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113B1 -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113B1
KR102625113B1 KR1020230116375A KR20230116375A KR102625113B1 KR 102625113 B1 KR102625113 B1 KR 102625113B1 KR 1020230116375 A KR1020230116375 A KR 1020230116375A KR 20230116375 A KR20230116375 A KR 20230116375A KR 102625113 B1 KR102625113 B1 KR 10262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safety
site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성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네트 filed Critical ㈜에스아이네트
Priority to KR102023011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6Descriptors for shape, contour or point-related descriptors, e.g.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or bags of words [BoW]; Salient regional features
    • G06V10/469Contour-based spatial representations, e.g. vector-cod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장 위험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호구 지급 및 수령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안전모 착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장의 위험요소를 분석하여 현장 위험도를 결정하는 현장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수행해야하는 교육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교육 수행 여부를 관리하는 교육 관리부; 및 상기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위험도를 결정하는 위험성 평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증 정보, 운전면허증 정보, 혈압, 통장사본, 안전보건 이수증 소유여부를 의미하며, 상기 교육정보는, 일일 안전교육, TBM, 신규채용자 안전교육, 근로자정기교육, 위험성 평가 전파교육, 관리감독자 교육, 물질안전보건교육을 의미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SAFETY MANAGEMENT MONITORING SERVICE PROVISION DIVICE, METHOD, AND PROGRAM FOR CONSTRUCTION SITES}
본 발명은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2022년 1월 27일부터 시행되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사 현장 안전관리를 최우선으로 지원하여 작업자 생명 및 안전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공사 현장은 많은 인력들이 투입되고 또한 많은 부품 및 자재들이 혼재해 있는 공간으로 항상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영역이다. 전국의 크고 작은 공사 현장 중에서도 전력 공사 현장은 매우 위험하고 공사의 시작과 끝이 엄격히 통제되어야 하는 공간이며, 순간의 실수 또는 부주의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인명 사고와 재산상의 손실을 초래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공사 현장 내에서의 안전 관리를 어떻게 수행하고, 작업자 각각이 얼마나 안전에 주의를 기울이냐에 따라 안전 결과가 달라지므로, 작업이 시작되기 전, 작업 중, 작업 이후의 과정에서 안전 사항들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단순히 안전 사항들을 잘 체크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공사 현장 내에서의 상황에 실시간으로 즉각 반응하여 이를 통보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사 현장에서의 실시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험 요소를 판단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된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55194호(2018.10.1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1061호(2013.08.1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1865호(2019.04.2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7669호(2019.05.31.)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는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주의해야하는 정도를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판단할 수 있는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있는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장 위험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호구 지급 및 수령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안전모 착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장의 위험요소를 분석하여 현장 위험도를 결정하는 현장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수행해야하는 교육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교육 수행 여부를 관리하는 교육 관리부; 및 상기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위험도를 결정하는 위험성 평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증 정보, 운전면허증 정보, 혈압, 통장사본, 안전보건 이수증 소유여부를 의미하며, 상기 교육정보는, 일일 안전교육, TBM, 신규채용자 안전교육, 근로자정기교육, 위험성 평가 전파교육, 관리감독자 교육, 물질안전보건교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제1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이미지로부터 제2 이미지벡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벡터 및 상기 제2 이미지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들 각각과 대응하는 안전 착용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 관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안면 부분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면 부분의 이미지로부터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도록 기 학습된 제 1 기계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제 1 기계학습모델로부터 상기 제 1 이미지와 대응하는 상기 제 1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며, 상기 제2 이미지를, 사용자의 어깨 위 부분의 윤곽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윤곽 이미지로부터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도록 기 학습된 제 2 기계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제 2 기계학습모델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와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제2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며. 하기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안전 착용도를 결정하고, 상기 수학식에서, H는 안전 착용도를 의미하고, I1은 제1 이미지벡터를 의미하며, I2는 제2 이미지벡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 관리부는, 하기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현장 위험도를 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SR은 현장 위험도를 의미하고, P는 현장에 적용되는 공정의 개수, FL은 현장에 투입되는 지게차의 개수, D는 지게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경력, R은 철근의 개수, S는 철근적재용 받침대의 개수, GS는 지반 침하 부위의 개수, L은 준수해야하는 법률 규정의 숫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성 평가부는, 하기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험도를 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RA는 사용자 위험도를 의미하며, H는 안전 착용도를 의미하고, SR은 현장 위험도를 의미하며, ER은 교육 수행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현장 관리부는 사용자의 안전 착용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장에 있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현장 관리부는 공정 정보, 현장 위험요소, 관련근거(법적기준) 및 현재 안전보건조치 수행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현장과 대응되는 현장 위험도를 결정한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주의해야하는 정도를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있는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기능적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S300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입력하고 안전 보호구 지급 및 수령여부를 확인여부를 나타내는 실시 예이다.
