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963B1 -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963B1
KR102488963B1 KR1020200046970A KR20200046970A KR102488963B1 KR 102488963 B1 KR102488963 B1 KR 102488963B1 KR 1020200046970 A KR1020200046970 A KR 1020200046970A KR 20200046970 A KR20200046970 A KR 20200046970A KR 102488963 B1 KR102488963 B1 KR 102488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ite
site
construction
imag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822A (ko
Inventor
최지환
최은숙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96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1Higher-level, semantic clustering, classification or understanding of video scenes, e.g. detection, labelling or Markovian modelling of sport events or news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Abstract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 및 관리 주체 단말로부터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웹(Web) 접속 또는 앱(App) 접속을 통해 통신 연동되며, 360도 전방위 영상에 기반한 건설현장관리를 위해 구축되는 시스템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현장의 공사관리, 진척관리, 안전관리, 인력관리 등 해당 건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관리를 위하여 관련정보들을 용이하게 수집 및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들과 작업자들 간의 원활한 업무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화된 건설현장 관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SITES BASED ON 360 DEGREE OMNIDIRECTIONAL IMAGE}
본 발명은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360도 전방위 영상에 기반하여 건설현장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는 계획적인 공사진행, 설정된 공사기간 및 공정률에 따른 공사 진척도의 용이한 파악, 인력과 장비 등의 조정 관리, 건설현장에서의 안전관리 등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건설현장에서의 공사진행상황, 인력 및 장비 현황, 위험 상황 등에 관한 정보들이 잘 수집될 필요가 있으며, 시공사 측의 관리자들과 해당 건설현장의 작업자들 간의 원활한 업무 소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건설현장의 공사관리뿐만 아니라 진척관리, 안전관리, 인력관리, 자재관리 등 해당 건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관리를 위하여 관련정보들을 용이하게 수집 및 확인(관리)할 수 있으며, 관리자들과 작업자들 사이의 관계에서 또는 감리단/발주처/협력업체 등과의 관계에서 원활한 업무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체계화되고 시각화된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건설현장의 공사관리, 진척관리, 안전관리, 인력관리, 자재관리 등 해당 건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관리를 위하여 관련정보들을 용이하게 수집 및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들과 작업자들 사이의 관계에서 또는 감리단/발주처/협력업체 등과의 관계에서 직관적이고 원활한 업무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화된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으로서,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 및 관리 주체 단말로부터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웹(Web) 접속 또는 앱(App) 접속을 통해 통신 연동되며, 360도 전방위 영상에 기반한 건설현장관리를 위해 구축되는 시스템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운영 서버는, 개별 건설현장 별로 촬영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에 기반한 건설현장영상을 제공하며, 개별 건설현장에 관한 관리정보를 해당 건설현장영상과 연계시켜 화면 표출하는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 개별 건설현장 별로의 시공 데이터, 현장 데이터, 작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리 주체 단말과 원격의 상기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 간의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메시지 연동 처리를 수행하는 메시지 연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며, 상기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 따른 건설현장관리서비스 운영을 위해 상기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 및 상기 메시지 연동부를 총괄 제어하는 서버 운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건설현장의 공사관리, 진척관리, 안전관리, 인력관리, 자재관리 등 해당 건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관리를 위하여 관련정보들을 용이하게 수집 및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들과 작업자들 사이의 관계에서 또는 감리단/발주처/협력업체 등과의 관계에서 직관적이고 원활한 업무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화된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 운영 서버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시스템 운영 서버가 제공하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의 이용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 접속하였을 때의 초기 화면 예시.
도 5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화면에서 "현장정보"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 예시.
도 6은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화면에서 시공사 측의 관리자가 "작업지시"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 예시.
