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137B1 -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137B1
KR102310137B1 KR1020210016226A KR20210016226A KR102310137B1 KR 102310137 B1 KR102310137 B1 KR 102310137B1 KR 1020210016226 A KR1020210016226 A KR 1020210016226A KR 20210016226 A KR20210016226 A KR 20210016226A KR 102310137 B1 KR102310137 B1 KR 10231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vil
facility
complaint
civil complain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구
고동민
송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1001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ometry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은 다중이 이용하는 공공 시설물에 부착되고, 적어도 시설물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정보와 민원접수서버의 URL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QR코드; 공공 시설물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고, QR코드에 포함된 URL을 통해 민원접수서버에 접속하는 민원인 무선통신단말; 무선통신단말이 URL을 통해 접속하면 QR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민원신고 가능 서비스 아이템(민원서비스 아이템)들을 민원선택메뉴로 무선통신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민원인이 민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민원메모 UI를 제공하고, 무선통신단말에 의해 선택된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인이 기재한 민원 메모를 수신하는 민원접수서버; 및 민원접수서버로부터 민원서비스 아이템과 민원메모를 수신하고, 시설물에 대한 민원을 판단하고 민원을 처리하는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철 등의 공공시설물의 고장이나 이상 발생시 이용자가 민원인이 되어 비대면으로 시설물 관리창구에 직접 민원을 접수하고 불편사항을 개선할 수 있어, 시설물 관리와 불편사항 신고 등 시설물에 대한 민원 접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System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civil complaint on public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설물에 대한 민원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리가 필요한 시설물에 QR코드를 부착하여 QR코드를 매개로 공공시설물에 대한 민원을 비대면으로 접수하여 처리하는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등을 포함한 각종 철도 시스템은 정시성을 보장하면서도 한번에 많은 수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승객이 애용하는 교통수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시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하철이 사람들의 이동 수단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지하철을 비롯한 철도 시스템은 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지는 역사 내에 에스컬레이터, 계단, 무인 발권기 및 화장실 등과 같은 각종의 시설물을 구비하여, 승객이 지하철을 이용하는데 있어서의 다양한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한번에 많은 수의 승객들이 사용하는 역사 내의 각종 시설물에 이상이 발생하면 승객에게 불편을 초래하므로, 역사 내의 시설물이 항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감시하여, 고장 등 이상 발생시에는 즉시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역사내 구비된 시설물에 CCTV 등과 같은 감시장치를 설치하여 종합 관리실에서 감시하고 별도의 관리자를 두어 관리자가 시설물의 상태를 점검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CCTV 등의 감시장치를 통해 시설물을 감시하고 관리자가 직접 점검하기 위해서는 다른 업무를 담당하여야 할 관리인들 중 특정인이 차출되어 시설물의 감시와 점검에 배정되어야 하므로 인력 수급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리인이 감시장치를 통해 시설물을 항시 감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여 실제로는 시설물의 고장이나 이상을 즉시 인지하고 시설물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시설물 감시나 점검이 관리인의 시각에 의존하여 수동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관리인이 시설물의 상태를 오인식하거나 불인식하는 경우에는 시설물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수리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0004, 2013.02.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지하철 등의 공공시설물에 고장이나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방치되지 않고 이용자가 직접 관리센터에 민원을 접수하여 공공 시설물의 상태를 관리하고 불편사항을 개선할 수 있게 하는,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은 다중이 이용하는 공공 시설물에 부착되고, 적어도 상기 시설물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정보와 민원접수서버의 URL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QR코드; 상기 공공 시설물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URL을 통해 민원접수서버에 접속하는 민원인 무선통신단말; 상기 민원접수 창구를 제공하고, 상기 민원인 무선통신단말이 상기 URL을 통해 접속하면 QR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민원신고 가능 서비스 아이템(민원서비스 아이템)들을 민원선택메뉴로 상기 민원인 무선통신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민원인이 민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민원메모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상기 민원인 무선통신단말에 의해 선택된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인이 기재한 민원 메모를 수신하는 민원접수서버; 및 상기 민원접수서버로부터 민원서비스 아이템과 민원메모를 수신하고, 시설물에 대한 민원을 판단하고 민원을 처리하는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민원인무선통신단말은 휴대폰으로서, 상기 휴대폰에 설치된 카메라 앱을 열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QR코드가 카메라 앱의 뷰 파인더에 나타나면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QR코드에 포함된 URL을 통해 민원접수창구 역할을 하는 민원접수서버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민원접수서버는 민원인의 민원처리결과를 상기 민원인 무선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민원처리결과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민원접수서버는 