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119B1 -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119B1
KR102248119B1 KR1020200027771A KR20200027771A KR102248119B1 KR 102248119 B1 KR102248119 B1 KR 102248119B1 KR 1020200027771 A KR1020200027771 A KR 1020200027771A KR 20200027771 A KR20200027771 A KR 20200027771A KR 102248119 B1 KR102248119 B1 KR 102248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ommunication unit
terminal
communication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동
강준혁
안원환
이희근
김영찬
방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to KR102020002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옥상 및 지면 각각에 제1 및 제2통신부를 설치하고, 작업단말기와 추락방지대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의 통신거리 범위에서 달비계를 통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업구간에 해당하는 위치의 최상부에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을 설치하는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 설치 확인단계(S1)와; 최상 및 최하에 구성된 제1 및 제2통신부 각각을 활성화시키는 제1 및 제2통신부 활성화단계(S2)와; 안전구명줄에 추락방지대를 설치하고, 작업단말기를 활성화시켜 상기 추락방지대와 연결되었지를 확인하는 작업단말기 및 추락방지대 연결상태 확인단계(S3)와; 온(ON) 상태의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연결상태 확인단계(S4)와; 작업자가 작업단말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시작 단계(S5); 및 제2통신부의 통신거리에 작업단말기를 위치시켜 작업이 종료됨을 확인시키는 작업종료 확인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FALL PREVENTION SYSTEM OF SUSPENDED SCAFFOLD USING IoT}
본 발명은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이하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이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옥상 및 지면 각각에 제1 및 제2통신부를 설치하고, 작업단말기와 추락방지대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의 통신거리 범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여 작업자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비계는,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로프로 매달아 임시로 설치한 가설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달비계는, 건물의 도장, 청소, 보수, 검사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건물의 옥상에 로프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로프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한 후 아래로 내려가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달비계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작업용 주로프(10)와, 옥상에서 지면까지 늘어뜨려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수직구명줄(20)(이하 '안전구명줄'이라 한다)과, 상기 주로프(10)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탑승과 함께 작업에 사용되는 물품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작업대(30)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50)와, 상기 안전대(50)와 안전구명줄(20)을 연결하는 죔줄인 구명로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달비계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에 설치된 로프 고정점이 견고하게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주로프(10)와 안전구명줄(20)을 지상으로 내려 지면에 닿았는지를 확인한다.
이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프(10)와 안전구명줄(20)을 고정점에 묶고 풀림방지 시건 조치를 한 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프(10)에 샤클(Shackle)을 걸고 작업대(30)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프(10)에 부착된 작업대(30)를 외부로 거치하고, 로프와 건물벽체 접속부에 로프 보호대(70)를 설치한다.
이어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50)를 안전구명줄(20)에 부착하고, 로프가 지면에 닿았는지를 확인한 후,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30)에 탑승하여 작업을 한다.
또한 도 3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50)와 안전구명줄(20) 사이에는, 작업용 주로프(10)가 절단 또는 풀리거나 로프 고정점이 파손되어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대(60)가 구비된다.
그런데 일부 작업자들이, 작업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 등으로 상기 추락방지대(60)를 안전구명줄(20)에 부착하지 않고 작업을 하는 경우가 있다.
2017년 산업재해 통계에 의하면, 산업재해 사망자(506명) 중 52%가 건설업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에서 54%가 추락에 의해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에서 27%가 비계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최근 5년간 추락사고 통계에 의하면, 추락사고가 강관비계에서 44%, 사다리에서 20%, 달비계에서 13%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15년간 사고 재해자 중 달비계에서의 재해원인을 살펴보면, 로프풀림이 39%, 불안전행동이 28%, 로프 파단이 15%, 로프 고정점 파손이 15%, 로프 길이 부족 등 기타 이유가 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안전구명줄 설치 및 안전대 착용여부에 따른 재해자수를 살펴보면, 안전구명줄을 설치한 경우가 22%, 안전구명줄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가 78%로 나타났다.
그리고 안전구명줄을 설치하지 않았거나 안전구명줄을 설치하고도 안전대 미착용 또는 미부착한 경우가 전체 재해자의 98%를 차지하였고, 안전대를 안전구명줄에 부착한 경우는 2%에 불과하였다. 상기 2%의 재해원인은 추락방지대 반대방향 설치 및 원인 미상으로 분석되었다.
