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701A -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701A
KR20120119701A KR1020110037834A KR20110037834A KR20120119701A KR 20120119701 A KR20120119701 A KR 20120119701A KR 1020110037834 A KR1020110037834 A KR 1020110037834A KR 20110037834 A KR20110037834 A KR 20110037834A KR 20120119701 A KR20120119701 A KR 2012011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ortion
door
center
fold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912B1 (ko
Inventor
정희명
Original Assignee
(주)코리어스포일러
정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어스포일러, 정희명 filed Critical (주)코리어스포일러
Priority to KR102011003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91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6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belt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외부에 탈착되어지게 구비되어지는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센터쿠션부의 양측에 레프트쿠션부와 라이트쿠션부가 절첩부에 의하여 각각 절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센터쿠션부와 레프트쿠션부 및 라이트쿠션부의 배면에 탈착부가 구비되어 프론트도어와 리어도어의 외부에 탈착되게 구성되어지되, 상기 센터쿠션부는 타측에 제1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쿠션부가 절첩되어 안치되어지며, 상기 레프트쿠션부도 일측에 제2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레프트쿠션부가 절첩되어 상기 센터쿠션부에 안치된 라이트쿠션부가 감싸여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AUTOMOBILE DOOR PROTECTO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차중인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표면에 스크래치 또는 스크래치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들이 빽빽하게 주차된 상태에서 도어를 세게 열거나 많이 열면 옆에 주차된 다른 차동차의 도어나 차체에 흠집을 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흠집은 가까이서 확인 할 수 있는 만큼 경미하게 긁힌 것에서부터 2~3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쉽게 알아볼 만큼 도어 표면이 5mm이상 움푹 들어간 정도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발생된다.
자동차의 도어에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도어 가드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도어 가드는 자석이 부착된 고무바 및 직물 패드에 의해 외부의 충격이 흡수되어지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 길이와 부피가 커서 혼자 설치하기 어렵고, 사용후 수거 및 보관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다른 도어 가드는 사이드 미러나 헤드레스트에 끈으로 묶어 두거나, 자석 또는 흡착판을 이용하여 도어의 표면에 부착하는 구조여서 쉽게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직물 패드는 눈이나 비에 젖은 후 건조되어지는 과정에서 형태가 비틀리는 변형으로 인하여 수명이 짧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길이와 부피를 줄여 혼자 자동차의 도어 표면에 용이하게 설치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도난으로 인한 분실을 방지하는 가운데 비틀리는 변형을 막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외부에 탈착되어지게 구비되어지는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A)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A)는 센터쿠션부(10)의 양측에 레프트쿠션부(11)와 라이트쿠션부(12)가 절첩부(13)에 의하여 각각 절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센터쿠션부(10)와 레프트쿠션부(11) 및 라이트쿠션부(12)의 배면에 탈착부(14)가 구비되어 프론트도어와 리어도어의 외부에 탈착되게 구성되어지되, 상기 센터쿠션부(10)는 타측에 제1단턱부(101)가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쿠션부(12)가 절첩되어 안치되어지며, 상기 레프트쿠션부(11)도 일측에 제2단턱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레프트쿠션부(11)가 절첩되어 상기 센터쿠션부(10)에 안치된 라이트쿠션부(12)가 감싸여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첩부(13)는 좌우측 힌지편(131)(131')이 맞대어져 힌지핀(132)으로 회동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좌우측 힌지편(131)(131')은 각각 센터쿠션부(10)와 레프트쿠션부(11) 및 라이트쿠션부(12)에 대응되게 형성된 힌지편 삽입홈(16)에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터쿠션부(10)와 레프트쿠션부(11) 및 라이트쿠션부(12)는 EVA의 혼성중합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부(14)는 마그네틱 시트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레프트쿠션부(11)에 형성된 제2단턱(111)의 전면측 단부와 상기 라이트쿠션부(12)의 배면측 단부에 밸크로테이프(17)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레프트쿠션부(11)는 센터쿠션부(10)와 절첩부(13)에 의하여 절첩되어지는 단부측 배면 모서리에
Figure pat00001
형태를 갖는 걸림편(18)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차중인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표면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센터쿠션부의 양측에 각각 레프트쿠션부와 라이트쿠션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마그네틱 시트로 부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 표면에 도어 보호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도어 표면에 스크래치 또는 스크래치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눈이나 빚물이 도어 보호구에 스며들지 않음으로써,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뒤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표면에서 분리되어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레프트 쿠션부에 걸림편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여 걸림편이 프론트 도어의 내측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도난으로 인한 분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호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호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호구가 펼쳐진 상태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며에 따른 도어 보호구의 배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오 보호구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호구가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보호구(A)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중일 경우, 자동차(C)의 도어(D) 외부에 부착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도어(D)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주행 전 이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센터쿠션부(10)의 양측에 레프트쿠션부(11)와 라이트쿠션부(12)가 절첩부(13)에 의하여 각각 절첩되게 구비되어있다.