QR코드가 부착된 시설물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정보, 상기 QR코드와 시설물의 매칭정보, 각 시설물에 대한 민원민원서비스 가능한 서비스 아이템 정보를 저장하는 QR코드 민원서비스 데이터베이스(DB); 및 접수된 민원인 정보, 민원접수 이력 및 민원 메모와 민원처리 결과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민원마일리지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민원접수서버로부터 민원서비스 아이템과 민원메모를 수신하고, 상기 민원서비스 아이템에 상응하는 시설물 주변에 설치된 CCTV 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시설물 영상과 시설물 주변 영상을 관리 화면에 표시되게 하고, 시설물과 시설물 주변 상황을 판단하고 민원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지하철 역사의 3D 관제를 위해 이벤트에 따라 3D 맵(Map)을 제공하고 관심지역(POI)의 배경과 시설물 객체들을 렌더링하고, 시설물의 POI 객체가 클릭되면 시설물의 이력정보, 시설물의 동작상태 및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3D영상서버; 민원서비스 아이템과 민원메모가 수신하면, 상기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를 이벤트 처리하여 QR 코드 신고 위치와 민원서비스 아이템에 상응하는 신고 위치 주변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시설물 영상과 시설물 주변 영상 스트림을 역사 관리 화면에 팝업으로 표시되게 하고, 신고 즉시 해당 위치의 영상이 재생 및 녹화가 되고, 상기 3D 영상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시설물의 이력정보 및 제어상태를 기반으로 3D 맵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관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 운용방법은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물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정보와 민원접수서버의 URL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QR코드가 상기 시설물에 부착되어 있을 때, 민원인의 무선통신 단말이 상기 QR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URL을 통해 민원접수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민원접수서버가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민원신고 가능 서비스 아이템(민원서비스 아이템)들을 민원선택메뉴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민원인이 민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민원메모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무선통신단말이 상기 민원선택메뉴에서 민원서비스 아이템을 선택하고 민원메모를 기재하여 상기 선택된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인에 의해 기재된 민원메모를 민원접수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민원접수서버가 민원서비스 아이템과 민원메모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통합관제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통합관제서버가 시설물에 대한 민원을 판단하고 민원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관제서버의 민원처리 단계는 상기 민원접수서버로부터 민원서비스 아이템과 민원메모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민원서비스 아이템에 상응하는 시설물 주변에 설치된 CCTV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시설물 영상과 시설물 주변 영상을 관리 화면에 표시되게 하고, 시설물과 시설물 주변 상황을 판단하고 민원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에 의하면, 지하철 등의 공공시설물의 고장이나 이상 발생시 이용자가 민원인이 되어 비대면으로 시설물 관리창구에 직접 민원을 접수하고 불편사항을 개선할 수 있어, 시설물 관리와 불편사항 신고 등 시설물에 대한 민원 접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민원인의 시설물에 대한 민원인(이용자)의 민원 접수 또는 불편사항 신고를 비대면으로 접수할 때, 민원의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민원내용이 정확하게 특정될 수 있도록 민원의 구체적인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민원내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철 역사 관리시스템과 연계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설물에 대한 고장이나 불편사항 등의 민원이 접수되면, 역사 관리시스템을 통해 고장이나 불편사항이 있는 시설물 주변의 CCTV를 활용함으로써 관리자가 민원 내용을 즉시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역사관리시스템에서 QR code 신고 위치와 스마트 스테이션의 POP UP 서비스를 연동하여, 신고 위치 주변 카메라의 POP UP 기능과 연계하여 신고 즉시 해당 위치의 영상이 재생 및 녹화가 되고, 실시간으로 상황을 관제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민원접수서버가 민원사항들을 저장하고 통계를 추출하여 역사 내의 각종 시설물에 대한 관리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공공시설물에 대한 서비스 질과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민원 서비스 외 자동 콜 서비스, 열차에서의 승무원 호출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를 구성하고 있는 민원접수서버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를 구성하고 있는 통합관제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에서의 통합관제서버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은 QR코드(105), 무선통신단말(110), 민원접수서버(120) 및 통합관제서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QR코드(105)는 다중이 이용하는 공공 시설물(100)에 부착되고, 적어도 상기 시설물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정보와 민원접수서버(120)의 URL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QR 코드를 사용하면 웹 주소를 입력하거나 기억할 필요 없이 웹 사이트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무선통신단말(110)은 공공시설물을 이용하는 민원인이 휴대하고 있는 통신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들 수 있다. 시설물에 고장이 있거나 불편사항 등 민원사항이 있을 경우, 민원인이 휴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110)을 이용하여 공공 시설물(100)에 부착된 QR코드(105)를 스캔하고, QR코드(105)에 포함된 URL을 통해 민원접수서버(120)에 접속한다. 무선통신단말(110)이 민원접수서버(120)에 접속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면, 무선통신단말(110)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 앱을 열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QR코드가 카메라 앱의 뷰 파인더에 나타나면 QR코드(105)를 스캔하여 QR코드(105)에 포함된 URL을 통해 민원접수창구 역할을 하는 민원접수서버(120)로 접속될 수 있다.
