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948B1 -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948B1
KR101995948B1 KR1020180138702A KR20180138702A KR101995948B1 KR 101995948 B1 KR101995948 B1 KR 101995948B1 KR 1020180138702 A KR1020180138702 A KR 1020180138702A KR 20180138702 A KR20180138702 A KR 20180138702A KR 101995948 B1 KR101995948 B1 KR 101995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epeater
fixed type
environment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김기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비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비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비엠테크
Priority to KR102018013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 예를 들어 건설현장의 중장비 주변에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를 곳곳에 마련한 후 작업자에게 착용된 안전태그(20)의 위치정보를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로부터 BLE통신망(B)으로 수신한 후 안전태그(20)의 LoRa통신망(L)을 경유하여 관제서버(10)로 송신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자의 측위를 저전력으로서 실시간으로 간단하게 확인케 할 수 있도록 한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N INDUSTRIAL SITE}
본 발명은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또는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로부터 BLE통신망을 통한 안전태그의 위치정보를 저전력으로 수신한 후 안전태그의 LoRa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에 원거리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소비의 최소화와 더불어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산업현장의 안전사고가 빈번해지고, 피해 또한 대규모로 발생되어,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한 초동 대처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현장 근무자에게 안전정보 제공을 위하여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넓은 지역에서 제한된 관리 인원으로 인해 다양한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건설현장의 경우 인력 및 장비가 공정에 따라 항상 달라지기 때문에 모든 과정이 타 산업분야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표준화 및 절차화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도 6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RFID태그(320)와, RFID태그(3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ID수신기(310)와, 작업기계의 동작상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씨씨티브이(CCTV; 410)와, 위험영역에 설치되는 스피커(420)와, 위험영역에 설치되는 경광등(430)과, 씨씨티브이(410), 스피커(420) 및 경광등(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작업장관리컴퓨터(100)와, RFID수신기(310) 및 작업장관리컴퓨터(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RFID수신기(310) 및 작업장관리컴퓨터(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며 작업장에 들어오는 사람들을 감시하고 이들의 입출입을 관리하는 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힘들고, 특히 RFID태그(320)를 이용하여 전력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으며, 작업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수신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로부터 능동적인 위험신호를 얻을 수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종 산업현장, 예를 들면 건설현장의 단위 업무를 심도있게 분석하여 절차화해서 4차산업의 효과를 산업현장, 즉 건설현장에도 적용시킬 수 있도록 개발한 것이다.
따라서, 국가 건설기술 선진화 정책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건설현장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신속한 초동 대처를 통해 소중한 인명을 구할 수 있도록 한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을 통해 장비-작업자 위치관제, 안전 모니터링(발파 안내, 안내 방송 등), 작업환경 모니터링이 가능한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안전태그,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및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와 전체 시스템의 관리를 위한 관제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79727호 -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또는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로부터 BLE통신망을 통한 안전태그의 위치정보를 저전력으로 수신한 후 안전태그의 LoRa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에 원거리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소비의 최소화와 더불어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현장, 예를 들어 건설현장의 중장비 주변에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를 곳곳에 마련한 후 작업자에게 착용된 안전태그의 위치정보를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또는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로부터 BLE통신망으로 수신한 후 안전태그의 LoRa통신망을 경유하여 관제서버로 송신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자의 측위를 저전력으로서 실시간으로 간단하게 확인케 할 수 있도록 한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현장에서 불의의 사고로 작업자가 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 IMU센서로서 그 동작여부정보를 감지하여 직접 관제서버로 LoRa통신망을 통해 송신하고, 나아가 산업현장의 고전압으로부터 누설전류가 발생할 경우 누설전류감지센서를 통해 감지케 하면서 직접 관제서버로 LoRa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관제서버의 관리자로 하여금 응급조치를 즉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더욱 철저하게 없앨 수 있도록 하는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능동적으로 위험한 상황에 처할 경우 관제서버에 위험신호를 주어 도움을 적극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한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로 하여금 산업현장 곳곳에 마련되어 관제서버와 LoRa통신망을 구축하여 통신하고, 관제서버에서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의 주변으로 움직이는 작업자에게 채워진 안전태그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면서 산업현장 상황에 맞는 메시지를 텍스트 형태로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안전태그를 착용한 작업자 주변의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각각 구비된 TTS복조기를 통해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방송토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더욱 안전한 대응을 가능케 