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574B1 -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574B1
KR102545574B1 KR1020210086255A KR20210086255A KR102545574B1 KR 102545574 B1 KR102545574 B1 KR 102545574B1 KR 1020210086255 A KR1020210086255 A KR 1020210086255A KR 20210086255 A KR20210086255 A KR 20210086255A KR 102545574 B1 KR102545574 B1 KR 10254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eavy equipment
button
module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5489A (ko
Inventor
박정호
배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프넷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프넷티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프넷티앤씨
Priority to KR102021008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5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4Alarm propagated along alternative communication path or using alternative communication medium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ways to communicate, e.g. if Wi-Fi not available use G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신호봉(10)을 휴대한 신호수(S)가 중장비(20)의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경고하는데 이용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봉(10)에 장착되거나 신호봉(10)의 일부로 구성되고 본체(190)에 구비된 신호버튼(110)이 조작되면 알림신호를 무선전송하는 신호수모듈(100); 및 상기 중장비(20) 내부의 운전공간(21)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수모듈(100)과 무선통신망으로 신호연결되어 상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본체(290)에 구비된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경고음향, 점등, 이미지 또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시방식으로 상기 중장비(20)의 주변이 위험한 상황임을 경고하는 중장비모듈(200);을 포함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DANGER WARNING SYSTEM FOR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신호봉을 휴대한 신호수가 중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경고하는데 이용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공장 및 물류센터와 같이 중장비가 운용되는 산업현장에서는 중장비의 운전자가 주변상황을 전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중장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운전자들에게 현재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신호수가 배치된다. 통상 신호수는 발광하는 신호봉을 휴대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이나 안전상황을 안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산업현장의 소음이나 중장비 내부의 소음으로 인해 신호수의 육성을 운전자가 듣기가 어렵고 중장비의 운전석은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시야사각이 크기 때문에 신호수의 수신호를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운전자와 신호수가 각각 휴대한 무전기를 이용하여 신호수가 육성으로 위험상황을 경고하는 위험경고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으나, 고가의 무전기를 신호수와 각 운전자들이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비용이 과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전기로는 육성전달만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 소음이나 중장비 소음으로 인해 운전자가 무전음성을 듣지 못하는 경우 위험한 상황을 적시에 경고하지 못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1449호(2019.06.24), 야간수신호용 신호봉.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신호수의 육성을 듣지 못하거나 수신호를 보지 못하더라도 중장비의 운전공간에 배치된 중장비모듈로 주변의 위험한 상황을 경고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경고음향 이외에 위험상황을 경고램프의 점등으로 표시할 수 있어 산업현장의 소음이나 중장비 내부의 소음으로 인해 경고음향을 듣지 못하더라도 위험상황을 육안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신호봉(10)을 휴대한 신호수(S)가 중장비(20)의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경고하는데 이용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봉(10)에 장착되거나 신호봉(10)의 일부로 구성되고 본체(190)에 구비된 신호버튼(110)이 조작되면 알림신호를 무선전송하는 신호수모듈(100); 및 상기 중장비(20) 내부의 운전공간(21)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수모듈(100)과 무선통신망으로 신호연결되어 상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본체(290)에 구비된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경고음향, 점등, 이미지 또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시방식으로 상기 중장비(20)의 주변이 위험한 상황임을 경고하는 중장비모듈(200);을 포함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호버튼(110)은 위험신호버튼(111) 및 안전신호버튼(112)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위험신호버튼(111)이 조작되면 위험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안전신호버튼(112)이 조작되면 안전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위험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중장비(20)의 주변이 위험한 상황임을 경고하며 상기 안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중장비(20) 주변이 안전한 상황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호버튼(110)은 대기신호버튼(1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대기신호버튼(113)이 조작되면 대기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대기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중장비(20)의 현재 동작을 정지해야 