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752B1 -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752B1
KR101658752B1 KR1020160054556A KR20160054556A KR101658752B1 KR 101658752 B1 KR101658752 B1 KR 101658752B1 KR 1020160054556 A KR1020160054556 A KR 1020160054556A KR 20160054556 A KR20160054556 A KR 20160054556A KR 101658752 B1 KR101658752 B1 KR 101658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afety device
flight safety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훈
Original Assignee
송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훈 filed Critical 송성훈
Priority to KR102016005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B64C25/56Floats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C2201/12
    • B64C2201/141
    • B64D2700/621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가 형성되며, 외부의 통신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비행안전장치의 기울기, 속도,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운행정보획득부와, 주변의 소리, 조도, 온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환경정보획득부와, 기 설정된 패턴으로 경고음 또는 조명을 출력하거나,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경고부와, 도로 상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운행정보를 변경하면서, 상기 경고부를 통해 전방 또는 후방 차량에 대해 차선 변경을 유도하도록 하는 안내모드 또는 상기 환경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수집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로 상 차량의 사고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FLIGHT SAFETY APPARATUS FOR GUIDING CAR AND DOCK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로 상에 긴급상황을 전방 또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자동차 도로에서 자동차 운행 중 발생한 사고 또는 차량 고장이 발생했을 때,교통경찰이 특정 목적으로 차량을 통제하기 위해 도로상에 정지해 있을 때,구급대원이 도로상에서 인명을 구조하고 있을 때, 견인차량이 차량을 견인하려고 도로상에 정차하고 있을 때, 도로정비 차량이 도로를 보수하기 위해 도로 위에 정차하고 있을 때 등 다양한 상황에서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과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후방에 안전삼각대나 불꽃신호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있다.
국가마다 안전삼각대 설치규정이 다르며, 한국의 경우 낮에는 후방 100m, 밤일 경우는 후방 200m에 삼각대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그러나, 차량이 빨리 달리는 도로에서 후방으로 이동해서 법규대로 안전삼각대를 설치하기에는 2차 사고의 위험성이 높으며, 삼각대를 설치하더라도 시야에 잘 뜨이지 않거나 지나가는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삼각대가 쓰러질 수 있으며, 특히 야간이나 안개 등의 발생하는 경우에 설치하는 것은 더 큰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사고 현장에서 삼각대를 설치하거나 불꽃신호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일반인뿐만 아니라 경찰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증거를 촬영하느라 후방에서 오는 차량을 인지 못해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도 있으며, 갓길이라고 안심하고 정차했다가 후방에서 오는 차량과의 2차 사고 사례나 후방 운전자가 한눈을 팔아서 삼각대를 인지하지 못하고 발생하는 사고, 경찰이 사고 현장을 정리하다가 발생하는 사고 등 다양한 유형의 2차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각적으로 더 잘 보이도록 하는 LED 삼각대나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트렁크에 부착하는 삼각대, 차량 위에 설치하는 삼각대 등 다양한 삼각대가 개발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후방에서 오는 차량에 경고를 주기에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간단한 조작으로 후방 차량에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 경고 신호를 보내서 효과적으로 재산과 인명을 보호해 줄 수 있는 방법이 매우 절실하다.