도 7은 도 6의 작업지시에 따라 현장 측의 관리자 또는 작업자에게 보여지는 화면 및 응답화면 예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서 안전위협요소 검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9 ~ 도 12는 도 8의 안전위협요소 검사에 따른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서 공사 진척도 확인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 운영 서버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시스템 운영 서버가 제공하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의 이용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서 안전위협요소 검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서 공사 진척도 확인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 접속하였을 때의 초기 화면 예시이고, 도 5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화면에서 "현장정보"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 예시이고, 도 6은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화면에서 시공사 측의 관리자가 "작업지시"를 선택하였을 때의 화면 예시이고, 도 7은 도 6의 작업지시에 따라 현장 측의 관리자 또는 작업자에게 보여지는 화면 및 응답화면 예시이며, 도 9 ~ 도 12는 도 8의 안전위협요소 검사에 따른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들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은,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50) 및 시공사 측의 관리 단말(100)로부터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웹(Web) 접속 또는 앱(App) 접속을 통해 통신 연동되며, 360도 전방위 영상에 기반한 건설현장관리를 위해 구축되는 시스템 운영 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공사 관리 단말(100)은, 시공사 측의 관리자 등이 이용하는 단말을 의미하며, 웹 접속을 통해서 시스템 운영 서버(200)가 제공하는 건설현장관리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전국의 건설현장을 원격에서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다만,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는 관리 주체가 시공사 측 관리자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관리 주체로는 감리단, 발주처 등도 여기에 해당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내용을 기준으로, 시공사 측의 관리자가 관리 주체인 경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50)은, 도면을 통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관리 단말(50-1), 현장 관리자 단말(50-2), 현장 작업자 단말(5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현장 관리 단말(50-1)은 현장 관리소에 설치된 PC, 노트북, 태블릿 등의 단말을 대표적으로 도시했고, 현장 관리자 단말(50-2)은 현장 소장 등의 현장 관리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태블릿, 스마트폰 등)를 대표적으로 도시했으며, 현장 작업자 단말(50-3)은 현장 작업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기기를 대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현장 측 기기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현장 관리자 또는 현장 작업자는 원청 소속의 현장 인력 이외에도, 도급관계에 따른 협력업체 소속의 현장 인력도 여기에 해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후술할 도 4, 도 5 등의 화면 예시는 웹 환경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지만, 모바일 앱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이와 동일 유사한 화면들이 모바일 환경 및 앱 화면 사이즈에 맞춰 최적화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할 것인바, 모바일 앱 화면 구성과 관련해서는 별도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시공사 관리 단말(100) 및 현장 관리 단말(50-1)은 웹 접속을 통해서 시스템 운영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건설현장관리서비스(즉, 서비스 사이트)를 이용하고, 현장 관리자 단말(50-2) 및 현장 작업자 단말(50-3)은 별도의 전용 모바일 앱을 통한 접속을 통해서 건설현장관리서비스를 이용(물론 웹 접속을 통한 이용도 가능함)하는 케이스를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관리자" 혹은 "사용자"란 시스템 운영 서버(200)가 제공하는 건설현장관리서비스에 접속하여 현장관리와 관련된 행위를 실행 및 지시하는 주체로서, 시공사 측의 관리자를 주로 의미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현장 소장 등의 현장 측 관리자도 여기에 해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면에, "작업자"란 관리자로부터의 지시 등에 따라 현장 측에서 실제 작업을 실행하는 주체로서, 현장 작업자를 주로 의미하지만, 시공사 측의 관리자와의 관계에서는 현장 관리자, 도급관계에 의한 협력업체 관리자 등도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시스템 운영 서버(200)는, 개별 건설현장 별로 촬영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에 기반한 건설현장영상을 제공하며, 개별 건설현장에 관한 관리정보를 해당 건설현장영상과 연계시켜 화면 표출하는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210); 개별 건설현장 별로의 현장 데이터, 시공 데이터, 작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현장 데이터 DB(240), 시공 데이터 DB(260), 작업 데이터 DB(270)); 상기 시공사 측의 관리 단말(100)과 원격의 상기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50) 간의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메시지 연동 처리를 수행하는 메시지 연동부(220); 건설현장에 관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에 관한 소정 목적의 영상 분석을 수행하는 현장 영상 분석부(23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며, 상기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 따른 건설현장관리서비스 운영을 위해 상기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 및 상기 메시지 연동부를 총괄 제어하는 서버 운영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으로는, 소정의 촬영장비(예를 들어, 촬영 드론, 360도 짐벌 영상 촬영기기 등)를 이용하여 개별 건설현장 별로 소정의 촬영 주기(예를 들어, 일주일에 1회)마다 촬영된 영상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면, 시공사 관리 단말(100)이 상기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또는 앱 기반의 건설현장관리서비스에 접속한 경우[도 3의 S110 참조], 상기 서버 운영부(250)는 건설현장 관리화면을 시공사 관리 단말(100)로 제공한다[도 3의 S120 참조].