즉 안전구명줄 설치와 안전대 부착이 추락사고를 크게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달비계 작업방식에 의하면, 일부 작업자들이 작업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안전대를 안전구명줄에 부착하지 않고 작업을 하더라도, 현장에서 이를 확인하고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재해사례 분석에 의하면,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하고도 이를 안전구명줄에 부착하지 않아 발생한 사고 점유율이 1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한 후 이를 안전구명줄에 부착하였는지의 여부를 효과적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안전대와 안전구명줄을 연결하는 추락방지대가 장시간 사용에 의해 헐거워졌음에도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지 않고 작업을 하다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335420호(2013.12.02. 공고) 대한민국 특허 제10-1426315호(2014.08.0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85905호(2018.07.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하고 이를 안전구명줄에 부착하였는지의 여부를 효율적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한 후에 반드시 안전구명줄에 부착하도록 유도하여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락방지대에 안전구명줄이 불완전하게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을 경우, 경고등을 발광 또는 점멸하고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구간에 해당하는 위치의 최상부에 안전구명줄을 설치하고 확인하는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 설치 확인단계와; 상기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 설치 확인단계를 통해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의 설치가 완료되면, 최상 및 최하에 구성된 제1 및 제2통신부 각각을 활성화시키는 제1 및 제2통신부 활성화단계와; 안전구명줄에 추락방지대를 설치하고, 작업단말기를 활성화시킴과 함께 상기 추락방지대와 연결되었지를 확인하는 작업단말기 및 추락방지대 연결상태 확인단계와; 상기 작업단말기 및 추락방지대 연결상태 확인단계 이후, 온(ON) 상태가 된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연결상태 확인단계와; 상기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연결상태 확인단계를 통해 제1통신부와 작업단말기 및 추락방지대의 연결이 정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되면, 작업자는 작업단말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달비계를 통해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시작 단계; 및 작업이 종료된 후, 제2통신부의 통신거리에 작업단말기를 위치시켜 작업이 종료됨을 확인시키는 제2통신부를 통한 작업종료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락방지대에 안전구명줄이 불완전하게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을 경우, 경광등을 발광 또는 점멸시키는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와 작업단말기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단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일단을 밀폐시도록 구성되는 덮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터리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수납함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는 PCB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기기들의 연결상태에 따라 육안으로 쉽게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의 색상을 발광하는 LED;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성되어 기기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와 작업단말기는 비콘 통신방식을 이용하고; 상기 제1통신부는 작업자가 작업구간을 벗어났는지를 판별하도록 5 ~ 50m의 통신거리를 갖고, 상기 제2통신부는 작업완료에 따라 작업자가 지면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별하도록 0.2 ~ 1m의 통신거리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통신부는, 로프 끝단이 바닥면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하는 초음파 센서 또는 고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단말기가, 작업자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대는, 안전구명줄이 삽입되어 위험상황시 추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전구명줄을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성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도록 일단이 개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일단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는 덮개와;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안전구명줄의 삽입 여부를 센싱하는 접촉센서; 및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어, 상기 접촉센서에서 제공되는 센싱신호를 통해 안전구명줄 및 몸체 사이의 설치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작업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P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옥상 및 지면 각각에 제1 및 제2통신부를 설치하고, 작업단말기와 추락방지대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의 통신거리 범위에서 달비계를 통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현장에서 작업자의 통제 및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단말기와 안전구명줄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대 사이의 연결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대에 안전구명줄이 불완전하게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을 경우, 작업단말기에서 경고등을 점멸하고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고등 점멸 또는 경고음 발생시 통신기능을 통해 지정된 관리자에게 문자 등으로 송신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달비계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2f는 일반적인 달비계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달비계에 사용되는 추락방지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통신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통신부(100)(200)와, 작업단말기(300) 및 추락방지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통신부(100)는, 달비계의 작업공간에서 최상부에 위치된 지점, 예컨대 건물의 옥상 등에 구성되어, 작업단말기(300)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2통신부(200)는, 달비계의 작업공간에서 최하부에 위치된 지점, 예컨대 건물이 위치한 지면 등에 구성되어, 작업자 안전하게 지면에 도달하여 작업의 종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00)(200)는, 작업단말기(300)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통신이 가능한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비콘(Beacon)통신, 인공위성통신, 무선랜(WiFi/WLAN/Wireless LAN), 와이브로(Wibro), 이동통신,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 초음파통신, 