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962B1 -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962B1
KR102239962B1 KR1020190035430A KR20190035430A KR102239962B1 KR 102239962 B1 KR102239962 B1 KR 102239962B1 KR 1020190035430 A KR1020190035430 A KR 1020190035430A KR 20190035430 A KR20190035430 A KR 20190035430A KR 102239962 B1 KR102239962 B1 KR 102239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unit
document format
data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171A (ko
Inventor
김은미
한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팩앤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팩앤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팩앤롤
Priority to KR102019003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96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4Form filling;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업현장에서 현장데이터를 바로 데이터베이스에 입출력할 수 있는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문서서식 템플릿을 요청하고, 수신된 문서서식 템플릿 및 현장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서서식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 요청한 문서서식 템플릿을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작성이 완료된 문서서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리포트 데이터를 작성하는 서버, 및 서버로부터 업무현황에 관한 리포트 데이터를 업데이트 받음으로써 기업현황을 파악하고, 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의사결정을 갱신 리포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정하여 전송하는 오피스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Platform providing apparaus based document form}
본 발명은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업현장에서 현장데이터를 바로 데이터베이스에 입출력할 수 있는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업에서는 낮은 비용으로 짧은 시간 안에 시스템을 구축하여 생산정보 이력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러나 생산정보 이력관리를 위해서는 엑셀을 활용하거나 ERP/MES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한다. 엑셀의 경우 직접 서식을 만들거나, 엑셀 자동화 서식을 구매하여 수주/발주/생산/재고 등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현장 데이터를 수기로 작성 후 컴퓨터에 입력하는 이중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ERP/MES는 시스템 도입 후 실시간으로 데이터 확인 및 분석이 가능하나, 구축기간이 길고 비용 또한 높다. 이에 더해 새로운 장비를 도입해야 하며 도입실패 시 다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거 시스템을 수정하기도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55302(발명의 명칭 : 문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개발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96004(발명의 명칭 : 문서 템플릿 공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04495(발명의 명칭 : 스마트폰 앱 기반의 ERP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98863(발명의 명칭 :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46235(발명의 명칭 :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의 템플릿 제공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45731(발명의 명칭 : 전자문서 제공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72933(발명의 명칭 : 생산관리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28456(발명의 명칭 :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존 업무 프로세스는 작업자가 업무 중 수기로 생산현황을 작성하여, 업무 마감시간에 사무실에 제출하고, 사무실에서는 야근 혹은 다음날 자료를 취합 후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여 최종 보고하는 것으로 수기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최종 보고까지 최소 2 ~ 3일이 걸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작업자가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현장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스마트 리더기를 모바일에 부착하여 생산 현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현장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므로 기존 업무 프로세스 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분석 및 보고할 있고, 기존에는 수기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야근, 인력 투입 등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업무가 추가적으로 요구되었으나, 본 발명을 활용함에 따라 기존 업무를 줄일 수 있으며 업무의 효율성 및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바일을 바로 활용하거나 스마트 리더기를 장착하여 생산현장에서 바로 현장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입출력하므로 작업자가 PDA, 무전기 등 여러 디바이스를 들고 다닐 필요가 없으며 제조 운영과 생산 설비를 모바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에서 실시간 운영 데이터를 확인하고 데이터 업로드 알림 서비스를 통해 이동 중에도 생산현장 상황을 파악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한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생산현장에서 벌어지는 문제 발생 상황을 녹화하거나 제품 불량 사진을 찍어 업로드 하여 업무지시를 받음으로써 실시간으로 현장 상황을 바로 잡을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와 웹 서비스를 통한 메신저, 통화/영상통화와 실시간 현장 영상/사진 전송을 통한 실시간 업무 협업 기반을 마련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다자간 영상/음성통화 기능은 품질 이상, 설비 이상 등과 같은 이슈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데이터 