민원접수서버(120)는 민원접수 창구 기능을 담당하고, 민원인의 무선통신단말(110)이 상기 URL을 통해 접속하면 QR코드(105)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민원신고 가능 서비스 아이템(민원서비스 아이템)들을 민원선택메뉴로 무선통신단말(1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민원인이 민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민원메모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민원인의 무선통신단말(110)에 의해 선택된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인이 기재한 민원 메모를 수신한다.
도 2는 민원접수서버(120)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민원선택메뉴 제공부(212), 민원처리결과 송신부(214), QR코드 민원서비스 DB(216) 및 민원마일리지 DB(218)를 포함할 수 있다.
민원선택메뉴 제공부(212)는 민원인의 무선통신단말(110)이 QR코드(105)에 포함된 URL을 통해 민원접수서버(120)에 접속하면 QR코드(105)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QR코드 민원서비스 DB(216)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정형화된 민원서비스 아이템들을 민원선택메뉴로 무선통신단말(1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민원인이 민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민원메모 UI(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민원처리결과 송신부(214)는 통합관제서버(130)로부터 민원인의 민원처리결과를 수신하여 민원인의 무선통신단말(110)로 전송한다.
QR코드 민원서비스 DB(216)는 QR코드가 부착된 시설물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정보, 상기 QR코드와 시설물의 매칭정보, 각 시설물에 대한 민원민원서비스 가능한 서비스 아이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민원마일리지 DB(218)는 접수된 민원인 정보, 민원접수 이력 및 민원 메모와 민원처리 결과를 관리하고 저장하고 관리한다.
통합관제서버(130)는 민원접수서버(120)로부터 민원서비스 아이템과 민원메모를 수신하고, 시설물에 대한 민원을 판단하고 민원을 처리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민원서비스 아이템에 상응하는 시설물 주변에 설치된 CCTV 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시설물 영상과 시설물 주변 영상을 관리 화면에 표시되게 하고, 시설물과 시설물 주변 상황을 판단하고 민원을 처리한다. 도 3은 통합관제서버(13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3D영상서버(310) 및 시설물 관제서버(320)를 구비할 수 있다.
3D영상서버(310)는 3D맵 제공부(312), 3D렌더링부(314) 및 이력&상태표시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3D맵 제공부(312)는 지하철 역사의 3D 관제를 위해 이벤트에 따라 3D 맵(Map)을 제공하고, 3D렌더링부(314)는 관심지역(POI)의 배경과 시설물 객체들을 렌더링하고, 이력&상태표시부(316)는 시설물의 POI(Point of Interest) 객체가 클릭되면 시설물이력 DB(315)를 참조하여 시설물의 이력정보, 시설물의 동작상태 및 제어상태를 표시한다.
