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493B1 -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493B1
KR101005493B1 KR1020080038816A KR20080038816A KR101005493B1 KR 101005493 B1 KR101005493 B1 KR 101005493B1 KR 1020080038816 A KR1020080038816 A KR 1020080038816A KR 20080038816 A KR20080038816 A KR 20080038816A KR 101005493 B1 KR101005493 B1 KR 101005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lace
distribution
image
view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987A (ko
Inventor
이기원
신동길
박상우
황시영
조성우
김경훈
이동우
유낭근
이종섭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울산광역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울산광역시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49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 현장에 배치되는 장치의 배포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현장 내의 복수 개의 작업장 정보, 각 작업장에 신규 배포될 장치별 고유코드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DB부; 현장 내 작업장의 목록, 고유코드별 구분되는 장치의 목록,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인 장치이미지, 현장에 관한 평면도와 측면도를 표시하는 화면구동부; 화면구동부에 표시된 작업장의 목록 중 장치의 배포를 원하는 작업장, 장치의 목록 중 배포를 원하는 장치를 각각 선택받는 입력부; 및 사용자 조작으로 구동되며, 입력부를 통해 선택받은 장치에 대응되는 장치이미지를, 평면도 내의 작업장 중 입력부를 통해 선택받은 작업장 내로 배치받아 장치이미지의 x,y축위치를 설정받으면, 평면도의 x축위치에 대응되는 측면도의 x축위치에 동일한 장치이미지를 표시하고, 측면도에 표시된 장치이미지를 측면도 내의 작업장 중 선택받은 작업장 내로 배치받아 장치이미지의 z축위치를 설정받는 설정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개시된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장비 배포 위치를 도면이미지를 이용하여 설정, 조회 및 지시 출력 가능하여 장치의 배포 관리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선박, 건조, 장치, 배포, 도면

Description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equipment distribution in site using drawing}
본 발명은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건조 등과 같은 제조 산업 현장에 배치되어 현장 감시를 수행하는 장치들에 대한 배포 관리를 현장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 등에는 각 구역에 관한 감시 및 경보가 가능하도록 각 구역별로 감시용 장치를 설치하여 그 안전을 더욱 기하고 있다.
초대형 선박 건조 현장을 그 예로 들면, 초대형 선박은 그 규모가 상당하여 선박 내 각 구역별 전반적인 관리 및 감시가 용이하지 못하며 그에 따라 각종 안전사고 발생시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 선박 내부의 각 작업공간별로 감시용도의 장치를 별도로 설치한다면, 산소농도, 온도, 습도, 조도, 폭발성가스, 적외선, 연기, 불꽃 정보 등을 감지하여 화재, 폭발, 질식 등과 같은 사고에 대한 위험 경고가 사전에 가능하여 산업안전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뿐만 아니라 각종 재난 발생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각 구역별로 설치된 장치의 배포, 배포된 장치의 유지보수, 재설치, 장비의 조회, 회수 등을 위해서는, 상술한 각종 작업에 대한 지시가 구두 혹은 문서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자와의 잘못된 의사소통이 이루어져 잘못된 작업을 유도할 수 있으며, 장비가 배포될 혹은 배포된 위치 등이 단순히 해당 위치에 관한 이름, 명칭으로만 기록되어 관리되는 경우 작업 관리에 착오, 실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장치의 관리 조회 등의 작업이 문서 혹은 구두로 이루어지는 경우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관리 시간과 인력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산업 현장에 배치되는 장치의 배포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장치의 현장 배포 관리가 온라인 상에서 가능하여 사용자 환경을 개선시킴은 물론이며 장비가 배포될 위치를 해당 현장에 대응되는 도면이미지를 이용하여 설정 및 조회 가능하여 장치의 배포 관리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은, 산업 현장에 배치되는 장치의 배포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현장 내의 복수 개의 작업장 정보, 각 작업장에 신규 배포될 장치별 고유코드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DB부; 현장 내 상기 작업장의 목록, 상기 고유코드별 구분되는 장치의 목록, 상기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인 장치이미지, 상기 현장에 관한 평면도와 측면도를 표시하는 화면구동부; 상기 화면구동부에 표시된 상기 작업장의 목록 중 장치의 배포를 원하는 작업장, 상기 장치의 목록 중 배포를 원하는 장치를 각각 선택받는 입력부; 및 사용자 조작으로 구동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받은 장치에 대응되는 장치이미지를, 평면도 내의 작업장 