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788A -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788A
KR20160095788A KR1020150017177A KR20150017177A KR20160095788A KR 20160095788 A KR20160095788 A KR 20160095788A KR 1020150017177 A KR1020150017177 A KR 1020150017177A KR 20150017177 A KR20150017177 A KR 20150017177A KR 20160095788 A KR20160095788 A KR 20160095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mergency
wearable device
acceleration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665B1 (ko
Inventor
우지환
주효성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6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러블 기기에 형성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로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측정하위급상황 발생 시 스마트폰에 사전 입력한 연락처로 전화통화와 메시지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웨어는 신호 측정부;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샘플링하고 필터링하는 신호 가공부; 상기 필터링된 가속도 및 각속도 값으로 표준 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계산하는 신호 계산부; 상기 표준 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이용하여 계산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위급상황 판단부; 및 상기 위급상황 판단 시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PHONE AND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기기의 센서를 이용해 특정 조작 없이 위급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하고, 스마트폰에 사전 입력된 보호자에게 상기 위급상황을 전달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기능성의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여러 기능들 중에는 위급상황 발생시 타인에게 이를 알리는 경보 기능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납치, 추행 등의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러한 경보 기능을 순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범죄가 단말기 접근을 막아 구조 요청을 하기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 기술들은 위급상황 발생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보호자에게 상기 위급상황을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한 바 있다.
첫 번째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0356호에서는 손목을 감싸는 손목 밴드 또는 신체나 의류에 부착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범죄 보호용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범죄 보호용 장치는 동작버튼이나 동작장치를 작동시켜 기 설정된 연락처의 단말로 위험상황을 통지하고, GPS 센서를 구동하여 위치정보를 전송하며, 카메라를 구동하여 주변 영상을 전송한다. 그러므로 상기 범죄 보호용 장치는 위험상황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동작버튼이나 동작 장치를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9009호에서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활성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활성화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로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긴급구조 신호가 오류인지 판단하여 긴급 구조 서버로 전송하는 긴급 구조요청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긴급 구조요청 방법의 활성화 신호는 버튼을 누르거나 스위치를 회동 또는 회전시키는 행위 등을 통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긴급 구조요청 방법은 활성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버튼을 누르거나 스위치를 회동 또는 회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위급상황을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지만 위급상황을 전송하기 위해서 동작버튼을 누르거나 스위치를 회동 또는 회전시키는 행위 등을 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0356호(2014년 06월 1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9009호(2009년 01월 22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해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스위치를 회전하는 등의 조작 없이 단순 웨어러블 기기의 움직임만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위급상황 발생 시 스마트폰에 사전 입력한 연락처로 전화통화와 메시지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에 형성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로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측정하는 신호 측정부와,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샘플링하고 필터링하는 신호 가공부와, 상기 필터링된 가속도 및 각속도 값으로 표준 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계산하는 신호 계산부와, 상기 표준 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이용하여 계산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위급상황 판단부 및 상기 위급상황 판단 시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가공부는,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100Hz 이상으로 샘플링하고, 2~10Hz 대역통과 필터를 이용해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 또는 진동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예비 알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 측정부는, 심박동 센서로 측정한 심박동 측정값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급상황 판단부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서, 상기 심박동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심박동 기준값 이상일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손목 착용형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급상황 발생 시 스마트폰에 사전 입력한 연락처로 전화통화와 메시지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에 형성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로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측정하는 신호 측정단계와,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샘플링하고 필터링하는 신호 가공단계와, 상기 필터링된 가속도 및 각속도 값으로 표준 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계산하는 신호 계산단계와, 상기 표준 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이용하여 계산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위급상황 판단단계 및 상기 위급상황 판단 시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가공단계는,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100Hz 이상으로 샘플링하고, 2~10Hz 대역통과 필터를 이용해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와 진동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예비 알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측정단계는, 심박동 센서로 측정한 심박동 측정값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급상황 판단단계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서, 상기 심박동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심박동 기준값 이상일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손목 착용형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실제 위급상황 시 신속하게 위급상황 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위급상황을 알릴 수 없는 상황에서도 특정 동작 없이 신속하게 위급상황 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에 개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의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의 위급상황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의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 기기(10)와 스마트폰(20) 및 다수의 보호자 단말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웨어러블 기기(10)는 사용자가 위급상황 발생 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20)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랜(Wi-Fi)이나 지그비(Zigbee) 및 UWB(Ultra Wide Band)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포함하여 웨어러블 기기(10)에서 스마트폰(20)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급상황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20)은 사전에 입력된 순찰차, 경찰서, 보호자 등으로 구성된 다수의 보호자 단말기(30)에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와 위치정보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10)는 신호 측정부(11)와 신호 가공부(12), 신호 계산부(13), 위급상황 판단부(14) 및 신호 전송부(15)를 포함한다.