3D영상서버(310)는 관리자 화면(135)을 3D 관제 화면으로 구현할 경우, 3D관제화면 상에 지하철 역사의 관심 지역의 3D Map 화면과 특정 크기의 CCTV 카메라 영상 영역으로 시설물에 대한 카메라 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지하철 역사의 통합관제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3D영상서버(310)는 1인칭 가상체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1인칭 가상체험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D지하철 역사의 3차원 가상 공간에서 각 층의 배경 화면과 객체들의 모습들은 사람의 1인칭 객체의 이동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객체와의 거리에 따라 3차원 좌표계(x,y,z,t)에서 공간 좌표 이동으로 입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지하철 역사의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카메라 또는 사람의 1인칭 객체의 위치 이동에 따라 시간(t)에 따른 공간 좌표의 이동은 (x1,y1,z1,t1) -> (x2,y2,z2,t2)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지하철 역사의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와 곡면으로 구성된 폴리곤(polygon)의 높이와 폭, 길이의 변화에 의해 차원(dimension)이 변화될 수 있으며, 3D 관제 시스템의 지하철 역사의 각층의 3D map과 배경 화면과 구성 객체들의 입체적인 형태(form)와 형상(shape)이 변경되어 지하철 역사의 3D Map과 배경 화면과 구성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3D영상서버(310)는 3D 모델링(modeling)과 렌더링(rendering) 시에 공간 좌표 변환으로 3D 모델링 된 객체들은 사람의 1인칭 객체의 이동, 기준 회전축(axis)을 중심으로 지정한 각도(angle) 만큼 회전(rorate), 크기 변환, 사람의 1인칭 객체와 주변 객체와의 거리에 따라 zoom in/out이 적용될 수 있다.
지하철 역사의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카메라의 뷰(view) 또는 사람의 1인칭 객체가 이동함에 따라 카메라 또는 1인칭 객체의 이동을 기준으로 지하철 역사의 3차원 가상 공간에서 공간적/시각적 지각(visual perception)이 이루어지도록 3D 기하학적 조형(geometric surface)으로 3D 모델링 된 배경과 객체들의 위치 좌표가 변환되며,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지하철 역사의 관심 지역의 3D Map과 배경 화면과 주변 객체들의 높이와 폭, 길이의 변화에 의해 차원(dimension)이 조절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1인칭 가상체험은 지하철 역사의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지하철 역사의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된 카메라가 고정된 상태에서 1인칭 객체가 이동하면 주변 관심 지역의 3D Map과 배경 화면과 주변 객체들의 위치가 바뀌고, 카메라의 위치와 촬영 각도에 따라 동시에 수평 이동하여 지하철 역사의 관심 지역의 3D Map과 배경과 객체들이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지하철 역사의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사람의 1인칭 객체가 가상공간을 이동해가며 바라보는 주변 객체를 향해 z축 수직 방향으로 카메라를 움직여 지하철 역사의 주변 객체에 다가가거나 멀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지하철 역사의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지하철 역사의 객체들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특정 IP 주소 또는 장치 ID가 할당된 카메라에 해당하는 장면의 관심 지역의 3D Map과 배경과 주변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1인칭 모드 가상 체험은 지하철 역사의 3차원 좌표계(x,y,z)에서 사람의 1인칭 객체의 눈의 z축의 높이를 조절하고, 사람의 1인칭 객체 이동시에 주변 객체와의 3차원 거리를 조절하여 거리/방향/각도에 따라 기하학적 렌더링을 통해 zoom in/out 기능을 제공하여 사람의 1인칭 객체가 공간을 이동하면서 지하철 역사의 관심 지역의 3D Map과 배경화면과 객체들이 표시될 수 있게 한다
시설물 관제서버(320)는 이벤트처리부(322), 영상팝업부(324) 및 민원처리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처리부(322)는 민원접수서버(120)로부터 민원서비스 아이템과 민원메모을 수신하면, 상기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를 이벤트 처리한다. 영상팝업부(324)는 QR 코드 신고 위치와 민원서비스 아이템에 상응하는 신고 위치 주변 CCTV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되는 시설물 영상과 시설물 주변 영상 스트림을 역사 관리자 화면(135)에 팝업으로 표시되게 한다.
