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565B1 -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 Google Patents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565B1
KR101292565B1 KR1020110083349A KR20110083349A KR101292565B1 KR 101292565 B1 KR101292565 B1 KR 101292565B1 KR 1020110083349 A KR1020110083349 A KR 1020110083349A KR 20110083349 A KR20110083349 A KR 20110083349A KR 101292565 B1 KR101292565 B1 KR 101292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art
worker
belt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061A (ko
Inventor
박정환
이철우
박운용
김주찬
Original Assignee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8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565B1/ko
Priority to PCT/KR2011/008368 priority patent/WO2013027891A1/ko
Publication of KR2013002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A45F2003/144Pack-carrying waist or torso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벨트와 스마트 헬멧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웨어에 있어서,상기 스마트 벨트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탈부착 가능하며, 작업자의 주변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여 출력하거나 작업자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 헬멧을 통해 응용기술센터로 전송하고 응용기술센터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제어모듈; 및 상기 벨트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웨어에서 출력되는 환경신호 및 응용기술센터에서 처리되는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말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헬멧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본체부; 작업자나 작업자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스마트 벨트로부터 수신한 환경신호 및 음향신호를 응용기술센터로 전송하거나, 응용기술센터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벨트로 전송하는 제 2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Smart software for field work}
본 발명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비 또는 장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첨단의 전자적 장비와 통신기능이 장착된 스마트웨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조선소, 기계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헬멧, 벨트, 장갑 등과 같은 보호 장구의 착용은 필수적이다. 특히, 헬멧은 고공의 낙하물이나 예상치 못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와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헬멧의 착용은 작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안전수칙에 해당된다.
오늘날, 산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산업현장(예: 토목 또는 건설현장)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면서, 현장 작업자는 단순 노동의 수준에서 벗어나, 건설에 투입되는 전자장비와 건설장비를 다룰 줄 알아야 하고 중앙센터나 다른 작업자들과의 협력작업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보호장구(헬멧, 벨트, 장갑 등)를 착용해야 하는 것은 물론,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연장, 원격지 작업자들(or 중앙센터)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단말기, 그리고 각종 계측장비들을 비롯한 각종 첨단장비들을 소지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79495호(공개일:2010년07월08일, 발명의 명칭:무선통신을 이용한 현장 관리 시스템,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7항)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산업현장이나 재해현장에서 작업자가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보호 장구에 작업자의 행동 및 위험요소를 감지하는 산업 안전 스마트 H/W를 융합한 스마트 웨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벨트와 스마트 헬멧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웨어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벨트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탈부착 가능하며, 작업자의 주변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여 출력하거나 작업자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 헬멧을 통해 응용기술센터로 전송하고 응용기술센터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제어모듈; 및 상기 벨트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웨어에서 출력되는 환경신호 및 응용기술센터에서 처리되는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말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헬멧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본체부; 작업자나 작업자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스마트 벨트로부터 수신한 환경신호 및 음향신호를 응용기술센터로 전송하거나, 응용기술센터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벨트로 전송하는 제 2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모듈은, 주변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조도, 습도, 가스발생을 감지하여 해당 환경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작업자의 음성이나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아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는 음향부; 상기 센서부와 음향부를 제어하고, 이들 장치에서 생성된 정보를 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제 2 제어모듈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 모듈은,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제 1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한 작업자의 주변의 환경신호와 음향신호를 정합상태로 입력받은 정합부; 상기 정합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정보, 환경신호 및 음향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변환부; 상기 디지털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영상정보, 환경신호 및 사운드정보를 응용기술센터로 전송하는 제 1 통신부; 및 상기 응용기술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용기술센터는, 상기 스마트 헬멧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 환경신호 및 음향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영상정보, 환경신호 및 음향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및 모니터링부를 통해 작업자의 주변 안전상황을 추론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지령하는 응용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는 화재진압, 지진, 건물붕괴, 수해 복구 등의 각종 재난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헬멧을 이용하여 현장 상황에 관한 각종 정보(예: 현장을 촬영한 동영상 정보, 위험감지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센터로 전달하고, 센터의 지시에 따라 현장의 작업을 원활히 통제하고 현장의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피해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따른 스마트웨어는 원격지 작업자들(or 응용기술센터)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각종 센서를 구비한 것으로, 산업현장(또는 재해현장)의 위험한 작업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웨어는 재산피해나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작업현장의 작업자에게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해주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 요소들로부터 안전을 한층 보장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에 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의 망 연결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벨트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예시도.
