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946B1 -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946B1
KR102131946B1 KR1020190157291A KR20190157291A KR102131946B1 KR 102131946 B1 KR102131946 B1 KR 102131946B1 KR 1020190157291 A KR1020190157291 A KR 1020190157291A KR 20190157291 A KR20190157291 A KR 20190157291A KR 102131946 B1 KR102131946 B1 KR 102131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project
terminal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동현
Original Assignee
한다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다움건설(주) filed Critical 한다움건설(주)
Priority to KR102019015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종류, 순서, 및 일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사 리스트를 관리하고, 공사 리스트를 설계중 메뉴, 착공예정 메뉴, 공사중 메뉴 및 완료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기초하여 필터링 및 정렬하여 출력하고, 어느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공사 프로젝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직원 단말, 및 직원 단말로 할당된 공사 리스트에 대한 관리권한 및 엑세스권한을 부여하는 권한설정부, 공사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직원 단말로부터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상황관리부, 직원 단말에서 선택된 공사 프로젝트의 데이터가 업로드되는 경우 업로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ERVICE USING SMART PLANNER}
본 발명은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주, 관리직원, 및 현장소장 간의 소통 및 공사 프로젝트 진행상황의 공유 및 업무관리가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건설 산업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의 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공사기간에 대한 경쟁력의 확보와 이에 걸맞은 공사기간의 준수가 중요하다. 공정관리는 공정만을 위한 것이 아니며 제반 공사 관리요소와 병행되어 관리되어야 하고 건설 프로젝트의 공사기간은 다양한 관리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계획된 공사기간 준수를 위해서는 충분한 공사 관리 데이터의 축적과 상황에 맞는 예측과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공사기간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는 현장단위의 단위 작업에서 발생한다는 관점에서 공사를 수행하는 데 발생하는 현장 중심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정보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기술로 실현이 가능하다.
이때, 인터넷을 이용하여 현장일보 작성으로 관리되는 공사비 정산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8-0085938호(2008년09월25일 공개)에는, 건축 지식이 부족한 건축주를 대신하여 건설사업 전반에 걸친 관리를 해주는 CM(Construction Management)과 같이 다수의 현장을 원격으로 관리하는데 있어서 공사비의 견적 및 공사대금이 지급되는 일반적인 기준인 공종을 단위로 하여 견적, 공사관리, 기성금 청구 및 지급, 하자보수, 요청 및 처리 보고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CP(Construction Planner)의 도움을 받아 처리하는 구성과, 이로 인하여 건축주가 공사 현장에 있지 않아도 현장의 상황을 알 수 있으며 유기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므로 비전문가이더라도 공사 현장의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CP, 즉 건축 플래너인 사람의 도움을 받아 보고를 처리하게 되므로, 각 데이터만을 인터넷으로 송수신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없다. IT 산업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기술, 병렬처리 기술, 데이터베이스 저장능력과 기술향상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구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건설 분야에서는 실질적인 적용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건축주는 진행상황을 체크하기 위해서는 생업을 포기하고 건축기간 내에 현장에 나와 건축상황을 관리하고 통제하게 하는 방법이 답습되고 있다. 그리고, 현장소장이나 현장직원과 본사의 직원 간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하나의 플랫폼에서 정보를 공유하며 일정과 상황을 보고하는 체계 및 인프라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당업자가 아닌 일반인인 건축주라고 할지라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공사 프로젝트의 순서를 시계열적으로 나열함과 동시에 프로젝트 진행률과 프로젝트 일정 및 오늘의 일정을 포함한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공사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소장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나 소셜미디어에 업로드된 현장 이미지, 사진, 및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스마트 건축 플래너에 공유함으로써, 건축주는 현장에 나가지 않더라도 실시간으로 현장상황을 중계받을 수 있고, 담당 직원도 자신이 담당한 현장의 상황을 각 단계별로 일목요연하게 리스트업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더불어 근태상황이나 결재 프로세스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진행함으로써 현장으로 바로 출근 및 퇴근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종류, 순서, 및 일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사 리스트를 관리하고, 공사 리스트를 설계중 메뉴, 착공예정 메뉴, 공사중 메뉴 및 완료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기초하여 필터링 및 정렬하여 출력하고, 어느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공사 프로젝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직원 단말, 및 직원 단말로 할당된 공사 리스트에 대한 관리권한 및 엑세스권한을 부여하는 권한설정부, 공사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직원 단말로부터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상황관리부, 직원 단말에서 선택된 공사 프로젝트의 데이터가 업로드되는 경우 업로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당업자가 아닌 일반인인 건축주라고 할지라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공사 프로젝트의 순서를 시계열적으로 나열함과 동시에 프로젝트 진행률과 프로젝트 일정 및 오늘의 