하는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또는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 주변의 유해먼지/가스 또는 산소량을 관제서버로 LoRa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산업현장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토록 함과 동시에 경광등 또는 이동형부저의 경고와 상황에 맞는 메시지를 테스트 형태로 보낼 수 있도록 하고,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각각 구비된 TTS복조기를 통해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방송토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를 필요한 곳에만 설치하는 대신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의 주변으로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를 간헐적으로 설치하여 안전태그의 위치정보를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주변의 확장영역까지 수신케 하여 안전태그의 LoRa통신망을 경유하여 관제서버에 송신토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위치를 더욱 디테일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은,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관리를 통신하는 관제서버와,
전원공급부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고정형MCU의 제어를 받아 BLE통신망을 통해 위치정보를 통신하는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와,
상기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로부터 BLE통신망을 경유하여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LoRa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태그MCU를 지닌 안전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로부터 BLE통신망을 통한 안전태그의 위치정보를 저전력으로 수신한 후 안전태그의 LoRa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에 원거리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소비의 최소화와 더불어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산업현장, 예를 들어 건설현장의 중장비 주변에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를 곳곳에 마련한 후 작업자에게 착용된 안전태그의 위치정보를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로부터 BLE통신망으로 수신한 후 LoRa통신망을 경유하여 관제서버로 송신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자의 측위를 저전력으로서 실시간으로 간단하게 확인케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불의의 사고로 작업자가 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 IMU센서로서 그 동작여부정보를 감지하여 직접 관제서버로 LoRa통신망을 통해 송신하고, 나아가 산업현장의 고전압으로부터 누설전류가 발생할 경우 누설전류감지센서를 통해 감지케 하면서 직접 관제서버로 LoRa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관제서버의 관리자로 하여금 응급조치를 즉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더욱 철저하게 없앨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능동적으로 위험한 상황에 처할 경우 관제서버에 위험신호를 주어 도움을 적극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는 산업현장 곳곳에 마련되어 관제서버와 LoRa통신망을 구축하여 통신하고, 관제서버에서는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의 주변으로 움직이는 작업자에게 채워진 안전태그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위험상황 발생시 산업현장 상황에 맞는 메시지를 텍스트 형태로 보낼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안전태그를 착용한 작업자 주변의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각각 구비된 TTS복조기를 통해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방송토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더욱 안전한 대응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또는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 주변의 유해먼지/가스 또는 산소량을 관제서버로 LoRa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산업현장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토록 함과 동시에 경광등 또는 이동형부저의 경고와 상황에 맞는 메시지를 텍스트 형태로 보낼 수 있도록 하고,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각각 구비된 TTS복조기를 통해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방송토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를 필요한 곳에만 설치하는 대신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의 주변으로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를 간헐적으로 설치하여 안전태그의 위치정보를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주변의 확장영역까지 수신케 하여 안전태그의 LoRa통신망을 경유하여 관제서버에 송신토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위치를 더욱 디테일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안전태그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TTS복조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이미지.
도 6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관리를 통신하는 관제서버(10)와, 전원공급부(PMIC - Power Management IC; 31)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고정형MCU((Micro Controller Unit; 32)의 제어를 받아 BLE통신망(B)을 통해 위치정보를 통신하는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와,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로부터 BLE통신망(B)을 경유하여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LoRa통신망(L)을 통해 관제서버(10)로 송신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태그MCU(22)를 지닌 안전태그(20)를 포함한다.
BLE(Bluetooth Low Energy)통신망은 약 10m 정도의 도달 반경을 가진 2.4 GHz 주파수 대역 기반의 저전력 저용량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기술로서 동작 주기(duty cycle)가 수 밀리초(㎳) 정도로서 대부분의 시간은 슬립모드(sleep mode)로 있어 전력소모가 매우 적고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2㎒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1Mbps의 전송속도로 보내지만 동작주기가 작아서 대부분의 평균 전송속도는 200kbps 이하의 특징이 있으며, 특히 평균 전송속도가 10kbps 이하인 경우에는 전력 효율이 매우 좋아 배터리 교환 없이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공급이 제한되는 본 발명의 안전태그(20)에 매우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LoRa(Long Range)통신망은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와 비슷한 무선통신방식이지만 그 보다 더 먼 거리인 10km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어,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로부터 BLE통신망(B)을 통한 안전태그(20)의 위치정보를 저전력으로 수신한 후 안전태그(20)의 LoRa통신망(L)을 통해 관제서버(10)에 원거리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소비의 최소화와 