도 5b는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현장의 유해 또는 위험요소를 공지하고 다른 사용자의 공지 확인 여부를 나타내는 실시 예이다.
도 5c는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현장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실시 예이다.
도 5d는 현장을 관리하는 사용자가 현장의 위험요소의 점검한 점검 일지를 나타내는 실시 예이다.
도 6은 도 4의 S320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3의 S600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도 9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있는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데이터베이스(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현장 관리자, 현장 근로자, 본사 관리자)의 단말로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 수행을 위해 참여하는 현장에서 사용자가 사고에 노출되는지 사용자 위험도를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위험도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현장 위험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장 위험정보는,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현장의 위치(위도 및 경도), 현장의 날씨, 현장에 근무하는 사용자의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0)는 사용자가 안전모를 올바르게 착용한 상태의 예시 이미지인 제1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0)는 사용자가 수행해야하는 교육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교육정보는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 전 수행해야하는 안전 교육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일일 안전교육, TBM, 신규채용자 안전교육, 근로자정기교육, 위험성 평가 전파교육, 관리감독자 교육, 물질안전보건교육(MSDS) 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데이터베이스(300)는 각각 통신 네트워크(400)에 연결되어,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로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400)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5G 등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기능적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정보 수집부(101), 현장 관리부(102), 교육 관리부(103) 및 위험성 평가부(104)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10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현장 위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현장 관리부(102)는, 사용자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보호구 지급, 수령여부를 확인하며, 사용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장 관리부(102)는 AI(Artificial Intelligence)에 기반하여 등록된 현장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요소를 분류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위험요소에 기반하여 현장 위험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교육 관리부(103)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사용자가 수행해야하는 교육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교육 수행 여부를 관리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교육정보는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 전 수행해야하는 안전 교육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일일 안전교육, TBM, 신규채용자 안전교육, 근로자정기교육, 위험성 평가 전파교육, 관리감독자 교육, 물질안전보건교육(MSDS) 일 수 있다.
위험성 평가부(104)는,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S600). 사용자 위험도는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사고를 당할 확률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정보 수집부(10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공사 현장에 출입하는 근로자, 관리자를 의미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주민등록증 정보, 운전면허증 정보, 혈압, 통장사본, 안전보건 이수증 소유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QR코드 또는 인증접속주소(외부사이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수집부(101)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현장 위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0).
일 실시 예에서, 현장 위험정보는,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현장의 위치(위도 및 경도), 현장의 날씨, 현장에 근무하는 사용자의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현장 관리부(102)는 사용자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S300).
도 4는 도 3의 S300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5a는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입력하고 안전 보호구 지급 및 수령여부를 확인여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를 등록하고, 등록된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S310).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인적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적사하을 비상시 연락처, 혈액형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현장 관리부(102)는, 사용자의 안전모 수령여부와 수령한 안전모를 사용자가 착용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S320).
도 6은 도 4의 S320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장 관리부(102)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제1 이미지로부터 제1 이미지벡터를 획득할 수 있다(S321).