여기에서, 상기 센터쿠션부(10)는 타측에 제1단턱부(101)가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쿠션부(12)가 절첩부(13)에 의하여 절첩된 상태로 안치되어지게 구성되고, 상기 레프트쿠션부(11)도 일측에 제2단턱부(111)가 형성되어 절첩부(13)에 의하여 센터쿠션부(10)와 맞대어질 수 있게 절첩되어 센터쿠션부(10)에 안치된 라이트쿠션부(12)가 감싸여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쿠션부(10)와 레프트쿠션부(11) 및 라이트쿠션부(12)는 눈이나 빚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함으로써, 건조과정에서 뒤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lthylene-Vinyl Acetate;EVA)의 혼성중합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부(13)는 센터쿠션부(1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된 레프트쿠션부(11) 및 라이트쿠션부(12)가 서로 분리되지 않은 접혀진 상태에서 보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보관을 위한 별도의 큰 공간을 확보할 필요 없이 작은 공간에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가운데 사용시 센터쿠션부(10)의 양측에 각각 펼져진 상태로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절첩부(13)는 좌우측 힌지편(131)(131')이 맞대어져 힌지핀(132)으로 회동되게 결합되어진 것으로 상기 좌우측 힌지편(131)(131')은 각각 센터쿠션부(10)와 레프트쿠션부(11) 및 라이트쿠션부(12)에 대응되게 형성된 힌지편 삽입홈(16)에 삽입되어진 상태로 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편 삽입홈(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에폭시 접착체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센터쿠션부(10)와 레프트쿠션부(11) 및 라이트쿠션부(12)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갖는 탈착부(14)가 구비되어 프론트 도어(FD) 및 리어 도어(RD)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탈착부(14)는 마그네틱 시트로 형성되어지도록 하여 탈부착 시키는 과정에서 도어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레프트쿠션부(11)에 형성된 제2단턱(111)의 전면측 단부와 상기 라이트쿠션부(12)의 배면측 단부에 밸크로테이프(17)가 구비되어 센터쿠션부(10)의 타측에서 절첩된 라이트쿠션부(12)에 센터쿠션부(10)의 일측에서 절첩된 레프트쿠션부(11)가 덮혀진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프트쿠션부(11)는 센터쿠션부(10)와 절첩부(13)에 의하여 절첩되어지는 단부측 배면 모서리에 걸림편(18)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걸림편(18)이 프톤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 사이의 캡 또는 작은 공간에 삽입되어 프톤트 도어(FD)의 사이드 배면에 걸려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외부에서 도어보호구(A)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도어의 표면으로 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막아 도난으로 인한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걸림편(18)은
Figure pat00002
형태를 갖는 것으로 즉, 수직패널(181)의 후방에 수평패널(182)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레프트쿠션부(11)에 상기 수직패널(181)의 내측이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있다.
상기 수평패널(182)은 레프트쿠션부(11)의 배면과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지게 구성되어 그 사이로 프톤트 도어(FD)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지고, 상기 수평패널(182)의 끝에 걸림편(183)이 일체로 형성되어 프톤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 사이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A)는 펼쳐진 상태에서는 도1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쿠션부(10)와 레프트쿠션부(11) 사이에 구비된 걸림편(18)이 프톤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레프트쿠션부(11)의 배면과 수평패널(182) 사이에 프톤트 도어(FD)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때, 센터쿠션부(10)와 레프트쿠션부(11) 및 라이트쿠션부(12)는 펼쳐진 상태에서 배면에 구비된 각각의 마그네틱 시트로 이루어진 탈착부(14)에 의하여 상기 레프트쿠션부(11)는 프톤트 도어(FD)의 표면에 부착되어지고, 상기 센터쿠션부(10) 및 라이트쿠션부(12)는 리어 도어(RD)의 표면에 부착되어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주차중인 상태에서 옆에 주차중인 다른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부딪칠 경우, 도어 보호구(A)에 의하여 그 충격이 완화되어짐과 동시에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 도어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행을 하기 위해 프론트 도어(FD)와 리어 도어(RD)에 부착되어 있는 도어보호구(A)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우선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쿠션부(12)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절첩부(13)에 의하여 라이트쿠션부(12)가 센터쿠션부(10)의 제1단턱부(101)에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라이트쿠션부(12)가 제1단턱부(101)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쿠션부(10)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센터쿠션부(10)의 전면이 레프트구션부(11)의 전면에 맞대어짐과 동시에 밸크로테이프(17)에 의하여 절첩되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프톤트 도어(FD)의 표면에 맞대어진 레프트쿠션부(11)의 전면으로 라이트쿠션부(12)가 접혀진 센터쿠션부(10)가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프톤트 도어(FD)를 오픈 시킨 상태에서 벨크로테이프(17)가 구비된 부분의 레프트쿠션부(11)를 손으로 잡아 당긴 상태에서 레프트쿠션부(11)를 리어 도어(RD)의 방향으로 밀게 됨과 동시에 프톤트 도어(FD)의 가장자리에 삽입된 수평패널(182)이 분리됨에 따라 도어 보호구(A)가 완전하게 분리되어질 수 있게 된다.