신호 측정부(11)는 내부에 형성된 가속도 센서(11a)와 자이로 센서(11b)를 포함하며, 신호 측정부(11)는 가속도와 각속도 값을 측정한다.
신호 가공부(12)는 상기 가속도와 각속도 값을 샘플링하고 필터링한다. 본 실시예에서 10Hz 성분을 충분히 측정하기 위해 상기 샘플링은 100Hz 이상의 신호로 샘플링하고, 상기 필터링은 2~10Hz의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BPF)를 이용해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대역통과필터는 평소 사람의 팔에 움직임은 1~2Hz의 성분이고 위급 상황 시 2~10Hz 대역으로 움직임으로 2~10Hz의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한다.
신호 계산부(13)는 샘플링하고 필터링한 상기 신호값을 1초 동안의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와 평균치 신호크기(mean power)로 계산한다.
위급상황 판단부(14)는 상기 표준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이용하여 계산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한다. 상기 특정 주파수대는 상기 2~10Hz의 대역통과 필터로 필터링한 2~10Hz를 의미하며, 평소 사람의 팔에 움직임은 1~2Hz 성분이지만, 2~10Hz 성분의 신호도 일부 포함하고 있어서 위급 시 팔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준값을 설정하여 판단한다.
신호 전송부(15)는 위급상황 판단부(14)에서 위급상황으로 판단 시 웨어러블 기기(10)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스마트폰(20)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10)에서 스마트폰(20)으로 상기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와 진동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예비 알람을 발생하여 오작동으로 위급상황 신호가 다수의 보호자 단말기(30)에게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위급상황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20)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전에 입력된 순찰차, 경찰서, 보호자 등으로 구성된 다수의 보호자 단말기(30)에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와 위치정보 등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전달한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10)의 신호 측정부(11)는 심박동 센서(11c)가 설치될 수 있다. 심박동 센서(11c)는 사용자의 심박동을 측정하여 위급상황 판단부(14)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서, 상기 심박동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심박동 기준값 이상일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한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10)는 손목 착용형 스마트 기기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의 위급상황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기기(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위급상황 발생 시 주관적 의지 또는 반사적으로 손목을 좌우로 흔들어 웨어러블 기기(10) 내부의 신호 측정부(11)에 형성된 가속도 센서(11a)와 자이로 센서(11b)가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측정한다(S1).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은 샘플링하고, 필터링한다(S2). 본 실시예에서 10Hz 성분을 충분히 측정하기 위해 상기 샘플링은 100Hz 이상의 신호로 샘플링하고, 상기 필터링은 2~10Hz의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BPF)를 이용해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대역통과필터는 평소 사람의 팔에 움직임은 1~2Hz의 성분이고 위급 상황 시 2~10Hz 대역으로 움직임으로 2~10Hz의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한다.
샘플링하고 필터링한 상기 신호값을 1초 동안의 표준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로 계산한다(S3).
상기 표준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이용하여 계산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한다(S4). 상기 특정 주파수대는 상기 2~10Hz의 대역통과 필터로 필터링한 2~10Hz를 의미하며, 평소 사람의 팔에 움직임은 1~2Hz 성분이지만, 2~10Hz 성분의 신호도 일부 포함하고 있어서 위급 시 팔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준값을 설정하여 판단한다.
위급상황으로 판단 후 웨어러블 기기(1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스마트폰(20)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한다(S5). 이때, 웨어러블 기기(10)에서 스마트폰(20)으로 상기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와 진동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예비 알람을 발생하여 오작동으로 위급상황 신호가 다수의 보호자(30)에게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위급상황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20)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전에 입력된 순찰차, 경찰서, 보호자 등으로 구성된 다수의 보호자 단말기(30)에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와 위치정보 등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전달한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10)의 신호 측정부(11)는 심박동 센서(11c)가 설치될 수 있다. 심박동 센서(11c)는 사용자의 심박동을 측정하여 위급상황 판단 단계(S4)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서, 상기 심박동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심박동 기준값 이상일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한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10)는 손목 착용형 스마트 기기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웨어러블 기기
11: 신호 측정부
12: 신호 가공부
13: 신호 계산부
14: 위급상황 판단부
15: 신호 전송부
20: 스마트폰
30: 보호자 단말기

Claims (10)

  1. 위급상황 발생 시 스마트폰에 사전 입력한 연락처로 전화통화와 메시지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에 형성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로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측정하는 신호 측정부;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샘플링하고 필터링하는 신호 가공부;
    상기 필터링된 가속도 및 각속도 값으로 표준 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계산하는 신호 계산부;
    상기 표준 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이용하여 계산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위급상황 판단부; 및
    상기 위급상황 판단 시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가공부는,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100Hz 이상으로 샘플링하고, 2~10Hz 대역통과 필터를 이용해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 또는 진동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예비 알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측정부는,
    심박동 센서로 측정한 심박동 측정값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급상황 판단부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서, 상기 심박동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심박동 기준값 이상일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손목 착용형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6. 위급상황 발생 시 스마트폰에 사전 입력한 연락처로 전화통화와 메시지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급상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에 형성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로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측정하는 신호 측정단계;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샘플링하고 필터링하는 신호 가공단계;
    상기 필터링된 가속도 및 각속도 값으로 표준 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계산하는 신호 계산단계;
    상기 표준 편차와 평균치 신호크기를 이용하여 계산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위급상황 판단단계; 및
    상기 위급상황 판단 시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위급상황 관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가공단계는,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값을 100Hz 이상으로 샘플링하고, 2~10Hz 대역통과 필터를 이용해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위급상황 관리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위급상황 신호를 전송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소리와 진동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예비 알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위급상황 관리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측정단계는,
    심박동 센서로 측정한 심박동 측정값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급상황 판단단계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움직임 변화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서, 상기 심박동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심박동 기준값 이상일 경우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위급상황 관리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손목 착용형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위급상황 관리 방법.
