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456B1 -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456B1
KR101928456B1 KR1020180102977A KR20180102977A KR101928456B1 KR 101928456 B1 KR101928456 B1 KR 101928456B1 KR 1020180102977 A KR1020180102977 A KR 1020180102977A KR 20180102977 A KR20180102977 A KR 20180102977A KR 101928456 B1 KR101928456 B1 KR 10192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service
electronic document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고혁
신인철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01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06F17/30241
    • G06F17/308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현장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및 전자문서를 작성하여 현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합운영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관리하는 모바일 서버; 및 상기 모바일 서버를 통해 각 모바일 단말기의 현장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현장 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업무 정보로서 저장하고, 저장된 업무 정보를 원격의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합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운영서버가 현장 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업무 정보를 원격의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은,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 항공영상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 부하 분산 서비스를 통해서 업무 정보를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Field support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document}
본 발명은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으로서, 업무 서식 기반으로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문서는 컴퓨터 등으로 작성되고, 디지털 정보로 이루어진 문서이다. 이러한 전자문서는 종이로 생성된 종래 문서와 달리 데이터 통신망이나 인터넷망을 통해 빠르게 전송될 수 있어,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그 이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문서는 작성된 문서의 내용과 함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최근 컴퓨터 외에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을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자문서는 작성된 위치가 다를 수 있고, 전자문서에는 전자문서가 작성된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항법위성(예컨대, GPS위성)을 기반으로 지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에 현장조사 등을 할 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데, 이때, 전자문서에 현재 위치 기반에 따른 정보와 디지털 지도 정보가 포함된 전자문서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공간정보기반 모바일 현장조사시스템은 공간정보를 지도상에 표현하여 현장에서 조사내용을 입력하고 전자파일(xlsx)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품화하여 시판하고 있으나 업무 양식에 맞는 전자문서 형태로 관리할 수 있는 제품은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현장조사 특성상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출되는 온라인 지도영상서비스 이용 시 네트워크 상태 및 통신요금에 따른 제약이 크다.
또한 특정 업무를 위한 솔루션 형태의 제품으로 출시되어 변화하는 시장과 고객의 Needs에 빠르게 적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실질적으로 현장 업무를 담당하는 담당자가 전자문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1168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자문서기술을 이용해 현장조사 내용을 단순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업무에 사용하는 서식의 전자문서로 함께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현장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및 전자문서를 작성하여 현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합운영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관리하는 모바일 서버; 및 상기 모바일 서버를 통해 각 모바일 단말기의 현장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현장 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업무 정보로서 저장하고, 저장된 업무 정보를 원격의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합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운영서버가 현장 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업무 정보를 원격의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은,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 항공영상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 부하 분산 서비스를 통해서 업무 정보를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는, 행정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출력하는 행정 DB 검색 모듈부 및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전자서명을 처리하고, 상기 행정 데이터는 토지 정보, 소유자 정보, 지목정보, 공시지가 정보, 부동산 거래내역 정보, 대부 및 임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문서는 전자서명부에서 처리된 결과물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는, GIS 벡터 데이터 및 정사 영상, 온라인 영상의 표출 및 응답 속도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최적화 및 갱신이 이루어지며, 멀티터치, 패닝, 핀터치줌/인줌/아웃을 포함하는 맵조작 인터페이스 툴을 제공하며, OGC 표준공간 데이터 포맷 및 공간연산을 지원하도록 GIS데이터(점형,선형,면형) 처리 방식을 표준화하고, GPS, 카메라촬영, 방향센서, 화면스케치, 이동경로트래킹, 거리재기, 면적재기를 포함한 현장조사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GIS 데이터의 좌표계를 표출하기 위한 좌표계 설정 기능과, 레이어스타일 설정 및 라벨설정관리를 