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089B1 -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089B1
KR102240089B1 KR1020200104013A KR20200104013A KR102240089B1 KR 102240089 B1 KR102240089 B1 KR 102240089B1 KR 1020200104013 A KR1020200104013 A KR 1020200104013A KR 20200104013 A KR20200104013 A KR 20200104013A KR 102240089 B1 KR102240089 B1 KR 10224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ream
equation
maximum value
rat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우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디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디글로벌 filed Critical (주)에스엔디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10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089B1/ko
Priority to US18/004,208 priority patent/US20230267816A1/en
Priority to PCT/KR2021/007941 priority patent/WO2022039373A1/ko
Priority to CN202180047467.XA priority patent/CN11583633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5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72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sonic detecting means, e.g. a microphone operating in the audio frequency ra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2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sychia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ritical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Nursing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의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는, 개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검출한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값의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경우에 상기 개인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개인의 상태를 상기 위험 상태로 판단할 경우, 상기 위험 상태로 판단한 시점부터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녹음하는 보이스레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DEVICE FOR ACQUIRING SITUATION INFORMATION BASED ON RISK STATE OF PERSON}
본 발명은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 생활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급 상황이나 갈등 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보관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가진 관리자에게 위치 정보와 주변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장치 등의 전자 장치가 점점 발달함에 따라 개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관련 기술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련 기술들은 대부분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개인들의 건강, 라이프 스타일 등을 보조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한편, 전자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개인은 사회활동과 다양한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상황, 위험 상황 또는 법적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상생활 중 사용자가 후미진 골목이나 인적이 드문 장소에서 강도나 유괴범 또는 성폭행범 등 위험한 상대와 대면하게 되면, 사실상 개인이 소리를 질러 주위에 구조를 요청하거나 전자 장치를 통해 구조 요청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위급한 상황에서 소리를 지르거나 전자 장치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신속하게 구조를 요청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개인이 위급한 상황에 대응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경우, 갈등 상황, 위험 상황 그리고 법적 분쟁이 예상되는 때, 이를 실시간 촬영 및 녹취하고 영상을 법적 권리가 있는 관리자에게 전송함으로써 긴급한 상황에 관리자가 피해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며, 관련 자료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KR 공개특허 10-2020-000254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개인 위험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위험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관리자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의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는, 개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검출한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값의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경우에 상기 개인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개인의 상태를 상기 위험 상태로 판단할 경우, 상기 위험 상태로 판단한 시점부터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녹음하는 보이스레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데이터 스트림을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개인의 사회생활에서 발생하는 분쟁 상황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과 분쟁 상황에 대한 자료 영상, 녹취록 및 위치 정보를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데이터 스트림을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에 따라 분석하여 개인의 상태가 위험 상태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정보 획득 장치와 관리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정보 획득 장치와 관리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는 개인의 위험 상태에 대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상시적으로 이루어지며, 센서부를 통해 수집한 센서 데이터 스트림을 분석하여 개인의 상태가 위험한 상태인 지 판단하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개인의 상태가 위험한 상태에서 획득한 상황 정보(예: 위치 정보 및 주변 영상 및 녹취록)을 관리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는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을 이용하여 센서 데이터 스트림을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상태가 위험한 상태인 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한 상태는 개인 신상 위험 상황(범죄), 사회적 재난 위험 상황, 분쟁 상황(개인 관계 측면, 사회적 활동 측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을 이용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따라서,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는 개인의 상태가 위험한 상태일 때의 위치 정보, 녹취록 및 주변 영상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위험한 상황에 대한 신속한 구조를 도모하고 분쟁 상황에서 대응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는 위험 상황 인식 후 현 위치 정보, 영상 및 녹취록(예: 보이스 녹음 내용)을 관리자(또는 영상 등 보유 인가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분쟁 상황을 인식하고 이 상황에 대한 녹취, 녹화를 실행하고 해당 영상, 녹취록과 위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인식하고 분쟁 상황이 발생할 때, 피해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송, 필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는, 개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로부터 검출한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값의 변화율이 수학식 1을 만족할 경우에 개인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150), 개인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판단할 경우, 위험 상태로 판단한 시점부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160),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PS(170), 상황 정보를 관리자 장치(200)에 전송하는 통신부(180) 및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녹음하는 보이스레코더(19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 획득장치(100) 및 관리자 장치(200)는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는 위험 상황에서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는, 개인의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심전도 센서(110), 개인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맥박 센서(120), 개인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측정을 위한 가속도 센서(130) 및 상황 정보 획득 장치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센서들은 기 공지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는 개인의 상태와 관련된 센서 데이터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 스트림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센서 데이터 집합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 장치(200)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장치(예: 서버)이며, 관리자는 개인에 대한 영상사용 인가자, 경찰 등 법 수행기관 또는 의료/구호기관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다. 도 2의 동작들은 도 1에 도시된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는 동작 21에서, 센서 데이터 스트림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 스트림은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소리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 스트림은 (tn+1) X 4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0087095421-pat00001
여기서, He(tn)는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이고, Hb(tn)는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이고, G(tn)는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이고, S(tn)는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동작 22에서, 센서부로부터 검출한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값의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우선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값은 하기 수학식 7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20087095421-pat00002
수학식 1
Figure 112020087095421-pat00003
여기서, DS(t)는 센서 데이터 스트림이고, MaxDS(t)는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이고, mDS(t)는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이다.
