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481A -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481A
KR20140053481A KR1020120119435A KR20120119435A KR20140053481A KR 20140053481 A KR20140053481 A KR 20140053481A KR 1020120119435 A KR1020120119435 A KR 1020120119435A KR 20120119435 A KR20120119435 A KR 20120119435A KR 20140053481 A KR20140053481 A KR 20140053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collision
preventing means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슬기
Original Assignee
한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슬기 filed Critical 한슬기
Priority to KR102012011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3481A/ko
Publication of KR2014005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도어의 개방측 단부에 충돌방지수단이 함몰 설치되며, 상기 충돌방지수단은 도어 손잡이의 조작시 도어 외측으로 완충부를 자동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승/하차시 차량 도어 접촉사고가 방지되도록 하되, 상기 충돌방지수단은 도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를 진퇴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Safeguard of vehicle door}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에 손잡이 조작시 충돌방지수단이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승하차시 차량 도어 접촉사고를 방지하도록 된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차공간이 좁은 곳에 주차한 후 차량도어를 열면 벽이나 다른 차량에 부딪히는 일이 많고 그래서 도어 모서리 부분의 칠이 벗겨지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있고, 다른 차량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있다. 도어뿐만 아니라 차량의 범퍼도 주차시나 운행 중 다른 물체와 부딪히면 칠이 벗겨져서 미관상 좋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하여 특허등록 번호 10-0203483에는 "도어의 충격흡수 바 겸용 사이드몰딩"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것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바 겸용 사이드몰딩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외측면에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홈의 내주면에 완충재가 설치되며, 수용홈에 완충재를 매개로 사이드몰딩이 삽입되는 한편, 수용홈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을 통해 도어의 안쪽에서 용접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부착되어져, 종래와 동일한 충격흡수력을 유지하면서 도어의 내부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 도어나 범퍼의 접촉시 발생하는 경미한 차량의 손상을 방지하고 자동차의 도어 단부와 범퍼의 표면에 접촉시 충격을 완화시키며 타인의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특허 출원 10-2006-0118051호, 등록번호 100790024호에는 "자동차용 도어 가드"가 제안되어 있는데, 자동차의 도어의 일측에 마련하여 도어 개폐시 도어 주위의 물체와의 충격흡수를 용이하게 하여 직접적인 충돌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의 재질을 사용하여 상부양측에 굴곡면을 형성한 탄성구를 마련하되 상면에는 탄성홈을 형성하고 내부에 완충홈을 형성하여 자동차의 도어 개폐작동시 도어와 충돌되는 주위의 타 자동차의 차체 또는 벽면등의 물체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도어에 부착된 도어가드에서 충격을 흡수시켜 손상을 최소화 하고, 야간에는 도어가드의 야광기능에 의해 어두운 주차장에서도 간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자동차의 도어 일측에 부착하는 도어가드에 있어서, 사각형의 몸체 상부에는 양측에 굴곡면을 형성하는 탄성구를 형성하고, 상기 사각형의 몸체와 연결하는 굴곡면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탄성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사각형의 몸체의 내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완충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 실용신안 공개 20-2011-0000148호 "자동차의 도어 또는 범퍼용 보호구"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것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셀(gas cell)이 형성된 제 1 시트(11)와, 상기 제 1 시트의 하면에 도포되는 접착층(12)와 상기 접착층에 부착된 이형시트(13)와, 상기 제 1 시트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2 시트(14)로 이루어진다. 제 1 시트(11)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상부시트(11a)와 하부시트(11b)로 준비하여, 상부시트(11a)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고 하부시트(11b)는 편평한 상태로 유지한 후, 상부시트(11a)와 하부시트(11b)의 사이에 공기를 주입하고, 상부시트(11a)와 하부시트(11b)가 접합하는 부분을 초음파 가열법을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에 주입된 공기가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합시켜 기체 셀(11c)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도어가드 또는 도어 보호구는 도어 외면에 돌출된 상태로 부착됨에 따라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 및 빗물 등의 부식에 의해 쉽게 훼손될 우려가 있고, 차량의 주행중 주행소음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개방측 단부에 충돌방지수단이 함몰 설치되며, 상기 충돌방지수단은 도어 손잡이의 조작시 도어 외측으로 완충부를 자동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승/하차시 차량 도어 접촉사고가 방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외관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차량 주행시 정숙함이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도어의 개방측 단부에 충돌방지수단이 함몰 설치되며, 상기 충돌방지수단은 도어 손잡이의 조작시 도어 외측으로 완충부를 자동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승/하차시 차량 도어 접촉사고가 방지되도록 하되, 상기 충돌방지수단은 도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완충부와, 상기 완충부를 진퇴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고무재 및 스폰지재를 이용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충돌 대상면에 접촉하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설치되어 접지부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지부는 도어측에 접지되는 내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반대측 외면이 만곡진 곡면을 갖는 탄성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접지부의 내면 중심에 결합되는 원통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유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측 단부에 충돌방지수단이 함몰 설치되며, 상기 충돌방지수단은 도어 손잡이의 조작시 도어 외측으로 완충부를 자동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승/하차시 차량 도어 접촉사고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외관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평상시 충돌방지수단이 도어 내부에 함몰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주행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자동차의 도어 또는 범퍼용 보호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자동차의 도어 또는 범퍼용 보호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가 적용된 예시도.
도 4,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가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차량 도어(110)의 개방측 단부에 충돌방지수단(130)이 함몰 설치되며, 상기 충돌방지수단(130)은 도어 손잡이(120)의 조작시 도어(110) 외측으로 완충부(131)를 자동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승/하차시 차량 도어 접촉사고가 방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충돌방지수단(130)은 차량 도어(110)의 열리는 방향에 대해 가장 먼저 충돌대상과 접지되는 부위에 설치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승용차의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앞좌석측 도어의 경우에는 손잡이(120)의 하부에 충돌방지수단(130)이 형성되며, 뒷좌석측 도어의 경우에는 손잡이(120)의 옆쪽에 충돌방지수단(130)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충돌방지수단(130)의 형성위치는 차종에 따라 도어의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5를 참조하면, 상기 충돌방지수단(130)은 도어(1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완충부(131)와, 상기 완충부(131)를 진퇴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133)가 개시되고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131)는 고무재 및 스폰지재를 이용해 제작될 수 있고,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1~5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133)는 유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구성될 수 있는데, 액츄에이터(133)의 작동시 진퇴로드(133a)가 직선 운동됨으로써, 완충부(131)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부(131)는 도어(11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1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데, 도 4는 완충부(131)가 함몰된 상태이며, 도 5는 완충부(131)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7을 참조하면, 도어(1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완충부(131)와, 상기 완충부(131)를 진퇴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133)로 이루어지는 충돌방지수단(130)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131)는 충돌 대상면에 접촉하는 접지부(131a)와, 상기 접지부(131a)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는 본체부(131b)와, 상기 본체부(131b) 내에 설치되어 접지부(131a)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탄성수단(131c)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접지부(131a)는 도어측에 접지되는 내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반대측 외면이 만곡진 곡면을 갖는 탄성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31b)는 접지부(131a)의 내면 중심에 결합되는 원통형 부재이며, 상기 탄성수단(131c)은 스프링부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133)는 유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구성될 수 있는데, 액츄에이터(133)의 작동시 진퇴로드(133a)가 직선 운동됨으로써, 완충부(131)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부(131)는 도어(11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1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데, 도 6은 완충부(131) 전체가 돌출된 상태이며, 도 7은 완충부(131)의 접지부(131a)가 충돌시 탄성수단(131c)에 의해 완충 작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측 단부에 충돌방지수단이 함몰 설치되며, 상기 충돌방지수단은 도어 손잡이의 조작시 도어 외측으로 완충부를 자동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승/하차시 차량 도어 접촉사고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외관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평상시 충돌방지수단이 도어 내부에 함몰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주행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차량 도어
111: 슬라이드공
120: 도어 손잡이
130: 충돌방지수단
131: 완충부
131a: 접지부
131b: 본체부
131c: 탄성수단
133: 액츄에이터
133a: 진퇴로드