위한 레이어 관리 기능과, 영상과 공간벡터데이터를 중첩하여 직관적인 공간정보제공 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는, 자이로센서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표출하는 전자지도 맵을 제공하며, 현장조사대상 지정 및 조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툴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온/오프라인 모드 설정을 사용자가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는,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UI/UX 디자인으로서 공간 객체와 매칭되는 XML서식기반의 전자문서를 배포하며, 온라인 실시간 전자서식 다운로드 및 오프라인 전자서식 사전배포가 가능하도록 하며, PC환경과 모바일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도록 서식 원본을 구성하여 배포하며, 공간 객체와 매칭되는 전자문서를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는, 싱글 Layer 방식으로 입력 데이터값을 XML 형태로 전송하여 입력데이터와 전자문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컴포넌트 데이터 맵핑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부하 분산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에서 입력서식과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서버부하분산 방식으로 응답속도 향상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 항공영상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 부하 분산 서비스 중에서 클라이언트의 권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조합으로 결정되어 서비스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간정보기술과 전자문서기술의 융복합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입력한 조사내용을 해당 공간객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뿐만 아니라 pdf, jpg, tif 등 다양한 포맷의 전자문서 생성기술을 통해사용자 업무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지도영상서비스뿐만 아니라 정사영상을 활용하여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고해상도 지도영상 서비스를 제공해 네트워크 상태 및 통신요금에 따른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각종 동의서, 확인서 등 서명이 필요한 경우 모바일 단말기(200)를 이용한 직접입력 방식의 전자서명 기술로 서명 정보뿐만 아니라 서명 위치, 시간, 필압 등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자문서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 서식작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특정 업무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시장과 고객의 Needs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정보 조회를 통해 현장조사를 지원하는 예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를 이용한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운영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통합운영서버와 모바일 서버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업무 정보를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망 구성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정보 조회를 통해 현장조사를 지원하는 예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를 이용한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운영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통합운영서버와 모바일 서버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업무 정보를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망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문서기술을 이용해 현장조사 내용을 단순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업무에 사용하는 서식의 전자문서로 변환하여 함께 관리하여, 실제 업무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공간정보를 이용한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공간정보기술과 전자문서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의 현장업무 지원 시스템 제공.
-다중 레이어 출력 및 조작을 위한 Android기반 모바일 GIS엔진 제공.
-포털지도API를 통한 온라인 항공 영상 연계서비스 제공.
-정사영상타일링 오프라인 맵 서비스 제공.
-현장업무지원 시스템 클라이언트 기능 제공.
-XML기반의 전자문서서식 배포를 통한 서식로딩 속도(페이지당1초미만) 및 전자문서 사이즈(차트미포함100kb 미만) 최소화 기술 구현.
-싱글 Layer방식으로 입력 데이터값을 XML 형태로 전송하여 입력데이터와 전자문서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컴포넌트 데이터 매핑 기술 구현.
-클라이언트에서 입력서식과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서버 부하 분산 방식으로 빠른 응답속도 확보.
본 발명의 공간정보를 이용한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100), 모바일 단말기(200), 모바일 서버(300), 및 통합운영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모바일 단말기(200), 모바일 서버(300), 및 통합운영서버(4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현장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및 전자문서를 작성하여 현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모바일 단말기(200a,200b,200c)가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모바일 단말기(20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전자문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현장에 대한 전자문서를 통해 전자문서에 포함되거나 전자문서를 통해 현장의 위치나 지도와 같은 공간정보와 행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행정 데이터는 토지 정보, 소유자 정보, 지목정보, 공시지가 정보, 부동산 거래내역 정보, 대부 및 임대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부(210), 지도 제어부(220), 현장조사서 작성부(230), GPS 수신 모듈부(240), 전자서명부(250), 조사지점 등록부(260), 주소 검색 모듈부(270), 스케치부(280), 행정 DB 검색 모듈부(290), 및 사진 촬영부(29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210)는 모바일 서버(300)와의 통신으로 등록된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에 모바일 서버(300)와 통신하여 모바일 서버(300)에서 수신된 각종 정보 및 전자문서를 확인할 수 있다.