입력 장치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데이터 기록을 문서서식 템플릿에 맞추어 기록하므로 데이터 기록을 표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문서서식 템플릿을 요청하고, 수신된 문서서식 템플릿 및 현장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서서식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 요청한 문서서식 템플릿을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작성이 완료된 문서서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리포트 데이터를 작성하는 서버, 및 서버로부터 업무현황에 관한 리포트 데이터를 업데이트 받음으로써 기업현황을 파악하고, 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의사결정을 갱신 리포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정하여 전송하는 오피스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는 문서서식 템플릿 요청시 파라미터인 키워드, 위치좌표, 및 맥 어드레스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서버는 파리미터를 기초로 모바일 기기에서 요청한 문서서식 템플릿을 검색하여 제공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는 문서서식 템플릿을 요청하는 요청메시지를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문서서식 템플릿 요청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문서서식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신된 문서서식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문서 작성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장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장데이터 생성부, 업무 협업 및 업무 공유를 위해 원격으로 채팅 및 영상통화를 제공하는 채팅 및 영상통화부, 업무 협업 및 작업 지시를 위해 원격으로 업무 알림을 제공하고, 업무알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업무지시 제공부, 및 업무 현장을 촬영하여 업무현장 이미지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현장상황 촬영부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는 요청메시지를 전송받고, 파라미터를 기초로 제공된 문서서식 템플릿을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문서서식 플랫폼 제공부, 및 작성이 완료된 문서서식을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받고, 작성이 완료된 문서서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며, 업무알림 데이터 및 업무현장 이미지를 결합하여 리포트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분석 및 시각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문서서식 플랫폼 제공부는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문서요청메시지 입력부,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초로 문서서식을 검색하는 문서서식 검색부, 파라미터를 기초로 문서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요청한 문서서식을 추천하고, 연계서식을 추천하는 문서서식 추천부, 문서서식 검색부 및 문서서식 추천부를 통해 제공된 문서서식을 선택하는 문서서식 선택부, 선택된 문서서식의 코드 및 테이블 항목을 수정하도록 제공하는 문서서식 수정 제공부, 문서서식 템플릿을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문서서식 제공부, 및 모바일 기기에서 작성된 비표준 문서서식을 표준문서로 변환하여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부로 전송하는 표준문서 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문서서식 추천부는 위치좌표 또는 맥 어드레스 값을 기초로 문서서식을 1차적으로 추천하고, 1차적으로 추천한 문서서식을 기초로 키워드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문서서식을 추천한다.
또한, 문서서식 추천부는 키워드에 포함된 기업정보, 필요한 문서서식의 기능 및 항목정보를 토대로 카테고리별로 나누어진 유사기업의 서식 사용정보를 분석하고, 동일 서식을 사용한 다른 사용자 정보를 검색 및 분석하고,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간 유사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유사도를 바탕으로 맞춤형 서식을 2차적으로 추천한다.
또한, 문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부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된 작성이 완료된 문서서식을 갱신하는 업데이트부, 업데이트부를 통해 수신된 문서서식을 기초로 문서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서데이터 추출부, 문서데이터를 바탕으로 문서에 맞는 차트를 추천하는 차트 추천부, 차트 추천부에서 추천한 차트를 활성 및 비활성 시키는 차트 활성화부, 문서데이터를 바탕으로 리포트 데이터를 산출하는 리포트 데이터 산출부, 활성화된 차트를 문서서식에 결합시켜 시각화하고, 업무알림 데이터와 업무현장 이미지를 차트가 포함된 문서서식에 결합시키는 서식 결합부, 서식 결합부로부터 전송된 문서서식을 오피스 컴퓨터로 보고데이터화하여 전송하는 리포트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현장에서 벌어지는 실시간 상황을 즉각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서식 플랫폼 제공부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부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서식 템플릿 추천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식 편집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트 추천 및 활성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 사무실 공간에 배치된 제1,2,3 컴퓨터(210), 모바일 기기(310) 및 스마트 기기(320)를 대략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2,3 컴퓨터(210)는 주로 기업의 사무실 공간에 배치되며, 기업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작성되는 각종 문서를 최종적으로 전송받아 작업현황을 파악하고 공유한다. 또한, 제1,2,3 컴퓨터(210)를 통해 현장에 있는 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업무지시를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제1,2,3 컴퓨터(210)는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부서장(이하에서는 의사결정자로 함)팀원 또는 다른 팀의 부서장을 포함한 기업 임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제1,2,3 컴퓨터(210)는 각 부서장에게 제공되는 모바일 기기로 대체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를 통해 각 문서를 실시간으로 보고받고 업무지시를 내릴 수 있다.
