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485B1 -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485B1
KR102044485B1 KR1020190078478A KR20190078478A KR102044485B1 KR 102044485 B1 KR102044485 B1 KR 102044485B1 KR 1020190078478 A KR1020190078478 A KR 1020190078478A KR 20190078478 A KR20190078478 A KR 20190078478A KR 102044485 B1 KR102044485 B1 KR 102044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device
vehicle
accident
user terminal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렌
Priority to KR102019007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형 드럼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공기에 난류를 형성하는 난류형성유닛을 포함하는 사고알림장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collision-alarm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사고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사고나 고장 시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 주행시 1차 사고 및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후속차량에게 사고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차량 비상등을 켜고 트렁크를 개방하는 등의 안전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러나, 1차 사고 발생 후 적절한 조치가 신속하게 취해지지 못하면, 1차 사고 이후 해당 1차 사고의 발생을 인지하지 못한 후속차량이 1차 사고차량을 추돌하는 2차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때,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로 차가 정지한 경우 차량 비상등 만으로는 후속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전방의 상황을 인지하기 어려우므로 사고차량의 후방에 삼각대를 함께 설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삼각대는 대부분 조립 형태로 이루어져 보관 및 휴대가 쉽고 발광반사판을 사용하여 야간에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삼각대를 설치하여도 삼각대의 크기가 작고 설치 높이도 낮아 여전히 시인성이 떨어져 큰 효과를 볼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트렁크 내부에 롤 형태로 감아서 보관하다가 사고시 펼쳐 트렁크 도어에 걸쳐 놓고 사용하도록 된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롤 타입의 자동차용 위험표지판은 트렁크 도어에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설치가 불가능하고 사고시 트렁크가 파손되어 트렁크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휴대폰 단말기와 위험표지판을 연동하는 방식도 개발되고 있는데 사용이 제한적이었으며 충분한 위험 안내가 되지 못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4331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면서 고속도로 등에서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로 인하여 도로에 차량이 정차하는 경우에 후속차량의 운전자가 정차된 차량 또는 사고상황을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는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사고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이 개구되며 내부 공간부가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부에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경고로드부; 상기 몸체부의 상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부; 상기 경고로드부에 구비되는 센싱부; 및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사고알림장치를 이용한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경고로드부를 외부로 인출 시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받은 스마트 어플이 실행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어플이 실행 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어플에 사용자가 계약한 보험사를 기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 후 상기 기 저장된 보험사가 호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어플에 렉카 정보를 기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접한 렉카를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에 의하면, 사고알림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단말기가 연동되어 운영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며 신속한 사고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에 의하면, 사고알림장치를 컴팩트하게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을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에 적용되는 어플 화면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에 적용되는 어플 화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림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사고알림장치에서 몸체부와 커버부를 분리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5에서 사고알림장치 내 주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
도 8은 사고알림장치의 경고로드부를 외부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사고알림장치를 차량 상부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에 도시된 사고알림장치을 일측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상기 도 10에 도시된 사고알림장치에 적용되는 제1로드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상기 도 10에 도시된 사고알림장치에 적용되는 제2로드부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4는 경고로드부 단부에 설치되는 박막튜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을 이루는 주요 구성들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을 위해서는 사고알림장치(100),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10)가 구비되되, 상기 사고알림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블루투스 등의 방식에 의하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사고알림장치(100)는 몸체부와, 몸체부 외부로 노출되게 펼쳐지는 경고로드부로 구성되며, 차량의 외부에 부착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경로로드부가 펼쳐지는 경우 자동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와 무선 통신방식으로 연동될 수 있으며, 이때 미리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사고알림장치(100)에 대한 자세한 구성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하, "스마트 어플"이라고도 함)이 기 설치되는데, 상기 기 설치되는 스마트 어플에는 미리 사용자 사고 차량의 차량번호, 차종, 소유자 정보 등의 기본 정보와 차량 브랜드, 차량 색상 등의 다양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고 신호를 미리 지정된 렉카(wreck car) 서버(20), 보험사 서버(30)또는 내비게이션 서버(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고 신호의 송신은 운전자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화면 상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송신되도록 결정될 수 있으나 사고알림장치(100)에 기 설치된 충격센서의 충격량 파악에 따라 자동적으로 송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렉카 서버(20)가 사고 신호를 수신하면, 렉카 서버(20)에서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있는 렉카 단말(25)의 현재 위치와 사고 차량의 현재 사고 위치를 대비하여 가장 근접한 렉카 차량의 렉카 단말(25)로 사고 신호를 실시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렉카 단말(25)은 사고 신호의 내용에 따라 즉시 출동하여 구조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보험사 서버(30)가 사고 신호를 수신하면, 사고 신호의 내용을 파악하여 해당 보험 가입 내역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사고 위치의 담당 보험 직원의 보험사 차량 단말(35)로 사고 신호를 실시간 전달할 수 있다. 