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625B1 -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 Google Patents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625B1
KR102543625B1 KR1020210132048A KR20210132048A KR102543625B1 KR 102543625 B1 KR102543625 B1 KR 102543625B1 KR 1020210132048 A KR1020210132048 A KR 1020210132048A KR 20210132048 A KR20210132048 A KR 20210132048A KR 102543625 B1 KR102543625 B1 KR 102543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scue request
user
wearing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9206A (ko
Inventor
김민경
Original Assignee
김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경 filed Critical 김민경
Priority to KR1020210132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625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2Means for mounting 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5Means for mounting audio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rsing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착용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 상기 뇌파측정부에서 측정된 뇌파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뇌파분석부 및 상기 뇌파분석부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구조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Headgear with emergency rescue request function}
본 발명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를 착용한 사용자의 뇌파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여 위험상황발생 시 응급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추위, 더위,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해 머리에 쓰는 물건으로, 모자는 형태에 따라 크게 햇볕을 가리는 챙 부분이 머리둘레 전체에 걸쳐 구비되는 햇(Hat)타입과 챙이 머리둘레 일부에만 있는 캡(Cap)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곡류나 과채류 따위를 심어 기르고 거두는 농사일을 하는 경우에는 주로 외부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상기와 같은 작업자들은 모자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있으며, 종래에 농작업용 모자는 햇볕을 가려주는 차양기능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주로 차양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차양기능을 위한 차광수단을 탈부착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모자에 농작업에 필요한 도구를 수납 가능하거나 차양과 더불어 방충 작업 등의 기능성이 부가되는 기술들이 일부 개발되고 있으나, 농작업 시 위험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모자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97921호(2018.09.12. 등록)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21-0001895호(2021.08.23.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모자를 착용한 사용자의 뇌파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여 위험상황발생 시 응급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착용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 상기 뇌파측정부에서 측정된 뇌파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뇌파분석부 및 상기 뇌파분석부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구조요청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사용자의 모자착용여부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및 상기 착용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착용여부정보에 따라 상기 뇌파측정부와 상기 뇌파분석부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상기 뇌파분석부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출력부 및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알람출력부의 알람 출력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알람수동정지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동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착용여부정보가 모자 착용상태에서 미착용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알람출력부를 통해 미착용확인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알람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 상기 수동입력부를 통해 상기 알람수동정지신호가 미입력되는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구조요청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착용여부정보가 모자 착용상태에서 미착용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알람출력부를 통해 미착용확인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알람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 상기 수동입력부를 통해 상기 알람수동정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미착용확인알람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상기 알람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해당시점에 또는 해당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 상기 착용감지부에서 모자 착용상태가 미감지되는 경우에, 모자에 구비되는 전원수단으로부터 상기 뇌파측정부, 상기 뇌파분석부, 상기 구조요청부 및 상기 알람출력부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뇌파측정부, 상기 뇌파분석부, 상기 구조요청부 및 상기 알람출력부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하는 절전상태로 자동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상기 수동입력부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구조요청을 위한 수동구조요청신호를 더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입력부에서 상기 수동구조요청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구조요청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상기 착용감지부를 통해 모자 미착용상태에서 착용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시점부터 착용상태가 유지되는 착용경과시간을 모니터링하는 착용시간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경과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휴식이 필요함을 알리는 휴게시간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알람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상기 뇌파측정부는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착용부에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따라 길게 함몰 형성되는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홈에 끼워지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센서모듈은 제1 몸체와,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뇌파센서와, 일단부는 상기 제1 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일홈에 끼워져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체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일홈에 끼워지며, 상하로 상호 대향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몸체와, 한 쌍의 제2 몸체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제2 몸체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탄성지지력을 가지되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도록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센서모듈은 제1 몸체와,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뇌파센서와, 일단부는 상기 제1 