종래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3880호(2016년03월09일 등록)는 경계경보용 무인 비행체 및 이를 이용하는 경계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차량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제1 차량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이벤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차량으로 경계 정보를 전달하는 무인 비행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고차량에 이벤트가 발생시 후방차량에 고주파 신호로 사고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후방차량에 고주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로 상 차량의 사고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도로 사정에 따라 비행모드를 변경하면서 능동적으로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긴급차량 이동시 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전방차량의 운전자에게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가 형성되며, 외부의 통신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비행안전장치의 기울기, 속도,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운행정보획득부와, 주변의 소리, 조도, 온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환경정보획득부와, 기 설정된 패턴으로 경고음 또는 조명을 출력하거나,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경고부와, 도로 상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운행정보를 변경하면서, 상기 경고부를 통해 전방 또는 후방 차량에 대해 차선 변경을 유도하도록 하는 안내모드 또는 상기 환경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수집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정보 획득부를 통해 도로 상의 차선을 인식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차선의 위치를 상기 경고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차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안전장치가 긴급차량으로부터 경로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긴급차량의 진행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차량에 상기 경고부를 통해 차선 변경을 유도하도록 긴급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근접거리 이내에 물체가 감지되면 에어튜브가 팽창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행안전장치의 도킹시스템은, 도로 상의 이벤트에 대응하여 운행정보를 변경하면서, 전방 또는 후방 차량에 대해 차선 변경을 유도하도록 하는 안내모드 또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수집모드로 동작하는 비행안전장치 및 상기 비행안전장치로부터 상기 운행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외부의 안전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비행안전장치가 안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상기 비행안전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비행안전장치가 상기 몸체부 내에 안착된 경우, 상기 비행안전장치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여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의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비행안전장치가 외부 비행을 마친 후 상기 몸체부 내로 안착된 경우 상기 비행안전장치로부터 상기 운행정보 또는 상기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안전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 내부의 온도, 습도에 따라 상기 열교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로 상 차량의 사고시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로 사정에 따라 비행모드를 변경하면서 능동적으로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긴급차량 이동시 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전방차량의 운전자에게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비행안전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가 안내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안내모드로 동작중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의 경고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가 수집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2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중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행안전장치의 도킹시스템의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따른 도킹시스템의 몸체부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도 7에 따른 도킹시스템이 중계기 역할을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비행안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행안전시스템은 안전서버(10), 비행안전장치(100) 및 도킹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안전서버(10)는 비행안전장치(100)와 통신을 하며, 비행안전장치(100)의 운행을 제어하는 스케줄을 전송하거나, 비행안전장치(1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관리한다. 안전서버(10)는 경찰서, 소방서, 재난안전처 등에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안전서버(10)는 비행안전장치(100)로부터 직접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도킹시스템(200)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전서버(10)는 비행안전장치(100)의 동작모드에 따라 동작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행안전장치(100)가 안내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비행안전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근접한 경찰서, 소방서 등의 사회안전망에 신고할 수 있다. 비행안전장치(100)가 수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수집된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이를 경찰서, 보험회사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비행안전장치(100)는 복수의 프로펠러로 구동하는 무인비행장치로, 도로 위를 주행하면서 안전서버(10) 또는 도킹시스템(200)과 통신을 한다. 비행안전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도로 위를 비행하면서 차량의 고장, 사고 등 위험상황을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행안전장치(100)는 사고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사고 경위나 상황을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비행안전장치(100)는 도킹시스템(200)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수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비행안전장치(100)의 비행 스케줄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나, 설정된 상황에 따라 비행모드가 안내모드 또는 수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킹시스템(200)은 안전서버(10) 또는 비행안전장치(100)와 통신한다. 