담당 보험 직원은 사고 신호의 내용에 따라 즉시 출동하여 사고 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구비된 내비게이션 서버(40)가 사고 신호를 수신하면, 사고 신호의 내용을 파악하고 현재 사고 위치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40)는 현재 사고 위치와 운행 방향, 사고 내용의 구체적인 정보를 차량 내비게이션 단말(45)로 실시간 전달하여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서버(40)가 차량 내비게이션 단말(45)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 수집하는 경우, 현재 사고 위치의 인접 차량 내비게이션 단말(45)로 알람을 실시간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사고 알람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는 도 3과 같이, 보험사를 선택하여 연락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4와 같이, 주변 근접 렉카 정보를 획득한 후 선택적으로 렉카를 호출하도록 운영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사고알림장치의 몇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5의 사고알림장치에서 몸체부와 커버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도 5에서 사고알림장치의 전면도이며, 도 8은 경고로드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사고알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고알림장치(100)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 폴딩된 상태로 인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펼쳐진 상태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고로드부(130)와, 상기 몸체부(110) 상부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는 커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개구된 부위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되, 사용자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는 상부가 소정 길이를 가지고 개구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대략 긴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단부에 내측으로 전후방을 가로지는 형태로 힌지부(118)가 구비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경고로드부(130)는 상기 힌지부(118)에 상기 몸체부(110)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각각 소정 면적과 두께를 가지며 보드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로드부(131, 132)가 서로 면상 겹쳐진 상태를 이룸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드부(131)의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 힌지부(11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로드부(131)의 타단부에 제2로드부(132)가 보조힌지부(10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1로드부(131)와 제2로드부(132)가 보조힌지부(10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공지된 기술 중 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림장치(100)은 전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10) 양측 힌지부(118)에 각각 경고로드부(130)가 설치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의 힌지부(118)에 연결되는 제1로드부(131)의 단부는 외력이 작용 시 회전 가능하되 외력이 미작용 시에는 그 상태에서 소정 각도를 이루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압착된 상태로 상기 힌지부(118)에 연결되며, 상기 제1로드부(131)와 제2로드부(132) 또한 보조힌지부(108)를 중심으로 외력이 작용 시 회전 가능하되 외력이 미작용 시에는 소정 각도를 이루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압착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제1로드부(131)와 제2로드부(132)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경고지시부(134)가 구비된다.
상기 경고지시부(134)는 소정의 반사스티커가 적용되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외부로 반사하여 주변 차량에게 상기 경고로드부(130)를 시각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LED램프부(미도시)가 설치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는 제어부 역할을 하는 회로기판부(174)와 상기 회로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부(176) 및 상기 전원부(17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송수신부(17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로드부(132) 단부에는 센싱부(133)가 구비되어 상기 제1로드부(131)와 제2로드부(132)가 겹쳐졌다 분리 시 소정 신호를 상기 송수신부(172)를 통하여 단말기(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싱부(133)는 충격 감지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일정 충격 이상이 감지 시에는 자동적으로 단말기로 신호를 보내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경고지시부(134)로 LED램프부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LED램프부와 상기 회로기판부(174)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고알림장치(100)는 도 9에서와 같이, 차량의 상부에 경고로드부(130)를 전개한 상태로 펼친 상태로 설치하고,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방식으로 사고 처리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몸체부(110)에는 별도로 상기 송수신부(172)를 통하여 LTE방식으로 외부 경찰서나 보험사와 직접 접촉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버튼을 누르는 경우 외부 경찰서나 보험사에 바로 등록된 차량의 차량번호와 같은 정보나, 보험사 정보, 사고지점 위치 등이 바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버튼을 잘못 누르는 경우에는 "20초 내 취소 처리됩니다"와 같은 알림 정보가 나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10)에 별도오 전원부(176)의 전원 상태를 알려주는 인디케이커가 추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전원부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필요 시 배터리 충전을 하도록 경보음 등을 알려주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도 10에 도시된 사고알림장치를 일측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림장치(401)는 몸체부(400)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부(400)는 전방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내부가 중공된 경사부(410)와, 상기 경사부(410)의 후방측으로 경사부(410) 내부와 연통된 연통부(430)와, 상기 연통부(430) 후방측으로 연통부(430) 내부와 연통된 수용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400)의 경사부(410)는 외력에 압축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경사부(410)는 유연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탄성부재(42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410)의 내측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편(438)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부(410)의 일측에는 압축변형 시 상기 경사부(410) 내부의 공기가 후방측 연통부(430)를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410) 내측에는 송수신부(422)가 구비되며, 상기 송수신부(4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격센싱부(402)가 구비된다.