중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받은 작업장 내로 배치받아 장치이미지의 x,y축위치를 설정받으면, 평면도의 x축위치에 대응되는 측면도의 x축위치에 동일한 장치이미지를 표시하고, 측면도에 표시된 장치이미지를 측면도 내의 작업장 중 상기 선택받은 작업장 내로 배치받아 장 치이미지의 z축위치를 설정받는 설정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정제어부를 통해 상기 장치에 대응되는 장치이미지의 배포위치 설정이 완료된 경우, 배포위치가 설정된 장치이미지가 표시된 평면도와 측면도의 도면이미지, 상기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의 고유코드 정보, 상기 장치가 배포될 작업장의 정보가 각각 표시되어 제공되는 배포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한 지시서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작업장 내에 배치될 장치에 대한 상세배포위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더 입력받으며, 이때 상기 지시서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배포지시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상세배포위치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업장에 기 배포되어 설치된 장치에 대한 배포위치의 수정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위치수정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면구동부는, 상기 위치수정설정부를 통한 수정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평면도와 측면도 내에 기 배치된 해당 장치이미지를 표시하며, 이때 상기 설정제어부는, 상기 해당 장치이미지에 대해 평면도에서의 상기 x,y축위치와 측면도에서의 상기 z축위치를 각각 설정받아 해당 장치에 대한 배포위치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시서출력부는, 상기 설정제어부를 통해 상기 장치이미지의 배포위치 수정 설정이 완료된 경우, 배포위치가 수정 반영된 장치이미지가 표시된 평면도와 측면도의 도면이미지, 배포위치가 수정된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에 관한 고유코드 정보, 상기 장치의 배포위치가 수정된 작업장의 정보가 각각 표시되어 제공되는 위치이동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해당 작업장에 기 배포되어 설치된 장치에 대한 회수를 사용자로부터 지시받는 장치회수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화면구동부는, 상기 장치회수설정부를 통한 회수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해당 작업장에 대한 평면도와 측면도에 기 배치된 모든 장치이미지 표시하고, 상기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 목록을 표시 제공하며, 또한 상기 설정제어부는, 상기 화면구동부의 평면도 또는 측면도에 표시된 장치이미지 중 회수대상 장치에 해당되는 장치이미지를 선택받거나, 또는 상기 장치목록 중 회수대상 장치 목록을 선택받아 장치의 회수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시서출력부는, 상기 설정제어부를 통해 장치의 회수 설정이 완료된 경우, 회수대상 장치이미지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평면도와 측면도의 도면이미지, 상기 회수대상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의 고유코드 정보, 상기 회수대상 장치가 위치한 작업장의 정보가 각각 표시되어 제공되는 회수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신규 배포에 관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신규배포설정부; 현장별, 상기 현장 내의 작업장별, 상기 고유코드별, 장치의 신규 배포시 장치마다 부여되는 관리번호별, 또는 배포 작업일자별로 해당 장치 목록의 조회 정보를 제공하는 조회부; 상기 작업장에 기 배포된 장치에 대하여, 상기 현장별 또는 상기 작업장별로 해당 장치의 전체회수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전체회수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면구동부는, 상기 전체회수설정부를 통해 해당 장치의 전체회수 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현장별 또는 상기 작업장별로 전체 회수대상 장치의 목록을 제공하며, 상기 지시서출력부는, 상기 현장별 또는 상기 작업장별로 전체 회수대상 장치의 목록을 표시하여 제공되는 전체회수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장 및 상기 작업장은, 건조 중인 선박 및 상기 선박 내의 복수 개의 작업장에 각각 해당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작업장별로 설치되어, 해당 작업장에 대한 산소농도, 온도, 습도, 조도, 폭발성가스, 적외선, 연기, 불꽃 정보 중 선택된 복수 개의 정보를 감지하는 고정형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고정형센서 이외에도 각 고정형센서로부터 전송된 감지 정보를 수집하여 선박 외부의 종합관제수단 측 전송하기 위한 중간 경로인 라우터, 상기 라우터에 수집된 각 고정형센서별 정보를 상기 종합관제수단으로 전송하되 무선랜 또는 CDMA망으로 선택적 전송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코디네이터장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장치의 현장 배포 관리가 온라인 상에서 가능함은 물론이며 장비가 배포될 위치를 해당 현장에 대응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의 도면이미지를 이용하여 설정 및 조회 가능하여 장치의 배포 관리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둘째, 장치의 배포뿐만 아니라, 기 배포된 장치의 이동 설정, 회수 설정 등 이 용이하다.