도킹시스템(200)은 비행안전장치(100)가 결합하면 전원의 상태를 파악하고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여 비행을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도킹시스템(200)은 비행안전장치(100)로부터 수집된 환경정보를 안전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킹시스템(200)은 비행안전장치(100)를 수용하면서 일정한 온도, 습도를 유지하면서 배터리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킹 시스템(200)은 비행안전장치(100)와 적외선 통신을 통해 착륙을 유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가 형성된다. 이 경우, 프로펠러의 개수 및 위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비행안전장치(100)는 자동으로 비행이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는 통신부(110), 운행정보 획득부(120), 환경정보획득부(130), 경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의 통신기기와 통신하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GPS,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3G/4G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110)는 외부의 긴급재난센터의 서버로 교통사고 또는 차량고장의 이벤트 상황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도킹스테이션에 도킹된 경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운행정보 획득부(120)는 비행안전장치(100)의 기울기, 속도,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획득한다. 운행정보 획득부(120)는 실시간으로 운행되는 비행안전장치(100)의 기록을 저장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비행안전장치(100)의 기울기, 속도,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행정보 획득부(120)는 비행안전장치(100)의 비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운행정보 획득부(120)는 비행안전장치(100)가 안내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수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따라 운행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환경정보 획득부(130)는 주변의 소리, 조도, 온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환경정보 획득부(130)는 차량의 사고 등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소리를 녹음하고 이를 저장한다. 이 경우, 차량에 의한 소음뿐만 아니라 사람에 의한 음성을 녹음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환경정보 획득부(130)는 주변의 조도,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에 의해 주변의 조도가 낮아지거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이를 화재로 감지하여 주변의 위치정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환경정보 획득부(130)는 조도를 감지하여 날씨의 변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주변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고 현장을 촬영할 수 있으며, 실시간 교통상황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사고 현장에 대한 영상은 이후 운전자 간의 과실비율을 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폐쇄회로카메라(CCTV)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도 교통상황 등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고부(140)는 기 설정된 패턴으로 경고음 또는 조명을 출력하거나,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경고부(140)는 경광등을 이용하여 조명을 출력하거나, 스피커(103)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경고부(140)는 도로 위에 차량 사고, 고장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시 사고의 발생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소방차, 응급차의 주행시 교차로 등에서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긴급차량의 진행을 알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고부(140)는 디스플레이(102)를 통해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1차선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1'이란 숫자를 출력하거나, 'X'라는 문자를 출력하거나, '→'와 같은 화살표 기호를 출력하여 후방의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고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문자는 '감속', '안개', '긴급', '사고'와 같은 문자를 직접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고부(140)는 차선의 위치에 따라 점멸되는 조명의 숫자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도로 상의 이벤트에 대응하여 운행정보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운행정보는 비행안전장치(100)의 속도, 방향, 가속도, 고도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제어부(150)는 경고부(140)를 통해 전방 또는 후방 차량에 대해 차선 변경을 유도하도록 하는 안내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차선을 변경을 유도하기 위해 기호, 문자, 도형의 신호 및 경고음 등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가 발생한 차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GPS와 내비게이션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차선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주변의 차량에 대한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차선의 패턴을 인식하여 차선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중앙분리대 또는 2줄의 실선을 중앙선으로 인식하고,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의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현재 차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수집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집모드의 경우 차선을 따라 이동한면서 주위의 환경정보를 획득한다. 