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542A -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 Google Patents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542A
KR20200002542A KR1020180076157A KR20180076157A KR20200002542A KR 20200002542 A KR20200002542 A KR 20200002542A KR 1020180076157 A KR1020180076157 A KR 1020180076157A KR 20180076157 A KR20180076157 A KR 20180076157A KR 20200002542 A KR20200002542 A KR 20200002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tv
crime prevention
crime
infrar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344B1 (ko
Inventor
송태윤
Original Assignee
송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윤 filed Critical 송태윤
Priority to KR102018007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3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범지역에서 고정식 방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즉각적으로 주변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현장의 정보를 VR 영상정보(Virtual Reality video information)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집합체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종합관제서버를 포함하여,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가 모바일단말 사용자에 의한 비상벨 상으로의 입력 또는 모바일단말을 통한 무선 액세스(access)에 따른 입력에 의한 구조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장치('a1')가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에 포함된 4개의 CCTV 유닛의 객체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비상벨 입력자의 접근 방향 또는 구조 요청을 한 모바일단말 사용자의 위치 방향을 분석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가 분석된 방향에 해당하는 하나의 CCTV 유닛을 중심으로 나머지 3개의 CCTV 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초기 VR 영상정보로 생성하는 제 3 단계;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가 초기 VR 영상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종합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CCTV apparatus and system for crime prevention based on detection of object}
본 발명은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범지역에서 고정식 방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즉각적으로 주변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현장의 정보를 VR 영상정보(Virtual Reality video information)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1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30674호 "범죄 예방을 위한 이동 단말, 서버,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는 이동 단말 및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전자팔찌를 착용한 범죄자로부터 아동이나 유부녀 등 범죄 대상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범죄를 예방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나, 그러나 종래의 기술 1은 전자팔찌를 착용하지 않은 범죄자에 대한 우발적 범죄에 대한 예방에 대해서는 효용성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 2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17418호 "CCTV 기반의 범죄자 검거를 위한 통합 시스템"는 영상신호를 획득한 뒤, 비디오 서버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CCTV, 상기 비디오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상기 통합 관제 시스템이 판단에 따라 범죄상황 여부 경보 발생으로 판단시, 통보를 동시에 제공받는 경보 및 경찰 관제 시스템 및 범인 추적 및 검거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2에서는 통합 관제 시스템이 판단에 따라 범죄상황 여부 경보 발생으로 판단을 수행하는데 감시자가 수동으로 감시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에 대한 낭비가 발생하며, 실질적으로 범죄로 판단시 범인 추적을 위한 신속한 시스템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 3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114989호 "전자발찌 감응형 CCTV용 카메라를 이용한 성폭력범죄자 감시 시스템"은 성폭력범죄자가 부착하고 있는 전자발찌에 감응하는 RFID CCTV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성폭력범죄자의 현재 행동이나 복색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제서버 측에서 확인하면서 성폭력범죄자의 이동 경로를 감시하고, 자동으로 범법 행위 예방을 위하여 순찰중이거나 범죄 발생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이 휴대하는 이동통신단말기(예컨대, PDA,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등)로 상기 영상과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3에서도 전자발찌를 착용하지 않은 범죄자에 대한 우발적 범죄에 대한 예방은 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으며, 전자발찌에 대한 순찰하는 경찰관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동 경로를 제공하나 해당 영역에 경찰관이 없는 경우에는 무용한 한계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 4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95569호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은 다수의 방범현장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과 범죄관리 키오스크(kiosk)를 이용한 다양한 범죄예방(용의자수배, 목격자 찾기, 실종아동 찾기 사건, 사고현장 영상정보 등) 정보를 표출하고, 실시간 영상정보와 범죄예방 정보를 이용하여 지능형 객체 인식을 수행하는 동시에 범죄 유형별로 산출된 결과물을 토대로 각종 범죄예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4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주시를 위해 음향과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촬영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외부에 대한 즉각적인 도움을 요청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30674호 "범죄 예방을 위한 이동 단말, 서버,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17418호 "CCTV 기반의 범죄자 검거를 위한 통합 시스템"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114989호 "전자발찌 감응형 CCTV용 카메라를 이용한 성폭력범죄자 감시 시스템"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995569호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범지역에서 고정식 방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즉각적으로 주변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현장의 정보를 VR 영상정보(Virtual Reality video information)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집합체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종합관제서버를 포함하여,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가 모바일단말 사용자에 의한 비상벨 상으로의 입력 또는 모바일단말을 통한 무선 액세스(access)에 따른 입력에 의한 구조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장치('a1')가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에 포함된 4개의 CCTV 유닛의 