하는 대기상황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복수의 중장비모듈(200)과 서로 다른 통신채널로 신호연결되되, 본체(190)에 구비된 채널전환버튼(160)이 조작되면 현재 신호연결된 중장비모듈(200)과의 신호연결을 끊고 다른 중장비모듈(200)과 신호연결되도록 현재의 통신채널을 다른 통신채널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상기 중장비(20)의 외부에 장착되는 외부램프(270)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전환버튼(160)의 조작에 따라 통신채널이 전환되면서 상기 신호수모듈(100)과 신호연결되면 신호수(S)가 신호연결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램프(270)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중장비(20)의 외부에 장착되는 외부램프(270)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수(S)가 알림신호의 정상전송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램프(270)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중장비(20)의 외부에 장착되는 외부램프(270)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알림신호 수신에 따른 경고표시부(220)의 정상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정상동작 상태이면 신호수(S)가 경고표시부(220)의 정상동작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램프(270)를 점등하는 것을 측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수모듈(100)로 정상수신 확인신호를 무선전송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중장비모듈(200)로부터 상기 정상수신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수(S)가 알림신호의 정상전송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본체(190)에 구비된 확인램프(151)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의 정상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정상동작 상태이면 상기 신호수모듈(100)로 정상동작 확인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중장비모듈(200)로부터 정상동작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수(S)가 경고표시부(220)의 정상동작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본체(190)에 구비된 확인램프(151)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본체(290)에 운전자의 의식적인 손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80)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감지센서(280)에서 운전자의 손동작을 감지하면 신호수모듈(100)로 운전자 확인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중장비모듈(200)로부터 운전자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운전자가 경고표시부(220)의 알림내용을 확인한 것을 신호수(S)가 식별할 수 있도록 본체(190)에 구비된 확인램프(151)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신호봉(10)의 외경과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링형상의 장착부(191)가 본체(190)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191)가 신호봉(10)의 둘레에 삽입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호버튼(110)은 제1버튼(114), 제2버튼(115) 및 제3버튼(116)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상기 제1버튼(114)이 조작되면 위험알림신호를 무선전송하고 상기 제2버튼(115)이 조작되면 대기알림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제3버튼(116)이 조작되면 안전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작업모드와, 상기 제1버튼(114)이 조작되면 전진신호를 무선전송하고 상기 제2버튼(115)이 조작되면 정지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제3버튼(116)이 조작되면 후진신호를 출력하는 운행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되, 본체(190)에 구비된 모드전환버튼(170)의 조작에 따라 작업모드와 운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본체(190) 상에서 상기 신호버튼(110)과 근접된 위치에는 디스플레이(180)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모드로 동작시 디스플레이(180) 상에서 상기 제1버튼(11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위험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제2버튼(11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기 문구가 표시되며 제3버튼(116)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안전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운행모드로 동작시 디스플레이(180) 상에서 상기 제1버튼(11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전진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제2버튼(11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정지 문구가 표시되며 상기 제3버튼(116)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후진 문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신호수모듈(100)은 신호봉(10)에 장착되거나 신호봉(10)의 일부로 구성되고 본체(190)에 구비된 신호버튼(110)이 조작되면 알림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중장비모듈(200)은 중장비(20) 내부의 운전공간(21)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수모듈(100)과 무선통신망으로 신호연결되어 상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본체(290)에 구비된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경고음향, 점등, 이미지 또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시방식으로 상기 중장비(20)의 주변이 위험한 상황임을 경고함으로써, 중장비(20)의 운전자가 신호수(S)의 육성을 듣지 못하거나 수신호를 보지 못하더라도 상기 중장비모듈(200)로 주변의 위험한 상황을 경고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경고음향 이외에 위험상황을 경고램프(222)고램프의 점등으로 표시할 수 있어 산업현장의 소음이나 중장비 내부의 소음으로 인해 경고음향을 듣지 못하더라도 위험상황을 육안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신호버튼(110)은 위험신호버튼(111) 및 안전신호버튼(112)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위험신호버튼(111)이 