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624B1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624B1
KR101741624B1 KR1020160037670A KR20160037670A KR101741624B1 KR 101741624 B1 KR101741624 B1 KR 101741624B1 KR 1020160037670 A KR1020160037670 A KR 1020160037670A KR 20160037670 A KR20160037670 A KR 20160037670A KR 101741624 B1 KR101741624 B1 KR 10174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wage
network
sewer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양근
김미경
김대중
윤성동
한정윤
이기철
김지용
손재락
이광진
최승찬
Original Assignee
환경관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환경관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환경관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7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현장 관리자가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를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 구축된 하수관거, 하수연결관, 측구, 하수관거심도, 하수맨홀, 물받이, 우수토실, 역사이펀, 토구, 환기구, 하수처리장, 하수펌프장, 유수지, 처리구역, 처리분구, 배수구역, 배수분구, 수위계, 수질계, 악취계, 유량계 및 현장제어반을 포함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대장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접근 권한이 부여되며, 지도맵과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관리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이를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시설물의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접근하여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업로드 하는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Sewer Network Facility Using Mobile Applic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현장 관리자가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를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 공공시설 중 하수관망 시설물들은 대부분 지하에 위치하는 지하 시설물이라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상태가 심각하게 노후화되어 있더라도 확인이 쉽지 않으며, 해당 시설의 사고 후 복구에 소요되는 사회 환경적 비용은 일상적인 유지관리비나 개·보수비용에 비하여 매우 큰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하수관망 시설물의 유지관리 대응 방향은 기존의 사후 유지관리 개념에서 벗어나 사전 예방적 개념의 유지관리 기법의 도입이 시급한 시점이다.
한편 중앙정부조직, 광역자치단체 및 기초자치단체와 이들이 운영하는 시설관리공단과 같은 산하 기관들은 공공시설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도로관리시스템, 교량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그러나 기존 관리시스템은 대부분 관제 센터에 구축된 서버에서 시설물의 유지 및 자산 관리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처리를 수행해야만 했기 때문에 시설물을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현장 인력이 아닌 서버 구축을 위한 전문 인력이 요구될 수밖에 없었으며, 실시간으로 현장에서 변동하는 시설물의 이력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2939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기기에 탑재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현장 관리자가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유지 및 자산 관리를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특정 지역에 구축된 하수관거, 하수연결관, 측구, 하수관거심도, 하수맨홀, 물받이, 우수토실, 역사이펀, 토구, 환기구, 하수처리장, 하수펌프장, 유수지, 처리구역, 처리분구, 배수구역, 배수분구, 수위계, 수질계, 악취계, 유량계 및 현장제어반을 포함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대장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접근 권한이 부여되며, 지도맵과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관리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이를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시설물의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접근하여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업로드 하는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있어 하수관거 또는 하수연결관이 선택된 경우 하수관거 또는 하수연결관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상에서 상기 하수관거 또는 하수연결관의 설치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라인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있어 하수관거가 선택된 경우 하수관거의 상류관을 추적할 수 있도록 지도상에서 각 하수관거의 라인에 방향성을 갖는 화살표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있어 하수관거가 선택된 경우 지도상에서 각 하수관거의 라인에 재원 정보를 약식으로 나타내는 라벨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은, 지도상에서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포함된 영역을 관리 영역을 지정 및 표시하며, 상기 관리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관리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식별 번호와 대장 정보를 열람 및 편집하기 위한 대장관리버튼이 활성화되어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대장관리버튼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대장 정보에 대한 복수의 항목을 열람하며 항목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정보제공화면으로 전환되며, 상기 정보제공화면는,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유지보수현황 또는 시설물이미지를 항목별로 리스트화하여 표시하며 선택된 항목에 대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편집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며, 카메라에서 촬영한 또는 기저장된 시설물이미지를 상기 편집 팝업창을 통해 첨부하여 상기 통합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업로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통합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는, 관리자의 업무에 대한 일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관리자의 일정 정보를 월별 또는 주별로 표시하거나 항목별로 리스트화하여 표시하며 선택된 항목에 대하여 일정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통합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특정 지역에서 접수되는 민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민원 정보를 항목별로 리스트화하여 표시하며 선택된 항목에 대하여 