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409B1 -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409B1
KR101723409B1 KR1020150170139A KR20150170139A KR101723409B1 KR 101723409 B1 KR101723409 B1 KR 101723409B1 KR 1020150170139 A KR1020150170139 A KR 1020150170139A KR 20150170139 A KR20150170139 A KR 20150170139A KR 101723409 B1 KR101723409 B1 KR 10172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impact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익환
Original Assignee
(주)샤픈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픈고트 filed Critical (주)샤픈고트
Priority to KR102015017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409B1/ko
Priority to PCT/KR2016/003102 priority patent/WO201709497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28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doors or panels, e.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s in case of a sid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12Zone surveillance means, e.g. parking lots, truck de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 차량의 도어에 의해 자차에 충격이 가해져 자차의 도어의 표면에 손상이 가해지는 일명 문콕테러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차량 도어의 가장자리 면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된 도어 끼움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결속부가 탈부착 되도록 하는 제1,2 본체부, 도어의 오픈시에만 제1,2 본체부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 되어 결속부를 결속 해지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 및 타 차량의 도어에 의해 자차의 도어에 충격이 가해진 횟수, 충격 날짜, 충격 시간, 및 충격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충격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Door protection apparatus for cars}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 차량의 도어에 의해 자차에 충격이 가해져 자차의 도어의 표면에 손상이 가해지거나 자차의 문을 열면서 타 차량에 충격을 가할 때 타 차 표면에 손상이 가해지는 일명 문콕테러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용 주차장 등의 장소에서 자동차를 주차할 때, 이웃하는 자동차와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아서 타 차량의 도어를 열 때 가해지는 접촉 및 충격에 의해 자차의 도어의 외관 표면이 손상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자동차 도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용 도어 가드가 제품화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가드는 평면 형태로 제작되어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도어 측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어 가드를 필요에 의해 분리하거나 다시 부착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종래의 도어 가드는, 세차시 발생하는 물의 침투 혹은 다른 외부 충격 등에 취약하여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 가드는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에만 의존하여 도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시 접착력 약화로 인해 도어로부터 분리되기 쉽다. 더구나, 도어 가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도어 가드가 부착된 부분의 색상이 다른 부분의 색상과 달라져서, 도어 가드의 탈착 후 도어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도 야기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019에 공지된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는 차량 도어의 보호를 패드의 넓이로서 해결하고자 하나 이렇게 패드가 넓은 경우 보관상의 불편함이 따르며, 또한 자석 방식만을 채용함으로써 알루미늄 바디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경우에는 패드가 차량 도어에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패드의 길이 및 폭이 고정되어 있어 차량 도어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019에 공지된 고정부는 단순히 경고 발광과 패드부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그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019(발명의 명칭 :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6788(발명의 명칭 :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0152733(발명의 명칭 : 차량의 위치검출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복층도로 검출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5801(발명의 명칭 :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지하주차장에서의 차량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주차장에서의 차량위치확인 및 개별차량 유도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4070(발명의 명칭 : 차량의 위치확인장치와 그 확인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7106(발명의 명칭 : 위치확인 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 도어의 재질 종류에 상관없이 패드가 모두 고정되도록 하고, 패드의 넓이가 아닌 높이로서 차량의 도어를 보호하고, 고정부가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하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도어에 탈부착되어 문콕 찍힘을 경고 또는 방지하는 제1,2 본체부, 차량 도어의 가장자리 면에 제1,2 본체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된 도어 끼움부, 및 차량 주차시 주차 층을 인식하기 위해 차량의 기울기 값 또는 대기압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인식하는 주차 층 인식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주차 층 인식센서는 기울기 센서 및 기압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울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기울기 값을 바탕으로 기울기 구간을 산출하고, 기압 센서로부터 대기압 값을 입력받으며, 기울기 구간과 대기압 값을 바탕으로 차량의 주차 층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기울기 구간이 일정시간 내에 기울기 값을 가지다가 기울기 값이 없는 구간을 1회차 기울기 구간으로 판단하며, 기울기 구간의 횟수에 상응하도록 주차 층을 매칭하며, 일정시간을 측정하도록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기울기가 시작되는 점부터 시간을 카운팅하는 리얼타임 클럭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에 탑재된 블랙박스와 연동되어 블랙박스에서 획득한 증거영상과 제어부에서 획득한 충격 정보를 보험사에 제출할 증거자료로 취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도어의 가장자리 면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된 도어 끼움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결속부가 탈부착 되도록 하는 제1,2 본체부, 도어의 오픈시에만 제1,2 본체부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 되어 결속부를 결속 해지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 및 타 차량의 도어에 의해 자차의 도어에 충격이 가해진 횟수, 충격 날짜, 충격 시간, 및 충격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충격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끼움부에는 차량 도어의 표면을 조여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고정수단은 일예로서 나사이고,
락킹 해제를 위해 상기 제1 본체부가 상기 제2 본체부에 대해 오른쪽으로 슬라이딩되고, 락킹 해제 후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충격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에 상응하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타 차량의 도어가 자차의 도어에 접근하는 거리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부, 타 차량의 도어가 기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경우 경고음을 울리는 경고음 발생부, 충격 횟수를 표시하고, 기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시 반복적으로 발광하여 타 차량의 도어 접근을 타 차량 탑승자에게 알리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본체부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부착됨으로써 자차의 도어 오픈시에 타 차량의 도어에 충격에 의한 흠집을 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충격방지 고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도어를 보호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 몸체부가 도어에 탈부착 되도록 몸체부의 적어도 양측에 탈부착 되는 몸체 고정부, 몸체 고정부가 서로 대면 되도록 몸체부를 접음으로써 몸체부의 보관시 길이를 줄이도록 하는 접이부, 및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도어의 보호범위를 확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연장되는 슬라이딩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 고정부는 몸체부를 자석에 의해 도어에 고정하거나 또는 흡착에 의해 도어에 고정하며, 몸체 고정부에는 나선 형상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몸체부에는 나선 형상의 돌기부에 대응되는 고정 돌기부가 형성되어 몸체부와 몸체 고정부가 회전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딩 보호부의 끝단부에는 타 차량 도어의 충격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고 자차 표면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고무가 부착된다.