셋째, 장치의 배포, 이동, 회수에 관한 지시서 출력을 통해 각 작업에 관한 효율, 정확성 등을 향상시키고 설치 등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포 대상에 해당되는 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장치를 이용한 선박 건조 작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면구동부의 초기화면 구동예, 도 5는 도 2의 화면구동부에서 신규배포 클릭시 전환화면 구동예, 도 6은 도 5의 신규배포 설정 이후 출력 가능한 배포지시서의 예시도, 도 7은 도 2의 화면구동부에서 장치이동 클릭시 전환화 면 구동예, 도 8은 도 7의 장치이동 설정 이후 출력 가능한 위치이동지시서의 예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2의 화면구동부에서 장치회수 클릭시 전환화면 구동예, 도 10은 도 9의 장치회수 설정 이후 출력 가능한 회수지시서의 예시도, 도 11은 도 2의 화면구동부에서 세부목록 클릭시 전환화면 구동예, 도 12는 도 2의 화면구동부에서 일괄회수 선택시 출력 가능한 전체회수지시서의 예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도 4 내지 도 5, 도 7, 도 9, 도 11은 모두 본 발명에 있어서 화면구동부(120)의 표현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산업 현장에 배치되는 장치의 배포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도 3의 선박 건조작업과 같은 현장에 설치되어 현장 내의 각 작업장을 상황을 감시하는 장치에 관한 배포, 배포된 장치의 관리, 조회, 회수 등이 온라인 상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배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상기 장치란, 산업 현장의 감시용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장에 설치 가능한 장치들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임은 자명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100)은, DB부(110), 화면구동부(120), 입력부(130), 설정제어부(140), 지시서출력부(150), 위치수정설정부(160), 장치회수설정부(170), 전체회수설정부(180), 조회부(190), 신규배포설정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DB부(110)는, 현장 내의 복수 개의 작업장 정보, 각 작업장에 신규 배포될 장치별 고유코드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현장 및 상기 작업장은, 도 3과 같이 건조 중인 선박 현장 및 상기 선박 내의 복수 개의 작업장(60)에 각각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치는, 작업장(60)별로 설치되어, 해당 작업장(60)에 대한 산소농도, 온도, 습도, 조도, 폭발성가스, 적외선(발열 감지용), 연기, 불꽃 정보 중 선택된 복수 개의 정보를 감지하는 고정형센서(10)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장치로는, 상술한 고정형센서(10) 이외에도, 도 2와 같이 각 고정형센서(10)로부터 전송된 감지 정보를 수집하여 선박 외부의 종합관제수단(40) 측 전송하기 위한 중간 경로인 라우터(20), 및 이러한 라우터(20)에 수집된 각 고정형센서(10)별 정보를 상기 종합관제수단(40) 측으로 전송하되 무선랜 또는 CDMA망으로 선택적 전송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코디네이터장비(30)가 더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디네이터장비(30)는 무선랜 또는 CDMA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한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 즉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 전환을 시도함에 따라 통신 장애에 관한 신속한 극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B부(110)가 관리하는 대상은, 도 4의 화면과 같이 현장 내 작업장 정보, 도 5의 화면과 같이 장치별 고유코드 정보(USN장치코드), 설치된 장치의 위치 정보, 작업별 코드정보, 회수 정보, 설치 정보, 이동 정보, 제어 정보 이외에도, 각 현장별로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화면구동부(120)의 화면 실시예로서, 상기 DB부(110)에 의해 관리되 는 정보들의 표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A 부분은 관리대상 현장의 현장별 조회 및 선택이 가능하며, B 부분은 해당 현장 내에 속한 작업장의 조회 및 선택이 가능하다.
즉, 상기 화면구동부(120)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현장 목록, 현장 내 작업장의 목록, 상기 고유코드별 구분되는 장치의 목록 표시가 가능하며, 이외에도 도 5와 같이 상기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인 장치이미지(H 부분 등), 상기 현장에 관한 평면도와 측면도의 표시 가능하다.
참고로, 도 4의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100)을 구동하기 위한 화면구동부(120)의 초기화면을 나타내며, 도 5는 도 4의 J 부분(신규배포) 클릭시 장치의 배포를 위한 화면으로 전환 또는 팝업되어 나타나는 화면구동부(120)의 예시이다.
한편, 입력부(130)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화면구동부(120)에 표시된 현장의 목록 중 장치의 배포를 원하는 현장, 현장 내 작업장의 목록 중 장치의 배포를 원하는 작업장, 도 5와 같은 장치의 목록 중 배포를 원하는 장치를 각각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부분이다. 이러한 입력부(130)는 화면구동부(120) 내에 해당 정보의 타이핑, 마우스 클릭 등의 조작에 의해 동작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화면구동부(120)의 정보 표시 및 입력부(130)의 배포 장치 선택 등의 동작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장치의 신규 배포를 위해서는 J 부분(신규배포 버튼)을 클릭한다. 신규배포 버튼 클릭 이후 표시되는 도 5의 화면 C,D 부분에서 장치 배포를 원하는 현장 및 작업장의 선택이 가능하다. 물론 선택이 잘못된 경우에는 C,D 부분에 서 올바른 현장 및 작업장으로 재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현장 및 작업장의 선택 시점 및 그 구현 원리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며, 그러한 설계 변경도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물론, 신규배포 클릭시 나타나는 도 5의 화면에는 현재의 작업에 관한 관리번호를 A 부분과 같이 자동 생성하여 표시하고, 추후 배포 위치설정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도 상기한 관리번호는 배포 위치설정 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한편, 도 5의 화면 H 부분에는 배포 대상이 되는 장치에 대한 장치이미지의 표시가 가능한데,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각 장치(코디네이터, 라우터, 고정형센서)들의 장치이미지를 선택한 개수만큼 표시 가능하여, 이상과 같이 장치를 이미지화함에 따라 그 육안으로의 확인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화면구동부(120)는 도 5의 E 부분과 같이, 이미 배포가 완료된 기존의 배포 장치의 목록이 제공 가능한데, 이때 해당 장치의 고유코드(USN장치코드)와 설치위치에 관한 정보가 함께 제공 가능하다.
또한, DB부(110)에 저장된 장치의 목록 중에 아직 배포가 이루어지지 않은 장치인 가용장치에 대한 목록이 도 5의 F 부분에 의해 표시 제공된다. 물론, 배포할 대상 장치란 현재 가용상태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앞서 상술한 장치의 목록은 상기 가용장치에 대한 목록을 내포한다.
