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807B1 -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807B1
KR102202807B1 KR1020190025619A KR20190025619A KR102202807B1 KR 102202807 B1 KR102202807 B1 KR 102202807B1 KR 1020190025619 A KR1020190025619 A KR 1020190025619A KR 20190025619 A KR20190025619 A KR 20190025619A KR 102202807 B1 KR102202807 B1 KR 102202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information
construction site
safety
information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084A (ko
Inventor
김기성
구자석
Original Assignee
(주)오픈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웍스 filed Critical (주)오픈웍스
Priority to KR1020190025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80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는, 공사현장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착용 용품에서 안전정보가 레이저빔 방식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안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한 복수의 안전정보 중에서 공사현장에서의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선택되는 안전정보가 착용 용품에서 레이저빔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Managing Safety of Construction Sit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공사현장에서 작업자의 위치정보 등에 근거해 선별되는 안전 정보가 작업자마다 레이저빔 등을 이용한 로고라이트(logolight)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려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토목, 플랜트 등 안전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현장에서 위험을 최소화하고, 또 미팅 등이 자유롭지 않은 현장에서는 작업의 안전에 대한 내용을 감독관 및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장치로 실시간으로 각 현장 및 작업에 필요한 안전정보 사항을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실시간 내지 수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현장마다 작업구간별 작업내용이 다르고, 위험 정도도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충분한 사전숙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으로 해당 안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의식의 지속적인 제고를 위한 것이다.
그런데, 터널 등과 같은 특수한 공사현장에서는 다양한 위험 요인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안전사고 발생시 작업자들에게 신속하게 알람을 고지하고 행동 요령을 알려야 하나 공사현장의 특성상 소리가 전달되지 않아 정확한 방송 내용을 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이를 위해 각종 경고등, 비상벨 등을 갖추는 보조적인 도구를 함께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들도 정확한 사고에 대한 행동 지침을 전달할 수 없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6095호(2017.01.1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71209호(2016.10.26.)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공사현장에서 작업자의 위치정보 등에 근거해 선별되는 안전 정보가 작업자마다 레이저빔 등을 이용한 로고라이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려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는, 공사현장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착용 용품에서 안전정보가 레이저빔 방식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안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한 복수의 안전정보 중에서 상기 공사현장에서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선택되는 안전정보가 상기 착용 용품에서 상기 레이저빔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정보로서 상기 작업자에게 사고 발생을 알리기 위한 제1 안전정보 및 상기 사고 발생에 대처하는 행동 지침의 제2 안전정보가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상기 착용 용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내용을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작업 내용을 근거로 선택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상기 착용 용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공사현장의 작업환경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한 작업환경정보에 더 근거하여 선택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상기 착용 용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저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저장부가, 공사현장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착용 용품에서 안전정보가 레이저빔 방식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안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한 복수의 안전정보 중에서 상기 공사현장에서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선택되는 안전정보가 상기 착용 용품에서 상기 레이저빔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정보로서 상기 작업자에게 사고 발생을 알리기 위한 제1 안전정보 및 상기 사고 발생에 대처하는 행동 지침의 제2 안전정보가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상기 착용 용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내용을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저장한 작업 내용을 근거로 선택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상기 착용 용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공사현장의 작업환경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한 작업환경정보에 더 근거하여 선택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상기 착용 용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상황실에서 보고되는 사고 내용을 작업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시각적 형태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들이 사고를 빠르게 인식하여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의 작업 위치나, 작업 내용 또는 작업 환경에 따라 선별적으로 사고 내용을 시각적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고, 빈번한 안전 정보의 제공을 지양하여 안전 정보에 대한 작업자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사고에 신속히 대처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실제 붕괴사고와 같은 비상시에도 상시 전원을 유지하도록 하여 작업자들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착용 용품으로서 도 1의 안전모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영사장치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3의 안전정보영사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착용 용품으로서 도 1의 안전모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시스템(90)은 착용 용품(100), 현장 장치(111, 113), 통신망(120) 및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2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현장 장치(111, 113)가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 내의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착용 용품(100)은 공사현장(97)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도 2의 안전모(200), 안전복, 안전화 또는 허리벨트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안전모(200)나 안전복 및 안전화는 작업모, 작업복 및 작업화라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용품(100)은 로고 라이트나 레이저빔 등의 방식으로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서의 제어 명령에 따라 안전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안전정보제공장치, 가령 도 2의 영사장치(21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영사장치(210)가 안전모(200)에 구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사장치(210)는 안전모(200)나 안전복 등의 착용 용품(100)에 부착되어 작업자의 행동에 일체화되어 움직이고, 또 작업자가 작업하는 전방 즉 앞쪽에 안전정보를 제공하여 항상 작업자의 시선과 마주하도록 하여 정보전달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각적 방법에 의해 안전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공사현장(97)의 소음 등에 의해 사고알림과 행동지침의 전달이 수월하지 않을 때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또 실제 붕괴사고와 같은 긴급 비상시에도 상시 전원을 통해 영사장치(210)로부터 외부로 빛을 지속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작업자의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서는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이루어지므로 위치추적을 통해 작업자의 매몰 위치를 판단할 수 있지만, 로고라이트 방식의 안전정보 제공을 병행할 수 있다.