또한, 몸체 고정부가 형성된 부근 영역에는 몸체부의 접철시 몸체 고정부의 상호간 간섭을 피하기 위해 높이 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일단부가 몸체부에 인입 고정되는 케이블 및 케이블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고정부가 고정됨으로써 도난을 방지하고, 몸체부에는 케이블의 정리를 편리하게 하는 케이블 수납부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가 스마트폰과 연동됨으로써 충격정보 등과 함께 필요에 따라 촬영정보까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추후 보험사에 증거자료를 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차 위치 또는 주차 층을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의 넓이가 아닌 높이로 차량의 문콕테러를 방지하고, 패드를 1/2로 접을 수 있어 패드의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의 길이가 필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차량의 길이에 능동적으로 대처가 가능하여 도어의 보호범위가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 또는 패드부를 각각 따로 사용하거나 서로 한 쌍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방지 고무가 고정부로부터 분리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본체부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딩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끼움부와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몸체고정부를 4포인트 영역에서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몸체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식 몸체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몸체고정부가 몸체부의 인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식 몸체고정부의 레버 작동에 의한 락킹과 언락킹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단차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단차에 의해 흡착식 몸체고정부의 레버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 몸체부를 1/2로 접기 위한 힌지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보호부가 슬라이딩 되어 도어의 보호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보호부의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인입홈이 패드 몸체부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이 패드 몸체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언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패드부가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부가 차량 도어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본체부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후 원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하는 스프링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차량 도어 보호를 위한 고정부)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따른 차량 도어 보호를 위한 고정부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는 패드 락킹장치로서 후술하는 패드부(200)의 제1 패드 고정부(311)가 인입 삽입되어 패드부(200)를 락킹함으로써 패드부(200)의 도난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부(100)는 충격 센서부(111)에 의해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횟수를 카운트하고, 근접 센서부(112)에 의해 타 차량 도어의 접근을 감지하여 경보 알람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타 차량 도어의 충격에 의한 자차 도어의 충격 및 타 차량 도어의 접근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거나 알림을 표시하고, 패드부를 락킹하여 도난을 방지하는 고정부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 락킹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대략 오각형으로서, 가운데 영역에는 고정부(100)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된 충격방지 고무(151)가 형성되어 있다. 충격방지 고무(151)는 자차의 도어 오픈시 고정부(100)가 타 차량의 도어에 충격을 가하여 흠집을 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충격방지 고무(1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교체가 언제든 가능하다. 충격방지 고무(151)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충격 센서부(111)의 감지에 따라 충격 횟수를 표시하는 충격 횟수 표시부(131)와 스마트폰과 NFC 연동시 터치를 위한 NFC 터치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충격방지 고무(151)를 기준으로 타측에는 근접 센서부(112)의 감지에 따라 LED를 반복적으로 발광하는 제1 LED 발광부(132), 제1 LED 발광부(132)와 일정 거리 이격된 하측 영역에는 고정부(100)의 동작 및 기능에 따라 발광하는 제2 LED 발광부(133), 제1 LED 발광부(132)와 제2 LED 발광부(133) 사이 영역에는 실제 카메라(115)가 인입되어 타 차량의 도어를 향해 촬영하거나 실제 카메라와 형상이 유사한 페이크 카메라(fake camera)가 형성되며, 제2 LED 발광부(133)와 일정거리 이격된 하측 영역에는 타 차량의 도어가 근접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부(112)와 근접 센서부(112)의 감지에 따라 동작하는 경고음 발생부(113)가 내부에 내장 형성되어 있다. 충격 센서부(111)가 충격을 감지한 경우나 근접 센서부(112)가 차량이나 인체의 접근을 감지시 경고음 발생부(113)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지피에스(도면 미도시)는 차량 도난을 예방하기 위해 고정부에 삽입되는 장치로서, 일예로서 고정부(100)의 락킹을 해제하지 않고 차량을 운행하면 제어부(141)가 지피에스로부터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해 차량의 소유주에게 현재 차량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도면 미도시)도 추가적으로 고정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부의 락킹을 해제하지 않고 차량을 운행하면 경고음 발생부(113)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부(150)와 제2 본체부(160)로 대략 구성된다. 제1 본체부(150)는 제2 본체부(16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되며, 슬라이딩에 따라 패드부(200)의 락킹을 해제한다. 