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807B1 -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807B1
KR102300807B1 KR1020200159993A KR20200159993A KR102300807B1 KR 102300807 B1 KR102300807 B1 KR 102300807B1 KR 1020200159993 A KR1020200159993 A KR 1020200159993A KR 20200159993 A KR20200159993 A KR 20200159993A KR 102300807 B1 KR102300807 B1 KR 10230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field
data in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철
Original Assignee
더본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본테크(주) filed Critical 더본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15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이 구비되며,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 내에 임의 선택된 획득 영역에 선택적으로 요소 데이터가 구비되도록 하는 데이터 인풋 유닛; 및 데이터 인풋 유닛으로부터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제시 기준에 따라 요소 데이터가 매핑되어 외부의 단말기로 송출되도록 하는 익스포지션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System for generating report by data of field}
본 발명은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현장 정보를 현장에서 입수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제시 기준에 맞추어 리스팅하여 외부로 출력하여 레포팅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한 국가의 건설 활동은 경제 성장을 위한 사회기반시설(SOC)이 건설 활동을 통해 구축되기에 해당 국가의 경제 발전 단계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변화한다.
국내 건설시장은 1990년대까지 SOC투자 확대, 주택200만호 건설 등으로 GDP 대비 20% 상회하며 초고속성장세를 보였다.
2020년 이후 국내 건설시장은 선진국형 시장으로 전환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현재 1인당 GDP가 3만 달러 이상 되는 OECD국가들의 GDP대비 건설투자 비중은 대체적으로 11%수준이며, 우리나라도 GDP대비 건설투자 비중이 11%에 이르는 2020년 이후에 본격적으로 선진국형 시장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2020년 이후 국내 건설시장의 중장기 특성 변화는 첫째, 신축 위주에서 유지보수 위주로 시장 전환, 둘째, 신축 시장의 축소와 질적 변화, 셋째, 운영 시장의 본격 등장이다.
국내 건설투자는 1990년대 가장 급성장하였으며, 당시 신축된 수많은 시설들이 2020년 이후 준공된 지 30년이 경과하면서 이후 유지보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1, 2종 시설물 중 사용 연수가 30년 이상된 노후 기반시설물(건축물 제외)은 2008년 말 기준 8.4%에서 2014년 3월 9.5%로 증가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2024년에 준공 후 30년 경과 1, 2종 기반 시설물 수는 2014년 대비 2배 이상 급증할 전망이며, 동 시설물의 비중 역시 21.5%에 이를 전망이다.
노후 기반 시설물이 증가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책이나 해결책의 준비가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노후 기반 시설에 대한 관리를 위한 기술적인 시도는 여러 존재해 왔는데, 그 중 대표적으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등록번호 제10-1741624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특정 지역에 구축된 하수관거, 하수연결관, 측구, 하수관거심도, 하수맨홀, 물받이, 우수토실, 역사이펀, 토구, 환기구, 하수처리장, 하수펌프장, 유수지, 처리구역, 처리분구, 배수구역, 배수분구, 수위계, 수질계, 악취계, 유량계 및 현장제어반을 포함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대장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서버; 및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접근 권한이 부여되며, 지도맵과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관리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이를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시설물의 관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고, 데이터베이스부에 접근하여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업로드 하는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등록번호 제10-1766658호, 이하 특허문헌 2이라 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단말기에 탑재된 현장조사 앱을 통해 현장조사 관리시스템 서버에 저장된 현장정보를 열람하는 단계, 현장조사 앱에 현장의 주소, 현장 주변 건물이나 시설물 이름, 현장의 지명 등과 같은 현장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현장 정보에 대응되는 현장의 현장조사방법 유형으로서, point inspection, node checking 및 route following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현장조사방법 유형을 현장조사 관리시스템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및 현장 유형에 따라 수행된 현장조사 결과를 현장조사 관리시스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모바일 현장조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위치기반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2의 경우, 복잡한 도시에서 도시 기반시설, 건축물, 교통, 문화재, 공공시설 등 다양한 도시 요소들에 대한 현장조사 수행에 있어서,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수집해야 할 정보를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효율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공개번호 제10-2016-0061271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오피스 단말기 및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는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장 업무 자료와 담당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오피스 단말기 또는 스마트기기의 요청에 따라 현장 업무자료를 업로드받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여 두고, 제공하거나 변환하여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건설현장 관리를 태블릿 PC와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반으로 수행함으로서 생산성을 개선하고 효율화한다.