일정을 포함한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공사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소장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나 소셜미디어에 업로드된 현장 이미지, 사진, 및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스마트 건축 플래너에 공유함으로써, 건축주는 현장에 나가지 않더라도 실시간으로 현장상황을 중계받을 수 있고, 담당 직원도 자신이 담당한 현장의 상황을 각 단계별로 일목요연하게 리스트업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더불어 근태상황이나 결재 프로세스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진행함으로써 현장으로 바로 출근 및 퇴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서버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건축주 단말(100),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건축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건축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은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건축주 단말(100)은,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건축 상황을 확인하고 각 담당자와 연락하며 프로젝트 진행률과 현재 공사현장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공유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건축주 단말(100)은, 스마트 건축 플래너 상에 달력 형식으로 스케줄을 확인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건축 플래너는 종래기술에서 언급된 건축 플래너인 사람과 다른, 일정을 공유하는 플랫폼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건축주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건축주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건축주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공사 프로젝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대한 모델링을 실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직원 단말(400)에서 할당받은 공사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며, 직원 단말(400)에서 등록한 건축주 단말(100)로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공유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소셜미디어나 메신저를 통하여 업로드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소장 단말(500)의 식별코드나 식별자로 식별함으로써 어느 건축주의 공유화면으로 업로드되어야 하는지를 분류하고 업로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의 근태나 결재 프로세스를 제공 및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직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권한을 부여받고, 할당받은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입력하고 확인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근태 관리 및 결재 프로세스를 통하여 근태를 입력하거나 결재를 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과, 자신이 담당한 공사를 완공전후 등으로 나누어진 식별자로 필터링 및 리스트업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은,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현장소장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은,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권한을 부여받고, 할당받은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입력하고 확인하며, 현장의 상황을 이미지로 업로드하거나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스트리밍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서버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권한설정부(310), 상황관리부(320), 저장부(330), 스트리밍부(340), 식별저장부(350), 프로젝트 메세지부(360), 근태관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건축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로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건축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은,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건축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사 프로젝트의 공유를 하기 이전에, 일정관리를 위한 CCPM(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 모델링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최근 건설공사는 대형화되고 전문화, 복잡화되어 하나의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종이 다양하고 사용되는 자재, 기술, 인력이 서로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어 선후 공종간의 체계적이고 신속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공기지연, 품질저하 등을 초래할 우려가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공사기간 지연을 만회하기 위해 공사를 서두르게 되며, 공사의 품질 저하와 안전관리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때,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CPM(Critical Path Method) 기법이 개발되었으나, 일정관리를 위한 작업의 공정순서만으로 자원의 제약을 고려하지 않고 적용되어져 왔기 때문에, 주기적인 관리와 추가적인 비용ㆍ시간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는 공사기간의 연장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체 공정에서 제약이 되는 요인을 집중적으로 개선 발전시킴으로서 전체공정에 생산성을 최대화 시키는 기법인 제약이론(TOC:Theory Of Constrains)을 기반으로 하는 CCPM(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을 모델링하고 적용함으로써, 기 설정된 공사 기간보다 지연됨으로 인하여 건축주의 클레임을 줄일 수 있고, CCPM 스케줄링에 의하여 감소된 공사기간에 대한 발주자와 시공자의 이윤분배도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CCPM은 프로젝트관리의 현상문제 구조트리(Current Reality tree)에서 모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Undesirable Effect)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으로, 프로젝트 내부의 시스템 자체에서 발생하는 핵심적인 제약요소를 식별하여, 제약요소에 대한 개선 및 해결을 추구하는 관리 시스템을 말한다.