모바일 기기(310)는 일예로서 생산현장에서 생산현황에 대한 문서를 실시간으로 작성하고 있는 담당자가 소지하는 기기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320)는 생산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한 데이터를 읽고 기록하는 외부 장치일 수 있다. 일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펜이나 스마트 리더기가 될 수 있다. 디지털 펜은 현장에서 모바일 기기(310)에 데이터를 입력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310)와 스마트 기기(320)는 NFC, 블루투스 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도 2에 도시된 문서서식 템플릿 요청부(311)는 파라미터를 포함한 문서 요청메시지를 작성하여 서버(100)로 전송한다. 파라미터는 모바일 기기의 위치좌표, 맥 어드레스 값 또는 키워드일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위치좌표는 문서서식을 요청하는 요청자(이하 요청자라 함)의 모바일 기기의 현재 지피에스 좌표일 수 있다. 맥 어드레스 값은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가 액세스하는 맥 어드레스일 수 있다. 요청자의 지피에스 좌표나 맥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요청자가 현재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 수 있으며, 문서서식을 요청할 때 현재 위치에 맞는 서식을 요청할 수 있다. 일예로서 요청자가 생산라인에 위치하면 생산현황을 보고하기 위해 문서서식을 요청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생산현황 보고에 맞는 문서서식을 문서 요청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요청자가 품질관리부에 위치하면 품질관리 보고에 맞는 문서서식을 요청하도록 문서 요청메시지가 작성되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키워드는 요청자가 입력하는 기업정보, 필요한 문서서식의 기능/항목일 수 있다. 상술한 문서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면 서버(100)는 문서 요청메시지를 분석하여 요청에 상응하는 문서서식을 다시 모바일 기기(310)로 전송한다.
문서 작성부(312)는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맞춤형 문서서식 템플릿에 현장데이터 생성부(313)에서 전송된 현장데이터와 요청자로부터 입력된 현장데이터를 기록 저장한다. 즉, 스마트 기기(320)로부터 전송된 제1 현장데이터와 QR코드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QR코드를 바탕으로 생성된 제2 현장데이터를 자동으로 기록하고, 요청자로부터 추가적인 제3 현장데이터를 입력받아 맞춤형 문서서식 템플릿에 기록한다.
채팅 및 영상통화부(314)는 업무 협업 및 업무공유를 위해 원격으로 채팅 및 영상통화를 제공한다. 채팅 및 영상통화는 서버(100)를 거쳐 제공되며, 필요에 따라 서버(100)에서 채팅내용과 영상통화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업무지시 제공부(315)는 업무 협업 및 작업 지시를 위해 원격으로 업무 알림을 제공하고, 업무알림 데이터를 생성한다. 업무지시 제공부(315)는 요청자의 요청에 의해 현장에서 발생되는 실시간 업무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알림정보를 의사결정자에게 신속하게 보고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현장에서 업무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업무지시 제공부(315)는 요청자의 요청에 의해 서버(100)를 통해 신속히 의사결정자에게 업무알림을 제공한다.