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일홈에 끼워져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체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레일홈에 끼워지도록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체결고리를 포함하고, 한 쌍의 탄성체결고리는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고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하 이격거리가 감소되어 상기 레일홈에 끼워질 수 있고, 끼워진 이후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에 의해 상하 이격거리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레일홈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은, 모자의 착용부 외측으로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외면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위치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뇌파측정부는, 상기 센서모듈이 장착되는 상기 고정몸체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모듈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홈과 대응되어 가이드홀이 머리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연질의 보호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본체, 뇌파측정부, 뇌파분석부 및 구조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자를 착용한 사용자의 뇌파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여 혼수상태 등의 위험상황 발생 시 응급구조요청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본체, 뇌파측정부, 뇌파분석부, 구조요청부에 착용감지부와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모자가 벗겨진 이후 뇌파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위험상황, 응급상황 발생 여부를 더 확인하여 응급구조요청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제어부는 착용감지부에서 감지되는 모자 착용 여부를 바탕으로 전력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에너지 효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수동입력부를 통해 수동구조요청신호를 더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수동으로 구조요청이 더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뇌파측정부가 고정몸체, 레일홈, 센서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센서모듈의 장착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센서모듈이 제1 몸체, 뇌파센서, 슬라이드체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센서모듈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센서모듈의 장착개수 등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의 뇌파감지에 따른 응급구조요청이 이루어지는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의 모자착용상태에 따른 응급구조요청이 이루어지는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에서 뇌파감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에서 뇌파감지부에서 레일홈에 센서모듈이 장착중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에서 뇌파감지부에서 레일홈에 센서모듈이 장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좌, 우, 상, 하, 전, 후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각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바라보는 방향 또는 구성요소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의 뇌파감지에 따른 응급구조요청이 이루어지는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의 모자착용상태에 따른 응급구조요청이 이루어지는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가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착용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200)와, 뇌파측정부(200)에서 측정된 뇌파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뇌파분석부(300)와, 뇌파분석부(300)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구조요청부(400)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를 착용한 사용자의 뇌파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여 혼수상태 등의 위험상황 발생 시 응급구조요청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사용자의 모자착용여부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500)와, 착용감지부(500)에서 감지되는 착용여부정보에 따라 뇌파측정부(200), 뇌파분석부(300)를 포함하는 모자의 각 구성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의 모자착용이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뇌파측정부(200)에서 뇌파측정이 시작되고 뇌파분석부(300)에서 측정된 뇌파정보를 분석하도록 구동될 수 있게 되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착용감지부(500)는 모자의 본체(100) 또는 뇌파측정부(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뇌파측정부(200)에서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되는 두피접촉부분에 구비되는 압력센서나 접촉센서와 같은 접촉식 센서나 광센서와 같은 비접촉식 센서 등 모자착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뇌파분석부(300)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출력부(700)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알람출력부(700)의 알람 출력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알람수동정지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동입력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는, 도 4를 참조하면, 착용감지부(500)에서 감지되는 착용여부정보가 모자 착용상태에서 미착용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알람출력부(700)를 통해 모자가 착용상태에서 미착용상태로 전환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미착용확인알람이 출력되도록 알람출력부(700)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 수동입력부(800)를 통해 알람수동정지신호가 미입력되는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조요청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모자가 착용상태에서 비착용상태로 전환된 상태가 사용자의 자의에 의한 것인지 사용자가 작업중 쓰러지는 등 위급상황에 외력에 의해 모자가 벗겨진 상태에 의한 것인지를 사용자로부터 알람수동정지신호 입력여부에 의해 확인하여 응급구조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뇌파정보와 더불어 모자가 벗겨진 이후 뇌파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응급상황발생에 따른 응급구조요청이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제어부(600)는, 착용감지부(500)에서 감지되는 착용여부정보가 모자 착용상태에서 미착용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알람출력부(700)를 통해 모자가 착용상태에서 미착용상태로 전환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미착용확인알람이 출력되도록 알람출력부(700)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 수동입력부(800)를 통해 알람수동정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출력중인 미착용확인알람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상기 알람출력부(700)의 구동을 제어하고, 해당시점에 또는 해당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 착용감지부(500)에서 모자 착용상태가 미감지되는 경우에, 뇌파측정부(200), 뇌파분석부(300), 구조요청부(400), 알람출력부(700)를 포함하는 모자의 각 구성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모자의 각 구성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내장배터리와 같은 전원수단(미도시)으로부터 각 구성으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절전상태로 자동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로부터 알람수동정지신호 입력여부에 의해 모자가 착용상태에서 비착용상태로 전환된 상태가 사용자의 자의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고, 이후 