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915B1 -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915B1
KR102335915B1 KR1020200019784A KR20200019784A KR102335915B1 KR 102335915 B1 KR102335915 B1 KR 102335915B1 KR 1020200019784 A KR1020200019784 A KR 1020200019784A KR 20200019784 A KR20200019784 A KR 20200019784A KR 102335915 B1 KR102335915 B1 KR 102335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ensor
safety protection
protection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476A (ko
Inventor
김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to KR102020001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915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인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String) 중 인체의 가슴 부위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스트링의 양 단에 구비되어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 센서 및 심박 센서에서 출력되는 심박수를 IoT 기반 무선통신으로 출력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띠 및 스마트 안전띠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도록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통신모듈,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정보입출력모듈, 전방을 촬영하고 전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영상조명모듈, 얼굴의 양측 및 하측을 감싸는 스트링의 중앙부에 위치한 체결 수단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착용감지센서, 스마트 안전띠에서 출력된 심박수, 정보입출력모듈에서 출력된 감지 데이터 및 제 1 착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체결 여부를 분석 및 처리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INTERNET OF THING BASED SMART SAFETY PROTECTION GEAR AND SYSTEM FOR PROVIDING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ER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IoT 기반으로 안전모 및 안전띠를 연동시키고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주변 환경, 생체 및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정부의 국민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 중 2022년까지 산업재해 사망자수 절반 감축 목표가 포함되어 있지만, 산업재해 현황발표에 따르면 산업재해 사망 사건 수 및 건설업 산재 사망자의 발생률은 여전히 증가 추세에 있다. 다양한 작업 환경과 작업 대상 그리고 작업 사각지대 존재로 인해 건설 현장에는, 항상 많은 사고 위험 요소들이 존재한다. 작동 미숙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작업효율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작업 시 주변 환경정보의 획득, 위험 요소 인지 그리고 획득된 정보 기반으로 건설 장비의 안전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이때, 건설 현장에서 안전사고예방을 위하여 위치정보, 영상정보 및 착용정보를 이용한 안전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914228호(2018년11월02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052548호(2019년12월06일 공고)에는, 현장의 안전관제영역 내 유해 정보나 위험 정보를 획득하여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현장 안전관제영역 내 위험 객체정보를 검출하고 이벤트 발생에 따른 사고발생 시 위치를 추적하며 영상을 촬영하며, AP 송신기의 신호 세기를 감지하여 위험구역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대응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구성과,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지 신호를 통하여 판별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건설 작업은 인력 의존도가 높아 품질관리가 어렵고, 고령화, 3D 업종 회피의 이유로 인력 수급이 쉽지 않다. 중국, 몽골, 베트남 등 인근 아시아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건설 현장에서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으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작업 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 건설 계약의 구조상 복잡다단한 하청 인프라로 인하여 소수의 관리인력이 다수의 작업자의 업무 및 위험 상황을 모두 관리할 수 없고, 메뉴얼 기반 안전 작업 및 품질 작업 여부 확인이 어려운 것이 현 실정이다. 그리고, 공사현장 내 위험요소를 작업 전에 파악하고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하청업체의 이행여부 확인이나 전달 체계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건설현장 산업재해로 인한 비용이 증가하고, 결국 입찰 참여에 제한을 받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 기반으로 주변 환경 데이터 및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고, 환경 변화에 대응하도록 조명 및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위험상황이나 긴급상황인 경우 조명의 색상 변화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생체 데이터로 이상 신호를 감지하거나 근태 관리가 가능하고, 무선 통신으로 음성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분산된 작업자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안전모 및 안전띠의 착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고, GPS 및 카메라를 통하여 작업자의 동선을 트랙킹함과 동시에 CCTV의 사각지대까지 촬영이 가능하므로 작업 진척도 및 위험 여부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String) 중 인체의 가슴 부위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스트링의 양 단에 구비되어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 센서 및 심박 센서에서 출력되는 심박수를 IoT 기반 무선통신으로 출력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띠 및 스마트 안전띠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도록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통신모듈,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정보입출력모듈, 전방을 촬영하고 전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영상조명모듈, 얼굴의 양측 및 하측을 감싸는 스트링의 중앙부에 위치한 체결 수단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착용감지센서, 스마트 안전띠에서 출력된 심박수, 정보입출력모듈에서 출력된 감지 데이터 및 제 1 착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체결 여부를 분석 및 처리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인체의 두부 및 몸체에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GPS 기반 위치를 식별하며,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 음성을 입력받고 출력하며, 감지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출력하고, 전방을 촬영하고 감지 데이터 중 조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방에 빛을 조사하는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위치를 