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30U -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930U
KR20140000930U KR2020120006860U KR20120006860U KR20140000930U KR 20140000930 U KR20140000930 U KR 20140000930U KR 2020120006860 U KR2020120006860 U KR 2020120006860U KR 20120006860 U KR20120006860 U KR 20120006860U KR 20140000930 U KR20140000930 U KR 201400009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ceiver
location
emergency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983Y1 (ko
Inventor
권효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8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치 송수신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사용자의 위치에서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된 응급 버튼부; 사용자가 있는 위치에서의 작업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된 작업 버튼부; 및, 상기 응급 버튼부 또는 상기 작업 버튼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말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작업 현장에서 응급 상황이나 작업 필요 상황이 발생 된 경우 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송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r-receiver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의 응급 상황이나 작업 필요 시 상황이 발생 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 등에는 각 구역에 관한 감시 및 경보가 가능하도록 각 구역별로 감시용 장치를 설치하여 그 안전을 더욱 기하고 있다. 이때, 작업 현장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 될 경우에는 응급 상황이 발생 된 위치를 전화와 같은 외부 통신수단이나 인트라넷, 인터폰과 같은 내부 통신수단으로 소방서와 같은 응급기관이나 상황 통제실 등에 알려주게 된다.
한편, 초대형 선박 건조 현장을 그 예로 들면, 초대형 선박은 그 규모가 상당하여 선박 내 각 구역별 전반적인 관리 및 감시가 용이하지 못하며 그에 따라 각종 안전사고 발생시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 선박 내부의 각 작업공간별로 감시용도의 장치를 별도로 설치한다면, 산소농도, 온도, 습도, 조도, 폭발성 가스, 적외선, 연기, 불꽃 정보 등을 감지하여 화재, 폭발, 질식 등과 같은 사고에 대한 위험 경고가 사전에 가능하여 산업안전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뿐만 아니라 각종 재난 발생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각 구역별로 설치된 장치의 배포, 배포된 장치의 유지보수, 재설치, 장비의 조회, 회수 등을 위해서는, 상술한 각종 작업에 대한 지시가 구두 혹은 문서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자와의 잘못된 의사소통이 이루어져 잘못된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배포 관리시스템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05493호(2010년12월27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배포 관리시스템에 의하여도 작업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 현장의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처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시설이나 인명의 손실이 증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05493호(2010년12월27일자 등록)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 현장에서 응급 상황이나 작업 필요 상황이 발생 된 경우 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 현장의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처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시설이나 인명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위치 송수신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사용자의 위치에서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된 응급 버튼부; 사용자가 있는 위치에서의 작업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된 작업 버튼부; 및, 상기 응급 버튼부 또는 상기 작업 버튼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말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송수신기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와, 상기 단말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응급 상황 또는 작업 필요 상황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송수신기는 상기 응급 버튼부, 상기 작업 버튼부 및 상기 단말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비롯한 신호가 상기 단말 송신부 또는 상기 표시부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에서 DGPS 방식으로 오차를 상쇄시켜 얻은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위치 송수신 시스템은, 상기 위치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송수신 시스템은 상기 위치 송수신기가 전파의 음영구역에 있을 때에 상기 응급 버튼부 또는 상기 작업 버튼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단말 송신부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송수신 시스템은 상기 위치 송수신기로부터 원격지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 송신부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인공위성을 통해 제공받는 외부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 수신부는, 지도정보가 저장되는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작업 현장의 지도 도면이 입력되도록 구비된 도면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작업 계획이 입력되도록 구비된 작업플랜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도록 구비된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 현장에서 응급 상황이나 작업 필요 상황이 발생 된 경우 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현장의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처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시설이나 인명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치 송수신기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위치 송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위치 송수신기를 통해 응급 상황이 송신되는 것을 나타낸 위치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외부 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위치 송수신기를 통해 작업 필요 상황이 수신되는 것을 나타낸 위치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위치 송수신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와, 사용자의 위치에서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본체(11)에 구비된 응급 버튼부(20)와, 사용자가 있는 위치에서의 작업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도록 본체(11)에 구비된 작업 버튼부(30)와, 응급 버튼부(20) 또는 작업 버튼부(3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말 