본 발명에 따른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 벨트(200)와 스마트 헬멧(300)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웨어(10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벨트(200)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벨트부(200A), 상기 벨트부(200A)에 탈부착 가능하며, 작업자의 주변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여 출력하거나 작업자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 헬멧(300)을 통해 응용기술센터(500)로 전송하고 응용기술센터(500)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제어모듈(200B), 상기 벨트부(200A)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제어모듈(200B)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웨어(100)에서 출력되는 환경신호 및 응용기술센터(500)에서 처리되는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말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헬멧(300)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본체부(300A), 작업자나 작업자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360),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스마트 벨트(200)로부터 수신한 환경신호 및 음향신호를 응용기술센터(500)로 전송하거나, 응용기술센터(5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벨트(200)로 전송하는 제 2 제어모듈(30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는 헬멧, 벨트(잠수복 포함), 장갑, 작업복과 같은 작업자의 보호장구에, 원격지 작업자들(or 중앙센터)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및 이동단말기, 배터리, 헤드셋, 디스플레이, 각종 센서 등을 실장한 것이다.
스마트 웨어(100)를 착용한 작업자는 건설이나 공사현장에서, 현장 상황에 관한 각종 정보(예: 위험감지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응용기술센터(500)로 전달하고, 센터(500)의 통제에 따라 고도의 전문적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보내온 정보를 분석하여 응용기술센터(500)가 작업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한 작업자 주변의 위험요소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웨어(100)를 착용한 주변 작업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Multi Communication)을 통해, 작업상황을 상호공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의 망 연결에 관한 블록 구성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웨어(100)는 지그비 (Zigbee(IEEE 802.15.4))나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업자들 상호간의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신규약 IEEE802.15.4로 정의되는 지그비(ZigBee)는 저가, 저전력 구현이 가능하여 가정, 빌딩 및 공장 자동화 등을 목표로 개발된 근거리 저속 무선통신 기술이다.
지그비(ZigBee)는 20Kbps, 40Kbps, 그리고 250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10m 이내의 거리에서 적용가능하며, 한 개의 Piconet 당 255개의 무선 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1mW의 낮은 출력에도 10m 거리 이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댁내에 산재해있는 센서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로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다. IEEE802.15.4에서 PHY와 MAC에 대한 지그비의 표준을 정의하고 있으며 ZigBee Alliance에서 MAC 이상의 레이어와 응용을 위한 프로파일(Profile)까지 정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는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와이맥스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응용기술센터(500)와의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는 블루투스 3.0(Bluetooth 3.0)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IEEE 802.15.4))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 웨어(100)의 내부적 장치들(예: 헬멧 & 벨트)간의 무선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블루투스 3.0(Bluetooth 3.0)은 100m의 전송 범위와 최대 24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하고, 기존 블루투스2.1에 비해 8배 빨라진 전송속도를 갖는다. 기존 블루투스의 전송대역을 넘어서는 대용량 데이터 통신으로 휴대폰과 컴퓨터 등의 영상 전송, 고정형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간의 영상 동기화, 디지털 카메라와 출력기 간의 프린팅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한층 낮아진 전력소모와 작은 크기, 저렴한 가격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에 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웨어(100)는 스마트 벨트(200)와 스마트 헬멧(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헬멧(300)과 스마트 벨트(200)는 블루투스 3.0(Bluetooth3.0)이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IEEE 802.15.4))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 벨트(200)와 스마트 헬멧(300)간에는 유선(케이블)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로 연결되는 경우 그에 따른 유선통신 프로토콜을 설정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벨트(200)의 예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벨트(200)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벨트부(200A), 음향부(250), 제 1 제어모듈(200B), 디스플레이 단말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벨트(200)는 몸통, 팔, 다리 등과 같은 작업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제 1 제어모듈(200B), 음향부(250), 디스플레이 단말부(260)가 장착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상기 음향부(250)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상기 통신부(230)를 통해 무선 망(예: 액세스 포인트(AP(400))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모듈(200B)은 센서부(210), 제어부(220), 통신부(230), 전원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210)는 작업자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 작업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 작업자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 센서, 유독 개스(gas)를 감지하는 개스감지 센서, 현재 작업지점의 방위와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고, 각 센서가 발생한 센싱신호를 상기 제어부(32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스마트 벨트(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벨트(200)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예: 센서부(210), 음향부(250), 통신부(230), 디스플레이 단말부(260), 전원부(240) 등)의 동작과 신호 전달을 제어한다.
