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507B1 -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507B1
KR102538507B1 KR1020220133725A KR20220133725A KR102538507B1 KR 102538507 B1 KR102538507 B1 KR 102538507B1 KR 1020220133725 A KR1020220133725 A KR 1020220133725A KR 20220133725 A KR20220133725 A KR 20220133725A KR 102538507 B1 KR102538507 B1 KR 10253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er
body motion
identified
safe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강현덕
Original Assignee
(주)하이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브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하이브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3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7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을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된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상황,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ORKER SAFETY MANAGEMENT SERVICE}
본 개시는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서 작업자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작업자들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알림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전파 및 공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는 다양한 기술 분야의 작업자들이 배치되어 작업을 수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산업 현장에서 다수의 작업자들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모든 작업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작업 종류 및 주변의 환경 요인들로 인해 실제 작업자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작업자들 또는 작업자들이 일하는 작업 공간에 미리 설치됨으로써 작업자의 상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 사이의 연계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 관리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2086259호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을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 제한 구역 진입 상황,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 상황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위험 상황을 식별하고, 위험 상황 발생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할 수 있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을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된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상황,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모니터링 대상 공강 내 작업자들을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된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상황,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되는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상기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상기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식별되는 경우,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비콘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비콘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서 획득된 가스 센싱 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모 장치; 상기 작업자들의 신체에 작용됨으로써,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또는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생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밴드; 및 상기 작업자들의 신발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복수의 압력 센서들의 위치에서 측정된 압력 분포 값을 나타내는 복수의 스펙트럼 정보들을 포함하는 족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족압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인솔;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을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된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상황,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서 작업자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들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다양한 종류의 모니터링 정보들을 이용하여 작업자들의 상태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을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출입 제한 구역에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유해 가스 누출로 인한 위험 상황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낙상 사고 발생으로 인한 위험 상황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위험 상황 발생을 식별함에 따른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낙상 사고 발생에 따른 위험 상황을 식별하고 이에 따른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낙상 사고 발생에 따른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중심 경로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 인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사업장, 공사, 작업자, 출입제한 구역 별로 서로 다른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작업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산업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이 제공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는 출입 제한 구역에 근로자가 접근하거나, 유해 가스 누출 상황이 발생하거나, 낙상 사고와 같은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사고를 알리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함으로써 관리자 및 위험 상황에 처한 근로자의 동료 근로자들이 상황을 신속하게 인식하도록 하고, 동시에 위험 상황의 신속한 인식을 통해 위험 상황이 신속하게 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서버(110), 관리자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관리자 단말, 작업자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작업자 단말, 미리 설정된 주기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 장치, 작업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됨으로써 생체 정보 또는 족압 정보를 획득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더 적은 구성 요소로 마련될 수 있다.
서버(110)는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수행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식별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작업 현장 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들에 전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단말(130), 작업자 단말(120), 낙상 감지 모듈(140), 작업모 장치(1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작업자 인증 정보,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정보, 유해 가스 발생 정보, 낙상 사고 발생 정보, 출입 제한 정보, 출입 제한 예외 정보, 사고 또는 위험 상황 발생시 경고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110)는 관리자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관리자 단말로 사업장 단위, 공사 프로젝트 단위, 작업자 단위 별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관리자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자 단말(130)을 통해 사업장 단위, 공사 프로젝트 단위, 작업자 단위 별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작업자 인증용 크레딧을 발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110)가 제공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는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작업자 단말들이 접근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유해 가스가 누출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하는 작업자들에 대해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와 같은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는 동작, 전파된 경고 컨텐츠를 통해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에 따른 서버(110)가 제공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작업자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작업자 단말(120)은 출입 제한 구역 내부, 경계 또는 출입 제한 구역 외부 또는 출입 제한 구역에 인접한 곳에 미리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비콘 신호의 수신신호강도 세기 값 또는 송신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단말(120)은 비콘 신호에 대한 정보, 작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서버(110)로 전송함으로써, 작업자 단말(120)이 출입 제한 구역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120)은 작업자의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스마트 밴드(142), 스마트 인솔(144)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센서들이 부착되는 작업모(150)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단말(120)은 스마트 밴드(142)와 실시간 연동함으로써 작업자(150)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스마트 인솔(144)과 실시간 연동함으로써 족압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획득된 생체 정보 또는 족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120)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160), 스마트 밴드(142), 스마트 인솔(144) 또는 작업모(150)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출입 제한 구역 내부에 위치하였는지 여부, 유해 가스가 누출된 상황인지 여부, 작업자에 대한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스스로 