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992B1 -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992B1
KR102584992B1 KR1020210123377A KR20210123377A KR102584992B1 KR 102584992 B1 KR102584992 B1 KR 102584992B1 KR 1020210123377 A KR1020210123377 A KR 1020210123377A KR 20210123377 A KR20210123377 A KR 20210123377A KR 102584992 B1 KR102584992 B1 KR 102584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lamp
kickboard
helme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427A (ko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최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호 filed Critical 최재호
Priority to KR102021012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9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2Collapsib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20Cycle computers as cycle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헬멧은,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외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 킥보드 운행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Safety helemt and safety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시 사용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사고 가능성을 줄여주는 것이 가능한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동 킥보드는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는 킥보드로서, 작동이 쉽고 이용을 위해 별도의 자격증이 필요하지 않아 최근 근거리 이동 수단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용 전동 킥보드 판매와 대여 서비스가 최근 급성장하였다.
그런데 전동 킥보드는 보행자에 비해 빠른 속도로 인해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으며, 오토바이나 자동차에 비해서는 가볍고 운행시 헬멧 외에 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비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자동차 등과 충돌했을 때에는 전동 킥보드 운행자가 크게 다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전동 킥보드 사용시 최소한의 보호 장비인 헬멧조차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전동 킥보드를 인도에서 운행하지 못하도록 하고 전동 킥보드 운행시 헬멧 착용을 의무화 하였지만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했던 바와 같이 헬멧은 전동 킥보드 운행자를 위한 보호 장비이기는 하지만, 헬멧을 착용했다고 하더라도 사고 발생시 머리 외의 부분을 보호해주기는 어렵기 때문에 전동 킥보드의 사고 발생 가능성 자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KR 20-0320556 Y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 킥보드 운행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여주는 것이 가능한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외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안전 헬멧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어부의 좌회전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좌회전 램프, 상기 제어부의 우회전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우회전 램프, 및 상기 제어부의 정지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정지 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램프부는, 상기 헬멧 본체의 외면 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전방 밝힘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전방 밝힘 램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헬멧 본체는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은, 상기 헬멧 본체의 이동 방향을 측정하는 이동 방향 센서, 및 상기 헬멧 본체의 주시 방향을 측정하는 주시 방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부는 주의 램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방향 센서에서 측정한 이동 방향과 상기 주시 방향 센서에서 측정한 주시 방향이 소정 각도 이상 차이나는 경우에 상기 주의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은, 상기 헬멧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하는 충격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센서에서 측정한 충격이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구조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은,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에서 움직이는 이동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 및 상기 헬멧 본체의 외면 전단부에 형성되는 레이저광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이동체의 속도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 상기 레이저광 발생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이동체의 속도를 기반으로 후방 이동체의 예측 이동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레이저광 발생부가 후방 이동체의 예측 이동 방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안전 헬멧; 및 상기 무선통신부와 무선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안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은, 전동 킥보드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 킥보드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통신부와 무선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킥보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킥보드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전동 킥보드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안전 헬멧은 상기 안전 헬멧이 착용된 것을 측정하는 착용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킥보드 제어부는 상기 착용 센서에서 상기 안전 헬멧이 착용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전동 킥보드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은 사고 발생시 사용자를 보호하는 헬멧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전동 킥보드 사용시 사용자의 상황이나 의사를 외부에 쉽게 알려주어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다.
그리고 전동 킥보드 사용자가 후방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후방의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후방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전등 킥보드 사용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 안전 제어 시스템은 안전 헬멧을 확실하게 착용한 경우에만 전동 킥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에 보다 확실하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을 구성하는 제어부의 동작에 관한 설명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을 구성하는 제어부의 세부 동작에 관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10)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10)을 구성하는 제어부(300)의 동작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10)은 헬멧 본체(100), 램프부(200), 제어부(300) 및 무선통신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헬멧 본체(100)는 전동 킥보드의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대략적인 형상이 반구껍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헬멧 본체(100)는 충격 발생시 사용자의 머리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발포 플라스틱과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램프부(200)는 헬멧 본체(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점등이 제어되어 헬멧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황이나 의사를 외부에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상황이나 의사에 따라 램프부(200)의 점등을 제어한다.