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값의 변화율이 일상 생활에서 측정되는 평균 값의 70%를 넘어설 경우, 제어부(150)는 개인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은 개인이 위험에 처하지 않고 일상 생활을 영위할 때 측정되는 값을 나타내며, 개인이 위험 상태일 경우의 센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대 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에 개인이 위험한 상태가 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제어부(150)는 개인이 위험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23에서, 제어부(150)가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수학식 1을 만족함을 확인함에 따라 개인의 상태를 상기 위험 상태로 판단할 경우, 카메라(160)는 위험 상태로 판단한 시점부터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의 주변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이스레코더(190)는 주변의 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 즉, 개인이 긴급 재난에 빠져 구조 요청이 필요하거나 분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주변 영상 및 녹취록은 개인을 구조하거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는 개인이 위험한 상태라고 판단할 경우, 카메라(160)를 통해 대응 자료에 해당하는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보이스레코더(190)를 통해 녹취록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동작 24에서,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개인이 위험한 상태라고 판단되어 주변 영상 및 녹취록을 획득하더라도 모든 주변 영상 및 녹취록을 바로 실시간으로 관리자 장치(200)에게 전송하는 것보다는 지정된 조건을 부여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으므로 주변 영상을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정된 조건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동작 24는 생략될 수 있으며, 동작 25에서도 지정된 조건 없이 모든 주변 영상 및 녹취록이 실시간으로 관리자 장치(200)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정된 조건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6가지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지정된 조건은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일 수 있다. 즉, 모든 주변 영상 및 녹취록을 전송하기 보다는 1일 1회 내지는 새벽 시간 등으로 전송 시간이나 주기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촬영된 주변의 영상 및 녹취록을 획득할 때마다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의 위치 정보, 주변 영상 및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외부 장치(예: 관리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우선, 두 번째 내지 여섯 번째 지정된 조건을 설명하기에 앞서 제어부(150)의 하기 동작을 설명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및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각각 하기 수학식 3, 수학식 4, 수학식 5 및 수학식 6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동작은 두 번째 내지 네 번째 지정된 조건 달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20087095421-pat00004
수학식 4
Figure 112020087095421-pat00005
수학식 5
Figure 112020087095421-pat00006
수학식 6
Figure 112020087095421-pat00007
여기서, He(t)는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이고, MaxHe(t)는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이고, mHe(t)는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이고, Hb(t)는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이고, MaxHb(t)는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이고, mHb(t)는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이고, G(t)는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이고, MaxG(t)는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이고, mG(t)는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이고, S(t)는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고, MaxS(t)는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이고, mS(t)는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이다.
예를 들어, 두 번째 지정된 조건은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이다. 다시 표현하면,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상기 수학식 3을 만족하면서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의 위치 정보, 촬영된 주변의 영상 및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외부 장치(예: 관리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심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과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모두 평균값의 70%보다 크다는 것은 그만큼 개인이 위험한 상태에 처했을 가능성이 큰 경우일 수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즉시 상황 정보를 관리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 번째 지정된 조건은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이다. 다시 표현하면,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상기 수학식 4를 만족하면서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상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위치 정보, 촬영된 주변의 영상 및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외부 장치(예: 관리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과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모두 평균값의 70%보다 크다는 것은 그만큼 개인이 위험한 상태에 처했을 가능성이 큰 경우일 수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즉시 상황 정보를 관리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 번째 지정된 조건은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하고,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하고,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이다. 다시 표현하면,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 상기 수학식 3, 상기 수학식 5 및 상기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위치 정보, 촬영된 주변의 영상 및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외부 장치(예: 관리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심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 및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변화율이 모두 평균값의 70%보다 크다는 것은 그만큼 개인이 위험한 상태에 처했을 가능성이 큰 경우일 수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즉시 상황 정보를 관리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섯 번째 지정된 조건은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하고,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하고,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이다. 다시 표현하면,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 상기 수학식 4, 상기 수학식 5 및 상기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위치 정보, 촬영된 주변의 영상과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외부 장치(예: 관리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 및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변화율이 모두 평균값의 70%보다 크다는 것은 그만큼 개인이 위험한 상태에 처했을 가능성이 큰 경우일 수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즉시 상황 정보를 관리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섯 번째 지정된 조건은 심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하고,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하고,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하고,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평균값의 70%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이다. 다시 표현하면,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 상기 수학식 3, 상기 수학식 4, 상기 수학식 5 및 상기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황 정보 획득 장치(100)의 위치 정보 및 촬영된 주변의 영상과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외부 장치(예: 관리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심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 및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변화율이 모두 평균값의 70%보다 크다는 것은 그만큼 개인이 위험한 상태에 처했을 가능성이 큰 경우일 수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즉시 상황 정보를 관리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조건의 예시로 든 6개의 조건들은 모두 설정되거나 일부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 번째 내지 여섯 번째 조건은 개인이 위험한 상태에 빠졌을 확률이 매우 높으므로 항상 설정될 수 있으며,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조건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동작 25에서, 지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영상과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외부 장치(예: 관리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센서 데이터 스트림을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6에 따라 분석하여 개인의 상태가 위험 상태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개인의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개인의 사회생활에서 발생하는 분쟁 상황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과 분쟁 상황에 대한 자료 영상과 녹취록, 위치 정보를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의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는, 개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검출한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값의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경우에 상기 개인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개인의 상태를 상기 위험 상태로 판단할 경우, 상기 위험 상태로 판단한 시점부터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녹음하는 보이스레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개인의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심전도 센서; 개인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맥박 센서; 개인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측정을 위한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데이터 스트림은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소리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따라 촬영된 주변의 영상과 녹취록을 획득할 때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영상 및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및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각각 하기 수학식 3, 수학식 4, 수학식 5 및 수학식 6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상기 수학식 3을 만족하면서 상기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상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위치 정보, 촬영된 주변의 영상 및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상기 수학식 4를 만족하면서 상기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상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위치 정보, 촬영된 주변의 영상 및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상기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상기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 상기 수학식 3, 상기 수학식 5 및 상기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위치 정보, 촬영된 주변의 영상 및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상기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상기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 상기 수학식 4, 상기 수학식 5 및 상기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위치 정보, 촬영된 주변의 영상 및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상기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 상기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상기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 상기 수학식 3, 상기 수학식 4, 상기 수학식 5 및 상기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위치 정보, 촬영된 주변의 영상 및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상황 정보 획득 장치
200: 관리자 장치