송신부(4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 버튼부(20) 및 작업 버튼부(30)는 본체(11)의 전면에서 상호 나란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현장에서 응급 상황이나 작업 필요 상황이 발생 된 경우 사용자가 응급 버튼부(20)나 작업 버튼부(30)를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상황을 위치정보와 함께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격지에 있는 상황 통제실이나 다른 위치 송수신기(10)의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송수신기(10)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송신부(40)는 RF(Radio Frequency)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 송신부(40)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 데이터는 암호화부(41)를 통해 부호화 또는 복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위치 송수신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50)와, 단말 수신부(5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응급 상황 또는 작업 필요 상황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본체(11)에 구비된 표시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 수신부(50)도 단말 송신부(40)와 마찬가지로 RF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말 수신부(50)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데이터도 암호화부(41)를 통해 부호화 또는 복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60)는 본체(11)의 전면에 액정 화면으로 구비되거나 LED 화상이 구현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표시부(60)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응급 상황 또는 작업 필요 상황의 발생 여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위치 송수신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 버튼부(20), 작업 버튼부(30) 및 단말 수신부(5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비롯한 신호가 단말 송신부(40) 또는 표시부(60)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위치 송수신기(10)의 내부에 전원부(75)가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위치 송수신기(1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응급 상황 또는 작업 필요 상황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상황 통제실이나 응급기관 또는 다른 위치 송수신기(10)로 알릴 수 있고, 다른 위치 송수신기(10)로부터의 응급 상황 또는 작업 필요 상황을 위치정보와 함께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에는 저장부(80)가 연결 구비되어 단말 수신부(50)로부터 전달된 위치 정보와 단말 송신부(40)를 통해 송출되는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제어부(70)는 단말 수신부(5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에서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으로 오차를 상쇄시켜 얻은 위치정보를 표시부(60)로 전달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선체의 내부와 같은 사전에 정해진 작업 구역 내에서 정밀측량에 의해 정확한 위치를 미리 파악하고 있는 상황 통제실에서 오차의 범위를 위치 송수신기(10)의 제어부(70)에 전송한 후 제어부(70)에서 보정 하여 위치 송수신기(10)가 위치된 정확한 위치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내부에는 진동 모터 등으로 이뤄진 진동 알람부(90)가 더 구비되어 위치 송수신기(10)에 어떤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를 진동으로 알려준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다른 위치 송수신기(10)로부터 응급 상황 또는 작업 필요 상황이 발생 된 위치가 전송되어 올 경우 이를 위치 송수신기(10)의 사용자가 진동 울림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위치 송수신기(10)를 포함하는 위치 송수신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치 송수신기(10)를 포함하는 위치 송수신 시스템(100)은 위치 송수신기(10)가 전파의 음영구역에 있을 때에 응급 버튼부(20) 또는 작업 버튼부(3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단말 송신부(40)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 중계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송수신기(10)의 사용자가 전파의 음영구역에 있더라도 해당 위치에서의 응급 상황이나 작업 필요 상황을 해당 위치의 정보와 함께 상황 통제실의 모니터(1)나 다른 위치 송수신기(10)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위치 송수신 시스템(100)은 위치 송수신기(10)로부터 원격지에 구비되어 단말 송신부(4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인공위성을 통해 제공받는 외부 수신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수신부(120)에서 인공위성을 통해 응급 상황이 발생 된 위치에 있는 위치 송수신기(10)의 단말 송신부(40)로부터 송출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상황 통제실의 모니터(1)로 표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외부 수신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정보가 저장되는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와,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map database server)(130)로 작업 현장의 지도 도면이 입력되도록 구비된 도면 데이터 입력부(140)와,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130)로 작업 계획이 입력되도록 구비된 작업플랜 데이터 입력부(150)와,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130)로부터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도록 구비된 데이터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데이터 입력부(140)를 통해 선체의 내부와 같은 사전에 정해진 작업 구역의 도면 자료가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입력되고 작업플랜 데이터 입력부(150)를 통해 사전에 정해진 선체에서의 작업 계획이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에 미리 입력되면 긴급하게 작업 필요 상황이 발생 된 위치에 있는 작업자가 작업 버튼부(30)를 누름으로 인하여 도면에 동기화된 정보가 해당 위치 송수신기(10)로부터 송출되어 상황 통제실의 모니터(1)나 다른 지역에 있는 각 위치 송수신기(10)의 표시부(60)에 신속하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 현장의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처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시설이나 인명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 송수신기(10)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
10 : 위치 송수신기 11 : 본체
20 : 응급 버튼부 30 : 작업 버튼부
40 : 단말 송신부 50 : 단말 수신부
60 : 표시부 70 : 제어부
110 : 중계부 120 : 외부 수신부
130 :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 140 : 도면 데이터 입력부
150 : 작업플랜 데이터 입력부 160 : 데이터 저장부

Claims (8)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
    사용자의 위치에서 응급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에 구비된 응급 버튼부(20);