CCPM에서는 계획단계에서부터 각 작업을 50% 확률 시간 즉, 고위험 시간치(Aggressive But Possible)를 활용한다. 이는 대체적으로 저위험 시간추정치(Highly Possible)의 1/2 정도이지만, 일률적으로 HP를 반으로 단축시키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 전문가를 통하여 산출된 고위험 시간치가 시간을 낭비할 수 없는 정도의 짧은 시간인지, 하면 할 수 있는 정도의 긴 시간인지 등을 확인하고 검토하여야 한다. 고위험 시간치의 산출 이후 크리티컬 체인 전체시간의 1/2 혹은 제거한 안전여유 시간 총합의 1/2 시간을 모아 프로젝트 버퍼(Project Buffer)를 설정하며, 각 작업의 크리티컬 체인 합류점에 합류 버퍼(Feeding Buffer)를 설정하게 된다. 버퍼의 크기는 각각의 작업에 설정하는 경우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는 작업의 지연이 같은 경로상에 있는 다른 작업의 조기 종료로 상쇄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CCPM에서는 발주자의 요구가 없다면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특별한 관리점이 없으며, 크리티컬 체인 상에서의 프로젝트 버퍼를 통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젝트 버퍼나 크리티컬 체인을 보호하기 위한 합류 버퍼는 프로젝트를 관리하는데 있어 꼭 필요한 관리점을 제공함으로써 공정관리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감독자는 프로젝트 버퍼 크기의 변화만으로 쉽게 전체 프로젝트 일정을 감시할 수가 있다. 크리티컬 체인은 시간의 종속성 뿐만 아니라 자원의 제약까지 고려하고 있으므로 자원의 경쟁으로 발생하는 일정 지연이나, 자원의 추가 투입 등의 문제점을 예방하여 자원의 경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멀티태스킹(Multi Tasking)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CCPM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네트워크를 작성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건설 프로젝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형식을 사용하여 각 작업의 기간과 시작시점을 나타내어 표현하고, 각 작업들의 자원을 설정하여 기입하게 된다. 다만 각 작업의 공사기간은 고위험 시간치(Aggressive But Possible)인 평균 시간치를 활용한다. 이는 대체적으로 저위험 시간추정치의 1/2에 해당한다. 즉, 20일이란 공사기간은 40일이란 공사기간을 ABP를 활용하여 나타낸 기간이다. 두 번째는 자원 경쟁의 확인인데, 작업에 종속되어진 자원의 경쟁이 발생된다면 공사기간의 연장이나 공사비의 증가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철저한 확인을 통하여 자원 경쟁을 확인하여야 한다. 세 번째로, 자원 경쟁의 해소인데, 자원이 경쟁하는 부분을 확인한 이후 자원 경쟁이 발생하는 작업에 대하여 일정조정을 통해 자원 경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C의 자원과 D의 자원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작업의 시작 일을 앞쪽으로 늦추어 줄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경쟁이 되는 자원을 재분배하여 자원 경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네 번째는, 크리티컬 체인의 정의인데, 자원 경쟁의 해소를 통해 작성되어진 네트워크를 살펴보면 작업 의존관계와 자원 의존관계 양쪽을 해소한 뒤에 최장의 기간을 필요로 하는 경로를 정의할 수 있다. 다섯 번째는, 버퍼의 설정인데, CCPM 기법에서 버퍼의 의미는 ABP를 활용함으로써 예상되는 지연에 대하여 필요한 개소에 필요한 만큼의 충격흡수기능을 담당하는 요소를 배치하는 것으로 이것을 버퍼라고 부른다. CCPM 기법에서는 몇 가지 종류의 버퍼가 존재하며, 대표적인 것이 프로젝트 버퍼(Project Buffer)와 합류 버퍼(Feeding Buffer)이다. PB는 크리티컬 체인에 지연이 발생할 경우 이를 흡수하여 프로젝트 전체의 납기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젝트의 가장 마지막에 존재하게 된다. FB는 크리티컬 체인에 합류하는 작업에 지연이 발생할 경우 이를 흡수하여 크리티컬 체인에 지연이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각 공정의 크리티컬 체인 합류점에 존재하게 된다.
여섯 번째는, 버퍼의 산정 및 설치인데, 앞서 설명한 버퍼의 설정 이후 버퍼의 크기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크리티컬 체인법의 버퍼의 크기는 각각의 작업에 설정하는 경우보다 작아도 된다. 이는 어떠한 작업의 지연이 같은 경로상에 있는 다른 작업이 조기 종료로 상쇄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위험 시간치(Highly Possible)에서 고위험 시간치인 ABP를 구할 때 제거한 안전여유의 합계보다 작아도 된다. 프로젝트 버퍼와 합류 버퍼 직전에 있는 경로로부터 제거한 안전여유 즉, HP-ABP의 합계를 산출하고, HP-ABP를 합산하여 구하여진 기간을 50%로 산정하여 합류 버퍼와 프로젝트 버퍼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리티컬 체인 기간인 73일에 프로젝트 버퍼 33일을 합산한 106일이 건축물의 완공일이 되는 것이다.
