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995B1 -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995B1
KR101535995B1 KR1020130152271A KR20130152271A KR101535995B1 KR 101535995 B1 KR101535995 B1 KR 101535995B1 KR 1020130152271 A KR1020130152271 A KR 1020130152271A KR 20130152271 A KR20130152271 A KR 20130152271A KR 101535995 B1 KR101535995 B1 KR 101535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inding
wire
cabl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788A (ko
Inventor
권익환
Original Assignee
(주)샤픈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픈고트 filed Critical (주)샤픈고트
Priority to KR1020130152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99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구비한 도어보호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에서는, 서로 분리된 두개의 보호패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앞문 및 뒷문을 각각 보호할 때, 두개의 보호패드를 금속재 와이어를 통해 상호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DOOR PROTECTION APARATUS FOR CARS, INCLUDING A BURGLARPROOF PROTECTION PAD}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를 보호하는 도어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어 이웃하여 주차된 다른 자동차에 의해 도어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용 주차장 등의 장소에서 자동차를 주차할 때, 이웃하는 자동차와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아서 자동차의 도어를 열 때 가해지는 접촉 및 충격에 의해 도어의 외관 표면이 손상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자동차 도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용 도어 가드가 제품화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가드는 평면 형태로 제작되어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도어 측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어 가드를 필요에 의해 분리하거나 다시 부착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종래의 도어 가드는, 세차시 발생하는 물의 침투 혹은 다른 외부 충격 등에 취약하여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 가드는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에만 의존하여 도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시 접착력 약화로 인해 도어로부터 분리되기 쉽다. 더구나, 도어 가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도어 가드가 부착된 부분의 색상이 다른 부분의 색상과 달라져서, 도어 가드의 탈착 후 도어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도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도어가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 측면에 자석에 의해 부착 및 탈착될 수 있으며, 접이식 구조로 구성되어 보관시 최소 부피로 접을 수 있으면서 부착시에는 최대 면적으로 도어를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측면에 부착 및 탈착 가능한 도어보호장치를 제3자가 임의로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난방지 기능이 부가된 도어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를 보호하는 도어보호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고, 그 일측에 결속용 버클이 형성된 보호패드; 및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 측면에 설치되고, 그 일측에 상기 보호패드의 상기 결속용 버클과 결착 또는 탈착이 가능한 소켓부가 형성된 로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패드는, 접힘에 대해 복원이 가능한 연성재질의 메인패널; 상기 메인패널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지지패널;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형성된 결속용 버클; 및 상기 메인패널 또는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에 설치된 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패드는,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지지패널;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자석부; 및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결속용 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로킹장치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수직 이분선 또는 가장의 수평 이분선에 대하여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호패드의 상기 결속용 버클은, 상기 로킹 장치의 상기 소켓부에 삽입 가능한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으로 돌출되되,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된 클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도어의 측면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본체; 및 제2 본체에 밀착되는 제1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용 버클이 삽입되는 소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켓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이 삽입되는 제1 소켓홈; 및 상기 클립부가 안착되는 제2 소켓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로킹장치에서, 상기 제2 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보호하는 도어보호패드로서, 접힘에 대해 복원이 가능한 연성재질의 메인패널; 상기 메인패널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지지패널; 및 상기 메인패널 또는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보호하는 도어보호패드로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지지패널; 및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자석;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를 보호하는 도어보호장치는, 제1 보호패드; 제2 보호패드; 및 상기 제1 및 제2 