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493B1 -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493B1
KR102138493B1 KR1020200060026A KR20200060026A KR102138493B1 KR 102138493 B1 KR102138493 B1 KR 102138493B1 KR 1020200060026 A KR1020200060026 A KR 1020200060026A KR 20200060026 A KR20200060026 A KR 20200060026A KR 102138493 B1 KR102138493 B1 KR 102138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unique
information
control means
saf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지에이치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이치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이치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동작되지 않다가 도로상에서 사고 발생이나 차량 고장 등의 돌발 상황 발생시 해당 구간에 전방의 사고 혹은 돌발 사실을 다수의 운전자들에게 경고 메세지와 경광등 등을 통해 수 초안에 알려주어 뒤따르는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어 잇따른 교통 사고 및 교통 정체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사고 및 돌발 상황을 휴대폰이나 도로교통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신고시 관제센터로 사고 정보를 송출하여 현장 수습과 인명구조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은,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에 있어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경광등을 점멸 작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패널과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운전표시기와;
고유 아이디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알림버튼부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사고 발생시 알림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안전운전표시기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고유 아이디번호 및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과;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평상시에는 동작되지 않다가 도로상에서 사고나 차량 고장 등의 돌발 상황 발생시 해당 사고지점의 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사고 혹은 돌발 상황 사실을 무선 혹은 유선으로 송출하여 경고 메세지와 경광등을 통해 즉시 알려주어 뒤따르는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어 잇따른 교통 사고 및 교통 정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control system for sign device of road defensive driving}
본 발명은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동작되지 않다가 도로상에서 사고 발생이나 차량 고장 등의 돌발 상황 발생시 해당 구간에 전방의 사고 혹은 돌발 사실을 다수의 운전자들에게 경고 메세지와 경광등 등을 통해 수 초안에 알려주어 뒤따르는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어 잇따른 교통 사고 및 교통 정체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사고 및 돌발 상황을 휴대폰이나 도로교통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신고시 관제센터로 사고 정보를 송출하여 현장 수습과 인명구조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서 전방 사고로 인해 차량이 도로상에서 갑자기 정지하게 된 경우에는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이 도로상에 정지되어 방치된 차량으로 인해 급정거하거나 이에 충돌하는 연쇄적인 사고발생이 적지 않으며, 이러한 사고는 고속으로 주행중인 도로에서 차량간의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후속 차량들이 전방의 사고발생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없고, 이에 긴급히 대처할 수 없어 발생한다.
또한, 고속도로의 중앙 분리대가 높아지고 국도에도 중앙 분리대가 지속적으로 설치되어 도로 곡선 구간 전방에 방치된 차량에 의한 연쇄 추돌 사고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사고 차량은 물론 후속차량은 부상자의 구호조치 및 사고차량이동 등과 관련하여 매우 신속한 조치가 필요함과 아울러 무엇보다도 후속 차량들에게 전방의 사고상황을 신속히 알려주어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지만 도로에서 후속 차량에게 돌발적인 사고에 대하여 긴급히 경고하기란 쉽지 않으며, 경고방법과 장치들 또한 수신호 또는 자동차의 비상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정도에 불과하여 후속차량이 전방 사고에 대해 긴급히 인지하고 대처하기 어려워 연쇄적인 사고발생방지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로에서 사고발생 직후 안전조치를 소홀히 하여 더 큰 불행을 당한 경우는 의외로 많으며, 이는 사고 차량들이 정지된 후 곧바로 후속 차량 등에 의해 들이받치는 충돌사고, 사고 정황을 살피는 중 후속차량에 의해 받히는 경우, 사고차량을 그대로 둔 채 사고 조치를 행하는 도중 후속차량에 의해 사고를 당하는 경우 등과 같이 여러 사고 예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로에서는 무엇보다 먼저 후방의 먼 거리까지 전방의 사고발생사실을 신속하게 알려서 후속 차량들이 긴급히 대처할 수 있게 하여야 하며, 사고 발생지점에서도 부상자의 구호 및 사고차량의 이동 과정에서 후방 차량이 이를 신속히 인지하고 속도를 줄여 긴급히 대처할 수 있도록 사고 등으로 도로상에서 차량이 정지된 상황을 후방으로 신속히 경고하여 충분한 안전거리와 시간을 확보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특허 제10-1223093호(2013.01.10.)에 이러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가능하게 해주는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의 경우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도로에 무한정 설치할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상당한 거리 이상 이격하여 설치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사고현장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안전운전표시기의 경고를 보지 못한 운전자가 발생할 경우 해당 운전자는 마찬가지의 돌발적인 사고발생을 피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동작되지 않다가 도로상에서 사고나 차량 고장등 돌발 상황 발생시 해당 지점의 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사고 혹은 돌발 상황 사실을 무선 혹은 유선으로 송출하여 경고 메세지와 경광등을 통해 즉시 알려주어 뒤따르는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어 잇따른 교통 사고 및 교통 정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즉, 이벤트가 발생하자마자 수 초안에 현재 전방의 사고 혹은 돌발 상황을 즉각적으로 뒤따르는 운전자들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고 상황을 관제센터로 송출하여 현장 수습과 인명구조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비교 판단 후, 안전운전표시기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되는 메시지의 밝기가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에 설치 구성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원격 감시하여 사고, 돌발 상황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을 구성하여 사고 현장에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폰으로 신고시 해당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을 구성하여 사고 현장에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없거나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획득되지 않는 구간에서의 사고 발생시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 교통 전용전화로 신고시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인증 완료시 사고 유형 정보 및 안전운전표시기 혹은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번호를 획득하여 관제수단으로 송출시키는 전화신고처리수단을 구성하여 경찰관, 도로 관리자, 소방관 등의 특수 직업군에 해당하는 인력에 의해 사고 발생시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고현장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안전운전표시기의 경고를 보지 못한 운전자가 발생할 경우 해당 운전자로 하여금 돌발적인 사고발생을 피할 수 있게 해주는 보다 강화된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은,
센서모듈과 스피커모듈을 포함하고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경광등을 점멸 작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패널과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운전표시기와;
고유 아이디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알림버튼부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사고 발생시 알림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안전운전표시기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고유 아이디번호 및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과;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은,
평상시에는 동작되지 않다가 도로상에서 사고나 차량 고장 등의 돌발 상황 발생시 해당 사고지점의 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사고 혹은 돌발 상황 사실을 무선 혹은 유선으로 송출하여 경고 메세지와 경광등을 통해 즉시 알려주어 뒤따르는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어 잇따른 교통 사고 및 교통 정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고 상황을 관제센터로 송출하여 현장 수습과 인명구조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비교 판단 후, 안전운전표시기에 형성된 디스플레이패널에 출력되는 메시지의 밝기가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조도센서와 위성항법통신부(GPS)로부터 획득된 날짜(계절) 및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로에 설치 구성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원격 감시하여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을 구성하여 사고 현장에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 운전자 사망 등이나 현장에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없는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관제수단으로 사고 사실 전송시 수십 km 전의 후방의 교통정보 표시기(VMS)에 알림으로서 사고 등의 돌발 상황을 미리 인지하고, 교통 정체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 줄 수 있으며, 체계적으로 안전운전표시기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휴대폰으로 신고시 해당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을 구성하여 사고 현장에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없거나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획득되지 않는 구간에서의 사고 발생시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 감시가 불가능한 사각 지대에서도 사고 발생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로 교통 전용전화로 신고시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인증 완료시 사고 유형 정보 및 안전운전표시기 혹은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번호를 획득하여 관제수단으로 송출시키는 전화신고처리수단을 구성하여 경찰관, 도로 관리자, 소방관 등의 특수 직업군에 해당하는 인력에 의해 사고 발생시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의하면 사고현장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안전운전표시기의 경고 조차 보지 못한 운전자가 발생할 경우 해당 운전자로 하여금 돌발적인 사고발생을 피할 수 있게 해주는 보다 강화된 도로 안전운전 표시기 관제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안전운전표시기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안전운전표시기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안전운전표시기가 설치 구성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전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안전운전표시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관제수단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전화신고처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의 안전운전표시기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스피커의 차선별 초기설정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스피커의 구성 및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스피커의 구성 및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정면을 통과한 차량에 대하여 중앙분리대를 이용하여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은,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모듈과 스피커모듈을 포함하고,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경광등을 점멸 작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패널과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운전표시기와;
