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787Y1 - 자동차 범퍼 보호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범퍼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787Y1
KR200476787Y1 KR20140007543U KR20140007543U KR200476787Y1 KR 200476787 Y1 KR200476787 Y1 KR 200476787Y1 KR 20140007543 U KR20140007543 U KR 20140007543U KR 20140007543 U KR20140007543 U KR 20140007543U KR 200476787 Y1 KR200476787 Y1 KR 200476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trunk
automobile
cushio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7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수
Original Assignee
이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수 filed Critical 이준수
Priority to KR20140007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7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7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4Bumper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means outsid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 범퍼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되, 착탈이 용이하여 주행시에는 트렁크의 내부에 수납하고 주차시에 후방 범퍼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어 수납시 보관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범퍼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방범퍼 외면에 맞닿게 배치되는 함체 형상의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상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되, 일단은 완충부와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의 일면에는 벨크로파스너가 구비되어 트렁크 내부에 부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부는,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수평으로 절개된 절개홈을 통해 다단으로 구획되며, 상기 절개홈을 기준으로 상단부부가 트렁크측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범퍼 보호구{Support bumper of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 범퍼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되, 설치 및 수납이 용이하여 주행시에는 트렁크의 내부에 수납하고 주차시에 후방 범퍼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어 수납시 보관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범퍼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주택가의 골목, 지하주차장이 없는 공동주택 또는 아파트, 공영주차장 또는 공공장소의 주차장 등 주차공간이 부족한 곳에서는 2중 주차 또는 3중 주차 등이 행해지고 있으며, 2중, 3중의 주차를 하거나 주차된 자동차를 출발하기 위해서는 주차되어 있던 차량을 앞,뒤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주차되어 있던 차량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앞차 또는 뒷차와 부딪히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범퍼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속도로의 휴게소 등과 같이 주차라인 중 주차하는 자동차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는 주차시 이미 주차되어 있는 차량과 간격을 조절하기 어려워 범퍼끼리 부딪히는 접촉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나아가, 걸림턱이 설치되지 않은 일반 주차장의 경우 초보운전자가 주차시 벽면 등에 범퍼가 맞닿아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범퍼는 손상된 부위나 크기에 따라서 작게 손상되거나 칠이 벗겨진 정도면 붓 또는 복원수단 등을 통하여 페인트를 칠하거나 찌그러진 부위를 펴고, 범퍼가 찢어지거나 찌그러진 정도가 심한 경우 범퍼 자체를 교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 및 보험사 등이 부담하는 경제적인 비용이 증가하며, 특히 경미한 접촉사고에서도 범퍼를 교체하는 경우가 많아 이는 결국 운전자의 보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범퍼의 주요 손상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범퍼 보호대가 판매되고 있는데, 종래의 범퍼 보호대는 주로 범퍼의 모서리 부위에 양면테이프 등을 통해 부착되는 것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력이 떨어져 범퍼 보호대가 범퍼로부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보호할 수 있는 범위가 좁기 때문에 효과가 낮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904863호(2009.06.19.,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100)와, 안정바(200)와, 고정띠(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100)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쿠션부재(120)가 덧대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쿠션부재를 통해 외부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완충부를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트렁크로부터 후방범퍼까지의 형상 및 후방범퍼가 돌출된 정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각 자동차의 종류별로 완충부를 별도로 성형해야 하고 이로 인해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완충부를 트렁크나 자동차의 실내에 보관할 때 부피를 줄일 수 없기 때문에 수납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대량생산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주차중 범퍼를 보호할 수 있어 