자동으로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절전상태로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전력소모를 감소시켜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에서 알람출력부(700)와 수동입력부(800)를 포함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파분석부(300)의 분석결과에 따라 뇌파분석결과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조요청부(400)에서 구조요청정보를 즉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뇌파분석결과 응급상황은 아니나 정상상태가 아닌 일례로 위험상황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어부(600)에서는 알람출력부(700)에서 위험상태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위험상태알람 출력후 기설정된 소정시간내 알람수동정지신호가 수동입력부(800)를 통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구조요청부(400)에서 구조요청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기설정된 소정시간내 알람수동정지신호가 수동입력부(800)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다시 뇌파감지와 뇌파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뇌파감지부와 뇌파분석부(300)를 제어하고 알람출력부(700)에서는 위험상태알람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수동입력부(80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구조요청을 위한 수동구조요청신호를 더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어부(600)는 수동입력부(800)에서 수동구조요청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조요청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농작업시 벌쏘임, 독사교상, 낙상사고가 발생되는 등 원하는 시점에 수동으로 구조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착용감지부(500)를 통해 모자 미착용상태에서 착용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시점부터 착용상태가 유지되는 착용경과시간을 모니터링하는 착용시간확인부(900)를 더 포함하고, 이때 제어부(600)는 상기 착용경과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휴식이 필요함을 알리는 휴게시간알람이 출력되도록 알람출력부(7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농사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작업시간이 기설정되는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휴식이 필요함을 알리는 휴게시간알람을 통해 컨디션 조절을 유도하여, 과도한 작업에 따른 컨디션 악화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에서, 본체(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햇타입, 캡타입 등 머리에 착용되어 차광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모자형태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뇌파측정부(200)는, 본체(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감지하는 뇌파센서(222)를 포함하며, 뇌파센서(222)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두피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신호를 측정하는 뇌전도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뇌파측정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의 본체(100)에서 머리둘레와 대응되는 착용부의 내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뇌파센서(222)를 포함하는 센서모듈(220)이 고정부재에 고정 장착되거나 후술할 제2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재에 장착되는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부재는 경질의 소재나 탄성밴드와 같은 연질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뇌파센서(222)는 뇌파 감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되는 부분이 밀착되어 접촉되도록 고정부재로부터 사용자의 두피 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불어, 고정부재는 사용자의 머리둘레에 대응되어 착용둘레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의 길이조절부는 탄성밴드에 의한 길이조절구조, 벨크로부재에 의한 탈부착 위치 조절을 통한 길이조절구조, 끼움홈과 끼움돌기에 의한 길이조절구조 등 종래에 모자에서 머리둘레에 다라 착용둘레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구조가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또한, 뇌파분석부(300)는, 뇌파측정부(200)에서 측정되는 뇌파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뇌파분석부(300)는 뇌파측정부(200)의 뇌파센서(222)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뇌파정보를 기저장된 뇌파정보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뇌파센서(222)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뇌파정보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뇌파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뇌파정보에 매칭 설정된 상태정보를 사용자의 현재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뇌파정보데이터베이스에는 일련의 시간흐름에 따라 패턴이 상이한 기준뇌파패턴과, 각 기준뇌파패턴에 상태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상태정보는 일례로 복수개의 단계로 구분되어 지정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태정보는 위험발생크기에 따라 정상상태, 위험상태, 혼수상태와 같은 응급구조요청이 필요한 상태인 응급상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정상상태, 위험상태, 응급상태 각각에 대응되는 기준뇌파패턴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상태정보는 다른 예로 정상상태, 머리가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하며 열이 나는 뇌증상태, 의식을 잃은 혼수상태 등 상태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각 상태종류에 대응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뇌파패턴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뇌파정보는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감마파, 베타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조요청부(400)는 외부로 구조요청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뇌파분석부(300)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요청부(400)는 뇌파분석부(300)의 분석결과에 따라 뇌파분석부(300)의 분석결과 사용자의 상태가 응급구조 요청이 필요한 상태로 지정된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모자에 구비되는 통신수단(미도시)을 통해 외부의 기지정된 담당자단말기(미도시)로 구조요청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담당자는 119센터와 같은 응급구조를 수행하는 국가기관, 사용자의 가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람출력부(700)는, 상기의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위험상태알람, 미착용확인알람, 휴게시간알람과 같이, 복수개의 알람이 저장되어, 저장된 복수개의 알람 중 뇌파분석부(300)의 분석결과나 착용감지부(500)에서 감지되는 착용상태정보를 바탕으로 각 상황에 대응되어 기지정된 알람을 추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알람출력부(700)에서 출력되는 알람은 경보음, 알림음성, 경광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농작업 시 착용하는 모자의 경우 알람이 경보음이나 알림음성으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알람출력부(700)는 출력수단으로 스피커나 조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동입력부(800)는, 모자에 사용자의 가압조작이나 터치조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터치패드,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모자의 뇌파측정부(200), 뇌파분석부(300), 구조요청부(400), 착용감지부(500), 제어부(600), 알람출력부(700), 수동입력부(800), 착용시간확인부(900)를 포함하는 모자의 구동을 위해 전원수단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시작될 수 있도록 온작동 시키거나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도록 오프작동 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가 수동입력부(800)에 더 포함되도록 구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뇌파측정부(200)에서 감지되는 