일곱 번째는, 버퍼의 감시인데, 크리티컬 체인기법에서 공정의 진척상황을 컨트롤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감시의 대상은 버퍼의 잔량과 자원상황을 파악하는 일 뿐이다. 크리티컬 체인의 경우 한번 결정한 이후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는데, ABP 기간을 산정하는 시점에서 프로젝트 중 50%의 작업은 지연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으며, 지연을 흡수하기 위하여 프로젝트버퍼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감시하는 것은 프로젝트 버퍼에 집중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 버퍼의 잔존량이 100~67%는 안전구역으로 보며, 66~34%는 주의구역, 33~0%는 위험구역으로 간주하게 된다. 안전구역에서는 행동을 취하지 않고 감시를 계속하며, 주의구역에서는 프로젝트가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지연된 원인을 조사하고, 대책을 책정해야 한다. 다만, 50%까지 지연되는 것은 크게 상관이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 위험구역에 들어오면 미리 책정해 두었던 발생 시 대책을 실행에 옮기게 된다. 대책으로는 잔업이나 휴일 출근 등의 대안을 검토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자원 투입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물론, 상술한 모델링 방법 이외에도 건설 공사의 스케줄링을 모델링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렇게 모델링이 완료되었으면, 이제 스케줄에 따른 상황을 공유하고 일정을 알려주는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건축주에게 제공하고, 각 직원이나 현장소장으로부터 현장상황과 작업상황을 공유받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권한설정부(310)는, 직원 단말(400)로 할당된 공사 리스트에 대한 관리권한 및 엑세스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한 명의 직원이 하나의 공사만을 담당할 수도 있지만, 여러 개의 공사를 한 번에 맡아서 진행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에, 어느 직원에게 어느 공사를 관리하도록 할당할 것인지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는 일을 권한설정부(310)에서 하게 된다. 이는 대부분 직원을 관리하는 관리자급 단말(미도시)에서 수행하게 되지만, 직원 본인이 스스로 권한을 설정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이렇게 권한이 설정되는 경우, 직원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종류, 순서, 및 일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사 리스트를 관리하고, 공사 리스트를 설계중 메뉴, 착공예정 메뉴, 공사중 메뉴 및 완료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기초하여 필터링 및 정렬하여 출력하고, 어느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공사 프로젝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황관리부(320)는, 공사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직원 단말(400)로부터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술한 CCPM 스케줄링을 이용하는 경우 이미 스케줄이 모두 짜여있을 수 있지만, 현장 상황 또는 건축주의 상황에 따라 변수는 언제든지 존재하므로 이를 직원 단말(400)에서 변경할 수 있다. 변경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건축주 단말(100)의 화면에 반영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직원 단말(400)에서 선택된 공사 프로젝트의 데이터가 업로드되는 경우 업로드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사진, 도면, 파일, 실시간 스트리밍 파일 등 다양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포맷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건축주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에 따른 프로젝트 진행률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프로젝트 진행 스케줄을 달력에 표시하며, 오늘의 일정 및 실시간 현장 진행 상황을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한 콘텐츠로 공유받을 수 있다.
스트리밍부(340)는, 직원 단말(400)로부터, 직원 단말(400)에서 촬영한 동영상 또는 직원 단말(400)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받아 업로드 및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직원 단말(400)이 아니라 현장의 소장 단말(500)로부터 동영상을 업로드받을 수도 있다. 또는,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수신받아 직원 단말(400)이나 소장 단말(500)을 AP로 함으로써 스트리밍부(340)에서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고, 건축주는 현장에 굳이 나가지 않더라도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콘텐츠로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은, 프로젝트 현장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 또는 소셜미디어에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업무를 할당 및 담당할 수 있다.
식별저장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에서 업로드한 프로젝트 현장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500)의 업무를 메타데이터로 매핑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화면을 식별한 후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건설현장에서 찍히는 사진들은 단순기록의 의미를 넘어 검측과 같은 각종 서류의 증거자료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기 때문에 건설프로젝트의 시작부터 끝까지 현장에서 작업자들에 의해 찍히는 현장사진의 개수는 수백 장을 넘어 수천 장이되곤 한다. 하지만 다수의 사진들이 분류되어 저장되기 위해서는 단순 반복 작업을 위한 많은 시간이 투자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시간소모가 곧 인력과 인건비로 소모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진을 분류하는 과정은 다소 비효율적인 부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식별저장부(350)는,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활용해 자동적으로 사진의 내용을 파악하고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설현장 사진에 이미지 프로세싱 필터를 적용하여 해당 사진이 어떠한 공정에서 진행된 것인지 파악하고 공정계획을 통해 4D CAD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고,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를 이용하여 재료와 공정을 파악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류시스템을 학습시켜 특징추출 단계 없이 건설현장사진이 분류할 수도 있는데,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에 기반하여 이용하여 건설현장 사진을 학습 및 분류할 수 있다. 이미지 분류 시스템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예를 들어, 작업 카테고리를 굴착, 골조, 마감작업(타일작업) 세 가지로 분류하고 해당되는 범주의 사진들을 시스템에 적용시켜 학습하는 경우, 트레이닝 횟수와 학습용으로 주어지는 사진의 개수에 따른 분류기의 성능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두 번의 비교를 할 수 있는데, 첫 번째 테스트에서는 카테고리별 학습용 이미지를 100장씩으로 고정시킨 다음 트레이닝을 100, 200, 500, 1000, 2000회씩 반복시킨 시스템에 새로운 현장 사진을 주었을 때 어떠한 확신을 가지며 분류를 하는지 확인해볼 수 있고, 두 번째는 반대로 트레이닝 횟수를 500회로 고정시킨 다음 카테고리별로 20, 30, 40, 50, 100장씩 이미지 개수를 변화시켜가며 그 차이를 볼 수도 있다. 다만, 트레이닝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반복학습을 하게 되면, 건설현장에서 현장 소장 단말을 식별하지 않고서도 찍힌 사진만을 가지고도 어느 공정의 어느 단계인지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므로 인력 및 시간의 소모가 줄어들 수 있다.
