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273B1 - 차량의 도어 가드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273B1
KR101594273B1 KR1020150009198A KR20150009198A KR101594273B1 KR 101594273 B1 KR101594273 B1 KR 101594273B1 KR 1020150009198 A KR1020150009198 A KR 1020150009198A KR 20150009198 A KR20150009198 A KR 20150009198A KR 101594273 B1 KR101594273 B1 KR 101594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disposed
guard
oper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호
김정기
안홍석
강유성
이성민
모영준
전상희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with braking, clamping or securing means in the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하는 도어 체커; 상기 차량 도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 체커의 수평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캠; 상기 차량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회전캠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캠의 회전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 로드; 상기 동작 로드의 타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동작 로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일단이 회전하며 타단이 상기 차량 도어의 단부를 통해 돌출되는 상기 동작 로드의 타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동작 로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일단이 회전하며 타단이 상기 차량 도어의 단부를 통해 돌출되는 가드부; 상기 가드부에 배치되고 이웃 차량과 거리를 측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방 시 완충 수단인 가드부가 도어의 개방에 연동하여 도어에서 돌출되고, 옆 차량에 접촉하며 옆 차량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가드{Door guard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가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의 개방에 연동하여 도어의 일단으로 돌출되어 이웃 차량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주차시킬 때에는 대개의 경우 차량을 다른 차량의 좌우로 소정간격을 두고 주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을 다른 차량의 옆에 주차시킴에 따라, 자신의 차량 도어의 개방 시 옆 차량의 측면이 긁히거나 찍히게 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수리비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도면 측면에 스폰지와 같은 완충 부재를 부착하여 충격을 방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스폰지와 같은 완충 부재를 부착하는 경우, 사용된 접착제의 접착력 약화에 의해 완충 부재가 이탈하여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차량에는 접착 흔적이 남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여 하기 위하여, 차량의 도어에 옆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고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가 개시되었으나, 감지 센서 및 경고 신호 출력기의 가격이 높아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 개방 시 완충 수단이 이에 연동하여 도어에서 돌출되고, 옆 차량에 접촉하며 옆 차량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가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하는 도어 체커; 상기 차량 도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 체커의 수평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캠; 상기 차량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회전캠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캠의 회전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 로드; 상기 동작 로드의 타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동작 로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일단이 회전하며 타단이 상기 차량 도어의 단부를 통해 돌출되는 상기 동작 로드의 타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동작 로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일단이 회전하며 타단이 상기 차량 도어의 단부를 통해 돌출되는 가드부; 상기 가드부에 배치되고 이웃 차량과 거리를 측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 체커와 상기 동작 로드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체커와 상기 동작 로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체커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1 래크 기어와, 상기 회전캠의 중심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래크 기어와 맞물리는 제1 피니온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로드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2 래크 기어와, 상기 가드부의 회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래크 기어와 맞물리는 제2 피니온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드부는 하드 스폰지(hard spon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도어의 내측에 복수로 배치되고,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도어 체커 또는 상기 동작 로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로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동작 로드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드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는 광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 또는 경보 음향을 출력하는 경음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방 시 완충 수단이 이에 연동하여 도어에서 돌출되고, 옆 차량에 접촉하며 옆 차량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가드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차량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차량의 도어 가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초음파 센서, 제어부 및 경보부의 연결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차량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차량의 도어 가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D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가드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가드(100)는 도어 체커(110), 회전캠(120), 동작 로드(130), 가드부(140), 제어부(160) 및 경보부(170)를 포함한다.
도어 체커(110)는 차량의 도어 내측으로 배치되고, 로드 형태로서 차량 도어의 개방과 폐쇄에 따라 수평 이동한다.
도어 체커(110)는 그 일단이 도어와 차체를 연결하는 회전축이 배치되는 전방 부위를 통해 돌출되어 차체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어 체커(110)의 단부는 첨부 형태로서 차체 측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도어 체커(110)의 첨부(114)는 후술하는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차체와의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어 체커(110)의 단부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차체 측에 회전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차량의 전방 도어에 배치되면 도어 체커(110)의 일단은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 전방 펜더(fender)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차량의 후방 도어에 배치되면, 도어 체커(110)의 일단은 차량의 중앙 스트림에 연결될 수 있다.
