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452B1 -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452B1
KR101702452B1 KR1020150065254A KR20150065254A KR101702452B1 KR 101702452 B1 KR101702452 B1 KR 101702452B1 KR 1020150065254 A KR1020150065254 A KR 1020150065254A KR 20150065254 A KR20150065254 A KR 20150065254A KR 101702452 B1 KR101702452 B1 KR 101702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nformation
image
cctv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2571A (ko
Inventor
권종만
신필순
김기일
Original Assignee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중소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5006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45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 소지자의 위치 및 관련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CCTV 영상에 중첩시킴으로써 증강 현실이 적용되는듯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가능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엄격한 보안이 요구되는 구역에서 출입을 통제한다거나 출입자의 감시가 필요한 산업 시설물 현장에서 활용되도록 함으로써 보안 시설을 시스템 자체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CCTV IMAGE APPLIED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이에 대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그 소지자의 위치 및 관련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CCTV 영상에 중첩시킴으로써 증강 현실이 적용되는듯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가능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은 보안이 요구되는 감시장소에 하나 이상의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설치된 감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감시 카메라와 이격 설치된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수의 인원으로 여러 장소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여, 특정 공간에 대해 보안을 유지하거나 치안을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CTV 시스템은 통상, 고정된 형태로 설치된 지점에서 단일한 방향만을 촬영하는 양상으로부터, 원격으로 감시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소정의 범위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양상, 나아가 감시 카메라에 적외선 센서 등을 적용함으로써 촬영 대상을 식별하여 소정의 범위에서 제어되는 양상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CCTV 시스템에서, 촬영되는 대상물을 식별하고 이를 따라 소정의 촬영 범위를 갖도록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고/하거나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도록 구현될지라도, 상용화된 CCTV 시스템은 촬영된 영상 데이터 자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격된 모니터링 단말이나 관리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영상 데이터의 감시에 주의를 요하여야만 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 CCTV 시스템은 촬영한 영상 데이터, 뿐만 아니라, 저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람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단말에서 관리자가 일일히 확인을 해야만 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높은 보안성을 요구하는 시설물의 내부에서는 다수의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각각의 감시 카메라로부터 모든 장소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일정한 기간 동안 저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설물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의 영상 정보를 촬영되거나 저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관리자가 개별적으로 찾는 데에는 장시간이 소요되고 육안으로 모든 영상 데이터를 확인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인지한 선행기술문헌은 다수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0644호는 CCTV와 같은 동영상 기록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촬영 장소의 기본 배경 외에 사람, 동물 등과 같이 촬영되는 대상물에 대해 개체 분석을 함으로써, 형상, 색채, 크기 등을 정보화하고, 기록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ID를 부여하고, 후에 동영상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 형상 등의 정보화된 사항을 입력함으로써 해당 개체가 삽입된 동영상을 검색 가능하게 하는 동영상 검색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3753호는 카메라, IC 태그 리더, 화상 처리 장치,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IC 태그 리더가 IC 태그를 인지하는 경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IC 태그의 정보를 출력하고, 화상 처리 장치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IC 태그 정보가 검지된 IC 태그와 연관된 대상물의 영상을 추출하는 정보 수집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약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할지라도 동영상 데이터의 추후 가공을 통해 ID를 부여한다거나 IC 태그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해당 대상물의 영상을 추출하는 방식에 의하기 때문에, 전술된 한계점을 본질적으로 개선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한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유비쿼터스 또는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이 부각되어 활용되고 있는데, '증강 현실'이란 사람이 시각으로 인지하는 실사 영상에 가상의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객체 데이터나 텍스트 형태의 객체 데이터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완전한 가상의 데이터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가상 현실과는 기술적 개념의 차이를 갖는다.
