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986B1 -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 Google Patents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986B1
KR101908986B1 KR1020170019916A KR20170019916A KR101908986B1 KR 101908986 B1 KR101908986 B1 KR 101908986B1 KR 1020170019916 A KR1020170019916 A KR 1020170019916A KR 20170019916 A KR20170019916 A KR 20170019916A KR 101908986 B1 KR101908986 B1 KR 10190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arning display
laser beam
danger war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607A (ko
Inventor
양승해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양승해
이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양승해, 이덕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Priority to KR102017001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9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어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은 제 1, 2 레이저 빔의 전면 발광으로 포착된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촬영하고, 이동수단 고장 또는 사고시, 스위치 온 동작에 따라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후방 도로상에 표출시킴으로써, 고속도로나 전용도로, 일반도로를 포함하는 도로 운행시 상시 일어날 만한 도로상에서의 차량고장 혹은 차량간 접촉 사고를 원인으로 한 연쇄반응으로 후방 이동수단의 전방 주시 의무에 대한 부재(不在)로 인한 2차, 3차에 걸친 상당히 우려될만한 충돌 및 인명사고의 발발을 미리 사전에 방지한다.

Description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Smart lantern for road traffic accident prevention}
본 발명은 전자제어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2 레이저 빔의 전면 발광으로 포착된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촬영하고, 이동수단 고장 또는 사고시, 스위치 온 동작에 따라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후방 도로상에 표출시키는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랜턴은 화재나 재난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정전 및 연무 등으로 인하여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장소에서 진화 및 구조작업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는 조명장치로서, 투광등 또는 서치라이트 등의 대형랜턴으로 구조물 또는 건물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조사력이 상당히 높아 일정지역에 불빛을 비춤에 따라 우천시 또는 야간 조명용으로 상당한 효과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손전등과 같은 휴대용 랜턴의 경우, 서치라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사력은 약하나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성이 좋고, 비상시에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차량사고로 인한 재난 발생시 서치라이트를 필요로 할 경우 보급된 개인용 또는 비치용 랜턴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서치라이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인 휴대는 물론, 조립성을 갖는 랜턴 보급하여 안전성 및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위험에 노출된 상황에서 후발 차량에게 자신의 차량에 대한 위치 및 움직임을 주변에 인식시켜 줄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후발 차량이 자신의 차량을 빨리 파악하지 못해 2차, 3차 사고가 일어나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되고, 심지어 자신의 차량이 고장 및 사고남을 후발 차량에게 알리고자 도로면에 나선 자신마저도 후발 차량의 우발적인 돌진에 의해 운전자 자신도 목숨을 잃게 되는 참변을 당하는 일이 발생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실용 공개번호 : 20-2015-0004644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0-0050003 한국실용 공개번호 : 20-2008-0002385 한국실용 등록번호 : 20-0441052-0000
본 발명의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은 제 1, 2 레이저 빔의 전면 발광으로 포착된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촬영하고, 이동수단 고장 또는 사고시, 스위치 온 동작에 따라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후방 도로상에 표출시킴으로써, 고속도로나 전용도로, 일반도로를 포함하는 도로 운행시 상시 일어날 만한 도로상에서의 차량고장 혹은 차량간 접촉 사고를 원인으로 한 연쇄반응으로 후방 이동수단의 전방 주시 의무에 대한 부재(不在)로 인한 2차, 3차에 걸친 상당히 우려될만한 충돌 및 인명사고의 발발을 미리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자동차 운행시 차량 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충돌 및 추돌로 인한 사고시 제품 하부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탈부착 수단을 이용해 차량의 어느 곳이든 탈부착하여 사고난 차량의 차주가 실제 사고지점을 벗어나 안전구역으로 이동해 있다 하더라도 후발 차량이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가 도로상에서 표시되는 제 1 또는 제 2 레이저 빔을 차량 간 안전거리 내에서 미리 인지할 수 있어, 외부요인으로 인한 우발적 상황에 대해 즉각 대처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안전운행을 충분히 