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768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768B1
KR101777768B1 KR1020150141105A KR20150141105A KR101777768B1 KR 101777768 B1 KR101777768 B1 KR 101777768B1 KR 1020150141105 A KR1020150141105 A KR 1020150141105A KR 20150141105 A KR20150141105 A KR 20150141105A KR 101777768 B1 KR101777768 B1 KR 101777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formation
motor
state
inform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543A (ko
Inventor
김혜련
유태용
조경현
Original Assignee
(주)파워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에스티 filed Critical (주)파워에스티
Priority to KR102015014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7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368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전동차의 충전 제어기가 상기 산업용 전동차의에 장착된 납축 배터리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충전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충전이 잘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정보)를 기설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METHOD FOR DETECTING BATTERY STATUS OF INDUSTRIAL VEHICLE BY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전동 지게차, 골프 카트, 전동 고소작업차, 전동 청소차, 전동 유틸리티카, 전동 트럭 등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동 모터를 구동부로 하는 장치에서 배터리와 충전 시스템은 중요한 에너지원이고 전기차와 같이 정밀한 제어가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필요로 하지만 전동 지게차와 전동 고소작업차와 같은 산업, 농업용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관리 시스템이 아직까지 적용이 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이나 농어촌의 환경에서는 대다수의 장비가 납배터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납배터리는 증류수 보충형과 밀봉형의 두 가지로 크게 나뉘고 리튬배터리도 리튬-이온형과 리튬-인산철형으로 크게 나뉜다. 배터리의 충전은 배터리의 종류에 따라 충전 방식이 달라진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배터리의 종류와 시스템의 요구 조건마다 다르게 제작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납배터리의 경우,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별도의 콘트롤러가 없기 때문에, 배터리의 수명이나 배터리 현재 상태를 감지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납배터리로 동작하는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산업용 전동차의 유지 관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은, 산업용 전동차의 충전 제어기가 상기 산업용 전동차의에 장착된 납축 배터리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충전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를 기설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은, 상기 충전 제어기가, 상기 납축 배터리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배터리 정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은, 상기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모드 변환부를 통해 충전 모드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은, 상기 산업용 전동차의 메인 제어기가 상기 산업용 전동차의 모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모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모터 정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상태 정보는 충전 횟수 정보, 배터리 사용 시간 정보, 및 증류수 수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 제어기는, 상기 납축 배터리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납축 배터리의 증류수를 감지하는 증류수 센서로부터 획득된 수위 정보를 상기 충전 제어기가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정보가 입력 되면, 상기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 개의 융선 또는, 상기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 개의 융선의 선택 순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정보가 입력 되면, 상기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등록 지문 중 상기 설정된 N 개의 융선이 선택되거나 상기 설정된 N 개의 융선이 설정된 선택 순서대로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전동 지게차나 고소 작업차량과 같은 산업, 농업용 전동차에서 보수, 무보수 형태의 납전지나 리튬-이온, 리튬-인산철과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배터리를 충전기의 모드 변경만으로 사용이 가능해 지고 배터리의 충전량 및 충전 횟수, 잔량, 저전압 상태 등의 정보를 검지하고 사용자에게 통보함으로써 매우 효율적인 전동차 시스템을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장비의 오류 검지와 증류수의 수위 체크 기능 등을 통하여 갑자기 발생 할 수 있는 안전사고나 위험에 대해서도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스마트 기기에 통보되어 사용자는 이에 따른 즉각적인 대책 방안을 강구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이 적용되는 산업용 전동차 배터리 상태 감지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이 적용되는 산업용 전동차 배터리 상태 감지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100)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이 적용되는 산업용 전동차 배터리 상태 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용 전동차 배터리 상태 감지 시스템은, 전동 지게차와 같은 산업용 전동차(100), 서버(200),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구성될 수 있다.
