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198B1 -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9198B1 KR102409198B1 KR1020210185021A KR20210185021A KR102409198B1 KR 102409198 B1 KR102409198 B1 KR 102409198B1 KR 1020210185021 A KR1020210185021 A KR 1020210185021A KR 20210185021 A KR20210185021 A KR 20210185021A KR 102409198 B1 KR102409198 B1 KR 1024091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 safety
- safety boots
- sensor
- smart
- boo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4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sensors, e.g. for detecting contact or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의 동작 모드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의 기본모드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장에 놓인 스마트 안전화가 충전 모드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장에 놓인 스마트 안전화가 충전 모드에서 수행하는 동작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의 작업지시서 정보의 갱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410_1, 410_2, 410_3: 스마트 안전화
420: 게이트웨이
425: 경보장치
430: 모니터링 장치
440: 스마트 신발장
Claims (10)
- 미리 구비된 작업 지시서에 따라 작업자 별로 차등적으로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를 갖는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전화가 초기 설정을 수행하되,
상기 스마트 안전화는,
유해 가스 센서, 화재 센서, 온도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동을 위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해 가스 센서, 상기 화재 센서, 상기 온도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이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초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안전화가 기본 모드로 동작하되,
상기 기본 모드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는 활성화 상태에 있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비활성화 상태에 있도록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기본 모드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1 측정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 값보다 큰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측정 데이터가 상기 제1 임계 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안전화는 상기 스마트 안전화를 착용한 작업자의 쓰러짐을 알리는 제1 이벤트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되,
상기 제1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모듈이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전화를 위해 제1 응용모드가 설정될 때, 상기 스마트 안전화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위험구간과 연관된 무선 비콘(beacon)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1 응용모드는 상기 기본모드와 병렬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응용모드에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이 활성화 상태에 있도록 구현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비콘 신호가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다고 판단될 때, 상기 스마트 안전화는 상기 스마트 안전화를 착용한 작업자가 상기 위험구간에 진입함을 알리는 제2 이벤트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전화를 위해 제2 응용모드가 설정될 때, 상기 스마트 안전화가 유해 가스 감지를 위해 상기 스마트 안전화에 구비된 가스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2 측정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2 응용모드는 상기 기본모드와 병렬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제2 응용모드에서 상기 유해 가스 센서 및 상기 화재 센서가 활성화 상태에 있도록 구현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측정 데이터가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크다고 판단될 때, 상기 스마트 안전화는 상기 스마트 안전화를 착용한 작업자가 가스유출구간 혹은 화재구간에 진입함을 알리는 제3 이벤트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되,
상기 제3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모듈이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설정은,
상기 스마트 안전화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값보다 높고,
상기 스마트 안전화에 구비된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미리 설정된 기준압력 값보다 크고, 그리고
상기 스마트 안전화에 구비된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움직임 값보다 큰 경우에만 완료되도록 구현되는, 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설정이 완료되지 못할 때, 상기 스마트 안전화는 저전력 구동을 위한 슬립(sleep)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되는 방법. - 미리 구비된 작업 지시서에 따라 작업자 별로 차등적으로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를 갖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안전화;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 안전화와 연동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 안전화에 상응하는 식별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식별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장 내 하나 이상의 작업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통합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 안전화가 미리 설정된 초기 설정의 완료 시 진입하는 기본 모드, 상기 기본 모드와 병렬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되는 제1 응용모드 그리고 상기 기본 모드와 병렬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되는 제2 응용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 안전화는,