지도 제어부(220)는 전자문서가 작성된 위치나, 현장의 위치에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등과 같이 지도를 제어할 수 있다.
현장조사서 작성부(230)는 현장조사서에 대한 전자문서가 작성되도록 관리하고 작성된 전자문서를 저장하며, 저장된 전자문서를 모바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GPS 수신 모듈부(240)는 항법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서명부(250)는 현장에 대한 행정처리 서류에 대해 전자서명, 동의서 사인(sign) 등과 같은 서명(또는 인감)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구비되며, 처리된 서명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서명 정보를 모바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조사지점 등록부(260)는 현장의 위치를 GPS 수신 모듈에서 수신하여 수신된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단말기(200)가 위치한 위치의 현장에 대한 조사지점을 등록하고 관리한다.
주소 검색 모듈부(270)는 특정 주소에 대한 검색을 할 수 있으며, 모바일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주소를 검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주소 검색 모듈부(270)는 지번 주소 또는 도로명 주소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케치부(280)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현장에 대한 각종 정보를 스케치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행정 DB 검색 모듈부(290)는 모바일 서버(300)를 통해 행정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사진 촬영부(295)는, 현장에 대한 공간을 촬영하거나 특정 사용자의 신분증을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현장조사서 작성부(230)에서 작성된 문서, 전자서명부(250)에서 서명된 서명정보, 스케치부(280)에서 스케치된 이미지 및 사진 촬영부(295)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각각 전자문서로 처리될 수 있다.
모바일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하고,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합운영서버(400)로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200)를 관리한다.
모바일 서버(300)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이 이루어지고, 또한, 통합운영서버(400)와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모바일 서버(300)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현장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를 관리한다. 그리고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수신된 현장에 대한 정보를 통합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모바일 서버(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정보 송수신부(310), 현장정보 전송부(320), 단말기 권한부(330), 및 단말기 설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정보 송수신부(310)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하여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현장에 대한 공간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및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통합운영서버(400)로부터 행정 데이터나 전자문서를 받아 전송한다.
현장정보 전송부(320)는 현장정보 송수신부(310)에서 수신된 현장정보를 전달받아 통합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단말기 권한부(330)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의 권한을 관리한다. 그에 따라 단말기 권한부(330)는 현장정보 송수신부(310)와 통신하여, 현장정보 송수신부(310)와 통신하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가 통신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고 관리한다. 그에 따라 단말기 권한부(330)는 현장정보 송수신부(310)에서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모바일 단말기(200)의 권한을 승인할 수 있다.
단말기 설정부(340)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를 등록하고,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200)의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말기 권한부(330)는 단말기 설정부(340)에서 현장정보 송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단말기 설정부(340)에서 수신된 권한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한 권한을 승인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바탕을 전자문서를 분류 및 관리하며, 내부망에 배치된 다수의 내부 운영단말기(600)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망부(A)를 구성할 수 있다. 내부망부(A)는, 통합운영서버(400), 데이터베이스 서버(500) 및 다수의 내부 운영단말기(600)를 포함한다.
통합운영서버(400)는, 모바일 서버(300)를 통해 각 모바일 단말기(200)의 현장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현장 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업무 정보로서 저장하고, 저장된 업무 정보를 원격의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201)로 제공한다. 즉,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201)라 함은, 통합운영서버(400)에서 현장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정보를 활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단말기가 모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운영서버(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정보 수집부(410), 정보 분류부(420), 전자문서 처리부(430), 및 공간정보 처리부(440)가 포함된다.
현장정보 수집부(410)는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모바일 서버(300)와 통신하는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한 사용자 정보, 현장에 대한 공간 정보 및 전자문서를 수신한다. 그리고 모바일 서버(300)에서 요청된 행정 데이터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정보 분류부(420)는 현장정보 수집부(410)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 공간 정보 및 전자문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분류한다.