KR1020150017177A 2015-02-04 2015-02-04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75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177A KR101675665B1 (ko) 2015-02-04 2015-02-04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177A KR101675665B1 (ko) 2015-02-04 2015-02-04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788A true KR20160095788A (ko) 2016-08-12
KR101675665B1 KR101675665B1 (ko) 2016-11-11

Family

ID=5671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177A KR101675665B1 (ko) 2015-02-04 2015-02-04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6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970B1 (ko) * 2017-07-07 2019-04-11 (주)키즈소프트 이상 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방법 및 시스템
KR102006687B1 (ko) * 2018-04-10 2019-10-0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사용자의 이상 상태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단 시스템
KR102240089B1 (ko) * 2020-08-19 2021-04-14 (주)에스엔디글로벌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KR20210067655A (ko) 2019-11-29 2021-06-08 정태화 동잡음을 통해 심정지 판단을 수행하는 스마트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심정지 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009A (ko) 2007-07-19 2009-01-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신호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구조요청 방법
KR101053491B1 (ko) * 2009-04-07 2011-08-08 (주)휴레브 모션 센서를 이용한 보행주기 검출시스템과 방법
KR20140058502A (ko) * 2011-06-20 2014-05-14 헬스와치 리미티드 독립 비간섭 웨어러블 건강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
KR20140070356A (ko) 2012-11-29 2014-06-10 이영이 범죄 보호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009A (ko) 2007-07-19 2009-01-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신호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구조요청 방법
KR101053491B1 (ko) * 2009-04-07 2011-08-08 (주)휴레브 모션 센서를 이용한 보행주기 검출시스템과 방법
KR20140058502A (ko) * 2011-06-20 2014-05-14 헬스와치 리미티드 독립 비간섭 웨어러블 건강 모니터링 및 경고 시스템
KR20140070356A (ko) 2012-11-29 2014-06-10 이영이 범죄 보호용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970B1 (ko) * 2017-07-07 2019-04-11 (주)키즈소프트 이상 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방법 및 시스템
KR102006687B1 (ko) * 2018-04-10 2019-10-0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사용자의 이상 상태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단 시스템
KR20210067655A (ko) 2019-11-29 2021-06-08 정태화 동잡음을 통해 심정지 판단을 수행하는 스마트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심정지 관리시스템
KR102240089B1 (ko) * 2020-08-19 2021-04-14 (주)에스엔디글로벌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WO2022039373A1 (ko) * 2020-08-19 2022-02-24 백우민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665B1 (ko) 2016-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76680A1 (en) Portable device for indicating emergency events
JP2019004496A5 (ko)
RU2685815C1 (ru) Способ реагирования на обнаружение пад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675665B1 (ko)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6507912A5 (ko)
US20120046009A1 (en) Personal Emergency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378089A1 (en) Wireless mobile emergency system
KR20140070356A (ko) 범죄 보호용 장치
RU162348U1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Büsching et al. Fall detection on the road
KR101266814B1 (ko) 긴급구조 시스템
KR20150074565A (ko) 웨어러블 호신 센서장치
EP3440647B1 (en) Method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persons through smart mobile terminals and web services
CN105260968A (zh) 老人监护、急救、通信和娱乐系统
KR20130055340A (ko) 긴급 호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US10009724B2 (en) Intelligent personal safety device
RU2604858C1 (ru) Способ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об угрозе лич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KR20120135504A (ko) 액세서리 단말기를 이용한 안전 지킴이 시스템 및 방법
KR102106819B1 (ko) 위급상황 경보 시스템
TWI615802B (zh) 用於照護的意外事件監控方法及系統
JP2017049909A (ja) データ処理装置、通知方法、データ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66268A (ko) 맥박, 음성 그리고 위치정보시스템 기반의 안심지킴이 시스템
ITMO20090185A1 (it) Dispositivo per la segnalazione di uno stato di emergenz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