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970B1 -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970B1
KR101883970B1 KR1020170099116A KR20170099116A KR101883970B1 KR 101883970 B1 KR101883970 B1 KR 101883970B1 KR 1020170099116 A KR1020170099116 A KR 1020170099116A KR 20170099116 A KR20170099116 A KR 20170099116A KR 101883970 B1 KR101883970 B1 KR 101883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member
vehicle
link
cush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신
진희주
김남진
김기원
임성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9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with braking, clamping or securing means in the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0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the movements of two or more independently-moving members being combined into a sing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하고 도어를 개방할 때 도어가 옆 차와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흠집을 방지하는 도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체커에 연결되는 작동암에 래크와 피니언이 작동되도록 연결 설치하고 이들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해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때 완충부재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단부에 구비되는 가드(guard)부재가 옆에 주차된 차량 측면휀다의 흠집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A Door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하고 도어를 개방할 때 도어가 옆 차와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흠집(일명 '문콕'이라 함)을 방지하는 도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체커에 연결되는 작동암에 래크와 피니언이 작동되도록 연결 설치하고 이들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해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때 완충부재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단부에 구비되는 가드(guard)부재가 옆에 주차된 차량 측면휀다(차체)에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차장 또는 공용 주차장 등의 장소에서 자동차를 주차할 때 이웃하는 자동차와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아서 타인 차량의 도어를 열 때 가해지는 접촉 및 충격에 의해 자차의 도어의 외관 표면이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반대로 내차를 주차하고 도어를 개방 때 옆 차와의 거리가 충분하지 않아 타인의 차량 측면 휀다를 손상시키면서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도어의 개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용 도어 가드가 제품화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가드는 평면 형태로 제작되어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도어 측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어 가드를 필요에 의해 분리하거나 다시 부착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종래의 도어 가드는, 세차시 발생하는 물의 침투 혹은 다른 외부 충격 등에 취약하여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 가드는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에만 의존하여 도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시 접착력 약화로 인해 도어로부터 분리되기 쉽다.
더구나, 도어 가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도어 가드가 부착된 부분의 색상이 다른 부분의 색상과 달라져서, 도어 가드의 탈착 후 도어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도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등록특허공보 제10-1371019에 공지된 차량용 도어 보호 장치는 차량 도어의 보호를 패드의 넓이로서 해결하고자 하나 이렇게 패드가 넓은 경우 보관상의 불편함이 따르며, 또한 자석 방식만을 채용함으로써 알루미늄 바디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경우에는 패드가 차량 도어에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등록특허 10-1574437호의 '차량의 도어 충돌 방지장치'는 차량의 도어 개방시 차량의 측면에 있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도어의 개방을 효과적으로 제동함으로써 도어와 장애물의 충돌을 방지하여 도어와 장애물의 손상을 막기위한 차량의 도어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정성이 떨어지고 또 고가의 센서 설치 등으로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센서의 오작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594273호의 ‘차량의 도어 가드’가 출원되었으며, 이는 도어 체커의 수평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캠이 차량 도어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캠에 접촉하여 회전캠의 회전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완충수단이 도어에서 돌출된다.
또한, 공개 특허 제10-2015-0076513호의 ‘차량 도어의 충돌 방지 장치’는 차량 도어의 회전에 따른 틸팅축과 베벨 기어가 연결되어 보호부가 차량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공개 특허 제10-2013-0084524호의 ‘차량용 자동 도어가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판이 회전되게 엑추에이터를 포함한다.
KR 10-1371019 (등록번호) 2014.02.28. KR 10-1574437 (등록번호) 2015.11.27. KR 10-1594273 (등록번호) 2016.02.04. KR 10-1594273 (등록번호) 2016.02.04. KR 10-2015-0076513 (공개번호) 2015.07.07. KR 10-2015-0076513 (공개번호) 2013.07.25.
