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733B1 -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733B1
KR102134733B1 KR1020190148664A KR20190148664A KR102134733B1 KR 102134733 B1 KR102134733 B1 KR 102134733B1 KR 1020190148664 A KR1020190148664 A KR 1020190148664A KR 20190148664 A KR20190148664 A KR 20190148664A KR 102134733 B1 KR102134733 B1 KR 102134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portable terminal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렌
Priority to KR102019014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은, 내부에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사고 발생시 연락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차량 후방에 상기 차량의 사고발생을 알리는 알림모듈;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 및 상기 연락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긴급 연락처, 보험사 및 응급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송신하는 응급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모듈의 구동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연락처 정보를 상기 응급콜 서버로 송신한다.

Description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A SYSTEM FOR PREVENTING SECONDARY VEHICLE ACCIDENT}
본 발명은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사고나 고장 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 도로에서 교통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도로교통법에 의거하여 사고가 발생한 차주는 사고 발생 시 주간에는 차량의 후방 100m, 야간에는 차량의 후방 200m 지점에 각각 삼각대를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교통 사고 발생 시에 위와 같이 사고 발생 차량의 후방에 삼각대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특히 고속도로나 야간에 상기 삼각대를 설치하는 것은 2차 사고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제로 통계를 살펴보면 이러한 2차 사고에 의한 사망율이 1차 사고의 대략 6배 이상에 해당한다.
반면에, 상기 2차 사고를 피하기 위하여 사고 차량의 차주가 삼각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후속하는 차량 등이 사고 발생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고 진행하여 다시 교통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수반하며, 나아가 기존 삼각대는 원거리에서 인식률이 떨어지며, 설치가 쉽지 않고, 차량 내에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사고 발생 시에 사고발생표시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원거리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사고 발생 신고를 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시급하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은 자동차의 돌발시 사고 발생순간의 정확한 위치를 도로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증거를 확보함과 아울러 응급조치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자동차의 사고지점 표시장치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011638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향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은,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함과 동시에 신속한 사고의 후속처리가 진행될 수 있는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은, 내부에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사고 발생시 연락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차량 후방에 상기 차량의 사고발생을 알리는 알림모듈;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 및 상기 연락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긴급 연락처, 보험사 및 응급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송신하는 응급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모듈의 구동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연락처 정보를 상기 응급콜 서버로 송신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주행중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3축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및 GPS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검출값 및 미리 설정된 사고발생 판단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사고여부 판단부; 상기 센서부의 검출값 및 미리 설정된 사고유형 분류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유형을 분류하는 사고유형 분류부; 상기 센서부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현재 사고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사고발생위치 파악부; 상기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응급콜 서버 및 알림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림모듈은,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절첩되어 배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LED가 배치되는 표시유닛; 상기 표시유닛을 전개시키는 버튼;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부재;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알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표시유닛이 상기 몸체 외부로 전개되는 동시에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은 차량의 사고발생을 알리는 알림모듈의 구동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휴대용 단말기로 하여금 사고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연락처 정보를 응급콜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차량사고 접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의 구성 중 휴대용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사고 방지시스템의 구성 중 알림모듈의 전개전 및 전개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사고 방지시스템의 구성 중 응급콜 서버의 세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사고 방지시스템의 구성 중 거치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 알림모듈(200) 및 응급콜 서버(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운전자, 즉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이며, 후술할 알림모듈(200) 및 응급콜 서버(300)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사용자의 차량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알림모듈(200)을 차량 외부의 상단에 설치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100)와 알림모듈(200)은 자동으로 상호 연동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된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및 차량의 상태 정보를 응급콜 서버(300)로 전송하면, 응급콜 서버(300)는 이러한 사고 차량의 상태 정보를 긴급 연락처(10), 보험사(20) 및 경찰서, 병원 등의 응급기관(30)에 전달하여 차량 사고가 자동으로 접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의 동작을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0), 사고여부 판단부(120), 사고유형 분류부(130), 사고발생위치 파악부(140), 저장부(150), 통신부(160), 터치식 디스플레이(170) 및 알림모듈 제어유닛(180)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센서부(110)는 주행중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3축 가속도 센서(111), 자이로스코프(112) 및 GPS(113)를 포함할 수 있다.
