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609A -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609A
KR20220051609A KR1020200135215A KR20200135215A KR20220051609A KR 20220051609 A KR20220051609 A KR 20220051609A KR 1020200135215 A KR1020200135215 A KR 1020200135215A KR 20200135215 A KR20200135215 A KR 20200135215A KR 20220051609 A KR20220051609 A KR 20220051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safety
real
protection equipment
safety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쉐어
Priority to KR102020013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1609A/ko
Publication of KR2022005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60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은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등의 안전 관리가 필요한 현장에서 근로자와 현장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영상인식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근로자의 안전 보호구 착용 점검과, 현장의 환경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통신망, 적어도 하나의 CCTV, 얼굴분석모듈, 복수 개의 안전 보호구 및 호스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의할 때, 다양한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발전 현장 등의 작업 현장에서 근로자와 현장 환경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획득하되, 근로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를 파악하는 영상만 취득함에 따라 무차별적인 개인 영상 노출 방지 및 개인정보보호를 준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A system for recognizing workers' wearing safety protection equipment through real-time image analysis}
본 발명은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발전 현장 등의 작업 현장에서 근로자와 현장 환경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획득하되, 근로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를 파악하는 영상만 취득함에 따라 무차별적인 개인 영상 노출 방지 및 개인정보보호를 준수할 수 있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등에는 수많은 현장 근로자가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현장에 내재된 다양한 위험 요소와 현장 근로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한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안전보호구 미착용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작업자가 작업현장에 투입 시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투입이 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관리자가 작업자의 보호구 착용 여부를 식별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안전모 뿐만 아니라 보안경, 마스크, CO 검지기, CO2 검지기, 안전줄 등과 같은 많은 보호장비가 필요한 작업장에서는 작업자 본인도 보호장비의 착용 여부를 모를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현재 안전보호구 착용 여부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경우 CCTV를 통해 영상을 취득하여 관리자가 직접 모니터링을 하고 있음에 따라 관련 업무를 위한 별도의 인력 투입이 되고 있으며, 많은 제조 관련 대기업에서는 이러한 CCTV를 통한 작업자의 모니터링 시, 보호장비 외 다른 영상 취득 문제로 적용 기업 노조 반대가 많은 실정이기도 하다.
설사 관리자가 투입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관리자는 현장 근로자에 비해 현저하게 적은 인원으로 배치되어 관리자의 통제 및 관리가 제한되는 영역이 발생함에 따라서, 작업에 몰두한 현장 근로자가 의도와는 달리 현장 내 위험 요소로 접근하거나 부주의하게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관리자의 통제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추락, 전도 및 낙하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여 현장의 안전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 사고의 방지를 위해 대부분의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등에서는 현장의 안전 관리자 및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 관리 교육 등을 수행하고 있으나 형식적인 절차로 그쳐 실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안전 관리자는 일일 안전 점검, 정기 점검, 안전 교육 중 정기 교육, 특별 교육, 신규 채용자 교육 등과 법적 서류 작성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고, 또한 현장 점검 시 현장 내에서 근로하는 근로자에 교육 이수 유무 등을 확인하기 힘든 실정이어서,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등에서 발생되는 안전 사고는 현장 근로자의 생명을 위협함은 물론이고, 공사비의 상승과 생산성의 저하 그리고 공사 기간의 연장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등에서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안전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발전 현장 등의 작업 현장에서 근로자와 현장 환경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획득하되, 근로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를 파악하는 영상만 취득함에 따라 무차별적인 개인 영상 노출 방지 및 개인정보보호를 준수할 수 있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등의 안전 관리가 필요한 현장에서 근로자와 현장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영상인식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근로자의 안전 보호구 착용 점검과, 현장의 환경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통신망, 적어도 하나의 CCTV, 얼굴분석모듈, 복수 개의 안전 보호구 및 호스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근로자 단말기와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고, CCTV, 호스트 단말기, 호스트 단말기와 근로자 단말기, CCTV와 리모트 컨트롤러와의 사이에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 보호구는 현장에서 근로자의 안전 보호를 목적으로 근로자가 착용하는 장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 보호구는 적어도 일측에 식별 가능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식별 코드는 CCTV가 획득한 영상에서 식별 가능한 문자나 기호, 