이때, '가용'버튼 클릭시 도 5의 우측 상단과 같이 가용 장치 리스트가 표시되며, 신규 배포를 위해 가용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장치 고유코드를 클릭하면 F 부분과 같이 해당 장치코드(2007100300064)가 표시된다. 또한, 장치 종류별로, 현 재 가용한 장치의 갯수가 H 부분과 같이 표시 가능하다. 도 5에 표시된 가용장치 리스트는 그 종류가 라우터인 경우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라우터, 코디네이터장비, 고정형센서)별로 고유코드의 숫자조합 규칙이 서로 구분되도록 달리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력부(130)는 해당 고유코드를 갖는 장치에 관한 장치이미지뿐만 아니라 해당 장치의 배포 개수 또한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의 H 부분에서 배포를 원하는 장치가 라우터이고 배포될 개수가 3개인 경우, '←' 모양의 화살표를 3번 클릭하거나 화살표 우측의 공란에 숫자 3을 입력(혹은 3 입력 후 화살표 클릭)하여 배포대상 장치의 개수를 3개인 것으로 설정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가용 개수가 36에서 33으로 차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설정제어부(140)는 사용자 조작으로 구동 가능한데 사용자의 조작 내용이 화면구동부(120)를 통해 실시간 표시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설정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선택받은 장치에 대응되는 장치이미지(H 부분)를, 평면도 내의 작업장 중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기 선택받은 작업장 내로 배치받아 장치이미지의 x,y축위치를 설정받으면, 평면도의 x축위치에 대응되는 측면도의 x축위치에 동일한 장치이미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H 부분에서 라우터 장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상측의 평면도 측으로 끌어올려 드래그 앤 드롭과 같은 방식으로 해당 라우터 장치의 x,y축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즉, 설정제어부(140)는 배포를 원하는 장치이미지가 사용자에 의해 H 부분에 서 선택되어 평면도 측의 원하는 작업장 내로 끌어 놓아져 위치 설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그에 대응되도록 측면도에도 상기와 동일한 장치이미지를 표시하되 평면도의 장치이미지의 x축위치 설정에 따라 측면도의 장치이미지 x축위치 또한 수시로 이동하면서, 평면도와 측면도의 x축위치가 항상 동일하게 유지한다.
한편, 이렇게 평면도 상의 x,y축위치 및 측면도 상의 x축위치의 설정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마지막으로 측면도 상의 z축위치(장치 높이)가 설정되어야 한다.
즉, 설정제어부(140)는 측면도에 표시된 해당 장치이미지를, 측면도 내의 작업장 중에서 상기 평면도 상에 배치완료된 작업장과 동일한 작업장 내로 배치받아, 장치이미지의 z축위치를 설정받는다.
물론, 이러한 배치 설정 과정에서, 배치되는 해당 장치에 대한 상세배포위치 정보를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더 입력받을 수 있는데, 이는 도 5의 F 부분에서, 설치대상 장치코드에 대응되는 '설치위치'란을 통해 입력 가능하다.
입력되는 정보로는 예를 들면 '엔진룸 3층 계단 우측', '거주구 2층 기계1 아래' 등과 같이 표시 가능한데, 이에 따르면, 장치의 설치 위치가 평면도와 측면도 상에 이미지로 단순히 표시되는 것보다 더욱 상세한 위치정보를 장치 설치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설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현재와 같은 배포 설정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정보는 별도로 B 부분(담당자 란)에 입력되어 저장 가능하다.
한편, 이렇게 모든 배포 정보가 설정된 이후, 도 5의 좌측 하단의 저장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해당 장치에 관한 배포 지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저장 이후 나타나는 미리보기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후술할 도 6과 같은 배포지시서가 화면으로 팝업 등에 의해 표시 가능하다. 저장 버튼 우측의 목록 버튼 클릭시에는 도 4의 초기화면으로 전환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배포를 원하는 장치에 관한 평면도, 측면도 상의 위치가 이미지 형태로 표시 가능함에 따라, 해당 장치에 대한 작업자의 실제 배포시 정확한 지침 자료로 유용히 이용될 수 있다.
지시서출력부(150)는, 설정제어부(140)를 통해 배포대상 장치에 대응되는 장치이미지의 배포위치 설정이 완료된 경우, 도 6과 같이, 배포위치가 설정된 장치이미지가 표시된 평면도와 측면도의 도면이미지, 상기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의 고유코드 정보(ex; USN장치코드), 상기 장치가 배포될 작업장의 정보(ex,12선투탱크)가 각각 표시되어 제공되는 배포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하다. 물론, 이외에도 배포지시서에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기 입력된 상세배포위치 정보(ex, 설치위치 항목)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배포지시서는, 실제로 장치를 배포하는 작업자에게 제공되어 작업 지침이 되어, 잘못된 작업장에 장치가 배포되는 등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화면에 따르면, 한 작업장 내의 여러 장치의 배포위치 설정이 한 화면에서 가능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F 부분를 통해 가용장치 중에서 해당 작업장에 배포를 원하는 장치에 대한 장치 고유코드를 복수 개로 선택하고 또한 해당 장치에 대응되는 장치이미지를 선택하여 각 장치이미지의 배포 작업을 설정제어부(140)를 통해 차례로 조작하여 평면도 및 측면도 상의 위치설정 완료하여 저장하 면 해당 작업장 내의 모든 장치 배치 내역이 한번에 저장된다. 또한, 도 6의 배포지시서에도 물론, 측면도와 평면도, 그리고 그 하단의 장치코드 목록란에, 설치대상 장치 혹은 그 목록이 복수 개로 한번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한번에 이루어진 복수 개의 배포 작업에 관해서는 하나의 관리번호로 관리된다.