Claims (6)

  1. 차량 도어(110)의 개방측 단부에 충돌방지수단(130)이 함몰 설치되며, 상기 충돌방지수단(130)은 도어 손잡이(120)의 조작시 도어(110) 외측으로 완충부(131)를 자동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승/하차시 차량 도어 접촉사고가 방지되도록 하되,
    상기 충돌방지수단(130)은 도어(1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완충부(131)와, 상기 완충부(131)를 진퇴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1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131)는 고무재 및 스폰지재를 이용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131)는 충돌 대상면에 접촉하는 접지부(131a)와,
    상기 접지부(131a)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는 본체부(131b)와,
    상기 본체부(131b) 내에 설치되어 접지부(131a)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탄성수단(131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보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131a)는 도어측에 접지되는 내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반대측 외면이 만곡진 곡면을 갖는 탄성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보호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31b)는 접지부(131a)의 내면 중심에 결합되는 원통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보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33)는 유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보호장치.
KR1020120119435A 2012-10-26 2012-10-26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 KR20140053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435A KR20140053481A (ko) 2012-10-26 2012-10-26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435A KR20140053481A (ko) 2012-10-26 2012-10-26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481A true KR20140053481A (ko) 2014-05-08

Family

ID=5088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435A KR20140053481A (ko) 2012-10-26 2012-10-26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34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9178A (zh) * 2018-03-20 2018-08-17 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控制车门开闭音效的方法
KR102390989B1 (ko) * 2020-10-22 2022-04-2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도어 손상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9178A (zh) * 2018-03-20 2018-08-17 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控制车门开闭音效的方法
KR102390989B1 (ko) * 2020-10-22 2022-04-2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도어 손상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184B1 (ko)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한 차량의 완충장치
US7097222B2 (en) Vehicle anti-crash safety device
US20150123412A1 (en) Door guard for vehicle
US9457762B2 (en) Active hood front cover for pedestrian protection
WO2005120907A8 (fr) Support de butee d’un capot avant d’un vehicule automobile
KR20130130863A (ko) 후드 올림 장치
KR20140053481A (ko) 차량의 도어 보호장치
CN108725328B (zh) 车门护板地图袋
KR101050183B1 (ko) 자동차의 외측면 손상 방지 장치
KR200431297Y1 (ko) 자동차용 에어쿠션 가드
US9174586B2 (en) Storage compartment apparatus for door of a vehicle
US20160208517A1 (en) Vehicle tailgate locking element guard
CN210126421U (zh) 折叠收纳式的车辆防护装置
KR20140004684U (ko) 차량용 도어 가드
KR100789157B1 (ko) 휴대용 자동차 측면보호대
JP3125636U (ja) 自動車の車体損傷防止保護用具
JP2017537840A (ja) 自動車のグローブボックス
KR100790024B1 (ko) 자동차용 도어가드
CN216374421U (zh) 一种防撞效果好的后备箱盖内衬板
KR20150114344A (ko) 회전운동을 이용한 자동차 문 보호장치
JP5554623B2 (ja) 自動車の車室側壁構造
CN201151368Y (zh) 能量吸收型汽车保险杠
JP3200474U (ja) 自動車のバンパー保護用カバー
KR20170003106U (ko) 자동차용 휀다 프로텍트
KR100483789B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