지그비(Zigbee), RF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통신방식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중에서 제1 및 제2통신부(100)(200)는, 비콘통신 방식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콘통신 방식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서, 0.2 ~ 50m의 범위까지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달비계를 이용한 작업에서 작업구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통신 방식은, 소형 배터리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모든 기기가 항상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통신부(100)는, 건물에서 달비계를 통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5 ~ 50m의 통신거리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통신부(200)는, 작업자의 작업종료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므로, 0.2 ~ 1m의 통신거리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통신부(200)는, 초음파 센서 또는 고도 센서 등의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건물 상부에서 로프를 하부로 내릴 때 로프 끝단이 바닥면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로프를 짧게 설치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00)(200)는, 본체(120)(220)와, 덮개(130)(230)와, 배터리수납함(140)(240)과, PCB(150)(250)와, 부저(160)(260)와, LED(170)(270) 및 스위치(180)(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20)(220)는, 내부에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130)(230)는, 상기 본체(120)(220)의 개방된 일단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120)(220)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배터리수납함(140)(240)은, 상기 본체(120)(22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일회성 배터리 또는 충전용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PCB(150)(250)는, 제1 및 제2통신부(100)(200)의 통신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부저(160)(260)는, 상기 본체(120)(220)의 내부에 구성되어, PCB(150)(250)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상기 LED(170)(270)는, 상기 본체(120)(220)의 내부에 구성되어, 기기별 연결상태 또는 위험상태를 색상으로 구분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쉽게 현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LED(170)(270)는, 작업단말기(300)와 연결이 되지않을 경우에는 적색등, 작업단말기(300)와 연결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녹색등이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180)(280)는, 상기 본체(120)(2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제1 및 제2통신부(100)(200)의 작동여부 및 모드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180)(280)는, 전원의 온(ON)/오프(OFF) 및 모드선택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00)(200)는, 관계자 이외가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건장치가 구성된 함체형상의 수납함(500)에 보관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00)(200)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휴대하면서 작업구간에 따라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단말기(300)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컴팩트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추락방지대(400)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 및 제1통신부(1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위험상황인지의 여부 등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휴대전화, 인터넷 등과 연동하여 관리자에게 문자 등의 신호를 보내 실시간으로 위험상황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이 완료되면, 제2통신부(200)에 연결되어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업단말기(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20)와, 덮개(330)와, 배터리수납함(340)과, PCB(350)와, 부저(360)와, LED(370)와, 스위치(380) 및 클램프(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320)는, 내부에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330)는, 상기 본체(320)의 개방된 일단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320)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배터리수납함(340)은, 상기 본체(32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일회성 배터리 또는 충전용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PCB(350)는, 작업단말기(300)의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부저(360)는, 상기 본체(320)의 내부에 구성되어, PCB(350)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상기 LED(370)는, 상기 본체(320)의 내부에 구성되어, PCB(350)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기별 연결상태 또는 위험상태를 색상별로 구분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현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LED(370)는, 제1 또는 제2통신부(100)(200)와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황색등, 제1 또는 제2통신부(100)(200)와 연결되고 추락방지대(400)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녹색등, 제1 또는 제2통신부(100)(200)와 연결되고 추락방지대(400)와 연결되지 않으면 적색등이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380)는, 상기 본체(32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단말기(300)의 작동여부 및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390)는, 본체(320)의 일측 예컨대, 덮개(330)의 일단에 구성되어, 작업자가 휴대 또는 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100)(200)와 작업단말기(300)는 서로 유사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락방지대(400)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50)와 안전구명줄(20)을 연결하여 작업중 추락사고를 방지한다.
상기 추락방지대(400)의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되는 구성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추락방지대(400)는, 몸체(410)와, 케이싱(420)과, 덮개(430)와, 접촉센서(440) 및 PCB(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420)은,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고, 상기 케이싱(420)의 일단은 일회성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430)는, 상기 케이싱(420)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한다.