상기 통신부(230)는 스마트 벨트(200)와 스마트 헬멧(300) 간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기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해당 작업자의 위치를 확인(발신)하거나 얻기 위한 위치정보 모듈(예: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헬멧(300)과 스마트 벨트(200)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그에 따른 케이블 통신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부(260)는 스마트 웨어(100)에서 처리된 정보나 응용기술센터(500)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건축물의 설계도면, 위험정보 등)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70)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디스플레이(270)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300)의 예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헬멧(300)은 크게 본체부(300A), 카메라부(360), 제 2 제어모듈(30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헬멧 본체부(300A)는 추락 또는 낙하등과 같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두부를 보호하는 장구로서, 본체부(300A), 카메라부(360), 제 2 제어모듈(300B)이 장착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부(360)는 작업자나 작업자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카메라부(360)는 화상 통신모드 또는 촬영모드 상태에서,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카메라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모듈(300B)은 정합부(310), 디지털 변환부(320), 제 1 통신부(330), 제 2 통신부(340), 전원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합부(310)는 상기 영상신호 및 상기 제 1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한 작업자의 주변의 환경신호와 음향신호를 정합상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정합부(310)는 상기 제 1 제어 모듈(200B)의 센서부(210)의 하나의 센서에 접속되거나 또는 다스의 센서와 접속될 수 있으며, 다수의 센서와 접속되는 경우는 각각의 센서와 정합(Matching)되는 동시에 각 센서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되게 된다.
상기 디지털 변환부(320)는 상기 정합부(310)로부터 입력받은 환경신호 및 음향정보,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 1 통신부(330)는 상기 디지털 변환부(320)로부터 출력된 환경신호 및 사운드정보, 영상신호를 응용기술센터(500)로 전송한다. 상기 제 1 통신부(330)는 스마트 헬멧(300)과 응용기술센터(500) 간의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스마트 헬멧(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헬멧(300)과 응용기술센터(500)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기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 2 통신부(340)는 상기 응용기술센터(5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제어 모듈(200B)로 전송한다. 스마트 헬멧(300)과 스마트 벨트(200) 간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350)는 각 구성요소들(예:정합부(310), 디지털 변환부(320), 제 1 통신부(330), 제 2 통신부(34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작업현장의 스마트웨어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사작업현장에서, 상기 스마트 벨트(200)는 우선 센서부(210)를 통해 작업현장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하거나, 작업자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거나, 작업자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거나, 유독 개스(gas)를 감지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거나, 현재 작업지점의 방위와 위치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센싱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스마트 헬멧(3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작업자 주변의 영상(동영상 혹은 정지영상)을 입력받거나 스마트 벨트(200)의 마이크를 통해 작업자 음성이나 작업자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는다.
상기 스마트 벨트(200)의 제 1 제어모듈(200B)는 이렇게 생성된 정보들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헬멧(300)의 제 2 제어모듈(300B)로 무선 송출한다. 즉, 상기 스마트 벨트(200)로부터 송출된 상기 신호들은 스마트 헬멧(300)으로 전달되고, 스마트 헬멧(300)의 통신부(330,340)를 통해 다시 무선 송출되어 네트워크 모듈(400)를 거쳐 상기 응용기술센터(500)로 전달된다.