객체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비상벨 입력자의 접근 방향 또는 구조 요청을 한 모바일단말 사용자의 위치 방향을 분석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가 분석된 방향에 해당하는 하나의 CCTV 유닛을 중심으로 나머지 3개의 CCTV 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초기 VR 영상정보로 생성하는 제 3 단계;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가 초기 VR 영상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종합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DB에 초기 VR 영상정보를 저장한 뒤,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로 객체에 해당하는 비상벨 입력자 또는 모바일단말 사용자에 대한 영상 인식을 활용한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제 5 단계;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가 객체 영상으로 인식된 비상벨 입력자 또는 모바일단말 사용자에 대한 디지털 마킹을 통한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를 상기 종합관제서버로 제공하면서, 상기 종합관제서버로 상기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에 대한 구조 메시지 전송 요청하는 제 6 단계;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에 대한 추출을 수행하는 제 7 단계;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추출 결과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제 8 단계 이후의 제 9 단계; 를 수행하며, 상기 제 9 단계는, 분석 결과 추출된 보호제공단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제공단말 각각으로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로부터 수신되는 객체 추적방식의 VR 영상정보를 제공하거나(제 9 단계의 제 1 분기 과정), 분석 결과 추출된 보호제공단말이 하나도 없는 경우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 분석을 통해 객체 이동 경로 분석에 의한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2')로 상기 디지털 마킹 정보를 활용한, 객체 영상 인식에 따른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 제공 요청한 뒤,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2')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제 8 단계로 회귀하며 (제 9 단계의 제 2 분기 과정), 상기 제 9 단계의 제 2 분기 과정은 상기 제 8 단계로의 회귀에 따라,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2')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시 상기 제 9 단계에서의 제 1 분기 과정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는 경우 각 보호제공단말로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2')로부터 제공되는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를 제공하며, 반대로 하나도 없는 경우 다시 상기 제 9 단계에서의 제 2 분기 과정에 의해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2')로부터 모바일단말 사용자의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3')로 상기 디지털 마킹 정보를 활용한 객체 영상 인식에 따른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 제공 요청에 의해 모바일단말 사용자가 위치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주변의 보호제공단말이 추출될 때까지 상기 제 8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벨 장치부를 구성하는 비상벨에 대해서 터치 입력을 수신시, 긴급전화번호를 갖는 긴급구조서버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전화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한 뒤, 상기 비상벨 장치부를 구성하는 음성인식/출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긴급구조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긴급구조서버와 연결된 상담원 전화단말을 운용하는 안내원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4개의 방향을 갖도록 환형의 상기 체결수단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CCTV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체결수단과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레일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 CCTV 유닛을 이용한 객체 영상 인식을 통해 상기 비상벨을 터치 입력한 객체를 분석한 뒤, 인식된 객체와 상기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간의 제 1 내지 제 n 원근 지수(n은 2 이상의 자연수)에 따라 상기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의 높이를 원근 지수와 비례하게 제 1 내지 제 n 단계로 높이 조절을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주부의 상단으로부터 부착단을 통해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솔라셀 어레이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충전배터리에 저장하여, 계통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상기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인 상기 CCTV 유닛, 상기 레일구동부, 상기 비상벨 장치부,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구조요청 수신을 상기 비상벨을 통해 입력받는 경우, 상기 비상벨의 위치로 점차적으로 접근하여 상기 비상벨로 터치를 수행하는 객체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4개의 CCTV 유닛 중 하나가 바라보는 방향을 접근 방향으로 분석하며, 분석된 방향에 해당하는 하나의 CCTV 유닛을 중심으로 나머지 3개의 CCTV 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초기 VR 영상정보로 생성한 뒤, 객체 위치 추적을 통해 실시간으로 객체에 대한 VR 영상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종합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CCTV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부(1000)와; 상기 먼지 측정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발생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열발생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은, 우범지역에서 고정식 방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즉각적으로 주변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현장의 정보를 VR 영상정보(Virtual Reality video information)를 통해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의 외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중 종합관제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먼지측정수단 제 1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과 열전소자 및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제 2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목렌즈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의 외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중 종합관제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먼지측정수단 제 1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과 열전소자 및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제 2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목렌즈 구성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이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는 솔라셀 어레이(10),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20), 지주부(30), 비상벨 장치부(40), 스피커(50), 제어부(60), 그리고 무선통신부(70)를 포함한다.