GPS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위치확인부,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가 인체에 착용되지 않은 경우 미착용 이벤트를 출력하는 착용확인부,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 중 생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건강관리부, 감지 데이터 중 주변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여 작업 환경을 확인하는 환경관리부를 포함하는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IoT 기반으로 주변 환경 데이터 및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고, 환경 변화에 대응하도록 조명 및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위험상황이나 긴급상황인 경우 조명의 색상 변화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생체 데이터로 이상 신호를 감지하거나 근태 관리가 가능하고, 무선 통신으로 음성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분산된 작업자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안전모 및 안전띠의 착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고, GPS 및 카메라를 통하여 작업자의 동선을 트랙킹함과 동시에 CCTV의 사각지대까지 촬영이 가능하므로 작업 진척도 및 위험 여부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띠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중 스마트 안전모의 각 구성요소가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중 스마트 안전모의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중 스마트 안전모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중 스마트 안전띠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된 실시예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안전띠는 허리에 매는 안전벨트 또는 어깨에 매는 안전대를 의미하며, 안전벨트 및 안전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 및 관리자 단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 및 관리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스마트 안전띠(5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와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자 단말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스마트 안전모(400),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1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의 위치, 환경 및 생체 데이터와, 스마트 안전모(10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모니터링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의 식별자를 등록 및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를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스트리밍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상황별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에서 출력된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기 설정된 경고나 알람을 출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 안전모(400)로부터 구조요청이 출력되는 경우, 이를 관리자 단말이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는,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작업자의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안전모(400)는, 작업자의 생체 데이터, 주변 환경 데이터, 위치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안전모(400)는, IoT 기반으로 스마트 안전띠(500)와 연동되는 장치일 수 있고, 스마트 안전띠(500)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는,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착용 여부 또는 체결 수단의 체결 여부 등을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는,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스마트 안전모(400)를 경유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물론,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에 중거리나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무선 모듈이 설치되는 경우, 스마트 안전모(400)를 거치지 않아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각 구성의 삭제 또는 추가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600)은,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거나 알람이나 구조신호를 출력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600)은,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거나 직접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띠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중 스마트 안전모의 각 구성요소가 분해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중 스마트 안전모의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중 스마트 안전모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중 스마트 안전띠의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위치확인부(320), 착용확인부(330), 건강관리부(340), 환경관리부(350), 휴게관리부(360) 및 작업관리부(370)를 포함한다. 스마트 안전모(400)는, 무선통신모듈(410), 정보입출력모듈(420), 영상조명모듈(430), 제어모듈(440), 제 1 착용감지센서(4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안전띠(500)는, 심박센서(510), 제 2 착용감지센서(520) 및 제 3 착용감지센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로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는,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모(4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안전띠(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는, 스마트 안전모(400)와 스마트 안전띠(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인체의 두부 및 몸체에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GPS 기반 위치를 식별하며,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 음성을 입력받고 출력하며, 감지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출력하고, 전방을 촬영하고 감지 데이터 중 조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방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스마트 안전모(400)와 스마트 안전띠(500)를 하나의 쌍으로 매핑하여 관리할 수도 있지만, 별개의 단품으로 각각의 식별자나 ID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식별자를 저장한 후,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포함된 이하의 각 구성요소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자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저장된 데이터는 기 설정된 기간이 도과하는 경우 삭제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엑세스권을 부여하고 기간을 설정하여 유지할 수도 있다.