더불어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산업현장, 예를 들어 건설현장의 중장비 주변에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를 곳곳에 마련한 후 작업자에게 착용된 안전태그(20)의 위치정보를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로부터 BLE통신망(B)으로 수신한 후 안전태그(20)의 LoRa통신망(L)을 경유하여 관제서버(10)로 송신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자의 측위를 저전력으로서 실시간으로 간단하게 확인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안전태그(20)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이미지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태그(20)는 IMU센서(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 관성측정유닛 센서; 23)를 통한 작업자의 동작여부정보와, 누전전류감지센서(Live Wire Detector Sensor; 24)를 통한 작업자 주변의 누설전류정보를 관제서버(10)로 LoRa통신망(L)을 경유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산업현장에서 불의의 사고로 작업자가 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 IMU센서(23)로서 그 동작여부정보를 감지하여 직접 관제서버(10)로 LoRa통신망(L)을 통해 송신하고, 나아가 산업현장의 고전압으로부터 누설전류가 발생할 경우 누전전류감지센서(24)를 통해 감지케 하면서 직접 관제서버(10)로 LoRa통신망(L)을 통해 송신하여, 관제서버(10)의 관리자로 하여금 응급조치를 즉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더욱 철저하게 없앨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안전태그(20)는 작업자가 직접 터치하여 LoRa통신망(L)을 통해 관제서버(10)로 위험신호를 송신하면서 태그부저(26)를 울리도록 하는 SOS버튼(25)을 더 포함하여, 작업자가 능동적으로 위험한 상황에 처할 경우 관제서버(10)에 위험신호를 주어 도움을 적극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TTS복조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서버(1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방송하는 TTS복조기(Text To Speech Demodulator; 33)를 포함한다.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는 산업현장 곳곳에 마련되어 관제서버(10)와 LoRa통신망(L)을 구축하여 통신하고, 관제서버(10)에서는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의 주변으로 움직이는 작업자에게 채워진 안전태그(2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면서 위험상황 발생 시 산업현장 상황에 맞는 메시지를 텍스트 형태로 보낼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안전태그(20)를 착용한 작업자 주변의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 각각 구비된 TTS복조기(33)를 통해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방송토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더욱 안전한 대응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즉, 산업현장에서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서버(10)에서 LoRa통신망(L)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텍스트로 보내면 TTS복조기(33)의 언어분석기, 운율생성기 및 음성신호합성기를 거쳐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방송토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즉각적인 대응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는 고정형Dust센서(34)를 통해 감지된 주변의 유해먼지/가스 또는 고정형O2센서(35)를 통해 감지된 주변의 산소량을 관제서버(10)로 LoRa통신망(L)을 통해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형Dust센서(34)에서 감지된 유해먼지/가스가 임계값을 넘을 경우 또는 고정형O2센서(35)에서 감지된 산소량이 임계값에 미달될 경우 경고하는 경광등(36)을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 주변의 유해먼지/가스 또는 산소량을 관제서버(10)로 LoRa통신망(L)을 통해 송신하여 산업현장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토록 함과 동시에 경광등(36)의 경고로서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40)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이미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의 주변에 마련되어 이동형배터리(41)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이동형MCU(42)의 제어를 받아 BLE통신망(B)을 통해 안전태그(20)에 위치정보를 통신하는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40)를 더 포함한다.
산업현장의 곳곳에 마련되는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는 초기 설비비용이 많이 들어가므로 산업현장의 필요한 곳에만 설치하는 대신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의 주변으로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40)를 간헐적으로 설치하여 안전태그(20)의 위치정보를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 주변의 확장영역까지 수신케 하여 안전태그(20)의 LoRa통신망(L)을 경유하여 관제서버(10)에 송신토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위치를 더욱 디테일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40)는 이동형Dust센서(44)를 통해 감지된 주변의 유해먼지/가스 또는 이동형O2센서(45)를 통해 감지된 주변의 산소량을 관제서버(10)로 LoRa통신망(L)을 통해 송신하고, 이동형Dust센서(44)에서 감지된 유해먼지/가스가 임계값을 넘을 경우 또는 이동형O2센서(45)에서 감지된 산소량이 임계값에 미달될 경우 경고하는 이동형부저(46)를 더 포함한다.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의 확장영역에 마련된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40) 주변의 유해먼지/가스 또는 산소량을 관제서버(10)로 LoRa통신망(L)을 통해 송신하여 산업현장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토록 함과 동시에 이동형부저(46)의 경고로서 작업자의 안전까지 더욱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과 같은 각종 산업현장에서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관제서버 20 : 안전태그
21 : 태그배터리 22 : 태그MCU
23 : IMU센서 24 : 누설전류감지센서
25 : SOS버튼 26 : 태그부저
B : BLE통신망 L : LoRa통신망
30 :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 31 : 전원공급부
32 : 고정형MCU 33 : TTS복조기
34 : 고정형Dust센서 35 : 고정형O2센서
36 : 경광등 40 :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
41 : 이동형배터리 42 : 이동형MCU
44 : 이동형Dust센서 45 : 이동형O2센서
46 : 이동형부저

Claims (9)

  1.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관리를 통신하는 관제서버(10)와,
    전원공급부(31)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고정형MCU(32)의 제어를 받아 BLE통신망(B)을 통해 위치정보를 통신하는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와,
    상기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로부터 BLE통신망(B)을 경유하여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LoRa통신망(L)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10)로 송신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태그MCU(22)를 지닌 안전태그(2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태그(20)는 IMU센서(23)를 통한 작업자의 동작여부정보와, 누전전류감지센서(24)를 통한 작업자 주변의 누설전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10)로 LoRa통신망(L)을 경유하여 송신하고,