네트워크 모듈(400)은 스마트 웨어(200,300)로부터 전송된 상황 정보들을 수집하는 수집장치부(410) 및 상기 수집장치부(410)에 수집된 상황 정보들을 상기 응용기술센터(500)로 무선 전송하는 엑세스 포인트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네트워크 모듈(400)에 수집된 상황 정보 신호들은 엑세스 포인트부(420)를 통해 다시 상기 응용기술센터(500)로 전달된다.
일단, 스마트 헬멧(300)으로부터 작업현장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응용기술센터(50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산업현장의 상황과 작업자 주변의 안전상황을 추론(혹은 모니터)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 또는 위험상황을 알리는 경고알림 신호를 해당 스마트 헬멧(300)을 거쳐 스마트 벨트(200)의 디스플레이 단말부(260) 측으로 전달한다.
응용기술센터(500)는 다양한 방법으로 현장의 작업상황을 제어할 수 있다.
응용기술센터(500)는 전송된 상황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510),상기 데이터베이스부(510)에 저장된 상황 정보들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52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10) 및 모니터링부(520)를 통해 작업자의 주변 안전상황을 추론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지령하는 응용서비스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응용기술센터(500)의 숙련된 전문가는 스마트 헬멧(300)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실시간의 정보들(예: 현장을 촬영중인 동영상, 각종 센싱 정보 등)을 모니터하면서 현장의 미숙련 작업자를 통제할 수 있다. 현장의 작업자들은 응용기술센터(500)의 통제에 따라 고도의 전문적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응용기술센터(500)는 스마트웨어(100)를 착용한 주변 작업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작업상황을 상호 공유하고 관리 감독할 수 있어 현장의 긴급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원활히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용기술센터(500)는 스마트웨어(100)를 착용한 주변 작업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작업 위험상황에 유용한 다양한 기술을 개량·변경·가공하게 되어 작업현장의 헬멧 기술개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은 화재진압, 지진, 건물붕괴, 수해 복구 등의 각종 재난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헬멧을 이용하여 현장 상황에 관한 각종 정보(예: 현장을 촬영한 동영상 정보, 위험감지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센터(500)로 전달하고, 센터(500)의 지시에 따라 현장의 작업을 원활히 통제하고 현장의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피해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따른 스마트웨어(100)는 원격지 작업자들(or 응용기술센터)과의 통신을 위한 무전기, 각종 센서를 구비한 것으로, 산업현장(또는 재해현장)의 위험한 작업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웨어(100)는 재산피해나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작업현장의 작업자에게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해주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 요소들로부터 안전을 한층 보장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웨어 200 : 스마트 벨트
300 : 스마트 헬멧 400 : 네트워크 모듈
500 : 응용기술센터

Claims (4)

  1. 스마트 벨트와 스마트 헬멧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웨어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벨트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탈부착 가능하며, 작업자의 주변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여 출력하거나 작업자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 헬멧을 통해 응용기술센터로 전송하고 응용기술센터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제어모듈; 및
    상기 벨트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웨어에서 출력되는 환경신호 및 응용기술센터에서 처리되는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말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헬멧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본체부;
    작업자나 작업자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스마트 벨트로부터 수신된 환경신호 및 음향신호를 응용기술센터로 전송하거나, 응용기술센터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벨트로 전송하는 제 2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모듈은,
    주변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조도, 습도, 가스발생을 감지하여 해당 환경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작업자의 음성이나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받아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는 음향부;
    상기 센서부와 음향부를 제어하고, 이들 장치에서 생성된 정보를 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제 2 제어모듈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모듈은,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제 1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한 작업자의 주변의 환경신호와 음향신호를 정합상태로 입력받은 정합부;
    상기 정합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정보, 환경신호 및 음향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변환부;
    상기 디지털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영상정보, 환경신호 및 사운드정보를 응용기술센터로 전송하는 제 1 통신부; 및
    상기 응용기술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용기술센터는,
