 및 방출하며 외부 회로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가 충전 상태일 때 리튬 이온은 음극에 존재하는데, 이때 양극과 음극을 도선으로 이어주면 리튬 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양극으로 이동하고, 리튬 이온과 분리된 전자는 도선을 따라 이동하며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는 집에서 나온 리튬 이온이 일을 하며 만든 전기인 것이다. 상기 음극재는 많은 이온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흑연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리튬 이온을 저장하고 방출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흑연의 구조가 변화하며 저장할 수 있는 이온의 양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배터리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음극재에는 음극재, 흑연 음극재, 실리콘 음극재, 차세대 음극재 등이 있다. 상기 전해질(934)은 배터리 내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돕는 매개체이다. 리튬 이온이 출퇴근하기 위한 이동 수단인 것이다. 전해질은 리튬 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이온 전도도가 높은 물질이어야 하며, 안전을 위해 전기화학적 안정성, 발화점이 높은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전자의 경우 출입을 막아 외부 도선으로만 이동하도록 만들어 진다. 전해질은 전해질, 액체 전해질, 고체 전해질, 젤 전해질 등이 있다. 상기 분리막(935)은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접촉을 차단하는 막이다. 분리막에는 미세한 구멍이 있어 리튬 이온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양극과 음극 간의 접촉은 막고 이온의 이동은 가능한 막이다. 분리막은 안전을 위해 높은 전기절연성과 열안정성이 요구되며, 일정 이상의 온도에서는 자동으로 이온의 이동을 막는 기능을 갖춘다. 분리막은 분리막,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박막, 얇은 분리막 등이 있다.
상기 배터리 9는 기판(grid, 936), 극판(plate, 937), 격리판(separator, 938) 또는 봉투식격리판(env.separator), 스트랩(strap, 939), 극판군(element, 940), 전해액(electrolyte), 전조(container, 941), 커버(cover, 942), 폭발방지장치(flame arrester), 손잡이(handle, 943), 인디케이터(indicator, 944), 단자(terminal, 945)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도 55 d 참조. 이는 차배터리, 차량배터리, 자동차배터리 등이 된다. 기판(936)은 활물질을 지지하고 발생된 전기를 전도해주는 납합금판이다. 활물질(Active Material)은 황산과 반응하여 충 방전 반응을 하는 물질이다. 양극판(Positive Plate, 937)은 기판에 활물질을 도포한 상태의 판이다. 음극판(Negative Plate, 937)은 기판에 활물질을 도포한 상태의 판이다. 격리판(938)은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위치하여 직접 접촉에 의한 Short를 방지한다. 특히, 봉투식 격리판은 극판을 감싸고 있어 활물질에 의한 극판과의 Short를 방지한다. 극판군(940)은 양극판 + 격리판 + 음극판의 순으로 쌓아 스트랩(939)에 용접한 극판 뭉치이다. Cell당 기전력은 약 2V의 전압 발생이 전압은 극판 크기나 매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차량용 12V 배터리에는 이 극판군이 전조안에 6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전해액은 양극판과 음극판의 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발생시키기도 하고 전기를 전도하는 역할을 한다. 전조(941)는 전해액 및 극판군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플라스틱 재질을 주로 사용한다. 내부는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며(12V →6등분 / 6V →3등분), 전조의 바닥에는 안장이 붙어 있다. 커버(942)는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이 새어 나오지 않게 전조 윗부분을 덮는 부품이다. 커버에는 전해액 주입구(Filling Hole) 및 가스와 증기를 배출시키는 Return Hole이 있다. 상커버(Final Cover)는 커버 윗부분을 최종적으로 덮는 부품이다. Return Hole을 통해 배출된 가스와 증기는 미로형 구조를 통해 분리되어, 증기는 다시 Return Hole을 통해 Battery 내부로 환류(H2SO4)되고, 가스(수소,산소)는 Vent Hole을 통해 배출된다. 인디케이터(944)는 상커버 상단에 장착되어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부품이다. Green 표시는 50% 이상의 충전 상태로 정상이고, Black 표시는 50%이하 충전 상태로 충전 요함이고, White 표시는 수명종지로서 배터리 교체를 나타낸다. 폭발방지장치(946)는 상커버 내부에 장착되어 폭발 방지 기능을 하는 부품이다. 배출된 가스(수소,산소)는 연소성이 있는데, Vent Hole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고밀도 기포 구조로 구성된 Flame Arrester를 통해 배출 단면적을 줄여 폭발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터리 5의 양극 내지 하우징, 상기 배터리 6의 전지 내지 배터리 팩, 상기 배터리 7의 배터리덮개 내지 비중계, 상기 배터리 8의 양극재 내지 분리막, 상기 배터리 9의 기판 내지 인디케이터, 이중 둘 이상 복합; 이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상기 또는 하기의 기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양극 내지 복합;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폐배터리, 폐기된 배터리, 사용후 배터리 등은 폐기, 매립, 분해, 재사용, ESS 등으로 재사용, 재활용, 소재 등으로 재활용, 희귀금속 추출 등으로 처리된다. 상기 희귀금속으로는 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등이 있다. 폐배터리의 처리의 예로는 전기차 폐차, 전기차 반입, 폐차장으로 전기차 반입, 전기차 분해, 전기차에서 배터리 탈거, 상기 탈거된 폐배터리를 일정의 또는 안전한 박스에 넣기, 상기 박스를 차량에 적재하여 이송, 폐배터리 수거센터 또는 거점수거센터로 이송, 폐배터리를 수거센터로 반입, 폐배터리 반납, 폐배터리 폐배터리 외관검사, 폐배터리 전기적검사, 폐배터리 성능평가, 폐배터리 수명평가, 폐배터리 잔존가치평가, 보관대 또는 입고대에 폐배터리 입고, 폐배터리 적재, 폐배터리 보관, 보관대에 폐배터리 보관, 폐배터리 매각, 폐배터리 반출, 폐배터리 재사용, 폐배터리 재활용, 폐배터리를 ESS로 재사용, 폐배터리를 파워뱅크로 재활용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보관대의 예로는 a) 1단, 3단, 6단, 13단, 2단, 다단, 다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보관대; b) 폐배터리를 100개 보관, 1000개 보관, 10,000개 보관 등을 하는 보관대 등이다. 상기 3단 이상에는 리프트, 승강기, 무빙기,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하여 폐배터리를 보관대에 적재하거나 리턴한다. 여기서 다단의 보관대에 폐배터리를 보관하는 것은 일정의 면적에 많은 폐배터리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때문이다. 폐배터리에서 희귀금속을 추출하는 예로는 배터리 반입, 분해, 블랙파우더와 약품 투입, 혼합, 용해, 선별, 분리, 희귀금속 용출, 희귀금속 추출, 희귀금속 회수 등이 해당된다.
전기차 폐배터리 수명평가의 예로는 전기차의 사용 기간동안 상기 배터리에 대해 수행된 충전 사이클 정보 파악, 충전 사이클의 누적에 따라 각각의 충전 사이클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정보 파악,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히스토리 정보 획득, 씨레이트(C-rate)로 충방전 테스트 수행, 상기 테스트에서 충전 파라미터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수명 정보 획득, 상기 충전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의 제1 수명 정보를 보정한 제2수명 정보 획득, 상기 정보를 기준으로 배터리의 수명 평가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수면평가에는 폐배터리 수명평가 장치나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배터리의 충·방전률은 C-rate(Current rate)로 표시된다. C-rate는 배터리 용량에 대하여 충방전하는 전류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다시 말해서 전지의 충·방전 시 다양한 사용조건하에서 전류값 설정 및 전지의 사용 가능 시간을 예측하거나 표기하기 위한 단위다. C-rate의 단위는 C를 사용한다. 충·방전율에 따른 전류값의 산출은 충전 또는 방전전류를 전지 정격용량의 단위를 뺀 값으로 나누어 충·방전 전류값를 산출한다. C-rate (A) = (충·방전전류(A) / 전지의 정격용량). 여기에서 1C란 1Ah의 배터리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1A로 충전한다는 뜻이다. 2C는 2A로 충방전하므로 1Ah의 배터리는 완전 충전상태에서 30분간 충전과 방전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충전과 방전을 동시에 하는 것은 아니며 완전 방전상태에서 충전을 하고 반대로 완전 방전상태에서 충전을 한다. C-rate가 커질수록 동일한 용량의 배터리를 고전류로 충방전하므로 배터리의 내부저항이 작아지도록 설계하여 출력 특성이 좋아지도록 하고 있다.
배터리의 cycle life 는 초기용량의 80∼60 % 수준까지 용량이 줄어들었을 때의 충방전 횟수를 말한다. 그러나 cycle life가 3,000이라고 한다면 충방전을 3,000번 하면 수명이 다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3,000회란 것은 100% DOD 에서 3,000회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DOD는 방전심도(Depth Of Discharge)로서 방전의 깊이를 말하는데, 이는 곧 SOC 운전영역이라고 할수 있다. 예를 들어 SOC(State Of Charge) 80%에서 SOC 50%까지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DOD는 30%라고 할 수 있다. 통상 양 극단의 SOC(10% 이하, 90% 이상)에서의 사이클이 배터리 수명을 빠르게 단축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방전심도가 깊은 경우 배터리의 수명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의 예로 배터리의 용량이 1,000mAh 라고 하면, 1,000mAh 를 100% 다 소진하고, 충전했을 때의 cycle life 를 의미하는데, 그러나, 실제는 50∼80 % 사용하고 충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전 운용 조건에 따라 cycle life 는 몇배 정도 차이가 난다.
DOD는 SOC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DOD 수치가 증가할수록 SOC는 감소한다. DOD는 Depth of Discharge로 배터리 용량 중 남아있는 용량을 나타낸다. DOD는 방전 깊이로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에서 사용된 배터리 용량의 백분율입니다. DOD는 배터리의 방전량을 나타내고 SOC는 충전량을 나타낸다. 방전깊이와 잔존용량은 서로 반대되는 개념으로 방전깊이가 증가할수록 잔존용량은 감소하게 된다. SOC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가득찼을 때 100% 충전량이 없을 때 0% 로 표기된다. DOD는 Ah와 백분율 두가지로 표기된다. 용량 100Ah의 배터리가 완충상태일 때 DOD는 0Ah, 0% 이고, 반대로 배터리를 모두 사용했을 때 DOD는 100Ah, 100%로 나타낸다. 배터리는 표시된 용량을 다 사용한 후에도 조금 더 사용을 할 수 있는데, 이때 DOD는 103%, 105% 등으로 표기될 수 있으나, SOC는 0% 이하로 표기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때 SOC로의 표기는 어렵다.
전기차의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이로부터 폐배터리의 발생량도 증가하게 된다. 배터리는 전기차 가격의 40% 정도를 차지하지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수거, 처리, 재사용, 재활용 등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전기차 폐배터리, 배터리 재활용,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배터리의 4대 소재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등이다. 배터리의 소재 또는 원자재에는 리튬, 탄산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황산니켈, 황산코발트 등의 금속이다. 배터리셀의 kWh(킬로와트시)당 가격은 100달러, 124달러, 132달러, 143달러, 100∼300달러 등이고, 니켈 가격은 톤당 1만달러, 2만달러, 4만달러, 1만∼6만달러 등이다. 따라서 배터리의 재활용 및 폐배터리 내에 포함된 금속의 재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차 생산시 재활용 원료 사용 의무화, 배터리의 전 생에 주기 분석, 배터리가 전 생에 주기에 있어서 지속가능하고 안전하도록 보장, 배터리의 탄소발자국을 공개하고 탄소발생 기준치 또는 허용치를 넘는 배터리에 대한 판매 금지, 배터리의 탄소발자국을 공개하고 기준치 또는 허용치 이내인 배터리만 판매 허용, 새 배터리 제조시 일정량의 니켈, 리튬, 코발트를 재활용 소재로 사용, 새 배터리 제조시 니켈 4%, 리튬 4%, 코발트 12% 이상을 재활용 소재로 사용 등이 제안된다.
전기차나 배터리 재사용 또는 재활용 공정에는 a) 폐차, 방전, 분리, 탈거, 수거, 운반, 해체, 금속 추출, 재사용, 재활용; b) 또는 전기차 폐차, 전기 방전, 배터리 분리, 배터리 탈거, 배터리 수거, 배터리 운반, 전기차 해체, 배터리 해체, 배터리에서 금속 추출, 배터리 재사용, 배터리 재활용, 배터리를 해체하지 않고 남은 전력을 이용하여 ESS로 재활용, 배터리를 해체하지 않고 잔류전력을 파워뱅크로 재활용, 잔류전력이 있는 배터리를 해체하지 않고 전기공급장치로 재활용; 등이 포함된다. 폐배터리에서 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는 건식 공정, 습식 공정, 고온에서 화학반응을 통해 금속을 회수하는 건식 방식, 정광이나 스크랩이나 폐배터리를 황산에 용해한 후 수용액을 전기분해시켜 금속을 회수하는 습식 방식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폐배터리에서 양극 소재를 수거하는 리싸이클링 업무, 전기차 폐배터리의 교체, 폐배터리를 통해 확보한 광물을 재활용, 폐배터리 리싸이클 사업, 폐배터리에서 2차전지 소재인 양극재의 원료를 수거, 수명이 5~10년인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서 전기차의 주행거리가 짧아지고 충전속도가 느려져 성능이 떨어지는 배터리 재활용, 배터리 용량 성능이 70% 미만으로 떨어지면 교체, 폐배터리 재사용, 폐배터리 재활용, 폐배터리의 잔존에너지와 충방전 상태 등을 진단해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고 평가된 배터리는 ESS(에너지저장장치) 등 용도를 바꿔 재사용, 잔존 용량이 70% 수준 이하인 배터리는 ESS에서 10년 가량 활용, 폐배터리로부터 유가금속 추출, 폐배터리에서 니켈과 코발트, 리튬 등의 금속을 추출하는 재활용 사업, 폐배터리에서 양극 소재 생산에 필요한 광물을 수거해 다시 재활용, 폐배터리 재활용으로 전기차 생산·주행·폐차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7% 저감, 폐배터리 recycling, 건식제련(pyrometallurgy) 방식으로 폐배터리에서 금속 회수, 습식제력(hydrometallurgy) 방식으로 폐배터리에서 금속 회수, 폐배터리에서 수거한 블랙 파우더를 산에 녹여서 정제 화학물 또는 금속 등의 형태로 회수하는 습식 재활용, 폐배터리에서 리튬, 코발트, 니켈, 망간, 구리, 알루미늄 등을 회수, 건식 방식은 리튬을 회수할 수 없어 집진 설비가 필요, 폐배터리에서 탄산리튬을 회수, 폐배터리에서 탄산리튬을 회수하여 판매, 양극재 제조 및 이용, 전구체 제조 및 이용, 폐배터리에서 회수된 탄산리튬은 주행용 전기차에 쓰이는 수산화리튬 대비 에너지 밀도와 용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스마트폰, 노트북, 소형전동공구 배터리에 사용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폐배터리에서 원료를 뽑아 재활용, 100% 재활용된 니켈, 망간, 코발트로 배터리를 생산, 리튬배터리 양극재 추출, 폐배터리 추출 원자재로 새 배터리 제조, 100% 재활용된 니켈, 망간, 코발트로 제조한 양극재, 배터리의 금속을 신규 채굴 원재료와 대등한 순도로 최고 95%까지 회수, 재활용 소재 50%로 배터리 셀을 만듬, 연간 12만5000t의 배터리를 재활용, 이를 활용해 연간 30GWh 규모의 새 배터리 생산, 리튬 외에 니켈과 망간, 코발트, 기타 금속을 재활용, 광석 정제에 쓰였던 포말부선(froth flotation) 기법을 활용해 폐배터리에서 코발트,구리,니켈 등 고가의 금속을 회수, 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양극재를 시약과 함께 수조에 넣으면 추출하고자 하는 금속이 포말과 함께 떠오르는 방식임, 폐배터리에서 수산화리튬 추출, 81% 중국 의존 수산화리튬 회수, 하이니켈 배터리에 적용 가능한 수산화 리튬 회수, 배터리 스크랩(불량품이나 폐기물)을 재활용, 배터리 스크랩을 수거해 블랙파우더(검은 분말)로 가공한 후 니켈, 리튬, 코발트, 망간 등을 추출, 블랙파우더에서 배터리 원자재 추출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전구체는 전구체, 前驅體, precursor, 전구물질, 前驅物質, 선구물질, 先驅物質, 어떤 물질대사나 반응에서 특정 물질이 되기 전 단계의 물질, 화학에서 다른 화합물을 생성하는 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화합물,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양극재를 만드는데 필요한 핵심재료 등이다. 이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적정 비율로 배합해 만들고, 여기에 리튬을 섞으면 양극재가 완성된다. 양극재 재료비의 70%는 전구체가 차지한다. 양극 활물질에서 전구체는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이며, 리튬계 물질은 수산화리튬 또는 탄산 리튬이 사용된다. 전구체 제조는 금속 용액 제조 - 공침 - 세척 및 건조를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황산 등 강산 용액에 금속을 용해해 금속 용액을 만든다. 활물질에 적용될 다양한 금속 용액을 섞어 혼합 금속 용액을 제조한다. 이 용액에서 금속 이온은 물 분자(산소)의 전자와 약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침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착화제를 첨가한다. 주로 암모니아(NH3)가 사용되며, 이 경우 암모니아의 질소가 전자를 제공하여 금속이온과 약하게 결합한다. 이렇게 형성된 착이온은 안정적으로 다른 음이온과 반응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NaOH 등의 용액을 첨가하면 OH-이온과 수산화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 수산화물이 응집되면 침전되게 되는데, 이 침전물을 세척하면 전구체로 사용할 수 있다. 이의 예로서 NCM에 대한 제조 공정은 1) Ni, Co, Mn 수화물 용액 제조 (강산 용액에 금속을 용해하여 금속 용액 제조), 2) 금속 수화물 용액과 착화제, pH 조절제를 혼합 및 교반 하여 공침, 3) (NiCoMn)복합수산화물을 세척 및 건조 (전구체 제조 완료), 4) 위의 복합수산화물을 고온 분위기에서 반응시켜 복합금속산화물 제조, 5) 복합금속산화물과 리튬계 물질(LiOH, Li2CO3 등)을 고온 산소 분위기에서 소성, 6) NCM 제조 완료 등이다.
전구체는 어떤 물질에 선행하는 물질로 예를 들어 카로틴(carotene)은 비타민 A의 전구체이다. 바륨의 전구체 물질로는 초산염, 질산염, 염화물 및 수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고, 알루미늄 전구체 물질로는 질산염 및 염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전구체는 어떤 물질대사나 화학반응 등에서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특정 물질이 되기 전 단계의 물질을 말한다. 여기서 특정 물질이란 금속ㆍ이온ㆍ단백질ㆍ핵산ㆍ탄수화물ㆍ지방 등 모든 물질을 포함하며, 꼭 어떤 반응의 마지막 물질일 필요는 없고, 임의로 정한 어느 단계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전구체는 pHㆍ온도ㆍ효소의 존재 등 특별한 환경하에서 그 다음 단계의 물질로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데, 대표적인 예로 펩신의 전구체인 펩시노겐은 pH가 낮아지는 것으로 활성화되어 펩신이 된다. 또, 프로인슐린은 특정 펩티드 부분이 절단되어 떨어져 나가는 것으로 인슐린이 되며, ADP는 ATP의 전구체로 인산기가 하나 더 결합하는 것으로 ATP가 된다. 이처럼 전구체가 그 다음 물질로 되는 방법은 수 없이 다양하며, 또한 수 없이 많은 전구체가 존재한다. 전구체는 대사반응에서 착목 물질의 전단계에 있는 물질로서 예를 들면 포도당은 유산이나 글리코겐, 스쿠알렌은 콜레스테롤, 글리신은 퓨린 염기의 전구 물질이다. 생체내물질합성의 도중 단계의 물질로서 예를 들면 비타민 A에 대한 카로틴, 섬유소에 대한 섬유소원이 이것이다. 또는 단백질, 효소, 비타민, 항생물질, 생체색소, 기타 생체물질이 생체내에서 생성될 때 중간단계에 있는 물질이다. 어떤 물질대사나 생합성 반응에서 최종 산물의 전단계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어, 포도당은 글리코겐이나 젖산의 전구체이다. 생체 내에서 생성되는 어떤 대사산물에 대하여, 그것에 도달하기 전의 물질로서 예를 들면 아드레날린의 전구물질은 티로신이나 도파이다. 단일 또는 다단계 반응에 의한 대사경로에서 한 화합물의 전단계 화합물이다. 생체물질이 생체내에서 합성될 때 중간단계에서 생기는 물질이다. 전구체는 화학 반응에서 반응에 참여하는 물질이다. 전구체의 화학 반응으로 생성된 물질은 생성물이라고 하며, 반응물의 일부가 변환되어 생성물이 되었을 경우 유도체라고 한다. 따라서 아세틸살리실산은 아세트산 무수물의 유도체라고 할 수 있다. 유도체들은 보통 두 반응물을 이어붙이기만 한 수준의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전구체와 화학 구조가 비슷하다.
폐배터리 recycling은 써버린 배터리 수거하고, 폐배터리로부터 필요한 금속 추출하는 것이다. 수거한 폐배터리는 배터리팩 형태로 오게되는데 보통 셀, 케이스,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냉각장치, 열관리장치의 5가지로 구분한다. 여기서 셀은 배터리 팩에서 중량 기준으로 58%차지한다. 그리고 셀에서 양극이 40%, 음극이 25%, 케이스가 15%, 분리막이 5%로 구성된다. 여기서 재활용되는 부분은 양극재이다. 여기서 MCN811, NCMA 등 양극재라고 불리는 이러한 것들이 폐배터리로부터 재활용되는 희소금속이라고 할 수 있다. 음극재나 BMS 같은 경우는 아직 재활용되고 있지 않다. 폐배터리 공정은 전처리 공정, 후처리 공정의 2가지로 나뉜다 전처리 공정은 폐배터리를 금속 분말 형태의 중간 원료로 만드는 공정을 말하며 우리는 이러한 분말을 Black powder 라 부른다. 후처리 공정은 전처리를 통해 회수한 분말 물질을 습식제련을 통하여 고순도 배터리 원료를 얻는 공정이다.
전처리공정은 파쇄 전처리 공정(습식제련), 고온용융 전처리 공정(건식제련)의 2가지로 나뉜다. 파쇄 전처리 공정은 배터리 팩을 수거하여 분리, 배터리 방전, 배터리 해체, 파쇄(기계장치에 넣어 물리적으로 파쇄 물리적 전처리), 선별, 밀도와 자력을 활용하여 희유금속이 포함되어있는 black mass와 Al, Cu 구분, 이렇게 black mass와 희유금속을 구분하면 black mass를 황을 사용하여 녹임, 여과-용매-침출 과정을 통하여 니켈, 코발트, 망간을 회수 등이 해당된다. 이렇게 물리적으로 회수 성분을 농축하여 블랙 파우더를 얻는 공정을 파쇄 전처리 공정이라고 한다. 이를 통하여 회수금속인 코발트, 니켈, 망간, 리튬, 구리, 알루미늄을 회수할 수 있다. 파쇄전처리 공정의 장점은 투자비와 공정비용이 낮음, 적은 용량 배터리 처리도 용이, 연소과정이 불필요하여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음, 건식제련에서 회수하기 힘든 리튬, 망간을 추출 가능 등이 있다. 파쇄전처리 공정의 단점은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서 금속회수를 위한 오랜 공정 시간이 소요됨, 대량으로 제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등이다.
고온 용융 전처리 공정은 방전,분리,분쇄와 같은 물리적 전처리 공정 없이 고온 용융로에서 금속 성분을 원상태로 환원하여 분말 형태로 회수하는 공정이다. 이를 건식제련이라고 하며 이 공정을 통해서 코발트, 니켈, 구리를 회수할 수 있다. 나머지는 슬래그로 배출한다. 배터리 건식제련은 용융로를 통하여 고온 열처리를 하게된다. 이렇게 고온 열처리를 하게 되면 메탈 혼합물(니켈, 코발트, 구리), 슬래그(리튬, 알루미늄, 망간) 등으로 분리된다. 여기서 메탈 혼합물을 습식제련을 통하여 니켈 코발트를 회수한다. 이는 건식제련의 경우 메탈혼합물을 결국 습식제련을 통하여 희유금속을 회수 할 수있으며, 건식제련으로만으로는 리사이클링을 할 수가 없다. 여기서 용융은 고체상태에서 가열하여 변형되는 현상이고, 슬래그는 금속을 녹일때 남는 찌꺼기이다. 고온용융 전처리 공정의 장점은 대용량 배터리 처리시 적합, 고온 용융로를 사용하므로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음, 용융로등 설비가 필요한데 초기 CAPEX가 많이듬 등이 있다.
배터리 또는 폐배터리의 처리 예1로는 전기차의 폐차, 상기 폐차된 전기차에서 배터리 탈거, 상기 탈거된 배터리의 수거, 상기 배터리의 건강상태(SOH, state of health) 체크, CCA 체크, SOC 체크, 상기 SOH의 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 재사용, 상기 SOH의 수치가 일정 수치 이하이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원료 추출 등이 되는 것이다. 상기 처리 예2로는 a) 배터리의 SOH(state of health)가 60% 또는 일정수치 이상이면 전지, 건전지, 충전지, 배터리, 폐배터리, 전력장치, 전기공급장치, 파워뱅크,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소형장치전원, 소형이동장치전원, 소형전원장치, 소형이동전원장치 등으로 재사용되고, b) 배터리의 SOH(state of health)가 60% 또는 일정수치 이하이면 상기 배터리 분해, 상기 배터리 파쇄, 상기 배터리 용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원료 추출, 상기 배터리로부터 니켈과 리튬과 망간과 코발트 추출, 상기 분해된 소재 이용, 상기 파쇄된 소재 이용, 상기 용해된 소재 이용, 상기 추출된 소재 이용 등으로 재활용되는 것이다.
상기 SOH는 SOH, state of health, battery state of health, 배터리의 노화도, 배터리의 잔존수명, 배터리의 잔류전력, 배터리 점수, 배터리 건강상태 등이 해당된다. 배터리 충전 상태는 SOC, state of charge, battery state of charge, 충전 상태, 충전 잔량 등이 해당된다. 배터리 잔량 측정은 배터리 테스터기, CCA 진단기, 배터리 잔량 측정 디바이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CCA는 저온시동성, 저온시동전류, Cold Cranking Ampere, 저온상황에서 시동능력을 알 수 있는 측정단위, -18 ℃에서 자동차배터리를 30초 동안 방전하여 7.2V가 될 때까지 흐를 수 있는 전류량 등이다. 상기 SOC는 충전 상태 또는 충전 잔량이다.
건강 상태(SOH)는 새 배터리였을 때와 비교해서 애플리케이션의 작업을 수행하기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서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1000mAH 셀로 시작했고 동작 조건이나 환경 조건에 따라 1~2년후에는 이 셀의 유효 용량이 850mAH로 저하되면 건강 상태는 85%가 된다. 새 셀일 때와 비교해서 85%만큼 성능이 있다는 뜻이다. 배터리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개는 일단 건강 상태가 70~75% 아래로 떨어지면 배터리용량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결과적으로 안전이나 보안 관련 애플리케이션일 경우에는 배터리 건강 상태가 80%가 되면 배터리를 교체할 때가 된 것이다. 배터리의 경우 SOH 60%이 배터리의 재사용과 재활용의 기준치가 될 수 있고, SOH 60% 이상인 배터리는 ESS, 파워뱅크, 소형장치전원, 소형이동장치전원, 소형전원장치, 소형이동전원장치 등으로 재사용이 가능하고, SOH 60% 이하인 배터리는 분해, 파쇄, 소재추출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 관리를 잘 함으로써 재충전가능 배터리를 완전 고갈된 상태에서 가득 찬 상태로 여러 번 복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다양한 이유로 감손이 일어난다. 가장 주된 이유는 충전과 방전 사이클을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이지만, 또 다른이유는 열에 노출되는 것이다. 배터리를 내장하고 실외에서 작동되는 카메라는 장시간 고온에 노출될 수 있다. 일부 카메라는 태양광 패널을 사용해서 배터리를 재충전하기도 한다. 이 방법은 무선 커넥티비티를 제공하는 오프그리드(off-grid)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에는 유용하지만, 햇빛이 쨍쨍 내리쬐는 장소에 설치해야 하므로 장시간 열에 노출됨으로써 배터리 셀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용 배터리 잔량 측정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 연식, 배터리 연식, SOH값, 환율, 조정계수 등을 산정; 차량 연식, 배터리 연식, SOH값, 환율, 조정계수 등으로 폐배터리의 매각단가 산출; 전기차 및 배터리에 대한 검사와 성능평가; 구매 보조금을 받은 전기차 및 이의 배터리에 대한 검사와 성능평가; 배터리의 검사와 성능평가; 성능평가를 하여 폐기, 재사용, 재활용 등의 여부 결정; 폐배터리에서 추출된 리튬이 이용되는 배터리 또는 배터리셀, 폐배터리를 재사용해 만든 전기차용 충전 에너지저장장치(ESS); 수명이 남은 폐배터리 재사용, 배터리 금속 리사이클링 BMR(Battery Metal Recycle); 폐배터리 재사용; 폐배터리 재활용; 수산화리튬 추출; 배터리 생산, 판매, 폐배터리 수집, 전처리, 후처리; 배터리 전 생애주기; 폐전자기기 수거부터 재활용; 배터리 실시간 사용 데이터 분석 시스템; 효과적인 배터리 재활용 또는 재사용; 폐배터리 스크랩의 순환 체계 구축; 스크랩 수거, 재활용 공정; 또는 황산니켈, 황산코발트, 광물 원자재 추출; 회수된 광물 원자재는 배터리 소재로 사용; 전기차 사용 후의 배터리 활용; EV·ESS 사용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폐배터리에서 주요 유기금속을 회수; 다시 배터리 소재로 재활용; 고순도 수산화리튬 추출;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한 메탈, 리튬, 전구체, 양극재 확보; 배터리 소재 공급망 구축을 위한 밸류체인 확보; 자원선순환;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한 금속, 니켈, 망간, 코발트 등 회수;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폐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배터리 폐액, 배터리 폐기물, 배터리 추출액, 배터리 용해액 등에서 니켈, 리튬, 망간, 코발트, 코발토스, 금속, 유가금속, 희귀금속, 원소, 유가원소, 금속원소, 이온, 유가이온, 금속이온, 이중 하나의 산화물 등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내지 용해액 등에서 니켈, 리튬, 망간, 코발트 등의 금속은 수산화리튬과 화학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있음, 상기 결합된 구조를 끊어내는 것이 중요함, 수산화리튬 추출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된 구조를 끊어냄, 상기 결합된 구조를 끊어내어 배터리 내의 니켈, 리튬, 망간, 코발트 등의 금속을 회수, 상기 회수된 금속을 재활용 또는 배터리 제조에 재활용, 기존에는 광산이나 염호에서 리튬 등을 채굴하고 가공하여 금속을 얻음, 상기 수산화리튬 추출기술은 기존기술에 비하여 탄소발생량을 30∼80% 줄일 수 있음 등이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다.
상기 회수 방법의 예로는 배터리를 산에 용해, 용해 후에 철, 알루미늄, 칼슘, 마그네슘, 구리 등을 제거하여 추출 분리, 상기 후에 증발에 의해 원소 결정을 형성, 상기 후에 금속 회수, 산화물 제조 등이다. 상기 회수 방법의 예로는 탱크 안에서 황산 또는 염산을 20-25N로 배합, 고체와 액체의 질량비가 1:4의 비율을 이루도록 배터리 폐기물을 첨가, 온도를 75-85℃로 제어해 20-25시간 반응, 여과와 세척을 거쳐 여과액을 산 용해 여과액으로 구성, 상기 철 및 알루미늄 제거는 산 용해 여과액을 불순물제거 통 안에 펌프질해 넣어 가열하면서 섞음, 온도를 60-70℃로 제어, 각 m3마다 경질 탄산칼슘을 25-30kg 첨가, 용액 중 2가철 양의 5배인 염소산나트륨을 첨가, 30분 섞음, 10N의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PH 수치를 45로 조정, 여과와 세척을 거쳐 여과액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함, 세정액은 탄산나트륨 용액을 조제하는데 사용, 여과 케이크는 철과 알루미늄의 찌꺼기로서 무해화 처리를 실행, 상기 칼슘, 마그네슘 및 구리 제거는 철 제거액을 칼슘 및 마그네슘 제거 통 안에 펌프질해 넣어 가열하면서 섞음, 온도를 60-70℃로 제어, 칼슘 및 마그네슘 총 질량의 7배인 불화 나트륨을 첨가해 50분 섞음, 10-15N의 탄산나트륨으로 PH 수치를 50-60로 조정, 여과와 세척을 거쳐 여과액이 추출전 액체로서 추출단계로 넘어가도록 함, 세정액은 탄산나트륨 용액을 조제하는데 사용, 여과 케이크는 칼슘, 마그네슘과 구리의 찌꺼기로 처리 등이다.
상기 회수에 있어서, a) 추출전 용액을 먼저 P204(비스(2-에틸헥실)포스페이트)추출제로 추출, 용액 중의 망간을 유기상 중에 추출, 유기상에 황산 용액을 첨가해 세척함으로써 망간 150-400g/L가 함유된 황산 망간 용액을 얻음, 용액을 증발시켜 결정을 형성, 원심 분리로 황산 망간 제품을 얻음 등의 황산 망간 회수 단계;
b) 이전 공법에서 망간을 추출한 후의 P204추출 잔재액을 P507(포스포네이트 에스테르 추출제: (C8H17)2HPO3)로 추출, 용액 중의 코발트를 유기상 중에 추출, 유기상에 황산 용액을 첨가해 세척함으로써 코발트 80-130g/L가 함유된 황산 코발트 용액을 얻음, 용액을 증발시켜 결정을 형성, 원심 분리로 황산 코발트제품을 얻음 등의 황산 코발트 회수 단계; c) 이전 공법에서 코발트를 추출한 후의 P507추출 잔재액을 다시 P204로 추출, 용액 중의 니켈을 유기상 중에 추출, 유기상에 황산 용액을 첨가해 세척함으로서 니켈 70-130g/L가 함유된 황산 니켈 용액을 얻음, 용액을 증발시켜 결정을 형성, 원심 분리로 황산 니켈 제품을 얻음 등의 황산 니켈 회수 단계; d) 이전 공법에서 니켈을 추출한 후의 P204추출 잔재액은 MVR(mechanical vapor recompression: 기계적 증기 재압축) 증발결정형성시스템을 이용해 추출 잔재액을 증발, 황산나트륨 결정을 형성, 원심 여과한 후 바로 무수 황산나트륨 부산물을 음 등의 황산나트륨 회수 단계; e) d단계가 황산나트륨을 회수한 후의 원심 모액에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을 첨가, 반응 온도를 60-100℃로 제어, 반응 시간이 0.5-4시간, 얻은 탄산 리튬을 침전, 침전물을 원심 여과, 세척한 후 말려 탄산 리튬 제품을 얻음 등의 탄산 리튬 회수 단계 등의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차 폐배터리의 재사용 여부, 안정성 검증, 잔여 성능 판단, 전기차의 폐배터리 성능평가, 재사용 여부 결정,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을 위한 안전성 검사, 전기차의 사용 후 배터리 배출, 전기차용 폐배터리 성능평가, ESS(에너지저장장치)나 소형 이동장치 전원으로 재사용, SOH(잔존수명) 수치 60% 이상 배터리는 ESS(에너지저장장치)나 소형 이동장치 전원 등으로 재사용, 60% 미만 수치의 경우 분해, 파쇄한 뒤 배터리 소재를 추출하는 재활용, 차량용 배터리의 재사용 여부를 결정, 차량 연식과 배터리의 SOH값, 환율, 조정계수, 매각단가 산출, 예비가격 산정, 입찰, 차량용 폐배터리를 처분, SOH값 60%를 재사용과 재활용의 기준 설정, 재사용 배터리의 발화나 폭발 등을 막기 위한 안전성 확보, 차량용 배터리 분리와 수거, 성능 및 안전성 평가, 배터리회수 주체 선정, 배터리회수 방법 고안, 배터리 여권 부여, 배터리 여권(battery passport) 제도 시행, 배터리 고유번호 부여, 주민등록증 부여, 추적시스템 구축, 레고로 만들어진 배터리 재활용, 폐배터리 처리 관련 국가 표준 정립, 폐배터리 시장 활성화, 배터리 활용은 크게 재사용과 재활용으로 구분, 재사용은 전기차에 한번 쓰이고 난 배터리를 수거(반납) 후 잔존 용량 수명이나 배터리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원래 목적이었던 전기차용 배터리로 다시 사용하는 것, 재활용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폐배터리를 분해해 니켈, 망간 등의 핵심 소재를 추출해 새로운 배터리 제작에 활용하는 것, 배터리 등록번호 제도 시행, 배터리에 들어간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핵심소재 회수, 회수수울 목표치는 니켈·코발트·망간은 98%, 리튬 85%, 기타 희소금속은 97%, 동력 배터리 재활용 생산 책임제, 폐배터리 재활용 시범사업, 폐배터리 회수·재판매, 폐배터리 재활용, 규격, 등록, 회수, 포장, 운송, 해체, 차량 종류별로 적합한 배터리 종류와 사이즈 표준화, 전기차 배터리에 등록번호 부여, 정보 추적 플랫폼에 배터리 정보 등록, 배터리 내부 재료 종류와 위험도에 따라 전용 재질로 포장해 회수, 배터리별 위험도에 따른 운송 규정 마련, 배터리 재활용 산업을 탈탄소 에너지 전환과 환경정책의 일환으로 접근, 배터리 재활용 비율을 높이는 방안, 리튬이온 배터리 회수율 50%로, 리튬이온 배터리 회수율 70%, 사물인터넷(IoT)를 활용해 배터리 공급과 가치 사슬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배터리에 대한 정보와 이력을 공유, 수명주기 동안 배터리 사용을 최적화, 수명이 다한 시점에 재활용 효율을 높임, 폐배터리 활용 산업, 점포에 축전지를 배치해 낮에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해 밤에 사용, 소규모 ESS(에너지저장장치)를 만들어 사용, 정전시 재사용 배터리를 철도 건널목용 전원으로 전환해 사용, 주·야간 남는 전기를 활용해 재사용 배터리를 축전지 용도로 가로등에 적용, 폐배터리의 명확한 기준 설정, 배터리 이력 관리, 회수 인프라 구축, 세제 지원, 공급망을 고려한 배터리 얼라이언스 구축, 재활용 단계별 국가표준 제정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폐배터리에서 값비싼 원자재를 추출해 활용하는 재활용; 폐배터리를 방전시킨 후 음극, 양극, 분리막 등으로 분해해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구리 등을 회수; 폐배터리 상태를 점검한 뒤 ESS(에너지 저장 장치)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재사용; 전기차에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성능이 떨어지더라도 다른 분야에 사용; 폐배터리에서 니켈, 코발트, 리튬 등 핵심 원료를 추출; 전기차와 ESS에서 사용된 리튬이온 전지가 주요 재활용 대상; 전기차 배터리 생산업체가 배터리셀 제조 중에 발생하는 폐배터리를 재활용업체에 공급; 재활용업체가 폐배터리에서 핵심 원료를 추출; 생산업체가 이 원료를 수요처에 판매; 폐배터리를 재사용해 만든 전기차용 충전 ESS 시스템; 10만㎞ 이상 달린 전기차 배터리로 만든 전기차 충전기; 100㎾ 충전기로 전기차를 1시간가량 충전하면 300㎞를 달림; 전기차 폐배터리에서 리튬을 수산화리튬 형태로 추출; 전기차는 충전, 방전을 거듭할수록 에너지 밀도가 낮아져 주행 거리가 줄어들고 충전 속도도 느려져 배터리 교체; 자동 공장에 배터리 재활용 시설 도입; 새로 광물 원료를 사오는 것보다 폐배터리를 재활용; 배터리 이력 관리; 생산자가 재활용까지 책임지는 생산자 책임제 시행; 원자재별로 니켈, 코발트, 망간은 98%, 리튬은 85%, 기타 희소금속은 97%라는 구체적인 회수율 목표 정함; 배터리에는 각종 중금속과 전해액이 들어가 폐배터리를 매립하면 토양 등 환경오염을 일으킴; 지속 가능한 배터리법; 배터리를 제조할 때 재활용 원료 사용을 의무화; 리튬과 코발트 재활용 비율은 10%, 20%; 폐배터리 회수율은 45%, 65%, 70%; 배터리 원재료 채굴, 제련 비용 절감을 위해 배터리 재활용 산업 육성;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광산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시광산은 도시광산, 都市鑛山, urban mining, 산업 원료가 되는 금속자원이 폐기물 형태로 도시지역에 분포되어 광산 규모를 이룬 것, 도시 생활 속에서 사용하고 버린 폐가전제품에서 자원을 얻는 것, 가전ㆍ디지털기기ㆍ자동차ㆍ배터리 등과 같은 제품 제작에 사용되는 다양하고 많은 종류의 금속들을 도시광물로서 회수하는 것, 폐가전 또는 산업폐기물을 수집 - 해체 - 선별 - 제련 등의 공정을 거쳐 금속을 추출, 산업원료로 재공급하는 산업, 금속은 제품으로 만들어져 형태가 변형되어도 그 형질은 그대로 남아있으므로 사용후 이를 추출해서 재활용하는 것, 산업원료가 되는 금속광물을 폐기물에서 뽑아내어 재공급하는 활동, 도시에서 광물을 캐는 것, 전기·전자제품·자동차 등 생활계 폐기물과 폐촉매·폐액 등 사업장 폐기물에 축적되어 있는 금속광물을 회수하여 정련 및 제련 과정을 통해 관련 산업의 원료로 재공급하는 활동, 사용 후에도 제품이나 폐기물 속에 소재의 특성과 기능이 그대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 착안, 광산에서 채굴된 금광석 1톤에서는 약 5g의 금을 추출, 휴대전화 1톤에서는 약 400g의 금을 얻을 수 있음, 자동차, 전기·전자 등의 산업에 필수적인 금속광물에는 철뿐만 아니라 비철금속, 귀금속, 희유금속 등이 포함, 이 중 희유금속이란 지구 내에 존재량이 적거나 추출이 어려운 금속광물로 현재도 산업적 수요가 있지만 미래에 그 수요가 더욱 신장할 것으로 예측, 희유금속은 극소수 국가에만 매장되어 있고 생산도 편재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 광산을 통하여 희유금속을 안정적으로 공급, 각종 폐가전에서 금속광물을 추출하고 재활용, 폐가전류 전문 처리 시설에서 폐금속 회수, 재활용 등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ESS 또는 에너지저장장치는 ES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ESS 등과 같다.
상기 ESS 1은 ESS,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장치, 에너지저장시스템, 전지, 원전, 건전지, 충전지, 충전기, 발전기, 배터리, 파워뱅크,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원자력발전기, 태양전지, 태양광패널,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배터리, 폐배터리, 휴대용 에너지저장장치, 고정형 에너지저장장치, 배터리 ESS, 배터리를 이용한 ESS, BES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폐배터리 ESS, 폐배터리를 이용한 ESS, UBESS, use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휴대형 ESS, 고정형 ESS, 초소형 ESS, 소형 ESS, 중형 ESS, 대형 ESS, 초대형 ESS, 전력용 ESS, 전기용 ESS, 전기공급용 ESS, 리튬전지를 채택한 ESS, 리튬 이차전지 ESS, 리튬 배터리(LiB) ESS, 차량용 ESS, 전기차용 ESS, 가정용 ESS, 건물용 ESS, 공장용 ESS, 산업용 ESS, 현장용 ESS, 공사용 ESS, 실내용 ESS, 실외용 ESS, 옥내용 ESS, 옥외용 ESS, 빌트인(built-in) ESS, 건물에 빌트인(built-in) ESS, 10kW급 미만의 빌트인(built-in) ESS, 박스형 ESS, 용기형 ESS, 건물형 ESS, 컨테이너형 ESS, 무선 충전 ESS, 유선 충전 ESS, 충전기 구비의 ESS, 충전기 겸용의 ESS, 물리적 에너지저장시스템, 화학적 에너지저장시스템, 양수발전, 압축공기저장, 플라이휠, 리튬이온배터리, 납축전지, NaS전지, 배터리 형식의 ESS,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는 ESS, 스마트그리드에 이용되는 ESS, 신재생에너지 출력을 평준화하는 ESS, 송전 및 배전 단에 구비되는 대용량 ESS, 각 빌딩이나 가정에 접목되는 ESS, 값싼 심야 전력을 저장했다가 낮에 사용하는 ESS, 전력 부하 평준화용 ESS, 피크 컷용 ESS, 전력 수요의 피크를 해소시키는 ESS, 장치 혹은 물리적 매체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ESS,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압기, 수백 kWh 이상의 전력을 저장하는 단독 시스템, 컨테이너 모양의 대형 배터리, 이중 둘 이상 복합ESS 등이다.
상기 ESS 또는 UBESS의 예로는 Energy Storage System, Use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전기차에서 수명을 다한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재활용하는 시스템, 전기차에서 사용이 끝난 배터리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ESS, 3~10년까지 활용이 가능한 배터리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ESS,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활용하는 ESS, 폐배터리에 최적화된 ESS,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에너지저장장치,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분산발전시스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에너지저장장치를 태양광발전소에 연계하여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분산발전시스템, 폐배터리 여러 개를 활용해 ESS 설비를 구축하여 전력을 저장해두고 이를 가정, 빌딩, 공장 등에 전력 공급하는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ESS 2는 태양이나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를 미리 저장하는 장치, 태양이나 풍력 등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에서의 ESS, 생성된 전기를 이송하는 송배전에서의 ESS,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수용가(소비자)에서의 ESS, 냉난방 수요가 급증하는 최고 수요 시점에 이용되는 ESS, 피크 수요 시점의 전력 부하를 조절해 발전 설비에 대한 과잉 투자를 막아주는 ESS, 돌발적인 정전 시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ESS, 전력망에 전기를 공급하는 ESS, 전기 자동차 또는 충전소에서 높은 출력으로 갑자기 전기가 소비될 때 이용되는 ESS, 전기의 불규칙한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고 수시로 변화하는 주파수를 조정해 전력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ESS,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 그리드에서의 핵심 설비, 전력 예비율을 높게 유지하고 비상 정전에 대비하는 ESS, 풍력 같은 신재생에너지 출력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ESS, 전력계통에서 발전이나 송배전이나 수용가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ESS, 주파수 조정(frequency regulation) ESS, 신재생발전기 출력 안정화를 하는 ESS, 첨두부하를 저감(peak shaving)하는 ESS, 전력부하를 평준화(load leveling)하는 ESS, 비상전원으로 사용되는 ESS, 전기에너지를 적게 사용할 때 저장하고 필요할 때 공급하는 ESS,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시키는 ESS, 신재생에너지 활용도를 제고하는 ESS, 태양광이나 풍력이나 조력이나 파력 등 신·재생에너지나 소규모 발전소에서 얻은 소량의 전기를 저장하는 ESS, 이중 둘 이상 복합ESS 등이다.
상기 ESS 3은 전력공급시스템 안정화에 기여하는 ESS, 생산된 전기를 전력계통(grid energy storage)에 저장했다가 전기가 가장 필요한 시기에 공급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 발전·송배전·수용가에 단계별 저장이 되는 ESS, 실시간으로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정보를 교환하며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ESS, 전기 요금이 싼 시간에 저장한 전기를 피크타임에 사용하는 ESS, 대규모 정전 상태인 블랙아웃에 미리 충전해 둔 에너지를 공급하는 ESS,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밤에 전기를 저장하고 낮의 전력 피크타임에 전력을 공급하는 ESS, 피크타임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생산설비의 투자를 절약하는 ESS, 피크타임에 전력을 공급하여 CO2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ESS, 태양 또는 태양광 또는 풍력 또는 조력 또는 파력 또는 수력 등 신재생 에너지 또는 소규모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ESS, 이중 둘 이상 복합ESS 등이다.
상기 ESS는 a) 전기차용 폐배터리가 활용되는 가정용, 건설용, 공장용 등의 ESS, b) 발전기, 태양광발전기, 풍력발전기, 신재생에너지시설 등의 발전 전력을 저장 및 공급하는 ESS, c) 장기간 사용으로 효율이 저하되어 전기차에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20kW 이상의 폐배터리가 이용되는 ESS, d)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내장된 복수의 폐배터리를 이용하여 에너지저장서비스를 제공하는 폐배터리 기반의 ESS, e) 전력이나 에너지를 저장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초대형 배터리, f)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ESS 등도 가능하다. 상기 ESS에서 S 또는 energy storage system에서 system은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시스템, system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에너지저장시스템인 ESS(1)는 배터리(3), 폐배터리(3), 배터리팩(2), 폐배터리팩(2), ESS유닛(2), BMS(4), 컨버터(13), 제어부(35), 인버터(15), 관리부(33), 모니터링부(3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2 참조. 본 발명에서 전기, 전원, 전력, 전압, 전류 등(5)은 발전기(10), 전력계통(11), 전력공급시설(11), 비상발전기(12), ESS(1), 배터리(3), 폐배터리(3), 배터리팩(2), 폐배터리팩(2), ESS유닛(2), BMS(4), 컨버터(13), 제어부(35), 인버터(15), 관리부(33), 모니터링부(34), 충전부(31), 방전부(32) 등을 통하여 생성, 흐름, 전달, 송전, 배전, 충전, 방전 등이 가능하다. 이는 도 3, 4 참조.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3), 폐배터리(3), 전기차 배터리, 전기차 폐배터리, ESS(1)에 포함되는 배터리, 배터리팩(2)에 포함되는 배터리, ESS유닛에 포함되는 배터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배터리팩(2)은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ESS유닛(2)은 ESS유닛, 전체 ESS를 구성하는 단위 ESS,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된 ESS유닛 등이 해당된다.
상기 BMS(4)는 배터리관리시스템, battery management system, 마스터 BMS, 배터리를 관리하는 시스템, 폐배터리에 구비된 복수의 슬레이브 BMS를 인식 및 등록, 복수의 폐배터리에 구비된 복수의 슬레이브 BMS를 통하여 폐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 복수의 슬레이브 BMS와 통신채널 형성, 슬레이브 BMS와 캔(CAN)통신을 형성, 슬레이브 BMS를 통해 획득된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과전압 과전류를 감시하고 차단, 셀 밴런싱 정보를 생성하여 슬레이브 BMS에 제공, 버스 또는 충방전부와 ESS유닛 사이에 거치되는 BMS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슬레이브 BMS는 배터리나 폐배터리에 구비되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이다.
상기 CAN은 controller area network, 2개의 배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꼬여 있거나 또는 피복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2가닥 데이터 배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마스터/슬레이브 시스템에서 다수의 ECU(전자제어장치, electronic control unit)가 마스터(master)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마스터(multi-master) 원리에 따라 작동, 단일 배선 적응능력을 가짐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단일 배선 적응능력(suitability against single line)은 CAN 데이터 버스 시스템에서 배선 하나가 단선 또는 단락되어도 나머지 1개의 배선이 통신능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두 배선은 서로 꼬여 있거나 또는 와이어-메쉬(wire mesh)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CAN 데이터 버스 시스템은 최소한 2개의 노드(node), CAN-low 배선, CAN-high 배선, 2개의 터미널 저항(terminal resistor)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드의 트랜시버에 의해 CAN-high 배선에 우성 수준(Udom)이 형성되면, 이 배선의 전압은 상승한다. 동시에 CAN-low 배선의 전압은 하강한다. 스위칭할 때마다 두 CAN-배선에서 생성되는 자장은, 전압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상쇄된다. 따라서 두 배선은 외부에 대해서는 전자적(電磁的)으로 중성이며, 어떠한 외부 간섭도 일으키지 않는다. 즉, 간섭에 대한 저항성이 보장된다. 멀티-마스터 원리에 따라 각 노드 또는 ECU는 버스 배선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수의 ECU가 동시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는 중재(arbitration)를 통해 가장 중요한 메시지를 가장 먼저 전송한다. 상기 중재는 하나의 자원에 대하여 복수의 프로세스나 이용자가 행한 또는 경합하는 요구를 감시하고 관리, 중재하는 과정(process)을 말한다.
상기 컨버터는 컨버터(13), converter, 변환기, 變換器, 變換機, 회로망 변환기, 주파수 변환기, 베세머 컨버터, Bessemer converter, 전환기, 전환장치, 트랜스듀서, transducer, 트랜스듀서센서, transducer sensor, D/A 컨버터, A/D 컨버터, DC/DC 컨버터, AC/AC 컨버터, AC/DC 컨버터, DC/AC 컨버터,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DC/AC 컨버터,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정류기, 부스트(boost) 타입의 회로가 사용되는 컨버터, 풀-브리지(full-bridge) 타입의 회로가 사용되는 컨버터, 복수 발전기(10)나 전력계통(11)이나 전력공급수단(11)이나 비상발전기(12)의 상이한 출력 전력을 인버터 규격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하는 DC/DC 컨버터(13), 복수의 상이한 교류 전력을 인버터 규격에 따라 승압 또는 강압하는 AC/AC 컨버터, 발전기(10)나 전력계통(11)이나 전력공급수단(12)와 버스(14)나 인버터(15)의 사이에 구비된 컨버터(13) 등이다.
상기 컨버터에는 신호 또는 에너지의 모양을 바꾸는 장치, 교류와 직류를 변환하는 장치, 교류의 주파수를 상호 변환하는 장치, 상수(相數)를 변환하는 장치, 교류 → 직류의 변환을 컨버터, 직류 → 교류의 변환을 인버터(inverter), 주파수에서 다른 주파수로의 변환하는 사이클로컨버터(cycloconverter), 사이리스터(thyristor) 등의 전력용 반도체 사용, 고주파 신호를 그보다 낮은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컨버터, 직류신호를 교류로 변환하는 단속기(斷續器), 진공열전쌍(眞空熱電雙)을 써서 교류전류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 전동기와 발전기를 직렬하여 전력(주파수나 전압)의 변환을 하는 장치,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변환하는 장치, 전기 신호를 목적하는 형태로 변환하는 장치, 50Hz의 AC전압을 60Hz로 변환하는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는 UHF의 전파를 VHF에 변환하는 주파수 컨버터,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변환하는 컨버터, 토크나 상수(相數)나 주파수나 교류나 직류 등을 바꾸는 장치, 엔진의 플라이휠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변환시키는 토크 변환기,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유해 가스를 무해 가스로 변환시키는 촉매 변환기, 교류가 인입되는 슬리프링과 상기 슬리프링에 연계되어 상기 슬리프링을 거친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정류자로 구성된 컨버터, 축전기 방전식 점화 장치에서 축전지 직류 전류를 발진 회로에 공급하면 교류로 변환하여 전압을 높인 다음 다이오드에 의해 다시 직류로 변환시키는 DC-DC 장치 등도 가능하다.
상기 인버터는 인버터(15), inverter, 전류형 인버터, 자려식(自勵式) 인버터, 타려식 인버터, 직렬형 인버터, 병렬형 인버터, 사이러트론, 수은 정류기, 주파수를 바꾸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바꾸는 장치, 직류 → 교류 변환하는 인버터, 교류 → 직류 변환하는 컨버터, 사이리스터(Thyristor), GTO(gate turn off), 파워트랜지스터(power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스위칭(switching:전류의 on, off) 소자(素子, component, element), 정지형(靜止形) 인버터(static inverter), 리액터(reactor)를 갖춘 전류형 인버터, 콘덴서(condenser)를 갖춘 전압형 인버터, 출력진폭을 변조(變調)하는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인버터, 출력 시간폭(時間幅)을 변조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인버터, 전압형 PWM제어하는 인버터, VVVF 출력에 의한 유도전동기 구동(驅動) 인버터, 가선 전압을 3상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교류 → 컨버터 → 직류 → 인버터, 동기전동기(同期電動機, synchronous motor)를 구동하는 인버터, 리니어(linear) 전동기를 구동하는 인버터, 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인버터는 a) 발전기(10)의 발전 전력(5, 7), 신재생에너지시설(10)의 발전 전력(5, 7), 전력계통(11)이나 전력공급시설(11)의 공급 전력(5, 7), 보조발전기(12)의 공급 전력(5, 7), ESS(1)의 저장 전력(5, 6), 폐배터리(3)의 충전 전력(5, 6), 이중 둘 이상의 복합 전력(5, 8)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부하 전력을 생성 및 제공, b) 컨버터(13)나 버스(14)와 다른 버스(16)나 사용자(20)의 사이에 거치, c) 사용자의 부하에 필요한 전력을 생성 및 공급, 헤릭토폴로지(heric topology) 방식으로 구현, 상기 관리부에 의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인버터에는 전원 케이블, 압축기, 냉풍기, 케이스, 4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제1브릿지회로, 제1브릿지회로의 양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4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제2브릿지회로, 제2브릿지회로에 병렬 연결된 2개의 트랜지스터, 제1브릿지회로의 양 출력단 각각에 연결된 2개의 인덕터, 2개의 인덕터 사이에 연결된 DC-Lin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스는 버스, bus, 버스(14), 버스(16), 정보 전송 회로, 컴퓨터의 정보 전송 회로, 데이터(data) 신호를 보내기 위한 신호선이 모여진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address) 신호를 보내기 위한 신호선이 모여진 어드레스 버스, 제어신호를 보내기 위한 신호선이 모여진 제어 버스,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양에 따라 ISA 버스, EISA 버스, VESA 버스, PCI 버스 등으로 구분, 복수(複數)의 신호를 병렬로 내보내기 위해서 그에 대응하는 줄수의 신호선, 길을 달리는 버스가 많은 사람을 태우고 달리듯이 복수의 신호를 일괄하여 내보내는 신호선의 모임인 버스, 컴퓨터 내부의 회로에서 중앙처리장치(CPU)와 주기억장치나 입출력장치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데 공용으로 사용하는 전기적 통로, 내부 버스와 외부 버스로 구분, 내부 버스는 중앙처리장치 내부의 연산장치와 각종 레지스터를 연결하는 데 사용, 외부 버스는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나 입출력장치 간의 연결 또는 입출력장치끼리의 연결에 사용, 각 장치(device)의 주소나 기억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들을 위한 선과 수행될 다양한 데이터 전송동작을 구별하기 위한 선을 포함, 컴퓨터 내·외부 각종 신호원 간의 데이터나 전원 전송용 공통 전송로 또는 버스선(bus line) 등이 해당된다.
상기 ISA 버스는 ISA 버스,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bus, PC·AT 호환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16비트 폭의 버스 규격, 사운드 보드의 장착 등에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된 버스, PCl 버스에 비해 속도가 늦고 데이터 전송폭도 좁은 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EISA 버스는 EISA 버스, 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bus, 16비트 버스인 ISA 버스를 32비트로 확장하고 개선한 PC/AT 호환기의 버스 규격, 확장 ISA 버스, MCA 버스에 필적, EISA 버스는 ISA 버스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 속도도 훨씬 고속임 등이 해당된다. 상기 VESA 버스는 VESA 버스, VESA 로컬 버스,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Bus 등이 해당된다. 상기 PCI 버스는 PCI 버스,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 PC·AT 호환기나 매킨토시에서 채용된 32비트 폭의 버스 규격, ISA 버스보다도 고속, 비디오 보드나 SCSI 보드 등 데이터의 송수신에 속도가 요구되는 확장 보드에 이용 등이 해당된다.
상기 관리부(33)는 a) ESS(1), 배터리(3), 폐배터리(3), 배터리팩(2), 폐배터리팩(2), ESS유닛(2), BMS(4), 컨버터(13), 제어부(35), 인버터(15), 모니터링부(34) 등을 관리하는 장치(33); b) 또는 발전 전력, 공급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 전력 수요 예측량 등을 모니터링 및 분석; c) 최대전력지점(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을 산출, 상기 인버터를 PWM 제어, 상기 배터리 제어부의 동작 모드를 결정 및 조정; d) 또는 발전 전력, 공급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 배터리 충전전력 등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의 동작 모드를 수시 조정; e) 잉여 전력이 발생하였거나 배터리 충전 전력이 임계치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배터리 충전 모드로 구동되도록 함, 부족 전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배터리 방전 모드를 구동되도록 함, 소프트스타터 기능 탑재, 충방전시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PWM은 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 신호의 크기에 따라 펄스의 폭을 변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처럼 모사, 0(low)과 1(high)만 가지는 디지털 신호를 연속된 sin 곡선 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로 모사, 펄스의 폭을 컨트롤하는 주기 제어방법, 출력되는 전압값을 일정한 비율 동안은 High를 유지하고 나머지는 Low를 출력, 사각파 출력, 0V와 5V 사이의 아날로그 값을 모사, 제어 및 통신에 사용 등의 특징을 가진다.
상기 모니터링부(34)는 a) ESS(1), 배터리(3), 폐배터리(3), 배터리팩(2), 폐배터리팩(2), ESS유닛(2), BMS(4), 컨버터(13), 제어부(35), 인버터(15), 관리부(33)등을 모니터링하는 장치(34); b) 또는 신재생에너지시설의 생산 전력, 전력계통에서 공급되는 공급 전력, 전력공급시설에서 공급되는 공급 전력, 사용자의 부하 소비 전력, 배터리 동작 모드, 폐배터리별 배터리 상태, 폐배터리별 충방전량 등을 모니터링; c)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시스템 구동환경을 수동 조정, 시스템을 통해 수집 및 생성되는 모든 정보를 기반으로 고장 발생 여부를 확인 및 통보, 사용자 입력 수단 구비, 사용자가 수동 입력하는 각종 제어값에 따라 시스템 구동환경을 조정, 배터리 구동을 일시 중지함, 배터리 동작 모드를 강제 변경함, 전력 수요 예측량을 설정 또는 변경함, 모니터링 화면 제공, 배터리의 교체요청 메시지 생성 및 제공;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어부(35), controller, 폐배터리의 전력 상태에 따라 배터리 충전 순서를 조정, BMS을 통해 확인된 폐배터리 각각의 배터리 상태 또는 SOC(state of charge)를 기반으로 배터리 충전 순서를 조정, 배터리 충전시에 배터리 충전순서에 따라 폐배터리를 순차 충전시킴, 상기 관리부의 제어 하에 배터리 충전시에 배터리 충전 순서에 따라 다수의 폐배터리를 하나씩 선택하여 순차 충전시킴, 배터리의 방전시에 다수의 폐배터리 모두를 일괄 방전시킴, 배터리 충전을 에너지 저장 능력이 낮은 배터리 순으로 순차 수행, SOC(state of charge)가 기 설정값 이하인 폐배터리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 폐배터리의 사용을 중단시킴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제어부(35)는 충전부(31), 방전부(32), 충방전부(30), 스위칭부(40, 41), 스위칭제어부(42)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발전 전력(10)이나 공급 전력(11, 12)을 폐배터리(3)를 통해 일시 저장시킨 후 필요시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부(31)는 발전 전압이나 공급 전압을 배터리 규격에 따라 전압 강하시켜 출력하는 강압 회로 구비, CC-CV 충전 방식에 따라 배터리 충전 동작 수행, 배터리 충전량이 기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전류 모드(CC mode )로 충전, 배터리 충전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전압 모드(CV mode)로 충전, 인버터내 DC-Link가 기 설정값인 경우에는 충전 보류, 상기 보류하여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우선될 수 있도록 함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CC-CV는 정격 전류 - 정격 전압, 또는 constant current - constant voltage를 나타낸다. 일반 충전기들은CC/CV 기능이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충전은 높은 전압에서 낮은 전압으로 전위차에 의해 이루어 지고, 처음에는 CC로 동작하고, 특정 전압 구간이 되면 CC가 정지되고 CV 모드로 전환되는 될 수 있다. 이는 도 3, 도 4 참조.
상기 방전부(32)는 폐배터리 모두가 일괄 방전하는 전압을 인버터 규격에 따라 승압시켜 출력하는 승압 회로 구비, 이를 통해 패배터리 방전 수행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충방전부(30)는 충전부와 방전부가 포함된 것이다. 상기 스위칭부(40, 41)는 제1스위치(40)와 제2스위치(41)로 구성된다. 제1스위치(40)는 충전부(31)와 복수의 폐배터리(3) 사이에 위치되어 스위칭제어부(42)에 의해 동작제어된다. 제2스위치(41)는 복수의 폐배터리(3)와 방전부(32) 사이에 위치되어 스위칭제어부(42)의 제어하에 동작 제어된다. 상기 스위칭제어부(42)는 복수의 폐배터리(3) 상태에 따라 배터리 충전 순서를 조정, 배터리 충전시 배터리 충전 순서에 따라 제1스위치(40)를 순차 제어하여 폐배터리(3)를 하나씩 충전부(31)에 순차 연결, 배터리 방전시 제2스위치(41)를 일괄 제어하여 폐배터리(3)를 방전부(32)에 일괄 연결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스위칭은 스위칭, switching, 전류변환, 전류의 on 및 off, 교환, 교환기능, 반전, 변경, 명령의 실행순서 변경, 비트의 상태를 반전시키는 것 등이다. 이는 도 3, 도 4 참조.
상기 ESS 4는 PCS(50), HMI(52), PMS(53), EMS(54), AMI(55), UPS(36) 등이 포함되는 ESS이다. 상기 PCS(50), HMI(52), PMS(53), EMS(54), AMI(55) 등은 상호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PCS(50)는 컨버터(13), 인버터(15), PCS제어기(51), HMI(5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버터(13), 인버터(15), 제어기(51), HMI(52) 등은 상호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컨버터(13), 인버터(15) 등은 배터리(3), ESS유닛(2) 등과 연계된다. 상기 ESS유닛(2)에는 BMS(4) 또는 슬레이브 BMS(4)가 포함된다. 상기 PCS제어기(51)와 HMI(52), PCS제어기(51)와 PMS(53), PMS(53)와 EMS(54), EMS(54)와 AMI(55), ESS유닛과 충전부(31), ESS유닛과 방전부(32) 등은 각각 또는 상호 연계가 가능하다. 이는 도 5 참조. 발전기(10) 또는 전력계통(11) 또는 전력공급시설(11) 또는 비상발전기(12) 등에서 공급되는 전기, 전원, 전력, 전압, 전류 등(5)은 충전부(31), 배터리(3), 방전부(32) 등을 통하여 소비자(20), 자동차충전기(21), 전기차(22) 등에 전달이 가능하다. 이는 도 5 참조.
상기 PCS는 PCS(50), 전원제어장치, power control system, power conditioning system, 전원변환장치, power change system, 전원의 투입과 제어나 전원 이상 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 시스템 전원 제어 장치, 발전소 제어 시스템, power plant control system, 개인휴대통신서비스.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등이다. 상기 HMI는 HMI(52), 인간과 기계 상호작용, human machine interaction,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human-machine interface, HMI 램프, hydrargyrum medium-arc iodide lamp, 차량용 HMI, automotive HMI, 시각이나 청각과 관련 지어진 인간의 아날로그적인 인지의 세계와 컴퓨터나 통신의 디지털을 처리하는 기계의 세계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터치스크린에 의하여 사용자가 각종 생산 장비의 작동 상태를 그래픽을 통해 보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기기 등이다. 상기 PMS는 PMS(53), 전력관리시스템, 전력을 관리하는 체계, 에너지 소비를 감시 및 규제하는 시스템, 전력 사용을 예상하여 필요한 전력량을 조정하는 시스템, 발전소나 변전소나 수용가 등의 에너지를 실시간으로 감시와 제어와 분석하는 에너지 관리시스템,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감시 또는 제어하는 통합적인 전력관리시스템 등이다.
상기 EMS는 EMS(54), 에너지관리시스템, energy management system, 에너지효율 향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관리체제, 에너지 사용이 최적화하도록 IT소프트웨어로 관리되는 시스템, 에너지 비용 절감, 에너지 소비 절감,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기계적 장비운영을 자동적으로 관리하도록 설계된 컴퓨터화된 에너지 통제시스템, 에너지 수요(需要)를 통제(統制, Accessed Control)하는 시스템, 에너지를 순환하는 시스템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AMI는 AMI(55), alternate mark inversion, 디지털 전송로에 사용되는 전송부호, 2진(바이너리)신호의 1이 발생하는 경우에 정(+) 및 부극성(負極性)부호를 교대로 송출, 케이블을 절약하기 위한 중계기 구동용(驅動用) 직류전류를 중첩하여 공급하는 전송로에 이용, 직류성분[전력(電力)]과 분리되는 교류성분을 신호용으로 사용하는 중계기에 이용, 보통신호로서 직류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AMI 부호를 전송로상의 신호로 사용, 극성이 +와 -에 걸쳐진 바이폴러(bipolar) 부호 또는 AMI 부호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UPS는 a) UPS(36), 무정전전원장치, 무정전전력장치,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정전없이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전력 공급을 조절하는 장치, 전기 회로의 전압이 끊어지거나 갑자기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경우를 제한하는 장치, 전력이 갑자기 끊어진 경우 전원을 신속하게 공급하도록 하는 장치, 전력이 갑자기 끊어진 경우 보통 30분에서 1시간 정도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장치; b) 수용가에서 전력 부족 시에 ESS(1), 발전기(10), 전력계통(11), 전력공급시설(11), 비상발전기(12) 중에서 가용한 것을 선정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c) ESS로 공급되는 전력이 부족 시에 발전기(10), 전력계통(11), 전력공급시설(11), 비상발전기(12) 중에서 가용한 것을 선정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d) 발전기(10)나 전력계통(11)이나 전력공급시설(11)로 공급되는 전력이 부족 시에 ESS(1), 비상발전기(12) 중에서 가용한 것을 선정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e) ESS(1)나 발전기(10)나 전력계통(11)이나 전력공급시설(11)로 공급되는 전력이 부족 시에 비상발전기(12)를 가동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등이다.
상기 UPS에는 너무 높은 전압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압 보호 전화 잭, 높은 전압 때문에 접속된 장치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하는 과전압 보전 콘센트, UPS를 켜고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기 시작하는 버튼, UPS를 전원과 연결하는 입력 콘센트, 배터리에 부착되는 과전압 방지 잭, 여기에 연결된 장치는 정전이 되더라도 전력이 끊어지지 않음, 전력이나 배터리의 부족이나 과부하를 나타내는 표시등, UPS를 ESS(1), 발전기(10), 전력계통(11), 전력공급시설(11), 비상발전기(12) 등에 연결하는 커넥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ESS 5는 복수의 폐배터리, 직렬로 구비된 복수의 폐배터리, 병렬로 구비된 복수의 폐배터리, 직렬 및 병렬로 구비된 복수의 폐배터리, 상기 폐배터리를 관리하는 BMS, 이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ESS, 상기 ESS가 구비된 하우징 등이다. 상기 ESS 6은 배터리 또는 전기차 폐배터리를 카트 또는 이동수단에 장착, 사람이 상기 카트 또는 이동수단를 이동하여 카트 또는 이동수단 바퀴의 회전력을 모터로 전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기로 변환, 상기 전기를 배터리 또는 폐배터리에 충전, 상기 전기를 카트에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에 공급, 상기 배터리 또는 디바이스가 포함되는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등에 의한 것이다.
상기 ESS 7은 전력계통(11)에 연계되는 ESS(1) 또는 ESS유닛(2), 재활용 배터리(3)를 사용한 ESS(1) 또는 ESS유닛(2), 복수의 ESS유닛(2)을 포함하는 ESS(1), 복수의 ESS유닛(2)으로 구성된 ESS(1), 복수의 ESS유닛(2)이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구성된 ESS(1), 복수의 배터리(3)가 직렬과 병렬의 혼합인 직병렬로 구성된 ESS(1), 배터리(3)를 직렬 연결한 중앙집중형 방식의 ESS(1), 복수의 배터리가 직렬로 연결되는 ESS, 복수의 배터리가 병렬로 연결되는 ESS, 복수의 배터리가 직렬과 병렬로 연결되는 ESS, 배터리 직렬 연결 방식의 중앙 집중형 ESS, 중앙 집중형 전력변환장치를 사용하여 직렬로 연결된 수십 개의 배터리 모듈(BM)을 동시에 충방전하는 ESS, 배터리 모듈들(BM)이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배터리 직렬 연결 방식의 중앙 집중형 ESS, 특징이 동일한 신규 배터리 모듈들로 구성된 배터리 직렬 연결 방식의 중앙 집중형 ESS, 배터리 간의 편차를 줄이기 위한 밸런싱 회로가 이용되는 ESS, 병렬로 연결된 복수 컨버터에 제공되는 직류 또는 교류 버스 전압을 전력 계통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저전압으로 하는 배터리 독립 구동 방식의 ESS, 전력 계통에 연계되어 동작하는 ESS, 전력 계통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배터리모듈에 저장하거나 배터리 모듈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 계통으로 공급하는 ESS, 피크 저감이나 주파수 조정이나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등을 하는 ESS, 사용 중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또는 다른 용량의 배터리로 교체하기가 용이한 ESS, 재활용 배터리와 신규 배터리가 사용되는 ESS 등이다.
상기 ESS 8은 종류, 잔존 용량, 잔존 수명, 공칭 전압(24V, 48V 등), 제조사, 제조 연도 등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배터리들이 직렬이나 병렬이나 또는 직렬과 병렬의 혼합형으로 구성되는 ESS이다. 상기 ESS 9는 컨버터(13), 인버터(15), AC/DC 컨버터, DC/DC 컨버터, 복수의 배터리(3)로 구성된 배터리모듈, 복수의 배터리(3)가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구성된 배터리모듈, 복수의 배터리모듈로 구성된 ESS유닛(2), 복수의 배터리모듈이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구성된 ESS유닛(2), 전력 계통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공급받고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 스택을 충전하는 전력변환장치(PCS), 배터리 스택의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 스택에 저장된 에너지를 전력 계통으로 전달하는 전력변환장치(PCS), 출력단 직류 전압(Vpcs)이 수백 V의 높은 전압인 전력변환장치, 수십 개의 배터리 모듈(BM)이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 스택, 복수의 컨버터와 배터리모듈이 구비된 ESS유닛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10은 배터리 독립 구동 방식의 ESS 유닛, 종류가 다른 배터리 모듈들도 함께 사용되는 ESS 유닛, 잔존 용량이 서로 상이한 배터리 모듈, 잔존 용량(SOC)이 큰 배터리모듈의 잔존 용량을 잔존 용량이 작은 배터리 모듈의 잔존 용량으로 나눈 값이 11 이상 또는 이하인 배터리 모듈, 공칭 전압이 10V 이상 차이가 있는 배터리 모듈, 복수의 배터리 모듈의 전압 중에서 가장 높은 전압과 가장 낮은 전압의 차이가 10V 이상인 복수의 배터리 모듈, 각각 독립적으로 컨버터에 의해 충방전되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11은 냉각기능(56)을 갖춘 ESS, 소화기능(57)을 갖춘 ESS, 소화기능을 갖춘 ESS 배터리 장치, 냉각제(56), 냉각수단(56), 냉각자켓(56), 소화약제(57), 소화수단(57), ESS에서 일부의 배터리에 열폭주 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방사되는 소화약제(57), 배터리를 덮어서 냉각효과와 질식효과를 나타내는 소화약제(57), 개별적 배터리의 화재 발생 또는 폭발 현상을 조기에 차단하는 수단, 소화용액과 소화분말을 분출하는 수단(57), 냉매관과 냉각모듈과 제어기와 온도센서가 탑재된 냉각수단(56), 이중 하나 이상이 내장된 ESS 케이스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는 도 2 참조.
상기 ESS 12는 a) ESS의 케이스, ESS유닛의 케이스, 배터리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관통되어 형성된 공기구멍 또는 환기구멍, 상기 케이스에 관통되어 형성된 것으로 열기를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것으로 가스를 배기하는 배기구, 상기 케이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으로 비연소물이나 소화약제가 저장된 저장고, 상기 측정된 온도가 기준치 이상인 조건에서 상기 비연소물이나 소화약제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살균기능을 가진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기, 청정기능을 가진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기, 상기 케이스 내지 음이온기 등을 제어하는 제어기; b) ESS 케이스의 하부에 거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팬; c) ESS 케이스의 하부에 거치되는 발, 고무, 기초, 받침대, 탄성발, 댐핑재, 완충재, 마운트;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는 조, 통, 함, 박스, 탱크, 용기, 케이스, 하우징, 케비넷, 중공체, 중공통, 컨테이너 등이 해당된다.
상기 ESS 13은 발전기(10) 또는 전력계통(11), 이로부터 공급받은 전력(5, 7), 상기 공급 전력을 저장하는 ESS(1), 폐배터리(3)가 구비된 ESS(1), 상기 저장된 전력을 부하에 제공하는 ESS, 상기 폐배터리의 전력(5, 6)을 부하에 제공하는 ESS, 상기 공급 및 폐배터리의 전력(5, 8)을 부하 또는 수용가에 제공하는 ESS, 상기 계통(11)과 ESS(1) 사이에 거치되는 컨버터(13) 또는 인버터(15), 상기 계통의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ESS의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발전기 내지 측정기 등을 제어하는 제어기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14는 a) 전기차에 배터리 장착, 상기 전기차의 운행, 상기 운행의 장기간 후에 상기 장착된 배터리의 용량 또는 전력 검소, 상기 감소된 배터리를 새배터리로 교체, 상기 교체된 배터리의 폐기, 사용이 종료된 전기차의 폐차, 상기 폐차에서 배터리 분리, 상기 폐기 또는 분리된 배터리 수거, 상기 수거된 배터리(3)가 ESS 케이스에 안착, 직렬 또는 병열 또는 직병렬로 안착; b) 상기 케이스 또는 ESS에 BMS(4), 컨버터(13), 제어부(35), 인버터(15), 버스(14, 16), 관리부(33), 모니터링부(34), PCS(50), HMI(52), PMS(53), EMS(54), AMI(55), UPS(36) 등 거치; c) 상기 케이스, ESS(1), 배터리(3), 버스(16), 방전부(32) 등에 전선이나 케이블 연결; d) 상기 전선이나 케이블에 콘센트, 잭, 플러그, 전기충전기 등 장착; e) 상기 콘센트에 잭, 플러그, 전기충전기 등 연결; f) 상기 ESS, 전선, 케이블, 콘센트, 잭, 플러그, 전기충전기 등(21)을 이용하여 전력(5) 공급 및 이용; 등이 되는 것이다.
상기 ESS 15는 관리시스템, 안전시스템, 계측시스템, 유지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시스템에는 a) 케이스, ESS 케이스, 팬, 환풍기, 환풍팬, 공조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진동센서, 화재감지센서, 일산화탄소센서, 일사량센서, 공기질센서; b)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IoT 기반으로 웹(Web) 또는 어플리케이션(APP)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기, 상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c) 상기 수신기에 속하는 서버,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웹, SNS,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플렛폼, 핸드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d) 상기 케이스의 외부 천장에 설치되는 전지, 태양전지, 태양광패널; e) 또는 ESS, 케이스, 배터리, 배터리랙, PCS실, 태양광패널, 사무실, 외부, 원격지, 관리실 등에 구비되는 상기 팬 내지 태양광패널; 등이 포함된다.
상기 ESS 16은 하드웨어, 롬(ROM), 램(RAM), 플래시메모리, PC, 컴퓨터, 범용컴퓨터, 특수컴퓨터, 마이크로컴퓨터,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자기테이프,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디스크(floptical disk),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소프트웨어, 컴퓨터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처리장치, 운영체제(OS),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병렬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디지털신호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하는 장치 등이 이용되는 ESS이다.
상기 ESS 17은 전력계통, 이로부터 입력받은 전력의 전기신호를 변환하는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상기 PCS의 동작을 제어하는 PMS(power management system), 상기 PCS에 의해 충방전되는 배터리, 상기 전력계통과 ESS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계통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 상기 EMS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ESS의 동작 모드를 동작시키는 상기 PMS 등이 구비되는 ESS이다. 상기 ESS 18은 건물이나 창호, 이에 구비된 전지 또는 반투명 박막 태양광 전지, 이에서 생산된 전원을 저장하는 ESS 등이다. 상기 ESS 19는 발전기, 이에 구비되어 상기 발전기의 위상각을 측정하는 PMU(phasor measurement unit), 상기 발전기의 발전단측에 설치된 다수의 ESS(Energy Storage System), 이를 충전모드로 전환 제어하기 위한 충전제어기, 상기 ESS를 방전모드로 전환 제어하기 위한 방전제어기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20은 배터리, 이에 연계되는 PCS(power control system, power conditioning system), 이에 연계되는 통신 네트워크, 이에 연계되는 상기 배터리 및 PCS로부터 ESS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수집기, 상기 상태정보가 수신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저장된 배터리 및 PCS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기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21은 발전기, 전력공급시설, AC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시설,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에서 생산된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태양광 인버터, 전력공급시설의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PCS(power control system), 배터리의 DC 전력을 전력공급시설의 AC 전력으로 방전하는 PCS, 배터리의 밸런싱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22는 ESS의 충전상태(SOC : state of charge) 확인, ESS의 적정전력량 설정, ESS의 충전량 측정, ESS의 설정량과 충전량 비교, ESS의 충전량이 설정량 이상이면 ESS를 방전모드로 전환, ESS와 연결된 충전기로 전력 공급, 충전기를 통한 충전 제어, ESS의 충전량이 설정량 이하이면 ESS를 충전모드로 전환, 충전기의 작동 정지 및 전력공급 정지, 발전기 또는 전력계통으로부터 ESS 충전, ESS를 이용하여 전력 관리 등이 되는 것이다.
상기 ESS 23은 발전기, 태양발전패널, 풍력발전기, 발전전력을 저장하는 ESS, 다수의 배터리유닛이 구비된 복수 배터리랙, 다수의 폐배터리가 구비된 복수 배터리랙, 소화약제 저장 탱크, 액화질소 저장 텡크, 헬륨가스를 상기 탱크로 공급하는 장치, 소화약제 또는 액화질소 가압장치 또는 콤프레셔, 소화약제 또는 액화질소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의 선단에 구비된 노즐 또는 분사기, ESS 또는 배터리랙에 구비된 노즐 또는 분사기, 소화약제 또는 액화질소의 분사장치, ESS 또는 배터리랙에 구비된 센서, 가스감지센서, 온도센서, 연기감지센서, 상기 센서의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기, 상기 전송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 상기 판독 결과에 따라 소화약제를 자동 분사하는 자동소화장치, 화재 시에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 화재 감지 시에 화재를 자동으로 소화하는 자동소화장치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ESS 24는 발전기에서 생산된 신재생에너지를 충전하는 충전기, 발전기나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전압과 전류 및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경보하는 경보기, ESS의 DC라인과 AC라인에서 전압과 전류 및 전력을 계측하는 계측기, 고조파(Harmonoc)와 THD(Total Harmonic Distortion)와 TDD(Total Demand Distortion) 등의 전력품질을 감시하는 감시기, 충전부와 배터리와 인버터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수집기, 온도와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수집기, 상기 계측 데이터와 전력품질의 감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및 출력하는 수신기, ESS 네트워크의 이상 유무 및 연산부의 이벤트 발생여부를 감시하여 이벤트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기, 상기 계측 데이터와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과 전력회사에 공급되는 공급량과 시장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소비량을 분석하는 분석기, 상기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여 향후 소비량과 현재 발전량과 전력계통의 공급량을 산출하는 산출기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25는 온도와 습도 및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기, 센서의 화재 감지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 DC라인을 감지하여 DC 전압과 전류 및 전력을 포함한 계측 데이터를 출력하는 DC측정기, AC라인을 감지하여 AC 전압과 전류 및 전력을 포함한 계측 데이터를 출력하는 AC측정기, DC측정기와 AC측정기에서 출력된 계측 데이터를 통하여 이상전원의 발생유무를 확인하여 이벤트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기, 전력품질의 감시 데이터를 산출하여 송신하는 연산기, DC측정기와 AC측정기 및 연산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기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26은 a) DC 전원라인에 설치되어 DC 전류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DC전류감지기, 감지기에 연계되는 복수 채널을 형성하고 각 채널별로 출력된 전류를 입력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로 출력하는 DC전류출력기, DC 전원라인과 복수 채널을 형성하고 각 채널별로 출력된 전압을 입력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로 출력하는 DC전압출력기, DC전류출력기와 DC전압출력기에서 각각 출력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컨버터, 컨버터에서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각 채널별로 샘플링한 뒤 평균값을 산출하여 전압, 전류 및 전력값을 포함하는 계측 데이터를 산출하는 직류산출기, 상기 직류산출기에서 출력된 계측 데이터를 연산부로 송신하는 송신기,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DC/DC 컨버팅하여 설정된 레벨로 변환시켜 DC전류출력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공급기, 복수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직류산출기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 b)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DC측정기; c) 상기 DC가 AC로 교체된 상기 전류감지기 내지 표시기;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AC측정기; e) AC 전원라인에서 전압, 전류, 전력, 고전압, 저전압, 위상, 정상분, 역상분, 영상분, 전력손실분, 주파수, 순간 고전압, 순간 저전압 등을 감지하는 AC측정기;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27은 배터리, 폐배터리, 복수의 배터리 또는 폐배터리가 구비되는 배터리팩, 대지에 그라운드 접지되는 배터리팩, 복수의 배터리팩이 구비되는 배터리랙, 복수의 배터리랙을 포함하는 ESS, 대용량의 직류(DC) 전원을 저장하는 ESS, 배터리랙에 구비되는 단위 배터리의 지락(Ground Fault)을 검출하여 경보하는 경보기, 배터리팩의 (+)단자 및 (-)단자에 연결되어 배터리팩과 대지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저항이나 이의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또는 전력계통, 상기 배터리에 연계되어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전력이 이용되는 건물 또는 장비 또는 공사장비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28은 전력계통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변성하는 계기용변성기(MOF, metering out fit), 계기용변성기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전류에 근거하여 수용가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전력량계, 전력량계로부터 입력된 펄스신호와 목표전력에 근거하여 피크전력을 예측하여 부하제어를 실시하는 제어기, 모뎀이나 통신모듈이 포함되는 제어기, 태양전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취합하여 출력하는 출력기, 출력기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기, 통신 모뎀이나 모듈이 구비되는 인버터, 발전기 전력 또는 한전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배터리의 충/방전상태를 제어관리하는 BMS,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의 전압과 주파수를 전력 계통에 대응하여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전력을 수용가 부하에 병입시키는 조절기, 발전기 전력이나 수용가의 소비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기, 배터리 충/방전 양이나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기, 전력량계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입력받는 입력기, 입력기에서 입력받은 펄스신호에 근거하여 현재전력과 예측전력을 산출하는 산출기, 산출된 현재전력 및 예측전력 및라 목표전력을 비교하여 수용가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기, 이상 여부에 대한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기, 계통 고장 발생시 이용되는 비상발전기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현재전력은 (합성변성비/펄스정수) × 적산펄스수 × (60/수요시한(분))으로 산출 가능하고, 여기서, 합성변성비는 CT(Current Transformer)비와 PT(Potential Transformer)비의 곱, 펄스 정수는 kWh 당 출력되는 펄스의 개수이다. 예측전력은 현재전력 + ((단위시간당 전력변화량/ 단위시간(분)) × 남은 수요시한(분))로 산출 가능하다. 기준전력은 (목표전력 / 남은 수요시한(초)) × 경과시간(초)로 산출 가능하다.
상기 ESS 29는 배터리팩의 충방전 제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으로 배터리팩 관리, 배터리팩 충전, 배터리팩 방전, 충전 시에 배터리팩의 최대 충전값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 동작 수행, 방전 시에 배터리팩의 최소 방전값에 도달할 때까지 방전 동작 수행, 다수의 배터리팩 중에서 일부는 충전되고 일부는 방전,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가 최대 충전값에 도달하면 방전 동작으로 전환, 방전상태가 최대 방전값에 도달하면 충전 동작으로 전환, 충전상태가 최소 충전값에 도달하면 충전 동작으로 전환, 상기 충전 및 방전이 자동으로 제어, 자동차충전기로 상기 방전, 발전전력이니 한전전력으로 충전 등이 되는 것이다.
상기 ESS 30은 발전기와 연동죄는 PCS와 PMS와 BMS, PCS와 PMS와 BMS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EMS, PCS와 PMS와 BMS 등을 관리는 ESS, 상기 데이터를 전달받아 수집하고 EM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판단기, 현재상태가 기설정상태에 수렴하도록 하는 알고리즘모듈, EMS의 모니터링 정보를 웹기반에 표시하는 표시기, 웹기반을 통해 수용자의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기, EMS와 통신하는 모뎀이나 통신모듈,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웹기반에 연계되는 웹서버, 인버터 또는 PCS의 역률(power factor)을 제어하는 제어기, ESS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유효전력을 설정하는 설정모듈, ESS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무효전력을 설정하는 설정모듈, ESS의 단위 시간당 충전 및 방전에 대한 변동폭을 특정값으로 억제하는 억제기, 주파수 반응에 따라 유효전력을 조절하는 조절기, 부하의 변동에 따라 ESS의 충방전을 유효전력을 일정 비율로 조절하면서 기준 주파수를 유지하는 유지기, 재생에너지의 간헐적 발전과 과도 부하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도록 출력 전력을 평탄화하는 안정기, 특정 기준점에서 전력 레벨이 주어진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기, 배전선로에 일측 코일이 직렬로 연결되는 변압기, 변압기의 타측 코일에 연결되어 배전선로의 전압변동과 무효전력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보상기, 보상기의 DC-Like 커패시터 양단에 연결되어 양방향 전력전달을 수행하는 컨버터, 컨버터에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배터리, 보상기의 DC-Like 커패시터 양단에 연결된 태양전지, 전력상태에 따라 배터리의 전류방향을 결정하는 결정기, 배터리 충방전을 결정하는 판단기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31은 팬, fan, 히터, heater, 쿨러, cooler, 노즐, nozzle, 센서, sensor, 냉각팬, 환기팬, 환풍기, 환기시설, 방수시설, 소자, 펠티어소자, 이중 하나에 구비된 모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온도나 습도나 화재를 측정하는 센서, 화재 시에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노즐, 이중 하나에 하나에 연계되는 모뎀, 모뎀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장치에 연계되는 서버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32는 배터리 또는 배터리모듈, 이의 주변에 거치되는 냉각수단, 냉각수단에 속하는 메인관, 메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냉각 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과 냉각 유체가 배출되는 제2출구관, 상기 메인관에 이격되면서 상기 메인관보다 직경이 작은 서브관, 상기 서브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냉각 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입관과 냉각 유체가 배출되는 제2출구관, 배터리 또는 배터리모듈의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기, 배터리 또는 배터리모듈의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기,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 및 전류에 근거하여 배터리 내부저항을 산출하는 산출기,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된 배터리 전압과 사전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의 결정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 또는 방전하는 방전기, 상기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의 증감(增減)을 제어하는 제어기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33은 a) 숯, 탄, 목탄, 참숯, 활성탄, 제올라이트, 황토, 질석, 게르마늄, 골편, 실리카, 실리카겔, 제습기, 건조기, 흡착기, 포집기, 필터기, 정화기, 청정기, 세정기, 청소기, 크리닝기, 공기주입기, 공기순환기, 공기배출기, 산소발생기, b) 상기 제습기 내지 산소발생기 등에 이용되는 상기 숯 내지 실리카겔, 상기 숯 내지 실리카겔 등이 이용되는 상기 제습기 내지 산소발생기, 상기 숯 내지 실리카겔 등이 함유되는 상기 제습기 내지 산소발생기, c) 또는 제습, 건조, 흡착, 포집, 필터, 정화, 청정, 세정, 청소, 크리닝 등의 기능을 하는 상기 숯 내지 산소발생기, d) 상기 숯 내지 산소발생기 중 둘 이상의 복합체, 상기 숯 내지 산소발생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체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ESS 34는 복수 개의 전기차 폐배터리 이용, 이종의 폐배터리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대용량의 ESS 구축, 냉각수나 냉매 등을 통해 냉각, 최대출력 250kW의 올인원 시스템 적용, 3대 또는 복수의 급속충전기 구비, 5대 또는 복수의 완속충전기 구비, 배터리 전력과 한전 전력 이용, 자신에 연계되는 충전기 미사용시에 충전, 자신에 연계되는 충전기의 이용시 방전, EVC선단(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Fleet)을 일정 기저부하원으로 전환, 재생에너지를 저장하여 갑작스러운 전력피크를 제공, 디젤발전기를 대체하여 배터리전력을 공급, 수전설비 증설이 어려운 건물에 EVC(Electric Vehicle Charging) 등 피크부하용으로 제공, 하절기에 아파트 에어컨 부하용 전기 렌탈 서비스, 백업파워 공급 용도, 중고 전기차 배터리를 재사용하는 ESS, 이동형 전력 렌탈 및 부가 전력서비스 제공, 전기충전기 또는 충전기군과 연계하여 충전기 피크 밸런싱, 해안 항만 지역 등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안전하게 운영, 셀 직접 냉각 방식의 배터리를 사용, 전력운용비 절감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ESS 35는 제조, 생산, 판매, 광고, 영업, 중개, 대여, 리스, 수거, 폐기, 활용, 재활용, 재사용 등이 되는 ESS이다. 이는 제조 ESS, 생산 ESS, 판매 ESS, 광고 ESS, 영업 ESS, 중개 ESS, 대여 ESS, 리스 ESS, 수거 ESS, 폐기 ESS, 활용 ESS, 재활용 ESS, 재사용 ESS 등이다. 상기 ESS 36은 폐배터리 이용 ESS, 자동차용 폐배터리 이용 ESS, 박스형 ESS, 용기형 ESS, 집형 ESS, 건물형 ESS, 하우스형 ESS, 케이스형 ESS, 컨테이너형 ESS, 원격제어시스템 구비 ESS 등이다. 상기 ESS 37은 상기 ESS 1 내지 ESS 32 중 둘 이상의 복합ESS, 상기 ESS 1 내지 ESS 32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ESS, 복수의 상기 ESS 또는 복합ESS 등이다. 상기 ESS 38은 조, 통, 함, 집, 박스, 용기, 탱크, 건물, 주택, 구조물, 케이스, 하우스, 하우징, 중공체, 중공통, 격납고, 켄테이너 등에 구비된 ESS 또는 복합ESS 등이다.
일반적으로 폐배터리는 사용기간, 전기용량, 에너지저장용량 등이 서로 상이하여 충전 및 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달라진다. ESS나 파워벵크에 사용되는 복수의 폐배터리 충전은 에너지저장능력이 낮은 순으로 수행하고, 방전은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경우 에너지저장능력이 큰 폐배터리의 일부가 방전을 수행하는 동안에 에너지저장능력이 작은 폐배터리의 일부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폐배터리 사용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ESS는 ESS,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장치, 에너지저장시스템, 폐배터리ESS, 폐배터리를 이용한 ESS, 리튬전지를 채택한 ESS, 리튬 이차전지 ESS, 리튬 배터리(LiB) ESS, 배터리 형식의 ESS,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폐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 ABESS(Abandone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는 ESS, 스마트그리드에 이용되는 ESS, 풍력 같은 신재생에너지 출력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ESS, 신재생에너지 출력을 평준화하는 ESS, 송전 및 배전 단에 구비되는 대용량 ESS, 빌딩이나 가정에 접목되는 ESS, 값싼 심야 전력을 저장했다가 낮에 사용하는 ESS, 전력 부하 평준화용 ESS, 피크 전력 컷용 ESS, 피크 전력에 사용되는 ESS, 전력 수요의 피크를 이동시키는 ESS, 장치 혹은 물리적 매체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ESS,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압기, 수백 kWh 이상의 전력을 저장하는 단독 시스템, 전력계통에서 발전, 송배전, 수용가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ESS,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 그리드에서의 핵심 설비, 전력 예비율을 높게 유지하고 비상 정전에 대비하는 ESS, 가정용 ESS, 건물용 ESS, 빌트인(built-in) ESS, 건물에 빌트인(built-in) ESS, 아파트에 빌트인 ESS, 10kW급 미만의 빌트인(built-in) ESS, 태양광이나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를 미리 저장하는 장치,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에서의 ESS, 생성된 전기를 이송하는 송배전에서의 ESS,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수용가(소비자)에서의 ESS, 냉난방 수요가 급증하는 최고 수요 시점에 이용되는 ESS, 피크 수요 시점의 전력 부하를 조절해 발전 설비에 대한 과잉 투자를 막아주는 ESS, 돌발적인 정전 시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ESS, 물리적 에너지저장시스템, 화학적 에너지저장시스템, 양수발전이나 압축공기저장이나 플라이휠 등의 물리적 에너지저장시스템, 리튬이온배터리나 납축전지나 NaS 전지 등의 화학적 에너지저장시스템, 생산된 전기를 전력계통(Grid Energy Storage)에 저장했다가 전기가 가장 필요한 시기에 공급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 발전·송배전·수용가에 단계별 전력 저장이 되는 ESS, 실시간으로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정보를 교환하며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ESS, 전기 요금이 싼 시간에 저장한 전기를 피크타임에 사용하는 ESS, 대규모 정전 상태인 블랙아웃에 미리 충전해 둔 에너지를 공급하는 ESS,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밤에 전기를 저장하고 낮의 전력 피크타임에 전력을 공급하는 ESS, 피크타임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생산설비의 투자를 절약하는 ESS, 피크타임에 전력을 공급하여 CO2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ESS, 신재생에너지처럼 출력이 변동하는 발전의 출력을 안정화하는 ESS, 태양광이나 풍력이나 조력이나 파력 등 신재생 에너지 또는 소규모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ESS, 수시로 전력망에 공급되거나 전기자동차 충전소 등에서 높은 출력으로 갑자기 전기가 소비될 때 유용한 ESS, 전기의 불규칙한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고 수시로 변화하는 주파수를 조정해 전력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ESS, 전기에너지를 적게 사용할 때 저장하고 필요할 때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과 신재생에너지 활용도 제고 및 전력공급시스템 안정화에 기여하는 ESS, 주파수 조정(Frequency Regulation)이나 신재생발전기 출력 안정화나 첨두부하 저감(Peak Shaving) 또는 부하평준화(Load Leveling) 또는 비상전원 등의 기능으로 사용되는 ESS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스마트그리드는 스마트그리드, smart grid, 차세대 전력망, 지능형 전력망, IT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 기존 전력망에 정보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전력망.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전력망, 스마트미터가 이용되는 기술, 세탁기와 청소기를 돌리기 전 집안에 설치된 스마트미터 확인, 하루 중 전기료가 가장 저렴한 시간에 세탁기와 청소기를 돌려 비용을 줄이는 기술,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앱)을 이용해 외부에서 원격으로 집에 설치한 보일러나 에어컨을 조작하는 기술,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해 어떤 가전제품이 언제 전기를 많이 쓰는지도 스마트폰 앱으로 파악하여 운영하는 기술, 똑똑한을 뜻하는 Smart와 전기나 가스 등의 공급용 배급망 또는 전력망이란 뜻의 Grid가 합쳐진 단어,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더해 전력 생산과 소비 정보를 양방향이나 실시간으로 주고받음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전략망, 전기 공급자와 생산자들에게 전기 사용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전기 공급을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전기와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전력망을 지능화 또는 고도화해 고품질 전력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 다양한 데이터로 사용하여 전기량을 예측하여 효율을 높여 에너지 낭비를 막는 스마트그리드 , 신·재생에너지를 고려한 분산 발전 형태의 스마트그리드, 양방향으로 전력과 정보가 흘러 소비자 참여로 설비가 운영되는 스마트그리드, 전력 수급 상황별 차등 요금제를 적용해 전기 사용자에게 전기 사용량과 요금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는 스마트그리드, 스마트계량기(AMI)가 이용되는 스마트그리드, 가전제품에 IT를 적용해 가정 내 전력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스마트그리드, 사물인터넷을 이용해 사용하지 않는 기기를 구분하고 전기요금이 가장 저렴한 시간대에 충전하는 스마트그리드, 건물 전체 혹은 여러 건물들을 연결하는 스마트그리드,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에 전기를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한 시간에 사용하는 스마트그리드, ESS에 저장된 에너지로 수요과 공급을 적절히 조절해 버려지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스마트그리드, ESS에 전기를 저장해 수요가 최고치에 달하는 시점의 전력 부하를 조절해 발전 설비에 대한 과잉 투자를 막고 돌발적인 정전 시에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마트그리드, 스마트미터를 통해 얻은 전기 사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전력 사용량에 맞춰 전기요금이 부과되도록 하는 스마트그리드, 사용자별 전기 사용 패턴을 파악해 최적화된 전력을 공급하는 스마트그리드,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스마트그리드, 양방향 전력 전송과 고장 시 자동복구가 가능하고 각종 첨단 가전기기와 통신하면서 전력 요소를 제어하는 스마트그리드, 스마트계량기를 기반으로 실시간 전기요금 정보를 제공해 전기요금이 비싼 시간대 전력사용을 저렴한 시간대로 변경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그리드, 풍력과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를 전력망에 안정적으로 연계하고 남는 전력은 다른 지역으로 전송할 수도 있도록 하는 스마트그리드, 전기충전소와 배터리 교환소가 구비되는 스마트그리드, 가정에서 자동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설비가 구축되는 스마트그리드, 맞춤형 에너지 정보나 수요관리나 실시간 요금제 등을 제공하는 스마트그리드,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이 연계되는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내 건물들에 에너지 시설 관리 및 에너지 절감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로부터 창출된 에너지 절감 수익을 건물주와 공유하는 건물관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스마트그리드, 전기 및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전력망을 지능화 및 고도화함으로써 고품질의 전력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력망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스마트그리드에는 건물 내 전력이나 가스나 물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냉·난방 운영설비 또는 시스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 스마트계량기(AMI),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 전기차 및 충전소, 분산 전원, 신·재생에너지, 양방향 정보통신기술, 지능형 송·배전시스템 등이 구비 또는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그리드는 에너지 소비 컨설팅, 전력 재판매, 수요 반응, 수요 측 발전자원 전력 거래, 수용가에 설치된 태양광 시설, 풍력발전기, ESS, 전기차 기반 가상발전소 운영, 전기차 급속 또는 완속 충전, 전기차 이동 충전, 전기차 대여,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및 품질 개선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계량기는 스마트계량기,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스마트미터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원격 검침기를 통해 측정해 전력 사용 현황을 자동 분석하는 기술,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력 사용량을 자동으로 검침하고, 그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는 똑똑한 스마트 미터 또는 계량기, 수집한 정보를 와이파이 등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AMI, 전국 또는 지역별 가구에 보급되는 AMI, 사람이 직접 돌아다니며 검침하는 데 따라 발생하는 오차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통해 효율적으로 전력을 생산·관리하는 AMI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 의한 ESS의 용량은 50kw, 100kw, 150kw, 200kw, 250kw, 300kw, 400kw, 500kw; 정격운전 범위는 400∼1000V; 정격 출력은 50kw, 100kw, 150kw, 200kw, 250kw, 300kw, 400kw, 500kw; 정격 전압은 3상 3선 380V(±10%); 정격 전류는 76A, 152A, 277A, 304A, 380A, 450A, 600A; 정격 주파수는 60Hz; 최대 효율은 94∼97%; 냉각방식은 강제 풍냉식; 상대습도는 90% 이하; 소음은 75dB 이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LCD 모듈, 터치스크린 모듈; 크기는 300mm x 400mm x 1000mm, 700mm x 800mm x 1500mm, 800mm x 900mm x 1800mm, 900mm x 1200mm x 1900mm, 1000mm x 1200mm x 2000mm, 1000mm x 2000mm x 2100mm, 1000mm x 1500mm x 3000mm; 무게는 400kg, 520kg, 880kg, 1500kg, 1800kg, 2100kg, 2500kg, 3000kg;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파워뱅크는 파워뱅크 1, 2, 3, 4, 5, 6, 7, 8, 9, 10,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파워뱅크 등과 같다. 상기 파워뱅크 1은 파워뱅크, power bank, 배터리 뱅크, battery bank, 파워서플라이어, power supplier, ESS, 배터리, 보조배터리, 폐배터리, 전기뱅크, 전기은행, 전기저장소, 전기공급기, 전원공급기, 전기충전방전기, 캠핑용 파워뱅크, 휴대형 파워뱅크, 인산철 파워뱅크, 발전기 파워뱅크, 리튬이온 파워뱅크, 인버터 구비 파워뱅크, 무선 충전 파워뱅크, 유선 충전 파워뱅크, 1개 이상의 배터리가 포함되는 파워뱅크, 1개 이상의 폐배터리가 포함되는 파워뱅크, 다수개의 배터리가 포함되는 파워뱅크, 다수개의 폐배터리가 포함되는 파워뱅크 등이다. 상기 파워뱅크 2는 배터리, 폐배터리, 전기차의 폐배터리, 전기차에서 탈거된 폐배터리, 사용후 배터리, 전기차에서 사용된 폐배터리, 전기차에서 사용된 후 탈거된 폐배터리, 2개 이상의 배터리, 2개 이상의 폐배터리 등이 구비되는 또는 등으로 제조된 파워뱅크이다.
상기 파워뱅크 3은 휴대용 에너지저장장치, 휴대형 ESS,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곳에 이용, 캠핑장에 이용, 야외공연장에 이용, 정전시 가정에서 전원이 필요한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 직류 전원을 제공, 교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구비, 가정의 가전제품 등에 전원을 공급할 때에는 파워뱅크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파워뱅크에 연결하여 사용, 파워뱅크와 인버터가 연결 케이블에 의해 연결, 인버터가 일체로 결합된 파워뱅크, 파워뱅크와 인버터가 원터치로 결합, 인버터 - 파워뱅크 결합세트, 단자를 케이블로 연결하지 않아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버터-파워뱅크 세트,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단락 위험이 없는 인버터-파워뱅크 세트, 적층된 상태로 파워뱅크와 인버터가 고정된 세트, 일체로 운반할 수 있는 인버터-파워뱅크 세트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파워뱅크 4는 배터리, 폐배터리, 배터리팩, 배터리의 전원을 관리하는 관리수단, 관리수단을 셧다운하는 스위치, 관리수단을 On/Off하는 스위치, 스위치에 연결되는 TPS(Thermal Protection Sensor),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 전원을 출력시키는 출력단자, 메모리, 사용자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파워뱅크 메모리, 사용자 디바이스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듈, 응용프로그램, 파워뱅크 메모리와 사용자 디바이스 간에 연동되는 응용프로그램, 파워뱅크 메모리가 인식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 상기 인식되도록 하는 응용프로그램,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케이스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파워뱅크 5는 배터리, 폐배터리, 배터리가 내장되는 박스, 박스에 구비되는 램프, 배터리 충전용 입력단자, 전원 출력단자, 전원 온/오프 스위치, 출력단자에 소정 레벨의 직류전압이 걸리도록 해주는 제어회로, 램프에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구동회로, 상기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콘트롤 패널, 콘트롤 패널이 내장된 콘트롤 패널 박스, 상기 배터리와 콘트롤 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상기 콘트롤 패널과 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파워뱅크 6은 배터리 셀, 태양광을 이용해 충전하는 충전부, 전력계통을 통해 충전하는 충전부, 변압기의 출력전압을 충전하는 충전부, 충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 또는 공급하는 배터리부, 스위치, DC-DC 컨버터, 권선, 권선을 통하여 컨버터의 출력에 대한 자속을 공유하는 변압부, 전원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도록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상기 DC-DC 컨버터, 메모리, 내장 메모리, 파워뱅크와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는 케이블, 충전부 스위치
스위치를 제어하는 콘트롤유니트, 배터리 파워팩으로 구성되는 배터리부, 대용량 배터리 파워팩을 충전하거나 외부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소용량 배터리 파워팩, 상기 대용량 배터리 파워팩과 소용량 배터리 파워팩 간의 전력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파워뱅크 7은 케이스, 케이스 덮개, 케이스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장치, 외부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교류입력부, 상기 교류입력부에 연결되는 충전회로, 내부배터리, 외부배터리출력단자부, 상기 충전회로를 통과한 전류를 상기 내부배터리 또는 상기 외부배터리출력단자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충전선택스위치,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교류출력부, 교류출력부에 구비되는 휴즈, 복수의 배터리가 구비되면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마련되는 제1배터리팩 및 제2배터리팩,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과전류방지부, 상기 제1배터리팩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배터리팩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중 어느 하나 사이에 전기적으로 직렬연결되어 구성되는 과전류방지부,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간의 단락 발생으로 인해 기설정된 전류량 이상이 공급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상기 과전류방지부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파워뱅크 8은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기, 이의 전력변환장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콘덴서, 대용량의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 생산된 에너지를 배터리에 전량 충전되게 가이드하는 충전모듈,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를 사용자에게 방전되게 컨트롤하는 방전모듈, 상기 모듈을 조정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커넥터, 상기 생산된 전기에너지의 전압 크기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충전을 조절하는 충전조절부, 상기 방전을 조절하는 방전조절부, 상기 배터리에 구비된 어레이,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밸런싱하는 밸런싱부, 상기 어레이가 연결된 파워라인, 상기 밸런싱부를 구성하는 스위치, 퓨즈, 전류센서, 스위칭소자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파워뱅크 9는 케이스, 이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제어하는 피씨비,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이 케이스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면서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연결 포트, 이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배터리팩,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모듈,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면서 전원을 온(ON) 및 오프(OFF)시키는 스위치,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는 체크부, 상기 배터리의 외부 공급 전원수단, 상기 체크부에 연계되는 가변전원부와 고정전원부, 상기 배터리에 연계되는 비상전원수단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파워뱅크(300) 10은 1) 본체(301), 가방(309), 속가방, 보관용가방, 휴대용 가방, 케이스(309), 전용 케이스(309), 본체 가방(309), 본체 케이스(309), 본체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가방(309), 끈(310), 멜빵(310), 가방끈(310), 케이스끈(310), 고리, 핸들(307), 손잡이(307), 케이스 핸들, 매립형 핸들(307), 케이스에 매립된 손잡이 또는 핸들(307),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손잡이 또는 핸들(307), 케이스 상부의 홈에 매립되고 운반시에는 외부로 돌출 가능한 손잡이 또는 핸들(307), 본체 기초(308), 본체 받침대(308); 2) 버튼(302), 스위치(302), OnOfF버튼(302), OnOfF스위치(302), 단자, +단자, -단자, 연결단자, 전선연결단자, 코드, 전원코드, AC전원코드, DC전원코드, 플러그, 꽂이(304, 305, 306), 플러그꽂이(306), 2발플러그꽂이(306), 잭꽂이(304), 콘센트(304, 305, 306), 잭, 잭홈(304), 시거잭, 충전잭, 연결잭, 슬롯(305), USB꽂이홈, USB꽂이슬롯(305), 플러그꽂이콘센트(306), 2발플러그꽂이콘센트(306), 전선, 케이블, 인버터, 컨버터, 변환기, 트랜스듀서, 충전기, 전용 충전기, 가정용 충전기, 사무실 충전기, 차량용 충전기; 3) 창(303), 표시창(303), 표시기(303), 표시등, 전력량계(303), 게이지, 볼트게이지, 전압게이지, 전류게이지, 전류표시기, 전압표시기, 온도표시기, 전력량 표시기(303), 잔량 표시등(303), 모니터(303), 디스플레이(303); 4) 배터리, 폐배터리, 리튬배터리, 리튬이온배터리, Li Ion Battery, 리튬이온 전기차배터리, 배터리셀, 치량용배터리셀, 전기차배터리셀; 5) 파워뱅크, 배터리셀 이용 파워뱅크, 차량용 배터리셀 이용 파워뱅크; 6) 센서, 4개 센서, 다수 센서, 온도센서, 전압센서, 전류센서, 전기센서, 전자센서, 배터리관리시스템(BMS), 4개의 센서로 이루어진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스마트관리시스템, 스마트폰 관리시스템, 스마트폰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7) 앱, 어플, APP, Application, 폰앱, 핸드폰어플, 스마트폰APP, 폰용 Application, 파워뱅크앱, 파워뱅크용 어플; 8) 원격컨트롤, 원격컨트롤앱, 앱이나 스마트폰을 통하여 원격컨트롤, 앱이나 스마트폰을 통하여 배터리 또는 파워뱅크의 원격컨트롤; 9) 앱이나 스마트폰을 통하여 상태관찰, 앱이나 스마트폰을 통하여 배터리 또는 파워뱅크의 상태관찰; 10) 블루투스로 통신, 블루투스로 연결, 블루투스로 폰과 연결, 블루투스로 스마트폰에 연결; 11) 폰의 블루투스로 연결, 폰의 블루투스에 연결; 12) 또는 단락, 과부하, 저전압, 고전압, 과방전, 과충전, 과출력, 역방향연결 등의 보호, 보장, 관리, 통지, 방지, 제지, 저지; 13) 사용가능시간 = 파워벵크 용량 / 사용 기기의 소비전력 = 파워벵크 용량 / 전체 사용 기기의 소비전력; 14) 또는 가전, 기기, 기구, 장비, 장치, 히터, 선풍기, 환풍기, 장판, 전기장판, 냉장고, 북, 노트북, 빔, 프로젝트, 빔프로젝트, 폰, 스마트폰, 퇴치기, 벌레퇴치기, 포트, 커피포트, LED등, 이중 하나에 이용되는 또는 전기를 공급하는 파워뱅크; 15) 또는 잭, 전기, 전선, 케이블, 콘센트, 배전판, 변압기, 변전소, 전지, 패널, 발전기, 자동차, 충전기, 자동차 충전기, 주행 충전기, 차량 주행중 충전할 수 있는 주행충전기, 태양전지, 태양광패널, 풍력발전기, 전원공급기, 인버터, 정현파 인버터, 벨류텍 인버터, 이중 하나에 연결되는 또는 이중 하나에서 충전되는 파워뱅크; 16) 또는 충전, 충전형, 고속 충전, 10A 충전, 20A 충전, 30A 충전, 40A 충전, 50A 충전, 100A 충전; 17) 전압 : 10V, 20V, 30V, 110V, 180V, 220V, 330V, 5∼400V; 18) 전류 : 10A, 20A, 30A, 110A, 180A, 220AV, 330V, 5∼400A; 19) 용량 : 100W, 500W, 1000W, 2000W, 3000W, 5000W, 10000W, 1∼100,000W; 20) 전력 : 1000W/110A, 2000W/180A, 3000W/220A; 21) 무게 : 5kg, 10kg, 15kg, 20kg, 30kg, 40kg, 50kg, 100kg, 1∼1000kg; 22) 크기 : 가로x세로x두께 = 100x300x100mm, 210x480x130mm, 300x600x200mm; 23) 충전 : Input 220V → DC10.3V CC-CV 7A, Input 220V → DC12.6V CC-CV 9A, Input 330V → DC16V CC-CV 12A; 상기 CC는 Contant current, 정전류, 상기 CV는 Contant volt, 정전압; 24) 출력 : DC 12V 2Port(Max 20A), USB 2Port(Max 4.2A), Charge/discharge Common Port(Max 50A), DC 12V 2포트(최대 20A), USB 2포트(최대 4.2A), 충전/방전 일반 포트(최대 50A), DC 18V 2포트(최대 30A), USB 4포트(최대 8.4A), 충전/방전 일반 포트(최대 100A); 25) 동작온도 : -10∼60℃; 26) 보관온도 : -20∼70℃; 27) 색상 : 검정, 불랙, 휜색, 화이트, 네이비, 빨강, 레드; 28) 전지 : 전지, 셀전지, 이온전지, 리튬이온전지; 29) BMS : 스마트 BMS, 과충전보호 4.2V, 과방전보호 2.7V, 과전류보호 100A, 과온도보호 100℃, 단락보호, 셀(cell) 밸런싱, 블루투스(bluetooth) 연결, 블루투스 통신, 배터리모니터링시스템, 앱이용, 앱으로 배터리모니터링; 30))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복합체;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구비, 이용, 사용, 적용, 활용, 거치, 장착, 만족, 조건, 유지, 관리, 포함, 함유, 조합, 결합 등이 되는 것이다. 이는 도 1 참조.
상기 꽂이(304, 305, 306)에는 잭, 발, 침, 칩, 코드, 단자, 전선, 케이블, 플러그, 시거잭, USB, 충전기, 방전기, 충전기잭, 방전기잭, 플러그발, 플러그침, 플러그잭 등의 꽂이, 연결, 접촉, 삽입, 인입, 인출, 충전, 방전 등이 가능하다. 상기 플러그꽂이(304), 잭홈(304) 등의 경우에는 평시에는 보호를 위하여 전면에 카바가 덮여 있으며, 사용 시에 또는 잭이나 플러그의 꽂이 시에는 카바를 젖히고 젖히 카바에 들어난 꽂이, 꽂이홈, 2발꽂이홈, 4발꽂이홈, 8발꽂이홈, 다수발꽂이홈, 복수발꽂이홈 등에 잭, 플러그, 전선, 케이블, 충전기 등을 꽂거나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플러그꽂이(304), 잭홈(304)은 전면에 카바가 덮여 있는 상태로서 꽂이, 꽂이홈, 2발꽂이홈, 4발꽂이홈, 8발꽂이홈, 다수발꽂이홈, 복수발꽂이홈 등은 보이지 않고 있다.
상기 파워뱅크(300), 본체(301), 가방(309); 이중 하나의 속, 내면, 내부, 외면, 외부; 등에는 배터리(3), 폐배터리(3), 배터리팩(2), 폐배터리팩(2), ESS유닛(2), BMS(4), 컨버터(13), 제어부(35), 인버터(15), 관리부(33), 모니터링부(34)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파워뱅크, ESS 등의 제조 또는 이용은 a) 차량 또는 전기차 사용 중단, 차량 또는 전기차 폐기, 차량 또는 전기차가 폐차장에 입고, 차량 또는 전기차에서 폐배터리 탈거, 폐배터리 수거, 폐배터리 운반, 폐배터리 입수; b) 일정의 용기, 박스, 케이스, 컨테이너 등에 폐배터리 투입, 투입된 폐배터리 조립; c) 그리고 BMS(4), 컨버터(13), 제어부(35), 인버터(15), 관리부(33), 모니터링부(34), 충전부(31), 방전부(32), 냉각기, 소화기 등 설치; c)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파워뱅크 제조 완성, ESS 제조 완성; d) 제조된 파워뱅크 출하, 제조된 ESS 출하; 등에 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폐배터리의 사용에 따른 에너지 절감량 산정, CO2 감축량 산정, 탄소배출권 신청, 탄소배출권 취득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또는 본 발명의 파워뱅크에는 a) 배터리, 폐배터리, 일차 전지,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b) 여러 개의 이차전지 또는 폐배터리를 연결하여 구성한 파워뱅크 또는 배터리 뱅크; c) 단위 셀들을 직렬 연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어레이를 병렬 연결하여 파워뱅크, 병렬 연결된 각 단위 어레이에 동일한 전압이 걸리도록 전류 편차를 제한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단위셀의 성능을 평균화하여 배터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파워뱅크, 폐배터리를 재활용하여 배터리를 제작하는 경우 배터리 내 셀 용량의 차이를 밸런싱할 수 있는 파워뱅크, 모든 셀을 연결하여 밸런싱할 때 인접하여 연결된 셀간 전류 이동 시 셀간용량(전류, 전압)차이가 과도하여 과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워뱅크; d)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셀이 직렬 연결되어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레이 사이의 전류를 균일하게 밸런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량 밸런싱부, 파워라인을 기준으로 병렬 연결되는 상기 어레이; e) 이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 스위치, 폴리 스위치, 퓨즈,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전류 센서, 스위칭 소자;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파워뱅크는 이동형 또는 휴대용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현장, 야외, 캠핑장, 야외공연장서, 정전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전원이 필요한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파워뱅크는 직류 전원을 제공하므로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캠핑용품 등에는 바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나 교류를 사용하는 공연장 음향장비 또는 가정의 가전제품 등에 전원을 공급할 때에는 파워뱅크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파워뱅크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파워뱅크와 인버터는 연결 케이블에 의해 연결해야 하나 전류가 케이블을 흐르면서 발생하는 열로인해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잘못 연결하거나 케이블 연결을 위해 파워뱅크에서 돌출된 단자 또는 2개의 단자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는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파워뱅크와 인버터가 일체로 결합된 제품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인버터는 파워뱅크, 이의 면, 표면, 하부, 상부, 측면, 측부 등에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기차는 EV, Electronic Vehicles,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친환경자동차, 무선 충전 전기차, 유선 충전 전기차, 심야 전력으로 충전이 가능한 차량, 기어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운전 조작이 간편한 차량, 외부 전력 공급을 통해 충전해야 하는 차량,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로 충전되는 차량, 고전압 배터리에서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 내연기관 엔진 없이 충전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만을 동력원으로 전기모터를 구동하는 차량,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배기가스 배출이나 소음이 거의 없는 차량,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이산화탄소(CO2)나 질소산화물(NOx)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차,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 구동 에너지를 얻는 것이 아닌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구동에너지를 얻는 자동차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차 배터리 상태 스마트폰앱으로 알려줌, 전기차 배터리 상태를 알려주는 스마트폰앱, 배터리 관리 서비스, 배터리 수명 점수 알려줌, 배터리 수명 점수 측정, 배터리 수명 점수 82점, 충전, 급속충전, 저속충전, 차량을 운행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할 때 배터리 상태를 스마트폰으로 메시지 전송 또는 수신, 배터리 관리 시범 서비스, 스마트폰 앱으로 배터리 잔존 가치, 완속과 고속 충전 비율, 전비, 관리 순위 같은 배터리 이용과 관련한 다양한 수치 및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노하우 전송 또는 수신, 차량에 별도 단말기를 부착하여 AI(인공지능)가 배터리 상태 등을 분석해 사용자에게 알려줌, 전기차 차주에게 배터리 상태와 잔존 수명 등을 진단하고 알려주는 배터리 관리 서비스(BAAS), 배터리는 전기차 원가의 40%를 차지, 배터리 성능 진단·관리, 폐배터리 재활용 연계, 전기차 배터리 관리 서비스 제공, 전기차와 배터리를 디지털 세계에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그 활용, 디지털 세계에서 차주의 배터리 사용 습관까지 적용한 가상 주행 실험을 진행해 더 정확한 수명 예측을 제공, 차량에서 수집된 정보를 AI가 분석한 후 배터리 수명을 진단하고 관리, 효율적 충전 습관, 배터리 상태를 진단하는 배트맨(BattMan) 기기 개발, 색상을 통해 배터리 상태를 알려주는 시스템, 녹색은 정상, 노란색은 검사 요구, 빨간색은 고장, 배터리 관리 서비스를 폐배터리 활용에 연계, 배터리에 대한 사용량 진단, ESS(에너지저장장치) 등으로 재활용할지 결정, 전기차 주행에 따른 상태 변화 등 주행 데이터를 근거로 하는 배터리 관리 서비스, 주행 데이터를 받아 제품 개발과 폐배터리 활용에 이용, 배터리와 전기차를 동시에 만듬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수소차는 수소차, Fuel Cell Electric Vehicle, 무선 충전 수소차, 유선 충전 수소차, 압축수소탱크 또는 액체수소탱크를 이용해 수소를 공급하는 방식, 메탄올을 분해하여 수소를 공급하는 방식, 수소와 산소가 촉매를 통해 반응하여 생성되는 전기로 모터를 구동, 물 이외의 배출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환경친화적 자동차, 물의 전기분해로 만들어진 수소 사용 가능, 기존 가솔린 내연기관 대신 연료전지를 이용한 자동차, 수소와 산소가 결합해 에너지를 만든 후 이산화탄소 등의 탄화수소물이 아닌 H2O(물)가 배출되는 자동차, 물을 전기분해 하면 양(+)극에서 산소가 생성되고 음(-)극에서 수소가 생성되는데, 이것을 반대로 하여 수소를 이용해서 물을 만들면 그 과정에서 전기가 생성된 것을 이용, 수소탱크의 수소와 공기중의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자동차 등이다.
상기 수소차에는 차체(800), 상기 차체에 탑재된 수소탱크(801), 상기 수소탱크에서 공급되는 수소(802)와 공기 중의 산소(803)를 이용하여 전기(804)와 물(805)을 생성하는 연료전지(806) 또는 연료전지스택,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807), 상기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모터(808),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바퀴(809)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수소차는 충전소에서 충전한 수소를 고압(700bar)으로 저장하는 수소탱크, 수소와 산소를 화학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또는 연료전지스택,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자동차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 기타 열·물 관리장치, 공조장치, 전력변환장치, 고압밸브 등으로 구성된다. 연료전지스택은 수백개의 셀을 직렬로 쌓아 올린 것으로 수소와 산소가 화학반응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스택의 단위 셀은 막전극접합체(MEA)와 분리막(Separate)으로 구성된다. 상기 MEA는 백금촉매가 도포된 촉매전극인 양극(Anode, 공기극)과 음극(Cathode, 연료극)이고,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있는 것으로 수소이온을 이동시켜주는 고분자 전해질막이다.
상기 수소차의 가동순서는 1) 수소탱크의 수소(H2)는 연료전지스택(Stack)의 음극으로 주입되어 촉매를 통해 산화반응하여 수소이온(H+)과 전자(e-)로 분해, 2) 분해된 수소이온(H+)은 전해질을 통해, 전자(e-)는 전선을 통해 양극(공기극)으로 이동, 3) 외부로부터 유입된 산소(O2)와 수소이온(H+), 전자(e-)는 양극에서 화학반응을 통해 물(H2O)과 열을 발생, 4) 발생된 전기가 배터리에 저장, 5) 물은 외부로 배출, 6) 전기에 의한 모터의 회전, 7) 상기 회전에 의하여 바퀴회전하여 주행 등이다.
상기 수소탱크 등에서 탱크는 통, 조, 함, 박스, 탱크, 원통, 물통, 수통, 사일로, 저장통, 고압통, 압력통, 수소통, 산소통, 가스통, 고압탱크 등이다. 상기 압력통 또는 수소통의 예로는 a) 실, 섬유, 탄소, 시트, 금속, 수지재, 폴리머, PC(폴리카보네이트), FRP(섬유보강플라스틱, 섬유보강폴리머), GFRP(유리섬유보강플라스틱, 유리섬유보강폴리머), CFRP(탄소섬유보강플라스틱, 탄소섬유보강폴리머), PVC, 탄소섬유, 유리섬유, 탄소시트, 알루미늄, 플라스틱, 알루미늄합급, 고밀도폴리머, 복합소재, 탄소섬유 복합소재, 이중 둘 이상 복합재; b) 또는 탱크; 이의 몸통, 입구, 일부, 전체, 외피, 피막, 라이너, 라이닝 중 하나를 이루는 상기 실 내지 복합재; c) 또는 상기 실 내지 복합재; 이중 하나의 내부, 외부, 내면, 외면, 라이너; 중 하나 이상을 감싸거나 또는 래핑(wrapping)한 상기 실 내지 복합재; d) 또는 라이너(810), 상기 라이너를 이루는 또는 상기 라이너에 감긴 탄소섬유복합재(811), 탱크 입구의 라이너를 보호하는 보호재(812), 수소충전입구 파이프와 라이너의 사이를 충진하는 보스(813) 또는 마개 또는 충진재, 수소가 유입되는 수소충전부(814), 수소가 토출되는 수소토출부(815), 탱크 내의 수소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816), 탱크 내의 수소 압력을 안전하게 하는 압력안전장치(817) 또는 온도감응식 압력안전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압력통 또는 수소통이다. 이의 예로는 내부 중공의 탱크를 이루는 금속 라이너 외부의 전체, 일부, 부분 등을 탄소섬유로 수많이 감아서 조성된 압력통 또는 수소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물, 수력, 파력, 온도차, 바람, 풍력, 태양, 태양력, 수소, H2, 암모니아, NH3; b) 이중 하나에서 얻어지는 전기, 에너지, 신재생에너지; c) 상기 전기 또는 에너지가 저장되는 배터리, 폐배터리;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파워뱅크, ESS; e)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전력계통, 전원공급기, 전기충전기, 가스충전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사용으로 지구온난화, 이상기후 등을 방지하고,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는 탄소중립(Net Zero)이 가능하다.
상기 수소는 수소, H2, 청정수소, 그린수소, 그레이수소, 브라운수소, 블루수소, 원자력 청정수소 등이 해당된다. 상기 그린수소는 태양광, 풍력, 재생에너지 중 하나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한 수소이다. 상기 그레이수소는 천연가스를 고온·고압 수증기와 반응시키는 개질수소, 또는 석유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이다. 상기 브라운수소는 탄, 갈탄, 석탄 중 하나를 태워 생산하는 개질수소이다. 상기 블루수소는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할 때 발생하는 탄소를 포집·저장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수소, 또는 그레이수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하여 탄소 배출을 줄인 수소이다. 상기 원자력 청정수소는 원자력발전기, 원자력발전소, 원자력플랜트 등에서 발생하는 전기와 증기를 이용하여 수전해 방식을 통해 생산된 수소이다.
상기 수소의 저장, 이송, 이용 등을 위해서는 부피를 줄여하는데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253℃의 극저온에서 액화가 필요하고 고압탱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합성, 저장, 이송, 액화 등이 용이한 암모니아(NH3)가 주목된다. 암모니아는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암모니아는 수소 또는 그린수소를 공기 중 질소와 결합시켜 얻어진다. 암모니아는 연소할 때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수소보다 제조·저장·수송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수소 운송을 위해선 영하 253도까지 온도를 낮춰 액화해 부피를 줄여야 하지만 암모니아는 영하 33도만 유지하면 된다. 부피도 작아 수소보다 1.5배 많은 양을 수송할 수 있으며 에너지밀도 역시 액화 수소보다 1.7배 가량 높아 운반을 위한 최적 대안으로 꼽힌다. 대량생산한 수소에 질소를 더해 비교적 안정적인 암모니아로 만들어 운송한 후 다시 질소를 분해해 수소로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태양차는 태양차, sun car, 솔라차, solar car, 태양전지차, 태양전기차, 태양전지가 구비된 차, 솔라루프가 구비된 차, 태양전기로 가동하는 차,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차,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운행하는 차, 태양발전기가 구비된 차, 솔라루프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가동하는 차, 태양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는 차, 태양발전기가 구비되어 태양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는 차 등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충전기는 충전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충전기 등과 같다.
상기 충전기 1은 충전기, 충전건, 충전소, 충전노즐, 전기충전기, 수소충전기, 전기차충전기, 기름충전기, 연료충전기, 유류충전기, 수소차충전기, ESS, 에너지저장시스템, charger, 무선 충전기, 유선 충전기, ESS 겸용의 충전기, ESS(1)에 구비된 충전기(21), 전기차(22)를 충전하는 충전기(21) 등이다. 상기 충전기 2는 충전기, 급속충전기(23), 완속충전기(24), 자율충전기, 자가충전기, 셀프충전기, 1000V 충전기, 1000V 급속충전기, 100∼1000V 급속충전기, 자동차충전기, 전기차충전기, 수소차충전기, 배터리충전기, 폐배터리충전기, 배터리가 구비된 충전기, 폐배터리가 구비된 충전기, 배터리 이용 충전기, 폐배터리 이용 충전기,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충전기, 폐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충전기, 배터리가 구비된 ESS 이용 충전기, 폐배터리가 구비된 ESS 이용 충전기 등이다. 상기 급속충전기(23)는 단시간 빠르게 충전하는 방식으로 ESS(1)에 저장된 전력의 이용이 우선될 수 있고, 상기 완속충전기(24)는 장시간 천천히 충전하는 방식으로 배전망 등(10, 11, 12)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의 이용이 우선될 수 있다. 상기 충전기(21, 23, 24), ESS(1), 배전망(10, 11, 12)의 전력관리는 별도의 전력관리장치(29)에 의할 수 있다. 상기는 도 3, 도 4, 도 6 참조.
상기 충전기 3은 전지, 배터리, 태양전지, 태양광패널,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태양광패널,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수소발전기, ESS, 폐배터리, 전력계통, 전력공급시설, 이중 둘 이상 복합시설 등이다. 상기 충전기 4는 상기 전지 내지 복합시설 등에 연계된 또는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기이다.
상기 충전기 5는 본체, 상기 본체의 기초,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 상기 본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면서 디스플레이에 이격된 결제수단, 상기 본체에 연결되면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차 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선단에 구비된 충전건 또는 커넥터, 상기 본체에 안착되면서 충전건 또는 커넥터가 거치되는 충전건 거치부, 상기 충전건에 의하여 충전되는 충전량과 충전금액이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충전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기, 충전기와 통신하는 통신장치, 충전기의 커넥터 손상, 전력선 단선, 신호선 단선, 전력선 단락, 노이즈 발생, 절연파괴, 통신오류, 제어오류 등을 자가 진단하는 진단기, 상기 진단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결과를 분석하는 분석기, 상기 분석에 의하여 상기 오류를 자가 보수하는 보수기,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연결되면서 충전 전력을 전기차에 전송하는 충전선, 상기 충전부 및 충전선을 제어하는 제어부, 충전된 전력을 결제하는 결제부, 충전기 또는 이의 본체가 설치되는 기초, 상기 기초에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지붕, 상기 지붕에 설치되는 천막 또는 어닝 또는 차양막, 충전기에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 단자, 충전기에서 전원을 방전하는 방전 단자, 상기 단자에 연결되어 전력량을 계량하는 계량기, 상기 단자와 계량기 사이의 전기를 차단하는 차단기, 차량 주차장, 상기 주차장의 구비된 차량 주차대, 충전과 주차에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전기차의 번호를 인식하는 카메라, 충전정보 및 주차정보 및 차량번호를 송수신하는 통신기, 상기 송수신 정보를 이용하여 요금을 산정하는 산정기, 충전요금과 주차요금을 일시에 결제하는 결제기, 주차장의 출구에서 충전요금과 주차요금을 일시에 결제하는 결제기 등이 구비되는 충전기이다.
상기 충전기 6은 a) 집, 숍, 샵, 곳, 장소, 도로, 바닥, 도로바닥, 차도바닥, 차도, 차로, 철도, 노면, 노체, 노상, 포장, 포장면, 포장체, 도로포장, 포장도로, 터널, 교량, 마트, 공장, 현장, 공원, 공간, 학교, 학원, 거리, 건물, 주택, 구조물, 지하실, 사무실, 충전소, 주유소, 주유기, 길거리, 나대지, 휴게소, 도로휴게소, 관공서, 음식점, 센터, 카센터, 쇼핑센터, 세차장, 세륜장, 정류장, 정거장, 정차장, 정류소, 정류대, 정차재, 수리소, 정비소, 차량정비소, 아파트, 오피스텔, 주차대, 1층 주차대, 2층 주차대, 3층 주차대, 주차장, 지하주차장, 공용주차장, 공공주차장, 주차요금소, 주차장출구, 주차계산대, 주차장의 주차대; b) 이중 하나의 바닥, 하부, 상부, 지중, 지상, 지면, 일측, 양측, 측면, 내부, 외부, 기초, 하부기초, 포장면, 포장체, 하부포장면, 하부포장체; 등에 구비, 거치, 설치, 위치, 매립, 매설, 투입, 인입 등이 되는 충전기이다. 상기 포장면, 포장체 등의 예로는 도로포장면, 도로포장체, 주차포장면, 주차포장체, 차도포장면, 차도포장체, 아스콘포장면, 아스콘포장체, 아스팔트포장면, 아스팔트포장체, 콘크리트포장면, 콘크리트포장체, 노면하부포장면, 노면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기 7은 충전이 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충전기가 구비된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충전을 시키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충전기가 구비되어 차량을 충전시키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기 8은 주차, 정차, 수리, 정비, 보수, 이동, 주행, 주유, 세륜, 세차 등에 또는 시(時)에 충전하는 충전기이다. 상기 충전기 9는 충전량, 충전요금, 전기충전량, 전기충전요금, 수소충전량, 수소충전요금, 주차시간, 주차요금, 정차시간, 정차요금, 주차비, 충전비, 수리비, 정비비, 세차비 등이 산정, 정산, 지불, 합산, 동시합산, 동시산정, 동시정산, 동시지불 등이 되는 충전기이다. 상기 충전기 10은 상기 산정 내지 동시지불 등이 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기 11은 상기 주차 내지 세차 등에 또는 등의 후에 상기 산정 내지 동시지불 등이 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기 12는 앱, App, 어플, 어플리케이션, SNS, 플랫폼, 핸드폰, 스마트폰, 핸드폰앱, 스마트폰앱 등에 등재된 또는 등으로 이용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기 13은 상기 앱 내지 스마트폰앱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산정 내지 동시지불 등이 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기 14는 상기 ESS 내지 어플리케이션, 칩 내지 반도체, IT 내지 GPS 등이 구비 또는 순차 구비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기 15는 전력계통의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충전기, ESS의 충방전 모드를 결정하는 PMS(power management system), 충방전 모드의 변환을 제어와 충방전시에 충방전 전력을 결정하여 제어하는 PMS, 충전기의 충전전력을 제어하는 PMS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충전기 16은 a) 인버터, ESS, PCS, BMS, 충전기 등과 통신을 통해서 상태 및 계측정보를 수집하는 계측부; b) PCS에 충방전 모드 전환과 충방전 전력 변경 명령을 출력하는 출력부; c) 충전기에 충전전력 명령을 출력하는 출력부; d) 상기 출력부를 구비한 통신부; 등이 포함되는 PMS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충전기 17은 상기 인버터 내지 충전기 등에 제공되는 계측정보용 데이터, 상기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충전 설비의 구성이나 용량 및 운영 관련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충전전력량 설정과 충전 시작 입력을 조작하는 조작부, 전기차의 연결상황을 파악하는 감지부, 공급전력의 상황에 따라 ESS의 충방전 모드 변환 및 충방전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전기차의 최대 충전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충전기 18은 PCS와 충전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패키지, 통신패키지를 생성하여 장비로 전송하는 전송부,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는 분석부, 분석된 데이터를 항목별로 구분하는 구분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이들이 구비된 통신부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충전기 19는 전기차의 충전 제어, 충전기의 충전 및 방전 제어, 발전기 또는 태양광발전의 발전 또는 정지를 제어, 전기공급장치 제어, ESS의 배터리 충전상태 제어, 충전상한치(SOCH: state of charge high) 제어, 충전하한치(SOCL: state of charge low) 제어,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 제어 등을 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충전기 20은 도로 바닥, 주차장 바닥, 상기 바닥에 매설된 충전기 또는 송신부 또는 무선 충전기, 충전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인버터 또는 전원공급장치, 수신부 또는 충전장치 또는 무선 충전장치가 구비된 차량,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무선 충전기, 도로 바닥에 인입되어 매설된 충전기에 의하여 상기 바닥에 상부에 주차된 전기차의 배터리가 무선으로 충전되는 시스템, 도로 바닥에 인입되어 매설된 충전기로부터 상기 바닥에 상부에 주차된 전기차의 배터리가 공진주파수에 의하여 무선 충전되는 시스템, 전기차가 주차장에 주차되는 동안에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가 공진주파수에 의하여 상기 주차장의 바닥에 매설된 충전시설로부터 무선 충전되는 시스템 등이다.
상기 충전기 21은 도로, 주차장, 도로나 주차장의 상부 또는 측면에 구비된 충전기 또는 송신부 또는 무선 충전기, 충전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인버터 또는 전원공급장치, 수신부 또는 충전장치 또는 무선 충전장치가 구비된 차량,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 도로나 주차장의 상부나 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무선 충전기, 도로 측면에 설치된 무선 충전기에 의하여 상기 도로에 주차된 전기차의 배터리가 무선으로 충전되는 시스템, 도로 측면에 설치된 무선 충전기로부터 상기 도로에 주차된 전기차의 배터리가 공진주파수에 의하여 무선 충전되는 시스템, 전기차가 주차장에 주차되는 동안에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가 공진주파수에 의하여 상기 주차장의 측면에 설치된 충전시설로부터 무선 충전되는 시스템 등이다. 상기 충전기 22는 차량, 전기장치, 모바일기기, 이중 하나의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이차전지, 상기 중 하나를 충전하는 충전기, 상용 전원을 적절한 전압으로 조정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와 배터리에 각각 구비된 단자, 상기 단자 간을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충전 등이다.
상기 충전기 23은 a) 자기유도(Magnetic Induction, MI) 방식의 무선 충전기, 자기공명(Magnetic Resonance, MR) 방식의 무선 충전기,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의 무선 충전기, PMA(Power Matters Alliance) 방식의 무선 충전기, 전자기 또는 음파를 이용하는 무선 충전기, 대기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 근거리에 사용되는 자기유도방식 무선 충전기, 중거리 사용되는 자기공진방식 무선 충전기, 원거리 사용되는 마이크로방식 무선 충전기, b) 송신부 또는 송신코일을 구비한 무선 충전기, 기기 또는 차량에 내장된 수신부 또는 수신코일을 구비한 배터리, 상기 무선 충전기와 배터리 간의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배터리 충전, c) 무선 충전되는 일정 면적의 접촉면, 무선 충전되는 일정 길이의 접촉선, 패드 형태의 접촉면을 가진 무선 충전기, d) 도로에 매립된 무선 충전기, 상기 무선 충전기에 연결되는 인버터 또는 전원공급기, 상기 패드나 도로의 상부에 올려지는 기기 또는 차량, 상기 올려진 기기 또는 차량이 무선으로 충전, 상기 올려진 기기 또는 차량이 유도결합에 의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충전, 상기 올려진 기기 또는 차량의 배터리가 유도결합에 의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충전 등이 해당된다.
상기 패드의 형상은 일정의 두께나 면적을 가진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자유형 등이 가능하다. 상기 패드 또는 이의 고무에는 기재수지, 오염방지제, 탄성부여제, 충전재, 무기안료, 침강방지제, 점도조절제, 하이드로카본, 합성고무, 파라핀계 오일, 카본블랙, 자외선차단제, 노화방지제, 레인보우방지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이산화티타늄(TiO2), 페놀 유도체, 방향족 아민 유도체, 아민-케톤 축합물,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디티오카르밤산 유도체, 티오우레아 유도체,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NV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기금속계 촉매, 첨가제, 가교제, 분리보조제, 활제, 열안정제, 이형제, 내후제, 분산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함되는 정도는 패드 또는 고무의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60중량부 등이 가능하다.
상기 충전기 24는 무선충전부, 상기 무선충전부 상부의 패드 또는 받침대, 전자기기를 올려놓는 상기 패드 또는 받침대, 상기 전자기기가 충전되면 빛이 나타나는 LED램프, 상기 빛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패드 또는 받침대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감지부에서 LED 빛을 감지하면 패드 또는 받침대를 회전시키는 모터, 무선 충전 송신부가 구비된 무선충전부, 상기 무선충전부에 부착된 자석, 무선 충전 수신부가 구비된 전자기기, 상기 자석에 의하여 상기 무선충전부에 부착되는 전자기기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충전기 25는 a) 정화, 청정, 살균, 소독, 방역, 방재, 크리닝 등의 기능이나 수단을 가진 충전기 또는 무선 충전기; b) 또는 정화기, 청정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방재기, 크리닝기 등이 구비된 충전기 또는 무선 충전기; c) 또는 UV, 오존, 음이온,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등을 조사하는 충전기 또는 무선 충전기; d) 또는 UV기, 램프, UV램프, 오존기, 음이온기, 자외선기, 적외선기, 원적외선기 등이 구비된 충전기 또는 무선 충전기; 등이다.
상기 충전기 26은 노면이나 지면에 설치된 전력 전송부, 도로 차선을 따라 설치되는 주행 중 충전용 전송코일, 도로 차선을 따라 설치되는 정차 중 충전용 전송코일, 상기 전송코일에 교류전류를 흘려주는 인버터, 자기유도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는 전력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구비되는 무선충전 기기 또는 전기차, 상기 전송부나 전송코일로 부터 무선으로 전력이 충전되는 상기 수신부 또는 기기 또는 전기차, 또는 외부의 무선 전력 송신기, 상기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기 또는 안테나, 상기 수신기 또는 안테나를 통하여 공급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 연결되는 전력제어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면서 기기나 차량과 연결된 컨버터,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상기 장치와 기기 사이의 공진 주파수를 매칭하는 회로, 상기 회로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전력 제어기, 상기 회로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자기공진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충전기기, 송신기로부터 자기공진유도 방식으로 수신기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충전기기 등이다.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차 충전기, 電氣車 充電器,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ger 등으로서, 충전 속도에 따라 급속충전기와 완속충전기로 나뉜다. 완속충전 방식의 경우 미국, 일본, 한국 등이 공통으로 채택해 전기차 제조사나 사용자가 불편이 작은 데 비해 급속충전은 국가와 제조사마다 방식이 상이해 표준화 경쟁이 진행되고 있다. 급속충전기는 완전방전 상태에서 30분 만에 신속히 충전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설치비용이 많이 들어 고속도로 휴게소, 공공기관, 대형마트 등에 설치된다. 고용량의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주로 50kW급(충전시간 15~30분)이 설치된다. 완속충전기는 완전방전에서 완전 충전까지 약 4~6시간이 소요되는데, 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 가정용으로 설치된다. 배터리 용량은 약 3~7kW 전력용량(충전 시간 4~5시간)을 가진 충전기가 주로 사용된다. 전기차 충전기는 설치유형에 따라 벽부형 충전기, 스탠드형 충전기, 이동형 충전기로 분류할 수 있다. 벽부형 충전기와 스탠드형 충전기의 경우 용량이 3~7kW며, 충전시간은 약 4~6시간이 소요된다. 이동형 충전기는 용량이 최대 3kW이며 충전시간은 약 6~9시간이 소요된다.
전기차 충전기의 예로는 a) 탱크, 파이프, 주유기, 주유호스, 손잡이, 노즐 등으로 또는 순으로 구성되는 주유기; b) 전지로 전기를 생산하고 상기 생산된 전기를 충전기로 충전하는 시설; c) 태양전지 또는 연료전지로 전기를 생산하고 상기 생산된 전기를 충전기로 충전하는 시설; d) 전기 또는 배터리, 이에 연결되는 전선, 이에 연결되는 전기 충전기, 이가 거치된 충전소 등이 구비된 시설; e) 충전기, 단말기, 통신망, 통합관제장치 등이 구비되는 충전소; f) 주전력 공급기, 보조전력 공급 연료전지, 전기차의 전기충전 요구시간을 입력하는 입력기, 전기차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충전필요전력량을 측정하는 계측기, 자동차에 필요한 공급전력을 결정하는 논리기, 자동차에 공급되는 전력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기, 연료전지의 작동 및 출력을 제어하는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는 전기 충전기;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충전소는 충전소 1, 2, 3, 4, 5, 6, 7, 8, 9, 10, 11, 123, 13, 14, 15,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충전소 등과 같다. 상기 충전소 1은 충전소, 충전기, 스테이션, station, 전기충전소, electric station, 가스충전소, gas station, 수소충전소, hydrogen station, 기름충전소, 연료충전소, fuel station, 유류충전소, oil station, 자율충전소, 자가충전소, 셀프충전소, self station, 전기차충전소, 수소차충전소, 무선 충전소, 유선 충전소, ESS, 에너지저장시스템, ESS 겸용의 충전소, ESS에 구비된 충전소, charger, gas station, fuel station, charging station 등이다. 상기 충전소 2는 충전소, 급속충전소, 완속충전소, 1000V 충전소, 1000V 급속충전소, 100∼1000V 급속충전소, 배터리충전소, 폐배터리충전소, 배터리가 구비된 충전소, 폐배터리가 구비된 충전소, 배터리 이용 충전소, 폐배터리 이용 충전소,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충전소, 폐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충전소, 배터리가 구비된 ESS 이용 충전소, 폐배터리가 구비된 ESS 이용 충전소 등이다.
상기 충전소 3은 상기 전지 내지 복합시설 등이다. 상기 충전소 4는 상기 전지 내지 복합시설 등에 연계된 또는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소이다. 상기 충전소 5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신규의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기존의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소 6은 충전, 전기충전, 수소충전, 자동차충전, 자동차전기충전 등이 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소 7은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에 구비된 충전소이다. 상기 충전소 8은 상기 산정 내지 동시지불 등이 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소 9는 상기 주차 내지 세차 등에 또는 등의 후에 상기 산정 내지 동시지불 등이 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소 10은 상기 앱 내지 스마트폰앱 등에 등재된 또는 등으로 이용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소 11은 상기 앱 내지 스마트폰앱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산정 내지 동시지불 등이 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소 12는 상기 ESS 내지 어플리케이션, 칩 내지 반도체, IT 내지 GPS 등이 구비 또는 순차 구비되는 상기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이다.
상기 충전소 13은 배전망(10, 11, 12), 이에 연계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이 연계되는 배전반, 이중 하나에 연계되는 ESS(1),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충전기(21, 23, 24) 또는 전기충전기, 상기 충전기의 거치대, 상기 충전기 또는 거치대가 거치되는 거치타워(25), 복수의 거치대가 구비된 거치타워(25), 복수의 거치타워, 상기 거치타워에 구비된 충전량 표시기(26)와 충전요금 표시기(26)와 요금 계산기(27), 상기 거치대 또는 거치타워의 측면에 구비된 차량충전대(28) 또는 차량주차대(28), 상기 ESS와 배전망과 충전기의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관리장치(29), 이들의 상부에 거치된 지붕(61), 상기 지붕을 지지하는 기둥(62), 상기 중 하나에 이격되어 설치된 사무실(63), 상기 지붕 또는 사무실 지붕에 구비된 태양전지(60) 또는 태양광패널(60) 등으로 구성되는 충전소이다. 이는 도 6 참조. 상기 전력관리장치(29) 또는 이의 프로세서에는 전력관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인공지능(AI), 인공신경망알고리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제어기 또는 ATS(automatic transfer switch)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인공신경망은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에 따라 학습, 강화학습을 통해 추상적 추론 출력, Q-Network 구조, DQN(Depp Q-Network) 구조, 관계형 네트워크(relation network, RL) 구조, 다양한 평가를 반영하여 갱신 및 최적화 등이 가능하다.
상기 충전소 14는 ESS의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 확인, ESS의 건강상태(SOH, state of health) 확인, ESS의 충전량 측정, ESS의 충전량과 사용량 비교, ESS를 방전 모드로 설정, ESS에 연결된 충전기로 자동차에 전력 공급, 자동차에 충전기를 통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제어, ESS의 충전량과 기준량 비교, ESS의 충전량이 기준량 이하이면 충전 모드로 설정, 전력계통으로부터 ESS 충전, ESS의 방전 시에 ESS를 구성하는 배터리의 일부 배터리 충전, ESS의 충전 시에 ESS를 구성하는 배터리의 일부 배터리 방전, ESS의 충전 시에 급속충전 또는 완속충전, ESS의 방전 시에 급속장전 또는 완속장전, 자동차의 충전 시에 급속충전 또는 완속충전, 상기의 상태나 방전이나 충전을 제어기로 제어 등이 되는 충전소이다.
상기 충전소 15는 저장탱크, 가스 저장탱크, 수소 저장탱크, 지상 저장탱크, 지하 저장탱크, 상기 탱크 내 수소를 수소차의 수소 연료탱크로 주입하는 수소충전기, 상기 공급 시에 수소를 냉각시켜 공급되게 하는 열교환장치, 수소가 유동되는 수소 유로, 냉매가 순환 유동되는 냉매 유로, 상기 유로가 형성된 열교환기, 수소 저장탱크에서 차량의 수소 연료탱크로 수소가 이동하는 수소관, 수소탱크와 수소충전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소관, 상기 이동하는 수소가 열교환기의 냉매유로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수소유로에 연결 설치되는 수소관, 상기 수소관의 말단에 거치되어 차량에 수소를 주입하는 수소충전기, 수소 저장탱크에서 차량의 수소 연료탱크로 수소를 수소가 원할하게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수소관의 삽입 설치하는 수소 누설방지수단 , 수소관에 설치되는 수소 공급제어 밸브, 수소의 누설 유무를 감지하여 수소 공급제어 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등이 구비되는 충전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a), b), c)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a) a1) 자석, 이에 구비된 침, 상기 침에 거치된 자성체, 이에 구비된 칩, 상기 자석에 장착된 판, 상기 판에 이격된 솔, 상기 판에 구비된 자화기, 이중 하나 이상에 자장이나 전기를 가하는 전선, 상기 전선에 구비된 전극; a2) 이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소자, 진자, 센서, 측정기, 등, 전등, LED, LED등, 표시기, 표시등; a3)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항균기, 살균기, 소독기, 오존기, 진동기, 자화기, 청정기, 정화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a4)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파, 波, 열, 熱, 가열, 파동, 웨이브, wave, 자력, 磁力, 전력, 電力, 진동, 가진, 加振, 자화, 磁化, 충격, 충돌, 흐름, 와류, 폭기, 수격, 水擊, 작용, 항균, 살균, 소독, 청정, 정화, 발전, 충전, 방전, 분해, 전해, 電解, 전장, 電場, 전기장, 電氣場, 자장, 磁場, 자기장, 磁氣場, 기전력, 전자기장, 電磁氣場, 이중 줄 이상 복합; a5)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가해지는 상기 파 내지 복합; a6) 상기 자석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 水, 물, 物, 액, 液, 유, 油, 기, 氣, 고, 固, 제, 劑, 재, 材, 파, 波, 열, 熱, 파동, 波動, 액체, 液體, 기체, 氣體, 고체, 固體, 재료, 물질; a7) 상기 자석 내지 물질 중 하나의 상기 자석 내지 물질; a8)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장치, 장비, 기기, 기계, 시설, 설비, 밸브, 밸브실, 부속물, 시스템, 이중 둘 이상 복합;
b) b1) 다수개 코어, 이를 감싸는 코일, 상기 다수개 코어의 사이에 구비된 자석, 상기 자석에 이격된 판, 상기 코어에 이격된 자성체, 상기 코일에 이격된 자화기, 상기 자석에 구비된 편심체, 상기 판에 대면된 침, 상기 자성체에 구비된 초음파 소자, 상기 자화기에 구비된 가진자, 상기 편심체가 구비된 진동자, 이중 하나 이상에 자장이나 전기를 가하는 전선, 상기 전선에 구비된 전극; b2) 이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소자 내지 표시등; b3)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항균기 내지 복합기; b4)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상기 파 내지 복합; b5)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가해지는 상기 파 내지 복합; b6) 상기 자석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수 내지 물질; b7) 상기 자석 내지 물질 중 하나의 상기 자석 내지 물질; b8)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c) c1) 판, 배플, 플레이트, 이중 하나에 부착된 자석, 상기 판에 부착된 다른 판, 이에 구비된 자성체, 상기 판에 이격된 망, 이중 하나에 구비된 자화기, 이중 하나 이상을 에워싸는 코일, 이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구비된 막이나 전극, 이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전선, 이에 연결되는 건전지, 충전지, 배터리, 폐배터리, 이중 하나가 포함되는 파워뱅크, 전기저장소, 전기공급기, 에너지저장시스템; c2) 이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소자 내지 표시등; c3)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항균기 내지 복합기; c4)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상기 파 내지 복합; c5)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가해지는 상기 파 내지 복합; c6) 상기 자석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수 내지 물질; c7) 상기 자석 내지 물질 중 하나의 상기 자석 내지 물질; c8)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등.
상기 배플은 배플, baffle, 판, 진동판, 소리판, 벽, 차단벽, 차단막, 차단판, 판재, 변환기, 변환판, 막, 차폐막, 차폐구조, 막이, 칸막이, 충돌판, 통로에 설치되는 판, 플레이트 등이다. 상기 전극은 전극, 양극, 음극, electrode, 도체, conductor, 금속편. 산화전극, 환원전극, 금속 재질의 도체, 전류가 흘러 들어가거나 나오는 물체 또는 단자,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내보내고 전자를 받아들이는 전극인 양극(positive electrode, +극), 전류가 들어오고 전자를 내보내는 전극인 음극(negative electrode, -극), 전극이 전기 활성(electro-active) 화학종을 포함하는 전해질과 접촉해 있으며 이러한 화학종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을 산화 전극(anode) 그리고 환원이 일어나면 환원 전극(cathode), 생물 일렉트로닉스 분야에서 쓰이는 측정용 금속편, 전류가 출입하는 도체 부분, 전해질 내의 이온과 외부 전기 회로 사이에서 전기량을 주고 받는 도체 부분. 전자관에서 그 전계에 의해 전자 또는 이온을 방출하고, 수집하고, 혹은 그들의 이동을 제어하는 도체 요소, 반도체에서 그 전계에 의해 전자나 정공을 방출하고 수집하고, 혹은 그들의 이동을 제어하는 요소, 전자의 흐름은 음극에서 양극으로 진행, 전류의 흐름은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 전자의 진행 방향과 전류의 흐름 방향은 반대, 직류 전원에서는 양극과 음극이 고정, 교류 전원에서는 주기적으로 양극과 음극이 계속 바뀜, 자발적으로 산화 전극에서 전자가 발생하여 전선을 통해 환원 전극으로 흘러가는 갈바니 전지, 알칼리 전지, 아연 탄소 전지 등의 1차 전지, 방전 과정은 갈바니 전지로 작동하고 충전 과정은 전기 에너지가 필요한 전기분해 전지로 작동하기 때문에 산화 전극과 환원 전극이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반대로 바뀌는 2차 전지 등이거나 또는 등이 관련된다.
상기 ESS, 시설, 장치, 장비, 용어, 단어, 시스템, ESS 케이스, BMS 내지 UPS, 케이스 내지 방전부, 전선 내지 전기충전기, 케이스 내지 태양광패널, 전지 내지 전기에너지, 공사 내지 리사이클링, 집 내지 오피스텔, 스위치 내지 태양에너지저장장치, 양극 내지 하우징, 배터리 내지 모니터링부, 발전기 내지 방전부, 케이스 내지 마운트, 케이스 내지 비상전원수단, 본체 내지 결제기, 배전망 내지 태양전지, 집 내지 하부포장체 등에는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등의 구비가 또는 등의 순차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ESS 내지 하부포장체, 센서 내지 제어기 등에는 모뎀, LTE, WiFi,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플랫폼, 클라우드, 디스플레이 등의 구비가 또는 등의 순차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ESS 내지 제어기, 모뎀 내지 디스플레이 등에는 냉각기, 소화기, 피뢰침, 청정기, 정화기, 세정기, 세척기, 크리닝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방전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등의 구비가 또는 등의 순차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ESS 내지 디스플레이, 냉각기 내지 자기장기 등은 웹(web), 앱(app), 어플, 어플리케이션 등에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ESS 내지 자기장기, 웹 내지 어플리케이션 등에 칩, 핀, 소자, 진자, 단자, 전지, 전극, 양극, 음극, 자침, 코일, 센서, 필터, 기판, 키트, 카드, 모듈, 히터, 쿨러, 회로, 서버, 허브, 인버터, 컨버터, 정류기, 정압기, 정전기, 정류자, 변류기, 발전기, 콘덴서, 트렌스, 릴레이, 반도체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ESS 내지 어플리케이션, 칩 내지 반도체 등에 IT, 5G, 6G, Al, IC, VR, AR, MR, XR, DX, DT, ICT, NFT, IoT, IIoT, IoE, AIoT, GPS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ESS 내지 반도체, IT 내지 GPS 등에는 상기 또는 하기의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구현, 발생, 생성, 형성, 거치, 설치, 장착 등이 가능하다. 상기 ESS 내지 반도체, IT 내지 GPS, 자화 내지 복합작용 등은 1개, 2개, 3개, 복수, 복수개, 다수개, 1셋, 2셋, 3셋, 복수셋, 다수셋, 1층, 2층, 3층, 복수층, 다수층 등이 가능하다.
상기 ESS 내지 반도체, IT 내지 GPS, 자화 내지 복합작용; 이중 하나의 속, 면, 내부, 외부, 주변, 인근, 지상, 지하, 지면; 등에는 a) 전기, 전원, 전력, 동력, 전압, 전류, 충전, 방전, 정전압, 정전류, 에너지, 전지, 태양전지, 태양관패널, 팬, 풍력팬,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충전지, 충전기, 방전기, 배터리, 폐배터리, 파워뱅크, ESS, 에너지저장시스템, energy storage system, 전원공급기, 전기공급기, power supplier, 전원공급수단, 전기공급수단; b) 상기 중 하나의 기, 器, 機, 기기, 기구, 기계, 시설, 장치, 설비; c) 이중 둘 이상 복합; d)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전기 내지 복합; 등의 이용, 사용, 적용, 활용, 구비, 거치, 공급, 인가, 제공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IT, AI, ICT, IoT, IoE, ESG, 수단, 장치, 장비, 딥러닝, 빅데이터, 클라우드, 웨어러블, 메타버스, 4차산업기술; b) 이중 하나가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경영,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분양, 청정, 정화, 퓨리, 청소, 방역, 소독, 살균, 크리닝; c) 상기 IT 내지 크리닝 중 하나에 관련되는 방법, 방안, 공법, 대책, 대안, 시설, 시스템; 등이 이용 또는 포함될 수 있다.
최근에 들어와 새로운 IT, IC, AI, VR, AR, MR, XR, 5G, ICT, IoT, IoE, BIM, ESG, LTE, WiFi, 메타, 버스, 소자, 에코,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시스템, 아바타, 마네킹, 융합기술, 빅데이터, 클라우드, 웨어러블, 메타버스, 생명공학, 생명기술, 4차산업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고 각종 분야에서 이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의 새로운 기술이 일, 업부,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분양, 안전, 재난, 청정, 정화, 퓨리, 방역, 살균, 소독, 산업, 공장, 현장, 가정, 사무실, 작업장, 사고방지, 재해방지, 크린, 크린업, 크리닝 등에 이용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최근에 공기, 대기, 수질, 토양, 환경, 공간, 공장, 현장, 건물, 주택, 생활, 주거, 사람, 생태계 등에 균, 세균, 오염, 먼지, 분진, 황사, 중금속, 오염물, 폐기물, 박테리아, 바이러스, 미세먼지, 새집증후군, 환경호르몬, 포름알데히드 등이 많이 존재하여 이의 청정, 정화, 퓨리, 정수, 청소, 세척, 세정, 살균, 멸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에코처리 등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청정 내지 에코처리 등에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의 새로운 기술이 이용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그리고 산업, 공장, 현장, 작업장 등은 많은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제조, 생산, 건설, 공사, 작업 등에서 많은 재해, 사건, 사고 등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제조업, 건설업, 공사업 등은 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고 여러 작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이다. 따라서 이에 투입되는 인력 및 장비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산업현장에서는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 인한 위험성과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사고 및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의 경우에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의 새로운 기술이 이용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또한 안전문제, 사고발생, 재해발생, 산업발달, 기계발달, 인구감소, 작업자감소, 인력부족, 직공부족, 전문가부족, 3D업무기피, 힘든업무기피, 공사비절감, 열악한작업, 열악한환경, 주5일근무, 작업시간단축 등에 의하여 일, 업무, 사무, 생활,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크리닝 등에 있어서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안전화, 시스템화, 자동제어, 원격제어, 오토메이션 등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양질의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시설, 건물, 도로, 교량, 구조물 등이 조성되고, 안전한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이 되기 위해서는 최적의 QC, QA, 품질시험, 품질관리, 품질인증, 품질보증 등이 시행되어야 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전, 사고방지, 재해방지, 안전화,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품질,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에코, 바이오, 메타버스 등에 대한 관리, 대책, 대안, 기술, 방법, 공법, 방안, 시스템 등의 고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일 내지 건축, 무인화 내지 오토메이션, 안전 내지 메타버스, 관리 내지 시스템 등에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의 새로운 기술이 이용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에 관한 기존기술에는 10-2432284, 10-2343845, 10-1910926, 10-2244358, 10-0855367, 10-2362256, 10-2383648, 10-2432931, 10-2430560, 10-2240190, 10-2394981, 10-0269500, 10-2304629, 10-2299065, 10-2418020, 10-2433357, 10-2145150, 10-2431742, 10-2287849, 10-2429701, 10-2432111, 10-2042616, 10-2041784, 10-1832687, 10-0923061, 10-2105319, 10-1895424, 10-1892882, 10-2423623, 10-2419906, 10-2433291, 10-1897217, 10-2017332, 10-1977777, 10-2128945 등이 있다.
상기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술을 대체하는 새로운 기술이나 기기가 개발된다면 매우 유익할 것이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에 관한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이 개발되거나, 특히 상기 일 내지 크리닝, 청정 내지 에코처리 등에 이용되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에 관한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이 개발되면 매우 유용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상기 일 내지 크리닝, 청정 내지 에코처리 등에 이용되는 새로운 기술이나 공법이 개발되면 매우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IT, IC, AI, VR, AR, MR, XR, 5G, ICT, IoT, IoE, BIM, ESG, LTE, WiFi, 메타, 버스, 소자, 에코,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시스템, 아바타, 마네킹, 융합기술, 빅데이터, 클라우드, 웨어러블, 메타버스, 생명공학, 생명기술, 4차산업기술 등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상기 일 내지 크리닝, 청정 내지 에코처리, 일 내지 건축, 무인화 내지 오토메이션, 안전 내지 메타버스, 관리 내지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XR, 5G, ICT, IoT, IoE, BIM, ESG, LTE, WiFi, 메타, 버스, 소자, 에코,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시스템, 아바타, 마네킹, 융합기술, 빅데이터, 클라우드, 웨어러블, 메타버스, 생명공학, 생명기술, 4차산업기술 등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하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새로운 기술이 고안되었다. 이의 고안에 의하여 새로운 형태의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하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개발되었다. 상기 고안이나 개발의 기술이 상기 일 내지 시스템 등에 이용되고, 이에 의하여 효과적인 상기 일 내지 시스템, 하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축되는 효과를 얻었다. 그리고 하기 자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상기 일 내지 시스템, 하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창출되었다. 또한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상기 일 내지 시스템, 하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하여 하기 자화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효과를 었었다.
본 발명에서 공사 방법의 예로는 공사에 있어서, a) 공사; 이의 현장, 장면, 업무, 내용, 영상, 촬영물, 캠영상, 카메라영상; 등이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이나 생중계되거나, b) 또는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작업, 공사장면, 공사작업, 상기 현장 내지 촬영물 등의 영상이 실시간 중계, 방송, 송신, 수신, 송수신, 생방송 중 하나가 되어 생중계나 라이브 스트리밍되거나, c) 또는 Internet이 카메라에 연계되는 모뎀에 의한 Internet이고, Things가 상기 카메라인 Internet of Things의 IoT가 이용되어 영상이 실시간 중계, 방송, 송신, 수신, 송수신, 생방송 중 하나가 되어 생중계나 라이브 스트리밍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IoT(Internet of Things)의 예로는 T 또는 Things는 상기 카메라가 되고, I 또는 Internet은 상기 카메라에 연계되는 모뎀 또는 통신기 또는 인터넷장치가 되어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를 구성하고, 여기서 IoT 또는 IoT 기기는 인터넷 기능을 가진 카메라, 인터넷 기능을 가진 모뎀이 구비된 카메라, 무선송신이나 인터넷 기능을 가진 모뎀이 구비된 카메라, 촬영 영상을 송수신이나 인터넷전송하는 기능을 가진 모뎀이 구비된 카메라, 카메라가 구비된 모뎀, 카메라가 구비되면서 인터넷기능을 가진 모뎀, 카메라가 구비되면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송수신하는 인터넷기능을 가진 모뎀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공사 방법의 예로는 공사에 있어서, a) 캠(cam)이나 카메라(camera)가 이용되면서 공사; 이의 현장, 장면, 업무, 내용, 영상, 촬영물; 등이 라이브 스트리밍되거나, b) 또는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작업, 공사장면, 공사작업 등에 캠(cam)이나 카메라가 이용되면서 웹(Web)이나 플랫폼이나 SNS나 YouTube나 어플리케이션(앱, app, application)을 통하여 영상이 실시간 중계, 방송, 송신, 수신, 송수신 중 하나가 되어 라이브 스트리밍되거나, c) 또는 Internet이 카메라에 연계되는 모뎀에 의한 Internet이고, Things가 상기 카메라인 Internet of Things의 IoT가 이용되면서 웹(Web)이나 플랫폼이나 SNS나 YouTube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영상이 실시간 중계, 방송, 송신, 수신, 송수신 중 하나가 되어 라이브 스트리밍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a) IoT의 T 또는 Internet of Things의 Things는 캠(cam)이나 카메라(camera)되고, b) IoT의 I 또는 Internet of Things의 Internet은 웹(Web), 플랫폼, SNS, YouTube, 어플리케이션(앱, app, application), 모뎀, 인터넷 모뎀, 인터넷, 인터넷장치, 통신기, 통신장치, 컴퓨터, 핸드폰, 모니터, 스크린, 디스플레이; 이중 하나가 이용되는 전송, 송신, 수신, 저장, 시청, 청취, 관람, 저장, 연산, 인터넷, 컴퓨팅, 영상이나 자료나 정보의 상기 전송 내지 컴퓨팅; 등이 해당되고, c) 상기의 의하여 IoT나 IoT 기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IoT, IoE,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Everything, 사물인터넷, 만물인터넷 등에서 a) T, E, 사물, 만물, Things, Everything 등은 캠, cam, 카메라, camera, 수단, 장치, 장비, 설비, 시설, 시스템 등이 해당되고, b) I 또는 Internet은 b1) 웹(Web), 플랫폼, SNS, YouTube, 어플리케이션, 앱, app, application, 모뎀, 인터넷 모뎀, USIM, 비콘,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인터넷, 인터넷장치, 통신망, 통신기, 통신장치, 컴퓨터, 핸드폰, 모니터, 스크린, 디스플레이; b2) 상기 캠 내지 시스템 등에 연계되는 상기 웹 내지 디스플레이; b3) 이중 하나가 이용되는 전송, 송신, 수신, 저장, 시청, 청취, 관람, 저장, 연산, 인터넷, 컴퓨팅, 영상이나 자료나 정보의 상기 전송 내지 컴퓨팅; b4) 상기 웹 내지 디스플레이 등에 의한 상기 전송 내지 컴퓨팅; b5) 상기 웹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되는 상기 캠 내지 시스템 등에 상기 전송 내지 컴퓨팅;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의 의하여 IoT, IoE, IoT 기기, IoE 기기 등이 이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IoT, IoE, IoT 이용, IoE 이용 중 하나의 상기 캠 내지 시스템, 전송 내지 컴퓨팅 등이 조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작업 방법의 예로는 작업 전에 또는 작업 중에 또는 작업에 있어서, 1) 웨어러블 수단(2)이 구비; 2) 상기 수단(2)은 a) 헬멧(21), 조끼(24), 멜빵(25), 손목밴드(26), 워치(27), 작업화(28), 안전고리(29); b) 또는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21),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24), 상체나 조끼에 착용되는 멜빵(25),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밴드(26), 손목에 착용되는 워치(27), 발에 착용되는 작업화(28), 허리 또는 허리벨트에 착용되는 안전고리(29); 3) 상기 수단이 사람, 인부, 로봇, 작업자, 아바타, 인플루언서 등(30)에 착용; 4) 상기 수단(2)의 전면(3) 또는 내부에 센서(11)가 구비; 5) 상기 센서에 위치센서, 모션센서, 생체센서, 가스센서, 환경센서, 공기질센서가 포함; 6) 상기 위치센서에 의하여 상기 사람의 위치가 감지; 7) 상기 모션센서에 의하여 상기 사람의 이동속도가 측정; 8) 상기 생체센서에 의하여 상기 사람의 체온, 혈압, 심박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측정; 9) 상기 가스센서에 의하여 CO, CO2, O2, O3, H2S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농도가 측정; 10) 상기 환경센서에 의하여 온도, 습도, 풍향, 풍속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측정; 11) 상기 공기질센서에 의하여 먼지,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라돈, 휘발성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농도가 측정; 12) 상기 전면(3)에 상기 센서에 이격되어 버튼(12)이 구비; 13) 상기 버튼은 상기 또는 하기의 센서,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On/Off하는 버튼이거나, 또는 위급 상황을 알리는 SOS버튼; 14) 상기 버튼은 상기 사람이 또는 상기 사람의 손이 누르게 됨; 15) 상기 전면(3)에 상기 버튼에 이격되어 랜턴(13)이 구비; 16) 상기 랜턴은 상기 사람 또는 수단의 전방을 비추는 라이트임; 17) 상기 전면에 상기 랜턴에 이격되어 카메라(14)가 구비; 18) 상기 카메라는 상기 사람 또는 수단의 전방을 촬영하는 장치임; 19) 상기 전면에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어 무전기(15)가 구비; 20) 상기 무전기에 마이크, 스피커가 포함; 21) 상기 마이크는 상기 사람이 말을 하는 마이크임; 22) 상기 스피커는 하기의 서버(70), 단말기(90), 중앙관제센터(120), 중앙관제센터의 관리자(31)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상기 사람에게 말을 전하거나, 또는 상기 사람이 듣는 스피커임; 23) 상기 전면(3)에 상기 무전기에 이격되어 알림기(16)가 구비; 24) 상기 알림기는 하기의 서버, 단말기, 중앙관제센터, 중앙관제센터의 관리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상기 사람에게 알림을 하는 것임; 25) 상기 전면에 상기 알림기에 이격되어 계측기(18)가 구비; 26) 상기 수단의 후면에 램프(17)가 구비; 27) 상기 램프는 상기 사람 또는 수단의 후방에 빛을 발하는 인디케이터임; 28) 상기 수단의 후면에 상기 램프에 이격되어 카메라'(14)가 구비; 29) 상기 카메라'는 상기 사람 또는 수단의 후방을 촬영하는 장치임; 30) 상기 수단(2)의 후면(4)에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어 제어기(20)가 구비; 31)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제어하거나, 또는 On/Off하는 것임; 32) 상기 On/Off는 가동을 나타내는 On 또는 중단을 나타내는 Off임; 33) 상기 사람(30)에 스마트폰(35)이 구비; 34)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 또는 배터리(19)가 구비; 35) 상기 전지가 거치되는 거치대가 또는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포켓(20')이 상기 수단에 형성; 36) 상기 기구와 전지 또는 배터리 사이에 전선이 연결; 37) 상기 기구에 통신장치(50)가 연계; 38) 상기 통신장치에 LTE, WiFi, Bluetooth, 게이트웨이가 포함; 39)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60)이 연계; 40) 상기 스마트폰을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신망에 연결하는 비콘(51, beacon)이 구비; 41) 상기 통신망에 서버(70)가 연계; 42) 상기 서버(70)에 정보 및 영상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장치(80)가 연계; 43)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단말기(90)가 연계; 44) 상기 단말기(90)에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이 포함; 45)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중앙관제센터(120)에 구비; 46) 상기 스마트폰과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설치; 47) 상기 스마트폰(35)과 상기 핸드폰(94)이 통화; 48) 상기 수단에 구비된 무전기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된 무전기가 통화; 49) 상기 수단 또는 기구에 자기장기가 구비; 50) 상기 자기장기에 의하여 상기 작업자에 자기장이 방사; 51)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오존기가 구비; 52) 상기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 53) 상기 오존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음이온기가 구비; 54) 상기 음이온기에 의하여 음이온이 발생; 55) 상기 음이온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청정기가 구비; 56) 상기 청정기에 의하여 상기 수단, 기구, 센터,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작업자, 사무실 등의 공기가 청정; 57)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히터, 쿨러가 거치; 58) 상기 히터에 의하여 상기 수단, 기구, 센터,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작업자, 사무실 등에 열이 발산; 59) 상기 쿨러에 의하여 상기 수단, 기구, 센터, 현장, 공장, 작업장, 작업자, 사무실 등의 열이 식혀짐;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히터, 쿨러는 상기 수단, 기구, 센터, 현장, 공장, 작업장, 작업자, 사무실 등에 히팅, 쿨링, 열발산, 열식힘 등을 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의 수단,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헬멧, 안경, 완장, 의류, 의복, 조끼, 멜빵, 밴드, 손목밴드, 시계, 안전화, 안전고리,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드론, 비행기, 비행체, 이동체, UAM, 장비, 장치, 로봇, 아바타, 마네킹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플랫폼, 클라우드, 어플, 사물, 만물, 물질, 재료, 자재, 에코재, 바이오재, 자동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a)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안전, 제어, 케어, 공장, 현장, 가정, 본사, 센터, 사고방지, 재해방지, 안전화,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고품질화,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방제; b) 이중 하나의 앱, 관리, 운영, 대책, 대안, 기술, 기법, 방법, 공법, 방안, 시스템, 플랫폼, 제어기, 컨트롤러, 메타버스;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 일정수단, 안전수단,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드론, 비행기, 비행체, 이동체, UAM, 장비, 장치, 로봇, 센서, 카메라, 계측기,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에코재, 바이오재; b) 이중 하나를 이용하여 작업환경 관찰, 작업상태 파악, 작업자 상태 파악, 작업자의 작업강도 파악, 작업자의 건강상태 파악, 작업자의 비상버튼 작동, 작업자에게 얼람 전송, 사고 발생여부 감지, 위험상황 경고, 알림서비스 제공, 작업자에게 전송, 관리자에게 전송, 작업자의 안전관리, 사고 미연 방지,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안전화, 시스템화, 고품질화, 청정, 정화, 퓨리, 정수, 청소, 세척, 세정, 살균, 소독, 방역, 방제, 크리닝, 메타버스화, 안전시스템 구축, 자동시스템 구축, 품질시스템 구축, 방역시스템 구축, 환경시스템 구축;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사람,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아바타, 마네킹 로봇 등에 착용되는 수단, 필드 수단, 웨어러블 수단, 의류,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b) 작업에 이용되는 드론, 비행기, 비행체, 이동체, UAM, 항공기, 장치, 장비, 로봇, 물질, 재료, 자재, 계측기,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에코재, 바이오재, 작업장비; c) 상기 수단 내지 작업장비 등에 구비되는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발전기, 오존기, 음이온기, 청정기, 바이오, 히터, 쿨러; d) 상기 수단 내지 쿨러 등에 연계되는 LTE, WiFi, 비콘, 게이트웨이,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클라우드, 처리장치, 단말기, 관제센터; e) 상기 수단 내지 관제센터 등에 이용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f) 상기 수단 내지 어플리케이션 등이 이용되는 작업, 제조, 생산, 품질, 공사, 건설, 건축, 안전, 제어, 케어, 청정, 정화, 퓨리, 정수, 청소, 세척, 세정, 살균, 소독, 방역, 방제, 크리닝, 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자동관리, 원격관리, 출입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환경관리, 방역관리, 건강관리, 냉난방관리; g) 상기 수단 내지 관리 등이 이용되는 공간, 환경, 공장, 가정, 현장, 주택, 사무실, 작업장, 산업현장; h) 상기 수단 내지 산업현장 등에 관련되는 방법, 공법, 대책; i) 또는 사람, 로봇, 작업자, 관리자, 총괄자, 앱이용자 등에 구비되는 상기 수단 내지 대책; j) 상기 수단 내지 대책 등이 이용되는 메타버스, 안전관리방안, 자동관리방안, 재해방지방안, 작업관리방안, 공사관리방안, 방역관리방안, 청정관리방안; k) 상기 수단 내지 청정관리방안 등이 반영되는 자동관리시스템, 품질관리시스템, 재해방지시스템, 작업관리시스템, 공사관리시스템, 청정관리시스템, 방역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일정 수단, 필드 수단, 웨어러블 수단, 드론, 비행기, 비행체, 이동체, UAM, 장비, 장치, 로봇, 센서, 물질, 재료, 자재, 카메라, 계측기,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클라우드, 빅데이터, 처리장치, 어플, 에코재, 바이오재, 에코기술, 바이오기술 등을 고안하고, b) 상기 수단 내지 바이오기술 등에 의하여 관리, 업무관리, 작업관리, 출입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원격관리, 자동관리, 무인관리, 공사관리, 방역관리, 환경관리, 청정관리, 작업환경 측정, 작업환경 관찰, 작업 동영상 제공, 생방송 방영, 라이브 스트리밍, 작업상태 파악, 작업자 상태 파악, 작업자의 작업강도 파악, 작업자의 건강상태 파악, 작업자의 비상버튼 작동, 작업자에게 얼람 전송, 사고 발생여부 감지, 위험상황 경고, 알림서비스 제공, 작업자에게 전송, 관리자에게 전송, 사고 미연 방지, 실시간 비상연락, 응급사고 지원, 현장과 본사 간에 실시간 연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앱이용 실시간 정보제공 등을 하고, c) 상기 수단 내지 바이오기술, 관리 내지 정보제공 등에 의하여 사고방지, 재해방지, 무인화, 자동화, 로봇화, 메타버스화, 품질개선, 방역작업, 오염방지, 환경개선, 공기청정, 수질개선 등을 하고, d) 최종적으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을 구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a) 최적의 작업, 업무, 생활, 공사, 건설, 건축, 안전, 품질, 자동, 방역, 환경, 재료, 자재, 제품, 물품, 상품, 시설, 건물, 도로, 교량, 구조물 등을 고안하고, b)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을 적용하고, c) 상기 균 내지 포름알데히드 등을 제거하고, d) 최적의 품질시험(QC, quality test), 품질관리(QC, quality control), 품질인증(QC, quality certification), 품질보증(QA, quality assurance) 등을 고안하고, e) 상기 작업 내지 구조물 등에 대한 적정의 관리, 대책, 대안, 기술, 방법, 공법, 방안,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a) 일정의 수단, 사람, 인간, 로봇, 동물, 드론, 비행기, 비행체, 이동체, UAM, 작업자, 근로자, 출입자, 아바타, 마네킹, 삼각대, 거치대; b) 이중 하나에 착용된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헬멧, 안경, 완장, 의류, 의복, 조끼, 멜빵, 밴드, 손목밴드, 시계, 안전화, 안전고리; c) 상기 수단 내지 안전고리 등에 구비된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d) 또는 현장, 공장, 농장, 가정, 작업장 등에 구비된 물질, 재료, 자재, 에코재, 바이오재, 드론, 비행기, 비행체, 이동체, UAM, 장비, 장치, 제품, 가전, 로봇,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e) 상기 사람 내지 방역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플랫폼, 클라우드; f) 상기 수단 내지 클라우드 등에 설치되는 앱, 어플; g) 상기 수단 내지 어플 등이 포함되는 사물, 만물; h) 상기 수단 내지 만물 등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안전, 제어, 케어, 현장, 공장, 농장, 가정, 작업장; i) 상기 수단 내지 케어 등에 의한 사고방지, 재해방지, 안전화,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고품질화,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방제; j) 상기 수단 내지 방제 등을 제어하는 조종기, 제어기, 컨트롤러, 리모트컨트롤; k) 상기 수단 내지 리모트컨트롤 등에 관한 앱, 관리, 운영, 대책, 대안, 기술, 기법, 방법, 공법, 방안,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ℓ)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을 관리하는 관리시스템, 자동관리시스템, 품질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m)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 일정의 일, 작업, 업무, 생활, 주거,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이 되고, b) 이에 장비, 장치, 드론, 비행기, 비행체, 이동체, UAM, 로봇, 3D프린터, 사람, 인간, 근로자, 작업자, 아바타, 마네킹,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에코재, 바이오재 등이 이용되고, c)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등에 의하여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교량, 터널, 구조물 등이 조성되고, d)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시설 내지 구조물 등에서는 안전, 사고방지, 재해방지, 무인화, 자동화, 로봇화, 고품질화, 메타버스화,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등이 필요하고, e)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시설 내지 구조물, 안전 내지 방제 등에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이용되고, f)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의하여 상기 안전 내지 크리닝 등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관리시스템(1)의 예는 실시예 1, 2, 3 등과 같다. 여기서 실시예 1은 a) 사람, 인간, 신체, 인체, 몸체, 로봇, 만물,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관리자, 총괄자, 앱이용자 등(30, 31, 32, 33)에 착용, 부착, 장착, 구비, 거치 등이 되는 웨어러블 수단(2); b) 상기 웨어러블 수단에 구비된 센서 또는 감지기(10, 11), 버튼 또는 SOS버튼(10, 12), 랜턴 또는 라이트(10, 13), 카메라 또는 CCTV(10, 14), 무전기 또는 마이크(10, 15), 알림기 또는 알림등(10, 16), 램프 또는 후방등(10, 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0, 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0, 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10, 20) 등의 기구(10); c) 상기 웨어러블 수단(2)을 착용한 사람(30)의 스마트폰(35); d) 상기 기구(10)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기 또는 배터리(19); e) 물품이나 상기 배터리(19)가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웨어러블 수단(2)에 형성된 포켓(20'), 집, 케이스, 하우스, 하우징, 파우치, 주머니(20'); f) 상기 기구(10), 스마트폰(35)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g) 상기 통신장치에 연계되는 통신망(60); h) 상기 통신망에 연계되는 서버(70), 클라우드(70); i) 상기 서버(70), 기구(10) 등의 자료 또는 정보를 처리, 연산, 저장, 기록, 출력 등을 하는 처리장치(80), 연산장치(80), 중앙처리장치(81),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출력장치(85); j) 상기 서버, 통신망, 통신장치, 스마트폰 등에 연계되는 단말기(90);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2는 a) 사람, 로봇, 근로자 등(30)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수단(2); b)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된 기구(10)인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계측기(18); c)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후면에 구비된 기구인 램프(17), 카메라(14), 제어기(20); d) 상기 웨어러블 수단을 착용한 사람의 스마트폰(35); e) 상기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등의 기구(10)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9); f) 상기 배터리, 물품, 물건, 부품, 기구 등이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수단(2)에 형성된 포켓(20'); g) 상기 기구(10), 배터리(19) 등에 연결되는 전선; h) 상기 기구(10), 스마트폰(35)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i) 상기 통신장치에 연계되는 통신망(60), 이동통신망(60); j) 상기 통신망에 연계되는 서버(70), 클라우드(70), 클라우드서버(70); k) 상기 서버, 기구 등의 자료 또는 정보를 처리, 연산, 저장, 기록, 출력 등을 하는 처리장치(80), 연산장치(80), 중앙처리장치(81),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출력장치(85); ℓ) 상기 서버, 통신망, 통신장치, 스마트폰 등에 연계되는 컴퓨터(91), PC(91, personal computer),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94), 태블릿PC(94)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90); m) 상기 서버, 단말기, 처리장치, 통신장치 등이 구비된 사무실(110), 상황실(110), 지사(110), 현장사무실(110), 본사(120), 통제실(120), 관제센터(120), 중앙관제센터(120), 본사사무실(120);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3은 1) 웨어러블 수단(2); 2)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 또는 내부에 구비된 센서(11); 3) 상기 센서에 포함되는 위치센서, 생체센서, 가스센서, 환경센서, 공기질센서; 4)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센서에 이격된 버튼(12) 또는 SOS버튼(12); 5)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버튼에 이격된 랜턴(13); 6)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랜턴에 이격된 카메라(14); 7)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카메라에 이격된 무전기(15); 8) 상기 무전기에 포함되는 마이크, 스피커; 9)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무전기에 이격된 알림기(16); 10)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후면에 구비된 램프(17); 11)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램프에 이격된 카메라(14); 12)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후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카메라에 이격된 제어기(20); 13) 상기 웨어러블 수단을 착용한 사람(30)의 스마트폰(35); 14) 상기 센서 내지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9); 15)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수단에 형성된 포켓(20'); 16) 상기 기구와 배터리에 연결되는 전선; 17) 상기 기구(10)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18) 상기 통신장치(50)에 포함되는 LTE, WiFi, Bluetooth, 비콘(51), 게이트웨이(52); 19) 상기 통신장치에 연계되는 통신망(60); 20) 상기 스마트폰을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신망에 연결하는 비콘(51, beacon); 21) 상기 통신망에 연계되는 서버(70); 22) 상기 서버, 기구 등의 자료 또는 정보를 처리, 연산, 저장, 기록, 출력 등을 하는 처리장치(80), 연산장치(80), 중앙처리장치(81),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출력장치(85); 23)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연계되는 단말기(90); 24) 상기 단말기에 포함되는 PC(91),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94); 25)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구비된 중앙관제센터(120); 26) 상기 스마트폰과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 어플, 앱파일,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파일, 인터넷 또는 Play스토어 등에서 PC나 핸드폰 등에 내려 받기 가능한 앱 또는 앱파일; 27) 상기 스마트폰(35)과 통화되는 상기 핸드폰(94); 28) 상기 수단에 구비된 무전기(15)와 통화되는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된 무전기; 29) 상기 수단(2)에 포함되는 헬멧(2, 21), 안경(2, 22), 완장(2, 23), 조끼(2, 24), 멜빵(2, 25), 손목밴드(2, 26), 워치(2, 27), 작업화(2, 28), 안전고리(2, 29); 30) 상기 작업자, 현장, 수단, 서버, 센터 등에 구비된 자기장기; 31) 상기 작업자, 현장, 수단, 서버, 센터 등에 구비된 오존기, 살균기; 32) 상기 작업자, 현장, 수단, 서버, 센터 등에 구비되면서 상기 오존기에 이격된 음이온기, 소독기; 33) 상기 작업자, 현장, 수단, 서버, 센터 등에 구비되면서 상기 음이온기에 이격된 청정기, 정화기;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상기 작업자, 현장, 수단, 서버, 센터 등에 상기 자기장기에 의한 자기장 발생, 상기 자기장에 의한 건강 증진, 상기 자기장에 의한 식물성장 촉진, 상기 오존기에 의한 오존 발생, 상기 오존에 의한 살균작용, 상기 살균기에 의한 살균기능, 상기 음이온기에 의한 음이온 발생, 상기 음이온에 의한 청정작용, 상기 소독기에 의한 소독기능 등의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수단(2)의 예는 실시예 4, 5, 6 등과 같다. 여기서 실시예 4는 a) 웨어러블 수단(2)이 사람(30)에게 착용; b) 상기 수단에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제어기(20)의 기구(10)가 장착; c) 상기 기구(10)에 연결되는 배터리(19)가 구비; d) 상기 기구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가 구비; e)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60)이 연계; f) 상기 통신망에 서버(70) 또는 클라우드서버(70)가 연계; g)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단말기(90)가 연계; 등이 되는 것이다.
실시예 5는 a) 웨어러블 수단(2)이 사람(30)에게 착용; b) 상기 수단의 전면(3)에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의 기구(10)가 구비; c) 상기 수단의 후면(4)에 램프, 카메라, 제어기의 기구(10)가 구비; c) 상기 사람(30)에게 스마트폰(35)이 구비; d) 상기 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 e) 상기 수단에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포켓(20')이 형성; f) 상기 기구와 배터리 사이에 전선이 연결; g) 상기 기구와 스마트폰에 통신장치(50)가 연계; h)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60)이 연계; i) 상기 통신망에 서버 또는 클라우드서버(70)가 연계; j)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94)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90)가 연계; k)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중앙관제센터(120)에 구비; 등이 되는 것이다.
실시예 6은 1) 웨어러블 수단(2)이 사람(30)에게 착용; 2) 상기 수단의 전면(3) 또는 내부에 센서(11)가 구비; 3) 상기 센서에 위치센서, 생체센서, 가스센서, 환경센서, 공기질센서가 포함; 4) 상기 전면(3)에 상기 센서에 이격되어 버튼 또는 SOS버튼(12)이 구비; 5) 상기 전면에 상기 버튼에 이격되어 랜턴(13)이 구비; 6) 상기 전면에 상기 랜턴에 이격되어 카메라(14)가 구비; 7) 상기 전면에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어 무전기(15)가 구비; 8) 상기 무전기에 마이크, 스피커가 포함되고, 9) 상기 전면(3)에 상기 무전기에 이격되어 알림기(16)가 구비; 10) 상기 수단(2)의 후면(4)에 램프(17)가 구비; 11) 상기 수단(2)의 후면(4)에 상기 램프에 이격되어 카메라(14)가 구비; 12) 상기 수단의 후면에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어 제어기(20)가 구비; 13) 상기 사람(30)에 스마트폰(35)이 구비; 14)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10)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9)가 구비; 15)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수단에 포켓(20')이 형성; 16) 상기 기구와 배터리 사이에 전선이 연결; 17) 상기 기구에 통신장치(50)가 연계; 18) 상기 통신장치에 LTE, WiFi, Bluetooth, 게이트웨이가 포함; 19)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60)이 연계; 20) 상기 스마트폰을 인식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신망에 연결하는 비콘(51, beacon)이 구비; 21) 상기 통신망에 서버(70)가 연계; 22) 상기 서버(70)에 정보 및 영상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장치(80)가 연계; 23)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단말기(90)가 연계; 24) 상기 단말기(90)에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94)이 포함; 25)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중앙관제센터(120)에 구비; 26) 상기 스마트폰과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설치; 27) 상기 스마트폰(35)과 상기 핸드폰(94)이 통화; 28) 상기 수단에 구비된 무전기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된 무전기가 통화; 29) 상기 수단(2)에 헬멧(21), 조끼(24), 멜빵(25), 손목밴드(26), 워치(27), 작업화(28), 안전고리(29)가 포함; 30) 상기 수단(2)에 자기장기가 구비; 31) 상기 센터(120)에 오존기가 구비; 32) 상기 센터에 상기 오존기에 이격되어 음이온기가 구비; 33) 상기 센터에 상기 음이온기에 이격되어 청정기가 구비; 등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관리시스템(1), 작업방법, 공사방법 등의 예로는 1) 웨어러블 수단(2)이 구비; 2) 상기 웨어러블 수단의 전면(3) 또는 내부에 센서(11)가 구비; 3) 상기 센서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SOS버튼(12)이 구비; 4) 상기 버튼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랜턴(13)이 구비; 5) 상기 랜턴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카메라(14)가 구비; 6)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무전기(15)가 구비; 7) 상기 무전기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포함; 8) 상기 무전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알림기(16)가 구비; 9) 상기 알림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전면에 계측기(18)가 구비; 10) 상기 수단의 후면에 램프(17)가 구비; 11) 상기 램프에 이격되면서 상기 후면에 카메라'(14)가 구비; 12) 상기 카메라에 이격되면서 상기 후면에 제어기(20)가 구비; 13) 상기 수단(2)이 작업자(30)에 착용; 14) 상기 작업자에 스마트폰(35)이 구비; 15) 상기 센서, SOS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스마트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10)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9)가 구비; 16) 상기 배터리가 내장되는 포켓(20')이 상기 수단에 형성; 17) 상기 기구와 배터리 사이에 전선이 연결; 18) 상기 작업자의 작업 시에 상기 센서(11)가 작동; 19) 상기 작업 중에 상기 카메라(14)에 의하여 작업 장면이 촬영; 20) 상기 SOS버튼(12)은 비상 시에 상기 작업자에 의하여 눌려짐; 21) 상기 기구(10)에 통신장치(50)가 연계; 22) 상기 통신장치에 LTE, WiFi, Bluetooth, 비콘(beacon), 게이트웨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 23) 상기 통신장치에 통신망(60)이 연계; 24) 상기 통신장치 또는 통신망에 서버(70)가 연계; 25) 상기 서버 또는 통신망에 단말기(90)가 연계; 26) 상기 단말기에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태블릿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포함; 27)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중앙관제센터(120)에 구비; 28) 상기 스마트폰에 스마트폰용 앱이 설치; 29) 상기 단말기에 단말기용 앱이 설치; 30) 상기 스마트폰(35)과 상기 단말기(90)는 상호 연계 또는 통화; 31) 상기 수단에 구비된 무전기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구비된 무전기가 상호 연계 또는 통화; 32) 상기 작업자(30)와 상기 중앙관제센터(120)에 근무하는 관리자(31) 또는 총괄자(32) 간에 통화 시스템이 구축; 33) 상기 수단(2) 또는 기구(10)에 자기장기가 구비; 34) 상기 자기장기에 의하여 상기 작업자(30)에 자기장이 방사; 35) 상기 수단, 기구, 센터, 작업자 중 하나 이상이 소독; 36)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오존기가 구비; 37) 상기 오존기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 38) 상기 오존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2) 또는 기구(10) 또는 센터(120)에 음이온기가 구비; 39) 상기 음이온기에 의하여 음이온이 발생; 40) 상기 음이온기에 이격되면서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청정기가 구비; 41) 상기 청정기는 상기 수단, 기구, 센터, 센터 내부,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작업자, 사무실 등의 공기를 청정; 42) 상기 수단 또는 기구 또는 센터에 히터, 쿨러가 거치; 43) 상기 히터는 상기 수단 내지 사무실 등에 열 발산; 44) 상기 쿨러는 상기 수단 내지 사무실 등의 열 식힘;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a) 수단, 기술, 명칭, 설명, 분야, 범위, 효과, 내용, 전체, 명세서, 기술분야, 구체적 내용, 청구항, 요약, 도면, 문장, 문구, 용어, 단어, 사항, 단락, 재료, 자재, 원료, 물질, 물체, 부품, 장치, 장비; b) 상기 수단 내지 도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상기 문장 내지 장비; c) 상기 수단 내지 도면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기재된 상기 문장 내지 장비; d) 상기 또는 하기의 기재 내용; e) 상기 또는 하기에 기재된 상기 수단 내지 장비; 등은 1) 이용, 사용, 적용, 겸용, 인용, 구비, 거치, 존치, 교체, 교환, 대체, 가미, 가중, 가함, 더함, 인입, 주입, 투입, 혼입, 혼합, 추가, 첨가, 첨삭, 삭제, 제거, 변경, 변화, 중복, 중합, 결합, 합체, 병행, 연결, 연계, 포함, 함유 등이 가능하거나, 2) 또는 상호 상기 이용 내지 함유 등이 가능하거나, 3) 또는 본 발명의 내용, 명세서, 청구항, 청구 내용, 청구 범위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호는 상기 수단 내지 장비 중 둘 이상이거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떠한 상기 수단 내지 장비 등은 본 발명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을 기재한 이유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상기 수단 내지 장비 등에 대하여 모든 예 또는 실시예를 기재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내용을 기재하여 필요시 청구항에 상기 수단 내지 장비 등의 내용을 인용하여 기재하기 위한 때문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심사 과정 중에 의견제출서, 거절결정서 등에 대한 보정서, 의견서 작성 또는 제출 시에 상기 수단 내지 장비 등의 내용을 본 발명의 청구항에 인용하여 적정하게 기재하기 위한 때문이다. 상기의 예를 들면 a) 본 발명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된 사항을 청구항 1에 기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기재된 내용을 청구항 1에 인용,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수단에 기재된 용어를 청구항 1에 삽입; b) 본 발명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된 IT, 이의 용어, 내용 등을 청구항 1에 기재; c)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기재된 LoT, 이의 단어, 내용 등을 청구항 1에 인용; d)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수단에 기재된 센서, 이의 단어, 내용, 단락 등을 청구항 1에 삽입;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 내지 장비 등이 이용되는 무수한 예 또는 실시예가 가능하고, 이의 무수한 예는 본 발명의 범위나 또는 본 발명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합성수지제가요전선관부품을 합성, 수지, 가요, 전선, 관, 부품,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 부품, 합성수지제가요전선관, 합성수지제가요전선관부품 등으로 세분하여 청구항 등에 기재 또는 인용하는 것도 해당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다른 용어나 단어 등도 상기와 같이 기재 또는 인용하는 것도 해당된다.
본 발명의 수단, 헬멧, 안경, 완장, 의류, 의복, 조끼, 멜빵, 밴드, 손목밴드, 시계, 안전화, 안전고리, 드론, 비행기, 비행체, 이동체, UAM, 장치, 장비, 시설, 사물, 만물, 생물, 기(器), 기(機), 기기, 기구, 로봇, 동물, 공간, 세계, 작업, 업무, 공사,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포켓, 청정기, 정화기, 방역기, 통신수단,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핸드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수단(2), 헬멧(2, 21), 모자, 안경(2, 22), 고글, 완장(2, 23), 띠장, 의류, 의복, 조끼(2, 24), 멜빵(2, 25), 밴드, X밴드, 손목밴드(2, 26), 시계(2, 27), 워치, 안전화(2, 28), 작업화, 안전고리(2, 29), 착용구(2, 10), 착용물(2, 10), 다바이스, 드론(42), 비행기, 비행체, UAM, 항공기, 장치, 장비(41), 시설, 설비, 디바이스, device, 사물, 만물, 생물, 사람, 인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지도, 맵(map), 기(器), 기(機), 기기, 기구, 로봇(30), 동물(30), 아바타, 마네킹, 메타공간, 버스세계, 메타버스(97), 메타버스공간(100), 가상공간(100), 가상세계(100),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센서(10, 11), 버튼(10, 12), 랜턴(10, 13), 카메라(10, 14), 무전기(10, 15), 알림기(10, 16), 램프(10, 17), 계측기(10, 18), 배터리(10, 19), 제어기(10, 20), 포켓(20'), 주머니, 청정기(43),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크리닝기(43), 통신수단(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PC,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94), 스마트폰(35), 디스플레이, 플랫폼, 메타버스,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시스템(1), 안전관리시스템(1),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단에 의하여 일, 상기 헬멧에 의하여 머리 보호, 상기 안경에 의하여 눈 보호, 상기 완장에 의하여 작업 반장 인식, 상기 의류에 의하여 신체 보호, 상기 의복에 의하여 몸 보호, 상기 조끼에 의하여 상체 보호, 상기 멜빵에 의하여 안전장구 착용, 상기 밴드에 의하여 신체 안전, 상기 손목밴드에 의하여 손목을 통한 건강 체크, 상기 시계에 의하여 시간 측정, 상기 안전화에 의하여 발 보호, 상기 안전고리에 의하여 신체 안전, 상기 드론에 의하여 비행, 상기 장치에 의하여 일, 상기 장비에 의하여 작업, 상기 시설에 의하여 생활공간 취득, 상기 사물에 의하여 일, 상기 만물에 의하여 업무, 상기 생물에 의하여 활동, 상기 기(器)에 의하여 일, 상기 기(機)에 의하여 업무, 상기 기기에 의하여 작업, 상기 기구에 의하여 사무, 상기 로봇에 의하여 사람 대체, 상기 동물에 의하여 작업, 상기 공간에서 업무, 상기 세계에서 활동, 상기 작업에 의하여 제품 제조, 상기 업무에 의하여 자재 생산, 상기 공사에 의하여 시설 조성, 상기 센서에 의하여 센싱, 상기 버튼에 의하여 SOS요청, 상기 랜턴에 의하여 조명,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 또는 영상 촬영 또는 사진 촬영, 상기 무전기에 의하여 무전 또는 통화, 상기 알림기에 의하여 위험 또는 사고 알림, 상기 램프에 의하여 야간 인식, 상기 계측기에 의하여 계측, 상기 배터리에 의하여 전원 공급, 상기 제어기에 의하여 제거, 상기 포켓에 물건 보관, 상기 청정기에 의하여 청정 또는 공기청정, 상기 정화기에 의하여 정화 또는 수질정화, 상기 방역기에 의하여 방역 또는 소독, 상기 통신수단에 의하여 통신, 상기 통신망에 의하여 전송, 상기 서버에 정보 또는 데이터 저장, 상기 처리장치에 의하여 정보 처리 또는 연산,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화면 제공, 상기 핸드폰에 의하여 통화,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영상 시청,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화면 시청, 상기 필드수단에 의하여 작업 보조, 상기 웨어러블수단에 의하여 신체 보호, 상기 안전관리시스템에 의하여 안전 관리, 상기 수단(2)에 의하여 작업, 상기 헬멧에 의하여 안전 조치, 상기 모자에 의하여 태양빛 저감, 상기 안경에 의하여 시력 확보, 상기 고글에 의하여 용접시 눈 보호, 상기 완장에 의하여 관리자 인식, 상기 띠장에 의하여 업무 인식, 상기 의류에 의하여 몸 장식, 상기 의복에 의하여 신체 장식, 상기 조끼에 의하여 상체 장식, 상기 멜빵에 의하여 어깨 보호, 상기 밴드에 의하여 안전장구 장착, 상기 X밴드에 의하여 신체의 전후 보호, 상기 손목밴드에 의하여 건강 체크, 상기 시계에 의하여 건강 체크, 상기 워치에 의하여 맥박 체크, 상기 안전화에 의하여 발 안전, 상기 작업화에 의하여 작업 용이, 상기 안전고리에 의하여 신체 안전 강화, 상기 착용구에 의하여 신체 안전 정치 착용, 상기 착용물에 의하여 신체 안전수단 착용, 상기 다바이스에 의하여 신체 안전, 상기 드론에 의하여 형장 비행, 상기 비행기에 의하여 자재 운반, 상기 장치에 의하여 일, 상기 장비에 의하여 업무, 상기 시설에 의하여 생활, 상기 설비에 의하여 업무, 상기 사물에 의하여 일, 상기 만물에 의하여 업무, 상기 생물에 의하여 활동, 상기 사람에 의하여 일, 상기 인간에 의하여 작업, 상기 물체에 의하여 일, 상기 물질에 의하여 재료 생산, 상기 재료에 의하여 자재 제조, 상기 자재에 의하여 시설 조성, 상기 기(器)에 의하여 공사, 상기 기(機)에 의하여 시공, 상기 기기에 의하여 리모델링, 상기 기구에 의하여 건설, 상기 로봇(30)에 의하여 사무, 상기 동물(30)에 의하여 활동, 상기 아바타에 의하여 일, 상기 메타공간에 실제작업 구현, 상기 버스세계에 제조장면 구현, 상기 메타버스에 공사장면 구현, 상기 메타버스공간에서 생활, 상기 가상공간에서 활동, 상기 가상세계에서 아바타가 활동, 상기 작업에 의하여 제조, 상기 업무에 의하여 생산, 상기 제조에 의하여 자재 조성, 상기 생산에 의하여 물품 조성, 상기 공사에 의하여 시설 건축, 상기 건설에 의하여 도로 축조, 상기 건축에 의하여 건물 조성, 상기 시공에 의하여 교량 건설, 상기 센서에 의하여 환경 센싱, 상기 버튼에 의하여 작동, 상기 랜턴에 의하여 라이팅,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작업 장면 촬영, 상기 무전기에 의하여 상호 교신, 상기 알림기에 의하여 위험 얼람, 상기 램프에 의하여 미등 조명, 상기 계측기에 의하여 응력 계측, 상기 배터리에 의하여 무선 전원 공급, 상기 제어기에 의하여 원격 제어, 상기 포켓에 의하여 배터리 보관, 상기 주머니에 물건 보관, 상기 청정기에 의하여 먼지 제거, 상기 정화기에 의하여 오염 정화, 상기 살균기에 의하여 균 살균, 상기 소독기에 의하여 공중 소독, 상기 방역기에 의하여 현장 방역, 상기 크리닝기에 의하여 청소, 상기 통신수단에 의하여 정보 통신, 상기 통신망에 의하여 데이터 무선전송, 상기 서버에 의하여 정보 저장, 상기 처리장치에 의하여 정보 처리 및 계산,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정보 제공, 상기 PC에 의하여 정보 시청, 상기 컴퓨터에 의하여 영상 시청, 상기 모니터에 의하여 정보 청취, 상기 스크린에 의하여 작업장면 시청, 상기 핸드폰에 의하여 근로자와 관리자가 상호 통화, 상기 스마트폰에 의하여 위험 신호 알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영상 시청, 상기 플랫폼에 의하여 현장정보 제공, 상기 메타버스에 의하여 현장작업 장면 시청, 상기 필드수단에 의하여 현장 작업 보조, 상기 웨어러블수단에 의하여 근로자 신체 보호, 상기 시스템에 의하여 공장 관리, 상기 안전관리시스템에 의하여 현장의 안전관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의 일 내지 안전관리 등을 하거나, 또는 상기 일 내지 안전관리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기능은 상기에 기재된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이외에 기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일 내지 안전관리 등이나 상기 이외에 기타 다양한 기능을 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IT, 5G, 6G, 3D, 4D, Al, IC, VR, AR, MR, XR, DX, DT, ICT, NFT, IoT, IIoT, IoE, AIoT, GPS, SNS, BIM, LTE, WiFi, ESG, THE, ESS, CCS, PENT, PURI, AP,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 application process, CPU, 중앙처리장치, 中央處理裝置, central processing unit, GPU, 그래픽처리장치, graphic processing unit, MCU,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Micro Controller Unit, DDI, 디스플레이구동유닛,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PMIC, 전력반도체,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환경, environment, 사회, social, 지배구조, governance, 안전, 安全, 구호, 救護, 구조, 救助, 세이브, 세이프, 자동, 自動, 오토, auto, 자율, 自律, 주행, 운행, 운전, 가동, 로봇, robot, 모빌, mobile, 무인, 無人, 유인, 有人, 무선, 無線, 유선, 有線, 소자, 素子, 에코, eco, 그린, green, 녹색, 성장, 환경, 環境, 생태, 生態, 친환경, 청정, 淸淨, 정화, 淨化, 청소, 크린, 크리닝, cleaning, 살균, 殺菌, 소독, 消毒, 방역, 防疫, 방제, 防除, 보호, 保護, 보안, 保安, 방지, 防止, 소음방지, 층간소음방지, 차음, 무음, 無音, 유음, 有音, 방음, 방진, 차진, 내진, 단열, 난방, 온방, 낸방, 케어, care, 재, 再, 폐, 廢, 폐기, 廢棄, 폐기물, 廢棄物, 사용, 활용, 실버, silver, 헬스, health, 힐링, healing, 월빙, well being, 조립, 조립식, 수제, DIY, do it yourself, 빌트인, built-in, 비치, furnished, 가구비치, furnished, 풀옵션, full option, 전부비치, fully furnished, 비콘, beacon, 전기, 電氣, 전자, 電子, 통신, 通信, 정보, 情報, 만능, 萬能, 원격, 遠隔, 리모트, remote, 지능, 知能, 비트, bit, 코인, coin, 토큰, token, 코드, code, 펄스, pul신호, 信號, 필드, field, 측정, 測定, 제어, 制御, 계측, 計測, 화학, 化學, 물리, 物理, 생물, 生物, 인공, 人工, 논리, 論理, 지식, 智識, 지능, 知能, 나노, nano, 나노미터, 칩, chip, 웹, web, web site, 앱, app, application, 지도, 맵, map, 매핑, mapping, 센서, sensor, 소자, 小子, 진자, 振子, 기판, 基板, 모듈, module, 회로, 回路, circuit, 전지, 電池, cell, 배터리, battery, 폐배터리, 파워뱅크, 연료전지, fuel cell, 트윈, twin, B2B, B2C, C2C, 상거래, 전자상거래, 커머스, e 커머스, commerce, 데이터, data, 스마트, smart, 모빌, 모바일, mobile, 포터블, portable, 인터넷, internet, 사이트, site, 디지털, digital, 딥러닝, 머신러닝, 바이오, bio, 미생물, 微生物, 피톤, 피톤치드, 편백, 촉매, 광촉매, 데이터, data, 도체, 導體, conductor, 반도체, 半導體, semiconductor, 컴퓨터, computer, 컴퓨팅, computing, 양자컴퓨팅, 메모리, memory, 실리콘, silicon, 웨이퍼, wafer, 컨트롤, control, 시스템, system, 뉴노멀, new normal, 웨어러블, wearable, 연성, 軟性, 플렉시블, flexible, 가상, 假象, virtual, 메타, meta, 버스, verse, 메타버스, metaverse, 아바타, abata, 마네킹, mannequin, 사이버, cyber, 팹리스, 파운드리, 패키징, 인공지능, 人工知能, 프로세스, process, 마이크로, micro, 로보틱스, robotics, 빅데이터, big data, 클라우드, cloud, 모니터링, monitoring, 아날로그, analogue, 프로그램, program, 블록체인, block chain, 자율주행, 自律走行, autonomous driving, self-driving, 자동제어, 自動制御, 자동감시, 自動監視, 원격관리, 遠隔管理, 원격가동, 원격조정, 스트리밍, 트랜지스터, transistor, 하이브리드, hybrid, 인텔리전트, intelligent, 리모트컨트롤, remote control, 텔레매틱스, 트렌스포메이션, 3차원, 4차원, save, safe, smart, safety, auto, self, robot, mobile, eco, green, bio, nano, care, cleaning, tele, remote, bit, coin, code, pulse, field, control, health, chip, module, twin, portable, digital, data, system, telematics, meta, verse, wearable, flexible, abata, cyber, micro, cloud, hybrid, wearable technology, PTT(Push To Talk), Watcher, PIP(picture in picture), 융합기술, 생명공학, 생명기술, 4차산업기술,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해당되거나, 또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의 기능 또는 성능을 가진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도 해당된다. 상기에 의거하여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의 안전관리시스템,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의 기능을 가진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의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도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의 용어 앞에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의 어미, 수식어, 접두어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포함되는 실시예로는 안전수단, 안전장치, 안전장비, 안전장구, 안전시설, 구호장비, 구조장비, 세이브장치, 세이프장치, 안전헬멧, 구호조끼, 모빌수단, 청정장비, 정화장치, 살균기, 소독기, 자동센서, 오토장치, 비콘기, 스마트의류, 세이브의복, 모바일장비, 포터블기기, 인터넷장치, 디지털밴드, 웨어러블의복, 메타장비, 버스기구, 메타버스장비, 하이브리드기구, 인텔리전트장치, 블록체인장치, 5G수단, IT의류, Al장치, IC밴드, ICT의류, IoT헬멧, IoE기기, VR기구, AR장비, GPS조끼, LTE기구, WiFi장비, IT5G3D, IT5G3DAl, ICVR, ARMR, AIXRDX, IT5G3DAlICT, IT5G3DAlICTNFT, IT5G3DAlICTNFTIoT, IT5G3DAlIoE, AIoT4D, SNSBIMLTE, IT5G3DAlICTWiFi, IT안전헬멧, 5G구호조끼, 3DAI모빌수단, ICT청정장비, LoT정화장치, LTE살균기, IC소독기, AILTE자동센서, VR오토장치, AR비콘기, MR스마트의류, XR세이브의복, ICT모바일장비, NFT포터블기기, 디지털플랫폼수단, IoTLTE인터넷장치, AIoT디지털밴드, SNS웨어러블의복, BIM메타장비, LTE버스기구, WiFi메타버스장비, IT5G하이브리드기구, IT5G3D인텔리전트장치, IT5G3DAI블록체인장치, IT5G3DAIVR수단, LTEIT의류, Al메타버스장치, IC4D밴드, AI3DICT의류, ICTIoT헬멧, ICVRIoE기기, LTESNSVR기구, IT3DLTEAR장비, AILTESNS기구, ICTIoTWiFiVR장비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안전헬멧 내지 WiFi장비, 상기 IT 내지 WiFi 등이 적용되는 수단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인부의 안전을 위한 수단, 시설의 안전을 위한 장치, 안전한 장비, 사람을 안전하게 하는 장구, 사람의 안전을 위한 안전시설, 사람을 구호하는 장비, 사람을 구조하는 장비, 세이브하는 장치, 사람의 세이프 장치, 안전용도의 헬멧, 사람 구호용도의 조끼, 이동형의 모빌 수단, 청정하는 장비, 정화하는 장치, 균을 살균하는 살균기, 공간을 소독하는 소독기, 자동으로 작동하는 센서, 자동의 오토장치,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어떤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기기인 비콘기, 지능형의 스마트의류, 사람의 안전을 위한 세이브의복, 이동형의 모바일장비, 휴대형의 포터블기기, 인터넷이 되는 장치, 숫자로 변환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털 밴드, 사람 착용의 웨어러블의복,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에 구비된 메타장비,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에 구비된 버스기구,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에 구비된 메타버스장비, 2종 이상의 기구인 하이브리드기구, 지능형의 인텔리전트장치,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해킹을 막기 위한 블록체인장치, 5G 통신을 하는 수단, 정보기술이 접목된 IT의류, 인공지능의 Al장치, 집적회로가 이용되는 IC밴드, 정보통신이 가능한 ICT의류, 사물인터넷이 가능한 IoT헬멧, 만물인터넷이 가능한 IoE기기,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VR기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AR장비, GPS가 구비된 조끼, GPS가 구비되어 위치가 추적되는 조끼, LTE 통신하는 기구, WiFi 통신하는 장비, 정보 5G 3차원의 종합기술인 IT5G3D, 정보 5G 3차원 인공지능이 복합된 또는 구비된 IT5G3DAl, 집적회로가 이용되는 가상현실인 ICVR, 증강혼합현실인 ARMR, 인공지능이 이용되는 확장현실이 디지털로 전환되는 AIXRDX, 정보 5G 3차원 인공지능 통신이 구비된 IT5G3DAlICT, 정보 5G 3차원 인공지능 통신 디지털자산이 이용되는 또는 구비되는 IT5G3DAlICTNFT, 정보 5G 3차원 인공지능 통신 디지털자산이 복합된 IT5G3DAlICTNFTIoT, 정보 5G 3차원 인공지능 만물인터넷이 구비되는 IT5G3DAlIoE, 인공지능이 이용되는 사물인터넷이 4차원으로 구현되는 AIoT4D, 정보 5G 3차원 인공지능 통신 WiFi가 이용되는 IT5G3DAlICTWiFi, 정보기술이 이용되는 안전한 헬멧인 IT안전헬멧, 5G 통신이 가능한 또는 구비된 구호조끼인 5G구호조끼, 3차원 인공지능이 이용되는 또는 구비되는 이동수단인 3DAI모빌수단, 정보통신수단이 구비되면서 공기 청정을 하는 ICT청정장비, 사물인터넷 타입의 정화장치인 LoT정화장치, LTE 통신이 되면서 살균하는 LTE살균기, 집적회로가 구비된 소독기인 IC소독기, 인공지능이 이용되는 LTE통신이 자동으로 되는 센서인 AILTE자동센서, 가상현실을 자동으로 하는 장치인 VR오토장치, 증강현실에 이용되는 비콘인 AR비콘기, 혼합현실에서 착용되는 의류인 MR스마트의류, 확장현실에서 안전한 의복인 XR세이브의복, 정보통신기술이 이용되는 이동장비인 ICT모바일장비,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 이용되는 휴대형 기기인 NFT포터블기기, 디지털 형식의 SNS 플랫폼 수단, 사물 LTE통신이 되는 장치인 IoTLTE인터넷장치, 인공지능 사물인터넷이 되는 디지털 형의 밴드인 AIoT디지털밴드, 소셜네트워크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사람에 착용가능한 의복인 SNS웨어러블의복, LTE 통신으로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구축하는 기구인 LTE버스기구, WiFi 통신으로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장비인 WiFi메타버스장비, 정보기술 5G 통신이 되는 다기능의 기구인 IT5G하이브리드기구, IT와 5G와 3D와 인텔리전트지능이 이용되는 IT5G3D인텔리전트장치, IT와 5G와 3D와 AI와 블록체인이 결합된 장치인 IT5G3DAI블록체인장치, IT와 5G와 3D와 AI와 VR이 이용되는 수단인 IT5G3DAIVR수단, LTE와 IT가 결합된 의류인 LTEIT의류, Al와 메타버스가 이용되는 장치인 Al메타버스장치, IC가 구비되고 4D의 4차원세계를 구현하는 밴드인 IC4D밴드, AI와 3D와 ICT가 이용되는 의류인 AI3DICT의류, ICT의 정보통신과 IoT의 사물인터넷이 이용되는 헬멧인 ICTIoT헬멧, IC 회로 VR 가상현실 IoE 만물인터넷이 시연되는 기기인 ICVRIoE기기, LTE 통신을 통하여 SNS에서 VR이 구현되는 기구인 LTESNSVR기구, IT가 이용되는 3D 3차원 가상공간을 LTE 통신을 통하여 AR의 증강현실로 보여주는 장비인 IT3DLTEAR장비, AI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LTE 통신을 통하여 SNS에 서비스하는 기구인 AILTESNS기구, ICT가 적용되는 IoT 사물인터넷으로 WiFi 통신을 통하여 VR 가상현실을 보여주는 장비인 ICTIoTWiFiVR장비, 상기 IT 내지 WiFi 등이 이용되어 스마트 작용을 하는 수단 등도 가능하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로는 a) 현장(100)에 IT, IC, ICT 기반의 센서, 계측기, 카메라, 제어기 등의 기구(10)가 장착된 웨어러블 수단(2) 구비; b) 상기 기구(10)에 의하여 센싱 및 촬영 및 위험 감지; c)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촬영 및 위험 감지를 5G, LTE, WiFi 등을 이용하여 무선 전송(50, 60); d) 상기 무선 전송으로 IoT, IoE 수행; e) 상기 전송된 정보 또는 빅데이터(big data)를 서버(70)에 저장; f) Al(인공지능) 기반의 처리장치(80)로 상기 저장된 자료 또는 빅데이터를 처리, 연산; g) 상기 처리된 결과를 단말기(90)를 통하여 VR, AR, metaverse 등의 영상으로 보여줌; h) 상기 단말기(90)에 여러 현장의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로 보여줌; i) 상기 현장(100)과 본사(120) 간에 무전기로 재해방지를 위한 PTT(Push To Talk) 실시; j) 상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현장의 재해를 방지하여 save, smart, safety 시스템(1) 구축; k) 드론에 구비된 통신장치로 상기 무선 전송; ℓ) 상기 시스템이 포함되는 메타버스 구현; 등이 해당된다.