본 특허출원의 발명자는, 기존에 널리 활용되던 CCTV 시스템에 대해 증강현실의 기술적 개념을 도입하여, CCTV 시스템이 구축된 공간에 존재하는 사람 중 허가 또는 인가된 자에 대해 태그를 부여하고 태그 소지자의 정보를 CCTV 영상 데이터에 중첩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548211호: 얼굴 영상 검출이 가능한 감시시스템 및 그의 얼굴영상검출방법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0644호: 지능형 영상데이터 검색시스템 [3]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3753호: 정보 수집 시스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관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망에 기반하여 시설물 내부에 존재하는 태그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연관된 태그 소지자의 정보를,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오버랩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로서,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관리자 단말에 의해, 태그의 식별자(ID) 정보 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태그의 ID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중 상기 태그가 존재하는 구역에 인접한 CCTV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CCTV의 카메라부를 통해, 소정 반경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하여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된 사람의 외형 각각에 대해, 상기 태그의 소지자 정보 및 상기 태그와 연관된 부가 정보를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해 오버랩하여, 상기 오버랩된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그에 관하여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태그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태그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은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UWB 통신망을 통해 상기 태그에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UWB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AP 각각으로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 간의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관리자 단말에서 입력된 소지자 정보에 따라 상기 소지자가 보유하는 태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태그의 식별자로부터 상기 태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단계; 상기 추적된 태그의 위치로부터 상기 태그가 존재하는 구역을 결정하고, 상기 태그가 존재하는 구역에 인접한 CCTV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CCTV의 카메라부를 통해, 소정 반경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하여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된 사람의 외형 각각에 대해, 상기 태그의 소지자 정보 및 상기 태그와 연관된 부가 정보를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해 오버랩하여, 상기 오버랩된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태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단계는, 관리 서버에 저장된 태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태그의 식별자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식별자에 대해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태그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태그의 위치 정보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UWB 통신망을 통해 제 1 태그에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 1 태그에서 상기 UWB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AP 각각으로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 간의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제 1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여 저장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로서,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AP)와 제 1 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태그; 상기 하나 이상의 태그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정보를 관리 서버에 포워딩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소정의 촬영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관리 서버에 송신가능한 다수의 CCTV; 상기 제 1 통신망 또는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포워딩된 신호 세기 정보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태그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인접한 CCTV를 지정하며, 상기 지정된 CCTV를 제어가능한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제 2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영상 정보를 출력가능한 관리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의 통신 수단인, 상기 제 1 통신망은 UWB에 기반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통신망은 UWB 통신망, 인터넷 통신망, WiFi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그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의 결정은, 상기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태그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의 결정은,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태그와 액세스 포인트 간에 송수신된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태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지정된 CCTV의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로부터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사람의 외형 각각에 대하여, 상기 태그의 소지자 정보 및 상기 태그와 연관된 부가 정보를 상기 입력된 영상과 오버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CCTV 영상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CCTV는, 상기 카메라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팬 모터의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팬센서; 상기 카메라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틸트 모터의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틸트 센서; 및 상기 팬모터 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추적되는 상기 태그의 위치 정보에 따라 모터구동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모터구동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팬모터 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상기 태그와 연관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태그 소지자의 이름, 연락처, 소속, 보안 등급, 상기 태그가 분배된 일자 정보, 상기 태그 분배 일자로부터 보안 유효기간 정보, 및 상기 태그에 대해 추적된 위치 정보로 구성된 그룹 중 하나 이상의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태그 소지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가장 인접한 CCTV가 선택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CCTV 시스템을 위치 정보와 연계시킴으로써 CCTV를 관리자가 개별적으로 선택하지 아니하여도 자동적인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선택된 CCTV의 영상 정보 중 사람을 식별하고 식별된 자들 중 태그를 소지한 자에 대해서는 태그 소지자에 관한 정보를 중첩시켜 증강현실화된 CCTV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CCTV 시스템의 관리자가 영상 데이터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엄격한 보안이 요구되는 구역에서 출입을 통제한다거나 출입자의 감시가 필요한 산업 시설물 현장에서 활용되도록 함으로써 보안 시설을 시스템 자체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으로 인한 효과는 전술된 사항으로 국한되지 아니하고, 더욱 폭넓게 인정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을 적용하여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구성하는 CCTV 장치 및 관리 서버의 기능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을 적용하여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을 적용하여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구현되기 위하여 구성요소 간에 이루어지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과 관련하여, 가장 인접한 CCTV가 선택되는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과 관련하여, 도 5에 도시된 양상에 의해 CCTV가 선택된 해당 구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이 관리자 단말에서 어떻게 출력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 태양이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라는 표현으로 언급되는 구성요소, 특징, 단계 및 컴포넌트는 해당 구성요소, 특징, 단계 및 컴포넌트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특징, 단계, 컴포넌트 및 이와 동등한 것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으로 특정되어 언급되지 아니하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함에 유의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라는 표현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등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등의 존재나 추가를 의미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더라도,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액세스 포인트'라 함은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고정국을 지칭하는데, 노드, eNodeB, HeNB 또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는 랜덤 액세스 포인트,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 라우터 액세스 포인트 등 시장에서 일컬어지는 용어와 관계없이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다양한 대상을 일컫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Mobi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의 기술용어로서 지칭되는 대상을 가리키는데,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사용자 장치, 액세스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형 전자통신기기일 수도 있다.