    사용자가 있는 위치에서의 작업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에 구비된 작업 버튼부(30); 및
    상기 응급 버튼부(20) 또는 상기 작업 버튼부(3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말 송신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송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50)와,
    상기 단말 수신부(5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응급 상황 또는 작업 필요 상황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본체(11)에 구비된 표시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송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버튼부(20), 상기 작업 버튼부(30) 및 상기 단말 수신부(5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비롯한 신호가 상기 단말 송신부(40) 또는 상기 표시부(60)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송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단말 수신부(5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에서 DGPS 방식으로 오차를 상쇄시켜 얻은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부(6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송수신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송수신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송수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송수신기(10)가 전파의 음영구역에 있을 때에 상기 응급 버튼부(20) 또는 상기 작업 버튼부(3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단말 송신부(40)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 중계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송수신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송수신기(10)로부터 원격지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 송신부(4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인공위성을 통해 제공받는 외부 수신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송수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신부(120)는,
    지도정보가 저장되는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130)와,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130)로 작업 현장의 지도 도면이 입력되도록 구비된 도면 데이터 입력부(140)와,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130)로 작업 계획이 입력되도록 구비된 작업플랜 데이터 입력부(150)와,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 서버(130)로부터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도록 구비된 데이터 저장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송수신 시스템.
KR2020120006860U 2012-07-31 2012-07-31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KR200482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860U KR200482983Y1 (ko) 2012-07-31 2012-07-31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860U KR200482983Y1 (ko) 2012-07-31 2012-07-31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30U true KR20140000930U (ko) 2014-02-11
KR200482983Y1 KR200482983Y1 (ko) 2017-03-23

Family

ID=5244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860U KR200482983Y1 (ko) 2012-07-31 2012-07-31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038A (ko) 2015-04-09 2016-10-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내 위치 및 경로 안내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가 적용되는 선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29B1 (ko) * 2007-02-28 2008-07-16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KR20100051462A (ko) * 2008-11-07 2010-05-17 대진기술정보 (주) 구조자 위치 실시간 추적관리 시스템
KR101005493B1 (ko) 2008-04-25 2011-0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829B1 (ko) * 2007-02-28 2008-07-16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
KR101005493B1 (ko) 2008-04-25 2011-0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KR20100051462A (ko) * 2008-11-07 2010-05-17 대진기술정보 (주) 구조자 위치 실시간 추적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038A (ko) 2015-04-09 2016-10-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내 위치 및 경로 안내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가 적용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83Y1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2713B (zh) 具有相关范围的信标广播的系统和方法
TWI448664B (zh) 緊急應變導引系統以及導引伺服器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US20130162428A1 (en) Worker's Personal Alarm Device
KR101483925B1 (ko) 스마트 안전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1431424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50122415A (ko) 재난 현장 무선 통합 지휘 시스템
TW201310361A (zh) 緊急引導系統及方法
KR20150102328A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공기호흡기 및 이를 이용한 대원관리시스템
KR20140075333A (ko) 안전모를 이용한 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101385A (ko)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폰 앱을 이용한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JP2019125151A (ja) 安全管理システム
US9704378B2 (en) Rescuer locator using bidirectional signal transmitter
JP2008293471A (ja) 侵入警告及び報告ネットワーク
KR200482983Y1 (ko)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JP4866746B2 (ja) 作業員所在警戒システム
KR101377706B1 (ko) 위치기반의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CN206062399U (zh) 一种报警、定位、生命体征监测的智能手环设备
US20050146432A1 (en) Electronic personnel control and safety device
US11158205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te control locomotive training
KR101393894B1 (ko) 선박의 휴대형 데드맨 알람 시스템 및 방법
JP6132635B2 (ja) 監視制御システム
US8717161B1 (en) Lockout for hydrogen sulfide monitoring system
EP3373265A1 (en) A control system
KR101845848B1 (ko) 스마트폰의 항공용 위치 모니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