보호패드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은, 금속재로 형성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와이어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보호패드 각각은, 그 내부로 상기 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케이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메인케이스; 및 일면에 자석이 부착된 베이스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가이드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케이블이 인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탄성변위부; 및 상기 탄성변위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이 인입된 후 상기 슬리브의 인출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가이드레일은 상기 메인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변위부는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보호패드 각각은, 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보조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는, 금속재로 형성된 결속와이어; 상기 결속와이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결속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된 결속슬리브; 및 상기 결속와이어의 타단에 체결된 결속용 버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케이스에는, 상기 결속슬리브가 고정된 상기 결속와이어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보조가이드레일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보조가이드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결속슬리브가 인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보조탄성변위부; 및 상기 보조탄성변위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속와이어가 인입된 후 상기 결속슬리브의 인출을 방지하는 보조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보호장치는 도어의 측면에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한 보호패드를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보호패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보호패드는 접이식 구조를 가지므로, 보관시 최소 부피로 접을 수 있으면서, 설치시 최대 면적으로 펼쳐져서 도어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이 용이한 보호패드는 별도로 마련된 로킹장치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도난의 위험이 감소된다. 특히, 로킹장치는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최소 면적으로 부착 및 설치될 수 있으며, LED 또는 센서의 부착을 통해 장식 효과 및 이웃하는 차량의 접근 감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는 자동차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는 2개를 한쌍으로 하여 차량의 앞문 및 뒷문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앞문을 보호하는 보호패드와 뒷문을 보호하는 보호패드 2개를 금속재 와이어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제3자가 임의로 분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보호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보호패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보호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보호패드에 설치된 결속용 버클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절개선을 따라 바라 본 결속용 버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로킹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로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로킹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9는 자동차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구성하는 로킹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자동차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도어보호장치에 있어서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패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패드의 부분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보호장치에서 사용가능한 케이블의 개요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보호장치에서 사용가능한 결속용 버클의 개요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보호장치에서 메인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보호장치에서 케이블 및 결속용 버클의 체결을 위한 가이드레일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보호장치에서 보호패드에 케이블 및 결속용 버클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는, 보호패드(101 또는 102) 및 로킹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패드(101 또는 1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미도시)을 포함하고, 보호패드(101)의 일측에 결속용 버클(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킹장치(200)는 도어의 가장자리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일측에 보호패드(101)의 결속용 버클(130)과 결착 또는 탈착이 가능한 소켓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패드는, 접힘에 대해 복원이 가능한 연성재질의 메인패널(110)과, 메인패널(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지지패널(120)과, 메인패널(110)의 일측에 형성된 결속용 버클(130)과, 메인패널(110) 또는 복수의 지지패널(120)에 마련된 자석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패널(110)은 피혁, 직물재,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접힘 조작에 대하여 복원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패널(120)은 상당한 정도의 외부 충격(특히, 이웃하는 자동차의 도어와 접촉할 때 발생되는 충격)에도 손상이 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패널(110) 또는 지지패널(120)의 내부에 복수개의 자석이 매설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메인패널(110) 