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183B1 -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183B1
KR101050183B1 KR1020080109313A KR20080109313A KR101050183B1 KR 101050183 B1 KR101050183 B1 KR 101050183B1 KR 1020080109313 A KR1020080109313 A KR 1020080109313A KR 20080109313 A KR20080109313 A KR 20080109313A KR 101050183 B1 KR101050183 B1 KR 101050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otector
power
power source
electric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165A (ko
Inventor
조철현
Original Assignee
조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철현 filed Critical 조철현
Priority to KR102008010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1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외측면의 손상 방지 장치는, 자동차의 외측면 내측에 장착되며,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동 동력원과, 자동차의 외측면을 이루는 외측면판과는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외측면상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프로텍터와, 상기 전동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자동차 외측면에 대한 수직 방향 병진 이동을 포함한 형태로 상기 프로텍터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수의 차량이 밀집하여 주차되는 주차장에서와 같이, 인접한 차량의 도어 개폐 등으로 인하여 자동차 외측면에 흠집, 찌그러짐 등과 같은 손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은 상황에서 프로텍트 모드가 발동됨으로써, 자동차 둘레 전체에 걸쳐 자동차의 외측면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DEVICE FOR PROTECTING VEHICLE SURFA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자동차의 주, 정차시 자동차 외부로부터의 접촉에 의해 자동차의 외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손상 방지를 위한 장치의 목적은 크게 세가지 정도로 구분될 수 있다.
첫번째는, 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차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체 등의 재질 및 구조에 대한 연구, 개발 및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에어백, 시트벨트 등 안전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를 위한 것에 해당될 수 있다.
두번째는, 일정 이상의 충격에도 자동차의 기계적 구조를 유지함으로써 자동차 운행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서 언급한 차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체 등의 재질 및 구조에 대한 연구를 비롯하여, 각 기계 부품의 내구성 향상 및 연결 구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연구, 개발이 이를 위한 것에 해당될 수 있다.
세번째는, 주로 사람의 수송을 주 기능으로 하는 승용차에 있어 더욱 중요시 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외측면 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의 충격, 예를 들면 부딛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외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있다.
그 중요도의 차이로 인하여, 전술한 첫번째와 두번째 목적을 이루기 위한 각종 개발은 활발하고 심도 있게 이루어져 오고 있는 반면, 세번째 목적을 위한 연구, 개발은 상대적으로 미흡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인접한 차량이나 기타 인접물로부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부품인 자동차 범퍼의 경우, 외부로부터의 접촉시 접촉 가능성이 높은 자동차의 전, 후부에 장착되며, 다른 차체 재질에 비하여 단가가 낮은 재질로 구성되고, 비교적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장착됨으로써, 자동차의 미적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부수적 역할을 수행하고는 있으나, 그 주된 목적은 역시 자동차의 외관 보호 보다는, 운행중의 충돌이나 추돌 상황 등에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자동차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충격 최소화 등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일반적인 형태의 자동차 범퍼는, 자동차의 전, 후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은 어느 정도 수행할 수는 있으나, 설치 구조적으로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에는 무관하므로, 이와 같은 형태의 충격으로부터 자동차 외측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은 전혀 기대할 수 없는데, 실제적으로 자동차 좌, 우측면의 외측면 손상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경우로서, 많은 수의 자동차가 한정된 공간에 수용되어야 하는 주차장과 같은 장소에서는, 주차된 차량에 인접한 차량의 주차-발차시나, 좁은 간격을 두고 주차, 정차 된 인접 차량의 도어 개폐시, 열리는 도어 모서리에 자신의 차 외측면이 손상되는 경우를 흔히 겪게 된다.
따라서, 측면에 인접하여 세워진 차량의 도어 개폐로 인하여 주, 정차된 차량이 손상을 입게 되는 등의 경우 까지 고려할 경우, 차량의 전, 후방 뿐 아니라 양 측면까지 보호할 수 있는 포괄적인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나, 이를 위한 적절한 수단이 제공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오프 로드 주행을 감안하여 설계되는 지프형 승용차의 경우에는, 기존 자동차의 범퍼 장착 부위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장착되는 파이프형 범퍼 등을 장착함으로써, 기존의 범퍼에 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외관 손상 방지의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으나, 이를 자동차 차체 둘레 전체에 걸쳐 장착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상기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구조의 범퍼는 도시 도로 주행만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단형 승용차에까지 적용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단점도 있다.