산업용 전동차(100)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상태 정보와, 모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산업용 전동차(100)에 탑재되는 배터리(110)는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하지 않은 구형 배터리(110)인 납배터리이다. 이 배터리(110)에 대한 충전 정보를 충전 제어기(130)가 획득하고, 통신부(150)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서버(200)는 기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상기 산업용 전동차(100)에서 전송된 배터리(110)의 상태 정보 및 모터의 상태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예컨대, 산업용 전동차(100)의 소유주의 이동 통신 단말기(300). 또는 산업용 전동차(100)의 관리 책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서, 서버(200)로부터의 메시지를 받아 현재 산업용 전동차(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들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이 적용되는 산업용 전동차 배터리 상태 감지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용 전동차 배터리 감지 시스템은, 배터리(110), 모터(120), 충전 제어기(130), 메인 제어기(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하는 산업용 전동차(100), 서버(200), 그리고, 이동 메모리(310), 이동 터치 스크린(320), 이동 통신부(330) 및 이동 제어부(340)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구성될 수 있다.
산업용 전동차(100)는, 납배터리와 같은 구형 배터리(110)와 모터(120)를 통해 구동하는 장치(가솔린이나 디젤을 사용하는 연소식 자동차와 대비됨)로서 예컨대 전동 지게차, 골프 카트, 전동 고소작업차, 전동 청소차, 전동 유틸리티카, 전동 트럭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산업용 전동차(100)는, 구동 수단이 되는 모터, 이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10), 그리고 배터리(110)의 상태를 감지하고,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제어기(130), 상기 모터(120) 및 충전 제어기(130)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기(140), 그리고, 메인 제어기(140)에 제어하에 서버(200)로 통신하는 통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모터는 산업용 전동차(100)의 구동수단이 된다. 즉 배터리(110)를 동력원으로 하여 자체 이동(주행)하거나, 이동수단(지게차의 경우, 전동지게)을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사용되는 배터리(110)는 자체 콘트롤러가 없는 형태인 납축 배터리(110)가 사용된다. 이 배터리(110)는 별도의 전류 전원 측정 센서나 이를 콘트롤하는 콘트롤러가 없으며, 증류수를 보충하는 형식의 배터리일 수 있다.
충전 제어기(130)는, 상기 배터리(110)에 충전 전류를 공급할 뿐 아니라. 배터리(110)의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배터리(110)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상태를 감지하여 배터리(110)가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뿐 아니라, 배터리 상태에 따라 충전 모드를 변경하는 기능을 한다. 즉, 충전 제어기(130)는, 배터리 상태를 감지하는 검지부와, 충전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전환부,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상태 및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메인 제어기(140)는, 충전 제어기(130)로부터 배터리(110) 상태 정보를 받아 이를 통신부(150)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모터(120)로부터의 모터 상태 정보를 감지 생성하여 이를 통신부(150)를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통신부는, 서버(200)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메인 제어기(140)로부터의 배터리 상태 정보와 모터 상태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이동 메모리(310), 이동 터치 스크린(320), 이동 통신부(330) 및 이동 제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메모리(310)는, 이동 통신 단말기(300)를 동작하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할 뿐 아니라,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정보로는 지문 정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동 터치 스크린(320)은, 디스플레이부로서 모터 상태 메시지와 배터리 정보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할뿐 아니라 지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 개의 융선 또는, 상기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 개의 융선의 선택 순서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모터 정보 메시지나 배터리 상태 정보 메시지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지문 중 상기 설정된 N 개의 융선이 선택되거나 상기 설정된 N 개의 융선이 설정된 선택 순서대로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 정보 메시지나 배터리 정보 메시지가 이동 터치 스크린(320)에 표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산업용 전동차 배터리 상태 감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100)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산업용 전동차(100)의 충전 제어기(130)가 상기 산업용 전동차(100)의에 장착된 납축 배터리(110)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11). 또한 배터리(110)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12). 이 때, 상기 충전 제어기(130)는, 상기 납축 배터리(110)에 상기 납축 배터리(110)의 증류수를 감지하는 증류수 센서로부터 획득된 수위 정보(사용 상태 정보에 해당)를 획득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산업용 전동차(100)의 메인 제어기(140)는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충전 상태 정보와 사용 상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13). 이 충전 상태 정보와 사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200)는 제1 배터리 정보 메시지와 제 2 배터리 정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하게 된다(S21). 여기서,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는 현재 충전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를 측정한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메시지이다. 그리고, 제 2 배터리 정보 메시지는, 배터리의 사용 현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로서, 충전 횟수 정보, 배터리 사용 시간 정보, 및 증류수 수위 정보 등를 의미한다.