도어 체커(110)의 일측으로는 제1 래크 기어(112)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캠(120)은 차량의 도어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캠(120)은 도어 체커(110)의 수평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캠(120)의 중심축 상에는 제1 래크 기어(112)와 맞물리는 제1 피니온 기어(122)가 배치된다.
회전캠(120)은 전체적으로 원형이지만, 일측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동작 로드(130)가 평탄 부위에 접촉하면서 동작 로드(130)가 수평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회전캠(120)은 일측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동작 로드(130)는 차량의 도어 내측에 배치되고, 로드 형태로서 일단이 회전캠(120)의 일측에 접촉하여 회전캠(120)의 회전에 따라 수평 이동한다. 동작 로드(130)의 수평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작 로드(130)는 도어 체커(1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 로드(130)는 일단이 회전캠(120)의 일측에 접촉하고, 타단은 후술하는 가드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동작 로드(130)는 회전캠(120)의 회전에 의해 수평 이동을 한다. 여기서, 동작 로드(1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복수개의 가이드 블록(150)이 배치될 수 있다.
동작 로드(130) 상에는 스프링(134)이 배치된다. 스프링(134)은 일단이 동작 로드(130)에 연결되고, 타단은 동작 로드(13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블록(15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블록(150)에 연결된다. 스프링(134)은 개방되었던 차량 도어(1)가 다시 닫힐 때, 동작 로드(130)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가드부(140)는 차량 도어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가드부(140)는 동작 로드(130)의 타단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드부(140)는 동작 로드(13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며, 타단이 도어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가드부(140)는 반원형 형태로서 도어 외부로 돌출 시, 타단은 도어 표면 보다 높게 외부에 위치한다.
도어 외부로 돌출된 가드부(140)의 타단은 이웃 차량에 접촉하여 이웃 차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가드부(140)는 소정의 길이로 제작되는 로드 형태이다. 가드부(140)는 하드 스폰지(hard sponge)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가드부(140)와 동작 로드(130)의 연결과 회전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작 로드(130)의 타단 일측으로는 제2 래크 기어(132)가 형성되고, 가드부(140)의 회전축 주위로는 제2 래크 기어(132)와 맞물리는 제2 피니언 기어(142)가 형성된다.
차량 도어(1)의 내측으로는 복수개의 가이드 블록(150)이 배치된다. 가이드 블록(150)의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태로서, 중앙으로는 도어 체커(110)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블록(150)은 도어 체커(1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146)가 가드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거리 측정부(146)는 가드부(140)의 단부 즉, 가드부(140) 상에서 도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단부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거리 측정부(146)는 가드부(140)의 단부와 근접한 이웃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측정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비용적인 면과 배치 시의 용이함, 관리상의 편리함을 위하여, 거리 측정부(146)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60)는 거리 측정부(146)의 출력 신호에 따라 근접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즉, 예를 들어 감지된 거리가 50cm이고, 그 거리가 점차 단축된다면,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감지된 거리가 10cm이지만, 그 거리가 점차 연장된다면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경보부(170)는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감지된 거리에 따라 소정의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경보부(170)는 소정의 광을 발광하는 하는 발광 수단(미도시)과 소정의 경보 음향을 출력하는 경음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발광 수단 또는 경음 수단이 차량에 배치될 수 있지만, 발광 수단과 경음 수단이 동시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발광 수단은 소정의 광을 발광하는 LED 일 수 있다. 발광 수단은 제어부(160)에서 감지된 거리에 따라 광도를 달리하는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거리가 50cm, 30cm, 10cm 등으로 가까워질수록 광도가 큰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은 제어부(160)에서 감지된 거리에 따라 점멸 간격을 달리하며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거리가 50cm, 30cm, 10cm 등으로 가까워질수록 1초, 0.5초, 0.2 초로 점멸 간격이 점점 짧아지는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 수단은 운전석에 배치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 어디에라도 배치될 수 있으며, 차량의 복수의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다.
경음 수단은 소정의 경고 음향을 출력하는 부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음 수단은 제어부(160)에서 감지된 거리에 따라 보다 큰 음량의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거리가 50cm, 30cm, 10cm 등으로 가까워질수록 보다 큰 음량의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경음 수단은 제어부(160)에서 감지된 거리에 따라 점멸 간격을 달리하며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거리가 50cm, 30cm, 10cm 등으로 가까워질수록 1초, 0.5초, 0.2 초로 점멸 간격이 점점 짧아지는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이 소정의 장소에 주차한 후, 조수석의 승객이 차량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차량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차량의 도어 가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차량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차량의 도어 가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D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승객이 닫혀져 있는 차량 도어를 개방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우측 전방 펜더(미도시)에 연결된 도어 체커(110)는 차량 도어 내부에서 AA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어 체커(110)의 이동은 제1 래크 기어(112)와 제1 피니온 기어(122)를 통해 회전캠(120)으로 전달되어 회전캠(120)이 회전하도록 한다.
