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720B1 -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720B1
KR101626720B1 KR1020150070738A KR20150070738A KR101626720B1 KR 101626720 B1 KR101626720 B1 KR 101626720B1 KR 1020150070738 A KR1020150070738 A KR 1020150070738A KR 20150070738 A KR20150070738 A KR 20150070738A KR 101626720 B1 KR101626720 B1 KR 101626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main body
bracket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
Original Assignee
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 filed Critical 임형
Priority to KR102015007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 자동차 도어에 설치하여 두었다가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부;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및 평상시에는 상기 본체부에 권취되어 있다가, 사용 시에 잡아당겨 상기 고정부에 고정시켜 자동차 도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Protective device of car door}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 자동차 도어에 설치하여 두었다가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들이 빽빽하게 주차된 상태에서 도어를 세게 열거나 많이 열면, 옆에 주차된 다른 자동차의 도어나 차체에 흠집을 낼 수 있다.
이러한 흠집은, 가까이서 들여다보아야만 확인할 수 있을 만큼 경미하게 긁힌 정도에서부터, 2∼3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쉽게 알아볼 만큼 도어 표면이 5㎜ 이상 움푹 들어간 정도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0318호(2006.10.31 등록)는 자동차 도어 보호 패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 보호 패드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도어 보호 패드의 외관을 형성하기 위해 표면 가공된 신축성 있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커버; 상기 커버의 하단에서 마련되어 신축성 있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 내장 시트; 상기 제 1 내장 시트의 하단에 마련된 PET 기재의 점착 테이프; 및 상기 테이프의 하단에 마련된 이형지로 구성된 자동차 도어 보호 패드의 가장자리만을 융착에 의해 봉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618호(2014.05.02 등록)는 충격이나 스크래치에 의해 도장이나 차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자동차의 도어의 외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기다란 띠 형태의 본체; 자동차의 도어 양단부에 후크 형태로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걸고리; 충격 흡수를 위하여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쿠션체; 상기 본체로 하여금 도어의 표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무자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 도어 보호장치는 평상시 별도의 공간에 수납해두었다가 사용할 때마다 꺼내어 설치하여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자동차 도어에 제대로 설치되지 않아 외부로 떨어져 손상되거나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또한, 크기 또는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종류에 따라 크기 또는 길이가 맞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0318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61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과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본체부에 보관된 보호가이드부를 사용시에 잡아당겨 자동차의 도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부;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및 평상시에는 상기 본체부에 권취되어 있다가, 사용 시에 잡아당겨 상기 고정부에 고정시켜 자동차 도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의 일 말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ㄷ'자 형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을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ㄷ'자 형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개방된 부분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의 일 말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및 상기 브라켓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을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동차 도어의 일측과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고정부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고정부재; 상기 보조고정부재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 및 상기 보조고정부재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고정부재를 자동차 도어의 일측과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 사이에 설치하기 위한 보조고정부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고정부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집게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 일단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집게부재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재를 자동차 도어의 일측과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 사이에 설치하기 위한 보조고정부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가이드부가 자동차 도어에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본체부 표면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를 잡아당길 때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가이드부는, 평상시 권취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에 보관되어 있다가 사용시 잡아당겨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자동차 도어의 바깥방향으로 둥글게 말린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와이어 평벨트 또는 케이블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사용시 잡아 당겨 외부로 배출된 보호가이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본체부에 보관된 보호가이드부를 사용시에 잡아당겨 바로 사용하는 것으로, 별도로 수납하거나 사용할 때마다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로 떨어져 손상되거나 분실의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보조고정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10)는, 본체부(100), 고정부(200), 보호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자동차 도어의 일측(자동차 후면 도어의 후방측)에 고정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권취된 보호가이드부(300)를 삽입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시에 보호가이드부(300)를 배출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보호가이드부(300)를 보관함과 동시에 자동차의 후면 도어를 열 때 옆에 주차된 다른 자동차와 충돌하면서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자동차 도어의 일측(자동차 후면 도어의 후방측)에 고정 설치할 때에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양면테이프로 접착하여 고정시키거나, 볼트를 삽입한 후에 양면테이프로 접착하여 2중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자석 등 다양한 설치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기 위한 블랙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랙박스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 구성되어, 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주행시 또는 주차시 상황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주변 상황을 영상으로 저장하여 차량 사고 또는 차량 테러 등에 대한 원인을 밝혀낼 수 있다.