착용 용품(100)은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의 원격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예를 들어, 착용 용품(100)은 작업자의 위치추적을 통해 위치추적에 따른 위치정보에 따라 안전정보가 제공되도록 선별적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가령, 공사현장(97)에서 A 구역과 B 구역으로 나누어 작업이 진행되고 있을 때, A 구역의 작업자들을 대피시켜야 한다고 판단될 때,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A 구역의 작업자들의 착용 용품(100)에서 안전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되, 사고알림과 행동지침을 나타내는 안전정보가 로고라이트 방식 등의 시각적 방법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물론 전 구역의 작업자들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지만, 공사현장(97)의 혼란을 방지하고, 또 작업자들로부터 안전정보의 신뢰를 얻기 위하여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전 구역에 안전정보를 전송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도 공사현장(97) 내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A 구역과 B 구역의 전송시간을 다르게 함으로써 대피시에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령 각 구역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위험이 높은 구역의 작업자들을 먼저 대피시키고, 대피가 완료되면 이어 위험도가 낮은 구역의 작업자들을 대피시킬 수 있다.
또한, 착용 용품(100)은 동일 구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경우라 하더라도 작업 내용에 따라서도 제어 명령이 선별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팀을 구성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작업에 투입되기 전에 작업자들의 작업 내용은 미리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 제공되어 DB(130a)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위치추적을 통해 작업 내용을 자동 판단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구역에서의 사고 발생이 B 구역의 특정 작업군의 작업자들에게 영향이 미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일 구역이라 하더라도 작업 내용에 따라 특정 작업자들의 착용 용품(100)에서만 안전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자들의 착용 용품(100)에서 안전정보가 제공되도록 하여, 인접 구역에서 가스사고 발생이라는 사고알림과 용접중단이라는 행동지침을 안전정보로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특정 작업자의 착용 용품(100)에서 안전정보로서 사고발생이라는 사고알림 문구(101)가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현장 장치(111, 113)는 작업 공간 내의 작업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현장감시장치(111)와 현장감시장치(111)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통신망(120)을 통해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 전송하기 위한 중계장치(113)를 포함한다. 통신망(120)은 가령 통신사에서 운영하는 자원이라면, 현장 장치(111, 113)는 공사현장(97)에서 시공사 등이 별도로 설치하는 통신장치라 볼 수 있다. 현장감시장치(111)는 가령 온도, 습도, 가스누설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장치와, 작업 공간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등의 촬영장치를 포함한다. 현장감시장치(111)는 작업 공간 내의 작업 환경과 작업자들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데이터를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 제공한다. 반면 중계장치(113)는 공사현장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중계장치와 공사현장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2 중계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중계장치와 제2 중계장치는 블루투스나 지그비,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지만, 제2 중계장치와 통신망(120)은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제1 중계장치와 제2 중계장치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광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통신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촬영장치의 경우, 촬영영상은 공사현장(97)이 가령 터널 막장 현장이라 가정할 때, 발파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의 다양한 작업과 또 그 작업의 진척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계장치(113) 특히 제1 중계장치는 착용 용품(10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장치(113)는 착용 용품(1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착용 용품(100)의 장치정보와 신호 세기값 등을 함께 전달하게 되면,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신호 세기값을 근거로 거리를 계산하여 또는 방향도 함께 판단하여 제1 중계장치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중계장치의 설치 위치는 기설정될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작업자들의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복수의 제1 중계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신호 세기가 큰 곳의 중계장치(113)가 작업자의 신호를 취득하여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통신사의 자원일 수 있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제2 중계장치 또는 작업자들의 스마트장치(예: 스마트폰 등)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제2 중계장치 또는 작업자들의 스마트장치(예: 스마트폰 등)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공사현장(97)에서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착용 용품(100)에서 안전정보를 로고라이트(예: 그림자 방식)나 레이저빔 등의 시각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영사장치(210)와 통신을 수행한다. 시각적인 방식의 안전정보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사고알림, 행동지침의 순서대로 제공되도록 착용 용품(100)으로 안전 정보를 전송하며, 이때 전송되는 안전 정보는 작업자들의 위치정보나 작업내용을 근거로 선별적으로 전송한다.