Claims (10)

  1. 개인의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에 있어서,
    개인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검출한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값의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경우에 상기 개인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개인의 상태를 상기 위험 상태로 판단할 경우, 상기 위험 상태로 판단한 시점부터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녹음하는 보이스레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개인의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심전도 센서;
    개인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맥박 센서;
    개인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측정을 위한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상황 정보 획득 장치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 스트림은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소리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2로 표현되고,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정보 획득 장치의 위치정보, 촬영된 주변의 영상 및 녹취록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지정된 조건은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에 관한 제1 조건;
    상기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하면서 상기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지에 관한 제2 조건;
    상기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4를 만족하면서 하기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이 하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지에 관한 제3 조건;
    상기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상기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상기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 하기 수학식 3, 하기 수학식 5 및 하기 수학식 6을 만족하는 지에 관한 제4 조건;
    상기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상기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상기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 하기 수학식 4, 하기 수학식 5 및 하기 수학식 6을 만족하는 지에 관한 제5 조건; 및
    상기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의 변화율, 상기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 상기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 및 상기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 하기 수학식 3, 하기 수학식 4, 하기 수학식 5 및 하기 수학식 6을 만족하는 지에 관한 제6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 값은 하기의 수학식 7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21020219102-pat00008

    여기서, DS(t)는 센서 데이터 스트림이고, MaxDS(t)는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이고, mDS(t)는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이다.
    수학식 2
    Figure 112021020219102-pat00009

