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312A -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312A
KR20210089312A KR1020200002329A KR20200002329A KR20210089312A KR 20210089312 A KR20210089312 A KR 20210089312A KR 1020200002329 A KR1020200002329 A KR 1020200002329A KR 20200002329 A KR20200002329 A KR 20200002329A KR 20210089312 A KR20210089312 A KR 2021008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management
management device
worker
display function
inform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628B1 (ko
Inventor
김기성
Original Assignee
김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성 filed Critical 김기성
Priority to KR102020000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6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7Task ass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Abstract

본 발명은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는, 공사 현장의 유해 가스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유해 가스의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안내문구를 공사 현장의 바닥 또는 천장에 문자 형태로 표시하는 안내문구 영사부, 및 센싱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유해 가스가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부터 취득되는 센싱 데이터를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며,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 안내문구가 바닥 또는 천장에 표시되도록 안내문구 영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Mobile Safety Management Apparatus Having Sensing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가스센서 등을 통해 센싱 데이터가 취득될 때 유해가스가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에 관제서버로 센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여 관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정상 상태의 상태 정보를 문자 형태로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토목, 플랜트 등 안전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현장에서 위험을 최소화하고, 또 미팅 등이 자유롭지 않은 현장에서는 작업의 안전에 대한 내용을 감독관 및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장치로 실시간으로 각 현장 및 작업에 필요한 안전정보 사항을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실시간 내지 수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현장마다 작업구간별 작업내용이 다르고, 위험 정도도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충분한 사전 숙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으로 해당 안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의식의 지속적인 제고를 위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 공사현장의 각각의 안전관리장치가 수신되는 가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중앙관제서버로 전달하는데, 특정 안전관리장치의 데이터 값이 입력되지 않는 등 중앙관제서버와 안전관리장치의 송수신에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또 중앙관제서버에 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작업자들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유해가스의 가스 수치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비상벨 또는 방송의 경우 전체 작업자들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위험한 경우 등과 같이 사용에 있어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작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비상벨 또는 방송을 통해 이벤트를 알리다 보면 다른 작업자들에게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개인의 실수(예: 안전모 미착용 등)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릴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일과 후에 해당 공사와 관련한 업무 사항을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발송하는 것은 사생활의 침해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어 담당자에게 업무 전달을 하지 못하고 퇴근하거나 익일에 말로서 전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6095호(2017.01.1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71209호(2016.10.26)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가스센서 등을 통해 센싱 데이터가 취득될 때 유해가스가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에 관제서버로 센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여 관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정상 상태의 상태 정보를 문자 형태로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는, 공사 현장의 유해 가스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유해 가스의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안내문구를 상기 공사 현장의 바닥 또는 천장에 문자 형태로 표시하는 안내문구 영사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누적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유해 가스가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부터 취득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 상기 안내문구가 상기 바닥 또는 상기 천장에 표시되도록 상기 안내문구 영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사 현장의 작업자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지정 작업자에 타겟팅된 업무 스케줄 정보를 작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의 촬영영상을 근거로 얼굴을 인식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지정 작업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작업자의 업무 스케줄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안내문구 영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작업자의 국적을 근거로 상기 업무 스케줄 정보의 언어를 선택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부하 발생시 상기 전송하는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한 후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은, 공사 현장의 유해 가스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안내문구 영사부가, 상기 유해 가스의 상태를 알리는 안내문구를 상기 공사 현장의 바닥 또는 천장에 문자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센싱 데이터를 