경미한 사고에 의한 범퍼의 손상을 방지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막고, 착탈이 용이하여 여성운전자 및 노년층도 쉽게 설치 및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범퍼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납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 범퍼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주행 중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주행 중 발생하는 추돌사고에서 범퍼를 보호함과 동시에 충격을 완화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 범퍼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 후방범퍼의 외면에 맞닿게 배치되며 내부에 쿠션층이 구비된 함체 형상의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의 상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되, 일단은 완충부와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의 일면에는 벨크로파스너가 구비되어 트렁크 내부에 부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부는,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수평으로 절개된 절개홈을 통해 다단으로 구획되며, 상기 절개홈을 기준으로 상단부이 트렁크측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로 구획되되, 상기 절개홈을 통해 상단부와 하단부가 중단부측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완충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되, 하부에 구비된 고정부의 외측 끝단에는 자동차 하부의 부속품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자동차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대량생산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주차중 범퍼를 보호할 수 있어 경미한 사고에 의한 범퍼의 손상을 방지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막고, 착탈이 용이하여 여성운전자 및 노년층도 쉽게 설치 및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자동차 범퍼 보호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범퍼 보호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범퍼 보호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범퍼 보호구(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10)와, 고정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10)는, 자동차의 후방범퍼(12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사각 또는 사다리 형태의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는 압축스펀지 또는 우레탄등으로 이루어진 쿠션층이 채워지고, 외피는 빗물, 습기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방수 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 또는 피혁 등을 소재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완충부(10)에는 압축스펀지 또는 우레탄 등을 내부로 채워넣을 수 있도록 지퍼 등과 같은 개폐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0)는, 후방범퍼(120)의 외면에 맞닿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단부이 트렁크(110)측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범퍼(120)는 트렁크(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완충부(10)가 후방범퍼(120)의 외면에 맞닿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완충부(10)의 상측 일부가 트렁크(110)측으로 선회되도록 함으로써, 선회된 완충부(10)가 트렁크(110)의 외측 끝단부터 후방범퍼(120)의 상단부까지 형성된 공간(S)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부(10)에는,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수평으로 절개된 절개홈(11)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11)을 기준으로 하여 상단부(12)이 트렁크(110)측으로 선회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10)의 외면에는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완충부(1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홈(11)이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되어 완충부(10)가 상단부(12), 중단부(13), 하단부(14)으로 구획되도록 형성한다. 이를 통해 완충부(10)를 수납시 상단부(12) 및 하단부(14)를 중단부(13)의 후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수납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도 4 (b)참조)
상기 고정부(20)는, 완충부(10)의 상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완충부(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일단은 완충부(10)와 재봉, 접착제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의 일면에는 벨크로파스너(21)가 구비되어 트렁크(110)의 내부에 부착된다.
상기 고정부(20)는 완충부(10)의 상부에 이격된 거리를 두고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완충부(10)를 연결하여 완충부(10)의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고정부(20)도 추가적으로 복수개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크로파스너(21)는 고정부(20)의 일면에 구비되어 트렁크(110) 내부에 부착되는데,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트렁크(110) 내부에는 스페어타이어 또는 리폼키트 등이 수납되는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덮개가 구비된다. 이때 덮개의 외면은 부직포 등과 같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벨크로파스너(21)가 부착 가능한 것이다.