일 실시 예에서 제1 이미지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모를, 사용자가 올바르게 착용한 상태의 예시 이미지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현장 관리부(102)는, 제1 이미지를, 안면 부분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면 부분의 이미지로부터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도록 기 학습된 제 1 기계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제 1 기계학습모델로부터 제 1 이미지와 대응하는 제 1 이미지벡터를 획득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기계학습모델은, 이미지를 입력 값으로 입력했을 때, 이미지에 포함된 안면 부분에 대한 객체박스를 출력하고, 객체박스에 포함된 이미지를 입력 값으로 입력했을 때, 객체박스 내에서 안면 부분의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며, 안면 부분의 이미지를 입력 값으로 입력했을 때, 인면 부분의 이미지와 대응하는 특징벡터를 출력하도록 기계 학습된 Mask-rcnn(Mask reg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이미지벡터는, 평소 사용자의 얼굴 윤곽, 얼굴에 포함된 눈썹, 눈, 코, 입,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의 사용자의 얼굴 윤곽, 안전모의 윤곽 등에 대한 특징을 나타내는 벡터일 수 있다.
또한, 현장 관리부(10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고, 제2 이미지로부터 제2 이미지벡터를 획득할 수 있다(S322).
일 실시 예에서, 제2 이미지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용자가 안전모를 실제 착용한 모습을 실시간으로 착용한 촬영 이미지를 의미한다.
현장 관리부(102)는, 제2 이미지를, 사용자의 어깨 위 부분의 윤곽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윤곽 이미지로부터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도록 기 학습된 제 2 기계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제 2 기계학습모델로부터 제 2 이미지와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이미지벡터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기계학습모델은, 이미지를 입력 값으로 입력했을 때, 이미지에 포함된 윤곽 부분에 대한 복수의 객체박스들을 출력하고, 객체박스들 각각에 포함된 이미지를 입력 값으로 입력했을 때, 객체박스들 내에서 윤곽 부분의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며, 객체박스들 각각과 대응하는 헤어 부분의 이미지를 입력 값으로 입력했을 때, 윤곽 부분의 이미지와 대응하는 특징벡터를 출력하도록 기계 학습된 Mask-rcnn(Mask reg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객체박스들은, 앞머리 부분, 윗머리 부분, 좌측 중심머리 부분, 우측 중심머리 부분, 좌측 하측머리 부분, 우측 하측머리 부분, 안전모의 테두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벡터는, 객체박스들 각각의 특징벡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장 관리부(102)는, 제1 이미지벡터 및 제2 이미지벡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들 각각과 대응하는 안전 착용도를 산출할 수 있다(S323).
구체적으로, 현장 관리부(102)는, 제1 이미지벡터 및 제2 이미지벡터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에 기초하여 사용자들 각각과 대응하는 안전 착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안전 착용도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H는 안전 착용도를 의미하고, I1은 제1 이미지벡터를 의미하며, I2는 제2 이미지벡터를 의미한다.
현장 관리부(102)는 사용자 단말(200) 중 안전 착용도가 기 설정된 기준 안전 착용도 이상인 사용자 단말(200)을 정상 사용자로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안전 착용도가 클수록 사용자가 안전모를 올바르게 착용한 것을 의미하며, 안전 착용도가 작을수록 사용자가 안전모를 바람직하게 착용하지 않을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현장 관리부(102)는, 현장에 있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착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사용자가 현장 내부에서 정상적으로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현장의 위험요소를 등록하고, 등록된 위험요소를 분석하여 현장 위험도를 결정한다(S33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안전모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현장 영상(예: 사진 또는 동영상)을 등록할 수 있다.
현장 관리부(102)는 AI(Artificial Intelligence)에 기반하여 등록된 현장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요소를 분류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위험요소에 기반하여 현장 위험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b는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현장의 유해 또는 위험요소를 공지하고 다른 사용자의 공지 확인 여부를 나타내는 실시 예이며, 도 5c는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현장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실시 예이며, 도 5d는 현장을 관리하는 사용자가 현장의 위험요소의 점검한 점검 일지를 나타내는 실시 예이다.