뇌파정보, 뇌파분석부(300)의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모자에 구비되는 통신수단에 의해 사용자단말기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측정된 뇌파정보, 뇌파분석결과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에서 뇌파감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에서 뇌파감지부에서 레일홈(230)에 센서모듈(220)이 장착중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에서 뇌파감지부에서 레일홈(230)에 센서모듈(220)이 장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에서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200)의 구조가 개선된 예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뇌파측정부(200)는,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감싸도록 본체(100)의 착용부에 구비되는 고정몸체(210)와, 고정몸체(210)에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따라 길게 함몰 형성되는 레일홈(230)과, 레일홈(2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홈(230)에 끼워져 장착되는 센서모듈(220)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머리둘레 형태나 필요에 따라 뇌파가 측정되는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되며, 이때, 센서모듈(220)과 연결되도록 레일홈(230) 내면에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제1 전극부(미도시)와, 상기 제1 전극부에 접촉되어 센서모듈(220)에 구비되는 뇌파센서(222)나 착용감지부(500)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전달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모듈(220) 외면에 구비되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하여, 이로 인해 센서모듈(220)의 장착위치와 관계없이 레일홈(230)과 센서모듈(220)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센서모듈(220)은, 제1 몸체(221)와,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되도록 제1 몸체(221)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뇌파센서(222)와, 일단부는 제1 몸체(22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레일홈(230)에 끼워져 레일홈(2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체결부는, 센서모듈(220)이 레일홈(2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일례로, 일단부가 상기 제1 몸체(22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일홈(230)에 끼워지며, 상하로 상호 대향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몸체(223)와, 한 쌍의 제2 몸체(223)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제2 몸체(223)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탄성지지력을 가지되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어 한 쌍의 제2 몸체(223)가 상호 근접 가능하도록, 한 쌍의 제2 몸체(223)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드체결부는, 다른 예로, 일단부가 상기 제1 몸체(22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레일홈(230)에 끼워지도록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체결고리를 포함하고, 한 쌍의 탄성체결고리는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고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하 이격거리가 감소되어 상기 레일홈(230)에 끼워질 수 있고, 끼워진 이후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에 의해 상하 이격거리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레일홈(230)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220)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모자의 착용부 외측으로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센서모듈(220) 외면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위치조절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조절부재(240)는 센서모듈(220)과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센서모듈(22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위치조절부재(24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치조절부재(240)를 이동시키도록 외력을 가함에 따라 센서모듈(220)이 레일홈(23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되어 센서모듈(220)의 장착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되며, 또한, 위치조절부재(240)는 사용자의 머리둘레가 끼워지는 착용부의 착용홀의 하단부 하방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뇌파측정부(200)는 센서모듈(220)이 장착되는 고정몸체(210)의 일면에 구비되고, 센서모듈(22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홈(230)과 대응되어 가이드홀(251)이 머리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연질의 보호패드(250)를 더 포함하여, 연질의 보호패드(250)에 의해 뇌파측정부(200)가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되는 부분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착용감지부(500)가 보호패드(25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위치조절부재(240)는 고정부재와 보호패드(250) 사이 공간에 개재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 본체
200 : 뇌파측정부
210 : 고정몸체
220 : 센서모듈
221 : 제1 몸체
222 : 뇌파센서
223 : 제2 몸체
224 : 탄성부재
225 : 탄성체결고리부
230 : 레일홈
240 : 위치조절부재
250 : 보호패드
251 : 가이드홀
300 : 뇌파분석부
400 : 구조요청부
500 : 착용감지부
600 : 제어부
700 : 알람출력부
800 : 수동입력부
900 : 착용시간확인부

Claims (11)

  1.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착용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
    상기 뇌파측정부에서 측정된 뇌파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뇌파분석부; 및
    상기 뇌파분석부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구조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뇌파측정부는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착용부에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따라 길게 함몰 형성되는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홈에 끼워지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은
    제1 몸체와,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뇌파센서와,
    일단부는 상기 제1 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일홈에 끼워져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체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일홈에 끼워지며, 상하로 상호 대향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몸체와,
    한 쌍의 제2 몸체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제2 몸체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탄성지지력을 가지되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도록 한 쌍의 제2 몸체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2.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착용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부;
    상기 뇌파측정부에서 측정된 뇌파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는 뇌파분석부; 및
    상기 뇌파분석부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구조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뇌파측정부는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착용부에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따라 길게 함몰 형성되는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홈에 끼워지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은