누적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유해 가스가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부터 취득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 상기 안내문구가 상기 바닥 또는 상기 천장에 표시되도록 상기 안내문구 영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공사 현장의 작업자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지정 작업자에 타겟팅된 업무 스케줄 정보를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의 촬영영상을 근거로 얼굴을 인식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지정 작업자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작업자의 업무 스케줄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안내문구 영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작업자의 국적을 근거로 상기 업무 스케줄 정보의 언어를 선택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부하 발생시 상기 전송하는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한 후 재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에서 가스의 정상 기준치 내라면 중앙서버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저장만 하고 있다가,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부터 중앙(관제)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처리되는 데이터 양을 줄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원활히 하고, 나아가 부하(load)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들이 가스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글자(영상)표시수단을 통해 해당 작업장의 가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비콘(스캐너) 또는 PTZ 카메라를 통해 작업자의 정보 또는 얼굴을 확인할 때 타겟에 따른 업무 스케줄을 확인(예: 글자표시수단, 문자메시지, 방송 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 현장의 긴급 상황을 제외하고 작업자들을 타겟팅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그 결과 최적의 작업 환경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타겟팅에 따라 외국어 글자표시, 문자메시지 및 방송을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어, 작업자의 국적을 고려해서도 공사 현장에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를 기구적인 관점에서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구동 메커니즘 관점에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를 기구적인 관점에서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시스템(이하, 안전관리시스템)(90)은 작업자 장치(100),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 중계장치(113), 통신망(120) 및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중계장치(113)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안전관리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작업자 장치(100)는 공사현장(97)의 작업자가 소지하는 안전모, 안전벨트, 안전화 등에 탑재될 수 있는 비콘 통신이 가능한 비콘 모듈, 더 정확하게는 통신장치, 그리고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사현장(97)에 또는 공사현장(97)의 각 장소에 구비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를 통해 주변의 작업자들을 인식하여 감시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작업자 장치(100)는 작업자들마다 목에 착용하는 목걸이와 같이 웨어러블장치를 통해 작업자들을 감시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콘 통신의 경우 비콘 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로 비콘 신호를 통해 장치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위치를 알릴 수 있지만, 비콘 통신은 일방향 통신에 해당되므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 모듈이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비용 절약의 측면에서 비콘 모듈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장치(100)로서 단말장치 즉 작업자들의 스마트폰 등은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공사현장(97)의 작업자들이 출근했을 때, 당일 업무 스케줄이나 공사 담당자나 관리자가 사전에 특정 작업자에게 전달하려는 지시사항을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나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 등록해 놓은 경우 이러한 정보는 작업자들을 타겟팅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사현장의 A 공구(즉 공사구간)와 B 공구의 작업자들에게 전달되는 업무 스케줄과 전달 사항 등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장치(100)인 단말장치는 이러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사와 관련해 하루의 일과를 마친 경우, 작업자들은 휴식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나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또는 서로 연계하여 작업자의 단말장치로 업무 스케줄이나 지시 사항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작업자에게 공사와 관련한 안내문구나 물론 위의 업무 스케줄이나 전달 사항의 경우에도 영상의 형태로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작업자의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내문구가 포함되는 영상의 경우, 더 정확하게는 특정 작업자를 타겟팅하여 사소한 혹은 중요도가 낮은 안내정보의 경우에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에서 특정 작업자가 인식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러닝(running) 타임이 긴 경우와 같이 특정 상황에서는 단말장치에서 재생이 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현장(97)의 바닥면에 고정하여 공사현장(97)을 감시하도록 하며, 공사 감독관이나 관리자 등이 공사의 진척 상황에 따라 설치가 용이할 수 있는 즉 이동성이 자유롭게 보장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2에서는 수동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구동륜을 포함하여 감시 로봇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은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감시 로봇의 경우에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율 주행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200), 구동장치(210), 센서장치(혹은 센서부)(220), 음향출력부(230), 경보등(235), 안내문구 영사부(240) 및 촬영부(2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본체부(200)는 외부 프레임(framework)을 형성한다.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가 지정 장소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철(F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00)는 공사현장(97)의 작업자나 주변 환경을 감시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결합된다. 