제1 본체부(150)는 제2 본체부(160)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고, 제2 본체부(160)는 제1 본체부(150)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제1 본체부(15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때, 제1 본체부(150)의 슬라이딩 거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200)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는 거리만큼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격된다. 즉, 제1 본체부(150)의 슬라이딩 거리는 제1 패드 고정부가 안착 되는 안착홈(163)이 보이도록 하는 이격 거리이다. 제1 본체부(150)에는 충격방지 고무(151), 충격 센서부(111), 근접 센서부(112), 경고음 발생부(113), nfc 터치부(114), 카메라부(115) 및 상술한 각종 디스플레이부(130)가 형성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100)의 기능을 달성하도록 하는 각종 부가 장치가 제1 본체부(150)에 형성된다. 다만, 이러한 고정부(100)의 각종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부가장치는 제1 본체부(150)에 구비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제2 본체부(16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2 본체부 각각에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가장치의 구비 위치는 필요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부(160)에는 제1 패드 고정부(311)의 안착홈(163)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163)에는 제1 패드 고정부(311)가 삽입된다. 즉, 안착홈(163)에 제1 패드 고정부(311)를 삽입하는 방법은 대략 2가지 예로서 실시될 수 있다. 첫째로, 제1 본체부(150)를 슬라이딩하지 않고 제1 패드 고정부(311)를 바로 안착홈(163)에 끼울 수 있다. 둘째로, 제1 본체부(150)가 오른쪽으로 일정거리 슬라이딩 되면, 안착홈(163)이 보이며, 이때 제1 패드 고정부(311)가 안착홈(163)에 안착 되어 끼워지면 제1 본체부(150)를 다시 왼쪽으로 슬라이딩하여(이때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외력을 제거하면 슬라이딩 됨) 락킹한다. 다만, 제1 본체부(150)를 슬라이딩하지 않고 바로 결착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락킹이 되면 제1 패드 케이블(312)이 고정부(100)와 패드부(20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후술하는 패드부(20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락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차량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제1 본체부(150)를 슬라이딩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1 패드 고정부(311)가 안착홈(163)으로부터 빠져나오면 락킹이 해제된다.
제1 본체부(150)의 후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152)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152)는 고정부(100)가 차량 도어의 앞문과 뒷문 사이에 끼워진 경우 제1 본체부(150)가 슬라이딩 되지 못하도록 한다. 즉, 고정부(100)가 앞문과 뒷문 사이에 고정된 경우 만약 제1 본체부(150)가 슬라이딩 되면 제1 패드 고정부(311)가 락킹 해제되어 패드부(200)가 도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152)는 제1 본체부(150)의 후면의 우측 엣지면에 차량 도어의 앞문과 뒷문 사이에 고정되도록 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본체부(160)의 상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 고정부(311)가 안착 되는 안착홈(163)이 형성되며, 또한 제1 본체부(15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딩 레인 홈(16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레인 홈(162)에 끼움 맞춤 되어 제1 본체부(15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지지체(도면 미도시)가 제1 본체부(15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본체부(160)의 후면의 우측 엣지면에는 차량 도어의 가장자리 면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하는 도어 끼움부(161)가 'ㄴ'자 형상으로 적어도 2개 형성되어 있다. 'ㄴ'자 형상이 차량 도어의 앞문의 우측 가장자리 면에 삽입 끼워져 고정부(100)를 차량 도어와 고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도어끼움부(161) 표면에는 도어 표면 보호부인 부드러운 연질소재(일예로서 고무재질의 고무러버)가 끼워질 수 있다. 고무러버(도어 표면 보호부)는 도어끼움부(161)의 표면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그 형상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서 도어끼움부(161)의 표면을 'ㄷ'자 형상으로 감싼다. 도어끼움부(161)를 차량 엣지에 장착시 차량에 가하는 긁힘을 막아주고, 또한,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도어 두께가 얇아 차량 엣지에 장착시 본체부(100)가 흘러내릴 경우에 대비해 나사를 넣어 고정시킬 수 있는 홈이 도어끼움부(161)에 있으며, 동시에 도어 표면 보호부인 고무재질에도 동일한 홈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는 도 4에서 차량 도어의 표면을 압착하는 방향으로 도어끼움부(161)의 구멍을 관통하여 차량의 표면을 압박하여 고정을 하게 된다. 이때, 도어 표면 보호부의 'ㄷ'자 형상 중 일측은 구멍이 뚫리고, 타측은 구멍이 막혀있다. 따라서 고정 나사가 도어끼움부(161)의 홈을 관통하고 도어 표면 보호부의 일측 홈을 관통하지만, 도어 표면 보호부의 타측에는 홈이 없기 때문에 차량 표면에 나사가 직접 닿지 않고 고무재질의 도어 표면 보호부가 나사의 조임에 따라 도어 표면을 압착(조임)하여 고정하게 된다. 고정나사의 끝단부는 뾰족한 것 보다는 뭉퉁한 형상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에 구비되는 각종 부가 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충격 센서부(111)는 타 차량 도어에 의한 자차 도어의 충격량을 감지한다. 충격량은 충격의 크기(진폭)일 수 있다. 다만, 충격 센서부(111)는 타차 도어의 충격에 의한 충격 펄스를 감지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추후 보험사에 증거자료로 제시될 수 있다. 제어부(141)는 충격 센서부(111)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충격 크기를 넘어서는 경우 충격 횟수를 카운터 한다. 근접 센서부(112)는 타 차량의 도어와의 거리를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41)에 전송함으로써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경고음 발생부(113)를 통해 경고음을 발하고,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경고 발광을 하도록 한다. 리얼타임 클럭부(120)는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생성한다. 따라서 충격 센서부(111)에 의해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1)는 충격이 가해진 날짜 및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상술한 충격 횟수 표시부(131), 제1,2 LED 발광부(132,133)를 포함하며, 경고 발광 또는 고정부의 동작 및 기능 수행에 따른 발광을 한다.