도형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호스트 단말기는 근로자 정보 입력부, 이미지 처리부, 근로자 추출부, 모니터링 처리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추출된 얼굴 영역에서 근로자의 얼굴을 인식하도록 유효데이터를 기준으로 얼굴, 표정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를 분류, 분석할 수 있도록 얼굴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얼굴분석모듈은 흰색 부분 영상 픽셀들의 밝기 합에서 검은색 부분의 밝기 합을 뺀 차로 계산되며, 영상 및 이미지 검색 시에 이 값이 특색(feature)에 부여된 임계치 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파악하고자 하는 대상물체라고 추측하며, 영상인식에 사용되는 영상 특색들은 에이다부스트와 하르 유사 특징(Haar-like Feature)은 기본적으로 영상에서의 영역과 영역의 밝기 차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발전 현장 등의 작업 현장에서 근로자와 현장 환경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 획득하되, 근로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를 파악하는 영상만 취득함에 따라 무차별적인 개인 영상 노출 방지 및 개인정보보호를 준수할 수 있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은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등의 안전 관리가 필요한 현장에서 근로자와 현장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영상인식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근로자의 안전 보호구 착용 점검과, 현장의 환경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이러한 시스템은 다양한 산업 분야 및 안전 분야에서 통신망, 적어도 하나의 CCTV, 얼굴분석모듈, 복수 개의 안전 보호구 및 호스트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근로자 단말기와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통신망은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고, CCTV, 호스트 단말기, 호스트 단말기와 근로자 단말기 그리고 CCTV와 리모트 컨트롤러와의 사이에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전 보호구는 현장에서 근로자의 안전 보호를 목적으로 근로자가 착용하는 장비로서, 안전모, 안전대, 안전화, 보안경, 마스크, CO 검지기, CO2 검지기, 안전줄 등을 포함하고, 적어도일측에 식별 가능한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별 코드는 CCTV가 획득한 영상에서 식별 가능한 문자나 기호, 도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보호구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지급할 때, 식별 코드가 부여되며, 근로자의 성명, 소속 등의 개인 정보와, 근로자의 안전 보호구 착용 여부 및 안전 교육 이수 여부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관련정보를 코드화한다.
상기 CCTV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원격 조정되어 현장의 특정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CTV는 제어 모듈의 제어를 받아서 현장의 근로자와 현장 환경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고, 현장 환경에 대한 영상은 예를 들어, 근로자가 작업 중인 작업 공간, 현장에 위치하는 건축물, 작업 설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CCTV는 획득한 영상을 통신 모듈로 전달하며,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 예를 들면 4G/LTE/5G 통신을 포함하여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제어 모듈의 제어를 받아서 호스트 단말기와 상호 데이터 통신을 하며, 또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은 휴대형 컴퓨터, 미니 컴퓨터, 스틱 PC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키보드, 마우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외한 전형적인 컴퓨터 장치의 구성 요소들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그래픽 컨트롤러, 네트워크 컨트롤러, USB 포트, HDMI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CCTV의 모든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원격 제어를 받아서 CCTV를 현장의 주변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 중에 근로자와 현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제어하고, 획득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호스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근로자 단말기는 근로자가 구비하는 모바일 장치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폰, 개인 정보 단말기 등을 포함하고, 근로자 단말기는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근로자 자신의 안전 보호구 착용 여부에 따른 알림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는데, 만일 예를 들어 근로자가 마스크를 미착용한 경우에, 근로자단말기는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안내하는 알림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안전 관리자가 구비하고, 통신망을 통해 CCTV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원격 제어할 수 있고, 호스트 단말기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등으로 구비되고, 통신망을 통해 CCTV로부터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이를 통해 현장의 안전 관리자가 근로자 및 현장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 단말기는 근로자 정보 입력부, 이미지 처리부, 근로자 추출부, 모니터링 처리부 및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근로자 정보 입력부는 근로자의 성명, 소속 등의 개인 정보와, 안전 교육 이수 여부, 근로자에 매칭된 안전 보호구의 식별 코드 정보, 안전 보호구의 착용 여부, 근로자의 등록 여부 등을 입력하여 근로자 정보를 생성하며, 근로자 정보 입력부는 근로자 정보에 근로자의 얼굴 이미지를 더 입력할 수 있고, 근로자 정보 입력부에 의해 생성된 근로자 정보는 저장부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는 적어도 근로자 정보 입력부에 의해 등록된 근로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며, 상기 저장부는 이미지 처리부에 의해 추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한편 이미지 처리부는 CCTV로부터 전송된 영상에서 근로자 및 현장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추출하여 복수 개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 각각에서 식별 코드 영역, 얼굴 영역을 인식 및 추출하는데, 이미지 파일을 이진화, 전처리, 영상 분할, 패턴 인식 및 영역 추출 등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처리하고, 추출된 식별 코드 영역에서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관련 코드화된 정보로 변환한다.