물론 그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구동장치(210)는 센서장치(220), 음향출력부(230), 경보등(235), 안내문구 영사부(240) 및 촬영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장치(210)는 함체의 내부에 PCB 기판과 같은 메인보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메인보드상에는 CPU나 MPU, 그리고 그 주변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210)는 예를 들어,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탠드 얼론(stand alone) 형태로 즉 독립적으로 동작하거나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구동장치(210)는 센서장치(220)의 센싱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키며, 저장된 센싱 데이터의 분석 결과, 또는 수치를 확인한 결과 이벤트 발생시(예: 정상 수치를 벗어날 때)에는 발생 시점부터 취득되는 센싱 데이터를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실시간으로 센싱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은 지정 시간동안 끊김없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서 공사현장(97)의 관제를 용이하게 하고, 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하(load)나 통신망(12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공한다는 것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스센서를 구비하고 가스센서의 유해가스의 수치가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동장치(210)는 하루의 일과가 종료된 후 현장 관리자의 제어 등에 의해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내부에 저장된 촬영영상이나 센싱데이터 등은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 전송하여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구동장치(210)는 하루의 일과와 관련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고, 그에 따라 센싱장치(220)를 통해 유해가스가 센싱되거나 움직임 센서 등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촬영부(250)를 턴온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동안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을 때 다시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는 음향출력부(230)를 통해 작업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경보등(235)을 통해 작업 장소의 안전 상태를 표시해 줄 수 있으며, 긴급 상황에서는 음향출력부(230)나 경보등(235)을 동작시켜 주변의 작업자들에게 긴급 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긴급 상황을 제외하면 사소한 다시 말해 중요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가령 특정 작업자가 휴식 이후에 작업모를 미착용하는 등의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작업자들을 타겟팅하여 안내정보가 문자의 형태로, 또는 시각화하여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작업자를 추적하여 적절한 안내문구(101)를 공사현장(97)의 바닥면 등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는 안내문구 영사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안내문구 영사부(240)는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문구 영사부(240)는 로고라이트, 빔프로젝트, 레이저 등 다양한 형태로 타겟 작업자에게 안내 내용을 통지할 수 있다. 물론 빔프로젝트를 통해 영상에 안내문구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문구 영사부(240)는 가령 로고 라이트의 원리로 동작할 수 있다. 로고라이트 방식이란 빔프로젝터와 같이 전면부에 위치하는 안내 정보를 후면부에 위치하는 광원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해당된다. 안내문구 영사부(240)는 렌즈부, 안내문구 표시부 및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는 안내문구 표시부에 표시되는 안내문구(101)가 광원부의 광원에 의해 일정 거리에 안내문구(101)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렌즈부의 렌즈는 볼록렌즈, 오목렌즈, 평면렌즈, 곡면렌즈 등 다양한 렌즈를 이용하거나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안내문구 영사부(240)는 유리기판에 각각 안내 내용이 인쇄 혹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유리기판을 포함하고, 구동장치(210)는 유리기판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켜 원하는 안내 문구가 외부로 표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안내문구 표시부는 투명 디스플레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하여 광원부를 통해 광원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하고, 투명 디스플레이에는 안내 문구를 표시해 줌으로서 영상표시장치에 영상을 구현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투명 디스플레이에는 사고 알림을 위한 안내 문구와 행동지침을 나타내는 안내 문구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면 이를 후면부의 광원을 통해 외부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투명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가 적(R), 녹(G), 청(B)의 투명 LED들로 구성되므로, 어렵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의 경우가 아니라 하더라도 전면부에는 적(R), 녹(G), 청(B)의 컬러필터를 구성하고, 후면부에는 적(R), 녹(G), 청(B)의 백라이트 LED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안내 내용을 로고라이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내문구 영사부(240)가 필름이나 기판(유리, 석영 기판)을 회전시켜 기인쇄되거나 형성된 안내 문구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방식, 또 안내문구가 화면에 영상이 구현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안내 문구를 제공할 수 있는 문구 디스플레이 방식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촬영부(250)는 PTZ(Pan Tilt Zoom)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공사 현장(97)의 이벤트 감지 결과에 따라 자동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를 통해 특정 방향에서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사건 및 사고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카메라의 렌즈를 지향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구동장치(210)는 촬영부(250)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나 센서장치(220)의 센싱 데이터를 분석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카메라를 제어할 수도 있다. 