또한, 자동차 측면에 둘러 결합되는, 합성 고무 등의 합성 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밴드형 보호구(일명 프로텍트 밴드)가 장착되기도 하나, 이는 외측면의 일정 높이 지점에 외측면과 거의 평평한 두께로 장착되기 때문에, 인접한 차량의 도어 개방시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가 닿는 높이가 상기 보호구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아닌 이상 외측면 보호를 위한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차량이 밀집된 상태에서의 주, 정차시 도어 개방으로 인한 인접 차량의 외측면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어의 가장자리에 접착 되는 형태의 스폰지 등이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차량 출고시 이러한 수단이 결합되어 출고되는 경우도 늘어나고는 있으나, 이는 자신의 차량 도어가 인접하여 주, 정차된 차량의 외측면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지, 도어 가장자리에 접착된 스폰지를 구비하고 있다 할지라도, 이러한 수단이 적용되지 않은 인접 차량으로부터 자신의 차량 외측면을 보호하는 효과는 전혀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보 소63-139050 호에는, 도어를 개방할 경우 프로텍터몰(전술한 프로텍트 밴드와 유사한 수단) 일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 가동몰을 구비한 자동차 도어의 프로텍터몰에 대한 고안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가동몰의 경우, 자동차 도어의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며, 지렛대 구조와 스프링 등을 이용한 기계적 내부 구조를 갖춤으로써,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프로텍터몰과 거의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다 도어의 개방시 평소 높이보다 튀어나오게 되어, 전술한 도어 가장자리 접착 스폰지와 같은 기능을 할 뿐이어서, 마찬가지로 주, 정차된 자신의 차량 좌, 우 측면 등 차체 외측면 전체에 걸쳐 외부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은 전혀 기대할 수는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이 밀집되어 주차된 주차장과 같은 장소에서와 같이, 인접한 차량이나 그밖의 인접물로 인하여 자동차의 외측면 찌그러짐, 스크래치와 같은 형태의 손상을 입게 될 수 있는 위험성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자동차 외측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하고 범용적인 수단은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주차장 등 차량이 밀접하여 세워지는 등의 경우와 같이 인접한 차량이나 기타 인접물로부터 자동차 외측면에 손상이 가해질 위험이 높은 상황에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외측면의 손상 방지 장치는, 자동차의 외측면 내측에 장착되며,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동 동력원과, 자동차의 외측면을 이루는 외측면판과는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외측면상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프로텍터와, 상기 전동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자동차 외측면에 대한 수직 방향 병진 이동을 포함한 형태로 상기 프로텍터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전동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자동차 외측면에 대한 수직 방향의 병진 이동 형태로 상기 프로텍터에 전달함으로써, 동력이 전달되지 않은 일반 모드 상태에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자동차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동력 전달 수단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된 프로텍트 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텍터가 상기 자동차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동 동력원은, 동력을 외부에 전달하는 동력축이 병진 이동하는 구조의 동력원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 원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동력축이 병진 이동되는 솔레노이드 동력원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전동 동력원의 상기 동력축에 연결되는, 동력 공급 판형 단부와, 상기 동력 공급 판형 단부가 자동차의 외측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병진 이동 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판형 안내면을 구비한 안내부재와, 일단부에는 상기 프로텍터가 장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동력 공급 판형 단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동력 공급 판형 단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안내부재의 상기 판형 안내면에 의해 가이드되는 동력 수신 판형 단부가 결합된, 프로텍터 장착 로드와, 상기 동력 공급 판형 단부와 상기 동력 수신 판형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동력 수신 판형 단부와 상기 프로텍터 사이에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 수신 판형 단부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는 제 2 탄성 부재가 더욱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제 1 회동 단부를 일 단부에 구비하고,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 2 회동 단부를 타 단부에 구비한, 회동 로드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지 않은 일반 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텍터가 상기 자동차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전동 동력원으로부터의 동 력 공급에 의해 상기 제 1 회동 단부가 회동 되는 경우에는, 제 2 회동 단부와 상기 프로텍터의 연결부에서도 동시에 회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프로텍터가 상기 자동차의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프로텍트 모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동 동력원은, 동력을 외부에 전달하는 동력축이 회전하는 구조의 동력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회동 단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회동 로드들의 상기 제 1 회동 단부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로드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동 