현장상황 촬영부는 업무 현장을 촬영하여 업무현장 이미지를 생성하고 서버(100)로 전송한다. 업무현장 이미지는 일예로서 제품 불량사진 또는 작업사진일 수 있다. 일예로서 요청자는 제품 불량사진을 의사결정자에게 신속히 전송하고, 의사결정자는 제품 불량사진을 신속히 전달받아 업무지시 제공부(315)를 통해 업무지시를 실시간으로 내릴 수 있다. 상술한 업무알림 데이터 및 업무현장 이미지는 서버(100)에서 문서서식에 결합되어 리포트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각 부는 모바일 기기에서 구동되는 앱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310)와 의사결정자의 컴퓨터(210,220,230) 간의 문서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중계한다. 문서서식 플랫폼 제공부는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310)에서 전송한 요청메시지를 수신받고,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초로 생성된 문서서식 템플릿을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310)로 전송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요청메시지 입력부는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310)에서 전송한 문서 요청메시지를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받는다.
문서서식 생성부는 문서 요청메시지를 기초로 검색되거나 선택된 문서서식 템플릿을 생성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부(150)에는 기업유형별 및 기능별/항목별로 각종 문서서식 템플릿이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된 각종 문서서식 템플릿은 문서서식을 구별할 수 있는 태그가 기록되어 있으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와 태그를 서로 비교하여 문서서식을 찾아낼 수 있다. 문서서식 템플릿은 또한 각 유형별로 카테고리 형식(일예로서 대분류/중분류/소분류)으로 저장되어 있어 요청자의 탑다운 선택(대분류에서 소분류 방식으로 선택)에 의해 선택된 문서서식을 차례로 좁혀서 유형별로 보여줄 수 있다.
문서서식 선택부는 탑다운 방식에 의해 요청자가 선택한 템플릿이나 문서서식 추천부에서 추천하여 요청자가 선택한 템플릿을 선택한다. 문서서식 검색부는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초로 문서서식을 검색한다. 만약, 요청자가 탑다운 방식이나 또는 문서서식 추천부를 통해 추천된 템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파라미터를 기초로 검색하거나 요청자가 별도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여 직접 검색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문서서식 우선 탐색부(도면 미도시)는 탑다운 선택, 문서서식 추천 선택, 문서 검색 선택 중 어느 하나를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310)에 표시하고, 요청자가 어떤 방식으로 문서서식 템플릿을 탐색할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문서서식 검색부를 통해 검색하도록 선택되면 문서서식 검색부는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검색창에 입력하고 추가적으로 요청자에게 검색 키워드 입력을 요청한다. 요청자의 검색 키워드 입력이 완료되면 문서서식 검색부는 파라미터와 요청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를 바탕으로 문서서식 템플릿을 탐색하고 요청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문서서식 선택부는 문서서식 검색부 및 문서서식 추천부를 통해 제공된 문서서식을 선택한다.
한편, 문서서식 추천부를 통해 추천하도록 선택되면 문서서식 추천부는 파라미터를 기초로 문서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요청한 문서서식을 탐색 및 추천하고, 이와 더불어 추천된 템플릿과 연계되는 연계서식을 함께 추천한다. 일예로서 추천된 문서서식 템플릿이 생산현황 템플릿이면 연계서식은 생산현황에 맞는 보고서식일 수 있다. 즉, 연계서식은 탐색된 문서서식 템플릿과 관련성 있는 서식이다. 이러한 연계서식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요청자는 업무보고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문서서식 템플릿과 연계서식 템플릿은 서로 연관성을 갖도록 태그가 붙여진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문서 태크에는 연관성 태그값도 포함된다.
여기서, 요청자는 문서서식 템플릿에 맞는 연계서식을 지정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1 요청자는 자신이 선택한 제1 문서서식 템플릿에 맞는 제1 연계서식을 연결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요청자는 자신이 선택한 제1 문서서식 템플릿에 맞는 제2 연계서식을 연결 지정할 수 있다. 제3 요청자는 자신이 선택한 제1 문서서식 템플릿에 맞는 제1 연계서식을 연결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문서서식 템플릿에 맞는 연계서식은 제1 연계서식이 가장 많이 지정 연결된다. 따라서 연관성 태그 값은 고정된 값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연관성 태그값 산출부에 의해 평가 갱신된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관성 태그값 산출부는 요청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지정되는 연계서식 동향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연관성 태그값을 산출한다.