민원처리부(326)는 신고 즉시 해당 위치의 영상을 녹화하고, 3D 영상서버(310)에 의해 제공되는 시설물의 이력정보 및 제어상태를 기반으로 3D 맵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설물을 관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물, 예를 들어 지하철 역사의 화장실이나 개찰구 등의 시설물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정보와 민원접수서버(120)의 URL 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105)를 생성하여 시설물(100)에 부착한다. 즉, 주요 시설물에 QR 코드가 부착된다. QR코드(105)에는 민원접수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는 URL과 QR코드가 부착된 시설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QR코드(105)가 시설물(10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설물(100)에 이상이 발생했거나 불편사항이 있을 경우, 민원인의 무선통신 단말(110)이 QR코드(105)를 스캔한다.(S410단계)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민원을 접수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scan)하면, QR코드 내에 있는 URL을 통해 QR관리서버가 제공하는 해당 사이트로 접속한다.
무선통신단말(110)이 QR코드(105)에 포함된 URL을 통해 민원접수서버(120)에 접속한다.(S420단계) 민원접수서버(120)가 QR코드(105)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민원신고 가능 서비스 아이템(민원서비스 아이템)들을 민원선택메뉴로 무선통신단말(1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민원인이 민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민원메모 UI(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S430단계) 즉, 민원접수서버(120)는 접속된 QR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QR코드에 해당하는 시설물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민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민원선택메뉴와 시설물에 대한 구체적인 민원사항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무선통신단말(110)이 상기 민원선택메뉴에서 민원서비스 아이템을 선택하고 민원메모를 기재하여 상기 선택된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인에 의해 기재된 민원메모를 민원접수서버(120)로 전송한다.(S440단계) 바로 시설물에 대한 문제를 선택하면 곧바로 민원이 접수된다. 사전에 정해진 불편 사항 이외에 다른 종류의 민원 내용인 경우는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즉, 휴대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민원선택메뉴 중 해당 민원이 민원인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아이템정보와 민원인이 입력한 구체적인 민원내용을 민원접수서버(120)로 전송한다.
민원접수서버(120)가 무선통신단말(110)으로부터 선택된 민원서비스 아이템과 민원메모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통합관제서버(130)로 전달한다.(S450단계) 즉, 민원접수서버(120)는 신고된 시설물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구체적인 민원내용을 통합관제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통합관제서버(130)는 시설물에 대한 민원을 판단하고 민원을 처리한다.(S460단계) 통합관제서버(130)는 민원접수서버(120)로부터 민원 대상인 시설물 정보와 민원내용을 수신하면, 상기 민원대상 시설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동하여 민원대상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민원 대상 시설물이 이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고 있으면, 해당 민원대상 시설물의 영상정보를 추출한다. 통합관제서버(13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민원대상 시설물 영상을 관리자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가 민원대상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에 상응하는 CCTV 영상 및 민원메모를 기반으로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민원처리 명령을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민원대상 시설물을 관리하고, 개선된 사항을 적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에서의 통합관제서버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통합관제서버(130)의 동작의 일 예인 통합관제 서버(130)에서의 민원처리 단계인 S460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통합관제서버(130)는 민원접수서버(120)로부터 민원인이 선택하여 전송한 민원서비스 아이템과 민원메모를 수신한다.(S462단계) 통합관제서버(130)는 상기 민원서비스 아이템에 상응하는 시설물 주변에 설치된 CCTV 카메라(140)를 구동한다.(S464단계) CCTV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되는 시설물 영상과 시설물 주변 영상을 관리 화면에 표시되게 하고, 시설물과 시설물 주변 상황을 판단하고 민원을 처리한다.(S466단계)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시설물 105 : QR코드
110 : 무선통신단말 120 : 민원접수 서버
130 : 통합관제서버 135 : 관리자화면
140 : CCTV 카메라 212 : 민원선택메뉴 제공부
214 : 민원처리 결과 송신부 216 : QR코드 민원서비스 DB
218 : 민원마일리지 DB 310 : 3D 영상서버
312 : 3D 맵 제공부라 314 : 3D렌더링부
315 : 시설물 이력 DB 316 : 이력&상태 표시부
320 : 시설물 관제 서버 322 : 이벤트 처리부
324 : 영상 팝업부 326 : 민원처리부

Claims (8)

  1.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공공 시설물에 부착되고, 적어도 상기 공공 시설물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정보와 민원접수서버의 URL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QR코드;
    상기 공공 시설물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URL을 통해 민원접수서버에 접속하는 민원인 무선통신단말;