고유 아이디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알림버튼부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사고 발생시 알림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안전운전표시기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고유 아이디번호 및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과;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은,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모듈과 스피커모듈을 포함하고,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경광등을 점멸 작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패널과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운전표시기와;
고유 아이디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알림버튼부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사고 발생시 알림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안전운전표시기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고유 아이디번호 및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과;
도로에 설치 구성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원격 감시하여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거나, 휴대폰으로 신고시 해당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은,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모듈과 스피커모듈을 포함하고,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경광등을 점멸 작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패널과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운전표시기와;
고유 아이디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알림버튼부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사고 발생시 알림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안전운전표시기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고유 아이디번호 및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과;
도로에 설치 구성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원격 감시하여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거나, 휴대폰으로 신고시 해당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과;
도로 교통 전용전화로 신고시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인증 완료시 사고 유형 정보 및 안전운전표시기 혹은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번호를 획득하여 관제수단으로 송출시키는 전화신고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전운전표시기는,
센서모듈 및 스피커모듈과,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도록 엘이디 조명으로 설치 구성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점멸 작동하는 경광등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상기 안전운전표시기는,
센서모듈 및 스피커모듈과,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도록 엘이디 조명으로 설치 구성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점멸 작동하는 경광등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센서와,
날짜 및 시간별 조도값을 저장하고 있는 조도값저장부와,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값과 조도값저장부에 저장된 조도값을 비교하여 감지된 조도값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은,
사고 발생시 누르는 알림버튼부와,
고유 아이디 번호와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 및 조작패널에 출력되는 사고 유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저장부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사고 유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유형 정보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고, 센서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스피커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는 제어신호송출부와,
상기 조작패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유형 정보 및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와,
상기 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사고 유형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 및 고유 아이디 번호를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정보송출부와,
특정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부터 송출된 무선이나 유선 정보를 수신받을 경우에 상기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를 정보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사고 거리를 계산하여 제어신호송출부로 전달하는 사고거리계산부와,
상기 각각의 부와 연결되어 각 부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상기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은,
사고 발생시 누르는 알림버튼부와,
고유 아이디 번호와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 및 조작패널에 출력되는 사고 유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저장부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사고 유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유형 정보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거나, 위성항법통신부로부터 수신된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고, 센서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스피커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는 제어신호송출부와,
상기 조작패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유형 정보 및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와,
상기 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사고 유형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 및 고유 아이디 번호를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정보송출부와,
특정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부터 송출된 무선이나 유선 정보를 수신받을 경우에 상기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를 정보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사고 거리를 계산하여 제어신호송출부로 전달하는 사고거리계산부와,
안전운전표시기가 설치 구성된 위치와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위성항법통신부와,
상기 각각의 부와 연결되어 각 부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상기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은,
사고 발생시 누르는 알림버튼부와,
고유 아이디 번호와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 및 조작패널에 출력되는 사고 유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저장부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사고 유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유형 정보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거나, 위성항법통신부로부터 수신된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고, 센서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스피커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는 제어신호송출부와,
상기 조작패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유형 정보 및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와,
상기 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사고 유형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 및 고유 아이디 번호를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정보송출부와,
특정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부터 송출된 무선이나 유선 정보를 수신받을 경우에 상기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를 정보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사고 거리를 계산하여 제어신호송출부로 전달하는 사고거리계산부와,
안전운전표시기가 설치 구성된 위치와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위성항법통신부와,
상기 위성항법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사고 유형 정보를 추출하여 관제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송출부와,
상기 각각의 부와 연결되어 각 부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제수단은,
카메라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카메라정보디비와,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와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와,
사고 발생을 촬영한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위치 정보를 카메라정보디비로부터 추출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시키는 사고발생신호생성부와,
상기 사고발생신호생성부로부터 획득된 사고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로부터 매칭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상기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고유 아이디 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이 설치 구성된 사고 발생구간의 전후에 위치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들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상기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서 추출된 고유 아이디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정보송출부와,
상기 각각의 부 및 디비가 연결되어 각 부 및 디비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관제수단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제수단은,
신고된 휴대폰으로부터 해당 사고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고위치정보획득부와,