도 5b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현장을 관리하는 사용자는,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현장의 유해 또는 위험 요소를 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현장 근로자인 다른 사용자는, 현장을 관리하는 사용자가 공지한 내용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에 현장에 적용되는 공정들을 등록할 수 있고, 각각의 공정들에 대한 현장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공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공정 정보, 현장 위험요소, 관련근거(법적기준), 현재 안전보건조치 수행여부에 기초하여 현재 현장 위험도를 결정함을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공정 정보는 현장에서 수행하는 공정의 종류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철근 작업, 흙막이 지보공 작업 등을 의미하고, 하나의 현장에서 복수 개의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현장 위험요소는, 유도자 없는 지게차 운행, 지게차 운전원의 운전 경력, 사용되는 철근의 개수, 철근 적재용 받침대, 지반 침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관련근거(법적 기준)은 안전보건규칙 제179조, 177조, 197조, 172조, 제35조 및 제393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현장을 관리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현장의 위험요소의 점검한 점검 일지를 작성할 수 있는데, 점검일지는 2일 1회이상 작성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현장 관리부(102)는, 공정 정보, 현장 위험요소, 관련근거(법적기준) 및 현재 안전보건조치 수행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현장과 대응되는 현장 위험도를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장에서 수행하는 공정의 숫자가 증가할수록 현장 위험도가 증가하며, 현장 위험요소가 많을수록 현장 위험도가 증가하고, 충족해야하는 법적기준이 많을수록 현장 위험도가 증가하고, 사용자의 현재 안전보건조치 수행률이 높을수록 현장 위험도가 감소한다.
현장 위험도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에서, SR은 현장 위험도를 의미하고, P는 현장에 적용되는 공정의 개수, FL은 현장에 투입되는 지게차의 개수, D는 지게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경력, R은 철근의 개수, S는 철근적재용 받침대의 개수, GS는 지반 침하 부위의 개수, L은 준수해야하는 법률 규정의 숫자를 의미한다.
현장 관리부(102)는 결정된 현장 위험도를 통해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주의해야하는 정도를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현장 관리부(102)는 결정된 현장 위험도를 토대로 미흡 내용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S340). 이때 통보받는 사용자는 현장 관리자 또는 본사 관리자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미흡 내용은, 안전통로 확보여부, 용접작용시 불티방지포 설치여부, 천정작업시 아웃트리거 장착 여부, A형 사다리 작업시 2인1조 작업 여부, 2시간 이상 반복업무 지속 여부, 2시간 이상 머리위로 손을 뻗은 업무 지속 여부, 2시간 이상 다리가 불편한 자세로 작업 지속 여부, 4.5kg 이상 물건을 한 손으로 드는 작업의 실시 여부 등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교육 관리부(103)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사용자가 수행해야하는 교육정보를 수신한다(S400).
일 실시 예에서, 교육정보는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작업 또는 업무 전 수행해야하는 안전 교육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일일 안전교육, TBM, 신규채용자 안전교육, 근로자정기교육, 위험성 평가 전파교육, 관리감독자 교육, 물질안전보건교육(MSDS) 일 수 있다.
교육 관리부(103)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수신한 교육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교육 수행 여부를 관리한다(S500).
구체적으로, 교육 관리부(103)는, 안전 교육을 수행해야하는 사용자가, 일일 안전교육, TBM, 신규채용자 안전교육, 근로자정기교육, 위험성 평가 전파교육, 관리감독자 교육, 물질안전보건교육(MSDS)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험성 평가부(104)는,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S600). 사용자 위험도는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사고를 당할 확률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7은 도 3의 S600단계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위험성 평가부(104)는, 현장 관리부(102)로부터 현장 위험도 및 사용자 각각의 안전 착용도를 수신할 수 있다(S610).
또한, 위험성 평가부(104)는, 교육 관리부(103)로부터 사용자의 교육 수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20).
위험성 평가부(104)는, 현장 위험도, 안전 착용도 및 교육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위험도를 결정할 수 있다(S630).