민원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편집 팝업창을 통해 상기 민원발생지역의 위치를 편집하도록 하며 이와 연동하여 해당 위치를 지도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복잡한 절차 없이도 현장에서 현장 관리자가 접근 권한이 부여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통합 관리 서버에 접근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정보 열람과 편집 등을 용이하게 처리하게 함으로써 유지 관리 및 자산 관리를 체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상하수도 사업자 또는 지자체의 관리자들이 하수관망 시설물의 운영 실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지도맵과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하수관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하수연결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하수맨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관리 영역과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아이콘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정보제공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제공화면의 유지보수현황 리스트와 편집 팝업창을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제공화면의 시설물이미지 리스트와 편집 팝업창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별 관리 정보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일정 관리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민원 관리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지역에 구축된 다종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대장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100)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서버(10)와,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로부터 접근 권한이 부여되며 지도맵과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관리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이를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시설물의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접근하여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업로드 하는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기저장된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정보 요청 시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이라 함은 특정 지역에 구축되어 하수관망을 구성하는 모든 시설물들이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수관거", "하수연결관", "측구", "하수관거심도", "하수맨홀", "물받이", "우수토실", "역사이펀", "토구", "환기구, "하수처리장", "하수펌프장", "유수지", "처리구역", "처리분구", "배수구역", "배수분구", "수위계", "수질계", "악취계", "유량계" 및 "현장제어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관리 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20)에서 입력 및 편집되어 업로드되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00)는 상술한 관리 정보에 더하여 관리자의 업무에 대한 일정 정보는 물론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특정 지역에서 접수되는 민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정 및 민원 정보 역시 상기 관리자 단말(20)에서 입력 및 편집되는 정보에 의해 즉시 업데이되어 정보 제공 시 반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특정 지역별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모바일 기기로,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와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일 수 있으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로부터 사전에 인증 과정을 거쳐 접근 권한이 부여된 기기일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키패드 내지 키보드 등을 포함한 입력 수단과,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 출력 수단이 구비되어 설치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검색 조건 등을 입력하거나 관리 정보를 편집함에 있어 관련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관리 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입력 수단으로서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시설물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자 단말(20)에서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이미지, 표,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에 관련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20)의 출력 수단에서 표시하도록 적합한 데이터 가공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리 대상으로 분류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 중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선택하고, 선택한 시설물의 목록을 검색하게 되며, 검색목록에서 시설물의 대장을 조회, 수정, 삭제하는 등의 편집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지도맵 화면에서 관리 대상으로 분류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 중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선택하여 해당 시설물의 대장으로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구비되는 지도맵은 자체적 제작된 지도맵일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국토교통부에서 공개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Open-API) 형태로 제공되는 브이월드(www.vworld.kr)에 접근하여 이로부터 제공되는 지도맵을 가공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관리자의 설정 및 편의를 위한 다양한 메뉴바와, 색인창, 범례창, 상태바 및 입력창은 물론 지도 레이어 등 관리자 단말(20)에서 구현되는 모든 서비스 제공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자 단말(20)의 운영체계(OS) 플랫폼 환경 대응하여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 간 데이터 연동을 실시할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술한 기능들이 모바일 기기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구동되기 위하여 요구되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GIS 서버 엔진인 GeoServer 2.