카메라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카메라정보디비와,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와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와,
사고 발생을 촬영한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위치 정보를 카메라정보디비로부터 추출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시키거나, 휴대폰으로부터 획득된 사고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시키는 사고발생신호생성부와,
상기 사고위치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사고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로부터 매칭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상기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고유 아이디 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이 설치 구성된 사고 발생구간의 전후에 위치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들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상기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서 추출된 고유 아이디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정보송출부와,
상기 각각의 부 및 디비가 연결되어 각 부 및 디비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관제수단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화신고처리수단은,
인증 절차에 필요한 특수 번호와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증정보디비와,
카메라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고유아이디번호정보디비와,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번호, 비밀번호, 사고 유형을 획득하기 위하여 자동 안내메세지를 해당 도로 교통 전용전화로 전송하는 자동응답실행부와,
상기 자동응답실행부에서 획득된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 번호, 비밀번호를 인증정보디비에서 추출된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 번호,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인증정보비교부와,
상기 인증정보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사고 유형 정보를 추출하는 전화신고처리수단정보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사고 유형 정보를 관제수단으로 송출하는 전화신고처리수단정보송출부와,
상기 각각의 부 및 디비가 연결되어 각 부 및 디비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전화신고처리수단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상기 관제수단은,
사고 위치 정보 및 사고 유형 정보를 유관기관서버로 송출하는 정보공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상기 관제수단은,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정해진 시간마다 동작 확인신호를 보낸 후 응답신호가 획득되는지를 확인하는 원격고장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상기 관제수단은,
재난(화재, 조류, 방역, 산불)을 알리기 위하여 운영되는 전광판, 공공기관(시,군, 구)에서 운영되는 전광판, 관 지원시설 중 노인정(경로당)에 설치 구성된 전광판에 재난 알림, 홍보 및 안내 문구를 전송하여 홍보 및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은,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모듈과 스피커모듈을 포함하고,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경광등을 점멸 작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패널과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운전표시기(100)와;
고유 아이디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알림버튼부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사고 발생시 알림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안전운전표시기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고유 아이디번호 및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200)과;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전운전표시기의 설치 간격은 도로의 폭이나 형태, 구간별로 차별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치 구성해야 사고 발생 구간의 전후로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전운전표시기는 일반적으로 도로의 상측에 형성되는 표지판의 지지대에 설치 구성할 수 있으며, 도로의 사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전운전표시기가 설치 구성되는 지지대의 어느 한 부위에 상기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이 설치 구성되어 전기적으로 안전운전표시기와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한편, 안전운전표시기는 곡선 구간 도로, 상습결빙지역, 통계적으로 사고 다발 지역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설치 구성하게 되며, 서로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주고 받게 되며, 직관적이면서 강렬해야 하므로 평상시에는 동작되지 않다가 오로지 사고 발생시에만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안전운전표시기가 설치된 도로 전방에는 도로 상황을 감시하기 위하여 카메라들을 다수 설치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상시로 관제수단에서 감시하기 위한 것이며, 기타 폭설, 빙판 도로일 경우에 한하여 안내할 수도 있지만, 운전자의 학습 효과를 지양하기 위하여 가급적 사고 발생시에만 경고 안내 메세지를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고 발생이나 차량 고장 등의 돌발 상황 발생시 해당 구간에 전방의 사고 혹은 돌발 사실을 다수의 운전자들에게 경고 메세지와 경광등 등을 통해 뒤따르는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어 잇따른 교통 사고 및 교통 정체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병행해서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관제하는 센터에서 감시 중 사고 사실이 파악되면, 수 초안에 도로 안전운전 표시기에 알려줘 안전운전을 유도한다. 또한 폭우, 폭설, 결빙, 도로의 공사 사실 등에 대한 도로 상황도 미리 알려줘 운전자에게 안전 운행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제수단(300)은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은,
센서모듈과 스피커모듈을 포함하고,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경광등을 점멸 작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패널과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운전표시기(100)와;
고유 아이디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알림버튼부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사고 발생시 알림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안전운전표시기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고유 아이디번호 및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200)과;
도로에 설치 구성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원격 감시하여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거나, 휴대폰(400)으로 신고시 해당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휴대폰을 통해 일반인들이 신고할 경우에 사고 발생을 즉각적으로 알리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즉, 휴대폰으로 신고시 해당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을 구성하여 사고 현장에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없거나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획득되지 않는 구간에서의 사고 발생시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제수단(300)은 도로에 설치 구성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원격 감시하여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지만, 휴대폰(400)으로 신고시 해당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한다.
도 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은,
센서모듈과 스피커모듈을 포함하고,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경광등을 점멸 작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패널과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운전표시기(100)와;
고유 아이디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알림버튼부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사고 발생시 알림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안전운전표시기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고유 아이디번호 및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200)과;
도로에 설치 구성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원격 감시하여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거나, 휴대폰(400)으로 신고시 해당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300)과;
도로 교통 전용전화로 신고시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인증 완료시 사고 유형 정보 및 안전운전표시기 혹은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번호를 획득하여 관제수단으로 송출시키는 전화신고처리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전화신고처리수단(500)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도로 교통 전용전화로 신고시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인증 완료시 사고 유형 정보 및 안전운전표시기 혹은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번호를 획득하여 관제수단으로 송출시키는 전화신고처리수단을 구성하여 경찰관, 도로 관리자, 소방관 등의 특수 직업군에 해당하는 인력에 의해 사고 발생시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전화신고처리수단은 일정거리마다 설치 구성되는 도로 교통 전용전화로 신고시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인증 완료시 사고 유형 정보 및 안전운전표시기 혹은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번호를 획득하여 관제수단으로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를 통한 원격 감시에 의한 사고처리, 휴대폰에 의한 사고처리, 도로 교통 전화기에 의한 사고처리를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안전운전표시기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안전운전표시기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운전표시기(100)는,
센서모듈 및 스피커모듈과,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110)과,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점멸 작동하는 경광등(120)을 기본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은 엘이디 조명으로 설치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에 의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데, 무선의 장점은 설치 및 철거가 쉽고, 저렴한 월 통신료로 운영이 가능하며, 유선에 의해 정보를 주고 받을 경우에는 기존 인프라가 되어 있어야 하며, 상대적으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유선 및 무선을 활용할 수 있으나, 가급적 무선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a는 도로 안내 표시판의 어느 일측에 설치 구성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도로의 사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 구성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센서(도면부호 미기재)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조도센서를 구성하는 이유는 야간에도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낮에도 조명 밝기를 조절하여 운전자의 운전 시야에 방해를 주지 않기 위해서다.