위치확인부(320)는,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위치를 GPS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실외에서는 GPS 기반으로 다소 오차없이 실시간 동선을 트래킹할 수 있지만 실내에서는 신호세기의 영향으로 GPS를 기반으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확인부(320)는, 실내에서는 BLE 등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한 실내측위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Bluetooth 5.1 외에도 IEEE 802.15.4z 표준인 IR-UWB(Impulse-Radio Ultra-Wideband), AoA(Angle of Arrival), AoD(Angle of Departure), ToA(Fingerprinting, Time of Arrival),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이를 해석하기 위하여,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한 삼변측량법,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활용한 기법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역시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착용확인부(330)는,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가 인체에 착용되지 않은 경우 미착용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는, 스마트 안전모(400) 및 스마트 안전띠(500)를 착용했는지의 유무, 착용했다면 체결 수단은 체결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착용확인부(330)으로 그 결과값을 피드백하게 된다. 이때, 착용 유무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감지 장치는 접촉식 물리적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네오디움 자석을 감지 장치에 부착하여 체결 수단의 돌기 파트가 홈 파트에 삽입될 때 자화 현상을 통한 자기검출 센서(Hall-Sensor)의 입력 신호나 압전 센서 또는 충격 센서 등으로 체결 여부를 검출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건강관리부(340)는,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 중 생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생체 데이터는, 심박수나 호흡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건강관리부(340)는, 비접촉식 생체신호탐지(Vital Sign Detection, VSD)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생체신호는 폐에 의한 호흡수(Respiratory Rate)와 심장에 의한 심장박동수(Cardiac Rate)로 정의될 수 있고, 이 장기들은 흉부 또는 등 부위 피부에 미세한 움직임을 야기하고, 이 움직임을 가지는 사람으로부터 수신된 레이다 반사 신호에는 미세한 위상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미세한 위상변화에 대한 스펙트럼 분석을 하는 경우, 즉 미세도플러 효과(micro-Doppler effect)를 분석함으로써 호흡수나 심박수를 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건설 현장에는 작업자가 다수이므로, 복수의 사람에 의한 반 신호들이 동일한 거리(Radial-Range)에서 하나의 레이다 수신신호로 혼합될 수도 있으므로, 혼합된 레이다 수신신호를 개별 사람 신호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VMD(Variational Mode Decomposition)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MUSIC(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거리축에서 복수의 사람을 분리할 수도 있다.
환경관리부(350)는, 감지 데이터 중 주변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여 작업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는,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온도 센서 및 체온 센서에 기반하여 열을 방출 또는 열을 흡수하는 펠티어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관리부(350)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온도 및 습도가 기 설정된 냉방 또는 난방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펠티어 소자에서 열을 방출하거나 흡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환경관리부(350)에서 관리되지 않고 직접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에서 제어되고, 그 결과값만 환경관리부(350)에서 히스토리 로그를 남길 수 있도록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에서 환경관리부(350)로 전달할 수도 있다.
휴게관리부(360)는,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GPS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트래킹하고, 기 설정된 시간 착용시 휴게시간을 출력하고, 출력된 휴게시간 이후 착용확인부(330) 및 위치확인부(320)의 착용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에 기반하여 휴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심시간에는 체결 수단이 해제되고, 휴게시간에는 한 자리에서 이동하지 않거나 현장을 이탈하여 다른 지점으로 이동을 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휴게관리부(360)는 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각 작업자의 휴게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또, 휴게관리부(360)는, 근로기준법에 의거 법정된 휴게시간은 4 시간 작업 후 30 분씩이므로 이를 지키도록 할 수도 있고, 그 결과값을 피드백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작업관리부(370)는,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GPS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트래킹하고, 기 저장된 팀별로 할당된 작업자의 위치와 비교하여 팀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팀에서 이탈한 작업자를 체크리스트에 포함시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C,D가 한 팀이라면 Z 영역에서 함께 작업하거나, X-Y-Z와 같이 일련의 동선을 이루는 경로(Path)에 A,B,C,D가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이때, A가 Z 영역을 기 설정된 반경을 초과하여 위치하거나, X-Y-Z 경로 상에 존재하지 않거나 경로에서 기 설정된 반경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팀 이탈로 볼 수 있다. 