다만, 상기 벨크로파스너(21)는 루프와 후크 중 후크로 이루어져야 하며, 만약 덮개가 깔려있지 않거나 덮개가 부직포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루프를 트렁크의 바닥 또는 덮개의 상부에 부착해야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자동차가 주행 중인 상태에서도 완충부(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6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부(20)를 구비하되, 상부에 구비된 고정부(20)는 트렁크(110)의 내부에 고정되고,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부(20)는 외측단에 자석(22)이 구비되어, 상기 자석(22)이 자동차의 트렁크 또는 자동차의 하부에 배치된 부속품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자동차의 트렁크에는 미리 자석 또는 금속판을 덧대어 상기 고정부(20)에 구비된 자석(22)이 부착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완충부(10)는 자동차의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서도 흔들리지 않고, 주행 중 발생하는 사고의 충격을 흡수하여 범퍼를 보호하며 나아가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사고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부(10)는 상하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절개홈(11)이 형성되어 상단부(12), 중단부(13), 하단부(14)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12) 및 하단부(14)에 고정부(2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자동차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대량생산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주차중 범퍼를 보호할 수 있어 경미한 사고에 의한 범퍼의 손상을 방지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막고, 착탈이 용이하여 여성운전자 및 노년층도 쉽게 설치 및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자동차 범퍼 보호구 110 : 트렁크 120 : 후방범퍼
10 : 완충부 11 : 절개홈 12 : 상단부
13 : 중단부 14 : 하단부 15 : 결합수단
20 : 고정부 21 : 벨크로파스너 22 : 자석

Claims (3)

  1. 자동차 후방범퍼(120)의 외면에 맞닿게 배치되며 내부에 쿠션층이 구비된 함체 형상의 완충부(10)와;
    상기 완충부(10)의 상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되, 일단은 완충부(10)와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의 일면에는 벨크로파스너(21)가 구비되어 트렁크(110) 내부에 부착되는 고정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부(10)는,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수평으로 절개된 절개홈(11)을 통해 다단으로 구획되며, 상기 절개홈(11)을 기준으로 상단부(12)가 트렁크(110)측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10)는,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절개홈(11)이 형성되어 상단부(12), 중단부(13), 하단부(14)으로 구획되되,
    상기 절개홈(11)을 통해 상단부(12)와 하단부(14)가 중단부(13)측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보호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완충부(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되, 하부에 구비된 고정부(20)의 외측 끝단에는 자동차 하부의 부속품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2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보호구.
KR20140007543U 2014-10-17 2014-10-17 자동차 범퍼 보호구 KR200476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543U KR200476787Y1 (ko) 2014-10-17 2014-10-17 자동차 범퍼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543U KR200476787Y1 (ko) 2014-10-17 2014-10-17 자동차 범퍼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787Y1 true KR200476787Y1 (ko) 2015-04-14

Family

ID=5303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7543U KR200476787Y1 (ko) 2014-10-17 2014-10-17 자동차 범퍼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78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080U (ko) * 1989-11-16 1991-07-23
JPH0396350U (ko) * 1990-01-24 1991-10-02
US5056817A (en) * 1990-03-27 1991-10-15 Innovision Technologies Group, Inc. Temperature-rise limiting automobile bra
KR200439068Y1 (ko) 2007-06-01 2008-03-18 김용호 자동차 범퍼 보호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080U (ko) * 1989-11-16 1991-07-23
JPH0396350U (ko) * 1990-01-24 1991-10-02
US5056817A (en) * 1990-03-27 1991-10-15 Innovision Technologies Group, Inc. Temperature-rise limiting automobile bra
KR200439068Y1 (ko) 2007-06-01 2008-03-18 김용호 자동차 범퍼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9593B2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utomobile bumpers
KR101371019B1 (ko)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GB2464762A (en) Car protection device
KR200476787Y1 (ko) 자동차 범퍼 보호구
US6739634B1 (en) Gel-air impact bumper and retractable impact spoiler with attached impact hood shield
KR20120119701A (ko)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KR101535995B1 (ko) 도난방지용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1757892B1 (ko) 주차장의 차량문짝 보호장치
KR101517730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로워 트림에 구비되는 우산꽂이
KR101050183B1 (ko)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KR101802978B1 (ko)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GB2437722A (en) Car bodywork dent protection pad
KR100904863B1 (ko) 차량용 범퍼 보호대
KR20140004684U (ko) 차량용 도어 가드
CA2727919A1 (en) Vehicle bumper assembly
KR200431297Y1 (ko) 자동차용 에어쿠션 가드
KR100790024B1 (ko) 자동차용 도어가드
KR101963299B1 (ko) 자동차 도어 보호구
KR100625287B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0401261Y1 (ko) 차량옆문 보호대
KR100553958B1 (ko) 자동차 도어 보호막
KR200495819Y1 (ko) 자동차용 도어 가드
KR200440980Y1 (ko) 차문 보호용 패킹
KR20220092322A (ko) 자동차용 보호덮개
KR20190001551U (ko) 주차장용 차량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