및 지지패널(120) 모두에 적절한 배치로 복수개의 자석이 매설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보호패드는, 도 2에서 보듯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지지패널(120)들을 접거나 다시 펼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보호패드와 같이, 유사한 구조를 가진 2개의 보호패드(101 및 102)가 연결부(140)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결속용 버클(130)은 어느 하나의 보호패드(101)에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연결부(140)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보호패드(101 또는 102)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보호패드를 사용하면, 도 10에서 보듯이, 하나의 도어보호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앞문 보호용 보호패드(101) 및 뒷문 보호용 보호패드(102)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패드는, 도 3에서 보듯이, 예컨대 힌지(123)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지지패널(121, 122)과, 이들 복수의 지지패널(121, 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자석(미도시)과, 복수의 지지패널(121, 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결속용 버클(1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123)는 서로 연결된 두개의 지지패널(121, 122)에 마련된 소정의 지지대에 각각 체결되어, 두개의 지지패널(121, 122)이 서로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패드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으로서 리플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보듯이, 지지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150)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하여 주차된 자동차의 탑승자가 도어를 열 때, 리플렉터(150)에 의해 반사된 빛에 의해 주의를 기울일 수 있어서, 도어의 개폐시 이웃하는 차량의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조심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보호패드는 모두 자석을 포함하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자동차의 도어에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 충격에 의한 도어의 손상이 예견되는 장소에 자동차를 주차한 경우, 실내에 비치된 보호패드를 자동차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보호패드를 사용한 이후에는, 보호패드를 자동차의 도어로부터 탈착한 후 이를 접어서 실내에 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이식으로 구성된 보호패드는 최소 부피로 되어 실내에 보관이 용이하고, 아울러 펼쳤을 때 자동차의 도어를 최대 면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조의 보호패드는 자동차의 도어에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한 반면에 도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는 보호패드의 결속용 버클이 체결될 수 있는 로킹장치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를 도시하였다. 로킹장치(200)는 도어의 가장자리에 반영구적으로 고정 및 설치될 수 있다. 로킹장치(200)에는 보호패드(101)의 결속용 버클(130)과 대응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착 및 탈착될 수 있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로킹장치(200)는, 도 7에서 보듯이, 도어의 측면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제1 본체(210)와, 제1 본체(2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본체(220)를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로킹장치(200)에는 보호패드의 결속용 버클과 결착 및 탈착될 수 있는 소켓부(214)가 형성되며, 이하에서는 결속용 버클 및 소켓부의 결착 및 탈착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에서 보듯이, 보호패드의 결속용 버클(130)은, 로킹장치(200)에 마련된 소켓부에 삽입 가능한 메인프레임(132)과, 이 메인프레임(132)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클립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결속용 버클(130)의 일단은 보호패드(101)의 메인패널(110)로부터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부(13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클립부(133)는 메인프레임(132)의 상향 또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나아가 돌출 높이(h)가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클립부(133)는 메인프레임(132)과 같은 재질로서 연결부(133a)를 통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클립부(133)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3개의 가장자리는 메인프레임(132)과 분리되되, 1개의 가장자리가 연결부(133a)를 통해 메인프레임(132)과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7로 돌아와서, 소켓부(214)는 제2 본체(220)에 밀착되는 제1 본체(2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214)는, 메인프레임(132)이 삽입되는 제1 소켓홈(214a)과, 클립부(133)가 안착되는 제2 소켓홈(21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소켓홈(214a)은 제1 본체(210)의 내측면으로부터 메인프레임(132)의 두께(T)에 대응하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며, 제2 소켓홈(214b)은 제1 소켓홈(214a)의 바닥면으로부터 클립부(133)의 돌출 높이(h)에 대응하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장치(200)의 제1 본체(210) 및 제2 본체(220)가 완전히 중첩된 상태(즉, 도 6에 도시한 상태)에서 소켓부(214) 내에 결속용 버클(130)을 삽입하면, 먼저 메인프레임(132) 및 클립부(133)가 제1 소켓홈(214a)에 삽입된 후, 제2 소켓홈(214b)에 도달할 때 클립부(133)가 탄성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제2 소켓홈(214b)의 일측 벽에 클립부(133)의 일단이 지지된다.