    상기 스마트 헬멧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 환경신호 및 음향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영상정보, 환경신호 및 음향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및 모니터링부를 통해 작업자의 주변 안전상황을 추론하고 추론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지령하는 응용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83349A 2011-08-22 2011-08-22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KR101292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49A KR101292565B1 (ko) 2011-08-22 2011-08-22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PCT/KR2011/008368 WO2013027891A1 (ko) 2011-08-22 2011-11-04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349A KR101292565B1 (ko) 2011-08-22 2011-08-22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61A KR20130021061A (ko) 2013-03-05
KR101292565B1 true KR101292565B1 (ko) 2013-08-12

Family

ID=4774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349A KR101292565B1 (ko) 2011-08-22 2011-08-22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2565B1 (ko)
WO (1) WO20130278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476A (ko) * 2020-02-18 2021-08-27 주식회사 동명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482B1 (ko) * 2014-01-08 2020-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858794B2 (en) 2015-03-30 2018-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ng and notifying of various potential hazards
KR101707319B1 (ko) * 2015-06-26 2017-02-15 박원일 의복용 벨트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715001B1 (ko) * 2015-12-30 2017-03-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평가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108195A (zh) * 2016-08-04 2016-11-16 四川东林科技有限公司 一种腰带
CN108242125A (zh) * 2018-03-13 2018-07-03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施工安全监控仪
KR102581604B1 (ko) * 2021-05-18 2023-09-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에서의 공사 중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639250B1 (ko) 2023-08-04 2024-02-21 (주)그리드텍 공사 현장에 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서버, 방법 및 시스템
KR102625113B1 (ko) 2023-09-01 2024-01-15 ㈜에스아이네트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652A (ja) * 1996-12-05 1998-11-10 Sarcos Inc 集団遠隔監視装置
KR20050103632A (ko) * 2004-04-27 2005-11-01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동 디지털 용접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695B1 (ko) * 2005-10-21 2007-07-25 윤형택 거리 측정용 단말기를 갖는 혁대 버클
KR20100062053A (ko) * 2008-12-01 2010-06-1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음성 인식 경로 안내 시스템을 구비한 헬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652A (ja) * 1996-12-05 1998-11-10 Sarcos Inc 集団遠隔監視装置
KR20050103632A (ko) * 2004-04-27 2005-11-01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동 디지털 용접 헬멧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476A (ko) * 2020-02-18 2021-08-27 주식회사 동명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35915B1 (ko) * 2020-02-18 2021-12-09 주식회사 동명 IoT 기반 스마트 안전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061A (ko) 2013-03-05
WO2013027891A1 (ko)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565B1 (ko)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KR101079343B1 (ko)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KR101219182B1 (ko) 스마트 안전관리 운용 시스템
KR101050710B1 (ko) 소방작업을 위한 스마트 웨어
KR101340008B1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KR101365702B1 (ko)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KR101282669B1 (ko)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1418987B1 (ko) 안전관리 통합 시스템
KR101079344B1 (ko) 스마트 벨트와 그 운용방법
KR101265564B1 (ko) 스마트 모니터링 운용 시스템
KR101050708B1 (ko) 용접 작업자를 위한 스마트 웨어
KR20170018747A (ko)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270132B1 (ko) 스마트 헬멧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117594B1 (ko) Lpwa 통신기반 작업자 위험 감지 시스템
CN105159150A (zh) 一种智能设备联动控制方法
CN108093228A (zh) 一种建筑工地用工监控服务系统
KR20140075333A (ko) 안전모를 이용한 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CN104217572B (zh) 一种基于北斗短报文功能的测量监控系统及其方法
KR101995948B1 (ko)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CN107359889A (zh) 基于物联网的消防人员定位系统
CN104602140A (zh) 应用于救援的移动终端及系统
CN108540941A (zh) 一种远程监控安全保障系统
Palazon et al. Wireless solutions for improving health and safety working conditions in industrial environments
CN110933593B (zh) 一种基于uwb技术的安全防控系统
KR101662689B1 (ko) 원활하게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넥 밴드 타입의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