덧붙여서, 식별저장부(350)는, 현장의 안전관리대상을 고정시설물과 이동시설물로 구분하고 과거영상과 현재영상을 비교하여 변화된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식별저장부(350)는, 영상의 특징점 및 특징기술자를 생성하고 특징점 정합, 이미지의 좌표변환, 이미지의 영역 추출 및 크기 변환, 필터링 등을 수행할 수 있고, 영상특징점은 다각형의 꼭지점, 선분의 끝점 등 영상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지점을 의미하며, 특징기술자는 영상특징점의 주변영상화소 밝기값에 대한 통계로 정의된 고유의 값을 의미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데, 영상특징점, 특징기술자, RANSAC을 통해서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정시설물의 경우 GPS의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의 해당 프레임의 검색범위를 지정하고 주변 프레임들로부터 등록된 고정시설물의 이미지와의 매칭율을 계산한다. 이후 동영상 프레임의 이미지와 고정시설물의 이미지의 최대 매칭율을 보이는 프레임의 이미지를 추출하게 되면 고정된 시설물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동시설물의 탐지방법으로는 기존에 등록된 이동시설물의 이미지와 동영상 촬영자료 이용하여 매칭율을 계산하고 허용범위에 들어오면 동영상의 프레임번호를 추출하고 GPS 정보로부터 추출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번호와 시각정보를 매칭하여 탐지된 위치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시설물 변화탐지는, 등록된 이동시설물 이미지와 동영상의 프레임 이미지에 대한 영상특징점과 특징기술자를 계산하고 이를 매칭한 후, RANSAC을 이용하여 이동시설물의 이미지 공간에 포함되는 매칭점 총수가 특정 임계수치 이상이면 분석을 멈추게 하여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영상특징점 및 특징기술자 생성, Ransac은 OpenCV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다. 동영상의 프레임 번호를 통해서 시각정보를 계산하고, 시각정보에 해당되는 GPS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이동시설물의 위치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동시설물의 정밀한 위치정보 확인을 위하여 지도 확대/축소, 위치정보 뷰 등 GIS 기능으로 구현할 수 있다.
프로젝트 메세지부(360)는, 직원 단말(400) 및 건축주 단말(100) 간의 메세지 송수신을 위한 채널을 생성하고, 직원 단말(400) 및 건축주 단말(100) 간의 메세지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건축주, 담당직원, 더 나아가 현장소장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다른 메신저나 소셜미디어를 이용하지 않고도 소통의 채널을 일원화 및 집중화를 시킬 수 있고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지므로 공유되지 않은 일정이나 사항에 대한 설명을 하는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다.
근태관리부(370)는, 직원 단말(400)의 출퇴근 관리, 연차와 휴가 관리, 및 결제 관리를 포함하는 근태 및 결재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다. 근태관리 기록은 인사관리의 핵심적인 데이터로서 피고용인의 임금을 계산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이지만, 플랫폼 내에서 퇴근을 클릭하는 방식으로 근태를 관리하는 경우, 실제로 직원이나 소장이 현장에 있지 않고 다른 곳에 있었음에도 퇴근이 처리되거나 야근이 결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근태관리부(370)는 피고용인의 근태 자료를 기록하기 위하여 직원 단말(400)이나 소장 단말(500)의 맥 주소와 와이파이 무선접근점의 맥 주소를 이용하여 피고용인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피고용인의 출퇴근 자료를 업로드할 수 있다.