회전캠(120)이 회전하며, 회전캠(120)의 돌출 부위가 동작 로드(130)의 일단을 밀어, 동작 로드(130)가 수평 이동하여, 도 6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이동한다. 여기서, 동작 로드(130)의 이동 방향은 도어 체커(110)의 이동 방향과 반대이다.
동작 로드(130)가 이동하며 제2 래크 기어(132)와 제2 피니온 기어(142)가 맞물려 동작하여, 가드부(140)의 일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 외부로 돌출된다.
차량의 옆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드부(140)는 돌출된 단부가 옆에 주차하고 있는 차량에 근접하면, 이웃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부(160)는 측정된 거리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경보부(170)는 제어부(160)에서 측정한 이웃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소정의 경보 발광 신호 또는 경보 음향을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이웃 차량에 손상을 줄 수 있음을 경고한다.
경보부(170)에서의 경보 신호가 출력될 수 있지만, 야외에서는 햇빛이나 차량 소음 등에 의해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차량 도어의 개방을 계속할 수 있다.
차량 도어의 개방에 의해, 이웃에 근접하여 주차하고 있는 차량의 측면에 가드부(140)의 돌출된 단부가 닿으면, 가드부(140) 자체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옆 차량에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드부(140)는 그 단부가 차량 도어의 표면보다 외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차량 도어가 옆 차량의 표면에 직접 닿은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방 시 완충 수단인 가드부가 도어의 개방에 연동하여 도어에서 돌출되고, 옆 차량에 접촉하며 옆 차량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도어 가드
110: 도어 체커
120: 회전캠
130: 동작 로드
140: 가드부
146: 거리 측정부
150: 가이드 블록
160: 제어부
170: 경보부

Claims (10)

  1. 차량 도어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하는 도어 체커;
    상기 차량 도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 체커의 수평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캠;
    상기 차량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회전캠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캠의 회전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 로드;
    상기 동작 로드의 타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동작 로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일단이 회전하며 타단이 상기 차량 도어의 단부를 통해 돌출되는 가드부;
    상기 가드부에 배치되고 이웃 차량과 거리를 측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체커와 상기 동작 로드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차량의 도어 가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체커와 상기 동작 로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체커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1 래크 기어와, 상기 회전캠의 중심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래크 기어와 맞물리는 제1 피니온 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로드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2 래크 기어와, 상기 가드부의 회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래크 기어와 맞물리는 제2 피니온 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는 하드 스폰지(hard sponge)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의 내측에 복수로 배치되고,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도어 체커 또는 상기 동작 로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블록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로드 상에 배치되고, 상기 동작 로드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드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광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 또는 경보 음향을 출력하는 경음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가드.