* 등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안드로이드 롤리팝 이상 환경에서 실행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HTML5, CSS3, JAVASCCRIPT, JAVA 등의 사용 언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지도맵과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에 따라 지도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도맵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 또는 항공에서 촬영된 실사 지도이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사 지도를 이미지화한 일반 지도일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역 검색 기능이 지원되고 선택된 지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메뉴창은 '보이기' 또는 '숨기기'가 가능하여 상기 지도를 상기 관리자 단말(20)에서 표시함에 있어 선택적으로 메뉴창과 함께 표시되거나 독립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하수관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하수연결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하수맨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20)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지도맵에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연동하여 시설물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있어 하수관거 또는 하수연결관이 선택된 경우 하수관거 또는 하수연결관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상에서 상기 하수관거 또는 하수연결관의 설치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라인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있어 하수관거가 선택된 경우에는 하수관거의 상류관을 추적하여 표시할 수 있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상에서 각 하수관거의 라인에 방향성을 갖는 화살표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있어 하수관거가 선택된 경우 지도상에서 각 하수관거의 라인에 재원 정보를 약식으로 나타내는 라벨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지도를 통해 하수관거의 상류관 방향과 재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있어 하수맨홀이 선택된 경우, 지도상에서 하수맨홀의 설치 위치를 점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관리 영역과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아이콘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정보제공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지도상에서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포함된 영역을 관리 영역을 지정 및 표시하며, 상기 관리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 거리는 상기 관리자 단말(20)에서 사전에 설정된 거리이며 관리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50m 내지 100m 반경으로 설정하여 상기 관리 영역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아이콘이 조밀하게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영역에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식별 번호와 대장 정보를 열람 및 편집하기 위한 대장관리버튼이 활성화되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대장관리버튼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대장 정보에 대한 복수의 항목을 열람하며 항목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정보제공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상기 정보제공화면은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대장 정보를 항목별로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제공화면은 해당 시설물의 관리기관, 행정구역, 설치일자 등을 포함한 식별 정보와 함께 지형지물부호, 관리번호, 도엽번호, 용도, 재질, 규모, 단면형태, 구경, 길이 등 재원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대장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며, 이들 각각의 정보들을 상기 정보제공화면을 통해 편집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제공화면의 유지보수현황 리스트와 편집 팝업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제공화면의 시설물이미지 리스트와 편집 팝업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상기 정보제공화면은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일반적인 대장 정보와 함께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유지보수현황 또는 시설물이미지를 항목별로 리스트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리스트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여 추가, 수정 및 삭제 등 편집을 요청할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편집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유지보수현황에 대한 편집 팝업창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보수일자, 유지보수규모, 유지보수구분, 유지보수사유, 유지보수내용, 유지보수비용 및 시공자' 등 해당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유지보수를 실시함에 있어 관련 내용이 표시되며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 항목별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편집 팝업창을 통해 편집된 정보는 즉시 통합 관리 서버(1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이미지에 대한 편집 팝업창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일자, 이미지 보기, 비고' 등을 포함하여 해당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이미지 등록 관련 내용과 등록된 이미지가 표시되며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 항목별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미지 등록의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카메라에서 촬영한 또는 기저장된 시설물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편집 팝업창을 통해 첨부하여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정보제공화면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술한 유지보수현황, 시설물이미지에 더하여 선택된 하나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준설이력, CCTV영상 및 조사이력을 항목별로 리스트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리스트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여 추가, 수정 및 삭제 등 편집을 요청할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편집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별 관리 정보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지도상에서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거나 아이콘의 선택 시 해당 시설물의 대장 정보를 열람 및 편집할 수도 있으나, 특정 지역에 설치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전체 목록을 리스트화하여 표시하고 특정 검색 조건을 입력하여 검색 조건에 맞는 결과 