    상기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는 상기 관제서버(10)로부터 메시지를 텍스트로 수신한 후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방송하는 TTS복조기(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태그(20)는 작업자가 직접 터치하여 LoRa통신망(L)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10)로 위험신호를 송신하면서 태그부저(26)를 울리도록 하는 SOS버튼(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는 고정형Dust센서(34)를 통해 감지된 주변의 유해먼지/가스 또는 고정형O2센서(35)를 통해 감지된 주변의 산소량을 상기 관제서버(10)로 LoRa통신망(L)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는 상기 고정형Dust센서(34)에서 감지된 유해먼지/가스가 임계값을 넘을 경우 또는 상기 고정형O2센서(35)에서 감지된 산소량이 임계값에 미달될 경우 경고하는 경광등(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안전/환경 중계기(30)의 주변에 마련되어 이동형배터리(41)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이동형MCU(42)의 제어를 받아 BLE통신망(B)을 통해 상기 안전태그(20)에 위치정보를 통신하는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40)는 이동형Dust센서(44)를 통해 감지된 주변의 유해먼지/가스 또는 이동형O2센서(45)를 통해 감지된 주변의 산소량을 상기 관제서버(10)로 LoRa통신망(L)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안전/환경 중계기(40)는 상기 이동형Dust센서(44)에서 감지된 유해먼지/가스가 임계값을 넘을 경우 또는 상기 이동형O2센서(45)에서 감지된 산소량이 임계값에 미달될 경우 경고하는 이동형부저(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80138702A 2018-11-13 2018-11-13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95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702A KR101995948B1 (ko) 2018-11-13 2018-11-13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702A KR101995948B1 (ko) 2018-11-13 2018-11-13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948B1 true KR101995948B1 (ko) 2019-07-04

Family

ID=6725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702A KR101995948B1 (ko) 2018-11-13 2018-11-13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9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6631A (zh) * 2019-07-29 2019-09-27 南京合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iot智慧工地系统
KR20210067957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빅파워솔루션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KR20210089312A (ko) * 2020-01-08 2021-07-16 김기성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27479A (ko) 2021-03-11 2022-09-20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240014944A (ko) 2022-07-26 2024-02-02 한국전력공사 근로자 중장비 근접 알람 시스템 및 중장비용 수신-조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27B1 (ko) 2006-11-21 2007-11-28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81429A (ko) * 2014-12-31 2016-07-08 주승철 건설 현장 작업 인력 관리 시스템
KR20180046813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27B1 (ko) 2006-11-21 2007-11-28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81429A (ko) * 2014-12-31 2016-07-08 주승철 건설 현장 작업 인력 관리 시스템
KR20180046813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6631A (zh) * 2019-07-29 2019-09-27 南京合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iot智慧工地系统
KR20210067957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빅파워솔루션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KR102473723B1 (ko) * 2019-11-29 2022-12-02 주식회사 빅파워솔루션 지하 광산 및 폐쇄구역에서의 IoT센서 네트워크 단말기
KR20210089312A (ko) * 2020-01-08 2021-07-16 김기성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25628B1 (ko) * 2020-01-08 2022-07-26 김기성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27479A (ko) 2021-03-11 2022-09-20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240014944A (ko) 2022-07-26 2024-02-02 한국전력공사 근로자 중장비 근접 알람 시스템 및 중장비용 수신-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948B1 (ko)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872314B1 (ko)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US9836941B2 (en) Heavy equipment proximity alert system
KR101282669B1 (ko)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1676848B1 (ko) 스마트 안전 헬멧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4931B1 (ko)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장치
JP4992729B2 (ja) 安全帯使用状況の監視及び警報システム
KR101418987B1 (ko) 안전관리 통합 시스템
KR100966892B1 (ko)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KR20170018747A (ko) 스마트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108368B1 (ko) 작업장 환경 및 근로자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관리 시스템
US9405948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an RFID-base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n a spatially extensive area
KR101219182B1 (ko) 스마트 안전관리 운용 시스템
CN106815987A (zh) 检测器到检测器的警报
CN102007426A (zh) 用于人员的位置监视装置
KR101770254B1 (ko) 탄화수소 검출 단말기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스누출 검출시스템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系统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CN102905393A (zh) 用于巷道监控的系统、便携式终端、耳麦、传感器系统及方法
KR20180060984A (ko) 실시간 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490373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Palazon et al. Wireless solutions for improving health and safety working conditions in industrial environments
KR20160096962A (ko) 산업현장 작업자 위치 추적 기반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
KR20120033607A (ko) 구조자의 현재 위치 파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