이때, 건설현장 관리화면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초기화면(즉, 메인관리화면)이 도 4에 도시되고 있다. 물론 도 4의 메인관리화면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디폴트 화면 설정 조건 또는 사용자 선택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건설현장 관리화면 중 메인관리화면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재 프로젝트 진행 중이거나 종료된 개별 건설현장의 각각의 스팟 위치를 지도 이미지 상에 화면 표출시킨 지도 보기 화면영역(11); 및 상기 개별 건설현장에 관한 썸네일 이미지 리스트(thumbnail image list)를 화면 표출시킨 현장 리스트 보기 화면영역(12);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영역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현장 리스트 보기 화면영역(12)에 표출되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 리스트는, 시스템 운영 서버(200)의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210)가, 개별 건설현장 별로 촬영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에 기반하여 해당 건설현장 별로 현재의 시공 상황이 대표적으로 조망될 수 있는 랜드스케이프 이미지(landscape image)를 추출한 후, 추출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화하여 해당 건설현장명 및 영상촬영시간(예를 들어, 분단위 촬영시간 정보)과 함께 리스트 표출됨으로써, 동일 건설현장에 관한 다수의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쉽게 구분 인식되어 영상 구분에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시공사 관리 단말(100)이 상기 메인관리화면에서 특정 건설현장을 선택한 경우[도 3의 S130 참조], 서버 운영부(25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13)을 포함하는 현장보기 화면을 시공사 관리 단말(100)로 제공하고[도 3의 S140 참조], 사용자(본 예에서는 시공사 측 관리자를 의미함, 이하 동일함)의 선택에 따라 소정의 관리항목(도 5의 작업지시, 공유하기, 현장정보 등 참조)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관리항목과 연관된 항목정보 또는 관리기능이 상기 현장보기 화면 상에서 표출되거나 실행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도 3의 S150 및 S160 참조].
이때,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210)는,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도 5의 도면번호 13 참조)이 상기 현장보기 화면 상에서 사용자의 화면 조작에 상응하여 영상 뷰잉 각도 회전 및 영상 확대/축소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버 운영부(25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현장정보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현장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장코드 정보, 발주처 정보, 현장 관리자 정보, 공사기간 정보, 현장개요 정보, 현장 특기사항 정보, 공사규모 정보, 현장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장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현장정보를 상기 현장보기 화면 상에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과 분리된 화면 영역에 표출하거나 또는 동일 화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시켜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도 5의 도면번호 14 참조).
또한, 서버 운영부(25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유하기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현장보기 화면의 공유를 위한 URL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URL 링크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유대상자에게 전송되도록 메시지 연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운영부(25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작업지시 항목이 선택된 경우(도 6의 (A) 참조),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작업지시를 위한 작업지시 입력창이 상기 현장보기 화면 상에 팝업 표출되도록 한다(도 6의 (B) 참조).
또한, 서버 운영부(250)는, 해당 작업지시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작업지시가 이루어진 경우 메시지 연동부(220)를 제어하여 해당 작업지시를 해당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5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메시지 연동 처리하고(도 7 참조), 상기 해당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50)로부터 해당 작업지시에 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응답을 상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메시지 연동 처리한다(도 7의 도면번호 16의 응답창 참조).
이때, 메시지 연동부(220)는, 상기 작업지시 메시지에 작업지시 장소정보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현장보기 화면에 표출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중 상기 작업지시 장소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좌표 데이터를 해당 작업지시 메시지에 연계 등록시켜 저장한다.