데이터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10은 특정 지역에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 중 하수관거에 대한 전체 목록을 표 형태로 리스트화하여 표시한 것으로, 통합 검색 입력란과 각 항목별 검색 입력단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검색 조건을 입력하도록 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결과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일정 관리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민원 관리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부(100)에는 관리자의 업무 일정 내지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유지보수 등에 대한 일정과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사용자의 민원 접수 현황 등에 대한 민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접근하여 상기 관리자의 일정 정보 및 민원 관련 정보들을 열람하거나 조회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관리자 단말(20)에서 편집된 일정 또는 민원정보는 즉각적으로 상기 통합 관리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업트이트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상기 일정 정보의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관리자의 일정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이를 월별, 주별, 일별로 표시할 수 있는 바, 일 예로 도 1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달력 형태로 해당 월에 대한 일정 내용이 표시되게 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화면을 통해 월간 일정을 용이하게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수신한 일정 정보를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목별로 리스트화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일정 항목 중 하나의 일정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의 일정 항목에 대하여 일정 정보를 수정, 삭제 및 추가 등의 일정의 변동 사항에 따른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편집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c는 상기 일정 정보에 대한 편집 팝업창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편집 팝업창에서는 '순번, 분류, 설명, 시작일, 종료일, 공정률' 등의 일정 관련 내용을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2a 내지 12c는 민원 관리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20)에서 표시되는 민원 정보의 경우도 상기 일정 관리와 마찬가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민원 정보를 항목별로 리스트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선택된 항목에 대하여 민원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20)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집 팝업창을 통해 상기 민원발생지역의 위치를 편집하도록 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이와 연동하여 해당 위치를 지도상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통합 관리 서버 20 : 관리자 단말
10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1)

  1. 특정 지역에 구축된 하수관거, 하수연결관, 측구, 하수관거심도, 하수맨홀, 물받이, 우수토실, 역사이펀, 토구, 환기구, 하수처리장, 하수펌프장, 유수지, 처리구역, 처리분구, 배수구역, 배수분구, 수위계, 수질계, 악취계, 유량계 및 현장제어반을 포함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대장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접근 권한이 부여되며, 지도맵과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관리 정보를 조회 및 열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이를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하수관망 시설물의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접근하여 선택된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관리 정보를 업로드 하는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있어 하수관거 또는 하수연결관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하수관거 또는 하수연결관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상에서 상기 하수관거 또는 하수연결관의 설치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라인으로 표시하며,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있어 하수맨홀이 선택된 경우, 지도상에서 하수맨홀의 설치 위치를 점 형태로 표시하되, 상기 하수관거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류관을 추적할 수 있도록 지도상에서 각 하수관거의 라인에 방향성을 갖는 화살표를 함께 표시하도록 하면서 각 하수관거의 라인에 재원 정보를 약식으로 나타내는 라벨을 함께 표시하며,
    지도상에서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포함된 영역을 관리 영역으로 지정 및 표시하면서, 해당 관리 영역 내에 위치 및 설치되는 각각의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을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관리 영역에서 표시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식별 번호와 대장 정보를 열람 및 편집하기 위한 대장관리버튼이 활성화되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대장관리버튼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의 대장 정보에 대한 복수의 항목을 열람하며 항목별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정보제공화면으로 전환되며,
    상기 정보제공화면는,
    상기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유지보수현황 또는 시설물이미지를 항목별로 리스트화하여 표시하며 선택된 항목에 대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편집 팝업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며, 카메라에서 촬영한 또는 기저장된 시설물이미지를 상기 편집 팝업창을 통해 첨부하여 상기 통합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는,
    관리자의 업무에 대한 일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관리자의 일정 정보를 월별 또는 주별로 표시하거나 항목별로 리스트화하여 표시하며 선택된 항목에 대하여 일정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팝업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는,
    하수관망 관련 시설물에 대한 특정 지역에서 접수되는 민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민원 정보를 항목별로 리스트화하여 표시하며 선택된 항목에 대하여 민원 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팝업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편집 팝업창을 통해 민원발생지역의 위치를 편집하도록 하며 이와 연동하여 해당 위치를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KR1020160037670A 2016-03-29 2016-03-29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KR10174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70A KR101741624B1 (ko) 2016-03-29 2016-03-29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670A KR101741624B1 (ko) 2016-03-29 2016-03-29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624B1 true KR101741624B1 (ko) 2017-05-30