한편, 제어부(141)는 차량에 기 탑재된 블랙박스와 와이파이 또는 유선으로 접속되어 블랙박스에서 촬영한 영상과 제어부(141)에서 획득한 다양한 문콕 데이터(일예로서 충격 펄스, 충격 횟수, 충격 날짜 및 시간 등)를 취합하여 보험사에 제출할 증거자료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00)는 차량의 퓨즈박스와 접속되어 차량으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거나 차량에 여분으로 장착된 배터리로(일예로서 블랙박스가 사용하는 차량에 추가 설치된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0)는 내부에 휴대용 배터리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정부(100)의 각종 센서 및 제어부가 동작할 수 있으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고정부(100)의 센서 및 각종 부가장치(LED 및 제어부)가 동작하도록 하고,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충격 횟수의 카운터를 초기화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초기화 전에 충격 횟수의 카운터 및 기록 시간 등 기타 중요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초기화 한다.
통신부(143)는 대략 2가지 통신모드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는 NFC 통신모듈이고 다른 하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일 수 있다. NFC 또는 블루투스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와 스마트폰(도면 미도시)이 서로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일예로서 충격 횟수, 충격 크기, 충격 날짜 및 시간이다. 이러한 충격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이때, NFC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이 제1 본체부(150)에 형성된 NFC 터치부(114)에 터치하면 되고, 블루투스의 경우에는 고정부(100)와 스마트폰간에 블루투스 연결을 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면 된다. 이러한 충격정보는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 영상과 함께 증거로 보험사에 제출될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에는 이러한 충격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어플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어플은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메모리부(142)는 상술한 충격정보를 저장하거나 제어부(141)가 구동되기 위한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플래쉬 롬 또는 이에 상응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42)는 SD Memory 카드와 동일하거나 동등 이상의 휴대용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충격정보를 저장하여 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5에 도시된 부가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부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부의 구현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가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따른 신호의 방향은 예시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고정부(100)는 제1 본체부(150)와 제2 본체부(160)로 대략 구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본체부(150)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딩 되어 락킹을 해제한다. 이때, 제1 본체부(150)를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여 락킹을 해제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170)을 이용하여 제1 본체부(150)가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 되도록 한다. 이렇게 스프링(170)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제1 본체부(150)가 원위치 되면 소비자가 제1 본체부(150)를 슬라이딩 후 수동으로 원위치시키지 않고 바로 차량 도어를 닫아서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27을 참조하면, 먼저 도 4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70)이 삽입되는 삽입홈(180)이 제1 본체부(150)와 제2 본체부(160)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본체부의 2개의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152)에는 한 쌍의 스프링(170)의 각 일측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와 반대측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프링의 타측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락킹 해제를 위해 제1 본체부(150)를 오른쪽으로 슬라이딩 하는 경우 스프링 안내부(166)를 따라 한 쌍의 스프링(170)이 늘어나게 되며, 락킹 해제 후 사용자가 제1 본체부(150)를 놓으면 복원력에 의해 제1 본체부(150)가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상에서는 한 쌍의 스프링(170) 중 하나만을 설명하였으나 나머지 하나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차량 주차 위치 확인 방법)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에 차량을 주차한 경우 차량을 어느 층에 주차했는지 기억을 못할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에 차량의 주차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삽입할 수 있다. 즉, 기울기 센서 및 기압센서(도면 미도시)를 고정부(100)에 삽입하여 차량을 어느 층에 주차했는지 알 수 있다. 만약 차량이 빌딩 건물의 지하로 진입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차량이 빌딩 건물의 지상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기울기 센서는 차량의 기울기를 센싱한다. 다만, 기울기 센서 대신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차량의 기울기를 계산할 수도 있다. 차량이 지하 1층으로 진입하는 경우 수평면에 대해 일정 기울기를 가지고 진입하게 되며 지하 1층에 진입 후에는 다시 수평면에 평행하게 된다. 또한, 계속적으로 지하 1층 아래로 진입하는 경우 차량이 기울기를 가지다고 평행하게 되는 것을 반복한다. 따라서, 제어부(141)는 기울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싱값을 계산하여 차량이 몇층에 주차되었는지 인식할 수 있다. 즉, 지하 3층에 주차되었다고 가정하면 수평면에 대해 차량이 일정 기울기를 가지다가 다시 평행하게 되는 구간을 3회에 걸쳐 반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차량이 기울기를 가지다가 다시 평행하게 되는 구간을 기울기 구간이라 한다. 이러한 기울기 값을 제어부(141)가 기울기 센서로부터 전송받아 차량의 주차 위치를 산출한다. 다만, 상술한 기울기 구간은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즉, 기울기 구간의 전체 시간이나 차량이 기울기를 가지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길게 지속되는 경우에는 차량이 주차를 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일예로서 고속도로 구간에서 내리막길이 상당시간 지속되다가 다시 평행한 길을 달리는 경우 제어부(141)는 기울기 구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울기 구간의 전체 시간을 카운팅하여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들어오는 경우 기울기 구간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서 기울기 구간의 전체 시간을 5초로 설정한 경우 차량이 기울기를 가지다가 다시 평행하게 되는 시간이 5초 이내에 들어와야 노이즈가 아닌 것으로 제어부(141)가 인식한다. 따라서 지하 3층에 주차한 경우 기울기 구간이 3회 반복되며, 각 기울기 구간이 5초 이내에서 3회 반복된다.