등록번호 제10-1741624호 등록번호 제10-1766658호 공개번호 제10-2016-0061271호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필드 데이터가 현장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획득되고 저장되어 별도의 정리 작업 없이도 데이터를 정렬 및 저장하도록 한다.
둘째, 필드 데이터의 누락 없이 획득되도록 한다.
셋째, 필드 데이터가 외부로 출력되며, 외부의 포맷에 따라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 내에 임의 선택된 획득 영역에 선택적으로 요소 데이터가 구비되도록 하는 데이터 인풋 유닛(data input unit); 및 상기 데이터 인풋 유닛으로부터 상기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제시 기준에 따라 상기 요소 데이터가 매핑되어 외부의 단말기로 송출되도록 하는 익스포지션 유닛(exposition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상기 데이터 인풋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에 필드 그룹을 생성하는 클레시피케이션(classification)부; 및 상기 필드 그룹을 오픈하면 개시되고, 상기 요소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는 상기 획득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엔터링(data entering)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상기 데이터 엔터링부는, 미리 결정된 포맷을 리스팅하여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필드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는 리콰이어(require)부; 및 상기 리콰이어부가 제시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포맷에 부합하는 상기 필드 데이터를 입력받는 레코드(record)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상기 레코드부는, 소정의 현장 이미지, 현장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상기 필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상기 데이터 인풋 유닛은, 상기 현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드 데이터의 수집 지역을 지도 상에 선택적으로 반영하는 로케이션 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상기 데이터 인풋 유닛은, 상기 요소 데이터 중 필수 데이터를 상기 수집 지역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요소 데이터 내 필드 데이터가 입력된 데이터 각각을 검사하여, 상기 필수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상기 수집 지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알림하는 시그널(signal)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상기 익스포지션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제시 기준에 따라 상기 요소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정렬되며, 상기 필드 데이터를 상기 요소 데이터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상기 익스포지션 유닛은, 소정의 함수를 제공하며, 상기 요소 데이터 중 일부가 상기 소정의 함수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공되어 도출되는 에스티메이션(estimatio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상기 로케이션 체크부는, 상기 현장 위치 정보에 대한 위도와 경도를 소정의 지역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소정의 지역 단위 기준으로 상기 수집 지역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상기 익스포지션 유닛은, 상기 요소 데이터를 제공받는 상기 외부의 단말기에서 상기 요소 데이터의 삭제 또는 변경을 방지하도록 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필드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획득하며, 모바일 단말기 내 필드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입력 작업이 현장에서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필드 정보 중 위치 정보에 따라 그룹을 형성하고, 필드 데이터가 획득된 위치에 따라 지도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필드 데이터 획득 여부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필드 정보는 외부의 특정 포맷을 따라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며, 특정 함수를 통하여 매핑되어 외부 단말기를 통해 출력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데이터 인풋 유닛에 필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데이터 인풋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중 데이터 인풋 유닛의 클레시피케이션부가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중 데이터 인풋 유닛의 데이터 엔터링부가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중 데이터 인풋 유닛의 데이터 엔터링부가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제시되어 필드 데이터가 입력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중 데이터 인풋 유닛에 입력된 현장 위치 정보에 따라 수집 지역을 지도 상에 표시한 화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중 데이터 인풋 유닛 상에 소정의 현장 이미지가 입력된 화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익스포지션 유닛을 통해 요소 데이터가 입력된 화면이다.