즉, 고휘도의 엘이디 조명으로 디스플레이패널을 구성하게 되면, 야간에는 너무 밝아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날짜 및 시간별 조도값을 저장하고 있는 조도값저장부(130)와,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값과 조도값저장부에 저장된 조도값을 비교하여 감지된 조도값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조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도값저장부에는 날짜 및 시간별 조도값을 미리 저장하게 된다.
이때, 밝기조절부(140)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값과 조도값저장부에 저장된 조도값을 비교하여 감지된 조도값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날짜 및 시간 정보는 정확한 날짜와 시간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획득된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조도값저장부에 저장된 조도값과 비교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에 50룩스인데, 측정된 조도가 30룩스라면 20룩스만큼 차이가 발생하므로 해당 차이만큼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밝게 하여 항상 날짜 및 시간에 대비하여 능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밝기조절부는 현재시간이 낮이라면 빛이 입력되어야 하는데, 외부의 빛이 감지되지 않으면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야간임에도 빛이 계속 입력된다면 조도센서의 고장 혹은 조도센서 내에 다른 빛이 유입되는 것으로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해가 들때, 해가 질때, 낮, 밤일 경우에 조도값과 계절별 조도값이 테이블로 저장되어 있고, 기본적으로 상기 저장된 테이블대로 밝기를 조절하게 되는데, 조도센서에서 구름이 낀 경우에는 굳이 저장된 조도값으로 조절할 필요없이 밝기를 다소 낮춰서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고발생지점(10)의 후방에 안전운전표시기를 표시하게 되면, 진행 중인 차량(50)이 상기 안전운전표시기를 보고 사고발생지점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은 서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게 되는데,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지그비 통신 모듈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고 현장에서 사고자가 직접 알림버튼부를 누를 경우에 바로 사고 구간 전후에 형성된 안전운전표시기들은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경광등을 점멸 작동하게 된다.
만약, 대형 사고가 발생하여 알림버튼부를 누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게 되므로 관제수단(300)에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원격 감시하여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를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게 되고, 이와 연결되어 있는 안전운전표시기에 경고 안내 메세지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에는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어 이동 통신을 통해 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200)은,
사고 발생시 누르는 알림버튼부(205)와,
고유 아이디 번호와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 및 조작패널에 출력되는 사고 유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저장부(210)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사고 유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조작패널(215)과,
상기 조작패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유형 정보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고, 센서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스피커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는 제어신호송출부(220)와,
상기 조작패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유형 정보 및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225)와,
상기 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사고 유형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 및 고유 아이디 번호를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정보송출부(230)와,
특정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부터 송출된 무선이나 유선 정보를 수신받을 경우에 상기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를 정보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사고 거리를 계산하여 제어신호송출부로 전달하는 사고거리계산부(235)와,
상기 각각의 부와 연결되어 각 부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알림버튼부(205)는 운전자들이 쉽게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설치 구성되어 사고 발생시 누르게 된다.
이때, 조작패널(215)이 설치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사고 유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접촉사고, 도로파손, 차량전복, 차량사고 등 사고 유형 정보를 출력시켜 운전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으며, 알림버튼부가 눌리면 바로 차량사고로 출력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신호송출부(220)는 조작패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유형 정보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고, 센서모듈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스피커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게 된다.
즉,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사고 유형 정보를 획득하여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하여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며, 경광등 및 스피커의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동작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보추출부(225)는 상기 조작패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유형 정보 및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게 된다.
즉, #1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고, 접촉사고의 사고 유형을 추출하게 된다.
이때, #1의 구간에 해당하는 고유 아이디 번호들을 추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2, #3가 이에 해당한다면, 상기 #1으로부터 #2의 거리는 50미터, #1으로부터 #3의 거리는 100미터라는 정보를 정보저장부에 의해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정보송출부(230)는 정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사고 유형 정보를 포함한 제어 신호 및 고유 아이디 번호를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무선 혹은 유선으로 송출하게 된다. 또한 이에 의해 사고 발생구간과 가장 가까운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 들이 특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2와 #3는 접촉사고와, #1이라는 고유 아이디 번호를 획득하게 되어 #2의 안전운전표시기에는 전방 50미터 부근에 접촉사고 발생이라는 경고 안내메세지와 경광등이 작동하게 되며, #3의 안전운전표시기에는 전방 100미터 부근에 접속사고 발생이라는 경고 안내 메세지와 경광등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은 안전운전표시기가 설치 구성된 위치와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위성항법통신부(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고유 아이디 번호를 이용하여 거리를 판단할 수 있지만, 정확한 날짜 및 시간을 확인할 수가 없을 수 있으므로 상기 위성항법통신부(GPS)를 통해 정확한 날짜 및 시간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날짜에 의해 계절을 알 수 있게 되며, 부수적으로는 정확한 사고 날짜 및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더 나은 효과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계절별 조도를 미리 알 수 있게 되어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값과 정확하게 비교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능동적이면서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송출부는 조작패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유형 정보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기도 하지만, 위성항법통신부(GPS)로부터 수신된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안전운전표시기로 송출시키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위성항법통신부(GPS)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사고 유형 정보를 추출하여 관제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송출부(24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해당 사고 구간 전후로 사고 정보를 송출하여 모든 안전운전표시기에 출력시키고, 관제수단에서는 어느 구간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카메라를 통해 항시 확인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사고 유형 정보가 획득되면, 해당 위치 정보도 동시에 관제수단으로 송출하게 되면 관제수단에서도 현재 사고 현황을 즉각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고유 아이디 번호로도 확인이 가능하지만, 추가적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중복 확인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기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은 관제수단으로 사고 위치 정보 및 사고 유형 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관제수단에서도 송출할 수 있지만,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을 통해서도 사고 위치 및 사고 유형을 송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관제수단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제수단(300)은,
카메라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카메라정보디비(320)와,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와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330)와,
사고 발생을 촬영한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위치 정보를 카메라정보디비로부터 추출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시키는 사고발생신호생성부(340)와,
상기 사고발생신호생성부로부터 획득된 사고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로부터 매칭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350)와,
상기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고유 아이디 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이 설치 구성된 사고 발생구간의 전후에 위치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들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360)와,
상기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서 추출된 고유 아이디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정보송출부(370)와,
상기 각각의 부 및 디비가 연결되어 각 부 및 디비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관제수단중앙제어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고발생신호생성부(340)는 사고 발생을 촬영한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위치 정보를 카메라정보디비로부터 추출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350)는 사고발생신호생성부로부터 획득된 사고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로부터 매칭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게 된다.