상기 접촉센서(440)는, 상기 몸체(410)의 일측 즉, 안전구명줄(20)이 삽입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410)에 안전구명줄(20)이 안정적으로 삽입되었지를 센싱한다.
상기 접촉센서(440)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또는 직접적인 접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버클(Buckle), 래칫(Rachet)과 같은 기계적 등과 같은 구조, 또는 근거리 센서, 적외선센서와 같은 비접촉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PCB(450)는, 상기 접촉센서(440)에서 발생되는 안전구명줄(20)의 삽입여부에 대한 센싱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작업단말기(30)로 전송한다.
상기 추락방지대(400)에는 별도의 전원스위치가 구비되지 않고, 작업단말기(30)가 온(ON)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추락방지대(400)에 스위치를 구비하여 작동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의 작용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은,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 설치 확인단계(S1)와, 제1 및 제2통신부 활성화단계(S2)와, 작업단말기 및 추락방지대 연결상태 확인단계(S3)와,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연결상태 확인단계(S4)와, 작업시작 단계(S5), 및 작업종료시 제2통신부를 통한 작업종료 확인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 설치 확인단계(S1)는, 작업구간에 해당하는 위치의 최상부에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을 설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 활성화단계(S2)는,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의 설치가 완료되면, 최상 및 최하에 구비된 제1 및 제2통신부(100)(200) 각각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
즉, 제1 및 제2통신부(100)(200)의 일측에 구성된 스위치(180)(280)를 3초 정도 누르면 온(ON) 상태가 되고, 정상작동일 경우에는 녹색등이 점등 또는 점멸된다.
상기 작업단말기 및 추락방지대 연결상태 확인단계(S3)는, 안전구명줄(20)에 추락방지대(40)를 설치하고, 작업단말기를 활성화시킴과 함께 상기 추락방지대와 연결되었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때 작업단말기(300)에 구비된 스위치(380)를 3초 정도 누르면 전원이 온(ON)되고, 이러한 작업단말기(300)의 온(ON)에 의해 상기 작업단말기(300)와 추락방지대(400)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연결상태 확인단계(S4)는, 상기 작업단말기 및 추락방지대 연결상태 확인단계(S3)가 이루어지면, 온(ON) 상태가 된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작업단말기(300)에서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면, 이미 온(ON) 상태가 된 제1통신부(100)의 비콘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작업단말기(300)를 인식함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제1통신부(100)와 작업단말기(300)의 연결이 활성화된다.
예컨대, 작업단말기(300)에서는 제1통신부(100)의 연결 및 추락방지대(400)의 설치가 완료되어 정상 연결일 경우에는 녹색등이 점등 또는 점멸되고, 제1통신부(100)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황색등이 점등 또는 점멸과 함께 부저(360)에서 경고음이 함께 발생한다.
또한 제1통신부(100) 연결불량 및 추락방지대(400)의 설치가 불안전할 경우에는, 적색등이 점등 또는 점멸과 함께 부저(360)에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작업단말기(300)의 정상작동이 확인되면, 작업자가 상기 작업단말기(300)에 구비된 클램프(390)를 이용하여 이를 착용한다.
상기 작업시작 단계(S5)는, 상기 제1통신부(100)와 작업단말기(300) 및 추락방지대(400)의 연결이 정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된 후, 작업자가 작업단말기(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대에 탑승하여 작업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작업 중에 작업자가 착용한 작업단말기(300)가 제1통신부(100)의 통신거리를 벗어날 경우에는, 상기 작업단말기(300)의 LED(370)에서 적색등이 점등 또는 점멸됨 함께 부저(360)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작업 중 추락방지대(400)에 삽입된 안전구명줄(20)이 단락 또는 기타 의 이유 등에 의하여 접촉센서(440)에서 안전구명줄(20)의 삽입에 대한 센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1통신부(100)와 작업단말기(300)에 적색등이 점등 또는 점멸됨과 함께 부저(160)(360)에서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이 중단되도록 한다.