상기에서 5G는 5세대, 5세대 통신, 5th Generation, 5th Generation communication 등이고, 6G는 6세대, 6세대 통신, 6th Generation, 6th Generation communication 등이다. Al는 Al,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t 등이다. 상기 DX는 디지털혁신, 디지털변환, 디지털전환, digital trtansformation, 듀플렉스, 듀플렉스 시스템, 2중 방식, duplex, duplex system 등이다. 상기 듀플렉스는 듀플렉스, duplex, duplex channel, 두 세대용 건물, 복층 아파트, 다이플렉스 동작, 다이플렉스動作, diplex operation, 라디오 채널 다중화, 라디오 채널 多重化, radio-channel multiplexing, 송신과 수신의 어느 방향으로도 통신할 수 있는 방식, 송신과 수신의 양쪽에서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방식, 통신 시스템에서 유무선으로 연결된 통신 단말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되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 통신단 A와 B가 있을 때 A에서 B와, B에서 A의 어느 방향으로도 통신할 수 있는 방식, 통신단 A와 B의 양쪽에서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방식 등이다.
상기 AIoT는 AI와 IoT가 접목된 것이고, 블록체인은 Block Chain, 해킹을 막는 기술,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해킹을 막기 위한 기술 등이다. 무선은 무선, 선없음, radio, 와이어리스, wireless, 무선연결, 무선공급, 무선충전 등이다. VR은 가상현실, VR, virtual reality, 假想現實, 360도 영상을 바탕으로 새로운 현실을 경험하도록 하는 기술,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눈을 가리는 헤드셋형(HMD) 단말기 필요, 공상과학(SF) 영화의 가상현실, 인공지능을 가진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현실, 컴퓨터를 이용해 만든 가상공간, 항공조종용 시뮬레이터, 놀이공원에서의 3D입체 가상체험, 인간이 가진 오감으로 느끼는 감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든 가상공간, 인공지능·산업공학·제어공학·컴퓨터그래픽 등에 의하여 만들어진 가상공간 등이다.
상기 AR은 증강현실, 增强現實, augmented reality, 실제 사물 위에 컴퓨터그래픽(CG)을 통해 정보와 콘텐츠를 표시하는 기술, 구글 글라스와 같은 안경으로 표현하는 기술 등이다. MR은 혼합 현실, Mixed Reality, 混合現實, 현실 세계에 가상 현실(VR)이 접목되어 현실의 물리적 객체와 가상 객체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환경, 현실을 기반으로 가상 정보를 부가하는 증강 현실(AR)과 가상 환경에 현실 정보를 부가하는 증강 가상(AV)의 복합의미 등이 해당된다. XR은 확장현실, eXtended Reality, XR Glasses, XR Simulator, 혼합현실(MR) 기술을 망라하는 초실감형 기술 및 서비스,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과 혼합현실(MR)을 포함하는 기술,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의 개별 활용 또는 혼합 활용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확장된 현실을 창조하는 기술, 안경 위에 증강현실(AR)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술, 안경의 시야 전체에 가상현실(VR)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술, 현실 공간과 사물 정보를 파악하여 최적화된 3D 홀로그램을 표시하는 기술, 대용량의 실시간 3D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고성능 컴퓨팅 파워와 그래픽 처리 성능 필요 등이다.
상기 DT는 a) DT, 데이터 전송, data transmission, 디지털전환, digital transformation, 디자인과 기술, design and technology, 아날로그 업무를 디지털로 전산화 또는 자동화하는 것,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업무 프로세스나 기업의 문화를 변화시키는 것, 클라우드 컴퓨팅과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방식, 디지털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산업군의 디지털화를 촉진시키는 것, 디지털 기술을 사회 전반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사회 구조를 혁신시키는 것, 디지털과 물리적인 요소들을 통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키고 산업에 새로운 방향을 정립하는 전략, 아날로그 형태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전산화(digitization)와 산업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를 하는 것; b) 또는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확장현실(XR), IIoT (산업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과 함께 디지털 혁신을 통해 기존의 정보통신 기술을 변화시키는 것; c) 또는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솔루션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플랫폼으로 구축·활용하여 기존 전통적인 운영 방식과 서비스 등을 혁신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IT는 정보기술, 이미지기술, 정보산업기술, 정보기술산업, Image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기술에 통신을 더한 정보통신기술, 정보 통신과 혁명을 주도하는 기술, 정보화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유형·무형의 모든 기술과 수단, 정보를 개발·저장·교환하는 데 필요한 모든 형태의 기술, 스마트폰과 모바일 서비스가 포함되는 기술, 컴퓨터의 성능이나 소프트웨어의 품질과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하는 종합서비스, 인터넷·휴대전화 등의 기술 그리고 이를 운영하는 프로그램 등을 총칭하는 것, 컴퓨터 하드웨어·소프트웨어·통신장비 관련 서비스와 부품을 생산하는 산업, 정보의 수집·가공·저장·검색·송신·수신 및 그 활용과 이에 관련되는 기기·기술·역무·기타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과 수단, 정보를 창조·저장·전시·탐색·사용하기 위해 온라인에서 의사소통하는 것과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 컴퓨터·소프트웨어·인터넷·멀티미디어·경영혁신·행정쇄신 등 정보화 수단에 필요한 유형·무형의 기술, 사진·동영상·데이터·음성·대화·멀티미디어의 매체까지 포함하는 정보기술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IT기술 활용 공사, 쌍방향 메타버스 견본주택, 단순히 평면도와 현장 견본주택 사진 등을 보여주는 시스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시스템, 견본주택 내 마련된 상담창구로 캐릭터를 가져가서 화상을 통해서 실제 견본주택에서 상담 받는 것과 같이 원격 상담, 메타버스 견본주택, 1개 채널당 최대 1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메타버스 견본주택, 최대 5만명까지 동시 접속 가능한 메타버스 견본주택, 수주부터 분양, 시공, 하자관리 등 건설업 전반에 최첨단 기술 접목,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는 EPC(설계·조달·시공) 입찰안내서(ITB)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PDF 파일을 인식해 자동으로 목차별 섹션을 분리하는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부터 공종별로 대상을 분류·분석하는 과정, 검토화면 시각화 등을 수행, 입찰 담당자는 이를 통해 발주처의 요구사항과 제약사항을 쉽고 빠르게 파악, 스마트 건설 기술, 기존파일 지지력 확인을 위한 기존골조를 이용한 시험 공법, 리모델링 안전진단 과정에서 기존 파일(건물을 받치는 말뚝)의 내력을 측정할 때 파일 중간 단면을 자르고, 그 공간에 유압기를 설치해 내력 측정, 이에 따른 파일의 지지력 측정 시간 단축, 정학한 파일의 지지력 측정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다.
상기 ICT는 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C-P-N-D, C-P-N-D 복합기술, C-P-N-D 가치사슬, 콘텐츠(C)-플랫폼(P)-네트워크(N)-디바이스(D), C-PN-T(터미널) 복합기술,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통신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 CT)의 합성어, 빅데이터·모바일·웨어러블 등이 이용되는 기술, 빅데이터(Big Data)·모바일(Mobile)·웨어러블(Wearable)의 BMW가 이용되는 기술, 디지털 경제로 바꾸는 기술, 모바일·클라우드·SNS 등이 이용되는 기술,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용 기술, 각종 사물들을 인터넷에 연결하고 스마트화하는 기술, 모든 사물에 결합되는 통신기술, 디바이스 간 데이터 이동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기술, 소리·데이터·영상과 같은 정보를 융합하는 기술, 방송·통신·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fmf 융합하는 기술, 컴퓨터·통신·정보 가전과 같은 기기를 융합하는 기술,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와이브로 서비스가 이용되는 기술, 영상이아 오디오를 휴대 단말기로 시청할 수 있는 휴대이동방송인 DMB서비스, 음악·TV·사진·인터넷·교통카드·교통안내 등의 서비스를 하는 기술, 정보의 송신·수신·개발·저장·처리·관리 등을 하는 데 필요한 모든 기술. 사물인터넷 기반 기술, 인간과 인간을 연결하는 기술, 인간과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 사물과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 옷·신발·가전·자동차·가로등·의학기기 등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가 이용되는 기술, 카메라·MP3 플레이어·방송 수신·영상통화·무선인터넷·신용카드·교통카드 등의 기능이 융합되는 기술, 정보기기의 하드웨어 및 이들 기기의 운영 및 정보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이들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생산·가공·보존·전달·활용 등을 하는 기술 등이다.
상기 IC는 a) 칩, 회로, IC칩 집적회로, 결합회로, Integrated Circuit, IC센서, 회로 부품들의 집합체, 고밀도 집적회로(LSI,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 초고밀도 집적회로(VLSI, Very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 반도체 기판, 전자부품, 기판에 반도체 부품이 삽입 및 배선된 집약체, 사방 3㎜~5㎜ 정도의 반도체 기판에 설치된 반도체, 기판과 이에 설치된 반도체와 트랜지스터의 집합체, 포켓형 TV에 사용되는 집적회로, 전자기기의 초소형화를 이루는 회로, 크기가 작으면서도 동작 속도가 빠르고 전력 소비가 적은 회로, b) 또는 저항, 콘덴서, 반도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의 많은 회로 부품이 하나의 기판 위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체 등이다.
상기 웹은 웹, 망, web, 웹사이트, web site, 거미집, 인터넷망, 월드와이드앱, WWW, World Wide Web, 정보 검색 서비스, 인터넷 환경, 인터넷 수단, 인터넷 수단, 인터넷 주소, 인터넷 플랫폼,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보여주기 곳, 블로그, 개인 인터넷 방송, 지능형 웹, 시멘틱 웹, 컴퓨터가 자동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시멘틱 웹, 전자상거래 웹, 시스템 통합(SI) 웹, 지능형 로봇 시스템 웹, 의료 정보화 웹, 텍스트·그림·동화상·소리 등을 모두 지원하는 인터넷 사이트 등이다. 상기 보안은 보안, 保安, security, 정보보안, 자료보안, 컴퓨터 네트워크 보안, 국가의 기간 정보통신망 보안, 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한 보안,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 사이버 범죄에 대한 보안, 원격제어프로그램인 봇(Bot)이라는 악성 프로그램에 감염되지 못하도독 보안, 봇 프로그램에 감염된 컴퓨터인 좀비 컴퓨터에 대한 보안, 기관이나 포털 사이트 등의 서비스 이용을 못하게 하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디도스)에 대한 보안 등이다.
상기 IoT는 a) IoT,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사물의 인터넷, 인터넷을 하는 사물, 인터넷 통신이 되는 사물, 인터넷 통신이 구비되는 사물, 무선통신을 하는 사물, 사물과 사물이 인터넷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 사물끼리 인터넷으로 연결돼 정보를 주고받는 것, 스마트폰으로 제어하는 것, 사물끼리 대화를 나누는 것,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 NFC의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를 활용한 가전제품, 가전이 실시간으로 온도를 점검을 하고 제품 진단과 절전 관리를 함, 건강관리용 스마트 팔찌, 사물끼리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통로, 사물끼리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언어, 사물끼리 통신할 수 있는 통로, 시설에 센서와 스피커를 탑재해 정보를 수집, 실시간으로 정보 데이터를 습득해 본사에게 정보를 알려줌, 사무실과 가전에 센서를 설치하고 인터넷에 연결, 쓰레기에 센서를 부착해 쓰레기의 이동경로 파악, 사물지능통신 기반, 창조엔진, 초연결사회의 기반 기술, 서비스이자 차세대 인터넷으로 사물 간 인터넷 혹은 개체 간 인터넷(Internet of Objects), 사물이 만들어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환경,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M2M(Machine to Machine), Intelligence Buildings, GSMA(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ssociation), 센서(sensor)가 이용되는 인터넷, 정보를 수집·처리·관리하고 정보가 서비스로 구현되기 위한 환경을 지원,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상호 정보를 주고 받으며 대화를 나누는 것, 블루투스나 근거리무선통신(NFC), 센서데이터, 네트워크 등으로 자율적인 소통을 하는 것, 사물간 온도나 습도나 위치나 열 같은 정보를 주고받음, NFC칩이 탑재된 장비에 스마트폰을 갖다대면 장비 동작 상태나 오작동 여부를 확인; b)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c) 근거리 통신기술(WPAN, WLAN 등)이나 이동통신기술(2G, 3G, 4G 등)과 유선통신기술(이더넷, BcN 등) 같은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d) 센서에 의하여 빛, 소리, 온도, 화학물질 등 내외부에서 발생한 신호들을 수집하여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내외부의 각종 상태를 파악하는 장치; e) 또는 열, 가스, 조도, 온도, 습도, 초음파 센서부터 원격감지, 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바탕으로 사물 간 대화가 이루어짐 등이 해당된다. 상기 IoE는 만물인터넷, Internet of Everything 등이고, 이의 설명은 상기의 IoT와 유사하고 IoT의 things 대신에 IoE의 everything이 교체된 것이다.
상기 IIoT는 IIoT, 산업사물인터넷, 제조 및 에너지 관리를 포함한 컴퓨터의 산업 부문과 함께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센서나 장비 등의 장치의 융합기술, 디지털교차연결시스템(digital crossconnect system)이나 분산제어시스템(DCS)을 발전시킨 것,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사용되는 자동화기술 등이다. 상기 IIoT 기술에 의하여 데이터 수집, 교환, 분석, 생산과 효율성의 개선, 경제적 이득 실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상기 IIoT는 콘텐츠계층, 서비스계층, 네트워크계층, 장치계층 등의 계층화된 모듈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콘텐츠계층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화면, 태블릿, 스마트 글래스 등이다. 서비스계층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정보로 변환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를 조작한 뒤 이 데이터를 드라이버 대시보드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로 병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네트워크계층은 통신 프로토콜, 와이파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계층으로 데이터를 모아 전송하는 물리 네트워크 버스 등이다. 장치계층은 하드웨어, CPS, 머신, 센서, 물리적부품 등이다. 상기 CPS는 CPS, character per second, 초당 문자, cost per inquiry, 초당 사이클, cycle per second, 프린터의 상대적인 속도, 모뎀의 전송률, 대화형 프로그래밍 시스템, conversation programming system, 임계 경로 스케줄링, critical path scheduling, 회로판 설계 시스템, circuit package system 등이 해당된다.
상기 BcN은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廣帶域統合網이다. 상기 SAR은 지형공간정보체계, 합성개구레이더, synthetic aperture radar, synthesized aperture radar, 지상으로 전파를 발사해 지표면의 영상을 만들어 내는 장비, 측방관측(side-looking) 영상 레이더로 인공위성이나 비행기에 탑재되어 작동, 안테나에서 마이크로파 펄스를 발사하는 것, 상기 발사 후 후방산란되어(back-scattered) 돌아오는 신호를 측정해 2차원 영상으로 복원하는 장비, 비행기나 인공위성 등의 탑재체(搭載體)의 움직임으로 얻어지는 안테나 위치의 연속적 변화를 이용, 상기 각 안테나의 위치에서 얻어진 자료들을 조합하여 고해상도의 영상을 합성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NFT는 NFT, 대체 불가능한 토큰, Non-Fungible Token,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대표하는 토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된 디지털 자산, 블록체인 상에서 유통되는 토큰, 블록체인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가상자산, 자산 소유권을 명확히 함으로써 기존 자산을 디지털 토큰화하는 수단,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 가상자산에 희소성과 유일성이란 가치를 부여하는 자산, 진위(眞僞)와 소유권 입증이 중요한 콘텐츠 분야에 적용, 디지털 작품이 NFT로 거래될 때마다 처음 제작자에게 수수료가 가도록 NFT를 설정, 옥션이나 거래소에서 NFT 거래, NFT 디지털 아트, NFT 디지털 아트 전시, 모니터나 스크린을 통하여 NFT 디지털 아트 전시, 벽면의 스크린을 통하여 NFT 디지털 아트 전시, 실내나 호텔의 벽면 스크린을 통하여 NFT 디지털 아트 전시, 광고된 NFT, 선전된 NFT, 전시된 NFT, 판매된 NFT, 전시 후에 판매된 NFT, 중개 후에 판매된 NFT, 경매 후에 판매된 NFT,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의 NFT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NFT나 메타버스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수단, 그림, 인형, 로고, 음악, 음원, 음반, 영화, 영상, 패션, 이미지, 소리, 옷, 의류, 땅, 토지, 부지, 집, 주택, 건물, 시설, 도시, 길, 도로, 지구, 우주, 세상, 학교, 학원, 공장, 현장, 사물, 만물, 지역, 국가, 나라, 고궁, 관광지, 상품, 제품, 물품, 용품, 작품, 사람, 동물, 음식, 의식주, 문화재, 사무실, 구조물, 아이템, 장난감, 아바타, 텍스트, 디지털콘텐츠, 문화재, 예술품, 수집품, 미술품, 미니어쳐, 디지털예술품, 온라인스포츠, 게임아이템, 각종상품, 동산, 부동산, 가상부동산, 일, 업무, 작업, 제조, 생산, 분양, 중개,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청정, 정화, 퓨리, 소독, 살균, 방역, 방제, 프로젝트, 작업프로젝트, 공사프로젝트,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NFT나 메타버스에 이용, 적용, 구비, 거치, 구현, 시연, 시청, 관람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NFT 또는 NFT 가상자산이 부여되거나, 또는 NFT 또는 NFT 가상자산으로 변환되거나, 또는 하나의 NFT가 될 수 있다. 그리고 NFT나; 또는 NFT로 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나; 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NFT는; 매매, 거래, 중개, 구매, 판매, 광고, 선전, 전시, 관람, 이용, 설치, 거치, 소유, 소지, 보유, 보관 등이 가능하다. NFT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NFT가 포함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수단NFT, 그림NFT, 인형NFT, 로고NFT, 음악NFT, 음원NFT, 음반NFT, 영화NFT, 영상NFT, 패션NFT, 이미지NFT, 소리NFT, 옷NFT, 의류NFT, 땅NFT, 토지NFT, 부지NFT, 집NFT, 주택NFT, 건물NFT, 시설NFT, 사물NFT, 만물NFT, 상품NFT, 제품NFT, 물품NFT, 용품NFT, 작품NFT, 사람NFT, 동물NFT, 음식NFT, 의식주NFT, 문화재NFT, 아이템NFT, 장난감NFT, 아바타NFT, 텍스트NFT, 디지털콘텐츠NFT, 예술품NFT, 수집품NFT, 미술품NFT, 미니어쳐NFT, 디지털예술품NFT, 온라인스포츠NFT, 게임아이템NFT, 각종상품NFT, 동산NFT, 부동산NFT, 가상부동산NFT 등이다.
그리고 NFT에는 NFT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NFT수단, NFT그림, NFT인형, NFT로고, NFT음악, NFT음원, NFT음반, NFT영화, NFT영상, NFT패션, NFT이미지, NFT소리, NFT옷, NFT의류, NFT땅, NFT토지, NFT부지, NFT집, NFT주택, NFT건물, NFT시설, NFT사물, NFT만물, NFT상품, NFT제품, NFT물품, NFT용품, NFT작품, NFT사람, NFT동물, NFT음식, NFT의식주, NFT문화재, NFT아이템, NFT장난감, NFT아바타, NFT텍스트, NFT디지털 콘텐츠, NFT예술품, NFT수집품, NFT미술품, NFT미니어쳐, NFT디지털예술품, NFT온라인스포츠, NFT게임아이템, NFT각종상품, NFT동산, NFT부동산, NFT가상부동산 등이다.
상기 토큰은 토큰, token, 접근(access)토큰, 보안(security)토큰, 세션(session)토큰, 유에스비(USB) 보안토큰, 이오스(EOS)토큰, 트론(TRX)토큰, 비체인(VeChain)토큰, 난수 형태의 문자열로 구성, 일련의 문자열을 구분할 수 있는 단위, 인센티브 형태로 제공되는 지불 수단, 특정 커뮤니티 내에서 디지털 화폐로 사용, 시스템에서 보안 객체의 접근 관리에 사용되는 객체 또는 장치, 링 또는 버스 형태의 네트워크에서 장비 간 전송되는 신호의 순서,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응용 서비스에서만 사용하는 암호화폐, 하드웨어 저장 장치로 특정 전자기기의 제한된 자원(리소스)의 사용 권한을 제어하는 보안토큰, 통신망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세션(논리적 연결) 후 사용하는 세션토큰, 독립적인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를 시험하는 테스트넷(testnet)에서의 지불 수단, 토큰에서 코인(coin)으로 발전, 테스트넷(testnet)에서 토큰을 지불 수단으로 사용, 메인넷(mainnet)에서 코인을 지불 수단으로 사용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BIM은 a)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빌딩정보모델링, 건축정보모델링, 건물을 표현하는 하나의 정보 집합, 건물 생애 주기 동안의 정보처리 및 관리과정(process),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소프트웨어적인 관점에서 빌딩관리를 위한 도구, Building Information Modeler; b) 디자인 정보를 명확하게 하여 설계의도와 프로그램을 빠른 시간 내에 이해하고 평가함으로써 신속한 의사결정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 기존의 2차원 기반의 도면정보 체계를 건물의 실제 형상과 정보를 가지는 3차원 파라매트릭 솔리드 모델링 기반의 정보체계, 3차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시설물의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시설물의 형상이나 속성 등을 정보로 표현한 디지털 모형, 기존의 CAD등을 이용한 평면도면 설계에서 한 차원 진화해 3D 가상공간을 이용하여 전 건설분야의 시설물의 생애주기 동안 설계나 시공 및 운영에 필요한 정보, 모델을 작성하는 기술; c) 건축계획,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유지관리, 에너지 등 건설 산업의 전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 d) 기존의 2차원 도면 환경에서는 달성이 어려웠던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의 사업정보 통합관리를 통하여 설계 품질 및 생산성 향상, 시공오차 최소화, 체계적 유지관리 등이 되도록 하는 기법; e) 설계, 엔지니어링 및 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통합을 통한 정보의 재활용 및 공유,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시스템 연계를 통한 기간단축, 재작업이나 실수로 인한 손실감소, 통합적 공학시스템, 전문가 시스템, 지식 개발 시스템(knowledge-based system)을 통한 건축물 설계 및 시공방법의 최적화; 등이 해당된다. BIM을 이용하면 건축물 견적, 공종별 중복 확인, 환경 분석, 건축물 유지 보수, 건축 시뮬레이션, 면적 및 체적 계산, 도면 및 일람표 자동 수정 등이 가능하다. BIM 소프트웨어에는 Revit, AECOsim, ARCHICAD, Tekla, Allplan, Civil3D, OpenRoads, OpenRail, MIDAS CIM, Navisworks, Navigator, Solibri, BIMsight, Infraworks, Openroads Concepstation 등이 있다
상기 ESG는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환경·사회·지배구조,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머리글자를 딴 단어,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말, 기업 활동에 친환경과 사회적 책임경영과 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 경영을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하는 정책 등이다. 상기 비트는 비트, bit, binary digit의 줄임말, 0 또는 1이 사용되는 자리,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등이다. 비트 여덟개가 모이면(8비트) 바이트(byte)가 된다. 상기 코인은 코인, coin, 돈, 동전, 화폐 등이다. 상기 비트코인은 비트코인, Bitcoin, 가상화폐, 디지털화폐, 온라인 디지털화폐, 지폐나 동전과 달리 물리적인 형태가 전혀 없는 온라인 디지털화폐 등이다.
상기 THE는 THE, 더, 이, 그, 저, 이것, 그것, 저것, 접두어, 접두사 등을 나타낸다. THE의 예로는 THE, THE PENT, THE HOUSE, THE PENT HOUSE, THE 건물, THE 건설, THE 분양, THE 빌라, THE 타운, THE 시티, THE 아파트, THE 오피스텔, THE 주상복합, THE 타운하우스 등이 가능하다.
상기 ESS는 ESS,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장치, 에너지저장시스템, 폐배터리ESS, 폐배터리를 이용한 ESS, 리튬전지를 채택한 ESS, 리튬 이차전지 ESS, 리튬 배터리(LiB) ESS, 배터리 형식의 ESS,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폐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 ABESS(Abandone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는 ESS, 스마트그리드에 이용되는 ESS, 풍력 같은 신재생에너지 출력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ESS, 신재생에너지 출력을 평준화하는 ESS, 송전 및 배전 단에 구비되는 대용량 ESS, 빌딩이나 가정에 접목되는 ESS, 값싼 심야 전력을 저장했다가 낮에 사용하는 ESS, 전력 부하 평준화용 ESS, 피크 전력 컷용 ESS, 피크 전력에 사용되는 ESS, 전력 수요의 피크를 이동시키는 ESS, 장치 혹은 물리적 매체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ESS,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압기, 수백 kWh 이상의 전력을 저장하는 단독 시스템, 전력계통에서 발전, 송배전, 수용가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ESS,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 그리드에서의 핵심 설비, 전력 예비율을 높게 유지하고 비상 정전에 대비하는 ESS, 가정용 ESS, 건물용 ESS, 빌트인(built-in) ESS, 건물에 빌트인(built-in) ESS, 아파트에 빌트인 ESS, 10kW급 미만의 빌트인(built-in) ESS, 태양광이나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를 미리 저장하는 장치,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에서의 ESS, 생성된 전기를 이송하는 송배전에서의 ESS,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수용가(소비자)에서의 ESS, 냉난방 수요가 급증하는 최고 수요 시점에 이용되는 ESS, 피크 수요 시점의 전력 부하를 조절해 발전 설비에 대한 과잉 투자를 막아주는 ESS, 돌발적인 정전 시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ESS, 물리적 에너지저장시스템, 화학적 에너지저장시스템, 양수발전이나 압축공기저장이나 플라이휠 등의 물리적 에너지저장시스템, 리튬이온배터리나 납축전지나 NaS 전지 등의 화학적 에너지저장시스템, 생산된 전기를 전력계통(Grid Energy Storage)에 저장했다가 전기가 가장 필요한 시기에 공급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 발전·송배전·수용가에 단계별 전력 저장이 되는 ESS, 실시간으로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정보를 교환하며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ESS, 전기 요금이 싼 시간에 저장한 전기를 피크타임에 사용하는 ESS, 대규모 정전 상태인 블랙아웃에 미리 충전해 둔 에너지를 공급하는 ESS, 공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밤에 전기를 저장하고 낮의 전력 피크타임에 전력을 공급하는 ESS, 피크타임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생산설비의 투자를 절약하는 ESS, 피크타임에 전력을 공급하여 CO2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ESS, 신재생에너지처럼 출력이 변동하는 발전의 출력을 안정화하는 ESS, 태양광이나 풍력이나 조력이나 파력 등 신재생 에너지 또는 소규모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ESS, 수시로 전력망에 공급되거나 전기자동차 충전소 등에서 높은 출력으로 갑자기 전기가 소비될 때 유용한 ESS, 전기의 불규칙한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고 수시로 변화하는 주파수를 조정해 전력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ESS, 전기에너지를 적게 사용할 때 저장하고 필요할 때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과 신재생에너지 활용도 제고 및 전력공급시스템 안정화에 기여하는 ESS, 주파수 조정(Frequency Regulation)이나 신재생발전기 출력 안정화나 첨두부하 저감(Peak Shaving) 또는 부하평준화(Load Leveling) 또는 비상전원 등의 기능으로 사용되는 ESS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스마트그리드는 스마트그리드, smart grid, 차세대 전력망, 지능형 전력망, IT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 기존 전력망에 정보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전력망.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전력망, 스마트미터가 이용되는 기술, 세탁기와 청소기를 돌리기 전 집안에 설치된 스마트미터 확인, 하루 중 전기료가 가장 저렴한 시간에 세탁기와 청소기를 돌려 비용을 줄이는 기술,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앱)을 이용해 외부에서 원격으로 집에 설치한 보일러나 에어컨을 조작하는 기술,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해 어떤 가전제품이 언제 전기를 많이 쓰는지도 스마트폰 앱으로 파악하여 운영하는 기술, 똑똑한을 뜻하는 Smart와 전기나 가스 등의 공급용 배급망 또는 전력망이란 뜻의 Grid가 합쳐진 단어,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더해 전력 생산과 소비 정보를 양방향이나 실시간으로 주고받음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전략망, 전기 공급자와 생산자들에게 전기 사용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전기 공급을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전기와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전력망을 지능화 또는 고도화해 고품질 전력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 다양한 데이터로 사용하여 전기량을 예측하여 효율을 높여 에너지 낭비를 막는 스마트그리드 , 신·재생에너지를 고려한 분산 발전 형태의 스마트그리드, 양방향으로 전력과 정보가 흘러 소비자 참여로 설비가 운영되는 스마트그리드, 전력 수급 상황별 차등 요금제를 적용해 전기 사용자에게 전기 사용량과 요금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는 스마트그리드, 스마트계량기(AMI)가 이용되는 스마트그리드, 가전제품에 IT를 적용해 가정 내 전력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스마트그리드, 사물인터넷을 이용해 사용하지 않는 기기를 구분하고 전기요금이 가장 저렴한 시간대에 충전하는 스마트그리드, 건물 전체 혹은 여러 건물들을 연결하는 스마트그리드,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에 전기를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한 시간에 사용하는 스마트그리드, ESS에 저장된 에너지로 수요과 공급을 적절히 조절해 버려지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스마트그리드, ESS에 전기를 저장해 수요가 최고치에 달하는 시점의 전력 부하를 조절해 발전 설비에 대한 과잉 투자를 막고 돌발적인 정전 시에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마트그리드, 스마트미터를 통해 얻은 전기 사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전력 사용량에 맞춰 전기요금이 부과되도록 하는 스마트그리드, 사용자별 전기 사용 패턴을 파악해 최적화된 전력을 공급하는 스마트그리드,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스마트그리드, 양방향 전력 전송과 고장 시 자동복구가 가능하고 각종 첨단 가전기기와 통신하면서 전력 요소를 제어하는 스마트그리드, 스마트계량기를 기반으로 실시간 전기요금 정보를 제공해 전기요금이 비싼 시간대 전력사용을 저렴한 시간대로 변경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그리드, 풍력과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를 전력망에 안정적으로 연계하고 남는 전력은 다른 지역으로 전송할 수도 있도록 하는 스마트그리드, 전기충전소와 배터리 교환소가 구비되는 스마트그리드, 가정에서 자동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설비가 구축되는 스마트그리드, 맞춤형 에너지 정보나 수요관리나 실시간 요금제 등을 제공하는 스마트그리드,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이 연계되는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내 건물들에 에너지 시설 관리 및 에너지 절감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로부터 창출된 에너지 절감 수익을 건물주와 공유하는 건물관리 서비스에 이용되는 스마트그리드, 전기 및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전력망을 지능화 및 고도화함으로써 고품질의 전력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력망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스마트그리드에는 건물 내 전력이나 가스나 물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냉·난방 운영설비 또는 시스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 스마트계량기(AMI),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 전기차 및 충전소, 분산 전원, 신·재생에너지, 양방향 정보통신기술, 지능형 송·배전시스템 등이 구비 또는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그리드는 에너지 소비 컨설팅, 전력 재판매, 수요 반응, 수요 측 발전자원 전력 거래, 수용가에 설치된 태양광 시설, 풍력발전기, ESS, 전기차 기반 가상발전소 운영, 전기차 급속 또는 완속 충전, 전기차 이동 충전, 전기차 대여,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및 품질 개선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계량기는 스마트계량기,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스마트미터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원격 검침기를 통해 측정해 전력 사용 현황을 자동 분석하는 기술,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력 사용량을 자동으로 검침하고, 그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는 똑똑한 스마트 미터 또는 계량기, 수집한 정보를 와이파이 등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AMI, 전국 또는 지역별 가구에 보급되는 AMI, 사람이 직접 돌아다니며 검침하는 데 따라 발생하는 오차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통해 효율적으로 전력을 생산·관리하는 AMI 등이 해당된다.
상기 CCS는 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탄소포집및저장, 이산화탄소포집저장, 연소 후 포집기술, Post combustion technology, 연소 전 포집기술, Pre combustion technology, 연소 중 포집기술, 산소연소기술, Oxy-fuel combustion technology, 흡수제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연소 후 포집기술, 지구온난화 물질을 원천적으로 제거한 오염 무배출의 연소 후 포집기술,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고압(20~60 atm)에서 포집하고 저압에서 회수하는 연소 전 포집기술, 이산화탄소 분리 시 에너지 소비가 낮아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연소 전 포집기술,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해 발전소나 철강이나 시멘트 공장 등 대량 배출원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대기로부터 격리시키는 기술,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해양이나 지중이나 지표 등에 저장하는 저장기술, 육상 혹은 해저의 깊은 지층에 저장하는 지중 저장기술, 폐유정에 탄소 저장, 가스전에 탄소 저장, 폐석탄층에 탄소 저장, 대수층에 탄소 저장,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온실가스(Greenhouse Gas) 저감 대책 및 자원 활용화의 일환, 이산화탄소를 대량 발생원으로부터 포집(Capture)한 후 압축과 수송과정(Transportation)을 거쳐 육상 또는 해양지중에 저장(Storage)하거나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일련의 과정, 화석연료 배가스 중에서 CO2를 분리하는 기술, 고농도로 포집된 CO2를 탱크로리나 파이프라인이나 선박 등을 통해 저장소 또는 전환 플랜트로 이송 또는 수송(Transportation), 이송된 CO2를 지중에 저장하거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화학소재 또는 연료 등으로 전환이나 재활용하는 기술, 에너지효율 향상이나 신재생에너지 사용과 함께 주요 온실가스 감축 수단의 하나로 현재의 화석연료기반 경제를 유지하면서도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기술인 CCS, 이산화탄소를 해양지중에 저장, 온실가스를 배출전망치(Business as Usual, BAU) 대비 37% 줄이는 또는 저장하는 기술, 화력발전소와 같은 대규모시설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추출한 후 압력을 가해 액체 상태로 만들어 최소 800m 지하에 저장하는 기술, 온실가스 감축대책의 일환으로 발전소 등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의 해저 지중에 저장, 온실가스 감축에서 2050년까지 세계 온실가스 감축량의 약 20%를 담당하는 CCS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PENT는 PENT, Pent, A PENT, THE PENT, PENT Town, PENT City, PENT Casstle, PENT Apt, PENT House, PENT Village, Pent Building, 펜트, 어펜트, 더펜트, 펜트타운, 펜트시티, 펜트캐슬, 펜트아파트, 펜트하우스, 펜트빌리지, 펜트빌딩, 집, 주택, 건물, 하우스, 집명칭, 주택명칭, 건물명칭, 하우스명칭 등이 해당된다. 상기 PURI는 PURI, puri, purification, 청정, 정화, 청소, 크리닝, 깨끗, 깨끗함, 퓨리, 퓨리케어, 퓨리피케이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웨이퍼는 웨이퍼, wafer, 실리콘 기판, 반도체의 얇은 판, 실리콘에 칩이 부착된 기판, 반도체(실리콘)의 얇은 판, 집적회로(集積回路), 반도체를 만드는 토대가 되는 얇은 판, 집적회로의 기판(基板)이 되는 실리콘의 앓은 소편(小片), 몇 백개의 IC칩이 배열된 기판, 표면에 트랜지스터나 다이오드 등의 소자가 부착된 기판, IC나 트랜지스터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실리콘 등의 단결정 기판 등이다. 상기 펄스는 펄스, 압력, 충격, pulse, electric pulse,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파(波) 또는 압력, 일정한 주기를 두고 되풀이되는 펄스, 순간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파(波) 또는 충격 또는 전류 또는 전압,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큰 진폭을 내는 전압이나 전류 또는 파동 등이다.
상기 3D, 4D에서 D는 차원, 공간, 크기, 치수, 규모, 범위 관점, dimension 등이 해당된다. 상기 PIP는 메인 영상 속에 부가적으로 작게 들어가는 영상으로서, 메이킹 필름, 감독의 제작 포인트 등 다양한 부가 정보를 볼 수 있다. 상기 PIP의 예로는 단말기 등에 디스플레이되는 한 현장의 메인 영상 속에 다른 여러개 현장의 서브 영상이 작게 보여지는 것이다. 상기 뉴노멀은 뉴노멀, New normal,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기준 또는 표준, 표준을 뜻하는 신조어, 과거에는 비정상으로 치부되다가 현재는 정상으로 간주되는 수준, 경제 위기 이후 세계경제를 특징짓는 현상, 과거에 대해 반성하고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는 기준, IT기술이 초래한 금융혁신, ICT기술이 접목되는 신기술, AI가 이용되는 기술, IoT기술이 추가되는 혁신기술 등이다.
상기 트윈은 트윈, 쌍둥이, twin, 결합, 디지털트윈, 아날로그트윈, 메타버스트윈, 가상공간트윈, 트윈기술, 디지털트윈기슬, 가상공간의 물체, 실물과 똑같은 물체, 실제와 다른 모의, 실제와 동일한 모의, 시뮬레이션 용도의 물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디지털트윈은 디지털트윈, digital twin, 물리적인 사물과 컴퓨터에 동일하게 표현되는 가상 모델, 가상공간에 구축된 디지털 트윈, 물리적 세계를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디지털 객체, 실제와 가상의 인터페이스, 다양한 물리적 시스템의 구조와 작동과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정보의 조합으로 과거와 현재의 운용 상태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등이 해당된다. 디지털트윈에 의하여 작업 전에 모의 작업하여 이의 효율 향상, 공사 전에 가상공간에서 모의 작업하여 이의 효율 향상, 건설 전에 가상공간에서 모의 건설하여 이의 안전 효율 향상, 사전에 운용 성능과 사업 프로세스를 개선, 가상 목업과 비슷한 방식으로 디지털트윈을 만들어 실제 성능 향상, 사전 모의하여 시제품 제작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 AI를 기반으로 사전에 최적의 솔루션 도출, 모의 도출 결과가 현장에 실시간 전달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함, 사전에 생산 공정 오류로 인한 비용 손실을 줄임, 모의 시연으로 자산 최적화, 돌발 사고 최소화, 생산성 증가, 설계부터 제조 및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 디지털트윈 도시, 디지털트윈 건물, 디지털트윈 공간,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행정 데이터와 국토정보의 IT를 접목시킨 디지털 트윈 도시, 현실세계의 기계나 장비나 사물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 실제 제품을 만들기 전 모의시험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 실제 도시에 도입하기 전에 설계 및 정책의 효율성을 검증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 도로 구축 전에 도로를 만들고 실제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 파악, 가상공간에 실물과 똑같은 쌍둥이 물체를 만들어 다양한 시뮬레이션 모의시험을 통해 사전검증, 3차원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방대한 양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뮬레이션의 정확도가 높아짐, 가상세계에서 장비나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유지 및 보수 시점을 파악해 개선, 컴퓨터에 현실 속 사물의 쌍둥이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 공정 관리자의 태블릿에 디지털트윈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심은 후 생산과 소비의 전 과정에 센서를 설치해 거기서 발생하는 신호가 태블릿 속 디지털 트윈에 실시간으로 반영, 특정 제품이나 공정의 디지털 트윈 프로그램 공유자는 언제 어디서나 제품 관련 문제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 실제 물리적인 자산 대신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한 자산의 디지털트윈을 만듬, 가상공간에 실제 도시와 동일한 도시를 구축하고 여기에 안전, 복지, 환경, 상권, 교통, 인구분포 등 각종 도시행정을 먼저 시험해 검증, 가상으로 사전에 모의실험이나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실제 자산의 상태나 생산성이나 동작을 최적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B2B는 Business to Business, 企業間電子商去來, 기업과 기업 사이에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 등이다. 상기 B2C는 Business to Customer, 기업 대 일반 소비자들 상대로한 마케팅, 기업이 소비자를 상대로 행하는 인터넷 비즈니스 등이다. 상기 C2C는 Customer to Customer, 개인간 거래, 소비자간 거래 등이다. 커머스는 commerce, 무역, 상업, 거래 등이다.
상기 인공지능(AI)은 인공지능, 人工知能, AI, AI모듈, 인공지능모듈, Artificial Intelligence, 인간이 지닌 지적 능력의 일부 또는 전체 혹은 그렇게 생각되는 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한 것 등이다. 인공지능에 이용되는 것은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 퍼지이론(Fuzzy Theory),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on Network),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인공지능언어, 알고리즘, 신경망, 인공신경망, 휴먼머신, 인터페이스, 컴퓨팅 등이 있다. 상기 인공지능언어는 人工知能言語, artificial intelligence language, 리스프(LISP: 리스프처리언어), 프롤로그(Prolog) 언어, 전문가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특수하게 설계된 언어.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개발에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등이다.
인공지능의 실시예 1은 센서 또는 레이저로 스캐닝, 열화상 카메라로 열을 감지, 감지된 열을 시각화, 스캐닝이나 열의 값을 수치화시키는 인공지능과 결합, 상기 결합하여 스캐닝이나 열을 수치화, 이의 수치화로 손상이나 누수 분석, 상기를 드론에 적용, 드론을 이용하여 스캐닝이나 열을 감지하여 교량이나 도로의 손상을 분석, 상기 과정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이용 등이 있다. 실시예 2는 각종 정보 데이터, 이가 입력된 입력 데이터,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모델, 상기 모델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중 유효 데이터 추출, 상기 추출된 데이터 이용, 상기 과정을 보여주는 단말기 이용 등이 있다. 실시예 3은 개인정보 입력모듈, 사업정보 입력모듈, 어플리케이션 모듈, 위젯 모듈, GPS서비스 모듈, 서비스플랫폼 모듈,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모듈,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모듈, 기본정보 및 정보데이터를 통합한 통합데이터를 생성하는 통합데이터생성모듈,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특성데이터를 산출하는 특성산출모듈,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모듈, 데이터처리시스템 모듈, 상기 과정을 보여주는 단말기 또는 메타버스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4는 물체 확인수단, 물체 추적부, 물체 촬영 카메라, 이에 연계되는 무선통신장치, 상기 장치에 연계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자료의 수집부, 상기 자료에 의한 빅데이터, 이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상기 촬영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형성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학습하는 인공지능 학습부, 상기 영상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에 의하여 이상상황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에 의하여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부, 상기 경고에 따라 이상상황을 처리하는 처리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5는 센서, 계측기, 카메라, 상기 센서의 센싱 정보, 상기 계측기의 게측 정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정보,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입력 신호, 상기 신호가 전송 및 입력되는 신경망, 상기 신경망이 내장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정보를 분석하는 AI 알고리즘,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출력 신호,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한 공사 정보, 상기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정보에 의하여 공사 및 안전 상태를 파악하는 인공지능 모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6은 a) 단말기, 이에 의하여 전송된 공사정보, 상기 공사정보를 송신하는 통신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현장 이미지, 상기 정보와 이미지를 분석하는 분석AI, 상기 이미지에 의한 치수정보; b) 인공지능 기반의 이미지 분류 모델, 이의 모델을 이용하여 기수집된 복수의 공사현장 이력이미지들 중 상기 현장에 대응되는 관련 이미지들을 도출하는 도출기; c) 상기 분석 및 도출 결과를 기초하여 자재를 결정하는 결정AI, 상기 치수정보와 공사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도면을 생성하는 도면생성기, 상기 도면에 의하여 공사하는 장비, 상기 공사를 중계하는 중계기. 공사 중 상기 도면을 수정하는 도면수정기; d) 상기 중계를 시청하는 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플랫폼,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인터넷은 인터넷, internet, 웹, 웹사이트,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 WWW), 전자메일, 파일공유, 토렌트, eMule, 웹캠, 동영상 스트리밍, 온라인게임, VoIP, 모바일앱,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망,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TCP/IP)를 기반으로 하여 전세계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망 등이 해당된다.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웹 브라우저이고, 특정 집단을 위한 폐쇄 네트워크 망은 인트라넷이고, LAN 환경기반 네트워크 방식은 이더넷이다. 상기 사이트는 사이트, site, 웹사이트, 포털사이트, portal site, 인터넷사이트, 웹사이트의 줄임말, 홈페이지, 누리집, 웹서버에 정보들을 모아놓은 곳, 인터넷에 사용자들이 정보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찾아볼 수 있도록 웹서버에 정보를 모아놓은 곳 등이 해당된다.
상기 컴퓨팅은 컴퓨팅, computing, 양자컴퓨팅, 클라우드컴퓨팅, 컴퓨터를 사용하는 행위, 컴퓨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처리 과정, 컴퓨팅(computing)은 계산을 의미, 컴퓨터(computer)는 계산하는 기구 의미,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이론적 개념, 수학적 계산을 수행(컴퓨팅)한다는 의미, 컴퓨터 기술 자원을 개발 및 사용하는 모든 활동 등이다. 컴퓨터에 속하는 양자컴퓨터는 양자컴퓨터, quantum computer, 얽힘(entanglement)이나 중첩(superposition) 같은 양자역학적인 현상을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컴퓨터, 정보를 큐비트(양자비트) 단위로 읽는 컴퓨터, 에너지나 빛의 최소 단위인 전자와 광자 등 양자의 역학을 활용, 기존 컴퓨터는 비트단위로 정보를 읽음, 1비트는 0과 1 중 하나를 선택, 기존 컴퓨터는 정보를 0과 1의 2진법으로 처리, 양자컴퓨터는 0과 1 양쪽에 해당하는 큐비트의 중첩 상태로 처리, 절대온도(-273.15도)에 가까운 극저온에서만 작동하는 초전도 회로 이용, 초저온 상태에서 전기저항을 제로(0)로 만든 회로에서 연산하는 방식 적용 등이다. 상기 양자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이 양자컴퓨팅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a) 스토리지, 서버, 애플리케이션 등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구축 모델; b) 로컬 시스템과 프라이빗 데이터 센터를 주로 대체하는 IT 리소스 관리 방식적용; c)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에서 원격 공급자가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가상 컴퓨팅, 네트워크, 스토리지 리소스에 액세스하여 이용; d)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 물리적 데이터 센터와 서버를 구입, 소유 및 유지 관리하는 대신, Amazon Web Services(AWS)와 같은 클라우드 공급자로부터 필요에 따라 컴퓨팅 파워,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기술 서비스에 액세스하여 이용하는 것; 등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에는 IAAS, PAAS, SAAS 등이 있다. IaaS는 서비스형 인프라로서, 사용자는 API를 통해 프로비저닝 가능한 IaaS를 통해 서버 공간, 데이터 스토리지, 네트워킹과 같은 인프라 기본 요소에 액세스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이용자는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보안 조치 및 기타 요소를 관리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공급자는 서버,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킹, 스토리지를 관리한다. PaaS는 서비스형 플랫폼으로서, 이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또는 업데이트할 때 인프라 계층을 직접 처리할 필요가 없고,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테스트, 실행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툴과 소프트웨어가 제공된다. SaaS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로서, 이용자는 웹 브라우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액세스하고, 청구는 사용자당 이루어진다.
상기 딥러닝은 심층학습, Deep Learning, 인공신경망 잇는 기계학습법,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사물이나 데이터를 군집화하거나 분류하는 데 사용하는 기술,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의 발전기술, 많은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비슷한 것끼리 분류하도록 하는 기술, 인공신경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기계학습 방법, 인간의 뇌신경 회로를 모방한 신경 회로망(neural network)을 구성하여 컴퓨터가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마치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인간과 유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교육하는 머신 러닝 기술 등이다.
상기 머신러닝은 머신러닝,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인공지능의 한 분야, 컴퓨터에 명시적인 프로그램 없이 배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분야, 사람이 학습하듯이 컴퓨터에도 데이터들을 줘서 학습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지식을 얻어내게 하는 분야,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arning),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할 데이터들을 사전 처리하여 최적화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면 실용화가 가능한 기계학습, 인공신경망에 기반을 둔 기계학습 기술의 한 종류인 딥러닝, 인공지능의 연구 분야 중 하나로 인간의 학습 능력과 같은 기능을 컴퓨터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기술 및 기법, 패턴인식과 컴퓨터 학습 이론의 연구로부터 진화한 분야,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고 예측을 수행하고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기술,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이나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특정한 모델을 구축하는 방식, 명시적인 알고리즘을 설계하기 어렵거나 프로그래밍하기 어려운 작업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 데이터가 생성한 잠재적인 메커니즘의 특징을 파악하여 복잡한 관계를 정량화한 후 이 식별된 패턴을 사용하여 새로운 데이터 예측,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규칙이나 지식 표현 혹은 판단 기준 등을 추출 등이거나, 또는 등이 이용된다.
머신러닝의 기법 및 모델들로는 트리 구조 형태를 예측 모델로 사용하는 의사 결정 나무(Decision Tree), 생물의 신경 네트워크 구조와 기능을 모방하는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 생물의 진화 알고리즘에 기반한 유전자 프로그래밍(Genetic Programming), 관측된 예를 군집이라는 부분집합으로 분배하는 군집화(Clustering), 무작위로 추출된 난수를 통해 함수값을 확률로 계산하는 몬테카를로 방법(Monter Carlo method) 등이 있다. 머신러닝은 컴퓨터 시각(문자 인식, 물체 인식, 얼굴 인식), 자연어 처리(자동 번역, 대화 분석), 음성 인식 및 필기 인식, 정보 검색 및 검색 엔진(텍스트마이닝, 스팸 필터, 추출 및 요약, 추천 시스템), 생물 정보학(유전자 분석, 단백질 분류, 질병 진단), 컴퓨터 그래픽 및 게임(애니메이션, 가상현실), 로보틱스(경로 탐색, 무인 자동차, 물체 인식 및 분류) 등의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학습 시스템에 정보 및 데이터를 입력하는 형태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① 감독(supervised) 학습 : 입력과 이에 대응하는 미리 알려진 출력(인간 전문가가 제공)을 매핑(mapping)하는 함수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② 비감독(unsupervised) 학습 : 출력 없이 입력만으로 모델을 구축하여 학습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마이닝의 대부분의 기법이 이에 해당한다. ③ 강화(reinforcement) 학습 : 학습자가 행동을 선택하여 행동으로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이에 대한 피드백으로 보상치를 얻어 학습 알고리즘의 가이드로 사용한다.
상기 바이오, 미생물 등은 a) 바이오, bio, 미생물, 微生物, 배양 바이오, bio material, 분해 미생물, 발효 微生物, 바이오작용, bio 기능, 미생물 성능, 微生物 역할, 바이오 증식, bio 배양, 미생물 발효, 微生物 분해, 바이오 본딩, bio binding, 미생물 씰링, 微生物 힐링; b) 또는 피톤, 피톤치드, 촉매, 광촉매 등이 함유된 바이오, bio, 미생물, 微生物 등이다. 상기 재는 재, 再, 재이용, 재사용, 재활용, 재적용, 리사이클링, re, recycling 등이다. 상기 폐는 폐, 廢, 폐기, 廢棄, 버리기, 폐기물, waste, abandon 등이다.
상기 빅데이터는 빅데이터, big data,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테라바이트 이상의 데이터, 정보시대의 원유, 빅(Big)과 데이터(Data)의 합성어, 어마어마하게 많은 데이터, 정형화된 데이터, 메타정보, 센서데이터, 공정제어데이터, 반정형화된 데이터, 사진이나 이미지 등의 비정형 데이터, 기업 데이터, 웹 데이터, 센서 데이터, 페타바이트(PB) 규모의 데이터, 대용량 데이터, 가치를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아키텍처, 수십 테라 바이트 혹은 수십 페타바이트 이상 규모의 데이터,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 등이다. 상기 빅데이터의 플랫폼은 빅데이터 기술의 집합체, 데이터 기술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된 환경, 빅데이터를 수집과 저장와 처리 및 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거나 활용하는 데 필요한 필수 인프라(Infrastructure), 빅데이터라는 원석을 발굴하고, 보관, 가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합적으로 제공 등의 특징이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에는 아파치 하둡(Apache Hadoop)과 같은 Map-Reduce 방식의 분산 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가 있다. 빅데이터의 활용을 위하여 비즈니스 요구사항 확인, 필요한 데이터 검색,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모델 구축, 모델링 검증작업, 실전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작업 등이 필요하다.
데이터를 마이닝하는 데이터 마이닝은 대용량 데이터(빅데이터) 속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상호 연관성, 패턴 등을 찾아내는 방법론이다. 여기에는 복잡한 통계기법이 응용되며, 복잡한 변수의 상관관계 속에서 핵심적인 변수를 추출하는 분석 기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데이터 마이닝 도구로는 SAS나 R 등이 있는데, R을 이용한 데이터 마이닝은 병렬처리(multi-core)가 가능하며, 다양한 최신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클러스터(하둡 지원 필요), 클라우드, 다양한 함수(4200+packages)를 지원한다. R은 오픈 소스 프로그램으로, 통계, 데이터 마이닝 및 그래프를 위한 프로그램 언어로서, R을 이용하여 대략 1,000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에는 1~2시간(병렬처리)이 걸린다. 데이터 마이닝 기법에는 크게 ① 연관성 탐사(Association Analysis), ② 연속성 탐사, ③ 분류 규칙 탐사(Classification)와 군집 구분(Clustering), ④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⑤ 예측(Forecasting), ⑥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등이 있다.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는 추상적인 정보를 인간이 효과적으로 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는 것이다.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하고 추상적인 데이터도 적절한 시각화를 통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로부터 새로운 영감과 통찰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데이터 분석 결과 및 정보를 타인과 쉽게 공유할 수 있다.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에는 많은 컴퓨팅 자원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하나의 단일 서버에서 처리하기보다는 클러스터상에서 분산하여 처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클러스터 환경을 구축하는 방식에는 하둡(Hadoop)과 같은 분산처리 프레임워크 방식이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이러한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에는 큰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는 것이다. 클라우드는 서버 구매 및 추후 확장에 대한 고려 없이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의 컴퓨팅 리소스를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의 금액만 지불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관리 문제까지 함께 해결할 수 있다. 빅데이터는 의료, 의료정보, 치료, 진료, 환자정보, 신약개발, 질병조기진단, 개인의 게놈(Genome)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별 맞춤 약품 개발 및 처방, 유통, 마케팅, 소비자의 과거 구매 이력, SNS 메시지, 현재 위치, 최적 상품 및 구매 조건을 실시간으로 제시, 소비자 반응을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대응, 제품 A/S, 품질 개선, 제품에 부착된 원격 센서로 제품 상태를 모니터링, 원격수리, 담당자를 파견하여 수리 조치, 제품 사용 패턴, 고장 이력, 차기 제품 개발에 반영, 인프라, 교통, 전력, 실시간 최적 경로 제시, 과거의 기후/날씨 정보, 전력 사용 패턴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 전력 요금 설계, 발전 설비 건설 계획 수립 등에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메타, 버스, 메타버스 등(97, 100)은 a) 메타, meta, 버스, verse, 메타버스(97), metaverse, 메타버스공간(100), 메타버스세상, 메타버스세계, 메타버스시설, 메타버스장비, 공간, 세계, 3차원공간, 3차원영상공간, 3차원동영상공간, 3차원세계, 3차원 가상세계, 3차원 가상공간(100), 현실세계와 같은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 아바타(abata)가 활동하는 공간, 아바타가 활동하는 가상공간, 아바타가 활동하는 3차원공간, 자신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활동하는 3차원공간, 가상이나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버스, 가상이나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 가상현실(VR)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 아바타를 활용해 실제 현실과 같은 활동을 할 수 있는 세계, 아바타를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는 가상의 세계, 3차원 가상현실 기반의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세계, UGC(User Generated Content) 상품이 이용되는 가상세계, 트윈기술이 이용되는 메타버스, 디지털트윈기슬이 이용되는 메타버스, 소셜서비스(SNS)의 플랫폼에서 아바타가 상호 교류하고 쇼핑하며 현실처럼 활동하는 공간,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몰입 기기 활용되는 가상공간; b) 아바타(avatar)를 통해 실제 현실과 같은 생활, 작업, 업무, 회의, 쇼핑, 놀이, 여행, 사회, 경제, 교육, 문화, 과학, 기술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는 3차원 공간 플랫폼; c) 또는 PC, 폰, 서버,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플랫폼 등에서 구현되는 또는 시청되는 가상공간, 가상세계, 3차원 가상세계, 3차원 가상공간; d) 상기 PC 내지 플랫폼 등의 속, 내부, 환경, 조건, 생태 등에 구현되는 가상공간, 가상세계, 3차원 가상세계, 3차원 가상공간;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공간은 가상, 구간, 단지, 토지, 부지, 가상공간, 가상세계, 가상랜드, 가상토지, 가상단지, 가상부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假想現實), 가상현실공간, 가상현실세계, 사이버공간, 인터넷공간, 인터넷사이트,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메타버스세계, 1차원공간, 2차원공간, 3차원공간, 4차원공간, 3차원가상공간, 앱, 앱공간, 폰앱, 폰앱공간, 스마트폰앱, 스마트폰앱공간, 컴퓨터공간, 컴퓨터앱공간, 컴퓨터 속의 가상공간, 앱의 공간, 폰앱의 공간, 스마트폰앱의 공간, 컴퓨터, 컴퓨터사이트, 인터넷, 인터넷공간, 모니터, 모니터공간, 현실 및 가상공간, 실제세상 및 가상공간, 지구 및 가상공간, 사람이 사는 공간 및 가상공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아바타(avatar)는 온라인 또는 가상세계에서 개인을 대신하는 개체, 사람, 캐릭터, 분신, 화신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메타버스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되는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하여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융합기술은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둘 이상이 융합 또는 복합된 기술이다. 상기 생명공학 또는 생명기술은 생명, 생물, 미생물, 바이오 등을 다루는 또는 등에 관련되는 또는 등이 이용되는 공학 또는 기술이다. 상기 4차산업기술은 상기 IT 내지 생명기술, 또는 상기 IT 내지 생명기술 등이 이용되는 기술이 해당된다. 상기의 예로는 IT와 5G, 3D와 4D, Al와 IC, VR와 AR, MR와 XR와 DX, ICT와 NFT와 IoT, IoE와 AIoT와 GPS와 SNS, LTE와 WiFi와 안전, 구호와 구조와 세이브와 세이프와 자동, 오토와 자율과 로봇, 모빌과 무인과 유인과 무선, 유선과 소자와 에코, 그린과 환경와 생태, 친환경청정정화, 살균소독방역, 방제보호보안, 케어비콘전기전자, 통신정보만능원격리모트, 생명을 다루는 기술, 생물이용기술, 미생물이용공학, 바이오생명공학, IT생명기술4차산업기술, IT5G생명4차산업기술, IT5G3D생명4차산업기술, IT와 5G 기술, 3D와 4D 이용 기술, Al와 IC의 융합 기술, VR와 AR 복합 기술, MR와 XR와 DX 기술, ICT와 NFT와 IoT 이용 기술, IoE와 AIoT와 GPS와 SNS 적용 기술, LTE와 WiFi 통신이 이용되는 안전 기술, 구호와 구조와 세이브와 세이프와 자동 기술, 오토와 자율과 로봇 이용 기술, 모빌과 무인과 유인과 무선이 복합된 기술, 유선과 소자와 에코 이용 기술, 그린과 환경와 생태 기술, 친환경청정정화 기술, 살균소독방역 작업, 방제하여 보호하고 보안, 사람의 안전을 케어하는 비콘이 구비된 전기전자 제품, 통신으로 정보를 만능적으로 원격으로 리모트 조정, 생명을 다루는 IT기술, 생물이용 AI기술, 미생물이용 LoT 공학, 바이오생명을 ㅇnl한 안전공학, IT와 생명기술과 4차산업기술 이용 제품, IT 5G 생명 4차산업 기술 이용의 시설, IT 기술로 5G 통신을 이용하여 3D의 생명을 보호하는 4차산업기술 적용 등이다.
본 발명에서 내진은 내진, 지진에 저항, 지진에 견딤; 방진은 방진, 진동에 저항, 진동에 견딤; 방식은 방식, 내식, 부식에 저항, 부식방지; 자동은 자동, 자율, 오토, 자동제어, 자동운전, 자동측정, 로봇이용, 공기질 자동 특정; 수동은 수동, 인력이용, 사람으로 제어, 사람에 의하여 운전; 원격은 원격, 먼거리, 원격, 제어, 원격 측정, 원격 운전; 조정은 조정, 자동조정, 컨트롤, 원격조정, 로봇조정, 사람조정, 밸브조정, 공기질조정; 제어는 제어, 원격제어, 자동제어, 수동제어, 리모트컨트롤러 이용 제어, 실내 제어, 실외에서 제;, 운전은 운전, 자동운전, 수동운전, 원격제어운전, 밸브실운전, 밸브운전; 컨트롤은 컨트롤, 제어, 조정, 조종, 운전, 수동컨트롤, 자동컨트롤; 에코는 에코, eco, 생태, 환경, 친환경; 나노는 나노, nano, 미소, 미세, 10억분의 1, 微少, 나노미터, 10-9m; IT는 IT, 정보기술, 정보이용, 정보포함, 측정정보포함, 센서 측정 정보포함, 정보기술이용, information technology; IoT는 IoT, 사물인터넷, 사물이 인터넷을 함, 인터넷을 하는 사물, 인터넷이 되는 사물 구비, 인터넷이 되는 사물 구비의 밸브실, 인터넷이 되는 사물인 모뎀 구비, internet of things; ICT는 ICT, 정보통신기술, 정보통신이용, 정보통신포함, 측정 정보와 이의 정보를 통신하는 기술, 센서 측정 정보와 이를 통신하는 장치 포함, 정보통신기술이용,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는 정보, 측정정보, 센서정보, 공기질정보, 유해물질정보, 유해물질농도 정보; 스마트는 스마트, 첨단, 복합, IT이용, ICT이용, IoT이용, 최첨단, 하이브리드, 스마트장치, 스마트수단; 기술은 기술, 정보기술, 통신기술, IT기술, ICT기술, IoT기술; 통신은 통신, 교신, 통화, 무선통신, 유선통신, 모뎀통신, 인터넷통신, 통신연결, 핸드폰, 스마트폰, 핸드폰통화, 스마트폰통신; 송신은 송신, 발신, 정보송신, 영상송신, 무선송신, 유선송신, 측정정보송신, 촬영영상송신, 센서측정정보 송신, 캠촬영영상 송신; 수신은 수신, 받음, 정보수신, 영상수신, 무선수신, 유선수신, 측정정보수신, 촬영영상수신, 센서측정정보 수신, 캠촬영영상 수신; 사물은 사물, 물질, 물체, 장치, 장비, 수단, 사람, 모뎀, 로봇, 기기, 기구, 기계; 인터넷은 인터넷, 인터넷통신, 인터넷연락, 인터넷연결; 사물인터넷은 사물인터넷, 사물이 하는 인터넷, 사물을 통한 인터넷, 밸브실에 구비된 사물에 의한 인터넷, 밸브실에 구비된 사물인 밸브에 의한 인터넷, 밸브실에 구비된 사물인 밸브에 모뎀이 장착되어 모뎀이 장착된 밸브에 의한 인터넷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바이오, 미생물 등은 바이오, 미생물, 바이오제, 생물, 박테리아, 바이오 성분, 미생물 함유, 생물 이용, 미생물 증식, 박테리아 포함, 바이오 처리, 미생물 처리, 바이오 항균 처리, 미생물 함유 바이오, 미생물 함유 바이오제, 미생물 이용 항균 처리, 바이오 이용 청정, 미생물 이용 정화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기능, 기능성, 다기능 등은 기능, 기능성, 다기능, 기능 보유, 기능성을 가짐, 다기능 구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기능,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기능을 가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을 하는 또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되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안전한 수단(2), 구호 용도의 헬멧(2, 21), 사람을 세이브하는 안경(2, 22), 작업자 세이프 용도의 완장(2, 23), 자동 주행하는 시설, 오토 설비, 로봇의 조끼(2, 24), 모빌 물체, 무인 시설, 유인 장치, 무선으로 가동하는 시설, 유선 연결된 설비, 에코의 친환경 시설, 그린의 저탄소녹색 물질, 청정 기능을 가진 설비, 정화하는 장치, 살균되는 시설, 소독된 설비, 방역하는 기구, 방제하는 장치, 케어 용도의 시설, 비콘이 구비된 시설, 전기 시설, 전자 제품, 통신 장치, 정보 장비, 만능 기구, 원격 장치, 리모트 기기, 지능현 로봇, 비트 구비 장비, 코드 연결 장치, 펄스 발생 설비, 신호 발생 장치, 필드에 구비된 기기, 측정 용도의 시설, 제어하는 기계, 계측하는 센서, 화학 기구, 물리 장치, 생물 센서, 헬스 시설, 케어 기구, 인공 시설, 논리 로봇, 지식을 가진 사물, 지능 로봇, 나노미터 크기의 나노 장치, 칩 구비의 시설, 센서 장착 멜빵(2, 25), 소자가 구비된 밴드, 진자가 구비된 시계(2, 27), 기판이 장착된 컴퓨터, 모듈이 장착된 무전기, 회로가 장착된 계측기, 스마트 밴드, 모바일 기구, 포터블 장치, 인터넷 무전기, 디지털 시설, 바이오 사물, 미생물 함유 자재, 데이터 처리장치, 반도체 내장 기구, 컴퓨터 이용 서버, 메모리 내장 모니터, 실리콘 센서, 웨이퍼 내장 모니터, 컨트롤하는 장치, 시스템 서버, 웨어러블 워치, 연성 재료, 플렉시블 자재, 메타 제어기, 버스 스크린, 메타버스 시설, 아바타가 이동하는 모니터, 인공지능 시설, 프로세스 단말기, 마이크로 장치, 로보틱스 설비, 빅데이터 서버, 모니터링 장비, 아날로그 통신망, 프로그램 서버, 블록체인 시설, 자율주행 드론, 자동제어 비행기, 자동감시 시설, 원격관리 시스템, 원격가동 카메라, 원격조정 랜턴, 트랜지스터 장착 청정기, 하이브리드 정화기, 인텔리전트 빌딩, 리모트컨트롤 장치, 텔레매틱스 시설, telematics 디바이스, 5G 통신망, IT 구비 PC, Al 이용 제어기, IC 장착 핸드폰, ICT 이용 시설, IoT 착용구, IoE 디바이스, VR 모니터, AR 스크린, LTE 통신장치, WiFi 무전기, meta 시설, verse 설비, save 기구, safe 장비, smart 장치, safety 작업화, wearable 조끼, flexible 시설, wearable technology가 적용되는 의류, PTT(Push To Talk)의 무전기, Watcher의 카메라, PIP(picture in picture)의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a)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포장, 청정, 처리, 수단, 장치, 장비(41), 기기, 기구, 디바이스, device, 드론(42), 항공기, 트럭, 도져,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부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사물, 만물, 생물, 몸(30), 사람(30), 신체(30), 몸체(30), 로봇(30), 동물(30), 아바타(30), 공장(100), 현장(100), 공간, 지반, 지중, 지하, 사면, 법면, 터널, 도로, 옹벽, 교량, 항만, 지하철, 시설, 건물(101),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구조물, 근로자(30), 작업자, 관리자(31), 총괄자(32), 이용자(33),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세척기, 세정기, 분사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오존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정화장치, 소독장치, 살균장치, 공사장비, 제조장비, 생산장비, 공장장비, 현장장비, 헬멧, 안경, 완장, 의류, 조끼, 밴드, 멜빵, 시계, 워치, 신발, 안전화, 안전고리, 착용구, 착용물, 장신구,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포켓, 통신수단,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핸드폰, 스마트폰, 계측기, 디스플레이, 본사, 지사, 사무실(110), 관제센터(120),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안전관리시스템(1); b) 상기 중 하나의 전(前), 후(後), 좌(左), 우(右), 상(上), 중(中), 하(下), 문(門), 창(窓), 띠, 어깨띠, X띠, 대, 줄, 쫄대, 창문, 전면(3), 후면(4), 측면, 전방(3), 후방(4), 측방, 중간, 내부, 외부, 내면, 외면, 일면, 양면, 일측, 양측, 상부, 하부, 상단, 하단, 선단, 연단, 일단, 타단, 양단, 포켓, 섬유, 재료, 인근, 근처, 현관, 대문, 입구, 출구, 출입구, 개찰구, 이격부, 접촉부, 연결부, 결합부, 접속부, 주머니, 중공부, 테두리, 가장자리, 1개, 2개, 3개, 5개, 10개, 20개, 30개, 50개, 100개, 다수개, 2개 이상, 1세트 이상, 1지점, 2지점, 3지점, 2지점 이상, 양지점, 다지점; 등에는 1)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포켓(20'), 기구(10), 소자, 스피커, 마이크, 계측기(18), 측정기, 측량기, 트래커, 헬멧(21), 안경(22), 완장(23), 의류, 조끼(24), 밴드, 멜빵(25), 손목밴드(26), 워치(27), 안전화(28), 고리, 안전고리(29), 착용구(10), 착용물(10), 부착구(10), 부착물(10),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에어백, 히터, 쿨러, 전선, 케이블, 플러그, 콘센트, 정류기, 정압기, 탄소선, 발열체, 열선, 발열선, 트래커, 플랫폼, 스마트폰(35), GPS, GIS, 카드, card, 태그, tag, ID카드(identity card, identification card), ID태그, 신원카드, 통신기(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인터페이스, 위치추적시스템, 원격통제시스템, 인증시스템, 단말기(90), PC(91),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94), 디스플레이; 2)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3)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의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착용, 정착, 장착, 병합, 합체, 연결,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은 1개, 2개, 3개, 다수개, 2개 이상 등으로 상기 이용 내지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착용되는 착용물 또는 부착되는 부착물은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에 의하여 센싱, SOS알림, 조명, 촬영, 무전, 위험알림, 야간인식, 야간식별, 인디케이션, 계측, 전원공급, 제어, 보관, 수납, 일, 정보인식, 스피킹, 소통, 통화, 계측, 측정, 측량, 트래킹, 머리착용, 머리보호, 눈보호, 작업반장표시, 신체보호, 상체보호, 손목보호, 건강체크, 안전조치, 손목맥박체크, 건간진단, 발보호, 신체안전조치, 안전관리, 신체착용, 착용물착용, 부착구착용, 부착물장착, 필드관리, 신체관리, 몸보호, 히팅, 쿨링, 전원제공, 탄소선구비, 발열, 가열, 열방사, 트래킹, 정보플랫폼 구축, 스마트폰 통화, 인식, 식별, GPS 좌표 인식, GIS 지형 인식, 카드인식, card 식별, 출입 태그, tag 출입관리, ID카드 인식, ID태그 추적, 신원카드 인식, 통신, 무선통신, 서버 저장, 정보처리, 인터페이스 연결, 위치추적, 원격통제, 인증, 단말기에 영상 제공, PC 시청, 시연, 공연, 행사, 구경, 영상 구경, 컴퓨터 청취, 모니터 시청, 스크린 시청, 핸드폰 영상통화, 태블릿 시청, 디스플레이 화면시청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은 상기 센싱 내지 화면시청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을 하는데 기여를 한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적용예로는 사람(30), 필드수단(40), 장비(41), 로봇(30), 드론(42); 이중 하나에 구비된 수단 또는 웨어러블 수단(2); 상기 사람 내지 수단 중 하나에 구비된 기구(10)와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상기 사람이 소유한 스마트폰(35); 상기 기구에 속하는 센서(11) 및 계측기(18)에 의한 센싱; 상기 기구에 속하는 카메라(14)에 의한 촬영; 상기 센싱 및 촬영 정보를 통신하는 비콘(51)과 게이트웨이(52)와 통신장치(50); 상기 정보를 무선송신하는 통신망(60); 상기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70); 상기 정보를 처리 및 연산하는 처리장치(80); 상기 정보가 공급되는 단말기(90); 상기 서버가 구비되는 관제센터(120);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 상기 단말기가 구비되는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이용자(33);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가상공간에서 구현되는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현장, 공장, 농장, 가정, 작업장;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X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머신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퓨리는 퓨리, 청정, 정화, 정수, 청결, 청소, 세정, 세척, 세정, 케어, puri, purification 등을 나타낸다.
상기 가상은 가상, 假象, 假想, 假像, 버추얼, virtual, 디지털, 가상이란 진리로 보이나 실제로는 오류인 것, 사실이 아니거나 사실 여부가 분명하지 않은 것을 사실이라고 가정하여 생각함 등이다. 상기 가상의 예로는 가상인간, 가상사람, 가상아바타, 인공, 인공지능, AI, 어스, earth, 가상어스, 가상토지, 가상자산, 가상동산, 가상부동산, 가상화폐, 가상카드, 가상그림, 가상현실, 가상제품, 가상물품, 가상상품, 가상용품, 가상의류, 가상음식, 가상자재, 가상재료, 가상주거, 가상생활, 가상활동, 가상업무, 가상일, 가상제조, 가상생산, 가상공사, 가상건설, 가상시설, 가상설비, 가상건물, 가상주택, 가상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바타, 가상인간, 인플루언서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가상인간은 아바타, 가상인간, 假想人間, 로봇, 인플루언서, 버추얼휴먼, virtual human, 디지털휴먼, 가상사람, 로봇, 가상앵커, 가상가수, 가상모델, 가상연예인, 가상아이돌, AI사람, AI인간, AI로봇, AI앵커, AI가수, AI모델, AI연예인, AI아이돌, AI엔터테인먼트, 디지털 세상에 존재하는 인간 또는 가상인간 등이다. 상기 아바타는 아바타, 화신, 化身, 화신불, 응신, 로봇, 마네킹, 성육신, 인조인간, 가상인간, 인플루언서,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람,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가상인간, 신들의 분신, 하늘에서 내려온 자, 지상에 내려온 신, 사용자의 분신, 자신이 직접 조작하는 캐릭터, 자신을 대신한 가상인간, 플레이어의 분신, 온라인상 가상 캐릭터, 캐시 아이템, 사람 모양의 아이콘, 화신(化身)이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 avatar, avatara, incarnate, incarnation, embodiment, virtual human, robot, mechanical man, cyborg, cyber human, player character 등이다.
상기 인플루언서는 인플루언서, 아바타, 로봇, 가상인간, 가상인플루언서, 버추얼인플루언서, 아바타인플루언서, influencer, virtual influencer, 영향력 있는 사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 감화시키는 사람, 대중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 영향력이 큰 블로그(blog)를 운영하는 파워블로거, 온라인콘텐츠창작자, SNS홍보대사, 플랫폼 인플루언서, 인터넷 방송자, 유튜버, 틱톡커, 블로거, 트위치 스트리머, 크리에이터, 스토리텔러, VJ(video jockey), BJ(broadcast jockey), BJ(broadcasting jockey), SNS에서 수많은 팔로워(follwer: 구독자)를 통해 대중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것 또는 가상인간, SNS나 인터넷 방송 등에서 인지도를 쌓고 이 인지도로 인기를 얻으면서 이를 이용해 광고나 협찬을 받으면서 돈을 버는 이들,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에서 수많은 구독자(팔로워)를 보유한 SNS 유명인 혹은 유튜버 등이다.
상기 웨어러블은 a) 착용, 着用, 착복, 입기, 구비, 구성, 거치, 위치, 장착, 정착, 웨어, 웨어링, 웨어러블, wear, wearing, wearable, cover, covering, 덮기, 카바, 카바링, 입기, 쓰기, 차기, 끼기, 착용용(用), 착용용도, 착용 가능한, 몸에 입기, 머리에 쓰기, 손목에 차기, 손가락에 끼기, 걸기, 목에 걸기; b) 또는 몸, 신체, 인체, 몸체, 머리, 헤드, 헤어, 이마, 어깨, 가슴, 상체, 하체, 허리, 손, 발, 팔, 목, 눈, 코, 귀, 입, 털, 등, 뼈, 살, 이, 혀, 이빨, 구강, 내장, 위장, 소장, 대장, 근육, 손등, 눈썹, 얼굴, 안면, 다리, 가락, 손가락, 발가락, 톱, 손톱, 발톱, 혈관, 핏줄, 피부, 외피, 진피, 내피, 손목, 팔목, 무릎, 사람, 인간, 인물, 사물, 로봇, 동물, 아바타, 마네킹, 허벅지, 엉덩이, 종아리, 정강이, 손바닥, 발바닥, 장구류, 머리카락, 인조인간, 가상인간, 인플루언서, 머리에서 발까지 등에 상기 착용 내지 걸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사람, 인간, 로봇, 아바타 등은 사람, 인간, 로봇, 아바타, 마네킹, 인조인간, 가상인간, 인플루언서, virtual human, robot, mechanical man, cyborg, cyber human,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람,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가상인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수단(2)은 a) 헬멧(21), helmet, 모자, 캡, cap, 햇, hat, 옷, clothes, 의류, 의복, wear, garment, apparel, 조끼(24), vest, 신호수조끼, 바지, trousers, 상의, 하의, 셔츠, shirt, 팬티, pants, 티, 티셔츠, T-shirt, 후드, 후드티, 목도리, 숄더, 토시, arm warmers, 팔토시, 복장, 작업복, 보호복, 업무복, 분진복, 방진복, 아대, 다리아대, 정강이아대, 보호대, 팔보호대, 무릎보호대, 골반보호대, 메쉬 무릎보호대, 손목 보호대(Wrist guard), 발목 보호대(Knee pad), 패치, patch, 패드, pad, 어깨패드, 조끼패드, 숄더패드, 팔꿈치 패드, 완장(23), armband, 띠장, 장화, 가슴장화, 구두, 신발, 슈즈, shoes, 작업화(28), 안전화, 양말, socks, 마스크, 가면, 두건, 방독면, 얼굴두건, 각반, 가방, 백, bag, 팩, pack, 백팩, 밴드, band, 넥밴드, X밴드, 손목밴드(26), 허리밴드, 어깨밴드, 바지밴드, 멜빵(25), 벨트, belt, 안전벨트, 허리벨트, 띠, 혁띠, 허리띠, 머리띠, 웨빙띠, 안전웨빙띠, 핀, pin, 옷핀, 머리핀, 넥타이핀, 하네스, harness, 시계(27), 워치, watch, 링, ring, 귀링, 반지, 반지링, 가락지, 마개, 귀마개, 팔찌, bracelet, 장갑, gloves, 목장갑, 코팅장갑, 수갑, 수건, 손수건, 안경(22), glasses, 고글, 안경테, 보안경, 용접경, 셋, 헤드셋, 폰, 이어폰, 핸드폰, 스마트폰, 걸이, 목걸이, 넥걸이, 귀걸이, 옷걸이, 타이, 넥타이, 목타이, 파스, 부착파스, 신신파스, 안마파스, 근육파스, 안마기, 마사지기, 단추, 옷단추, 옷구멍단추, 보호구, 보호물, 착용구, 부착구, 착용물, 부착물, 웨어링 수단, 웨어러블 수단, 사람에게 착용되는 수단, 사람에게 착용되는 기구, 사람에게 착용되는 착용구, 사람에게 착용되는 착용물, 사람에게 부착되는 부착구, 사람에게 부착되는 부착물, 입는 것, 착용하는 것, device, wearable device, 키, key, 자동차키, 키 트랙커, key traker, 트랙커 키, 고리, 귀고리, 코고리, 입술고리, 멜빵고리, 밴드고리, 벨트고리, 안전고리(29), 허리밴드에 연결되는 안전고리, 허리밴드에 연결되는 끈에 연계되는 안전고리, 끈의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어 일측의 고리가 작업자의 허리밴드에 연결되고 타측의 고리가 고층의 안전봉에 연계되는 안전고리; b) 사람이나 사물에 착용되는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c) 또는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아바타, 마네킹, 사물, 만물, 생물, 자재, 재료, 시설, 건물,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등에 구비되는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d) 또는 상기 IT 내지 wearable, 착용 내지 걸기 등의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e)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중 둘 이상 복합, 복합수단, 복합웨어러블수단;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웨어러블수단의 예로는 헬멧과 옷, 모자와 상의, 캡과 셔츠, 옷과 바지, 조끼와 멜빵, 바지와 상의, 하의와 셔츠, 팬티와 티셔츠, 후드와 목도리와 숄더, 토시와 작업복과 아대, 패치와 패드와 완장, 장화와 마스크와 가면, 작업화와 두건과 가방, 백과 밴드와 벨트와 혁띠, 옷핀과 머리핀과 넥타이핀, 하네스와 시계와 링, 팔찌와 장갑과 수건, 안경과 헤드셋과 이어폰, 핸드폰과 목걸이와 넥타이, 자동차키와 귀고리와 밴드와 벨트, 사람 머리의 헬멧과 신체의 옷, 머리에 장착된 모자와 상체에 장착된 상의, 사람의 머리 캡과 상체 셔츠, 사람의 옷과 바지, 상체에 착용된 조끼와 조끼에 걸친 멜빵, 사람의 바지와 상의, 하체에 착용된 하의와 상체에 착용된 셔츠, 인부의 하체에 착용된 팬티와 상체에 착용된 티셔츠, 작업자의 목에 착용된 후드와 목도리와 어깨에 착용된 숄더, 인부의 팔에 토시와 몸에 작업복과 다리에 아대, 옷에 부착된 패치와 패드와 팔에 부착된 완장, 발의 장화와 입의 마스크와 얼굴의 가면, 발의 작업화와 머리의 두건과 등에 가방, 사람 손에 백과 손목에 밴드와 가슴에 벨트와 허리에 혁띠, 근로자의 옷에 옷핀과 머리에 머리핀과 넥타이에 넥타이핀, 상체에 하네스와 손에 시계와 귀에 링, 손목에 팔찌와 손에 장갑과 포켓에 수건, 눈의 안경과 머리의 헤드셋과 귀의 이어폰, 손에 핸드폰과 목에 목걸이와 상의에 넥타이, 손에 자동차키와 귀에 귀고리와 가슴에 밴드와 허리에 벨트 등이다.
본 발명의 수단, 장비, 안전장비, 웨어러블수단 등에는 헬멧, 안전헬멧, 벨트, 안전벨트, 원터치 벨트, 상체식 안전벨트, 전체식 안전벨트, 상체 및 하체의 전체식 안전벨트, 방지대, 추락방지대, 추락방지고리, 추락방지세트, 테이프, tape, 접착테이프, 반사테이프, 야광테이프, 위험표시테이프, 사다리, 보강대, 사다리보강대, 눈응급세척장치, 프로텍트, protect, 바디 프로텍트, 흉부 프로텍트, 하드 흉부 프로텍트, 에어스팟 프로텍터, 패드, pad, 어깨 패트, 허벅지 패트, 체스트 패드, 손목 어시스트 밴드, 안전대 패트, 안전대 이너패트, 쉴드, shield, 레그 쉴드, leg shield, 프로텍션, protection, 세안병, 눈 응급세척 장치, 눈 응급 세안 장치, 가드, guard, 바디 가드, 줄, 죔줄, 엘라스틱 죔줄, 더블엘라스틱 죔줄, 로립, lorip, 로프, rope, 자일, seil, 안전로프, 안전자일, 타이트너, tightener, 로프 타이트너, 버클, buckle, 그립, grip, 헤이븐 그립, 텀버클, 캠버클, 리플렉터, reflector, 글리머, gleamer, 샤이너, shiner, 망, net, 안전망, 러셀망, 차광망, 비밀, 천막, 릴, reel, rill, 안전릴, 세이프티릴, 추락방지대, 세안기, 고정형 세안기, 응급용 세안기, 벽면형 세안기, 드렌치 호스, 이동형 음압기, arm, 암, 후드, hood, 암후드, 하이브리드 후드, 다관절 암후드, 소형 필터식 암 후드, 덕트 부착용 후렉시블 암, 장비 장착용 후렉시블 암, 소형 필터식 암 후드, 후크, hook, 후크걸이, 안전대, 블록, block, 안전블록, 주차블록, 오임목, 차량고임목, 안전장치싱글, 안전대 후크걸이, 국소배기장치, 필터, filter, 국소배기용 필터, 모바일 국소배기장치, 모바일 전용 필터, 세척 용품, 렌즈 세척 용품, 와이어, wire, 낙하방지 와이어, 집진장치, 모바일 집진장치, 집진기 전용필터, 안전대, 주상용 안전대, 카라비너, carabiner, 브라켓, bracket, 패널, 브라켓패널, 패널브라켓, 부착형 브라켓, 스트랩, strap, 스트랩 벨트, 나일 바라컬, 하네스, 행거 하네스, 그네, 안전그네, 키릴, 휀스, 안전휀스, 보호장비, 표지판, 안전표지판, 주차금지표지판, 보관함, 안전장구보관함, 감지기, 가스감지기, 가스누출감지기, 신호대, 신호기, 신호수, 신호봉, 전자신호봉, 차단대, 차단봉, 유도봉, 차량유도봉, 등, 경광등, 야광등, 삼각대, 반사경, 체인, 방수포, 타포린, tarpaulin, 방한용품, 용접용품, 용접기, 용접봉, 방지재, 소음방지재, 층간소음방지재, 소방용품, 소화기, 분말소화기, 고리, 안전고리,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은 안전장비, 안정장치, 안전수단, 보호장비, 안전수단, 웨어러블수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수단(2),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하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은 a) 사람(30), 신체, 인체, 몸체, 사물, 만물, 근로자(30), 작업자(30), 아바타(30), 관리자(31), 총괄자(32), 앱이용자(33), 자재, 재료, 시설, 드론(42), 장비(41),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b) 상기 사람 내지 앱이용자 등의 몸, 팔, 손, 눈, 코, 귀, 이, 입, 목, 발, 볼, 뼈, 살, 입술, 이빨, 다리, 손톱, 발톱, 어깨, 가슴, 허리, 머리, 헤어, 얼굴, 이마, 히프, 힘줄, 혈관, 무릎, 발목, 피부, 엄지, 검지, 엉덩이, 종아리, 손가락, 발가락, body, arm, hand, eye, nose, ear, mouse, neck, foot, bone, flesh, leg, nail, shoulder, chest, waist, head, hair, face, forehead, brow, heap, knee, ankle, skin, butt, buttocks, bottom, behind, rear, bum, ass, rump, calf, finger, toe, 바디, 암(arm), 핸드, 아이(eye), 노즈(nose), 이어(ear), 마우스, 넥(neck), 푸트(foot), 본(none), 레그(leg), 숄더(shoulder), 체스트, 웨이스트, 헤드, 헤어, 페이스, 브로우(brow), 니(knee), 앵클, 스킨; 등에 이용, 사용, 착용, 부착, 장착, 구비, 거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은 상기 몸 내지 스킨 등의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몸옷, 팔완장, 손장갑, 머리헬멧, 앵클부착물, 스킨착용물 등이다. 상기 웨어러블 수단(2),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하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은 상기 일 내지 안전관리 등을 하거나, 또는 등에 이용되거나, 또는 등에 기여할 수 있다.
a) 상기 헬멧, 모자, 캡, cap, 햇, hat 등은 사람(30, 31, 32, 33), 머리, 헤드 등에 착용되고, b) 상기 의류, 의복, 조끼, 바지, 상의, 하의, 작업복, 업무복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몸, 신체, 상체, 하체 등에 착용되고, c) 상기 완장, 띠장 등은 사람(30), 팔, 어깨, 팔과 어깨 사이, 팔의 상단 등에 착용되고, d) 상기 장화, 구두, 신발, 작업화, 안전화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발, 족 등에 착용되고, e) 상기 가방, 백, 팩, 백팩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등, 어깨 등에 착용되고, f) 상기 밴드, 손목밴드, 허리밴드, 어깨밴드, 바지밴드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손목, 허리, 어깨, 바지 등에 창작되고, g) 상기 멜빵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어깨, 상체 등에 착용되고, h) 상기 혁띠, 허리띠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허리, 바지 등에 착용되고, i) 상기 시계, 워치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손목 등에 착용되고, j) 상기 링, 귀링, 반지, 가락지, 귀고리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손가락, 귀, 코, 목 등에 착용되고, k) 상기 장갑은 사람, 인간, 로봇, 손 등에 착용되고, ℓ) 상기 안경, 고글, 안경테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눈, 얼굴 등에 착용되고, m) 상기 걸이, 목걸이, 귀걸이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손가락, 귀, 코, 목 등에 착용되고, n) 상기 착용구, 부착구, 착용물, 부착물 등은 사람, 로봇, 동물,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에 착용되고, o) 상기 핀, 머리핀 등은 사람, 로봇, 동물, 머리, 머리칼 등에 착용되고, p) 상기 고리, 멜빵고리, 안전고리 등은 사람, 로봇, 동물, 허리, 허리밴드,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필드 수단은 a) 기(器), 기(機), 차(車), 카, car, 차량, 수단, 기구, 기계, 도구, 장비, 시설, 공사시설, 설비, 공사설비, 장비(41), 공사장비(41), 장치, 공사장치, 로봇, 드론(42), 디바이스, device, 모빌리티(42), 트럭, 도져, 불도져, 로라, 그레이더,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41), 폼, 형틀폼, 슬립폼, 형틀, 거푸집, 비계, 틀비계, 재료, 자재, 부재, 빔, 보, 기둥, 슬라브, 건물, 교량, 교각, 교대, 도로, 터널, 옹벽, 구조물, 측량기, 계측기, 저장고, 혼합기, 배합기, 공급기, 운반기, 이송기, 펄스기, 보링기, 굴착기, 굴삭기, 천공기, 항타기, 펌프카, 분사기, 주입기, 주사기, 주유기, 타설기, 콘크리트타설기, 포설기, 포장기, 믹싱기, 지반믹싱기, 지중믹싱기, 다짐기, 콘크리트다짐기, 양생기, 수양생기, 살수양생기, 증기양생기, 콘크리트양생기, 면처리기, 콘크리트면처리기, 가전(43), 제품(43), 용품(43), 가전제품(43), 생활용품, 사무용품, 청정기(43),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크리닝기(43), 제조장비(41), 생산장비, 공장장비, 현장장비, 산업장비, 공사장비, 시공장비, 건축장비, 건설장비, 틀(45), 폴(pole), 폴대, 1m 이상 높이의 틀, 사다리(45), 삼각대(44), 삼발이(44), 지지대(44, 45), 거치대, 격자대, 격자틀(45), 조립대, 조립틀, 조립세트, 굴뚝, 전봇대, 가로등, 전선, 공중전선, 전봇대전선, 전봇대 간의 전선, 촬영대(44), 촬영기 거치대(44), 카메라 거치대(44), 촬영기 지지대, 카메라 지지대, 측량기 삼각대(44), 접이식 삼각대, 조립식 삼각대, tripod, 트라이포드(44), 접이식 격자대, 접이식 격자틀(45), 접이식 거치대, 조립식 거치대, 현장에 있는 것, 현장에 있는 수단, 현장에 있는 기구, 현장에 있는 장비, 현장에 있는 장치, 현장에 있는 시설, 현장에 있는 설비, 공장에 있는 것, 공장에 있는 수단, 공장에 있는 기구, 공장에 있는 장비, 공장에 있는 장치, 공장에 있는 시설, 공장에 있는 설비, device, field device; b) 현장이나 공장에 있는 상기 기(器) 내지 field device; c) 상기 기(器) 내지 field device 중 둘 이상 복합체; 등(40)이 해당된다. 상기 웨어러블수단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등에 구비되고, 상기 필드수단은 현장, 공장, 지반, 지중, 건물, 구조물, 메타, 버스, 메타버스, 공사현장, 건설현장, 제조공장, 생산공장 등에 구비된다.
상기 수단, 헬멧 내지 안전고리,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제어기(20), 배터리(19), 포켓(20'), 계측기(18)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에는 일정의 센서, 계측기 등이 설치되어 상기 수단,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의 착용 여부가 근로자, 작업자, 아바타, 마네킹, 출입자, 관리자, 총괄자, 이용자, 서버, 단말기, 스마트폰, 핸드폰 등에 통지, 고지, 알림, 얼람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손, 손목, 머리, 신체, 상체 등에서 상기 수단,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이 탈착되는 경우 상기 수단,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상기 탈착이 감지되어 상기 작업자 내지 핸드폰 등에 신호, 부저, 소리, 알림, 얼람 등이 전달되는 것이다. 이의 경우 상기 탈착 상태의 신호 또는 메세지가 작업자, 관리자, 총괄자 등에 통지되게 된다. 상기 탈착 상태가 장기간 되는 경우 관리는 착용 요청에 관한 신호 또는 메세지를 작업자에게 통지하여 작업자는 재착용하게 된다. 상기 착용, 탈착, 재착용 등의 때, 일시, 시간, 기간 등은 서버, 단말기 등에 저장, 기록 등이 된다.
본 발명에서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제어기(20), 배터리(19), 포켓(20'), 계측기(18) 등은 센싱, 측정, 감지, 누름, 켜기, put on, SOS요청, 조명, 비춤, 빛비춤, 라이트, 플래시, 후레쉬, flash, 촬영, 녹화, 무전, 통화, 알림, 사고알림, 피난알림, 야광, 축광, 미등, 지시등, 제어, 조절, 조정, 컨트롤, 전원공급, 전기공급, 수납, 담기, 측량, 계측, 측정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을 하는 장치이다.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은 봉, 대, 판, 줄, 선, 잭, 나선, 사물, 만물, 짐벌, 거치대, 지지대, 삼각대, 플랫폼, 안테나, 직선봉(45), 연성봉(45), 강성봉, 가변봉(45), 스프링, 셀카봉, 안테나봉(45), 길이가변봉(45), 길이조절봉, 길이조절셀카봉,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에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구성, 거치, 위치, 설치, 존치, 연결, 연계, 병합, 결합, 중첩, 중복, 합체, 첨가, 추가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사물, 만물 등은 수단, 기기, 器. 機, 器機, 기구,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머신, 부품, 사람, 인간, 로봇, 동물, 방법, 공법, 대책, 방책, 전략, 전술, 시스템, 작업자, 아바타, 마네킹, 관리자, 디바이스, device, 안전수단, 스마트수단, means, way, measure, method, expedient, ways, tool, machine, device, system, equipment, facility, things, everything, 사물, 만물, 생물, 모든것, 세상 모든것,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에는 착용여부 판별 센서가 구비되어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사물, 만물, 생물 등에 장착되는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웨어러블 수단이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아바타, 마네킹, 사물, 만물, 생물 등에 착용 및 탈착되는 여부는 착용여부 판별 센서의 신호가 서버, 통신기, 단말기, 핸드폰, 스마트폰 등에 전달되어 인식 및 판별이 된다.
상기 짐벌은 짐벌, gimbal, 드론 짐벌, 카메라 짐벌, 핸드폰 짐벌, 1축 짐벌, 2축 짐벌, 3축 짐벌, 4축 짐벌, 5축 짐벌, 수평을 유지하는 장치, 나침반·크로노미터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장치, 내부에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가 있는 짐벌, 카메라로 동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할 때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내부에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가 있어 움직이는 반대 방향으로 본체를 기울여 촬영물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키는 장치, 동심원 두 개의 링으로 이루어지고, 각 링이 지름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축 끝을 축받이로 받쳐 수평을 유지하는 장치, Roll축과 Pitch축을 조정하여 동영상의 흔들림을 잡아내는 2축 짐벌, 2축 짐벌에서 Yaw축까지 보정이 가능한 3축 짐벌, 3축 짐벌에서 X축을 조정하여 동영상의 흔들림을 잡아내는 4축 짐벌, 4축 짐벌에서 Y축을 조정하여 동영상의 흔들림을 잡아내는 5축 짐벌 등이다. 참고적으로 3차원 공간에서 물체는 직선운동인 X축, Y축, Z축과 회전운동인 Roll축, Pitch축, Yaw축 등 총 6개의 자유도를 가진다. 이론적으로는 완벽하게 움직임을 상쇄하려면 총 6개의 자유도를 모두 보정 상쇄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최대 5축 짐벌이면 3차원 공간에서 물체의 수평을 완벽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헬멧은 헬멧, 모자, 캡, 햇, 안전모, 작업모, 안전헬멧, 에어헬멧, 풍선헬멧, 포켓헬멧, 팽창헬멧, 쿠션헬멧, 튜브헬멧, 방탄헬멧, 강철헬멧, PVC(poly vinyl chloride)헬멧, FRP(fiber reinforced plastics)헬멧,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헬멧, 플라스틱헬멧, 스마트헬멧, 헤드마운트, cap, hat,helmet, crash helmet, hard hat 등(21)이 해당된다. 상기 에어헬멧, 풍선헬멧, 포켓헬멧, 튜브헬멧, 팽창헬멧, 쿠션헬멧 등은 공기구멍이 형성된 튜브형 헬멧, 상기 공기구멍에 공기주입기 또는 에어콤프레셔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튜브가 팽창한 헬멧, 상기 공기의 주입 후에 공기구멍에 마개를 닫아 팽창한 상태를 유지하는 헬멧, 사용 후에는 상기 공기구멍을 열어 공기를 빼서 수축된 상태로 보관되는 헬멧,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헬멧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에어헬멧은 공기구멍이 형성된 헬멧, 공기주입기, 이들을 보관하는 파우치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경은 안경, 고글, 글래스, 보안경, 안경테, 眼鏡, 안전안경, 스마트안경, glasses, spectacles, eyeglasses, glasses frame, goggle,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안경 등(22)이 해당된다. 상기 완장은 완장, 腕章, 띠장, 표장, 標章, armband, 어깨에 차는 완장, 팔뚝에 차는 완장, 팔의 상단에 차는 완장, 팔에 두르는 표장, 신분이나 지위 따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팔에 두르는 표장,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완장 등(23)이 해당된다. 상기 띠장은 띠, 띠장, 완장, 표식장, 띠 모양의 장식, 띠른 두른 장식, 띠른 두른 완장, 허리에 구비된 띠, 팔을 두른 띠장, 어깨에 장착된 완장, 가슴에 장착된 표식장, 머리에 띠른 두른 장식, 팔에 띠른 두른 완장 등이다.
상기 의류는 옷, 의류, 의복, 조끼, 재킷, 셔츠, 바지, 코트, 상의, 하의, 속옷, 외옷, 내옷, 군복, 운동복, 작업복, 근무복, 안전의류, 구명의류, 히팅의류, 쿨링의류, 스마트의류, 스마트의복, 衣類, 衣服, clothing, clothes, wear, garment, apparel, jacket, shirt, 히터 구비의 의류, 쿨러 구비의 의류, 열선 구비의 의류, 탄소선 구비의 의류, 냉매 구비의 의류,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의류 등이 해당된다. 상기 히팅의류의 예로는 의류, 이에 거치된 탄소선 또는 발열선,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는 상기 탄소선 또는 발열선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조끼는 조끼, 재킷, 상의, 안전조끼, 구명조끼, 온열조끼, 가열조끼, 히팅조끼, 쿨링조끼, 냉온조끼, 발열조끼, 냉열조끼, 얼음조끼, 쿠션조끼, 스마트조끼, vent, jacket, waistcoat, life vest, ice vent, air jacket, 쿠션을 가진 또는 내부에 복수의 에어공간이 있는 상기 조끼 내지 air jacket,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조끼 등(24)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조끼(24), 조끼의 전면(241, 242), 조끼의 후면(243), 조끼의 내부, 조끼의 외부, 조끼의 허리부(254), 조끼 전면의 우측부(241), 조끼 전면의 좌측부(242), 조끼의 목부(245), 조끼의 팔부, 조끼의 어깨부(246), 조끼의 가습부(247), 조끼의 쟈크부, 조끼의 단추부, 조끼의 단추 구멍부위, 조끼의 여미는부, 우측부(241)와 좌측부(242)가 만나는 부위, 우측부(241)와 좌측부(242)를 여미는부, 조끼 전면의 우측부(241)와 좌측부(242)가 만나는 상하 부위, 조끼의 포켓, 조끼에 형성된 포켓 등에는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등의 구비, 걸이, 장착, 거치, 달기, 매달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멜빵은 멜빵, 벨트, 밴드, 어깨밴드, X밴드, 엑스밴드, 하네스, 안전멜빵, 히팅멜빵, 쿨링멜빵, 스마트멜빵, 벨트, 안전벨트, 어깨벨트, suspenders, braces,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멜빵 등(25)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멜빵(25), 멜빵의 내부, 멜빵의 외부, 멜빵의 전면띠(251, 252), 멜빵의 후면띠(253), 멜빵의 후면X띠(253), 멜빵의 허리띠(254), 멜빵 전면의 어깨띠(251, 252), 멜빵 전면의 양측띠(251, 252), 멜빵 전면의 우측띠(251), 멜빵 전면의 좌측띠(252), 멜빵 전면의 우측 어깨띠(251), 멜빵 전면의 좌측 어깨띠(252), 멜빵 후면의 X띠(253), 멜빵의 고리, 멜빵 허리의 고리, 멜빵 전면의 우측 어깨띠(251)와 좌측 어깨띠(252)의 하부를 연결하는 고리, 멜빵의 포켓, 멜빵에 형성된 포켓 등에는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등의 구비, 걸이, 장착, 거치, 달기, 매달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벨트는 벨트, belt, 안전벨트, 상체벨트, 몸통벨트, 허리벨트, 센서벨트, 센싱벨트, 어깨벨트, 멜빵, 밴드, 건강체크벨트, 웨어러블벨트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밴드는 밴드, band, 벨트, 멜빵, 하네스, hanes, 넥밴드, neck band, 목에 거치되는 밴드인 넥밴드, 손목밴드(26, 도 9), 손목에 체결되는 밴드인 손목밴드, 원밴드(도 36 a, b), 원 모양의 밴드인 원밴드, 줄밴드(도 36 b), 줄 형상의 밴드인 줄밴드, 고무줄밴드(도 36 b), 띠밴드(도 36 a), 띠 형상의 띠밴드, 폭밴드(도 36 a), 일정폭을 가진 폭밴드(도 36 a), 각대밴드(도 36 a), 각대 모양의 밴드인 각대밴드, 벨트밴드, 벨트 형태의 밴드, 연성밴드, 부드러운 재질의 연성밴드, 강성밴드, 단단한 재질의 강성밴드, 진단밴드, 진단하는 밴드, 센서밴드, 센서가 부착된 밴드, 센싱밴드, 센싱을 하는 밴드, 검사밴드, 검사하는 밴드, 어깨밴드, 어깨에 거치되는 밴드, X밴드, X 형상의 X밴드, 전면과 후면을 가진 밴드, 전면과 후면이 X 형상인 X밴드, 팔밴드, 팔에 거치되는 밴드, 상체X밴드, 몸의 상체에 거치되는 X밴드, 엑스밴드, 어깨X밴드, 어깨에 거치되는 X밴드, 허리밴드, 허리애 장착되는 밴드, 상체밴드, 상체에 감싸지는 상체밴드, 상의밴드, 상의에 설치되는 밴드, 헬스밴드, 건강을 위한 헬스밴드,건강을 체크하는 헬스밴드, 허리띠밴드, 허리를 감싸는 띠밴드, 헬멧밴드, 헬멧을 감싸는 밴드, 완장밴드, 완장 형태의 밴드, 팔밴드, 팔에 둘러지는 밴드, 목밴드, 목을 에워싸는 밴드인 목밴드, 목에 거치되는 목밴드, 목걸이 형식의 목밴드, 목에 걸치는 목밴드, 머리밴드, 머리를 에워싸는 머리밴드, 가슴밴드, 가슴을 조이는 가슴밴드, 등밴드, 등에 거치된 밴드, 다리밴드, 다리에 설치되는 다리밴드, 발목밴드, 발목을 애워써는 밴드인 발목밴드, 종아리밴드, 종아리를 감싸는 밴드인 종아리밴드, 안전밴드, 안전을 위한 밴드인 안전밴드, 통신밴드, 통신이 가능한 밴드인 통신밴드, 압착밴드, 신체 등에 압착하여 거치되는 밴드인 압착밴드, 탄력밴드, 탄력을 가진 밴드인 탄력밴드, 멜빵밴드, 멜빵 형식의 밴드인 멜빵밴드, 하네스밴드, 하네스 형식의 밴드인 하네스밴드, 체스트밴드, 체스트에 거치되는 밴드인 체스트밴드, 스마트밴드, 다기능성의 스마트밴드, 웨어러블밴드,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밴드, 혈압체크밴드, 혈압을 체크하는 밴드인혈압체크밴드, 맥박체크밴드, 맥박을 체크하는 밴드인 맥박체크밴드, 체온체크밴드, 체온을 체크하는 밴드인 체온체크밴드, 건강체크밴드, 건강을 체크하는 밴드인 건강체크밴드, 가변밴드, 변형되는 가변밴드, 길이가 또는 탄력이 변하는 가변밴드, 강성밴드, 단단한 재질의 강성밴드, 연성밴드, 연약한 재질의 연성밴드, 탄력밴드, 탄력을 가진 탄력밴드, 가슴과 등 밴드, 가슴과 등에 거치되는 밴드, 가슴과 등과 허리 밴드, 가슴과 등과 허리에 거치되는 밴드, 에워싸는 밴드, 띠를 두르는 밴드, 줄을 두르는 밴드, 상기 몸 내지 스킨 등에 구비되는 밴드, 상기 몸 내지 스킨 등을 에워싸는 밴드, 상기 몸 내지 스킨 등에 띠를 두르는 밴드,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구비된 밴드, 늘어나는 밴드, 길이가 늘어나는 밴드, 길이가 가변되는 밴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밴드, 길이가 탄력적인 밴드, 길이가 탄력적인 고무줄 밴드, 고리가 구비된 밴드, 걸쇠 고리가 구비된 밴드, 고리와 상기 고리가 끼움되는 홀이 구비된 밴드, 고리와 상기 고리가 걸림되는 홀이 구비된 밴드,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밴드 등(23, 25, 26)이 해당된다. 상기 밴드, 벨트, 허리벨트; 이중 하나의 길이, 방향, 모양, 형상, 둘레, 허리, 단부, 모서리, 길이방향; 등에는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의 구비, 걸이, 장착, 거치, 달기, 매달기 등이 가능하다. 도 36 참조. 상기 의류, 조끼, 멜빵 등의 예로는 의류 또는 조끼 또는 멜빵에 2개 이상의 포켓이 형성되고 이 포켓의 각각에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중 2개 이상이 각각 내장되는 의류 또는 조끼 또는 멜빵인 것이다.
상기 손목밴드(26)의 이용 예로는 근로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근로자의 체온, 혈압, 심박수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이의 모니터링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저장, 관제센터에 통보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정보를 통보받은 관리자는 모니터링 정보를 분석하여 근로자의 체온변화, 심박수변화, 열사병, 심장질환 등을 파악하고 위험 징후가 나타나면 근로자에게 통지하여 휴식을 취하게 한다.
상기 워치, 시계 등은 a) 워치, 시계, watch, 벽시계, 판시계, 손목시계, 진단시계, 손목워치, 안전워치, 진단워치, 스마트워치, 혈압체크워치, 맥박체크워치, 체온체크워치, 건강체크워치, 통신워치, 스마트폰워치, 일자표시워치, 날자표시워치, 년월일표시워치, 날자시간표시워치, 년월일시간표시워치; b) 전광판, 전광판시계, 시간이 표시되는 전광판시계, 화면이 있는 시계, 영상화면이 있는 시계, 스크린이 있는 시계, 전광판스크린이 있는 시계, 시간이 표시되는 전광판, 년월일시간이 표시되는 전광판, 시간과 측정치가 표시되는 시계 또는 전광판; c) 시간과 센서, 측정기의 측정치가 표시되는 시계 또는 전광판; d) 시간과 소음, 진동, 먼지, 가스, 공기질, 환경질 등의 측정치가 표시되는 시계 또는 전광판; e)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워치 등(27)이 해당된다. 상기 신발은 신발, 장화, 구두, 군화, 운동화, 작업화, 안전화,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신발 등(28)이 해당된다.
상기 고리는 고리, 후크, hook, 귀고리, 코고리, 안전고리(29), 허리고리,스마트고리, 줄 달린 고리, 줄과 상기 줄의 양측에 달린 고리로 구성된 것, 2개의 고리와 상기 2개의 고리 사이에 구비되는 줄로 구성된 것, 근로자에 착용되는 고리, 사람의 등이나 허리에 착용되는 고리, 사람의 등이나 허리에 거치된 줄에 착용되는 고리, 멜빵(25)에 연결된 줄(293)에 거치된 고리(29, 292), 허리밴드에 연결된 줄에 거치된 고리, 멜빵(25)에 연결된 줄(293)에 거치되면서 안전대(294)에 걸림되는 고리(29, 292), 작업자의 멜빵(25)에 연결된 줄(293)에 거치되면서 건물에 구비된 안전봉(294)에 걸림되는 고리(292), 작업자(30)의 멜빵(25)에 연결된 줄(293)의 선단에 거치되면서 건물의 옥상에 구비된 안전줄(294)에 연결되는 고리(29, 292),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고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안전고리는 안전고리(29), 사람의 등(back)이나 허리나 허리벨트에 착용되는 고리, 줄(293) 달린 안전고리(29), 양단에 고리(291, 292)가 형성된 줄(293), 줄(293)과 이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291, 292), 양단에 고리(291, 292)가 형성된 줄(293)로 된 기구, 줄(293)과 이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로 된 기구, 멜빵 또는 허리밴드(25)에 연결되는 안전고리(29), 멜빵 또는 허리밴드(25)에 연결되는 끈(293)에 연계되는 안전고리(29), 끈(293)의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어 일측의 고리(291)가 작업자(30) 또는 멜빵(25) 또는 허리밴드(25)에 연결되고 타측의 고리(292)가 고층 건물의 고정대(294) 또는 안전봉(294)에 연계되는 안전고리(29), 양단에 고리(291, 292)가 형성된 줄(293)로 구성되어 일단의 고리(291)는 인부(30) 또는 멜빵(25)에 연결되고 타단의 고리(292)는 높은 고지대의 고정체(294) 또는 직선봉(294)에 연계되는 기구(29) 등이 해당된다. 이는 도 11 참조. 상기 고리(291, 292), 일단 고리(291), 타단 고리(292), 줄(293), 안전고리(29) 등에는 센서(11), 계측기(18)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여기서 센서에 의한 센싱 결과, 계측기에 의한 계측 결과, 사람(30) 또는 멜빵(25)에 일단 고리(291)의 체결 여부, 안전봉(294)에 타단 고리(292)의 체결 여부 등이 통신장치(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앱이용자(33),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출력장치(85) 등에 전달, 통지, 저장, 기록, 출력, 인지, 감지 등이 된다. 여기서 고리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여 고리가 체결되지 않은 경우 작업자에게 통지하여 체결을 권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현장(100), 공장(100), 사람(30), 로봇(30), 장비(41), 드론(42), 지반, 지중, 시설, 건물(101), 작업자(30), 아바타(30), 메타버스(97), 메타버스공간(100, 101, 110, 120),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하나의 상기 전(前) 내지 다지점; 등에는 센서 또는 감지기(10, 11), 버튼 또는 SOS버튼(10, 12), 랜턴 또는 라이트(10, 13), 카메라 또는 CCTV(10, 14), 무전기 또는 마이크(10, 15), 알림기 또는 알림등(10, 16), 램프 또는 후방등(10, 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0, 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0, 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10, 20), 통신장치(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35, 94, 95), 디스플레이(95), 플렛폼(96) 등의 구비 또는 순차적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센서는 센서, 소자, 렌즈, 비콘, 키트, 전선, 케이블, 계측기, 측정기, 센서폰, 폰센서, 케이블, 만보기, 위치센서, 고도센서, 위도센서, 경도센서, 기압센서, 모션센서, 생체센서, 헬스센서, 인체센서, 가스센서, 환경센서, 키트센서, 공기질센서, 전기센서, 전자센서, 통신센서, 얼람센서, 무선센서, 유선센서, 압전센서, 측정센서, 계측센서, 광학센서, 전선센서, 케이블센서, 휴대용센서, 무선측정센서, 유선측정센서, 칩, 센서칩, 칩센서, 센싱칩, 위치칩, 모션칩, 생체칩, 가스칩, 환경칩, 공기질칩, 센싱칩, 위치센싱칩, ID칩, GPS칩, 인식칩, 모션센싱칩, 생체센싱칩, 가스센싱칩, 환경센싱칩, 공기질센싱칩, 코드, 바코드, ID코드, 태그, tag, ID태그, 식별태그, 트래커, 트래커센서, 핸드폰, 핸드폰센서, sensor, multiple sensor, 게이지, gauge, 스트레스게이지, 스트레인게이지, ID센서, IC센서, RFID센서, NFC센서, MEMS센서, IR센서, FOD센서, PIR센서, UWB센서, IMU, CMOS센서, IoT센서, ICT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바이오센서, 다종센서, 다중센서, 빛센서, 열센서, 광센서, 파센서, 자기센서, 발열센서, 감지센서, 누수감지센서, 진동센서, 가진센서, 농도센서, 발광센서, 광원센서, 소자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압력센서, 응력센서, 변형센서, 변위센서, 소리센서, 신호센서, 유량센서, 자기센서, 음향센서, 미각센서, 후각센서, 장치센서, 장비센서, 음파센서, 섬유센서, 광섬유센서, 적외선센서, 원적외선센서, 열화상센서, 초음파센서, 카메라, 카메라센서, 이미지센서, 카메라이미지센서, 적외선센서, 근적외선센서, 자외선센서, 디지탈카메라, 각종센서, CDS센서, 콤파스센서, 고도계센서, tilt sensor, triaxial tilt sensor, crack sensor, wire sensor, vibrating wire sensor, stress sensor, load sensor, millivolt sensor, displacement sensor, optical displacement sensor,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센서 등(11)이 해당된다.
상기 센서는 센싱, 측정, 계측, 관측, 관찰, 감지, 감식, 시험, 검사, 검정, 인식, 모니터링, 원격센싱, 무선센싱, 무인센싱, 자동센싱, 리모트센싱, sensing, monitoring, survey, measurement, remote sensing 등을 하는 것 또는 장치 또는 소자 또는 디바이스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a) 위치, 고도, 높이, 위도, 경도, 심도, 깊이, 좌표, GPS, 시간, 시각, 일자, 기압, 경사, 모션, 행동, 현상, 이상, 이동, 운동, 거동, 동작, 추락, 낙하, 움직임, 쓰러짐, 신체, 생체, 건강, 헬스, 가스, 산소, O2, 수소, H2, 탄소, 질소, N2, CO, CO2, NOx, SOx, 오염, 오염물, 오염성분, 중금속, 기름, 유류, 환경,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농도, 독성, 오염, 오염도, 오염농도, 가스농도, pH, ORP,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빛, 열, 광, 자기, 전위, 전기, 전원, 전압, 전력, 전류, 누전, 감전, 방전, 자기장, 전도도, 전기전도도, 임피던스, 산화환원전위, 酸化還元電位, 소리, 신호, 음향, 영상, 이미지, 촬영, 녹화, 송신, 방송, 방영, 수신, 저장, 기록, 스캔, 입력, 출력, 무인, 유인, 발광, 광원, UV,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소자, 미각, 후각, 냄새, 악취, 색, 색상, 색도, 색체, 열화상, 수질, 공기, 공기질, 위해성, 위험성, 기상, 기후, 대기, 풍속, 풍향, 물, 유량, 수량, 누수, 누유, 누액, 누출, 유출, 차수, 방수, 지수, 차단, 수위, 물수위, 지하수위, 관, 관로, 배관, 상수관, 관누수, 막누수, 관로누수, 차수막누수, 상수관누수, 온도, 습도, 체온, 수온, 수면, 수중, 수위, 전기전도도, 전기비저항, 오염농도, 소음, 층간소음, 공사소음, 소리, 악기소리, 진동, 발파진동, 공사진동, 지진, 낙하, 충격, 충격음, 바닥충격음, 공동주택바닥충격음, 힘, 무게, 중량, 하중, 응력, 압력, 기압, 수압, 압축, 강도, 강성, 인장, 인출, 인발, 열량, 체적, 길이, 면적, 침하, 지반침하, 지면침하, 도로침하, 표면침하, 지중침하, 천단침하, 터널천단침하, 변형, 벽변형, 지반변형, 흙막이벽변형, 구조물변형, 변위, 터널내공변위, 터널내벽변위, 터널내면변위, 경사, 건물경사, 경사도, 기울기, 흔들림, 시설기울기, 건물기울기, 지지력, 기초지지력, 인발력, 앵커인발력, 볼트인발력, 록볼트인발력, 공동, 통공, 지반공동, 지하공동, 싱크홀, 지중싱크홀, 기능, 성능,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물체, 사물, 만물, 생물, 미생물, 개체수, 미생물수, 접근, 사람접근, 동물접근, 피로, 파괴, 파손, 손상, 훼손, 손괴, 낙하, 사람낙하, 파괴, 비파괴, 화재, 화염, 재난, 정전, 공조, 냉방, 난방, 속력, 속도, 가속도, 3축 가속도, 자이로, 파, 웨이브, 음파, 전파, 초음파, 고주파, 저주파, 단파, 장파, 뇌파, EEG(electroencephalogram), 체온, 호흡, 맥박, 혈압, 혈당, 심박수, 박동수, 심질환, 심전도, 心電圖, ECG(electrocardiogram), 트래킹(tracking), 숫자, 횟수, 걸음수, 운동수, 운동량, 호흡량, 폐활량, 장비, 장치, 기구,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작업자, 근로자, 출입자, 일, 업무,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발파, 천공, 토공, 절토, 성토, 저장, 혼합, 가압, 펌핑, 분사, 타설, 주입, 포설, 포장, 다짐, 양생, 해체, 선별, 분리, 파쇄, 분쇄, 분별, 센싱, 계측, 관측, 탐사, 측정, 측량, 시험, 분석, 지반, 지하, 지중, 사면, 토지, 지형, 시설, 설비, 건물, 터널, 도로, 교량, 옹벽, 지하철, 구조물, 앵커, 볼트, 록볼트, 네일링, 바, bar, 리바, rebar, 폴리바, 폴리머바, 철근, 콘크리트, 보강재, 양, 수량, 용량, 전력량, 업무량, 작업량, 제조량, 생산량, 공사량, 토공량, 시공량, 건축량, 건설량, 글로나스, 가스누출, 산소부족, 근로자쓰러짐, 헬멧, 조끼, 웨어러블수단, 착용여부, 안전모착용여부, 웨어러블수단착용여부; b) 상기 위치 내지 웨어러블수단착용여부 중 하나의 양(量) 또는 정도; c) 상기 위치 내지 양(量)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등을 측정, 센싱, 계측, 관측, 관찰, 탐지, 감지, 감식, 모니터링 등을 하는 기(器), 기(機), 계(計), 계기(計器), 기기, 기구, 기계, 것, 장치, 장비, 소자, 계측기, 디바이스 등이다.
상기 센서는 상기 또는 하기의 일, 작업, 업무,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장비, 센싱 내지 측정, 자화 내지 복합, 인식 내지 안전구축, 인식 내지 복합, 일 내지 네트워크구축, 일 내지 복합, 수단, 장비, 장치, 시설,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IT 내지 4차산업기술, 자화기 내지 기능물, 칩 내지 복합요소, 기(器) 내지 복합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센서, 또는 등에 관련되는 센서, 등에 이용되는 센서, 또는 등을 하는 센서, 또는 등에 구비되는 센서 등도 가능하다.
상기 센서에는 IT센서, 5G센서, IT5G센서, 3D센서, 4D센서, Al센서, IC센서, VR센서, ICVR센서, AR센서, MR센서, XR센서, DX센서, ICT센서, NFT센서, IoT센서, IoE센서, AIoT센서, SNS센서, BIM센서, LTE센서, ITLTE센서, WiFi센서, AIWiFi센서, IT가 적용되는 IT센서, 5G 통신이 가능한 5G센서, 3D로 감지하는 3D센서, 4D로 감지하는 4D센서, 인공지능을 가진 Al센서, IC회로를 가진 IC센서, VR에 이용되는 VR센서, AR에 이용되는 AR센서, MR을 구현하는 MR센서, XR을 시연하는 XR센서, DX에 사용되는 DX센서, ICT가 사용되는 ICT센서, NFT에 사용되는 NFT센서, IoT 사물인터넷이 되는 IoT센서, IoE 만물인터넷이 되는 IoE센서,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이 이용되는 AIoT센서, SNS에 이용되는 SNS센서, BIM 설계를 위한 BIM센서, LTE 통신을 위한 LTE센서, WiFi 통신이 가능한 WiFi센서,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의 센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의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알리는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통지하는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전송하는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알리는 기능을 가진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 센서 등도 가능하다.
상기 UV는 자외선, 紫外線, UVA(장파 자외선), UVB(중파 자외선), UVC(단파 자외선), Ultraviolet, ultraviolet rays, 파장이 가시광선보다 짧은 전자기파 등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UV 센서, UV 램프, UV 라이트, UV 청정기, UV 살균기, UV LED, UVA LED, UVB LED, UVC L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UVC는 살균에 관여하는 파장으로 이의 파장 범위는 100 ~ 280 nm(나노미터)이고, 파장이 254nm 정도 일 때 살균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의 이용예로는 UVC LED 램프로 빛을 조사하여 살균, 자율주행하는 로봇에 장착된 UVC LED 램프로 빛을 조사하여 소독, 자율비행하는 드론에 구비된 UVC 라이트를 쬐어 방역, 3차원 공간에서 아바타에 거치된 UVC 조명으로 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위치 내지 복합; b) 이중 하나 이상의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X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머신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이 또는 등의 측정, 계측, 관측, 조사, 검사, 감지, 추적, 추리, 전송, 무선전송, 유선전송, 전달, 통신, 수신, 받기, 수령, 중계, 생중계, 방송, 방영, 저장, 메모리, 처리, 해석, 분석, 공급, 제공, 관리, 유지, 보기, seeing, 관람, 시청, 청취, 가상처리, 실시간중계, 스트리밍, 라이브스트리밍, live streaming, 사이버처리,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에는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의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위치 ∼ 복합 등을 계측하는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관측하는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탐지하는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모니터링하는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상기 위치 ∼ 복합 등의 측정시스템, 센싱시스템, 계측시스템, 관측시스템, 관찰시스템, 탐지시스템, 감지시스템, 감식시스템, 모니터링시스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이용 예에는 a) 사람에 거치된 비콘, 작업자에 센서폰 구비, 로봇에 위치센서 장착, 드론에 구비된 공기질센서, 장비에 거치된 모션센서, 착용수단의 전면에 구비된 휴대용센서, 헬멧에 광학센서 장착, 조끼에 환경센싱칩 거치, 트래커가 장착된 장비, 바이오센서가 구비된 멜빵, 안전화에 구비된 감지센서, 작업에 이용되는 농도센서, 자기센서와 온도센서가 이용되는 공사, 청정 중에 가동되는 환경칩, 안전을 위한 신호센서, 재료에 적외선을 가하는 적외선센서, 자재에 부착된 초음파센서, 지반에 설치된 계측센서, 사면에 설치된 다종센서, 터널에 설치된 변위센서, 시설을 관측하는 각종센서, 건물에 구비된 빛센서, 광센서가 거치된 주택, 구조물을 감시하는 전자센서;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센서의 다른 이용예로는 a) 현장에 구비된 위치센서, 공장에 거치된 고도센서, 수단에 구비된 위도센서, 사람에 구비된 생체센서, 로봇에 구비된 가스센서, 동물에 구비된 키트센서, 드론에 구비된 환경센서, 장비에 구비된 공기질센서, 지반에 구비된 전기센서, 터널에 구비된 전자센서, 교량에 구비된 통신센서, 도로에 거치된 무선센서, 건물에 거치된 압전센서, 작업자에 거치된 측정센서, 근로자에 거치된 계측센서, 출입자에 거치된 광학센서, 웨어러블기구에 장착된 휴대용센서, 헬멧에 장착된 무선측정센서, 안경에 장착된 트래커, 완장에 장착된 스트레스게이지, 의류에 장착된 RFID센서, 의복에 장착된 NFC센서, 조끼에 장착된 MEMS센서, 멜빵에 장착된 IR센서, 밴드에 장착된 FOD센서, 손목밴드에 장착된 PIR센서, 시계에 장착된 바이오센서, 안전화에 장착된 다종센서, 안전고리에 장착된 빛센서, 버튼에 부착된 열센서, 랜턴에 부착된 광센서, 카메라에 부착된 자기센서, 무전기에 부착된 감지센서, 알림기에 부착된 발광센서, 램프에 부착된 광원센서, 제어기에 부착된 소자센서, 계측기에 부착된 적외선센서;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드론,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센서의 또다른 이용예로는 센서 또는 계측기, 이에 연계되는 LTE 모뎀, 작업자에 장착되는 LTE 모뎀, 상기 작업자의 핸드폰, 상기 핸드폰에 연계되는 비콘 또는 게이트웨이, 상기 비콘 또는 게이트웨이에 의한 상기 핸드폰의 위치 정보, 상기 모뎀에 내장된 USIM 및 메모리 카드, 상기 센서 또는 계측기에 의한 센싱, 상기 센싱 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메모리 카드, 상기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LTE, 상기 USIM의 위치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LTE, 상기 송신된 정보가 수신되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상기 서버에 연계되는 PC,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의 매체, 상기 매체에 내려받는 어플, 상기 정보가 저장된 URL 주소, 상기 어플이나 주소의 출입을 위한 패스워드, 상기 매체에 활성화된 또는 보여지는 지도, 상기 센싱 정보가 시청되는 상기 매체, 상기 위치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매체의 지도,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하여 상기 센서 및 작업자의 위치 추적, 상기 정보 및 추적에 의하여 상기 센서 및 작업자 및 현장의 안전 상태 파악, 안내 메세지가 수신되는 상기 모뎀, 본사의 전화기와 통신이 되는 상기 작업자의 핸드폰, 상기 핸드폰에 전달되는 본사의 지시, 상기 지시에 의한 작업자 안전 조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압전센서는 압전센서, piezoelectric sensor, 압전소자를 이용한 센서, 압전효과를 가진 소자를 이용한 센서, 진동을 전기로 또 역으로 전기적 펄스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센서 등으로서, 이는 진동센서, 충격센서, 맥박센서, 생체센서, 균열센서, 변위센서, 변형센서, 낙하센서, 추락센서, 초음파센서, 가속도센서, 압전형 가속도센서, piezoelectric accelerometer sensor 등으로 이용된다. 상기 압전센서 또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생체센서의 예로는 입체에 부착될 수 있는 매트형태의 압전센서 또는 압전소자; 이에서 감지되는 생체신호에 따른 전류량을 증폭시키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에서 맥박, 호흡수, 심장박동수 등에 대한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 상기 대역통과필터를 거친 신호의 임계치 이상의 피크값 만을 입력받아 맥박, 호흡수, 심장박동수 등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컴퓨터; 상기 컴퓨터를 통하여 출력된 맥박, 호흡수, 심장박동수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수단; 상기 수단을 통하여 데이터가 집속되는 중앙 시스템, 상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단말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코드는 코드, code, 바코드, QR코드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코드는 제품, 자재, 상품 등에 부착된 것으로 스캐너로 바코드를 읽으면 단말기를 통해서 제품의 정보와 가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바코드는 흰색 바탕에 다양한 굵기와 길이의 검은줄로 이루어지고, 바코드의 원리는 검은줄은 리더기의 붉은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반사 양이 적고, 흰색 공백은 많은 양의 빛을 반사하게 되는 차이를 이용하여 흰색과 검은색의 차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컴퓨터가 해석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해주는 것이다. 상기 QR코드는 정사각형의 모자이크 모양을 가진 것으로 숫자는 최대 7,089자, 아스키 문자는 최대 4,296자, 한자는 최대 1,817자, 한글은 1,700자 정도까지 저장이 가능하고, 바코드보다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고,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이용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상기 ID는 ID, 자신, 신분, 신분증, 증명서, 등록증, 신분증명서, 주민등록증, 자아(ego), 초자아(super ego), identity, identification, 신분확인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의 ID칩, ID코드, ID태그, ID센서 등은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아바타 등을 확인하는 칩, 코드, 태그, 센서 등이 해당된다. 이의 적용예로는 헬멧에 부착된 ID칩, 머리에 거치된 ID코드, 사람에 장착된 ID태그, 조끼에 장착된 ID센서 등이 해당된다. 이는 현장, 공장, 입구, 출구, 출입구, 플랫폼, 정거장, 위험지역, 비콘, 스캐너, 인식기, 통신장치 등에 검지되어 본사, 사무실 등에 자동 통보되어 성명, 시간, 시각, 출근, 퇴근, 이동, 경로, 궤적 등의 정보가 송수신된다.
상기 RFID는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으로서 태그, 안테나, 리더기 등으로 구성된다. 태그와 안테나는 무선을 통해 정보를 수십 미터까지 보내는 역할을 하고합니, 리더기는 이러한 신호를 받아 정보를 해독하고 컴퓨터로 보낸다. 따라서 바코드나 QR코드처럼 직접 접촉해서 읽지 않아도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RFID는 대량의 물품을 처리하는 유통, 물류, 운송 분야에서 제품의 이동과 반출, 반입, 재고 현황 파악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RFID는 비접촉식, 반영구적 사용, 장애물 투과 가능, 대용량 데이터 가능, 여러 개의 Tag 동시 인식, 알고리즘에 의한 높은 보안성, 데이터 처리의 높은 신뢰성, 모든 환경에서 사용 가능, 이동 중 인식 가능, Read/Write 가능 및 재사용 가능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NFC는 Near Field Communication으로 RFID보다 근거리에서 활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교통카드, 출입카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 등에 이용된다. 상기 MEMS는 마이크로전자센서, 마이크로전자시스템, Micro Electronic Mechanical System, 초소형 정밀기계 기술, 마이크로시스템, 마이크로머신, 마이크로메카트로닉스, 초소형시스템, 초소형기계, 크기가 수 mm에서 수 nm에 이르는 작은 센서, 수 cm 크기가 되는 마이크로 센서 등이 해당된다.
상기 IR센서는 적외선센서, infrared sensor, 스스로 적외선을 발사하여 변화를 검지하는 능동식 센서, 외부로부터 받는 적외선으로 변화를 감지하는 수동식 센서, 적외선을 이용해 온도, 압력, 방사선의 세기 등의 물리량이나 화학량을 감지하여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장치, 적외선을 이용해 온도, 압력, 방사선세기 등 물리량이나 화학량을 검지하여 신호처리가 가능한 전기량으로 변화시키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FOD센서는 이상물체감지센서, Foreign Object Detection Sensor, 이상물체를 감지하는 센서, 디지털 제품에만 반응하는 센서, 디지털 신호에만 반응하는 센서 등이 해당된다.
상기 PIR센서는 움직임센서, 적외선 인체감지 센서, 피동형 적외선센서, Passive Infrared Sensor, motion sensor, 움직임이 있을 때 high를 그렇지 않을 때 low를 센싱하는 것, 프레넬 렌즈를 통해 일정 구간의 인체 이동을 감지, 이동통신 모뎀을 장착할 경우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국 어느곳이나 설치 및 센싱 데이타 수집이 가능 등이 해당된다. PIR센서에는 통상 플라스틱덮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플라스틱덮개를 Fresnel Lens 라고 하고 이는 센서의 탐지 각도와 거리를 확장시켜주며, 센싱패턴 등을 조절하기 위해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랜즈의 내부패턴 모양과 품질에 따라 센싱의 정확도와 거리, 탐지각이 달라진다. Frensnel Lens는 센서에 적외선을 더욱 잘 모아주며 탐지 범위를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UWB센서는 Ultra Wide Band 센서, 초광대역 무선기술 적용 센서, 단거리 구간에서 낮은 전력으로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기술 이용 센서 등이 해당된다. 상기 CMOS는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시모스, 金屬酸化物半導體, metal-oxide semiconductor, p 채널의 MOS 트랜지스터와 n 채널의 트랜지스터을 서로 절연하여 동일 칩에 만들어 넣어 양자가 상보적으로 동작하도록 한 것. 반도체에 산화막을 형성하고 산화막에 금속을 부착한 구조, 집적 회로의 한 종류로, 마이크로프로세서나 SRAM(정적램,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디지털 회로를 구성하는 데에 이용, 상보성 금속산화막반도체, 相補性 金屬 酸化膜 半導體, 이미지소자, Image Device, 카메라렌즈로 들어온 빛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화하는 시스템반도체,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 영상을 만드는 반도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IMU는 a) 관성측정장치, Inertial Measurement Unit; b) 이동물체의 속도와 방향,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는 장치; c) 또는 가속도계, 각속도계, 지자기계 및 고도계를 이용하여 보행자 및 이동물체의 움직임 상황을 인식하는 방식, d) 웨어러블수단, 스마트폰 등에 삽입된 IMU 관성계측장치에는 3축 가속도계와 3축 각속도계가 내장되어 있어 진행방향 가속도, 횡방향 가속도, 높이방향 가속도, 롤링(roll) 각속도, 피칭(pitch) 각속도, 요(yaw) 각속도 등의 측정이 가능함, e) IMU로부터 얻어지는 가속도와 각속도를 적분하여 보행자 또는 이동물체의 속도와 자세각 산출 등이 해당된다.
상기 CDS센서는 CDS센서, 조도센서, 광센서, 황화카드뮴센서, 광센서(sensor) 중의 하나, Cadmiumsulfide sensor, 빛이 입사하면 전도성이 되는 반도체, 빛의 세기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광가변저항기, 빛의 세기가 셀수록 저항이 작아지는 센서, CdS(황화카드뮴)를 사용하는 센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위치센서는 위치, 고도, 높이, 좌표, 지번, 위도, 경도, 방위, 방향, 거리, 글로나스, CDMA, FDMA, 원격거리, 이격거리, 사람위치, 이동위치, GPS, GPS위치, 층위치, 방위치, 핸드폰위치, 스마트폰위치, 건물의 층 위치, 건물의 방 위치, 사람이 있는 위치, 사람이 이동하는 위치 등의 센서이거나 또는 등을 식별하는 센서이다. 상기 고도센서는 고도, 높이, 건물 고도, 작업자 고도, 건물 높이, 작업자 높이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글로나스는 GLONA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러시아가 교통, 물류, 국방 등에 활용하고 있는 자체 위성항법체계 등이 해당된다. CDMA는 코드분할다중방식,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이 해당된다. FDMA는 주파수분할다중방식,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L1 주파수 1602MHz와 L2 주파수 1246MHz 채택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위치의 파악, 추적 등을 위하여 GPS, GPS장치, GPS시스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모션센서는 모션, 동작, 속도, 가속도, 자이로 등의 센서 또는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모션센서에 속하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 gyroscope)는 각속도 센서, 물체의 방위 변화를 인지하는 센서, 지구의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처음에 설정한 방향을 유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와 달리 각속도를 측정하는 기구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각속도는 시간당 회전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자이로(gyro)는 라틴어로 회전하는 것, 자이로스코프(gyroscope)의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팽이의 축이 지구의 자전하는 힘에 의하여 항상 남북을 가리키도록 한 장치, 철의 영향을 받아 오차가 생기기 쉬운 자기 컴퍼스 대신에 사용되는 방위 측정 장치, 위아래가 완전히 대칭인 팽이를 고리를 이용하여 팽이 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만들고 다시 그것을 제2의 고리를 써서 앞의 것과 직각 방향으로 받든 후에 다시 제3의 고리에 의하여 앞의 둘에 직각 되는 방향으로 지탱하여 줌으로써 팽이의 회전이 어떠한 방향으로도 일어날 수 있도록 한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이오센서는 바이오센서, 바이탈센서, 생체센서, 바이오 이용 센서, 생물 이용 센서, 어류 이용 센서, 물고기 이용 센서, 미생물 이용 센서, biosensor, 생물감지기, 생물감응장치, 바이오혈당센서, 생물공학 이용 센서, 바이오기술 이용 센서,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 동물을 감지하는 센서, 광학식 바이오센서, 전기화학식 바이오센서, 압전식 바이오센서, 광학(optics)검출 바이오센서, 전기화학(electrochemistry)검출 바이오센서, 압전성(piezoelectricity)검출 바이오센서, 효소바이오센서, 효소가 분석 물질을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물질로 변환시키는 바이오센서, 생물공학(biological engineering) 기술을 이용한 센서, 어육의 신선도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식품 제조 과정에서 알코올이나 유기산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생물의 효소나 항체 따위가 특정한 물질과만 반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물질의 성질을 조사하는 계측기, 생물학적 요소로부터 발생한 분석 물질을 물리적 및 화학적 신호 변환기를 통해 검출하는 분석 장치, 생물학적 요소로부터 발생한 분석 물질과 생물학적 요소의 상호작용을 물리적 및 화학적 신호 변환기를 통해 검출하는 분석 장치 등이 해당된다. 바이오센서의 예로는 바이오수용체(bio-receptor), 센서(sensor), 변환기(transducer) 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바이오수용체는 분석 물질을 검출하는 것으로 조직(tissue), 세포(cell), 효소(enzyme), 항체(antibody), 핵산(nucleic acid) 등이 있고, 상기 센서는 분석 물질-바이오수용체 간의 상호 작용을 물리적 및 화학적 신호로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변환기는 얻어낸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는 것이다.
상기 생체센서는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생체, 신체, 체온, 혈압, 맥박, 심박수, 근전도, 바이탈, 산소포화도 등의 센서 또는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가스센서는 가스, 공기, CO, CO2, O2, O3, H2, H2S, NO, NO2, N2O, NH3, NOx, SO, SO2, SOx, SF6, He, VOC, 유해가스, 위해가스 등의 센서 또는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가스센서에 의하여 유해가스, 산소부족 등을 판독할 수 있다. 상기 환경센서는 균, 세균, 병원균, 오염, 오염도, 오염농도, 중금속, 중금속농도, 토양농도, 수질농도, 폐기물농도, 수질, 수온, 공기질, 토양질, 온도, 습도, 기온, 기상, 풍향, 풍속, 수온, 수압, 오존, 황사, 조도, 소음, 진동, 속도, 가속도, 열화상, 화재, 화재감지, 일반세균, 대장균, 연쇄상구균, 녹농균, 살모넬라, 쉬겔라, 납, 불소, 비소, 셀레늄, 수은, 시안, 크롬,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카드뮴, 붕소, 브롬산염, 스트론튬, 우라늄, 페놀,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디클로로메탄,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디클로로에틸렌, 사염화탄소, 염소, 잔류염소, 클로로포름, 포름알데히드, 벤젠, 갈덴, 경도(硬度), 냄새, 악취, 악취물질, 구리, 색도, 수소이온농도, pH, SS, 부유물질, 浮遊物質, suspended soild, TOC, 총유기탄소, total organic carbon, TN, 총질소, 總窒素, total nitrogen, TP, 총인, total phosphorus, COB, 화학적 산소요구량, 化學的酸素要求量, chemical oxygen demand, BOD,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生化學的酸素要求量, biochemical oxygen demand, 아연, 염소이온, 철, 망간, 탁도, 황산이온, 알루미늄, 세슘, 스트론튬, 삼중수소, 가스, 공기질, NOx, 질소산화물, 窒素酸化物, nitrogen oxide, SOx, 황산화물, 黃酸化物, sulfur oxide 등의 센서 또는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공기질센서는 먼지, 분진, 미세먼지,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극초미세먼지(PM1.0), 라돈,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휘발성유기화합물, 환경호르몬, 포름알데히드, HCHO,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스티렌, 자일렌, 세균, 부유세균, 가스, 공기질, 이산화탄소(CO2; Carbon Dioxide),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총부유세균(TAB; Total Airborne Bacteria), 일산화탄소(CO; Carbon Monoxide), 이산화질소(NO2; Nitrogen dioxide), 라돈(Rn; Radon),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석면(Asbestos), 오존(O3; Ozone), 곰팡이(Mold),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에틸벤젠(Ethylbenzene), 자일렌(Xylene), 스티렌(Styrene) 등의 센서 또는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질소산화물은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의 총칭, NO -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2 = 이산화질소(Nitrogen dioxide), N2O = 일산화이질소(Dinitrogen monoxide), N2O3 = 삼산화이질소(Dinitrogen trioxide), N2O 4 = 사산화이질소(Dinitrogen tetroxide), N2O5 = 오산화이질소(Dinitrogen pentoxide)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황산화물은 황(S)과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총칭, 이산화황(SO2), 삼산화황(SO3), 아황산(H2SO3), 황산(H2SO4), 황산구리(Cu2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미세먼지는 fine particulate matter, 입자의 크기가 지름 10㎛ 이하인 대기오염물질, 지름 10㎛(마이크로미터, 1㎛=1000분의 1㎜) 이하의 먼지 등이 해당된다. 이는 크기에 따라 PM10(미세먼지), PM2.5(초미세먼지), PM1.0(극초미세먼지)으로 구분한다. 상기 PM(Particulate Matter)은 입자상 물질(대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미세 입자)이라는 뜻이다. PM10은 입자의 크기가 지름 10㎛ 이하, PM2.5는 지름 2.5㎛ 이하, PM1.0은 지름 1.0㎛ 이하의 먼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가 이용되는 센서 노드 통신 시스템이 가능하데, 이는 센서, 네트워크 연결 포인트,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측정, 전송 등을 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비콘, 센서, 계측기, 스마트폰,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RTLS, LBS, IPS, GPS, 무선신호, 블루투스, 무선 랜 인프라, 의사위성(Pseudolites), 레이저, 음파,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을 이용하여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작업자, 출입자, 장비, 시설 등의 실시간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여기서 RTLS는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Real Time Location System, 실시간으로 사물의 위치 정보 측위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에 적용되는 위치추적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LBS는 위치기반서비스, location based service,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IPS는 내위치 추적 서비스, 주로 제한된 공간에 활용되는 실내위치 추적 서비스, Indoor Positioning System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은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이용한 방법으로 기지국, WiFi 네트워크 또는 다른 무선기기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방향 및 이동거리를 추적하는 것이다.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BLE4.0 기반의 넓은 영역에서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다. 상기 GPS는 위성기반 측위 시스템, 인공위성 기반 측위데이터 제공 시스템,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전파를 참조하여 위성에서 송신한 신호가 수신 장치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TOA: Time of Arrival)을 계산하여 거리를 계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 의한 또는 상기 센서가 이용되는 근로자별 위치 파악의 예로는 현장에 설치되는 비콘, 통신장비, 게이트웨이 등이 주변에 있는 작업자에 착용된 수단이나 센서 등을 AP(acess point) 기반 등으로 인식하여 작업자별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자 및 통신장비의 위치는 GPS, 위치추적장치 등에 의하여 좌표 또는 지도에 표시된다. 상기 위치센서, 고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평면, 층별, 고도별, 구역별, 지역별, 부위별, 단지별, 동별, 건물별 작업자의 위치 및 인원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는 상기 센서가 이용되는 근로자의 사고 감지의 예로는 웨어러블수단에 내장된 센서를 통해 근로자의 이동, 고도, 위치, 좌표, 동작, 건강, 추락, 움직임, 쓰러짐, 심정지, 의식불명 등을 감지하여 근로자를 모니터링하여 사고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가 감지되면 a) 현장의 근로자가 사무실의 관리자에게 SOS버튼을 누르거나 SOS 신호를 전송하여 관리자를 호출하거나, b) 또는 관제센터의 관리자가 현장의 근로자에게 알림, 얼람, 부저, 신호, 경고음 등을 전송하여 위험 신호를 전송하여 사고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는 상기 센서가 이용되는 모니터링의 예로는 실시간 모니터링, 공장 실시간 모니터링, 현장 실시간 모니터링, 작업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웨어러블 착용자의 위치(GPS) 실시간 모니터링, 시간대별 이력 실시간 모니터링, 위험감지 실시간 모니터링, 드론에 의한 모니터링, 모니터링이 구현되는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현장에서 발생되는 위험, 사고, 사건 등은 정상, 주의, 심각, 경보 등의 단계로 구분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는 상기 센서가 이용되는 시설안전관리의 예로는 건물, 교량, 터널, 도로, 구조물 등의 시설에 센서 설치,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시설의 변형 및 응력 측정, 이의 측정 결과를 실시간 무선 전송, 이의 전송 정보를 서버에 저장,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연산, 상기 시설의 시간경과별 변형 및 응력의 변화 추이 분석, 상기 시설의 위험성 판단, 시설의 위험 인지, 현장에 신속 연락, 현장에 얼람 발송, 시설 작업 중단, 작업자 대피, 시설 보강 작업 실시, 사고 발생 방지 등이 해당된다.
상기 트래커는 a) 트래커, tracker, 추적자, 사냥꾼, 위치추적기, 트래킹, 트래킹하는 것, 사람이나 차량에 설치, 차량 운행정보 파악, 차량 위치정보 파악, 차량 운행이력 모니터링, 과속 감지, 전복 감지, 3축 가속도 센서 내장,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치측위; b) 사람이나 차량 등에 설치되어 위치정보, 이동이력, 운행이력, 주행속도감지, 과속감지, 충돌감지, 전복감지, 사고감지, 과속경고음, 긴급호출, 차량속도 모니터링, 안전주행속도 유도 등을 하는 장치; c)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트래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버튼은 버튼, 알림버튼, 제어버튼, 작동버튼, SOS버튼, LED버튼, ON/OFF버튼, 녹화버튼, 촬영버튼, 전송버튼, 시작버튼, 종료버튼, button, start버튼, stop버튼, 푸시버튼, 센서버튼, 랜턴버튼, 안전버튼, 카메라버튼, 무전기버튼, 마이크버튼, 스피커버튼, 램프버튼, 센서작동버튼, 랜턴작동버튼, 카메라작동버튼, 무전기작동버튼, 마이크작동버튼, 스피커작동버튼, 램프작동버튼, 센서ON/OFF버튼, 랜턴ON/OFF버튼, 카메라ON/OFF버튼, 무전기ON/OFF버튼, 마이크ON/OFF버튼, 스피커ON/OFF버튼, 램프ON/OFF버튼, 온도조정버튼, 구조요청버튼, 구호요청버튼, 구조요청SOS버튼, 구호요청SOS버튼, 긴급구조요청버튼,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을 제어 또는 ON/OFF하는 버튼,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버튼 등(12)이 해당된다. 상기 버튼을 작업자 등이 누르게 되면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관리자, 총괄자, 이용자, 관제센터 등에 얼람 또는 연락이 되어 긴급구조요청이 되게 된다. 상기 버튼의 이용 예로는 근로자가 작업 중에 사고가 발생되면 SOS버튼을 눌러 관리자를 신속하게 호출하는 것이다. 이때 관리자는 현장에 신속하게 구조팀을 파견하여 관리자를 신속하게 안전, 조치한다. 상기 버튼의 예로는 케이스; 이에 내장된 모뎀 또는 USIM과 배터리; 상기 케이스 표면에 노출된 LED표시등, SOS버튼, 충전단자 등; 상기 충전단자에 꽂히는 잭; 상기 잭에 연결되는 전선 및 플러그; 상기 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충전되는 상기 배터리; 상기 모뎀 또는 USIM에 장착된 LTE; 어플이 다운저장된 핸드폰; 상기 어플의 패스워드; 상기 LTE에 의하여 상기 모뎀 또는 USIM의 위치 정보 전송; 상기 전송된 정보가 저장된 URL 주소; 상기 패스워드 또는 URL 주소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정보가 표시된 핸드폰; 상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를 휴대한 사람의 위치 이동이 표시되는 핸드폰; 상기 케이스를 휴대한 사람의 위치가 실시간 추적되는 핸드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랜턴은 등, 燈, 빛, 랜턴, 조명, 전등, 미등, 조명등, 형광등, 라이트, 플래시, 후레쉬, 전방등, 후방등, 미니등, 소형등, 헤드라이트, 전방라이트, 후방라이트, 측면라이트, 서치라이트, 회전라이트, LED, LED랜턴, LED, 조명, LED라이트, 조명기구, 밴드등, band 燈, 밴드에 거치된 등(燈), lantern, light, lighter, flash, flashlight, torch 등(13)이 해당된다.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사진기, 촬영기, 녹화기, 캠, 웹캠, 홈캠, 액션캠, 필드캠, GPS캠, 캠코더, CCYV, 레코더, 방송기, 방송국, 핸드폰, 원형카메라, 사각카메라, 다각카메라, 원통카메라, 핸드폰카메라, 펜카메라, 펜에 구비된 카메라, 시계카메라, 시계에 장착된 카메라, 미니카메라, 나노카메라, 버튼카메라, 버튼 모양의 카메라, 단추카메라, 단추 모양의 카메라, 링카메라, 링 모양의 카메라, 반지카메라, 반지 모양의 카메라, 필드카메라, 필드 용도의 카메라, IP카메라, 필드CCTV, 필드촬영기, 웨어러블 카메라, 조끼나 신체에 장착되는 웨어러블 카메라, 웨어러블 CCTV, IP CCTV, LTE CCTV, CCTV카메라, GPS카메라, GPS 위치 추적 카메라, 촬영카메라, 이동형카메라, 동영상카메라, 이동형촬영기, 이동형CCTV, 이동방송기, 이동방송국, 모바일카메라, 모바일촬영기, 모바일방송기, 모바일방송국, LED카메라, LED광이 방사되는 카메라, LTE카메라, LTE 통신이 되는 카메라, 이동형 LTE-CCTV, AI카메라, 인공지능 카메라, 스냅카메라, 무선카메라, 무선전송카메라, camera, camcoder, recorder, wireless camera, 유선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디지털카메라, 아날로그카메라, 열화상카메라, 적외선카메라, 내시경카메라, 관로 내시경 카메라, 연속촬영카메라, HD카메라, Full HD카메라, 회전카메라, 각도조절카메라, 각도회전카메라, 렌즈 구비 카메라, 광각렌즈 구비 카메라, CMOS센서 탑재 카메라, 2M 픽셀 카메라, DSLR 카메라, 미러리스 카메라, 삼각대캠, 삼발이캠, band 카메라, 밴드에 거치된 카메라, 삼각대에 거치된 캠, 삼발이에 거치된 캠, 라우터 구비 카메라, 통신장치 구비 카메라, 무선통신장치 구비 카메라, 무선 송신이 가능한 카메라, 무선 전송이 가능한 카메라, 영상 촬영과 촬영 영상의 무선 송신이 가능한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무선 송신하는 카메라,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구비된 카메라,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카메라 등(14)이 해당된다.
상기 픽셀은 畵素, picture element, 텔레비전이나 전송사진 등에서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최소단위의 명암의 점, 픽처(picture)와 엘리먼트(element)의 합성 어, 수치가 높을수록 화질이 높아짐, 디지털 이미지의 해상도는 ppi(pixels per inch)로 나타냄, 이는 1인치 안에 몇 개의 픽셀이 존재하는지를 수치로 표현한 것임 등이 해당된다. 상기 CCTV는 폐쇄회로 텔레비전, closed circuit television,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 등이다.
본 발명의 캠, 모뎀, 수단, 사물, 만물, 카메라, 액션캠, CCTV,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이중 하나의 상, 하, 좌, 우, 전, 후, 측면, 내부, 외부, 모서리; 등에는 칩, 칩 꼽는 슬롯, 반도체, 반도체 꼽는 슬롯, 반도체칩, 반도체칩 꼽는 슬롯, 기판, 회로, 회로판, USIM칩, USIM 슬롯, USIM칩 꼽는 슬롯, 카드, 카드 슬롯, 카드 꼽는 슬롯, USB, USB 슬롯, USB 꽂는집, 메모리카드, 메모리카드 꽂는 슬롯, SD카드, SD카드 슬롯, SD카드 꽂는 슬롯, 배터리, 배터리 슬롯, 저장부, 영상저장부, 배터리 꽂는 슬롯, 전지, 전지판, 발전기, 태양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판, 태양발전기, 충전단자, 전선연결 충전단자, 케이블 연결 충전단자,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잭이 충전잭이 삽입되는 충전단자, 잭연결부, 잭연결슬롯, 전선잭연결부, 칩 연결단자, 잭 연결단자, 마이크 연결단자, 오디오부 연결단자, LED, LED등, 그린LED, green LED, 전원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그린LED, 충전표시 LED, Red LED, 충전시 켜지는 Red LED, 충전완료후 꺼지는 Red LED, 파워키, power key, power on 시에 짧게 누르는 파워키, power off 시에 길게 또는 3초 이상 누르는 파워키, 종료 key, 강제종료 key, 모뎀, LTE모뎀, 라우터, LTE라우터, 공유기, LTE공유기, 무선통신부, 무선통신모뎀, 무선통신장치, 송출부, 송출장치, 영상송출장치, 화면, 모니터, 스크린, 디스플레이, 버튼, 전원버튼, 촬영버튼, 녹화버튼, SOS버튼, 줄, 선, 밴드, 원밴드, 착용밴드, 신체착용밴드, 헬멧착용밴드, 벨트, 지지대, 거치대, 삼각대, 셀카봉,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또는 등의 이용, 사용,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장착, 정착, 합체, 결합, 연결, 연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내부에 회로판, 측면의 슬롯에 장착된 USIM, 하부의 슬롯에 꼽힌 메모리카드, 상부의 슬롯에 꼽힌 배터리, 외부에 연결된 모뎀 등이 구비되면서 장비에 지지대로 거치된 사물 또는 카메라와, 이의 사물 또는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이 상기 모뎀을 통하여 실시간 무선 전송되고, 상기 영상이 메모리카드에 저장되고, 상기 USIM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및 이를 소지한 장비의 위치가 실시간 추적되는 것이다.
상기 슬롯은 홀, 집, 틈, 구멍, 자리, 단자, 슬롯, 요부, slot, 삽입구, 투입구, 빈공간, 칩 삽입구, 잭 삽입구, 카드 삽입구, 단자 삽입구, 가느다란 구멍, 가늘고 긴 빈공간, 보드 따위를 끼워 넣는 자리, 무엇을 집어넣도록 만든 가느다란 구멍 등이다. 상기 슬롯에는 칩, 잭, 카드, 단자, 플러그, 연결잭, 전기잭, 메모리칩, USIM, SD카드, ID카드, USIM칩, USIM카드 등의 투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칩, 반도체, 카드, USIM, ID카드, USIM칩, USIM카드, 사물, 만물, 수단 등의 위치 또는 궤적 또는 이동은 a) a1) 추적, 인식; a2) 또는 장비, 장치, GPS, 통신망, 통신장치, 비콘, 게이트웨이, 추적장치, 위치추적장치 등에 의하여 추적, 인식, 식별, 자동추적, 자동인식; 등이 가능하고, b) 따라서 상기 칩 내지 USIM카드 등을 소지한 사람, 로봇, 사물, 만물, 아바타, 마네킹, 인부, 작업자, 장비, 장치, 시설, 수단 등은 위치, 이동, 경로, 궤적, 이동경로, 이동위치 등이 자동적으로 실시간 또는 일정 간격 등으로 추적, 인식, 식별, 전송, 수신, 저장, 시청, 시연, 공연, 행사, 전송, 수신, 중계, 방송, 방영, 청취, 구경, 보기, 제공, 공급, 정보제공, 생중계, 실시간중계, 스트리밍, 라이브스트리밍, live streaming 등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칩이 구비된 사람, 반도체가 장착된 장비, 출입카드가 구비된 작업자, USIM을 가진 사람, USIM칩을 가진 사물, USIM이 내장된 카메라, ID카드를 소지한 로봇 등의 위치가 원격으로 자동적으로 실시간 추적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 또는 추적 또는 인식된 사물의 위치 또는 이동은 지도, 도면, 화면, GPS지도, 지형도, 핸드폰, 스마트폰, PC, 모니터, 스크린, 디스플레이, 핸드폰지도, 스마트폰지도, PC지도, 모니터지도, 스크린지도, 디스플레이지도 등에 표시 또는 실시간 표시가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는 촬영, 녹화, 저장, 통신, 전송, 송신, 수신, 편집, 블랙박스 기능, 140°광각 회전, 180°광각 회전, 사각지대 없는 촬영, Full HD, 실시간 전송, 방송, 중계, 방영, 실시간 방송, 무선영상전송, 실시간 영상전송, 지연없는 실시간 영상전송, 통화 제공, 생중계, 실시간중계, 스트리밍, live streaming,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전면(3) 및 후면(4) 동시 촬영, 화면 제공, 화면 시청, 영상화면 제공, 영상화면 시청 등이 가능하다. 카메라는 파노라마 기능, 인셉션 기능, 추적기능, 셀카모드, 팔로우 포커스, 구도변경, 삼각대, 무선조종, 무선전송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캠은 캠, cam, 손캠, 홈캠, 액션캠, 핸드캠, 필드캠, IP캠, GPS캠, 카메라, camera의 cam, 카메라의 약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웹캠은 웹캠, web cam, Web과 Camera의 합성어. 비디오카메라,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비디오카메라, PC와 USB를 통해 연결, 마이크 내장, 화상회의용, 화상채팅용, 인터넷방송용, PC와 연결하여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 스트리밍할 목적으로 개발된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홈캠은 홈캠, home cam, home camera, home CCTV, 집에 설치된 카메라,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 집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 집안을 녹화하는 카메라, 집의 출입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캠코더는 캠코더, 캠리코더, 카메라리코더, camorder, cam recorder, camera, recorder 등이다. 상기 필드캠은 필드캠, field cam, field camera, field CCTV, 현장 촬영기, 현장 카메라, 현장이나 공장에 설치된 카메라, 실외에 설치된 카메라, 현장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 현장을 녹화하는 카메라, 현장의 출입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상기 DSLR 카메라는 Digital Single Lens Reflex Camera, 기존 필름 카메라에서 디지털 방식을 더한 카메라,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미러리스 카메라는 Mirrorless Camera, 촬영 체계에서 반사경(mirror)과 펜타프리즘(pentaprism)을 제거한 사진기, DSLR 카메라에서 반사거울과 프리즘을 제거한 카메라 등이 해당된다. 상기 IP카메라, IP CCTV, IP캠 등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카메라, CCTV, 캠 등이다. 여기서 IP는 internet protocol이다.
상기 촬영기는 촬영기, 撮影機, 영상 촬영기, 카메라 촬영기, 필드 촬영기 등이다. 상기 촬영기 또는 카메라는 렌즈, 셔터, 파인더, 녹음기, 동력부, 필름매거진, 수동기구부, 거치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초점거리 35mm, 50mm, 75mm 또는 100mm 등의 렌즈; 20mm, 25mm 등의 광각렌즈; 150mm, 300mm 등의 장초점 렌즈, 또는 줌렌즈(zoom lens), 애너모픽렌즈(anamorphic lens) 등이다. 상기 셔터는 셔터, 로터리셔터, 개각도 가변 셔터 등이다. 상기 파인더는 파인더, finder, 역갈릴레오식 파인더(reverse Galilean finder), 1안반사식 파인더(single lens reflex finder) 등이다. 상기 녹음기는 녹음기, 동시녹음기, 광학녹음방식(optical sound recording system), 자기녹음방식(magnetic sound recording system), 후시녹음(後時錄音:after recording) 등이다. 상기 동력부는 동력부(動力部), 직류 12V, 24V, 교류 110V, 3상교류 220V, 전동식(電動式) 동력부, 건전지 동력부, 태엽이 풀리는 힘을 이용하여 기계를 작동시키는 스프링 동력부 등이다. 상기 필름매거진은 필름매거진, film magazine, 카메라 위쪽에 위치하며 촬영 전의 생필름이 감긴 공급스풀과 촬영이 끝난 필름을 감는 스풀을 내장하는 완전 차광된 밀실로 됨 등이다. 상기 수동기구부는 수동기구부, 輸動機構部, 공급스풀에서 나오는 필름을 일정한 속도로 애퍼처(aperture:畵面窓) 쪽으로 연속 이동시키는 기구, 셔터가 열려 있는 동안 필름을 정지시키고 닫히면 한 프레임분의 필름을 이동시키는 간헐수동기구(間歇輸動機構) 등이다.
상기 카메라의 이용예로는 캠 또는 카메라 또는 CCTV, 이에 연계되는 LTE 모뎀, 작업자 또는 조끼 또는 헬멧에 장착되는 상기 카메라 및 LTE 모뎀, 상기 작업자의 핸드폰, 상기 핸드폰에 연계되는 비콘 또는 게이트웨이, 상기 비콘 또는 게이트웨이에 의한 상기 핸드폰의 위치 정보, 상기 모뎀에 내장된 USIM 및 메모리 카드, 상기 카메라에 의한 촬영, 상기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메모리 카드, 상기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LTE, 상기 USIM의 위치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LTE, 상기 송신된 정보가 수신되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상기 서버에 연계되는 PC,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의 매체, 상기 매체에 내려받는 어플, 상기 정보가 저장된 URL 주소, 상기 어플이나 주소의 출입을 위한 패스워드, 상기 매체에 활성화된 또는 보여지는 지도, 상기 촬영 정보가 실시간 시청되는 상기 매체, 상기 위치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매체, 상기 위치 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매체에 나타나는 지도,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및 작업자의 위치 추적, 상기 정보 및 추적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및 작업자 및 현장의 안전 상태 파악, 안내 메세지가 수신되는 상기 모뎀, 본사의 전화기와 통신이 되는 상기 작업자의 핸드폰, 상기 핸드폰에 전달되는 본사의 지시, 상기 지시에 의한 작업자 안전 조치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수단, 센서, 카메라, 촬영기, 계측기, 시험기 등에는 a) 촬영을 하는 렌즈, 촬영을 하는 촬영부, 녹화를 하는 녹화부,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b) 상기 촬영을 원격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렌즈의 줌인 및 줌아웃을 원격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 c)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되는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을 보여주는 모니터; d)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e) 상기 카메라의 설치 각도나 좌표의 왜곡 등에 의해 왜곡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보정부; 작업자나 물체가 놓여진 좌표 평면에서 일정 높이 및 폭을 가진 영상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추출부; f)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영상 이미지로부터 작업자가 착용해야 할 안전장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독부; g) 상기 판독부의 판단 결과를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 또는 건설 장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여 주는 영상 표시부; h)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얼람을 알리는 얼람부;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단, 센서, 렌즈, 카메라, 촬영기, 계측기, 시험기 등에는 LTE, WiFi, 통신장치, 통신망, 이동통신망, 방송사, 방송시설, 이동방송국, 이동기지국, 서버, 단말기, PC,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이 연계되어 방송, 생방송, 동영상, 이동방송, 개인방송, 국내방송, 해외방송, 녹화방송, SNS방송, 실시간 방송, 스트리밍, 라이브 스트리밍, live streaming, 유투브방송, TouTube방송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카메라 또는 촬영기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 작업, 공사, 정화, 방역, 방제, 사건, 사고, 안전, 현장영상, 사고영상, 방재영상, 안전대책 등이 실시간 적으로 서버, 단말기, PC,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에 생방송 또는 녹화방송이 가능하다.
상기 무전기는 폰, 전화, 전화기, 통화기, 무전기, 마이크, 스피커, 핸드폰, 스마트폰, 라디오, 통화장치, 무선통화장치, 통신장치, 음성통신장치, 쌍방음성통신장치, 무선통신장치, 마이크 및 스피커가 구비된 무전기, 무선 전신기, 무선 전화기, 無電機, radio, walkie-talkie, two-way radio, 전파를 이용하여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서로 송수신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무전기 등(15)이 해당된다. 상기 폰, 무전기, 통화기, 핸드폰, 스마트톤 등은 고소음 지역 사용자 알림, 고소음 지역 사용자 통화 기능, 강력한 노이즈 제거 기능, 90∼100dB 이상의 고소음 지역에서 원활한 통화, 2W 고출력 스프커 탑재, 소음이 많은 야외에서 원활한 통화, 진동을 통한 사용자 알림 기능 지원, 유선 이어폰 연결, 블루투스 이어셋 연결, PTT통화, PTT서비스, PTT(Push To Talk)버튼, PTT모드통화 지원, 일반통화모드 지원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스프커는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고출력 스피커, 2 watt 고출력 스피커, 전기음향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마이크는 마이크, 마이크, mike, microphone, 무선마이크, 유선마이크, USB무선마이크, 노이즈 제거 마이크, 소리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써 변환하는 장치, 변환기(Transducer) 등이 해당된다.
상기 PTT는 스마트톤을 무전기 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여러 사람과 동화하거나 또는 여러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버튼 하나만 누르면 휴대전화 하나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통화할 수 있다. 이는 즉각적으로 통화를 할 수 있어 일반 휴대전화와 비교하여 대기 시간이 짧기 때문에 매우 빠른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일반 음성 통신망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통신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료가 저렴하다. 일반 휴대폰은 상대가 수신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알기가 어렵지만 PTT서비스는 휴대폰 화면에 현재 수신이 가능한 전화번로를 보여줄 수가 있다. 이는 스마트폰에 PTT앱을 설치하여 헤드셋, 블루투스, 통신수단 등과 3G, 4G, 5G, LTE, WiFi, LAN 등을 통하여 무선으로 다수개의 스마트폰, PC, 컴퓨터, 데스크탑, 핸드폰 등과 통화할 수 있다.
상기 알림기는 벨, bell, 얼람, 알람, alam, 진동, 소리, 벨소리, 노래, 부저, 음향, 방송, 경고, 뮤직, 음악, 경고음, 경고불, 따르릉, 사이렌(siren), 사운드, 전파, 스피커, 폰, 전화, 통화, 등, 빛, 불빛, 조명, 반짝이, 신호등, 경고등, 경광등, LED등, 비상등, 조명등, 절멸등, 부져, 사운더, 울림기, 알림기, 얼람기, 얼람벨, 얼람등, 알람기, 경고기, 경보기, 점멸기, 깜박이, 메세지, 화면, LED화면, 영상화면, LCD화면, PC,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영상스크린, 영화스크린, 표시기, 수치표시기, 표지기, 전광판, 신호판, 알림판, 표지판, 전자표지판, 디스플레이, 핸드폰, 스마트폰, 텔레비전, 푸시메세지, 핸드폰에 전송되는 푸시메세지, 비상메세지, 인디케이터, 알리는 장치, 영상이나 측정된 것을 알리는 장치 또는 전광판, 영상이나 측정된 것을 보여주는 장치 또는 전광판, 알림 기능을 가진 센서, 상기 진동 내지 메세지 등을 알리는 알림기, 상기 진동 내지 메세지 등을 전달하는 알림기,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알리는 알림기 또는 화면,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보여주는 알림기 또는 전광판,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의 정보를 알리는 장치 또는 표시기,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알리는 장치 또는 모니터,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장치 또는 전광판,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보여주는 장치 또는 스크린, 센서에서 센싱된 수치를 보여주는 장치 또는 화면, 계측기에서 계측된 수치를 보여주는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알림기 등(16)이 해당된다. 상기 알림기는 a) 인부, 작업자, 운영자, 관리자, 총괄자, 사무실, 관제센터 등에 영상, 센싱값, 측정치, 위험요소 등을 알리는 장치이거나, b) 또는 상기 인부 내지 관제센터 등에 영상, 센싱값, 측정치, 위험요소 등을 상기 얼람 내지 인디케이터 등으로 알리는 것이다. 상기 알림기에 의한 알림은 자동으로 되거나, 또는 제어기, 서버, 관리자, 총괄자, 이용자, 처리장치, 통신장치 등에 의한다. 본 발명에서 ∼ 등은 ∼ 등; 또는 ∼ 중 하나 이상; 또는 ∼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을 나타낸다.
상기 램프는 등, 燈, 전등, 傳燈, 램프, 알림등, 표시등, 야광등, 형광등, 점멸등, 야간등, 안개등, LED, LED램프, 청정램프, 정화램프, 살균램프, 소독램프, 방역램프, 방제램프, 인디케이터, 후방인디케이터, LED인디케이터, lamp, 야간표시등, 발광체, 야광체, 야광과 살균을 하는 램프, 발광과 소독을 하는 램프, 작업자의 후방 램프, 야간 인디케이터, 야광 인디케이터, 2가지 이상 색상의 LED 인디케이터, 웨어러블수단의 후방 램프,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작업자를 알리는 인디케이터, 2가지 이상의 색상이 점별하는 또는 꺼지고 켜지는 인디케이터, 2가지 이상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ON/OFF하는 인디케이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램프 등(17)이 해당된다.
상기 계측기는 a) 센서, 소자, 계측기, 측정기, 감지기, 측량기, 관측기, 탐사기, 탐지기, 시험기, 검사기, 검정기, 광파기, 기록기, 기록계, 만보기, 칩, 계측칩, 센싱칩, 측정칩, 응력계, 강도계, 하중계, load cell, 변형계, strain gauge, 변위계, 속도계, 가속도계, 농도계, 오염농도계, 오염측정기, 앵커계측기, 인발계측기, 지반변위계, 지중변위계, 내공변위계, 천단변위계, 다단변위계, 건물변위계, 건물기울계, 경사계, 인클리노미터, inclinometer, 틸트미터, tilt meter, 건물경사계, 지중경사계, 지하수계, 지하수위측정기, 광파측량기, 침하계, settlement gauge, 지반침하계, 지중침하계, 다단침하계, 게이지, gauge, 스트레인게이지, 스트레스게이지, 망치, 해머, 슈미트해머, 천단침하계, 내공변위계, 락볼트응력계, 라이닝응력계, 핸드폰, 핸드폰계측기, 디스펜서, 스캐너, 3D스캐너, 레이저 스캐너, 화상기, 열화상기, 비파괴 장치, 사운딩기, Sounding Unit, measuring instrument, 計測器, 물리탐사기, 자기탐사기, 전자탐사기, 음파탐지기, 초음파탐지기, 철근탐지기, 누수감지기, 손상감지기, 유선계측기, 무선계측기, 자동계측기, 지진계측기, 진동계측기, 건물계측기, 교량계측기, 터널계측기, 사면계측기, 지반계측기, 지중계측기, 바이오계측기, 흙막이계측기, 쉬미트해머, 센서 이용 계측기, 센서 탑재 계측기; b)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의 계측기,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측정하는 계측기; c)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계측기; 등(18)이 해당된다.
상기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dispensor, 콘크리트 속에 작은 기포를 일으키는 에이이제 용액의 부피와 무게를 재는 장치, 펌프식의 리필용 용기, 약품을 담아두는 펌프식의 리필용 용기, 특정한 물건이나 물질을 사용할 때 버튼이나 손잡이를 한 번 누르면 일정한 양이 공급되도록 고안된 도구나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이오계측기는 바이오계측기, 바이오센서, 생물 이용 계측기, 바이오 이용 계측기, 미생물 계측기, 사람을 측정하는 계측기, 동물을 측정하는 계측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계측기의 예로는 a) 계측기, 검출기, 변환기, 확대기, 증폭기, 전송기, 수신기, 기록기, 저장기, 판단기, 경보기, 현장이나 드론에 구비된 계측기; b) 또는 계측 내용을 검출하는 검출기, 측정량을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변환기, 상기 전기량을 확대하는 확대기, 상기 전기량을 증폭하는 증폭기, 측정량 또는 전기량으로 전송하는 전송기, 전송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기,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기, 상기 정보를 판단하는 판단기, 상기 판단 결과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기;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계측기(18)의 예로는 센서, 계측기, 계측수단, 데이터로거(data logger), 데이터수집부, 데이터판독부,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계측기의 예로는 계측을 하는 계측기, 상기 계측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 계측 위치를 감지하는 GPS장치, 계측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기, 상기 전송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정보를 연산처리하는 처리장치,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상기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터널계측기의 예로는 터널 내부의 천단에 설치되는 천단침하계, 터널 내벽의 2개 지점 이상에 설치되는 내공변위계, 터널에 설치된 락볼트의 응력을 측정하는 락볼트응력계, 터널 라이닝의 응력을 측정하는 라이닝응력계; 터널 내부에 200m 간격으로 설치된 게이트웨이; 이에 연결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계측기의 이용예로는 a) 현장에 구비된 계측기, 공장에 구비된 측정기, 지반에 구비된 감지기, 지상에 구비된 측량기, 사면에 구비된 관측기, 공중에 구비된 탐사기, 드론에 구비된 탐사기, 메타버스에 구비된 탐사기, 수중에 구비된 탐지기, 연구실에 구비된 시험기, 터널에 구비된 응력계, 교량에 구비된 변형계, 항만에 구비된 변위계, 도로에 구비된 속도계, 대기에 구비된 농도계, 현장에 구비된 물리탐사기;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드론,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제어기, 플랫폼,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센서, 계측기, 시험기, 기록기, 기록계 등은 가스, 환경, 위치, 모션, 행동, 이동, 생체, 공기질, 소음, 충격, 진동, 지진, 낙하, 힘, 무게, 중량, 응력, 강도, 변형, 변위, 지반, 토지, 지형, 건물, 구조물, 작업, 제조, 생산, 공사, 시공, 건설, 건축, 포장, 메타버스,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의 측정, 센싱, 계측, 측량, 측지, 관측, 시험, 검사, 매핑, mapping, 맵에 표식, 지도에 표기, 항공측량, 지상측량, 3차원화, 3차원도형화, 3차원화체적산정 등이 가능하다. 상기 매핑은 매핑, mapping, 지도 작업, 지도 제작 작업, 지도에 관한 작업, 지형 작업, 지도에 표기, 맵(map)에 표식, 메타버스에 지형 작업, 지형을 도면화하는 작업, 3D 도면 제작, 3D 모델링을 할 때 모델에 텍스쳐를 펴 바르는 작업, 어떤 값을 다른 값에 대응시키는 과정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센서, 계측기 등은 위험지역 접근 감지, 위험지역 접근 알림, 셀프 안전점검, 착용자가 위험지역 접근시 경고 알림, 위험지역 작업현황 모니터링, 위험상황 자동감지, 긴급구조요청, 유해가스 실시간 감지, 가스사고 실시간 감지, 낙상사고 실시간 감지, 착용자 사고감지시 자동알림, 착용자 사고감지시 구호요청 전송 등을 하거나, 또는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계측기, 기록기, 기록계 등은 인터넷, 통신장치, 통신망, 통신모듈,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플랫폼,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에 연계되어 센셍 정보, 계측 정보 등이 전송, 무선전송, 수신, 저장, 처리, 읽기, 보기, 중계, 방송, 방영, 생중계, 실시간중계, 스트리밍, 라이브스트리밍, live streaming 등이 가능하다.
상기 검사 중에 층간소음의 검사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사후 바닥충격음 성능검사, 실생활 소음과 유사한 방식으로 검사, 바닥충격음 성능검사, 공동주택 완공 후 사후검사, 시공 전 층간소음의 검사기준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모두 49dB(데시벨) 만족 여부 검사, 시공 후 층간소음의 검사기준은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모두 49데시벨(dB)만족 여부 검사, 경량충격음은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소음임, 중량충격음은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소음임, 바닥난방의 특성을 반영한 국제표준(ISO) 적용, 실생활과 유사한 환경에서 소음을 측정, 중량충격음의 시험은 뱅머신(타이어) 방식 적용, 중량충격음의 시험은 어린이 발소리와 비슷한 임팩트볼(고무공) 방식 적용, 잔향시간과 청감특성을 고려해 평가 등의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계획, 조사, 답사, 관측, 센싱, 계측, 관찰, 측정, 진단, 검사, 매핑, 측량, 촬영 등이 가능하고, 이에는 현황, 현장, 현지, 단지, 지반, 지질, 부지, 위치, 건물, 교량, 터널, 도로, 항만, 옹벽, 지장물, 구조물, 대상, 대상지, 대상물, 사면, 경사면, 절개지, 균열, 조인트, 절리, 주향, strike, 경사, dip, slope, 구조물균열, 건물조인트, 암반절리, 절리주향, 절리경사, 폭, 길이, 가로, 세로, 직경, 면적, 체적, 위치, 주소, 좌표, 힘, 압력, 응력, 변형, 변위, 침하, 각도, 진동, 소음, 악취, 냄새, 균, 오염, 농도, 수위, 지하수위 등의 또는 등에 대한 계획, 조사, 답사, 관측, 센싱, 계측, 관찰, 측정, 진단, 검사, 매핑, 측량, 촬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획 내지 모니터링, 계획 내지 촬영 등은 사람, 장비, 장치, 로봇, 드론, 비행기, 항공기, 비행체, 이동체, UAM, 아바타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주향과 경사(Strike and dip)는 지질학적 면구조의 자세 또는 방향을 정의, 표현 그리고 측정하기 위해 제안된 공통의 약속으로, 주향은 해당 면구조와 수평면이 이루는 교선의 방향, 경사는 면구조와 수평면 사이의 각도로 각각 정의된다. 지질학적 변화과정을 통해 지반이나 암반에는 층리, 사층리, 절리, 균열, 조인트, 단층, 엽리, 암맥, 벽개, 습곡축면 등과 같은 다양한 면구조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지질학적 면구조의 자세(또는 방향)은 과거에 일어난 지질학적 과정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주향과 경사는 지질학적 면구조의 자세 및 방향을 정의, 표현 그리고 측정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3차원적 면구조를 수치로 손쉽게 표현하기 위한 공통의 약속이다. 주향은 해당 면구조와 수평면(즉, 중력에 수직한 가상의 해수면)이 만나는 교선(주향선, strike line)의 방향을 의미하며, 이 교선과 북쪽방향(진북)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된다. 경사는 면구조가 기울어진 정도를 의미하며, 면구조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된다. 경사방향(dip direction)은 주향선과 수직을 이루는 면구조 위의 직선이 가리키는 방향이며, 면구조 위에 구슬을 놓았을 때 중력에 의해 구슬이 구르는 방향이 된다.
본 발명에서 a) 측정치, 허용치, 기준치; b) 또는 수질, 공기질, 유해물질 등의 측정치, 허용치, 기준치; 등의 예는 하기 a) 또는 b) 와 같다. a) 미세먼지(PM-10) 75㎍/㎥, 100㎍/㎥, 200㎍/㎥; 미세먼지(PM-2.5) 35㎍/㎥, 50㎍/㎥; 이산화탄소 1000ppm; 폼알데하이드 80㎍/㎥, 100㎍/㎥; 총부유세균 800 CFU/㎥; 일산화탄소 10ppm, 25ppm; 이산화질소 0.05ppm. 0.1ppm, 0.3ppm; 라돈 148Bq/㎥; 총휘발성유기화합물 400㎍/㎥, 500㎍/㎥, 1000㎍/㎥; 곰팡이 500CFU/㎥; 폼알데하이드 210㎍/㎥; 벤젠 30㎍/㎥; 톨루엔 1,000㎍/㎥; 에틸벤젠 360㎍/㎥; 자일렌 700㎍/㎥; 스티렌 300㎍/㎥; 라돈 148Bq/㎥; 이중 하나의 이하, 미만, 이상; 상기 중 하나 수치의 이하, 미만, 이상; 등이다. 상기 중 하나 수치는 상기 75㎍/㎥ ∼ 148Bq/㎥ 등이 해당된다.
b) 일반세균 100CFU/mL 또는 1mL 중 100CFU(Colony Forming Unit), 저온일반세균 20CFU/mL, 중온일반세균 5CFU/mL, 저온일반세균 100CFU/mL, 중온일반세균 20CFU/mL, 총대장균군 용액 100mL에서 불검출, 총대장균군 용액 250mL에서 불검출, 대장균·분원성 대장균군 용액 100mL에서 불검출, 분원성 연쇄상구균·녹농균·살모넬라 및 쉬겔라 용액 250mL에서 불검출, 아황산환원혐기성포자형성균 용액 50mL에서 불검출, 여시니아균 용액 2L에서 불검출, 납 0.01㎎/L, 불소 1.5㎎/L, 불소 2.0㎎/L, 비소 0.01㎎/L, 비소 0.05㎎/L, 셀레늄 0.01㎎/L, 셀레늄 0.05㎎/L, 수은 0.001㎎/L, 시안 0.01㎎/L, 크롬 0.05㎎/L, 암모니아성 질소 0.5㎎/L, 질산성 질소 10㎎/L, 카드뮴 0.005㎎/L, 붕소 1.0㎎/L, 브롬산염 0.01㎎/L, 스트론튬 4mg/L, 우라늄 30㎍/L, 페놀 0.005㎎/L, 다이아지논 0.02㎎/L, 파라티온 0.06㎎/L, 페니트로티온 0.04㎎/L, 카바릴 0.07㎎/L, 1,1,1-트리클로로에탄 0.1㎎/L, 테트라클로로에틸렌 0.01㎎/L, 트리클로로에틸렌 0.03㎎/L, 디클로로메탄 0.02㎎/L, 벤젠 0.01㎎/L, 톨루엔 0.7㎎/L, 에틸벤젠 0.3㎎/L, 크실렌 0.5㎎/L, 1,1-디클로로에틸렌 0.03㎎/L, 사염화탄소 0.002㎎/L, 1,2-디브로모-3-클로로프로판 0.003㎎/L, 1,4-다이옥산 0.05㎎/L, 잔류염소 4.0㎎/L, 총트리할로메탄 0.1㎎/L, 클로로포름 0.08㎎/L, 브로모디클로로메탄 0.03㎎/L, 디브로모클로로메탄 0.1㎎/L, 클로랄하이드레이트 0.03㎎/L, 디브로모아세토니트릴 0.1㎎/L,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 0.09㎎/L,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0.004㎎/L, 할로아세틱에시드 0.1㎎/L, 포름알데히드 0.5㎎/L, 경도(硬度) 1,000㎎/L, 경도 300㎎/L, 경도 1,200㎎/L, 동 1㎎/L, 색도 5도, 세제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0.5㎎/L, 수소이온농도 pH 5.8 이상 pH 8.5 이하, 아연 3㎎/L, 염소이온 250㎎/L, 철 0.3㎎/L, 망간 0.3㎎/L, 망간 0.05㎎/L, 탁도 1NTU(Nephelometric Turbidity Unit), 탁도 0.5NTU, 황산이온 200㎎/L, 황산이온 250㎎/L, 알루미늄 0.2㎎/L, 세슘(Cs-137) 4.0mBq/L, 스트론튬(Sr-90) 3.0mBq/L, 삼중수소 6.0Bq/L; 이중 하나의 이하, 미만, 이상; 상기 중 하나 수치의 이하, 미만, 이상; 등이다. 상기 중 하나 수치는 상기 100CFU/mL ∼ 6.0Bq/L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수단, 현장, 공장, 가정, 공사장, 시험실, 연구실, 사물, 만물, 생물, 시설, 장비, 장치, 크레인, 타워크레인, 지반, 지중, 건물, 주택, 터널, 교량, 도로, 지하철, 구조물, 자재, 재료,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사람, 인간, 로봇, 동물,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a) 센서, 계측기, 시험기, 기록기, 기록지, 기록계, 홈캠, 카메라, 계측모듈, 계측장치, 인터페이스, interface, 랩탑, laptop,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의 설치가 가능하거나, b) 또는 응력, 강도, 변형, 변위, 지진, 진동, 거리, 온도, 습도, 농도, 가스, 환경, 공기질, 구조물응력, 건물강도, 건물변형, 지반변형, 사면변위, 타워크레인변위, stress, distance, displacement,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의 측정을 위하여 센서, 계측기, 시험기, 기록기, 기록지, 기록계, 홈캠, 카메라, 계측모듈, 계측장치, 인터페이스, interface, 랩탑, laptop,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작업을 기록하는 기록기(18), 공사량을 기록하는 기록기(18), 작업을 측정하는 측정기(18), 작업 중 계측하는 계측기(18), 심도를 측정하는 센서(11), 기울기를 측정하는 측정기(18), 타설량을 측정하는 센서(11), 토공량을 측정하는 측정기(18), 작업자(30)의 조끼(2, 24)에 부착된 센서(11),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인터페이스, 이에 연결되는 랩탑 또는 노트북 또는 PC, 이에 연계되는 인터넷장치(50), 상기 기록과 측정과 계측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60),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70) 또는 메모리, 상기 정보를 연산하는 처리장치(80), 상기 정보를 보여하는 단말기(90), 상기 정보가 구현되는 플랫폼(96), 상기 정보를 보기하는 디스플레이(90, 95); 이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 공장(100), 현장(100), 사무실(110), 본사(120), 관리센터(120), 관제센터(120),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또는 다양한 센싱, 계측, 시험, 실측, 관측, 검증, 감정, 인증, 조사, 검사, 측량, 측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의 항목 또는 대상으로는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품질, 소음, 진동, 먼지, 공기질, 수질, 토양, 지반, 토지, 대지, 지중, 지하, 시설, 건물, 구조물, 지하수, 먹는물, 폐기물, 강도, 전단, 압축, 인장, 신장, 비중, 밀도, 무게, 중량, 부피, 체적, 치수, 두께, 길이, 면적, 입도, 입경, 다짐, 투수, 차수, 압밀, 정수위투수, 변수위투수, 들밀도, 재하, 정재하, 동재하, 평판재하, 말뚝재하, 지지력, 지내력, 관입, 콘관입, 표준관입, 간극률, 공극비, 하중, 압력, 응력, 변형, 변위, 일축강도, 삼축강도, 전단강도, 부착강도, 인장강도, 인장율, 신장율, 액성한계, 소상한계, 수축한계, 애터버그한계, 함수량, 함수비, 함유비, 함기비, 흡수율, 강열감량, 유기물함유, 마모, 안정성, 알카리, 활성도, 분말도, 비표면적, 안정도, 팽창도, 응결시간, 평탄성, 저항성, 미끄럼저항, 마샬안정도, 흐름값, 연소성, 열전도율, 전기전도도, 중금속, 용출, 오염용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 센싱 내지 측정; 상기 물질 내지 복합 등의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은 센서, 계측기, 시험기, 드론, 장비, 장치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품질관리 대상은 상기 물질 내지 복합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서, 계측기, 시험기, 드론, 장비, 장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a) 상기 물질 내지 복합 등을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을 할 수 있거나, b) 또는 상기 물질 내지 복합 등을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을 하는 센서, 계측기, 시험기, 드론, 장비, 장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은 a) 단기간, 장기간, 일정기간, 전주기, 일정주기, 생애주기, 생애전주기, 일정시각, 일정시간; b) 또는 작업전, 작업중, 작업후, 완성, 종료, 마무리; c) 또는 공사전, 공사중, 공사후, 완공, 준공, 운영, 유지, 관리, 해체, 재개발, 재건축; d) 또는 제조전, 제조중, 제조후, 야적, 적치, 출하, 선적, 구매, 이동, 운반, 운송, 탁송, 택배, 배달, 도착, 수령, 이용; 등에 시행되거나, 또는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안전, 품질, 관리, 사건, 사고, 재해, 오염, 먼지, 분진, 황사, 출근, 퇴근, 출입; b) 이중 하나의 일, 월, 년, 시, 때, 시기, 시각, 시간, 시점, 종점, 시작, 종료, 시점시간, 종점시간, 시작시간, 종료시간, 곳, 장소, 위치, 좌표, 지번, 지역, 주소, 내용, 항목, 농도, 방안, 방법, 공법, 사람, 인간, 로봇, 작업자, 인원, 몇명, 투입수, 성명, 이름, 량, 수량, 용량; 등이 센싱, 촬영, 녹화, 송신, 수신, 저장, 처리, 관리, 기록, 제공, 공급, 알림, 시험, 계측, 측정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콘크리트의 혼합, 운송, 압송, 타설, 다짐, 진동, 살수, 양생, 면처리; b)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형틀, 거푸집; c) 상기 형틀의 동바리, 지지대, 거치대; d)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 지지대, 거치대; e)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일 내지 용량, 양생시간, 28일 양생시간;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하중, 압력, 변형, 변위, load, pressure, stress, strain, displacement; 등이 센싱, 촬영, 녹화, 송신, 수신, 저장, 처리, 관리, 기록, 제공, 공급, 알림, 시험, 계측, 측정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이 자동, 수동, 전동, 오토, 무인, 원격, 실시간 등으로 가능하다.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센서, 계측기, 시험기, 품질기준, 시험기준, 센싱 내지 측정 등에 의하여 적정의 또는 최적의 또는 일정의 품질시험(QC, quality test), 품질관리(QC, quality control), 품질인증(QC, quality certification), 품질보증(QA, quality assurance), 품질시험방법, 품질관리방법, 품질인증방법, 품질보증방법 등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기는 제어기, 조종기, 조정기, 운전기, 가동기, 컨트롤러, 리모트 컨트롤러, controller 등(20)이 해당된다. 상기 제어기는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등을 제어, 조절, 조정, 가동, 중단, 키기, 끄기, On, Off, Stop, 연결, 차단, 전원연결, 컨트롤, 전원차단, 원격조정, 무선제어, 유선제어, 리모트컨트롤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기에는 보드, 허브(hub), 메인보드, Al모듈, 분석모듈, 판단모듈, 제어모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드에는 Al모듈, 분석모듈, 판단모듈, 제어모듈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Al모듈은 딥러닝, 모델링, 추론 등을 하는 모듈로서,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에 의한 센싱정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등으로부터 위험 요소 검출을 위한 객체의 정보를 추론한다. 분석모듈은 분석, 해석, 추출, 검출 등을 하는 모듈로서 상기 추론된 객체 및 각종 센싱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위험 요소를 검출한다. 판단모듈은 판단 등을 하는 모듈로서 상기 추론, 검출 등이 된 정보로부터 위험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모듈은 상기 추론, 검출, 판단에 의거하여 얼람기를 제어하여 작업자 등에게 위험 상황에 대한 경고나 안내 등을 한다.
상기 LED는 LED,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ed diode, Light-Emitting Diode의 약자, 발광다이오드 등을 나타낸다. 발광다이오드는 Ga(갈륨), P(인), As(비소) 등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반도체이고, 전류를 흐르게 하면 붉은색, 녹색, 노란색 등으로 빛을 발한다. 다이오드는 이극체(diode) 즉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을 모두 가진 물체이다. 상기 LED가 적용되는 또는 LED 발광하는 장치에는 LED센서, LED버튼, LED랜턴, LED카메라, LED무전기, LED알림기, LED램프, LED제어기, LED트래커, LED계측기, LED장치, LED장비, LED기구, LED드론 등이 가능하다.
상기 포켓은 팩, 백, 망, 박스, 포켓, 방수팩, 방수포켓, 주머니, 수납장, 수납팩, 파우치, 호주머니, pocket, pouch, 쟈크 달린 포켓, 물건 저장 포켓, 배터리 저장 포켓, 조끼에 형성된 포켓, 멜빵에 형성된 포켓, 필드수단에 형성된 포켓, 웨어러블수단에 형성된 포켓,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포켓 등(20')이 해당된다.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트래커, 기구, 계측기 등은 오픈, open, 포켓(20')에 내장, 웨어러블수단에 내장, 웨어러블수단(2)의 포켓(20')에 내장, 웨어러블수단에서 외부로 오픈, 웨어러블수단에 장착, 웨어러블수단에 걸림, 웨어러블수단에 달림 등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구비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켓의 예로는 조끼 또는 멜빵에 2개 이상의 포켓이 형성되고 이 포켓의 각각에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중 2개 이상이 각각 내장되는 것이다.
상기 통신장치는 a) 통신기, 송신기, 전송기, 수신기, 발신기, 공유기, 인터넷, internet, 이더넷, ethernet, 무선통신, wireless, 무선, 와이어리스통신, 통신모듈, 통신유닛, 통신수단, 통신장치, 통신장비, 인터넷공유기, 무선인터넷, 네트워크, 무선네트워크, 통신시스템, 인테페이스, 통신인테페이스, 중계장비, 통신중계장비, 게이트웨이, 무선통신장치, 유선통신장치, 송신유닛, 송신장치, 무선송신장치, 전송유닛, 전송장치, 무선전송장치, 라우터,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폰앱, 스마트폰 이용, 이어폰, 이어셋, 무선이어폰, 무선이어셋, 핸드폰통신장치, 스마트폰통신장치, 아바타통신장치, 메타버스통신장치, 설치형 통신장비, 이동형 통신장비, 설치형 통신중계장비, 이동형 통신중계장비, 와이파이, 엘티이, 비콘, 테더링, 핫스팟, 블루투스, 사물인터넷(IoT), 만물인터넷(IoE), 안테나, 통신안테나, 무선안테나, USB안테나, 기업전용 LTE망,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다양한 주변기기, 게이트웨이, 모뎀, 웹, web, 사이트, site, 웹사이트, website, SNS, gateway, WiFi, LTE, P-LTE(Private LTE), IMT, UWB, GSM, BLE, UDP, TCP, IP, USB, ZigBee, Beacon, Bluetooth, AP(access point), WiFi장치, LTE장치, IMT장치, Beacon장치, Bluetooth장치, AP장치, 비콘(beacon)장치,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태그(tag), 비콘태그, RFID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b) 또는 게이트웨이, 스마트폰, 근로자앱 등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c) 이동통신망이 되는 현장에서 비콘(51), 스마트폰(35), 근로자앱(35) 등을 이용한 통신시스템(50); 도 1 상부 그림 참조, d) 이동통신망이 되지 않는 현장에서 게이트웨이(52), 200∼300m 간격으로 게이트웨이(52) 등을 이용한 통신시스템(50); 도 1 하부 그림 참조, e) 또는 상기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스마트폰(35),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에서 발생되는 자료, 정보, 신호,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통신, 송신, 공급 등을 하는 장치; 도 1 그림 참조, f) 상기 통신기 내지 RFID태그 등의 장치; g) 상기 통신기 내지 RFID태그 등을 이용하여 자료, 정보, 신호,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통신, 송신, 전송, 수신, 송수신 등을 하는 것; g)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통신장치; 등(50)이 해당된다.
상기 통신장치의 이용예로는 a) 현장에 설치된 센서에 구비된 공유기, 사람에 장착된 SOS버튼에 거치된 무선통신, 작업의 조끼에 장착된 랜턴에 연결된 블루투스, 공장에 설치된 CCTV에 장착된 WiFi, 근로자의 무전기에 부착된 LTE장치, 장비에 장착된 알림기에 연계된 핫스팟, 드론에 설치된 센서에 구비된 공유기, 드론에 구비된 램프에 연계된 비콘, 사무실에 구비된 청정기의 제어기에 연계된 게이트웨이, 공장의 지붕에 설치된 태양전지에 연결된 무선안테나, 지반에 설치된 계측기에 거치된 통신중계장비;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드론,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이 있다.
상기 와이파이는 와이파이, 공유기, 중계기, 와이파이 공유기, WiFi, wi-fi, wireless, 무선, 무선통신, wireless internet, 무선 통신 표준 기술 중에서 선택된 하나, Wireless Fidelity(와이어리스 피델리티), WLAN, 무선랜, WAN(wireless area network), Wireless LAN, 와이파이 라우터(router), 접속점(AP, 액세스 포인트), 핫스팟(hotspot), 모뎀(modem), 허브(hub), 이더넷(ethernet) 허브, 스위치(switch), 브리지, 메시(mesh), 듀얼/트라이 밴드(band), 무선 인터넷이 개방된 장소에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을 통하여 초고속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설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와이파이는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이용할 수 있음, 참조적으로 기존의 유선 Ethernet은 LAN(근거리 통신망, 랜, local area network)임, 무선 인터넷 공유기/AP 사용, Access Point에 기반을 둔 일대다 통신 방식(Infrastructure mode)을 사용, 사용 범위는 개활지에서 200m 정도, 국내에서는 2002년 2월 1일에 KT에서 네스팟(현 KT WiFi)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 처음, NESPOT 서비스는 olleh WiFi 등장 이후로 종료, 현재는 3대 통신사에서 T wifi zone, KT WiFi, U+zone으로 상용 서비스를 제공 등의 특징을 가진다.
상기 이더넷은 이더넷, ethernet,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이 고유한 매체 접근 제어 주소를 가지고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근거리 통신망, 네트워크(데이터 통신) 구성 방식, 인터넷은 네트워크 통신, 이더넷은 네트워크를 이루는 컴퓨터로 통신, 인터넷은 교통, 이더넷은 도로, 이더넷은 인터넷을 하기위한 수단 중 하나, 유선 방식인 이더넷말, 무선 방식인 와이파이나 LTE등, 스마트폰은 인터넷(IP통신)은 되지만 이더넷은 안 됨, 스마트폰에는 이더넷 단자나 이더넷을 지원하는 랜카드가 없기 때문, 스마트폰에서 이더넷을 사용하고 싶으면 외장 랜카드를 연결시켜야 함, 스마트폰은 WiFi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 WiFi가 대중화되면서 노트북 등에 이더넷 단자가 없어지는 추세임, USB 형태의 이더넷 어댑터 사용, 외부 어댑터로 이더넷 전용 인터페이스 사용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라우터는 라우터, 공유기, 와이파이기, 휴대용 와이파이기, router, 무선라우터, LTE라우터, 와이파이라우터, 통신라우터, 무선라우터, 유선라우터, 무선통신라우터, 카메라에 연결된 라우터, 카메라에 연결된 무선통신 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치, 다양한 네트워크는 통신 방법이나 신호가 다르기 때문에 이의 네트워크들이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중간에서 정리하고 길을 안내해 주는 장치, 라우터(router)의 명사형 route는 길을 의미,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적절하고 효율적인 연결해 주는 장비, 여러 개의 네트워크 사이에서 적절한 통신이 이뤄질 수 있도록 길 안내자의 역할을 하는 장치 등이다.
상기 엘티이는 엘티이, LTE, Long Term Evolution, P-LTE(Private LTE), 오랫동안 진화한 것, 장기간에 걸쳐 기존 시스템을 발전시킨 기술, 4G 이동통신 기술, 국내 전 통신사 주파수 대역 지원 LTE, G는 세대를 의미하는 Generation의 약자임, LTE가 3세대 이동통신인 와이브로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속도에 있음 등이 해당된다. 상기 핫스팟은 핫스팟, hotspot, 인터넷과 연결된 스마트폰을 무선 공유기처럼 만들어서 인근의 다른 스마트폰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기능 등의 특징을 가진다. 핫스팟의 예로는 3G 또는 4G망 → 핸드폰(핫스팟) → Wi-Fi → 다른 핸드폰 등이 있다.
상기 테더링은 테더링, tethering, 휴대폰을 모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 노트북과 같은 IT 기기를 휴대폰에 연결하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 휴대폰의 부가기능으로서 휴대폰 자체가 무선 모뎀(modem, 변복조장치) 역할을 하는 기능 등이 해당된다. USB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장치 또는 Wi-Fi(무선랜) 등을 통해 휴대폰에 노트북, 넷북, 테블릿PC, 데스크톱PC, 전자책단말기, PDA 등 IT 기기들을 연결함으로써 그 기기들에서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테더(tether)는 밧줄이라는 뜻이며 테더링은 연결 밧줄의 의미가 된다. 통상 무선인터넷은 LTE(Long Term Evolution; 4세대 이동통신기술), 3G(3세대 이동통신기술), 와이브로(WiBro; 초고속 무선 휴대 인터넷서비스), 무선접속장치를 활용한 무선랜 등으로 한다. 테더링 서비스는 LTE나 3G 통신망을 활용하는 것으로 휴대폰 통화권 내에 있는 지역에서는 어디에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특히 무선인터넷이 잡히지 않는 지역에서 노트북이나 넷북 등으로 자료를 송신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하고 싶을 때에는 휴대폰의 테더링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테더링 또는 핫스팟의 예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설정에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 클릭, 상기의 '네트워크 및 인터넷'에서 '인터넷 함께 쓰기(테더링, 힛스팟)' 클릭, 상기의 '인터넷 께 쓰기'에서 'USB 테더링', 'Wi-Fi 핫스팟', 'Bluetooth 테더링' 중 하나 클릭 등을 하여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함께 쓰기하면 된다. 상기 USB 테더링은 다른 기기에서 내 휴대폰의 데이터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으로 USB를 연결후 사용하면 된다. Wi-Fi 핫스팟은 Wi-Fi 핫스팟을 클릭한 후 다른 기기를 내 휴대폰의 Wi-Fi로 인터넷을 연결하는 것이다. Bluetooth 테더링은 Bluetooth 테더링을 클릭 한 후 다른 기기에서 내 휴대폰의 Bluetooth로 인터넷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UWB는 Ultra Wide Band, 초광대역 무선기술, 단거리 구간에서 낮은 전력으로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기술, 기존의 주파수 대역에 비해 매우 넓은 대역에 걸쳐 낮은 전력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 기술 등이다. 상기 GSM은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 세계무선통신시스템, Global System/Standard for Mobile Communicatio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종합정보통신망과 연결되어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화 단말기, 팩시밀리, 랩톱 등에 직접 접속하여 이동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디지털 이동통신 방식 등이 해당된다. 상기 BLE는 저전력 블루투스,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 Bluetooth Low Energy, 약 10 미터(m) 도달 반경을 가진 2.4GHz 주파수 대역에서 저전력 저용량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기술 등이 해당된다.
상기 IMT는 국제 모바일 통신 시스템,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이다. 2G는 CDMA, 3G는 WCDMA 또는 IMT-2000, 4G는 LTE 또는 IMT-Advanced, 5G는 IMT-2020이라고 부른다. 5세대 이동통신(5G, fif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은 최대 속도가 20Gbps에 달하는 이동통신 기술이다. 5G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이를 토대로 가상·증강현실(VR·AR),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CDMA(2세대), WCDMA(3세대), LTE(4세대)가 휴대폰과 연결하는 통신망에 불과했던 반면 5G는 휴대폰의 영역을 넘어 모든 전자 기기를 연결하는 기술이라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6세대 이동통신(6G)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5G 이동통신의 최대 속도 20Gbps보다 5배 또는 50배 빠른 차세대 통신기술로서, 초당 100기가비트(100Gbps) 이상의 전송속도를 구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6G는 전파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수중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6G의 이론적 다운속도는 초당 1TB에 달하며 이를 통해 만물인터넷(IoE) 시대를 실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IoE는 만물인터넷, Internet of Everything으로서 사물과 사람, 인간, 데이터, 프로세스 등 세상에서 연결 가능한 모든 것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UDP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user datagram protocol,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때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보내는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 등이다, 상기 TC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서로 다른 시스템을 가진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집합 등이다. 상기 IP는 internet protocol addres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할 때 송신자와 수신자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의 주소 등이다. 상기 ZigBee는 주로 양방향 무선 개인 영역 통신망(WPAN) 기반의 홈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망에서 사용되는 기술, 저속 전송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기술, zig-zag로 날아다니면서 다른 동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Bee(벌)의 정보전달 체계에 착안한 명칭, 여기저기 구석구석 움직이며 통신한다는 뜻 등이 해당된다.
상기 비콘은 비콘, Beacon, 비콘기, 비콘장치, 비콘센서, 비콘리더기, 무선표지(radio beacon), 항공로에 설치되는 등대, 블루투스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BLE(Bluetooth Low Energy)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과 같은 장치에 블루투스를 통해 무선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근거리 통신 기술,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 IT기술 기반의 위치인식 및 통신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통신장치, 특정한 위치에 설치된 무선국에서 특정한 전파를 발사하고 선박 또는 항공기에서 이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그 무선국의 위치와 방위를 알아서 항로 또는 항공로의 식별이 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전파에 의한 항행의 지표, 봉화나 등대와 같이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어떤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기기, IT 기술 기반의 위치 인식 및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기술을 기반으로 근거리 내의 스마트 기기를 감지하고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데이터 통신 기술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비콘은 a) 전송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저주파 비콘, LED 비콘, 와이파이 비콘, 블루투스 비콘 등으로 분류됨, b) 전자유도장치를 갖춘 항공기의 유도장비로서 항공기 유도, 공중폭격 유도, 근접항공지원 유도 등을 위하여 사용하는 장비, c) 또는 형상, 빛, 소리, 색채, 전파 등으로 약속된 신호를 보내고 위치 및 방향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장비 또는 송수신기기, d) 지상 무선 기지 등에서 발사되는 전파를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 이동체 내의 기기에서 수신하여, 위치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e) 근로자 출퇴근 자동인식, 근로자 위치 추적 및 알림, 일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음,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 물체에 인터넷을 적용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에 이용,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활용에 이용, GPS 기술로 파악이 어려운 실내 위치 정보 등을 쉽게 파악함, f) 비콘 그 자체는 위치를 알려주는 기준점 역할을 수행하고 실제 정보 전달은 블루투스, 적외선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짐 등의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비콘은 10cm 이내에서 스마트폰을 직접 태그하는 방식인 NFC(근접무선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보다 가용거리가 길고, 근거리 무선통신(NFC)이 접촉식으로 10∼20cm 이내의 근거리에서만 통신이 가능하지만 비콘은 비접촉식으로 최대 50∼70m의 원거리 통신을 지원함, 비콘은 NFC보다 가용거리가 길어 공간 단위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 오차범위 5cm 이내로 기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음, 5~10㎝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음, 전력 소모가 적어 모든 기기가 항상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구현에 적합, 일대다 및 다대다 서비스 모두 가능, 매장 내에 고객의 내점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쿠폰이나 포인트를 부여, 전시회나 박물관에서 현재 관람객이 감상하는 작품에 대한 자동 설명 서비스를 제공, 가속도 센서나 온습도 센서를 부착한 비콘을 설치하여 농작물이나 기계의 상태를 원격으로 파악, 개당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도 작아 IoT 인프라 구축의 기본 단위가 될 수 있음, 스티커형 비콘은 스티커처럼 정보기술(IT)기기, 자전거, 신발 등에도 쉽게 붙일 수 있음, 비콘 스티커를 지갑에 넣어 놓으면 스마트폰과 일정거리 이상 떨어졌을 때 얼람이나 진동으로 알려줘 지갑의 분실을 막음, 복잡한 설치 과정 없이 붙이기만 하면 모든 물체를 IoT 기기로 만들어줌 등의 특징을 가진다.