보호패드를 로킹장치로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본체(210) 및 제2 본체(220)가 서로 완전하게 중첩된 상태(즉, 도 6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소켓부(214)로부터 결속용 버클(130)을 탈착할 수 없다. 즉, 클립부(133)의 일단이 제2 소켓홈(214b)의 일측에 가로막혀 인출이 저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라이딩 레인(212)을 따라 제2 본체(220)를 제1 본체(210)로부터 슬라이딩시켜서 제1 및 제2 소켓홈(214a, 214b)을 개방한 후 버클(130)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본체(210, 220)의 슬라이딩 조작은 자동차의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도난 방지에 유리하다. 이를 위해, 제2 본체(220)의 일측에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22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방지용 걸림부(228)는 닫혀진 앞문과 뒷문 사이에 끼워져서 뒷문의 가장자리에 의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앞문과 뒷문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제2 본체(220)의 슬라이딩 조작이 저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본체(210)의 일측에는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로킹장치(200)는 제1 본체(210)에 마련된 끼움부(216) 및/또는 접착테이프(218)를 통해 반영구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 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된 로킹장치(200)는 자동차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식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본체(220)의 주면(221)에 LED(222, 223)를 설치하여 장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여 주차된 차량과의 근접 거리를 측정하여 위험을 안내하는 센서(224)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웃하여 주차된 자동차의 도어와 접촉될 때 설치된 LED 및 센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면(221)보다 돌출된 범프(226)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LED 및 센서의 조작을 위하여, 제2 본체(220)를 슬라이딩시킬 때 노출되는 배면(도 8 참조)에 스위치(227)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LED 및 센서는 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도 8에서 보듯이, 제2 본체(220) 내부에 배터리 캡(229)를 통해 교체할 수 있도록 장착된 별도의 배터리(미도시)를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자동차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먼저, 통상의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로킹장치(200)만을 설치한 상태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로킹장치(200)만 설치한 경우에도, LED 등을 이용하여 장식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평상시의 운행시 자동차의 외관이 미려하다. 만약 주차 공간이 협소하여 이웃하여 주차된 자동차의 도어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실내에 보관된 보호패드를 도어의 측면에 부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패드는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펼쳤을 때 최대 면적으로 도어를 보호하게 된다. 특히, 도 2개 한쌍의 보호패드가 연결부(140)로 연결된 경우, 앞문(310) 및 뒷문(320)에 동시에 부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보호장치를 자동차의 우측 및 좌측에 모두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디자인으로 설계된 로킹장치가 좌측 및 우측에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상하 또는 좌우가 대칭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로킹장치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가상의 수평 이분선(H)에 대하여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로킹장치는 이를 이등분하는 가상의 수직 이분선에 대하여 대칭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패드를 각각 앞문(310) 및 뒷문(320)에 설치하는 경우, 두개의 보호패드가 각각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지 않으면 제3자가 임의로 분리함에 따라 도난의 위험이 있다. 이 경우 두개의 보호패드를 금속재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함으로써 제3자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1 내지 도 19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패드를 도시하였다. 도 11에서 보듯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패드는 도 3에 도시한 보호패드와 대략 유사한 구성을 가지나, 다만 별도로 분리된 제1 보호패드(10) 및 제2 보호패드(20)를 한쌍으로 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여기서 제1 보호패드(10) 및 제2 보호패드(20)는 케이블(30)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패드에서, 결속용 버클(130)은 결속와이어(31a)에 의해 제1 보호패드(1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한 보호패드와 유사하게,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패드에서 제1 및 제2 보호패드 각각은 힌지(123)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두개의 보호패드(10a 및 10b, 또는 20a 및 2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케이블(30)에 의해 상호 연결된 두개의 보호패드(10a 및 20a) 각각에 대하여 힌지(123)로 체결된 나머지 두개의 보호패드(10b 및 20b)를 보조패드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각각의 보호패드(10a, 10b, 20a, 및 20b)는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세부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도 11에 도시한 제1 및 제2 보호패드는 2개의 금형을 통해 사출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보호패드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2에는 일례로서 제1 보호패드(10)에 대해 개요적으로 도시하였다. 즉, 도 12에서 보듯이, 보호패드(10)는, 메인케이스(11) 및 베이스패널(14)이 나사 체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패널(14)의 일면에는 자석(M)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케이스(11)의 내측에는, 도 12에서 보듯이, 제1 및 제2 케이블 가이드레일(12a 및 12b)과, 제1 및 제2 보조가이드레일(13a 및 13b)이 형성되어 있는데, 케이블 가이드레일(12a 및 12b) 및 보조가이드레일(13a 및 13b)에는 도 19에서와 같이 케이블(30) 및 결속용 버클(130)이 체결될 수 있다.