한편, 해당 작업장에 기 배포되어 설치된 장치에 대한 배포위치의 수정지시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장치가 잘못된 장소에 설치되었거나 타 장소에서의 장치 이용 효율이 더욱 효과적인 경우 등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정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위치수정설정부(160)를 더 포함한다.
위치수정설정부(160)는 도 4의 '장치이동'버튼을 통해 가능한데, 물론 '장치이동' 버튼 클릭 전에, 장치이동이 필요한 현장 및 작업장의 선택이 입력부(130)를 통해 먼저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화면구동부(120)는 '장치이동'버튼 클릭 이후, 도 7과 같은 화면으로 전환 가능한데, 즉 상기한 수정지시가 있는 경우 해당 작업장에 대한 평면도와 측면도 내에, 기 배치된 해당 장치이미지를 표시한다. 물론, 도 7에 표시된 해당 고유코드(USN장치코드)과 그에 대응되는 장치이미지는 서로 연계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여기서, 설정제어부(140)는, 도 7의 화면상에서, 해당 장치이미지에 대해 평면도에서의 상기 x,y축위치와 측면도에서의 상기 z축위치를 각각 드로그 앤 드롭 등의 동작을 통해 설정받음으로써 해당 장치에 대한 배포위치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수정된 위치에 관한 상세위치정보는 해당 장치의 고유코드에 대응되는 C 부분의 '설치위치'란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 관리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D 부분과 같이 현재 상태는 '이동'상태로 전환된다.
이동 설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저장 가능하며, 저장이 완료되면 미리보기 버튼이 생성되어 미리보기 버튼 클릭시 도 8과 같은 위치이동지시서를 팝업 등에 의해 표시 가능하다.
즉, 지시서출력부(150)는, 설정제어부(140)를 통해 장치이미지의 배포위치 수정 설정이 완료된 경우, 배포위치가 수정된 장치이미지가 표시된 평면도와 측면도의 도면이미지, 배포위치가 수정된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에 관한 고유코드 정보, 상기 장치가 수정 배포될 작업장의 정보, 설치될 상세위치정보(설치위치 항목)가 각각 표시되어 제공되는 도 8과 같은 위치이동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하다.
작업자는 수정된 위치이동지시서를 기반으로 장치 위치의 수정을 더욱 정확성 있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해당 작업장에 기 배포되어 설치된 장치에 대한 회수를 사용자로부터 지시받는 장치회수설정부(170)를 더 포함하며, 이는 도 4의 초기화면에서 '장치회수' 버튼에 의해 가능하다. 장치회수는 해당 장치를 이용한 감시 등의 작업이 더 이상 이루어질 필요가 없거나, 혹은 장치가 고장난 경우 등에 수행 가능하다.
물론, 여기서도 '장치회수' 버튼 클릭 전에, 장치회수가 필요한 현장 및 작업장의 선택이 입력부(130)를 통해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화면구동부(120)는 '장치회수'버튼 클릭 이후, 도 9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 가능한데, 즉 상기한 회수지시가 있는 경우 해당 작업장에 대한 평면도와 측면도에, 기 배치된 모든 장치를 표시 가능하며, 또한 하단과 같이 상술한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 목록을 표시 제공한다.
여기서, 설정제어부(140)는, 도 9와 같이, 화면구동부(120)의 평면도 또는 측면도에 표시된 장치이미지 중 회수대상 장치에 해당되는 장치이미지를 마우스 클릭 등을 통해 선택받거나, 또는 도 9의 하단에 개시된 장치목록 중 회수대상 장치 목록을 체크박스를 통해 선택받아 장치의 회수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지시서출력부(150)는, 설정제어부(140)를 통해 장치의 회수 설정이 완료된 경우, 회수대상 장치이미지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평면도와 측면도의 도면이미지, 상기 회수대상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의 고유코드 정보, 상기 회수대상 장치가 위치한 작업장의 정보, 장비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상세위치정보(설치위치 항목)가 각각 표시되어 제공되는 도 10과 같은 회수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장치의 신규 배포에 관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신규배포설정부(200)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앞서 상술한 도 4의 '신규배포' 버튼에 의해 구현가능하다. 즉, 신규배포설정부(200)를 통한 신규배포 지시가 있는 경우, 도 5와 같은 화면 전환을 수행하여 신규배포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조회부(190)는, 도 4와 같이 현장별(A 부분), 상기 현장 내의 작업장별(B 부분), 상기 고유코드별(F 부분), 장치의 신규 배포시 장치마다 부여되는 관리번호별(E 부분), 또는 배포 작업일자별(I 부분), 작업구분별(H 부분)로 해당 장치 목록의 조회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는 도 4의 화면 등과 같이 '조회' 버튼의 클릭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회된 화면을 내용을 엑셀(Excel) 파일로 다운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를 살펴보면 '작업구분'란이 있는데, 이는 해당 장치가 현재 배포(설치), 회수, 혹은 이동 상태인지를 나타낸다.