3축 가속도 센서(111) 및 자이로스코프(112)를 이용하여 주행중 차량의 속도, 차량의 급제동, 충격에 의한 차량의 급격한 회전 및 전복 등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GPS(113)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발생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사고여부 판단부(120)는 센서부(110)의 검출값, 구체적으로는 3축 가속도 센서(111) 및 자이로스코프(112)의 검출값과, 미리 설정된 사고발생 판단기준에 기초하여 차량사고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여기에서 사고발생 판단기준은 응급콜 서버(200)를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은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사고유형 분류부(130)는 센서부(110)의 검출값, 구체적으로는 3축 가속도 센서(111) 및 자이로스코프(112)의 검출값과, 미리 설정된 사고유형 분류기준에 기초하여 차량의 사고유형을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차량사고가 신호위반, 교차로위반, 중앙선침범, 차선급변경, 장애물, 주차테러 등에 의하여 발생된 사고인지, 단순접촉사고인지, 이륜차 또는 사람과 충돌한 사고인지 등의 사고유형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응급콜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사고유형을 보험사(20)나 응급기관(30)에 송신함으로써 보험사 및 응급기관의 차량사고 접수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사고유형 분류기준은 사고발생 판단기준과 마찬가지로 응급콜 서버(200)를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사고발생 위치 파악부(140)는 센서부(110), 구제적으로는 GPS(113)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사고 발생위치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저장부(150)는 사용자가 설정한 긴급 연락처,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사 연락처 및 응급기관 연락처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60)는 센서부(110), 사고여부 판단부(120), 사고유형 분류부(130) 및 사고발생 위치 파악부(140)의 출력값과, 저장부(15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응급콜 서버(200)로 송신하거나 또는 응급콜 서버(200)로부터 사고발생 판단기준 및 사고유형 분류기준을 수신받도록 구비된 구성이다.
또한 통신부(160)는 후술할 알림모듈(200)과의 상호 통신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100)는 입력 가능하도록 형성된 터치식 디스플레이(170) 및 알림모듈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알림모듈 제어부(180)는 후술할 알림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된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알림모듈(200)의 기능들을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알림모듈(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차량 후방에 차량의 사고발생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평상시에는 차량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사고가 발생할 경우 운전자는 알림모듈(200)을 운전석 외부 상단에 부착한 후 동작시킴으로써 운전자를 2차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알림모듈(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 표시유닛(220), 버튼(230); 부착부재 및 제어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표시유닛(220)은 평상시에는 몸체(210)의 내부에 절첩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LED가 배치된다.
부착부재는 몸체(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알림모듈(200)을 차량의 상단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용이한 탈부착을 위하여 네오디늄 등의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차량 외부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석 하부에 고무 등을 부착시킬 수도 있다.
제어유닛은 몸체(210) 내부에 수용되어 알림모듈(20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 및 알림모듈(200)이 포함하는 각종 부품들의 구동을 제어한다.
아울러, 알림모듈(200)은 사고발생 음향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음향송출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나아가 LED, 제어유닛 및 음향송출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210)의 외부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전원연결단자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연결단자는 USB-C Type 또는 Micro 5핀 단자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몸체(210)의 일 측면에는 버튼(230)이 구비되는데, 사용자가 버튼(130)을 구동시키는 경우 표시유닛(120)이 몸체(110) 외부로 전개되는 동시에 제어유닛은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된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킨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센서부(110), 사고여부 판단부(120), 사고유형 분류부(130) 및 사고발생 위치 파악부(140)의 출력값과, 저장부(15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응급콜 서버(200)로 송신할뿐만 아니라 알림모듈 제어유닛(180)에 의하여 알림모듈(200)의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100) 알림모듈 제어유닛(180)은 구체적으로 LED 제어부(181), 음향송출수단 제어부(182) 및 전력 제어부(183)로 구성된다.