상기 블루투스는 a) 블루투스, Bluetooth,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b) 또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 c) 블루투스는 기기 간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 구성으로 연결됨,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헤드셋을 연결하면, 스마트폰이 마스터, 헤드셋이 슬레이브가 됨, d)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헤드셋이나 키보드는 있는데 마스터 기기가 될 노트북, 휴대폰이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블루투스 동글(dongle, 중계기)을 사용함, 이 동글은 USB메모리 모양을 하고 있어 USB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음, e) 블루투스의 경쟁 기술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가 있음,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인터넷망 없이 휴대기기 간 직접 연결해 통신할 수 있는 기술임, f) 블루투스는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임,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면 케이블이 없이도 주머니 속의 MP3플레이어의 음악을 들을 수 있음, 블루투스의 무선 시스템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함, g) ISM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어 저전력의 전파를 발산하는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쓰임, 상기 ISM 대역은 아마추어 무선, 무선랜, 블루투스 등이 사용함 등의 특징이 있다. LAN보다 더 좁은 범위(PAN)를 커버하는 블루투스는 기본 커버리지가 10m 이내이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게이트웨이, gateway, 관문, 출입구 네트워크의 관문, 통신 네트워크의 출입구, LAN 통신이 되도록 하는 게이트웨이,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네트워크 또는 세그먼트(segment)에서 다른 네트워크(인터넷 등)로 이동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거점, 복수의 컴퓨터와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등을 상호 접속할 때 컴퓨터와 공중 통신망을 접속하는 장치, LAN과 공중 통신망을 접속하는 장치, 자동차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 통과하는 톨게이트(tollgate)와 유사한 개념임,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 공유기가 1차 게이트웨이(공유기에 설정된 게이트웨이)이고 인터넷 제공사의 라우터가 2차 게이트웨이가 됨, 공유기를 사용하지는 않는 경우 인터넷 제공자의 라우터가 1차 게이트웨이가 됨, 두 컴퓨터(노드 node라고도 함)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되려면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protocol, 통신 규약)을 사용해야 하는데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두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해 주는 변환기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는 또한 라우터(router)와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음, 라우터는 네트워크 장비의 일종으로 패킷(packet, 네트워크 전송 데이터의 최소 단위)을 다른 네트워크 보내주는(forward) 역할을 함, 게이트웨이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과 상호 접속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와 다른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장비로 이루어짐 등이 해당된다. 게이트웨이의 구성 요소에는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을 제어하는 컴퓨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컴퓨터 게이트웨이 노드, 프로토콜 변환기, 임피던스 매칭 장비, 비율변환기(rate converters), 장애 절연장치(fault isolators) 혹은 시스템 호환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신호변환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게이트웨이 노드는 종종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나 파이어월 서버(firewall server)로 동작한다.
상기 통신망은 a) 망, 통신망, 회로망, 기지국, 통신기, 중계기, 네트워크, 네트워크망, 통신장치, 중계장비, 설치형 중계장비, 이동형 중계장비, 고정형 중계장비, 통신시스템, 통신기지국, 설치통신망, 고정통신망, 이동통신망, 정보통신망, 인터넷망, 인터넷통신망, 클라우드, 클라우드 네트워크, 송신망, 수신망, 송신기, 수신기, 웹, web, 웹사이트, SNS, VPN, BAN, PAN, LAN, WAN, network, commutation network, cloud, 데이터 통신망, 단말기(terminal) 간의 통신 경로를 구성하는 자원의 집합체, 전자 회로망, 여러 종류의 전자 소자를 상호 접속한 것, 수동 회로망(passive network), 능동 회로망(active network), 선형 회로망(linear network), 광통신망, 마이크로파통신망, 무선통신망, 유선통신망, 전기통신망, 전화망, 통신위성망, 이동통신시스템, 아바타통신망, 메타버스통신망, 지상기지국, 5G기지국, KT기지국, SK기지국, LG기지국, 지하케이블망, 해저케이블망, 통신이동업무를 취급하는 무선국, 육상 이동국과의 통신 또는 이동 중계국의 중계에 의한 통신을 하기 위해 육상에 개설하고 이동하지 않는 무선국. base station, 基地局, 통신장치와 기지국과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전화가입자 상호간의 전화망, 전보의 송수를 위한 중계망, 가입전신가입자간의 가입전신망, 철도·경찰·전력용 등의 시외통신망, 기업체 등에서 이용하는 집중사무처리데이터망; b) 또는 단말기, 노드(node), 회선(line), 간선(trunk), 통신위성들을 포함한 상호 접속된 매체로 구성된 시스템; c) 또는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스마트폰, 통신장치 등의 또는 등에서 제공되는 자료, 신호,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서버, 하드웨어, 단말기 등에 통신, 송신, 공급, 전달, 이송 등을 하는 장치; d)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통신망; 등(60)이 해당된다.
상기 통신망의 이용예로는 a) 터널 내부에 설치된 센서에 구비된 공유기에 연결되는 무선 통신망, 로봇에 장착된 SOS버튼에 거치된 무선통신 기지국, 동물의 조끼에 장착된 랜턴에 연결된 블루투스에 연계되는 무선 네트워크망, 타워크레인에 설치된 CCTV에 장착된 WiFi 중계장비, 현장에 구비된 무전기에 부착된 LTE장치에 연계되는 5G기지국, 드론에 장착된 알림기에 연계된 핫스팟에 연결되는 KT기지국, 장비에 구비된 램프에 연계된 비콘을 무선 송신하는 이동통신망, 현장에 구비된 공기청정기의 제어기에 연계된 무선 인터넷망, 태양전지에 연계된 계측기에 연결된 무선안테나, 드론에 연계된 계측기에 연결된 무선망, 사면에 설치된 계측기에 거치된 무선 통신위성망,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드론,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이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망, 移動通信網, 열차 또는 선박 등 이동체 상호 간의 통신을 목적으로 한 통신망,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목적으로 한 통신망,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정보 통신망 등이 해당된다. 상기 VPN은 VPN, virtual private network, 假想私設網,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을 마치 전용선으로 사설망을 구축한 것처럼 사용할 수 있는 방식,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 보안 솔루션, 공중전화망상에 사설망을 구축하여 이용자가 마치 자기의 사설 구내 망 또는 전용 망같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통신망 또는 통신장치는 유무선 통신망, 유선망, 케이블망, 공중 전화망(PSTN), 인터넷망, 무선 통신망, C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휴대전화·포켓벨 따위를 포함한 이동통신 무선접속 규격, GSM, 세계 무선 통신 시스템, Global System/Standard for Mobile Communication,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망,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패킷 교환 지원 노드, Serving GPRS Support Node,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BTS(Base Transmissive Station), NodeB, e-NodeB, 액세스포인트(AP) 포함, 펨토(femto) 기지국, 피코(pico) 기지국, 소형 기지국, 지그비, 통신모듈, TCP/IP 이용,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이용, 서로 다른 시스템을 가진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집합체 이용,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이용,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VHF(Very High Frequency), RF(Radio Frequency), 초광대역 통신(UWB),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중계기, 상기 중 하나 이상 이용 등도 가능하다.
상기 SNS는 사회관계망서비스, 사회네트워크서비스, 교호네트워크서비스, 교호네트워크사이트, Social Network Service, Social Network Site, 웹 기반의 서비스, 월드와이드웹 기반의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아바타네트워크, 메타버스서비스, 웹사이트라는 온라인 공간 서비스,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교호적 관계망이나 교호적 관계를 구축해 주고 보여 주는 온라인 서비스 또는 플랫폼, 소셜 미디어, 소셜 소프트웨어, 마이크로블로그, 프렌드스터(Friendster), 마이스페이스(MySpace), 링크드인(LinkedIn), 마이스페이스(MySpace),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네이버(Naver), 카카오톡(KakaoTalk), 다음(Daum), 구글(Google) 등이 해당된다.
상기 웹은 웹, web, World Wide Web의 줄임말, 월드와이드웹, 인터넷망에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고안된 방법 또는 인터넷망, 인터넷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 인터넷 상에서 동작하는 서비스, 문자-영상-음향-비디오정보를 한꺼번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인터넷을 통해 웹에 들어가 웹정보를 검색해주는 프로그램을 웹 브라우저(Web Browser)라고 함 등이 해당된다. 상기 웹사이트는 web site, 웹서버에 정보를 저장해 놓은 집합체, 인터넷에서 사용자들이 정보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그것을 볼 수 있도록 웹 서버에 저장된 집합체, 웹 브라우저를 통해 볼 수 있는 웹 콘텐츠와 링크나 동적 기능으로 호출되는 내외부 리소스를 포함한 관련 웹 페이지들의 집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BAN은 인체영역통신망, 人體領域通信網, Body Area Network, 무선 인체 통신망(WBAN: Wireless BAN), 인체 센서 통신망(BSN: Body Sensor Network), 의료용 인체 통신망(Medical BAN), 사용자를 중심으로 통신거리가 수 미터로 제한되는 네트워크, 사람의 몸 자체 또는 주변에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통신망 등이 해당된다. 이는 주로 심박, 혈압, 체온 등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관리하는데 활용된다. BAN의 통신 서비스 범위는 단거리 무선망(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무선랜(WLAN)을 통해 원거리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상태 정보는 BAN에서 WPAN 또는 WLAN 장치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으로 전송되어 먼 거리에 있는 사무실에 실시간 전달될 수 있다.
상기 PAN은 개인 통신망,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이나 원거리 통신망(WAN)과 대비되는 개념, 개인마다 각각 고유한 네트워크를 가지는 PAN, 한 사람이 소유하고 있는 기기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블루투스나 homeRF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PAN 등이 해당된다. 상기 HomeRF는 home radio frequency, 2.4GHz 대의 ISM(industry science medical)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LAN 시스템, 통신 가능한 거리는 50~100m, 전송 속도는 1.2Mbps, 블루투스는 사무실용, HomeRF는 가정용 등이 해당된다. 상기 LAN은 근거리 통신망, Local Area Network,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소수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 하나 또는 몇 개의 인접한 건물을 연결한 네트워크 등이 해당된다. 상기 WAN은 광대역통신망, Wide Area Network, 넓은 지역에 걸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지역과 지역 또는 국가와 국가간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둘 이상의 LAN이 연결된 네트워크, 라우터(router)에 의하여 연결되는 둘 이상의 LAN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통신장치, 통신망은 하나의 장치, 통합장치, 통신수단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50), 통신망(60), 통신수단(50, 60) 등은 유선, 무선, 전선, 케이블, 전화선, 통신망, 인터넷망, 네트워크, 인공위성, PCS폰, 스마트폰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PCS는 개인휴대통신, 개인휴대통신서비스,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통신수단(50, 60)은 공장(100), 현장(100), 사무실(11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본사(120), 관제센터(12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4), 핸드폰(94), 태블릿(94), 디스플레이(90),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인터페이스, 위치추적시스템, 원격통제시스템, 인증시스템 등에 구비 또는 연계될 수 있다. 상기 공장 내지 관제센터 등에는 1개, 2개, 3개, 4개, 10개, 20개, 50개, 100개, 1셋, 2셋, 3셋, 4셋, 10셋, 20셋, 50셋, 100셋, 다수, 무한대 등의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4), 핸드폰(94), 태블릿(94), 디스플레이(90),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인터페이스, 위치추적시스템, 원격통제시스템, 인증시스템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서버는 a) 서버(70), 수신기, 클라우드, 관제서버, 관리서버, 중앙서버, 호스트서버, 서버클라우드, 송신서버, 수신서버, 저장서버, 정보송신서버, 정보수신서버, 정보저장서버, 저장장치, 데이터 저장장치, 저장하드웨어, 데이터 베이스, 통신자서버, 112서버, 119서버, 관리자서버, 총괄자서버, 이용자서버, 현장서버, 본사서버, 중앙관제서버(71), 플랫폼서버(72), GIS서버(73), 빅테이터서버(74), 빅테이터저장, 인공지능서버(75), 클라우드서버(76), 인터넷 상의 서버, 클라우드 네트워크, 네이버 클라우드, 네이버 MYBOX, 구글 드라이브, 클라이언트서버, 서버클라이언트, 빅데이터서버, 아바타서버, 메타버스서버, 웹하드, 웹서버, 웹사이트, 하드웨어, 기억장치, 수신안테나, 수신기 구비 서버, DB, data base, cloud, server, cloud server; b) 주된 정보의 제공이나 작업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또는 외부 컴퓨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컴퓨터 또는 외부 컴퓨터,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 기업 내의 서버 또는 저장장치가 아닌 외부에 아웃소싱해 쓰는 서버 또는 저장장치, 고객 또는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하는 컴퓨터, 고객 또는 클라이언트의 자료를 인터넷을 통하여 저장하는 컴퓨터, 인터넷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중앙컴퓨터 또는 외부 컴퓨터, 컴퓨터 파일을 저장할 때 작업한 컴퓨터 내부에 있는 공간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하여 중앙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공간,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통신회선으로 연결하여 공동으로 사용하는 정보를 저장해 두거나 컴퓨터 자원을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모아놓은 컴퓨터; c) 또는 상기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랜턴,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스마트폰 등의 또는 등에서 공급되는 자료, 신호,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서버, 하드웨어; d)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서버; 등(70)이 해당된다.
상기 인공지능서버(75)에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등이 가능하다. 인공지능 서버는 각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등으로 분류되어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에 해당하는 자료, 신호, 정보, 영상, 데이터, 측정치, 위치정보, 지형정보, 시설정보 등을 분석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출입자, 출입현황, 출입금지, 보행금지, 통행금지, 사용금지, 탑승금지, 고온경고, 낙하물경고, 고압전기경고, 방사성물질경고, 안전모착용, 보안면착용, 귀마개착용, 안전화착용, 안전장갑착용 등과 같은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관련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서버, 통신망, 단말기, 처리장치 등에는 PC, 컴퓨터, 하드웨어, hardware, 소프트웨어, software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하드웨어는 도 8과 같이 중앙처리장치(81), 기억장치,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입력장치(84), 출력장치(85)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드웨어 장치간의 데이터 흐름(86)과 제어신호 흐름(87)은 도 8과 같으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장치들이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cloud, 구름,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 컴퓨팅 서비스 사업자 서버를 구름 모양으로 표시, 퍼블릭(개방형) 클라우드, 프라이빗(폐쇄형) 클라우드, 클라우드 업체의 데이터센터에 보관하는 퍼블릭 클라우드, 기업 안이나 데이터센터의 독립된 서버에 보관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리소스를 무형의 형태로 제공하는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 기술,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것, 기업 내에 서버와 저장장치를 두지 않고 외부에 아웃소싱해 쓰는 서비스, 빅데이터를 클라우드로 관리하면 분석과 활용이 용이, 인터넷 상의 서버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굳이 알 필요가 없는 구름과 같은 무형의 형태라는 뜻에서 Cloud라는 이름이 만들어짐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SW(software),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와 관련된 문서들을 총칭하는 용어, 기계장치부를 말하는 하드웨어에 대응하는 개념,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분, 롬(ROM:read only memory)에 기록되어 변경하기가 어려운 펌웨어(firmware)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서버, 단말기, 소프트웨어 등에 Andriod OS(operating system), SD(sandisk), CIF(crystallographic information file), VGA(video graphics array), HD(고선명도, high-definition), HD 해상도 지원, 코덱, SIP(System in Package),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CP(RTP control protocol),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EXCEL, CAD(computer aided design) SW,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W, sketchup SW, SOLIDWORKS SW, Autodesk SW, photoshop SW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RTP는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데이터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등이다. 상기 RTSP는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영상을 접속하고 제어하기 위한 통신 규약 등이다.
상기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어느 문제에나 공통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들로서 운영체제(UNIX, DOS 등), 컴파일러(C, FORTRAN, 컴파일러 등),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응용 소프트웨어는 사무자동화 프로그램들, 수치연산 프로그램들, 게임 프로그램들, 통신 프로그램 등이 있다. 여기서 통신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그램으로 웹브라우저, FTP, 텔넷 등이 있다. 여기서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대량의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 받는 파일 전송 전용 프로그램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텔넷은 telecommunication network,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할 때 지원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코덱은 코덱, Codec, 음성 또는 영상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더와 그 반대로 변환시켜 주는 디코더의 기능을 함께 갖춘 기술, 코더(coder)와 디코더(decoder)의 합성어, 컴프레서(Compressor)와 디컴프레서(Decompressor)의 합성어, 음성이나 비디오 데이터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디지털로 바꿔 주고 그 데이터를 컴퓨터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모니터에 본래대로 재생시켜 주는 소프트웨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처리장치는 센서, 버튼,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제어기, 기구, 계측기,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등에서 제공되는 자료, 서류, 정보, 영상, 음성, 신호, 시그널, 데이터, 빅데이터, 아날로그, 측정치 등을 입력, 처리, 연산, 산정, 판단, 판독, 평가, 추론, 추리, 제도, 작도, 도식화, 도면화, 서류화, 자료화, 데이터화, 도면제작, 매핑, mapping, 지도제작, 지도에 표기, 저장, 기억, 출력 등을 하는 장치(80)이다. 상기 처리장치(80)는 PC, 컴퓨터, 노트북,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8 참조. 상기 서버, 통신망, 단말기 등은 처리장치(processing unit), CPU(중앙처리장치), MPU(micro processor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장치, 超小型演算處理裝置), MPU(주처리장치, main processing unit) 등이 구비되거나, 또는 등에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는 균, 세균, 오염, 먼지, 황사, 분진,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등을 청정, 정화, 퓨리, 청소, 세정, 세척,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등을 하는 장치도 가능하다.
상기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 中央處理裝置)는 명령어를 해독하고 실행하는 장치로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들로 구성된다. 특히 하나의 칩으로 된 중앙처리장치를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라 하는데, 대표적인 제품으로 인텔의 펜티엄, 코어2듀오, Octa Core CPU 등이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상기 자료 내지 측정치 등을 이용하여 처리, 연산, 산정, 판단, 판독, 평가, 추론, 추리, 제도, 작도, 도식화, 도면화, 서류화, 자료화, 데이터화, 도면제작, 매핑, mapping, 지도제작, 지도에 표기 등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CAD, CAM, BIM, EXCEL, sketchup, SOLIDWORKS, Autodesk, photoshop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자료 내지 측정치 등에 대한 표, 그림, 도면, 도형, 문장, 챠트, 영상, 형상, 메뉴, 챠트, 맵, map, 지도, 지형, 형상, 모델, 모형, 영상, 동영상, 공정도, 레포트, 데이터, 지형도, 현황도, 조감도,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control unit)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업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일을 하고,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석하고, 해석된 명령의 의미에 따라 다른 장치들에게 동작을 지시한다. 상기 연산장치(ALU : arithmetic logic unit)는 연산을 하는 장치로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산술연산과 AND, OR, NOT 등의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처리장치, 연산장치 등은 저장, 제어, 산정, 계산, 연산, 추론, 추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레지스터는 중앙처리장치에 명령어, 데이터, 연산결과 등을 저장하는 기억장소이거나, 또는 중앙처리장치에서 명령어를 실행하는 동안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억장치이다.
상기 기억장치는 실행중인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이 있다. 필요시 기억장치를 계층화하여 중앙처리장치가 지금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빠른 속도의 레지스터, 캐시기억장치, 주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중앙처리장치가 현재 필요로 하지 않는 많은 양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주기억장치는 실행중인 프로그램과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 RAM과 ROM으로 구분할 수 있다. RAM(Random Access Memory)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주기억장치인데, 실행중인 프로그램과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다. RAM은 전원을 차단하면 모든 내용이 지워지는 휘발성 기억장치다. ROM(Read Only Memory)은 부팅할 때 동작하는 바이오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장치로, 전원을 차단해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기억장치다. 상기 보조기억장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영구히 저장하는 장치로 CD, USB, Universal Serial Bus, 디스크, 하드디스크,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디스크 등이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문자, 그림, 소리, 동영상 등과 같은 외부의 데이터를 컴퓨터로 읽어들이는 것으로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조이스틱 등이 있다. 상기 출력장치는 컴퓨터에서 처리한 결과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것으로 모니터, 스크린, 프린터, 플로터, 3D프린터 등이 있다.
상기 단말기는 a) 단말기(90), 端末機, 수신기, 착신기, 수신장치, 컴퓨터(91), PC(91, personal computer), TV(television), OTT(Over-The-Top), SNS(Social Network Service), 태블릿, 모니터(92), 스크린(93), 화면, 폰(94), 핸드폰(94), 스마트폰(94, smart phone), 태블릿(94), 태블릿(tablet)PC, 키오스크, 모바일 인터넷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인터넷태블릿, IoT(internet of things)장치, IoE(internet of everything)장치, 데스크탑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laptop)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단말기, 영상장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기기, 텔레비젼, 보여주는 장치, 모바일기, 모바일기기, 리시버, 리더, 디지털수신기, 아날로그수신기, 클라이언트PC, PC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단말기, 단말클라이언트, 핸드폰단말기(94), 디스플레이단말기, 플랫폼단말기(96), 메타버스단말기(97), 칩카드를 읽는 장치,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영상을 수신하는 장치, 이동 단말기, 고정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전용(專用) 단말기, 범용(汎用) 단말기, 근로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감리자 단말기, 감독자 단말기, 호스트 단말기, 아바타 단말기, 메타버스 단말기, 중안관제센터 단말기, 발주기관 관리자 단말기, 종합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전문건설업체 관리자 단말기, 설계감리 관리자 단말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핸드헬드(Handheld)기반 통신장치, terminal, terminal unit, cellphone, mobile, mobile phone, End Point, Receiver, reader, card reader; b) 중앙에 있는 컴퓨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 c) 또는 전자기 신호를 전기 신호, 이해 가능한 소리, 시각적 형태 등으로 변환하기 위한 탐지기와 처리용 전자기기를 합친 장치; d)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단말기; 등(90)이 해당된다.
상기 OTT는 OTT, Over The Top, 오버더톱서비스, 개방된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이나 영화 등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는 TV 서비스, 전파나 케이블이 아닌 범용 인터넷망(Public internet)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top은 TV 셋톱 박스(set-top box)를 뜻하는 것으로 Over The Top은 셋톱 박스가 아닌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나타낸다. 대표적인 OTT 업체 도는 OTT 플랫폼으로는 티빙, 유튜브, 디즈니+, 왓챠, 웨이브, 쿠팡플레이, 애플TV+, 넷플릭스 등이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키오스크, kiosk, 터치스크린, 메뉴판식 모니터 단말기, 메뉴판식 선택 모니터,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인 무인단말기, 무인 정보단말기, 공공장소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 등이다.
상기 화면은 화면, 모니터, 스크린, 액정화면, SNS,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플랫폼 화면, 아바타 화면, 메타버스 화면, PC화면, 컴퓨터화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액정표시장치 디스플레이, TFT 디스플레이, TFT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단말기 화면, 영상스크린, 영화스크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등이 해당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display, 화면, 모니터, 스크린, 텔레비전, 영상스크린, 영화스크린, 음극선관(CRT), 브라운관,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스마표시장치(PDP), 발광다이오드(LED), 고체와 액체 중간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액정, 투명한 디스플레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신문 디스플레이, 종이 컴퓨터 디스플레이, 손목 디스플레이, 플라스마의 전기방전을 이용하는 PDP, 전기가 흐르면 빛을 내는 반도체인 LED, 빛을 내는 층이 유기화합물인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전압을 가하면 다양한 형태로 뒤틀려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LCD 등이다. 상기 TFT는 박막 트랜지스터, Thin-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Thin-film-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해당된다. 상기 단말기는 공장, 현장, 농장, 가정, 주택, 지사, 본사, 장비, 드론, 계측기, 서버, 사람, 인간, 로봇, 작업자,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는 필요시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등이 설치, 다운, 다운로드, 내려받기, 구글스토어에서 내려받기, PLAY스토어에서 내려받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컴퓨터(91), PC, 노브북, computer, personal computer, 태블릿, 모니터, 스크린, 플랫폼컴퓨터(96), 컴퓨터플랫폼(96), 메타버스컴퓨터(97), 디스플레이컴퓨터 등(91)이 해당된다. 상기 모니터는 모니터(92), monitor, PC모니터, 컴퓨터모니터, 디스플레이, 폰모니터, 아바타모니터, 플랫폼모니터(96), 메타버스모니터(97), 디스플레이모니터 등(92)이 해당된다.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93), screen, 영화스크린, 아바타스크린, 플랫폼스크린(96), 메타버스스크린(97), 상황실스크린, 관제실스크린, 디스플레이스크린 등(93)이 해당된다. 상기 폰은 폰, 전화기,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핸드폰(94), 이동폰, 휴대폰, 셀폰, 모바일폰, 사람폰, 작업자폰, 아바타폰, 메타버스폰, 통신폰, 단말기, 폰단말기, 통신단말기, 스마트 디바이스, 사람이 휴대하는 폰, 근로자폰(35), 이용자폰(95), 가입자폰(95), 코드리스폰, phone, cell phone, mobile phone, hand phone, handy phone, portable phone, smart phone, 피처폰(feature phone; 일반 휴대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태블릿은 태블릿, 태블릿컴퓨터, 태블릿PC, tablet, 도형이나 좌표를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한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플랫폼,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에는 근로자정보 입력부, 저장부, 이미지 처리부, 근로자정보 추출부, 디스플레이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로자정보 입력부는 근로자의 개인정보, 안전 교육 이수 여부, 근로자에 매칭된 안전 보호구의 식별 코드정보, 안전 보호구의 착용 여부, 근로자의 얼굴 이미지 등을 입력하는 것이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근로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전송된 영상에서 근로자 및 현장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들에서 식별코드 영역과 얼굴 영역을 인식 및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코드 영역에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식별 번호로 변환하며 추출된 얼굴 영역에서 근로자의 얼굴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이다. 상기 근로자정보 추출부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변환된 식별 번호와 얼굴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근로자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근로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해당 근로자의 안전 보호구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획득된 영상과 상기 근로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근로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상기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플랫폼,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은 현장정보, 공장정보, 장비정보, 작업자정보, 현장 CCTV, 스마트폰 또는 PC로 관제가 가능한 CCTV, 작업자의 안전보호구 지급, 교육개설과 이수현황, 교육총괄표, 교육이수증, 안전교육관리, 개인건강검진, 질병유소견자, 개인건강검진총괄표, 건강현황, 산재 및 공상처리 이력관리, 무재해현황관리, 안전 위반관리, 무재해현황, 안전관리 포인트, 비콘 등록, 상벌점 설정, 긴급호출 담당자 관리, 긴급방송등록, 메시지 발송관리, 메시지 발송내역, 근로자 등록, 근로자 이력관리, 산재이력관리, 안전위반 여부, 상벌점 조회, 근로자별 작업내역조회, 산재 및 공상처리 이력관리, 근로자 관리, 기업정보 등록, 기초코드 관리, 현장등록, 권한등록, 관리자업무, 현장 환경설정, 공지사항, 현장내 공지사항, 일일/월간 출역현황, 출역조회, 출역집계, 현장별 인원현황, IN/OUT 히스토리와 실시간 잔류현황을 보여주기 위한 출역관리, 협력업체 등록, 협력업체 현장연결, 협력업체별 상벌점 현황, 협력업체 관리 등이 저장되거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폰, 스마트폰,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PC, 컴퓨터, 플랫폼,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에는 앱, 어플, 플랫폼, 처리장치 등의 이용, 구비, 거치, 다운, 다운로드, 내려받기, 저장, 내장, 연결,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앱은 a) 앱, 어플, PC앱, 노브북앱, 태블릿앱, 폰앱, 핸드폰앱, 스마트폰앱,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선, 프로그램, 프로그램앱,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앱, 모바일앱, 현장앱, 공장앱, 지사앱, 본사앱, 작업자앱, 관리자앱, 총괄자앱, 아바타앱, 메타버스앱, 작업자핸드폰앱, 관리자핸드폰앱, 총괄자핸드폰앱, App, Appl, 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줄인 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줄임말, 컴퓨터의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모든 응용 소프트웨어, 길을 안내해 주는 지도 앱, 지하철이나 버스 도착 시간을 알려주는 교통 관련 앱, 건강 상태를 확인해 주는 헬스케어 앱, 온라인 상에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 주는 SNS 앱,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에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시 등의 운영 체제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개발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같은 모바일 기기 등에서 내려받아 사용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을 사고 파는 온라인 마켓인 앱스토어(app store)에서 내려받아 사용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b) 또는 스토어, 원스토어, 구글스토어, 플레이스토어 등에서 공급되는 앱; c) 또는 스토어, 원스토어, 구글스토어, 플레이스토어 등에서 PC, 스마트폰 등에 내려받는 앱;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홈페이지, 플랫폼, 프로그램, 메타버스, 소프트웨어 등은 본 발명의 일, 수단, 하기의 일 내지 복합, 상기 또는 하기의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앱 내지 소프트웨어 등에는 본 발명의 일, 수단, 하기의 일 내지 복합, 상기 또는 하기의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앱 내지 소프트웨어 등은 칩, 카드, 통신, USB, SNS, 이메일, 스토어, 원스토어, 구글스토어, 플레이스토어, SNS스토어, 플랫폼스토어,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설치, 깔기, 다운, 받기, 다운로드, 내려받기, PC에 다운로드, 핸드폰에 내려받기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앱 내지 소프트웨어 등에는 또는 등의 화면에는 또는 등의 화면 하단에는 광고, 선전, 방송, 광고글, 광고글자, 광고문구, 선전문자, 광고멘트, 광고메세지, 광고유치, 광고방송, 상품선전, 선전방송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을 표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수단, 하기의 일 내지 복합, 상기 또는 하기의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홈페이지, 플랫폼, 프로그램, 메타버스, 소프트웨어 등을 통하여 이용 또는 제공될 수 있다.
앱의 이용 예로는 근로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여 관제센터의 정보 수신,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여 관제센터의 정보를 근로자에게 송신, 앱이용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여 관제센터의 정보를 이용자가 받음, 사고 발생시 관리자앱을 통해 근로자에게 대피 명령을 내림, 사고 발생시 관리자앱을 통해 근로자의 스마트폰에 대피 명령을 내림, 앱을 이용하여 근로자-관리자 간 양방향 호출, 앱으로 SOS 요청, 앱으로 긴급대피 안내, 앱으로 플랫폼 보기, 앱이 설치된 단말기로 플랫폼 보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기구(10), 센서(11), 로봇(30), 아바타(30),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제품(43),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등에는 통신장치(50), 통신망(60), 컨트롤러(95), 원격컨트롤러(95), 디스플레이(95), 이용자 단말기(95), 앱이용자 단말기(95), 플랫폼(96), 메타버스 등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러(95), 원격컨트롤러(95), 디스플레이(95), 이용자 단말기(95), 앱이용자 단말기(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은 a) 상기 기구(10), 센서(11), 로봇(30),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제품(43),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통신장치(50), 통신망(60) 등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얻을 수가 있거나, b) 또는 상기 기구(10), 센서(11), 로봇(30), 아바타(30),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제품(43),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통신장치(50), 통신망(60), 메타버스(97) 등을 제어, 조정, 운전, 가동, 무인제어, 원격제어, 원격조정, 컨트롤, 리모트컨트롤 등을 할 수가 있다.
상기 플랫폼은 플랫폼(96), platform, plat(구획된 땅)과 form(형태)의 합성어, 구획된 땅의 형태, 안전플랫폼, 공정플랫폼, 관리플랫폼, 회사플랫폼, 영상플랫폼, 도면플랫폼, 챠트플랫폼, 데이터플랫폼, 구글플랫폼, 애플플랫폼, 페이스북플랫폼, 아마존플랫폼, 서버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되는 플랫폼, 단말기 플랫폼, 단말기에 제공되는 플랫폼, 처리장치 플랫폼, 관제센터 플랫폼, 컴퓨터 플랫폼, 모니터 플랫폼, 스크린 플랫폼, 앱 플랫폼, 앱에 제공되는 플랫폼, 앱으로 제공되는 플랫폼, 인터넷앱 플랫폼, 작업자 플랫폼, 관리자 플랫폼, 총괄자 플랫폼, 이용자 플랫폼, 아바타플랫폼, 메타버스플랫폼, 웹기반 관제 플랫폼, 웹기반 관제 시스템, 정보 표기, 정보가 표기된 플랫폼, 정보 제공,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작업 및 관리 현황 제공, 공사관리 현황 제공, 안전관리 현황 제공, 감지현황 제공, 안전관리현황 차트 제공, 분석데이터 챠트 제공, Excel 파일 제공, 영상과 도면과 도표 제공, MS-DOS상에서 동작하는 DOS 플랫폼, MS-Windows가 제공하는 MS-Windows의 플랫폼, MS-Windows상에서 동작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인 MS-Windows 플랫폼,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 기차를 타고 내리는 정거장, 무언가를 타고 내리는 승강장, 특정 장치나 시스템 등에서 이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틀 또는 골격,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특정 프로세서 모델과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바탕으로 하는 운영체제, 공급자와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해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 PC나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플랫폼, 웹 기반의 관제시스템, 안전관리 현황 및 분석 데이터에 대한 챠트 플랫폼 등(96)이 해당된다.
상기 폰, 화면, 서버, 처리장치, 플랫폼, 단말기, 디스플레이, 공장, 가정, 현장, 센터, 사무실, 메타버스 등에는 영상, 동영상, 출입자, 작업자, 아바타, 마네킹, 관리자, 총괄자, 조직도, 관리도, 비상연락망, 트리형태의 조직, 성명, 직급, 대시보드 형태의 화면, 통화현황, 통화목록, 출입현황, 작업내용, 공사내용, 사고현황, 각종통계, 현장현황, 공지사항, 등록인원, 관리인원, 지도, 지형도, 도로, 도면, 그림, 메뉴, 자료메뉴, 화면메뉴, 작업정보, 공사정보, 위치정보, 생체정보, 환경정보, 공기질정보, 센싱정보, 계측정보, 날씨정보, 시설정보, 건물정보, 도로정보, 구조물정보, 3D의 또는 3차원의 상기 영상 내지 구조물정보 등이 생성, 저장, 기록, 제공, 공급, 보기, 방영, 방송, 읽기, 듣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서버, 플랫폼, 처리장치 등의 정보, 데이터는 ERP 등의 기존 시스템과 연동되거나, 또는 엑셀 파일로 변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ERP는 전사적자원관리, 全社的資源管理,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기업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합정보 시스템 등이다. 상기 메뉴는 메뉴 menu, 화면 메뉴, 디스플레이 메뉴, 화면이나 디스플레이 장치 위에 표시하여 둠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조작 순서 일람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서버, 단말기, 플랫폼, 관제센터 등은 본사, 본부, 공장, 가정, 주택, 현장, 기관, 정부, 부처, 지자체, 발주처, 상황실, 회의실, 사무실, 국토부, 환경부, 행자부, 공사, LH공사, SH공사, 도로공사, 수자원공사, 시공회사, 건설회사, 설계회사, 감리회사 등에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통신장치 내지 디스플레이, 또는 모뎀, 통신망, 통신기, 공유기, 방송국, 개인방송, LTE, WiFi, 블루투스 등에 의하여 또는 등을 통하여 a) 전송, 무선전송, 실시간전송, 중계, 생중계, 무선중계, 실기간중계, 스트리밍, live streaming, 서버에 저장, 클라우드에 저장, 클라우드서버에 저장, 방송, 방영, 생방송, 시청, 시연, 공연, 행사, 구경, 청취, 보기, 듣기, 무선방송, 동영상중계, 동영상방송; b) 또는 앱, 어플, app, application, SNS, Youtube, facebook, 유투브, 플랫폼, 페이스북, PC, TV, 모니터, 스크린, 테블릿, 핸드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을 통하여 또는 등에 또는 등으로 상기 전송 내지 동영상방송; c) 또는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이 된 정보, 자료, 영상, 데이터 등이 상기 전송 내지 동영상방송; 등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정보가 무선전송, 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정보가 LTE모뎀을 통하여 무선전송,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실시간방영,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방영, 액션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실시간중계, 액션캠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공유기를 통하여 실시간중계, 계측기에 의하여 측정된 자료가 실시간전송, 계측기에 의하여 측정된 자료가 LTE모뎀을 통하여 실시간전송, LTE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LTE를 통하여 영상이 실시간방영, 모뎀이 설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모뎀을 통하여 무선으로 실시간방영 등이다.
상기 서버, 단말기, 플랫폼, 데이터화,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에는 표, 그림, 도면, 도형, 챠트, 영상, 형상, 정보, 내용, 자료, 메뉴, 동영상, 공정도, 레포트, 공사챠트, 작업챠트, 공정챠트, 공사개요, 공사괸리, 공정관리, 사업관리, 계획관리, 교육훈련관리, 위험성평가관리, 근로자관리, 센서관리, 시스템관리 등이 저장 또는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화면 또는 플랫폼을 나타내는 화면에는 상기 표 내지 시스템관리 등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공사개요에는 사업명, 공사면적, 공사종류, 공사금액, 현장규모, 현장주소, 공사시작일, 공사종료일 등이 포함된다. 상기 근로자관리에는 근로자 성명, 직종, 전화번호, 업체명, 작업공종, 생년월일, 입사일, 배치일, 공종근무경력, 키, 몸무게, 혈압, 보유질환, 건강정보, 개인보호장구 지급여부, 안전교육실시여부 등이 포함된다.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해당 공종이 시행되는 구역에 위치한 작업자의 스마트폰으로 팝업 문자를 포함한 전송수단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서버, 단말기, 통신장치, 통신망, 처리장치 등은 공장, 현장, 농장, 가정, 출입자, 작업자, 스마트폰 등의 위치, 위도, 경도, GPS정보 등과 연동이 가능하다. 상기 앱을 통하여 상기 서버, 단말기, 플랫폼 등입력된 현장의 상세정보 중 사업장 주소는 위도, 경도 정보의 자동 검색 정보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위도, 경도 정보는 날씨정보를 조회하는 위치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단(2), 기구(10), 장비(41), 드론(42), 공장, 가정, 현장, 사무실, 시설, 건물, 자재, 재료,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메타버스,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센서, GPS센서,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열 감지센서, 인터페이스, 위치추적시스템, 원격통제시스템, 인증시스템, 위치확인이 가능한 GPS, 상기 GPS와 열 감지센서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와 상태확인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근로자(30)에 착용된 웨어러브 수단(2), 작업자(30)의 스마트폰(35), 센싱을 하는 센서(11), 계측을 하는 계측기(18), 촬영하는 카메라(14), 센서가 장착된 장비(41), 센서가 장착된 드론(42), 센싱 및 촬영 결과를 송신하는 송신기(50, 60), 상기 송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70), 상기 정보를 처리 또는 연산하는 처리장치(80),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90), 이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 상기 앱을 열어 상기 정보를 시청하는 단말기(90), 상기 앱 또는 단말기에서 열람되는 플랫폼 또는 플랫폼 서비스, 상기 정보를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얼람을 보내는 관리자(31), 상기 중 하나 이상을 총괄하는 총괄자(32), 상기 중 하나 이용을 이용하는 이용자(33),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연계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이어셋, 이어셋 단자, SD((SanDisk, Secure Digital Card), SDHC(Secure Digital High Capacity), SDXC(Secure Digital eXtended Capacity), Micro SD, USB, USB-A, USB-C, 인터페이스, interface, ONVIF(Open Network Video Interface Forum) 인터페이스, 사물과 사물 사이 또는 사물과 인간 사이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물리적 매개체나 프로토콜, 중앙처리장치(CPU)와 입출력장치(input-output unit)를 결합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공유하고 있는 레지스터(register) 등이 해당된다.
상기 위치추적시스템은 위치추적시스템, 운항선박 위치추적시스템, 선박모니터링시스템, VMS(Vessel Monitoring System), 선박-육상간 쌍방향 데이터통신망, GPS, GPS추적기, 衛星航法裝置, 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시스템,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 등이 해당되거나, 또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원격통제시스템은 원격통제시스템, 서버 원격통제시스템, 단말기 원격통제시스템, 모바일 단말기 원격통제시스템, MDM(Mobile Device Management), 모바일 단말기로 원격통제하는 시스템, 원격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유출을 차단할 수 있어 보안이 중요한 기기에서 사용하는 MDM, 모바일 기기의 보안을 향상시켜 비즈니스 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하게 하는 앱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인증시스템은 인증시스템, 다중인증시스템, 출입관리시스템, 출입구에 설치된 인증시스템, 공장이나 현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람을 인증하는 시스템, 폰이나 태그 또는 ID카드를 소유한 사람이 통과하면 인증되는 시스템, SSO(single sign on),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개의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모든 인증을 하나의 시스템에서라는 목적하에 개발된 SSO,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사이트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서버나 단말기에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개의 서비스 또는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개의 서버나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인증시스템의 적용예로는 a) 출입구, 아치형 출입구, 회전대 구비의 출입구; b) 이중 하나에 구비된 센서, 소독기, 오존기, 정화기, 인증시스템; c) 사람이 진입하면 상기 센서가 인식, 상기 소독기에서 소독제 분사, 상기 오존기에서 오존 방사, 성기 정화기가 사람 정화, 상기 인증시스템이 상기 사람에 구비된 태그 인식, 상기 인식에 의하여 상기 사람 통과 인증, 상기 시스템에 상기 사람 기록, 상기 기록에 의하여 사람 출입관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근로자(30)는 근로하는 사람; 작업자(30)는 작업하는 사람; 관리자(31)는 근로, 작업, 공사 등을 관리하는 사람; 총괄자(32)는 근로, 작업, 공사, 관리 등을 총괄하는 사람; 이용자(33)는 앱, 인터넷, 플랫폼, 단말기, 안전시스템 등을 이용하는 사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출입자,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이용자(33) 등은 현장, 공장, 가정, 회사, 본사, 지사, 사무실, 협력사, 발주처, 감리사, 설계사, 시공사, 제조사, 생산지, 감독기관, 행정기관 등의 사람, 인간, 직원,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부장, 이사, 상무, 전무, 소장, 사장, 작업자, 관리자, 총괄자, 이용자, 관계자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단, 기구, 단말기, 메타버스,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안전관리시스템,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의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착용, 정착, 장착, 병합, 합체, 연결,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은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산업, 공장, 가정, 현장, 작업장, 안전, 보호, 위생, 보건, 정화, 청정, 청소, 세척, 세정, 살균, 소독, 방역, 방재, 방제, 구조, 구원, 구호, 구제, 처리, 크리닝, 스마트, 시스템, 촬영, 영상, 녹화, 송신, 수신, 센싱, 계측, 관측, 관찰, 측정, 측량, 측지, 시험, 실험, 방법, 공법, 동영상, 항공측량, 사진측량, 지상측량, 스트리밍, 라이브스트리밍, live streaming 등에 이용되거나, 또는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수단 ∼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이용, 구비, 거치, 장착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이용, 구비, 거치, 장착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수단 ∼ 안전관리시스템 등을 이용, 구비, 거치, 장착 등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내지'와 '∼'는 '내지', '∼' 등이 해당되는 것으로 상호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상기 수단, 기구, 단말기, 메타버스,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안전관리시스템,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은 착용, 탈착, 부착, 탈부착, 탈부착가능, 탈부착구조, 착용용이, 착용여부 감지, 세탁가능, 와셔블, washable, 세탁가능구조, 경량, 미니화, 미니사이즈, 내진, 내진동, 내충격, 내구성, 방수, 방진, 방수구조, 방수기능, 사람에 착용, 작업활동에 최적화, 장시간 착용시 피로도 최소화, 가벼운 무게, 작업 활동시 부담없는 무게, LED 조명, CD LED 랜턴 탑재, DC 직류전압 사용, 전자파 무해, 다양한 색상의 인디케이터 내장, 전사업장에 최적화 구현, 기업의 안전조치 강화 솔루션, 작업내용 녹화, 작업내용 실시간 전송, 실시간 안전 모니터링, 근로자 위치 모니터링, 근로자 안전 모니터링, 근로자 건강 모니터링, 근로자 위급상황 감지, 비대면 현장지원, 추락사고 감지, 추락사고 방지, 위험지역 접근감지, 위험지역 접근 방지, 위험상황 자동전송, 근로자의 위험상황을 관리자에게 자동전송, 관리자가 근로자에게 위험상황을 자동전송, 신속사고인지, 신속구조, 긴급 SOS 요청, 긴급 대피 안내, 전후 블랙박스, 전후 블랙박스 기능, 전후면 블랙박스, 전후방 블랙박스 기능, 영하온도에서 가동, 고온에서 가동, -10∼50℃에서 가동,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관리, 플랫폼을 활용한 작업자 안전관제, 산업 안전관제 플랫폼 적용, 안전 및 영상 협업 솔루션 제공, LTE/5G 통신망 이용, 최신 IoT 기술활용, 최신 프로세서 성능, Octa Core CPU 탑재, 2채널 이상 동시 인코딩, 긴급구조요청, 위험감지, 대피안내, 안전관리자호출, 근로자출퇴근 자동인식, Android 지원, 영상통화 및 상황공유 솔루션 제공, 현장 안전관리와 협업에 최적화된 솔루션 제공, 실시간 영상 공유, 현장상황전파, 안전관리 모니터링, 보고 및 이력 관리, 보안 및 확장성, 1:1 영상통과, 다자간 영상통화, 영상 모니터링, 현장사진 전송, 음성메세지 전송, 문자메세지 전송, 모바일 보고서 작성, 보고서 이력관리, 원클릭 녹화, 녹화물 관리, 안전 점검표 생성 및 관리, 작업 전후 안전점검 수행, 작업 전 안전수칙 확인, 화상회의 지원, SIP 기반 화상회의 연동, 작업자 스마트폰과 단말기 또는 관리자 핸드폰 간의 화상회의 지원, 망연계 솔루션 구성, 단말기 또는 모바일 백신 지원, 작업자 위험감지, 실시간 작업자 위험상황 감지, 위급상황시 긴급구조 요청, 실시간 자동알림 전송, 현장 모니터링, 공장 모니터링, 차량 모니터링, 중장비 모니터링, 작업자 모니터링, 유해환경 모니터링, 영상을 통해 안전관리상황을 실시간적으로 비대면 관리하여 재해 및 사고 예방, 신속한 대처로 안전관리 수준 향상, 중대재해 예방 강화, 골든타임내 신속한 조치, 안전관리 현황 리포트, 관리시스템에 위험상황 전송, 영상통화 연결, 비대면 실시간 현장관리, 동료 근로자에게 위험상황 알림, IoT 센서 데이터 통계,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또는 CD 또는 USB,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전문가 기술지원, 웨어러블수단과 안전보호구의 착용상태가 불량하면 관리자앱을 통하여 근로자에게 통지, 근로자별 미착용 시간과 횟수 이력이 저장 및 통지 등의 특징을 가지거나 또는 등을 할 수가 있거나 또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SIP은 SIP(System in Package), 다수의 집적 회로를 단일 모듈로 구성한 시스템, 다수의 작업자 스마트폰을 단일 모듈로 구성한 시스템, 다수의 작업자 스마트폰과 단말기로 구성된 화상 시스템, 다수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시에 화상회의하는 시스템, 관제센터의 단말기와 다수의 작업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시에 화상회의하는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회의는 a) 스크린,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핸드폰, 통신기, 송신기, 수신기; b) 또는 본사의 스크린,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작업자의 핸드폰, 본사와 작업자를 무선연결하는 통신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CD는 Compact Disc,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디스크, 음악이나 데이터 등의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디스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스트리밍 또는 라이브 스트리밍은 스밍, 스트리밍, 라이 브스트리밍, 실시간 스트리밍, 스트리밍의 준말인 스밍, sming, streaming, banding, live streaming, 중계, 생중계, 실시간중계, 중계전송, 생중계전송, 실시간중계전송, 중계방송, 생중계방송, 실시간중계방송, 생방송, 실시간방송, 생방송 스트리밍, 스트리머가 하는 스트리밍, 캠이나 카메라를 촬영하면서 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출 또는 전송 또는 방송하는 것, 스트리밍 기술을 응용하여 카메라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생방송으로 스트리밍을 하는 것, 영상 촬영과 동시에 앱이나 애플리케이션으로 SNS 또는 유튜브를 연동하여 실시간 방송하는 것, 촬영된 영상은 별도로 캠이나 카메라의 USB 또는 SD카드 또는 메모리카드에 저장,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구현하는 기술, 인터넷에서 음성이나 영상이나 애니메이션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법, 인터넷에서 음성이나 영상이나 애니메이션 등을 따로 저장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술, 영상이나 음향·애니메이션 등의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다운로드받아 재생하지 않고 다운로드 없이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해 주는 기법, 전송되는 데이터가 물이 흐르는 것처럼 처리되는 스트리밍(streaming), 데이터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데이터를 사운드나 그림으로 변환해 주는 응용프로그램이 작동하는 스트리밍,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속도가 빠르면 여분의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면서 동시에 스트리밍 등이다.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나 자료를 얻는 방식은 다운로드 방식과 스트리밍 방식이 있다. 여기서 다운로드 방식은 정보를 다운로드 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고, 다운로드된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반하여 스트리밍 방식은 실시간으로 정보의 감상이 가능하고, PC 공간이 절약되고, 저작권이 보호될 수 있다. 스트리밍은 해당 콘텐츠, 파일, 영상, 음향, 애니메이션 등의 파일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다운로드(download) 받아 재생하는 절차 없이 실시간으로 재생하여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황에 맞게 방송의 형식으로 실시간 시청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스트리밍 또는 라이브 스트리밍에 AI, IoT, 딥러닝, 빅데이터, 클라우드, 웨어러블,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트리밍 또는 라이브 스트리밍은 방송, 중계, 생방송, 생중계, 실시간방송, 실시간중계, 실시간생방송, 실시간생중계, 동영상, 동영상전송, 동영상방송, 라이브 스트리밍, 생방송 스트리밍, live streaming, HTTP 라이브 스트리밍, HLS, HTTP Live Streaming, 촬영과 동시에 방송, 촬영과 동시에 영상 전송, 촬영과 동시에 영상 수신, 촬영과 동시에 영상 송수신, 촬영과 동시에 영상 전송 및 수신, 실시간 촬영과 영상 시청, 실시간 촬영과 영상 송수신, 웹(Web)이나 플랫폼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실시간 영상 중계, IT 이용 라이브 스트리밍, ICT 이용 라이브 스트리밍, IoT 이용 라이브 스트리밍, 인터넷 이용 라이브 스트리밍, 캠 이용 라이브 스트리밍, 카메라 이용 라이브 스트리밍, App 이용 라이브 스트리밍, SNS 이용 라이브 스트리밍, YouTube 이용 라이브 스트리밍, Facebook 이용 라이브 스트리밍, 라이브 스트리밍 App가 이용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캠과 라이브 스트리밍 App가 이용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카메라와 라이브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App)이 이용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카메라와 라이브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PC나 핸드폰이 이용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라이브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하여 PC나 핸드폰에서 관람이나 시청이 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인터넷이 되는 카메라 이용 라이브 스트리밍, 인터넷(Internet)이 되는 캠(Things)인 Internet of Things의 IoT가 이용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인터넷(Internet)이 되는 카메라(Things)인 Internet of Things의 IoT가 이용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인터넷(Internet)이 되는 모뎀이 구비된 캠(Things)인 Internet of Things의 IoT가 이용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인터넷(Internet)이 되는 모뎀이 구비된 카메라(Things)인 Internet of Things의 IoT가 이용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캠이나 카메라를 사용하여 인터넷이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생방송으로 스트리밍을 하는 것, HTTP 기반 적응 비트레이트 스트리밍 통신 프로토콜, 영상 촬영과 동시에 애플리케이션으로 SNS나 유튜브를 연동하여 실시간 방송하는 것, 캠이나 카메라로 영상 촬영과 동시에 애플리케이션으로 SNS나 유튜브를 연동하여 실시간 방송하는 것, 상기 촬영된 영상은 별도로 SD카드에 저장을 하는 것 등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위험구역 관리 방법은 위험구역에 다수의 비콘AP(access point) 설치, 위험구역에 비콘태그 설치, 작업자가 비콘태그 소지, 비콘AP 대신에 저렴한 비콘Tag 설치, 비콘Tag 또는 트레커 등을 차량, 지게차, 벨트컨베이어 등에 설치, 작업자는 스마트기기만 소지, 스마트기기를 착용한 작업자가 위험구역에 접근시 작업자 및 서버에 위험 알림 전송,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에 경고 신호 전송, 관리자에게 알림 전송, 관리자가 신속한 조치 취함, 작업자를 위험구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조치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수단, 장치, 장비, 드론, 작업, 제조, 공사, 물체,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시설, 설비, 건물, 구조물, 작업자, 근로자, 아바타, 마네킹, 관리자, 총괄자, 이용자; b) 이중 하나의 성명, 이름, 종류, 내용, 인원, 위치, 거리, 궤적, 고도, 위도, 경도, 좌표, 주소, 지번, GPS, 출근, 퇴근, 항목, 제원, 대수, 개수, 가동, 비행, 주행, 중단, 이동, 속도, 가속도, 출근시간, 퇴근시간, 근무시간, 업무내용, 작업내용, 공사내용, 업무량, 작업량, 공사량, 토공량, 작업시간, 가동시간, 중단시간, 종료시간, 휴식시간, 비행시간, 비행거리, 이동거리, 이동궤적, 작업거리, 작업궤적, 재료, 자재, 반입량, 사용량, 재고량, 자재반입량, 재료사용량, 자재사용량, 자재재고량; c) 상기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생성, 조성, 형성, 발생, 제조, 제작, 자료, 정보, 내용, 영상, 챠트, 시트, 도면, 데이터, 플랫폼,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단말기,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의 파악, 구분, 이용, 사용, 거치, 구비, 산정, 선정, 산출, 계산, 연산, 제시, 공급, 제공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수반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자화기(431), 자기장기(431), 진동기(432), 가진기, 오존기(433), 음이온기,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연수기, 세정기, 세척기, 살균기(434),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분해기, 전해기(전기분해기), 방전기(전기방전기), 압전기(피에조기, 435), 열전기(펠티에기, 436), 배양기, 발효기, 가습기, 건조기, 가열기, 냉각기, 냉온기, 광학기, 발광기, 발열기, 방열기, 축열기, 연무기, 응축기, 전파기, 음파기, 초음파기, 인덕터, 인덕션, 펄스기, 폭기기, 임펄스기, 분사기, 와류기, 케비테이션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여과기, 필터기, 절단기, 혼합기, 용융기, 추출기, 사출기, 수축기, 팽창기, 조사기, 방사기, 발사기, 가속기, 감속기, 압축기, 콤프레셔, 데미스터, 엘리미네이터, 서미스터, 미스트기, 다이오드, 웨이브기, 레이저기, 솔레노이드, 마그네트론기; b) 자화(441), 자기장발생(441), 진동(442), 가진, 오존살균(443), 음이온소독, 청정, 정화, 퓨리, 정수, 연수, 세정, 세척, 살균(444), 소독, 방역, 방제, 분해, 전해(전기분해), 방전(전기방전), 압전(445), 열전(446), 배양, 발효, 가습, 건조, 가열, 냉각, 냉온, 광학, 발광, 발열, 방열, 축열, 연무발생, 응축, 전파발생, 음파발생, 초음파진동, 전자기유도, 유도가열, 펄스발생, 폭기, 임펄스발생, 분사, 와류, 케비테이션, 반응, 응집, 침전, 여과, 필터링, 절단, 혼합, 용융, 추출, 사출, 수축, 팽창, 조사(照射), 방사(放射), 발사, 가속, 감속, 압축, 콤프레싱, 수분제거, 먼지제거, 열가변저항발생, 미스트발생, 발광, 웨이브발생, 레이저조사, 자기장발생, 마이크로파발생; c) 자화물(441), 자기장(441), 진동물(442), 가진물, 오존(443), 오존물, 음이온, 음이온물, 청정물, 정화물, 정수물, 연수물, 세정물, 세척물, 살균물(444), 소독물, 방역물, 방제물, 분해물, 전해물(전기분해물), 방전물(전기방전물), 압전물(445), 열전물(446), 배양물, 발효물, 가습물, 건조물, 가열물, 냉각물, 냉온물, 광학물, 발광물, 발열물, 방열물, 축열물, 연무, 응축물, 전파, 음파, 초음파, 전자기, 유도가열물, 펄스물, 폭기물, 임펄스, 분사물, 와류물, 케비테이션물, 반응물, 응집물, 침전물, 여과물, 필터물, 절단물, 혼합물, 용융물, 추출물, 사출물, 수축물, 팽창물, 조사물, 방사물, 발사물, 가속물, 감속물, 압축물, 콤프레싱물, 수분, 물방울, 열가변저항(熱可變抵抗), 미스트, 발광물, 웨이브, 육각물, 레이저, 자기장물, 마이크로파; d) 처리, 자화처리(441), 자기장처리(441), 진동처리(442), 가진처리, 오존처리(443), 음이온처리, 청정처리, 정화처리, 정수처리, 연수처리, 세정처리, 세척처리, 살균처리(444), 소독처리, 방역처리, 방제처리, 분해처리, 전해처리, 방전처리, 압전처리(445), 냉온처리(446), 배양처리, 발효처리, 가습처리, 건조처리, 가열처리, 냉각처리, 냉온처리, 광학처리, 발광처리, 발열처리, 방열처리, 축열처리, 연무처리, 응축처리, 전파처리, 음파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처리, 유도가열처리, 펄스처리, 폭기처리, 임펄스처리, 분사처리, 와류처리, 케비테이션처리, 반응처리, 응집처리, 침전처리, 여과처리, 필터처리, 절단처리, 혼합처리, 용융처리, 추출처리, 사출처리, 수축처리, 팽창처리, 조사처리, 방사처리, 발사처리, 가속처리, 감속처리, 압축처리, 콤프레싱처리, 데미스터처리, 엘리미네이터처리, 열가변저항처리, 미스트처리, 발광처리, 웨이브처리, 레이저처리, 자기장처리, 마이크로파처리; e)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440), 처리, 복합기(430), 복합작용, 복합물, 복합처리; f)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기능(440), 기능기(430), 기능물(440), 기능처리(440); g)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이 이용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h)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440); i) 일이나 수단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440); 등(430, 440)이 또는 등(430, 440)의 이용, 사용, 적용, 활용,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장착, 주입, 투입, 발생, 생성, 공급, 제공, 분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복합은 상기 자화 내지 마이크로파처리 중 둘 이상(440)이 해당되고, 상기 복합기는 상기 자화기 내지 마그네트론기 중 둘 이상(430)이 해당되고, 상기 복합물은 상기 자화물 내지 마이크로파 중 둘 이상(440)이 해당되고, 상기 복합처리는 상기 자화 내지 마이크로파처리 중 둘 이상(440)이 해당된다. 상기 기능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440)이 해당되고, 상기 기능기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430)이 해당되고, 상기 기능물은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440)이 해당되고, 상기 기능처리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440)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430)에 있어서 기는 기, 器, 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머신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440)에 있어서 물은 수, 물, 물(物), 액, 유, 유체, 액체, 고체, 기체, 물질 등이 해당된다. 이에 의거하여 자화물의 경우는 자화수, 자화물, 자화物, 자화액, 자화유, 자화유체, 자화액체, 자화고체, 자화기체, 자화물질 등이 된다. 상기 자화수는 자화수, 자성수, 육각수, 자기장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육각수는 a) 육각수, 육각형수, hexagonal water, 6각형의 구조를 가진 물, 육각형 결정을 가진 물, 육각 고리구조를 가진 물, 물을 자기장에 노출시켜 생성된 육각수, 전기분해에 의한 육각수, 1번 산소원자와 2번 수소원자가 붙어서 생긴 육각수; b) 육각으로 세분된 물, 상기 세분에 의하여 흡수나 반응 등이 빠른 육각수; c) 또는 물에 함유된 칼슘, 리튬, 나트륨, 아연, 철, 구리 등의 구조형성 이온에 의하여 물분자들이 큰 고리구조를 이루어 6각형 고리구조를 가진 육각수; 등이다. 상기 반응이 빠른의 예로는 육각수가 콘크리트에 함유되어 콘크리트의 반응, 수화반응, 수산화반응, 알카리반응, 하이드레이트반응, 양생반응 등이 빠른 것이다.
상기 복합기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것,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중 하나의 상, 중, 하, 좌, 우, 전, 후, 전면, 후면, 측면, 전방, 후방, 측방, 내부, 외부 등에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중 둘 이상이 구비된 것 등이다. 상기 복합기의 예로는 자화기와 자기장기과 진동기와 가진기가 조합된 복합기, 오존기와 이의 전에 구비된 음이온기와 이의 후에 구비된 청정기, 정화기와 이의 측면에 거치된 정수기와 이의 후방에 구비된 세정기와 이의 좌측에 구비된 세척기, 살균기와 소독기와 방역기와 방제기로 구성된 살균소독방역방제기, 분해기와 전해기와 방전기와 압전기와 열전기의 복합기, 배양기와 이의 내부에 거치된 발효기와 이의 외부에 구비된 가습기, 건조기의 측면에 가열기와 이의 전방에 냉각기와 이의 후방에 냉온기로 구성된 것, 연무기와 응축기과 전파기와 음파기와 초음파기의 순으로 구성된 것, 인덕터와 펄스기와 서미스터와 미스트기로 구성된 복합기, 임펄스기와 이의 전에 거치된 다이오드와 이의 좌에 거치된 웨이브기와 이의 우에 거치된 솔레노이드와 이의 상부에 거치된 마그네트론기로 구성된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430)은 상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을 위하여 적용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의 부품으로 적용되거나,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에 거치되어 적용되거나, 또는 각각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 성능, 특징 등을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에 이용하려고 할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430)은 상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거나, 또는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발생한다.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440)은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440)은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에 의한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은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430, 440)은 a)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이 해당되거나, b) 또는 상기 내지 복합 기능, 자화물 내지 기능물 생성,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a)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430)이 구비된 오존기, 압전기; b)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440)을 하는 소독기, 기능물, 기능처리; c)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440)을 생성하는 청정기, 자화, 분해, 자화물, 기능물; d)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440)을 하는 진동물, 진동, 처리, 세정기, 기능기; 등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X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머신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ℓ)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관련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a) 본 발명에서 장치의 예 1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구비;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기; 등이 되는 장치이다. 장치의 예 2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장착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분사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장치이다. 장치의 예 3으로는 상기 압전기와 열전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화와 오존방사를 하고; 상기 이온물과 배양물을 제조하고; 상기 냉온처리와 발효처리를 하는 장치이다.
b) 본 발명에서 물질의 예 1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을 거침;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포함;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되기; 등이 되는 물질이다. 물질의 예 2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을 흐르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함유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물질이다. 물질의 예 3으로는 상기 인덕터와 펄스기와 와류기에서 생성되고, 상기 음파발생과 초음파진동과 전자기유도를 하고, 상기 반응물과 침전물과 물방울이 첨가되고, 상기 응축처리와 전파처리와 폭기처리가 되는 물질이다. 물질의 예 4로는 자화기로 자화, 진동기로 진동, 오존기로 오존처리, 음이온기로 음이온처리, 청정기로 청정, 정화기로 정화, 정수기로 정수, 살균기로 살균, 소독기로 소독, 전해기로 전해, 방전기로 방전, 가열기로 가열, 냉각기로 냉각, 펄스기로 펄스, 폭기기로 폭기, 와류기로 와류, 반응기로 반응, 응집기로 응집, 여과기로 여과 등이 된 물질이다.
c) 본 발명에서 처리의 예 1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으로 처리;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추가되는 처리;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으로 처리;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포함되는 처리; 등의 처리이다. 처리의 예 2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으로 처리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의 처리가 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으로 처리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추가되는 처리이다. 처리의 예 3으로는 상기 인덕터와 펄스기와 와류기로 처리되고, 상기 음파발생과 초음파진동과 전자기유도로 처리되고, 상기 반응물과 침전물과 물방울로 처리되고, 상기 응축처리와 전파처리와 폭기처리가 더해지는 되는 처리이다. 상기 처리는 처리, 청정 처리, 정화 처리, 장비에 의한 처리, 물질에 의한 처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한 처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d) 상기 드론의 예로는 자화기, 이가 구비되는 드론, 상기 자화기를 거친 물질, 상기 물질이 이용되는 드론, 상기 드론이 이용되는 작업, 상기 작업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상기 시설의 관리, 상기 관리의 시스템, 상가 관리를 하는 아바타, 상기 아바타에 이용되는 IoT, 상기 IoT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상기 통신장치에 연계되는 단말기 등이 포함 또는 구현 또는 시청되는 드론이다. e) 상기 메타버스의 예로는 자화기, 이가 구비되는 장치, 상기 장치를 거친 물질, 상기 물질이 이용되는 제품, 상기 제품이 이용되는 작업, 상기 작업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상기 시설의 관리, 상기 관리의 시스템, 상가 관리를 하는 아바타, 상기 아바타에 이용되는 IoT, 상기 IoT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상기 통신장치에 연계되는 단말기 등이 포함 또는 구현 또는 시청되는 메타버스이다. f) 상기의 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a) 자화기 내지 k) 메타버스,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실시 예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로봇, 동물, 사람, 인간, 작업자, 청정기, 살균기, 필드 수단, 웨어러블 수단,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의 구비가 가능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의 발생이 가능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의 이용 또는 구비가 가능하다. a) 상기 수단(2), 기구(10), 센서(11), 공장, 가정, 현장, 사람(30, 31, 32, 33),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이용자(33), 드론(42), 모빌리티(42), 장비(41), 장치, 드론, 시설, 계측기(18),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서버, 센터, 지사, 본사, 센터, 사무실, 관제센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주머니,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430, 440)이 이용, 구비되거나, b) 또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430, 440)이 되거나, c) 또는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430, 440)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자화기, 자기장기 등(431)은 자석, 자성체, 자화체, 자화기, 자기장기, 자기장발생기, 자기장생성기, 자기장방사기, 자기장조사기, 사람에게 유익한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 사람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코어, 이의 외부에 감긴 코일, 이의 양단에 거치된 전선, 이의 전선에 거치된 플러그, 이에 거치된 콘센트, 이에 거치된 전원공급기 등으로 구성된 기구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자화기, 자석, 자기장기 등은 자기장 방사(放射), 혈액순환, 근육이완, 물리치료, 전기펄스작용, 환경개선, 호흡개선, 식물성장촉진, 화분식물성장촉진, 자기장요법, 통증완화, 세포복원, 신경치료, 호르몬생성, 영양흡수, 탈모치료, 근육통치료, 이명작용완화, 노폐물배출, 자화수 생성, 자화물 생성 등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자화기는 a) 라이닝된 자성체, 자석과 격막이 2개 이상 구비되고 이의 외부가 라이닝된 자성체, 상기 자성체의 양단에 거치된 나선발 또는 나선형의 발(foot) 등이 내장된 중공형 자화기; b) 자신의 후방에 펄스기, 벤츄리관, 오존기 등이 구비된 자화기; 등도 가능하다.
상기 진동기(432), 가진기 등은 진자, 가진자, 진동기, 가진기, 초음파기, vibrator, oscillator, 자화기와 이가 부착된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에 이격된 다른 자화기로 구성된 기구, 2개의 자화기와 이의 둘 사이에 거치된 코어와 이의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이격판으로 구성된 기구, 일정판과 이의 양단에 거치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에 부착된 자화기와 상기 자화기와 거치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로 구성된 기구, 상기 자화기의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기구, 상기 코일에 전기를 인가하여 상기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기구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케이스, 이의 내부에 구비된 스테이터(stator), 상기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rotor), 상기 로터에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부착된 금속체 또는 회전체 또는 회전자, 상기 회전축과 금속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구비된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자,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자 등이 구비된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기구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로터, 스테이터 등에는 전선, 상기 전선에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에는 콘센트, 상기 콘센트에는 전원공급기, 상기 전선의 외부에는 보호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존기(433), 음이온기 등은 a) 오존, 음이온 등을 발생, 생성, 조성, 형성, 방사, 放射, 조사, 照射 등을 하는 기기이거나, b) 또는 일정의 판과 이에 이격되어 대면되는 침, 칩, 솔, 전극, 바늘, 탄소선, 탄소솔 등의 물체로 구성, 상기 판이 양극이고 상기 물체가 음극, 상기 판과 물체에 전선 연결, 상기 전선에 전기 인가, 상기 전기 인가에 의하여 상기 판과 물체에서 오존이나 음이온 발생, 상기 판에서 음이온 발생, 상기 판과 물체의 사이에서 오존 발생 등이 해당된다. 상기 판과 물체에는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청정기, 정화기, 세정기, 세척기, 살균기(434),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등은 청정, 정화, 퓨리, 세정, 세척, 살균, 소독, 방역, 방제 등을 하는 기기이다. 이의 기기에는 등, 전등, LED등, 용기, 혼합기, 펌프, 가압기, 호스, 필터, 노즐, 분사기, 미스트기, 사이클론 등이 포함 또는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오존기는 a) 벤츄리관, 양극판, 음극침, 고전압발생기 등이 구비된 오존기; b) 자신의 전방에 순차적으로 자화기, 펄스기 등이 구비된 오존기; 등도 가능하다.
상기 분해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배양기, 발효기 등은 a) 수, 물, 액, 물질, H2O, 폐수, 상수, 하수, 해수, 염수, 바닷물, 음식물, 미생물, 폐기물,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분해, 배양, 발효, 부숙, 전기분해 등을 하는 기기이거나, b) 또는 용기; 이의 내부에 거치된 양극, 음극, 히터, 가열기, 공기주입구, 산소주입구; 상기 용기의 중간에 구비된 분리막,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되는 전선, 상기 전선에 연결되는 전원공급기;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이 구비된 상기 용기 내지 전원공급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기에 의하여 H2, O2, CO2, H+, OH-, Na+, Cl-, NaOCl, OH라디칼, 셀, 세포, 미생물, 이온, 양이온, 가스, 전기 등이 발생된다. 상기 방전기, 전기방전기 등은 방전, 쇼팅, 숏트, 스파크, 전기방전, 아크방전, 코로나방전 등을 하는 기기이다. 이의 기기는 용기; 이의 내부에 전극;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전선;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전선; 상기 전선에 연결되는 전원공급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전기는 압전기(435), 壓電器, 壓電機, 압전기기, 압전기구, 압전소자, 압전센서, 압전발전기, 압전진동기, 피에조기, piezo器, piezo機, piezo device, piezo-electric tool, piezo-electric device, piezoelectricity device, 壓電氣를 발생하는 장치,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로 전기를 발생하게 하는 압전성 기구, 압전소자가 이용되는 기기, 누르면 진동하는 압전소자의 진동기, 누르면 전기를 발생하는 압전소자의 발전기, 어떤 종류의 결정판에 압력을 가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장치, 일정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그 압력에 비례하여 전기가 발생하는 장치 또는 결정체, 결정판에 일정한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면 판의 양면에 외력에 비례하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피에조전기가 발생되는 장치 또는 결정판, 전기를 가하면 진동하는 압전소자의 진동기,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구비된 압전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하는 압전기,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는 압전기,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압전기 등(435)이 해당된다. 상기 piezo는 압(壓), pressure라는 뜻이다.
상기 압전소자는 압전소자, 壓電素子, 피에조전기소자, piezoelectric element, piezoelectric transducer, 압전효과를 가진 소자, 전기 변환을 집적하는 소자, 압전기(壓電氣) 현상을 나타내는 소자, 어떤 종류의 결정판(結晶板)에 일정한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면 판의 양면에 외력에 비례하는 양·음의 전하가 나타나는 소자, 한 장의 결정판에 나타나는 압전기는 미약하지만 금속박을 삽입하면서 여러 장을 겹칠 경우 그 양이 크게 증대됨, 결정판에는 고유의 진동이 있고 탄성진동과 전기진동이 일치하면 압전기와 결합되어 더욱 강한 진동이 일어남, 기계적 압력을 인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인가하면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현상을 지닌 소자,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일어나서 전위차가 생기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나 변형력이 생기는 성질을 가진 소자, 충격력을 가하면 높은 전압을 발생하며 불꽃이 튀고 이 불꽃으로 가스레인지나 욕조 보일러 등의 착화를 함, 외부로부터 기계적 변형을 가하면 전기분극(分極)이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素子),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변화하고(압전 효과),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성질을 가진 소자 등이 해당된다. 압전소자의 재료로는 수정, 전기석, 로셸염, 세라믹, 티틴산바륨, 타이타늄산바륨, 인산이수소암모늄, 타르타르산에틸디아민, 타타르산에틸렌다이아민, 티탄산지르콘산납(PZT) 등이 사용된다. 압전소자는 픽업, 수화기, 스피커, 확성기, 마이크로폰, 기계적 필터, 전축의 픽업, 전화기 스피커, 라디오 스피커, 초음파 탐지기, 수정시계의 진동자, 방송기기, 원거리 통신회로, 압전센서, 라이터, 노크 센서, 각종 압력 센서, 초음파센서, 자동 점화장치, 가스 기구의 점화, 압전 마이크로폰, 레코드 재생의 픽업, 초음파 발생기, 레코드 플레이어의 픽업 등에 이용된다.
상기 열전기는 열전기(436), 熱電器, 熱電機, 펠티에기, Peltier器, Peltier機, 펠티에소자器, 펠티에소자機, Peltier device, thermoelectricity device, 熱電氣를 방생하는 장치, 열전소자가 이용 또는 포함되는 기기, 펠티에소자가 이용 또는 포함되는 기기, 펠티에효과가 발생되는 기기, 전기 공급에 의하여 가열과 냉각을 하는 기기, 전기 공급에 의하여 히팅과 쿨링을 하는 기기, 전기 공급에 의하여 일측은 가열하고 타측은 냉각을 하는 기기, 두 가지 금속을 연결하였을 때 두 접합부의 온도차로 전기를 생성하게 하는 장치, 성질이 다른 금속선을 양단에서 접합하여 루프 회로를 만들고 두 접합점에 온도차를 주어 루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장치, 종류가 다른 금속선을 양쪽 끝에서 여러 가지로 접합하여 전기 회로를 만든 다음 2개의 접합점에 온도 차를 주면 전류가 흐르게 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펠티에소자는 열전소자, 펠티에소자, 펠티에素子, 냉각소자, 냉온소자, 전자냉각소자, 전자냉온소자, 열전냉각모듈, 열전냉온모듈, Peltier element, thermoelectric element, thermal electronic cooler, thermal electronic Module,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열전소자(熱電素子),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전자소자(電子素子), 어떤 종류의 금속을 짝지어 전류를 흐르게 하면 한쪽 접점(接點)은 발열(發熱)하고 다른 쪽 접점은 냉각(흡열, 吸熱)하는 현상을 가진 소자, V-VI족의 합금 및 그 고용체(固溶體)로 만든 n형과 p형의 반도체(半導體)를 냉각접점으로 하여 구리판을 통해 연결한 소자, 다른 종류의 금속 두 개를 접합시켜 전류를 통할 때에 전류의 방향에 따라 그 접합부가 가열 또는 냉각하는 소자, 반도체에 전기를 공급하면 반도체 안에 있던 전자가 한쪽으로 몰리게 되면서 전자가 몰린 쪽은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전자가 빠져나간 쪽은 온도가 낮아지면서 양쪽 면의 온도 차이가 생기게 되는 소자 등(436)이 해당된다.
상기 가습기는 가습하는 기기, 상기 건조기는 건조시키는 기기, 상기 가열기는 가열하는 기기, 상기 냉각기는 냉각하는 기기, 상기 냉온기는 냉각 및 가열하는 기기, 상기 연무기는 연무를 분사하는 기기이다. 상기 응축기는 응축기, 凝縮器, 콘덴서, condenser, 냉각기(冷却器). 기체나 증기를 응축(凝縮)시키는 장치, 증기를 냉각해 열을 빼앗아서 응축 변화시키는 장치, 압축기로 고압 고온으로 압축된 냉매 증기를 냉각하고 응축열을 제거해 액화시키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파기는 전파를 발생하는 기기, 상기 음파기는 음파를 발생하는 기기, 상기 초음파기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기기, 상기 미스트기는 미스트를 발생하는 기기, 웨이브기는 파, 웨이브, 음파, 전파, 초음파, 고주파, 저주파, 단파, 장파 등을 발생하는 기기이다.
상기 인덕터는 인덕터, Inductor,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해 전압을 유도하는 코일,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로 유도기전력을 형성할 수 있게 고안된 장치, 고리 모양의 도선 또는 코일, 고리 모양 코일을 여러 개 겹쳐서 감아놓은 솔레노이드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리콘은 바리콘, variable condenser, 가변콘덴서, 가변 축전기, 정전용량의 값을 바꿀 수 있는 콘덴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송수신기에 축전기로 사용, 고정자와 회전자와 그 사이의 유전체(誘電體)로 구성, 몇 장의 고정극판 사이에 회전극판이 회전해 들어가 상대 부분의 면적을 바꿈으로써 정전용량을 변화시키는 구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펄스기는 a) 펄스기, 서지기, 서징기, 전기펄스기, 충격펄스기, 쇼크펄스기, pulse device, electric pulse device, 자기장펄스기, 마그네틱펄스기, 일정한 주기를 두고 파동을 되풀이하는 기기,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큰 진폭을 내는 전압이나 전류 또는 파동을 발생하는 기기, 압기(압축공기)를 반복적으로 주입하여 압기에 의하여 폭기를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기기, 일정 주기로 압기(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압기에 의하여 일정 주기의 폭기를 발생시키는 기기, 솔레노이드밸브로 압기의 주입을 개폐하여 일정 주기의 폭기를 발생시키는 기기, 관로 또는 파이프 내부에 일정 주기로 압기(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압기에 의하여 일정 주기의 폭기를 발생시키는 기기, 벤츄리관에 거치된 인젝터를 통하여 벤츄리관 내부에 일정 주기로 압기(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압기에 의하여 벤츄리관 내부에 일정 주기의 폭기를 발생시키는 기기, 벤츄리관에 거치된 인젝터에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주기적으로 개폐하여 벤츄리관 내부에 일정 주기로 압기(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압기에 의하여 벤츄리관 내부에 일정 주기의 폭기를 발생시키는 기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서지기는 서지기, 서징기, surge device, surging device, 전기 회로에서 전류나 전압이 순간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충격성이 높은 펄스를 발생시키는 기기; b) 순차적으로 파이프 또는 벤츄리관,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타이머, 콤프레셔 등으로 구성된 펄스기; c) 전방에 자화기와 후방에 오존기가 구비된 상기 펄스기; d) 상기 파이프의 전방에 자화기와 상기 파이프의 중간에 상기 펄스기와 상기 파이프의 후방에 오존기가 구비된 펄스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펄스기는 a) 펄스, 펄스압, 폭기풍, 펄스공기, 펄스압기, 펄스바람, 펄스풍력, 펄스파워, 펄스에너지, pulse, pulse power, pulse energy; b) 일정 주기 및 압력으로 반복되는 압, 물, 압력, 수압, 풍, 바람, 압기, 공기; 등을 이용, 공급, 제공, 주입, 투입, 유입, 배출, 분사, 발사, 숏팅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임펄스기는 임펄스기, impulse device, 전기적 파동을 발생하는 기기, 자극에 의하여 활동 전위를 발생하는 기기, 자극에 의하여 섬유를 타고 활동 전위를 발생하는 기기, 전도성의 전기적 흥분을 발생하는 섬유 또는 기기, 전도성의 전기적 파동을 발생하는 섬유 또는 기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서미스터는 서미스터, thermistor, thermally sensitive resistor의 합성어, 열가변저항기, 熱可變抵抗器,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 저항값이 바뀌는 저항기, 전기 저항이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현저하게 감소하는 회로용 소자(素子), 온도 상승에 대해서 저항값이 내려가는 것을 음(陰)온도(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 온도와 더불어 저항값이 올라가는 것을 양(陽)온도(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다이오드는 다이오드, diode, 진공관 다이오드, 열전자(thermionic) 다이오드, 반도체 다이오드, 반도체 소자의 기본, 규소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광다이오드(Photodiode), 점-접촉 다이오드(Point-contact diodes), p-n 접합 다이오드(p-n junction diodes), 2개의 단자를 갖는 전자 부품, 전류를 한쪽으로는 흐르게 하고 반대쪽으로는 흐르지 않게 하는 정류작용을 하는 전자 부품, 한쪽에 낮은 저항을 다른쪽에 높은 저항을 둬 전류가 한쪽으로만 흐를 수 있게 하는 물질, 전자의 흐름에 대한 체크밸브(check valve), n형반도체와 p형반도체를 붙여놓으면 p형반도체에서 n형반도체 방향으로는 전류가 잘 흐르며 반대방향으로는 거의 흐르지 않는 정류작용이 일어나는 소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솔레노이드, Solenoid,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 또는 도선, 도선을 속이 빈 긴 원통형의 코일모양으로 감은 것, 도선에 전류를 흘리면 자기장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전자석이 됨, 도선을 촘촘하고 균일하게 원통형으로 길게 감아 만든 기기, 전기에너지를 자기에너지로 바꾸는 에너지변환장치, 도선을 나선형으로 촘촘하고 균일하게 원통형으로 길게 감아 만들어서 전류를 흘리면 원통의 외부에서는 자기장이 거의 0이고 내부에는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자기장이 형성됨, 상기 내부 자기장의 크기는 전류의 크기와 단위 길이당 감은 수에 비례함, 원통형으로 도선을 감은 장치로 도선에 전류가 인가될 때 자석이 됨 등이 해당된다.
상기 마그네트론기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자기장 발생기, 마그네트론 이용 장치, 마그네트론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마그네트론, magnetron, 자전관(磁電管), 마이크로파를 발진하기 위한 진공관, 원통형의 양극과 그 중심축의 음극으로 구성, 대출력의 펄스가 생김, 동축(同軸) 원통 중 내부원통을 음극(陰極)으로 하고 외부원통을 양극(陽極)으로 하는 2극관을 만들고 축방향으로 직류자기장을 걸어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마이크로파 전자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데미스터는 데미스터, demister,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 기류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 장치, 그물코(網目)를 여러겹 포갠 것에 증기를 통하여 증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엘리미네이터는 엘리미네이터, eliminator, 공기 중 먼지제거 장치, 물방울을 비산시켜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는 기구 등이 해당된다.
상기 피에조기, 초음파기, 자기장기, 펠티에기, 오존기 등이 이용되는 복합기, 기능기의 예로는 판형의 piezo-electric device인 피에조기, 상기 피에조기에 구비된 초음파기인 울트라기, 상기 울트라기가 구비된 피에조기인 울트라피에조기, 상기 울트라기에 구비된 자기장기인 마그네틱기, 상기 마그네틱기가 구비된 울트라피에조기인 마그네틱울트라피에조기, 상기 마그네틱기에 구비된 열전기인 펠티에기, 상기 펠티에기가 구비된 울트라마그네틱피에조기인 펠티에마그네틱울트라피에조기, 상기 펠티에기에 구비된 오존기, 상기 오존기가 구비된 펠티에마그네틱울트라피에조기인 오존펠티에마그네틱울트라피에조기 등이 해당된다.
a) 본 발명에서는, b) 또는 b1) 상기 장치, 수단, 용어, 단어, 물질, 물체, 일 내지 복합, 수단 내지 복합수단. 기재사항, 기재내용; b2) 이중 하나의 전, 후, 좌, 우, 상, 하, 중, 중간, 내부, 외부, 제조, 제작, 생산, 상차, 운반, 이동, 하차, 야적, 적치, 보관, 설치, 거치, 안치, 안착, 시공, 공사, 운영, 운영, 가동, 유지, 관리, 보수, 보강, 점검, 검사, 시험, 관측, 계측, 측정, 진단, 물질, 물체, 원료, 소재, 재료, 자재; 등은 또는 등에는 1) 자화,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청정, 정화, 항균, 멸균, 제균, 살균, 소독, 해독, 제독, 방역, 방제, 전해, 방전, 대전, 방사, 분사, 탄화, 산화, 환원, 중화, 산성화, 염기화, 이온화, 탄산화, 유리화, 디톡스화, 촉매화, 광촉매화, 반응, 광반응, 촉매반응, 광촉매반응; 2) 촉매자화, 촉매자기장, 촉매진동, 촉매가진, 촉매오존, 촉매음이온, 촉매청정, 촉매정화, 촉매항균, 촉매멸균, 촉매제균, 촉매살균, 촉매소독, 촉매해독, 촉매제독, 촉매방역, 촉매방제, 촉매전해, 촉매방전, 촉매대전, 촉매방사, 촉매분사, 촉매탄화, 촉매산화, 촉매환원, 촉매중화, 촉매산성화, 촉매염기화, 촉매이온화, 촉매탄산화, 촉매유리화, 촉매디톡스화; 3) 광자화, 광자기장, 광진동, 광가진, 광오존, 광음이온, 광청정, 광정화, 광항균, 광멸균, 광제균, 광살균, 광소독, 광해독, 광제독, 광방역, 광방제, 광전해, 광방전, 광대전, 광방사, 광분사, 광탄화, 광산화, 광환원, 광중화, 광산성화, 광염기화, 광이온화, 광탄산화, 광유리화, 광디톡스화; 4) 광반응자화, 광반응자기장, 광반응진동, 광반응가진, 광반응오존, 광반응음이온, 광반응청정, 광반응정화, 광반응항균, 광반응멸균, 광반응제균, 광반응살균, 광반응소독, 광반응해독, 광반응제독, 광반응방역, 광반응방제, 광반응전해, 광반응방전, 광반응대전, 광반응방사, 광반응분사, 광반응탄화, 광반응산화, 광반응환원, 광반응중화, 광반응산성화, 광반응염기화, 광반응이온화, 광반응탄산화, 광반응유리화, 광반응디톡스화, 광반응촉매화, 광반응광촉매화, 광촉매반응; 5) 광촉매자화, 광촉매자기장, 광촉매진동, 광촉매가진, 광촉매오존, 광촉매음이온, 광촉매청정, 광촉매정화, 광촉매항균, 광촉매멸균, 광촉매제균, 광촉매살균, 광촉매소독, 광촉매해독, 광촉매제독, 광촉매방역, 광촉매방제, 광촉매전해, 광촉매방전, 광촉매대전, 광촉매방사, 광촉매분사, 광촉매탄화, 광촉매산화, 광촉매환원, 광촉매중화, 광촉매산성화, 광촉매염기화, 광촉매이온화, 광촉매탄산화, 광촉매유리화, 광촉매디톡스화; 6) 광촉매반응자화, 광촉매반응자기장, 광촉매반응진동, 광촉매반응가진, 광촉매반응오존, 광촉매반응음이온, 광촉매반응청정, 광촉매반응정화, 광촉매반응항균, 광촉매반응멸균, 광촉매반응제균, 광촉매반응살균, 광촉매반응소독, 광촉매반응해독, 광촉매반응제독, 광촉매반응방역, 광촉매반응방제, 광촉매반응전해, 광촉매반응방전, 광촉매반응대전, 광촉매반응방사, 광촉매반응분사, 광촉매반응탄화, 광촉매반응산화, 광촉매반응환원, 광촉매반응중화, 광촉매반응산성화, 광촉매반응염기화, 광촉매반응이온화, 광촉매반응탄산화, 광촉매반응유리화, 광촉매반응디톡스화; 7)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투입되는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8)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9) 촉매반응 또는 광촉매반응이 추가 또는 발생되는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10)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투입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11)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투입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12) 상기 중 하나에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투입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13) 자화기, 자기장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청정기, 정화기, 항균기, 멸균기, 제균기, 살균기, 소독기, 해독기, 제독기, 방역기, 방제기, 전해기, 방전기, 대전기, 방사기, 분사기, 탄화기, 산화기, 환원기, 중화기, 산성화기, 염기화기, 이온화기, 탄산화기, 유리화기, 디톡스화기, 촉매화기, 광촉매화기, 반응기, 광반응기, 촉매반응기, 광촉매반응기; 14) 촉매자화기, 촉매자기장기, 촉매진동기, 촉매가진기, 촉매오존기, 촉매음이온기, 촉매청정기, 촉매정화기, 촉매항균기, 촉매멸균기, 촉매제균기, 촉매살균기, 촉매소독기, 촉매해독기, 촉매제독기, 촉매방역기, 촉매방제기, 촉매전해기, 촉매방전기, 촉매대전기, 촉매방사기, 촉매분사기, 촉매탄화기, 촉매산화기, 촉매환원기, 촉매중화기, 촉매산성화기, 촉매염기화기, 촉매이온화기, 촉매탄산화기, 촉매유리화기, 촉매디톡스화기; 15) 광자화기, 광자기장기, 광진동기, 광가진기, 광오존기, 광음이온기, 광청정기, 광정화기, 광항균기, 광멸균기, 광제균기, 광살균기, 광소독기, 광해독기, 광제독기, 광방역기, 광방제기, 광전해기, 광방전기, 광대전기, 광방사기, 광분사기, 광탄화기, 광산화기, 광환원기, 광중화기, 광산성화기, 광염기화기, 광이온화기, 광탄산화기, 광유리화기, 광디톡스화기; 16) 광반응자화기, 광반응자기장기, 광반응진동기, 광반응가진기, 광반응오존기, 광반응음이온기, 광반응청정기, 광반응정화기, 광반응항균기, 광반응멸균기, 광반응제균기, 광반응살균기, 광반응소독기, 광반응해독기, 광반응제독기, 광반응방역기, 광반응방제기, 광반응전해기, 광반응방전기, 광반응대전기, 광반응방사기, 광반응분사기, 광반응탄화기, 광반응산화기, 광반응환원기, 광반응중화기, 광반응산성화기, 광반응염기화기, 광반응이온화기, 광반응탄산화기, 광반응유리화기, 광반응디톡스화기, 광반응촉매화기, 광반응광촉매화기, 광촉매반응기; 17) 광촉매자화기, 광촉매자기장기, 광촉매진동기, 광촉매가진기, 광촉매오존기, 광촉매음이온기, 광촉매청정기, 광촉매정화기, 광촉매항균기, 광촉매멸균기, 광촉매제균기, 광촉매살균기, 광촉매소독기, 광촉매해독기, 광촉매제독기, 광촉매방역기, 광촉매방제기, 광촉매전해기, 광촉매방전기, 광촉매대전기, 광촉매방사기, 광촉매분사기, 광촉매탄화기, 광촉매산화기, 광촉매환원기, 광촉매중화기, 광촉매산성화기, 광촉매염기화기, 광촉매이온화기, 광촉매탄산화기, 광촉매유리화기, 광촉매디톡스화기; 18) 광촉매반응자화기, 광촉매반응자기장기, 광촉매반응진동기, 광촉매반응가진기, 광촉매반응오존기, 광촉매반응음이온기, 광촉매반응청정기, 광촉매반응정화기, 광촉매반응항균기, 광촉매반응멸균기, 광촉매반응제균기, 광촉매반응살균기, 광촉매반응소독기, 광촉매반응해독기, 광촉매반응제독기, 광촉매반응방역기, 광촉매반응방제기, 광촉매반응전해기, 광촉매반응방전기, 광촉매반응대전기, 광촉매반응방사기, 광촉매반응분사기, 광촉매반응탄화기, 광촉매반응산화기, 광촉매반응환원기, 광촉매반응중화기, 광촉매반응산성화기, 광촉매반응염기화기, 광촉매반응이온화기, 광촉매반응탄산화기, 광촉매반응유리화기,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 19)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중 하나의 기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기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 20) 촉매 또는 광촉매를 이용 또는 분사 또는 코팅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 21) 빛이나 자외선을 조사(照射)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 22) 촉매반응 또는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기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 23) 촉매 또는 광촉매를 이용 또는 분사 또는 코팅하고 빛이나 자외선을 조사(照射)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 24) 촉매 또는 광촉매를 이용 또는 분사 또는 코팅하고 빛이나 자외선을 조사(照射)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기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 25) 상기 중 하나에 촉매 또는 광촉매를 이용 또는 분사 또는 코팅하고 빛이나 자외선을 조사(照射)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기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
26) 자화제, 자기장제, 진동제, 가진제, 오존제, 음이온제, 청정제, 정화제, 항균제, 멸균제, 제균제, 살균제, 소독제, 해독제, 제독제, 방역제, 방제제, 전해제, 방전제, 대전제, 방사제, 분사제, 탄화제, 산화제, 환원제, 중화제, 산성화제, 염기화제, 이온화제, 탄산화제, 유리화제, 디톡스화제, 촉매화제, 광촉매화제, 반응제, 광반응제, 촉매반응제, 광촉매반응제; 27) 촉매자화제, 촉매자기장제, 촉매진동제, 촉매가진제, 촉매오존제, 촉매음이온제, 촉매청정제, 촉매정화제, 촉매항균제, 촉매멸균제, 촉매제균제, 촉매살균제, 촉매소독제, 촉매해독제, 촉매제독제, 촉매방역제, 촉매방제제, 촉매전해제, 촉매방전제, 촉매대전제, 촉매방사제, 촉매분사제, 촉매탄화제, 촉매산화제, 촉매환원제, 촉매중화제, 촉매산성화제, 촉매염기화제, 촉매이온화제, 촉매탄산화제, 촉매유리화제, 촉매디톡스화제; 28) 광자화제, 광자기장제, 광진동제, 광가진제, 광오존제, 광음이온제, 광청정제, 광정화제, 광항균제, 광멸균제, 광제균제, 광살균제, 광소독제, 광해독제, 광제독제, 광방역제, 광방제제, 광전해제, 광방전제, 광대전제, 광방사제, 광분사제, 광탄화제, 광산화제, 광환원제, 광중화제, 광산성화제, 광염기화제, 광이온화제, 광탄산화제, 광유리화제, 광디톡스화제; 29) 광반응자화제, 광반응자기장제, 광반응진동제, 광반응가진제, 광반응오존제, 광반응음이온제, 광반응청정제, 광반응정화제, 광반응항균제, 광반응멸균제, 광반응제균제, 광반응살균제, 광반응소독제, 광반응해독제, 광반응제독제, 광반응방역제, 광반응방제제, 광반응전해제, 광반응방전제, 광반응대전제, 광반응방사제, 광반응분사제, 광반응탄화제, 광반응산화제, 광반응환원제, 광반응중화제, 광반응산성화제, 광반응염기화제, 광반응이온화제, 광반응탄산화제, 광반응유리화제, 광반응디톡스화제, 광반응촉매화제, 광반응광촉매화제, 광촉매반응제; 30) 광촉매자화제, 광촉매자기장제, 광촉매진동제, 광촉매가진제, 광촉매오존제, 광촉매음이온제, 광촉매청정제, 광촉매정화제, 광촉매항균제, 광촉매멸균제, 광촉매제균제, 광촉매살균제, 광촉매소독제, 광촉매해독제, 광촉매제독제, 광촉매방역제, 광촉매방제제, 광촉매전해제, 광촉매방전제, 광촉매대전제, 광촉매방사제, 광촉매분사제, 광촉매탄화제, 광촉매산화제, 광촉매환원제, 광촉매중화제, 광촉매산성화제, 광촉매염기화제, 광촉매이온화제, 광촉매탄산화제, 광촉매유리화제, 광촉매디톡스화제; 31) 광촉매반응자화제, 광촉매반응자기장제, 광촉매반응진동제, 광촉매반응가진제, 광촉매반응오존제, 광촉매반응음이온제, 광촉매반응청정제, 광촉매반응정화제, 광촉매반응항균제, 광촉매반응멸균제, 광촉매반응제균제, 광촉매반응살균제, 광촉매반응소독제, 광촉매반응해독제, 광촉매반응제독제, 광촉매반응방역제, 광촉매반응방제제, 광촉매반응전해제, 광촉매반응방전제, 광촉매반응대전제, 광촉매반응방사제, 광촉매반응분사제, 광촉매반응탄화제, 광촉매반응산화제, 광촉매반응환원제, 광촉매반응중화제, 광촉매반응산성화제, 광촉매반응염기화제, 광촉매반응이온화제, 광촉매반응탄산화제, 광촉매반응유리화제, 광촉매반응디톡스화제; 32)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중 하나의 기작을 하는 상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제; 33)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첨가 또는 혼합되는 상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제; 34)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제; 35) 촉매반응 또는 광촉매반응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제; 36)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첨가 또는 혼합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제; 37)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첨가 또는 혼합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제; 38) 상기 중 하나에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첨가 또는 혼합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제;
39) 자화물, 자기장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청정물, 정화물, 항균물, 멸균물, 제균물, 살균물, 소독물, 해독물, 제독물, 방역물, 방제물, 전해물, 방전물, 대전물, 방사물, 분사물, 탄화물, 산화물, 환원물, 중화물, 산성화물, 염기화물, 이온화물, 탄산화물, 유리화물, 디톡스화물, 촉매화물, 광촉매화물, 반응물, 광반응물, 촉매반응물, 광촉매반응물; 40) 촉매자화물, 촉매자기장물, 촉매진동물, 촉매가진물, 촉매오존물, 촉매음이온물, 촉매청정물, 촉매정화물, 촉매항균물, 촉매멸균물, 촉매제균물, 촉매살균물, 촉매소독물, 촉매해독물, 촉매제독물, 촉매방역물, 촉매방제물, 촉매전해물, 촉매방전물, 촉매대전물, 촉매방사물, 촉매분사물, 촉매탄화물, 촉매산화물, 촉매환원물, 촉매중화물, 촉매산성화물, 촉매염기화물, 촉매이온화물, 촉매탄산화물, 촉매유리화물, 촉매디톡스화물; 41) 광자화물, 광자기장물, 광진동물, 광가진물, 광오존물, 광음이온물, 광청정물, 광정화물, 광항균물, 광멸균물, 광제균물, 광살균물, 광소독물, 광해독물, 광제독물, 광방역물, 광방제물, 광전해물, 광방전물, 광대전물, 광방사물, 광분사물, 광탄화물, 광산화물, 광환원물, 광중화물, 광산성화물, 광염기화물, 광이온화물, 광탄산화물, 광유리화물, 광디톡스화물; 42) 광반응자화물, 광반응자기장물, 광반응진동물, 광반응가진물, 광반응오존물, 광반응음이온물, 광반응청정물, 광반응정화물, 광반응항균물, 광반응멸균물, 광반응제균물, 광반응살균물, 광반응소독물, 광반응해독물, 광반응제독물, 광반응방역물, 광반응방제물, 광반응전해물, 광반응방전물, 광반응대전물, 광반응방사물, 광반응분사물, 광반응탄화물, 광반응산화물, 광반응환원물, 광반응중화물, 광반응산성화물, 광반응염기화물, 광반응이온화물, 광반응탄산화물, 광반응유리화물, 광반응디톡스화물, 광반응촉매화물, 광반응광촉매화물, 광촉매반응물; 43) 광촉매자화물, 광촉매자기장물, 광촉매진동물, 광촉매가진물, 광촉매오존물, 광촉매음이온물, 광촉매청정물, 광촉매정화물, 광촉매항균물, 광촉매멸균물, 광촉매제균물, 광촉매살균물, 광촉매소독물, 광촉매해독물, 광촉매제독물, 광촉매방역물, 광촉매방제물, 광촉매전해물, 광촉매방전물, 광촉매대전물, 광촉매방사물, 광촉매분사물, 광촉매탄화물, 광촉매산화물, 광촉매환원물, 광촉매중화물, 광촉매산성화물, 광촉매염기화물, 광촉매이온화물, 광촉매탄산화물, 광촉매유리화물, 광촉매디톡스화물; 44) 광촉매반응자화물, 광촉매반응자기장물, 광촉매반응진동물, 광촉매반응가진물, 광촉매반응오존물, 광촉매반응음이온물, 광촉매반응청정물, 광촉매반응정화물, 광촉매반응항균물, 광촉매반응멸균물, 광촉매반응제균물, 광촉매반응살균물, 광촉매반응소독물, 광촉매반응해독물, 광촉매반응제독물, 광촉매반응방역물, 광촉매반응방제물, 광촉매반응전해물, 광촉매반응방전물, 광촉매반응대전물, 광촉매반응방사물, 광촉매반응분사물, 광촉매반응탄화물, 광촉매반응산화물, 광촉매반응환원물, 광촉매반응중화물, 광촉매반응산성화물, 광촉매반응염기화물, 광촉매반응이온화물, 광촉매반응탄산화물, 광촉매반응유리화물, 광촉매반응디톡스화; 45)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중 하나의 기작을 하는 상기 자화물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물; 46)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첨가 또는 혼합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물; 47)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물; 48) 촉매반응 또는 광촉매반응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물; 49)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첨가 또는 혼합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물; 50)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첨가 또는 혼합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물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물; 51) 상기 중 하나에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첨가 또는 혼합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물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물;
52) 자화작용, 자기장작용, 진동작용, 가진작용, 오존작용, 음이온작용, 청정작용, 정화작용, 항균작용, 멸균작용, 제균작용, 살균작용, 소독작용, 해독작용, 제독작용, 방역작용, 방제작용, 전해작용, 방전작용, 대전작용, 방사작용, 분사작용, 탄화작용, 산화작용, 환원작용, 중화작용, 산성화작용, 염기화작용, 이온화작용, 탄산화작용, 유리화작용, 디톡스화작용, 촉매화작용, 광촉매화작용, 반응작용, 광반응작용, 촉매반응작용, 광촉매반응작용; 53) 촉매자화작용, 촉매자기장작용, 촉매진동작용, 촉매가진작용, 촉매오존작용, 촉매음이온작용, 촉매청정작용, 촉매정화작용, 촉매항균작용, 촉매멸균작용, 촉매제균작용, 촉매살균작용, 촉매소독작용, 촉매해독작용, 촉매제독작용, 촉매방역작용, 촉매방제작용, 촉매전해작용, 촉매방전작용, 촉매대전작용, 촉매방사작용, 촉매분사작용, 촉매탄화작용, 촉매산화작용, 촉매환원작용, 촉매중화작용, 촉매산성화작용, 촉매염기화작용, 촉매이온화작용, 촉매탄산화작용, 촉매유리화작용, 촉매디톡스화작용; 54) 광자화작용, 광자기장작용, 광진동작용, 광가진작용, 광오존작용, 광음이온작용, 광청정작용, 광정화작용, 광항균작용, 광멸균작용, 광제균작용, 광살균작용, 광소독작용, 광해독작용, 광제독작용, 광방역작용, 광방제작용, 광전해작용, 광방전작용, 광대전작용, 광방사작용, 광분사작용, 광탄화작용, 광산화작용, 광환원작용, 광중화작용, 광산성화작용, 광염기화작용, 광이온화작용, 광탄산화작용, 광유리화작용, 광디톡스화작용; 55) 광반응자화작용, 광반응자기장작용, 광반응진동작용, 광반응가진작용, 광반응오존작용, 광반응음이온작용, 광반응청정작용, 광반응정화작용, 광반응항균작용, 광반응멸균작용, 광반응제균작용, 광반응살균작용, 광반응소독작용, 광반응해독작용, 광반응제독작용, 광반응방역작용, 광반응방제작용, 광반응전해작용, 광반응방전작용, 광반응대전작용, 광반응방사작용, 광반응분사작용, 광반응탄화작용, 광반응산화작용, 광반응환원작용, 광반응중화작용, 광반응산성화작용, 광반응염기화작용, 광반응이온화작용, 광반응탄산화작용, 광반응유리화작용, 광반응디톡스화작용, 광반응촉매화작용, 광반응광촉매화작용, 광촉매반응작용; 56) 광촉매자화작용, 광촉매자기장작용, 광촉매진동작용, 광촉매가진작용, 광촉매오존작용, 광촉매음이온작용, 광촉매청정작용, 광촉매정화작용, 광촉매항균작용, 광촉매멸균작용, 광촉매제균작용, 광촉매살균작용, 광촉매소독작용, 광촉매해독작용, 광촉매제독작용, 광촉매방역작용, 광촉매방제작용, 광촉매전해작용, 광촉매방전작용, 광촉매대전작용, 광촉매방사작용, 광촉매분사작용, 광촉매탄화작용, 광촉매산화작용, 광촉매환원작용, 광촉매중화작용, 광촉매산성화작용, 광촉매염기화작용, 광촉매이온화작용, 광촉매탄산화작용, 광촉매유리화작용, 광촉매디톡스화작용; 57) 광촉매반응자화작용, 광촉매반응자기장작용, 광촉매반응진동작용, 광촉매반응가진작용, 광촉매반응오존작용, 광촉매반응음이온작용, 광촉매반응청정작용, 광촉매반응정화작용, 광촉매반응항균작용, 광촉매반응멸균작용, 광촉매반응제균작용, 광촉매반응살균작용, 광촉매반응소독작용, 광촉매반응해독작용, 광촉매반응제독작용, 광촉매반응방역작용, 광촉매반응방제작용, 광촉매반응전해작용, 광촉매반응방전작용, 광촉매반응대전작용, 광촉매반응방사작용, 광촉매반응분사작용, 광촉매반응탄화작용, 광촉매반응산화작용, 광촉매반응환원작용, 광촉매반응중화작용, 광촉매반응산성화작용, 광촉매반응염기화작용, 광촉매반응이온화작용, 광촉매반응탄산화작용, 광촉매반응유리화작용, 광촉매반응디톡스화작용; 58)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중 하나의 기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작용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작용; 59)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는 상기 자화작용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작용; 60)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작용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작용; 61) 촉매반응 또는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작용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작용; 62)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작용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작용; 63)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작용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작용; 64) 상기 중 하나에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작용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작용;
65) 자화기능, 자기장기능, 진동기능, 가진기능, 오존기능, 음이온기능, 청정기능, 정화기능, 항균기능, 멸균기능, 제균기능, 살균기능, 소독기능, 해독기능, 제독기능, 방역기능, 방제기능, 전해기능, 방전기능, 대전기능, 방사기능, 분사기능, 탄화기능, 산화기능, 환원기능, 중화기능, 산성화기능, 염기화기능, 이온화기능, 탄산화기능, 유리화기능, 디톡스화기능, 촉매화기능, 광촉매화기능, 반응기능, 광반응기능, 촉매반응기능, 광촉매반응기능; 66) 촉매자화기능, 촉매자기장기능, 촉매진동기능, 촉매가진기능, 촉매오존기능, 촉매음이온기능, 촉매청정기능, 촉매정화기능, 촉매항균기능, 촉매멸균기능, 촉매제균기능, 촉매살균기능, 촉매소독기능, 촉매해독기능, 촉매제독기능, 촉매방역기능, 촉매방제기능, 촉매전해기능, 촉매방전기능, 촉매대전기능, 촉매방사기능, 촉매분사기능, 촉매탄화기능, 촉매산화기능, 촉매환원기능, 촉매중화기능, 촉매산성화기능, 촉매염기화기능, 촉매이온화기능, 촉매탄산화기능, 촉매유리화기능, 촉매디톡스화기능; 67) 광자화기능, 광자기장기능, 광진동기능, 광가진기능, 광오존기능, 광음이온기능, 광청정기능, 광정화기능, 광항균기능, 광멸균기능, 광제균기능, 광살균기능, 광소독기능, 광해독기능, 광제독기능, 광방역기능, 광방제기능, 광전해기능, 광방전기능, 광대전기능, 광방사기능, 광분사기능, 광탄화기능, 광산화기능, 광환원기능, 광중화기능, 광산성화기능, 광염기화기능, 광이온화기능, 광탄산화기능, 광유리화기능, 광디톡스화기능; 68) 광반응자화기능, 광반응자기장기능, 광반응진동기능, 광반응가진기능, 광반응오존기능, 광반응음이온기능, 광반응청정기능, 광반응정화기능, 광반응항균기능, 광반응멸균기능, 광반응제균기능, 광반응살균기능, 광반응소독기능, 광반응해독기능, 광반응제독기능, 광반응방역기능, 광반응방제기능, 광반응전해기능, 광반응방전기능, 광반응대전기능, 광반응방사기능, 광반응분사기능, 광반응탄화기능, 광반응산화기능, 광반응환원기능, 광반응중화기능, 광반응산성화기능, 광반응염기화기능, 광반응이온화기능, 광반응탄산화기능, 광반응유리화기능, 광반응디톡스화기능, 광반응촉매화기능, 광반응광촉매화기능, 광촉매반응기능; 69) 광촉매자화기능, 광촉매자기장기능, 광촉매진동기능, 광촉매가진기능, 광촉매오존기능, 광촉매음이온기능, 광촉매청정기능, 광촉매정화기능, 광촉매항균기능, 광촉매멸균기능, 광촉매제균기능, 광촉매살균기능, 광촉매소독기능, 광촉매해독기능, 광촉매제독기능, 광촉매방역기능, 광촉매방제기능, 광촉매전해기능, 광촉매방전기능, 광촉매대전기능, 광촉매방사기능, 광촉매분사기능, 광촉매탄화기능, 광촉매산화기능, 광촉매환원기능, 광촉매중화기능, 광촉매산성화기능, 광촉매염기화기능, 광촉매이온화기능, 광촉매탄산화기능, 광촉매유리화기능, 광촉매디톡스화기능; 70) 광촉매반응자화기능, 광촉매반응자기장기능, 광촉매반응진동기능, 광촉매반응가진기능, 광촉매반응오존기능, 광촉매반응음이온기능, 광촉매반응청정기능, 광촉매반응정화기능, 광촉매반응항균기능, 광촉매반응멸균기능, 광촉매반응제균기능, 광촉매반응살균기능, 광촉매반응소독기능, 광촉매반응해독기능, 광촉매반응제독기능, 광촉매반응방역기능, 광촉매반응방제기능, 광촉매반응전해기능, 광촉매반응방전기능, 광촉매반응대전기능, 광촉매반응방사기능, 광촉매반응분사기능, 광촉매반응탄화기능, 광촉매반응산화기능, 광촉매반응환원기능, 광촉매반응중화기능, 광촉매반응산성화기능, 광촉매반응염기화기능, 광촉매반응이온화기능, 광촉매반응탄산화기능, 광촉매반응유리화기능, 광촉매반응디톡스화; 71)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중 하나의 기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기능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능; 72)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는 상기 자화기능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능; 73)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기능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능; 74) 촉매반응 또는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기능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능; 75)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기능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능; 76)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기능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능; 77) 상기 중 하나에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기능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기능;
78) 자화처리, 자기장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청정처리, 정화처리, 항균처리, 멸균처리, 제균처리, 살균처리, 소독처리, 해독처리, 제독처리, 방역처리, 방제처리, 전해처리, 방전처리, 대전처리, 방사처리, 분사처리, 탄화처리, 산화처리, 환원처리, 중화처리, 산성화처리, 염기화처리, 이온화처리, 탄산화처리, 유리화처리, 디톡스화처리, 촉매화처리, 광촉매화처리, 반응처리, 광반응처리, 촉매반응처리, 광촉매반응처리; 79) 촉매자화처리, 촉매자기장처리, 촉매진동처리, 촉매가진처리, 촉매오존처리, 촉매음이온처리, 촉매청정처리, 촉매정화처리, 촉매항균처리, 촉매멸균처리, 촉매제균처리, 촉매살균처리, 촉매소독처리, 촉매해독처리, 촉매제독처리, 촉매방역처리, 촉매방제처리, 촉매전해처리, 촉매방전처리, 촉매대전처리, 촉매방사처리, 촉매분사처리, 촉매탄화처리, 촉매산화처리, 촉매환원처리, 촉매중화처리, 촉매산성화처리, 촉매염기화처리, 촉매이온화처리, 촉매탄산화처리, 촉매유리화처리, 촉매디톡스화처리; 80) 광자화처리, 광자기장처리, 광진동처리, 광가진처리, 광오존처리, 광음이온처리, 광청정처리, 광정화처리, 광항균처리, 광멸균처리, 광제균처리, 광살균처리, 광소독처리, 광해독처리, 광제독처리, 광방역처리, 광방제처리, 광전해처리, 광방전처리, 광대전처리, 광방사처리, 광분사처리, 광탄화처리, 광산화처리, 광환원처리, 광중화처리, 광산성화처리, 광염기화처리, 광이온화처리, 광탄산화처리, 광유리화처리, 광디톡스화처리; 81) 광반응자화처리, 광반응자기장처리, 광반응진동처리, 광반응가진처리, 광반응오존처리, 광반응음이온처리, 광반응청정처리, 광반응정화처리, 광반응항균처리, 광반응멸균처리, 광반응제균처리, 광반응살균처리, 광반응소독처리, 광반응해독처리, 광반응제독처리, 광반응방역처리, 광반응방제처리, 광반응전해처리, 광반응방전처리, 광반응대전처리, 광반응방사처리, 광반응분사처리, 광반응탄화처리, 광반응산화처리, 광반응환원처리, 광반응중화처리, 광반응산성화처리, 광반응염기화처리, 광반응이온화처리, 광반응탄산화처리, 광반응유리화처리, 광반응디톡스화처리, 광반응촉매화처리, 광반응광촉매화처리, 광촉매반응처리; 82) 광촉매자화처리, 광촉매자기장처리, 광촉매진동처리, 광촉매가진처리, 광촉매오존처리, 광촉매음이온처리, 광촉매청정처리, 광촉매정화처리, 광촉매항균처리, 광촉매멸균처리, 광촉매제균처리, 광촉매살균처리, 광촉매소독처리, 광촉매해독처리, 광촉매제독처리, 광촉매방역처리, 광촉매방제처리, 광촉매전해처리, 광촉매방전처리, 광촉매대전처리, 광촉매방사처리, 광촉매분사처리, 광촉매탄화처리, 광촉매산화처리, 광촉매환원처리, 광촉매중화처리, 광촉매산성화처리, 광촉매염기화처리, 광촉매이온화처리, 광촉매탄산화처리, 광촉매유리화처리, 광촉매디톡스화처리; 83) 광촉매반응자화처리, 광촉매반응자기장처리, 광촉매반응진동처리, 광촉매반응가진처리, 광촉매반응오존처리, 광촉매반응음이온처리, 광촉매반응청정처리, 광촉매반응정화처리, 광촉매반응항균처리, 광촉매반응멸균처리, 광촉매반응제균처리, 광촉매반응살균처리, 광촉매반응소독처리, 광촉매반응해독처리, 광촉매반응제독처리, 광촉매반응방역처리, 광촉매반응방제처리, 광촉매반응전해처리, 광촉매반응방전처리, 광촉매반응대전처리, 광촉매반응방사처리, 광촉매반응분사처리, 광촉매반응탄화처리, 광촉매반응산화처리, 광촉매반응환원처리, 광촉매반응중화처리, 광촉매반응산성화처리, 광촉매반응염기화처리, 광촉매반응이온화처리, 광촉매반응탄산화처리, 광촉매반응유리화처리, 광촉매반응디톡스화; 84)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중 하나의 기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처리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처리; 85)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는 상기 자화처리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처리; 86)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처리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처리; 87) 촉매반응 또는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처리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처리; 88)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는 상기 자화처리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처리; 89)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처리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처리; 90) 상기 중 하나에 촉매 또는 광촉매가 이용 또는 분사 또는 기여되고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고 광촉매반응을 발생시키는 상기 자화처리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처리;
91)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a) 복합, 촉매복합, 광복합, 광반응복합, 광촉매복합, 광촉매반응복합,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 b) 복합기, 촉매복합기, 광복합기, 광반응복합기, 광촉매복합기, 광촉매반응복합기,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기, c) 복합제, 촉매복합제, 광복합제, 광반응복합제, 광촉매복합제, 광촉매반응복합제,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제, d) 복합물, 촉매복합물, 광복합물, 광반응복합물, 광촉매복합물, 광촉매반응복합물,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물, e) 복합작용, 촉매복합작용, 광복합작용, 광반응복합작용, 광촉매복합작용, 광촉매반응복합작용,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작용, f) 복합처리, 촉매복합처리, 광복합처리, 광반응복합처리, 광촉매복합처리, 광촉매반응복합처리,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처리;
92)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처리 중 하나의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시설, 설비, 장치, 장비, 물체, 수단, 시스템, 디바이스, 자(者), 가(家), 사람, 로봇, 아바타,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부(部), 부위, 부분, 원료, 소재, 재료, 자재, 물질, 이중 둘 이상 복합(複合); 등의 또는 등이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보유, 가짐, 정착, 장착, 조성, 형성, 생성, 발생, 방사, 조사, 주입, 투입, 첨가, 추가, 지참, 공급, 제공, 분사, 포설, 코팅, 도장, 실시, 시행 등이 가능하다.
상기를 다시 축약하여 기재하면 a) 본 발명에서는, b) 또는 b1) 상기 장치 내지(∼) b2) 자재 등은 또는 등에는 상기 1) 자화 내지(∼) 92) 복합(複合) 등의 또는 등이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보유, 가짐, 정착, 장착, 조성, 형성, 생성, 발생, 방사, 조사, 주입, 투입, 첨가, 추가, 지참, 공급, 제공, 분사, 포설, 코팅, 도장, 실시, 시행 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의 예로는 항균 처리된 장치, 항균 및 자화 처리된 수단,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처리된 밸브실,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된 밸브,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되고 자화기가 장착된 부속물,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되고 자화기가 장착되고 전기방전작용을 하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광반응 및 항균 처리된 장치, 광촉매반응 및 항균 및 자화 처리된 수단, 촉매가 코팅되고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처리된 밸브실, 광촉매가 코팅되고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된 밸브, 촉매가 코팅되고 자외선이 조사되고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되고 자화기가 장착된 부속물, 노즐로 광촉매가 코팅되고 램프에서 자외선이 조사되고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되고 자화기가 장착되고 전기방전작용을 하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등이다. 상기 기작은 기작, 機作, 원리, 기본, 기본원리, 작용원리, 반응, 작용, 활동, 동작, 기능, 성능, 메카니즘, mechanism, 일의 기본이 되는 원리, 생물의 생리적인 작용을 일으키는 기본 원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적용예로는 1) 상기 밸브가 항균, 상기 밸브실이 살균, 상기 부속물이 소독; 2) 상기 밸브가 항균처리, 상기 밸브실이 살균처리, 상기 부속물이 소독처리; 3) 상기 밸브가 진동, 상기 밸브실이 가진, 상기 부속물이 제균; 4) 상기 밸브가 진동처리, 상기 밸브실이 가진처리, 상기 부속물이 제균처리; 5) 상기 밸브가 방전, 상기 밸브실이 대전, 상기 부속물이 광반응; 6) 상기 밸브가 방전되어 살균, 상기 밸브실이 대전되어 소독, 상기 부속물이 광반응되어 청정; 7) 상기 밸브가 방전되어 오존이 발생되어 상기 밸브가 살균, 상기 밸브실이 대전되어 음이온온이 발생되어 상기 밸브실이 소독, 상기 부속물에 코팅된 촉매가 광반응되어 상기 부속물청정; 8) 상기 밸브에 전해기가 구비, 상기 밸브실에 항균기가 구비, 상기 부속물에 소독기가 구비; 9) 상기 관로에 전해기가 구비되어 상기 관로를 흐르는 물이 전기분해, 상기 밸브실에 항균기가 구비되어 항균제 분사, 상기 부속물에 소독기가 구비되어 소독제 분사; 10) 상기 밸브에 자기장이 방사, 상기 밸브실에 전해물이 분사, 상기 부속물에 항균제가 투입; 11) 상기 밸브에 자기장이 방사되어 자화, 상기 밸브실에 전해물이 분사되어 살균, 상기 부속물에 항균제가 투입되어 항균처리; 12) 상기 밸브가 청정작용, 상기 밸브실이 정화작용, 상기 부속물이 항균작용; 13) 상기 밸브에 청정기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가 청정작용, 상기 밸브실에 정화제가 분사되어 상기 밸브실이 정화작용, 상기 부속물에 항균시설이 구비되어 상기 부속물이 항균작용; 14) 상기 밸브가 항균기능을 가짐, 상기 밸브실이 살균기능을 가짐, 상기 부속물이 청정성능을 가짐; 15) 상기 밸브에 항균제가 조사되어 상기 밸브가 항균기능을 가짐, 상기 밸브실에 살균기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실이 살균기능을 가짐, 상기 부속물에 청정기가 구비되어 상기 부속물이 청정성능을 가짐; 16) 상기 밸브가 정화처리 됨, 상기 밸브실이 자화처리 됨, 상기 부속물이 소독처리 됨; 17) 상기 밸브에 정화제가 분사되어 상기 밸브가 정화처리 됨, 상기 밸브실에 자기장이 방사되어 상기 밸브실이 자화처리 됨, 상기 부속물에 소독물이 분사되어 상기 부속물이 소독처리 됨; 18) 상기 밸브가 광반응을 함, 상기 밸브실이 촉매반응응 함, 상기 부속물이 광촉매반응을 함; 19) 상기 밸브에 빛이 조사되어 상기 밸브가 광반응을 함, 상기 밸브실에 촉매가 도장되어 상기 밸브실이 촉매반응응 함, 상기 부속물에 광촉매가 코팅되어 상기 부속물이 광촉매반응을 함; 등이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複合)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됨, 되는,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존치, 존재, 발생, 발산, 형성, 조성, 주입, 투입, 혼입, 추가, 첨가, 더함, 연결, 연계, 병행, 포설, 분사, 방사, 조사, 흡착, 흡수, 도포, 코팅, 도장, 미장, 침지, 함침, 포함, 증착, 착상, 부착, 장착, 제공, 공급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함, 하는, 시킴, 가함,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존치, 존재, 발생, 발산, 형성, 조성, 주입, 투입, 혼입, 추가, 첨가, 더함, 연결, 연계, 병행, 포설, 분사, 방사, 조사, 흡착, 흡수, 도포, 코팅, 도장, 미장, 침지, 함침, 포함, 증착, 착상, 부착, 장착, 제공, 공급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면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촉매, 광촉매, 촉매이용, 광촉매이용, 촉매분사, 광촉매분사, 촉매투입, 광촉매투입, 촉매혼합, 광촉매혼합, 촉매기여, 광촉매기여, 빛조사, 광(光)조사, 자외선조사, 촉매반응, 광촉매반응 등이 또는 등을 함, 하는, 됨, 되는, 시킴, 가함,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존치, 존재, 발생, 발산, 형성, 조성, 주입, 투입, 혼입, 추가, 첨가, 더함, 포설, 분사, 흡착, 흡수, 도포, 코팅, 도장, 미장, 침지, 함침, 포함, 증착, 착상, 부착, 장착, 제공, 공급 등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기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기 등에서 기는 기(器), 기(機), 조, 통, 함, 실, 용기, 박스, 탱크,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수단, 시설, 설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제, 자화물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물 등에서 제 또는 물은 제, 劑 재, 材, 물, 物, 수, 水, 액, 유, 油, 재료, 자재, 물질, 물체, 고체, 액체, 기체, 성분, 요소, 소재, 원료, 첨가제, 기능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작용은 작용, 기작, 동작, 행위, 행동, 수행, 시행, 거행, 실시, 물리작용, 화학작용, 생물작용, 미생물작용 등이다. 상기 기능을 기능, 성능, 작용, 역할, 다기능 등이다. 상기 처리는 처리, 처분, 처치, 작용, 기능,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다.
상기 자화기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제, 자화물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작용,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되면서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작용, 자화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자화기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제, 자화물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물 등에 의할 수 있다.
상기 복합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처리 등은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 촉매이용, 광촉매이용, 촉매분사, 광촉매분사, 촉매투입, 광촉매투입, 촉매혼합, 광촉매혼합, 촉매기여, 광촉매기여, 빛조사, 광(光)조사, 자외선조사, 촉매반응, 광촉매반응 중 둘 이상이 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촉매반응복합처리의 예로는 상기 자화 내지 방전, 촉매이용 내지 광촉매반응 등을 순차적으로 하거나, 또는 번갈아 하거나, 또는 교호하여 하는 것이다. 상기 광촉매반응복합처리의 다른 예로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순차적으로 하거나, 또는 번갈아 하거나, 또는 교호하여 하는 것이다.
상기 촉매자화 내지 촉매복합처리 등의 예로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에 촉매의 어두가 추가된 것이다. 이의 예로는 촉매자화, 촉매진동, 촉매자화기, 촉매진동기, 촉매가진기, 촉매오존기, 촉매음이온기, 촉매청정기, 촉매정화기, 촉매항균기, 촉매멸균기, 촉매제균기, 촉매살균기, 촉매소독기, 촉매해독기, 촉매제독기, 촉매방역기, 촉매방제기, 촉매전해기, 촉매전기분해기, 촉매방전기, 촉매전기방전기, 촉매가진제, 촉매오존물, 촉매청정기, 촉매정화작용, 촉매전해기능, 촉매살균처리, 촉매복합, 촉매복합기, 촉매복합제, 촉매복합물, 촉매복합작용, 촉매복합처리 등이다. 상기 촉매자화는 촉매자화, 촉매 이용 자화, 촉매 분사 자화, 촉매 코팅 자화, 촉매 이용과 자화, 촉매 분사와 자화, 촉매 코팅과 자화, 촉매가 이용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촉매가 분사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촉매가 코팅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등이다. 이하 촉매자화를 제외한 촉매진동 내지 촉매복합처리 등은 상기 촉매자화와 동일한 형식으로 설명 또는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광자화 내지 광복합처리 등의 예로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에 광(光)이 추가되거나, 또는 광(光)의 어두가 추가된 것이다. 이의 예로는 광자화, 광진동, 광자화기, 광진동기, 광가진기, 광오존기, 광음이온기, 광청정기, 광정화기, 광항균기, 광멸균기, 광제균기, 광살균기, 광소독기, 광해독기, 광제독기, 광방역기, 광방제기, 광전해기, 광전기분해기, 광방전기, 광전기방전기, 광가진제, 광오존물, 광청정기, 광정화작용, 광전해기능, 광살균처리, 광복합, 광복합기, 광복합제, 광복합물, 광복합작용, 광복합처리 등이다. 상기 광자화는 광자화, 광(光) 이용 자화, 광 조사 자화, 광 방사 자화, 광 이용과 자화, 광 조사와 자화, 광 방사와 자화, 광이 이용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광이 조사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광이 방사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등이다. 광자화를 제외한 이하 광진동 내지 광복합처리 등은 상기 광자화와 동일한 형식으로 설명 또는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광반응자화 내지 광반응복합처리 등의 예로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에 광반응이 추가되거나, 또는 광반응의 어두가 추가된 것이다. 이의 예로는 광반응자화, 광반응진동, 광반응자화기, 광반응진동기, 광반응가진기, 광반응오존기, 광반응음이온기, 광반응청정기, 광반응정화기, 광반응항균기, 광반응멸균기, 광반응제균기, 광반응살균기, 광반응소독기, 광반응해독기, 광반응제독기, 광반응방역기, 광반응방제기, 광반응전해기, 광반응전기분해기, 광반응방전기, 광반응전기방전기, 광반응가진제, 광반응오존물, 광반응청정기, 광반응정화작용, 광반응전해기능, 광반응살균처리, 광반응복합, 광반응복합기, 광반응복합제, 광반응복합물, 광반응복합작용, 광반응복합처리 등이다. 상기 광반응자화는 광반응자화, 광반응 이용 자화, 광반응 조성 자화, 광반응 발생 자화, 광반응과 자화, 광반응 조성과 자화, 광반응 발생과 자화, 광반응이 이용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광반응이 조성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광반응이 발생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등이다. 광반응자화를 제외한 이하 광반응진동 내지 광반응복합처리 등은 상기 광반응자화와 동일한 형식으로 설명 또는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광촉매자화 내지 광촉매복합처리 등의 예로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에 광촉매가 추가되거나, 또는 광촉매의 어두가 추가된 것이다. 이의 예로는 광촉매자화, 광촉매진동, 광촉매자화기, 광촉매진동기, 광촉매가진기, 광촉매오존기, 광촉매음이온기, 광촉매청정기, 광촉매정화기, 광촉매항균기, 광촉매멸균기, 광촉매제균기, 광촉매살균기, 광촉매소독기, 광촉매해독기, 광촉매제독기, 광촉매방역기, 광촉매방제기, 광촉매전해기, 광촉매전기분해기, 광촉매방전기, 광촉매전기방전기, 광촉매가진제, 광촉매오존물, 광촉매청정기, 광촉매정화작용, 광촉매전해기능, 광촉매살균처리, 광촉매복합, 광촉매복합기, 광촉매복합제, 광촉매복합물, 광촉매복합작용, 광촉매복합처리 등이다. 상기 광촉매자화는 광촉매자화, 광촉매 이용 자화, 광촉매 분사 자화, 광촉매 코팅 자화, 광촉매 이용과 자화, 광촉매 분사와 자화, 광촉매 코팅과 자화, 광촉매가 이용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광촉매가 분사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광촉매가 코팅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등이다. 이하 광촉매자화를 제외한 광촉매진동 내지 광촉매복합처리 등은 상기 광촉매자화와 동일한 형식으로 설명 또는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광촉매반응자화 내지 복합 등의 예로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등에 광촉매반응이 추가되거나, 광촉매반응의 어두가 추가된 것이다. 이의 예로는 광촉매반응자화, 광촉매반응진동, 광촉매반응자화기, 광촉매반응진동기, 광촉매반응가진기, 광촉매반응오존기, 광촉매반응음이온기, 광촉매반응청정기, 광촉매반응정화기, 광촉매반응항균기, 광촉매반응멸균기, 광촉매반응제균기, 광촉매반응살균기, 광촉매반응소독기, 광촉매반응해독기, 광촉매반응제독기, 광촉매반응방역기, 광촉매반응방제기, 광촉매반응전해기, 광촉매반응전기분해기, 광촉매반응방전기, 광촉매반응전기방전기, 광촉매반응가진제, 광촉매반응오존물, 광촉매반응청정기, 광촉매반응정화작용, 광촉매반응전해기능, 광촉매반응살균처리, 광촉매반응복합, 광촉매반응복합기, 광촉매반응복합제, 광촉매반응복합물, 광촉매반응복합작용, 광촉매반응복합처리 등이다. 상기 광촉매반응자화는 광촉매반응자화, 광촉매반응 이용 자화, 광촉매반응 조성 자화, 광촉매반응 발생 자화, 광촉매반응과 자화, 광촉매반응 조성과 자화, 광촉매반응 발생과 자화, 광촉매반응이 이용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광촉매반응이 조성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광촉매반응이 발생되면서 발생되는 자화 등이다. 광촉매반응자화를 제외한 이하 광촉매반응진동 내지 광촉매반응복합처리 등은 상기 광촉매반응자화와 동일한 형식으로 설명 또는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전, 중, 후, 상, 하, 좌, 우, 동시 등에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항균 처리 후에 자화 처리된 장치, 항균 및 자화 처리 후에 가진 처리된 수단,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처리 후에 자기장이 방사되는 밸브실,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 후에 살균기가 장착된 밸브,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되고 자화기가 장착된 후에 소독제가 분사되는 부속물,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되고 자화기가 장착되고 전기방전작용을 하는 중에 항균제가 살포되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등이다.
상기 장치, 수단, 밸브실, 밸브, 부속물, 장치 내지 복합 등은 또는 등에는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됨, 등을 함, 등이 이용, 등이 구비, 등의 기능을 가짐, 등의 성능이 있음,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짐 등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항균 처리와 자화 처리된 장치, 항균 및 자화 처리 중에 가진 처리된 수단,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처리와 동시에 오존 및 자기장이 방사되는 밸브실,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 중에 살균제 분사 및 살균기가 장착된 밸브,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되고 오존기와 자화기가 장착된 후에 소독제가 분사되어 소독 기능을 하는 부속물,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되고 자화기가 장착되고 전기방전작용 후에 항균제가 살포되고 항균기능을 하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촉매가 분사되고 항균 처리와 자화 처리된 장치, 광촉매가 분사되고 항균 및 자화 처리 중에 가진 처리된 수단, 빛이 조사되고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처리와 동시에 오존 및 자기장이 방사되는 밸브실, 자외선이 조사되고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 중에 살균제 분사 및 살균기가 장착된 밸브, 촉매가 분사되고 빛이 방사되고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되고 오존기와 자화기가 장착된 후에 소독제가 분사되어 소독 기능을 하는 부속물, 광촉매가 코팅되고 자외선이 방사되고 항균 및 자화 및 오존 및 음이온 처리되고 자화기가 장착되고 전기방전작용 후에 항균제가 살포되고 항균기능을 하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기능이나 성능을 가진 상기 장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b) 상기 자화작용 내지 복합작용 등을 하는 장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c) 상기 자화기능 내지 복합기능 등을 가진 장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d) 상기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 등이 되는 장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e) 상기 자화처리 내지 복합처리 등을 하는 장치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또는 상기 장치, 수단, 밸브실, 밸브, 부속물, 장치 내지 복합 등은 또는 등에는 촉매(catalyst), 광촉매(photocatalyst), 램프(lamp), 자외선램프, 촉매코팅, 촉매분사, 광촉매코팅, 광촉매분사, 광전기분해, photoelectrolysis, 광전기방전, 촉매에 빛을 조사(照射)하는 램프, 광촉매에 빛을 방사(放射)하는 자외선램프,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되는 촉매 또는 광촉매, 램프에 의하여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되는 촉매 또는 광촉매 등이 적용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는 자화, 磁化, magnetization, 자화작용, 자화처리, 자성을 띠는 것, 자기장을 방출하는 것, 자기장을 가하는 것, 자기를 띠는 현상, 자석의 성질을 가지는 것, 자기장 안의 물체가 자기를 띠는 현상, 그 결과로 생긴 단위 부피 속의 자기 모멘트, 물이나 물질에 자기장을 조사하는 것, 물을 육각수화하는 것, 항균 기능을 가진 자기장, 청정 작용을 하는 자화,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자화, 자기장이나 자기력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자화, 물질이나 물체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자화, 자기력에 의하여 물질이나 물체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자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자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작용되는 자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자화,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자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자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자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등(이하 대상 이라 표기함)을 자화하는 것, 대상이 자기장을 띠도록 하는 것, 대상에 자기장을 조사하는 것 등이다.
상기 자기장은 자기장, 磁氣場, magnetic field, 자석의 주위, 전류의 주위, 자기의 작용이 미치는 공간, 자기력이 미치는 범위, 물체를 잡아당기는 힘인 자기력이 미치는 범위, 제균 기능을 가진 자기장, 정화 작용을 하는 자기장,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자기장, 자기의 세기에 의하여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자기장, 자기력이 미치는 범위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자기장, 물질이나 물체에 가하여 물질이나 물체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자기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자기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작용되는 자기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자기장,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자기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자기장,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자기장, 상기 장치 내지 복합 등(이하 대상 이라 표기함)에 가해지는 자기장, 대상에 가해지는 자기장, 대상이 조사되는 자기장 등이다.
상기 진동은 진동, 振動, vibration, 떨림, 움직임, 흔들림, 흔들려 움직임, 시계추의 진동, 반복진동, 펄스진동, 자유진동, 주기진동, 비주기진동, 공명진동, 감쇠진동, 가속진동, 저속진동, 2회 이상 반복되는 반복진동, 일정한 주기로 작용되는 파동인 펄스진동, 자유롭게 진동하는 자유진동,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는 주기진동, 비주기로 진동하는 비주기진동, 공명현상을 일으키는 공명진동, 진동이나 진폭이나 진동수가 점차 줄어드는 감쇠진동, 진동이나 진폭이나 진동수가 점차 가속되는 가속진동, 진동이나 진폭이나 진동수가 점차 저속되는 저속진동, 물체가 몹시 울리어 흔들림. 물체 따위를 흔듦, 편심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 로터의 회전축에 돌출되게 구비된 편심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 로터의 회전축에 돌출되게 구비된 편심체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 소리(사운드)를 발생하는 진동, 멸균 기능을 가진 진동, 크리닝 작용을 하는 진동,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진동, 물질이나 물체에 가해져 물질이나 물체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작용되는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진동, 진동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진동,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진동, 대상에 가해지는 진동, 대상에 가해져 진동 작용에 의하여 대상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진동, 사운드와 진동 작용에 의하여 대상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진동 등이다.
상기 가진은 가진, 加振, 파동, shaking, excitation, 기계식 가진, 전기식 가진, 유압식 가진, 진동을 가하는 것, 진동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 진동 혹은 외력을 가하는 것, 충격을 가하는 가진, 제균 기능을 가진 가진, 방제 작용을 하는 가진,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가진, 물질이나 물체를 흔들어 물질이나 물체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가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가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가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가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가진, 대상에 가해지는 가진, 대상에 가해져 진동 작용에 의하여 대상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가진, 충격과 파동 작용에 의하여 대상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가진 등이다.
상기 오존은 오존, O3, ozone, 분자식 O3, 비중 1.72, 융점 -193℃, 비등점 -112℃, 분자량 48, 3원자의 산소로 된 푸른빛의 기체, 특유한 냄새가 나는 오존, 상온에서 분해되어 산소가 되는 오존, 산화력이 강한 오존, 오존 산화제, 오존 표백제, 오존 살균제, 오존발생기에 발생되는 오존, 오존측정기로 측정되는 오존, 산소 원자 3개가 결합한 산소의 동소체, 유독한 물질, 분해되면 일반 산소(O2)가 됨, O = O+―O-의 결합을 하는 오존, 산화력이 강한 오존, 살균하는 오존, 악취제거하는 오존, 0.1% 이상의 고농도 오존은 매우 위험, 자외선 살균기에서 발생되는 오존, 비린 냄새가 나는 오존, 브라운관에서 발생되는 오존, 브라운관의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날때 생성되는 오존, 번개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존, 정전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존, 양극과 음극의 대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존, 링 형상의 양극과 상기 링에 이격되어 구비된 음극의 대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존, 전극의 방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존, 전극에 고전압이나 전기가 인가되어 방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존, 자외선을 흡수하는 오존, 단원자 산소(O)와 산소 분자(O2)를 형성하면서 소멸되는 오존, 산소 분자가 단원자 산소(O)로 변하고 이것이 산소 분자(O2)와 결합해서 생성되는 오존(O3),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에서 발생되는 오존, 오존주의보의 오존농도는 0.12ppm, 오존경보의 오존농도는 0.30ppm, 오존중대경보의 오존농도는 0.5ppmm, 오존 0.1%는 오존 1000ppm임, 3개의 산소원자로 구성된 매우 활성이 강한 분자(O3), 광화학적 반응(photochemical reaction)에 의해 스모그(smog)를 형성하는 오존, 강한 산화력을 가진 오존, 균을 살균하는 오존, 공기 중에서 방전(放電)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존, 산화제(酸化劑)의 화학작용에 의하여 발생되는 오존, 대기 중에 0.000004% 포함된 오존, 산화제(oxidant) 오존, 표백제 오존, 살균 오존, 표백제, 산화제, 하수 소독, 음료수 소독,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오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오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오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오존, 대상에 가해지는 오존, 대상에 가해져 대상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오존, 유해물질을 산화하여 저감시키는 오존 등이다.
상기 음이온은 음이온, Anion, 양이온의 반대 아온, 원자가 이온화하면서 전자를 얻은 상태, 마이너스(-) 전하를 띠는 원자 또는 원자단, Negative-ion, 중성의 입자가 전자를 얻어 만들어지는 음전하를 띠는 물질, 방사능 물질이 함유된 음이온, 음이온 함유 또는 발생 수소수, 음이온 함유 또는 발생 오존, 음이온 함유 또는 발생 게르마늄, 공기 정화, 혈액 중화, 항산화 작용, 각종 호르몬 분비 촉진, 자율 신경계 이완, 신진대사 촉진, 항균소염 작용, 부교감 신경 활성화, 집중력 강화, 활성산소 제거, 도심의 공기 중 음이온 수는 1㎤ 당 0~150개, 숲속의 음이온 수는 1㎤ 당 1천~2천개, 폭포수의 음이온 수는 1㎤ 당 1만~2만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음이온,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음이온,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음이온,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음이온, 대상에 가해지는 음이온, 대상에 가해져 대상의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음이온,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음이온 등이다.
상기 청정 또는 정화는 청정, 淸淨, clarification, fining, purification, cleaning, 청소, 정화, 세척, 세정, 항균, 멸균, 제균, 살균, 소독, 해독, 제독, 방역, 방제, 크리닝, 공기청정, 수질청정, 토양청정, 대기청정, 실내청정, 공기정화, 수질정화, 토양정화, 대기정화, 실내정화, 맑고 깨끗함, 맑고 깨끗하게 함, 액체로부터 침전물과 불순물을 분리하여 액체를 맑고 깨끗하게 함, 여과, 마이크로여과, 한외여과, 젤라틴 투입 또는 처리, 석회 투입 또는 터리, 타닌 투입 또는 처리, 화학물 투입 또는 처리, 효소 투입 또는 처리, 필터, 필터링, 침전필터, 프리필터, 막필터, 포스트필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청정 또는 정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청정 또는 정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청정 또는 정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청정 또는 정화, 대상을 청정 또는 정화, 청정기를 이용하여 대상을 청정 또는 정화, 청정제를 이용하여 대상을 청정 또는 정화, 정화기를 이용하여 대상을 청정 또는 정화, 정화제를 이용하여 대상을 청정 또는 정화 등이다.
상기 항균, 抗菌, 멸균, 제균, 살균, 소독, 해독, 제독, 방역, 방제, 디톡스화 등은 항균, 멸균, 제균, 살균, 소독, 해독, 제독, 방역, 방제, 균에 저항, 세균을 죽임, 세균에 저항하는 효능, 세균이 자라는 것을 막는 현상, 균을 막음, antibacteria, 반균(反菌), sterilize, pasteurize, 세균을 막음, 또는 세균, 박테리아, 진드기, 미생물 등의 번식 차단 또는 억제,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상기 항균 내지 디톡스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상기 항균 내지 디톡스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상기 항균 내지 디톡스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상기 항균 내지 디톡스화, 대상을 상기 항균 내지 디톡스화, 상기 항균 내지 방제 등의기구를 이용하여 대상을 상기 항균 내지 디톡스화, 상기 항균 내지 방제 등의 물질을 이용하여 대상을 상기 항균 내지 디톡스화 등이다.
상기 전해는 전해, 전기분해, 물전기분해, 電解, 電氣分解, electrolysis, 물질에 전기를 가하여 물질을 분해하는 것, 전극을 통하여 물질에 전기를 가하여 물질을 분해하는 것, 물질에 전기에너지를 가하여 산화 및 환원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 물질에 전기에너지를 가하여 물질이 산화 및 환원되도록 하는 것,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전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전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전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전해, 상기 장치 내지 복합 등(이하 대상 이라 표기함)에 포함되는 전해, 대상의 유해물질을 전기적으로 분해하는 전해, 대상의 유해물질을 전기적으로 분해하여 대상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전해 등이다.
본 발명에서 전극은 전극, 양극, 음극, 금속, 희생양극, DSA 등이 해당되고, 이는 방식, 防蝕, 전해, 電解, 방전, 放電, 전기공급, 전기분해, 전기방전, 스파크방전, 스파크살균, 스파크 방전하여 살균, 부식방지, 밸브실의 부식방지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식, 부식방지, 방식처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장치, 장비, 수단, 방식기, 전해기, 방전기, 전기공급기, 전기분해기, 전기방전기, 스파크방전기, 스파크살균기, 스파크 방전하는 살균기, 부식방지기, 밸브실의 부식방지기 등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이 이용되는 또는 구비되는 장치, 장비, 물체, 시설, 설비, 금속, 전해기, 방식기 등이 가능하다. 상기 전극, 양극, 음극, 금속, 희생양극, 장치 내지 방식기 등에는 전원이 공급되거나, 또는 전선이나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DSA는 DSA, Dimentionally Stable Anode, 치수안정전극, 불용성아노드, 불용성양극, Insoluble Anode, 불용성전극, Insoluble Electrode, 펠메렉크 전극, 전기분해에서 용해되지 않는 불용성 양극, 백금, 마그네타이트, 흑연, 크롬, 귀금속, 합금도금, 티탄에 산화루테늄과 산화티탄을 결합시킨 양극, 이탈리아의 펠메렉크사가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펠메렉크전극, 금이나 백금이 코팅된 금속 또는 전극, 금이나 백금이 도금된 금속 또는 전극 등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분해 등에서는 음극과 양극의 전극이 사용되는데, 여기서 음극은 용해되지 않아 그대로 유지되나 양극은 용해되어 소멸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극으로 DSA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해, 전기분해, 전해기, 전기분해기, 방전, 전기방전, 방전기, 전기방전기, 광전해, 광전기분해, 광전해기, 광전기분해기, 광방전, 광전기방전, 광방전기, 광전기방전기 등의 이용이 가능하고, 이의 예로는 또는 이의 적용예로는 1) 탱크, 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박스, 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케이스, 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전해통 또는 전해조, 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방전통 또는 방전조; 2) 이중 하나에 투입된 또는 유입된 전극, 양극, 음극, 공기, 바람, 물, 누수수, 누수물, 결로수, 결빙수, 유입수, 투입수, 전해액, 전해질; 3)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되는 막, 분리막, 이온막, 필터막, 멤브레인; 4) 상기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지, 태양전지,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전원공급기; 5) 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상기 전선 내지 전원공급기; 6) 상기 중 하나에 공급되는 전기, 전원, 전력, 전류, 전압; 7) 상기 탱크 내지 전해질 등에서 발생되는 전해, 전기분해, 방전, 아크방전, 전기방전; 8) 상기 전해에 의한 전해액의 분해, 전기분해; 9) 상기 방전에 의한 스파크, 전기스파크, 방전스파크; 10) 상기 전해 또는 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H2, O2, Cl2, OCl, NaOCl, Fe+, 이온수, 전해수, 전해액, 이온물, 나노물, 은이온, 금이온, 구리이온, 금속이온, 나노금속, OH라디칼; 11) 상기 방전에 의하여 생성되는 열, 불꽃, 이온, 아크, 번개, 스파크; 12) 상기 방전에 의한 집진, 먼지집진, 상기 방전통에 먼지 부착; 13) 상기 방전통에 먼지 부착되어 시설 내의 먼지 제거; 14) 소독이나 살균 작용을 하는 상기 H2 내지 스파크; 15) 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증발 또는 분사 또는 방사되는 상기 H2 내지 스파크; 16) 상기 증발 또는 분사 또는 방사하는 노즐, 호스, 분사기, 증발기, 방사기; 17) 상기 H2 내지 스파크 등에 의한 항균, 살균, 소독, 청정, 정화, 정수, 여과, 집진, 먼지제거; 18) 상기 H2 내지 스파크 등에 의한 시설 내부 또는 외부의 상기 항균 내지 먼지제거; 19) 전해기가 되는 또는 전해기 역할을 하는 상기 탱크 내지 방전조; 20) 방전기가 되는 또는 방전기 역할을 하는 상기 탱크 내지 방전조; 21) 상기 중 하나에 이용되는 하기의 자화 내지 복합; 22) 하기의 자화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탱크 내지 방전조; 23) 상기 시설, 시설 내면, 탱크 내지 방전조 등에 촉매 또는 광촉매 코팅; 24) 상기 탱크 내지 방전조 등에 구비된 램프, 자외선램프; 25) 상기 램프에서 방사되는 빛이나 자외선; 26) 상기 빛이나 자외선에 의한 상기 촉매 또는 광촉매의 반응; 27) 상기 반응에 의한 상기 항균 내지 먼지제거; z) 상기 반응에 의한 시설의 상기 항균 내지 먼지제거; 28) 상기 탱크 내지 방전조 등에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되거나 상기 반응이 추가되는 전기분해인 광전기분해; 29) 상기 탱크 내지 방전조 등에 빛이나 자외선이 조사되거나 상기 반응이 추가되는 전기방전인 광전기방전; 30) 상기 전극이나 탱크 내지 방전조 등에 촉매 또는 광촉매가 분사되는 촉매전해기, 촉매방전기, 촉매전기분해기, 촉매전기방전기; 31) 상기 전극이나 탱크 내지 방전조 등에 촉매 또는 광촉매 분사와 전기분해가 되는 촉매전해기, 촉매방전기, 촉매전기분해기, 촉매전기방전기; 32) 상기 반응 및 전기분해가 되는 광전해기, 광전기분해기, 촉매전해기, 촉매전기분해기; 33) 상기 반응 및 전기방전이 되는 광방전기, 광전기방전기, 촉매방전기, 촉매전기방전기; 등이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전극은 또는 전극의 재료는 철, 금속, 구리, 아연, 금, 백금, 마그네타이트, 흑연, 티타늄, DSA, STS, SUS, 알루미늄, 마그네슘, 시설의 재료보다 이온화경향이 높거나 낮은 재료, 시설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시설의 재료보다 이온화경향이 높거나 낮은 재료 등이 가능하다. 상기 전극은 시설, 설비, 장치, 금속, 건물, 구조물; 이중 하나의 속, 내부, 내면, 외부, 외면, 측부, 측면, 중공부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이 방식이나 부식방지의 용도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전극이 상기 시설 내지 구조물 등의 외부에 구비되어 흙, 물, 토양, 지반, 지중 등의 환경에 접하도록 하여 시설의 부식 전에 자신이 먼저 부식되어 시설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의 경우에는 전극이 희생양극의 역할을 하게 되고, 전극은 시설의 재료보다 이온화경향이 높아 시설보다 먼저 부식되어 시설의 부식을 방지한다.
이온화경향은 이온화경향, Ionization tendency, 이온화되려는 경향, 원자가 이온화되려는 경향 등이다. 모든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핵의 양전하와 전자의 음전하가 균형을 이루어 전기적으로 중성 상태에 있다. 하지만, 외부에서 충분한 에너지를 주어 전자를 떼어내면 원자는 이온화 된다. 원소(원자)가 얼마나 이온이 되기 쉬운지를 정량적인 값으로 나타내어 비교할 수 있다. 원소의 이온이 되기 쉬운 정도를 이온화 경향이라 한다. 금속은 수용액에서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려는 성질을 띤다. 금속의 이온화 경향이 클수록 반응성이 커서 전자를 잃고 산화되기 쉽다. 금속이 산화되면 부식되어 소멸되게 된다. 따라서 밸브실을 구성하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양한 금속의 이온화 경향 크기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칼륨 > 칼슘 > 나트륨 > 마그네슘 > 알루미늄 > 아연 > 철 > 니켈 > 주석 > 납 > 수소 > 구리 > 수은 > 은 > 백금 > 금, 상기에서 시설은 주로 철이 사용되므로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높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아연 등을 시설에 연결하거나 구비하여 시설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마그네슘, 알루미늄, 아연 등은 희생양극이 된다.
상기 방전은 방전, 放電, discharge, 전기방전, 빛방전, 아크방전, 충격방전, 쇼크방전, 스파크방전, 전기방출, 전하잃음, 전기적성질을 잃음, 오존 발생하는 방전, 음이온 발생하는 방전, 스파크에 의하여 오존이나 음이온을 발생하는 방전, 전극의 스파크 또는 양극 및 음극 간의 스파크에 의하여 오존이나 음이온을 발생하는 방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방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방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방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방전, 대상에 포함되는 방전, 대상에 스파크를 가하는 방전, 대상에 스파크를 가하여 대상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방전 등이다.
상기 대전은 대전, 帶電, (+)대전, (-)대전, electrification, 전기가 띠는 현상, 물체가 전기를 띠도록 하는 대전, 물체에 전기를 띠도록 하여 물체에 기전력이 생기도록 하는 대전, 물체에서 전자를 이탈시켜 (+)전기를 띠게 하는 (+)대전, 물체가 전자를 얻어 (-)전기를 띠게 하는 (-)대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대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대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대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대전, 대상에 포함되는 대전, 대상에 전기를 가하는 대전, 대상에 전기를 가하여 대상이 기전력으로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대전 등이다. 본 발명에서 물체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등이 되거나, 또는 물체에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사, 분사 등은 방사, 放射, 분사, 噴射, 조사, 照射, 분출, 포설, 살포, 살수, 빛방사, 광방사, 빛조사, 광조사, 물질분사, 재료분사, 상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물 등 방사, 상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물 등 분사, 상기 자화제 내지 광촉매반응디톡스화복합물 등 조사, 촉매반응을 위한 빛방사, 광촉매반응을 위한 광방사, 광반응을 위한 빛조사, 이산화티탄반응을 위한 광조사, 항균제 분사, 살균제 분사, 소독제 분사 등이다.
상기 탄화는 탄화, 炭化, 탄소화, carbonize, carbonization, char, dry distillation, 목재의 목탄화, 석탄의 코크스화, 숯을 만드는 것, 유기 화합물이 열분해나 화학적 변화에 의하여 탄소로 변하는 것, 일정 물질이 탄소와 화합하는 것, 유기물이 가열되어 열분해를 거쳐서 생성된 탄소가 풍부한 물질, 무정형탄소 반응, 무결정형탄소 반응, 목재를 공기를 차단하고 증기 가열하여 목탄이 되는 것, 초를 점화하면 그을음이 생기는 것, 가열이나 열분해에 의해서 방향족 축합 고리가 생성되고 가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육각 탄소망 평면의 퍼짐과 겹침이 증가해서 방향족 축합 고리 사이의 3차원적 결합 혹은 그 탄소망 평면 내의 육각 벌집 모양 격자가 형성되는 것, 나무나 유기물의 탄화는 300~400℃에서 탄화, 페놀수지의 탄화는 400℃ 부근에서 분해가 시작되어 수산기가 물로 된 후 일산화탄소와 메탄이 벤젠고리를 묶는 메틸렌 결합의 분해로 되는 탄화, 이후 600~700℃ 이상이 되면 벤젠고리에 직접 결합하는 수소 원자가 수소로 된 후 벤젠고리끼리의 융합이 시작되어 커다란 방향족 축합고리가 생성되는 탄화, 나무나 석탄이나 유기물을 용기에 넣고 공기의 유통을 차단해서 가열함으로써 열분해를 일으켜 탄소분을 많이 포함한 물질로 변화시키는 것, 재료가 열 분해나 불완전 연소를 일으켜서 각종 연소 생성물을 발생한 다음에 탄소가 남는 현상, 재료가 가열되어서 검게 탄 상태, 나무나 석탄이나 유기화합물을 고온에서 불완전하게 산화(수소를 방출)하여 탄소를 많이 포함하는 물질로 바꾸는 것, 나무나 석탄이나 유기화합물을 고온에서 불완전하게 산화(탈수소)하여 탄소의 형태로 바꾸는 것, 나무나 석탄이나 유기물질을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고 열처리하여 탄소 물질로 전환하는 것,석탄의 경우 코크스의 제조에 탄화조작 이용, 목재로부터의 숯이나 목탄제조, 탄화 원료의 성상에 따라 기상탄화, 액상탄화, 고상탄화로 구분, 기상탄화는 1,000℃ 전후에서 유기물이 분해하여 탄소(열분해 탄소 등)를 석출하는 것, 액상탄화는 용융상태의 유기물이 방향족화와 중축합을 거쳐 500℃ 전후에서 탄소 전구체가 되는 것, 고상탄화는 불융성 유기물이 그대로 탄소가 되는 것, 도시쓰레기 열분해 또는 탄화, 플라스틱 열분해 또는 탄화, dry distillation은 넓은 의미의 탄화, carbonization은 석탄, 목재, 피치 등의 탄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되는 탄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탄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의 수단이 이용 또는 추가되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탄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병행 또는 추가되는 탄화, 대상에 열을 가하는 탄화, 대상을 가열하여 열분해하는 탄화, 대상에 열을 가하여 대상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탄화, 대상에 열을 가하여 대상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면서 열분해하는 탄화, 대상에 열을 가하여 대상의 유해물질을 제거시키면서 열분해하여 탄소가 함유된 물질을 만드는 탄화 등이다.
상기 산화는 산화, 酸化, 일정의 원자, 분자, 이온 등이 전자를 잃는 것, 산소와 화합하는 반응, 수소를 상실하는 반응, 물질 중에 있는 어떤 원자의 산화수가 증가하는 것, 어떤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거나 수소를 잃는 것, oxidation, 산소와의 결합, 수소의 떨어져 나감, 산화수의 증가, 전자의 수가 줄어듦, 한 원소가 산화하면 다른 원소는 환원되기 때문에 항상 동반되어 발생, 공기 중에서 탄소나 황을 연소시키는 것, C + O2 → CO2, S + O2 → SO2 반응, 산소와 화합하는 것, 에탄올 CH3CH2OH를 산화제와 반응시켜 아세트알데하이드 CH3CHO를 생성하는 것, 양전하 증가, 음전하 감소, 전자를 방출하는 반응, C + O2 → CO2 반응에서 초기의 C + O2에서는 C의 산화수 0 및 O의 산화수 0인데 반응후 CO2에서는 C의 산화수 +4 및 O의 산화수 -2임, 여기서 C는 산화되고 O는 환원되는 것임, 아연을 묽은황산에 녹일 때의 반응은 Zn + H2SO4 → ZnSO4 + H2 이며 여기서 Zn은 Zn2+가 되어 양전하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산화임, 화학종이 전자를 상실하여 구성하는 원자의 산화수가 높아지는 것, CH3CHO + 1/2O2→CH3COOH 반응에서 CH3CHO가 산화, 2 KCl+F2→2 KF+Cl2에서 Cl이 산화,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는 것, 수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수소를 잃어버리는 것, 원자와 이온이 전자를 잃어버려 정전하를 증가시키는 변화, 물질 A가 산소와 반응하는 것을 A의 산화, 반응에 의하여 금속이 그 전자를 주어 원자가(原子價)를 증가시키는 것, 단체나 이온이 시약이나 전기적 에너지에 의한 반응에서 전자를 잃고 (+)의 원자가 늘거나 (-)의 원자가 줄어드는 경우, 금속의 원자가(原子價)가 증가하는 변화, 화학 변화로 전자(電子)를 제거하는 것, 원자나 이온이 전자를 잃어서 양전하(陽電荷)를 증가시키는 변화, 철 및 비철 금속 원소가 대기 중의 산소와 반응이 일어나 산화물을 만드는 것, 탄소가 산화되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현상, 철이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합하여 산화철을 만드는 현상, 수소가 물로, 암모니아가 질소로, 물이 산소로, 그리고 메테인이 이산화 탄소로 변하는 산화 등이다.
상기 환원은 a) 환원, 還元, reduction, 산소와의 분리, 수소와의 결합, 산화수의 감소, 전자의 수가 늘어남, 원래 상태로 전환하는 것, 산화된 물질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 산화물에서 산소를 제거하고 원소로 환원, 산화구리에 수소가스를 통과시키는 CuO+H2 → Cu+H2O의 반응에서 산화구리가 금속구리로 환원, 산화물에서 산소가 빼앗기는 것, 물질이 수소와 화합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생성하는 것, 물질이 전자와 결합하는 것, 화합물 내의 어떤 성분의 산화수가 감소하는 것, 양전하 감소, 음전하 증가, 수소 원자수 증가, 산소 원자수 감소,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소로 환원하는 접촉 환원, 전극에서 환원하는 전해 환원; b) 전기분해 시에 전극에서 전자를 주고받는 산화 환원 반응, 전기분해 시에 음극에서는 물질이 환원되며 양극에서는 물질이 산화, 음극에서는 H+가 전자를 얻어 H2의 기체로 되어 H+가 환원; c) 미생물의 효소 작용에 의한 환원, 미생물의 배양액 속에 화합물을 넣고 배양을 계속하면 화합물이 환원, 수소 공여체가 되는 당류 등을 영양원으로서 배지에 이용하여 배양을 계속하면 화합물이 환원, 상기 배양액에서 환원되어 얻은 상기 화합물, 상기 배양액에서 환원되어 추출 정제하여 얻은 상기 화합물, 상기 배양액이나 환원에 이용되는 미생물인 효모, 클로스트리듐속, 대장균, 락트산균, 호기균, 방선균, 곰팡이; d) 물이 수소로, 질소가 암모니아로, 산소가 물로, 이산화탄소가 메테인으로 변하는 환원; e) 이산화탄소에서 산소를 떼어내는 광합성 환원, 광합성에 의한 환원 생성물은 C6H12O6의 화학식으로 쓸 수 있는 포도당(glucose)임, 탄수화물(carbohydrate)의 일종인 포도당은 이산화탄소에서 산소를 잃은 탄소가 물에 둘러싸여 수화된 화합물임; f) 산화철로부터 철을 얻는 환원 방법, 제철 과정에서 철광석에 들어있는 산화철로부터 산소가 떨어지고 철은 환원되어 원래의 철로 돌아감, 여기서 일산화탄소(CO)가 산소를 떼어내는 일을 함; g) 질소(N2)가 암모니아(NH3)로 바뀌는 반응에서 질소는 수소와 결합해서 환원, 질소와 반응하는 수소는 산화; h) 산소(O2)가 물(H2O)로 바뀌는 반응에서 산소는 수소와 결합해서 환원, 수소는 산소와 결합해서 산화; i) 이산화탄소(CO2)가 메테인(CH4)으로 바뀌는 반응에서는 탄소에서 먼저 산소가 떨어져서 환원되고 이어서 수소와 결합해서 추가로 환원, 여기서 산소가 떨어지는 것도 수소와 결합하는 것도 환원; 등이다. 산화 시에는 산소수 증가, 전자 잃음, 산소 얻음 등이 되고, 환원 시에는 산소수 감소, 전자 얻음, 산소 잃음 등이 된다.
상기 중화는 중화, 中和, 중성화, Neutralisation, 서로 다른 물질이 융합하여 각각 그 특징이나 작용을 잃는 것, 산성물과 염기성물이 서로 합하여 산성도 염기성도 아닌 중성이 되는 것, 산성물질과 염기성물질이 반응해서 염(鹽)을 발생하는 반응, 산과 염기에서 염과 물이 반응하는 것, 서로 대립되는 성질을 갖는 물질이 반응함으로써 그 성질을 약하게 하는 것, 같은 당량의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물과 염을 생성하는 현상,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염을 생성하는 것, 산과 염기(鹽基)가 당량(當量)씩 반응하여 산 및 염기로서의 성질을 잃는 현상, 산과 염기(알칼리)가 혼합되면 산에서 수소 이온이 염기로 건네져 산의 성질과 염기의 성질 모두가 상실되는 것, H+ + OH- → H2O 반응, Na+ + Cl- → NaCl 반응, HCl(염산) + NaOH(수산화나트륨) → NaCl + H2O 반응, 강산과 강염기가 반응하여 염과 물이 되면서 중성이 되는 것, NH3 + HCl → NH4Cl 반응, 암모니아 NH3와 염화수소 HCl에 의해서 염화암모늄 NH4Cl을 생성하는 반응 등이다.
상기 산성화는 산성화, 酸性化, acidification, 물질이 산성으로 변하는 현상, 수소이온농도가 7보다 작아지는 현상, 물이나 토양이 산성으로 변하거나 그 과정, 물이나 토양이 수소이온의 증가로 인해 산성으로 변하는 것, 토양과 수생태계의 산성화, 산도(acidity)를 높임으로써 물질이나 용액의 pH를 낮추는 것, 대기오염물질이 공기 중에 광산화반응을 일으켜 형성되는 산성비, 주로 암모니아,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등의 대기 오염물질에 의해 산성으로 바뀌는 현상 등이다. 상기 염기화는 염기화, 알카리화, 물질이 알카리성으로 변하는 현상, 수소이온농도가 7보다 커지는 현상 등이다.
상기 이온화는 이온화, ionization, 물질이 물에 녹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나누어지는 현상, NaCl(물질) → Na+ (양이온) + Cl- (음이온) 반응, KOH → K+ + OH- 반응, CaCl2 → Ca2+ + 2Cl- 반응, Na2CO3 → 2Na+ + CO3 2- 반응, 전해질 이온이 들어 있는 수용액에 전원 장치를 연결하면 양이온은 (-)극으로, 음이온은 (+)극으로 이동, 이에 의하여 전류가 흐름, 따라서 이온은 전하를 띠고 있음, 각 이온이 반대 전하를 띠는 전극으로 이동, 전기적으로 중성인 원자 또는 분자가 자신의 전자를 잃거나 외부로부터 얻어서 전하를 띤 이온(ion)을 형성하는 과정, 광학적 이온화(photoionization), 열적 이온화(thermal ionization), 전자적 이온화(electron ionization), 화학적 이온화(electron ionization), 타운센드 방전(Townsend discharge), 원자 혹은 분자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자신의 전자를 잃거나 외부로부터 양전하나 전자를 얻어 전하를 띄게 되는 현상, 화학적 반응에 의한 이온화, 입자 간의 충돌에 의한 이온화, 전자기파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이온화, 형광등과 같은 방전램프 내에 포함된 기체들이 전자를 얻어 이온화, 태양에서 방출되는 전자기복사 및 고에너지 입자들이 지구대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지구대기를 구성하는 기체분자나 원자들과 충돌하여 이들을 이온화, 자유전자가 원자나 분자와 충돌한 후 이들 에너지 포텐셜에 갇히게 되면 음이온이 만들어지는 이온화 또는 전자포획 이온화, 외부입자 혹은 광자와 충돌하면서 에너지 상태가 흥분되어 전자를 방출할 경우에 양이온이 형성, 원자나 분자에서 전자를 방출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이온화 에너지, 입자들이 외부에서 에너지를 받아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 이렇게 전자가 방출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이온화 에너지, 원자나 분자가 광자(photon)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온화되는 광학적 이온화, 열적 이온화(thermal ionization), 표면 이온화(surface ionization), 접촉 이온화(contact ionization), 고에너지 표면에서 원자들이 탈착되면서 발생되는 이온화, 고에너지 전자들을 기체나 고체 상태의 원자나 분자와 반응시켜 이온을 만드는 전자적 이온화, 이온물질과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이온화가 이루어지는 화학적 이온화, 이온화가 비교적 용이한 반응성 물질을 전기적 이온화 과정을 통해 이온화, 이온화된 반응성 기체는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과 화학적 반응을 통해 이온화, 입자간의 충돌에 의해 양이온과 전자가 발생하는 이온화 또는 타운센드 방전(Townsend discharge), 전기장 내에서 기체 매질 또는 공기가 채워져 있을 때 이온화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현상, 전자기파 흡수를 통한 이온화, 전자기파 흡수를 통한 이온화에 의하여 자유전자가 발생, 상기 발생한 자유전자를 가속화시켜 다른 원자와 충돌하면서 원자를 이온화시킴, 상기 이온화에 의하여 새로운 자유 전자 발생, 상기 새로운 전자는 전기장 내에서 다시 가속되어 또 다른 원자를 이온화시킴, 이러한 현상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면 마치 눈사태처럼 많은 양의 자유 전자와 양이온이 형성되어 폭발적인 이온화 현상이 발생, 태양복사에 의해 형성되는 이온층(ionosphere) 등이다.
상기 탄산화는 탄산화, 炭酸化, carbonation, 칼슘화합물과 탄산가스의 화학반응, 탄산칼슘이 생성되도록 하는 반응, 탄산마그네슘이 생성되도록 하는 반응, 시멘트풀이나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 속에 탄산칼슘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 칼슘과 탄산이나 이산화탄소가 결합하는 작용, 화합물이 탄산염으로 전환되는 것, CaO + CO2 = CaCO3 반응, MgO + CO2 = MgCO3 반응, Na2O + CO2 = NaCO3 반응, 암모니아 함수에 탄산가스(이산화탄소)를 포화시켜서 탄산수소나트륨을 침전시키는 공정, 포화 식염수에 탄산가스와 암모니아 가스를 포화시켜 식염과 탄산수소암모늄을 작용시키면 치환 반응에 의해 일부가 염화암모늄과 탄산수소나트륨으로 변하는 반응 등이다.
상기 유리화는 유리화, 유리화작용, 琉璃化, vitrification, 유리를 만드는 공정, 융해된 액체를 냉각하면 일정한 온도에서 응고하여 결정으로 되는 것, 융해된 액체를 냉각해도 응고나 결정화하지 않고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점차 점성이 증가하고 나중에는 굳은 고형물이 되는 것, 비결정의 고형물로 되는 것, 준안정(metastable)한 상태로 결정화 하려는 경향(탈유리화작용), Na와 K에 의해 상기 결정의 성장이 촉진되는 공정, 물질이 급속히 낮은 온도로 냉각되어 그 안에 있는 물이 결정화를 거치지 않고 유리와 같은 고체를 생성하는 현상, 고전류를 인가하여 물질을 유리처럼 만드는 것, 높은 전류를 흘려서 물질이나 토양이나 오염물질을 고형화시켜 부동화시키는 것 등이다.
상기 촉매화는 촉매화, 촉매작용, 물질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하는 것, 일정의 물질을 촉매로 하는 것, 일정의 물질을 촉매로 만드는 것 등이다. 상기 광촉매화는 광촉매화, 광촉매작용, 물질의 광반응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하는 것, 일정의 물질을 광촉매로 하는 것, 일정의 물질을 광촉매로 만드는 것 등이다. 상기 반응은 반응, 물리반응, 화학반응, 생물반응, 역학반응, 산화반응, 환원반응, 레독스반응, 수화반응, 수산화반응, 폭기반응, 응집반응, 침전반응, 분해반응, 전해반응, 방전반응, 산성반응, 염기반응, 알카리반응, 부식반응, 방식반응, 전자반응, 분자반응, 원소반응, 미생물반응, 각종반응, 광반응, 촉매반응, 광촉매반응 등이다. 상기 광반응은 광반응, 光反應, 빛반응, 명반응, light reaction, 광에 의한 반응, 광이 하는 반응, 광이 작용하는 반응, 광이 이용되는 반응, 빛에 의한 반응, 빛이 하는 반응, 빛이 작용하는 반응, 빛이 이용되는 반응, 원자핵에 감마선을 쬐었을 때에 일어나는 반응, 원자핵에 파장이 짧은 빛인 고에너지의 감마선을 쬐면 양성자와 중성자가 방출되는 반응,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반응, 식물의 광반응, 식물에서 명반응을 담당하는 색소는 엽록소임, 엽록소는 빛에너지를 받아서 들뜬 전자를 전자수용체로 전달하고 이 전자를 환원시킴 등이다.
상기 촉매반응은 촉매반응, 觸媒反應, catalytic reaction, 촉매에 의한 반응, 촉매가 하는 반응, 촉매가 작용하는 반응, 촉매가 이용되는 반응, 자신은 변하지 않고 다른 물질의 반응을 빠르게 또는 느리게 하는 반응, 반응의 시점과 종점에서 겉보기에 반응에 관여하지 않았던 것 같이 보이는 소량인 물질의 존재로 반응속도가 현저하게 변화하는 반응, 촉매의 존재하에 진행되는 반응, 촉매의 첨가는 주어진 조건에서 열역학적으로 가능한 반응의 반응 속도를 변화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소량이기 때문에 반응의 평형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음, 촉매 반응의 속도는 촉매량에 비례, 고체 촉매가 관여하는 반응에서는 촉매의 표면적에 비례 등이다. 상기 광촉매반응은 광촉매반응, 光觸媒反應, photocatalytic reaction, 광촉매에 의한 반응, 광촉매가 하는 반응, 광촉매가 작용하는 반응, 광촉매가 이용되는 반응, 이산화티탄 등의 광촉매를 사용하는 반응, 물의 광분해, 은과 백금 등의 전석(電析) 반응, 유기물의 분해 등이다.
상기 촉매는 촉매, 觸媒, catalyst, 효소, 엔자임, 정촉매, 正觸媒, positive catalyst, 부촉매, 負觸媒, negativer catalyst, 광촉매, 효소촉매, 효모촉매, 반응촉매, 무기촉매, 유기촉매, 저속반응촉매, 고속반응촉매, 저속양생촉매, 고속양생촉매, 반응의 양을 증가시키는 정촉매, 반응의 양을 줄이는 부촉매, 반응속도를 촉진시키는 정촉매, 반응속도를 줄이는 부촉매, 생체내의 화학반응에 관여하는 효소, 일정의 반응에서 스스로는 변화하지 않고 반응을 개시하거나 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 등이다. 상기 광촉매는 광촉매, TiO2, ZnO, CdS, GaP, CdTe, MoSe2, Wse2, SnO2, Nb2O53, KTaO3, ZnSCdSe, ZrO2SrTiO3, Ni-K4Nb6O17, TiO2(anatase), TiO2(rutile), ZrO2, SnO2, V2O3, WO3, 페로브스카이트형 복합금속산화물(SrTiO3), 빛이나 자외선과 반응하는 광촉매, 상기 반응하여 정화하는 광촉매 등이다. 촉매는 변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TiO2는 자체가 빛을 받지 않아도 변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ZnO나 CdS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촉매 자체가 빛에 의해 분해되기도 한다. TiO2는 모든 유기물을 산화시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하지만, WO3는 특정 물질에 대해서만 광촉매로서 효율이 좋고, 그 외에는 TiO2만큼 효율이 좋지 않아 사용 영역이 제한된다. 광촉매의 활성 순서는 TiO2(anatase) > TiO2(rutile) > ZnO > ZrO2 > SnO2 > V2O3 과 같다.
상기 촉매 또는 광촉매(830)에 빛(831)이나 자외선(831)이 조사되면 촉매 반응 또는 광촉매 반응(836) 등이 발생된다. 상기 반응에 의하여 항균, 멸균, 제균, 소독, 살균, 청정, 정화, 집진, 먼지제거 등이 되거나, 또는 밸브실, 밸브, 부속물, 공기질, 유해물질 등이 상기 항균 내지 먼지제거 등이 된다. 광촉매(830)란 빛을 에너지원으로 촉매 반응이나 산화/환원을 촉진시켜 각종 세균 및 오염물질을 분해시켜주는 반도체 물질을 말하고, 그 중 이산화티타늄(TiO2)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는 이산화티타늄이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인체에 무해 등 여러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광촉매(830) 또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830)는 n형 반도체로써, 빛(831)이나 자외선(400nm)을 받으면 전자(e-)(832)와 정공(h+, 홀, hole)(833)이 형성되어 강한 산화력을 가진 활성산소, 이에 속하는 하이드록시라디칼(OH,ㆍOH, OH-), 슈퍼옥사이드 등을 생성한다. 슈퍼옥사이드는 O2 -, Superoxide, 초과산화물, O2 -를 포함하는 화합물, 반응성이 매우 높고 많은 화합물을 산화시킬 수 있는 활성산소, 분자상 산소에 1개의 전자가 첨가된 것, Superoxide anion radical 등이다. 하이드록시라디칼(OH,ㆍOH, OH-)와 슈퍼옥사이드는 유기 화합물을 산화 분해시켜 물과 탄산가스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원리로 공기나 수중의 오염물질인 유기 화합물을 무해한 물과 탄산가스로 바꾸게 된다. 또한 세균도 유기 화합물이므로, 광촉매의 강한 산화작용에 의해 산화 분해되어 살균이 된다. 그리고 살균, 탈취, 항균 등도 한다. 그리고 이산화티타늄은 표면의 옥스 컴파운드(Oxo Compound)가 빛을 받으면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해 -OH로 변환되면서 친수성이 되어 자정작용(self cleaning), 김서림 방지 등을 한다.
촉매반응 또는 광촉매반응 또는 산화/환원 반응에 사용되는 물질이나 촉매는 광학적으로 활성이 있으면서 광부식이 없어야 함, 생물학/화학적으로 비활성이어야 함, 가시광선이나 자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할 수 있어야람, 경제적으로도 저렴해야 함 등이 요구된다. TiO2는 루타일(rutile), 아나타제(anatase), 브루카이트(brookite) 등 3개의 결정구조를 갖는데, 루타일은 고온에서 안정성을 보이고, 아나타제는 저온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보이고, 브루카이트는 자연광물에서 발견된다. 광촉매로는 루타일 보단 강한 산화 에너지를 갖는 아나타제가 유리하다.광촉매는 아나타제 상을 많이 포함할수록, 루타일로의 전이가 적을 수록 유리하다.
광촉매 반응(836)은 광에 의한 촉매 활성화, 전자(832) & 정공(833) 발생, 반응물이 주반응 흐름에서 벗어나 촉매 표면으로 확산 또는 외부확산, 전자가 촉매 내부에서 금속쪽으로 확산 또는 내부확산, 이와 동시에 생성된 정공이 촉매 내부에서 표면으로 확산 또는 내부확산, 전자와 반응물이 반응(환원형)함과 동시에 정공과 반응물이 반응(산화형), 생성물이 촉매 표면에서 주반응 흐름으로 확산 또는 외부확산 등으로 된다. 광촉매 반응은 광촉매(TiO2) + hv → e- + h+ 반응, h+ + H2O → H+ + OH 반응, e- + O2 → O2 - 반응 등으로 된다. 여기서 광촉매(830) 또는 이산화티타늄(TiO2, 830)은 표면에 빛(hν, 831)을 받게되면 전자(e-, 832)와 정공(h+, +전하를 가지는 전자와 같은 입자, 833)이 생기게 된다. 전자(e-, 832)는 광촉매 표면에 있는 산소(O2)와 반응해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 -)을 만든다. 이는 환원반응(834)이 된다. 정공(h+, 833)은 공기중에 존재하는 물(H2O)과 반응하여 수소이온(H+)과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을 만든다. 이는 산화반응(835)이 된다. 여기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 -),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등은 살균, 소독, 정화, 청정, 오염제거, VOC분해, NOx제거, SOx제거, 유기물분해, 유해물질분해 등의 역할을 한다.
광촉매에 의한 산화반응은 h+ + H2O → H+ + OH 반응, 2h+ + 2H2O → 2H+ + H2O2 반응, H2O2 → 2OH 반응 등으로 된다. 광촉매에 의한 환원반응은 e- + O2 → O2 - 반응, O2 - + H2O + H+ → H2O2 + O2 반응, H2O2 → 2OH 반응 등으로 된다. 여기서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활성산소인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은 유기물질들을 산화시켜 분해 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공기중에 존재하고 있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 또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바꾸어 버린다. 특히 산화작용이 뛰어난 정공 h+이 유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한다. 광촉매에 의하여 유기물이나 유해물질이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분해된다.
촉매 중에 금속산화물((MO, metal oxide)의 경우 촉매반응을 하여 오염정화 및 산화성능을 가진 슈퍼옥사이드(ㆍO2 -)와 하이드록실라디칼(ㆍOH)를 생성하여 오염정화에 기여하게 된다. 여기서 MO는 MO + hν → h+ + e- 반응에 의하여 정공(h+, positive holes)과 전자(e-)를 생성한다. 상기 정공(h+)은 주변의 물이나 수분과 만나 h+ + H2O → H+ +ㆍOH 또는 2h+ + 2 H2O → 2H+ + H2O2 및 H2O2→ 2ㆍOH의 산화반응을 하여 하이드록실라디칼(ㆍOH)를 생성한다. 상기 전자(e-)는 주변의 산소와 만나 e- + O2 → ㆍO2 -의 환원반응을 하여 슈퍼옥사이드(ㆍO2 -)를 생성하거나, 또는 여기서 생성된 슈퍼옥사이드가 물이나 수분과 만나 ㆍO2 - + H2O + H+ → H2O2 + O2 및 H2O2 → 2ㆍOH 반응하여 하이드록실라디칼(ㆍOH)를 생성한다. 여기서 하이드록실라디칼(ㆍOH) 오염을 산화시키는 산화력이 매우 강한 것으로 레독스포텐셜이 E0 = +3.06V 정도 된다.
광촉매에는 오존(O3), 펜톤(Fe+, Fe+/H2O2), 광펜톤 등이 추가 또는 포함될 수 있다. 오존에 의한 하이드록실 라디칼(OH) 생성 메커니즘은 O3 + hν → O2 + O 반응, O + H2O → OH + OH 반응 등으로 되거나, 또는 O + H2O → H2O2, H2O2 + hν → OH + OH 반응 등으로 된다. 펜톤(펜톤반응)은 아래와 같은 하이드록실 라디칼(OH) 생성 경로를 가진다. 반응 1은 Fe2+ + H2O2→ HO + Fe3+ + OH이다. 여기서 Fe2+은 과산화수소에 의해 Fe3+ 로 산화되며 그 과정에서 HO과 OH을 생성한다. 반응 2는 Fe3+ + H2O2 → Fe2+ + HOO + H+이다. 여기서 Fe3+은 과산화수소에 의해 다시 환원되며 과수산기와 양성자를 생성한다. 반응 1과 2의 순반응은 Fe2+ + HO → Fe3+ + OH 이 된다. 광펜톤 과정은 H2O2의 광분해와 Fe3+이온에 자외선(UV)을 주입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하이드록실 라디칼(OH) 생성 경로를 가진다. 이는 H2O2 + hν → HO + HO 반응, Fe3+ + H2O + hν → Fe2+ + HO + H+ 반응 등이다. 상기 과정들은 광촉매의 대표적인 과정로써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을 생성하여 오염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반도체에서는 빛에너지를 받으면 전자(-)와 양공(+)이 분리되며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반도체 대신 색소를 사용하게 되면 빛에너지를 받은 염료에서 전자가 들뜨게되어 회로를 이동하며 전해질에서 다시 전자가 보충되어 빛에너지를 이용한 전자 및 전류의 순환은 계속된다. 이때 이산화티타늄(양극)과 백금(음극)은 각각의 전극에서 촉매역할을 한다. 이들 사이의 전해질내 요오드화합물은 산화와 환원반을 통해 전자와 전류의 이동을 매개한다.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은 표면에 빛이나 광이나 자외선을 흡수하여 물질내 전자를 흥분시키고 들뜬 전자들은 물 분자와 반응하여 물을 수소와 산소의 성분으로 분리시킨다. 여기서 수소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분해와 마찬가지로 이산화티타늄은 수소가스(H2)를 생성시키는데 광촉매로 사용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과 같이 빛의 흡수를 통해 감광제는 들뜬 삼중항 상태 전달을 활용하여 물과 같은 작은 분자를 분해하여 수소 가스를 생성 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이 금속산화물 및 반도체에 광촉매로 사용된다. 엽록소와 같은 색소 물질들도 광촉매에 속할 수 있다. 엽록소는 천연색소이며 triscarboxy-ruthenium terpyridine과 같은 대부분의 감광제는 합성색소로써 모두 태양전지의 광촉매로 사용될 수 있다. 엽록소는 천연의 뛰어난 광촉매로써 가시광선과 같은 한계진동수이상의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광합성처럼 물과 이산화탄소를 산소와 포도당으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a) 빛, 광, 태양, 조명, LED, LED조명, 램프, 라이트, 선,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가시광선; b) 촉매, 광촉매, TiO2, 이산화티탄; b) 이의 함유, 포함, 분사, 살수, 포설, 포장, 숏팅, 코팅, 미장, 도장, 도색, 페인팅; c) 상기 빛 내지 가시광선 등이 조사, 방사, 촉매 내지 이산화티탄 등에 조사, 방사; d) 상기 함유 내지 방사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조, 통, 함, 실, 탱크, 물질, 물체, 시설, 건물, 구조물, 포장, 도로, 보도, 인도, 시멘트, 레미콘, 콘크리트, 벽돌, 블록, 벽지, 장판, 마감재, 내장재, 외장재, 지하, 터널, 암거, 지하실, 밸브실, 지하도, 지하철, 지하공간, 라이닝, 라이너, 세그먼트, 터널라이닝, 터널라이너, 터널세그먼트, 라이닝 라이너, 라이닝 세그먼트, 터널 라이닝 세그먼트; e) 상기 조사 또는 방사를 하는 기(器, 機) 또는 기기가 구비되는 상기 조 내지 터널 라이닝 세그먼트; f) 상기 빛 내지 가시광선 등과 촉매 내지 이산화티탄 등에 의한 촉매반응, 광촉매반응; g) 촉매 내지 이산화티탄 등에 상기 빛 내지 가시광선 등이 조사나 방사되어 발생되는 촉매반응, 광촉매반응; h) 상기 반응에 의한 정화, 청정, 항균, 살균, 소독, 크리닝, 공기청정, 오염정화, 균살균, 공기정화; i) 상기 반응이나 정화 내지 공기정화 등을 하는 상기 조 내지 터널 라이닝 세그먼트; j) 상기 촉매 내지 이산화티탄 등의 상기 함유 내지 페인팅 등에 의하여 상기 반응이나 정화 내지 공기정화 등의 기능을 하는 상기 조 내지 터널 라이닝 세그먼트; k) 상기 빛 내지 가시광선 등과 촉매 내지 이산화티탄 등에 의하여 상기 반응이나 정화 내지 공기정화 등의 기능을 하는 상기 조 내지 터널 라이닝 세그먼트;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균을 하는 또는 항균처리를 하는 또는 항균작용을 하는 항균수단은 a) 항균기, 살균기, 소독기, 청정기, 정화기, 항균장치, 항균기기, 항균기구, 항균수단, 항균시스템, 오존기, 음이온기, 오존발생기, 음이온발생기, 은이온발생기, 은나노발생기, 나노물질발생기, 이온물질발생기, 은이온방사기, 은나노방사기, 나노물질방사기, 이온물질방사기; b) 항균제, 살균제, 소독제, 청정제, 정화제, 오존, 음이온, 은이온, 은나노, 나노물질, 이온물질, 하기의 은 내지 복합물; c) 광원, 램프, 빛조사기, 광조사기, 선조사기, 광선기, 광원기, UV(ultra violet)기, LED(light emitting diode)기, 발광다이오드기, 자외선기, 적외선기, 원적외선기, X레이기; d) 광촉매, 시설의 내면이나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 시설의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 상기 광촉매에 빛이나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빛이나 자외선와 광촉매에 의한 광촉매반응, 상기 빛이나 자외선와 광촉매의 접촉에 의한 광촉매반응, 광촉매에 빛이나 자외선이 보사되어 조성되는 광촉매반응, 이의 반응인 항균반응, 살균반응, 소독반응, 정화반응, 상기 반응에 의한 항균작용, 살균작용, 소독작용, 정화작용; e) 또는 전극, 양극, 음극, 양극과 음극 사이에 거치된 분리막, 상기 항균기 내지 분리막 등에 연결된 전선, 상기 항균기 내지 전선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이에 의한 전원 인가에 의하여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전극, 상기 전극이 내재된 케이스 또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에 투입된 전해액, 이들이 포함되는 전해기, 상기 전원 인가에 의하여 생성되는 H2, O2, Cl2, OCl, NaOCl, Fe+, 이온수, 전해수, 전해액, 이온물, 나노물, 은이온, 금이온, 구리이온, 금속이온, 나노금속, OH라디칼; 버블이나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H2 내지 OH라디칼; f) 하기 이용 내지 페인팅; g) 하기 이용 내지 페인팅 중 하나의 기(器 or 機) 또는 기기 또는 장치 또는 항균제; h) 하기의 은 내지 복합물 중 하나를 하기 이용 내지 페인팅 등을 하는 기(器 or 機) 또는 기기 또는 장치; i) 하기 이용 내지 페인팅 중 하나가 되는 판, 강판, 금속, 수지, 원료, 소재, 부재, 자재, 재료, 도료, 페인트, 항균제, 하기의 은 내지 복합물; j)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복합체, 복합제, 복합기, 복합수단; 등이다. 상기 팬 내지 복합물 등은 시설, 설비 등에 이용되거나, 또는 시설, 설비 등에 이용되는 상기 팬 내지 복합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항균수단에는 항균, 살균, 소독, 청정, 정화, 정수, 여과, 방열, 가열, 온열, 온풍, 조사, 방사, 방전, 전기방전, 전해, 전기분해, 방식, 부식방지, 누설방지, 전기누설방지, 항균제 조사, 항균제 방사, 오존 방사, 촉매 조사, 피톤치드 분사,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을 하는 것, 제, 재, 기(器), 기(機), 기기, 장치, 장비, 수단, 원료, 소재, 등, 전등, LED, LED등, 램프, 랜턴, 조명, 라이트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복합에는 항균작용하면서 동파방지하는 램프, 소독작용하면서 동결방지하는 램프, 항균하면서 소독하는 장치, 항균하는 항균제와 청정하는 청정기, 항균과 방열하는 장치, 살균과 가열하는 수단 등이 가능하다.
상기 항균제는 a) 은, 오존, 음이온, 은이온, 은원소, 은원자, 은분자, 은나노, 나노은, 나노물질, 이온물질, 항균제, 은계 항균제, 소독제,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방향제, 탈취제, 숯, 목탄, 탄화물, 활성탄, 세라믹, 동, 청동, 은숯, 은탄화물, 은활성탄, 은세라믹, 코팅재, 은코팅재, 피톤치드, 촉매, 광촉매, 정촉매, 부촉매, 천연항균제, 인공항균제, 바이오항균제, 소취제, 악취제거제, Ag, Zn, Cu, CaO, MgO, P2O5, Al2O3, SiO2, TiO2, NaOCl, CaOCl2, CaCl2, 구리와 아연을 포함하는 금속 유도체, 라이실 옥시다아제(lysil-oxidase), 황화구리(Copper sulfide), 옥신 구리(Oxine Copper),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Copper Acetylacetonate, Cu(C5H7O2)2), 수화구리탄산염(hydrated copper carbonate, Cu2(OH)2CO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칼라민, 할라민, N-할라민, 수지, 레진, 도료, 페인트, 돌, 광석, 항균석, 맥반석, 옥, 견운모, 고령토,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화강섬록반암, 알칼리휘석, 이산화티탄, 쑥, 칡, 녹차, 제충국, 솔잎, 유키리투스, 익모초, 메리골드, 굴, 가리비, 꼬막, 대합, 홍합, 바지락, 새조개, 모시조개, 키조개, 맛조개, 재첩, 전복, 패각, 조개껍데기, 항균성수용액, 증류수, 에탄올, 염소가스(Cl2), 물의 소독을 위하여 투입된 염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염소가스(Cl2), 수돗물의 소독을 위하여 투입된 염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염소가스(Cl2), 디메틸에틸아민(Dimethylethylamine), 디메틸부틸아민(Dimethylbutylamine), 디메틸헥실아민 (Dimethylhexylamine), 디메틸헵틸아민(Dimethylheptylamine), 디메틸옥틸아민 (Dimethyloctylamine), 디메틸노닐아민 (Dimethylnonylamine), 디메틸데실아민 (Dimethyldecylamine), 디메틸운데실아민(Dimethylundecylamine), 디메틸도데실아민(Dimethyldodecylamine), 디메틸테트라데실아민(Dimethyltetradecylamine), 디메틸헥사데실아민(Dimethylhexadecylamine), 5~10 나노미터(10-9m)크기의 은입자, 은 나노입자 함유 실리카, 은 나노입자 함유 실리카 나노튜브,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한 소재, 항미생물제, 미생물을 살균하는 소재, 항곰팡이제, 곰팡이를 살균하는 소재, 빛, 광, 선, 광선, 광원, UV(ultra violet),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X레이, LED빛, 램프, 볼, 항균볼, 항균수, 항균물, 항균재, 항균물질, 항균부재; b) 상기 중 하나의 분쇄물, 파쇄불, 소성물, 소결물, 소각물, 열화물, 미생물, 혼합물, 포함물, 분해물, 열분해물; c) 상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백, 팩, 망, 팩망, 조, 통, 함, 실, 용기, 박스, 탱크, 가방, 주머니, 케이스, 하우징, 수지, 레진, 도료, 페인트, 분사제, 코팅제, 도막제, 도포제, 포설제, 피막제, 도장제; d) 상기 은 내지 도장제 중 하나의 이온, 이온 또는 나노 형태의 상기 은 내지 도장제, 은 또는 나노은이 투입 또는 코팅된 상기 은 내지 도장제; e) 상기 은 내지 도장제 중 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 상기 은 내지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상기 은 내지 혼합물; f) 상기 은 내지 혼합물 중 둘 이상이 포함된 복합물; g) 1 내지 100중량% 포함된 상기 은 내지 복합물, 1 내지 100중량부 포함된 상기 은 내지 복합물, 1 내지 100부피% 포함된 상기 은 내지 복합물, 1 내지 100부피부 포함된 상기 은 내지 복합물; 등이다.
상기 항균제에는 a) 은, 수지, 열경화성 수지, 세라믹분말, 인산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수지, 아크릴 수지, CaCO3, ZnO, Al2O3, TiO2, 착색안료, 분산제, 레벨링제, 증점제, 실란, 실란화합물, 멀캡토-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경화촉매, 도데실벤젠술폰산,
우레탄계 도료, 에폭시계 도료, UV건조형 도료, 20나노미터(nm)이하의 크기를 갖는 나노물질, 나노은(Ag), 나노이산화티탄(TiO2), 금속 나노입자, 에탄올(Ethanol)용매의 콜로이드상 물질,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irrolidone), 나노실버(Ag), 계면활성제, 금속의 나노실버(Ag), 금속의 나노입자(Ag,TiO2), 실리카를 담체로 하는 금속의 나노입자(Ag,TiO2), 고분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도료, 용제, 안료, 밀베이스도료, 멜라민경화용수지, 메틸레이티드멜라민 경화용수지, 산촉매, 아크릴계 첨가제,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 유기황질소계 화합물, 첨가제, 탈취제, 나노실버, 프라이머 도료, 알킬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모노머, 중합체, 카르복실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부착력을 가진 단량체, 가교기능을 가진 단량체,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는 아크릴에멀젼수지, 안료, 항균제, 단량체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디하이드라지드 구조를 갖는 단량체, 아크릴에멀젼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광경화개시제, 은함유 무기항균제, 용제, 광경화형 항균도료,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히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반응생성물,
디펜타아크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크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티오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알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올프로판 메타아크릴레이트, 희석제, 소포제, 습윤분산제, 웨팅제, 레벨링제, 산화은, 이산화규소, 산화붕소, 산화나트륨, 항균접착증진제,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머캅토에스테르계 공중합체, 황함유 화합물, 머캅토초산, 머캅토프로피오닉산, 머캅토언데실닉산, 티오페놀, 디페닐디설파이드, 하이드로에틸, 머캅토아세트아미드, 에탄디티올, 글리콜 비스, 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스, 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머캅토 에탄올, 글리콜디머캅토아세테이트, 옥타데실 메르캅탄, 디세틸 디설파이드, 옥타데실 티오글리콜레이트, 머캅토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머캅토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자외선 경화형 항균 도료, 폴리 비닐리덴 플로라이드, Poly Vinylidene Fluoride, 산화아연, 산화아연 나노입자, 불소수지계 산화아연, 주제, 경화제, 신나, 코팅용 도료, 다관능 올리고머, 다관능 모노머, 광개시제, 탄화수소계 용제, 아세테이트계 용제, 케톤계 용제, 첨가제, 항균 성분, 암모늄염, 트리메톡실기 합성물, 수지, 채색안료, 체질안료, 증점제, 분산제, 소포제, 가소제, 동결방지제, 규산염광물, 점토광물, 은, 금, 아연, 칼슘, 백금, 사이클로규산염, 필로규산염, 네소규산염, 텍토규산염, 이노규산염, 소로규산염, 아크릴에멀젼 수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 아크릴 실리콘 에멀젼 수지, 포타슘실리케이트 무기계 수지, 고령토, 일라이트, 벤토나이트, 퍼라이트, 탈크, 탄산칼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경화 촉진제, 광개시제, 자외선 경화형 항균 도료, 비스아연, 피리딜티오아연, 이산화물, 방염도료, 초산비닐 수지, 염화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금속 아크릴레이트 수지, 산화 알루미늄, Alumninum oxide, 이산화규소, Silicon dioxide, 산화 아연, Zinc oxide, 산화철, Iron oxide, 흑연, Graphite, 이산화티타늄, Titanium dioxide, 큐조토, Diatomite, 자일렌, Xylene, 톨루엔, Toluene, 이소부탄올, Isobutanol, 메틸에틸케톤, methylethylketone, 메틸 이소부틸 케톤, Methyl isobutyl ketone, 메틸알코올, Methyl alcohol, 양이온성 항균 도료,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방향족 비닐계 모노머, 유기산계 모노머, 모노머 혼합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라디칼 중합개시 촉매, 모노머 혼합물, 에멀젼 중합반응물, 비이온성 아크릴에멀젼 수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노르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베타-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트랜스메틸스티렌, 유기산계 모노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칠렌옥틸페닐에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암모니아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 메틸프로판, 트리에틸아민, 항균성분, 암모늄염, 트리메톡실기 합성물, 다관능 올리고머, 다관능 모노머, 광개시제, 탄화수소계 용제, 아세테이트계 용제, 케톤계 용제, 유성도료, 디클로로옥틸이소티아졸린, 클로로페놀, 열경화성수지 고형분,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방향족석유나프타,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메탄올로 조성된 혼합용제, 안료,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무기금속항균제, 아미노수지 고형분, 기능성수지, 에폭시수지 고형분, 평활제, 소포제, 슬립제, 비스페놀, Bisphenol, 에폭시수지, 무독성 착색안료, 소포제, 흐름 방지제, 무기염항균제, 은, 구리, 아연, 경화제, 폴리아미이드계수지, 변성방향족아민계수지, 변성지방족아민계수지, 지방족폴리아민계수지, 방향족아민계수지, 지환족변성아민계수지, 폴리아마이드어덕트계(Polyamide Resin Adduct Type) 수지, 물, 반응성희석제, 항균에폭시 도료, 아크릴 에멀젼, 백색안료, 규조토, 체질안료, 항균복합소재, 증점제, 첨가제, 항균탈취용 도료, 광촉매 분말,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분말, 수계에폭시 수지, 경화제, 복합세라믹조성물, 질산동(Cu(NO3)2), 산화제2동(CuO/Black), 질산은(AgNO3), 산화붕소(B2O3), 산화아연(ZnO), 이산화토리움(ThO2), 송이, 포졸란, 항균성 도료, 수산기수지,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용제, 중화제,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이온수, 이온물, 이온제, 은 이온수, 경화제, 경화촉진제, 습윤제, 흡습제, 포집제, 함수제, 광안정제, 슬립제, 소포제, 유색 안료, 안티모니 무기화합물, 수성 항균 도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화합물,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친수성 폴리올, 디메틸프로피오닉산, 디메틸부타노익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측쇄에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디올, 측쇄에 술폰산기를 갖는 폴리에테르디올, 측쇄에 알콕시기로 치환된 폴리옥시에틸렌기, 이소포른 디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로필릭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디아민, 옥토산주석, 디부틸 주석디라우레이트, 에틸헥소산납,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 폴리디메틸 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벤조페논계광안정제, 옥사아닐리드계광안정제, 벤조트리아졸계광안정제, 트리아진계광안정제, 마이카(MICA), 안티모니 무기화합물, 메틸피롤리돈, 아세톤, 메틸에틸게톤, 디메틸포름아미드, 글리콜에테르에스테르, 하이드로게네이티드퓨란; b) 상기 중 하나의 분쇄물, 파쇄불, 소성물, 소결물, 소각물, 열화물, 미생물, 혼합물, 포함물, 분해물, 열분해물; c) 상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백, 팩, 망, 팩망, 조, 통, 함, 실, 용기, 박스, 탱크, 가방, 주머니, 케이스, 하우징, 수지, 레진, 도료, 페인트, 분사제, 코팅제, 도장제; d) 상기 은 내지 도장제 중 하나의 이온, 이온 또는 나노 형태의 상기 은 내지 도장제, 은 또는 나노은이 투입 또는 코팅된 상기 은 내지 도장제; e) 상기 은 내지 도장제 중 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 상기 은 내지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상기 은 내지 혼합물; f) 상기 은 내지 혼합물 중 둘 이상이 함유된 복합물; g) 1 내지 100중량% 포함된 상기 은 내지 복합물, 1 내지 100중량부 포함된 상기 은 내지 복합물, 1 내지 100부피% 포함된 상기 은 내지 복합물, 1 내지 100부피부 포함된 상기 은 내지 복합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함물의 예로는 아연(Zn), 은(Ag), 세라믹,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된 상기 은 내지 복합물 등이다. 상기 혼합물의 예로는 아연(Zn), 은(Ag), 세라믹,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혼합된 상기 은 내지 복합물 등이다. 상기 혼합물의 예로는 아연(Zn), 은(Ag), 세라믹,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혼합된 상기 은 내지 복합물 등이다. 상기 패각이나 조개껍데기는 분쇄 및 소결하는 과정에 의해 알칼리염이 생성되면서 항균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항균제 중에서 바이오항균제에 대한 제조의 예로는 배양균을 배양하는 단계, 배양균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박테리아 유기체를 갖는 스톡의 일부를 영양 한천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투입에 의하여 배양균을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배양 용액의 pH를 7 내지 8로 조정하는 단계, 상기 용액에 영양제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배양된 배양균을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배양균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배양균인 바이오항균제를 얻는 단계, 상기 취득된 배양균을 항균제에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에 의하여 바이오항균제를 얻는 단계 등에 의한다. 상기 나노는 나노, 나노미터, 10억분의 1, 진(塵), 미소(微少), 10의 멱수(冪數) 중 10-9, 10억분의 1 미터, 10-9m, 1나노, 10나노, 100나노, 1나노미터, 10나노미터, 100나노미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살균제는 살균제, 살균수, 살균액, 포말린, 알코올, 크레솔비누액, 과산화수소수, 무기살균제, 보르도액·석회황합제, 페놀수, 크레솔수, 승홍수(昇汞水), 클로르칼크, 유기수은제, 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 다이센엠, 발리비, 발코트, 베노밀, 블라스티시딘에스, 빈클로졸린, 에디펜포스, 옥시카복신, 옥신코퍼, 유기인계살균제, 유기황살균제, 아이소프로싸이올레인, 이프로다이온, 지네브, 마네브, 안트라콜, 지오람, 프탈라마이드제, 카복신, 캡탄, 쿠퍼하이드록사이드, 클로로탈로닐, 트라이아디메폰, 도다인, 디노캡, 다이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론제, 디티아논, 마네브, 캡탄, 캡티폴, 다이폴라탄, 폴펫, 벤디미다졸제, 베노밀, 벤레이트, 싸이오판에이트에틸, 트라이아졸제, 트라이아디메폰, 트라이시크라졸, 유기살균제, 메탈락실, 다찌가렌(hymexazol), 키타진(IBP), 히노산(edifenphos), 후지왕(isoprothiolane), 농용항생제, 스트렙토마이신, 시크로헥사마이드, 블라스티시딘, 카수가마이신, 폴리옥신, 발리다마이신, 네오아소진, 발리다마이신에이,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소독제는 소독제, 소독수, 소독액, 알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을, 클로르헥시딘,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시트르산,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시트르산수화물,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계면활성제, 폴리옥실40경화피마자유, 폴록사머407,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피톨, 폴리에틸렌글리콜, 자일리톨,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네오탐, 사카린, 아스파탐, 아세술팜칼륨,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시리히진, 페릴라르틴, 타우마틴,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정화제 또는 청정제는 정화제, 정수제, 청정제, 반응제, 응집제, 침전제, 폭기제,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멸균제, 제균제, 해독제, 제독제, 처리제, 복원제, 힐링제, 오염 정화제, 수질 정수제, 공기 청정제 등이다.
상기 항균처리는 a) 항균수단 이용, 항균제 이용; b) 상기 항균수단이나 항균제를 이용, 사용, 적용, 활용, 구비, 거치, 설치, 위치, 분사, 분출, 배출, 쏘임, 조사, 照射, 방사, 放射, 함침, 수침, 침지, 훈증, 훈연, 코팅, 포설, 포장, 도장, 도색, 페인팅; c) 상기 이용 내지 페인팅 중 하나의 기(器 or 機) 또는 기기 또는 장치 또는 항균제; d) 또는 시설의 표면 처리, 시설 표면의 녹 제거, 시설 표면의 이물질 제거, 상기 이온 내지 복합물 등이 포함된 또는 이루어진 항균제 준비, 도료와 항균제를 혼합한 항균도료 조성, 도료에 항균제를 2~3중량%/도료의 비율로 혼합한 항균도료 조성, 항균제 또는 항균도료를 시설 표면에 분사 또는 코팅 또는 도장 또는 페인팅, 항균도료와 시설 바디(몸체)에 각각 반대 극성을 부여하여 시설 바디 표면에 항균도료를 밀착, 시설의 표면에 은 나노층을 도금 또는 은 나노페인트를 도장, 시설의 내부의 공기 속에 포함된 산소 분자가 은 나노층 또는 은 나노페인트 내의 금속 양이온 형태의 은에 산소 원자 형태로 달라붙게 되어 시행되는 항균 및 살균 작용 등에 의한다. 상기 표면은 면, 표면, 내면, 외면 등이 해당된다.
항균처리된 또는 항균제가 코팅된 또는 항균수단이 이용된 부위, 시설, 물체, 물질, 자재; 이중 하나의 면, 표면, 내면; 등에서는 항균, 살균, 소독, 정화, 청정, 항균반응, 살균반응, 소독반응, 정화반응, 청정반응, 광촉매반응, 항균작용, 살균작용, 소독작용, 정화작용, 청정작용, 광촉매작용, 항균기능, 살균기능, 소독기능, 정화기능, 청정기능, 광촉매기능 등이 조성, 형성, 생성, 발생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부위 내지 내면 등은 상기 항균 내지 광촉매기능 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물질, 도료, 페인트, 항균제 등에는 첨가제의 투입이 가능하다. 상기 첨가제는 항균성금속, 항균성금속산화물, 항균성첨가제, 은(Ag)을 포함하는 금속, ZnO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가소제(plasticizers), 산화방지제(antioxidants), 열안정제(heat stabilizers), 자외선안정제(UV stabilizer), 난연제(flame retardants), 충진제(filler), 핵제(Nucleating Agent), 활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충격보강제, 가교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탈취제 등이다. 산화방지제(antioxidants)는 페놀계, 아민계, 유황계, 및 인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열안정제(heat stabilizers)는 Cd/Ba/Zn계, Cd/Ba계, Ba/Zn계, Ca/Zn계, Na/Za계, Sn계, Pb계, Cd계, 및 Zn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안정제(UV stabilizer)는 카본블랙(Carbon Black),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및 니켈-킬레이트(Ni-Chelate)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난연제(flame retardants)는 할로겐계, 인계, 및 무기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충진제(filler)는 실리카(Silica, SiO2),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산화칼슘(Calcium oxide),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수산화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카본(Carbon), 탈크(Talc), 지르코니아(Zirconia,
Zirconium oxide), 산화안티몬(Antimony oxide) 및 고무(Rubb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제는 수산화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아조디카본아 미드(Azodicarbonamide), 옥시디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Oxydibenzenesulfonylhydrazide, OBSH), p-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p-toluenesulfonyl hydrazide), 소듐바이카보네이트(Sodiumbicarbonate), 탄화수소(Hydrocarbon),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EV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핵제는 SiO2, Al2O3, CaO, MgO, P2O5, B2O3, K2O, ZnO, Na2O, Fe2O3, TiO2, ZrO2, 산화물, Cu-함유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전체이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플루오르계 계면활성제, 이중 둘 이상 복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칼라민은 칼라민, calamine, 산화 아연과 삼산화 이철의 분말 혼합물 등이다. 상기 N-할라민은 질소와 할로겐 사이에 하나 이상의 공유결합을 갖는 아민, 아마이드 또는 이미드 구조를 갖는 물질, 염소를 유리하여 항균 능력을 가진 물질, 살균 성능을 가진 할로겐(즉 Cl+) 성분이 유리되는 N-할라민, 할로겐(즉 Cl+) 성분이 함유되어 살균 성능을 가진 N-할라민, 하이단토인(hydantoin), 옥사졸리돈(oxazolidinone), 이미다졸리디논(imidazolidinone), 시아누르산(cyanuric acid)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도장의 예로는 프라이머 도료 도포, 도막두께 4-8㎛로 도장, 이후 200-220℃온도로 가열, 이후 냉각, 이후 건조, 항균 도료 도장, 도막두께 15~35㎛으로 도장, 이후 210-250℃온도로 가열, 이후 냉각, 이후 건조, 항균제 코팅, 이후 건조, 항균제 도장, 이후 건조 등이다. 상기 도장을 하는 도장기의 예로는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부, 분사노즐, 이를 구동하는 펌프 또는 분사구동부, 이들을 포함하는 분사수단, 도료가 코팅된 자재를 건조시키는 램프, 광선램프, 광선조사부, 이를 구동하는 조사구동부, 이들이 포함되는 조사수단(照射手段)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광선조사부는 광선 램프, 광선 반사 케이스, 광선 반사 케이스 상부에 장착되는 냉각 반사갓, 냉각 반사갓의 상부에 구비되는 반사갓 케이스, 반사갓 케이스에 구비되는 팬이나 냉각팬 등을 포함한다. 상기 광선에는 선, 광선, 광원, UV,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시설의 도장 및 제조의 예로는 시설 자재의 유기성분 및 이물질을 제거, 이를 하는 전처리, 항균도료를 자재에 분사하여 도장,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를 자재에 도포하는 1차 도장, 산화아연이 함유된 도료를 자재에 분사하는 2차 도장, 나노은이 함유된 도료를 자재에 분사하는 3차 도장, 자재를 건조 또는 열건조, 자재를 조립 및 용접, 조립 및 용접하여 시설 제조 등이다. 상기 시설의 도장 및 제조의 예로는 자재에 베이스 도료를 도포, 이후 건조, 항균도료 조성, 항균도료를 자재에 도장, 도장된 도료 조성물을 건조, 자재를 조립 및 용접, 조립 및 용접하여 시설 제조 등이다.
일정의 시설은 지중, 지반, 수중, 해수, 토양, 대기, 자연환경 등에 접촉되므로 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정의 방식처리를 하여야 한다. 이의 예로는 코팅, 도장처리, 에폭시 수지 분체도장, 에폭시 수지 액상도장, 방식수단 구비, 아연판 구비, 이온화경향이 높은 재료 구비, 전기 공급 등이 있다. 도장 전에 밸브실, 자재, 용접부, 표면 등은 샌드블라스팅 또는 그라인딩 등을 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도장처리 하여 수명과 부식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도장 후에 도장면은 덜 칠해진 곳, 거품, 부풀어 오름, 박리, 이물의 부착, 뚜렷한 도장 자국, 그 밖의 유해한 결점 등이 없어야 한다. 도장 후에 도장이나 도막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의 측정에는 전자식 도막 두께 측정기 등이 이용된다. 도막 두께의 측정 위치는 밸브실 내 외부의 임의의 4점으로 한다. 다만 접합면, 우각부, 끼워맞춤부 등 측정이 곤란한 부분은 제외한다.