하청업체의 관리가 어려운 상태에서 이를 일일이 수동으로 기록 및 관리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로 포함시켜 로그를 생성하고, 이후 근태관리의 증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준값인 기 설정된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 히스토리 로그에서 인터럽트 신호, 예를 들어, 경고로 표시하여 체크해둠으로써 이후 검색이 용이하도록 태깅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모듈(410)은, 스마트 안전띠(500)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도록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모듈(410)은, 후술될 제어모듈(4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모듈(410)이 삭제될 수 있고, 제어모듈(440)에서 무선통신모듈(410)의 구성요소 및 동작과 프로세스를 모두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모듈(410)은, LoRa Communication을 이용할 수 있다. LoRa는 Long Range Low Power 무선 플랫폼으로써 92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기술이다. LoRa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시나리오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CDMA/LTE 모뎀 방식의 사물인터넷 시나리오와 유사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접근성이 훨씬 더 수월하다. LoRa를 이용하는 방식과 CDMA/LTE 모뎀을 이용하는 방식은 공통적으로 네트워크 환경이 용이한 실내 보다는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야외나 네트워크 구축이 힘든 실내환경에 활용될 때 많은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LoRa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시나리오를 구축할 경우에는 SKT의 ThingPlug 서버가 데이터를 수집해 주고 장치 제어를 중재해 주기 때문에 모뎀과 전화선 또는 전용 서버가 없어도 원격지 장치의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제어하는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만으로도 원격지 센서 네트워크를 모니터링 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010 번호가 할당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CDMA/LTE와는 달리 번호 자원의 소진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즉, 사물인터넷 시나리오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비용과 시간이 덜 들게 되고, 신속하게 원하는 시나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모듈(410)에서는, 저전력 LoRa 무선 통신과 GPS 수신 기능을 갖추고 있는 스마트 안전모(400)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위치추적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실내 위치 측위 및 트래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스마트 안전모(400)는 현재 작업자의 위치를 GPS 값으로 LoRa 통신을 이용하여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고,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스마트 안전모(400)의 전력수급은 WIFI AP 등을 이용할 수도 있고, 스마트 안전모(400)와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의 통신은 WIFI AP나 리피터(repeater)가 요구되지 않는 LoRa 통신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스마트 안전모(40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LoRa 통신을 위해서 UART , SPI통신 방식 및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보입출력모듈(420)은,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온도, 습도, 진동, 소음, 자외선, 유해가스, 조도 및 충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일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종류는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정보입출력모듈(420)은, 스마트 안전모(400)의 위치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GPS(미도시), 착용자의 음성발화를 입력받는 무선마이크로폰(C) 및 위험경고, 알람 및 구조요청을 포함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입출력모듈(420)은, 야간 또는 응급시 점멸되도록 제어모듈(440)에 의해 제어되는 LED와, LED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별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광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센서의 작동여부를 파악하고, 야간이나 응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정보입출력모듈(420)은, 컴퓨팅 자원이 충분하게 구현된 경우, 자체적으로 음성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네트워킹 자원을 확보하여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음성인식을 위한 실시간 음성 데이터를 업로드하게 된다. 여기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충분한 공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업로드된 음성 데이터를 STT(Speech to Text)를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텍스트 내에서 중요한 키워드를 추출하여 태깅을 해두어야 이후 검색어가 질의로 입력되었을 때 유사도에 근거하여 검출을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텍스트 변환 및 저장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검색어로 나올만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는 다른 문서와 구분해 해당 문서를 대표할 수 있는 단어로, 정보 검색, 문서 분류, 요약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를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FastText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단어의 앞뒤 문맥을 반영하여 단어 임베딩을 연산한다. 이 경우 카테고리 단어와 유사도가 높은 단어를 구할 수 있다. 또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의 가중치를 이용함으로써 문맥에 가중치를 주고 카테고리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분류 문제에 도움을 주는 키워드로 구성된 사전을 생성할 수도 있다.
CNN에서 컨볼루션 레이어(Convolutional Layer)는 입력 문장의 자질들에 대해 가중치를 계산한다. 그 후 최대풀링(Max-Pooling)을 통해 각 필터에서 가장 높은 가중치를 가진 자질만 선택하여 카테고리를 분류한다. 모델은 예측 카테고리와 실제 카테고리 사이의 차이를 역전파(Back-Propagation)를 통해 각 레이어에 전달하여 가중치를 업데이트한다. 이 과정에서 컨볼루션 레이어는, 각 문장에서 카테고리를 분류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질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학습하게 된다. 이때, 컨볼루션 레이어의 가중치가 분류에 대한 자질의 중요도를 나타낸다는 점을이용하면, 가중치가 높은 단어를 키워드로 간주하고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발화오류(발음이 뭉개져 텍스트가 오기로 표기되거나 엉뚱한 단어를 발화한 경우)와 같은 문서 내 오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CNN을 음절 단위로 학습하여 해당 문서에 대한 각 음절의 가중치를 구한 후 단어를 이루는 음절들의 가중치를 조합하여 최종 중요도를 구할 수도 있다.