한편,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20)는 4개의 방향을 갖도록 지주부(30)를 중심으로 수평면상에서 90°의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CCTV 유닛(21) 외에, 체결수단(22) 및 레일구동부(23)를 포함한다.
비상벨 장치부(40)는 비상벨(41)와 음성인식/출력수단(42)으로 구분된다.
제어부(60)는 비상벨(41)에 대해서 터치 입력을 수신시, 112, 119와 같은 긴급전화번호를 갖는 긴급구조서버(6')로 네트워크(2')를 통해 자동으로 전화연결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부(70)를 제어한 뒤, 음성인식/출력수단(42)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네트워크(2')를 통해 긴급구조서버(6')로 전송하며, 긴급구조서버(6')와 연결된 상담원 전화단말(6a')을 운용하는 안내원으로부터 음성신호를 네트워크(2')를 통해 수신하여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60)는 스피커(50)를 통해 사이렌 음향 또는 제어부(60)의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경고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는 4개의 방향성을 갖고 환형의 체결수단(22)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CCTV 유닛(21)을 포함하는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20)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체결수단(22)과 연결되어 형성된 레일구동부(23)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레일구동부(23)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되어, 체결수단(22)의 내주면과 지주부(30) 표면에 형성된 레일로드면(31)을 타고 이동하기 위한 롤러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구동부(23)와 레일로드면(31) 구조를 이용해 제어부(60)는 각 CCTV 유닛(21)을 이용한 객체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비상벨(41)을 터치 입력한 객체를 분석한 뒤, 인식된 객체와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 간의 제1 내지 제 n 원근 지수(n은 2 이상의 자연수)에 따라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20)의 높이를 원근 지수와 비례하게 제 1 내지 제 n 단계로 높이 조절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60)는 제 1 원근 지수로부터 제 n 원근 지수로 갈수록 인식된 객체가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로부터 멀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지주부(30)의 상단으로부터 부착단을 통해 이격되어 형성된 솔라셀 어레이(10)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충전배터리(11)에 저장함으로써, 계통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인 CCTV 유닛(21), 레일구동부(23), 비상벨 장치부(40), 스피커(50) 및 무선통신부(7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20)에 포함된 4개의 CCTV 유닛(21)의 객체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모바일단말 사용자의 접근 방향 또는 위치 방향을 분석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60)는 구조요청 수신을 비상벨(41) 상으로의 입력받는 경우, 비상벨(41)의 위치로 점차적으로 접근하여 비상벨(41)로 터치를 수행하는 객체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4개의 CCTV 유닛(21) 중 하나가 바라보는 방향을 접근 방향으로 분석한다.
제어부(60)는 분석된 방향에 해당하는 하나의 CCTV 유닛(21)을 중심으로 나머지 3개의 CCTV 유닛(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초기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 영상정보로 생성한 뒤, 객체 위치 추적을 통해 실시간으로 객체에 대한 VR 영상정보를 네트워크(2')를 통해 종합관제서버(3')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70)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중 종합관제서버(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은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 네트워크(2'), 종합관제서버(3'), 모바일단말(4'), 보호제공단말(5') 및 긴급구조서버(6')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2')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는 모바일단말(4'), 각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 종합관제서버(3'), 각 보호제공단말(5') 및 긴급 구조서버(6'),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종합관제서버(3')는 도 4와 같이 VR 영상정보 수집모듈(3-1), 구조 요청 제공모듈(3-2), 객체 추적 모듈(3-3) 및 DB(3a)를 포함한다.
여기서 VR 영상정보 수집모듈(3-1)은 다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로부터 VR 영상정보를 수신한 뒤, DB(3a')에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VR 영상정보 수집모듈(3-1)은 각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에 의해 객체가 위치하는 것으로 분석된 방향에 해당하는 하나의 CCTV 유닛(21)을 중심으로 나머지 3개의 CCTV 유닛(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추가하여 생성된 초기 VR 영상정보를 네트워크(2')를 통해 수신하여 DB(3a)에 저장한다.