이외에,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기술용어는 가능한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술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일부 경우에 있어 본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 용어의 명칭에 국한되기보다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문맥상 의미를 고려하여 의미가 파악되어야만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을 적용하여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을 참조한다. 도 1에 의하면, 태그 단말(10), 액세스 포인트(AP; 20), CCTV(30), 관리 서버(40), 및 관리자 단말(5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태그 단말(10)과 액세스 포인트(20)는 비록 각각 2개와 4개만이 도시되고, CCTV(30)는 단지 하나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정한 반경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도식화하기 위하여 간략화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복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태그 단말(10)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와 UWB 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20)는 하나 이상의 태그 단말(1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정보를 관리 서버(40)에 포워딩한다. 태그 단말(10)과 액세스 포인트(20)는 이들 간에 구축된 UWB 통신망에 의해 위치 정보를 추적하게 되는데, UWB 기술은 WiFi나 Bluetooth 신호를 이용하는 기술과 비교하여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로서, 태그 단말(10)과 액세스 포인트(20) 간에 이루어지는 신호 송수신 정보에 의해 태그 단말(10)의 위치를 추적하게 된다.
태그 단말(10) 위치의 추적, 결정은 통상적으로 이들 간의 신호 송수신을 관리 서버(40)로 포워딩하여 관리 서버(40)에서 결정하지만, 액세스 포인트(20) 중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로 특정된 일부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CCTV(30)는 태그 단말(10)이 존재하는 위치가 결정되면 이들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CCTV가 특정되고, 이에 의해 해당 구역의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여 이를 입력 영상 데이터로서 관리 서버(40)에서 이미지 프로세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관리 서버(40)는 CCTV(3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하여, 해당 영상에서 경계값을 판독하여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고, 태그 소지자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중첩하게 된다. 여기서 태그 소지자에 관한 부가 정보라 함은, 태그 소지자의 이름, 연락처, 소속, 보안 등급, 태그가 분배된 일자 정보, 태그 분배 일자로부터 보안 유효기간 정보 및 태그에 대해 추적된 위치 정보로 구성된 그룹 중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이처럼 통상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태그 관련 부가 정보를 중첩시킴으로써 증강현실화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50)로 송신하여 관리자 단말(50)에서 증강현실화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50)은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마이크로폰 등 사용자로부터 태그 및 태그 소지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및 증강현실화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관리 서버(40)와 통신가능한 임의의 정보통신기기를 총칭할 수 있기 때문에, PC, 태블릿 PC, 노트북, 워크스테이션, 스마트폰 등 기기의 유형 및 성능과 무관하게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을 포괄한다고 볼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구성하는 CCTV 장치 및 관리 서버의 기능적 구성도로서, CCTV와 관리 서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다.