영상조명모듈(430)은, 전방을 촬영하고 전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조명모듈(430)은, 카메라(E), 조명(F) 및 열화상카메라(D)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조명모듈(430)은, 정보입출력모듈(42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조도 센서에서 출력된 조도값이 제어모듈(440)에 기 저장된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턴 온(Turn On)되어 광을 조사하고, 조사되는 광도 및 광량은 조도에 반비례할 수 있다.
제어모듈(440)은, 스마트 안전띠(500)에서 출력된 심박수, 정보입출력모듈(420)에서 출력된 감지 데이터 및 제 1 착용감지센서(450)에서 감지된 체결 여부를 분석 및 처리할 수 있다. 제어모듈(440)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 및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각 감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 및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이나 프로세스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 1 착용감지센서(450)는, 얼굴의 양측 및 하측을 감싸는 스트링(B)의 중앙부에 위치한 체결 수단의 체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체결 수단은, 영상조명모듈(430), 정보입출력모듈(420) 및 제어모듈(440)을 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 안전모(400)의 전면, 측면 및 배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수단(A)은 영상조명모듈(430), 정보입출력모듈(420) 및 제어모듈(440)의 하단에 형성된 돌기와 원터치로 결합되도록 홈 및 홀(Hole)이 형성되고, 홈 및 홀에 돌기가 내삽될 수 있다.
심박센서(510)는, 인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String) 중 인체의 가슴 부위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스트링의 양 단에 구비되어 심박수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심박센서(510)의 결합 위치는 상술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스트링 내에서 그 어디에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제 2 착용감지센서(520)는, 가슴 부위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스트링의 중심부에 위치한 체결수단의 체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제 3 착용감지센서(530)는, 인체의 허리를 감싸도록 위치한 스트링의 중심부에 위치한 체결 수단의 체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전송모듈(미도시)은, 심박 센서에서 출력되는 심박수를 IoT 기반 무선통신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전송모듈은, 제 2 착용감지센서(520) 및 제 3 착용감지센서(5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IoT 기반 무선통신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송모듈의 출력 대상은 스마트 안전모(400)일 수 있다. 여기서, IoT 통신프로토콜은 IETF 표준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자원 제약적 디바이스로 구성된 저전력 손실 네트워크를 로컬 사물인터넷 환경으로 가정하고 자원-제약적 디바이스(Constrained Node)에 인터넷 연결성 제공을 위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IETF 표준은, 자원-제약적 노드로 구성된 LLN(Low power and Lossy Network)을 사물인터넷 접속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식하고 접속 네트워크 관련 사물인터넷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송모듈은, 인프라 (Infrastructure) 기반 네트워크로 구성된 접속 네트워크 환경에서 비-인프라(Infrastructure-less) 기반 IoT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네트워킹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무선통신모듈(410)에 전송모듈의 구성, 표준 및 프토콜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모듈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 스스로 효율적 데이터 전달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SON(Self-Organization Networking) 기법을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메쉬형태로 배열된 노드와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노드 중 제어노드를 설정하는 경우, 설정된 제어노드는 그 주변의 노드를 그룹원으로 하는 그룹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두 개의 도메인은 실제 노드가 위치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물리적 도메인과 제어노드로 구성된 제어 도메인으로 구분되는데, 제어 도메인은 네트워크 구성 시 필요한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형태의 도메인이다. 특히, 제어노드는 자신이 속한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 노드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룹 내에 속한 노드와 제어 메시지를 제어노드에 대신 전달한다. 또한 인프라 기반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제어노드와 연결하는 SON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하는 노드로 지정하고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의 최상위 권한을 가진 노드로 지정한다. 따라서, SON 코디네이터는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며 IoT 네트워크 구성 시 생성되는 링크 생성의 최종적 결정을 수행한다. 또한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에서 이웃노드 탐색 과정인 ND(Neighbor Discovery)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대표가 선출되어 제어노드가 되면, 이웃노드를 탐색하여 그룹핑을 해야 한다. 이때, ND 수행 시 아웃노드 중 6LR(6LoWPAN Router) 노드를 선정하고 6LR 노드를 통해 6LBR(6LoWPAN Border Routers)로 DAR /DAC(Duplicate Address Request/Duplicate Address Confirmation) 메시지를 주고받아 ND 과정을 수행하는 IPv6 ND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6LBR이 수행하던 게이트웨이까지 DAR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 대신, 자신을 관리하는 제어노드까지 DAR/DAC 메시지를 주고받아 네트워크 내에 ND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어 메시지 수를 줄이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렇게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으면, 노드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해 경로 설정 및 탐색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계층 기반 경로 설정 및 탐색 방법을 이용하 할 수 있다. 계층 영역은 제어노드가 관리하는 영역이고, 경로탐색에 필요한 제어메시지는 제어노드로 구성된 제어 도메인 내에서만 전달된다. 따라서, 물리 도메인에 있는 각 노드는 제어노드에 의해서 탐색된 경로를 통해 물리 도메인 내에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IoT 노드나 센서를 이용하여 인프라를 구축하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6의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7을 참조하면,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식별자를 저장하고(S7100),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위치를 GPS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확인한다(S7200).