한편, 그리고 충전 제어기(130)는, 상기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모드 변환부를 통해 충전 모드를 변환한다(S14).
또한, 제 1 및 제 2 배터리(110) 정보 메시지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서는 사용자 인증 정보 요청을 이동 터치 스크린(320)을 통해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 2 배터리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배터리 정보가 이동 터치 스크린(320)에 표시되게 된다(S31, S32, S33, S34).
여기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할 때,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 개의 융선 또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 개의 융선의 선택 순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제어부(340)는 이동 터치 스크린(320)에 표시된 등록 지문 중 설정된 N 개의 융선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상기 설정된 N 개의 융선이 설정된 선택 순서대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동 제어부(34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 개의 융선 및, Y 개의 후보군 융선을 설정된 색상을 부여하여 이동 터치 스크린(3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많은 융선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융선을 포함하는 후보군을 표시하여, 사용자는 조금 더 용이하게 자신이 설정한 융선을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인증 정보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특징점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M 개의 특징점 정보 또는, 상기 등록 지문에 포함된 특징점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M 개의 특징점 정보에 대한 선택 순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제어부(340)는 표시된 등록 지문 중 설정된 M 개의 특징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설정된 M 개의 특징점이 사용자에 설정된 선택 순서대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동 제어부(34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M 개의 특징점 및, Z 개의 후보군 특징점을 설정된 색상을 부여하여 이동 터치 스크린(3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많은 특징점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징점을 포함하는 후보군을 표시하여, 사용자는 조금 더 용이하게 자신이 설정한 특짐점을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 인증 정보는 상기 등록 지문을 X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X 개의 각 영역 포함된 특징점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M 개의 특징점 정보 또는, 상기 등록 지문을 X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X 개의 각 영역 포함된 특징점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M 개의 특징점 정보에 대한 선택 순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제어부(340)는 표시된 등록 지문 중 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설정된 M 개의 특징점이 선택되거나 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설정된 M 개의 특징점이 설정된 선택 순서대로 선택되면, 배터리(110) 정보 메시지가 표시되게 된다.
한편, 산업용 전동차(100)의 메인 제어기(140)는, 모터(120)를 검지하여 상기 산업용 전동차(100)의 모터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15). 메인 제어기(140)는 상기 모터 상태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한다(S22). 서버(200)는, 상기 모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모터 정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하게 되고, 이 모터 정보 메시지는 상기 배터리(110) 정보 메시지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전동 지게차나 고소 작업차량과 같은 산업, 농업용 전동차에서 보수, 무보수 형태의 납전지나 리튬-이온, 리튬-인산철과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배터리(110)를 충전기의 모드 변경만으로 사용이 가능해 지고 배터리(110)의 충전량 및 충전 횟수, 잔량, 저전압 상태 등의 정보를 검지하고 사용자에게 통보함으로써 매우 효율적인 전동차 시스템을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장비의 오류 검지와 증류수의 수위 체크 기능 등을 통하여 갑자기 발생 할 수 있는 안전사고나 위험에 대해서도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스마트 기기에 통보되어 사용자는 이에 따른 즉각적인 대책 방안을 강구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100)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으로 한정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산업용 전동차
110 : 배터리
120 : 모터
130 : 충전 제어기
140 : 메인 제어기
150 : 통신부
200 : 서버
300 : 이동 통신 단말기
310 : 이동 메모리
320 : 이동 터치스크린
330 : 이동 통신부
340 : 이동 제어부

Claims (9)

  1. 동력원이 되며 콘트롤러가 미설치된 납축 배터리, 구동 수단이 되는 모터, 배터리에 충전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납축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 제어기, 및 모터 상태를 감지하는 메인 제어기, 그리고,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산업용 자동차 중 상기 충전 제어기가 상기 납축 배터리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충전 상태 정보는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에 관한 정보임;
    상기 충전 제어기가, 상기 납축 배터리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 상태 정보는, 배터리 수명 및 배터리의 현재 상태-배터리 잔량-을 예측하기 위한 충전 횟수 정보, 배터리 사용 시간 정보, 및 증류수 수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제어기는, 상기 납축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하는 검지부, 충전 모드를 변경하는 충전 모드 전환부, 및 배터리 상태 및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함;
