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954B1 -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954B1
KR101976954B1 KR1020170147921A KR20170147921A KR101976954B1 KR 101976954 B1 KR101976954 B1 KR 101976954B1 KR 1020170147921 A KR1020170147921 A KR 1020170147921A KR 20170147921 A KR20170147921 A KR 20170147921A KR 101976954 B1 KR101976954 B1 KR 101976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ler
construction site
danger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훈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이태훈
이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훈, 이준성 filed Critical 이태훈
Priority to KR102017014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공사 현장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공사 상황 및 실시간 교통 정보를 문자나 영상 또는 음향으로 알려주는 이동식 가설 VMS 유닛;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라바콘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충격에 의한 기울기 정도나 충격량을 감지하여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충돌감지 유닛;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을 정리하는 신호수 또는 로봇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며 상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근접 또는 충격 등에 따른 위험 신호를 상기 이동식 가설 VMS 유닛 및 상기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파하는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작업자 및 관리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충돌감지 유닛 및 상기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위험 신호를 전달받아 다른 작업자 및 관리자들에게 전파 가능한 개인단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APPARATUS FOR TRAFFIC PROCESSING AND SAFETY MANAGING UNDE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공사 현장 주변을 지나는 차량이나 보행자들의 접근 또는 충돌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 안전사고 또는 교통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즉각적인 상황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기존 SOC 및 건축물에 대한 유지보수 공사의 발주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도로확장이나 재포장이나 교량보수나 리모델링이나 상하수도 정비 등과 같은 유지보수 공사는 공용지역 내의 공사로 인하여 작업구간의 구분이 모호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공사 특성을 감안하여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의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전술한 유지보수 공사 중에서는 고속도로에서 실시되는 공사중에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의 발생율이 매우 높으며, 한국도로공사 교통처의 통계에 따르면 일반적인 교통사고의 사망자 발생율에 비하여 3.4 배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사고발생의 원인으로는 졸음이나 전방주시 태만 등 부주의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운전자 부주의로 인한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장치와 함께 유지보수 공사에 참여하는 작업자 및 관리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는 것이다.
특히, 고속도로의 유지보수 공사는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현장 관리가 실질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왜냐하면, 고속도로의 유지보수 공사는 단기간내에 다수의 지역을 이동하며 실시하는 작업이 많으므로 고정 지역에서 장시간에 걸쳐 작업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건설 현장에 비하여 안전 관리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속도로의 유지보수 공사는 충돌 안전거리(roll ahead)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공사일 경우 조기에 상황을 주변의 차량들에 전파해야 공사 현장의 작업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고 발생시에는 후방 주행 차량 등 주변에 사고 상황을 즉각 널리 전파해야만 급정거로 인한 차량 추돌 및 추가적인 2차 사고 등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 장치 및 관리 시스템의 개발도 필요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구간의 구분이 모호한 공용지역 내의 공사는, 공사 진행에 따른 민원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공사 진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기 많다.
이러한 공용지역 내의 공사시에는 지역주민이나 이용자에 대한 설명회나 현수막 등으로 공지하는 경우가 있지만 작업 구간이나 시기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을 일일이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공용지역 내의 공사시에는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계획에 따라 안내표지판을 설치하지만 개괄적인 공사 현황만 고지할 수 있으며, 작업 구간에 따른 일일 작업 현황이나 작업 예상 시간이나 소음 또는 진동의 계측치, 소음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간, 현재 작업 공정율 등의 실시간 정보 제공까지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222호의 "교통 안전 표지용 LED 모듈을 포함하는 도로 공사용 안전 표지 장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칩 LED;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상기 칩 LED를 수용하여 접속하기 위한 연성 PCB; 상기 칩 LED 부분이 천공되어 노출되는 창을 포함하는 반사 시트; 상기 연성 PCB의 하단에 배치되어 판 부재 등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 및 상기 칩 LED, 상기 연성 PCB, 상기 반사 시트, 부착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밀봉 부재를 포함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제공되는 정보의 문자 및 내용이 극히 제한적이며, 일단 제작하여 설치한 후에 다시 다른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수정 및 교체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거나 경고음 또는 안내 방송을 하는 것도 불가능하므로, 다양한 정보의 알림에는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운용의 폭이 좁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2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도로 공사 현장 주변을 지나는 차량이나 보행자들의 접근 또는 충돌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 안전사고 또는 교통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즉각적인 상황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 공사 현장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공사 상황 및 실시간 교통 정보를 문자나 영상 또는 음향으로 알려주는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동식 가설 VMS 유닛;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라바콘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충격에 의한 기울기 정도나 충격량을 감지하여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충돌감지 유닛;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을 정리하는 신호수 또는 로봇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며 상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근접 또는 충격 등에 따른 위험 신호를 상기 이동식 가설 VMS 유닛 및 상기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파하는 제3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작업자 및 관리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충돌감지 유닛 및 상기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위험 신호를 전달받아 다른 작업자 및 관리자들에게 전파 가능한 제4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개인단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식 가설 VMS 유닛은, 상기 제1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1 본체와, 도로표지판이나 도로 주변의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도로 노면 위에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본체를 감싸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1 본체 부근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 또는 보행자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1 송수신부와,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1 송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본체의 앞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사 현장의 작업 현황과 작업 예상 시간과 소음 집중 시간과 교통사고 발생을 포함한 상기 공사 현장에 상황 전파가 필요한 실시간 정보를 문자나 영상으로 출력하는 엘이디 VMS 패널과, 상기 제1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위험 상황 및 경고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제1 스피커와,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의 기울어짐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수신부는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1 본체의 상, 하면과 좌우 양측편 및 앞, 뒷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개방 슬롯을 구비한 틀체와, 상기 틀체의 내면 및 외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패드와, 상기 틀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로표지판이나 상기 구조물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1 본체의 상, 하면과 좌우 양측편 및 앞, 뒷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개방 슬롯을 구비한 틀체와, 상기 틀체의 내면 및 외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패드와, 상기 틀체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로 노면 위에 설치 가능한 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돌감지 유닛은, 상기 제2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2 본체와, 상기 라바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상기 라바콘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2 본체를 감싸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2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 또는 보행자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2 송수신부와, 상기 제2 본체에 구비되어 야간이나 악천후시 상기 차량 또는 상기 보행자에게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나 빛으로 알리는 알림 수단과, 상기 제2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본체의 기울어짐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과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라바콘에 탈착 가능하며 상면이 개방된 링 형상의 중공인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링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 및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험경고 유닛은, 상기 제3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3 본체와, 상기 로봇 또는 상기 신호수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본체를 탈착 결합시키는 제3 케이스와, 상기 제3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제3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제3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로봇 또는 상기 신호수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 또는 보행자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3 송수신부와, 상기 제3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또는 상기 보행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3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송수신부는 