도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익스포지션 유닛을 통해 요소 데이터가 외부의 단말기에 송출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익스포지션 유닛을 통해 요소 데이터가 매핑되어 외부의 단말기로 출력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데이터 인풋 유닛에 필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데이터 인풋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중 데이터 인풋 유닛의 클레시피케이션부가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중 데이터 인풋 유닛의 데이터 엔터링부가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중 데이터 인풋 유닛의 데이터 엔터링부가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제시되어 필드 데이터가 입력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중 데이터 인풋 유닛에 입력된 현장 위치 정보에 따라 수집 지역을 지도 상에 표시한 화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중 데이터 인풋 유닛 상에 소정의 현장 이미지가 입력된 화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익스포지션 유닛을 통해 요소 데이터가 입력된 화면이다.
도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익스포지션 유닛을 통해 요소 데이터가 외부의 단말기에 송출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익스포지션 유닛을 통해 요소 데이터가 매핑되어 외부의 단말기로 출력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은 데이터 인풋 유닛(data input unit, 100), 익스포지션 유닛(exposition unit, 200)을 포함하도록 한다.
먼저, 데이터 인풋 유닛(100)의 경우,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필드(field)에서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인풋 유닛(100)에 입력하는데,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해당하도록 한다.
데이터 인풋 유닛(100)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이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 내에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필드에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는 획득 영역이 구비된다.
획득 영역은 작업자에 의해 임의 선택되며, 선택적으로 요소 데이터(10)가 구비되도록 한다.
획득 영역은 현장에서 수집된 정보가 입력되고 수집된 정보가 가공 데이터가 되기 위하여 입력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요소 데이터(1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필드에서 수집하는 필드 데이터(11)와 설정된 포맷을 작업자에게 제시하는 미리 결정된 포맷(12)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즉, 요소 데이터(10)는 미리 설정된 포맷(12)이 제시되며 그 제시된 포맷에 따라 입력되는 필드 데이터(11)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데이터 인풋 유닛(100)에 모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인풋 유닛(100)은 모바일 단말기(1)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드 데이터(11)를 입력받으며, 모바일 단말기(1)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edia Player), 내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ivice) 예컨대, 워치형 디바이스, 글래스형 디바이스, HMD(Head Mounted Displa) 등과 같은 이동식 단말기에 해당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단말기(2)와 연결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데이터 인풋 유닛(100)은, 클레시피케이션부(110), 데이터 엔터링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레시피케이션부(110)의 경우,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에 필드 그룹을 생성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인풋 유닛(100) 내에 필드 그룹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필드 그룹은 작업자의 임의의 선택에 의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제시한 위치에 따라, 작업자에 따라, 작업 종류 등에 따라 임의 생성되어 질 수 있다.
필드 그룹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데이터 인풋 유닛(100)은 필드 그룹을 리스팅하여 작업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데이터 엔터링부(120)은, 필드 그룹을 오픈하면 개시되고, 요소 데이터(10)를 모바일 단말기(1)를 통해 입력받는 획득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 엔터링부(120)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1)를 통해 작업자가 입력하는 필드 데이터(11)를 입력받는 영역이며, 이는 앞서 서술한 획득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 그룹이 생성되며, 데이터 엔터링부(120)는 필드 그룹을 오픈하면 개시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필드 그룹을 생성하면, 필드 그룹 내 복수 개의 데이터 엔터링부(12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그룹 이름에 따라 맨홀 그룹이 형성되었다면, 맨홀 그룹을 선택하면, 도5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의 보고서를 입력하는 영역이 제시되는데 이 맨홀의 보고서가 입력되는 영역이 데이터 엔터링부(120)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데이터 엔터링부(120)는 리콰이어부(121), 레코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엔터링부(120)의 경우, 미리 결정된 포맷(12)을 리스팅하여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필드 데이터(11)의 입력을 요청한다.
미리 결정된 포맷(12)은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데이터 또는 제시되는 문장에 해당할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포맷(12)에 따라 사용자 즉, 작업자는 필드에서 획득되는 필드 데이터(11)가 미리 결정된 포맷(12)에 맞도록 입력하는 것이다.