물론, 작업일자별 조회는, 배포 시점뿐만 아니라, 추후 회수, 이동 등의 변경사항이 발생된 경우, 최종 작업된 일자를 기준으로 조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일자의 경우 특별한 설정 전에는 일주일 전부터 오늘 시점까지 디폴트로 자동 표시될 수 있으며, 작업기간의 조회는 별도의 달력 표시에 의해 가능하다.
한편, 각각의 관리번호별로 상술한 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M 부분과 같이 지시서출력란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L 부분과 같이 '세부목록' 클릭시에는 도 11과 같이, 관리번호, 현장, 작업장, 작업자, 작업일자, 고유코드, 장치종류, 작업일자, 설치내용 등의 정보가 한눈에 표현 가능하다. 즉, 특정 관리번호에 해당되는 모든 작업 상황을 한번에 모니터할 수 있다. 도 11의 '설치내용' 항목의 경우 별도로 설치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타 정보에 해당된다.
한편, 본 발명에는, 작업장에 기 배포된 장치에 대하여, 현장별 또는 작업장별로 해당 장치의 전체회수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전체회수설정부(180)를 더 포함하며, 이는 도 4의 '일괄회수' 버튼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물론 '일괄회수' 버튼 클릭 전에, 도 4에서 해당 현장 또는 작업장을 선택하 는 제반 사항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이때, 화면구동부(120)는 상술한 전체회수 지시가 있는 경우, 현장별 또는 작업장별로 전체 회수대상 장치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지시서출력부(150)는, 도 12과 같이 현장별 또는 작업장별로 전체 회수대상 장치의 목록을 표시하여 제공되는 전체회수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하다. 이때는 일괄회수이므로 별도로 평면도나 측면도의 표시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이러한 도 12의 예는 특정 작업장(12선두탱크)에 대한 전체회수 동작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도 6, 도 8, 도 10, 도 12에 개시된 각 지시서는 별도로 '출력'버튼의 클릭으로 인해 현재 화면을 프린트하여 제공 가능하며, 물론 온/오프라인 상으로 시스템 관리자,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 가능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되는 선박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시스템의 예에 관하여 도 3을 참고로 하여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후술할 설명 및 도 3에 개시되는 작업자는, 선박 건조에 필요한 용접, 조립 등의 목적으로 배치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의미하며, 앞서 상술한 장치의 배치를 위한 작업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도 3의 감시 시스템은, 건조 중인 선박 내 소정 작업장(60)의 용접, 조립 등의 작업자별로 착용되는 휴대형센서(50), 각 작업장(60)별로 설치되는 고정형센서(10), 각 센서(10,50)의 감지값을 무선 수신하여 재해를 예측하는 종합관제수단(40)으로 크게 구분된다. 즉, 소정 작업장(60)이란 선박 건조에 필요한 용접, 조 립 등의 작업자가 배치되어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장(60)이다.
먼저, 휴대형센서(50)는, 용접, 조립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한 진동신호 및 착용주변의 산소농도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 감지된 진동신호 또는 산소농도정보가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진동으로 알리는 진동발생부(미도시), 비상시 작업자의 누름에 의해 비상신호가 출력되는 응급버튼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형센서(10)는, 공간 내의 산소농도, 온도, 습도, 조도, 폭발성가스, 연기, 불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하는 고정센서부(11) 및 적외선센서(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적외선센서(12)에 의한 감지는, 발열성이 있는 발열체(인체, 불꽃 등)의 움직임 감지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센서부(11)는 산소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가스감지센서, 연기센서, 불꽃센서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폭발성가스는 THC가스, 에틸렌가스 등일 수 있다.
한편, 휴대형센서(50)의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및 비상신호는 사용자별 구별가능한 독립된 사용자식별번호와 연계되어 종합관제수단(40)으로 무선 전송 가능하다. 고정형센서(10)의 각 감지정보 또한 공간별 구별가능한 독립된 공간식별번호와 연계되어 종합관제수단(40)으로 무선 전송 가능하다.
이때, 종합관제수단(40)은, 휴대형센서(50) 및 고정형센서(10)과 서로 이격된 장소, 즉 건조중인 선박 외부에 위치한 종합관제실(9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종합관제수단(40)은 휴대형센서(50)과 고정형센서(10)에서 수신받은 각각의 감지정보를 각 감지정보별 지정된 임계범위와 비교하여 임계범위 이탈을 판단하는 판단부(미도시), 수신받은 각각의 감지정보와 임계범위를 이용하여 화재, 폭발, 질식 등의 재해 상황을 판단하는 예측부(미도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표시하는 저장부(미도시) 및 화면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한 종합관리부(40), 임계범위 이탈시 또는 상기 응급버튼부(미도시)에 의한 비상신호의 수신시 경보를 울리는 경보발생부(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부는, 사용자식별번호, 사용자별 인적사항, 사용자가 배치된 작업공간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 사용자 정보뿐만 아니라, 공간식별번호, 작업공간별 작업공간명, 작업공간위치와 지도, 각 작업공간에 배치된 사용자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 공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저장부는 휴대형센서(50)에서 전송된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비상신호, 고정형센서(10)에서 전송된 각 감지정보의 이력이, 날짜별 또는 시간별로 저장되어 관리 및 조회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중계수단(80)은 휴대형센서(50)과 종합관제수단(40) 간, 고정형센서(10)과 종합관제수단(40) 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하는데, 무선랜 방식 또는 CDMA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통신이 수행되며, 어느 한 방식의 통신 중 장애가 발생되면 나머지 다른 한 방식으로 통신 연결 전환을 시도함으로써 상시적인 무선 중계가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코디네이터장비(30)를 구비한다.