즉, 사고위치의 전방 혹은 후방에 위치한 안전운전표시기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고위치가 북대전IC 나들목에서 50미터 전방이라면, 후방 50미터 이후에 존재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아이디 번호를 모두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360)는 상기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고유 아이디 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이 설치 구성된 사고 발생구간의 전후에 위치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들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33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상기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에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와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사고 인근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관제수단정보송출부(370)는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서 추출된 고유 아이디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사고 후방 혹은 전방에 위치한 모든 안전운전표시기의 디스플레이패널 및 경광등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동작 원리를 설명하자면,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350)에서 사고발생신호생성부로부터 획득된 사고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로부터 매칭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고,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360)에 의해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고유 아이디 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이 설치 구성된 사고 발생구간의 전후에 위치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들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게 되며, 관제수단정보송출부(370)에 의해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서 추출된 고유 아이디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신고된 휴대폰으로부터 해당 사고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고위치정보획득부(31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고발생신호생성부는 휴대폰으로부터 획득된 사고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시켜야 한다.
즉, 휴대폰으로 사고발생 신고를 수행하는 콜센터 혹은 서버에 전화하거나 접속하게 되면 해당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별도의 과정을 거친 후 해당 위치 정보를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휴대폰으로 신고시 해당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사고 발생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을 구성하여 사고 현장에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없거나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획득되지 않는 구간에서의 사고 발생시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 감시가 불가능한 사각 지대에서도 사고 발생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관제수단은 사고 위치 정보 및 사고 유형 정보를 유관기관서버로 송출하는 정보공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관제수단에서 사고 사실을 더 많은 운전자들에게 알릴 수 있고, 정보 공유(VMS, 인터넷, ARS, 방송사 등)를 하여 다양한 문자를 송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제수단은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정해진 시간마다 동작 확인신호를 보낸 후 응답신호가 획득되는지를 확인하는 원격고장진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현재 고장이 발생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을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주기적으로 고장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유지보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관제수단은 사고이력관리, 아이디 관리 등을 수행하게 되는데, 아이디별 지형정보, 카메라 번호, 안전운전표시기 번호 등을 필드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경찰이나 119 구조대 등의 교통사고 알림에 대한 권한이 있는 사람들이 현장의 안전운전표시기에 직접 휴대폰을 통해 암호화된 문자를 보내 동작시킬 수도 있으며, 돌발 상황이 정리된 후에는 관제수단에서 원래 상태로 복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로를 적용하고 있으나, 재난(화재, 조류, 방역, 산불 등), 원거리에 설치된 전광판에 대하여 원격문구관리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주차, 교통, 관공서, 시,군,구 홍보 알림, 경로당 등에도 적용하여 각종 홍보 및 안내 등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제수단은 확장된 개념으로 도로 이외에 재난(화재, 조류, 방역, 산불)을 알리기 위하여 운영되는 전광판, 공공기관(시,군, 구)에서 운영되는 전광판, 관 지원시설 중 노인정(경로당)에 설치 구성된 전광판에 재난 알림, 홍보 및 안내 문구를 전송하여 홍보 및 안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의 전화신고처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화신고처리수단(700)은,
인증 절차에 필요한 특수 번호와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증정보디비(710)와,
카메라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고유아이디번호정보디비(720)와,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번호, 비밀번호, 사고 유형을 획득하기 위하여 자동 안내메세지를 해당 도로 교통 전용전화로 전송하는 자동응답실행부(730)와,
상기 자동응답실행부에서 획득된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 번호, 비밀번호를 인증정보디비에서 추출된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 번호,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인증정보비교부(740)와,
상기 인증정보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사고 유형 정보를 추출하는 전화신고처리수단정보추출부(750)와,
상기 추출된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사고 유형 정보를 관제수단으로 송출하는 전화신고처리수단정보송출부(760)와,
상기 각각의 부 및 디비가 연결되어 각 부 및 디비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전화신고처리수단중앙제어부(7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전화신고처리수단을 구성하여 도로 교통 전용전화로 신고시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인증 완료시 사고 유형 정보 및 안전운전표시기 혹은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번호를 획득하여 관제수단으로 송출시키는 전화신고처리수단을 구성하여 경찰관, 도로 관리자, 소방관 등의 특수 직업군에 해당하는 인력에 의해 사고 발생시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하기에서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 간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인증정보디비(710)에는 인증 절차에 필요한 특수 번호와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게 되는데, 특수번호란 경찰관, 도로 관리자, 소방관 등의 특수 직업군에게 부여되는 고유번호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경찰관은 532-1234, 소방관은 533-2345 등과 같이 고유번호가 입력될 경우에 해당 직업군 혹은 관할구역이 어디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비밀번호는 해당자 이외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부여된 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자동응답실행부(730)는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번호, 비밀번호, 사고 유형을 획득하기 위하여 자동 안내메세지를 해당 도로 교통 전용전화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특수번호, 카메라 혹은 안전운전표시기의 고유 아이디번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안내 멘트를 송출하게 된다.
카메라 및 안전운전표시기에는 사용자가 고유 아이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되어 있다.
상기 자동응답실행부에서 획득된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 번호, 비밀번호를 정보비교부(740)에서 획득하여 인증정보디비에서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 번호, 비밀번호를 추출하여 서로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인증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전화신고처리수단정보추출부(750)는 상기 인증정보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사고 유형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동응답실행부에서는 사고 유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안내 멘트를 송출하게 된다.