또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가 인체에 착용되지 않은 경우 미착용 이벤트를 출력하고(S7300),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 중 생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한다(S7400), 그리고,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감지 데이터 중 주변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여 작업 환경을 확인한다(S7500).
상술한 단계들(S7100~S7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7100~S7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7의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된 실시예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객의 니즈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고위험 작업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미숙련자를 집중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비상상황을 조기대응할 수 있고, 작업자의 태도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작업장에서의 다툼이 고소로 이어져 법정싸움으로까지 번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인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String) 중 상기 인체의 가슴 부위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스트링의 양 단에 구비되어 심박수를 감지하는 심박 센서 및 상기 심박 센서에서 출력되는 심박수를 IoT 기반 무선통신으로 출력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띠; 및
    상기 스마트 안전띠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도록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통신모듈,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정보입출력모듈, 전방을 촬영하고 전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영상조명모듈, 얼굴의 양측 및 하측을 감싸는 스트링의 중앙부에 위치한 체결 수단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착용감지센서, 상기 스마트 안전띠에서 출력된 심박수, 상기 정보입출력모듈에서 출력된 감지 데이터 및 상기 제 1 착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체결 여부를 분석 및 처리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모;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안전띠는,
    상기 가슴 부위를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스트링의 중심부에 위치한 체결수단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착용감지센서;
    상기 인체의 허리를 감싸도록 위치한 스트링의 중심부에 위치한 체결 수단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제 3 착용감지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온도, 습도, 진동, 소음, 자외선, 유해가스, 조도 및 충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입출력모듈은,
    상기 스마트 안전모의 위치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GPS;
    착용자의 음성발화를 입력받는 무선마이크로폰; 및
    위험경고, 알람 및 구조요청을 포함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안전모는,
    상기 영상조명모듈, 정보입출력모듈 및 제어모듈을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 안전모의 전면, 측면 및 배면에 각각 구비된 체결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영상조명모듈, 정보입출력모듈 및 제어모듈의 하단에 형성된 돌기와 원터치로 결합되도록 홈 및 홀(Hole)이 형성되고, 상기 홈 및 홀에 상기 돌기가 내삽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입출력모듈은,
    야간 또는 응급시 점멸되도록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LED;
    상기 LED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별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광소자;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조명모듈은,
    상기 정보입출력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조도 센서에서 출력된 조도값이 상기 제어모듈에 기 저장된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턴 온(Turn On)되어 광을 조사하고, 조사되는 광도 및 광량은 상기 조도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인체의 두부 및 몸체에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GPS 기반 위치를 식별하며,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 음성을 입력받고 출력하며, 상기 감지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를 출력하고, 전방을 촬영하고 상기 감지 데이터 중 조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방에 빛을 조사하는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상기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상기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위치를 GPS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위치확인부, 상기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가 인체에 착용되지 않은 경우 미착용 이벤트를 출력하는 착용확인부, 상기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에서 감지된 감지 데이터 중 생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건강관리부, 상기 감지 데이터 중 주변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여 작업 환경을 확인하는 환경관리부, 상기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GPS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트래킹하고, 기 설정된 시간 착용시 휴게시간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휴게시간 이후 상기 착용확인부 및 위치확인부의 착용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에 기반하여 휴식 여부를 판단하는 휴게관리부를 포함하는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로부터 업로드된 음성 데이터를 STT(Speech to Text)를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태깅을 실행하며, 검색어가 질의로 입력되는 경우, 유사도에 근거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는,