본 발명에서는 a) 칩, 핀, 판, 팬, 침, 콘, 링, 망, 줄, 선, 실, 사, 솔, 빗, 캡, 알, 봉, 대, 폴, 틀, 붓, 볼, 삽, 끌, 톱, 칼, 날, 셀, 통, 램, 롬, 칼날, 구슬, 금속, 소자, 진자, 단자, 전지, 전극, 양극, 음극, 폴대, 자침, 코일, 나선, 노끈, 지퍼, 쟈크, 처크, 후크, 헤드, 테일, 배플, baffle, 센서, 필터, 기판, 키트, 카드, 모듈, 히터, 쿨러, 회로, 서버, 허브, 모뎀, 유닛, 도체, 모터, 펌프, 드론, 로봇, 수단, 노즐, 디퓨저, 절연체, 인버터, 컨버터, 주유기, 주유소, 충전기, 충전소, 정류기, 정압기, 정전기, 정류자, 변류기, 발전기, 콘덴서, 트렌스, 릴레이, 스프링, 아바타, 반도체, 시스템, 배터리, 폐배터리, 파워뱅크,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b) 상기 칩 내지 내지 4차산업기술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요소; c)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d)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중 하나 이상이 관련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e) 일이나 수단에 이용되는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420)의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420)은 상기 수단,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자화기 내지 기능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구비, 거치, 사용, 적용, 장착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에는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420)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420)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의 부품으로 적용되거나,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거치되어 적용되거나, 또는 하기에 기재되는 일정의 작용을 하거나, 또는 각각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 성능, 특징 등을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이용하려고 할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의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의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가능하다.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은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되거나,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은 인식, 식별, 자기인식, 정보인식, 출입인식, 사람인식, ID인식, 데이터인식, 정보습득, 정보기록, 정보처리, 정보제공, 데이터인식, 데이터수집, 데이터처리, 데이터공급, 물질 주입, 물질 투입, 와류, 보호, 분석, 평가, 연결, 연계, 청소, 청정, 보호, 지지, 거치, 구비, 제도, 제작, 생산, 절단, 파쇄, 분쇄, 분리, 선별, 공급, 제공, 여과, 필터링, 전원공급, 분해, 전해, 방전, 전기분해, 전기방전, 가열, 냉각, 센싱, 수집, 전달, 연락, 통신, 송신, 수신, 저장, 저류, 펌핑, 비행, 주행, 추적, 위치추적, 인력대체, 일, 업무, 사무, 절연, 교체, 반전, 변환, 정류, 정압, 정전, 정류, 변류, 발전, 콘덴싱, 완충, 대행, 사람대행, 안전구축, 상기 센싱 내지 측정, 상기 센싱 내지 화면시청, 상기 일 내지 안전관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을 하는데 기여하거나, 또는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은 상기 인식 내지 안전구축, 인식 내지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을 하는데 기여하거나, 또는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의 기능은 상기에 기재된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이외에 기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은 상기 인식 내지 안전구축, 인식 내지 복합 등이나 상기 이외에 기타 다양한 기능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X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머신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ℓ)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관련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a) 상기 칩의 예 1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구비;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구비;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기; 등이 되는 칩이다. 상기 칩의 예 2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구비되고,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장착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방사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칩이다. 상기 칩의 예 3으로는 상기 오존기와 음이온기가 구비되고; 상기 청정과 소독을 하고; 상기 음파와 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발광처리와 웨이브처리를 하는 칩이다. b) 상기 소자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에 거치,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장착;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공급;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되기; 등이 되는 소자이다. c) 상기 물질의 예 1로는 칩, 소자, 필터, 자화기, 압전기, 열전기를 순차적으로 거친 물질이다. 상기 물질의 예 2로는 칩, 소자, 필터, 자화기, 압전기, 열전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칩처리, 소자처리, 필터링, 자화, 압전, 열전 등이 된 물질이다. 상기 물질의 예 3으로는 콘, 링, 전극, 히터, 자화기, 압전기, 열전기를 순차적으로 거친 물질이다. 상기 물질의 예 4로는 콘, 링, 전극, 히터, 자화기, 압전기, 열전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콘와류, 링와류, 전해, 히팅, 자화, 압전처리, 열전처리 등이 된 물질이다. 상기 물질의 예 5로는 양극, 음극, 코일, 회로, 자화기, 압전기, 열전기, 오존기를 순차적으로 거친 물질이다. 상기 물질의 예 6으로는 양극, 음극, 코일, 회로, 자화기, 압전기, 열전기, 오존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양극분해, 음극분해, 코일와류, 회로외류, 자화, 압전처리, 열전처리, 오존살균 등이 된 물질이다. d) 상기 모뎀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추가; 칩 내지 복합요소 등에 추가;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추가;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추가;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추가; 등이 되는 모뎀이다. e) 상기 드론의 예로는 칩 구비, 상기 칩이 이용되는 센서 구비,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수행;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분사;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수행; 등이 되는 드론이다. f) 상기 메타버스의 예로는 칩, 상기 칩이 이용되는 센서, 상기 센서를 거친 물질, 상기 물질이 이용되는 용품, 상기 칩이 이용되는 일, 상기 일에 의하여 조성되는 주택, 상기 일의 안전, 상기 안전의 방법, 상기 일을 하는 사람, 상기 안전에 이용되는 LTE, 상기 LTE에 연계되는 클라우드, 상기 클라우드에 연계되는 플랫폼 등이 구현되거나 이용되는 메타버스이다. g) 상기의 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a) 칩 내지 k) 메타버스, 칩 내지 복합요소,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실시 예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칩은 칩 1, 2, 3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칩 1은 칩, chip, IC(integrated circuit)칩, IT(information technologies)칩,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칩, PC(personal computer)칩, ID칩, AI칩, IoT칩, 회로칩, PC회로칩, 뉴런침, 신경칩, neuron칩, 인식칩, 자기인식칩, 출입칩, 출입인식칩, 사람인식칩, 사물인식칩, 센서칩, 진자칩, 자심칩, 코일칩, 코드칩, 앰프칩, 기판칩, 모듈칩, 부품칩, 콘덴서칩, 저항칩, 진동칩, 가진칩, 회전칩, 전기칩, 집적칩, 능동칩, 수동칩, 전자칩, 자화칩, 오존칩, 압전칩, 열전칩, 발열칩, 온열칩, 냉온칩, 온냉칩, 장비칩, 장치칩, 복합칩, 무선칩, 통신칩, RF칩, 무선통신칩, 다이오드칩, 서미스터칩, 페라이트칩, 마그네트칩, 마그네트론칩, 트랜지스터칩, 트랜스포머칩, 음이온칩, 펠티에칩, 집적회로칩, 마이크로칩(microchip), 컴퓨터칩, 노트북칩, 인터넷칩, 메모리칩, 스마트칩, 바이오칩, 스마트폰칩, 이중 둘 이상 복합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RF칩에서 RF는 radio frequency, 무선주파수, 無線周波數, 무선통신, 무선통신주파수,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 범위 이상의 주파수 등이다.
상기 칩 2는 반도체 기판, 반도체 부품이 삽입 및 배선된 기판, 실리콘웨이퍼로부터 만들어진 칩, 회로 및 전자기기들과 함께 에칭(etching)된 칩, GPS의 PRN 코드 칩, 2진 코드에서 0 또는 1에 해당되는 칩, 컴퓨터 메모리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논리회로가 구비된 칩 또는 모듈, 속도 단위 cps(칩/초)를 가지는 칩, 확산코드 파형의 펄스, 디지탈 심볼을 주파수영역 상으로 대역확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파형, 이중 둘 이상 복합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칩 3은 쇠칩, 철칩, 폐칩, 목칩, 금속칩, 세라믹칩, 도체칩, 반도체칩, 전도체칩, 비도체칩, 식물칩, 줄기칩, 뿌리칩, 나무칩, 황토칩, 야자칩, 소성칩, 탄성칩, 고무칩, 유리칩, 카본칩, 수지칩, 피톤칩, PE(polyethylene)칩, PP(polypropylene)칩, PC(polycarbonate)칩, PVC(polyvinyl chloride)칩,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칩, SBR(styrene butediene rubber)칩, PVB(polyvinyl butyral)칩, PLA(poly lactic acid)칩,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칩,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칩, 타이어칩, 플라스틱칩, 이중 둘 이상 복합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핀은 핀, pin, 돌기, 전자핀, 전기핀, 소자핀, 칩핀, 진자핀, 회로핀, 전극핀, 오존핀, 음이온핀, 콘덴서핀, 스크류핀, 기초에 설치된 핀, 파일에 설치된 핀, 시설에 설치된 핀, 물체에 돌출된 핀, 전기분해용 2개의 핀, 전기분해용 양극 및 음극의 2개 핀, 판에 이격된 핀, 판에 이격된 핀으로 구성된 오존기, 판에 이격된 핀으로 구성된 음이온기, 상기 칩 내지 반도체 중 하나의 핀 등이 해당된다.
상기 판, 팬, 침, 콘, 링, 망, 줄, 선, 실, 사, 솔, 빗, 캡, 알, 봉, 대, 폴, 틀, 붓, 볼, 삽, 끌, 톱, 칼, 날, 칼날, 구슬, 금속 등은 판, 板, plate, 팬, pan, fan, 침, 針, 콘, cone, 링, ring, 망, net, 줄, string, 선, line, 실, thread, 사, 絲, 솔, 빗솔, 청소솔, 브러시, brush, 빗, 솔빗, comb, 캡, 모자, cap, 알, 卵, 봉, 棒, 대, 막대, 안전대, rod, 폴, 폴대, pole, 틀, 형틀, 몰드, mold, 붓, 솔붓, 볼, ball, 삽, shovel, 끌, chisel, 톱, saw, 칼, knife, 날, blade, 칼날, 구슬, bead, 금속, metal 등이 해당된다. 상기 셀은 셀, cell, 세포, 元素, 세포셀, 셀세포, 솔라셀, 바이오셀, 미생물셀, 전지, 전해조, 소형의 단위 용기, 센서의 변환 소자, 컴퓨터에서의 기억 셀, 솔라셀과 바이오셀의 복합셀, 기억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 위치를 나타내는 단위, 물질의 화학적·물리적 반응을 이용하여 방출된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형 장치. 전기를 일으키는 최소한의 단위,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접합된 것, 태양전지를 이루는 기본 단위, 원자로에서 핵연료와 그 부속 감속재를 합한 한 구획, 고방사성 물질을 취급하거나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두꺼운 차폐를 한 하나의 구획 등이다.
상기 팬은 팬, pan, fan, 선풍팬, 송풍팬, 환풍팬, 급기팬, 배기팬, 회전팬, 회전체, 후라이팬 등이다. 그리고 상기 팬은 팬, 휀, fan, 날개, blade, 회전팬, 환기팬, 환풍팬, 유입팬, 유출팬, 유입출팬, 발전팬, 풍력발전팬, 정방향회전팬, 역방향회전팬, 정역방향 회전팬, 무전원 회전팬, 동력 회전팬, 무동력 회전팬,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 바람이나 풍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 회전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팬, 회전하면서 시설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팬, 바람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시설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팬 등이다. 상기 유입출팬 또는 정역방향 회전팬의 경우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팬으로서, 팬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시설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고, 팬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사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출팬 또는 정역방향 회전팬은 1개의 팬으로 사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고 시설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봉은 봉, 대, 폴, rod, pole, 중공봉, 셀카봉, 수직봉, 자립봉, 연직봉, 신호봉, LED봉, 불빛봉, 등봉, 램프봉, 랜턴봉, 형광봉, 야광봉, 회전봉, 로봇봉, 자동봉, 연성봉, 강성봉, 안테나봉, 자동으로 움직이는 봉, 상하 이동봉, 상하 신호봉, 회전 신호봉,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봉, 안테나 처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봉, 셀카봉 처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봉 등이다.
상기 통은 통, 조, 함, 박스, 탱크, 원통, 물통, 수통, 사일로, 저장통, 고압통, 압력통, 수소통, 산소통, 가스통, 고압탱크 등이다. 상기 압력통 또는 수소통의 예로는 a) 실, 섬유, 탄소, 시트, 금속, 수지재, 폴리머, PC(폴리카보네이트), FRP(섬유보강플라스틱, 섬유보강폴리머), GFRP(유리섬유보강플라스틱, 유리섬유보강폴리머), CFRP(탄소섬유보강플라스틱, 탄소섬유보강폴리머), PVC, 탄소섬유, 유리섬유, 탄소시트, 알루미늄, 플라스틱, 알루미늄합급, 고밀도폴리머, 복합소재, 탄소섬유 복합소재, 이중 둘 이상 복합재; b) 또는 탱크; 이의 몸통, 입구, 일부, 전체, 외피, 피막, 라이너, 라이닝 중 하나를 이루는 상기 실 내지 복합재; c) 또는 상기 실 내지 복합재; 이중 하나의 내부, 외부, 내면, 외면, 라이너; 중 하나 이상을 감싸거나 또는 래핑(wrapping)한 상기 실 내지 복합재; d) 또는 라이너(810), 상기 라이너를 이루는 또는 상기 라이너에 감긴 탄소섬유복합재(811), 탱크 입구의 라이너를 보호하는 보호재(812), 수소충전입구 파이프와 라이너의 사이를 충진하는 보스(813) 또는 마개 또는 충진재, 수소가 유입되는 수소충전부(814), 수소가 토출되는 수소토출부(815), 탱크 내의 수소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816), 탱크 내의 수소 압력을 안전하게 하는 압력안전장치(817) 또는 온도감응식 압력안전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압력통 또는 수소통이다. 이의 예로는 내부 중공의 탱크를 이루는 금속 라이너 외부의 전체, 일부, 부분 등을 탄소섬유로 수많이 감아서 조성된 압력통 또는 수소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물, 수력, 파력, 온도차, 바람, 풍력, 태양, 태양력, 수소, H2, 암모니아, NH3; b) 이중 하나에서 얻어지는 전기, 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사용으로 지구온난화, 이상기후 등을 방지하고,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는 탄소중립(Net Zero)이 가능하다.
상기 수소는 수소, H2, 청정수소, 그린수소, 그레이수소, 브라운수소, 블루수소, 원자력 청정수소 등이 해당된다. 상기 그린수소는 태양광, 풍력, 재생에너지 중 하나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한 수소이다. 상기 그레이수소는 천연가스를 고온·고압 수증기와 반응시키는 개질수소, 또는 석유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이다. 상기 브라운수소는 탄, 갈탄, 석탄 중 하나를 태워 생산하는 개질수소이다. 상기 블루수소는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할 때 발생하는 탄소를 포집·저장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수소, 또는 그레이수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하여 탄소 배출을 줄인 수소이다. 상기 원자력 청정수소는 원자력발전기, 원자력발전소, 원자력플랜트 등에서 발생하는 전기와 증기를 이용하여 수전해 방식을 통해 생산된 수소이다.
상기 수소의 저장, 이송, 이용 등을 위해서는 부피를 줄여하는데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253℃의 극저온에서 액화가 필요하고 고압탱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합성, 저장, 이송, 액화 등이 용이한 암모니아(NH3)가 주목된다. 암모니아는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암모니아는 수소 또는 그린수소를 공기 중 질소와 결합시켜 얻어진다. 암모니아는 연소할 때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수소보다 제조·저장·수송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수소 운송을 위해선 영하 253도까지 온도를 낮춰 액화해 부피를 줄여야 하지만 암모니아는 영하 33도만 유지하면 된다. 부피도 작아 수소보다 1.5배 많은 양을 수송할 수 있으며 에너지밀도 역시 액화 수소보다 1.7배 가량 높아 운반을 위한 최적 대안으로 꼽힌다. 대량생산한 수소에 질소를 더해 비교적 안정적인 암모니아로 만들어 운송한 후 다시 질소를 분해해 수소로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램은 램, RAM, random access memory, 컴퓨터의 주기억 장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는 장소, 손톱만 한 크기의 반도체칩 속에 수많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첨단 기억 소자, 휘발성 메모리인 램, 비휘발성 메모리인 롬, 사용자가 자유롭게 내용을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는 기억장치, 컴퓨터가 켜지는 순간부터 정보가 저장되는 기억장치, VRAM(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전원이 차단되면 내용이 지워지는 휘발성 기억 장치, VM(Volatile Memory),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M(Non-Volatile Memory), 전원이 차단되자마자 즉시 데이터가 지워지는 SRAM, 전원이 차단된 후 5분 정도까지 저장되는 DRAM, 전원이 꺼져도 지워지지 않는 NVRAM, 내용을 한번 기록하면 전원이 공급되는 한 내용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정적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기록된 내용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재충전(Refresh)이 필요한 동적램(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ADRAM(A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비동기식 DRAM), PM DRAM(Page Mode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페이지 모드 DRAM), FPM DRAM(Fast Page Mode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고속 페이지 모드 DRAM), EDO DRAM(Extended Data Out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확장 데이터 출력 DRAM), BEDO DRAM(Burst Extended Data Out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버스트 확장 데이터 출력 D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GDRAM(Graphic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그래픽 DRAM), VDRAM(Video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비디오 DRAM), WDRAM(Window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윈도우 DRAM), MDRAM(Multibank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멀티뱅크 DRAM), SGRAM(Synchronous Graphics Random Access Memory, 동기식 그래픽 RAM), GDDR SGRAM(Graphics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Graphics Random Access Memory), MRAM(Magneto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STT-MRAM(Spin-Transfer Torque Magneto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PCM), RRAM(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ReRAM), FeRAM(Ferroelectric RAM, FRAM),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 내에 기억 내용을 읽거나 쓸 수 있는 기억 장치 등이다.
상기 롬은 롬, ROM, read only memory, 읽기 전용 기억장치, 기억된 내용을 읽을 수는 있어도 바꿀 수는 없는 반도체 기억 장치, 전원이 끊겨도 기억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기억 장치, 데이터나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핵심적인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장치, 전원이 끊어져도 내용이 소멸되지 아니하는 기억장치, 일단 기억된 내용을 다시 변경할 수 없는 롬, 한번 데이터를 기록하면 바꾸지 못하는 장치, 마스크롬(Mask ROM), 마치 책을 대량 인쇄하듯이 반도체 생산 공정인 마스킹 단계에서 고정된 데이터 회로 패턴으로 생산되는 마스크롬(Mask ROM), 피롬(PROM, Programable ROM), 생산 후에 사용자가 내용을 한 번만 기록할 수 있는 롬, OTP(One Time Programable) 롬,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자외선을 이용하여 기억된 내용을 지우고 다시 기록할 수 있는 롬,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PROM),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기억된 내용을 지우고 다시 기록할 수 있는 롬 등이다.
상기 소자는 칩, 소자, 素子, element, 회로, 센서, 진자, 자심, 코일, 앰프, 기판, 모듈, 부품, 저항, 콘덴서, 저항체, 진동자, 가진자, 회전자, 인덕터, 안테나, 진공관, 바리콘, 전기회로, 집적회로, 빛소자, 열소자, 광소자, 발광소자, 능동소자, 수동소자, 전기소자, 전자소자, 통신소자, 자화소자, 진동소자, 가진소자, 오존소자, 회전소자, 압전소자, 열전소자, 발열소자, 온열조사, 냉온소자, 온냉소자, 센서소자, 장비소자, 장치소자, 집적소자, 복합소자, UV소자, IC소자, ICT소자, IoT소자, LED소자, GPS소자, 캐패시터, 저항코일, 다이오드, 서미스터, 페라이트, 마그네트, 마그네트론, 트랜지스터, 트랜스포머, 변압기, 음이온소자, 펠티에소자, 반도체소자, 이중 둘 이상 복합소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자화소자, 진동소자, 가진소자, 오존소자, 음이온소자는 자화, 진동, 가진, 파동, 오존발생, 음이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소자이다.
상기 능동소자는 전류, 전기신호 등을 증폭(amplify), 정류(rectify) 등을 하거나, 또는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수동소자는 공급된 전기, 전압, 전력(power) 등을 저장, 방출, 소비 등을 하거나, 또는 주어진 전기, 신호, 전력 등에 대해 능동적으로 제어하지 않는 소자들로서, 저항(resistor), 축전기(capacitor), 인덕터(inductor)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저항은 전류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소자,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소자 등이며 R로 표기한다. 상기 축전기는 축전기, 배터리, 축전지, 또는 전하를 저장해 두는 소자로서 C로 표기하고, 이는 이격된 2개의 도체판 사이에 절연체가 채워져 있어 전기적 연결을 막는 것으로, 축전기에 전압이 걸리면 각 판의 표면과 절연체의 경계 부분에 부호는 반대이고 전하량의 크기는 같은 전하가 비축된다. 상기 인덕터는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로 유도기전력을 형성하는 소자이며 L로 표기하고, 주로 고리 또는 코일 형태를 가진다.
상기 진자는 진자, 소자, 가진자. 진동자, 振子, pendulum, 단진자(單振子), 복진자(複振子), 용수철진자, 비틀림진자, 탄성력의 작용으로 진동하는 것, 줄 또는 실에 매달려 흔들리는 추, 진동운동을 반복하는 추 또는 물체, 고정된 한 축이나 점의 주위를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는 추 또는 물체. 줄 또는 실에 매달려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왕복운동하는 추 또는 물체, 중력이나 탄성력 등의 힘에 의해 평형점을 중심으로 진동운동을 반복하는 추 또는 물체, 이중 둘 이상 복합진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단자는 단자, terminal, 端子, 전기회로나 전기기기 등에서 전류의 입력이나 출력부분에 전극을 접속시키기 위해 붙이는 쇠붙이, 전기장치가 외부의 회로와 연결되는 부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지는 전지, 배터리, 건전지, 충전지, 충전기, 태양전지, 수소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판, 수소연료전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극, 양극, 음극, 폴대, 자침, 코일, 나선, 노끈, 지퍼, 쟈크, 처크, 후크, 헤드, 테일 등은 전극, electrode, 양극, anode, 음극, cathode, 폴대, pole rod, 자침, 磁針, magnetic needle, 코일, coil, 나선, 螺線, screw, 노끈, string, twine, 지퍼, zipper, zip, 쟈크, 처크, chuck, magnetic chuck, 후크, hook, 헤드, head, 테일, tail 등이 해당된다. 상기 히터, 쿨러 등은 히터, 쿨러, 열선, 전선, 탄소선, 저항선, 저항열선, 전기저항열선, 열전기, 펠티에소자 등이 해당된다.
상기 회로는 회로, 전기회로, 전자회로, 가동회로, 운전회로, 장치회로, 장비회로, 기구회로, 기계회로, 집적회로, 논리회로, 닫힌회로, 열린회로, 직렬회로, 병렬회로, 직류회로, 교류회로, 센서회로, 회로센서, IC, IC회로, IC센서, IT회로, ICT회로, LC회로, LR회로, RLC회로, 시스템회로, 반도체회로, 전류가 흐르는 통로, 이중 둘 이상 복합회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닫힌회로(closed circuit)는 회로의 시작점이 끝점이 연결되어 있는 회로, 열린회로(open circuit)는 회로의 시작점이 끝점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 회로, 직렬회로(series circuit)는 회로요소들이 순서대로 일렬로 연결된 회로, 병렬회로(parallel circuit)는 회로요소들이 평행하게 연결된 회로, 직류회로(direct current circuit)는 직류전원이 걸리는 회로, 교류회로(alternating current circuit)는 교류전원이 걸리는 회로 등이 해당된다. 통상 회로는 전기에너지인 전원(power), 전기에너지를 받아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하(load), 상기 전원과 부하를 연결해주는 전선(conducting wir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에는 서버, server, 정보제공서버, 데이타제공서버, 커뮤니케이션서버, 프린터를 제어하는 서버, 파일 관리하는 서버, 네트워크를 감시·제어하는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근거리통신망(LAN)에서 집약적인 처리기능을 서비스하는 서브시스템,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 메인프레임이나 공중망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하는 서버, 데이터·프로그램·파일·소프트웨어를 지원이나 서버,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 자신의 하드디스크에 담겨진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컴퓨터, 자신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허브, hub, 중심, 핵심, 중심지, 핵심지, 중심장치, 핵심장치, PC허브, 컴퓨터허브, 인터넷허브, WiFi넷허브, 중앙처리장치, 중앙처리허브, 중심이 되는 곳. 중심이 되는 장치. 중심이 되는 장소. 자전거 바퀴의 살이 모여 있는 중심축, 여러개의 신호가 집중되는 장치, 신호를 여러 개의 다른 선으로 분산시켜 내보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카드는 카드, card, ID카드, 인식카드, 식별카드, 개인카드, 신용카드, 주민카드, 근로자카드, 개인식별카드, IT카드, USB카드, USIM카드, 메모리카드, 디스크카드, 디지털카드, SD카드, 미디어카드(MC), 멀티미디어카드(MMC), 스캐너로 인식되는 카드, 단말기로 인식되는 카드, 출입시에 스캐너로 인식되는 카드, 판형의 물체, 작고 얇은 직사각형의 종이나 플라스틱 등이다. 상기 SD카드는 SD카드, Secure Digital Card, Secure Digital memory card, 우표 크기의 메모리 카드, 우표 크기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 핀의 수가 11개인 카드, 휴대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등이다. 상기 SD카드는 카메라, 휴대전화, 노트북컴퓨터, 디지털캠코더, 디지털제품,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 디지털카메라, 디지털뮤직플레이어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모듈, module, IC모듈, IT모듈, PC모듈, AI모듈, VR모듈, AR모듈, MR모듈, 5G모듈, 메타모듈, 버스모듈, 소자모듈, ICT모듈, LED모듈, IoT모듈, IoE모듈, LTE모듈, WiFi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NOT 게이트, 메모리 모듈, RAM과 같은 메모리 모듈,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구비된 모듈, USIM과 메모리카드가 내장된 모듈, 프로그램의 기능을 독립적인 부품으로 분리한 것, 서브루틴과 데이터 구조의 집합체, 컴파일 가능한 단위, 건축물을 지을 때 기준으로 삼는 치수, 조립식 건축물의 기준 단위, 기어의 톱니 크기를 나타낸 값,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분할한 논리적인 일부분. 컴퓨터 시스템에서 부품을 떼 내어 교환이 쉽도록 설계되어 있을 때의 각 부분,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일부, 전체 또는 시스템 또는 체계 중 독립적인 구성 요소, 전체 또는 시스템 또는 체계 중 다른 구성 요소와 독립적인 하나의 구성 요소, 컴퓨터 내에서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회로 보드로 패키지화 된 독립적인 전자 회로 등이 해당된다. 모듈의 인터페이스는 모듈에 의해 제공되거나 필요로 되는 요소들을 표현한다. 모듈의 개념을 지원하는 언어로는 Ada, FORTRAN, Pascal, Python, Ruby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모듈의 개념을 패키지라 부르기도 한다.
상기 모뎀은 모뎀, modem, 변조장치, 복조장치, 변복조장치, 통신모뎀, 송신모뎀, 수신모뎀, 정보송신모뎀, 정보수신모뎀, 컴퓨터모뎀, 인터넷모뎀, IT모뎀, IC모뎀, PC모뎀, AI모뎀, VR모뎀, AR모뎀, MR모뎀, 5G모뎀, 메타모뎀, 버스모뎀, 소자모뎀, ICT모뎀, LED모뎀, IoT모뎀, IoE모뎀, LTE모뎀, WiFi모뎀, 비콘모뎀, 직류/교류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 온라인 시스템 모뎀,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구비된 모뎀, USIM과 메모리카드가 내장된 모뎀, 직류 디지탈 신호를 교류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모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바꾸는 모뎀, 통신회선을 사용하여 컴퓨터와 단말기의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직류/교류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 통신시설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되는 신호를 바꾸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예로는 USIM과 메모리카드가 내장된 LTE모뎀으로서 LTE 통신이 되고, USIM으로 위치 추적이 되고, 메모리카드로 정보나 영상을 저장하는 모뎀이다. 상기의 다른 예로는 작업자에 구비된 카메라, 메모리카드와 USIM이 내장된 LTE모뎀,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어 배터리에서 카메라 또는 모뎀에 전원이 공급되고,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메모리카드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이 LTE 통신으로 무선 전송되고, USIM으로 작업자의 위치가 자동 추적되고, 상기 전송된 영상이나 작업자의 위치 이동을 PC나 모니터나 핸드폰으로 시청하는 것이다. 상기의 다른 예로는 현장에 설치된 센서, 메모리카드와 USIM이 내장된 LTE모뎀,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어 배터리에서 센서나 모뎀에 전원이 공급되고, 센서로 각종 계측이 실시되고, 상기 계측 정보를 메모리카드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가 LTE 통신으로 무선 전송되고, USIM으로 센서나 작업자의 위치가 자동 추적되고, 상기 전송된 정보이나 위치 등을 관제센터의 PC나 모니터나 핸드폰으로 시청하는 것이다.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 위치 등은 PC나 모니터나 핸드폰에 활성화된 또는 제공되는 맵, 지도, map, GPS맵, 등고선 등에 표시 또는 시청이 가능하다.
유닛은 유닛, Unit, 단위, 구성 단위, 개, 한개, 세트, 부대, 단체, MCU, 컴퓨터유닛 등이다. 상기 MCU는 Micro Controller Unit, 특정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 전자제품의 두뇌역할을 하는 핵심칩, 비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특정 목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이식된 반도체칩, 롬(ROM)과 램(RAM) 회로가 내장, 원칩(One Chip) 컴퓨터, 마이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입출력 모듈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져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CPU 코어와 메모리와 입/출력디바이스를 가진 유닛, 임베디드 시스템에 사용 등이다.
상기 기판은 기판, 基板, 칩판, IC판, IC회로판, 전자회로판, substrate, 실리콘기판, 회로기판, 연성기판, 연성회로기판, IC를 만들기 위한 실리콘의 박판, 전자 회로를 만들기 위한 적층판, 반도체 집적회로의 실리콘 박편, 전기회로가 편성되어 있는 판, 절연기판 표면에 도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절연재료, 집적회로나 고밀도 집적회로 등의 회로가 복사되어 있는 실리콘의 단결정판(單結晶板), 표면에 구리 박(箔)으로 배선되어 집적회로나 저항 등의 전기 부품을 장치해 사용하는 합성수지판, 유리천이나 종이 기재(基材)나 에폭시 수지 적층판에 동박을 입히고 동박의 일부분을 에칭하여 전자 회로를 만들기 위한 적층판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모터는 모터, motor, 동력 발생기, 저압모터, 고압모터, 방폭모터, 방폭서보, 서보모터, BLDC모터, 리니어모터, 전기 에너지로부터 회전력을 얻는 기계, 동력에 의하여 스테이터의 내부에 거치된 로터가 회전하는 장치, 회전자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고정자의 자기장 사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회전력이 발생하는 장치 등이다.
상기 기판의 예로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된 전도막, 전도성 잉크 조성물로 형성되는 전도막, 상기 들이 포함되는 전도성 기판, 베이스 필름, 세라믹 및 에폭시 재질의 혼합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연결 회로, 상기 연결 회로를 형성하도록 도금되는 전도층, 상기 전도층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커버 필름, 폴리이미드(Polymide) 재질의 커버 필름, 상기 커버 필름의 표면에 부착되는 보강 테이프, 폴리이미드(Polymide) 재질의 보강 테이프, 상기 들이 포함되는 연성회로기판, 벌크기판, 상기 벌크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퇴적층,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면서 상기 반도체 층에 입사한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산란층, 규소박막을 함유하는 기판, 전기전도성인 탄화규소 결정의 표면에 결정 성장시킨 규소박막을 함유하는 기판, 단부에 노치(notch)를 갖는 기판, 단부에 노치(notch)를 갖는 반도체기판, 나노와이어가 결정성장된 반도체 기판, 성장기판, 이의 상부에 증착된 금속막, 상기 금속막에 형성된 금속층, 상기 금속층에 형성되는 씨드층, 상기 씨드층 상부에 형성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과 분리구조를 가지는 상기 성장기판, 양측을 가진 기판, 일측에 배치되는 회로 패턴, 타측에 배치되는 코일 패턴, 타측에 형성되는 칩, 상기 회로 패턴과 대응하는 비아, 상기 비아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
금속층, 구리(Cu)를 포함하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폴리이미드(polymide)를 포함하는 절연층,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를 포함하는 절연층, 상기 금속층과 절연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몰딩부, 상기 금속층 상에 실장되는 칩, 반도체 IC, 상하 수지층에 삽입되는 반도체 IC, 상기 수지층의 표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 금속층, 이를 피막할 세라믹 기판, 전도성 폴리머가 도포된 세라믹 기판, 전도성 폴리머층 상부에 도금된 회로용 금속막, 기판에 부착되는 열전 반도체 소자, 기판의 열전 반도체 소자가 부착되는 위치에 도포되는 전도성 폴리머, 기판에 부착되는 열전 반도체 소자의 접착 부위에 도금되는 고정용 금속, 기판의 열전 반도체 소자가 부착될 위치에 위치되는 열전 반도체 소자 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등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은 노즐, 디퓨저, 분사노즐, 비데노즐, 스팀노즐, 공기노즐, 압기노즐, 소방 노즐, 살수전(撒水栓) 노즐, 원추형 노즐, 부채형 노즐, 봉상형 노즐, 방사형 노즐, nozzle, 분무기, 자동차의 기화기(氣化器)노즐, 물체의 분출구, 분출구의 단면적이 작은 선세(先細)노즐, 분출구의 단면적이 큰 말광(末廣)노즐, 기체나 액체를 분출시키는 콕이나 꼭지나 단관(短管),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관, 유체(流體)의 높은 압력을 속도로 바꾸는 노즐, 내연 기관의 연료분사 노즐, 제트 엔진의 배기 노즐, 로켓의 배기 노즐, 유체 흐름이 통과하는 뾰족한 형태의 관끝, 압력 에너지를 속도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관, 끝이 가느다란 노즐, 끝조림노즐, 수축노즐, 중간에 가늘어지고 선단이 넓어지는 발산노즐 또는 확대노즐, 유로면적을 좁혔다가 넓혀 초음속의 분류(噴流)를 얻는 노즐, 충돌판(467) 및 확산콘(468)이 구비된 노즐(466), 내부에 충돌판(467)과 선단에 확산콘(468)이 구비된 노즐, 내부에 와류판(467)과 선단에 확장부(468)가 구비된 노즐(466), 액체 또는 기체를 고속으로 분출시키기 위해 유로(流路) 끝에 다는 가는 관, 고압의 물체를 분출시킬 때 분출 단면적을 작게 하여 압력에너지를 속도에너지로 변경하는 것 또는 노즐, 수차(水車)나 증기터빈에서 물 또는 증기를 노즐로부터 분출시켜 날개차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속도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전환하는 것, 자신의 생김새가 또는 물질이 분사되는 형태가 원추형, 부채형, 봉상형, 방사형 등인 노즐 등이다.
상기 디퓨저는 노즐, 디퓨저, 확산기, 분산기, 분사기, 살수기, 물분사기, 향수분사기, 농약분사기, 모기약분사기, 먼지제거분사기, 공기청정제분사기, diffuser, diffusor, 전동식 에어펌프에 의한 공기의 압력으로 통 속의 액체를 공기중에 확산시키는 기구, 물리적 원리를 이용해 확대관을 통하여 향수와 같은 액체를 담아서 향기를 퍼지게 하는 소품, 향기를 널리 퍼트리기 위한 용도의 디퓨저, 펌프에 의한 공기의 유속을 이용하여 액체를 확산하는 확대관, 중간에 축소부(477)가 있는 관, 중간에 충돌판(467)이 있는 관, 선단에 확대부(468)가 있는 관, 벤츄리관(477)이 구비된 관, 중간에 축소부(477)가 있고 상기 축소부의 외부로 튜브 또는 인젝터(393)가 구비된 관, 메인 물질이 통과되는 자신의 중간에 축소부가 있고 상기 축소부의 외부로 거치되면서 상기 축소부로 첨가 물질이 유입되도록 하는 튜브 또는 인젝터가 구비된 관, 메인 물질이 통과되는 자신의 중간에 축소부가 있고 상기 축소부의 외부로 거치되면서 상기 축소부로 첨가 물질이 유입되도록 하는 튜브 또는 인젝터가 있고 상기 튜브 또는 인젝터의 일단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관, 메인 물질이 통과되는 자신의 중간에 축소부(477)가 있고 상기 축소부의 외부로 거치되면서 상기 축소부로 첨가 물질이 유입되도록 하는 튜브 또는 인젝터(393)가 있고 상기 튜브 또는 인젝터의 일단에 체크밸브(491)가 있고 상기 체크밸브의 일단에 솔레노이드밸브(492)가 구비된 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92)에 타이머(498)가 연계된 관, 충돌판(467) 및 확산콘(468)이 구비된 디퓨저(466), 내부에 충돌판(467)과 선단에 확산콘(468)이 구비된 디퓨저, 내부에 와류판(467)과 선단에 확장부(468)가 구비된 디퓨저(466) 등이다.
상기 디퓨저의 예로는 액체 또는 공기청정제가 저장된 용기, 이의 뚜껑에서 내부로 투입된 중공형 대롱 또는 빨대, 상기 대롱 또는 빨대의 선단에 거치된 벤츄리관, 상기 벤츄리관에 압력을 가하는 펌프 또는 완력 가압기 또는 손으로 방아쇠를 당기면 공기압력이 발생하는 가압기, 상기 용기에 내재된 액체, 상기 펌프 또는 가압기에 의한 압축공기,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벤츄리관 통과, 상기 통과 시에 압축공기의 유속 증가, 상기 유속 증가에 의하여 상기 벤츄리관에 압력 감소, 상기 감소에 의하여 부압 발생, 상기 부압에 의하여 상기 용기에 내재된 액체가 대롱 또는 빨대를 통하여 상승, 상기 상승된 액체가 상기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벤츄리관을 통하여 공중으로 분사 등의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이는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농약분사기, 향수분사기, 모기약분사기의 예이다.
상기 인버터는 a) 인버터, inverter, 전력변환장치, 역변환(逆變換)하는 장치, 직류 → 교류로 하는 역변환(逆變換) 장치, 직렬형 인버터, 병렬형 인버터, 단상(單相) 인버터, 다상 정류회로 인버터,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역변환장치). 자려식(自勵式) 인버터, 타려식 인버터, 정지형(靜止形) 인버터(static inverter), CVCF(고정전압 고정주파수) 인버터, 固定電壓 固定周波數 인버터,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인버터, 可變電壓 可變周波數 인버터, 직류 측에 리액터(reactor)를 갖춘 전류형 인버터, 콘덴서(condenser)를 갖춘 전압형 인버터, 출력진폭을 변조(變調)하는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인버터, 출력 시간폭(時間幅)을 변조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인버터, 주파수를 바꾸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바꾸는 장치, 회로 자체의 진상장치(進相裝置:경류장치)에 의해 전류(轉流)하고 외부로부터는 무효전력의 보상을 받지 않는 자려식 인버터, 외부로부터는 무효전력의 보상을 받는 타려식 인버터, 사이리스터(Thyristor) 인버터, GTO(gate turn off) 인버터, 파워트랜지스터(power transistor) 인버터,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인버터; b) 교류 → 컨버터 → 직류 → 인버터 등으로 이용 가능; c) 또는 사이리스터(Thyristor), GTO(gate turn off), 파워트랜지스터(power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을 사용하는 인버터; d) 또는 사이리스터(Thyristor), GTO(gate turn off), 파워트랜지스터(power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을 스위칭(switching:전류의 on, off) 소자(素子, component, element)로 한 인버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컨버터는 컨버터, 변환기, 變換器, 變換機, converter, 트랜스듀서(transducer), 트랜스듀서센서(transducer sensor), 교류 → 직류로 하는 순변환(順變換) 장치, 신호 또는 에너지의 모양을 바꾸는 장치, 회로망 변환기, 회전력을 변환시키는 변환기, 회전력을 변환시키는 토크 변환기, 주파수 변환기,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변환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변환기, 신호 또는 에너지의 모양을 바꾸는 장치, 유해가스를 무해가스로 변환시키는 촉매 변환기,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사이클로컨버터(cycloconverter), 사이리스터(thyristor)의 전력용 반도체를 사용하는 컨버터, 직류신호를 교류로 변환하는 단속기(斷續器), 진공열전쌍(眞空熱電雙)을 써서 교류전류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 50Hz의 AC전압을 60Hz로 변환하는 컨버터, 50Hz의 AC전압을 60Hz의 DC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UHF의 전파를 VHF에 변환하는 주파수 컨버터,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변환하는 D/A 컨버터 또는 A/D 컨버터 등이 있다.
상기 주유기, 주유소, 충전기, 충전소 등은 a) 유류, 기름, 등유, 경유, 휘발유, 가스, 수소, 산소, 전기, 전류, 전압, 전원, 전력, 동력, 교류, AC, 교류, alternating current, 직류, DC, direct current, 에너지, 에너지원 등을 주유, 주입, 투입, 충전, 충진, 채움, 차지, charge, 차징, charging, 생산충전, 생산주입 등을 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계, 시설, 설비, 시스템, 소, 所, 곳, 장소, 場所, 주유기, 주유소, 충전기, 충전대, 충전소, 전지, 태양전지,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간이 주유기, 간이 주유소, 간이 충전기, 간이 충전소, 급속 주유기, 급속 주유소, 급속 충전기, 급속 충전소, 유류 주유기, 휘발유 주유소, 전기 충전기, 전기 충전소, 수소 충전기, 수소 충전소, 자동차 충전기, 전기자동차 충전기; b) 이중 둘 이상 복합기; c) 상기 수단 또는 통신기 또는 단말기가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다.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차 충전기, 電氣車 充電器,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ger 등으로서, 충전 속도에 따라 급속충전기와 완속충전기로 나뉜다. 완속충전 방식의 경우 미국, 일본, 한국 등이 공통으로 채택해 전기차 제조사나 사용자가 불편이 작은 데 비해 급속충전은 국가와 제조사마다 방식이 상이해 표준화 경쟁이 진행되고 있다. 급속충전기는 완전방전 상태에서 30분 만에 신속히 충전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설치비용이 많이 들어 고속도로 휴게소, 공공기관, 대형마트 등에 설치된다. 고용량의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주로 50kW급(충전시간 15~30분)이 설치된다. 완속충전기는 완전방전에서 완전 충전까지 약 4~6시간이 소요되는데, 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 가정용으로 설치된다. 배터리 용량은 약 3~7kW 전력용량(충전 시간 4~5시간)을 가진 충전기가 주로 사용된다. 전기차 충전기는 설치유형에 따라 벽부형 충전기, 스탠드형 충전기, 이동형 충전기로 분류할 수 있다. 벽부형 충전기와 스탠드형 충전기의 경우 용량이 3~7kW며, 충전시간은 약 4~6시간이 소요된다. 이동형 충전기는 용량이 최대 3kW이며 충전시간은 약 6~9시간이 소요된다.
전기차 충전기의 예로는 a) 탱크, 파이프, 주유기, 주유호스, 손잡이, 노즐 등으로 또는 순으로 구성되는 주유기; b) 전지로 전기를 생산하고 상기 생산된 전기를 충전기로 충전하는 시설; c) 태양전지 또는 연료전지로 전기를 생산하고 상기 생산된 전기를 충전기로 충전하는 시설; d) 전기 또는 배터리, 이에 연결되는 전선, 이에 연결되는 전기 충전기, 이가 거치된 충전소 등이 구비된 시설; e) 충전기, 단말기, 통신망, 통합관제장치 등이 구비되는 충전소; f) 주전력 공급기, 보조전력 공급 연료전지, 전기차의 전기충전 요구시간을 입력하는 입력기, 전기차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충전필요전력량을 측정하는 계측기, 자동차에 필요한 공급전력을 결정하는 논리기, 자동차에 공급되는 전력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기, 연료전지의 작동 및 출력을 제어하는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는 전기 충전기; 등이 있다.
본 발명에는 충전, 전기충전, 수소충전, 유류충전, 가스충전, 기기충전, 기계충전, 차충전, 차량충전, 전기차충전, 수소차충전, 핸드폰충전, ESS충전, 파워뱅크충전, 배터리충전, 보조배터리충전, 보조배터리(798)로 충전, 보조배터리(798)로 자동차 충전, 보조배터리로 전기자동차 충전, 트렁크(797)나 차량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98)로 전기자동차 충전, 트렁크(797)나 차량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98)에 잭이나 케이블(799)을 연결하여 전기자동차 또는 이의 배터리(807) 충전, 보조배터리 이용, 기충전된 보조배터리 이용, 트렁크(797)나 차량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98) 이용, 트렁크(797)나 차량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98)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807)로 이용, 트렁크(797)나 차량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98)를 전기자동차 충전구(796) 또는 배터리(807)의 충전용으로 이용, 자동차에 장착된 주배터리(807) 또는 메인배터리(807)의 비상용으로 보조배터리(798) 이용, 자동차에 장착된 주배터리(807) 또는 메인배터리(807)의 소모시에 예비용으로 자동차나 트렁크(797)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98) 이용, 보조배터리 구비, 기충전된 보조배터리 구비, 트렁크(797)나 차량에 기충전된 보조배터리 구비, 비상용으로 트렁크나 차량에 기충전된 보조배터리 구비, 전기자동차의 배터리(807) 방전시에 차량이나 트렁크(797)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98)를 동력원으로 이용,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방전시에 트렁크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98)를 꺼내어(790) 여기에 잭이나 케이블(799)을 연결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구(796) 또는 배터리(807) 충전, 트렁크나 차량에 탑재된 보조배터리를 자동차의 동력원 또는 보조동력원으로 이용, 트렁크나 차량에 탑재된 보조배터리를 전기자동차의 동력원 또는 보조동력원으로 이용, 도로충전, 휴게소충전, 주차장충전, 충전도로충전, 충전기충전, 전기충전기충전, 수소충전기충전, 유류충전기충전, 무선충전도로 이용, 무선충전도로에 차량을 정차하여 충전, 무선충전도로에 차량을 정차하여 차량의 배터리 충전, 도로 또는 휴게소 또는 주차장에 정차 또는 주차하여 충전, 전기가 공급되는 도로 또는 휴게소 또는 주차장에 정차 또는 주차하여 충전, 충전시설이 설치된 도로 또는 휴게소 또는 주차장에 정차 또는 주차하여 충전, 배터리교체, 배터리교체소에서 배터리 교체, 배터리교체소에서 자동차 배터리 교체, 배터리 구매, 주행 중에 배터리 구매, 휴게소나 정비소나 배터리판매소에서 배터리 구매, 휴게소나 정비소나 배터리판매소에서 자동차 배터리 구입, 휴게소나 정비소나 배터리판매소에서 자동차 배터리 구입하여 자동차 배터리로 사용 또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휴게소나 정비소나 배터리판매소에서 배터리를 구매하여 자동차 배터리로 이용 또는 자동차 배터리의 충전에 이용 등이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 보조배터리 등은 배터리, 충전지, 충전기, 건전지, 보조배터리, 전기배터리, ESS, 파워뱅크 등이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의 예로는 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798) 제조, 보조배터리 생산, 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798) 판매, 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798) 구매, 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798) 충전, 휴대형, 사람휴대형, 고정형, 일정장소에 고정형, 이동형, 사람이나 차량으로 이동형, 소지형, 사람소지형, 탑재형, 차량탑재형, 박스형(780), 박스형상의 박스형(780), 케이스형, 배터리(19)가 케이스(786)에 내장된 케이스형, 멜빵형(781), 멜빵(782)이 구비된 멜빵형, 사람의 어께에 메는 멜빵(782)이 구비된 멜빵형, 캐리어형(783), 사람이 끌어 이동할 수 있는 캐리어형(783), 충전형, 방전형, 충방전형, 충방전반복형, 충전과 방전의 반복형,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충방전반복형, 배터리(19)가 내장된 박스형(780), 배터리(19)가 내장된 멜빵형(781), 배터리(19)가 내장된 캐리어형(783), 박스(786)에 배터리(19)가 내장된 박스형(780), 케이스(786)에 배터리(19)가 내장된 멜빵형(781), 케이스(786)에 배터리(19)가 내장된 캐리어형(783), 손잡이(784)가 구비된 캐리어형, 손잡이(784)와 바퀴(785)가 구비된 캐리어형(783), 여행용 캐리어 형상, 여행용 캐리어 싸이즈, 작고 이동하기 편함, 바퀴 달림, 손잡이(784) 구비, 보조배터리 본체(786) 또는 케이스(786)와 이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785)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784)로 구성, 배터리(19)가 내장되면서 가방에 해당되는 보조배터리 본체(786) 또는 케이스(786)와 이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785)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길이가 조정되는 손잡이(784)로 구성, 상기 구성된 여행용 가방 또는 여행용 캐리어, 내부에 리튬이온 배터리(19) 존치, 언제 어디서나 충전 할 수 있도록 휴대성이 좋음, 4kwh 용량, 6kwh 용량, 8kwh 용량, 10kwh 용량, 15kwh 용량, 20kwh 용량, 집이나 가정에서 플러그에 꽂아서 충전, 집이나 가정에서 스마트폰 보조배터리처럼 가정용 플러그에 꽂아서 충전, 낮 시간에 전기요금이 비싸기 때문에 밤이나 새벽에 충전을 알려줌, 전용앱으로 전기요금이 저렴한 충전시간대를 설정 또는 알려줌, 실시간 충전 상태 확인 가능, 실시간 충전 상태를 핸드폰에 통지, 차량이나 트렁트에 보조배터리 탑재, 주행 중에 차량의 배터리 소모 또는 방전 시에 보조배터리 이용, 주행 중에 차량의 배터리 소모 또는 방전 시에 트렁크에 탑재된 보조배터리에서 자동으로 전기가 공급되어 차량 주행 지속, 차량의 배터리 소모 또는 방전 시에 트렁크(797)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98)에 잭이나 케이블(799)을 연결하여 차량의 배터리(807) 충전, 차량의 배터리(807) 소모 또는 방전 시에 트렁크(797)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98)에서 차량의 충전구(796) 또는 배터리(807)에 전기 공급, 30분 충전에 20~40마일(32km~64km) 주행, 60분 충전에 40~80마일(64km~128km) 주행, 주행하면서 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배터리를 자동 충전, 주행하면서 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배터리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또는 자동 충전, 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배터리에 연결되어 자동차 배터리 잔량에 따라 자동차 배터리를 충전 또는 자동 충전 등이 해당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 ESS,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등의 예로는 a) 배터리(19), 이가 내장된 가방 또는 본체 또는 케이스(786), 이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 또는 이동수단(785),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핸들 또는 손잡이(784), 상기 케이스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핸들 또는 손잡이, 상기 케이스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공간,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바 또는 대(787), 바 또는 대(787)의 일단에 구비된 잡이 또는 손잡이(784), 상기 배터리 또는 케이스에 장착된 잭이나 콘센트 또는 케이블(799), 상기 콘센트에 인입되는 잭이나 플러그, 상기 잭이나 플러그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잭이나 케이블의 일단에 구비된 플러그,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가 연결되는 전기시설,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가 연결되는 집이나 가정의 전기시설,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가 연결되는 집이나 가정의 콘센트, 상기 연결에 의하여 충전되는 상기 배터리 또는 케이스, 상기 충전시키는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 상기 잭이나 플러그(799)가 인입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구(796) 또는 콘센트, 상기 잭이나 케이블이 연결되는 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배터리, 상기 인입 또는 연결에 의하여 의하여 자동차의 배터리(807)를 충전시키는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 상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에 의하여 방전되는 또는 전기가 소모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786)에 내장된 배터리(19), 상기 방전 또는 소모 후에 재충전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배터리(19), 상기 재충전을 위하여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799)가 전기시설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배터리(19), 상기 전기시설에 연결되는 재충전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786)에 내장된 배터리(19); b) 이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배터리, ESS,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배터리, ESS,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등은 배터리, ESS,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전원공급기, 파워서플라이어, power suppli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정류기는 정류기, 整流器, Rectifier,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 전류를 일정하게 보내는 장치,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바꾸는 장치, 전동 직류 발전기, 변압 정류기, 셀레늄 정류기, 실리콘 정류기, 사이리스터 정류기, 전자관 정류기, 다이오드, 진공관(vacuum tube) 정류기, 가스관(gas-filled tube) 정류기, 정류관(rectifier tube) 정류기, 반도체소자 기반 p-n 접합 다이오드의 정류기, 전환기 조정 방식 정류기, 유도 전압 조정 방식 정류기, 사이리스터 조정 방식 정류기, 가포화(可飽和) 리액터 조정 방식 정류기, 트랜지스터 조정 방식 정류기, 교류전력에서 직류전력을 얻는 전기적 회로소자(回路素子), 교류 전류를 정류하는 장치. 가스 든 방전관, 금속 정류기, 반도체 다이오드, 사이리스터, 전자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전자의 밸브작용을 하는 장치, 교류를 직류 출력으로 정류하는 장치, AC 전류를 DC 전류로 전환하는 장치, 파워서플라이에 사용되는 정류기, 다이오드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장치, 정류 회로를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장치, 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소자, 정류 작용을 하는 소자, 전기를 한 방향으로만 통과시키는 반도체·진공관·방전관 또는 회전접점·진동접점 등이다. 상기 정류관은 관(tube)형태의 정류기, 정류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든 진공관, 기체를 소량 주입한 가스관(또는 방전관) 등이다. 상기 진공관은 관 내부를 진공으로 한 소자, 진공에 의해 전기적으로 떨어져 있는 캐소드(cathode)와 어노드(anode) 사이에 전류를 선택적으로 흐르게 하는 소자, 단자가 캐소드와 어노드의 2개인 이극진공관, 캐소드(K; Kathode-독일어)에 음의 전압과 어노드인 판(P; plate)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가 캐소드에서 어노드로 흐르게 되는 정류기, 상기 캐소드에 열을 가하여 열전자 방출을 유도하여 K에서 발생한 열전자가 K보다 높은 전위를 가진 P로 이동하여 진공관 내에서 전자가 K에서 P로 흐르므로 전류는 P에서 K방향으로 흘러 나와 회로를 통해 다시 P로 흐르게 하는 관(tube) 등이다. 상기 가스관(gas-filled tube) 또는 방전관은 캐소드에서 방출된 전자가 관 내에 주입된 기체와 반응하여 이차전자를 생성하게 함으로써 높은 전류가 흐르게 하는 관이다. 상기 p-n 접합 다이오드는 전자가 많은 n형 반도체와 양공이 p형 반도체를 겹쳐 두 반도체의 경계면에서 양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전하 운반자가 없는 결핍층(depletion layer)이 형성되어 p형 반도체 쪽에는 음의 공간 전하(space charge)가 생이고 n형 반도체 쪽에는 양의 공간 전하가 생겨 이 공간 전하 분포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n형 반도체 쪽에 높은 전위가 형성됨으로 전류가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이다. 상기 사이리스터는 양극과 음극 외에 게이트라는 제3전극을 가진 정류기이다.
상기 정압기는 정압기, 整壓器, 定壓機, 전압을 일정하게 보내는 장치, 가스를 일정하게 고정된 압력으로 내보내는 기계 등이다. 상기 정전기는 정전기, 整電氣, static electricity, 靜電氣, 일정한 전기를 보내는 장치 등이다. 상기 정류자는 정류자, Commutator, 전동기나 발전기 등에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유지시켜주는 장치 등이다. 상기 변류기는 변류기, 變流器, current transformer, 전류를 변환시키는 장치, 교류의 큰 전류에서 그것에 비례하는 작은 전류를 얻는 장치 등이다.
상기 발전기는 발전기, Generator, 전지, 전지판, 배터리, 발전기, 태양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판,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수력발전기, 조력발전기, 파력발전기, 전기발전기, 수소연료전지, 역학적 발전기, 직류발전기, 교류발전기, 압전 발전기, 나노 발전기, 열전 발전기, 열전기 이용 발전기, 압전소자 발전기, 열전소자 이용 발전기, 태양전지 발전기, 역학적 힘이나 열로 전기를 얻는 장치 등이다. 상기 나노발전기는 나노발전기, Nanogenerator, 마찰전기 나노발전기, Triboelectric nanogenerator, 마찰전기(Triboelectricity)를 생성하는 발전기, 대전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는 장치, 압전현상을 이용하는 압전(피에조) 나노발전기, 나노와이어의 변형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장치, 서로 다른 두 물질을 마찰시켜 +와 -로 각각 대전시켜 전기를 발생하는 장치, +를 가지는 원자핵과 -를 가지는 전자에서 마찰을 통해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전기를 띠고 전자를 얻으면 -전기를 띠게 되는 장치, +극과 -극처럼 전류를 흐르게하기 위해 대항하도록 설치한 전극인 대전극을 이용하는 발전기, + 또는 -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을 서로 이동시키거나 문질러서 정전기적 변위를 발생시켜 정전기적인 전기 효과를 이용하는 나노발전기, 외력을 받아 변형되는 와이어에서 늘어나는 부위는 양(V+)의 전기적 전위를 나타내고 압축된 부위는 음(V-)의 전기적 전위를 일으키는 장치, 플렉서블한 나노와이어(nanowire, 머리카락 굵기의 1/1,000)인 금속체(Ni, Pt, Au 등)과 반도체(Si, InP, GaN, ZnO 등) 그리고 절연체(SiO2, TiO2 등)를 이용하여 대전극(counter electrode)을 형성시켜 발전하는 장치, 마찰이나 충격, 이동, 열 등의 물리적 변화에 의해 기계적/열적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 등이다.
상기 콘덴서는 콘덴서, 고주파콘덴서, 저주파콘덴서, 다이오드콘덴서, condenser, 전해콘덴서, 슈퍼콘덴서, 오디오콘덴서, LCD콘덴서, 메인보드콘덴서, 필름콘덴서, OS-CON콘덴서, AC모터용콘덴서, 전력용콘덴서, 세라믹콘덴서, 적층세라믹콘덴서, 마이카콘덴서, 필름콘덴서, 폴리에틸렌콘덴서, 스치롤콘덴서, 폴리프로필렌콘덴서, 폴리카보네이트콘덴서, 폴리에스텔콘덴서, 마일러콘덴서, 응축기(凝縮器), 냉각기(冷却器), 축전기(蓄電器), 집광렌즈(集光렌즈), 집광기(集光器), 충전기(充塡器), 비전도체(菲傳導締)로 분리된 두 개의 전도면(傳導面)으로 구성되어 전하(電荷)를 축적할 수 있는 장치, 직류는 흐르지 못하게 하지만 교류는 통하게 하는 콘덴서, 기체나 증기를 응축(凝縮)시키는 기구 등이 해당된다.
상기 트렌스는 트랜스, transformer, transducer, 변압기, 트랜스포머, 트랜스듀서, 전력조정기, 전원용트랜스, 파워트랜스, 신호용트랜스, 아웃풋트랜스, 라인트랜스, 전기를 변압시키는 변압기, 교류와 직류를 변환시키는 변환기, 교류의 전압 변환과 임피던스 변환을 하는 회로 부품, 임피던스의 변환 또는 입력계와 출력계를 직류로 분리하기 때문에 1차 측과 2차 측이 다른 임피던스로 설정되어 있는 신호용 트랜스, 상기 1차 측을 언밸런스 라인으로 하고 상기 2차 측을 밸런스 라인에 맞도록 설계된 언밸런스 → 밸런스 변환의 기능을 가진 트랜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릴레이는 릴레이, 繼電器, relay, 접점 릴레이, 서멀(thermal) 릴레이, 압력 릴레이, 광 릴레이,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하여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장치, 센서나 모뎀의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 접점에 닿거나 떨어져 센서나 모뎀의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 접점에 단자가 닿거나 떨어져 센서나 모뎀의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 전자제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 또는 스위치, 유리창이나 선루프를 스위치로 여닫는 장치, 사이드미러를 접고 펴는 장치 등이다.
상기 도체는 도체, 금속, 금, 은, 구리, 철, 철선, 철판, 알루미늄, 금속체, Conductor, 탄소, 탄소체, 탄소선, 탄소줄, 탄소튜브, 탄소시트, 탄소매트, 전도성 금속, 전도성 비금속, 전도성 섬유, 전도성 플라스틱, 한 방향이나 여러 방향으로 전류 즉 전기의 흐름이 가능한 물체나 물질, 도체에 걸어준 전압과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비례하는 옴의 법칙을 준수하는 도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반도체는 반도체, Semiconductor, 다이오드, 메모리반도체, 시스템반도체, 차량반도체, 실리콘(Si)반도체, 반도체소자, 다이오드반도체, 트랜지스터반도체, n형 반도체, p형 반도체, n-p형 반도체,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영역에 속하는 것, 14족 원소로 이루어져 모든 전자가 공유결합을 이룬 순수한 반도체, 상기에 15족 원소를 첨가하여 잉여전자가 발생하는 n형 반도체, 상기에 13족 원소를 첨가하여 전자가 부족하게 되어 정공으로 이루어진 p형 반도체, 어떤 특별한 조건하에서만 전기가 통하는 물질, 전류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반도체, 가해진 전압이나 열에 따라서 전기전도도 값이 변화되는 반도체, 조사된 빛의 파장에 따라서 전기전도도 값이 변화되는 반도체, 전기전도도 값은 절연체의 값보다는 크고 도체의 값보다는 작은 반도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도는 감소하는 도체 및 금속,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도는 증가하는 반도체, 결정 격자를 이루는 고체 물질은 격자의 주기성으로 인해 물질 내의 전자가 에너지띠를 형성하는 반도체, 원자가띠(valence band)와 전도띠(conduction band) 사이에 적당한 크기의 띠틈을 가지고 있는 물질인 반도체, 작은 띠틈을 가지고 있는 실리콘과 같은 단일 원소 반도체 물질이나 GaAs와 같은 화합물 반도체 물질로 구성된 반도체, 열이나 전기장 혹은 빛 등을 이용하여 원자가전자에 이 띠틈보다 큰 에너지를 가해 주면 이들 전자는 띠틈을 넘어 전도띠의 들뜬상태로 올라가게 되는 반도체, 상기 전자가 전도띠로 들뜨게 되면 전자가 빠진 원자가띠에 양공이 생기게 되어 전도띠의 전자와 원자가띠의 양공이 각각 (-)와 (+) 전하를 가지는 전하 운반자가 되어 전기전도에 기여하게 되는 반도체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도체가 이용되는 예로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집적회로소자, 열전자방출소자, 태양전지, 발광소자, 전자식 카메라의 전하결합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CCD 이미지 센서), 쌍을 이루는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가 부착된 자화기, 층상으로 쌍을 이루는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가 부착된 자화기, n형 반도체에 압전기와 p형 반도체에 열전기가 부착된 장치, n형 반도체에 압전소자와 p형 반도체에 펠티어소자가 부착된 장치, 도체와 이의 측면에 자화기와 상기 자화기의 측면에 반도체가 부착된 장치, 반도체와 압전기와 열전기가 순차 구비된 도체, 칩과 반도체와 압전기와 열전기와 도체가 순차 구비된 장치, 반도체를 활용하는 다이오드, 반도체를 활용하는 트랜지스터 등이다.
상기 시스템은 a)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시스템,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의 시스템,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등의 시스템,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의 시스템,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시스템,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의 시스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의 시스템; b) 또는 시스템, system, 안전시스템, 관리시스템, 자동시스템, 로봇시스템, 작업시스템, 제조시스템, 생산시스템, 공사시스템, 센서시스템, 센싱시스템, 계측시스템, 측정시스템, 감지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SMS: safety management system), 자동관리시스템(AMS: auto management system), 손상감지시스템(DDS: damage detection system), 누수감지시스템(LDS: leak detection system), 상수관감지시스템, 상수관누수감지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요소는 칩, 핀, 판, 팬, 침, 콘, 링, 망, 줄, 선, 실, 사, 솔, 빗, 캡, 알, 봉, 대, 폴, 틀, 붓, 볼, 삽, 끌, 톱, 칼, 날, 칼날, 구슬, 금속, 소자, 진자, 단자, 전지, 전극, 양극, 음극, 폴대, 자침, 코일, 나선, 노끈, 지퍼, 쟈크, 처크, 후크, 헤드, 테일, 센서, 기판, 모듈, 히터, 쿨러, 회로, 서버, 허브, 모뎀, 도체, 콘덴서, 트렌스, 반도체, 시스템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조합된 요소이다. 상기의 예로는 칩과 핀과 판, 팬에 구비된 침과 침에 거치된 콘, 링과 망과 줄의 복합체, 선과 실과 사와 솔로 된 복합요소, 빗과 캡과 알이 구비된 봉의 조직체, 대와 폴이 거치된 틀의 조합체, 붓과 볼과 삽과 끌로 된 복합체, 톱에 구비된 칼과 날의 구성체, 칼날과 구슬을 구성하는 금속, 소자와 진자와 단자가 구비된 시스템, 전지와 전극과 양극과 음극이 구비된 전해기, 폴대와 자침과 코일이 구비된 도구, 나선과 노끈이 구비된 수단, 지퍼와 쟈크 구비의 웨어러블수단, 처크와 후크가 구비된 헤드, 테일구비 센서, 기판이 거치된 모듈, 히터와 쿨러의 회로, 서버에 구비된 허브와 모뎀, 도체의 콘덴서, 트렌스가 구비된 반도체, 회로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에는 전기, 전자, 통신, 정보, 지능, 비트, 코드, 펄스, 신호, 측정, 제어, 계측, 화학, 물리, 생물, 인공, 나노, 논리, 지식, 지능, 칩, 센서, 소자, 진자, 기판, 모듈, 회로, 트윈, 5G, IT, Al, IC, ICT, IoT, 바이오, 미생물, 데이터, 스마트, 인터넷, 디지탈, 반도체, 컴퓨터, 메모리, 실리콘, 웨이퍼, 컨트롤, 시스템, 인공지능, 프로세스, 마이크로, 빅데이터, 모니터링, 블록체인, 아날로그, 프로그램, 트랜지스터 중 하나의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예에는 전기칩, 전자센서, 통신소자, 지능기판, 비트진자, 5G칩, IT센서, Al소자, ICT진자, IoT기판, 바이오칩, 스마트센서, 인공지능소자, 빅데이터회로, 블록체인기판, 칩센서, 칩소자, 기판회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칩 내지 반도체 등은 상기 전기 내지 트랜지스터 등에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전기 내지 트랜지스터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칩은 chip 등이고, 5G는 5th Generation 등이고, IT는 Image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등이고, Al는 Artificial Intelligence 등이고, IC는 Integrated Circuit 등이고, ICT는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등이고, IoT는 Internet of Things 등이고, 블록체인은 Block Chain 등이고, 회로는 회로, 집적회로 등이 해당된다. CCTV는 CCTV, 폐쇄회로 텔레비전, 씨씨티브이, Closed Circuit Television,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일정의 기(器), 기(機), 차(車), 체(體), 물체, 기기, 기계, 수단, 센서, 측기, 장치, 장비, 사물, 만물, 생물, 동물, 시설, 수단, 로봇, 설비, 부품, 제품, 물품, 상품, 용품, 폰, 전화, 서버, CPU, GPU, PIM, USB, GPS, GIS, CCTV, USIM, LTE, WiFi, 카메라, 촬영기, 스캐너, 3D스캐너, 반도체, 녹화기, 추적기, 측정기, 인식기, 감지기, 신호기, 안마기, 안전대, 벤츄리, 벤츄리관, 시스템, PC(personal computer),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태블릿PC, SNS(social network service), SNS기기, 핸드폰, 모바일기(mobile kit), 무전기, 모니터, 스크린, 스마트폰, 드론, 모빌리티, 시스템, 킥보드, 모바일기, 컴퓨터, 메모리, 프린터, 팹리스, 파운드리, IDM, OSAT, 프로그램, 4G, 5G,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콘테크(Con-Tech, 건설기술, construction technology), 스마트홈,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시청각기술(AR, VR), 공유경제, 핀테크(금융기술), 블록체인, 에듀테크, 스마트시티, 소프트웨어(SW),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프롭테크, 메타버스, 미디버스,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앱, 사이클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b)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또는 복합기; c)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칩 내지 복합요소,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d)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이용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e) 일이나 수단에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421)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421)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에 구비, 거치, 사용, 적용, 장착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421)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421)은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의 부품으로 적용되거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에 거치되어 적용되거나, 또는 하기에 기재되는 일정의 작용을 하거나, 또는 각각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 성능, 특징 등을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에 이용하려고 할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은 일, 업무, 작업, 이동, 센싱, 측정, 제조, 생산, 공사, 시공, 활동, 생활, 청정, 정화, 퓨리, 청소, 위생, 안마, 마사지, 대행, 대행업무, 설비 구성, 부품 제공, 제품 제조, 물품 생산, 상품 제작, 용품 공급, 폰 통화, 전화 통화, 서버 저장, CPU 처리, GPU 구성, PIM 지능인식, USB 저장, GPS 좌표인식, GIS 지형인식, CCTV 촬영, USIM 인식, USIM 추적, USIM 위치 추적, LTE 통신, WiFi 전송, 카메라 촬영, 촬영기 녹화, 스캐너 스캐닝, 3D스캐너의 3D 스캐닝, 반도체 연산, 녹화, 추적, 측정, 인식, 식별, 감지, 신호, 벤츄리 통과, 벤츄리관 축소 통과, 시스템 구축, PC 시청, 컴퓨터 시청, 노트북 보기, 태블릿 관람, 태블릿PC 시청, SNS 연락, SNS기기 시청, 핸드폰 통화, 모바일기 연락, 무전, 모니터링, 스크린 시청, 스마트폰 통화, 드론 비행, 모빌리티 배달, 시스템 보안, 킥보드 이동, 모바일기 이동, 컴퓨터 보기, 메모리 저장, 프린팅, 프로그램 해석, 4G 통신, 5G 통신, 인공지능 연산, 사물인터넷 이용하여 통신, 자율주행차 이동, 콘테크 이용, 건설기술 이용 시설 축조, 스마트홈 구축, 사물인터넷 이용, 빅데이터 연산, 인공지능 연산, AR 구현, VR 구현, 시청각 정보 제공, 공유경제 이용, 핀테크 금융, 블록체인 이용, 에듀테크 교육, 스마트시티 구축, 소프트웨어 이용 해석, 가상현실(VR) 구축, 증강현실(AR) 구축, 프롭테크 부동산 거래, 메타버스 구현, 미디버스 구현, 앱 다운로드, 어플 이용, 어플리케이션 이용하여 시청, 스마트폰앱 이용하여 관람, 사이클론 회전, 하드웨어 저장, 소프트웨어 해석안전네트워크 구축, 작업네트워크 구축, 네트워크구축, 상기 센싱 내지 측정, 상기 센싱 내지 화면시청, 상기 일 내지 안전관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상기 인식 내지 안전구축, 상기 인식 내지 복합,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을 하는데 기여하거나, 또는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은 상기 일 내지 네트워크구축, 일 내지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을 하는데 기여하거나, 또는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의 기능은 상기에 기재된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이외에 기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은 상기 일 내지 네트워크구축, 일 내지 복합 등이나 상기 이외에 기타 다양한 기능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X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머신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ℓ)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관련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a) 상기 기(器)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장착;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에 구비,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기; 등이 되는 기(器)이다. b) 상기 벤츄리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거치되고;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구비되고;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에 장착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방사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벤츄리이다. c) 상기 시스템의 예로는 상기 오존기와 음이온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발생과 미스트발생을 하고; 상기 전자기와 연무를 발생하고; 상기 발광처리와 웨이브처리를 하는 시스템이다. d) 상기 카메라의 예로는 상기 살균기와 소독기가 구비되고; 상기 청정과 소독을 하고; 상기 음파와 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열가변저항처리와 자기장처리를 하는 카메라이다. e) 상기 LTE의 예로는 LTE 통신으로 가동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LTE 통신망으로 운전되는 칩 내지 복합요소, LTE 통신장치로 원격제어되는 기(器) 내지 복합기, LTE 통신장비로 원격조정되는 상기 자화 내지 기능, LTE 통신시설로 공급이 제어되는 상기 진동물 내지 오존물, LTE 네트워크로 원격처리되는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해당된다. f) 상기 아바타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을 이용하는 아바타,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을 가동하는 아바타,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되는 아바타,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는 아바타,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하는 아바타,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아바타 등이 해당된다. g) 상기 드론의 예로는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구비되는 드론,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추가되는 드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는 드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하는 드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드론 등이 해당된다. h) 상기 메타버스의 예로는 상기 기(器), 상기 기(器)에 구비되는 센서, 상기 기(器)에서 생성되는 물질, 상기 물질이 포함되는 자재, 상기 자재가 이용되는 공사, 상기 공사에 의하여 조성되는 건물, 상기 공사의 안전, 상기 안전의 기술, 상기 공사를 하는 로봇, 상기 로봇에 이용되는 AI, 상기 AI가 이용되는 딥러닝, 상기 센서에 연계되는 비콘, 상기 비콘에 연계되는 핸드폰 등이 이용되는 메타버스이다. i) 상기의 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a) 기(器) 내지 k) 메타버스, 기(器) 내지 복합기, 칩 내지 복합요소,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실시 예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수단, 기(器) 내지 복합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은 장면, 현황, 상황, 영상, 위치, 좌표, 지번, 주소, 지점, 지역, 거리, 위도, 경도, 각도, 고도, 높이, 길이, 가로, 세로, 크기, 면적, 체적, 수직도, 연직도, 공간좌표, 위치좌표, GPS좌표,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균, 녹, 세균, 공기, 대기, 분진, 오염, 얼룩, 부식, 환경, 폐수, 하수, 오수, 먼지, 황사, 폐기물, 침전물, 슬러지, VOC, CO, CO2, SOx, NOx, 공기질, 병원균, 곰팡이,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포름알데히드 등을 촬영, 찍기, 사진찍기, 녹화, 측정, 측량, 계측, 관측, 관찰, 파악, 평가, 확인, 산정 등을 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기(器), 기(機) 등은 어미가 기로 끝나는 단어, 용어, 물질, 물체 등이 해당되고, 상기의 예로는 작업기, 업무기, 제조기, 생산기, 공사기, 건설기, 시공기,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세척기, 세정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위생기, 보건기, 관리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탈수기, 여과기, 분사기, 살수기, 분수기, 배출기, 분리기, 선별기, 파쇄기, 분별기, 저장기, 혼합기, 공급기, 운반기, 타설기, 주입기, 투입기, 살포기, 포설기, 다짐기, 진동기, 양생기, 처리기, 안마기, 마사지기, 비행기, 항공기, 운항기, 측정기, 관측기, 계측기, 제어기, 신호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는 a) 안마기, 안마의자, 안마밴드, 마사지기, 손안마기, 발안마기, 목안마기, 복부안마기, 허리안마기, 얼굴안마기, 어깨안마기, 머리안마기, 신체안마기, 전신안마기, 스킨안마기, 전자안마기, 미용기, 미용안마기, LED기, LED방사기, 목LED기, 얼굴LED기, 마스크LED기, LED마스크, LED안마기, 진동안마기, 펜형상 안마기, 손마사지기, 마사지밴드, 발마사지기, 목마사지기, 등마사지기, 팔마사지기, 스킨마사지기, 허리마사지기, 복부마사지기, 얼굴마사지기, 어깨마사지기, 머리마사지기, 신체마사지기, 전신마사지기, 미용마사지기, LED마사지기, 진동마사지기, 부착형마사지기, 핀형안마기, 건(gun)형안마기, 봉형안마기, 링형마사지기, 펜형마사지기, 밴드형마사지기, 안마펜, 안마매트, 안마밴드, 마사지매트, 안마침대, 마사지펜, 마사지의자, 마사지침대, 안마쇼파, 마사지쇼파, 안마매트, 마사지매트, 마사지밴드, 안마제품, 마사지제품, 관리기, 몸관리기, 얼굴관리기, 피부관리기, 스킨라이트, 전자라이트, 전기라이트, 스킨관리라이트, 역기, 철봉, 뜀틀, 그네, 시이소, 미끄럼틀, 완력기, 운동기, 복근운동기, 런닝머신, 목발, 보조기, 건강보조기, 로봇보조기, 걸음보조기, 실버보조기; b) 진동을 가하는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빛 또는 광선을 조사하는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신체를 주무르는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LED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적외선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신체 또는 의자 형상의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목 또는 허리 외주에 채우는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헬멧 또는 머리를 덮는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부착형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탈부착형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일측에 접착제가 도포된 부착형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일측에 접착제가 도포된 탈부착형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신체를 주무르는 기능을 가진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판에서 진동이 방사되는 판안마기, 판에서 진동이 방사되는 판마사지기, 펜의 선단에서 진동이 방사되는 펜안마기, 펜의 선단에서 진동이 방사되는 펜마사지기, 봉의 선단에서 진동이 방사되는 봉안마기, 봉의 선단에서 진동이 방사되는 봉마사지기, 진동이 발생되는 매트인 안마매트, 진동이 발생되는 매트인 마사지매트, 빛 또는 선이 방사되는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2개 이상의 LED가 구비된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2개 이상의 LED빛이 방사되는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2개 이상의 LED 방사기가 장착된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신체 또는 의자 형상으로 신체를 주무르는 기능을 가진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링 또는 목 외주에 채우는 것으로 목에 광선을 조사하는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헬멧 또는 머리를 덮는 것으로 머리에 관선을 조사하는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일측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하여 신체에 부착된 후 진동을 가하는 부착형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일측 또는 내측에 2개 이상의 LED기가 구비된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중 하나가 구비된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기능을 가진 안마기 또는 마사지기; c) 상기 줄 둘 이상 복합기, 복합안마기, 복합마사지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안마의자 또는 마사지의자는 하기 a, b, c, d, e, f, g, h, i, j, k 등이다. 상기 a는 안마의자, 마사지의자, 안마하는 의자, 마사지하는 의자, 신체를 안마하는 의자, 신체를 마사지하는 의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b는 발, 발가락, 다리, 종아리, 허벅지, 엉덩이, 골반, 허리, 등, 가슴, 손, 팔, 어깨, 목, 눈, 머리, 몸, 신체 하나 이상을 안마 또는 마사지하는 의자이다. 상기 c는 상기 발 내지 머리 중 둘 이상을 안마 또는 마사지하는 수단이 자신의 하부에서 상향으로 구비된 의자이다. 상기 d는 상기 발 내지 신체 하나 이상이 삽입되는 삽입대 또는 압박대에 의하여 상기 발 내지 신체 하나 이상을 안마 또는 마사지하는 의자이다. 상기 e는 상기 발 내지 신체 하나 이상을 에워싸거나 또는 하나 이상에 접촉된 수단 또는 압박대에 의하여 상기 발 내지 신체 하나 이상을 안마 또는 마사지하는 의자이다. 상기 f는 지압, 에어지압, 돌기지압, 비지압, 압박, 에어압박, 돌기압박, 비압박, 압력, 에어압력, 돌기압력, 비압력, 회전, 비회전, 진동, 비진동, 충격, 비충격, 비틈, 안비틈, 가열, 열선가열, 비가열, 온열, 냉열, 온기, 냉기, 들숙, 날숙, 오름, 내림, 오르내림, 두드림, 비두드림, 상기 지압 해제, 상기 압력 해제, 상기 압박 해제; 상기 지압 내지 해제 중 둘 이상 반복;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수단 또는 돌기에 의하여 상기 발 내지 신체 중 하나 이상을 안마 또는 마사지하는 의자이다. 상기 g는 자신 내부 또는 시트 내부에 구비된 상기 수단 또는 돌기에 의하여 상기 발 내지 신체 중 하나 이상을 안마 또는 마사지하는 의자이다.
상기 h는 발과 종아리가 삽입되는 장화 또는 삽입대, 발이 삽입되는 삽입대 또는 압박대, 종아리가 삽입되는 삽입대 또는 압박대, 허벅지가 삽입되는 삽입대 또는 압박대, 엉덩이 안착대, 등이 안착되는 등받이, 손이 삽입되는 삽입대 또는 압박대, 팔이 삽입되는 삽입대 또는 압박대, 어깨가 안착되는 어깨받이, 목이 삽입되는 삽입대, 목이 안착되는 목받이, 눈에 안착대는 안대, 머리가 삽입되는 삽입대 또는 헬멧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발 내지 신체 중 하나 이상을 안마 또는 마사지하는 의자이다. 상기 i는 상기 장화 내지 헬멧, 의자, 의자시트; 상기 장화 내지 의자시트 중 하나 이상의 면, 속, 상, 하, 좌, 우, 표면, 내부, 외부, 측면, 1면, 2면, 3면, 4면, 배면, 이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발 내지 신체 중 하나 이상을 안마 또는 마사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의자이다. 상기 j는 상기 장화 내지 이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지압 내지 반복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수단 또는 돌기가 구비된 의자이다. 상기 k는 상기 장화 내지 이면 중 하나 이상에 열선, 온열기, 냉각기, 냉온기, 돌기, 안마돌기, 안마수단, 압박대, 에어백, 압박에어백, 에어압박대,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의자이다.
상기 미용기는 a) 손, 발, 팔, 목, 어깨, 얼굴, 신체 중 하나 이상을 미용, 화장, 안마, 마사지 중 하나를 하는 링, 판, 펜, 봉, 기(器 또는 機), 장비, 장치, 기기, 기구, 수단, 시트, 매트, 밴드, 목링, 모자, 헬멧, 조사기, 방사기, LED기, 손목밴드, 목밴드, 허리밴드, 마스크, 얼굴마스크; b) 상기 손 내지 신체 중 하나에 부착되거나 또는 하나를 에워싸서 미용, 화장, 안마, 마사지 중 하나를 하는 상기 링 내지 얼굴마스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안마기, 안마의자, 마사지기, 미용기, 안마쇼파, 마사지쇼파, 안마침대, 마사지침대, 안마매트, 마사지매트, 안마기 내지 마사지쇼파, 링 내지 얼굴마스크, 온수매트, 냉수매트, 온냉수매트 중 하나에는 빛, 불, 광, 파, 광선, 음파, 적외선, 자외선, 저주파, 고주파, 초음파, 진동파, 레드광선, 블루광선, 근적외선, 원적외선, LED광, LED선 중 하나 이상의 기구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수단, 장치, 안마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로부터 상기 빛 내지 LED선 중 하나 이상의 방사가 가능하다.
a) 상기 측기는 측기, 측정기, 관측기, 계측기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PC는 PC, 컴퓨터, 개인컴퓨터, 개인용컴퓨터, 퍼스널컴퓨터, 퍼스컴, personal computer, 개인이 사용하는 소형 컴퓨터 등이 해당되고, 소프트웨어로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언어로는 어셈블리어(assembly language), 베이식(basic) 등이 있으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키보드, 디스플레이, 프린터 등이 포함된다. c) 상기 GPS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시스템, 위성 또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또는 GPS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시설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d) 상기 GIS는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 또는 지역에서 수집한 각종 지리 정보를 수치화하여 컴퓨터에 입력, 정보, 처리하고, 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 종합하여 제공하는 정보처리시스템,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대량의 정보처리, 지도제작, 원격탐사 등에 이용되는 지리정보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e) 상기 CPU는 CPU, 중앙처리장치, 中央處理裝置,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or, SoC(System on a chip), AP(Application Processor), APU(Accelerated Processing Unit), 컴퓨터의 두뇌, 명령어의 해석과 자료의 연산, 비교 등의 처리를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장치 등이 해당된다. f) 상기 GPU는 그래픽스처리장치, Graphic Processing Unit, 영상정보를 처리하고 화면에 출력시키는 일을 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g) 상기 PIM은 지능형 반도체, Processor-In-Memory,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의 기능을 합친 반도체, 저장 작업을 하는 메모리 반도체에 연산 작업을 하는 프로세서 기능을 더한 장치, SW와 시스템반도체(System on Chip, SoC)의 융합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차(車)는 차, 車, 카, 차량, 車輛, 버스, bus, 택시, taxi, 트럭, truck, 기차, train, 전차, 전철, 전동차, 승용차,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카, car, vehicle, traffic 등이다. 상기 전기차는 EV, Electronic Vehicles,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친환경자동차, 심야 전력으로 충전이 가능한 차량, 기어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운전 조작이 간편한 차량, 외부 전력 공급을 통해 충전해야 하는 차량,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로 충전되는 차량, 고전압 배터리에서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 내연기관 엔진 없이 충전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만을 동력원으로 전기모터를 구동하는 차량,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배기가스 배출이나 소음이 거의 없는 차량,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이산화탄소(CO2)나 질소산화물(NOx)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차,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 구동 에너지를 얻는 것이 아닌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구동에너지를 얻는 자동차 등이다.
물품이나 반도체 관련 사업이나 기업은 크게 IDM(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팹리스(Fabless), 파운드리, OSAT(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등으로 구분된다. IDM은 물품의 설계부터 최종 완제품까지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기업이고, 팹리스는 물품의 설계만을 전담하는 기업이고, 파운드리는 물품을 생산하는 전문기업이고, OSAT는 파운드리가 생산한 물품의 패키징 및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팹리스는 팹리스, Fabless, Fabrication+less의 합성어, 제조 설비를 뜻하는 패브리케이션(fabrication)과 리스(less)를 합성어, 반도체 제품을 직접 생산(fabrication)하지 않고 반도체 설계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업이나 반도체 회사, 물품이나 반도체의 설계 및 기술 개발, 물품이나 반도체의 설계 및 기술 개발을 하는 회사, 제품의 설계나 마케팅이나 기술개발에만 집중하고 생산은 외부의 공장에 위탁(파운드리)하는 것, 물품이나 반도체의 R&D(연구 및 개발, research & deveopment)에 치중하고 생산을 하지 않는 것, 물품이나 반도체 제조 공정 중 설계와 개발을 전문화한 회사 , 반도체 설계가 전문화되어 있는 회사, 반도체 칩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소자의 설계와 판매를 전문화한 회사 등이다.
상기 파운드리는 파운드리, Foundry, 물품이나 반도체의 전문 제조, 물품이나 반도체 제조를 전담하는 생산 전문 기업, 주형에 쇳물을 부어 물품을 만드는 주조공장, 제조설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업체의 요구로 반도체 칩의 제조를 담당하는 기업이나 사업, 물품이나 반도체의 설계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부터 제조를 위탁받아 생산을 전문하는 사업 또는 기업, 반도체 설계 디자인을 위탁받아 생산하는 기업, 팹리스 업체가 설계한 반도체를 생산해 공급하는 사업, 다른 업체가 설계한 물품을 생산해서 공급해 주는 사업, 일반제조업의 OEM공급과 비슷한 개념인 수탁 반도체 제조 사업, 팹리스(Fabless)의 생산부분을 맡아주는 사업 등이다.
상기 IDM은 IDM, 통합소자제조사, 종합반도체회사,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물품이나 반도체의 설계에서 생산까지 전 과정을 수행하는 사업 또는 종합회사 등이다. 상기 OSAT는 OSAT, 패키징 & 테스트회사, packaging & test company, 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반도체의 조립 및 테스트 위탁업체, 물품이나 반도체 조립 등 후공정을 전문으로 하는 패키징 & 테스트회사 등이다.
상기 반도체, 팹리스, 반도체 설계, 제조 등의 예로는 반도체, 반도체칩, 트랜지스터, 회로, 상기 반도체칩상에 고정된 간격들을 갖는 패드, 상기 패드에 할당되는 하드매크로, 상기 패드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반도체칩상에 배치되는 상기 하드매크로, 상기 하드매크로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상기 패드, 상기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다단증폭기, 상기를 포함하는 반도체집적회로장치, 상기 다단증폭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들에 구비되는 컬렉터, 상기 트랜지스터들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미터전극 및 베이스전극을 구비하는 셀프-얼라인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상기 회로의 하나로 신호 전파경로를 갖는 복수개의 조합회로, 상기 조합회로의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레지스터, 상기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상기 조합회로의 신호전파 경로의 신호전파 지연시간이 설계상의 지연 상한값 이하인 조건에서는 상기 조합회로의 저전압원을 전압원으로 하는 제1조합회로, 상기 조합회로의 신호 전파경로의 신호전파 지연시간이 설계상의 지연 상한값 이상인 조건에서는 상기 조합회로의 고전압원을 전압원으로 하는 제2조합회로, 상기 회로의 하나인 반도체회로의 설계정보를 입력하는 설계정보 입력수단, 상기 설계정보 입력수단에 의해서 입력된 설계정보로부터 상기 회로를 구성하는 다수의 능동소자를 연결하는 신호선에 기생하는 기생소자, 상기 기생소자를 검색하는 기생소자 검색수단, 상기 다수의 능동소자 중에서 각 능동소자와 다음단의 능동소자 사이의 시정수를 산출하는 시정수 산출수단, 상기 능동소자를 연결하는 신호선에 기생하고 상기 기생소자 검색수단에 의해서 검색된 기생소자를 포함시켜 산출하는 시정수 산출수단,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시정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회로의 설계정보의 일부와 관련시켜서 출력하는 출력수단, 상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도체회로 설계 검증장치, 하드웨어, 이에서 생성되는 제1데이터, 상기 실물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모듈, 시뮬레이터, 이에서 생성되는 제2데이터, 상기 제2데이터의 오류를 회복하는 모듈,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에 의하여 생성되는 학습 모델, 상기 모델로 부터 예측 실물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동 시뮬레이션 생성기, 상기 생성기를 포함하는 제1인터페이스, 상기 모델로부터 예측 실물 데이터와 시각화된 가상 공정 결과를 생성하는 유닛, 상기 유닛을 포함하는 제2인터페이스, 반도체 소자의 도그-본 형태의 액티브 패턴, 액티브 영역의 채널의 길이 방향으로 필드 영역의 폭이 넓게 되도록 경사진 패턴, 콘택 패턴의 한 꼭지점에서 경사진 인접한 액티브 패턴, 상기의 반도체 소자 패턴, 각각 내부회로 영역을 갖는 다수의 회로소자, 상기 회로소자에 대한 설계 데이터가 셀로서 제공되는 반도체 장치, 상기 회로소자의 내부회로 영역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외부 상호접속에 관련된 회로소자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 상기 단자를 갖는 셀, 상기 반도체 장치내의 소망의 위치에 규정하는 단계로 얻어진 셀, 상기 셀의 접속단자에 내부회로 영역을 접속하기 위한 상호접속 구조 등이 되도록 또는 등이 형성되도록 설계 또는 제조하는 것이다.
a) 상기 4G는 4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4세대 무선기술, 4th generation, 4th generation mobile network, fourth generation of wireless technology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5G는 5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5세대 무선기술, 5th generation, 5th generation mobile network, fifth generation of wireless technology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은 사람이나 인간의 인식, 식별, 판단, 추론, 언어, 행동, 지령, 학습, 문제해결, 행동지령, 학습기능, 뇌기능, 두뇌작용 등을 컴퓨터 스스로 하거나, 또는 추론, 학습, 판단 등을 하면서 작업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d) 상기 사물인터넷(loT, internet of things)은 생활, 활동 상의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각종 사물들에 통신 기능을 내장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과 사물 간에 인터넷 기반으로 상호 소통을 하고, 이를 통해 가전제품, 전자기기,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원격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e) 상기 자율주행차는 운전자가 핸들, 가속페달, 브레이크 등을 제어하지 않고 자동차가 스스로 도로의 상황을 파악해 자동으로 주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는 운전자 없이 주행하는 차인 무인 자동차(driverless car) 개념도 포함될 수 있다. f) 상기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의학 분야에서 수술 및 해부 연습, 항공·군사 분야에서 비행조종 훈련, 건설분야에서 모의공사 등에 응용될 수 있다. 필요시 머리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HMD를 활용해 체험할 수 있다. g) 상기 드론(Drone)은 소형의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uninhabited aerial vehicle)로서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되는 비행기, 헬리콥터 등이 해당된다. 이는 공중 영상 촬영, 공사 장면 촬영, 원거리 공중 촬영, 군사작전, 인터넷 쇼핑 배달, 무인(無人)택배 등에 이용된다.
상기 LTE는 LTE, Long Term Evolution, 4G 이동통신 기술, 정지 상태에서 1Gbps(1000Mbps) 이상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는 기술, 60킬로미터 이상 고속 이동시에 100Mbps 이상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는 기술 등이 해당된다. 4G 또는 5G에서 G는 세대를 의미하는 Generation의 약자다. 무선 이동통신 규격은 큰 범주로 1세대(1G), 2세대(2G), 3세대(3G)로 나뉘어 있으며, 현재 4세대(4G) 이동통신 방식으로 발전했으며, 2015년 이후부터 이동통신 업계는 5G를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각 세대 구분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데이터 전송속도의 차이에 있다. LTE 통신 서비스를 적용한 제품으로는 컴퓨터용 LTE 모뎀으로 컴퓨터의 USB 포트에 꽂아 LTE 통신 서비스에 연결하는 4G LTE 모뎀이다. 본 발명에서 LTE의 적용 예로는 LTE 모뎀 이용, 4G LTE 모뎀 이용, USB LTE 모뎀 이용, LTE를 이용하여 통신, LTE를 이용하여 촬영 영상을 전송 또는 수신, 컴퓨터의 USB 포트에 꽂아 LTE 통신 서비스에 연결하는 LTE 모뎀 이용, LTE 통신 서비스가 되는 드론, LTE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빌리티, LTE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상기 WiFi는 WiFi, Wireless Fidelity, WiFi 무선랜, 무선통신, 무선인터넷, 무선 데이터 전송 시스템, 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통신 기술,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기술 등이 해당된다. WiFi를 이용하려면 와이파이 공유기를 구비하고, WiFi를 지원하는 지역에 있어야 하고, 집이나 회사에서는 무선공유기 이용하여 WiFi 사용하고, 컴퓨터에는 무선 랜 카드와 무선 랜 카드를 위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WiFi가 설치되면 컴퓨터끼리 통신 가능, 스마트폰도 데이터 통신 가능, 무선 외장 하드 디스크에 WiFi 기술을 사용 등을 한다. 본 발명에서 WiFi의 적용 예로는 드론으로 촬영된 영상을 WiFi로 무선 송수신, 모빌리티로 무선 송수신, 무선 송수신되는 모빌리티, 모빌리티와 스마트폰 간의 무선송수신, 모빌리티와 본사 PC 간의 무선송수신, 모빌리티와 감독자 스마트폰 간의 무선송수신, 모빌리티와 본사 사장 간의 무선송수신 등이 해당된다.
상기 USB는 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장치, 이동식 메모리 장치, 이동식 기억장치, 작은 이동식 기억장치, 정보기기에 주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직렬 버스 등이다. 상기 GPS는 衛星航法裝置, 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 등이다, 상기 GIS는 지리정보체계,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공간 데이터를 분석·가공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각종 지리 정보를 수치화하여 컴퓨터에 입력하고 이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정보처리시스템, 국토의 지리공간정보를 디지털화하는 시스템, 수치지도(digital map) 시스템, 수치지도를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행정서비스나 재해, 환경, 시설물, 국토공간관리 등에 활용하는 정보시스템 등이다. 상기 CCTV는 폐쇄회로 텔레비전, Closed circuit Television 등이다.
상기 USIM은 유심, 유심칩, USIM, USIM칩, 식별모듈, 가입자식별모듈, 범용(汎用)가입자식별모듈, 범용사용자식별모듈, 개인정보보관매체,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모바일용 신분증, 개인정보 저장 모듈, IC카드, 개인정보 저장 카드, LTE USIM, WiFi USIM, 미니(Mini)유심, 마이크로(Micro)유심, 나노(Nano)유심, 일반용유심, 통신유심, 금융유심, 데이터공유유심, 데이터쉐어링유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통신)유심, 비밀번호설정유심, 개인식별정보를 담은 IC카드, 무선통신회선 가입자들의 식별정보를 담고 있는 매체, 특정유심카드를 꽂아야 정상 작동되는 심락(SIM lock)기능 가능, 가입자 정보를 탑재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ICC(universal IC card)가 결합된 형태,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이나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것, SIM보다 진화한 방식, 가입자 인증을 하는 SIM의 역할과 교통카드나 신용카드 등의 기능을 담을 수 있는 범용 IC카드(UICC)의 기능 겸용, 소형 CPU와 메모리로 구성, 상기 CPU는 사용자를 식별 또는 암복호화 기능으로 사용자를 식별, 상기 메모리는 부가서비스를 위한 저장공간으로 이용, 메모리에는 신용카드나 교통카드나 멤버십카드 등의 기능을 넣을 수 있음, OTA(Over The Air)기술로 뱅킹이나 카드 서비스 승인만 받으면 별도의 칩을 발급받지 않고도 무선으로 서비스 탑재 가능 등이다. 상기 USIM에 의하여 또는 상기 USIM의 이동에 의하여 사용자 인식, 식별, 추적, 트래킹, 트레이싱, 위치추적, 이동추적, 실시간 추적 등이 가능하다.
상기 LTE USIM의 예로는 LTE 무선 통신, 가입자 정보 인식, 사용자 확인, 촬영 영상 저장, 영상 무선 송신, 사용자 이동 추적, LTE 통신이 되는 USIM 등이 가능한 모듈이다. USIM의 사용 예로는 센서 또는 카메라, 이에 연결되는 모듈, 상기 모듈에 내장된 USIM과 메모리카드, 이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센서의 센싱 정보 또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상기 메모리카드, 상기 센서의 센싱 정보 또는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무선 전송하는 LTE, 상기 정보 또는 영상을 수신하는 서버, 상기 정보 또는 영상을 시청하는 PC 또는 모니터 또는 핸드폰, 상기 PC 또는 모니터 또는 핸드폰에 다운로드되는 어플, 상기 시청을 위한 패스워드 또는 URL 주소, 상기 어플에 출입을 위한 패스워드, 상기 PC 또는 모니터 또는 핸드폰에 입력되는 패스워드 또는 URL 주소, 상기 입력에 의하여 상기 시청 등이 해당된다. 상기 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 특정의 정보가 들어있는 웹페이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 자원을 찾기 위한 주소, 웹 문서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에 있는 파일의 위치를 표시하는 주소 등이다.
상기 프롭테크는 Proptech, 부동산과 IT기술이 접목된 서비스, 부동산(Property)에 기술(Technology, IT)을 접목한 온라인 서비스, 또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과 접목된 부동산 매물 검색과 중개 서비스 등이다. 상기 에듀테크는 에듀테크, EduTech, 에드테크, EdTech, 인터넷 등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한 교육 서비스,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 교육과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한 산업, 교육에 미디어, 디자인, 소프트웨어(SW),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3D 등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해 학습자의 교육 효과를 높이는 산업 등이다. 상기 공유경제는 공유경제, Sharing Economy, 자동차 공유, 빈방 공유, 책 공유, 물건 공유, 부동산 공유, 제품이나 공간을 여럿이 함께 공유해서 사용하는 협력 소비경제, 물품이나 부동산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 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 등이다. 상기 핀테크는 핀테크, FinTech, IT 지급 결제, ICT 금융데이터 분석, IT 금융 소프트웨어, IT 금융 플랫폼, Finance(금융)와 Technology(기술)의 합성어, 금융과 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 등이다.
상기 메타버스는 메타버스, Metaverse, 가상세계, 가상공간, 메타버스 플랫폼, 3차원 가상세계, 가상적인 현실, 현실적인 가상, 현실과 가상, 현실세계와 가상공간, 아바타가 살고 있는 가상공간, 사람이 살고 있는 현실세계와 아바타가 살고있는 가상공간, 자신 또는 사람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살고 있는 가상공간, 자신 또는 사람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살고 있는 폰 또는 앱 또는 컴퓨터의 가상공간, 자신 또는 사람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업무 또는 출근 및 퇴근하는 가상공간, 가상통화를 매개로 유통,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가공 또는 추상 의미하는 Meta(메타)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유니버스)의 합성어, 가상세계 이용자가 만들어내는 UGC(User Generated Content) 상품 이용, 3차원 가상공간에서 현실 업무 뒤에 놓인 비전 기술, 가상공간에서 소프트웨어의 대리자(아바타)와 인간적 교류를 하는 것, 3차원 가상공간에서 사람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주거하는 기술 또는 어플, 핸드폰의 어플 공간에서 아바타가 생활하는 것, 핸드폰 어플 내의 3차원 가상공간에서 사람을 대신하여 아바타가 주거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미디버스는 미디버스, Midibus, 중형버스, 25인승의 소형버스, 미니버스보다 크고 대형 버스보다 작은 차량, 동영상 관리 솔루션, 동영상 통합 솔루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Block Chain,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Chain)한 모음, 가상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에 이용되는 기술,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를 이용해 이중 지불을 막아 주는 것, P2P 네트워크를 통해 이중 지불을 막는 데 쓰이는 기술 등이 해당된다.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에서 블록(Block)에는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담기는데, 온라인에서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이 형성되고, 이 거래 내역을 결정하는 주체는 사용자이고, 이 블록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되고, 참여자들은 해당 거래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고, 승인된 블록만이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되면서 송금이 이루어진다.
상기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앱 등은 앱, 어플,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폰앱, 전화앱, PC앱, 핸드폰앱, 스마트폰앱,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app, appl, 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혹은 어플리케이션)을 약어 또는 줄임말,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 같은 스마트 기기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들어가는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TV용 응용프로그램,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에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응용프로그램 등이 해당된다. 상기 벤츄리, 벤츄리관 등은 벤츄리, 벤츄리관, venturi, venturi pipe 등이 해당된다. 벤츄리관은 파이프, 축소부, 벤츄리, 확장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소부, 벤츄리 등에는 이젝터,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물(430, 440), 칩 내지 복합요소(420), 기(器) 내지 복합기(421) 등은 상기 수단, 기구, 장비, 장치, 시설, 사물, 만물, 생물, 로봇, 동물, 드론, 물체,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일, 작업, 업무, 제조, 공사, 건설, 공간, 세계, 단말기, 3D프린터, 모빌리티, 가상공간, 가상세계, 메타버스,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5)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또는 본 발명의 수단, 기구, 장비, 장치, 시설, 사물, 만물, 생물, 로봇, 동물, 드론, 물체, 물질, 제, 재,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공간, 세계, 아바타, 마네킹, 단말기, 3D프린터, 모빌리티, 가상공간, 가상세계, 메타버스,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IT 내지 4차산업기술, 자화기 내지 기능물(430, 440), 칩 내지 복합요소(420), 기(器) 내지 복합기(421),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5)은 하나의 사물(5, things) 또는 만물(5, everything)이 될 수 있다. 상기 수단, 사물, 만물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사물(things), 만물(everything) 등(5)에 인터넷, LTE, WiFi, SNS, 비콘, 핫스팟, 게이트웨이, 통신수단, 통상장치, 통신망, 통신, 무선통신,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디스플레이 등이 연계되면 상기 사물(things), 만물(everything) 등은 IoT(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E(만물인터넷, Internet of Everything) 등(5)이 된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가능하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구비가 가능하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호 또는 둘 이상이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장착, 병합, 결합,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은 수단으로 축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수단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은 a)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b) 또는 前, 後, 전, 후, 좌, 우, 상, 중, 하, 문, 창, 창문, 전면(3), 후면(4), 측면, 전방, 후방, 측방, 중간, 내부, 외부, 내면, 외면, 상부, 하부, 인근, 근처, 현관, 대문, 입구, 출구, 출입구, 개찰구, 이격부, 접촉부, 연결부, 접속부, 1개, 2개, 3개, 다수개, 2개 이상, 1종, 2종, 3종, 다종, 1지점, 2지점, 3지점, 2지점 이상, 다지점, 주기, 전주기, 생애전주기, life cycle, 1회, 2회, 3회, 다수회, 1사이클, 2사이클, 다수사이클, 기간, 단기간, 장기간, 일정기간; c) 일 또는 작업 또는 공사의 상기 前 내지 일정기간;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의 상기 前 내지 일정기간; e) 또는 집, 가정, 공장, 공단, 단지, 현장, 회사, 사무실, 주택, 건물, 도로, 교량, 터널, 구조물, 아파트, 차량, 사람, 로봇, 아바타, 마네킹, 땅, 산, 들, 바다, 토지, 도시, 농촌, 시골, 시티, 타운, 국가,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세계, 해, 달, 별, 화성, 태양, 우주, 공간, 가상세계, 기상공간, 메타버스; 등에 또는 등으로 이용, 적용, 구비, 거치, 합체, 추가, 첨가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a) 자화기가 구비된 수단 또는 조끼, 자화기가 구비된 센서, 센서가 구비된 자화기, 센서가 구비된 자화기, 센서가 구비된 센서 자화기, 자화기가 구비된 칩, 자화기가 구비된 자화기 칩, 칩이 구비된 자화기, IoT가 접목된 기(器), IoT가 접목된 IoT 기(器), 기(器)가 이용되는 IoT, 자화기가 구비된 헬멧, 센서가 구비된 안전고리, 칩이 구비된 센서, 자화기가 구비된 제어기, 압전기가 장착된 센서, IoT 디스플레이, 센서를 정밀 센싱하는 IT, IoE가 포함되는 4차산업기술, 센싱을 하는 자화기, 칩에서 생성된 기능물, 자화물을 생성하는 칩, 오존을 발생하는 복합요소, 칩이 구비된 센서가 장착된 기(器), 칩이 구비된 센서가 장착된 오존기가 부착된 복합기, 칩이 구비된 센서가 장착된 오존기가 부착된 기(器)가 이용되는 수단, 칩이 구비된 센서가 장착된 자화기가 포함되는 기(器)에 연계되는 통신망과 단말기가 포함되는 안전관리시스템; b) 자화기가 구비된 수단 또는 조끼가 포함되는 시스템, 자화기가 구비된 센서에 연결되는 통신망, 센서가 구비된 자화기에 의한 물질 자화, 센서가 구비된 자화기가 장착된 기(器), 센서가 구비된 센서 자화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자화기가 구비된 칩이 장착된 복합기, 자화기가 구비된 자화기 칩이 장착된 장비, 칩이 장착된 자화기가 구비된 펌프카, LTE 무선통신되는 IoT가 접목된 기(器), WiFi 기능을 가진 IoT가 접목된 IoT 기(器), 칩이 구비된 기(器)가 이용되는 IoT; c) 칩이 내장된 자화기가 구비된 수단 또는 조끼가 포함되는 안전시스템, IT기술이 이용되는 자화기가 구비된 센서에 연결되는 통신망, 칩이 장착된 센서가 구비된 자화기에 의한 물질 자화, 모뎀 장착 센서가 구비된 자화기가 장착된 기(器), 5G 무선 센서가 구비된 센서 자화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센서가 내장된 자화기가 구비된 칩이 장착된 복합기, 수질 측정 센서 부착의 자화기가 구비된 자화기 칩이 장착된 장비, 센서가 내장된 칩이 구비된 자화기가 구비된 펌프카, 자화기가 장착되어 물질을 자화하면서 LTE 무선통신되는 IoT가 접목된 기(器), 칩이 장착되면서 WiFi 기능을 가진 IoT가 접목된 IoT 기(器), 칩이 구비된 기(器)가 이용되는 IoT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d) 칩이 내장된 자화기가 구비된 수단 또는 조끼에 의하여 현장의 정보가 무선 전송되는 안전시스템, IT기술이 이용되는 자화기가 구비된 센서에 연결되는 통신망이 포함되는 관리시스템, 칩이 장착된 센서가 구비된 자화기에 의한 물질이 자화되면서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카메라, 모뎀 장착 센서가 구비된 자화기가 장착된 기(器)에 의한 공사, 5G 무선 센서가 구비된 센서 자화기가 장착된 디스플레이에 의한 현장의 영상 실시간 시청, 센서가 내장된 자화기가 구비된 칩이 장착된 복합기가 이용되는 공사, 수질 측정 센서 부착의 자화기가 구비된 자화기 칩이 장착된 장비가 이용되는 정화 작업, 센서가 내장된 칩이 구비된 자화기가 구비된 펌프카가 이용되는 콘크리트 공사, 자화기가 장착되어 물질을 자화하면서 LTE 무선통신되는 IoT가 접목된 기(器)가 이용되는 건축공사, 칩이 장착되면서 WiFi 기능을 가진 IoT가 접목된 IoT 기(器)가 이용되는 시공, 칩이 구비된 기(器)가 이용되는 IoT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에 공사 영상이 방영되는 메타버스;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작업, 업무, 제조, 공사, 청정, 수단,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에는 전기, 전원, 전류, 전압, 전지, 전극, 양극, 음극, 동력, 에너지, 전지판, 배터리, 폐배터리, 건전지, 충전지, 충전기, 충전잭, 대용량배터리, 교체형 배터리, 충전형 배터리, 태양전지, 태양전지판,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배터리집, 배터리하우징, 배터리안착대, 배터리고정대, 파워뱅크,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스마트그리드, 밴드, 자석, 전자석, 소켓, 플러그, 전선, 케이블, 콘센트, 콘덴서, 변압기, 정류기, 정압기, 정전기, 계전기, 증폭기, 변환기, 전해조, 방전조, AC/DC변환기, 트랜스듀서,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수력발전기, 간이발전기, 소형발전기,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PC,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모뎀, 메모리, 메모리카드, SD카드, USB, 유심, USIM, 어플리케이션, 메타버스, 가상공간, 가상세계, 로봇, 아바타, 모빌, 드론, UAM, urban air mobility, 모빌리티 등이 이용 또는 포함 또는 연계 또는 공급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센서, 케이블, 플러그, 콘센트, 트랜스듀서, 전원공급기의 순으로 연계되어 전원공급기로부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의 다른 예로는 계측기, 케이블, 플러그, 콘센트, 충전기, 태양전지판의 순으로 연계되어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된 전기가 계측기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의 다른 예로는 카메라,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케이블, 태양전지의 순으로 연계되어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기가 케이블을 통하여 카메라,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등에 공급되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정보가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등으로 무선송수신되는 것이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일정의 또는 다양한 형, 형식, 형태, 방식, 방법, 공법, 측면, 방향, 방도, 용량, 기능, 성능, 용도, 목적,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을 가진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은 a) 일, 작업, 업무, 생활, 주거,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사고, 재해, 안전, 청정, 정화, 퓨리, 정수, 살균, 소독, 방역, 방제, 무사고, 무재해, 크리닝, 장비, 장치, 드론, 로봇, 동물, 사람, 인간, 사물, 만물, 생물,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시설, 건물, 도로, 교량, 터널, 구조물, 안전, 사고방지, 재해방지, 무인화, 자동화, 로봇화,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b) 이중 하나의 수행, 진행, 가동, 업무, 조성, 형성, 생성, 달성, 발생, 제조, 생산, 구현, 구축, 시스템, 가상공간, 가상세계, 메타버스; 등에 이용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상기 일 내지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메타버스 등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은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에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 기반의 또는 기초의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가능하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에 의하여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에 의하여 웨어러블, 메타, 버스, 메타버스,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자율주행, 자동제어, 자동감시, 원격관리, 원격가동, 원격조정, 리모트컨트롤, 텔레매틱스, 5G, IT, Al, IC, DX, ICT, NFT, IoT, IoE, AIoT, VR, AR, LTE, WiFi, PIP 등이 이용되거나 또는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타버스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되는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하여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기술 또는 스마트기술 또는 4차산업기술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이는 IT 기반 설계, IC 기반 작업, AI 기반 모니터링, VR 기반 공사, AR 기반 작업, MR 기반 메타버스, 5G 기초의 네트워크, ICT 적용의 장비, IoT 이용의 장치, IoE 구현 시스템, BIM에 기반한 구조해석, LTE 무선송신, WiFi 기반의 송수신, 에코 소재, 바이오 센싱, 반도체 장착 시설, 딥러닝 기반의 연산, 3차원 안전 시스템, 아바타가 활동하는 메타버스, 빅데이터 활용 설계, AI 기반 클라우드, 웨어러블 장치, BIM이 구형되는 메타버스, 날씨나 민원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재를 공장 제작과 생산, 비숙련 인력이 고도의 작업이 가능 하도록 장비 지능화 및 자동화, 작업기계 자동화 기술, 작업계획에 따라 기계가 자율이동, 작업 및 진행 상황을 실시간 확인, 기계에 탑재한 각종 센서와 제어기와 GPS를 통해 기계의 위치와 자세와 작업범위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 기계 통합운영 및 관제 기술, 현장 내 다양한 기계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 및 운영, AI를 활용하여 기계 통합 운영, 공장 사전제작 및 현장 조립 연계, 로봇을 활용하여 작업 과정 자동화, 기계 자동화 및 관제, 텔레매틱스 기계 자동화, 기계 통합 운영 및 관제, 공정 및 현장관리 고도화, 드론 이용하여 지형이나 지반의 모델링을 자동화, 센서와 카메라와 레이저 스캐너와 비파괴 장치가 탑재된 드론, 드론이 사진촬영이나 스캔닝을 하여 습득한 정보로 지형의 3차원 디지털 모델 도출, 설계단계에서 작업 및 운영의 통합관리, 3D 가상공간에서 최적 설계 및 시공, 사용자 간 디지털 정보를 원활하게 인지하고 교환, 설계 결과물이 각종 법규나 설계기준 등에 적합한지도 자동으로 검토, 공사부지의 지질 및 지반 조사 정보를 BIM에 연계, 측량이나 시추 결과를 바탕으로 지반강도 및 지질상태를 BIM으로 보간 및 예측, AI를 활용한 형상이나 속성정보를 통합하는 BIM 모델링, BIM 설계 객체의 분류 및 속성정보에 대한 표준 구축, 축적된 BIM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빅데이터 활용, BIM 설계 자동화 기술,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속성정보 포함한 3D 모델을 구축하고 BIM 설계, 완료된 프로젝트에서 BIM 라이브러리를 자동 생성, 자체적으로 구조나 에너지를 해석하고 기술판단까지 가능한 BIM 설계, 축적된 사례의 인식과 학습을 통한 AI 기반 BIM 설계 자동화, BIM 기반 공정 및 품질 관리, BIM 기반 공사관리를 통해 주요 공종의 시공간섭을 확인, BIM기반 스마트 설계, 제약 조건 및 발주자 요구사항 등을 반영한 최적화된 설계안 자동 도출, 지형이나 지반 모델링 자동화, BIM설계 자동화, 시공 정밀제어 및 자동화, ICT기반 현장 안전사고 예방기술, BIM기반 공사관리, 모듈화 또는 프리패브방식에 의한 시공, 시설물 점검 및 진단 자동화, IoT 센서 기반 시설물 모니터링 기술, 드론 및 로봇 기반 시설물 진단, IoT 기반의 안전관리 시스템, IoT 기반의 안전관리 메타버스, 웨어러블 IT, 웨어러블 4차산업기술, 웨어러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웨어러블 안전관리 시스템, 웨어러블 안전관리 메타버스, 웨어러블수단 구비의 안전관리 메타버스, 센서 및 IoT를 통해 현장의 실시간 공사정보를 관제에 반영, AI를 활용하여 최적 작업계획 수립, 다양한 객체가 상호작용하는 초연결 IoT로 연결성 및 안정성 강화, 시공 정밀제어 및 자동화 기술, Modular 또는 Prefabrication 자재 및 공법 적용, 작업시 부재 위치 정밀 제어, 부재의 접합부 자동 시공, 로봇을 활용하여 시공 자동화, ICT 기반 현장 안전사고 예방 기술, 가시설이나 지반의 취약공종 실시간 모니터링, 근로자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착용장비로 실시간 취득, 실시간 작업 모니터링, 드론이나 카메라 등에 의한 취득 정보와 연계해 공정진행 상황 체크, 시설물 정보를 실시간 수집, 시설물 정보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 IoT 센서 기반 시설물 모니터링 기술, 무선 IoT 센서의 전력소모를 줄이는 상황감지형 정보수집, 드론이나 로보틱스 기반 시설물 상태 진단 기술, 카메라와 물리적 실험 장비를 장착한 다기능 드론을 통해 시설물을 진단, 드론-로봇 결합체가 시설물을 자율적으로 탐색하고 진단, 접촉 및 비접촉 정보 수집, 대상에 접촉 및 비접촉 정보 수집, 시설물 정보 빅데이터 통합 및 표준화 기술, 시설관리자 판단에 의한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로 표준화, 산재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빅데이터 구축, 지형이나 시설물의 3D 모델, 디지털트윈을 구축해 유지관리 기본 틀로 활용, 대규모 구조물의 신속 정밀한 정보수집을 위한 대용량 통신 네트워크, 디지털트윈 기반 유지관리, 시설물 정보통합 및 표준화, AI기반 최적 유지관리, AI 기반 유지관리 최적 의사결정 기술, 구축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AI가 유지관리 최적 의사결정 지원, 가상작업을 활용하여 조건이나 환경 변화에 따라 작업관리 최적화, AI를 활용해 사업목적이나 제약조건에 따라 맞춤형 공사관리 방법 도출, 축적된 작업패턴이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은 지식과 실시간 정보를 연계하여 위험요인을 사전에 도출하는 예방형 안전관리, 헬멧 착용여부 감지 센서와 근로자 위치 모니터링기와 근로자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헬멧, 랜턴과 카메라와 비콘이 구비된 안전모, 전면에 랜턴과 카메라와 무전기 그리고 후면에 야광램프가 구비된 조끼, 전면에 센서와 라이트 그리고 후면에 야광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멜빵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압전기를 통과한 물질이 분사되는 철근 커플러, 소독기가 구비된 카메라가 장착된 타워크레인, 피에조기에서 처리된 물질과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이용되는 그라우팅, 다이오드가 장착된 노즐을 이용하여 재료가 사면에 분사되는 숏크리트, 모뎀이 구비된 카메라가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한 촬영 정보가 LTE 전송되는 콘크리트 진동기, 살균제를 분사하면서 콘크리트 타설, 오존기가 구비된 비계, 캠이 구비된 거푸집, 상기 캠에 의한 촬영 영상을 무선송신하는 WiFi, 엘리미네이터가 구비된 청정기, 드론에 구비된 정화기, 상기 정화기에 구비된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무선송신하는 통신망, 펄스기와 폭기기와 와류기가 구비된 청소기, 센서와 카메라와 공기질 측정기가 구비된 청정기, 센서와 카메라와 공기질 측정기와 미스트기가 구비된 드론, 콘크리트를 자화하는 코일과 작업 장면을 촬영하는 촬영기와 상기 촬영기에 연계되는 무선 통신망이 구비된 콘크리트 펌프카, IoT 기반 웨어러블수단을 이용한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AI와 IoT 기반 웨어러블수단을 이용한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IoT 기반 웨어러블수단과 딥러닝을 이용한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AI와 IoT 기반 웨어러블수단을 이용한 AR 시스템 또는 VR 메타버스, IoT 기반의 품질관리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AI와 IoT 기반의 환경관리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IoT와 LTE 기반의 사무실 안전관리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AI와 IoT와 빅데이터 기반의 공사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AI와 IoT와 5G 기반의 환경관리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IoT와 LTE와 딥러닝 기반의 주택 안전관리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AI와 IoT와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기반의 공사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바이오기술과 AI와 IoT와 5G 기반의 환경관리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IoT와 LTE와 딥러닝과 바이오기술 기반의 공장 안전관리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AI와 IoT와 빅데이터와 클라우드와 웨어러블과 바이오가 이용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또는 메타버스 등도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일정의 일, 작업, 업무, 생활, 주거,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이 되고, b) 이에 장비, 장치, 드론, 3D프린터, 로봇, 동물, 사람, 인간,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아바타.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에코재, 바이오재 등이 이용되고, c)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등에 의하여 품, 品, 물품, 제품, 상품, 용품, 가전, 가구 등이 조성되고, d)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품 내지 가구 등에 의하여 시설, 건물, 주택, 기초, 도로, 교량, 터널, 아파트, 구조물 등이 조성되고, e)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품 내지 가구, 시설 내지 구조물 등에서는 안전, 사고방지, 재해방지, 무인화, 자동화, 로봇화,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무사고, 무재해, 크리닝 등이 필요하고, f) 상기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품 내지 가구, 시설 내지 구조물, 안전 내지 크리닝 등에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고, g)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하여 상기 안전 내지 크리닝, 메타버스 구현 등이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5)은 상기 수단, 기구, 장비, 장치, 시설, 사물, 만물, 생물, 로봇, 동물, 드론, 물체,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단말기, 3D프린터, 모빌리티, 가상공간, 가상세계, 메타버스,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IT 내지 4차산업기술, 자화기 내지 기능물, 칩 내지 복합요소, 기(器) 내지 복합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5)은 상기 수단, 기구, 장비, 장치, 시설, 사물, 만물, 생물, 로봇, 동물, 드론, 물체,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단말기, 3D프린터, 모빌리티, 가상공간, 가상세계, 메타버스,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IT 내지 4차산업기술, 자화기 내지 기능물, 칩 내지 복합요소, 기(器) 내지 복합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5)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 기반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이용되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 기반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c)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재료; d)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f)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관리, 처리; g)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h)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X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머신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j)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k)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a) 상기 VR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 이용;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 구비;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 구비;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 이용;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기; 등이 되는 VR이다. b) 상기 AI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의 가동에 이용되고,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의 작동에 적용되고,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의 운전에 이용되고,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의 운용에 이용되는 AI이거나; 또는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인공지능적으로 하고; 인공지능이 이용되어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방사하고; 인공지능적으로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것이다. c) 상기 IoT의 예로는 상기 센서와 계측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발생과 미스트발생을 하고; 상기 전자기와 연무를 발생하고; 상기 발광처리와 웨이브처리를 하는 IoT이다. d) 상기 LTE의 예로는 상기 센서와 계측기의 측정 정보를 무선전송하고; 상기 전송 시에 청정과 소독을 하고; 상기 청정 시에 음파와 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 시에 열가변저항처리와 자기장처리를 하는 LTE이다. e) 상기 딥러닝의 예로는 상기 센서와 계측기의 측정 정보를 딥러닝으로 처리하고; 상기 처리 시에 청정과 소독을 하고; 상기 소독 시에 음파와 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 시에 열가변저항처리와 자기장처리를 하는 딥러닝이다. f) 상기 빅데이터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칩 내지 복합요소, 기(器) 내지 복합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축적; 상기 축적된 정보를 중앙처리장치로 처리, 상기 처리된 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 상기 저장된 정보를 출력장치로 출력; 상기 정보를 장비에 활용; 등이 해당된다. g) 상기 드론의 예로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된 드론; 상기 드론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송신 및 축적; 상기 축적된 정보를 중앙처리장치로 처리, 상기 처리된 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 상기 저장된 정보를 출력장치로 출력; 상기 정보를 장비에 활용; 등이 해당된다. h) 상기 메타버스의 예로는 상기 수단, 이의 수단이 이용되는 장비, 상기 장비를 거친 물질, 상기 물질이 이용되는 제품, 상기 제품이 이용되는 일, 상기 일에 의하여 조성되는 구조물, 상기 제품의 소독, 상기 소독의 공법, 상기 일을 하는 로봇, 상기 로봇에 이용되는 IT, 상기 IT에 연계되는 클라우드, 상기 클라우드에 연계되는 단말기 등이 포함되는 또는 구현되는 메타버스이다. i) 상기의 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a) 수단 내지 k) 메타버스, 수단 내지 복합수단, 칩 내지 복합요소,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의 실시예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인전시스템, 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품질관리시스템, 자동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시스템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IoT의 헬멧, IoE 용도의 안경, 센서 구비의 완장, 무전기 구비의 조끼, AI 모듈이 장착된 멜빵, 도뎀 구비의 밴드, 침 장착의 워치, 소자가 장착된 작업화, IT가 접목된 센서, IC가 구비된 버튼, 랜턴, ICT 기반의 카메라, 회로 장착의 무전기, AI에 의하여 알림되는 알림기, LED 장착의 램프, 트렌스 구비의 제어기, 압전기 구비의 센서, 열전기 구비의 계측기, 바이오칩, 시스템 반도체, AI 딥러닝, 빅데이터에 의한 VR, 웨어러블장치 구비의 수단, LTE에 연계되는 비콘, 오존기 구비의 공유기, 5G의 통신장치, 음이온기 구비의 서버, 빅데이터 클라우드, VR이 되는 앱, AR이 구현되는 단말기, MR을 보여주는 컴퓨터, SNS에 업로드되는 메타버스, SNS 플랫폼, 산소 발생 핸드폰, 소셜미디어, IoT가 이용되는 메타버스 등이 이용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는 1)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플랫폼,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메타버스세계, 3차원공간,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에서 또는 등을 통하여 a) 일정 수단, 작업수단,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사람, 인간, 로봇, 아바타, 마네킹, 작업자,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사무실, 집, 주택, 건물, 구조물,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청정, 정화, 퓨리, 청소,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장비, 장치, 청정기, 제조장비, 공사장비; b)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c)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의 이동, 운동, 행동, 활동, 가동, 중지,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영상, 장면, 동영상, 프로세스; 등을 시청, 시연, 공연, 행사, 경청, 방영, 방송, 송출, 청취, 보기, 구경, 읽기, 관람, 입장, 퇴장, 출입, 저장, 기록, 시청각, seeing, hearing 등을 하거나, 2) 또는 이에 의하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대한 관리, 안전관리, 환경관리, 방역관리, 자동관리, 백업관리, 3차원관리, 실시간관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실제 공사 현장과 동일한 3차원 공간의 플랫폼을 조성하고 상기 현장의 장비, 자재, 근로자, 건물, 비계, 형틀, 건자재 마다 ID칩이나 tag나 바코드를 부착하여 ID칩이나 tag나 바코드의 위치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자동으로 플랫폼에 전송되어 상기 장비 내지 건자재 등의 이동 경로나 건물의 축조 과정을 3차원 플랫폼 상에서 볼수 있는 플랫폼이나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로봇, 물체, 센서, 측정기, 카메라,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일정의 년, 월, 주, 1주, 일, 시, 분, 초, 일자, 날자, 시간, 시각, 기간, 간격, 장소, 공간, 거리, 골목, 길, 도로, 집, 공장, 가정, 현장, 동네, 마을, 단지, 아파트, 시설, 건물, 구조물; 또는 1번, 2번, 다번, 수번, 1회, 2회, 다회, 수회, 1왕복, 2왕복, 다왕복; 또는 주기적, 정기적, 간헐적, 비정기적; 등의 또는 등에 또는 등을 또는 등으로 주행, 이동, 비행, 운행, 선회, 이동, 운송, 운반, 활동, 반복, 반복비행, 녹화, 촬영, 송신, 전송, 수신, 자율주행 등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1일에 8시간 간격으로 3번 주행, 아침과 점심과 저녁에 3번 비행, 거리를 왕복 이동, 매월 3일 간격으로 동일 시간에 1시간 동안 운행, 골몰길을 1시간 간격으로 이동하면서 감시, 공장을 3시간 간격으로 10분 비행하면서 촬영하여 공장 감시, 현장에서 4시간 간격으로 30분 이동하면서 촬영하여 현장 감시, 마을을 1일 3회 10분 이동하면서 촬영하고 전송하여 마을 감시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청정, 정화, 퓨리, 안전, 품질, 관리, 처리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을 할 수가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하여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을 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에는 드론이 비행, 주행, 센싱, 계측, 이동, 운송, 운반 등을 할 수 있다. 드론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드론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상부를 비행할 수 있다. 드론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비행, 주행, 센싱, 계측, 이동, 운송, 운반, 탁송, 배달, 배송, 택배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드론,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을 하는 기(器), 기(機), 기구, 기기, 기계, 수단, 장비, 장치, 복합기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에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일 내지 처리; b) 이중 하나의 단계, 공정, 절차, 단계별, 절차별, 공정별; 등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이용 또는 접목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은 상기 일 내지 공정별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예 1로는 a) 공장 등에서 구매, 반입, 하역, 제조, 야적, 적재, 상차, 출하, 판매; b) 이중 하나의 단계, 공정, 절차, 단계별, 절차별, 공정별; 등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이용되는 것이다.
예 2로는 IT기술로 최적의 재료 구매, IC 구비 장치로 재료 반입, VR로 재료 하역, AI를 이용하여 최적 제조, AR로 제조된 제품 야적, MR로 제조된 제품 적재, ICT 장치로 제조된 제품 상차, LTE 통신으로 제품 출하, NFT로 제품 판매, 상기를 카메라 또는 CCTV로 촬영, 상기 촬영 영상을 무선 송신, 상기 영상을 모니터 또는 핸드폰 또는 메타버스에서 보기 등이 해당된다.
예 3으로는 IT기술로 가장 저렴한 최적의 구매, AI 및 IC 구비 장치로 재료 반입, IT 기반의 VR로 재료 하역, ICT 기반의 AI를 이용하여 최적 제조, AI 기반의 AR로 제조된 제품 야적, IoT가 이용되면서 MR로 제조된 제품 적재, AIoT와 ICT 장치로 제조된 제품 상차, 5G 또는 LTE 통신망으로 제품 출하, 딥러닝 및 NFT로 제품 판매, 상기를 드론의 카메라 또는 건물 옥상의 CCTV로 촬영, 상기 촬영 영상을 5G로 무선 송신, 상기 영상에 관한 빅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에 연계되는 모니터 또는 핸드폰 또는 메타버스에서 보기 등이 해당된다.
예 4로는 a) 공사현장 등에서 현장답사, 지형조사, 현장측량, 드론측량, 드론촬영, 지반조사, 시료채취, 채취시료시험, 해석, 분석, 모델링, 구조해석, 설계, 구조설계, 공사설계, 건물설계, BIM설계, engineering, 공사, construction, 토공사, 기초공사, 지하공사, 지상공사, 철근공사, 콘크리트공사, 미장공사, 바닥공사, 기둥공사, 슬라브공사, 문공사, 창호공사, 벽지공사, 마루공사, 타일공사, 설비공사, 전기공사, 시설공사, 실내공사, 실외공사, 인테리어공사, 지하층공사, 1층공사, 2층공사, 3층공사, 10층공사, 20층공사, 30층공사, 공사완공, 공사준공, 건물축조; b) 상기 각 단계별 인력 사용, 장비 사용, 자재 사용; c) 상기 인력과 장비와 자재에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부착; d) 상기 각 단계별 드론촬영, 상기 각 단계별 3D스캐너로 스캐닝, 상기 촬영 또는 스캐닝의 영상을 이용하여 각 단계별 현장의 3차원 형상 제작; e) 상기 3차원 형상에 상기 센서의 이동 경로 표시; f) 상기 이동 경로에 의하여 상기 인력의 작업량, 상기 장비의 작업량, 상기 자재의 사용량 체크; g) 상기 3차원 형상과 이동을 시청할 수 있는 메타버스 또는 3차원 가상공간 구현; 등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이용 또는 접목될 수 있다.
예 5로는 a) 현장답사에 IT 이용, 5G 이용 지형조사, 3D 현장측량, 4D 드론측량, AI 이용 드론촬영, 지반조사에 IC 이용, ICT 이용 시료채취, IoT 채취시료시험, IoE 구조해석, 구조설계에 AIoT 이용, SNS 공개 공사설계, 청정 건물설계, BIM설계, 안전 토공사, 소자가 이용되는 기초공사, 살균하면서 지하공사, 소독하면서 지상공사, 비콘이 구비되는 철근공사, 무선 통신이 되는 콘크리트공사, 로봇 미장공사, 무인 바닥공사, 리모트 컨트롤되는 기둥공사, 센서가 이용되는 슬라브공사, 소자가 이용되는 문공사, 스마트 창호공사, 인터넷 연결 벽지공사, 디지털 마루공사, 딥러닝 타일공사, 바이오 설비공사, 전기공사에 이용되는 반도체, VR 시설공사, AR 실내공사, MR 실외공사, 가상 인테리어공사, 3차원 지하층공사, VR 1층공사, 2층공사에 AR 이용, 3층공사에 MR 이용, 10층공사에 DX 이용, 사이버 20층공사, 메타버스 30층공사, 3차원 공사완공, 융합기술 적용 공사준공, NFT 건물축조; b) 상기 각 단계별 웨어러블수단 착용 인력 사용, IT 장착 장비 사용, ID칩 부착 자재 사용; c) 상기 인력과 장비와 자재에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부착; d) 상기 각 단계별 LTE 드론촬영, 상기 각 단계별 WiFi 3D스캐너로 스캐닝, 상기 촬영 또는 스캐닝의 영상을 이용하여 각 단계별 현장의 3차원 형상 제작; e) 상기 3차원 형상에 상기 센서의 이동 경로 표시; f) 상기 이동 경로에 의하여 상기 인력의 작업량, 상기 장비의 작업량, 상기 자재의 사용량 체크; g) 상기 3차원 형상과 이동을 시청할 수 있는 메타버스 또는 3차원 가상공간 구현; 등이다.
예 6으로는 a) 현장답사에 IT기술이 적용된 탐사장비 이용, 5G 통신망을 이용하여 레이더로 지형조사, 3D스캐너로 3차원의 3D 현장측량, 드론이 비행하면서 4차원의 4D 드론측량, 드론이 비행하면서 인공지능의 AI 이용 드론촬영, 지반조사에 IC가 구비된 조사기 이용, ICT기술이 적용된 채취기를 이용하여 시료채취, IoT 기반의 채취시료 시험, IoE 개념이 적용된 구조해석, 구조설계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AIoT 이용, 쇼셜네트워크서비스인 SNS에 공개되는 공사설계, 환경적으로 청정한 건물설계, BIM기술이 적용되는 3차원 설계, 스마트기술이 도입되어 안전한 토공사, 소자가 장착된 장비가 이용되는 기초공사, 오존을 방사하여 살균하면서 지하공사, 연무를 분사하여 소독하면서 지상공사, 인부의 스마트폰에 연계되는 비콘이 구비되어 인부의 이동이 사무실에서 실시간 감지되는 철근공사, 공사 영상이 무선 통신이 되는 콘크리트공사, 로봇이 수행하는 미장공사, 무인의 자동화 바닥공사, 원격 제어기로 리모트 컨트롤되는 기둥공사, 센서가 장착된 장비가 이용되는 슬라브공사, 소자가 장착된 장비가 이용되는 문공사, 스마트 온도조절이 가능한 창호공사, 공사 영상이 인터넷 연결되어 방영되는 벽지공사, 디지털 장비가 이용되는 마루공사, 딥러닝을 이용하여 최적의 방법으로 작업되는 타일공사, 친환경 바이오 생태구축을 위한 설비공사, 전기공사에 이용되는 IC 반도체, 공사 전에 VR로 보여주는 시설공사, AR이 반영되는 실내공사, MR로 방영되는 실외공사, 아바타가 수행하는 가상 인테리어공사, SNS에 3차원으로 방영되는 지하층공사, VR로 방영되는 1층공사, 2층공사에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AR기술 이용, MR기술이 이용되어 핸드폰으로 시청되는 3층공사, 10층공사에 디지털전환(DX)을 통한 DX기술 이용, 메타버스에서 가상의 사이버 20층공사, 3차원의 가상공간인 메타버스 30층공사, 사이버 가상의 3차원 공사완공, AI와 IoT와 LTE의 융합기술 적용 공사준공, NFT에 의하여 고유번호를 부여받은 건물 축조; b) 상기 각 단계별 조끼가 포함되는 웨어러블수단 착용 인력 사용, IT기술로 무인가동하는 장비 사용, 인식용 ID칩이 부착된 자재 사용; c) 상기 인력과 장비와 자재에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부착; d) 상기 각 단계별 무선통신이 되는 LTE 드론촬영, 상기 각 단계별 와이어리스 WiFi 무선통신의 3D스캐너로 스캐닝, 상기 촬영 또는 스캐닝의 영상을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현장에 대한 실제 및 가상의 3차원 형상 제작; e) 상기 3차원 형상에 상기 센서의 이동 경로 표시; f) 상기 이동 경로에 의하여 상기 인력의 이동 및 작업량, 상기 장비의 이동 및 작업량, 상기 자재의 이동 및 사용량 체크; g) 상기 3차원 형상, 이동, 작업량, 사용량을 시청할 수 있는 메타버스 또는 3차원 가상공간 구현; h) 상기 구현되는 플랫폼 제공; i) 상기 구현되는 정보를 핸드폰으로 시청; 등이다.
상기 일, 작업, 업무 등은 a) 일, work, 작업, 업무, 근무, 근로, 출근, 퇴근, 사무, 서무, 노동, 경영, 운영, 인사, 재무, 제조, 생산, 창작, 공사, 건설, 건축, 시공, 개발, 분양, 중개, 소개, 영업, 협상, 광고, 선전, 이사, 이전, 생활, 활동, 운전, 운행, 주행, 비행, 운반, 운송, 상차, 하차, 주차, 출입, 승차, 하차, 하역, 배달, 택배, 유지, 수리, 수선, 구조, 구제, 보호, 복원, 복구, 보조, 보수, 보강, 재배, 영농, 농사, 분사, 방사, 분무, 분수, 살수, 살포, 포설, 포장, 채취, 시험, 조사, 調査, 탐사, 검사, 감지, 센싱, 관측, 계측, 점검, 진단, 측량, 측정, 측지, 계량, 모니터링, 댄싱, 노래, 연기, 방송, 광고, 촬영, 녹화, 조명, 송신, 수신, 저장, 기록, 연산, 산정, 방영, 시청, 시연, 공연, 행사, 청취, 구경, 보기, 읽기, 듣기, 처리, 처분, 조립, 관리, 감독, 감리, 감별, 감식, 감찰, 식별, 경호, 경비, 수비, 경계, 제어, 조정, 정수,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필터, 흡착, 청소,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제거, 반입, 반출, 해체, 선별, 분리, 파쇄, 분쇄, 분해, 주유, 연소, 소성, 소각, 난방, 온방, 냉방, 위생, 보건, 안마, 마사지, 크리닝, 마케팅, 재건축, 재개발, 인테리어, 리모델링, 차음, 遮音, 내음, 耐音, 방음, 防音, 소음방지, 층간소음방지, 상기 센싱 내지 측정, 상기 센싱 내지 화면시청, 상기 일 내지 안전관리,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상기 인식 내지 안전구축, 상기 인식 내지 복합, 상기 일 내지 네트워크구축, 상기 일 내지 복합; b) 상기 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일을 하는 과정을 SNS를 통하여 3차원의 가상공간에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전기 내지 모빌리티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마는 안마, 마사지, 손안마, 발안마, 목안마, 복부안마, 허리안마, 얼굴안마, 어깨안마, 머리안마, 신체안마, 전신안마, 스킨안마, 전자안마, 미용, 미용안마, LED안마, 진동안마, 손마사지, 발마사지, 목마사지, 등마사지, 팔마사지, 스킨마사지, 허리마사지, 복부마사지, 얼굴마사지, 어깨마사지, 머리마사지, 신체마사지, 전신마사지, 미용마사지, LED마사지, 진동마사지, 부착형마사지, 관리, 몸관리, 얼굴관리, 피부관리,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적용되는 상기 일, 작업, 업무 등의 실시예는 IT 일, 5G 작업, 3D 업무, 4D 근무, Al 근로, IC 출근, VR 퇴근, AR 사무, MR 서무, XR 노동, DX 제조, ICT 생산, NFT 공사, IoT 건축, 시공 IoE, 개발 AIoT, 분양 GPS, 소개 SNS, 협상 BIM, 광고 LTE, WiFi 선전, 안전 이사, 구호 이전, 구조 생활, 세이브 활동, 세이프 운전, 자동 운행, 오토 주행, 자율 비행, 로봇 비행, 모빌 운반, 무인 운송, 유인 상차, 무선 하차, 유선 주차, 출입 소자, 에코 승차, 그린 하차, 하역 환경, 배달 생태, 친환경 수리, 청정 수선, 정화 구조, 살균 구제, 소독 보호, 복원 방역, 복구 방제, 보호 보조, 보안 보수, 보강 케어, 재배 비콘, 영농 전기, 농사 전자, 통신 분사, 방사 정보, 만능 분무, 원격 분수, 리모트 살수, 지능 포설, 비트 포장, 코인 채취, 토큰 시험, 코드 조사, 펄스 탐사, 신호 검지, 필드 감지, 센싱 측정, 관측 제어, 계측 점검, 화학 진단, 물리 측량, 생물 측정, 헬스 모니터링, 댄싱 케어, 인공 측지, 논리 계량, 노래 지식, 연기 지능, 나노 방송, 광고 칩, 방송 웹, 촬영 센서, 녹화 소자, 조명 진자, 송신 기판, 수신 모듈, 저장 회로, 기록 트윈, 스마트 연산, 모바일 산정, 포터블 방영, 인터넷 시청, 디지털 시연, 딥러닝 공연, 머신러닝 행사, 바이오 처리, 미생물 처분, 데이터 구경, 보기 반도체, 읽기 컴퓨터, 메모리 듣기, 실리콘 처리, 웨이퍼 조립, 컨트롤 관리, 감독 시스템, 뉴노멀 감리, 웨어러블 안전, 연성 시연, 플렉시블 공연, 메타 행사, 버스 구경, 메타버스 시청, 작업 아바타, 업무 마네킹, 사이버 공사, 인공지능 연산, 감찰 프로세스, 마이크로 식별, 로보틱스 경호, 빅데이터 경비, 클라우드 수비, 경계 모니터링, 아날로그 처리, 재배 프로그램, 블록체인 감독, 자율주행 시험, 자동제어 정수, 자동감시 폭기, 원격관리 반응, 원격가동 응집, 원격조정 침전, 여과 트랜지스터, 하이브리드 필터, 인텔리전트 청소, 리모트컨트롤 청정, 텔레매틱스 정화, 트렌스포메이션 노래, 3차원 방역, 4차원 방제, save 작업, safe 업무, smart 사무, safety 노동, auto 제조, self 생산, robot 공사, mobile 운반, eco 건축, green 시공, bio 복구, nano 크리닝, care 관리, cleaning 이사, tele 운행, remote 수리, bit 수선, coin 보호, 감식 code, pulse 청소, field 리모델링, 반입 control, health 관리, 기록 chip, 산정 module, 저장 twin, portable 소독, digital 연산, data 처리, 운송 system, 구조 telematics, meta 비행, verse 활동, wearable 보호, flexible 활동, abata 업무, cyber 작업, micro 개발, cloud 저장, hybrid 제조, 복구 wearable technology, PTT 운전, Watcher 운행, PIP 구조, 안전 융합기술, 바이오 생명공학, 응집 생명기술, 4차산업기술 조사, IT5G3D4DAlICVRAR일, MRXRDXICTNFTIoT업무, IoEAIoTGPSSNSBIMLTEWiFi공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로는 IT 이용하는 일, 5G 통신으로 하는 작업, 3D의 3차원 업무, 4D의 4차원 공간에서 근무, Al 인공지능 근로, IC 회로로 인식하는 출근, VR 가상현실에서 퇴근, AR 증강현실에서 사무, MR의 혼합현실에서 서무, XR의 확장현실에서 노동, 디지털 전환으로 제조하는 DX 제조, ICT 제품 생산, NFT 이용 공사, IoT 이용 건축, 시공에 이용되는 IoE, 도시 개발에 이용되는 AIoT, 건물 분양에 이용되는 GPS, 제품 소개 용도의 SNS, 광고에 이용되는 LTE 통신, WiFi 통신으로 선전, 안전한 이사, 시설 구호를 위한 이전, 구조하는 생활, 세이브하는 활동, 세이프한 운전, 자동으로 운행, 오토 자동 주행, 스스로하는 자율 비행, 로봇으로 비행, 모빌리티 이용 모빌 운반, 무인으로 운송, 유인으로 물건을 차량에 상차, 무선 신호로 하차, 유선의 주차선에 주차, 출입을 인식하는 소자, 친환경의 에코 승차, 저탄소 녹색의 그린 하차, 하역하는 환경, 배달하는 생태, 친환경으로 수리, 청정으로 수선, 정화하는 구조, 살균하여 구제, 소독하여 보호, 복원을 위한 방역, 복구하는 방제, 시설 보호에 보조, 보안을 위한 보수, 보강을 위한 케어, 재배를 위한 비콘, 영농 용도의 전기, 농사를 위한 전자, 통신하면서 분사, 오존을 방사하는 정보, 다기능의 만능 분무, 원격으로 분수, 리모트로 살수, 지능으로 포설, 비트로 포장, 코인을 채취, 토큰으로 시험, 코드를 조사, 펄스로 탐사, 신호를 검지, 필드에서 감지, 센싱하는 측정, 관측을 제어, 계측하여 점검, 화학 물질을 진단, 물리 작용으로 측량, 생물을 측정, 헬스를 모니터링, 댄싱을 케어, 인공으로 측지, 논리적으로 계량, 노래하는 지식, 연기하는 지능, 미세한 나노 방송, 광고에 이용되는 칩, 방송 용도의 웹, 촬영하는 센서, 녹화하는 소자, 조명하는 진자, 송신하는 기판, 수신하는 모듈, 정보 저장 용도의 회로, 기록하는 트윈, 스마트한 연산, 모바일 기기로 산정, 이동하는 포터블 방영, 인터넷으로 시청, 디지털로 시연, 딥러닝으로 공연, 머신러닝으로 행사, 바이오로 처리, 미생물을 처분, 데이터를 구경, 보기하는 반도체, 읽기하는 컴퓨터, 저장된 메모리를 듣기, 실리콘으로 처리, 웨이퍼를 조립, 컨트롤하는 관리, 감독하는 시스템, 뉴노멀으로 감리, 웨어러블 수단으로 안전, 연성하게 시연, 플렉시블한 공연, 메타버스에서 행사, 메타버스에서 구경, 메타버스에서 시청, 작업하는 아바타, 업무하는 마네킹, 실제 공사 전에 수행되는 사이버의 가상 공사, 인공지능으로 연산, 감찰하는 프로세스, 마이크로 기기로 식별, 로보틱스의 로봇 이용하여 경호, 빅데이터 분석하여 경비, 클라우드 이용하여 수비, 경계 용도의 모니터링, 아날로그로 처리, 재배하는 프로그램, 블록체인을 감독, 자율주행하는 시험, 자동제어되는 정수, 자동감시되는 폭기, 원격관리로 반응, 원격가동으로 응집, 원격조정으로 침전, 정보를 여과하는 트랜지스터, 다기능의 하이브리드 필터, 인텔리전트의 지능형 청소, 리모트컨트롤하여 청정, 텔레매틱스로 정화, 트렌스포메이션 변환하는 노래, 3차원으로 방역, 4차원으로 방제, 사람을 save하는 작업, safe한 업무, smart한 사무, safety하게 노동, auto로 자동 제조, self 스스로 자율 생산, robot으로 공사, mobile 기기로 운반, eco의 친환경 건축, green의 녹색 시공, bio로 복구, nano의 미세 크리닝, care의 케어 관리, cleaning하여 이사, tele 통신으로 운행, remote 원격 수리, bit 이용 수선, coin으로 보호, 감식하는 code, pulse 형식으로 청소, field에서 리모델링, 반입을 위한 control, health를 관리, 기록하는 chip, 산정하는 module, 저장하는 twin, portable의 휴대형 소독, digital로 연산, data를 처리, 운송하는 system, 구조 용도의 telematics, meta의 가상 비행, verse의 가상 활동, wearable 착용하여 보호, flexible의 유연한 활동, abata가 하는 업무, cyber의 가상 작업, micro의 미세 개발, cloud에 저장, hybrid 형식으로 제조, 복구에 이용되는 wearable technology, PTT 통화하여 운전, Watcher로 운행, PIP 이용하여 구조, 안전을 위한 융합기술, 바이오 이용 생명공학, 응집하는 생명기술, 4차산업기술을 조사, IT 5G 3D 4D Al IC VR AR이 이용되는 일, MR와 XR와 DX와 ICT와 NFT와 IoT을 위한 업무, IoE AIoT GPS SNS BIM LTE WiFi가 이용되는 공사 등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일은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하는 기능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할 수가 있다. 상기 일, 작업, 업무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제품, 상품, 물품, 설비, 시설 등은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제품, 상품, 물품, 설비, 시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가능하다.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의 대상은 또는 등을 하는 것은 수단, 재료, 자재, 시설, 장치, 장비,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처리, 일 내지 복합 등은 하나의 일이 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하나의 수단에 속할 수 있다. 상기 일 내지 처리 등은 하나의 일에 속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상기 수단이거나, 상기 수단이 구비되거나, 상기 일을 하거나, 상기 일에 이용되거나, 상기 일을 하는 수단이다. 상기 일은 상기 일이거나, 상기 일을 하거나, 상기 일을 하는 일이거나, 상기 수단에 이용되거나, 상기 수단을 이용하거나, 상기 수단을 이용하는 일이다. 상기 수단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되거나 또는 가능하고, 상기 일은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되거나 또는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 수단, 일 내지 복합,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 구비, 거치, 적용, 활용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을 함, 행함, 시행, 진행, 수행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인간, 사람, 인부, 작업자, 관리자, 총괄자, 로봇, 장치, 장비, 시설, 설비, 기기, 기계, 드론, UAM, 아바타, 마네킹, 인플루언서 등은 상기 일을 하거나, 상기 수단을 이용하거나, 상기 수단을 이용하여 일을 하거나, 상기 일에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일이나 수단은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 이상의 일이나 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일이나 수단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일이나 수단 등에는 제, 劑, 재, 材, 물질, 재료, 자재, 장비, 장치, 시설, 광촉매, 피톤치드 등이 또는 등의 이용, 구비, 거치, 조성, 형성, 생성, 주입, 투입, 분사, 살수, 코팅, 도장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일이나 수단 등에는 봉, rod, 대, bar, 판, plate, 조, jar, 통, 함, 콘, cone, 망, nat, mesh, 틀, 팬, fan, 일, 수단, 나선, 전선, 전극, 양극, anode, 음극, cathod, 모터, mortor, 모뎀, modem, 소자, 진자, 케이블, 거치대, 지지대, 플러그, 콘센트, 정류기, 정압기, 변압기, 배전반,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상기 제 내지 피톤치드 등이 또는 등의 이용, 구비, 거치, 조성, 형성, 관련, 연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일이나 수단은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하나의 형, 型, 식, 式, 형식, 타입, type 등의 일이나 수단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IT형 일, IT형 수단, IoT형 일, IoT형 수단, 에코형 일, 에코형 수단, 바이오형 일, 바이오형 수단, 스마트형 일, 스마트형 수단, 청정형 일, 청정형 수단, 정화형 일, 정화형 수단 등이다.
상기 일에 관련되는 또는 일을 하는 또는 일에 이용되는 제, 劑, 재, 材,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가전, 가구, 제품, 용품, 상품, 물품, 시설, 설비, 구조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일 내지 처리, 일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에 관련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제, 劑, 재, 材,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가전, 가구, 제품, 용품, 상품, 물품, 시설, 설비, 구조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에 관련되는 또는 수단을 하는 또는 수단에 이용되는 제, 劑, 재, 材,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가전, 가구, 제품, 용품, 상품, 물품, 시설, 설비, 구조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일 내지 처리, 일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에 관련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제, 劑, 재, 材,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가전, 가구, 제품, 용품, 상품, 물품, 시설, 설비, 구조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단 앱, 수단 플랫폼, 일 앱, 일 플랫폼, 앱 수단, 앱 플랫폼, 앱 일, 플랫폼 일,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의 앱,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의 플랫폼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의 크기, 규모, 형상 등은 대형, 중형, 소형, 미니형, 밀리형, 마이크로형, 나노형; 길이 1m 이상의 대형, 길이 또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이 1m 이하의 중형, 길이 또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이 10cm 이하의 소형, 길이 또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이 1cm 이하의 미니형, 길이 또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이 10-3m 이하의 밀리형, 길이 또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이 10-6m 이하의 마이크로형, 길이 또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이 10-9m 이하의 나노형; 면적 1m2 이상의 대형, 면적 1m2 이하의 중형, 면적 102cm2 이하의 소형, 면적 1cm2 이하의 미니형, 면적 (10-3)2m2 이하의 밀리형, 면적 (10-6)2m2 이하의 마이크로형, 면적 (10-9)2m2 이하의 나노형; 체적 1m3 이상의 대형, 체적 1m3 이하의 중형, 체적 103cm3 이하의 소형, 체적 1cm3 이하의 미니형, 체적 (10-3)3m3 이하의 밀리형, 체적 (10-6)3m3 이하의 마이크로형, 체적 (10-9)3m3 이하의 나노형;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의 형상, 형식, 모양, 생김, 배치, 배열, 설치, 위치 등은 점, point, 선, line, 줄, string, 봉, rod, 대, 판, plate, 면, area, 링, ring, 셀, cell, 콘, cone, 망, net, 체, sieve, 틀, 조, 통, 함, 박스, box, 원통, 사각, 나선, 와선, 직선, 곡선, 라인, 동전, 격자, lattice, 호스, 튜브, 파이프, 격자망, 스프링, spring, 스크류, screw, 그리드, grid, 몸체, body, 면적체, area body, 부피체, 중공체, volume body, 오, 열, 층, 1오, 1열, 1층, 2오, 2열, 2층, 3오, 3열, 3층, 다오, 다열, 다층, 오열, 1오1열, 2오2열, 3오3열, 다오다열, 오열층, 1오1열1층, 2오2열2층, 3오3열3층, 다오다열다층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수단(5), 센서 내지 계측기(10); b)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로거, logger, 수집장치, 기록장치, 데이터로거, data logger, 데이터수집장치; c)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무선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PC,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d)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유선통신장치, 유선, 연결선, 케이블, 서버, 클라우드, PC; e)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정보, 영상, 사진, 자료, 데이터 등의 전송, 무선전송, 유선전송, 저장; f)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처리장치, 연산장치, 중앙처리장치, AI장치; g)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전지, 전지판, 배터리, 발전기, 태양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판, 태양발전기; h) 상기 데이터의 해석, 분석, 산정, 연산, 프로그램 해석; i) 상기 해석된 결과의 통지, 보고, 제공; j) 상기 정보 또는 해석에 의하여 힘, 응력, 변형, 변위, 동작, 이동, 누수, 안전, 품질, 환경, 습도, 유량, 액위(液位), 압력, 온도, 속도, 점도 등 파악; k)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PC,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프랫폼,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ℓ) 상기 파악된 내용을 공급, 제공, 시청, 시연, 공연, 행사, 구경, 보기, 청취; m)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환경관리, 원격관리; 등이 이용, 수행, 시행, 처리 등이 가능하다.
상기 로거는 로거, logger, 자동기록기, 自動記錄機, 데이터로거, data logger, 읽는장치, 리드아웃유닛, read out unit,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사상(事象)이나 물리적인 상태를 기록하는 장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인 사건을 자동으로 기록하는 장치, 1분 간격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종이에 인쇄하는 온도계, 1분 간격으로 응력을 측정하여 저장하는 응력로거, 1분 간격으로 변위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변위로거, 1분 간격으로 데이터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로거, 각종 기기의 동작 변화를 실시간 기억 또는 기록 또는 저장해 두는 장치, 선서의 센싱 결과를 실시간 기억 또는 기록 또는 저장해 두는 장치, 계측기의 계측결과를 실시간 기억 또는 기록 또는 저장해 두는 장치, 공장 또는 현장에서 습도, 유량, 액위(液位), 압력, 온도, 속도, 점도 등을 기억해 또는 저장해 두는 장치 등이다. 상기 로거, 로거의 정보, 로거의 기록정보 등은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연산장치,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플랫폼, 메타버스 등에 연계, 송신, 전송, 수신, 저장, 처리, 연산, 보기, 읽기, 시청, 관람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5), 센서 내지 계측기(10) 등은 봉, 대, 판, 줄, 선, 잭, 나선(도 35 c), 사물, 만물, 짐벌, 수단, 거치대(도 35 d), 지지대, 삼각대(도 35 f), 플랫폼, 안테나, 직선봉(도 35 a), 연성봉(도 35 b), 가변봉(도 35 e), 스프링, 셀카봉(도 35 e), 안테나봉(도 35 e), 길이가변봉(도 35 e), 길이조절봉(도 35 e), 휘어지는봉(도 35 b), 길이조절셀카봉(도 35 e) 등에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구성, 거치, 위치, 설치, 존치, 연결, 연계, 병합, 결합, 중첩, 중복, 합체, 첨가, 추가 등이 가능하다. 상기 가변봉은 길이, 크기 등이 가변, 수축, 확장, 늘어남, 줄어듬 등이 되는 봉이다.