만약, 카메라가 도 1의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동작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촬영부(250)의 카메라는 회전 가능한 PTZ 카메라 이외에도 4방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는 고정형 카메라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소형 핀홀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4방위에 각각 설치하여 총 4개의 카메라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촬영부(250)의 촬영영상을 근거로 작업자들의 얼굴을 인식하여 인식 결과를 근거로 출근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출근시에 특정 작업자에게 전달한 업무 스케줄 정보나 전달 사항이 있는 경우, 구동장치(210)의 제어하에 특정 작업자를 타겟팅하여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촬영영상의 분석 동작 및 얼굴 인식 동작은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의 구동장치(210)나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계장치(113)는 넓게는 도 1의 통신망(120)에 포함될 수 있지만, 터널 공사와 같이 기지국이나 와이파이 통신, GPS 통신 등이 불가능할 경우,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와의 통신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공사현장(97)의 관리자에 의해 설치되는 액세스포인트(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사의 자원(resource)이 아니라는 정도로 이해하면 좋다. 물론 터널 공사와 같이 폐쇄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공사가 아닌 경우에는 중계장치(113)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사 초기에 통신 상태를 점검한 후 점검 결과에 따라 관리자는 선택적으로 중계장치(113)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중계장치(113)가 설치되는 경우,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는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5G 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AP)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통신사의 자원일 수 있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작업자들의 작업자 장치(100)나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작업자들의 작업자 장치(100)나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공사현장(97)의 전반적인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로부터 수신되는 촬영영상이나 센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지 않고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선별적인 관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하루의 일과가 끝난 경우에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로부터 촬영영상이나 센싱 데이터를 제공받아 DB(13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거나 가령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 후 분석 결과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공사 현장(97)의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에 포함된 각종 가스 센서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지 않고,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에서 데이터를 누적하되, 가스의 정상 수치가 일정 수치에 이른 경우 그때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일정 수치는 유해 가스를 측정하여 정상 기준값(혹은 기준치)을 벗어날 때를 의미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가스 센서를 통해 유해 가스가 감지되거나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로 정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사현장(97)에서 이벤트 발생시에 제공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작업자에게 통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를 제어하여 문자 형태로 안내문구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에서 스탠드 얼론 형태로 즉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공사현장(970)의 각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로부터 가령 가스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부하의 방지를 위하여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가 안전, 주의 및 경계의 3 단계에서 동작한다고 가정할 때, 주의 단계 이후부터의 센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도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가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재전송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주의 및 경계 단계의 센싱 데이터가 수신될 때, 경계 단계의 센싱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수신 중인 주의 단계의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가 센싱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재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장치 가령 서버의 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로부터 이벤트 발생시, 가령 주의 단계 이상일 때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지만, 이의 과정에서 부하가 계속 발생하는 경우,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30)로 요청하여 전송하려는 센싱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재전송하도록 하거나, 경계 단계의 센싱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우선적으로 처리하여 센싱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센싱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케줄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다음날, 하루의 일과가 시작될 때 다시 말해 새로운 하루의 일과가 시작되어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에 다시 전원이 입력될 때,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근거로 특정 작업자를 타겟팅하여 업무 스케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의 얼굴 인식은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에서 비콘 스캐너를 통해 수집되는 작업자의 정보 등을 통해서도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업무 스케줄은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의 안내문구 영사부(240)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지만, 작업자 장치(100) 특히 작업자가 소지하는 단말장치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작업자가 외국인의 경우에는 해당 외국인의 국적에 부합한 언어의 업무 스케줄 정보가 선택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문자메시지나 방송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위의 다양한 동작은, 다시 말해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따라 특정 작업자에게 타겟팅된 업무 스케줄을 제공하며, 특정 언어를 선택해 업무 스케줄을 제공하는 등의 동작은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에서 직접 이루어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다만,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의 경우 고가의 장비(예: 서버 등)일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고성능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자원을 