도모할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운전자 개개인마다 도로교통 안전에 관한 자기관리를 실제로 이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 도로 사고율의 감소 및 선진화된 교통 문화를 정립하는데 크게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관련 업체의 수익창출과 관련 산업분야에도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은, 제 1, 2 레이저 빔을 전면에서 발광시키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에 공급하는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 제 1 레이저 빔을 통해 포착된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영상 촬영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기저장된 이미지 모음집 데이터 또는 단어 모음집 데이터 중 후방 이동수단에게 알리는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발췌하는 표시 데이터 저장 및 발췌부; 및 이동수단 고장 또는 사고시, 스위치 온 동작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램프부에 전달해 상기 램프부의 제 2 레이저 빔에 대한 발광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가 후방 도로상에 표출되는 상기 제 1 레이저 빔 또는 제 2 레이저 빔의 조도가 업다운 볼륨기로 조절되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은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은 제 1, 2 레이저 빔의 전면 발광으로 포착된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촬영하고, 이동수단 고장 또는 사고시, 스위치 온 동작에 따라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후방 도로상에 표출시킴으로써, 고속도로나 전용도로, 일반도로를 포함하는 도로 운행시 상시 일어날 만한 도로상에서의 차량고장 혹은 차량간 접촉 사고를 원인으로 한 연쇄반응으로 후방 이동수단의 전방 주시 의무에 대한 부재(不在)로 인한 2차, 3차에 걸친 상당히 우려될만한 충돌 및 인명사고의 발발을 미리 사전에 방지하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운행시 차량 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충돌 및 추돌로 인한 사고시 제품 하부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탈부착 수단을 이용해 차량의 어느 곳이든 탈부착하여 사고난 차량의 차주가 실제 사고지점을 벗어나 안전구역으로 이동해 있다 하더라도 후발 차량이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가 도로상에서 표시되는 제 1 또는 제 2 레이저 빔을 차량 간 안전거리 내에서 미리 인지할 수 있어, 외부요인으로 인한 우발적 상황에 대해 즉각 대처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안전운행을 충분히 도모할 수 있는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 개개인마다 도로교통 안전에 관한 자기관리를 실제로 이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 도로 사고율의 감소 및 선진화된 교통 문화를 정립하는데 크게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관련 업체의 수익창출과 관련 산업분야에도 도움을 주는 제 3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을 포함한 전체 운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1000)은 제 1, 2 레이저 빔의 전면 발광으로 포착된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촬영하고, 이동수단 고장 또는 사고시, 스위치 온 동작에 따라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후방 도로상에 표출시킴으로써, 도로 운행시 상시 일어날 만한 도로상에서의 차량고장 혹은 차량간 접촉 사고를 원인으로 한 연쇄반응으로 후방 이동수단의 전방 주시 의무에 대한 부재(不在)로 인한 2차, 3차에 걸친 상당히 우려될만한 충돌 및 인명사고의 발발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치로, 램프부(100), 배터리 표시부(200), 영상 촬영부(300), 표시 데이터 저장 및 발췌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1000)은 외장 양측면에 마련된 홀에 고정 브라켓(미도시)을 결합시켜 고정 브라켓의 하부 지지하에 0 내지 180도의 조광 각도 내에서 회전하며, 고정 브라켓 내 실장된 구동부(미도시)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된 조광 각도 변경신호를 인지함에 따라, 조광 각도 변경신호로부터 인지되는 조광 각도로 자동 회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1000) 내 주요 구성에 대한 사항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 용이하다.
먼저, 램프부(100)는 제 1, 2 레이저 빔을 전면에서 발광시킨다.
제 1, 2 레이저 빔은 스마트폰(600)으로부터 제공받은 문구, 영상을 송출하여 벽이나 바닥 등 크기 공간 제약없이 표기할 수 있다. 이점에 있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로, 스마트폰(600)으로부터 전달된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는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1000)의 램프부(100)를 통해 도로에 표시되며 그에 따라, 후방 이동수단은 진입할 도로에 사고가 일어났음을 즉시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사고 우려가 예고될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중요한 골드타임을 부여받게 된다 할 것이다.
배터리 표시부(200)는 램프부(100)에 공급하는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한다.
영상 촬영부(300)는 제 1 레이저 빔을 통해 포착된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해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송출한다.
표시 데이터 저장 및 발췌부(400)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기저장된 이미지 모음집 데이터 또는 단어 모음집 데이터 중 후방 이동수단에게 알리는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발췌한다.