상기 종래기술들은 회전캠, 베벨 기어, 회전판을 통해 회전하는 구성은 회전의 정밀도가 낮거나 장기간 사용시에 마모에 의하여 동작이 원활하지 않고, 또한, 공압이나 유압 등의 다른 보조 구동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 이외의 동작이 정확하여 오류가 적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도어체커에 연결되는 작동암에 래크와 피니언이 작동되도록 연결 설치하고 이들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해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차량 도어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정교하게 동작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차장 등의 장소에서 자동차를 주차할 때 이웃하는 자동차와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아서 타인 차량의 도어를 열 때 가해지는 접촉 및 충격에 의해 자차 및 옆차의 도어외관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도어 보호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체커(C)에 연결 설치되어 전후(前後)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그 단부에 제1래크기어(111)가 형성되는 작동아암(110)과, 상기 제1래크기어(111)에 치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제1래크기어(111)의 전후 슬라이딩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120), 일단부에 제2래크기어(131)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20)에 치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20)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메인링크부재(130),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에 타단부측에 연결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전후 슬라이딩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작동링크수단(140), 및 상기 작동링크수단(140)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작동링크수단(14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에 따라 도어 외측으로 돌출 또는 도어 내측으로 수납되면서 도어 개방시 측면에 주차된 타 차량의 차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작동링크부재(140)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와 일정거리 수평 이격되면서 도어몸체(B)에 고정되는 프레임부재(140a)에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제1하부힌지(141a)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중간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제1상부힌지(141b)로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141)와, 상기 프레임부재(140a)에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제2하부힌지(142a)로 연결되고 타측 상부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끝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제2중간부힌지(142b)로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완충부재(150)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제2상부힌지(142c)로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142)와, 및 일측 단부는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하부힌지(141a)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완충부재(150)의 외부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완충부재(150)에 삽입 설치되는 제1파이프슬라이더(143a)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3링크부재(143)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링크부재(143)에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끝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2중간부힌지(142b)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3링크부재(143)의 외부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제2파이프슬라이더(143b)가 삽입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링크부재(141)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와 상기 프레임부재(140a)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142)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단부에서 상부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링크부재(141) 보다 길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완충부재(150)는 단부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실린더 또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151)가 설치 구비되고, 상기 완충실린더 또는 탄성부재(151)의 차체 충격시에 흠집을 방지하는 고무부재나 스폰지로 된 흠집방지부재(152)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는 도어 개방과 동시에 도어체커에 연결되는 작동암에 의해 링크와 피니언이 작동되고 링크와 피니언의 작동에 의해 완충부재가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완충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가드부재에 의해 측면에 주차된 차량의 휀다에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래크와 피니언, 링크 등의 기구학적 메카니즘으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구동수단이나 센서 등에 의한 메카니즘에 비해 작동의 오류가 적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의 차량 도어가 개방되면서 완충부재가 도어 외부로 돌출되는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의 차량 도어가 개방되면서 완충부재가 도어 외부로 돌출되는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의 차량 도어가 작동되면서 도어 내부로 완충부재가 수납되는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의 차량 도어가 작동되면서 도어 내측으로 완충부재가 수납되는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10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체커(C)에 연결 설치되어 전후(前後)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그 단부에 제1래크기어(111)가 형성되는 작동아암(110)과,
상기 제1래크기어(111)에 치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제1래크기어(111)의 전후 슬라이딩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120),
일단부에 제2래크기어(131)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20)에 치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20)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메인링크부재(130),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에 타단부측에 연결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전후 슬라이딩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작동링크수단(140), 및
상기 작동링크수단(140)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작동링크수단(14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에 따라 도어 외측으로 돌출 또는 도어 내측으로 수납되면서 도어 개방시 측면에 주차된 타 차량의 차체(휀다)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을 주차하고 도어를 개방할 때 측면에 주차된 차량과의 이격거리가 좁아 측면에 주차된 타인의 차량 측면 또는 전후면 휀다(fender)와 충돌하면서 흠집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차량의 몸체는 커지는 반면 주차면적은 확대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로 이는 도어 개방시 타 차량과의 충돌로 차체에 흠집(일명 문콕테라라고도 한다)을 남기는 것이다. 이러한 문콕테러는 점차 사회 문제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을 주차한 후 도어를 개방할 때 상기 도어체커(C)가 회전하면서 상기 작동아암(110)이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작동아암(110)이 일측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아암(110)이 당겨지면서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피니언기어(120)가 상기 제2래크기어(131)와 치합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메인링크부재(130)가 좌측(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된다.