또한, VR 영상정보 수집모듈(3-1)은 DB(3a)에 초기 VR 영상정보를 저장한 뒤, 초기 VR 영상정보를 제공한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로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에 의해 인식된 객체에 대한 디지털 마킹을 통한 객체 추적 방식으로 생성된 VR 영상정보를 반환받아 DB(3a')에 저장한다.
구조 요청 제공모듈(3-2)은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5')에 대한 추출을 수행한다.
구조 요청 제공모듈(3-2)은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제공단말(5') 각각으로 VR 영상정보 수집모듈(3-1)에 의해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로부터 수신한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를 제공한다.
객체 추적 모듈(3-3)은 구조 요청 제공모듈(3-2)에 의해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5')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 분석을 통해 사용자 이동 경로 분석에 의한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로 객체 영상 인식에 따른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 제공 요청을 전송한다.
다음으로, 모바일단말(4')은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에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가 운영하는 것으로,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보호제공단말(5')은 네트워크(2')를 통해 종합관제서버(3')에 위치 정보 제공을 동의한 경찰, 공익요원, 그 밖의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가 설치된 각 지역에 거주하는 신청자가 운용하는 단말로, GPS 수신기나, 블루투스, 지그비, UWB, Binary CDMA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위치 정보 수신 장치를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네트워크(2')를 통해 종합관제서버(3')로 액세스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긴급구조서버(6')는 112, 119와 같은 긴급전화번호를 갖으며,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1')에 의한 네트워크(2')를 통한 번호 호출시, 인트라넷(intranet) 등과 같은 점 조직으로 연결된 상담원 전화단말(6a')과 음성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CCTV에 먼지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먼지 측정수단을 통해 먼지를 파악하고, 기준 이상의 먼지가 검출되면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주변에 미세먼지가 기준이상임을 알린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1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1)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2)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3)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5)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6)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3)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3)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7)와;
상기 발열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발열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가 위치하는 하우징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홀(5a, 5b 5c)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는 고정부(4)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자석(9)을 삽입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고정부(4)는 금속으로 구성하며, 자석(9)을 홀에 삽입하여 고정부를 임시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기온이 낮은 지역은 자석을 중앙홀(5b) 또는 왼쪽홀(5a)에 위치시켜 세팅하고, 기온이 높은 지역은 자석(9)을 중앙홀(5b) 또는 오른쪽(5c)에 위치시켜 세팅한다.
그러면 최초 송신소자(2) 위치가 오목렌즈군(1)의 중앙에 위치되고, 이후 온도변화에 따라서 적절히 팽창과 수축을 하여 먼지의 농도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송신소자(2)의 출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였는바, 형상기억 스프링(3)이 기본 온도로 세팅되어 있으며, 이후 온도가 올라가면 형상기억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송신소자의 광을 줄여서 출력시키고, 온도가 내려가면 형상기억 스프링(3)이 줄어들면서 송신소자(2)의 광을 낮추어서 출력시킨다.
즉, 먼지는 기체속에 분포되기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면 움직임이 활발해져서 송신소자(2)의 출력을 낮추었을때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채크할 수 있으며, 온도가 낮아지면 움직임이 둔해지기 때문에 송신소자(2)의 출력을 높였을때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온도변화를 반영하여 오목렌즈군(1)을 유동시켜 먼지 농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제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송신소자의 빛이 출력된다.