조작되면 위험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안전신호버튼(112)이 조작되면 안전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위험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중장비(20)의 주변이 위험한 상황임을 경고하며 상기 안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중장비(20) 주변이 안전한 상황임을 안내함으로써, 한 번의 버튼조작으로 위험상황과 안전상황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모듈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신호버튼(110)은 대기신호버튼(1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대기신호버튼(113)이 조작되면 대기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대기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중장비(20)의 현재 동작을 정지해야 하는 대기상황을 안내함으로써, 신호수(S)가 위험상황인지 안전상황인지 파악하는 중에 중장비(20)의 현재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어 산업현장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중장비(20)의 운행을 가이드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복수의 중장비모듈(200)과 서로 다른 통신채널로 신호연결되되, 본체(190)에 구비된 채널전환버튼(160)이 조작되면 현재 신호연결된 중장비모듈(200)과의 신호연결을 끊고 다른 중장비모듈(200)과 신호연결되도록 현재의 통신채널을 다른 통신채널로 전환함으로써, 신호수모듈(100)의 통신영역 내에 복수의 중장비가 위치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원하는 중장비(20)의 중장비모듈(200)과의 선택적인 신호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섯째,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중장비(20)의 외부에 장착되는 외부램프(270)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전환버튼(160)의 조작에 따라 통신채널이 전환되면서 신호수모듈(100)과 신호연결되면 신호수(S)가 신호연결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램프(270)를 점등함으로써, 신호수(S)가 현재 신호연결된 중장비(20)를 다른 중장비(20)들과 구분하여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수(S)가 알림신호의 정상전송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램프(270)를 점등함으로써, 중장비모듈(200)에 알림신호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신호수(S)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신호장애시 적시에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에 대한 경고가 누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본체(290)에 운전자의 의식적인 손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80)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감지센서(280)에서 운전자의 손동작을 감지하면 신호수모듈(100)로 운전자 확인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중장비모듈(200)로부터 운전자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운전자가 경고표시부(220)의 알림내용을 확인한 것을 신호수(S)가 식별할 수 있도록 본체(190)에 구비된 확인램프(151)를 점등함으로써, 운전자가 경고 및 안내 내용을 인지하였음을 신호수(S)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수모듈이 신호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수모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수모듈이 신호봉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모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변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램프의 구성 및 손동작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드전환버튼 및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봉(10)을 휴대한 신호수(S)가 중장비(20)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경고하는데 이용되는 시스템으로서, 신호수모듈(100) 및 중장비모듈(2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운전자에게 위험 경고가 필요한 타이밍에 중장비모듈(200)에 의한 경고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호수(S)가 운용하는 모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봉(10)에 장착되거나 신호봉(10)의 일부로 구성되고 본체(190)에 구비된 신호버튼(110)이 신호수(S)에 의해 조작되면 중장비모듈(200)로 알림신호를 무전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도 3에서와 같이 신호수(S)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버튼(110)과, 중장비모듈(200)과 무선통신망으로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신호수측 통신모듈(120)과, 상기 신호버튼(110)으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가 발생하면 중장비모듈(200)의 경고표시부(2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알림신호가 신호수측 통신모듈(120)으로부터 무선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신호수측 제어부(130) 및, 상기 신호수모듈(1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망으로는 RF통신, 블루투스, 지그비, Wi-Fi 등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가시거리에 대응되는 통신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140)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신호봉(10)과 별개로 이루어져 신호봉(10)에 장착되거나 신호봉(10)의 일부분으로 구성되어 일체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상기 신호봉(10)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원부(140)는 신호봉(10)의 배터리 자체일 수 있으며, 신호봉(10)과 별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전원부(140)는 신호봉(10)의 배터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구동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신호봉(10)의 외경과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링형상의 장착부(191)가 본체(190)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191)가 신호봉(10)의 둘레에 