먼저, CCTV(30)는 소정의 촬영 구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부(31),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보조하는 센서부(32), 카메라 모듈을 좌우 또는 상하 범위 중 일정한 범위에서 이동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 CCTV는 카메라 모듈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팬 모터(pan motor)의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팬센서, 및 카메라 모듈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틸트 모터(tilt motor)의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틸트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구동부(33)는 팬모터나 틸트모터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CCTV(30)가 팬센서 및 틸트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관리 서버(40)에서 실시간으로 추적되는 태그 위치 정보에 따라, CCTV(30)의 제어부에서 생성된 모터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부(33)가 트리거링되어 팬모터나 틸트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부(31)가 회전되거나 이동되도록 하여, 태그 소지자를 트래킹하여 촬영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40)는 UWB 통신망, 인터넷 통신망, WiFi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포워딩되는 또는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태그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인접한 CCTV를 지정하며, 상기 지정된 CCTV를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예에 의하면, 액세스 포인트, CCTV, 및 관리자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41), 태그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보유하고자 이를 저장하는 태그 DB부(42), CCTV로부터 촬영되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태그 관련 정보를 오버랩하기 위한 프로세서(43), 및 CCTV의 센서부(32)와 연관되어 이미지 프로세싱을 보조하기 위한 센서 연동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을 적용하여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태그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데, 이는 관리자 단말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S10 단계). 여기서 태그에 관한 정보라 함은, 태그의 식별자(ID, 시리얼 넘버 등)와 같은 태그 개별적으로 매칭되는 고유 번호일 수 있다. 또한, 태그를 배포할 때에 태그 소지자의 이름, 소지자의 메신저나 e-mail 계정, 소속 부서, 연락처 정보 등의 태그 관련 부가 정보를,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아서 관리 서버에 저장하게 되므로, 위와 같은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태그에 관한 정보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위에서 예시하여 기술된 부가 정보의 유형이나 종류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들 사항으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태그 관련 정보를 토대로, 상기 태그와 인접한 CCTV를 선택한다(S20 단계). 구체적으로, S10 단계에서 입력된 태그에 관한 정보가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태그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호 동작으로, 개별 태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때문에) 관리자 단말 상에서 또는 관리 서버를 통해서 해당 태그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태그 위치의 실시간 추적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구역마다 복수(예, 4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배치되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UWB 통신망을 통해서 개별 태그에 제 1 신호를 송신하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개별 태그는 UWB 통신망을 통하여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각각으로 제 2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는 제 1 신호의 송신과 제 2 신호의 수신에 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 포워딩하고, 관리 서버는 이들 신호의 송수신에 관한 정보에 대해 TWR(Two-Way Ranging) 방식이나 TDoA 방식에 의하여 거리로 환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른 거리로의 환산은 신호 송수신 정보가 관리 서버로 집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로 지정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태그 정보'와 '해당 태그의 위치'를 매칭시키면, 해당 태그의 위치에 기반하여 가장 가까운 CCTV가 선택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인접한 영상 입력 장치가 어떻게 선택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건물의 도면에 다수의 CCTV가 배치된 양상을 도시하고 있는, 도 5를 참조한다.
다만, 도 5는 인접 CCTV가 선택되는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기 때문에, 태그(10)와 CCTV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의 도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생략되었고, CCTV나 태그의 수도 적은 수만이 도시되었음에 유의하자.
도 5에 도시되듯이, 특정 건물의 한 층에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고,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 방향으로 각각 2개, 1개, 1개, 1개, 1개의 CCTV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태그(10)는 도 5에서 최우측 하단의 공간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태그(10)의 정보를 입력받고(도 3의 S10 단계), 태그(10)와 가장 인접한 CCTV로서 도면부호 '30'으로 표기된 CCTV가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해당 태그에 가장 가까운 CCTV가 선택되면, 선택된 CCTV로부터 해당 구역의 영상을 입력받는데(S30 단계), 이는 CCTV의 카메라 모듈부(도 2의 31)에서 일정한 반경에 대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게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된 영상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서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게 된다(S40 단계). 예를 들어, CCTV(30)의 센서부(도 2의 32)가 적외선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영상이 입력되는 S30 단계에서 1차 구분 프로세싱이 이루어진 후, CCTV(30)의 제어부나 관리 서버(40)의 센서 연동부(40) 및 제어부에 의해 디지털 영상 신호로부터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이를 VM(Vector Machine)에 인가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 중 경계값을 구분함으로써 2차 구분 프로세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장 인접한 CCTV가 선택되고 해당 구역, 즉, 도 5에서 태그가 존재하는 구역에 대한 확대도로서, 도 6을 참고한다. 다만, 도 6은 도 5와 관련한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사항이 실측과 일치하는 형태는 아님에 유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시된 구역에는 3명의 사람이 존재하고 이들 중 가운데 위치한 사람을 제외한 두 사람은 태그(10)를 소지하고 있고, 태그(10)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4개의 액세스 포인트(20)가 도시되며, 이 구역에 대해 하나의 CCTV(10)가 도시된다. 즉, 앞서 설명된 양상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맥락으로, 태그(10)로부터의 신호가 액세스 포인트(20)에 송신되며, 각각의 태그(10)와 액세스 포인트(20) 간의 신호 송수신 관계에 의해 개별 태그(1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세 사람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한 사람의 정보나 이 사람이 소지한 태그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구역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한다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해당 태그에 가장 인접한 CCTV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고, 입력된(촬영되거나 또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태그 소지 유무와 관계없이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서,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게 된다.