    상기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온도 센서 및 체온 센서에 기반하여 열을 방출 또는 열을 흡수하는 펠티어 소자;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의 GPS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트래킹하고, 기 저장된 팀별로 할당된 작업자의 위치와 비교하여 팀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팀에서 이탈한 작업자를 체크리스트에 포함시켜 업데이트하는 작업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019784A 2020-02-18 2020-02-18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35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784A KR102335915B1 (ko) 2020-02-18 2020-02-18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784A KR102335915B1 (ko) 2020-02-18 2020-02-18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476A KR20210105476A (ko) 2021-08-27
KR102335915B1 true KR102335915B1 (ko) 2021-12-09

Family

ID=7750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784A KR102335915B1 (ko) 2020-02-18 2020-02-18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9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8744A (ko) * 2022-02-28 2023-09-05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KR20240016025A (ko) 2022-07-28 2024-02-06 이진호 모듈식 플랫폼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KR20240016024A (ko) 2022-07-28 2024-02-06 이진호 스마트폰과 무선 접속되는 모듈식 플랫폼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625B1 (ko) * 2021-10-06 2023-06-13 김민경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CN114954347A (zh) * 2022-06-13 2022-08-30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检修试验中心 安全带状态监测装置及安全带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657B1 (ko) * 2012-03-30 2013-01-09 주식회사 영신 지능형 안전관제 시스템
KR101292565B1 (ko) * 2011-08-22 2013-08-12 (주)티엘씨테크놀로지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KR101696751B1 (ko) * 2015-12-17 2017-01-1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작업 안전시스템
KR101725144B1 (ko) * 2016-06-13 2017-04-10 이강석 스마트 안전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930B1 (ko) * 2015-10-31 2017-09-14 김청균 스마트 헬멧
KR20170097903A (ko) * 2016-02-19 2017-08-29 문미라 태양광 냉온 안전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565B1 (ko) * 2011-08-22 2013-08-12 (주)티엘씨테크놀로지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KR101212657B1 (ko) * 2012-03-30 2013-01-09 주식회사 영신 지능형 안전관제 시스템
KR101696751B1 (ko) * 2015-12-17 2017-01-1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작업 안전시스템
KR101725144B1 (ko) * 2016-06-13 2017-04-10 이강석 스마트 안전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8744A (ko) * 2022-02-28 2023-09-05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KR102594886B1 (ko) * 2022-02-28 2023-10-27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IoT 기반의 수단, 조끼, 헬멧, 밴드, 워치, 멜빵, 형틀, 비계, 굴착기, 펌프카, 포터블, 크레인, 삼각대 및 이들이 이용되는 작업, 공사, 건설, 건축, 안전관리, 공사관리, 작업관리 방법과 시스템
KR20240016025A (ko) 2022-07-28 2024-02-06 이진호 모듈식 플랫폼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KR20240016024A (ko) 2022-07-28 2024-02-06 이진호 스마트폰과 무선 접속되는 모듈식 플랫폼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476A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915B1 (ko)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525229B1 (ja) デジタルサーチ・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309152A1 (en) Smart safet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08669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search request corresponding to a person, object, or entity (POE) of interest
US11853805B2 (en) Device and method of assigning a digital-assistant task to a mobile computing device in response to an incident
KR100982398B1 (ko) ZigBee와 CCTV를 이용한 상황관제 시스템과 어린이보호 시스템
CN203465820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教室安防系统
CN102867236A (zh) 一种监狱物联网综合应用系统
Seo et al. Secure utilization of beacons and UAVs in emergency response systems for building fire hazard
CN104331755A (zh) 一种人员监管系统和人员监管方法
Kim et al. Smart disaster response in vehicular tunnels: Technologies for search and rescue applications
Kumar et al. Hybrid architecture based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environment in a construction site with 433 MHz LoRa and 2.4 GHz Zigbee
CN105027588B (zh) 自组织网络
KR20220000873A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Nadeem et al. A smart city application design for efficiently tracking missing person in large gatherings in Madinah using emerging IoT technologies
US11659069B2 (en) Node/network aggregation gateway device
Sun Smart prisons
Saxena et al. IoT-Based Women Safety Gadgets (WSG): Vision, Architecture, and Design Trends.
CN105357643A (zh) 基于ZigBee和GPRS的双网监护系统
Deshpande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vision, architecture and applications
KR20180053179A (ko) 어린이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54441B1 (ko) IoT 기반 노인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un Prison IOT
Chatzimichail et al. Smart interconnected infrastructure for security and safety in public places
Ganz et al. DIORAMA: Dynam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resource tracking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