삽입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수모듈(100)의 정비시에도 신호봉(10)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고, 기생산된 일반 신호봉(10)에도 선택적인 장착이 가능하며 신호수(S)가 신호봉(10)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신호수모듈(100)을 신체에 휴대하거나 착용한 상태로 시스템을 이용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91)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신호봉(10)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에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신호봉(10) 상에서 발광부(11)의 둘레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의 둘레에 장착되어 신호수(S)가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신호수모듈(100)의 신호버튼(110)를 조작하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중장비(20)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위험 경고하는 모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장비(20) 내부의 운전공간(21)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수모듈(100)과 무선통신망으로 신호연결되어 상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본체(290)에 구비된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경고음향, 점등, 이미지 또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시방식으로 상기 중장비(20)의 주변이 위험한 상황임을 경고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도 6에서와 같이 신호수모듈(100)의 신호수측 통신모듈(120)과 신호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장비측 통신모듈(210)과, 위험상황이 경고되도록 표시동작하는 경고표시부(220)와, 상기 중장비측 통신모듈(210)을 통해 신호수모듈(100)의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경고표시부(220)가 표시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중장비측 제어부(230)와, 중장비모듈(200)의 동작상태 및 설정상태를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버튼(240) 및, 중장비모듈(2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250)는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장비(20)의 배터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구동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고표시부(220)는 중장비측 제어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경고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21),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하거나 점멸동작하는 경고램프(222) 또는 경고내용을 나타내는 이미지나 문자를 화면표시하는 디스플레이(22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버저음이나 '위험', '위험상황 발생'. '조심하세요'와 같은 경고음성 등의 음향이 스피커(221)로부터 출력되도록 하거나, 경고램프(222)에 적색등이 점등되거나 램프가 점멸동작하거나 디스플레이(180)에 '위험', '위험상황 발생'. '조심하세요'와 같은 경고문구가 출력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중장비(20)의 주변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신호수모듈(100) 및 중장비모듈(20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중장비(20)의 운전자가 신호수(S)의 육성을 듣지 못하거나 수신호를 보지 못하더라도 상기 중장비모듈(200)로 주변의 위험한 상황을 경고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경고음향 이외에 위험상황을 경고램프(222)고램프의 점등으로 표시할 수 있어 산업현장의 소음이나 중장비 내부의 소음으로 인해 경고음향을 듣지 못하더라도 위험상황을 육안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수모듈(100)의 신호버튼(110)을 누르면 중장비모듈(200)에 위험상황이 표시되도록 경고할 수 있으며, 위험한 상황이 해제되어 안전한 상황임을 직관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버튼(110)은 위험신호버튼(111) 및 안전신호버튼(112)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위험신호버튼(111)이 조작되면 위험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안전신호버튼(112)이 조작되면 안전알림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위험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중장비(20)의 주변이 위험한 상황임을 경고하며 상기 안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중장비(20) 주변이 안전한 상황임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번의 버튼조작으로 위험상황과 안전상황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모듈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불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신호버튼(110)은 대기신호버튼(1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대기신호버튼(113)이 조작되면 대기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대기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중장비(20)의 현재 동작을 정지해야 하는 대기상황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수(S)가 위험상황인지 안전상황인지 파악하는 중에 중장비(20)의 현재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어 산업현장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중장비(20)의 운행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수(S)가 여러 대의 중장비(20)를 연속적으로 가이드해야 하는 경우, 각 중장비(20)에 구비된 중장비모듈(200)과 신호수모듈(100)을 각각 신호연결하기 위해서는 가이드하는 중장비(20)가 변경될 때마다 중장비모듈(200)과 신호수모듈(100)의 통신채널을 일치시켜야 하는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수모듈(100)은 채널전환버튼(160)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각 중장비모듈(200)별로 신호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복수의 중장비모듈(200)과 서로 다른 통신채널로 신호연결되되, 본체(190)에 구비된 채널전환버튼(160)이 조작되면 현재 신호연결된 중장비모듈(200)과의 신호연결을 끊고 다른 중장비모듈(200)과 신호연결되도록 현재의 통신채널을 다른 통신채널로 전환한다.