근태관리부(370)는 직원 단말(400)이나 소장 단말(500)에서 퇴근 신호와 함께 무선접근점의 범위를 벗어나면 퇴근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근태관리부(370)는 직원 단말(400)이나 소장 단말(500)에 위치확인모듈을 포함시켜, 무선접근점의 신호세기와 신호범위를 이용하여 직원 단말(400)이나 소장 단말(5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현재 접속되어 있는 무선접근점의 맥주소와 스마트기기의 맥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한다. 또한 다중 무선신호가 감지될 경우 무선접근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근태관리부(370)는, 직원 단말(400)이나 소장 단말(5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사용자의 근무지 소속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근태관리부(370)는, 직원 단말(400)이나 소장 단말(500)의 맥주소와 무선접근점의 맥주소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직원 단말(400)이나 소장 단말(500)로부터 무선접근점과 맥주소가 전송되면 저장된 맥주소를 검색하여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무선접근점까지 위치정보와 함께 확인하는 경우에는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속일 수가 없기 때문에 원격에서 근무하는 직원의 근태 관리가 더욱 엄격 및 정확해질 수 있다.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하는 건축주 단말(100)은, 평면도, 입면3D, 시공도면, 인테리어, 시공도면 M/T, 건축인허가, 소장배정, 중목가공, 착공신고, 토목, 수도, 임시전기, 기초, 골조, 지붕, 외장, 단열, 설비, 창호, 내장, 가구공사, 엔딩점검, 준공서류, 및 입주청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건축주가 비전문가라는 가정하에 아이콘 형식으로 공사의 진행상황이나 진척도 및 시계열 순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아이콘 형식이 아닐지라도 다른 방식으로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나열된 것들로 한정하지 않고 변경가능함은 자명하다. 또, 건축주 단말(100)은, 직원 단말(400)에서 진행중 또는 완료처리된 공사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다른 아이콘과 대비시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건축주 단말(100)은, 달력과 공사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하나의 화면 내에 출력할 수 있다. 또, 건축주 단말(100)은,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률, 담당자, 프로젝트 자료실, 오늘의 일정, 프로젝트 TALK, 현장 진행 LIVE, 및 프로젝트 진행 현황을 스마트 건축 플래너의 초기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이지에 엑세스하자마자 프로젝트 진행률은 몇 퍼센트나 되는지, 오늘 진행될 공사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담당자는 누구인지, 현장 진행 상황은 어떠한지, 프로젝트 진행 현황은 어떠한지를, 달력, 텍스트, 사진, 도면, 이미지, 및 실시간 동영상으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진행률은, 사용된 자재의 수를 전체 자재의 수로 나누어 산출하고, 전체 공정률의 경우, 각 공사별 공정률과 가중치의 곱을 모든 가중치의 합으로 나누어 산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직원 단말(400)이 사내 인트라넷에 접속하게 되면, 메인 화면으로 도 3a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메인 화면에서는 로그인한 직원이 담당하는 공사 프로젝트의 최신 정보를 볼 수 있고, 게시글 알림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는 공사 프로젝트 관리 화면으로 직원이 도 3a 화면에서 좌측 메뉴의 프로젝트 관리를 클릭하게 되면, 도 3b로 이동하게 된다. 도 3b는, 전체보리 리스트 화면이며, 모델 이미지, 계약 경로, 건축주, 담당자, 계약 금액 등의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리스트업되어 있으며, 평형대, 건축구조, 담당자를 선택하여 필터링할 수도 있지만, 필터는 이에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c는 공사중 현장 리스트 화면인데, 어떠한 공사 프로세스가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리스트업된 화면이고, 도 3d는 설계중인 현장 리스트 화면인데, 착공전 프로세스 정보와 최근 리포트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도 3e 및 도 3f는 프로젝트 뷰 화면인데, 프로젝트 진행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출력되며, 수정 권한을 가진 담당자만이 수정이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매 수정마다 수정 히스토리가 남게 되므로 수정 전 기록도 되돌려 볼 수 있다. 도 3g는 공사 프로젝트 수정 화면인데, 프로젝트 알림에 체크된 직원은 사내 그룹웨어 메인 화면에서 프로젝트 최신글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 공유에 체크된 직원은 프로젝트 수정 권한을 가질 수 있으나, 수정시 직원의 아이디 등이 태깅되므로 누가 어떻게 수정했는지의 로그를 볼 수 있다.
그리고 도 3h는 프로젝트 수정화면으로,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하는 건축주 단말(100)의 접속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건축주 ID를 입력하면 해당 ID로 건축주 단말(100)에서 접속이 가능해지며, 메신저의 연동으로 메신저나 소셜미디어의 앨범 선택만으로도 메신저나 소셜미디어에 업로드된 현장 사진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i는 프로젝트 현장사진 화면으로, 소장 단말(500)에서 소셜미디어나 메신저에 업로드한 사진을 자동으로 크롤링하여 업로드 및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건축주의 일정이 입력되고 건축주의 ID의 접근권한이 설정되고 사진이 공유되었으면, 건축주 단말(100)은 건축주의 ID로 도 4a와 같은 스마트 건축 플래너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스마트 건축 플래너의 메인 화면으로, 건축주에게 접속권한을 공유하여 관계자 외에는 접속할 수 없도록 설정된다. 이때, 프로젝트 진행 상황, 필요한 자료, 일정, 요청사항, 현장 CCTV 등을 볼 수 있으며,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여러 담당자와 건축주 간의 소통이 되지 않거나 의사의 합치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는 스마트 건축 플래너의 한 기능으로, 프로젝트 진행 스케줄 화면이다. 공사 담당자가 공사 프로젝트 관리에서 스케줄 및 진행상황을 입력하면 건축주는 도 4b의 페이지에서 일정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직원 단말로 할당된 공사 리스트에 대한 관리권한 및 엑세스권한을 부여한다(S5100).