상기 이동식 가설 VMS 유닛과 상기 충돌감지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험경고 유닛은, 상기 제3 본체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링과, 상기 조작 링의 앞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컨트롤러 및 상기 제3 송수신부 및 상기 제3 센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케이스는 상기 제3 본체의 타측 외주면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조작 링은 상기 제3 케이스의 외측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개인단말 유닛은, 상기 제4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4 본체와, 상기 작업자 및 관리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4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속구와, 상기 제1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제4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제4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4 본체 부근에서 일어나는 사고나 상기 작업자들 중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일어나는 안전사고나 교통사고를 포함한 사고 상황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4 송수신부와, 상기 결속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4 컨트롤러 및 상기 제4 송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작업자들 중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바이탈 사인을 감지하는 제4 센서 모듈과, 상기 제4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4 컨트롤러 및 상기 제4 송수신부 및 상기 제4 센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개개인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내장된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송수신부는 상기 이동식 가설 VMS 유닛과 충돌감지 유닛과 위험경고 유닛과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도로 공사 현장 주변에 설치되어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공사 상황 및 실시간 교통 정보를 문자나 영상 또는 음향으로 알려주는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동식 가설 VMS 유닛; 공사 현장 주변의 라바콘에 구비되어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충격에 의한 기울기 정도나 충격량을 감지하여 공사 현장 주변의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충돌감지 유닛;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을 정리하는 신호수 또는 로봇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근접 또는 충격 등에 따른 위험 신호를 이동식 가설 VMS 유닛 및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파하는 제3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위험경고 유닛; 및 작업자 및 관리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충돌감지 유닛 및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위험 신호를 전달받아 다른 작업자 및 관리자들에게 전파 가능한 제4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개인단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사 현장 부근의 교통 안내 및 처리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공사 구간의 사용성 및 활용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의 예방이 가능함은 물론, 피치못할 안전사고 또는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사 현장 주변을 지나는 차량과 보행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민원발생을 최소화하고 공사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VMS 유닛은, 제1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1 본체와, 도로표지판이나 도로 주변의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도로 노면 위에 설치 가능하도록, 제1 본체를 감싸는 제1 케이스와, 제1 본체에 내장되어 제1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제1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1 본체 부근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 또는 보행자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1 송수신부와, 제1 컨트롤러 및 제1 송수신부와 연결되어 제1 본체의 앞면에 장착되고, 공사 현장의 작업 현황과 작업 예상 시간과 소음 집중 시간과 교통사고 발생을 포함한 공사 현장에 상황 전파가 필요한 실시간 정보를 문자나 영상으로 출력하는 엘이디 VMS 패널과, 제1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위험 상황 및 경고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제1 스피커와, 제1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본체의 기울어짐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제1 송수신부는 위험경고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상황 판단 및 대응 조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케이스는, 제1 본체의 상, 하면과 좌우 양측편 및 앞, 뒷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개방 슬롯을 구비한 틀체와, 틀체의 내면 및 외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패드와, 틀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도로표지판이나 구조물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함으로써, 충격에 대한 내구성 및 강도를 유지하여 장치 전체의 수명 연한을 증대시키고 설치 및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케이스는, 제1 본체의 상, 하면과 좌우 양측편 및 앞, 뒷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개방 슬롯을 구비한 틀체와, 틀체의 내면 및 외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패드와, 틀체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어 도로 노면 위에 설치 가능한 가대를 포함함으로써, 충격에 대한 내구성 및 강도를 유지하여 장치 전체의 수명 연한을 증대시키고 설치 및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충돌감지 유닛은, 제2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2 본체와, 라바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라바콘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2 본체를 감싸는 제2 케이스와, 제2 본체에 내장되어 제2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제2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 또는 보행자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2 송수신부와, 제2 본체에 구비되어 야간이나 악천후시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공사 현장 주변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나 빛으로 알리는 알림 수단과, 제2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본체의 기울어짐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제2 송수신부는 위험경고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주변을 지나는 차량과 보행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 예방이 가능함은 물론,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상황 판단 및 대응 조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케이스는, 라바콘에 탈착 가능하며 상면이 개방된 링 형상의 중공인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상면에 탈착 결합되고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링 커버를 포함하며, 제2 본체 및 알림 수단은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의 편의를 도모하고 점검 및 교체 수리 등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위험경고 유닛은, 제3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3 본체와, 로봇 또는 신호수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설치되어 제3 본체를 탈착 결합시키는 제3 케이스와, 제3 본체에 내장되어 제3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제3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로봇 또는 신호수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 또는 보행자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3 송수신부와, 제3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차량 또는 보행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3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제3 송수신부는 이동식 가설 VMS 유닛과 충돌감지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상황 판단 및 대응 조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험경고 유닛은, 제3 본체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링과, 조작 링의 앞면에 장착되고, 제3 컨트롤러 및 제3 송수신부 및 제3 센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제3 케이스는 제3 본체의 타측 외주면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며, 조작 링은 제3 케이스의 외측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상황 판단 및 대응 조치가 가능함은 물론, 사고 발생시 정확한 경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개인단말 유닛은, 제4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4 본체와, 작업자 및 관리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제4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속구와, 제1 본체에 내장되어 제4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제4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4 본체 부근에서 일어나는 사고나 작업자들 중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일어나는 안전사고나 교통사고를 포함한 사고 상황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4 송수신부와, 결속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4 컨트롤러 및 제4 송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작업자들 중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바이탈 사인을 감지하는 제4 센서 모듈과, 제4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4 컨트롤러 및 제4 송수신부 및 제4 센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개개인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내장된 태그를 포함하며, 제4 송수신부는 이동식 가설 VMS 유닛과 충돌감지 유닛과 위험경고 유닛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소형화, 경량화 및 컴팩트화하여 비교적 간단하며 저렴한 구성으로 공사 현장의 작업자들 또는 관리자들 각각에게 빠짐없이 보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안전모나 안전 장구 등에 탈착 가능하므로, 언제든지 전원 충전이 가능하여 상시 위험 상황에 대응할 준비가 갖춰질 수 있으며,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상황 판단 및 대응 조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이동식 가설 VMS 유닛의 제1 본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이동식 가설 VMS 유닛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충돌감지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IVb 시점에서 바라본 부분 평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충돌감지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위험경고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개인단말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에 의한 위험 상황 감지 및 전파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선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의 제1 본체(11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충돌감지 유닛(2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IVb 시점에서 바라본 부분 평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충돌감지 유닛(20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위험경고 유닛(3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측면도이다.