고정부(200)는,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에 고정 설치되며, 보호가이드부(300)의 일 말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200)는, 자동차 전면 도어를 개방할 때 걸리지 않도록 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할 수 있다.
보호가이드부(300)는, 평상시에는 권취되어 본체부(100)에 보관되어 있다가 사용시에 고정부(200)까지 잡아당겨 고정부(200)에 고정시켜 자동차 도어를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가이드부(300)는, 평상시 권취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에 보관되어 있다가 사용시 잡아당겨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자동차 도어의 바깥방향으로 둥글게 말린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와이어 평벨트 또는 케이블와이어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가이드부(300)는, 자동차 도어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표면이 부드러운 재질의 실리콘이 처리된 실리콘와이어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가이드부(300)는, 자동차 도어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옆에 주차된 다른 자동차와 충돌하더라도 자동차 도어는 손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10)는,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본체부에 보관된 보호가이드부를 사용시에 잡아당겨 바로 사용하는 것으로, 별도로 수납하거나 사용할 때마다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로 떨어져 손상되거나 분실의 위험이 없다. 또한,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10)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다수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200)는, 브라켓(210), 브라켓설치부재(220)를 포함한다.
브라켓(210)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에 고정 설치되어, 보호가이드부(300)의 일 말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브라켓설치부재(220)는, 브라켓(210)의 일 면에 형성되며, 브라켓(210)을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에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설치부재(220)는, 브라켓(210)의 측면에 볼트를 관통시켜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브라켓(210)의 측면에 양면테이프로 접착하여 고정시키거나, 볼트를 삽입한 후에 양면테이프로 접착하여 2중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자석 등 다양한 설치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보호가이드부(300)의 일 말단에 걸이부재(310)를 형성할 수 있다.
걸이부재(31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두 갈래로 나뉘어진 부분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 브라켓(210)의 두 갈래로 나뉘어진 부분과 끼워져 서로 고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걸이부재(310)는, 보호가이드부(3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본체부(100)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보호가이드부(300) 전체가 본체부(10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보호가이드부(300)의 일 말단에 형성된 걸이부재(310)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나와 있어서 사용자가 걸이부재(310)를 손으로 잡고 잡아당길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230), 고정부재(240), 브라켓설치부재(250)를 포함한다.
브라켓(230)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부재(240)는, 브라켓(230)의 개방된 부분(두 갈래로 나뉘어진 부분)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보호가이드부의 일 말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브라켓설치부재(250)는, 브라켓(230)의 일 면에 형성되며, 브라켓(230)을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에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설치부재(250)는, 브라켓(230)의 측면에 볼트를 관통시켜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브라켓(230)의 측면에 양면테이프로 접착하여 고정시키거나, 볼트를 삽입한 후에 양면테이프로 접착하여 2중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자석 등 다양한 설치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보호가이드부(300)의 일 말단에 걸이부재(320)를 형성할 수 있다.
걸이부재(32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브라켓설치부재(250)까지 잡아당겨 고정부재(240)를 회동시킨 후에 고정부재(240)에 삽입되어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걸이부재(320)는, 보호가이드부(3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본체부(100)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보호가이드부(300) 전체가 본체부(10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보호가이드부(300)의 일 말단에 형성된 걸이부재(310)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나와 있어서 사용자가 걸이부재(310)를 손으로 잡고 잡아당길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10)는, 본체부(100), 고정부(200), 보호가이드부(300), 보조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고정부(200), 보호가이드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보조고정부(400)는, 자동차 도어의 일측(자동차 후면 도어의 후방측)과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 사이에 형성되며, 보호가이드부(300)를 고정시킨다.