10:센터쿠션부 11:레프트쿠션부
12:라이트쿠션부 13:절첩부
14:탈착부 101:제1단턱부
111:제2단턱부

Claims (5)

  1. 자동차의 도어 외부에 탈착되어지게 구비되어지는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A)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A)는 센터쿠션부(10)의 양측에 레프트쿠션부(11)와 라이트쿠션부(12)가 절첩부(13)에 의하여 각각 절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센터쿠션부(10)와 레프트쿠션부(11) 및 라이트쿠션부(12)의 배면에 탈착부(14)가 구비되어 프론트도어와 리어도어의 외부에 탈착되게 구성되어지되, 상기 센터쿠션부(10)는 타측에 제1단턱부(101)가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쿠션부(12)가 절첩되어 안치되어지며, 상기 레프트쿠션부(11)도 일측에 제2단턱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레프트쿠션부(11)가 절첩되어 상기 센터쿠션부(10)에 안치된 라이트쿠션부(12)가 감싸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13)는 좌우측 힌지편(131)(131')이 맞대어져 힌지핀(132)으로 회동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좌우측 힌지편(131)(131')은 각각 센터쿠션부(10)와 레프트쿠션부(11) 및 라이트쿠션부(12)에 대응되게 형성된 힌지편 삽입홈(16)에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쿠션부(10)와 레프트쿠션부(11) 및 라이트쿠션부(12)는 EVA(Elthylene-Vinyl Acetate)의 혼성중합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14)는 마그네틱 시트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레프트쿠션부(11)에 형성된 제2단턱(111)의 전면측 단부와 상기 라이트쿠션부(12)의 배면측 단부에 밸크로테이프(17)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프트쿠션부(11)는 센터쿠션부(10)와 절첩부(13)에 의하여 절첩되어지는 단부측 배면 모서리에
    Figure pat00003
    형태를 갖는 걸림편(18)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KR1020110037834A 2011-04-22 2011-04-22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KR101251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834A KR101251912B1 (ko) 2011-04-22 2011-04-22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834A KR101251912B1 (ko) 2011-04-22 2011-04-22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701A true KR20120119701A (ko) 2012-10-31
KR101251912B1 KR101251912B1 (ko) 2013-04-08

Family

ID=4728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834A KR101251912B1 (ko) 2011-04-22 2011-04-22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9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27Y1 (ko) * 2016-08-24 2017-02-27 한장희 차량 도어 파손 방지 장치
KR200491500Y1 (ko) * 2019-08-28 2020-04-16 진은주 차량용 문콕 방지 가드 조립체
KR102082577B1 (ko) * 2018-10-05 2020-04-23 김남수 자동차용 도어가드
KR20200092220A (ko) * 2019-01-24 2020-08-03 정병우 자동차 범퍼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1719B2 (ja) 2017-09-08 2021-10-20 ジョン クァンチョルJEONG, Kwang−Cheol 車両側面保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767Y1 (ko) 2000-08-24 2001-02-15 유태보 자동차 차체 보호구
KR200414018Y1 (ko) 2006-02-02 2006-04-13 송정헌 자동차 긁힘방지용 패드
KR100789157B1 (ko) 2007-03-07 2007-12-28 조철현 휴대용 자동차 측면보호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27Y1 (ko) * 2016-08-24 2017-02-27 한장희 차량 도어 파손 방지 장치
KR102082577B1 (ko) * 2018-10-05 2020-04-23 김남수 자동차용 도어가드
KR20200092220A (ko) * 2019-01-24 2020-08-03 정병우 자동차 범퍼 케이스
KR200491500Y1 (ko) * 2019-08-28 2020-04-16 진은주 차량용 문콕 방지 가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912B1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912B1 (ko)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US7740294B2 (en) Protective vehicle cover
US7374214B2 (en) Vehicle door and fender protector
WO2001042058A1 (en) Removable vehicle side protector
US6769725B2 (en) Shield pads for vehicle doors and sides
US20160280156A1 (en) License plate frame vehicle protector
KR101626720B1 (ko)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US9358942B1 (en) Automobile bumper protector and method of use
EP1878601A1 (en) A vehicle protection device.
KR20110136581A (ko) 자동차 측면 보호장치
US6739634B1 (en) Gel-air impact bumper and retractable impact spoiler with attached impact hood shield
GB2437722A (en) Car bodywork dent protection pad
KR101517730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로워 트림에 구비되는 우산꽂이
KR200494943Y1 (ko) 차량용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가드
KR20140124921A (ko) 자동차용 도어 보호장치
KR20140125021A (ko) 자동차 도어 보호가드
KR102164334B1 (ko) 차량의 문콕 방지장치
KR101653655B1 (ko) 자동차 도어 보호가드
KR101963299B1 (ko) 자동차 도어 보호구
KR101802978B1 (ko)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ATE471255T1 (de) Kraftfahrzeug mit crashsicherer halterung der transportbehälter-einrichtung
US8662558B1 (en) Vehicle storage system
CA2227253A1 (en) Removable side bumper for motor vehicles with theft deterrent
KR20240015243A (ko) 자동차 도어 보호구
KR200476787Y1 (ko) 자동차 범퍼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