도 7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첫번째 중장비(20a)의 중장비모듈(200)과 신호수모듈(100)이 제1통신채널(CH1)으로 신호연결된 상태에서 첫번째 중장비(20a)에 대한 가이드가 완료되어 신호수(S)가 채널전환버튼(160)을 제2통신채널(CH2)로 조작하면 두번째 중장비(20b)의 중장비모듈(200)과 신호수모듈(100)이 신호연결되어 위험 경고나 안전 및 대기 상태를 안내할 수 있다. 이후 두번째 중장비(20b)에 대한 가이드가 완료되어 신호수(S)가 채널전환버튼(160)을 제3통신채널(CH3)로 조작하면 세번째 중장비(20c)의 중장비모듈(200)과 신호연결됨으로써, 각 중장비(20)별로 순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신호수모듈(100)의 통신영역 내에 복수의 중장비가 위치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원하는 중장비(20)의 중장비모듈(200)과의 선택적인 신호연결이 가능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중장비(20)의 외부에는 해당 중장비모듈(200)에게 부여된 통신채널이 기재된 채널 표시판이 부착되어 신호수(S)가 해당 채널표시판을 보고 조작할 통신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중장비(20)의 외부에 장착되는 외부램프(270)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전환버튼(160)의 조작에 따라 통신채널이 전환되면서 신호수모듈(100)과 신호연결되면 신호수(S)가 신호연결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램프(270)를 점등함으로써, 신호수(S)가 현재 신호연결된 중장비(20)를 다른 중장비(20)들과 구분하여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중장비(20a)의 중장비모듈(200)과 신호수모듈(100)이 제1통신채널(CH1)으로 신호연결된 상태에서 신호수(S)가 채널전환버튼(160)을 제2통신채널(CH2)로 조작하여 두번째 중장비(20b)의 중장비모듈(200)과 신호수모듈(100)이 신호연결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중장비(20b)에 장착된 외부램프(270)가 점등되므로 신호수(S)는 통신채널이 정상적으로 전환되었음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수(S)가 알림신호의 정상전송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램프(270)를 점등함으로써, 중장비모듈(200)에 알림신호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신호수(S)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신호장애시 적시에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에 대한 경고가 누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알림신호 수신에 따른 경고표시부(220)의 정상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정상동작 상태이면 신호수(S)가 경고표시부(220)의 정상동작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램프(270)를 점등함으로써, 중장비모듈(200)에 알림신호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는 물론 전송된 알림신호에 따라 경고표시부(220)가 제대로 동작되는지 여부를 신호수(S)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신호수모듈(100)의 알림신호가 정상적으로 중장비모듈(200)에 수신되었더라도 경고표시부(220)의 기능 고장으로 인해 경고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을 적시에 인지하여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도 6에서와 같이 신호수신 확인부(261)가 구비되어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수모듈(100)로 정상수신 확인신호를 무선전송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중장비모듈(200)로부터 상기 정상수신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수(S)가 알림신호의 정상전송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본체(190)에 구비된 확인램프(151)를 점등함으로써, 상기 중장비(20)에 장착된 외부램프(270)의 점등상태를 신호수(S)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상기 확인램프(151)의 점등을 통해 알림신호의 정상수신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도 6에서와 같이 정상동작 확인부(262)가 구비되어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의 정상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정상동작 상태이면 상기 신호수모듈(100)로 정상동작 확인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중장비모듈(200)로부터 정상동작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수(S)가 경고표시부(220)의 정상동작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본체(190)에 구비된 확인램프(151)를 점등함으로써, 상기 중장비(20)에 장착된 외부램프(270)의 점등상태를 신호수(S)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상기 확인램프(151)의 점등을 통해 경고표시부(220)의 정상동작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정상동작 확인부(262)는 경고표시부(220)에 인가되는 구동전원 감지회로, 스피커(221)의 경고음향을 감지하는 마이크회로, 경고램프(222)의 점등상태를 감지하는 광센서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본체(290)에 운전자의 의식적인 손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80)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감지센서(280)에서 운전자의 손동작을 감지하면 신호수모듈(100)로 운전자 확인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중장비모듈(200)로부터 운전자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운전자가 경고표시부(220)의 알림내용을 확인한 것을 신호수(S)가 식별할 수 있도록 본체(190)에 구비된 확인램프(151)를 점등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경고 및 안내 내용을 인지하였음을 신호수(S)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280)로는 초음파 근접센서, 자기근접센서, 열감지센서 등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가능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수모듈(100)에는 신호수측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52)가 구비되어 상기 확인램프(151)가 점등되는 타이밍에 스피커(152)가 알림음을 출력하여 알림신호의 정상수신 여부, 경고표시부(220)의 정상동작 여부, 운전자의 경고 및 안내 내용 인지여부 등을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은 중장비(20)의 작업시 중장비(20) 주변의 위험상황을 안내할 수 있으며, 이 밖에 중장비(20)의 운행시 신호수(S)에 의한 운행지시를 안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버튼(110)은 제1버튼(114), 제2버튼(115) 및 제3버튼(1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상기 제1버튼(114)이 조작되면 위험알림신호를 무선전송하고 상기 제2버튼(115)이 조작되면 대기알림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제3버튼(116)이 조작되면 안전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작업모드와, 상기 제1버튼(114)이 조작되면 전진신호를 무선전송하고 상기 제2버튼(115)이 조작되면 정지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제3버튼(116)이 조작되면 후진신호를 출력하는 운행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한다.