그리고,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공사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직원 단말로부터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S5200).
또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직원 단말에서 선택된 공사 프로젝트의 데이터가 업로드되는 경우 업로드된 데이터를 저장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종류, 순서, 및 일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사 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공사 리스트를 설계중 메뉴, 착공예정 메뉴, 공사중 메뉴 및 완료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기초하여 필터링 및 정렬하여 출력하고, 어느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공사 프로젝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직원 단말; 및
    프로젝트 현장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메신저 또는 소셜미디어에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업무를 할당 및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
    상기 직원 단말로 할당된 공사 리스트에 대한 관리권한 및 엑세스권한을 부여하는 권한설정부, 상기 공사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상기 직원 단말로부터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상황관리부, 상기 직원 단말에서 선택된 공사 프로젝트의 데이터가 업로드되는 경우 업로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에서 업로드한 프로젝트 현장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의 업무를 메타데이터로 매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화면을 식별한 후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식별저장부를 포함하는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저장부는,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장 단말에서 업로드한 현장 사진 또는 동영상에 대하여 자동으로 분류하고,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에 대하여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의 분류자(Classifier) 및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에 기반하여 건설현장 사진 또는 동영상을 학습 및 트레이닝하고,
    상기 식별저장부는, 영상의 특징점 및 특징기술자를 생성하고 특징점 정합, 이미지의 좌표변환, 이미지의 영역 추출 및 크기 변환, 필터링을 수행하여 시설물 변화탐지를 수행하는 것인,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에 따른 프로젝트 진행률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의 프로젝트 진행 스케줄을 달력에 표시하며, 오늘의 일정 및 실시간 현장 진행 상황을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한 콘텐츠로 공유받는 건축주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직원 단말로부터, 상기 직원 단말에서 촬영한 동영상 또는 상기 직원 단말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받아 업로드 및 공유하는 스트리밍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직원 단말 및 건축주 단말 간의 메세지 송수신을 위한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직원 단말 및 건축주 단말 간의 메세지 송수신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메세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직원 단말의 출퇴근 관리, 연차와 휴가 관리, 및 결제 관리를 포함하는 근태 및 결재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근태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주 단말은,
    평면도, 입면3D, 시공도면, 인테리어, 시공도면 M/T, 건축인허가, 소장배정, 중목가공, 착공신고, 토목, 수도, 임시전기, 기초, 골조, 지붕, 외장, 단열, 설비, 창호, 내장, 가구공사, 엔딩점검, 준공서류, 및 입주청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사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직원 단말에서 진행중 또는 완료처리된 공사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다른 아이콘과 대비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주 단말은,
    상기 달력과 상기 공사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하나의 화면 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주 단말은,
    상기 공사 프로젝트의 진행률, 담당자, 프로젝트 자료실, 오늘의 일정, 프로젝트 TALK, 현장 진행 LIVE, 및 프로젝트 진행 현황을 스마트 건축 플래너의 초기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157291A 2019-11-29 2019-11-29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3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91A KR102131946B1 (ko) 2019-11-29 2019-11-29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91A KR102131946B1 (ko) 2019-11-29 2019-11-29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946B1 true KR102131946B1 (ko) 2020-07-09

Family

ID=7160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291A KR102131946B1 (ko) 2019-11-29 2019-11-29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946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0318A (zh) * 2020-07-20 2020-10-30 杭州品茗安控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行人徘徊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184177A (zh) * 2020-10-13 2021-01-05 广东天衡工程建设咨询管理有限公司 一种项目监管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3065756A (zh) * 2021-03-26 2021-07-02 胡军军 一种基于bim的工程监理信息化管理系统
KR20210148833A (ko) 2020-06-01 2021-12-08 김예진 개인용 직영 공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46759B1 (ko) * 2020-09-03 2022-01-04 (주)에이딕 크레인 데이터를 이용하는 건설 공정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2026520A1 (en) * 2020-07-28 2022-02-03 Construct A.I. Inc. Machine learning based construction methods, techniques, and algorithms
CN114815974A (zh) * 2022-03-09 2022-07-29 智链云筑(南京)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进度数据录入装置及其工作方法
WO2022187131A1 (en) * 2021-03-03 2022-09-09 Procore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data, data access, and data retention
KR102526072B1 (ko) * 2022-06-17 2023-04-25 정기웅 실내 인테리어 설계 시공 시스템
KR102538057B1 (ko) * 2021-12-14 2023-05-30 주식회사 넥스텝스튜디오 건물 관리용 정보 공유 시스템