상기 충격센싱부(402)는 뒤에서 오는 차량에 의하여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충격을 줌으로써 단말기와 본 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림장치(401)가 연동 운영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420) 내부에는 상기 연통부(430)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 시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425)를 통하여 외부로 분출되는 경고용 분말(420)이 구비된다.
상기 경고용 분말(420)은 특별히 재질이나 입도(粒度)를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시인성이 우수한 형광물질이나 빛 반사물질 또는 야광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림장치(401)는 또한 상기 연통부(430) 상측으로 상기 경사부(410)와 수용부(420)가 소정 이격된 간격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부(410)와 수용부(420)를 연결하는 형태로 힌지부(118)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118)에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로드부(141)와 제2로드부(14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로드부(141)와 제2로드부(142)에도 경고지시부(148)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림장치(401)는 고장이나 사고난 차량의 후방측 도로 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뒤에서 오는 차량이 사고알림장치(401)에 추돌 시 경고로드부에 의하여 차량이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제1로드부(131)와 제2로드부(132)가 충격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110)의 힌지부(118)에 연결되는 제1로드부(141)와, 보조힌지부(108)에 연결되는 제1로드부(141)와 제2로드부(142)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로드부(141)는 양단부에 힌지공(144, 146)이 구비된 강직부(143)가 구비되고, 상기 강직부(143) 사이로 차량에 부딪히는 경우 쉽게 휘어지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충격완충부(145)가 구비된다(도 12 참조). 또한, 상기 제2로드부(142)는 상기 제1로드부(141)와 보조힌지부(108)에 의하여 연결되는 연결공 부위에 힌지공(144)이 구비된 강직부(143)가 구비되며, 나머지 부위에 상술한 제1로드부(141)와 같이 충격완충부(145)가 구비된다(도 13 참조).
상기 충격완충부(145)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튜브 형태나 쉽게 찌그러지는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림장치(401)를 경사부(410)가 고장난 차량의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길가에 놓는 경우 뒤에서 달려오는 차량의 타이어가 경사부를 밟는 경우에는 경사부 내부 공기가 연통부(430)를 통하여 수용부(420)로 공급되고, 상기 수용부(420) 내부에 충전된 경고성 분말(405)이 개구부(425)를 통하여 외부로 강하게 분출된다.