더불어,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본체(190)에 구비된 모드전환버튼(170)의 조작에 따라 작업모드와 운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본체(190) 상에서 상기 신호버튼(110)과 근접된 위치에는 디스플레이(180)가 구비되고, 도 9의 (a)와 같이 상기 작업모드로 동작시 디스플레이(180) 상에서 상기 제1버튼(11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위험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제2버튼(11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기 문구가 표시되며 제3버튼(116)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안전 문구가 표시되고, 도 9의 (b)와 같이 상기 운행모드로 동작시 디스플레이(180) 상에서 상기 제1버튼(11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전진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제2버튼(11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정지 문구가 표시되며 상기 제3버튼(116)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후진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모드별로 전용의 신호버튼(110)을 각각 구비할 필요없이 각 모드에서 각 버튼(114,115,116)을 공용으로 이용가능함으로써 신호수모듈(100)의 크기를 소형화한 상태에서도 복수의 모드로 운용이 가능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신호봉 20...중장비
100...신호수모듈 110...신호버튼
151...확인램프 160...채널전환버튼
170...모드전환버튼 180...디스플레이
200...중장비모듈 220...경고표시부
270...외부램프 280...감지센서

Claims (8)

  1. 신호봉(10)을 휴대한 신호수(S)가 중장비(20)의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경고하는데 이용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봉(10)에 장착되고 본체(190)에 구비된 신호버튼(110)이 조작되면 알림신호를 무선전송하는 신호수모듈(100); 및 상기 중장비(20) 내부의 운전공간(21)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수모듈(100)과 무선통신망으로 신호연결되어 상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본체(290)에 구비된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경고음향, 점등, 이미지 또는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시방식으로 상기 중장비(20)의 주변이 위험한 상황임을 경고하는 중장비모듈(200);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버튼(110)은 제1버튼(114), 제2버튼(115) 및 제3버튼(116)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상기 제1버튼(114)이 조작되면 위험알림신호를 무선전송하고 상기 제2버튼(115)이 조작되면 대기알림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제3버튼(116)이 조작되면 안전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작업모드와, 상기 제1버튼(114)이 조작되면 전진신호를 무선전송하고 상기 제2버튼(115)이 조작되면 정지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제3버튼(116)이 조작되면 후진신호를 출력하는 운행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하되, 본체(190)에 구비된 모드전환버튼(170)의 조작에 따라 작업모드와 운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본체(190) 상에서 상기 신호버튼(110)과 근접된 위치에는 디스플레이(180)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모드로 동작시 디스플레이(180) 상에서 상기 제1버튼(11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위험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제2버튼(11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기 문구가 표시되며 제3버튼(116)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안전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운행모드로 동작시 디스플레이(180) 상에서 상기 제1버튼(11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전진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제2버튼(11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정지 문구가 표시되며 상기 제3버튼(116)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후진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신호봉(10)의 외경과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링형상의 장착부(191)가 본체(190)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191)가 신호봉(10)의 둘레에 삽입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191)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신호봉(10)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에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버튼(110)은 위험신호버튼(111) 및 안전신호버튼(112)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위험신호버튼(111)이 조작되면 위험알림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안전신호버튼(112)이 조작되면 안전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위험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중장비(20)의 주변이 위험한 상황임을 경고하며 상기 안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경고표시부(220)를 통해 중장비(20) 주변이 안전한 상황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복수의 중장비모듈(200)과 서로 다른 통신채널로 신호연결되되, 본체(190)에 구비된 채널전환버튼(160)이 조작되면 현재 신호연결된 중장비모듈(200)과의 신호연결을 끊고 다른 중장비모듈(200)과 신호연결되도록 현재의 통신채널을 다른 통신채널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상기 중장비(20)의 외부에 장착되는 외부램프(270)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전환버튼(160)의 조작에 따라 통신채널이 전환되면서 상기 