아울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중 주요부인 개인단말 유닛(4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에 의한 위험 상황 감지 및 전파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참고로, 도 8 내지 도 13에서 일점 쇄선 화살표 및 ★은 위험 상황이나 비정상적인 상황 등의 이벤트가 일어나거나 사건이 일어나는 방향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400a, 400b는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을, 도면부호 400c는 관리자들의 개인단말 유닛을 각각 나타내며, 도면부호 500a는 주변을 지나는 정상 주행중인 차량을, 도면부호 500b는 공사 현장에 비정상적으로 접근하거나 충돌하는 사고 차량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과 충돌감지 유닛(200)과 위험경고 유닛(300)과 개인단말 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도로 공사 현장 주변에 설치되어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500a, 500b)이나 보행자(600)에게 공사 상황 및 실시간 교통 정보를 문자나 영상 또는 음향으로 알려주는 제1 컨트롤러(101)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충돌감지 유닛(200)은 공사 현장 주변의 라바콘(202, 이하 도 1 참조)에 구비되어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500a, 500b)이나 보행자(600)의 충격에 의한 기울기 정도나 충격량을 감지하여 공사 현장 주변의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제2 컨트롤러(201)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위험경고 유닛(300)은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을 정리하는 신호수 또는 로봇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500a, 500b)이나 보행자(600)의 근접 또는 충격 등에 따른 위험 신호를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 및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파하는 제3 컨트롤러(301)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개인단말 유닛(400)은 작업자 및 관리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충돌감지 유닛(200) 및 위험경고 유닛(300)으로부터 전달받은 위험 신호를 전달받아 다른 작업자 및 관리자들에게 전파 가능한 제4 컨트롤러(401)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컨트롤러(101)가 내장되는 제1 본체(110)와, 도로표지판(10)이나 도로 주변의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도로 노면(20) 위에 설치 가능하도록, 제1 본체(110)를 감싸는 제1 케이스(12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제1 본체(110)에 내장되어 제1 컨트롤러(101)와 연결되고 제1 본체(110)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1 본체(110) 부근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500a, 500b) 또는 보행자(600)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1 송수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제1 컨트롤러(101) 및 제1 송수신부(130)와 연결되어 제1 본체(110)의 앞면에 장착되고, 공사 현장의 작업 현황과 작업 예상 시간과 소음 집중 시간과 교통사고 발생을 포함한 공사 현장에 상황 전파가 필요한 실시간 정보를 문자나 영상으로 출력하는 엘이디 VMS 패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제1 본체(110)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위험 상황 및 경고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제1 스피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제1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본체(110)의 기울어짐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수신부(130)는 위험경고 유닛(300) 및 개인단말 유닛(4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제1 본체(110)의 앞면 일측에 장착되고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엘이디 VMS 패널(140)의 출력화면의 밝기 정도를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제1 컨트롤러(101)에 실시간으로 조도 정보를 전달하는 제1 조도 센서(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 VMS 패널(140)의 출력화면 밝기 정도는 제1 조도 센서(170)를 통해 제1 컨트롤러(101)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조정되므로 시인성을 증대하고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제1 본체(110)의 배면에 장착되며, 제1 조도 센서(170)와 제1 컨트롤러(101)와 엘디 VMS 패널과 제1 스피커(150) 및 제1 센서 모듈(160)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집광 패널(이하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스피커(150)를 통하여는 사고 발생시 경고음이나, 안내 방송 또는 대피 방송이나 시정 정보 등을 음향으로 실시간 출력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후술할 충돌감지 유닛(200)과 위험경고 유닛(300)과 개인단말 유닛(400)으로부터 전파된 위험 상황을 경고음이나 방송 등의 형태로 출력되도록 하여 상황 전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제1 센서 모듈(160)은 기울기나 현재 공사 현장 주변의 온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엘이디 VMS 패널(140)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울기의 경우 도로표지판(10) 등의 구조물이 전도되거나 파손될 경우, 특히 도로표지판(10)이 대형표지판일 경우에는 교통안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제1 센서 모듈(160)은 충격 센서나 온도 센서 또는 미세먼지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엘이디 VMS 패널(140) 및 제1 스피커(150)를 통하여 시청각적으로 전파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400a, 400b)이나 관리자들의 개인단말 유닛(400c)에 전송이 필요한 사고나 충돌 등의 위험 상황 경고 정보는 제1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무선으로 자동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제1 본체(110)의 하면에 구비되는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복수의 외부입력 단자(111, 112, 113)와, 제1 본체(110)의 하면에 구비되는 USB 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복수의 USB 단자(114, 115)와, 제1 본체(110)의 하면에 구비되는 HDMI 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HDMI 단자(116)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20)는, 도 3(a)와 같이 제1 본체(110)의 상, 하면과 좌우 양측편 및 앞, 뒷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개방 슬롯(121s)을 구비한 틀체(121)와, 틀체(121)의 내면 및 외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패드(이하 미도시)와, 틀체(121)의 양측에 구비되어 도로표지판(10)이나 구조물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구(122)는, 볼트와 너트 및 와셔를 포함하는 체결구에 의하여 제1 케이스(120)와 도로표지판(10) 또는 구조물에 결속되도록 하거나, 압착판 또는 자석에 의하여 제1 케이스(120)와 도로표지판(10) 또는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케이스(120)는, 도 3(b)와 같이 틀체(121) 및 완충 패드와 함께, 틀체(121)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어 도로 노면(20) 위에 설치 가능한 가대(1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가대(123)는, 틀체(121)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주(123s)와, 지주(123s)의 하단부 양측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되어 도로 노면(20) 위에 고정 가능한 고정편(123f)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의 작동 방식에 관하여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경고 메시지 및 음향으로 출력되는 안내 방송 등은, 도 11과 같이 제1 컨트롤러(101) 및 제1 송수신부(130)가 전달받아 음향을 포함한 경고 텍스트나 사전에 지정된 텍스트를, 신호수 또는 로봇의 위험경고 유닛(300)과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400a, 400b)이나 관리자들의 개인단말 유닛(400c)측에 상황 전파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들 때 자동적으로 작동되어 전파하게 될 것이다.