LED 제어부(181)는 표시유닛(220)의 LED 점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음향송출수단 제어부(182)는 알림모듈(200)에 구비된 음향송출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력 제어부(183)는 알림모듈(200)의 배터리 잔량을 파악한 후 이에 기초하여 LED 제어부(181) 및 음향송출수단 제어부(182)로 하여금 LED의 점등 및 음향송출수단의 구동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파악할 수 있는 시간정보 또는 날씨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의 조도 또는 광량이 충분하다고 판단할 경우 LED를 점등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표시유닛(220)이 복수 개의 LED를 포함할 경우 그 중 일부의 LED만을 점등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황에 따라 음향송출수단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알림모듈(200)의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 알림모듈(200)의 충전이 필요한 상황임을 휴대용 단말기(100)의 터치식 디스플레이(17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도 있다.
응급콜 서버(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림모듈(200)의 동작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된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차량의 정보, 운전자 가입 보험사, 비상연락처 및 응급기관 정보 등을 전달받아 연락을 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응급콜 서버(300)는 상술한 기능들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100)의 센서부(110), 사고여부 판단부(120), 사고유형 분류부(130) 및 사고발생 위치 파악부(140)의 출력값을 전달받아 사고여부 판단기준 및 사고유형 분류기준을 결정하고 이를 다시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응급콜 서버(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빅데이터 저장부(310), 사고발생 판단기준 생성부(320) 및 사고발생 분류기준 생성부(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빅데이터 저장부(31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송신한 센서부(110), 사고여부 판단부(120), 사고유형 분류부(130) 및 사고발행 위치 파악부(140)의 출력값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고발생 판단기준 생성부(320)는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판단기준을 생성하는데, 구체적으로 센서부(110)의 출력값을 입력인자로 정의하고, 사고여부 판단부(120)의 출력값을 출력인자로 정의한 후 입력인자와 출력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사고발생 판단기준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고유형 분류기준 생성부(330) 또한 빅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유형 분류기준을 생성하는데, 구체적으로 센서부(110)의 출력값을 입력인자로 정의하고, 사고유형 분류부(130)의 출력값을 출력인자로 정의한 후, 입력인자와 출력인자 사시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사고유형 분류기준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사고발생 판단기준 생성부(320) 및 사고유형 분류기준 생성부(330)에서 각각 생성된 사고발생 판단기준 및 사고유형 분류기준은 데이터의 지속적인 누적에 따라 업데이트 되며, 응급콜 서버(300)는 업데이트된 사고발생 판단기준 및 사고유형 분류기준을 휴대용 단말기(100)로 송신함으로써 사고발생 및 사고유형 파악의 정확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고발생 판단기준 생성부(320) 및 사고유형 분류기준 생성부(330)는 신경망을 이용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하여 각각의 입력인자 및 출력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빅데이터 저장부(31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사고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의 각종 데이터 또한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응급콜 서버(300)는 긴급 연락처(10), 보험사(20) 및 응급기관(30) 등에 차량사고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통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중추돌사고 발생시 복수의 사고대상 차량 중 자신의 차량을 정확하게 특정함으로써 보험사 직원이 신속히 자신의 차량을 파악하여 사고의 조치를 신속하게 진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자동접수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고정 장착되며, 휴대용 단말기(10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모듈(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10), 거치부(420), 표시부(430), 발광소자(440), 스피커(460), 버튼(470) 및 받침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410)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되, 내부에 빛을 확산할 수 있는 발광체들이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하여 후술할 몸체(410) 내부의 발광소자(440)에서 발산되는 빛의 확산을 도모하도록 구성된다.
거치부(420)는 본체(410)의 상부에 배치되되 휴대용 단말기(100)를 삽입할 수 있는 거치홈(421)이 형성된다.
특히 거치부(420)는 본체(410)를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0)의 센서부(110)의 정확한 동작을 담보할 수 있므여, 나아가 거치홈(421)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연결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422)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며, 나아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를 거치모듈(40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430)는 본체(410) 외부에 배치되어 거치모듈(400)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발광소자(4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410)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복수 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발광소자는 상호 다른 색깔의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확산부(460)는 사고 발생시 미리 저장된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버튼(470)은 스피커(460)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차량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고여부 판단부(120)가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고발생신호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운전자 가입 보험사 정보를 연결부(422)를 통해 거치모듈(400)로 전달한다.