한편, 안전관리자 단말기(70)는 안전관리자 측에 구비되며, 종합관제수단(40)에서 분석/예측된 재해정보나 경보 등을 수신하여 화면으로 표시한다. 물론, 휴대형센서(50) 또한, 종합관제수단(40)으로부터 분석/예측된 재해정보나 경보 등을 수신하여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상황알림판(85)은, 선박 내부 또는 외부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설치되어, 종합관제수단(40)으로부터 수신받은 예측 정보를 실시간 문자 또는 그래픽 형식으로 화면으로 표시 제공한다.
여기서, 종합관제수단(40)은, 휴대형센서(50)로부터 전송받은 진동신호, 산소농도정보 및 상기 고정형센서(10)로부터 전송받은 각각의 감지정보를 기초로 한, 사용자별 또는 공간별 상황 분석데이터를 안전관리자 단말기(70), 휴대형센서(50), 현장상황알림판(85)으로 실시간 전송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포 대상에 해당되는 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장치를 이용한 선박 건조 작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 예시도,
도 4는 도 1의 화면구동부의 초기화면 구동예,
도 5는 도 2의 화면구동부에서 신규배포 클릭시 전환화면 구동예,
도 6은 도 5의 신규배포 설정 이후 출력 가능한 배포지시서의 예시도,
도 7은 도 2의 화면구동부에서 장치이동 클릭시 전환화면 구동예,
도 8은 도 7의 장치이동 설정 이후 출력 가능한 위치이동지시서의 예시도,
도 9는 도 2의 화면구동부에서 장치회수 클릭시 전환화면 구동예,
도 10은 도 9의 장치회수 설정 이후 출력 가능한 회수지시서의 예시도,
도 11은 도 2의 화면구동부에서 세부목록 클릭시 전환화면 구동예,
도 12는 도 2의 화면구동부에서 일괄회수 선택시 출력 가능한 전체회수지시서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110...DB부 120...화면구동부
130...입력부 140...설정제어부
150...지시서출력부 160...위치수정설정부
170...장치회수설정부 180...전체회수설정부
190...조회부 200...신규배포설정부

Claims (10)

  1. 산업 현장에 배치되는 장치의 배포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현장 내의 복수 개의 작업장 정보, 각 작업장에 신규 배포될 장치별 고유코드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DB부;
    현장 내 상기 작업장의 목록, 상기 고유코드별 구분되는 장치의 목록, 상기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인 장치이미지, 상기 현장에 관한 평면도와 측면도를 표시하는 화면구동부;
    상기 화면구동부에 표시된 상기 작업장의 목록 중 장치의 배포를 원하는 작업장, 상기 장치의 목록 중 배포를 원하는 장치를 각각 선택받는 입력부; 및
    사용자 조작으로 구동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받은 장치에 대응되는 장치이미지를, 평면도 내의 작업장 중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받은 작업장 내로 배치받아 장치이미지의 x,y축위치를 설정받으면, 평면도의 x축위치에 대응되는 측면도의 x축위치에 동일한 장치이미지를 표시하고, 측면도에 표시된 장치이미지를 측면도 내의 작업장 중 상기 선택받은 작업장 내로 배치받아 장치이미지의 z축위치를 설정받는 설정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장 및 상기 작업장은, 건조 중인 선박 및 상기 선박 내의 복수 개의 작업장에 각각 해당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작업장별로 설치되어, 해당 작업장에 대한 산소농도, 온도, 습도, 조도, 폭발성가스, 적외선, 연기, 불꽃 정보 중 선택된 복수 개의 정보를 감지하는 고정형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제어부를 통해 상기 장치에 대응되는 장치이미지의 배포위치 설정이 완료된 경우, 배포위치가 설정된 장치이미지가 표시된 평면도와 측면도의 도면 이미지, 상기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의 고유코드 정보, 상기 장치가 배포될 작업장의 정보가 각각 표시되어 제공되는 배포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한 지시서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작업장 내에 배치될 장치에 대한 상세배포위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더 입력받으며,
    상기 지시서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배포지시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상세배포위치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에 기 배포되어 설치된 장치에 대한 배포위치의 수정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위치수정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면구동부는, 상기 위치수정설정부를 통한 수정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평면도와 측면도 내에 기 배치된 해당 장치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설정제어부는, 상기 해당 장치이미지에 대해 평면도에서의 상기 x,y축위치와 측면도에서의 상기 z축위치를 각각 설정받아 해당 장치에 대한 배포위치 수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출력부는,
    상기 설정제어부를 통해 상기 장치이미지의 배포위치 수정 설정이 완료된 경우, 배포위치가 수정된 장치이미지가 표시된 평면도와 측면도의 도면이미지, 배포위치가 수정 반영된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에 관한 고유코드 정보, 상기 장치의 배포위치가 수정된 작업장의 정보가 각각 표시되어 제공되는 위치이동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해당 작업장에 기 배포되어 설치된 장치에 대한 회수를 사용자로부터 지시받는 장치회수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면구동부는, 상기 장치회수설정부를 통한 회수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해당 작업장에 대한 평면도와 측면도에 기 배치된 모든 장치이미지 표시하고, 상기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 목록을 표시 제공하며,
    상기 설정제어부는, 상기 화면구동부의 평면도 또는 측면도에 표시된 장치이미지 중 회수대상 장치에 해당되는 장치이미지를 선택받거나, 또는 상기 장치목록 중 회수대상 장치 목록을 선택받아 장치의 회수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출력부는,