아울러,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추출된 얼굴 영역에서 근로자의 얼굴을 인식하도록 유효데이터를 기준으로 얼굴, 표정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를 분류, 분석할 수 있도록 얼굴분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얼굴분석모듈은 흰색 부분 영상 픽셀들의 밝기 합에서 검은색 부분의 밝기 합을 뺀 차로 계산되며, 영상 및 이미지 검색 시에 이 값이 특색(feature)에 부여된 임계치 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파악하고자 하는 대상물체라고 추측하며, 상기 얼굴분석모듈은 영상인식에 사용되는 영상 특색(feature)들은 특징 점을 이용한 SIFT(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템플릿 매칭을 이용한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그리고 LBP(Local Binary Pattern), MCT(Modified Census Transform)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에이다부스트(Adaboost: Adaptive Boosting)와 주로 함께 쓰이는 하르 유사 특징(Haar-like Feature)은 기본적으로 영상에서의 영역과 영역의 밝기 차를 이용한다.
또한, 모양에 따른 기본 특색(feature)들에 따라 이것들을 다수 조합하여 다양한 위치 및 크기에서 물체에 대한 특징을 추출한다.
각 기본 특색(feature)들의 특징 값은, 사각형의 흰색 부분 영상 픽셀들의 밝기 합에서 검은색 부분의 밝기 합을 뺀 차로 계산되며, 영상 및 이미지 검색 시에 이 값이 특색(Feature)에 부여된 임계치 보다 큰지 아닌지에 따라서 파악하고자 하는 대상물체로 추측한다.
여기에서 대상물체인지 확신을 하기 위해서는 의미 있는 특색(feature)들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특정 영역의 인식 대상에서는 비슷한 값들을 나타내면서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무작위한 값을 내는 경우를 구분하는 것과 같다.
하르 유사 특징(Haar-like Feature)을 이용한 얼굴인식의 경우, 눈을 예로 들면 눈의 영역은 주변보다 어두운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은 사람 얼굴 검출에 의미 있는 특징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 있는 특징의 선정은 에이다부스트(Adaboost)와 같은 부스팅(Boosting) 알고리즘과 같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처럼 하르 유사 특징은 기초 특색(feature)에 의한 물체의 기하학적 정보를 가지면서 단위 영역의 밝기 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람 얼굴과 같은 경우에는 특징적인 밝기 차를 가지기 때문에 비교적 적용하기 적합하다.
한편 근로자 추출부는 변환된 문자와 얼굴 이미지를 저장부에 기저장된 근로자 정보에서 검색 및 비교하여 해당 근로자 정보를 추출하며, 다시 말해 이미지 처리부에 의해 변환된 관련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된 근로자 정보의 식별 코드와 비교하여 해당 근로자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또한, 근로자 추출부는 이미지 처리부에 의해 인식된 얼굴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된 근로자 정보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해당 근로자 정보를 추출한다.