    상기 QR코드가 부착된 시설물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정보, 상기 QR코드와 시설물의 매칭정보, 각 시설물에 대한 민원서비스 가능한 민원 서비스 아이템 정보를 저장하는 QR코드 민원서비스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하고, 민원접수 창구를 제공하고, 상기 민원인 무선통신단말이 상기 URL을 통해 접속하면 QR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QR코드 민원서비스 DB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되고 정형화된 민원신고 가능 서비스 아이템(민원서비스 아이템)들을 민원선택메뉴로 생성하여 상기 민원인 무선통신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민원인이 민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민원메모 UI(user interface)를 상기 민원인 무선통신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민원인 무선통신단말이 민원선택메뉴를 통해 민원서비스 아이템을 선택하고 상기 민원메모 UI를 통해 민원메모를 작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선택된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인이 기재한 민원 메모를 수신하는 민원접수서버; 및
    상기 민원접수서버로부터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메모를 수신하고, 상기 민원서비스 아이템에 상응하는 시설물 주변에 설치된 CCTV 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시설물 영상과 상기 시설물 주변 영상을 지하철 역사 관리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지하철 역사 관리화면에 표시된 영상과 상기 민원메모를 기초로 관리자가 시설물에 대한 민원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을 기초로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민원 처리 업무를 수행하는 통합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민원접수서버는
    민원인의 민원처리결과를 상기 민원인 무선통신단말로 전송하는 민원처리결과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지하철 역사의 3차원(3D) 관제를 위해 이벤트에 따라 3D 맵(Map)을 제공하고 관심지역(POI)의 배경과 시설물 객체들을 렌더링하고, 시설물의 POI 객체가 클릭되면 시설물이력 DB를 참조하여 시설물의 이력정보, 시설물의 동작상태 및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3D영상서버; 및
    상기 민원접수서버로부터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메모를 수신하면, 상기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를 상기 3D영상서버로 전송하여 이벤트 처리하고, QR 코드 신고 위치와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에 상응하는 신고 위치 주변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시설물 영상과 시설물 주변 영상 스트림을 지하철 역사 관리 화면에 팝업으로 표시되게 하고, 신고 즉시 해당 위치의 영상이 재생 및 녹화가 되고, 상기 3D 영상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시설물의 이력정보 및 제어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3D영상서버에서 제공하는 3D 맵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민원인무선통신단말은
    휴대폰으로서, 상기 휴대폰에 설치된 카메라 앱을 열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QR코드가 카메라 앱의 뷰 파인더에 나타나면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QR코드에 포함된 URL을 통해 민원접수창구 역할을 하는 민원접수서버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민원접수서버는
    접수된 민원인 정보, 민원접수 이력 및 민원 메모와 민원처리 결과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민원마일리지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공공 시설물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시설물 정보와 민원접수서버의 URL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QR코드가 상기 시설물에 부착되어 있을 때, 민원인의 무선통신 단말이 상기 QR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URL을 통해 민원접수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접속되면, 민원접수서버는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되고 정형화된 민원신고 가능 서비스 아이템(민원서비스 아이템)들을 민원선택메뉴로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화면에 상기 민원선택메뉴가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민원인이 민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민원메모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무선통신단말이 상기 민원선택메뉴에서 민원서비스 아이템을 선택하고 민원메모를 기재하여 상기 선택된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인에 의해 기재된 민원메모를 상기 민원접수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민원접수서버가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메모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통합관제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통합관제서버가 상기 민원접수서버로부터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메모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민원접수서버로부터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와 민원메모를 수신하면, 상기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를 이벤트 처리하고, QR 코드 신고 위치와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에 상응하는 신고 위치 주변 CCTV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CCTV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시설물 영상과 시설물 주변 영상 스트림을 지하철 역사 관리 화면에 팝업으로 표시되게 하고 상기 CCTV 카메라의 영상을 재생 및 녹화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관제서버에 구비된 시설물 이력 DB에 의해 제공되는 시설물의 이력정보 및 제어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통합관제서버에 구비된 3D영상서버에서 제공하는 3D 맵 화면과 상기 민원서비스 아이템 정보에 상응하는 CCTV 영상 및 상기 민원메모를 기반으로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민원처리를 통해 실시간으로 시설물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 운용방법.