레코드부(122)는, 리콰이어부(121)가 제시하는 미리 결정된 포맷에 부합하는 필드 데이터(11)를 입력받는 것으로 필드 데이터(11)가 입력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즉,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콰이어부(121)는 예컨대, 조사 일시, 조사 위치, 구조적 결함의 균열, 파손 여부와 같은 질문의 영역에 해당하며, 작업자가 놓치고 지나갈 수 있는 필드 데이터(11)가 획득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레코드부(122)는 리콰이어부(121)가 제시한 질문에 적합한 필드 데이터(11)를 입력하는 것으로 예컨대, 조사 일시가 리콰이어부(121)에서 제시되었다면, 레코드부(122)에서는 조사한 일시를 입력하는 것이다.
레코드부(122)는 그 입력되고자 하는 정보에 따라 간단한 단어나 절의 문장으로 입력되어 질 수도 있으며, 이미 주어진 지시사항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레코드부(122)는, 소정의 현장 이미지, 현장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필드 데이터(11)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레코드부(122)에 입력되는 필드 데이터(11)는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필드에서 획득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선택 혹은 입력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포맷을 따라 입력되는 정보를 포함하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필드에서 획득하는 현장 이미지와 현장 위치 정보까지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데이터 인풋 유닛(10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필드 데이터(11)의 수집 지역을 지도 상에 선택적으로 반영하는 로케이션 체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션 체크부(130)의 경우, 필드 데이터(11)를 통해 제공받은 현장 위치 정보를 통하여 수집 지역을 추출하고 이를 지도 상에 선택적으로 반영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드 데이터(11)가 입력되지 않았지만, 필드 데이터(11)가 입력되어야 하는 경우 지도 상에 필드 데이터(11)가 입력될 지역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로케이션 체크부(130)는 필드 데이터(11)가 입력된 위치와 입력되어야 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드 데이터(11)의 입력 여부와 입력되어야 할 여부를 개별적으로 표시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로케이션 체크부(130)를 통해 필드 데이터(11)가 입력된 위치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필드 데이터(11)가 입력되지 않은 위치에 대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며, 이는 로케이션 체크부(130)에 표시되는 정보를 달리하여 작업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필드 데이터(11)를 꼭 입력해야 하는 지역이 존재한다면, 이를 로케이션 체크부(130)는 미리 그 현장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지도 상에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표식으로서 로케이션 체크부(130)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데이터 인풋 유닛(100)은, 요소 데이터(10) 중 필수 데이터를 수집 지역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요소 데이터(10) 내 필드 데이터(11)가 입력된 데이터 각각을 검사하여, 필수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수집 지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알림 하도록 하는 시그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풋 유닛(100)은 요소 데이터(10) 중 필수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는데, 필수 데이터는 필드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되어 질 수 있다.
요소 데이터(10)는 현장에 따라 필수적으로 체크해야 하는 상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기존의 경우, 이를 작업자의 능력에 따라 체크하도록 했으며, 작업자의 역량이 크게 작용했다.
