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367B1 -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367B1
KR102165367B1 KR1020140008937A KR20140008937A KR102165367B1 KR 102165367 B1 KR102165367 B1 KR 102165367B1 KR 1020140008937 A KR1020140008937 A KR 1020140008937A KR 20140008937 A KR20140008937 A KR 20140008937A KR 102165367 B1 KR102165367 B1 KR 10216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locking device
protective pad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520A (ko
Inventor
권익환
Original Assignee
(주)샤픈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픈고트 filed Critical (주)샤픈고트
Priority to KR102014000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3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Abstract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보호장치가 개시된다. 본 도어보호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고, 그 일측에 결속용 버클이 형성된 보호패드; 및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 측면에 설치되고, 그 일측에 상기 보호패드의 상기 결속용 버클과 결착 또는 탈착이 가능한 소켓부가 형성된 로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추돌방지장치는 충격감지장치, 사용자단말기 및 경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COLLISION PREVENTION SYSTEM, AND DOOR PROTECTION A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를 보호하는 도어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어 이웃하여 주차된 다른 자동차에 의해 도어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로 교통사고시 2차 추돌을 방지할 수 있는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용 주차장 등의 장소에서 자동차를 주차할 때, 이웃하는 자동차와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아서 자동차의 도어를 열 때 가해지는 접촉 및 충격에 의해 도어의 외관 표면이 손상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자동차 도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용 도어 가드가 제품화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가드는 평면 형태로 제작되어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도어 측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어 가드를 필요에 의해 분리하거나 다시 부착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종래의 도어 가드는, 세차시 발생하는 물의 침투 혹은 다른 외부 충격 등에 취약하여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 가드는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에만 의존하여 도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시 접착력 약화로 인해 도어로부터 분리되기 쉽다. 더구나, 도어 가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도어 가드가 부착된 부분의 색상이 다른 부분의 색상과 달라져서, 도어 가드의 탈착 후 도어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도 야기될 수 있다.
한편, 도로 특히 고속도로에서 사고시 갓길 주차 및 후방에 삼각 안전대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삼각대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차량이 많고, 또한 시속 100km 이상 주행되고 있는 고속도로에서 갓길 주차나 안전대 설치는 매우 위험하다. 이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 차량을 확인하지 못한 채 후방에서 주행하던 다른 차량이 사고 차량에 다시 추돌하는 2차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고, 이러한 2차 사고는 특히 가시거리 확보가 어려운 눈길 및 안개길 등 사고 위험 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도어가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 측면에 자석에 의해 부착 및 탈착될 수 있으며, 접이식 구조로 구성되어 보관시 최소 부피로 접을 수 있으면서 부착시에는 최대 면적으로 도어를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차량에 후행하던 차량이 재차 추돌하는 2차 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를 보호하는 도어보호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고, 그 일측에 결속용 버클이 형성된 보호패드; 및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 측면에 설치되고, 그 일측에 상기 보호패드의 상기 결속용 버클과 결착 또는 탈착이 가능한 소켓부가 형성된 로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패드는, 접힘에 대해 복원이 가능한 연성재질의 메인패널; 상기 메인패널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지지패널;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형성된 결속용 버클; 및 상기 메인패널 또는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에 설치된 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패드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지지패널;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자석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결속용 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로킹장치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수직 이분선 또는 가장의 수평 이분선에 대하여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호패드의 상기 결속용 버클은, 상기 로킹 장치의 상기 소켓부에 삽입 가능한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으로 돌출되되,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된 클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도어의 측면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본체; 및 제2 본체에 밀착되는 제1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용 버클이 삽입되는 소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켓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이 삽입되는 제1 소켓홈; 및 상기 클립부가 안착되는 제2 소켓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로킹장치에서, 상기 제2 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보호하는 도어보호패드로서, 접힘에 대해 복원이 가능한 연성재질의 메인패널; 상기 메인패널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지지패널; 및 상기 메인패널 또는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보호하는 도어보호패드로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지지패널; 및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자석;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돌방지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충격센서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충격감지장치;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동가능하고,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수신한 충격신호에 따라 경고메세지를 표시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작동신호에 따라 경고신호를 표시하는 경고표시수단을 구비한 경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충격감지장치의 상기 충격센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의 상기 로킹장치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보호장치는 도어의 측면에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한 보호패드를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보호패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보호패드는 접이식 구조를 가지므로, 보관시 최소 부피로 접을 수 있으면서, 설치시 최대 면적으로 펼쳐져서 도어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이 용이한 보호패드는 별도로 마련된 로킹장치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도난의 위험이 감소된다. 