한편, 선택된 문서서식 템플릿이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310)에서 작성이 완료된 후에 연계서식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순차적으로 먼저 문서서식 템플릿을 제공하여 작성된 후에 연계서식이 작성될 수 있다.
문서서식 추천부는 1차적으로 위치좌표 또는 맥 어드레스 값을 기초로 요청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문서서식을 추천하여 템플릿 탐색영역을 압축한다, 압축한 문서서식 템플릿 탐색영역을 바탕으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문서서식 템플릿을 탐색함으로써 자동으로 신속하게 원하는 템플릿을 탐색 및 추천할 수 있다. 한편, 2차적으로 문서서식 템플릿을 탐색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키워드에 포함된 기업정보, 필요한 문서서식의 기능 및 항목정보를 토대로 카테고리별로 나누어진 유사기업의 서식 사용정보를 분석하고, 동일 서식을 사용한 다른 사용자 정보를 검색 및 분석하고,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간 유사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유사도를 바탕으로 맞춤형 서식을 2차적으로 탐색 및 추천한다. 사용자간 유사도 산출은 일예로서 부서, 직책, 직무, 업무범위, 사용빈도 값 등을 바탕으로 산출한다. 즉, 요청자가 생산부서의 과장급인 경우 기업종류가 유사하며 직책이 과장인 경우 서로 유사도가 높을 수 있다. 한편, 문서서식 추천부는 기업 유형별, 부서별, 직급별, 업무분야별로 사용빈도가 높은 문서서식 템플릿을 카테고리화하여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하도록 한다.
문서서식 수정 제공부는 선택된 문서서식 템플릿을 요청자가 자유롭게 모바일 기기(310)에서 수정하도록 코드 및 테이블 항목 편집기를 제공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서식 수정 제공부는 표준 템플릿이 왼쪽에 제공된 경우에 오른쪽과 같이 각 항목을 편집할 수 있는 코드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코드 편집 기능 뿐만 아니라 각 항목을 손쉽게 수정 편집(일예로서 항목추가/항목삭제/항목 이름변경 등)할 수 있는 편집 기능을 같이 제공한다. 한편, 문서서식 수정 제공부는 의사결정자가 삽입하고자 하는 항목을 의사결정자 또는 요청자로부터 입력받아 해당항목을 템플릿에 삽입할 수 있다.
문서서식 제공부는 표준 문서서식 템플릿 또는 문서서식 수정 제공부에서 수정된 문서서식을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310)로 제공한다. 전송된 문서서식 템플릿은 모바일 기기(310)에서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작성되어 다시 서버(100)로 전송된다.
한편, 모바일 기기(310)는 요청 메시지를 통해 문서서식 템플릿을 서버(100)로부터 요청하여 문서를 작성할 수도 있지만 다른 예로서 비표준 문서서식을 직접 모바일 기기(310)에서 작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현장데이터를 토대로 작성된 비표준 문서서식을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버의 표준 문서서식 변환부에서 비표준 문서서식을 표준문서로 변환하여 표준 문서서식으로 저장한다. 표준 문서서식 변환부는 변환된 표준문서를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부(130)로 전송한다. 표준 문서서식 변환부는 요청자로부터 변환하고자 하는 문서서식 템플릿을 입력받으며, 입력된 템플릿 형식에 맞는 문서서식을 데이터베이스부(150)로부터 수신받아 각 항목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각 항목에 자동으로 입력함으로써 표준문서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부는 작성이 완료된 문서서식을 전송받아 문서에 포함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며, 업무알림 데이터 및 업무현장 이미지를 결합하여 리포트 데이터를 작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서식 업데이트부는 모바일 기기(310) 또는 표준 문서서식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작성이 완료된 문서서식을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실시간으로 문서서식이 업데이트됨으로써 의사결정자는 회사의 업무현황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한눈에 파악하여 업무지시를 내릴 수 있다.