전술한 경고 메시지 및 음향 출력은 효율적인 상황 전파를 위하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작업자들이나 관리자들 또는 신호수의 휴대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제1 센서 모듈(160)에 의하여 기울기나 충격 등의 정보를 위험경고 유닛(300) 및 개인단말 유닛(400)에 자동적으로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이 소형일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의 주변에 설치된 계측장치(800)로부터 계측값을 전달받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기울기나 충격 등의 정보는 도로표지판(10)의 전도나 차량(500b)의 진입 등 위험 경고에 해당하는 정보가 될 것이며, 도 12와 같이 온도나 풍량 미세먼지 등은 계측장치(800)와 함께 제1 컨트롤러(101)가 사전 설정한 시간 또는 기준치를 벗어나면 자동적으로 위험경고 유닛(300) 및 개인단말 유닛(40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충돌감지 유닛(20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컨트롤러(201)가 내장되는 제2 본체(210)와, 라바콘(202)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라바콘(202)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2 본체(210)를 감싸는 제2 케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충돌감지 유닛(200)은, 제2 본체(210)에 내장되어 제2 컨트롤러(201)와 연결되고 제2 본체(210)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 본체(21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500a, 500b) 또는 보행자(600)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2 송수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송수신부(230)는 위험경고 유닛(300) 및 개인단말 유닛(400)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충돌감지 유닛(200)은, 제2 본체(210)에 구비되어 야간이나 악천후시 차량(500a, 500b) 또는 보행자(600)에게 공사 현장 주변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충돌시에 소리나 빛으로 알리는 알림 수단(24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충돌감지 유닛(200)은, 제2 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본체(210)의 기울어짐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모듈(250)은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의 제1 조도 센서(170)와 같이 조도 센서의 기능도 구비하여 주변 환경에 따라 후술할 알림 수단(240)의 발광수단(242)의 밝기 정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주야간시 시인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충돌감지 유닛(200)은, 제2 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컨트롤러(201)와 제2 송수신부(230)와 연결되어 충돌감지 유닛(200)의 현재 상태를 색깔별로 달리 표시하는 RGB 엘이디칩을 포함하는 제1 상태표시부(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상태표시부(260)는 또한 거리 표시를 자동적으로 하거나 거리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수동식 및 자동식으로 절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동식으로 사용할 때에는 작업자가 직접 조정하여 거리를 설정하거나 표시토록 할 수 있다.
자동식으로 사용할 때에는 제1 상태표시부(260)에서 신호수의 위험경고 유닛(300) 및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400a, 400b)의 신호를 활용하여 거리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거리 설정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알림 수단(240)은, 제2 본체(21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위험 상황 및 공사 현장 주변의 위치를 소리로 알리는 제2 스피커(241)와, 제2 본체(210)와 접속 단자(211, 211)를 통하여 연결되며 제2 컨트롤러(201) 및 제2 송수신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케이스(220)에 내장되어 제2 송수신부(230)로부터 전달받은 위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수단(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광수단(242)은 복수의 엘이디 칩이 어레이된 플렉시블한 튜브 형태의 조명기구이거나, 광섬유를 링 형상으로 제작하여 점등되도록 한 것 등 다양한 응용 및 변형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발광수단(242)은 링 또는 띠 형상으로 제작하여 발광토록 함으로써 야간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량(500b)의 충격시 위험 표시가 가능하므로 근거리의 위험 상황 전파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220)는, 도 5와 같이 라바콘(202)에 탈착 가능하며 상면이 개방된 링 형상의 중공인 케이스 본체(221)와, 케이스 본체(221)의 상면에 탈착 결합되고 케이스 본체(221)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링 커버(222)를 포함하며, 제2 본체(210) 및 알림 수단(240)은 케이스 본체(221)에 내장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2 케이스(220)는 기존의 라바콘(202)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은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존의 라바콘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일체화시킨 것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충돌감지 유닛(200)의 작동 방식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작업자 및 관리자와 신호수 또는 로봇으로부터 라바콘(202)까지의 거리 표시 및 조정을 다이얼 형태의 수동 조작 도구(이하 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실시토록 하거나 디지털 거리표시부, 즉 제1 상태표시부(26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작업자 또는 신호수가 거리 신호를 개인단말 유닛(400) 또는 위험경고 유닛(300)으로부터 제2 송수신부(230)측으로 송신하게 되면 제2 컨트롤러(201)가 분석 계산하여 제1 상태표시부(26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거리를 세팅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충돌감지 유닛(200)은 제2 센서 모듈(250)에 의한 충격 감지를 통하여 위험 경고를 할 수 있는데, 도 8과 같이 사고 차량(500b)이 라바콘(202)을 충격하였을 때에는 제2 센서 모듈(250)이 이를 감지하고 제2 스피커(241)와 발광수단(242)을 통하여 사고 차량(500b)에게는 물론, 주변의 보행자(600)나 일반 차량(500a) 등에도 경고음이나 빛 발광에 의하여 경고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충돌감지 유닛(200)은 제2 송수신부(230)를 통하여 위험 경고 신호를 위험경고 유닛(300) 및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400a, 400b) 및 관리자들의 개인단말 유닛(400c)측에 자동 송신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전파하게 된다.
아울러, 충돌감지 유닛(200)은 위험경고 유닛(300) 및 개인단말 유닛(400a)으로부터 도 9 및 도 10과 같이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제2 스피커(241)가 작동하여 경고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발광수단(242)이 작동하여 빛을 발광시켜 주변에 위험 상황을 전파하게 된다.
