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614B1 -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 Google Patents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614B1
KR101778614B1 KR1020160081183A KR20160081183A KR101778614B1 KR 101778614 B1 KR101778614 B1 KR 101778614B1 KR 1020160081183 A KR1020160081183 A KR 1020160081183A KR 20160081183 A KR20160081183 A KR 20160081183A KR 101778614 B1 KR101778614 B1 KR 101778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accident
lower cas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Priority to KR102016008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사고 및 고장 발생 후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신속한 시간에 전방 및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는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은 차량 운행중에 비상 상황이나 예기치 못한 고장 등으로 도로나 갓길에 주정차 후 이를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설치한 안전 삼각대가 빠른 속도로 주행중인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 등에 의해 쓰러지지 않고 흔들거리다 다시 원위치하여 세워짐으로 인해 멀리서도 비상 및 위급상황인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해당 사고지점의 위치를 전송함으로써 주변의 차량에 해당 사고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게 함으로써 2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Safety guide cone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본 발명은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사고 및 고장 발생 후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신속한 시간에 전방 및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는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행중에 비상 상황이나 예기치 못한 고장 등으로 차량을 도로나 갓길에 주정차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 주정차된 차량의 전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다른 차량에게 차량이 주정차 되어 있음을 주지시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의 안전 삼각대를 설치함에 있어 주간에서는 주정차 차량과 100M 이상의 거리에 설치하고, 야간 상황에서는 주정차 차량과 200M 이상의 거리에 설치해야 한다. 또한, 안전 삼각대의 구조는 대부분 반사체와 반사 보조판, 형광시트, 다리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300M 전방에서도 식별 가능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도로교통법 제61조 및 제62조 제2항에 운전자는 안전 삼각대를 의무적으로 휴대해야 하고, 고장 등의 이유로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주, 정차시 반드시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를 어기는 경우 범칙금을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안전 삼각대를 설치할 경우에는 풍속 18㎧ 바람에 의해 견디지 못하고 넘어져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따라서 약풍에도 안전 삼각대가 쓰러져 제 기능을 못함으로 인해 후방에서 주행주인 운전자에게 위험을 제대로 알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GPS가 장착된 차량에 사용할 경우 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고신호를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사고신호 발생버튼을 추가로 구비시킴으로써 운전중 차량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운전자가 사고신호 발생버튼을 누름으로써 사고발생위치 및 사고차량의 정보가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사고상황 및 위치를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사고 발생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의식이 없어 사고발생 버튼을 누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위에 있는 사람이 발견하여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사고발생 상황을 알려야 하기 때문에 사고의 접수 및 처리가 늦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174493 Y1 KR 10-2012-004432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운행중에 비상 상황이나 예기치 못한 고장 등으로 도로나 갓길에 주정차 후 이를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설치한 안전 삼각대가 빠른 속도로 주행중인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 등에 의해 쓰러지지 않고 흔들거리다 다시 원위치하여 세워짐으로 인해 멀리서도 비상 및 위급상황인 인식할 수 있는 안전삼각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해당 사고지점의 위치를 전송함으로써 주변의 차량에 해당 사고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릴수 있게 함으로써 2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은 빛을 방출하는 발광유닛과; 상기 발광유닛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면서, 상기 발광유닛을 수평방향과 나란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유닛은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웨이트부재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개방된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방으로 빛을 방출하는 제1발광모듈과; 일 측이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제1발광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발광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게 형성 및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컬러표시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컬러표시부에 결합되어 상기 