그리고 무선통신부(400)는 외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즉, 무선통신부(400)는 사용자가 발생시킨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램프부(2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통신부(400)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안전 헬멧(10)과 별도로 형성되는 리모트 컨트롤러(C), 휴대폰 또는 전동 킥보드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10)은 사고 발생시 사용자를 보호하는 헬멧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사고의 발생 가능성 자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램프부(200)를 통해 전동 킥보드의 현재 상황이나 앞으로의 운행 상황을 외부에 표시해줌으로써 보행자나 자동차의 운전자 등이 전동 킥보드의 움직임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램프부(200)는 보다 구체적으로 좌회전 램프(210), 우회전 램프(220) 및 정지 램프(230)를 구비할 수 있다.
좌회전 램프(210)는 제어부(300)의 좌회전 신호에 의해 점등되고 우회전 램프(220)는 제어부(300)의 우회전 신호에 의해 점등되어 전동 킥보드의 앞으로의 진행방향을 표시해줄 수 있다.
정지 램프(230)는 제어부(300)의 정지 신호에 의해 점등되어 전동 킥보드가 브레이크를 동작시키고 있는 상황을 표시해줄 수 있다. 정지 신호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을 사용자가 직접 동작시켜 발생할 수도 있으나, 전동 킥보드의 브레이크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동작시 자동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좌회전 램프(210), 우회전 램프(220) 및 정지 램프(230)는 헬멧 본체(100)의 외면 중 후단부에 형성되거나 전·후단부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좌회전 램프(210)와 우회전 램프(220)는 각각 왼쪽과 오른쪽을 향하는 화살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지 램프(230)는 붉은색의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램프부(200)는 전방 밝힘 램프(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방 밝힘 램프(240)는 헬멧 본체(100)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본 발명의 안전 헬멧(10) 사용시 사용자의 앞을 밝히는 역할을 함으로써, 어두운 경우에도 사용자가 전방의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방 밝힘 램프(240)는 제어부(300)의 전방 밝힘 신호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전방 밝힘 신호는 사용자가 직접 발생시키거나,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10)이 밝기 감지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밝기 감지 센서의 센싱값에 의해 밝기가 일정치 이하인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300)가 자동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10)은 이동 방향 센서(510), 주시 방향 센서(520) 및 주의 램프(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방향 센서(510)는 헬멧 본체(100)의 이동 방향을 측정한다. 이동 방향 센서(510)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일 수 있으며, 헬멧 본체(1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동 킥보드에 형성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전동 킥보드의 이동 방향을 산출하고, 이를 헬멧 본체(100)의 이동 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주시 방향 센서(520)는 헬멧 본체(100)의 주시 방향, 즉 안전 헬멧(10)을 착용한 사용자가 주시하는 방향을 측정한다. 주시 방향 센서(520)는 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이동 방향 센서(510)에서 측정한 헬멧 본체(100)의 이동 방향과 주시 방향 센서(520)에서 측정한 헬멧 본체(100)의 주시 방향이 소정 각도 이상 차이나는 경우에 램프부(200)의 주의 램프(250)를 점등시킨다. 헬멧 본체(100)의 이동 방향과 헬멧 본체(100)의 주시 방향이 소정 각도 이상 차이나는 경우는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의 주행 상황을 바꾸거나 주변에서 예상치 못하게 발생하는 이벤트를 확인하는 등의 이유로 사용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러한 상태를 주의 램프(250)를 통해 외부에 알림으로써 보행자 등이 전동 킥보드의 움짐임에 주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10)은 헬멧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하는 충격 센서(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어부(300)는 충격 센서(530)에서 측정한 충격이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 무선통신부(400)를 통해 구조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전동 킥보드 사용시 큰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큰 충격이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큰 충격이 측정된 것을 통해 큰 사고가 발생한 것을 예상하여 구조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고 발생시 전동 킥보드 사용자에 대한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다른 사람이 없는 곳에서 발생한 단독 사고에 대해서도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00)의 구조 신호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은 미리 지정해둔 지인에게나 구조대에 문자 메시지 등을 자동으로 보내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10)은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540) 및 레이저광 발생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540)는 헬멧 본체(100)의 후방에서 움직이는 이동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헬멧 본체(100)의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이루어져 시간별 영상에서 후방 이동체의 위치를 통해 후방 이동체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레이저광 발생부(600)는 헬멧 본체(100)의 외면 전단부에 형성되어, 아래로 기울어진 사선 방향으로 레이저광을 발생시킨다. 사용자가 안전 헬멧(10)을 착용시 레이저광 발생부(600)에서 발생한 레이저광은 사용자 전방의 바닥면으로 입사하게 되어, 사용자가 레이저광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540)에서 측정한 이동체의 속도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 레이저광 발생부(600)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후방을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자동차 등이 전동 킥보드의 후방에서 빠른 속도로 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300)는 예를 들어, 후방 이동체의 속도가 전동 킥보드를 따라잡을 수 있는 정도의 속도인 경우에 레이저광 발생부(6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레이저광 발생부(600)는 간략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바닥면에 나타나도록 레이저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10)이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540)와 레이저광 발생부(600)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제어부(300)는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540)에서 측정한 이동체의 속도를 기반으로 후방 이동체의 예측 이동 방향을 산출하고 레이저광 발생부(600)가 후방 이동체의 예측 이동 