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389B1 -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389B1
KR101367389B1 KR1020120087608A KR20120087608A KR101367389B1 KR 101367389 B1 KR101367389 B1 KR 101367389B1 KR 1020120087608 A KR1020120087608 A KR 1020120087608A KR 20120087608 A KR20120087608 A KR 20120087608A KR 101367389 B1 KR101367389 B1 KR 101367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otection device
elastic member
unit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603A (ko
Inventor
이지석
이의석
Original Assignee
이의석
이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석, 이지석 filed Critical 이의석
Priority to KR102012008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3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는 차량의 운행여부 또는 장애물 인접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차량의 일측에 제공되어 감지부의 감지여부에 따라 차량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인출 또는 수납되며 장애물과 접촉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체; 및 차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전술된 충격보호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IMPACT PROTECTION APPARATUS AND AUTOBOBILE HAVING IT}
본 발명은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개방시 장애물 또는 인접 차량과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제공된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동차 산업의 폭발적인 신장으로 인해 차량의 보유대수가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차공간의 확보도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차량의 증가와 더불어, 차량의 크기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기존의 주차공간에 차량의 주차시 인접된 차량과의 사이가 협소하여 승, 하차가 불편함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차량이나 인접 주차된 차량의 도어 개방시, 도어가 장애물 또는 인접된 차량과 충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 또는 차량의 외관에 흠집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차량의 도어 개방시 발생하는 차량의 흠집은 다툼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수리를 위해서는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차량의 도어 개방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도어의 측면에 스펀지 등의 완충부재를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에 부착되는 완충부재는 차량의 미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고, 완충부재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완충부재의 부착으로 인해 심미감 저하는 물론 고속주행시 소음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심지어 연비 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도어 개방시 인접된 구조물 또는 차량 등의 장애물 인식시 탄성부재가 차량으로부터 돌출되며 충격을 완화하고, 차량의 주행시에는 탄성부재가 차량으로 수납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파손이나 소음 등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는 차량의 운행여부 또는 장애물 인접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차량의 일측에 제공되어 감지부의 감지여부에 따라 차량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인출 또는 수납되며 장애물과 접촉되는 완충부; 및 완충부가 차량으로부터 인출시 발광하는 발광체 또는 음향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완충부는 외측면이 차량의 외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제공된 탄성부재와, 차량의 내측에 제공되어 탄성부재를 차량의 외면에 대해 신축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는 외측면이 차량의 외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제공된 탄성부재와, 차량의 내측에 제공되고 탄성부재와 회전축을 매개로 연계되어 돌출부가 차량의 외면에 대해 돌출하도록 회전시키는 모터와,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신호에 따라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는 외측면이 차량의 외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 또는 팽창 가능토록 제공되는 튜브형태의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와 배관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공압 또는 유압을 형성시키는 압력발생부와,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신호에 따라 압력발생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의 외측면에는 차량의 외관에 대응하는 마감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차량의 일측에 제공된 거리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발광체는 완충부의 일측에서 하향으로 발광하도록 제공되고, 발광체의 전면에는 문양 또는 색상을 갖는 렌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충격보호장치는 차량의 도어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체; 및 차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전술된 충격보호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지부는 차량의 일측에 제공된 거리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계기판 또는 도어에 제공되어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장애물과 이격된 거리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가 차량으로부터 인출시 발광하는 발광체 또는 음향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체는 완충부의 일측에서 하향으로 발광하도록 제공되고, 발광체의 전면에는 문양 또는 색상을 갖는 렌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차체의 일측에는 도어가 제공되고, 충격보호장치는 차량의 도어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공기유량센서, 쓰로틀 포지션 센서, 크랭크각센서, 상사점 센서, 차륜회전센서, 수온센서, 산소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의 운행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개방시 장애물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탄성부재가 차체 외측으로 돌출되며 장애물과 접촉되도록 하여 차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시에는 탄성부재가 차량으로 수납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키며, 파손이나 소음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보호장치가 적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보호장치의 완충부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보호장치의 완충부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보호장치의 