정보 분류부(420)에서 분류된 정보 중 사용자 정보 및 전자문서에 대한 정보는 전자문서 처리부(430)로 전송되며, 전자문서 처리부(430)는 수신된 전자문서에 대해 사용자 정보를 처리한다. 이때, 전자문서 처리부(430)에서 처리하는 전자문서는 현장 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현장조사서, 이미지 및 스케치일 수 있다.그리고 정보 분류부(420)에서 분류된 공간 정보는 공간정보 처리부(440)로 전송되며, 공간정보 처리부(440)는, 수신된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한다.
따라서 모바일 서버(300)를 통해 전달되는 현장 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업무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내부망부(A)의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통합운영서버(400)에서 분류되고 처리된 전자문서 및 공간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전자문서 및 공간정보를 각각 저장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공간 DB 서버(501) 및 속성 DB 서버(502)를 포함한다.
공간 DB 서버(501)는 수집된 현장에 대한 위치 및 지도에 대한 공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속성 DB 서버(502)는 전자문서에 포함된 속성에 대한 정보와 현장에 대한 행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이때, 행정 데이터는 토지 정보, 소유자 정보, 지목정보, 공시지가 정보, 부동산 거래내역 정보, 대부 및 임대 정보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보안장비(700)는, 모바일 서버(300)와 내부망부(A) 사이에 배치되며, 모바일 서버(300)와 내부망부(A) 사이에 이루어지는 통신을 감시하고, 허가되지 않은 통신을 차단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운영단말기(600)는 다수 개(600a,600b,600c)가 구비되며, 전자문서를 관리하고, 공간에 대한 정보나 행정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내부 운영단말기(600)는, 내부 운영단말기(600)가 통합운영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에 통합운영서버(400)와 통신하여 통합운영서버(400)에서 수신된 각종 정보 및 전자문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전송된 전자문서의 위치나, 현장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현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표시하는 등과 같이, 지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서버(300)를 통해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작성되고 저장된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관리하기 위한 전자문서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작성된 현장조사서, 전자서명, 스케치 이미지 또는 사진 촬영된 이미지 등일 수 있다. 또한 내부 운영단말기(600)는 통합운영서버(400)를 통해 행정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운영단말기(600)는 모바일 서버(300)를 통해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현장에 대한 위치 정보 등에 대한 공간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공간 데이터를 통합운영서버(400)로 업로드한다. 또한 내부 운영단말기(600)는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등록된 조사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현장에 대한 조사지점을 생성하고, 생성된 조사지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때, 생성된 조사지점에 대한 정보는 공간데이터 업로드부를 통해 통합운영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운영단말기(600)는 특정 주소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합운영서버(400)와의 통신을 통해 통합운영서버(400)로부터 주소를 검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주소 검색 모듈부(270)는 지번 주소 및 도로명 주소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통합 운영 서버는, 모바일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현장 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업무 정보로서 저장하고, 저장된 업무 정보를 원격의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201)로 제공함에 있어서, 업무 정보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 항공영상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 부하 분산 서비스를 등의 다양한 서비스 형태로 가공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여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1) 업무 정보를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
업무 정보를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는, 행정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출력하는 행정 DB 검색 모듈부(290) 및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전자서명을 처리한다.
아울러, 행정 데이터는 토지 정보, 소유자 정보, 지목정보, 공시지가 정보, 부동산 거래내역 정보, 대부 및 임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전자문서는 전자서명부(250)에서 처리된 결과물로서 제공한다.
또한 GIS 벡터 데이터 및 정사 영상, 온라인 영상의 표출 및 응답 속도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최적화 및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공한다.
또한 멀티터치, 패닝, 핀터치줌/인줌/아웃을 포함하는 맵조작 인터페이스 툴을 제공하며, OGC 표준공간 데이터 포맷 및 공간연산을 지원하도록 GIS데이터(점형,선형,면형) 처리 방식을 표준화하여 제공한다.