한편, 위험경고 유닛(300)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3 컨트롤러(301)가 내장되는 제3 본체(310)와, 로봇 또는 신호수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설치되어 제3 본체(310)를 탈착 결합시키는 제3 케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위험경고 유닛(300)은, 제3 본체(310)에 내장되어 제3 컨트롤러(301)와 연결되고 제3 본체(310)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로봇 또는 신호수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500a, 500b) 또는 보행자(600)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3 송수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송수신부(330)는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과 충돌감지 유닛(200) 및 개인단말 유닛(400)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위험경고 유닛(300)은, 제3 본체(3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차량(500a, 500b) 또는 보행자(600)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3 센서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험경고 유닛(300)은, 제3 본체(310)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링(350)과, 조작 링(350)의 앞면에 장착되고, 제3 컨트롤러(301) 및 제3 송수신부(330) 및 제3 센서 모듈(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3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케이스(320)는 제3 본체(310)의 타측 외주면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며, 조작 링(350)은 제3 케이스(320)의 외측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험경고 유닛(300)은, 제3 본체(310)의 앞면에 구비되어 현재 상황 또는 위험 상황을 전파 가능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 패널(370)과, 제3 컨트롤러(301) 및 제3 송수신부(330)와 카메라(360)의 가동 상태 및 가동 가능한 전원 잔량을 표시하는 제2 상태표시부(3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위험경고 유닛(300)은, 제3 본체(310)에 내장되어 제3 컨트롤러(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공사 현장 주변에 설치되어 소음이나 진동 또는 가스누출 또는 각종 구조물이나 공사 대상물의 변위를 측정하는 계측장치(8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하는 계측연동 처리모듈(39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계측연동 처리모듈(390)은 도 12와 같이 계측장치(800)의 실시간 측정값을 전달받아 제3 컨트롤러(301)에서 기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위험경고 유닛(300)의 제3 송수신부(330)가 위험 신호를 충돌감지 유닛(200)과 개인단말 유닛(400)으로 전파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계측연동 처리모듈(390)은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11과 같이 계측장치(8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측정값이 제1 컨트롤러(101)의 기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나면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위험경고 유닛(300) 및 개인단말 유닛(400)측으로 위험 상황을 전파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위험경고 유닛(300)은 중계기 역할을 통한 통신 능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무선 통신의 특성상 통신 거리 및 송수신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지만, 위험경고 유닛(300)에 의하면, 위험 경고 신호를 제3 송수신부(330)를 통해 수신했을 때 자동으로 위험 신호를 충돌감지 유닛(200) 및 개인단말 유닛(400)측으로 송신하는 중계기 역할을 함으로써 통신 영역의 확대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위험경고 유닛(300)의 작동 방식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위험경고 유닛(300)은 도 9와 같이 공사 현장 부근으로 위험 요소, 예를 들면 사고 차량(500b)이 접근하는 경우엔 위험 경고를 할 수 있다.
즉, 제3 센서 모듈(340)이 제3 컨트롤러(301)에서 설정한 범위내로 접근하는 차량(500b)이나 물체 또는 보행자(600)가 있을 경우, 경고 신호를 자동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위험을 사전에 경고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신호수가 구비하고 있는 위험경고 유닛(300)은 자동 또는 수동 조작을 절환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으며, 로봇 신호수가 구비하고 있는 위험경고 유닛(300)은 자동 조작에 의하여 위험을 사전에 경고한다.
그리고, 위험경고 유닛(300)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촬영 위치를 조작 링(350)을 돌려가며 카메라(360)를 이용함으로써 실시간 동영상 촬영 및 저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험경고 유닛(300)은 카메라(360)를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는 자신의 개인단말 유닛(400c)또는 휴대기기로 필요시에 실시간 현장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USB 메모리나 서버(이하 미도시)의 클라우드를 통하여 촬영된 동영상을 자동적으로 저장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위험경고 유닛(300)은 위험 신호를 자동 송신함으로써 중계기 역할을 하되 위험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위험 신호 전파 범위를 최대한으로 설정하여 전파되게 할 수 있다.
한편, 개인단말 유닛(400)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4 컨트롤러(401)가 내장되는 제4 본체(410)와, 작업자 및 관리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제4 본체(4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속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단말 유닛(400)은, 제1 본체(110)에 내장되어 제4 컨트롤러(401)와 연결되고 제4 본체(410)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4 본체(410) 부근에서 일어나는 사고나 작업자들 중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일어나는 안전사고나 교통사고를 포함한 사고 상황(700)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4 송수신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송수신부(430)는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과 충돌감지 유닛(200)과 위험경고 유닛(300)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황별 단계별로 제4 컨트롤러(401)에서 지정된 소리나 진동 또는 빛 신호를 통하여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 안전 상태를 확보하고 대피 또는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개인단말 유닛(400)은, 결속구(4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4 컨트롤러(401) 및 제4 송수신부(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작업자들 중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바이탈 사인을 감지하는 제4 센서 모듈(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단말 유닛(400)은, 제4 본체(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4 컨트롤러(401) 및 제4 송수신부(430) 및 제4 센서 모듈(4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개개인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내장된 태그(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단말 유닛(400)은, 제4 본체(4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4 컨트롤러(401) 및 제4 송수신부(430) 및 제4 센서 모듈(4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위험 상황을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제4 스피커(4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개인단말 유닛(400)은, 제4 본체(4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4 컨트롤러(401) 및 제4 송수신부(430) 및 제4 센서 모듈(4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위험 상황을 빛으로 알리는 표시등(47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인단말 유닛(400)의 작동 방식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사고당사자인 작업자의 개인단말 유닛(400a)은 도 10과 같이 작업자가 화재나 폭발 변위 전도 등의 사고 상황(700)임을 인지하였을 경우, 다른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400a)과 위험경고 유닛(300) 및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까지 위험 상황을 전파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개인단말 유닛(400)은 제4 송수신부(430)에 의한 자동 송수신 기능을 통하여 도 8 내지 도 13과 같이 작업자들 간의 개인단말 유닛(400a, 400b)과 관리자들의 개인단말 유닛(400c) 상호간의 상황 전파가 가능함은 물론, 작업자들 및 관리자들 상호간에 음향이나 진동 또는 빛 신호 등의 형태로 위험 상황을 알리고 위험 상황의 전파을 위한 자동 송신 모드로 절환되도록 함으로써, 위험경고 유닛(300)과 함께 신호 범위 확장을 위한 중계기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개인단말 유닛(400)은 제4 센서 모듈(440)을 통하여 작업자들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여 위험경고 유닛(300)에 송신함으로써 위험 예방 및 관리자의 사전 인지를 가능케 한다.