또한 이때, 메시지 연동부(220)는, 상기 작업지시 메시지에 관한 텍스트 데이터 파싱(parsing) 처리를 통해서 작업지시와 관련하여 추출된 장소정보(예를 들어, 작업지시 내용에 "3층 외벽", "공사차량 진입구" 등이 장소정보가 기재된 경우에 이를 데이터 파싱함), 또는 사용자가 상기 작업지시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중 특정 위치를 연계 선택한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이 작성한 작업지시 메시지를 특정 작업 지시 장소에 관한 영상 위치(도 7의 "작업지시 1", "작업지시 2", "작업지시 3"의 영상 위치로 드래그 앤 드랍 처리함 등) 해당 위치에 따른 영상 스팟 정보를 상기 작업지시 장소정보로 결정함으로써, 해당 작업지시 메시지에 해당 장소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좌표 데이터를 연계 등록시킬 수 있다.
상술한 케이스에서,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210)는,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50)에서 해당 현장보기 화면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작업지시 메시지가 상기 현장보기 화면을 통해서 상기 작업지시 장소정보와 연계되어 확인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지시 메시지에 연계 등록된 영상 좌표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내의 영상 스팟에 작업지시 메시지 마커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도 7의 "작업지시 1", "작업지시 2", "작업지시 3" 참조). 이때, 작업지시 메시지 마커에는 "작업 진행중", "작업 완료" 등의 상태 표시도 함께 표출될 수 있다.
또한 위 과정에서,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210)는,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50)에서 해당 작업지시 메시지를 확인함과 동시에(예를 들어,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내의 특정 영상 스팟에 표시된 작업지시 메시지 마커를 선택함에 따라 해당 작업지시 메시지 창이 팝업됨과 동시에), 상기 작업지시 장소정보가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을 통해서 시각화되어 상기 현장보기 화면 상에서 확대 뷰잉될 수 있도록,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상기 영상 좌표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 스팟이 상기 현장보기 화면에 촬영 해상도에 따라 결정되는 축척 확대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이 확대 표출되도록 자동 영상 확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지시 리스트(도 7의 도면번호 15 참조)가 현장보기 화면을 통해 누적 표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업지시 리스트 및 이에 따른 작업지시 사항 및 응답은 향후 작업지시 기록파일 다운로드 및 내보내기, 인쇄물 출력 등이 가능하도록 작업 데이터 DB(270)에 기록 보관될 수 있다. 물론 작업지시 리스트 및 개별 작업지시 메시지 마커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숨김 처리 가능하도록 하는 숨김 기능이 반영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도 8에 도시된 일 예시의 순서도에서와 같이 해당 건설현장의 안전위협요소의 추출 및 알람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관리항목으로서 안전관리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도 8의 S210 참조], 서버 운영부(250)는, 작업 데이터 DB(270)로부터 획득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작업안전기준 데이터를 추출하고[도 8의 S220 참조], 이를 현장 영상 분석부(230)에 전달하여 안전위협요소 추출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장 영상 분석부(230)는, 상기 작업안전기준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에 사전 지정된 탐색 윈도우(도 9의 (A), 도 10의 (A) 및 도 11의 (A)의 도면번호 17 참조)를 적용한 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도 8의 S230 참조],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안전위협요소를 자동 추출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현장 영상 분석부(230)는, 서버 운영부(250)로부터 시공 데이터 DB(260)에 저장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차원 모델링 시공 데이터 및 작업 데이터 DB(270)에 저장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현재 시공 단계에 따른 작업 현황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먼저, 현장 영상 분석부(230)는, 상기 3차원 모델링 시공 데이터와 대비하여, 상기 탐색 윈도우에 기준할 때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현재의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위치, 형태, 색상 등에 기반하여 영상 분류되는 영상 객체들이 각각 상기 3차원 모델링 시공 데이터의 어떤 시공 객체와 맵핑되는지에 관한 분석을 통해서 영상에 관한 객체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도 8의 S240 참조].