완충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보호장치의 완충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적용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적용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확대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보호장치가 적용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보호장치의 완충부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보호장치의 완충부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보호장치의 완충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격보호장치의 완충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100)는 차량(10)의 운행여부 또는 장애물(P) 인접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격보호장치(100)는 차량(10)의 일측에 장애물(P)과 접촉되는 완충부(12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충격보호장치(100)는 일례로 차량(10)의 도어(12)에 제공될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시 주변의 장애물(P)을 감지하여 완충부(120)의 작동을 제어토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완충부(120)는 차량(10)에 형성된 구멍(15)을 통해 인출 또는 수납 가능토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20)는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차량(10)의 운행여부에 따라 차량(10)의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고, 차량(10)의 정차시 감지부(110)가 인접된 장애물(P)을 감지하게 되면 차량(10)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장애물(P)과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20)는 차량(10)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차량(10)의 외부면과 대응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외측면에 차량(10)의 외부면과 동일한 색상 및 디자인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20)는 장애물(P)과 접촉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의 내측에는 탄성부재(122)를 지지하며, 감지부(110)의 장애물(P) 인식 여부에 따라 신축이 이루어지며 탄성부재(122)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124)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액츄에이터(124)는 제어부(13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감지부(110)로부터 전달된 장애물(P)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P) 근접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애물(P)의 인접시 액츄에이터(124)를 팽창시켜 탄성부재(122)가 차량(10)의 외측으로 인출되게 하고, 장애물(P)이 인접하지 않을 경우 액츄에이터(124)를 수축시켜 탄성부재(122)가 차량(10)의 내측으로 수납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124)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액츄에이터(124)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어부(130)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제어부(130)는 액츄에이터(124)와 별개로 제공될 수 있고, 차량(10)에 제공되는 중앙처리부(ECU)에 통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110)는 차량(10)의 도어 일측에 제공된 거리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완충부(120)는 차량(10)의 도어(12) 개방시, 가장 먼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감지부(110)는 도어(12)의 개방에 따라 장애물(P)과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며 장애물(P)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차량(10)은 주차시 장애물(P)과 인접하게 주차되거나, 주차공간에 주차될 경우 인접된 다른 차량과 이격된 거리가 협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10)의 도어(12) 개방으로 인해 장애물(P) 또는 다른 차량(10)과 근접하게 되면, 완충부(120)를 도어(12)로부터 인출하여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의 도어(12) 개방시 감지부(110)에 보행자나, 주변의 장애물(P) 또는 다른 차량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완충부(120)를 도어(12)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차량(10)이 운행중일 상태에서는 완충부(120)는 차량(10)의 도어(12) 내측으로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감지부(110)에 차량(10)의 운행이 감지되면, 액츄에이터(124)가 신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10)는 차량(10)의 운행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에어 플로어 쪽에 위치한 공기 유량 센서(AFS : Air Flow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0)의 운행시 차량(10)의 전면에 연통한 에어 플로어 쪽으로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하게 되며, 감지부(110)인 공기 유량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차량(10)이 운행하고 있음을 판단하여, 액츄에이터(124)를 신축함에 따라 완충부(120)를 차량(10)의 도어(12) 내측으로 수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110)는 차량(10)의 운행여부를 감지시 공기 유량 센서 외에도 다양한 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일례로, 감지부(110)는 쓰로틀 포지션 센서(TPS : Throttle Position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쓰로틀 포지션 센서는 차량(10)의 운행을 위해 가속시 개방되는 쓰로틀의 개폐정도를 감지함으로써 차량(10)의 운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크랭크축의 각도를 검출하여 ECU에 전달하는 크랭크각센서(CAS : Crank angle sensor)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감지부(110)는 실린더의 상사점 위치를 검출하여 ECU에 입력하는 상사점 센서 (No.1 TDC sensor)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사점 센서는 제1번 실린더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차량(10) 바퀴의 회전을 감지하는 차륜회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이외에도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 ECU에 보내는 수온 센서(WTS : Water Temperature Sensor , CTS , CLS ) 또는 배기관 뒤에 위치하여 배기가스 중의 산소와 대기중의 산소 농도를 비교하여 ECU로 피드백하는 산소센서, 공전 조절 서보모터의 위치를 검출 ECU에 보내는 흡기 온도 센서(ATS : Air Temperature Sensor), 대기압을 측정하는 대기압 센서 (BPS), 난기 및 기관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됨에 따라 공전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전 조절 서보(ISC servo)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200)는 차량(10)의 도어(12)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충격보호장치(200)는 차량(10)의 운행여부 또는 장애물(P) 인접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격보호장치(200)는 