이때, 제4 센서 모듈(440)을 통한 해당 작업자의 위험 바이탈 사인에 따른 신호를 송신할 때 태그(450)의 식별 정보를 반영한 신호들을 함께 제4 송수신부(430)를 통하여 송신함으로써 해당 작업자를 신속히 구분해내어 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인단말 유닛(100)은 위험 발생에 따른 대피 요망 또는 교통 사고 발생 등의 경고 메시지를 입력하여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에 직접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인단말 유닛(100)의 태그(450) 및 제4 스피커(460)를 통한 경고음이나 표시등(470)을 통한 빛 신호를 위험 상황에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구조 작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는 도 13과 같이 작업관련 알림 상황(900)이 발생하였을 경우, 관리자의 개인단말 유닛(400c)으로부터 주변의 작업자들의 개인단말 유닛(400a, 400b)과 위험경고 유닛(300)과 충돌감지 유닛(200) 및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측에 전파하는 응용 및 변형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도로 공사 현장 주변에 설치되어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500a, 500b)이나 보행자(600)에게 공사 상황 및 실시간 교통 정보를 문자나 영상 또는 음향으로 알려주는 제1 컨트롤러(101)를 포함하는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 공사 현장 주변의 라바콘(202)에 구비되어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500a, 500b)이나 보행자(600)의 충격에 의한 기울기 정도나 충격량을 감지하여 공사 현장 주변의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제2 컨트롤러(201)를 포함하는 충돌감지 유닛(200);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을 정리하는 신호수 또는 로봇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500a, 500b)이나 보행자(600)의 근접 또는 충격 등에 따른 위험 신호를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 및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파하는 제3 컨트롤러(301)를 포함하는 위험경고 유닛(300); 및 작업자 및 관리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충돌감지 유닛(200) 및 위험경고 유닛(300)으로부터 전달받은 위험 신호를 전달받아 다른 작업자 및 관리자들에게 전파 가능한 제4 컨트롤러(401)를 포함하는 개인단말 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공사 현장 부근의 교통 안내 및 처리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공사 구간의 사용성 및 활용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의 예방이 가능함은 물론, 피치못할 안전사고 또는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사 현장 주변을 지나는 차량(500a, 500b)과 보행자(600)에게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민원발생을 최소화하고 공사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은, 제1 컨트롤러(101)가 내장되는 제1 본체(110)와, 도로표지판(10)이나 도로 주변의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도로 노면(20) 위에 설치 가능하도록, 제1 본체(110)를 감싸는 제1 케이스(120)와, 제1 본체(110)에 내장되어 제1 컨트롤러(101)와 연결되고 제1 본체(110)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1 본체(110) 부근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500a, 500b) 또는 보행자(600)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1 송수신부(130)와, 제1 컨트롤러(101) 및 제1 송수신부(130)와 연결되어 제1 본체(110)의 앞면에 장착되고, 공사 현장의 작업 현황과 작업 예상 시간과 소음 집중 시간과 교통사고 발생을 포함한 공사 현장에 상황 전파가 필요한 실시간 정보를 문자나 영상으로 출력하는 엘이디 VMS 패널(140)과, 제1 본체(110)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위험 상황 및 경고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제1 스피커(150)와, 제1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본체(110)의 기울어짐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160)을 포함하며, 제1 송수신부(130)는 위험경고 유닛(300) 및 개인단말 유닛(400)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상황 판단 및 대응 조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케이스(120)는, 제1 본체(110)의 상, 하면과 좌우 양측편 및 앞, 뒷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개방 슬롯(121s)을 구비한 틀체(121)와, 틀체(121)의 내면 및 외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패드(이하 미도시)와, 틀체(121)의 양측에 구비되어 도로표지판(10)이나 구조물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구(122)를 포함함으로써, 충격에 대한 내구성 및 강도를 유지하여 장치 전체의 수명 연한을 증대시키고 설치 및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케이스(120)는, 제1 본체(110)의 상, 하면과 좌우 양측편 및 앞, 뒷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개방 슬롯(121s)을 구비한 틀체(121)와, 틀체(121)의 내면 및 외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패드(이하 미도시)와, 틀체(121)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어 도로 노면(20) 위에 설치 가능한 가대(123)를 포함함으로써, 충격에 대한 내구성 및 강도를 유지하여 장치 전체의 수명 연한을 증대시키고 설치 및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충돌감지 유닛(200)은, 제2 컨트롤러(201)가 내장되는 제2 본체(210)와, 라바콘(202)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라바콘(202)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2 본체(210)를 감싸는 제2 케이스(220)와, 제2 본체(210)에 내장되어 제2 컨트롤러(201)와 연결되고 제2 본체(210)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 본체(21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500a, 500b) 또는 보행자(600)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2 송수신부(230)와, 제2 본체(210)에 구비되어 야간이나 악천후시 차량(500a, 500b) 또는 보행자(600)에게 공사 현장 주변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나 빛으로 알리는 알림 수단(240)과, 제2 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본체(210)의 기울어짐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모듈(250)을 포함하며, 제2 송수신부(230)는 위험경고 유닛(300) 및 개인단말 유닛(400)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주변을 지나는 차량과 보행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 예방이 가능함은 물론,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상황 판단 및 대응 조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케이스(220)는, 라바콘(202)에 탈착 가능하며 상면이 개방된 링 형상의 중공인 케이스 본체(221)와, 케이스 본체(221)의 상면에 탈착 결합되고 케이스 본체(221)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링 커버(222)를 포함하며, 제2 본체(210) 및 알림 수단(240)은 케이스 본체(221)에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의 편의를 도모하고 점검 및 교체 수리 등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위험경고 유닛(300)은, 제3 컨트롤러(301)가 내장되는 제3 본체(310)와, 로봇 또는 신호수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설치되어 제3 본체(310)를 탈착 결합시키는 제3 케이스(320)와, 제3 본체(310)에 내장되어 제3 컨트롤러(301)와 연결되고 제3 본체(310)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로봇 또는 신호수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500a, 500b) 또는 보행자(600)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3 송수신부(330)와, 제3 본체(3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차량(500a, 500b) 또는 보행자(600)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3 센서 모듈(340)을 포함하며, 제3 송수신부(330)는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과 충돌감지 유닛(200) 및 개인단말 유닛(400)과 통신할 수 있으므로,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상황 판단 및 대응 조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험경고 유닛(300)은, 제3 본체(310)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링(350)과, 조작 링(350)의 앞면에 장착되고, 제3 컨트롤러(301) 및 제3 송수신부(330) 및 제3 센서 모듈(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360)를 더 포함하며, 제3 케이스(320)는 제3 본체(310)의 타측 외주면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며, 조작 링(350)은 제3 케이스(320)의 외측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상황 판단 및 대응 조치가 가능함은 물론, 