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819Y1 - 자동차용 도어 가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819Y1
KR200495819Y1 KR2020210000973U KR20210000973U KR200495819Y1 KR 200495819 Y1 KR200495819 Y1 KR 200495819Y1 KR 2020210000973 U KR2020210000973 U KR 2020210000973U KR 20210000973 U KR20210000973 U KR 20210000973U KR 200495819 Y1 KR200495819 Y1 KR 200495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ard
vehicle
present
connectio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상
Original Assignee
박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상 filed Critical 박재상
Priority to KR2020210000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19Y1/ko
Priority to PCT/KR2022/004075 priority patent/WO2022211356A1/ko
Priority to KR2020220002008U priority patent/KR200496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 가드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가드 본체 사이에 제1 연결 밴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 도어의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도어 개방에 따른 접촉 충격으로 인한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로서, 상기 가드 본체는, 상기 가드 본체의 전체 면에 걸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쿠션돌기층; 및 상기 쿠션 돌기층과 상기 쿠션 돌기층 경계에 형성되어 상기 가드 본체를 접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접이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가드{Door-guard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 가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에 부착하여 도어의 개폐시 인접한 자동차의 차체와 부딪힘에 의해 발생하는 자동차의 외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가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교통수단 또는 운반수단으로서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 자동차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그에 따른 주차 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며, 주차 공간 또한 비좁은 상태이다.
이러한 비좁은 주차 공간에서 자동차를 주차장에 주차할 경우 주차하는 자동차의 좌, 우측에 주차되어 있는 타 자동차의 도어 개폐시 자동차의 도어간에 접촉이 발생하게 되고, 자동차의 도어 측면에 접촉 손상을 남기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접촉 손상 부분을 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제적인 부담 및 차주에게 스트레스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본인 또는 타 자동차의 도어 가장자리 부분에 도어의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등이 부착되어 출고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합성수지는 주행 및 주차 시 미관상 좋지 않으며, 세차나 사고 발생 시 도어로부터 이탈되기 쉽다.
이에 일부 운전자들은 자동차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고리나 자석에 의해 도어에 설치할 수 있는 바(bar) 형태의 도어 가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바 형태의 도어 가드는 통상적으로 자석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자동차의 도어에 직접 부착하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가드의 표면 전체가 도어 표면과 닿게 되어, 부착 상태 및 탈거 시 의도하지 않게 도어 표면에 스크레치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바 형태의 도어 가드는 크기에 의한 보관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25021호(2014.10.28)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도어를 따라 길게 부착하여 자동차의 주정차시 타 자동차의 도어 개폐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동차의 측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가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 가드를 접어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자동차용 도어 가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석이 부착되는 차량뿐만 아니라 자석이 부착되지 않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 등의 도어를 가지는 차량에도 적용 가능한 자동차용 도어 가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각의 가드 본체 사이에 제1 연결 밴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 도어의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도어 개방에 따른 접촉 충격으로 인한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로서, 상기 가드 본체는, 상기 가드 본체의 전체면에 걸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쿠션 돌기층; 및 상기 쿠션 돌기층과 상기 쿠션 돌기층 경계에 형성되어 상기 가드 본체를 접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접이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쿠션 돌기층은, 중앙에 위치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해 상기 접이홈을 경계로 상기 제1 면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면 및 제3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면을 향해 접촉되어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드 본체에는 자력을 통해 자동차의 도어에 