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부터 제공되는 안전 정보가 있을 때, 착용 용품(100)은 해당 안전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고알림은 다양한 종류의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다. 가령 가스사고나 붕괴사고가 있을 수 있으며, 작업자의 갑작스런 상해사고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행동지침도 상이할 수 있다. 물론 행동지침은 발생된 사고 내용에 따라 다르다.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공사현장(97), 더 정확하게는 서로 다른 작업공간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사건이나 사고를 모니터링하고, 그에 부합한 사고알림과 행동지침을 지정 작업자들에게 적절하게 전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공사현장(97)의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착용 용품(100)에서 제공하는 통신 신호를 근거로 작업자들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또 센싱장치나 촬영장치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근거로 작업 공간 내에서의 작업 환경이나 작업 진척 상황 등을 모니터링하며, 물론 이에 의해 작업 공간 내에서의 사건이나 사고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공사현장(97)으로 투입되기 전에 일일 작업 스케줄에 따라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해당 스케줄 정보를 근거로 작업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이러한 통합 정보를 근거로 안전정보가 특정 작업자들에게 적절하게 전송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물론 이외에도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공사 현장(97)의 A 구역에서 사고가 발생하게 될 때, 인접하는 B 구역의 특정(혹은 사고와 관련한) 작업자들에게 안전정보를 전달하고 또 어떠한 사고알림과 행동지침에 대한 안전정보가 전달되도록 할지를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갱신하여 DB(130a)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팀을 이루어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 공간에서 팀원을 구성하는 작업자의 갑작스런 상해사고가 발생하게 될 때, 해당 팀의 팀장에게 안전정보가 시각적 방법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팀원 상해사고'라는 사고 알림을 하고, '긴급후송 요함'이라는 행동지침을 하달할 수 있는 것이다. 로고라이트 방식은 영사장치(210)에 기저장되어 있는 안전정보를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의 지시에 따라 선택하여 외부로 안전정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라면, 레이저빔 방식은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안전정보를 영사장치(210)에서 빔 데이터로 변환하여, 가령 빔을 제공하는 반도체소자를 제어하여 빔의 형태로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위의 두 가지 방식은 데이터 처리나 동작이 다소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와 공사현장(97)의 착용 용품(100)의 통신이나 동작과정은 착용 용품(100)이 어떠한 원리의 영사 즉 안전정보를 시각적 방식으로 외부로 표출되도록 할 것인지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붕괴사고와 같이 작업자가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착용 용품(100)의 영사장치(210)를 상시적으로 동작시켜 안전정보가, 더 정확하게는 안전정보를 외부로 표출하기 위한 광원이 외부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자들이 작업자의 구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특정 사건이나 사고에서는 로고라이트 등의 시스템이 선별적이 아니라 상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영사장치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4는 도 3의 안전정보 영사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사장치(2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전원공급부(320), 안전정보 영사부(330) 및 저장부(3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전원공급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중계장치(113) 또는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휴대단말장치(예: 스마트폰 등)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중계장치(113)와의 통신을 통해, 가령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착용 용품(100)의 장치ID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작업자의 위치정보는 작업자의 휴대단말장치에서 생성되는 좌표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가령, 중계장치(113)의 설치 위치는 GPS 추적 등에 의해 이미 알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장치의 자이로센서나 속도센서, 거리센서 등을 통해 방향과 거리를 측정하여 중계장치(113)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좌표값을 계산함으로써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영사장치(210) 내에서도 얼마든지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휴대단말장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중계장치(113)를 통해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제어 명령은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서 공사현장(97)의 각 작업 공간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들의 위치나 공사의 진행 상태, 또 작업 환경 등을 모니터링하여 그에 따라 적절하게 작업자들에게 전달하는 제어 신호이며, 작업자들에게 안전정보가 각각 제공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라 볼 수 있다. 이는 착용 용품(100)과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의 통신 규약 또는 시스템 설계자의 정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서 가스사고 발생을 알리는 안전정보가 전송되었다면, 착용 용품(100)은 이를 근거로 가스사고 발생이라는 사고 알림을 레이저빔을 이용한 로고라이트 등의 시각적 방식으로 출력하고, 이와 함께 그 사고알림에 매칭되어 전송되는 행동 지침에 대한 안전정보도 이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착용 용품(100)은 자체적으로 사고알림과 행동지침에 대한 안전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고,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저장한 정보를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310)는 영사장치(21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전원공급부(320), 안전정보 영사부(330) 및 저장부(3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수신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부터의 안전 정보를 안전정보 영사부(330)로 전달한다. 