먼저, 도 13에서 보듯이, 케이블(30)은, 도난방지를 위하여 금속재로 형성된 와이어(31)와, 그 양단에 각각 고정된 두개의 슬리브(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슬리브(32)는 와이어(31)의 직경(D1)보다 큰 직경(D2)을 가지며, 따라서 와이어(31) 및 슬리브(32) 사이에는 높이(S)만큼의 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도 14에서 보듯이, 결속용 버클(130)은, 도난방지를 위하여 금속재로 형성된 결속와이어(31a)의 일단에 체결된다. 그리고, 결속와이어(31a)의 타단에는 결속와이어(31a)의 직경(D3)보다 큰 직경(D4)을 가진 결속슬리브(32a)가 고정된다. 그리하여, 결속와이어(31a) 및 결속슬리브(32a) 사이에는 높이(S1)만큼의 단차가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의 케이블 및 결속용 버클(130)은 각각 메인케이스(11)에 형성된 두개의 개구(12c 및 13c)를 통해 케이블 가이드레일(12a 및 12b)과 보조가이드레일(13a 및 13b)에 인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가이드레일(12a 및 12b) 및 보조가이드레일(13a 및 13c)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케이블 가이드레일 및 보조가이드레일의 기능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케이블 가이드레일 및 보조가이드레일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15 내지 도 18에서는, 제1 케이블 가이드레일(12a) 및 제1 보조가이드레일(13a)을 도면부호 'R1'으로 표시하고, 제2 케이블 가이드레일(12b) 및 제2 보조가이드레일(13b)을 도면부호 'R2'로 표시한다. 그리고, 케이블(30)을 구성하는 와이어(31) 및 결속용 버클(130)이 연결된 결속와이어(31a)를 도면부호 'W'로 표시하고, 슬리브(32) 및 보조슬리브(32a)를 도면부호 'SL'로 표시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듯이, 케이블(30) 및 결속와이어(31a)가 케이블 가이드레일 및 보조가이드레일에 인입 및 인출되는 방식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5에서 보듯이, 한쌍의 가이드레일(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예컨대 R1)에는 탄성변위부(15a) 및 스토퍼(15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변위부(15a)는 가이드레일(R1)의 일단부로서, 와이어(W)의 일단에 고정된 슬리브(SL)가 인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즉, 가이드레일(R1)은 메인케이스(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탄성변위부(15a)는 메인케이스(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일부가 절개(C)되어 형성된다.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경우, 슬리브(SL)의 인입에 의해 탄성변위부(15a)가 변위됨으로써 와이어(W) 및 슬리브(SL)가 한쌍의 가이드레일(R1 및 R2)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도 16 및 도 17 참조).
한편, 스토퍼(15b)는 탄성변위부(15a)에 형성되며 슬리브(SL)가 가이드레일(R1 및 R2) 내부로 인입된 후에 다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즉, 도 18에서 보듯이, 슬리브(SL) 및 와이어(W) 사이에는,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단차(S, 또는 S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단차와 스토퍼(15b)가 서로 맞닿게 되어 슬리브(SL)의 인출이 저지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R1 및 R2) 사이에 인입된 와이어(W)는 그 길이만큼 자유롭게 인입 및 인출되지만, 슬리브(SL)가 스토퍼(15b)에 의해 걸림으로써 완전히 탈거되지는 않게 된다.
다시 도 12로 돌아와서, 메인케이스(11)에는 제1 및 제2 케이블 가이드레일(12a 및 12b)이 형성되고, 추가적으로 제1 및 제2 보조가이드레일(13a 및 1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케이블 가이드레일(12a 및 12b) 중 적어도 하나에는, 케이블(30)을 구성하는 와이어(31)의 일단, 즉 슬리브(32)가 고정된 일단이 인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탄성변위부(즉, 도 15 내지 도 18에서 도면부호 15a가 가리키는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짐)가 형성되고, 이 탄성변위부에 슬리브(32)가 인입된 후 탈거되지 않도록 인출을 방지하는 스토퍼(즉, 도 15 내지 도 18에서 도면부호 15b가 가리키는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메인케이스(11)에 형성된 개구(12c)를 통해 케이블(30)이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케이스(11)에 형성된 제1 및 제2 보조가이드레일(13a 및 13b)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결속용 버클(130)이 연결된 결속와이어(31a)의 일단(즉, 결속슬리브(32a)가 고정된 일단)이 인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보조탄성변위부(즉, 도 15 내지 도 18에서 도면부호 15a가 가리키는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짐)가 형성되고, 이 보조탄성변위부에 결속슬리브(32a)가 인입된 후에 다시 탈거되지 않도록 인출을 방지하는 보조스토퍼(즉, 도 15 내지 도 18에서 도면부호 15b가 가리키는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메인케이스(11)에 형성된 개구(13c)를 통해 결속와이어(31a) 및 결속슬리브(32a)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케이블(30)이 일단 설치된 후에는 제1 및 제2 보호패드가 와이어(31)의 길이 범위 내에서 조절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금속재 와이어(31)에 의해 제3자의 도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결속용 버클(130)도 결속와이어(31a)의 길이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금속재인 결속와이어(31a)로 인해 제3자의 도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차량의 도어를 보호하는 도어보호장치에 있어서,