또한, 현장 영상 분석부(230)는, 상기 작업 현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탐색 윈도우에 기준할 때 해당 건설현장의 현재의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현재 작업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 작업 위치의 영상 스팟을 선별 추출할 수 있다. 반드시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안전위협요소는 현재 작업 중인 장소를 중심으로 발생될 확률이 높거나 보다 집중 관리를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현재의 작업 현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작업 중인 작업 위치의 영상 스팟을 선별 추출한 후, 이 부분의 영상 영역에 관한 안전 위험도 분석을 보다 면밀히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현장 영상 분석부(230)는, 상기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이 촬영 해상도에 따라 결정되는 축척 확대 허용 범위 내에서 영상 확대되었을 때를 기준으로(예를 들어, 도 9의 (B)의 기본 축척 영상으로부터 축척 확대된 도 10 및 도 11의 확대 영상 참조), 상기 객체 분류된 영상 및 상기 선별 추출될 영상 스팟에 관하여 상기 작업안전기준 데이터에 따른 형태적 영상 부합도를 산출함으로써, 사전 지정된 영상 부합도 미만의 영상 객체 또는 영상 스팟을 안전위협요소로서 자동 추출할 수 있다[도 8의 S250 참조].
일 예로, 도 10의 (A)의 탐색 윈도우(17)들을 참조하면, 도 10의 (B)의 동일 위치를 참조할 때, 해당 위치의 영상 객체가 건물 진입로에 해당하는 시공 객체와 맵핑되는 부분이어서 해당 진입로에 진입 방해물 등이 없어야 하는 등의 작업안전기준에 따를 때, 건물 진입로의 외곽 테두리(edge)에 따른 형태적 영상 부합도에 부합하지 않고 있어, 안전위협요소로 추출되는 예가 도시되고 있다.
다른 예로, 도 11의 탐색 윈도우(16)들을 참조하면, 도 11의 (B)의 동일 위치를 참조할 때, 해당 위치의 영상 객체가 안전 가림막에 해당하는 시공 객체와 맵핑되는 부분이어서 작업안전기준에 따를 때 그 안전 가림막의 형태가 도 11의 (B)에서와 같은 형태를 갖추고 있어야 함에도 그렇지 못하고 있어, 안전위협요소로 추출되는 예가 도시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위협요소가 추출된 경우,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210)는, 상기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에서 상기 안전위협요소가 발견된 위치에 상응하는 영상 스팟에 안전관리 포인트 마커를 표시한다[도 8의 S260 참조 및 도 12의 도면번호 18 참조].
상술한 바에 따르면, 안전위협요소의 자동 추출 및 이에 관한 마커 표시를 통해서, 원격 관리자 또는 현장 작업자는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의 곳곳을 확대하여 직접 체크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추출된 안전위협요소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해당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도 13에 도시된 일 예시의 순서도에서와 같이 해당 건설현장의 공사진척도 산출 및 스케쥴 조정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관리항목으로서 공사진척도 관리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도 13의 S310 참조], 서버 운영부(250)는 시공 데이터 DB(260)에 저장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차원 모델링 시공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현장 영상 분석부(230)로 전달하면서 공사 진척도 산출 지시를 한다.
이 경우, 현장 영상 분석부(230)는, 서버 운영부(250)의 공사 진척도 산출 지시에 따라, 상기 3차원 모델링 시공 데이터와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현재의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간의 축적 조정에 따른 영상 오버레이 대조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공사 진척도 산출을 실행한다[도 13의 S330, S340 참조].
또한, 서버 운영부(250)는, 현장 영상 분석부(230)에 의해 산출된 공사진척도에 기초할 때 현재 시공 시점에서 목표한 시공 목표가 달성되지 않는 경우, 시공기한 단축요소의 선별 및 작업 스케쥴 재조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도 13의 S350 및 S360 참조].