맨홀의 위치에 따라 혹은 환경에 따라 요소 데이터(10) 중 필수적으로 획득되어야 하는 데이터는 분명하게 존재하는데, 예컨대, 현재 공사 현장과 가까운 맨홀의 경우, 연결부의 파손이나 접합부의 파손 혹은 침식에 대한 점검이 필수적일 수 있으며, 나무와 가까운 맨홀의 경우, 뿌리의 침입에 따른 결함 등이 필수적으로 확인되어야 하는 필수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필수적으로 체크해야 하는 사항들은 조사 위치 또는 조사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필드에서 조사를 통해 작업자가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체크되며, 작업자의 능력에 기댈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데이터 인풋 유닛(100)은 요소 데이터(10)에 대하여 일괄적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아닌 상황에 따라 선별적으로 필수 데이터를 설정하여 획득되도록 하며, 획득된 필드 데이터(11) 중 필수 데이터가 누락되었다면, 시그널부(140)는 선택적으로 필수 데이터 누락 사실을 알려 작업자가 현장을 떠나기 전 혹은 현장과 가까운 지역을 지나는 경우, 알림하여 필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필수 데이터는 미리 설정되어 선택적으로 제시되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필수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포맷(12)에 표식을 통해 작업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필수 데이터에 대한 내용이 표식으로 제공됨에 따라 작업자는 필수 데이터를 데이터 인풋 유닛(100) 내에서 미리 확인하여 필수 데이터의 입력이 누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만일 누락되더라도 시그널부(140)를 통해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필수 데이터 누락 여부에 대한 알림은 지도 상에서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수집 지역이 표시되는 지도 상에 누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식을 제공하여 수집 지역에서 필수 데이터가 모두 획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기도 상에 누락된 필수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시그널부(140)는 이를 표식으로 알려줄 수 있다.
작업자는 표식을 통하여 필수 데이터가 누락되었는지 모두 획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사를 마친 위치와 조사를 실시해야 하는 위치가 지도 상에 표시되어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익스포지션 유닛(200)은 미리 설정된 제시 기준에 따라 요소 데이터(10)가 선택적으로 정렬되며, 필드 데이터(11)를 요소 데이터(10)에 반영하도록 한다.
익스포지션 유닛(200)은 도10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 데이터(10)를 기준에 따라 매핑하고 이를 외부의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으로 요소 데이터(10)가 외부에 출력되도록 하는데 이를 외부의 출력 기준에 따라 외부의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익스포시션 유닛(200)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단말기에 출력되는 경우, 외부의 단말기가 출력할 수 있는 파일의 형태로 매핑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데 그 파일의 형태가 도10에 도시된 엑셀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익스포지션 유닛(200)은 엑셀이라는 파일 내 미리 결정된 셀에 요소 데이터(10)가 제시 기준에 따라 정렬되도록 하며, 정렬되는 것은 요소 데이터(10)로 미리 결정된 포맷(12)과 함께 필드 데이터(11)가 미리 결정된 셀에 매핑되어 외부의 단말기에 보여 지도록 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제시 기준은 리스팅되는 순서에 따라 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은 작업자가 미리 설정한 상태에 따라 외부의 단말기에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제시 기준은 예컨대, 엑셀 파일이라는 제시 기준과 엑셀 파일 내 정렬되는 기준을 의미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기준에 따라 익스포지션 유닛(200)은 요소 데이터(10)가 매핑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익스포지션 유닛(200)은, 소정의 함수를 제공하며, 요소 데이터(10) 중 일부가 소정의 함수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공되어 도출되는 에스티메이션(estimation)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익스포지션 유닛(200)은 소정의 함수를 제공하며, 요소 데이터(10)가 외부의 단말기(2)에 제시되는 경우, 선택적인 가공을 통하여 요소 데이터(10)가 외부의 단말기(2)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함수는, 미리 만들어져 제공되는 덩어리에 해당하며, 미리 만들어져 바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규칙을 가지는 것으로 소정의 함수에 입력값을 입력하면 소정의 함수에 설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값이 도출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을 가질 수 있다.