차량(10)의 일측에 장애물(P)과 접촉되는 완충부(22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220)는 장애물(P)과 접촉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의 내측에는 탄성부재(222)를 지지하며, 감지부(210)의 장애물(P) 인식 여부에 따라 신축이 이루어지며 탄성부재(222)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224)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210) 및 액츄에이터(224)는 제어부(23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220)는 차량(10)의 도어(12)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차량(10)의 외부면과 대응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외측면에 차량(10)의 외부면과 동일한 색상 및 디자인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222)의 외측면에 차량(10)의 외관에 대응하는 마감패널(226)이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22)는 고무, 우레탄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차량(10)의 외관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는바, 탄성부재(222)와 차량(10)의 외관은 소재의 이질감으로 인해 심미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222)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마감패널(226)은 차량(10)의 외관에 대응하는 금속소재 또는 ABS 등의 합성수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차량(10)의 외관과 동일하게 도장처리될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226)은 탄성부재(222)의 외측면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더불어, 마감패널(226)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돌기(228)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돌기(228)가 탄성부재(222)에 삽입되도록 하여 탄성부재(222)와의 부착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22)는 액츄에이터(224)와 연결을 위해 브래킷(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225)은 액츄에이터(224)의 작동로드(224a)에 연계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222)가 안착되도록 제공되며 양측은 탄성부재(222)의 측면을 고정하도록 절곡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충격보호장치(200)는 완충부(220)에 음향신호 발생부(240)가 연계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신호 발생부(24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완충부(220)가 차량(10)으로부터 인출시 음향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차는 차량(10)의 도어(12) 개방시 음향신호를 통해 주변에 장애물(P)이 있음을 인식할 수 있어 안전한 승하차를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충격보호장치(200)는 탄성부재(222)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마감패널(226)에 의해 완충부(220)가 차량(10)의 외관에 대해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마감패널(226)의 내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22)는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완충부(220)는 탄성부재(222)가 차량(10)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식별용이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22)는 자체적인 형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엘이디(LED) 등의 발광체(250)를 구비함으로써, 장애물(P)의 인식 또는 경고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발광체(250)는 제어부(130)에 연계되어 완충부(220)의 작동에 의해 탄성부재(222)가 차량(10)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광체(250)는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체(250)의 전면부에는 문양이나 색상을 갖는 렌즈(252)를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보호장치(200)는 완충부(220)의 작동시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디자인적인 기능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은 차량(10)의 주변을 지나는 보행자 등도 쉽게 알 수 있어, 도어(12)의 개방 등에 의한 추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적용한 사시도인 도 8을 참고하면, 발광체(250)에 의한 장애물(P)의 인식 또는 경고기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적용한 개략도인 도 9를 참고하면, 이와 더불어, 차량(10)에는 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P)과의 이격된 거리를 시각적인 정보로 알려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60)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주변의 장애물 또는 다른 차량과 이격된 거리를 쉽게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이나 주차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60)는 차량(10)의 계기판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별도로 각 도어(12)의 내측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충격보호장치(200)는 완충부(220)가 액츄에이터(224)에 의해 신축 이동함에 따라 차량(10)으로부터 인출 또는 수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완충부(22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보호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충격보호장치(300)는 차량(10)의 도어(12)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충격보호장치(300)는 차량(10)의 운행여부 또는 장애물(P) 인접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격보호장치(300)는 차량(10)의 일측에 장애물(P)과 접촉되는 완충부(32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320)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제공된 탄성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322)는 외측면이 차량(10)의 외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측면에는 차량(10)의 외관에 대응하는 마감패널(326)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22)의 내측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322a)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322)의 내측면에 마련된 돌출부(322a)는 단면의 형상이 반원 또는 반타원인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22)는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회전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회전축을 매개로 차량(10), 예컨대 도어(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의 내측에는 탄성부재(322)와 회전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계되는 모터(324)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모터(324)는 탄성부재(322)를 