이 경우, 서버 운영부(250)는, 현장 데이터 DB(240)로부터 확인되는 향후의 수급예상 최대가용인력 및 작업가용시간 확대에 따른 인력자원 강화요소와, 상기 안전위협요소가 제거된 것을 가정하였을 때의 가상 영상을 기준으로 현장 영상 분석부(230)의 영상 분석을 통해 확인되는 건축부재 이송 및 작업자 이동을 위한 최적 경로 탐색에 따른 작업환경 개선요소를 함께 상기 시공기한 단축요소의 선별 과정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의 경우 건물 진입로의 진입 방해물에 의해 건축부재의 원활한 이송 및 작업자의 원활한 이동이 어려운 반면, 도 10의 (B)와 같이 해당 안전위협요소가 제거되었을 때를 가정한 가상 영상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종전에는 원활하지 않았던 진입로가 정상화 됨에 따라서 건축부재 이송 및 작업자 이동을 위한 최적 경로 탐색에 이를 반영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 환경 개선 및 시간 단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위와 유사한 관점에서, 서버 운영부(250)는, 현장 데이터 DB(240)로부터 획득되는 현장 데이터에 따른 현 상태의 현장투입 가용인력을 고려할 때 상기 안전위협요소를 제거하는데 요청되는 인력 및 추가소요시간을 상기 작업 스케쥴 재조정 과정에 함께 반영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상술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에 관하여 축척 또는 스케일에 맞춘 영상 분석을 통해서 특정 영상 객체와 관련된 거리 또는/및 크기 등의 계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도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 및 관리 주체 단말로부터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웹(Web) 접속 또는 앱(App) 접속을 통해 통신 연동되며, 360도 전방위 영상에 기반한 건설현장관리를 위해 구축되는 시스템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 운영 서버는,
    개별 건설현장 별로 촬영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에 기반한 건설현장영상을 제공하며, 개별 건설현장에 관한 관리정보를 해당 건설현장영상과 연계시켜 화면 표출하는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 상기 건설현장영상을 분석하는 현장 영상 분석부; 개별 건설현장 별로의 시공 데이터, 현장 데이터, 작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리 주체 단말과 원격의 상기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 간의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메시지 연동 처리를 수행하는 메시지 연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며, 상기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 따른 건설현장관리서비스 운영을 위해 상기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 상기 현장 영상 분석부, 상기 메시지 연동부를 총괄 제어하는 서버 운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주체 단말이 상기 건설현장 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또는 앱 기반의 건설현장관리서비스에 접속한 경우, 상기 서버 운영부는 건설현장 관리화면을 시공사 측의 관리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리 주체 단말이 상기 건설현장 관리화면에서 특정 건설현장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서버 운영부는, 선택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을 포함하는 현장보기 화면을 상기 관리 주체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정의 관리항목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관리항목과 연관된 항목정보 또는 관리기능이 상기 현장보기 화면 상에서 표출되거나 실행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관리항목으로서 공사진척도 관리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현장 영상 분석부는, 상기 서버 운영부의 공사 진척도 산출 지시에 따라, 상기 서버 운영부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차원 모델링 시공 데이터와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현재의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간의 축적 조정에 따른 영상 오버레이 대조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공사진척도 산출을 실행하고,
    상기 서버 운영부는, 상기 현장 영상 분석부에 의해 산출된 공사진척도에 기초할 때 현재 시공 시점에서 목표한 시공 목표가 달성되지 않는 경우, 시공기한 단축요소의 선별 및 작업 스케쥴 재조정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되,
    상기 서버 운영부는, 수급예상 최대가용인력 및 작업가용시간 확대에 따른 인력자원 강화요소 및 안전위협요소가 제거되었을 때의 가상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현장 영상 분석부의 영상 분석을 통해 확인되는 건축부재 이송 및 작업자 이동을 위한 경로 탐색에 따른 작업환경 개선요소를 상기 시공기한 단축요소의 선별 과정에 반영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되는 현장 데이터에 따른 현장투입 가용인력을 고려할 때 상기 안전위협요소를 제거하는데 요청되는 인력 및 추가소요시간을 상기 작업 스케쥴 재조정 과정에 함께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 관리화면 중 메인관리화면은, 디폴트 화면 설정 조건 또는 사용자 선택 조건에 따라, 현재 프로젝트 진행 중이거나 종료된 개별 건설현장의 각각의 스팟 위치를 지도 이미지 상에 화면 표출시킨 지도 보기 화면영역; 및 상기 개별 건설현장에 관한 썸네일 이미지 리스트(thumbnail image list)를 화면 표출시킨 현장 리스트 보기 화면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영역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 리스트는, 상기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가,