부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자석 패드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자석 패드는 상기 가드 본체의 각 모서리 부위에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자석 패드는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드 본체를 상기 접이홈을 따라 접을 때,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이 대응하는 상기 제1 면에 대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면에는 자성체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밴드에는 보조 연결밴드가 교차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보조 연결밴드의 선단에 걸림 후크가 연결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양측 상기 가드 본체의 외측단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의 힌지측 도어 틈새와 상기 리어 도어와 리어 휀더 사이의 도어 틈새에 삽입되는 삽입 후크가 고정된 제2 연결밴드가 연결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 후크는 판재의 고리 본체; 상기 고리 본체의 일측 면에 상기 연결 밴드가 연결되는 밴드 연결 홀; 및 도어 틈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고정부는 상기 고리 본체 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도어 틈새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도어 틈새에 긴밀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밀착날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밀착날개는 상기 도어 틈새에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의 양측 면에 복수의 층상 구조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고리 본체와 상기 삽입 고정부 사이에는 그 경계 부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강부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에 의하면, 자동차의 도어를 따라 길게 부착하여 자동차의 주정차시 타 자동차의 도어 개폐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동차의 측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어 가드를 접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형태로서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자석이 부착되는 차량뿐만 아니라 자석이 부착되지 않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 등의 도어를 가지는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어 가드 전체가 도어에 접촉하지 않아 부착 상태 및 탈거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도어 표면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석식 자동차용 도어 가드가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자석식 자동차용 도어 가드가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비자석식 자동차용 도어 가드의 삽입후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의 보관 시, 2개의 가드 본체를 서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석식 자동차용 도어 가드가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자석식 자동차용 도어 가드가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비자석식 자동차용 도어 가드의 삽입 후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의 보관 시, 2개의 가드 본체를 서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체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론트 도어(1)와 리어 도어(2)로 구성된 자동차의 도어의 외측면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설치되어 도어 개방으로 인한 접촉 충격으로부터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도어 가드(10)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가드(10)는 물체에 부딪치거나 외력에 의해 반복적인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손상이 없는 합성수지 재로 성형되는 가드 본체(100)를 포함한다.
가드 본체(100)는 다각형 형상의 판재로서, 합성수지재의 완충 보강재로 이루어진 내피재와, 내피재의 외측면 전체에 완충 보강재를 감싸는 합성수지재의 외피재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드 본체(100)는 외측으로 돌출된 쿠션 돌기층(110)이 형성되며, 쿠션 돌기층(110)과 쿠션 돌기층(110)의 경계에는 가드 본체(100)를 접을 수 있도록 복수의 접이 홈(120)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쿠션돌기층(110)은 가드 본체(100)의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자동차 도어의 손상에 대한 최대한의 보호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접이홈(120)은 가드 본체(100)의 상하 위치에 2개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접이홈(120)은 가드 본체(100)를 제1 면(111), 제2 면(112) 및 제3 면(113)으로 분할 가능하며, 접이홈(120)을 통해 가드 본체(100)를 접을 수 있게 된다. 접이홈(120)을 따라 가드 본체(100)를 접을 경우, 중앙에 위치한 제1 면(111)에 대해 제1 면(111)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제2 면(112) 및 제3 면(113)은 제1 면(111)을 향해 접촉되는 형태로 가드 본체(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드 본체(100)의 제2 면(112) 및 제3 면(113)에는 자력을 통해 자동차의 도어에 부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자석 패드(130)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가드 본체(10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자석 패드(130)가 구비된다. 