또한 GPS, 카메라촬영, 방향센서, 화면스케치, 이동경로트래킹, 거리재기, 면적재기를 포함한 현장조사 특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GIS 데이터의 좌표계를 원활하게 표출하기 위한 좌표계 설정 기능과, 레이어스타일 설정 및 라벨설정관리를 위한 레이어 관리 기능과, 영상과 공간벡터데이터를 중첩하여 직관적인 공간정보제공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자이로센서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표출하는 전자지도 맵을 제공하며, 현장조사대상 지정 및 조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툴을 제공한다.
2) 항공영상 서비스
포털지도 API를 통한 온라인 항공 영상을 제공한다.
3)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온/오프라인 모드 설정을 사용자인 클라이언트가 제어하도록 하여,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4)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UI/UX 디자인으로서 공간 객체와 매칭되는 XML서식기반의 전자문서를 배포하여 제공한다.
또한 온라인 실시간 전자서식 다운로드 및 오프라인 전자서식 사전배포가 가능하도록 하며, PC환경과 모바일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도록 서식 원본을 구성하여 배포하며, 공간 객체와 매칭되는 전자문서를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5)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
싱글 Layer 방식으로 입력 데이터값을 XML 형태로 전송하여 입력데이터와 전자문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컴포넌트 데이터 맵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6) 부하 분산 서비스
클라이언트에서 입력서식과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서버부하분산 방식으로 응답속도 향상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통합운영서버(400)가 현장 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업무 정보를 원격의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201)로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업무 정보를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 항공영상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 부하 분산 서비스를 통한 정보 제공하는데, 이러한 정보 제공은, 클라이언트(사용자,업무자)의 권한에 따라서 각각 다른 조합의 정보 제공 공유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 항공영상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 부하 분산 서비스 중에서 클라이언트의 권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조합으로 결정되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권한을 가지는 클라이언트에게는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 항공영상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 부하 분산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며, 이보다 낮은 제2권한을 가지는 클라이언트에게는 항공영상 서비스와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유무선 통신망
200;모바일 단말기
300:모바일 서버
400:통합운영서버

Claims (9)

  1. 현장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공간정보 및 전자문서를 작성하여 현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합운영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를 관리하는 모바일 서버; 및
    상기 모바일 서버를 통해 각 모바일 단말기의 현장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현장 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업무 정보로서 저장하고, 저장된 업무 정보를 원격의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합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운영서버가 현장 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업무 기준 서식에 매칭되도록 변환한 업무 정보를 원격의 업무자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은,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 항공영상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 부하 분산 서비스를 통해서 업무 정보를 제공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는,
    싱글 Layer 방식으로 입력 데이터값을 XML 형태로 전송하여 입력데이터와 전자문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컴포넌트 데이터 맵핑함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는,
    행정 데이터에 대한 정보 중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출력하는 행정 DB 검색 모듈부 및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전자서명을 처리하고,
    상기 행정 데이터는 토지 정보, 소유자 정보, 지목정보, 공시지가 정보, 부동산 거래내역 정보, 대부 및 임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문서는 전자서명부에서 처리된 결과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는,
    GIS 벡터 데이터 및 정사 영상, 온라인 영상의 표출 및 응답 속도를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최적화 및 갱신이 이루어지며, 멀티터치, 패닝, 핀터치줌/인줌/아웃을 포함하는 맵조작 인터페이스 툴을 제공하며, OGC 표준공간 데이터 포맷 및 공간연산을 지원하도록 GIS데이터(점형,선형,면형) 처리 방식을 표준화하고, GPS, 카메라촬영, 방향센서, 화면스케치, 이동경로트래킹, 거리재기, 면적재기를 포함한 현장조사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GIS 데이터의 좌표계를 표출하기 위한 좌표계 설정 기능과, 레이어스타일 설정 및 라벨설정관리를 위한 레이어 관리 기능과, 영상과 공간벡터데이터를 중첩하여 직관적인 공간정보제공 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는,
    자이로센서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표출하는 전자지도 맵을 제공하며, 현장조사대상 지정 및 조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툴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온/오프라인 모드 설정을 사용자가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는,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UI/UX 디자인으로서 공간 객체와 매칭되는 XML서식기반의 전자문서를 배포하며, 온라인 실시간 전자서식 다운로드 및 오프라인 전자서식 사전배포가 가능하도록 하며, PC환경과 모바일 환경에서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도록 서식 원본을 구성하여 배포하며, 공간 객체와 매칭되는 전자문서를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는,