    여기서, He(tn)는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이고, Hb(tn)는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이고, G(tn)는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이고, Ss(tn)는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다.
    수학식 3
    Figure 112021020219102-pat00010

    수학식 4
    Figure 112021020219102-pat00011

    수학식 5
    Figure 112021020219102-pat00012

    수학식 6
    Figure 112021020219102-pat00013

    여기서, He(t)는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이고, MaxHe(t)는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이고, mHe(t)는 심전도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이고, Hb(t)는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이고, MaxHb(t)는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이고, mHb(t)는 맥박수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이고, G(t)는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이고, MaxG(t)는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이고, mG(t)는 가속도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이고, Ss(t)는 소리 데이터 스트림이고, MaxSs(t)는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이고, mSs(t)는 소리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이다.
    수학식 7
    Figure 112021020219102-pat00016

    여기서, DS(t)는 센서 데이터 스트림이고, MaxDS(t)는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최대값이고, mDS(t)는 센서 데이터 스트림의 평균값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04013A 2020-08-19 2020-08-19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KR10224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013A KR102240089B1 (ko) 2020-08-19 2020-08-19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US18/004,208 US20230267816A1 (en) 2020-08-19 2021-06-24 Individual dangerous state detection-based situ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PCT/KR2021/007941 WO2022039373A1 (ko) 2020-08-19 2021-06-24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CN202180047467.XA CN115836334A (zh) 2020-08-19 2021-06-24 基于个人危险状态感知的状况信息获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013A KR102240089B1 (ko) 2020-08-19 2020-08-19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089B1 true KR102240089B1 (ko) 2021-04-14

Family

ID=7547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013A KR102240089B1 (ko) 2020-08-19 2020-08-19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67816A1 (ko)
KR (1) KR102240089B1 (ko)
CN (1) CN115836334A (ko)
WO (1) WO20220393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373A1 (ko) * 2020-08-19 2022-02-24 백우민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788A (ko) * 2015-02-04 2016-08-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708B1 (ko) * 2015-04-16 2016-09-06 송용석 웨어러블 센서 기반 사용자 안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2692A (ko) * 2019-06-21 2019-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2542A (ko) 2018-06-30 2020-01-08 송태윤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462B1 (ko) * 2014-12-17 2015-06-18 (주)리감 모바일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129730B1 (ko) * 2018-02-21 2020-07-06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인공지능 기반의 환자상태 예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상태 예측 방법
KR102240089B1 (ko) * 2020-08-19 2021-04-14 (주)에스엔디글로벌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788A (ko) * 2015-02-04 2016-08-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708B1 (ko) * 2015-04-16 2016-09-06 송용석 웨어러블 센서 기반 사용자 안전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2542A (ko) 2018-06-30 2020-01-08 송태윤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KR20190082692A (ko) * 2019-06-21 2019-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373A1 (ko) * 2020-08-19 2022-02-24 백우민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36334A (zh) 2023-03-21
WO2022039373A1 (ko) 2022-02-24
US20230267816A1 (en)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8124B2 (en) Event-based responder dispatch
US202102875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Zhang et al. HONEY: a multimodality fall detection and telecare system
US20180288224A1 (en) Prioritizing incoming emergency call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lient devices
US20190122516A1 (en) Threat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11373513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ersonal security
US20190392692A1 (en) Electronic fingerprint device for identifying perpetrators and witnesses of a crime and method thereof
KR20150098288A (ko) 물리적충격 및 심리적충격에 대응한 긴급상황감지방법과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감지장치
JP2018112831A (ja) 情報処理装置、いじめ発見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240089B1 (ko)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JP2005323046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カメラ
KR101654708B1 (ko) 웨어러블 센서 기반 사용자 안전 시스템 및 방법
JP6211125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KR20140030848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간의 협조에 의한 응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20006B1 (ko) 분산처리 기반 카메라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102016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notifying actionable events during surveillance
JP2017111496A (ja) 行動監視予測システム、行動監視予測方法
KR20160131678A (ko)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용 휴대 장치 및 영상 촬영 방법
WO2021131024A1 (ja) 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02563A1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157280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369288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1100785B1 (en) Method for requesting assistance from emergency services
WO2023152857A1 (ja) 通報支援装置、通報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Suganya et al. A Low Cost Hardware Based Fall Detection and Call for Help System for Elderly Pe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