식별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스스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작업자 단말(120)과 연결된 서버, 다른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 또는 관리자용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단말(120)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160), 스마트 밴드(142), 스마트 인솔(144) 또는 작업모(150)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서버(110)로 전송하고, 서버(110)로부터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작업자 단말(120)는 작업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작업에 적합한 작업자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120)은 관리자 단말(130)에 의해 출입 제한 구역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출입 제한 구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변경된 출입 제한 구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상기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단말(120)은 작업자 단말(120)이 출입 제한 구역에 위치하게 되거나,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게 되거나(또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되거나), 유해 가스 누출 상황이 발생하거나, 작업자 단말(120)을 사용하는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와 같은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작업자 단말과 연결된 다른 작업자 단말,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파함으로써, 작업자 단말(120)을 이용하는 작업자의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관리자용 단말(130)은 사업장 단위, 공사 프로젝트 단위, 작업자 단위로 현재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 투입된 작업자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용 단말(130)은 관리자용 단말과 연결된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들의 실시간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 정보 또는 현재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관리자용 단말(130)은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출입 제한 구역을 설정하거나,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기 설정된 출입 제한 구역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리자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출입 제한 구역을 새로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관리자용 단말(130)은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들의 상태 정보,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고서를 관리자용 단말(130) 또는 서버(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서버(210), 작업자 단말(220), 관리자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관리자 장치(230), 유해 가스 감지 모듈(252)이 설치되는 작업모, 스마트 밴드(242) 및 스마트 인솔(244)을 포함하는 낙상 감지 모듈(240) 및 비콘 장치(2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더 적은 구성 요소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210)는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및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210)는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크레딧을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10)는 단위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공사 일 수 및 작업자 수를 곱한 값만큼의 인증 크레딧을 발행하고,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작업자 단말(220)의 사용자가 작업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발행된 인증 크레딧의 일부를 차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단말(220)은 낙상 감지 모듈(240)에 포함된 스마트 인솔(244)로부터 족압 정보를 획득하고, 스마트 밴드(242)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족압 정보는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또는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생체 정보는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또는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는 작업자의 좌측 신발 내부에 설치되는 좌측 스마트 인솔에 설치된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 및 상기 압력 값을 획득한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는 작업자의 우측 신발 내부에 설치되는 우측 스마트 인솔에 설치된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 및 상기 압력 값을 획득한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220)는 작업모 장치와 연동됨으로써, 작업모 장치 내 유해 가스 감지 모듈(252)로부터 가스 센싱 값을 획득하고, 상기 가스 센싱 값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가스 누출량이 임계 가스 누출량 이상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가스 센싱 값에 따른 가스의 종류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220)은 비콘 장치(262)로부터 획득되는 비콘 신호(예컨대 RSSI, TxPOWER)의 수신 신호 강도 세기 값에 기초하여 현재 작업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작업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작업자가 출입 제한 구역에 위치하는지 여부 또는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된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내로 작업자 단말이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22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함으로써 현재 유해 가스가 누출되었는지,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를 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은 작업자 인증을 위해, 작업자 인증용 정보로 사용될 수 있는, 작업자 단말(220)의 작업자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단말(220)은 작업자 인증용 정보로써, 작업자 정보를 서버(210)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작업자 자동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220)은 서버(210)로부터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와 같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해당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컨텐츠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220)은 출입 제한 구역에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출입 제한 예외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단말(220)은 MQTT 방식으로, 서버(210)로부터 상술한 작업자 자동 인증 결과, 출입 제한 예외 설정 정보, 위험 상황에 대한 경고 컨텐츠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관리자 장치(230)는 서버(210)로부터 작업자 인증 크레딧 정보,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정보, 유해 가스 발생 또는 낙상 사고 발생과 같은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상기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 작업자들의 상태 정보,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고서에 대한 정보를 서버(2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장치(230)는 사업장 관리 정보, 공사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 작업자들에 대한 정보, 출입 제한 구역에 대한 정보를 서버(2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내 서버(310)는 이더넷 방식을 통해 관리자 장치(330) (또는 관리자용 단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이동 통신(LTE 등) 방식 또는 MQT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더넷 및 이동통신(LTE 등) 방식을 통해 작업자 단말(3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단말(320)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스마트 밴드(342) 및 스마트 인솔(344)을 포함하는 낙상 감지 모듈(340) 및 유해 가스 감지 모듈(352)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320)은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비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을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41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되는 출입 제한 구역에 대한 접근 상황,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소정의 비콘 장치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을 감지하고, 감지된 작업자 단말이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게 되면,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예에 따라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 외에도,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작업자에 대한 낙상 사고와 관련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S42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S43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경고 컨텐츠를 하나 이상의 작업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에 전파함과 함께, 경고 컨텐츠를 획득한 작업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이 인접한 작업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경고 컨텐츠를 브로드캐스팅 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경고 컨텐츠를 전파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51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되는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상기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또는 송신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작업자 단말의 위치 및 상기 미리 설정되는 출입 제한 구역 내 경계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출입 제한 구역에 상기 작업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수신 신호 강도 또는 송신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자 단말 및 비콘 장치 사이의 거리를 식별할 수도 있다.