본 발명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서 메타버스는 일, 업무, 근무, 작업, 생활, 회의, 미팅, 관광, 문화, 예술, 학교, 학원, 교육, 교통, 통신, 의료, 미디어, 쇼, 패션, 패션쇼, 촬영, 방송, 광고, 선전, 창작, 제조, 공사, 오피스, 정부, 민간, 시설, 사물, 만물, 수단,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되거나, 또는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의 메타버스도 가능하다. 실시예 1은 일이나 업무를 하는 사람, 상기 사람에 구비된 장비, 상기 장비에 투입되는 물질, 상기 물질을 발생하는 기구, 상기 기구가 거치된 공장, 상기 공장의 소독, 상기 소독을 하는 소독기, 상기 소독기에서 분사되는 소독제, 상기 소독제에 의한 소독작업 등이 3차원 가상공간에 포함 또는 구현되는 메타버스이다. 실시예 2는 앱이나 SNS 상의 3차원 가상공간, 이에 구축된 공장이나 현장, 이의 현장에서 일하는 아바타, 상기 아바타가 하는 활동, 상기 공장에 구비된 제품, 상기 제품에 포함되는 물질, 상기 물질을 제조하는 제조기, 상기 현장의 안전 시스템, 상기 아바타에 구비된 센서, 상기 센서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스캐너, 상기 경로가 송신되는 통신망, 상기 송신된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연결되는 폰 등이 포함되는 또는 시청되는 메타버스이다. 실시예 3은 3차원의 가상공간에 하우스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 외부에 장비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는 자재로 조성되고, 상기 자재에는 재료가 포함되고, 상기 재료에는 물질이 함유되고, 상기 하우스에 가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거실에 물체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방에 물품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가전 및 가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에 아바타가 구비되고, 상기 아바타가 음식을 하고, 상기 아바타가 화장품으로 화장을 하고, 상기 아바타가 생필품을 사용하는 것이다. 실시예 4는 상기 공간에 장비, 물질, 재료, 자재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하우스가 조성되고, 상기 하우스에 가구, 물체, 물품, 시설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고, 상기 하우스에 아바타가 활동하고, 상기 아바타에 필요한 음식, 화장품, 생필품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다. 실시예 5는 상기 공간의 음식점 또는 쇼핑센터에 아바타가 근무, 조리, 요리, 판매, 안내, 쇼핑, 주문, 먹기, 취식, 계산, 배달, 배송, 탁송, 택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6은 아바타가 하우스의 하나인 모델하우스, 전시하우스, 회의하우스, 사이버하우스, 사이버모델하우스 중 하나를 광고 또는 관람 또는 상담하고, 상기 아바타가 상기 관람을 하고 다른 아바타가 상기 관람 아바타를 상담 또는 분양상담하는 것이다. 실시예 7은 상기 공간에서 아바타가 일, 업무, 사무, 근무, 작업, 공사, 요리, 조리, 쿠킹, 생활, 활동, 전시, 관람, 회의, 강의, 강연, 수강, 청취, 청정, 정화, 퓨리, 청소, 세척, 세정, 세탁, 빨래, 살균, 소독, 방역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8은 3차원 가상공간 또는 메타버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메타버스 기술, 기법, 공법, 공정, 방법, 개념, 이론, 논리, 산업, 메카니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집, 시설, 건물, 샵(shop), 시장, 마켓, 마트, 학교, 학원, 교실, 백화점, 식당, 음식점, 사무실, 전시장, 관람장, 회의장, 강의실, 센터, 쇼핑센터, 하우스, 모델하우스, 전시하우스, 회의하우스, 사이버하우스, 사이버모델하우스 중 하나를 조성하는 것이다. 실시예 9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모델하우스 조성, 광고, 방문, 상담, 분양, 판매, 매매, 매도, 매수, 소개, 중개, 임대, 임차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0은 앱이나 SNS이나 가상공간에서 모델하우스 조성, 상기 모델하우스 광고, 아바타 또는 사람이 상기 모델하우스 방문, 아바타 또는 사람이 상기 모델하우스 상담, 아바타 또는 사람에게 상기 모델하우스 상담, 상기 모델하우스 분양, 상기 모델하우스 판매, 상기 모델하우스 매매, 상기 모델하우스 매도, 아바타 또는 사람에게 상기 모델하우스 소개, 상기 모델하우스 중개, 상기 모델하우스 임대, 상기 모델하우스 임차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1은 현실세계의 사람이 가상공간 또는 앱의 가상공간에서 일, 주거, 생활, 활동, 쇼핑, 업무, 회의, 대화, 촬영, 방송, 쇼, 패션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2는 현실세계의 사람을 대신하여 가상공간 또는 앱의 가상공간에서 아바타가 상기 일 내지 패션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3은 숍 또는 마트 조성, 아바타 또는 사람이 숍 또는 마트 방문, 숍 또는 마트에서 쇼핑, 숍 또는 마트에서 상품 주문, 아바타가 숍 또는 마트에서 상품 주문, 숍 또는 마트에서 주문 상품 배달, 현실세계에 있는 사람에게 숍 또는 마트에서 주문 상품 배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실시예 14는 공장 또는 현장 또는 무대 또는 공연장 또는 영화관 조성, 아바타가 일 또는 연기, 아바타가 작업 또는 공연, 아바타가 촬영, 아바타가 영화 편집, 아바타 또는 사람이 공연 예매, 아바타 또는 사람이 공연장 방문, 아바타 또는 사람이 공연 또는 영화 관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5는 회사 또는 사무실을 조성, 상기 회사에 아바타가 근무, 상기 사무실에 아바타가 출근, 상기 사무실에 아바타가 일함, 사람을 대신하는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에 일함,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을 퇴근, 아바타가 상기 회사를 청소,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을 공기 청정, 아바타가 상기 사무실에서 회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6은 a) 메타버스 기술, 기법, 공법, 공정, 공간, 방법, 개념, 이론, 논리, 산업, 메카니즘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고, b) 상기 공간 또는 메타버스에 상기 수단이 구비되고, c) 아바타가 상기 공간 또는 메타버스에서 상기 수단을 이용하고, d) 아바타가 상기 공간 또는 메타버스에서 활동, 생활, 요리, 치료, 처리, 업무, 회의, 관람, 상담, 쇼핑, 판매, 구매, 주문, 계산, 배달, 운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7은 가상 공간에서 활동 또는 생활, 상기 공간에서 아바타가 활동 또는 생활, 상기 공간에서 사람 대신에 또는 사람을 대신하는 아바타가 활동, 상기 공간에서 아바타가 활동 또는 생활하고 현실공간에서 상기 아바타인 사람이 활동 또는 생활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하는 것이다. 실시예 18은 가상 공간에 건물 조성, 상기 공간에 또는 상기 건물 주변에 정원 또는 공원 또는 캠퍼스 조성, 상기 건물 내부에 사무실 조성, 상기 건물 내부에 회의실 조성, 상기 사무실에 집기 구비, 상기 사무실 또는 회의실에 책상 구비, 상기 책상에 의자 구비, 상기 의자에 아바타 착석, 상기 사무실에 아바타 근무, 상기 회의실에서 아바타가 회의, 상기 공간 또는 정원 또는 공원 또는 캠퍼스를 아바타가 산책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9는 상기 공간에 공원 조성,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 식재 또는 녹화,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 놀이기구 설치,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 텐트 설치, 아바타가 상기 놀이기구 이용, 아바타가 상기 텐트 이용, 상기 공간 또는 공원에서 아바타가 놀이 또는 휴식 또는 야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20은 차(車)를 생산, 차(車)를 개조, 차(車)를 공사용카로 개조, 상기 차(車)를 아바타가 운전, 상기 차(車)로 아바타가 이동, 상기 차(車)로 아바타가 작업, 아바타가 상기 이동 또는 작업 목적지에 도착, 아바타가 상기 목적지에 시설 설치, 아바타가 상기 목적지에서 작업 또는 시공, 아바타가 상기 시설 이용, 아바타가 상기 시설에서 업무, 아바타가 철근 조립, 아바타가 콘크리트 타설, 아바타가 안전 조치, 아바타가 정보 전송, 상기 전송 정보가 서버에 저장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21은 단상, 상기 단상에 구비된 좌장석, 상기 단상의 전면에 구비된 탁자, 상기 탁자에 거치된 의자, 상기 탁자의 측면에 구비된 부스, 상기 단상 내지 부스 등에 있는 아바타, 가상의 또는 가상세계의 또는 가상현실세계의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가상공간에 있는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앱 또는 어플의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앱 또는 어플에 있는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폰 앱 또는 핸드폰 어플의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가상의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등과 현실의 사람, 가상의 상기 단상 내지 아바타 등과 상기 아바타인 현실의 사람 또는 아바타를 대신하는 현실의 사람, 현실의 사람을 대신하는 상기 아바타, 현실의 사람을 대신하여 활동하는 상기 아바타, 현실의 사람을 대신하여 가상공간 또는 앱의 가상공간에서 활동하는 상기 아바타 등이 해당 또는 포함된다. 실시예 22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방, 집, 건물, 주택; 상기 일 내지 복합;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상기 중 하나의 전, 前, 중, 中, 후, 後, 좌, 우, 내, 외, 사전, 사후, 직전, 직후, 동시, 과정, 공정, 단계; 상기 전 내지 동시 중 하나의 공정; 등을 공간 또는 가상공간 또는 가상세계에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제조, 생산 등은 a) 제조, 재료제조, 용품제조, 제품제조, 수소제조, 생산, 자재생산, 제품생산, 용품생산, 물품생산, 산소생산, 출입, 반입, 하역, 적재, 상차, 출하, 제작, 제도, 준비, 마련, 생성, 조성, 조형, 조각, 형성, 발생, 제철, 제강, 제련, 주조, 주정, 양조, 주물, 주형, 금형, 용융, 용해, 성형, 포밍, 리폼, 냉동, 냉장, 냉각, 해동, 절삭, 양각, 음각, 감광, 가공, 직조, 직공, 양잠, 인쇄, 실사, 프린트, 판금, 용접;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상기 제조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제조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제조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제조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제조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제조하는 공정을 모니터를 통하여 3차원의 가상공간에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제조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전기 내지 모빌리티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품, 品, 제품, 상품, 용품, 물품,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조, 생산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제품, 상품, 물품, 설비, 시설 등은 상기 제조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제품, 상품, 물품, 설비, 시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가능하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3차원 가상공간의 메타버스 상에 구축된 공장, 상기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 상기 사람에 거치된 ID칩, 상기 칩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기에 의하여 상기 공장 내에 이동 경로가 표기되는 상기 ID칩, 상기 이동경로를 상기 가상공간에 실시간 자동으로 전송하는 전송기, 상기 사람에 의하여 제조되는 제품, 상기 제조되는 제품의 수량이 상기 가상공간에 실시간 자동으로 전송하는 전송기, 상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축적되는 정보 빅데이터, 상기 빅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공장에서의 작업량을 산출하는 산출장치, 상기 사람의 활동이 실시간 보여지는 상기 가상공간 등의 구현되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은 a) 공사, construction, 시공, 작업, 건설, 건축, architecture, 축조, 신축, 증축, 개축, 축조, 개발, 분양, 중개, 소개, 이사, 이전, 재건축, 재개발, 조사, 지반조사, 시험, 실험, 측량, 측정, 설계, 해석, 분석, 모델링, modelling, 시뮬레이션, simulation, 조경, 식재, 조형, 조각, 환경, 정화, 복원, 복구, 힐링, 처리, 토공, 굴착, 굴삭, 개착, 천공, 보링, 발파, 항타, 파일항타, 기초항타, 성토, 절토, 되메움, 준설, 삭도, 미장, 방수, 차수, 지수, 발수, 배기, 배수, 지중배수, 우수배수, 도로배수, 터널배수, 조적, 석공, 石工, 石工事, 석축, 창호, 판금, 철근공, 鐵筋工, 시멘트공, 콘크리트공, 비계공, 해체공, 구조물해체공, 기초공, 파일공, 피어공, 케이슨공, 판금공, 조립공, 건축물조립공, 상하수도공, 철도공, 궤도공, 도로공, 수중공, 시설물설치, 철강재설치, 강구조공, 승강기설치공, 단열, 방음, 난방, 온방, 냉방, 방재, 방제, 방화, 소화, 내화, 용접, 접합, 융접, 압접, 납땜, 가열, 소성, 소각, 용융, 분해, 전해, 열분해, 불연공, 난연공, 비계공, 해체, 구조물해체, 보링, 인젝션, 그라우팅, 충진, 충전, 싱크홀, 발포, 팽창, 유지, 관리, 진단, 안전진단, 보수, 균열보수, 단면보수, 보강, 지반보강, 기초보강, 구조보강, 시설보강, 면보강, 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복구, 단면복구, 훼손복구, 개량, 지반개량, 지반개량공사, 시설개량, 구조개량, 보호, 면보호, 사면보호, 차음공, 내음공, 방음공, 소음방지공, 층간소음방지공, 層間騷音防止工, 배합, 혼합, 교반, 지중교반, 지상교반, 몰탈교반, 펌핑, 가압, 공급, 제공, 이송, 압송, 운반,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치기, 레미콘치기, 주입, 몰탈주입, 지중주입, 몰드주입, 압입, 파일압입, 분사, 사면분사, 숏크리트, shotcrete, 스프레이, spray, 시드스프레이, 포설, 아스팔트포설, 포장, packing, paving, pavement, 제품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도배, 면도배, 벽도배, 살수, 분수, 코팅, coating, 도장, 도색, 페인팅, painting, 라이닝, lining, 터널라이닝, 다짐, compaction, 지중다짐, 지상다짐, 포장다짐, 양생, 고결, 고화, 처리, 준설, 삭도, 식재, 식몰, 나무식재, 조경식재, 라이닝, 터널라이닝, 세그먼트공, 터널세그먼트공, 앵카공, 락앵카공, 소일앵카공, 네일링공, 소일네일링공, 볼트공, 락볼트공, 소일볼트공, 인테리어, 리모델링, 숏크리트공, 녹생토공, 시드스프레이공, 실내공사, 실외공사, 현장공사, 건설업, 건설공사, 건설업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CIP(cast in place pile)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GCP(gravel compaction pile)공사,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공사, VCCP(vibrated CCP, DCM(deep cement mixing)공사, SCW(soil cement wall)공사,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또는 RCD기초 공사, ED(earth drill) 또는 ED기초 공사, LW(Labiles Waterglass)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 Method)공사, SIG(Super Injection Grout)공사, 탑다운(top down)공사, 버텀업(buttom up)공사;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공사, 시공, 건설,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공사하는 또는 건물을 축조하는 절차를 스크린를 통하여 3차원의 가상공간에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철근공 내지 시드스프레이공 등에서 공은 공, 工, 공사, 건설, 시공, construction 등이 해당된다.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전기 내지 모빌리티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적용되는 상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의 실시예는 IT 공사, 5G 시공, 3D 건설, 4D 건축, Al 개발, IC 축조, VR 분양, AR 중개, MR 소개, XR 이사, DX 이전, ICT 재건축, NFT 재개발, 설계 IoT, 해석 IoE, AIoT 분석, GPS 해석, SNS 모델링, BIM 시뮬레이션, LTE 조경, WiFi 식재, 안전 설계, 구호 조각, 구조 환경, 세이브 정화, 세이프 복구, 자동 힐링, 오토 처리, 자율 토공, 로봇 굴착, 모빌 발파, 무인 성토, 유인 절토, 무선 준설, 유선 삭도, 미장 소자, 에코 방수, 그린 차수, 환경 배기, 생태 배수, 친환경 조적, 청정 석공, 정화 석축, 살균 철근공, 소독 시멘트공, 방역 비계공, 방제 해체공, 기초공 보호, 보안 파일공, 피어공 케어, 조립공 비콘, 공사 전기, 건설 전자, 통신 축조, 정보 개발, 만능 공사, 원격 분양, 리모트 중개, 지능 작업, 비트 분석, 코인 개발, 토큰 복원, 도장 코드, 펄스 공사, 신호 개발, 필드 도장, 보수 측정, 상하수도공 제어, 계측 공사, 화학 도장, 물리 코팅, 생물 팽창, 헬스 충전, 복구 케어, 인공 공사, 논리 철도공, 지식 방재, 지능 분사, 나노 공급, 도로공 칩, 시설물설치 웹, 강구조공 센서, 면처리 소자, 복구 진자, 기판 개량, 혼합 모듈, 회로 공급, 트윈 공급, 스마트 주입, 모바일 공사, 포터블 치기, 인터넷 주입, 디지털 이송, 딥러닝 압송, 머신러닝 운반, 바이오 타설, 미생물 주입, 방재 데이터, 방제 반도체, 방화 컴퓨터, 소화 메모리, 내화 실리콘, 웨이퍼 공사, 발포 컨트롤, 숏크리트 시스템, 뉴노멀 스프레이, 웨어러블 타설, 연성 포설, 플렉시블 포장, 메타 도배, 버스 코팅, 메타버스 도장, 아바타 라이닝, 마네킹 다짐, 사이버 준설, 인공지능 양생, 도배 프로세스, 마이크로 식재, 로보틱스 인테리어, 건설 빅데이터, 공사 클라우드, 개발 모니터링, 아날로그 공사, 볼트공 프로그램, 블록체인 건설공사, 자율주행 공사, 자동제어 건설, 자동감시 앵카공, 원격관리 건설업, 원격가동 건축공사, 원격조정 토목공사, 공사 트랜지스터, 하이브리드 건설, 인텔리전트 건축, 리모트컨트롤 탑다운공사, 건설 텔레매틱스, 시공 트렌스포메이션, 3차원 공사, 4차원 시공, save 공사, safe 건설, smart 시공, safety 보수, auto 공사, self 시공, robot 공사, mobile 주입, eco 공사, green 건설, bio 건축, nano 개발, care 도장, cleaning 코팅, tele 공사, remote 타설, bit 공사, coin 건축, 건설 code, pulse 개발, field 공사, 건설 control, health 양생, 공사 chip, 건설 module, 분양 twin, portable 공사, digital 조경, 토공 data, 공사 system, 환경 telematics, meta 정화, verse 복원, wearable 공사, flexible 이사, abata 분양, cyber 분양, micro 중개, cloud 소개, hybrid 조각, 미장 wearable technology, PTT 토공, Watcher 굴착, PIP 발파, 공사융합기술, 생명공학힐링, 생명기술모델링, 4차산업기술 리모델링, IT5G3D4DAlICVRAR공사, MRXRDXICTNFTIoT건설, IoEAIoTGPSSNSBIMLTEWiFi시공 등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는 IT 장비에 의하여 IT 이용 공사, 5G장비에 의하여 5G 통신하는 시공, 3D의 3차원 건설, 4D의 4차원 건축, Al 이용 개발, IC 이용 축조, VR 가상현실에서 아파트 분양, AR 증강현실에서 건물을 중개, MR의 혼합현실에서 방을 소개, XR의 확장현실에서 집 이사, DX 이용 이전, ICT 적용 재건축, NFT의 재개발, 설계에 이용되는 IoT, 구조 해석을 위한 IoE, AIoT 인공지응 사물인터넷 분석, GPS 위치 해석, SNS 서비스 모델링, BIM 이용 시뮬레이션, LTE 통신이 되는 조경, WiFi 통신이 되는 식재, 안전한 설계, 구호 용도의 조각, 구조하는 환경, 시설 세이브를 위한 정화, 세이프 용도의 복구, 자동으로 되는 힐링, 오토로 처리, 자율적인 토공, 로봇 이용 굴착, 모빌로 이동하는 발파, 무인으로 하는 성토, 유인으로 하는 절토, 무선 통신 이용 준설, 유선 통신 이용 삭도, 미장하는 소자, 에코 친환경 방수, 그린의 녹색 차수, 환경을 위한 배기, 생태를 위한 배수, 친환경으로 조적, 공기 청정하면서 석공, 오염 정화하면서 석축, 살균하면서 철근공, 소독하면서 시멘트공, 방역하면서 비계공, 방제하면서 해체공사, 기초공을 보호, 보안하면서 파일공, 피어공의 케어, 조립공에 이용되는 비콘, 공사 용도의 전기, 건설 용도의 전자, 통신을 위한 축조, 정보를 개발, 만능의 공사, 원격으로 분양, 리모트로 중개, 지능적인 작업, 비트 이용 분석, 코인을 개발, 토큰을 복원, 도장하는 코드, 펄스 이용 공사, 신호 통신 개발, 필드 야외의 도장, 보수를 위한 측정, 상하수도공을 제어, 계측을 위한 공사, 화학적으로 도장, 물리적으로 코팅, 생물의 팽창, 헬스를 위한 충전, 복구하는 케어, 인공적인 공사, 논리적인 철도공, 지식 이용 방재, 지능 이용 분사, 나노의 미세 공급, 도로공을 위한 칩, 시설물설치가 구현되는 웹, 강구조공에 사용되는 센서, 면처리를 위한 소자, 복구하는 진자, 기판의 개량, 혼합된 모듈, 회로의 공급, 트윈의 공급, 스마트의 기능성 주입, 모바일의 이동형 공사, 포터블의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시멘트 치기, 인터넷의 주입, 디지털 장치 이용 이송, 딥러닝 적용의 압송, 머신러닝 사용의 운반, 미생물이 이용되는 바이오 물질의 타설, 미생물을 지중에 주입, 방재 용도의 데이터, 방제를 위한 반도체, 방화 용도의 컴퓨터, 소화에 이용되는 메모리, 내화 용도의 실리콘, 웨이퍼를 위한 공사, 발포의 컨트롤, 숏크리트 공사하는 시스템, 뉴노멀의 스프레이,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연성의 유연한 포설, 플렉시블의 유연한 포장, 메타 공간에서 도배, 가성공간 버스에서 코팅, 메타버스에서 도장, 아바타가 하는 라이닝 공사, 마네킹이 하는 다짐, 사이버의 가상 준설, 인공지능 이용 양생, 도배하는 프로세스, 마이크로 장치 이용 식재, 로보틱스 이용의 인테리어, 건설에 적용되는 빅데이터, 공사에 이용되는 클라우드, 개발하는 모니터링, 아날로그 형식의 공사, 볼트공을 하는 프로그램, 블록체인 이용 건설공사, 자율주행하는 공사, 자동제어하는 건설, 자동감시되는 앵카공, 원격관리되는 건설업, 원격가동되는 건축공사, 원격조정되는 토목공사, 공사 용도의 트랜지스터, 하이브리드의 다양한 건설, 인텔리전트한 건축, 리모트컨트롤되는 탑다운공사, 건설 용도의 텔레매틱스, 시공하는 트렌스포메이션, 3차원의 공사, 4차원의 시공, save하는 공사, safe한 건설, smart의 시공, safety한 보수, auto의 자율 공사, self의 장비 스스로 시공, robot 이용 공사, mobile의 이동 주입, eco의 친환경 공사, green의 녹색 건설, bio 미생물 이용의 건축, nano 소재 이용 개발, 벽면을 care하는 도장, cleaning하는 코팅, tele 통신하면서 공사, remote 원격 타설, bit 이용 공사, coin 이용 건축, 건설 용도의 code, pulse 이용 개발, field에서 공사, 건설의 control, health한 양생, 공사 용도의 chip, 건설 자재의 module, 분양하는 twin, portable한 공사, digital 이용 조경, 토공 이용 data, 공사하는 system, 환경에 이용되는 telematics, meta 공간의 정화, verse 공간의 복원, 인부가 wearable 수단을 착용하는 공사, flexible 유얀한 이사, abata의 분양, cyber의 가상공간에서 분양, micro의 미세 중개, cloud의 소개, hybrid의 조각, 미장에 이용되는 wearable technology, PTT 이용 토공, Watcher 이용 굴착, PIP 이용 발파, 공사의 융합기술, 생명공학 이용 힐링, 생명기술 이용 모델링, 4차산업기술 적용 리모델링, IT와 5G와 3D와 4D와 Al와 IC와 VR와 AR 이용의 공사, MR XR DX ICT NFT IoT 이용의 건설, IoE AIoT GPS SNS BIM LTE WiFi 이용의 시공 등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제품, 상품, 물품, 설비, 시설 등은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제품, 상품, 물품, 설비, 시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가능하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공사 현장, 사람, 자재, 장비, 건물 등을 3차원 가상공간에 구현하는 것으로 상기 현장을 가상공간에 조성, 상기 현장을 측량하여 이의 측량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형상을 가상공간에 조성, 상기 사람에 구비된 ID카드의 이동경로 파악, 상기 자재에 부착된 RFID의 이동경로 파악, 상기 장비에 장착된 센서의 이동경로 파악, 상기 파악하여 상기 사람, 자재, 장비의 이동 파악, 드론이나 측량기를 이용하여 얻어진 영상 및 측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비에 의하여 축조되는 상기 건물의 3차원 형상을 상기 공간에 조성, 상기 현장이나 건물을 이동하는 상기 사람, 자재, 장비의 이동 파악, 상기 파악에 의하여 상기 사람, 자재, 장비의 안전 평가, 상기 가상공간을 앱이나 단말기로 시청, 상기 시청하여 상기 사람, 자재, 장비의 이동과 상기 건물의 축조 장면을 실시간 파악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건설업 또는 건설공사는 a) 토목공사업, 건축공사업, 토목건축공사업, 산업ㆍ환경설비공사업, 조경공사업, 지반조성공사사업, 포장공사업, 토공사, 포장공사, 보링공사, 그라우팅공사, 파일공사, 실내건축공사업, 금속창호공사업, 지붕공사업, 건축물조립공사업, 금속구조물공사, 창호공사, 온실공사, 지붕판금공사, 건축물조립공사, 도장공사업, 습식공사업, 방수공사업, 석공사업, 도장공사, 습식ㆍ방수공사, 석공사, 조경식재공사업, 시설물공사업, 조경식재공사, 조경시설물설치공사, 철근공사업, 콘크리트공사업, 구조물해체공사업, 비계공사업, 상ㆍ하수도설비공사업, 상ㆍ하수도설비공사. 철도공사업, 궤도공사업, 철강구조물공사업, 수중공사업, 준설공사업, 수중공사, 준설공사, 승강기공사업, 삭도공사업, 승강기설치공사, 삭도설치공사, 기계가스설비공사업, 가스난방공사업, 시설물유지관리업, 신축공사, 건축공사, 토공사, 굴착공사, 기초공사, 바닥공사, 비계공사, 기둥공사, 빔공사, 벽체공사, 칸막이공사, 슬라브공사, 철근공사, 형틀공사, 철근배근공사, 형틀내 철근배근공사, 콘크리트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타설공사, 형틀내 콘크리트타설공사, 설비공사, 배관공사, 수도공사, 하수공사, 방수공사, 방음공사, 단열공사, 조적공사, 타일공사, 미장공사, 지붕공사, 옥상공사, 문공사, 창호공사, 도배공사, 석공사, 도장공사, 조경공사, 배선공사, 전기공사, 내장공사, 외장공사, 인테리어공사, 리모델링공사, 마감공사, 면마감공사;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건축공사하는 과정을 SNS의 플랫폼을 통하여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목공사업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작업 또는 공사의 예로는 조사, 답사, 시험, 측량, 설계, 모델하우스 오픈, 사이버하우스 오픈, 메타버스하우스 오픈, 분양, 중개, 계약, 센싱, 계측, 촬영, 녹화, 송신, 수신, 저장, 기록, 착공, 굴착, 발파, 터파기, 절토, 성토, 토공, 형틀 조립, 철근 조립,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탈형, 형틀 해체, 구조물 성형, 구조물 형성, 구조물 면처리, 구조물 면정리, 면 또는 벽면에 광촉매 분사 또는 코팅, 면 또는 벽면에 광촉매 피톤치드 분사 또는 코팅, 조적, 미장, 방수, 도장, 창호공사, 바닥공사, 벽공사 천장공사, 옥상공사, 단열공사, 조경공사, 정화조공사, 도로공사, 포장공사, 줄눈공사, 마킹공사, 공사 완공, 공사 준공, 이사, 전입, 생활, 업무,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거나, 또는 등의 순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공사, 작업, 조사 내지 복합 등은 장비, 장치, 드론, 모빌리티, 3D프린터, 메타버스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의 드론, 모빌리티, 3D프린터, 메타버스 등에는 공사장비, 작업장비 등의 구비, 이용, 연계, 거치, 비행 등이 가능하다. 상기 조사 내지 복합 등은 또는 조사 내지 복합 등의 과정은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3차원 가상공간 등으로 시청이나 방영이 가능하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등에서 제공되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상기 조사 내지 복합 등이 구현, 시청, 시연, 공연, 행사, 구경, 공급, 제공, 청취 등이 되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구현 내지 청취 등은 앱, 어플, PC, 컴퓨터, 영상, 동영상, 도면, 그림, 도표, 사진, 챠트, 파일, 화면, 모니터, 스크린, 태블릿, 폰, 핸드폰, 스마트폰, SNS, 플랫폼, 디스플레이, 라이브스트리밍 등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지반개량 또는 지반개량공사에는 a) LW(labiles wasser glass)공사, 지반에 LW를 주입하여 지반을 고결하는 공사,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공사, RCD 이용 공사, RCD로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공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기초 또는 기둥을 조성하는 공사, PRD(percussion rotaty drill)공사, PRD 이용 공사, PRD로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공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기초 또는 기둥을 조성하는 공사, DCM(deep cement mixing)공사, DCM 이용 공사, DCM에 의하여 지중에 시멘트 기둥을 조성하는 공사, SCW(soil cement wall)공사, 소일과 시멘트를 혼합하여 소일시멘트 고결제를 형성하는 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지중에 SCP를 조성하는 공사, 지중에 모래를 투입하면서 다짐하여 파일을 조성하는 공사, GCP(gravel compaction pile)공사, GCP를 조성하는 공사, 지중에 자갈을 투입하면서 다짐하여 파일을 조성하는 공사, PBD(pastic board drain)공사, 지중에 PBD를 타설하는 공사, 지중에 PBD를 타설하고 지상에 상재하중을 가하여 지중을 압축하여 지중의 물을 상기 PBD를 통하여 배수하는 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공사, JSP로 지중을 그라우팅하는 공사, JSP로 지중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공사, SGR(space grouting rocket system)공사, SGR으로 지중을 그라우팅하는 공사, SGR로 지중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는 공사;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지반 그라우팅하는 과정을 핸드폰를 통하여 3차원적으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LW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공사, 시공, 보수, 보강, 농사, 주유, 처리, 연소, 소성, 소각 등에는 a) 공사, 시공, 건설, 건축, 토목, 조경, 조형, 공장, 제조공장, 현장, 건설현장, 굴착, 지반굴착, 암반굴착, 드릴굴착, 오거굴착, RCD굴착, 탑다운굴착, 착정, 우물공착정, 발파, 암반발파, 천공, 지중천공, 보링, 지반보링, 암반보링, 앵카공보링, 지반조사용보링, 배합, 레미콘배합, 교반, 혼합, 콘크리트혼합, 타설, 형틀타설, 몰드타설, 거푸집타설, 건물형틀타설, 구조물형틀타설, 라이닝타설, 터널라이닝타설, 지면타설, 공장타설, 제조공장타설, 건자재제조공장타설, 현장타설, 도로현장타설, 옹벽현장타설, 터널현장타설, 교량현장타설, 치기, 몰탈치기, 시멘트치기, 콘크리트치기, 붓기, 레미콘붓기, 넣기, 콘크리트넣기, 진동, 형틀진동, 타설물진동, 형틀내타설물진동, 진동기진동, 포설, 포장포설, 지면포설, 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노면포장, 교면포장, 신설포장, 보수포장, 분사, 면분사, 사면분사, 밥면분사, 비탈면분사, 굴착부분사, 뿜기, 뿜어붙이기, 숏크리팅, 살포, 지중살포, 수중살포, 농약살포, 분산, 수중분산, 분수, 공중분수, 분무, 공중분무, 살수, 지면살수, 분진제거살수, 관수, 농업관수, 식물관수, 비닐하우스관수, 농사, 유입, 수유입, 공기유입, 물질유입, 재료유입, 유출, 수유출, 공기유출, 물질유출, 재료유출, 통과, 물질통과, 주입, 지중주입, 수중주입, 공중주입, 토양주입, 오염토양주입, 건물주입, 균열주입, 구조물주입, 보수용주입, 그라우팅, 앵카그라우팅, 네일링그라우팅, 인젝션, 균열인젝션, 락볼트인젝션, 주유, 유류주유, 주유소주유, 주사, 약물주사, 방수액주사, 균열부주사, 투입, 굴착부투입, 혼입, 충진, 공동충진, 균열충진, 줄눈충진, 싱크홀충진, 굴착부충진, 보링공충진, 앵커공충진, 네일링공충진, 락볼트공충진, 충전, 공동충전, 전기충전, 배터리충전, 단면충전, 균열충전, 콘크리트단면충전, 믹싱, 지중믹싱, 지반믹싱, 지중교반믹싱, 시멘트믹싱, 다짐, 포장다짐, 도로다짐, 지중다짐, 조적, 벽돌조적, 방수, 누수방수, 건물방수, 옥상방수, 지하방수, 균열방수, 교면방수, 면처리, 표면처리, 강재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미장, 몰탈미장, 발수, 포장발수, 콘크리트발수, 블라스팅, 녹제거블라스팅, 도장, 강재도장, 페인트도장, 코팅, 표면코팅, 라이닝, 굴착부라이닝, 터널라이닝, 양생, 타설물양생, 수양생, 공기양생, 보수, 균열보수, 단면보수, 보강, 요철보강, 단면보강, 강성보강, 강도보강, 콘크리트보강, 개량, 지반개량, 건물개량, 복원, 하천복원, 오염복원, 환경복원, 단면복원, 복구, 단면복구, 콘크리트단면복구, 환경복구, 실내공사, 실외공사, 현장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인테리어, 실내인테리어, 실외인테리어, 리모델링, 건물리모델링, 아파트리모델링, 해체, 건물해체, 선별, 해체물선별, 폐기물선별, 파쇄, 폐기물파쇄, 분쇄, ,폐기물분쇄, 신축, 재건축, 재개발, 연소, 물질연소, 연료연소, 소성, 물질소성, 광물소성, 크링커소성, 1000∼1500도소성, 소각, 물질소각, 폐기물소각, 700∼1000도소각, 열분해, 물질열분해, 플라스틱열분해, 300∼700도열분해, 소결, 가압가열하여소결, 고결, 고화;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전기 내지 모빌리티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인테리어하는 장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3차원적으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공사, 시공, 보수, 보강, 농사, 주유, 처리, 연소, 소성, 소각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제품, 상품, 물품, 설비, 시설 등은 상기 공사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제품, 상품, 물품, 설비, 시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공사는 또는 상기 공사, 건설, 시공, 건축, 작업 등은 a) 공사, 시공, 작업, 건설, 건축, 축조, 신축, 증축, 개축, 설치, 축조, 재건축, 재개발, 가설, 조경, 식재, 조형, 조각, 환경, 정화, 복원, 복구, 힐링, 처리, 정비, 정리, 기계정비, 장치정비, 시설정비, 지역정비, 지구정비, 도시정비, 도로정비, 포장정비, 시설정비공사, 지역정비공사, 지구정비공사, 도시정비공사, 도로정비공사, 포장정비공사, 운반, 소운반, 인력운반, 토공, 굴착, 발파, 파쇄, 분쇄, 성토, 흙성토, 암성토, 절토, 뒤채움, 되메움, 되메우기, 토취, 채취, 고르기, 보호공, 측량, 준설, 삭도, 미장, 방수, 차수, 지수, 발수, 방호, 관리, 현장관리, 배기, 배수, 지중배수, 우수배수, 도로배수, 터널배수, 조적, 석공, 석축, 철근공, 시멘트공, 콘크리트공, 비계공, 해체공, 구조물해체공, 기초공, 파일공, 피어공, 케이슨공, 판금공, 조립공, 건축물조립공, 상하수도공, 철도공, 궤도공, 도로공, 수중공, 시설물설치, 철강재설치, 강구조공, 승강기설치공, 도장, 도색, 단열, 방음, 방재, 방제, 방화, 소화, 내화, 불연, 난연, 비계, 해체, 구조물해체, 창호, 판금, 보링, 인젝션, 그라우팅, 충진, 충전, 공동충전, 전기충전, 배터리충전, 싱크홀, 발포, 팽창, 보수, 균열보수, 단면보수, 보강, 지반보강, 기초보강, 구조보강, 시설보강, 면보강, 면처리, 콘크리트면처리, 복구, 단면복구, 훼손복구, 개량, 지반개량, 시설개량, 구조개량, 보호, 면보호, 사면보호, 배합, 혼합, 교반, 지중교반, 지상교반, 몰탈교반, 공급, 이송, 압송, 운반,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치기, 레미콘치기, 주입, 몰탈주입, 지중주입, 몰드주입, 분사, 사면분사, 숏크리트, 스프레이, 시드스프레이, 포설, 아스팔트포설, 포장, 제품포장, 진공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코팅, 면도배, 코팅, 라이닝, 터널라이닝, 다짐, 지중다짐, 지상다짐, 포장다짐, 기초다짐, 다지기, 준설, 삭도, 양생, 보양, 보호, 도배, 식재, 나무식재, 조경식재, 라이닝, 터널라이닝, 세그먼트공, 터널세그먼트공, 앵카공, 락앵카공, 소일앵카공, 네일링공, 소일네일링공, 볼트공, 락볼트공, 소일볼트공, 인테리어, 리모델링, 숏크리트공, 녹생토공, 시드스프레이공, 개설, 유지보수, 적재, 상치, 하차, 하역, 추정, 지하지반의 추정, 우물통 기초공사, 분류, 토질분류, 암분류, 작업, 보완, 실사, 작성, 도면작성, 상세도면작성, 현장시공상세도면의 작성, 운전, 시운전, 조정, 조종, 감액, 증액, 관리, 품질관리, 보건관리, 산업관리, 안전관리, 산업보건관리, 산업안전보건관리, 환경관리, 측량, 시공측량, 가설공사, 가시설공사, 자재공사, 화물운반, 우물통공사, 기초공사, 우물통 기초공사, 건물공사, 교량공사, 구조물공사, 가설물공사, 가시설물공사, 사무소공사, 사무실공사, 현장사무소공사, 가설시설물공사, 도면작업, 상세도면작업, 시공상세도면작성, 현장시공상세도면작성, 현장공사, 토취장물색, 골재원파악, 운반로공사, 자동차운반, 화물자동차운반, 지반조사, 지하지반조사, 토질시험, 암분류, 암반조사, 반장작업. 신호수작업, 작업자업무, 노동자작업, 품셈작성, 표준품셈산정, 대가산정, 일위대가산정, 손율산정, 이율산정, 이윤산정, 손해산정, 인건비산정, 자재비산정, 공사비산정, 시공비산정, 건설비산정, 건축비산정, 경비산정, 기계경비산정, 시운전비산정, 조정비산정, 품질향상, 관리비신장, 품질관리, 산업안전보건관리, 보험료산정, 산업재해보상 보험료산정, 환경관리, 안전관리, 측량, 시공측량, 구조물공사, 동바리설치, 구조물공사, 비계설치, 축중계설치, 규준틀설치, 가설건축물설치, 철제조립식 가설건축물 설치 및 해체, 콘테이너형 가설건축물 설치 및 해체, 울타리설치, 가설울타리설치, 방음벽설치, 가설방음벽설치, 강관 지주 설치 및 해체, H형강 지주 설치 및 해체, 가설울타리판 설치 및 해체, 방음판 설치 및 해체, 세로형 가설방음판 설치 및 해체, 가로형 가설방음판 설치 및 해체, 규준틀 설치 및 철거, 토공의 비탈 규준틀 설치 및 철거, 도로용 목재 수평규준틀 설치 및 철거, 도로용 철재 수평규준틀 설치 및 철거, 평규준틀 설치 및 철거, 동바리 설치 및 해체, 강관 동바리 설치 및 해체, 시스템 동바리 설치 및 해체, 알루미늄 폼 동바리 설치 및 해체, 잭서포트 설치 및 해체, 비계, 비계 설치 및 해체, 강관비계 설치 및 해체, 시스템비계 설치 및 해체, 강관틀 비계 설치 및 해체, 강관 조립말비계(이동식)설치 및 해체, 계단 설치 및 해체, 경사형 가설 계단 설치 및 해체, 타워형 가설 계단 설치 및 해체, 비계용 브라켓 설치 및 해체, 방호시설 설치, 낙하물 방지망(비계) 설치 및 해체, 낙하물 방지망(플라잉넷) 설치 및 해체, 낙하물 방지망(시스템방호) 설치 및 해체, 방호선반 설치, 안전망 설치 및 해체, 철골 안전망 설치 및 해체, 비계주위 보호막 설치 및 해체, 보호망 설치 및 해체, 비계주위 보호망 설치 및 해체, 갱폼주위 보호망 설치 및 해체, 방진망 설치 및 해체, 추락방망 설치 및 해체,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 및 해체, 난간대 설치 및 해체, 안전난간대 설치 및 해체, 계단난간대 설치 및 해체, 안전난간대 설치 및 해체, 엘리베이터 난간틀 설치 및 해체, 엘리베이터 추락방호망 설치 및 해체, 방음문 설치 및 해체, 터널방음문 설치 및 해체, 울타리 설치 및 해체, 타워크레인 방호울타리 설치 및 해체, 안전통로 설치 및 해체, 보행자 안전통로 설치 및 해체, 덮개 설치 및 해체, 개구부 수평보호덮개 설치 및 해체, PE드럼 설치 및 해체, 방호벽 설치 및 해체, PE가설방호벽 설치 및 해체, PC가설방호벽 설치 및 해체, 가설휀스(H-Beam기초) 설치 및 해체, 흙막이 설치 및 해체, 박스형 간이흙막이 설치 및 해체, 조립식 간이흙막이 설치 및 해체, 난간 설치 및 해체, 강재거푸집 작업용 난간 설치 및 해체, 관리, 현장관리, 보양, 건축물보양, 현장정리, 건축물 현장정리, 살수, 살포, 분사, 먼지제거살수, 비산먼지 발생 억제를 위한 살수, 세륜기 설치 및 해체, 자동세륜기 설치 및 해체, 슬러지 제거, 장비 이용 공사, 엘리베이터형 자재운반용 타워(호이스트) 설치 및 해체, 축중계 설치 및 해체, 파이프 루프공, 토공사, 굴착, 인력굴착(토사), 인력굴착(암반), 암파쇄(유압식 할암공법), 암발파(미진동굴착 TYPE-Ⅰ), 암발파(정밀진동제어발파 TYPE-Ⅱ), 암발파(소규모진동제어발파 TYPE-Ⅲ), 암발파(중규모진동제어발파 TYPE-Ⅳ), 암발파(일반발파 TYPE-Ⅴ), 암발파(대규모발파 TYPE-Ⅵ), 암발파(소형브레이커), 수중발파, 되메우기, 뒤채움, 다지기, 인력 흙 다지기, 기초다짐 및 뒤채움(소형장비), 기초다짐, 뒤채움(대형장비), 기초지정, 절토부대공, 절토면 고르기, 청소, 암반청소, 성토부대공, 고르기, 성토, 성토면 고르기, 식재면 고르기, 암성토, 보호공, 비탈면 보호공, 블록설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설치, 지압판블록 설치, 보호공 설치, 사면보호공 설치, 천연섬유사면보호공 설치, 녹화, 녹생, 절토사면 녹화, 보강공, 비탈면 보강공, 보강토 옹벽공사, 패널 설치, 블록 설치, 버팀목 설치 및 해체, 뒤채움 및 다짐, 벌개, 제근, 벌개제근, 벌목, 뽑기, 뿌리뽑기, 개간, 답면고르기, 유지, 보수, 보강공, 비탈면 보강공, 지압판블록 설치, 비탈면 점검로 설치, 조경공사, 잔디 식재, 초화류 식재, 잔디붙임, 초류종자 살포(기계살포), 초화류 식재, 거적덮기, 관목식재, 굴취, 식재(단식(單植)), 식재(군식(群植)), 교목, 뿌리돌림, 굴취(나무높이), 굴취(근원직경), 식재(나무높이), 식재(흉고직경), 조경구조물공사, 정원석 쌓기 및 놓기, 조경유용석 쌓기 및 놓기, 잔디블록 포장, 매트포장, 야자섬유매트포장, 유지보수, 전정, 일반전정, 조형전정, 가로수전정, 관목전정, 수간보호, 줄기감싸기, 인력관수, 살수차관수, 제초, 잔디깎기, 예초, 교목시비(喬木施肥), 관목시비(灌木施肥), 잔디시비, 약제살포(기계), 약제살포(인력), 방풍벽 설치, 거적세우기, 채취, 과실채취, 은행나무 과실채취, 기초공사, 막이, 흙막이, 물막이, P.P마대 쌓기, 톤마대 쌓기, 헐기, 마대헐기, H-Beam 설치, H-Beam 철거, 흙막이판 설치 및 철거, 어스앵커 공사, 연약지반처리, 매트부설, 고압분사 주입공법, 플라스틱보드드레인(PBD)공사, 다짐말뚝공사, 말뚝공사, 기성말뚝 기초공사, 말뚝박기용 천공, 말뚝두부정리(강관), 말뚝두부정리(콘크리트), 현장타설말뚝공사, 차수공사, 차수재공, 철근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공사, 레디믹스트콘크리트 타설, 레미콘타설, 현장비빔타설, 표면 마무리, 콘크리트 펌프차 타설, 에폭시(Epoxy) 콘크리트 접착제 바르기, 콘크리트 치핑(Chipping), 철근공사, 현장가공, 현장조립, 공장가공, 철근현장가공, 철근현장조립, 철근공장가공, 철근의 기계적 이음, 거푸집설치, 합판거푸집 설치 및 해체, 강재거푸집 설치 및 해체, 유로폼 설치 및 해체, 문양거푸집(판넬) 설치 및 해체, 합성수지(P.E)원형 맨홀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슬립폼 공사, 슬라이딩폼 공사, 알루미늄폼 설치 및 해체, 갱폼 설치 및 해체, 유로폼 설치 및 해체, 플라잉폼 설치 및 해체, 지수판 설치, 신축이음(Expansion Joint) 설치, 포스트텐션(Post Tension) 구조물 제작, PSC빔 제작, PSC BOX 설치, 교량 가설공, 빔 가설공, 강재거더 가설공, I.L.M공법, 교량 부대공, 교량받침 설치(육상), 교량받침 설치(수상), 교량신축이음장치 설치(도로교), 교량신축이음장치 설치(철도교), 교량점검시설 점검통로 설치, 교량점검시설 점검계단 설치, 교량방수(도막), 교량방수(시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설치, 교량배수시설 설치, 조립식 구조물 설치공, 플륨관 설치, 중량구조물 설치, 낙차공 설치, 분수관 설치, 형플륨 설치, 맨홀 설치, 조립식 PC맨홀 설치, 유지보수, 콘크리트 균열 보수, 표면처리공사, 콘크리트 균열 보수, 주입공사, 콘크리트 균열 보수, 패커주입공사, 콘크리트 균열 보수, 충전공사, 콘크리트 단면처리, 콘크리트 단면복구, 치핑, 워터젯 치핑, 콘크리트 치핑, 교체, 재료 교체, 자재 교체, 교량받침 교체, 교량신축이음 교체, 해체, 기구 해체, 시설 해체, 설비 해체, U형플륨 해체, 중량구조물 설치, 낙차공 설치, 분수관 설치, L형플륨관 설치, U형플륨관 설치, 중량구조물 해체, 낙차공 해체, 분수관 해체, L형플륨관 해체, U형플륨관 해체, 돌공사, 쌓기, 흙쌓기, 돌쌓기, 메쌓기, 찰쌓기, 붙임, 돌붙임, 떼붙임, 메붙임, 찰붙임, 석재붙임, 자재붙임, 전석쌓기, 깔기, 전석깔기, 매트쌓기, 시트깔기, 석재판 붙임, 습식공사, 건식공사, 앵커공사, 앵커지지 공사, 강재트러스 지지공사, 건설기계공사, 규모별공사, 표준건설기계공사, 운반, 수송, 시공능력 산정, 적산, 기계경비 적산, 손료보정, 시공능력산정, 불도저공사, 리퍼공사, 유압식공사, 굴삭기공사, 트랜처공사, 로더공사, 모터 스크레이퍼공사, 모터 그레이더공사, 덤프트럭공사, 롤러공사, 플레이트 콤팩터공사, 래머공사, 아스팔트 플랜트공사, 스테이빌라이저공사, 노상안정기공사, 크러셔공사, 대형브레이커공사, 압쇄기공사, 콘크리트 소할용 공사, 법면다짐기공사, 노면 파쇄, 골재세척, 콘크리트 믹싱, 콘크리트 배치플랜트 홉합, 강제 혼합, 콘크리트 운반, 기관차운반, 경운기가동, 디젤 파일 해머공사, 유압 파일 해머공사, 진동파일 해머공사, 진동파일해머공사, 워터제트 병용 압입공, 유압식 압입, 인발기공사, 유압식 압입 인발공, 수중펌프공사, 굴착기공사, 터널전단면 굴착기(TBM)공사, 펌프식 준설, 그래브 준설, 쇄암, 중추식준설, 파쇄, 임목파쇄, 이동식 임목파쇄, 하천골재채취, 기계손료산정, 토공기계공사, 다짐기계공사, 운반, 하역, 포장, 콘크리트공사, 골재생산, 기초공사, 기타공사, 장비운영, 해상장비가동, 운전경비산정, 토공기계가동, 다짐기계가동, 자재운반, 자재하역, 기계포장, 콘크리트타설, 골재운반, 기초공사용 기계 가동, 해상기계가동, 토공기계가동, 도로포장, 교통통제, 안전처리, 유도선 설치 및 해체, 동상방지층설치, 포설, 인력식 소규모장비 포설, 기계포설, 길어깨포설, 기계이용포설, 본선포설, 보조기층포설, 인력식 소규모장비 포설, 기계포설, 길어깨포장, 기계가동포설, 본선포장, 입도조정기층포설, 인력식 소규모장비 포장, 기계포장, 길어깨살포, 기계포설, 본선구간포장, 아스콘 포장, 텍코팅, 프라임 코팅, 살포, 코팅살포, 아스팔트 기층 설치, 소규모포설, 아스팔트 기층 설치, 기계포설, 소형장비포장, 아스팔트 기층 기계포설, 대형장비 포설, 아스팔트 표층 소규모포설, 아스팔트 표층 기계포설, 소형장비포설, 아스팔트 표층 기계포설, 대형장비포장, 개질아스팔트 표층 포설, 투배수성 표층 포설, 콘크리트 포장, 린콘크리트 기층 포설, 표층 인력포설, 콘크리트 표층 기계포설, 소형장비이용포설, 콘크리트 표층 기계포설, 대형장비이용포설, 기계포설 장비조립 및 해체, 포장줄눈 절단, 포장줄눈 설치, 저속도로포장, 보도용 블록 설치, 투수아스팔트 표층 소규모포설, 투수아스팔트 표층 기계포설, 소형장비표층포설, 탄성포장재 포설, 교통시설공, 교통 안전표지판 설치, 도로 표지판 설치, 도로반사경 설치, 도로표지병 설치, 시선유도표지 설치, 볼라드 설치, 주차 블록 설치, 차선규제봉 설치, 차선도색, 가드레일 설치, 중앙분리대 설치, 가드레일설치, 중앙분리대 설치(콘크리트포설식), 미끄럼방지공 설치, 못 설치, 타정, 표시못 설치, 측구 설치, U형측구 설치, L형측구 설치, 포설식설치, 부대공, 방음벽 설치, 보차도 및 도로경계블록 설치, 낙석방지책 설치, 낙석방지망 설치, 유지보수, 포장 절단, 절삭 후 아스팔트 덧씌우기, 절삭 후 콘크리트 덧씌우기, 아스팔트 덧씌우기, 소파보수, 표층보수, 포장소파보수, 포장복구, 도로소파보수, 도로복구, 맨홀보수, 차선도색, 차선도색제거, 슬러리처리, 표면평탄작업, 현장가열 표층재생공법, 재래난간 철거공, 교통 안전표지판 철거, 교통 안전표지판 교체, 도로반사경 철거, 도로반사경 교체, 도로표지병 제거, 시선유도표지 철거, 보도용 블록 인력철거, 보도용 블록 장비사용 철거, 보도용 블록 설치 재설치, 보도용 블록 소규모보수, 보차도 및 도로경계블록 철거, 보차도 및 도로경계블록 재설치, 가드레일 철거, 하천공사, 사석, 사석부설, 사석고르기, 돌망태, 타원형 돌망태 설치, 매트리스형 돌망태 설치, 돌망태형옹벽 설치, 하천호안공, 식생매트 설치, 블록 붙이기(인력), 블록 붙이기(기계), 터널공사, 터널노임 산정, 터널 여굴(餘掘)량, 터널굴착, 터널굴착 1발파당 싸이클 시간(Cycle Time)산정, 기계굴착의 능력산정, 천공기계의 천공속도산정, 터널 굴착시 천공 및 버력처리 장비의 조합, 터널굴착 1발파당 작업인원투입, 라이닝, 면라이닝, 내부라이닝, 외부라이닝, 차수라이닝, 방수라이닝, 라이너라이닝, 콘크리트 라이닝, 현장 타설 콘크리트 라이닝, 거푸집 설치, 터널 철재거푸집 설치, 거푸집 해체, 이동, 부대공, 터널 방수, 조립, 해체, 작업대차 조립 및 해체, 청소, 암반청소, 터널바닥 암반청소, 궤도공사, 자갈궤도공사, 궤광조립, 궤도양로, 자갈살포, 자갈고르기, 콘크리트 궤도공사, 궤광조립, 궤광거치, 타설후 정리, 분기기공사, 분기기 부설, 신축이음매 부설, 궤도용접, 가스압접, 테르밋 용접, 장대레일 설정, 부대공사, 자갈채집 및 운반, 레일 절단, 레일 천공, 침목천공, 파워렌치 조임 및 해체, 타이템퍼 다짐, 장치 설치, 자재 설치, 교상발판 설치, 교상가드레일 설치, 교량침목고정장치 설치, 목침목 탄성체결장치 설치, 유지보수, 궤광철거, 분기기 철거, 레일교환, 인력철거, 레일교환, 기계철거, 침목교환, 인력교체, 침목교환, 기계교체, 분기기교환, 인력교한, 분기기교환, 기계교환, 도상자갈철거, 인력철거, 도상자갈철거, 기계철거, 도상갱환, 궤도정정 및 이설, 교상가드레일 철거, 목침목 탄성체결장치 철거, 강구조공사, 용접교 표준제작 공수 산정, 용접교(SM 400∼SM 520, SS 400) 공사, 용접교(SM 570) 공사, 재료비 산정, 도장, 강교도장, 처리, 표면처리, 소재 표면처리, 제품 표면처리, 도장재료 사용량 산정, 도장, 유지보수, 강교보수 바탕처리, 인력처리, 강교보수 바탕처리, 장비처리, 관부설 및 접합공사, 주철관부설, 부설, 접합, 타이튼 조인트관 접합, K.P 메커니컬 조인트관 접합, 관 절단, 강관부설, 접합, 부설, 용접, 알곤용접, 아크용접, 전기용접, 납땜, 전기납땜, 용접 접합, 도장, 절단, P.V.C관 접합 및 부설, T.S 접합 및 부설, 고무링 접합 및 부설, P.E관 접합 및 부설, 나사조임식 이음관 접합 및 부설, 밴드 접합 및 부설, 전기융착 접합 및 부설, 버트융착 접합 및 부설, 새들분기관 전기융착 접합 및 부설,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고무링 접합 및 부설, 융착, 전기융착, P.P수밀밴드 접합 및 부설, 절단, 천공 및 접합, 기타관, PC관 부설 및 접합, 파형강관 부설 및 접합, 유리섬유복합관 부설 및 접합, 강관압입추진공, 밸브설치, 밸브 부설 및 접합, 주철제 게이트 제수밸브 부설 및 접합, 강관제 게이트 제수밸브 부설 및 접합, 주철제, 강관제 버터플라이 제수밸브 부설 및 접합, 부단수 할정자관 부설 및 접합, 부단수 천공 분기점 분기, 부단수 천공 새들분수전 분기점 분기, 조인트 접합, 플랜지 조인트 접합, 유지보수, 세척, 상수관 세척, 하수관 세정, 오수관 세척, 우수관 세척, 관세관, 관세정, 스크레이퍼+워터젯트 병행 세척, 시험, 수밀시험, 하수관 수밀시험, 공기압시험, 하수관 공기압시험, 준설, 하수관 준설, 버킷식준설, 하수관 침전물 준설, 흡입식준설, 하수도 수로암거 준설, 흡입식침전물분설, CCTV조사, 주철관 철거,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철거, 항만공사, 수중공사, 예인선 조합, 준설선 선단 조합, 준설선 취업시간 및 운전시간 산정, 사석공사, 적재 및 운반, 해상투하, 육상투하, 수상고르기, 수중고르기, 사석해상투하, 사석육상투하, 사석수상고르기, 사석수중고르기, 블록설치, 케이슨 진수, 케이슨 거치, 일반블록 거치, 소파블록 거치, 준설, 배송관 접합, 배송관 띄우개, 부함 접합, 배송관 진수, 준설여굴, 펌프준설 매립시의 유보율 산정, 펌프준설 매립시의 유실률 산정, 매립설계수량산정, 지반조사, 보링, 기계기구 설치, 천공, 토사천공, 자갈천공, 호박돌층천공, 토사천공, 암반층천공, 시험, 표준관입시험, 베인전단시험, 채취, 시료 채취, 자연시료 채취, 평판재하시험, 동재하시험, 정재하시험, 콘관입시험, 탐사, 지층탐사, 물리탐사, 굴절법 탄성파 탐사,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 대구경 보링, 지하수개발, 지중천공, 토사굴공, 모래굴공, 자갈굴공,호박돌층굴공, 지하천공, 암반층굴공, 되메우기, 폐공 되메우기, 측량, 기준점 측량, GNSS에 의한 기준점 측량, 1급 기준점 측량, 2급 기준점 측량, 3급 기준점 측량, 4급 기준점 측량, 수준측량, 1등 기본 수준측량, 2등 기본 수준측량, 1급 수준측량, 2급 수준측량, 3급 GNSS 높이측량, 4급 GNSS 높이측량, 지형 및 토지측량, 지형현황, 하천측량, 드론측량, 항공측량, 택지조성측량, 구획정리 확정측량, 용지측량, 도시계획선측량, 인선측량, 노선측량, 노선측량, 철도측량, 도로측량, 신설측량, 시가지 노선 측량, 수도노선측량, 도로대장측량, 해양조사측량, 지도제작, 해도제작, 수심측량, 수중지층 탐사, 해상중력 관측, 지자기 관측, 해양도면제작, 지형지도제작, 항공사진촬영, 대공표지촬영, 사진 기준점 측량, 수치지도 작성, 건물 촬영, 지상물체 항공촬영, 판독작업, 지도제작, 기본도제작, 토지이용 현황도 제작, 상각비 산정, 정밀도로지도 구축, 무인비행장치 측량, 신규등록측량, 신규등록측량, 도해측량, 신규등록측량, 수치측량, 토지구획정리 신규등록 측량, 수치지도제작, 경지구획정리 신규등록 측량, 수치도면제작, 등록전환 측량, 등록전환 측량(도해), 등록전환 측량(수치), 분할측량, 분할측량(도해), 분할측량(수치), 경계복원 측량, 경계복원 측량(도해), 경계복원 측량(수치), 지적측량, 지적삼각측량, 지적도근점측량, 토지구획정리 지적확정측량, 경지구획정리 지적확정측량, 도면작성, 지적현황 측량, 지적현황 측량(도해), 지적현황 측량(수치), 지적불부합지조사 측량(도해), 조서작성, 지적재조사측량, 지적기준점현황조사, 택지개발예정지적좌표도 작성업무 측량, 택지개발예정지적좌표도 작성업무 측량(지구계점), 택지개발예정지적좌표도 작성업무 측량(전체지구), 자동제도, 자동제도(좌표독취), 자동제도(좌표입력), 자동제도(파일제공), 축척변경 측량, 축척변경 측량(도해지역에서 도해지역으로), 축척변경 측량(도해지역에서 수치지역으로), 철골공사, 철골 가공 조립(공장생산), 기본철골공수산정, 철골공수 산정, 기본용접공수산정, 용접공수 산정, 세우기, 자재 세우기, 철골 세우기, 현장 세우기, 철골세우기 장비의 작업능력산정, 조임, 볼트조임, 고장력 볼트 본조임, 용접, 현장용접, 앵커 볼트 설치, 철골세우기용 장비의 가설 및 해체이동, 데크플레이트 공사, 데크플레이트 가스절단, 데크플레이트 플라즈마 절단, 데크플레이트 설치, 부대공사, 부대철골 설치, 스터드볼트(Stud bolt) 설치, 뿜칠, 철골 내화 피복뿜칠, 조립설치, 철골조립설치, 경량형강철골조 조립설치, 조적공사, 벽돌공사, 벽돌 쌓기, 치장쌓기, 줄눈설치, 아치쌓기, 아치쌓기 치장줄눈 설치, 블록공사, 블록쌓기, 블록 보강쌓기,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공사, ALC블록 쌓기, ALC패널 설치, 타일공사, 공통공사, 바탕 고르기, 타일줄눈 설치, 타일 붙임, 떠붙이기, 압착 붙이기, 접착 붙이기, 타일 떠붙이기, 타일 압착 붙이기, 타일 접착 붙이기, 목공사, 구조목공사, 먹매김, 마루틀 설치, 마루바탕 설치, 마루널 설치, 수장목공사, 벽체틀 설치, 틀 설치, 칸막이벽틀 설치, 합판 설치, 벽체합판 설치, 수장합판 설치, 박스 설치, 커튼박스 설치, 부대목공사, 토대설치, 목재데크틀 설치, 데크 설치, 목재데크 설치, 수장공사, 바닥공사, PVC계 바닥재 설치, 카페트 설치, 플로어링 마루 설치, 이중바닥 설치, 천장공사, 흡음텍스 설치, 열경화성수지천장판 설치, 석고판 설치, 나사고정, 벽, 벽공사, 석고판넬 설치, 나사식고정, 석고판 설치, 석고판(접착제) 설치, 패널 설치, 단열패널 설치, 샌드위치패널 설치, 흡음판 설치, 걸레받이 설치, 마루귀틀 설치, 도배, 도배바름, 단열, 단열재 공간넣기, 단열재 접착제 붙이기, 단열재 격자넣기, 단열재 핀사용 붙이기, 단열재 타정 부착, 단열재 콘크리트타설 부착, 단열재 슬래브위 깔기, 방습필름설치, 외벽단열공법, 방수공사, 바탕처리, 방수프라이머 바름, 방수층보호재 붙임, 방수층 누름철물 설치, 도막방수, 도막바름, 보강포 붙임, 마감도료(Top-coat) 바름, 시트 방수, 가열식시트 붙임, 접착식시트 붙임, 자착식시트 붙임,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 시멘트 액체방수 바름,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방수 바름, 방수모르타르 바름,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방수 바름, 기타방수, 규산질계 도포방수 바름, 액상형 흡수방지방수 도포, 벤토나이트매트방수, 벤토나이트시트방수. 벤토나이트방수 붙임, GCL방수, geosynthetic clay liner 방수, 부대공사, 수밀코킹, 줄눈 절단, 줄눈 설치, 지붕공사, 홈통공사, 지붕설치, 기와설치, 금속기와 잇기, 금속판 평잇기, 금속판 돌출잇기 현장제작, 금속판 돌출잇기, 아스팔트싱글 설치, 폴리카보네이트 설치, 후레싱 설치, 홈통공사, 금속 처마홈통 설치, 염화비닐 처마홈통 설치, 금속 선홈통 설치, 염화비닐 선홈통 설치, 물받이홈통 설치, 드레인공사, 루프드레인 설치, 금속공사, 제품설치, 계단논슬립 설치, 코너비드 설치, 바닥깔기, 와이어메시 바닥깔기, 인서트(Insert) 설치, 조이너 설치, 몰딩 설치, 점검구 설치, 천장점검구 설치, 시설물공사, 난간 설치, 용접식난간 설치, 앵커고정식난간 설치, 휀스 설치, 울타리 설치, 철조망 울타리 설치, 경량천장철골틀 설치, 경량벽체철골틀 설치, 기타건물공사, 잡철물 제작 및 설치, 미장공사, 모르타르 바름 및 타설, 모르타르 배합, 모르타르 이송, 모르타르 타설, 마무리, 면마무리, 표면 마무리, 라스 붙임, 콘크리트면 마무리, 콘크리트면 정리, 마감, 면마감, 표면마감, 부분 마감, 전면 마감, 충전, 재료충전, 주입충전, 분사충전, 창호주위 모르타르 충전, 창호주위 발포우레탄 충전, 주각부 무수축 모르타르 충전, 우레탄폼 분사 충전, 창호공사, 유리공사, 창호설치, 목재창호 설치, 강재창호 설치, 알루미늄창호 설치, 합성수지창호 설치, 셔터설치, 장치설치, 부속자재설치, 도어체크 설치, 플로어힌지 설치, 도어록 설치, 유리, 창호유리 설치, 커튼월유리 설치, 커튼월 설치, 알루미늄 프레임 설치, 외벽 패널 설치, 코킹, 칠공사, 공통공사, 바탕만들기, 콘크리트면 바탕만들기, 모르타르면 바탕만들기, 석고보드면 바탕만들기, 철재면 바탕만들기, 목재면 바탕만들기, 도장 후 퍼티 및 연마, 비닐 보양, 거적 보양, 콘크리트 보양, 페인트공사, 칠, 붓칠, 수성페인트 붓칠, 롤러칠, 수성페인트 롤러칠, 뿜칠, 수성페인트 뿜칠, 유성페인트 붓칠, 유성페인트 롤러칠, 페인트칠, 녹막이 페인트칠, 오일스테인칠, 에폭시 페인트칠, 낙서방지용 페인트칠, 걸레받이용 페인트칠, 스프레이, 분사, 살포, 포설, 무늬코트칠, 탄성코트칠, 석재도료칠, 유지보수공사, 구조물 철거공사, 콘크리트구조물 헐기, 소형장비이용헐기, 콘크리트구조물 헐기, 대형장비이용헐기, 철골재 철거, 인력이용철거, 철골재 철거, 기계이용철거, 석축 헐기, 인력으로철거, 해체공사, 금속기와 해체, 흡음텍스 해체, 경량천장철골틀 해체, 조적벽 해체, 경량벽체철골틀 해체, 석고판 해체, 도배 해체, PVC계바닥재 해체, 타일 해체, 기존방수층 철거, 보호층 철거, 석면건축자재 해체, 칠공사, 재도장 시 바탕처리, 콘크리트바탕처리, 모르타르면처리, 재도장 시 바탕처리, 재도장 시 바탕처리, 철재면처리, 재도장 시 바탕면처리, 목재면처리, 초벌, 중벌, 말벌, 초벌칠, 중벌칠, 말벌칠, 하도, 중도, 상도, 하도칠, 중도칠, 상도칠, 수선 및 보수공사, 지붕 덧씌우기, 지붕 재설치, 도배 교체, 바닥재 교체, PVC계바닥재 교체, 타일 교체, 기계설비공사, 배관공사, 강관공사, 용접접합, 용접배관, 나사식 접합 및 배관, 그루브조인트식 접합 및 배관(Groove Joint), 동관공사, 용접접합, 용접배관, 스테인리스 강관 설치, 용접접합설치, 용접배관설치, 프레스식 접합 및 배관, 주름관 접합 및 배관, 주철관설치, 기계식접합 및 배관(Mechanical Joint), 수밀밴드 접합 및 배관, 경질관설치, 접착제 접합(T.S) 및 배관, 소켓 접합 및 배관, 연질관설치, 폴리부틸렌(PB) 일반접합 및 배관, 폴리부틸렌(PB) 이중관 접합 및 배관, 가교화 폴리에틸렌관 접합 및 배관, 덕트공사, 덕트설치, 아연도금강판덕트 설치, 각형덕트 설치아연도금강판덕트 설치, 스파이럴덕트 설치, 스테인리스덕트 설치, 각형덕트 부설, PVC덕트 설치, 세대내 환기덕트 설치, 플렉시블덕트 설치, 덕트기구 설치, 취출구 설치, 흡입구 설치, 덕트 플렉시블 조인트 설치, 일반댐퍼(사각) 설치, 일반댐퍼(원형) 설치, 제연댐퍼 설치, 보온공사, 배관보온, 일반마감 배관보온, 칼라함석마감 배관보온, 밸브보온, 일반마감 밸브보온, 함석마감 밸브보온, 덕트보온, 각형덕트 보온, 원형덕트 보온, 발열선 작업, 발열선 설치, 분전함 설치, 펌프공사, 공기설비공사, 펌프설치, 일반펌프 설치, 집수정 배수펌프 설치, 펌프 방진가대 설치, 송풍기공사, 환풍기공사, 송풍기 설치, 팬 설치, 벽걸이 배기팬 설치, 욕실배기팬 설치, 무덕트 유인팬 설치, 후드 설치, 레인지후드 설치, 밸브설비공사, 밸브공사, 일반밸브 설치, 콕류 설치, 감압밸브장치 설치, 증기트랩설치, 스팀트랩 장치 설치, 플랙시블 이음 및 팽창이음, 익스팬션조인트 설치, 플랙시블커넥터 설치, 수격, 수격방지기공사, 수격방지기 설치, 측정기기공사, 유량계 설치, 직독식 유량계 설치, 원격식 유량계 설치, 적산열량계 설치, 세대용 열량계 설치, 건물용 열량계 설치, 산업용 열량계 설치, 위생기구설비공사, 위생기구류 설치, 소변기 설치, 대변기 설치, 도기 설치, 도기세면기 설치, 세면기 설치, 카운터형 세면기 설치(일체형), 카운터형 세면기 설치(분리형), 욕조 설치, 청소용 수채 설치, 수전, 매립형 욕조수전 설치, 샤워수전 설치, 세면기수전 설치, 씽크수전 설치, 손빨래수전 설치, 욕실 부착물 설치, 욕실거울 설치, 욕실금구류 설치, 바닥배수구 설치, 안전손잡이 설치, 공기조화설비공사, 냉동기공사, 냉각탑공사, 냉동기 반입, 냉동기 설치, 냉각탑 설치, 공기조화기설치, 공기가열기설치, 공기냉각기설치, 공기여과기 설치, 패키지형 공기조화기 설치, 공기조화기(Air Handling Unit) 설치, 에어컨 설치, 천장형 에어컨 설치, 전열기 설치, 교환기 설치, 전열교환기 설치, 보일러공사, 방열기공사, 보일러 설치, 경유보일러 설치, 가스보일러 설치, 가정용 보일러 설치, 온수보일러 설치, 전기보일러 설치, 방열기 설치, 전기콘벡터 설치, 온수기설치, 온수분배기공사, 전기온수기 설치, 전기온수기 설치, 벽걸이형 온수기 설치, 온수분배기 설치, 탱크공사, 헤더설치, 오일서비스탱크 설치, 부수장비설치, 로터리 오일 버너 설치, 건타입 오일버너 설치, 기타공사, 지지금구 설치, 입상관 방진가대 설치, 잡철물 제작 및 설치, 도장, 바탕만들기, 녹막이페인트 칠, 유성페인트 칠, 슬리브공사, 슬리브 설치, 구멍뚫기, 배관을 위한 구멍뚫기, 배관관리, 배관시험, 기밀시험, 시험점화, 시운전, 조정, 장비시운전, 건물의 냉난방 및 공조설비 정밀진단(T.A.B), 소방설비공사, 소화함설치, 옥내소화전함 설치, 소화용구 격납상자 설치, 소방밸브설치, 알람밸브 설치, 준비작동식밸브 설치, 드라이밸브 설치, 관말시험밸브 설치, 옥외소화전 설치, 지하식 옥외소화전 설치, 지상식 옥외소화전 설치, 송수구 설치, 일반송수구 설치, 방수구 설치, 연결송수구설치, 탱크 설치, 압력공기탱크설치, 마중물탱크설치, 소방용 유량계, 유량측정장치설치, 소화용 헤드 설치, 스프링클러 설치, 스프링클러 헤드설치, 스프링클러 전기설비설치, 소화기 설치, 소화약제 구비, 소화설비설치, 자동식 소화기 설치, 피난기구 설치, 완강기 설치, 가스설비공사, 강관설치, 용접접합, 용접식 부설, 나사식 접합 및 배관, PE관설치, 버트 융착식 접합 및 부설, 부속기기 설치, 분기공 설치, 밸브 설치, 직독식 가스미터 설치, 원격식 가스미터 설치, 자동제어설비공사, 계기반 공사, 함류 설치, 계기반 설치, 플랜트 계기 설치, 자동제어기기 공사, 자동제어기기 설치, 계량기 설치, 도압배관공사, Control Air 배관공사, 압축공기 발생장치 공사, 공기관 배관공사, 전선공사, 배선공사, 전선배선공사, 중앙처리장치(CPU) 설치, 입출력장치(I/O Equipment) 설치, 콘솔(Console) 설치, 플랜트설비공사, 플랜트 배관, 플랜트 배관 설치, 관만곡(Pipe Bending) 설치, 밸브 취부, Fitting 취부, Flange 취부, Oil Flushing, 장거리 배관, 이중보온관 설치, 플랜트 용접, 강관절단, 강판절단, 강관용접, 강판 전기아크용접, 예열(Electric Resistance Heating), 응력제거, 플랜트 용접 개소 비파괴시험, 아세틸렌량의 환산, 배관 및 기기보온, pipe보온, 기기보온, 강재 제작 설치, 보통 철골재, 철골 가공조립, 저장탱크, STORAGE TANK, 강재류 조립설치, 도장 및 방청공사, 기계설비 철거 및 이설공사, 탱크청소, 화력발전 기계설비, 보일러 설치, 보일러 드럼 설치, 덕트제작(Air, Gas), 덕트 설치, 공기예열기(Preheater) 설치, Soot Blower, Fan 설치, 터빈 설치, 발전기 설치, 복수기 설치, 왕복압축기 설치, 펌프 설치, Boiler Feed Pump 설치, Heater 및 Tank 설치, 수력발전 기계설비, 수차 설치, 발전기 설치, 수문 제작, Stop-Log 제작, Stop-Log 설치, 수문 Hoist 설치, Spiral Casing 설치, Steel Penstock 제작, Steel Penstock 현장설치, Roller Gate Guide Metal 제작, Roller Gate Guide Metal 설치, Tainter Gate Guide Metal 제작, Tainter Gate Guide Metal 설치, Trash Rack 제작, Trash Rack 설치, Tainter Gate Anchorage 제관, 제철기계설비, 고로본체 및 부속기기 설치, 노정장입 장치 기기 설치, 노체 4본주 및 DECK 설치, 열풍로 본체 및 부속설비 설치, 열풍로 DECK 설치, 주선기 본체 및 부속기기 설치, Edge Mill 설치, 제진기 본체 및 부속설비 설치, Ventri Scrubber 본체 및 부속설비 설치, 전등 Mud Gun 설치, 내화물(제철축로) 쌓기, Craft 및 Tomlex Spray 공사, Castable Spray 공사, 혼선로 및 전로 본체 조립 설치, N2 Spherical Gas Holder 조립설치, 가열로 본체 및 Recuperator실 조립설치, 균열로 본체 및 Recuperator실 조립설치, 가열로 및 균열로 부속기기 조립설치, Mill Line 기기류 조립설치, Roller Table 조립설치, 전기집진기 설치(Electric Precipitator), 기밀 시험, 노 기밀 시험, 기계설비 설치, 소각로 설치, 보일러 설치, 폐열보일러 설치, 덕트 제작, 덕트 설치, 탑 설치, 반응탑 설치, 반건식반응탑 설치, 탈질설비 설치, 여과집진기 설치(Bag filter), 활성탄, 반응조제 및 소석회 공급설비 설치, 하수처리 기계설비, 수중펌프 설치, 모노레일 설치, 산기장치 설치, 분산장치 설치, 디퓨저 설치, 노즐 설치, 오수처리시설 설치, 운반기계설비, OPEN BELT CONVEYOR 설치, OVER HEAD CRANE 설치, GANTRY CRANE 설치, 천장크레인 레일설치, 기타 기계설비, 일반기기 설치, Cooling Tower 설치, Batcher Plant 설치, 가설자재 손료 산정, 유지보수공사, 일반기계설비 해체, 배관 해체, 각형덕트 해체, 스파이럴덕트 해체, 배관보온 해체, 덕트보온 해체, 펌프 해체, 철거 및 이설, 일반기계설비 철거 및 이설, 자동제어설비 해체, 시설 철거 및 이설, 건물 철거 및 이설, 수선공사, 보수공사, 교체, 재료교체, 시설교체, 유량계 교체, 갱생공, 관갱생공, 배관갱생공, 배관누수 검사, 배관누수 탐사, 배관누수 보수, 실내공사, 실외공사, 현장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토목공사, CIP(cast in place pile)공사, SCP(sand compaction pile)공사, GCP(gravel compaction pile)공사,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공사, VCCP(vibrated CCP, DCM(deep cement mixing)공사, SCW(soil cement wall)공사,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또는 RCD기초 공사, ED(earth drill) 또는 ED기초 공사, LW(Labiles Waterglass)공사, JSP(Jumbo Special Pattern Method)공사, SIG(Super Injection Grout)공사, 탑다운(top down)공사, 버텀업(buttom up)공사; b) 상기 공사 내지 버텀업공사 중 둘 이상의 복합공사, 상기 공사 내지 버텀업공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또는 복합공사;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c) 상기 공사 내지 복합공사 중 하나의 일, 업무,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축조, 작업; 등이거나, 또는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는 또는 상기 일,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작업 등에서는 자재, 재료, 가설재, 개설재, 유지보수재, 적재물, 상치물, 하차물, 하역물, 차량의 상치물, 차량의 하차물, 차량의 하역물, 추정물, 지하추정물, 지하, 지반, 우물통, 기초, 분류물, 토질, 암, 작업재, 보완재, 실사물, 작성물, 도면, 상세도면, 현장시공상세도면, 운전재, 시운전재, 조정재, 조종재, 감액재, 증액재, 관리물, 품질관리제품, 보건관리시설, 산업관리시설, 안전관리시설, 산업보건관리시설, 산업안전보건관리시설, 환경관리시설, 측량기구, 시공측량기구, 가설공사재, 가시설공사재, 자재, 화물, 우물통기초, 건물기초, 우물통교량기초, 건물, 교량, 구조물, 가설물, 가시설물, 사무소, 사무실, 현장사무소, 가설시설물, 현장도면, 건물상세도면, 시공상세도면, 건설현장시공상세도면, 공사현장, 토취장, 골재원, 운반로, 자동차, 화물자동차, 현장지반, 지하지반, 현장토질, 기반암, 암반, 반장. 작업반장, 신호수, 작업자, 노동자, 품셈, 표준품셈, 대가, 일위대가, 손율, 이율, 이윤, 손해, 인건비, 자재비, 공사비, 시공비, 건설비, 건축비, 경비, 기계경비, 시운전비, 조정비, 품질, 관리비, 품질관리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보험료, 산업재해보상 보험료, 환경관리비, 안전관리비, 측량비, 시공측량비, 구조물 동바리, 구조물 비계, 축중계, 규준틀, 가설건축물, 철제조립식 가설건축물, 콘테이너, 가시설건축물, 울타리, 울타리와 망, 울타리와 그물망, 울타리와 네트망, 하부의 울타리와 상부의 망, 경계를 나타내는 울타리와 먼지비산방지용 망, 하부의 울타리와 먼지비산방지용 상부 망, 가설울타리, 방음벽, 방음벽과 이 상부의 그물망, 방음벽과 이 상부의 먼지비산방지용 그물망, 가설방음벽, 강관, 지주, 강관 지주, H형강, H형강 지주, 울타리판, 가설울타리판, 세로형 가설방음판, 가로형 가설방음판, 규준틀, 비탈 규준틀, 토공의 비탈 규준틀, 도로용 목재 수평규준틀, 도로용 철재 수평규준틀, 평규준틀, 동바리, 강관 동바리, 시스템 동바리, 알루미늄 폼 동바리, 잭서포트, 비계, 강관비계, 시스템비계, 틀, 강관틀, 강관 조립말비계, 계단, 경사형 가설 계단, 타워형 가설 계단, 브라켓, 비계용 브라켓, 방호시설, 낙하물 방지망, 플라잉넷, 시스템방호시설, 방호선반, 철골, 안전망, 보호막, 보호망, 방진망, 철골 안전망, 비계주위 보호막, 비계주위 보호망, 갱폼주위 보호망, 먼지방진망, 수직형 추락방망, 안전대, 난간, 안전난간대, 계단난간대, 스마트안전난간대, 엘리베이터, 난간틀, 엘리베이터 난간틀, 엘리베이터 추락방호망, 방음문, 터널방음문, 울타리, 방호울타리, 타워크레인 방호울타리, 안전통로, 보행자 안전통로, 덮개, 개구부 수평보호덮개, 드럼, PE드럼, 방호벽, PE가설방호벽, PC가설방호벽, 휀스, 가설휀스, H-Beam기초, 막이, 흙막이, 물막이, 바람막이, 햇빛막이, 박스형 간이흙막이, 조립식 간이흙막이, 강재거푸집, 강재거푸집 작업용 난간, 현장관리자재, 건축물보양재, 건축물 현장정리자재, 비산먼지 발생 억제제, 세륜기, 자동세륜기, 슬러지, 슬러지 제거기, 공통장비, 자재운반용 타워, 엘리베이터형 자재운반용 타워, 호이스트, 축중계, 파이프, 루프, 파이프 루프, 토공사장비, 굴착기, 인력굴착장비, 토사굴착기, 인력굴착기, 암반굴착기, 암파쇄기, 유압식 할암기, 암발파기, 미진동굴착기, 암발파장비, 정밀진동제어발파기, 암파쇄기, 소규모진동제어발파기, 암발파시설, 중규모진동제어발파기, 암발파설비, 일반발파기, 암발파재, 대규모발파기, 암발파화약, 소형브레이커, 수중발파기, 되메우기기, 뒤채움기, 다짐기, 흙 다짐기, 기초다짐기, 뒤채움기, 소형장비, 기초다짐장비, 뒤채움장비, 대형장비, 기초지정장비, 절토장비, 절토면 고름기, 청소기, 암반청소기, 성토부대장비, 성토면 고름기, 식재면 고름기, 암성토기, 비탈면 보호재, 블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지압판블록, 천연섬유사면보호재, 녹화재, 녹생토, 식생재, 식생토, 절토사면 녹화재, 보강재, 비탈면 보강재, 옹벽, 보강토 옹벽, 패널, 사면블록, 보도블록, 버팀목, 뒤채움재, 다짐재, 벌개재, 제근재, 벌목재, 뿌리, 개간재, 답면고름기, 유지보수기, 유지보수재, 비탈면 보강재, 지압판블록, 점검로, 비탈면 점검로, 조경재, 잔디, 초화류, 금잔디, 초류, 종자, 살포기, 초화류 식재기, 거적, 관목, 굴취기, 식재기, 단식(單植)기, 식재장비, 군식(群植)기, 교목, 나무뿌리, 굴취장비, 굴취시설, 식재목, 목재, 조경구조물, 돌, 석, 정원석, 조경유용석, 잔디블록, 매트, 시트, 방수매트, 방수시트, 보호매트, 보호시트, 탄성매트, 탄성시트, 방진매트, 방진시트, 야자섬유매트, 유지보수재, 전정기, 일반전정기, 조형전정기, 가로수전정기, 관목전정기, 수간보호재, 줄기감싸기재, 인력관수기, 살수차관수기, 제초기, 잔디깎기장비, 예초기, 교목시비(喬木施肥)기, 관목시비(灌木施肥)기, 잔디시비기, 약제, 살포기계, 약제살포기, 벽, 벽체, 방풍벽, 거적, 과실, 은행나무 과실, 구조물기초, 막이재, 흙막이재, 물막이재, P.P마대, 톤마대, Beam, H-Beam, H-Beam 철골, 판, 막이판, 흙막이판, 앵커, 락앵커, 어스앵커, 연약지반처리재, 매트, 연약지반에 부설되는 매트, 고압분사기, 주입기, 플라스틱보드드레인(PBD), 다짐말뚝장치, 말뚝공사장치, 기성말뚝기초공사장치, 말뚝박기용 천공기, 말뚝두부정리기, 강관말뚝두부정리기, 콘크리트말뚝두부정리, 현장타설말뚝, 차수재, 차수제, 철근콘크리트, 철근, 철근연결재, 철근커플러, 철근연결커플러, 콘크리트, 레디믹스트콘크리트, 레미콘, 아스콘, 현장비빔타설기, 표면 마무리기, 콘크리트 펌프차, 펌프카, 바름기, 접착제 바름기, 에폭시(Epoxy) 콘크리트 접착제 바름기, 콘크리트 치핑(Chipping)기, 철근가공기, 현장가공기, 현장조립기, 공장가공기, 철근현장가공기, 철근현장조립기, 철근공장가공기, 철근의 기계적 이음기, 거푸집, 합판거푸집, 강재거푸집, 폼, 형틀, 유로폼, 문양거푸집, 판넬, 맨홀, 맨홀 거푸집, 합성수지(P.E)원형 맨홀 거푸집, 슬립폼, 슬라이딩폼, 알루미늄폼, 갱폼, 건물용 유로폼, 플라잉폼, 지수판, 차수판, 차단판, 신축이음(Expansion Joint), 포스트텐션(Post Tension) 자재, 포스트텐션(Post Tension) 구조물, 빔, PSC빔, BOX, PSC BOX, 교량, 가설WO, 빔 가설WO, 거더, 강재거더, I.L.M공사장치, 교량 부대공사재, 받침, 교량받침, 교량받침대, 이음장치, 신축이음장치, 교량신축이음장치, 교량하부와 교각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신축이음장치, 교량점검시설, 점검통로, 교량점검시설 점검통로, 점검계단, 교량점검시설 점검계단, 교량방수재, 도막방수재, 교량방수장치, 시트방수재, 패널, 콘크리트 패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배수재, 배수로, 배수시설, 교량배수시설, 조립식 자재, 조립식 건물, 조립식 주택, 조립식 구조물, 플륨관, U형관치, 중량구조물, 낙차공재, 분수관, U형플륨관, 맨홀, PC맨홀, 조립식 PC맨홀, 유지보수재, 콘크리트 균열 보수재, 표면처리재, 콘크리트 균열 보수재, 주입재, 콘크리트 균열 보수기, 패커주입기, 콘크리트 균열 보수장치, 충전재, 콘크리트 단면처리재, 콘크리트 단면복구재, 워터젯기, 치핑기, 워터젯 치핑기, 받침, 교량받침, 받침대, 교량받침대, 교량신축이음재, U형플륨관로, 경량구조물, 경량낙차공재, 경량분수관, 경량L형플륨관, 돌공사기, 돌쌓기장치, 메쌓기장비, 찰쌓기장비, 돌붙임기, 메붙임기, 찰붙임기, 전석쌓기장비, 깔기장비, 전석쌓기장비, 전석깔기장비, 판재, 석재판, 습식재, 앵커, 지지재, 강재트러스, 건설기계, 표준건설기계, 운반기, 수송기, 시공능력 산정기, 적산기, 기계경비 적산기, 손료보정기, 시공능력평가기, 불도저, 리퍼, 유압식리퍼, 굴삭기, 트랜처, 로더, 모터, 스크레이퍼, 모터 스크레이퍼, 그레이더, 모터 그레이더, 트럭, 덤프트럭, 롤러, 콤팩터, 플레이트 콤팩터, 래머, 플랜트, 아스팔트 플랜트, 스테이빌라이저, 아스팔트 스테이빌라이저, 노상안정기, 크러셔, 브레이커, 대형브레이커, 압쇄기, 콘크리트 소할기, 다짐기, 법면다짐기, 파쇄기, 노면 파쇄기, 콘크리트 파쇄기, 폐기물 파쇄기, 압쇄기, 분쇄기, 세척기, 세정기, 골재, 세척설비, 골재세척설비, 믹서, 믹싱기, 콘크리트 믹서, 배치플랜트, 콘크리트 배치플랜트, 혼합기, 강제 혼합기, 운반기, 콘크리트 운반기, 기관차, 경운기, 해머, 파일 해머, 디젤 파일 해머, 유압 파일 해머, 진동파일 해머, 진동파일해머, 워터제트기, 워터제트 병용 압입기, 인발기, 유압식 압입 인발기, 유압식 압입 인발장치, 수중펌프, 굴착기, 굴삭기, 천공기, 착정기, 지반굴착기, 지하굴착기, 터널굴착기, TBM, tunnel boring machine, 터널전단면 굴착기(TBM), 쉴드, shield, 세미쉴드, semi shield, 쉴드굴착기, 터널쉴드굴착기, 터널굴착용 쉴드, 터널굴착용 기기, 터널굴착용 TBM, 배, 보트, 준설선, 펌프식 준설선, 그래브 준설선, 쇄암선, 중추식 쇄암선, 임목파쇄기, 이동식 임목파쇄기, 채취선, 골재채취선, 하천골재채취선, 기계, 토공기계, 다짐기계, 운반기계, 하역기계, 포장기계, 콘크리트기계, 골재생산기계, 기초공사용 기계, 기타기계, 해상장비, 운전경비, 토공기계, 다짐기계, 운반시설, 하역장비, 포장시설, 콘크리트시설, 골재생산시설, 기초공사용 시설, 해상기계, 토공기계, 도로포장공사시설, 교통통제기, 안전처리기, 유도선, 동상방지재, 소규모장비, 인력식 소규모장비, 기계포설기, 길어깨포설기, 기계포설장치, 본선포설기, 보조기층재, 인력식 소규모포설기, 기계포설시설, 길어깨포장기, 기계포설수단, 본선포장수단, 기층재, 입도조정재, 입도조정기층재, 인력식 소규모장비 포설재, 기계포설재, 길어깨포설재, 기계포설재, 본선포장재, 아스콘, 아스콘 포장기, 텍코팅재, 텍코팅기, 프라임 코팅재, 프라임 코팅기, 아스팔트 기층 소규모포설기, 아스팔트, 아스팔트 기층 기계포설기, 소형장비, 아스팔트 기층 기계포설기, 대형포장장비, 아스팔트 표층 소규모포설기, 아스팔트 표층 기계포설기, 소형포장장비, 아스팔트 표층 기계포설기, 대형포장장비, 개질아스팔트, 개질아스팔트 표층 포설기, 투배수성재, 투배수성 표층 포설기, 콘크리트 포장기, 린콘크리트, 표층, 기층, 린콘크리트 기층 포설기, 표층 인력포설기, 콘크리트 표층 기계포설기, 소형표층포설장비, 콘크리트 표층 기계, 대형포장장비, 포설 장비, 포장 장비, 기계포설 장비, 줄눈, 포장줄눈, 포장줄눈재, 포장줄눈기, 저속도로포장기, 보도용 블록, 보도용 블록 설치기, 투수아스팔트, 투수아스팔트 표층 소규모포설기, 투수아스팔트 표층 포설기계, 소형포설장비, 탄성포장재, 탄성포장재 포설기, 교통시설, 도로시설, 포장시설, 교통시설공사장비, 안전판, 표지판, 안전표지판, 교통 안전표지판, 도로 표지판, 반사경, 도로반사경, 표지병, 도로표지병, 유도기, 표지, 유도표지, 시선유도표지치, 볼라드, 주차 블록, 봉, 규제봉, 차선규제봉, 도색기, 도색재, 차선도색기, 레일, 가드레일, 분리대, 중앙분리대, 가드레일분리대, 중앙분리대 설치기,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포설식 설치기, 미끄럼방지재, 미끄럼방지설치기, 못, 못질기, 타정기, 표시못, 측구, L형측구, 포설식 측구, 부대공사재, 벽, 차단벽, 방진벽, 방음벽, 보도블록, 차도블록, 보차도블록, 도로경계블록, 방지책, 낙석방지책, 방지망, 낙석방지망, 유지보수재, 유지보수기, 포장기, 절단기, 포장절단기, 덧씌우기장치, 아스팔트 덧씌우기장치, 절삭 후 아스팔트 덧씌우기장치, 절삭 후 콘크리트 덧씌우기장치, 아스팔트 덧씌우기장치, 소파보수장치, 표층공사장치, 소파보수재, 포장복구장치, 소파보수시설, 도로복구장치, 보수재, 보수기, 맨홀보수재, 맨홀보수기, 도색재, 도색기, 선, 줄, 실, 사, 차선, 차선도색재, 차선도색기, 제거기, 도색제거기, 차선도색제거기, 슬러리, 슬러지, 슬러리처리기, 표면평탄작업기, 현장가열 표층재생기, 철거기, 시설철거기, 건물철거기, 난간, 난간철거기, 재래난간 철거기, 교통 안전표지판 철거기, 교통 안전표지판 교체기, 도로반사경 철거기, 도로반사경 교체기, 도로표지병 제거기, 시선유도표지 철거기, 보도용 블록, 도로용 블록, 보도용 블록 인력철거기, 보도용 블록 철거 장비, 보도용 블록 설치 재설치기, 보수기, 보도용 블록 소규모보수기, 보차도 철거기, 도로경계블록, 도로경계블록 철거, 보차도 설치기, 도로경계블록 재설치기, 가드레일, 가드레일 철거기, 하천공사장비, 사석, 사석공사장비, 사석부설기, 사석고르기장비, 돌망태, 타원형 돌망태, 매트리스형 돌망태, 돌망태형옹벽, 하천호안재, 매트, 녹생매트, 녹화매트, 식생매트, 식생블록, 녹화블록, 터널공사장비, 터널노임 산정기, 터널 여굴(餘掘) 처리기, 터널굴착기, 터널굴착 1발파당 싸이클 시간(Cycle Time) 조정기, 기계굴착기, 천공기계, 터널 굴착장비, 천공장비, 버력처리장비, 터널굴착 발파기, 라이닝, 터널라이닝, 콘크리트 라이닝, 터널콘크리트 라이닝, 라이닝기, 콘크리트 라이닝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라이닝기, 금속거푸집, 철재거푸집, 터널 철재거푸집, 해체기, 이동수단, 부대공수단, 방수재, 터널 방수재, 작업대차, 방수재 작업대차, 터널방수재 작업대차, 터널바닥 암반청소기, 궤도, 철도, 궤도공사기, 자갈궤도공사장비, 궤광조립기, 궤도양로공사장비, 자갈살포기, 자갈고름기, 콘크리트 궤도 공사장비, 궤광조립장비, 궤광거치장비, 타설후 정리기, 분기기, 차량분기기, 전기분기기, 이음매. 신축이음매, 궤도용접기, 가스압접기, 테르밋 용접기, 장대레일 설치기, 부대공사기, 자갈채집기, 자갈운반기, 절단기, 레일, 레일 절단기, 홀천공기, 구멍천공기, 레일 천공기, 침목, 침목천공기, 렌치, 파워렌치, 템퍼, 타이템퍼, 타이템퍼 다짐기, 발판, 교상발판, 교상발판 설치기, 가드레일, 교상가드레일, 교상가드레일 설치기, 고정장치, 침목고정장치, 교량침목고정장치, 교량침목고정장치 설치기, 목침목, 탄성체결장치, 목침목 탄성체결장치 설치기, 유지보수기, 궤광, 궤광철거기, 분기기 철거기, 레일교환기, 레일교환기계, 침목교환기, 침목교환기계, 분기기교환기, 분기기교환기계, 도상자갈, 도상자갈철거기, 도상자갈철거기계, 도상갱환기, 궤도정정기, 궤도이설기, 교상가드레일, 목침목 탄성체결장치 철거기, 강구조공사장비, 용접교, 용접교 표준제작기, 용접교공사장비, 용접교설치장비, 재료비산정기, 도장기, 강교도장기, 처리기, 표면처리기, 소재 표면처리기, 제품 표면처리기, 도장재, 도장재료, 도장장치, 유지보수장비, 바탕처리재, 바탕처리기, 강교보수 바탕처리재, 강교보수 바탕처리장비, 관부설기, 접합공사기, 주철관부설기, 조인트관, 타이튼 조인트관 접합기, 조인트관, K.P 메커니컬 조인트관, K.P 메커니컬 조인트관 접합기, 관 절단기, 강관부설기, 용접기, 알곤용접기, 아크용접기, 전기용접기, 납땜기, 전기납땜기, 용접 접합기, 도장기, 절단기, P.V.C관, P.V.C관 부석기, T.S 접합기, 부설기, 고무, 링, 고무링, 고무링 접합기, 링부설기, P.E관 부설기, 이음관, 나사조임식 이음관, 나사조임식 이음관 접합기, 밴드, 밴드 접합기, 밴드 부설기, 융착기, 접합기, 융착 접합기, 전기융착 접합기, 전기융착 부설기, 융착기, 버트융착기, 버트융착 접합기, 버트융착 부설기, 분기관, 새들분기관, 새들분기관 전기융착 접합기, 콘크리트관, 철근콘크리트관,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고무링 접합 및 부설 장비, 수밀밴드, P.P수밀밴드, P.P수밀밴드 접합 및 부설 장비, 절단기, 천공기, 접합장비, 기타관, 기타관 부설기, PC관, PC관 부설 및 접합 장비, 파형강관, 파형강관 부설 및 접합 장비, 유리섬유복합관, 유리섬유복합관 부설 및 접합 장비, 강관압입추진공 장비, 밸브, 밸브통, 밸브실, 밸브조절기, 밸브개폐기, 게이트, 수문게이트, 정문게이트, 게이트 제수밸브, 주철제 게이트 제수밸브, 제수밸브, 주철제 게이트 제수밸브 부설 및 접합 장비, 강관제 게이트 제수밸브 부설 및 접합 장비, 주철제 부설정비, 강관제 버터플라이 제수밸브, 강관제 버터플라이 제수밸브 부설 및 접합 장비, 부단수 할정자관, 부단수 할정자관 부설 및 접합 장비, 부단수, 부단수 천공 분기점 분기 장비, 부단수 천공 새들분수전 분기점 분기 장비, 플랜지, 조인트, 플랜지 조인트, 플랜지 조인트 접합 장비, 유지보수 시설, 세척기, 세정기, 상수관 세척기, 하수관 세정기, 관세관장비, 스크레이퍼와 워터젯트 병행 세척장비, 수밀기, 시험기, 수밀시험기, 하수관 수밀시험기, 공기압기, 공기압공급기, 공기압시험기, 하수관 공기압시험기, 준설기, 하천준설기, 침전물준설기, 하수관 준설기, 버킷식 준설기, 하수관 준설기, 흡입식 준설기, 하수도, 상수도, 수로암거, 하수도 수로암거 준설기, 흡입식 장치, 캠, cam, 카메라, CCTV, CCTV조사기, 주철관, 주철관 철거기,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철거기, 항만공사장비, 수중공사장비, 예인선, 준설선, 운전장비, 준설선 운전장비, 사석, 사석투하기, 적재장비, 운반장비, 사석적재장비, 사석운반장비, 해상투하기, 육상투하기, 수상고름기, 수중고름기, 사석해상투하기, 사석육상투하기, 사석수상고름기, 사석수중고름기, 블록, 케이슨, 케이슨 블록, 케이슨 진수기, 케이슨 거치기, 일반블록 거치기, 소파블록, 소파블록 거치기, 준설기, 배송관, 배송관 접합기, 배송관 띄우개기, 부함기, 접합기, 배송관 진수기, 준설여굴처리기, 펌프준설기, 펌프준설선, 매립기, 조사기, 지반조사기, 보링기, 기계기구, 천공기, 토사천공기, 자갈천공기, 호박돌층천공기, 암반층천공기, 시험기, 표준관입시험기, 베인전단시험기, 채취기, 시료 채취기, 자연시료 채취기, 평판재하시험기, 동재하시험기, 정재하시험기, 콘관입시험기, 탐사기, 물리탐사기, 탄성파 탐사기, 굴절법 탄성파 탐사기, 비저항탐사기, 전기비저항탐사기,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기, 보링기, 소구경 보링기, 대구경 보링기, 지하수개발 장비, 천공장비, 토사천공장비, 모래천공장비, 자갈천공장비, 호박돌층천공장비, 천공시설, 암반층천공시설, 공, 폐공, 폐공 되메움기, 측량기, 기준점 측량기, GNSS에 의한 기준점 측량기, 1급 기준점 측량기, 2급 기준점 측량기, 3급 기준점 측량기, 4급 기준점 측량기, 수준측량기, 1등 기본 수준측량기, 2등 기본 수준측량기, 1급 수준측량기, 2급 수준측량기, 3급 GNSS 높이측량기, 4급 GNSS 높이측량기, 지형 및 토지측량기, 지형현황측량기, 하천측량기, 드론측량기, 항공측량기, 택지조성측량기, 구획정리기, 확정측량기, 용지측량기, 도시계획선측량기, 인선측량기, 노선, 도로노선, 노선측량기, 도로노선측량기, 철도노성측량기, 도로노선신설측량기, 시가지 노선 측량기, 수도노선측량기, 대장, 도로대장, 건물대장, 도로대장측량기, 해양조사측량기, 지도, 해도, 해도제작기, 수심측량기, 수중지층 탐사기, 해상중력관축기, 지자기 관측기, 해도제작기, 지도제작기, 항공기, 사진, 사진기, 항공사진, 항공사진촬영기, 대공표지기, 기준점, 표고기준점, 수준기준점, 사진 기준점 측량기, 수치지도 작성기, 건물 및 지상물체 항공사진기, 판독기, 작업기, 판독작업기, 지도제작기, 기본도제작기, 토지이용도, 현황도, 토지현황도, 토지이용 현황도, 토지이용 현황도 제작기, 상각비 산정기, 도로지도, 정밀도로지도 구축기, 무인비행장치, 무인비행장치 측량기, 신규등록측량기, 신규등록측량장치, 도해장치, 신규등록측량기계, 수치지조제작기, 토지구획정리 신규등록 측량기, 경지구획정리 신규등록 측량기, 등록전환 측량기, 등록전환 측량장치, 수치 측량기, 등록전환 수치 측량기, 분할측량기, 경계복원 측량기, 경계복원 도해기, 경계복원 측량 수치지도기, 지적측량기, 지적삼각측량기, 지적도근점측량기, 토지구획정리 지적확정측량기, 경지구획정리 지적확정측량기, 도면작성기, 지적현황 측량기, 지적현황 측량기, 지적불부합지조사 측량기, 조서작성기, 지적재조사측량기, 지적기준점현황조사기, 택지개발예정지적좌표도 작성업무 측량기, 택지개발예정지적좌표도 작성업무 측량기, 지구계점 측량기, 택지개발예정지적좌표도 작성업무 측량기, 자동제도기, 자동제도 좌표독취기, 자동제도 좌표입력기, 자동제도 파일제공기, 축척변경 측량기, 축척변경기, 축척변경 측량 작업기, 철골, 철골공사장비, 철골 가공 조립기, 공장생산시설, 기본철골공수 산정기, 철골공수 산정기, 기본용접공수 산정기, 용접공수 산정기, 철골 세우기 장비, 현장 세우기 장비, 철골세우기 장비의 작업능력 산정기, 고장력 볼트, 고장력 볼트 조임기, 현장용접기, 앵커, 볼트, 앵커 볼트, 앵커 볼트 설치기, 철골세우기용 장비, 가설공사기, 해체이동장비, 데크플레이트, 데크플레이트 설치기, 절단기, 가스절단기, 플라즈마 절단기, 데크플레이트 가스절단기, 데크플레이트 플라즈마 절단기, 데크플레이트 설치기, 부대공사 장비, 부대철골 설치 장비, 스터드볼트, Stud bolt, 스터드볼트 설치기, 뿜칠기, 피복뿜칠기, 철골 내화 피복뿜칠기, 철골조, 형강철골조, 경량형강철골조, 경량형강철골조 조립기 및 설치기, 조적공사 장비, 벽돌 공사장비, 벽돌 쌓기 장비, 치장쌓기 장비, 줄눈, 치장줄눈, 줄눈설치 장비, 아치쌓기 장비, 아치쌓기 치장줄눈 설치 장비, 블록 공사장비, 블록쌓기 장비, 블록 보강쌓기 장비,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경량ALC, ALC 장비, ALC블록 쌓기 장비, ALC패널 설치 장비, 타일, 타일공사 장비, 공통공사 장비, 바탕 고르기 장비, 타일줄눈, 타일줄눈 설치 장비, 타일 붙임기, 떠붙이기 장비, 압착 붙이기 장비, 접착 붙이기 장비, 타일 떠붙이기 장비, 타일 압착 붙이기 장비, 타일 접착 붙이기 장비, 목공사 장비, 구조목공사 장비, 먹매김 장비, 마루틀, 마루틀 설치 장비, 마루바탕 설치 장비, 마루널, 마루널 설치 장비, 수장목, 수장목공사 장비, 벽체틀, 벽체틀 설치 장비, 칸막이, 벽틀, 칸막이벽틀 설치 장비, 벽체, 합판, 벽체합판, 벽체합판 설치 장비, 수장합판, 수장합판 설치 장비, 커튼, 커튼월, 커튼박스, 커튼박스 설치 장비, 부대목공사 장비, 토대, 토대설치 장비, 목재, 데크틀, 목재데크틀, 목재데크틀 설치 장비, 목재데크 설치 장비, 수장공사 장비, 바닥재, PVC계 바닥재, 바닥재 설치 장비, 카페트, 카페트 설치 장비, 플로어링재, 마루, 플로어링 마루, 플로어링 마루 설치 장비, 이중바닥재, 이중바닥 설치 장비, 천장재, 천정재, 흡음재, 텍스, 흡음텍스, 흡음텍스 설치 장비, 열경화성수지재, 천장판, 열경화성수지천장판, 천장판 설치 장비, 석고판, 석고판 설치 장비, 나사고정 장비, 벽, 벽체, 벽공사 장비, 석고판 설치 장비, 나사고정기, 석고판 설치 장비, 접착제, 샌드위치패널, 단열재, 단열패널, 샌드위치단열패널, 패널 설치 장비, 흡음판, 흡음재, 흡음판 설치 장비, 걸레, 받이, 걸레받이, 걸레받이 설치 장비, 마루, 귀틀, 마루귀틀, 마루귀틀 설치 장비, 도배지, 도배장비, 도배바름기, 단열재, 단열시설, 단열재 공간넣기 장비, 단열재 접착제 붙이기 장비, 단열재 격자넣기 장비, 단열재 핀사용 붙이기 장비, 타정기, 단열재 타정 부착 장비, 단열재 콘크리트타설 부착 장비, 단열재 슬래브위 깔기 장비, 방습재 필름, 방습필름 , 방습필름설치 장비, 외벽단열재, 외벽단열공사 장비, 방수재, 공사재, 방수공사 장비, 바탕처리재, 바탕처리 장비, 초벌 장비, 중벌 장비, 말벌 장비, 초벌칠 장비, 중벌칠 장비, 말벌칠 장비, 하도 장비, 중도 장비, 상도 장비, 하도칠 장비, 중도칠 장비, 상도칠 장비, 프라이머재, 프라이머기, 방수프라이머재, 방수프라이머기, 방수프라이머 바름기, 방수층, 방수재, 방수제, 누름재, 철물, 방수층보호재 붙임기, 방수층 누름철물 설치 장비, 도막방수재, 도막방수기, 도막바름재, 도막바름기, 보강재, 포, 보강포, 보강포 붙임 장비, 도료, 마감도료재, Top-coat재, 도료바름기, 시트 방수재, 가열식시트, 시트 붙임기, 접착식시트, 접착식시트 붙임 장비, 자착식시트, 자착식시트 붙임 장치, 시멘트, 모르타르, 시멘트 모르타르,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 장비, 시멘트재, 액체방수재, 시멘트 액체방수재, 시멘트 액체방수 바름 장치, 폴리머 시멘트, 폴리머 모르타르,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방수 바름 장비, 방수모르타르, 방수모르타르 바름 장비, 시멘트 혼입재, 폴리머, 시멘트 혼입 폴리머,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도막방수 바름 장비, 기타방수재, 기타방수장비, 규산, 도포방수재, 규산질계 도포방수재, 규산질계 도포방수 바름 장비, 액상형방수재, 흡수방지방수재,액상형 흡수방지방수재, 액상형 흡수방지방수 도포 장비, 벤토나이트방수매트, 벤토나이트방수시트, 벤토나이트방수 붙임 장비, GCL방수재, geosynthetic clay liner, GCL방수장비, 부대공사 장비, 수밀재, 코킹재, 수밀코킹재, 수밀코킹 장비, 줄눈, 줄눈 절단기, 줄눈 설치 장비, 지붕, 지붕재, 지붕공사 장비, 홈통, 홈통재, 홈통공사장비, 지붕설치장비, 금속, 기와, 금속기와, 금속기와 잇기 장비, 금속판, 금속판 평잇기 장비, 금속판 돌출잇기 장비, 현장제작 장비, 금속판 잇기 장비, 아스팔트재, 싱글재, 아스팔트싱글, 아스팔트싱글 설치 장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재, 폴리카보네이트 설치 장비, 후레싱, 후레싱재, 후레싱 설치 장비, 홈통 설치기, 처마홈통, 금속 처마홈통 설치 장비, 염화비닐 처마홈통, 염화비닐 처마홈통 설치 장비, 선홈통, 금속 선홈통 설치 장비, 염화비닐 선홈통, 염화비닐 선홈통 설치 장비, 물받이홈통, 물받이홈통 설치 장비, 드레인, 드레인재, drain, 배수재, 루프드레인, 드레인 설치 장비, 금속공사 장비, 제품, 제품 설치 장비, 계단, 논슬립, 계단논슬립, 논슬립 설치 장비, 코너재, 비드, 코너비드, 코너비드 설치 장비, 와이어, 메시, 와이어메시, 와이어메시 바닥깔기 장비, 인서트(Insert), 인서트 설치 장비, 조이너, 몰딩, 몰딩 설치 장비, 천장재, 점검구, 천장점검구, 천장점검구 설치 장비, 시설물, 시설물 축조장비, 용접식난간, 용접식난간 설치 장비, 앵커고정식난간, 앵커고정식난간 설치 장비, 철조망, 울타리, 철조망 울타리 설치 장비, 경량천장철골틀, 경량천장철골틀 설치 장비, 경량벽체, 철골틀, 경량벽체철골틀 설치 장비, 기타공사 장비, 잡철물, 잡철물 제작 장치, 잡철물 설치 장비, 미장재, 미장기, 미장공사 장비, 바름기, 타설기, 모르타르 바름기 및 타설기, 배합기, 모르타르 배합기, 모르타르 바름 장비, 모르타르 타설 장비, 피니셔, finisher, 마무리 장비, 표면 마무리 장비, 라스, 라스 붙임 장비, 콘크리트면 마무리 장비, 콘크리트면 정리 장비, 마감기, 부분 마감 장비, 전면 마감기, 충전재, 충전기, 충전 장비, 창호주위 모르타르 충전기, 발포우레탄, 창호주위 발포우레탄 충전기, 무수축 모르타르, 주각부 무수축 모르타르 충전기, 우레탄폼, 우레탄폼 분사 충전 장비, 창호, 유리, 창호 공사장비, 유리공사장비, 벽창호, 목재창호, 창호 설치기, 강재창호, 강재창호 설치 장비, 알루미늄창호, 알루미늄창호 설치 장비, 합성수지창호, 합성수지창호 설치 장비, 셔터, 셔터 설치기, 부속자재, 도어체크, 도어체크 설치기, 플로어재, 힌지, 플로어힌지, 플로어힌지 설치 장비, 도어, 도어록, 도어록 설치 장비, 창호유리, 창호유리 설치 장비, 커튼월유리, 커튼월유리 설치 장비, 커튼월, 알루미늄, 프레임, 알루미늄 프레임, 알루미늄 프레임 설치 장비, 외벽, 패널, 외벽 패널, 외벽 패널 설치 장비, 코킹재, 코킹장비, 칠재, 칠공사 장비, 공통공사 장비, 콘크리트면 바탕만들기 장비, 모르타르면 바탕만들기 장비, 석고보드, 석고보드면 바탕만들기 장비, 철재면 바탕만들기 장비, 목재면 바탕만들기 장비, 도장재, 도장기, 퍼티대, 퍼티기, 연마재, 연마기, 비닐, 보양재, 비닐 보양재, 비닐 보양 장비, 페인트, 수성페인트, 붓, 칠 장비, 수성페인트 장비, 롤러, 칠롤러, 수성페인트 분사기, 뿜칠재, 뿜칠기, 유성페인트 노즐, 붓칠기, 유성페인트 디퓨저, 롤러칠 장비, 녹막이 페인트, 녹막이 페인트칠 장비, 오일스테인, 오일스테인칠 장비, 에폭시, 방수페인트, 에폭시 페인트, 에폭시 페인트칠 장비, 낙서방지용 페인트칠 장비, 걸레받이용 페인트칠 장비, 스프레이재, 스프레이어, sprayer, 코트, 무늬코트, 무늬코트칠 장비, 탄성코트, 탄성코트칠 장비, 석재도료, 석재도료칠 장비, 유지보수재, 유지보수공사 장비, 철거공사 장비, 구조물 철거공사 장비, 콘크리트구조물, 콘크리트구조물 헐기 장비, 콘크리트구조물 헐기 대형장비, 철골재, 철골재 철거 장비, 철골재 철거 기계, 석축, 석축 헐기장비, 해체기, 거품 분사 해체기, 해체장비, 해체공사 장비, 금속기와, 금속기와 해체 장비, 흡음텍스, 흡음텍스 해체 장비, 경량천장철골틀, 경량천장철골틀 해체 장비, 조적벽, 조적벽 해체 장비, 경량벽체철골틀 해체 장비, 석고판, 석고판 해체 장비, 벽지, 도배지, 도배 해체 장비, 바닥재, PVC계바닥재, PVC계바닥재 해체 장비, 타일, 타일 해체 장비, 방수층, 보호층, 보호층 철거 장비, 석면, 건축자재, 석면건축자재, 석면건축자재 해체 장비, 칠공사 장비, 바탕처리재, 바탕처리 장비, 콘크리트면 처리장비, 모르타르면 처리 장비, 재도장 시 바탕처리 장비, 철재면 처리재, 재도장 시 바탕처리재, 목재면 처리재, 수선재, 수선기, 보수재, 보수공사장비, 지붕 덧씌우기 장비, 지붕 재설치 장비, 도배 교체 장비, PVC계바닥재 교체 장비, 타일 교체 장비, 기계설비, 배관공사장비, 강관, 용접기, 접합기, 배관, 용접배관, 나사식 접합 배관, 그루브재, 조인트, 그루브조인트(Groove Joint), 그루브조인트식 접합 장비, 배관 장비, 동관 접합장비, 용접접합 장비, 배관 용접장비, 스테인리스 강관, 용접접합기, 용접배관기, 프레스식 접합기, 프레스식 배관 접합기, 주름관, 주름관 접합기, 주름배관 부설기, 주철관, 기계식조인트, Mechanical Joint, 기계식접합기, 배관 용접기, 수밀밴드, 수밀밴드 접합기, 수밀밴드 배관, 경질관, 접착제 접합(T.S)기, 배관 설치기, 소켓, 소켓 접합기, 소켓 배관, 연질관, 폴리부틸렌(PB), 폴리부틸렌 일반접합 장비, 배관 설치장비, 폴리부틸렌(PB) 이중관, 폴리부틸렌(PB) 이중관 접합 장비, 가교화재, 폴리에틸렌관, 가교화 폴리에틸렌관, 가교화 폴리에틸렌관 접합 장비, 덕트, 덕트공사 장비, 금속덕트, 아연도금강판덕트, 각형덕트, 덕트 설치 장비, 아연도금강판덕트, 스파이럴덕트, 스테인리스덕트, 스테인리스각형덕트, PVC덕트, 환기덕트, 환기용덕트, 세대내 환기덕트, 플렉시블덕트, 덕트기구, 취출구, 취수구, 흡입구, 플렉시블 조인트, 덕트 플렉시블 조인트, 덕트 플렉시블 조인트 설치 장비, 일반댐퍼, 사각댐퍼, 댐퍼 설치 장비, 원형댐퍼, 제연댐퍼, 보온공사 장비, 배관보온 장비, 일반마감 배관보온 장비, 칼라재, 함석, 칼라함석, 칼라함석마감 배관보온 장비, 밸브보온 장비, 일반마감 밸브보온 장비, 함석마감 밸브보온 장비, 덕트보온 장비, 각형덕트, 각형덕트 보온 장비, 원형덕트, 원형덕트 보온 장비, 발열선, 발열선 설치 장비, 분전함, 배전함, 분전함 설치 장비, 펌프 공사 장비, 공기설비공사 장비, 펌프, 일반펌프 설치 장비, 집수정, 배수펌프, 집수정 배수펌프 설치 장비, 방진재, 가대, 방진가대, 펌프 방진가대 설치 장비, 송풍기, 환풍기, 송풍기 설치 장비, 벽걸이재, 배기팬, 벽걸이 배기팬, 벽걸이 배기팬 설치 장비, 욕실배기팬, 욕실배기팬 설치 장비, 유인팬, 무덕트 유인팬, 무덕트 유인팬 설치 장비, 레인지, 후드, 레인지후드, 레인지후드 설치 장비, 밸브설비, 밸브설비공사 장비, 콕밸브, 일반밸브, 콕류, 콕류 설치 장비, 감압밸브, 감압밸브장치 설치 장비, 증기트랩, 스팀트랩, 스팀트랩 장치 설치 장비, 플랙시블 이음, 팽창이음, 익스팬션조인트, 익스팬션조인트 설치 장비, 플랙시블커넥터, 플랙시블커넥터 설치 장비, 수격장비, 수격방지기, 수격방지기 설치 장비, 측정기기, 측정기기공사 장비, 유량계, 직독식 유량계, 원격식 유량계, 적산열량계, 세대용 열량계, 건물용 열량계, 산업용 열량계, 위생기구설비, 위생기구, 소변기, 대변기, 도기세면기, 카운터형 세면기, 일체형 세면기, 카운터형 세면기 설치 장비, 분리형 세면기, 욕조, 수채, 청소용 수채, 수전장치, 매립형 욕조수전, 샤워수전, 세면기수전, 씽크대, 씽크수전, 손빨래수전, 부착물, 욕실 부착물, 거울, 욕실거울, 금구류, 욕실금구류, 배수구, 바닥배수구, 바닥배수구 설치 장비, 손잡이, 안전손잡이, 공기조화설비, 냉동기, 냉각탑, 냉동기 반입 장비, 냉동기 설치 장비, 냉각탑 설치 장비, 공기조화기, 공기가열기, 공기냉각기, 공기여과기, 패키지형 공기조화기, 공기조화기(Air Handling Unit), 에어컨, 스탠드 에어컨, 천장형 에어컨, 전열교환기, 보일러, 방열기, 보일러 설치 장비, 경유보일러, 가스보일러, 가정용 보일러, 보일러 설치 장비, 온수보일러, 전기보일러, 방열기, 전기콘벡터, 온수기, 분배기, 온수분배기, 전기온수기, 전기온수기 설치 장비, 벽걸이형 온수기, 온수분배기 설치 장비, 탱크, 헤더, 오일서비스탱크, 부수장비, 오일, 버너, 오일 버너, 로터리 오일 버너, 건타입 오일버너, 기타공사, 지지금구, 방진가대, 입상관 방진가대, 방진가대 설치 장비, 잡철물 제작 장비, 설치 장비, 도장장비, 바탕만들기 장비, 녹막이페인트 칠기, 유성페인트 칠기, 슬리브, 슬리브 설치기, 배관을 위한 구멍뚫기 장비, 배관관리 장비, 배관시험기, 기밀시험기, 시험점화기, 시운전 장비, 조정 장비, 시운전 시설, 냉난방기, 공조설비, 건물의 냉난방 및 공조설비 정밀진단(T.A.B) 장비, 소방설비, 소방설비공사 장비, 소화함, 소화전함, 옥내소화전함, 소화용구, 격납상자, 소방밸브, 알람밸브, 준비작동식밸브, 드라이밸브, 관말시험밸브, 옥외소화전, 지하식 옥외소화전, 지상식 옥외소화전, 송수구, 일반송수구, 방수구, 방수구 설치 장비, 연결송수구, 연결송수구설치 장비, 탱크, 압력공기탱크, 마중물탱크, 소방용 유량계, 유량측정장치, 소화용 헤드, 스프링클러, 스프링클러 헤드, 헤드 설치 장비, 스프링클러 전기설비, 소화기, 소화약제, 소화설비, 자동식 소화기, 피난기구, 완강기, 가스설비, 강관, 용접접합기, 용접식 부설기, 나사식 접합기, PE관, PE관 부설기, 버트 융착식 접합기, 버트 융착식 부설기, 부속기기, 분기공, 밸브 설치 장비, 가스기, 미터기, 가스미터, 직독식 가스미터, 원격식 가스미터, 자동제어설비, 계기반, 함류, 계기반, 계기, 플랜트 계기, 자동제어기기, 자동제어기기 설치 장비, 계량기, 계량기 설치 장비, 도압배관, Control Air 배관, 압축공기 발생장치, 공기관 배관, 전선, 배선, 전선배선, 중앙처리장치(CPU), 입출력장치(I/O Equipment), 콘솔(Console), 플랜트설비, 플랜트 배관, 플랜트 배관 설치 장비, 만곡관, 관만곡(Pipe Bending) 설치 장비, 밸브 취부 장비, 피팅, Fitting 취부 장비, 플랜지, Flange 취부 장비, Oil Flushing 장비, 장거리 배관, 이중보온관, 플랜트 용접기, 강관절단기, 강판절단기, 강관용접기, 강판 전기아크용접기, 예열(Electric Resistance Heating)기, 응력제거기, 비파괴시험기, 플랜트 용접 개소 비파괴시험기, 아세틸렌량의 환산 장비, 배관 및 기기 보온 장비, pipe보온기, 기기보온기, 강재, 강재 제작 설치 장비, 철골재, 보통 철골재, 철골 가공조립기, 저장탱크, STORAGE TANK, ㅍ, 강재류 조립설치기, 도장기, 방청공사 장비, 기계설비, 기계설비 철거 장비, 기계설비 이설공사 장비, 탱크청소기, 화력발전 기계설비, 보일러 설치 장비, 보일러, 드럼, 보일러 드럼, 보일러 드럼 설치 장비, 덕트제작(Air, Gas) 장비, 덕트 설치 장비, 공기예열기(Preheater), Soot Blower, 팬, Fan 설치 장비, 터빈, 터빈 설치 장비, 발전기, 발전기 설치 장비, 복수기, 복수기 설치 장비, 왕복 장비, 압축기, 왕복압축기, 왕복압축기 설치 장비, 펌프 설치 장비, Feed Pump, Boiler Feed Pump, Boiler Feed Pump 설치 장비, Heater, Tank, 수력발전 기계설비, 수차, 수차 설치 장비, 발전기 설치 장비, 문, 수문, 창문, 수문 제작 장비, Stop-Log, Stop-Log 제작 장비, Stop-Log 설치 장비, 호이스트, 수문 Hoist, 수문 Hoist 설치 장비, Spiral Casing, Spiral Casing 설치 장비, Steel Penstock, Steel Penstock 제작 장비, Steel Penstock 현장설치 장비, Roller Gate Guide Metal, Roller Gate Guide Metal 제작 장비, Roller Gate Guide Metal 설치 장비, Tainter Gate Guide Metal, Tainter Gate Guide Metal 제작 장비, Tainter Gate Guide Metal 설치 장비, Trash Rack, Trash Rack 제작 장비, Trash Rack 설치 장비, Tainter Gate Anchorage 제관, 제철기계설비, 고로본체, 부속기기, 노정장입 장치 기기, 노체 4본주, DECK, DECK 설치 장비, 열풍로, 열풍로 본체, 부속설비, 열풍로 DECK, 주선기 본체, 주선기 부속기기, 부속기기 설치 장비, Edge Mill, Edge Mill 설치 장비, 제진기, 제진기 본체, 제진기 부속설비, Ventri Scrubber, Ventri Scrubber 본체, Ventri Scrubber 부속설비, Mud Gun, 전등 Mud Gun, 전등 Mud Gun 설치 장비, 내화물, 제철축로, 쌓기 장비, 내화물 쌓기 장비, Craft, Tomlex Sprayer, Castable Spray 공사 장비, 혼선로, 전로, 전로 본체, 조립 설치 장비, Gas Holder, N2 Spherical Gas Holder 조립설치 장비, 가열로, 가열로 본체, Recuperator실, 가열로 조립설치 장비, 균열로, 균열로 본체, 균열로 Recuperator실, 가열로 부속기기, 균열로 부속기기, 부속기기 조립설치 장비, Mill Line, Mill Line 기기류, Roller Table, Roller Table 조립설치 장비, 전기장치, 집진기, 전기집진기, 전기집진기 설치 장비, Electric Precipitator, 노 기밀 시험기, 기계설비, 소각로, 소각로 설치 장비, 폐열보일러, 폐열보일러 설치 장치, 덕트 제작 장치, 설치 장비, 반건식 시설, 반응탑, 반건식 반응탑, 반건식 반응탑 설치 장비, 탈질설비, 탈황설비, 탈질설비 설치 장비, 여과기, 집진기, 여과집진기, filter, Bag filter, 활성탄, 반응조, 소석회 공급설비, 하수처리장치, 하수처리 기계설비, 수중펌프, 모노레일, 분산기, 산기장치, 오수처리시설, 운반기계설비, CONVEYOR, BELT CONVEYOR, OPEN BELT CONVEYOR, CRANE, OVER HEAD CRANE, CRANE 설치 장비, GANTRY CRANE, 천장크레인, 천장크레인 레일, 기타 기계설비, 일반기기, Cooling Tower, Cooling Tower 설치 장비, Batcher Plant, Batcher Plant 설치 장비, 가설자재, 유지보수공사 장비, 일반기계설비, 일반기계설비 해체 장비, 배관 해체 장비, 각형덕트 해체 장비, 스파이럴덕트 해체 장비, 배관보온 해체 장비, 덕트보온 해체 장비, 펌프 해체 장비, 일반기계설비 철거 장비, 이설 장비, 자동제어설비, 시설 철거 장비, 시설 이설 장비, 수선 장비, 보수공사 장비, 유량계 교체 장비, 관갱생공 장비, 배관누수 검사장비, 산업설비, 환경설비, 도로, 항만, 교량, 철도, 지하철, 공항, 관개수로, 댐, 하천, 택지, 부지, 간척재, 매립재, 제철자재, 석유화학자재, 산업생산시설, 환경시설, 소각장, 수처리설비, 환경오염방지시설, 하수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중수도, 하ㆍ폐수처리수 재이용시설, 발전소설비, 수목원, 공원, 숲, 생태공원, 정원, 지반, 포장, 실내건축재, 금속창호, 지붕건축물, 도장재, 습식재, 방수, 석, 조경재, 시설물,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비계, 상수도설비, 하수도설비, 철도, 궤도, 철강구조물, 수중퇴적물, 준설물, 승강기, 삭도, 기계가스설비, 가스난방기, 시설물유지관리재, 토, 땅, 토사, 지반, 굴착기, 성토기, 흙쌓기기, 절토기, 흙깎기기, 흙막이재, 자갈, 철도도상자갈, 폐기물매립지, 굴착기, 선별기, 성토재, 포장기, 역청재, 시멘트콘크리트, 투수콘크리트, 도로포장재, 활주로포장재, 광장포장재, 단지포장재, 화물야적장포장재, 포장재, 보조기층재, 선택층재, 포장유지재, 포장수선기,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기, 시멘트콘크리트포장기, 유색포장기, 투수콘크리트포장기, 소파(小破)보수기, 덧씌우기 장비, 과속방지턱, 보링기, 그라우팅기, 파일, 보링굴착기, 그라우팅재, 지반재, 구조물재, 천공기, 보강재, 회반죽, 주입장비, 혼합기, 보링천공기, boring machine, 시추기, 試錐機, 그라우팅 장비, grouting machine, 균열, 공동(空洞), 틈새, 그라우트액, 주입액, 주입재, 충전(充塡)재, 착정기, 지열공착정기, 파일항타기, 항타(杭打)기, 파일박기, 샌드파일, 샌드파일타설기, 말뚝, 실내건축재, 실내건축자재, 건축물자재, 실내외건축재, 실내공간재, 구조체, 집기, 실내외건축재료, 도장재, 석재, 실내공간재, 건물구조체, 제작기, 마감재, 창호, 목재창호, 목재구조물, 목재로 된 창, 건축물자재, 공사재. 목재구조물, 공작물, 목재창호재, 목재, 칸막이, 목재구조물, 공작물, 금속구조물, 건물창호, 온실, 창호설치기, 금속재, 합성수지, 유리, 창, 문, 건조물, 건물창호, 발코니창호, 외벽유리, 커튼월창호, 배연창, 방화문, 자동문, 회전문, 도어, 스크린도어, 승강장스크린도어, 유리, 금속구조물, 금속류 구조체, 조형물, 조각물, 조경물, 건축조형물, 천장재, 벽체, 칸막이재, 천장패널, 건식벽체, 강재벽체, 경량칸막이, 금속구조체, 도로, 교량, 터널, 안전자재, 경계자재, 방호재, 방음시설물, 가드레일, 가드케이블, 표지판, 방호울타리, 펜스, 낙석방지망, 낙석방지책, 방음벽, 방음터널, 교량안전점검시설, 승강대, 버스승강대, 도로교통안전시설물, 금속구조물, 공작물, 굴뚝, 탱크, 수문, 셔터, 광고대, 광고탑, 탑, 옥외광고탑, 격납고, 격납고문, 사다리, 프레임, 철재프레임, 난간, 계단, 온실, 농업온실, 임업온실, 원예용온실, 농업자재, 임업자재, 원예식물, 온실자재, 부대설비, 판금, 지붕판금, 건축물조립재, 지붕, 판금재, 기와, 슬레이트, 금속판, 아스팔트, 싱글(shingle), 지붕재, 야외건축물, 지붕설치기, 지붕단열재, 지붕장식재, 지붕판금재, 폴리염화비닐(PVC), PVC재, 빗물받이, 홈통, 건축조립재, 판넬, 부품, 내벽재, 외벽재, 바닥재, 샌드위치판넬, ALC판넬, PC판넬, 세라믹판넬, 알루미늄복합판넬, 사이딩판넬, 클린복합판넬, 시멘트보드판넬, 악세스바닥판넬, 도장재료, 시설물, 도료, 솔, 롤러, 기계, 칠기, 도장재, 도장뿜칠기, 차선도색기, 분사표면처리기, 전천후경기장바탕도장기, 부식방지재, 습식재, 방수재, 미장재, 구조물재, 모르타르, 플러스터, 회반죽, 흙, 내ㆍ외벽재, 바닥자재, 성형단열재, 경량단열재, 뿜칠기, 마감기, 일반미장기, 미장모르타르, 합성수지모르타르, 미장뿜칠기, 다듬기, 줄눈, 단열재, 뿜칠재, 견출재, 코킹(caulking)재, 내화충전재, 타일, 구조재, 점토, 고령토, 합성수지, 타일, 내ㆍ외장 타일, 모자이크타일, 테라코타타일, 합성수지계타일, 방수재, 아스팔트, 실링재, 에폭시, 시멘트모르타르, 합성수지, 토목자재, 건축구조물, 산업설비, 폐기물매립시설, 방수자재, 방습자재, 누수방지재, 누수차수재, 에폭시재, 방습재, 도막재, 도료 도포막재, 누수방지재. 조적재, 조적구조물, 벽체, 기초, 시멘트블록, 벽돌, 재료, 시멘트모르타르, 교착제, 부착제, 장치, 쌓기재, 축조재, 블록, 벽돌, 벽돌붙임제. 석제, 석판, 석시설물, 건물외벽, 외벽석재, 바닥재, 벽체재, 돌붙임기, 돌포장기, 인도포장재, 석축재, 돌쌓기 장비, 식재재, 조경재, 조경수목, 잔디, 초화류, 식재기, 조경수목, 금잔디, 지피식물, 화초류, 식재자재, 토양개량재, 종자뿜어붙이기 장비, 특수식재 장비, 식재 유지ㆍ관리 장비, 조경식물m 수세(樹勢) 회복 장비, 조경식물, 유지ㆍ관리 장비, 조경시설물, 조경자재, 조경석, 인조목, 인조암, 야외의자, 퍼걸러(pergola), 파고라, 조경시설물, 조경석재, 인조목재, 인조암재, 야외의자, 퍼걸러, 놀이기구, 운동기구, 분수대, 벽천(壁泉), 인조잔디, 철근, 콘크리트, 철근ㆍ콘크리트, 토목재, 건축구조물, 공작물, 철근가공재, 조립재, 콘크리트재, 거푸집, 동바리, 특수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PSC),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PSC)구조물, 포장장비, 농로, 기계화 경작로, 마을안길, 시멘트콘크리트, 포장기, 구조물해체 장비, 비계, 구조물해체기, 해체구조물, 도시건축물, 도시구조물, 해체 장비, 비계설치 장비, 건축장비, 스마트비계, 중량물, 일반비계, 발판, 빔운반기, 특수중량물, 상하수도설비, 상수도설비, 상수도, 농업용수도, 공업용수도, 기기, 상수도관, 하수도관, 농용수도관, 공업용수도관, 부설 장비, 취수기, 정수기, 송배수관, 상수도, 농업용수도, 공업용수도, 용수관, 옥내급배수설비, 관세척기, 갱생기, 변류이형관, 옥외스프링클러, 하수도설비, 하수처리시설, 하수관 부설 장비, 하수처리기기, 하수관, 우수관, 옥내외급배수설비, 관세척장비, 갱생장비, 철도, 궤도, 철도설치기, 궤도설치기, 궤광(軌鑛), 레일, 레일용접기, 분기부, 받침목, 도상, 궤도임시받침, 선로차단기, 빔(I-beam), 아이빔(I-beam), 거더(girder), 슬라브, 건널목보판. 철강구조물, 교량철구조물, 시설철구조물, 철구조물, 제작장비, 조립장비, 설치장비, 건축물건축장비, 철구조물 조립기, 조형건축물, 철구조물조립기, 설치기, 수문, 댐수문, 문철구조물, 강재교, 육교, 강재육교, 인도전용강재육교, 철탑, 갑문, 댐갑문, 수중장비, 수중시설, 해저시설물, 지장물, 수중암석, 수중구조물, 계선부표, 수중작업기, 항로표지, 수중구조물, 방식재, 방식시설, 케이블, 해저케이블, 투석기, 준설기, 준설선, 하천준설선, 항만준설선, 준설물, 항만재료, 항로, 운하, 하천, 준설장비, 승강기, 조형건축물, 조형공작물, 사람, 화물, 운반장비, 승강설비, 설치장비, 해체장비, 교체장비, 성능개선재, 승객, 화물, 건설공사용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기계식주차설비, 삭도, 케이블카, 리프트, 기계설비, 건축물, 플랜트, 건설공작물, 급배수시설, 위생시설, 냉난방시설, 공기조화시설, 기계기구, 배관설비, 급배수관, 환기시설, 공기조화장비, 냉난방장비, 급탕시설, 주방, 위생시설, 방음시설, 방진시설, 전자파차단설비, 화학플랜트, 배관, 시스템기계기구, 기계설비, 자동제어기, 제어기기, 지능형제어시스템, 자동원격검침설비, 자동제어시스템, 시스템에어컨(GHPㆍEHP), 지열냉ㆍ난방 기기, 건물배관, 보온기, 보냉기, 열절연기, 옥내급배수관, 세척장치, 무대기계장치, 자동창고설비, 냉동냉장설비, 집진기, 철도기계신호, 건널목차단기, 주유소, 충전소, 전기충전소, 수소충전소, 가스충전소, 가스시설, 가스공급시설, 업무시설, 도시가스공급시설, 액화석유가스, 충전시설, 집단공급시설, 저장소시설, 도시가스시설, 특정가스사용시설, 수소저장시설, 액화석유가스사용시설, 고압가스배관, 가스시설, 도시가스시설, 가스사용시설, 도시가스, 공급관, 내관, 가스용품, 액화석유가스판매시설, 온수보일러, 온수기, 부대시설, 열사용기자재, 강철재보일러, 주철재보일러, 온수보일러, 구멍탄용 온수보일러, 축열식 전기보일러, 가정용 화목보일러, 태양열집열기, 압력용기, 수소용기, 배관, 세관, 온돌, 에너지이용시설, 열사용기자재, 집열기, 태양열집열기, 요업요로, 금속요로, 요로시설물, 난방시설물, 증설재, 확장재, 보수재, 보강재, 변경재, 전문건설재, 개량재, 보수ㆍ보강재, 복합재, 복합공사재;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물, 복합재, 복합재료, 복합자재, 복합시설;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등에는 a) 청정, cleanup, 정화, 정수, 청소, 세척, washing, 세정, 세차, 세탁, 분사, 분수, 분무, 살수, 샤워, shower,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위생, 보건, 집진, 포집, 흡착, 진동, 가진, 교반, 순환, 분산, 확산, 폭기, 와류, 중화, 반응, 응집, 침전, 여과, 송풍, 선풍, 환풍, 환기, 급기, 배기, 배출, 냉온, 온냉, 가열, 냉열, 온열, 복원, remediation, 복구, rehabilitation, 치유, 치료, 처치, 조제, 세면, 세탁, 반입, 반출, 처리, treatment, 분리, 분급, 선별, 파쇄, 분쇄, 샌딩, sanding, 샌딩처리, 샌딩으로 연마, 샌딩으로 녹처리, 숏팅, shoting, shooting, 숏팅처리, 숏팅으로 연마, 숏팅으로 표면 연마, 숏팅으로 청소, 숏팅으로 녹처리, 연마, 표면연마, 연마처리, 연마청소, 연마하여 녹처리, 블라스팅, blasting, 블라스팅처리, 블라스팅으로 연마, 블라스팅으로 녹처리, 샌드블라스팅, sand blasting, 샌드블라스팅으로 면처리 또는 녹처리, 코팅, coating, 도장, 도색, 페인팅, 먼지제거, 분진제거, 미세먼지제거, 공기처리, 오염처리, 균처리, 빛방사, 진동방사,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오존살균, 음이온청정, 오존살균처리, 음이온청정처리, 연무분사, 미스트분사, 자기장방사, 약분사, 약품분사, 농약분사, 청정제분사, 정화제분사, 소독제분사, 살균제분사, 제균제분사, 방역제분사, 항균제분사, 응집제주입, 광촉매분사, 피톤치드분사, 크리닝, cleaning, 균크리닝, 먼지크리닝, 실내크리닝, 실외크리닝, 도로크리닝, 터널크리닝, 차음, 내음, 방음, 소음방지, 층간소음방지, 공기청정, 대기청정, 오염정화, 토양정화, 수질정화, 폐수정수, 하수정수, 집청소, 건물청소, 차세척, 식기세척, 건물세척, 관로세척, 관세정, 구강세정, 배관세정, 차세차, 빨래세탁, 물분사, 미스트분사, 물분수, 공원분수, 물분무, 안개분무, 물살수, 물샤워, 사람샤워, 살균, 소독, 식기소독, 바이러스소독, 건물방역, 공간방역, 위험방제, 신체위생, 건강보건, 먼지집진, 먼지포집, 분진흡착, 오존방사진동, 오존방사가진, 약품교반, 물순환, 물분산, 물확산, 물폭기, 공기폭기, 물와류, 산성을 중화, 염기성을 중화, 화학반응, 물리반응, 입자응집, 고형물침전, 고형물여과, 바람송풍, 사람에게 선풍, 내부의 공기를 환풍, 실내환기, 공기급기, 공기배기, 오염배출, 물을 냉온, 공기를 온냉, 물을 가열, 공기를 냉열, 실내온열, 오염복원, 훼손복구, 건강치유, 아픈곳치료, 다친속처치, 약조제, 얼굴세면, 뻘래세탁, 청정공기반입, 오염반출, 오염처리, 폐기물분리, 폐기물선별, 폐기물파쇄, 파쇄,분쇄, 표면샌딩, 마감면 샌딩처리, 샌딩으로 표면 연마, 슬래그숏팅, 면을 숏팅처리, 숏팅으로 표면을 연마, 숏팅으로 철재 표면 연마, 숏팅으로 표면 청소, 숏팅으로 탱크의 녹처리, 금속 연마, 교량의 녹표면 연마, 표면을 연마처리; b) 상기 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청정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청정하는 동영상을 플랫폼을 통하여 3차원적으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청정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전기 내지 모빌리티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설 또는 공사에는 공사, 건설, 시공, 건축, 토목공사, 건축공사, 토목건축공사, 산업설비공사, 환경설비공사, 조경공사, 도로공사, 항만공사, 교량공사, 철도공사, 지하철공사, 공항공사, 관개수로공사, 발전공사, 전기공사, 댐공사, 하천공사, 택지조성, 부지조성공사, 간척공사, 매립공사, 제철공장건설, 석유화학공장건설, 산업생산시설공사, 환경시설공사, 소각장건설, 수처리설비건설, 환경오염방지시설공사, 하수처리시설건설, 공공폐수처리시설건설, 중수도건설, 하ㆍ폐수처리수 재이용시설공사, 발전소설비공사, 수목원조성공사, 공원조성공사, 숲조성공사, 생태공원조성공사, 정원조성공사, 지반조성, 포장공사, 실내건축공사, 금속창호공사, 지붕건축물조립공사, 도장공사, 습식공사, 방수공사, 석공사, 조경식재, 시설물공사, 철근공사, 콘크리트공사, 구조물해체, 비계공사, 상수도설비공사, 하수도설비공사, 철도공사, 궤도공사업 철강구조물공사, 수중공사, 준설공사, 승강기공사, 삭도공사, 기계가스설비공사, 가스난방공사, 시설물유지관리, 토공사, 땅을 굴착하거나 토사 등으로 지반을 조성하는 공사, 굴착, 성토, 흙쌓기, 절토, 흙깎기, 흙막이공사, 철도도상자갈공사, 폐기물매립지에서의 굴착ㆍ선별ㆍ성토공사, 포장공사, 역청재포장공사, 시멘트콘크리트포장공사, 투수콘크리트포장공사, 도로포장공사, 활주로포장공사, 광장포장공사, 단지포장공사, 화물야적장포장공사, 포장공사에 수반되는 보조기층 및 선택층 공사, 포장유지공사, 포장수선공사,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공사, 시멘트콘크리트포장공사, 유색포장공사, 투수콘크리트포장공사, 소파(小破)보수공사, 덧씌우기 포장공사, 과속방지턱설치공사, 보링, 그라우팅, 파일공사, 보링공사, 그라우팅공사, 지반 또는 구조물 등에 천공을 하거나 압력을 가하여 보강재를 설치하거나 회반죽 등을 주입 또는 혼합처리하는 공사, 보링, boring, 시추, 試錐, 그라우팅, grouting, 균열이나 공동(空洞) 등의 틈새에 그라우트(주입액)를 주입하거나 충전(充塡)하는 것, 착정공사, 지열공착정공사, 파일공사, 항타(杭打)에 의하여 파일을 박거나 샌드파일 등을 설치하는 공사, 샌드파일공사, 말뚝공사, 실내건축공사, 실내건축공사, 건축물의 내부를 용도와 기능에 맞게 건설하는 실내건축공사, 실내공간의 마감을 위하여 구조체ㆍ집기 등을 제작 또는 설치하는 공사, 실내건축공사, 도장공사, 석공사, 실내공간의 구조체 제작 및 마감공사, 그 밖에 집기 등을 제작 또는 설치하는 공사, 목재창호공사, 목재구조물공사, 목재로 된 창을 건축물 등에 설치하는 공사. 목재구조물ㆍ공작물 등을 축조 또는 장치하는 공사, 목재창호공사, 목재 등을 사용한 칸막이공사, 목재구조물ㆍ공작물 등을 축조 또는 장치하는 공사, 금속구조물공사, 창호공사, 온실공사, 창호설치공사, 각종 금속재ㆍ합성수지ㆍ유리 등으로 된 창 또는 문을 건축물 등에 설치하는 공사. 건물창호공사, 발코니창호공사, 외벽유리공사, 커튼월창호공사, 배연창공사, 방화문설치공사, 자동문설치공사, 회전문설치공사, 승강장스크린도어설치공사, 유리공사, 금속구조물공사, 금속류 구조체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천장ㆍ벽체ㆍ칸막이 등을 설치하는 공사, 천장공사, 건식벽체공사, 강재벽체공사, 경량칸막이공사, 금속류 구조체를 사용하여 도로, 교량, 터널 및 그 밖의 장소에 안전ㆍ경계ㆍ방호ㆍ방음시설물 등을 설치하는 공사, 가드레일공사, 가드케이블공사, 표지판공사, 방호울타리공사, 펜스공사, 낙석방지망공사, 낙석방지책공사, 방음벽공사, 방음터널공사, 교량안전점검시설공사, 버스승강대공사, 도로교통안전시설물공사, 각종 금속류로 구조물 및 공작물을 축조하거나 설치하는 공사, 굴뚝공사, 탱크공사, 수문설치공사, 셔터설치공사, 옥외광고탑공사, 격납고문공사, 사다리공사, 철재프레임공사, 난간공사, 계단공사, 온실설치공사, 농업ㆍ임업ㆍ원예용 등 온실의 설치공사, 농업ㆍ임업ㆍ원예용 등 온실설치공사와 부대설비공사, 지붕판금공사, 건축물조립공사, 지붕공사, 판금공사, 기와ㆍ슬레이트ㆍ금속판ㆍ아스팔트 싱글(asphalt shingle) 등으로 지붕을 설치하는 공사, 건축물 등에 판금을 설치하는 공사, 지붕설치공사, 지붕단열공사, 지붕장식공사, 판금설치공사, 폴리염화비닐(PVC)가공 부착공사, 빗물받이공사, 홈통공사, 건축물조립공사, 공장에서 제조된 판넬과 부품 등으로 건축물의 내벽ㆍ외벽ㆍ바닥 등을 조립하는 공사, 샌드위치판넬공사, ALC판넬공사, PC판넬공사, 세라믹판넬공사, 알루미늄복합판넬공사, 사이딩판넬공사, 클린복합판넬공사, 시멘트보드판넬공사, 악세스바닥판넬공사, 도장공사, 시설물에 칠바탕을 다듬고 도료 등을 솔ㆍ롤러ㆍ기계 등을 사용하여 칠하는 공사, 일반도장공사, 도장뿜칠공사, 차선도색공사, 분사표면처리공사, 전천후경기장바탕도장공사, 부식방지공사, 습식공사, 방수공사, 미장공사, 구조물 등에 모르타르ㆍ플러스터ㆍ회반죽ㆍ흙 등을 바르거나 내ㆍ외벽 및 바닥 등에 성형단열재ㆍ경량단열재 등을 접착하거나 뿜칠하여 마감하는 공사, 일반미장공사, 미장모르타르공사, 합성수지모르타르공사, 미장뿜칠공사, 다듬기공사, 줄눈공사, 단열재 접착공사, 뿜칠공사, 견출공사, 코킹(caulking)공사, 내화충전공사, 타일공사, 구조물 등에 점토ㆍ고령토ㆍ합성수지 등을 주된 원료로 제조된 타일을 붙이는 공사, 내ㆍ외장 타일 붙임공사, 모자이크, 테라코타타일공사, 합성수지계타일공사, 방수공사, 아스팔트ㆍ실링재ㆍ에폭시ㆍ시멘트모르타르ㆍ합성수지 등을 사용하여 토목ㆍ건축구조물, 산업설비 및 폐기물매립시설 등에 방수ㆍ방습ㆍ누수방지 등을 하는 공사, 누수차수공사, 에폭시공사, 방습공사, 도막공사, 도료 도포막공사, 누수방지공사. 조적공사, 구조물의 벽체나 기초 등을 시멘트블록ㆍ벽돌 등의 재료를 각각 모르타르 등의 교착제로 부착시키거나 장치하여 쌓거나 축조하는 공사, 블록쌓기공사, 벽돌쌓기공사, 벽돌붙임공사. 석공사, 석재를 사용하여 시설물 등을 시공하는 공사, 건물외벽 등 석재공사, 바닥ㆍ벽체 등의 돌붙임공사, 돌포장공사, 인도ㆍ광장 등 돌포장공사, 석축돌포장공사, 돌쌓기공사, 조경식재공사, 조경수목ㆍ잔디 및 초화류 등을 식재하거나 유지ㆍ관리하는 공사, 조경수목ㆍ잔디ㆍ지피식물ㆍ초화류 등의 식재공사 및 이를 위한 토양개량공사, 종자뿜어붙이기공사, 특수식재공사, 식재 유지ㆍ관리공사, 조경식물의 수세(樹勢) 회복공사, 조경식물의 유지ㆍ관리공사, 조경시설물설치공사, 조경을 위하여 조경석ㆍ인조목ㆍ인조암 등을 설치하거나 야외의자ㆍ퍼걸러(pergola) 등의 조경시설물을 설치하는 공사, 조경석ㆍ인조목ㆍ인조암 등의 설치공사, 야외의자ㆍ퍼걸러ㆍ놀이기구ㆍ운동기구ㆍ분수대ㆍ벽천(壁泉) 등의 설치공사, 인조잔디공사, 철근ㆍ콘크리트공사, 철근ㆍ콘크리트로 토목 ㆍ건축구조물 및 공작물 등을 축조하는 공사, 철근가공 및 조립공사, 콘크리트공사, 거푸집공사, 동바리공사, 각종 특수콘크리트공사,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PSC)구조물공사, 포장장비로 시공하지 않는 2차로 미만의 농로ㆍ기계화 경작로ㆍ마을안길 등을 시멘트콘크리트로 포장하는 공사, 구조물해체, 비계공사, 구조물해체공사, 구조물 등을 해체하는 공사, 건축물 및 구조물 등의 해체공사, 비계설치공사, 건축물 등을 건축하기 위하여 비계를 설치하거나 높은 장소에서 중량물을 거치하는 공사, 일반비계공사, 발판가설공사, 빔운반거상공사, 특수중량물설치공사, 그 밖에 높은 장소에서 시행하는 공사, 상하수도설비공사, 상수도설비공사, 상수도, 농ㆍ공업용수도 등을 위한 기기를 설치하거나 상수도관, 농ㆍ공업용수도관 등을 부설하는 공사, 취수ㆍ정수ㆍ송배수를 위한 기기설치공사, 상수도공사, 농ㆍ공업용수도공사, 용수관 설치공사, 옥내급배수설비공사, 관세척, 갱생공사, 각종 변류이형관설치공사, 옥외스프링클러설치공사, 하수도설비공사, 하수 등을 처리하기 위한 기기를 설치하거나 하수관을 부설하는 공사, 하수 등의 처리를 위한 기기설치공사, 하수ㆍ우수관 부설, 옥내외급배수설비공사, 관세척ㆍ갱생공사, 철도공사, 궤도공사, 철도ㆍ궤도를 설치하는 공사, 궤광(軌鑛)공사, 레일공사, 레일용접공사, 분기부공사, 받침목공사, 도상공사, 궤도임시받침공사, 선로차단공사, 빔(I-beam)설치공사, 아이빔(I-beam)설치공사, 거더(girder)설치공사, 슬라브공사, 건널목보판공사. 철강구조물공사, 교량 및 이와 유사한 시설물을 건설하기 위하여 철구조물을 제작ㆍ조립ㆍ설치하는 공사, 교량 등의 철구조물의 제작ㆍ조립ㆍ설치공사,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하여 철구조물을 조립ㆍ설치하는 공사, 건축물의 철구조물조립ㆍ설치공사, 대형 댐의 수문 및 이와 유사한 시설을 건설하기 위하여 철구조물을 조립ㆍ설치하는 공사, 대형 댐 수문설치공사, 그 밖의 각종 철구조물공사, 인도전용강재육교설치공사, 철탑공사, 갑문 및 댐의 수문설치공사, 수중공사, 수중에서 인원ㆍ장비 등으로 수중ㆍ해저의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지장물을 해체하는 공사, 수중암석파쇄공사, 수중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공사, 계선부표공사, 수중작업, 항로표지설치공사, 수중구조물방식공사, 해저케이블공사, 투석공사, 준설공사, 하천ㆍ항만 등의 물밑을 준설선 등의 장비를 활용하여 준설하는 공사, 준설공사, 항만ㆍ항로ㆍ운하 및 하천의 준설공사, 승강기설치공사, 건축물 및 공작물에 부착되어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승강설비를 설치ㆍ해체ㆍ교체 및 성능개선공사, 승객ㆍ화물ㆍ건설공사용 엘리베이터설치공사, 에스컬레이터설치공사, 무빙워크설치공사, 기계식주차설비공사, 삭도설치공사, 삭도를 신설ㆍ개설ㆍ유지보수 또는 제거하는 공사, 케이블카 설치공사, 리프트 설치공사, 기계설비공사, 건축물ㆍ플랜트 그 밖의 공작물에 급배수ㆍ위생ㆍ냉난방ㆍ공기조화ㆍ기계기구ㆍ배관설비 등을 조립ㆍ설치하는 공사, 건축물 등 시설물에 설치하는 급배수ㆍ환기ㆍ공기조화ㆍ냉난방ㆍ급탕ㆍ주방ㆍ위생ㆍ방음ㆍ방진ㆍ전자파차단설비공사, 플랜트 안의 배관ㆍ기계기구설치공사, 기계설비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ㆍ지능형제어시스템ㆍ자동원격검침설비 등의 자동제어공사, 시스템에어컨(GHPㆍEHP)공사, 지열냉ㆍ난방 기기설치공사, 배관공사, 보온ㆍ보냉 등 열절연공사, 옥내급배수관개량ㆍ세척공사, 무대기계장치공사, 자동창고설비공사, 냉동냉장설비공사, 집진기공사, 철도기계신호공사, 건널목차단기공사, 가스시설공사(제1종), 가스시설시설공사(제2종)의 업무내용에 해당하는 공사, 도시가스공급시설의 설치ㆍ변경공사, 액화석유가스의 충전시설ㆍ집단공급시설ㆍ저장소시설의 설치ㆍ변경공사, 도시가스시설 중 특정가스사용시설의 설치ㆍ변경공사, 저장능력 500kg 이상의 액화석유가스사용시설의 설치ㆍ변경공사, 고압가스배관의 설치ㆍ변경공사, 가스시설공사(제2종), 가스시설공사(제3종)의 업무내용에 해당하는 공사, 도시가스시설 중 특정가스사용시설 외의 가스사용시설의 설치ㆍ변경공사, 도시가스의 공급관과 내관이 분리되는 부분 이후의 보수공사, 배관에 고정설치되는 가스용품의 설치공사 및 그 부대공사, 저장능력 500kg 미만의 액화석유가스사용시설의 설치ㆍ변경공사, 액화석유가스판매시설의 설치ㆍ변경공사, 가스시설공사(제3종), 공사예정금액이 1천만원 미만인 공사, 도시가스시설 중 특정가스사용시설 외의 온수보일러ㆍ온수기 및 그 부대시설의 설치ㆍ변경공사, 도시가스시설 중 특정가스사용시설로서 5만kcal/h이하의 온수보일러ㆍ온수기 및 그 부대시설의 설치ㆍ변경공사, 액화석유가스사용시설 중 온수보일러ㆍ온수기 및 그 부대시설의 설치ㆍ변경공사, 난방공사(제1종),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제37조에 따른 특정열사용기자재 중 강철재보일러ㆍ주철재보일러ㆍ온수보일러ㆍ구멍탄용 온수보일러ㆍ축열식 전기보일러ㆍ가정용 화목보일러ㆍ태양열집열기ㆍ1종압력용기ㆍ2종압력용기의 설치와 이에 부대되는 배관ㆍ세관공사, 공사예정금액 2천만원 이하의 온돌설치공사,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제37조에 따른 특정열사용기자재 중 태양열집열기ㆍ용량 5만kcal/h 이하의 온수보일러ㆍ구멍탄용 온수보일러ㆍ가정용 화목보일러의 설치 및 이에 부대되는 배관ㆍ세관공사, 공사예정금액 2천만원 이하의 온돌설치공사, 특정열사용기자재 중 요업요로ㆍ금속요로의 설치공사, 시설물의 완공 이후 그 기능을 보전하고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시설물에 대하여 일상적으로 점검ㆍ정비하고 개량ㆍ보수ㆍ보강하는 공사, 건축물의 경우 증축ㆍ개축ㆍ재축 및 대수선 공사, 건축물을 제외한 그 밖의 시설물의 경우 증설ㆍ확장공사 및 주요구조부를 해체한 후 보수ㆍ보강 및 변경하는 공사, 전문건설업종 중 1개 업종의 업무내용만으로 행하여지는 건축물의 개량ㆍ보수ㆍ보강공사;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공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의 적용이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의 수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장비, 장치, 공사장비, 공사장치, 정화장비, 정화장치 등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을 하는 기, 器, 機,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장비, 장치, 시설, 설비, 시스템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劑, 재, 材, 물질, 재료, 자재, 공사재료, 공사자재, 정화제, 청정제, 정화재료, 청정재료 등에는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을 하는 수, 水, 물, 物, 액, 液, 유, 油, 기, 氣, 고, 固, 제, 劑, 재, 材, 물질, 재료, 자재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샌딩 내지 샌드블라스팅 등은 수, 물, 액, 유, 볼, 공, 칩, 쇠, 쇠볼, 모래, 샌드, 물질, 재료, 소재, 슬래그, 슬래그볼, 볼슬래그, 제강 슬래그, 제련 슬래그, 파쇄 슬래그, 분쇄 슬래그, 수쇄 슬래그, 풍쇄 슬래그 등을 분사하거나, 또는 상기 분사하여 면, 표면, 시설표면, 녹, 녹물, 불순물, 이물질, 침전물 등을 청소, 세척, 세정, 처리, 연마, 제거, 삭제, 크리닝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적용되는 상기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등의 실시예는 IT 청정, 5G 정화, 3D 청소, 4D 세척, Al 정수, IC 세정, VR 세탁, AR 분사, MR 분사, 살수 XR, 살균 DX, ICT 소독, NFT 방역, IoT 방제, IoE 집진, AIoT 포집, GPS 흡착, SNS 진동, LTE 반응, WiFi 여과, 안전 송풍, 구호 환기, 구조 순환, 세이브 복구, 세이프 복원, 자동 조제, 오토 반입, 자율 반출, 로봇 선별, 모빌 도장, 무인 처리, 유인 분사, 무선 분리, 유선 숏팅, 코팅 소자, 도장 칩, 크리닝 웹, 처리 4차산업기술, 4차산업기술 처리, IT5G3D4DAlICVRAR청정, MRXRDXICTNFTIoT정화, IoEAIoTGPSSNSBIMLTEWiFi크리닝, IT 이용 청정, 5G 통신으로 정화, 3D 3차원 공간을 청소, 4D 4차원으로 세척, Al 지능이 이용되는 정수, IC 회로 기기가 이용되는 세정, VR의 가상현실에서 세탁, AR의 증강현실에서 분사, MR의 혼합현실에서 분사, 살수 작업이 되는 XR 확장현실, 살균에 이용되는 DX 듀플렉스 시스템, ICT 기술이 이용되는 소독, NFT 이용 방역, IoT의 사물인터넷이 이용되는 방제, IoE의 만물인터넷이 이용되는 집진, AIoT의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이 이용되는 포집, GPS가 이용되는 일정 위치의 오염 흡착, SNS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진동, LTE 통신으로 생물 반응, WiFi 통신이 이용되어 오염 여과, 안전한 송풍, 인명 구호를 위한 환기, 구조의 순환, 세이브하는 복구, 세이프를 위한 복원, 자동으로 조제, 오토로 자동 반입, 자율로 반출, 로봇으로 선별, 모빌 기기로 이동하면서 표면 도장, 무인으로 오염 처리, 유인으로 물을 분사, 무선으로 물질을 분리, 유선으로 표면에 물질을 숏팅, 코팅하는 소자, 도장에 이용되는 칩, 크리닝을 광고하는 웹, 균의 처리에 이용되는 4차산업기술, 4차산업기술을 이용하여 오염을 처리, IT 5G 3D 4D Al IC VR AR 등에 의하여 공기 청정, MR와 XR과 DX와 ICT와 NFT와 IoT 등에 의하여 오염 정화, IoE AIoT GPS SNS LTE WiFi 등이 이용되는 크리닝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청정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방제, 처리, 크리닝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제품, 상품, 물품, 설비, 시설 등은 상기 청정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제품, 상품, 물품, 설비, 시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가능하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실제 현장에 청정기 구비, 상기 청정기를 가동하는 사람, 상기 청정기에서 분사되는 청정제, 상기 청정제에 의한 상기 현장의 공기 청정 등이 구현되는 또는 등을 보여주는 3차원 가상공간이다. 이의 3차원 가상공간은 앱, 폰, 핸드폰, 단말기, SNS 등에서 시청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핸드폰 등으로 본사에서 또는 원격으로 또는 먼거리에서 상기 현장의 청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처리는 처리, 처분, 보수, 보강, 정수, 정화, 청정, 복원, 힐링, 청소, 세척, 세정, 세탁, 세차, 살수, 탈수, 분수, 분무, 선별, 분리, 분별, 파쇄, 분쇄, 풍쇄, 수쇄, 분해, 소각, 소성, 연소, 도장, 도색, 방수, 단열, 방음, 방재, 방제, 방화, 소화, 내화, 불연, 난연, 보수, 보강, 보호, 매립, 열분해, 습식선별, 수조선별, 건식선별, 풍력선별, 수처리, 자가처리, 외력처리, 수질처리, 액처리, 유류처리, 상수처리, 하수처리, 폐수처리, 오수처리, 오염처리, 공기처리, 분진처리, 토양처리, 오염토양처리, 음식물처리, 폐기물처리, 미생물처리, 생활폐기물처리, 산업폐기물처리, 건설폐기물처리, 폐기물중간처리, 폐기물최종처리, 자화처리, 진동처리, 오존처리, 정화처리, 청정처리; b) 이중 하나의 과정, 공정, 경로, 궤적, 절차, 순서, 단계, 장면, 영상, 동영상, 로드맵, 프로세스;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e) 로봇 또는 아바타가 수행하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f) 메타버스에서 수행되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g) 핸드폰 또는 플랫폼 또는 메타버스에 방영되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처리 내지 복합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구현되는 로봇, 아바타, 마네킹, 메타버스, 3차원가상공간, 3차원가상세계 등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처리하는 과정을 앱을 통하여 3차원적으로 실시간 또는 단계별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처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처리 내지 복합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전기 내지 모빌리티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정수장; 이에 순차 구비된 폭기조, 반응조, 응집조, 침전조, 여과조, 소독조, 살균조, 펌프, 공급라인; 상기 정수장 내지 살균조 등에 의한 수질처리; 상기 수질처리에 관한 시스템; 상기 정수장에 근무하는 사람; 상기 펌프에 의한 수돗물 가압, 상기 수돗물을 가정에 공급하는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에 연결되는 수도꼭지; 상기 수도꼭지에 의한 수돗물 취수; 등이 3차원 공간 내에 구현되어 상기 수질처리 및 공급 및 취수에 관한 전공정을 시연 또는 시청할 수 있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일, 작업, 업무, 공사, 청정, 처리 등이 되는 또는 수행되는 곳은 장, 곳, 장소, 공장, 현장, 가정, 시설, 사무실, 처리장, 매립장, 소각장, 제조공장, 생산공장, 공사현장, 도로현장, 터널현장, 아파트현장, 중간처리장, 최종처리장, 폐기물처리장, 폐기물매립장, 폐기물소각장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일, 작업, 업무,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대상은 균, 녹, 때, 오염, 공기, 대기, 분진, 먼지, 석면, 얼룩, 오염물, 이물질, SOx, NOx, VOC, 스케일, 침전물, 병원균,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클로로포름, 포름알데히드,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품(品), 체(體), 기(器), 기(機), 몸, 손, 발, 목, 손톱, 치아, 구강, 얼굴, 신체, 옷, 의류, 빨래, 입주, 이사, 이전, 그릇, 식기, 용기, 탱크, 박스, 사일로, 재료, 자재, 기체, 토양, 오염토, 먹는물, 수돗물, 식수, 용수, 생수, 상수, 하수, 폐수, 탁수, 댐수, 오탁수, 공장수, 저류수, 저장수, 탱크수, 현장수, 공사수, 터널수, 굴착수, 용출수, 지하수, 지표수, 하천수, 물질, 물체, 물건, 물품, 상품, 용품, 제품, 장비, 장치,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면, 대상지, 방, 실, 집, 벽, 외벽, 유리, 창호, 창틀, 천장, 벽지, 바닥, 장판, 가구, 가전, 식탁, 쇼파, 책상, 의자, 침대, 후드, 관, 배관, 관로, 덕트, 굴뚝, 파이프, 상수관, 하수관, 수도관, 상수도, 하수도, 시설, 수도시설, 하수시설, 건물, 주택, 교량, 길, 로(路), 도로, 터널, 난간, 탕, 온탕, 냉탕, 목욕탕, 찜질탕, 찜질방, 변기, 변소, 화장실, 신발장, 울타리, 시설물, 구조물, 사무실, 아파트, 학교, 교실, 문, 현관, 실내, 부엌, 거실, 실외, 승강기, 공장, 가정, 현장, 곳, 장소, 구역, 공중, 수중, 지중, 지상, 지면, 표면, 포장면, 수질, 토질, 공기질, 대기질, 음식물, 폐기물, 쓰레기, 메타버스; 상기 균 내지 메타버스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균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균 내지 복합;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을 하는 것은 a)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청소기, 세정기, 세척기, 세차기, 세탁기, 분사기, 분사구, 물대포, 샤워기, 믹싱기, 주입기, 주사기, 인젝터, 집진기, 포집기, 흡착기, 필터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여과기, 분리기, 파쇄기, 처리기, 송풍기, 환풍기, 열풍기, 선풍기, 회전팬, 환기팬, 드론, 튜브, 흡착탑, 환기설비, 정화터널, 청정터널, 분사터널, 집진터널, 방역터널, 분사통로, 집진통로, 방역통로, 청정아치, 분사아치, 집진아치, 방역아치, 청정출입구, 분사출입구, 집진출입구, 방역출입구, 정화시설, 청정시설, 분사시설, 집진시설, 방역시설, 미스트기, 스프링쿨러, 환기시설; b) 펌프 장착 노즐, 펌프 장착 분사기, 충돌판 및 확장콘 장착 노즐, 노즐 구비 드론, 분사기 구비 드론, 노즐 구비 분사기, 노즐 구비 스프링쿨러,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 드론에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c) 또는 조, 통, 함, 봉, 팬, 댐, 하천, 기둥, 드론, 차량, 엔진, 보트, 튜브, 노즐, 호스, 호퍼, 박스, 탱크, 관로, 배관, 펌프, 필터, 벽, 문, 창, 창호, 창문, 현관, 대문, 입구, 출구, 출입구, 개찰구, 유리, 천장, 천정, 실내, 실외, 시설, 설비, 건물, 주택, 공장, 굴뚝, 현장, 대기, 공중, 수중, 지하, 터널, 도로, 차로, 가로, 연도, 보도, 인도, 교량, 터널, 공사장, 지하도, 통행로, 가로등, 신호등, 표지판, 분리대, 포장면, 파이프, 중공체, 이동체, 부유체, 비행체, 연소기, 소각기, 타설기, 분사기, 여과기, 케이스,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d)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e)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조 내지 하우징; f)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조 내지 하우징; g)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h) 상기 조 내지 하우징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진 상기 청정기 내지 환기시설; i) 상기 청정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치; j)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k) 장비 또는 로봇 또는 아바타에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기; ℓ) 작업장이나 메타버스에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는 a) 기(器), 기(機), 차(車), 카, car, 차량, 기구, 기계, 도구, 장비, 시설, 설비, 장비, 장치, 로봇, 드론, 트럭, 도져, 로라, 그레이더. 저장고, 혼합기, 배합기, 공급기, 운반기, 이송기, 펄스기, 보링기, 발파기, 굴착기, 굴삭기, 천공기, 항타기, 펌프카, 콘크리트펌프카, 분사기, 주입기, 주사기, 주유기, 타설기, 콘크리트타설기, 포설기, 포장기, 믹싱기, 지반믹싱기, 지중믹싱기, 그라우터, 숏크리터, 다짐기, 콘크리트다짐기, 진동기, 콘크리트진동기, 양생기, 수양생기, 살수양생기, 증기양생기, 콘크리트양생기, 면처리기, 콘크리트면처리기,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 분해기, 전해기, 배양기, 발효기, 부숙기, 선별기, 파쇄기, 탈수기, 건조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여과기, 소독기, 방류기, 방전기, 집진기, 조리기, 요리기, 정화기, 청정기, 정수기, 청소기, 세척기, 살균기, 소독기, 처리기, 3D프린터, 전자장비, 전기장비, 통신장비, 제조장비, 생산장비, 공장장비, 현장장비, 산업장비, 병원장비, 주방장비, 요리장비, 공사장비, 시공장비, 건축장비, 건설장비, 정화장비, 청정장비, 정수장비, 청소장비, 세척장비, 처리장비, 잭, 시거잭, 전선, 케이블, 소켓, 플러그, 콘센트, 전지, 충전지, 충전기, 충전카, 변압기, 배전반,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수력발전기, 휴대형발전기,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b) 상기 일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장비, 상기 기(器) 내지 고전압발생기; c) 상기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등을 일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장비, 상기 기(器) 내지 고전압발생기; d) 상기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등을 이용하여 일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장비, 상기 기(器) 내지 고전압발생기; e)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장비,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되는 장비; f) 재료를 이용하는 장비, 자재를 제조하는 장비, 시설을 조성하는 장비; g)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장비; h) 장비 또는 로봇 또는 아바타에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i) 작업장이나 메타버스에 구비된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는 또는 상기 장비에는 a) 상기 기(器)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별도의 또는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혼합기, 배합기, 공급기, 공유기, 운반기, 이송기, 저장기, 펄스기, 분사기, 주입기, 주사기, 주유기, 분해기, 전해기, 배양기, 발생기, 생성기, 조성기, 형성기, 측정기, 계측기, 관측기, 관찰기, 시험기, 실험기, 측량기, 현미경, 망원경, 방전기, 살균기, 버블기, 선별기, 파쇄기, 분쇄기, 음식분쇄기, 탈수기, 건조기, 정화기, 수질정화기, 오염정화기, 청정기, 공기청정기, 현관청정기, 의류청정기, 정수기, 청소기, 세척기, 구강세척기, 치아세척기, 그릇세척기, 식기세척기, 처리기, 오염처리기, 공기처리기, 의류처리기, 폐기물처리기, 음식물처리기, 용변처리기, 코팅기, 촉매코팅기, 광촉매코팅기, 측정기, pH측정기, 염도측정기, 당도측정기, 측정계,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여과기, 소독기, 살균기, 디톡기, 디톡스기, 티탄기, 피톤기, 촉매기, 광촉매기, 티탄촉매기, 피톤촉매기, 디톡촉매기, 해충퇴치기, 방류기, 방전기, 집진기, 제조기, 제품제조기, 산소제조기, 수소제조기, 발생기, 전기발생기, 수소발생기, 산소발생기, 오존발생기, 음이온발생기, 방사기, LED방사기, 조사기, 빛조사기, 광원기, LED기, 자외선기, 적외선기, 원적외선기, 미스트기, 음파기, 초음파기, 세차기, 솔세차기, 분사세차기, 충전세차기, 공기세차기, 회전솔세차기, 풍력폭기기; b) 상기 혼합기 내지 풍력폭기기 중 둘 이상 복합체; 상기 혼합기 내지 풍력폭기기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체; 상기 혼합기 내지 복합체 중 하나에 연계되는 상기 혼합기 내지 복합체; c) 상기 혼합기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체, 또는 상기 혼합기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풍력콤프레셔(상기 기(器) 내지 사무용하우징, 모터 내지 풍력콤프레셔); d) 진동음이온기가 구비되어 진동음이온공기를 방사하는 상기 a) 혼합기 내지 c) 풍력콤프레셔;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충전세차 충전세차기, 전기 충전하면서 세차하는 기기, 차량에 전기 충전하면서 충전하는 차량을 세차하는 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적용되는 장비의 실시예는 IT 트럭, 5G 도져, 3D 로러, 4D 그레이더, Al 저장고, IC 저장고, VR 혼합기, AR 공급기, MR 운반기, XR 이송기, DX 펄스기, ICT 보링기, NFT 발파기, IoT 굴착기, IoE 천공기, IT 타설기, AI 펌프카, AIoT 항타기, SNS 펌프카, BIM 분사기, LTE 주입기, WiFi 주사기, LTE 크레인, WiFi 타워크레인, 안전 타설기, 자동 포설기, 오토 포장기, 자율 믹싱기, 로봇 그라우터, 모빌 숏크리터, 무인 기(器), 유인 기(機), 자율주행 차(車), 자동제어 드론, 자동감시 트럭, 원격관리 도져, 원격가동 로라, 원격조정 그레이더, 트랜지스터 장치, 하이브리드 장비, 인텔리전트 설비, 리모트컨트롤 로봇, 텔레매틱스 트럭, 트렌스포메이션 로라, 3차원 기구, 4차원 기계, 융합기술 굴삭기, 생명공학 장비, 생명기술 장치, 4차산업기술 기기, IT5G3D4DAlICVRAR장비, MRXRDXICTNFTIoT타설기, IoEAIoTGPSSNSBIMLTEWiFi진동기, 정보기술이 이용되는 IT 트럭, 5G 통신이 되는 5G 도져, 현장에서 3차원으로 가동되는 3D 로러, 현장에서 4차원으로 가동되는 4D 그레이더, 인공지능이 이용되는 Al 저장고, 집적회로가 이용되는 IC 저장고, 가상현실에 구비된 VR 혼합기, 증강현실에 구비된 AR 공급기, 혼합현실에 구비된 MR 운반기, 확장현실에 구비된 XR 이송기, 2중 방식인 듀플렉스의 DX 펄스기, 정보통신이 이용되는 ICT 보링기, NFT 이용의 발파기, 사물인터넷이 이용되는 IoT 굴착기, 만물인터넷이 이용되는 IoE 천공기, 정보기술이 이용되는 IT 타설기, 인공지능이 이용되는 AI 펌프카, 인공지능과 정보기술이 이용되는 AIoT 항타기, SNS에 광고되는 SNS 펌프카, BIM이 이용되는 BIM 분사기, LTE 통신이 수반되는 LTE 주입기, WiFi 통신이 수반되는 WiFi 주사기, LTE 통신이 되는 LTE 크레인, WiFi 통신이 되는 타워크레인, 안전한 타설기, 자동으로 가동하는 포설기, 오토로 자동가동되는 포장기, 자율로 되는 믹싱기, 로봇에 의한 그라우터, 공사 장소를 모빌 이동하면서 수행되는 숏크리터, 무인의 기(器), 유인으로 가동되는 기(機), 자율주행하는 차(車), 자동제어되는 드론, 자동감시되는 트럭, 원격관리되는 도져, 원격가동되는 로라, 원격조정되는 그레이더, 트랜지스터가 구비된 장치, 하이브리드 형식의 장비, 인텔리전트한 설비, 리모트컨트롤되는 로봇, 텔레매틱스 이용의 트럭, 트렌스포메이션으로 변현된 로라, 3차원 가동하는 기구, 4차원으로 가동하는 기계, 융합기술이 적용된 굴삭기, 생명공학에 이용되는 장비, 생명기술을 위한 장치, 4차산업기술이 이용된 기기, IT 5G 3D 4D Al IC VR AR 등에 이용되는 장비, MR XR DX ICT NFT IoT 등이 이용되는 타설기, IoE AIoT GPS SNS BIM LTE WiFi 등에 이용되는 진동기, IoE AIoT GPS SNS BIM LTE WiFi 등이 이용되는 진동기 등이다.
상기 장비,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된 장비, 장치, 수단, 기구, 기기,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가능하다. a) 상기 장비, 기(器) 내지 복합기; b) 이중 하나의 전, 후, 좌, 우, 상, 하, 전단, 후단, 좌측, 측면, 우측, 상부, 하부, 내부, 외부, 인근, 주변, 호스, 파이프;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펌프카, 이의 전, 후, 좌, 우, 상, 하, 호스, 공급라인에 각각 카메라,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압전기, 열전기, 코일, 자기장코일이 구비되는 펌프카이다. 이의 다른 예로는 타워크레인, 이의 전, 후, 좌, 우, 상, 하, 밸런스체, 타워에 각각 센서, 계측기, 랜턴, 램프, 카메라,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가 구비되는 펌프카이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a) 공사 현장; b) 이의 현장에 구비된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c)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등으로 재료 저장, 재료 혼합, 재료 배합, 재료 공급, 재료 운반, 재료 이송, 재료 펄스, 지반 보링, 지반 굴착, 지중 굴삭, 암반 천공, 말뚝 항타, 재료 펌핑, 재료 분사, 재료 주입, 재료 주사, 유류 주유, 재료 타설, 콘크리트 타설, 재료 포설, 도로 포장, 재료와 지반 믹싱, 지반믹싱, 지중믹싱, 지반 그라우팅, 사면 숏크리팅, 재료 다짐, 콘크리트짐, 재료 양생, 수양생, 살수양생, 증기양생, 콘크리트양생, 면처리, 콘크리트면 처리; d)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 등에 의한 건설, 상기 건설에 의한 건물 축조, 상기 축조에 의한 건물 완공; e) 상기 현장에 거치된 센서 및 시험기, 상기 센서에 의한 센싱, 상기 센싱에 의한 안전 진단, 상기 진단에 따른 안전 조치; f) 상기 시험기에 의한 시험, 상기 시험에 의한 품질 관리; 등을 컴퓨터 속의 3차원 가상공간에서 구현 또는 제공하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3D프린터는 3D프린터, 3차원프린터, 3D printer, 3 dimensional printer, 사무용 3D프린터, 실내용 3D프린터, 실외용 3D프린터, 건물공사용 3D프린터, 노즐 또는 플로터가 3차원 이동하면서 프린팅하는 프린터, 노즐 또는 플로터가 3차원 이동하면서 용융물을 분사하여 적층 또는 프린팅하는 프린터, 노즐 또는 플로터로 콘크리트를 토출하면서 적층하여 건물을 축조하는 건물공사용 3D프린터, 레일이 거치된 프레임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와 이의 이동대에 거치되면서 이동대를 따라 주행하는 승강수단과 이의 승강수단에 거치된 호스 또는 노즐로 구성된 프린터, 상기 레일의 1차원 이동과 상기 이동대의 1차원 이동과 승강수단의 1차원 이동으로 상기 호스 또는 노즐이 3차원 이동하는 3D프린터,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용융물을 조성하는 용융기가 구비된 프린터, 상기 용융물을 가압 공급하는 펌프가 구비된 프린터, 플로터 구비 3D프린터, 3차원 이동하는 플로터가 구비된 3D프린터, 3방향 이동하는 플로터가 구비된 3D프린터, 상기 플로터로 물질을 타설하는 3D프린터, 상기 플로터로 물질을 3차원으로 타설하는 3D프린터, 상기 플로터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3D프린터, 상기 플로터로 콘크리트를 3차원으로 타설하는 3D프린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제조장비에는 탱크, 호퍼, 배합기, 펌프, 호스, 주입기, 분사기, 몰드, 형틀 등이 포함된다. 상기 공사장비에는 저장고, 사일로, 호퍼, 배합기, 펌프, 호스, 분사기, 노즐, 거푸집, 성형기, 양생기, 면처리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시공장비에는 백호, 트럭, 도져, 로라, 물차, 보링기, 천공기, 굴착기, 굴삭기, 항타기, 그레이더, 크레인, 포크레인, 타워크레인, 축과 이 축의 하부에 비트와 상기 축의 상부에 거치하여 상기 축을 타격하는 함마로 구성된 장비, 지반에서 회전하면서 관입하는 축과 이 축의 하부에 비트와 상기 축을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장비, 상기 축에 날개가 구비된 상기 장비, 상기 축이 장착된 크레인 등이 포함된다.
상기 건설장비에는 a) 날개, 가변 날개, 나선날개, 돌기 구비 날개, 2개 이상의 가변 날개; b) 상기 날개가 구비된 축, 봉, 롯드, 오거, 스크류; c) 돌기 구비의 상기 축 내지 스크류; d) 상기 날개, 돌기, 축 내지 스크류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e) 상기 날개 내지 회전수단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백호, 굴착기, 천공기, 포크레인, 이동수단; f) 상기 백호 내지 이동수단 중 하나의 붐; 이의 붐에 연결된 암; 이 암의 선단; 이 선단의 크래들히치; g) 상기 백호 내지 크래들히치 중 하나에 장착된 버켓, 상기 축 내지 회전수단; h) 상기 버켓 또는 이의 내부에 구비된 날개, 돌기 구비 날개; 이의 날개 회전수단; i) 상기 축 내지 버켓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비트, 회전비트, 굴착비트; j) 상기 날개 내지 비트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홀, 구멍, 노즐, 분사노즐; k) 상기 날개 내지 노즐 중 하나 이상에 순차 연계된 호스, 펌프, 혼합기, 사일로; ℓ) 상기 날개 내지 사일로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구비된 장비; m) 상기 날개 내지 사일로 중 하나 이상 통과 물질을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로 처리하는 장비; 등이 포함된다.
상기 로봇은 a) 로봇, robot, 아바타, abata, 마네킹, mannequin, 안전로봇, 방재로봇, 일로봇, 작업로봇, 업무로봇, 제조로봇, 생산로봇, 공장로봇, 서빙로봇, 서비스로봇, 주문로봇, 배달로봇, 배송로봇, 이송로봇, 이동로봇, 공사로봇, 건설로봇, 건축로봇, 현장로봇, 건설현장로봇, 포장로봇, 물건포장로봇, 자동로봇, 무인로봇, 청정로봇, 정화로봇, 청소로봇, 세척로봇, 살균로봇, 소독로봇, 방역로봇, 방제로봇, 인조인간, 가상인간, 사람로봇, 동물로봇, 개로봇, 강아지로봇, 고양이로봇, 안내로봇, 안마로봇, 운반로봇, 협동로봇, collaboration robot, 마사지로봇, 입는로봇, 착용로봇, 웨어러블로봇, wearable robot, 사이버인간; b) 또는 몸, 몸체, 머리, 헤드, 이마, 어깨, 가슴, 상체, 하체, 허리, 손, 발, 팔, 목, 눈, 코, 귀, 입, 털, 등, 뼈, 살, 이, 혀, 이빨, 구강, 내장, 위장, 소장, 대장, 근육, 손등, 눈썹, 얼굴, 안면, 다리, 의족, 義足, 의수, 義手, 가락, 손가락, 발가락, 톱, 손톱, 발톱, 혈관, 핏줄, 피부, 외피, 진피, 내피, 손목, 팔목, 무릎, 허벅지, 엉덩이, 종아리, 정강이, 손바닥, 발바닥, 머리카락, 휠, 바퀴, 신, 신발, 구두, 군화, 장갑, 모자, 마스크, 링, 어어링, 귀고리, 옷, 조끼, 의복, 작업복, 이동수단 등이 구비된 로봇; c) 또는 자율, 자가, 스스로, 1방향, 2방향, 3방향, 자유방향, 1차원, 2차원, 3차원, 다차원 등으로 이동 또는 행동 또는 움직이는 상기 몸 내지 이동수단; d) 스스로 또는 로봇처럼 움직이는 상기 몸 내지 이동수단; e) 상기 몸 내지 이동수단 등에 구비된 로봇; 상기 몸 내지 이동수단 등의 역할을 하는 로봇; 상기 몸 내지 이동수단 등의 기능을 가진 로봇; f)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된 로봇; g) 상기 일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로봇; h) 상기 일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되는 로봇; i) 센서가 장착되어 실시간 환경질을 측정하고 이의 측정치가 기준을 초과하면 자율주행하면서 소독 연무를 분사하여 방역을 하고 살균제를 분사하는 로봇; j) 자율주행하면서 공기 정화와 플라즈마 방식으로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LED 램프를 쬐어 소독하는 로봇; k) 또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청정, 정화, 퓨리, 처리, 센싱, 측정, 수단 등에 이용되는 상기 로봇 내지 사이버인간; ℓ) 상기 로봇 내지 사이버인간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로봇; 등이 해당된다. 상기 몸 내지 이동수단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드론은 드론 1, 드론 2, 드론 3, 드론 4, 드론 5, 드론 6, 드론 7, 드론 8, 드론 9, 드론 10, 드론 11, 드론 12, 드론 13, 드론 14, 드론 15 등이다. 이는 비행기, 항공기, 이동체, 무인비행기, UAM 등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하기에 기재된 내용에서 드론 용어는 비행기, 항공기, 이동체, 무인비행기, UAM 등의 용어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상기 드론 1은 드론, drone, 항공기, 비행기, 이동체, 부유체, 비행체, 무인항공기, 소형항공기, 미니항공기, 소형무인항공기, 無人航空機, 모빌리티, mobility, UAV, unmanned aerial vehicle, UAM, 도심항공교통, urban air mobility, 조종사(human pilot)가 탑승하지 않은 항공기, 헬리콥터(heli copter), 멀티콥터(multi copter), 소형 멀티콥터로(mini multi copter), 고정익 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 PAV(개인용 비행체, Personal Air Vehicle) 등이다. 상기 드론 2는 a) 드론, 비행하는 드론, 무인비행하는 드론, 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무인비행하는 드론, 타설수단이 구비된 드론, 3D프린터형 드론, 비행하면서 타설하는 드론, 복수의 프로펠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드론; b) 타설수단인 노즐, 호스, 분사기, 타설기, 타설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드론;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드론, 상기 일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드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이용되는 드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의 상부를 비행하는 드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가 구비된 드론;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에 연계된 드론; e)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 연계되어 비행하면서 상기 저장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드론; f) 센서가 장착되어 실시간 환경질을 측정하고 이의 측정치가 기준을 초과하면 자율비행하면서 소독 연무를 분사하여 방역을 하고 살균제를 분사하는 드론; g) 자율비행하면서 공기 정화와 플라즈마 방식으로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LED 램프를 쬐어 소독하는 드론; 등이다. 상기 드론 3은 a) 우측에 센서, 좌측에 버튼, 전방에 랜턴, 전면에 카메라, 상부에 무전기, 하부에 알림기, 후방에 램프, 후면에 계측기, 측방에 제어기; b)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되거나, c)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드론 4는 a) 상기 또는 하기의 수단 내지 복합수단;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되거나, c) 상기 수단 내지 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메타버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드론 5는 a) 드론, 무인드론, 유인드론, 분사드론, 분무드론, 살수드론, 수중드론, 공중드론, 비행드론, 택배드론, 배달드론, 농약드론, 소독드론, 업무드론, 공사드론, 시공드론, 건설드론, 건축드론, 조경드론, 환경드론, 청정드론, 재난드론, 구호드론, 측량드론, 측지드론, 조사드론, 답사드론, 시험드론, 검사드론, 진단드론, 관측드론, 관제드론, 무게 2kg 이하의 소형드론, 무게 2∼25kg의 중형드론, 무게 25kg 이상의 대형드론, 외부에 cage가 구비된 케이지드론, 모빌리티, 발전을 하는 또는 발전기가 구비된 발전드론, 태양발전을 하는 또는 태양발전기가 구비된 태양발전드론, 풍력발전을 하는 또는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풍력발전드론, 공기청정드론, 무인비행드론, 인공강우드론, 드론비행기, 드론비행선, 물건운반드론, 사람운반드론, 사람구조드론, 인명구조드론, 사람탑승드론, 로봇탑승드론, 운전자탑승드론, 카메라 구비 드론, CCTV 구비 드론, 회전날개 구비 드론, 발전기 구비 드론, 태양 또는 풍력 발전기 구비 드론, 노즐 구비 드론, 분사기 구비 드론, 물질을 분사하여 해양오염 정화하는 드론, 물질을 분사하여 공기청정하는 드론, 분사기로 물을 분사하여 공기청정하는 드론, 공중에 물질을 분사하여 인공강우를 생성하는 드론,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드론; b) 몸체 또는 이의 측면에 연장되어 장착된 거치대에 거치된 회전날개가 구비된 드론; c) 복수의 프로펠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프로펠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드론; d)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를 통해 전력을 제공받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프로펠러에 의해 비행하는 드론; e) 제어부가 내장되면서 외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날개와 상기 모터에 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으로 구성된 드론; f) 기체 또는 이의 측면에 연장되어 거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기체 또는 거치대에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기체에 양력을 제공하는 1개 이상의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충전지를 구비하여 비행하는 드론; g) 일정의 조명, 카메라, 통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비행하게 하는 날개와 상기 비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날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발전기로 구성된 드론; h) 상기 드론, 몸체, 거치대, 날개, 프로펠라, 카메라, 배터리, 발전기, 모터, 조명, 카메라, 통신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또는 상기 드론 내지 통신기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상기 드론; 등이다.
상기 드론 6은 드론 본체, 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프로펠러, 상기 프로펠러에 설치되고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마련된 감지기,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로터, 이들을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온도 감지기, 상기 모터의 회전수 감지기, 상기 모터의 진동 감지기, 상기 모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기,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드론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 검사하는 검사기, 상기 모터의 구동시 스테이터 코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로터의 회전 위치를 감지해서 분당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감지센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X축, Y축, Z축 방향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 코일이 감기는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부분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 스테이터 코어의 선단에 마련된 설치홈에 설치되는 회전수감지센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면에 설치되는 진동감지센서, 상기 감지부에 마련된 각 센서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신호변환유닛, 상기 디지털신호 형태의 감지신호를 USB신호로 변환하는 USB신호변환유닛, USB 커넥터를 통해 접속된 상기 신호변환유닛을 통해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수신된 감지신호에 의하여 모터와 모터에 결합된 프로펠러의 동작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기, 드론의 마련된 배터리, 이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3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해서 모터에 공급하는 공급기, 상기 모터의 하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상기 공급기 등이 포함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7은 드론이 안착되는 데크, 드론이 이착륙되는 데크, 드론이 이착륙하는 플랫폼, 상기 데크나 플랫폼이 구비된 시설 또는 탱크, 상기 플랫폼을 시설이나 이의 플랜지부를 통해 시설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시설 외부로 진출시키는 조작대,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조작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플랫폼에 설치되는 조명모듈, 상기 플랫폼에 설치되며 미리 지정된 패턴영상을 상기 시설의 바닥면에 투사하는 프로젝터모듈, 상기 패턴영상의 분석을 통해 자신의 3차원 위치 및 자세를 인식하는 드론, 일정의 작업이나 일, 업무, 공사, 시공, 건설, 청소, 청정, 정화, 측정, 검사, 크리닝 등을 하는 상기 드론, 드론의 이착륙판, 이가 구비된 본체, 상기 이착륙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착륙판의 상하 구동에 따라 본체 상면을 개폐하는 도어, 이들이 포함되는 드론 스테이션,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는 고정축, 주동축, 종동축, 상기 고정축에 구비되고 주동축과 종동축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회전기의 상기 주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부재, 모터(M)축에 연결되어 회전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 등이 포함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8은 드론 본체, 이에 구비되는 연료전지와 수소연료탱크, 수소 연료를 공급받아 생성한 전원을 상기 드론 본체로 공급하는 연료전지, 이에 공급되는 수소 연료가 저장되는 수소연료탱크, 상기 연료전지와 수소연료탱크로 수소연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연료전지와 연결되는 전지관, 상기 수소연료탱크와 연결되는 탱크관, 상기 공급 장치와 연결되는 공급관, 상기 전지관과 탱크관과 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 상기 드론 본체의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공급관과 탱크관과 전지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상기 공급관을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는 풀리, 상기 풀리를 정역회전하는 구동 모터, 상기 공급관과 탱크관과 전지관의 장력을 측정하는 센서, 드론을 조종하는 조종기,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기, 드론을 추진하는 추진기,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조명기. 상기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서보모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 조종기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PLC모듈, 배터리팩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전원변환기. 과전류/과전압 방지기, 전압 및 온도 측정기, 추진기와 서보모터와 카메라와 조명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드론 본체의 자세값을 산출하고 압력을 측정하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무선공유기나 컴퓨터나 휴대폰으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기, 이더넷 통신기 등이 포함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9는 캠, 카메라, 이를 구비하는 드론, 촬영대상을 촬영하는 촬영기, 촬영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기, 드론을 제어하는 제어기, 드론의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설정기,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컴퓨터, 이의 하드웨어, 이의 프로그램, 캠이나 카메라를 이용해 시설의 다각도의 사진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기, 상기 수집한 데이터에 시설의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를 부여하는 부여기, 상기 수집한 데이터에 인공지능 기반 의미론적 분할(semantic segmentation)을 적용하여 시설의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를 부여하는 부여기, 상기 시설의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가 부여된 데이터로 시설 3D 모델을 생성하는 생성기, 상기 시설의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가 부여된 사진 데이터에 SfM(Structure from Motion)을 적용하여 의미정보가 부여된 시설 3D 모델을 생성하는 생성기,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사전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시설의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를 부여하는 시설의 구성 요소별 3D 모델 자동 생성장치, 상기 수집한 데이터를 사전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의미론적 분할(Semantic Segmentation)을 적용하여 픽셀 단위로 시설의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를 부여하는 시설의 구성 요소별 3D 모델 자동 생성장치, 상기 수집한 사진 데이터를 사전 학습된 Deeplab-V3+ 또는 ResNet-50을 이용해 의미론적 분할(Semantic Segmentation)을 적용하여 픽셀 단위로 시설의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를 부여하는 시설의 구성요소별 3D 모델 자동 생성장치,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시설의 다각도의 사진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한 시설의 다각도의 사진 데이터에 인공지능 기반 의미론적 분할(semantic segmentation)을 적용하여 시설의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를 부여하는 의미론적 분할부, 상기 시설의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가 부여된 사진 데이터에 SfM(Structure from Motion)을 적용하여 의미정보가 부여된 시설 3D 모델을 생성하는 시설 모델 생성부, 이를 포함하는 시설의 구성 요소별 3D 모델 자동 생성 장치, 이들이 이용되는 구성 요소별 3D 모델 자동 생성장치, 시설의 구성 요소별 3D 모델 자동 생성장치 등이 포함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10은 프로펠러, 이가 구비된 복수개의 암(arm)이나 팔, 이가 상호 대칭되게 연결 설치된 프레임, 이의 하부 좌우에 상호 대칭되게 일정길이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다리,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살수기 또는 살포기,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프레임과 이격된 상태에서 좌우 양쪽 다리에 양측면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저장탱크, 상기 살포기 및 프로펠러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한 개 이상의 배터리, 이들이 탑재되는 드론, 상기 배터리의 하우징, 상기 배터리가 수평방향으로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일측 또는 양측면이 개구되어 박스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검사대상 구조물, 이의 설계구조, 이에 대한 구조정보, 검사대상 구조물 중 검측대상부위, 이에 대한 검측위치정보, 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검측대상부위의 촬영을 위한 촬영 기준점, 이에 설치되어 검측대상부위에 대한 식별정보 및 촬영조건에 대한 촬영정보를 제공하는 발신칩, 상기 검측대상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기, 상기 촬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전송기, 촬영시 카메라의 촬영방향 및 줌밍 조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촬영 정보,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기, 분석하는 분석기,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 상기 발신칩으로부터 수신된 검측대상부위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이미지 데이터 등이 포함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11은 암(arm), 복수의 암, 이의 각각에 설치된 프로펠러, 이로 비행을 위한 추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드론의 현재 비행 위치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드론의 비행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발신칩으로 기준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발신 칩으로부터 반사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모듈, 상기 발신칩으로부터 수신된 촬영정보를 기준으로 검측대상부위를 촬영하는 촬영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수신된 기준신호에 따라 상기 드론의 이동을 유도하는 반사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 촬영정보를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상기 검사 대상 구조물 상의 드론 구동 시작 위치에 대한 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제공하는 영점 기준칩, 수동형 소자의 상기 발신칩,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반사신호 강도에 따라 촬영 기준점으로 드론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촬영정보에 의해 카메라의 촬영조건을 조정하는 촬영부, 상기 발신칩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반사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드론의 촬영 기준점 도착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 GPS 모듈 및 모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로부터 연산된 드론의 위치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된 검측위치정보로 상기 드론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 가속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션센서 등이 포함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12는 배터리, 무선 충전기, 촬영 시스템, 무선 충전 가능한 충전판, 상기 충전판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배터리의 전원을 무선 충전하는 충전기, 설정된 지역 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기, 일정 지점에서의 GPS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계 데이터를 관제 장치로 전송하는 허브, 태양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태양전지판, 상기 태양전지판의 위에 위치하고 상기 촬영 드론의 이착륙 표면을 제공하는 강화 유리판을 포함하는 충전판, 이로부터 이륙하는 드론, 촬영 드론의 이착륙 영역을 나타내고 서로 상이한 복수의 이착륙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충전판, 상기 충전판에서 출력되는 무선 충전 전원으로 충전되는 배터리, 전원을 저장하는 ESS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 가능한 복수의 태양전지판, 무선 전원을 출력하는 충전 패드, 태양전지판의 태양전지 셀의 형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표시기, 비행제어 모듈, 배터리, 무선전원 수신 모듈, 카메라 모듈, 레이더 센서, 소나 센서, 배터리 상태에 따라 충전 패드를 제어하여 배터리를 충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또는 관제장치 등이 포함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13은 본체, 본체에 구비된 암, 상기 암에 속하는 어퍼암, 로어암, 상기 암이나 어퍼암과 로어암에 의해 지지되는 너클 또는 버클 또는 지지대, 상기 너클 또는 버클 또는 지지대에 장착되는 모터 또는 BLDC 방식의 구동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차륜 또는 바퀴, 상기 프로펠러의 외측선단을 따라 이어지는 림형태의 차륜 또는 바퀴, 공중 주행이 가능한 상기 프로펠러, 지상 주행이 가능한 상기 차륜 또는 바퀴, 복수의 날개, 이가 구비되는 드론, 상기 드론에 연결되는 짐벌, 상기 짐벌이나 이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센서, 상기 드론이나 짐벌에 연결되는 노즐, 상기 노즐에 연결되어 분사물을 공급하는 탱크, 상기 자이로센서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상기 짐벌의 요(yaw) 및 롤(roll) 및 피지(pitch)의 각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날개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보조날개, 요회전축 및 롤회전축 및 피치회전축을 포함하는 상기 짐벌, 상기 요회전축의 모터, 상기 롤회전축의 모터, 상기 피치회전축의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 케이스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짐벌, 피치축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자이로센서가 안착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축, 이의 단부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기어,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감속기, 상기 모터나 기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날개, 이들로 구성되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의 회전날개를 따라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풍, 상기 로터부의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풍, 이에 의해 회전하여 미립화된 약제를 하부방향으로 분무하는 분무부, 상기 분무부에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등이 포함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14는 몸체, 회전력에 의해 양력을 발생시켜 상기 몸체를 공중비행하는 장치, 상기 몸체 또는 장치에 결합되는 원격제어장치, 비행 중에 통신하는 통신기, 상기 몸체 또는 장치에 구비되는 주향경사측정수단 또는 클리노미터, 상기 몸체 또는 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층면의 주향 및 경사를 측정하는 주향경사측정수단 또는 클리노미터, 길이가 가변되면서 지층면과 인접하여 주향 및 경사를 측정하는 주향경사측정수단 또는 클리노미터, 상기 주향경사측정수단 또는 클리노미터 또는 이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유닛, 상기 주향경사측정수단 또는 클리노미터 또는 이 지지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유닛, 상기 조절에 이용되는 모터, 길이조절유닛과 회전축이 상기 길이조절유닛의 측면 일측을 관통하여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발휘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길이조절유닛과 직교되게 구비되며 주향을 측정하도록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경사를 측정하도록 상기 모터에 의해 수평상태에서 직교되게 회전되면서 틸팅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회동되는 위치조절유닛, 상기 위치조절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위치조절유닛과 함께 회전되어 주향 및 경사를 측정하는 클리노미터, 상기 몸체의 양측면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모터, 상기 프로펠러모터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프로펠러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양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원격제어장치와 통신하며 주향경사측정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이격되어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비행수단 및 주향경사측정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전달하는 카메라,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속하는 RF통신, 초단파(VHF) 모뎀, 무선 인터넷 포로토콜(WiFi), 인공위성통신 모뎀 등이 포함되는 드론이다.
상기 드론 15는 드론의 본체, 상기 본체를 공중에 부유시킴과 아울러 이동시키는 부유이송부, 상기 본체에 구비된 카메라유닛, 상기 본체 구비되어 건축물의 외면에 안내되는 구동바퀴, 상기 본체 구비되어 건축물과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재,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면을 청소하는 브러시.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도료를 분사하기전 건축물의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먼지를 제거하는 노즐 또는 살수수단 또는 이물질제거수단,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살수된 건축물의 외면을 크리닝하는 밀대 또는 고무밀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살수수단에 의하여 살수된 물을 제거하는 스펀지 또는 물기제거수단,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건축물의 외면에 도료를 분사하여 도색하는 노즐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부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건축물의 외면에 도료를 분사하도록 하는 노즐회전수단, 상기 드론에 구비되어 상기 건축물에 마련되는 안전지지대에 연결되는 연결수단 등이 포함되는 드론이다.
상기 분사드론은 본체; 이에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투입되는 배터리;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의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속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또는 구동부; 상기 회전부에 속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의 축에 체결되면서 상기 모터 또는 구동부에서 제공하는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 상기 회전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다리 및 용기; 농약 또는 물질이 저장되는 상기 용기; 내부에 칸막이가 구비된 상기 용기; 입구 및 출구가 구비된 상기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된 자화기 또는 파동기;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호스; 상기 용기 또는 호스에 연계되는 벤츄리관; 상기 용기 또는 호스 또는 벤츄리관에 연계되는 펌프; 상기 호스에 연결되는 노즐 또는 디퓨져; 상기 펌프의 압기(壓氣)가 통과되는 상기 호스, 벤츄리관, 노즐, 디퓨져; 상기 펌프에서 공급되는 압기에 의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물질이 분사되는 상기 노즐 또는 디퓨져; 상기 기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몸체 내지 디퓨져;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몸체 내지 디퓨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달드론은 a) 배달통이 구비되는 드론이거나, b) 또는 배송지 주소 저장 또는 입력, 물품 탑재, 이륙, 운항, 배송지 도착, 착륙, 물품 인계, 배송비 결제, 이륙, 회항, 운항, 출발지 도착, 착륙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되는 또는 순차적으로 되는 드론이다. 상기 측량드론은 지형, 지반, 토지, 대지, 경계, 단지, 구역, 지구, 택지,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토공, 절토, 성토, 공사, 터파기 등을 측량 또는 측지하는 드론이다. 상기 측량드론은 a) 드론에 구비된 센서, 렌즈, 카메라, 측량기, CCTV 등을 이용하여 촬영, 녹화, 측량, 관측 등을 하고, b) 이의 정보를 송신, 수신, 저장, 기록 등을 하고, c)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mapping, 도면 제작, 지도 제작, 지도 표기, 맵 표식, 지형도 제작, 등고선 작성, 면적 산정, 토량 산정, 3차원 지도 작성, 3차원 도면 작성, 3차원 등고선 작성 등을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무인드론은 무인드론, 자동운전드론, 무인운전드론, 사람미탑승드론 등이고; 유인드론은 유인드론, 유인운전드론, 사람이 운전하는 드론, 사람탑승드론 등이고; 분사드론은 분사드론, 분사하는 드론, 노즐로 분사하는 드론 등이고; 분무드론은 분무드론, 분무하는 드론, 미스트를 분무하는 드론 등이고; 살수드론은 살수드론, 살수하는 드론, 살수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수중드론은 수중드론, 수중 또는 수상에서 운행하는 드론, 수륙양용드론 등이고; 공중드론은 공중드론,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 공중을 운행하는 드론 등이고; 비행드론은 비행드론, 비행하는 드론,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 등이고; 택배드론은 택배드론, 택배하는 드론, 택배물을 운반하는 드론 등이고; 배달드론은 배달드론, 배달하는 드론, 음식을 배달하는 드론 등이고; 농약드론은 농약드론, 농약을 살포하는 드론, 노즐로 농약을 포설하는 드론 등이고; 소독드론은 소독드론, 소독하는 드론, 공중에 소독약을 분사하는 드론 등이고; 업무드론은 업무드론, 업무하는 드론, 공중에서 업무하는 드론 등이고; 공사드론은 공사드론, 공사하는 드론, 공사에 이용되는 드론 등이고; 청정드론은 청정드론, 공기청정하는 드론, 청정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재난드론은 재난드론, 재난구호드론, 재난에 투입되는 드론 등이고; 구호드론은 구호드론, 인명을 구호하는 드론, 재난구호수단이 구비된 드론 등이고; 모빌리티는 모빌리티, 이동하는 것, 공중을 운행하는 모빌리티 등이고; 발전드론은 발전드론, 발전하는 드론, 발전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태양발전드론은 태양발전드론, 태양발전하는 드론, 태양발전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풍력발전드론은 풍력발전드론, 풍력으로 발전하는 드론,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공기청정드론은 공기청정드론, 공기청정하는 드론,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드론 등이고; 무인비행드론은 무인비행드론, 무인비행하는 드론, 무인으로 비행하는 드론 등이고; 인공강우드론은 인공강우드론, 인공강우를 내리는 드론, 인공강우수단이 구비된 드론 등이고; 드론비행기는 드론비행기, 드론인 비행기, 드론과 같은 비행기 등이고; 드론비행선은 드론비행선, 드론인 비행선, 드론과 같은 비행선 등이고; 물건운반드론 물건운반드론, 물건을 운반하는 드론, 비행하여 물건을 운반하는 드론 등이다.
상기 케이지드론은 케이지드론(42), 케이지(820)에 내장된 드론(42), 케이지(820)의 내부에 내장된 드론(42), 케이지(820)가 에워싸인 드론(42), 케이지로 보호되는 드론, 외부에 케이지가 구비되는 드론, 외부에 케이지에 거치되고 내부에 드론이 내장된 것 등이다. 상기 케이지는 케이지(820), cage, 망, 네트, net, 스크린, 우리, 새장, 쇠창살, 볼망, 볼네트, 구망(球망), 중공망, 내부 중공망, 하우징, 하우스, 망하우징, 망하우스, 내부 중공의 구망(球망), 원통망, 철사 케이지, 철근 케이지, 창살 케이지, 철사로 만든 우리, 철사로 만든 새장, 줄이나 선 또는 봉 등으로 엮은 망, 합성수지 줄이나 선 또는 봉 등으로 엮은 망, 드론 케이지, 드론을 에워싸는 망이나 케이지, 드론을 에워싸서 드론이 물체와 충돌 시 드론을 보호하는 망이나 케이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동체는 드론, drone, 항공기, 비행기, plane, air plane, air flight, 비행체, 항공체, 이동체, 무인이동체, 유인이동체, 이동수단, 보드, board, 킥보드, 전동보드, 카트, cart, 전동카트, 자전거, 전기자전거, 바이크, bike, 바이시클, bicycle, 오토바이, 차, 車, car, 차량, 트럭, 택시, taxi, 자동차, 전기차, 수소차, 배, ship, 보트, boat, 부유체, 기차, 트레인, 지하철, 모빌, 모바일, 모빌리티, 모빌체, 모바일체, 모빌리티체, mobile, mobility, 에어모빌리티, air mobility, 도심항공기, UAM, urban air mobility 등이다.
본 발명의 a) 현장, 공장, 일, 작업, 업무, 생활, 주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장비, 장치, 드론, 로봇, 아바타, 마네킹, 시설, 건물, 도로, 터널, 교량, 메타버스, 구조물; b) 또는 상기 일 내지 시공, 시설 내지 구조물,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물질, 재료, 자재, 장비, 드론, 로봇, 아바타, 마네킹, 3D프린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물질, 재료, 자재, 장비, 장치, 드론, 로봇, 아바타, 마네킹, 3D프린터, 3차원프린터, 3D printer, 3 dimention printer 등에 의하여 시설, 건물, 도로, 터널, 교량, 구조물 등이 조성된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일 내지 시공, 시설 내지 구조물, 현장 내지 구조물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시설 내지 구조물 등에는 상기 물질, 재료, 자재 등이 포함된다. 상기 장비, 드론, 로봇, 아바타, 마네킹, 3D프린터 등은 상기 물질, 재료, 자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재료, 자재, 시설 내지 구조물 등을 조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물질, 재료, 자재의 예로는 압전기와 열전기를 거친 물질, 압전기와 열전기와 하기 제1중공체을 순차 거친 물질, 하기 중공체 1과 2와 3을 순차 거친 물질, 상기 중공체 1과 2와 3을 순차 거치면서 폭기 처리된 물질, 칩을 통과한 물질, 모뎀을 통과한 물질, 칩을 통과하여 진동처리된 물질, 모뎀을 통과하여 오존처리된 물질, 코일에 의하여 자기장 처리된 후 열전기에서 열전처리된 물질, 압전기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인가되는 오존기에서 자기장 처리된 물질, 열전기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공급되는 압전기에 의하여 진동 처리된 물질, 링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포함되는 물질, 송풍링을 거치된 후 압전기에서 자화처리되고 열전기에서 오존처리된 물질, 코일을 거치고 스프링을 통과하고 압전기와 열전기를 통과한 물질, 상기 물질이 함유된 재료, 상기 물질이 포함된 자재, 상기 재료가 함유된 자재 등이 가능하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 공장에서 사용되는 재료, 일에 필요한 자재, 장비를 이용한 작업, 업무를 하는 로봇, 생활을 하는 사람, 주거 용도의 시설, 건물을 조서하는 공사, 건설에 의하여 조성된 도로, 건축을 하는 3D프린터, 시공에 이용되는 드론, 공사를 하는 장비, 장치에 투입되는 물질, 비행하는 드론, 일하는 로봇, 생활하는 아바타, 마네킹, 시설을 건설, 자재가 이용되는 건물, 로봇이 주행되는 도로, 장비에 의하여 굴착되는 터널, 교량 상부를 비행하는 드론, 구조물을 공사하는 장비 등이 가상공간에서 시연되거나 보여지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1) 일, 업무,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상기 일 내지 복합; 2)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수행되는 곳, 때, 공장, 현장, 장소, 공간, 메타버스, 가상공간, 가상세계; 3)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사람, 인간, 로봇, 장비, 장치, 수단, 시설, 설비, 드론, UAM(urban air mobility), 모빌리티, 아바타, 마네킹, 근로자, 관리자, 인플루언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4) 상기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에 설치되는 상기 수단, 드론, 장치, 센서 내지 제어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매체; 5) 상기 매체에 의한 또는 상기 매체의 일, 작업, 센싱, 촬영, 녹화, 계측, 측정, 트래킹, 이동, 위치이동, 제어; 6) 상기 일 내지 제어 등의 자료, 영상, 정보, 사진, 동영상, 데이터 등의 내용이 상기 매체의 메모리카드에 저장, 기록; 7) 상기 내용이 전송, 송출, 무선전송, 유선전송; 8) 상기 내용이 실시간 전송, 방영, 방송, 스트리밍, live streaming, 생방송; 9) 상기 내용이 모뎀, LTE, 통신망, 통신장치 등에 의하여 상기 전송 내지 생방송; 10) 상기 내용이 수신, 저장, 서버에 수신, 클라우드에 저장; 11)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시청, 영상 관람, 사진 인화, 동영상 시청; 12) 상기 동영상의 일부를 캡쳐하여 사진 만듬, 사진 제작, 사진 취득; 13) 상기 동영상을 PC에서 상영하여 상기 상영되는 동영상의 일부를 캡쳐 또는 클릭 또는 스크린 캡쳐하여 상기 캡쳐된 영상컷을 사진으로 만듬, 사진으로 제작, 사진으로 취득; 14) 상기 취득된 사진을 인화, 인쇄, 프린트; 15) 상기 내용이 처리, 해석, 분석, 평가, 계산, 산정, 매핑; 16) 상기 처리하여 현장이나 시설 등의 도면, 3D도면, 지형도, 등고선, 입체도 등 제작; 17) 상기 도면과 설계시의 도면 비교; 18) 상기 비교에 의하여 작업의 오류 여부 확인; 19) 상기 계산에 의하여 일량, 작업량, 업무량, 토공, 공사량 등 산정; 20) 상기 산정에 의하여 어제, 금일, 시간별,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년별, 공정별, 단계별, 기간별 등의 상기 일량 내지 공사량 산정; 21) 상기 산정에 의하여 업무금액, 공사금액, 기성금액, 일별 공사금액, 주별 작업금액, 월별 업무금액, 분기별 기성금액, 년별 공사금액 등 산정; 22) 상기 내용, 산정 내용 등을 PC, 화면, 모니터, 스크린, 태블릿, 핸드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플랫폼, 메타버스 등에서 또는 등으로 시청, 시연, 공연, 행사, 보기, 구경, 청취; 23) 상기 매체의 또는 상기 매체를 소지한 소지자의 위치, 이동, 경로, 궤적, 동선 등을 실시간 파악, 추적, 인식, 식별, 지도에 표시, 핸드폰 지도에 표시; 24) 상기 매체의 또는 상기 매체를 소지한 장비의 USIM 등을 GPS 등으로 위치, 이동, 경로, 궤적, 동선 등을 실시간 파악, 추적, 인식, 식별, 지도에 표시, 핸드폰 지도에 표시; 25) 상기 내용, 파악 등으로 사람, 장비, 공장, 현장, 시설 등의 안전상태 파악; 26) 상기 내용, 파악 등으로 관리, 일관리, 업무관리, 작업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계측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27) 상기 내용, 파악 등으로 사고 또는 비상사태 발생시 근로자에게 알림 통지, 근로자의 안전 조치 실시; 28) 상기 내용, 정보, 사람, 장비, 공장, 현장, 시설 등에 대한 3차원영상, 가상세계, 가상공간, 메타버스영상 등 제공; 29) 또는 가상세계, 가상공간, 메타버스 상에 상기 내용, 정보, 사람, 장비, 공장, 현장, 시설 등 구현; 30) 또는 가상세계, 가상공간, 메타버스 등을 통하여 상기 일, 업무, 작업, 공사, 이동, 동선 등 시청; 31) 상기 일 내지 시청 중 하나 이상을 2회 이상 반복; 32) 상기 시간별 내지 기간별 등으로 상기 반복; 33) 상기 반복에 의하여 완공, 완성, 시설 조성, 재료 제조, 자재 제작, 제품 제작; 34) 상기 반복 후에 준공도면 작성; 35) 상기 작성 후에 준공검사; 36) 상기 준공검사 후에 준공, 일준공, 작업준공, 공사준공, 제조준공, 생산준공; 37) 상기 준공 후에 이용, 사용, 활용, 개통, 개시, 사용개시; 38) 상기 사용 중에 관리, 유지, 보수, 보강, 유지관리; 39) 상시 사용 완료 후에 해체, 철거, 파괴, 발파; 40) 상기 해체 후에 해체물을 분리, 선별, 파쇄, 분쇄; 41) 상기 분리하여 재활용 자재, 재료, 골재 선별; 42) 상기 자재 재활용; 43) 상기 자재를 이용하여 재건축, 재개발, 리모델링; 44) 상기 일 내지 리모델링 중 둘 이상 복합;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물질은 물질 1, 물질 2, 물질 3, 물질 4, 물질 5, 물질 6, 물질 7, 물질 8, 물질 9, 물질 10; 이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되는 물질;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거친 물질;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서 생성되는 물질; 등이다. 상기 물질 1은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빛, 철, H, O, C, N, P, K, Ca, Mg, Si, Fe, Al, Na, OH, COO, CaSi, CaFe, 이온, 성분, 요소, 원소, 물질, 수지, 탄소, 섬유, 촉매, 황토, 백토, 점토, 광물, 광석, 광미, 암석, 질석, 금속, 소재, 재료, 자재, 액체, 기체, 고체, 생수, 상수, 하수, 폐수, 분말, 분진, 폐분, 석분, 공기, 압기, 수소, 산소, 질소, 메탄, 암모니아, 기포, 연무, 가스, 기포, 연무, 버블,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광원, 광선, LED광, 살균광, 소독광, 자외선, 적외선, 열기, 냉기, 압기, 와류, 자장(磁場), 음파, 소리, 펄스, 사운드, 오존, 음이온, 청정제, 정화제, 반응제, 응집제, 여과제, 흡착제, 포집제,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스제, 폭기제, 기포제, 팽창제, 광선, LED광, 살균광, 소독광, 자외선, 적외선, 정촉매, 부촉매, 광촉매, 그래핀,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나노물, 부산물, 미생물, 미스트, 화이버, 라텍스, 피톤치드, 액상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미생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반응제, 포집제, 흡착제, 피톤제, 티탄제, 티탄촉매, 디톡촉매, 피톤촉매, 피톤치드,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작업 물질, 공사 물질, 작업용 물질, 공사용 물질, 작업에 이용되는 물질, 공사에 이용되는 물질, 상기 재료에 포함되는 물질, 상기 자재에 포함되는 물질, 상기 시설에 포함되는 물질,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물질,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탄소는 탄소, 카본, 탄소체, 탄소선, 탄소줄, 탄소튜브, 탄소시트, 탄소매트, 나노탄소, 나노탄소튜브 등이 해당된다. 상기 나노탄소 등에서 나노는 나노미터, 나노미터크기, 10억분의 1 미터, 10-9m 등이다.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물질에서 청정 물질의 예로는 청정제, 청정재, 청정수, 청정액, 청정물질 등이 해당되고, 크리닝 물질의 예로는 크리닝제, 크리닝재, 크리닝수, 크리닝액, 크리닝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에는 a)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재료, 원료, 성분, 요소, 물질, 촉매, 광촉매, 촉매수, 촉매물, 촉매액, 촉매유, 촉매성분, 수지, 가스, 공기, 압기(壓氣), 혼화제, 첨가제, 미스트, 폴리머, 미생물, 펄스수, 펄스액, 펄스제, 펄스재, 펄스압, 펄스물, 이산화티탄; b) 1초 간격으로 공급되는 상기 수 내지 이산화티탄; 10초 간격으로 공급되는 상기 수 내지 이산화티탄; 일정간격으로 공급되는 상기 수 내지 이산화티탄; c) 촉매기 또는 펄스기에서 공급되는 상기 수 내지 이산화티탄; d)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물, 복합제, 복합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질 2는 a) 수(水), 물(水), 액(液), 술, 비, 강우, 강수, 생수, 샘물, 우수, 오수, 상수, 하수, 폐수, 용수, 탁수, 해수, 염수, 댐수, 용액, 수액, 액체, 유체(流體), 온수, 냉수, 냉온수, 티(tea), 차(茶), 녹차(綠茶), 인삼차, 커피, 봉지커피, 통커피, 원두커피, 오폐수, 오탁수, 지하수, 암반수, 지표수, 이온수, 먹는물, 수돗물, 수도수, 황토수, 피톤수, 편백수, 인공비, 고로쇠물, 음료수, 음용수, 탄산수, 펌프수, 광천수, 우물수, 하천수, 연못수, 산소수, 수소수, 전해수, 가압수, 압력수, 압기수, 펌핑수, 양수물, 오존수, 살균수, 소독수, 디톡수, 디톡스수, 음이온수, 자외선수, 적외선수, 광조사수, 바이오수, 심층수, 해양심층수, 철수용액, FeSO4수용액, FeCl3수용액, Fe2+ 이온 또는 Fe3+ 이온의 농도가 400∼600mg/L인 철수용액, 액체(液體),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3은 a) C, H, O, B, N, S, K, P, F, Ca, Mg, Si, Ti, Fe, Me, Al, Na, Cu, Zn, Pb, Cr, Cd, Au, Ag, Pt, Hg, He, Li, Be, Ne, Ar, Mn, Co, Ni, Zr, Rn, OH, COO, CaO, MgO, K2O, Na2O, SiO2, Al2O3, Fe2O3, CaSi, CaMg, CaFe, CaMe, CaCOO, MgFe, MgMe, MgCOO, FeMe, FeCOO, CaMgFe, CaMgMe, CaMgCOO, MgFeMe, MgFeCOO, CaMgFeMe, CaMgFeSi, CaFeMgSi, CaMgFeCOO, CaㆍFeㆍMgㆍSiㆍPolymer, Ca+2Mg+2Fe+2Si+, Ca+2Mg+2Fe+2Me+3COO-, Ca+2Mg+2Fe+2Me+3COO-, CaMgFeMeCOO, CaFeMgSiPolymer, 이온, 성분, 요소, 원자, 분자, 원소, 양이온, 음이온, 이온제, 이온재, 이온류, 원소제, 원소재, 분자제, 분자재, 라디칼(radical), 자유라디칼(free radical), OH라디칼, 이온물, 영가물, 다가물, 이온수, 철이온, 금속이온; b) 상기 C 내지 금속이온 중 하나 이상 함유물; c) 상기 C 내지 함유물 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C 내지 함유물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d)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액체; e) 진동기에 발생되는 열(熱)이 방사되는 상기 a) C 내지 d) 액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C는 탄소, H는 수소, O는 산소, B는 붕소, N는 질소, S는 황, K는 칼륨, P는 인, F는 플루오린, Ca는 탈슘, Mg는 마그네슘, Si는 규소 또는 실리카, Ti는 티탄 또는 티타늄, Fe는 청, Me는 메탈 또는 금속 또는 Metal, Al는 알류미늄, Na는 나트륨, Cu는 구리, Zn는 아연, Pb납, Cr는 크롬, Cd는 카드뮴, Au는 금, Ag는 은, Pt는 백금, Hg는 수은, He는 헬륨, Li는 리튬, Be는 베릴륨, Ne는 네온, Ar는 아르곤, Mn는 망간, Co는 코발트, Ni는 니켈, Zr는 지르코늄, Rn는 라돈, OH는 수산기 또는 수소와 산소의 결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Me는 금속, Metal, 금속이온, 금속함유물, 금속결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COO는 COO, COO-, COOH, COONa, CH3COOH, C6H5COOH, HCOOH, CH3COOCH3, C2H5OCOH, 카르복실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이온제, 이온류, 이온재, 원소제, 원소재, 분자제, 분자재 중 하나는 이온, 원소, 분자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또는 이상으로 구성된 제, 재, 류, 종류, 소재, 재료,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이온류는 이온, 이온물, 이온물질, 원소, 원소성분, 원소물질, 이온이 함유된 류 또는 물질, 원소가 함유된 류 또는 물질, C 이온이 함유된 류 또는 물질, H 원소가 함유된 류 또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CaMg는 CaMg는 Ca, Mg, CaMg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Si는 Ca, Si, CaSi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Fe는 Ca, Fe, Ca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Al은 Ca, Al, Ca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Si는 Mg, Si, MgSi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Fe는 Mg, Fe, Mg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Al은 Mg, Al, Mg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SiFe는 Si, Fe, Si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SiAl은 Si, Al, Si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FeAl은 Fe, Al, Fe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ㆍFeㆍMgㆍSiㆍPolymer은 Ca, Fe, Mg, Si, Polymer 중 둘 이상 함유물 또는 복합물, Ca+2Mg+2Fe+2Me+3COO-는 Ca+2, Mg+2, Fe+2, Me+3, COO- 중 둘 이상 함유물 또는 복합물, CaMgFeMeCOO는 Ca, Mg, Fe, Me, COO 중 둘 이상 함유물 또는 복합물, CaFeMgSiPolymer는 Ca, Fe, Mg, Si, Polymer 중 둘 이상 함유물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Ca 성분과 Si 성분과의 반응으로 규산칼슘, 규산석회, 3CaCO3 + SiO2 → Ca3SiO5 + 3CO2, 2CaCO3 + SiO2 → Ca2SiO4 + 2CO2 등이 조성된다.
상기 물질 4는 a) 졸, 겔, 젤, 젤리, 풀, 딱풀, 즙, 죽, 오니, 슬러리, 슬러지, 슬라임, 현탁액, 황토액, 점토액, 피톤액, 편백액, 실리콘, 피톤치드, 슬러리액, 벤토나이트액, 액기체, 액고체, 기고체, 액기고체(液氣固體),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5는 Al2O3의 알루미나가 포함된 실리카제, TiO2 포함의 촉매제, H2O에 의하여 졸화 또는 겔화가 활성화되는 졸겔제, SiO2가 포함되는 흡착성 광물의 포집제, Fe 산화반응이 형성되는 부산물제, 미생물이 분해하여 개체수가 증가되는 개체증식제, 수화반응이 형성되는 수화제, 포졸란반응이 형성되는 포졸란제, Al2O3의 알루미나 반응이 형성되는 알루니마, TiO2의 광촉매반응이 형성되는 광촉매제, CaO + H2O = Ca(OH)2의 수화반응이 포함되는 수화반응제, 2Na2SiO3 + H2O → Na2Si2O5 + 2NaOH의 수화고결반응이 포함되는 수화고결제, Ca(OH)2 + Al2O3 + H2O → CaO·Al2O3·2H2O 반응이 형성되는 경화제, Ca(OH)2 + CO2 → CaCO3 + H2O의 탄산화반응이 포함되는 탄산화제, Mg(OH)2 + CO2 → MgCO3 + H2O의 탄산화반응이 포함되는 탄산화제,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6은 인산, 칼슘, 칼륨, 유황, 탄소, 지방, 녹말, 비료, 영양분, 미네랄, 포도당, 비타민, 영양제, 무기물, 유기물, 영양소, 콜라겐, 아미노산, 게르마늄, 글루코사민, 마그네슘, 포도씨유, 클로렐라, 영양소재, 비타민식품, 비타민수, 비타민술, 비타민음료수, 다이어트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7은 반응, 수반응, 수화반응, 화학반응, 물리반응, 생물반응, 역학반응, 촉매반응, 나노반응, 중합반응, 살균반응, 소독반응, 양생반응, 포졸란반응, 고화반응, 고결반응, 응집반응, 응결반응, 경화반응, 본딩반응, 바인딩반응, 광촉매반응, 레독스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미생물반응, 바이오반응, 바이오작용, 바이오증식, 바이오필링, 바이오씰링, 바이오힐링, 바이오본딩, 바이오바인딩 등을 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물질, 재료, 자재, 장비, 장치, 수단 등은 상기 반응 내지 바이오바인딩 등을 하거나, 또는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작업, 업무, 제조, 공사, 건설 등에서 상기 반응 내지 바이오바인딩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진행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물질이 반응, 재료가 수반응, 자재가 고결반응, 장비가 촉매반응, 장치가 바이오반응, 수단이 소독반응, 일에 화학반응, 작업 중에 살균반응, 업무에 바이오증식, 제조 중에 수산화반응, 공사에 탄산화반응, 건설 중에 포졸란반응 등이 있다.
상기 반응은 반응, 일정 반응, 상기 반응 내지 바이오바인딩 등이다. 상기 수반응, 수화반응 등은 수, 물, 액 등이 포함되는 반응, 또는 수, 물, 액 등이 이용되는 반응이다. 상기 중합반응은 2종 이상의 반응이다. 상기 반응 내지 바이오바인딩 등은 수, 물, 액, 물질, 탄소, 수소, Ca, Na, CO, CO2, CO3, 수화, 화학, 물리, 생물, 역학, 촉매, 나노, 나노물, 중합, 살균, 소독, 양생, 포졸란, 고화, 고결, 응집, 응결, 경화, 본딩, 바인딩, 광촉매, 수산화, 탄산화, 미생물, 바이오, 작용, 증식, 필링, 씰링, 힐링, 본딩, 바인딩,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의 반응, 등을 하는 반응, 등이 되는 반응, 등이 이용되는 반응, 등에 의한 상기 수화 내지 바인딩 등이다.
상기 물질 8은 수지, 고무, 레진, 전분, 본드, 바인더, 우레탄, 우레아, 에폭시, 아크릴, 우라실, 엔자임, 페인트, 도장재, 라텍스, 수지재, 고분자재, 플라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폴리머, 천연폴리머, 인공폴리머, 지오폴리머(geopolymer), 폴리머클레이, 모노머, 올리고머, 중합체, 공중합체, 천연수지, 인공수지, 합성수지, 고무재, 실리콘, 프라이머, 플라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스티로폼, 포졸라나, 고분자수지, 이온교환수지, 셀룰로오스, 폴리락틱산, 헤미셀룰로오스, 지오폴리머(geopolymer),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발포폴리스티렌(EPS), 발포폴리에틸렌(EPE), SAP(super absorbent polymer), 아크릴우레탄, 수경성아크릴, 수경성우레탄, 수경성유레아, 수경성우라실, 수경성라텍스, 수경성아크릴우레탄, 아크릴에멀젼,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천연수지, CMC(carboxymethyl cellulose), SBR(styrene butadiene rubber),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HDPE(high density PE), LDPE(low density PE), 상기 PP와 PE의 혼합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지오폴리머는 Si 성분, Al 성분, Si2O5, Al2O2, SiO2 중 하나 이상과 K 성분, Na 성분, OH 성분, KOH, NaOH, KOH+Na2SiO3, NaOH+Na2SiO3, NaOH+Na2SO4, Ca(OH)2+Na2SiO3, Ca(OH)2+Na2SO4, Na2SiO3+Na2CO3 중 하나 이상이 결합하여 조성된 물질이다. 상기 지오폴리머에는 폐기물, 폐분, 석분, 분진, 광물, 광미, 시멘트, 석회, 슬래그, 소각재, 플라이애쉬, 알카리용액, pH9이상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물유리, 규산소다 중 둘 이상이 함유된 지오폴리머도 포함된다. 상기 지오폴리머 조성의 반응식으로는 n(Si2O5, Al2O2 ) + 2nSiO2 + 4nH2O + NAOH (or) KOH → (NA+, K+) - (-Si-O-Al-O-Si-O-) + 4nH2O, 또는 n(Si2O5,Al2O2) + 2nSiO2 + 4nH2O + NaOH/KOH → (Na+ ,K+) + n(OH)3-Si-O-Al-O-Si-(OH)3, 또는 n(OH)3-Si-O-Al-O-Si-(OH)3 + NaOH/KOH → (Na+,K+)-(-Si-O-Al -O-Si-O-)+4H2O 등이 해당되고, 지오폴리머의 조성물 또는 구성식은 (Na,K)-(Si-O-Al-O-Si-O-), (Na,K)-n(Si-O-)-(Si-O-Al-), (Na,K)-(Si-O-Al-O-Si-O-), (Na,K)-((SiO2)zㆍAlO2)nㆍwH2O, (NA+, K+)-(-Si-O-Al-O-Si-O-)+4nH2O 등이 해당된다. 상기에서 반응식에서 - 는 결합, 연결, 연계 등을 나타낸다. 상기의 예로는 Si-O-Al의 경우 Si, O, Al 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물질 9는 Ca-Si-COOH, Ca-Si-Polymer, Ca-Si-Pozzolan, CaO-SiO2-COOH, CaO-Si-Polymer, CaO-SiO2-Pozzolan, Ca-Si-COOH-Cell, Ca-Si-Polymer-Cell, Ca-Si-Pozzolan-Cell, CaO-SiO2-COOH-Cell, CaO-Si-Polymer-Cell, CaO-SiO2-Pozzolan-Cell, Ca-Si-COOH 혼합물, Ca-Si-Polymer 혼합물, Ca-Si-Pozzolan 혼합물, CaO-SiO2-COOH 혼합물, CaO-Si-Polymer 혼합물, CaO-SiO2-Pozzolan 혼합물, Ca-Si-COOH-Cell 혼합물, Ca-Si-Polymer-Cell 혼합물, Ca-Si-Pozzolan-Cell 혼합물, CaO-SiO2-COOH-Cell 혼합물, CaO-Si-Polymer-Cell 혼합물, CaO-SiO2-Pozzolan-Cell 혼합물, Ca-Si-COOH 반응물, Ca-Si-Polymer 반응물, Ca-Si-Pozzolan 반응물, CaO-SiO2-COOH 반응물, CaO-Si-Polymer 반응물, CaO-SiO2-Pozzolan 반응물, Ca-Si-COOH-Cell 반응물, Ca-Si-Polymer-Cell 반응물, Ca-Si-Pozzolan-Cell 반응물, CaO-SiO2-COOH-Cell 반응물, CaO-Si-Polymer-Cell 반응물, CaO-SiO2-Pozzolan-Cell 반응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Ca-Si-COOH 내지 CaO-SiO2-Pozzolan-Cell 등은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이 함유된 물질이다. 상기 Ca-Si-COOH 혼합물 내지 CaO-SiO2-Pozzolan-Cell 혼합물 등은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이 혼합된 혼합물이다. 상기 Ca-Si-COOH 반응물 내지 CaO-SiO2-Pozzolan-Cell 반응물 등은 1)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이 반응한 반응물; 2) 또는 Ca, Si, COOH, Polymer, Pozzolan, CaO, SiO2, Cell, 세포 등과 물, 수분, 액체, CO2 등과 반응한 반응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Ca는 칼슘; Si는 규소; COOH는 카르복실기; Polymer는 폴리머; Pozzolan는 포졸란, 포졸란제, 포졸란물질, 포졸란반응하는 물질; CaO는 생석회, 산화석회; SiO2는 이산화규소; 등이 해당된다.
상기 Cell은 셀, 세포, 전지, 생물, 미생물, 미생물세포, 바이오세포, Cell, 단세포, 다세포, 생물세포, 미생물세포 등이고, 상기 + Cell은 세포, Cell, 단세포, 다세포, 생물, 미생물, 생물세포, 미생물세포 중 하나가 반응, 결합, 융합, 부착, 합체, 함유, 생성, 조성, 형성 등이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 는 또는 상기 Ca-Si-COOH 내지 CaO-SiO2-Pozzolan 혼합물 등에서 - 는 -, ㆍ, +, and, 및, 와, 과, 그리고, 결합, 연결, 연계, 반응, 응집, 포함, 함유, 겔, 결합, 연결, 조합, 체결, 반응, 결합겔, 화학결합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Ca-Si-COOH은 Ca-Si-COOH, CaSiCOOH, Ca와Si와COOH, Ca및Si및COOH, Ca결합Si결합COOH, Ca연결Si연결COOH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10은 셀, cell, 세포, 생물, 미역, 생선, 다시마, 미생물, 수산물, 해산물, 배양물, 발효물, 분해물, 부숙물, 부패물, 불가사리, 유산균, 방사선균, 광합성균, 효모균, 누룩균, 바이오, bio, 유용미생물, 호기미생물, 혐기미생물, 호염미생물, 호혐기미생물, 바이러스, 박테리아, 콜라겐, 케라틴, 신데칸, 인테그린, 엘라스틴, 바실러스, 세레우스, 서브틸리스, 파스테우리, 원생동물, 단세포동물, 다세포동물, bacillus subtilis, 미생물재, 미생물실, 미생물씰, 미생물액, 개체수 증가 미생물, 미생물필름, 미생물가스, 바이오류, 바이오제, 바이오재, 바이오셀, 바이오수, 바이오물, 바이오액, 바이오유, 바이오막, 바이오실, 바이오씰, 바이오액, 바이오매스, 바이오필름, 바이오가스, 바이오물질, 바이오공기, 바이오브릿지,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산물 또는 해산물에는 수산물, 해산물, 조류, 해조류, 감태, 김, 미역, 청각, 다시마, 매생이, 바다포도, 가사리, 불가사리, 우뭇가사리, 청각, 톳, 파래, 동물, 어류, 생선, 홍어, 연체동물, 두족류, 오징어, 갑오징어, 꼴뚜기, 문어, 낙지, 주꾸미, 패류, 조개류, 전복, 굴, 소라, 조개, 가리비, 꼬막, 재첩, 키조개, 홍합, 백합조개, 모시조개, 대합조개, 바지락조개, 바지락, 고둥, 골뱅이, 절지동물, 갑각류, 게, 꽃게, 홍게, 대게, 거미게, 민꽃게, 왕게, 투구게, 새우, 흰다리새우, 대하, 얼룩새우, 가재, 바닷가재, 딱새우, 닭새우, 매미새우, 부채새우, 닭새우, 줄새우, 곰새우리, 가시발새우, 랑구스틴, 따개비, 거북손, 후구동물, 해삼, 개불, 극피동물, 미색동물, 멍게, 성게, 미더덕, 해파리, 말미잘, 고동, 고둥, 경단고둥, 물레고둥, 고래, 포유류, 바다표범, 포유류, 해물, 물곰, 북극곰, 포유류, 바다거북, 석형류, 파충류, 알, 내장, 캐비어, 연어알, 명란, 이리, 곤이, 관자, 크랩, 스파이더크랩, 브라운크랩, 킹크랩, 랍스타, 게맛살, 과메기, 굴비, 꼬제, 꽁치, 도리뱅뱅이, 돔배기, Œc얌꿍, 루테피스크, 마스코프, 회, 물회, 낙지, 새우젓, 생선전, 세꼬시, 스시, 어란, 어리굴젓, 어묵, 오징어, 용봉탕, 조개탕, 쥐포, 짬뽕, 추어탕, 클램차우더, 타코야키, 팟타이, 해물찜, 해물탕, 홍합탕 등이 포함된다.
상기 바이오는 셀, cell, 세포, 생물, 제약, 약품, 바이오, bio, 미생물, 생, 生, 생물, 生物, 생명, 生命, 생물학(biology), 생화학(biochemistry), 생원소(bioelement), 생물발광(bioluminescence), 바이오반응, 죽지 않고 살아 있는 상태, 상기 셀 내지 복합물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바이오제, 바이오액, 바이오겔, 바이오실, 바이오씰, 바이오본드, 바이오필름, 바이오류는 각각 미생물제, 미생물액, 미생물겔, 미생물실, 미생물씰, 미생물본드, 미생물필름, 미생물류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오제는 미생물 물질, 바이오액은 미생물 함유 물질, 바이오겔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gel, 바이오실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가느다란 실, 바이오씰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seal 또는 방수액, 바이오본드는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점착성의 본드, 바이오필름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필름, 바이오류는 미생물 종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이오, 미생물, 바이오재 등은 산란, 증식, 생식, 생육, 팽창, 배양, 자람, 발효, 부숙, growth, 개체수증가, 배양되어 산란하여 개체수가 증가하면서 생육하여 팽창하고 자람 등이 되는 미생물, 바이오재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바이오제, 바이오재 등에서 제 또는 재는 제, 재, 수, 물, 액, 유, 기, 고, 겔, 실, 씰, 매스, 필름, 가스 등을 나타낸다. 상기 류는 類 또는 종류, 제는 題 또는 소제, 재는 材 또는 재료, 수는 水 또는 warter, 물은 物 또는 水 또는 물질, 액은 液 또는 액체, 유는 油 또는 유류, 기는 氣 또는 기체, 고는 古 또는 고체, 겔은 gel 또는 졸, 실은 thread 또는 날실, 막은 막 또는 멤브레인, 씰은 seal 또는 씰링 또는 밀봉, 매스는 mass 또는 덩어리, 필름은 film, 가스는 gas, 브릿지는 연결 또는 브릿지 또는 bridge 등을 나타낸다. 상기 바이오재는 식물, 나무, 뿌리, 줄기, 잎, 열매, 약초, 바이오재, bio material, 생물재, 미생물재, 생물 함유재, 상기 셀 내지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에코재는 에코재, 환경재, 그린재, 자연재, 친환경재, 자연재료, 재활용재, eco material, 흙, 돌, 토사, 황토, 암석, 광물, 나무, 식물, 뿌리, 줄기, 자연석, 카올린,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애쉬, 폐분, 석분, 철분, 음식물, 슬러지, 슬래그, 폐기물, 부산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생물은 생물, 동물, 식물, 어류, 고기, 고래, 상어, 새, 개, 닭, 소, 돼지, 가축, 사람, 가금류, 고양이, 곤충, 미역, 해파리, 해조류, 어패류, 파충류, 지렁이, 개구리, 황소개구리, 가사리, 불가사리, 스타피쉬, starfish, 우뭇가사리, 미생물, 수생물, 수산물, 물속생물, 수생생물, 수상생물, 수저생물, 수중생물, 바다생물, 해양생물, 육지생물, 하천생물, 공중생물, 하늘생물, 야생동물, 연체동물, 해양동물, 수생동물 등이다.
상기 해조류는 해조류, 海藻類, 해초, 함초, seaweed, sea algae, plantes marines, 바다의 채소, 바다의 잡초, 바다에서 나는 조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은화식물의 한 무리, 물 속에 살면서 엽록소로 동화작용을 하는 것, 물 속에 사는 엽록소를 가진 엽상식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은하식물은 은하식물, Cryptogam, 포자로 번식하는 식물 등이다. 해조류는 뿌리, 줄기, 잎이 구별되지 않고 포자에 의하여 번식한다. 이의 몸에는 뿌리로 흡수한 물이나 영양을 잎으로 보내는 물관이나, 또 잎에서 이루어지는 광합성 작용으로 만들어진 녹말 같은 생산물을 저장 장소로 옮 체관 같은 조직이 없다. 뿌리처럼 보이는 것이나 뿌리 같은 부착기(holdfast)도 몸체를 바위나 말뚝 같은 단단한 물체에 고착시키는 역할만 하지 영양을 흡수하는 구조는 아니다. 해조류는 약 3만 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며, 시아노박테리아처럼 단세포인 경우도 있고 미역이나 김과 같이 다세포 생물인 경우도 있다. 미역이나 김 등의 경우 마치 줄기가 있는 듯이 보이지만 사실 다세포의 군집일 뿐 줄기나 잎의 분화된 기능을 하는 기관이 없다. 이는 녹조류(green algae), 갈조류(brown algae), 홍조류(red algae), 남조류 등으로 나뉜다. 갈조류(톳, 미역, 다시마, 대황, 모자반 등)와 홍조류(우뭇가사리, 김, 카라니긴 등)의 경우 바다에서 생육하지만 녹조류(파래, 청각, 청태 등)의 경우는 해양이나 담수에서 서식한다. 각종 해초와 함초 등 30억 년 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해 온 바다의 식물을 총칭한다. 해조류는 단백질, 당질, 비타민, 무기질, 칼슘, 철분, 마그네슘, 요오드가 풍부하다. 우뭇가사리를 익힌 다음 식혀 젤리 모양이 된 것이 우무이며, 이것을 동결 건조시키면 한천이 된다. 김은 재래김, 돌김, 파래김, 파래돌김, 파래재래김, 파래자반, 조미김, 구운김 등이 있다. 해조류 맛의 근원은 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 알라닌, 글리신 등의 아미노산이다. 해조류 지질은 불포화지방산이며, 탄수화물의 대부분은 식이섬유로 정장 작용과 콜레스테롤 등의 배설 작용을 한다. 갈조류의 푸코이단(fucoidan)은 헤파린과 같이 항혈전 작용을 한다. 해조류는 수지, 폴리머, 플라스틱, 생분해 플라스틱 등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불가사리는 불가사리, 스타피쉬, 스타피시, starfish, 씨스타, Seastar. 바다 불가사리, 오귀발, 해성(海星), 불가사리강(綱)에 속하는 별 모양의 극피동물, 거미불가사리, 삼천발, 사미류, 거미불가사리류, ophiuroid, 약 1,500종의 불가사리, 조간대에서부터 수면 아래 6,000m(20,000ft)깊이의 심해에서도 발견, 해양 무척추동물, 중앙에 있는 판 모양의 동체와 5개의 팔을 가지고 있음, 일부 종은 수많은 팔을 가지고 있음, 복부 또는 위 표피는 매끄럽거나 과립형이거나 가시가 있음, 여러 겹의 판으로 덮여 있음, 다양한 색조의 밝은 적색이나 주황색, 일부 종은 청색, 회색 또는 갈색, 유압 시스템으로 움직이는 관족과 구강 중앙 또는 아래 표면에 입을 가지고 있음, 기회성 섭식, 해저 무척추동물의 포식자, 몇몇 종들은 위장의 외전(안팎이 뒤집어져 있는 것)과 현탁액 섭식을 비롯한 특화된 섭식 행동을 함, 복잡한 수명 주기를 가짐, 유성생식, 무성생식, 팔이 손상되거나 유실되면 이를 재생할 수 있음, 열대성 악마불가사리(Acanthaster planci), 불가사리는 세계 100대 침입종, 대부분의 불가사리는 양성으로 수컷과 암컷으로 개체가 분리, 생식소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관으로는 성별을 구분 어려움, 어떤 종은 동시 발생 자웅동체로서 난자와 정자를 동시에 생산, 몇 종은 난정소라 불리는 동일한 생식소에서 난자와 정자를 생산, 인접적 자웅동체, 별불가사리류, Asterina gibbosa, 웅성선숙 개체, Nepanthia belcheri, 일반적으로 체외수정, 몇몇 종은 체내수정, 입방불가사리, Pteraster militaris, 대개 유충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새끼 불가사리로 직접 성장, 난자 내에 알을 품는 별불가사리, Parvulastra parvivipara, 일부 어린 불가사리는 알주머니에 있는 다른 알과 배아를 먹음으로써 영양소를 얻음, 육손이불가사리, Leptasterias hexactis, 오커불가사리, Pisaster ochraceus, 바닷물과 평형을 이루는 섬세한 내부 전해질로 균형을 유지, 빨강불가사리, 뱀거미불가사리, 빨간등거미불가사리, 짧은가시거미불가사리, 또는 미세 조류, 해면동물, 이매패류, 달팽이 및 기타 작은 동물 등을 먹는 포식자, 악마불가사리, 애기불가사리, Henricia와 Echinaster, 짧은가시불가사리, Pisaster brevispinus, Reef starfish, Stichaster australis, 잡식성 불가사리, Oreaster reticulatus, 세계적으로 1,800여종, 국내에는 100여종, 토착종 별불가사리, 아무르불가사리, 거미불가사리, 빨강불가사리, 바다의 해적이라 불리우는 아무르불가사리, 별불가사리, 거미불가사리, 빨강불가사리, 몸을 여러 조각으로 잘라도 죽지 않고 살아난다고 하여 불가사리, 몸을 잘라내어도 다시 재생되기 때문에 죽일 수 없다는 뜻의 불가살이(不可殺伊)에서 유래, 팔손이불가사리, 애기불가사리, 갓걸이불가사리, 단풍불가사리, 아팰불가사리, 일본불가사리, 도우손햇님불가사리, 문어다리불가사리, 가시불가사리, 레드불가사리, 샌드불가사리, 블루링키아, 가시왕관불가사리, 초코칩 불가사리, 삼천발이, 불가사리의 표피 아래에는 작은 석회성 판이나 골편으로 된 중배엽성 내골격이 있음, 골편에는 가시와 혹들이 돌출되어 있어 몸 표면이 가시로 덮여 있음, 골편 내부는 섬유와 진피로 채워진 그물망 공간으로 구성, 해바라기불가사리, 가시왕관불가사리. Crown-of-thorns starfish 등이거나, 또는 등에 관련된다.
상기 불가사리의 이용예로는 a) 비료, 퇴비, 액비, 사료, 화장품 등으로 이용; 쌀겨, 왕겨, 톱밥, 낙엽 등과 섞어 발효시켜 퇴비나 사료를 만듬; 물, 당밀, 미생물 등과 섞어 발효시켜 액비나 사료를 만듬; 불가사리 비료는 농산물 성장에 좋음, 불가사리의 체내에 포함된 콜라겐 성분을 추출해서 화장품 원료로 활용, 불가사리 성분이 함유된 가축 무이용되는 또는 별도의 불가사리로 만든 염화칼슘의 제설제, 녹생토에 이용, 시드스프레이에 이용; b) 토분 100중량부, 지렁이 분변토 50~100중량부, 숯 5~10중량부, 톱밥 5~10중량부, 마사토 30~50중량부, 슬러지 20~30중량부 등이 포함되는 녹생토 조성물; c) c1) 불가사리 잡기, 그물로 잡기, 그물에 잡힙, 바닥에 포설, 말림, 건조, 자연건조, 바람으로 건조, 태양으로 건조, 절단, 파쇄, 분쇄, 밀링, 갈기, 발효, 부숙, 분해, 배양, 발효, 건조기로 건조, 커터로 절단, 파쇄기로 파쇄, 분쇄기로 분쇄, 밀링기로 밀링, 믹서로 갈기, 발효조로 발효, 부숙조에서 부숙, 분해조에서 분해, 배양조에서 배양, 탱크에서 발효, 사일로에서 발효, 발효조에서 발효; c2) 불가사리의 액, 절편, 분말, 파우더 등 제조; c3) 불가사리 또는 이의 분말에 슬러지, 하수슬러지, 화산석, 분말, 토탄(peat),연탄재, 밭흙, 갈탄, 톱밥, 석회, 점토, 마사토 등을 혼합,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부숙; c4) 상기 부숙된 부숙물이 이용되는 녹생토, 시드스프레이; c5) 상기 혼합물이나 부숙물을 지면이나 사면에 분사; c6) 상기 분사하여 지면이나 사면에 녹생토 형성, 시드스프레이 공사;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a) 물질, 물체, 생물, 동물, 식물, 광물, 고기, 해산물, 미생물, 가사리, 불가사리, 스타피쉬, 스타피시, starfish, 우뭇가사리; b) 이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포함되는 수, 물, 액, 유, 기, 고, 제, 재, 물질, 재료, 원료, 소재, 몸체, body, 살, meat, flesh, 육, 肉, 육질, 肉質, 근육, 筋肉, 고기, 뼈, 골, 骨, 본, bone, 골편, 骨片, 조각, 뼈조각, 발골 뼈; c) 상기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포함되는 분, 粉, 편, 片, 가루, 미분, 과립, 분말, 알갱이, 덩어리, 절단물, 파쇄물, 분쇄물; d) 상기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포함되는 세척, 세정, 탈염, 펄세척, 진흙세척, 염분세척, 이물질세척, 펄제거, 진흙제거, 염분제거, 이물질제거, 균이나 오염 제거, 균이나 오염 차단, 부패균 제거, 부패균 차단, 건조, 말림, 발효, 부숙, 숙성, 배양, 분해, 바이오발효, 생물의 살 분해, 생물의 단백질 분해, 불가사리의 살 분해, 불가사리의 단백질 분해, 자연발효, 1~8년 자연발효, 가속발효, 촉진발효, 유용미생물(EM, effective microorganism)로 발효, 유기산를 넣어 발효, 유용미생물 활용 유기산를 넣어 발효, 유용미생물 활용 유기산를 넣어 EM균으로 발효, 10일간의 가속발효, 10일간의 촉진발효; e) 상기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의한 발효물, 부숙물, 숙성물, 배양물, 분해물, 바이오물, 발효수, 부숙수, 배양수, 분해수, 바이오수, 발효액, 부숙액, 배양액, 분해액, 바이오액, 발효가스, 부숙가스, 배양가스, 분해가스, 바이오가스, 바이오수지, 바이오폴리머, 바이오플라스틱; f) 상기의 발효, 부숙, 배양, 분해 등에 의하여 추출된 또는 발골된 뼈, 조직, 골편, 뼈조각, 구조체, 다공체, 다공뼈, 다공성구조체, 뼈구조체, 뼈다공체, 다공성구조뼈, 탄산칼슘구조체, 탄산칼슘다공체, 탄산칼슘다공뼈, 탄산칼슘다공성구조체, 비표면적이 큰 다공체; g) 상기 중 하나에 포함되는 요소, 성분, 황, 질소, 인산, 칼리, 칼슘, 석회, 가스, 지방, 미네랄, 단백질, 영양소, 아미노산, 마그네슘, 탄산칼슘, 인산칼슘, 탄수화물, 수용성석회, 수용성마그네슘; h) 상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골편, 骨片, 골분, 骨粉, 어골, 魚骨, 파우더, 뼈파우더, 본파우더, bone powder, 배지, 培地, culture medium, 배양용배지, 비료, 액비, 거름, 퇴비, 사료, 화장품, 영양소, 영양제, 효소 액비, 불가사리 효소 액비, 고화제, 바인더, 제설제, 제빙제, 첨가제, 혼화제; i) 상기 중 하나에 의한 염소흡착, 염분흡착, 반응, 수화반응, 칼슘반응, 포졸반반응, 탄산칼슘반응, 하이드레이트반응, 양생, 고결, 고화, 탈염, 해사탈염, 모래탈염, 콘크리트탈염; j) 상기 중 하나에 의한 균, 오염, 세균, 중금속, 박테리아,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등의 제거, 저감, 흡착; k) 상기 중 하나에 의한 제조, 생산,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제설, 제빙, 청정, 정화, 청소, 살균, 소독, 제독, 해독, 방역, 방재; j)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되거나 또는 이용 또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뼈는 a) 뼈, 골, 骨, 본, bone, 골편, 骨片, 골분, 骨粉, 어골, 魚骨, 폐골, 廢骨, 폐각, 廢殼, 패각, 貝殼, 뼈골, 골격(骨格), 뼈조각, 발골뼈, 뼈파우더, 본파우더, bone powder, 소뼈, 닭뼈, 고기뼈, 생선뼈, 갈치뼈, 삼치뼈, 고등어뼈, 동물뼈, 사골뼈, 돼지뼈, 족발, 족뼈, 발뼈, 족발뼈, 해조류뼈, 닭고기뼈, 물고기뼈, 불가사리뼈, 해장국뼈, 뼈해장국뼈, 사체뼈, 死體뼈, 다공뼈, 多孔뼈, 다공성뼈, 겉질뼈, 해면뼈, 뼈막, 뼈속막, 긴뼈, 짧은뼈, 납작뼈, 불규칙뼈, 종자뼈, 뼈조직, 조직뼈, 먹고 남은 뼈, 고기나 동물에서 발골된 발골뼈, 음식에서 먹고 남은 뼈, 음식물에 포함된 뼈, 음식물에서 미섭취된 뼈; b) 유기질 성분 35%와 칼슘 등의 무기질 성분 45%와 수분 20%로 구성되는 뼈, 칼슘이나 인산염 함유 뼈, 무게의 2/3를 차지하는 무기질 성분이나 칼슘과 인이 포함되는 뼈; c) 뼈를 이루는 세포, 유사분열에 의해 증식하는 뼈 조상세포, 교원섬유와 같은 유기질을 합성 및 분비하는 뼈모세포, 완전히 발육된 뼈의 주세포인 뼈세포, 무기질과 유기질 성분을 분해 제거하여 뼈의 흡수를 촉진하는 뼈파괴세포, 뼈 표면 세포; d) 상기 세포가 포함되는 뼈; e) 또는 칼슘, 인, 탄산칼슘, 인산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수산화탄산, 불소 등이 함유된 뼈; f) 동물이나 고기를 숙성이나 발효한 후 잔류된 뼈, 동물이나 고기를 숙성이나 발효한 후 침전된 뼈, 동물이나 고기를 숙성이나 발효한 후 발골된 뼈, 동물이나 고기를 숙성이나 발효한 후 분해되지 않고 잔류된 뼈, 동물이나 고기를 숙성이나 발효한 후 분해된 살 이외의 잔류된 뼈; g) 불가사리를 숙성이나 발효한 후 잔류된 뼈, 불가사리를 숙성이나 발효한 후 침전된 뼈, 불가사리를 숙성이나 발효한 후 발골된 뼈, 불가사리를 숙성이나 발효한 후 분해되지 않고 잔류된 뼈, 불가사리를 숙성이나 발효한 후 분해된 살 이외의 잔류된 뼈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a) 식물, 동물, 생물, 미생물, 어류, 고기, 굴, 조개, 패각, 껍질, 갑각류, 파충류, 해조류, 해산물, 가사리, 불가사리, 우뭇가사리; b) 이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포함되는 수, 물, 액, 유, 기, 고, 제, 재, 물질, 재료, 원료, 소재, 몸체, 살, 육, 육질, 근육, 고기, 뼈, 골, 骨, 본, bone, 골편, 조각, 뼈조각, 발골 뼈; c) 상기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포함되는 분, 粉, 편, 片, 가루, 미분, 과립, 분말, 알갱이, 덩어리, 절단물, 파쇄물, 분쇄물; d) 상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물, 모래, 해사, 쇄사, 쇄석, 자갈, 골재, 토사, 황토, 점토, 마사토, 화강토, 석회, 시멘트, 아스팔트, 혼화제, 정화제, 청정제, 청소제, 흡착제, 포집제, 크린제, 항균제, 멸균제, 제균제, 해독제, 살균제, 소독제, 디톡제, 디톡스제, detox agent, detoxification agent, 배합수, 배합재; e) 상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몰탈,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플라스터, 시멘트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f) 상기 중 하나의 혼합, 펌핑, 가압, 이송, 압송, 운반, 타설, 분사, 주입, 포설, 포장, 숏팅, 블라스팅, 코팅, 조적, 미장, 도장, 도색, 페인팅, 양생, 면처리, 인젝션, 그라우팅, 숏크리트, 숏크리팅, 녹생토, 시드스프레이, 인테리어, 리모델링, 인젝션공사, 그라우팅공사, 숏크리트공사, 녹생토공사, 시드스프레이공사, 인테리어공사, 리모델링공사; g) 상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실, 사, 대, 판, 보, 빔, 문, 배플, 기둥, 파일, 기초, 슬라브, 타일, 벽돌, 블록, 유리, 창호, 창문, 창틀, 벽지, 장판, 마루, 강화마루, 보드, 천장보드, 가구, 쇼파, 의자, 책상, 물질, 물체, 자재, 건자재, 내장재, 외장재, 마감재, 처리제, 조경재, 건설재, 건축재, 토목재, 포장재, 도장재, 페인트, 건설자재, 건축자재, 토목자재, 조경자재, 포장자재; h) 상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건물, 주택, 빌딩, 시설, 도로, 보도, 인도, 철도, 지하철, 옹벽, 터널, 교량, 다리, 항만, 구조물,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 i) 상기 중 하나의 또는 하나를 조성하는 일, 제조, 생산, 제작, 공작, 업무, 작업, 공사, 시공, 건설, 건축, 준공, 완공, 분양, 광고, 선전, 매매, 판매, 중개, 구매, 계약; j) 상기 중 하나에 시행되는 청정, 정화, 청소, 세정, 세척, 항균, 멸균, 제균, 살균, 소독, 방역, 방재, 방제, 해독, 제독, 처리, 디톡스, 크리닝; k) 상기 줄 둘 이상 복합; ℓ) 상기 물질 내지 복합; m) 상기 물질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상기 식물 내지 복합; n) 상기 물질 내지 복합 등이 포함되는 상기 식물 내지 복합; 등이 되거나 또는 이용 또는 적용될 수 있다.
불가사리를 농사나 농업에 직접 이용하는 방법은 a) 배, 고기배, 고기잡이배, 해안, 해양, 어촌, 어부, 수협, 수산업현동조합 등에서 불가사리 얻기, 구매, 수매; b) 논이나 밭이나 농장을 이랑질하기; c) 논이나 밭이나 농장에 불가사리 묻기; d) 호미로 흙을 살짝 긁어 주고 불가사리 묻기; e) 비료나 영양제 공급 효능도 좋고 냄새 걱정도 없음 등이다.
불가사리의 발효나 숙성이나 액비 제조의 예로는 a) 불가사리와 유용미생물(EM)을 섞어 발효; b) 200L 용기에 불가사리 3분의 2가량 넣고 소금, 설탕, 유용미생물(EM), 당밀 등을 넣어 5년 동안 숙성시켜 액비 제조; c) 불가사리 액비 만들기 위하여 불가사리(젖은것, 마른것도 모두 가능), 당밀(설탕), 유용미생물(EM), 에전에 사용하던 불가사리 액비(종균으로 사용), 물, 부엽토 등의 재료 준비, 상기 재료 용기에 투입, 숙성, 발효, 이후 숙성액, 발효액을 액비로 사용; d) 유용미생물 이엠(EM)으로 불가사리 액비만들기(25말 한통당)에 사용되는 재료는 불가사리 150kg, 설탕 45kg(15kg 3포대), 이는 당밀 대용으로 사용, 농업기술센터에서 이엠 입수, 이엠(EM) 1말, 불가사리 액비 종균, 부엽토 약간, 물 약 10말 이상, 용기의 상단부에 7~8cm정도 남기고 물을 채움, 일정 기간 숙성 또는 발효, 상기 숙성 또는 발효된 물질, 이를 체로 거름, 체로 거른 액비 제조 완료; e) 용기 바닥에 격자나 그리드나 플라스틱 기구를 엎어 넣음, 이의 상부에 불가사리를 넣음, 마른 불가사리도 함께 사용 가능, 다음으로 설탕을 3포 넣고 이엠을 넣음, 이엠 발효시설 이용 가능, 이엠 발효시설에서 발효된 이엠 사용 가능, 설탕을 충분히 넣으면 악취가 덜함, 종균과 부엽토도 약간 첨가, 용기에 물을 채우고 두껑을 닫음, 1년 정도 발효, 발효액을 체로 걸러내어 통에 담아두고 저장이나 사용, 밭작물이나 과수에 효능이 좋은 불가사리 액비; 등이다.
불가사리의 발효나 숙성이나 액비 제조의 예로는 a) 용기 또는 살균조에 불가사리, 물, 유기산, 미생물, 유기산혼합물 등을 투입, 혼합, 가열, 상기 가열후 혼합물을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고액분리, 상기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된 액체에 미생물을 투입, 상기 투입 후에 발효하는 미생물 발효, 상기 발효된 물질 얻음, 상기 물질에서 뼈나 고형물을 분리하여 액비 완성; b) 상기 유기산혼합물은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미네랄 등임; c) 상기 발효 재료는 불가사리 100 중량부와 물 40 내지 50 중량부와 유기산 혼합물 50 내지 60 중량부임; d)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100 중량부, 사과산 45 내지 55 주량부, 호박산 15 내지 20 중량부 등임; e) 상기 가열은 80 내지 100℃의 온도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 f) 상기 미생물발효는 상기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된 액체 100 중량부에 미생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투입하고 30 내지 35℃의 온도로 5 내지 7일 동안 발효;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 고초균, 효모, 광합성균 등; g) 또는 세척조, 공기 또는 세척수를 상부로 분사하는 분사기, 불가사리의 이물질을 선별하고 세척시키는 세척기 또는 선별기, 불가사리를 분쇄시키는 분쇄기, 불가사리를 분해하는 분해기, 분해기로부터 분해된 불가사리를 공급받아 고형분과 액상으로 분리 추출하는 추출기, 상기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액상을 발효시키는 발효기 등 이용하여 액비나 사료 제조; h) 또는 불가사리를 세척, 분쇄, 분해, 여과, 액상물 추출, 숙성, 발효, 체가름, 뼈나 고형물 제거, 액비생산; i) 용기에 불가사리 80∼95wt%, 흑설탕 1∼2wt%, 유기산 또는 식초 또는 목초액 6∼8wt%, 미생물 0.4∼0.6wt%을 투입, 배합, 발효, 숙성, 뼈나 고형물 제거, 액체추출, 액비완성; j) 용기에 불가사리, 축산분뇨, 음식물쓰레기, 폐수, 공기, 산소 주입, 배합, 발효, 숙성, 뼈나 고형물 분리, 액체추출, 액비완성; k) 불가사리를 세척, 분쇄, 분해, 추출된 액상을 발효, 뼈나 고형물 분리, 액비 제조; ℓ) 상부에 투입구 및 하부에 배출구가 구비된 탱크, 상기 탱크의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수단,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임펠러,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날개, 상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된 스크루 등이 포함되는 불가사리 분해기, 이들을 이용하여 액비나 사료 제조; m) 회전축 또는 회전드럼, 이의 외주에 다수개로 구비된 교반편 및 자화편, 상기 교반편에 구비된 자화편, 상기 교반편에 이격되어 구비된 보조교반편, 상기 보조교반편에 이격되어 구비된 다른 보조교반편 등이 구비된 믹서, 교반기, 혼합기, 이들을 이용하여 액비나 사료 제조; n) 불가사리를 세척, 분쇄, 분해, 액상추출, 발효, 여과, 추출, 고액분리, 뼈나 고형물 분리, 액비생산 등을 하는 세척기, 분쇄기, 분해기, 액상추출기, 발효기, 여과기, 추출기, 고형분과 액상으로 분리 추출하는 고액분리기, 액비생산기, 이들을 이용하여 액비나 사료 제조; o) 불가사리 채취, 채집, 개폐형 덮개가 있는 상부 투입구와 하부 배출구와 내부에 교반기가 구비된 탱크에 투입, 수분함량을 60~80중량%로 조절, 생석회나 돌로마이트의 천연소화제를 30~80중량% 투입, 90~130℃에서 반응, 숙성, 발효, 발효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 배출, 발효후 뼈나 고형물 분리, 분리후 액상 또는 액비 추출; p) 또는 불가사리, 굴껍질, 조개껍질, 게껍질, 어패류 가공처리물,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말, 개, 닭, 오리, 동물, 뼈, 도살처리물, 미역, 다시마, 해초류, 약초류, 곡물류, 소채류, 과일류, 초목류, 톱밥, 왕겨, 황토, 제오라이트, 곡물가루, 약초류 분쇄물, 화훼류분쇄물, 열매류, 농산물류, 초목류 등이 포함되는 액비; q) 상기 불가사리 내지 초목류 등이 포함되는 재료를 세척, 분쇄, 분해, 액상추출, 발효, 여과, 추출, 뼈나 고형물 분리, 고액분리, 액비생산; r) 또는 불가사리, 배지, 미생물, 배양액을 숙성시키는 발효조, 상기 저장조의 유입부 및 유출부, 상기 발효조에 이격되어 구비된 탱크, 상기 탱크의 물질을 상기 발효조에 투입시키는 펌프, 상기 유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는 산소투입기, 상기 펌프와 산소투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발효조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게이지, 상기 발효조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 발효물이 배출되는 상기 유출부, 상기 배출된 발효물을 고액분리하는 분리기, 상기 고액분리된 액비를 용기에 투입하는 투입기, 상기 용기의 마개를 닫는 마개닫이기, 상기 용기를 박스에 포장하는 포장기, 이들을 이용하여 액비나 사료 제조; 등이거나, 등이 이용 가능하다.