그리고, 주변 온도가 올라가면 형상기억 스프링이 팽창되면서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낮은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주변 온도가 내려가면 형상기억 스프링(3)이 수축되면서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높은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2)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 온도에 반응하여 형상기억 스프링(3)이 자동으로 팽창과 수축을 함으로서 먼지의 움직임에 따른 광량 변화를 촉진하여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보다 더 정확한 경보출력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먼지 농도에 따라 송신 제어부(8)가 강제로 오목렌즈군(1)을 움직여서 가장 정확한 먼지 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바, 온도 변화가 없더라도 먼지의 농도에 따라 송신소자의 광량을 조절하여 정확한 먼지의 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8)에서 이를 인지하여 발열수단(6) 및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발열수단(6)을 가동시켜 열을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이 팽창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송신소자(2)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2) 위치로 움직이면서 송신소자의 출력광이 제 2 오목렌즈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발열수단(6)을 가동시켜 열을 더 많이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더 많이 팽창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1 오목렌즈(1a)가 송신소자(2)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가열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1 오목렌즈(1a)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냉각열을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수축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이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4 오목렌즈(1d)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냉각열을 더 많이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더 많이 수축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5 오목렌즈(1e)가 송신소자(2) 위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5 오목렌즈(1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제 3 오목렌즈(1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1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1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b)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1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5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d)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1' :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2' : 네트워크
3' : 종합관제서버
3a': DB
3-1 : VR 영상정보 수집모듈
3-2 : 구조 요청 제공모듈
3-3 : 객체 추적 모듈
4' : 모바일단말
5' : 보호제공단말
6' : 긴급구조서버
6a' : 상담원 전화단말
10 : 솔라셀 어레이
20 :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
21 : CCTV 유닛
22 : 체결수단
23 : 레일구동부
30 : 지주부
31 : 레일로드면
40 : 비상벨 장치부
41 : 비상벨
42 : 음성인식/출력수단
50 : 스피커
60 : 제어부
70 : 무선통신부

Claims (7)

  1.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집합체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종합관제서버를 포함하여,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가 모바일단말 사용자에 의한 비상벨 상으로의 입력 또는 모바일단말을 통한 무선 액세스(access)에 따른 입력에 의한 구조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장치('a1')가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에 포함된 4개의 CCTV 유닛의 객체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비상벨 입력자의 접근 방향 또는 구조 요청을 한 모바일단말 사용자의 위치 방향을 분석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가 분석된 방향에 해당하는 하나의 CCTV 유닛을 중심으로 나머지 3개의 CCTV 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초기 VR 영상정보로 생성하는 제 3 단계;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가 초기 VR 영상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종합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DB에 초기 VR 영상정보를 저장한 뒤,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로 객체에 해당하는 비상벨 입력자 또는 모바일단말 사용자에 대한 영상 인식을 활용한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제 5 단계;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가 객체 영상으로 인식된 비상벨 입력자 또는 모바일단말 사용자에 대한 디지털 마킹을 통한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를 상기 종합관제서버로 제공하면서, 상기 종합관제서버로 상기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에 대한 구조 메시지 전송 요청하는 제 6 단계;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에 대한 추출을 수행하는 제 7 단계;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추출 결과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제 8 단계 이후의 제 9 단계; 를 수행하며, 상기 제 9 단계는, 분석 결과 추출된 보호제공단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제공단말 각각으로 하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1')로부터 수신되는 객체 추적방식의 VR 영상정보를 제공하거나(제 9 단계의 제 1 분기 과정), 분석 결과 추출된 보호제공단말이 하나도 없는 경우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 분석을 통해 객체 이동 경로 분석에 의한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2')로 상기 디지털 마킹 정보를 활용한, 객체 영상 인식에 따른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 제공 요청한 뒤,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2')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제 8 단계로 회귀하며 (제 9 단계의 제 2 분기 과정), 상기 제 9 단계의 제 2 분기 과정은 상기 제 8 단계로의 회귀에 따라, 상기 종합관제서버가,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2')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있는 보호제공단말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시 상기 제 9 단계에서의 제 1 분기 과정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는 경우 각 보호제공단말로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2')로부터 제공되는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를 제공하며, 반대로 하나도 없는 경우 다시 상기 제 9 단계에서의 제 2 분기 과정에 의해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2')로부터 모바일단말 사용자의 다음 경로에 해당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a3')로 상기 디지털 마킹 정보를 활용한 객체 영상 인식에 따른 객체 추적 방식의 VR 영상정보 제공 요청에 의해 모바일단말 사용자가 