S52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출입 제한 구역 또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식별되는 경우,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되는 비콘으로의 접근 상황이 있음을 나타내는 내용을 포함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출입 제한 구역에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그림 (6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또는 비콘 신호의 송신 전력 레벨(Tx Power)중 적어도 하나 기초하여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상기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된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작업자 단말이 출입 제한 구역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그림 (602)에 도시된 수학식에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및 송신 전력 레벨 값을 적용함으로써, 소정의 비콘 장치로부터 작업자 단말 사이까지의 거리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콘 신호 및 송신 전력 레벨은 주변의 무선 신호 간섭, 신호 차단 또는 출력 감쇄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 단말의 위치 추정 과정에서, 일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비콘 신호로부터 수신 신호 강도를 추출함에 있어, 소정의 범위 외의 신호 강도를 갖는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고, 필터링하고 남은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의 노이즈를 보정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으로써, 비콘 신호로부터 보다 정확한 수신 신호 강도를 추출할 수도 있다. 상술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이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또는 송신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자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동작은,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내 작업자 단말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들의 수신 신호 강도 중 하나 이상의 수신 신호 강도 값에 삼변 측량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작업자 단말의 위치 또는 비콘 장치로부터 작업자 단말 까지의 거리를 식별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들의 수신 신호 강도 값 및 송신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들 각각을 전송한 비콘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들을 수신한 작업자 단말 까지의 거리 값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거리 값들에 삼변 측량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작업자 단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비콘 신호를 전송한 복수의 비콘 신호들 중 하나의 비콘 장치와의 실제 거리와, 상기 비콘 신호를 전송한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값을 비교함으로써 작업자 단말의 고유 오차 특성(예컨대 오프셋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고유 오차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로 수신된 비콘 신호 값들을 보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상술한 작업자 단말의 고유 오차 특성에 따라 비콘 신호 값들을 보정함으로써 작업자 단말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유해 가스 누출로 인한 위험 상황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1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작업모로부터 획득되는 가스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유해 가스가 누출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의 서버는 작업자 단말을 경유하여 또는 작업모 장치로부터 직접 가스 센싱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가스 센싱 값에 기초하여 유해 가스 누출 여부를 결정할 수 도 있다.
S72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유해 가스가 누출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유해 가스 누출로 인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는 유해 가스 누출로 인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유해 가스 누출 상황을 나타내는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 단말, 상기 작업자 단말과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낙상 사고 발생으로 인한 위험 상황을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81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생체 정보 또는 족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자들에 대한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스마트 밴드로부터 획득되는 심박수 정보 또는 산소 포화도 정보에 기초하여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거나, 스마트 밴드로부터 획득되는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 또는 스마트 인솔로부터 획득되는 족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심박수 정보 또는 산소 포화도 정보에 우선적으로 기초하여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한 후, 스마트 밴드로부터 획득되는 복합정보 또는 스마트 인솔로부터 획득되는 족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S82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들에 대한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낙상 사고 발생으로 인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들에 대한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낙상 사고 발생을 나타내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위험 상황 발생을 식별함에 따른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91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한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값 또는 송신 전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자 단말의 위치 또는 비콘 장치와 작업자 단말 사이의 거리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작업자 단말의 위치 또는 거리 값이 소정의 출입 제한 구역 내 경계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식별되는 경우,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S940에서,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 발생을 나타내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S92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 유해 가스가 누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출입 제한 구역 설정을 위한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 유해 가스가 누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출입 제한 구역 설정을 위한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상관 없이,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 유해 가스가 누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작업모로부터 획득되는 가스 센싱 값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유해 가스가 누출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의 서버는 작업자 단말을 경유하여 또는 작업모 장치로부터 직접 가스 센싱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가스 센싱 값에 기초하여 유해 가스 누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서버 내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부피 값을 식별하고, 작업모 또는 작업자 단말을 경유하여 획득되는 가스 센싱 값이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부피 값에 따라 가변 되는 기 설정된 임계 가스 누출량 이상인지 식별하며, 상기 가스 센싱 값이 상기 임계 가스 누출량 이상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가스 센싱 값에 따른 가스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가스의 종류가 미리 설정된 유해 가스 리스트 중 하나(예컨대 CH4/CO2/H2S/NO2)로 식별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유해 가스가 누출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비콘 신호들에 기초하여 결정된 작업자 단말의 위치를 작업모 장치의 현재 위치로 식별하고, 작업모 장치의 현재 위치 및 가스 센싱 값에 기초하여 유해 가스가 누출된 위치 범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유해 가스가 누출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유해 가스가 누출된 위치 범위를 포함하는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할 수도 있다.