제2통신부를 통한 작업종료 확인단계(S6)는, 작업이 종료된 후 제2통신부의 통신거리에 작업단말기(300)를 위치시켜 작업이 종료됨을 확인시키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제2통신부(200)의 통신거리는 0.2 ~ 1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옥상 및 지면 각각에 제1 및 제2통신부를 설치하고, 작업단말기와 추락방지대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의 통신거리 범위에서 달비계를 통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주로프 20: 안전구명줄
30: 작업대 40: 구명로프
50: 안전대 60: 추락방지대
70: 로프 보호대
100: 제1통신부 120, 220: 본체
130, 230: 덮개 140, 240: 배터리수납함
150, 250: PCB(Printed Circuit Board)
260: 부저(Buzzer)
170, 270: LED(Light Emitting Diode)
180, 280: 스위치(Switch)
200: 제2통신부 300: 작업단말기
320: 본체 330: 덮개
340: 배터리수납함 250: PCB
360: 부저 370: LED
380: 스위치 390: 클램프(Clamp)
400: 추락방지대 410: 몸체
420: 케이싱(Casing) 430: 덮개
440: 접촉센서 450: PCB

Claims (7)

  1. 작업구간에 해당하는 위치의 최상부에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을 설치하는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 설치 확인단계(S1)와;
    상기 S1 단계 이후, 최상 및 최하에 구성된 제1 및 제2통신부 각각을 활성화시키는 제1 및 제2통신부 활성화단계(S2)와;
    안전구명줄에 추락방지대를 설치하고, 작업단말기를 활성화시켜 상기 추락방지대와 연결되었지를 확인하는 작업단말기 및 추락방지대 연결상태 확인단계(S3)와;
    상기 S3 단계 이후, 온(ON) 상태의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연결상태 확인단계(S4)와;
    상기 S4 단계 이후, 작업자가 작업단말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시작 단계(S5); 및
    작업이 종료된 후, 제2통신부의 통신거리에 작업단말기를 위치시켜 작업이 종료됨을 확인시키는 작업종료 확인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추락방지대에 안전구명줄이 불완전하게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을 경우, 경광등을 발광 또는 점멸시키는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및 제2통신부와 작업단말기(100)(200)(30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단이 개방된 본체(120)(220)(320)와;
    상기 본체(120)(220)(320)의 개방된 일단을 밀폐시도록 구성되는 덮개 (130)(230)(330)와;
    상기 본체(120)(220)(320)의 내부에 배터리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수납함(140)(240)(340)과;
    상기 본체(120)(220)(320)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는 PCB(150)(250)(350)와;
    상기 본체(120)(220)(320)에 내장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저 (160)(260)(360)와;
    상기 본체(120)(220)(320)에 내장되고, 기기들의 연결상태에 따라 육안으로 쉽게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의 색상을 발광하는 LED(170)(270)(370); 및
    상기 본체(120)(220)(320)의 일측에 구성되어 기기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180)(280)(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와 작업단말기(100)(200)(300)는 비콘(Beacon) 통신방식을 이용하고,
    상기 제1통신부(100)는, 작업자가 작업구간을 벗어났는지를 판별하도록 5 ~ 50m의 통신거리를 갖고,
    상기 제2통신부(200)는, 작업완료에 따라 작업자가 지면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별하도록 0.2 ~ 1m의 통신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부(200)는, 로프 끝단이 바닥면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하는 초음파 센서 또는 고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업단말기(300)는,
    작업자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클램프(3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대(400)는,
    안전구명줄(20)이 삽입되어 위험상황시 추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전구명줄(20)을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 구성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도록 일단이 개방되는 케이싱(420)과;
    상기 케이싱(420)의 개방된 일단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는 덮개(430)와;
    상기 몸체(410)에 삽입되는 안전구명줄(20)의 삽입 여부를 센싱하는 접촉센서(440); 및
    상기 케이싱(420)에 내장되어, 상기 접촉센서(440)에서 제공되는 센싱신호를 통해 안전구명줄(20) 및 몸체(410) 사이의 설치상태를 작업단말기에 제공 하는 PCB(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KR1020200027771A 2020-03-05 2020-03-05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KR102248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71A KR102248119B1 (ko) 2020-03-05 2020-03-05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71A KR102248119B1 (ko) 2020-03-05 2020-03-05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119B1 true KR102248119B1 (ko) 2021-05-06

Family

ID=7591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771A KR102248119B1 (ko) 2020-03-05 2020-03-05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1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757B1 (ko) * 2022-01-14 2022-04-27 초연결 주식회사 시스템형 달 비계 작업용 로프