  8. 삭제
KR1020210016226A 2021-02-04 2021-02-04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KR102310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226A KR102310137B1 (ko) 2021-02-04 2021-02-04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226A KR102310137B1 (ko) 2021-02-04 2021-02-04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137B1 true KR102310137B1 (ko) 2021-10-08

Family

ID=7811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226A KR102310137B1 (ko) 2021-02-04 2021-02-04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656B1 (ko) * 2022-03-31 2023-03-29 주식회사 아람코코리아 고객 민원 디지털 처리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940A (ko) * 2004-08-23 2006-02-28 현제훈 모바일 화상 신고 관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130020004A (ko) 2011-08-18 2013-02-27 주식회사 영승이엔에스 지하철 시설물의 이상 유무 분석 장치
KR20150119700A (ko) * 2014-04-16 2015-10-26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공공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4886A (ko) * 2014-07-30 2016-02-12 박희란 Nfc를 이용한 신고 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nfc 태그
KR20170142290A (ko) * 2016-06-17 2017-12-28 웹프라이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시설물관리 시스템
KR20190023679A (ko) * 2017-08-30 2019-03-08 (주)브링유 민원 신청을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사용자 디바이스
KR102018811B1 (ko) * 2018-11-08 2019-10-11 (주)바이콕 시설물 고유 IoT 코드 기반의 시설물 관리 장치
KR102107189B1 (ko) * 2019-01-09 2020-05-28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3d 화면 상에 지하철 역사의 시설물 이력 관리 및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940A (ko) * 2004-08-23 2006-02-28 현제훈 모바일 화상 신고 관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130020004A (ko) 2011-08-18 2013-02-27 주식회사 영승이엔에스 지하철 시설물의 이상 유무 분석 장치
KR20150119700A (ko) * 2014-04-16 2015-10-26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공공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4886A (ko) * 2014-07-30 2016-02-12 박희란 Nfc를 이용한 신고 방법,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nfc 태그
KR20170142290A (ko) * 2016-06-17 2017-12-28 웹프라이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시설물관리 시스템
KR20190023679A (ko) * 2017-08-30 2019-03-08 (주)브링유 민원 신청을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사용자 디바이스
KR102018811B1 (ko) * 2018-11-08 2019-10-11 (주)바이콕 시설물 고유 IoT 코드 기반의 시설물 관리 장치
KR102107189B1 (ko) * 2019-01-09 2020-05-28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3d 화면 상에 지하철 역사의 시설물 이력 관리 및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656B1 (ko) * 2022-03-31 2023-03-29 주식회사 아람코코리아 고객 민원 디지털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40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building information
CN110223208A (zh) 一种园区安全监管系统及方法
US20060229928A1 (en) System and method of tracking objects being serviced
KR102488963B1 (ko)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CN107240166A (zh) 点检终端及其数据处理方法
CN105976448A (zh) 一种巡更系统及方法
CN107239868A (zh) 用于安保巡检系统的终端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11151855B1 (en) Video analytics platform for real-time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airplane safety processes
KR102107189B1 (ko) 3d 화면 상에 지하철 역사의 시설물 이력 관리 및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10137B1 (ko) 공공시설물 민원 접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CN116310236B (zh) 一种通信机房可视化智能管理系统和方法
CN112929384A (zh) 基于空间锚点的ar智慧点巡检系统
JP2017152964A (ja) 監視装置および監視装置用プログラム
CN107222711A (zh) 仓储货物的监测系统、方法及客户端
CN112396997B (zh) 一种光影沙盘智能交互系统
JP2023109925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プログラム、画像表示方法及びサーバ
CN103905782A (zh) 移动指挥系统及移动指挥终端系统
CN114676284A (zh) 视频中标签的管理方法、管理服务器及管理系统
US201000077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 venue
CN112581630A (zh) 一种用户交互方法和系统
CN110891080A (zh) 一种监督现场智能化应用平台系统
KR101702452B1 (ko)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494896B1 (ko) IoT 티켓을 이용한 초실감 콘텐츠 전시 공간의 운영 시스템
US20220157021A1 (en) Park monitoring methods, park monitoring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AU2019203767B2 (en) Securi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