만약 위에서와 같이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제어 명령을 해석하여 해석된 내용에 따라 적절한 안전정보를 선택하여 선택된 안전정보가 출력되도록 안전정보 영사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영사장치(210)가 도 2에서와 같이 안전모(200)에 부착되어 착용 용품(100)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플래시(혹은 후레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의 경우에는 플래시를 소등하면서 동시에 영사장치(210)를 동작시키는 등의 동작을 병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10)는 가령 전원공급부(320)에서 플래시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붕괴사고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310)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의 요청에 따라 전원공급부(320)의 전원을 안전정보 영사부(330)로 상시적으로 제공하여 플래시를 상시 점등시키거나 또는 특정 상태의 안전정보 문구가 레이저빔을 이용한 로고라이트 방식으로 상시 외부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자의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320)는 DC 전원을 생성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예를 들어,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영사장치(210)의 배터리의 잔량도 함께 모니터링하여 배터리 교체를 지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실, 안전정보 영사부(330)에서의 안전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은 작업자의 안전을 보다 도모하려는 것이므로, 이러한 면에서 배터리의 잔량 측정은 매우 중요한 사항일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부(320)는 AAA 건전지나 원형 타입의 수은 건전지가 투입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들로 하여금 주기적인 교체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안전정보 영사부(330)는 도 4에서와 같이 레이저빔을 이용한 로고라이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안전정보 영사부(330)는 도 4에서와 같이, 빔데이터 변환부(400) 및 안전정보 빔조사부(4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빔데이터 변환부(400)는 제어부(310)에서 제공되는 안전정보의 정보값(예: 2진 16비트 정보)에 따라 안전정보 빔조사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데이터 변환부(40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스위칭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어부(310)는 수신된 안전정보를 표현하기 위하여 전원공급부(320)에서 제공되는 전압의 경로를 스위칭소자의 제어를 통해 열어주어 안전정보 빔조사부(410)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안전정보 빔조사부(410)는 빔데이터 변환부(400)에 따라 동작하여 안전정보를 외부로 로고라이트 방식으로 표출하며 이를 위하여 '반도체레이저' 또는 레이저반도체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array)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레이저반도체소자의 각각은 안전정보를 구현하기 위한 도트(dot)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도트를 구성하는 각 반도체소자를 제어하여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로부터 수신된 안전정보를 공사현장의 바닥면이나 벽면 등에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안전정보 빔조사부(41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각 화소 픽셀이 영상을 구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반도체소자 각각은 레이저빔을 외부로 조사하게 된다. 따라서, 빔데이터 변환부(400)에서 선택(또는 제어)되는 방식에 따라 전원공급부(320)의 전압이 안전정보 빔조사부(410)로 공급되어 공급된 전압에 의해 반도체소자가 동작하여 레이저빔을 외부로 발산하게 된다. 복수의 레이저반도체소자들은 거의 동시 동작한다고 볼 수 있으며, 수신된 안전정보에 상응하는 레이저빔을 벽면 등에 조사한다.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레이저반도체소자는 점, 선, 면 등의 표현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내용의 안전정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공사현장(97)에서 사고발생이나 행동지침을 통지하기 위한 안전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영사장치(210)에 따라 동작 방식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사장치(210)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반도체레이저를 이용한 방식을 예시하였으나, 물론 이외에도 빔프로젝터와 같이 전면부에 위치하는 필름이나 유리기판 등에 디자인된 안전정보를 후면부에 배치되는 광원을 통해 그림자의 형태로 공사현장(97)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투사되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저장부(340)는 제어부(310)에 의해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앞서 언급한 대로 룩업테이블 형태로 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40)에 저장된 데이터는 제어부(310)의 요청에 따라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정보가 2진 16비트 정보로 수신되었다고 가정할 때, 해당 16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어떻게 빔데이터 변환부(400)를 제어해야 할지에 대한 정보는 룩업테이블에 서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해당 정보를 근거로 빔데이터 변환부(400)의 가령 스위칭소자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1의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 및 저장부(5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5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제어부(5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통신망(120)과 