위치하는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주변의 보호제공단말이 추출될 때까지 상기 제 8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벨 장치부를 구성하는 비상벨에 대해서 터치 입력을 수신시, 긴급전화번호를 갖는 긴급구조서버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전화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한 뒤, 상기 비상벨 장치부를 구성하는 음성인식/출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긴급구조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긴급구조서버와 연결된 상담원 전화단말을 운용하는 안내원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4개의 방향을 갖도록 환형의 상기 체결수단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CCTV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체결수단과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레일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CCTV 유닛을 이용한 객체 영상 인식을 통해 상기 비상벨을 터치 입력한 객체를 분석한 뒤, 인식된 객체와 상기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간의 제 1 내지 제 n 원근 지수(n은 2 이상의 자연수)에 따라 상기 객체 감지형 CCTV 장치부의 높이를 원근 지수와 비례하게 제 1 내지 제 n 단계로 높이 조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주부의 상단으로부터 부착단을 통해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솔라셀 어레이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충전배터리에 저장하여, 계통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상기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인 상기 CCTV 유닛, 상기 레일구동부, 상기 비상벨 장치부,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조요청 수신을 상기 비상벨을 통해 입력받는 경우, 상기 비상벨의 위치로 점차적으로 접근하여 상기 비상벨로 터치를 수행하는 객체에 대한 영상 인식을 통해 4개의 CCTV 유닛 중 하나가 바라보는 방향을 접근 방향으로 분석하며, 분석된 방향에 해당하는 하나의 CCTV 유닛을 중심으로 나머지 3개의 CCTV 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초기 VR 영상정보로 생성한 뒤, 객체 위치 추적을 통해 실시간으로 객체에 대한 VR 영상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종합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CCTV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부(1000)와;
    상기 먼지 측정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발생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열발생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KR1020180076157A 2018-06-30 2018-06-30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KR102188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57A KR102188344B1 (ko) 2018-06-30 2018-06-30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57A KR102188344B1 (ko) 2018-06-30 2018-06-30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42A true KR20200002542A (ko) 2020-01-08
KR102188344B1 KR102188344B1 (ko) 2020-12-11

Family

ID=6915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157A KR102188344B1 (ko) 2018-06-30 2018-06-30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89B1 (ko) 2020-08-19 2021-04-14 (주)에스엔디글로벌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594A (ko) * 2006-08-09 2008-02-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10012624A (ko) * 2009-07-31 2011-02-09 이진호 기후 감지 센서와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소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50120247A (ko) * 2014-04-17 2015-10-27 윤영훈 필터의 먼지 누적량 측정 장치
KR101644857B1 (ko) * 2016-03-15 2016-08-02 (주)서울전업공사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594A (ko) * 2006-08-09 2008-02-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10012624A (ko) * 2009-07-31 2011-02-09 이진호 기후 감지 센서와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소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50120247A (ko) * 2014-04-17 2015-10-27 윤영훈 필터의 먼지 누적량 측정 장치
KR101644857B1 (ko) * 2016-03-15 2016-08-02 (주)서울전업공사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89B1 (ko) 2020-08-19 2021-04-14 (주)에스엔디글로벌 개인 위험 상태 감지 기반 상황 정보 획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344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5089B2 (en) Personal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US10540877B1 (en) Danger monitoring system
KR101644857B1 (ko)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
KR100982398B1 (ko) ZigBee와 CCTV를 이용한 상황관제 시스템과 어린이보호 시스템
US9064406B1 (en) Portable and persistent vehicle surveillance system
US20190108735A1 (en) Globally optimized recognition system and service design, from sensing to recognition
KR101872313B1 (ko) 적외선 카메라와 객체 추적이 가능한 성범죄자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는 지능형 비상벨 시스템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258718A (zh) 一种人体测温及人员识别方法和系统
KR101145543B1 (ko) 피보호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116485A1 (ja) 映像収集システム、映像収集サーバ、映像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88344B1 (ko)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KR101639068B1 (ko) 공간 정보 기반 감시카메라의 피보호자 영상 제공 시스템
RU2693926C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объекты, представляющие интерес, и выполняемые ими процессы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KR101954441B1 (ko) IoT 기반 노인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19539A (ko) 인공지능 방범시스템
KR101638513B1 (ko) 지그비 수신장치를 탑재한 아이피 카메라 시스템
KR20030034770A (ko) 주행차량 인식 시스템
KR10139883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
KR101653820B1 (ko) 열 감지 기반의 대상체 및 상황 감지 시스템
KR20210068368A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KR101651158B1 (ko) 음향 및 하이브리드 인식 기반의 긴급상황 인지 cctv 방범 시스템 및 cctv 방범 제공 방법
KR102039247B1 (ko) 통합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용 단말장치
KR101496341B1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KR101613623B1 (ko)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led 방범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