보조고정부(400)는, 자동차 후면 도어의 전방측 또는 자동차 전면 도어의 후방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고정부(400)는, 보조고정부재(410), 체결부재(420), 보조고정부설치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고정부재(410)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보호가이드부(300)를 삽입한 후에 집어주어 고정시킨다.
체결부재(420)는, 보조고정부재(41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집게 형태로 형성된 보조고정부재(410)의 일 말단을 서로 체결시킨다.
보조고정부설치부재(430)는, 보조고정부재(410)의 일 면에 형성되어, 보조고정부재(410)를 자동차 도어의 일측(자동차 후면 도어의 후방측)과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 사이에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10)는, 보호가이드부(300)를 보조고정부(400)까지 잡아당긴 후 보조고정부(400)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보호가이드부(300)를 고정부(200)까지 잡아당겨 고정부(200)에 고정시킨 후에 보호가이드부(300)의 가운데 부분을 보조고정부(400)에 2차적으로 고정시켜 보호가이드부(300)가 자동차 전면 도어에도 볼록하게 설치되고, 자동차 후면 도어에도 볼록하게 설치되어 장력유지 및 강화시켜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즉, 차량에 따라 손상이 우려되는 지점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보조고정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고정부(400)는, 집게부재(440, 441), 탄성부재(442)를 포함한다.
집게부재(440, 441)는, 한 쌍의 막대가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보호가이드부(300)를 삽입한 후에 집어주어 고정시킨다.
탄성부재(442)는, 집게부재(440, 441)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며, 집게부재(440, 441)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집게부재(440, 441)의 일단을 눌러 집게부재(440, 441)의 다른 일단을 벌린 후에 그 사이로 보호가이드부(300)를 삽입하고, 집게부재(440, 441)의 일단을 놓으면 탄성부재(442)의 탄성력에 의해 집게부재(440, 441)의 다른 일단이 모아지면서 보호가이드부(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조고정부설치부재(450)는, 집게부재(440)의 일 면에 형성되어, 집게부재(440, 441)를 자동차 도어의 일측과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 사이에 설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10)는, 본체부(100), 고정부(200), 보호가이드부(300), 보호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고정부(200), 보호가이드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보호부(500)는, 보호가이드부(300)가 자동차 도어에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부(500)는, 보호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510)는, 본체부(100) 표면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보호가이드부(300)를 잡아당길 때 자동차 도어의 일측(자동차 후면 도어의 후방측)에 접촉하면서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부재(5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스펀지 등)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부(500)는, 보조고정부보호부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고정부보호부재(520)는, 보조고정부(400) 표면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보호가이드부(300)를 고정시킬 때에 자동차 도어의 일측과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접촉하면서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부(500)는, 고정부보호부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보호부재(530)는, 고정부(200) 표면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보호가이드부(300)를 고정시킬 때에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에 접촉하면서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회전축(110), 스프링(120), 배출라인홀(130), 잠금부재(140)를 포함한다.
회전축(110)은,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하면서 보호가이드부(300)를 감거나 펼친다.
스프링(120)은, 회전축(110)에 설치되며, 회전축(110)의 회전에 의해 펼쳐진 보호가이드부(300)를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프링(120)은, 보호가이드부(300)가 풀리면서 일 방향으로 회전한 회전축(110)에 다른 일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복원력을 갖게 함으로써, 보호가이드부(300)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가이드부(300)를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것이다.