문서데이터 추출부는 문서서식 업데이트부를 통해 수신된 문서서식을 기초로 문서에 포함된 문서데이터를 추출한다.
차트 추천 및 적용부는 차트 추천부 및 차트 활성화부를 포함한다. 차트 추천부는 문서데이터 추출부에서 전송된 문서데이터를 바탕으로 문서서식 템플릿에 맞는 차트를 추천한다. 즉, 문서서식 템플릿에 상응하는 차트를 추천한다. 일예로서 문서서식 템플릿이 생산현황에 관한 문서서식인 경우에 생산현황 템플릿에는 생산라인별 매일 생산개수, 생산라인별 매달 생산개수, 생산라인별 매년 생산개수 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생산 라인이 3개인 경우(즉, 제1생산라인, 제2 생산라인, 제3 생산라인) 차트 추천부는 생산현황에 맞는 맞춤형 막대그래프 차트를 제공하여 각 라인별 매일/매달/매년 생산현황을 차트화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트 활성화부는 차트 추천부에서 추천한 여러 개의 차트를 활성 및 비활성시킨다. 즉, 차트 추천부는 문서서식 템플릿에 맞는 차트를 여러 개 요청자에게 보여주어 활성화하고 나머지 차트는 비활성화시켜 요청자가 쉽게 차트를 선택하도록 한다. 차트 추천 및 적용부에 의해 선택된 차트는 문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차트가 그려진다.
리포트 데이터 산출부는 문서데이터를 바탕으로 리포트 데이터를 자동으로 산출한다. 리포트 데이터는 의사결정자가 포함하고자 하는 항목을 포함한 각 항목의 데이터를 산출한다. 일예로서, 템플릿 항목에 연간 생산수량 항목이 있는 경우 제1,2,3 생산라인에서 생산한 개수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항목에 기록 삽입한다.
서식 결합부는 그려진 차트를 문서서식 템플릿의 지정항목에 삽입하여 보고문서를 시각화한다. 한편, 업무알림 데이터와 업무현장 이미지를 보고문서의 해당 항목에 자동으로 삽입 결합한다. 또한, 해당 보고문서와 연계서식에서 작성된 연계문서를 결합한다.
리포트부는 서식 결합부로부터 전송된 문서서식을 문서 데이터 제공부(140)를 통해 의사결정자 컴퓨터(210,220,230)로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업무지시 및 이미지 제공부는 의사결정자로부터 전달된 업무알림을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310)로 전송하고,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310)에서 작성된 업무 알림을 의사결정자의 컴퓨터(210,220,230)로 전송한다. 한편, 업무지시 및 이미지 제공부는 제품 불량사진과 같은 이미지를 요청자의 모바일 기기(310)로부터 전송 받아 의사결정자의 컴퓨터(210,220,230)로 전송한다.