그리고 구분된 영상에 대해, 태그 관련 정보를 오버랩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S50 단계). 즉, S40 단계에서 사람의 외형을 구분한 결과 A씨와 B씨, 두 명이 해당 영상 데이터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A씨의 태그 정보는 유효하게 획득되었지만, B씨는 태그 정보가 획득되지 아니하였다면, A씨의 태그 정보를 해당 영상 데이터에 오버랩한 뒤, 이를 관리자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S50 단계와 관련하여,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하나로서, 관리자 단말에서 증강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7을 참조하는데, 도 7에 도시된 출력 패턴은 도 6의 예시에서 촬영된 영상에 태그 관련 정보를 오버랩하였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3명의 사람 중 가운데 사람을 제외한 두 사람만이 태그를 소지하고 있었고, 태그를 소지한 사람에 관한 정보가 이름, 소속, 보안 등급, 태그 배포 일자에 따른 기간 정보가 각각 출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가장 좌측의 사람은 홍길동, A전자, 보안 11레벨, 4월 23일로, 가장 우측의 사람은 고길동, S전자, 보안 3레벨, 4월 20일로, 해당하는 사람 외형 이미지에 부가되어 출력된 것이다.
이러한 도 7의 출력 양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간략화된 것으로, 실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 사람의 외형만이 관리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외형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자체에, 태그 소지자의 부가 정보를 오버랩하여 출력되는 것임을 유의한다.
이상으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을 적용하여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태그 소지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가장 인접한 CCTV가 선택가능하도록 함으로써 CCTV 시스템을 위치 정보와 연계시킴으로써 CCTV를 관리자가 개별적으로 선택하지 아니하여도 자동적인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CCTV의 영상 정보 중 사람을 식별하고 식별된 자들 중 태그를 소지한 자에 대해서는 태그 소지자에 관한 정보를 오버랩하여 증강현실화된 CCTV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CCTV 시스템의 관리자가 영상 데이터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을 적용하여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구현되기 위하여 구성요소 간에 이루어지는 동작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는데, 도 4에 도시된 구체적인 양상은 도 3의 순서도와 관련되어 이해될 수 있다.
먼저, 관리자 단말(50)에서 태그 단말의 ID 또는 소지자 정보를 입력하고(S11), 태그 단말 정보를 관리 서버(40)에 송신한다(S12). 도 3과 도 5 내지 도 7에 대해 앞서 상술된 사항과 연관시켜보면, 관리자 단말(50)에서 '홍길동' 또는 홍길동이 소지한 태그의 고유 식별자를 입력하고 이를 관리 서버(40)에 송신하여 해당 태그가 존재하는 위치와 매칭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태그 위치 정보와의 매칭은 도 4에서 S21 내지 S23의 과정에 의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20)는 개별 태그 단말(10)에 제 1 신호, 즉 위치 기준 신호를 송신하고(S21), 개별 태그 단말(10)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제 2 신호인, 위치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S22). 액세스 포인트(20)와 태그 단말(10) 간의 신호 송수신 정보가 관리 서버(40)로 전송되어(S23), 관리 서버(40)에서 각각의 태그 단말(1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S11 내지 S12에 의해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태그 정보를 특정하고, S21 내지 S23에 의해, 배포된 태그 각각의 위치 정보가 실시간으로 산출되어, 특정 태그의 위치 정보가 검색되면, 이로부터 가장 인접한 CCTV를 선택하게 된다(S31).
그리고 태그 단말 정보에 의해 선택된 CCTV(30)가 활성화(S32)되는데, 여기서 활성화라고 함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이에 대해 태그 소지자 정보를 오버랩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CCTV가 정상 상태 또는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CCTV의 카메라 모듈(카메라부)이 영상 데이터는 입력받지만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고/하거나 태그 관련 정보를 오버랩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가, 이미지 프로세싱과 영상 데이터에 대한 증강현실화를 위한 오버랩이 수행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해당 CCTV가 활성화되어, 입력된 영상을 기록하여(S33), 관리 서버(40)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고(S34), 관리 서버(4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태그 관련 정보를 중첩시키고(S41), 중첩된 영상 데이터가 관리자 단말(50)에서 출력된다(S42).