구체적으로, 위험성 평가부(104)는, 사용자 위험도를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3에서, RA는 사용자 위험도를 의미하며, H는 안전 착용도를 의미하고, SR은 현장 위험도를 의미하며, ER은 교육 수행률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교육 수행률은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용자가 수행해야하는 안전교육에 대하여 실제 수행한 안전교육의 백분율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위험도가 커질수록 작업 현장에서 사용자가 사고에 노출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며, 사용자 위험도가 낮아질수록 작업 현장에서 사용자가 사고를 당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위험성 평가부(104)는, 결정된 사용자 위험도를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S640).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위험도를 수신하는 다른 사용자는, 본사 관리자, 현장 근로자 및 현장 관리자일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따른 경매 운영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 (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술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부들(101~105)이나 기타 기능 또는 동작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고,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 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단말(200) 및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이러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단말(200)은 설명의 편의상 노드나 단말로 혼용하여 지칭될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제1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앵커/도너 노드의 CU(centralized unit) 일 수 있고, 제2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의 DU(distributed unit) 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노드의 일부로 기지국(base station, BS), 단말,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이다. 기지국은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거리에 따라 소정의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된 커버리지를 갖는다.
기지국은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 세대(5th generation, 5G) 노드",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단말은 밀리미터 파(millimeter wave, 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 향상을 위해 기지국, 단말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단말은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에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단말은 빔 탐색 절차 또는 빔 관리 절차를 통해 서빙 빔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통신은 서빙 빔을 운반하는 자원과 준 동일위치(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안테나 포트 및 두 번째 안테나 포트는 첫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의 대규모 속성이 두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에서 유추될 수 있는 경우 준 동일위치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대규모 속성은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평균 지연 및 공간 Rx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예시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module)", "-부(unit)"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storage unit 및 컨트롤러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베이스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유닛과 아날로그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복수의 서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기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비트 스트림을 변환하고, 예를 들어, 다른 액세스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코어 네트워크는 물리적 신호로,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된 물리적 신호를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저장부는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너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릴레이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도너 노드로 전송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단말의 구성요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범용적인 단말의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내용들에 따른 단말의 구성요소와 병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일부 중첩되거나 상충되는 범위에서 앞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우선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를 들어,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RF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는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컨트롤러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컨트롤러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의 일부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컨트롤러의 일부를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인코딩 및 변조 회로, 디지털 빔포밍 회로, 복수의 전송 경로 및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를 포함한다.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ow-density parity check(LDPC) 코드, 컨볼루션 코드 및 폴라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성상 매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변조 심볼)에 대한 빔 형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변조 심볼을 다중화한다. 빔포밍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 및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리코딩 매트릭스(precoding matrix)"또는 "프리코더(precoder)"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볼을 복수의 전송 경로로 출력한다. 이때, 다중 안테나 기술(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전송 방식에 따라 변조 심볼이 다중화 되거나 동일한 변조 심볼이 복수의 전송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인버스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계산 유닛,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삽입 유닛, DAC 및 상향 변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 부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a 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적용시 생략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스트림에 대해 독립적인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구현에 따라 복수의 전송 경로의 일부 요소는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다중화한다. 빔포밍된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와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송 경로와 안테나 사이의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장 위험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호구 지급 및 수령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안전모 착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장의 위험요소를 분석하여 현장 위험도를 결정하는 현장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수행해야하는 교육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교육 수행 여부를 관리하는 교육 관리부; 및
    상기 현장에서 작업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위험도를 결정하는 위험성 평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증 정보, 운전면허증 정보, 혈압, 통장사본, 안전보건 이수증 소유여부를 의미하며,
    상기 교육정보는, 일일 안전교육, TBM, 신규채용자 안전교육, 근로자정기교육, 위험성 평가 전파교육, 관리감독자 교육, 물질안전보건교육을 의미하고,
    상기 현장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제1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이미지로부터 제2 이미지벡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이미지벡터 및 상기 제2 이미지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들 각각과 대응하는 안전 착용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미지를, 안면 부분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면 부분의 이미지로부터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도록 기 학습된 제 1 기계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제 1 기계학습모델로부터 상기 제 1 이미지와 대응하는 상기 제 1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며,
    상기 제2 이미지를, 사용자의 어깨 위 부분의 윤곽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윤곽 이미지로부터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도록 기 학습된 제 2 기계학습모델에 입력하고, 제 2 기계학습모델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와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제2 이미지벡터를 획득하며.