동력원은,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지지로드에 병진 이동력을 전달하는 솔레노이드 동력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에 연결되는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의 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동 동력원으로의 전원 인가는, 자동차 엔진의 회전수가 0이 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텍터의 외측 표면에는, 압력감지센서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프로텍터와 인접물과의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압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차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경보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된, 경보장치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자동차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를 적용한 경우, 다수의 차량이 밀집하여 주차되는 주차장에서와 같이, 인접한 차량의 도어 개폐 등으로 인하여 자동차 외측면에 흠집, 찌그러짐 등과 같은 손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은 상황에서 프로텍트 모드가 발동됨으로써, 자동차 둘레 전체에 걸쳐 자동차의 외측면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지프형 승용차 등에 적용되는 돌출형 범퍼 등과는 달리, 일반 모드 상태에서는 프로텍트가 자동차 외측면에 밀접한 상태로 유지되는 구조이며, 특히 프로텍트의 경우 종래 밴드형 보호구(일명 프로텍트 밴드)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므로, 자동차의 종류, 기능 등과는 무관하게 폭넓게 적용될 수 있으며, 차량 디자인 설계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제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로 주행중과 같은 일반 모드 상태에서는 통상의 자동차와 유사한 외관을 갖춘 상태로 유지되다가, 인접하여 주차된 차량의 도어 개폐 등과 같은 동작으로 인하여 외측면에 손상을 입을 위험성이 증가하는 주, 정차 상태에서는, 일반 모드에서 자동차의 외측면 판면에 나란한 상태로 유지되던 프로텍터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프로텍트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특정 신호에 의해 인가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동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자동차 외측 방향으로의 병진 이동을 포함한 동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 및 상기 동력 전달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자동차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를 위한 전동 동력원 및 동력 전달 수단은, 후술할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전동 동력원 및 이와 상호 작용하는 동력 전달 수단의 구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상기 동력원 및 동력 전달 수단은, 전력에 의해 전동 동력원이 구동되는 경우, 그들의 상호 구조 및 조합이 상기 프로텍터가 자동차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에 따라 선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종래 자동차의 외측면에 밀착한 형태로 제공되는 프로텍트 밴드형의 프로텍터(30)가 자동차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도시된 상태는 프로텍터(30)가 자동차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프로텍트 모드 상태인데, 종래의 밴드형 프로텍터는 상황, 조건과 상관 없이 언제나 차량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30)의 경우 특정 상황에서 돌출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외측면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통상 자동차의 주, 정차시 이와 같은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의 프로텍터(30)는 기존 밴드형 프로텍터와 같은 형태로 자동차의 좌, 우측면, 전, 후방 범퍼의 양 모서리 부분 등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이러한 위치가 도시된 상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동차의 외측면이라면 어디든지(심지어는 지붕의 외측면이라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동 동력원(10)의 경우, 병진 이동 동력을 전달하는 형태의 동력축(15)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동력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동력원으로 이루어진 전동 동력원(10)으로부터 발생한 병진 이동력을 프로텍터(30)에 전달하는 경우, 상기 프로텍터(30)가 자동차의 외측면을 이루는 외측면판(1)에 나란한 상태(일반 모드 상태)로부터 상기 외측면판(1)으로부터 일정 간격 돌출된 상태(프로텍트 모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상기 프로텍터(30)가 자동차 외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의 전달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전동 동력원(10)은, 그 동력축(15)이 상기 프로텍터(30) 및 이에 나란한 자동차 외측면판(1)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며, 기본적으로 동력 전달 수단(20) 역시 해당 동력을 별다른 방향의 전환 없이 그대로 프로텍터(30)에 전달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면 된다.
전술한 구조에서는, 동력 전달 수단(20)의 경우 가장 간단한 구조로 상기 전동 동력원(10)의 동력을 프로텍터(30)에 그대로 전달하는 막대형 바 형태로만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제 1 실시예에서는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된 동력 전달 수단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개시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전동 동력원(10)과 프로텍터(30)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 수단(20)은, 동력축(15)으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을 상기 프로텍터에 전달하기까지 매개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는데, 우선, 프로텍터(30)가 일단부에 장착되는 프로텍터 장착 로드(25)의 타단부 및 상기 동력축(15)의 단부에는, 각각 동력 수신 판형 단부(22) 및 동력 공급 판형 단부(21)가 결합되며, 이들 사이에는 도시된 코일 스프링과 같은 제 1 탄성 부재(201)가 개재된다.