특히, 로킹장치는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최소 면적으로 부착 및 설치될 수 있으며, LED 또는 센서의 부착을 통해 장식 효과 및 이웃하는 차량의 접근 감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는 자동차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돌방지시스템을 구비하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2차 추돌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고로 인해 운전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에도 자동으로 경고장치를 작동하거나 구조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므로, 교통사고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보호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보호패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보호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보호패드에 설치된 결속용 버클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절개선을 따라 바라 본 결속용 버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로킹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로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로킹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9는 자동차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로킹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자동차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돌방지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추돌방지시스템을 이용하여 경고장치의 작동 및/또는 구조신호의 송출을 진행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추돌방지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경고메세지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돌방지시스템에서 차량에 충격센서 및 경고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예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는, 보호패드(101 또는 102) 및 로킹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패드(101 또는 1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미도시)을 포함하고, 보호패드(101)의 일측에 결속용 버클(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킹장치(200)는 도어의 가장자리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일측에 보호패드(101)의 결속용 버클(130)과 결착 또는 탈착이 가능한 소켓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패드는, 접힘에 대해 복원이 가능한 연성재질의 메인패널(110)과, 메인패널(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지지패널(120)과, 메인패널(110)의 일측에 형성된 결속용 버클(130)과, 메인패널(110) 또는 복수의 지지패널(120)에 마련된 자석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패널(110)은 피혁, 직물재,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접힘 조작에 대하여 복원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패널(120)은 상당한 정도의 외부 충격(특히, 이웃하는 자동차의 도어와 접촉할 때 발생되는 충격)에도 손상이 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패널(110) 또는 지지패널(120)의 내부에 복수개의 자석이 매설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메인패널(110) 및 지지패널(120) 모두에 적절한 배치로 복수개의 자석이 매설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보호패드는, 도 2에서 보듯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지지패널(120)들을 접거나 다시 펼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보호패드와 같이, 유사한 구조를 가진 2개의 보호패드(101 및 102)가 연결부(140)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결속용 버클(130)은 어느 하나의 보호패드(101)에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연결부(140)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보호패드(101 또는 102)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보호패드를 사용하면, 도 10에서 보듯이, 하나의 도어보호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앞문 보호용 보호패드(101) 및 뒷문 보호용 보호패드(102)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패드는, 도 3에서 보듯이, 예컨대 힌지(123)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지지패널(121, 122)과, 이들 복수의 지지패널(121, 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자석(미도시)과, 복수의 지지패널(121, 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결속용 버클(1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123)는 서로 연결된 두개의 지지패널(121, 122)에 마련된 소정의 지지대에 각각 체결되어, 두개의 지지패널(121, 122)이 서로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패드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으로서 리플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보듯이, 지지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150)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하여 주차된 자동차의 탑승자가 도어를 열 때, 리플렉터(150)에 의해 반사된 빛에 의해 주의를 기울일 수 있어서, 도어의 개폐시 이웃하는 차량의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조심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보호패드는 모두 자석을 포함하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자동차의 도어에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 충격에 의한 도어의 손상이 예견되는 장소에 자동차를 주차한 경우, 실내에 비치된 보호패드를 자동차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보호패드를 사용한 이후에는, 보호패드를 자동차의 도어로부터 탈착한 후 이를 접어서 실내에 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이식으로 구성된 보호패드는 최소 부피로 되어 실내에 보관이 용이하고, 아울러 펼쳤을 때 자동차의 도어를 최대 면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조의 보호패드는 자동차의 도어에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한 반면에 도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는 보호패드의 결속용 버클이 체결될 수 있는 로킹장치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도시하였다. 로킹장치(200)는 도어의 가장자리에 반영구적으로 고정 및 설치될 수 있다. 로킹장치(200)에는 보호패드(101)의 결속용 버클(130)과 대응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착 및 탈착될 수 있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로킹장치(200)는, 도 7에서 보듯이, 도어의 측면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제1 본체(210)와, 제1 본체(2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본체(220)를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로킹장치(200)에는 보호패드의 결속용 버클과 결착 및 탈착될 수 있는 소켓부(214)가 형성되며, 이하에서는 결속용 버클 및 소켓부의 결착 및 탈착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에서 보듯이, 보호패드의 결속용 버클(130)은, 로킹장치(200)에 마련된 소켓부에 삽입 가능한 메인프레임(132)과, 이 메인프레임(132)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클립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결속용 버클(130)의 일단은 보호패드(101)의 메인패널(110)로부터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부(13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클립부(133)는 메인프레임(132)의 상향 또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나아가 돌출 높이(h)가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클립부(133)는 메인프레임(132)과 같은 재질로서 연결부(133a)를 통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클립부(133)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3개의 가장자리는 메인프레임(132)과 분리되되, 1개의 가장자리가 연결부(133a)를 통해 메인프레임(132)과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7로 돌아와서, 소켓부(214)는 제2 본체(220)에 밀착되는 제1 본체(2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214)는, 메인프레임(132)이 삽입되는 제1 소켓홈(214a)과, 클립부(133)가 안착되는 제2 소켓홈(21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소켓홈(214a)은 제1 본체(210)의 내측면으로부터 메인프레임(132)의 두께(T)에 대응하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며, 제2 소켓홈(214b)은 제1 소켓홈(214a)의 바닥면으로부터 클립부(133)의 돌출 높이(h)에 대응하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장치(200)의 제1 본체(210) 및 제2 본체(220)가 완전히 중첩된 상태(즉, 도 6에 도시한 상태)에서 소켓부(214) 내에 결속용 버클(130)을 삽입하면, 먼저 메인프레임(132) 및 클립부(133)가 제1 소켓홈(214a)에 삽입된 후, 제2 소켓홈(214b)에 도달할 때 클립부(133)가 탄성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제2 소켓홈(214b)의 일측 벽에 클립부(133)의 일단이 지지된다.