즉, 사고 유형이 접촉사고이면 1번, 도로파손이면 2번, 화재사고이면 3번 등과 같이 사고 유형을 획득하기 위한 안내 멘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전화신고처리수단정보송출부(760)는 추출된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사고 유형 정보를 관제수단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후 관제수단의 처리 과정은 상기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의 주요 구성으로서, 센서모듈과 스피커모듈이 안전운전표시기에 구비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피커모듈을 구성하는 스피커들은 바람직하게는 지향성스피커를 사용한다.
상기 센서모듈과 스피커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안전운전표시기(100)를 지지하는 하나의 지지대(1000) 상에 함께 설치되는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서로 다른 지지대 상에 별도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은 차량인식센서(410), 정면레이저센서(420a, 420b, 420c), 속도감지센서(430)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센서모듈은 유형정보의 디스플레이 시점으로부터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인식센서(410), 지지대(1000)상에 정면으로 차량의 높이별 수직으로 순차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설치되어, 정면을 통과하는 시점 및 차량의 높이를 판별하기 위한 정면레이저센서(420a, 420b, 420c), 상기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43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인식센서(410)는 만일 사고가 발생하여 유형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시점 이후에 근접하는 차량이 없는 경우에는 별도로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모듈(500)의 동작을 개시할 필요가 적어지기 때문에 이 이후 진입한 차량이 있는 경우를 판단하기 위해 요구되어진다. 상기 차량인식센서(410)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지며, 차선마다 설치하여 해당 차량이 어느 차선으로 달리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면레이저센서는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된 제1레이저센서(버스, 트럭등 대형차량용)(420a), 중간 위치에 설치된 제2레이저센서(조그마한 화물트럭, 미니버스, 내지 RV차량용)(420b), 가장 하단에 설치된 제3레이저센서(일반 승용차용)(420c)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정면을 통과할 때 이들로부터 반사되어 얻어지는 신호를 통해 차량의 높이(혹은 종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면레이저센서는 1차선으로 진행하는 차량과 2차선으로 진행하는 차량을 구분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차선에 따라 반사되어 수신되는 신호에 차이가 있으므로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상기 속도감지센서(4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속도감지센서(레이저센서 등)가 이용될 수 있으며, 차량인식센서(410)로부터 차량진입이 확인되면, 후방으로부터 진입하는 차량을 향해 반사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모듈은 후방스피커(510), 정면스피커(520), 전방스피커(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방과 전방은 도로안전표시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도로안전표시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향해 출력하는 스피커는 후방스피커, 도로안전표시기를 지나간 차량을 향해 출력하는 스피커는 전방스피커로 명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모듈을 구성하는 스피커들은 지지대(1000)상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설치되되, 상기 진입하는 차량을 향해 소정 시간 간격으로 동일한 경고 안내 메시지를 지연출력하는 적어도 출력방향이 상이하도록 2개 이상의 음향채널을 갖는 후방스피커(510), 지지대상에 정면으로 수직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설치되어, 정면을 통과하는 차량을 향해 경고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정면스피커(520), 지지대상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설치되되, 정면을 통과한 차량의 상기 측정된 속도에 따라 경고메시지의 출력방향을 조정하도록 제어되는 전방스피커(5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스피커(530)는 차량인식센서(410)로부터 얻어지는 차선정보로부터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200)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미리 포지셔닝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선으로 진입한 차량의 경우 A 지점을 향하도록 포지셔닝되고, 이와는 달리 2차선으로 진입한 차량의 경우 B 지점을 향하도록 포지셔닝된다.
만일 차량인식센서(410)로부터 1차선으로 진입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중간에 차선을 2차선으로 변경하였다면 정면레이저센서(420)로부터 2차선으로 인식이 되며, 상기 전방스피커(530)는 A지점으로부터 B 지점으로 조정된다.
이후, 속도감지센서(430)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전방스피커(530)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며 상기 차량의 측정된 속도에 따라 경고 안내 메시지가 차량을 추종하여 출력되어 운전자에게 전달되어진다.
각 차선별 차량의 속도와 전방스피커(510)의 회전속도는 실험적으로 정해진 자료에 근거하여 미리 저장장치에 테이블로 정리하여, 속도감지센서(430)로부터 입력되는 속도값을 통해 이에 매핑된 회전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스피커(530)의 회전은 스피커 하부에 연결된 회전모터(534)에 의해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전방스피커(530)는 출력되는 경고 안내 메시지의 상하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강화하기 위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혼(horn) 내부의 상부 및 하부에 한쌍의 가이드플레이트(532)가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의 출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도로가 경사진 경우 예로, 오르막길일 경우에는 경고안내 메시지의 출력방향을 점차 미세하게 상방향으로 출력시킬 필요가 있고, 반대로 내리막길일 경우에는 경고 안내 메시지의 출력방향을 하방향으로 출력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32)의 동작은 힌지(533)에 연결된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스피커(5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의 혼(horn) 구조가 음파의 출력방향이 진행하는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상이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격실(511,512)로 이루어지고 각 격실의 끝에는 음파발생부(513,514)가 위치한다. 상기 음파발생부에서 출력되는 경고 안내 메시지는 각 구획된 혼의 출력이 시차를 두고 출력하는 것에 의해 각 혼에서 출력되는 음파가 보강간섭을 통해 증폭출력되어지도록 하여 진입하는 운전자에게 선명하게 들릴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d1거리만큼 떨어진 거리에서 제1혼이 "전방500m앞 사고서행"을 연속 출력하고, 시간 t만큼 이격된 시점에서 d2거리에 위치한 차량에 제2혼이 동일한 경고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시간 t와 거리 d1과 d2는 경고메시지의 음속과 차량의 속도 및 도플러효과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결정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스피커(510)는 진입하는 차량 모두에게 지속적으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 필요하고, 전방스피커(530)의 경우에는 유형정보의 디스플레이 시점 이후의 최초 진입 차량을 지속적으로 추종하여 경고 안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최초 차량의 2차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방스피커(510) 역시 전방스피커(530)에서와 유사하게 출력되는 경고메시지의 상하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강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혼(horn) 내부의 상부 및 하부에 한쌍의 가이드플레이트(515,516)가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의 출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경사길에서의 경고메시지의 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동작은 힌지(517)에 연결된 회전모터(미도시)에 의해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정면스피커(520)는 차량인식센서(410)에 의해 진입차량이 인식되면 지속적으로 정면을 향해 경고 안내 메시지, 바람직하게는 사이렌 경고음을 전송하여 최초 차량을 포함한 정면을 통과하는 모든 차량의 운전자에게 선명하게 경고를 한다.