컬러표시부를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제2발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일 측이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타 측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일 측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에 대해 상기 본체를 수평방향과 나란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지지부는 지면에 대해 상기 본체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게 형성된 조작버튼과, 상기 제1발광모듈 및 제2발광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운전자가 상기 조작버튼을 조작하면 사고발생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사고발생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게 된 무선송출부가 더 구비되고, 차량에 구비되어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와, 상기 무선송출부에서 송출되는 사고발생신호를 수신 및 수신된 사고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사고정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게 된 무선통신부와, 상기 GPS수신기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와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사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 및 사고정보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무선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GPS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가속도정보와 진동정보를 각각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및 진동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속도센서와 상기 진동센서 각각으로부터 가속도정보와 진동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정보와 진동정보가 설정된 기준가속도정보와 기준진동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운전자의 상기 조작버튼 조작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사고발생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은 차량 운행중에 비상 상황이나 예기치 못한 고장 등으로 도로나 갓길에 주정차 후 이를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설치한 안전 삼각대가 빠른 속도로 주행중인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 등에 의해 쓰러지지 않고 흔들거리다 다시 원위치하여 세워짐으로 인해 멀리서도 비상 및 위급상황인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해당 사고지점의 위치를 전송함으로써 주변의 차량에 해당 사고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게 함으로써 2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에서 본체와 지지유닛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을 이용하여 사고정보를 주변의 운전자에게 알리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은 발광유닛(100)과, 지지유닛(200)과, GPS단말기(300)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유닛(100)은 빛을 방출하도록 된 것으로서, 본체(110)와, 웨이트부재(120)와, 제1발광모듈(130)과, 컬러표시부(140)와, 탄성지지부(150)와, 제2발광모듈(16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를 포함하며,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의 내부에는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개방된 일 측내주면과 하부케이스(115)의 개방된 일 측 외주면에는 각각 서로 나사결합 가능하게 된 제1나사결합부와 제2나사결합부(11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부재(120)는 하부케이스(115)의 하부를 중심으로 하부케이스(115)가 진자 또는 진동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15)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케이스(115)의 무게중심을 하부케이스(115)의 하단으로 집중시킨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지면이나 차량 차체에 하부케이스(115)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거치대(1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하부케이스(115)의 하부 외형과 대응되게 상부가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되고, 하부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발광모듈(130)은 하부케이스(115)의 개방된 상측에 설치되어 하부케이스(115)의 방으로 빛을 방출하는 것으로서, 하부케이스(115)에 고정되는 기판부와, 기판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발광모듈(130)은 후술하는 컨트롤러(173)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컬러표시부(140)는 일 측이 하부케이스(115)에 설치되고 타 측은 제1발광모듈(1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발광모듈(130)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게 형성되고, 길이변화가 가능하도록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표시부(140)에는 적색, 황색, 백색 등의 도료가 외부에 도포되어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150)는 하부케이스(115)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컬러표시부(14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컬러표시부(140)를 하부케이스(115)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탄성지지부(150)는 스프링부재를 적용하여 상부케이스(111)를 하부케이스(115)에 결합시킬 때, 압축되고 상부케이스(111)를 하부케이스(115)로부터 분리하면 신장되어 컬러표시부(140)를 펼쳐지게 한다.
상기 제2발광모듈(160)은 탄성지지부(150) 또는 컬러표시부(140)의 상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된 것으로서, 빛을 방출하는 LED와, LED가 설치되는 기판부 및 LED와 기판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 통과하면서 적색의 빛이 외부로 노출되게 반투명하고 적색으로 g여성된다. 상기 제2발광모듈(160)은 긴급함을 알리기 위해 적색의 빛을 방출하도록 된 통상적인 경광등을 적용한다.