환경정보는 주변의 소리, 조도, 온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수집모드의 경우 기 설정된 비행스케줄을 이용하여 전후좌우로 정해진 구역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비행안전장치(100)를 긴급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긴급모드란 차량이 소방차, 응급차, 행사용차량 등 긴급히 도로의 신호를 무시하고 주행해야 할 상황인 경우, 긴급차량으로부터 내비게이션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경로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를 앞서 비행하면서 주위의 차량들에게 후방에 긴급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경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행안전장치(100)는 긴급모드에서 긴급차량의 에스코트를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전방의 차량들은 후방에 긴급한 차량이 이동중임을 알고 차선을 양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는 완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60)는 기 설정된 근접거리 이내에 물체가 감지되면 에어튜브가 팽창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비행안전장치(100)의 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에어튜부는 비행안전장치(100)의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전개되어 몸체를 감싸도록 팽창될 수 있다. 이는 비행안전장치(100)가 외부적인 환경요인이나 내부적 원인에 의해 추락하는 경우 차량과의 충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는 소화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화부는 환경정보를 통해 도로 상의 차량에 화재를 감지하면 기 충전된 소화액을 분사한다. 소화부는 환경정보를 통해 감지되는 조도, 온도를 통해 화재위치를 추적하고,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사고 초기에 발생하는 발화현상으로부터 차량이 전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소화부는 도킹시스템으로부터 소화액을 재충전하여 반복적으로 소화액을 분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가 안내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안내모드로 동작중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의 경고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는 안내모드로 동작시에는 사고차량(301)의 후방 100m로 이동하여 6m 상공에서 사고차선 표시, 경광등(101) 및 사이렌 등을 작동시켜 후방차량으로 전방 위험 경고를 할 수 있다. 이는 공중의 신호등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후방의 차량은 전방에 사고차량(301)이 존재함을 인식하고 차선을 변경하거나 속도를 줄이면서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가 긴급모드로 동작시에는 긴급차량(301)으로부터 전송된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차량(301)으로부터 전방 100m로 이동하여 6m 상공에서 긴급차량(301)의 이용차선 표시, 경광등(101) 및 사이렌 등을 작동시켜 전방차량으로 후방에 긴급차량(301)이 있음을 경고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경광등(101)을 통해 점멸등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02)를 이용하여 기호, 문자, 도형의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02)는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의 몸체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에 형성된 스피커(103)를 통해 사이렌과 같은 경고음을 출력하여 전방 또는 후방의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다.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는 주야간에 따라 동작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주간모드에는 경고음을 출력하고, 야간모드에는 경광등(101) 또는 디스플레이(102)를 통한 기호, 문자, 도형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가 수집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는 수집모드로 동작시 차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고차량(501)의 주변의 영상, 음성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이는 사고차량(501)에 대한 사고원인분석 및 과실비율을 설정하는데 사용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고차량(501)에 장착된 블랙박스 이외에 주변의 사고환경을 추가로 획득하여 교통사고조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비행안전장치(100)는 사고차량(501)의 주변을 기 설정된 패턴으로 비행하면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또한,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는 사고차량(501)의 전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정보를 인식하여 블랙박스를 통해 녹화된 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차량에는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고차량(501)에 블랙박스와 같은 영상녹화장치가 있더라도 사고시 충격에 의해 복원이 불가능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중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는 완충부(160)를 통해 에어튜브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완충부(160)는 가스분사장치를 통해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가 비정상적인 운행을 하는 경우 추락의 위험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에어튜브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는 해안가 도로 등에서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100)가 추락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몸체의 하부로 에어튜브가 펼쳐지면서 보트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행안전장치의 도킹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행안전장치의 도킹시스템(200)은 몸체부(210), 통신부(220), 감지부(230), 충전부(240), 열교환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비행안전장치(100)가 안착되는 부재로, 내부에는 비행안전장치(100)에 대응하는 안착부(211)가 형성된다. 비행안전장치(100)는 몸체부(21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전원을 공급받으며, 수집한 환경정보를 데이터 전송하게 된다. 몸체부(21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경광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찰차, 소방차, 응급차의 경광등에 착탈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비행안전장치(100)를 이용하여 에스코트를 받을 수 있으며, 비행안전장치(100)를 이용하여 도로의 사고 차량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에 형성되어 트렁크를 개방하면서 비행안전장치(100)가 착탈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몸체부(210)는 외부의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안착부(211)의 상부에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비행안전장치(100)가 몸체부(210)로부터 이탈시에는 커버가 개방되며, 비행안전장치(100)가 몸체부(210)에 안착시에는 커버가 안착부(211) 상부를 폐쇄하여 비행안전장치(10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0)의 안착부(211)에는 레이저 송수신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비행안전장치(100)가 자동으로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신호는 출력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안착부(211)의 바닥면에 '+' 표시를 출력할 수 있으며, 비행안전장치(100)는 이러한 식별표시를 기초로 자세를 정렬한 뒤 안착하게 된다.