회전시킴에 따라 돌출부(322a)가 차량(10), 예컨대 도어(12)의 외측으로 인출하거나 내측으로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324)의 회전축(325)에는 주동기어(325a)가 제공될 수 있고, 탄성부재(322)의 회전축(323)에는 이 주동기어(325a)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동기어(322a)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주동기어(325a)와 피동기어(323a) 사이에는 다른 보조 기어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보조 기어들을 통해 탄성부재(32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터(324)와 탄성부재(322)의 회전축들은 기어 외에도 벨트 등의 회전연결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풀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모터(324)는 제어부(13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감지부(310)로부터 장애물(P)의 감지 여부에 따라 돌출부(322a)가 인출 또는 수납되도록 탄성부재(3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완충부(320)는 탄성부재(322)의 외측면이 차량(10)의 외관에 대응하게 수납된 상태에서, 도어(12)의 개방 등에 의해 장애물(P)의 인접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130)는 모터(324)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모터(324)의 작동에 의해 탄성부재(322)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1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돌출부(322a)가 차량(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322a)는 탄성부재(322)로 제공됨에 따라 소정의 탄성을 갖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장애물(P)과 접촉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322)를 회전시키는 모터(324)는 탄성부재(322)의 양 회전축(323)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모터(324)가 하나의 회전축에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충격보호장치(100, 200, 300)는 도어(12)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렁크, 주유 덮개 또는 범퍼 등에 제공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완충부에 제공되는 탄성부재(122, 222, 322)는 소정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완충부는 외측면이 차량의 외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 또는 팽창 가능토록 제공되는 튜브형태의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와 배관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공압 또는 유압을 형성시키는 압력발생부와,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튜브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감지부가 장애물을 인식할 경우 제어부는 압력발생부를 작동시켜 튜브 내부로 유체 또는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튜브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압력발생부는 차량(10), 예컨대 도어(12)의 내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튜브와 배관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유압펌프와 유체가 채워진 유체탱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는 유압펌프의 작동에 따라 유체가 배관부재를 통해 공급됨에 따라 튜브가 팽창하여 충격을 완충토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는 장애물이 제거될 경우, 유압펌프를 역으로 작동시켜 튜브 내의 유체를 회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튜브 내의 압력 및 튜브 자체의 탄성에 의해 튜브가 수축될 수 있다.
이때, 튜브는 유체탱크와 연결된 하나의 배관부재를 통해 유체의 공급과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유체의 공급 또는 회수를 위한 배관부재가 각각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완충부의 튜브는 공압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에는 배관부재를 매개로 공압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는 장애물의 인식에 의해 팽창시 대기중의 공기가 공압펌프에 의해 유입됨에 따라 팽창할 수 있으며, 장애물의 제거시 튜브 내의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함으로써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는 공압에 의해 튜브를 수축/팽창하도록 제공될 경우, 공기의 회수를 위한 탱크나 배관구조 등이 필요하지 않아 내부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차량 12: 도어
15: 구멍 100: 충격보호장치
110: 감지부 120: 완충부
122: 탄성부재 124: 액츄에이터
130: 제어부 P: 장애물

Claims (16)

  1. 차량의 운행여부 또는 장애물 인접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차량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감지부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인출 또는 수납되며 상기 장애물과 접촉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가 차량으로부터 인출시 발광하는 발광체 또는 음향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는 충격보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외측면이 상기 차량의 외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제공된 탄성부재와,
    상기 차량의 내측에 제공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차량의 외면에 대해 신축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외측면이 상기 차량의 외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제공된 탄성부재와,
    상기 차량의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탄성부재와 회전축을 매개로 연계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차량의 외면에 대해 돌출하도록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외측면이 상기 차량의 외부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 또는 팽창 가능토록 제공되는 튜브형태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배관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공압 또는 유압을 형성시키는 압력발생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발생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호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차량의 외관에 대응하는 마감패널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호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차량의 일측에 제공된 거리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호장치.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상기 완충부의 일측에서 하향으로 발광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발광체의 전면에는 문양 또는 색상을 갖는 렌즈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호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호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호장치.