중계장치(113)를 경유하여 작업자의 착용 용품(100)이나 현장감시장치(111)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변/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현장감시장치(111)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 가령 센싱 데이터나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제어부(510)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에서 센싱 데이터나 촬영영상을 통해 공사현장을 모니터링한 결과 특정 작업자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안전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공사현장(97)에서 발생하는 사고 내용을 인지하고 대처가 필요한 경우에는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무엇보다 공사현장(97)의 특성상 작업자의 신속한 인지와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사가 이루어지는 현장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안전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부(510)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 및 저장부(5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공사현장(97)의 센싱데이터나 촬영영상이 제공되면 이를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에 제공하여 공사현장(97)의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링을 위해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는 DB(130a)에 저장될 수 있고, DB(130a)에 저장된 데이터는 기설정된 포맷으로 생성되어 공사현장 감독관이나 관리자 등이 요청할 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10)는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로부터 공사현장(97)의 작업자들에게 전체 또는 선별적으로 안전정보를 제공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를 제어하여 안전정보가 공사현장(97)의 착용 용품(100)에 제공되도록 한다. 제어부(510)는 안전정보를 전송할 때, 착용 용품(100)의 주소정보나 장치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이를 근거로 안전정보가 착용 용품(100)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제어부(5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담당하고, 연산부는 2진 비트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명령어해석부는 기계어의 명령어를 해석하여 어떠한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계된다. 이에 따라 제어회로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의 초기 구동시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연산처리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는 공사현장(97)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사현장(97)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사고의 발생이 있거나 사고의 발생이 우려되거나 할 때 작업자들의 위치정보나 작업내용을 근거로 선택적으로 안전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빠르게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무엇보다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는 안전정보를 제공할 때 단순히 어떠한 사실을 알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특정 사고의 발생을 알림과 동시에 행동지침도 함께 전송한다. 물론 이러한 안전정보는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고, 나아가서는 작업내용을 더 근거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고의 여파가 미치지 않는 인접 작업자들에게 불필요하게 안전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정보에 따르는 피로감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는 안전정보를 전송할 때, 작업내용 등을 근거로 하여 위험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구역에서 사고가 발생할 때, A 구역의 작업자들에게 사고의 발생을 알리고 빠르게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지만, 그 인접 구역인 B 구역이나 C 구역에 영향이 미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 인접 구역으로도 적절하게 안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가령, A 구역에서 가스사고가 발생했고, 인접 지역의 작업내용을 확인한 결과 용접 작업이 있다면 이는 영향이 미칠 여지가 많다는 것이다.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는 이러한 연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간으로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가령 특정 작업자에게 상해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구역의 작업을 감독하는 팀장의 착용 용품(100)에서 안전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지만, 팀장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고 판단될 때에는 지정된 정책에 따라 다음 순위의 팀원에게 전달하거나, 이와 함께 자동으로 응급차가 대기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는 안전정보가 착용 용품(100)을 통해 로고라이트나 레이저빔 방식으로 안전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과 관련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2의 영사장치(2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규약이 설정되어 그에 따라 적절히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화재나 붕괴는 전체 작업자들에게 레이저빔을 이용한 로고라이트 등의 방식으로 안전정보가 제공되도록 하여 즉 사고알림과 행동지침을 제공하여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스사고와 같은 경우에는 피해가 우려되는 특정 작업자를 대피시키거나 용접 등의 작업을 중지하도록 관련 작업자들에게 사고알림과 행동지침을 줄 수 있다. 