아울러, 모니터링 처리부는 CCTV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전송받아서 디스플레이하고, 근로자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근로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안전 관리자는 호스트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근로자 정보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안전 보호구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며, 호스트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근로자 정보를 통해 해당 근로자의 안전 교육 이수 여부를 확인하여 추후 안전 교육을 이수하도록 하는 등 안전 점검에 활용할 수 있으며, 호스트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CCTV로부터 현장에 대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현장의 안전 점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한편, 모니터링 처리부는 안전 보호구를 착용하지 아니한 근로자가 구비하는 근로자 단말기로 안전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안내하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호스트 단말기는 CCTV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 보호구의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근로자가 식별 가능한 안전 보호구의 착용 여부를 점검할 수 있고, 안전 보호구를 착용하지 아니한 근로자의 경우에는 근로자의 얼굴 이미지를 인식하여 해당 근로자를 식별하고, 알림 정보를 해당 근로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안전 보호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9)

  1.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등의 안전 관리가 필요한 현장에서 근로자와 현장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영상인식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근로자의 안전 보호구 착용 점검과, 현장의 환경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통신망, 적어도 하나의 CCTV, 얼굴분석모듈, 복수 개의 안전 보호구 및 호스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근로자 단말기와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고, CCTV, 호스트 단말기, 호스트 단말기와 근로자 단말기, CCTV와 리모트 컨트롤러와의 사이에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보호구는 현장에서 근로자의 안전 보호를 목적으로 근로자가 착용하는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보호구는 적어도 일측에 식별 가능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CCTV가 획득한 영상에서 식별 가능한 문자나 기호, 도형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단말기는 근로자 정보 입력부, 이미지 처리부, 근로자 추출부, 모니터링 처리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추출된 얼굴 영역에서 근로자의 얼굴을 인식하도록 유효데이터를 기준으로 얼굴, 표정에 따른 각각의 데이터를 분류, 분석할 수 있도록 얼굴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분석모듈은 흰색 부분 영상 픽셀들의 밝기 합에서 검은색 부분의 밝기 합을 뺀 차로 계산되며, 영상 및 이미지 검색 시에 이 값이 특색(feature)에 부여된 임계치 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파악하고자 하는 대상물체라고 추측하며, 영상인식에 사용되는 영상 특색들은 에이다부스트와 하르 유사 특징(Haar-like Feature)은 기본적으로 영상에서의 영역과 영역의 밝기 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KR1020200135215A 2020-10-19 2020-10-19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KR20220051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15A KR20220051609A (ko) 2020-10-19 2020-10-19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15A KR20220051609A (ko) 2020-10-19 2020-10-19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09A true KR20220051609A (ko) 2022-04-26

Family

ID=8139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215A KR20220051609A (ko) 2020-10-19 2020-10-19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16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332A (ko) 2022-06-07 2023-12-14 한국전력공사 영상인식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625113B1 (ko) * 2023-09-01 2024-01-15 ㈜에스아이네트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7557079A (zh) * 2024-01-12 2024-02-13 福建亿普特防水技术有限公司 基于bim与ar的建筑综合管理平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332A (ko) 2022-06-07 2023-12-14 한국전력공사 영상인식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625113B1 (ko) * 2023-09-01 2024-01-15 ㈜에스아이네트 공사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7557079A (zh) * 2024-01-12 2024-02-13 福建亿普特防水技术有限公司 基于bim与ar的建筑综合管理平台
CN117557079B (zh) * 2024-01-12 2024-04-05 福建亿普特防水技术有限公司 基于bim与ar的建筑综合管理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1609A (ko) 실시간 영상분석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인식 시스템
CN111898514B (zh) 一种基于目标检测与动作识别的多目标视觉监管方法
KR102041784B1 (ko) Ioe와 드론을 융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N112396658B (zh) 一种基于视频的室内人员定位方法及定位系统
CN110309719A (zh) 一种电网作业人员安全帽佩戴管理控制方法和系统
CN111199200A (zh) 基于电力防护装备的佩戴检测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1126219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变电站人员的身份识别系统和方法
Xiong et al. Pose guided anchoring for detecting proper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N113627406B (zh) 异常行为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0287787B (zh) 图像识别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861826B (zh) 基于视频图像的煤矿监管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1668555B1 (ko) 작업 현장 영상 데이터 내의 작업자 인식 방법
CN112804494A (zh) 电力施工现场监控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09871751A (zh) 基于人脸表情识别的服务态度评估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084986A (zh) 一种基于图像特征提取的实时安全帽检测方法
CN113536842A (zh) 电力作业人员安全着装识别方法及装置
CN115953815A (zh) 基建现场的监测方法及装置
CN116682162A (zh) 一种基于实时视频流的机器人人员检测算法
CN115860979A (zh) 一种用于电力电网现场作业的人工智能管理系统
CN111985331B (zh) 预防商业秘密被窃照的检测方法及装置
CN114140819A (zh) 一种在电网作业中用于辅助安全管理的装置及方法
Bajracharya Real time pattern recognition in digital video with applications to safety in construction sites
CN111222423B (zh) 基于作业区域的目标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
CN112949606B (zh) 工服穿戴状态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20230139019A (ko) 딥 러닝 기반 작업자 개인보호구 착용 및 얼굴 신원 확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