사고 발생시 정확한 경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개인단말 유닛(400)은, 제4 컨트롤러(401)가 내장되는 제4 본체(410)와, 작업자 및 관리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제4 본체(4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속구(420)와, 제1 본체(110)에 내장되어 제4 컨트롤러(401)와 연결되고 제4 본체(410)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4 본체(410) 부근에서 일어나는 사고나 작업자들 중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일어나는 안전사고나 교통사고를 포함한 사고 상황(700)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4 송수신부(430)와, 결속구(4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4 컨트롤러(401) 및 제4 송수신부(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작업자들 중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바이탈 사인을 감지하는 제4 센서 모듈(440)과, 제4 본체(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4 컨트롤러(401) 및 제4 송수신부(430) 및 제4 센서 모듈(4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개개인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내장된 태그(450)를 포함하며, 제4 송수신부(430)는 이동식 가설 VMS 유닛(100)과 충돌감지 유닛(200)과 위험경고 유닛(300)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소형화, 경량화 및 컴팩트화하여 비교적 간단하며 저렴한 구성으로 공사 현장의 작업자들(400a, 400b) 또는 관리자(400c)들 각각에게 빠짐없이 보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안전모나 안전 장구 등에 탈착 가능하므로, 언제든지 전원 충전이 가능하여 상시 위험 상황에 대응할 준비가 갖춰질 수 있으며,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상황 판단 및 대응 조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로 공사 현장 주변을 지나는 차량이나 보행자들의 접근 또는 충돌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 안전사고 또는 교통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즉각적인 상황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도로표지판
20...도로 노면
100...이동식 가설 VMS 유닛
101...제1 컨트롤러
110...제1 본체
111, 112, 113...외부입력 단자
114, 115...USB 단자
116...HDMI 단자
120...제1 케이스
121...틀체
121s...개방 슬롯
122...결합구
123...가대
123f...고정편
123s...지주
130...제1 송수신부
140...엘이디 VMS 패널
150...제1 스피커
160...제1 센서 모듈
170...제1 조도 센서
200...충돌감지 유닛
201...제2 컨트롤러
202...라바콘
210...제2 본체
2211, 211...접속 단자
220...제2 케이스
221...케이스 본체
222...링 커버
230...제2 송수신부
240...알림 수단
241...제2 스피커
242...발광수단
250...제2 센서 모듈
260...제1 상태표시부
300...위험경고 유닛
301...제3 컨트롤러
310...제3 본체
320...제3 케이스
330...제3 송수신부
340...제3 센서 모듈
350...조작 링
360...카메라
370...입력 패널
380...제2 상태표시부
390...계측연동 처리모듈
400...개인단말 유닛
401...제4 컨트롤러
410...제4 본체
420...결속구
430...제4 송수신부
440...제4 센서 모듈
450...태그
460...제4 스피커
470...표시등
500a, 500b...차량
600...보행자
700...사고 상황
800...계측장치
900...알림 상황

Claims (9)

  1. 도로 공사 현장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공사 상황 및 실시간 교통 정보를 문자나 영상 또는 음향으로 알려주는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동식 가설 VMS 유닛;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라바콘에 구비되어 상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충격에 의한 기울기 정도나 충격량을 감지하여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위험 신호를 전파하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충돌감지 유닛;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을 정리하는 신호수 또는 로봇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며 상기 공사 현장에 근접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근접 또는 충격 등에 따른 위험 신호를 상기 이동식 가설 VMS 유닛 및 상기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파하는 제3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작업자 및 관리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충돌감지 유닛 및 상기 위험경고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위험 신호를 전달받아 다른 작업자 및 관리자들에게 전파 가능한 제4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개인단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위험경고 유닛은,
    상기 제3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3 본체와,
    상기 로봇 또는 상기 신호수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본체를 탈착 결합시키는 제3 케이스와,
    상기 제3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제3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제3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로봇 또는 상기 신호수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 또는 보행자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3 송수신부와,
    상기 제3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또는 상기 보행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3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송수신부는 상기 이동식 가설 VMS 유닛과 상기 충돌감지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 본체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링과,
    상기 조작 링의 앞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컨트롤러 및 상기 제3 송수신부 및 상기 제3 센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교통 상황 및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케이스는 상기 제3 본체의 타측 외주면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조작 링은 상기 제3 케이스의 외측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가설 VMS 유닛은,
    상기 제1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1 본체와,
    도로표지판이나 도로 주변의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도로 노면 위에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본체를 감싸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1 본체 부근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 또는 보행자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1 송수신부와,
    상기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1 송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본체의 앞면에 장착되고, 상기 공사 현장의 작업 현황과 작업 예상 시간과 소음 집중 시간과 교통사고 발생을 포함한 상기 공사 현장에 상황 전파가 필요한 실시간 정보를 문자나 영상으로 출력하는 엘이디 VMS 패널과,
    상기 제1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위험 상황 및 경고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제1 스피커와,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본체의 기울어짐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수신부는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상기 개인단말 유닛과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1 본체의 상, 하면과 좌우 양측편 및 앞, 뒷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개방 슬롯을 구비한 틀체와,
    상기 틀체의 내면 및 외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패드와,
    상기 틀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로표지판이나 상기 구조물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1 본체의 상, 하면과 좌우 양측편 및 앞, 뒷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개방 슬롯을 구비한 틀체와,
    상기 틀체의 내면 및 외면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 재질의 완충 패드와,
    상기 틀체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로 노면 위에 설치 가능한 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돌감지 유닛은,
    상기 제2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2 본체와,