따라서, 후속차량의 운전자가 본 발명의 사고알림장치를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치더라도, 후속차량의 타이어가 경사부에 외력을 가하면서 외부로 경고성 분말을 분출시키게 되므로 후속차량 및 주변 차량의 운전자는 분출되는 분말을 확인하고 전방의 정차된 차량 또는 사고상황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림장치에 의하면 상기 경고로드부를 이루는 제2로드(142)의 노출된 단부에 박막튜브모듈(50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박막튜브모듈(500)은 내구 공간부가 구비된 고무재질의 튜브체(510)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체(510)의 내부 공간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경고성 분말(505)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로드부(132)의 단부에 상기 튜브체(51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로드부(132) 단부 외형에 대응되는 홈이 구비된 끼움부(5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박막튜브모듈(500)을 상기 제2로드부(142) 단부에 끼워 도로에 사고알림장치(401)을 설치하게 되면, 차량이 상기 사고알림장치(401)의 경고로드부를 추돌 시 상기 튜브체(510)가 파손되어 내부에 수용된 분말(505)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기
20: 렉카 서버
25: 렉카 단말
30: 보험사 서버
35: 보험사 차량 단말
100: 사고알림장치
110: 몸체부
118: 힌지부
130: 경고로드부
133: 센싱부
174: 회로기판부

Claims (3)

  1. 상측이 개구된 공간부가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경고로드부; 상기 몸체부의 상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부; 상기 경고로드부에 구비되는 센싱부; 및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전방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내부가 중공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후방측으로 상기 경사부 내부와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경고로드부가 설치되는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 후방측으로 상기 연통부 내부와 연통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유연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부에 상기 경사부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경사부 내측에는 상기 송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격센싱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되, 상기 수용부 내부에는 상기 경사부 내부 공기가 상기 연통부를 통하여 공기가 공급 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공급된 공기와 함께 외부로 분출되는 경고용 분말이 수용되며,
    상기 경고용 분말은 빛 반사물질 및 야광물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고알림장치를 이용한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경고로드부를 외부로 인출 시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받은 스마트 어플이 실행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어플이 실행 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어플에 사용자가 계약한 보험사를 기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 후 상기 기 저장된 보험사가 호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어플에 렉카 정보를 기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접한 렉카를 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KR1020190078478A 2019-07-01 2019-07-01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KR102044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478A KR102044485B1 (ko) 2019-07-01 2019-07-01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478A KR102044485B1 (ko) 2019-07-01 2019-07-01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485B1 true KR102044485B1 (ko) 2019-11-14

Family

ID=6857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478A KR102044485B1 (ko) 2019-07-01 2019-07-01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733B1 (ko) * 2019-11-19 2020-07-16 주식회사 마이렌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17Y1 (ko) * 2009-12-31 2010-07-13 주식회사 나파스 휴대형 교통 안전표시구
KR101643249B1 (ko) * 2015-09-16 2016-07-29 주식회사 빅오이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KR101742262B1 (ko) * 2016-01-14 2017-06-01 엠피온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삼각대 시스템
KR101843314B1 (ko) 2017-06-27 2018-03-29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도로주행 사고알림용 앱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17Y1 (ko) * 2009-12-31 2010-07-13 주식회사 나파스 휴대형 교통 안전표시구
KR101643249B1 (ko) * 2015-09-16 2016-07-29 주식회사 빅오이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KR101742262B1 (ko) * 2016-01-14 2017-06-01 엠피온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삼각대 시스템
KR101843314B1 (ko) 2017-06-27 2018-03-29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도로주행 사고알림용 앱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733B1 (ko) * 2019-11-19 2020-07-16 주식회사 마이렌 차량의 2차사고 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42491A1 (en) Hazard warning system for vehicles
US20130229289A1 (en) Hazard warning system for vehicles
KR101643249B1 (ko)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US201503714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motely Assessing Vehicle Incidents and Dispatching Assistance
CN104103181B (zh) 基于dsrc 的故障车辆警示系统及其方法
KR101838882B1 (ko)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KR101558105B1 (ko) 차량 내장형 비상 삼각대
EP2518710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notifying of vehicle accidents
KR101772444B1 (ko) 차량용 프로젝션형 가상 안전 삼각대 표시장치
US11579633B1 (en) Automatically deployable drone for vehicle accidents
KR102044485B1 (ko)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CN109955786A (zh) 车载主动安全监控装置
WO2018051201A1 (es) Sistema de alarma para vehículo que integra dispositivos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y dispositivos móviles asociados con dicho sistema
KR20190019808A (ko) 차량 후방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1871819B1 (ko) 차량 후방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1691751B1 (ko) Iot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스마트 사고 접수 시스템 및 사고 접수 방법
KR20160137104A (ko) 차량 사고 인식 장치 및 차량 사고인식 장치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림 시스템
CN209162725U (zh) 一种吸尘口防撞警示装置
KR102165367B1 (ko)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US20110291825A1 (en) Car collision global positioning system
JP3211747U (ja) 自動車通知情報板
Pinart et al. ECall-compliant early crash notification service for portable and nomadic devices
KR102044494B1 (ko) 스마트 차량 사고알림장치
KR101306068B1 (ko) 에어백 범퍼가 부착된 차량의 사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