상기 메인링크부재(130)가 좌측(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작동링크부재(1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상기 완충부재(150)가 도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그 단부가 측면의 차체에 닿게 됨으로써 충돌로 인한 흠집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작동링크부재(140)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와 일정거리 수평 이격되면서 도어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부재(140a)의 중간에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제1하부힌지(141a)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중간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제1상부힌지(141b)로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141)와,
상기 프레임부재(140a)에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제2하부힌지(142a)로 연결되고 타측 상부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끝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제2중간부힌지(142b)로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완충부재(150)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제2상부힌지(142c)로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142)와,
일측 단부는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하부힌지(141a)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완충부재(150)의 외부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완충부재(150)에 삽입 설치되는 제1파이프슬라이더(143a)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3링크부재(14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링크부재(143)에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끝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2중간부힌지(142b)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3링크부재(143)의 외부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제2파이프슬라이더(143b)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링크부재(143)가 상기 제2파이프슬라이더(143b)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부재(141)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와 상기 프레임부재(140a)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142)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단부에서 상부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링크부재(141) 보다 길게 형성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50)는 단부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직경이 다른 완충로드(미도시) 2개가 내부에 구비되고, 그 외부에 충격흡수용 탄성부재(151)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충격흡수용 탄성부재(151)는 단일 스프링으로 설치되거나 스프링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이중스프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충격흡수용 탄성부재(151)가 외부 압력으로 수축하면 그 내부에 있는 완충로드가 겹쳐지면서 짧아지고, 충격흡수용 탄성부재에 외부 압력이 제거되거나 없으면 충격흡수용 탄성부재가 신장되고 그 내부의 완충로드도 최대하게 신장된다. 상기 완충로드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의 내부에서 충격흡수용 탄성부재의 신장과 수축시에 가이드를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51)의 단부에는 차량의 측면을 충격시에 흠집을 방지하는 고무부재나 스폰지 부재 등과 같은 흠집방지부재(152)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때와 닫아줄 때의 작동 절차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상기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100)는 차량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먼저 차량을 주차하고 도어를 개방할 때,
즉, 상기 작동링크부재(140)는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순간 도어체커(C)의 회전 운동으로 상기 작동아암(110)이 우측으로 당겨지면서 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그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1래크기어(111)가 상기 피니언기어(120)을 회전시키고 이와 치합되어 있는 상기 제2래크기어(131)를 직선 운동시킴에 따라 상기 메인링크부재(130)가 좌측으로 밀려가면서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링크부재(130)가 좌측으로 밀려가면서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작동링크부재(1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완충부재(150)가 도어 외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이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프레임부재(140a)에 설치된 상기 제1하부힌지(141a)를 중심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141)와 상기 제3링크부재(14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재(140a)에 설치된 상기 제2하부힌지(142a)를 중심으로 상기 제2링크부재(14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150)는 상기 제3링크부재(143)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파이프슬라이더(143a)의 내부를 따라 전진 슬이딩되면서 도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즉, 상기 제2링크부재(142)와 상기 완충부재(150) 사이각이 더 크게 벌어지면서 상기 완충부재(150)가 도어 외측으로 나아가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파이프슬라이더(143a)는 완충부재(150)에서 제2하부힌지(142a)쪽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제2파이프슬라이더(143b)는 상기 제3링크부재(143)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제1파이프슬라이더(143a)와 가까워져 상기 제2링크부재(142)와 상기 완충부재(150) 사이각이 더 크게 벌어지면서 상기 완충부재(150)가 도어 외측으로 나아가 돌출하게 되며, 완충부재(150)의 진행방향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밀하게 조정되어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중간힌지(142b)가 상기 제2파이프슬라이더(143b)에서 회동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파이프슬라이더(143b)는 상기 제3링크부재(143)를 따라 상부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완충부재(150)의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흠집방지부재(152)가 측면에 주차된 차량의 차체에 닿으면서 충돌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51)에 의해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상기 흠집방지부재(152)에 의해 차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를 닫을 때,
즉, 상기 작동링크부재(140)는 차량의 도어를 닫아주는 순간 도어체커(C)의 회전 운동으로 상기 작동아암(110)이 개방시와는 반대로 좌측으로 밀려지면서 화살표A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그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1래크기어(111)가 상기 피니언기어(120)을 역회전시키고 이와 치합되어 있는 상기 제2래크기어(131)를 직선 운동시킴에 따라 상기 메인링크부재(130)가 우측으로 밀려가면서 화살표B 방향의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링크부재(130)가 우측으로 밀려가면서 화살표B 방향의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작동링크부재(1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완충부재(150)가 도어 내측으로 수납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가 안정적으로 닫히게 된다.