이와 같이 유형정보의 디스플레이 시점 이후 진입하는 차량을 차량인식센서를 통해 차량의 진입여부 및 차선을 1차 인식하고, 후방스피커는 지연출력을 통해 진입하는 매 차량에 대하여 경고메시지를 출력한다.
필요할 경우 상기 1차 인식된 차선정보에 따라 모든 전방스피커(530)의 회전각도를 미리 제어하여 사전 포지셔닝을 수행한다. 전방스피커의 초기 위치는 미리 A 방향 혹은 B 방향 중 어느 하나에 포지셔닝해 놓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정면스피커(520)에 의해 정면을 통과하는 모든 차량에 사이렌을 통해 2차 경고를 수행하고, 이때 정면레이저센서(420)에 의해 정면을 통과하는 차량의 높이 및 차선변경여부를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전방스피커(530)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면스피커(520)의 혼 하부에 노면 유형정보표시부(5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형정보표시부는 유형정보를 특히 야간에 노면상(600)에 표시해 주기 위한 것으로 레이저 혹은 LED 등의 발광장치 및 이들을 구동하는 PCB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정보표시부는 유효정보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노면상에 전방에 사고가 있음을 알리는 소정의 표시(문자 혹은 바람직하게는 삼각대 형상의 입체모양)를 레이저 혹은 LED로써 표시해준다(도 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면 유형정보표시부는 3단으로 정면스피커와 함께 일체로 구현되므로,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표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단의 유형정보표시부는 각도를 달리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다양한 경고표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단은 경고문자(예로 전방사고조심)를 표시하고, 2단은 입체모양의 삼각대모양을 표시하며, 1단은 경광등 모양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운전자를 오히려 놀라게 할 수도 있으므로, 사고지점이 가까워서 긴급하게 사고상황을 안내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되는 내용은 상기 유형정보에 따라 이미 저장장치에 등록된 정보를 불러와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정된 전방스피커(530)가 적어도 최초 차량에게 3차 경고(경고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되, 전방스피커의 출력방향은 상기 속도감지센서(430)에 의해 측정된 속도에 따라 차량을 추종하는 방법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록 경고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한 운전자라도 불의의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사전경고가 가능하여 2차적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한 운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3차 경고는 차량간 간격이 일정한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최초 차량 이후의 차량에게도 동일한 방법으로 전달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을 통과하는 모든 차량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분리대의 내측부에 엘이디경고판(710)을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띠상으로 부착하고, 차량이 차량인식센서(410)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경고문자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엘이디경고판(710)은 특히 회전구간(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선구간에도 사용가능함)에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회전구간임을 표시하는 일상적인 용도로 사용하지만, 유형정보의 디스플레이 시점 이후 진입하는 차량이 차량인식센서(410)에 감지되면 경고문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노면 유형정보표시부 및 엘이디경고판의 동작은 센서모듈 혹은 스피커 모듈과 마찬가지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에 의해 제어신호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평상시에는 동작되지 않다가 도로상에서 사고나 차량 고장 등의 돌발 상황 발생시 해당 사고지점의 구간 전후에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사고 혹은 돌발 상황 사실을 무선 혹은 유선으로 송출하여 경고 메세지와 경광등을 통해 즉시 알려주어 뒤따르는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어 잇따른 교통 사고 및 교통 정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고 상황을 관제센터로 송출하여 현장 수습과 인명구조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안전운전표시기
200 :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
300 : 관제수단
400 : 휴대폰
700 : 전화신고처리수단

Claims (6)

  1.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모듈과 스피커모듈을 포함하고,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경고 안내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경광등을 점멸 작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패널과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운전표시기와;
    고유 아이디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알림버튼부가 설치 구성되어 있어 사고 발생시 알림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안전운전표시기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며, 사고 발생구간 전후로 설치 구성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고유 아이디번호 및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과;
    신고된 휴대폰으로부터 해당 사고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고위치정보획득부와,
    카메라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카메라정보디비와,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와 고유 아이디별 거리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와,
    사고 발생을 촬영한 카메라의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위치 정보를 카메라정보디비로부터 추출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시키거나, 휴대폰으로부터 획득된 사고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사고 발생신호를 생성시키는 사고발생신호생성부와,
    상기 사고위치정보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사고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정보디비로부터 매칭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상기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고유 아이디 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이 설치 구성된 사고 발생구간의 전후에 위치한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들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추출하는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상기 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와 사고인근고유아이디번호추출부에서 추출된 고유 아이디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무선이나 유선으로 송출하는 관제수단정보송출부와,
    상기 각각의 부 및 디비가 연결되어 각 부 및 디비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관제수단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제수단과;
    인증 절차에 필요한 특수 번호와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증정보디비와,
    카메라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안전운전표시제어수단의 고유 아이디 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고유아이디번호정보디비와,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번호, 비밀번호, 사고 유형을 획득하기 위하여 자동 안내메세지를 해당 도로 교통 전용전화로 전송하는 자동응답실행부와,
    상기 자동응답실행부에서 획득된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 번호, 비밀번호를 인증정보디비에서 추출된 특수번호, 고유 아이디 번호,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인증정보비교부와,
    상기 인증정보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사고 유형 정보를 추출하는 전화신고처리수단정보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고유 아이디 번호 및 사고 유형 정보를 관제수단으로 송출하는 전화신고처리수단정보송출부와,
    상기 각각의 부 및 디비가 연결되어 각 부 및 디비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전화신고처리수단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화신고처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모듈은,
    유형정보의 디스플레이 시점으로부터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인식센서; 지지대상에 정면으로 차량의 높이별 수직으로 순차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정면을 통과하는 시점 및 차량의 높이를 판별하기 위한 정면 레이저센서; 상기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모듈은,