구비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고성능의 작업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와 적절히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데이터 연산 처리에 따른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촬영영상의 경우에도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하루가 시작되는 아침 시간에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에서 촬영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한 후 모든 작업자가 출근한 것으로 판단될 때, DB(130a)에 저장되어 있는 업무 스케줄이나 전달 사항 등이 지정 작업자들에게 타켓팅되어 제공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촬영영상의 전송 방식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작업자에게 한정되는 사항은 기존과 같이 모든 작업자가 알 수 있는 장치나 채널을 통해 통지함으로써 다른 작업자가 작업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서 너무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부득이하게 통신망(120)의 문제로 인해 부하가 발생하거나 데이터가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도 1의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와 공사현장안전관리장치(130)는 다양한 형태로 연계하여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시스템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구동메커니즘 관점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작업장 안전관리부(320), 센서부(330) 및 저장부(3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도 2에서와 같은 경보등(235), 안내문구 영사부(240) 및 촬영부(2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가 구성되거나, 작업장 안전관리부(3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공사현장(97)의 작업자 장치(100) 및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스케일링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의 설치 초기에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세팅할 수 있다. 물론 세팅 이후에도 펌웨어의 형태로 주기적으로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주변의 작업자 장치(1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스캔하여 해당 스캔한 비콘 신호를 근거로 작업자들의 위치나 이동을 파악하도록 제어부(310)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작업자 장치(100)로서 작업자의 단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특정 작업자에게 타겟팅되는 업무 스케줄이나 전달 사항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업무 스케줄 등은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서 가령 중계장치(113)를 통해 직접 제공할 수도 있지만,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를 통해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나아가,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2의 안내문구 영사부(2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촬영부(2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10)의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 안내문구가 안내문구 영사부(2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해당 안내문구의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내문구, 안내내용, 안내정보, 안내데이터를 모두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안내문구는 문자로 표현된 상태를 의미한다면, 안내정보나 안내데이터는 통신에서 정보 처리 관점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안내내용은 작업자에게 전달된 메시지 즉 문장의 뜻이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어의 의미를 특별히 구별하여 사용하지 않은 이상, 어느 하나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통신 모듈은 비콘 통신모듈,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안전모에 설치되는 비콘장치와 통신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단말장치와는 블루투스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중계장치(113)와는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환경은 공사현장(97)의 특성에 따라 전파 방해나 비용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310)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작업장 안전관리부(320), 센서부(330) 및 저장부(34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센서부(330)에서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가령 가스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부(340)에 저장시킨다. 해당 센싱 데이터를 저장부(340)에 누적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저장한 센싱 데이터를 근거로 특정 수치가 기준값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때, 또는 유해가스가 감지되거나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 제어부(310)는 센서부(33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저장부(340)에 저장시킴과 동시에 또는 곧바로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공사 환경이 자동으로 개선되거나 조치가 있은 후에 정상 상태로 복귀되는 경우, 제어부(310)는 센싱 데이터를 다시 저장부(34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310)는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선택적으로 혹은 선별적으로 센싱 데이터를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물론 이는 촬영영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어부(310)는 작업자들을 타겟팅하여 업무 스케줄 정보나 전달 사항을 제공하고, 중요도가 낮은 정보의 경우에는 지정 작업자만 인식할 수 있도록 안내문구를 문자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은 안내문구 영사부(240)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310)는 작업장 안전관리부(320)와 연동할 수 있다. 가령, 촬영영상의 분석결과 특정 작업자가 안전모를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통보를 작업장 안전관리부(320)로부터 수신한 경우, 이를 근거로 제어부(310)는 저장부(340)에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출력하여 안내문구 영사부(240)로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특정 작업자의 이동 방향 또는 주시 방향에 "작업모 착용 요함" 등과 같은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긴급한 상황에서는 알람이나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 도 1에서와 같이 대처방안을 순차적으로 알려줄 수도 있다. 즉 사건이나 사고를 알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대처해야 하는지 대처방안을 함께 통지하는 것이다.