불가사리가 이용되는 사료의 예로는 a) 불가사리를 포획, 포획된 불가사리 수집, 불가사리를 소금, 백반 등이 용해된 용수에 투입, 침지, 소독, 살균, 냄새 제거, 불가사리 1ton을 소금 20~30kg짜리 10포와 백반 5~10kg이 혼합 용해된 용수 1ton에 투입, 4~24시간동안 침지, 소독 및 살균과 불가사리의 냄새 제거, 불가사리에 담수를 살수, 염분 제거, 탈염, 100℃ 가열, 건조기에서 50~60℃로 건조, 80~90%의 수분을 건조시킴, 분쇄기에 의해서 0.1~5mm의 크기로 분쇄, 분쇄된 불가사리분말 100중량부에 옥수수분말 200중량부, 육류분말 200중량부, 어분 200중량부 등을 혼합,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품용 파우더 200중량부와 물 200~300중량부에 반죽, 환으로 성형; b) 또는 불가사리 채집, 세척, 탈염, 선별, 탈취, 탈취하기 위하여 구연산희석용액을 분무, 탈취건조기능의 토르마린, 맥반석, 포졸란, 감람석, 규사 등과 불가사리를 드럼회전건조기에 투입하여 110℃에서 2시간을 탈취 건조, 건조된 불가사리를 70mesh로 분쇄, 불가사리분말과 미강과 옥분 혼합, 상기 혼합된 원료사료에 식용수, 유용미생물배양액, 당밀 혼합, 발효실에서 배양온도30℃로 5일간을 발효, 숙성, 상기 숙성된 원료분말에 전분 첨가, 교반, 반죽, 보리쌀 크기로 제환 또는 환으로 성형; c) 또는 불가사리 채집, 수거, 절단, 독성을 가진 내장 제거, 산 수용액에 산처리, 알코올로 부패세균 번식방지 처리, 변질 방지를 위해 수분을 건조, 불가사리 선별, 분쇄 후에 영양소, 곡물류 조단백, 콜라겐, 조섬유, 인, 비타민, 식염, 어분류 등 혼합, 상기 혼합물에 전분 혼합, 환 형상으로 성형, 사료 완성; 등이다. 상기에서 불가사리 대신에 다른 동물, 식물, 생물, 어류, 해조류, 갑각류 등을 대체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액비, 사료 등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재료는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재료 7, 재료 8, 재료 9, 재료 10; 이중 둘 이상 복합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되는 재료; 등이다. 상기 재료 1은 흙, 돌, 옥, 석, 점토, 황토, 토사, 토양, 토석, 백토, 광물, 광미, 광석, 광탄, 암석, 암분, 운모, 장석, 질석, 흑연, 석고, 석회, 모래, 강사, 쇄사, 해사, 규사, 장석, 석영, 자갈, 골재, 쇄석, 석재, 석분, 석판, 소일, 화강토, 마사토, 규조토, 반죽토, 돌가루, 세라믹, 석류석, 포졸란, 진주석, 석회석, 인회석, 백운석, 자철석, 화강암, 광물재, 희토류, 희토석, 희토암, 희토광물, 시멘트, 올리빈, 맥반석, 카올린, 녹생토, 식생토, 녹화토, 종자토, 점토광물, 펄라이트, 게르마늄, 피트(peat), 모스, 피트모스(peat moss), 부순돌, 부순모래, 부순자갈, 잔골재, 굵은골재, 순환골재, 인공골재, 재생골재, 재활용골재, 슬러지골재, 석재슬러리, 석분슬러리, 스멕타이트, 돌로마이트,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아타팔자이트, 몬모릴로나이트, Fe 함유 황토, 석영 37~83중량부 포함 황토, 슬러지 함유 인공골재, 작업 재료, 공사 재료, 작업용 재료, 공사용 재료, 작업에 이용되는 재료, 공사에 이용되는 재료, 상기 물질이 함유된 재료, 상기 자재에 포함되는 재료, 상기 시설에 이용되는 재료, 상기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재료,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재료에서 청정 재료의 예로는 청정제, 청정재, 청정수, 청정액, 청정재료 등이 해당되고, 크리닝 재료의 예로는 크리닝제, 크리닝재, 크리닝수, 크리닝액, 크리닝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2는 역청, 타르, 아스콘, 역청재, 원유찌끼, 석유찌꺼기, 아스팔트, 원유의 증류 후 남은 찌꺼기, 아스팔트2차제품, 아스콘2차제품, 실리콘, 실리카, 실리카졸, 실리카겔, 실리카흄, 실리카액, 나노실리카, 액상실리카, 활성실리카, 마이크로실리카, 하이브리드실리카, 실리카재,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3은 칡, 쑥, 잎, 싹, 새싹, 나무잎, 꽃, 연꽃, 벗꽃, 씨, 볏씨, 마, 황마, 벼, 겨, 쌀겨, 왕겨, 밀겨, 무, 배, 감, 밤, 쌀, 보리쌀, 팥, 보리, 잡곡, 콩, 땅콩, 밀, 잣, 짚, 밀짚, 볏짚, 사과, 대추, 오디, 포도, 건포도, 배추, 야채, 딸기, 과일, 열매, 곡식, 곡물, 깨, 들깨, 파, 양파, 채소, 야채, 배추, 상추, 고추, 호박, 오이, 오디, 당근, 복숭아, 버섯, 녹두, 숙주, 나물, 콩나물, 시금치, 전분, 녹말, 풀, 잔디, 목(木), 수목, 목재, 초목, 목분, 목편, 목탄, 목분, 고목, 초목, 식목, 톱밥, 합판, 판재, 송진, 종자, 식물, 나무, 스틱, 뿌리, 연뿌리, 감자, 고구마, 줄기, 가지, 낙엽, 씨앗, 발아물, 식물재, 피, 피막, 외피, 내피, 진피, 껍질, 우드 우드액, 건초, 견과, 견과류, 감자, 고구마, 복숭아, 도토리, 거름, 퇴비, 국화, 철죽, 개나리, 채송화, 선인장, 진달래, 대나무,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삼나무, 리그닌, 야자수, 가로수, 정원수, 코이어, 편백나무, 피톤치드, 피트모스,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합성목재, 인공목재, WPC(wood plastic composite),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4는 철, 납, 금, 은, 봉, 빔, 틀, 바, bar, 구리, 아연, 금속, 비금속, 고철, 철분, 철사, 철근, 리바, rebar, 폴리바, 폴리머바, 무근, 철골, 철강, 철관, 선철, 연철, 강철, 형강, 강관, H형강, I형강, 강재, 전극, 철재, 도체, 철체(鐵體), 철편, 철 코일, 양극, 음극, 전선, 스프링, 케이블, 중금속, 산화철, 영가금속, 용융철, 영가제, 금속재, 전도재, 금속근, 탄소근, 와이어, 금속체, 전도체, 유공체, 다공체, 아연체, 반도체, 그래핀, 보강재, 비전도재,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5는 숯, 참숯, 탄, 목탄, 연탄, 탄소, 연료, 카본, 펠렛, 그래핀, 탄소제, 탄소재, 활성탄, 탄화재, 탄화물, 소각물, 연소물, 불연소물, 소성물, 소각재, 소성재, 흡착재, 액상탄소, 액상활성탄, 500도 이상 소성된 소성재, 1000도 이상 소각된 소각재, 안트라사이트(anthracite),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바, bar, 리바, rebar, 철근 등은 바, bar, 근, 筋, 리바, rebar, 철근, 鐵筋 , 바철근, 리바철근, 철근바, 철근리바, 강봉, 수지근, 카본근, 섬유바, 유리바, 글래스바, 폴리바, polybar, polrebar, 폴리머바, polymerbar, 폴리머리바, polymerrebar, 폴리머근, 플라스틱근, PVC근, 원형철근, 이형철근, 중공철근, 속빈철근, 속찬철근, FRP바, GFRP바, FRP리바, GFRP리바, FRP철근, GFRP철근, rod, reinforcing rod, reinforcing steel, steel bar, reinforced bar, reinforcing bar, polymer rebar, 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rebar, 탄소강 철근, STS 철근, SUS 철근, 도막 철근, 에폭시 도막 철근, 아연 도금 철근, 스테인리스스틸로 된 철근, 섬유에폭시 수지 분체 철근, 기둥과 보에 사용되는 굵은 철근, 슬라브와 벽체에 사용되는 얇은 철근, 2개 이상의 기둥이 서로 흐트러지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둥글게 감싸는 역할을 하는 철근 또는 기둥 후프 철근, 벽체 철근들이 벌어지지 않도록 벽체 철근에 수직으로 양 끝에 모이는 철근 또는 스트랍 철근, 벽체 철근과 수직으로 길게 결속된 철근 또는 족싱 철근, 한 층 슬라브의 콘크리트 타설이 끝난 뒤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로 돌출되어 다음 층 슬라브에 이용되는 철근 또는 연결 철근,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콘크리트의 압축력을 보강하는 자재,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콘크리트의 인장력을 보강하는 자재,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콘크리트의 전단력을 보강하는 자재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바 내지 자재 등은 보, 판, 벽, 기둥, 기초, 형틀, 거푸집, 슬라브, 건물, 구조물, 콘크리트; 이중 하나의 속, 내부, 외부, 상부, 중간, 하부, 면, 표면, 측면, 측부, 휨, 압축, 인장, 전단, 모멘트, 휨부, 압축부, 인장부, 전단부, 모멘트부; 등에 구비 또는 거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철근, 철골, 리바, rebar, 주철근, 보조철근, 경사철근, 추가철근, 수지근, 폴리머근, 플라스틱근, 수지바, 폴리머바, 플라스틱바, GFRP바,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b) 이중 하나의 제조, 생산, 장치, 장비, 기구, 제조방법, 공사, 건설, 공사방법, 이용방법, 활용, 활용처, 활용 시설; 등이 가능하다. 철근과 철골의 차이점은 철근은 근육에 해당하는 자재, 철골은 뼈대에 해당하는 자재이다. 철근은 콘크리트가 하중(상하 압력)으로 터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며, 철골은 그 자체로서 하중을 지탱하는 뼈대이다. 철근을 가공, 조립하는 데에는 절곡기(밴딩기)와 절단기(핸디), 핸들(핸도리, 밴더) 등이 사용된다. 철근 간의 결속을 위한 결속선 조립에는 하카가 사용된다. 철근 사이나 철근과 형틀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삽입된다. 상기 스페이서는 스페이서, 간격재, 이격재, apacer 등이다. 상기 절곡기는 철근을 절곡하는 절곡기, 수동결속기, 자동결속기, 전동결속기, 로봇결속기 등이다. 상기 하카는 철근 철사 결속기, 철근에 철사를 결속하는 결속기, 선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고리에 철사를 걸어 돌려 철근에 철사를 결속하는 결속기 등이다. 최근에는 하카 대신에 자동결속기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철근콘크리트는 철근콘크리트, Reinforced Concrete, 건축 자재의 일종, 콘크리트 안에 철근을 넣어 콘크리트의 단점인 부족한 인장강도(잡아당기는 힘에 버티는 강도)를 보완한 복합자재, R/C(Reinforced Concrete), 철콘 등이다. 콘크리트와 철근을 같이 쓸 수 있는 것은 철근과 콘크리트의 열팽창계수가 거의 동일, 콘크리트가 철근을 감싸는 형태로 시공되므로 부식에 취약한 철근에 공기가 접촉하는 것을 막아줌, 타설당시 콘크리트는 수분을 잔뜩 머금고 있지만 알칼리성 물질이라 철근의 부식을 막아줌 등 때문이다.
상기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는 화산재 퇴적물의 일종인 응회암의 분말과 석회, 모래를 물에 섞은 뒤 굳혀 만든 일종의 모르타르(Mortar), 석재나 벽돌을 연결하는 접착재료로 사용, 섬유보강 콘크리트, Fiber Reinforced Concrete, 분말로 분쇄된 석회석과 점토를 섞어 가마에서 소성하는 시멘트 사용, 철망을 두른 콘크리트,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8-15%정도, 인장강도를 철근이 부담, 철근은 인장에 잘 견딤, 콘크리트를 철근으로 보강하여 압축에 매우 잘 견디는 콘크리트의 강점을 살리고 약점인 인장과 전단에 대한 저항을 철근으로 보강, 철근은 압축에 약하고 인장에 강하며, 콘크리트는 압축에 강하고 인장에 약해서 철근콘크리트는 환상의 조합, 콘크리트가 압축에 잘 저항하기는 하지만 철근은 그 콘크리트보다 압축강도가 10배 이상 높음, 압축과는 반대로 철근의 인장강도는 콘크리트 인장강도의 100배를 넘고 재료파괴도 연성파괴를 나타내고 재료의 역학적 거동도 변형률 경화(Strain Hardening) 형태를 보여 이상적인 거동과 잘 부합, 철근 콘크리트는 인장과 압축에 둘다 강하며 횡방향 외력에도 강함, 철근을 구성하는 철 성분의 산화로 인한 부식을 강한 염기성인 콘크리트가 방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장기간의 강도 유지, 철근과 콘크리트의 열에 의한 팽창률이 거의 같음, 뜨거운 여름 혹은 겨울에 철근과 콘크리트가 서로 다른 열 팽창률에 의해 분리되지 않음 등의 특징이 있다. 철근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은 2.3~2.5이고, 목재의 열전도율은 0.14~0.16이다.
콘크리트는 배합재료 중 하나가 물이어서 수분을 머금고 있다가 양생 및 건조과정에서 수화작용으로 사용되고 남은 자유수는 증발한다. 수화과정에 필요한 물의 양은 체적의 25%이다. 그러나 이 정도로는 시공이 불가능하기에 40~50% 가량 물을 첨가한다. 이렇게 수화과정에 불필요한 나머지의 물(자유수)의 일부는 표면 바깥으로 나와 증발하고 일부은 콘크리트 내부 공극에 남는다. 이러한 자유수는 타설하고 양생 후 초기(주로 28일 내외)에는 상부면으로 용출(湧出)되지만, 오랜시간 경과에도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실제 주거에서 문제가 되는 수분은 자유수가 아니라 건물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내부온도가 달라 공기 중의 수분이 맺히게 되면서 생기는 결로이다. 이에 의하여 곰팡이 등이 생긴다. 이것은 콘크리트 문제가 아니라 단열재 부실시공 때문이다. 주로 겨울철 바깥의 찬 기온을 내외부의 단열재가 충분히 막아주지 못해 차가워진 콘크리트 구조체와 대기 중 수분이 만나면서 물방울 즉 결로가 맺히는 것이다. 이런 하자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벽체의 온도나 창문과 개부의 누기와 단열이 필요하다. 온도나 단열은 건축용 온도계와 각종 장비, 열화상 카메라 등으로 측정된다.
건물이나 아파트에서 가장 큰 문제중 하나는 층간소음이다. 콘크리트는 예전보다 강도가 높아지게 되어 더 얇은 두께로 벽과 층계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반대 급부로 그만큼 구조의 두께가 얇아져 소리가 쉽게 투과돠어 층간소음이 발생하게 되었다. 층간소음의 문제는 아파트의 고층화, 창호(창문) 성능, 다양한 층간소음의 주체 등이다. 이러한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조기준 상 100~120mm 정도면 충분한 슬래브 두께를 주거공간에서 150mm에서 210mm 늘림, 기존의 솔리드 슬래브 대신 중간에 공극이 있는 중공 슬래브를 사용, 기존의 전단벽식 구조 대신 모멘트-골조를 사용 등이 있다.
통상 5~6층 이상의 건물은 기초 및 1,2층은 철근 콘크리트로, 그 이상은 철골 구조를 적용한다.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골재를 세척하여 염도 0.04% 이하로 한다. 철근콘크리트에서 철근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공기유입이 차단되고 시멘트의 알칼리 성분으로 산화방지 피막이 형성되어 더 이상 부식이 진행되지 않는다. 새집증후군은 인테리어재, 접착제, 마감재, 휘발성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의 배출재, 창문 틈새에 쓰인 우레탄폼, 몰딩재, 걸레받이재, 합판, 자재에서 나오는 포름알데히드 등이 원인이다. 철근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열팽창계수 1.0~1.3×10-5, 철의 열팽창계수 1.0×10-5, 콘크리트 재료의 선팽창계수 크기 : 모래 > 자갈 > 시멘트, 콘크리트만의 무게는 1입방미터당 2.3톤, 1.85톤에서 2.5톤, 철근은 소성구간에서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부담할 수 있는 응력이 증가하는 거동을 하는데 이를 변형률 경화(Strain-Hardening)라 함, 콘크리트는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항복 변형률에 도달하고 나면 급격하게 내력을 상실하는데 이를 변형률 연화(Strain-Softening)라 함,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24MPa, 철근 항복강도는 400MPa 등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예로는 입경이 0.01∼1mm로 조정된 파우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표면적 3,000cm2/g 이상인 애쉬 10∼1,000중량부와, 분진 10∼1,000중량부와, 시멘트 5∼50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진은 나트륨 2∼40중량%, 황산 50∼88중량% 및 염화물 1∼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애쉬 100중량부에 대하여, CaO 함량이 20중량% 이상인 소재를 0.5∼500중량부 더 포함하며, 상기 소재는 황토, 점토, 토사, 석분, 질석, 암석, 모래, 석회, 석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입경, 0.01∼1mm, 파우더, 100중량부, 비표면적, 3,000cm2/g, 애쉬, 10∼1,000중량부, 분진, 10∼1,000중량부, 시멘트, 5∼500중량부, 분진, 나트륨, 2∼40중량%, 황산, 50∼88중량%, 염화물, 1∼10중량%, CaO, 소재, 0.5∼500중량부, 황토, 점토, 토사, 석분, 질석, 암석, 모래, 석회, 석고 등은 다른 물질, 원료, 값, 단위, 수치 등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정화제(purifying agent)에 촉매, 반응제, 흡착제, 포집제, 미생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촉매반응하여 슈퍼옥사이드(ㆍO2 -), 하이드록실라디칼(ㆍOH) 등을 생성하여 오염을 정화하고, 상기 반응제는 오염과 반응하여 제거하고, 상기 흡착제는 오염을 흡착하여 제거하고, 상기 포집제는 오염을 포집하여 제거하고, 상기 미생물은 오염과 바이오반응하여 저감시킨다. 상기 정화제가 포함되는 정화콘크리트는 공기, 수질, 토양 중의 오염을 저감시키거나 제거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정화콘크리트는 HCHO(포름알데이드), VOCs(휘발성유기화합물), NOx(질소산화물), SOx(황산화물) 등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정화콘크리트가 사용되는 구조물은 오염을 정화하는 친환경의 구조물이 된다. 정화콘크리트는 지반, 도로, 토목, 건축, 건설 등에 공사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화콘크리트는 건물, 도로, 기초, 터널, 옹벽, 구조물 등을 구성하는 주요 자재가 될 수 있다. 정화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공사하는 방법으로는 배치플랜트에서 물, 모래, 자갈, 시멘트, 정화제 등을 혼합한 후 이송하여 현장에 타설하거나, 또는 배치플랜트에서 생산된 레미콘에 정화제를 투입하여 레미콘차가 운송하면서 혼합한 후 현장에 타설하거나, 또는 현장에 도착한 레미콘차에 정화제를 투입하여 일정기간 혼합한 후 현장에 타설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의 물질, 물체, 재료, 자재, 시설, 장치, 장비 등이 이용 또는 조성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은 물질 1, 물질 2, 물질 3, 물질 4, 물질 5, 물질 6, 물질 7, 물질 8, 물질 9, 물질 10, 물질 11, 물질 12, 물질 13, 물질 14, 물질 15, 물질 16, 물질 17, 물질 18, 물질 19, 물질 20, 물질 21, 물질 22, 물질 23, 물질 24, 물질 25, 물질 26, 물질 27, 물질 28, 물질 29, 물질 30, 물질 31, 물질 32, 물질 33, 물질 34, 물질 35, 물질 36, 물질 37, 물질 38, 물질 39, 물질 40, 물질 41, 물질 42, 물질 43, 물질 44, 물질 45, 물질 46, 물질 47, 물질 48, 물질 49, 물질 50, 물질 51, 물질 52, 물질 53, 물질 54, 물질 55, 물질 56, 물질 57, 물질 58, 물질 59, 물질 60, 물질 61, 물질 62, 물질 63, 물질 64, 물질 65, 물질 66, 물질 67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1은 a) 상기 일 내지 복합,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의 제(劑) 또는 재(材) 또는 물질; b)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에 이용되는 물질; c)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를 하는 물질; d)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를 수행하는 물질; e)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에서 조성되는 물질; f)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에서 공급되는 물질; g) 하기 기(器) 내지 복합물체 중 하나에 이용되는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2는 a) 수(水), 물(水), 액(液), 술, 비, 강우, 강수, 생수, 샘물, 우수, 오수, 상수, 하수, 폐수, 용수, 탁수, 해수, 염수, 댐수, 용액, 수액, 액체, 유체(流體), 온수, 냉수, 냉온수, 티(tea), 차(茶), 녹차(綠茶), 인삼차, 커피, 봉지커피, 통커피, 원두커피, 오폐수, 오탁수, 지하수, 암반수, 지표수, 이온수, 먹는물, 수돗물, 수도수, 황토수, 피톤수, 편백수, 인공비, 고로쇠물, 음료수, 음용수, 탄산수, 펌프수, 광천수, 우물수, 하천수, 연못수, 산소수, 수소수, 전해수, 가압수, 압력수, 압기수, 펌핑수, 양수물, 오존수, 살균수, 소독수, 디톡수, 디톡스수, 음이온수, 자외선수, 적외선수, 광조사수, 바이오수, 심층수, 해양심층수, 철수용액, FeSO4수용액, FeCl3수용액, Fe2+ 이온 또는 Fe3+ 이온의 농도가 400∼600mg/L인 철수용액, 액체(液體); b) 상기 수 내지 액체 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수 내지 액체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c) 물질 또는 물체에 물제공, 수분공급, 배합수공급, 함수율증가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d) 물질 또는 물체를 수화, 가수, 연화, 팽창, 수분화, 수양생, 수화반응, 슬러리화, 포졸란반응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 e)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물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f) 또는 f1)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살균, 방전,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f2) 상기 자화 내지 방전물 중 둘 이상의 복합, 복합기,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되는 상기 a) 수 내지 e) 물질; g) 상기 처리에 의하여 청정, 정화, 퓨리, 제균, 소독, 해독,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가 되는 상기 a) 수 내지 e) 물질; h) 상기 또는 하기의 자화 내지 복합물, 물체, 물질, 수 내지 복합자재, 수 내지 복합물품, 수 내지 복합물질, 기(器) 내지 복합장비, 기(器) 내지 복합물체 중 하나 이상이 또는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상기 a) 수 내지 e)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하나 이상이 또는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수 내지 물질'은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수 내지 물질,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수 내지 물질, 하나 이상이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이 되는 수 내지 물질, 하나 이상을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을 하는 수 내지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2의 예로는 수, 물, 수 내지 복합물, 자화되는 생수, 진동되는 우물수, 오존처리되는 가압수, 자화와 관련되는 상수, 자화물과 연계되는 광천수, 자화기로 처리된 지하수, 오존물이 함유된 수도수, 자화물이 포함되는 커피, 진동물이 포함되는 상수, 오존처리된 녹차, 음이온물에 투입되는 편백수, 자화물을 구성하는 산소수, 음이온물에 주입되는 철수용액, 진동기에 투입되는 해수, 가진기로 분사되는 탄산수, 칩을 거친 물, 장비를 통과한 물질, 물체를 흐른 물질, 복합장비에서 제조된 물질, 복합물체에서 공급되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거친'은 거친, 통과한, 관통한, 흐른, 제조된, 공급된, 공급되는, 제공되는, 지나친, 지나온, 이용한, 사용한, 적용한, 구비한, 거치한, 설치한, 장착한, pass, passing, passed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3은 a) 상기 수 내지 액체, 자화 내지 복합물체(상기 또는 하기의 자화 내지 복합물, 물체, 물질, 수 내지 복합자재, 수 내지 복합물품, 수 내지 복합물질, 기(器) 내지 복합장비, 기(器) 내지 복합물체)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무이용, 비이용, 무관, 별도 등이 되는 또는 상기 수 내지 액체, 자화 내지 복합물체 중 하나 이상을 거친 C, H, O, B, N, S, K, P, F, Ca, Mg, Si, Ti, Fe, Me, Al, Na, Cu, Zn, Pb, Cr, Cd, Au, Ag, Pt, Hg, He, Li, Be, Ne, Ar, Mn, Co, Ni, Zr, Rn, OH, COO, CaO, MgO, K2O, Na2O, SiO2, Al2O3, Fe2O3, CaSi, CaMg, CaFe, CaMe, CaCOO, MgFe, MgMe, MgCOO, FeMe, FeCOO, CaMgFe, CaMgMe, CaMgCOO, MgFeMe, MgFeCOO, CaMgFeMe, CaMgFeSi, CaFeMgSi, CaMgFeCOO, CaㆍFeㆍMgㆍSiㆍPolymer, Ca+2Mg+2Fe+2Si+, Ca+2Mg+2Fe+2Me+3COO-, Ca+2Mg+2Fe+2Me+3COO-, CaMgFeMeCOO, CaFeMgSiPolymer, 이온, 성분, 요소, 원자, 분자, 원소, 양이온, 음이온, 이온제, 이온재, 이온류, 원소제, 원소재, 분자제, 분자재, 라디칼(radical), 자유라디칼(free radical), OH라디칼, 이온물, 영가물, 다가물, 이온수, 철이온, 금속이온; b) 상기 C 내지 금속이온 중 하나 이상 함유물; c) 상기 C 내지 함유물 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C 내지 함유물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d)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물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C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액체; e) 진동기에 발생되는 열(熱)이 방사되는 상기 a) C 내지 d) 액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물질'은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물질,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물질, 하나 이상이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이 되는 물질, 하나 이상을 상기 이용 내지 라이닝 등을 하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체는 상기 또는 하기의 자화 내지 복합물, 물체, 물질, 수 내지 복합자재, 수 내지 복합물품, 수 내지 복합물질, 기(器) 내지 복합장비, 기(器) 내지 복합물체 등이다.
상기 CaO 내지 CaFeMgSiPolymer 중 하나는 a) 상기 C 내지 COO, 또는 Ca+2, Mg+2, Fe+2, Me+3, COO-, Polymer; b) 상기 C 내지 Polymer 중 하나의 이온, 이온물, 함유물, 결합물, 반응물, 수화물, 수산화물; 중 둘 이상이 혼합된 제, 재, 물질,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Me는 금속, Metal, 금속이온, 금속함유물, 금속결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COO는 COO, COO-, COOH, COONa, CH3COOH, C6H5COOH, HCOOH, CH3COOCH3, C2H5OCOH, 카르복실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이온제, 이온류, 이온재, 원소제, 원소재, 분자제, 분자재 중 하나는 이온, 원소, 분자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또는 이상으로 구성된 제, 재, 류, 종류, 소재, 재료,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이온류는 이온, 이온물, 이온물질, 원소, 원소성분, 원소물질, 이온이 함유된 류 또는 물질, 원소가 함유된 류 또는 물질, C 이온이 함유된 류 또는 물질, H 원소가 함유된 류 또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C는 탄소, H는 수소, O는 산소, B는 붕소, N는 질소, S는 황, K는 칼륨, P는 인, F는 플루오린, Ca는 탈슘, Mg는 마그네슘, Si는 규소 또는 실리카, Ti는 티탄 또는 티타늄, Fe는 청, Me는 메탈 또는 금속, Al는 알류미늄, Na는 나트륨, Cu는 구리, Zn는 아연, Pb납, Cr는 크롬, Cd는 카드뮴, Au는 금, Ag는 은, Pt는 백금, Hg는 수은, He는 헬륨, Li는 리튬, Be는 베릴륨, Ne는 네온, Ar는 아르곤, Mn는 망간, Co는 코발트, Ni는 니켈, Zr는 지르코늄, Rn는 라돈, OH는 수산기 또는 수소와 산소의 결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3의 예로는 C, CaFe, C 내지 함유물, 생수와 혼합되는 C, 하수와 연계되는 CaMg, 오수가 포함된 C, 광천수가 함유된 분자재, 암반수에 구비되는 C, 먹는물에 투입되는 양이온, 하천수를 구성하는 C, 이온수에 주입되는 CaFeMgSi, 녹차에 코팅되는 C, 압력수에 분사되는 다가물, 자화되는 이온물, 오존처리되는 분자재, 가진기에 투입되는 원소재, 자화물이 포함되는 이온류, 상수가 포함되는 분자제, 칩을 거친 이온수, 장비를 통과한 이온제, 물체를 흐른 분자재, 복합장비를 통과한 이온수, 복합물체를 거친 이온물, 복합장비에서 제조된 이온수, 복합물체에서 공급되는 분자재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4는 a) 상기 수 내지 복합물체, C 내지 함유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체, C 내지 함유물 중 하나 이상을 거친 유(油), 유(乳), 분유, 유류, 기름, 석유, 중유, 경유, 유제, 등유, 휘발유, 윤활유, 오일, 솔오일, 나무오일, 소나무오일, 편백오일, 피톤오일, 연료, 지방, 음료, 우유, 두유, 모유, 밀크, 유지방, 가솔린, 휘발류, 오존유, 살균유, 소독유, 디톡유, 디톡스유, 음이온유, 자외선유, 적외선유, 광조사유, 바이오유, 유체(流體), 유체(油體); b) 상기 유 내지 휘발유 중 하나인 유체(油體); c) 상기 유 내지 유체 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유 내지 유체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유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유 내지 복합물; d) 물질 또는 물체에 기름제공, 기름공급, 배합유공급, 함유율증가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유 내지 복합물; e) 물질 또는 물체를 유화, 가유, 연화, 점성화, 유분화, 슬러리화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유 내지 복합물; f) 상기 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함유물(상기 수 내지 복합물체, C 내지 함유물); g) 가진기에 발생되는 열(熱)이 방사되는 상기 a) 유 내지 f) 함유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4의 예로는 오일, 유체, C와 결합되는 등유, CaMg와 연결되는 기름, 생수가 함유된 중유, CaMgfe가 함유된 연료, 하수에 포함되는 가솔린, 댐수에 포함되는 석유, FeMe를 구성하는 기름, 탄산수를 구성하는 등유, 생수에 코팅되는 유류, 분자재에 도장되는 유제, 자화되는 기름, 음이온처리되는 등유, 오존기에 투입되는 유류, 자화물이 포함되는 유류, 양이온이 포함되는 석유, 칩을 거친 기름, 장비를 통과한 석유, 물체를 흐른 오일, 복합장비를 통과한 밀크, 복합물체를 거친 유체, 복합장비에서 제조된 유체, 복합물체에서 공급되는 우유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5는 a) 상기 수 내지 함유물, 유 내지 유체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상기 수 내지 함유물, 유 내지 유체 중 하나 이상을 거친 기(氣), 풍(風), 열(熱), 파(波), 음파, 초음파, 광(光), 빛, UV(ultraviolet), UV선, LED(light emitting diode), LED광, 살균광, 소독광, 선(線), 빔(beam), 광원(light source), 광선,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근적외선, 원적외선, 스펙트럼, 레이저, 레이저빔, 빔레이저, 소리, 공기, 가스, 산소, 수소, 질소, 탄소, 기포, 거품, 증기, 연기, 안개, 매연, 대기, 바람, 분진, 먼지, 오존, 음이온, 열기, 냉기, 포그, 압(壓), 압기(壓氣), 압축공기, 풍력공기, 압력, 고압, 저압, 진공, 펄스, 펄스압, 제트압, 사운드, 온도, 고온, 저온, 지열, 태양열, 와류물, 자장(磁場), 자기장, 오존공기, 살균공기, 소독공기, 디톡공기, 디톡스공기, 음이온공기, 자외선공기, 적외선공기, 광조사공기, 바이오공기, 수소가스, 공기가스, 브라운가스, 미세먼지, 피톤공기, 편백공기, 미스트, 기체(氣體); b) 상기 기 내지 기체 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기 내지 기체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물; c) 물질 또는 물체에 공기, 가스, 증기 중 하나를 제공하는 상기 기 내지 복합물; d) 물질 또는 물체를 팽창, 건조, 양생, 증기양생, 다공화, 경량화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기 내지 복합물; e)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물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유체(상기 수 내지 함유물, 유 내지 유체); f) 오존기에 발생되는 열(熱)이 방사되는 상기 a) 기 내지 e) 유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기(氣), 가스, 산소, 수소, 질소, 탄소, 기포, 거품, 증기 중 하나에는 통, 탱크, 가스통, 수소통, 산소통, 질소통, 압력통, 저장통, 분해, 반응, 부패, 발효, 부숙, 발포, 가열, 증발, 바이오, 물분해, 화학반응, 화학분해, 전기분해, 미생물분해 중 하나 이상의 기(氣), 가스, 산소, 수소, 질소, 탄소, 기포, 거품, 증기, 기체, 공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압력통 또는 수소통은 a) 실, 섬유, 탄소, 시트, 금속, 수지재, 폴리머, PC(폴리카보네이트), FRP(섬유보강플라스틱, 섬유보강폴리머), GFRP(유리섬유보강플라스틱, 유리섬유보강폴리머), CFRP(탄소섬유보강플라스틱, 탄소섬유보강폴리머), PVC, 탄소섬유, 유리섬유, 탄소시트, 알루미늄, 플라스틱, 알루미늄합급, 고밀도폴리머, 복합소재, 탄소섬유 복합소재, 이중 둘 이상 복합재; b) 또는 탱크; 이의 몸통, 입구, 일부, 전체, 외피, 피막, 라이너, 라이닝 중 하나를 이루는 상기 실 내지 복합재; c) 또는 상기 실 내지 복합재; 이중 하나의 내부, 외부, 내면, 외면, 라이너; 중 하나 이상을 감싸거나 또는 래핑(wrapping)한 상기 실 내지 복합재; d) 또는 라이너(810), 상기 라이너를 이루는 또는 상기 라이너에 감긴 탄소섬유복합재(811), 탱크 입구의 라이너를 보호하는 보호재(812), 수소충전입구 파이프와 라이너의 사이를 충진하는 보스(813) 또는 마개 또는 충진재, 수소가 유입되는 수소충전부(814), 수소가 토출되는 수소토출부(815), 탱크 내의 수소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816), 탱크 내의 수소 압력을 안전하게 하는 압력안전장치(817) 또는 온도감응식 압력안전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의 예로는 내부 중공의 탱크를 이루는 금속 라이너 외부의 전체, 일부, 부분 등을 탄소섬유로 수많이 감아서 조성된 압력통 또는 수소통이 가능하다.
상기 수소에는 수소, 그린수소, 그레이수소, 브라운수소, 블루수소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그린수소는 태양광, 풍력, 재생에너지 중 하나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한 수소이다. 상기 그레이수소는 천연가스를 고온·고압 수증기와 반응시키는 개질수소, 또는 석유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이다. 상기 브라운수소는 탄, 갈탄, 석탄 중 하나를 태워 생산하는 개질수소이다. 상기 블루수소는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할 때 발생하는 탄소를 포집·저장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수소, 또는 그레이수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하여 탄소 배출을 줄인 수소이다.
수소(H2)의 저장, 이송, 이용 등을 위해서는 부피를 줄여하는데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253℃의 극저온에서 액화가 필요하고 고압탱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합성, 저장, 이송, 액화 등이 용이한 암모니아(NH3)가 주목된다. 암모니아는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암모니아는 수소 또는 그린수소를 공기 중 질소와 결합시켜 얻어진다. 암모니아는 연소할 때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수소보다 제조·저장·수송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수소 운송을 위해선 영하 253도까지 온도를 낮춰 액화해 부피를 줄여야 하지만 암모니아는 영하 33도만 유지하면 된다. 부피도 작아 수소보다 1.5배 많은 양을 수송할 수 있으며 에너지밀도 역시 액화 수소보다 1.7배 가량 높아 운반을 위한 최적 대안으로 꼽힌다. 대량생산한 수소에 질소를 더해 비교적 안정적인 암모니아로 만들어 운송한 후 다시 질소를 분해해 수소로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지구온난화, 이상기후 등의 방지를 위해서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는 탄소중립(Net Zero)이 필요하다. 따라서 물, 수력, 파력, 온도차, 바람, 풍력, 태양, 태양력, 수소, 암모니아 등의 또는 등에서 얻어지는 신재생에너지가 요구된다.
상기 물질 5의 예로는 공기, 산소, 생수와 연결되는 증기, C와 결합되는 수소, CaMg와 연결되는 오존, 기름이 함유된 와류물, CaMgfe가 함유된 안개, 오존수에 포함되는 미스트, 오일에 함침되는 증기, 하천수에 흐름되는 자기장, 기름을 구성하는 기포, 탄산수를 구성하는 거품, 유류에 코팅되는 광원, CaSi에 도장되는 먼지, 진동되는 공기, 음이온처리되는 산소, 자화기에 투입되는 질소, 진동물이 포함되는 가스, 석유가 포함되는 공기, 칩을 거친 공기, 장비를 통과한 가스, 물체를 흐른 수소, 복합장비를 통과한 탄소, 복합물체를 거친 압기, 복합장비에서 제조된 탄소, 복합물체에서 공급되는 압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6은 a) 상기 수 내지 유체, 기 내지 기체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고(固), 분(粉), 볼, 구, 환, 알, 막, 편, 대, 봉, 근, 바, 리바, 셀, 팩, 망, 줄, 선, 실, 사, 비닐, 절편, 입자, 구슬, 유리, 조각, 펠렛, 분말, 황토볼, 피톤볼, 편백볼, 세라믹볼, 캡슐, 벌집셀, 지오셀, 시료, 채취시료, 몰드시료, 샘플시료, 샘플, 가루, 밀가루, 입상물, 입자물, 고체(固體); b) 상기 고 내지 고체 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고 내지 고체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고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고 내지 복합물; c) 물질 또는 물체에 입자, 분말, 덩어리 중 하나를 제공하는 상기 고 내지 복합물; d) 물질 또는 물체를 경화, 중량화, 밀실화, 고밀도화, 강도증가, 강성증가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고 내지 복합물; e) 상기 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물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기체(상기 수 내지 유체, 기 내지 기체); f) 음이온기에 발생되는 열(熱)이 방사되는 상기 a) 고 내지 e) 기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6의 예로는 입자, 고체, 생수와 연결되는 캡슐, C와 결합되는 구슬, CaMg와 연결되는 분말, 산소가 함유된 가루, CaMgfe가 함유된 절편, 오존수에 포함되는 펠렛, 오일에 함침되는 조각, 수소에 방사되는 알, 기름을 구성하는 볼, 미스트를 구성하는 환, 유류에 코팅되는 볼, CaSi가 도장되는 자화되는 가루, 오존처리되는 고체, 진동기에 투입되는 볼, 자화기에 투입되는 질소, 진동물이 포함되는 절편, 가스가 포함되는 가루, 칩을 거친 분말, 장비를 통과한 가루, 물체를 흐른 조각, 복합장비를 통과한 입자, 복합물체를 거친 볼, 복합장비에서 제조된 고체, 복합물체에서 공급되는 시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7은 a) 상기 수 내지 기체, 고 내지 고체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졸, 겔, 젤, 젤리, 풀, 딱풀, 즙, 죽, 오니, 슬러리, 슬러지, 슬라임, 현탁액, 황토액, 점토액, 피톤액, 편백액, 실리콘, 슬러리액, 벤토나이트액, 액기체, 액고체, 기고체, 액기고체(液氣固體); b) 상기 졸 내지 액기고체 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졸 내지 액기고체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졸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졸 내지 복합물; c) 물질 또는 물체에 물, 수분, 공기, 가스, 증기, 입자, 분말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상기 졸 내지 복합물; d) 물질 또는 물체를 수화, 유화, 연화, 점성화, 유분화, 입자화, 슬러리화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졸 내지 복합물; e) 상기 졸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물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졸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고체(상기 수 내지 기체, 고 내지 고체); f) 회전기에 발생되는 열(熱)이 방사되는 상기 a) 졸 내지 e) 고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졸은 졸, sol, 유기졸, 무기졸, 친수졸, 소수졸, 겔화졸, 분산졸, 액상졸, 유동성졸, 에어로졸, 하이드로졸, 오르가노졸, 콜로이드졸, 콜로이드용액, 겔(gel)을 졸화(化)한 졸, 콜로이드 상태의 액체, 액체 중에 콜로이드입자가 분산하여 유동성을 가지는 물질, 유체 또는 Newton 유체와 완전탄성체 또는 Hook의 법칙에 따르는 고체와의 중간 상태에 있는 졸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겔은 겔, gel, 젤, 한천, 두부, 규조토, 硅藻土, 졸화겔, 액상겔, 케어젤, 피부케어젤, 손톱케어젤, 발톱케어젤, 산성백토, 酸性白土, 카라기난, 무동성겔, 크세로겔, 실리카겔, 젤라틴, 콜라겐, 알부민, 반응겔, 화학겔, 본딩겔, 씰링겔, 수화겔, 수산화겔, 폴리머겔, 바인딩겔, 바이오겔, 하이드로겔, 오브알부민, 리조짐, 대두글리시닌, 가역성겔, 비가역성겔, 히드로겔, 규조토겔, 산성백토겔, 크세로겔, 다공성(多孔性)겔, 콜로이드 졸 또는 용액이 굳어진 것, 겔의 그물조직 사이에 물이 들어 있는 하이드로겔, 겔의 그물조직 사이에서 용매가 제거되고 공기가 들어간 다공성겔인 크세로겔, 유체 또는 Newton 유체와 완전탄성체 또는 Hook의 법칙에 따르는 고체와의 중간 상태에 있는 겔, 졸을 겔화(化)한 겔, 콜로이드용액(졸)이 일정한 농도 이상으로 진해진 겔, 콜로이드입자의 그물조직 사이에 용매 또는 물이 들어가 굳어버린 것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젤은 젤, 케어젤, 손톱젤, 발톨젤, 크림젤, 젤크림, 반응젤, 화학젤, 본딩젤, 씰링젤, 수화젤, 수산화젤, 폴리머젤, 바인딩젤, 바이오젤, 하이드로젤 중 하나이다.
상기 물질 8은 a) 상기 수 내지 고체, 졸 내지 액기고체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나노물, 나노제, 나노재, 나노류, 나노액, 나노철, 나노금, 나노은, 나노금속, 나노탄소, 나노카본, 나노백금, 나노소재, 나노슬러리, 나노텅스텐, 나노티타늄, 나노활성탄, 10-9m 크기의 나노재, 10-6∼10-12 크기의 나노재; b) 상기 나노물 내지 나노활성탄 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나노물 내지 나노활성탄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c) 물질 또는 물체에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상기 졸 내지 복합물; d) 물질 또는 물체의 반응, 화학반응, 물리반응, 수화반응, 나노반응, 결합반응, 경화반응 중 하나 이상을 촉진하는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e)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물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나노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액기고체(상기 수 내지 고체, 졸 내지 액기고체); f) 자화기에 발생되는 살균광이 방사되는 상기 a) 나노물 내지 e) 액기고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9는 a) 상기 수 내지 액기고체, 나노물 내지 나노활성탄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흙, 돌, 옥, 석, 점토, 황토, 토사, 토양, 토석, 백토, 광물, 광미, 광석, 광탄, 암석, 암분, 운모, 장석, 질석, 흑연, 석고, 석회, 모래, 강사, 쇄사, 해사, 규사, 장석, 석영, 자갈, 골재, 쇄석, 석재, 석분, 석판, 소일, 화강토, 마사토, 규조토, 반죽토, 돌가루, 세라믹, 석류석, 포졸란, 진주석, 석회석, 인회석, 백운석, 자철석, 화강암, 광물재, 희토류, 희토석, 희토암, 희토광물, 시멘트, 올리빈, 맥반석, 카올린, 녹생토, 식생토, 녹화토, 종자토, 점토광물, 펄라이트, 게르마늄, 피트(peat), 모스, 피트모스(peat moss), 부순돌, 부순모래, 부순자갈, 잔골재, 굵은골재, 순환골재, 인공골재, 재생골재, 재활용골재, 슬러지골재, 석재슬러리, 석분슬러리, 스멕타이트, 돌로마이트,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아타팔자이트, 몬모릴로나이트, Fe 함유 황토, 석영 37~83중량부 포함 황토, 슬러지 함유 인공골재; b) 상기 흙 내지 인공골재 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흙 내지 인공골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흙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흙 내지 복합물; c) 상기 흙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물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흙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나노활성탄(상기 수 내지 액기고체, 나노물 내지 나노활성탄); d) 진동기에 발생되는 살균광에 의하여 살균되는 상기 a) 흙 내지 c) 나노활성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10은 a) 상기 수 내지 나노활성탄, 흙 내지 몬모릴로나이트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역청, 타르, 아스콘, 역청재, 원유찌끼, 석유찌꺼기, 아스팔트, 원유의 증류 후 남은 찌꺼기, 아스팔트2차제품, 아스콘2차제품, 실리콘, 실리카, 실리카졸, 실리카겔, 실리카흄, 실리카액, 나노실리카, 액상실리카, 활성실리카, 마이크로실리카, 하이브리드실리카, 실리카재; b) 상기 역청 내지 실리카재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역청 내지 실리카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물; 상기 역청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역청 내지 복합물; c) 상기 역청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물질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역청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몬모릴로나이트(상기 수 내지 나노활성탄, 흙 내지 몬모릴로나이트); d) 가진기에 발생되는 살균광에 의하여 살균 처리되는 상기 a) 역청 내지 c) 몬모릴로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11은 a) 상기 수 내지 몬모릴로나이트, 역청 내지 실리카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칡, 쑥, 잎, 싹, 새싹, 나무잎, 꽃, 연꽃, 벗꽃, 씨, 볏씨, 마, 황마, 벼, 겨, 쌀겨, 왕겨, 밀겨, 무, 배, 감, 밤, 쌀, 보리쌀, 팥, 보리, 잡곡, 콩, 땅콩, 밀, 잣, 짚, 밀짚, 볏짚, 사과, 대추, 오디, 포도, 건포도, 배추, 야채, 딸기, 과일, 열매, 곡식, 곡물, 깨, 들깨, 파, 양파, 채소, 야채, 배추, 상추, 고추, 호박, 오이, 오디, 당근, 복숭아, 버섯, 녹두, 숙주, 나물, 콩나물, 시금치, 전분, 녹말, 풀, 잔디, 목(木), 수목, 목재, 초목, 목분, 목편, 목탄, 목분, 고목, 초목, 식목, 톱밥, 합판, 판재, 송진, 종자, 식물, 나무, 스틱, 뿌리, 연뿌리, 감자, 고구마, 줄기, 가지, 낙엽, 씨앗, 발아물, 식물재, 피, 피막, 외피, 내피, 진피, 껍질, 우드 우드액, 건초, 견과, 견과류, 감자, 고구마, 복숭아, 도토리, 거름, 퇴비, 국화, 철죽, 개나리, 채송화, 선인장, 진달래, 대나무,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삼나무, 리그닌, 야자수, 가로수, 정원수, 코이어, 편백나무, 피톤치드, 피트모스,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합성목재, 인공목재, WPC(wood plastic composite); b) 상기 칡 내지 WPC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칡 내지 WPC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상기 칡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칡 내지 복합물; c) 상기 칡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칡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실리카재(상기 수 내지 몬모릴로나이트, 역청 내지 실리카재); d) 오존기에 발생되는 살균광에 의하여 소독되는 상기 a) 칡 내지 c) 실리카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WPC는 목재, 톱밥, 목 목분 등과 수지, PP, PE, PVC, 플라스틱 등이 혼합, 용융, 성형, 냉각, 절단 등이 되어 조성된 복합재, 인공목재, 수지목재, PP목재, PE목재, PVC목재, 플라스틱목재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12는 a) 상기 수 내지 실리카재, 칡 내지 WPC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철, 납, 금, 은, 봉, 빔, 틀, 구리, 아연, 금속, 비금속, 고철, 철분, 철사, 철근, 무근, 철골, 철강, 철관, 선철, 연철, 강철, 형강, 강관, H형강, I형강, 강재, 전극, 철재, 도체, 철체(鐵體), 철편, 철 코일, 로프, 양극, 음극, 전선, 스프링, 케이블, 중금속, 산화철, 영가금속, 용융철, 영가제, 금속재, 전도재, 금속근, 탄소근, 와이어, 금속체, 전도체, 유공체, 다공체, 아연체, 반도체, 그래핀, 보강재, 비전도재; b) 상기 철 내지 비전도재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철 내지 비전도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물; 상기 철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철 내지 복합물; c) 상기 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WPC(상기 수 내지 실리카재, 칡 내지 WPC); d) 음이온기에 발생되는 살균광에 의하여 살균 처리되는 상기 a) 철 내지 c) WPC;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13은 a) 상기 수 내지 WPC, 철 내지 비전도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숯, 참숯, 탄, 목탄, 연탄, 탄소, 연료, 카본, 펠렛, 그래핀, 탄소제, 탄소재, 활성탄, 탄화재, 탄화물, 소각물, 연소물, 불연소물, 소성물, 소각재, 소성재, 흡착재, 액상탄소, 액상활성탄, 500도 이상 소성된 소성재, 1000도 이상 소각된 소각재, 안트라사이트(anthracite); b) 상기 숯 내지 안트라사이트 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숯 내지 안트라사이트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 또는 복합물; 상기 숯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숯 내지 복합물; c) 물질 또는 물체에 탄소성분, 흡착성분 중 하나를 제공하는 상기 숯 내지 복합물; d) 물질 또는 물체의 강도, 강성, 흡착, 포집 중 하나 이상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상기 숯 내지 복합물; e) 상기 숯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숯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비전도재(상기 수 내지 WPC, 철 내지 비전도재); f) 회전기에 발생되는 살균광에 의하여 살균되는 상기 a) 숯 내지 e) 비전도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탄은 탄, 연탄, 애쉬, 목탄, 활성탄, 탄화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숯은 숯, 탄, 참숯, 목숯, 목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물질 14는 a) 상기 수 내지 비전도재, 숯 내지 안트라사이트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실, 명주실, 줄, 동아줄, 사, 잠사, 선, 막, 솜, 면, 섬유, 명주, 모시, 헝겊, 걸레, 종이, 필름, 파일, 펠트, 양털, 망사, 원사, 잠사, 원단, 메쉬, 격자, 가죽, 소가죽, 피혁, 한천, 직물, 거적, 포, 마포, 직포, 부직포, 여과포, 흡착포, 기름흡착포, 여과지, 여과포, 스펀지, 스티로폼, 화이버, 타래, 실타래, 섬유재, FRP, 강섬유, 나일론, 그래핀, 비닐론, 플라스틱, 히드록시, 유리섬유, 탄소섬유, FRP섬유, 섬유화이버, 유리화이버, 금속화이버, 셀룰로즈, 아파타이트, 지오텍스타일, 지오멤브레인, 필터, 나노필터, 울트라필터, 마이크로필터, 와이어메쉬, 폴리에스터, 아라미드섬유, 폴리에틸렌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PVA(polyvinyl alcohol)섬유, 길이가 자신 두께의 1.1∼100배인 섬유; b) 상기 실 내지 섬유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실 내지 섬유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실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실 내지 복합물; c) 상기 실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실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안트라사이트(상기 수 내지 비전도재, 숯 내지 안트라사이트); d) 회전기에 발생되는 살균광에 의하여 살균되는 상기 a) 실 내지 c) 안트라사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15는 a) 상기 수 내지 안트라사이트, 실 내지 PVA섬유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약(藥), 인, 황, 염, 핵, 핵물질, 죽염, 약품, 효소, 효모, 이스트, 약제, 약물, 약액, 양약, 한약, 약품, 시약, 약재, 탕약, 물약, 농약, 치약, 알약, 가루약, 무좀약, 염색약, 설사약, 소화제, 진통제, 소염제, 마취약, 다이어트약, 다이어트제, 안료, 유약, 염료, 염류, 도료, 도색제, 도장제, 페인트, 탄닌, 키틴, 탈크, 유황, 화약, 황산, 염산, 질산, 초산, 알콜, 요소(CH4N2O), 소다, 소다회, 소금, 곤소금, 굵은소금, 향, 유향, 몰약, 모기약, 모기향, 구충약, 구충제, 살충제, 살충약, 폭탄, 핵폭탄, 수소폭탄, 촉매, 광촉매, 정촉매, 부촉매, 촉매제, 촉매재, 코팅제, 도장제, 비료, 퇴비, 물감, 향, 유향, 향료, 안료, 무기안료, 유기안료, 의료품, 의약품, 양약재, 한약재, 현탁액, 엔자임, 물유리, 폴리락틱산, 이산화티탄, 요오드화은, 이산화탄소,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자외선차단제, CMC(carboxymethyl cellulose); b) 상기 약 내지 CMC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약 내지 CMC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물; 상기 약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약 내지 복합물; c) 상기 약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약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PVA섬유(상기 수 내지 안트라사이트, 실 내지 PVA섬유); d) 자화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약 내지 c) PVA섬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16은 a) 상기 수 내지 PVA섬유, 약 내지 CMC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청정제, 정화제, 정수제, 폭기제, 반응제, 응집제, 침전제, 흡착제, 포집제, 청소제, 청결제, 세정제, 세척제, 세탁제, 세차제, 살균제, 소독제, 살균액, 소독액, 항균제, 제균제, 멸균제, 제독제, 해충제, 살충제, 구충제, 제습제, 기포제, 발포제, 폭기제, 팽창제, 지수제, 방수액, 방수제(防水劑), 방수제(防銹劑), 방청제, 방지제, 녹방지제, 오염방지제, 발수제, 가소제, 혼화제, 첨가제, 추가제, 고화제, 고결제, 경화제, 결합제, 부착제, 점착제, 접착제, 차열제, 내진제, 규산제, 방향제, 화학제, 화학물, 화학재, 포졸란제, 첨가제, 혼화제, 급결제, 완결제, 소결제, 감수제, 불연제, 난연제, 방화제, 유화제, 유동화제, 점결제, 개질제, AE제(air entraining agent), 속경제, 분산제, 커플링제, 가교제, 분산제(分散劑), 가소제, 촉진제, 지연제, 응고지연제, 팽창제, 발포제(發泡劑), 기포제, 소포제(消泡劑), 착색제(着色劑), 방청제, 응결촉진제, 응결지연제, 흡수제, 흡착제, 포집제, 탈수제, 분리제, 선별제, 파쇄제, 분쇄제, 풍쇄제, 수쇄제, 여과제, 복원제, 힐링제, 처리제, 활성제, 계면활성제, 함수제, 함유제, 함기제, 함고제, 공기연행제, 산성제, 염기제, 중성제, 중화제, 알카리제, pH제, pH조정제, pH7이하제, pH7이상제; b) 상기 청정제 내지 pH7이상제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청정제 내지 pH7이상제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물; 상기 청정제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청정제 내지 복합물; c) 상기 청정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청정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CMC(상기 수 내지 PVA섬유, 약 내지 CMC); d) 진동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청정제 내지 c) CMC;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pH제, pH조정제, pH7이하제, pH7이상제 등은 pH, pH조정, pH7이하, pH7이상 중 하나의 제, 재, 액, 재료,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17은 a) 상기 수 내지 CMC, 청정제 내지 pH7이상제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오염정화 성능을 가진 정화제, α×10^(-9)m 크기 입자 또는 나노금속 함유 나노제, 종자 함유의 식생제, 황토 함유의 황토제, 탄소 함유의 카본제, 내진 기능을 가진 내진제, 화이버 함유 화이버제, 식물 또는 피톤치드 함유의 피톤제, 식물 또는 미생물 함유의 바이오제, 수지 함유의 바인더, 숯 함유의 흡착재, 나노철 함유의 나노재, 톱밥 함유의 목분재, 철분 함유 황토의 황토재, 나노탄소 함유의 카본재, 지오폴리머 함유의 내진재, 나노화이버 함유의 화이버재, 식물 또는 피톤치드 함유의 피톤재, 식물 또는 미생물 함유의 바이오재, 라텍스 함유의 결합재; b) 상기 정화제 내지 결합재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정화제 내지 결합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물; 상기 정화제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c) 상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정화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pH7이상제(상기 수 내지 CMC, 청정제 내지 pH7이상제); d) 진동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정화제 내지 c) pH7이상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18은 a) 상기 수 내지 pH7이상제, 정화제 내지 결합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Al2O3의 알루미나가 포함된 실리카제, TiO2 포함의 촉매제, H2O에 의하여 졸화 또는 겔화가 활성화되는 졸겔제, SiO2가 포함되는 흡착성 광물의 포집제, Fe 산화반응이 형성되는 부산물제, 미생물이 분해하여 개체수가 증가되는 개체증식제, 수화반응이 형성되는 수화제, 포졸란반응이 형성되는 포졸란제, Al2O3의 알루미나 반응이 형성되는 알루니마, TiO2의 광촉매반응이 형성되는 광촉매제, CaO + H2O = Ca(OH)2의 수화반응이 포함되는 수화반응제, 2Na2SiO3 + H2O → Na2Si2O5 + 2NaOH의 수화고결반응이 포함되는 수화고결제, Ca(OH)2 + Al2O3 + H2O → CaO·Al2O3·2H2O 반응이 형성되는 경화제, Ca(OH)2 + CO2 → CaCO3 + H2O의 탄산화반응이 포함되는 탄산화제, Mg(OH)2 + CO2 → MgCO3 + H2O의 탄산화반응이 포함되는 탄산화제; b) 상기 실리카제 내지 탄산화제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실리카제 내지 탄산화제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물; 상기 실리카제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실리카제 내지 복합물; c) 상기 실리카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실리카제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결합재(상기 수 내지 pH7이상제, 정화제 내지 결합재); d) 가진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실리카제 내지 c) 결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19는 a) 상기 수 내지 결합재, 실리카제 내지 탄산화제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수지, 고무, 레진, 전분, 본드, 바인더, 우레탄, 우레아, 에폭시, 아크릴, 우라실, 엔자임, 페인트, 도장재, 라텍스, 수지재, 고분자재, 플라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폴리머, 천연폴리머, 인공폴리머, 지오폴리머(geopolymer), 폴리머클레이, 모노머, 올리고머, 중합체, 공중합체, 천연수지, 인공수지, 합성수지, 고무재, 실리콘, 프라이머, 플라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스티로폼, 포졸라나, 고분자수지, 이온교환수지, 셀룰로오스, 폴리락틱산, 헤미셀룰로오스, 지오폴리머(geopolymer),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발포폴리스티렌(EPS), 발포폴리에틸렌(EPE), SAP(super absorbent polymer), 아크릴우레탄, 수경성아크릴, 수경성우레탄, 수경성유레아, 수경성우라실, 수경성라텍스, 수경성아크릴우레탄, 아크릴에멀젼,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천연수지, CMC(carboxymethyl cellulose), SBR(styrene butadiene rubber),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HDPE(high density PE), LDPE(low density PE), 상기 PP와 PE의 혼합물; b) 상기 수지 내지 혼합물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수지 내지 혼합물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물; 상기 수지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수지 내지 복합물; c) 상기 수지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수지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탄산화제(상기 수 내지 결합재, 실리카제 내지 탄산화제); d) 가진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수지 내지 c) 탄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20은 a) 상기 수 내지 탄산화제, 수지 내지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인산, 칼슘, 칼륨, 유황, 탄소, 지방, 녹말, 비료, 영양분, 미네랄, 포도당, 비타민, 영양제, 무기물, 유기물, 영양소, 콜라겐, 아미노산, 게르마늄, 글루코사민, 마그네슘, 포도씨유, 클로렐라, 영양소재, 비타민식품, 비타민수, 비타민술, 비타민음료수, 다이어트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 b) 상기 인산 내지 건강보조식품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인산 내지 건강보조식품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인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인산 내지 복합물; c) 상기 인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인산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혼합물(상기 수 내지 탄산화제, 수지 내지 혼합물); d) 오존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인산 내지 c)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20의 예로는 비타민, 클로렐라, 생수와 혼합되는 콜라겐, C와 결합되는 포도당, 우라실과 연결되는 무기물, 산소가 함유된 유황, CaMgfe가 함유된 아미노산, 살균제에 포함되는 영양제, 약품에 함침되는 영양소, 나노제에 방사되는 글루코사민, 기름을 구성하는 포도씨유, 슬러리를 구성하는 게르마늄, 유류에 코팅되는 미네랄, CaSi가 도장되는 유기물, 자화되는 영양제, 음이온처리되는 비료, 오존기에 투입되는 콜라겐, 자화물이 포함되는 영양소, 수지가 포함되는 유기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21은 a) 상기 수 내지 혼합물, 인산 내지 건강보조식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삼, 인삼, 산삼, 홍삼, 수삼, 액삼, 액, 액기스, 진액, 삼액, 홍삼액, 당귀, 감초, 고삼, 갈근, 길경, 더덕, 강황, 우황, 대황, 개자, 계피, 황기, 대추, 녹용, 계지, 한약, 오가피, 도라지, 둥굴레, 결명자, 구기자, 오미자, 산수유, 한약재, 커피, 봉지커피, 통커피, 원두커피, 스틱삼, 스틱홍삼, 팩홍삼, 봉지홍삼, 인삼식품; b) 상기 삼 내지 인삼식품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삼 내지 인삼식품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삼 내지 복합물; c) 상기 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건강보조식품(상기 수 내지 혼합물, 인산 내지 건강보조식품); d) 오존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삼 내지 c) 건강보조식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22는 a) 상기 수 내지 건강보조식품, 삼 내지 인삼식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미생물, 유산균, 방사선균, 광합성균, 효모균, 누룩균, 유용미생물, 호기미생물, 혐기미생물, 호염미생물, 호혐기미생물, 바이러스, 박테리아, 콜라겐, 케라틴, 신데칸, 인테그린, 엘라스틴, 바실러스, 세레우스, 서브틸리스, 파스테우리, 원생동물, 단세포동물, 다세포동물, bacillus subtilis, 바이오류, 바이오제, 미생물실, 미생물씰, 미생물액, 개체수 증가 미생물, 미생물필름, 미생물가스, 바이오셀, 바이오실, 바이오씰, 바이오액, 바이오매스, 바이오필름, 바이오가스, 미생물재, 바이오재; b) 상기 미생물 내지 바이오재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미생물 내지 바이오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물;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c)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미생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인삼식품(상기 수 내지 건강보조식품, 삼 내지 인삼식품); d) 음이온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미생물 내지 c) 인삼식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바이오는 바이오, bio, 미생물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바이오제, 바이오액, 바이오겔, 바이오실, 바이오씰, 바이오본드, 바이오필름, 바이오류는 각각 미셍물제, 미셍물액, 미셍물겔, 미셍물실, 미셍물씰, 미셍물본드, 미셍물필름, 미셍물류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오제는 미생물 물질, 바이오액은 미생물 함유 물질, 바이오겔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gel, 바이오실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가느다란 실, 바이오씰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seal 또는 방수액, 바이오본드는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점착성의 본드, 바이오필름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필름, 바이오류는 미생물 종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23은 상기 수 내지 인삼식품, 미생물 내지 바이오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자화진동물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또는 회전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24는 a) 상기 수 내지 바이오재, 자화물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애쉬, 저회, 비회, 폐지, 폐분, 폐분, 석분, 미분, 폐수, 분진, 인분, 돈분, 우분, 마분, 축분, 배설물, 철분, 철분진, 고철, 고물, 굴패각, 슬래그, 제강슬래그, 제철슬래그, 고로슬래그, 슬러지, 하수슬러지, 슬라임, 굴착공사슬라임, 쓰레기, 부산물, 음식물, 음폐물, 음폐수, 폐기물, 폐유리, 비닐, 폐비닐, 폐고무, 폐석회, 폐석고, 폐섬유, 껍질, 각갑류, 패각, 굴패각, 조개패각, 폐콘크리트, 폐타이어, 주물사, 폐주물사, 폐기물재, 부산물재, 재활용재, 재활용제, 재활용품, 조개껍질,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킬른더스트, 폐플라스틱, SiO2 40∼60중량부 포함 애쉬, FeO 또는 Fe2O3 0.5∼85중량부 포함 부산물; b) 상기 애쉬 내지 부산물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애쉬 내지 부산물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혼합되는 복합물;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c)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애쉬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d) 자화진동기에 발생되는 오존이 방사되는 상기 a) 애쉬 내지 c)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인분, 돈분, 우분, 계분, 축분 등은 사람, 돼지, 소, 닭, 가축 등의 분, 똥, 배설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슬라임은 점액, 슬라임, slime, 찌꺼기, 끈적끈적한 물질, 슬러리 형태의 찌꺼기, 공사 중 배출되는 슬러리 또는 찌꺼기, 굴착과정에서 지상으로 배출되는 찌꺼기 또는 배출물, 고압으로 주입되는 지중 그라우팅재의 일부가 흙과 함께 지상으로 배출되는 배출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25는 a) 상기 수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애쉬 내지 폐플라스틱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분(粉), 미분, 분말, 분첩, 화장분, 얼굴분, 바르는분, 로션, 루즈, 크림, 향수, 향료, 연지, 곤지, 필러, 앰플, 샘플, 화장수, 화장품, 립스틱, 매니큐어, 마스카라, 미용액, 볼터치, 선크림, 비비크림, 아이크림, 뷰티밀크, 영양크림, 바디크림, 클렌저, 스킨로션, 스킨밀크, 스킨클렌저, 화장비누, 팩, 얼굴팩, 황토팩, 피톤팩, 편백팩, 마사지팩, 화장품재, 밀크로션, 스킨로션, 아이크림, 영양수액, 영양크림, 에쎈스, 클렌징크림, 안티에이징크림, 폼클렌징, 황토크림, 피톤크림, 편백크림, 새도우, 아이새도우, 화운데이션, 화운데이션크림, 에센셜오일, 페이스밀크, 페이셜크림, 페이스로션, 페이스파우더; b) 상기 분 내지 페이스파우더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분 내지 페이스파우더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분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분 내지 복합물; c) 상기 분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분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폐플라스틱(상기 수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애쉬 내지 폐플라스틱); d) 자화가진기에 발생되는 오존이 방사되는 상기 a) 분 내지 c) 폐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26은 a) 상기 수 내지 폐플라스틱, 분 내지 페이스파우더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화장파우더, 화장용크림, 화장용로션, 화장제거제, 화장용패드, 페이스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용 메이크업 화장품, 모이스처라이저 화장품, 화장용 콤팩트, 스킨케어용 화장품, 아이메이크업 리무버, 화장용 겔, 화장용 로션, 화장용 크림, 화장용 수렴제, 화장용 스킨프레시너, 화장용 오일, 화장용 콜드크림, 화장용 크렌징 크림, 화장용 크렌징유액, 화장제거용 로션, 영양화장품, 기초화장품, 천연화장품, 인삼화장품, 비타민화장품, 황토화장품, 피톤치드화장품, 주름제거화장품, 안티에이징화장품, 노화방지화장품, 모이스쳐화장품, 에센스화장품; b) 상기 화장파우더 내지 에센스화장품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화장파우더 내지 에센스화장품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화장파우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화장파우더 내지 복합물; c) 상기 화장파우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화장파우더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페이스파우더(상기 수 내지 폐플라스틱, 분 내지 페이스파우더); d) 자화오존기에 발생되는 오존에 의하여 오존살균되는 상기 a) 화장파우더 내지 c) 페이스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27은 a) 상기 수 내지 페이스파우더, 화장파우더 내지 에센스화장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팩, 화장팩, 황토팩, 얼굴팩, 피톤팩, 편백팩, 헬멧, 헤어케어헬멧, 탈모방지헬멧, 넥케어LED기, 헤어케어LED기, 방독면, 제독면, 마스크, 팩마스크, 마스크팩, 페이셜팩, 화장용 마스크팩, 페이셜 마스크팩, 입마스크, 목마스크, 전기마스크, 전자마스크, 광원마스크, 불빛마스크, LED마스크, 목LED마스크, 헤어LED마스크, 미용마스크, 얼굴마스크, 헤어마스크, 헤드마스크, 황사마스크, 황토마스크, 피톤마스크, 편백마스크, 분진마스크, 가면마스크, 화장용마스크, 넥케어마스크, 헤어케어마스크; b) 상기 팩 내지 헤어케어마스크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팩 내지 헤어케어마스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팩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팩 내지 복합물; c) 상기 팩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팩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에센스화장품(상기 수 내지 페이스파우더, 화장파우더 내지 에센스화장품); d) 자화음이온기에 발생되는 오존에 의하여 오존소독되는 상기 a) 팩 내지 c) 에센스화장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28은 a) 상기 수 내지 에센스화장품, 팩 내지 헤어케어마스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치약, 가글, 가글액, 비누, 샴푸, 생필품, 바디용품, 마사지용품, 미용품, 화장품, 피부미용품, 바디미용품, 샴푸, 기능샴푸, 인삼샴푸, 황토샴푸, 피톤샴푸, 편백샴푸, 염색샴푸, 변색샴푸, 비타민샴푸, 탈모방지샴푸, 비듬방지샴푸, 파마약, 염색약, 치약, 기능치약, 인삼치약, 황토치약, 피톤치약, 편백치약, 송염치약, 죽염치약, 비타민치약, 충치방지치약, 칫솔, 전동칫솔, 가글제, 가글액, 입가글액, 치아가글액, 구강가글액, 구강세정제, 비누, 기능비누, 인삼비누, 황토비누, 피톤비누, 편백비누, 비타민비누, 시거, 담배, 궐연, 스틱담배, 고체담배, 용액담배, 필터담배, 전자담배, 파스, 물파스, 부착파스, 물비누, 목욕비누, 구두약, 티슈, 물티슈, 화장지, 세면용품, 모발염색, 탈색제, 탈모방지제, 헤어케어제, 인조 속눈썹/모발 및 손톱 접착제, 세면용품, 바디용품, 세제, 표백제, 세정제, 광택제, 연마재, 물세제, 가루세제, 황토세제, 피톤세제, 편백세제, 세탁용세제, 청소용세제; b) 상기 치약 내지 청소용세제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치약 내지 청소용세제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치약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치약 내지 복합물; c) 상기 치약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치약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헤어케어마스크(상기 수 내지 에센스화장품, 팩 내지 헤어케어마스크); d) 자화회전기에 발생되는 오존에 의하여 오존처리되는 상기 a) 치약 내지 c) 헤어케어마스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샴푸에는 씨, 잎, 줄기, 뿌리, 식물, 오일, 유분, 박하, 커피, 생강, 계피, 오레가노, 식물성오일, 동물성오일, 광물성오일, 산화방지, 토코페롤, 구연산, 소듐시트레이트, 페놀, 폴리페놀, 비타민C, 비타민E, 비타민 A, 프로비타민 D3, 발효균주, 홍화씨, 홍화 추출액, 봉선화 추출물, 에센셜오일, 대황, 제네스틴, 헤스페리틴, 헤스페리딘, 카테킨, 이소플라본,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아스코르브산, 에리소르브산, 갈산프로필, 과이액지(脂), 시스테인염산염, 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나트륨, 이산화황, 에르솔빈산, 에르솔빈산나트륨, 베타카로틴, 시트르산나트륨,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카테킨, 퀘르세틴, 플라본,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이온성 계면활성제, 암모늄 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 라우릴설페이트, 쇼듐 라우레스, 라우로 암포아세테이트, 라우로 암포 디아세테이트, 코코암포아세테이트,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인삼, 당귀, 창포, 영지, 고삼, 노간주, 감초, 천궁, 진피, 오가피, 백지, 천연초, 녹두, 녹차잎, 한약재추출물, 스테아릭산, 세탄올, 유동파라핀,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실리콘오일, 실크 아미노산분말, 모린다 시트리폴리아 열매액, 다나졸(danazol), 할로페리돌(haloperidol), 퓨로세미드(furosemid), 이소소르비드 디니트레이트(isosorbide dinitrate), 클로람페니콜(chloramfenicol), 설파메토사졸(sulfamethoxazole), 카페인(caffeine), 시메티딘(cimethidine), 소듐 디클로페낙(diclofenac Na), 조효소 Q10(coenzyme Q10), 천연정유, 세라마이드, 스핑고신, 코코베타인, 계면활성제, 네츄럴 베타인, 실크 아미노산, 글리세린, 폴리쿼터, 디판테, 자몽씨추출물, 일랑일랑 에센셜오일, 티트리 에센셜오일, 녹차추출물, 정제수, 우르솔산(ursolic acid), 올레아놀린산(oleanolic acid), 로스마린산(rosmarinic acid), 18-베타 감초산(18 beta-glycyrrhetinic acid), 글라브리딘(glabridin), 알레우리틱산(aleuritic acid), 페놀, 폴리페놀(polyphenol), 에스큘린(esculin), 상황버섯 추출물, 꾸지뽕 발효액, 진피 발효액, 누에 숙성분말에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한 누에 숙성분말 가공유지, 양파 추출물, 황토석 추출물, 티트리오일(Teatree oil), 시스타민 디말리에이트(Cystamine dimaleate), 시트릭산(Citric Acid),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Hydroxyethyl Cellulose), 판테닐트라이아세테이트(Panthenyl Triacetate),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비오틴(Biotin),
비비딘(Vividin), 알란토인(Allantion),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디소디움 라우레트 술포석시네이트(LES), 코코베타인, 미네랄워터(mineral water),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튜메릭산(turmeric acid),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 테트라 하이드로큐르큐미노이드(tetra hydrocurcuminoids),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베타-카로틴(betacarotene),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낫토균(bacillus subtilis natto)에 발효시킨 발효물, 계면활성제, 분말형 계면활성제, 식물성 계면활성제, 디소듐라우레스설포썩시네이트, 코카마이도프로필베타인, 데실글루코사이드, 디소듐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레시틴, 애플워시, 파네솔(farnesol),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리놀레산(linoleic acid), 감마 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비네아트롤(vineatrol), 깅코 빌로바(ginkgo biloba), 트리클로산(triclosan), 미녹시딜(minoxidil),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로일사코시네이트,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글라이콜 디스테아레이트,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쿼터늄, 에틸렌디아민테르라초산,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염색샴푸는 색소, 염색제, 변색제, 갈변제, 갈흑제, 산화제, 환원제, 페놀, 폴리페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샴푸이다. 상기 변색샴푸는 페놀, 폴리페놀(polyphenol), 탄닌(tannin), 카테킨(catechin), 쿼세틴(quercetin), 이소플라본(isoflavone),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폴리하이드록시페놀(polyhydroxyphenol), catechol, resorcin, hydroquinone, 초콜릿, 다크 초콜릿, 파이로갈롤, 파이로카테콜, 커피산, 클로로겐산, 카테콜, 몰식자산, 플라본, 안토시안, 탄닌, 파이로카테콜(pyrocatechol), 레소시놀(resorcinol), 파이로갈롤(pyrogallol),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인공 폴리페놀, 과일의 플라보노이드, 녹차의 카테킨, 포도주의 레스베라트롤, 사과의 쿼세틴, 양파의 쿼세틴, 과일의 플라보노이드, 콩의 이소플라본, 광합성에 의해 생성된 식물의 색소, 다수의 페놀(phenol) 작용기를 가지는 고분자, 벤젠 고리에 하이드록실(hydroxyl, -OH)기를 가지는 화학 작용기, 1분자 내에 다수의 OH기가 있는 페놀, phenylalanine으로부터 생성된 페놀(phenol) 화합물의 다중 폴리머(polymer) 결합체, 머리를 변색시키는 변색제, 공기 또는 산소와 만나면 변색시키는 변색제, 머리를 갈색으로 변색시키는 갈변제, 과일의 갈변원리가 적용되는 변색제, 머리를 변색시키는 폴리페놀, 공기를 만나면 변색되는 변색성분, 산소를 만나면 변색되는 변색성분, 사과를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과일을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바나나를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깍은 사과를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깍은 과일을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벗긴 바나나를 변색시키는 변색성분, 몸에 있는 활성산소(유해산소)를 해가 없는 물질로 바꿔주는 항(抗)산화물질, 활성산소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DNA의 보호나 세포구성 단백질 및 효소를 보호하는 항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샴푸이다. 상기 인공 폴리페놀은 식물성 폴리페놀, 식물성 폴리페놀을 아세톤에 용해, 상기 용해된 물질에 초산을 혼합한 혼합물, 상기 혼합물 교반, 상기 교반하는 교반기, 상기 교반되어 제조된 폴리페놀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제조된 폴리페놀이다. 상기 샴푸에는 공기를 만나면 변색되는, 산소를 만나면 변색되는, 사과를 변색시키는, 과일을 변색시키는, 바나나를 변색시키는, 깍은 사과를 변색시키는, 깍은 과일을 변색시키는, 벗긴 바나나를 변색시키는 등의 기작, 작용, 원리, 이론, 물질, 재료, 원료, 메카니즘 등이 적용되는 샴푸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질 29는 a) 상기 수 내지 헤어케어마스크, 치약 내지 청소용세제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어류, 동태, 명태, 생태, 가시, 가오리, 도루묵, 게, 게맛살, 생선, 고래, 갈치, 꽁치, 멸치, 삼치, 참치, 홍어, 대구, 송사리, 돔, 빙어, 연어, 문어, 낙지, 꼴뚜기, 노가리, 조개, 새우, 맛살, 꼬막, 전복, 복어, 꼴뚜기, 가리비, 고등어, 쭈꾸미, 오징어, 장어, 꼼장어, 이면수, 고기, 물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포, 육포, 쥐포, 식용포, 회, 육회, 물회, 생선회, 참치회, 해물, 수육, 육류, 닭, 닭걀, 계란, 오리, 순대, 막창, 갈비, 떡갈비, 닭갈비, LA갈비, 삼겹살, 오겹살, 불고기, 오삼불고기, 오징어삼겹살불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육류재; b) 상기 어류 내지 육류재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어류 내지 육류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어류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어류 내지 복합물; c) 상기 어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어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청소용세제(상기 수 내지 헤어케어마스크, 치약 내지 청소용세제); d) 자화회전기에 발생되는 오존에 의하여 오존처리되는 상기 a) 어류 내지 c) 청소용세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30은 a) 상기 수 내지 청소용세제, 어류 내지 육류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밥, 죽, 쌀밥, 찰밥, 햇반, 햇반밥, 포장밥, 김밥, 보리밥, 비빔밥, 국, 술국, 미역국, 명태국, 팥죽, 닭죽, 어죽, 야채죽, 전복죽, 찜, 갈비찜, 황토찜, 피톤찜, 편백찜, 탕, 곰탕, 어탕, 해물탕, 설렁탕, 갈비탕, 복어탕, 수제비, 누룽지, 누름밥, 꿀, 벌꿀, 설탕, 푸딩, 수프, 라면수프, 조미료, 레시피, 음식, 음식물, 한국음식, 중국음식, 서양음식, 음료, 한식, 양식, 중식, 짬뽕, 면, 울면, 냉면, 쫄면, 짜장면, 짬짜면, 짬뽕짜장면, 탕수육, 유산슬, 난자완스, 국수, 칼국수, 쌀국수, 막국수, 가락국수, 잔치국수, 비빔국수, 수육, 순대, 족발, 전, 파전, 녹두전, 해물전, 김치전, 만두, 군만두, 찐만두, 양념, 구이, 고기구이, 생선구이, 진흙구이, 오리구이, 찌게, 부대찌게, 김치찌게, 파스타, 튀김, 튀김류, 김, 부각, 김부각, 염, 죽염, 소금, 반찬, 김치, 무김치, 백김치, 배추김치, 포기김치, 김장김치, 동치미, 장아찌, 게장, 간장게장, 양념게장, 된장, 간장, 메주, 고추장, 양념장, 묵, 어묵, 오뎅, 도토리묵, 두부, 순두부, 미원, 조미료, 식품, 식료품, 수산물, 먹이, 개먹이, 동물먹이, 사료, 펫사료, 개사료, 닭사료, 동물사료, 식재료, 식자재, 식품재, 음용재, 식용재, 식료품; b) 상기 밥 내지 식료품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밥 내지 식료품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밥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밥 내지 복합물; c) 상기 밥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밥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육류재(상기 수 내지 청소용세제, 어류 내지 육류재); d) 진동가진기에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하여 음이온처리되는 상기 a) 밥 내지 c) 육류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31은 a) 상기 수 내지 육류재, 밥 내지 식료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떡, 찰떡, 팥떡, 콩떡, 송편, 절편, 약과, 쌀떡, 찹쌀떡, 모찌떡, 인절미, 가래떡, 케익떡, 떡케익, 떡볶이, 한과, 약과, 산자, 강정, 전병, 꿀, 벌꿀, 아카시아꿀, 엿, 물엿, 호박엿, 가락엿, 감주, 식혜, 우유, 분유, 두유, 유아식, 빵, 팥빵, 찐빵, 식빵, 붕어빵, 베이글, 케이크, 과자, 과자 다과, 캔디, 사탕, 스콘, 꽈배기, 초코렛, 즙, 녹즙, 껌, 츄잉껌, 면, 라면, 컵라면, 봉지라면, 피자, 도우, 햄, 소세지, 피자도우, 햄피자, 치즈피자, 호박피자, 배달피자, 조각피자, 치킨피자, 치킨과 피자, 콤비네이션피자, 통닭, 치킨, 튀김닭, 양념닭, 닭강정, 양념치킨, 배달치킨, 피자치킨, 피자와 치킨, 후라이드치킨, 요플레, 요구르트, 발효식품, 냉동식품, 크림, 얼음, 아이스, 아이스크림; b) 상기 떡 내지 아이스크림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떡 내지 아이스크림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떡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떡 내지 복합물; c) 상기 떡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떡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식료품(상기 수 내지 육류재, 밥 내지 식료품); d) 진동오존기에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하여 음이온 청정되는 상기 a) 떡 내지 c) 식료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32는 a) 상기 수 내지 식료품, 떡 내지 아이스크림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술, 주(酒), 주류, 소주, 맥주, 양주, 탁주, 곡주, 막걸리, 칡주, 감주, 와인, 샴페인, 인삼주, 과일주, 전통주, 안동주, 문배주, 황토주, 피톤주, 편백주, 병술, 팩소주, 병맥주, 식혜, 콜라, 사이다. 스프라이트, 이온수, 음료수, 쥬스, 감쥬스, 캔쥬스, 과일쥬스, 포도쥬스, 오렌지쥬스, 청량물, 청량음료, 캔음료수, 병음료수; b) 상기 술 내지 병음료수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술 내지 병음료수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술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술 내지 복합물; c) 상기 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술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아이스크림(상기 수 내지 식료품, 떡 내지 아이스크림); d) 진동음이온기에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하여 음이온 소독되는 상기 a) 떡 내지 c) 아이스크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33은 a) 상기 수 내지 아이스크림, 술 내지 병음료수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몰탈, 레미콘, 레미탈, 믹스탈, 아스콘, 황토콘, 소일콘, 페이스트, 플라스터, 경량소일, 경량몰탈,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중량콘크리트, 소일콘크리트, 시멘트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유황콘크리트, LMC(latex modified concrete), 보링제, 굴착제, 혼합재, 타설재, 형틀타설재, 주입재, 지중주입재, 믹싱재, 분사재, 사면분사재, 지중분사재, 포설재, 지면포설재, 시면포설재, 포장재, 도로포장재, 인도포장재, 다짐재, 지중다짐재, 포장다짐재, 보강재, 지반보강재, 구조보강재, 보수재, 보호재, 발수제, 코팅재, 도장재, 도색재, 퍼터, 페인트, 혼화제, 시멘트혼화제, 레미콘혼화제, 콘크리트혼화제, 그라우팅재, 숏크리트재, 녹생토재, 스프레이재, 시드스프레이재, 지반개량제, 화이버 함유 레미콘, 섬유 포함 콘크리트; b) 상기 몰탈 내지 콘크리트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몰탈 내지 콘크리트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몰탈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몰탈 내지 복합물; c) 상기 몰탈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몰탈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병음료수(상기 수 내지 아이스크림, 술 내지 병음료수); d) 진동회전기에 발생되는 음이온에 의하여 음이온 처리되는 상기 a) 몰탈 내지 c) 병음료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34는 a) 상기 수 내지 병음료수, 몰탈 내지 지반개량제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니수, 굴착용이수, 천공용이수, 슬러리, 슬러리액, 슬러리재, 폴리머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굴착용슬러리재, 슬러리굴착재, 굴착시 투입용 굴착재, 슬러리보링재, 보링시 투입용 보링재, 현장타설구조물재, 슬러리월 굴착액 또는 채움재, 현장타설파일 굴착액 또는 채움재, 이수가압재, 이수가압슬러리재, TBM(tunnel boring machine) 굴착용 이수 또는 슬러리재, Shield 굴착용 이수 또는 슬러리재, 현장타설파일재, DCM(deep cement mixing)재, SCW(soil cement wall)재, CP(compaction pile)재, CIP(cast in-place pilw)재, DW(diaphragm wall)재, 슬러리월(slurry wall)재, 지중연속벽재, 녹생토재, 시드스프레이재, 인테리어용시멘트재, 리모델링용콘크리트재; b) 상기 니수 내지 리모델링용콘크리트재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니수 내지 리모델링용콘크리트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니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니수 내지 복합물; c) 상기 니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니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지반개량제(상기 수 내지 병음료수, 몰탈 내지 지반개량제); d) 가진오존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니수 내지 c) 지반개량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35는 a) 상기 수 내지 지반개량제, 니수 내지 리모델링용콘크리트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것으로 숯에 의함 오염 포집, 나노철에 의한 산화반응 또는 상기 반응 촉진, 톱밥의 목분 함유, 철분에 의한 산화반응,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나노탄소에 의한 보강, 지오폴리머에 의한 강도증가, 내진재에 의한 내진보강, 나노화이버에 의한 미세균열 보강, 화이버재에 의한 보강, 식물에 의한 녹화, 피톤치드에 의한 오염살균, 미생물에 의한 개체증식, 라텍스에 의한 강도보강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제(劑), 재(材), 재료, 물질; b) 또는 가진음이온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제 내지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36은 a) 상기 수 내지 리모델링용콘크리트재, 제 내지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무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거친 물(物), 제(劑), 재(材), 품(品), 제품, 용품, 상품, 물품, 부품, 소품, 물건, 물체, 오염, 물질, 만물, 소재, 원료, 재료, 부재, 원재료, 주재료, 부재료, 원자재, 부자재, 자연재, 천연재, 인공재, 합성재, 경량재, 중량재, 무기재, 유기재, 탄성재, 비탄성재, 강성재, 연성재, 공산물, 공산품, 오염물, 구성물, 조성물, 파우더, 그래뉼러, 분말형의 파우더, 입상형의 그래뉼러, 배합수, 배합용수, 배합액, 배합유, 배합수지, 배합재, 배합재료, 배합용재료, 배합물, 배합물질, 배합된물질, 시멘트배합재, 시멘트배합수, 레미콘배합재, 레미콘배합수, 콘크리트배합재, 콘크리트배합수, 10-18m 크기의 아토재, 10-15m 크기의 펨토재, 10-12m 크기의 피코재, 10-9m 크기의 나노재, 10-6m 크기의 마이크로재, 10-3m 크기의 밀리재, CaO 58∼74중량부 포함 결합재; b) 상기 물 내지 결합재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물 내지 결합재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물; 상기 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물 내지 복합물; c) 상기 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물질, 또는 상기 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물질(상기 수 내지 리모델링용콘크리트재, 제 내지 물질); d) 가진회전기에 발생되는 미스트가 투입되는 상기 a) 물 내지 c)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36의 예로는 파우더, 아토재, 생수와 혼합되는 펨토재, C와 결합되는 피코재, 우라실과 연결되는 그래뉼러, 산소가 함유된 물질, CaMgfe가 함유된 배합유, 살균제에 포함되는 연성재, 치약에 함침되는 유기재, 화장품에 방사되는 마이크로재, 부산물을 구성하는 파우더, 슬러리를 구성하는 무기재, 유류에 코팅되는 부재료, CaSi가 도장되는 경량재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37은 상기 수 내지 물질, 물 내지 결합재 중 둘 이상이거나 또는 둘 이상이 결합된 복합물, 복합재, 복합품, 복합재료,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38은 상기 수 내지 결합재, 복합물 내지 복합물질 중 하나가 투입된 상기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39는 수액, 수와 액, 수액겔, 수와 액과 겔, 수액겔분말, 수와 액과 겔과 분말, 수액겔분말황토의 복합물질, 수와 액과 겔과 분말과 황토의 복합물질, C와 H와 O와 CaMgFeMeCOO제, 수와 액과 C와 H와 O와 CaMgFeMeCOO제의 복합물질, 수액겔분말황토목탄, 수와 액과 겔과 분말과 황토와 목탄의 복합물질, 수액겔분말황토목탄몰탈, 수와 액과 겔과 분말과 황토와 목탄과 몰탈의 복합물질, 수액겔분말황토목탄몰탈콘크리트, 수와 액과 겔과 분말과 황토와 목탄과 몰탈과 콘크리트의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40은 수의 액인 수액, 알의 약인 알약, 수지의 물품인 수지물품, 분말의 가루인 분말가루, 금속의 자재인 금속자재, 황토의 화장품인 황토화장품, 시멘트의 벽돌인 시멘트벽돌, 수의 미스트인 수미스트, 황토의 분쇄물인 황토분쇄물, 시멘트의 경화물인 시멘트경화물, 콘크리트의 경화물인 콘크리트경화물의 복합물질, 수와 액의 복합물질, 제와 재의 복합물질, 석고와 석회의 복합물질, 약액과 몰탈의 복합물질,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복합물질, 로션과 크림의 복합물질, 밥과 빵의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41은 수(水)가 포함된 로션, 액(液)이 포함된 몰탈, 시멘트가 포함된 콘크리트, 엔자임과 미생물이 포함된 화장품, 모래와 자갈이 포함된 건자재, 겔이 포함된 밀크, 수 및 액이 포함된 레미콘, 모래와 시멘트가 포함된 콘크리트, 황토와 엔자임과 미생물이 포함된 화장품, 물과 모래와 자갈이 포함된 건자재, 인삼과 녹용의 복합물질이 포함된 양약과 한약의 복합물질, 물과 모래와 자갈의 복합물질이 포함된 레미콘과 아스콘의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42는 겔의 밀크, 겔의 밀크인 겔밀크, 황토의 레미콘, 황토의 레미콘인 황토레미콘, 시멘트의 콘크리트, 시멘트의 콘크리트인 시멘트콘크리트, 황토의 화장품, 황토의 화장품인 황토화장품, 황토와 엔자임과 미생물의 화장품, 물과 모래와 자갈의 건자재, 인삼과 녹용의 복합물질, 양약과 한약의 복합물질, 물과 모래와 자갈의 복합물질, 레미콘과 아스콘의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43은 인산과 칼슘과 칼륨의 복합재, 숯과 흙과 섬유의 복합재, 우레탄과 우레아와 에폭시와 아크릴의 복합재, 소각재와 소성재와 굴패각과 폐주물사의 복합재, 계면활성제와 수산화칼슘과 수산화나트륨의 복합재, 인공수지와 이온교환수지와 아크릴우레탄의 복합재, 물과 벤토나이트가 혼합된 현탁액의 복합재, 물과 모래와 자갈이 혼합된 콘크리트, 물과 모래와 시멘트가 함유된 숏크리트재, 물과 종자와 영양소가 함유된 시드스프레이재, 수와 물의 혼합물, 졸과 겔의 혼합물, 수지와 카본과 섬유의 혼합물, 종자와 영양소의 혼합물, 반응제와 응집제와 청정제의 혼합물, 흡착제와 포집제와 살균제의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44는 물 또는 이온수 50∼400 중량부, 폐분 또는 석분 또는 애쉬 또는 부산물 10∼600 중량부, 소일 또는 황토 또는 마사토 10∼600 중량부, 수지 또는 폴리머 또는 라텍스 0.005∼50 중량부, 화이버 또는 보강재 또는 나노재 0.0001∼40 중량부, 미생물 0.00001∼10 중량부, 제독제 0.00001∼3 중량부, 기타 물질 0∼1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상기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등은 상기 수 내지 결합재,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복합물 내지 복합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45는 수반응, 수화반응, 화학반응, 물리반응, 생물반응, 역학반응, 중합반응, 촉매반응, 나노반응, 살균반응, 소독반응, 양생반응, 포졸란반응, 고화반응, 고결반응, 응집반응, 응결반응, 경화반응, 본딩반응, 바인딩반응, 광촉매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미생물반응, 바이오반응, 바이오작용, 바이오수, 바이오물, 바이오액, 바이오유, 바이오제, 바이오씰, 바이오막, 바이오증식, 바이오물질, 바이오매스, 바이오필름, 바이오가스, 바이오공기, 바이오씰링, 바이오필링, 바이오힐링, 바이오본딩, 바이오바인딩, 바이오브릿지, 반응물질, 상기 반응 물질; 상기 수반응 내지 반응물질 중 둘 이상 복합물; 상기 수반응 내지 반응물질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 상기 수반응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반응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이용은 하기 이용 내지 라이닝; 상기 발생은 발생, 생성, 조성, 형성, 성형, 발견, 발현, 생김, 제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46은 a) 입경이 1nm 이하, 1∼100nm, 1∼100㎛, 1∼100㎜, 1∼100㎝, 100㎝ 이상; b) 비중이 0.1 이하, 0.1∼0.5, 0.51∼1.0, 1.1∼1.5, 1.51∼2.0, 2.1∼3.0, 3.0 이상; c) 분말도가 100㎠/g 이하, 100∼1,000㎠/g, 1,001∼2,000㎠/g, 2,001∼5,000㎠/g, 5,001∼7,000㎠/g, 7,001∼10,000㎠/g, 10,000㎠/g 이상; 중 하나인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47은 1kg/㎠ 이하, 1∼50kg/㎠, 51∼100kg/㎠, 101∼200kg/㎠, 201∼300kg/㎠, 301∼600kg/㎠, 600kg/㎠ 이상 중 하나 압력으로 공급 또는 타설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48은 a) 강도, 압축강도, 인장강도, 전단강도 중 하나가 1∼50kg/㎠, 51∼100kg/㎠, 101∼150kg/㎠, 151∼200kg/㎠, 201∼400kg/㎠, 400kg/㎠ 이상; b) 밀도가 0.1∼0.5t/㎥, 0.51∼1.0t/㎥, 1.1∼1.5t/㎥, 1.51∼2.0t/㎥, 2.1∼3.0t/㎥, 3.0t/㎥ 이상; c) 투수계수가 10-15㎝/sec 이하, 10(-15∼-10)㎝/sec, 10(-9∼-6)㎝/sec, 10(-5∼-3)㎝/sec, 10(-2∼+1)㎝/sec, 10(+2∼+5)㎝/sec, 102㎝/sec 이상; 중 하나인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49는 혼합, 주입, 투입, 타설, 양생, 경화, 고결 중 하나 후에 상기 강도 내지 초고투수성 중 하나인 또는 하나가 발현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50은 비중 0.7∼2.0, 함수율 20∼40%, 수분 흡수성 25∼40%, 마모감량 0∼20%, 중금속 검출안됨 또는 0.1mg/kg 이하, 유해물질 검출안됨 또는 0.1mg/kg 이하, VOC 검출안됨 또는 0.1mg/kg 이하, BTEX 검출안됨 또는 0.1mg/kg 이하, PAHs(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검출안됨 또는 0.1mg/kg 이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총 함유량 검출안됨 또는 0.1% 이하, 융점 또는 용융온도 130∼1,300℃, 내충격성 0∼1%, 충격저항성 99∼100%, 충격에 의한 파괴율 0∼1%, 마모시험 후 충격흡수성 60∼95%, 가해진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성 60∼95%, 온도안정성 55∼65℃, 일정거리 이격되어 100℃ 온도 쏘임에 대한 자신의 상승 온도 55∼65℃, 토양과 동일한 온도안정성, 화학물질 함유 물질에 비하여 온도 상승이 적은 온도안정성, (100 - (악취 최종농도 / 악취 초기농도) × 100)%로 산정되는 악취 탈취율 30∼100%, (100 - (오염 최종농도 / 오염 초기농도) × 100)%로 산정되는 오염 정화율 30∼100%; 태양열에 의한 온도상승이 화학재 함유 물질에 비하여 적음 또는 느림 또는 5∼15℃ 낮음;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51은 상기 입경, 비중, 분말도, 압력, 강도, 밀도, 투수계수, 비중 내지 5∼15℃ 낮음 중 둘 이상을 만족하는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52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또는 이상으로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53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이용 중 하나 이상으로 또는 이상에 의하여 a) a1) 자화, 진동, 가진, 살균, 소독, 제독, 항균, 청정, 정화, 퓨리, 정수, 청소, 세척, 세탁, 빨래, 세정, 연마, 회전, 혼합, 교반, 순환, 분산, 확산, 폭기, 충격, 파쇄, 분쇄, 처리, 자극, 가속, 와류, 이류, 흔듬, 경화, 고화, 응고, 고결, 본딩, 바인딩, 자성화, 미립화, 세립화, 미분화, 세분화, 연무화, 유동화, 액상화, 활성화, 폭기화, 분산화, 청정화, 정화화, 면정리, 면마감, 마사지, 쉐이킹, 장운동, 위운동, 신체운동, 혈액순환, 피로회복, 반응촉진, 수반응, 액반응, 수화반응, 화학반응, 물리반응, 나노반응, 성장촉진, 발아촉진, 식생촉진, 녹화촉진, 식물성장촉진, 바이오반응, 포졸란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자기장화, 육각수화, 미스트화, 슬러리화, 케비테이션, 에너지상승, 자장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오존살균, 음이온살균, 오존소독, 음이온소독, 오존청정, 음이온청정, 오존정화, 음이온정화; a2) 물질을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정화, 물체를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정화; a3) 물질 또는 물체의 성질, 특성, 점성, 강성, 강도, 양생, 작업성, 분사성, 주입성, 부착성, 반응성, 방수성, 에너지, 정화성, 처리성, 건전성, 건강성, 신진대사, 혈액순환, 워커빌리티 중 하나 이상을 촉진, 향상, 변경, 변화; a4)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정화 중 하나 이상 촉진, 향상, 변경, 변화; a5) 상기 자화 내지 변화 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복합작용; 상기 자화 내지 변화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또는 복합작용; 상기 자화 내지 복합작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작용; 중 하나가 되는, b) 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작용 중 하나가 b1) 발생, 생성, 시행, 향상, 증가, 배가; b2)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의 미적용에 비하여 향상, 증가, 배가; 중 하나가 되는 또는 하나를 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54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와 상기 발생, 생성, 시행, 향상, 증가, 배가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55는 일, 작업, 업무, 생활, 활동, 제조, 생산, 공사, 건설, 청소, 인테리어, 리모델링;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작업;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56은 장치, 장비, 자재, 재료, 물품, 물체, 물질, 공장, 현장, 실내, 실외, 드론, 3D프린터, 시설, 건물, 주택, 도로, 터널, 구조물, 시설물, 복합장비, 복합물체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57은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의 하기 기(器) 내지 복합물체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58은 하기 기(器) 내지 복합물체 중 하나의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59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일 내지 복합작업, 기(器) 내지 복합장비, 기(器) 내지 복합물체, 수 내지 복합물질 중 하나의 또는 하나 용도의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60은 a) 입경이 1nm 이하, 1∼100nm, 1∼100㎛, 1∼100㎜, 1∼100㎝, 100㎝ 이상; b) 비중이 0.1 이하, 0.1∼0.5, 0.51∼1.0, 1.1∼1.5, 1.51∼2.0, 2.1∼3.0, 3.0 이상; c) 분말도가 100㎠/g 이하, 100∼1,000㎠/g, 1,001∼2,000㎠/g, 2,001∼5,000㎠/g, 5,001∼7,000㎠/g, 7,001∼10,000㎠/g, 10,000㎠/g 이상; d) 압력이 1kg/㎠ 이하, 1∼50kg/㎠, 51∼100kg/㎠, 101∼200kg/㎠, 201∼300kg/㎠, 301∼600kg/㎠, 600kg/㎠ 이상; e) 강도가 1∼50kg/㎠, 51∼100kg/㎠, 101∼150kg/㎠, 151∼200kg/㎠, 201∼400kg/㎠, 400kg/㎠ 이상; f) 밀도가 0.1∼0.5t/㎥, 0.51∼1.0t/㎥, 1.1∼1.5t/㎥, 1.51∼2.0t/㎥, 2.1∼3.0t/㎥, 3.0t/㎥ 이상; g) 투수계수가 10-15㎝/sec 이하, 10(-15∼-10)㎝/sec, 10(-9∼-6)㎝/sec, 10(-5∼-3)㎝/sec, 10(-2∼+1)㎝/sec, 10(+2∼+5)㎝/sec, 102㎝/sec 이상; 중 하나인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61은 에코, 나노, 미니, 비비, 그린, 청정, 정화, 퓨리, 살균, 해독, 소독, 디톡, 디톡스, 처리, 내진, 방진, 배달, 택배, 자동, 수동, 능동, 자율, 타율, 자가, 자주, 반자동, 오토매틱, 로봇, 무빙, 모바일, 포터블, 기능, 기능성, 미생물, 바이오, 친환경, 스마트, 인터넷, 디지탈, 사이버, 아바타, 황토, 피톤, 피톤치드, 편백, 편백나무, 저탄소, 녹색성장, 마이크로, 메타버스, 하이브리드, 인텔리전트, 바이러스청정, 바이러스처리, 돌기, 펄스, 폭기, 팽창, UV, LED, 자외선, 적외선, 촉매, 광촉매,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육각수; 상기 에코 내지 육각수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에코 내지 육각수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 상기 에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에코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62는 상기 에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또는 하나로 자연재, 나노재, 나노미터재, 미니재, 밤(balm), 밤크림, 녹색제,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디톡제, 디톡스제, 처리제, 내진재, 방진재, 배달수단, 택배수단, 자동 운전, 수동 운전, 로봇 구비, 기능제, 기능재, 미생물, 바이오제, 친환경재, 바인더, 와이파이, 스마트폰, 센서, 가상, 아이콘, 황토, 피톤치드, 편백나무, 탄소흡수, 탄소사용, 탄소미발생, 녹화, 녹생, 마이크로재, 마이크로미터재, 가상현실공간, 2종 이상 물질, 인텔리제, 바이러스청정제, 바이러스처리제, 돌기, 펄스기, 폭기기, 팽창제, UV기, LED기, 자외선기, 적외선기, 광촉매함유,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연재 내지 복합물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자연재 내지 복합물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 상기 자연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자연재 내지 복합;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63은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체,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하기 기(器) 내지 복합물체; b)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체 중 하나의 상, 중, 하, 전, 후, 좌, 우, 면, 콕, 꼭지, 표면, 중공, 통공, 통로, 공극, 간극, 공기, 계면, 입자, 조직, 구조, 내부, 내측, 내면, 내주, 내피, 외부, 외측, 외면, 외주, 외피, 입구, 출구, 중간, 전체, 일부, 부분, 상부, 하부, 측면, 측부,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선단, 말단, 전위, 후위, 이격, 주위, 주변, 요소, 부품, 구성품, 구성요소, 부속품, 일지점, 다지점, 선단부, 연결부, 연결체, 연계체, 결합체, 구비체; c) 상기 자화 내지 구비체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자화 내지 구비체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되는 복합;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 또는 투입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64는 a)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의 상기 수 내지 복합물질; b)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질; c)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질; d)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를 수행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질; e)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에서 조성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질; f) 상기 일 내지 복합작업 중 하나에서 공급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65는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질 중 하나가 포함 또는 비포함되는 것으로, a) 살균되고, 상기 살균과 동시에 소독되고, 상기 소독하는 진동기 또는 자화제에 의하여 청정되고, 상기 청정하는 가진기 또는 진동제에 의하여 정화되고, 상기 정화 후에 자화기 또는 오존제에 의하여 오존처리되고, 상기 처리 후에 음이온기 또는 오존제에 의하여 오존처리되고, 상기 오존처리 중에 자화하는 진동기 또는 방전제로 가진처리되고, 상기 가진처리 후에 오존발생하는 방전기 또는 살균제로 살균처리되는 원료; b) 상기 원료가 포함되는 재료;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재료; c) 상기 원료, 재료 중 하나 이상이 투입 또는 포함되는 물질;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물질; d) 상기 원료, 재료, 물질 중 하나 이상이 투입 또는 분사되는 장치에 의하여 조성된 물질;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장치에 의하여 조성된 물질; e) 상기 원료, 재료, 물질, 장치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장비에 의하여 조성된 물질;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장비에 의하여 조성된 물질; f) 상기 원료, 재료, 물질, 장치, 장비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일에 의하여 조성된 물질;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일에 의하여 조성된 물질; g) 상기 원료, 재료, 물질, 장치, 장비, 일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작업에 의하여 조성된 물질;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작업에 의하여 조성된 물질; h) 상기 원료, 재료, 물질, 장치, 장비, 일, 작업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자재에 이용되는 물질;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자재에 이용되는 물질; i) 상기 원료, 재료, 물질, 장치, 장비, 일, 작업, 자재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물품에 포함되는 물질;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물품에 포함되는 물질; j) 상기 원료, 재료, 물질, 장치, 장비, 일, 작업, 자재, 물품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에 포함되는 물질;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시설에 포함되는 물질; k) 상기 원료, 재료, 물질, 장치, 장비, 일, 작업, 자재, 물품, 시설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구조물에 포함되는 물질;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구조물에 포함되는 물질; ℓ)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후에 상기 살균되고 ∼ 살균처리되는 물질, 상기 수 내지 복합, 상기 수(水)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66은 상기 물질 1 내지 물질 65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물질, 상기 물질 1 내지 물질 65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물질, 상기 물질 1 내지 복합물질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물질 1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67은 물질의 하나인 또는 물질에 속하는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물질 1 내지 복합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수 내지 복합, 수 내지 복합물질 중 하나에는 물질 a, 물질 b, 물질 c, 물질 d, 물질 e, 물질 f, 물질 g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물질 a는 a) 살균제, 소독제, 해독제, 제독제, 항균제, 멸균제, 제균제, 살충제, 해충제, 제충제, 촉매, 광촉매, 오존, 음이온, 피톤치드, 바이러스제거제, 바이러스청정제, 바이러스살균제, 바이러스처리제; b) 상기 살균제 내지 바이러스처리제 중 둘 이상의 복합제; 상기 살균제 내지 복합제 중 하나가 포함되는 살균제 내지 복합제; c) 자화 처리된 상기 살균제 내지 복합제; d) 상기 살균제 내지 복합제 중 하나가 함유된 수(水), 물(水),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물질; e) 오존기를 통과한 상기 a) 살균제 내지 c)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b는 a) 상기 살균제 내지 바이러스처리제, 또는 정화제, 청정제, 정수제, 폭기제, 반응제, 응집제, 침전제, 흡착제, 여과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제; b) 진동 처리된 상기 복합제; c) 상기 복합제가 함유된 상기 수 내지 물질; d) 음이온기를 통과한 상기 a) 복합제 내지 c) 물질(상기 복합제, 수 내지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c는 a) 상기 살균제 내지 바이러스처리제, 정화제 내지 여과제, 또는 물, 광물, 황토, 토사, 애쉬, 분말, 석회, 석고, 시멘트, 소성제, 경화제, 혼화제, Ca함유제, Mg함유제, Si함유제, Fe함유제, CaMgFe함유제, CaMgFeSi함유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제; b) 가진 처리된 상기 복합제; c) 상기 복합제가 함유된 상기 수 내지 물질; d) 자화기를 통과한 상기 복합제 내지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애쉬는 재, 애쉬, 소각재, 소각회, 소성재, 탄화재, 연소재, 왕겨재, 화산재, 연탄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화력발전소 애쉬, 소각장 애쉬, 소각로 애쉬, SiO2 40∼60중량부 포함 애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물질 d는 a) 상기 살균제 내지 바이러스처리제, 정화제 내지 여과제, 물 내지 CaMgFeSi함유제, 또는 산소, 수소, 탄소, 공기, 증기, 기포, 안개, 미스트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제; b) 오존 처리된 상기 복합제; c) 상기 복합제가 함유된 상기 수 내지 물질; d) 진동기를 통과한 상기 a) 복합제 내지 c) 물질(상기 복합제, 수 내지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e는 전체 100체적부에 대하여 a) 상기 살균제 내지 바이러스처리제 중 하나 이상 0.01∼10체적부, 상기 정화제 내지 여과제 중 하나 이상 1∼20체적부, 상기 물 내지 CaMgFeSi함유제 중 하나 이상 10∼99.9체적부, 상기 산소 내지 미스트 중 하나 이상 0.01∼5체적부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제; b) 음이온 처리된 상기 복합제; c) 상기 복합제가 함유된 상기 수 내지 물질; d) 가진기를 통과한 상기 a) 복합제 내지 c)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f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a) 상기 살균제 내지 바이러스처리제 중 하나 이상 0.01∼10중량부, 상기 정화제 내지 여과제 중 하나 이상 1∼20중량부, 상기 물 내지 CaMgFeSi함유제 중 하나 이상 10∼99.9중량부, 상기 산소 내지 미스트 중 하나 이상 0.01∼5중량부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제; b) 오존 및 자기장 처리된 상기 복합제; c) 상기 복합제가 함유된 상기 수 내지 물질; d) 회전기를 통과한 상기 복합제 내지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물질 g는 풍(風), 열(熱), 파(波), 음파, 초음파, 광(光), 빛, LED광, 살균광, 소독광, 선(線), 광원, 광선,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근적외선, 원적외선, 스펙트럼, 소리, 압기(壓氣), 펄스, 펄스압, 제트압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된 또는 방사되는 또는 방사되어 살균처리된 a) 수(水), 물(水),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물질; b) 또는 상기 물질, 살균제 내지 물질, 복합제 내지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미스트는 빛, 광, 버블, 펄스,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살균, 방전, 피톤, 에코, 나노, 바이오, 스마트, mist 중 하나의 미스트이다. 이의 예로는 빛미스트, 광미스트, 버블미스트, 펄스미스트, 자화미스트, 진동미스트, 가진미스트, 오존미스트, 음이온미스트, 회전미스트, 분해미스트, 전해미스트, 살균미스트, 방전미스트, 피톤미스트, 에코미스트, 나노미스트, 바이오미스트, 스마트미스트 등이 가능하다. 상기 슬러지는 a) 오니, 슬러지, sludge; b) 또는 상수, 하수, 폐수, 오수, 탁수, 공장, 산업, 공단, 제지, 석산, 채석, 건설, 댐, 하천, 침전, 퇴적, 저수지, 저류지, 채석장, 수처리장 중 하나의 오니, 슬러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흙은 흙, 토양, 토석, 토사, 토질, 양토, 점토, 황토, 백토, 토양질, 오염토, 오염토양, soil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토사는 흙, 황토, 백토, 점토, 토사, 토석, 모래, 골재, 흙모래, 고령토, 규조토, 카올린, 일라이트,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아파팔자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상기 모래는 모래, 해사, 쇄사, 건설용모래, 건축용모래, 포장용모래, 원예용모래, 배수용모래, 놀이터용모래, 공원길용모래, 산책로용모래, 지압길용모래, sand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골재는 골재, 모래, 자갈, 건설용골재, 건축용골재, 포장용골재, 원예용골재, 배수용골재, 놀이터용골재, 공원길용골재, 산책로용골재, 지압길용골재, gravel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황토는 a) 황토, 규소 함유 황토, 칼슘 함유 황토, 철분 함유 황토, 수지 함유 황토, 미생물 함유 황토, 돌가루 함유 황토, 한약재 함유 황토, 광촉매 함유 황토, 내진재 함유 황토, 포졸란제 함유 황토, 황토 함유물, 30중량% 이상 황토 함유물, yellow soil; b) 입자 크기가 0.005mm 이하 크기의 입자는 10% 이하이고, 0.02mm 이상 크기의 입자는 10% 이하인 황토; c) 자신의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45∼65중량부, CaO 3∼18중량부, Al2O3 5∼14중량부, MgO 1∼7중량부, Fe2O3 1∼5중량부, FeO 0.5∼1.7중량부, CaCO3 0.1∼1.5중량부, TiO2 0.01∼1.3중량부, MnO 0.01∼1.0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된 황토;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광물은 돌, 광물, 광미, 광석, 암석, 광탄, 경탄, 운모, 석영, 장석, 석탄, 활석, 석고, 석회, 질석, 폐분, 자철석, 감람석, 방해석, 해록석, 백운석, 화강석, 녹섬석, 진주석, 견운모, 인회석, 맥반석, 미네랄, 돌가루, 펄라이트, 게르마늄, 돌로마이트, 버미큘라이트점토광물, 원소광물, 황화광물, 산화광물, 할로겐광물, 탄산염광물, 질산염광물, 붕산염광물, 황산염광물, 인산염광물, 비산염광물, 바나듐산염광물, 텅스텐산염광물, 몰리브덴산염광물, 규산염광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광탄은 광탄, 광산탄, 광산석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경탄은 경탄, 석탄, 원료탄, 일반탄, 무연탄, hard coal, 단단한 탄, 경도가 높은 탄, 질이 단단한 석탄, 잘 타지 않는 물질이 섞여 있는 질이 낮은 석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광미는 a) 광미, 광산찌끼기, 광산쓰레기, 광산부산물, 광석에서 필요한 광물을 분리하고 남은 가치없는 부분, 광석으로부터 금속을 빼내고 남은 찌꺼기, 철을 제련하는 제철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Ca 함유물 20∼70중량부, Si 함유물 30∼60중량부, Al 함유물 1∼20중량부, Mg 함유물 1∼15중량부, Fe 함유물 2∼20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광미; 등이다.
상기 점토는 a) 점토, clay, 진흙, 해성점토, 육상점토, 점토광물, 0.074mm 이하의 함량이 90% 이상인 흙;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40∼70중량부, Al2O3 13∼28중량부, Fe2O3 3∼13중량부, CaO 0.3∼1.5중량부, MgO 0.3∼3중량부, TiO2 0.3∼1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점토;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질석은 질석, 분말질석, 팽창질석, 열을 가하면 팽창하는 질석,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광물, 알루미늄과 마그네슘과 철의 수산화규산염으로 구성된 점토광물, 700∼1000℃ 가열시 부피가 5∼15배 증가하는 질석;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30∼48중량부, Al2O3 5∼20중량부, CaO 0.3∼1.5중량부, MgO 8∼28중량부, Fe2O3 3∼20중량부, SO3 0.1∼1중량부, TiO2 0.1∼1중량부, K2O 4∼8중량부, Na2O 0.1∼0.5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질석;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애쉬는 a) 애쉬, ash, 소각재, 석탄애쉬, 연탄애쉬, 소각장애쉬, 발전소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50∼65중량부, Al2O3 10∼30중량부, CaO 2∼10중량부, MgO 1∼3중량부, Fe2O3 1.5∼8중량부, SO3 0.1∼1중량부, TiO2 0.1∼1.5중량부, K2O 0.5∼3중량부, Na2O 0.2∼0.8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애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석분은 a) 석분, 돌가루, stone powder, 쇄석석분, 채석장석분, 슬러지석분, 돌공장석분, 콘크리트석분, 건설폐기물석분;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50∼60중량부, Al2O3 15∼25중량부, CaO 0.3∼1중량부, MgO 0.5∼2중량부, Fe2O3 2.5∼3.5중량부, FeO 1.5∼3중량부, P2O5 0.1∼0.4중량부, MnO 0.01∼0.1중량부, K2O 0.5∼2.5중량부, Na2O 0.3∼0.7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석분; 등이다.
상기 맥반석은 a) 맥반석, 반암에 속하는 암석, 석영과 장석이 섞인 맥반석,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이 주성분인 맥반석,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맥반석, 1 ㎤ 당 3∼15만 개의 구멍을 가진 맥반석;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60∼75중량부, Al2O3 10∼18중량부, CaO 1∼3중량부, MgO 2∼5중량부, Fe2O3 0.5∼2중량부, FeO 0.8∼2.3중량부, P2O5 0.1∼0.4중량부, TiO2 0.1∼0.5중량부, K2O 2∼4중량부, Na2O 2∼4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맥반석; 등이다. 상기 카올린은 a) 카올린, 고령토, 백도토(白陶土), 메타카올린, Al2O3·2SiO2·2H2O의 조성을 가진 광물, Al2O3·SiO2·4H2O의 조성을 가진 광물, 바위 속의 장석(長石)이 풍화 작용을 받아 이루어진 흰색 또는 회색의 진흙, kaolon, kaolinite;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35∼50중량부, Al2O3 30∼55중량부, CaO 0.1∼2중량부, MgO 0.01∼0.4중량부, Fe2O3 0∼0.5중량부, TiO2 0.3∼1중량부, K2O 0.001∼0.2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카올린; 등이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a) 화산재, 벤토나이트, 칼슘벤토나이트, 나트륨벤토나이트, 수팽창성 벤토나이트, bentonite, 활성벤토나이트, 소다회로 활성화시킨 활성벤토나이트, 몬모릴나이트(monmorillo nite)광물의 주성분으로 하는 점토;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55∼75중량부, Al2O3 10∼25중량부, CaO 0.5∼5중량부, MgO 1∼8중량부, Fe2O3 1∼3중량부, K2O 0.1∼2중량부, Na2O 0.5∼8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거나 또는 함유되면서 SiO2/Al2O3 비율이 2.2∼7.5, 몬모릴로나이트 함량 70meq/100g 이상, 현택액의 수소이온농도 7∼11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벤토나이트; 등이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a) 제올라이트, 천연제올라이트, 인공제올라이트, 합성제올라이트, zeolite, 아날심(analcime), 나트롤라이트(natrolite), 휼랜다이트(heulandite), 필립사이트(phillipsite), 스틸바이트(stilbite), 캐바자이트(chabazite) 클리놉틸롤라이트(clinoptilolite), 흡착성을 가진 제올라이트, 3∼10Å의 크기를 가지는 공동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천연 및 합성 규산염광물질;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60∼78중량부, Al2O3 10∼20중량부, CaO 0.5∼5중량부, MgO 0.5∼4중량부, Fe2O3 0.1∼5중량부, Na2O 0.5∼4중량부, TiO2 0.1∼0.5중량부, K2O 1∼3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제올라이트; 등이다.
상기 실리카흄은 a) 실리카흄, SiO2 함유의 실리카흄, SiO2 60∼90중량부 함유의 실리카흄, silica fume, 실리카미립자, 분말도 0.1㎛ 이상의 실리카흄, 실리콘 제조시 발생하는 초미립자의 규소 부산물, 실리콘(Si) 또는 페로실리콘(FeSi) 또는 실리콘합금을 제조할 때에 발생되는 폐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SiO2를 집진기로 수집 여과하여 얻어지는 실리카; b)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60∼90중량부, Al2O3 0.5∼2중량부, CaO 0.5∼2중량부, MgO 0.1∼1중량부, Fe2O3 1.5∼3중량부, SO3 0.1∼1중량부, TiO2 0.1∼1중량부, K2O 0.1∼2중량부, Na2O 0.1∼0.5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실리카흄; 등이다.
상기 식물은 잎, 쑥, 짚, 겨, 마, 칡, 식물, 줄기, 뿌리, 나무, 목분, 목 폐목, 톱밥, 섬유, 볏짚, 왕겨, 쌀겨, 밀겨, 펄프, 피트, 씨앗, 열매, 송진, 레몬, 솔잎, 은행, 허브, 자몽, 갈근, 길경, 더덕, 인삼, 고삼, 감초, 강활, 우황, 대황, 개자, 계피, 황기, 대추, 녹용, 당귀, 계지, 오가피, 도라지, 둥굴레, 결명자, 구기자, 오미자, 산수유, 화이버, 코이어, 알로에, 삼백초, 어성초, 가스민, 라벤더, 야자수, 침엽수, 활엽수,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 삼나무, 피트모스, 로즈마리, 편백나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미생물은 미생물 1 또는 2이다. 상기 미생물 1은 미생물, 배양미생물, 발효미생물, 부숙미생물, 분해미생물, 유용미생물, 유효미생물, 호기미생물, 혐기미생물, 호혐기미생물, 준호기미생물, 준혐기미생물, 호염미생물, 호알카리미생물, 균주, 유산균, 방선균, 방사선균, 광합성균, 효모균, 누룩균, 곰팡이균, 젖산균, 초산균, 고초균, 비피더스균, 박테리오파지, 바실러스균, 파스테우리균, 락토바실러스균, 사카로미세스균, 스포로살시나균, 바실러스세레우스, 바실러스안트라시스, 바실러스서브틸리스, 바실러스스파에리쿠스, 바실러스파스테우리, 바실러스수도휘머스, 바실러스코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미생물 2는 물질, 재료, 자재, 타설물 중 하나를 본딩, 씰링, 바인딩, 브릿징, 탄산화, 저투수화, 고투수화, 균열메움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미생물이다.
상기 부산물은 패각, 폐분, 석분, 철분, 분진, 애쉬, 부산물, 슬래그, 슬러지, 슬라임, 폐자재, 폐기물, waste, 소각재, 탄화재, 주물사, 폐주물사, 굴패각, 조개패각, 폐콘크리트, 폐타이어, 폐유리, 폐비닐, 폐고무, 폐플라스틱, 폐석회, 폐석고, 폐섬유, 킬른더스트, 철분진, 광미, 폐수,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킬른더스트, 음폐물, 음폐수, 고철, 폐금속, 폐시멘트, 폐아스팔트, 건설폐기물, 산업부산물, 공장부산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폐분은 폐분, 석분, 분진, 철분, 산업분진, 공장분진, 제철분진, 돌가루, 채석폐분, 채광폐분, 폐기분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탄화재는 숯, 탄, 목탄, 참숯, 연탄, 활성탄, 탄화물, 탄화재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혼화제는 a) 급결제, 지연제, 소결제, 분산제, 방수제, 차수제, 발수제, 기포제, 팽창제, 발포제, 소포제, 착색제, 경화제, 감수제, 경화제, 바인더, 고화제, 고결제, 첨가제, 안료, 염료, 광물, 광석, 광미, 섬유, 화이버, 폐기물, 슬래그, 슬러지, 미생물, 활성제, 유동화제, 경화촉진제, 경화지연제, 공기연행제, 응결지연제, 리그닌계 혼화제, 나프탈렌계 혼화제, 멜라민계 혼화제, 카본산계 혼화제, 폴리카본산계 혼화제, 음이온방사물질, 원적외선방사물질; b) 또는 시멘트, 몰탈, 레미탈, 레미콘, 아스콘, 황토콘, 아스팔트, 페이스트, 플라스터, 콘크리트 중 하나에 첨가되는 상기 급결제 내지 원적외선방사물질; 중 하나 이상이다.
또는 상기 혼화제는 혼화제, 첨가제, 급결제, 완결제, 감수제, 방청제, 소결제, 점착제, 접착제, 고결제, 고화제, 결합제, 바인더, 발수제, 방오제, 유동화제, 공기연행제, 불연제, 난연제, 방화제, 유화제, 첨가제, pH제, pH조절제, pH7이하제, pH7이상제, 산성제, 염기제, 중성제, 중화제, 황산, 염산, 질산, 초산, 수산화나트륨, 점결제, 개질제, 속경제, 커플링제, 촉매, 가교제, 분산제(分散劑), 가소제, 촉진제, 지연제, 응고지연제, 방수제(防水劑), 방수제(防銹劑), 팽창제, 발포제(發泡劑), 기포제, 소포제(消泡劑), 안료제, 착색제(着色劑), 응결촉진제, 응결지연제, 흡수제, 흡착제, 포집제, 항균제, 제독제, 탈수제, 풍쇄제, 수쇄제, 폭기제, 활성제, 제습제, 탈수제, 함수제, 함유제, 함기제, 함고제, 나노제, 마이크로제, 음이온방사물질, 원적외선방사물질, 시멘트혼화제, 콘크리트혼화제; 이중 둘 이상 복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첨가제, 또는 물질, 물체, 재료, 자재 등에 첨가되는 첨가제는 가스, 공기, 압기, 기포, 산소, 수소, 질소, 염소, 탄소, 약품, 약물, 약재, 약액, 수지, 광물, 물질, 액체, 기체, 고체, 액상, 기상, 고상, 분말, 분진, 폐분, 철분, 석분, 황토, 부산물, 미생물, 배지, 영양소, 비타민, 전기, 전원, 동력, 촉매, 광촉매, 오존, 이온, 양이온, 음이온, 피톤치드, 효소, 효모, 요소, 엔자임, 호기제, 혐기제, 활성제, 나노제, 탄산제, 청정제, 반응제, 흡착제, 응집제, 살균제, 소독제, 방향제, 항균제, 균제거제, 오염제거제, 악취제거제, 아토피원제거제, 환경호르몬제거제, 새집증후군제거제, 탄산화매개물, 펌프압기, 송풍압기, 풍력콤프레셔 압기;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반응제는 반응제 1 또는 2이다. 상기 반응제 1은 규산소다, 규산칼슘, 규산나트륨, 물유리, 실리카, 알루미나, 구연산, 황산알루미늄, 황산마그네슘,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황산칼슘, 황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코발트,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타늄, 인산칼슘, 수산화칼슘, 리그닌술폰산, 우레아포름알데하이드, 폴리에스테르, 영가금속, 다가금속, 슬래그, 펄라이트, 아타팔가이트, 스멕타이트, 활성탄, 폐타이어, 조개껍질, 굴패각, 왕겨, 카본, 이온교환수지,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활성탄, 숯, 목탄, 톱밥, 우드칩, 규조토, 석류석, 안트라사이트, 이중 둘 이상 복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반응제 2는 반응, 가열반응, 발열반응, 촉매반응, 수화반응, 산화반응, 환원반응, 레독스반응, 응집반응, 요소반응, 분해반응, 탈염반응, 분열반응, 탄산화반응, 수산화반응, 포졸란반응, 미생물반응 중 하나를 하는 또는 야기하는 제, 재, 물질, 재료, 약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급결제는 급결제, 시멘트급결제, 콘크리트급결제, 실리케이트급결제(silicate accelerator), 알루미네이트급결제(aluminate accelerator), 알칼리프리급결제(alkali free accelerator), 시멘트광물급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활성제는 활성제, 계면활성제, 산성활성제, 알카리활성제, 이온성활성제, 비이온성활성제, 양성활성제, 양이온활성제, 음이온활성제, 코코베타인, 라네스, 라놀린, 올리브유화왁스, 올리브리퀴드, 술포석시네이트, 유카시데게라, 자당지방산에스터,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알킬벤젠설폰산염, 소비탄지방산에스터,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코카미도프로필아민옥사이드, 폴리소르베이트, 벤잘코늄클롤러이드, 벤제토늄클롤러이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라놀린애씨드, 리놀레익애씨드, 베헤닉애씨드,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릭애씨드, 라우릴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밀납(Beeswax), 붕사 (Borax), 레시틴(Lecithin), 쟁탄검(Xanthan Gum), SLS(sodium lauryl sulfate), SLES(sodium laureth sulfate), 몬타노브왁스(montannov wax), 솔빌라이저(Solubilizer), 이멀시화잉왁스(Emulsifying Wax),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이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비탄지방산에스, 디소듐라우레스설포썩시네이트, 디옥틸소듐설포썩시네이트, 라우라민옥사이드, 디소듐라우레스설포썩시네이트, 디옥틸소듐설포썩시네이트, 소듐메칠라우로일타우레이트, 글리세릴리시놀리에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글리세릴로지네이트, 라우트리모늄클롤러이드, 세트리모늄브로마이드, 세트리모늄클롤러이드, 소듐이소스테아로일락테이트, 소르비탄라우레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올리에이트, 염화알킬트리메칠암모늄, 염화디알킬디메칠암모늄, 알킬디메칠아미노초산베타인, 알킬아미드프로필디메칠아미노초산베타인, 하이드록시에칠이미다졸리늄베타인, 디소듐라우레스설포썩시네이트,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라우라민옥사이드, 스테아라마이드엠이에이, 스테아라민옥사이드, 스테아릴알코올, 아세트아마이드엠이에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a) 계면활성제, 생계면활성제, 천연계면활성제, 합성계면활성제, 인공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알킬벤젠설폰산염, 아민할로젠화물, 발포성 계면활성제, 기포성 계면활성제, 팽창성 계면활성제, 한 분자 또는 물질에 친유성기와 친수성기를 공존한 물질, 제사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아미노산, 지방산소다, Monoglyceride, Betaine, 레시친(Lecithin), 사포닌(Saponin), 식물성유지 추출 계면활성제, 동물성유지 추출 계면활성제, 알킬벤젠술폰산염(ABS), 선형알킬벤젠술폰산염(LAS), 알파올레핀술폰산염(AOS), 알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AE); b) 또는 소다회, 탄산나트륨, 규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제올라이트(Zeolite), 효소, 거품조절제(소포제), Silicon유, 파라핀유, 미세실리카분말을 분산시킨 실리콘유, 황산나트륨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상기 계면활성제 내지 알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AE);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ABS는 Alkylbenzene Sulfonate, LAS는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등이 해당한다.
상기 피톤치드는 a) 피톤치드; b) 또는 나무, 줄기, 식물, 껍질, 편백나무 중 하나에서 추출된 추출물, 피톤치드; c) 상기 나무 내지 편백나무 중 하나와 첨가수의 가열; 이의 가열에 의한 가열물, 가열수, 증류수; 상기 가열물의 냉각물, 냉각수; 중 하나 이상에서 얻어진 피톤치드; d) 상기 가열물 내지 냉각수; e) 또는 테르펜, 배당체, 글리코시드,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페놀화합물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피톤치드, 피톤치드수, 피톤치드액, 피톤치드분말; f) 또는 자화 피톤치드, 바이오 피톤치드, 자성체 통과 자화 피톤치드, 미생물 투입 바이오 피톤치드, 이중 하나 함유물; 등이다. 상기 영양소는 인, 인산, 칼슘, 칼륨,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물, 유기물, 글루코사민, 마그네슘, 철분, 인삼, 당귀, 감초, 영양제, 게르마늄, Ca, Mg, Fe, Me, 콜라겐, 포도씨유, 클로렐라, 영양소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촉매는 촉매, 觸媒, catalyst, 효소, 엔자임, 정촉매, 正觸媒, positive catalyst, 부촉매, 負觸媒, negativer catalyst, 광촉매, 효소촉매, 효모촉매, 반응촉매, 무기촉매, 유기촉매, 저속반응촉매, 고속반응촉매, 저속양생촉매, 고속양생촉매, 반응의 양을 증가시키는 정촉매, 반응의 양을 줄이는 부촉매, 반응속도를 촉진시키는 정촉매, 반응속도를 줄이는 부촉매, 생체내의 화학반응에 관여하는 효소, 일정의 반응에서 스스로는 변화하지 않고 반응을 개시하거나 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 등이다. 상기 광촉매는 광촉매, TiO2, ZnO, CdS, GaP, CdTe, MoSe2, Wse2, SnO2, Nb2O53, KTaO3, ZnSCdSe, ZrO2SrTiO3, Ni-K4Nb6O17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금속은 금속, 철, 금, 은, 납, 주석, 수은, 구리, 폐철, 고철, 텅스텐, 알루미늄, 철금속, 비철금속, 전도성금속, metal, 비전도성금속; 상기 금속 내지 비전도성금속 중 하나의 편, 절편, 분말, 입자, 덩어리; 등이다.
상기 수지는 수지, 레진, 약품, 약액, 물유리, 천연수지, 인공수지, 합성수지, 나노수지, 고분자물질, 고분자폴리머, 수경성폴리머, 지오폴리머, 고분자약품, 요소, 규산, 규소, 규산소다, 인산, 암모니아, 엔자임, 실리카, 파라핀, 실리카졸, 실리카겔, 활성실리카, 마이크로실리카, 하이브리드실리카, 아크릴에멀젼,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우레탄, 에폭시, 우레아, 우라실, 라텍스, 폴리머, 아크릴우레탄, 수용성수지, 수경성수지, 유용성수지, 유경성수지, 수경성아크릴, 수경성우레탄, 수경성유레아, 수경성우라실, 수경성라텍스, 수경성아크릴우레탄, 아민, 아닐린, 아마이드, 알데하이드, 나프탈렌, 멜라민, 셀룰로오스, 크롬리그닌,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황산수소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황산칼슘, 황산화마그네슘, 황산칼륨, 황산나트륨, 글리옥살,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규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부탄디올, 다하이드로시헥산, 이소시아네이트, MMA(Methyl Methacrylate), CMC(carboxymethyl cellulose), SAP(super absorbent polymer) 등이 해당된다.
상기 폴리머는 수지, 화학제, 인공수지, 자연수지, 모노머수지, 폴리머수지, 천연폴리머, 지오폴리머, 폴리머클레이, 라텍스, 고무류, 실리콘, 우레탄, 우레아, 플라스틱, 유기화합물, 유기화합물 유도체로 이루어진 비결정성 고체 또는 반고체,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HDPE, LDPE, EVA, PVC, PP와 PE의 홉합물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지오폴리머에는 폐기물, 폐분, 석분, 분진, 광물, 광미, 시멘트, 석회, 슬래그, 소각재, 플라이애쉬, 알카리용액, pH9이상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물유리, 규산소다 중 둘 이상이 함유된 물질 또는 지오폴리머도 포함된다. 이의 예로는 폐기물, 폐분, 석분, 분진, 광물, 광미, 시멘트, 석회, 슬래그, 소각재, 플라이애쉬 중 하나 이상과 알카리용액, pH9이상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물유리, 규산소다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물질 또는 지오폴리머가 가능하다.
상기 라텍스는 라텍스, 천연라텍스, 합성라텍스, 수성라텍스, 유성라텍스, 수지라텍스, 라텍스수지, latex, 고분자라텍스, 중합체라텍스, 고무분 60∼90%의 물질, 비중 0.973∼0.979 고무재, 0.5∼6.0μ 크기의 고무 입자가 1ml 중 α(임의수)×10^8개 포함되는 물질, 유기 및 무기물의 수용액을 분산매로 하고 고무를 분산질로 하는 콜로이드졸,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단위 100%와 상기 유래단위 100% 대비 0.01∼0.08%의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함유되는 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계 라텍스 100%와 사이클로 올리고 사카라이드계 화합물 0.001∼13%가 함유된 라텍스, 고무분 이외에 단백질, 당류, 인지질, 회분, 효소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물질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화학제는 풀, 본드, 수지, 아교, 녹말, 전분, 고무, 역청, 유리, 레진, 실란, 섬유, 화이버, 실리콘, 바인더, 접착제, 가교제, 응고제, 응결제, 고화제, 고결제, 바니쉬, 우레탄, 우레아, 유레아, 아크릴, 에폭시, 라텍스, 물유리, 시멘트, 고무 폐고무, 나일론, 파라핀, 나프텐, 모노머, 올리고머, 탄산화제, 폐타이어, 네오프렌, 염화칼슘, 탄산칼슘, 황산칼슘, 아스팔트, 플라스틱, 염화나트륨,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카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섬유 또는 화이버는 섬유, 화이버, 보강재, 섬유질, 섬유조직, 수염뿌리, 울, 삼, 암면, 견사, 사란, 섬도, 직물, 황마, 양모, 생사, 인견, 단섬유, 장섬유, 면화(棉花), 케이폭면(kapok棉), 코이어(coier), 마닐라삼, 사이잘삼, 엽아마, 모시풀, 산양모, 낙타털, 캐시미어, 가잠견(家蠶絹), 야잠견(野蠶絹), 견섬유(絹纖維), 석면(石綿: 아스베스토스), 금박사(金箔絲), 은박사, 레이온, 비스코스 레이온, 큐프라 레이온, 필라멘트, 바일론, 비스코스레이온, 스테이플화이버, 코이어, 천연섬유, 인조섬유, 식물섬유, 동물섬유, 광물섬유, 종자섬유(種子纖維), 맥섬유(葉脈纖維), 인피섬유(靭皮纖維), 수모섬유(獸毛纖維), 무기섬유, 유기섬유, 금속섬유, 유리섬유, 암석섬유, 광재섬유(鑛滓纖維), 규산염섬유, 재생섬유, 반합성섬유, 합성섬유, 섬유소섬유, 단백질섬유, 반합성섬유, 나일론섬유, 준장섬유, 경질섬유, 낙화생단백섬유, 인피섬유, 초피(草皮)섬유, 구리암모늄레이온, 내열성섬유, 세라믹섬유, 수모섬유, 식물섬유, 재생섬유, 합성섬유, 신합성섬유, 길이가 자신 두께의 1.1∼100배인 연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기포제, 발포제, 폭기제, 팽창제 중 하나는 기포제, 발포제, 폭기제, 팽창제, 아연분말, 금속분말, 카세인, 파인유, 로트유, 사포닌, 유칼리유, 알루미늄분말, 암모니아염류, 모노글리세리드, 난(卵)알부민,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이산화탄소, 계면활성제, 라우릴황산나트륨, 벤조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트리클로로플루오르메탄, 데실글루코사이드, 라우릴에틸황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암모늄, 다이아조아미노벤젠, 금속기포제, 동물성기포제, 식물성기포제, 메틸셀룰로오스와 대두단백질의 혼합물, 알칼리 용액과 접촉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발포시키는 물질, 시멘트풀 중 알칼리와 작용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발포시키는 알루미늄분말, 광물팽창제, 수지팽창제, 친수성팽창제, 계면활성팽창제,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층간에 물이 유입되면 팽창하는 물질, 표면이 (+) 대전되고 이의 표면에 물의 (-) 산소분자가 결합되어 팽창하는 물질, 표면이 (-) 대전되고 이의 표면에 물의 (+) 수소분자가 결합되어 팽창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지수제는 지수제, 차수제, 아크릴, 우레탄, 에폭시, 유레아, 우라실, 라텍스, 아크릴우레탄, 수경성아크릴, 수경성우레탄, 수경성유레아, 수경성우라실, 수경성라텍스, 수경성아크릴우레탄, 실리카, 실리카졸, 실리카겔, 활성실리카, 마이크로실리카, 하이브리드실리카, 아크릴에멀젼,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약품은 약품, 약제, 약재, 약물, 약액, 한약, 양약, 알럼(alum), 황산, 염산, 초산, 질산, 석회, 폴리머, 오존, 오존공기, 이온, 이온물, 양이온, 음이온, 폴리머, 모노머, 라텍스, 고무수지, 피톤치드, 알카리용액, pH9이상용액, 물유리, 규산소다, 실리카졸, 요소, 아크릴, 우레탄, 우레아, 크롬리그닌, 아크릴아미드, 항균제, 항호르몬제, 항새집증후군제, 청정제, 정화제, 정수제, 청소제, 세척제, 세정제, 세탁제, 흡착제, 포집제,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스제, 멸균제, 제균제, 해충제, 살충제, 세제, 세탁세제, 청소세제, 세제수, 산성제, 황산, 알카리제, pH제, pH9이상물질, 수산화나트륨, 철응집제, 알루미늄응집제, 방부제, 피톤치드, 규산소다, 규산칼슘, 규산나트륨, 실리카, 알루미나, 구연산, 황산마그네슘,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황산칼슘, 황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코발트, 인산칼슘, 수산화칼슘, 리그닌술폰산, 수산화칼슘, 수산화₃하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살균제는 포말린, 알코올, 크레솔비누액, 과산화수소수, 무기살균제, 보르도액·석회황합제, 페놀수, 크레솔수, 승홍수(昇汞水), 클로르칼크, 유기수은제, 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 다이센엠, 발리비, 발코트, 베노밀, 블라스티시딘에스, 빈클로졸린, 에디펜포스, 옥시카복신, 옥신코퍼, 유기인계살균제, 유기황살균제, 아이소프로싸이올레인, 이프로다이온, 지네브, 마네브, 안트라콜, 지오람, 프탈라마이드제, 카복신, 캡탄, 쿠퍼하이드록사이드, 클로로탈로닐, 트라이아디메폰, 도다인, 디노캡, 다이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론제, 디티아논, 마네브, 캡탄, 캡티폴, 다이폴라탄, 폴펫, 벤디미다졸제, 베노밀, 벤레이트, 싸이오판에이트에틸, 트라이아졸제, 트라이아디메폰, 트라이시크라졸, 유기살균제, 메탈락실, 다찌가렌(hymexazol), 키타진(IBP), 히노산(edifenphos), 후지왕(isoprothiolane), 농용항생제, 스트렙토마이신, 시크로헥사마이드, 블라스티시딘, 카수가마이신, 폴리옥신, 발리다마이신, 네오아소진, 발리다마이신에이,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소독제는 알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을, 클로르헥시딘,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시트르산,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시트르산수화물,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계면활성제, 폴리옥실40경화피마자유, 폴록사머407,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피톨, 폴리에틸렌글리콜, 자일리톨,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네오탐, 사카린, 아스파탐, 아세술팜칼륨,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시리히진, 페릴라르틴, 타우마틴,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pH제는 pH조정제, pH7이하제, pH7이상제, 산성제, 염기제, 황산, 염산, 질산, 초산, 중성제, 중화제, 수산화나트륨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pH7이하제는 pH 7 이하 물질, 산성제, 황산, 염산, 질산, 초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pH7이상제는 pH 7 이상 물질, 염기제, 수산화나트륨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산성제는 pH 7 이하 물질, 황산, 염산, 질산, 초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염기제는 알카리제, pH 7 이상 물질, 수산화나트륨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중성제는 중성제, 중화제, 중성화제, pH 7 물질, pH 6∼9 물질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중화제는 중화제, 중성화제, 물질의 pH를 중화시키는 물질, 물질의 pH를 7로 하는 물질, 물질의 pH를 6∼9로 하는 물질, 염기성 물질에 대하여 산성제, 산성 물질에 대하여 염기제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배합수는 a) 수, 액, 유, 물, 배합수, 댐수, 지하수, 지표수, 하천수, 연못수, 펌프수, 탄산수, 버블수, 기포수; b) 배합에 사용되는 수, 물, 유, 액; c) 상기 시멘트 내지 콘크리트 중 하나에 사용되는 배합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배합재는 a) 모래, 자갈, 골재, 황토, 폐분, 애쉬, 슬래그, 시멘트, 아스팔트, 바인더, 첨가제, 혼화제, 배합재, 배합수; b) 배합에 사용되는 제, 재, 물질, 재료, 배합재, 상기 모래 내지 배합수; c) 상기 시멘트 내지 콘크리트 중 하나에 사용되는 배합재, 상기 모래 내지 배합수;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정화제 또는 청정제는 정화제, 정수제, 청정제, 반응제, 응집제, 침전제, 폭기제, 처리제, 복원제, 힐링제, 오염 정화제, 수질 정수제, 공기 청정제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처리제는 처리제, 수처리제, 오염처리제, 토양처리제, 폐기물처리제, 정화제, 정수제, 청정제, 반응제, 응집제, 침전제, 첨가제, 폭기제, 정화제, 복원제, 힐링제, 정화제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복원제, 힐링제 중 하나는 정화제, 복원제, 복구제, 힐링제, 정수제, 청정제, 폭기제, 부유제, 부양제, 반응제, 응집제, 침전제, 여과제, 오염 정화제, 수질 정수제, 공기 청정제, 이중 둘 이상 복합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바인더는 석회, 석고, 수지, 시멘트, 슬래그, 애쉬, 본드, 바인더, 고화재, 고결재, 경화재, 보강재, 실리카흄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충진재는 충진재, 배면 충진재, 지면 충진재, 요철 충진재, 웅덩이 충진재, 절토부 충진재, 잔디 충진재, 인조잔디 충진재, 인조잔디 파일 충진재, 시설 충진재, 체육시설 충진재, 공간 충진재, 싱크홀 충진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첨가제는 가스, 공기, 압기, 기포, 산소, 수소, 질소, 염소, 탄소, 약품, 약물, 약재, 한약재, 양약재, 수지, 광물, 황토, 부산물, 미생물, 배지, 영양소, 비타민, 촉매, 광촉매, 음이온, 피톤치드, 청정제, 반응제, 응집제, 살균제, 소독제, 방향제, 항균제, 균제거제, 오염제거제, 악취제거제, 아토피원제거제, 환경호르몬제거제, 새집증후군제거제,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애타풀자이트, 펌프압기, 송풍압기, 풍력압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풍력압기는 바람 또는 풍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실린더 내의 스크류를 회전시키거나,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밀어 공기를 일측으로 압축하여 얻어지는 압기 또는 압축공기이다.
상기 몰탈은 a) 몰탈, 건조몰탈, 습윤몰탈, 황토몰탈, 석회몰탈, 석고몰탈, 수지몰탈, 에코몰탈, 에어몰탈, 내진몰탈, 방진몰탈, 제진몰탈, 기포몰탈, 발포몰탈, 팽창몰탈, 경량(輕量)몰탈, 중량(中量)몰탈, 중량(重量)몰탈, 시멘트몰탈, 화이버몰탈, 바이오몰탈, 경량기포몰탈, 아스팔트몰탈, 피톤치드몰탈, 보강재 함유 몰탈, mortar. dry mortar. wet mortar. ready mixed mortar, ready mixed mortar인 remitar, ready mixed mortar인 remitar의 한국말인 레미탈, 모래와 시멘트의 혼합물, 모래와 시멘트와 물의 혼합물, 공장제조 몰탈, 포대에 담겨진 건조몰탈, 공장에서 포대에 담겨진 건조몰탈, 포대에 담겨진 모래와 시멘트의 혼합물, 현장에서 모래와 시멘트와 물이 비빔된 혼합물, 포대에 담겨져 제품화된 몰탈, 진동 처리된 몰탈, 가진 처리된 몰탈, 자화 처리된 몰탈, 자화진동 처리된 몰탈; b) 시멘트 30∼43중량부와 SiO2 35∼45 중량부와 분산제 0.05∼0.1 중량부의 혼합물; c) 시멘트 35∼60 중량%와 잔골재 28∼55 중량%와 부산물 5∼20 중량%와 탄산칼슘 1.98∼11%와 유동화제 0.01∼2 중량%와 점걸제 0.01∼2 중량%의 혼합물; d) 결합재 25∼45 중량부와 모래 30∼75 중량부와 슬래그 1∼5 중량부와 소포제 0.02∼0.2 중량부와 유동화제 0.1∼2 중량부와 부산물 1∼10 중량부와 혼화제 0.1∼1 중량부의 혼합물; 하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하나로 처리된 몰탈;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몰탈; e)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몰탈; 등이다.
상기의 황토몰탈, 석회몰탈, 석고몰탈, 수지몰탈, 에코몰탈, 내진몰탈, 방진몰탈, 제진몰탈, 기포몰탈, 발포몰탈, 팽창몰탈, 경량(輕量)몰탈, 중량(中量)몰탈, 중량(重量)몰탈, 시멘트몰탈, 화이버몰탈, 바이오몰탈, 경량기포몰탈, 아스팔트몰탈, 피톤치드몰탈 등은 황토, 석회, 석고, 수지, 에코, 에코제, 내진, 내진제, 방진, 방진제, 제진, 제진제, 기포, 기포제, 발포, 발포제, 팽창, 팽창제, 경량, 輕量, 경량제, 중량, 中量, 中量제, 중량, 重量, 重量제, 시멘트, 화이버, 바이오, 미생물, 경량기포, 경량기포제, 아스팔트, 피톤치드;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물, 복합기능; 등이 함유, 포함, 투입, 혼합, 혼재, 혼입 등이 되는, 또는 등의 성질, 특성, 특징, 기능, 성능, 성향 등을 가지는 몰탈이 해당된다. 하기의 황토시멘트 내지 피톤치드시멘트, 황토레미콘 내지 피톤치드레미콘, 황토아스콘 내지 피톤치드아스콘, 황토콘크리트 내지 피톤치드콘크리트, 황토페이스트 내지 피톤치드페이스트, 황토플라스터 내지 피톤치드플라스터 등도 상기의 황토몰탈 내지 피톤치드몰탈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상기 시멘트는 a) 시멘트, cement, 황토시멘트, 석회시멘트, 석고시멘트, 수지시멘트, 에코시멘트, 내진시멘트, 방진시멘트, 제진시멘트, 기포시멘트, 발포시멘트, 팽창시멘트, 경량(輕量)시멘트, 중량(中量)시멘트, 중량(重量)시멘트, 석회시멘트, 화이버시멘트, 바이오시멘트, 경량기포시멘트, 아스팔트시멘트, 피톤치드시멘트, 기경성시멘트, 마그네시아시멘트, 수경성시멘트, 포틀랜드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고로시멘트, 실리카시멘트, 슬래그시멘트, 플라이애시시멘트, 팽창성시멘트, 착색시멘트, 내산시멘트, 내황산시멘트, 중용열시멘트, 조강시멘트, 저열시멘트, 백색시멘트, 급결시멘트, 조강시멘트, 백색시멘트, 한중시멘트, 내산시멘트, 포틀란트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보강재 함유 시멘트, 포대에 포장된 시멘트, 탱크에 담겨진 시멘트, 밀도 2.5∼3.2g/cm3인 시멘트, 분말도 3,000∼3,400cm2/g인 시멘트, 주성분이 CaO, SiO2, Al2O3인 시멘트; b) 또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CaO 50∼70중량부, SiO2 10∼30중량부, Al2O3 3∼10중량부, MgO 1∼4중량부, Fe2O3 1.5∼5중량부, SO3 0.5∼4중량부, TiO2 0.1∼2.5중량부, K2O 0.1∼1중량부, Na2O 0.1∼0.5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면서 분말도 2500∼5000cm^2/g인 시멘트; c)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시멘트; 등이다. 상기 알루미나시멘트는 알루미나시멘트 또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Al2O3 40∼55중량부, CaO 30∼45중량부, SiO2 3∼10중량부, MgO 0.5∼2중량부, Fe2O3 0.5∼3중량부, SO3 0.1∼2중량부, TiO2 0.01∼1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시멘트이다.
상기 시멘트에는 a) 시멘트, 무기질경화제, 팽창시멘트, 착색시멘트, 내산시멘트, 치과용시멘트, 포틀랜드시멘트, 소성(燒成)된 클링커(clinker)에 석고를 가하여 분말로 만든 시멘트, 석회·실리카·알루미나·산화철이 주성분인 시멘트; b) 또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CaO 50∼70중량부, SiO2 10∼30중량부, Al2O3 3∼10중량부, MgO 1∼4중량부, Fe2O3 1.5∼5중량부, SO3 0.5∼4중량부, TiO2 0.1∼2.5중량부, K2O 0.1∼1중량부, Na2O 0.1∼0.5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면서 분말도 2500∼5000cm2/g인 시멘트;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알루미나시멘트는 a) 알루미나시멘트, 조강(早强)시멘트, 내식성(耐蝕性)시멘트, 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서 알루미나 성분이 많은 시멘트, 석회석과 알루미나 성분이 많은 점토류(粘土類)를 혼합하여 1,500~1,600 ℃에서 소성후 분말로 된 시멘트; b) 또는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Al2O3 40∼55중량부, CaO 30∼45중량부, SiO2 3∼10중량부, MgO 0.5∼2중량부, Fe2O3 0.5∼3중량부, SO3 0.1∼2중량부, TiO2 0.01∼1중량부 중 셋 이상이 함유되는 알루미나시멘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레미콘은 레미콘, 혼합레미콘, 황토레미콘, 석회레미콘, 석고레미콘, 수지레미콘, 에코레미콘, 내진레미콘, 방진레미콘, 제진레미콘, 기포레미콘, 발포레미콘, 팽창레미콘, 경량(輕量)레미콘, 중량(中量)레미콘, 중량(重量)레미콘, 시멘트레미콘, 화이버레미콘, 바이오레미콘, 경량기포레미콘, 아스팔트레미콘, 피톤치드레미콘, 레미콘 콘크리트, 콘크리트 레미콘, 보강재 함유 레미콘, remicon, ready mixed concrete, 공장에서 생산된 레미콘, 진동 처리된 레미콘, 가진 처리된 레미콘, 자화 처리된 레미콘, 자화진동 처리된 레미콘, 하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하나로 처리된 레미콘,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레미콘,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레미콘 등이다.
상기 아스콘은 아스콘, 황토아스콘, 석회아스콘, 석고아스콘, 수지아스콘, 에코아스콘, 내진아스콘, 방진아스콘, 제진아스콘, 기포아스콘, 발포아스콘, 팽창아스콘, 경량(輕量)아스콘, 중량(中量)아스콘, 중량(重量)아스콘, 시멘트아스콘, 화이버아스콘, 바이오아스콘, 경량기포아스콘, 아스팔트아스콘, 피톤치드아스콘, 아스팔트콘크리트, 보강재 함유 아스콘, ascon, asphalt concrete, 석분 함유 아스콘, 포장재로 사용되는 아스콘, 진동 처리된 아스콘, 가진 처리된 아스콘, 자화 처리된 아스콘, 자화진동 처리된 아스콘, 아스팔트 20∼60중량부와 골재 10∼50중량부와 석분 10∼50중량부의 혼합물, 하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하나로 처리된 아스콘,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아스콘,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아스콘 등이다. 상기 아스팔트는 a) 역청, 피치, 아스팔트, asphalt, 원유 또는 석유에서 휘발성 유분이 증발되고 남은 잔류물; b) 또는 수소, 탄소, 질소, 황, 산소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아스팔트; 등이다.
상기 콘크리트는 레미콘, 아스콘, 정화콘, 청정콘, 퓨리콘, 방수콘, 강철콘, 피톤콘, 내진콘, 방식콘, 살균콘, 소독콘, 콘크리트, 흙콘크리트, 소일콘크리트, 섬유콘크리트, 혼합콘크리트, 황토콘크리트, 석회콘크리트, 석고콘크리트, 수지콘크리트, 에코콘크리트, 정화콘크리트, 청정콘크리트, 그린콘크리트, 방수콘크리트, 내진콘크리트, 방진콘크리트, 제진콘크리트, 기포콘크리트, 발포콘크리트, 팽창콘크리트, 유황콘크리트, 무근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카본콘크리트, 경량(輕量)콘크리트, 중량(中量)콘크리트, 중량(重量)콘크리트, 시멘트콘크리트, 화이버콘크리트, 바이오콘크리트, 경량기포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피톤치드콘크리트, 라텍스콘크리트, 그래핀콘크리트, 마사토콘크리트, 폴리머콘크리트, 지오폴리머콘크리트, 보강재 함유 콘크리트, concrete, cement concrete, asphalt concrete, LMC(latex modified concrete), SRC(steel reinforced concrete), CRC(carbon reinforced concrete), RC(reinforced concrete), CC(carbon concrete), GC(graphene concrete), PC(precast concrete), PS(prestressed, poststressed), PSC(prestressed concrete, poststressed concrete), 공장에서 생산된 콘크리트, 현장의 플랜트에서 생산된 콘크리트, 하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하나로 처리된 콘크리트,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콘크리트,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콘크리트 등이다.
상기 레미콘 내지 복합 콘크리트 등은 ready mixed, mixed, 시멘트, 아스팔트, 정화, 청정, 퓨리, puri, purification, 방수, 철, 강철, 피톤, 피톤치드, 내진, 방식, 부식방지, 살균, 소독, 흙, 소일, 섬유, 혼합재, 황토, 석회, 석고, 수지, 에코, 정화, 청정, 그린, 방수, 내진, 방진, 제진, 기포, 발포, 팽창, 유황, 무근, 철근, 카본, 경량(輕量), 중량(中量), 중량(重量), 시멘트, 화이버, 바이오, 경량기포, 아스팔트, 피톤치드, 라텍스, 그래핀, 마사토, 폴리머, 지오폴리머, 보강재, cement, asphalt, latex modified, steel reinforced, carbon reinforced, reinforced, carbon, graphene, precast, prestressed, poststressed 등의 콘크리트, 또는 등이 포함되는 콘크리트, 또는 등의 기능을 가지는 콘크리트이다.
상기 페이스트는 밀크, 시멘트밀크, 슬러리, 페이스트, 황토페이스트, 석회페이스트, 석고페이스트, 수지페이스트, 에코페이스트, 내진페이스트, 방진페이스트, 제진페이스트, 기포페이스트, 발포페이스트, 팽창페이스트, 경량(輕量)페이스트, 중량(中量)페이스트, 중량(重量)페이스트, 시멘트페이스트, 화이버페이스트, 바이오페이스트, 경량기포페이스트, 아스팔트페이스트, 피톤치드페이스트, paste, cement paste, 물과 석회의 혼합물, 물과 시멘트의 혼합물, 하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하나로 처리된 페이스트,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페이스트,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페이스트 등이다.
상기 플라스터는 a) 플라스터, 황토플라스터, 석회플라스터, 석고플라스터, 수지플라스터, 에코플라스터, 내진플라스터, 방진플라스터, 제진플라스터, 기포플라스터, 발포플라스터, 팽창플라스터, 경량(輕量)플라스터, 중량(中量)플라스터, 중량(重量)플라스터, 시멘트플라스터, 화이버플라스터, 바이오플라스터, 경량기포플라스터, 아스팔트플라스터, 피톤치드플라스터, 돌로마이트플라스터, 보강재 함유 플라스터, plaster, lime plaster, cement plaster, 칼슘이 함유된 광석의 소성물이 함유된 플라스터, 마그네시아가 함유된 광석의 소성물이 함유된 플라스터; b) 또는 석고, 석회, 물, 모래, 섬유 중 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 하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하나로 처리된 플라스터, 상기 처리된 물질이 함유된 플라스터,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플라스터 등이다.
상기 배합수는 수, 물, 액, 유, 약, 졸, 겔, 액체, 생수, 상수, 하수, 우수, 오수, 폐수, 탁수, 오탁수, 해수, 염수, 샘물, 먹는물, 지하수, 암반수, 지표수, 산성수, 염기수, 탄산수, 자화수, 육각수, 배합에 사용되는 수 또는 물 또는 액 또는 액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배합재는 배합에 사용되는 제, 재, 재료, 원료, 물질, 자화재, 자화 배합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배합물은 타설재, 약액, 밀크, 몰탈, 현탁액, 슬러리, 레미콘, 아스팔트, 페이스트, 플라스터, 콘크리트, 자화물, 자화 배합물, 배합된 물질, 배합에 사용되는 물질, 배합수와 배합재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밀크는 밀크, 시멘트밀크, 석회밀크, 시멘트와 물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몰탈은 몰탈, 시멘트몰탈, 석회몰탈, 석고몰탈, 아스팔트몰탈, 시멘트와 물과 모래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약액은 약액, 약물, 물유리, 규산소다, 수지용액, 약품 함유 용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현탁액은 흙, 시멘트, 석회, 석다. 수지 중 하나 이상과 수, 물, 액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된 것이다. 상기 슬러리는 슬러리, 수지슬러리, 점토슬러리, 시멘트슬러리, 아스팔트슬러리, 벤토나이트슬러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레미탈은 레미탈, 레디믹스트몰탈(ready mixed mortar), 물이 없는 몰탈,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레미콘은 레미콘, 생콘크리트, 레디믹스트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 배치플랜트에서 제조된 프레시콘크리트(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 시멘트와 물과 모래와 자갈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타르, 피치, 역청물, 원유찌끼, 원유증발찌끼, 원유찌끼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페이스트는 페이스트, 시멘트페이스트, 아스팔트페이스트, 시멘트와 물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플라스터는 플라스터, 석고플라스터, 석회플라스터, 석회와 물의 반죽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황토콘크리트, 소일콘크리트, 섬유콘크리트, 화이버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철골콘크리트, 탄소콘크리트, 보강콘크리트, 섬유보강콘크리트, 한중콘크리트, 서중콘크리트, 중량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기포콘크리트, 발포콘크리트,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AE(air entraining agent)콘크리트, 레디믹스트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 프리팩트콘크리트(prepact concrete), 시멘트와 물과 모래와 자갈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타설재는 상기 밀크 내지 콘크리트, 수 내지 플라스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지오폴리머는 Si 성분, Al 성분, Si2O5, Al2O2, SiO2 중 하나 이상과 K 성분, Na 성분, OH 성분, KOH, NaOH, KOH+Na2SiO3, NaOH+Na2SiO3, NaOH+Na2SO4, Ca(OH)2+Na2SiO3, Ca(OH)2+Na2SO4, Na2SiO3+Na2CO3 중 하나 이상이 결합하여 조성된 물질이다.
상기 Ca는 Ca, 칼슘이온, Ca+2, CaO, CaCO3, Ca(OH)2, Ca3SiO5(tricalcium silicate), Ca2SiO4(dicalcium silicate), CaSiO3(calcium metasilicate), CaO·SiO2·nH2O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는 Mg, Mg2+, MgO, MgCO3, 마그네슘이온, Mg(OH)2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Si는 Si, Si+2, Na2SiO3, 규산, 규소이온, SiO2, CaO·SiO2·nH2O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Fe는 Fe, FeO, Fe2O3, Fe3O4, 철이온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e는 금속, 금속이온, Metal, Metal의 약자 M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Al은 알루미늄, 알루미늄이온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K는 K, K+, KOH, 칼륨이온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Na는 Na, Na+, NaOH, NaCl, Na2SiO3, Na2SO4, 나트륨이온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OH는 OH, OH-, KOH, NaOH, 수산화이온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OO는 COO, COO-, COOH, CH3COOH, 카르복실, 카르복실이온, 수지 원료, 수지 성분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Mg는 CaMg는 Ca, Mg, CaMg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Si는 Ca, Si, CaSi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Fe는 Ca, Fe, Ca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Al은 Ca, Al, Ca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Si는 Mg, Si, MgSi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Fe는 Mg, Fe, Mg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Al은 Mg, Al, Mg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SiFe는 Si, Fe, Si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SiAl은 Si, Al, Si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FeAl은 Fe, Al, Fe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MgSi는 Ca, Mg, Si, CaMg, CaSi, MgSi, CaMgSi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MgFe는 Ca, Mg, Fe, CaMg, CaFe, MgFe, CaMg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MgAl은 Ca, Mg, Al, CaMg, CaAl, MgAl, CaMg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SiFe는 Mg, Si, Fe, MgSi, MgFe, SiFe, MgSi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SiAl은 Mg, Si, Al, MgSi, MgAl, SiAl, MgSi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SiFeAl은 Si, Fe, Al, SiFe, SiAl, FeAl, SiFe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MgSiFe는 Ca, Mg, Si, Fe, CaMg, CaSi, CaFe, CaMgSi, MgSiFe, CaSiFe, CaMgSiFe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MgSiAl은 Ca, Mg, Si, Al, CaMg, SiAl, CaMgSi, MgSiAl, CaMgSi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SiFeAl은 Mg, Si, Fe, Al, MgSi, FeAl, MgSiFe, SiFeAl, MgSiFe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MgSiFeAl은 Ca, Mg, Si, Fe, Al, CaMg, SiFe, MgSi, FeAl, CaMgSiFe, MgSiFeAl, CaMgSiFe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KSiAl은 K, Si, Al, KSi, KAl, SiAl, KSi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NaSiAl은 Na, Si, Al, NaSi, NaAl, SiAl, NaSi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KNaSiAl은 K, Na, Si, Al, KNa, KSi, KAl, KNaSi, KNaAl, NaSiAl, KNaSiAl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SiCOO는 Ca, Si, COO, CaSi, CaCOO, SiCOO, CaSiCOO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MgFeCOO는 Mg, Fe, COO, MgFe, FeCOO, MgFeCOO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MgFeCOO는 Ca, Mg, Fe, COO, CaMg, FeCOO, CaMgFe, MgFeCOO, CaMgFeCOO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제, 재, 이온, 성분, 요소, 원소, 물질, 반응물, 결합물, 포함물, 나노물, 수지물, 부산물, 탄소물, 섬유물, 촉매물, 화이버물, 라텍스물, 바이오물, 피톤치드물에 있어서, 상기 제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제; 이의 하나인 Ca제, Mg제, FeCOO제, CaMgFeCOO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재; 이의 하나인 Ca재, Mg재, FeCOO재, CaMgFeCOO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이온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이온; 이의 하나인 Ca이온, Mg이온, FeCOO이온, CaMgFeCOO이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성분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성분 또는 하나 이상 함유 성분; 이의 하나인 Ca성분, Mg성분, FeCOO성분, CaMgFeCOO성분, Ca 함유 성분, Mg 함유 성분, FeCOO 함유 성분, CaMgFeCOO 함유 성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요소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요소; 이의 하나인 Ca요소, Mg요소, FeCOO요소, CaMgFeCOO요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원소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원소; 이의 하나인 Ca원소, Mg원소, FeCOO원소, CaMgFeCOO원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물질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물질; 이의 하나인 Ca물질, Mg물질, FeCOO물질, CaMgFeCOO물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반응물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간의 또는 하나 이상과 다른 물질과의 반응물, 산화반응물, 수화반응물, 탄산화반응물; 이중 하나로 Ca반응물인 CaO, Ca(OH)2, CaCO3, Mg반응물인 MgO, Mg(OH)2, MgCO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결합물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간의 또는 하나 이상과 다른 물질과의 결합물; 이의 하나인 Ca와 Mg의 결합물인 CaMg, Ca와 O의 결합물인 CaO, Ca와 H2O의 결합물인 Ca(OH)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포함물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포함물; 이의 하나인 Ca 포함 물질, Mg 포함 재료, FeCOO 포함 수지, CaMgFeCOO 포함 모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나노물은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나노물; 이의 하나인 Ca성분 함유 나노물, Mg성분 함유 나노물, FeCOO나노물, CaMgFeCOO나노물; 또는 나노미터 크기를 가지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수지물, 부산물, 탄소물, 섬유물, 촉매물, 화이버물, 라텍스물, 바이오물, 피톤치드물 중 하나는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 이상 또는 하나 이상 성분 함유 수지, 부산물, 탄소, 섬유, 촉매, 화이버, 라텍스, 미생물, 피톤치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바이오물에는 Ca 또는 Ca성분 함유 미생물, Mg 또는 Mg성분 함유 미생물, FeCOO 또는 FeCOO성분 함유 미생물, CaMgFeCOO 또는 CaMgFeCOO성분 함유 미생물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Ca 내지 CaMgFeCOO 중 하나는 1) Ca 또는 Ca 함유 성분에 의한 칼슘반응, 산화반응, 레독스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포졸란반응, 2) Mg 또는 Mg 함유 성분에 의한 마그네슘반응, 산화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3) Si 또는 Si 함유 성분에 의한 규소반응, 규산반응, 규소고결반응, 4) Fe 또는 Fe 함유 성분에 의한 철반응, 철응집반응, 철산화반응, 철고결반응, 철이온화반응, 5) Me 또는 Me 함유 성분에 의한 금속반응, 금속응집반응, 금속산화반응, 금속고결반응, 금속이온화반응, 6) Al 또는 Al 함유 성분에 의한 알루미늄반응, 알루미늄응집반응, 알루미늄이온화반응, 7) K 또는 K 함유 성분에 의한 칼륨반응, 산화반응, 탄산화반응, 8) Na 또는 Na 함유 성분에 의한 나트륨반응, 산화반응, 탄산화반응, 9) OH 또는 OH 함유 성분에 의한 수산화반응, 음이온반응, 라디칼반응, 10) COO 또는 COO 함유 성분에 의한 수지반응, 고결반응, 팽창반응, 카르복실반응, 11) 상기 반응 중 둘 이상의 복합반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발생되게 된다.
상기 물질, 재료, 자재, 몰탈, 시멘트, 보강재, 아스팔트,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페이스트, 플라스터, 몰탈 내지 지반개량제 중 하나에는 하기 1 내지 32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1은 가루, 밀가루, 모래, 자갈, 골재, 필러, 결합재, 혼화재, 보강재, 이중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 2는 가루, 밀가루, 시멘트 중 하나 이상에 물, 모래, 자갈, 쇄석, 골재, 혼화재, 보강재, 탄산수 중 하나 이상이 반죽된 반죽물이다. 상기 3은 시멘트 또는 아스팔트와 필러, 모래, 석분, 쇄석, 골재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 4는 상기 골재가 세골재, 조골재, 모래, 해사, 쇄사, 자갈, 쇄석, 골재, 순환골재, 필러, 광물, 광석, 광미, 폐기물, 부산물, 폐분, 분진, 석분, 미분, 슬래그, 슬러지, 소각재 중 하나 이상인 것이다. 상기 5는 상기 필러가 광물, 광석, 광미, 폐기물, 부산물, 폐분, 분진, 석분, 미분, 슬래그, 슬러지, 소각재 중 하나 이상인 것이다. 상기 6은 상기 결합재가 결합재, 시멘트, 아스팔트, 석고, 석회, 전분, 약품, 폴리머, 접착제, 바인더, 경화제 중 하나 이상인 것이다. 상기 7은 상기 혼화제가 급결제, 지연제, 소결제, 분산제, 방수제, 차수제, 발수제, 기포제, 팽창제, 발포제, 소포제, 착색제, 경화제, 감수제, 안료, 염료, 광물, 광석, 광미, 섬유, 화이버, 보강재, 폐기물, 슬래그, 슬러지, 미생물, 유용미생물, 유효미생물, 바실러스, 파스퇴우리, 유동화제, 공기연행제, 음이온방사물질, 원적외선방사물질 중 하나 이상인 것이다.
상기 8은 상기 물이 수, 물, 액, 유, 용수, 상수, 하수, 댐수, 펌프수, 수도수, 지하수, 암반수, 광천수, 우물수, 지표수, 하천수, 연못수, 탄산수, 산소수, 수소수, 이온수, 전해수, 가압수, 압력수, 압기수, 펌핑수, 양수물, 바이오수 중 하나 이상인 것이다. 상기 9는 시멘트, 아스팔트, 소일, 황토, 공기, 기포, 압기, 산소, 질소, 수지, 약품, 약액, 요소, 효소, 효모, 촉매, 엔자임, 계면제, 활성제, 실리카, 카본, 기포제, 팽창제, 칼라제, 그래핀, 폴리머, 미생물, 화이버 중 하나 이상과 골재, 필러, 분말, 결합재, 혼화제, 물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 10은 골재 또는 필러 25∼70중량부, 결합재 15∼40중량부, 혼화제 0.1∼10중량부, 물 5∼35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된 혼합물이다. 상기 11은 시멘트 15~30중량부, 잔골재 20~45중량부, 굵은골재 30~60중량부, 폐기물 0.1~3중량부, 혼화제 0.1~5중량부, 물 15~35중량부 중 둘 이상이 포함된 혼합물이다. 상기 12는 시멘트의 결합재와 입도범위 5∼13mm, 13∼20mm의 골재와 폐기물, 유동화제가 포함되고 물결합재비 25∼35% 또는 공극율 15∼30%가 되는 혼합물이다. 여기서 물결합재비는 (물/결합재)×100%이다. 상기 13은 물과 결합재와 혼화제의 1㎥당 0.2∼0.65㎥의 비율로 잔골재 및 굵은골재가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상기 14는 시멘트, 골재, 자갈, 모래, 석분, 분말, 입자, 물, 혼화제, 아스팔트 중 둘 이상이 포함되고 물-시멘트비 또는 골재-아스팔트비 25∼40%인 혼합물이다. 여기서 물-시멘트비는 w/c비, water/cement비, (물÷시멘트)×100%, 그리고 골재-아스팔트비는 g/a비, gravel/asphalt비, (골재÷아스팔트)×100% 등이 해당된다. 상기 15는 밀도 3.0∼3.2g/cm3, 분말도 3,000∼3,400cm2/g, 화학적 주성분은 CaO, SiO2, Al2O3 중 하나 이상인 시멘트와; 입도 3∼5mm 또는 15∼25mm, 밀도 2.5∼2.8g/cm3, 단위용적질량 1,340∼1,580kg/m3 중 하나 이상인 조골재와; 밀도 2.2∼2.6 g/cm3, 단위용적질량 1,295∼1,580kg/m3 중 하나 이상인 세골재에 물, 혼화제가 함유된 혼합물이다. 상기 16은 14∼15중량부의 경화제와 76∼79중량부의 골재와 0.08∼0.1중량부의 혼화제와 0.3∼3중량부의 폐기물과, 별도의 물;을 포함하여 100중량부로 구성된 구성물이다. 상기 17은 시멘트 20∼40중량부, 모래 10∼50중량부, 자갈 10∼50중량부, 물 2∼30중량부를 혼합하여 100중량부가 된 혼합물이다.
상기 18은 아스팔트 20∼60중량부, 골재 10∼50중량부, 석분 10∼50중량부를 혼합하여 100중량부가 된 혼합물이다. 상기 19는 경화제와 물과 모래와 자갈과 혼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상기 20은 시멘트 30∼90중량부, 슬래그 1∼55중량부, 플라이애쉬 또는 실리카퓸 0.1∼35중량부로 혼합된 결합재와, 입도 5∼13mm, 13∼25mm, 25∼40mm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굵은골재와, 입도 5mm이하인 잔골재 또는 슬래그잔골재와, 상기 결합재에 대해 0.03∼3.0중량부의 혼화제가 포함되는 혼합물이다. 상기 21은 5∼8부피부 결합재와 60∼80부피부 골재와 0.2∼0.5부피부 혼화제와 이외 전체부피 100%를 채우기 위한 물로 구성되고, 상기 골재는 폐기물, 폐분, 폐콘크리트, 부순돌, 바텀애쉬, 슬래그, 암석 중 선택된 1 내지 7 종의 혼합물이고, 상기 결합재는 시멘트, 아스팔트, 석회, 석고, 플라이애쉬, 슬러지 중 선택된 1 내지 6 종의 혼합물이다. 상기 22는 시멘트 등의 결합재 100중량부에 잔골재 200∼250중량부, 굵은골재 260∼280중량부, 탄화물 3∼8중량부, 혼화제 0.5∼1.5중량부, 물 35∼45중량부가 되는 혼합물이다.
상기 23은 모래 30∼40중량부, 자갈 35∼45중량부, 물 10∼30중량부, 소각재 또는 플라이애쉬 5∼25중량부, 광물 또는 폴리머 1∼15중량부를 포함하여 100중량부를 이루고, 상기 폴리머는 라텍스, 지오폴리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부탄디올, 다하이드로시헥산, 이소시아네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상기 24는 물 3∼10중량부, 시멘트 10∼25중량부, 잔골재 25∼35중량부, 조골재 40∼45중량부, 플라이애쉬 0.5∼1.5중량부, 부산물 1∼7중량부를 포함하여 100중량부를 이루는 혼합물이다. 상기 25는 시멘트 포함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모래 또는 자갈 포함 골재 250∼660중량부, 광물 또는 제올라이트 10∼150중량부, 바실러스 포함 미생물 1∼15중량부, 물 10∼3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상기 26은 결합재량 또는 시멘트량 250∼550㎏/㎥, 잔골재량 350∼650㎏/㎥, 굵은골재량 850∼1,100㎏/㎥, 수량 150∼200㎏/㎥, 광물 또는 폐기물 200∼450㎏/㎥, 혼화제 0.1∼5중량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혼합물이다.
상기 27은 결합재 또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SiO2 50∼55중량부, Al2O3 15∼20중량부, MgO 1∼2중량부, FeO 2∼4중량부, Fe2O3 2∼3중량부, CaO 0.5∼0.9중량부, K2O 0.5∼1.1중량부, Na2O 0.5∼0.7중량부, P2O5 0.2∼0.6중량부, MnO 0.03∼0.09중량부, 광물성분 13∼18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는 폐분, 석분, 광미 중 하나 5∼45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폐분, 석분, 광미 중 하나의 입경은 0.03∼0.08mm이고, 슬럼프가 8∼12cm, 단위수량/시멘트량이 50∼60중량%, 잔골재율이 45∼53중량%인 혼합물이다. 상기 28은 골재 75∼83중량부, 결합재 13∼15중량부, 물 5∼7중량부, 혼화제 0.07∼0.3중량부에 미생물이 상기 결합재 중량 대비 3∼15%가 더 혼합되고, 상기 결합재는 시멘트, 슬래그, 플라이애쉬 중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고, 상기 미생물은 광합성균, 유산균, 방선균, 사상균, 바실러스, 효모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혼합물이다.
상기 29는 시멘트 50∼90중량%에 분말슬래그 1∼15중량%, 분말수지 0.1∼7중량%, 라텍스 0.01~6중량%, 팽창제 0.11~15중량%, 화이버 0.01∼3.0중량%, 감수제 0∼3중량% 중 하나 이상 포함의 혼합물이다. 상기 30은 시멘트 또는 경화제 13∼21중량부, 세골재 27∼36중량부, 조골재 38∼47중량부, 피톤치드 1∼7중량부, 혼화제 0.3∼1.8중량부, 물 4∼10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상기 31은 황토, 석회, 석고, 수지, 섬유, 내진, 방진, 제진, 공기, 기포, 발포, 팽창, 경량, 중량, 저압, 고압, 수중, 한중, 서중, 단열, 차열, 방음, 차음, 공장, 현장, 포장, 벌크, 보강, 조강, 초조강, 시멘트, 폴리머, 화이버, 보강재, 라텍스, 저발열, 고발열, 초속경, 저강도, 고강도, 초고강도, 아스팔트, 피톤치드, 섬유보강, 포틀랜트,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지오폴리머, 공장배합, 현장배합, 공장제조, 현장타설, PC(pre cast), PS(pre stress), PS(post stress) 중 하나의 또는 하나 이상 함유의 상기 물질 내지 지반개량제(상기 물질, 재료, 자재, 몰탈, 시멘트, 아스팔트,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페이스트, 플라스터, 몰탈 내지 지반개량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32는 a) a1) 조강, 저열, 고로, 탄소, 중량, 경량, 팽창, 백색, 혼합, 실리카, 내황산, 초속경, 중용열, 슬래그, 포틀랜드,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플라이애쉬 중 하나 시멘트, a2) 또는 석회, 석고, 시멘트, 바인더, 결합재, 아스팔트 중 하나 이상 100 중량부 및 상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모래 또는 쇄사 100∼600 중량부, 자갈 또는 쇄석 또는 순환골재 150∼800 중량부, 혼화제 0.0001∼30 중량부 중 하나 이상과; c) 물 또는 이온수 50∼400 중량부, 폐분 또는 석분 또는 애쉬 또는 부산물 10∼600 중량부, 소일 또는 황토 또는 마사토 10∼600 중량부, 수지 또는 폴리머 또는 라텍스 0.005∼50 중량부, 화이버 또는 보강재 또는 나노재 0.0001∼40 중량부, 미생물 또는 이의 함유물 0.00001∼10 중량부, 제독제 또는 이의 함유물 0.00001∼3 중량부, 상기 기재 이외 물질 0∼1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혼합물이다.
상기 보강재는 a) 봉, 대, 망, 빔, 판, 셀, 철근, 철골, 철근망, 철봉, H빔, I빔, 강선, 기둥, 파일, 거더, 강관, 강봉, 철봉, 탄소, 메쉬, 격자, 철망, 시트, 매트, 섬유, 유리, 금속, 스틸, 골조, 로프, 볼트, 앙카, 교좌, 아치, 네일링, 트러스, 케이블, 와이어, 그리드, 화이버, 망격자, 격자망, 탄소망, 탄소봉, 탄소대, 탄소근, 보강재, 연직재, 수평재, 경사재, 브라켓, 나노재, 탄소재, 탄소섬유, 나노탄소, 시트매트, 시트파일, 탄소시트, 탄소매트, 나일론망, FRP재, 브레이싱, X브레이싱, 경사브레이싱, 플라스틱재, 와이어메쉬, 고분자합성재, 금속고분자결합재, 철망과 탄소망의 결합체, 철봉과 이의 외주 망 또는 탄소망 결합체, 탄소봉과 이의 외주 철망 결합체; b) 이중 둘 이상 복합재; c) 이 복합재의 하나인 철근과 탄소망, 망과 격자, 망과 격자와 시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소재, 자재, 이온제, 이온재, 분자제, 분자재, 나노제, 나노재, 내진재 등에서 제 또는 재는 제, 재, 劑, 材, 재료, 자재, 물질, 원료, 소제, 소재, 첨가제, 주재, 보조제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나노화, 나노제, 나노재 등에서 나노는 나노, nano, 나노기술, 나노크기, 나노미터, 나노미터 크기, 10억분의 1, 10억분의 1m, 10-9m, 10-6∼10-12m, 미소, 미니, 微少, 작은 사이즈, 미니 사이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에코는 에코, eco, 경제, 생태, 식물, 친환경, 친생태 등이다. 상기 스마트는 스마트, smart, 건전, 건강, 단단, 맵시, 깔끔, 최신, 첨단, 최첨단, 스마트기술, 스마트자재, 정보의 축적과 검색, 컴퓨터가 정보를 읽고 처리하여 상관도가 높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대형 정보 검색 시스템 등이다.
상기 나노재는 나노재 1, 나노재 2, 나노재 3, 나노재 4, 나노재 5 중 하나이다. 상기 나노재 1은 나노재, 나노제, 나노물, 나노물질, 나노재료, 나노철, 나노금속, 나오이온, 나노수지, 나노탄소, 나노라텍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나노재 2는 10-9미터 크기의 또는 크기에 해당되는 수, 물, 액, 유, 약, 약, 졸, 겔, 기, 고, 제, 재, 분말, 물질, 입자, 유체, 액체, 기체, 고체, 액상, 기상, 고상, 탄소, 금속, 철분, 석재, 목재, 고분자재, 액기체, 액고체, 기고체, 액기고체, 입자물, 입상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나노재 3은 10-9미터의 ±100이 되는 10-7∼-11미터 크기의 물질이다. 상기 나노재 4는 입자가 작고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해당 물질의 분해, 반응, 기능, 성능 중 하나를 향상시키는 물질이다. 상기 나노재 5는 일반수지에 비하여 반응, 본딩, 바인딩, 유동성 중 하나의 성질이 향상되고, 굳음 또는 양생 후 강도 증가, 투수성 감소 중 하나 이상이 되는 나노수지이다. 상기 마이크로재는 마이크로재, 마이크로제, 마이크로물, 마이크로물질, 마이크로재료; 또는 10-6미터 크기의 또는 크기에 해당되는 상기 수 내지 입상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재료는 재료 1, 재료 2, 재료 3, 재료 4, 재료 5, 재료 6 등이다. 상기 재료 1은 실, 명주실, 줄, 동아줄, 사, 잠사, 선, 막, 솜, 면, 섬유, 명주, 모시, 헝겊, 걸레, 종이, 필름, 파일, 펠트, 양털, 망사, 원사, 잠사, 원단, 메쉬, 격자, 가죽, 소가죽, 피혁, 한천, 직물, 거적, 포, 마포, 직포, 부직포, 여과포, 흡착포, 기름흡착포, 여과지, 여과포, 스펀지, 스티로폼, 화이버, 타래, 실타래, 섬유재, FRP, 강섬유, 나일론, 그래핀, 비닐론, 플라스틱, 히드록시, 유리섬유, 탄소섬유, FRP섬유, 섬유화이버, 유리화이버, 금속화이버, 셀룰로즈, 아파타이트, 지오텍스타일, 지오멤브레인, 필터, 나노필터, 울트라필터, 마이크로필터, 와이어메쉬, 폴리에스터, 아라미드섬유, 폴리에틸렌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PVA(polyvinyl alcohol)섬유, 길이가 자신 두께의 1.1∼100배인 섬유,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2는 약(藥), 인, 황, 염, 핵, 핵물질, 죽염, 약품, 효소, 효모, 이스트, 약제, 약물, 약액, 양약, 한약, 약품, 시약, 약재, 탕약, 물약, 농약, 치약, 알약, 가루약, 무좀약, 염색약, 설사약, 소화제, 진통제, 소염제, 마취약, 다이어트약, 다이어트제, 안료, 유약, 염료, 염류, 도료, 도색제, 도장제, 페인트, 탄닌, 키틴, 탈크, 유황, 화약, 황산, 염산, 질산, 초산, 알콜, 요소(CH4N2O), 소다, 소다회, 소금, 곤소금, 굵은소금, 향, 유향, 몰약, 모기약, 모기향, 구충약, 구충제, 살충제, 살충약, 폭탄, 핵폭탄, 수소폭탄, 촉매, 광촉매, 정촉매, 부촉매, 촉매제, 촉매재, 코팅제, 도장제, 비료, 퇴비, 물감, 향, 유향, 향료, 안료, 무기안료, 유기안료, 의료품, 의약품, 양약재, 한약재, 현탁액, 엔자임, 물유리, 폴리락틱산, 이산화티탄, 요오드화은, 이산화탄소,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자외선차단제, CMC(carboxymethyl cellulose),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3은 청정제, 정화제, 정수제, 폭기제, 반응제, 응집제, 침전제, 흡착제, 포집제, 청소제, 청결제, 세정제, 세척제, 세탁제, 세차제, 살균제, 소독제, 살균액, 소독액, 항균제, 제균제, 멸균제, 제독제, 해충제, 살충제, 구충제, 제습제, 기포제, 발포제, 폭기제, 팽창제, 지수제, 방수액, 방수제(防水劑), 방수제(防銹劑), 방청제, 방지제, 녹방지제, 오염방지제, 발수제, 가소제, 혼화제, 첨가제, 추가제, 고화제, 고결제, 경화제, 결합제, 부착제, 점착제, 접착제, 차열제, 내진제, 규산제, 방향제, 화학제, 화학물, 화학재, 포졸란제, 첨가제, 혼화제, 급결제, 완결제, 소결제, 감수제, 불연제, 난연제, 방화제, 유화제, 유동화제, 점결제, 개질제, AE제(air entraining agent), 속경제, 분산제, 커플링제, 가교제, 분산제(分散劑), 가소제, 촉진제, 지연제, 응고지연제, 팽창제, 발포제(發泡劑), 기포제, 소포제(消泡劑), 착색제(着色劑), 방청제, 응결촉진제, 응결지연제, 흡수제, 흡착제, 포집제, 탈수제, 분리제, 선별제, 파쇄제, 분쇄제, 풍쇄제, 수쇄제, 여과제, 복원제, 힐링제, 처리제, 활성제, 계면활성제, 함수제, 함유제, 함기제, 함고제, 공기연행제, 산성제, 염기제, 중성제, 중화제, 알카리제, pH제, pH조정제, pH7이하제, pH7이상제,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4는 애쉬, 저회, 비회, 폐지, 폐분, 폐분, 석분, 미분, 폐수, 분진, 인분, 돈분, 우분, 마분, 축분, 배설물, 철분, 철분진, 고철, 고물, 굴패각, 슬래그, 제강슬래그, 제철슬래그, 고로슬래그, 슬러지, 하수슬러지, 슬라임, 굴착공사슬라임, 쓰레기, 부산물, 음식물, 음폐물, 음폐수, 폐기물, 폐유리, 비닐, 폐비닐, 폐고무, 폐석회, 폐석고, 폐섬유, 껍질, 각갑류, 패각, 굴패각, 조개패각, 폐콘크리트, 폐타이어, 주물사, 폐주물사, 폐기물재, 부산물재, 재활용재, 재활용제, 재활용품, 조개껍질, 바텀애쉬, 애쉬, 킬른더스트, 폐플라스틱, SiO2 40∼60중량부 포함 애쉬, FeO 또는 Fe2O3 0.5∼85중량부 포함 부산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5는 몰탈(mortar),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 레미탈(ready mixed mortar), 믹스탈(mixed mortar), 아스콘(asphalt concrete), 황토콘, 소일콘, 페이스트, 플라스터, 경량소일, 경량몰탈,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중량콘크리트, 소일콘크리트, 기포콘크리트, 시멘트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유황콘크리트, LMC(latex modified concrete), 보링제, 굴착제, 혼합재, 타설재, 형틀타설재, 주입재, 지중주입재, 믹싱재, 분사재, 사면분사재, 지중분사재, 포설재, 지면포설재, 시면포설재, 포장재, 도로포장재, 인도포장재, 다짐재, 지중다짐재, 포장다짐재, 보강재, 지반보강재, 구조보강재, 보수재, 보호재, 발수제, 코팅재, 도장재, 도색재, 퍼터, 페인트, 혼화제, 시멘트혼화제, 레미콘혼화제, 콘크리트혼화제, 그라우팅재, 숏크리트재, 녹생토재, 스프레이재, 시드스프레이재, 지반개량제, 화이버 함유 레미콘, 섬유 포함 콘크리트,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복합재료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료 6은 입경이 001∼1mm로 조정되고 염분 및 유기물이 제거된 패각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표면적 3,500cm2/g 이상인 슬래그 10∼1,000중량부와, 분진 10∼1,000중량부와, 시멘트 05∼50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진은 탄산나트륨 2∼40중량%, 황산나트륨 50∼88중량% 및 염화나트륨 1∼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패각 100중량부에 대하여, CaO 함량이 20중량% 이상인 팽창재를 5∼500중량부 더 포함하며, 상기 팽창재는 석유 코크스 연소 잔재물, 석탄 연소 잔재물, 제지슬러지 소각 잔재물, 고형연료 연소 잔재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 부산물은 패각, 폐분, 석분, 철분, 애쉬, 부산물, 슬래그, 슬러지, 슬라임, 폐자재, 폐기물, 소각재, 탄화재, 폐주물사, 굴패각, 조개패각, 폐콘크리트, 폐타이어, 폐유리, 폐비닐, 폐고무, 폐플라스틱, 폐석회, 폐석고, 폐섬유, 킬른더스트 등이다. 상기 폐분은 폐분, 석분, 분진, 철분, 산업분진, 공장분진, 제철분진, 돌가루, 채석폐분, 채광폐분, 폐기분진 등이다. 상기 탄화재는 숯, 탄, 목탄, 참숯, 연탄, 활성탄, 탄화물, 탄화재 등이다. 상기 혼화제는 a) 급결제, 지연제, 소결제, 분산제, 방수제, 차수제, 발수제, 기포제, 팽창제, 발포제, 소포제, 착색제, 경화제, 감수제, 경화제, 바인더, 고화제, 고결제, 안료, 염료, 광물, 광석, 광미, 섬유, 화이버, 폐기물, 슬래그, 슬러지, 미생물, 활성제, 유동화제, 경화촉진제, 경화지연제, 공기연행제, 응결지연제, 리그닌계 혼화제, 나프탈렌계 혼화제, 멜라민계 혼화제, 카본산계 혼화제, 폴리카본산계 혼화제, 음이온방사물질, 원적외선방사물질; b) 또는 시멘트, 몰탈, 레미탈, 레미콘, 아스콘, 황토콘, 아스팔트, 페이스트, 플라스터, 콘크리트 중 하나에 첨가되는 상기 급결제 내지 원적외선방사물질; 등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a) 계면활성제, 생계면활성제, 천연계면활성제, 합설계면활성제, 인공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쪽설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알킬벤젠설폰산염, 아민할로젠화물, 발포성 계면활성제, 기포성 계면활성제, 팽창성 계면활성제, 한 분자 또는 물질에 친유성기와 친수성기를 공존한 물질, 제사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아미노산, 지방산소다, Monoglyceride, Betaine, 레시친(Lecithin), 사포닌(Saponin), 식물성유지 추출 계면활성제, 동물성유지 추출 계면활성제, 알킬벤젠술폰산염(ABS), 선형알킬벤젠술폰산염(LAS), 알파올레핀술폰산염(AOS), 알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AE); b) 또는 소다회, 탄산나트륨, 규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제올라이트(Zeolite), 효소, 거품조절제(소포제), Silicon유, 파라핀유, 미세실리카분말을 분산시킨 실리콘유, 황산나트륨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상기 계면활성제 내지 알콜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AE); 등이다.
상기 피톤치드는 a) 피톤치드; b) 또는 나무, 줄기, 식물, 껍질, 편백나무 중 하나에서 추출된 추출물, 피톤치드; c) 상기 나무 내지 편백나무 중 하나와 첨가수의 가열; 이의 가열에 의한 가열물, 가열수, 증류수; 상기 가열물의 냉각물, 냉각수; 중 하나 이상에서 얻어진 피톤치드; d) 상기 가열물 내지 냉각수; e) 또는 테르펜, 배당체, 글리코시드,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페놀화합물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피톤치드, 피톤치드수, 피톤치드액, 피톤치드분말; 등이다. 상기 영양소는 인, 인산, 칼슘, 칼륨,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물, 유기물, 글루코사민, 마그네슘, 철분, 인삼, 당귀, 감초, 영양제, 게르마늄, Ca, Mg, Fe, Me, 콜라겐, 포도씨유, 클로렐라, 영양소 등이다. 상기 폴리머는 수지, 화학제, 인공수지, 자연수지, 모노머수지, 폴리머수지, 천연폴리머, 지오폴리머, 폴리머클레이, 라텍스, 고무류, 실리콘, 우레탄, 우레아, 플라스틱, 유기화합물, 유기화합물 유도체로 이루어진 비결정성 고체 또는 반고체,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HDPE, LDPE, EVA, PVC, PP와 PE의 홉합물 등이다.
본 발명에서 물질, 재료, 자재, 촉매, 광촉매, 피톤치드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 구비, 거치, 분사, 살수, 코팅, 도장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서는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촉매, 광촉매, 피톤치드 등의 조성, 형성, 생성, 발생, 제조, 제작, 생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촉매는 촉매, 정촉매, 부촉매, 광촉매, 효소촉매, 효모촉매, 반응촉매, 저속반응촉매, 고속반응촉매, 저속양생촉매, 고속양생촉매, 화학반응촉매, 저속화학반응촉매, 고속화학반응촉매, 콘크리트 저속양생 촉매, 콘크리트 고속양생 촉매, 산화와 환원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 산화와 환원 반응을 촉진하는 물질, 화학반응에서 자신은 변화하지 않고 반응속도를 변화시키거나 반응을 시작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 등이다.
상기 광촉매는 광촉매, 光觸媒, photocatalyst, photoredox catalyst, TiO2, TiO2(anatase), TiO2(rutile), ZnO, CdS, GaP, CdTe, MoSe2, Wse2, SnO2, Nb2O53, KTaO3, ZrO2, SnO2, V2O3, WO3, SrTiO3, ZnSCdSe, ZrO2SrTiO3, Ni-K4Nb6O17, 페로브스카이트형 복합금속산화물(SrTiO3), 반도체, 색소, 엽록소, n형 반도체, 광촉매반도체, 반도체광촉매, 광촉매 색소, 광촉매 엽록소, 산화물반도체, 산화타이타늄, 이산화티탄, 광촉매반응하는 물질, 광화학반응하는 물질, 광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 촉매작용이 빛에너지를 받아 일어나는 물질, 빛을 받아들여 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 자외선에 반응하는 촉매, 가시광선에 반응하는 촉매, 산화타이타늄 TiO2에 의한 효과를 가진 반도체, 유해물질을 산화 분해하는 촉매, 환경정화 기능을 가진 촉매, 환경오염을 제거하고 항균 및 탈취하는 촉매, 청소기에 적용되는 촉매, 공기청정기에 적용되는 촉매, 냉장고에 적용되는 촉매, 도로포장에 적용되는 촉매, 아스팔트포장에 적용되는 촉매, 커튼에 적용되는 촉매, 벽지에 적용되는 촉매, 인공관엽식물에 적용되는 촉매, 촉매의 초친수성 기능을 응용하여 셀프크리닝 효과가 있는 유리와 타일, 표면이 젖어도 물방울을 만들지 않고 엷은 막을 만들어 내는 성질인 초친수성 기능 응용하여 셀프크리닝 효과가 있는 유리와 타일,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 또는 빛에 의한 광화학 반응(photochemical reaction)을 하는 촉매, 태양을 비롯한 광원(light source)으로부터 복사 에너지(radiation energy)를 흡수하는 물질,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을 개시하고 촉매로서 광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화합물, 물을 광분해하여 수소 및 산소 기체를 얻는 촉매 또는 이산화타이타늄(TiO2), 환경유해물질(세균, 바이러스, VOC, 휘발성유기화합물등)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는 광촉매, 물의 가수 분해에 있어서 H2O 분자 내의 산소 이온을 산화시키는 산화제와 수소 이온을 환원시키는 환원제의 역할을 하는 광촉매, 물을 분해하여 수소 기체를 생성할때 사용하는 반도체성 광전극 또는 넓은 띠간격 반도체(wide band-gap semiconductor)인 TiO2 전극, 빛이 광전극(TiO2 전극 등)에 흡수되면 전자와 정공이 발생하고 이때 생성된 정공에 의해 물이 산화되어 산소 기체가 발생하고, 빛의 광전극 흡수를 통해 생성된 전자는 백금 전극으로 이동하여 수소 이온(H+, proton)을 수소 기체로 환원시켜 수소 기체가 발생하게하는 광전극(TiO2 전극) 등이다.
상기 TiO2는 내구성 우수, 내마모성 우수, 촉매로서의 기능으로 자신은 변하지 않음, 안전, 무독물질, 폐기하여도 2차 공해 없음, 티탄(Ti)은 지각 중에 9번째로 많은 원소임, 티탄의 산화물인 TiO2도 자원적으로 매우 풍부, 가격 저렴, 경제성 양호, 시장성 양호, 실용성 양호, 자체가 빛을 받거나 또는 빛을 받지 않아도 변하지 않음, 반영구적으로 사용 등의 특징을 가진다. TiO2는 루타일(rutile), 아나타제(anatase), 브루카이트(brookite) 등 3개의 결정구조를 갖는다. 루타일은 고온에서 안정성을 보이고, 아나타제는 저온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보이고, 브루카이트는 자연광물에서만 발견된다. 따라서 반도체 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재료는 제조하기 용이한 루타일과 아나타제 구조이다. 루타일 TiO2는 굴절율, 경도, 유전율이 좋아 주로 산업용, 페인트의 백색안료, 화장품, 식용 첨가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나, 광촉매 재료로는 흔히 쓰이지 않는다. 광촉매로는 루타일 보단 강한 산화 에너지를 갖는 아나타제가 널리 사용된다. 따라서 광촉매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나타제 상을 많이 포함할수록, 루타일로의 전이가 적을 수록 유리하다. 그리고 ZnO나 CdS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촉매 자체가 빛에 의해 분해되어 유해한 Zn, Cd 이온을 발생시킨다. TiO2는 모든 유기물을 산화시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하지만, WO3는 특정 물질에 대해서만 광촉매로서 효율이 좋고, 그 외에는 TiO2만큼 효율이 좋지 않아 사용 영역이 제한된다. 광촉매의 활성 순서는 TiO2(anatase) > TiO2(rutile) > ZnO > ZrO2 > SnO2 > V2O3 등이다. 광촉매는 광학적으로 활성, 광부식이 없음, 생물학/화학적으로 비활성, 가시광선/자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 경제적으로도 저렴 등이 되어야 한다.
상기 광촉매는 광촉매효과, 광촉매반응, 광촉매작용 등에 의하여 균, 세균, 오염, 가스, 유기물, SOx, NOx, VOC, 유해물, 유해물질, 유해가스, 박테리아,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등을 제거 또는 저감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광촉매는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대기오염 해결, 수질오염 제거, 차세대 에너지문제 해결, 실내외 건축물에 광코팅, 가전제품에의 광촉매 적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상기 광촉매 또는 이산화티탄은 촉매반응 시에 소별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자체가 빛을 받아도 변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염소나 오존보다 산화력이 높아 살균력이 뛰어나며, 모든 유기물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광촉매,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수소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광촉매, 햇빛이 필요한 광합성미생물, 햇빛이 필요없는 혐기성미생물 등을 통하여 수소의 생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촉매, 효소, 광촉매, 피톤치드 등은 일, 작업, 업무, 제조, 공사, 건설, 포장,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등에 사용 또는 코팅 또는 분사가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로는 a) TiO2가 코팅된 수단, 이산화티탄이 분사된 센서, 광촉매가 코팅된 IT 장비, LTE 통신이 되고 광촉매가 분사된 모뎀 또는 라우터, 광촉매가 분사된 서버, 광촉매가 분사된 핸드폰, 광촉매가 코팅된 디스플레이, ZnO가 분사된 복합수단; b) 상기 코팅 또는 분사되어 살균이나 소독 기능을 가진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c)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된 장비, 드론, UAM; d)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이 이용되는 상기 수단 내지 UAM; e)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물 등이 이용되는 상기 수단 내지 UAM; f) 상기 수단 내지 UAM 등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이중 둘 이상 복합; g)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h) AI의 인공지능을 가지면서 IoT의 사물인터넷이 되고 LTE 통신이 되고 광촉매가 분사된 센서,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모뎀, 상기 모뎀에 연계되는 서버; i) 상기 서버에 연결되는 화면, PC, 테블릿, 핸드폰,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이다.
상기 광촉매반응 또는 광촉매가 하는 반응은 광촉매반응, 光觸媒反應, photocatalysis, photocatalytic reaction, 광전기분해, photoelectrolysis, 이산화티탄 등의 광촉매를 사용하는 반응. 물의 광분해 반응, 은과 백금 등의 전석(電析) 반응, 유기물의 분해반응, 광촉매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반응, 촉매가 광화학적하는 광촉매 반응, 광 개시된 촉매 반응, 몰리브덴의 사아노 착물로부터 시안화물 이온의 광화학 생성 반응, 벤조인 축합에서 촉매로 작용하는 반응, 혼합된 코발트 카르보닐 착물과 알켄의 카르보닐화 반응, 알코올의 나트륨염을 가진 이소프로판올과 벤조페논의 환원 반응, 광촉매에 빛을 비추었을 때 일어나는 반응, 빛을 에너지원으로 촉매반응을 촉진시키는 작용이나 반응, 빛을 이용하여 세균이나 유기성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반응, 광촉매가 빛을 흡수하여 활성화에너지를 낮추어줌으로서 물질의 반응 속도를 증가시켜주는 반응, 산화텅스텐 또는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 등의 분말을 물에 현탁시켜 철이온을 가한 후 빛을 조사시키면 분해가 되어 산소가 발생하는 반응, 빛을 에너지원으로 산화/환원의 촉매 반응을 촉진시켜 각종 세균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반응, 자외선(400nm)(831)을 받으면 전자(832)와 정공(hole)(833)이 형성되어 강한 산화력을 가진 활성산소 2종인 하이드록시라디칼(-OH)과 슈퍼옥사이드(O2 -)를 생성하는 반응,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초과산화물)인 O2 -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생성하는 반응, 반응성이 매우 높고 많은 화합물을 산화시킬 수 있는 활성산소인 슈퍼옥사이드를 생성하는 반응, 분자상 산소에 1개의 전자가 첨가된 Superoxide anion radical을 생성하는 반응, 하이드록시 라디칼인 -OH와 슈퍼옥사이드인 O2 -가 유기 화합물을 산화 분해시켜 물과 탄산가스로 변화시키는 반응, 공기중이나 수중의 오염물질인 유기화합물을 무해한 물과 탄산가스로 바꾸는 반응, 유기화합물의 일종인 세균을 광촉매의 강한 산화작용에 의해 산화 분해하여 살균하는 반응, 빛과 촉매를 이용하여 살균, 탈취, 항균 등을 하는 반응, 이산화티타늄 표면의 옥스 컴파운드(Oxo Compound)가 빛을 받으면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해 -OH로 변환되면서 자정작용(self cleaning), 김서림 방지 등을 하는 반응, 광촉매(830) 또는 이산화티탄늄(TiO2)(830)에 빛(831)을 조사하면 결정표면에 생기는 전자가 이탈한 정공(hole)(833)이 물 분자와 반응해서 산화력이 매우 큰 하이드록시 라디컬을 형성하는 반응, 이산화 티타늄 등의 광촉매(830)에 빛(831)을 쏘게 되면 표면에 전자(832), 정공(전하를 가진 전자와 같은 거동을 하는 입자)(833)가 생기고 상기 전자(832)는 광촉매 표면에 있는 산소와 반응해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O2 -)을 만들고 상기 정공(833)은 공기 속에 존재하고 있는 수분과 반응해서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을 만드는 반응 등이다.
상기 하이드록실 라디칼(OH), 슈퍼옥사이드(O2 -) 등은 강력한 산화분해 능력을 가지고 있어 유기물질, 악취물질, 바이러스, 세균, 박테리아 등을 분해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바꾸어 버린다. 상기 광전기분해는 광전해(光電解), 광전기분해, 광(光)을 이용하여 전기분해, 광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 광(光)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 광전지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 광전지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여 수소 및 산소 생산 등이다. 일반적으로 광촉매 반응은 a) 광에 의한 촉매 활성화: 전자 & 정공 발생, b) 반응물이 주반응 흐름에서 벗어나 촉매 표면으로 확산: 외부확산, c) 전자가 촉매 내부에서 금속쪽으로 확산: 내부확산, d) 이와 동시에 생성된 정공이 촉매 내부에서 표면으로 확산: 내부확산, e) 전자와 반응물이 반응(환원형)함과 동시에 정공과 반응물이 반응(산화형), f) 생성물이 촉매 표면에서 주반응 흐름으로 확산: 외부확산 등의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라텍스는 라텍스, 천연라텍스, 합성라텍스, 수성라텍스, 유성라텍스, 수지라텍스, 라텍스수지, 고분자라텍스, 중합체라텍스, 고무분 60∼90%의 물질, 비중 0.973∼0.979 고무재, 0.5∼6.0μ 크기의 고무 입자가 1ml 중 α(임의수)×10^8개 포함되는 물질, 유기 및 무기물의 수용액을 분산매로 하고 고무를 분산질로 하는 콜로이드졸, 염화비닐계 단량체 유래단위 100%와 상기 유래단위 100% 대비 0.01∼0.08%의 식물성 오일계 소포제가 함유되는 라텍스, 스티렌-부타디엔계 라텍스 100%와 사이클로 올리고 사카라이드계 화합물 0.001∼13%가 함유된 라텍스, 고무분 이외에 단백질, 당류, 인지질, 회분, 효소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물질 등이다.
상기 약품은 약품, 약제, 약재, 약물, 약액, 한약, 양약, 알럼(alum), 황산, 염산, 초산, 질산, 석회, 폴리머, 오존, 오존공기, 이온, 이온물, 양이온, 음이온, 폴리머, 모노머, 라텍스, 고무수지, 피톤치드, 알카리용액, pH9이상용액, 물유리, 규산소다, 실리카졸, 요소, 아크릴, 우레탄, 우레아, 크롬리그닌, 아크릴아미드, 항균제, 항호르몬제, 항새집증후군제, 청정제, 정화제, 정수제, 청소제, 세척제, 세정제, 세탁제, 흡착제, 포집제,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스제, 멸균제, 제균제, 해충제, 살충제, 세제, 세탁세제, 청소세제, 세제수, 산성제, 황산, 알카리제, pH제, pH9이상물질, 수산화나트륨, 철응집제, 알루미늄응집제, 방부제, 피톤치드, 규산소다, 규산칼슘, 규산나트륨, 실리카, 알루미나, 구연산, 황산마그네슘,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황산칼슘, 황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코발트, 인산칼슘, 수산화칼슘, 리그닌술폰산, 수산화칼슘, 수산화₃하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등이다.
상기 살균제는 포말린, 알코올, 크레솔비누액, 과산화수소수, 무기살균제, 보르도액·석회황합제, 페놀수, 크레솔수, 승홍수(昇汞水), 클로르칼크, 유기수은제, 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 다이센엠, 발리비, 발코트, 베노밀, 블라스티시딘에스, 빈클로졸린, 에디펜포스, 옥시카복신, 옥신코퍼, 유기인계살균제, 유기황살균제, 아이소프로싸이올레인, 이프로다이온, 지네브, 마네브, 안트라콜, 지오람, 프탈라마이드제, 카복신, 캡탄, 쿠퍼하이드록사이드, 클로로탈로닐, 트라이아디메폰, 도다인, 디노캡, 다이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론제, 디티아논, 마네브, 캡탄, 캡티폴, 다이폴라탄, 폴펫, 벤디미다졸제, 베노밀, 벤레이트, 싸이오판에이트에틸, 트라이아졸제, 트라이아디메폰, 트라이시크라졸, 유기살균제, 메탈락실, 다찌가렌(hymexazol), 키타진(IBP), 히노산(edifenphos), 후지왕(isoprothiolane), 농용항생제, 스트렙토마이신, 시크로헥사마이드, 블라스티시딘, 카수가마이신, 폴리옥신, 발리다마이신, 네오아소진, 발리다마이신에이,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다.
상기 소독제는 알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을, 클로르헥시딘,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시트르산,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시트르산수화물,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계면활성제, 폴리옥실40경화피마자유, 폴록사머407,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피톨, 폴리에틸렌글리콜, 자일리톨,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네오탐, 사카린, 아스파탐, 아세술팜칼륨,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시리히진, 페릴라르틴, 타우마틴, 이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다.
상기 자재는 자재 1, 자재 2, 자재 3, 자재 4, 자재 5, 자재 6, 자재 7, 자재 8, 자재 9, 자재 10, 자재 11, 자재 13; 이중 둘 이상 복합자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자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되는 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1은 막, 판, 팬(pan), 띠, 시트, 메쉬, 격자, 그물, 네트, 보드, 킥보드, 자재보드, 벨트, 밴드, 포대, 날개, 자재, 부재, 허리띠, 바지밴드, 분리막, 여과막, 이온막, 철망, 철책, 메쉬, 프레임, 플랫폼, 사다리, 섬유망, 메쉬망, 망태, 돌망태, 하천돌망태, 게비온, 게비온망태, 낙석방지망, 철근망, 와이어메쉬, 지오멤브레인, 매트, 양탄자, 온수매트, 냉수매트, 온냉매트, 히팅매트, 쿨링매트, 보양매트, 침대매트, 놀이매트, 매트리스, 온냉수매트, 침대매트리스, 발열시트, 발열매트, 발열형틀, 온수매트, 온수카페트, 콘매트, 콘시트, 매트콘, 시트콘, 시멘트매트, 시멘트시트, 콘크리트매트, 콘크리트시트, 매트콘크리트, 시트콘크리트, 작업 자재, 공사 자재, 작업용 자재, 공사용 자재, 작업에 이용되는 자재, 공사에 이용되는 자재, 상기 물질이 함유된 자재, 상기 재료가 함유된 자재, 상기 시설에 이용되는 자재, 상기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자재,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상기 청정 내지 크리닝 등의 자재에서 청정 자재의 예로는 청정제, 청정재, 청정수, 청정액, 청정자재 등이 해당되고, 크리닝 자재의 예로는 크리닝제, 크리닝재, 크리닝수, 크리닝액, 크리닝자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재 2는 콕, 꼭지, 수도콕, 냉수콕, 온수콕, 생수콕, 수도꼭지, 생수기콕, 관, 도관, 도갱, 압력관, 튜브, 밴드, 호스, 라인, 관, 관로, 배관, 철관, 통로, 중공관, 수도관, 상수관, 하수관, 수도, 상수도, 하수도, 2중관, 3중관, 다중관, 배출관, 타설관, 케이싱, 배출관, 타설관, 파이프, 중공라인, 지오튜브, 벤츄리관, 호스라인, 파이프라인,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3은 빔, 봉, 대, 판, 통, 관, 붐, 벽, 문, 장, 종이, 탱크, 박스, 간판, 비계, 형틀, 몰드, 방문, 대문, 창문, 창호, 벽지, 판넬, 판지, 판자, 합판, 시트, 보드, 매트, 장판, 벽재, 마루, 유리, 현관, 기와, 타일, 벽돌, 블록, 레고블록, 장난감블록, 쌓기블록, 보도블록, 보강토블록, 전면판, 옹벽전면판, 벽체, 격벽, 거더, 샤시, 창호, 창문, 덕트, 도어, 데크, 커텐, 외벽, 내벽, 변기, 비데, 카페트, 천장, 천정, 옥상, 텍스, 천장텍스, 도자기, 세면기, 슬라브, 블라인드, 자재, 부재, 건자재, 가설재, 나노재, 보강재, 공사재, 시공재, 건설재, 토목재, 건축재, 조경재, 환경재, 바닥재, 천장재, 내장재, 외장재, 가설재, 시설재, 가시설재, 인테리어재, 리모댈링재, 루바, 외장루바, 기둥, 슬라브, 연석, 레일, 가드레일, 도로레일, 철도레일, 펜스, 울타리, 가로수, 가로대, 가로띠, 가로막, 가로막이, 폼(foam), 슬립폼, 유로폼, 콘크리트폼, 형틀, 몰드, 거푸집, 콘크리트형틀, 구조물거푸집, 발열거푸집, 냉열거푸집, 온냉거푸집, 시스템거푸집,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4는 변기, 비데, 욕기, 욕조, 배관, 세면대, 화장대, 샤워기, 반신욕기, 전신욕기, 덕트, 수도, 관로, 통로, 흄관, 도관, 관로, 수조, 수로, 암거, 박스, 탱크, 맨홀, 집수정, 도수로, U형관, 배수로, 하수관, 상수관, 하수도, 상수도, 하수암거, 우수암거, 저류박스, 지하박스, 저장박스, 플륨관, 점토관, 시멘트관, 콘크리트관, 저류조, 집수조, 우수저류조, 빗물저류조, 배관재, 데크, 목재데크, 통행데크, 벽천, 잔디, 인조잔디, 인공잔디, 막이, 칸막이, 그늘막, 물막이, 태양막이, 바람막이, 한파막이,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적용되는 자재의 실시예는 IT 문, 5G 비계, 3D 창호, 4D 벽지, Al 보드, IC 장판, VR 마루, AR 유리, MR 현관, XR 벽돌, DX 블록, ICT 도어, NFT 데크, IoT 커텐, IoE 변기, AIoT 비데, GPS 자재, SNS 부재, LTE 비계, LTE 거푸집, WiFi 암거, 안전 봉, 구호 대, 구조 판, 세이브 통, 세이프 벽, 자동 문, 오토 몰드, 자율 도어, 로봇 변기, 메타버스 기와, 아바타 블록, 마네킹, 도어, 사이버 데크, 인공지능 세면기, 거더 프로세스, 마이크로 도자기, 로보틱스 관로, 빅데이터 창문, 클라우드 탱크, 수로 모니터링, 아날로그 관로, 맨홀 프로그램, 블록체인 자재, 자율주행 문, 자동제어 창문, 자동감시 도어, 원격관리 수로, 원격가동 가재, 원격조정 덕트, 트랜지스터 벽체, 하이브리드 마루, 인텔리전트 벽재, 리모트컨트롤 유리, 텔레매틱스 슬라브, 트렌스포메이션 탱크, IT5G3D4DAlICVRAR자재, MRXRDXICTNFTIoT부재, IoEAIoTGPSSNSBIMLTEWiFi관로, 정보기술이 이용되는 IT 문, 5G 통신이 이용되는 5G 비계, 3차원으로 움직이는 3D 창호, 4차원 화면이 보여지는 4D 벽지, 인공지능이 이용되는 Al 보드, IC 회로가 구비된 장판, 가상현실에 구비된 VR 마루, 증강현실에 구비된 AR 유리, 혼합현실에 구비된 MR 현관, 확장현실에 구비된 XR 벽돌, 2종의 DX 블록, ICT 장치가 구비된 ICT 도어, NFT에 이용되는 데크, 사물인터넷이 되는 IoT 커텐, 만물인터넷이 되는 IoE 변기,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이 이용되는 AIoT 비데, GPS가 장착된 자재, SNS 서비스가 되는 부재, LTE 통신이 되는 비계, LTE 통신기가 구비되어 통신이 되는 LTE 거푸집, WiFi 통신이 되는 암거, 안전에 이용되는 봉, 구호하는 대, 구조에 이용되는 판, 세이브한 통, 세이프에 이용되는 벽, 자동 가동되는 문, 자동으로 가동되는 오토 몰드, 자율로 개폐되는 도어, 로봇으로 자동 가동되는 변기, 메타버스에 구비된 기와, 아바타가 작업하는 블록, 안내 마네킹이 서있는 도어, 사이버의 가상 데크, 인공지능이 이용되는 세면기, 거더를 조성하는 프로세스,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도자기, 로보틱스로 내부가 관찰되는 관로, 빅데이터가 표시되는 창문, 클라우드 데이터가 저장된 탱크, 수로의 모니터링, 아날로그 형식의 관로, 맨홀을 축조하는 프로그램, 블록체인 이용 자재, 자율주행하는 문, 자동제어되는 창문, 자동감시하는 도어, 원격관리되는 수로, 원격가동하는 가재, 원격조정되는 덕트, 트랜지스터가 구비된 벽체, 다용도의 하이브리드 마루, 인텔리전트한 기능성 벽재, 리모트컨트롤로 개폐되는 유리, 텔레매틱스가 이용되는 슬라브, 트렌스포메이션 변현되는 탱크, IT 5G 3D 4D Al IC VR AR 등에 이용되는 자재, MR XR DX ICT NFT IoT 등이 이용되는 부재, IoE AIoT GPS SNS BIM LTE WiFi 등이 적용되는 관로 등이다.