그리고 동력 수신 판형 단부(22) 및 동력 공급 판형 단부(21)를 일정한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판형 안내면을 구비한 안내부재(26)가 이들을 수용하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상기 안내부재(26)는 상기 동력 수신 판형 단부(22) 및 동력 공급 판형 단부(21)와 동일한 단면을 가진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력 공급 판형 단부(21)가 이동되는 경우 제 1 탄성 부재(201)를 매개하여 상기 동력 수신 판형 단부(22) 역시 피스톤 방식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동력 수신 판형 단부(22)와 동력 공급 판형 단부(21)의 사이, 더 크게는 동력원(10)과 프로텍터(30) 사이에 탄성체가 개재됨으로써, 돌출된 프로텍터(30)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혹은 상기 프로텍터(30)의 돌출시 인접한 외부 물체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경우 완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동력 수신 판형 단부(22)와 실린더형태로 형성된 안내부재(26)의 내측벽 사이에도 코일 스프링 형태의 제 2 탄성 부재(202)가 개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제 2 탄성 부재(202)는, 돌출된 프로텍터(30)가 다시 일반 모드 상태로 되돌아갈때 복원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프로텍트 모드로의 전환시에도 프로텍터(30)가 갑작스럽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에는 하나의 프로텍터(30)에 대하여 각각 두개의 전동 동력원(10) 및 이들과 연결된 동력 전달 수단(20)이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프로텍터(30)의 형태, 크기, 무게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 것이지 본 실시예에서 그 개수는 1개 혹은 2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의 경우, 전동 동력원(10)의 구동에 의해 프로텍터(30)가 자동차 외측면판(1)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나, 이를 가능하게 하는 동력 전달 수단(20)의 구성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차량 내측의 일정 위치에서 회동하는 일단부와, 상기 프로텍터(30)의 내측면 일 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단부를 갖춘 제 1 회동로드(221)와, 상기 제 1 회동 로드(221)와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상기 제 1 회동 로드와 같은 형태로 연결된 제 2 회동 로드(22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 1 회동 로드(221)에는, 상기 제 1 회동 로드(221)의 일단부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 동력축을 구비한 전동 동력원(10)이 연결된다.
제 1 실시예의 프로텍터 장착 로드(25)등과는 달리, 제 2 실시예의 회동 로드는 반드시 두 개 이상이 요구되는데, 이는 동력에 의해 프로텍터(30)를 돌출시키는 경우 프로텍터(30)가 자동차 외측면판(1)에 나란한 상태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전원이 인가된 전동 동력원(10)으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의해 제 1 회동 로드(221) 및 이와 구조적으로 연결된 제 2 회동 로드(222)의 일단부는 동시에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들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텍터(30)는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이 경우 자동차의 외측면판(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었던 제 1 실시예에서와 달리, 제 2 실시예에서의 프로텍터(30)는 원의 호를 그리며 사선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3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도 3을 통해 설명한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은 작동 원리를 가지나, 전동 동력원(10)으로서 회전 동력축을 가진 동력원이 아닌 병진 이동 동력축을 가진 솔레노이드 전동 동력원을 구비함으로써,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20)의 구성이 다소 달라진 형태를 가진다.