S93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에 대해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유해 가스가 누출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생체 정보 또는 족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작업자들에 대한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위험 상황 발생 또는 유해 가스 누출 상황으로 인한 위험 상황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작업자들에 대해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상시 식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94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출입 제한 구역 설정을 위한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감지되거나, 유해 가스 누출 상황이 발생하거나, 낙상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상술한 위험 상황 외에도, 기타 작업자들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해당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S65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S930에서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스마트 밴드로부터 미리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 동안의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또는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S930에서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상기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스마트 인솔로부터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를 포함하는 족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낙상 사고 발생에 따른 위험 상황을 식별하고 이에 따른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이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101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미리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 동안 스마트 밴드로부터 획득된 심박수 정보에 따른 심박수가 임계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심박수 범위가 정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심박수가 임계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심박수 정보를 포함한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S750에서 낙상 사고 발생에 따른 경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미리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 동안 산소 포화도 정보에 따른 산소 포화도가 임계 포화값 보다 작은 것으로 식별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산소 포화도가 정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산소 포화도가 임계 포화값 보다 작은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산소 포화도를 포함한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S1050에서, 낙상 사고 발생에 따른 경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기재에 따르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심박수 또는 산소 포화도 값이 비정상인 경우,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낙상 사고 발생에 따른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심박수 또는 산소 포화도 값이 비정상인 경우,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보지 않고, 작업자에 대해 기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S1020 내지 S104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스마트 밴드로부터 획득된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스마트 인솔로부터 획득된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들에 대한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이 S1010에서 심박수 정상 또는 산소 포화도가 정상인 경우,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의 이상 상태를 결정하고, 데이터 검증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심박수 또는 산소 포화도 정보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먼저 수행하지 않고도 작업자들의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의 이상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된 데이터의 검증 기준 만족 여부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S102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 심박수 또는 산소 포화도 값에 따른 낙상 사고 발생 여부 식별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으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에는 S10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체 모션 이상 상태를 식별하게 된다.
S103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각각으로부터 결정되는 좌측 발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 및 우측 발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의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 심박수 또는 산소 포화도 값에 따른 낙상 사고 발생 여부 식별 과정을 다시 수행하게 되나,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 S10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체 모션 이상 상태 및 하체 모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된 데이터를 소정의 검증 기준에 따라 검증하게 된다.
S104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S1020 내지 S1030에서, 작업자의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 족압 정보에 포함된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합이 임계 중량 값 미만으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생체 정보를 전송한 작업자의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합이 임계 중량 값 미만으로 식별되는 경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에 대해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S1020 내지 S1030에서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 바로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지 않고,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된 생체 정보를 전송한, 작업자의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합 값을 기준으로,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한번 더 검증함으로써, 작업자의 낙상 사고 여부를 더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S1020 내지 S1030에서, 작업자의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합이 아닌,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한번 더 검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S1020 내지 S1030에서, 작업자의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각각으로부터 결정되는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차가 임계 중량 차이 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해보고, 상기 작업자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고,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며, 상기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상기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차가 임계 중량 차이 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 값 이상으로 식별되는 경우에,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에 대한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S1020 내지 S1030에서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 바로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지 않고,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된 생체 정보를 전송한, 작업자의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합 값을 이용하거나,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차가 임계 중량 차이 값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검증 기준에 따라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한번 더 검증함으로써,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S1040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S1020에서,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고, S1030에서,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 바로,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된 생체 정보를 전송한,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낙상 사고 발생을 알리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바로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S105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심박수 또는 산소 포화도가 비정상이거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이고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 경우이거나, 또는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이고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이며, 상체 모션 및 하체 모션 판단에 사용된 생체 정보를 전송한 작업자의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합이 임계 중량 값 미만으로 식별되는 경우, 경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S106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낙상 사고 발생에 따른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이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111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좌측 발 압력 중심 및 우측 발 압력 중심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또는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상에서 나타나는 압력 센서의 위치, 해당 압력 센서의 위치에서 나타나는 압력 값에 기초하여 각 발 스펙트럼 정보에서 나타나는 압력 중심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압력 중심은 발 스펙트럼 정보 상에서 나타나는 총 압력 값의 합이 작업자의 발에 작용하는 지점으로, 압력 중심에서 작용하는 총 압력 값은 상기 발 스펙트럼 정보 상에서 나타나는 총 압력 값의 합에 대응될 수 있다.