차량의 도어를 닫을 때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와 상기 작동링크부재(140)는 도어를 개방할 때와는 역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는 차량의 도어체커에 연결되는 작동암에 래크와 피니언이 작동되도록 연결 설치하고 이들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해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때 완충부재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단부에 구비되는 가드(guard)부재(흠지방지부재)가 옆에 주차된 차량 측면휀다의 흠집 발생을 방지할수 있게 된다.
100: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110:작동아암 111:제1래크기어
120:피니언기어
130:메인링크부재 131:제2래크기어
140:작동링크수단 140a:프레임부재
141:제1링크부재
141a:제1하부힌지 141b:제1상부힌지
142:제2링크부재
142a:제2하부힌지 142b:제2중간부힌지 142c:제2상부힌지
143:제3링크부재
143a:제1파이프슬라이더 143b:제2파이프슬라이더

Claims (5)

  1. 주차장 등의 장소에서 자동차를 주차할 때 이웃하는 자동차와의 간격이 충분하지 않아서 타인 차량의 도어를 열 때 가해지는 접촉 및 충격에 의해 자차 및 옆차의 도어외관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도어 보호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체커(C)에 연결 설치되어 전후(前後)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그 단부에 제1래크기어(111)가 형성되는 작동아암(110)과,
    상기 제1래크기어(111)에 치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제1래크기어(111)의 전후 슬라이딩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120),
    일단부에 제2래크기어(131)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20)에 치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20)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메인링크부재(130),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에 타단부측에 연결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전후 슬라이딩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작동링크수단(140), 및
    상기 작동링크수단(140)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작동링크수단(14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에 따라 도어 외측으로 돌출 또는 도어 내측으로 수납되면서 도어 개방시 측면에 주차된 타 차량의 차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150)를 포함하는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링크수단(140)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와 일정거리 수평 이격되면서 도어몸체(B)에 고정되는 프레임부재(140a)에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제1하부힌지(141a)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중간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제1상부힌지(141b)로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141)와,
    상기 프레임부재(140a)에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제2하부힌지(142a)로 연결되고 타측 상부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끝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제2중간부힌지(142b)로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완충부재(150)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제2상부힌지(142c)로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142)와, 및
    일측 단부는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하부힌지(141a)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완충부재(150)의 외부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완충부재(150)에 삽입 설치되는 제1파이프슬라이더(143a)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3링크부재(143)를 포함하는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링크부재(143)에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끝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2중간부힌지(142b)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3링크부재(143)의 외부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제2파이프슬라이더(143b)가 삽입 설치되는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141)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와 상기 프레임부재(140a)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142)는 상기 메인링크부재(130)의 단부에서 상부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1링크부재(141) 보다 길게 설치되는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50)는 단부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실린더 또는 충격흡수용 탄성부재(151)가 설치 구비되고, 상기 완충실린더 또는 탄성부재(151)의 차체 충격시에 흠집을 방지하는 고무부재나 스폰지로 된 흠집방지부재(152)가 설치되는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KR1020170099116A 2017-08-04 2017-08-04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KR101883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16A KR101883970B1 (ko) 2017-08-04 2017-08-04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16A KR101883970B1 (ko) 2017-08-04 2017-08-04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970B1 true KR101883970B1 (ko) 2018-08-29

Family

ID=6343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116A KR101883970B1 (ko) 2017-08-04 2017-08-04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9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4821A (en) * 2018-06-18 2019-12-25 Ten Fold Engineering Ltd Apparatus For Converting Motion