방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후방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알고 이에 대비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후방 이동체의 속도 변화를 통해 후방 이동체의 예측 이동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헬멧 본체(100)는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 헬멧(10)의 미사용시 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헬멧(10)은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 외에도 램프부(200), 제어부(300) 및 각종 센서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안전 헬멧(10)의 설명시 언급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1)은 상기한 안전 헬멧(10)과 원격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20)는 안전 헬멧(10)의 무선통신부(400)와 무선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며,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원격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안전 헬멧(10)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안전 헬멧 제어 전용의 리모트 컨트롤러이거나, 안전 헬멧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안전 헬멧(10)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폰 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킥보드 안전 시스템(1)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의 현재 상황이나 앞으로의 운행 상황을 외부에 쉽고 명확하게 표시해줌으로써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1)은 킥보드 제어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킥보드 제어부(30)는 전동 킥보드(2)에 구비되어 전동 킥보드(2)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안전 헬멧(10)의 무선통신부(400)와 무선 연결이 가능하다.
킥보드 제어부(30)는 안전 헬멧(10)의 무선통신부(400)와 킥보드 제어부(30)가 연결된 경우에만 전동 킥보드(2)를 동작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안전 헬멧(10)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만 전동 킥보드(2)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안전 헬멧(10) 없이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2)를 사용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1)이 킥보드 제어부(3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안전 헬멧(10)은 착용 센서(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용 센서(550)는 사용자가 안전 헬멧(10)을 착용한 것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헬멧 본체(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접촉 센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가 헬멧 본체(100)의 내측면과 접촉한 것을 감지한 경우에 안전 헬멧(10)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킥보드 제어부(30)는 착용 센서(550)에서 안전 헬멧(10)이 착용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만 전동 킥보드(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순히 안전 헬멧(10)을 착용하지 않고 들고 있는 경우에 전동 킥보드(2)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킥보드 안전 시스템
10 : 안전 헬멧 20 : 원격 제어부
30 : 킥보드 제어부
100 : 헬멧 본체 200 : 램프부
210 : 좌회전 램프 220 : 우회전 램프
230 : 정지 램프 240 : 전방 밝힘 램프
250 : 주의 램프 300 : 제어부
400 : 무선통신부 510 : 이동 방향 센서
520 : 주시 방향 센서 530 : 충격 센서
540 :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 550 : 착용 센서
600 : 레이저광 발생부

Claims (11)

  1.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외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헬멧 본체의 후방에서 움직이는 이동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 및
    상기 헬멧 본체의 외면 전단부에 형성되는 레이저광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이동체의 속도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 상기 레이저광 발생부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이동체 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이동체의 속도를 기반으로 후방 이동체의 예측 이동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레이저광 발생부가 후방 이동체의 예측 이동 방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제어부의 좌회전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좌회전 램프,
    상기 제어부의 우회전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우회전 램프, 및
    상기 제어부의 정지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정지 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헬멧 본체의 외면 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전방 밝힘 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전방 밝힘 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는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의 이동 방향을 측정하는 이동 방향 센서, 및
    상기 헬멧 본체의 주시 방향을 측정하는 주시 방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부는 주의 램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방향 센서에서 측정한 이동 방향과 상기 주시 방향 센서에서 측정한 주시 방향이 소정 각도 이상 차이나는 경우에 상기 주의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하는 충격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 센서에서 측정한 충격이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구조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안전 헬멧; 및
    상기 무선통신부와 무선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안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전동 킥보드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 킥보드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통신부와 무선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킥보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킥보드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된 경우에 상기 전동 킥보드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안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헬멧은 상기 안전 헬멧이 착용된 것을 측정하는 착용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킥보드 제어부는 상기 착용 센서에서 상기 안전 헬멧이 착용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전동 킥보드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안전 시스템.