    지지대상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되, 상기 진입하는 차량을 향해 소정 시간 간격으로 동일한 경고 안내 메시지를 지연출력하는 적어도 출력방향이 상이하도록 2개 이상의 음향채널을 갖는 후방스피커; 지지대상에 정면으로 수직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정면을 통과하는 차량을 향해 경고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정면스피커; 지지대상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되, 상기 정면을 통과한 차량의 상기 감지된 속도에 따라 경고 안내 메시지의 출력방향을 상기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속도에 따라 차량을 추종하도록 제어되는 전방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스피커 및 후방스피커는 경고 안내 메시지의 상하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강화하기 위해 혼 내부의 상부 및 하부에 한쌍의 가이드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의 출력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차량인식센서를 통해 차량의 진입여부 및 차선을 1차 인식하고, 후방스피커는 지연출력을 통해 진입하는 매 차량에 대하여 경고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며, 상기 1차 인식된 차선정보에 따라 모든 전방스피커의 회전각도를 미리 제어하여 사전 포지셔닝을 수행하고, 정면스피커에 의해 정면을 통과하는 모든 차량에 사이렌을 통해 2차 경고를 수행하되, 정면레이저센서에 의해 정면을 통과하는 차량의 높이 및 차선변경여부를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전방스피커가 결정되어,
    상기 전방스피커가 정면을 통과한 차량의 상기 측정된 속도에 따라 경고 안내 메시지를 상기 차량을 추종하도록 출력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스피커의 혼 하부에 노면 유형정보표시부가 더 장착되어 유효정보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노면상에 전방에 사고가 있음을 알리는 표시를 레이저 혹은 LED로써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 유형정보표시부는 3단으로 정면스피커와 함께 일체로 구현되어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중앙분리대의 내측부에 엘이디경고판을 길이방향으로 띠상으로 부착하고, 유형정보의 디스플레이 시점 이후 진입하는 차량이 차량인식센서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경고문자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KR1020200060026A 2020-05-19 2020-05-19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KR10213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026A KR102138493B1 (ko) 2020-05-19 2020-05-19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026A KR102138493B1 (ko) 2020-05-19 2020-05-19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493B1 true KR102138493B1 (ko) 2020-07-28

Family

ID=7183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026A KR102138493B1 (ko) 2020-05-19 2020-05-19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4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95B1 (ko) * 2021-07-29 2021-11-04 (주)파란아이티 도로상황 안내시스템
KR102328644B1 (ko) * 2021-07-01 2021-11-18 주식회사 네패스아크 안전운전 도우미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358773B1 (ko) * 2021-09-10 2022-02-08 주식회사 문창 객체 안내를 위한 스마트 안내판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6775A (ko) 2020-09-16 2022-03-23 이재진 도로관제 시스템
KR20220040283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도로교통 표시장치
KR102518530B1 (ko) 2022-08-29 2023-04-05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도로 상황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50A (ja) * 1997-07-01 1999-01-29 Omron Corp 物体長さ計測装置、物体監視装置、車長計測装置ならびに車両監視装置
KR20120108332A (ko) * 2011-03-23 2012-10-05 (주)주영통신기술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
KR20120108836A (ko) * 2011-03-25 2012-10-05 (주)주영통신기술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KR101256041B1 (ko) * 2011-03-22 2013-04-19 양창열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101348398B1 (ko) * 2013-05-03 2014-02-13 유상근 차량용 안전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64547A (ko) * 2013-12-03 2015-06-11 (주)피앤씨네트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 유도장치
KR20180048289A (ko) * 2017-08-28 2018-05-10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차량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50A (ja) * 1997-07-01 1999-01-29 Omron Corp 物体長さ計測装置、物体監視装置、車長計測装置ならびに車両監視装置
KR101256041B1 (ko) * 2011-03-22 2013-04-19 양창열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20120108332A (ko) * 2011-03-23 2012-10-05 (주)주영통신기술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
KR20120108836A (ko) * 2011-03-25 2012-10-05 (주)주영통신기술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KR101348398B1 (ko) * 2013-05-03 2014-02-13 유상근 차량용 안전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64547A (ko) * 2013-12-03 2015-06-11 (주)피앤씨네트워크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 유도장치
KR20180048289A (ko) * 2017-08-28 2018-05-10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차량 감지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775A (ko) 2020-09-16 2022-03-23 이재진 도로관제 시스템
KR20220040283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도로교통 표시장치
KR102381321B1 (ko) * 2020-09-23 2022-04-01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도로교통 표시장치
KR102328644B1 (ko) * 2021-07-01 2021-11-18 주식회사 네패스아크 안전운전 도우미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322095B1 (ko) * 2021-07-29 2021-11-04 (주)파란아이티 도로상황 안내시스템
KR102358773B1 (ko) * 2021-09-10 2022-02-08 주식회사 문창 객체 안내를 위한 스마트 안내판 장치, 그 장치를 포함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18530B1 (ko) 2022-08-29 2023-04-05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도로 상황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493B1 (ko)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US10351131B2 (en) Wrong way vehicle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CN107953830B (zh) 一种大型客车盲区检测警报系统及其检测警报方法
EP2002415B1 (en)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075832B1 (ko) 고속도로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전방 차량사고 네비게이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3094B1 (ko)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KR101241623B1 (ko) 방범기능 삽입형 횡단보도 교통안전지도시스템
KR101889957B1 (ko) 비상 상황 알림 및 경고장치
KR101682061B1 (ko) 도로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A3071498A1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KR101223093B1 (ko)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
US200401557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tor vehicle-based emergency/hazard detection
KR102138492B1 (ko)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
KR20160085148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로의 사고발생 경고 시스템
KR20160092965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39541B1 (ko) 시야확보가 어려운 도로구간의 실시간 전방 지체 및 정체 알림장치
KR20090040636A (ko) 역주행방지시스템
KR101819420B1 (ko) 졸음쉼터 진출입 알림 시스템
KR20160112667A (ko)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KR101770986B1 (ko) 사고 발생 경고용 무선 전광시스템
JP2002329291A (ja) 交差点情報装置および交差点情報システム
KR20190057870A (ko) Vms를 이용한 도로 사고 예방 시스템
CN116363903A (zh) 一种地下通道或隧道结构的防车撞预警系统
KR20190082465A (ko) 터널 및 교량의 교통안전시스템
KR101927031B1 (ko) 음주 운전 단속 및 교통 사고 처리시 관계자들의 2차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