보호패드를 로킹장치로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본체(210) 및 제2 본체(220)가 서로 완전하게 중첩된 상태(즉, 도 6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소켓부(214)로부터 결속용 버클(130)을 탈착할 수 없다. 즉, 클립부(133)의 일단이 제2 소켓홈(214b)의 일측에 가로막혀 인출이 저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라이딩 레인(212)을 따라 제2 본체(220)를 제1 본체(210)로부터 슬라이딩시켜서 제1 및 제2 소켓홈(214a, 214b)을 개방한 후 버클(130)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본체(210, 220)의 슬라이딩 조작은 자동차의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도난 방지에 유리하다. 이를 위해, 제2 본체(220)의 일측에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22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228)는 닫혀진 앞문과 뒷문 사이에 끼워져서 뒷문의 가장자리에 의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앞문과 뒷문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제2 본체(220)의 슬라이딩 조작이 저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본체(210)의 일측에는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로킹장치(200)는 제1 본체(210)에 마련된 끼움부(216) 및/또는 접착테이프(218)를 통해 반영구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 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된 로킹장치(200)는 자동차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식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본체(220)의 주면(221)에 LED(222, 223)를 설치하여 장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여 주차된 차량과의 근접 거리를 측정하여 위험을 안내하는 센서(224)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웃하여 주차된 자동차의 도어와 접촉될 때 설치된 LED 및 센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면(221)보다 돌출된 범프(226)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LED 및 센서의 조작을 위하여, 제2 본체(220)를 슬라이딩시킬 때 노출되는 배면(도 8 참조)에 스위치(227)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LED 및 센서는 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도 8에서 보듯이, 제2 본체(220) 내부에 배터리 캡(229)를 통해 교체할 수 있도록 장착된 별도의 배터리(미도시)를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자동차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먼저, 통상의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로킹장치(200)만을 설치한 상태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로킹장치(200)만 설치한 경우에도, LED 등을 이용하여 장식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평상시의 운행시 자동차의 외관이 미려하다. 만약 주차 공간이 협소하여 이웃하여 주차된 자동차의 도어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실내에 보관된 보호패드를 도어의 측면에 부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패드는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펼쳤을 때 최대 면적으로 도어를 보호하게 된다. 특히, 도 2개 한쌍의 보호패드가 연결부(140)로 연결된 경우, 앞문(310) 및 뒷문(320)에 동시에 부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자동차의 우측 및 좌측에 모두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디자인으로 설계된 로킹장치가 좌측 및 우측에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상하 또는 좌우가 대칭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로킹장치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가상의 수평 이분선(H)에 대하여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로킹장치는 이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수직 이분선에 대하여 대칭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돌방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로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다른 추돌방지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는 충격감지장치(410), 차량 탑승자가 휴대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420),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고장치(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충격감지장치(410)는, 차량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센서(412)와, 충격센서(412)에서 충격을 감지한 경우 이를 사용자단말기(420)에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414)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센서(412)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로킹장치(200)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모듈(414)은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단말기(420)와 통신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단말기(420)는 전화통화가 가능하고 동시에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단말기(420)에는 통신모듈(414)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하는 사용자 선택정보에 따라 차량 외부에 설치된 경고장치(430)에 대한 작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고장치(430)는, 사용자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과,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따라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경고 신호를 표시하는 다양한 경고표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경고장치(430)에 구비 가능한 경고표시수단은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돌방지시스템을 이용하여 2차 추돌을 방지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센서(412)가 그 충격을 감지하고, 통신모듈(414)은 충격신호에 따라 사용자단말기(420)에 경고신호를 송출한다. 사용자단말기(420)가 통신모듈(414)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면(S101), 사용자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에 경고메세지를 표시한다(S102). 예컨대, 사용자단말기(420)에는 도 13에서 예시한 경고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경고메세지는는 일정한 시간(예컨대, 30초)을 카운트다운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카운트다운을 취소하지 않는 경우(즉, 사용자 선택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경고장치 작동신호 및/또는 구조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경고메세지에 대하여 사용자 선택정보를 입력하면(S103), 그 선택정보에 따라 경고장치 작동신호 및/또는 구조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105). 그리고, 차량에 가해진 충격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혹은 부주의에 의한 충격인 경우(즉, 사용자가 경고장치의 작동 또는 구조신호의 송출을 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경고메세지를 취소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든 프로세스가 종료된다(S106).