KR102571459B1 (ko) * 2023-02-16 2023-08-30 한국수자원공사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
KR102593368B1 (ko) 2022-07-07 2023-10-25 주식회사 케플라비크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7313960A (zh) * 2023-11-30 2023-12-29 广州墨斗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可视化的施工日志展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344A (ja) * 2001-05-31 2002-12-13 Csk Corp 工事情報管理システム、工事情報処理装置、工事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50101717A (ko) * 2004-04-19 2005-10-25 공용선 기업정보 관리의 인프라에 기초한 통합적 기업 포탈 시스템
KR101963860B1 (ko) * 2018-08-08 2019-04-01 (주)에스에이티정보 스마트건설현장을 위한 클라우드 협업시스템
KR101993279B1 (ko) * 2018-12-31 2019-06-26 주식회사 나눔건설사업관리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344A (ja) * 2001-05-31 2002-12-13 Csk Corp 工事情報管理システム、工事情報処理装置、工事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50101717A (ko) * 2004-04-19 2005-10-25 공용선 기업정보 관리의 인프라에 기초한 통합적 기업 포탈 시스템
KR101963860B1 (ko) * 2018-08-08 2019-04-01 (주)에스에이티정보 스마트건설현장을 위한 클라우드 협업시스템
KR101993279B1 (ko) * 2018-12-31 2019-06-26 주식회사 나눔건설사업관리 개인 건축주를 위한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833A (ko) 2020-06-01 2021-12-08 김예진 개인용 직영 공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1860318A (zh) * 2020-07-20 2020-10-30 杭州品茗安控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行人徘徊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2026520A1 (en) * 2020-07-28 2022-02-03 Construct A.I. Inc. Machine learning based construction methods, techniques, and algorithms
KR102346759B1 (ko) * 2020-09-03 2022-01-04 (주)에이딕 크레인 데이터를 이용하는 건설 공정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184177B (zh) * 2020-10-13 2023-11-24 广东天衡工程建设咨询管理有限公司 一种项目监管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2184177A (zh) * 2020-10-13 2021-01-05 广东天衡工程建设咨询管理有限公司 一种项目监管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22187131A1 (en) * 2021-03-03 2022-09-09 Procore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data, data access, and data retention
US11829951B2 (en) 2021-03-03 2023-11-28 Procore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data, data access, and data retention
CN113065756A (zh) * 2021-03-26 2021-07-02 胡军军 一种基于bim的工程监理信息化管理系统
KR102538057B1 (ko) * 2021-12-14 2023-05-30 주식회사 넥스텝스튜디오 건물 관리용 정보 공유 시스템
CN114815974A (zh) * 2022-03-09 2022-07-29 智链云筑(南京)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进度数据录入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526072B1 (ko) * 2022-06-17 2023-04-25 정기웅 실내 인테리어 설계 시공 시스템
KR102593368B1 (ko) 2022-07-07 2023-10-25 주식회사 케플라비크 기술자 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71459B1 (ko) * 2023-02-16 2023-08-30 한국수자원공사 스마트 연구개발 과제 관리 시스템
CN117313960A (zh) * 2023-11-30 2023-12-29 广州墨斗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可视化的施工日志展示方法
CN117313960B (zh) * 2023-11-30 2024-03-29 广州墨斗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可视化的施工日志展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946B1 (ko) 스마트 건축 플래너를 이용한 공사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US11676223B2 (en) Media management system
US10743133B2 (en) Populating property values of event objects of an object-centric data model using image metadata
US20210248310A1 (en) Mobile reports
US201901564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KR101422352B1 (ko) 건설현장의 하자관리시스템 및 방법
US202103494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ruise of unmanned air vehicle based on prefabricated construction platform
US10181139B2 (en) Automated workspace usage management methods and apparatus
US20230179441A1 (en) Platform for the integration of operational bim, operational intelligence, and user journeys for the simplified and unified management of smart cities
US20210097475A1 (en) Networked activity management with media collection and selectable activity insertion
CN106130749B (zh) 用于基础设施的网络部署的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介质
JP7373907B2 (ja) 施工管理システムおよび施工管理方法
KR102488963B1 (ko) 360도 전방위 영상 기반의 건설현장 관리시스템
Kang et al. Managing construction schedule by telepresence: Integration of site video feed with an active nD CAD simulation
KR102239962B1 (ko)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Ruwanpura et al. Evolution of the i-Booth© onsite information management kiosk
Araújo et al. Conceptual framework for tracking metallic formworks on construction sites using IoT, RFID and BIM technologies
KR101512735B1 (ko) 품질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922546B2 (en) Real-time location tagging
Kim et al. An interactive progress monitoring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US2021037411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struct identification and analysis
KR102431950B1 (ko) 비주얼콘텐츠 제작관리 플랫폼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Dharsono Information System Design on Project Supervision Related to Quality Control Effectiveness Using Android-Based Smartphone Applications
Asangansi et al. Developing A Central Analytic Repository To Improve Decision Making By Stakeholders
CN111695065A (zh) 一种警务信息可视化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