소정의 함수는 미리 설정된 규칙을 구비함으로 필드 데이터(11) 중 어떠한 데이터가 입력된 값에 따라 출력된 값이 규칙에 따라 변화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규칙에 따라 변화된 값을 작업자에게 외부의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에스티메이션부(210)는 소정의 함수를 통해 요소 데이터(10)의 일부가 가공되어 외부의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앞서 서술한 형태를 따라 소정의 함수에 의하여 결괏값이 가공되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결괏값은 입력값을 따르며, 입력값에 따라 결괏값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로케이션 체크부(130)는, 현장 위치 정보에 대한 위도와 경도를 소정의 지역 단위로 구분하고, 지도 상에 소정의 지역 단위 기준으로 수집 지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위도와 경도를 구비하고 있으며, 로케이션 체크부(130)는 위도와 경도에 따라 지역을 소정의 지역 단위로 구획할 수 있는데, 소정의 지역 단위로 구획된 지역별로 지도상에 수집 지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지도는 확대와 축소가 가능한데, 수집 지역이 많은 경우, 확대 되어 진다면, 지도 상에 너무 많은 표시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확대와 축소 과정에서 많은 정보의 표시는 애플리케이션을 느리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위치를 잘 파악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를 구획하여 그 위치에 대해서 수집 지역이 표시되도록 하면, 작업자는 지도 상에서 작업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며, 수집 지역과 수집되어야 하는 지역에 대한 빠른 판단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의 익스포지션 유닛(200)은, 요소 데이터(10)를 제공받는 외부의 단말기(2)에서 요소 데이터(1)의 삭제 또는 변경을 방지하도록 봉인하도록 할 수 있다.
봉인은 암호를 설정하여 봉인하는 방법 또는 읽기전용으로 파일을 생성하여 외부의 단말기(2)에서의 삭제 또는 변경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파일 자체를 이미지 파일 혹은 디지털 인쇄물, 예컨대 PDF 등으로 전환하여 삭제와 변경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봉인은 요소 데이터(1)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훼손 방지를 통하여 요소 데이터(1) 중 필드 데이터(11)가 작업자가 필드에서 획득한 대로 외부의 단말기(2)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훼손 방지를 위한 봉인은 외부에서의 삭제나 변경이 방지되어 필드 데이터(11)의 위조 혹은 변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모바일 단말기 2: 외부의 단말기
10: 요소 데이터 11: 필드 데이터
12: 미리 결정된 포맷 100: 데이터 인풋 유닛
101: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 110: 클레시피케이션부
120: 데이터 엔터링부 121: 리콰이어부
122: 레코드부 130: 로케이션 체크부
140: 시그널부 200: 익스포지션 유닛
201: 미리 설정된 제시 기준 210: 에스티메이션부

Claims (10)

  1.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 내에 임의 선택된 획득 영역에 선택적으로 요소 데이터가 구비되도록 하는 데이터 인풋 유닛(data input unit); 및
    상기 데이터 인풋 유닛으로부터 상기 요소 데이터를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제시 기준에 따라 상기 요소 데이터가 매핑되어 외부의 단말기로 송출되도록 하는 익스포지션 유닛(exposition unit)을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인풋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영역에 필드 그룹을 생성하는 클레시피케이션(classification)부; 및
    상기 필드 그룹을 오픈하면 개시되고, 상기 요소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는 상기 획득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엔터링(data entering)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엔터링부는,
    미리 결정된 포맷을 리스팅하여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필드 데이터의 입력을 요청하는 리콰이어(require)부; 및
    상기 리콰이어부가 제시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포맷에 부합하는 상기 필드 데이터를 입력받는 레코드(record)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코드부는,
    소정의 현장 이미지, 현장 위치 정보를 구비하는 상기 필드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 인풋 유닛은,
    상기 현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드 데이터의 수집 지역을 지도 상에 선택적으로 반영하는 로케이션 체크부; 및
    상기 요소 데이터 중 필수 데이터를 상기 수집 지역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요소 데이터 내 필드 데이터가 입력된 데이터 각각을 검사하여, 상기 필수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상기 수집 지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알림하는 시그널(signal)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수 데이터는,
    필드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되며, 상기 미리 결정된 포맷에 표식을 통해 작업자에게 제시되고,
    상기 데이터 인풋 유닛은,
    상황에 따라 선별적으로 상기 필수 데이터를 설정하여 획득되도록 하며,
    상기 시그널부는,
    획득된 상기 필드 데이터 중 상기 필수 데이터가 누락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현장을 떠나기 전 또는 현장과 가까운 지역을 지나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필수 데이터 누락 사실을 알림하여 상기 필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로케이션 체크부는,
    상기 필드 데이터가 입력된 위치와 입력되어야 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상기 필드 데이터의 입력 여부와 입력되어야 할 여부를 개별적으로 표시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포지션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제시 기준에 따라 상기 요소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정렬되며, 상기 필드 데이터를 상기 요소 데이터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포지션 유닛은,