즉, 일정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일단부인 제 1 회동 단부와, 프로텍터(30)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타단부인 제 2 회동 단부를 각각 구비한 두 개의 회동 로드인 제 1 회동 로드(221) 및 제 2 회동 로드(222)를 구비하였다는 점에서 본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는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나, 제 1 회동 단부의 경우, 병진 이동하는 동력축(15)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동력원 형태의 전동 동력원(10)에 나란하게 연장된 지지로드(231)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상기 제 2 실시예에서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즉, 전원이 인가된 전동 동력원(10)으로부터의 병진 이동력이 상기 지지로드(231)를 통하여 전달되는 경우, 이는 제 1 회동 단부에서 회동력으로 전환되며, 이로인해, 제 2 회동 단부에 내측면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텍터(30)는 원의 호를 그리며 자동차의 외측면판(1)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의 보다 유용한 효과를 위하여, 상기 프로텍터(30)는 동력 전달 수단의 단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로텍터(30)의 경우, 자동차 외측면의 손상 방지를 위하여 손상 위험이 있는 상태에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므로 각종 충격에 노출된 부분이다. 이에 따라 프로텍터(30)에 흠집이 다량 생겼거나, 찌그러짐, 단락 등의 손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교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종래의 착탈 결합 수단을 응용함으로써 쉽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의 경우 차량이 주, 정차된 상태에서 프로텍트 모드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자동차 사용자의 별도의 작동 명령이 없더라도 차량이 주차되거나 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프로텍트 모드가 발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자동차의 주, 정차시 엔진 작동에 의한 회전수가 0이 되는 것에 감안하여(엔진은 작동하더라도 자동차가 멈추게 되는 주행중 정지 상태와는 다름), 엔진에 의한 회전수가 0이 되는 시점에 자동적으로 전동 동력원(10)으로의 전력이 인가되도록 구성할 경우, 별도의 프로텍터 모드의 발동 명령 없이도 주, 정차시 자동차의 외측면이 주변 충격으로부터 보호 받는 프로텍트 모드가 발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로텍터(30) 외측면에는 압력감지센서(40)를 더욱 추가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력감지센서(40)에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자동차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경보신호가 발생하도록 경보장치를 추가적으로 장착함으로써, 프로텍터(30) 돌출에 의한 외부 물체와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텍트 모드를 취소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프로텍트 모드 발동에 의한 각종 손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차량 후방 센서의 기능과 마찬가지로 차량에 장애물이 근접, 접촉한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 외측면판 10: 전동 동력원
15: 동력축 20: 동력 전달 수단
21: 동력 공급 판형 단부 22: 동력 수신 판형 단부
25: 프로텍터 장착 로드 26: 안내부재
30: 프로텍터 40: 압력감지센서
201: 제 1 탄성 부재 202: 제 2 탄성 부재
221: 제 1 회동 로드 222: 제 2 회동 로드
231: 지지로드

Claims (12)

  1. 삭제
  2. 자동차의 외측면 내측에 장착되며,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동 동력원(10)과, 자동차의 외측면을 이루는 외측면판(1)과는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외측면상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프로텍터(30)와, 상기 전동 동력원(10)에서 발생된 동력을, 자동차 외측면에 대한 수직 방향 병진 이동을 포함한 형태로 상기 프로텍터(3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장치로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20)은, 상기 전동 동력원(10)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자동차 외측면에 대한 수직 방향의 병진 이동 형태로 상기 프로텍터(30)에 전달함으로써, 동력이 전달되지 않은 일반 모드 상태에서 상기 프로텍터(30)는 상기 자동차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동력 전달 수단(20)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된 프로텍트 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텍터(30)가 상기 자동차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동 동력원(10)의 동력을 외부에 전달하는 동력축(15)에 연결되는, 동력 공급 판형 단부(21)와;
    상기 동력 공급 판형 단부(21)가 자동차의 외측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병진 이동 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판형 안내면을 구비한 안내부재(26)와;
    일단부에는 상기 프로텍터(30)가 장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동력 공급 판형 단부(21)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동력 공급 판형 단부(21)와 마찬가지로 상기 안내부재(26)의 상기 판형 안내면에 의해 가이드되는 동력 수신 판형 단부(22)가 결합된, 프로텍터 장착 로드(25)와;
    상기 동력 공급 판형 단부(21)와 상기 동력 수신 판형 단부(22)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탄성 부재(20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동력원(10)은, 동력을 외부에 전달하는 상기 동력축(15)이 병진 이동하는 구조의 동력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동력원(10)은, 솔레노이드 원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동력축(15)이 병진 이동되는 솔레노이드 동력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6)는, 상기 동력 수신 판형 단부(22)와 상기 프로텍터(30) 사이에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 수신 판형 단부(22)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는 제 2 탄성 부재(202)가 더욱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7. 