한편, 차량의 주차 위치를 기울기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기울기 값에 의해 판단하는 경우에는 부정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압센서를 이용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1)는 기압센서에서 전송되는 대기압 값을 인식하여 상술한 기울기 값과 상호 대비하여 정확한 주차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지하 주차 위치에 따라 대기압 값이 서로 다르게 되고, 또한 상술한 기울기 구간이 복수회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41)는 기울기 구간의 데이터와 대기압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서로 주차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지하 주차장의 위치를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만약, 상호간에 주차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울기 센서 또는 기압 센서 중 좀 더 정확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주차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대기압 값과 지하 주차장의 층 별 매칭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각 건물의 각 층당 대기압 값을 룩업 테이블에 저장한 후 기압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값과 룩업 테이블 값을 비교하여 차량이 지하 몇 층에 주차했는지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건물의 각 층당 대기압 값을 평균화하여 룩업 테이블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한 차량의 주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기울기 센서와 기압센서를 상호 보완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리얼타임 클럭부(120)의 시간을 카운팅하여 기울기 구간의 노이즈 데이터를 제외할 수 있다. 제어부(141)는 차량이 주차한 경우 주차 위치를 NFC 통신을 통해 운전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함으로써 운전자가 추후 차량 주차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차량 도어 보호를 위한 패드부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부(200)는 챠량의 도어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 도어의 수평방향으로 앞문과 뒷문에 걸쳐 부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부(200)는 차량 도어 보호를 위해 넓이가 아닌 높이로 일명 '문콕'을 방지한다. 따라서 패드부 몸체는 제품의 두께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부(200)는 고정부(100)와 락킹되어 패드부의 도난을 방지한다. 고정부(100)는 차량의 앞문과 뒷문 사이 경계면에 고정되며, 패드부는 고정부(100)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 고정되면서 차량의 앞문과 뒷문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타 차량의 문콕테러를 방지한다. 상술한 패드부(200)는 대략적으로 패드를 고정시키는 몸체 고정부, 패드를 접어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는 힌지부, 차량의 길이에 따라 유기적으로 도어의 보호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슬라이딩 레일, 제품 접철시 몸체 고정부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단차부, 슬라이딩 레일 길이 연장시 충격 및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고무, 케이블을 수납하는 수납부 및 패드부의 도난을 방지하는 패드 고정부가 형성되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패드부(200)는 대략 몸체부(210)와 슬라이딩 보호부(250)로 구성되며, 제1 외부 고정부(310) 또는 제2 외부 고정부(320)가 패드부(200)와 고정부(10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4 몸체고정부(221,222,223,224)가 결합되며, 제1,2,3,4 몸체고정부(221,222,223,224)에 의해 차량 도어에 패드부(200)가 고정된다. 몸체고정부는 2가지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몸체고정부는 흡착방식이고, 도 9에 도시된 몸체고정부는 자석방식으로서 차량 도어에 패드부(200)를 각각 흡착 또는 자력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자석방식인 경우에는 네오디움 자석을 인입하여 자력을 생성하며, 1포인트 영역에 2개의 네오디움 자석이 인입될 수 있다. 자석방식의 경우에는 상술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포인트 영역에서 차량 도어를 자력에 의해 고정하며, 자석방식보다 좀 더 고정력이 센 흡착방식의 경우에는 몸체부(210)의 양측 끝단부 영역(2포인트 영역)에서 차량 도어를 흡착으로 고정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방식 몸체고정부 또는 자석방식 몸체고정부에는 나선 형상의 돌기부(221a)가 형성된다. 이 나선 형상의 돌기부(221a)는 도 7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의 4포인트 영역에 형성된 고정 돌기부(211)와 상호 회전 결합된다. 몸체부(210)의 4포인트 영역에는 몸체고정부가 회전 결합되기 위한 인입홈(212)이 형성된다. 인입홈(212)에 몸체고정부가 삽입되어 회전 결합됨으로써 몸체부(210)와 몸체고정부가 서로 고정된다. 사용자가 몸체고정부를 회전 결합할 경우 손에서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몸체고정부의 하단부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돌기부(221b)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타입의 경우에는 알루미늄 바디로 이루어지는 차량 도어의 경우에는 자력에 의해 고정이 어렵기 때문에 흡착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방식의 몸체고정부는 레버(225)를 조작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로 차량 도어의 표면을 흡착한다. 자석방식의 몸체고정부는 자력에 의해 차량 도어의 표면에 고정된다. 흡착방식은 젤(Gel)이 첨가된 흡착판을 사용함으로써 물 세척을 통해 젤 기능의 복구가 가능하다.