배출라인홀(130)은, 본체부(1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보호가이드부(300)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라인홀(130)은, 보호가이드부(300)의 일 말단에 형성된 걸이부재(310, 32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걸이부재(310, 320)가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보호가이드부(300) 전체가 본체부(100)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잠금부재(14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누르면 배출라인홀(130)쪽으로 밀리면서 보호가이드부(300)를 눌러주어 보호가이드부(300)가 더 이상 배출되거나, 감기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10)는, 본체부(100), 고정부(200), 보호가이드부(300), 본체고정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고정부(200), 보호가이드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체고정부(60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해당하는 자동차 후면 도어에 형성되어, 보호가이드부(300)를 고정시킨다. 즉, 보호가이드부(300)를 본체부(100)에서 고정부(200)까지 잡아당긴 후에 고정부(200)를 감아 다시 본체고정부(600)까지 잡아당겨 보호가이드부(300)를 본체고정부(6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20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두 갈래로 나뉘어진 부분에 회동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두 갈래로 나뉘어진 부분에 보호가이드부(300)를 삽입한 후에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고정부(60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보호가이드부(300)의 일 말단을 걸어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고정부(600)는, 보호가이드부(300)의 일 말단을 미리 고정시켜놓은 후에, 보호가이드부(300)의 다른 부분을 잡고 고정부(200)까지 당겨 고정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10)는, 고정부(200)를 다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 8과 같이 2개의 고정부(200)를 자동차 전면 도어의 전방측에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본체부(100)에 보관된 보호가이드부(300)를 잡아당겨 상부에 위치한 고정부(200)에 고정시킨 후에 더 잡아당겨 하부에 위치한 고정부(200)에 고정시키고 본체고정부(600)까지 잡아당겨 최종적으로 본체고정부(6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고정부(200)의 위치와 개수를 필요에 맞게 설정하여 자동차의 종류 및 크기에 상관없이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고정부(300)도 다수개로 형성하여 보호가이드부(300)를 보조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가이드부(300)를 고정부(200), 보조고정부(400), 본체고정부(600) 각각 3중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장력을 극대화시켜 자동차 도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가이드부(300)를 고정부(200)와 본체고정부(600) 사이를 감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자동차 도어의 넓은 부위를 보호할 수 있으며, 보호가이드부(300)를 고정부(200)와 본체고정부(600) 사이에 여러 번 감아서 단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100 : 본체부
110 : 회전축
120 : 스프링
130 : 배출라인홀
140 : 잠금부재
200 : 고정부
210, 230 : 브라켓
220, 250 : 브라켓설치부재
240 : 고정부재
300 : 보호가이드부
310, 320 : 걸이부재
400 : 보조고정부
410 : 보조고정부재
420 : 체결부재
430, 450 : 보조고정부설치부재
440, 441 : 집게부재
442 : 탄성부재
500 : 보호부
510 : 보호부재
520 : 보조고정부보호부재
530 : 고정부보호부재
600 : 본체고정부

Claims (10)

  1.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부;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및
    평상시에는 상기 본체부에 권취되어 있다가, 사용 시에 잡아당겨 상기 고정부에 고정시켜 자동차 도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의 일 말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ㄷ'자 형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을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ㄷ'자 형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개방된 부분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의 일 말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및
    상기 브라켓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을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 도어의 일측과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고정부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고정부재;
    상기 보조고정부재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 및
    상기 보조고정부재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고정부재를 자동차 도어의 일측과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 사이에 설치하기 위한 보조고정부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고정부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집게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 일단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집게부재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재를 자동차 도어의 일측과 자동차 도어의 다른 일측 사이에 설치하기 위한 보조고정부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가이드부가 자동차 도어에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본체부 표면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호가이드부를 잡아당길 때 자동차 도어의 일측에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가이드부는,