나아가, 제어부(310)는 작업장 안전관리부(320)로부터 해당 작업자가 외국 국적의 작업자이므로 그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저장부(340)에서 안내문구를 선택할 때, 해당 작업자의 국적에 상응하는 언어의 안내문구를 선택하여 안내문구 영사부(240)로 제공한다. 물론, 업무 스케줄 정보 등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작업장 안전관리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가스측정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정상 기준 수치를 벗어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를 제어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영영상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작업자들의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여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얼굴 이미지에서 특징점이나 작업자가 외국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얼굴 색상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를 제어부(310)로 제공하여 특정 작업자에게 타겟팅된 업무 스케줄 정보를 제공되거나 특정 언어의 업무 스케줄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작업장 안전관리부(320)는 특정 안내문구가 포함되는 로고 라이트나 영상을 생성하여 안내문구 영사부(240)나 작업자의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로고 라이트나 영상을 생성하는 툴(tool)을 포함하여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장 안전관리부(320)는 공사현장(97)의 조도에 따라 가령 로고 라이트의 배경 영상에 대한 컬러나 해당 컬러의 채도를 결정하고, 그 내부에 안내문구를 삽입하여 영상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조도센서의 센싱 결과를 이용할 수 있지만,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통해 휘도 분석을 통해 결정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작업장 안전관리부(320)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가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만큼, 작업자의 주시 방향 등에 안내문구를 표시(또는 주사)하기 위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고정된 곳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거리를 조절하여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작업자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할지 모르기 때문에 효율적인 동작을 위하여 작업자와의 거리에 따라 안내문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촬영영상이나 비콘 통신에 의해 작업자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안내문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작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거리는 단위 프레임의 촬영 영상에서 두 좌표값을 이용해 거리 구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거리값을 추출하고, 픽셀당 거리값을 대입하여 이를 통해 총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에 매칭되는 글자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센서부(3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로서 가령 산소, 이산화탄소, 메탄, 황화수소, 미세먼지 등을 감지하는 가스센서나 온도 혹은 화염을 센싱하기 위한 온도센서나 화염센서(예: 불꽃감지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감지센서(예: 적외선센서 등), 조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30)에서 가스센서는 정상 기준 수치를 벗어날 때 공사현장(97)의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센싱 데이터가 도 1의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 제공될 수 있다. 반면, 조도센서의 센싱 데이터는 앞서 언급한 대로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의 내부 동작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룩업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40)는 안전모 미착용과 관련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와 함께 국적과 관련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국적을 고려한 안내문구(예: 안전모 착용요함 등)를 제어부(31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작업장 안전관리부(320), 센서부(330) 및 저장부(34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는 공사현장(97)의 유해 가스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한다(S400).
또한,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는 유해 가스의 상태를 알리는 안내문구를 공사현장(97)의 바닥 또는 천장에 문자 형태로 표시한다(S410). 이러한 문자 형태로 표시되는 안내문구는 공사현장(97)의 조도 등에 따라 크기와 채도가 조절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는 센싱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시키며, 유해 가스가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부터 취득되는 센싱 데이터를 외부장치, 가령 도 1의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 실시간 전송하며,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 안내문구가 바닥 또는 천장에 표시되도록 안내문구 영사부(240)를 제어한다(S420). 여기서, 실시간은 지정 시간 동안 데이터가 끊김없이 제공되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111)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의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작업자 장치 111, 111':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113: 중계장치 120: 통신망
130: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200: 본체부
210: 구동장치 220: 센서장치
230: 음향출력부 235: 경보등
240: 안내문구 영사부 250: 촬영부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작업장 안전관리부 330: 센서부
340: 저장부

Claims (14)