S112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의 단말로부터, 기 획득되는 사용자 신체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보행 주기 동안 상기 좌측 발 압력 중심 및 상기 우측 발 압력 중심의 이동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좌측 발 압력 중심 경로 및 우측 발 압력 중심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의 단말로부터, 작업자들에 대한 작업자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들에 대한 작업자 정보는 작업자를 고유하기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성명 정보, 사용자 신체 정보(예컨대 키, 몸무게, 발크기 정보) 또는 고유한 생체 정보(고유한 걸음 패턴 정보, 홍채 정보, 지문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들에 대해 미리 획득된 작업자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 별 정상적인 보행 주기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 별 정상적인 보행 주기 동안 작업자 별 좌측 발 압력 중심 및 우측 발 압력 중심의 이동 변화를 추적(tracking)함으로써 좌측 발 압력 중심 경로 및 우측 발 압력 중심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S113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신체 정보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기준 좌측 발 압력 중심 경로 및 기준 우측 발 압력 중심 경로에 대한, 상기 결정된 좌측 발 압력 중심 경로 및 우측 발 압력 중심 경로의 유사도 들의 평균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신체 정보 또는 작업자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이 될 수 있는 기준 좌측 발 압력 중심 경로 및 기준 우측 발 압력 중심 경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기준 좌측 발 압력 중심 경로와, S1120에서 결정된 좌측 발 압력 중심 경로를 비교함으로써 제1 유사도를 결정하고, 기준 우측 발 압력 중심 경로와 S1120에서 결정된 우측 발 압력 중심 경로를 비교함으로써 제2 유사도를 결정하며, 상기 제1 유사도 및 제2 유사도의 평균 값을 결정할 수 있다.
S1140에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결정된 유사도들의 평균 값이 임계 유사도 보다 작은 것으로 식별되는 횟수가 임계 횟수에 도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유사도들의 평균 값이 임계 유사도 보다 작은 것으로 식별되는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횟수가 임계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비정상적인 보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비정상적인 보행(예컨대 유사도들의 평균 값이 임계 유사도 보다 작은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이 발생하는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횟수가 임계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이상 상태로 식별함으로써, 정확하게 이상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중심 경로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의 신발에 위치하는 스마트 인솔로부터 보행 주기 동안 발 스펙트럼 정보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발 스펙트럼 정보들로부터 압력 중심의 이동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압력 중심 경로(902, 906)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 정보에 최적화된 보행 주기 간격으로 반복하여 발 스펙트럼 정보들로부터 압력 중심 경로들(904, 908)을 결정할 수도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보행 주기 동안 복수로 획득된 발 스펙트럼 정보들로부터 압력 중심을 식별하고, 식별된 압력 중심의 이동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압력 중심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압력 중심 경로들을 식별할 수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미리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 동안 복수의 압력 중심 경로들의 평균 경로(910)를 결정할 수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 정보상에서 나타나는 작업자들의 다양한 신체 정보(914)들에 기초하여 기준이 될 수 있는 압력 중심 경로(912)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결정된 평균 경로(910)와 압력 중심 경로(912)를 비교함으로써, 작업자의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코사인 유사도 또는 유클리디안 유사도에 기초하여 평균 경로 및 압력 중심 경로의 유사도를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경로 유사 판단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평균 경로(910) 및 압력 중심 경로(912)의 유사도를 비교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스마트 인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림 (920)을 참조하면, 스마트 인솔(924)과, 스마트 인솔(922)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복수개로 분포되는 복수의 압력 센서들이 도시된다. 또한, 그림 (9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인솔(924)은 압력 센서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또는 상기 압력 센서들의 센싱 값, 스펙트럼 정보들을 작업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통신 모듈(928)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스마트 인솔(924)은 보행 주기 동안 복수 횟수로 발 스펙트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림 (930)을 참조하면 스마트 인솔이 획득된 발 스펙트럼 정보의 예가 도시된다. 그림 (9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스펙트럼 정보는 사용자의 발 형태 정보 또는 센서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분포된 센서 데이터(예컨대 압력 값)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 스펙트럼 정보는 센서 데이터들의 위치, 상기 센서 데이터들의 위치 및 발 형태 정보가 결합된 위치 맵(932) 정보 또는 압력 중심 (934)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단위 압력 센서가 획득한 센서 데이터는 압력 값 외에, 해당 압력 값을 측정한 센서의 위치 값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사업장, 공사, 작업자, 출입제한 구역 별로 서로 다른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관리자 단위(940), 사업장 단위(942, 944), 공사 프로젝트 단위(946, 948)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복수의 사업장들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940)로 하여금 관리되고 있는 사업장 리스트, 공사 프로젝트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 프로젝트 단위 별로 허가된 작업자 (950), 공사 프로젝트 단위 별로 설정된 출입 제한 구역 설정을 위한 비콘 (952), 상기 비콘 정보에 따른 출입 제한 구역 (954)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 별 작업자 정보(956)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작업자 정보는 이름 정보, 전화 번호 정보 또는 작업자의 소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정보는 작업자의 생체 정보, 신체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출입 제한 구역 설정을 위한 비콘 정보(958)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정보, Major/Minor Number 또는 맥 어드레스(MAC)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출입 제한 구역에 대한 정보(960)로, 제한 구역의 이름, 해당 제한 