몸체부(21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패드 케이블(312,322)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는 제1,2,3 케이블 수납부(213,214,215)로 구성된다. 제1 케이블 수납부(213)는 케이블 인입홈(240) 바로 옆 영역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요철로 이루어진다. 제1 케이블 수납부(213)의 옆 영역에는 대략 원 형상으로서 원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케이블 삽입홈(214a)이 형성된 제2 케이블 수납부(214)가 형성된다. 몸체부(210) 후면의 대략 중앙영역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제3 케이블 수납부(215)가 형성된다. 제3 케이블 수납부(215)가 구비되는 몸체부 후면의 중앙영역은 다른 영역(양 측면 영역)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중앙영역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야 제3 케이블 수납부(215)가 일정 두께를 가지더라도 몸체부(210) 양측의 두께보다 돌출되지 않으면서 전체 두께를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은 케이블 수납의 일예로서, 케이블(312,322)의 일측 단부는 몸체부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홈(240)에 인입되어 고정되며, 케이블 인입홈(240)에 삽입되어 고정된 케이블(312,322)은 제2 케이블 수납부(214)의 반원 둘레방향으로 감싸 돌다가 제3 케이블 수납부(215)를 둘레방향으로 감싸 돌아 다시 제2 케이블 수납부(2140)의 케이블 삽입홈(214a)에 고정된다. 도 14는 케이블 수납의 다른 예로서 케이블의 일측 단부는 몸체부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홈(240)에 인입되어 고정되며, 케이블 인입홈(240)에 삽입되어 고정된 케이블(312,322)은 몸체부(210)가 1/2로 접철시 요철로 이루어진 제1 케이블 수납부(213)를 포함하여 몸체부(210)의 둘레방향으로 감겨지고, 케이블의 타측 단부가 제2 케이블 수납부의 케이블 삽입홈(214a)에 삽입 고정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고정부 인입홈(212)이 형성된 몸체부(210)의 양측 끝 단부 부근영역에는 몸체고정부 인입홈(212)이 형성된 영역보다 더 돌출된 높이를 가지는 높이 단차부(216)가 형성된다. 높이 단차부(216)는 그 윤각이 대략 'ㄷ'자 형상이다. 높이 단차부(216)는 몸체부(210)의 양측에 몸체부(210) 접철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높이 단차부(216)는 흡착방식에 의한 몸체고정부의 레버(225)가 몸체부(210)를 1/2로 접철시에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 양측에 구비된 레버(225)가 몸체부의 접철시에 서로 대면되게 되어 간섭을 일으키므로 높이 단차를 형성하여 이러한 간섭을 피하도록 한다. 따라서 높이 단차는 레버(225)가 돌출되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보관상의 편의를 위해 힌지(접이부,230)에 의해 1/2로 접철된다. 접이부(23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접철시 접이부(230)를 중심으로 서로 길이가 맞도록 접철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접이부(230)를 구현함에 있어 힌지를 사용하였으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 이외의 몸체부(210)를 접철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채용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의 좌측 및 우측 양측에는 차량 도어의 문콕 방지 보호범위를 넓히기 위한 슬라이딩 보호부(250)가 구비된다. 슬라이딩 보호부(250)는 좌측 또는 우측만 슬라이딩 확장하거나 양측 다 슬라이딩 확장할 수 있다. 슬라이딩 보호부(250)의 확장 범위는 차량의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자재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 보호부(250)를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확장하기 위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홈(251)이 몸체부(2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다. 슬라이딩 홈(251)은 몸체부(210)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일컫으며, 필요에 따라 레일(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좀 더 부드럽게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보호부(250)를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홈(25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보호부(250)가 이동하기 위해서 대략 'H'자 형상으로 구현된다. 즉, 슬라이딩 보호부(250)는 대략 외측 몸체(252), 지지대(253), 내측 몸체(254)로 구성되어 'H'형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외측 몸체(252)는 알루미늄 재질로서 몸체부(210)의 둘레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지지대(253)는 슬라이딩 홈(251)를 내측으로 관통하여 내측 몸체(254)와 외측 몸체(252)를 서로 결속한다. 내측 몸체(254)는 몸체부 내측에서 외측 몸체(252)보다 짧은 길이로 지지대(253)에 의해 지지 결합된다. 따라서 외측 몸체(252)를 사용자가 힘을 주어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경우 지지대(253)가 슬라이딩 홈(251)을 따라 슬라이딩 보호부(250)를 지지함과 동시에 내측 몸체(254)도 같이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구성은 몸체부(2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또한 좌측 및 우측 양측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슬라이딩 보호부(250)의 양측 끝 단부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및 스크래치 방지용 고무(255)가 부착되어 있다. 충격 및 스크래치 방지용 고무(255)는 차량 표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타 차량 도어의 충격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도 21에는 몸체부(210)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홈(240)이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312,322)의 일단은 케이블 인입홈(240)으로 인입되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12,322)이 인입되어 몸체부(210) 내부에서 결착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케이블(312,322)은 아이언 케이블을 사용하며, 아이언 케이블의 일단부에는 금속 마감재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금속 마감재가 몸체부 내부에서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몸체부(210) 내부에는 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 지지대(241)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며, 케이블 지지대(241)의 일단부는 홈이 파져 있어 금속 마감재가 통과시에는 일단부가 벌어져서 케이블이 통과되기 쉽고, 케이블 통과 후에는 다시 오므려져서 케이블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 후면에는 케이블 인입홈(240)이 형성되고, 이 케이블 인입홈(240)을 통과하여 몸체부(210)에 케이블이 고정된다. 한편, 패드부(200)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대략 2가지의 방법이 실시된다. 일예로서 제1 외부 고정부(310)는 제1 패드 고정부(결속부,311)와 제1 패드 케이블(3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패드 케이블(312)의 일단은 몸체부의 케이블 인입홈(240)으로 인입되어 몸체부에 고정되며, 제1 패드 고정부(311)는 고정부(100)의 안착홈(163)에 안착되어 제1 본체부(150)의 슬라이딩에 의해 패드부(200)와 고정부(100)가 서로 케이블에 의해 결속된다. 다른 예는 고정부(100)를 사용하지 않고 패드부(200)만 사용하는 경우로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부 고정부(320)는 제2 패드 고정부(결속부,321)와 제2 패드 케이블(3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패드 케이블(322)의 일단은 몸체부의 케이블 인입홈(240)으로 인입되어 몸체부에 고정되며, 제2 패드 고정부(321)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엣지면에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차량 도어가 닫히는 경우 제2 패드 고정부(321)가 차량 도어의 앞문과 뒷문 사이 경계면에 고정되어 패드부(200)의 도난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도어