자석 패드(130)는 제2 면(112) 및 제3 면(113) 중 어느 한 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부착력 향상을 위해 제2 면(112) 및 제3 면(113) 모두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드 본체(100)의 양단에는 후술하는 연결밴드(200,300)를 연결 가능한 관통구멍(14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드 본체(100)는 자동차의 차체 측면에 설치할 때에는 각각 한 쌍이 필요하다. 즉, 자동차 도어의 프론트 도어(1)와 리어 도어(2)에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2개의 가드 본체(100)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양측의 가드 본체(100) 사이에는 신축성이 우수한 제1 연결밴드(200)가 연결된다. 즉, 가드 본체(100)의 서로 인접한 관통구멍(140)에는 제1 연결밴드(200)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연결밴드(200)의 중간 부분에 보조 연결밴드(210)가 교차 가능하게 연결되며, 프론트 도어(1)와 리어 도어(2) 사이의 자동차 실내 측에 수용되어 시트 벨트(미도시) 등에 걸리도록 보조 연결밴드(210)의 선단에 걸림후크(220)가 연결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가드(10)는 자동차의 측면 차체의 길이 방향, 예컨대 캐릭터 라인을 따라 설치된다. 하나의 가드 본체(100)는 프론트 도어(1)에 부착되고, 나머지 하나의 가드 본체(100)는 리어 도어(2)에 부착되며, 양측의 가드 본체(100) 사이의 제1 연결밴드(200)에 교차하는 보조 연결밴드(210)에 연결된 걸림 후크(220)는 프론트 도어(1)와 리어 도어(2) 사이의 실내 측의 시트 벨트 등에 걸린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가드(10)의 제1 연결밴드(200)가 실내 측에 수용되어 시트 벨트 등에 고정되므로 외부에 노출되는 가드 본체(10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드 본체(100)에 자석 패드(130)가 구비되는 자석식 도어 가드(10)일 경우에는 걸림 후크(220)를 통해 자동차 실내 측에 고정한 다음, 자석 패드(130)의 자력을 이용하여 자동차 차체에 가드 본체(100)를 부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드 본체(100)에 자석 패드(13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비자석식 도어 가드(10)이거나 도어가 자석에 부착되지 않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가드 본체(100)가 자동차 차체에 부착되지 않게 되므로, 다른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가드 본체(100)를 차체에 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드 본체(100)를 차체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수단은 양측 가드 본체(100)의 외측단에 연결되는 제2 연결밴드(300)와 삽입 후크(3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2 연결밴드(300)와 삽입 후크(310) 중 하나는 닫힌 상태의 프론트 도어(1)의 힌지측 도어 틈새에 걸리도록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리어 도어(2)와 리어 휀더(3) 사이의 도어 틈새에 걸리도록 고정된다.
한편, 연결밴드들(200,300)은 가드 본체(100)에 형성된 관통구멍(140)을 통해 연결되며, 길이 조절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드 본체(100)에 대한 자석 패드(130)의 부착 여부에 따라 자석식 또는 비자석식 도어 가드(10)로 구분할 수 있다. 자석식 도어 가드(10)일 경우 자석 패드(130)가 차체 도어에 부착될 수 있고, 비자석식 도어 가드(10)일 경우 제2 연결밴드(300)에 의해 가드 본체(100) 전체가 차체 도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 즉 가드 본체(100) 일부만이 차체 도어에 접착한 상태로 연장되므로 차체에 대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비자석식 자동차용 도어 가드의 삽입 후크(31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삽입 후크(310)는 도어의 흠집을 예방하기 위해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판재의 고리 본체(311)를 포함한다. 고리 본체(311)의 일측면에 연결밴드(300)가 연결되는 밴드연결 홀(312)과, 도어 틈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고정부(313)를 포함한다.
삽입고정부(313)는 고리 본체(311) 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고정돌기(313a)와, 도어 틈새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도어 틈새에 긴밀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밀착날개(313b)를 포함한다.
밀착날개(313b)는 도어 틈새에 긴밀하게 맞닿아 압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313a)의 양 측면에 복수의 층상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고리 본체(311)와 삽입 고정부(313) 사이에는 고리 본체(311)와 삽입 고정부(313)의 고정돌기(313a)의 경계 부위가 쉽게 찢어져 손상되지 않도록 보강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314)는 삽입 고정부(313)의 폭보다 넓은 폭과 두께를 구비한 원호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10)의 보관 시, 가드 본체(100)의 접이 홈(120)을 접어 크기를 줄이고, 2개의 가드 본체(100)를 서로 부착한 상태로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10)는 가드 본체(100)의 제2 면(112) 및 제3 면(113)을 접이 홈(120)을 따라 접을 경우 제2 면(112) 및 제3 면(113)의 자석 패드(130)가 대응하는 제1 면(111)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1 면(111)의 내피재에는 철판 등과 같은 자성체(115)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가드(10)를 비 사용시에 가드 본체(100)의 제1 면(111)에 대해 제2 면(112)과 제3 면(113)을 접어서 부착되도록 한 다음, 각각의 가드 본체(100)를 서로 포개어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각각의 가드 본체(100)를 서로 포개어 접을 때, 가드 본체(100)와 가드 본체(100) 사이에 제1 및 제2 연결밴드(200,300), 걸림후크(220) 및 삽입 후크(310) 등의 부속품을 수납하여 도어 가드(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속품이 다른 물체에 걸리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10)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차를 주차하는 경우에는 도어 가드(10)를 자동차 도어의 프론트 도어(1)와 리어 도어(2)에 설치할 수 있다.