작업자들이 자신이 착용하는 착용 용품(100)의 영사장치(210)로부터 현장의 바닥이나 벽면에 표시되는 안전정보 즉 안전문자를 볼 수 있으므로, 빠른 상황 대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공사현장(97)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이나 사고를 예측하여 예측 정보의 형태로서 안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타 공사현장에서 동일한 조건하에서 사건이나 사고가 발생한 이력이 있다면 이를 공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들의 행동 패턴을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졸음이 많은 작업자의 경우 주의가 요망되는 경우에는 관련 안전정보를 해당 작업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는 공사현장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딥러닝 동작을 수행하고 그 딥러닝에 의한 결과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사현장에서의 작업자들의 위치정보나 작업내용 등을 근거로 안전정보가 가장 최적의 작업자의 착용 용품(100)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며, 나아가 현장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안전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AI 프로그램이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530)는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처리하며, 제어부(510)는 공사현장(97)에서 제공되는 센싱데이터나 촬영영상 등을 저장부(530)에 순차적으로 저장한 후, 순서대로 불러내어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우선순위가 부여되는 데이터가 있다면 해당 데이터를 먼저 불러내어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520)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는 간단한 제어 명령을 의미할 수 있고, 다시 말해 요청 신호나 그에 대한 응답 신호가 될 수 있고, 데이터는 촬영영상에서 화소를 구성하는 적(R), 녹(G), 청(B)의 화소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의미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공사현장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착용 용품에서 안전정보가 레이저빔 방식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안전정보를 저장한다(S600). 여기서, 저장되는 정보는 가령 사고알림을 위한 제1 안전정보와, 발생한 사고에 대처하는 행동지침을 나타내는 제2 안전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저장한 복수의 안전정보 중에서 공사현장에서의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선택되는 안전정보가 착용 용품(100)에서 레이저빔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10). 이를 위하여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선택되는 안전정보를 전송하는 것 이외에도, 단순히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착용 용품(100)에 기저장되어 있는 안전정보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는 가스사고, 붕괴사고, 화재 등의 사고 알림을 위한 안전 정보를 위치 정보에 근거해 공사현장(97)의 작업자들, 더 정확하게는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착용 용품(100)으로 제공하면, 영사장치(210)는 해당 안전 정보를 수신하여 레이저빔 등을 이용한 로고라이트 방식으로 외부로 표출시키게 된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안전정보는 단순히 위치정보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들의 작업 내용이나 작업공간의 작업환경 등을 더 참고하여 영사장치(210)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기타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13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착용 용품 111: 현장감시장치
113: 중계장치 120: 통신망
130: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200: 안전모
210: 영사장치 300, 5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510: 제어부 320: 전원공급부
330: 안전정보 영사부 340, 530: 저장부
400: 빔데이터 변환부 410: 안전정보 빔조사부
520: 안전정보 시각화처리부

Claims (8)

  1. 공사현장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착용 용품에서 안전정보가 레이저빔 방식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안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한 복수의 안전정보 중에서 상기 공사현장에서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선택되는 안전정보가 상기 착용 용품에서 상기 레이저빔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내용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작업 내용을 근거로 선택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상기 착용 용품으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 구역에 안전정보를 전송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각 구역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A 구역과 B 구역의 전송시간을 다르게 하여 전송하되, 대피시에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 구역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위험이 높은 구역의 작업자를 먼저 대피시키고, 이어 위험도가 낮은 구역의 작업자들을 대피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A 구역에서의 사고 발생이 B 구역의 지정 직업군의 작업자들에게 영향이 미친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일 구역이라 하더라도 상기 저장한 작업 내용에 따라 지정 작업자의 착용 용품에서만 안전정보가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붕괴사고가 발생한 경우 특정 상태의 안전정보 문구가 상기 착용 용품에서 상기 레이저빔 방식으로 상시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정보로서 상기 작업자에게 사고 발생을 알리기 위한 제1 안전정보 및 상기 사고 발생에 대처하는 행동 지침의 제2 안전정보가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상기 착용 용품을 제어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공사현장의 작업환경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한 작업환경정보에 더 근거하여 선택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상기 착용 용품으로 제공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5.