이때 거치모듈(400)은 스피커(460)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구조요청음향을 출력하고, 발광소자(440)를 점등시킴으로써 해당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주변에 알린다.
특히 도 6과 같이 3개의 발광소자(440), 즉 제1 발광소자(440a), 제2 발광소자(440b) 및 제3 발광소자(440c)가 구비된 경우, 제1 발광소자(440a)는 A 보험사를 의미하는 빨간색 빛을, 제2 발광소자(440b)는 B 보험사를 의미하는 파란색 빛을, 제3 발광소자(440c)는 C 보험사를 의미하는 노란색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전자가 B 보험사에 가입한 상황이라면, 거치모듈(400)은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운전자의 가입 보험사 정보를 전달받은 후 제2 발광소자(440b)만 점등시킬 수 있으며, 제2 발광소자(440b)에서 발광된 노란색 빛이 본체(410)를 거치면서 확산되어 차량 전체를 노란색 빛으로 점등되도록 하면서 해당 보험사로 자동적으로 사고 신호 처리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해당 보험사 직원 즉 B사 보험사 직원이 용이하게 해당 사고의 차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480)의 상부 표면은 반사물질이 코팅되어 상기 발광소자(440)를 통한 발광 시 빛의 반사 및 확산이 보다 크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자동접수 시스템은 상기 거치모듈(400)과 유무선적으로 연결되는 보조점등모듈(70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점등모듈(700)은 케이스(710)와, 상기 케이스(710) 내 상기 거치대(400)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유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720)와, 상기 거치모듈(400)의 발광소자(440)와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LED발광부(730)를 포함한다.
상기 LED발광부(730)가 상기 케이스(710) 외부로 빛을 배출하는 측으로는 빛이 확산되어 케이스(710)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볼록렌즈부(7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보조점등모듈(700)은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차량 내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거치모듈(400)의 발광색과 동일한 색을 발생시키어 사고 처리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자동접수 시스템은 상기 거치모듈(400)과 유무선적으로 연결되는 파우더분사모듈(8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파우더분사모듈(800)은 외관을 이루는 외부케이스(810)를 구비하되, 상기 외부케이스(810) 내부 하측에 복수의 펌핑부(840a, 840b, 840c)가 구비되며, 상기 펌핑부(840a, 840b, 840c) 각각에는 복수의 파우더저장부(830a, 830b, 830c)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파우더저장부(830a, 830b, 830c) 내부 각각에 수용된 파우더를 상기 각 펌핑부(840a, 840b, 840c)의 작동에 따라서 외부케이스(810) 외측으로 분출하는 파우더분출부(820a, 820b, 820c)를 구비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분사모듈(800)은 상기 거치모듈(400)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되어 소정 신호에 따라서 선택된 펌핑부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이때, 예를 들어 상기 각각의 파우더저장부(830a, 830b, 830c)에는 각각 빨간색파우더, 파란색파우더, 노란색파우더가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거치모듈(400)의 점등 색에 따라서 대응되는 색의 파우더를 외부에 분출하도록 상기 각 펌핑부(840a, 840b, 840c)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파우더의 분출을 통하여 주변 차량에 사고 알림을 함과 동시에 보험사 직원에게의 알림 효과도 크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파우더분사모듈(800)은 차량 외부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차량을 치고 도망가는 차량에 표식이 남도록 분말과 같은 파우더 대신 소정 색의 용액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파우더가 분출 시 역으로 거치모듈(400)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로 신호를 보내어 사고 접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200: 알림모듈
300: 응급콜 서버

Claims (3)

  1. 내부에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사고 발생시 연락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차량 후방에 상기 차량의 사고발생을 알리는 알림모듈;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 및 상기 연락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연락처, 보험사 및 응급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차량의 사고정보를 송신하는 응급콜 서버;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모듈; 상기 거치모듈과 유무선적으로 연결되고 소정 신호에 따라서 점등되는 LED 발광부를 포함하는 보조점등모듈; 및 상기 거치모듈과 유무선적으로 연결되고 소정 신호에 따라서 외부로 파우더를 분사하는 파우더분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모듈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기가 삽입되는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부; 상기 본체 외부에 배치되어 상태정보의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 상기 본체 내부에 복수 개 배치되어 각각 다른 색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본체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 표면에 반사물질이 코팅되어 상기 발광소자를 통한 발광 시 빛의 반사 및 확산이 보다 크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주행중 차량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3축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및 GPS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검출값 및 미리 설정된 사고발생 