KR1020210123377A 2021-09-15 2021-09-15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KR102584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377A KR102584992B1 (ko) 2021-09-15 2021-09-15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377A KR102584992B1 (ko) 2021-09-15 2021-09-15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427A KR20230040427A (ko) 2023-03-23
KR102584992B1 true KR102584992B1 (ko) 2023-10-05

Family

ID=8579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377A KR102584992B1 (ko) 2021-09-15 2021-09-15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9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997B1 (ko) * 2023-10-10 2024-05-20 주식회사 아이로나 스마트 헬멧 장치를 이용한 안전운행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38B1 (ko) * 2013-11-11 2014-12-08 류남수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
KR101911632B1 (ko) * 2017-04-24 2018-10-2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바이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996761B1 (ko) * 2018-10-23 2019-07-04 안이도 휴대용 헬멧
KR102063881B1 (ko) * 2019-07-01 2020-01-08 이한구 도로주행 사고방지헬멧 및 이의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556Y1 (ko) 2003-04-18 2003-07-22 이창규 안전 헬멧
KR101363706B1 (ko) * 2012-07-27 2014-02-18 원청일 주행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레저 장비용 헬멧 장치
KR20170068196A (ko) * 2015-12-09 2017-06-19 이웅렬 자전거 라이더용 스마트 헬멧
KR102096613B1 (ko) * 2018-08-31 2020-04-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38B1 (ko) * 2013-11-11 2014-12-08 류남수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
KR101911632B1 (ko) * 2017-04-24 2018-10-2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바이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996761B1 (ko) * 2018-10-23 2019-07-04 안이도 휴대용 헬멧
KR102063881B1 (ko) * 2019-07-01 2020-01-08 이한구 도로주행 사고방지헬멧 및 이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427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3839B2 (en) Vehicle safety system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US7777617B2 (en) Wireless signal apparatus for assisting drivers to back large vehicles
US9603403B2 (en) Helmet-mounted motorcycle rider visualization device
KR101511900B1 (ko) 무선 안전 삼각대
KR102584992B1 (ko)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KR101748804B1 (ko) 자전거 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형 안전 시스템
KR101778614B1 (ko)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KR20190066215A (ko)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KR101064145B1 (ko) 이륜차의 사고감지장치 및 방법
US20240075870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nvironment lighting device of a vehicle
KR102096613B1 (ko)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KR101432062B1 (ko)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
KR101878205B1 (ko)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527932B1 (ko) 차량 급제동 또는 충돌 사고 경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10101480A1 (en) A safety device and a method for its use
KR20150093932A (ko) 레이저 비상표시기
KR20210040529A (ko) 작업자 경보시스템용 경광봉
KR20200062619A (ko) 안전삼각대 설치 로봇
KR101924904B1 (ko) 오토바이용 안전슈트
KR102134733B1 (ko)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KR102105523B1 (ko) 사용자 단말기와 조명장치가 연동된 운행상태정보 표시장치
JP2021166498A (ja) 遠隔操縦作業機
KR102583897B1 (ko) 스마트 헬멧
KR102202137B1 (ko) 개인형 이동체의 후방 차량 접근 경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