    상기 라바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상기 라바콘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2 본체를 감싸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제2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2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차량 또는 보행자의 접근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2 송수신부와,
    상기 제2 본체에 구비되어 야간이나 악천후시 상기 차량 또는 상기 보행자에게 상기 공사 현장 주변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나 빛으로 알리는 알림 수단과,
    상기 제2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본체의 기울어짐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상기 위험경고 유닛 및 개인단말 유닛과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라바콘에 탈착 가능하며 상면이 개방된 링 형상의 중공인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에 탈착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링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 및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단말 유닛은,
    상기 제4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제4 본체와,
    상기 작업자 및 관리자들 각각의 안전모, 엑스 밴드, 손목 밴드 또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4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속구와,
    상기 제1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제4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제4 본체측으로 전달되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4 본체 부근에서 일어나는 사고나 상기 작업자들 중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에게 일어나는 안전사고나 교통사고를 포함한 사고 상황을 주위로 전파하는 제4 송수신부와,
    상기 결속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4 컨트롤러 및 상기 제4 송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작업자들 중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각각의 바이탈 사인을 감지하는 제4 센서 모듈과,
    상기 제4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4 컨트롤러 및 상기 제4 송수신부 및 상기 제4 센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해당 작업자 또는 다른 작업자들 개개인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별정보가 내장된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송수신부는 상기 이동식 가설 VMS 유닛과 충돌감지 유닛과 위험경고 유닛과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KR1020170147921A 2017-11-08 2017-11-08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KR101976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921A KR101976954B1 (ko) 2017-11-08 2017-11-08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921A KR101976954B1 (ko) 2017-11-08 2017-11-08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954B1 true KR101976954B1 (ko) 2019-05-09

Family

ID=6654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921A KR101976954B1 (ko) 2017-11-08 2017-11-08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95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02B1 (ko) * 2020-03-03 2020-07-09 주식회사 한림기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가능한 이동식 정보표지판 어셈블리
CN111429720A (zh) * 2020-03-18 2020-07-17 李鹏飞 一种施工临时钢结构安全管理信息化方法
WO2021045252A1 (ko) * 2019-09-04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20210063117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아이에이 이동식 도로 상황 표시 디바이스 및 이동식 도로 상황 표시 디바이스 기반 도로 상황 표시 제어 방법
KR20220114668A (ko) 2021-02-09 2022-08-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230005489A (ko) * 2021-07-01 2023-01-10 주식회사 세이프넷티앤씨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KR102537945B1 (ko) * 2022-11-03 2023-05-31 (주)세종이엠에스 보행자 안전을 위한 보행신호 측면보조 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630A (ja) * 2001-12-26 2003-09-10 Jigyo Sozo Kenkyusho:Kk 道路用安全装置及び道路用安全システム
KR101065467B1 (ko) * 2011-02-28 2011-09-16 주식회사 에쓰엠 발광 다이오드 전광판이 구비된 표시장치
KR20130138421A (ko) * 2012-06-11 2013-12-19 (주)티엘씨테크놀로지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KR20170098618A (ko) * 2016-02-22 2017-08-30 엠피온 주식회사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KR20170003222U (ko) 2017-08-31 2017-09-15 최순규 교통 안전 표지용 led 모듈을 포함하는 도로 공사용 안전 표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630A (ja) * 2001-12-26 2003-09-10 Jigyo Sozo Kenkyusho:Kk 道路用安全装置及び道路用安全システム
KR101065467B1 (ko) * 2011-02-28 2011-09-16 주식회사 에쓰엠 발광 다이오드 전광판이 구비된 표시장치
KR20130138421A (ko) * 2012-06-11 2013-12-19 (주)티엘씨테크놀로지 발광 스마트 안전 엑스밴드
KR20170098618A (ko) * 2016-02-22 2017-08-30 엠피온 주식회사 단말기 연동형의 스마트 라바콘 시스템
KR20170003222U (ko) 2017-08-31 2017-09-15 최순규 교통 안전 표지용 led 모듈을 포함하는 도로 공사용 안전 표지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252A1 (ko) * 2019-09-04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20210063117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아이에이 이동식 도로 상황 표시 디바이스 및 이동식 도로 상황 표시 디바이스 기반 도로 상황 표시 제어 방법
KR102310221B1 (ko) 2019-11-22 2021-10-08 주식회사 아이에이 이동식 도로 상황 표시 디바이스 및 이동식 도로 상황 표시 디바이스 기반 도로 상황 표시 제어 방법
KR102132302B1 (ko) * 2020-03-03 2020-07-09 주식회사 한림기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가능한 이동식 정보표지판 어셈블리
CN111429720A (zh) * 2020-03-18 2020-07-17 李鹏飞 一种施工临时钢结构安全管理信息化方法
KR20220114668A (ko) 2021-02-09 2022-08-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230005489A (ko) * 2021-07-01 2023-01-10 주식회사 세이프넷티앤씨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KR102545574B1 (ko) * 2021-07-01 2023-06-21 주식회사 세이프넷티앤씨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KR102537945B1 (ko) * 2022-11-03 2023-05-31 (주)세종이엠에스 보행자 안전을 위한 보행신호 측면보조 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954B1 (ko)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KR102148517B1 (ko) 도로정보 안내를 위한 도로표지 시스템
EP3812511A1 (en) Smart guardrail
KR101951119B1 (ko)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CN107452231A (zh) 高速公路交通事故现场预警机器人
JP6320327B2 (ja) 車両侵入警報システム
KR102138493B1 (ko)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KR20160085148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로의 사고발생 경고 시스템
KR102258559B1 (ko) 터널용 소화기 표시등 제어시스템
CN106408830A (zh) 一种电缆桩
KR20200104739A (ko) 작업자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용 철도 차량 접근 원격 알람 시스템
KR101223093B1 (ko)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
KR20160122300A (ko) 가로등용 분전함의 누전관리시스템
KR102138492B1 (ko)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
KR101770986B1 (ko) 사고 발생 경고용 무선 전광시스템
KR101317654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KR20210018728A (ko) 비상차선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ITUD20010205A1 (it) Apparato per il monitoraggio del traffico
CN211032934U (zh) 一种多功能航标及其组成的监控网络系统
CA2900585A1 (en) Intelligent evacuation route device
KR20200128280A (ko) 소방설비 근방의 주정차 위반 자동 알림 장치
KR20220112326A (ko) 지게차 접근 경고 장치
JP2013127663A (ja) 交通設備、中央装置及び交通システム
KR20050097843A (ko)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 안전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