통신부(220)는 비행안전장치(100) 또는 안전서버와 통신한다. 이 경우, 비행안전장치(100) 및 안전서버는 도 1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감지부(230)는 몸체부(210) 내부의 온도, 습도 및 비행안전장치(100)의 위치를 감지한다. 감지부(230)는 몸체부(210) 내부의 환경을 감시하여 비행안전장치(100)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감지부(230)는 비행안전장치(100)가 안착부(211)에 안착되었는지 혹은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30)는 비행안전장치(100)가 안착부(211)에 안착된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충전부(240)는 비행안전장치(100)가 몸체부(210) 내에 안착된 경우, 비행안전장치(100)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여 외부의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부(240)는 비행안전장치(100)의 배터리를 교체할 수도 있으며, 유무선 전력통신을 통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행안전장치(100)의 배터리가 탈부착형인 경우, 배터리를 탈착한 후 충전된 배터리가 삽입되도록 하여 배터리를 교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부(250)는 감지부(230)를 통해 감지된 몸체부(210) 내부의 습도 및 온도 정보를 기초로 팬 구동을 통해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냉매 또는 전열선을 이용하여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부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냉각팬을 구동시켜 외부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260)는 비행안전장치(100)가 외부 비행을 마친 후 몸체부(210) 내로 안착된 경우 비행안전장치(100)로부터 운행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안전서버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부(260)는 기 설정된 전송스케줄에 따라 운행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안전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메모리를 이용하여 운행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자체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260)는 몸체부(210) 내부의 온도, 습도에 따라 열교환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또는 도 9와 같이 몸체부(21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밀폐된 공간에 수용되는 경우 내부 온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부(250)를 통해 적정 온도 및 습도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제어부(260)는 몸체부(2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위험수준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도킹시스템이 중계기 역할을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안전장치(100)의 도킹시스템(200)은 비행안전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을 중계하는 중계기로 이용할 수 있다. 도킹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 및 비행안전장치(100)와 네트워크 통신을 한다. 이 경우, 도킹시스템(200)과 사용자 단말은 미리 설정된 암호키를 공유하여 보안을 유지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킹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비행안전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도킹시스템(200)은 비행안전장치(100)로부터 운행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비행안전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안전서버
20 : 사용자 단말
100 : 비행안전장치
101 : 경광등
102 : 디스플레이
103 : 스피커
110 : 통신부
120 : 운행정보 획득부
130 : 환경정보 획득부
140 : 경고부
150 : 제어부
160 : 완충부
200 : 도킹시스템
210 : 몸체부
211 : 안착부
220 : 통신부
230 : 감지부
240 : 충전부
250 : 열교환부
260 : 제어부
301 : 사고차량
302 : 긴급차량
501 : 사고차량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가 형성되는 비행안전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통신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비행안전장치의 기울기, 속도,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운행정보획득부;
    주변의 소리, 조도, 온도,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환경정보획득부;
    기 설정된 패턴으로 경고음 또는 조명을 출력하거나,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경고부;
    기 설정된 근접거리 이내에 물체가 감지되면 에어튜브가 팽창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부; 및
    도로 상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운행정보를 변경하면서, 상기 경고부를 통해 전방 또는 후방 차량에 대해 차선 변경을 유도하도록 하는 안내모드 또는 상기 환경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수집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정보 획득부를 통해 도로 상의 차선을 인식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차선의 위치를 상기 경고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차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안전장치가 긴급차량으로부터 경로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긴급차량의 진행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차량에 상기 경고부를 통해 차선 변경을 유도하도록 긴급모드로 제어하는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4. 삭제
  5. 도로 상의 이벤트에 대응하여 운행정보를 변경하면서, 전방 또는 후방 차량에 대해 차선 변경을 유도하도록 하는 안내모드 또는 환경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수집모드로 동작하는 비행안전장치 및 상기 비행안전장치로부터 상기 운행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외부의 안전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비행안전장치가 안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상기 비행안전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비행안전장치가 상기 몸체부 내에 안착된 경우, 상기 비행안전장치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여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몸체부 내부의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비행안전장치가 외부 비행을 마친 후 상기 몸체부 내로 안착된 경우 상기 비행안전장치로부터 상기 운행정보 또는 상기 환경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안전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 내부의 온도, 습도에 따라 상기 열교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행안전장치의 도킹시스템.