    싱글 Layer 방식으로 입력 데이터값을 XML 형태로 전송하여 입력데이터와 전자문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컴포넌트 데이터 맵핑함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산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에서 입력서식과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서버부하분산 방식으로 응답속도 향상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리 정보 체계(GIS) 서비스, 항공영상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클라이언트 서비스, XML기반 전자문서 배포 서비스,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는 데이터 맵핑 공유 서비스, 부하 분산 서비스 중에서 클라이언트의 권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조합으로 결정되어 서비스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KR1020180102977A 2017-12-06 2018-08-30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KR101928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6688 2017-12-06
KR1020170166688 2017-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456B1 true KR101928456B1 (ko) 2018-12-12

Family

ID=6466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977A KR101928456B1 (ko) 2017-12-06 2018-08-30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4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71A (ko)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팩앤롤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KR102300807B1 (ko) * 2020-11-25 2021-09-10 더본테크(주)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KR20220102795A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브이앤지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555B1 (ko) * 2011-12-07 2012-07-09 수원시 모바일 현장 행정시스템
KR101622703B1 (ko) * 2015-09-25 2016-05-23 거창군 행정편의 기능이 포함된 부동산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555B1 (ko) * 2011-12-07 2012-07-09 수원시 모바일 현장 행정시스템
KR101622703B1 (ko) * 2015-09-25 2016-05-23 거창군 행정편의 기능이 포함된 부동산 평가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71A (ko)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팩앤롤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KR102239962B1 (ko) * 2019-03-27 2021-04-14 주식회사 팩앤롤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KR102300807B1 (ko) * 2020-11-25 2021-09-10 더본테크(주)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KR20220102795A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브이앤지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
KR102474133B1 (ko) * 2021-01-14 2022-12-06 주식회사 브이앤지 공간 정보에 기반한 업무 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공유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6720B2 (en) Locative video for situation awareness
KR101411038B1 (ko) 파노라마 링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KR101260576B1 (ko) A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 방법
US96191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location based images based on a field-of-view
KR101928456B1 (ko)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US102042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location-based spatial object
JP2018049623A (ja) 空間オブジェクト検索並べ替え方法及びクラウドシステム
JP6093841B2 (ja) 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86866B1 (ko) Ar 태그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시스템
EP3388958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ewability of location-based spatial object
JP6600674B2 (ja) 移動オブジェクト仮想情報遠隔管理方法及び移動オブジェクト仮想情報遠隔管理システム
CN112100418A (zh) 用于查询历史街景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4069907A (ja) 宅配配送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09819B2 (en) Comparative geolocation system
CN112818240A (zh) 评论信息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amouri et al. Development of a methodology for real-time retrieving and viewing of spatial data in emergency scenarios
US115993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elivery of printed documents via mobile print center
WO2019053441A1 (en) LOCATION IDENTIFICATION
US20240062395A1 (en) Crime center system providing video-based object tracking using an active camera and a 360-degree next-up camera set
US202303666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cant property identification and display
KR20090064677A (ko) 위치 및 방향 정보에 기반한 지도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서비스 방법
Madden et al. Mobile ISR: Intelligent ISR management and exploitation for the expeditionary warfighter
CN114723435A (zh) 基于支付行为的社交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90080087A (ko)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현장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9517A (ko) 센서 웹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콘텐츠의 생성 및 관리를 위한 서비스 콘텐츠 지원 도구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콘텐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