한편, 사용자단말기(420)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한 경우, 경고장치(430)는 구비된 경고표시수단을 통해 후행하는 차량에 대해 사고 발생을 알린다. 여기서, 경고표시수단으로는, 예컨대 연막수단, 발광수단, 경보수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표시수단은 차량의 외부 특히 루프(Roof)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고표시수단이 작동되면, 먼 거리에서도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더 효과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용이하게 피할 수 있다.
한편, 구조신호는 사용자단말기(420)에 구비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송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단말기(420)가 통화기능을 구비한 경우, 경찰서 등 미리 등록된 기관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420)가 위치한 지점(즉,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미리 등록된 기관에 송출할 수 있다.
상술한 추돌방지시스템은 예컨대 사용자단말기(420)에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는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단말기(420)에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사고 발생시 필요한 조치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차량의 도어를 보호하는 도어보호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고,
    그 일측에 결속용 버클이 형성된 보호패드; 및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 측면에 설치되고, 그 일측에 상기 보호패드의 상기 결속용 버클과 결착 또는 탈착이 가능한 소켓부가 형성된 로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로킹장치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수직 이분선 또는 가장의 수평 이분선에 대하여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호패드의 상기 결속용 버클은,
    상기 로킹 장치의 상기 소켓부에 삽입 가능한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으로 돌출되되,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된 클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도어의 측면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본체;
    제2 본체에 밀착되는 제1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용 버클이 삽입되는 소켓부; 및
    상기 제2 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소켓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이 삽입되는 제1 소켓홈; 및
    상기 클립부가 안착되는 제2 소켓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보호장치.
KR1020140008937A 2014-01-24 2014-01-24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216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937A KR102165367B1 (ko) 2014-01-24 2014-01-24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937A KR102165367B1 (ko) 2014-01-24 2014-01-24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520A KR20150088520A (ko) 2015-08-03
KR102165367B1 true KR102165367B1 (ko) 2020-10-14

Family

ID=5387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937A KR102165367B1 (ko) 2014-01-24 2014-01-24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409B1 (ko) * 2015-12-01 2017-04-07 (주)샤픈고트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CN107539211B (zh) * 2016-06-28 2021-01-22 盐城工学院 一种汽车开门预防碰撞安全装置
KR200495819Y1 (ko) * 2021-03-29 2022-08-25 박재상 자동차용 도어 가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51Y1 (ko) * 2006-01-05 2006-04-27 이찬혁 자동차의 흠집 방지용 보호대
KR100910991B1 (ko) * 2008-03-10 2009-08-05 최창근 쎌타입으로 분리가능한 차량용 도어가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979A (ko) * 2010-08-20 2012-02-29 정종열 자동차 측면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51Y1 (ko) * 2006-01-05 2006-04-27 이찬혁 자동차의 흠집 방지용 보호대
KR100910991B1 (ko) * 2008-03-10 2009-08-05 최창근 쎌타입으로 분리가능한 차량용 도어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520A (ko)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231B1 (ko) 경관 조명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KR101511900B1 (ko) 무선 안전 삼각대
KR101723409B1 (ko)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KR102165367B1 (ko)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1305435B1 (ko) 차량용 삼각대
KR101371019B1 (ko)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US9321401B2 (en) Stop-arm with camera system
CN106828401B (zh) 车辆
KR102115115B1 (ko) 이륜차량용 안전시동 시스템
CN207140943U (zh) 一种车辆安全预警系统
JP6436323B2 (ja) ワンタッチ安全三角表示板
KR101757892B1 (ko) 주차장의 차량문짝 보호장치
KR101535995B1 (ko)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GB2465214A (en) Collision warning system for use on roads and railways
ES1240040U9 (es) Sistema de señalización especifico para avisar a los usuarios de la vía de la apertura inminente de las puertas del vehículo
US20060048420A1 (en) An Improved Portable Auxiliary Vehicle/ Automobile Warning Device
KR101464865B1 (ko)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WO2015130038A1 (ko) 교통안전표지 삼각대
JP3211747U (ja) 自動車通知情報板
KR20140031727A (ko) 차량 후방추돌 방지장치
TWI668676B (zh) Road sensing warning device
KR102044485B1 (ko)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JP2019007316A (ja) 視線誘導標
TWM575167U (zh) Road sensing warning device
KR20220073348A (ko)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