상기 지지유닛(200)은 상기 발광유닛(1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면서, 상기 발광유닛(100)을 수평방향과 나란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대(210)와, 회전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210)는 일 측이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타 측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부케이스(115)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210)는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받침부(211)와, 받침부(211)의 일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211)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두 받침부(211)는 보강부(211a)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회전지지부(220)는 일 측이 지지대(210)의 연장부(212) 단부에 결합되고, 타 측은 하부케이스(115)에 결합되어 지지대(210)에 대해 본체(110)를 수평방향과 나란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지지부(220)는 하부케이스(115)가 웨이트부재(120)에 의해 진동 또는 진자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상적인 힌지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회전지지부(220)는 지면에 대해 상기 본체(110)의 회전각도를 운전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 힌지부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힌지부재는 운전자가 하부케이스(115)의 각도를 설정된 각도로 조정한 상태에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은 운전자가 설정해둔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 것을 적용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하부케이스(115)의 각도를 운전자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컬러표시부(140)와 탄성지지부(150)를 하부케이스(115)에서 분리하면, 제1발광모듈(130)에서 방출되는 빛을 서치라이트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은 지지대(21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발광모듈(130) 및 제2발광모듈(160)의 발광을 통해 야간에 후방측 운전자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115)가 지지대(210)에 진자 운동 또는 진동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의 인식률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71)와,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게 형성된 조작버튼(172)과, 제1발광모듈(130) 및 제2발광모듈(160)의 동작을 제어하고, 운전자가 상기 조작버튼(172)을 조작하면 사고발생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173)와, 컨트롤러(173)에 의해 사고발생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송출부(174)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유닛(100)은 본체(110)에 구비되어 본체(110)에 가해지는 가속도정보와 진동정보를 각각 측정하는 가속도센서(181) 및 진동센서(182)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173)는 가속도센서(181)와 진동센서(182) 각각으로부터 가속도정보와 진동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정보와 진동정보가 설정된 기준가속도정보와 기준진동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운전자의 조작버튼(172) 조작 여부에 무관하게 사고발생신호를 생성 및 무선송출부(174)에서 사고발생신호가 송출되도록 무선송출부(174)를 제어한다.
상기 GPS단말기(300)는 차량에 구비되어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176)와, 무선송출부(174)에서 송출되는 사고발생신호를 수신 및 수신된 사고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사고정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게 된 무선통신부(175)와, GPS수신기(176)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와 무선통신부(175)에서 수신되는 사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 및 사고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78)와, 무선통신부(17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7)를 포함한다.
도로의 일 지점에서 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 발생시, 운전자가 본체(110)의 조작버튼(172)을 조작하면, 본체(110)의 무선송출부(174)에서 사고발생신호가 송출된다. 그리고, GPS단말기(300)는 사고발생신호를 수신하고, 사고발생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 차량의 위치정보 즉, 일 지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무선통신부(175) 및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해당 위치에 사고 차량이 발생하였음을 알린다.
그리고, 서버는 GPS단말기(300)로부터 일 지점에 사고 차량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정보가 수신되면, 이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GPS단말기(300)로 일 지점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되게 함으로써, GPS단말기(300)를 이용하는 운전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는 사고 차량의 구조 및 고장 차량의 수리를 위해 보험회사 또는 수리회사 등에 사고발생정보를 송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발광유닛
110 : 본체
120 : 웨이트부재
130 : 제1발광모듈
140 : 컬러표시부
150 : 탄성지지부
160 : 제2발광모듈
200 : 지지유닛
210 : 지지대
220 : 회전지지부
300 : GPS단말기

Claims (4)

  1. 빛을 방출하는 발광유닛과;
    상기 발광유닛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면서, 상기 발광유닛을 수평방향과 나란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유닛은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게 형성된 조작버튼과, 운전자가 상기 조작버튼을 조작하면 사고발생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사고발생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게 된 무선송출부와, 상기 발광유닛에 가해지는 가속도정보와 진동정보를 각각 측정하는 가속도센서 및 진동센서를 구비하고,
    차량에 구비되어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와, 상기 무선송출부에서 송출되는 사고발생신호를 수신 및 수신된 사고발생신호에 대응되는 사고정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게 된 무선통신부와, 상기 GPS수신기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와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사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 및 사고정보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무선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GPS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속도센서와 상기 진동센서 각각으로부터 가속도정보와 진동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속도정보와 진동정보가 설정된 기준가속도정보와 기준진동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운전자의 상기 조작버튼 조작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사고발생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웨이트부재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개방된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방으로 빛을 방출하는 제1발광모듈과;