    소정의 함수를 제공하며, 상기 요소 데이터 중 일부가 상기 소정의 함수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공되어 도출되는 에스티메이션(estimatio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체크부는,
    상기 현장 위치 정보에 대한 위도와 경도를 소정의 지역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소정의 지역 단위 기준으로 상기 수집 지역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포지션 유닛은,
    상기 요소 데이터를 제공받는 상기 외부의 단말기에서 상기 요소 데이터의 삭제 또는 변경을 방지하도록 봉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0200159993A 2020-11-25 2020-11-25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300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993A KR102300807B1 (ko) 2020-11-25 2020-11-25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993A KR102300807B1 (ko) 2020-11-25 2020-11-25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807B1 true KR102300807B1 (ko) 2021-09-10

Family

ID=7777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993A KR102300807B1 (ko) 2020-11-25 2020-11-25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245B1 (ko) * 2022-10-24 2023-05-10 주식회사 이쓰리 웹 입력기를 통한 모니터링 정보 입력 및 제공 방법, 및 컴퓨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271A (ko) 2014-11-21 2016-05-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41624B1 (ko) 2016-03-29 2017-05-30 환경관리 주식회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KR101766658B1 (ko) 2016-01-04 2017-08-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7468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28456B1 (ko) * 2017-12-06 2018-12-12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271A (ko) 2014-11-21 2016-05-31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66658B1 (ko) 2016-01-04 2017-08-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7468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로맥스인싸이트코리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41624B1 (ko) 2016-03-29 2017-05-30 환경관리 주식회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KR101928456B1 (ko) * 2017-12-06 2018-12-12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업무 서식 기반의 전자문서를 제공하는 현장지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245B1 (ko) * 2022-10-24 2023-05-10 주식회사 이쓰리 웹 입력기를 통한 모니터링 정보 입력 및 제공 방법, 및 컴퓨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528B1 (ko) 무선통신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피해조사 실시간자동화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Meinel et al. Analyzing building stock using topographic maps and GIS
US8630463B2 (en) Searchable electronic records of underground facility locate marking operations
US8977558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generation and assessment of engineering plans
US8532342B2 (en) Electronic manifest of underground facility locate marks
Barau et al. Improving polio vaccination coverage in Nigeria through th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AU2009226068B2 (en) Virtual white lines for indicating planned excavation sites on electronic images
Nirandjan et al. A spatially-explicit harmonized global dataset of critical infrastructure
CN109933637B (zh) 一种洪水风险动态展示及分析系统
KR102228047B1 (ko) 지하 매설물 관리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위치 정합 표시 장치 및 방법
CN103106272A (zh) 兴趣点信息获取方法及装置
CN116957887B (zh) 智慧抄表方法及抄表系统
KR102300807B1 (ko)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CN114328789A (zh) 基于空间数据剖分的国土空间规划编制协同设计平台
Shi et al. Reliability and consistency assessment of land cover products at macro and local scales in typical cities
Elia et al. A quality comparison between professional and crowdsourced data in emergency mapping for potential cooperation of the services
KR20160114871A (ko) 재해정보지도 표준모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Laaribi et al. GIS and the 2020 Census: Modernizing Official Statistics
KR20180052334A (ko) 모바일과 웹의 연동에 의한 뉴스텍스트 자동생성 방법과 그 장치
CN114742384A (zh) 一种基于bim三维重建的可视化电力排管智能管控方法
de Moraes An impact-based forecast system developed for hydrometeorological hazards
US8782564B2 (en) Method for collaborative display of geographic data
KR102336998B1 (ko) 필드 데이터의 트레이스 추적을 통한 맨홀 데이터 기록 시스템
CN109543876A (zh) 一种城市问题的可视化分析方法
KR102419096B1 (ko)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