도어 가드(10)를 자동차의 도어에 장착할 경우에는, 먼저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1)를 열어 가드 본체(100)와 가드 본체(100) 사이에 연결된 걸림 후크(220)를 시트 벨트 등에 걸어 고정시킨다.
자석식 도어 가드(10)일 경우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가드(10)를 조정하여 자동차 도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석 패드(130)를 이용하여 가드 본체(1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비자석식 도어 가드(10)일 경우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가드 본체(100) 양단의 관통구멍(140)에 제2 연결밴드(300)를 연결한 상태에서, 삽입후크(310)를 닫힌 상태의 프론트 도어(1)의 힌지측 도어 틈새에 걸리도록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삽입 후크(310)를 리어 도어(2)와 리어 휀더(3) 사이의 도어 틈새에 걸리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가드(10)를 자동차 도어에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주차시 인접한 타 자동차의 도어 개폐시 접촉 충격으로 인한 차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 가드(10)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이용 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자동차를 운행하는 중에 도어 가드(10)를 트렁크 등에 보관하는 경우, 가드 본체(100)를 접이홈(120)을 따라 접은 상태에서, 2개의 가드 본체(100)를 서로 부착하고, 가드 본체(100) 사이에 제1 및 제2 연결밴드(200,300), 걸림 후크(220) 및 삽입 후크(310) 등의 부속품을 수납함으로써, 도어 가드(10)의 크기를 줄여 보관 공간을 최소화하고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도어 가드 100 : 가드 본체
110 : 쿠션돌기층 120 : 접이홈
130 : 자석 패드 140 : 관통구멍
200 : 제1 연결밴드 210 : 보조 연결밴드
220 : 걸림후크 300 : 제2 연결밴드
310 : 삽입후크

Claims (10)

  1. 각각의 가드 본체 사이에 제1 연결 밴드가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 도어의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도어 개방에 따른 접촉 충격으로 인한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로서,
    상기 가드 본체는,
    상기 가드 본체의 전체 면에 걸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쿠션 돌기층; 및
    상기 쿠션 돌기층과 상기 쿠션 돌기층 경계에 형성되어 상기 가드 본체를 접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접이홈;을 포함하되,
    상기 쿠션 돌기층은, 중앙에 위치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해 상기 접이 홈을 경계로 상기 제1 면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면 및 제3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면을 향해 접촉되어 부착되도록 각 모서리 부위에 구비되는 자석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을 상기 접이홈을 따라 접을 때,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이 대응하는 상기 제1 면에 대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면에는 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밴드에는 보조 연결밴드가 교차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보조 연결밴드의 선단에 걸림 후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
  7. 제1항에 있어서,
    양측 상기 가드 본체의 외측단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의 힌지측 도어 틈새와 상기 리어 도어와 리어휀더 사이의 도어 틈새에 삽입되는 삽입 후크가 고정된 제2 연결밴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후크는 판재의 고리 본체;
    상기 고리 본체의 일측 면에 상기 연결 밴드가 연결되는 밴드 연결홀; 및
    도어 틈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고정부는 상기 고리 본체 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도어 틈새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도어 틈새에 긴밀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밀착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날개는 상기 도어 틈새에 압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돌기의 양측면에 복수의 층상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본체와 상기 삽입 고정부 사이에는 그 경계 부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
KR2020210000973U 2021-03-29 2021-03-29 자동차용 도어 가드 KR200495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73U KR200495819Y1 (ko) 2021-03-29 2021-03-29 자동차용 도어 가드