    상기 설정제어부를 통해 장치의 회수 설정이 완료된 경우, 회수대상 장치이미지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평면도와 측면도의 도면이미지, 상기 회수대상 장치이미지에 대응되는 장치의 고유코드 정보, 상기 회수대상 장치가 위치한 작업장의 정보가 각각 표시되어 제공되는 회수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의 신규 배포에 관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신규배포설정부;
    현장별, 상기 현장 내의 작업장별, 상기 고유코드별, 장치의 신규 배포시 장치마다 부여되는 관리번호별, 또는 배포 작업일자별로 해당 장치 목록의 조회 정보를 제공하는 조회부;
    상기 작업장에 기 배포된 장치에 대하여, 상기 현장별 또는 상기 작업장별로 해당 장치의 전체회수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전체회수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면구동부는, 상기 전체회수설정부를 통해 해당 장치의 전체회수 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현장별 또는 상기 작업장별로 전체 회수대상 장치의 목록을 제공하며,
    상기 지시서출력부는, 상기 현장별 또는 상기 작업장별로 전체 회수대상 장치의 목록을 표시하여 제공되는 전체회수지시서의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각 고정형센서로부터 전송된 감지 정보를 수집하여 선박 외부의 종합관제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중간 경로인 라우터, 상기 라우터에 수집된 각 고정형센서별 정보를 상기 종합관제수단으로 전송하되 무선랜 또는 CDMA망으로 선택적 전송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코디네이터장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KR1020080038816A 2008-04-25 2008-04-25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KR101005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816A KR101005493B1 (ko) 2008-04-25 2008-04-25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816A KR101005493B1 (ko) 2008-04-25 2008-04-25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87A KR20090112987A (ko) 2009-10-29
KR101005493B1 true KR101005493B1 (ko) 2011-01-04

Family

ID=4155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816A KR101005493B1 (ko) 2008-04-25 2008-04-25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930U (ko) 2012-07-31 2014-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6131B (zh) * 2019-11-14 2021-06-04 东风设计研究院有限公司 数字化多功能智能监控终端及监控方法
KR102488963B1 (ko) * 2020-04-17 2023-01-16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 주식회사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074A (ko) * 2000-09-13 2002-03-18 이마이 기요스케 네트워크를 이용한 3차원 공간 설계 지원방법, 동 시스템및 동 시스템의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074A (ko) * 2000-09-13 2002-03-18 이마이 기요스케 네트워크를 이용한 3차원 공간 설계 지원방법, 동 시스템및 동 시스템의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930U (ko) 2012-07-31 2014-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위치 송수신기 및 이를 포함한 위치 송수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87A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9871B2 (en) Processing device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dustrial vehicle
KR101615865B1 (ko)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91259B1 (ko) 산업현장 내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엣지컴퓨팅기반 인공지능시스템
US20130282280A1 (en) Control module for a route guidance system
JP6645050B2 (ja) 作業支援端末装置、作業支援システム、作業支援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299245B2 (en) Guiding a user to safety from the premises of an industrial plant
KR101645139B1 (ko)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10241647B2 (en) Method and system of interacting with building security systems
JP2008146502A (ja) 作業安全計画管理システム
KR102391207B1 (ko) 3d 모델링 기반 작업자 위치 관리 시스템
KR101005493B1 (ko)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JP5843713B2 (ja) 火災受信機
CN107257925A (zh) 显示气体浓度的系统和方法
JP6816077B2 (ja) 誘導情報提示装置、誘導情報提示サーバ、誘導情報提示システム、誘導情報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125633A (ja) プラント情報収集システム
KR20180112951A (ko) 점검 시스템 및 방법
JP2007241598A (ja) 現場保守支援システム、および現場保守支援方法
US10919700B2 (en) Mobile storage system with direct wireless connectivity
SE1300138A1 (sv) Förfarande och datapresentationsanordning för att assistera en användare att serva ett processtyrobjekt
JP6369885B6 (ja) 作業現場用サイネージシステム及び作業現場用サイネージ制御方法
JP2016018395A (ja)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方法及び表示装置
JP2019219870A (ja) 作業現場用サイネージ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作業現場用サイネージ制御方法
JP7355897B2 (ja) 携帯端末、警備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JP7390457B1 (ja) 照明制御・状態監視システム
KR101659038B1 (ko)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설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