KR1020160054556A 2016-05-03 2016-05-03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 KR101658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556A KR101658752B1 (ko) 2016-05-03 2016-05-03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556A KR101658752B1 (ko) 2016-05-03 2016-05-03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752B1 true KR101658752B1 (ko) 2016-09-21

Family

ID=5708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556A KR101658752B1 (ko) 2016-05-03 2016-05-03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7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6912A1 (en) * 2016-11-24 2018-05-30 DroneGrid BVBA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system
KR101871826B1 (ko) * 2017-08-25 2018-06-27 조현준 무인 비행 장치를 이용한 교통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9094122A1 (en) * 2017-11-07 2019-05-16 Intel Corporation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KR20200012360A (ko) * 2018-07-27 2020-02-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4440A (ko) * 2019-11-22 2021-06-03 류은재 드론을 이용한 고속도로 2차 사고예방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28B1 (ko) * 2015-08-27 2016-02-15 (주)삼성정보통신 이동식 교통 단속 시스템
KR101603880B1 (ko) * 2016-01-15 2016-03-25 강종수 경계경보용 무인 비행체 및 이를 이용하는 경계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28B1 (ko) * 2015-08-27 2016-02-15 (주)삼성정보통신 이동식 교통 단속 시스템
KR101603880B1 (ko) * 2016-01-15 2016-03-25 강종수 경계경보용 무인 비행체 및 이를 이용하는 경계경보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6912A1 (en) * 2016-11-24 2018-05-30 DroneGrid BVBA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system
KR101871826B1 (ko) * 2017-08-25 2018-06-27 조현준 무인 비행 장치를 이용한 교통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9094122A1 (en) * 2017-11-07 2019-05-16 Intel Corporation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KR20200012360A (ko) * 2018-07-27 2020-02-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284660B1 (ko) * 2018-07-27 2021-08-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도로 사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4440A (ko) * 2019-11-22 2021-06-03 류은재 드론을 이용한 고속도로 2차 사고예방 시스템
KR102274293B1 (ko) 2019-11-22 2021-07-09 류은재 드론을 이용한 고속도로 2차 사고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752B1 (ko) 차량유도용 비행안전장치 및 그 도킹시스템
US11039055B2 (en) Video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JP5819555B1 (ja) 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
KR101689772B1 (ko) 후방 경고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사고 알림 방법
CN110545380B (zh) 用于数据通信的视频系统和方法
US9564049B2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KR102527245B1 (ko) 드론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26894A1 (ko) 추락 경고장치 및 이를 갖춘 무인항공기
US9875653B2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KR102265726B1 (ko) 작업자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용 철도 차량 접근 원격 알람 시스템
JP2018084955A (ja) 無人航空機
KR102042050B1 (ko) 드론을 이용한 차량 검문 및 단속 장치
JP2023510324A (ja) 車両交通をチャネル化し、作業ゾーンの安全性を強化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2188462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열차용 안전 운전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04145B1 (ko) 램프 역주행 방지시스템
KR101958191B1 (ko) 도로용 비상상황 경보 시스템
KR20190052849A (ko) 차량의 드론 이착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6382253A (zh) 一种用于无人车应急救援的系统及方法
CN111429752A (zh) 用于机动车辆的故障警示方法和系统
CN115968489A (zh) 路边检测和警报系统及方法
KR101908986B1 (ko) 도로교통 사고 방지용 스마트 랜턴
KR20190019644A (ko) 인공 지능형 드론 및 그의 동작방법
US20240119834A1 (en) Automotive Drone Reconnaissance, Navigation, and Emergency Assistance
CN114187761A (zh) 道路养护作业提示设备、系统及方法
KR20220104080A (ko) 드론을 활용한 교통사고 알림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교통사고 알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