구역 설정을 위해 사용된 비콘 정보, 해다 출입 제한 구역에 출입이 가능한 예외 작업자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작업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1000)운 프로세서(13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 및 메모리(17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가 모두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작업자 단말(10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작업자 단말(10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단말(1000)은 프로세서(13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 및 메모리(1700)외에,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 A/V 입력부(1600) 및 메모리(1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 15 내지 16에 도시된 작업자 단말의 블록도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장치에 대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 내지 16에 도시된 작업자 단말의 블록도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의 작업모 장치, 스마트 밴드, 관리자용 단말, 관리자용 장치 또는 스마트 인솔 모듈에 대응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모 장치, 스마트 밴드, 관리자용 단말, 관리자용 장치 또는 스마트 인솔 모듈은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작업자 단말의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100)는, 작업자 단말(1000) 또는 사용자가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내 하나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1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작업자 단말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위한 화면을 포함한다. 또한, 화면은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상황을 전파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작업자 단말(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프로세서(1300)는 통상적으로 작업자 단말(1000) 또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내 일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 A/V 입력부(16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4에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이 수행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작업자 단말 또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내 하나의 장치(예컨대 작업자 단말, 작업모, 스마트 인솔, 스마트 밴드등)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장치 주변의 온도, 습도, 기압 정보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및 광혈류 측정센서(145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는 작업자 단말(1000) 또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장치간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1510),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1520), 이동 통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10)는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520)는 유선 통신을 통해 작업자 단말 또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내 일 장치와 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프로세서(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작업자 단말(1000) 또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내 일 장치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별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별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730)은 위험 상황 발생시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컨텐츠 또는 시각적 청각적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20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0), 데이터 베이스(2200) 및 프로세서(2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서버(200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0)는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 인증용 정보,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정보, 유해 가스 발생 정보, 낙상 사고 발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0)는 관리자용 단말로부터 사업장 관리 정보, 공사 관리 정보, 작업자 관리 정보, 출입 제한 구역 관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0)는 관리자용 단말로 작업자 인증 크레딧 정보 출입 제한 구역 접근 경보, 유해 가스 발생 경보 또는 낙상 사고 발생 경보와 같은 경고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데이터 베이스(2200)는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메모리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2200)는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에 대한 정보, 작업자 인증시 차감 가능한 크레딧 정보,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관리자 정보, 사업장 정보, 공사 단위 프로젝트 정보, 작업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2300)는 서버(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0) 및 데이터 베이스(2200)를 제어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4에서 기재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이 제공하는, 작업자 안전관리 서비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서버(20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된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상황,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서버(3101), 작업자 단말(3102), 관리자 단말(3104), 웨어러블 디바이스(3105) 또는 비콘 장치(31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105)는 작업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스마트 밴드(3106), 스마트 인솔(3108), 작업모(31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구성 요소 또는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서버(3101)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310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되는 출입 제한 구역에 작업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출입 제한 구역 내 상기 작업자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출입 제한 구역 내 출입으로 인한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3101)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된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상황,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할 수 있다.