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저장부가, 공사현장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착용 용품에서 안전정보가 레이저빔 방식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안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한 복수의 안전정보 중에서 상기 공사현장에서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선택되는 안전정보가 상기 착용 용품에서 상기 레이저빔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내용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저장한 작업 내용을 근거로 선택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상기 착용 용품으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전 구역에 안전정보를 전송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각 구역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A 구역과 B 구역의 전송시간을 다르게 하여 전송하되, 대피시에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 구역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위험이 높은 구역의 작업자를 먼저 대피시키고, 이어 위험도가 낮은 구역의 작업자들을 대피시키는 단계;
    A 구역에서의 사고 발생이 B 구역의 지정 직업군의 작업자들에게 영향이 미친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일 구역이라 하더라도 상기 저장한 작업 내용에 따라 지정 작업자의 착용 용품에서만 안전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 및
    붕괴사고가 발생한 경우, 특정 상태의 안전정보 문구가 상기 착용 용품에서 상기 레이저빔 방식으로 상시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정보로서 상기 작업자에게 사고 발생을 알리기 위한 제1 안전정보 및 상기 사고 발생에 대처하는 행동 지침의 제2 안전정보가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상기 착용 용품을 제어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공사현장의 작업환경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한 작업환경정보에 더 근거하여 선택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상기 착용 용품으로 제공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90025619A 2019-03-06 2019-03-06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02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19A KR102202807B1 (ko) 2019-03-06 2019-03-06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619A KR102202807B1 (ko) 2019-03-06 2019-03-06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084A KR20200107084A (ko) 2020-09-16
KR102202807B1 true KR102202807B1 (ko) 2021-01-14

Family

ID=7266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619A KR102202807B1 (ko) 2019-03-06 2019-03-06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456B1 (ko) * 2020-06-05 2021-11-05 (주)오픈웍스 로컬 안전관리상황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RU2762514C1 (ru) * 2021-02-17 2021-12-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 роботизации процессов»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охраны объектов строительства.
CN117315883A (zh) * 2023-12-01 2023-12-29 广州南华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施工安全预警方法、系统、服务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352B1 (ko) * 2013-06-10 2015-03-1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1209B1 (ko)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14228B1 (ko) * 2017-02-17 2018-11-02 주식회사 영신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084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807B1 (ko)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135680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eacon broadcast in response to sensor data
KR101872314B1 (ko)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US103954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8330605B2 (en) System for providing real time locating and gas exposure monitoring
Isaac et al. A statistical model for dynamic safety risk control on construction sites
KR102190271B1 (ko) 이동체 접근 경보 시스템
KR102086079B1 (ko)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07460A (ko) 안전 보호구 착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JP6956018B2 (ja) 安全管理システム
KR102104485B1 (ko)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22449B1 (ko) 장비전원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84408B1 (ko) 로고라이트를 이용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84565B1 (ko) 현장맞춤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55343A (ko) 자동탐색 기능을 갖는 이동식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48668A (ko) 화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92512B1 (ko) 로컬감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28165B1 (ko) 밀폐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25628B1 (ko)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15707B1 (ko)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68443B1 (ko) 촬영 장치를 이용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22456B1 (ko) 로컬 안전관리상황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2862419A (zh) 作业管理系统
KR20160105711A (ko)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