자동차의 외측면 내측에 장착되며, 전원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동 동력원(10)과, 자동차의 외측면을 이루는 외측면판(1)과는 독립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외측면상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프로텍터(30)와, 상기 전동 동력원(10)에서 발생된 동력을, 자동차 외측면에 대한 수직 방향 병진 이동을 포함한 형태로 상기 프로텍터(3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장치로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20)은,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제 1 회동 단부를 일 단부에 구비하고,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상기 프로텍터(3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 2 회동 단부를 타 단부에 구비한, 회동 로드(221,222)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지 않은 일반 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프로텍터(30)가 상기 자동차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전동 동력원(10)으로부터의 동력 공급에 의해 상기 제 1 회동 단부가 회동 되는 경우에는, 제 2 회동 단부와 상기 프로텍터(30)의 연결부에서도 동시에 회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프로텍터(30)가 상기 자동차의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프로텍트 모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동력원(10)은, 동력을 외부에 전달하는 동력축(15)이 회전하는 구조의 동력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회동 단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20)은, 상기 회동 로드들의 상기 제 1 회동 단부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로드(231)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동 동력원(10)은,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지지로드에 병진 이동력을 전달하는 솔레노이드 동력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30)는, 상기 프로텍터(30)의 내측에 연결되는 상기 동력 전달 수단(20)의 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전동 동력원(10)으로의 전원 인가는, 자동차 엔진의 회전수가 0이 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12. 제 2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30)의 외측 표면에는, 압력감지센서(40)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프로텍터(30)와 인접물과의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압력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차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경보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된, 경보장치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KR1020080109313A 2008-11-05 2008-11-05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KR101050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313A KR101050183B1 (ko) 2008-11-05 2008-11-05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313A KR101050183B1 (ko) 2008-11-05 2008-11-05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165A KR20100050165A (ko) 2010-05-13
KR101050183B1 true KR101050183B1 (ko) 2011-07-19

Family

ID=4227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313A KR101050183B1 (ko) 2008-11-05 2008-11-05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243A (ko) 2018-09-12 2020-03-20 임형 자동차 도어 보호장치
KR20200098980A (ko) 2019-02-13 2020-08-21 임형 차량의 문콕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249B1 (ko) * 2011-10-31 2013-08-1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능동형 전자식 차량 도어 가드 장치
KR200472353Y1 (ko) * 2013-09-24 2014-04-21 현영석 차량 도어 보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057A (ko) * 2006-06-07 2007-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의 파손방지장치
KR100854054B1 (ko) * 2006-06-05 2008-08-26 장명규 자동차 도어의 파손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054B1 (ko) * 2006-06-05 2008-08-26 장명규 자동차 도어의 파손 방지장치
KR20070117057A (ko) * 2006-06-07 2007-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의 파손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243A (ko) 2018-09-12 2020-03-20 임형 자동차 도어 보호장치
KR20200098980A (ko) 2019-02-13 2020-08-21 임형 차량의 문콕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165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184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한 차량의 완충장치
KR101050183B1 (ko)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PL1574399T3 (pl) Urządzenie wykrywające zderzenie dla pojazdu
KR101883970B1 (ko)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KR100463147B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CN105658481B (zh) 具有冲击保护装置的鸥翼门
FR2921614B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pietons et vehicule muni d&#39;un tel dispositif
KR101174244B1 (ko) 차량용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US20180345852A1 (en) Safety sign device with modular dual signs and related methods
KR20110136581A (ko) 자동차 측면 보호장치
PL1893450T3 (pl) Urządzenie pochłaniające energię dla belki zderzakowej pojazdu samochodowego i pas przedni wyposażony w takie urządzenie
EP1775172A3 (de) Vorrichtung zur Aufpralldämpfung
KR20140124921A (ko) 자동차용 도어 보호장치
KR20140125021A (ko) 자동차 도어 보호가드
KR100790024B1 (ko) 자동차용 도어가드
CN203472760U (zh) 汽车后保险杠
CN210126421U (zh) 折叠收纳式的车辆防护装置
KR20140053481A (ko)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
CN201179864Y (zh) 汽车防碰撞反接制动器
CN203157918U (zh) 汽车柔性保护装置
JP2008230319A (ja) 車体前部構造
KR101902501B1 (ko) 차량 도어 손상 방지 장치
CN201183474Y (zh) 外表带有缓冲气囊的汽车
FR2889136B1 (fr) Dispositif d&#39;absorption d&#39;energie notamment pour poutre pare-chocs de vehicule automobile
KR200476787Y1 (ko) 자동차 범퍼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