  10. 차체; 및
    상기 차체의 일측에 제공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격보호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차량의 일측에 제공된 거리측정센서를 포함하여,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계기판 또는 도어에 제공되어 상기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장애물과 이격된 거리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상기 완충부의 일측에서 하향으로 발광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발광체의 전면에는 문양 또는 색상을 갖는 렌즈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일측에는 도어가 제공되고,
    상기 충격보호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 일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공기유량센서, 쓰로틀 포지션 센서, 크랭크각센서, 상사점 센서, 차륜회전센서, 수온센서, 산소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20087608A 2012-08-10 2012-08-10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367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608A KR101367389B1 (ko) 2012-08-10 2012-08-10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608A KR101367389B1 (ko) 2012-08-10 2012-08-10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603A KR20140020603A (ko) 2014-02-19
KR101367389B1 true KR101367389B1 (ko) 2014-02-24

Family

ID=5026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608A KR101367389B1 (ko) 2012-08-10 2012-08-10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711B1 (ko) * 2016-09-21 2018-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측면 충격 보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409B1 (ko) * 2015-12-01 2017-04-07 (주)샤픈고트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CN109109633B (zh) * 2018-10-15 2023-09-08 吉林大学 一种弹性缓冲车门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271A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사이드 프로텍터
KR20020045154A (ko) * 2000-12-08 2002-06-19 류정열 자동차 범퍼의 완충장치
JP2004161229A (ja) * 2002-11-14 2004-06-10 Kingo Kamiuchi 車両破損防止用<スーパー>エアバッグ
KR20070117057A (ko) * 2006-06-07 2007-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의 파손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271A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사이드 프로텍터
KR20020045154A (ko) * 2000-12-08 2002-06-19 류정열 자동차 범퍼의 완충장치
JP2004161229A (ja) * 2002-11-14 2004-06-10 Kingo Kamiuchi 車両破損防止用<スーパー>エアバッグ
KR20070117057A (ko) * 2006-06-07 2007-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의 파손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711B1 (ko) * 2016-09-21 2018-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측면 충격 보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603A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9018B2 (ja) 発光式誘導標識
US7768381B2 (en) Vehicular collision detection apparatus
CN104943641A (zh) 用于机动车辆的行人保护传感器的撞击管
US9580012B2 (en) Vehicle object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
KR101367389B1 (ko) 충격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7987030B2 (en) Vehicle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US8479791B2 (en) Automatic tire inflation system
US20170232926A1 (en) Vehicle hood assembly with deployable pedestrian protection
US9016425B1 (en) Pedestrian airbag system for vehicle
MX2014013888A (es) Sensor optico flexible de deteccion de impacto para bolsa de aire montada sobre el larguero delantero.
JP4435114B2 (ja) 車両用車輪のタイヤリスク判定装置
US20160159274A1 (en) Vehicle wheel assembly illumination lamp
JP2022146136A (ja) 車両
KR102418030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MX2014013767A (es) Sensor de deteccion de impactos electro-resistivo flexible para bolsa de aire montada en el larguero delantero.
KR20070062221A (ko) 범퍼 에어백 구조
CN112319150B (zh) 一种自修复安全轮胎的自检预警装置及其方法
CN107000665A (zh) 用于机动车的缓冲碰撞的构件组件
CN209191896U (zh) 车辆用传感器系统和包括该车辆用传感器系统的车辆
CN113053168B (zh) 一种停车场的车辆防刮擦系统及方法
KR20130072491A (ko) 타이어 펑크 자가수리 가능한 휠
CN208198261U (zh) 一种汽车防扎钉防碾压监测报警装置
CN206141424U (zh) 一种货车倒车雷达装置
JP2010158918A (ja) 車両用衝撃軽減構造
KR100792548B1 (ko)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누출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