판단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여부를 판단하는 사고여부 판단부; 상기 센서부의 검출값 및 미리 설정된 사고유형 분류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유형을 분류하는 사고유형 분류부; 상기 센서부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현재 사고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사고발생위치 파악부; 상기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응급콜 서버 및 알림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성된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모듈의 구동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연락처 정보를 상기 응급콜 서버로 송신하는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모듈은,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절첩되어 배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LED가 배치되는 표시유닛;
    상기 표시유닛을 전개시키는 버튼;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부재;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알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표시유닛이 상기 몸체 외부로 전개되는 동시에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사고발생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KR1020190148664A 2019-11-19 2019-11-19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KR102134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664A KR102134733B1 (ko) 2019-11-19 2019-11-19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664A KR102134733B1 (ko) 2019-11-19 2019-11-19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733B1 true KR102134733B1 (ko) 2020-07-16

Family

ID=7183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664A KR102134733B1 (ko) 2019-11-19 2019-11-19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047A (ko) 2020-11-02 2022-05-10 장수임 차량의 2차사고 방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388Y1 (en) 1992-06-29 1998-05-15 Hyundai Motor Co Ltd Marking device for accident of an automobile
KR20110049391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에이치앤아이피 차량 사고시 보험사 자동 연계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0656A (ko) *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동부엔티에스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사고패턴 기반 차량 사고 유형 판단 방법 및 시스템, 장치
KR102030172B1 (ko) * 2018-12-19 2019-10-08 이정오 교통사고처리 방법
KR102044485B1 (ko) * 2019-07-01 2019-11-14 주식회사 마이렌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388Y1 (en) 1992-06-29 1998-05-15 Hyundai Motor Co Ltd Marking device for accident of an automobile
KR20110049391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에이치앤아이피 차량 사고시 보험사 자동 연계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0656A (ko) * 2014-12-09 2016-06-20 주식회사 동부엔티에스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사고패턴 기반 차량 사고 유형 판단 방법 및 시스템, 장치
KR102030172B1 (ko) * 2018-12-19 2019-10-08 이정오 교통사고처리 방법
KR102044485B1 (ko) * 2019-07-01 2019-11-14 주식회사 마이렌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047A (ko) 2020-11-02 2022-05-10 장수임 차량의 2차사고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0327B2 (ja) 車両侵入警報システム
KR101944032B1 (ko)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US9374873B2 (en) Light component coordination
KR101643249B1 (ko)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KR20070086432A (ko) 교통신호모니터 및 운전자경고장치
KR101916199B1 (ko) 교통사고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US20160096475A1 (en) Light/audio component coordination
KR20170054764A (ko)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KR102134733B1 (ko)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KR102134730B1 (ko) 차량사고 자동접수 시스템
JP2023134551A (ja) 車両照明に対応するように動作可能なリモート照明システム
KR101449662B1 (ko) 자동차 비상상태 표시시스템
KR101878205B1 (ko)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104721A (ko) 사고 예방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09291851A (zh) 照亮机动车辆货舱区域的系统和方法
US20190184892A1 (en) Vehicle signaling apparatus
US10449892B2 (en) Signal light
KR20210018728A (ko) 비상차선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4409B1 (ko)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KR101809895B1 (ko) 차량 운전자의 비상 알림 시스템
US20200369265A1 (en) Parked Vehicle Active Collision Avoidance and Multimedia System
CN207718642U (zh) 一种基于微波雷达的后方来车预警系统
KR102583897B1 (ko) 스마트 헬멧
US11072280B1 (en) Rear-e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