상기 자재 5는 시멘트제품, 콘크리트제품, 시멘트2차제품, 아스팔트2차제품, 레미탈2차제품, 아스콘2차제품, 레미콘2차제품, 콘크리트2차제품, 철근콘크리트재, RC(reinforced concrete)재, PC(pre cast)재, PS(pre or post stress)재, PSC(pre or post stress concrete)재, 시멘트재, 콘크리트재, 세그먼트, 세그먼트제, 터널세그먼트재, TBM(tunnel boring machine)터널세그먼트재, Shield터널세그먼트재, 교량세그먼트재, 교량상판세그먼트재, 건물세그먼트재, 조립세그먼트재, 라이너세그먼트재, 라이닝세그먼트재, 터널라이닝세그먼트재, 세그먼트재, 라이너, 라이닝, 라이닝재, 터널라이너, 굴착라이닝재, 터널라이닝재,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6은 건자재, 건설재, 토목재, 건축재, 조경재, 내장재, 외장재, 포장재, 도로재, 보도재, 경계석, 분리대, 복공판, 버팀판, 보강판, 녹생토, 녹화토, 조경토, 조립자재, 조립식자재, 조립식건축자재, 코팅체, 광촉매 코팅체, 내장판넬, 믹싱재, 주입재, 성토재, 충진재, 충전재, 채움재, 분사재, 포설재, 포장재, 다짐재, 방수재, 방수제, 방수액, 막방수재, 분말방수재, 시트방수재, 매트방수재, 시멘트방수재, 아스팔트방수재, 콘크리트방수재, 차수재, 투수재, 투과재, 여과재, 흡착재, 포집재, 외장판넬, 격자블럭, 사면블럭, 보강블럭, 보강토블럭, 테트라포트, 인젝션재, 그라우팅재, 숏크리트재, 녹생토재, 스프레이재, 시드스프레이재, 내진재, 지진보강내진재, 소음방지재, 층간소음방지재, 석고재, 시멘트재, 아스팔트재, 콘크리트재, 철근콘크리트재, 건재료, 건설재료, 토목재료, 건축재료, 조경재료, 제조재료, 공사재료, 건설자재, 코팅재, 광촉매코팅재, 지중벽, 지중연속벽, 슬러리월, SCW(soil cement wall), 벤토나이트슬러리월,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7은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건물기초, 시설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구조물기초, 공장파일, 매입기초, 항타기초, 회전매입기초, 현장타설파일, 지중기초, 지하기초, 지반기초, 표층기초, 팽이기초, 스크류기초, 헬리칼기초, 변단면기초, 지중변단면기초, 기초케이슨, 방파제케이슨, 강관파일, 콘크리트파일, PHC(prestressed high-strength concrete)파일, 지열파일, 마이크로파일, 지열피어, 지열케이슨, 에너지파일, 에너지기초, U형 파이프가 내장된 에너지파일, 지열순환파이프가 내장된 파일, 기초자재,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8은 보, 들보, 지중보, 지상보, 가로보, 세로보, 타일, 벽돌, 블럭, 격자블럭, 사면블럭, 보강블럭, 보강토블럭, 판넬, 내장판넬, 외장판넬, 벽, 벽체, 기둥, 슬라브, 공사재, 건설재, 건축재, 조경재, 시공재, 내장재, 외장재, 주자재, 부자재, 건자재, 창호재, 방수재, 차수재, 매트, 시트, 복합매트, 복합시트, 방수매트, 방수시트, 시멘트매트, 시멘트시트, 콘크리트매트, 콘크리트시트, 벤토나이트매트, 벤토나이트시트, 아스팔트시트, 빔, 판, 복공판, 버팀판, 보강판, 마루판, 복공판, 앵커, 소일앵커, 락앵커, 네일링, 소일네일링, 볼트, 소일볼트, 락볼트, 형틀, 몰드, 거푸집, 보드, 거더, 슬라브, 암거, 하수암거, 우수암거, 박스, 탱크, 저류박스, 지하박스, 저장박스, 맨홀, 관, 강관, 유공관, 무공관, 관로, 수로, 도수로, U형관, 배수로, 하수관, 상수관, 흄관, 플륨관, 점토관, 시멘트관, 콘크리트관, 수조, 저류조, 집수조, 집수정, 우수저류조, 빗물저류조, 포장재, 보도재, 경계석, 분리대, 기초, 기둥, 파일, 말뚝, PHC파일, 공장파일, 매입기초, 항타기초, 회전매입기초, 현장타설파일, 피어, 케이슨, 지열파일, 지열피어, 지열케이슨, 지열순환파이프가 내장된 파일, 테트라포트, 방파제블럭, 라이닝, 터널라이닝, 세그먼트, 터널세그먼트, 교량세그먼트, 라이닝세그먼트, 터널라이닝세그먼트, 몰탈재, 시멘트재, 콘크리트재, 아스팔트재, 인테리어재, 리모델링재, 시멘트2차제품, 아스팔트2차제품, 레미탈2차제품, 아스콘2차제품, 레미콘2차제품, LMC(latex modified concrete)자재, PC(pre cast)자재, PS(pre stress or post stress)자재, PF(pre fabricated)자재, PCS(pre cast concrete)자재, PSC(pre stress or post stress concrete)자재, 이중 둘 이상의 복합자재 등이다.
상기 자재 9는 공사, 건설, 개발, 건축, 축조, 작업, 토목, 환경, 정화, 정수, 청정, 힐링, 균열힐링, 복원, 하천복원, 씽크홀복원, 조경, 식재, 조형, 조각, 제조, 자재제조, 생산, 자재생산, 작업, 공사, 건설공사, 시공, 건축시공, 자재제조, 자재생산, 공사작업, 건설공사, 건축시공, 방재, 방제, 일, 작업, 업무, 토, 토공, 지반, 지중, 지하, 사면, 법면, 비탈면, 기초, 파일, PHC파일, 굴착, 개착, 터파기, 절토, 성토, 지열파일, 공장파일, 매입기초, 항타기초, 회전매입기초, 현장타설파일, 흙막이, 흙막이벽, 슬러리월, 지중연속벽, 다이어프럼월, CIP(cast in place pile), CP(compaction pile), SCP(sand compaction pile), CCP(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VCCP(vibrated CCP), 준설, 매립, 수중, 삭도, 승강기, 조적, 미장, 방수, 차수, 지수, 도장, 포장, 흙포장, 도로포장, 보도포장, 개량, 지반개량, 지반정리, 단지정리, 시추, 보링, 배합, 혼합, 공급, 제공, 압송, 이송, 운송, 타설, 형틀타설, 콘크리트타설, 치기, 포설, 사면포설, 지면포설, 도로포설, 코팅, 도장, 주입, 형틀주입, 지중주입, 심층주입, 몰탈주입, 누수부주입, 균열부주입, 보링공에주입, 인젝션, 균열인젝션, 주사인젝션, 균열보수제인젝션, 그라우팅, 지반그라우팅, 지열그라우팅, 분사그라우팅, 고압그라우팅, 강관그라우팅, 강관이용그라우팅, 밀크그라우팅, 콤팩션그라우팅, SGR(space grouting rocket), JSP(jumbo special pattern), 분사, 살수분사, 지면분사, 지중분사, 고압분사, 저압분사, 사면분사, 수중분사, 공중분사, 분진제거분사, 양생, 수양생, 지열공, 믹싱, 지반믹싱, 지반교반믹싱, 지반경화제믹싱, 지반과 바인더 믹싱, DCM(deep cement mixing), SCW(soil cement wall), 다짐, 지중다짐, 교반다짐, 포장다짐, 분사, 숏크리트, 녹생토, 시드스프레이, 보수, 균열보수, 누수보수, 보강, 면보강, 지반보강, 균열보강, 면처리, 수처리, 댐처리, 연못처리, 하천처리, 씽크홀처리, 씽크홀충진, 공동충진, 석, 석공, 외벽, 비계, 해체, 창호, 판금, 지붕판금, 조립, 건축조립, 철강, 창호, 판금, 상하수도, 방식, 전기방식, 녹화, 청소, 세척, 세차, 재개발, 재건축, 인테리어, 리모델링; 이중 둘 이상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중 하나의 제(劑), 재(材), 자재, 상기 보 내지 복합자재 중 하나이다.
상기 자재 10은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사용되는 자재,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 제(劑) 또는 재(材), 상기 공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자재, 상기 보 내지 복합재 중 하나이다. 상기 자재 11은 중량, 경량, 발포, 기포, 팽창, 투수, 무근, 철근, 바, bar, 리바, rebar, 무근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RC(reinforced concrete), CC(carbon concrete), GC(graphene concrete), PC(precast concrete), PS(prestressed, poststressed), PSC(prestressed concrete, poststressed concrete), SRC(steel reinforced cement), CRC(carbon reinforced cement)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이용된, 또는 하나에 이용되는 제, 재, 액, 수, 물, 재료, 원료, 소재, 자재, 분말, 시트, 매트, 타설재, 내장재, 외장재, 주자재, 부자재, 건자재, 몰탈, 레미탈, 레미콘, 아스콘, 콘크리트, 상기 보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자재 12는 a) 봉, 대, 판, 망, 바, bar, 메쉬, 격자, 섬유, 시트, 매트, 철근, 리바, rebar, 철망, 철골, 세라믹, 화이버, 케이지, 나노재,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보 내지 복합재; b) 또는 타설, 양생, 경화, 고결 중 하나 후의 b1) 강도, 압축강도, 인장강도, 전단강도 중 하나가 1∼50kg/㎠의 저강도, 이의 이하인 초저강도, 51∼100kg/㎠의 중저강도, 101∼150kg/㎠의 중강도, 151∼200kg/㎠의 중고강도, 201∼400kg/㎠m의 고강도, 이의 이상인 초고강도, b2) 밀도가 0.1∼0.5t/㎥의 저밀도, 이의 이하인 초저밀도, 0.51∼1.0t/㎥의 중저밀도, 1.1∼1.5t/㎥의 중밀도, 1.51∼2.0t/㎥의 중고밀도, 2.1∼3.0t/㎥의 고밀도, 이의 이상인 초고밀도, b3) 투수계수가 10^(-15∼-10)㎝/sec의 저투수성, 이의 이하인 초저투수성, 10^(-9∼-6)㎝/sec의 중저투수성, 10^(-5∼-3)㎝/sec의 중투수성, 10^(-2∼+1)㎝/sec의 중고투수성, 10^(+2∼+5)㎝/sec의 고투수성, 이의 이상인 초고투수성 중 하나인 상기 보 내지 복합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품(品)은 품, 品, 물품, 제품, 상품, 용품, 가전, 등, 전등, 가구, 침대, 의자, 식탁, 쇼파, 매트, 가전, 싱크대, TV, PC, 전축, 밥통, 쿠커, 시계, 오디오, 냉장고, 세탁기, 전열기, 가습기, 레인지, 모니터, 스크린, 영사기, 영상기, 청소기, 가스레인지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는 본 발명의 제, 재, 자재, 재료, 제품, 물품, 용품, 상품 등에는 자재, 제, 재, 재료, 제품, 물품, 용품, 상품, 봉, 봉강, 철근, 이형철근, 이형봉강, 특수철근, 원형철근, 원형봉강, 스파이럴철근, 커플러, 철근커플러, 원터치커플러, 현장체결식원터치커플러, 철선, 나선철선, PC강봉, 형강, 평강, 각강, ㄱ형강, 형강 SW, ㄷ형강, 평행ㄷ형강, I형강, H형강, 비대칭H형강, 레일, 브레이스, 브레이싱, 철골브레이스, 빔, TSC BEAM, 기둥, OCFT COLUMN, 선조립보기둥, C형강, 아연도C형강, HyFo BEAM, TH BEAM, ACT COLUMN, 파일, ACT PILE, AU BEAM, H형강, 용접경량H형강, 강판, 열연강판, 후판, 냉연강판, 무늬강판, 아연도강판, 전기아연도강판, 갈바아닐강판, 갈바륨강판, 슈퍼갈륨강판, 프린트강판, 용융알루미늄도금강판, 선듀라강판, 착색아연도강판, 칼라강판, 갈바륨칼라강판, 슈퍼갈륨칼라강판, 석도강판, 강관, 트러스, N Pipe 無용접 트러스 system, 구조용강관, 구조용각관, 특수강, 구조용스테인리스관, 스테인리스강판, 와이어, 로프, 와이어로프, 스테인리스와이어로프, 스테인리스앵글, 스테인리스강봉, 주철품, 주강품, 특수강, 선재제품, Wire Tension 보강용부속자재, 철선, 철못, 콘크리트못, 그라운드앵커체, 타이케이블, 압축ㆍ지압형영구앵커, 와이어로프, 강선, 철망, 메탈라스, 익스펜디드메탈, 용접철망, 스테인리스망, 각종철망, 볼트, 너트, 직결나사, 집섬스크류, 인서트너트, 볼트, TS 볼트, 보통6각볼트, 스테인리스6각볼트, 너트, 접시머리렌지볼트, 콜라6각볼트, 콜라너트, 아이볼트, 아이너트, 와셔, 풀림방지와셔, 전산볼트, 전착도장전산볼트, 와셔, 스터드볼트, 유두렌지볼트, U볼트, 절연U볼트, 무두(無頭)렌지볼트, 리베트, 철탑용 용융아연도금볼트, 나사, 스테인리스작은나사, 황동작은나사, 십자작은나사, 일반용나사, 철판용나사, 앵커볼트, 풀림방지너트, 부식방지용 볼트캡, 스크루캡, 비철금속, 동제품, 알루미늄제품, 비철지금, 非鐵地金, 연(납)제품, 鉛製品, 골재, 쇄석, 모래, 자갈, 슬래그파쇄골재, 자갈, 모래, 시멘트, 콘크리트, 레미콘, 방수시멘트, 방청시멘트, 특수레미콘, 모르터, 특수시멘트, 타일시멘트, 드라이모르터, 혼화재, 콘크리트혼화재, 보강재, 콘크리트보강재, 콘크리트 포장 보수 보강재, 콘크리트보강재, 강, 섬유, 강섬유, 콘크리트강섬유, 콘크리트보강섬유, 친수성섬유, 우각부보강공법, cornerSAFE, 목재, 합성목재, 인공목재, 천연목재, 국산목재, 구조용집성재, 특수목재, 방부목, 방부방충제, 천연생물막제거제, 원목, 제재목, 각재, 판재, 가설자재, PDF 더블 플레임, PE/GRP구조용부재, ㄱ형재, ㄴ형재, ㄷ형재, H형재, 발판, 복공판, 거푸집, 측구복개용비탈형영구거푸집, GRC제, 맨홀, P.E맨홀, P.E맨홀 발 디딤쇠, 레벨봉, 유로폼, 비계, 강관비계, 강관써포트, 조립식틀비계, 이동식틀비계, 컬러문양거푸집, 스크류잭, 회전조인트, 스페이서, 잭써포트, PHP도류벽. 정류벽, 간벽, 잭, jack, 선행하중잭, 천막, 천막지, 파라솔, 안전시설물, 로프, 섬유로프, 스마트로프, 보호판, 철거용수직보호판, 휀스, 가림막휀스, 고소용안전펜스, 안전망, 건설안전망, 블록, 토목용블록, 시멘트블록, 콘크리트블록, 토목용콘크리트블록, 식생옹벽, 식생블록, 생태구조물, 재난안전관리 블록, 콘크리트제품, 친환경콘크리트제품, 토목용블록, 옹벽, 보강토옹벽, 토목용옹벽, 보강토블록, CEA패널옹벽시스템, 산벽, 친환경자연생태옹벽, 구조보강옹벽, 친환경식생토낭옹벽시스템, 프리캐스트옹벽, PC옹벽, 보강토조립식옹벽시스템, 비탈면보강옹벽, 블록식보강토옹벽시스템, 옹벽블록, 보강토, 호안블록, 보강토옹벽, 경관옹벽블록, SAP옹벽, 토양안정재, 섬유, 토목섬유, 벤토나이트, 토양응고경화제, 먼지억제제, 침하구조물복원재, 지내력보강재, 배수판, 차수판, 방수판, 배수판, 지수판, 차수지수판, 배수관, 방호공, 사면방호공, 다발관, 맹암거배수관, 이형집속관, 스파이럴 심덕트, 연속배수시설·터널종배수관, 유공관, 무공관, 배수시스템, 물순환배수시스템, 스마트 조립재, 파일류, 파일, 고강도콘크리트파일, PHC파일, IB-Joint, 볼트식 파일 연결구, 스마트파일, 화타쐐기, 보강잭, 스크류파일, PHC파일캡, 막음판, PHC 두부보강자재, 강관, PHC파일안전캡, PHC파일볼트식조인트, 선단확장 PHC말뚝, Ext-PHC pile, MSTRUT, 스트러트, 버팀대, 띠장, wale, 웨일, 고강도강관버팀보, SP-STRUT, 고강도 및 일반강관버팀보, e-콘주벽체말뚝, 강관파일, 강관해양말뚝, 폴리우레탄도장파일, 복합말뚝, SCP, 강관말뚝두부보강재, 복합말뚝, HCP, 선단확장형 파일, 선단쐐기형 파일, 특수 고하중 PHC 말뚝, 선단확장형 PHC 말뚝, 초고강도 PHC 말뚝, SAP(Screw Anchor Pile), Z형&광폭U형시트파일, 냉간성형강널말뚝, 에폭시폴리에틸렌피복강관파일, 해양말뚝, U형시트파일, 열간압연강널말뚝, 다동심 파일, 다축 기초 파일, 교량재, 하천재, 항만재, 교량용품, 해양양식시설물, 도로 방재시스템, 하천 친환경 방재시스템, 해양계류시설, 도교, 트러스, 부력재, 리프트, 파일가이드, 안전감시탑, 완제품돌망태블록, 돌망태, 토목차수재, 친환경시설물, 방충재, 항만용고무방충재, 문, 대문, 창문, 수문, 교량용프리캐스트콘크리트거푸집, 교량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교량용콘크리트프리캐스트패널, 교량유지관리점검대, 교량배수시설, 발파재, 화약, 산업용화약, 도로포장재, 아스팔트, 아스팔트콘크리트, 투수성콘크리트도로포장재, 흙포장재, 박층포장재, 신축이음채움재, 칼라무늬콘크리트, 자연석투수아크릴우레탄수지포장재, 도로포장용보수재, 경계블록, 바나나경계석, 인조화강석경계블록, 콘크리트경계블록, 자연석경계석, 화강석, 인조현무암경계블록, 보차도블록, 칼라안전도로경계블록, 자원재활용제품, 미세먼지 저감블록, 환경정화 블록, 포장용블록, 포장용블록, 디자인보차도용블록, 보차도용특수조립블록, 보차도용싸인블록, 보차도용콘크리트조립블록, 보차도용점토블록, 자연석판석, 보차도용판, 보차도용점자블록, PE구조물, 토목용PE구조물, 소형구조물, 우수토실, 유량조절용 우수토실, 맨홀, 맨홀보수재, 관리재, 안전사각맨홀덮개, 재활용 복합수지 저압접속함체 및 초고강도 절연뚜껑, 디자인맨홀, 조립식맨홀, 맨홀사다리, 접속관콘넥터, 레진(PRC)맨홀, 레진(PRC)펌프맨홀, 그레이팅, 스틸그레이팅, 오물 및 악취 방지 투수그레이팅, 무소음 그레이팅, 중하중 그레이팅, 디자인그레이팅, FRP GRATING, FRP 그레이팅, 도로시설물, 도로안전시설용품, 도로안전표지용품, 그늘막, 횡단보도 그늘막, 분리대, 도로안전분리대, 콘크리트중앙분리대, 시선유도시설물, 현수막게시대, 안전등, 횡단보도안전등, 신호등, 바닥형보행신호등, 충격흡수시설물, 롤링베리어, 차량방호울타리, 클린로드시스템, 도로안전방호책, 마대, 흡수성순간마대, 잡초 및 이물질 억제 커버, 잡초성장억제시설, 도로안전표지판, 밸브, 밸브실, 맨홀 안전표지판, 미끄럼방지용품, 비상회차시설, 승강장, 버스승강장, 클린로드, 융설시스템, 액체 융설시스템, 도로반사경, 벤치, 온열벤치, 빗물침투시설, 빗물침투저류시설, 배수집수저류침투시설, 철근콘크리트관,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흄관, 하수도시험기구, 접합용고무, 벨트, P.E수밀벨트, 관, 관로, 배관, PC관, 원심력철근콘크리트추진관, 진동전압철근콘크리트, V.R관, 콘크리트관용 고무링, 접착고무링, 플륨관, 플륨관뚜껑, SRS폴리에틸렌이음관, 하수도분기관, 철근콘크리트수로관, 공동구, 고강도 콘크리트공동구, 배수구뚜껑, 수로관, 기타관, 레진관, 레진난형관, 추진관, 레진추진관, 배수로, 토목용조립식배수로, 수로관, 원형사각수로관, 합성 폴리프로필렌(PP) 배수로, 암거, 조립식PC암거, 폴리머U형배수로, 폴리머 밸브실, 철재 밸브실, 상수맨홀, KR수로관, 저류조, 빗물저류조, 각형흄관, 원심력BOX흄관, 복합소재구조물, 수로용측벽블록, L형블록, 용배수로관, 측구수로관, 조립식개거수로, 파형강판구조물, 내부평활형 리브파형강관, 일반강관, 아연도금강관, 내부평활형 리브파형강관, 내면피복강관, 내부평활형 리브파형강관, 양면피복강관, 내부평활형 리브파형강관 연결재, 딤플형 연결재, 엘보, 내부평활형 리브파형강관 엘보, T형관, T자관, 평활형 리브파형강관 T형관, 커플링, 내부평활형 리브파형강관 커플링, 파형강관, 내면피복파형강관, 티, 안장티, 플랜지피복파형강관, CSP 파형강관, 수지파형강관, 플랜지평활형 프로파일, 수지파형강관, 플랜지 평활형 강관, CF파형강관, 연결자재포함강관, 내부평활 파형강관, 초기처리장치, 여과형장치, 플랜지, 밴드, 커플링밴드, 안장티, 빗물재이용시설, 우수유출저감시설, 파형강관시설, CF파형강관시설, 내부평활 파형강관시설, 파형강관구조물, CF파형강관시설, 유공관, CF맨홀, 점검구, 엘보, 접속티, 내부평활형엘보, 내부평활형접속티, PE피복파형강관, 양면파형강관, 내면파형강관, PE피복파형강관, 나선형리브강관, 커플링,T형관, 엘보우, 목, 목재, 수목, 조경수, 식물, 조경용지피식물, 야생화, 내염목, 상록수, 속성수, 특수목, 조경수, 약용수, 나무, 둥근 사철나무, 종묘, 산림종묘, 조경석, 잔디, 천연잔디, 인조잔디, 친환경 잔디생육재, 토양개선제, 물비늘, 간섭수목제거제, 잔디보호매트, 잔디블록, 조경기기, 식생용재, 온실용재, 수목보호자재, 종자, 시드, seed, 농약, 녹화자재, 법면녹화자재, 토양보습제, 염분차단시트, 벽면녹화시스템, 공기정화 벽면녹화시스템, 미세먼지저감 벽면녹화재, 스마트가든, 벽면녹화시스템, 수직정원시스템, 플랜터, 식생대블록, 인공식물섬, 비료, 퇴비, 액비, 불가사리 비료, 불가사리 퇴비, 불가사리 액비, 토양개량제, 인공토양, 수목지주대, 수목보호판, 스프링클러, 분사기, 관수기, 분수, 노즐, 스프링클러용노즐, 증발냉방장치시스템, 조경용품, 생물서식처시설, 방부목재시설물, PE(합성수지)인조목, 보행매트, 조경안내판, 조경시설물, 정자, 벤치, 사각정자, 쉘터정자, 직사각정자, 마루형정자, 마루, 난간, 계단, 파고라, AL기둥, 사각파고라, 사모정, 문화재형 사모정, 원형파고라, 육각정자, 육모정, 전통기와담장, 시멘트기와, 전통담장, 진입문, 창방기와육각정자, 파고라, 팔각정, 팔각정자, 평파고라, 문주, 이트문주, 게이트문주, 그네, 놀이기구, 쉼터, 거북이물레바퀴, 공던지기놀이기, 기린워터벤치, 꿀벌워터스프레이, 네트 오르기, 다각형 원목평균대, 목조 평균대, 무당벌래 타기, 무지개터널세트, 반려동물시설, 계단장애물, 뛰어넘기장애물, 미끄럼틀, 시소, 식수통, 물통, 펫타워, 워터샤워기, 옷걸이, 모래놀이터, 워터 터널, 워터건, 워터버켓세트, 워터벤치, 워터스프레이, 쉘터, 흔들네트 건너기, 암벽, 화강석기둥, 사각정자, 사각파고라, 안전수칙판, 야외운동기구, 역기들어올리기, 역기내리기, 거꾸로 메달리기, 계단오르기, 철봉, 고급철봉, 평행봉, 자전거타기, 파도타기, 조형물, 조형파고라, 집하장, 캐노피, 평파고라, 현판, 흔들놀이, 볼라드, 브래킷, 플랜터, 사각플랜터, 생활자원보관소, 스윙벤치, 안내간판, 안전수칙판, 열주, 옥외용벤치, 평벤치, 평상, 체험관광형시설, 전통조경자재, 안개폭포, 수상안개정원, 안개(미스트)분사기, 인공폭포, 정원석, 인공암, 원예용품, 화분, 시설원예기자재, 울타리용재, 휀스, 알루미늄휀스, 알루미늄주물휀스, 콘크리트기초, 울타리기초, 데크기초 휀스톤, 벽돌, 콘크리트벽돌, 시멘트벽돌, 황토벽돌, 치장벽돌시공보강재, 내화벽돌, 와이드벽돌, 점토벽돌, 슬림벽돌레일시스템, 경량콘크리트판, 경량콘크리트P.C불연블럭, 경량콘크리트복합패널, 조립식내ㆍ외벽패널, 압출성형시멘트판, 속빈PC판, 블록, 경량기포콘크리트블록ㆍ패널ㆍ인방(ALC), 속빈콘크리트블록, 속빈시멘트블록, 스플릿블록, 석재, 자연석판석, 건축용석재, 화강석, 운모판재, 그래픽콘크리트, 대리석, 인조대리석, 인조석, 현무암판석, 경계석, 타일, 장애인용안전유도타일, 테라코타 패널, 상수도구조물전용수조타일, 박판타일, 모자이크타일, 그림타일, 벽화타일, 장식용 타일, 그림타일, 석재타일, 포슬린타일, 내ㆍ외장타일, 내장타일, 방수재, 지붕방수재, 차열방수재, 구체방수재, 침투성방수재, FRP 광폭방수패널, 모르터방수재, 시트방수재, 에폭시방수재, 스틸방수재, 도막방수재, 파워방수가드, 아스팔트펠트, 테이프, 조인트 보강 테이프, 단열방수재, 나노아트방수(펄컬러)방수재, 발수제, 침투형 나노코트 콘크리트표면 보호재, 단열복합시트, 코킹재, 보수보강재, 아스팔트방수재, 미장재, 뿜칠재, 천연황토미장재, 무기질계 내외장 마감재, 외벽단열마감재, 친환경기능성외장마감재, 질석, 석회, 퍼라이트, 내화피복재, 지붕재, 캐노피지붕재, 차양재, 세라믹사이딩, 외벽재, 지붕재, 기와, 석기와, 금속기와, 천년와, 경량한식기와, 금속슬라이딩시스템지붕, 곡면지붕, 저경사지붕, 복합강판, 골함석, 골판, 경질염화비닐골판, 스톤 코팅 금속기와, 경량기와, 한식그을림기와, 일식기와, 양와, 점토기와, 전통한식기와, 점토기와, 스페니쉬기와, 한식기와, 점토기와, 징크, FRP썬라이트, 폴리카보네이트(P.C), 성형폼칼라강판, 갈바륨폼강판, 불소강판, PC(폴리카보네이트)선라이트, 다기능UV엠보, F.R.P 썬라이트, 채광골판, 접착제, 도료, 바니쉬, 페인트, 차열용페인트, KS표시페인트, 필러, 워터폴 재도장 도료, 조합페인트, 락카, 합성수지에멀션페인트, 소부페인트, 알키드에나멜페인트, 슬레이트, 기와용페인트, 콘크리트페인트, 본타일용페인트, 가정용페인트, DIY페인트, 신너, 퍼티, 방화페인트, 방염페인트, 내열페인트, 방염제, 목조문화재용 방염제, 방청페인트, 케이블난연도료, 코팅제, 세라믹코팅제, 중방식페인트, 단열페인트, 나노아트페인트, 펄컬러페인트, 특수도료, 에폭시도료, 천연페인트, 친환경페인트, 실내용 규조토 기능성 페인트 및 코트, 창호재, 자바라, 대리석 문주, 자바라대문, 창문틀, 알루미늄단열창문틀, 셔터, 방화단열내풍압셔터, 내풍압셔터, 도어, MP도어, 플라스틱창문틀, 합성수지문, AHC복합창, 시스템창호, 개보수전용창, 난연폴리아미드, 미세먼지 차단 방진망, 방충망, 개폐기, 배연창개폐기, 미세먼지 저감 안전망, 방범망, 방범방충망, 목재창호, 친환경창호, 추락방지안전방충망, 방진방범망, 자동문, 방음문, 하이스피드롤업도어, 오버헤드도어, 회전문, 합성수지제 문, 문틀, 신발장, 신발장세트, 먼지제거 신발장, 먼지제거시스템이 구비된 신발장, 에어샤워기가 구비된 먼지제거 신발장, 방화문, 방화셔터, 창호철물, 힌지, 플로어힌지, 도어록, 도어클로저, 도어체크, 경첩, 스텐경첩, 피벗힌지, 철물, 건축철물, 알루미늄 픽처 메지, 루바, 외장루바, 스크린 격자루버, 두겁대, 논슬립, 고정쇠, 선홈통고정쇠, 막, 차양막, 핸드레일, 난간, 드레인, 배수구, 우편함, 보관함, 유리, 강화유리, 야생조류 충돌방지용 강화접합 안전유리, 복층유리, 이중유리, 관공서 전용유리, 학교창 전용유리, 판유리, 강화재유리, 폴리카보네이트 Sheet, 필름, 유리단열안전필름, 디지털그래픽실사인쇄유리, 천장재, 점검구, 열경화성수지천장재, 내풍압 천장판, 내진경량 천장판, 크립바시스템, 내진용 천장판, 흡음천장재, 내진보강천장틀, 내진천장틀, 텍스, 금속천장, A/L타일, S.M.C, 내풍압 천장틀, 내진겸용 천장틀, 금속천장, A/L타일, S.M.C, 스펜드럴, 노출천장재, 익스펜디드메탈, 용접망, 격자루버, 금속천장재, 내ㆍ외장패널, 마감재, 준불연 성능 벽마감재, 상업용마감재, 주거용마감재, 사무용공간마감재, 패널, 알루미늄패널, 목재 패널, 외장용 고밀도 목재 패널, 금속제패널, 준불연 복합패널, 고밀도석재패널, 조립식아치형패널, 내장재, 외장재, 세라믹외장재, 고단열조립형목조우레탄패널, 불연보온일체형패널, 노출콘크리트패널, 법랑패널, 기능성 복합 패널, 세라믹패널, 아연도강판패널, 메탈패널, 특수공법 금속제 외벽 패널, 금속제 창호, 데크재, 데크플레이트, 목재데크플레이트, 지씨데크, 철선일체형데크, 중공 슬래브, 거푸집보, INFINI DECK, TG데크, 단열데크, Heat Deck, 이지데크, 내화구조용데크, CAP데크, 트러스데크, NT데크, 슈퍼데크, D데크, N데크, 합판, 보드, 자작나무합판, 낙엽송합판, 가공합판, 섬유판, 파티클보드, 석고보드, 섬유강화보드, 불연보드, 내화충전용보드, 불연천장판, 고강도시멘트보드, 보온재, 단열재, 흡음마감재, 심재 준불연EPS단열재, 진공단열재, 워너백, 고탄성 외단열 시스템, 고성능 심재준불연 PF보드, 불연 미네랄울보드 외단열시스템, 단일소재 심재 준불연스티로폼 내외단열용 단열재, 준불연 경질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 스티로폼, 명품보드 준불연 스티로폼, 미네랄울보온판, 보온재, 유리면보온재, 친환경유리섬유보온재, 6면(심재) 준불연 단열재, 글라스울단열보온재, 발포폴리스티렌판, 포폴리스티렌판, 기능성복합단열재, 저방사복합단열재, 발포폴리에틸렌보온재, 폴리에스터섬유단열재, 심재 준불연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 EPS단열재, 난연우레탄패널, 냉동패널, 냉장용패널, 난연우레탄패널, 경질폴리우레탄폼단열재, 복합기능성단열재, 친환경 불연 그라스울 단열재, 콜크제품, 기포제, 발포제, 팽창제, 경량제, 와이어패널, 폴리우레탄패널, 바닥재, 매립형매트, 코르크바닥재, 바닥재, 친환경교육시설바닥재, 출입구용매트, 에코플로어, 이중마루판, 마루, 원목마루, 파켓마루, 플로어링재, 강화제, 표면 강화제, 침투성 콘크리트 표면 강화제, 건축시설물바닥재, 체육시설물바닥재, 방진재, 방음재, 소음방지재, 층간소음방지재, 고무타일, 도장형바닥재, 고무시트바닥재, 친환경투수형코르크탄성포장재, 비닐타일, 비닐시트바닥재, 카페트, 카페트타일, 실내장식재, 인테리어마감재, 불연건축내장재, 무기질 실내 준불연 마감재, 하드월, 방염 템바보드, 블라인드, 기능성인테리어마감재, 친환경인테리어마감재, 벽지, 한지벽지, 기능성인테리어마감재, 친환경벽지, 방염벽지, 흡음벽지, 조립식건물재, 경량철골천장부재, 샌드위치패널, 칸막이, 이동식구조물, 화장실, 이동식화장실, 이동식주택, 조립식주택, 컨테이너, 컨테이너주택, 주택컨테이너, 배관재, 일반배관용탄소강관, 일반배관용탄소강관, 압력배관용탄소강관, 압력배관용탄소강관, 연료가스배관용탄소강관, 송유관, 행거, 파이프, 파이프행거, 슈, shoe, 파이프슈, 파이프커플링, 강관제관이음쇠, 나사식이음쇠, 강관제관이음쇠, 용접식이음쇠, 흑관이음쇠, 강관제관이음쇠, 강관제관이음쇠, 레듀샤, 가단주철제관이음쇠, 철플랜지, 단조관이음쇠, 단조플랜지, 부단수할정자관, 지하매설물탐사용경고테이프, 하수관 자재, CSOs 저감시설, 조인트, 그루브조인트, 그루브조인트 관이음쇠, SPP배관용그루브조인트 관이음쇠, STS304배관용 그루브조인트 관이음쇠, 그루브조인트, 메카니칼티관이음쇠, 그루브타입밸브, 카본스틸일반그루브관이음쇠, 압력배관용그루브관이음쇠, 소방용덕타일그루브관이음쇠, 스테인리스그루브관이음쇠, 맞대기용접식관이음쇠, 홈(그루브드)조인트, 홈(그루브드)관이음쇠, PFP파이프, 단열이중보온관, 이중지수폴리에틸렌피복강관, 연결구, 연결구일체형상수도용도복장강관, 확관형 링조인트, 파손감지용 폴리에틸렌 기능성 에폭시 피복강관, PEP강관용 조인트, 관이음쇠, 폴리에틸렌피복강관, 폴리우레탄강관이형관, 분말용착식 폴리에틸렌 피복 이형관, 이중지수폴리에틸렌피복강관용이형관, KP더블락이탈방지압륜, 자유형엘보, 분말용착식폴리에틸렌3층피복강관, 직관, 분말융착식폴리에틸렌3층피복강관, 이형관, 폴리에틸렌3층피복강관-이형관, 무용접식-풀림방지조인트, 부식방지용방수밀폐형강관밸브실, 분말용착식 폴리에틸렌 3층 피복강관, 원형밸브실, 사각밸브실, 경사 및 높이조절 밸브실, 분말융착식 폴리에틸렌 3층피복강관, 이형관, 액상에폭시, 분말용착식 폴리에틸렌3층 피복강관, 분말용착식 폴리에틸렌3층 피복강관,이탈방지 하우징, 밀폐형강관밸브실, 닥타일주철직관, 닥타일주철직관부속품, 닥타일주철관접합부속, 닥타일주철이형관, 배수접속기, SEXTIA, 이탈방지압륜, 배수용주철관, 노허브, 플랜지, 배관용스테인리스강관, 수위계 측정관, 수위측정관, 지하수수위측정관, 스테인리스Seamless강관, 수도용주름마디스테인리스강관, 스테인리스지하수용양수파이프, 수중용플랜지, 파이프커플링, 스테인리스지하수용양수파이프, 심정용파이프, 스테인리스주름관, 스테인리스플랜지, 스테인리스관이음쇠, 프레스식이음쇠, 더블프레스식이음쇠, 스테인리스관이음쇠, 이중링프레스식이음쇠, 원터치삽입식이음쇠, 스테인리스관이음쇠, 나사식이음쇠, 티스그립접합식이음쇠, 롤푸쉬접합식이음쇠, 신축가동식이음쇠, 동파이프, 동관이음쇠, 황동이음쇠, 이탈방지압륜, 잠금이단철개, 폼, 패드, 폼패드, 타원형폼패드, 파이프 관통부 내화충전재, 새들, 배관용새들, 배관재, 수격방지기, 온돌파이프, 이음관, XL온돌파이프, 복합파이프, 폴리부틸렌파이프(PB), 경질염화비닐관, PVC파이프, PVC이음관, 수도용관, 배수용관, PVC관, CPVC관, PVC, CPVC, CLEAN PVC 파이프ㆍ이음관, CLEAN PVC 이음관ㆍ밸브, HT PVC 파이프ㆍ이음관, PVC, CPVC 파이프 및 이음관, PVC 투명파이프, PVC투명시트, CPVC 시트, 삼중벽구조내충격수도관, 수도용내충격성 ABS이음관, 내진형닥타일이음관, 유공관, 추진관, 친환경농업용수전용관, 삼중벽구조내충격하수관, HI-VAN이음관, SP타입관, 오수받이, 소형맨홀, 소방용 합성수지관, 삼중벽구조내충격수도관, 삼중벽구조내충격하수관, 하수이음관, SP타입이음관, TS타입이음관, SPRINKOOL SYSTEM, 수전함, 벽체매립형 오픈수전함, 하수이음관, 하수관보수재, 보강재, 내충격PVC(HI-VP)압력관, 내충격PVC(HI-VG1,2ㆍSP-Type)하수관ㆍ이음관, 내충격오수받이, 플렉스(FLEX)파이프, 누수제로수도관(NUSUZERO HI-VP), 내충격용 수도관(HI-VP) 및 추진관, 조인트 이음관, HP 조인트 이음관, KP-HP 조인트 이음관, 고강성 PVC 이중벽하수관, 내충격 PVC 하수관, MULTI 오수받이 및 소형맨홀, 수도용 경질폴리염화비닐관, 고강성PVC이중벽관, 내충격PVC(HI-VG1,2ㆍSP-Type)하수관ㆍ이음관, 트랩내장형 오수받이 및 소형맨홀, 일반용폴리에틸렌파이프, 수도용폴리에틸렌파이프, 이중벽폴리에틸렌파이프, 수도용 폴리에틸렌 융착기, PP밸브, CPVC 밸브류, PE BUCKET STRAINER, 수도용 폴리에틸렌 이음관 융착기, 폴리에틸렌파이프ㆍ이음관, 이중벽 PE 하수관, HDPE DC 고압관 및 이음관, 이중벽폴리에틸렌파이프, 소켓일체형 PE하수관, 소켓일체형 PE하수관 부속류, 소켓일체형 PE하수관 이경티, 배관재, 이물질포집배출기, 점검구겸용배출기, 상·하수도용배출기, 세척점검구, 농업용이물질포집배출기, 신축관이음, 밸브접합관, 철재밸브실, 링조인트, 이탈방지용조인트, 강관용유동호환이음관, 볼트, 너트, 와셔, 내산압력배관, 성형관, 피팅류, 익스팬션조인트, 자유형익스팬션조인트, 후렉시블조인트, RUBBER CONNECTOR, 면상발열체 동파방지 시스템, 동결방지시스템, 메탈히터동결방지시스템, 메탈히터동파방지시스템, 스마트에코 동파방지시스템, 누수감지스마트더블락시스템, SDS이중지수연결구누수감지시스템, 진동분석시스템, 패킹류, 메카니컬씰, 패킹, 밸브, LLT AIR TRA, 밸브실, PVC밸브, 주강제밸브, 주철제밸브, 청동제밸브, 볼밸브, 스테인리스단조밸브, 단조밸브, 플로팅밸브, 볼탭, 스텐레스 나사식 밸브, 제수밸브, 써클밸브, 부단수제수밸브, 컨트롤밸브, 다기능밸브, 점검구용 제수밸브, 삼중지수부 단수밸브, 상.하수도용 나이프 게이트 밸브, 제수밸브, 소프트실제수밸브, 높이조절지수밸브, 공기변실환기구, 제수밸브보호통, 상수도부대토목자재, 스테인리스볼밸브, 스테인리스밸브, 주강제밸브, CAST CARBON STEEL VALVE, 체크밸브, 버터플라이밸브, 스팀트랩, 온도조절밸브, 안전밸브, 감압밸브, 세퍼레이터, 스트레이너, 디퓨져, 분사디퓨져, 노즐디퓨져, 살수디퓨져, 석션디퓨져, 자동밸브, 높이조절장치부착형밸브실, 경사 및 높이조절 밸브실, 스마트밸브실, 전동구동장치, 공압식구동장치, 스위치박스, 리미트스위치박스, L.L.T(무봉수 TRAP), 미터기, 연결구, 수도미터, 종합배수구, 유량계, 유속계, 압력계, 온도계, 새들붙이분수전, 자유회전식,고정식수전, 하수역류변, 오ㆍ폐수ㆍ악취차단기, 역지변, 펌프류, 입축 사류펌프, 축류 펌프, 자동기, 제어장치, 자동제어장치, 펌프자동제어장치, 진공펌프, 편흡입펌프, 보류트펌프, 내산펌프, 진공강자흡식펌프, 양흡입펌프, 부스타펌프, 가변압 제어펌프, 다단와권펌프, 단단와권펌프, 터빈펌프, 자이로펌프, 스프르트펌프, 수중펌프, 게이트펌프, GATE PUMP, 수문, 펌프, 문틀, 사류 축류펌프, 와권펌프, 볼류트펌프, 양흡입펌프, 부스타펌프, 가압펌프, 수중모터펌프, 수중용 스프르트펌프, 수중용모터펌프, 핸디오배수패키지펌프, 오배수패키지펌프, 인라인펌프, 정량펌프, 입형다단펌프, 웨스코펌프, 자동펌프, 튜브펌프, 호스펌프, 위생기재, 사우나장비, 위생도기, 위생기, 마블위생기, 욕조, 마블욕조, 인조대리석욕조, 위생기, 아크릴욕조, 위생용기, 양변기, 양변기용 자동물내림 시트, 비데, 액세서리, 화장실용액세서리, 금구, 수전금구, 전자감지식밸브, 주방기구, 전기물끓이기, 온수기, 전기온수기, 주방자재, 주방설비, 조, 통, 함, 탱크, 스테인리스물탱크, 온수저장탱크, FRP물탱크, GRP(SMC)물탱크, SMC물탱크, PE케미칼탱크, PE물탱크, PDF물탱크, 저장탱크, 가축분뇨액비저장탱크, FRP화학탱크, PL강관물탱크, 친환경 천연 광물질 정화조용 악취제거제, 유화제, 개선제, 정화조, FRP정화조, 프리캐스트콘크리트정화조, FRP하수(오수)처리시설, 파이프커버, 가교발포폴리에틸렌보온재, 카이론, 보온재, 유리섬유보온재, 카바, 유리섬유세이프카바, 유리섬유셀프보온재, 미네랄울보온재, NBRㆍEPDM고무발포보온재, 고무발포보온재, 고무발포단열재, NBRㆍEPDM고무발포단열재, 아마젤에어로젤단열재, 보온마감재, HITLIN PIPE COVER HG비발수 TYPE 보온재, 락킹식보온외장커버, 파이프보온재, 락킹식보온외장커버, 엘보보온재, 락킹식보온외장커버, 밸브보온재, 후크식 보온외장조립카바, 보일러, 온수보일러, 증기보일러, 입형연관식보일러, 수관식보일러, 관류형보일러, 노통연관식보일러, 주철제보일러, 전기보일러, 가스보일러, 조립식연도연돌, 2중관온돌, 온수가열기, 연소기, 버너, 열교환기, 방열기, 라디에이터, 전기라디에이터, 전기컨벡터, 냉방기기, 공기조화시스템, 공기정화시스템, 대공간공기조화시스템, 공기조화기, 냉각탑, 냉동기, 냉장고, 건조기기, 건조기, 난방기기, 온풍난방기, 발열체, 원적외선코튼망사발열체, 태양열온수시스템, 온수매트, 물순환온수매트, 물순환호스매입온수매트, 히터와 펌프와 물순환호스거 포함되는 온수매트, 탄소매트, 탄소섬유매트, 탄소온돌매트, 온돌히터, 난방필름, 무전자파 온돌패널, 온돌패널, 히터, 적외선히터, 전열온수관, 난방용전열관, 유닛히터, 온돌용 열전도판, 공기식태양열복합패널, 난방기, 원적외선복사난방기, 팬코일, 팬코일유닛, 냉ㆍ난방기기, 시스템에어컨디셔너, 냉ㆍ난방기, 공조기기, 제습기, 가습기, 살균기, 공기살균기, 청정기, 공기청정기, 공기순환장치시스템, 가습기, 항온항습기, 전열교환기, 배기폐열회수환기장치, 폐열회수환기장치, 라돈저감시스템, CLEAN ROOM 장비, 풍력기기, 송풍기, 환풍기, 에어커튼, 덕트, PVC 덕트, FRP덕트, 덕트기구, 새들서포트, 싱글서포트, 방진서포트, 알루미늄덕트, 건식에어덕트, P.V.C 오발 플렛 DUCT, 덕트내화충전재, 스파이럴덕트, 스파이럴덕트이음쇠, 플렉시블덕트호스, 자동제어장치, 빌딩자동제어장치, 밸브류, 설비특화제어시스템, 스마트 디바이스, 원격제어기, 조작기, 중앙감시장치, 기기류, 에너지관리시스템, 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게이트웨이(GCU), 공기질 측정 센서(Air Quality Sensor), 댐퍼조작기, 디지털직접제어기(DDC), 밸브조작기, 비접촉식 자동문 스위치(Untact Door Switch), 온도 감지기, 습도 감지기, 자동제어밸브, 재난예방 감시 제어 장치-레일로봇(Rail Automovement Monitoring robot System), 조명제어자재, 중앙관제장치(CCMS), 터치스크린(TS),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댐퍼조작기, 밸브조작기, 온도검출기, 습도검출기, 조절기, 온도,습도 감지기, 원격제어반(DDC), 제어밸브, 조명제어, 조작기, 중앙감시장치(CCMS), 중앙관제장치(CCMS), 터치스크린, Touch Screen, 현장제어기기, BACnet DDC (BTL Certified, Modul Type), 2방밸브, 3방밸브, 제어밸브 구동기, 제어밸브 몸체, 제어밸브 몸체(2방밸브), 중앙관제장치, 중앙관제장치(LSS EcoV/noverPro Open), 중앙관제장치(novaPro Open), 중앙관제장치(Router), 현장제어기기, BACnet DDC (BTL Certified), BACnet DDC (BTL Certified, Compact Type), BACnet DDC (BTL Certified, Modul Type), BACnet DDC(BTL Certified), EY3600 DDC (Compact Type), EY3600 DDC (Rack Type), 액정 제어판넬, Touch Panel, GATEWAY, LSS Touch Panel, Modbus RTU, REPE, 제어기, 게이트웨이, 그래픽 드라이버, 그래픽드라이버, 센서, 스위치, 대기전력차단제어, 댐퍼, 밸브구동기, 디밍제어, 로컬 제어기, 롤스크린제어기, 마스터 제어기, 무선등단위디밍조명제어, 무선제어기, 무선제어기, 중계기, 설비, 공조기, 전력DDC, 센서류, 센서및스위치, 스마트 조명 스위치, 스마트 ON/OFF 조명 스위치, 써지 프로텍터, 온도제어기, 원격제어장치, 유선조명제어, 인터페이스, 장비 인터페이스 Package(각 품목별), 장비인터페이스팩케이지(각 품목별), 조명제어, 중앙관제장치, 중앙관제장치 HMI 소프트웨어SiFMS, 시설물관리장치, 중앙관제장치 HMI 소프트웨어SiManager, 빌딩자동제어장치, 중앙관제장치 HMI 소프트웨어SiManager-SI, 시스템통합기기, 중앙관제장치(DVManager), 중앙관제장치(SiManager), 중앙관제종합장치, 최대수요전력제기어, 컨트롤밸브바디, 터치 스크린, 현장제어기기, 에너지관리장치, 원격검침시스템, DVManager, 로직작성기, SiManager-TS, 패널PC, VAV 제어, 건설기계, 불도저, 굴삭기, 롤러, 트럭, 콘크리트믹서트럭, 덤프트럭, 로더, 램머, 건설장비, 그레이더, 모터그레이더, 고소작업대, 천공기, 항타기, 항발기, 준설기, 하수도준설기, 천공기, 절단기, 고철절단기, 콤팩터, 다짐기, 진동기, 할암기, 양수기, 엔진양수기, 엔진펌프, 크러셔, 롤크러셔, 콘크러셔, 로러크러셔, 임팩트크러셔, 파쇄기, 분쇄기, 마쇄기, 드릴, 점보드릴, 도로용장비, 브레이커, 착암기, 중기부속품, 콘크리트장비, 바이브레이터, 배칭플랜트, 콘크리트배칭플랜트, 아스팔트믹싱플랜트, 노면파쇄기, 노면파쇄기팁날, 원동기, 전동기, 엔진, 가스엔진,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가스발전기, 디젤발전기, 디젤엔진, 유압기기, 공압기기, 공기압축기, 콤프레샤, 공압기기, 유압기기, 농업기기, 축산작업기, 조경기계, 농업기계, 일반농기구, 노즐, 농용업환풍기, 농업용제습기, 산업기계, 임업기계, 세차기, 대형세차기, 세척기, 세정기, 진공세척기, 평판타발기, 운반기계, 컨베이어부품, 주차장치, 자동차주차장치, 하역기계, 크레인, 호이스트, 윈치, winch, 곤돌라, 지게차, 링크체인, 부품, 드론, 드론부품, 운송장비, 항로표지장비, 용품, 항로표지용품, 철도용품, 구명뗏목, 백사장청소기(Beach Cleaner), 승용차, 모터사이클, 버스, 자동차, 화물자동차, 자동차도장부스, 특장차, 중고차, 자동차부품, 승용차, 버스, 화물차, 자전거, 튜브, 후랩, 리어카, 타이어, 타이어부품, 자전거주차장치, 공작기계, 선반, 밀링머신, 보링머신, 머시닝센터, 프레스, 벨트프레스, 프레스이송용로봇, 방전기, 가공기, 방전가공기, 연삭기, 연마기, 드릴링머신, 탭핑머신, 용접자재, 용접봉, 특수용접봉, 용접용품, 용접기, 시험기, 계측기기, 지역냉난방배관관리시스템, 지역냉난방열수송관(열배관)관리시스템, 측량기, 측량용품, 토목시험기, 금속시험기기, 관로조사용촬영장비, 비파괴시험기기, 자동차검사기기, 재료환경계측기, 감시장치, 스마트 관망 감시장치, 누수탐사기기, 경사계, 구조물경사계, 토목용계측기, 광섬유센서, 측정기, 광학측정기, 대기안전분석기기, 도량형기, 수위조절기, 자동수위우량측정장치, 홍수예보장치, 자동수위우량측정장치, 홍수예보용장치, 지진경보모니터링시스템, 건축물안전성모니터링시스템, 재해예경보시스템, 온도라벨, 기계요소, 스크류잭, 스프링, 판스프링, 절곡스프링, 용수철, 커플링, 조립식관람석, 조립식경기장, 체인, 어타치먼트 체인, 더블피치체인, 로울러체인, 체인연결구, 베어링, 벨트, 풀리, 유니버셜조인트, 감속기, 가속기, 엑셀레러레이트, 바퀴, 캐스터, 공구, 오토릴, 권취기, 산업용권취기, 측정공구, 줄, 자, 일반공구, 배관공구, 에어공구, 부속품, 전동공구, 바이스, 연마포, 연마지, 연마지석, 절삭공구, 토목공구, 광산용공구, 다이아몬드공구, 수질오염방지시설, 저류기, 폭기조, 반응기, 응집지, 침전기, 여과기, 살균기, 소독기, 방류기, 여과장치, 여과재, 여과재, 환경오염측정장비, 지하수밀폐식상부보호공, 비점오염저감시설, 수처리환경계측기기, 수질측정분석기재, 친환경공법수질정화, 해양오염처리기재, 수질처리장치, 정수장치, 방청방식장치, 약품투입기, 탈수기, 고효율탈수기, 우수처리장치, 살균장치, 자외선유수살균장치, 자외선오존살균장치, 용수처리기기, 물순환장치, 수중녹조처리기, 연수기, 연화기, 경수기, 중수기, 경수연화장치, 전복계수장치, 슬러지개량장비, 살균소독시스템, 비점오염저감시설, WATER EJECTOR, 축산분뇨 처리장치, 하수처리장치, 협잡물처리기, 오폐수처리장치, 상등수배출장치, 수처리제, 복합수처리제, 분뇨하폐수처리제, 순수제조장치, 하천호소수처리장치, 환경오염방지제, 생태환경복원수처리제, 대기오염방지시설, 굴뚝환경 측정기기, 대기환경 측정기기, 필터, 여과필터, 집진장치, SPORED 스프레이 하수악취저감장치, 광촉매UV Ozone탈취장치, 탈취장치, 스택 없는 하이브리드 약액세정 탈취기, 탈연장치, 탈취장치, 악취·VOCs 처리시스템, 산업용 VOCs 저감장치, 무연무취화장로기기, 저에너지부하 고속화장로 설비, 세륜기, 환경IoT, 사이클론포그필터시스템, 포그마스터시스템, 폐기물처리시설, 폐기물선별기, 소음진동방지시설, 방음벽, 방음자재, 소음진동방지장치, 절연전선, 내열비닐절연전선, 난연PVC절연접지용전선, 저독난연가교폴리올레핀절연전선(HFIX), 난연성폴리프렉스구출선(MLFC), 옥외용비닐절연전선(OW), 인입용비닐절연전선(DV), 고무절연캡타이어케이블(PNCT), 비닐절연비닐캡타이어케이블(VCT), 전기기기용비닐절연전선(KIV), 코드, 기구용비닐코드, 고무코드(CTF), 클로로프렌피복인출선(CR배선), 케이블, 용접용케이블(WCT), 전력케이블, 절연난연PVC시스케이블(FW-CV, TFR-CV), 합금 케이블(하이랙스, HiRaCS), 절연저독성난연폴리올레핀시스케이블(HFCO), 수밀형저독성난연동심중성선케이블, 수밀형동심중성선케이블, 제어용케이블, 절연저독성난연폴리올레핀시스제어용케이블(HFCCO), 절연저독성난연폴리올레핀시스차폐제어용케이블(HFCCO-SㆍSB), 절연저독성난연폴리올레핀시스알루미늄마일라테이프제어용케이블(HFCCO-AMSㆍI/C AMS), 절연난연시스제어케이블(FW-CVV), 절연난연시스제어차폐케이블(FW-CVV-SㆍSB), 절연난연시스알루미늄마일라테이프차폐제어케이블(FW-CVV-AMSㆍI/C AMS), 소방용케이블, 난연PVC시스트레이용내화케이블(TFR-8), 저독성난연폴리올레핀시스트레이용난연내화케이블(NFR-8), 난연PVC시스화재경보용내열케이블(TFR-3), 저독성난연폴리올레핀시스화재경보용내열케이블(NFR-3), 전선관일체형내화전선, 통신용케이블, 비닐절연비닐시스전화용국내케이블, 폴리에틸렌절연비닐시스내쌍케이블(CPEV), PCM(DS1)케이블, 광케이블, 고주파폴리에틸렌절연동축케이블(ECX), 인터폰선, 전화선, 점퍼선, 위성방송수신용케이블(HFBT), 신호용케이블, 통신용케이블, LAN(UTP)케이블, 특수케이블, 가요성알루미늄피케이블, 전선·케이블, 수중케이블(CVF), 알루미늄도체케이블(ACSR), 엘리베이터케이블, 테프론전선, 전기용나동선, 에나멜동선, 동부스바, 누수감지시스템, 누유감지시스템, 히팅케이블, 자동 누수,누유,히팅 감지 시스템, 전선원부자재, 부스덕트 및 부품, SWS(금속외함 타입의 Free Wiring System), 슬리브, 케이블접속재, 접속자재, 압착단자, 동관단자, EYECAP, 스마트단자대, 누설전류 흡수+감소+소멸+차폐 장치, 스마트단자대, 누설전류 흡수+감소+소멸+차폐 시설, 노이즈 감소시설, 단자대, 커넥터, 관통형커넥터, 저압케이블 방수형 종단마감재, 전선관, 광케이블통신관, 나사없는전선관, 나사없는전선관, 부속품, 강제전선관, 파상형경질(ELP)전선관, FC통신관, 강제전선관부품, 노출배관용부품, 전선관용부품, 2종금속전선관, 경질비닐(PVC)전선관, 경질비닐(PVC)전선관부품, 합성수지제가요전선관, 합성수지제가요전선관부품, 폴리에틸렌(PE)전선관, 플렉시블전선관, 플렉시블전선관부품, 편조전선관, 몰드, 형틀, 거푸집, 전선덕트, 전선관로재, 레이스웨이, 케이블타이, 케이블연소방지제 방화커버, 트레이관통부 FireZero Tray 방화커버, 금속제박스 및 커버(전선관용), 풀박스, 플라스틱콘트롤BOX, 케이블트레이, 부속품, CABLE TRAY, 사다리형 TRAY, LADDER TRAY, 광덕트, 래더트레이, 전력기기, FRP 전기절연난연빔, 전기차충전소 안전시설물, 저손실하이브리드변압기, 변압기, 무정전전원장치, 자동전압조정기, 변환기, 회전위상변환기, 스타터, 소프트스타터, 에너지절전기, 자동제어기, 가로등 자동제어기, 콘덴서, 기기용콘덴서, 전해용콘덴서, 인버터판넬, 에너지절전기, 진상용콘덴서, 전동기, TWTX 전동기, 유도전동기, 인버터판넬, 마이크로서지필터, 트랜스포머, 조작트랜스포머, 인버터, 에너지회생장치, 컨버터, 직류전동기제어컨버터, 제어반, 직류전동기제어반, 배전기기, 변류기보호장치, 유입개폐기, 피뢰기, 피뢰침, 차단기, 누전차단기, 배선용차단기, 고압전동기 원격 절연저항 측정 시스템, 배선용차단기(MCCB)함, 기중차단기, 비상자동전원절체기(A.T.S), 고장구간자동개폐기(A.S.S), 고압개폐기, 전자개폐기, 무정전절체스위치, 진공차단기(V.C.B), 회로ㆍ가조정형차단기, 전자접촉기, 진공접촉기(VCS), 열동형과부하계전기, 분배기, 블록형전원분배기, 절연자재, 절연재료, 수전반, 배전반, 분전반, IoT스마트컨버터, 지능형분전반, 디지털축소형모자익시스템, 태양광접속반, 지열시스템, 전기안전모니터링시스템, 발전장치, 소수력발전장치, 배전제어기기, 배전제어부품, 계전기, 릴레이, 산업용자동제어기기부품, 자동화기기, 누수·누액·누유감지시스템, 원격통합관리시스템, 생체반응실시간헬스케어센서, 원격감시시스템,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 전력선통신기반통합제어시스템, 원방감시제어시스템, 계전기기, 최대수요전력감시장치, 전자통신계측기, 전력량계, 적산전력계, 분산형공정제어시스템(DCS), 접지자재, 피뢰자재, 배선기구, 방폭형 스위치, 커버나이프스위치, 퓨즈, 한류형퓨즈, 플러그, 송배선기구, 퓨즈, 퓨즈홀더, 퓨즈링크, 소켓, 플레이트, 스위치, 타임스위치, 콘센트, 조명기구, 스포츠 조명시스템, 대공간 조명시스템, 투광기, 몰드바, 자동승강조명장치, 자연형집광채광시스템, LED경관조명기구, 영상감시시스템, 조명, 원격조명릴, 가로등, 태양광가로등, 가로등조명기구, 도로등기구, 형광등기구, HID등기구, 형광등기구 보강대, LED조명기구, 오토리프팅, LED조명 시스템, 옥외스포츠 조명시스템, 대공간 LED조명시스템, 전등, 형광등, 항공등화, 비행장조명기구, 항공등화, LED전구, LED 형광등, LED 투광등, 나트륨등, 메탈하라이드등, 감지센서, 재실감지센서, 안정기, 메탈하라이드등안정기, 형광등안정기, 수은등안정기, 나트륨등안정기, 전주, 가로등주, 알루미늄가로등주, 가로등방수형접속함, 불법광고물부착방지판, 철탑, 스티커형전주도색판, 전주, 콘크리트전주, 콘크리트가로등기초, 콘크리트근가, 강관전주, 가선철물, 송전용가선철물, 통신용가선철물, 배전용가선철물, 풀림방지형인장클램프, 지중선용가선철물, 교통신호장치, 교통신호기, 바닥형보행신호등, 주차유도관제시스템, 지능형교통정보수집장치, 주차유도시스템, 전광게시물, 전광표시판, 전지, 축전지, 컴퓨터, 일체형컴퓨터, 맥, 노트북, 서버용컴퓨터, 컴퓨터주변기기, 스캐너, 프린터, 플로터, 모니터, 중앙처리장치, 그래픽카드, 메모리카드, 메인보드, HDD, SSD, 파워, 소모품, 전산소모품, USB메모리, 입력장치, 출력장치, 보안기, 네트워크장비, 보안장비, 소프트웨어, 지능형 하수처리시설 최적운영 소프트웨어, 스마트전력플랫폼소프트웨어, 패키지, 소프트웨어패키지, 재난예경보전용소프트웨어, 교차로관제 소프트웨어, 상황인지형 위치안내설비 시스템, 하수처리시설 능동형 지능화 소프트웨어, 회전설비 결함진단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가공 소프트웨어 ,통합방재방범시스템, 원격시스템, 재난방범통합관제시스템, 소프트웨어, 폰, 전화기, 통신장치, 스마트폰, 핸드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악세서리, 태블릿, 전화기, 인터폰, 분배기, 증폭기, 안테나, 전화단자함, MDF, TV분배기함, 키폰, 비상통신장비, 무선송수신기, 무선기, 송신기, 수신기, 전자시계시스템, 시계, 워치, 설비시계, 디지털자시계, 방송음향기기, 디지털방송시스템, 스피커, 앰프, 소방시설, 소화기, 소화기받침대, 소화전보호대, 맨홀, 제연설비, 소화전설비, 상업용주방자동소화장치,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빌딩용소화기기, 소화기기, 내진시스템,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화재경보기, 화재기, 경보기, 소화전, 승하강식 옥외 소화전, 가변풍량 제연인버터 시스템, 안전보호시설, 산업안전 음성경보 시스템, Non-Slip 탈부착식 안전시트, 산업안전장비, 재난예ㆍ경보시스템, 재난예보시스템, 재난경보시스템, 영상원격감시제어시스템, 물관리 자동화 시스템(TM/TC), 산업안전용품, 피난안전용품, 지능형통합관제시스템소프트웨어, CCTV카메라, CCTV, 카메라, 출입통제시스템, 안전플레이트, CCTV주변기기, 무선통신보조설비, 예비군장비, 민방위장비, 유화제품, 석유화학제품, 화공약품, 약품, 시약, 에어졸, 활성탄소, 합성수지, 고무제품, PVC호스, PVC, 호스, 불포화폴리에스터수지, 방진패드, 방음패드, 고무호스, 고압호스, 고무판, 고무, 판, 고무용약품, Flake Lining 재, ABS판, PET판, 포맥스판, 아크릴봉, 아크릴거울, 아크릴평판, 압출아크릴판, PVC평판, PPㆍPE평판, 아크릴파이프, 연료, 연탄, 무연탄, 연료유, 연료가스, 가스, 가스기기, 가스용기, 윤활유, 워셔액, 절연유, 부동액, 그리스, 자동차용윤활유, 산업용윤활유, 가구, 사무용가구, 내화금고, 금고, 책상, 도서관가구, 수장고용수납장, 카운터, 의자, 소파, 테이블, 사물함, 락커, 캐비닛, 사무용집기, 사무용비품, 화일박스, 파티션, 가정용가구, 서랍장, 침대, 옷장, 화장대, 산업용가구, 자동보관함, 선반, 조립식선반, 앵글, 조립식앵글, 스테인리스앵글ㆍ선반, 공구관리 보관함, 교육용가구, 상업용품, 자동판매기, 사무기기,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 모사전송기, 제본기, 재단기, 종이재단기, 라벨라이터, 문서세단기, 문서정합기, 지폐, 주화계수기, 출퇴근기록기, 지문인식기, 순찰용시계, 금전등록기, 수표발행기, 인쇄기, 디지털인쇄기, 컬러디지털인쇄기, 인쇄용지, 백상지, 고급인쇄용지, 미량코트지(MFC), CCP지, 경량코트지, 아트지, 신문용지, 중질지, 팬시지, 특수용지, 교육용품, 이화학기구, 실험실습기구, 현미경, 망원경, 과학교구, 시청각기재, 오디오, 비디오기자재, 무대기계장치, 카메라, 캠, 사진재료, 특수레이저 조명 시스템, 환등기, 화상기, 악기, 운동용품, 레저용품, 낚시용구, 체조용품, 바둑용품, 장기용품, 육상용품, 수영장시설기구, 등산용구, 운동용품, 캠핑용품, 캠핑용품, 운동복, 구기장, 시설재, 구기장시설재, 인공암벽, 근린생활체육시설, 포장재, 포장기기, 드럼통, 벌크콘테이너백, 플라스틱 골판지, 판지, 쇼핑백지, 포장용품, 마대, PP마대, PE필름, 비닐, PP필름, PVC 경질시트, 연질시트, 골판지원지, 심지, 골판지원단, 골판지상자, 파렛트, 상자. 플라스틱상자. 스치로폴상자, 의약품, 방역장비, 마스크, 살충제, 소독제, 살균제, 항균제, 해독제, 제독제, 방역용살충제, 약, 알약, 물약, 약품, 약제, 약물, 동물약품, 의약품, 의료기재, X선필름, 재료, 의료기, 위생재료, 청소용품, 휴지통, 건물관리용품, 청소 소모품, 청소용왁스, 세제, 탈취제, 살균제, 소독제, 탈취제, 청소용제, 화학세척제, 재생재료, 재활용품수거함, 가전제품, 재봉기, 섬유제품, 면합섬직물, 재봉사, 피혁제품, 지퍼, 장갑, 의류, 작업복, 운동복, 사무복, 단체복, 타월, 수건, 축산용품, 수산용품, 사료, 농수산 사료, 축수산 사료,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농축수산물, 인삼, 생약재, 식료품, 조미료, 낙농물, 인스턴트식품, 음료, 일용품, 시계, 귀금속, 우산, 양산, 우의, 가전가정용공구, 가전기기, 가정용공구, 공구세트, 전동공구, 스탠드, 전등, 전화기, 무전기, 데스크악세서리, 서류받침, 책꽂이, 원목데스크액세서리, 일반서류함, 소품정리함, 디자인, 화방, 제도, 데코, 공예용품, 라인테이프, 칼라가이드, 모형재료, 물감, 포스터, 미술보조용품, 보조제, 부직포, 휄트지, 붓, 색연필, 파스텔, 마카, 서예용품, 아크릴판, 염료, 스프레이, 우드락, 폼보드, 제도용품, 캔버스, 스케치북, 사무용품, 오피스용품, ARTSIGN(아트사인)꽂이, 가위, 스테플러, 펀치, 계산기, 노트, 레포트지, 다이어리, 명찰, 명찰집게, 백묵, 보드마카, 보드지우개, 보드, 게시판, 칠판, 봉투, 서식, 장부, 수정테이프, 수정액, 신문철, 신문걸이, 인주, 스탬프, 접착메모지, 메모보드, 카드링, 책철, 컷터, 매트, 크립, 핀, 테이프, 펜통, 명함꽂이, 풀, 본드, 글루건, 홀더, 자석, 공예철사, 철사, 사무용기기, 금고, OHP필름, 라벨기, 카트리지, 문서세단기, 사무가구, 의자, 순찰시계, 출퇴근기록기, 열쇠보관함, 금고, 제본기, 재단기, 코팅기, 지폐계수기, 프로젝터, 포인터, 생활잡화, 오피스잡화, 산업안전용품, 생활용품, 욕실용품, 주방용품, 청소용품, 포장소품, 포장케이스, 식음료, 커피, 커피믹스, 차, 라면, 과자, 음료, 컵, 종이컵, 탕비실비품, 커피믹스, 원두커피, 허브티, 아이스티, 유아용교구, 아동용교구, 과학교구, 교사지도자료, 수학교구, 영어교구, 창의체험교구, 컴퓨터용품, 디지탈기기, 저장장치, 컴퓨터용품, 액세서리, 컴퓨터주변기기, 프린터용지, 지류, 라벨지, 견출지, 복사지, 전산용지, 일반지류, 하드보드, 전용지, 프린터잉크, 토너, 재생토너, 정품잉크, 리본, 카트리지, 정품토너, 필기구, 고급필기구, 마카, 매직, 샤프, 샤프심, 펜, 싸인펜, 연필, 색연필, 연필깎이, 지우개, 일반필기구, 볼펜, 학용품, 교육용품, 문구세트, 악기, 붓, 화구용품, 사인펜, 점토 ,글라스데코, 연필, 연필깎이, 지우개, 자, 필통, 크레파스, 물감, 팬시, 완구, 평가인, 학용품, 풀, 색종이, 가위, 학용품, 교육용품, 화일바인더, 앨범, 군용화일, 바인더, 도면화일, 화일케이스, 명함첩, 통장, 지갑, 통장지갑, 문서보관박스, 화일박스, 바인더, 앨범, 스탠드, 일반화일, 홀더, 클리어화일, 면장철, 클립보드, 결재판, 상장케이스, 브리핑화일, 포토폴리오, 화일내지, 인덱스속지, 골재, 시멘트, 타일시멘트, 특수시멘트, 타일시멘트, 목재, 목자재, 토목용블록, 토양안정재, 토질안정재, 도로포장재, 도로포설재, 포장용블록, 도로시설물, 수로관, 수도관, 인조잔디, 실내장식재, 벽돌, 블록, 석재, 방수재, 지수재, 차수재, 미장재, 도료, 창호재, 합판, 보드, 보온재, 단열재, 보온·단열재, 바닥재, 조립식건물재, 배관재, 위생기재, 파이프커버, 집진장치, 축전지, 조명기구, 교육용품;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물, 복합제, 복합재;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시설은 시설 1, 시설 2, 시설 3, 시설 4, 시설 5; 이중 둘 이상 복합시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시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되는 시설; 등이다. 상기 시설 1은 집, 건물, 주택, 가옥, 주택, 단독주택, 공동주택, 조립주택, 강철주택, 철골주택, 케노피건물, 케노피주택, 이동주택, 컨테이너주택, 한옥, 양옥, 황토방, 상가,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 저층건물, 고층건물, 초고층건물, 하우스, 목조주택, 목조건물, 인공목조주택, 합성목조주택, 황토주택, 기와집, 전통집, 한옥집, 토담집, 볏집, 전통건물, 문화재, 문화재건물, 지하실, 지하도, 지하건물, 수중건물, 지상건물, 공중건물, 부유건물, 식물공장, 도시농장, 농장건물, 식물농장건물, 식물공장건물, 도시농장건물, 어번팜건물, 하우스, house, 비닐하우스, 유리하우스, 펜트하우스(Pent House), 플라스틱하우스, 고분자합성재하우스, 목재하우스, 투명하우스, 반투명하우스, 불투명하우스, 농장하우스, 식물하우스, 식물농장하우스, 에너지제로하우스,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메타버스하우스, 경작대, 경작판, 경작툴, 경작수단, 식물농장, 식물공장, 식물차량, 식물트럭, 식물농장컨테이너, 철재건물, 강재건물, 강철건물, 철근건물, 철콘건물, 철골건물, 조립건물, 컨테이너, 컨테이너주택, 이중 둘 이상의 복합시설 등이다. 상기 펜트하우스는 펜트, PENT, A PENT, THE PENT, 더펜트, 펜트하우스, Pent House, Penthouse; 또는 아파트, 호텔, 주상복합, 고층건물 등의 최고층, 맨위층, 상층부, 고급스러운 주거공간;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강철주택, 철골주택, 컨테이너주택 등은 철, 강, 강척, 철골, 컨테이너 등이 이용 또는 포함되는 주택이다. 그리고 케노피건물, 케노피주택은 케노피가 있는 건물, 주택 등을 나타낸다.
상기 하우스에는 아파트, 펜트, PENT, A PENT, THE PENT, PENT APT, PENT HOUSE, 더펜트, 펜트하우스, 펜트아파트, 분양하우스, 모델하우스, 사이버하우스, 사이버모델하우스, 사이버분양하우스, 메타버스하우스, 메타버스모델하우스, 메타버스분양하우스, 가상공간 하우스, 가상공간 모델하우스, 가상공간 분양하우스, 아파트 모델하우스, 아파트 사이버모델하우스, 아파트 메타버스 모델하우스 등도 포함된다. 상기 펜트, PENT, A PENT, THE PENT, 더펜트, 펜트하우스, Pent House, Penthouse, 펜트아파트, Pent Apt 등은 건물이나 아파트나 하우스의 상표명이나 모델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앱, PC, 사이버, 3차원세계, 플랫폼, 가상공간, 핸드폰앱, 메타버스, 3차원공간 등에 모델하우스 조성; PC 또는 핸드폰을 통하여 상기 모델하우스 들어가기; 상기 모델하우스 구경하기; 상기 하우스에 아바타 조성; 상기 아바타가 상기 모델하우스 구경하기; 상기 하우스에 대하여 상담하기; 상기 하우스에 대하여 직원과 손님이 상담하기; 상기 하우스 계약하기; PC 또는 핸드폰을 통하여 상기 하우스 계약하기; 모델하우스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 사이버 상으로 구경, 상단, 계약; 등이 가능하다.
상기 시설 2는 철탑, 기둥, 굴뚝, 울타리, 가로등, 터널, 도로터널, 철도터널, NATM터널, TBM터널, Shield터널, TBM-Shield수저터널, 수중터널, 수침터널, 침매터널, 윈드터널, 지하터널, 피암터널, 개착터널, 공중터널, 방음벽, 방음터널, 도로, 차도, 보도, 인도, 철도, 궤도, 트랙, 포장, 포장체, 활주로, 운행로, 운항로, 도시, 안전, 구조, 지반, 기초, 다리, 교량, 도로교량, 철도교량, 육교, 교대, 교각, 윈드교량, 공중교량, 댐, 흙댐, 토사댐, 사력댐, 시멘트댐, 콘크리트댐, 아치댐, 사방댐, 제방, 흙제방, 토사제방, 사력제방, 시멘트재방, 콘크리트재방, 하천제방, 하천, 해양, 항만, 해안, 호안, 호수, 수로, 안벽, 물양장, 하구언, 방파제, 방조제, 해양구조물, 보, 수중보, 지상부, 수면보, 수상보, 하천보, 4대강보, 이중 둘 이상의 복합시설 등이다.
상기 시설 3은 조, 통, 함, 봉, 팬, 댐, 하천, 기둥, 드론, 차량, 엔진, 보트, 튜브, 노즐, 호스, 호퍼, 박스, 탱크, 용기, 관로, 배관, 펌프, 필터, 벽, 문, 창, 창호, 창문, 현관, 대문, 입구, 출구, 출입구, 개찰구, 유리, 천장, 천정, 시설, 설비, 자재, 재료, 건물, 주택, 공장, 굴뚝, 터널, 도로, 철도, 궤도, 차로, 가로, 연도, 보도, 인도, 난간, 교량, 지하철, 공사장, 지하도, 통행로, 가로등, 신호등, 신호대, 신호기, 표지판, 분리대, 중앙분리대, 포장면, 경계석, 사이드스톤, 울타리, 파이프, 사일로, 중공체, 이동체, 부유체, 비행체, 연소기, 소각기, 타설기, 분사기, 여과기, 케이스, 하우징, 중공탱크, 저장탱크, 철제탱크, 금속탱크, 콘크리트탱크, 이중 둘 이상의 복합시설 등이다.
상기 시설 4는 시설, 시설물, 건축물, 구조물, 조형물, 조경물, 지하철, 구조물, 시설물, 가시설, 옹벽, 보강토옹벽, 석축, 지중벽, 흙막이벽, 차수벽, 반응벽, 복합벽, 설비, 플랜트, 조경시설물, 매립장, 쓰레기매립장, 발전소, 태양발전소, 풍력발전소, 해상풍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수력발전소, 조력발전소, 파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흙구조물, 흙막이, 흙막이시설, 토사구조물, 토공구조물, 사면구조물, 법면구조물, 수리구조물, 해양구조물, 시멘트구조물, 콘크리트구조물, 레미콘구조물, 목재구조물, 철재구조물, 철골구조물, 지하구조물, 수중구조물, 지상구조물, 공중구조물, 부유구조물, 조립구조물, 지면구조물, 지중구조물, 수면구조물, 수중구조물, 수리구조물, 공중구조물, 건물시설, 수리시설, 정화시설, 수소시설, 도로시설, 교통시설, 지하시설, 수중시설, 지상시설, 공중시설, 공원시설, 놀이시설, 우주시설, 발사체, 발사시설, 정거장, 운동장, 경기장, 체육관, 수영장, 놀이장, 차정거장, 우주정거장, 메타버스시설, 메타버스시설물, SOC시설물, 공공시설물, 개인시설물, 공원시설물, 수처리시설물, 폐수처리시설물, 정화시설물, 수리시설물, 건축시설물, 토목시설물, 환경시설물, 조경시설물, 도로시설물, 철도시설물, 교통시설물, 발전시설물, 인테리어시설물, 상하수도시설물, 지하시설물, 수중시설물, 지상시설물, 공중시설물, 부유시설물, 소음방지시설, 층간소음방지시설, 이중 둘 이상의 복합시설 등이다.
상기 시설 5는 집, 건물, 주택, 가옥, 주택, 단독주택, 공동주택, 조립주택, 케노피건물, 케노피주택, 이동주택, 컨테이너주택, 한옥, 양옥, 황토방, 상가,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 저층건물, 고층건물, 초고층건물, 하우스, 이동주택, 목조주택, 목조건물, 인공목조주택, 합성목조주택, 황토주택, 기와집, 전통집, 한옥집, 토담집, 볏집, 전통건물, 문화재, 문화재건물, 지하실, 지하도, 지하건물, 수중건물, 지상건물, 공중건물, 부유건물, 식물공장, 도시농장, 농장건물, 식물농장건물, 식물공장건물, 도시농장건물, 어번팜건물, 하우스, 비닐하우스, 유리하우스, 플라스틱하우스, 고분자합성재하우스, 목재하우스, 투명하우스, 반투명하우스, 불투명하우스, 농장하우스, 식물하우스, 식물농장하우스, 에너지제로하우스, 식물농장컨테이너, 메타버스집, 메타버스건물, 메타버스주택, 철재건물, 강재건물, 철근건물, 철콘건물, 철골건물, 조립건물, 컨테이너, 컨테이너주택, 철탑, 기둥, 굴뚝, 울타리, 가로등, 터널, 도로터널, 철도터널, NATM터널, TBM터널, Shield터널, TBM-Shield수저터널, 수중터널, 수침터널, 침매터널, 윈드터널, 지하터널, 피암터널, 개착터널, 공중터널, 방음벽, 방음터널, 도로, 차도, 보도, 인도, 철도, 궤도, 포장, 포장체, 활주로, 운행로, 운항로, 지반, 사면, 법면, 비탈면, 절개면, 기초, 파일, 피어, 케이슨, 다리, 교량, 도로교량, 철도교량, 육교, 교대, 교각, 윈드교량, 공중교량, 댐, 흙댐, 토사댐, 사력댐, 시멘트댐, 콘크리트댐, 아치댐, 사방댐, 제방, 흙제방, 토사제방, 사력제방, 시멘트재방, 콘크리트재방, 하천제방, 하천, 해양, 항만, 해안, 호안, 호수, 수로, 안벽, 물양장, 하구언, 방파제, 방조제, 해양구조물, 보, 수중보, 지상보, 수면보, 수상보, 하천보, 4대강보, 시설물, 건축물, 구조물, 조형물, 조경물, 지하철, 옹벽, 보강토옹벽, 석축, 지중벽, 흙막이벽, 차수벽, 반응벽, 복합벽, 설비, 플랜트, 조경시설물, 매립장, 발전소, 쓰레기매립장,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흙구조물, 토사구조물, 토공구조물, 사면구조물, 법면구조물, 수리구조물, 해양구조물, 시멘트구조물, 콘크리트구조물, 레미콘구조물, 목재구조물, 철재구조물, 철골구조물, 지하구조물, 수중구조물, 지상구조물, 공중구조물, 부유구조물, 조립구조물, 지면구조물, 지중구조물, 수면구조물, 수중구조물, 수리구조물, 공중구조물, SOC시설물, 공공시설물, 개인시설물, 공원시설물, 수처리시설물, 폐수처리시설물, 정화시설물, 수리시설물, 건축시설물, 토목시설물, 환경시설물, 조경시설물, 도로시설물, 철도시설물, 교통시설물, 발전시설물, 인테리어시설물, 상하수도시설물, 지하시설물, 수중시설물, 지상시설물, 공중시설물, 부유시설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시설; b) 또는 봉, 대, 판, 망, 바, bar, 메쉬, 격자, 섬유, 시트, 매트, 철근, 리바, rebar, 철망, 철골, 세라믹, 화이버, 케이지, 보강재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상기 집 내지 복합시설; 등이 해당된다.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이 적용되는 시설의 실시예는 IT 시설, IT 집, 5G 건물, 3D 주택, 4D 가옥, Al 교량, IC 터널, VR 도로, AR 인도, MR 옹벽, XR 구조물, DX 아파트, ICT 석축, NFT 한옥, IoT 상가, IoE 아파트, AIoT 오피스텔, GPS 하우스, SNS 문화재, LTE 주택, WiFi 차도, 안전 철도, 메타버스 도로, 아바타 주택, 마네킹 하우스, 사이버 하우스, 원격가동 하우스, 원격조정 주택, 하이브리드 건물, 인텔리전트 구조물, 리모트컨트롤 도로, 텔레매틱스 차도, 3차원 건물, 4차원 주택, 4차산업기술 시설, IT5G3D4DAlICVRAR시설, MRXRDXICTNFTIoT건물, IoEAIoTGPSSNSBIMLTEWiFi구조물, 정보기술이 이용되는 IT 시설, 정보장비가 구비된 IT 집, 5G 통신이 되는 건물, 3차원의 3D 주택, 4차원의 4D 가옥, 인공지능이 이용된 Al 교량, IC 회로가 구비된 터널, 가상현실에 조성된 VR 도로, 증강현실에 조성된 AR 인도, 혼합현실에 조성된 MR 옹벽, 확장현실에 조성된 XR 구조물, 2종의 듀얼 모듈이 적용된 DX 아파트, 정보통신기술이 이용된 ICT 석축, NFT 적용 한옥, 사물인터넷이 구비된 IoT 상가, 만물인터넷이 구비된 IoE 아파트,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이 이용된 AIoT 오피스텔, GPS가 구비된 하우스, SNS에 등재된 문화재, LTE 통신되는 주택, WiFi 통신되는 차도, 안전한 철도, 메타버스에 조성된 도로, 아바타가 사는 주택, 마네킹이 거주하는 하우스, 사이버의 가상 하우스, 원격가동되는 하우스, 원격조정되는 주택, 하이브리드의 다기능 건물, 인텔리전트한 기능성 구조물, 리모트컨트롤되는 도로, 텔레매틱스한 차도, 3차원의 건물, 4차원의 주택, 4차산업기술이 이용되는 시설, IT 5G 3D 4D Al IC VR AR 등에 이용되는 시설, MR XR DX ICT NFT IoT 등이 이용되는 건물, IoE AIoT GPS SNS BIM LTE WiFi 등이 이용되는 구조물 등이다.
상기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지반 조사, 지형 조사, 시료 채취, 상기 채취 시료 시험, 상기 조사 및 시험에 의한 지반 정보, 상기 정보를 이용한 설계 및 구조해석, 아파트 설계도 완성, 상기 아파트의 분양, 상기 아파트의 계약, 상기 아파트의 공사 착공, 상기 공사를 하는 사람 및 장비, 상기 사람에 장착된 센서, 상기 장비에 구비된 트래커, 상기 공사 현장에 설치된 계측기, 상기 센서에 의한 사람의 이동 동선 파악, 상기 트래커에 의한 장비의의 이동 동선 파악, 상기 계측기에 의한 현장의 응력 및 변형 계측, 상기 파악 및 계측에 의한 사람과 장비와 현장의 안전성 분석, 상기 분석에 의한 적정의 안전 조치, 상기 현장을 드론이 비행하면서 촬영 및 관측, 상기 센서와 트래커와 계측기와 드론에 의하여 얻어진 정보를 무선 송신, 상기 정보를 서버에 저장, 상기 정보를 전산처리, 상기 정보를 폰이나 컴퓨터로 제공, 상기 아파트의 중도금 입금, 상기 공사 연속 수행, 상기 공사 준공, 상기 아파트의 잔금 입금, 상기 아파트에 주민 입주, 상기 입주한 주민 생활 등을 폰, SNS, 컴퓨터, 단말기, 디스플레이, 가상공간, 3차원 가상공간 등으로 보여주는 메타버스이다.
상기 기초는 기초, 파일, 피어, 기둥, 케이슨, 基礎, foundation, 핀기초, 강기초, 철기초, 강철기초. 돌기기초, 돌기 구비 기초, 파일기초, 마이크로파일기초, 고화기초, 고결기초, 개량기초, 기둥기초, 주입기초, 분사기초, 믹싱기초, 컴팩션기초, 인젝션기초, 그라우팅기초, 보강기초, 스크류기초, 믹스기초, 내진기초, 지중기초, 표층기초, 지하기초, 중층기초, 심층기초, 지반기초, 시설기초, 얕은기초, 깊은기초, 건물기초, 교량기초, 구조물기초, 아파트기초, 시설지지기초, 가변기초, 팽이기초, 확장기초, 확장판기초, 변단면기초, 스크류기초, 그라우팅기초, 현장타설기초, 고화체와 보강재의 결합기초, 두께 2m 이하의 표층기초, 심도 15m 이하의 중층기초, 심도 15m 이상의 심층기초, PRD(percusiion rotary drill)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기초, PRD(percusiion rotary drill)로 조성된 기초, RCD(reverse circulation drill)로 조성된 기초, 이중 둘 이상의 복합기초 등이다.
상기 파일은 파일, 기둥, 지중파일, 목재파일, 공장파일, 현장파일, PHC파일, 콘크리트파일, 현장타설파일, 샌드콤팩션파일(SCP; sand compaction pile), 자갈콤팩션파일(GCP; gravel compaction pile), 쇄석콤팩션파일(CCP; crushed stone compaction pile), 슬래그콤팩션파일(SCP; slag compaction pile), CIP(cast in place pile), 공장에서 제작된 파일, 지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조성된 파일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피어는 피어, 기주(基柱), 단면이 사각형인 피어, 단면이 원형인 피어, 길이 또는 심도가 15m 이상인 기초 중 하나이다.
상기 케이슨은 케이슨, 박스 형상의 박스케이슨, 원통 형상의 원통케이슨, 사각형 현상의 사각형케이슨, 내부 중공의 중공케이슨, 철재케이슨, 철골케이슨, 콘크리트케이슨, 길이 또는 심도가 30m 이상인 기초, 수상이나 육상에서 제작한 속이 빈 콘크리트 구조물, 오픈케이슨(open caisson), 상부가 오픈되면서 굴착되고 굴착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가 삽입되어 조성되는 오픈케이슨(open caisson), 상부가 닫히면서 굴착되고 굴착 내부에 공기가 투입되어 굴착 내부로 물이나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굴착부에 철근 및 콘크리트가 삽입되어 조성되는 공기케이슨(pneumatic caisson), 자중이나 적재하중에 의하여 지지층까지 침하시킨 후 모래, 자갈,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이 속채움된 기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핀기초, 강기초, 철기초, 강철기초. 돌기기초, 파일기초, 마이크로파일기초 중 하나는 핀(pin), 강(鋼), 철, 바, bar, 리바, rebar, 강철. 철근, 철골, 금속, 강관, 돌기, 파일, 강관파일, 소구경파일,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의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핀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포함 또는 형성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에 상기 핀 내지 마이크로파일 중 하나가 삽입된 기초이다.
a) 상기 고화기초는 토사(soil)와 고화재(binder)가 고화된 기초(foundation)이거나, 또는 상기 고화기초 내지 그라우팅기초 중 하나이다. b) 상기 고결기초는 바인더, 흙이 고결되어 형성된 기초이다. c) 상기 개량기초는 지반이 개량된 기초이거나, 개량재가 지반 또는 기초에 투입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d) 상기 기둥기초는 기둥(column)형상의 기초이거나 또는 재료가 지반에 침투되어 조성된 기둥형상의 기초이다. e) 상기 주입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주입(injection, grouting)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f) 상기 분사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분사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g) 상기 믹싱기초는 고화재가 지반에 믹싱(mixing)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h) 상기 컴팩션기초는 재료 또는 고화재가 지반에 다짐(compaction)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i) 상기 인젝션기초는 재료 또는 고화재가 지반에 인젝션(injection)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j) 상기 그라우팅기초는 재료 또는 그라우팅재가 지반에 그라우팅(grouting)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k) 상기 보강기초는 보강재가 삽입된 기초, 또는 기초에 보강재가 삽입된 기초이다.
a) 상기 스크류기초는 지중에 삽입된 또는 회전압입되어 삽입된 스크류기초이다. b) 상기 확장기초는 기초의 선단, 하단, 중간, 일부, 일부분 등이 확장된 기초이다. c) 상기 확장판기초는 선단, 하단, 중간, 일부, 일부분 등에 확장판이 장착된 기초이다. d) 상기 믹스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교반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e) 상기 믹싱기초는 바인더가 지반에 믹싱되어 조성된 기초이다. f) 상기 내진기초는 지진보강, 내진보강, 지진대비 등의 기초이다. g) 상기 지중기초(underground foundation)는 지중에 조성된 기초, 또는 가변 날개가 장착된 롯드에 의하여 지중에 바인더가 믹싱되어 형성된 기초이다. h) 상기 표층기초(surface foundation)는 두께 2m 이하의 표층기초, 또는 기초의 조성 시에 발생된 잔토, 슬라임 중 하나 이상과 바인더가 교반된 후 지면에 포설, 다짐, 고결되어 조성된 표층 기초이다. i) 상기 얕은기초는 얕은기초(shallow foundation), 자신의 폭이 길이보다 큰 기초, 자신의 폭이 길이의 1.5배 이상인 기초, 상기 깊은기초보다 길이 또는 심도가 얕은 기초 중 하나이다. j) 상기 깊은기초는 깊은기초(deep foundation), 자신의 폭이 길이보다 작은 기초, 자신의 폭이 길이의 1.5배 이하인 기초, 상기 얕은기초보다 길이 또는 심도가 깊은 기초 중 하나이다.
a) 상기 지반기초는 지반에 조성된 기초이다. b) 상기 시설기초는 시설을 지지하는 기초이다. c) 상기 시설지지기초는 시설의 지지를 위하여 시설 하부에 설치되는 기초이다. d) 상기 표층부 기초는 지중 기초의 상부에 거치된 표층부 기초, 또는 일정의 두께를 가진 표층부 기초, 또는 표층 고화체로 구성된 기초이다. e) 상기 가변기초는 가변기초, 변화기초, 단면변화기초, 변단면기초, variable foundation, variable shape foundation 중 하나이거나, 또는 폭, 직경, 단면, 형상, 길이 방향의 형상, 길이 방향의 단면 중 하나가 변화되는 기초이다.
상기 변단면기초는 변단면기초, 단면이 변하는 기초, 단면의 형상 또는 크기가 변하는 기초, 길이 방향으로 단면이 변하는 기초, 길이 방향으로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기초, 길이 방향으로 단면이 점점축소 또는 점점확대되는 기초, 상부는 원통 형상이고 중간은 콘 형상이고 하부는 상부의 원통보다 작은 원통 형상을 이루는 기초,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단면의 형상이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길이 또는 지중 방향으로 단면의 형상이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길이 또는 지중 방향으로 단면의 형상이 상부 원통부와 중간 콘부와 하부 원통형상의 꼬리부로 구성되는 기초 중 하나이다.
a) 상기 원통부 기초는 원통 형상의 기초, 또는 하기 콘부 기초의 상부에 거치된 기초, 또는 지중 원통 기초, 또는 지반에 바인더가 주입되어 조성된 원통부 기초이다. b) 상기 콘부 기초는 a) 콘 형상의 기초, 지중 콘 기초, 상기 원통부 기초의 하부에 거치된 기초, b) 또는 자신의 중앙 축 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차 축소되는 콘부 기초, c) 또는 상기 원통부 기초의 조성에 이용되는 2개 이상 동일 날개보다 길이가 짧으면서 점축되는 2개 이상 가변 날개가 이용되어 조성되는 콘부 기초 중 하나이다. c) 상기 꼬리부 기초는 기초의 하부를 이루는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콘부 기초의 하부에 거치된 기초이거나, 또는 상기 원통부, 콘부, 콘부 상단, 콘부 중간 중 하나의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콘부 하단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원통형 꼬리부 기초이다.
본 발명에서는 층간소음방지, 층간소음방지공, 층간소음방지재, 층간소음방지시설, 층간소음방지 또는 층간 소음을 방지하는 제, 재, 판, 층, 틀, 폼, foam, 셀, cell, 셀폼, 폼셀, 패널, 판넬, 널판, 매트, 시트, 필름, 장판, 마루, 보드, 부재, 재료, 자재, 제품, 시설, 설비, 격자, 슬라브, 시스템, 플레이트, 매트리스 등이거나, 또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층간소음방지의 실시예 1은 연성, 강성, 기포, 보온, 다공, 타공, 요철, 요부, 소음, 방진, 내진, 중공, 내부중공, 난연, 불연, 발포, 기포, 팽창, 벌집, 완충, 충격흡수, 스티로폼, EVA, ethylene vinyl acetate, EPS, expendable polystyrene, 층, 1층, 2층, 3층, 4층, 다층, 공기층 등의 또는 등이 구비된 폴리에틸렌발포, 폴리프로필렌, 시멘트, 세라믹, 경량기포콘크리트,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연성판, 강성판, 패널, 기포패널, 보온패널, 스티로폼판, EVA패널, EPS패널, 섬유, 직포, 부직포, 필름, 반사필름, 발포폼, 유리면사, 질석보드(vermiculite board), 규산보드, 탄성부재가 내장된 보드, 장판, 마루, 바닥재, 천정재, 충격흡수지지대, 높이조절판, 충격완충판, 강성보강패널, 발포폴리스티렌패널, 돌기, 요철, 고무, 다리, 방진고무, 지지대, 거치대, 고무지지대, 바닥슬래브, 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재층, 이에 매립되는 상부 및 하부의 수평전단재 등을 이용하는 것이다.
층간소음방지의 실시예 2는 건물의 층별 슬라브 또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바닥에서 상부 방향으로 a) 표면강화처리층, 접착층, 밀착층, 발포폼, 세라믹발포폼, 세라믹소재에 발포제로 사용하여 미세한 발포셀이 벌집 모양으로 형성된 세라믹발포폼, 배관, 보호몰탈층; b) 또는 완충재, 차폐재, 몰탈층 등으로 시공 또는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발포폼 또는 완충재는 공기층 또는 공기통로, 상층부재, 공기층 또는 공기통로, 하층부재, 공기층 또는 공기통로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층간소음방지의 실시예 3은 용액 또는 기포액이 저장된 용기, 상기 용기로 부터 공급되는 기포액을 믹싱하는 모터, 상기 모터로 부터 공급되는 기포액의 버블과 현탁액 이송장치로 부터 공급되는 현탁액을 믹싱하는 믹싱기, 상기 믹싱기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셔, 상기 믹싱기의 내부에 거치된 것으로 미세 구멍을 가진 메시, 상기 믹싱기에서 믹싱된 믹싱물을 압력 이송하는 이송장치, 상기 압력이송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 상기 메시 또는 스크류에 의한 버블과 현탁액을 믹싱하는 폼믹싱기, 상기 폼믹싱기의 믹싱액을 분배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에 연결된 폼주입용호스, 건축물의 바닥, 천정, 벽체 등에 형성된 폼주입구멍, 상기 구멍에 연결되어 유기, 무기, 유무기 등의 폼을 주입하는 폼주입용호스, 상기 주입에 의하여 상기 바닥, 천정, 벽체 등에 형성된 층간소음방지재, 상기 바닥, 천정, 벽체 등에 형성된 폼점검구멍, 상기 폼점검구멍에 삽입되는 내시경 카메라, 상기 폼의 주입상태를 파악하는 내시경 카메라 등이 이용되는 것이다.
층간소음방지의 실시예 4는 a) 고화제를 물에 희석하여 만든 용제, 상기 용제와 세라믹소재가 교반된 페이스트, 상기 페이스트에 발포제를 넣어 타설 후 발포 및 고화, 상기 발포 및 고화 후에 현장 또는 공장에 발포폼 조성; b) 또는 세라믹소재와 발포제를 교반 또는 1500~2000rpm으로 고속 교반, 상기 교반된 혼합물인 페이스트, 상기 페이스트가 타설되는 금형 또는 몰드 또는 형틀 또는 현장, 상기 타설되어 양생 또는 고결 후에 조성된 발포폼, 현장의 바닥에 조성된 층간소음방지용 발포폼, 상기 발포폼의 건조, 상기 발포폼의 커팅, 상기 커팅되어 형성된 층간소음방지용 발포폼 제품, 상기 발포폼의 표면에 에멀젼, 아크릴에멀젼, 하이브리드 아크릴에멀젼, 실록사이드, 하이브리드 실록사이드, 실리케이트, 바인더 등이 도포 등에 의한 것이다.
층간소음방지의 실시예 5는 a) 상기 고화제에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암모니아수 등 포함이거나, 상기 고화제에 수산화칼륨:탄산나트륨:암모니아수 = 2:10:1 중량비가 포함되고, b) 상기 세라믹소재는 시멘트, 포틀랜드시멘트, 애쉬, 바텀애쉬, 플라이애쉬,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EPS, expendable polystyrene, expendable polystyrene resin, 질석, 이산화규소, 황토, 펄라이트, perlite, 카올리나이트, kaolinite, 규조토, 안료, 산화철계안료 등이 포함되고, c) 상기 발포제는 물, 스테아르산, 과산화수소수, 물 100 중량부, 스테아르산 14~28 중량부, 과산화수소수 56~282 중량부 등으로 구성되고, d) 상기 발포폼의 압축강도 40~80MPa, 열전도율 0.03~0.06W/mK, 밀도 160~200kg/㎥, 함수율 39~49% 등인 것이다.
층간소음방지의 실시예 6은 1)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기존슬라브 또는 바닥슬라브(bottom slab), 완충재(buffer material), 지지재(supporter), 완충재, 부양슬라브(floating slab) 또는 상부슬라브, 배관, 마감몰탈층 등으로 구성; 2) 상기 기존슬라브 또는 바닥슬라브의 측면 또는 4방향 또는 가장자리는 벽체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홈, 요부, 핀, 고리, 걸쇠, 구멍, 볼트 구멍, 볼트 고정 수단 등 형성; 3) 상기 완충재는 a) 상기 바닥슬라브의 상부, 홈의 상부, 요부의 상부, 핀의 외부, 고리의 외부, 걸쇠의 외부, 지지재의 상부, 지지재의 하부, 지지재의 측면, 지지재와 평행, 지지재와 이격, 부양슬라브의 하부, 부양슬라브의 양측 등에 설치; b) 재질은 고무, 실리콘, 팽창재, 탄성재, 쿠션재, 에어쿠션, 스티로폼 등; c) 부양슬라브의 하중, 충격 진동 등을 흡수; 4) 상기 완충재는 수직완충재, 측면완충재 등으로 구성; 5) 상기 수직완충재는 부양슬래브의 하중, 충격 진동 등이 바닥슬래브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6) 상기 측면완충재는 부양슬래브의 하중, 충격 진동 등이 벽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7) 상기 지지재는 상기 홈, 완충재의 상부, 완충재의 하부, 부양슬라브의 하부, 부양슬라브의 측면 등에 설치; 상기 부양슬라브를 지지; 부양슬라브의 하중, 충격 진동 등을 완충재에 전달; 8) 상기 완충재 및 지지대는 a) 판형, 시트형, 매트형, 보드형, 기둥형, 폴대형, 쫄대형, 사각형, 벽면형, 높이형, 길이형, 레일형, 단턱 구비형, 사각길이형, 사각기둥형; b) 일정의 길이를 가진 상기 판형 내지 사각기둥형; c) 일정의 폭 및 길이를 가진 상기 판형 내지 사각기둥형; 등의 형상을 가짐; 9) 상기 부양슬라브는 상기 바닥슬라브의 상부, 상기 단턱의 상부, 상기 완충재의 상부, 상기 지지재의 상부, 상기 완충재와 지지재로 구성된 상부, 상기 완충재와 지지재와 완충재로 구성된 상부, 상기 벽체에 이격, 상기 벽체에 3cm 이격 등으로 설치; 10) 상기 바닥슬라브와 부양슬라브의 재질은 철재, 금속재,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철근이 매입된 콘크리트, 상부철근과 하부철근과 보조철근이 매입된 콘크리트; 11) 상기 바닥슬라브와 부양슬라브의 형상은 a) 폼, 층, 데크, 발포폼, 슬라브, 플레이트, 데크플레이트, 콘크리트층, 판형, 시트형, 매트형, 보드형, 사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바닥면적전체형, 세그먼트형, 전체 바닥 면적을 2개 이상으로 나눈 면적을 가진 세그먼트형, 전체 바닥 면적의 1/2 면적을 가진 세그먼트형, 전체 바닥 면적의 1/10 면적을 가진 세그먼트형, b) 일정의 폭 및 길이를 가진 상기 폼 내지 세그먼트형; 12) 상기 바닥슬라브와 부양슬라브의 사이에 틈이나 공간이 형성; 13) 상기 틈이나 공간은 상기 완충재, 지지재 등의 높이로 형성; 14) 상기 틈이나 공간에 의하여 상기 부양슬라브의 하중, 충격 진동 등이 상기 바닥슬라브에 전달되지 못함; 15) 상기 완충재, 지지대, 부양슬라브 등에는 볼트 통과 구멍 형성; 16) 상기 볼트 통과 구멍에 볼트 삽입; 17) 상기 삽입된 볼트의 하부가 상기 기존슬라브 또는 바닥슬라브에 형성된 구멍, 볼트 구멍, 볼트 고정 수단 등에 삽입 또는 고정; 18) 상기 삽입된 볼트의 상단에 너트 또는 나사 조임 19) 상기 조임된 볼트에 의하여 상기 완충재, 지지대, 부양슬라브 등의 들뜸 형상 방지, 상향으로의 진동 구속, 하향으로만 진동하도록 유도, 이에 의하여 진동의 진폭을 줄임; 20) 상기 부양슬라브의 a) 내부에 배관 설치, b) 상부에 배관, 마감층, 마감몰탈층, 경량몰탈층, 경량콘크리트층마감콘크리트층 등 설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물질, 재료, 자재, 장비, 장치, 일 내지 시공, 장비 내지 바이오재, 시설 내지 구조물, 안전 내지 크리닝,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서는 또는 등에 의하여 일정의 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작용은 작용 1, 작용 2, 작용 3 등이다. 상기 작용 1은 자화, 진동, 가진, 살균, 멸균, 항균, 제균, 소독, 제독, 해독, 방역, 방제, 방재, 청정, 정화, 퓨리, 정수, 청소, 세척, 세탁, 빨래, 세정, 연마, 회전,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작용 2는 오염, VOC, SOx, NOx, 분진, 먼지,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면, 표면, 유리, 외벽, 시설, 건물, 터널, 도로, 물질, 물체, 사물, 만물,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이 되는 것이다. 상기 작용 3은 a) 자화, 진동, 가진, 살균, 멸균, 항균, 제균, 소독, 제독, 해독, 방역, 방제, 방재, 청정, 정화, 퓨리, 정수, 청소, 세척, 세탁, 빨래, 세정, 연마, 회전, 혼합, 교반, 순환, 분산, 확산, 폭기, 충격, 파쇄, 분쇄, 처리, 자극, 가속, 와류, 이류, 흔듬, 경화, 고화, 응고, 고결, 본딩, 바인딩, 자성화, 미립화, 세립화, 미분화, 세분화, 연무화, 유동화, 액상화, 활성화, 폭기화, 분산화, 청정화, 정화화, 면정리, 면마감, 마사지, 쉐이킹, 장운동, 위운동, 신체운동, 혈액순환, 피로회복, 반응촉진, 수반응, 액반응, 수화반응, 화학반응, 물리반응, 나노반응, 미세반응, 미세화반응, 토네이도, 허리케인, 성장촉진, 발아촉진, 식생촉진, 녹화촉진, 식물성장촉진, 바이오반응, 포졸란반응, 수산화반응, 탄산화반응, 자기장화, 자화수화, 육각수화, 미스트화, 슬러리화, 케비테이션, 에너지상승, 자장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오존처리, 적외선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파처리, 음이온처리, 오존살균, 음이온살균, 오존소독, 음이온소독, 오존청정, 음이온청정, 오존정화, 음이온정화; b) 물질을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정화, 물체를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정화; c) 물질 또는 물체의 성질, 특성, 기능, 성능, 점성, 강성, 강도, 양생, 작업성, 분사성, 주입성, 부착성, 반응성, 방수성, 에너지, 정화성, 처리성, 건전성, 건강성, 신진대사, 혈액순환, 워커빌리티 중 하나 이상을 촉진, 향상, 변경, 변화; d)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정화 중 하나 이상 촉진, 가속, 증진, 증강, 향상, 변경, 변화; e) 상기 자화 내지 변화 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되는 복합 또는 복합작용; f) 상기 자화 내지 복합작용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작용;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에 해당되는 메타버스의 실시예를 들면 자화기에 의한 자화, 진동하는 진동기, 가진되는 물질, 사람에 의한 살균, 청정기에 의한 멸균, 항균하는 물질, 장비에 의한 제균, 드론에 의한 소독, 압전기에 의한 제독, 해독하는 열전기, 방역하는 미스트기, 오존기에 의한 방제, 공사 현장의 방재, 제조 공장을 청정, 상수도를 정화, 지하수를 정수, 청소하는 장치, 세척되는 배관, 세탁하는 사람, 세탁되는 빨래, 모뎀이 이용되는 세정, 허브가 구비된 장치에 의한 연마, 회전하는 장치, 상기 작용을 하는 물질, 재료에 의한 상기 작용, 상기 작용이 발현되는 자재, 장비에 의하여 구현되는 상기 작용, 상기 작용이 구현되는 장치 등이 제공되거나 방영되는 메타버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일, 작업, 업무,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물질, 재료, 자재, 장비, 센싱 내지 측정, 자화 내지 복합, 인식 내지 안전구축, 인식 내지 복합, 일 내지 네트워크구축, 일 내지 복합, 안마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b) 상기 중 하나의 기능, 성능, 역할, 역량, 센싱, 센서, 효과, 효능;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이 가능한 a) 상기 수단, 장비, 장치, 시설,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IT 내지 4차산업기술, 자화기 내지 기능물, 칩 내지 복합요소, 기(器) 내지 복합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수단 내지 복합수단; b) 상기 중 하나의 기능, 성능, 역할, 역량, 센싱, 센서, 효과, 효능; 등이 가능하다. 이를 축약하면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의, 또는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를 들면 안전 수단, 안전 장치, 안전 장비, 안전 장구, 안전 시설, 구호 장비, 구조 장비, 세이브 장치, 세이프 장치, 안전 헬멧, 구호 조끼, 모빌 수단, 보호 수단, 자화 센서, 진동 펌프, 가진 랜턴, 오존처리 계측기, 음이온발생 모뎀, 오존 및 음이온 발생 라우터, 공기 청정기능을 가진 신호기, 정화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서버 또는 단말기, 펄스 발생 카베라, 발광하는 캠, 레이저로 조사하는 조끼, 오존 방사하는 멜빵, 자기장 방사하는 밴드, 자기장을 방사하여 사람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밴드, 자화 수단, 자기장 발생 모자, 진동하는 안경, 오존 방생하는 안경, 가진하는 고글, 피톤치드 발생하는 고글, 오존살균기능을 가진 완장, 음이온 소독 기능을 가진 띠장,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진 의류, 정화 기능을 가진 의복, 정수 기능을 가진 장치, 연수 기능을 가진 시설, 세정 기능을 가진 사물, 세척 기능을 가진 만물, 살균 기능을 가진 가전, 소독 기능을 가진 가구, 방역을 하는 조끼, 살균제가 분사되어 방역이 된 조끼, 주변에 살균제를 분사하여 방역역할을 하는 조끼, 방제 기능을 가진 로봇, 바이오 분해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 전해(전기분해)하는 기능을 가진 물품, 방전(전기방전)하는 기능을 가진시설, 압전 장치, 압전하는 장치, 압전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작업화, 바닥에 압전소자가 내장되어 사람의 하중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작업화, 열전하는 시설, 열전하는 열을 발생하는 시설, 열전하는 전기를 발생하는 시설, 배양 시설, 발효 장치, 가습 기기, 건조 기구, 가열 자재, 냉각 소재, 냉온 사물, 광학 장치, 발광 시설, 발열 밴드, 발열체가 구비되어 발열하는 밴드, 방열 장치, 축열 장비, 연무발생 단말기, 응축 장치, 전파발생 버튼, 음파발생 랜턴, 초음파진동하는 센서, 전자기유도하는 카메라, 유도가열하는 장치, 펄스발생하는 착용구, 폭기하는 장치, 임펄스발생하는 고리, 분사하는 드론, 와류하는 물질, 케비테이션하는 재료, 반응하는 물질, 응집하는 오염수, 침전하는 물질, 여과된 물질, 필터링된 재료, 절단된 자재, 혼합 물질, 용융 재료, 추출 물질, 사출 물질, 수축 재료, 팽창 자재, 청정제를 조사(照射)하는 헬멧, 소독제를 방사(放射)하는 밴드, 레이저를 발사하는 안경, 가속 장치, 감속 장비, 수분제거 장치, 먼지제거 청정기, 열가변저항이 발생하는 장치, 미스트가 발생되는 시설, 빛을 발광하는 안전고리, 웨이브가 발생되는 포켓, 레이저를 조사하는 무전기, 자기장을 발생하는 알림기,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청정기, IT 센서, 5G 버튼, 3D 랜턴, 4D 카메라, Al 무전기, IC 알림기, VR 램프, AR 계측기, MR 배터리, XR 제어기, DX 포켓, ICT 청정기, NFT 정화기, IoT 살균기, IoE 방역기, AIoT 통신수단, SNS 서버, BIM 처리장치, LTE 단말기, WiFi 디스플레이, IT 필드수단, 5G 웨어러블수단, 3D 시스템, 4D 안전관리시스템, Al 핸드폰, IC 플랫폼, VR 메타버스, AR 제어기, MR 버튼, XR 센서, DX 문전기, ICT 알림기, NFT 램프, IoT 계측기, IoE 배터리, AIoT 제어기, SNS 통신망, BIM 서버, LTE 플랫폼, WiFi 메타버스, IT 이용의 센서, 5G 통신을 하는 버튼, 3D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랜턴, 4D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Al 지능으로 누전하는 무전기, IC 화로를 통하여 알림하는 알림기, VR에 이용되는 램프, AR에 이용되는 계측기, MR에 이용되는 배터리, XR에 이용되는 제어기, DX에 이용되는 포켓, ICT 이용 청정기, NFT에 이용되는 정화기, IoT 이용 살균기, IoE 적용의 방역기, AIoT 적용의 통신수단, SNS에 이용되는 서버, BIM을 처리하는 처리장치, LTE 통신이 되는 단말기, WiFi 통신이 되는 디스플레이, IT 이용의 필드수단, 5G 적용의 웨어러블수단, 3D 차원의 시스템, 4D 차원의 안전관리시스템, Al 지능의 핸드폰, IC 회로가 이용되는 플랫폼, VR 구현의 메타버스, AR에 이용되는 제어기, MR에 이용되는 버튼, XR에 이용되는 센서, DX에 이용되는 문전기, ICT 적용의 알림기, NFT에 이용되는 램프, IoT이 되는 계측기, IoE이 되는 배터리, AIoT 성능을 가진 제어기, SNS에 이용되는 통신망, BIM에 이용되는 서버, LTE 통신이 되는 플랫폼, WiFi 통신으로 구현되는 메타버스, 오존이나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오존이나 음이온을 발생하여 주변을 소독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오존이나 음이온이 조사되어 살균처리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소독제나 살균제를 분사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소독제나 살균제를 분사하여 주변을 소독 및 살균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소독제나 살균제가 분사되어 소독 및 살균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다.
그리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또는 등을 이용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은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거나, 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또는 등이 이용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거나,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을 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단, 장비, 일장비, 작업장비, 제조장비, 공사장비, 생산장비, 건설정비, 건축정비, 시공장비, 안전장비, 환경장비, 계측장비, 측정장비 등에는 또는 일,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안전, 계측, 측정 등에는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IT 내지 4차산업기술, 자화기 내지 기능물, 칩 내지 복합요소, 기(器) 내지 복합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되거나, 또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일, 수단, 복합수단 등의 예로는 수단과 헬멧, 수단과 헬멧이 이용되는 일, 수단에 구비된 헬멧, 수단과 헬멧과 안경, 수단과 헬멧과 안경이 이용되는 작업, 수단에 포함되는 헬멧과 모자, 모자와 안경, 모자를 구성하는 안경, 모자와 안경과 완장, 헬멧과 고글, 헬멧에 구비된 고글, 헬멧과 이에 구비된 고글, 헬멧과 고글과 조끼, 완장과 띠장, 완장과 띠장이 사용되는 업무, 팔에 부착된 완장과 손목에 띠를 두른 띠장, 완장과 띠장과 시계, 의류와 조끼, 센서가 장착된 의류와 조끼가 사용되는 일, 의류에 속하는 조끼, 의류와 조끼를 웨어링한 사람, 의류와 조끼와 헬멧, 의복과 멜빵, 멜빵이 속하는 의복, 사람이 입은 의복과 멜빵, 의복과 멜빵과 밴드, 밴드와 시계, 밴드에 구비된 시계, 밴드와 이에 구비된 시계, X밴드와 워치, X밴드에 구비된 워치, 상체에 장착된 X밴드와 손목에 장착된 워치, 손목밴드와 안전화, 손목의 밴드와 발의 안전화, 사람 손목의 밴드와 아바타 발의 안전화, 시계와 작업화, 시계와 작업화와 안전고리, 손목의 시계와 발의 작업화와 허리의 안전고리, 워치와 안전고리, 워치와 안전고리와 드론, 발에 워치와 벨트에 장착된 안전고리와 비행하는 드론, 착용구와 드론, 착용구와 드론와 장비, 사람에 착용되는 착용구와 사람의 상부를 비행하는 드론과 공사하는 장비, 착용물과 다바이스, 착용물과 다바이스와 사물, 로봇의 착용물과 사람에 착용되는 다바이스와 아바타에 착용되는 사물, 드론과 장치, 드론과 장치가 사용되는 일, 드론과 장치와 사람, 드론과 장치와 사람과 아바타, 공중을 자율주행하는 드론과 제조 장치와 제조하는 사람과 자율주행하는 아바타, 비행기와 장비, 비행기와 장비와 사물, 운반하는 비행기와 운반된 재료를 이용하는 장비와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사물, 시설과 사물, 시설과 사물과 공사, 현장의 시설과 현장의 사물과 현장의 공사, 설비와 만물, 설비와 만물과 의복, 공장의 설비와 제조하는 만물과 제조하는 사람의 의복, 생물과 사람, 생물과 사람과 조끼, 이동하는 생물과 운반하는 사람과 사람이 입은 조끼, 인간과 물체, 인간과 물체와 밴드, 일하는 인간과 일에 사용되는 물체와 인간에 장착된 밴드, 물질과 재료, 물질과 재료와 장비,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과 상기 물질이 포함된 재료와 상기 재료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장비, 자재와 기(器), 자재와 기(器)와 사물, 공장의 자재와 공장에 구비된 제조하는 기(器)와 상기 제조하는 사물, 기(機)와 기기, 기(機)와 기기와 사람과 로봇, 일하는 기(機)와 작업을 하는 기기와 작업하는 사람과 일하는 로봇, 기구와 로봇, 기구와 로봇과 아바타와 작업, 제조하는 기구와 제조하는 로봇과 제조하는 아바타와 제조하는 작업, 동물과 아바타, 동물과 아바타와 의류와 안경, 동물과 아바타와 의류와 안경이 이용되는 일, 메타버스의 동물과 메타버스의 아바타와 아바타의 의류와 메타버스를 구경하는 안경, 아바타와 메타공간, 아바타와 메타공간과 작업과 센서, 메타공간에서 활동하는 아바타와 공사가 시연되는 메타공간과 메타공간에서의 작업과 메타공간에 구비된 센서, 버스세계와 작업, 버스세계와 작업과 의복과 밴드, 작업이 구현되는 버스세계와 버스세계에서의 작업과 작업자의 의복과 작업자에 장착된 밴드, 메타버스와 공사, 메타버스와 공사와 통신망, 공사가 시연되는 메타버스와 메타버스에서 시연되는 공사와 공사의 영상이 송수신되는 통신망, 메타버스공간과 센서, 메타버스공간과 센서와 작업과 카메라, 작업이 시행되는 메타버스공간과 작업을 센싱하는 센서와 제조하는 작업과 작업 장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가상공간과 일, 가상공간과 일과 드론과 장비, 시공하는 장면이 보여지는 SNS 상의 가상공간과 시공하는 일과 일하는 드론과 일하는 장비, 가상세계와 작업, 가상세계와 작업과 공사와 장비, 플랫폼을 통하여 시연되는 가상세계와 가상세계에 보여지는 작업과 작업의 시해에 따른 공사와 공사하는 장비, 업무와 제조, 업무와 제조와 공사, 공장의 업무와 공장에서의 제조와 제조된 자재를 이용하는 공사, 생산과 공사, 생산과 공사와 장비, 자재 생산과 생산된 자재를 이용하는 공사와 공사하는 장비, 건설과 건축, 건설과 건축과 헬멧과 조끼, 도로 건설과 건물의 건축과 작업자가 착용한 헬멧과 작업자가 착용한 조끼, 시공과 센서, 시공과 센서와 무전기와 의복, 현장에서의 시공과 현장에 설치된 센서와 현장 작업자의 무전기와 작업자가 입은 의복, 버튼과 랜턴, 버튼과 랜턴과 안경과 사물, 위급시 누르는 SOS 버튼과 빛을 비추는 랜턴과 메타버스를 시청하는 안경과 메타버스에 구현되는 사물, 카메라와 무전기, 카메라와 무전기와 헬멧과 안전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작업자의 무전기와 작업자의 헬멧과 작업자의 안전화, 알림기와 램프, 알림기와 램프와 조끼와 통신망, 위험을 알리는 알림기와 야간에 인식되는 램프와 사람이 착용한 조끼와 조끼에 구비된 모뎀에 연계된 통신망, 계측기와 배터리, 계측기와 배터리와 포켓과 의류, 현장에 설치된 계측기와 상기 계측기의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가 수납되는 포켓과 상기 포켓이 포함되는 의류, 제어기와 포켓, 제어기와 포켓과 밴드와 청정기, 사물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가 삽입된 포켓과 상기 사물에 거치된 밴드와 상기 사물이 있는 공간을 청정하는 청정기, 주머니와 청정기, 주머니와 청정기와 조끼, 물품이나 배터리가 보관되는 주머니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는 청정기와 작업자의 조끼, 정화기와 살균기, 정화기와 살균기와 완장, 공간을 정화하는 정화기와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기와 상기 공간에 있는 사람에 착용된 완장, 소독기와 방역기, 소독기와 방역기와 핸드폰, 공장을 소독하는 소독기와 상기 공장에 구비된 방역기와 상기 공장에 근무하는 사람의 핸드폰, 크리닝기와 통신수단, 크리닝기와 통신수단과 메타버스, 시설을 청소하는 크리닝기와 상기 시설에 구비된 통신수단과 상기 시설을 보여주는 메타버스, 통신망과 서버, 통신망과 서버와 워치, 라우터가 이용되는 통신망과 통신망에 의하여 송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 있는 근무자의 워치, 처리장치와 단말기, 처리장치와 단말기와 핸드폰,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장치와 고객의 단말기와 관리자의 핸드폰, PC와 스마트폰, PC와 스마트폰과 조끼, 정보를 수신하는 PC와 상기 정보가 제공되는 스마트폰과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의 조끼, 컴퓨터와 플랫폼, 컴퓨터와 플랫폼과 서버, 현장 데이터가 수집되는 컴퓨터와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표를 보여주는 플랫폼과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 모니터와 메타버스, 모니터와 메타버스와 장비와 밴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와 상기 영상이 구현되는 메타버스와 상기 메타버스의 장비와 상기 v가포함되는 인터넷 밴드, 스크린과 핸드폰, 스크린과 핸드폰과 서버와 시계, 영상이 방영되는 스크린과 영상을 보는 핸드폰과 영상이 저장되는 서버와 핸드폰을 가진 사람의 시계, 디스플레이와 필드수단, 디스플레이와 필드수단과 안경, 현장에서 측정된 정보가 보여지는 디스플레이와 현장에 구비된 필드수단과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경, 웨어러블수단과 시스템, 웨어러블수단과 시스템과 고글, 인부에 착용되는 웨어러블수단과 상기 웨어러블수단이 포함되는 안전관리 시스템과 상기 안전관리에 이용되는 고글, 안전관리시스템과 카메라, 안전관리시스템과 카메라와 밴드와 모자, 현장의 안전관리시스템과 현장에 구비된 카메라와 센서가 구비된 현장 작업자의 밴드와 현장 작업자의 모자, 상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일, 상기 중 하나가 이용되는 수단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중 둘 이상의 복합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도 가능하다. 상기 복합의 예로는 IT와 5G, IT와 5G인 IT5G, IT 장비와 5G 장비, 장비의 IT와 통신망의 5G, 3D와 4D, 3D와 4D와 Al, 영상 3D와 녹화 4D, 3D 영상와 4D 녹화, Al와 IC, Al와 IC와 VR, Al와 IC와 VR인 AlCVR, VR와 AR, VR와 AR인 VAR, VR와 AR과 IT, 작업에 대한 VR와 공사에 대한 AR, MR와 XR, MR와 XR와 3D, 3D와 MR와 XR인 3DMXR, 일의 MR와 공사의 XR, 사물의 MR와 만물의 XR, DX와 ICT, DX와 ICT인 DXICT, NFT와 IoT, NFT와 IoT와 AI, IoE와 AIoT, IoE와 AIoT인 IoEAIoT, SNS과 BIM, SNS과 BIM과 LTE, 영상이 방영되는 SNS과 설계도면을 작성하는 BIM, LTE와 WiFi, 무선통신의 LTE와 영상 전송의 WiFi, 안전과 구호, 공사의 안전과 작업자의 구호, 세이브와 세이프, 자동과 오토, 자율과 로봇, 모빌과 무인, 유인과 무선, 유인 작업과 무선 통신, 유선과 소자, 에코와 그린, 환경과 생태, 친환경과 청정, 정화와 살균, 정화와 살균인 정화살균, 공기 정화와 균 살균, 현장 정화와 공장 살균, 소독과 방역, 방제와 케어, 비콘과 전기, 전자와 통신, 정보와 만능, 원격과 지능, 리모트와 비트, 원격제어하는 리모트와 원격제어하는 컴퓨터의 비트, 코인과 토큰, 코인과 토큰와 펄스, 코드와 펄스, 신호와 필드, 통신 신호와 현장공사하는 필드, 측정과 제어, 계측과 화학, 물리와 생물, 헬스와 케어, 근로자의 헬스와 작업자의 케어, 헬스와 케어와 모듈, 인공과 논리, 지식과 지능, 나노와 칩, 센서와 소자, 센서와 소자인 센서소자, 진자와 기판, 진동하는 진자와 컴퓨터의 기판, 모듈과 회로, 트윈과 스마트, 모바일과 포터블, 모바일과 포터블과 바이오, 이동하는 모바일과 사람에 구비되는 포터블과 재료에 투입되는 미생물인 바이오, 인터넷과 디지털, 딥러닝과 바이오, 머신러닝과 미생물, 데이터와 반도체, 컴퓨터와 메모리, 실리콘과 웨이퍼, 실리콘과 웨이퍼의 실리콘웨이퍼, 컨트롤과 시스템, 뉴노멀과 웨어러블, 연성과 플렉시블, 메타와 버스, 메타와 버스인 메타와 버스, 메타버스와 아바타, 사이버와 인공지능, 프로세스와 마이크로, 로보틱스와 빅데이터, 클라우드와 모니터링, 아날로그와 프로그램, 아날로그 정보와 정보를 해석하는 프로그램, 블록체인과 자율주행, 자동제어와 자동감시, 자동제어와 자동감시인 자동제어감시, 자동제어와 자동감시와 바이오, 원격관리와 원격가동, 원격조정과 트랜지스터, 하이브리드와 인텔리전트, 2개 장치 이상이 조합된 하이브리드와 인텔리전트 빌딩, 리모트컨트롤과 텔레매틱스, 리모트컨트롤과 텔레매틱스와 ICT, 3차원과 save, 4차원과 safe, smart와 safety, smart 헬멧과 근로자의 safety, auto와 self, auto와 self인 autoself, auto와 self와 IT, robot과 mobile, eco와 green, bio와 nano, care와 cleaning, tele와 remote, 통신하는 tele와 remote의 원격조정, bit와 coin, bit와 coin의 bitcoin, bit와 coin과 AI와 code, code와 pulse, field와 control, health와 chip, module과 twin, portable과 digital, 휴대형의 portable과 digital 자산, data와 system, data와 system인 datasystem, data와 system과 abata와 ICT, telematics와 meta, verse와 wearable, flexible과 abata, flexible과 abata인 flexible abata, 휘어지는 연성의 flexible과 연성의 재질로된 abata, cyber와 micro, cyber와 micro와 cloud와 클라우드, cloud와 hybrid, cloud와 hybrid인 cloud hybrid, wearable technology와 PTT(Push To Talk), Watcher와 PIP(picture in picture), 융합기술과 생명공학, 생명기술과 4차산업기술, 생명기술과 4차산업기술과 ICT와 LTE, 친환경 물질에 적용되는 생명기술과 AI가 접목되는 4차산업기술과 무선통신이 되는 ICT와 LTE 광통신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단, 일, 작업, 업무, 사물, 만물, 장비, 장치, 시설, IT 내지 4차산업기술,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은 하기의 분야에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구성, 거치, 위치, 연계, 연결, 병합, 첨가, 추가 등이 될 수 있다. 하기 분야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구성, 거치, 위치, 연계, 연결, 병합, 첨가, 추가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분야는 분야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등이다. 본 발명에서 하기의 분야 1 내지 16 등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관계, 관련, 첨가, 추가 등이 가능하다.
상기 분야 1은 계획, 조사, 지반조사, 설계, 시공, 감리, 시험, 평가, 측량, 수로조사, 자문, 지도, 품질관리, 안전점검, 안전성 검토, 시설물의 운영, 검사, 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 유지, 관리, 보수, 보강, 철거, 구매, 조달, 시운전, 사업관리, 프로그램, 토목공사, 건축공사, 산업설비공사, 조경공사, 환경시설공사, 시설물 설치ㆍ유지ㆍ보수공사, 기계설비나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공사, 전기공사, 정보통신공사, 소방시설공사, 문화재 수리공사 등이다.
상기 분야 2는 도로, 도로구조설계, 포장, 콘크리트포장, 도로유지보수, 아스팔트포장, 도로기층, 교면포장, 도로안전시설, 방음벽, 도로 경계석, 맨홀, 기타 도로시설, 철도, 철도궤도 설계, 궤도, 철도시스템운영, 신호 및 제어, 철도 유지보수보강, 철도 차량, 기타 철도시설, 항만, 해안, 준설, 매립, 항만 구조물, 해안 구조물, 수중 구조물, 항만부속시설, 항만시설물 유지보수, 방파제, 상하수도, 관로 설계 및 프로그램, 상수도 관로 설치 및 유지 보수, 하수도 관로 설치 및 유지 보수, 상수처리, 하수처리, 오니준설, 상하수도 시설, 수자원, 수자원 설계 및 프로그램, 호안조성, 댐, 보, 수질정화시설, 지하수 관리, 교량, 교량 설계 및 구조, 교량 상부구조물, 교량받침, 교량거더, 가설시설물, 교량 부속시설물, 교량 유지보수, 교량시설, 터널, 터널 구조 및 설계, 터널 구조물 설치, 터널 보강 안정, 터널 굴착, 발파, 터널방수, 터널 유지보수, 터널환기시설, 터널시설, 토질 및 기초, 지반환경 조사 및 측정, 지반 개량 및 보강, 지반굴착, 말뚝, Pile, 파일, 지중구조물, 흙물막이공, 사면 관리 및 보강, 옹벽, 보강토 옹벽, 토질 및 기초 시설, 조경, 사면녹화, 식재조성, 수목지지, 조경시설, 옥상녹화, 측량, 수치지도, 하천측량, 항공측량, 드론측량, 보수보강,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식, 구조물 보수보강, 건축계획 및 관리, 설계, 프로그램 등이다.
상기 분야 3은 가설시설물, 안전가시설, 가설물, 기초, 기초다짐 및 지정, 기초 보강, 철근콘크리트, 콘크리트 제조 타설, 철근 가공 및 조립, 거푸집, 철근콘크리트 골조, 복합 구조체, PC(Precast Concrete), 철근콘크리트, 철골, 철골 가공 및 조립, 데크플레이트, 철골 내화 피복뿜칠, 부식방식, 철골계단, 조적, 벽돌, 블록, 마감, 석공, 타일, 목공, 금속, 유리, 지붕홈통, 미장, 창호, 도장, 수장, 단열, 건축물세척, 방수, 일반방수, 복합방수, 구체방수, 지하외방수, 건축물, 초고층 건축물, 쉘구조물, 돔구조물, 아치구조물, 비정형 구조물, 복합구조물, 내진구조물, 친환경 건축물, 특수구조물, 해체, 발파식 해체, 기계식 해체, 구조물해체, 보수보강, 건축 보수보강, 콘크리트구조물 보수보강, 시설보수보강, 건설기계, 건축기계설비, 공기조화, 냉난방설비, 소방설비, 배관설비, 파쇄설비, 순환골재 제조설비, 건설공사기계, 플랜트, 플랜트설비, 복합플랜트설비, 기타플랜트, 통신전자, 제어설비, 계측설비, 제어설비, 자동화시스템설비, 통신전자 및 제어설비, 환경기계설비, 환경기계시설, 폐기물처리설비, 정화설비, 환경기계설비 등이다.
상기 분야 4는 발전, 발전소, 태양광, 태양전지, 모듈제조용소재, 태양전지, 모듈, 태양전지설비, 모듈 생산 자동화 설비, 태양전지용 BOS(Balance Of system) 주변 기기, 태양광 패널 재활용 설비, 연료전지, PEMFC(proton xchange membrane fuel cell),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PEMFC핵심부품, PEMFC시스템, PEMFC보조기기, PEMFC시스템 양산제조기술, 연료전지 생산용장비, 분산발전용 MCFC 핵심소재, PEMFC핵심부품기술, 인산염 연료전지, 고체산화물형연료전지, SOFC(Solid Oxide Fuel Cell), SOFC스택, SOFC시스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핵심소재, DMFC 핵심부품, DMFC 시스템 보조기기, DMFC 시스템 및 시스템양산제조기술, DMFC 생산용 장비, 풍력, 풍력발전 시스템, 풍력발전 부품, 풍력발전 운영/모니터링 시스템, 해상풍력, 풍력발전 시스템, 석탄가스화복합발전,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석탄/중질잔유 복합발전), 가스화공정, 합성가스정제 및 개질, 합성가스 이용 플랜트, 바이오매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부탄올, 바이오디젤, 바이오가스, 바이오합성가스, 동식물성 기름 기반 연료, 해양에너지, 조력발전, 조류발전, 파력발전, 해수온도차 이용 발전, 태양열, 태양열 활용기기 기술, 태양열 소재 및 재료 기술, 중저온 태양열활용시스템 기술, 고온 태양열활용시스템 기술, 지열, 지열냉난방 기술, 심부지열 개발기술, 심부지열 활용기술 등이다.
상기 분야 5는 수소, 수소생산, 수소이송, 수소저장, 수소공급인프라,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CCU(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연소후 CO2 포집플랜트, 연소전 CO2 포집플랜트, 연소중 CO2 포집플랜트, CO2 압축플랜트, CO2 저장플랜트, CO2 수송플랜트, CO2 이용 유용물질 생산플랜트, 02 생산플랜트, Non-CO2, 온실가스 처리, 환경기초시설발생 메탄이용/저감기술,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불화가스 저감 , N2O 저감, 원자력, 원자력노심 재료, 핵연료, 원전 계통 및 안전, 원전제어계측 기술, 원전성능향상, 원전핵주기, 방사선환경감시, 신형원자로 기술, 에너지저장, 니켈-금속수소전지, 리튬이온전지, 리튬이온폴리머전지, 나트륨-황(NaS)전지, 레독스플로우(RedoxFlow) 전지, 초고용량 커패시터, 리튬이온 커패시터, BOS(Balance of System)기술, 리튬공기전지, 청정연료, 석탄가스화, 석탄가스 정제, 석탄가스 액화, 천연가스 리포밍, 천연가스 유래 FT(full tile)합성, 육상용 GTL(gas to liquids) 통합공정, 해상 GTL-FPSO 통합공정,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GTL FPSO 핵심기자재, SNG(substituted natural gas) 합성, 천연가스 유래 MeOH(methanol) 합성, 천연가스 유래 DME(Di-Methyl Ether) 합성, 거리측정장치(DME, distance measurement equipment), 합성 Upgrading 공정 등이다.
상기 분야 6은 펌프, 히트펌프, 전기구동 히트펌프(EHP), 열원구동 히트펌프(AHP), 가스구동 히트 펌프(GHP), 조명, 신광원 고효율 조명, 실내용 LED 조명기기 및 부품, 풀칼라 LED 감성 조명기기, 실외용 LED 조명기기 및 부품, 무전극 램프, 고효율HID램프(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OLED 조명,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특수용 조명기기 및 부품, 소형열병합, 스털링엔진 열병합발전, 소형 가스터빈 열병합발전, 가스엔진 열병합발전, 에너지 다소비 기기, 산업공정 고효율화, 시멘트 제조공정, 제철 제조공정, 제지 제조공정, 공업로, 건조기, 보일러, 연소기기, 전동기, 사출성형기, 조명기기, 냉난방기기, 가전기기, LNG수송, 핵융합, 핵융합설계, 핵융합장치, 핵융합 에너지변환 및 수송계통, 핵융합 플라즈마가열 및 진단계통, 핵융합 플라즈마수소연료 주기계통, 핵융합플랜트 운전보수유지 등이다.
상기 분야 7은 관리, 시설관리, 하천관리, 자연친화적 하천관리, 하천환경 조사/평가, 홍수터 적응관리 및 수역 확장, 치수·환경 융합형 하도설계, 생물서식처 기반 환경 조성, 담수 플랜트, 차세대 해수담수화 플랜트, 신재생 담수플랜트, 자연재해대응시스템, 홍수방어 시설, 홍수 대응·관리 시스템, 물부족 대응 시스템, 기후변화 평가·예측·적응, 자연재해 피해예측 및 저감, 통합수자원관리, IT/GIS 기반 수자원 정보시스템, 유역 물 해석, 수자원 평가 및 관리, Smart Water Grid, 수계 수질 평가/관리,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탐사, 지상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상하수 관망 유량/오염도 모니터링 시스템, 오염 하천 정화, 유해물질 위해성 센싱시스템, 해양수자원, 심층수, 고효율 용수 자원, 용수고도이용시설, 농업용수관리시스템, 수리시설개선, 용수관리 시스템, 용수공급 및 관리, 가뭄예측 및 피해저감, 농어업·농어촌의 공익기능향상, 고도 수처리, 하폐수처리, 하폐수 재이용, 이산화탄소 저발생 수처리, 비점오염 관리, 분리막 및 장착 시스템, 정수기술, 누수방지 및 절수, 상하수도관망 누수방지, 물 수요관리 및 절수 등이다.
상기 분야 8은 칩, LED, LED 칩, 마이크로 LED 칩, LED 패키지, LED 제조장비, 수송용 LED 광원 모듈, 의료/바이오/환경 LED 광원모듈, 디스플레이 LED 광원모듈, 스마트 조명시스템,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컴퓨터 반도체, 통신 반도체, 가전 반도체, 자동차 반도체, 전력반도체, 바이오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Flash, NVM, non-volatile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 New Memory, 차세대 디스플레이, 대화면 AMOLED 디스플레이,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자체에서 빛을 발하는 디스플레이, OLED 조명, 초절전 LCD, 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종이, 무안경 3D 기술, 신기능 융복합 디스플레이, AR, VR, 그린 SW & 솔루션, IT기기 에너지 절감 솔루션,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및 최적화기술, 전동기제어솔루션, 전자문서관리 등이다.
상기 분야 9는 컴퓨터, 컴퓨팅, 그린 컴퓨팅, 컴퓨팅 하드웨어, 컴퓨팅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컴퓨팅, 컴퓨팅 인프라, 지능형(AI) 컴퓨팅, 빅데이터 컴퓨팅, 그린 임베디드 SW, 그린 임베디드 OS, 運營體制, operating system, 그린 임베디드 미들웨어, 초소형 운영체제 플랫폼, 임베디드 SW 개발도구, CPS(Cyber Physical System) 컴퓨팅 플랫폼, 임베디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개별물품 인식 RFID 및 IoT 센서, IoT 센서 네트워크 구성 및 운용, 지능형 RFID/USN 및 IoT 미들웨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 Ubiquitous Sensor Network), 지능형 에너지 절감용 IoT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사회기반시설 모니터링 IoT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스마트그리드, 스마트변전 시스템, 스마트송전 시스템, AMI 시스템,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 원격검침인프라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R(Automated Meter Reading ; 자동검침시스템), 스마트배전 시스템, DC/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ESS(에너지저장시스템), 전기차 충전시스템,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이차전지, 초소형 박막 이차전지, 플렉서블 이차전지, 고체 전해질 전지, 프린팅, 장비, 소재, 소프트웨어, 웨어러블, 액세서리형 웨어러블, 직물 웨어러블, 의류 일체형 웨어러블, 신체부착형 웨어러블, 생체이식형 웨어러블, 지능형로봇, 로봇시스템, 로봇부품, 로봇지능, 로봇 인지기능 HRI(Human-Robot Interaction) 등이다.
상기 분야 10은 방송, 디지털, 디지털방송, 방송송출, 방송수신, 방송측정, 방송제작, 방송응용서비스, 스마트 방송, 무선통신, 이동통신, TRS통신, 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 통신, LBS(Location Based Service, 위치기반서비스),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해상/항공/위성 무선통신, 통신네트워크, 방송통신네트워크, 초고속 전송 네트워크, 초고속 교환 네트워크, 초고속 가입자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지능형 사물통신 네트워크,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양자 네트워크, 전자파, 전파응용, 전파자원활용, 전파기반, 전자파장해 보호, 콘텐츠, 영상, 뉴미디어, 가상현실, 증강현실, 공연, 전시, 저장장치,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반도체 기억소자를 사용한 저장장치, Tape Drive 등이다.
상기 분야 11은 모빌, 자동차, 친환경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전기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저공해 고효율 차량, 온실가스/배출가스 저감형 자동차, 신재생/저탄소연료/ 대체연료 자동차, 디젤 자동차, 농기계, 농용작업기계, 농용차량 및 트랙터, 축산기계, 선박, 고효율 선박 및 기자재, 해양플랜트, 보트, 레저보트, 선박, 스마트 선박, 정보인프라 시스템, 이동/위성통신시스템, e-Navigation 기반 운항정보 시스템, 무인 통합관리시스템, 자율운항 통합관리시스템, 철도, 첨단 철도, 차체/대차시스템, 추진 및 열차제어, 궤도, 노반, 교량, 터널, 급전, 집전, 철도환경, 모빌리티, 개인 이동수단, 자전거, 경량 자전거, 전기 자전거, 전기 이륜차, 개인 이동수단, 물류, 해상물류, 물류시스템 계획 및 설계, 물류시설 및 장비, 물류운영 및 관리, 안전, 해사안전, 교통안전, 인적안전, 안전관리, 보안관리, 드론, 육상드론, 해상드론, 수륙양육드론 등이다.
상기 분야 12는 시티, 스마트City, 통합운영센터, 운영관리, 스마트그리드, 주거공간구축, 그린라이프스타일구축, 스마트-Eco 생산공간, 스마트-Eco 공공 및 지원공간, ITS(지능형교통시스템), U-교통 서비스 기반, 교통연계 및 환승시스템, Smart Highway, 교통정보 취득, GIS(공간정보), 공간정보관리, 도시시설물 관리, 위치기반 정보서비스, 저에너지, 친환경주택, 고효율 외피시스템, 저탄소 친환경 건축자재, 고효율 설비시스템, 농가주택, 건축자재, 건설자재, 스마트제품, 스마트물품, 스마트상품, 스마트용품, 스마트가전, 스마트가구 등이다.
상기 분야 13은 소재, 초경량 마그네슘, 마그네슘 원소재, 마그네슘 주조재, 마그네슘 판재, 마그네슘 형재, 마그네슘 융합소재, Ionic Liquid 소재, 전해질 소재, 분리정제 소재, 그린촉매공정 소재, 마찰저감 소재, 나노탄소융합소재, 탄소나노튜브(CNT), 흑연 나노섬유(GNF), 탄소 나노섬유(CNF), 탄소섬유, 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융복합소재, 나노필름, 광학용 나노필름, 열응용 나노필름 및 소재, 에너지변환 나노필름, 농업용 필름, 농림수산자원, 천연소재, 천연물 소재, 기능 식품 소재, 기능성 화장품 소재, 기능성 바이오 소재, 천연물 유래 식품첨가제, 천연 사료첨가제, 비료, 농약, 첨가물, 희토류자성소재, Nd계 희토류 소결자석소재, Nd계 희토류 본드자석소재, Nd(네오디뮴), neodymium의 원소기호, 고특성 알루미늄소재, 알루미늄 원소재, 알루미늄 주조재, 알루미늄 판재, 알루미늄 형재, 알루미늄 재생 소재, 그린섬유 소재, 자원 순환 녹색섬유소재, 에너지저감형 녹색섬유소재, 친환경 녹색섬유소재, 광소자용 단결정 소재, 대구경 사파이어 단결정, 질화갈륨 단결정, 에너지하베스팅, 소재, 압전하베스팅 소재, 에너지하베스팅 소재, 고분자소재, 폴리케톤 원소재, 폴리케톤 컴파운드 소재, 산업용 폴리케톤 부품, 폴리케톤 원사, 폴리케톤 섬유제품, 해양생명공학 소재, 해양생물소재, 의약소재, 단백질 의약품, 치료용 항체, 백신, 유전자 의약품, 재생 의약품, 천연물 의약품, 저분자 의약품, 개량 의약품, 나노의학소재, 유니(Uni) 소재, 미생물 제제, 국제환경규제대응, 유해물질 저감 및 대체, 무오염생산 등이다.
상기 분야 14는 제품, 그린제품, 프린팅 제품, 그린프린팅 제품, 그린 프로세스(E2) 제품 E2, Ecological and Economical, 무배출 그린생산, 청정융합, 자원순환, 자원순환(HM2, Hidden Materials Mining), 재제조(Remanufacturing), 에너지자원순환네트워크, 생태산업단지, 해양광물자원, 바다모래 채취, 해양용존 금속 회수, 생태환경변화대응, 식량자원 LCI(Life Cycle Inventory) 구축, 환경, 농업환경, 어업환경, 산림환경, 방제, 재해방제, 질병방제, 생물자원, 유전자원, 신품종, 씨, 씨앗, 종자, 시드, seed, 저투입생산, 대체에너지 이용, LED 이용, 친환경 생산, 첨단자동화, 시스템 및 기자재 등이다.
상기 분야 15는 로봇, 자동로봇, 서빙로봇, 작업로봇, 안내로봇, 실버로봇, 식물공장시스템, 축산시설 자동화시스템, 어업자동화, 양식자동화, 식품생산, 식품, 유기식품, 저에너지/저탄소 식품 살균, 에너지절약형 가공, 안전유통, 검역시스템, 품질관리시스템, 냉각시스템, 저장, 포장재, 저장시스템, 포장시스템, 주방시스템, 농자재, 작물 생육, 재배, 관리, 자재, 토양개량, 보호, 개량자재,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기후변화 관측/감시,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기후변화영향,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기후변화 적응, 온실가스 관리, 탄소수지 정량화 등이다.
상기 분야 16은 폐기물, 폐자원, 폐기물/자원 회수/처리, 폐기물/자원 재활용, 폐기물 저감, 유기성 부산물, 목질계 부산물, 하수슬러지, 음식물, 폐기물재활용, 가축분뇨, 농수산 부산물, 친환경제품, 친환경 원부자재, 친환경 공정, 친환경제품 설계 및 생산/처리, 생태계 보전 및 복원, 생태계 모니터링 및 정보관리, 인간 활동에 따른 생태영향 평가, 복원관리, 훼손된 자연생태계 복원관리, 토양/지하수/지표수의 오염 정화/복원, 유해성 물질 모니터링 및 환경 정화, 실내 공기질 분석/진단/개선, 실내 환기설비, 건물 공조용 공기정화설비, 유해성물질 측정 센서, 유해성물질 측정기, 악취/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설비, 유해 대기오염물질 제어/관리, 미세/초미세먼지 제어 관리, 기상, 지진, 화산, 고층관측, 지상관측, 해양관측, 지진 탐지, 화산 탐지, 원격탐사, 기상예보 시스템 등이다.
본 발명의 일, 작업, 업무, 제조, 공사, 수단, 장비, 장치, 시스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등에는 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등의 이용, 적용, 구비, 거치, 관계, 관련, 인용, 수식, 첨가, 추가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이 상기 이용 내지 추가 등이 될 수 있다.
1) 팝업, pop-up,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 중 가장 위에 있는 데이터를 꺼내는 것, 팝업창, 증강, 영상, 증강영상, 모바일, GTM, good this month(order), 당월한(當月限) 유효(한 주문), 스케일, 스케일업, 업그레이드, AI기술, 지능형, 솔류션, 모니터링, 지능형 솔류션, 지능형 모니터링, 스마트 모니터링; 2) 데이터, data, 빅데이터, big data, 공공데이터, 민간데이터, 정형데이터, 평가데이터, 메타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DB, Database,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플랫폼, 데이터수집, data collector, 네트워크, network, 앱, app, 웹, web, 랩, lab, 링크, 데이터링크, 데이터링크시스템; 3) 안전, security, 위험, 사고, 파손, 유지, 보수, 홀, 포트홀, 위험정보, 운전정보, 예방, 방재, 방범, 환경, 교통, 사고예방, 정체예방, 선제예방, 향상, 질, 質, 양, 量, 양적, 量的, 질적, 質的, 품질, 삶의질, 질적 향상, 삶의질 향상, 무결점, 결점, 도로, 교통, 차량, 통행, 주행, 운전자, 보행자, 플랫폼, platform, 예측플랫폼, 약, 약물, 약품, 약액, 신약, 한약, 양약, 약제, 약물, 물질, 후보물질, 합성, 유전자, 변이, 돌연변이, 타겟, 희토류, 바이오, 바이오의약품;
4) 정보, 전송, 송신, 수신, 정보화, 최적화, optimizing, 기술, 원천, 원천기술, 박스, 블랙박스, 관제, 공유, 공유서비스, 정보플랫폼, 스마트플랫폼, 의사결정, 의사결정 플랫폼, 트래픽, traffic, 교통트래픽, 정보트래픽, 정보보호, 증적관리, 엔진, 수요예측엔진, 인사이트, insight, 퍼사이트, fore sight, 시스템, 시각화 시스템,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 인공지능 기반 전자정부; 5) 서비스, 실시간 서비스, 의료, 진료, 치료, 구급, 상담, 의사, 병원, 심장, 박동, 심정지, 골든타임, 중증응급환자 골든타임 확보, 선제적 구급서비스, 대시, 보드, 대시보드, dashboard, 계기반, 문자판, 대시판, 문자반, 항공기나 기관차나 자동차 따위의 운전석 앞에 있는 계기반, 지도, 탐색, 수색, 위험물탐색 , Open API,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 사고감지, 정차감지, 역주행감지, 화재감지, 추락감지, 쓰러짐감지, 보행자감지, 장구미착용감지, 안전장구미착용감지, 터널사고감지시스템; 6) 공간정보, GIS, 학습, 교습, 교육, 학원, 학교, 강의, 수강, 특강, 행정, 스마트 행정, 전산, 전산학, 수학, 통계, 분석, 탐지, 정보, 수집, 처리, 저장, 전송, 누적, 정화, 청정, 폭기, 응집, 침전, 여과, 순환, 교환, 위치정보, 검사, 무선국, 사업자, 인원정보, 조회, 지형, 공간정보체계, 가상제조시스템, virtual manufacturing system, 컴퓨터상에 제조공정을 시뮬레이션하는 것;
7) 컴퓨터, 모바일기계, 설계, 윈도우, Windows, 아이콘, 마우스, 컴퓨터 인터페이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UI, graphic user interface, 캐릭터 유저 인터페이스, CUI, Character User Interface,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 일러스트레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user interface, MFC, Microsoft Foundation Class, Microsoft Foundation Class Library, 컴퓨팅 마이크로소프트 파운데이션 클래스 라이브러리, 그래픽, 모니터링장치, 하드웨어, H/W, 소프트웨어, S/W; 8) 모듈, module, 모듈화, 포즈, 캡쳐, capture, 스토리지, storage, 오브젝트, 오브젝트 스토리지, 플랫파일 시스템, 노드, Node, 연결지점, 네트워크에서 연결 포인트 혹은 데이터 전송의 종점 혹은 재분배점, 클라스터 노드, 파일 서비스, 데이터 보호,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스토리지 서비스, 헬스케어, 비디오 감시, 모델, model, 캐릭터, character, 알로리즘, algorithm, 바로미터, barometer, 사물의 수준이나 상태를 아는 기준, 기압을 재는 계기, 수은 기압계, 아네로이드 기압계; 9) 맵, map, 로드맵, 매핑, mapping, 3D 매핑, 지형 매핑, 지도 매핑, 현장 매핑, 측량 매핑, 지도제작, 지도표기, 지도표식, 지도에 표기, 지도에 표식, 컴플라이언스, compliance, 프로세스, process, 튜닝, 융합, 창작, 스토리텔링, 브랜드, brand, 브랜딩, 콘텐츠, contents, 템플릿, 첨단, 최첨단, 소스, 리소스, 오픈소스, 딥핑소스, Deeping Source, 코드, 바코드, bar code, 다중 바코드, 인식, 코드 인식, 음성 인식, 사물 인식, 공간 인식, 차선 인식, 바코드 인식, 제스쳐 인식, SLAM, 칩셋, chipset, 컴퓨터 메인보드에 설치된 대규모 집적회로군의 총칭, 인퍼런스, 추론, inference, 인퍼런스 엔진, 추론 엔진;
10) 체크인, 셀프체크인, 임베디드, 내장형, embedded, 內藏型, 플러그인, Plug-In, 모체가 되는 기기의 케이스 내에 나사 없이 커넥터의 접속만으로 설치되는 옵션 유닛, 플러그-인 접속, plug-in connection, 인라인 플러그인, in-line plug-in, 웹 브라우저와 일체로 동작하므로 별도의 응용 윈도를 열지 않아도 마치 웹 브라우저 자체가 그 파일 표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같이 동작하는 것, 어도비 플래시 재생기(Adobe Flash Player), 퀵타임(QuickTime), 자바 플러그인, 애드온 프로그램, Add-On Program, 특정한 프로그램의 기능을 보강하기 위해 추가된 프로그램, 플러그인(Plug-in) 프로그램; 11) 키오스크, kiosk,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인 무인단말기, 신문이나 음료 등을 파는 매점,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 키오스크매장, 키오스크마트, 카페키오스크, 공장키오스크, 공항키오스크, 팩토리, 스마트 팩토리, 리테일, 물류, 산업, 은행, 문화공간, 현금자동인출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커머스, 상업, commerce, 퀵커머스, quick commerce, 라이프, life, 스타일, style, 라이프 스타일, 패러다임, paradigm,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 이론적 틀이나 개념, End to End, 끝끝맞물림, 단단교합, edge-to-edge bite, end-to-end bite, 절단교합, 절연교합(切緣咬合); 12) 시티, city, 도시, 스마트, 스마트시티, 스마트도로, 스마트주차장, 스마트교통솔루션, 스마트교통시스템, 스마트신호시스템, 스마트교차로시스템, 스마트횡단보도시스템, 스마트감응시스템, 스마트돌발상황 검지시스템, 파이프, 라인, 파이프라인, 신호등, 폴신호등, 바닥신호등, 가로등, 폴가로등; 13) 스마트가로등, smart streetlightsa : 폴대, 가로등, CCTV, 신호등, 와이파이, 통싱장치, 전기충전기, 태양전자판, 스피커, 모니터, 보안등, IoT센서, 차량검지센서, 보행자검지센서, 비상벨, 신호버튼 등이 구비;
14) 오믹스, omics, 오믹스학, 멀티오믹스, multi-omics, 전체를 뜻하는 말인 옴(-ome)과 학문을 뜻하는 접미사 익스(-ics)가 결합된 오믹스,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개별 유전자(gene), 전사물(transcript), 단백질(protein), 대사물(metabolite), 인간유전체 사업(human genome project), 대규모-대용량(high-throughput), 오믹스 데이터, 유전체(genome), 전사체(transcriptome), 후성유전체(epigenome), 단백체(proteome), 상호작용체(interactome),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단백질-DNA 상호작용, 단백질-RNA 상호작용, 경로(pathway), 경로 분석; 15) DDoS, 해킹 방식의 하나, 디도스(DDos) 공격,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RTLS, 실시간위치추적시스템, Real-Time Locating ServiceSystem, IPS, Indoor Positioning Service, 실내위치추적서비스, 인스펙션, inspection, 점검, 안전점검, 도로점검, 터널점검, 교량점검, 시설점검, 설비점검, 자동점검, 딥러닝점검, 트래킹, tracking, 다중타켓다중카메라트래킹, MTMC, multi-target multi-camara tracking; 16) VMS, 운항선박 위치추적시스템, 선박모니터링시스템, Vessel Monitoring System, 선박-육상간 쌍방향 데이터통신망, 선박에 설치된 무선장치, AIS, Auto Identification System, 자동인식시스템, 자동원격인식 신호송수신 시스템, SSAS, Ship Safety Alert System, 위성, 위성궤도, 위성통신, 건축행정정보시스템, Architectural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자동화정보체계, Automated Information System; 17) RPA, 로보틱처리자동화, Robotic Process Automation, 사람이 컴퓨터로 하는 반복적인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화하는 기술, 로봇이나 소프트웨어(SW) 등으로 비즈니스나 노동 등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 로보틱 처리 자동화 수행 로봇 또는 소프트웨어(SW)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해서 업무에 활용하는 등 광범위한 반복 작업을 수행, 기존 단순 업무를 로보틱 처리 자동화(RPA)가 대체, 인공지능(AI) 기술과 융합하여 고도화;
18) TOD, 열영상장비, Thermal Observation Device, 熱映像裝備, 생물과 물체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 정보로 변환하는 장비, 감시나 정찰이나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 열영상관측장비, 전방감시용 열상장비, 열영상탐지기, 가시광선이 아닌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으로 보여줌, 빛이 전혀 없는 밤에도 사람과 물체의 위치 및 동태를 파악, 안 보이는 곳에서의 사물 탐지, 사람과 물체가 방출하는 적외선 영역의 에너지를 검출하여 눈에 보이는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전자 광학장치, 적외선광학계를 통하여 적외선 영역의 에너지를 적외선검출기 표면상에 집적시키면 주사장치(스캐너)가 일정 시야 내의 에너지를 순차적으로 적외선검출기에 나열시켜 화면을 구성, 적외선검출기가 입사된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신호처리기에 전달하고, 신호처리기가 적외선검출기에서 나오는 전기적 영상 정보를 영상재현장치 즉 모니터에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화면으로 재구성,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하여 어떤 위치에서도 직접 관측, 무인항공기에 탑재 가능, 야간 감시·정찰 장비로 사용, 이는 적외선광학계, 주사장치, 적외선검출기, 신호처리기, 영상재현장치 등으로 구성됨; 19) DTM, 수치지형표고모델, Digital Terrain Model, 수치지면자료 이용, 지표면자료에서 인공지물 및 식생 등과 같이 표면의 높이가 지면의 높이와 다른 지표 피복물에 해당하는 점자료를 제거(필터링)한 점자료 이용, 적당한 밀도로 분포하는 지점들의 위치 및 표고의 수치값을 모아서 지형을 나타내는 모델, 건물이나 수목 등의 지표 피복물의 점자료를 제거한 지형 고도 모형, 적당한 밀도로 분포하는 지점들의 위치 및 표고의 수치값을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그 수치 값을 이용하여 지형을 수치적으로 근사하게 표현하는 모형, 지형의 기복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한 것, Drone to Mapper, Drone Traffic Mapper;
20)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Building,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로봇이 미지의 환경을 돌아다니면서 로봇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만으로 외부의 도움 없이 환경에 대한 정확한 지도를 작성하는 작업으로 자율주행을 위한 핵심기술, 이동로봇이 현재시간 동안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면서 동시에 주변환경의 지도를 작성하는 기술, simulation language for alternative modeling, 시뮬레이션 언어의 한 종류, 사건 중심 또는 프로세스 중심 방식의 시뮬레이션 언어로서 사용자는 노드(node)들의 표준 기호들과 가지(branch)들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 구조로 표현, Standoff Land Attack Missiles, 원거리 지상공격 미사일; 21) 판매, 구매, 매장, 무인, 유인, 무인매장, 무인박스, 무인컨테이너, 무인매장컨테이너; 22) 무인 또는 무인의 숍, shop, 집, 빵집, 베이커리, 피자집, 치킨집, 건물, 매장, 마트, mart, 점, 店, 점포, 店鋪, 편의점, 가게,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트럭, 푸드트럭, 머신, 벤딩머신, 뽑기, 인형뽑기, 시스템, 판매, 판매대, 판매기, 계산기, 계산대, 셀프계산대, 리더기, 상품리더기, 카드리더기, 바코드리더기, 스캐너, 바코드스캐너, 아이스크림가게, 커피숍, 음식점, 박스, 탱크, 하우스, 케이스, 컨테이너, 컨테이너하우스; 23) 셀프 또는 자동 또는 자동의 상기 숍 내지 컨테이너하우스; 24) 캠, 카메라, CCTV, 전송기, 수신기, 계산기, 리더기, 스캐너, 상품리더기, 카드리더기, 바코드리더기 등이 구비된 상기 숍 내지 컨테이너하우스;
25) 촬영, 위험요소판단, 전송, 데이어수집, 분석, AI정밀분석, 위험지수 지정, 표준노드링크 연동, 지상정보 연동, 저장, 데이터베이스, 관제, 공유서비스, 이중 순차의 둘 이상 복합; 26) 데이터 수집, 분류, 가공, 구축, 분석, 해석, 학습, 딥러닝, 모델, 서비스, 이중 순차의 둘 이상 복합; 27) 유리, 센서, USB, Cam, 카메라, 스피커, LED, Power button 등이 구비된 안경 또는 안경테; 28) 정보 수집, 인공지능으로 분석, 위험요소 탐지, 관제사와 근로자 협업, 관제사가 근로자에게 통지, 보안관제, 관제업무자동화 등이 되는 보안관제 솔루션; 29) 캡, 카메라, 사물인식용 카메라, LCD, 터치식 LCD, 마이크 음성인식용 마이크, 스피커, 오디오출력 스피커, 배터리, 포트, 잭포트, USB포트, 전원연결포트 등이 구비된 로봇, 인형, 모형, 아바타, 장난감, 오뚝이, 눈사람, 눈사람모형; 30) 카메라, 아두이노와 연결, 촬영, 사진 저장, 저장한 사진 모델 생성, 도어락 해제, 문출입 등이 구비된 출입시스템; 31) 카메라, CCTV, HUB, 방화벽, HUB, 서버, 영상분석 서버, DB 서버, 영상저장 서버, 영상처리기, 운영PC, 이중 순차의 둘 이상 복합; 32) 차량검지 카메라, 보행자검지 카메라, 스피커, 전광판, 신호제어기, 영상분석제어기, 네트워크, 영상처리기, 운영PC, 이중 순차의 둘 이상 복합; 33) 카메라, 제어기, 신호제어기, 감응신호, 전광판, 네트워크, 영상처리기, 상황실, 이중 순차의 둘 이상 복합; 34) CCTV, 감시카메라, 네트워크, 분배서버, 분석서버, 영상처리기, 상황실, 이중 순차의 둘 이상 복합; 35) 상기 수단,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36)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복합수단; 37)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복합수단; 38) 상기 중 순차의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복합수단; 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수단, 방법, 공법, 내용, 작업, 업무, 공사, 건설, 안전, 제어, 케어, 무인화, 자동화, 청정, 정화, 퓨리, 살균, 방역, 장비, 장치, 시설, 사물, 만물, 자재, 시스템, 청구항, 작업방법, 공사방법, 공사관리, 공정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자동관리, 출입관리, 청정관리, 안전관리방법, 사고방지방법, 필드수단, 웨어러브수단,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대한 실시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시예 a는 a) 웨어러블 수단(2), 이를 착용한 로봇(30) 또는 작업자(30), 상기 작업자에 의한 작업 또는 공사, 상기 로봇(30)에 의한 무인화 및 자동화 작업, 상기 작업자의 스마트폰(35), 상기 수단(2)에 구비된 센서(11), 상기 작업 공간에 구비된 계측기(18), 상기 공사를 하는 장비(41), 상기 작업 상부를 비행하는 드론(42), 상기 장비에 구비된 감지기(11, 18), 상기 드론에 구비된 측정기(11, 18) 및 분사기, 상기 공간에 구비된 청정기 및 살균기, 상기 센서에 의한 안전지도 및 사고방지, 상기 계측기에 의한 시설의 응력 및 변형 계측, 상기 감지기에 의한 장비의 사고방지, 상기 측정기에 의한 공기질 측정, 상기 분사기에 의한 먼지 제거, 상기 청정기 및 살균기에 의한 청정 및 살균; b) 상기 수단 내지 살균기 등에 순차적으로 연계된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디스플레이, 관제센터; c) 상기 수단 내지 관제센터 등에 설치된 앱 또는 소프트웨어, 상기 수단 내지 앱 등에 구현되는 플렛폼, 상기 수단 내지 플렛폼 등에 의하여 구축된 자동관리시스템, 청정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복합수단;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한 안전, 사고방지, 무인화, 자동화, 청정, 정화, 퓨리, 방역, 방제, 살균, 소독;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b는 a) 현장, 공장, 농장, 가정, 곳, 장소, 시설, 주택, 건물, 아파트, 구조물, 작업장; b) 이중 하나에 구비된 수단, 기구, 가구, 제품, 가전, TV, 전자제품, 출구, 입구, 도어, 출입구; c) 상기 중 하나에 구비된 캠, 센서, 계측기, 카메라, CCTV; d) 상기 중 하나의 개, 동물, 생물, 로봇, 고양이, 반려동물,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e) 상기 개 내지 출입자 등에 착용된 캠, 센서, 수단, 기구, 계측기, 카메라, CCTV, 스마트폰, 상기 헬멧 내지 안전고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f) 상기 현장 내지 복합수단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핸드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g) 상기 현장 내지 디스플레이 등에 설치된 앱; h) 상기 현장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된 본사, 센터, 사무실, 관제센터; i) 상기 현장 내지 관제센터 등에 구비된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j) 상기 현장 내지 관제센터 등을 비행하는 드론, 비행기; k) 상기 현장 내지 비행기 등에 구비된 상기 캠 내지 방제기; ℓ) 상기 현장 내지 비행기 등을 제어하는 버튼, 스위치, 리모콘, 조정기, 조종기, 제어기, 컨트롤러, 리모트컨트롤러; m) 상기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기 현장 내지 비행기; n) 상기 제어기에 의하여 원격제어되는 상기 현장 내지 비행기; o) 상기 캠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등에 의한 안전관리, 자동관리, 청정관리, 방역관리, 홈케어, 건강케어, 스마트케어, 원격제어, 자동제어, 안전제어, 자율제어, 자동가동, 자율가동, 오토메이션, 유비쿼터스, 홈가전자동제어, 홈오토메이션, 공장오토메이션, 현장오토메이션; p) 상기 캠 내지 리모트컨트롤러 등이 구비되는 안전관리시스템, 자동관리시스템, 청정관리시스템, 방역관리시스템, 오토메이션시스템, 유비쿼터스시스템, 복합수단; 등이 해당된다. 상기 동물은 개, 닭, 새, 소, 돼지, 동물, 생물, 짐승, 고양이, 반려동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구는 등, 전등, 가구, 침대, 의자, 식탁, 쇼파, 매트, 가전, 싱크대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전은 TV, PC, 전축, 밥통, 쿠커, 시계, 오디오, 냉장고, 세탁기, 전열기, 가습기, 레인지, 모니터, 스크린, 영사기, 영상기, 청소기, 가스레인지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c는 a) 캠,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홈캠, 필드캠, CCTV, 무전기, 알림기, 램프, 계측기, 제어기; b) 이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헬멧, 안경, 완장, 의류, 의복, 조끼, 멜빵, 밴드, 손목밴드, 시계, 안전화, 안전고리,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c) 상기 캠 내지 웨어러블수단 등이 구비된 드론, 장비, 장치, 로봇,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d) 상기 캠 내지 방역기 등이 구비된 현장, 공장, 농장, 가정, 곳, 장소, 시설, 주택, 건물, 아파트, 구조물, 작업장; e) 상기 현장 내지 작업장 등에 이용되는 사물, 만물, 물질, 재료, 자재, 에코재, 바이오재; f) 상기 현장 내지 작업장 등에 구비된 기구, 가구, 제품, 가전, TV, 전자제품, 출구, 입구, 도어, 출입구, 상기 드론 내지 방역기; g) 상기 현장 내지 작업장 등을 이동하는 개, 동물, 생물, 로봇, 드론, 고양이, 반려동물, 근로자, 작업자, 출입자; h) 상기 개 내지 출입자 등에 구비된 상기 캠 내지 웨어러블수단; i) 상기 캠 내지 웨어러블수단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단말기, 플랫폼, 클라우드; j) 상기 캠 내지 클라우드 등에 설치되는 앱, 어플; k) 상기 캠 내지 어플 등을 제어하는 조정기, 제어기, 컨트롤러; ℓ) 상기 컨트롤러에 의한 상기 캠 내지 어플의 제어, 가동, 운전, 관리, 원격조정; m) 상기 캠 내지 원격조정 등에 의한 자동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 n) 상기 캠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등에 의한 안전, 사고방지, 재해방지, 안전화, 무인화, 자동화, 기계화, 로봇화,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방역, 방제; o) 상기 캠 내지 방제 등에 대한 관리, 대책, 대안, 기술, 방법, 공법, 방안, 시스템, 플랫폼;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d는 작업자(30)의 신체, 헬멧(21), 장구류92) 등에 장착된 카메라(14)에 의하여 작업자(30)의 활동 영역을 촬영하고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에 비콘(51) 또는 비콘리더기(51)가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에 연결된 관리서버(70)를 통하여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현장에 대한 영상을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 영상을 분석하여 현장에서의 위험요소 및 사고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비콘 또는 비콘리더기로부터 송신하는 위치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건설 현장 내에서 근로자(3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비콘은 비콘칩이 내장된 PCB 기판과 배터리와 상기 PCB 기판 및 배터리가 내재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배면에 구성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70) 또는 이에 연결된 처리장치(80)에서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된 비교모델과 상기 영상신호의 모니터링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건설 현장(100)과 근로자(30)에 대한 위험요소와 사고유무를 판단하고, 그 결과 정보를 출력 및 모니텅링하는 것이다.
실시예 e는 웨어러블수단(2)과 네트워크(50, 60)를 이용한 안전관리시스템(1); 상기 웨어러블수단에 포함된 심박 센서(11)와 가속도 센서(11)로부터 작업자(30)의 심박수와 작업자(30)의 순간 가속도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서버(70); 상기 심박수와 상기 순간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의 작업 강도와 상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판단하는 상기 서버(70) 또는 처리장치(80); 상기 작업 강도와 상기 안전 상태에 기초하여 경고 얼람 등급을 판단하는 상기 서버 또는 처리장치; 상기 얼람 등급과 안전 상태를 상기 웨어러블수단(2)이나 관리자앱(30) 등에 전송하는 상기 서버 또는 처리장치; 상기 작업 강도는 상기 작업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이 상기 작업자의 신체에 주는 부하의 정도를 의미; 상기 안전 상태는 상기 작업자에게 현재 사고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사고 감지와 상기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음을 나타내는 위험 상태를 포함;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f는 건설현장(100)의 작업자들(30) 상태를 촬영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드론(42); 상기 현장에서 작업하는 장비(41); 상기 드론이나 장비에 장착된 센서(11); 상기 작업자(30)에 착용되는 웨어러블기기(2); 상기 기기에 장착되어 건설현장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드론 및 센서 및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센싱 정보를 수신받아 건설현장의 작업자들 간의 안전도를 평가하고 안전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서버(70); 상기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된 안전평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35, 90);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g는 a) 작업자(30)에 착용되는 것으로 센서(11)가 장착된 헬멧, 조끼, 멜빨 등의 웨어러블 수단(2); b) 상기 작업자(30)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상기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생체센서; 상기 작업자의 근접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 상기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GSP 또는 위치센서; 작업 공간의 환경을 측정하는 환경센서; 작업 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센서; c)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서 정보를 통신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비콘(beacon)장치 또는 RFID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상기 작업자(30)에 소지되는 스마트폰(35) 또는 단말기(90);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서 정보를 전송 또는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장치(50, 60); d) 상기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70); 상기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통신장치로 알림을 제공하는 서버(70); e) 상기 센서 정보에 의하여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여부, 작업자의 휴식 상태, 작업자의 작업 상태, 작업자의 이동 상태, 작업자의 생체 이상 상태, 작업자의 사고 상태, 작업자의 추락 여부 등을 파악하는 서버(70) 또는 처리장치(80); f) 상기 파악 후 작업자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서버 또는 처리장치; g) 관리자(31)에 소지되는 스마트폰(35) 또는 단말기(90); 총괄자(32)에 소지되는 스마트폰(35) 또는 단말기(90); 인터넷상의 이용자(33)에 소지되는 스마트폰(35) 또는 단말기(90); h)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h는 현장(100)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4); 현장의 정보를 획득하여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송신기(50, 60); 작업자가 보유하며 상기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90) 또는 스마트폰(35); 상기 송신기의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단말기; 상기 신호를 수신받아 데이터를 수집함과 동시에 영상신호 및 사고대응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관제센터(120); 상기 송신기 또는 단말기에는 라이트가 조사될 수 있게 피난유도하는 라이트모듈; 상기 송신기 및 단말기에 비콘(beacon)신호를 무선통신망으로 이용하여 상호무선 송신하도록 하는 비콘센서; 상기 비콘센서에 따른 비콘신호가 감지되면 작업자로부터 확인가능한 자체적인 경보를 하는 상기 단말기; 상기 비콘센서에 따른 비콘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관제센터에 경보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단말기 또는 송신기; 상기 송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플랫폼를 통해 재난 정보를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피난경로를 생성시키도록 하는 상기 관제센터(120); 작업자의 피난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피난유도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상기 관제센터;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다운로드되는 앱 또는 프로그램; 상기 관제센터에 따른 현장 안전관제영역 내 안내지도를 공유하여 작업자와 관리자 간에 상호 참여가능한 커뮤니티맵핑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앱 또는 프로그램;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i는 센서, 모듈, 화재감지센서, 유해가스 감지센서, 산소농도 감지센서침수감지센서, 기상정보 수집모듈, 소음정보 수집모듈, 진동정보 수집모듈, 환경정보수집모듈, 네트워크망, 중계기, 건설현장 내에 설치된 CCTV, 장비에 설치된 CCTV, 타워크레인에 설치된 CCTV, 상기 CCTV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판단모듈, 타워크레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타워크레인 상태확인모듈, 작업자와 중장비 및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모듈, 상기 중계기로부터 네트워크망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70), 상기 서버로부터 연산된 정보를 전송받아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90) 또는 디스플레이부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j는 a) 작업장(100)에 이용되는 드론(42), 장비(41), 계측기(18), 장치, 공사장비, 작업장비; b) 작업자(30)가 착용하는 웨어러블수단(2); c) 상기 드론 또는 장비 또는 수단에 구비된 카메라(14),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을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통신기(50, 60),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및 통신기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장비가 가동되는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정보, 근로자의 개인 정보, 근로자의 식별 코드 등이 저장된 서버(70) 또는 단말기(90), 상기 식별 코드에 매칭된 작업자의 안전 보호구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상기 통신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에서 근로자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상기 추출된 이미지에서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 보호구의 식별 코드 영역을 인식 및 추출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싱기 추출된 식별 코드 영역에서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식별 번호로 변환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상기 변환된 식별 번호를 기저장된 근로자 정보와 검색 및 비교하여 해당 근로자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상기 추출된 해당 근로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근로자의 안전 보호구 착용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서버 또는 단말기, 상기 정보를 분석하는 처리장치(80),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90), 상기 서버가 구비된 관제센터(120),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k는 a) 작업자(30)의 신체에 착용되는 단말기(90), 카메라(14), 웨어러블수단(2); b) 상기 웨어러블수단에 구비되는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랜턴,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구(10); c) 상기 작업자가 작업장 내의 위험 영역으로서 미리 설정된 위험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 상기 진입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제센터(120) 또는 서버(90)로 전송, 상기 기구 및 카메라가 취득하는 정보 및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관제센터 또는 서버로 전송,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센싱부의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추락 및 낙상을 감지, 상기 서버 또는 단말기로 상기 진입에 따른 위험 경고음 발송, 상기 센싱부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포함, 상기 안전 단말기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 각각의 센싱값을 분석,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각각의 센싱값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영상의 변화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착용한 작업자의 추락 및 낙상 여부를 판단; d) 상기 관제센터 또는 서버에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이용자 단말기(90), 상기 관제센터 또는 서버에 저장된 정보가 인터넷으로 실시간 전달되는 이용자 단말기(90),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ℓ은 a)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42), 작업을 하는 장비(41); b) 작업자(90)에 착용되는 웨어러블수단(2); 이에 속하는 조끼, 멜빵, 헬멧, 손목밴드, 워치; c) 상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구비되는 센서(10, 11), 버튼(10, 12), 랜턴(10, 13), 카메라(10, 14), 무전기(10, 15), 알림기(10, 16), 램프(10, 17), 계측기(10, 18), 배터리(10, 19), 제어기(10, 20); d)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상에서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처리부가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얼굴 영역에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여 얼굴 영역이 마스킹 처리된 영상을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기(50, 60); e) 상기 센서에 의한 정보가 무선 전송되어 저장되는 서버(70) 또는 단말기(90), 상기 서버 또는 단말기가 구비된 중앙관제센터(120),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연계되는 인터넷 상의 이용자 단말기(90), 상기 서버 또는 단말기에 설치되는 플랫폼,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m은 a)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42), 작업을 하는 장비(41); b) 작업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수단(2); 이에 속하는 조끼, 멜빵, 헬멧, 손목밴드, 워치; c) 상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구비되는 센서, 버튼, 랜턴, 카메라, 무전기, 알림기, 랜턴, 계측기, 배터리, 제어기; d) 현장에서 작업하는 장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현장의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추적기 또는 GPS, 상기 현장의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 상기 현장에서의 작업자의 움직임 및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카메라의 영상과 상기 추적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센서의 센싱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센서 내지 알림기 등을 제어하는 제어기, 상기 출력부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신하여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비콘(51) 또는 게이트웨이(52), 상기 비콘 또는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집하여 관리하는 서버(70), 상기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근거로 현장별 비상 상황 발생 여부 및 작업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관리자(31) 또는 처리장치(80), 현장에 비상 상황 발생 시에 얼람을 전송하는 서버(70); e) 상기 정보 등이 공급되는 단말기(90), 관리자 단말기 총괄자 단말기, 이용자 단말기; f) 상기 서버 또는 단말기에 설치되는 플랫폼,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g)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실시예 n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1) 현장 조사, 지반 조사, 실내 시험, 설계 CAD(computer aided design) 도면 작성, 설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도면 작성,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공사; 2) 지상에 거치된 센서에 의한 각종 센싱, 지하에 거치된 계측기에 의한 각종 계측, 삼각대에 거치된 카메라에 의한 촬영,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에 의한 각종 관측; 3) 상기 센싱에 의하여 근로자 건강 체크, 근로자 이동 경로 파악, 장비 이동 경로 파악, 공기질 측정, 장비 및 자재 및 근로자 위치 파악; 4) 상기 계측에 의한 지반 및 구조물의 응력 및 변형 파악, 상기 촬영에 의한 작업 장면 실시간 파악, 상기 관측의 정보를 이용하여 공사되는 지형이나 구조물 등을 매핑(mapping); 5) 상기 매핑에 의하여 작업 현장을 도면화, 2차원 도면화, 3차원 도면화; 6) 상기 도면화에 의하여 시공되는 지형이나 구조물의 폭, 길이, 높이, 면적, 체적, 등고선 등 산정; 7) 상기 관측 및 매핑의 반복에 의하여 기간별 작업 현장의 도면화; 8) 상기 도면화에 의하여 기간별로 시공되는 지형이나 구조물의 폭, 길이, 높이, 면적, 체적 등 산정; 9) 오늘의 상기 폭, 길이, 높이, 면적, 체적 등에서 어제의 상기 폭, 길이, 높이, 면적, 체적 등을 제하여 오늘의 순수한 상기 폭, 길이, 높이, 면적, 체적 등 산정; 10) 상기 산정에 의하여 오늘의 공사량, 작업량, 토공량, 구조물건축량 등 산정; 11) 상기 산정을 반복하여 매일의 공사량, 작업량, 토공량, 구조물건축량 등 산정; 12) 상기 도면화에 의한 현재의 공사 상황 도면 작성; 13) 상기 작성 도면과 상기 설계 CAD 도면, BIM 도면 등 비교; 14) 상기 비교에 의하여 현재 또는 잔여의 공사량 산정; 15) 상기 비교에 의하여 현재의 공사 상황 도면이 상기 CAD 도면, BIM 도면 대로 시공되고 있는지 파악; 16) 상기 파악에 의하여 시공 오차 여부 평가, 상기 평가에 의하여 시공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이의 수정 시공 실시; 17) 실시간적으로 또는 매일의 상기 공사, 체크, 측정, 파악, 매핑, 도면화, 지도화, 산정, 작성, 비교, 평가, 실시 등 수행; 18) 상기 체크 내지 실시 등을 2회 이상 반복, 상기 반복하면서 공사 계속 수행, 상시 수행하여 공사 완공, 상기 도면화에 의한 공사 완공도 작성; 19) 상기 완공도와 상기 설계 CAD 도면, BIM 도면 등 비교; 20) 상기 비교하여 설계대로 공사가 완공된 것 파악, 상기 파악하여 상기 공사 준공; 21) 상기 구조물의 준공, 분양, 입주, 생활; 22) 상기 조사 내지 생활 등에 통신망, 서버, 클라우드 연계; 23) 상기 조사 내지 생활 등에 관한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 제작; 24) 상기 앱 내지 메타버스 등 이용; 25)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앱 내지 메타버스 등 이용; 26) 상기 앱 내지 메타버스 등으로 상기 상기 조사 내지 생활 등 시청; 27) 상기 시청에 의하여 안전, 환경, 품질, 원격제어, 자동제어 등에 대한 관리; 28)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o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조 장면이 실시간 방영 또는 스트리밍되어 제조된 자재, 제조 장면이 실시간 방영 또는 스트리밍되어 자재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자재의 제조 장면이 실시간 방영 또는 스트리밍되는 자재의 제조, 상기 제조하는 장비, 작업 장면이 실시간 방영 또는 스트리밍되어 조성된 시설 또는 건물, 축조 장면이 실시간 방영 또는 스트리밍되어 시설 또는 건물을 조성하는 조성 방법, 시설 또는 건물의 조성 장면이 실시간 방영 또는 스트리밍되는 조성, 공사 장면이 실시간 방영 또는 스트리밍되어 조성된 시설 또는 건물, 건설 장면이 실시간 방영 또는 스트리밍되어 시설 또는 건물을 건설하는 건설 방법, 시설 또는 건물의 건축 장면이 실시간 방영 또는 스트리밍되는 건축, 제조장면이 생중계되는 제조기에 의하여 제조된 재료, 공사장면이 생중계되는 공사 방법, 작업 공정이 라이브 스트리밍되는 작업, 작업 내용이 무선 전송되는 작업 방법, 작업 내용을 촬영한 영상이 무선 전송되는 작업, 작업 내용을 촬영한 영상이 LTE장치를 통하여 무선 전송되는 작업 방법, 작업 내용을 촬영한 영상이 카메라에 장착된 LTE라우터를 통하여 무선 전송되는 작업, 공사 중에 웨어러블 수단이나 센서에 의하여 공기질이 측정되는 측정 방법, 작업 영상이 실시간 무선전송되어 생중계 또는 시청되는 공사 또는 작업, 작업 영상이 작업자에 장착된 웨어러블수단에 구비된 모뎀이나 라우터를 통하여 무선전송되어 생중계 또는 시청되는 공사 또는 작업, 영상이 무선전송되면서 수행되는 건설공사, 촬영 영상이 웨어러블수단에 의하여 본사 직원의 핸드폰에 무선전송되면서 수행되는 공사, 상기 공사하는 장비,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무선전송되어 본사 직원이나 타지역에서 핸드폰으로 상기 영상이 실시간 시청되면서 수행되는 공사,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과 센싱된 데이터가 모뎀을 통하여 무선전송되어 본사 직원이나 타지역에서 PC나 핸드폰으로 상기 영상과 데이터가 실시간 시청되면서 수행되는 공사,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과 센싱된 데이터와 측정된 측정치가 모뎀을 통하여 무선전송되어 본사 직원이나 타지역에서 PC나 핸드폰으로 상기 영상과 데이터와 측정치가 실시간 수신되면서 수행되는 공사, 세척 장면이 생중계되는 세척작업, 세척 장면이 카메라에 의하여 생중계되는 세척작업, 공사 장면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어 생중계되는 공사, 공사 장면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어 카메라에 구비된 모뎀에 의하여 생중계되는 공사, 공사 장면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어 카메라에 구비된 모뎀에 의하여 무선전송되어 SNS 또는 핸드폰에 생중계되는 공사, 공사 장면이 근로자의 조끼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어 카메라에 구비된 모뎀에 의하여 무선전송되어 SNS 또는 핸드폰에 실시간 중계되는 공사, 센서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실시간 방영되는 공사, 현장에 구비된 센서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실시간 방영되는 공사, 현장에 구비된 센서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실시간 방영되는 공사, 상기 공사하는 장비, 현장에 구비된 센서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카메라에 구비된 라우터에 의하여 실시간 방영되는 공사, 현장에 구비된 센서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카메라에 구비된 라우터에 의하여 본사의 PC나 핸드폰에 실시간 방영되는 공사, 현장의 근로자에 구비된 센서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카메라에 구비된 라우터에 의하여 무선전송되어 본사의 PC나 핸드폰이나 메타버스에 실시간 방영되는 공사, 현장의 근로자에 구비된 멜빵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카메라에 구비된 라우터에 의하여 무선전송되어 본사의 PC나 핸드폰이나 메타버스에 실시간 수신되는 공사, IoT 센서가 이용되는 공기질 측정시스템 또는 공사방법, 웨어러블 센서가 이용되는 공사 또는 계측시스템 또는 이동형 계측시스템, IoT 웨어러블 센서가 이용되는 계측시스템 또는 이동형 계측시스템, IoT와 LTE가 이용되는 웨어러블형 관측시스템, IoT와 LTE와 웨어러블장치가 이용되는 공사, IoT와 LTE와 비콘과 웨어러블장치가 이용되는 공사, IT와 IoT와 LTE와 비콘과 웨어러블장치가 이용되는 공사, AI와 IoT 센서가 이용되는 환경 측정시스템 또는 공사방법, AI와 ICT와 웨어러블 센서가 이용되는 건설 또는 계측시스템 또는 이동형 계측시스템, AI와 LTE 및 IoT 웨어러블 센서가 이용되는 청정시스템 또는 이동형 계측시스템, 공장에 AI와 IoT와 LTE가 이용되는 웨어러블형 안전관리시스템, 현장에 AI와 IoT와 LTE와 웨어러블장치가 이용되는 공사 또는 청정, 작업 중에 AI와 IoT와 LTE와 비콘과 게이트웨이와 웨어러블장치가 이용되는 공사, 사람이나 시설에 AI와 IT와 IoT와 LTE와 비콘과 게이트웨이와 웨어러블장치가 이용되는 공사, 장비가 이용되는 제조 또는 작업 또는 공사, 카메라가 장착된 장비가 이용되는 제조 또는 작업 또는 공사, 인터넷이 가능한 장비가 이용되는 제조 또는 작업 또는 공사, 카메라가 구비된 공간에서 장비가 이용되는 제조 또는 작업 또는 공사, 장비와 카메라가 이용되는 제조 또는 작업 또는 공사, 장비와 카메라와 모뎀이 이용되는 제조 또는 작업 또는 공사, 장비와 카메라와 모뎀과 USIM이 이용되는 제조 또는 작업 또는 공사, 장비와 카메라와 모뎀과 USIM과 GPS가 이용되는 제조 또는 작업 또는 공사, 장비와 카메라와 모뎀과 USIM과 GPS와 핸드폰이 이용되는 제조 또는 작업 또는 공사, 작업하는 장비와 상기 작업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에 장착된 USIM과 상기 모뎀에 장착된 GPS와 상기 영상을 수신하는 핸드폰이 이용되는 제조 또는 작업 또는 공사, 작업하는 장비와 상기 작업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장비에 구비되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무선전송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에 장착되어 상기 모뎀의 ID를 인식하는 USIM과 상기 모뎀에 장착되어 상기 장비의 이동을 추적하는 GPS와 상기 영상과 ID와 이동을 수신하는 PC나 핸드폰이 이용되는 제조 또는 작업 또는 공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하는 휴대형 액션캠, 자신에 모뎀 또는 라우터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전송하는 휴대형 액션캠, 사람이나 헬멧, 자전거, 자동차, 오토바이 등에 부착되는 상기 액션캠, 액션캠과 케이스와 거치대와 배터리와 모뎀과 USIM과 GPS와 USB가 장착된 카메라, 상기 카메라 또는 액션캠이 이용되는 일 또는 제조 또는 공사, 상기 카메라 또는 액션캠에 의하여 영상이 무선전송되는 일 또는 제조 또는 공사, 상기 카메라 또는 액션캠이 구비된 장비, 등과 가슴과 허리에 거치되는 멜빵 밴드, 센서와 카메라가 장착된 멜빵 밴드,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멜빵 밴드, 상기 측정된 데이타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무선송신하는 모뎀이나 라우터가 구비된 멜빵 밴드, 모뎀이나 라우터에 USIM과 GPS와 배터리와 메모리카드가 구비된 멜빵 밴드, USIM에 의하여 근로자 인식과 GPS에 의한 근로자의 위치추적과 배터리에 의한 전원공급과 메모리카드에 의한 데이터와 영상 저장이 되는 멜빵 밴드, 상기 멜빵 밴드가 이용되는 일 또는 작업 또는 제조 또는 공사, 상기 멜빵 밴드가 포함되는 장치 또는 장비, 카메라와 프로그램, 카메라와 이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무선송신하는 프로그램, 상기 영상을 전송하는 Youtube 또는 SNS, 상기 영상이 전송되는 Youtube 또는 SNS,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Youtube 또는 SNS, 상기 전송되는 Youtube 또는 SNS의 계정 또는 ID 또는 TRL주소, 상기 계정 또는 ID 또는 TRL주소를 입력하여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폰 또는핸드폰, 상기 폰 또는 핸드폰이 이용되는 일 또는 작업 또는 제조 또는 공사, 상기 폰 또는 핸드폰이 포함되는 장치 또는 장비, 공사 중에 무선 통신이 되는 공사, 공사 중에 공사 영상이 무선전송되는 공사, 공사 중에 공사 영상이 실시간 무선전송되는 공사, 공사 중에 캠에 의하여 공사 장면이 촬영되는 공사, 공사 중에 공사 영상이 수신되는 공사, 공사 중에 공사 영상이 실시간 수신되는 공사, 공사 중에 공사 영상이 송신 및 수신되는 공사, 공사 중에 공사 영상이 PC나 핸드폰으로 수신되는 공사, 공사 중에 공사 영상이 모뎀으로 송신되고 PC나 핸드폰으로 수신되는 공사, 공사 중에 모뎀이나 라우터가 이용되는 공사, 공사 중에 영상을 무성 송신하는 모뎀이나 라우터가 이용되는 공사, 공사 중에 모뎀이나 라우터에 의하여 공사 영상이 송신되는 공사, 공사 중에 스트리밍이 되는 공사, 상기 공사하는 공사 장비, 공사 중에 라이브 스트리밍이 되는 공사, 공사 중에 영상이 라이브 스트리밍이 되는 공사, 공사 중에 공사 영상이 라이브 스트리밍이 되는 공사, 공사에 있어서 캠에 의하여 공사 장면이 촬영되고 모뎀이나 라우터에 의하여 상기 촬영되는 영상이 송신되고 PC나 핸드폰으로 상기 영상이 수신되는 공사, 공사에 있어서 캠에 의하여 공사 장면이 촬영되고 센서에 의하여 센싱되고 모뎀이나 라우터에 의하여 상기 촬영되는 영상과 센싱되는 데이터가 송신되고 PC나 핸드폰으로 상기 영상과 데이터가 실시간 수신되는 공사, 상기 캠과 센서와 모뎀이나 라우터가 구비된 장비,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가능하다.
실시예 p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IT 수단, IT 정보통신을 구현하는 수단, 수단에 필요한 IT, 5G 헬멧, 5G 통신망이 되는 헬멧, 헬멧이 이용되는 5G 통신, 3D 안경, 3D 시청이 되는 안경, 4D 장비, 4D를 구현하는 장비, 장비에 의한 4D, Al시설, Al을 구현하는 시설, 시설에 응용되는 Al, IC 장치, IC이 장착된 장치, 장치에 구비되는 IC, VR 안경, VR 시청을 위한 안경, 안경을 통한 VR 감상, AR 기(器), AR 구현을 위한 기(器), 기(器)에 의한 AR 구현, MR 장치, MR을 하는 장치, 장치가 이용되는 MR, XR 장비, XR이 구현되는 장비, 장비에 의한 XR, DX 시설, DX를 하는 시설, 시설을 통한 DX, ICT 완장, ICT이 되는 완장, 완장에서 구현되는 ICT, NFT 사물, NFT가 되는 사물, 사물이 이용되는 NFT, IoT 조끼, IoT 사물인터넷이 되는 조끼, 조끼에 의한 IoT 사물인터넷, 조끼에 의한 AR 구현과 IoT 사물인터넷, IoE 멜빵, IoE 만물인터넷이 구현되는 멜빵, 멜빵에 구비된 IoE 만물인터넷, AIoT 밴드, AIoT 인공지능사물인터넷이 구현되는 밴드, 밴드에 의한 AIoT 인공지능사물인터넷, 밴드에 구비된 AIoT 인공지능사물인터넷, SNS 시계, SNS가 구현되는 시계, 시계를 통한 SNS, 시계의 화면을 통한 SNS, BIM 수단, BIM을 하는 수단, LTE 헬멧, LTE 통신이 되는 헬멧, WiFi 완장, WiFi 통신을 하는 완장, 안전 기구, 안전한 기구, 구호 장비, 구호를 하는 장비, 세이브 작업, 사람을 세이브하는 작업, 세이프 기구, 세이브하는 세이프 기구, 자동 시설, 자동으로 가동하는 시설, 오토 제어기, 자율제어하는 오토 제어기, 자율 기기, 자율 갇오하는 기기, 로봇 장치, 로봇에 구비된 장치, 모빌 시설, 움직이는 모빌 시설, 무인 시설, 사람이 없는 무인 시설, 유인 장치, 사람이 필요한 유인 장치, 무선 계측기, 무선 통신하는 계측기, 유선 센서, 선아 연결되는 유선 센서, 소자 센서, 소자가 구비된 센서, 에코 작업, 친환경의 에코 작업, 그린 기구, 녹생의 그린 기구, 환경 의류, 환경적인 의류, 생태 공간, 생물이 생태하는 공간, 친환경 사물, 친환경적인 사물, 청정 시설, 공기 청정되는 시설, 정화 수단, 오염을 정화하는 수단, 살균 센서, 살균하는 센서, 소독 버튼, 소독하는 버튼, 방역 로봇, 방역하는 로봇, 방제 드론, 방제하는 드론, 케어 시스템, 사람을 케어하는 시스템, 비콘 알림기, 비콘으로 위험을 알리는 알림기, 전기 기(器), 전기 기구인 기(器), 전자 기(機), 전자 기기인 기(機), 통신 서버, 통신을 하는 서버, 정보 세계, IT 정보가 이용되는 세계, 만능 기구, 다기능이 만능 기구, 원격 제어기,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기, 리모트 단말기, 원거리의 리모트 단말기, 지능 랜턴, AI지능형의 랜턴, 비트 무전기, 비트 구비의 무전기, 코인 장치, 코인이 구비된 장치, 토큰 장비, 토큰이 이용되는 장비, 코드 밴드, 코드가 거치된 밴드, 펄스 장치, 주기적으로 펄스하는 장치, 신호 램프, 신호를 보내는 램프, 필드 센서, 필드 현장에 구비된 센서, 측정 기구, 측정하는 기구, 제어 모듈, 시성을 제어하는 모듈, 계측 장치, 응력을 계측하는 장치, 화학 기구, 화학하는 기구, 물리 기기, 물리적인 기기, 생물 시설, 생물이 생활하는 시설, 헬스 장치, 건강을 위한 헬스 장치, 케어 조끼, 인명 안전을 위한케어 조끼, 인공 밴드, 인공지능을 가진 밴드, 논리 제어기, 인공지능 논리로 제어되는 제어기, 지식 수단, IT 지식을 제공하는 수단, 지능 사물, 지능을 가진 사물, 나노 센서, 나노미터 크기의 센서, 칩 버튼, 칩이 구비되는 버튼, 센서 서버, 센서이 자료를 저장하는 서버, 소자 시계, 소자 구비의 시계, 진자 기구, 진자가 구비된 기구, 기판 기기, 기판이 설치된 기기, 모듈 드론, 인터넷 모듈이 구비된 드론, 회로 시설, 회로가 구비된 시설, 트윈 업무, 2종의 듀얼 트윈 업무, 스마트 작업, 신속하고 명료한 스마트 작업, 모바일 기구, 이동하는 모바일 기구, 포터블 기기, 휴대형의 포터블 기기, 인터넷 장치, 광통신 인터넷 장치, 디지털 단말기, 수치가 표기되는 디지털 단말기, 딥러닝 장치, 반복 학습을 하는 딥러닝 장치, 머신러닝 시설, 기계로 학습을 하는 머신러닝 시설, 바이오 기구, 미생물이 포함되는 바이오 기구, 미생물 센서, 미생물로 센싱하는 센서, 데이터 작업,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 반도체 무전기, 반도체 구비의 무전기, 컴퓨터 장치, 연산하는 컴퓨터 장치, 메모리 밴드, 메모리 기능을 가진 밴드, 실리콘 장치, 실리콘 재질의 장치, 웨이퍼 기기, 웨이퍼 장착의 기기, 컨트롤 장치, 컨트롤 제어하는 장치, 시스템 공사, 시스템 설치 공사, 웨어러블 사물, 사망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사물, 연성 만물, 휘어지는 연성의 만물, 플렉시블 시설, 휨성을 가진 플렉시블 시설, 메타 공간, 가상의 메타 공간, 버스 세계, 실제를 가상화한 버스 세계, 메타버스 서버, 메타버스가 구현되는 서버, 아바타 업무, 아바타가 하는 업무, 사이버 공간, 가상의 사이버 공간, 인공지능 장치, 인공지능을 가진 장치, 프로세스 서버, 공정 프로세스 서버, 마이크로 센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센서, 로보틱스 장치, 로보틱스의 자동 장치, 빅데이터 시설, 빅데이터가 집적된 시설, 클라우드 서버, 2개 이상의 유저가 접속되는 클라우드 서버, 모니터링 장치,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아날로그 기구, 도면으로 표시되는 아날로그 기구, 프로그램 서버, 프로그램이 집적된 서버, 블록체인 시설, 블록체인 기능을 가진 시설, 자율주행 드론, 스스로 자율주행하는 드론, 자동제어 장치, 시설을 자동제어하는 장치, 자동감시 램프, 자동감시하면서 빛을 조사하는 램프, 원격관리 제어기, 원격으로 관리하면서 제어하는 제어기, 원격가동 장치, 원격운전으로 가동되는 장치, 원격조정 장비, 원격으로 조정되는 장비, 트랜지스터 센서, 트랜지스터 구비의 센서, 하이브리드 안전관리시스템, 다양한 관리를 하는 하이브리드 안전관리시스템, 인텔리전트 웨어러블수단, 지능형 인텔리전트 웨어러블수단, 리모트컨트롤 통신망, 우너격으로 조정되는 리모트컨트롤 통신망, 텔레매틱스 계측기, 통신 기능을 가진 텔레매틱스 계측기, 3차원 장치, 3D 구현의 3차원 장치, 4차원 공간, 4D로 구현되는 4차원 공간, save 수단, 사람의 save 수단, safe 헬멧, 안전한 safe 헬멧, smart 안경, 센서 기능을 가진 smart 안경, safety 완장, 안전 표시가 된 safety 완장, auto 의류, 사람에게 자동으로 입혀지는 auto 의류, self 조끼, 사람에게 스스로 입혀지는 self 조끼, robot 시계, robot에 장착된 시계, mobile 드론, 이동형의 mobile 드론, eco 시설, 친환경의 eco 시설, green 작업, 녹색성장의 green 작업, bio 시설, 미생물의 bio 시설, nano 장치, 나노미터 크기의 nano 장치, care 기구, cleaning 작업, 청소하는 cleaning 작업, tele 통신망, 통신하는 tele 통신망, remote 기기, 원격으로 제어되는 remote 기기, bit 장치, bit 구비 장치, coin 시설, coin 구비 시설, code 업무, code를 이용하는 업무, 코딩업무, 프로그램을 코딩하는 업무, pulse 장치, pulse 압력을 가하는 장치, field 기기, 현장에 사용되는 field 기기, control 제어기, 시설을 제어하는 control 제어기, health 장비, 건강을 위한 health 장비, chip 센서, chip 구비의 센서, module 버튼, module 구비의 버튼, twin 공간, 2개 이상의 twin 공간, portable 핸드폰, 휴대형의 portable 핸드폰, digital 센서, 수치가 표시되는 digital 센서, data 시스템, data가 집적되는 시스템, system 장비, system을 구성하는 장비, telematics 로봇, 통신 기능을 가진 telematics 로봇, meta 공간, 가상의 meta 공간, verse 세계, 가상의 verse 세계, wearable 장치, 사람 착용의 wearable 장치, flexible 시설, 연성의 flexible 시설, abata 작업, abata가 하는 작업, cyber 공간, 가상의 cyber 공간, micro 장치, micro meter 크기의 장치, cloud 작업, 대용량의 cloud 작업, hybrid 공사, 2종 이상의 hybrid 공사, wearable technology 기구, 사람에 착용되는 wearable technology 기구, PTT 장치, PTT 통화 장치, Watcher 기구, Watcher하는 기구, PIP 장비, PIP 기능을 가진 장비, 융합기술 작업, 2종 이상의 융합기술 작업, 생명공학 바이오, 미생물이 이용되는 생명공학 바이오, 생명기술 처리장치, 생명을 살리는 생명기술 처리장치, 4차산업기술 디스플레이, 4차산업기술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가능하다.
실시예 q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미세먼지 관리시스템, 공사현장의 미세먼지 관리시스템, 미세먼지 관리시스템이 적용되는 건설공사, 공사현장의 미세먼지를 관리하는 공사방법, IC센서와 데이터로거와 모뎀이 이용되는 미세먼지 관리시스템, IC센서와 데이터로거와 모뎀으로 미세먼지를 측정송신하고 PC나 태블릿이나 핸드폰으로 실시간 무선수신하는 미세먼지 관리시스템, 미세먼지 측정용 IC센서와 측정된 미세먼지 데이터를 수집을 하는 데이터로거와 수집된 데이터를 무선송신하는 모뎀과 송신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는 PC나 태블릿이나 핸드폰으로 구성되는 미세먼지 관리시스템, 미세먼지 관리시스템이 이용되는 건설공사 또는 건설장비, 작업자 위치추적시스템, 공사현장의 작업자 위치추적시스템, 작업자 위치추적시스템이 적용되는 건설공사, 공사현장의 작업자 위치를 추적하면서 시행되는 건설공사, ID칩과 ID인식기와 모뎀이 이용되는 작업자 위치추적시스템, ID칩과 ID인식기와 모뎀으로 작업자 위치를 인식송신하고 PC나 태블릿이나 핸드폰으로 실시간 무선수신하는 작업자 위치추적시스템, 작업자에게 소지되는 ID칩과 ID칩을 인식하는 ID인식기와 인식된 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모뎀과 송신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는 PC나 태블릿이나 핸드폰으로 구성되는 작업자 위치추적시스템, 작업자 위치추적시스템이 이용되는 건설공사 또는 건설장비, 모뎀이나 라우터가 포함되는 공사장비 또는 그라우팅장비, 무선통신이 되는 모뎀이나 라우터가 포함되는 공사장비 또는 숏크리트공사, LTE 통신기가 포함되는 공사장비 또는 콘크리트 타설장비, 공사 중에 LTE 통신이 되는 건설공사 또는 기초공사, 공사 중에 LTE 통신기가 이용되는 건설공사 또는 녹생토공사,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가 이용되는 공사 또는 장비, 폐배터리 또는 연료전지가 이용되는 공사 또는 장비, 폐배터리 또는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가 이용되는 건설 또는 공사장비, 폐배터리 또는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가 공급되는 장비 또는 센서가 이용되는 시공, 폐배터리 또는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가 공급되는 모뎀이 이용되는 공사 또는 건설장비, 폐배터리 또는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가 공급되는 모뎀에 의하여 영상이나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면서 시행되는 공사 또는 건설장비, 전해기에서 생성된 수소가 이용되는 용접 또는 건설장비, 전해기에서 생성된 수소가 이용되는 용접이 포함되는 공사 또는 건설장비, 방전기에서 생성된 오존이 이용되는 제조 또는 제조장비, 연료전지에서 발생된 전기가 이용되는 건설 또는 공사장비, 수소연료전지에서 발전된 전기가 이용되는 공사 또는 건설장비, 태양전지판이 포함되는 공사 또는 공사장비,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는 전해기가 포함되는 공사 장비 또는 이의 이용 공사, 상기 전해기에서 생성된 수소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작업이 포함되는 공사 또는 이의 공사를 수행하는 장비, 상기 수소를 투입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수소연료전지가 포함되는 건설장비 또는 이의 이용 공사, 상기 수소연료전지에서 조성되는 전기를 이용하는 공사 또는 건설장비, IoT와 연료전지가 이용되는 공사 또는 장비, IoT와 연료전지와 모뎀이 이용되는 공사 또는 장비, 인부에 착용되는 IoT와 장비에 사용되는 전기를 생성하는 연료전지와 카메라 촬영 영상을 무선전송하는 모뎀이 이용되는 공사 또는 장비, 인부에 착용되는 IoT와 상기 인부의 작업을 도와주는 장비에 사용되는 전기를 생성하는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성된 전기가 이용되는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무선전송하는 라우터가 이용되는 공사 또는 장비, 광촉매반응하는 물질이 이용되는 공사, 공사 중에 사용되는 자재가 광촉매반응하는 공사, 광촉매가 코팅되어 광촉매반응하는 자재, 광촉매가 코팅되어 광촉매반응하는 자재가 이용되는 공사, IoT와 연료전지가 이용되면서 공사 중에 사용되는 자재가 촉매반응하는 공사 또는 장비, 오존방사 기능을 가진 헬멧 또는 넥밴드에 장착된 캠 또는 센서 또는 카메라, 캠 또는 센서 또는 카메라가 장착되면서 오존방사 기능을 가진 헬멧 또는 넥밴드, 안마와 오존방사 기능을 가진 헬멧 또는 넥밴드에 장착된 캠 또는 센서 또는 카메라, 캠 또는 센서 또는 카메라가 장착되면서 안마와 오존방사 기능을 가진 헬멧 또는 넥밴드, 상기 캠이 포함되는 공사 장비, 상기 장비로 수행되는 공사, 자화 폭기 미스트 확산을 이용하는 먼제제거 방법 또는 장비, 자화기 폭기기 미스트기 디퓨저를 이용하는 먼제제거 방법 또는 장비, 자화기 폭기기 오존기 디퓨저를 이용하는 먼제제거 방법 또는 장비, 물질을 자화하는 자화기와 폭기하는 폭기기와 오존처리하는 오존기와 확산분사하는 디퓨저를 이용하는 청정 또는 먼제제거 방법 또는 장비, 인부의 건강이나 맥박을 체크하면서 수행되는 공사, 공기질을 측정하면서 수행되는 공사, 사람의 건강과 현장의 공기질을 측정하면서 수행되는 공사, 현장에서 촬영, 센싱, 계측, 정보 전송하면서 수행되는 공사, 현장에서 촬영, 센싱, 계측, 정보 전송하고 본사에서 정보를 수신하면서 수행되는 공사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 구성, 구조, 작용 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 기술, 수단, 방법, 시스템, 실시예, 청구항, 청구범위 등에 대하여 추가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기재된 1, 2, 5, 10, 40, 420, 421,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40, 441, 442, 443, 444, 445, 446 등의 부호는 상기 부호 1 내지 446 등에 해당하는 내용이 각 도면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도면에는 또는 각 도면의 내용에는 상기 시스템(1), 웨어수단(2), 수단 내지 복합수단(5), 사물(5), 만물(5), 웨어 장착 기구(10), 센서 내지 계측기(10), IT 내지 4차산업기술, 자화기 내지 기능물(430, 440), 칩 내지 복합요소(420), 기(器) 내지 복합기(421)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도면은 하나의 메타버스(97), 메타버스공간(100), 메타버스화면, 메타버스동영상, 3차원공간, 3차원가상공간(100), 3차원동영상공간 등이 되고, 이는 단말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플랫폼 등에서 시청이 가능하고, 이용자(30, 31, 32, 33)는 상기 메타버스 내지 3차원동영상공간 등에 출입이 가능하거나, 또는 이용자는 상기 공간에 아바타로 변신되어 출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 도면은 또는 도면에 대한 내용은 메타버스, 가상공간, 가상세계, 3차원 가상공간, 3차원 가상세계 등에서 구현 또는 방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타버스(97, 100)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포함되는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의하여 메타버스(97, 100)가 구현될 수 있다. 메타버스(97, 100)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방영 또는 시청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도면에 설명되는 내용, 수단, 장비, 장치, 드론, 물질, 재료, 자재, 시설, 설비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가구, 가전, 제품, 물품, 상품, 용품,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뱅크 또는 보조배터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파워뱅크(300) 또는 보조배터리(300)는 a) 본체(301), 이가 보관되는 가방(309), 이의 끈(310)이나 멜빵(310),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307), 상기 본체 상부의 홈에 매립되고 운반시에는 외부로 돌출 가능한 손잡이(307), 상기 본체의 기초(308) 또는 받침대(308); b) 상기 본체에 구비된 OnOfF버튼(302), 꽂이(304, 305, 306), 플러그꽂이(306), 잭(jack)꽂이(304), 콘센트(304, 305, 306), 슬롯(305), USB꽂이슬롯(305), 플러그꽂이콘센트(306), c)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창(303), 표시창(303), 표시기(303), 전력량계(303), 디스플레이(303); d)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 폐배터리, 리튬배터리, 리튬이온배터리; e)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잭, jack, 전선, 케이블, cable, 충전기, 방전기, 플러그, 가정용 충전기, 차량용 충전기; 등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에너지저장시스템(ESS)(1)은 a) 배터리(3), 폐배터리(3); b)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배터리팩(2), 폐배터리팩(2), ESS유닛(2); c) 배터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인 BMS(4), ESS의 교류 →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13), ESS를 제어하는 제어부(35), 직류 →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15), ESS를 관리하는 관리부(33), ESS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34), ESS를 냉각하는 냉각수단(56), ESS를 소화하는 소화수단(57);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4, 5는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포함되는 전력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서 전기, 전원, 전력, 전압, 전류 등(5)은 발전기(10), 전력계통(11), 전력공급시설(11), 비상발전기(12), ESS(1), 배터리(3), 폐배터리(3), 배터리팩(2), 폐배터리팩(2), ESS유닛(2), BMS(4), 컨버터(13), 제어부(35), 인버터(15), 관리부(33), 모니터링부(34), 충전부(31), 방전부(32) 등을 통하여 생성, 흐름, 전달, 송전, 배전, 충전, 방전 등이 가능하다.