    제1 몸체와,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뇌파센서와,
    일단부는 상기 제1 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레일홈에 끼워져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체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레일홈에 끼워지도록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체결고리를 포함하고,
    한 쌍의 탄성체결고리는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고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하 이격거리가 감소되어 상기 레일홈에 끼워질 수 있고, 끼워진 이후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에 의해 상하 이격거리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레일홈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자착용여부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및
    상기 착용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착용여부정보에 따라 상기 뇌파측정부와 상기 뇌파분석부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분석부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출력부; 및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알람출력부의 알람 출력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알람수동정지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동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착용여부정보가 모자 착용상태에서 미착용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알람출력부를 통해 미착용확인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알람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 상기 수동입력부를 통해 상기 알람수동정지신호가 미입력되는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구조요청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착용여부정보가 모자 착용상태에서 미착용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알람출력부를 통해 미착용확인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알람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 상기 수동입력부를 통해 상기 알람수동정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미착용확인알람의 출력이 중지되도록 상기 알람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해당시점에 또는 해당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 상기 착용감지부에서 모자 착용상태가 미감지되는 경우에, 모자에 구비되는 전원수단으로부터 상기 뇌파측정부, 상기 뇌파분석부, 상기 구조요청부 및 상기 알람출력부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뇌파측정부, 상기 뇌파분석부, 상기 구조요청부 및 상기 알람출력부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하는 절전상태로 자동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입력부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구조요청을 위한 수동구조요청신호를 더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입력부에서 상기 수동구조요청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구조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구조요청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감지부를 통해 모자 미착용상태에서 착용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시점부터 착용상태가 유지되는 착용경과시간을 모니터링하는 착용시간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경과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휴식이 필요함을 알리는 휴게시간알람이 출력되도록 상기 알람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모자의 착용부 외측으로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외면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위치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측정부는
    상기 센서모듈이 장착되는 상기 고정몸체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모듈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홈과 대응되어 가이드홀이 머리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연질의 보호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KR1020210132048A 2021-10-06 2021-10-06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KR102543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048A KR102543625B1 (ko) 2021-10-06 2021-10-06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048A KR102543625B1 (ko) 2021-10-06 2021-10-06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206A KR20230049206A (ko) 2023-04-13
KR102543625B1 true KR102543625B1 (ko) 2023-06-13

Family

ID=8597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048A KR102543625B1 (ko) 2021-10-06 2021-10-06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6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36B1 (ko) * 2017-06-19 2019-06-1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뇌파 측정방법
KR101897921B1 (ko) 2017-08-31 2018-09-18 배영진 차양방충망을 구비한 다목적 모자
KR102103832B1 (ko) * 2017-12-29 2020-04-24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뇌파기반 스마트 안전모 및 관리 시스템
KR102274216B1 (ko) * 2019-10-10 2021-07-0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모 동작 시스템
KR102333804B1 (ko) * 2020-02-10 2021-12-03 주식회사 에스디테크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의 제어방법
KR20210001895U (ko) 2020-02-13 2021-08-23 한선정 차양부에 착탈되는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
KR102335915B1 (ko) * 2020-02-18 2021-12-09 주식회사 동명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206A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32021A1 (e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fatigue monitoring apparatus and fatigue detecting helmet thereof
US8661570B2 (en) Air cushion for attaching headband of welding mask
EP3713531A1 (en) A cushion for a hearing protector or audio headset
US11013288B2 (en) Integrated wireless head protection garment and harness
US20190008228A1 (en) Integrated non-conflicting headgear platform system and method
KR102543625B1 (ko) 응급구조요청 기능을 가진 모자
KR102458477B1 (ko) 충격감지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안전모
KR20210101545A (ko)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의 제어방법
CN209915113U (zh) 一种具有网络通讯功能的智能安全帽
WO2022261316A1 (en) A blink reflex monitoring device
US20180328538A1 (en) Tool safety system and method of use
CN211835886U (zh) 一种隔离面罩
CN110419802B (zh) 一种智能头盔
CN114794639A (zh) 一种安全帽
CN213045520U (zh) 一种基于生物信息检测的安全识别安全帽
CN214016220U (zh) 一种智能监管安全帽装置
CN210095732U (zh) 一种基于脑电和NB-IoT的安全帽
US2926355A (en) Headband rigging for safety helmets
CN210018025U (zh) 一种隧道揭煤层高瓦斯开挖安全装置
CN218105028U (zh) 一种带体征检测的安全帽
CN215583256U (zh) 工地人员安全设施监测装置
JP3225578U (ja) 熱中症予防装置、熱中症予防ヘルメット
CN220293121U (zh) 一种安全帽脱下警报器
CN219661031U (zh) 一种下颏带透气型安全帽
CN214854502U (zh) 一种带体温显示的医用防护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