제어부(500)는 이동수단 고장 또는 사고시, 스위치 온 동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램프부에 전달해 램프부(100)의 제 2 레이저 빔에 대한 발광 동작을 제어하고,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가 후방 도로상에 표출되는 제 1 레이저 빔 또는 제 2 레이저 빔의 조도가 업다운 볼륨기(미도시)로 조절되도록 컨트롤한다.
제 1 레이저 빔과 달리 제 2 레이저 빔은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가 후방 이동수단이 이동하는 후방 도로면에 표출되도록 발광되거나, 후방 도로면으로부터 10m 높이 범주 내에서 시그널 조명 형태로 전면 발광된다.
또한,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1000)의 외장 하단면에 기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탈부착 수단이 이동수단에 부착됨에 따라 제 1 레이저 빔 또는 제 2 레이저 빔의 주사 방향이 고정 설정되며, 제 1 레이저 빔 또는 제 2 레이저 빔이 후방 이동수단과 이동수단 간의 이격거리 내에서 발광 표출된다.
여기서, 탈부착 수단으로는 자석, 밸크로, 테이프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하겠다.
영상 신호가 근거리 통신망과 기연결된 스마트폰(600)으로 전송됨에 따라, 스마트폰(600)은 차량 고장사고 알림표시용 앱을 구동시켜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으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스마트폰(600)은 차량 고장사고 알림표시용 앱을 관리 서버(700)와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전달받아 설치완료한 다음, 차량 고장사고 알림표시용 앱에서 자체 제공되는 이미지 모음집 데이터 또는 단어 모음집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표시 데이터 저장 및 발췌부(400)에 전달한다.
즉, 스마트폰(600)은 차량 고장사고 알림표시용 앱을 이용해 이미지 모음집 데이터 또는 단어 모음집 데이터 중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골라 낸 다음 표시 데이터 저장 및 발췌부(400)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의 구동방법은 제 1, 2 레이저 빔의 전면 발광으로 포착된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촬영하고, 이동수단 고장 또는 사고시, 스위치 온 동작에 따라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후방 도로상에 표출시킴으로써, 도로 운행시 상시 일어날 만한 도로상에서의 차량고장 혹은 차량간 접촉 사고를 원인으로 한 연쇄반응으로 후방 이동수단의 전방 주시 의무에 대한 부재(不在)로 인한 2차, 3차에 걸친 상당히 우려될만한 충돌 및 인명사고의 발발을 미연에 방지하는 구동방법이다.
먼저, 램프부는 제 1, 2 레이저 빔을 전면에서 발광시킨다(S100).
배터리 표시부는 램프부에 공급하는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한다(S200).
영상 촬영부는 제 1 레이저 빔을 통해 포착된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송출한다(S300).
표시 데이터 저장 및 발췌부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기저장된 이미지 모음집 데이터 또는 단어 모음집 데이터 중 후방 이동수단에게 알리는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발췌한다(S400).
제어부는 이동수단 고장 또는 사고시, 스위치 온 동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램프부에 전달해 램프부의 제 2 레이저 빔에 대한 발광 동작을 제어한다(S140, S150).