상기 컨버터(13)는 발전기(10), 전력계통(11), 전력공급수단(12) 등과 버스(14), 인버터(15) 등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는 a) 발전기(10)의 발전 전력(5, 7), 신재생에너지시설(10)의 발전 전력(5, 7), 전력계통(11)이나 전력공급시설(11)의 공급 전력(5, 7), 보조발전기(12)의 공급 전력(5, 7), ESS(1)의 저장 전력(5, 6), 폐배터리(3)의 충전 전력(5, 6), 이중 둘 이상의 복합 전력(5, 8)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부하 전력을 생성 및 제공, b) 컨버터(13)나 버스(14)와 다른 버스(16)나 사용자(20)의 사이에 거치 등이 가능하다. 상기 관리부(33)는 ESS(1), 배터리(3), 폐배터리(3), 배터리팩(2), 폐배터리팩(2), ESS유닛(2), BMS(4), 컨버터(13), 제어부(35), 인버터(15), 모니터링부(34) 등을 관리한다. 상기 모니터링부(34)는 a) ESS(1), 배터리(3), 폐배터리(3), 배터리팩(2), 폐배터리팩(2), ESS유닛(2), BMS(4), 컨버터(13), 제어부(35), 인버터(15), 관리부(33)등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어부(35)는 충전부(31), 방전부(32), 충방전부(30), 스위칭부(40, 41), 스위칭제어부(42)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발전 전력(10)이나 공급 전력(11, 12)을 폐배터리(3)를 통해 일시 저장시킨 후 필요시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 ESS는 PCS(50), HMI(52), PMS(53), EMS(54), AMI(55), UPS(3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CS(50), HMI(52), PMS(53), EMS(54), AMI(55) 등은 상호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PCS(50)는 컨버터(13), 인버터(15), PCS제어기(51), HMI(5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버터(13), 인버터(15), 제어기(51), HMI(52) 등은 상호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컨버터(13), 인버터(15) 등은 배터리(3), ESS유닛(2) 등과 연계된다. 상기 ESS유닛(2)에는 BMS(4) 또는 슬레이브 BMS(4)가 포함된다. 상기 PCS제어기(51)와 HMI(52), PCS제어기(51)와 PMS(53), PMS(53)와 EMS(54), EMS(54)와 AMI(55), ESS유닛과 충전부(31), ESS유닛과 방전부(32) 등은 각각 또는 상호 연계가 가능하다. 발전기(10) 또는 전력계통(11) 또는 전력공급시설(11) 또는 비상발전기(12) 등에서 공급되는 전기, 전원, 전력, 전압, 전류 등(5)은 충전부(31), 배터리(3), 방전부(32) 등을 통하여 소비자(20), 자동차충전기(21), 전기차(22) 등에 전달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소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충전소는 배전망(10, 11, 12), 이에 연계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이 연계되는 배전반, 이중 하나에 연계되는 ESS(1),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충전기(21, 23, 24) 또는 전기충전기, 상기 충전기의 거치대, 상기 충전기 또는 거치대가 거치되는 거치타워(25), 복수의 거치대가 구비된 거치타워(25), 복수의 거치타워, 상기 거치타워에 구비된 충전량 표시기(26)와 충전요금 표시기(26)와 요금 계산기(27), 상기 거치대 또는 거치타워의 측면에 구비된 차량충전대(28) 또는 차량주차대(28), 상기 ESS와 배전망과 충전기의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관리장치(29), 이들의 상부에 거치된 지붕(61), 상기 지붕을 지지하는 기둥(62), 상기 중 하나에 이격되어 설치된 사무실(63), 상기 지붕 또는 사무실 지붕에 구비된 태양전지(60) 또는 태양광패널(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 또는 메타버스(97) 또는 시스템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는 a) 공장(100), 현장(100), 가정(100), 작업장(100), 현장 사무실(110); b) 이에 있는 사람(30), 로봇(30), 근로자(30), 아바타(30), 필드수단(40), 장비(41), 트럭(41), 백호(41), 타워크레인(41), 드론(42), 가전(43), 제품(43), 가전제품(43), 삼각대(44), 조립대(45); c) 상기 사람에 구비되는 스마트폰(35), 웨어러블수단(2); d) 상기 웨어러블수단(2)에 속하는 헬멧(2, 21), 안경(2, 22), 완장(2, 23), 의류(2, 24), 의복, 조끼(2, 24), 멜빵(2, 25), 밴드, 손목밴드(2, 26), 시계(2, 27), 안전화(2, 28), 안전고리(2, 29); e) 상기 공장 내지 안전고리 등에 구비된 기구(10); f) 상기 기구(10)에 속하는 센서 또는 감지기(10, 11), 버튼 또는 SOS버튼(10, 12), 랜턴 또는 라이트(10, 13), 카메라 또는 CCTV(10, 14), 무전기 또는 마이크(10, 15), 알림기 또는 알림등(10, 16), 램프 또는 후방등(10, 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0, 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0, 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10, 20); g) 상기 가전 또는 제품(43)에 속하는 청정기(43), 정화기, 정수기, 청소기(43),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TV, 세탁기(43), 냉장고, 가전제품(43); h) 상기 공장 내지 가전제품 등에 연계되는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핸드폰(94), 플랫폼(96); i) 상기 서버, 단말기, 플랫폼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j) 또는 본사(120), 원거리(120), 관제센터(120), 관리자(31), 총괄자(32) 등에 구비된 단말기(90), 제어기(90), 디스플레이(90), 핸드폰(94); k) 또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등(33)에 구비된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ℓ) 상기 서버, 단말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에 설치되는 어플; m) 상기 서버, 단말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어플 등에 구현되는 플랫폼(96); n) 상기 공장 내지 플랫폼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1), 메타버스(97), 안전시스템, 자동시스템, 환경시스템, 안전관리, 원격관리, 방역관리, 안전관리시스템, 원격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홈오토메이션, 공장오토메이션, 현장오토메이션 등(1)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안전관리시스템(1)은 사람(30), 작업자(30), 아바타(30),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센서(10, 11) - 스마트폰(35), 비콘(51), 블루투스(51), 게이트웨이(52), 통신장치(50) - 통신망(60) - 서버(70) - 관리자(31) 단말기(90), 총괄자(31) 단말기(90), 컴퓨터(90), 모니터(90), 스크린(90), 종합관제센터(120) - 통신망(60) - 이용자(33) 단말기(94),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으로 또는 등의 순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장치(50)에 있어서 현장에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LTE)이 되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스마트폰(35), 스마트폰앱(35), 비콘(51), 블루투스 등이 사용되고, 터널이나 지하철이나 지하공간과 같이 현장에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LTE)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게이트웨이(52) 등이 사용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51)는 200∼300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권장되고,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은 GHz RF(radio frequency, 無線周波數), Sub-GHz RF 통신기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봇(30)은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을 하거나, 조력하는 로봇이다. 상기 아바타(30)는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을 하거나, 조력하는 아바타이다. 상기 장비(41), 트럭(41), 백호(41), 타워크레인(41) 등은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을 하는 또는 등에 이용되는 장비이다. 상기 드론(42)은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을 하거나 또는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등의 상부를 비행하는 드론이다. 상기 비행하는 드론은 촬영, 녹화, 분사, 살수, 청정, 정화, 퓨리, 감시, 측정, 관찰 등을 할 수가 있다. 상기 컨트롤러(95)는 컨트롤러, 리모트컨트롤러, 제어기, 원격제어기,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원격으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원격으로 현장의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기, 원격으로 공장의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기, 원격으로 현장의 계측기를 제어하는 제어기, 본사에서 지사의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기, 집에서 현장의 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발주처에서 하청업체의 시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반대 개념도 가능하다. 이는 a) 본사(120), 원거리(120), 관제센터(120), 관리자(31), 총괄자(32) 등에 구비된 단말기(90), 제어기(90), 디스플레이(90); b) 또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등(33)에 구비된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등을 이용하여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등을 통하여 공장(100), 현장(100), 가정(100), 작업장(100), 사람(30), 로봇(30), 근로자(30), 아바타(30), 장비(41), 드론(42), 가전(43), 제품(43), 가전제품(43), 헬멧(21), 안경(22), 완장(23), 의류(24), 의복, 조끼(24), 멜빵(25), 밴드, 손목밴드(26), 시계(27), 안전화(28), 안전고리(29) 등에 구비된 상기 상기 사람 내지 가전제품, 센서 내지 계측기, 청정기 내지 가전제품 등을 자율조정, 원격조정, 무선조정, 원격관리, 무선관리, 안전관리 등을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메타버스, 홈오토메이션, 공장오토메이션, 현장오토메이션 등이 구현된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 또는 감지기에 의한 각종 센싱(10, 11), 버튼 또는 SOS버튼에 의한 구조 요청(10, 12), 랜턴 또는 라이트에 의한 조명(10, 13), 카메라 또는 CCTV에 의한 촬영(10, 14), 무전기 또는 마이크에 의한 연락(10, 15), 알림기 또는 알림등에 의한 위험 알림(10, 16), 램프 또는 후방등에 의한 야간형광(10, 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에 의한 계측(10, 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에 의한 전원 공급(10, 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에 의한 장비 제어(10, 20),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에 의한 상기 센서 내지 태양전지 제어(10, 20) 등이 가능하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관리시스템(1) 또는 안전관리시스템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는 a) 사람(30), 로봇(30), 근로자(30), 아바타(30), 필드수단(40),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청정기(43), 삼각대(44), 조립대(45); b) 이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수단 또는 웨어러블수단(2); c) 상기 사람 내지 웨어러블수단 등에 구비된 기구(10); d) 상기 기구(10)에 속하는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e) 상기 사람 내지 계측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f) 상기 서버, 단말기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g) 또는 본사(120), 원거리(120), 관제센터(120), 관리자(31), 총괄자(32) 등에 구비된 단말기(90), 제어기(90), 디스플레이(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h) 또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등(33)에 구비된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i) 상기 서버, 단말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에 구현되는 플랫폼(96), 메타버스(97); j) 상기 사람 내지 메타버스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서버(70)는 중앙관제서버(71), 플랫폼서버(72), GIS서버(73), 빅테이터서버(74), 빅테이터저장, 인공지능서버(75), 클라우드서버(76) 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서버, 통신망, 단말기, 처리장치 등에는 PC, 컴퓨터, 하드웨어, hardware, 소프트웨어, software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81), 기억장치,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입력장치(84), 출력장치(85)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현장이나 공장 등에 비치된 드론(42), 삼각대(44), 거치대(45), 드론에 구비된 기구(10), 삼각대에 구비된 기구(10), 거치대에 구비된 기구(10), 기구(10)가 구비된 드론(42), 기구(10)가 구비된 삼각대(44), 기구(10)가 구비된 거치대(45) 등에 의하여 센싱, SOS요청, 라이트, 촬영, 녹화, 무전, 경보알림, 등점멸, 계측, 전원공급, 장비제어 등이 되고, 이의 정보가 무선 송신되고, 상기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정보가 서버, 단말기, 플렛폼,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에 제공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필드수단, 웨어러블수단, 드론, 장비, 계측기를 이용한 안전관리시스템(1) 또는 안전관리시스템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는 a) 사람(30), 로봇(30), 동물(30), 아바타(30), 필드수단(40), 장비(41), 드론(42), 청정기(43); b) 이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수단 또는 웨어러블수단(2); c) 상기 사람 내지 웨어러블수단 등에 구비된 기구(10)인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d) 상기 사람 내지 제어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e) 상기 서버, 단말기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f) 또는 본사(120), 원거리(120), 관제센터(120), 관리자(31), 총괄자(32) 등에 구비된 단말기(90), 제어기(90), 디스플레이(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g) 또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등(33)에 구비된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i) 상기 서버, 단말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에서 제공되는 플랫폼(96); j) 상기 사람 내지 플랫폼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메타버스(97); 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장, 공장, 작업장, 아파트, 공사현장 등(100)에서의 안전관리시스템(1) 또는 안전관리시스템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는 a) 현장, 공장, 작업장, 아파트, 공사현장 등(100); b) 이에 있는 시설, 건물, 주택, 구조물, 공사중인 건물 등(101); c) 상기 현장이나 공장의 사무실(110); d) 상기 현장 내지 사무실 등에 있는 사람(30), 로봇(30), 동물(30), 아바타(30), 필드수단(40), 장비(41), 드론(42), 방역기(43); e) 상기 현장 내지 방역기 등에 구비된 스마트폰(35), 웨어러블수단(2); f) 상기 사람 내지 웨어러블수단 등에 구비된 기구(10)인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g) 상기 사람 내지 제어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h) 상기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등이 구비된 현장이나 공장의 사무실(110); i) 상기 서버, 단말기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j) 또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등(33)에 구비된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k) 상기 서버, 단말기, 핸드폰, 제어기, 디스플레이 등에서 제공되는 플랫폼(96), 메타버스(97); ℓ) 상기 현장 내지 메타버스 등에 연계된 통신망(60),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등으로 구성되는 안전관리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등에 의하여 넓은 현장(100)이나 시공 중인 건물(101) 등에 있는 사람(30), 로봇(30), 동물(30), 아바타(30) 등의 이동, 경로, 궤적, 위치, 좌표, 고도, 위도, 경도, 층, 층수, 방, 호실, 실번호, 방번호, 현장에서의 작업 위치, 건물 내부에서의 거치 위치 등을 센터(120), 소장(32), 사장(32), 관리자(31), 앱이용자(33) 등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하여 사고 시에 근로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신속한 구조를 할 수가 있다. 상기 센서(11)로 사람의 건강을 실시간 체크, 상기 버튼(12)으로 SOS 요청, 상기 랜턴(13)으로 빛조명, 상기 카메라(14)에 의하여 작업 장면을 실시간 영상 관찰, 상기 무전기(15)로 교신, 상기 알림기(16)로 사고 알림, 상기 램프(17)로 야간등 표시, 상기 계측기(18)로 시설의 응력이나 변형을 실시간 검측, 상기 배터리(19)로 전원 공급, 상기 제어기(20)로 장비 제어 등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현장, 공장, 가정, 작업장, 공사현장; b) 이중 하나와 동일한 3차원의 가상공간, 메타버스 상의 3차원의 가상공간; c) 상기 공간이 조성된 앱, 플랫폼, 컴퓨터; d) 상기 현장의 장비, 드론, 자재, 사람, 인간, 아바타, 마네킹, 건물, 비계, 형틀, 건자재; e) 상기 현장에 구비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f) 상기 장비 내지 건자재 등에 부착된 ID칩, IDtag, 바코드; g) 상기 ID칩, IDtag, 바코드 등의 인식장치; h) 상기 수단에 속하는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 카메라에 의한 영상 정보; 게측기에 의한 계측 정보, 상기 인식장치에 의한 인식 정보 등을 송신하는 송신기; i) 상기 현장 내지 송신기 등에 연계된 비콘, 통신망, 서버, 처리장치; j) 상기 현장 내지 처리장치 등에 연계된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k) 상기 현장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연계되는 플랫폼, 가상공간, 메타버스; ℓ) 상기 장비 내지 건자재 등의 이동 경로가 나타나는 플랫폼, 가상공간, 메타버스; m) 상기 현장에서의 건물이 축조되는 과정이 방영되는 플랫폼, 가상공간, 메타버스; n) 상기 플랫폼, 가상공간, 메타버스 등이 제공 또는 방영되는 앱, 어플, SNS,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o) 상기 정보가 제공되는 상기 서버 내지 메타버스; p) 상기 정보에 의하여 이동 경로, 사람 위치, 장비 위치, 자재 위치, 사람 안전, 장비 안전, 공기 환경, 방역 상태, 건물 축조, 공사 장면 등이 파악되는 상기 서버 내지 메타버스; q) 상기 파악에 의하여 경보, 경고, 알람, 통화, 통신, 조치, 대책마련, 자동경고 등을 하는 본사, 관리자, 총괄자, 관제센터, 상기 서버 내지 메타버스;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과 본사 간의 안전관리시스템 또는 안전관리시스템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는 2개 이상의 현장, 공장, 지사, 사무소, 가맹점, 대리점, 공사현장,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등(100)과 본사, 센터, 관제센터, 중앙관제센터 등(120) 간에 연계되는 시스템, 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을 나타낸다. 여기서 a) 2개 이상의 현장, 공장, 지사, 사무소, 가맹점, 대리점, 공사현장, 해외지사, 메타버스, 메타버스공간 등(100)은 상기 도 11 및 도 12와 같이 각각 안전관리시스템(1)이 구축되고, b) 각 현장에 구비된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등에 통신수단(50), 통신가능 스마트폰(35), 비콘(51), 게이트폰웨이(52), 통신망(60) 등이 연계되어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정보가 본사의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 저장, 처리, 기록, 제공 등이 되고, c) 본사의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등에 통신망(60) 등이 연계되어 앱이용자의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메타버스(97) 등에 상기 정보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여 현장, 본사, 이용자 간에 전체적인 안전관리시스템(1)이 구축된다. 상기 이용자(33)는 이용자, 앱이용자, 앱가입자, 앱등록자, 사람, 인간, 로봇, 동물, 직원, 대리, 차장, 과장, 부장, 이사, 상부, 전무, 소장, 사장, 근로자, 작업자, 아바타, 마네킹, 관리자, 총괄자, 안전관리시스템 이용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현장 내지 메타버스공간, 본사 내지 중앙관제센터 등에는 1개 이상 또는 1세트 이상의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플랫폼(96), 디스플레이(95), 메타버스(97)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현장1에 구비된 5개 센서, 현장2에 구비된 6개 카메라, 현장3에 구비된 10세트 계측기, 상기 5개 센서에 연계되는 현장사무실의 5개 모니터, 상기 6개 카메라에 연계되는 현장사무실의 6개 스크린, 상기 10세트 계측기에 연계되는 현장사무실의 10개 컴퓨터, 상기 5개 모니터에 연계되는 중앙관제센터의 5개 핸드폰, 상기 6개 스크린에 연계되는 본사의 6개 컴퓨터, 상기 10개 컴퓨터에 연계되는 센터의 10개 디스플레이,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포함되는 플랫폼, 상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포함되는 메타버스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하드웨어 장치간의 데이터 흐름과 제어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 서버, 통신망, 단말기, 처리장치 등에는 PC, 컴퓨터, 하드웨어, hardware, 소프트웨어, software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81), 기억장치, 주기억장치(82), 보조기억장치(83), 입력장치(84), 출력장치(8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하드웨어 장치간의 데이터 흐름(86)과 제어신호 흐름(87)에 따라 다른 장치들이 동작을 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a) 웨어러블수단(2), 작업자(30), 작업자의 스마트폰(35), 웨어러블수단(2)에 부착되는 기구(10) 또는 부착물(10), 작업자(30)에 부착되는 기구 또는 부착물(10); b) 이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90); c) 상기 수단 내지 단말기 등에 연계되는 컨트롤러(95), 핸드폰(95), 디스플레이(95), 메타버스(97); d)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이 이용되는 시스템, 메타버스, 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웨어러블수단(2)으로는 헬멧 또는 모자(21), 안경 또는 고글(22), 완장 또는 어깨밴드(23), 조끼 또는 상의(24), 멜빵 또는 X밴드(25), 손목밴드(26), 시계 또는 워치(27), 신발 또는 작업화(28), 고리 또는 안전고리(29) 등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수단 또는 작업자에 부착되는 기구 또는 부착물(10)로는 센서 또는 측정기(11), 버튼 또는 SOS버튼(12), 랜턴 또는 라이트(13), 카메라 또는 CCTV(14), 무전기 또는 마이크(15), 알림기 또는 알림등(16), 램프 또는 후방등(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8), 충전기 또는 배터리(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20), 포켓 또는 주머니(20') 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포켓 또는 주머니(20')에는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내장 또는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관리시스템(1)에는 상기 웨어러블수단(2),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주머니,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웨어러블수단(2)의 전면 또는 전방(3)에는 상기 센서 내지 주머니, 그리고 웨어러블수단(2)의 후면 또는 후방(4)에는 카메라 또는 CCTV(14), 램프 또는 후방등(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2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웨어러블수단(2)의 후면 또는 후방(4)에도 상기 센서 내지 주머니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장비(41), 장치, 드론(42),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공장(100), 현장(100), 시설(101), 건물(101), 사람(30, 31, 32), 작업자(30), 아바타(30), 이용자(33), 스마트폰(35), 계측기(18) 등에는 상기 센서 내지 주머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부착물,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주머니 등은 통신장치(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사무실(110), 관제센터(120),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이용자(33), 스마트폰(35), 장비(41), 계측기(18), 드론(42), 메타버스(97) 등에 연계, 연결, 구비, 거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수단(2)의 전면 또는 전방(3), 후면 또는 후방(4)을 살펴보면 헬멧 또는 모자(21)의 경우는 창 또는 햇빛가리게가 있는 부분이 전면(3)이고 이의 반대측이 후면(4)이다. 안경 또는 고글(22)의 경우는 안경알 측이 전면(3)이고 안경테 측이 후면(4)이다. 완장 또는 어깨밴드(23)의 경우는 사람의 앞으로 보이는 부분이 전면(3)이고 사람의 뒤로 보이는 부분이 후면(4)이다. 조끼 또는 상의(24)의 경우는 쟈크, 오픈부 등이 있는 부위가 전면(3)이고 이의 반대측 또는 오픈부가 없는 부위가 후면(4)이다. 멜빵 또는 X밴드(25)의 경우는 X 모양이 있는 부분이 후면(4)이고 이의 반대측이 전면(3)이다. 손목밴드(26)의 경우는 손바닥과 동일한 방향의 부분이 전면(3)이고 이의 반대측이 후면(4)이다. 시계 또는 워치(27)의 경우는 손등과 동일한 방향의 부분이 전면(3)이고 이의 반대측이 후면(4)이다. 신발 또는 작업화(28)의 경우는 앞굽이 있는 부분이 전면(3)이고 뒷굽이 있는 부분이 후면(4)이다. 고리 또는 안전고리(29)의 경우는 사람의 멜빵(25)에 연결되는 고리 부분(291)이 전면(3)이고 상기 멜빵에 이격된 고지대의 봉(294)에 연결되는 고리 부분(292)이 후면(4)이다. 이는 도 17 참조.
도 16의 a, 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수단(2), 작업자(30), 헬멧 또는 모자(21), 조끼 또는 상의(24), 멜빵 또는 X밴드(25) 등에 장착되는 센서 또는 계측기(11), 카메라 또는 CCTV(14), 알림기 또는 알림등(16),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20) 등의 기구 또는 장착물(10)에 대한 상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센서 또는 계측기(11)에는 센서, 소자, 계측기, 측정기, 위치센서, 모션센서, 생체센서, 가스센서, 환경센서, 공기질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CO센서, O2센서, O3센서, CO2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또는 CCTV(14)에는 스피커(141), 단자(142), LED(143), 카메라(14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 스피커(141)는 폰, 스피커, 마이크, 전화기, 무전기 등, b) 단자(142)는 단자, 잭단자, 홈단자, 구멍단자, 요홈단자, 잭꽂이단자, 헤드폰꽂이, 헤드폰단자, 이어폰꽂이, 아어폰단자, 이어폰잭단자 등, c) LED(143)는 LED, 라이트, 촬영라이트, 등LED, LED등, 촬영LED, 조명LED, LED촬영등, LED라이트, LED촬영라이트 등, d) 카메라(144)는 카메라, 촬영기, CCTV, 각조절카메라, HD카메라, Full HD카메라 등이 포함되거나, 또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알림기 또는 알림등(16)에는 카메라(161), LED(162), 메모리(16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 카메라(161)는 카메라, 촬영기, CCTV, 각조절카메라, HD카메라, Full HD카메라 등, b) LED(162)는 LED, 램프LED, 조명LED, 안전LED, 표시등, 야광등, 인디케이터, LED인디케이터 등, c) 메모리(163)는 메모리, 외장메모리, 메모리카드, 보조기억장치, 이동식기억장치, 디스크, 메모리디스크, SD(Secure Digital), USB(Universal Serial Bus),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 UICC(universal IC card),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D Card, USB Card, Secure Digital memory card 등이 포함되거나, 또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20)에는 전면(3)에 랜턴(181), 스위치(182), 버튼(183); 후면(4)에 마이크(184), 화면(185), 무전기(186), 제어툴(187), 전송기(188);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 랜턴(181)은 등(燈), 빛, 랜턴, 라이트, LED랜턴, 고휘도랜턴, 라이트랜턴, LED등, 전등(傳燈) 등, b) 스위치(182)는 스위치, 버튼, ON/OFF, LED ON/OFF, 전후면 LED ON/OFF, ON/OFF 버튼, ON/OFF 스위치 등, c) 버튼(183)은 버튼, SOS, SOS버튼, 알림버튼, 얼람버튼, 경고버튼, 사고발생알림버튼, 구호요청버튼 등, d) 마이크(184)는 마이크, 스피커, 무전기 등, e) 화면(185)은 창, 화면, 화면창, 보기창, 디스플레이 등, f) 무전기(186)는 무전기, 무전기버튼, 버튼식 무전기, 통화무전기 등, g) 제어툴(187)은 제어툴, 제어반, 제어기, 제어버튼, 제어장치 등, h) 전송기(188)는 전송기, 녹화버튼, 촬영버튼, 전송버튼, 송신버튼 등이 포함되거나, 또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9)에는 전기, 전원, 전류, 전압, 전지, 전극, 양극, 음극, 에너지, 전지판, 배터리, 건전지, 충전지, 충전기, 충전잭, 대용량배터리, 교체형 배터리, 충전형 배터리, 태양전지판, 배터리집, 배터리하우징, 배터리안착대, 배터리고정대, 소켓, 플러그, 전선, 케이블, 콘센트, 콘덴서, 변압기, 정류기, 정전기, 계전기, 증폭기, 변환기, 전해조, 방전조, AC/DC변환기, 트랜스듀서,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6의 c에는 센서 또는 측정기(11), 버튼 또는 SOS버튼(12), 랜턴 또는 라이트(13), 카메라 또는 CCTV(14), 무전기 또는 마이크(15), 알림기 또는 알림등(16), 램프 또는 후방등(17), 계측기 또는 모니터링장치(18),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19), 제어기 또는 컨트롤러(20) 등의 기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의 d에는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중 둘 이상이 합체된 기구(10)를 나타낸다. 여기서 d1은 센서(11)와 SOS버튼(12)과 비콘(51)이 합체된 기구, d2는 센서(11)와 SOS버튼(12)과 게이트웨이(52)가 합체된 기구, d3는 센서(11)와 SOS버튼(12)과 카메라(14)와 무전기(15)와 제어기(20)와 통신장치(50)가 합체된 기구 이다. 여기서 기구(10)는 띠, 통, 판, 밴드, 스틱, 롯드, 막대, 세트, 집, 원통, 중공체, 중공통, 사각통, 케이스, 하우스, 하우징 등에 내장되거나, 또는 일정의 길이를 가진 상기 띠 내지 하우징 등에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외형이 상기 통 내지 하우징 등의 형상을 가진다. 도 16의 d는 일정의 길이를 가진 사각통의 모양을 가진 기구를 보여준다. 상기 합체된 기구는 헬멧의 테두리, 헬멧의 하부 테두리, 헬멧의 측면 테두리(도 16의 a의 헬멧 참조), 조끼의 전면(도 16의 a의 조끼 참조), 조끼의 포켓, 멜빵의 전면띠, 멜빵의 허리띠(도 16의 a의 멜빵 참조), 멜빵의 후면 X띠, 완장의 전면 등에 거치가 될 수 있다.
상기 기구(10)은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헬멧 또는 모자(21), 완장 또는 어깨밴드(23), 조끼 또는 상의(24), 멜빵 또는 X밴드(25) 등에 구비, 거치, 정착, 장착, 끼움, 연결, 걸쇠, 핀연결, 고리연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또는 계측기(11)는 웨어러블수단(2)의 착용 감지, 버튼 또는 SOS버튼(12)은 근로자 위급상황 알림, 비콘(51)은 스마트폰 등과 연동되어 근로자 위치 감지 또는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하게 되고, 이는 비콘(51), 게이트웨이(52), 통신장치(50), 통신망(60) 등을 통하여 무선으로 서버(70), 단말기(90), 사무실(110), 본사(120), 중앙관제센터(120), 작업자(30), 관리자(31), 총괄자(32), 앱 이용자(33) 등에 전달 또는 통지된다. 그리고 상기 띠 내지 하우징 등에는 상기 센서 내지 주머니,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구비도 가능하다. 상기 띠 내지 하우징 등은 상기 센서 내지 주머니,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중 둘 이상이 구비된 세트 기구(10)가 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고리(29) 또는 안전고리가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안전고리(29)는 사람(30)이나 멜빵(25)이나 멜빵의 후면(4)이나 멜빵의 후면(4) 허리에 연결되는 고리(291), 이 고리(291)의 일단에 연결된 줄(293), 상기 줄의 타단에 연결되는 고리(292), 상기 고리(291, 292)에 장착된 센서(11) 또는 기구(1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단에 연결되는 고리는 고정대, 지지대, 거치대, 수평대, 고층고정대, 고층건물의 수평대 등에 안착이 된다. 상기 고리에 장착된 센서에 의하여 고리의 장착 여부가 알림된다. 상기 센서(11) 또는 기구(10)에는 통신망, 서버, 단말기, 플랫폼,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등이 연계될 수 있다.
도 17, 22, 23, 33, 40, 41, 43, 44, 45, 46 등에 있어서 센서(11), 카메라(14), 드론(42), 기구(10), 부호 10, 부호 11, 부호 14, 시설, 장치, 사물 등과 통신장치(50), 비콘(51), 게이트웨이(52), 부호 50, 부호 51, 부호 52, 부호 60, 서버(60) 등 간에 도시된 점선(- - - -)은 상기 센서 내지 사물, 이중 하나의 정보, 영상, 데이터, 측정치 등과 또는 등이 상기 통신장치 내지 서버 등이 또는 등에 이용, 연결, 연계, 접속, 송신, 전송, 전달 등이 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9은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40, 41, 600) 또는 타워크레인이 구비된 메타버스(97)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a) 수단, 필드수단(40), 장비(41), 타워크레인(600), 카운터웨이트(601), 타워마스트(602), 운전실(603), 지브(604), 지브타이(605), 런웨이(606), 트롤리(607), 트롤리활대(608), 호이스트로프(609), 호이스트블록(610), 갈고리(611), 평형추(612), 카운터지브(613); b) 이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물(430, 440), 칩 내지 복합요소(420), 기(器) 내지 복합기(421), 수단 내지 복합수단(5); c)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구비되는 센서(11), 버튼(12), 랜턴(13), 카메라(14), 무전기(15), 알림기(16), 램프(17), 계측기(18), 배터리(19), 제어기(20), 살수기(430), 청정기(430), 방역기(430), 삼각대(44), 조립대(45); d) 상기 타워크레인 내지 계측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수단(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e)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이 구비된 시스템(1), 관리시스템, 분사시스템, 청정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 f)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수단; 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비(41), 필드수단(40), 크레인(41), 드론(42), 청정기(43), 삼각대(44), 거치대(45), 타워크레인(600), 메타버스(97) 등에서는 센서에 의한 각종 센싱(11), 랜턴에 의한 조명 또는 라이트(12), 버튼에 의한 SOS요청(13), 카메라에 의한 촬영(14, 도 18에 도시), CCTV가 회전하면서 촬영(14, 도 18에 도시), 무전기에 의한 무전(15), 알림기에 의한 위험 알림(16), 램프에 의한 인디케이터(17), 계측기에 의한 각종 계측(18), 배터리에 의한 전원 공급(19), 제어기에 의한 크레인 가동 제어(20),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사기에 의한 물(480) 살수(도 18에 도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미스트기에 의한 미스트(480) 분사(도 18에 도시), 측정기에 의한 측정, 상기 센싱 내지 측정 등의 정보를 통신장치로 송신(50), 통신망으로 수신(60), 서버에 저장(70), 처리장치로 데이터 처리(80), 단말기로 정보 제공(90), 디스플레이로 보기(95) 등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600)은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에 의한 센싱, 촬영, 계측, 알람, 경고, 측정 등에 의하여 주변 건물, 시설, 설비, 장비, 타워크레인 등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카운터웨이트, 균형추, counterweight, 크레인을 안정시키기 위해 크레인의 하부에 적재된 중량물, 금속물, 콘크리트덩어리 등이다. 상기 타워마스트(tower mast)는 지브를 지탱하는 금속 격자로서 이의 길이는 조정 가능하다. 상기 운전실(operator cab)은 크레인의 상부에 있는 운전석으로 운전자가 크레인을 조종하는 공간이다. 상기 지브(jib)는 크레인 위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금속 격자로서 이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호이스트를 들어올리는 지지 역할을 한다. 상기 지브타이(jib tie)는 지브의 장력을 분산시키는 금속줄이다. 상기 런웨이(runway)는 자신의 하부에 트롤리가 주행하는 거더이다. 상기 트롤리(trolley)는 지브 밑에서 지브 또는 런웨이를 따라 돌아가는 바퀴로서 호이스트로프가 연결된다. 상기 트롤리활대 (trolley pulley)는 트롤리와 함께 사용되어 지레의 힘을 강화하는 여러 개의 도르래 장치이다. 상기 호이스트로프(hoist rope)는 호이스트블록에 연결되는 철제 밧줄이다. 상기 호이스트블록(hoistg block)은 트롤리활대와 함께 작동하여 갈고리에 걸리는 짐을 들어올리는 지레의 힘을 향상시키는 도르래 장치이다. 상기 갈고리(hook)는 짐을 매다는 것으로 고리 모양의 금속이다. 상기 평형추(counterjib ballast)는 지브와 짐의 무게 균형을 이루기 위해 카운터지브에 매달아 놓은 콘크리트 덩어리이다. 상기 카운터지브(counter jib)는 평형추를 받치는 금속 격자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타설기 또는 펌프카(205) 또는 펌프카가 구비된 메타버스(97)를를 나타낸다. 그림 a는 기존의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b는 외부에 기능기(430) 또는 진동기(432)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c는 내부에 기능기(430) 또는 진동기(432)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d는 내부 및 외부에 기능기(430) 또는 진동기(432)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e는 기능기(430) 또는 진동기(432)가 거치된 튜브(476)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그림 f는 봉(212), 줄, 끈, 링, 철사, 밴드, 롯드(212), 호스(464), 케이블(468), 진동기 호스(464), 진동기 케이블(468), 연결수단 등에 의하여 연결된 기능기(430) 또는 진동기(432)가 거치된 튜브(476)가 구비된 타설구(200) 또는 엔드호스(209) 등이다. 도 19 g는 1) 차량, 타설기, 펌프카 등(205)의 호퍼(461), 이에 주입된 콘크리트(480) 등에 빛, 광, 살균광, 자외선, 적외선 등을 방사하는 등, 램프, 전등, 광원(13); 2) 상기 호퍼, 콘크리트 등에 투입되는 첨가제(485), 이의 저장고(475); 등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첨가제(485)는 물질, 재료, 소독제, 살균제, 방수제, 방수액, 피톤치드, 구체방수제,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펌프카(205)는 차량의 후단에 구비된 것으로 콘크리트(480)가 투입되는 호퍼(461), 콘크리트(480)를 펌핑 펌프(463) 및 가압하는 실린더(206), 차량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높이 및 거리 조절이 가능한 붐대(207), 상기 투입 또는 가압된 콘크리트(480)를 타설현장으로 이동하는 이송관(208), 상기 이송관(208)의 일단에 연결되는 엔드호스(209), 엔드호스(209)의 타설구(2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461)에 투입된 콘크리트(480)는 실린더(206)의 펌핑으로 이송관(208)과 엔드호스(209)를 통해 현장, 형틀, 거푸집, 지반, 지중, 지하, 보링공 등에 타설된다. 상기 붐대(207)에는 관절(207-1), 관절 양측의 붐(207-2), 상기 붐을 거동하는 피스톤 또는 실린더(207-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타설기, 펌프카, 호퍼, 펌프, 실린더, 붐대, 이송관, 엔드호스, 타설구, 관절, 붐, 피스톤, 선단, 단부, 선단부, 저장고 등에는 a) 수단, 필드수단(40), 웨어러블수단(2), 사람(30), 로봇(30), 장비(41), 드론(42), 청정기(43), 삼각대(44), 타워(45); b) 이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5), 기구(10), 센서(11), 카메라(14), 계측기(18); c) 상기 수단 내지 계측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d) 상기 수단 내지 메타버스 등이 구비되는 시스템, 자동관리시스템, 품질관리시스템, 환경관리시스템, 안전관리시스템(1); e) 상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중 둘 이상이 조합되는 복합수단;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설기 또는 펌프카(40, 41, 205)는 각종 센싱, 촬영, 녹화, 각종 계측, 통신, 송신, 수신, 영상 제공, 정보 제공, 살수, 살균, 소독, 먼지 제거, 공기 청정 등이 가능하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필드수단(40), 굴삭기(41), 타설기(41), 지중믹싱기(510), 메타버스(97)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a) 백호, 굴삭기, 포크레인, 이동수단, 지중믹싱기(510); b) 이중 하나의 붐(513), c) 이 붐의 암(514), d) 이 암의 선단(515), e) 이 선단의 회전수단(516); f) 이의 회전수단에 장착된 축, 롯드(520); 회전형(527)의 상기 축, 롯드(520); g) 상기 축 또는 롯드의 선단에 장착된 비트(524); h)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백호 내지 비트; 등으로 구성된 타설 또는 믹싱 장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백호 내지 비트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백호는 백호우, 굴삭기, 굴착기, back hoe, drag-shovel 등이 해당된다.
상기 축(520)에 구비된 날개(410)는 길이가 상호 동일 또는 가변인 특징을 가진다. 상기 축(520) 또는 날개(410)에는 돌기(523)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축, 롯드 등(520)은 백호, 포크레인, 이동수단(510), 이중 하나의 붐(513), 이 붐의 암(514), 이의 암 선단(515) 등에 구비되고, 상기 축, 롯드 등에는 호스(464), 펌프(463), 배합기(462), 호퍼(461), 저장고 또는 사일로(460) 등이 연계되어 바인더, 고화재 등(480)이 공급된다. 상기 바인더, 고화재 등(480)은 축, 롯드(520), 이중 하나의 노즐(525), 비트(524), 비트 구멍(525) 등을 통하여 지반, 크랙, 균열, 공극, 간극, 건물, 조인트, 구조물 등에 주입, 분사, 믹싱, 회전, 회전믹싱, 회전분사, 회전주입, 그라우팅 등이 되고, 이에 의하여 기초, 현장타설기초, 고화체, 기둥고화체, 그라우팅체, 변단면 기초, 등단면 기초 등이 조성된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발기, 쌍발기 등(40, 41, 350, 360)을 나타낸다. 여기서 단발기(350), 쌍발기(360) 등은 몰탈, 시멘트, 레미콘, 콘크리트 등의 표면을 처리, 정리, 마감, 매끈, 평탄, 평활 등을 하는 것으로 하나의 피니셔, 미장기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단발기(350)는 a) 칼, 날, 팬, 날개(351), 칼날, 원반, 원판, 미장칼, 미장날, 방사 날개, 십자 날개, 별모양 날개, 선풍기 날개, 대, 긴대,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대, 2개 이상 날개, 2개 이상의 날개로 구성된 방사형 날개(351), 단부가 상호 결합된 2개 이상의 날개, 중간이 상호 결합된 2개 이상의 날개(351); b) 회전하는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c) 모터(352)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d) 상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플러그, 전원공급기; e) 회전(353) 또는 이동하면서 콘크리트면을 피니싱하는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351); f)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중 하나가 거치된 골격 또는 플랫폼 또는 거치대(354); g)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거치대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밀대(355), 운전대(356), 의자(357); h) 상기 거치대, 밀대, 운전대, 의자 중 하나에 구비된 손잡이(358); i) 상기 모터 또는 운전대 또는 회전의 속도를 조정하는 컨트롤러(359); j) 상기 기능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기장기 내지 방사기 등이 구비된 상기 칼 내지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쌍발기(360)는 상기 단발기(350)가 2대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거치대(354)에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중 하나의 2조가 거치되거나, 또는 상기 거치대(354)에 상기 칼 ∼ 2개 이상 날개 중 하나의 2조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거치된 것이다. 상기 단발기, 쌍발기, 피니셔, 미장기, 모터, 칼 ∼ 2개 이상 날개, 골격, 플랫폼, 거치대, 밀대, 운전대, 의자, 손잡이, 컨트롤러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형틀을 나타내거나 또는 형틀이 포함되는 메타버스(97)를 나타낸다. 형틀(40, 250)은 가설물의 일종으로서 콘크리트(480)가 투입, 콘크리트의 형태와 치수 유지, 콘크리트가 경화하는데 필요한 수분의 누출 방지, 외기의 영향 차단, 콘크리트가 적절하게 경화 또는 양생 등이 되도록 한다. 가장 간단한 형틀(250)은 외곽틀(252), 이에 부착되는 판재(251), 이들의 경사대 또는 지지대 또는 브레이싱(25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형틀, 외곽틀, 판재, 경사대, 지지대, 브레이싱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여기서 통상 외곽틀(252)은 콘크리트와 맞닿는 판재(251)의 배면 가장자리 4면에 거치되고, 경사대(253)는 판재의 배면 외곽틀(252)의 대각선으로 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형틀(250)은 1개 단독 사용(그림 a), 2개 이상이 결합되어 사용(그림 b), 2개 이상이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로 1개의 넓은 면적으로 사용(그림 b), 2개 이상이 조립되고 자신에 타설된 콘크리트 양생후 조립된 것이 해체되는 형틀로 사용,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틀로 사용(그림 c),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된 형틀로 사용(그림 c) 등이 된다. 상기 서로 마주보는 형틀은 긴결재(254) 또는 폼타이(form tie)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간격 또는 공간은 벽, 보, 기둥, 바닥, 슬라브, 터널, 도로, 교량, 옹벽, 구조물형상 등이 해당되고, 상기 간격 또는 공간에는 콘크리트(80)가 타설된다. 긴결재(254) 또는 폼타이form tie)는 기둥거푸집, 벽체거푸집, 마주보는 거푸집 등에서 거푸집널을 일정한 간격 또는 모양으로 유지, 콘크리트 측압 또는 압력 지지 등을 하는 부재 또는 인장부재로 형틀 내부 매립형, 형틀 관통형 등이 있다.
상기 형틀은 폼, form, 형틀, 슬립폼, 거푸집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슬립폼은 슬립폼, slip form, 슬라이딩폼, 이동형 거푸집, 내부 중공형 4각 거푸집, 아파트(101) 건축에 사용되는 내부 중공형 4각 거푸집(250), 상부로 이동하는 이동형 거푸집, 건물(101)이 건축되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형 거푸집(250), 콘크리트를 칠 때 단계적으로 거푸집을 끌어 올리면서 이음 부분이 없도록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벽면을 완성시키는 거푸집,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콘크리트 면에 따라 거푸집을 서서히 활동시켜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칠 수 있는 거푸집, 건축되는 건축물(101)의 외곽에 설치되어 상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형 거푸집(250), 아파트 건물(101) 외곽의 4각에 폐합되도록 설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아파트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일정 형상을 가진 거푸집(250) 등이 해당된다. 이는 도 22 d 참조.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형틀, 장선, 멍에, 지주, 메타버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a, b는 내부에 콘크리트(480)가 타설되도록 일정 공간을 가지는 형틀(250)의 단면도, 사시도이고, 그림 c, d는 바닥, 슬라브 등의 공사를 위한 형틀(250), 바닥판(251), 장선(255), 멍에(256), 지주(257)에 대한 단면도, 사시도이다. 여기의 그림 a, b에서 형틀은 내부에 콘크리트(480)가 타설되도록 일정 공간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여기의 그림 c, d와 같이 통상 바닥형틀, 슬래브형틀 등(250)은 지주, 동바리, 지지대, 서포트 등(257)의 위에 멍에(256), 멍에 위에 장선(255) 등을 조립하고, 장선 위에 판재, 합판 등(251)을 깔아 형성된다. 여기서 합판 위에는 바닥, 슬라브 등을 형성하는 콘크리트(480)가 타설된다. 테이블폼은 이런 조립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부 동바리(257), 중간의 멍에(256) 및 장선(255), 상부 바닥판(합판, 251) 등을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시간, 인력, 공정 등을 줄일 수 있다. 테이블폼을 이동할 때 지게차와 같은 장비가 사용되고, 제작 비용이 많기 때문에 소형 공사보다는 대형 공사에 주로 사용된다. 테이블폼은 아파트 등과 같이 규격화되고 층마다 반복적인 구조물의 바닥 전용거푸집에 이용된다. 이는 크레인으로 수평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한 거푸집이다. 상기 형틀은 폼, 형틀, 몰드, 거푸집 등이 해당된다. 상기 형틀, 장선, 멍에, 지주, 바닥판, 동바리, 지지대, 서포트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형틀 내지 서포트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거푸집(250)에서 콘크리트(480)에 직접 접하는 것은 판재, 널판, 합판, 막음널, 바닥판, 거푸집널 등의 판류(251)이고, 이는 목재, 금속, 강판, 알루미늄 등이 사용된다. 상기 판류(251)의 가장자리, 대각선 등은 목재, 강재, 강목 등으로 보강된다. 장선(長線, 255)은 형틀 또는 마루 밑을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로 대어 받치는 부재를 말하며, 보통 띠장, 띳장 등으로도 불리고, 이로는 목재, 각관 파이프, 아연 도금제 각형 파이프 등이 사용된다. 멍에(256)는 장선 하부에 거치되는 부재, 장선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장선을 지지하며 동바리로 하중을 전달하는 부재, 동바릿돌 또는 동바리 위에 거치되어 형틀 또는 마루를 지지하는 자재 등이 해당된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립폼 또는 슬립폼이 포함되는 메타버스(97)를 나타낸다. 상기 슬립폼(40, 620, slip form)은 상부 작업대 부분, 중간 작업대 부분, 하부 작업대 부분, 폼상승장치(slip-up device) 등으로 구성된다. 상부 작업대 부분은 탑데크(622), 탑데크찬넬(top deck channel), 철근가이드(rebar guide), 콘크리트공급시스템(621, concrete supplier), 탑데크를 지지하는 격자트러스, 격자트러스(623, lattice truss)를 지지하는 요크(624, yoke) 등으로 구성되어 철근조립작업, 콘크리트공급을 위한 공간이다. 중간 작업대 부분은 폼판넬, 폼지지부재, 리프트잭(625, lift jack), 작업데크(626, working deck), 콘크리트폼(627, concrete form) 등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타설, 양생체크, 철근작업, 폼잭킹작업 등이 수행된다. 하부 작업대 부분은 작업대를 매달고 있는 행잉잭(628, hanging jack), 와이어로프, 사각파이프 등이 있으며 콘크리트 면터리를 위한 공간이다. 상기 슬립폼은 철근조립, 철근배근, 콘크리트타설, 콘크리트양생, 슬립폼상승(629) 등의 과정으로 진행되어 구조물(101)을 축조한다. 상기 슬립폼, 상부 작업대 부분, 중간 작업대 부분, 하부 작업대 부분, 폼상승장치, 탑데크, 탑데크찬넬, 철근가이드, 콘크리트공급시스템, 격자트러스, 요크, 폼판넬, 폼지지부재, 리프트잭, 작업데크, 콘크리트폼, 행잉잭, 와이어로프, 사각파이프, 공간, 구조물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비계 또는 비계가 구비된 메타버스(97)를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비계(40, 280)는 구조물 공사 시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설물, 공사 또는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왕래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 발판,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로 설치한 구조물 등이다. 비계(280)는 비계, 飛階, 아시바, scaffolding, 폼비계, 철재비계, 시스템비계, 알루미늄비계, 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 고소에 임시로 설치된 작업상면 및 그것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총칭, 기둥(281)에 띠장(282)과 장선(283)이 거치된 비계(280), 기둥(281)에 띠장(282)과 장선(283)과 발판(284)이 거치된 비계(280), 기둥(281)에 띠장(282)과 장선(283)과 발판(284)과 계단(285)이 거치된 비계(280) 등이 해당된다. 발판은 판자, 합판, 널재, 판재, 아나방, 구멍철판 등이 사용되는데, 이의 규격 예로는 폭 25cm 이상, 두께 4cm 이상, 길이 2.5∼3.5m 등이 있다. 발판은 경우에 따라 장선에서 20cm 이하로 내밀어 걸치고, 30cm 이상 겹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계의 최하부는 지면에서 2∼3m 높이로 띠장, 장선, 발판 등을 기둥에 수평이 되게 결속하고, 그 위부터는 1.5m 내외 간격으로 설치한다.
비계로는 틀비계, 폼비계, 격자비계, 강관형비계, 통나무비계, 시스템비계 등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강관형비계 또는 통나무비계는 여러 개의 강관 파이프 또는 통나무를 철선, 결속선, 클램프, 조임쇠 등의 연결부재(286)를 이용하여 비계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다. 보통 비계(280)는 수직재(281), 수평재(282, 283), 발판(284), 계단재(285), 난간대, 횡대, 수직 보호망, 조립부재인 클램프 및 연결핀(286) 등의 부자재를 인력이 일일이 지상에서 인양 소운반하여 공중에서 매달려 설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시스템비계는 상기 비계 프레임의 일부 구성이 완성된 형태로 되어 비계 설치 시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는 비계로서, 구조물의 외벽을 따라 설치되는 지지부(281)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발판부(284)와 및 작업자가 상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계단부(285)가 포함되는 비계 등이 해당된다. 상기 비계, 가설물, 가설 발판, 구조물, 기둥, 띠장, 장선, 발판, 계단, 판자, 합판, 널재, 판재, 아나방, 구멍철판, 결속선, 클램프, 조임쇠, 연결부재, 수직재, 수평재, 발판, 계단재, 난간대, 횡대, 수직 보호망, 조립부재, 클램프, 연결핀, 부자재, 지지부, 발판부, 계단부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비계 내지 계단부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삼각대, 거치대, 조립대, 메타버스 등(44, 45)의 모식도이다. 상기 삼각대, 거치대, 조립대 등(44, 45)은 a) 삼각대(44), 삼발이(44), 거치대, 지지대(44, 45), 격자대, 격자틀(45), 조립대, 조립틀, 조립세트, 촬영대(44), 틀(45), 1m 이상 높이의 틀, 폴대, 봉, 셀카봉, 탑, 타워, 비계, 고층탑, 고층타워, 사다리(45), 유압식 삼각대, 폴식 삼각대, 촬영기 거치대(44), 카메라 거치대(44), 촬영기 지지대, 카메라 지지대, 측량기 삼각대(44), 접이식 삼각대, 조립식 삼각대, 접이식 격자대, 접이식 격자틀(45), 접이식 거치대, 조립식 거치대, 현장이나 공장에 거치된 삼각대(44), 현장이나 공장에 거치된 거치대(44), 현장이나 공장에 거치된 조립대(45), tripod, 트라이포드(44); b) 이동형의 상기 삼각대 내지 트라이포드; c)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된 상기 삼각대 내지 트라이포드; d)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삼각대 내지 복합대 등에는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통신장치 내지 디스플레이 등의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이의 실시예로는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구비된 삼각대를 현장이나 공장에 비치하여 작업 중에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이 수행한 영상이나 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송신하여 서버, 핸드폰, 화면,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으로 수신하여 상기 영상이나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살펴보아 현장, 공장, 작업, 공사, 건축, 안전, 방역, 환경, 품질, 공기질, 대기질 등을 관리하는 것이다.
상기 삼각대, 거치대, 조립대 등(40, 44, 45)의 예로는 a) 다리(631), 2발 다리, 3발 다리, 4발 다리(631); b) 격자(632), 프레임, 조립체, 조립대, 1m 이상의 조립대(632); c) 상기 다리 내지 조립대 등의 하부에 거치된 바퀴 또는 이동수단(633); d) 상기 다리 내지 조립대 등의 상부에 거치된 받침대(634); e)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거치된 서포트(635); f) 상기 다리 내지 서포트 등의 상부에 거치된 안착대(636); g) 상기 안착대에 안착된 거치된 카메라(14); h) 상기 다리 내지 카메라 등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637); i) 상기 다리 내지 회전수단 등에 구비된 관절, 절곡, 마디, 연골, 연성대, 자바라, 접이대, 출입대, 스프링, 인장수축대(638); j) 상기 다리 내지 회전수단 등에 형성된 포켓(20'); k) 상기 다리 내지 포켓 등에 구비된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ℓ) 상기 다리 내지 제어기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하드웨어(80); m) 상기 다리 내지 하드웨어 등에 연계되는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n) 상기 다리 내지 핸드폰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50), 통신망(60), 스마트폰(95), 디스플레이(95); o) 상기 서버 내지 디스플레이 등에 구현되는 플랫폼(96), 메타버스(97); p) 상기 다리 내지 메타버스 등이 구비된 시스템(1), 관리시스템, 가상시스템, 안전시스템; 등이 해당 또는 포함된다. 상기 삼각대, 거치대, 조립대, 다리 내지 안전시스템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삼각대 내지 안전시스템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42), 모빌리티(42), 장비(41), 시설(40), 필드수단(40), 메타버스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의 드론 내지 메타버스 등에는 a) 저장고(460), 호퍼(461), 혼합기(462), 회전날개(410) 등이 구비된 혼합기(462), 펌프 또는 가압기(463), 호스(464), 자기장이 발생되는 코일(416)이 구비된 호스(464), 노즐 또는 분사기(466), 운반기, 이송기, 펄스기, 주입기, 주사기, 주유기, 타설기, 포설기, 포장기, 다짐기, 배양기, 발효기, 부숙기, 선별기, 파쇄기, 탈수기, 건조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여과기, 방류기, 집진기, 양생기, 면처리기; b)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등이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비, 공사장비, 제조장비 등은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론 내지 필드수단,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등에 의하여 일정의 물질, 재료, 자재 등(480)이 a) 저장, 투입, 혼합, 펌핑, 가압, 분사, 운반, 이송, 주입, 주사, 주유, 타설, 포설, 포장, 다짐, 배양, 발효, 부숙, 선별, 파쇄, 탈수, 건조, 폭기, 반응, 응집, 여과, 방류, 집진, 양생, 면처리; b)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드론 내지 필드수단, 저장고 내지 복합기, 저장 내지 복합; b) 이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등의 기구(10); c) 상기 드론 내지 기구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비(50), 통신망(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핸드폰(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d) 상기 저장 내지 복합 등의 영상이 방영되는 단말기(90), 핸드폰(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이 이용 또는 적용 또는 연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드론 또는 모빌리티(42)는 상기 장비, 장치, 시설, 저장고 내지 복합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을 이동시키는, 또는 등이 장착되는, 또는 상기 장착에 의하여 상기 저장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등을 하는 드론, drone, 무인드론, 모빌리티, 모빌리티기, 무인비행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론 또는 모빌리티 예로는 a) 날개(534), 회전날개, 프로펠러(534), 4개 프로펠러, 다수 프로펠러 중 하나와 본체(530, 531)로 구성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b) 상부 날개(534) 및 하부 본체(530)로 구성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c) 상기 본체(530)의 비행을 위한 추력을 위하여 아래 방향의 하향류, 뒤 방향의 배향류 등을 생성하는 날개, 프로펠라 등(534)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d) 상기 본체(530)의 하부로 바람을 보내는 하향류에 의하여 상승 비행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e)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바람을 보내는 배향류에 의하여 수평 비행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f) 상기 하향류, 배향류 등에 의하여 3차원 비행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 g) 상기 날개, 프로펠러 등(534)을 회전시키는 모터(535), 이에 연결된 전선, 이에 연계된 건전지, 충전기, 충전지, 충전카, 플러그, 콘센트, 밧데리, 발전기, 태양전지, 태양발전기, 풍차, 풍력발전기 등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h) 상기 프로펠러(534)에 구비된 거치대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i) 상기 거치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본체(530)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j) 상기 본체(530), 프로펠러(534), 이중 하나 상부, 하부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면서 태양, 상기 하향류, 배향류, 비행에 의한 바람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j1)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 j2) 회전하는 회전체, 이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등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k) 상기 발전기는 중심의 회전자(전자석)와 외부를 감싸는 고정자(철심)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인 드론 또는 모빌리티, ℓ) 상기 j2) 회전체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상기 k) 회전자(전자석)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m) 상기 회전자(전자석)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상기 k) 발전기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n) 상기 회전체, 이의 외주, 상부, 하부, 상부외주, 하부외주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면서 상기 하향류, 배향류,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유입, 유출, 유입유출 중 하나를 시키는 원추형 중공 가이드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o) 상기 생성 전기를 직류, 교류 등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구비 드론 또는 모빌리티, p) 상기 생성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파워서플라이어 등 구비 드론, q) 카메라, CCTV, 영상장치, 촬영장치, 모니터, 등, 전등, 등불, 점멸등, 라이트, 헤드라이트, 조명장치, 운전기, 조정기, 컨트롤러, 원격조정기, 리모트컨트롤러 등이 구비된 드론 또는 모빌리티 등이 해당된다.
상기 드론 또는 모빌리티(42)의 예로는 a) 몸체(531) 또는 저장고(531) 또는 객실(531), 이의 측면에 지지대(532)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본체부(530), 날개(534)와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535)가 포함되는 추진부(533), 다리(537)와 바퀴(538)가 포함되는 랜딩부(536), 상기 날개 또는 모터 또는 모빌리티를 조정하는 조정기 또는 원격조정기(539); b) 상기 몸체 또는 본체부에 구비되는 운전실, 탑승대, 탑승실, 객실, 여객실, 승객실; c)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에 구비되는 운전대; d) 상기 몸체 내지 승객실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의자, 좌석, 책상, 식당, 카페; e) 상기 몸체 내지 카페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로봇, 센서, 측정기, 카메라, CCTV, 조정기, 원격조정기(539), 화물실, 화물칸, 적재대, 적재함, 물품보관함, 배달물보관함, 택배물보관함; f) 상기 운전대 또는 조정기(539)를 조작하는 사람(542), 로봇(542); g)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구비된 상기 몸체 내지 로봇; h) 상기 몸체 내지 로봇 등에 구비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드론 또는 모빌리티(42)이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펄스기, 폭기기, 가압기, 와류기, 방전기, 전해기, 자화기, 진동기, 기능기, 오존기, 음이온기, 케비테이션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등(450)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모식도에 대한 메타버스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펄스기 내지 복합기 등은 1) 제1중공체, 상기 제1중공체에 내장된 제1자성체, 상기 자성체가 부착된 부착판, 상기 부착판에 이격된 제2자성체, 상기 제2자성체에 이격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에 이격된 제2전극, 상기 제2전극에 병합된 제1오존기, 상기 제1오존기에 병합된 제1음이온기,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제1전선, 상기 제1전선에 순차 연결되는 제1플러그, 제1콘센트, 제1AC/DC변환기, 제1전원공급기;
2) 상기 제1중공체에 이격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제2중공체, 상기 제2중공체에 내장된 2개의 제3자성체, 상기 2개의 사이에 거치된 코어체, 상기 코어체를 감싸는 제1코일체, 상기 코어체 및 제3자성체으로부터 이격된 이격판, 상기 이격판에 이격된 제3전극, 상기 제3전극에 이격된 제4전극, 상기 제4전극에 병합된 제2오존기, 상기 제2오존기에 병합된 제2음이온기, 상기 제3전극과 제4전극에 연결되는 제2전선, 상기 제2전선에 순차 연결되는 제2플러그, 제2콘센트, 제2AC/DC변환기, 제2전원공급기;
3) 상기 제2중공체에 이격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제3중공체, 상기 제3중공체에 내장된 일정판, 상기 일정판의 양단에 거치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거치판, 상기 거치판에 부착된 제4자성체, 상기 제4자성체와 거치판을 감싸는 제2코일체, 상기 거치판에 이격된 제5전극, 상기 제5전극에 이격된 제6전극, 상기 제6전극에 병합된 제3오존기, 상기 제3오존기에 병합된 제3음이온기, 상기 제5전극와 제6전극에 연결되는 제3전선, 상기 제3전선에 순차 연결되는 제3플러그, 제3콘센트, 제3AC/DC변환기, 제3전원공급기;
4) 상기 제3중공체에 이격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방전통, 상기 방전통의 내부에 구비된 제7전극, 상기 제7전극에 이격되는 제8전극, 상기 제8전극에 병합된 제4오존기, 상기 제4오존기에 병합된 제4음이온기, 상기 제7전극과 제8전극에 연결되는 제4전선, 상기 방전통의 외부에 구비된 타격대, 상기 제4전선에 순차 연결되는 제4플러그, 제4콘센트, 제4AC/DC변환기, 제4전원공급기;
5) 상기 방전통에 이격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제4중공체, 상기 제4중공체에 내장된 제3코일체, 상기 제3코일체의 전방에 거치된 유공판, 상기 제3코일체에 이격된 제9전극, 상기 제9전극에 이격된 제5자성체, 상기 제5자성체의 후방에 설치된 필터, 상기 제9전극에 병합된 제5오존기, 상기 제5오존기에 병합된 제5음이온기, 상기 제3코일체과 제9전극에 연결되는 제5전선, 상기 제5전선에 순차 연결되는 제5플러그, 제5콘센트, 제5AC/DC변환기, 제5전원공급기;
6) 상기 제4중공체에 이격되어 거치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전해조, 상기 전해조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 및 음극, 상기 전해조에 채워진 전해액, 상기 전해조의 중간에 구비된 분리막, 상기 음극에 병합된 제6오존기, 상기 제6오존기에 병합된 제6음이온기, 상기 양극 및 음극에 연결되는 제6전선, 상기 제6전선에 순차 연결되는 제7플러그, 제6콘센트, 제6AC/DC변환기, 제6전원공급기;
7) 상기 전해조에 이격되어 거치된 또는 별도로 구비된 제5중공체(437); 8) 상기 중공체에 속하는 조, 漕, 통, 함, 函, 튜브, 원통, 박스, 사일로, 저장통, 속빈통, 중공체, 중공통; 9) 상기 제5중공체(437)에 내장된 기능기(430)인 제1자화기(431), 제1진동기(432), 제1가진기, 제7오존기, 제7음이온기, 자기장기(430); 10) 상기 제5중공체의 전단에 거치된 유입구(472), 일정의 물질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 11)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거치된 제1벤츄리관(477), 상기 제1벤츄리관의 측면에 거치된 제1인젝터, 일정의 첨가제가 유입되는 상기 제1인젝터(393); 12) 상기 제1중공체, 제2중공체, 제3중공체, 방전통, 제4중공체, 전해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481)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472); 13) 상기 제5중공체의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 상기 기능기의 거치대, 와류 형성 거치대, 삼발이형 거치대, 나성형 거치대,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나선형 거치대(112), 상기 중공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능기(430)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중공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능기(430)의 양단에 거치되어 상기 기능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중공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능기(430)의 양단에 거치되어 상기 기능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중공체의 내부를 통과하는 물질을 와류하는 기능을 가진 지지대;
14) 상기 제5중공체(437)의 후단에 순차 거치된 티이관(475), 제2벤츄리관(477), 유출구(478); 15) 상기 유입구(472)에서 유입된 물질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16) 상기 제5중공체의 측면에 거치된 제3벤츄리관(477), 상기 제3벤츄리관의 측면에 거치된 인젝터2(393), 일정의 첨가제(485)가 유입되는 상기 인젝터2; 17) 상기 티이관(475)의 중간(490)에 순차적으로 거치된 제1체크밸브(491), 제1솔레노이드밸브(492), 제4벤츄리관(477), 압기유입구(472), 압기호스(471), 콤프레서(470); 18) 상기 콤프레서에서 생성된 압기(483, 壓氣, 압축공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 또는 음이온(482), 기타 투입되는 첨가제(484) 등이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상기 압기유입구(472), 제4벤츄리관(477), 제1솔레노이드밸브(492), 체크밸브(491), 티이관(475); 19) 상기 티이관(475)을 통하여 상기 압기(483, 壓氣), 오존(482), 음이온(482), 기타 첨가제(484) 등이 유입된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여기서 상기 압기유입구(472)와 하기의 오존유입구(494)는 파이프, 벤츄리관 등으로 연결이 가능하여 상기 압기유입구로 오존, 음이온 등이 유입될 수 있음; 20) 상기 제2벤츄리관(477)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거치된 제3인젝터(393), 제2체크밸브(491), 제2솔레노이드밸브(492), 오존유입구(494), 오존깔대기(495), 오존발생기(496); 상기 오존기, 음이온기, 오존발생기 등은 오존, 음이온, 불꽃, 불똥, 스파크 등을 발생, 생성, 조성, 형성, 공급, 제공, 방사, 조사, 분사 등으르 하는 장치임;
21) 상기 오존발생기(496)에서 발생된 오존 또는 음이온(482)이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상기 오존깔대기(495), 오존유입구(494), 제2솔레노이드밸브(492), 제2체크밸브(491), 인젝터(493), 제2벤츄리관(477); 여기서 상기 압기유입구(472)와 오존유입구(494)는 파이프, 벤츄리관 등으로 연결이 가능하여 상기 오존유입구로 압기가 유입될 수 있음; 22) 상기 제2벤츄리관(477)를 통하여 상기 오존 또는 음이온(482)이 유입된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23) 상기 오존깔대기를 거친 오존 또는 음이온을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에 유입시키는 상기 오존유입구(494); 24)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 또는 음이온을 상기 오존유입구에 집속시키는 상기 오존깔대기(495); 25) 오존 또는 음이온(482)을 발생하는 상기 오존발생기(496); 26)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499); 27)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거치된 제1호스;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거치된 제2호스; 28) 상기 제2호스에 연계되는 제1노즐(466), 제1분사기(466), 충돌판(467) 및 확산콘(468)이 구비된 제1노즐(466), 내부에 충돌판(467)과 선단에 확산콘(468)이 구비된 제1노즐, 내부에 와류판(467)과 선단에 확장부(468)가 구비된 제1노즐(466); 29) 상기 유출구, 제2호스, 제1노즐, 제1분사기 중 하나에 구비된 펠티에소자; 30) 상기 펠티에소자에 의하여 차거나 또는 더운 물질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 제2호스, 제1노즐, 제1분사기; 상기 펠티에소자(열전소자, Peltier effect device, thermoelectric effect device)는 전원을 공급하면 한쪽면은 냉각이 되고 반대쪽의 면은 가열현상이 일어나는 소자임;
31) 상기 유입구(472)와 제5중공체(437)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1(473); 상기 제5중공체(437)와 티이관(475) 사이에 거치된 엘보관2(474); 32) 상기 엘보관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5벤츄리관(477), 상기 제5벤츄리관의 측면에 거치된 제3인젝터(393), 일정의 첨가제(485)가 유입되는 상기 제3인젝터; 33) 상기 티이관과 제2벤츄리관의 사이에 거치된 제1파이프(476), 상기 제2벤츄리관와 유출구의 사이에 거치된 제2파이프(476); 34) 상기 제1체크밸브과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사이에 거치된 제3파이프(476),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과 제4벤츄리관의 사이에 거치된 제4파이프(476), 상기 제4벤츄리관와 압기유입구의 사이에 거치된 제5파이프(476); 35) 상기 인젝터와 제2체크밸브의 사이에 거치된 제6파이프(476), 상기 제2체크밸브와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사이에 거치된 제7파이프(476),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오존유입구의 사이에 거치된 제8파이프(476); 36) 상기 제1파이프 내지 제8파이프 중 하나에 순차적으로 거치된 제3체크밸브(491), 펌프(463), 저장고(475); 37) 일정의 첨가제(485)가 저장된 상기 저장고(475); 38) 상기 저장고(475), 펌프(463), 제3체크밸브(491)을 통하여 첨가제(485)가 유입되는 상기 제1파이프 내지 제8파이프(476); 39) 상기 제1파이프 내지 제8파이프 중 하나(476)를 통하여 상기 첨가제(485)가 유입된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40) 상기 압기(483), 오존 또는 음이온(482), 첨가제(485), 기타 첨가제(484) 등이 유입된 물질(80)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78);
41)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92)과 제2솔레노이드밸브(492)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498); 42) 타이머의 조정에 의하여 밸브가 일정한 간격으로 개폐를 반복하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과 제2솔레노이드밸브(492); 43)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497); 44)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473); 45) 상기 배전반에 순차 연계된 전선7(468), 플러그7(410), 콘센트7(411), 전원공급기7; 46) 상기 7) 제5중공체 내지 45) 전원공급기7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제1케이스(451), 상기 7) 제1중공체 내지 46) 제1케이스 등으로 구성된 장치(450); 47) 상기 1) 제1중공체 내지 46) 제1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제2케이스; 48) 상기 타이머(498)의 개폐간격 조정에 의하여 벨브의 개방 시에 상기 압기(483)가 통과되고, 벨브의 폐쇄 시에 상기 압기(483)가 통과되지 않는 공정이 2회 이상 반복되도록 하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92); 49) 상기 타이머(498)의 개폐간격 조정에 의하여 벨브의 개방 시에 상기 오존 또는 음이온(482)이 통과되고, 벨브의 폐쇄 시에 상기 오존 또는 음이온(482)이 통과되지 않는 공정이 2회 이상 반복되도록 하는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
50) 상기 통과된 압기,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유입되어 폭기된 물질(80)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51) 상기 비(非) 통과에 의하여 상기 압기,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유입되지 않아 비(非) 폭기된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52) 상기 폭기와 비(非)폭기가 2회 이상 반복되는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53) 상기 2회 이상 반복에 의하여 펄스압이 발생되는 물질(481)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54) 상기 타이머(498)에 의하여 조정되는 개폐간격에 의하여 상기 개폐간격의 주기로 상기 폭기와 비(非)폭기가 되풀이됨으로 발생되는 펄스압(pulse pressure)이 작용되는 상기 물질(80)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478); 55) 상기 펄스압(pulse pressure)이 발생되도록 하는 펄스기(450); 56) 상기 펄스압(pulse pressure)이 발생되도록 하는 상기 7) 제1중공체 내지 46) 제1케이스; 57) 상기 펄스기(450)를 이루는 상기 7) 제1중공체 내지 46) 제1케이스;
58) 상기 유입구, 파이프, 벤츄리관, 유출구 중 하나 이상의 내부에 거치된 연수기, 압전기, 전해기, 열전기; 59) 상기 폭기, 펄스압, 물질의 흐름압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상기 압전기; 60) 상기 발생된 전기가 공급되는 상기 전극, 양극, 음극, 연수기, 전해기, 열전기, 전원공급기; 61) 상기 전기에 의하여 상기 물질을 전기분해하는 상기 전극, 양극, 음극, 전해기; 62) 상기 전해기에 포함되는 양극, 음극; 63) 상기 물질에 포함되는 H2O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발생되는 H+, OH-, Na+, Cl-, NaOCl, 산소(O2), 수소(H2), O2와 H2의 가스, O2와 H2에 의한 버블, OH라디칼; 64) 상기 H+ 내지 OH라디칼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물질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
65) 일정의 전기가 공급되는 상기 전극 내지 전원공급기; 66) 상기 전기에 의하여 전기방전하는 상기 전극, 양극, 음극, 방전통; 67) 상기 전기에 의하여 전기분해하는 상기 전극, 양극, 음극, 전해조, 전해기; 68) 상기 전기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압전기; 69) 상기 진동에 의하여 상기 물질을 진동시키는 상기 압전기; 70) 상기 파이프, 유출구, 제1노즐, 제1분사기 중 하나에 구비된 나선, 자화기2, 진동기2, 가진기2; 71) 상기 물질을 와류하는 상기 나선, 상기 물질을 자화하는 상기 자화기2, 상기 물질을 진동하는 상기 진동기2, 상기 물질을 가진하는 상기 가진기2; 72) 상기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 케이스의 외부 중 하나에 구비된 방전기, 살균기, 소독기, 오존기8, 음이온기8; 73) 상기 방전기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또는 가시광선, 살균 기능을 가진 상기 스파크 또는 가시광선, 상기 살균기에서 발생되는 살균제, 상기 소독기에서 발생되는 소독제, 상기 오존기에서 발생되는 오존, 상기 음이온기에서 발생되는 음이온;
74) 상기 유출구, 호스, 제1노즐, 제1분사기 중 하나에 구비된 사이클론(486); 75) 상기 사이클론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된 제6벤츄리관, 상기 전방에 구비된 제6벤츄리관에 거치된 인젝터6, 일정의 첨가제가 유입되는 상기 인젝터6, 상기 인젝터6를 통하여 유입된 첨가제가 함유된 물질이 배출되는 상기 사이클론(486); 76) 일정의 물질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 상기 물질이 유출되는 상기 유출구; 77) 상기 유출구를 거친 물질이 원심 회전하여 배출되는 상기 사이클론, 상기 사이클론의 상부 배출구(487); 78) 상기 상부 배출구에 연계되는 제2노즐, 제2분사기; 79)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 배출구(488), 상기 사이클론의 원심회전에 의하여 분리된 중량물 또는 조립자가 낙하되는 상기 하부 배출구, 상기 중량물 또는 조립자가 제거된 경량물 또는 세립자가 포함되는 물질이 유출되는 상기 상부 배출구, 상기 하부 배출구에 거치된 탱크(475);
80) 상기 유입구, 관, 파이프, 밸브, 벤츄리관, 유출구, 노즐, 분사기,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의 물체에 거치된 케이블; 81) 상기 물체 또는 케이블에 부착되어 상기 물체의 부식을 방지하는 희생전극, 희생양극; 82) 상기 희생전극 또는 희생양극으로 사용되는 아연체, 알루미늄체; 83) 상기 물체가 부식되기 전에 먼저 부식되어 희생되는 상기 희생전극, 희생양극; 84) 상기 물체보다 이온화 또는 이온화경향이 빨라 상기 물체보다 먼저 부식되어 희생되는 상기 희생전극, 희생양극; 85) 상기 희생전극 또는 희생양극에 의하여 방식 또는 보호되는 상기 물체, 유입구 내지 사이클론; 86) 상기 1) 제1중공체 내지 85)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제3케이스; 87) 상기 1) 제1중공체 내지 86) 제3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되는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10), 자화기 내지 기능기(430), 칩 내지 복합요소(420), 기(器) 내지 복합기(421), 수단 내지 복합수단(5); 88) 상기 1) 제1중공체 내지 87) 복합수단 등에 구비되는 상기 펄스기 내지 복합기;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또는 상기 펄스기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되는 상기 제1중공체 내지 복합수단; 89) 상기 제1중공체 내지 복합수단 등에 주입되는 공기, 압기, 오존, 물질, 음이온, 첨가제, 펄스압; 또는 공기, 압기, 오존, 물질, 음이온, 첨가제, 펄스압 등이 주입되는 상기 제1중공체 내지 복합수단; 90) 상기 제1중공체 내지 복합수단 중 하나에 구비되는 콘, 망, 봉, 틀, 나선; 또는 콘, 망, 봉, 틀, 나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상기 제1중공체 내지 복합수단; 91) 상기 1) 제1중공체 내지 89) 복합수단 등에 연계되는 통신장치, 통신망, 서버, 단말기,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디스플레이; 등이 이용 또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내용은 상기 펄스기 내지 복합기 등은 1) 제1중공체 내지 91) 디스플레이 등이 이용 또는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29에는 중공체(437), 전해기(501), 벤츄리(477), 사이클론(486) 등의 예를 보여준다. 상기 중공체(437)의 내부에는 거치대(112), 와류거치대(112), 통과수를 와류하는 거치대(112), 회전거치대(112), 통과수를 회전시키는 거치대(112), 중공체를 통과하는 물질을 회전시키는 거치대(112), 몸체와 발로 구성된 거치대(112), 몸체와 나선발로 구성된 거치대(112), 몸체와 이에 장착되는 4개의 나선형 발로 구성된 거치대(112), 몸체와 이에 장착되는 4개의 나선형 발로 구성되어 중공체를 통과하는 액체를 나선형 발로 회전시켜 폭기시키는 거치대(112), 하기 배플 내지 연결대 등을 중공체(437) 내부에 거치하는 거치대(112), 배플(502), 배플판(502), 배플플레이트(502), 중공체를 통과하는 물질과 충돌하는 배플(502), 중공체를 통과하는 물질과 충돌하여 물질을 폭기하는 배플(502), 자화기(431), 중공체를 통과하는 물질에 자기장을 가하는 자화기(431), 중공체를 통과하는 물질에 자기장을 가하는 물질을 폭기시키는 자화기(431), 배플(502)의 상하부에 부착된 자화기(431), 자화기(431)가 양면에 부착된 배플(502), 콘(210), 상기 물질을 자신의 중공홀로 통과시키면서 폭기하는 콘(210), 망(211), 상기 물질을 자신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으로 통과시키면서 폭기하는 망(211), 봉(212), 상기 물질과 충돌하여 폭기하는 봉(212), 틀, 상기 물질을 자신에 형성된 격자로 통과시키면서 폭기하는 틀, 나선(214), 상기 물질이 자신의 굴곡부를 통과하면서 폭기하는 나선(214), 이중 둘 이상을 연결하는 줄, 선, 실, 사, 연결대(503)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배플(502)은 판, 막, 원판, 시트, 배플, baffle, 배플체, 배플판, 배플원판, 배플플레이트, 충돌판, 충격판, 통과수와 충돌하는 판, 중공체를 통과하는 물질과 충돌하는 판, 중공체를 통과하는 물질과 충돌하여 물질을 와류하는 판 등이다.
상기 전해기(501)는 상기 1) 제1중공체 내지 90) 디스플레이, 이중 하나의 내부 등에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해기는 전해조, 전해액, 전극, 양극, 음극, 전극 사이에 거치되는 막, 분리막,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 이에 연결되는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해기(501)에서는 H+, OH-, Na+, Cl-, NaOCl, 산소(O2), 수소(H2), O2와 H2의 가스, O2와 H2에 의한 버블, OH라디칼 등이 발생되고, 여기서 산소(O2), 수소(H2) 등에 의하여 상기 물질이 폭기되고, NaOCl, OH라디칼 등에 의하여 상기 물질이 소독된다.
상기 벤츄리(477)에는 상기 거치대 내지 연결대 등의 구비가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벤츄리를 통과하는 물질이 폭기, 와류, 소용돌이 등이 된다. 상기 벤츄리는 벤츄리, 벤츄리관, venturi, 내부에 축소부가 있는 관, 중간에 축소부가 있는 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벤츄리의 인젝터(393)에는 선단의 단턱, 이에 접촉되는 판, 이에 거치된는 볼, 이에 거치된 스프링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여기서 인젝터(393)를 통하여 벤츄리(477)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질은 상기 단턱에 접촉된 판이 이격되어 이의 이격부 사이로 물질이 투입되나, 벤츄리 내의 물질이 인젝터의 외부로 유출되려고 하는 경우에는 상기 판이 상기 단턱에 압착되어 벤츄리 내의 물질이 인젝터의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체크밸브의 원리이기도 하다.
상기 사이클론(486)은 a) 상기 유입구, 중공체, 관, 파이프, 밸브, 벤츄리, 유출구, 벤츄리관; b) 이중 하나의 측면(487), 측부(487), 측방(487), 우측, 좌측; c) 이중 하나에 형성된 홀(487), 구멍(487), 슬롯(487), 인젝터(487); 등에 공기, 압기, 오존, 음이온, 첨가제, 압축공기, 펄스압 등을 주입하여 상기 유입구 내지 벤츄리관 등을 통과하는 물질을 회전, 와류, 폭기, 소용돌이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사이클론은 사이클론, cyclone, 사이클론기, 사이클론체, 사이클론장치, 사이클론장비, 사이클론회전기, 사이클론폭기기 등이다.
상기 제1중공체, 제2중공체, 제3중공체, 제4중공체, 제5중공체, 제1케이스(451), 제2케이스, 제3케이스, 1) 제1중공체 내지 86) 제3케이스 등에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상기 제1중공체, 제2중공체, 제3중공체, 제4중공체, 제5중공체, 제1케이스, 제2케이스, 제3케이스, 1) 제1중공체 내지 86) 제3케이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상기 제1중공체에 센서 구비, 제2중공체에 칩 구비, 제3중공체에 판 구비, 제4중공체에 압전기 구비, 제5중공체에 반도체 구비, 제1케이스(451)에 허브 구비, 제2케이스에 진자 구비, 제3케이스에 모뎀 구비, 수단에 중공체 1 구비, 장비에 제2중공체 구비, 크레인에 제3중공체 구비, 저장고에 제4중공체 구비, 드론에 제5중공체 구비, 메타버스에 제1케이스(451) 구비, 하우스에 제2케이스 구비, 복합수단에 케이스 3 구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제1중공체, 제2중공체, 제3중공체, 제4중공체, 제5중공체, 제1케이스(451), 제2케이스, 제3케이스, 1) 제1중공체 내지 86) 제3케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공체는 조, 통, 함, 집, 백, 박스, 원통, 탱크, 포켓, 포대, 주머니, 사일로, 파우치, 중공체, 중공통, 사각통, 케이스, 하우스, 하우징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제1중공체, 제2중공체, 제3중공체, 제4중공체, 제5중공체, 제1케이스, 제2케이스, 제3케이스, 1) 제1중공체 내지 86) 제3케이스; b) 상기 제1중공체 내지 제3케이스 등의 유입구, 유출구, 호스, 파이프, 벤츄리관; c)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질, 상기 유출구로 유출되는 물질; d) 상기 유입구, 유출구, 호스, 파이프, 벤츄리관 등을 거친 물질; e)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센서, 장비, 장치, 기구, 수단, 기기, 드론, 카메라, 계측기; f) 상기 중 하나 이상을 통과한 물질, 재료; g) 상기 물질이나 재료가 이용되는 자재, 제품, 상품, 용품; h)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작업, 업무,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i)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시설, 건물, 주택, 도로, 구조물; j)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안전, 품질, 청정, 정화, 퓨리, 살균, 소독, 관리, 처리; k) 상기 중 하나의 방법, 공법, 방안, 기술, 시스템; ℓ) 상기 중 하나를 하는 사람, 인간, 동물, 생물, 로봇, 드론, 아바타; m)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IT, IC, AI, VR, AR, MR, XR, 5G, DX, ICT, NFT, IoT, IoE, AIoT, BIM, LTE, 센서, 계측기, 바이오, 반도체, 딥러닝, 머신러닝, 빅데이터, 웨어러블장치; n) 상기 중 하나 이상에 또는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o)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비콘, 공유기, 통신장치, 서버, 클라우드; p)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앱, 단말기, 컴퓨터, SNS, 플랫폼, 핸드폰, 미디어, 메타버스; 등의 이용이나 구현이 가능하다.
a) 상기 제1중공체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장착;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에 구비,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이 구비; 상기 제1중공체 내지 클라우드 등이 이용;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거치;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기;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생성;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기; 등이 되는 제1중공체이다. b) 상기 제5중공체의 예로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등이 거치되고; 상기 칩 내지 복합요소 등이 구비되고; 상기 기(器) 내지 복합기 등에 장착되고;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정착되고;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을 하고;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을 방사하고;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제5중공체이다. c) 상기 제1케이스의 예로는 상기 오존기와 음이온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기장발생과 미스트발생을 하고; 상기 전자기와 연무를 발생하고; 상기 발광처리와 웨이브처리를 하는 제1케이스이다. d) 상기 카메라의 예로는 상기 제1중공체과 제1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청정과 소독을 하고; 상기 음파와 펄스를 발생하고; 상기 열가변저항처리와 자기장처리를 하는 카메라이다. e) 상기 LTE의 예로는 상기 제1중공체에 연계, 상기 제1케이스에 연계, 정보 송신 중에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되기; 정보 수신 중에 상기 진동물 내지 오존물 등이 공급; 정보 무선통신 중에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되기; 등이 되는 LTE이다. f) 상기 WiFi의 예로는 상기 제1중공체에 구비된 센서에 연계, 상기 제1케이스에 장착된 계측기에 연결, 상기 센서 및 계측기의 정보를 송신, 상기 연계 중에 상기 자화 내지 기능 등이 추가; 상기 연결 중에 상기 자화물 내지 기능물 등이 추가; 상기 송신 중에 상기 자화처리 내지 기능처리 등이 추가; 등이 되는 WiFi이다. g) 상기 드론의 예로는 제1중공체, 이의 유입구에 유입되는 물질, 상기 제1중공체에서 폭기되는 상기 물질, 상기 제1중공체의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물질, 상기 제1중공체이 내장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압전기, 상기 압전기에 의한 전기 발생, 상기 전기가 인가되는 상기 제1중공체에 내장된 자화기, 상기 자화기에 의한 자기장 발생, 상기 압전기의 주변에 거치된 오존기, 상기 오존기에 의한 오존 발생, 상기 자기장에 의한 상기 물질의 자화, 상기 오존에 의한 살균 등이 이용되는 드론이다. h) 상기 메타버스의 예로는 제1중공체, 이의 유입구에 유입되는 물질, 상기 제1중공체에서 폭기되는 상기 물질, 상기 제1중공체의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물질, 상기 제1중공체이 내장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압전기, 상기 압전기에 의한 전기 발생, 상기 전기가 인가되는 상기 제1중공체에 내장된 자화기, 상기 자화기에 의한 자기장 발생, 상기 압전기의 주변에 거치된 오존기, 상기 오존기에 의한 오존 발생, 상기 자기장에 의한 상기 물질의 자화, 상기 오존에 의한 살균 등이 구현되거나 보여지는 메타버스이다. i) 상기의 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상기 제1중공체, 제2중공체, 제3중공체, 제4중공체, 제5중공체, 제1케이스(451), 제2케이스, 제3케이스, 1) 제1중공체 내지 86) 제3케이스, 기(器) 내지 복합기, 칩 내지 복합요소,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실시 예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펄스기, 기능기 등(450)의 유출구(478), 후단 등에 펌프 또는 가압기(463), 필터 또는 청정기, 노즐 또는 분사기(46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펌프 또는 가압기(463)는 기능기(450)의 통과 물질을 펌핑 또는 가압하는 것이고, 필터 또는 청정기는 기능기(450)의 통과 물질을 여과하는 것이고, 노즐 또는 분사기(466)은 기능기(450)의 통과 물질을 분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능기(450)의 입구, 전단, 유입구 등(472)에는 호스, 유입호스, 펌프 또는 가압기(463)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입구, 전단, 유입구, 호스, 유입호스 등에는 관, 관로, 수도관, 압력관, 수도시설, 수돗물이 공급되는 수도관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기능기(450)의 호스, 파이프, 벤츄리관; 이중 하나의 측면, 외부, 중간; 에는 저장고(475), 펌프(463), 체크밸브(491), 파이프(476) 등이 구비되어 저장고 내의 물질, 첨가제(485) 등이 펌프, 체크밸브, 파이프 등을 통하여 상기 기능기(450), 호스, 파이프, 벤츄리관 등에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출구, 호스, 노즐, 분사기 등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질(481)은 펄스, 폭기, 가압, 와류, 방전, 전해, 자화, 진동, 케비테이션, 압기(483) 주입, 펄스압 주입, 오존(482) 주입, 음이온(482) 주입, 첨가제(484, 485) 주입 등이 된다.
본 발명에서 청정기는 청정기, 정화기, 여과기, 정수기, 청소기, 세척기, 세정기, 세차기, 세탁기, 흡착기, 포집기, 폭기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살균기, 소독기, 여과기, 물대포, 분사기, 송풍기, 처리기, 필터기, 미스트기, 환기설비, 청정시설, 환기시설, 균청정기, 공기청정기, 먼지청정기, 오염청정기, 수질청정기, 폐수청정기, 현장청정기, 폐기물청정기, 지하공간청정기, 새집증후군청정기, 청정하는 장치, 균이나 오염이나 공기를 청정하는 장치, 이중 둘 이상 복합기 등이다.
상기 정화기는 정화기, 정화장치, Clarifier, 공기정화기, 수질정화기, 토양정화기, 공기정화장치, 배수처리에 사용하는 침강 분리장치, 액체 중에 진흙형태의 물질이 탁하게 있는 것을 수평으로 흘려 보내 고형분을 중력에 의해 침강시켜 분리시키는 장치, 공기 속의 먼지나 매연 등을 제거하는 장치, 공기여과기, 공기세척기, 시설의 배기장치, 여과재에 공기를 통과시켜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 실내의 공기를 정화가, 오염된 공기를 대기 속으로 배출하는 장치 공기조화장치, 공기여과기, 에어 필터, 공기세척기, 에어 와셔, 집진장치, 먼지의 농도가 공기 1m3 중 7mg 이상일 경우에 하는 집진(集塵)장치, 그 이하일 경우에 하는 공기정화장치, 0.5∼5μm 키기의 먼지를 제거하는 정화장치, 공기정화장치, 공기여과기, 직물여과재, 종이필터, 유리섬유 여과재(濾過材), 공기의 흐름 속에 대량의 물을 내뿜어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세척기, 공기조화장치, 전기로 먼지를 대전(帶電)시킨 다음 고전압을 인가한 극판(極板)에 부착시켜서 세척하는 전기집진기(電氣集塵器), 가스나 연기를 흡착하는 활성탄(活性炭) 등이다.
상기 정수기는 정수기, 여과기, 필터정수기, 여과정수기, 이온정수기, 알카리정수기, 전기분해정수기, 전해조 구비 정수기, 유입 호스와 필터와 냉온기와 취수 꼭지로 구성된 정수기, 산성수는 배출되고 알카리수는 필터와 냉온기와 취수 꼭지를 통하여 취수되는 정수기, 생수통의 물을 냉온 배출하는 냉온정수기 등이다.
상기 여과기는 여과기, 濾過器, filter, 탈수기, 여과장치, 필터, filter, strainer, filtration equipment, 스트레이너, 중력식 여과기, 진공식 여과기, 가압식 여과기, 원심식 여과기, 액체를 걸러 내는 데 쓰는 기구, 작은 구멍을 가진 장치에 액체를 넣어서 액체 속의 고형물(固形物)을 분리하는 장치, 액체와 고체를 분리하는 기계, 여과를 하는 장치, 액체나 고체 또는 기체를 분리하는 장치, 물에서 고형 또는 용존 오물을 걸러내는 장치, 원액(原液)을 이송해서 여과를 하는 기기, 기체용 여과장치, 액체용 여과장치, 펌프 사용 여과기, 소용돌이식 펌프 이용, 캐스캐이드식 펌프 사용, 마그네트 드라이브식 펌프 이용, 압력여과기, 필터프레스, 중력여과기, 重力濾過器, 엽상여과기, 葉狀濾過器, 연속여과기, 회분식(回分式)여과기, 원심여과기, 遠心濾過器, 특수여과기, 다공성 금속을 사용한 고압여과기, 유리섬유 충전층(充塡層)을 여과재로 하는 가압여과기, 여과지를 사용하는 진공여과기, 중력여과장치, gravity filter, 重力濾過裝置, 기계력을 쓰지 않고 자연적인 중력만을 작용시켜 여과하는 중력여과장치, 탱크의 밑바닥보다 조금 위에 여상(filter bottom)을 놓고 그 위에 여과재를 깔고서 탱크 속에 오염수를 주입하여 중력의 작용으로 물이 빠져 나오고 케이크(cake)만 남는 중력여과장치, 압력식 급속여과장치, 壓力式 急速濾過裝置, pressure rapidity filtration equipment, 여과장치를 밀폐해서 수압을 가하여 여과수를 투과시키는 여과장치, 원형의 수직형과 수평형 탱크를 사용하여 급속 여과방식으로 10~20m/hr의 속도로 물을 가압·통과 시켜 여과하는 장치, 활성탄 여과장치, 야자열매껍질(Cocornut shell)를 탄화시켜 고온하에서 증기부활하면 입자내부에 많은 세공이 형성되어 비표면적이 넓고 흡착성이 매우 강한 흑색의 입자인 활성탄, 이것을 활성탄소(Activated Carbon)화 하며 과립형으로 성형돤 입상 활성탄소(Granular Activated Carbon), 이를 충진한 탱크, 이의 내부에 원수를 하향식으로 통과시켜 유기물등을 흡착여과 하는 창치, 여과사(Sand), 여과사리(Gravel), 강도높은 천연산 모래, 자갈, 여과재, 여과천, 카트리지, 활성탄, 규약토, 철망, 직포, 필터, 거름종이, 유리솜, 다공관, 철제, 스테인리스제, 수지제, 철에 고무라이닝을 한 것, 12~30 mesh의 활성탄, 5Å ~ 150Å 의 미세공으로 형성되어 1,000 ~ 1,600 ㎡/1g의 표면적을 갖고 있는 활성탄,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조, 통, 함, 박스, 탱크, 튜브, 중공통, 카트리지 등이다.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기 등에는 a) 필터, 필터통, 여과필터, 프리필터, 침전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막필터, 모래필터, 활성탄필터, 중공사필터, 전처리필터, 후처리필터, 나노필터, 울트라필터, 마이크로필터, 카트리지필터, 이중 둘 이상 복합필터 중 하나와; b) 이의 전, 중, 후, 내부, 외부 중 하나에 거치된 팬, 환기팬, 배기팬, 압기팬, 송풍팬, 풍력팬 중 하나와; c) c1) 센서, 먼지 감지 센서, 오염 감지 센서, 수질 감지 센서, 공기질 감지 센서, 램프, LED램프, 공기질 표시 램프, 오염농도 표시 램프, 먼지농도 표시 램프, 필터교체 알림 램프, 필터교체를 알리는 알람,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것이 표시되는 램프; c2) 또는 먼지 농도, 미세먼지농도, 초미세먼지농도, 오염농도, 가스농도, 온도, 시간, 중금속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인 VOCs 농도, 일산화탄소인 CO 농도, 이산화탄소인 CO2 농도, 바람세기, 바람속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액정 표시부, LCD 액정 표시부; c3) 상기 필터 내지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케이스; c4) 또는 구멍, 나사 구멍, 걸이용 구멍, 정착용 구멍, 벽걸이용 구멍 중 하나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또는 하나 이상이 벽, 문, 창, 창호, 창문, 유리, 천장, 천정, 실내, 실외 중 하나에 구비된 상기 청정기 내지 복합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는 a) 몸체, 유공 몸체, 하부 유공 및 상부 비유공 몸체, 상부 단면이 좁아지는 몸체; b) 이의 몸체 내부에 거치된 모터; c) 회전 날개 또는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 d) 상기 날개의 회전 또는 진공펌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이 유입 또는 통과되는 링노즐, 환노즐, 링형상의 노즐, 속빈 링노즐, 둘레를 따라 틈 또는 슬롯이 형성된 속빈 링노즐, 내측이 곡면 또는 둥근 또는 경사진 속빈 링노즐, 외측이 평평한 속빈 링노즐, 내측이 곡면이고 외측이 평평한 속빈 링노즐, 둘레를 따라 틈이 형성되고 내측이 곡면이고 외측이 평평한 속빈 링노즐, 상기 틈 또는 슬롯으로 상기 바람이 배출되는 상기 노즐; e) 상기 배출된 바람이 빠르게 흐르는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 또는 느리게 흐르는 상기 외측, 평평면; f) 상기 빠름 및 느림에 의하여 상기 외측, 평평면 중 하나보다 기압이 낮은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 g) 상기 빠름, 기압 낮음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주위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 h)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바람과 같이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 중 하나를 통하여 흐르는 또는 송풍되는 링; i) 상기 틈 또는 슬롯이 개방된 또는 향하는 방향으로, 또는 상기 링에서 외부 또는 먼거리 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송풍 공기; j) 상기 송풍 공기가 송풍되는 상기 링;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송풍기이고,
상기 환기시설 또는 환기설비는 후드, 덕트, 굴뚝, 환풍기, 선풍기, 송풍기, 배풍기, 급기구, 배기구, 환기구, 환기통, 급배기구, 환기라인, 급기라인, 배기라인, 급배기라인, 자연환기설비, 강제환기설비, 기계환기설비, 바닥으로부터 2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는 환기구,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1.2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는 환기설비, 건물에 시간당 0.5회 이상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급기구(給氣口)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배기기(排氣機)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정압의 급기기(給氣機)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배기구(排氣口)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일측 또는 바닥에 정압의 급기기와 타측 또는 벽상부에 부압의 배기기로 구성되는 환기설비, 팬 또는 펌프가 구비된 상기 후드 내지 환기설비 등이다.
상기 필터는 필터, filter, 백필터, 필터통, 필터탱크, 막필터, 판필터, 원통필터, 모래필터, 입상재필터, 섬유필터, 카본필터, 수지필터, 세라믹필터, 활성탄필터, 메쉬필터, 프리필터, 포스트필터, 침전필터, 정화필터, 청정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항균필터, 집진필터, 삼투필터, 역삼투필터, 촉매필터, 광촉매필터, 일방향필터, 양방향필터, 울트라필터, 마이크로필터, 멤브레인필터, 중공사막필터; 필터여과재, 여과필터재, 입상필터재, 모래여과재, 활성탄여과재, 여과재필터, 사이클론 전처리 필터, 특수필터, 상기 필터 후에 여과재가 거치되는 필터여과재, 여과재 후에 상기 필터가 거치되는 여과재필터, 여과재와 상기 필터가 혼재된 여과재필터; 상기 필터 중 둘 이상의 복합필터; 상기 중 하나의 필터가 삽입된 필터케이스, 필터카트리지; 상기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가 포함되는 상기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등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제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원료, 물질, 재료, 물, 모래, 자갈, 시멘트, 혼화제 등의 재료(480)가 저장고(460), 호퍼(461), 혼합기(462), 날개(410) 구비 혼합기(462), 펌프(463), 호스(464), 노즐(466), 드론(42), 모빌리티, 형틀(250), 양생기, 경화기, 면정리기, 면처리기 등의 장비(41)에 의하여 저장, 투입, 혼합, 가압, 이송, 분사, 타설, 양생, 경화, 면정리, 면처리 등이 되어 자재(300), 파일, 건물(310), 구조물(310), 자재(300)가 이용되는 건물(310), 자재(300)로 축조되는 구조물(310) 등이 조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자재(300)의 하나인 공장 제조 파일이 조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장비, 자재 내지 구조물, 파일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제조 관련 장면, 영상, 파일, 공정, 정보, 안전, 환경, 방역, 품질, 사람, 장비, 센싱, 계측, 자재, 관리 등은 본 발명의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서 볼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사를 또는 공사 메타버스(97)를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공사는 저장고(460), 호퍼(461), 혼합기(462), 날개(410) 구비 혼합기(462), 펌프(463), 호스(464), 노즐(466), 드론(42), 모빌리티, 형틀(250), 양생기, 경화기, 면정리기, 면처리기, 차량(41, 170), 이중 둘 이상이 순차적으로 조합된 복합기 등으로 구성된 필드수단(40) 또는 장비(41), 이를 거친 콘크리트(480), 콘크리트(480) 타설 등에 의하여 시행이 가능하다. 상기 공사, 형틀 등에 의하여 건물, 시설, 구조물 등(310)이 조성된다. 상기 형틀(250), 건물(310), 시설, 구조물(310) 등의 내부에는 콘크리트(480), 철근, 커플러 거치 철근 등이 타설, 배근, 거치, 매입 등이 되게 된다. 도 31 a는 터널(311), 터널 굴착면(301), 터널 라이닝(301), 터널 세그먼트(301); b는 시설물(310); c는 사면(312), 법면, 비탈면; c는 건물(310), 이의 형틀(250), 자재(300); d는 수중(315), 지중(313); 등에 일정의 재료가 타설, 주입, 투입, 분사, 장착, 부착, 숏크리팅, 그라우팅 등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등에는 상기 기능기(430), 수단 내지 복합수단(5)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공사 관련 장면, 영상, 파일, 공정, 정보, 안전, 환경, 방역, 품질, 사람, 장비, 센싱, 계측, 자재, 관리 등은 본 발명의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서 볼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사 또는 정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공사는 원료, 재료, 바인더, 액상 재료 등이 펌프(463), 호스(464), 노즐(466), 드론(42), 모빌리티, 3D프린터(46), 롯드(174), 날개(176), 호스 구비 드론(42), 노즐 구비 드론(42), 날개(410) 구비 롯드(174), 롯드(174)에 구비된 날개(410); 이중 하나 이상 구비 차량(41, 170); 등을 통하여 주입, 투입, 타설, 분사, 인젝션, 그라우팅 등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32 a는 건물(310), 이의 형틀(250), 자재(300); b는 건물 균열부(316); c는 호수, 저수지(315); d는 댐, 제방, 도로(317); e는 지반, 지중, 지하(313); f는 정화조(140); 등에 상기 주입 내지 그라우팅 등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정화조(640)는 정화조 탱크(640), 오염수(480) 유입구, 응집제(485) 주입기(641), 정화조 내부 파이프(642), 정화조 하부 침전지(643), 정화조 바닥의 침전밸브(644), 정화조 내벽과 상기 파이프 사이의 다공필터(645), 정화조 상부 수면에서 회전하면서 스컴을 수집하는 회전형 스크레이퍼(646), 스크레이퍼에서 수집된 스컴이 유입되는 스컴 유입구(647), 스컴 유입구에 연계된 스컴 배출구(648), 정화조의 상부로 상등(649)되는 정화수를 배출하는 배출구(6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에 상기 기능기(430)의 거치가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오염수와 응집제의 교반, 와류 등이 왕성하여 고속 반응 및 침전이 발생하게 되어 오염수의 처리시간 단축, 처리효율 향상 등이 된다. 여기서 오염수는 상기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을 통하여 정화되어 정화수가 된다.
상기 펌프 내지 차량,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에 상기 기능기(430), 수단 내지 복합수단(5)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공사 및 청정 관련 장면, 영상, 파일, 공정, 정보, 안전, 환경, 방역, 품질, 사람, 장비, 센싱, 계측, 자재, 관리 등은 본 발명의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서 볼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기초 조성, 보강재 삽입, 표층 기초 조성을 나타낸 모식도 또는 메타버스로서, a는 백호 등(170)에 장착된 회전형(175)의 축 또는 롯드(174)의 관입; b는 회전형(175)의 축 또는 롯드(174), 이에 장착된 날개(176) 등에 의한 지중(313) 주입, 분사, 믹싱, 교반, 그라우팅, 재료(480) 주입, 주입 및 믹싱 등; c는 축 또는 롯드(174)의 인발, 주입 및 인발, 믹싱 및 인발 등; d는 상기 작업에 의하여 지중(313)에 형성된 기초(195); e는 백호 등(171)에 의한 보강재(193) 삽입; f는 보강재(193)가 삽입된 기초(195), 선단에 확장판(199)이 구비된 기초(195); g는 백호 등(172)을 이용한 표층 기초(194) 조성 작업; h는 지중 기초(195) 또는 보강재(193) 삽입 기초(195)와 이 상부의 표층 기초(194), 이의 상부에 놓인 건물, 구조물(310), 자재(300)가 이용되는 구조물(310), 보강재 또는 내진재(303)가 이용되는 구조물(310); 등을 보여준다. 여기의 a 내지 g의 작업에 사용되는 주 장비(170, 171, 172)는 1대의 백호, 오거, 굴삭기, 보링기, 포크레인 등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즉 1대의 백호, 오거, 굴삭기, 보링기, 포크레인 등으로 상기 a 내지 g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기초(194, 195), 건물(310), 구조물(310), 자재(300), 공사현장, 현장의 공기, 현장의 대기, 현장 주변 등에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물, 수단 내지 복합수단, 기능기 통과 물질 등의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분사, 도장, 코팅, 분사에 의한 살균, 분사에 의한 먼지제거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기초의 재료로는 흙이나 토사(190), 바인더(191), 슬라임(192), 잔토(193),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임(192)은 그림 b와 같이 고압으로 바인더를 지중에 주입하면서 교반하여 지중에 기초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지상으로 배출되는 찌꺼기이다. 상기 잔토(193)는 공사 중에 발생된 영여토이다.
상기 기초 조성 관련 장면, 영상, 파일, 공정, 정보, 안전, 환경, 방역, 품질, 사람, 장비, 센싱, 계측, 자재, 관리 등은 본 발명의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서 볼 수 있다. 도 31 내지 32 등에는 기능기(430, 450)에서 생성되는 오존, 음이온, 오존수, 음이온수 등을 기능기(430, 450), 펌프 또는 가압기(463), 노즐 또는 분사기(466) 등을 통하여 공중, 대기, 지상, 현장, 공사장 등에 분사하여 균, 오염, 공기, 대기, 분진, 먼지, 바이러스, 환경호르몬, 새집증후군 등을 청정, 정화, 퓨리, 제거 등을 하는 것도 도시되어 있다.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42), 모빌리티, 청정기(139), 청정수단(139), 미스트기(202) 등, 이에서 공급되는 물질, 미스트,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480, 204)을 이용하여 청정 대상(121)을 청정, 정화, 퓨리, 청소, 세척 등을 보여준다. 여기서 청정 대상(121)으로는 a) 터널(311), 암거, 통로, 아치, 방음벽, 지하공간, 방음터널, b) 댐(315), 하천, 개천, 연못, 저수지, 저류지, 유수지, 정화조, 반응조, 폭기조, 응집조, 침전조, c) 관로(476), 배관, 파이프, 수도관, 하수관, 송수관, 송유관, 파이프라인, d) 룸, 방, 집, 주택, 건물(310), 단지, 현관, 휀스, 울타리, 외벽, 유리, 창호, 실내, 거실, e) 공기, 대기, 공간, 공중, 도로, 포장, 방음벽(318)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는 저장고(460), 혼합기(462), 콤프레셔(105), 펌프(463), 수조, 미스트기(202), 드론(42), 모빌리티, 노즐(466), 청정기(139),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혼합기 내지청정기 등을 이용하여 물질, 수 내지 복합물, 자화물 내지 복합물 등을 청정 대상에 분사, 투입, 주입 등을 하여 청정 대상을 청정, 정화, 퓨리, 청소, 세척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대상, 터널 내지 방음벽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대상 내지 방음벽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청정, 정화, 퓨리, 청소, 세척 관련 장면, 영상, 파일, 공정, 정보, 안전, 환경, 방역, 품질, 사람, 장비, 센싱, 계측, 자재, 관리 등은 본 발명의 통신망(50, 60), 서버(70), 처리장치(80), 단말기(9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디스플레이(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등에서 볼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청정기(139) 중에서 살수기(496), 물대포(496), 스프링클러(495) 등이다. 상기 살수기, 물대포, 스프링클러 등에는 수조(176), 정화기(640), 가압기(463), 노즐(466)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이들은 도로(319, 도 35 a), 터널(311, 도 35 b), 공간 등의 청정, 정화, 퓨리, 세정 등에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로는 물, 우수, 터널수 등이 저류되는 수조(176), 물을 정화하는 정화기(640), 물 또는 상기 정화된 물을 가압하는 펌프 또는 가압기(463), 상기 가압된 물을 분사하는 노즐(466),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수조 내지 노즐 등이 구비된 청정기(139), 살수기(496), 물대포(496), 스프링클러(495) 등이다. 상기 청정기, 살수기, 물대포, 스프링클러, 수조, 정화기, 가압기, 노즐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청정기 내지 노즐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도 36은 본 발명의 자성체, 자화기, 전자석, 기능기 등의 기구를 또는 이의 기구가 포함되는 메타버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a는 2개 이상 자석(131)이 매입 또는 코팅 또는 라이닝(133)된 라이닝자석 또는 기구(130), 상기 2개 이상 자석 사이에 이격재(132)가 삽입된 라이닝자석 또는 기구(130), 그림 b는 전원공급기(412)에 연결된 전선(468)에 의한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413)을 발생하는 전자석 또는 기구(135), 코어(415) 또는 기능기(430)에 감긴 코일(416)의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전자석 또는 기구(135), 그림 c는 자화기(431), 코일(416), 상기 기구(130) 등이 투입되어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튜브나 중공체(476, 501)를 나타낸다.
상기 코어는 봉, 막대, 코어, 철봉, 구리봉, 비중공체, solid body, 코어봉, 중심봉, 금속봉, 기능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관, 관로, 튜브, 호스, hollow body, 이송관, 압송관, 벤츄리관, 중공관, 중공체 등이 가능하다. 상기 튜브나 중공체(476, 501)의 내부로는 수, 물, 액, 유, 물질, 재료, 몰탈, 콘크리트 등(480)의 흐름, 통과, 이동, 이송 등이 가능하고, 상기 수 내지 콘크리트 등은 자기장(413)에 의하여 자화, 육각수화, 유동화, 활성화, 슬럼프화, 슬러리화, 장거리이송, 고층이송, 고층건물이송 등이 될 수 있다. 도 36의 그림 b의 적용예로는 1) 상기 봉 내지 중공체 등(415)의 외부 전체, 일부, 1지점, 3지점, 다지점 등에 코일(416)이 감기고 이에 전선(468)을 통하여 전원공급기(412)로부터 전기가 인가되어 상기 봉 내지 중공체 등이 전자석(135)이 되는 것, 2) 상기 튜브나 중공체(476, 501)의 외부 전체, 일부, 1지점, 3지점, 다지점 등에 코일(416)이 감기고 이에 전기가 인가되어 상기 튜브나 중공체(476, 501)을 통과하는 상기 수 내지 콘크리트 등이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고층건물이송 등이 되는 것, 3) 상기 봉 내지 복합기 등(415)이 상기 튜브나 중공체의 내부에 삽입되어(그림 c 참조) 상기 튜브나 중공체를 통과하는 상기 수 내지 콘크리트 등이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자화 내지 고층건물이송 등이 되는 것 등이 해당하다. 상기 자성체, 자화기, 전자석, 기능기, 자석, 라이닝자석, 기구, 이격재, 전원공급기, 전선, 전자석, 코어, 코일, 튜브, 중공체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자성체 내지 중공체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링, 정화기, 송풍기, 링송풍기 등(220)를 나타낸 모식도 또는 메타버스이다. 이는 몸체(102, 476), 이의 내부에 거치된 팬(227) 및 모터(226), 상기 몸체에 거치된 스위치(473) 및 공기유입구멍(101), 상기 팬의 바람(228)이 유출되는 링(221), 상기 링에 형성되면서 바람이 유출되는 노즐(222), 상기 링의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상기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링(221)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225)와 상기 팬의 바람(228)이 송풍되는 송풍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에는 링형 송풍기가 포함될 수 있고, 이는 a) 몸체 또는 중공체(476, 102); b) 이의 내부에 거치된 모터(226); c)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fan, 227); d) 이 팬(227)의 회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228)이 유출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체에 연결된 중공링(221); e) 이 중공링의 노즐(222), 슬롯노즐(222), 오픈노즐(222), 내측 곡면(223), 외측 평면(224); f) 상기 노즐(222)을 통하여 유출되는 바람(28)에 의하여 상기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 g) 상기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225)가 유입되는 상기 중공링(221); h) 상기 팬의 송풍공기(228)와 상기 유입되는 외부 공기(225)가 함께 송풍되는 링형 송풍기(220, 332); i) 상기 송풍에 의하여 풍력이 향상되는 선풍기, 송풍기, 링선풍기, 링송풍기, 다른 송풍기; j) 자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하여 물질 중 경량물을 선별하는 상기 송풍기, 선풍기; k)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중공체 내지 다른 송풍기; ℓ) 상기 진동기가 상기 링에 부착되는 상기 송풍기; m) 상기 부착에 의하여 진동 공기가 발생되는 상기 송풍기; n) 상기 송풍기가 구비된 스크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송풍기이다. 상기 링, 정화기, 송풍기, 링송풍기, 몸체, 팬, 모터, 노즐, 스위치, 공기유입구멍, 내측 곡면, 외측 평면, 중공링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링 내지 중공링 등의 이용이나 연계가 가능하다.
도 38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의 모식도 또는 메타버스를 나타낸다. 상기 분해기(550)는 제1분해기, 제2분해, 제3분해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해기은 분해기(550), 부숙기, 발효기, 배양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미생물분해기, 미생물발효기, 미생물배양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微生物燃料電池) 중 하나이다.
상기 제2분해기는 용기(102), 이 용기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양극(551)과 음극(552),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이온막(553),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6), 이 전선에 연계된 축전지 또는 전원공급기(412),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555), 상기 용기의 물질 투입구(560), 상기 용기의 유출구(561), 상기 용기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라인(562)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38 a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분해기에서 용기(102)에는 수, 물, 액, 유, 물질, 미생물, 유기물, 폐수, 하수, 폐기물 등의 유입이 되어 상기 수 내지 폐기물 등이 배양, 분해, 발효, 부숙, 숙성 등이 되는 곳이다. 상기 축전지(412)는 상기 미생물 내지 폐기물 등의 반응에 의하여 미생물연료전지가 되는 경우 발생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기(412)는 양극, 음극, 전극 등에 전기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제3분해기는 하기 배양기, 전해기, MFC, CO2; 또는 외부 반입 CO2;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또는 CO2의 주입에 의하여 폐수, 해수, 염분, 염수, 물, 폐기물, 부산물, 음식물, 미생물, 전해질, 전해액, 시멘트재, 폐콘크리트 등에 함유된 Ca, CaO, 석회, 몰탈, 시멘트, 염분, NaCl 중 하나 이상을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CaCO3형성, Na분리, Cl분리, pH저감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탄산화는 CaCO3형성 등이 해당된다. CaCO3는 CaO + CO2 = CaCO3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CaCO3형성에 의하여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등이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pH저감 등이 된다. 상기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등에 의하여 pH저감이 된다. 상기 염분 또는 NaCl은 전기분해에 의하여 Na, Cl로 분리된다.
상기 배양기는 a) 용기(102)에 투입되는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b) 히터(555)에 의한 열; c) 공급라인(562)에 의하여 용기에 투입되는 공기, 산소, 영양소; d) 전기 인가에 의하여 용기 내의 양극에서 발생되는 H2 및 음극에서 발생되는 O2; e) 상기 미생물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의 분해, 배양; f) 상기 분해 또는 배양에 의하여 생성되는 H2, O2, CO2, CH4, 미생물, 증식미생물, 배양미생물, 바이오수, 바이오액, 바이오가스, 바이오시밀러;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시행 또는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570)는 MFC 1, MFC 2, MFC 3 중 하나이다. 상기 MFC 1은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유기물의 화학에너지를 미생물을 촉매로 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지(570)이다. 상기 MFC 2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시켜 발생하는 전자(e-)와 수소이온(H+)이 양극(551)과 음극(552)을 오가며 물과 전기를 만들어내는 전지이다.
상기 MFC 3은 a) 용기(102)의 양극부(551)에 투입되는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유기물; b) 상기 양극부(551)에서 발생되는 H+, CO2, 전자(e-); c) 상기 이온막(553)을 통하여 음극부로 향하는 상기 H+; d) 상기 음극부(552)에서 상기 H+와 외부 유입 공기 중 O2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H2O; e) 상기 양극부의 양극(551)과 상기 음극부의 음극(552)에 연결되는 전선(468)을 흐르는 상기 전자(e-); f) 상기 전자(e-)의 흐름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 g) 상기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412);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발생되는 전지이다. 이는 도 38 b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용기(102)는 조, 통, 함, 링, 관, 탱크, 박스, 용기, 튜브, 밴드, 호스, 관로, 파이프, 중공체, 중공통, 중공관, 사일로, 케이스, 하우스, 하우징 중 하나이다.
상기 전해기는 전해기 1, 전해기 2, 전해기 3, 전해기 4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전해기 1은 1) 전해기(571), 電解器, 電解機, 전기분해기, 電氣分解機, 전해조(102), 전해탱크; 2)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 양극, 음극, 물, 염수, 해수, 전해질, 전해액; 3) 상기 양극으로 사용되는 전극, DSA전극, Dimension Stable Anode 전극, DSE, dimensionally stable electrode, MMO Anode, Titaium electrode, 탄소전극, 이리듐전극, 불용성전극, 치수안정성 전극, 불용성 양극, insoluble anode, 산화이리듐 전극, Iridium oxide anode, 티타늄코팅전극, CTA, coated titanium anode, Pb+Ag합금 전극, 복합금속산화물 전극, MMO 전극, Mixed Metal Oxide 전극, Pt/Ti전극, Pt/Nb 전극, Pt/Ti 전극, 백금도금티타늄망전극; 4) 상기 양극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Au, Ag, Rh, Pt, Pd, Ru, Cu, Zn, Ni, Sn, PCB 등이 전기 도금된 전극; 5) 상기 음극으로 사용되는 전극, 철전극, 금속전극, STS전극, 스테인리스전극, 스테인리스스틸전극; 6) 상기 물에 투입되는 소금, NaCl; 7) 상기 물과 소금을 교반하는 믹서, 날개, 교반기; 8) 상기 투입 또는 교반되어 조성되는 염수, 간수; 9) 상기 염수가 저장된 저장통; 10) 상기 전해조 내지 저장통 등에 투입되는 미생물, 바이오; 11) 상기 저장통과 전해조에 연계되는 호스; 12) 상기 전극 중 양극(551)과 음극(552) 사이에 거치된 이온막(553); 13) 상기 전극에 전기가 인가되어 전기분해되는 전해질, 전해액(554); 14)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H+, OH-, Na+, Cl-, Fe+, H2, O2, CO2, Cl2, HOCl, NaOCl, NaClO, OH라디칼, 이온, 철이온, 금속이온, 버블, 가스, 수소, 산소, 가스, 버블, 담수, 전해수, 전해물, 산성수, 염기수, 알카리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15)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이 생성되는 전해질, 전해조(102); 16) 상기 양극이 거치된 양극부, 상기 음극이 거치된 음극부; 17) 상기 양극부에서 생성되는 H+, 산성수; 18) 상기 음극부에서 생성되는 OH-, 알카리수; 19) 상기 전해조, 양극부, 음극부 등에 형성되는 유입구, 유출구; 20) 상기 전해조, 양극부, 음극부, 유입구, 유출구 등에 연결되는 유입 호스, 유출 호스; 21) 상기 전해조 내지 유출구, 배출 호스 등에 연계되는 자화기, 오존기, 필터, 여과기, 콕, 꼭지, 노즐, 디퓨져, 분사기; 22) 상기 전해조 내지 디퓨져 등에 구비되는 T자관, 벤츄리관; 23) 상기 T자관 또는 벤츄리관의 중간에 순차 거치되는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자성체, 자화기, 오존기, 음이온기, 콤프레셔; 24)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 25) 상기 오존기, 음이온기 등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 26) 상기 전해조 내지 타이머 등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 배전반, 전선(468), 스위치, 플러그(410), 콘센트(411), 전원공급기(412); 27) 상기 전선이나 배전반에 연결되어 고전압을 생성하는 상기 고전압발생기; 28) 상기 알카리수가 배출되는 콕; 29) 상기 콕을 통하여 유출된 식수, 식용수, 음용수, 알카리수; 30) 상기 미생물이 포함되는 바이오수; 31) 상기 산성수가 배출되는 유출 호스; 32) 상기 유출 호스를 통하여 유출된 산성수, 살균수, 세척수, 소독수, 버리는수; 33) 상기 전해조 내지 전원공급기 등이 구비된 정수기, 알카리정수기, 분사기, 폭기기, 분수기, 살수기, 정화기, 청정기, 크리너, 선별기, 파쇄기, 세척기, 세정기, 도금장치, 전기도금장치; 34) 상기 전해기 내지 전기도금장치 등이 구비된 장비, 장치, 시설, 시스템; 35) 상기 산성수, 알카리수, 바이오수 등이 포함되는 재료, 몰탈, 시멘트, 콘크리트, 그라우팅재, 숏크리트재, 녹생토재, 시드스프레이재; 36) 상기 산성수, 알카리수, 바이오수, 재료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등이 포함되는 자재, 제품, 시설, 2차제품, 시멘트2차제품, 콘크리트2차제품; 37) 상기 장비, 산성수, 알카리수, 바이오수, 재료 내지 시드스프레이재, 자재, 제품 등이 이용되는 일, 업무,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포장; 등으로 구성 또는 등이 관계된다. 이는 도 38 c를 참조한다.
상기 전해기 2는 a) 전해조(102)에 투입되는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b) 전기 인가에 의하여 상기 양극(551)과 음극(552)에서 발생되는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의 전기분해; c)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d) 상기 전기분해에 의한 상기 폐수 내지 폐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의 탈염, 염분제거; e) 상기 이온막(433)에 의하여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분리 배출되는 H2, O2;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발생, 형성, 시행, 배출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전해기 3은 a) 상기 전해조(102)에 순차 연계되는 파이프, 정제기, 응축기, 압축기, 저장탱크; b) 상기 H2, O2 중 하나 이상을 이송, 정제, 응축, 가압, 저장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전해기 4는 a)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전해기 내지 전원공급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b)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나트륨 중 하나 이상을 공급 또는 분사하는 호스, 노즐, 디퓨저, 분사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전해기 내지 저장탱크; c)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나트륨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살균, 소독, 청정, 정화, 퓨리, 탄산화, 몰탈제거, 시멘트제거, 이물질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도록 하는 상기 전해기 내지 저장탱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용기 내지 공급라인, 축전지, 전해조, 양극, 음극, 양극부, 음극부, 전해기 내지 전원공급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분해기 내지 저장탱크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등의 발생을 살펴보면 1) H+는 양극, OH-는 음극, Fe+는 양극, H2는 양극, O2는 음극, CO2는 양극, OH라디칼은 음극, 이온 또는 Fe+는 양극, 산성수는 양극, 알카리수는 음극; 2) 그리고 Na+, Cl-, Cl2, HOCl, NaOCl, 버블, 가스, 담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등은 전해조, 전해수, 전해물, 양극과 음극 사이; 등에서 발생된다. 상기 담수는 해수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조성된 담수이다. 상기 전해액은 전기분해에 사용되는 또는 전해조에 투입되는 수, 물, 액, 유, 해수 등이고, 상기 전해수는 전기분해된 또는 전해조에서 배출되는 수, 물, 액, 유, 담수 등이다. 상기 전해물은 전기분해된 물질로서, 이의 물질에는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등이 포함된다.
상기 방전기(572)에는 a) 방전기(572), 전기방전기(572); b) 전극(552)이 투입된 용기(102, 551), 상기 전극 및 용기에 전기가 인가되어 방전하는 방전기(572), 상기 방전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용기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분진이 대전되어 상기 용기에 부착되어 제거되는 방전기(572);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이는 도 38 d 참조. 상기 방전기는 전기집진기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방전기 또는 전기집진기는 a) 방전기, 전기집진기, 전기가 이용되는 집진기, 전기에 의한 코로나방전이 이용되는 집진기,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를 집진하는 집진기; b)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에 전기장을 작용시켜서 전기를 띠게 한 후 분진을 정전적인 힘으로 모아 제거하는 장치; c) 4만∼7만 V의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집진기; d) 50∼60Hz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고압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4만∼7만 V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집진기; e)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긴 전하가 분진 입자에 부착됨으로 대전입자(帶電粒子)가 되어 정전기력(靜電氣力)에 의해 반대극성의 전극에 끌려 이동하여 집진되는 집진기; f) 원통의 집진전극(集塵電極)을 양극(551)으로 하고 상기 원통의 중앙에 거치된 방전선(放電線)을 음극(552)으로 한 후 원통 내에 분진을 함유한 공기를 통과시켜 분진이 음으로 대전(帶電)하여 원통의 내면에 부착 제거되는 집진기; 이는 도 38 d 참조, g) 상기 원통에 침적된 분진을 물로 씻거나 상기 원통에 기계적 충격을 주어 분진이 제거되는 집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방전기는 방전기 1, 2, 3 중 하나이다. 상기 방전기 1은 a) 방전기, 放電器, 放電機, 전기방전기, 電氣放電機, 방전통; b)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 c)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중 하나 이상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d) 상기 전선을 통하여 전기가 인가되어 방전, 전기방전, 코로나방전 중 하나가 발생되는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e) 상기 방전에 의하여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분진부착, 분진응집, 분진제거, 대전입자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대전입자는 정전기력 등에 의하여 방전통에 부착되게 되고, 이에 부착된 대전입자를 제거하면 방전통을 통과하는 공기의 분진이 제거된다. 상기 방전기 2는 a) 상호 이격된 양극 및 음극; 이에 순차 연결되어 전기 또는 전압을 공급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전기방전되거나, b) 또는 상기 전기방전되어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분진부착, 분진응집, 분진제거, 대전입자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방전기 3은 a) 전기에 의한 코로나방전이 이용되는 방전기,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를 집진하는 방전기; b)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에 전기장을 작용시켜서 전기를 띠게 한 후 분진을 정전적인 힘으로 모아 제거하는 방전기; c) 4만∼7만 V의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방전기; d) 50∼60Hz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고압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4만∼7만 V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방전기; e)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긴 전하가 분진 입자에 부착됨으로 대전입자(帶電粒子)가 되어 정전기력(靜電氣力)에 의해 반대극성의 전극에 끌려 이동하여 집진되는 방전기; f) 원통(102)의 집진전극(集塵電極)을 양극으로 하고 상기 원통의 중앙에 거치된 방전선(放電線)을 음극으로 한 후 원통 내에 분진을 함유한 공기를 통과시켜 분진이 음으로 대전(帶電)하여 원통의 내면에 부착 제거되는 방전기; g) 상기 원통에 침적된 분진을 물로 씻거나 상기 원통에 기계적 충격을 주어 분진이 제거되는 방전기; 중 하나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전지 또는 수소연료전지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수소전지 또는 수소연료전지(573)에는 수소전지 1, 수소전지 2, 수소전지 3. 수소전지 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소전지 1은 수소(H)와 산소(O)가 반응하여 물이 되는 반응(2H2 + O2 → H2O)을 통해 발생되는 전자가 양극(551) 또는 산화전극(anode)에서 외부 도선(468)을 통해 음극(552) 또는 환원전극(cathode)으로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573)이다. 이는 도 39 a 참조. 상기 수소전지 2는 상기 양극과 음극의 사이, 또는 상기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의 사이에 전해질(438), 이온막(433)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소전지(573)이다. 이는 도 39 b 참조. 상기 수소전지 3은 상기 산화전극(551)에서 연료인 수소의 산화 반응이 하기의 반응 1 또는 반응 2와 같이 발생되고, 상기 환원전극(552)에서는 산소의 환원 반응이 하기의 반응 3 또는 반응 4와 같이 발생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소전지(573)이다. 이는 도 39 a. b. c 참조. 상기 반응 1은 산성 조건에서 2H2 → 4H+ + 4e- 이다. 상기 반응 2는 염기성 조건에서 2H2 + 4OH- → 4H2O+ 4e- 이다. 상기 반응 3은 산성 조건에서 O2 + 4H+ + 4e- → 2H2O 이다. 상기 반응 4는 염기성 조건에서 O2 + 2H2O + 4e- → 4OH- 이다. 상기 수소전지 4는 전해기(571)와 수소연료전지(573)가 결합된 것이다. 이는 도 39 c 참조. 이는 전해기(571)에서 발생되는 수소, 산소를 이용하여 수소연료전지(573)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이다. 상기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전해조, 전해액, 이온막, 전극, 양극, 음극, 히터, 유입구, 유출구, 공급라인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분해기 내지 공급라인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분해기 내지 공급라인 등에서 제공되는 물질, 수소, 산소, 전기 등은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 또는 공급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발전기, 태양전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0 a는 열전(thermoelectric) 발전기의 예로서 이는 제베크 효과에 의한 열전기를 이용하는 발전기, 어떤 물질 내부에 온도 편차(662, 663)가 있을 때 그 온도 기울기에 비례하는 기전력이 생기는 현상인 제베크 효과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양측에 n형 반도체(660)와 p형 반도체(661)가 있고 이의 상부에 고온(662) 그리고 하부에 저온(663)의 온도 차가 주어지면 각각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자(-)와 양공(+)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n형 반도체(660)에서는 전류가 상부로 p형 반도체(661)에서는 전류가 하부로 흐르는 시계 방향의 순환 전류가 형성되는 발전기 등이다. 상기 양공은 양공, 陽孔, 정공, 홀, hole, electron hole, positive hole, (+)전하를 띠는 구멍, 원자들의 결합으로 분자가 만들어지는데 이의 분자 내에는 전자들이 차지할 수 있는 자리에 전자들이 없는 구멍, 광전효과에 의하여 전자(-)가 자기 자리를 이탈하게 되면 (-)전하가 없어지고 전자가 있던 자리에 (+)전하를 띠는 구멍, 전기 흐름에서 (+)전하의 캐리어(운송자)로 사용 등이다.
도 40 b는 태양전지의 예이다. 태양전지는 태양전지, 솔라셀, solar cell, 셀이 조립된 모듈이 연결된 태양 발전 어레이의 판,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므로 태양광발전기, 햇빛의 광에너지를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가 흡수하여 전자-양공 쌍이 생성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상하는 기구, 햇빛(670)을 받은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의 경계면에서 자유 전하가 없는 결핍층(depletion layer)이 형성되어 수직 방향의 전기장이 형성되고 이 전기장에 의해 전자 - 양공 쌍이 분리되어 전류를 형성하여 n형 및 p형 반도체 양단의 전극(671)이나 전선(468)을 통하여 전류를 전달하는 기구,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접합된 부분에 빛(670)을 비추면 내부에서 전자와 양공의 전하가 생성되고 생성된 이 전하들은 각각 P극(671)과 N극(671)으로 이동하여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가 생겨 전류가 흐르는 전지 등이다.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할 경우 두 반도체 서로 다른 Fermi energy에 의해 소재간 계면에서 band bending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band bending이 태양의 빛을 받아 conduction band로 여기된 전자는 p형 반도체에서 n형 반도체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류가 발생되고, 이것이 태양전지이고, 상기 전류는 회로(468)를 따라 흐르며 전지를 충전지(672)에 충전하거나, 전구를 켜거나 모터를 돌릴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사용이 된다. 상기 전지, 반도체, n형 반도체, p형 반도체, 전극, 회로, 반도체 케이스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지, 전기, 전압, 전류, 정류기, 정압기, 배터리,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미생물연료전지, 전원공급기,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전지 내지 풍력발전기 등에서는 전기, 전원, 동력, 가스, 수소, 산소,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의 생성이 가능하다. 상기 전지 내지 풍력발전기, 전기 내지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은 일, 업무,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수단, 장비, 장치, 차량, 덤프, 트럭, 도져, 로라, 펌프카, 크레인, 포크레인, 제조장비, 공사장비, 건설장비, 상기 일 내지 복합,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정류기는 전류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장치이고, 정압기는 전압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장치이고, 전원공급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또는 power supplier이다.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battery, 건전지, 주배터리, 메인배터리, 보조배터리, 폐배터리, 전기차의 배터리, 전기차의 폐배터리, 전기차의 주배터리, 전기차의 메인배터리, 전기차에서 발생된 폐배터리, 전기차에서 사용된 폐배터리, 전기차의 보조배터리, 전기차의 차량이나 트렁크에 구비된 보조배터리, 전기차의 배터리를 보조하는 보조배터리, 전기차 배터리의 소모 시에 이용되는 보조배터리, 전기차 배터리의 소모 시에 전기차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보조배터리, 전기차 배터리의 소모 시에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에 이용되는 보조배터리, 전지, 電池, 원전, 건전지, 전지판, 전기, 전원, 동력, power, 에너지, energy, 전기에너지, 셀, 솔라셀, 태양전지, 패널, 태양패널, 태양광패널, 태양발전패널, 수소전지, 전해전지, 태양전지, 연료전지, 수소연료전지, HFC(hydrogen fuel cell), 미생물연료전지, MFC, microbial fuel cell, 태양전지판, 충전지, 충전기, charger, 충전소, 발전기, 에너지저장시스템, ESS, energy storage system, 폐배터리ESS, 파워뱅크, power bank, 태양발전기, 압전발전기, 수소충전기, 전기충전기, 2차전지, 비상전원, 보조전원, 전원공급기, 전력계통, 전력공급시설,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전기와 물을 생성하는 연료전지,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8시간 이상 연속 사용, 예비 배터리 신속 교체,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배터리 등(19)이 해당된다.
상기 전지는 전지, Cell, 건전지(dry cell), 습전지(wet cell), 배터리(battery), 일차전지, 이차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수소연료전지, 전해전지, 전기분해전지, 태양패널, 태양발전패널, 발전기, 전지발전기, 태양발전기, 연료전지발전기, 전지 내에 미리 채워놓은 화학물질에서 나오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화학 장치, 본체 또는 케이스 등에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물 등이 구비된 전지 등이 해당된다. 일차전지(primary cell)는 전지의 기전력이 0으로 떨어지면 재충전할 수 없어 재사용할 수 없는 전지이다. 이차전지(secondary cell) 혹은 축전지(storage cell)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방전(discharging) 과정과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충전(charging) 과정을 반복할 수 있어서 재사용할 수 있는 전지이다. 상기 태양전지는 태양전지(solar cell), 광전지(photovoltaic cell), 광기전력 전지(photovoltaic cell), 태양전지판, 태양 빛을 전기로 변환시키는 장치, 빛에너지가 전기로 바뀌는 광기전 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태양발전패널의 사용 예에는 태양발전패널, 이에 연결된 전선, 상기 패널에서 생성된 전기, 이의 전선에 연결된 중계기 또는 공유기, 상기 전기가 공급되는 상기 중계기 또는 공유기, 상기 중계기를 무선통신장치로 이용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통화, 현장에 설치된 센서 및 카메라, 상기 센서에 의한 측정, 상기 카메라에 의한 촬영, 상기 측정 및 촬영의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상기 중계기, 상기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 상기 서버에 연계되는 단말기, 상기 서버와 단말기가 구비된 관리센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압전발전기는 압전발전기, 압전소자를 이용한 발전기, 압전센서를 이용한 발전기, 누르거나 진동하면 전기를 발생하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발전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연료전지는 연료전지, Fuel Cell,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전지, 연료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키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 지속적으로 연료와 산소의 공급을 받아서 화학반응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전해조와 이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과 음극과 전해질로 구성된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해조 내부에 구비된 양극과 음극은 상기 전해조의 외부에 거치된 도선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양극에서는 산화작용이 일어나면서 (+) 전기를 띄는 수소이온과 전자를 방출한다. 여기서 발생한 전자가 상기 전해조 외부의 도선을 통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면서 직류 전류가 발생한다. 이의 발생 전류가 충전지에 저장되어 이용된다. 상기 전해질은 (+) 전기를 띄는 수소이온(양이온)이 연료전지의 양극과 음극의 두 극 사이에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음극에서는 양극에서 이동해온 수소이온과 전해조 외부의 도선을 통해 이동한 전자와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물 또는 수증기를 만들어 배출한다.
상기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연료전지, 수소가 이용되는 연료전지,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이 되는 전체 반응 (2H2 + O2 → H2O)을 통해 전자는 양극의 산화전극(anode)에서 외부 도선을 통해 음극의 환원전극(cathode)으로 이동하면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산화전극에서 다음과 같이 연료인 수소의 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2H2 → 4H+ + 4e- (산성 조건), 2H2 + 4OH- → 4H2O + 4e- (염기성 조건), 그리고 환원전극에서는 다음과 같이 산소의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O2 + 4H+ + 4e- → 2H2O (산성 조건), O2 + 2H2O + 4e- → 4OH- (염기성 조건), 그리고 산성 조건에서 수소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고분자 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경우를 고분자 전해질 연료 전지라고 하며, 30∼40% 농도의 수산화 포타슘(KOH) 용액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경우를 알칼리 연료 전지라고 부른다.
도 4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단(5), 기구(10), 센서(11), 카메라(14), 센서 내지 계측기(10) 등의 거치수단(45)이다. 상기 수단, 기구, 센서, 카메라, 센서 내지 계측기 등은 봉, 대, 판, 줄, 선, 잭, 나선(도 41 c), 사물, 만물, 짐벌, 수단, 거치대(도 41 d), 지지대, 삼각대(도 41 f), 플랫폼, 안테나, 직선봉(도 41 a), 연성봉(도 41 b), 가변봉(도 41 e), 스프링, 셀카봉(도 41 e), 안테나봉(도 41 e), 길이가변봉(도 41 e), 길이조절봉(도 41 e), 휘어지는봉(도 41 b), 길이조절셀카봉(도 41 e) 등의 거치수단(45)에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구성, 거치, 위치, 설치, 존치, 연결, 연계, 병합, 결합, 중첩, 중복, 합체, 첨가, 추가 등이 가능하다. 상기 가변봉(도 41 e)은 길이, 크기 등이 가변, 수축, 확장, 늘어남, 줄어듬 등이 되는 봉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23, 25, 26), 벨트, 멜빵(25), 완장(23), 손목밴드(26) 등과 이에 구비된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10)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10)이 구비된 또는 거치대 등(45)을 통하여 구비된 밴드, 벨트, 멜빵(25), 완장(23), 손목밴드(26) 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밴드, 벨트, 멜빵(25), 완장(23), 손목밴드(26), 원밴드(도 42 a, b), 줄밴드(도 42 b), 고무줄밴드(도 42 b), 띠밴드(도 42 a), 폭밴드(도 42 a), 일정폭을 가진 폭밴드(도 42 a), 각대밴드(도 42 a); 이중 하나의 일부, 부분, 전체, 둘레, 전면(3), 후면(4), 거치대(45); 등에는 상기 센서 내지 계측기 등(1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밴드(23, 25, 26)는 사람, 몸, 신체, 인체, 전신, 머리(도 36 c), 헬멧(도 42 c), 목(도 42 d), 어깨(도 42 e), 팔(도 42 f), 손목(도 42 g), 가슴(도 42 h), 허리(도 42 i), 다리(도 42 j), 발(도 42 k), 작업화(도 42 k) 등에 구비, 체움, 체결, 띠장, 감기, 감음, 줄감기, 띠감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10, 14), 모뎀(50), 비콘(51), 배터리(10, 19),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10) 등을 나타낸다. 상기 카메라 내지 제어기 등(10)은 사람, 인부(30), 로봇, 아바타, 마네킹, 인플루인서, 관리자(31), 총괄자(32), 장비, 장치, 드론, 공장, 현장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뎀, 배터리 등에는 상호 줄, 선, 전선, 케이블 등(468)의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14)에 의한 촬영된 영상은 모뎀(50)에 이송되어 무선 전송되고, 상기 영상은 서버, 처리장치, PC, 태블릿, 모니터, 스크린, 핸드폰, 메타버스, 플랫폼, 디스플레이 등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의 전원은 상기 카메라, 모뎀 등에 공급 또는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수단, 카메라, 모뎀, 배터리 등은 백, 팩, 포켓, 파우치 등(20')에 수납이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기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되어 재사용된다. 상기 캠, 액션캠, 카메라(10, 14), 모뎀(50) 등에는 홀, 구멍, 잭, 슬롯(도 43 a, b, c, d), 단자(도 43 a, b, c, d), USIM 슬롯(도 43 a), 메모리카드 슬롯(도 43 b), 배터리 슬롯(도 43 c), 케이블 슬롯(도 43 d), 케이블 단자(도 43 d), 잭 연결단자(도 43 e), Power key(도 43 f), Stop key(도 43 g), Green LED(도 43 h), Red LED(도 43 i)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슬롯 또는 단자에는 USIM, 메모리카드, 배터리, 케이블 등이 구비, 거삽입, 투입, 압입, 꽂기, 장착 등이 된다.
도 44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신호기는 신호기(36), 信號機, signal, 신호수(도 44 a, d), 信號手, 신호대(도 44 b, c), 신호장치(36), 신호장비, 신호기구, 신호수단, 신호로봇(도 44 a, d), 신호마네킹(도 44 a, d), 신호아바타, 신호수로봇(도 44 a, d), 신호수마네킹(도 44 a, d), 무인신호기, 유인신호기, 신호수아바타, 로봇신호수, 마네킹신호수, 틀(590)이나 몸체(590)가 구비된 신호대(도 44 b, c), 안전유도장치, 안전유도로봇, 안전유도신호대, 안전유도신호수, 신호하는 장치, 신호하는 일을 하는 것, 신호를 보내는 장치, 안전을 위하여 신호를 보내는 장치, 운전 중인 교통차량과 사람에게 신호를 지시하는 장치, 공사현장에서 신호를 지시하는 장치, 로봇 신호기, 아바타 신호기, 이동형 신호기, 고정형 신호기, 휴대형 신호기, 포터블 신호기, 방수형 신호기, 사람 대신 신호하는 신호기, 로봇에 신호팔이 구비된 신호기 또는 로봇신호기, 로봇에 상하 운동하는 신호팔이 구비된 신호기 또는 로봇신호기, 사람이 수신호 하듯이 팔로 신호를 하는 로봇신호기, 상기 수단(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이 구비된 신호기, 상기 일(상기 일 내지 복합)을 하는 신호기 등(36)이 가능하다. 상기 신호기에는 청정기, 분사기, 살수기, 미스트기, 오존기, 음이온기 등의 구비가 가능하고, 광촉매나 피톤치드의 분사나 코팅이 가능하고, 공기 청정이나 정화, 살균, 소독, 방역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호기(36)에는 틀(590), 몸체(590), 로봇(도 44 a, d), 마네킹(도 44 a, d), 패널(585), 신호를 조정하는 패널, 기판(585), 신호를 조정하는 기판, 컨트롤패널, 신호를 컨트롤하는 컨트롤패널, 바퀴, 몸체 하부의 바퀴, 지지대(591),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591), 거치대(591), 몸체를 거치하는 거치대(591), 봉(580), 지시봉(580), LED봉(580), 신호봉(580), 빛을 발하는 봉(580), 상하 이동하는 신호봉(580), 1점(584)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등으로 반복운동(581)하는 2개 이상의 신호봉(580), 깃발(582), 형광깃발(582), 빛을 발하는 깃발(582), 캠(586), 액션캠(586), 촬영캠(586), 센서(587), 측정센서(587), 환경센서(587), 환경측정센서, 공기질센서, 공기질측정센서, 가스센서, 가스측정센서(587), 카메라(586), 촬영카메라(586), 전방카메라, 후방카메라, 측방카메라, 등(燈), 점멸등(燈), 일정주기로 점멸하는 점멸등(燈), 일정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점멸하는 점멸등(燈), 조명, 전방조명, 후방조명, 2개 이상의 등(燈)이 구비된 조명, 2개 이상의 등(燈)이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조명, 2개 이상의 등(燈)이 직선으로 구비된 조명, 2개 이상의 등(燈)이 원형(563)으로 구비된 조명, 2개 이상의 등(燈)이 2개 이상의 직선으로 구비된 조명, 2개 이상의 등(燈)이 2개 이상의 원형으로 구비된 조명(563), 2개 이상의 동심원 조명(583), 점멸하는 2개 이상의 동심원 조명(583), 2개 이상의 등(燈)이 2개 이상의 원으로 된 동심원으로 구비된 조명(563), 일정간격으로 점멸되는 2개 이상의 등(燈)이 2개 이상의 원으로 된 동심원으로 구비된 조명(563), 램프, 야간램프, 야간표식램프, 야간인식램프, LED, LED등, 2종 이상의 칼라 빛이 방사되는 LED등, 신호대, 회전신호대, 상하운동신호대, 좌우운동신호대, LED신호대, LED가 부착된 신호대, 일정의 길이를 가진 신호대, 1점(584)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등으로 반복운동(581)하는 신호대(580), 신호팔, 회전신호팔, 상하운동신호팔, 좌우운동신호팔, LED신호팔, LED가 구비된 신호팔, LED 빛이 조사되는 신호팔, LED 빛이 반복적으로 점멸되면서 조사되는 신호팔, 일정의 길이를 가진 신호팔, 1점(584)을 기준으로 팔이 상;하;좌;우; 등으로 반복운동(581)하는 신호팔(580), 신호수, 회전신호수, 상하운동신호수, 좌우운동신호수, LED신호수, 일정의 길이를 가진 신호수, 신호판, 판 형상의 신호기(583), 전광판(585), 문구표시판(585), 문양표시판(585), 문양전광판, 문구가 표시되는 전광판(585), 이동되는 문구가 표시되는 전광판(585), 문구가 점멸되면서 표시되는 전광판(585), 조명 문구가 점멸되면서 표시되는 전광판(585), 문구가 좌 또는 우로 흐르면서 표시되는 전광판(585), 경광등, 경관을 비추는 경광등, 점멸등, 점멸하는 점멸등, 빛이 비침 및 꺼짐을 2회 이상 반복하는 점멸등, 2개 이상의 빛이 비침 및 꺼짐을 2회 이상 반복하는 점멸등, 직선 상에 또는 원형 상에 2개 이상의 빛이 비침 및 꺼짐을 2회 이상 반복하는 점멸등, 직선과 원형 상에 2개 이상의 빛이 비침 및 꺼짐을 2회 이상 반복하는 점멸등, 라이트, 원형라이트(583), 회전라이트, 점멸라이트, 원형점멸라이트(563), 네온싸인, 레이저, 빛 레이저, 빛을 쏘는 레이저, 문자 레이저(586), 문자를 쏘는 레이저(586), 노면 레이저(586), 노면에 빛이나 문자를 쏘는 레이저(586), 바닥 레이저(586), 바닥에 빛이나 문구를 쏘는 레이저(586), 모니터, 화면을 가진 모니터, 스피커, 음성이나 멘트가 나오는 스피커,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지, 태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지, 모뎀, 통신용 모뎀, 라우터, 통신용 라우터, USIM, 신호기 번호 인식용 USIM, GPS, 위치를 추적하는 GPS, 신호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GPS, 메모리카드(588), 촬영 영상이나 센싱 데이터를 저정하는 메모리카드(588), SD카드(588), 촬영 영상이나 센싱 데이터를 저정하는 SD카드(588), USB(588), 촬영 영상이나 센싱 데이터를 저정하는 USB(588), 모뎀(589), 라우터(589), 통신장치(589), 원격으로 무선통신하는 통신장치(589), 영상이나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장치(589), 서버, 송신된 영상이나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 디스플레이, 화면의 디스플레이, 영상이나 데이터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청정기, 분사기, 살수기, 미스트기,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현되는 또는 보여지는 플랫폼이나 메타버스,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의 이용 또는 구비 또는 연계가 가능하다.
도 45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대, 안전판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안전대는 안전대(37), 안전폴, 자립대, 자립폴, 안전폴대, 자립안전대, 공사안전대, 교통안전대, 신호봉(580)이 구비된 안전대(도 45 b), 상하 움직(581)이는 신호봉(580)이 구비된 안전대(도 45 b), 문구(585)가 구비된 안전대(도 45 c), 회전조명(583)이 구비된 안전대(도 45 c), 노면 레이저(586)가 구비된 안전대(도 45 d), 센서(11)나 기구(10)가 구비된 안전대(도 45 a, b, c, d), 폴대와 바닥판과 바닥판 볼트가 구비된 안전대(도 45 a, b, c, d), 1개 이상의 야광밴드가 거치된 안전대(도 45 a, b, c, d), 상기 수단(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이 구비된 안전대, 상기 일(상기 일 내지 복합)을 하는 안전대 등(37)이다. 상기 안전판은 안전판(38), 자립판, 자립안전판, 공사안전판, 교통안전판, 신호봉(580)이 구비된 안전판, 상하 움직이는 신호봉이 구비된 안전판, 문구(585)가 새겨진 안전판(도 45 e), 회전조명(583)이 구비된 안전판, 노면 레이저(586)가 구비된 안전판, 센서(11)나 기구(10)가 구비된 안전판, 다리와 상판이 구비된 안전대(도 45 e)), 상기 수단(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이 구비된 안전판, 상기 일(상기 일 내지 복합)을 하는 안전판 등(38)이다.
상기 신호기, 안전대, 안전판 등의 하부에는 판, 틀, 격자, 지지판, 다리, 삼발이, 거치대, 격자대, 사다리 등이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신호기, 안전대, 안전판 등은 바닥, 지반, 포장, 공장, 도로, 인도, 마트, 공사장, 주차장, 일정장소, 행사장소, 위험지역, 안전지역, 오염지역, 일정지역, 금지지역, 접근금지지역; 이중 하나의 표면, 바닥, 경계, 범위, 모서리, 가두리, 가장자리; 등에 설치 가능하다. 상기 신호기, 안전대, 안전판 등은 안내, 보호, 표지, 표식, 안전, 사람보호, 차량보호, 교통유도, 행인유도, 통로유도, 접근금지안내 등이 가능하다.
도 46은 본 발명에 의한 계측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계측은 시설, 건물(310), 지반(313), 지중(313), 도로(319), 터널(311), 교량, 항만, 시설물, 복합시설, 건물기울기, 건물움직임, 건물흔들림, 건물진동, 지반진동, 소음, 층간소음, 지반침하, 지중침하, 지하수위, 도로침하, 터널변위, 터널내공변위, 천단침하, 터널천단침하, 상기 위치 내지 복합, 상기 시설 내지 복합시설 등에 대한 상기 위치 내지 복합 등을 계측하는 것이다. 여기서 계측을 하는 계측기는 센서(11), 계측기(18), 센서(11)와 계측기(18), 센서(11)와 통신장치(50), 계측기(18)와 통신장치(50), 센서(11)와 통신장치(50)가 통합된 장비, 센서(11)와 와이파이(50)가 통합된 장비, 센서(11)와 블루투스(51)가 통합된 장비, 센서(11)와 게이트웨이(52)가 통합된 장비, 계측기(18)와 통신장치(50)가 조랍된 통합장비, 계측기(18)와 와이파이(50)가 조합된 통합장비, 계측기(18)와 블루투스(51)가 조합된 통합장비, 계측기(18)와 게이트웨이(52)가 조합된 통합장비, 센서(11)와 통신장치(50)가 분리된 개별장비, 센서(11)와 와이파이(50)가 분리된 개별장비, 센서(11)와 블루투스(51)가 분리된 개별장비, 센서(11)와 게이트웨이(52)가 분리된 개별장비, 계측기(18)와 통신장치(50)가 분리된 장비, 계측기(18)와 와이파이(50)가 분리된 장비, 계측기(18)와 블루투스(51)가 분리된 장비, 계측기(18)와 게이트웨이(52)가 분리된 장비, 상기 센서 내지 제어기(10) 등이다.
상기 와이파이(50), 블루투스(51) 등은 LTE 등의 지상, 도시, 도심지, 주택지 등과 같이 이동통신망이 되는 경우에 적용되고, 상기 게이트웨이(52)는 터널, 지하, 광산, 갱도 등과 같이 이동통신망이 되지 않는 경우에 적용이 유리하다. 상기 와이파이(50), 블루투스(51) 등은 센서, 계측기 등에 장착이 가능하고, 상기 게이트웨이(52)는 센서, 계측기 등에 장착되지 않고 터널, 지하, 광산, 갱도 등에 일정한 간격 또는 200m 간격으로 설치되어 통신을 중계하게 된다. 상기 센서, 계측기, 센서의 데이터로거, 계측기의 데이터로거, 센서의 센싱 정보, 계측기의 계측 데이터, 와이파이,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등은 또는 등에는 통신망(60), 이동통신망(60), 서버(70), 클라우드(70), 클라우드서버(70), 처리장치(80), 연산장치(80), 컴퓨터(91), 모니터(92), 스크린(93), 핸드폰(94), 태블릿(94), 태블릿PC(94), 이용자 단말기(95), 플랫폼(96), 메타버스(97), 사무실(110), 상황실(110), 지사(110), 현장사무실(110), 본사(120), 통제실(120), 관제센터(120), 중앙관제센터(120), 본사사무실(120) 등이 또는 등에 연계, 송신, 전송, 전달, 수신, 저장, 처리, 연산, 보기, 읽기, 시청, 관람 등이 된다.
도 47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콤프레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풍력콤프레셔(50)는 바람 또는 풍력(51), 이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 풍차, 회전체(52), 이중 하나 회전력(53), 이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54), 이에 거치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로드(55), 이에 거치된 피스톤(56), 이가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실린더(56), 상기 피스톤의 미는 힘에 의한 실린더 내부의 수, 물, 액, 유, 공기, 물질 등 압축, 이에 의하여 생성되는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63), 이가 배출되는 실린더의 배출구(62), 이에 연결된 호스, 배출호스, 공급호스(64)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콤프레셔는 압축기, 압력기, 콤프레셔, 공기압축기, 에어콤프레셔, 압축콤프레셔, 풍력콤프레셔, compressor, air compressor 등이다. 상기 풍력콤프레셔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을 주입, 이에 의하여 물질이나 물체 등을 경량화, 기포화, 다공화, 폭기, 와류, 교반, 케비테이션, 또는 등에 산소주입, 공기주입 등을 하는 역할을 하는 풍력콤프레셔(50), 풍력압축기, 풍력수압축기, 풍력공기압축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풍력콤프레셔(50)는 a) 회전하는 풍력날개에 연계된 스크류 또는 회전직선변환기와 피스톤을 이용하여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을 생성하여 주입하는 풍력콤프레셔(wind compressor), 풍력스크류콤프레셔(wind screw compressor), 풍력피스톤콤프레셔(wind piston compressor) 등이거나, b) 바람 또는 풍력(51), 이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 풍차, 회전체(52), 이중 하나 회전력(53), 이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54), 이에 거치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로드(55), 이에 거치된 피스톤(56), 이가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실린더(56), 상기 피스톤의 미는 힘에 의한 실린더 내부의 수, 물, 액, 유, 공기, 물질 등 압축, 이에 의하여 생성되는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63), 이가 배출되는 실린더의 배출구(62), 이에 연결된 호스, 배출호스, 공급호스(64)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압축물은 풍력을 이용하여 얻어진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실런더(56)에는 공기 등 유입구(59), 이에 설치된 유입밸브(60), 그리고 압기 등 배출구(62), 이에 설치된 배출밸브(61) 등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57)의 미는 힘, 작용 등에 의한 실린더(56) 내 물질 또는 공기 압축 시에는 공기 유입밸브(60)는 닫히고 배출밸브(61)가 열려 압기, 압축물 등(63)이 배출구(62), 배출호스(64) 등을 통하여 배출되고, 피스톤(57)이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압기 배출밸브(61)는 닫히고 수, 물, 액, 유, 물질, 공기 등의 유입밸브(60)는 열려 물질, 공기 등이 실린더 내로 유입되고, 다시 피스톤이 실린더를 압축하게 되면 물질, 공기 유입밸브는 닫히고 압기, 압축물 배출밸브가 열려 압기, 압축물 등이 배출구, 배출호스 등을 통하여 배출되고, 피스톤이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에는 배출밸브는 닫히고 물질, 공기 유입밸브는 열려 물질, 공기가 실린더 내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압기, 압축물, 압축공기, 풍력압기 등(63)이 공급, 제공, 주입 등이 된다. 이가 주입되는 상기 중공체(13)의 경우 상기 중공체에 구비된 인젝터(91), 경사관(95) 등을 통하여 중공체(13) 내로 유입되어 중공체 내부를 흐르는 물질, 원료, 재료, 배합수, 배합재, 배합물 등에 압기, 압축공기 등을 주입하여 이의 경량화, 폭기, 호기화 등에 기여를 하게 된다. 상기 풍력에 의한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은 외부의 전원이나 전기의 공급없이 자연의 바람을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얻을 수 있는 친환경적인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이 된다. 여기서 풍력, 바람, 풍력콤프레셔 등에 의한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은 일정의 압력, 콤프레셔 대용, 경량콘크리트 등에 주입되는 경량재 대용, 일반콤프레셔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 대용 등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풍력콤프레셔(5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풍력피스톤콤프레셔의 경우는 바람, 풍력 등(51)으로 회전하는 날개, 회전체, 블레이드, 프로펠라, 회전축 등(52)의 회전력(53)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 등(52)에 연결된 크랭크(54), 이에 연결된 샤프트 또는 커넥팅롯드 등(55)을 통하여 실린더(56) 내의 피스톤(57), 스크류 등을 직선운동(58)시키거나 회전시켜 실린더 내의 공기를 압축하여 실린더의 일단에 형성된 배출구(62)를 통하여 압축수 또는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63)를 내보내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풍력콤프레셔는 바람, 풍력 등을 이용하여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를 얻는, 만드는, 제공하는, 공급하는 등의 장치가 된다. 상기 피스톤(57)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압축공기 배출구(62)의 밸브(61)가 닫히고 물 또는 공기 유입구(59) 밸브(60)가 열려 실린더 내로 물 또는 공기가 유입되고, 반대로 피스톤(57)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물 또는 공기 유입구(59) 밸브(60)는 닫히고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 배출구(62)의 밸브(61)가 열려 실린더 배출구를 통하여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63)가 배출, 공급 등이 되게 된다. 상기 풍력스크류콤프레셔의 경우에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실린더 내의 스크류가 회전하여 실린더 내의 물 도는 공기를 일측으로 압축하여 실린더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압축수 또는 압축공기가 배출, 공급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풍력콤프레셔(50)에서 제공되는 압기,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등(63)은 상기 실린더의 배출구(62)에 연결된 호스, 파이프, 파이프라인 등(64)을 통하여 수(水), 물, 액(液), 유(流),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물질, 물체, 몸체, 재료(1), 자재(1), 물속, 수중, 하천, 연못, 수조, 탱크, 관로, 튜브, 호스, 파이프, 중공체, 배합기(22), 펌프(23), 공급로(25), 저류조, 폭기조, 반응조, 생물반응조, 화학반응조, 공중, 실내, 공장, 현장, 대기, 실내공기, 터널, 터널현장, 분진공기, 악취공기, 상기 튜브 내지 면처리기 등에 주입되어 공기, 산소, 기포 등을 공급하여 폭기, 반응, 응집, 산화, 정화, 정수, 청정 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흙,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등(1)에 주입되어 공기, 기포 등이 매입된 기포토, 기포몰탈, 기포레미콘, 기포콘크리트, 경량토, 경량몰탈, 경량레미콘, 경량콘크리트 등을 조성하게 되고, 양생기에서 분사되는 양생용 공기에 추가 투입되어 양생을 촉진하게 되거나, 양생공기의 분사량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8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 또는 3D프린터(320)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레일(330)이 거치된 프레임(322)과, 상기 레일(330)을 따라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이동부, 헤드, 이의 케이스 중 하나와, 상기 헤드, 이동체, 이동부, 케이스 중 하나에 설치되고 축조 재료(80)를 분출하여 3D 구조물(310)을 형성하는 노즐 또는 플로터 또는 타설기(66)와, 상기 노즐 또는 플로터 또는 타설기에 압력을 제공하여 재료(80)가 분출되도록 하는 펌프(63)를 포함하는 3D프린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 3D프린터에서 프레임(322)은 지면, 신축 시설 위 또는 주위, 신축 건물 위 또는 주위 등에 거치된다. 본 도에서 그림 a는 노즐(66), 플로터, 타설기, 타설구(200) 등을 나타내는 것이고, 여기에는 기능, 기능기, 기능물,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30, 32, 40, 42)이 이용, 구비, 발현 등이 가능하다. 상기 3D프린터, 레일, 프레임, 이동체, 이동부, 헤드, 케이스, 노즐, 플로터, 타설기, 펌프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공체, 장치1, 장치2, 장치3, 장치 통과 물질 중 하나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49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 또는 3D프린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3차원으로 이동하는 3D프린터의 노즐 또는 플로터 또는 타설기(66)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3D프린터는 상기 장비, 저장고 내지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또는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또는 상기 장착에 의하여 상기 자화, 와류, 자화와류, 저장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3D프린터(320), 3D프린팅기, 3D프린팅머신, 3D프린팅장치, 3D printer, 지면 또는 신축 시설의 주위에 거치된 프레임에 거치되면서 3차원 이동하는 타설기 구비 3D프린터 등이 해당된다. 여기의 3D프린터(320)는 프레임(322)에 3차원이동(323)이 가능한 이동체 또는 이동부(336)가 탑재되어 3차원으로 이동(323)하면서 배합기(62), 펌프(63), 공급로(64)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재료,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등(80)을 타설, 분사, 주입 등을 하여 시설, 건물, 구조물 등(310)을 조성, 공사, 시공, 건설, 건축 등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3차원 이동체 또는 이동부(336)는 모터, 로라, 레일 등에 의하여 3차원 이동하고, 이에는 타설기, 분사기, 주입기, 플로터, plotter, 노즐 등(66)이 거치되어 축조하고자 하는 시설, 건물의 구조나 형태를 따라 3차원 이동하면서 재료를 타설하여 시설, 건물을 축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3D프린터, 이의 이동체 또는 이동부, 이에 거치된 타설장비 등은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3차원 이동하면서 재료를 타설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프린터는 프린터, 인쇄기, printer, 3D프린터, 3차원프린터, 3차원모형 프린터, 3차원피규어(3D figure) 프린터, 3차원모형을 제작하는 프린터, 3차원피규어를 제작하는 프린터, 3차원모형을 프린트하는 프린터, 건물 또는 조형물을 축조하는 프린터, 재료를 배출하여 건물 또는 조형물을 적층 축조하는 프린터, 재료를 반복적으로 적층 배출하여 건물 또는 조형물을 적층 축조하는 프린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3D프린터 또는 3차원 이동의 예로는 기초, 기둥, 지지대, 프레임 등(322)에 지지되면서 이의 상부 좌우에 거치된 2개 레일a(330), 이에 각각 거치되면서 모터a(331)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레일a를 따라 전후 이동(1차원 이동)(323)하는 2개 로라a(332), 이의 로라a 2개 사이에 구비된 레일b(333), 이에 거치되면서 모터b(334)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레일b를 따라 이동하는 좌우 이동(이의 1차원 + 상기 1차원 = 2차원 이동)(323)하는 1개 로라b(335), 이에 거치되면서 모터c(341)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a(342)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하 이동(이의 1차원 + 상기 2차원 = 3차원 이동)(323)하는 줄, 실, 벨트, 체인 등의 상하 이동부(336), 또는 상기 회전체a(342)와 이에 맞대어 위치한 다른 회전체b(343) 사이에 압착 매입되어 상기 회전체a의 회전에 의하여 밀림 또는 끌림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막대 형태의 상하 이동부(336), 상기 상하 이동부에 장착되어 3차원 이동하는 타설장비(66)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막대 형태의 상하 이동부(336)는 상기 회전체a(342)와 이에 맞대어 위치한 다른 회전체b(343), 그리고 상기 회전체a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회전체c(344)와 이에 맞대어 위치하면서 상기 회전체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회전체d(345)의 사이에 압착 매입되어 상기 회전체a(342)의 회전에 의하여 밀림 또는 끌림 등이 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상기 3D프린터에서 막대(336)는 대, 봉, 근, 바, 리바, 막대, 롯드 등이 해당된다. 상기 프레임은 기초, 기둥, 4개 기둥, 가로 및 세로 보의 조합, 4개 기둥과 중간 보와 상부 보의 조합, 세로 기둥과 가로 보의 조합, 이의 입체물, 4개 기둥 및 이의 상부에 위치한 4방향 레일(330), 가두리 4개 레일, 상기 레일a(330), 레일b(333), 또는 4개 기둥 및 이의 상부 코너를 연결하는 4방향 레일(330) 등이 해당된다. 상기 줄, 실, 벨트, 체인, 상하 이동부 등의 하부에는 추, 중추, 납덩어리 등의 중량물이 장착되어 하단부의 위치, 좌표 등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재료가 정확한 위치, 좌표 등에 타설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라 또는 회전체에는 이의 회전을 감속, 정지 등을 하는 브레이크, 리트렉터 등의 구비가 가능하고, 이의 브레이크 예로는 로라 또는 회전체 측면에 거치된 브레이크라이닝(338), 이를 로라 또는 회전체 방향으로 밀거나 압착하여 로라 또는 회전체에 접촉되어 이의 회전을 감속, 정지 등을 하는 페달, 압착수단 등(339)의 조합이 해당된다. 상기 모터는 로라 또는 회전체의 중심축, 회전축 등(336)에 거치되어 이를 회전시킴으로 상기 중심축, 회전축 등의 몸체인 로라 또는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로라, 회전체 등은 이들의 보호, 안전 등을 위하여 케이스, 하우징 등(347)에 매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체a(342)는 상기 로라b(335), 케이스(347), 이의 하부 등에 줄, 끈, 봉 등(340)에 의하여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중에서 상기 회전체a와 상기 로라b의 연결은 상기 회전체a와 상기 로라b의 중심축(336)에 각각 거치된 베어링(337)을 상호 줄, 끈, 봉 등(340)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동부(335), 이에 장착된 타설장비(66)는 상기 전후 1차원, 좌우 1차원, 상하 1차원에 위하여 총 3차원 이동, 또는 상기 전후 1차원, 좌우 1차원, 이 둘에 의한 2차원, 상하 1차원, 이와 상기 2차원에 의한 3차원 이동 등을 하게 되어 상기 타설장비(66)에 의하여 건물을 3차원적으로 공사, 건물 축조를 위한 콘크리트의 3차원적 타설, 건물 축조에 필요한 형틀, 철근, 콘크리트 등의 운반, 조립, 타설 등이 가능하게 된다. 구조물 공사를 위한 형틀, 철근, 콘크리트 타설장비 등은 a) 상기 로라, 회전체, 이동체, 이동부, b) 이중 하나에 구비된 적재대, 운반대, 케이지, 이동대, 승강대 등에 구비, 거치, 탑재, 묶음, 정착, 장착, 적재 등이 되어 3차원적으로 이동하면서 건물공사 공정에 따라 적정의 층, 장소, 위치 등에 운반, 하역, 조립, 타설 등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타설장비는 a) 타설기, 노즐, 호스, 디퓨저, 분사기, 프린트의 플로터, b) 이중 하나 구비 타설장비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동체, 이동부(335) 등에 장착되어 3차원 이동하는 타설장비(66)에는 배합기(62), 펌프(63), 공급로(64) 등이 연계되어 레미콘 등의 재료(80)가 공급된다. 상기 타설기(66), 배합기(62), 펌프(63), 공급로(64), 재료(80) 등에는 본 발명의 자석, 자화체, 이의 매입 중공체 등의 구비가 가능하여 자화 재료가 공급, 타설되는 특징을 가지고, 본 발명의 풍력콤프레셔, 풍력발전기, 태양발전기 등에 의하여 생성된 압축물, 압축수, 압축공기, 전기 등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 3D프린터(320)의 다른 예로는 레일(330)이 거치된 프레임(322)과, 상기 레일(330)을 따라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이동부, 헤드, 이의 케이스 중 하나와, 상기 헤드, 이동체, 이동부, 케이스 중 하나에 설치되고 축조 재료(80)를 분출하여 3D 구조물(310)을 형성하는 노즐, 플로터, 타설기, 분사기, 타설호스, 분사호스 등(66)과,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에 압력을 제공하여 재료(80)가 분출되도록 하는 펌프(63)를 포함하는 3D프린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 3D프린터에서 프레임(322)은 지면, 신축 시설 위 또는 주위, 신축 건물 위 또는 주위 등에 거치된다.
본 발명의 3D프린터(320)에 의한 건물, 구조물 등의 축조 예로는 1) 사례 : 상기 3D프린터에 장착된 노즐, 호스, 플로터, 디퓨저, 타설기, 분사기 등(66)을 통하여 양생을 촉진하는 급결제, 바인더 등이 투입된 몰탈, 레미콘, 콘크리트 등을 건물형태 또는 건물구조를 따라 순환하여 이동하면서 5∼30cm 높이의 레이어(layer)로 또는 층상으로 상승하면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타설하여 건물 공사, 여기서 5cm 이하는 타설 높이가 너무 낮아 공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30cm 이상은 1회 타설 높이가 너무 높아 즉각적인 양생이 어려워 실시간적으로 순환하여 이동하면서 실시되는 타설공사가 어렵기 때문임, 2) 사례 : 상기 타설을 건물 바닥, 1층 기둥 및 벽체, 1층 슬라브, 2층 기둥 및 벽체, 2층 슬라브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하여 n층을 축조하고 최종적으로 옥상 슬라브를 하여 건물 완성, 3) 사례 : a) 기초 설치를 위한 지반 보링, b) 상기 이동부에 철근망을 거치하여 상기 보링공에 철근망 투입, c)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를 통하여 상기 보링공에 기초 파일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d)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건물 바닥부 형틀, 철근 운반 및 조립, e) 상기 타설기를 통하여 건물 바닥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f)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1층 기둥, 벽체의 형틀, 철근 운반 및 조립, g)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를 통하여 1층 기둥, 벽체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h) 상기 이동체, 타설기 등을 상승 시킴, i)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1층 슬라브 형틀, 철근 운반 및 조립, j)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를 통하여 1층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k) 상기 이동부에 형틀, 철근을 거치하여 2층 기둥, 벽체의 형틀, 철근 운반 및 조립, ℓ)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를 통하여 2층 기둥, 벽체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m) 상기 이동체, 타설기 등을 상승 시킴, n) 상기를 반복하여 n층 기둥, 벽체, 슬라브 등의 형틀, 철근 운반 및 조립,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o) 상기 플로터 또는 타설기를 통하여 최종 옥상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 등에 의한다. 상기 1층, 2층, n층은 층별 높이(3m 등)를 한번에 조립, 타설 등을 하거나 또는 3m 기준인 층별 높이를 다시 세분하여 0.25m 높이, 0.5m 높이, 1m 높이, 1.5m 높이 등으로 하여 세분 조립, 타설 등이 가능하다.
도 50은 본 발명에 의한 수소차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수소차에는 차체(800), 상기 차체에 탑재된 수소탱크(801), 상기 수소탱크에서 공급되는 수소(802)와 공기 중의 산소(803)를 이용하여 전기(804)와 물(805)을 생성하는 연료전지(806) 또는 연료전지스택,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807), 상기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모터(808), 상기 배터리(807) 또는 모터(808)에 연결되는 보조배터리(798), 상기 연결하는 잭 또는 케이블 또는 플러그(799),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바퀴(809)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수소차는 충전소에서 충전한 수소를 고압(700bar)으로 저장하는 수소탱크, 수소와 산소를 화학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또는 연료전지스택,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자동차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 기타 열·물 관리장치, 공조장치, 전력변환장치, 고압밸브 등으로 구성된다. 연료전지스택은 수백개의 셀을 직렬로 쌓아 올린 것으로 수소와 산소가 화학반응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스택의 단위 셀은 막전극접합체(MEA)와 분리막(Separate)으로 구성된다. 상기 MEA는 백금촉매가 도포된 촉매전극인 양극(Anode, 공기극)과 음극(Cathode, 연료극)이고,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있는 것으로 수소이온을 이동시켜주는 고분자 전해질막이다.
상기 수소차의 가동순서는 1) 수소탱크의 수소(H2)는 연료전지스택(Stack)의 음극으로 주입되어 촉매를 통해 산화반응하여 수소이온(H+)과 전자(e-)로 분해, 2) 분해된 수소이온(H+)은 전해질을 통해, 전자(e-)는 전선을 통해 양극(공기극)으로 이동, 3) 외부로부터 유입된 산소(O2)와 수소이온(H+), 전자(e-)는 양극에서 화학반응을 통해 물(H2O)과 열을 발생, 4) 발생된 전기가 배터리에 저장, 5) 물은 외부로 배출, 6) 전기에 의한 모터의 회전, 7) 상기 회전에 의하여 바퀴회전하여 주행 등이다.
상기 수소차는 수소차, Fuel Cell Electric Vehicle, 압축수소탱크 또는 액체수소탱크를 이용해 수소를 공급하는 방식, 메탄올을 분해하여 수소를 공급하는 방식, 수소와 산소가 촉매를 통해 반응하여 생성되는 전기로 모터를 구동, 물 이외의 배출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환경친화적 자동차, 물의 전기분해로 만들어진 수소 사용 가능, 기존 가솔린 내연기관 대신 연료전지를 이용한 자동차, 수소와 산소가 결합해 에너지를 만든 후 이산화탄소 등의 탄화수소물이 아닌 H2O(물)가 배출되는 자동차, 물을 전기분해 하면 양(+)극에서 산소가 생성되고 음(-)극에서 수소가 생성되는데, 이것을 반대로 하여 수소를 이용해서 물을 만들면 그 과정에서 전기가 생성된 것을 이용, 수소탱크의 수소와 공기중의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자동차 등이다.
본 발명에서 전기차는 배터리(807), 이를 충전하는 충전구(796),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모터(808), 상기 배터리(807) 또는 모터(808)에 연결되는 보조배터리(798), 차량의 본체(800) 또는 트렁크(797)에 탑재되는 보조배터리(798), 상기 트렁크(797)에서 꺼내어 상기 배터리(807) 또는 모터(808)에 연결되는 보조배터리(798), 상기 연결하는 잭 또는 케이블 또는 플러그(799), 상기 충전구 또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보조배터리(798), 자동차의 충전구(796)에 연계되어 자동차 배터리(807)를 충전하는 보조배터리(798), 자동차의 충전구(798)에 케이블(799)로 연계되어 자동차 배터리(807)를 충전하는 보조배터리(798),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바퀴(809) 등이 포함된다.
도 5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배터리 또는 파워뱅크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 폐배터리, ESS, 파워뱅크, 보조배터리 등의 예로는 배터리(19), 이가 내장된 가방 또는 본체 또는 케이스(786), 이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 또는 이동수단(785),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핸들 또는 손잡이(784), 상기 케이스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핸들 또는 손잡이, 상기 케이스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공간,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바 또는 대(787), 바 또는 대(787)의 일단에 구비된 잡이 또는 손잡이(784), 상기 배터리 또는 케이스에 장착된 잭이나 콘센트 또는 케이블(799), 상기 콘센트에 인입되는 잭이나 플러그, 상기 잭이나 플러그에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잭이나 케이블의 일단에 구비된 플러그,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가 연결되는 전기시설,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가 연결되는 집이나 가정의 전기시설,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가 연결되는 집이나 가정의 콘센트, 상기 연결에 의하여 충전되는 상기 배터리 또는 케이스, 상기 충전시키는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 자동차의 트렁크(797)에 탑재된 배터리(19) 또는 보조배터리(798) 또는 파워뱅크(798), 자동차의 트렁크(797)에서 꺼내어진(790) 배터리(19) 또는 보조배터리(798) 또는 파워뱅크(798), 상기 배터리(19) 또는 보조배터리(798) 또는 파워뱅크(798)의 잭이나 플러그(799)가 인입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구(796) 또는 콘센트, 상기 잭이나 케이블(799)이 연결되는 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배터리, 상기 인입 또는 연결에 의하여 의하여 자동차의 배터리(807)를 충전시키는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799), 상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에 의하여 방전되는 또는 전기가 소모되는 것으로 보조배터리(798)또는 파워뱅크(798) 또는 상기 케이스(786)에 내장된 배터리(19), 상기 방전 또는 소모 후에 재충전되는 것으로 보조배터리(798) 또는 파워뱅크(798) 또는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배터리(19), 상기 재충전을 위하여 상기 잭이나 케이블 또는 플러그(799)가 전기시설에 연결되는 것으로 보조배터리(798) 또는 파워뱅크(798) 또는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배터리(19), 상기 전기시설에 연결되는 재충전되는 것으로 보조배터리(798) 또는 파워뱅크(798) 또는 상기 케이스(786)에 내장된 배터리(19) 등이 해당된다. 도 51 (a)는 박스형, (b)는 멜빵형, (c)는 캐리어형의 배터리(19) 또는 보조배터리(798) 또는 파워뱅크(798)를 나타낸다. 그리고 (b)는 자동차의 트렁크(797)에 탑재된 배터리(19) 또는 보조배터리(798) 또는 파워뱅크(798)를 꺼내어(790) 상기 배터리(19) 또는 보조배터리(798) 또는 파워뱅크(798)와 자동차의 충전구(796)를 상호 잭이나 케이블 등(799)으로 연결하여 자동차의 배터리(807)를 충전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2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통 또는 수소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압력통 또는 수소통은 라이너(810), 상기 라이너를 이루는 또는 상기 라이너에 감긴 탄소섬유복합재(811), 탱크 입구의 라이너를 보호하는 보호재(812), 수소충전입구 파이프와 라이너의 사이를 충진하는 보스(813) 또는 마개 또는 충진재, 수소가 유입되는 수소충전부(814), 수소가 토출되는 수소토출부(815), 탱크 내의 수소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816), 탱크 내의 수소 압력을 안전하게 하는 압력안전장치(817) 또는 온도감응식 압력안전장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 가능하다.
도 53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드론, 망드론, 새장드론, 보호망드론, Cage drone, Net drone, Protection drone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드론에는 케이지, 망, 網, 망사, 網紗, 철망, 그물, 그물망, 원망, 원형망, 구망, 구형망, 공망, 공형망, 축구공망, 가두리망, 케이스망, 드론을 에워싸는 망, 중공망, 하우스망, 새장, 보호망 등(820)이 구비되고, 드론은 상기 케이지 내지 보호망 등(820)에 의하여 보호, 완충, 충격완충, 파손보호, 부딛힘보호 등이 된다. 이에 의하여 드론은 터널, 수로, 통로, 지하, 전철, 지하철, 지하도, 좁은 공간 등을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고, 물체나 터널, 수로, 통로, 지하, 전철, 지하철, 지하도, 좁은 공간 등에 부딛혀도 파손되지 않고 안전한 비행이나 운전을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지 내지 보호망 등(820)의 재질은 철, 금속, 나무, 목재, 수지, PP, PC, PE, PVC, FRP, 폴리머, 플라스틱, 혼합재, 복합재 등이 가능하다.
도 54는 본 발명에 의한 광촉매반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촉매(830), 광촉매(830), 이산화티타늄(TiO2, 830), 이에 조사되는 자외선이나 빛(hν, 831),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e-, 832)와 정공(h+, +전하를 가지는 전자와 같은 입자, 833), 상기 전자(e-, 832)와 반응하는 광촉매 표면에 있는 산소(O2), 이에 의하여 조성되는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 -), 이는 환원반응(834), 상기 정공(h+, 833)과 반응하는 공기중에 존재하는 물(H2O),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소이온(H+)과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이는 산화반응(835), 오염이나 유해물질 제거 기능을 가진 상기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 -),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등이 해당된다.
광촉매(830) 또는 이산화티타늄(TiO2, 830)은 표면에 빛(hν, 831)을 받게되면 전자(e-, 832)와 정공(h+, +전하를 가지는 전자와 같은 입자, 833)이 생기게 된다. 전자(e-, 832)는 광촉매 표면에 있는 산소(O2)와 반응해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 -)을 만든다. 이는 환원반응(834)이 된다. 정공(h+, 833)은 공기중에 존재하는 물(H2O)과 반응하여 수소이온(H+)과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을 만든다. 이는 산화반응(835)이 된다. 여기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 -),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등은 살균, 소독, 정화, 청정, 오염제거, VOC분해, NOx제거, SOx제거, 유기물분해, 유해물질분해, 유해물질 제거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 촉매(830), 광촉매(830), 이산화티타늄(TiO2, 830) 등은 반응, 촉매반응, 광촉매반응, 환원반응, 산화반응, 還元反應, 酸化反應, reduction reaction, oxidation reaction, 환원산화반응, reduction and oxidation reaction, 레독스반응, redox reaction 등을 한다. 상기 레독스는 레독스, 환원산화, reduction and oxidation 등을 나타낸다.
상기 유해물질은 CO, CO2, O3, H2, H2S, NO, NO2, N2O, NH3, NOx, 질소산화물, 窒素酸化物, nitrogen oxide, SO, SO2, SOx, 황산화물, 黃酸化物, sulfur oxide, SF6, He, pH, VOC, PM10, PM2.5, PM1.0, 균, 세균, 병원균, 메탄, 가스, 오염, 오염물, 오염성분, 중금속, 기름, 유류, 공기질, 메탄가스, 유해물질, 유해성분, 유해가스, 위해물질, 위해성분, 위해가스, 일반세균, 대장균, 연쇄상구균, 녹농균, 살모넬라, 쉬겔라, 납, 불소, 비소, 셀레늄, 수은, 시안, 크롬,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카드뮴, 붕소, 브롬산염, 스트론튬, 우라늄, 페놀,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디클로로메탄,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디클로로에틸렌, 사염화탄소, 염소, 잔류염소, 클로로포름, 포름알데히드, 벤젠, 갈덴, 경도(硬度), 냄새, 악취, 악취물질, 먼지, 분진, 미세먼지,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극초미세먼지(PM1.0), 라돈,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휘발성유기화합물, 환경호르몬, 포름알데히드, HCHO,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스티렌, 자일렌, 세균, 부유세균, 온도, 습도, 가스, 공기질, 이산화탄소(CO2; Carbon Dioxide),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총부유세균(TAB; Total Airborne Bacteria), 일산화탄소(CO; Carbon Monoxide), 이산화질소(NO2; Nitrogen dioxide), 라돈(Rn; Radon),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석면(Asbestos), 오존(O3; Ozone), 곰팡이(Mold),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에틸벤젠(Ethylbenzene), 자일렌(Xylene), 스티렌(Styrene), 인체에 나쁜 물질, 인체에 유해한 물질, 인체에 위해한 물질,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다.
상기 공기질은 공기, 공기질, 공기농도, 온도, 습도, 공기의 질, 유해물질, 상기 CO 내지 복합, 상기 CO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질, 상기 CO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농도, 공기 중의 상기 CO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질, 공기 중의 상기 CO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농도 등이다. 본 발명에서 오염은 균, 오염, 유해물질, 상기 CO 내지 복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질소산화물은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의 총칭, NO -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2 = 이산화질소(Nitrogen dioxide), N2O = 일산화이질소(Dinitrogen monoxide), N2O3 = 삼산화이질소(Dinitrogen trioxide), N2O 4 = 사산화이질소(Dinitrogen tetroxide), N2O5 = 오산화이질소(Dinitrogen pentoxide) 등이 해당된다. 상기 황산화물은 황(S)과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총칭, 이산화황(SO2), 삼산화황(SO3), 아황산(H2SO3), 황산(H2SO4), 황산구리(Cu2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염 등이 해당된다. 상기 미세먼지는 fine particulate matter, 입자의 크기가 지름 10㎛ 이하인 대기오염물질, 지름 10㎛(마이크로미터, 1㎛=1000분의 1㎜) 이하의 먼지 등이 해당된다. 이는 크기에 따라 PM10(미세먼지), PM2.5(초미세먼지), PM1.0(극초미세먼지)으로 구분한다. 상기 PM(Particulate Matter)은 입자상 물질(대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미세 입자)이라는 뜻이다. PM10은 입자의 크기가 지름 10㎛ 이하, PM2.5는 지름 2.5㎛ 이하, PM1.0은 지름 1.0㎛ 이하의 먼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도 6의 공장 내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지 현장오토메이션, 도 8 및 9의 사람 내지 디스플레이, 도 10의 사람 내지 메타버스, 도 11 및 12의 현장 내지 디스플레이, 도 13의 현장 내지 디스플레이, 본사 내지 중앙관제센터, 도 15 및 16의 웨어러블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도 18의 수단 내지 복합수단, 도 28의 제1중공체 내지 디스플레이, 도 29의 거치대 내지 연결대, 도 36의 자성체 내지 중공체, 도 37의 링 내지 중공링, 도 38의 분해기 내지 저장탱크, 도 39의 분해기 내지 공급라인, 도 40의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 도 41의 봉 내지 길이조절셀카봉, 도 51의 배터리 내지 전기시설, 도 54의 촉매 내지 하이드록실 라디칼,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b) 이상에 기재된 또는 상기 도 1 내지 도 54 등에 기재된 용어, 단어, 물질, 물체, 일, 작업, 수단, 장비, 장치, 시설, 설비; c) 이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d) 상기 공장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공장 내지 복합; f) 상기 공장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g) 상기 수 내지 메타버스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되는 상기 공장 내지 복합;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도 7의 상기 공장 내지 현장오토메이션, 도 8 및 9의 상기 사람 내지 디스플레이, 도 10의 상기 사람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도 11 및 12의 현장 내지 디스플레이, 도 13의 상기 현장 내지 메타버스공간, 도 15 및 도 16의 상기 웨어러블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도 18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도 19의 상기 타설구 내지 엔드호스, 도 20의 백호 내지 비트, 도 26의 상기 삼각대 내지 복합대, 도 27의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도 28의 상기 제1중공체 내지 디스플레이, 도 29의 거치대 내지 연결대, 도 30의 상기 저장고 내지 면처리기, 도 31의 상기 저장고 내지 복합기, 도 32의 상기 펌프 내지 차량, 도 33의 상기 탱크 내지 배출구, 도 34의 상기 터널 내지 방음벽, 도 35의 상기 청정기 내지 노즐, 도 36의 상기 라이닝자석 내지 중공체, 도 37의 상기 몸체 내지 송풍기, 도 38의 상기 분해기 내지 저장탱크, 도 39의 분해기 내지 공급라인, 도 40의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 도 40의 상기 자성체 내지 복합수단, 도 36의 봉 내지 길이조절셀카봉, 도 44의 틀 내지 복합수단, 도 45의 안전대 내지 안전판, 도 46의 시설 내지 복합시설, 도 47의 풍력 내지 공급호스, 도 51의 배터리 내지 전기시설, 도 54의 촉매 내지 하이드록실 라디칼; b) 이중 둘 이상 복합수단; c) 이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d) 상기 수단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 e) 상기 자화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 f) 상기 수단 내지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관한 수, 물, 액, 유, 제, 재, 물질, 재료, 자재, 기(器), 기(機), 기기, 기구, 장비, 장치, 설비, 시설, 구조, 작업, 업무, 시스템, 플랫폼, 메타버스; g) 상기 수 내지 메타버스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 등은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장착, 결합, 연계, 연결, 합체, 전선연결, 호스연결, 파이프연결, 중공체에 내장 등이 가능하거나, 상호 또는 둘 이상이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장착, 결합, 연계, 연결, 합체, 전선연결, 호스연결, 파이프연결, 중공체에 내장 등이 가능하다. 상기 도 7의 공장 ∼ 도 54의 하이드록실 라디칼 등은 본 발명의 수단이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 7의 공장 ∼ 도 54의 하이드록실 라디칼 등에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는 상기 도 7의 공장 ∼ 도 54의 하이드록실 라디칼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IT 내지 4차산업기술, 헬멧 내지 안전고리, 센서 내지 제어기, 센서 내지 디스플레이, 자화기 내지 기능물, 칩 내지 복합요소, 기(器) 내지 복합기, 수단 내지 안전관리시스템; b) 수(水) 내지 복합물, C 내지 복합물, 졸 내지 복합물, 인산 내지 복합물, 수지 내지 복합물, 셀 내지 복합물; c) 흙 내지 복합재료, 역청 내지 복합재료, 철 내지 복합재료, 실 내지 복합재료, 약 내지 복합재료, 청정제 내지 복합재료, 애쉬 내지 복합재료, 몰탈 내지 복합재료; d) 막 내지 복합자재, 콕 내지 복합자재, 빔 내지 복합자재, 변기 내지 복합자재, 건자재 내지 복합자재, 기초 내지 복합자재, 보 내지 복합자재; e) 집 내지 복합시설, 철탑 내지 복합시설, 시설 내지 복합시설; f) 상기 도 1의 공장 ∼ 도 48의 하이드록실 라디칼; g) 센싱 내지 측정, 자화 내지 복합, 인식 내지 안전구축, 인식 내지 복합, 일 내지 네트워크구축, 일 내지 복합, 안마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h)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복합기, 복합수단; i) 상기 중 하나의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수(水), 물(物), 액(液), 유(油), 제(劑), 재(材), 품(品), 물질, 재료, 자재, 제품, 상품, 용품, 물품; j) 상기 중 하나의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계, 기구, 장치, 장비, 설비, 부품, 수단, 시스템; k) 상기 중 하나의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일, 업무, 작업, 제조, 생산, 공사, 건설, 건축, 시공, 청정, 청소, 크린, 크리닝; ℓ)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이용, 사용, 적용, 활용, 구비, 구성, 거치, 존치, 장착, 생성, 발생, 조성, 형성, 주입, 투입, 분사, 분무, 살수; m) 상기 중 하나의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기능, 성능, 효과, 효능, 효율, 방법, 공법, 방안, 대책, 대안; n)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복합기, 복합수단; o) 상기 중 하나의 또는 하나를 가진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 상기 수단 내지 h) 복합수단 등은 일, 수단 등이 되거나, 또는 일, 수단 등에 속하게 되고, 상기 일, 수단 등이 이용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 본 발명에서는 a) 안전 수단, 일에 이용되는 복합수단, IT 수단, 제조에 이용되는 4차산업기술, 센싱 헬멧, 사람에 착용되는 안전고리, 측정 센서, 살수 제어기, 관측 센서, 영상 디스플레이, 청정하는 자화기, 자화 기능물, 칩 구비 수단, 복합요소 거치 시스템, 작업하는 기(器), 생산하는 복합기, 공사하는 수단, 일에 대한 안전관리시스템; b) 제조에 이용되는 수(水), 장치에서 생성되는 복합물, 물질에 함유된 C, 복합물이 이용되는 공사, 졸이 이용되는 생산, 장비에서 조성되는 복합물, 자재에 포함된 인산, 복합물이 이용되는 제품, 수지가 투입되는 장비, 장비에 투입되는 복합물, 흙에 포함된 셀, 복합물이 이용되는 건설; c) 흙 포장, 복합재료 이용, 역청 포장, 자재에 함유된 복합재료, 철 이용 장비, 공사용 복합재료, 제조용 실, 복합재료 이용 시공, 약이 투입된 재료, 복합재료가 이용되는 제조, 청정제에 의한 청정, 청정에 이용되는 복합재료, 몰탈에 포함된 애쉬, 복합재료가 포함되는 시설, 몰탈 이용 공사, 공사에 이용되는 복합재료; d) 막 제품, 복합자재 이용 물품, 수도용 콕, 복합자재로 공사된 시설, 시설에 이용되는 빔, IT 복합자재, 5G 통신이 되는 변기, 3D 형상의 복합자재, 4D가 구현되는 건자재, Al의 기능을 가진 복합자재, IC 화로가 구비된 기초, 복합자재 이용 VR, 보(beam)이 이용되는 AR, MR에 이용되는 복합자재; e) XR이 구현되는 집, 복합시설 이용의 DX, ICT 기술이 접복된 철탑, 복합시설이 이용되는 NFT, LoT 시설, LoE 복합시설; f) AIoT가 이용되는 상기 도 1의 공장, 도 38의 복합수단에 이용되는 GPS; g) SNS 센싱, 측정과 WiFi 통신, IT기술 이용 자화, 복합 ESG, 인식 기구, 안전구축 시스템, 사람 인식, 복합 장치, 일하는 장비, 업무 네트워크구축, 제조 일, 복합 시스템, 인부 안마, 복합 안마, 제조 장비, 복합 물질, 공사에 이용되는 자재, 복합 공사, 시설 청정, 복합 청정; h) 공사와 청정의 복합, 센서와 측정기의 복합기, 일하고 청정하는 복합수단; i) 장비를 거친 수(水), 장치를 거친 물(物), 기구를 거친 액(液), 기구를 거친 유(油), 장비에서 제조된 제(劑), 장비에서 만들어진 재(材), 시스템을 거친 품(品), 설비를 거친 물질, 제조기를 거친 재료, 생산시스템을 거친 자재, 생산시설에서 제조된 제품, 공장에서 제조된 상품, 전자 용품, 생활 물품; j) 제조하는 기(器), 생산하는 기(機), 주입하는 기기, 분사용 기계, 공사 기구, 청정 장치, 정화 장비, 제조 설비, 제조 부품, 공사 수단, 안전 시스템; k) 장비가 이용되는 일, 장치가 이용되는 업무, 작업 장비, 제조 장비, 생산 시설, 공사 장비, 건설 IT, 건축 BIM, 시공 장비, 청정기가 이용되는 청정, 물질 이용 청소, 재료 이용 크리닝; ℓ) 장비 이용, 장치 사용, 물질 적용, 재료 활용, 자재 구비, 시설 구성, 수단 거치, 장비에 청정기 존치, 청정기 장착, 물질 생성, 수소 발생, 재료 조성, 시설 형성, 몰탈 주입, 물질 투입 제조, 살균제 분사, 소독제 분무, 살수하는 장비; m) 자화 기능, 센싱 성능, 안마 효과, 센서 및 측정기 효능, 센싱 및 살균 효율, 공사 방법, 제조 공법, 안전 및 위생 방안, 방역 및 방제 대책, 청정 및 크리닝 대안; n) IT와 LoT가 이용되는 제조의 복합, 센서와 헬멧과 측정기와 자화기의 복합기, 장비 이용 일과 자화기에 의한 자화와 제조하는 시스템의 복합수단; o) 일의 수단, 업무의 시스템, 작업의 시설, 제조의 기능을 가진 장치, 생산의 설비, 공사의 기능을 가진 장비, 건설을 하는 사람, 건축의 업무, 시공의 기능을 가진 장비, 청정하는 기능을 가진 소독기, 청소하는 청정기, 크리닝하는 공사장비, 물질을 생성하는 장비, 가스가 발생된 장치, 장비에 의하여 조성된 시설, 물질을 형성하는 장치, 지반에 주입된 재료, 장치에 투입하는 물질, 공중에 분사된 청정제, 분무하는 로봇, 살수하는 기능의 장비, 안마 기능을 가진 센서 또는 멜빵 또는 웨어러블수단, 정화 성능을 가진 랜턴 또는 제어기 또는 안마기, 청정 기능을 가진 램프 또는 포켓 또는 웨어러블수단, 청정 효과를 가진 제조장비, 크리닝 효능의 장비, 소독 효율을 가진 분사기, 공사 방법의 장치, 청정 공법의 마련, 안전 방안의 시스템, 대책 시스템, 대안 시설;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을 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거나, 또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타버스 또는 메타버스플랫폼은 a) 메타버스, 메타버스플랫폼, 3차원 가상공간, 디지털트윈화, 실제 장소를 똑같이 가상세계로 구현하는 메타버스 또는 메타버스플랫폼, 지역 특화 콘텐츠 메타버스, 해양 투어에 스마트 선박 콘텐츠를 메타버스에 구축, 증강현실(AR)로 시연 또는 운영, 가상현실(VR)로 볼 수 있는 메타버스, 메타버스 공간에 전시컨벤션센터 구축, 메타버스 공간에 회의장 구축, 메타버스 공간에 게임장 구축, 메타버스 공간에 놀이시설 구축, 인공지능 인간과 아바타가 마이스(MICE)를 운영하는 메타버스, 외래환자 케어를 위한 의료 메타버스 서비스, 멀리 떨어져 있는 환자를 위한 메타버스, 메타버스에서 의료진의 원격 협진, 디지털 치료제 처방, 각종 의료 교육; b) 또는 일, 작업, 업무, 근무, 제조, 생산, 공사, 시공, 정화, 청정, 청소, 여행, 관광, 놀이, 투어, 의료, 의학, 진료, 처치, 처리, 교육, 공부, 강의, 회의, 미팅, 만남, 쇼핑, 홈쇼핑, 집, 주택, 건물, 공장, 현장, 사무실, 장소, 명소, 관광명소, 해양관광명소, 지역, 지방,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인천, 경기도, 충남, 충북, 경남, 경북, 전남, 전북, 고궁, 궁궐, 공원, 놀이터, 명승지, 산, 계곡, 평야, 해안, 해양, 수영장, 해수욕장, 시장, 마트, 상점, 점포, 카페, 식당, 음식, 음식점, 전시장, 쇼핑센터, 극장, 영화관, 컨벤션, 엑스포,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의 또는 등에 관련되는 메타버스 또는 메타버스플랫폼; c) 메타버스 또는 메타버스플랫폼이 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메타버스 또는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시행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메타버스 또는 메타버스플랫폼에 시연 또는 구현되는 상기 일 내지 복합; d)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시행되는 메타버스 또는 메타버스플랫폼, 상기 일 내지 복합 등이 시연 또는 구현되는 메타버스 또는 메타버스플랫폼; 등이 해당되거나, 또는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a), b), c)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a) a1) 자석, 이에 구비된 침, 상기 침에 거치된 자성체, 이에 구비된 칩, 상기 자석에 장착된 판, 상기 판에 이격된 솔, 상기 판에 구비된 자화기, 이중 하나 이상에 자장이나 전기를 가하는 전선, 상기 전선에 구비된 전극; a2) 이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소자, 진자, 센서, 측정기, 등, 전등, LED, LED등, 표시기, 표시등; a3)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항균기, 살균기, 소독기, 오존기, 진동기, 자화기, 청정기, 정화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a4)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파, 波, 열, 熱, 가열, 파동, 웨이브, wave, 자력, 磁力, 전력, 電力, 진동, 가진, 加振, 자화, 磁化, 충격, 충돌, 흐름, 와류, 폭기, 수격, 水擊, 작용, 항균, 살균, 소독, 청정, 정화, 발전, 충전, 방전, 분해, 전해, 電解, 전장, 電場, 전기장, 電氣場, 자장, 磁場, 자기장, 磁氣場, 기전력, 전자기장, 電磁氣場, 이중 줄 이상 복합; a5)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가해지는 상기 파 내지 복합; a6) 상기 자석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수, 水, 물, 物, 액, 液, 유, 油, 기, 氣, 고, 固, 제, 劑, 재, 材, 파, 波, 열, 熱, 파동, 波動, 액체, 液體, 기체, 氣體, 고체, 固體, 재료, 물질; a7) 상기 자석 내지 물질 중 하나의 상기 자석 내지 물질; a8)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장치, 장비, 기기, 기계, 시설, 설비, 밸브, 밸브실, 부속물, 시스템, 이중 둘 이상 복합;
b) b1) 다수개 코어, 이를 감싸는 코일, 상기 다수개 코어의 사이에 구비된 자석, 상기 자석에 이격된 판, 상기 코어에 이격된 자성체, 상기 코일에 이격된 자화기, 상기 자석에 구비된 편심체, 상기 판에 대면된 침, 상기 자성체에 구비된 초음파 소자, 상기 자화기에 구비된 가진자, 상기 편심체가 구비된 진동자, 이중 하나 이상에 자장이나 전기를 가하는 전선, 상기 전선에 구비된 전극; b2) 이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소자 내지 표시등; b3)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항균기 내지 복합기; b4)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상기 파 내지 복합; b5)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가해지는 상기 파 내지 복합; b6) 상기 자석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수 내지 물질; b7) 상기 자석 내지 물질 중 하나의 상기 자석 내지 물질; b8)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c) c1) 판, 배플, 플레이트, 이중 하나에 부착된 자석, 상기 판에 부착된 다른 판, 이에 구비된 자성체, 상기 판에 이격된 망, 이중 하나에 구비된 자화기, 이중 하나 이상을 에워싸는 코일, 이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구비된 막이나 전극, 이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전선, 이에 연결되는 건전지, 충전지, 배터리, 폐배터리, 이중 하나가 포함되는 파워뱅크, 전기저장소, 전기공급기, 에너지저장시스템; c2) 이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상기 소자 내지 표시등; c3)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항균기 내지 복합기; c4)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한 또는 상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상기 파 내지 복합; c5)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가해지는 상기 파 내지 복합; c6) 상기 자석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수 내지 물질; c7) 상기 자석 내지 물질 중 하나의 상기 자석 내지 물질; c8)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장치 내지 복합; 등.
상기 배플은 배플, baffle, 판, 진동판, 소리판, 벽, 차단벽, 차단막, 차단판, 판재, 변환기, 변환판, 막, 차폐막, 차폐구조, 막이, 칸막이, 충돌판, 통로에 설치되는 판, 플레이트 등이다. 상기 전극은 전극, 양극, 음극, electrode, 도체, conductor, 금속편. 산화전극, 환원전극, 금속 재질의 도체, 전류가 흘러 들어가거나 나오는 물체 또는 단자,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내보내고 전자를 받아들이는 전극인 양극(positive electrode, +극), 전류가 들어오고 전자를 내보내는 전극인 음극(negative electrode, -극), 전극이 전기 활성(electro-active) 화학종을 포함하는 전해질과 접촉해 있으며 이러한 화학종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을 산화 전극(anode) 그리고 환원이 일어나면 환원 전극(cathode), 생물 일렉트로닉스 분야에서 쓰이는 측정용 금속편, 전류가 출입하는 도체 부분, 전해질 내의 이온과 외부 전기 회로 사이에서 전기량을 주고 받는 도체 부분. 전자관에서 그 전계에 의해 전자 또는 이온을 방출하고, 수집하고, 혹은 그들의 이동을 제어하는 도체 요소, 반도체에서 그 전계에 의해 전자나 정공을 방출하고 수집하고, 혹은 그들의 이동을 제어하는 요소, 전자의 흐름은 음극에서 양극으로 진행, 전류의 흐름은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 전자의 진행 방향과 전류의 흐름 방향은 반대, 직류 전원에서는 양극과 음극이 고정, 교류 전원에서는 주기적으로 양극과 음극이 계속 바뀜, 자발적으로 산화 전극에서 전자가 발생하여 전선을 통해 환원 전극으로 흘러가는 갈바니 전지, 알칼리 전지, 아연 탄소 전지 등의 1차 전지, 방전 과정은 갈바니 전지로 작동하고 충전 과정은 전기 에너지가 필요한 전기분해 전지로 작동하기 때문에 산화 전극과 환원 전극이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반대로 바뀌는 2차 전지 등이거나 또는 등이 관련된다.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이중 하나의 속, 면, 내부, 외부, 주변, 인근, 지상, 지하, 지면; 등에는 a) 전기, 전원, 전력, 동력, 전압, 전류, 충전, 방전, 정전압, 정전류, 에너지, 전지, 태양전지, 태양관패널, 팬, 풍력팬, 발전기, 태양발전기, 풍력발전기, 충전지, 충전기, 방전기, 배터리, 폐배터리, 파워뱅크, ESS, 에너지저장시스템, energy storage system, 전원공급기, 전기공급기, power supplier, 전원공급수단, 전기공급수단; b) 상기 중 하나의 기, 器, 機, 기기, 기구, 기계, 시설, 장치, 설비; c) 이중 둘 이상 복합; d)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상기 전기 내지 복합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전기 내지 복합; 등의 이용, 사용, 적용, 활용, 구비, 거치, 공급, 인가, 제공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IoT, IoE,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Everything, 사물인터넷, 만물인터넷 등에서 a) T, E, 사물, 만물, Things, Everything 등은 일정의 수단, 장치, 장비, 시설, 설비, 시스템, 캠, cam, 카메라, camera,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이 해당되고, b) I 또는 Internet은 b1) 웹(Web), 플랫폼, SNS, YouTube, 어플리케이션, 앱, app, application, 모뎀, 인터넷 모뎀, USIM, 비콘, 블루투스, 게이트웨이, 인터넷, 인터넷장치, 통신망, 통신기, 통신장치, 컴퓨터, 핸드폰, 모니터, 스크린, 디스플레이; b2)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연계되는 상기 웹 내지 디스플레이; b3) 이중 하나가 이용되는 전송, 송신, 수신, 저장, 시청, 청취, 관람, 저장, 연산, 인터넷, 컴퓨팅, 영상이나 자료나 정보의 상기 전송 내지 컴퓨팅; b4) 상기 웹 내지 디스플레이 등에 의한 상기 전송 내지 컴퓨팅; b5) 상기 웹 내지 디스플레이 등이 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상기 전송 내지 컴퓨팅;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의 의하여 IoT, IoE, IoT 기기, IoE 기기 등이 이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IoT, IoE, IoT 이용, IoE 이용 중 하나의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전송 내지 컴퓨팅 등이 조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함유, 포함, 투입, 관련, 관계 등은 a)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응용, 병용, 구비, 구성,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정착, 장착, 부착, 접착, 점착, 함유, 포함, 혼합, 혼입, 배합, 매입, 투입, 유입, 주입, 注入, 삽입, 내장, 내재, 외장, 외재, 병행, 첨가, 추가, 추인, 가미, 가산, 마련, 수반, 따름, 형성, 조성, 생성, 발생, 발사, 發射, 방사, 放射, 조사, 照射, 비침, 비춤, 발현, 구현, 연계, 연결, 체결, 병합, 합체, 끼움, 끼임, 조합, 관련, 관계, 관여, 관통, 통과, 흐름, 지남, 접촉, 칠, 바름, 미장, 코팅, 도장, 도색, 숏팅, 블라스팅, 숏블라스팅, 분사, 분수, 분무, 분포, 분출, 배출, 유출, 살수, 확산, 확충, 확전, 분산, 분포, 스프레이, 포설, 포장, 묶임, 용접, 볼팅, 접착, 접합, 점착, 압착, 증착, 겹침, 적층, 적재, 누적, 야적, 쌓음, 쌓임, 증착, 인가, 허가, 소유, 소지, 보유, 보관, 인용, 수식, 첨삭, 삭제, 면제, 더하기, 제하기, 탑재, 탑승, 합승, 승용, 매담, 달림, 매달림, 새김, 새겨짐, 양각, 파임, 파여짐, 덮음, 카바, 에워쌈, 조립, 조각, 조형, 조임, 배양, 양식, 분해, 분리, 선별, 부패, 부숙, 훈증, 함침, 합침, 수침, 침지, 침적, 폭기, 반응, 응집, 침전, 여과, 살균, 소독,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척, 세정, 세탁, 세차, 필터링, 페인팅, 크리닝, 라이닝, 리모델링, 거치대구비, 거치대에 구비, 거치대를 통하여 구비, 패스, 바이패스, 우회, 통에 내장, 박스에 내장, 중공체에 내장, 끈연결, 선연결, 줄연결, 잭연결, 둘 이상 연결, 나사연결, 전선연결, 호스연결, 라인연결, 파이프연결, 벤츄리연결, 플랜지연결; b) 또는 줄, 선, 線, 실, 사, 絲, 띠, 끈, 대, 봉, 근, 筋, 바, bar, 판, 板, 版, 조, 통, 함, 백, bag, 노끈, 리바, rebar, 철근, 막대, 자석, 전극, 전선, 고리, 앙카, 라인, 튜브, 밴드, 호스, 파이프, 케이블, 전자석, 중공체 등으로 또는 등에 의하여 상기 이용 내지 플랜지연결; c) 또는 c1) 대상, 대상물, 대상체, 대상지, c2) 이중 하나의 전, 중, 후, 상, 하,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내부, 외부, 입구, 출구, 이음부, 연결부, 절취부, 절단부 등에 상기 이용 내지 플랜지연결; d) d1)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d2) 이중 하나 이상의 상, 하, 전, 후, 좌, 우, 면, 표면, 내부, 내면, 외부, 외면, 외주, 입구, 출구, 주변, 주위, 인근, 동시, 실시간, 이음부, 연결부 등에 상기 이용 내지 플랜지연결; e) 또는 상기 일 내지 복합, 제조 내지 복합, 공사 내지 복합, 청정 내지 복합, 자화 내지 기능처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연계는 a) 연계, 연결, 결합,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접속, 접촉; b) 또는 튜브, 타설구, 중공체 등의 전, 후, 좌, 우, 상, 하, 내부, 외부, 전단, 후단, 측단, 양단, 전방, 후방, 측방, 양방 등에 상기 연계 내지 접촉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구비, 구성, 거치, 포함 등은 a) 구비, 구성, 마련,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정착, 장착, 부착, 접착, 점착, 밀착, 압착, 처리, 처치 이용, 사용, 적용, 겸용, 활용, 응용, 병용, 함유, 포함, 혼합, 배합, 매입, 투입, 삽입, 연계, 연결, 체결, 병합, 합체, 끼움, 내재, 내장, 외장, 조임, 밴딩, 묶음, 끼움, 조립, 조합, 연합, 관련, 관계, 형성, 조성, 완성; b) 또는 해당되는 전체, 부분, 일부, 일부분, 전체의 부분, 전체의 일부, 전체 중 부분, 전체 중 일부, 전체의 50%, 전체의 1∼99% 등이 상기 구비 내지 완성;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중 하나"는 중 하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등이 해당된다. 상기 군은 군, 群, 그룹, groop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에서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의 함량, 구성비, 성분비 등은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각각이 0∼100 %, 중량부, 중량%, 체적% 등이 된다. 본 발명에서 '∼', '내지' 등은 ∼, 내지, ∼부터 ∼까지, 어디에서 어디까지, 얼마에서 얼마까지, 일정의 범위, 2개 이상의 범위, 2개 이상의 나열 범위, 2개 이상의 개수 범위, 2개 이상의 용어 나열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 d, a 내지 d 등은 a ∼ d, a 내지 d, a부터 d까지, 즉 a, b, c, d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 등'은 ∼ 등, 等, ∼ 등등, ∼ 중 하나, ∼ 중 하나 이상, ∼ 중 하나 이상 복합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서 a, b, c, d 등은 1) a, b, c, d 등; 2) a, b, c, d 등등; 3) a, b, c, d 중 하나; 4) a, b, c, d 중 하나 이상; 5) a, b, c, d 중 하나 이상 복합; 6) a, b, c, d, a와 b, a와 c, a와 d, b와 c, b와 d, c와 d, a와 b와 c, a와 b와 d, b와 c와 d, a와 b와 c와 d;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이들'은 이들, 이중, 이중 하나, 이중 둘, 이중 하나 이상, 이중 둘 이상, 상기 들, 상기 중, 상기 중 하나, 상기 중 둘, 상기 중 복수, 상기 중 하나 이상, 상기 중 둘 이상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a) 함유, 포함, 주입, 투입, 매입, 첨가, 혼입, 혼합, 배합, 복합, 구성, 구비, b) 또는 함유물, 포함물, 주입물, 투입물, 매입물, 첨가물, 혼입물, 혼합물, 배합물, 복합물, 구성물, 구비물 등에서 함유, 포함, 주입, 투입, 매입, 첨가, 혼입, 혼합, 배합, 복합, 구성, 구비 등의 정도는 a) 일정의 %, 중량부, 체적부, 중량%, 체적%, 배, 배수, b) 0.001, 0.01, 1, 5, 10, 20, 25, 50, 75, 80, 90, 1∼99, 100, 10-10∼1010 등의 %, 중량부, 체적부, 중량%, 체적%, 배, 배수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포함의 경우 포함은 0.01배 포함, 함유의 경우 함유는 5% 함유, 포함의 경우 포함은 10중량부 포함, 주입의 경우 주입은 20체적부 주입, 투입의 경우 투입은 25중량% 투입, 혼입의 경우 50체적% 혼입, 투입의 경우 1∼99% 투입, 구성의 경우 1∼99배 구성 등이 해당된다.
이상에 기재 또는 설명된 내용, 용어, 단어, 숙어, 구절, 어구, 문구, 문장, 단락, 설명, 해설, 표현, 표기, 도면, 그림, 청구항 내용 등은 본 발명의 내용, 청구항, 청구범위, 청구내용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내용, 청구항, 실시예 등의 일부에 관한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내용, 청구항, 실시예 등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항은 모두 본 발명 및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에너지저장시스템(ESS) 2 : 배터리팩, 폐배터리팩, ESS유닛
3 : 배터리, 폐배터리 4 : BMS(배터리관리시스템)
5 : 전기, 전원, 전력, 전압, 전류 10 : 발전기 11 : 전력계통
12 : 비상발전기 13 : 컨버터 15 : 인버터
31 : 충전부 32 : 방전부 33 : 관리부
34 : 모니터링부 35 : 제어부
300 : 파워뱅크 또는 보조배터리 301 : 파워뱅크 본체
303 : 파워뱅크 전력량계 309 : 파워뱅크 가방

Claims (1)

  1. 공사에 있어서,
    사용된 후 폐기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가 포함되는 파워뱅크 또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방법, 공법, 자재, 시설, 수단, 장비, 시스템

KR1020220137853A 2022-10-25 2022-10-25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방법 KR20240057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853A KR20240057544A (ko) 2022-10-25 2022-10-25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853A KR20240057544A (ko) 2022-10-25 2022-10-25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544A true KR20240057544A (ko) 2024-05-03

Family

ID=9107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853A KR20240057544A (ko) 2022-10-25 2022-10-25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5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31264A (ko) 비타민이 함유된 밥, 김밥, 햇밥, 피자, 치킨, 음식, 푸드, 식품, 식료품, 떡볶기, 햄버거, 샌드위치
KR20240005662A (ko) 공사용 로봇, 자동로봇, 건설로봇, 3d프린터, 자동3d프린터
KR20230132758A (ko) 로봇 및 이가 이용되는 청소, 정화, 청정, 방역, 크리닝 방법
KR20230129146A (ko) AI, IoT, Meta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
KR20230129961A (ko) AI, IT, IoT 로봇, 드론, 장비, 장치, 시설,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시스템,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KR20230129137A (ko) 공사, 안전, 진단, 감리, 계측, 작업, 모니터링의 시스템, 관리시스템, 자동시스템
KR20240063083A (ko) 공사, 작업, 안전, 제조 관리의 수단, 기술, 장비, 방법, 시스템
KR20240057544A (ko) Ess, 충전기, 충전소, 파워뱅크, 폐배터리, 전기장치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작업, 재활용, 리사이클링 방법
KR20240057547A (ko) IT, AI, ICT, IoT, ESG, ESS, 수단, 배터리, 딥러닝, 빅데이터, 클라우드, 웨어러블, 메타버스 및 이의 이용 작업, 제조, 공사, 건설, 건축, 분양, 안전, 청정, 방역, 살균 방법
KR20240056998A (ko) 장치, 장비, 자재, 재료, 물품, 물체, 물질, 작업, 제조, 공사, 정화, 청정, 처리, 살균, 소독, 수단, 시설, 건물, 구조물, 드론, 배터리, 파워뱅크, 3d프린터, 모빌리티, 메타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