    상기 충전 모드 전환부를 통해 상기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모드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메인 제어기가 상기 모터를 감지하여 장비의 오류 검지를 나타내는 모터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납축 배터리가 현재 충전이 잘 이루어지지를 나타내는 상기 충전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 상기 납축 배터리의 사용 현황을 나타내는 상기 사용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배터리 정보 메시지, 및 상기 모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모터 정보 메시지를 상기 메인 제어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여서 상기 서버가 기설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이들을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 상기 제 2 배터리 정보 메시지, 및 상기 모터 정보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증정보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 상기 제 2 배터리 정보 메시지 및 상기 모터 정보 메시지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 개의 융선 또는, 상기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 개의 융선의 선택 순서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제 1 배터리 정보 메시지, 상기 제 2 배터리 정보 메시지 및 상기 모터 정보 메시지가 각각 구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등록 지문 중 상기 설정된 N 개의 융선이 선택되거나 상기 설정된 N 개의 융선이 설정된 선택 순서대로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41105A 2015-10-07 2015-10-07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KR101777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105A KR101777768B1 (ko) 2015-10-07 2015-10-07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105A KR101777768B1 (ko) 2015-10-07 2015-10-07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178A Division KR20170073572A (ko) 2017-06-19 2017-06-19 휴대 단말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543A KR20170041543A (ko) 2017-04-17
KR101777768B1 true KR101777768B1 (ko) 2017-09-12

Family

ID=5870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105A KR101777768B1 (ko) 2015-10-07 2015-10-07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7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160A (ko) 2017-12-27 2019-07-05 세방전지(주)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
KR20190079161A (ko) 2017-12-27 2019-07-05 세방전지(주) 웨이트 밸런싱 가능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43B1 (ko) * 2014-11-14 2015-10-08 정호연 지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한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43B1 (ko) * 2014-11-14 2015-10-08 정호연 지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한 화면 잠금 해제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160A (ko) 2017-12-27 2019-07-05 세방전지(주) 중량체가 구비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
KR20190079161A (ko) 2017-12-27 2019-07-05 세방전지(주) 웨이트 밸런싱 가능한 산업용 전기차의 중대형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543A (ko) 201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2770B2 (en) Pairing of a battery monitor to a communication device, by message encoded in battery current
JP5895839B2 (ja) 二次電池状態管理システム、充電器、二次電池状態管理方法及び電気特性測定方法
CN112019593A (zh) 电动工具的数据传输系统
EP2328258A2 (en) Portable device for displaying battery charge information and battery charge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101245540B1 (ko) 주위 전기 자동차를 이용해 방전된 전기 자동차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과금 가능 휴대형 장치
US110176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f position of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vehicle, control method of vehicl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N103632561B (zh) 智能公交车站牌
CN105857498A (zh) 一种电动车电源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359374A (zh) 充电连接识别
KR102011745B1 (ko) 전기차량의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
KR102409198B1 (ko) 스마트 안전화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CN109132738B (zh) 电梯控制方法、装置及设备
CN105243820A (zh) 智能便携环境检测终端及环境检测系统
KR10177776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WO2016041157A1 (zh) 电动车管理方法及其管理系统
KR20200133531A (ko) IoT 통신을 이용한 차량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73572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차의 배터리 상태 감지방법
JPWO2011135804A1 (ja) 二次電池管理システム、電池システム、二次電池管理方法及び二次電池管理プログラム
CN115503535B (zh) 安全充电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05397A (zh) 电动汽车状态监控方法
KR20230000479U (ko) 차량용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15825791A (zh) 电池健康状态检测方法和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673053B1 (ko) 전기차의 배터리 수명 예측 시스템
CN218038284U (zh) 一种充电桩现场校验装置
KR20230008511A (ko) 차량용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