    평상시 권취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에 보관되어 있다가 사용시 잡아당겨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자동차 도어의 바깥방향으로 둥글게 말린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와이어 평벨트 또는 케이블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사용시 잡아 당겨 외부로 배출된 보호가이드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KR1020150070738A 2015-05-21 2015-05-21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KR101626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738A KR101626720B1 (ko) 2015-05-21 2015-05-21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738A KR101626720B1 (ko) 2015-05-21 2015-05-21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720B1 true KR101626720B1 (ko) 2016-06-01

Family

ID=5613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738A KR101626720B1 (ko) 2015-05-21 2015-05-21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7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6804A (zh) * 2017-03-17 2017-07-07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车门防磕碰装置和具有其的车辆
KR101769495B1 (ko) * 2016-09-08 2017-08-18 전동훈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KR102283656B1 (ko) * 2020-03-19 2021-07-29 김우진 롤링형 차량용 도어가드
CN114537297A (zh) * 2022-02-21 2022-05-2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防撞方法、车辆及存储介质
US11518221B2 (en) * 2021-03-24 2022-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ble reinforcement for vehicle doo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4783A (en) * 1984-05-25 1987-06-23 Hogan Iii William H Removable automobile body protective guard with lockable attachment
KR200415051Y1 (ko) * 2006-01-05 2006-04-27 이찬혁 자동차의 흠집 방지용 보호대
KR200430318Y1 (ko) 2006-08-08 2006-11-10 주식회사 영우 자동차 도어 보호 패드
KR100994025B1 (ko) * 2010-07-14 2010-11-11 권익환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KR200472618Y1 (ko) 2013-11-07 2014-05-12 김동철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4783A (en) * 1984-05-25 1987-06-23 Hogan Iii William H Removable automobile body protective guard with lockable attachment
KR200415051Y1 (ko) * 2006-01-05 2006-04-27 이찬혁 자동차의 흠집 방지용 보호대
KR200430318Y1 (ko) 2006-08-08 2006-11-10 주식회사 영우 자동차 도어 보호 패드
KR100994025B1 (ko) * 2010-07-14 2010-11-11 권익환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KR200472618Y1 (ko) 2013-11-07 2014-05-12 김동철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495B1 (ko) * 2016-09-08 2017-08-18 전동훈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CN106926804A (zh) * 2017-03-17 2017-07-07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车门防磕碰装置和具有其的车辆
KR102283656B1 (ko) * 2020-03-19 2021-07-29 김우진 롤링형 차량용 도어가드
US11518221B2 (en) * 2021-03-24 2022-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ble reinforcement for vehicle doors
CN114537297A (zh) * 2022-02-21 2022-05-2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防撞方法、车辆及存储介质
CN114537297B (zh) * 2022-02-21 2023-09-2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防撞方法、车辆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720B1 (ko)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US20160280156A1 (en) License plate frame vehicle protector
KR100994025B1 (ko)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KR101629606B1 (ko)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KR101371019B1 (ko)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1590924B1 (ko) 자동차용 보호 덮개
KR101251912B1 (ko)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KR101979798B1 (ko) 차량 측면 보호장치
KR101174244B1 (ko) 차량용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KR102150360B1 (ko) 차량용 문콕 방지장치
US7857366B2 (en) Removable resilient vehicle protection assembly
KR101592822B1 (ko) 차량 윈도우 보호장치
KR20140125021A (ko) 자동차 도어 보호가드
KR20120051144A (ko) 자동차용 차양막
KR101802978B1 (ko)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KR20210002853U (ko) 차량용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가드
KR20160087006A (ko) 자동차 도어 보호가드
KR20200006803A (ko) 자동차 도어의 외장패널 보호장치
KR200401261Y1 (ko) 차량옆문 보호대
KR20200076780A (ko) 자동차용 보호 덮개 장치
KR101610545B1 (ko) 차량의 토잉후크 장치
KR20150028873A (ko) 자동차용 보호 커버
KR200472353Y1 (ko) 차량 도어 보호 장치
KR102150067B1 (ko) 자동차 측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착탈식 도어 보호장치
KR200171409Y1 (ko) 차량의 측면 보호용 가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