채팅 및 영상통화 제공부는 요청자와 의사결정자 간에 채팅 및 영상통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 서버
110 : 인터페이스부
120 : 문서서식 플랫폼 제공부
130 : 문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부
140 : 문서 데이터 제공부
150 : 데이터베이스부
210 : 제1 컴퓨터
220 : 제2 컴퓨터
230 : 제3 컴퓨터
310 : 모바일 기기
311 : 문서 요청부
312 : 문서 작성부
313 : 현장데이터 생성부
314 : 채팅 및 영상통화부
315 : 업무지시 제공부
316 : 현장상황 촬영부
320 : 스마트 기기

Claims (8)

  1. 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문서서식 템플릿을 요청하고, 수신된 문서서식 템플릿 및 현장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서서식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
    요청한 문서서식 템플릿을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작성이 완료된 문서서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리포트 데이터를 작성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업무현황에 관한 리포트 데이터를 업데이트 받음으로써 작업현황을 파악하고, 갱신 리포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업무지시를 전송하는 오피스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문서서식 템플릿 요청시 파라미터인 키워드, 위치좌표, 및 맥 어드레스 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요청한 문서서식 템플릿을 검색하여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문서서식 템플릿을 요청하는 요청메시지를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문서서식 템플릿 요청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문서서식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수신된 현장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신된 문서서식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문서 작성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현장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장데이터 생성부, 업무 협업 및 업무 공유를 위해 원격으로 채팅 및 영상통화를 제공하는 채팅 및 영상통화부, 업무 협업 및 작업 지시를 위해 원격으로 업무 알림을 제공하고, 업무알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업무지시 제공부, 및 업무 현장을 촬영하여 업무현장 이미지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현장상황 촬영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요청메시지를 전송받고, 상기 파라미터를 기초로 제공된 문서서식 템플릿을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문서서식 플랫폼 제공부, 및 작성이 완료된 문서서식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작성이 완료된 문서서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며, 상기 업무알림 데이터 및 업무현장 이미지를 결합하여 리포트 데이터를 작성하는 문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서서식 플랫폼 제공부는,
    상기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문서요청메시지 입력부, 상기 요청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기초로 문서서식을 검색하는 문서서식 검색부, 상기 파라미터를 기초로 문서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요청한 문서서식을 추천하고, 연계서식을 추천하는 문서서식 추천부, 상기 문서서식 검색부 또는 문서서식 추천부를 통해 제공된 문서서식이 탑다운 방식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는 문서서식 선택부, 선택된 문서서식의 코드 및 테이블 항목을 수정하도록 제공하는 문서서식 수정 제공부, 문서서식 템플릿을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문서서식 제공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작성된 비표준 문서서식을 표준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부로 전송하는 표준문서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문서서식 추천부는,
    상기 위치좌표 또는 맥 어드레스 값을 기초로 문서서식을 1차적으로 추천하고, 상기 1차적으로 추천한 문서서식을 기초로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문서서식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서식 추천부는,
    상기 키워드에 포함된 기업정보, 필요한 문서서식의 기능 및 항목정보를 토대로 카테고리별로 나누어진 유사기업의 서식 사용정보를 분석하고, 동일 서식을 사용한 다른 사용자 정보를 검색 및 분석하고, 검색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간 유사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유사도를 바탕으로 맞춤형 서식을 2차적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된 작성이 완료된 문서서식을 갱신하는 업데이트부,
    상기 업데이트부를 통해 수신된 문서서식을 기초로 문서데이터를 추출하는 문서데이터 추출부,
    상기 문서데이터를 바탕으로 문서에 맞는 차트를 추천하는 차트 추천부,
    상기 차트 추천부에서 추천한 차트를 활성 및 비활성 시키는 차트 활성화부,
    상기 문서데이터를 바탕으로 리포트 데이터를 산출하는 리포트 데이터 산출부,
    활성화된 상기 차트를 문서서식에 결합시켜 시각화하고, 상기 업무알림 데이터와 업무현장 이미지를 상기 차트가 포함된 문서서식에 결합시키는 서식 결합부,
    상기 서식 결합부로부터 전송된 문서서식을 상기 오피스 컴퓨터로 보고데이터화하여 전송하는 리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KR1020190035430A 2019-03-27 2019-03-27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KR102239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430A KR102239962B1 (ko) 2019-03-27 2019-03-27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430A KR102239962B1 (ko) 2019-03-27 2019-03-27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171A KR20200114171A (ko) 2020-10-07
KR102239962B1 true KR102239962B1 (ko) 2021-04-14

Family

ID=7288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430A KR102239962B1 (ko) 2019-03-27 2019-03-27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215B1 (ko) * 2022-03-07 2022-08-25 주식회사 클라우다이크 인공지능 기반의 파일 추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089B1 (ko) * 2021-10-06 2023-11-0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전자문서 생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5700685A (zh) * 2022-09-27 2023-02-07 中电信数智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5g消息实现无app化移动办公的方法