신호수모듈(100)과 신호연결되면 신호수(S)가 신호연결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램프(270)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중장비(20)의 외부에 장착되는 외부램프(270)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수(S)가 알림신호의 정상전송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램프(270)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수모듈(100)로 정상수신 확인신호를 무선전송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중장비모듈(200)로부터 상기 정상수신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수(S)가 알림신호의 정상전송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본체(190)에 구비된 확인램프(151)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모듈(200)은, 본체(290)에 운전자의 의식적인 손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80)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수모듈(100)로부터 알림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감지센서(280)에서 운전자의 손동작을 감지하면 신호수모듈(100)로 운전자 확인신호를 무선전송하며,
    상기 신호수모듈(100)은 중장비모듈(200)로부터 운전자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운전자가 경고표시부(220)의 알림내용을 확인한 것을 신호수(S)가 식별할 수 있도록 본체(190)에 구비된 확인램프(151)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8. 삭제
KR1020210086255A 2021-07-01 2021-07-01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KR102545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55A KR102545574B1 (ko) 2021-07-01 2021-07-01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55A KR102545574B1 (ko) 2021-07-01 2021-07-01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489A KR20230005489A (ko) 2023-01-10
KR102545574B1 true KR102545574B1 (ko) 2023-06-21

Family

ID=8489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255A KR102545574B1 (ko) 2021-07-01 2021-07-01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5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824B1 (ko) * 2014-12-30 2015-08-19 김주성 중장비 안전 신호발생장치 및 시스템
JP2017076408A (ja) * 2009-08-28 2017-04-20 ロベルト ボッシュ 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用のジェスチャーに基づいた情報およびコマンドの入力
KR101943040B1 (ko) * 2017-08-30 2019-01-28 씨앤디아이(주) 타워 크레인 현장 안전관리용 다자간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976954B1 (ko) * 2017-11-08 2019-05-09 이태훈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449A (ko) 2017-12-14 2019-06-24 (주)예인 야간수신호용 신호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6408A (ja) * 2009-08-28 2017-04-20 ロベルト ボッシュ 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用のジェスチャーに基づいた情報およびコマンドの入力
KR101545824B1 (ko) * 2014-12-30 2015-08-19 김주성 중장비 안전 신호발생장치 및 시스템
KR101943040B1 (ko) * 2017-08-30 2019-01-28 씨앤디아이(주) 타워 크레인 현장 안전관리용 다자간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976954B1 (ko) * 2017-11-08 2019-05-09 이태훈 공사중 교통처리 및 안전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489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5558B2 (en) Robot system
US8660690B2 (en) Robot control system
US9334143B2 (en) Manipulation apparatus, and movement apparatus equipped with this manipulation apparatus
US20170120816A1 (en) Context-Aware Collision Avoidance Devices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WO2006103838A1 (ja) 自動機械システムおよびその無線通信方法
US7567167B2 (en) Wireless signal apparatus for assisting drivers to back large vehicles
USRE48257E1 (en) Safety system for operations having a working field on an opposite side of a barrier from a device
KR20180059663A (ko) 긴급차량 접근 알림 신호 시스템
KR102545574B1 (ko) 중장비용 위험경고 시스템
CN109791720B (zh) 可穿戴设备及包括其的监控系统
KR102027121B1 (ko) 차량의 자율 주행 제어 방법
KR20210075237A (ko) 스마트 안전조끼
JP2008537201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を基盤とする携帯型無線警光灯システム及び携帯型無線警光灯
KR20180068036A (ko) 중장비 또는 대형차량의 충돌방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43733B1 (ko) 경광등 시스템
KR20190121451A (ko) 경호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792596B1 (ko) 다용도 차량 안내장치
KR20190121458A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경호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2543620B1 (ko) 외장형 속도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45824B1 (ko) 중장비 안전 신호발생장치 및 시스템
KR102584992B1 (ko)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KR102202137B1 (ko) 개인형 이동체의 후방 차량 접근 경보 장치
JP2008276632A (ja) ヘルメット警報設備
KR101273388B1 (ko) 휴대용 led 비상등 및 그 제어방법
JP2020167676A (ja) 操作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