또한, 서버(3101)는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되는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상기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상기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식별되는 경우,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3101)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운영사에 의한 관리자 ID 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3101)는 위험 상황 발생시 사업장, 공사 프로젝트 단위 별 해당되는 공사 작업자 단말로 자동으로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설정한 주기에 기초하여 관련 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 및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단말(3102)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비콘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비콘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모 장치(311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서 획득된 가스 센싱 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3102)은 작업자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저장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작업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작업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며, 유해 가스 누출 또는 낙상 사고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연결 상태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 단말(3102)은 작업자 단말에 대한 작업자 입력에 기초하여 작업자 인증이 완료되면, 작업모,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 인솔과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연결 상태를 확인한 결과, 연결 상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 단말로 통신 연결 상태에 대한 오류 정보를 출력하거나, 서버로 통신 연결 상태에 대한 오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은 위험 상황 발생시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자동으로 관리자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스마트 밴드(3106)는 작업자들의 신체에 작용됨으로써,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또는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생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스마트 인솔(3108)은 작업자들의 신발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복수의 압력 센서들의 위치에서 측정된 압력 분포 값을 나타내는 복수의 스펙트럼 정보들을 포함하는 족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족압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비콘 장치(3112)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으로 비콘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서 작업자 단말과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작업자 단말로 하여금 작업자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관리자 단말(3104)은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3104)은 복수의 사업장 단위로 수행되는 공사 프로젝트 정보 및 작업자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업장 단위로 해당 정보들의 등록, 수정 및 삭제 기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3104)은 사업장 단위, 또는 복수의 공사 프로젝트 단위로, 크레딧을 미리 발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운영사에 의한 크레딧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발행 또는 차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관리자 단말(3104)은 공사 프로젝트 단위 별로 작업자 명단을 일괄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작업자 명단에 기초하여 작업자 ID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3104)은 관리자 단말에 대한 관리자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공사 프로젝트 단위 별로 출입 제한 구역에 사용된 비콘의 등록, 수정 및 삭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3104)은 Barcode/QR-Code Reader 등을 이용한 UUID/Major/Minor/MAC Address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3104)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출입제한 구역의 등록, 수정 및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3104)은 사업장 단위, 공사 프로젝트 단위로 출입 제한 구역 설정 비콘 설치 및 해당 출입 제한 구역의 변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 제한 구역에 출입이 가능한 예외 작업자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을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을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된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상황,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또는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와 족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들에 대한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생체 정보를 전송한 작업자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작업자의 족압 정보에 포함된 좌측 발과 우측 발 각각의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결정된 작업자의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체 모션과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상체 모션과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된 작업자의 상기 족압 정보에 따른 좌측 발 총 중량 값과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차가 임계 중량 차이 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 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되는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상기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상기 작업자 단말이 식별되는 경우, 상기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작업모로부터 획득되는 가스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유해 가스가 누출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유해 가스가 누출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유해 가스 누출로 인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들에 대한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낙상 사고 발생으로 인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과 상기 비콘 장치 사이의 거리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거리가 상기 소정의 거리범위 보다 작은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 가스가 누출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부피 값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작업모로부터 획득되는 가스 센싱 값이,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부피 값에 따라 가변 되는 기 설정된 임계 가스 누출량 이상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가스 센싱 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 가스 누출량 이상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가스 센싱 값에 따른 가스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가스의 종류가 미리 설정된 유해 가스 리스트 중 하나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상기 유해 가스가 누출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스마트 밴드로부터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또는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 동안 상기 심박수 정보에 따른 심박수가 임계 심박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 동안 상기 산소 포화도 정보에 따른 산소 포화도가 임계 포화값보다 작은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스마트 인솔로부터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를 포함하는 족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와 상기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들에 대한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각각으로부터 결정되는 좌측 발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 및 우측 발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의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고,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에 대한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각각으로부터 결정되는 좌측 발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 및 우측 발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의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각각으로부터 결정되는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합이 임계 중량 값 미만으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고,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며, 상기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상기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합이 상기 임계 중량 값 미만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에 대한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각각으로부터 결정되는 좌측 발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 및 우측 발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의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각각으로부터 결정되는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차가 임계 중량 차이 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고,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며, 