PCT/KR2022/004075 WO2022211356A1 (ko) 2021-03-29 2022-03-23 자동차용 도어 가드
KR2020220002008U KR200496037Y1 (ko) 2021-03-29 2022-08-18 자동차용 도어 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73U KR200495819Y1 (ko) 2021-03-29 2021-03-29 자동차용 도어 가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008U Division KR200496037Y1 (ko) 2021-03-29 2022-08-18 자동차용 도어 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819Y1 true KR200495819Y1 (ko) 2022-08-25

Family

ID=830620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73U KR200495819Y1 (ko) 2021-03-29 2021-03-29 자동차용 도어 가드
KR2020220002008U KR200496037Y1 (ko) 2021-03-29 2022-08-18 자동차용 도어 가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008U KR200496037Y1 (ko) 2021-03-29 2022-08-18 자동차용 도어 가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495819Y1 (ko)
WO (1) WO202221135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6951A1 (en) * 2009-04-30 2010-11-04 Ronny Malina Automobile protector
KR20120012195A (ko) * 2010-07-30 2012-02-09 황인성 착탈이 용이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KR200468192Y1 (ko) * 2012-06-15 2013-08-01 안성호 차량 도어 손상 방지 장치
KR20140125021A (ko) 2013-04-17 2014-10-28 이종일 자동차 도어 보호가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380U (ja) * 1997-12-13 1998-09-25 伸英 櫻井 磁石を利用した自動車側面の保護用品
US6736435B1 (en) * 2002-01-31 2004-05-18 Phouphanomketh Ditthavong Ding and dent prevention system
KR101371019B1 (ko) * 2012-11-01 2014-03-07 권익환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1535995B1 (ko) * 2013-12-09 2015-07-10 (주)샤픈고트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2165367B1 (ko) * 2014-01-24 2020-10-14 (주)샤픈고트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6951A1 (en) * 2009-04-30 2010-11-04 Ronny Malina Automobile protector
KR20120012195A (ko) * 2010-07-30 2012-02-09 황인성 착탈이 용이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KR200468192Y1 (ko) * 2012-06-15 2013-08-01 안성호 차량 도어 손상 방지 장치
KR20140125021A (ko) 2013-04-17 2014-10-28 이종일 자동차 도어 보호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1356A1 (ko) 2022-10-06
KR200496037Y1 (ko) 2022-10-19
KR20220002395U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8380A (en) Vehicle door protector
US7740294B2 (en) Protective vehicle cover
US20150123412A1 (en) Door guard for vehicle
KR200496037Y1 (ko) 자동차용 도어 가드
KR100898245B1 (ko)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KR200494943Y1 (ko) 차량용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가드
JPH0761310A (ja) エアバッグ装置の蓋材
KR102413571B1 (ko) 자동차용 도어 가드
KR200414018Y1 (ko) 자동차 긁힘방지용 패드
KR101802978B1 (ko)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KR200242619Y1 (ko)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의 측면 파손 방지용 보호대
US6311451B1 (en) Automobile door protector
KR101199636B1 (ko) 착탈이 용이한 자동차 측면 보호대
KR102605642B1 (ko) 탑차용 뒷문 프레임 보호 및 미끄럼 방지용 범퍼 고무
KR200320913Y1 (ko) 자동차의 차체 보호장치
US20240083229A1 (en) Vehicle Scratch and Dent Prevention Device
KR200401261Y1 (ko) 차량옆문 보호대
JP3041488U (ja) 自動車のサイド用衝撃吸収保護板
KR20090097554A (ko) 주차장 자동차 보호 장치
KR200476787Y1 (ko) 자동차 범퍼 보호구
KR200203108Y1 (ko) 착탈식필러보강구조
KR970006763Y1 (ko) 자동차 손상 방지용 안전카버
KR0157810B1 (ko) 차량용 트렁크리드 고정구
JP3050223U (ja) 自動車用ドアーミラープロテクタ
KR100747027B1 (ko) 선글라스 케이스가 구비된 자동차의 루프 트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