제어부는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가 후방 도로상에 표출되는 제 1 레이저 빔 또는 제 2 레이저 빔의 조도가 업다운 볼륨기로 조절되도록 컨트롤한다(S16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100 : 램프부 200 : 배터리 표시부
300 : 영상 촬영부 400 : 표시 데이터 저장 및 발췌부
500 : 제어부 600 : 스마트폰
700 : 관리 서버

Claims (8)

  1. 제 1, 2 레이저 빔을 전면에서 발광시키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에 공급하는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
    제 1 레이저 빔을 통해 포착된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 신호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영상 촬영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기저장된 이미지 모음집 데이터 또는 단어 모음집 데이터 중 후방 이동수단에게 알리는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발췌하는 표시 데이터 저장 및 발췌부; 및
    이동수단 고장 또는 사고시, 스위치 온 동작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램프부에 전달해 상기 램프부의 제 2 레이저 빔에 대한 발광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가 후방 도로상에 표출되는 상기 제 1 레이저 빔 또는 제 2 레이저 빔의 조도가 업다운 볼륨기로 조절되도록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신호가 상기 근거리 통신망과 기연결된 스마트폰으로 전송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은 차량 고장사고 알림표시용 앱을 관리 서버와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전달받아 설치완료한 다음, 상기 차량 고장사고 알림표시용 앱을 구동시켜 상기 후방 이동수단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상기 차량 고장사고 알림표시용 앱에서 자체 제공되는 상기 이미지 모음집 데이터 또는 단어 모음집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표시 데이터 저장 및 발췌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2. 제 1 항에 있어서,
    외장 하단면에 기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탈부착 수단이 상기 이동수단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제 1 레이저 빔 또는 제 2 레이저 빔의 주사 방향이 고정 설정되며, 상기 제 1 레이저 빔 또는 제 2 레이저 빔이 상기 후방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 간의 이격거리 내에서 발광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이저 빔은,
    상기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가 상기 후방 이동수단이 이동하는 후방 도로면에 표출되도록 발광되거나, 상기 후방 도로면으로부터 10m 높이 범주 내에서 시그널 조명 형태로 전면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차량 고장사고 알림표시용 앱을 이용해 상기 이미지 모음집 데이터 또는 단어 모음집 데이터 중 상기 위험경고 표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위험경고 표시 단어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골라 낸 다음 상기 표시 데이터 저장 및 발췌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은,
    외장 양측면에 마련된 홀에 고정 브라켓을 결합시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부 지지하에 0 내지 180도의 조광 각도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 내 실장된 구동부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된 조광 각도 변경신호를 인지함에 따라, 상기 조광 각도 변경신호로부터 인지되는 상기 조광 각도로 자동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KR1020170019916A 2017-02-14 2017-02-14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KR10190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916A KR101908986B1 (ko) 2017-02-14 2017-02-14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916A KR101908986B1 (ko) 2017-02-14 2017-02-14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07A KR20180093607A (ko) 2018-08-22
KR101908986B1 true KR101908986B1 (ko) 2018-10-17

Family

ID=6345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916A KR101908986B1 (ko) 2017-02-14 2017-02-14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497B1 (ko) * 2020-12-12 2022-10-11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도로교통 사고 예방 스마트 랜턴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510B1 (ko) * 2012-01-16 2014-02-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장자동차 표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2787B1 (ko) * 2013-12-20 2015-01-1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 안전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385U (ko) 2006-12-29 2008-07-03 (주)에스엠세신메져스 경광등이 구비된 휴대용 랜턴
KR200441052Y1 (ko) 2007-01-02 2008-07-21 시진성 도로위험표시용 경고등
KR20100050003A (ko) 2008-11-04 2010-05-13 이병집 휴대용 비상 랜턴
KR200481435Y1 (ko) 2014-06-20 2016-09-30 (주)아이마이 멀티 랜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510B1 (ko) * 2012-01-16 2014-02-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장자동차 표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2787B1 (ko) * 2013-12-20 2015-01-1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 안전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07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9429B (zh) 车辆用照明装置、车辆系统及车辆
KR101689772B1 (ko) 후방 경고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사고 알림 방법
US10643468B2 (en) Traffic light control device, method, and system
US9679482B2 (en) Road and path lighting system
JP2019214373A (ja) 投射型表示装置
KR102077113B1 (ko) 클라우드 기반의 교통신호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956125B1 (ko) 어린이 보호구역용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US9792820B1 (en) Audible and visual alert warning system for approaching vehicles
US20140118553A1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KR101760025B1 (ko)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KR101829220B1 (ko) 횡단보도 안전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5148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로의 사고발생 경고 시스템
KR101223093B1 (ko) 도로 안전운전 표시장치
KR101658752B1 (ko)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
KR101843314B1 (ko) 도로주행 사고알림용 앱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080069568A1 (en) Interactive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 Between Cars And Its Method Of Use
KR101908986B1 (ko)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KR100793915B1 (ko) 교차로 감시시스템
KR101013685B1 (ko) 비상차선확보안내표시장치 및 방법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KR20170027032A (ko) 고속도로상의 야간 갓길주차 차량의 안전 주·정차를 위한 시스템
KR20170014998A (ko) 교통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JP2015001919A (ja) 誘導機能付き道路視認装置
KR20190076192A (ko)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동적 스마트 랜턴
JP2008195330A (ja) サイドミラーおよび注意喚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