100 : 고정부
111 : 충격 센서부
112 : 근접 센서부
113 : 경고음 발생부
114 : NFC 터치부
115 : 카메라부
120 : 리얼타임 클럭부
130 : 디스플레이부
131 : 충격 횟수 표시부
132 : 제1 LED 발광부
133 : 제2 LED 발광부
141 : 제어부
142 : 메모리부(Micro SD)
143 : 통신부(NFC)
150 : 제1 본체부
151 : 충격방지 고무
152 :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
160 : 제2 본체부
161 : 도어 끼움부
162 : 슬라이딩 레인 홈
163 : 제1 패드 고정부의 안착홈
166 : 스프링 안내부
170 : 스프링
180 : 스프링 삽입홈
200 : 패드부
210 : 몸체부
211 : 고정 돌기부
212 : 몸체고정부 인입홈
213 : 제1 케이블 수납부
214 : 제2 케이블 수납부
214a : 케이블 삽입홈
215 : 제3 케이블 수납부
216 : 높이 단차부
221 : 제1 몸체고정부
221a : 나선 형상의 돌기부
221b : 미끄럼 방지 돌기부
222 : 제2 몸체고정부
223 : 제3 몸체고정부
224 : 제4 몸체고정부
225 : 레버
230 : 접이부(힌지부)
240 : 케이블 인입홈
241 : 케이블 지지대
250 : 슬라이딩 보호부
251 : 슬라이딩 레일(슬라이딩 홈)
252 : 외측 몸체
253 : 지지대
254 : 내측 몸체
255 : 충격 및 스크래치 방지 고무
310 : 제1 외부 고정부
311 : 제1 패드 고정부(결속부)
312 : 제1 패드 케이블
320 : 제2 외부 고정부
321 : 제2 패드 고정부(결속부)
322 : 제2 패드 케이블

Claims (7)

  1. 차량 도어에 탈부착되어 문콕 찍힘을 경고 또는 방지하는 제1,2 본체부,
    차량 도어의 가장자리 면에 상기 제1,2 본체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된 도어 끼움부,
    차량 주차시 주차 층을 인식하기 위해 차량의 기울기 값 또는 대기압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인식하는 주차 층 인식센서,
    타 차량의 도어에 의해 자차의 도어에 충격이 가해진 횟수, 충격 날짜, 충격 시간, 및 충격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충격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충격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 또는 상기 스마트폰에 상응하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부를 포함하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충격 센서부가 동작하여 문콕 찍힘을 경고 또는 감지하도록 하며,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상기 충격정보 중 적어도 충격횟수가 초기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층 인식센서는,
    기울기 센서 및 기압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기울기 값을 바탕으로 기울기 구간을 산출하고, 상기 기압 센서로부터 대기압 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기울기 구간과 상기 대기압 값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층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구간이 일정시간 내에 기울기 값을 가지다가 기울기 값이 없는 구간을 1회차 기울기 구간으로 판단하며, 상기 기울기 구간의 횟수에 상응하도록 주차 층을 매칭하며,
    상기 일정시간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기울기가 시작되는 점부터 시간을 카운팅하는 리얼타임 클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오픈시에만 상기 제1,2 본체부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 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결속부가 락킹 해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 차량의 도어가 상기 자차의 도어에 접근하는 거리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부,
    상기 타 차량의 도어가 기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경우 경고음을 울리는 경고음 발생부,
    충격 횟수를 표시하고, 상기 기 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시 반복적으로 발광하여 타 차량의 도어 접근을 타 차량 탑승자에게 알리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부착됨으로써 자차의 도어 오픈시에 타 차량의 도어에 충격에 의한 흠집을 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충격방지 고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에 탑재된 블랙박스와 연동되어 블랙박스에서 획득한 증거영상과 상기 제어부에서 획득한 충격 정보를 보험사에 제출할 증거자료로 취합하며,
    락킹 해제를 위해 상기 제1 본체부가 상기 제2 본체부에 대해 일측으로 슬라이딩되고, 락킹 해제 후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도어 끼움부에는 상기 차량 도어의 표면을 조여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에는 상기 제1 본체부가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 레인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인 홈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지지체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부에는 결속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KR1020150170139A 2015-12-01 2015-12-01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KR101723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139A KR101723409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PCT/KR2016/003102 WO2017094976A1 (ko) 2015-12-01 2016-03-28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139A KR101723409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409B1 true KR101723409B1 (ko) 2017-04-07

Family

ID=5858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139A KR101723409B1 (ko) 2015-12-01 2015-12-01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3409B1 (ko)
WO (1) WO2017094976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787B1 (ko) 2017-12-18 2018-06-08 김영민 기전력을 얻는 발전장치
WO2019050070A1 (ko) * 2017-09-08 2019-03-14 정광철 차량 측면 보호장치
KR20190074327A (ko) 2017-12-19 2019-06-28 이종일 주행장치용 측표면 보호 부착물
KR20200076489A (ko) * 2018-12-19 2020-06-29 강한중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착탈식 도어 보호장치
KR20200098980A (ko) * 2019-02-13 2020-08-21 임형 차량의 문콕 방지장치