상기 좌측 발 총 중량 값 및 상기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차가 임계 중량 차이 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 값 이상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업자에 대한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좌측 발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우측 발 스펙트럼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좌측 발 압력 중심 및 우측 발 압력 중심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의 단말로부터, 기 획득되는 사용자 신체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보행 주기 동안 상기 좌측 발 압력 중심 및 상기 우측 발 압력 중심의 이동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좌측 발 압력 중심 경로 및 우측 발 압력 중심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신체 정보에 따라 미리 결정되는 기준 좌측 발 압력 중심 경로 및 기준 우측 발 압력 중심 경로에 대한, 상기 결정된 좌측 발 압력 중심 경로 및 우측 발 압력 중심 경로의 유사도 들의 평균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평균 값이 임계 유사도보다 작은 것으로 식별되는 횟수가 임계 횟수에 도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모니터링 대상 공강 내 작업자들을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된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상황,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며,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또는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와 족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들에 대한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생체 정보를 전송한 작업자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작업자의 족압 정보에 포함된 좌측 발과 우측 발 각각의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결정된 작업자의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상체 모션과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상체 모션과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된 작업자의 상기 족압 정보에 따른 좌측 발 총 중량 값과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차가 임계 중량 차이 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 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되는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상기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출입 제한 구역 또는 상기 출입 제한 구역의 설정을 위해 미리 설치되는 비콘 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는 작업자 단말이 식별되는 경우, 출입 제한 구역 접근으로 인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비콘 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비콘 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에서 획득된 가스 센싱 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모 장치;
    상기 작업자들의 신체에 작용됨으로써,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또는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생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밴드; 및
    상기 작업자들의 신발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복수의 압력 센서들의 위치에서 측정된 압력 분포 값을 나타내는 복수의 스펙트럼 정보들을 포함하는 족압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족압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인솔; 을 더 포함하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17.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이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작업자들을 위한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 미리 설정된 출입 제한 구역 접근 상황, 유해 가스 누출 상황 또는 낙상 사고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을 안내하기 위한 경고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경고 컨텐츠를 전파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심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정보 또는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와 족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들에 대한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도 및 각속도 복합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생체 정보를 전송한 작업자의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는 작업자의 족압 정보에 포함된 좌측 발과 우측 발 각각의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상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결정된 작업자의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체 모션과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되면, 상기 상체 모션과 상기 하체 모션이 이상 상태로 식별된 작업자의 상기 족압 정보에 따른 좌측 발 총 중량 값과 우측 발 총 중량 값의 차가 임계 중량 차이 값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 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220133725A 2022-10-18 2022-10-18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725A KR102538507B1 (ko) 2022-10-18 2022-10-18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725A KR102538507B1 (ko) 2022-10-18 2022-10-18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507B1 true KR102538507B1 (ko) 2023-05-31

Family

ID=8654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725A KR102538507B1 (ko) 2022-10-18 2022-10-18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5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482A (ko) * 2017-07-19 2019-01-29 주식회사 선경 이.엔.아이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86259B1 (ko) 2018-11-07 2020-04-2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안전장비와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설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09198B1 (ko) * 2021-12-22 2022-06-15 주식회사 와이씨앤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220114668A (ko) * 2021-02-09 2022-08-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482A (ko) * 2017-07-19 2019-01-29 주식회사 선경 이.엔.아이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86259B1 (ko) 2018-11-07 2020-04-2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안전장비와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건설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14668A (ko) * 2021-02-09 2022-08-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09198B1 (ko) * 2021-12-22 2022-06-15 주식회사 와이씨앤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0873B2 (en) Context-based programmable safety rules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RU2718976C1 (ru)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средство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c аналитической подсистемой, включающей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е мониторинг, сигнальное оповещение и прогнозное предотвращение связанных с безопасностью событий
KR102256936B1 (ko) 스마트 안전장비를 활용한 건설현장 비대면 안전관리 시스템
US9942520B2 (en) Interactive and targeted monitoring service
US9747760B2 (en) Safety equipment criteria verification
CA2890503C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KR20180037209A (ko) 개인 안전을 제공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프로세스
KR101965158B1 (ko)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JP2009135892A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依存制御アクセス
US20100271208A1 (en) Wireless Network-Based Action-Oriented System For Remote Wireless Alerting And Action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CN108763892A (zh) 权限管理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CN109831742A (zh) 基于终端检测的监控方法及系统
KR20190029463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유지 보수 과정의 추적
KR101783003B1 (ko) 안전 밴드를 활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033757A (ko) 무선 네트워크의 취약점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2538507B1 (ko)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8621B1 (ko) 공정안전관리 대상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방법
US9563992B2 (en) System and method of associating, assigning, and authenticating users with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ing biometrics
KR101874503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KR101626935B1 (ko) 돌보미 업무 검증 방법 및 보호 관리 시스템
KR101985782B1 (ko) 주변소리를 이용한 위험군 제어기기의 중요권한설정을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4651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US20230413025A1 (en) Device and role based user authentication
JP2004280498A (ja) 異常事態通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