KR102427494B1 (ko) 2021-11-26 2022-08-01 배정하 작업자 추락시 충격완화장치
KR102431694B1 (ko) 2021-11-26 2022-08-11 성봉안전 (주)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KR20240062466A (ko) 2022-11-01 2024-05-0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IoT를 활용한 추락방지대 체결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479A (ja) * 1993-06-28 1995-01-13 Tec:Kk 昇降装置
KR101335420B1 (ko) 2012-09-05 2013-12-02 강민구 달비계
KR101426315B1 (ko) 2014-05-14 2014-08-05 유지씨 주식회사 달비계 작업용 로프의 2중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 시공방법
KR20160109783A (ko) * 2015-03-13 2016-09-21 유명옥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80085905A (ko) 2017-01-20 2018-07-30 이재성 달비계
KR20180095261A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영신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WO2018178780A2 (en) * 2017-03-31 2018-10-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 protection equipment connection status and control
KR101951119B1 (ko) * 2017-09-28 2019-02-21 이태훈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CN110725529A (zh) * 2019-11-29 2020-01-24 苏州市协进升降设备有限公司 一种简易升降脚手架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479A (ja) * 1993-06-28 1995-01-13 Tec:Kk 昇降装置
KR101335420B1 (ko) 2012-09-05 2013-12-02 강민구 달비계
KR101426315B1 (ko) 2014-05-14 2014-08-05 유지씨 주식회사 달비계 작업용 로프의 2중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 시공방법
KR20160109783A (ko) * 2015-03-13 2016-09-21 유명옥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80085905A (ko) 2017-01-20 2018-07-30 이재성 달비계
KR20180095261A (ko) * 2017-02-17 2018-08-27 주식회사 영신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WO2018178780A2 (en) * 2017-03-31 2018-10-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 protection equipment connection status and control
KR101951119B1 (ko) * 2017-09-28 2019-02-21 이태훈 건설 현장 위험 알림 장치
CN110725529A (zh) * 2019-11-29 2020-01-24 苏州市协进升降设备有限公司 一种简易升降脚手架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494B1 (ko) 2021-11-26 2022-08-01 배정하 작업자 추락시 충격완화장치
KR102431694B1 (ko) 2021-11-26 2022-08-11 성봉안전 (주)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KR102468707B1 (ko) 2021-11-26 2022-11-17 배정하 실시간 작업자 안전장치
KR102498807B1 (ko) 2021-11-26 2023-02-10 성봉안전 (주) 작업자 안전구조물
KR102390757B1 (ko) * 2022-01-14 2022-04-27 초연결 주식회사 시스템형 달 비계 작업용 로프
KR20240062466A (ko) 2022-11-01 2024-05-0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IoT를 활용한 추락방지대 체결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119B1 (ko)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CN1165479C (zh) 升降机机修工的自动保护
KR101886158B1 (ko) IoT기반의 현장안전관리시스템
KR101587591B1 (ko) 광산 통합 중앙관리 시스템
US10081981B2 (en) Ladder with lights
KR102278038B1 (ko)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US10232198B2 (en) Method for detecting a fall of a worker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fall of a worker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219517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CN113284317A (zh) 一种登高作业监控系统和方法
US20080117064A1 (en) Fire detector having a lifting function
KR102055418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WO2006109911A1 (en) Emergency escape guide apparatus
US8730030B2 (en) Hazard/perimeter safety system
KR101765330B1 (ko) 임시소방장치가 수용된 이동카트 및 이를 이용한 화재관리시스템
US20210343125A1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896540B1 (ko) 화재안전 엘이디조명 시스템
KR20200066796A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KR102250667B1 (ko) 위험지역 접근시 경보발생 시스템
KR102032333B1 (ko) 건설현장용 비상유도 경보장치
KR20210000451A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CN105844854A (zh) 检修作业中使用的警示器
ITPI20070015A1 (it) Dispositivo di rilevamento di pericoli elettrici
KR20180035303A (ko) 휴대용 랜턴
KR20240062466A (ko) IoT를 활용한 추락방지대 체결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