    하기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안전 착용도를 결정하고,

    상기 수학식에서, H는 안전 착용도를 의미하고, I1은 제1 이미지벡터를 의미하며, I2는 제2 이미지벡터를 의미하며,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올바르게 착용한 상태의 예시 이미지를 의미하고,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실제 착용한 모습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의미하며,
    상기 이미지 벡터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윤곽, 눈썹, 코, 입, 상기 안전모의 윤곽 및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의 상기 사용자의 얼굴 윤곽에 대한 특징을 나타내는 벡터를 의미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부는,
    하기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현장 위험도를 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SR은 현장 위험도를 의미하고, P는 현장에 적용되는 공정의 개수, FL은 현장에 투입되는 지게차의 개수, D는 지게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경력, R은 철근의 개수, S는 철근적재용 받침대의 개수, GS는 지반 침하 부위의 개수, L은 준수해야하는 법률 규정의 숫자를 의미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성 평가부는,
    하기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위험도를 결정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RA는 사용자 위험도를 의미하며, H는 안전 착용도를 의미하고, SR은 현장 위험도를 의미하며, ER은 교육 수행률을 의미하는,
    장치.
KR1020230116375A 2023-09-01 2023-09-01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2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6375A KR102625113B1 (ko) 2023-09-01 2023-09-01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6375A KR102625113B1 (ko) 2023-09-01 2023-09-01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113B1 true KR102625113B1 (ko) 2024-01-15

Family

ID=8954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6375A KR102625113B1 (ko) 2023-09-01 2023-09-01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089B1 (ko) * 2023-10-11 2024-02-15 김재진 반려동물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2089A (ja) * 2004-06-29 2006-01-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業務従事者教育管理システム
KR20130021061A (ko) 2011-08-22 2013-03-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KR20180071865A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연신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온간프레스 성형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90017669A (ko) 2017-08-10 2019-02-20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 분리층이 형성된 지지 기체,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KR20190029103A (ko) * 2017-09-11 2019-03-20 박현호 안전모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로서, 안전모에 부착하여 인원관리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
KR20220051609A (ko) *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인포쉐어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2089A (ja) * 2004-06-29 2006-01-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業務従事者教育管理システム
KR20130021061A (ko) 2011-08-22 2013-03-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공사현장작업을 위한 스마트웨어
KR20180071865A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연신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온간프레스 성형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90017669A (ko) 2017-08-10 2019-02-20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분리층 형성용 조성물, 분리층이 형성된 지지 기체,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KR20190029103A (ko) * 2017-09-11 2019-03-20 박현호 안전모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로서, 안전모에 부착하여 인원관리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
KR20220051609A (ko) *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인포쉐어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089B1 (ko) * 2023-10-11 2024-02-15 김재진 반려동물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113B1 (ko)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3365287A (zh) 通信方法及装置
CN107534888A (zh) 用于混合波束成形的csi反馈的装置、网络及方法
KR102398413B1 (ko) 건설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957072B (zh) 毫米波网络的数据传输装置和方法
CN105359602A (zh) 使用信息数据结构进行接入点选择的接入点和方法
KR102405464B1 (ko) 비대면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9102B1 (ko) 반려동물 미용공간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61900B1 (ko) 회귀 모델을 이용한 예측판매량과 합성이미지에 기초하여 ip 라이센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490088B1 (ko) 크레인 작업난이도 결정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N111095974B (zh) 用于分析无线通信系统中的服务可用性的装置和方法
KR102487843B1 (ko) 크레인 작업위치 결정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28992B1 (ko) 사용자를 위한 해외 배송 방법
KR102505267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확산 예측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16267B1 (ko) Ai 기반 웹빌더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102393061B1 (ko) 차량 간 무선 통신 방법
KR102577740B1 (ko) 사용자를 위한 애완 동물의 건강 관리 케어 방법
KR20230021037A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확산 예측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85469B1 (ko) Nft 기반의 헤어샵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91656B1 (ko) 메타버스 서비스에 기반한 해외 공장 중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48963B1 (ko) 고객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84567B1 (ko) 영상을 이용한 부동산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Saoutal et al. Should I Be Aware of the Information of Other Actors
CN116702854A (zh) 一种人工智能算法模型获取方法及装置
CN117459961A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