이상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배포될 수 있는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태그의 식별자 정보 또는 태그의 소지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명령어; 상기 입력된 태그의 ID 정보 또는 상기 소지자 정보에 기반하여, 다수의 CCTV 중 상기 태그가 존재하는 구역에 인접한 CCTV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선택된 CCTV의 카메라부를 통해, 소정 반경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명령어;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구분된 사람의 외형 각각에 대해, 상기 태그의 소지자 정보 및 상기 태그와 연관된 부가 정보를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해 오버랩하여, 상기 오버랩된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출력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관한 예시적인 모듈, 로직 블록, 수단, 단계 또는 이들의 조합은 전자 하드웨어(코딩 등에 의해 설계되는 디지털 설계),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중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는지는 사용자 단말에 부여되는 설계상의 제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양상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의 하나 이상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되는 컴포넌트 간의 연결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고, 반대로 이들 컴포넌트뿐 아니라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관한 예시적인 모듈, 로직 블록, 수단, 단계 또는 이들의 조합은 전자 하드웨어(코딩 등에 의해 설계되는 디지털 설계),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중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는지는 사용자 단말에 부여되는 설계상의 제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 태그 단말
20: 액세스 포인트
30: CCTV
40: 관리 서버
50: 관리자 단말

Claims (15)

  1. 관리자 단말에 의해, 태그의 식별자(ID)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태그의 ID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중 상기 태그가 존재하는 구역에 인접한 CCTV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태그의 ID 정보를 토대로, 상기 태그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CCTV의 카메라부를 통해, 소정 반경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기 위하여, 적외선 센서 계측 정보 및 특징 벡터로부터 인가되는 VM(Vector Machine)을 기초로, 상기 사람의 외형에 대한 경계값을 구분함으로써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된 사람의 외형 각각에 대해, 상기 태그의 소지자 정보 및 상기 태그와 연관된 부가 정보를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해 오버랩하여, 상기 오버랩된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UWB 통신망을 통해 상기 태그에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UWB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AP 각각으로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 간의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와 연관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태그 소지자의 이름, 연락처, 소속, 보안 등급, 상기 태그가 분배된 일자 정보, 상기 태그 분배 일자로부터 보안 유효기간 정보 및 상기 태그 분배 일자로부터 보안 유효기간 정보 및 상기 태그에 대해 추적된 위치 정보로 구성된 그룹 중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관리자 단말에서 입력된 소지자 정보와 매칭되는 태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태그의 식별자로부터 상기 태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단계;
    상기 추적된 태그의 위치로부터 상기 태그가 존재하는 구역을 결정하고, 상기 태그가 존재하는 구역에 인접한 CCTV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CCTV의 카메라부를 통해, 소정 반경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기 위하여, 적외선 센서 계측 정보 및 특징 벡터로부터 인가되는 VM을 기초로, 상기 사람의 외형에 대한 경계값을 구분함으로써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된 사람의 외형 각각에 대해, 상기 태그의 소지자 정보 및 상기 태그와 연관된 부가 정보를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해 오버랩하여, 상기 오버랩된 영상을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단계는,
    관리 서버에 저장된 태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태그의 식별자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식별자에 대해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태그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위치 정보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UWB 통신망을 통해 제 1 태그에 제 1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 1 태그에서 상기 UWB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다수의 AP 각각으로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 간의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제 1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여 저장하는 단계;
    에 의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와 연관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태그 소지자의 이름, 연락처, 소속, 보안 등급, 상기 태그가 분배된 일자 정보, 상기 태그 분배 일자로부터 보안 유효기간 정보 및 상기 태그에 대해 추적된 위치 정보로 구성된 그룹 중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AP)와 제 1 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태그;
    상기 하나 이상의 태그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 정보를 관리 서버에 포워딩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소정의 촬영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영상에 대한 적외선 정보를 계측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며, 제 2 통신망을 통해 영상 정보 및 적외선 계측 정보를 관리 서버에 송신가능한 다수의 CCTV;