  1. 공사 현장의 유해 가스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유해 가스의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안내문구를 상기 공사 현장의 바닥 또는 천장에 문자 형태로 표시하는 안내문구 영사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누적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유해 가스가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부터 취득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 상기 안내문구가 상기 바닥 또는 상기 천장에 표시되도록 상기 안내문구 영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사 현장의 작업자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지정 작업자에 타겟팅된 업무 스케줄 정보를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의 촬영영상을 근거로 얼굴을 인식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를 감지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지정 작업자를 감지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작업자의 업무 스케줄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안내문구 영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작업자의 국적을 근거로 상기 업무 스케줄 정보의 언어를 선택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부하 발생시 상기 전송하는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한 후 재전송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8. 공사 현장의 유해 가스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안내문구 영사부가, 상기 유해 가스의 상태를 알리는 안내문구를 상기 공사 현장의 바닥 또는 천장에 문자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센싱 데이터를 누적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유해 가스가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부터 취득되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정상 기준치를 벗어날 때 상기 안내문구가 상기 바닥 또는 상기 천장에 표시되도록 상기 안내문구 영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 현장의 작업자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지정 작업자에 타겟팅된 업무 스케줄 정보를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의 촬영영상을 근거로 얼굴을 인식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지정 작업자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작업자의 업무 스케줄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안내문구 영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작업자의 국적을 근거로 상기 업무 스케줄 정보의 언어를 선택하여 상기 지정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부하 발생시 상기 전송하는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한 후 재전송하는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002329A 2020-01-08 2020-01-08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25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329A KR102425628B1 (ko) 2020-01-08 2020-01-08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329A KR102425628B1 (ko) 2020-01-08 2020-01-08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312A true KR20210089312A (ko) 2021-07-16
KR102425628B1 KR102425628B1 (ko) 2022-07-26

Family

ID=7715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329A KR102425628B1 (ko) 2020-01-08 2020-01-08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62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409A (ko) * 2004-11-25 2006-05-30 현대건설주식회사 건설 현장 환경 제어 시스템
KR20140073612A (ko) * 2012-11-27 2014-06-17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시 안내 시스템
KR20150060507A (ko) * 2013-11-25 2015-06-03 아즈빌주식회사 플랜트 감시 서버 및 플랜트 감시 방법
KR101671209B1 (ko)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682861B1 (ko) * 2016-07-21 2016-12-06 김대진 조선해양플랜트 현장 시공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5948B1 (ko) * 2018-11-13 2019-07-04 주식회사비엠테크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JP6556754B2 (ja) * 2014-12-05 2019-08-07 株式会社Fuji 作業管理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409A (ko) * 2004-11-25 2006-05-30 현대건설주식회사 건설 현장 환경 제어 시스템
KR20140073612A (ko) * 2012-11-27 2014-06-17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시 안내 시스템
KR20150060507A (ko) * 2013-11-25 2015-06-03 아즈빌주식회사 플랜트 감시 서버 및 플랜트 감시 방법
JP6556754B2 (ja) * 2014-12-05 2019-08-07 株式会社Fuji 作業管理装置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1209B1 (ko)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682861B1 (ko) * 2016-07-21 2016-12-06 김대진 조선해양플랜트 현장 시공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95948B1 (ko) * 2018-11-13 2019-07-04 주식회사비엠테크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628B1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2329A1 (en) Video transmission apparatus, video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KR20180095261A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2101584B1 (ko)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431424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202807B1 (ko)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350280B1 (ko) 휴먼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보안경
KR102013952B1 (ko) Cctv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 감시 시스템
KR102425628B1 (ko)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6956018B2 (ja) 安全管理システム
KR200463282Y1 (ko) 재난 경보 기능을 갖는 광고장치
KR102322449B1 (ko) 장비전원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0742793B2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392512B1 (ko) 로컬감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46972B1 (ko) 긴급상황 대처를 위한 관제시스템
KR20210055343A (ko) 자동탐색 기능을 갖는 이동식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86279B1 (ko) 화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84408B1 (ko) 로고라이트를 이용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7164575B2 (ja) 安全管理システム
KR102228165B1 (ko) 밀폐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930432B1 (ko) 시설물 보안 관리 시스템
JP2007088576A (ja) アンテナ方向調整冶具及び方法
KR102284612B1 (ko)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지하철 객실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1595B1 (ko) 스마트 안전모
KR102322456B1 (ko) 로컬 안전관리상황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15707B1 (ko)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