    개별 건설현장 별로 촬영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에 기반하여 해당 건설현장 별로 현재의 시공 상황이 대표적으로 조망될 수 있는 랜드스케이프 이미지(landscape image)를 추출한 후, 추출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화하여 해당 건설현장명 및 영상촬영시간과 함께 리스트 표출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는,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이 상기 현장보기 화면 상에서 사용자의 화면 조작에 상응하여 영상 뷰잉 각도 회전 및 영상 확대/축소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영상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항목은 현장정보 항목 및 공유하기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운영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현장정보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현장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장코드 정보, 발주처 정보, 현장 관리자 정보, 공사기간 정보, 현장개요 정보, 현장 특기사항 정보, 공사규모 정보, 현장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장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현장정보를 상기 현장보기 화면 상에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과 분리된 화면 영역에 표출하거나 또는 동일 화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시켜 표출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유하기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현장보기 화면의 공유를 위한 URL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URL 링크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유대상자에게 전송되도록 상기 메시지 연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항목은 작업지시 항목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 운영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작업지시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작업지시를 위한 작업지시 입력창을 상기 현장보기 화면 상에 팝업 표출하고, 해당 작업지시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작업지시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메시지 연동부를 제어하여 해당 작업지시를 해당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메시지 연동 처리하고, 상기 해당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해당 작업지시에 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응답을 상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메시지 연동 처리하며,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작업지시는 리스트 형태로 상기 현장보기 화면 상에 표출됨과 동시에, 작업지시 리스트 및 각각의 작업지시 사항 및 응답 내용은 향후 작업지시 기록파일 다운로드, 내보내기 및 인쇄물 출력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보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연동부는,
    작업지시 메시지에 작업지시 장소정보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현장보기 화면에 표출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중 상기 작업지시 장소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좌표 데이터를 해당 작업지시 메시지에 연계 등록시켜 저장하고,
    상기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는,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해당 현장보기 화면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작업지시 메시지가 상기 현장보기 화면을 통해서 상기 작업지시 장소정보와 연계되어 확인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지시 메시지에 연계 등록된 영상 좌표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내의 영상 스팟에 작업지시 메시지 마커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연동부는,
    상기 작업지시 메시지에 관한 텍스트 데이터 파싱(parsing) 처리를 통해서 작업지시와 관련하여 추출된 장소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작업지시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중 특정 위치를 연계 선택한 영상 스팟 정보를 상기 작업지시 장소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는,
    건설현장 측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해당 작업지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작업지시 장소정보가 상기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을 통해서 시각화되어 확대 뷰잉될 수 있도록,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상기 영상 좌표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 스팟이 상기 현장보기 화면에 촬영 해상도에 따라 결정되는 축척 확대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이 확대 표출되도록 자동 영상 확대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관리항목으로서 안전관리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버 운영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작업안전기준 데이터를 상기 현장 영상 분석부에 전달하여 안전위협요소 추출을 지시하되,
    상기 현장 영상 분석부는, 상기 작업안전기준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에 사전 지정된 탐색 윈도우를 적용한 영상 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안전위협요소를 자동 추출하고,
    상기 건설현장 영상화 제공부는, 상기 현장 영상 분석부를 통해 추출된 안전위협요소에 근거하여, 상기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에서 상기 안전위협요소가 발견된 위치에 상응하는 영상 스팟에 안전관리 포인트 마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안전위협요소를 자동 추출함에 있어서,
    상기 현장 영상 분석부는,
    상기 서버 운영부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3차원 모델링 시공 데이터 및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현재 시공 단계에 따른 작업 현황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3차원 모델링 시공 데이터와 대비하여, 상기 탐색 윈도우에 기준할 때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현재의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영상 분류되는 영상 객체들이 각각 상기 3차원 모델링 시공 데이터의 어떤 시공 객체와 맵핑되는지에 관한 분석을 통해서 영상에 관한 객체 분류를 수행하고,
    상기 작업 현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탐색 윈도우에 기준할 때 해당 건설현장의 현재의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현재 작업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 작업 위치의 영상 스팟을 선별 추출하고,