KR102635750B1 (ko) * 2023-05-31 2024-02-13 주식회사 넛지온 콘텐츠 시각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687A (ja) 2004-03-30 2005-10-13 Casio Comput Co Ltd 業務報告書作成機能付き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005677A1 (en) 2006-06-30 2008-01-03 Business Object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data
KR100837651B1 (ko) 2007-02-20 2008-06-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템플릿 서버를 활용한 문서 완성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780986B1 (ko) 2016-07-29 2017-09-26 (주)피터앤데이브 이슈 관리 장치
KR101790748B1 (ko) * 2017-06-13 2017-11-20 (주)피터앤데이브 모바일 기반의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28456B1 (ko) * 2017-12-06 2018-12-12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302A (ko) 1997-12-27 1999-07-15 윤종용 문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개발 방법
KR20120090158A (ko) * 2011-02-06 2012-08-17 김경중 위험요소/ 설치물/ 시설물/ 시설의 안전, 보안, 위생 점검 보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96004A (ko) 2014-02-13 2015-08-24 주식회사 더존다스 문서 템플릿 공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50104495A (ko) 2014-03-05 2015-09-15 (주)엠링크코리아 스마트폰 앱 기반의 erp시스템
KR101898863B1 (ko) 2016-11-30 2018-09-1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생산지시 시스템
KR101763829B1 (ko) 2017-01-20 2017-08-01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전자 문서에 대한 전자 서명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46235B1 (ko) 2017-02-16 2019-02-11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의 템플릿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72933B1 (ko) 2017-11-29 2018-07-31 김재학 생산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687A (ja) 2004-03-30 2005-10-13 Casio Comput Co Ltd 業務報告書作成機能付き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005677A1 (en) 2006-06-30 2008-01-03 Business Object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data
KR100837651B1 (ko) 2007-02-20 2008-06-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템플릿 서버를 활용한 문서 완성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780986B1 (ko) 2016-07-29 2017-09-26 (주)피터앤데이브 이슈 관리 장치
KR101790748B1 (ko) * 2017-06-13 2017-11-20 (주)피터앤데이브 모바일 기반의 업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28456B1 (ko) * 2017-12-06 2018-12-12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215B1 (ko) * 2022-03-07 2022-08-25 주식회사 클라우다이크 인공지능 기반의 파일 추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171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962B1 (ko)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US9589243B2 (en) Field management and mobile inspection
CN103080915B (zh) 自动和半自动选择服务或处理提供商
US20090125359A1 (en) Integrating a methodology management system with project tasks in a project management system
EP2717201A1 (en) Natural language metric condition alerts orchestration
US20080249791A1 (en) System and Method to Document and Communicate On-Site Activity
US200501658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siness process automation, analysis, and optimization
JP5984215B2 (ja) 動的マニュアル作成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070684A1 (en) Online method for accessing and assessing document, image, audio and video
JP3982451B2 (ja) レビュー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314780B2 (en) Audit logging and chronologizing tool
JP2014510330A (ja) 建設業の建築情報管理、ソフトウェア、及び方法
US20150180911A1 (en) Feedback channel for feedback from software
US20070265865A1 (en) Computer based live resume processing system
US10580177B2 (en) Visualization of provenance data
US10885013B2 (en) Automated application lifecycle tracking using batch processing
US202302897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nd managing project flows in a megaproject
US202202534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to review visual contents for visual contents production management
JP2009252158A (ja) グループウェアサーバ装置、グループウェア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グループウェアサーバ装置の動作方法
KR102431950B1 (ko) 비주얼콘텐츠 제작관리 플랫폼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CN112567356A (zh) 形成融合模型的方法、装置、系统、介质、处理器和终端
US202202538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hat function for the progress of projects that produce visual contents
US202202559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hared link of visual content for sharing created visual contents
US11966211B2 (en) Industrial commissioning procedures including loop checking
US20230013012A1 (en) Regulatory compliance analysis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