Family

ID=5905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670A KR101741624B1 (ko) 2016-03-29 2016-03-29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62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5311A (zh) * 2017-10-09 2018-01-05 衢州市江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服务的污水管网智能维护装置
CN108776466A (zh) * 2018-06-20 2018-11-09 江苏复星节能环保有限公司 智慧型低碳污水厂控制系统
CN109947958A (zh) * 2018-12-28 2019-06-28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基于用户应用驱动的变电站图纸查询管理系统
KR102037713B1 (ko) * 2019-04-29 2019-11-26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현장 정보의 자동 정렬을 통한 모바일 야장 생성 시스템
KR102226001B1 (ko) * 2020-07-29 2021-03-10 (주)내가시스템 하수관로 진단지원 시스템
KR102234891B1 (ko) 2020-08-31 2021-04-01 (주)제이스코리아 구조물 열화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00807B1 (ko) 2020-11-25 2021-09-10 더본테크(주)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336998B1 (ko) 2021-05-10 2021-12-09 더본테크 주식회사 필드 데이터의 트레이스 추적을 통한 맨홀 데이터 기록 시스템
KR102514560B1 (ko) * 2022-07-19 2023-03-27 (주)파이브텍 하수관거 악취발생 예측 및 통합관리시스템
KR20230060883A (ko) * 2021-10-28 2023-05-08 (주)한국융합아이티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926A (ja) * 2001-04-27 2002-11-15 Aichi Tokei Denki Co Ltd 公共事業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及び公共事業支援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926A (ja) * 2001-04-27 2002-11-15 Aichi Tokei Denki Co Ltd 公共事業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及び公共事業支援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5311A (zh) * 2017-10-09 2018-01-05 衢州市江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服务的污水管网智能维护装置
CN108776466A (zh) * 2018-06-20 2018-11-09 江苏复星节能环保有限公司 智慧型低碳污水厂控制系统
CN109947958A (zh) * 2018-12-28 2019-06-28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基于用户应用驱动的变电站图纸查询管理系统
CN109947958B (zh) * 2018-12-28 2023-02-14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基于用户应用驱动的变电站图纸查询管理系统
KR102037713B1 (ko) * 2019-04-29 2019-11-26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현장 정보의 자동 정렬을 통한 모바일 야장 생성 시스템
KR102226001B1 (ko) * 2020-07-29 2021-03-10 (주)내가시스템 하수관로 진단지원 시스템
KR102234891B1 (ko) 2020-08-31 2021-04-01 (주)제이스코리아 구조물 열화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00807B1 (ko) 2020-11-25 2021-09-10 더본테크(주)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336998B1 (ko) 2021-05-10 2021-12-09 더본테크 주식회사 필드 데이터의 트레이스 추적을 통한 맨홀 데이터 기록 시스템
KR20230060883A (ko) * 2021-10-28 2023-05-08 (주)한국융합아이티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617045B1 (ko) * 2021-10-28 2023-12-27 (주)한국융합아이티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514560B1 (ko) * 2022-07-19 2023-03-27 (주)파이브텍 하수관거 악취발생 예측 및 통합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624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US20240119415A1 (en) Advanced infrastructure management
US6904361B1 (en) Municipal utility mapping system and method
CA294263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sanitary sewer infrastructure management
US9773217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cquiring an enhanced positive response for underground facility locate and marking operations
CA2759932C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generating limited access files for searchable electronic records of underground facility locate and/or marking operations
KR100955592B1 (ko) Rfid와 gis를 활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McArdle et al. The Dublin Dashboard: Design and development of a real-time analytical urban dashboard
KR20180114814A (ko) 권역별 재난정보 제공방법
KR101740558B1 (ko)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KR20100035481A (ko) 개인 휴대용 단말기 및 지리정보시스템를 연계한 실시간 현장공사관리시스템 및 방법
US202101424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service to facilitate regulatory compliance
KR102068094B1 (ko) 지하수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KR102229787B1 (ko) 하수시설물 분석 시스템
KR102300807B1 (ko)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KR101834352B1 (ko) 개인하수도 배수설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20042531A (ja) 固定資産管理システム
JP7212335B1 (ja) マンホール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マンホール情報管理方法、ならびにマンホール情報管理プログラム
Zaharopoulos Managing Storm Sewer Assets in Arlington Heights, IL
Shaffer et al. Sewer System Data Management
Kisaaga et al. Real Time Digital and Meta Data Collection in Forming Urban Information System: Case Study Elazig (Turkey)
TWM646271U (zh) 智慧水利工程資訊管理平台
Speer et al. How Philadelphia Manages the Deluge of Data
JP2005279440A (ja) 浄化槽管理システム
KR20030068619A (ko) 배전설비 현장조사 지원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