KR20200048891A (ko) 2018-10-31 2020-05-0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충돌 방지 장치
DE102019106621A1 (de) * 2019-03-15 2020-09-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schlagschutz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US11078995B2 (en) 2018-06-18 2021-08-03 Ten Fold Engineering Limited Apparatus for converting motion
CN113799720A (zh) * 2021-08-25 2021-12-17 安徽江淮扬天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液罐车车尾防撞装置
CN114537297A (zh) * 2022-02-21 2022-05-2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防撞方法、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7678A (ko) * 2011-06-13 2012-12-24 탁동호 차량 도어의 손상 방지장치
KR101371019B1 (ko) 2012-11-01 2014-03-07 권익환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1526851B1 (ko) * 2013-12-23 2015-06-11 김의석 차량 도어 충격흡수장치
KR20150076513A (ko) 2013-12-27 2015-07-07 유영재 차량 도어의 충돌 방지 장치
KR101574437B1 (ko) 2014-09-22 2015-12-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1594273B1 (ko) 2015-01-20 2016-02-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도어 가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7678A (ko) * 2011-06-13 2012-12-24 탁동호 차량 도어의 손상 방지장치
KR101371019B1 (ko) 2012-11-01 2014-03-07 권익환 보호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1526851B1 (ko) * 2013-12-23 2015-06-11 김의석 차량 도어 충격흡수장치
KR20150076513A (ko) 2013-12-27 2015-07-07 유영재 차량 도어의 충돌 방지 장치
KR101574437B1 (ko) 2014-09-22 2015-12-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1594273B1 (ko) 2015-01-20 2016-02-1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도어 가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4821A (en) * 2018-06-18 2019-12-25 Ten Fold Engineering Ltd Apparatus For Converting Motion
GB2574821B (en) * 2018-06-18 2021-03-03 Ten Fold Engineering Ltd Apparatus For Converting Motion
US11078995B2 (en) 2018-06-18 2021-08-03 Ten Fold Engineering Limited Apparatus for converting motion
US11248685B2 (en) 2018-06-18 2022-02-15 Ten Fold Engineering Limited Apparatus for converting motion
US11713798B2 (en) 2018-06-18 2023-08-01 Ten Fold Engineering Limited Apparatus for converting motion
KR20200048891A (ko) 2018-10-31 2020-05-0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충돌 방지 장치
DE102019106621A1 (de) * 2019-03-15 2020-09-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schlagschutz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CN113799720A (zh) * 2021-08-25 2021-12-17 安徽江淮扬天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液罐车车尾防撞装置
CN114537297A (zh) * 2022-02-21 2022-05-2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防撞方法、车辆及存储介质
CN114537297B (zh) * 2022-02-21 2023-09-2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防撞方法、车辆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970B1 (ko)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US20140175815A1 (en) Pedestrian protective radiator grill
JP3577520B2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用ヒンジ
US9010478B2 (en)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CN104554126A (zh) 用于车辆的主动式发动机罩装置
WO2003066380A1 (en) Motor vehicle running board
EP3562711A1 (en) A sliding door step mechanism
CN111391772A (zh) 一种汽车缓冲型保险杠
US9738246B2 (en) Adjusting device for a front lid and associated motor vehicle
KR20110093036A (ko) 차량용 보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101755452B1 (ko)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
KR20100050165A (ko)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CN211691707U (zh) 一种停车场支柱用防碰撞结构
US8042959B2 (en) Forward folding mirror assemblies
KR20100039102A (ko) 차량 측면보호 장치
WO2005021305A1 (en) Door edge protector for vehicle
KR101417658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및 이를 포함한 자동차용 센터필러
EP2857290B1 (en) Hinge arrangement
CN108367720A (zh) 用于机动车的行人保护装置
JP2005178772A (ja) 同一平面にて装着されるドアエッジ用バンパーストリップ
KR100844411B1 (ko) 충돌 테스트를 고려한 충격 방지 장치
ITTO971109A1 (it) Sistema per limitare la corsa di un portellone laterale scorrevole in un veicolo da lavoro.
FR2896216B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pietons en cas de choc frontal avec un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tel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pietons.
JP6444834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3668891B2 (ja) 自動車用ドア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