KR1020150009198A 2015-01-20 2015-01-20 차량의 도어 가드 KR10159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98A KR101594273B1 (ko) 2015-01-20 2015-01-20 차량의 도어 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98A KR101594273B1 (ko) 2015-01-20 2015-01-20 차량의 도어 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273B1 true KR101594273B1 (ko) 2016-02-17

Family

ID=5545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198A KR101594273B1 (ko) 2015-01-20 2015-01-20 차량의 도어 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27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50A (ko) * 2016-11-29 2018-06-07 류도정 차량 도어 손상 방지 장치
KR101883970B1 (ko) 2017-08-04 2018-08-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CN109421622A (zh) * 2017-08-30 2019-03-05 保定诺博汽车装饰件有限公司 车门防擦条调控组件及汽车
KR102090448B1 (ko) 2019-01-09 2020-03-18 김선홍 차량 도어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20200034279A (ko) 2018-09-21 2020-03-31 조민규 차량용 기계식 도어가드
KR20200034274A (ko) 2018-09-21 2020-03-31 조민규 차량용 기계식 도어가드
KR20210024735A (ko) 2019-08-26 2021-03-08 조민규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
KR20210094361A (ko) * 2020-01-21 2021-07-2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경로이탈 방지 장치
KR20220003416A (ko) 2020-07-01 2022-01-10 조민규 전자식 자동차 도어가드
KR102494038B1 (ko) * 2022-01-03 2023-01-30 김민균 악세서리 부재가 부가된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KR102524938B1 (ko) * 2022-01-03 2023-04-21 김민균 경고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386A (ja) * 1995-08-21 1997-03-04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ドア開き制限装置
KR100207776B1 (ko) * 1997-03-26 1999-07-15 류정열 도어 손상 방지 장치
US20090140534A1 (en) * 2007-12-01 2009-06-04 Martin Lichter Door edge prot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386A (ja) * 1995-08-21 1997-03-04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ドア開き制限装置
KR100207776B1 (ko) * 1997-03-26 1999-07-15 류정열 도어 손상 방지 장치
US20090140534A1 (en) * 2007-12-01 2009-06-04 Martin Lichter Door edge protection devic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350A (ko) * 2016-11-29 2018-06-07 류도정 차량 도어 손상 방지 장치
KR101883970B1 (ko) 2017-08-04 2018-08-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CN109421622A (zh) * 2017-08-30 2019-03-05 保定诺博汽车装饰件有限公司 车门防擦条调控组件及汽车
KR20200034279A (ko) 2018-09-21 2020-03-31 조민규 차량용 기계식 도어가드
KR20200034274A (ko) 2018-09-21 2020-03-31 조민규 차량용 기계식 도어가드
KR102090448B1 (ko) 2019-01-09 2020-03-18 김선홍 차량 도어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20210024735A (ko) 2019-08-26 2021-03-08 조민규 전자식 도어가드 및 이를 이용한 기준점 재설정방법
KR20210094361A (ko) * 2020-01-21 2021-07-2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경로이탈 방지 장치
KR102294383B1 (ko) * 2020-01-21 2021-08-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경로이탈 방지 장치
KR20220003416A (ko) 2020-07-01 2022-01-10 조민규 전자식 자동차 도어가드
KR102494038B1 (ko) * 2022-01-03 2023-01-30 김민균 악세서리 부재가 부가된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KR102524938B1 (ko) * 2022-01-03 2023-04-21 김민균 경고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273B1 (ko) 차량의 도어 가드
US9787951B2 (en) Vehicle proximity warning system
ES2622053T3 (es) Vehículo automóvil que comprende varios medios luminiscentes que sirven para iluminar el entorno lateral o trasero de dicho vehículo
JP6612781B2 (ja) 組立体モジュール
ES2333160T3 (es) Dispositivo para la deteccion y para la indicacion de la posicion de componentes de acoplamientos de un vehiculo.
CN106240453B (zh) 车辆和车门打开空间通知系统
US9333930B2 (en) Collision protection method and collision protection device for a displaceable vehicle part and vehicle having the collision protection device
US20150258928A1 (en) Vehicle-mounted apparatus
US20160024825A1 (en) Collision protection device for a pivotable hatch of a motor vehicle, hatch,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method
JP6670759B2 (ja) 動作信号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JP2009029156A (ja) 車両用発光体及びスライドドア開閉報知装置
KR20130068538A (ko) 차량용 스마트 도어
TWM473959U (zh) 車門開啓自動強化照光及警示之安全裝置
ITMO20130012A1 (it) Dispositivo per l'assistenza alla guida di autoveicoli
ES2360875T3 (es) Dispositivo para la detección de una colisión entre un peatón y un vehículo a motor.
ITMO20130173A1 (it) Apparecchiatura con rilevatore volumetrico, impiegabile in particolare in sistemi antitrusione per veicoli
JP6980690B2 (ja) 車両ドア開閉装置
KR20120004731A (ko) 차량용 감시장치
CN110397369B (zh) 自动门以及自动门用保护传感器
BR112014000047B1 (pt) veículo de transporte de passageiros compreendendo um dispositivo de segurança, método para aplicar tal dispositivo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KR20070064430A (ko) 방향 지시등에 내장된 광학적 측면의 주변 센서를 갖는차량
JP2019108692A (ja) 車両ドア制御装置
JP2009064265A (ja) 自動車用窓のガラス割れ検出装置
US9694786B1 (en) Vehicle security system including indicator to windshield antenna unit
KR20050039309A (ko) 주차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