    일 측이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제1발광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발광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의 빛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게 형성 및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컬러표시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컬러표시부에 결합되어 상기 컬러표시부를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제2발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일 측이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타 측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일 측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에 대해 상기 본체를 수평방향과 나란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3. 삭제
  4. 삭제
KR1020160081183A 2016-06-28 2016-06-28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KR101778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183A KR101778614B1 (ko) 2016-06-28 2016-06-28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183A KR101778614B1 (ko) 2016-06-28 2016-06-28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614B1 true KR101778614B1 (ko) 2017-09-14

Family

ID=5992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183A KR101778614B1 (ko) 2016-06-28 2016-06-28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6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796A (ko) 2017-12-26 2019-07-04 한국도로공사 압전 하베스터를 이용한 도로 안전경고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077797A (ko) 2017-12-26 2019-07-04 한국도로공사 도로 안전경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안전경고 방법
KR102030653B1 (ko) * 2019-06-17 2019-10-10 이기섭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비상 상황 표시장치
CN111968352A (zh) * 2020-09-09 2020-11-20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交通安全提示方法、装置、移动终端和可读存储介质
KR20230052751A (ko) * 2021-10-13 2023-04-2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삼각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441B1 (ko) * 2015-04-02 2016-06-14 배동조 좌우회전형 튜브 안전표시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441B1 (ko) * 2015-04-02 2016-06-14 배동조 좌우회전형 튜브 안전표시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796A (ko) 2017-12-26 2019-07-04 한국도로공사 압전 하베스터를 이용한 도로 안전경고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077797A (ko) 2017-12-26 2019-07-04 한국도로공사 도로 안전경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안전경고 방법
KR102030653B1 (ko) * 2019-06-17 2019-10-10 이기섭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비상 상황 표시장치
WO2020256216A1 (ko) * 2019-06-17 2020-12-24 이기섭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비상 상황 표시장치
US11865972B2 (en) 2019-06-17 2024-01-09 Ki Sup Lee Portabl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CN111968352A (zh) * 2020-09-09 2020-11-20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交通安全提示方法、装置、移动终端和可读存储介质
CN111968352B (zh) * 2020-09-09 2022-11-08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交通安全提示方法、装置、移动终端和可读存储介质
KR20230052751A (ko) * 2021-10-13 2023-04-2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삼각대
KR102574691B1 (ko) 2021-10-13 2023-09-0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삼각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614B1 (ko)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US9679482B2 (en) Road and path lighting system
US20210049909A1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azardous vehicle and road conditions
KR20160131776A (ko) 후방 경고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사고 알림 방법
KR20070086432A (ko) 교통신호모니터 및 운전자경고장치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JP2013080422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2129110B1 (ko) 사고 예방 기능을 갖는 농업용 기계 안전사고 감지장치
KR20160085148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로의 사고발생 경고 시스템
EP1779560B1 (en) Interactive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 between cars and its method of use
JP6799984B2 (ja) 路車間情報通信システム
KR101432062B1 (ko)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
KR101878205B1 (ko) 전방 사고 알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527932B1 (ko) 차량 급제동 또는 충돌 사고 경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211079977U (zh) 一种预警一体机系统
KR20210040529A (ko) 작업자 경보시스템용 경광봉
KR200417032Y1 (ko) 차량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JP7340949B2 (ja) 車両飛び込まれ警告装置及び警告情報管理システム
JP3189644U (ja) 緊急遠隔通報システム
KR101908986B1 (ko)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KR20220109721A (ko) 스마트 교통신호 관제 시스템
KR102358844B1 (ko) 차량사고 알림 장치, 차량사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712272B1 (ko) 비콘을 이용한 차량사고 중계용 교통안전표지판
KR20170001347A (ko) 비콘을 이용한 차량사고 통보장치
KR20230056074A (ko) 안전교통 비상 이동식 시그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