KR20200101543A (ko) 2019-02-19 2020-08-28 이종일 주행 장치용 문짝보호 시트
KR20200126818A (ko) 2019-04-30 2020-11-09 이도원 자동차 도어 보호장치
KR20230023897A (ko) * 2021-08-11 2023-02-20 강한중 차량 문콕 발생 알림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733B1 (ko) 1995-12-14 1998-12-15 김태구 차량의 위치검출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복층도로 검출방법
KR20080087106A (ko) 2005-12-16 2008-09-30 레이데온 유티디 인코퍼레이티드 위치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0905801B1 (ko) 2007-07-30 2009-07-02 (주)넥스데이타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지하주차장에서의차량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주차장에서의차량위치확인 및 개별차량 유도방법
KR100961753B1 (ko) * 2009-06-25 2010-06-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주차 건물층 파악 시스템
KR101014070B1 (ko) 2008-08-11 2011-02-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위치확인장치와 그 확인방법
KR101371019B1 (ko) 2012-11-01 2014-03-07 권익환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20150066788A (ko) 2013-12-09 2015-06-17 (주)샤픈고트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20150088520A (ko) * 2014-01-24 2015-08-03 (주)샤픈고트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138A (ja) * 1999-09-30 2001-04-10 Toyoda Gosei Co Ltd ドアープロテクタモール
JP2004046416A (ja) * 2002-07-10 2004-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位置検出システム、車載装置、通信装置および車両位置検出方法
KR101367389B1 (ko) * 2012-08-10 2014-02-24 이의석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87992B1 (ko) * 2012-10-24 2019-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충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733B1 (ko) 1995-12-14 1998-12-15 김태구 차량의 위치검출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복층도로 검출방법
KR20080087106A (ko) 2005-12-16 2008-09-30 레이데온 유티디 인코퍼레이티드 위치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0905801B1 (ko) 2007-07-30 2009-07-02 (주)넥스데이타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지하주차장에서의차량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주차장에서의차량위치확인 및 개별차량 유도방법
KR101014070B1 (ko) 2008-08-11 2011-02-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위치확인장치와 그 확인방법
KR100961753B1 (ko) * 2009-06-25 2010-06-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주차 건물층 파악 시스템
KR101371019B1 (ko) 2012-11-01 2014-03-07 권익환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20150066788A (ko) 2013-12-09 2015-06-17 (주)샤픈고트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20150088520A (ko) * 2014-01-24 2015-08-03 (주)샤픈고트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070A1 (ko) * 2017-09-08 2019-03-14 정광철 차량 측면 보호장치
US11458916B2 (en) 2017-09-08 2022-10-04 Kwang-Cheol Jeong Side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KR101865787B1 (ko) 2017-12-18 2018-06-08 김영민 기전력을 얻는 발전장치
KR20190074327A (ko) 2017-12-19 2019-06-28 이종일 주행장치용 측표면 보호 부착물
KR20200076489A (ko) * 2018-12-19 2020-06-29 강한중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착탈식 도어 보호장치
KR102150067B1 (ko) * 2018-12-19 2020-09-01 강한중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착탈식 도어 보호장치
KR20200098980A (ko) * 2019-02-13 2020-08-21 임형 차량의 문콕 방지장치
KR102164334B1 (ko) * 2019-02-13 2020-10-12 임형 차량의 문콕 방지장치
KR20200101543A (ko) 2019-02-19 2020-08-28 이종일 주행 장치용 문짝보호 시트
KR20200126818A (ko) 2019-04-30 2020-11-09 이도원 자동차 도어 보호장치
KR20230023897A (ko) * 2021-08-11 2023-02-20 강한중 차량 문콕 발생 알림 방법
KR102551701B1 (ko) * 2021-08-11 2023-07-12 강한중 차량 문콕 발생 알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4976A1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409B1 (ko)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US10927566B2 (en) Transportable device for preventing a loss of a movable object
CN102232228A (zh) 用于自动解锁机动车辆的可打开面板的设备
US20170200335A1 (en) Method of verifying user intent in activation of a device in a vehicle
US201400092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gate
US8702136B2 (en) Vehicle door protector
KR102445514B1 (ko) 차량 및 차량 시스템
KR20140022642A (ko) 이륜차 및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KR20150056729A (ko) 자전거 보관용 주차장치
ES2807187T3 (es) Motocicleta con recipiente de almacenamiento
CN109496186A (zh) 具有充电线识别装置的电动车
KR102165367B1 (ko)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ES2793225T3 (es) Motocicleta con recipiente de almacenamiento sensorizado
WO2002014110A1 (en) Vehicle licence holder and associated security apparatus
KR101535995B1 (ko)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JP2005316954A (ja) 車載器
EP3141463A1 (en) Anti-theft device particularly but not exclusively for two-wheel vehicles
CN110164075B (zh) 用于共享汽车内部的安全防盗装置
CN104057920B (zh) 一种汽车无线防盗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80036824A (ko) 자동차의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는 pke 시스템의 구동방법
KR20120094374A (ko) Rfid 태그를 이용하는 차량인식장치 및 그를 이용한 주차관리방법
EP3480089B1 (en) Electronic security device for a bicycle
KR102658548B1 (ko) 도난방지 구조가 적용된 특장 차량용 디지털 록킹장치
JP3644202B2 (ja) 移動体用情報処理装置
KR101656713B1 (ko) 자전거 도난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