    상기 360도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이 촬영 해상도에 따라 결정되는 축척 확대 허용 범위 내에서 영상 확대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객체 분류된 영상 및 상기 선별 추출될 영상 스팟에 관하여 상기 작업안전기준 데이터에 따른 형태적 영상 부합도를 산출함으로써, 사전 지정된 영상 부합도 미만의 영상 객체 또는 영상 스팟을 안전위협요소로서 자동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10. 삭제
KR1020200046970A 2020-04-17 2020-04-17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KR10248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70A KR102488963B1 (ko) 2020-04-17 2020-04-17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970A KR102488963B1 (ko) 2020-04-17 2020-04-17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22A KR20210128822A (ko) 2021-10-27
KR102488963B1 true KR102488963B1 (ko) 2023-01-16

Family

ID=7828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970A KR102488963B1 (ko) 2020-04-17 2020-04-17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688B1 (ko) 2022-02-22 2022-09-23 주식회사 프로메카 건설현장 업무 최적화를 위한 관리 시스템
AU2022305655A1 (en) * 2022-10-25 2024-05-09 Hanwha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onitoring cloud-based electronic detonators
CN116342076B (zh) * 2023-05-30 2023-08-01 山东建筑大学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工程信息管理系统以及管理方法
CN117010841A (zh) * 2023-08-31 2023-11-07 广东中联建建筑工程有限公司 施工进度计划与bim模型集成控制关键线路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865B1 (ko) * 2015-11-05 2016-04-27 정용호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033118B1 (ko) * 2018-05-31 2019-10-16 (주)엠디자인 작업 현장의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39334B1 (ko) * 2019-04-25 2019-11-27 김용진 건설현장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493B1 (ko) * 2008-04-25 2011-0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도면을 이용한 현장의 장치 배포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865B1 (ko) * 2015-11-05 2016-04-27 정용호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033118B1 (ko) * 2018-05-31 2019-10-16 (주)엠디자인 작업 현장의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39334B1 (ko) * 2019-04-25 2019-11-27 김용진 건설현장 원격 안전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22A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963B1 (ko)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Han et al. Potential of big visual data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construction performance analytics: An exploratory study
KR102131946B1 (ko)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US109518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d displaying video sources
Golparvar-Fard et al. Visualization of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with 4D simulation model overlaid on time-lapsed photographs
US104459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building information
US9070216B2 (en) Four-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models for interactive visualization and automated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JP628160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20255407A1 (en) Construction project tracking
KR102328876B1 (ko) 인테리어 시공 인터넷 영업방법
KR102568100B1 (ko) 증강 현실에 기반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56857A1 (en) Two-dimensional interactive construction drawings
KR102198775B1 (ko) 이동단말, 이를 포함하는 견적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310137B1 (ko)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US20220188955A1 (en) Fire Service and Equipment Inspection Test and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CN115239179A (zh) 化学品生产作业流程系统
Hong et al. The use of CCTV in the emergency response: A 3D GIS perspective
CN113709421A (zh) 一种基于视频图像识别的安全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80300802A1 (en) Facility imaging device, facility image collecting device, facility image storage device, facility image output control device, facility operation support device, user terminal device, and facility operation support method
JP2003288375A (ja) 施設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AU2018102253A4 (en) Improved insurance system
US8854662B1 (en) Pri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rint job management and monitoring multiple geographically dispersed printers
JP700756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180205A1 (en) Interactive location plan overlay system
KR20180038986A (ko) 이동단말, 이를 포함하는 견적 생성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