    상기 제 1 통신망 또는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포워딩된 신호 세기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태그와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간에 송수신된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태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추적되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인접한 CCTV를 지정하며, 상기 지정된 CCTV를 제어가능한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해 통신가능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영상 정보를 출력가능한 관리 단말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적외선 계측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에서 추출된 특징 벡터로부터 인가되는 VM을 기초로, 사람의 외형에 대한 경계값을 구분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은 UWB에 기반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통신망은 UWB 통신망, 인터넷 통신망, WiFi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지정된 CCTV의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로부터 사람의 외형을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사람의 외형 각각에 대하여, 상기 태그의 소지자 정보 및 상기 태그와 연관된 부가 정보를 상기 수신된 영상과 오버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CTV는,
    상기 카메라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팬 모터의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팬센서;
    상기 카메라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틸트 모터의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틸트 센서; 및
    상기 팬모터 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추적되는 상기 태그의 위치 정보에 따라 모터구동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모터구동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팬모터 또는 상기 틸트모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와 연관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태그 소지자의 이름, 연락처, 소속, 보안 등급, 상기 태그가 분배된 일자 정보, 상기 태그 분배 일자로부터 보안 유효기간 정보 및 상기 태그에 대해 추적된 위치 정보로 구성된 그룹 중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0150065254A 2015-05-11 2015-05-11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702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254A KR101702452B1 (ko) 2015-05-11 2015-05-11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254A KR101702452B1 (ko) 2015-05-11 2015-05-11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571A KR20160132571A (ko) 2016-11-21
KR101702452B1 true KR101702452B1 (ko) 2017-02-13

Family

ID=5753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254A KR101702452B1 (ko) 2015-05-11 2015-05-11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088B1 (ko) * 2019-11-25 2020-04-23 주식회사 시큐인포 Uwb 기반 위치 추적 및 인공지능 융합 지능형 객체 추적 영상 감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2675A (ja) 2006-09-15 2008-03-27 Ricoh Co Ltd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211B1 (ko) 2003-03-06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얼굴영상 검출이 가능한 감시시스템 및 그의 얼굴영상검출방법
JP4925419B2 (ja) 2006-06-21 2012-04-2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モバイル端末
KR100982852B1 (ko) * 2006-10-20 2010-09-16 주식회사 케이티 Rfid를 이용한 이동체 실시간 위치 결정 시스템 및 그방법과, 그를 위한 무선중계장치 설치 방법
KR20100102285A (ko) * 2009-03-11 2010-09-2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Cctv 및 rfid 기술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205458B1 (ko) * 2010-11-18 2012-11-28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KR20130035265A (ko) 2013-03-19 2013-04-08 (주)파슨텍 영상데이터 검색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2675A (ja) 2006-09-15 2008-03-27 Ricoh Co Ltd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571A (ko) 201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5229B1 (ja) デジタルサーチ・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78510B2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及びカメラの制御方法
US97495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ecurity and/or surveillance
KR102152318B1 (ko) 객체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추적시스템
US98721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for RFID tags
US20210304577A1 (en) Integrated Camera and Ultra-Wideband Location Devices and Related Systems
US9237267B2 (en) Imaging systems, moving bodies, and imaging control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of a moving target
CN104969538A (zh) 管理封闭区域用的移动增强现实
US20160283797A1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accumulated feature of object
WO2008094553A2 (en) Target detection and tracking from video streams
JP201803295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9164842A (ja) 人体行動分析方法、人体行動分析装置、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N107817750A (zh) 一种基于bim的楼宇监控系统
KR101757884B1 (ko) 전장 상황 인식 기반 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EP34627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ly accessing video data streams and data between devices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US201702212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illance using location-tracking imaging devices
KR101324221B1 (ko) 영상 촬영을 통한 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429194B (zh) 用户轨迹确定系统、方法、装置及服务器
KR101702452B1 (ko) 증강 현실이 적용된 cctv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cctv 영상 제공 시스템
US11113374B2 (en) Managing seamless access to locks with person/head detection
Rajawat et al. Iot based theft detection using raspberry pi
CN113557713A (zh) 情景感知监测
JP2011087214A (ja) 撮影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RU2712417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распознавания лиц и построения маршрута с помощью средства дополненной реальности
KR20230073619A (ko) 얼굴 인식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