유해 가스 센서, 화재 센서, 온도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동을 위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해 가스 센서, 상기 화재 센서, 상기 온도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이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가 기본 모드만을 포함할 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를 활성화 상태에 있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비활성화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모듈은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1 측정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측정 데이터가 상기 제1 임계 값보다 크다고 판단될 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응하는 작업자의 쓰러짐을 알리기 위한 제1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현되는,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가 상기 기본 모드 및 상기 제1 응용모드를 포함할 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가속도 센서,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무선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무선 비콘 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될 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응하는 작업자가 위험 구간으로 진입함을 알리기 위한 제2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현되는,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가 상기 기본 모드 및 상기 제2 응용모드를 포함할 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에 포함된 상기 유해 가스 센서, 상기 화재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를 활성화 상태에 있고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비활성화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2 측정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되고, 그리고
상기 제2 측정 데이터가 상기 제2 임계 값보다 크다고 판단될 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켜 상응하는 작업자가 유해가스 유출지역으로 진입함을 알리기 위한 제3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현되는,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 제6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무선 충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 안전화에 대한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스마트 신발장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 안전화가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충전부에 놓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 안전화는 충전모드로 전환되도록 구현되는,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5021A KR102409198B1 (ko) | 2021-12-22 | 2021-12-22 |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5021A KR102409198B1 (ko) | 2021-12-22 | 2021-12-22 |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9198B1 true KR102409198B1 (ko) | 2022-06-15 |
Family
ID=8198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5021A Active KR102409198B1 (ko) | 2021-12-22 | 2021-12-22 |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919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5049B1 (ko) * | 2022-06-24 | 2022-10-13 | 문철원 | 무선 통신 기반 작업자 상태 파악 시스템 |
KR102538507B1 (ko) * | 2022-10-18 | 2023-05-31 | (주)하이브시스템 |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630842B1 (ko) | 2022-09-29 | 2024-01-29 | 한국소재융합연구원 | 다축 센서를 이용한 IoT 기반의 스마트 안전화 및 안전관리 시스템 |
WO2025127759A1 (ko) * | 2023-12-15 | 2025-06-19 | 서울특별시 | 경보 및 잔류 전류 감지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화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0806A (ko) * | 2016-05-19 | 2017-11-29 | 주식회사 코아칩스 | 자가발전 웨어러블 무선 전송기를 이용한 방재 관제 시스템 |
KR102296382B1 (ko) * | 2020-06-15 | 2021-09-02 | 주식회사 휴미디어 | 위험 감지 기능을 갖는 소방관용 보호장비 |
-
2021
- 2021-12-22 KR KR1020210185021A patent/KR10240919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0806A (ko) * | 2016-05-19 | 2017-11-29 | 주식회사 코아칩스 | 자가발전 웨어러블 무선 전송기를 이용한 방재 관제 시스템 |
KR102296382B1 (ko) * | 2020-06-15 | 2021-09-02 | 주식회사 휴미디어 | 위험 감지 기능을 갖는 소방관용 보호장비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5049B1 (ko) * | 2022-06-24 | 2022-10-13 | 문철원 | 무선 통신 기반 작업자 상태 파악 시스템 |
KR102630842B1 (ko) | 2022-09-29 | 2024-01-29 | 한국소재융합연구원 | 다축 센서를 이용한 IoT 기반의 스마트 안전화 및 안전관리 시스템 |
KR102538507B1 (ko) * | 2022-10-18 | 2023-05-31 | (주)하이브시스템 |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25127759A1 (ko) * | 2023-12-15 | 2025-06-19 | 서울특별시 | 경보 및 잔류 전류 감지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화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9198B1 (ko) |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 |
US10430073B2 (en) | Processing device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dustrial vehicle | |
KR101736158B1 (ko) | 스마트 정보전달 장치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기술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
WO2017090420A1 (ja)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給水装置、及び、給水装置の制御方法 | |
EP3119105A1 (en) | Radio control terminal, radio control device for object to be controlled, and emergency stop control program | |
CN103729953A (zh) | 自动行走设备远程监控系统、远程监控方法、警报系统及报警方法 | |
CN104903928B (zh) | 工程机械及工程机械的工作状态管理系统 | |
JP2015050739A (ja) | 監視システム、報知装置、監視方法 | |
KR20150112049A (ko)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긴급구난 시스템 | |
JP6755653B2 (ja) |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 |
CN109205430A (zh) | 电梯的安全检查装置、系统以及方法 | |
CN113341920A (zh) | 作业机械故障预警方法、装置、作业机械及电子设备 | |
KR20240086895A (ko) | 신뢰 통신 기반 건설현장 안전 관리 서비스 장치,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 |
CN111091263A (zh) | 一种故障检测方法、手持装置以及移动终端 | |
JP2010067000A (ja) | 劣化及び故障電池交換サービスシステム | |
KR102730403B1 (ko) | 건축물 해체공사 공정 및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
KR101777768B1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 |
JP2020016942A (ja) | 資機材管理システム | |
JP6466703B2 (ja) | 作業支援システム、設定装置、設定方法及び設定プログラム | |
KR20220091075A (ko)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59558B1 (ko) | 가스연료통 모니터링 시스템 | |
JP6483420B2 (ja) | 端末装置、作業支援システム、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 |
KR101697243B1 (ko) | 복수개의 센서 비콘을 통해 구성되는 네트워크 및 이의 동작 방법 | |
JP6920386B2 (ja) |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 |
ITGE20130005A1 (it) | Sistema di supervisione di equipaggiamenti personali in particolare di dispositivi di protezione individuali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