    제1 보호패드; 제2 보호패드; 및 상기 제1 및 제2 보호패드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금속재로 형성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와이어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호패드 각각은, 그 내부로 상기 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케이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메인케이스; 및 일면에 자석이 부착된 베이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가이드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케이블이 인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탄성변위부; 및 상기 탄성변위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이 인입된 후 상기 슬리브의 인출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 가이드레일은 상기 메인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변위부는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보호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패드 각각은, 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보조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보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재로 형성된 결속와이어; 상기 결속와이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결속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된 결속슬리브; 및 상기 결속와이어의 타단에 체결된 결속용 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보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스에는, 상기 결속슬리브가 고정된 상기 결속와이어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보조가이드레일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가이드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결속슬리브가 인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보조탄성변위부; 및 상기 보조탄성변위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속와이어가 인입된 후 상기 결속슬리브의 인출을 방지하는 보조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보호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 측면에 설치되고, 그 일측에 상기 결속용 버클과 결착 및 탈착이 가능한 소켓부가 형성된 로킹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보호장치.
KR1020130152271A 2013-12-09 2013-12-09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1535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271A KR101535995B1 (ko) 2013-12-09 2013-12-09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271A KR101535995B1 (ko) 2013-12-09 2013-12-09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788A KR20150066788A (ko) 2015-06-17
KR101535995B1 true KR101535995B1 (ko) 2015-07-10

Family

ID=5351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271A KR101535995B1 (ko) 2013-12-09 2013-12-09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787B1 (ko) 2017-12-18 2018-06-08 김영민 기전력을 얻는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409B1 (ko) 2015-12-01 2017-04-07 (주)샤픈고트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
KR200495819Y1 (ko) * 2021-03-29 2022-08-25 박재상 자동차용 도어 가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681U (ko) * 2011-04-29 2012-11-07 이강우 자동차 도어용 흠집 방지 보호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681U (ko) * 2011-04-29 2012-11-07 이강우 자동차 도어용 흠집 방지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787B1 (ko) 2017-12-18 2018-06-08 김영민 기전력을 얻는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788A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019B1 (ko)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US4750767A (en) Automobile side protector
US9199593B2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utomobile bumpers
KR101535995B1 (ko)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US4707009A (en) Automobile side protector
KR200468192Y1 (ko) 차량 도어 손상 방지 장치
KR102165367B1 (ko)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1570294B1 (ko) 자동차 찍힘 방지 커버
US7857366B2 (en) Removable resilient vehicle protection assembly
KR20160149435A (ko) 주차장의 차량문짝 보호장치
KR101963299B1 (ko) 자동차 도어 보호구
CN203305944U (zh) 汽车车门防撞保护装置
CN2931183Y (zh) 一种轿车防盗遮阳罩
KR20150001415U (ko) 자동차 전면유리 보호덮개
KR101802978B1 (ko)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GB2486250A (en) Vehicle body protector
KR20200076780A (ko) 자동차용 보호 덮개 장치
CN215168993U (zh) 一种具有防他功能的汽车车门外拉手
KR200440980Y1 (ko) 차문 보호용 패킹
CN219012202U (zh) 一种建筑施工环境多功能安全防护栏
CN203727150U (zh) 折叠式汽车半罩车衣
CN209757357U (zh) 多功能车载支架
KR200401261Y1 (ko) 차량옆문 보호대
KR20180027061A (ko) 차량 보양용 보호대
US11458916B2 (en) Side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